영아에서 총담관의 일과성 확장*...cyst. demonstrated disappearance of cystic dilatation...

4
1992; 28 (2) Journal of Korean Rad iologicl l Soc i ety, March , 1 992 - Abstract - Transient Common Bile Duct dilatation in Infants Jee Young Kim , M.D. , Ok Hwa Kim, M.D. , Hyun Sook Kim, M.D. , Choon-Yul Kim , M.D. , Yong Wh ee ßahk , M.D. Departm ent o[ Radiology , Catholic Univers ity Medical college Follow-up sonographic studies of t hr ee inf ants , whose initial sonograms showed findings suggestive of choledochal cys t. demonstrated disappearan ce of cystic dilatation of the common bile du cts. Th e phe nome na could be account ed for by acute common bile duct o bs t ruction secondary to bile s lud ge. Bile plug syndro me should also be includ ed in the differ enc ial dia gnosis . Wh en a cystic or fusiform dilatation of the common bile duct is seen on sonogram , co ns e rvative managem e nt must be the c hoi ce of a pproach unl ess the finding is prov en to un changed over a period of time and irr eve rsible Index Words: lnf a nts , US stud ies Bile du c ts , dil ata tion Bile ducts , US studies (bi le plug 3 | 2.2mg/ dl , 17 1/ 128U , A lk aline 42. 2.7cm) la), l c) - 293-

Transcript of 영아에서 총담관의 일과성 확장*...cyst. demonstrated disappearance of cystic dilatation...

Page 1: 영아에서 총담관의 일과성 확장*...cyst. demonstrated disappearance of cystic dilatation of the common bile ducts. The phenomena could be accounted for by acute common bile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2; 28 (2) ‘ 2 93~296

Journal of Korean Rad iologicl l Society, March , 1992

영아에서 총담관의 일과성 확장*

가톨릭대학 의학부 방사선과학교실

김지영·김옥화·김현숙·김춘열·박용휘

- Abstract -

Transient Common Bile Duct dilatation in Infants

Jee Young Kim , M.D. , Ok Hwa Kim, M.D. , Hyun Sook Kim, M.D. , Choon-Yul Kim , M.D. , Yong Whee ßahk, M.D.

Department o[ Radiolog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Follow-up sonographic studies of three infants , whose initial sonograms showed findings suggestive of choledochal

cyst. d emonstrated disappearance of cystic dilatation of the common bile ducts. The phenomena could be accounted

for by acute common bile duct obstruction secondary to bile s ludge. Bile plug syndrome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differencia l dia gnosis . When a cystic or fusiform dilatation of the common bile duct is seen on sonogram ,

conservative management must be the choice of approach unless the finding is proven to unchanged over a period

of time and irreversible

Index Words: lnfants , US studies

Bile ducts , dilatation

Bile ducts , US studies

서 론

폐색성 황달을 보이는 소야에서 초음파검사상 총담관의

낭상 또는 방추형 확장이 보이면 우선 선천성 총담관 낭종

을 생 각하게 된다 ( 1, 2) . 그러 나 드물게 는 총담관이 끈끈한

담즙덩어리에 의해서 일과성으로 막히는 담즙마게증후군

(bi le plug syndrome)에서도 이와 유사한 소견이 나타나므

로 초음파검사로는 진단이 어려워 수술을 하게되는 일이 있

다 ( 3- 5).

저자들은 초진시 초음파검사상 총담관의 낭상 또는 방추

형 확장이 나타나 전형적인 총담관 낭종으로 진단한 소아 3

명에서 추적 초음파검사를 실시한 결과 그중 2명에서 총담

관 확장소견이 줄어들고 남은 1명 에서 는 확장이 없어진 증

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 하고저 한다.

증 례 보 고

증 례 |

생후 11개월된 여야가 3일간 계속된 구토와 발열을 주소

로 내원하였다. 촉진상 경미한 간종대와 담냥확장이 있었으

며 황달이 있었다. 혈액검사상 총 빌리루빈치는 2.2mg/ dl , SGOT/SGPT는 171/ 128U , Alka line phosphatase는 42.

lKA/dl이었다. 복부 초음파검사에서 총담관의 낭상(내경

2.7cm) 확장이 보였고(Fig. la), 간담도 신티그라피에서도

총담관 확장이 나타나 총담관냥종(cho ledochal cyst)으로

진단하였다(Fig. lb) ‘ 수액과 항생제 치료후 열이 떨어지고

임상증상이 호전되는 한편 빌리루빈치 또한 O.4mg/d l로 정

상으로 돌아왔다. 증세가 호전되어 환아 부모가 수술을 거

부하였기 때문에 그대로 퇴원하였다. 6개월후에 시행한 초

음파검사상 총담관의 확장이 현저히 감소 되었다(Fig . l c)

