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EEKLY NEWS 38†µ권-제211... · 2019-09-26 · Institute for Tropical Medicine) 내...

7
◎ 경기도 감염병 주간소식은 경기천년체로 작성되었으며, http://www.gg.go.kr/archives/3735027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가장 최적화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 경기도 감염병 주간소식을 정기구독하고 싶으시거나 내용에 관련된 문의가 있으시면, E-mail([email protected])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집중호우 및 태풍 이후에 복구 작업 또는 농작업 시에는 오염된 물, 토양, 풀 등에 피부 상처 등이 노출되어 렙토스피라증의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 침수지역에서 작업을 할 때에는 보호복과 장화,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물에 노출된 피부는 깨끗한 물로 씻어내도록 합니다. ☞ [카드뉴스] 설치류매개 감염병 - 가을철 야외활동 주의보 ☞ [감염병정보] 렙토스피라증(Leptospirosis) ■ 생후 6개월에서 12세 어린이(2007년 1월 1일 ~ 2019년 8월 31일 출생) 중 인플루엔자 2회 접종이 필요한 어린이 * 대상으로 9월 17일(화)부터 무료접종을 진행 하고 있습니다.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생애 처음으로 받거나, 2019. 7. 1. 이전까지 총 1회만 받아 면역형성이 완벽하지 않은 어린이 - 인플루엔자 2회 접종이 필요한 어린이들은 가까운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를 방문하여 무료 예방접종을 받도록 합니다. ☞ [포스터] 2019-2020절기 어린이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 안내 ■ 국외 주요 감염병 소식 - 콩고민주공화국 북키부주에볼라바이러스병 유행지속되고 있습니다. (2019.9.17.기준. 3,145명 환자 보고) - 필리핀에서 9월 19일 폴리오 유행이 선언되었습니다. 2명의 확진 환가 보고되었으며, 2명 모두 백신유래 폴리오바이러스 2형(VDPV2)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탄자니아의 다르에스살람(Dar es Salaam)에서 9월 10일 WHO 사건기반 감시체계(event-based surveillance)를 통해 에볼라바이러스병(EVD) 의심환자사망했다는 비공식 신고를 받았습니다. WHO는 지속적으로 IHR을 통해 탄자니아에 현재 상황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고 있으나, 탄자니아 정부는 이번 환자 발생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발행일 2019.9.26.(통권 제211호) 발행처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 발행인 이희영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돌마로 172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 4층 4206호 전화 031-738-0300 팩스 031-624-5021 홈페이지 http://www.gidcc.or.kr THE WEEKLY NEWS WEEK 38 경기도 감염병 주간소식 통계 이용 시 주의사항 - 감염병 신고현황은 발행일 기준으로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웹통계시스템(is.cdc.go.kr)에 제공되는 자료에 기초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2019년 자료는 변동 가능한 잠정통계로 각 질병별로 규정된 신고범위(환자, 의사환자, 병원체보유자)의 모든 신고건을 포함합니다. - 별도의 감시체계로 운영되는 결핵, HIV/AIDS 및 표본감시대상 감염병은 제외되었습니다. 2019년 제38주 / 9월 15일 - 9월 21일 CRE 감염증 47유행성이하선염 104수두 254백일해 4급성B형간염 4C형간염 8성홍열 11A형간염 158201938주차 경기도 감염병 신고현황 해외유입 321매독(2) 매독(1) 말라리아 레지오넬라증 세균성이질 라임병 홍역 폐렴구균 기타 감염병 신고 지난 4평균대비 증가 감소 변동없음 클릭! 하시면 보다 자세한 감염병 현황을 보실 수 있습니다. - 1 -

Transcript of THE WEEKLY NEWS 38†µ권-제211... · 2019-09-26 · Institute for Tropical Medicine) 내...

Page 1: THE WEEKLY NEWS 38†µ권-제211... · 2019-09-26 · Institute for Tropical Medicine) 내 폴리오 국가 실험실(National Polio Laboratory)에서 VDPV2로 확진됨 - 9. 19.

