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24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7, No. 2, pp. 143~166, 2008. < 요 약 > 치매 환자의 언어적 손상이 다른 신경언어장애에 비해 비교적 질병이 진행된 이후에 나타난다. 표현 언어보다는 잘 드러나지 않는 의미론적 측면의 손상 때문이라고 생각된 다. 표준화된 언어 검사 과업을 통해서는 치매 노인의 이러한 언어 특징을 거의 잘 알 아내지 못한다. 이러한 언어 특징은 담화 수준에서의 언어적 분석이 필요하다고 고려된 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담화 분석법을 이용하여 치매의 유형에 따른 언어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선정한 치매 유형은 알츠하이머형 치매(AD), 뇌혈관성 치매(VD)이며, 치매의 심한 정도는 치매임상평가척도(CDR: clinical dementia rating) 에서의 척도 점수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AD집단 44명, VD집단 40명을 대상으 로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발화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다양한 형식의 담화를 유도 하기 위하여 일련의 활동에 따른 촉진 질문을 이용하여 발화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발 화의 분석요소들은 담화의 긍정적 요소, 부정적 요소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전체 AD 집단과 VD 집단 간의 담화 특성을 비교한 결과, 담화의 긍정적 요소인 정보전달능 력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주제유지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 나지 않았다. 담화의 부정적요소에서는‘모른다’는 발화, 담화의 부정적요소 전체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발화를 통해 임상에서 치매인의 발화 능력에 대한 판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고 본다. 핵심어 : 알츠하이머형 치매, 뇌혈관성 치매, 담화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Discourse Specification on Types of Dementia 손 은 남 * 박 선 희 ** Sohn, Eun Nam Park, Sun Hee * 가톨릭 상지대학 언어재활과 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Speech Language Pathology, Gatholic Sangji Collage ** 대구한의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교수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Daegu Haany Universty

Transcript of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Page 1: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Vol. 47, No. 2, pp. 143~166, 2008.

< 요 약 >

치매 환자의 언어적 손상이 다른 신경언어장애에 비해 비교적 질병이 진행된 이후에 나타난다. 표현 언어보다는 잘 드러나지 않는 의미론적 측면의 손상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표준화된 언어 검사 과업을 통해서는 치매 노인의 이러한 언어 특징을 거의 잘 알아내지 못한다. 이러한 언어 특징은 담화 수준에서의 언어적 분석이 필요하다고 고려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담화 분석법을 이용하여 치매의 유형에 따른 언어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선정한 치매 유형은 알츠하이머형 치매(AD), 뇌혈관성 치매(VD)이며, 치매의 심한 정도는 치매임상평가척도(CDR: clinical dementia rating)에서의 척도 점수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AD집단 44명, VD집단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발화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다양한 형식의 담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일련의 활동에 따른 촉진 질문을 이용하여 발화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발화의 분석요소들은 담화의 긍정적 요소, 부정적 요소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전체 AD 집단과 VD 집단 간의 담화 특성을 비교한 결과, 담화의 긍정적 요소인 정보전달능력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주제유지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담화의 부정적요소에서는‘모른다’는 발화, 담화의 부정적요소 전체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발화를 통해 임상에서 치매인의 발화 능력에 대한 판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고 본다.

핵심어 : 알츠하이머형 치매, 뇌혈관성 치매, 담화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Discourse Specification

on Types of Dementia

손 은 남* ㆍ 박 선 희**Sohn, Eun Nam ㆍ Park, Sun Hee

* 가톨릭 상지대학 언어재활과 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Department of Speech Language Pathology, Gatholic Sangji Collage

** 대구한의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교수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Daegu Haany Universty

Page 2: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2號)

- 144 -

Ⅰ. 서 론1. 연구의 의의

치매란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 외인에 의해서 손

상이 되거나 파괴되어 지능, 학습, 언어 등의 인지기능과 인성이 점진적으로 역

행할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되며, 이로 인하여 사회적, 직업적 기능 또는 타인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능력을 상실하는 복합적인 임상증후군을 일괄하여 지칭하는 것

이다(이윤로 외, 2000; O’Shea & Reily, 2000). 치매는 현재 심장 질환, 암,

뇌졸중에 이어 4대 주요사인으로 되어 있다. 이토록 치매의 심각성을 깊이 인식

하면서도 아직까지 치매 발병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는 것은 불행한 일

이 아닐 수 없다. 효과적인 진단과 치료법이 없어서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각국

의 의학계가 고심하고 있는 실정이다(장용순, 2004). 알츠하이머병의 경우 퇴행

성 질환이라는 기질적 병으로 치료의 가능성이 낮지만 조기진단과 재활치료를

통해 진행속도를 완화시키거나 증상의 호전을 기대해 볼 수도 있다. 치매 노인

의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고 잔존 능력을 최대한 이끌어 내어 일상생활 영위에

도움을 주며 질병 경과를 늦출 수 있는 적절한 시도가 요구된다(김남초 외,

1999).

치매 환자의 언어적 손상은 다른 인지적 영역보다 조금은 뒤 늦게 발견된다.

이것은 치매 환자의 언어적 손상이 다른 신경언어장애에 비해 비교적 질병이 진

행된 이후에 나타나며, 언어의 형식적 측면보다는 잘 드러나지 않는 의미론적

측면의 손상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치매의 심한정도가 진행되면서 언어적

문제 보다는 행동적 문제나 정서 변화 문제에 집중하였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떨어졌을 것이라 생각된다. 많은 실어증 환자나 언어 장애 아동에게서 증명되고

있듯이, 언어 능력의 향상은 부차적인 행동의 문제, 정서의 문제가 함께 향상 된

다. 비록 치매가 퇴행성 질환이라고 하더라도 더 이상 언어 치료에 있어서는 제

외시킬 수 없는 대상이다. 현재 국내외 연구들을 살펴보면 실어증과 같은 신경

언어장애와 비교했을 때 치매에 대한 언어 재활은 이제 시작 단계이며, 표준화

된 검사나 체계화된 프로그램조차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태이다. 치매의 신경

심리학적 평가에 포함되어 있는 하위 영역으로서의 언어 평가는 치매 환자의 언

어 손상을 모두 다 포함하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중요한 부분은 제외되어 있다

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치매 환자의 언어적 특징은 주제의 응집력에 있어서 가

