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123
위탁연구 2008-06(1)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가 실려 있습니다.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손기능, 다차원 양손협응 - 수탁기관 : 고려대학교 환경의학연구소 책임연구자 : 최재욱 (고려대학교 예방의학과 교수) 공동연구자 : 장기연 (우송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임승건 (우송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김지연 (우송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유환석 (우송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김경일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안형진 (고려대학교 의학통계학교실 교수) 김영수 (고려대학교 환경의학연구소 연구교수) 이승길 (고려대학교 환경의학연구소 연구원) 황규석 (고려대학교 환경의학연구소 연구원) 연구보조원 : 김경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박사과정) 조용민 (고려대학교 환경의학연구소 연구원) 이휘영 (우송대학교 작업치료학과 학사과정) 권인영 (우송대학교 작업치료학과 학사과정) 강주희 (우송대학교 작업치료학과 학사과정) 김보혜 (우송대학교 작업치료학과 학사과정)

Transcript of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Page 1: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탁연구 2008-06(1)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시각장애인을 한 음성변환용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가 실려 있습니다.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손기능, 다차원 양손협응 -

▪수탁기 : 고려 학교 환경의학연구소

▪책임연구자 : 최재욱 (고려 학교 방의학과 교수)

▪공동연구자 : 장기연 (우송 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임승건 (우송 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김지연 (우송 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유환석 (우송 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김경일 (아주 학교 심리학과 교수)

안형진 (고려 학교 의학통계학교실 교수)

김 수 (고려 학교 환경의학연구소 연구교수)

이승길 (고려 학교 환경의학연구소 연구원)

황규석 (고려 학교 환경의학연구소 연구원)

▪연구보조원 : 김경희 (고려 학교 보건 학원 박사과정)

조용민 (고려 학교 환경의학연구소 연구원)

이휘 (우송 학교 작업치료학과 학사과정)

권인 (우송 학교 작업치료학과 학사과정)

강주희 (우송 학교 작업치료학과 학사과정)

김보혜 (우송 학교 작업치료학과 학사과정)

Page 2: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본 보고서는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고용개발원의 탁연구사업의 일

환으로 수행한 연구결과이며, 본 서에 수록된 내용은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의 공식 인 의견을 반 하는 것이 아님을 밝 둡니다.

Page 3: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i

목 차

Abstract ································································································· 1

연구요약 ································································································ 5

제1장 서론 ·························································································· 9

제1 연구 필요성과 목 ········································································ 9

제2 연구문제 ······················································································· 11

제3 연구의 내용과 방법 ······································································ 12

제2장 이론 배경 ············································································· 13

제1 직업재활 ······················································································· 13

제2 손기능 ··························································································· 22

제3장 도구 개발 ················································································ 29

제1 개발 차 ······················································································ 29

제2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개념 구성 ································ 33

제3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개념 구성 ················· 35

제4장 신뢰도 타당도 검증 ································································ 41

제1 타당도 ··························································································· 42

제2 신뢰도 ··························································································· 52

Page 4: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ii

제5장 규 제작 ·················································································· 55

제1 연구방법 ······················································································· 55

제2 연구결과 ······················································································· 56

제6장 논의 ······················································································· 67

제1 기존 검사와의 차이 ··································································· 67

제2 검사 신뢰도 타당도 ································································· 70

제3 규 제작 ······················································································· 72

제7장 결론 제언 ········································································· 75

제1 결론 ······························································································ 75

제2 제언 ······························································································ 76

참고문헌 ······························································································ 79

부 록 ······························································································ 83

Page 5: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iii

표목차

〈표 2-1〉 단일 표본 검사도구 ··········································································· 19

〈표 2-2〉 장애유형별 평가비율 ········································································· 20

〈표 2-3〉 작업평가도구 보유비율 활용도 ···················································· 20

〈표 2-4〉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도구 개발 제안 사항 ··························· 21

〈표 2-5〉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도구 개발 제안 사항 ········· 22

〈표 2-6〉 손기능 련 작업 분류 ······································································ 24

〈표 3-1〉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구성요소 ············································ 34

〈표 3-2〉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구성요소 ···························· 36

〈표 3-3〉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평가요소 ···························· 36

〈표 4-1〉 상자의 일반 특성 ······································································· 45

〈표 4-2〉 장애군 체의 KEPAD 손기능 검사와 퍼듀펙보드의 상 계 ········ 46

〈표 4-3〉 비장애인군의 KEPAD 손기능 검사와 퍼듀펙보드의 상 계 ········· 47

〈표 4-4〉 지체장애인의 KEPAD 손기능 검사와 퍼듀펙보드의 상 계 ········· 48

〈표 4-5〉 정신장애인의 KEPAD 손기능 검사와 퍼듀펙보드의 상 계 ········· 49

〈표 4-6〉 지 장애인의 KEPAD 손기능 검사와 퍼듀펙보드의 상 계 ········· 49

〈표 4-7〉 뇌병변장애인의 KEPAD 손기능 검사와 퍼듀펙보드의 상 계 ······ 50

〈표 4-8〉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와 MVE의 상 계 ············ 51

〈표 4-9〉 장애유형별 MVE와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상 계 ··· 52

〈표 4-10〉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신뢰도 ·············································· 53

〈표 4-11〉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신뢰도 ······························ 53

〈표 5-1〉 상자의 일반 특성 ······································································· 57

〈표 5-2〉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수행량 평균 ······································· 58

〈표 5-3〉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 60

〈표 5-4〉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직무별 장애유형 분포 ···························· 61

Page 6: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iv

〈표 5-5〉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직무별 수행량 ··································· 62

〈표 5-6〉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 65

그림목차

〔그림 2-1〕 직업재활의 과정 ············································································· 14

〔그림 2-2〕 직업능력평가 실시과정 ·································································· 16

〔그림 2-3〕 쥐기(grip) 동작 ·············································································· 26

〔그림 2-4〕 집기(pinch) 동작 ············································································ 27

〔그림 2-5〕 등어올리기(hook) 동작 ··································································· 28

〔그림 3-1〕 도구 개발 차 ·············································································· 29

〔그림 3-2〕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 33

〔그림 3-3〕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 35

〔그림 3-4〕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1분30 ) ························ 38

〔그림 3-5〕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2분) ······························· 39

〔그림 3-6〕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종료) ······························ 39

〔그림 5-1〕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 ) ················································· 59

〔그림 5-2〕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 ) ················································· 59

〔그림 5-3〕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소) ················································· 60

〔그림 5-4〕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1분30 완성도) ············ 61

〔그림 5-5〕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직무별 수행량 ( ) ························ 63

〔그림 5-6〕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직무별 수행량 ( ) ························ 63

〔그림 5-7〕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직무별 수행량 (소) ························ 64

〔그림 5-8〕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직무별 수행량 (양손) ····················· 64

〔그림 5-9〕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직무별 완성도 ················ 66

Page 7: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Abstract 1

Abstract

The Development of Two Types of KEPAD Work Sample Test

- Hand Function and Multidimensional Bimanual Coordination -

Choi, Jae-wook

(Associate Professor,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t. of Preventive Medicine)

Ⅰ. Necessity and Goal of Research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hand function which is great

deal to estimate occupational ability with development of two types of

KEPAD work sample test (hand function and multidimensional bimanual

coordination), and to present domestic non-disabled people and standards

for each type of disorder in the interpretation of test result, so as to apply

for prediction of occupational abilities of handicapped people.

Ⅱ. Research problem

Research 1 : How could the hand function (catching, fixing, constructing)

treating three types of (small, middle, big parts) work sample

test be composed?

Research 2 : How could the work sample test which constructs

multidimensional with Bimanual Coordination?

Research 3 : In order to execute to disabled person who's seeking work,

what kind of canon development for each tests will be

demanded and what's the appropriate application plan?

Page 8: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2

Ⅲ.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method to execute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t researched thesis and book, scientific treatise related to disable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job evaluation, work sample test, hand function

with literature research, and clear up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Second, It investigated hand function occupational sample test present

condition grasp and proposal fact of tool development with the specialist

in-depth direct conversation related to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 ability evaluation

Third, It examined and confer continuously related to the research

development like compositions of the test tool and the method of test

execution, applying investigation of disabled person of development canon

focused on the advisers who majored in work therapeutics, physical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ourth, the plan for the tool was prepar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the-spot inspection and interview with user, advisors meeting and

researchers meetings and the design of the tool was completed.

Fifth, the two kinds of KEPAD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were

produced through the preliminary manufacture of the tool and the

modification process of it and operation manual was prepared through the

standardization of the test.

Sixth, in order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wo kinds

of developed KEPAD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the preliminary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the unhandicapped and the mentally disabled

Page 9: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Abstract 3

with physical retardation, brain retardation, mental retardation related to

hand function. And, the method of test modification or adjustment valid

for each type of disorder was examined.