◎ 경기도 감염병 주간소식은 경기천년체로 작성되었으며, http://www.gg.go.kr/archives/3735027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가장 최적화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 경기도 감염병 주간소식을 정기구독하고 싶으시거나 내용에 관련된 문의가 있으시면, E-mail([email protected])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집중호우 및 태풍 이후에 복구 작업 또는 농작업 시에는 오염된 물, 토양, 풀 등에 피부 상처 등이 노출되어 렙토스피라증의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 침수지역에서 작업을 할 때에는 보호복과 장화,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물에 노출된 피부는 깨끗한 물로 씻어내도록 합니다.

☞ [카드뉴스] 설치류매개 감염병 - 가을철 야외활동 주의보

☞ [감염병정보] 렙토스피라증(Leptospirosis)

■ 생후 6개월에서 12세 어린이(2007년 1월 1일 ~ 2019년 8월 31일 출생) 중 인플루엔자 2회 접종이 필요한 어린이*를

대상으로 9월 17일(화)부터 무료접종을 진행 하고 있습니다.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생애 처음으로 받거나, 2019. 7. 1. 이전까지 총 1회만 받아 면역형성이 완벽하지 않은 어린이

- 인플루엔자 2회 접종이 필요한 어린이들은 가까운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를 방문하여 무료 예방접종을 받도록 합니다.

☞ [포스터] 2019-2020절기 어린이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 안내

■ 국외 주요 감염병 소식

- 콩고민주공화국 북키부주의 에볼라바이러스병 유행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2019.9.17.기준. 3,145명 환자 보고)

- 필리핀에서 9월 19일 폴리오 유행이 선언되었습니다.

2명의 확진 환가 보고되었으며, 2명 모두 백신유래 폴리오바이러스 2형(VDPV2)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탄자니아의 다르에스살람(Dar es Salaam)에서 9월 10일 WHO 사건기반 감시체계(event-based surveillance)를 통해

에볼라바이러스병(EVD) 의심환자가 사망했다는 비공식 신고를 받았습니다. WHO는 지속적으로 IHR을 통해 탄자니아에 현재 상황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고 있으나, 탄자니아 정부는 이번 환자 발생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발행일 2019.9.26.(통권 제211호)

발행처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

발행인 이희영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돌마로 172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 4층 4206호

전화 031-738-0300 팩스 031-624-5021 홈페이지 http://www.gidcc.or.kr

T H E W E E K L Y N E W S

W E E K

38

경기도 감염병 주간소식 통계 이용 시 주의사항

- 감염병 신고현황은 발행일 기준으로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웹통계시스템(is.cdc.go.kr)에 제공되는 자료에 기초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2019년 자료는 변동 가능한 잠정통계로 각 질병별로 규정된 신고범위(환자, 의사환자, 병원체보유자)의 모든 신고건을 포함합니다.

- 별도의 감시체계로 운영되는 결핵, HIV/AIDS 및 표본감시대상 감염병은 제외되었습니다.

2019년 제38주 / 9월 15일 - 9월 21일

CRE 감염증47건

유행성이하선염104건

수두254건

백일해4건

급성B형간염4건

C형간염8건

성홍열11건

A형간염158건

2019년 제38주차 경기도 감염병 신고현황

해외유입

3건

2건

1건매독(2기)

매독(1기)

말라리아

레지오넬라증

세균성이질라임병

홍역

폐렴구균

기타 감염병 신고

지난 4주 평균대비

증가 감소 변동없음

클릭! 하시면 보다 자세한 감염병 현황을 보실 수 있습니다.

- 1 -

Page 2: THE WEEKLY NEWS 38†µ권-제211... · 2019-09-26 · Institute for Tropical Medicine) 내 폴리오 국가 실험실(National Polio Laboratory)에서 VDPV2로 확진됨 - 9. 19.

(경기도 감염병 주간소식 통계 이용 시 주의사항)

- 감염병 신고현황은 발행일 기준으로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웹통계시스템(is.cdc.go.kr)에 제공되는 자료에 기초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2019년 자료는 변동 가능한 잠정통계로 각 질병별로 규정된 신고범위(환자, 의사환자, 병원체보유자)의 모든 신고건을 포함합니다.

- 별도의 감시체계로 운영되는 결핵, HIV/AIDS 및 표본감시대상 감염병은 제외되었습니다.