장 많은 결함을 나타낸다. 정보와 관련이 적은 단어들과 정보에 대한 의미적인

Page 3: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연구

- 145 -

내용의 감소(Appell et al., 1982; Bayles et al., 1985), 상투어의 반복

(Bayles et al., 1985; Kempler, 1995), 주제 유지의 결핍과 주제에서 벗어나

는 경우 빈번함(Garcia & Joanette, 1994), 지나치게 장황(Appell et al.,

1982)한 것이 대표적인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언어 특징은 담화 수준에서의

언어적 분석이 필요하다고 고려된다. 담화 분석은 언어치료사들에게서 신경언어

학적 연구와 임상적 현장에서 최근의 관심 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김은정

(2003)은 기존의 신경언어장애인들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공식 검

사 K-WAB(Korean version-Western Aphasia Battery: 김향희, 나덕렬,

2001)이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와 실어증 환자의 언어적 특성을 비교하는 것

에 여러 한계점이 발견되어 새로운 평가 방법을 채택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언어치료사들이 명확하고 비교 가능한 점수를 부여하는 표준화된 의사소통 기능

평가들에 우선적으로 의존하는 경우가 많지만 표준화된 검사만으로는 언어의 기

능적인 능력을 증명하기에는 매우 어렵다. 하지만 기능적인 평가의 주관적인 점

과 평가 방법에 있어서의 어려움 때문에 회피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 딜레마를

다루기 시작하면서 임상가들과 연구자들은 기능적 결과 평가, 기능적 의사소통

프로파일, 담화 수집을 포함하는 대안적 평가와 개인의 상호작용에서 강점과 약

점을 알아내는 방법으로서의 역동적인 평가로 변하고 있다(Leanne, 2001).

담화란 말 또는 글의 형태로 문장 수준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담화는 낱말이

나 문장을 단순히 길게 나열한다고 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담화를 구성

하는 문장들 간에 서로 연관성이 없다면 그것은 단순한 문장들의 나열에 지나지

않으며 하나의 통일된 이야기가 될 수 없다. 따라서 담화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그것을 구성하는 문장들이 하나의 화제를 중심으로 서로 연관되어야 한다. 그리

고 이렇게 담화를 구성하는 문장들이 서로 연관되도록 엮어주는 것이 결속구조

(cohesion)이다. 이러한 담화 분석은 구어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는데 매우 효

과적이다. Spaulding 등(2006)에 의하면 언어장애 진단에 사용되는 43개의 언

어 평가지를 재검토한 결과, 표준화 되고 의미 있게 쓰이고 있는 9개의 평가지

를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 단지 5개만이 80% 이상의 정확성으로 언어장애아동

을 분류하였다고 한다. 이 같은 결과는 역동적인 평가의 필요성을 부각시켜 준

다. 담화는 언어 평가에 있어서 사고의 과정, 표현성, 학습가능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특히 뇌손상으로 인한 언어장애 환자의 경우, 발화의 양적, 질적 분석

은 언어장애의 유형을 밝히거나 회복의 정도를 객관화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

공한다. 치매의 유병률 연구들을 검토해 보면 중등도 및 중증 치매의 유병률은

연구들마다 큰 차이가 없으나 경도 치매를 포함시키면 큰 차이가 있다(Kay &

Bergmann, 1980). 주된 이유는 경도 치매에 대한 정의가 학자들마다 다르기

Page 4: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2號)

- 146 -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도 치매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개념이다. 경도

치매의 속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치매의 유병률이나 발병을 연구하는 것

뿐만 아니라, 치매의 초기 증상을 비롯한 자연적 경과, 조기 진단, 치료 방법들

을 연구하는 데에도 필수적이다. 경도의 치매 환자의 언어적 손상을 파악 할 수

있다면, 치매 환자의 언어 손상 정도를 파악하는데 매우 의미 있는 지표가 될

것이다. 담화는 치매로 발생하는 언어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한 의미 있는 방법

이 된다. 그러나 담화 분석은 발화를 분석하는 체계적인 기준이 없으며, 또한 구

어를 분석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준이 있다고 하더라도 구어 형태에 따라 애매모

호함을 피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치매는 매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증후

군의 집합체이다. 이러한 다양한 치매 유형간의 언어적 특징에 있어서도 손상의

진행 정도와 특징적인 차이점 들이 발견될 것이다. 손은남(2003)은 뇌혈관성

치매가 주제 진술 약화의 비율이 높은 반면,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는 주제 진

술이 완전히 벗어나는 비율이 더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치매 유형 간에

서의 언어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면 신경 심리 평가 및 뇌 영상 사진과 함께

보다 정확한 치매 유형을 감별할 수 있는 좋은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치매

환자들의 언어 손상을 평가할 수 있는 담화 분석법을 소개하고, 치매의 유형과

심한정도에 따른 담화의 특성을 파악하여 언어치료의 출발점을 제시해 주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담화 분석법을 이용하여 치매의 유형에 따른 담

화 특성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노인 치매인들의 언어 손상의 특성을 규

명하고자 한다.

2. 연구 문제이 연구의 목적은 알츠하이머형 치매(Alzhimer’s dementia: AD)와 뇌혈관

성 치매(cerebrovascular dementia: VD) 간의 언어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AD집단과 VD집단 간 긍정적 담화 요소와 부정적 담화 요소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심한정도별 AD집단과 VD집단 간 긍정적 담화 요소와 부정적 담화 요

소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Page 5: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연구

- 147 -

Ⅱ. 연구 방법이 연구는 치매 노인의 언어적 결함을 예측할 수 있는 요소들을 알아보기 위하

여 치매의 유형에 따라 언어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표준화된 언어 검

사 과업을 통해서는 치매 노인의 언어 특징을 잘 밝히지 못하고 있다. 치매인의

언어적 결함은 통사론적 측면보다는 의미론적 측면에서 결함을 나타내며, 단어나

구 단위 수준보다는 담화 수준에서의 결함을 나타내므로 담화 분석을 통한 언어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 선정 연구 대상은 병원 및 치매 요양원에 거주하는 65 ~ 79세의 치매 노인을 대상

으로 알츠하이머형 치매(AD) 44명(CDR 등급별 10 ~ 14명씩), 뇌혈관성 치매

(VD) 40명(CDR 등급별 10명씩)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과 성별의 비율, 교

육 수준의 정도에서 유의미한 차가 나타나지 않도록 선정하였다. 또한 신경과

전문의의 임상적 소견 및 MRI와 PET 등의 뇌 영상촬영 검사를 통하여 치매로

진단받은 자로 선정하였다. 치매의 심한정도별 대상 선정은 CDR의 척도 체계에

따라 0.5, 1, 2, 3의 네 단계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환자의 초기 진단 시기

CDR의 점수와 본 연구 조사 시 CDR 점수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최소 1개

월 이내에 신경과 전문의로부터 진단받은 CDR 점수를 환자의 본 점수로 간주

하였다. 이렇게 신경과 전문의로부터 진단받은 CDR 점수를 이용하여 치매 의심

군(CDR=0.5), 경도 치매군(CDR=1), 중등도 치매군(CDR=2), 심도 치매

(CDR=3)이렇게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치매 유형별 대상 선정은 박종한 등

(1991)의 연구 결과와 본 연구자의 사전 조사에 의해서 비교적 많은 인구 분포

를 차지하는 알츠하이머형과 뇌혈관성으로 선정하였다.