Seventh,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 for the assessment of the two

types of KEPAD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developed for the

unhandicapped and the handicapped (physical retardation, brain retardation,

mental retardation, mind retardation), the standard was produced and

program to be used with the tool was developed.

Ⅳ.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validity of KEPAD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has been

secured by the fact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existing purdue

pegboard test and it appeared to be a useful tool having stronger

distinctiveness for each type of the disorder compared to purdue pegboard.

Second, the validity of KEPAD multidimensional Bimanual Coordination

work sample test has been secured by the fact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existing MVE test and it appeared to be a useful tool having

distinctiveness for each type of disorder.

Third, in KEPAD multidimensional Bimanual Coordination work sample

test, 1 minute and 30 seconds is the most testing time for the both

unhandicapped and handicapped and the discrimination for each type of

disorder.

Fourth, both KEPAD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and KEPAD

multidimensional Bimanual Coordination work sample test, all correlations

in the reliability of rexamination-reexamination is significant at the level of

Page 10: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4

.01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examinations shows very high at the level

of over .96.

Fifth, The score of the performance quantity of KEPAD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in all predominant, non-predominant, big, medium, and

small and both hands appeared in the order of precision work - small

parts assembly operation - big commodity assembly and object handling,

from high to low while the completion in 1 minute and 30 seconds for

each job of KEPAD multidimensional Bimanual Coordination work sample

test was also in the order of precision work - small parts assembly

operation - big commodity assembly and object handling.

Ⅴ.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KEPAD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and KEPAD multidimensional

Bimanual Coordination work sample test 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m have been

secured, and that they are the first tools having the standards for each

type of unhandicapped and handicapped in the country, and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be helpful for providing substantial services for the

vocational ability assessment of disabled people.

Keywords : hand function, vocational evaluation,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work sample test

Page 11: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연구요약 5

연구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목

본 연구의 목 은 KEPAD 작업표본검사(손기능, 다차원 양손 응) 2종을

개발하여 직업능력을 평가하는데 요한 비 을 차지하는 손기능을 평가하고,

검사결과 해석 시 국내 비장애인 장애유형별 규 을 제시하여 장애인의 직

업능력을 측하는데 활용하는 것이다.

Ⅱ. 연구문제

연구 1 : 세 가지 유형(작은, 간, 큰 부품)을 다루는 손 기능(집기, 꽂기,

조립) 작업표본검사는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연구 2 : 양손 응을 통해 다차원 모형을 조립하는 작업표본검사는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연구 3 : 구직 장애인들에게 실시하기 해서 각 검사들은 어떠한 규 개

발이 요구되며 한 활용방안은 무엇인가?

Ⅲ. 연구방법

본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장애, 직업재활, 직업평가, 작업표본검사, 손기능과

련한 논문 단행본, 학술논문 등의 문헌을 조사하여 본 연구의 배경과 필

요성을 명확히 하 다.

둘째, 직업재활 직업능력평가 련된 문가 심층면담을 통하여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황 악 도구개발 제안사항을 조사하 다.

Page 12: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6

셋째, 작업치료학, 물리치료학, 재활학, 보건학, 의학, 통계학, 심리학, 사회

복지학, 직업재활 공으로 구성된 자문 원을 심으로 검사 도구의 구성과

검사 실시 방법, 개발규 의 장애인 용 타당성 검토 등 연구개발과 련된

지속 인 검토 의를 하 다.

넷째, 문헌연구, 장조사 사용자 상 면담조사, 자문회의와 연구진 회

의를 통해 도구에 한 안을 마련하 고, 도구의 설계도를 완성하 다.

다섯째, 도구의 비제작과 도구수정과정을 거쳐 KEPAD 손기능 작업표본

검사 2종을 제작하 으며 검사의 표 화를 통한 실시 메뉴얼을 작성하 다.

여섯째, 개발된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2종의 신뢰도 타당도 검

토를 해 비장애인 손기능과 련된 지체장애인, 뇌병변장애인, 지 장애

인, 정신장애인을 상으로 비조사를 실시하 다. 한 장애유형별 타당한

검사 수정․조정 방법을 검토하 다.

일곱째, 비장애인과 장애인(지체장애인, 뇌병변장애인, 지 장애인, 정신장

애인)을 상으로 개발된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2종 평가를 실시하여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규 제작 도구와 함께 활용할 로그램을 개발하

다.

Ⅳ. 연구 결과

본 연구결과를 토 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가 기존의 퍼듀펙보드와 검사간 상 이

높은 것으로 보아 타당도가 확보되었으며 퍼듀펙보드와 비교했을 때 보다 강

한 장애유형별 변별력을 지닌 유용한 도구로 나타났다.

둘째,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가 기존의 MVE 검사와 상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타당도가 확보되었으며 장애유형별 변별력을 지닌 유

용한 도구로 나타났다.

셋째,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에 있어서 1분 30 가 비장애

Page 13: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연구요약 7

인과 장애 그리고 장애유형별 변별력이 가장 높은 검사시간으로 보여주고 있

다.

넷째,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

검사 모두 검사-재검사 신뢰도에서 모든 상 이 .01 수 에서 유의미하고 검

사간 상 이 .95이상의 매우 높은 상 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수행량 수는 우세손과 비우세

손 , , 소, 양손 모두에 있어 정 작업 - 작은 부품 조립작업 - 큰 물품 조

립 사물취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의 직무별 1분 30 완성도 역시 정 작업 - 작은 부품 조립작업 - 큰 물품

조립 사물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Ⅴ. 연구의 의의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 KEPAD 다차원 양

손 응 작업표본검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되었으며 국내 비장애인과 장

애유형별 규 을 갖게 된 최 의 도구라는 에서 의미가 있고 장애인 직업능

력평가의 실질 인 서비스 제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 된다.

Page 14: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8

Page 15: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1장 서론 9

제 1 장

서 론

제1 연구의 필요성과 목

인간이 사회생활을 함에 있어서 가장 기본 요건의 하나인 직업은 사

회발 의 원동력이며, 한 개인의 사회 지 의 근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기존 과 자기개념의 핵심이 되고, 는 인간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주요 수단이자 방편이다. 직업(職業, occupation)의 사 인 의미를 살펴보면

“생계를 하여 사회구성원이 각자의 역량을 발휘하여 일정한 일에 지속 으

로 종사하는 사회활동”이나, "생계를 해여 일상 으로 하는 일(직업,

profession)"을 일컫는다. 이 듯 직업은 인간생활과 한 계를 가지고 있

으며, 수입의 근원이 되고 성장과 자아실 을 가능 하는 요한 수단이다.

그러나 장애인의 경우 산업사회의 지나친 경제성장 가치의 만연으로

인한 사회 편견과 신체 제약으로 자신의 능력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거나

취업 후 조직체의 성원으로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많은 제한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2005년 장애인근로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체 장애인 수는 약

215만 명으로 체 인구의 약 4.6%이며, 재가 장애인의 인구 비 취업률은

34%이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에서 43,592명(35.0%)로 가장 많은 근로자가

근무하고 있고, 다음은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운수업 순으로 제조업의 근무비

이 가장 높았다. 직종별로 보면 생산기능인력 43,648명(35.1%), 단순노무인력

Page 16: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0

22,546명(18.1%), 서비스 업인력 22,423명(18.0%) 등으로 일반근로자에 비

해 단순노무인력과 생산기능인력 비 이 높게 나타났다. 한 2004년 말 의무

고용사업체의 장애인 고용 황을 보면, 체 등록 장애인 5-6 이 차지하

는 비율은 39.2%임에도 불구하고, 고용된 장애인은 체의 51.1%를 차지하며,

기업규모가 클수록 경증고용비율이 높아 증장애인이 배제되고 있다고 할 수

도 있다(최종철, 2006).

이러한 상황을 종합해 보면, 많은 수의 장애인들이 취업을 하지 못하고 있

고, 취업을 하고 있다 하더라도 주로 제조업 분야나 도소매업 분야에서 생산

기능인력이나 단순노무, 서비스 업 인력으로 일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장애인의 능력을 정확히 평가하고, 개인의 잠재능력을 최

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합한 직업 역을 찾아주며, 사업체에서 요구하는 직무

에 합한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훈련하는 직업재활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한 사업체에 장애인이 가지고 있는 직업능력에 한 정보를

정확히 제공함으로써 효과 으로 인력을 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요하다.

신체 ·정신 는 지 능력에 부족함이 있는 장애인들의 고용은 체계

이고 종합 인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해서는 조

직 인 달체계, 문 인 인력 등의 인 라를 필요로 하지만 아울러 취업을

희망하는 장애인에 한 직업능력을 정확히 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일

것이다(변경희, 2005). 이러한 장애인 직업능력평가에 한 역을 종합해보면

크게 직업능력평가 역은 의료평가, 신체능력평가, 심리평가, 작업표본평가, 상

황평가, 그리고 장평가로 나 어 볼 수 있는데 그 작업표본평가는 실제

직업이나 직업군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과제, 재료, 도구를

가지고 평가하는 것이다(강용주, 2004).