2019년 제38주차 주요 법정감염병 발생현황연도 2019 주차 38 등록보건소 전체

질.. 감염병명

2019

38주 37주 36주 35주

1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A형간염

총계

2 백일해

파상풍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일본뇌염

수두

급성B형간염

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폐렴구균

풍진(후천성)

총계

3 말라리아

성홍열

한센병

수막구균성수막염

레지오넬라증

비브리오패혈증

발진열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브루셀라증

공수병

신증후군출혈열

매독(1기)

매독(2기)

매독(선천성)

CJD/vCJD

C형간염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

총계

4 뎅기열

큐열

라임병

유비저

치쿤구니야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

지카바이러스감염증

보툴리눔독소증

신종감염병증후군

웨스트나일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총계

159

158

1

114

108

1

4

1

172

169

2

1

206

202

1

1

2

371

2

4

254

104

3

4

260

1

190

68

1

275

1

195

78

1

289

3

3

198

79

3

3

74

47

8

1

2

2

11

3

121

46

20

4

1

1

2

32

15

175

62

41

3

6

1

13

3

38

8

175

71

37

3

4

7

3

41

9

1

1

2

2

4

2

2

14

1

2

4

7

동기간대비 (1.1-38주)

2019 2018

630

561

5

19

9

36

4,807

4,718

24

28

10

27

22,547

125

79

18,005

1

4,236

3

2

96

20,429

1

99

66

16,552

3,563

99

3

46

7,398

1,279

1,565

9

4

145

321

37

1

8

96

1

6

41

1

3,596

288

5,519

1,657

1,424

9

2

102

228

28

8

68

1

3

84

4

1,643

258

74

24

1

3

19

27

130

2

23

2

14

33

56

증감율(%)

663.5

741.4

380.0

52.6

11.1

-25.0

-8.5

-17.6

-16.5

-7.1

-100.0

-15.4

3,200.0

50.0

-51.0

-24.9

30.6

-8.6

0.0

-50.0

-29.0

-29.0

-24.3

-100.0

0.0

-29.2

0.0

-50.0

104.9

300.0

-53.9

-10.4

75.7

-4.2

100.0

366.7

73.7

107.4

이전해 연간 보고건수

2018 2017 2016 2015 2014

558

484

10

14

8

42

693

648

4

11

8

22

1,305

1,231

22

23

3

26

1,504

1,379

42

31

15

35

2

819

720

11

28

13

47

18,426

13

45

13,437

8

3

4,757

147

2

14

18,696

56

43

13,581

11

4,982

1

1

21

18,762

83

87

14,732

3

5

3,829

2

5

16

28,017

113

1

97

23,120

2

4,593

1

90

32,812

166

103

27,000

3

5,409

5

2

124

3,121

15

12

60

197

93

10

813

4

8

5

2

1

1,603

298

3,740

8

6

69

260

101

16

812

2

6

13

1

2,027

419

5,403

8

4

117

266

139

24

975

2

12

22

3,453

381

10,903

827

1,275

7

2

190

411

115

17

724

1

10

50

3

1

6,974

296

9,873

1,767

2,123

14

5

194

433

66

1

19

507

2

8

63

2

4,344

325

63

8

5

50

142

67

7

1

2

2

63

134

2

28

1

2

5

9

87

132

4

56

1

7

9

55

119

47

1

5

23

43

해외유입(38주)

질병군

2019년 제38주차 주요 법정감염병 신고현황

- 2 -

Page 3: THE WEEKLY NEWS 38†µ권-제211... · 2019-09-26 · Institute for Tropical Medicine) 내 폴리오 국가 실험실(National Polio Laboratory)에서 VDPV2로 확진됨 - 9. 19.

- 3 -

2016 2017 2018 2019

2 4 6 8 10 12 2 4 6 8 10 12 2 4 6 8 10 12 2 4 6 8

0

5

10

15

20

25

30

35

전국24 전국

23

전국17

경기4

전국16전국16

전국27

경기3

경기4

경기5

전국22전국22

전국30

경기3

경기4

경기5

전국21

평균평균평균평균

그림. 전국 및 경기도 월별 렙토스피라증 신고건수(2016.1.1~2019.9.26.)