2. 연구 방법 및 절차1) 발화 수집 방법

치매 노인의 발화를 수집하기 전, 간단한 면담을 실시하여, 연령, 학력, 성별

등의 배경정보를 수집하며 대상자들과 친밀감을 형성하였다. 담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연구자와 함께 1;1로 일련의 활동을 실시한 후에 다섯 가지 담화 유형의

발화를 유도하기 위한 질문을 하였다.

Page 6: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2號)

- 148 -

다양한 형식의 담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일련의 활동에 따른 질문을 이용하였

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 이후에 담화 수집하는 방법은 연구 대상자들을 통제하

여 발화를 수집하기 위해서였다. 성인의 발화 수집은 아동들과는 달리 경험에

따라 발화의 내용이 매우 다양해 질 수 있으므로 하나의 같은 활동을 실시 한

후, 그에 따른 관련 질문을 통해 발화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선정한

구체적인 활동은 고추 모종 심기 활동이다. Sandra 와 Leticia(2004)는 25세

-55세 성인 52명을 대상으로 기술적 담화(descriptive discourse)를 산출하는

동안 주어진 명제가 친숙할수록 더 많은 특징들을 발화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친

숙하지 않은 명제에 대하여 기술적 담화를 산출하는 동안에는 첨가어, 의미 없

는 반복 등의 유창성을 방해하는 발화요소들이 빈번히 산출되었다고 보고하였

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치매 노인들이 새로운 물건이나 활동에 대해 거부감

을 보이는 경향이 있으므로 새롭게 접하는 활동이 아닌 익숙한 활동으로 선정하

였다. 또한 연구 대상자들의 연령, 성별, 직업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활동임을

고려하였다. 일련의 활동이 이루어진 이후 30분의 휴지 이후에 다양한 형식의

담화를 유도하기 위한 질문을 실시하였다. 활동이 끝나고 난 이후에 즉각적으로

질문을 하여 담화를 유도하게 되면 시각적으로 보이는 현상들에 대한 단단어의

발화만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시각적 방해물을 없애기 위해서 휴지를 주

었다.

각각의 담화 유형 마다 Ⅰ단계 유도 질문을 하고, 대상자들의 발화 수집 기준

에서 부족하다면 Ⅱ단계 유도 질문을 통해서 발화를 수집하였다. 대상자들의 발

화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는 단단어의 나열, 발화를 전혀 하지 않는 경우

등이었다. Ⅰ단계 유도 질문에서 대상자가 질문에 대한 대답을 하더라도 Ⅱ단계

유도 질문을 제시하였다. 대상자들의 발화 샘플에 대한 동질성을 위한 것이었다.

Ⅱ단계 유도 질문은 Ⅰ단계 유도 질문보다 대상자로 하여금 담화를 이끌어 내기

에 더욱 많은 단서를 제공하는 어휘 및 문장을 사용하였다.

질문을 통하여 담화의 구성 요소인 이야기 담화(narrative discourse), 절차

적 담화(procedural discourse), 일화적 담화(expository discourse), 대화적

담화(conversational discourse), 설명적 담화(descriptive discourse)를 유도

하였다.

발화 수집 장소는 대상자들에게 친숙하고 가능한 외부의 소음이 없는 곳으로

선택하였다. 발화 수집 기간은 10개월 동안 실시하였으며, 일련의 활동 및 전체

발화 장면을 비디오 카메라로 녹화하였다.

Page 7: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연구

- 149 -

2) 발화 분석 (1) 분석 절차

연구자가 제시한 담화 유형에 따른 질문에 대하여 각 집단별 대상자들이 발화

한 것을 비디오로 촬영하였고, 그 자료를 본 연구자와 언어치료사 자격증을 소

지하고 2년 이상의 임상 경험이 있는 언어치료사 1명이 각각 다른 시간과 장소

에서 분석하였다.

(2) 분석 기준

이 연구에서 설정한 분석 요소들은 손은남(2003)의 선행 연구에서 부분적으

로 따랐으며, 일부 항목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CIU(correct information

unit)분석 방법은 Nicholas와 Brookshire(1993)이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담화 분석을 위한 분석요소들을 담화의 긍정적 요소, 담화의 부정적 요소, 담

화 표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일련의 활동을 실시한 후 질문을 통해 수집한

발화는 발화 구분 분석<표 2-1>을 하고 난 뒤, 각 발화의 내용별 분석을 하였

다. 담화의 긍정적 요소에 해당하는 주제유지능력과 정보전달능력과 담화의 부

정적 요소에 해당하는‘모른다’고 하는 발화, 거부, 부정적 자기평가, 의미없는

대답의 의미를 가진 발화를 분석하였다<표 2-2>.