재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국내의 직업재활기 에서는 손기능, 양손

응 -손 응능력을 평가하기 하여 표 인 작업표본검사도구(단일

Page 17: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1장 서론 11

표본검사도구)로 퍼듀펙보드(purdue pegboard)와 이동용 직업능력 평가시스템

(Mobile Vocational Evaluation : M.V.E) 하 검사인 양팔 응검사, 재능평

가 로그램(Talent Assessment Program : T.A.P)의 1번인 기계․구조 시각

화작업표본검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활용하고 있는 부분의 작업표본검사들은 외국에서 개

발된 작업표본검사로 국내 직업활동을 반 하고 있지 않으며, 해석 규 자체

에도 장애인 표본이 드물어, 국내에서 구직 장애인을 상으로 작업수행능력

을 측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직무를 수행하는 가장 기본 인 능력인

손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작업표본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표 화하여, 그 해석

규 을 구직 장애인의 직업능력을 측하는데 활용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활동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의 목 은 KEPAD 작업표본검사(손기능, 다차원 양손 응) 2종을

개발하여 직업능력을 평가하는데 요한 비 을 차지하는 손기능을 평가하고,

검사결과 해석 시 국내 비장애인 장애유형별 규 을 제시하여 장애인의 직

업능력을 측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제2 연구문제

본 연구에서 밝 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1 : 세 가지 유형(작은, 간, 큰 부품)을 다루는 손 기능(집기, 꽂기)

작업표본검사는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연구 2 : 양손 응을 통해 다차원 모형을 조립하는 작업표본검사는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연구 3 : 구직 장애인들에게 실시하기 해서 각 검사들은 어떠한 규 개

발이 요구되며 한 활용방안은 무엇인가?

Page 18: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2

제3 연구의 내용과 방법

본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직업재활, 직업평가, 작업표본검사, 손기능과 련한 논문

단행본, 학술논문 등의 문헌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을 명확히

하 다.

둘째, 직업재활 직업능력평가와 련된 문가 집단의 심층면담을 통하

여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황 악 도구개발 제안사항을 조사하 다.

셋째, 작업치료학, 물리치료학, 재활학, 보건학, 의학, 통계학, 심리학, 사회

복지학, 직업재활 공으로 구성된 자문 원을 심으로 검사 도구의 구성과

검사 실시 방법, 개발규 의 장애인 용 타당성 검토 등 연구개발과 련된

지속 인 검토 의를 하 다.

넷째, 문헌연구, 장조사 사용자 상 면담조사, 자문회의와 연구진 회

의를 통해 도구에 한 안을 마련하 고, 도구의 설계도를 완성하 다.

다섯째, 도구의 비제작과 도구수정과정을 거쳐 KEPAD 손기능 작업표본

검사 2종을 제작하 다.

여섯째, 개발된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2종의 신뢰도 타당도 검

토를 해 비장애인 손기능과 련된 지체장애인, 뇌병변장애인, 지 장애

인, 정신장애인을 상으로 비조사를 실시하 다. 한 장애유형별 타당한

검사 수정․조정 방법을 검토하 다.

일곱째, 비장애인과 장애인(지체장애인, 뇌병변장애인, 지 장애인, 정신장

애인)을 상으로 개발된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2종 평가를 실시하여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규 제작 실시 매뉴얼을 작성하 다.

여덟째,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2종 도구와 함께 활용할 컴퓨터

로그램을 개발하 다.

Page 19: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2장 이론 배경 13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1 직업재활

1. 직업재활의 개념

장애인이 자신의 능력을 최 한으로 개발하여 모든 활동분야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주고, 다른 성원들과 동등하게 자신의 능력에 따라 합당

한 생활의 수 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보장함으로써 신체상의 장애상태가 일상

생활의 장애(handicap)가 되지 않도록 제반 복지시책을 강구하는 것이 장애인

복지의 최종목표라고 할 수 있다(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1981).

이러한 장애인복지의 핵심을 이루는 요한 역 의 하나인 직업재활은

장애인의 직업 인 능력을 최 한 개발하여 직업인으로서 완 한 사회복귀와

능동 인 사회참여를 돕는 과정이며, 장애인의 인권과 존엄성을 신장시키고

근로의 권리와 의무를 릴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잠재된 자원과 노동력을

극개발하고 활용함으로써 국가·사회 발 을 도모하는 것이다(강 , 1991).

한 직업재활은 신체 혹은 정신 손상을 가진 사람들에게 안정된 고용

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강 과 나운환,

2001). 국제노동기구(ILO)에서는 직무지도와 훈련, 취업알선 등의 직업 서비

스를 포함한 연속 이고, 력 인 재활과정의 일부로 장애인이 한 고용

을 확보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 하 다(장애인 직업재활에 한

Page 20: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4

권고 제 99호). 따라서 직업재활은 장애인의 직업 응을 하여 계획된 체계

인 서비스로 목표 지향 이며 개별화된 일련의 연속과정이다(Emener,

1980). 즉 궁극 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장애인의 잠재능력을 개발하고

잔존기능을 최 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장애인도 직업을 가진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이경민 등, 2008).

〔그림 2-1〕 직업재활의 과정

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에 거의 공통 인 순서는 상담( 수), 평가, 취업(훈

련) 사후지도의 순으로 진행된다. 이 평가는 장애인의 신체 , 의료 , 직업 ,

인지 측면 등 다양한 방면으로 평가를 시도함으로써, 장애인의 욕구와 능력,

그리고 희망을 악하며 그 결과들을 바탕으로 장애인에게 합한 재활 서비

스를 제공하거나 제안한다(강용주, 2002). 따라서 직업능력평가는 장애인의 직

업 특성과 잠재능력을 올바르게 악하여 한 개입 로그램으로 연결하

고 성에 맞는 직무 배치를 유도하는 과정으로서 공단 직업재활 사업의 핵심

Page 21: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2장 이론 배경 15

요소이자 장애인들에게는 필수 인 서비스라 할 수 있다(김언아, 2000).

장애인의 직업재활과정은 문화 ․사회 여건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미

국의 경우에는 경제활동이 가능한 장애인뿐만 아니라 직업탐구와 진로 개발

기에 있는 청소년과 학생들에게까지 그 용 상의 범 가 확 되고 있는 실

정이다. 우리나라는 「장애인 고용 진 직업재활법(2007)」에 의해 직업지

도, 직업 응훈련, 직업능력개발훈련, 취업알선, 지원고용, 보호고용, 취업 후

사후지도를 실시하도록 제도화되어 있다.

2. 직업능력평가

가. 직업능력평가의 개념

직업능력이란 신체 (physical), 인지 (cognitive), 의료 (medical), 사회경

제 (socioeconomic), 심리 (psychological), 행동 (behavior), 생태학

(ecological)측면 등 직업과 연 된 모든 측면을 포함하는 것이며(강용주,

2002), 재 우리나라의 직업재활기 에서 실시하고 있는 직업능력평가의

역으로는 면 조사평가, 신체능력평가, 심리평가, 작업평가, 상황평가, 장평

가, 이동평가 그리고 의료평가가 있으며 이러한 직업능력평가는 장애인의 직

업재활서비스과정에서 기에 이루어지는 요한 과정이다(Hutchison. 1973:

Malickin & Rusalem. 1969).

신체능력평가는 작업표본평가와 유사한 측면이 있지만 세부 으로 나 어

보면, 신체 능력평가는 신체 그 자체의 움직임과 기능에 을 두는 반면에

작업표본평가는 작업을 수행하는 체 인 동작과 속도, 정확성을 악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이경민, 2008).

직업재활 과정 기에 내담자의 능력을 알아보기 하여 직업능력 평가를

실시한다. 직업능력평가는 개인의 성, 신체 기능, 흥미, 기질 등의 직업능

Page 22: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6

력을 객 으로 평가하여, 각종 직업내용과 장에 한 폭넓은 정보도 함께

제공해 주는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하여 장애인에게 합한 직업계획 수립

방향 결정에 향을 수 있다(강 과 나운환, 2001). 평가에서 얻은 내

담자 주변 정보는 내담자와 상담사 모두가 재활에 필요한 서비스의 효과

인 선택, 직업재활훈련, 보조 재활기술 선택, 교육 로그램의 선정, 그리고

궁극 으로 재활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돕는다(이달엽, 1995; Wesolek &

McFarlane, 1991).

〔그림 2-2〕 직업능력평가 실시과정

출처: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2001), 직업재활사업운 메뉴얼; 직업평가센터의 사업과 운

나. 작업표본검사

작업 장이나 훈련 장에서 사용되는 재료나 도구, 기구를 사용하여 내담

자가 실제 직무 혹은 모의 직무를 실행하도록 하여 개개인의 직업 성, 근로

자 특성, 직업 흥미 등 직업 수행능력을 악하고 측하는 평가과정을 작

업표본평가라고 한다.