렙토스피라증(Leptospirosis)

렙토스피라증 개요

- 렙토스피라균(Leptospira species)에 감염된 동물*의 소변에 오염된 물, 토양, 음식물에 노출 시 상처 난 피부를 통해 감염되는

인수공통질환입니다.

* 쥐 등의 설치류, 소, 돼지, 개 등의 가축

- 감염되면 2~14일(평균 10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 오한, 근육통, 두통, 설사,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대부분 경한 임상 경과를

보이나 5~10%는 초기 경증 증상 4~7일 후에 황달, 신부전, 출혈 등을 보이는 웨일씨병(Weil’s disease)으로 진행되기도 합니다.

- 인체용 렙토스피라 백신은 환자수 감소로 인해 국내에서 생산중지 되었지만, 항생제 치료는 가능합니다. 증상 발생 후 빠른 시간 내에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면 대부분 치료 가능하지만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사망(약 20~30%)할 수 있습니다.

- 관련 위험 요인으로는 농림축산업 관련 직업(약 55%) 및 캠핑, 수상스포츠 등의 야외활동(약 30%)을 통해 많이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내 렙토스피라증 현황

※ 2019년 신고건수는 변동 가능한 잠정통계입니다.

- 2007년 208건이 신고 된 후 점차 감소하여 연 100건 내외로 신고 되다가 2015년부터는 100건 이상 신고 중입니다.

- 2019년 전국 78건이 신고 되어 전년 동기간(56건) 대비 39.3% 증가하였습니다.

- 지역적으로는 충남(15건), 경북(9건), 경기(8건), 서울(8건) 순으로 신고 되었습니다.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9.26.기준)

전국 58 104 117 103 118 78

경기 10 16 24 17 19 8

- 렙토스피라증은 추수 전 시기에 태풍, 홍수, 장마 등과 관련이 있어 9~11월에 집중되어 발생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올해는 전년보다 신고건수가 증가하고 있고, 본격적인 유행 시기(9~11월)를 맞아 한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렙토스피라증을 예방하려면...

렙토스피라증은 추수기에 집중호우가 있었거나, 홍수가 있었을 때 농작물 피해 방지나 재해 복구 작업 등에 종사한 농부, 군인,

자원봉사자들에서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렙토스피라증 예방을 위해...

침수지역에서 작업 시 반드시 보호복과 장화, 고무장갑,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물에 노출된 피부는 반드시 깨끗한 물로 씻어냅니다.

수해복구 작업 후 발열이 발생한 경우,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습니다.

표. 전국 및 경기도 연도별 렙토스피라증 신고건수(2014.1.1.-2019.9.26.)

Page 4: THE WEEKLY NEWS 38†µ권-제211... · 2019-09-26 · Institute for Tropical Medicine) 내 폴리오 국가 실험실(National Polio Laboratory)에서 VDPV2로 확진됨 - 9. 19.

밑줄을 클릭! 하시면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 매일 언론을 통해 발표되는 경기도 및 국내 주요 감염병소식을

www.gidcc.or.kr/gypd-type/국내 소식에서 한 눈에 확인하세요.

※ 세계보건기구(WHO) 에 보고된 감염병소식(DONs)은

www.gidcc.or.kr/gypd-type/국외소식에서 번역된 요약본을 확인하세요.

에볼라바이러스병(Ebola virus disease) - 콩고민주공화국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 9. 11.~9. 17. 57명의 새로운 환자가 보고됨

- 9. 14.~9. 17. 만디마(Mandima) 헬스존 내 르웸바

(Lwemba) 에서 의료종사자가 에볼라바이러스병으로 사망

하였고 지역사회의 거센 반응으로 인해 대응 활동이 전면 중단됨

- 9.17. 기준 에볼라바이러스병 환자 총 3,145명(확진 3,034명,

추정 111명) 보고. 이 중 2,103명(치명률 67%) 사망

· 여성 56%(1,760명), 18세 미만 어린이 29%(898명),

의료종사자 5%(159명)