담화의 긍정적 요소는 주제유지능력과 정보전달능력으로 분석하였다. 담화의

긍정적 요소에서 주제유지능력은 치매인 언어적 특징에서 가장 대표되는 주제의

응집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며, 산출 방법은 전체 발화수에서 주제유지를 하

는 발화 수의 비율로 하였다. 정보전달능력의 산출 방법은 전체 어절수에서 정

보단위어절수의 비율로 하였다. 주제유지능력을 분석단위가 발화이므로 발화 길

이에 대한 정보가 간과되기 쉽다. 따라서 분석 단위가 더 작은 CIU비율을 통한

정보전달능력을 통해 한 발화 내에서의 담화 능력을 함께 보고자 한 것이다. 담

화의 부정적 요소는‘모른다’는 발화, 거부, 부정적 자기평가, 의미없는 대답으

로 네 가지 영역을 따로 분석하고 그리고 모두 더한 값으로도 집단 간 비교를

하였다. 이 항목들을 담화의 부정적 요소로 설정하여 치매인의 담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3) 신뢰도

수집된 발화는 녹화일로부터 2일 이내에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사와 분석 방

법에 대한 분석자간 토의 후 전사된 표본의 30%를 무작위로 표집하여 각각 독

립적으로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기록한 자료에 대한 신뢰도는 어절 중심의 낱말

단위로 하였며, 두 평가자간에 기록이 일치한 어절수를 세어 전체 어절 수에 대

Page 8: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2號)

- 150 -

<표 2-1> 발화 구분의 분석 기준

요 소 분 석 기 준

발화 구분방법

대상자의 담화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단위이다.기본적으로 한 문장을 발화의 한 단위로 하였다. 완전한 문장을 갖추지 못하더라도 구어산출을 마치고 쉬는 경우에는 한 단위의 발화로 간주한다.

1. 종결 어미가 있으면 한 발화. 2. 접속사가 나오면 종결어미 바로 뒤에 바로 끊는다.3. 문맥이 연결되는 경우라 할지라도 5초 이상의 시간 간격이 있는 경우

에는 끊음.4. 연결어미(예,‘-고’)로 계속 이어지는 경우, 억양의 큰 변화나 5초

이상의 시간 간격이 있는 곳에서 끊음. 단, 억양의 큰 변화나 긴 시간간격이 없이 계속해서 발화가‘-고’등으로 이어지는 경우, 두 번째‘-고’까지를 한 발화로 간주하여 끊음.

<표 2-2> 질문에 따른 발화의 분석 기준

분석항목 분 석 기 준 채 점

전체발화수

기본적으로 문장을 발화의 한 단위로 함.문장 성분의 생략이 있더라도 대상자가 발화를 마친 경우 하나의 발화로 간주함.문장 체계를 갖추지 못하더라도 대상자의 완전한 쉼이 있는 경우 하나의 발화로 간주함.

빈 도

담화의 긍정적 요소

주제유지발화

촉진 질문에 따른 주제에 대한 발화로써 내용의 완전하고, 애매하지 않으며, 내용 없는 말이 포함되지 않은 발화.

빈 도

주제유지능력

전체 발화에서 주제진술을 하는 발화 비율로써 산술 방법은 주제유지발화/전체발화수로 하였음.

비 율

정보단위어절

전체 단어 중에서 내용상 적절하고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어절. 빈 도

정보전달능력

전체 단어 중에서 내용상 적절하고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어절의 비율. 정보전달 비율이 높을수록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이 높음. 산출방법은 정보단위어절수/전체어절수로 하였음.

비 율

한 비율을 산출한 결과 94%였다. 자료 분석에 대한 신뢰도는 각 분석 항목에

대하여 두 평가자간 채점이 일치한 항목수를 세어 전체 항목 수에 대한 비율을

산출한 결과 분석자간 신뢰도는 96%였다.

Page 9: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연구

- 151 -

담화의 부정적 요소

‘모른다’고 하는 발화

“모른다”,“기억나지 않는다”등의 발화.

빈 도

거 부 “싫어”또는“저리 비켜”등의 발화 또는 행동으로서 발화 거부.

부정적인자기 평가

한 주제에 대해 자신의 기억에 대해 비난하거나, 언어 능력에 대해 비난.

의미없는 대답

질문에 대해서 아무렇게나“예”,“응”,“아니오”라고 하는 반응.

3. 자료 처리치매 유형에 따른 각 집단이 담화에서 어떠한 언어적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알

아보기 위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계분석패키지(SPSS 14.0)를 사용

하였다. 치매 유형에 따라 각 집단 간 담화 분석 요소들을 종속변수로 하여 일

원배치분산 실시하였으며, 다중비교를 통한 담화 분석 요소들의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Ⅲ. 결과 및 해석AD집단과 VD집단 간의 담화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전체 AD집단과 VD집

단 간의 담화 분석 요소들을 살펴본 후, 치매의 심한정도가 같은 AD집단과 VD

집단 간의 담화 분석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1. 전체 AD집단과 VD집단 간의 언어 특성 비교전체 AD집단과 VD집단 간의 언어 특성을 담화의 긍정적 요소와 부정적 요소

로 살펴보았다. 담화의 긍정적 요소는 주제유지능력, 정보전달능력으로서 살펴보

았고, 담화의 부정적 요소는‘모른다’는 발화, 거부, 부정적 자기 평가, 의미없

는대답으로 살펴보았다. AD집단 44명(CDR 등급별 10-14명씩)과 VD집단 40

명(CDR 등급별 10명씩)의 언어 특성이 어떠한 변인에서 차이를 보이는가를 알

아보기 위하여 평균값을 살펴보고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Page 10: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2號)

- 152 -

<표 3-1> 유형에 따른 집단별 담화의 긍정적 요소의 평균과 표준편차

전체발화수

담화의 긍정적 요소

주제유지능력* 정보전달능력**

AD평 균 47.86 0.56 0.34

표준편차 22.84 0.23 0.22

VD평 균 31.15 0.53 0.50

표준편차 9.51 0.23 0.32

*주제유지능력 = 주제유지발화수/전체발화수**정보전달능력 = 정보단위수/전체어절수

1) 담화의 긍정적 요소전체 AD집단과 VD집단 간의 언어 특성을 담화의 긍정적 요소인 주제유지능

력과 정보전달능력으로 살펴보았다. 각 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3-1>과

같다.

전체 AD집단과 VD집단 간의 담화의 긍정적 요소의 평균점수를 비교하면 다

음과 같다. 전체 발화수에서 AD집단이 VD집단 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

다. 집단 간의 평균점수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담화의 긍정적 요소의 전체적

인 평균 점수를 비교하여 보면, AD집단과 VD집단 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VD

집단이 AD집단 보다 조금 더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다. 담화의 긍정적 요소

의 두 가지 측면 즉 주제유지능력과 정보전달능력에서 평균점수가 서로 반대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주제유지능력에서는 AD집단이 VD집단 보다 평균점수가 높

게 나타났으나 정보전달능력에서는 VD집단이 AD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담화의 긍정적 요소가 AD집단과 VD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표 3-2>에 제시하였다.