이러한 작업표본평가의 주요 목 은 평가 상자에게 실제 작업상황과 유사

한 작업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기 하는 직종에 해 스스로 이해할 수 있

Page 23: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2장 이론 배경 17

는 기회를 갖게 되며, 그 결과들을 실제 작업상황과 결부시킴으로써 직업선정

과 직업 응을 한 객 자료를 얻는데 있다(강필수, 1992).

작업표본평가의 특징은 평가 상자가 단순히 평가를 받는 입장에서 탈피하

여 보다 주체 인 존재로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작업들을 직

경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고, 따라서 자신의 직업진로를 스스로 선택

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들을 체험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평가사는

평가 상자의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 도구의 사용능력, 작업태도나 습 등을

직 찰함으로써 보다 합리 이고 과학 인 평가결과를 도출할 수가 있고

한, 여러 가지 표본작업들을 개발하거나 활용하는 과정에서 직업에 한 폭

넓은 지식과 정보를 직 습득하게 됨으로써 효과 인 직업지도가 가능해 진

다(박양신, 1992).

작업표본은 직무 혹은 작업훈련 교과과정의 일부를 실제로 장에서 사용

되고 있는 재료, 연장, 도구들을 사용하여 수행하고 그것을 통해 내담자가 평

가받는 활동으로 내담자의 구체 이고 한 직업 시험, 직업배치 상황으

로 연결되는 직업 탐구과정 방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작업표본은 언

어 지시와 단조로운 내담자 활동이 요구되지 않은 검사제작자나 실행자의

편견이나 문화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직업평가도구로서 범 하게 사용되

고 있다. 이와 같은 작업표본평가는 직업 장애를 지닌 개인이 그 잠재력을

극 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가 된다. 효과

인 개별재활계획서 (Individualized Written Rehabilitation Program: IWRP)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여 개인의 직업 능력, 제한 , 흥미 등을 평가하고 평가

종료 후 여러 가지 권고들을 통해 직업 목 을 결정하고 그 목 을 성취하

는데 필요한 조치들이 제공된다. 개인의 직업 열망과 목표들을 련지을 수

있는 체계 이고 논리 이며 실 인 재활계획을 통해 직업 기술과 사회기

술들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 듯 직업평가는 재활분야에서는 하나의 진단 과정으로 무엇을 할지

Page 24: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8

모르겠다고 하는 내담자에게는 미래의 성공과 만족을 측할 수 있는 방향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여기에는 정신능력과 신체능력, 그리고 사회성을 포함하

는 정서 안정성을 다루게 된다. 직업배치에 있어서 필요한 내담자 평가를

해서는 심리 , 사회 , 신체 , 직업기능 요소들이 종합 으로 고려되어

야 하며, 한 평가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요하게 된다(이달엽, 2001).

작업표본 평가는 직무 혹은 작업훈련 교과과정의 일부를 실제로 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재료, 연장, 도구들을 사용하여 수행하고 그것을 통해 내담자가

평가활동에 참여하는 것이다. 이는 내담자의 구체 이며 한 직업 시험,

직업배치상황을 연결하는 직업 탐구과정 방법과 상담 계(rapport) 형성 등

내담자와 상담사 사이의 상호작용 도구로서 사용되기도 한다(Thomas, 1990).

임상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작업표본 평가도구들은 내담자의 직업특성과

흥미를 악하기 해서 직업흥미, 성격 성평가체계(Vocational Interest,

Temperament and Aptitude System : VITAS), 발 작업표본(Valpar

component Work Sample : VCWS), 재능평가 로그램(Talent Assessment

Program :TAP), 포 직업능력평가체계(Comprehensive Vocational

Evaluation System : CVES), 이동용 직업능력 평가시스템(Mobile Vocational

Evaluation : MVE), 맥크론 다이얼 평가시스템(McCarron-Dial Evaluation

System : MDS), 일반직업 성검사(General Vocational Aptitude Test :

GVAT), 마이크로 타워(Micro TOWER)를 사용하고 있다. 손기능 등을 측정하

기 해서는 퍼듀펙보드(purdue pegboard), 펜실바니아 양손 응검사

(Pennsylvania Bimanual Work sample), 스트롬버그 손재능 검사(Stromberg

Dexterity Test), 소도구 사용 손재능검사(Hand-Tool Dexterity Test), 크롬포드

작은부품 조립검사(Crawford Small Parts Dexterity Test), 미네소타 공간지각

검사(Minnesota Spatial Relation Test), 그루 드 페그보드(Grooved Pegboard

Test), 감기 검사(Cord Binding Test), 동 분류검사(Coin Sorting Test)를 사

용한다(직업재활사업운 메뉴얼, 2001).

Page 25: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2장 이론 배경 19

이러한 작업표본 검사 도구를 구성하는 하 검사도구 에는 상지운동

응, 손가락민첩성 등 양손의 민첩성을 통해 조립․포장작업 등의 직무 합성

을 측정할 수 있는 퍼듀펙보드(purdue pegboard), 펜실바니아 양손 응검사

(Pennsylvania Bimanual Work sample)와 같은 단일표본검사 그 요소가 포

함되어 있다.

〈표 2-1〉 단일표본검사도구

도구명 상 평가 역 련직업

퍼듀펙보드 문맹, 하지장애상지운동 응

손가락민첩성

조립․포장작업

기계조작

펜실바니아

양손작업검사

상지사용이 가능한

일반인과 장애인

손가락민첩성

양팔 동작

-손 응력

양손의 민첩한 동작을

요하는 작업

미네소타

공간작업검사

상지사용이 가능한

모든 사람

기하학 형태

분별능력

기계기술직

자동차 장비기술

형제조, 용 공

감기검사

선자세 가능

한손과 팔의 기능이

잔존해 있는 사람

손/손가락의 운동성

신체운동능력, 응력

기, 기술직

속재료가공

기계조립 수리직

다. 직업재활기 장 실무자 상 손기능 평가 황조사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에 앞서 직업재활 기 장 실무자

를 상으로 손기능 평가 황 조사를 실시하 다. 장 조사는 한국장애인고

용 진공단 지사, 직업능력개발센터, 보호작업장, 장애인 복지 등 직업재활

시설 18개 기 을 4명의 교수가 직 방문하여 장실무자인 34명의 평가사를

상으로 보다 폭넓고 다양한 의견을 직 듣기 해 1:1 면담을 통한 질 조

사를 실시하 다.

면 조사의 내용은 장애유형별 손기능 작업평가의 비율, 보유하고 있는 손

Page 26: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20

기능 련 작업평가도구의 활용도 문제 , 개발제안 사항 등이었으며 면

조사 결과 직업능력평가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장애유형은 지 장애인이며,

지체장애인, 정신장애인, 뇌병변장애인 순으로 직업능력평가가 많이 이루어지

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2〉 장애유형별 평가 비율(단 : %)

장애유형 평가 비율

지체장애인 32

뇌병변장애인 11.7

지 장애인 39

정신장애인 12.5

직업재활기 에서 보유하고 있는 작업평가도구는 퍼듀펙보드, MDS,

Valpa17(직업 비도검사), Valpa8(모의조립작업), MVE, VITAS, TAP 순으로

나타났으며 손기능을 한 평가도구 활용도를 5 척도로 조사한 결과 퍼듀펙

보드와 MVE의 활용도가 다른 평가도구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표 2-3〉 작업평가도구 보유비율 활용도

검사명 보유기 비율 손기능 평가 활용도

MDS

퍼듀펙보드

Valpa8(모의조립작업)

Valpa17(직업 비도검사)

TAP

VITAS

MVE

82%

74.0%

19.0%

26.0%

7.0%

17.0%

18.0%

3.40

4.60

3.06

3.48

3.00

3.13

4.24

Page 27: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2장 이론 배경 21

특히 손기능 평가를 한 퍼듀펙보드에 한 활용도는 상당히 높으며

MVE의 경우 하 검사들을 부분 으로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체

battery를 실시할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한 하 검사 한국 상황

에 맞지 않는 도구들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재 활용하는

도구들은 부분이 외국에서 들여온 것으로 국내에서 표 화된 것이 소수 으

며, 작업평가도구에 있어서는 국내에서 표 화된 도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작업평가도구의 개발 표 화, 규 에 한 필요성이 매우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재 활용 인 도구의 문제 도구 개발에 한 기타 제안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2-4〉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도구 개발 제안 사항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도구 활용 황

문제

․ 재 손기능 평가를 해 퍼듀펙보드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

음.

․핀 크기가 무 작아 장애인 손기능 평가에 제한 이 있음.

․조립과제의 난이도가 무 어려우며 인지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음.

․도구의 마모로 인한 검사 신뢰도의 문제가 있음.

․도구 이스가 없어 이동평가 시 도구 활용에 제한 이 있음.