*본 논문은 1991년 가톨릭중앙의료원 임상의학 연구보조비 로 이루어 졌음

이 논문은 1991년 8월 23일 접수하여 199 1년 11월 29일에 채택되었음

- 293-

Page 2: 영아에서 총담관의 일과성 확장*...cyst. demonstrated disappearance of cystic dilatation of the common bile ducts. The phenomena could be accounted for by acute common bile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2 ; 28 (2) : 293~296

a

b

c

Fig. 1. a. Oblique sonogram demonsrates cystic dilataion of the common bile duct b. 99m Tc.DISIDA cholescintigraphy shows concentra­tion of activity in the dilated common bile duct(arrows) at 1 hour after injection. c. Fo1Jow-up sonogram after 6 months shows reduction of cystic dilatation of common bile duct(arrows)

증 례 2

생후 24개월된 여야가 5일전부터 황달이 나타났고 2일전

부터는 복부 통증과 열이 있어 내원하였다. 총 빌리루빈치

는 3.9mg/dl이었고, SGOT/SGPT는 93/1l5U이었다. 초

음파검사상 총담관이 방추형으로 확장되어 있었으며 확장된

총담관내에 고 에코음영의 담즙 침전상이 보였으며 (Fig.

2a) , 이를 토대로 총담관 낭종의 진단이 내려져 수술을 위해

입원하였다. 그러나 수술전 3일간 보존적 치료로 증상이 호

전되었고, 빌리루빈치 또한 l.lmg/dl로 떨어졌다. 입원 10 일째에 시행 한 초음파검사상 총담관 확장의 정도가 경해졌

으며 (Fig.2b) , 이 소견으로는 총담관 낭종으로 진단할 수

없었다. 수술소견상 총담관은 약간 늘어난 듯이 보였고, 병

리조직 검사상 담관벽에 염증세포침착과 국소성 미란(ero­

sion) 이 관찰되 었다.

a

b Fig. 2. a. Initial transverse sonogram shows fusiform dilatation of common bile duct containing sludge (arrow) b. Fo lJow-up sonogram at lOdays later shows marked reduction in size of common bile duct (arrow).

- 294-

Page 3: 영아에서 총담관의 일과성 확장*...cyst. demonstrated disappearance of cystic dilatation of the common bile ducts. The phenomena could be accounted for by acute common bile

증 례 3

3세된 여아가 7일전부터 배꼽 주변부에 때때로 격렬한 통

증이 생겨 내원하였다. 과거력상 내원 2달전 nonA nonB

간염으로 한달간 입원한 사실이 있었다. 내원시 촉진상 간

이 3횡지 정도 커져있었고1 임상검사상 총 빌리루빈치는 2‘

5mg/ dl , SGOT/ SGPT 는 576/ 4 76U , Alkaline phos­

phatase는 592KA/dl이었다. 복부 초음파검사상 간내 담관

과 총담관의 심한 확장이 있었고, 총담관에 담즙 침전상이

보였다(Fig.3a). 수액과 항생제로 치료한바 입원 4일째 부

터 증세가 호전되고 빌리루빈치 또한 0.6mg/dl로 떨어 져

퇴원하였다.

3개월 후에 시행한 추적 초음파검사상 총담관이 8mm로

줄었고(Fig.3b), 다시 8개월 후 시행한 초음파검사에서 총

담관의 확장은 없었다(Fig . 3c)

고 잘

초음파검사는 황달의 감별진단에 가장 손쉽고 효율성있는

검사이다. 초음파검사결과 총담관의 현저한 확장이 보이면

서 총담관을 폐색시키는 담석이나 종양이 없을 경우 총담관

낭종의 진단이 내려지는데, 이와 유사한 소견을 보이 는 질

환으로 담즙마게증후군(bile plug syndrome)이 있다. 총담

관낭종은 춰1담관의 이상형성으로 인해 훼장즙이 반복 역류

되면서 담관염이 유발되고, 그결과 총담관 벽이 두꺼워지연

서 담관벽에 비가역적인 섬유화가 일어난 질환이다 ( 1, 2, 6).