Page 11: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연구

- 153 -

<표 3-2> 전체 AD집단과 VD집단 간의 담화의 긍정적요소 일원분산분석 결과

분산원 df MS F

전체발화수

집단간 1 5173.528 16.350***

집단내 82 316.418

합 계 83

주제유지능력

집단간 1 .19 .362

집단내 82 .54

합 계 83

정보전달능력

집단간 1 .507 6.687**

집단내 82 .076

합 계 83

담화의긍정적요소†

집단간 1 .328 1.584

집단내 82 .207

합 계 83

**p<.01, ***p<.001 †주제유지능력+정보전달능력

<표 3-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체 발화 수(F (1, 82)=16.350, p<.001),

정보전달능력(F (1, 82)=6.687, p<.01)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

으나 주제유지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3-1>에서 전

체 발화수의 평균을 살펴보면, AD집단이 VD집단 보다 전체 발화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전체 발화수에서 주제유지발화의 비율을 살펴보는 주제유지능력은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두 집단 모두 전체발화의 50%

정도의 주제유지능력을 보이고 있다. Hedge(1998)가 말한 것처럼 AD 노인에

게서 대화의 장황함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던 것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

인다. Appell 등(1982)의 연구에서도 지나치게 장황함을 치매의 가장 큰 증후

로 보고하였다. 정보전달능력을 살펴보면 VD집단이 AD집단 보다 정보 전달에

있어서 높은 평균값을 보이고 있다. 전체 발화수와 정보전달능력을 살펴보면,

AD집단의 경우 전체 발화수가 VD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나 정보전달능력에

있어서는 VD집단에 AD집단 보다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즉 VD집단은 AD집

단에 비하여 발화의 수는 적으나 담화의 주제에 적절하고 정보성 높은 어절을

더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

Page 12: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2號)

- 154 -

<표 3-3> 유형에 따른 집단별 담화의 부정적 요소의 평균과 표준편차

담화의 부정적 요소

‘모른다’발화

거부부정적

자기평가의미

없는대답

AD평 균 1.82 0.16 0.55 0.25

표준편차 1.92 0.43 1.49 0.62

VD평 균 1.02 0.20 0.26 0.15

표준편차 1.20 0.47 0.55 0.43

2) 담화의 부정적 요소전체 AD집단과 VD집단 간의 담화 특성을 담화의 부정적 요소인‘모른다’는

발화, 거부, 부정적 자기 평가, 의미없는대답으로 살펴보았다. 각 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3-3>과 같다.

전체 AD집단과 VD집단 간의 담화의 부정적 요소의 평균점수를 비교하면 다

음과 같다. 담화의 부정적 요소들의 전체 점수를 살펴보면 AD집단이 VD집단

보다 훨씬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다. 담화의 부정적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살

펴보면‘모른다’는 발화, 부정적 자기 평가, 의미없는 대답에서 AD집단이 VD

집단 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고 있다. 거부 요소에서만 VD집단이 AD집단보

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모른다는 발화는 두 집단 모두 다른 요소들에 비해 발

화수도 많았으며 AD집단과 VD집단 간에서 약 두 배 정도로 평균점수의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자기 평가에서도 약 두배 정도로 높은 평균점수 차이가

나타났다. 담화 분석 요소의 집단 간 평균 결과를 요약하면 전체 발화수와 담화

표지에서는 AD집단이 VD집단 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고, 담화의 긍정

적 요소의 두 가지 요소가 서로 반대의 양상으로 나타나 전체적인 평균점수에서

는 큰 차이가 없었다. 담화의 부정적 요소에서는 AD집단이 VD집단 보다 훨씬

더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다.

담화의 부정적 요소가 AD집단과 VD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표 3-4>에 제시하였다.

Page 13: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연구

- 155 -

<표 3-4> 전체 AD집단과 VD집단 간의 담화의부정적요소 일원분산분석 결과

분산원 df MS F

‘모른다’는 발화

집단간 1 13.182 5.015*

집단내 82 2.628

합 계 83

거 부

집단간 1 .035 .177

집단내 82 .199

합 계 83

부정적자기평가

집단간 1 1.727 1.316

집단내 82 1.313

합 계 83

의미없는 대답

집단간 1 .210 .736

집단내 82 .285

합 계 83

담화의부정적요소†

집단간 1 27.600 4.764*

집단내 82 5.794

합 계 83

*p<.05†모른다는 발화+거부+부정적자기평가+의미없는대답

<표 3-4>에 제시된 바와 같이 담화의 부정적 요소에서는‘모른다’는 발화(F

(1, 82)=5.015, p<.05), 담화의 부정적 요소 전체(F(1, 82)=4.764, p<.05)에

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표 3-3>에서‘모른다’는 발화의 평균

을 살펴보면 AD집단이 VD집단 보다 더 높은 평균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담화

의 주제 유지나 정보전달과 관련이 적은‘모른다’와 같은 발화가 많은 것 역시

전체 발화수의 평균값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게 된다.

2. 심한정도별 AD집단과 VD집단 간의 언어 특성 비교치매의 유형에 따른 담화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치매의 심한정도가 같고 유

형이 다른 집단 간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8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심한정

도가 같은 집단끼리 대응시켜 비교하였다.

Page 14: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2號)

- 156 -

<표 3-5> 심한정도별 유형간 담화의 긍정적 요소의 평균과 표준편차

전체발화수

담화의 긍정적 요소

주제유지능력 정보전달능력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치매의심AD 80.00 20.48 0.67 0.15 0.58 0.20

VD 29.50 7.27 0.80 0.10 0.88 0.06

경 도AD 43.50 8.93 0.63 0.13 0.44 0.18

VD 25.90 10.07 0.57 0.17 0.66 0.28

중 등 도AD 36.36 11.86 0.57 0.24 0.20 0.13

VD 34.90 8.26 0.38 0.14 0.24 0.10

심 도AD 31.80 11.49 0.34 0.21 0.20 0.08

VD 34.30 10.41 0.36 0.16 0.19 0.50

1) 담화의 긍정적 요소심한정도별 AD집단과 VD집단 간의 담화의 긍정적요소인 주제유지능력과 정

보전달능력을 살펴보았다.

각 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3-5>와 같다.