․퍼듀펙보드의 단 을 보완한 손기능 평가 도구의 개발과 표

화, 규 제작이 필요함.

개발 제안 사항

․ 재보다 크고 다양한 사이즈의 핀 필요.

․인지요소가 배제되어야 함.

․도구의 마모가 최소화 되어야함.

․이동평가가 용이하도록 도구 이스가 필요하며 무게를 최소화

해야 함.

․장애유형별 규 제작이 필요함.

․검사시간이 무 길지 않아야 함.

Page 28: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22

〈표 2-5〉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도구 개발 제안 사항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도구 활용 황

문제

․장애인이 많이 취업하는 작업 장에서 양손 응을 통한 조

립 손기능 평가는 매우 요하지만 마땅히 활용할 도구가

없는 상태임.

․ 재 활용 가능한 검사도구는 이동용 직업능력 평가시스템

(Mobile Vocational Evaluation : M.V.E) 하 검사인 양

팔 응검사와 재능평가 로그램(Talent Assessment

Program : T.A.P)의 1번인 기계․구조 시각화작업표본검

사가 있음.

․하지만 M.V.E는 평면검사이며 조립기능을 볼 수 없음.

․재능평가 로그램(Talent Assessment Program : T.A.P)의

1번인 기계․구조 시각화작업표본검사는 인지 기능의 요

소가 무 많고 검사 시간이 오래 걸리며 난이도가 무

어려워 장애인을 평가하기에 많은 제한 이 있음.

개발 제안 사항

․도구의 마모가 최소화 되어야함.

․이동평가가 용이하도록 도구 이스가 필요하며 무게를 최

소화해야 함.

․표 화 규 제작이 필요함.

․인지요소가 배제되어야 함.

․장애유형별 규 제작이 필요함.

․검사시간이 무 길지 않아야 함.

제2 손기능

해부학 측면에서 손은 수근 , 즉 요수근 (radiocarpal joint)로부터

말 까지의 부분을 총칭한다. Pedretti(1990)는 손을 ‘생존유지 기능 정보를

획득하거나 환경 안에서 상호작용을 하는 데 질 인 운동 활동을 실행하는 기

능을 가진 기 ’으로 정의하 고 Jebsen 등(1959)은 ‘놀이 활동, 일상생활동작

수행, 다양한 작업을 하기 한 요한 수단’으로 정의하 다. 한 손기능은

‘독립 일상생활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데 요한 역할을 하는 손의 수

Page 29: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2장 이론 배경 23

행능력(강성웅 외, 1995)’. '일상생활동작의 수행 작업능력을 한 신체 기

능 의 일부(Jebsen. 1959; Taylor, 1973; Carroll, 1965)', '조작과 조정, 안정,

감각, 표 과 달, 일상생활을 한 필수 인 요소, 보호 유지수단(Napier,

1956)' 등으로 정의된다.

손은 수많은 와 근육, 특수하게 세분화된 피부와 신경을 가지고

있어 섬세한 운동뿐만 아니라, 감각기 의사표 기 으로도 사용되고 있

으며(Poole, 1994; 오혜원, 2000 재인용), 이러한 손 기능은 손바닥 잡기

(palmar grasp), 집기(pinch), 악(prehension) 순으로 발달한다. 손 기능의 발

달 순서에 비추어 볼 때, 쥐기 기능은 마지막에 발달하는 기능으로 씨 쓰기,

가 질하기 같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운동 요소이다(Gilfoyle, Grandy, Moore,

1990).

손 기술(hand skills)은 사물을 손으로 획득하고 조작하는 기술로, 그 정확성

은 주로 각 수용체(tactile-proprioceptive)와 시각 정보(visual information)에

달려 있으며, 손 기술의 발달에 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시각 기술, 체감각 기

능(somatosensory function), 감각 통합, 시지각과 인지, 사회 문화 요

인 등 여러 가지가 있다(Exner, 2001).

손기능은 신체의 다른 기능과 마찬가지로 사용함으로써 발달되어지며(장미

리, 2000), 같은 동작의 반복을 통해 정확하고 민첩한 숙련 동작이 가능해진

다. 따라서 폭넓고 다양한 손조작 활동들을 수행하며 그 과정에서 효율 이고

세 한 손기능을 사용하게 된다(이지은, 2000).

세 한 손기능은 기능양식이 다양하고 복잡할 뿐만 아니라, 연습을 통해

운동의 크기, 속도, 치 함, 내구성 등을 변화시켜 손조작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력을 높일 수 있다. 응이란 수행목표를 성취하기

하여 신경, 근육, 등의 신체 부분이 공동 으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의 양수 응(bimanual coordination)은 셔츠의 단추 끼우기, 키보드 치

기, 피아노 연주 등 많은 일상생활에서 뿐만 아니라 운동수행에 있어서 요

Page 30: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24

한 역할을 한다. 즉, 목표로 하는 운동수행에 합하고 효율 인 동작을 획득

하기 해서는 움직임 형태의 변화를 수반하는 과정에서 응이 이루어 져야

하며, 신체와 사지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어야한다(Turvey, 1990).

진로계획 직업탐색에서 신체 조건과 성은 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데 특히 손기능의 발달은 다양한 직업선택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

다. 손기능과 련된 성요인에는 수공능력이 있으며 수공능력은 운동 감각

의 정확성과 신속히 반응하는 능력으로 손조작 활동들은 손기능의 발달을 통

하여 수공능력과 같은 성 요인들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함으로써 학습자들

의 성 개발과 진로 탐색에 도움을 수 있다(황희경, 2003).

〈표 2-6〉 손기능 련 작업 분류

련 직 업 세 부 내 용

1. 수작업 무 작업수행을 해 수작업을 요하지 않음 ( , 업직)

2. 큰 물품조립

사물취

비교 큰 물품의 취 을 하여 손 재능을 요함

( , 컵 크기 이상의 사물취 , 포장)

3. 작은 부품 조립작업비교 작은 물품의 조립을 하여 손가락 재능을 요함

( , 볼펜부품 조립)

4. 정 작업세 한 부분까지 정확히 작업하기 하여 손의 안정성

조 능력을 요함 ( , 시계수선)

손의 사용작업을 한 손의 사용

1. 한손작업 / 2. 한손 보조 작업 / 3. 양손 작업

출처: 작업치료사를 한 직업재활(2008)

한국장애인 고용 진공단의 장애인근로자 산업별 취업실태에 따르면 제조

업에서 가장 많은 장애인 근로자가 근무하고 있고(이경민, 2008), 포장 조

립을 주로 한 생산기능 인력이나 단순노무의 직무형태가 일반 이다. 이러

한 제조업에 있어서 직무와 손기능의 계는 매우 요하다고 말할 수 있는데

부분 쥐기, 집기, 꽂기, 들어올리기 이를 포함한 조립의 형태의 작업을

Page 31: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2장 이론 배경 25

취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직무와 손기능과의 계는 아직 체계 인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상태이며, 직업재활을 한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도구 역시 제

로 개발되어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Malich(1972) & Kiel(1983), Tyldesly & Grieve(1989),

Sollerman & Sperling(1978)의 이론을 종합하여 손기능을 쥐기(grip), 집기

(pinch), 들어올리기(hook)로 구분하고, 쥐기 동작의 하 동작으로 4개, 집기

동작에 4개, 들어올리기 동작 1개로서 총 9개의 동작으로 구분하 고, 직무

련 손기능을 수작업 무 , 큰 물품조립 사물취 , 작은 부품 조립작업, 정

작업으로 구분하 다.

1. 손기능 분류

가. 쥐기(grip) 동작

쥐기(grip) 동작은 엄지 는 손가락, 엄지손가락과 함께 손바닥으로 물체

를 잡는 것을 말하며, 손가락의 치, 쓰임새 등에 따라 주먹쥐기(power

grip), 원통쥐기(cylindrical grip), 원 쥐기(plate grip), 구형쥐기(spherical

grip) 동작으로 구별할 수 있다. [그림 2-3]은 쥐기(grip) 동작들의 손가락 모양

치를 나타낸 것이다.

Page 32: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26

〔그림 2-3〕 쥐기(grip) 동작

A: 주먹쥐기(power grip), B: 원통쥐기(cylindrical grip),

C: 원 쥐기(plate grip), D: 구형쥐기(spherical grip)

나. 집기(pinch) 동작

집기(pinch) 동작은 립 치의 엄지 손끝 부 와 다른 손가락의 끝 부

로 물건을 잡는 동작으로, 손가락의 치, 개수에 따라서 손끝집기(tip pinch),

지복집기(pulp pinch), 측면집기(lateral pinch), 세 손가락 집기(three-jaw

pinch)로 구별할 수 있다. [그림 2-4] 집기(pinch) 동작의 손가락 모양 치

를 나타낸 것이다.