이와는 달리 담즙마게증후군에서는 농축된 담즙이 뭉쳐서

담즙덩어리를 형성하여 총담관폐색을 일으키며, 그 결과 담

관확장이 초래된다. 그 원인은 불명하나 냥포성 섬 유증을

앓거나 신생아기 비경구성 영양공급(tota l parenteral nutri­

tion)을 시행한 아기에서 볼 수 있으며, 그 증세나 방사선학

적 소견이 총담관낭종과 유사하여 수술전에 총담관낭종으로

진단하고 수술후에 담즙침전증으로 밝혀진 예도 있다 ( 3, 6).

저자들의 환아에서도 초음파검사상 총담관의 현저한 확장

과 더불어 2명에서는 담즙침전이 있어 총담관낭종에 동반된

담즙덩어리로 진단하였다. 그러나 수액요법과 항생제 복용

만으로 일주일내에 환아의 증상이 호전되고, 추적 혈액검사

에서도 빌리루빈치가 정상으로 되어 수술을 보류한채 퇴원

시켰으며, 추적초음파검사를 실시한 결과 총담관이 2예에서

는 줄어틀었고 1예에서는 정상이 된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명중 2명에서는 6개월 및 8개월후에 실시한 추적초음파검

사에서 총담관확장의 재발을 볼 수 없었다. 1명에서는 처음

초음파검사부터 10일후에 실시한 초음파검사상 총담관확장

이 현저히 줄어들였으나, 수술을 시행한 결과 총담관은 경

도의 확장이 있었을 뿐 조직소견상 총담관벽에 섬유화 소견

김지영 외 : 영아에서 총담관의 일과성 확장

a

b

c

Fig. 3. a. Oblique sonogram shows dilatation of in­trahepatic and common bile ducts. Bile sludge is seen in the dilated common bile duct. GB: gall b ladder PV: portal vein b ,c. Fo llow-up sonograms on 3months(B) and 8month s(C) later demonstrate resolution of dilatation a nd the common bile duct(arrow) has normal diameter.

- 295 -

Page 4: 영아에서 총담관의 일과성 확장*...cyst. demonstrated disappearance of cystic dilatation of the common bile ducts. The phenomena could be accounted for by acute common bile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2 ; 28 (2) : 293~296

이 없었다. Mueller등 ( 7) 에 의하면 총담관은 주로 탄력섬

유와 결합섬유로 이루어 졌고 근육조직은 거의 없기 때문에

급성 폐색이 생길 경우 담관이 늘어났다가 폐색의 원인이

없어지연 담관벽의 탄력성 때문에 정상으로 되돌아 온다고

한다. 따라서 저자들의 환아에서 나타난 낭성 내지는 방추

형 총담관 확장은 급성 폐색에 의한 일과성 확장이기 때문

에 담관염과 담즙덩어리가 보존적 치료로 치유가 되고, 따

라서 추적검사에서 총담관 확장이 줄어들거나 정상으로 되

었다고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영야에서 초음파검사상 총담관낭종으로 의심

되는 총담관의 확장이 있을 경 우 bile plug syndrome같은

담즙침전에 의한 일시적 폐쇄의 가능성도 꼭 감별진단에 포

함시켜야 하며 비가역적인 수술을 하기전에 보존적 치료후

의 추적 초음파검사가 매우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1. Han BK, Babcock DS, Gelfand MH. Choledochal cyst

with bile duct dilatation: Sonography and 99m-Tc

IDA cholescintigraphy. AJR 1981 ;136:1075-1079

2. Gates GF, sinatra FR. Thomas DW. Cholestatic syn­

drome in infancy and childhood . AJR

1980; 134: 1141-1148

3. Pfei f1er WR. Robinson LH , Balsara VJ. Sonographic

features of bile plug syndrome. J Ultrasound Med

1986;5:161-163

4. Mahr MA , Hugosson C , Nazer HM , Saad SA , A1i MA.

Bile-plug syndrome. Pediat Radiol 1988; 19:61-64

5. Bernstein J , Braylan R. brough AJ . Bile-plug syn­

drome; A correctable cause of obstructive jaundice

in infants . Pediatrics 1969;43:273-276

6. Babbitt DP , Starshak RJ , Clemett AR. Choledochal

cyst; A concept of etiology. AJR 1973;119:57-62

7. Mueller PR. Ferrucci JT , Simeone JF , Sonnenberg

E , Hall DA , Wittenberg J . Observations on the

distensibility of the common bile duc t. Radiology

1982; 142:467-472

- 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