심한정도별 AD집단과 VD집단 간의 담화의 긍정적 요소의 평균점수를 비교하

면 다음과 같다. 치매 의심군은 전체 발화수에서 AD집단이 VD집단 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고, 담화의 긍정적요소의 전체적인 평균 점수를 비교하여

보면 VD집단이 AD집단 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다. 담화의 긍정적요소

의 두 가지 측면 즉 주제유지능력과 정보전달능력 모두에서 평균점수가 VD집단

이 AD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체 AD집단과 VD집단에서는 주제유지능력이

VD집단보다 AD집단에서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고, 정보전달능력에서는 AD

집단보다 VD집단이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어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치매 의심군에서는 주제유지능력과 정보전달능력 모두 VD집단이 AD집단 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다. 경도 치매군은 전체 발화수에서 AD집단이 VD집

단 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고, 담화의 긍정적 요소의 전체적인 평균 점

수를 비교하여 보면 VD집단이 AD집단 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다. 담화

의 긍정적요소의 두 가지 측면 즉 주제유지능력과 정보전달능력을 살펴보면, 주

제유지능력에서는 AD집단이 VD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정보전달능력에서

Page 15: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연구

- 157 -

VD집단이 AD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중등도 치매군은 전체 발화수, 담화의 긍

정적 요소, 담화의 부정적 요소, 담화 표지 모두에서 AD집단이 VD집단 보다 높

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다. 치매 의심군이나 경도 치매군에서는 담화의 긍정적

요소가 AD집단보다 VD집단에서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는 것과는 달리 중등도

치매군에서는 담화의 긍정적 요소가 VD집단 보다 AD집단이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다. 특히 담화의 긍정적 요소가 전체 발화수, 담화의 부정적 요소, 담화

표지보다 AD집단과 VD집단 간의 더 큰 평균점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담화의

긍정적 요소의 전체적인 평균 점수를 비교하여 보면 AD집단이 VD집단 보다 높

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어 치매 의심군과 경도 치매군과 반대 양상을 나타내었다.

치매 의심군과 경도 치매군에서는 담화의 긍정적 요소가 VD집단이 AD집단 보

다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는 같은 양상을 나타낸다. 담화의 긍정적요소의 두 가

지 측면 즉 주제유지능력과 정보전달능력을 살펴보면, 주제유지능력에서는 AD

집단이 VD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정보전달능력에서 VD집단이 AD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심도 치매군은 전체적으로 다른 치매군과는 매우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전체 발화수와 담화의 긍정적 요소에서 VD집단이 AD집단보다 높

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다. 전체 발화수에서는 치매 의심군, 경도 치매군, 중등

도 치매군 모두에서 AD집단이 VD집단 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지만, 심

도 치매군에서만 VD집단이 AD집단 보다 높은 반대 양상을 보였다. 담화의 긍

정적 요소의 전체적인 평균 점수를 비교하여 보면 AD집단과 VD집단 간의 평균

점수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담화의 긍정적 요소인 두 가지 측면 즉 주제유지능

력과 정보전달능력을 살펴보면, 주제유지능력에서는 VD집단이 AD집단보다 높

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으나 정보전달능력에서 AD집단이 VD집단보다 높게 나

타났다.

<표 3-5>에 제시된 것처럼, 담화의 긍정적 요소들이 심한정도별 AD집단과

VD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비교(Sheffe)

를 실시하였다<표 3-6>. 전체 발화수는 치매 의심군과 경도 치매군의 AD집단

과 VD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치매가 심할수록 AD집단과 VD집단

간 전체 발화수의 양상은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제유지능력은 치매의

초기 단계와 증상이 매우 심한 경우는 AD집단과 VD집단 간 비슷한 양상을 나

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등도 치매군의 AD집단과 VD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

가 나타났다. 정보전달능력은 치매 의심군과 경도 치매군의 AD집단과 VD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치매가 심할수록 AD집단과 VD집단 간 정보전달

력의 양상이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age 16: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2號)

- 158 -

<표 3-6> 심한정도별 유형간 담화의긍정적요소의 다중비교결과단위: 집단간의 유의확률값

전체발화수담화의 긍정적 요소

주제유지능력 정보전달능력

치매의심 AD/VD .000*** .112 .000***

경 도 AD/VD .001*** .426 .002***

중 등 도 AD/VD .765 .010** .519

심 도 AD/VD .636 .816 .955

*p<.05, **p<.01, ***p<.001

<표 3-6>에 제시된 바와 같이, 치매 의심군의 AD집단과 VD집단에서 전체

발화 수, 정보전달능력에서 발화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도 치

매군의 AD집단과 VD집단에서 전체 발화 수, 정보전달능력이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등도 치매군의 AD집단과 VD집단에서 주제유지능력이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치매 의심군과 경도 치매군에서는 집단 간에 정

보전달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VD집단이 AD집단보다 더 높은

평균을 나타내었다. 치매가 심해질수록 정보전달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

타내지 않았다.

2) 담화의 부정적 요소심한정도별 AD집단과 VD집단 간의 담화의 부정적 요소인‘모른다’는 발화,

거부, 부정적 자기 평가, 의미없는 대답으로 살펴보았다.

각 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3-7>과 같다.

Page 17: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연구

- 159 -

<표 3-7> 심한정도별 유형간의 담화의 부정적 요소의 평균과 표준편차

담화의 부정적 요소

‘모른다’발화

거부부정적

자기평가의미

없는대답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치매의심AD 3.10 2.02 0.40 0.69 1.00 1.88 0.20 0.42

VD 1.00 1.05 0.50 0.70 0.22 0.44 0.00 0.00

경 도AD 0.20 0.42 0.00 0.00 0.60 1.57 0.00 0.00

VD 1.60 1.26 0.20 0.42 0.40 0.69 0.00 0.00

중 등 도AD 1.36 1.82 0.14 0.36 0.00 0.00 0.50 0.94

VD 0.80 1.54 0.10 0.31 0.40 0.69 0.50 0.70

심 도AD 2.80 1.54 0.10 0.31 0.80 1.93 0.20 0.42

VD 0.70 0.82 0.00 0.00 0.00 0.00 0.10 0.31

심한정도별 AD집단과 VD집단 간의 담화의 부정적 요소의 평균점수를 비교하

면 다음과 같다. 치매 의심군은 담화의 부정적 요소들의 전체 평균을 살펴보면

AD집단이 VD집단 보다 훨씬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다. 담화의 부정적 요소

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모른다는 발화, 부정적 자기 평가, 의미없는 대답에서

AD집단이 VD집단 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고 있다. 거부 요소에서만 VD집

단이 AD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체 AD집단과 VD집단에서의 분석 결과와

같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경도 치매군에서 담화의 부정적 요소들의 전체 점수