Page 33: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2장 이론 배경 27

〔그림 2-4〕 집기(pinch) 동작

A: 세 손가락 집기(three-jaw pinch), B: 측면집기(lateral

pinch), C: 지복집기(pulp pinch)), D: 손끝집기(tip pinch)

다. 들어올리기(hook) 동작

이 동작은 [그림 2-5]와 같이 엄지는 펼친 채 집게손가락의 요측에 치하

며, 손목과 팔꿈치를 펴고 몸 으로 붙인 상태로 단지 굴곡된 손가락만 쥐기

에 사용된다. 무거운 물체의 운반, 캐비넷 등을 당겨 열 때, 철 에 매달릴 때

사용되며 강한 힘에 항할 수도 있다.

Page 34: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28

〔그림 2-5〕 들어올리기(hook) 동작

Page 35: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3장 도구 개발 29

제 3 장

도구 개발

제1 개발 차

도구 개발을 한 개발 차를 요약하면 [그림 3-1]과 같다.

〔그림 3-1〕 도구 개발 차

Page 36: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30

1. 문헌조사 손기능 평가 황조사

국내외 련 문헌 조사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지사, 직업능력개발센터,

보호작업장, 장애인 복지 등 직업재활시설 18개 기 을 직 방문하여 장

실무자인 34명의 평가사를 상으로 보다 폭넓고 다양한 의견을 직 듣기

해 1:1 면담을 통한 질 조사를 실시하 다.

2. 제작 계획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의 정

의, 검사목 , 구성개념, 제작 난이도, 재질, 무게, 색, 표면처리, 검사 상, 검사시

간, 도구의 배치, 지시사항, 장애유형별 고려할 , 결과 수의 해석 등을 분석하

다.

3. 시제품 제작

제작 계획 시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의 도면을 작성하고 각각 시제품을 제

작하 다.

4. 도구 수정 보완

시제품이 제작 계획에 맞게 잘 제작되었는지 확인한다. 도구의 재질, 무게,

색, 표면처리 등이 당한지 확인하고 검사 상 장애인 용의 타당성을 확인

하여 수정 보완하 다.

Page 37: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3장 도구 개발 31

5. 도구 제작

시제품의 수정, 보완작업을 통해 최종 도구안을 결정하여 도면 수정 후 도

구제작을 하 다.

6. 신뢰도 타당도 검증

비조사를 통해 개발된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 다. 신뢰도는 재검사법(test-retest method)를 검증하고, 타당도는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 이미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다른 유용한 평가

결과들과 비교하여 수렴타당도(convergence validity)를 검증하 다.

7. 규 제작

개발된 도구의 검사를 통해 비장애인, 장애유형별 규 을 제작하 다. 장애

인의 직업평가는 성공에 한 잠재력을 결정하기 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

문에 특정집단 규 의 형태로서 장애유형별 규 이나 보다 소한 각 지역별

규 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규 참조평가의 목표는 규 으로 알려져 있는

환 수를 통해 규 집단에서 원 수가 분포하는 치를 결정하는데 있다.

(Gregory, 1992).

가장 일반 으로 사용되는 방법 의 하나인 퍼센타일 순 (percentile

rank)는 규 집단 성원들의 평균 성취수 분포상 어떤 수 아래에 있는 비

율(%)을 뜻한다. 이것은 특정한 개인의 상 치를 명확히 알려주는 이

이 있다. 퍼센트는 얼마 얼마를 맞추거나 얼마의 속도로 수행했는지의 비

율과 같은 것으로서 인 측면이 강조되는 것이지만 퍼센타일 순 는 각

개인이 규 집단의 평균으로부터 어느 정도 이탈되어 있는가를 제시해 주며,

내담자와 같거나 낮은 수를 받는 사람을 뜻한다.

Page 38: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32

8. 도구사용 메뉴얼 제작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의

정의, 검사목 , 구성개념, 검사 상, 검사시간, 도구의 배치, 지시사항, 장애유

형별 고려할 , 결과 수의 해석 등을 기술하고 표 화된 메뉴얼을 제작하

다. 평가시행과정은 가능한 평가사의 선입견이나 편견이 작용하지 않도록

규격화하고 표 화 하 다.

9. 컴퓨터 로그램 제작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의

개발과정에서 이루어진 규 데이터를 바탕으로 검사결과 해석 시 비장애인과

장애유형별 규 을 여러 가지 결과 데이터로 쉽게 확인하고 출력하여 활용할

수 있는 컴퓨터 로그램을 제작하 다.

Page 39: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3장 도구 개발 33

제2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개념 구성

1.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개념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는 부품 굵기( , , 소)에 따른 집기·꽂기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부품은 세가지 굵기( , , 소)의 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근육을 사용하는 손기능을 평가하는 검사이다.

〔그림 3-2〕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2.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구성요소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는 기본 보드, 핀보드, 3종류의 핀( , , 소)

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품의 크기는 <표 3-1> 다음과 같다. 핀의 굵기는 국

내 사업장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수작업 공구 지의 표 규격에서 주

로 사용되는 0.3cm, 0.4cm, 0.6cm를 바탕으로 제작하 다.

Page 40: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34

〈표 3-1〉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구성요소(단 : cm)

구 성 요 소 규 격 수 량

기본보드 29×45 1

핀보드( , , 소) 14×42.5 , 소 각 1개씩

핀( ) 0.6×2.55 40개

핀( ) 0.4×2.55 40개

핀(소) 0.3×2.55 40개

3.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평가요소

운동기능은 근육 운동과 소근육 운동으로 나 수 있다. 근육 운동은

어깨, 몸통, 하체 등 신체의 근육을 사용하는 운동이며, 소근육 운동은 손가

락, 손, 팔 등 소근육을 사용하는 운동으로 주로 과 손의 응력을 통해 손

동작의 정확성을 요구하는 과제, 즉 상물을 조정하고 을 쓰는데 필요한

학습과 한 연 성을 가지고 있다(김희경, 1992; 이창규, 1998). 소근육 운

동은 과 손의 응능력 두 손 사용의 응, 사물의 조작능력, 손가락의

민첩성, 힘의 4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람은 과 손의 응, 두 손

사용의 응을 통해 사물을 조작하고 나아가 환경과의 계에서 한 처

방안을 배워나간다(오 하, 2002).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에서는 세 한 손동작을 평가하는데 목

이 있다. 검사를 통하여 과 손의 응능력, 손가락 민첩성 등을 평가할

수 있으며, 핀의 굵기에 따라 손끝집기(tip pinch) 능력을 볼 수 있다.

Page 41: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3장 도구 개발 35

제3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개념 구성

1.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개념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는 양손과 양팔을 동시에 사용하여

제시된 모형사진을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부품(기둥, 볼트와 트, , 연결

핀)을 조립하여 입체구조물을 완성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이다. 쥐기, 집

기, 꽂기, 조립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의 작업표본검사와 달리 기억력, 문제

해결능력 등 인지 요소를 가능한 배제하고, 양손과 양팔을 동시에 사용하는

근육 작업에 을 두었다.

〔그림 3-3〕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2.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구성요소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는 직사각형 , 원통( , 소), 볼트와

트( , 소), 연결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

사에 사용한 부품은 실제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캔, 음료수, 병뚜껑과

기존 사업장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볼트· 트 형태의 형태, 크기, 무게 등을

Page 42: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36

도구에 반 하여 다양한 형태, 굵기, 크기를 용한 부품을 사용하여 각 부품

조립 단계별로 피검자가 한 손기능을 사용하고 있는지에 한 포 인

평가를 할 수 있다. 각 부품의 크기는 <표 3-2>와 같다.

〈표 3-2〉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구성요소 (단 : cm)

구 성 요 소 규 격 수 량

직사격형 35.5×24.5 1개

원통 4.5×11.7 4개

원통 소 3.6×7.2 4개

볼트 2.5×7.0 4개

볼트 소 2.0×5.8 4개

트 2.5×1.2 4개

트 소 2.0×1.0 4개

연결핀 5.0×2.3 4개

Page 43: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3장 도구 개발 37

3.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평가요소

〈표 3-3〉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평가요소

조립 단계 손기능 평가요소

- 양손작업 : 비교 큰 물품 취 을 한 손기능 요

소를 평가하는 단계

- 원통잡기(cylindrical grasp)

- ·손 응(eye-hand coordination)

- 양손 응(bilateral hand coordination)

- 한손 보조작업 : 비교 작은 물품의 취 을 한

손재능 요소를 평가하는 단계

- 세손가락 집기(3 jaw pinch)

- 손끝잡기(pincer grasp)

- ·손 응(eye-hand coordination)

- 양손 응(bilateral hand coordination)

- 사물 조작능력(in-hand manipulation)

- 단순 회 (simple rotation)

- 양손작업 : 비교 큰 물품 취 을 한 손기능 요

소를 평가하는 단계

- 어깨의 응된 움직임(shoulder movement)

- 주먹잡기(power grasp)

- ·손 응(eye-hand coordination)

- 양손 응(bilateral hand coordination)

- 한손 보조작업 : 비교 작은 물품의 취 을 한

손재능 요소를 평가하는 단계

- 원통잡기(cylindrical grasp)

- 원 잡기(plate grasp)

- 사물 조작능력(in-hand manipulation)

- 단순 회 (simple rotation)

- ·손 응(eye-hand coordination)

- 양손 응(bilateral hand coordination)

Page 44: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38

4.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종료시간 결정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의 수행종료시간 결정을 해 비

조사에서 206명의 상자에게 1분 30 , 2분, 종료 시까지의 수행량 자료를 기

록하여 분석하 다. 종료 시까지의 수행량에 있어서 지체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수행량에 근 하여 장애와 비장애인의 차이가 었고, 1분30 의 수행량이 2

분 종료 시 보다 장애와 비장애인의 구분과 장애유형별 차이를 잘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의 수행종료

시간을 1분 30 로 결정하 다.