미진단 열성 질환(Cases of Undiagnosed Febrile Illness) -

탄자니아(United Republic of Tanzania)

- 9. 10. WHO는 사건기반 감시체계(event-based

surveillance)를 통해 탄자니아의 다르에스살람(Dar es

Salaam)에서 에볼라바이러스병 의심환자가 사망했다는 비공식 신고를 받게 됨

- 9. 11. WHO는 탄자니아 국립 보건원(Tanzanian

National Health Laboratory)에서 해당 환자에게 실시한

에볼라바이러스병 PCR 검사 결과가 양성이었다는 비공식 보고를 받음

- 9. 12. WHO는 비공식적인 경로를 통해 27세 에볼라바이러스병

의심환자가 다르에스살람에 입원 중인 것을 알게되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검사 및 결과에 대한 정보는 제공받지 못함

- WHO의 거듭된 요청에도 불구하고 탄자니아 정부는 이번 환자

발생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음

- 탄자니아 정부의 정보 제공이 없더라도 IHR을 통해 EVD 확진

및 의심 환자 감시가 가능하다는 점과 EVD가 공중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WHO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음

- 9. 14. 탄자니아 정부는 자국 내에서 EVD 확진 사례는 보고된

바 없다고 WHO 측에 알림

- 9. 16. 탄자니아 보건당국은 WHO 협력 센터에서의 2차 EVD

확진 검사를 고려하지 않고 있음을 WHO에 통보함

국내 소식 해외 감염병 발생 소식

THE WEEKLY NEWS

- 4 -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 교육 및 행사

[경기도청]

도, 영유아집단시설 종사자 ‘잠복결핵’ 검진 신규사업 추진 09.22.(일)

폴리오 유행(Polio outbreak) - 필리핀(The Philippines)

- 9. 19. 필리핀 폴리오 유행이 선언

- 9. 14. 첫 번째 환자가 열대의학연구소(Research

Institute for Tropical Medicine) 내 폴리오 국가

실험실(National Polio Laboratory)에서 VDPV2로

확진됨

- 9. 19. 두 번째 환자가 확진되었으며 마닐라 대도시로부터

남동쪽으로 100km 정도 떨어져 있는 라구나 주(Laguna

Province) 출신으로 알려짐

- 마닐라에서 7. 1., 7.22., 8.13., 8. 27.에 수집된

환경검체에서는 VDPV1가 분리됨

- 백신유래 폴리오바이러스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폴리오바이러스의 한 형태로, 경구용 폴리오 백신에

들어있는 약독화된 바이러스가 유전적으로 변화한 것임

제2차 경기도 지역 네트워크 감염관리 교육

일시 / 장소 : 2019년 9월 30일(월) 09:00~18:00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 제5세미나실

대상 : 경기도 의료기관(병원) 내 감염관리간호사 및 업무관련자 (약 30명) [담당 : 이선영(031-738-0311)]

제4차 경기도 감염병 위기평가회의

일시 / 장소 : 2019년 10월 4일(금) 16:00~17:00 /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 긴급상황실

대상 : 경기도,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 자문위원, 보건소 등 [담당 : 박은정(031-738-0302)]

[질병관리본부]

메르스 유전자 진단제 실용화 연구,「재난안전 연구개발 우수성과」로

선정 09.25(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처, 동북아 백신 기술 교류의 중심에 서다 09.19(목)

[식품의약품안전처]

어린이 조리.판매업소 및 학교 위생점검 결과 발표 09.26(목)

Page 5: THE WEEKLY NEWS 38†µ권-제211... · 2019-09-26 · Institute for Tropical Medicine) 내 폴리오 국가 실험실(National Polio Laboratory)에서 VDPV2로 확진됨 - 9. 19.
Page 6: THE WEEKLY NEWS 38†µ권-제211... · 2019-09-26 · Institute for Tropical Medicine) 내 폴리오 국가 실험실(National Polio Laboratory)에서 VDPV2로 확진됨 - 9. 19.
Page 7: THE WEEKLY NEWS 38†µ권-제211... · 2019-09-26 · Institute for Tropical Medicine) 내 폴리오 국가 실험실(National Polio Laboratory)에서 VDPV2로 확진됨 -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