를 살펴보면 AD집단과 VD집단 간 평균점수의 차이가 없었으나, 담화의 부정적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모른다’는 발화와 거부가 AD집단보다 VD집단

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 자기 평가는 VD집단 보다 AD집단에서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고 있다. 의미없는 대답은 나타나지 않았다. 담화의 긍정적 요소

에서는 VD집단이 AD집단 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낸 반면 담화의 부정적 요

소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등도 치매군은 전체 발화수, 담화의 긍

정적 요소, 담화의 부정적 요소, 담화 표지 모두에서 AD집단이 VD집단 보다 높

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다. 중등도 치매군에서 담화의 부정적 요소들의 전체 점

수를 살펴보면 AD집단이 VD집단 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담화의

부정적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모른다’는 발화와 부정적 자기 평가가

AD집단 보다 VD집단에서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났다. 반대로 거부는 VD집단

보다 AD집단이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고 있다. 의미없는 대답은 평균점수에서

Page 18: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2號)

- 160 -

<표 3-8> 심한정도별 유형간 담화의부정적요소의 다중비교결과

단위:집단간의 유의확률값

담화의 부정적 요소

‘모른다’발화 거부 부정적자기평가 의미없는대답

치매의심 AD/VD .002*** .604 .144 .387

경 도 AD/VD .032* .301 .697 1.000

중 등 도 AD/VD .350 .810 .402 1.000

심 도 AD/VD .002*** .604 .122 .665

*p<.05, **p<.01, ***p<.001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심도 치매군은 담화의 부정적 요소에서 AD집단이 VD

집단 보다 약 세배 정도로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다. 담화의 부정적 요소들

의 전체 점수를 살펴보면 AD집단이 VD집단 보다 매우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

고 있다. 담화의 부정적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모른다’는 발화, 부정

적 자기 평가, 거부, 의미없는 대답 모두에서 AD집단이 VD집단 보다 높은 평균

점수를 보이고 있다.

<표 3-7>에 제시된 것처럼, 담화의 부정적 요소들이 심한정도별 AD집단과

VD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비교(Sheffe)

를 실시하였다<표 3-8>. 네 개의 담화의 부정적 요소 중에서‘모른다’는 발화

만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모른다’는 발화는 중등도 치매군을 제외

한 치매 의심군, 경도 치매군, 심도 치매군의 AD집단과 VD집단 간 유의미한 차

이가 나타났다. 치매 의심군과 심도 치매군의 AD집단과 VD집단 간은 매우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표 3-8>에 제시된 바와 같이, 중등도 치매군을 제외한 치매 의심군, 경도

치매군, 심도 치매군의 AD집단과 VD집단에서‘모른다’는 발화가 집단 간 유의

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치매의 심한정도별 AD집단과 VD집단 간의 평균값을 보여주는 <표 3-5>와

<표 3-7>을 통한 언어적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치매가 심해지면서 변

하게 되는 담화의 양상을 볼 수 가 있다. 전체 발화수를 살펴보면, 치매가 심해

질수록 AD집단과 VD집단 간의 평균점수의 차이가 줄어들고 있다. 그리고 심도

치매가 되었을 때는 이전과는 다른 집단간의 차이를 볼 수 있다. 치매 의심군,

Page 19: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연구

- 161 -

경도 치매군, 중등도 치매군에서는 집단 간의 간격이 줄어들면서 AD집단이 VD

집단 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지만, 심도 치매군에서는 집단 간의 차이도

매우 적으며, VD집단이 AD집단 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게 된다. 담화의 긍

정적 요소를 살펴보면, 전체적인 그래프의 모습이 치매가 심해질수록 짧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전체 발화수 자체의 경감과도 관련이 있다. 전체적으로

담화의 긍정적 요소의 발화가 줄어들고 있고, 치매 의심군과 경도 치매군까지는

VD집단이 AD집단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다가, 중등도 치매군, 심도 치매

군에서는 반대로 AD집단이 VD집단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고 있다. 담화의

부정적 요소를 살펴보면, 치매의 심한정도에 따른 일관된 변화는 관찰되지 않지

만 치매 의심군, 심도 치매군에서는 매우 높게 나타나며 경도 치매군과 중등도

치매군에서는 좀 낮은 평균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심한정도별 AD집단과 VD집

단의 평균점수의 차이는 치매 의심군과 심도 치매군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났

고, 경도 치매군과 중등도 치매군에서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Ⅳ. 결론 및 제언이 연구는 치매의 유형에 따라 언어적 특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AD 44명, VD 4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AD집단과 VD집단 간의 담화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전체 AD집단과 VD집

단 간의 담화 분석 요소들을 살펴본 후, 치매의 심한정도가 같은 AD집단과 VD

집단 간의 담화 분석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첫째, 전체 AD집단과 VD집단 간의 담화 특성 분석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AD집단이 VD집단 보다 전체 발화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전체 발화수에서 주

제유지발화의 비율을 살펴보는 주제유지능력은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두 집단 모두 전체발화의 50% 정도의 주제유지능력을 보이

고 있다. 정보전달능력을 살펴보면 VD집단이 AD집단 보다 정보전달능력에 있

어서 높은 평균값을 보이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체 발화수와 정보전달

능력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AD집단의 경우 전체 발화수가 VD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나 정보전달능력에 있어서는 VD집단에 AD집단 보다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즉 VD집단은 AD집단에 비하여 발화의 수는 적으나 담화의 주제에 적

절하고 정보성 높은 어절을 더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 담화의 부정적 요소에서

는‘모른다’는 발화에서만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AD집단이 VD집

Page 20: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2號)

- 162 -

단 보다 더 빈번하게‘모른다’는 발화를 한다. 담화의 주제유지나 정보전달과

관련이 적은‘모른다’와 같은 발화가 많은 것 역시 AD집단이 전체 발화수가

높게 나타나는 것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네 가지의 담화의 부정적 요소의 합을

살펴보면, AD집단이 VD집단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AD집단이 VD집단 보다

담화의 부정적 요소를 더욱 빈번히 발화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심한정도가 같은 AD집단과 VD집단 간의 담화 분석 요소들을 비교 분

석한 결과 전체 발화수는 치매 의심군과 경도 치매군의 AD집단과 VD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치매가 심할수록 AD집단과 VD집단 간 전체 발화수