〔그림 3-4〕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1분30 )

0.00

0.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원통결합 볼트(대) 너트(대) 볼트(소) 너트(소) 판 고정핀

비장애

지체장애

지적장애

정신장애

뇌병변장애

Page 45: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3장 도구 개발 39

〔그림 3-5〕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2분)

0.00

0.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원통결합 볼트(대) 너트(대) 볼트(소) 너트(소) 판 고정핀

비장애

지체장애

지적장애

정신장애

뇌병변장애

〔그림 3-6〕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종료)

0.00

0.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원통결합 볼트(대) 너트(대) 볼트(소) 너트(소) 판 고정핀

장애유형 비장애

장애유형 지체장애

장애유형 지적장애

장애유형 정신장애

장애유형 뇌병변장애

Page 46: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40

Page 47: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4장 신뢰도‧타당도 검증 41

제 4 장

신뢰도‧타당도 검증

개발된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2종 도구의 신뢰도‧타당도 검증을

해 2008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장애인 206명을 상으로 비조사를 실

시하 다. 장애인 평가는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지사, 직업능력개발센터, 사

회복지시설, 보호작업장, 정신보건센터, 장애인 복지 , 장애인표 사업장 등

13개 기 을 직 방문하여 평가하 다. 상 장애유형은 손기능과 련이 있

는 지체장애인, 지 장애인, 정신장애인, 뇌병변장애인로 하 다.

비조사의 상자는 15세-55세의 지체장애인, 지 장애인, 정신장애인, 뇌

병변장애인으로 하 다. 총 214명의 상을 평가하 으나 자료의 정확성에 문

재가 있다고 단되거나 재검사가 불가능했던 8명의 자료를 제외한 206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 다.

본 도구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해 검사-재검사법을 동일 검사자에 의해

반복 시행되었다. 타당도는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이미 개발되어 사

용되고 있는 다른 유용한 평가 결과들과 비교하여 수렴타당도

(convergence validity)를 검증하기 해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는 퍼듀

펙보드와 비교하 고,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는 직업능력 평

가시스템(Mobile Vocational Evaluation : M.V.E) 하 검사인 양팔 응검사

와 비교하여 검증하 다.

신뢰도는 같은 사람에 한 검사 수가 일 성 있게 측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성태제, 1995; 한국심리학회, 1998). 부분의 검사에서는 반분검사 신

Page 48: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42

뢰도나 검사-재검사 신뢰도, 측정의 표 오차를 제시하여 검사의 신뢰도를 검

증하고 있다. 한 타당도는 그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을 얼

마만큼 제 로 측정하고 있는가의 정도이다(성태제, 1995). 좀 더 엄 하게 정

의한다면, 타당도란 검사 수에 기 하여 어떤 추론이 이루어졌을 때 그 추

론의 합성, 유의미성, 는 유용성이 어느 정도인가에 한 지표라고 할 수

있다(한국심리학회, 1998).

제1 타당도

1. 내용타당도

내용타당도는 도구 개발 단계에서 교수 7인과 작업평가사 5인, 도구제작

문가 2인으로 구성된 문가 집단에게 2회의 자문과 13회의 의견청취를 통

해 내용타당도를 검증하 다.

문가들은 「KEPAD 손기능 작업표본 검사」는 집기, 꽂기로 구성하고 부

품의 굵기(작은, 간, 큰)를 세가지로 하여 구성하며 가 인지 능력을 배

제하는 것이 손기능을 변별하고 직업능력을 측하는데 효과 이라고 제안하

다. 한 손기능의 소근육을 사용하는 작업에 심을 두고 손기능의 신체

기능 측면과 실제 작업장의 직업 측면을 고려하여 개발하도록 하며 양손

응능력은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에서 측정하도록 제시하

다.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는 양손 응에 을 두어 다차

원 입체 구조물을 조립하는 검사로 기억력과 문제해결능력 등 인지 능력은

가 제외하고 양손과 양팔을 동시에 사용한 근육 작업을 고려하여 개발

하도록 제안하 다.

Page 49: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4장 신뢰도‧타당도 검증 43

최종 도구의 시제품이 나온 이후 다음과 같은 사항의 수정 보완 후 최종

도구안을 확정하 다.

가. KEPAD 손기능 작업표본 검사

1) 이동시 핀 보 함 뚜껑이 쉽게 열리지 않도록 조정하 다.

2) 무게를 최소화 하기 해 재료를 라스틱으로 하 으며 도구의 안쪽면

을 내었다.

3) 작업장의 작업형태 도구의 크기 등을 참고하 고 모든 장애유형을

평가하는데 무리가 없는 핀 굵기 크기를 결정하 다.

4) 핀 굵기별 핀보드 교체 방법을 결정하 고, 굵기별 핀보드 교체 시 쉽지

만 견고하고 검사 시 안정성을 갖기 해 자석 등의 내부장치를 추가하 다.

5) 검사에 있어서 오류수정 방법을 결정하 다.

6) 지 장애인과 같이 시각 혼란이 검사를 방해할 경우를 비해 검사

의 도색 선 등을 최 한 단순화 하 다.

7) 검사 이 리지 않도록 하단부에 장치를 추가하 다.

8) 핀을 잡을 때 오류를 이기 해 핀 보 함의 사이즈를 조정하 다.

나.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 검사

1) 작업 장을 고려하고 스크 치가 쉽게 일어나지 않으며 에 부담을 주

지 않는 색으로 도색을 변경하 다.

2) 장애유형별 손기능을 고려하여 무 어렵지 않으며 양손을 극 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둥조립의 난이도를 조 하 다.

3) 제시물의 내용 정도 등의 사항을 결정하 다.

4) 도구 부품의 리를 해 부품주머니를 추가하 다.

Page 50: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44

5) 도구의 무게를 최소화 하기 해 속재료를 수정하 다.

6) 실제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캔, 음료수, 병뚜껑과 기존 사업장에

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볼트· 트 형태의 형태, 크기, 무게 등을 도구에 반

하여 부품의 크기 사이즈를 조정하 다.

6) 비장애인 장애인 그리고 장애유형을 포 하는 검사 평가방법을

결정하 다.

이때 문가들은 본 개발도구, 구성개념, 실시방법, 오류수정방법, 검사결과

의 해석 등을 포함한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2종에 해 타당하다는 견

해를 제시하 다.

2. 수렴타당도

수렴타당도(convergence validity)는 이미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다른 유

용한 평가 결과들과 비교하여 검증하 다. 직업재활 련 기 의 장 조사를

통해 재 활용 인 손기능 작업표본 검사로 퍼듀펙보드, 양손 응 작업표본

검사로는 직업능력 평가시스템(Mobile Vocational Evaluation : M.V.E) 하

검사인 양팔 응검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KEPAD 손기능 작업표본

검사는 퍼듀펙보드와 비교하 고,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는

M.V.E와 비교하여 검증하 다.

가.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3.0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

편차를 산출하 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해서 반복측정 상 분석을 하

고, 수렴타당도(convergence validity) 검증을 해 기존의 도구와 카이제곱

Page 51: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4장 신뢰도‧타당도 검증 45

(chi-square) 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 다.

나. 상자의 일반 특성

연구 상자의 일반 특성은 <표 4-1>과 같다. 본 연구에 참여한 비장애인

은 21%(56명), 장애인은 지체장애인 26%(65명), 뇌병변장애인 16%(43명), 정신

장애인 17%(45명), 지 장애인 20%(53명)이었다. 성별은 비장애인은 여성이

16%(39명)으로 남성 30%(17명)에 비해 많았으나 장애군은 모든 장애유형에서

남자가 많았다. 학력은 비장애인 55%, 지체장애인 58%, 뇌병변장애인 63%, 정

신장애인 60%, 지 장애인 84%로 모든 군에서 고등학교 졸업이 많았다.