의 양상은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제유지능력은 치매의 초기 단계와 증

상이 매우 심한 경우는 AD집단과 VD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

다. 중등도 치매군의 AD집단과 VD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치매

의 초기 단계와 증상이 매우 심한 경우는 비슷한 양상을 보이다가 중등도 치매

군에서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전달능력은 치매 의심

군과 경도 치매군의 AD집단과 VD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치매의

초기 단계일수록 AD집단과 VD집단 간 정보전달능력의 양상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네 개의 담화의 부정적 요소 중에서‘모른다’는 발화만 집단 간 유

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모른다’는 발화는 중등도 치매군을 제외한 치매 의심

군, 경도 치매군, 심도 치매군의 AD집단과 VD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

다. 담화의 부정적 요소는 긍정적 요소에 비해 AD집단과 VD집단 간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후속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초로기 치매인들에 비하여 노인 치매인들은 치매의 원인을 의학적으로

명확히 진단 받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치매의 원인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 진단이 어렵다. 따라서 치매의 유형별 심한정도별로 명확히 분류될

수 있는 대상을 찾는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지만, 이 연구에서 각 집단별 대

상자 수가 10여 명이었으므로 좀 더 많은 대상을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이 연구는 65세 이상의 노인 치매인만을 대상으로 치매의 유형별 심한

정도별 담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초로기 치매인들 담화 특성을

분석하고 노인 치매인들의 담화 특성과 비교 분석을 통한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이다.

셋째, 자발화는 대상자의 자연스러운 발화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지만 잘못된

발화 수집 방법으로 가장 부자연스러운 발화를 수집할 수도 있게 된다. 이 연구

Page 21: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연구

- 163 -

의 발화 수집 방법은 대상자간의 발화 내용과 양을 통제하기 위해서 일련의 활

동 후 활동과 관련된 동일한 질문을 통해 수집하였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발화 수집 방법을 통한 담화 분석을 실시하여 대상자들의 담화 특성을

밝히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이 연구는 치매인들의 언어능력의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담화 분석을

이용하였다. 담화 분석 변수들을 고찰 하여 새로운 변수들을 이용한 담화 분석

을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참 고 문 헌김남초, 유양숙, 한숙원 (1999). 치매 노인에게 시청각 자극을 병행한 회상요법의

적용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0(1), 98-109.

김은정 (2003). 유창성 실어증과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이해능력 특성 비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박종한, 고효진 (1991). 경북 영일군 어느 면 지역 노인들에게서 치매의 원인적

분류 및 주요 치매의 상대적 유병률, 신경정신의학, 30, 885-891.

손은남 (2003). 정상노인과 치매노인의 담화 능력 비교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이윤로, 김영숙, 배숙경, 김양이 (2000). 치매 노인과 사회복지실천: 데이케어센

터를 중심으로. 서울 : 학지사.

장용순 (2004). 혈관성치매 예방을 위한 연구: 고양시 기혼자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Appell, J., Kertesz, A., & Fisman, M. (1982). A study of language

functioning in Alzheimer patients. Brain and Language, 16, 265-280.

Bayles, K. A., Tomoeda, C. K., & Kaszniak, A. W., Stern, L. Z., &

Eagans, K. K. (1985). Verbal perseveration of dementia patients.

Brain and Language, 25, 102-116.

Garcia, L. J., & Joanette, Y. (1994). Conversational topic-shifting

analysis in dementia. In R. L. Bloom., L. K. Obler, S. DeSanti & J.

S. Ehrlich (Eds.), Discourse anslvsis and applications: Studies in

adult clinical populations(pp.161-183). 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Page 22: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2號)

- 164 -

Kay DWK, Bergmann K. (1980). Epidcmiology of mental disorders

among the aged in the community. In Birren JE, and Sloanc

RB(Ed.), Handbook of Mental Health and Aging. Engcwood Cliffs,

NJ : Prentice-Hall, 34-56.

Kempler, D. (1985). Language changes in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In R. Lubinski (Ed.), Dementia and communication, 98-114.

Philadelphia : B. C. Decker Inc.

Leanne, T. (2001). Discourse sampling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4, 131-150.

Nicholas, L. E., & Brookshire, R. H. (1993). A system for quantifying

the informativeness and efficacy of the connected speech of

adults with aphasia.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6,

338-350.

O'Shea, E., & O'Reilly, S. (2000). The economic and social cost of

dementia in Ire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5(3), 208-218.

Sandra, M., & Leticia, L. M. (2004). Descriptive discourse: Topic

familiarity and disfluencie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7, 489-503.

Spaulding, T. J., Plante, E., & Farinella, K. A. (2006). Eligibility criteria

for language impairment: Is the low end of normal always

appropriate?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7, 61-72.

Page 23: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연구

- 165 -

<Abstract>A Comparative Study of Discourse Specification on Types of Dementia

Sohn, Eun Nam ㆍ Park, Sun Hee

Language damage of dementia is found later than other cognitive

damages, which is because it is detected later than other neuro-speech

disorders and moreover, because injuries of semantics is harder to be

found than expressive speech. It is hard to find these speech

specifications of dementia through standard speech tests. Therefore,

they need considering by speech analysis on discou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into communication problems of

dementia as a result of discourse specification on types and degrees of

dementia through discourse analysis. The types of dementia in this

study are Alzheimer’s dementia and cerebrovescular dementia, and the

severe degrees are measured through the scores of‘Clinical Dementia

Rating’. Research groups are AD group 44(10-14 per each CDR

rating), VD group 40(10 per each CDR rating).

The result of study follows below. First, after comparison of

discourse specification on types of dementia between group AD and VD,

we find out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maintaining

ability but in other h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delivery ability. In negative elements of discours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I have no idea’speech and whole negative elements of

discourse between group AD and VD. Group AD shows higher score in

the average of‘I have no idea’speech than group VD. When it comes

to the comparison of discourse specification between group AD and VD

on degre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peech quantity,

information-conveying ability,‘I have no idea’speech.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ld group AD and mild group VD for

them whil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oderate groups

for subject-maintaining abilit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vere groups for‘I have no idea’speech.

Page 24: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isers.org/common/fileDown.aspx?f=08-%BC%D5%C0%BA%B3%B2%5... ·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2號)

- 166 -

논문접수 : 2008. 5. 05 / 수정본 접수 : 2008. 6. 10 / 게재 승인 : 2008. 6. 17

Key Words : Alzheimer’s dementia, cerebrovescular dementia, discou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