〈표 4-1〉 상자의 일반 특성(단 : 명(%))

항목 분류

비장애인

(n=56)

지체장애인

(n=65)

뇌병변장애인

(n=43)

정신장애인

(n=45)

지 장애인

(n=53)

연령

20 27(48) 32(50) 13(30) 9(20) 40(75)

30 8(14) 23(35) 11(26) 22(49) 10(19)

40 이상 21(38) 10(15) 19(44) 14(31) 3(6)

성별

남 17(30) 55(85) 33(77) 29(64) 35(66)

여 39(70) 10(15) 10(23) 16(36) 18(34)

학력

무학 0 0 2(5) 0 1

등학교 졸업 2(4) 1(2) 4(9) 4(9) 0

학교 졸업 8(14) 5(8) 4(9) 2(4) 4(8)

고등학교 졸업 31(55) 38(58) 27(63) 27(60) 45(84)

문 졸업 6(11) 13(20) 2(5) 3(7) 3(6)

학교 졸업 6(11) 8(12) 3(7) 9(20) 0

학원 이상 3(5) 0 1(2) 0 0

Page 52: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46

다. 상 계 분석

1)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 퍼듀펙보드의 상 계

① 장애군 체

장애군 체의 퍼듀펙보드와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의 상 계

결과는 <표 4-2>와 같다. 퍼듀펙보드의 우세손 수행량과는 KEPAD 손기능 작

업표본검사의 우세손 , , 소에서 0.8 이상의 높은 상 계수를 나타냈고 퍼

듀펙보드의 비우세손 수행량과는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비우세손

, , 소에서 0.8이상의 높은 상 계수를 나타냈다. 퍼듀펙보드의 양손 수행

량과는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양손에서 0.932의 높은 상 계수를 나

타냈다. 모든 상 계수에서 통계 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2〉 장애군 체의 KEPAD 손기능 검사와 퍼듀펙보드의 상 계

검사 측정지표Purdue Pegboard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조립

KEPAD

손기능

( )우세손 .841(**) .402(**) .702(**) .666(**)

( )비우세손 .386(**) .832(**) .715(**) .677(**)

( )우세손 .839(**) .414(**) .696(**) .666(**)

( )비우세손 .327(**) .839(**) .656(**) .654(**)

(소)우세손 .815(**) .376(**) .653(**) .624(**)

(소)비우세손 .346(**) .858(**) .647(**) .649(**)

(소)양손 .684(**) .660(**) .932(**) .753(**)

* p < .05, ** p < .01

② 비장애인군

비장애인군의 퍼듀펙보드와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의 상 계 결

과는 <표 4-3>과 같다. 퍼듀펙보드의 우세손 수행량과 KEPAD 손기능 작업표

Page 53: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4장 신뢰도‧타당도 검증 47

본검사의 우세손 , 소, 비우세손 , 퍼듀펙보드의 비우세손 수행량과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비우세손 에서 0.5 이상의 상 계수를 나타

냈고 퍼듀펙보드의 비우세손 수행량과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우세손

소에서 0.625의 가장 높은 상 계수를 나타냈다. 부분의 상 계수에서 통계

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3〉 비장애인군의 KEPAD 손기능 검사와 퍼듀펙보드의 상 계

검사 측정지표Purdue Pegboard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조립

KEPAD

손기능

( )우세손 .483(**) .435(**) .303(*) .319(*)

( )비우세손 .450(**) .402(**) .298(*) .353(**)

( )우세손 .589(**) .460(**) .400(**) .362(**)

( )비우세손 .511(**) .527(**) .401(**)

(소)우세손 .585(**) 625(**) .411(**) .350(**)

(소)비우세손 .465(**) .452(**) .302(*) .312(*)

(소)양손 .381(**) .447(**) .334(*) .285(*)

* p < .05, ** p < .01

③ 지체장애인

지체장애인의 퍼듀펙보드와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의 상 계 결

과는 <표 4-4>와 같다. 퍼듀펙보드의 우세손 수행량과 KEPAD 손기능 작업표

본검사의 우세손 , , 소에서 0.8이상의 높은 상 계수를 나타냈고, 퍼듀펙

보드의 비우세손 수행량과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비우세손 , ,

소 그리고 퍼듀펙보드의 양손 수행량과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양손

소와는 0.9 이상의 매우 높은 상 계수를 나타냈다. 부분의 상 계수에서 통

계 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Page 54: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48

〈표 4-4〉 지체장애인의 KEPAD 손기능 검사와 퍼듀펙보드의 상 계

검사 측정지표Purdue Pegboard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조립

KEPAD

손기능

( )우세손 .846(**) .282(*) .658(**) .592(**)

( )비우세손 .957(**) .721(**) .715(**)

( )우세손 .841(**) .315(*) .655(**) .620(**)

( )비우세손 .927(**) .691(**) .744(**)

(소)우세손 .849(**) .265(*) .607(**) .560(**)

(소)비우세손 .958(**) .732(**) .761(**)

(소)양손 .569(**) .772(**) .955(**) .871(**)

* p < .05, ** p < .01

④ 정신장애인

정신장애인의 퍼듀펙보드와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의 상 계 결

과는 <표 4-5>와 같다. 퍼듀펙보드의 우세손과 비우세손의 수행량과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모든 항목에서 0.7이상의 높은 상 계수를 나타냈고,

퍼듀펙보드의 양손 수행량과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양손 수행량에서

도 0.874의 높은 상 계가 나타났다. 항목의 상 계수에서 통계 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Page 55: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4장 신뢰도‧타당도 검증 49

〈표 4-5〉 정신장애인의 KEPAD 손기능 검사와 퍼듀펙보드의 상 계

검사 측정지표Purdue Pegboard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조립

KEPAD

손기능

( )우세손 .822(**) .757(**) .797(**) .678(**)

( )비우세손 .802(**) .799(**) .791(**) .631(**)

( )우세손 .805(**) .799(**) .776(**) .632(**)

( )비우세손 .733(**) .740(**) .748(**) .635(**)

(소)우세손 .789(**) .720(**) .680(**) .632(**)

(소)비우세손 .721(**) .785(**) .694(**) .552(**)

(소)양손 .748(**) .720(**) .874(**) .567(**)

* p < .05, ** p < .01

⑤ 지 장애인

지 장애인의 퍼듀펙보드와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의 상 계 결

과는 <표 4-6>과 같다. 퍼듀펙보드의 우세손 수행량과 KEPAD 손기능 작업표

본검사의 우세손 , 퍼듀펙보드의 비우세손 수행량과 KEPAD 손기능 작업표

본검사의 비우세손 에 있서 0.7이상의 높은 상 계가 나왔다. 퍼듀펙보드

의 양손 수행량과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양손 수행량 역시 0.7 이상

의 높은 상 계가 나타났다. 항목의 상 계수에서 통계 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6〉 지 장애인의 KEPAD 손기능 검사와 퍼듀펙보드의 상 계

검사 측정지표Purdue Pegboard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조립

KEPAD

손기능

( )우세손 .615(**) .602(**) .763(**) .637(**)

( )비우세손 .460(**) .581(**) .684(**) .634(**)

( )우세손 .717(**) .573(**) .769(**) .663(**)

( )비우세손 .587(**) .713(**) .693(**) .582(**)

(소)우세손 .633(**) .468(**) .781(**) .578(**)

(소)비우세손 .567(**) .657(**) .732(**) .550(**)

(소)양손 .529(**) .530(**) .703(**) .616(**)

* p < .05, ** p < .01

Page 56: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50

⑥ 뇌병변장애인

뇌병변장애인의 퍼듀펙보드와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의 상 계

결과는 <표 4-7>과 같다. 퍼듀펙보드의 우세손 수행량과 KEPAD 손기능 작업

표본검사의 우세손 , , 소, 양손에서 0.7이상의 높은 상 계수를 나타냈다.

한 퍼듀펙보드의 비우세손과 수행량과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비우

세손 , , 소에 있어서도 0.7이상의 높은 상 계가 나왔다. 퍼듀펙보드의

양손 수행량과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양손 수행량은 0.961의 높은

상 계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상 계수는 통계 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

났다.

〈표 4-7〉 뇌병변장애인의 KEPAD 손기능 검사와 퍼듀펙보드의 상 계

검사 측정지표Purdue Pegboard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조립

KEPAD

손기능

( )우세손 .832(**) .579(**) .626(**)

( )비우세손 .719(**) .573(**) .589(**)

( )우세손 .809(**) .560(**) .633(**)

( )비우세손 .773(**) .472(**) .484(**)

(소)우세손 .777(**) .551(**) .600(**)

(소)비우세손 .817(**) .499(**) .544(**)

(소)양손 .703(**) .443(**) .961(**) .854(**)

* p < .05, ** p < .01

2)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와 MVE의 상 계

① 체, 비장애인, 장애인 상 계

직업능력 평가시스템(Mobile Vocational Evaluation : MVE) 하 검사인

양팔 응검사와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의 상 계는 <표

4-8>과 같다.

Page 57: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4장 신뢰도‧타당도 검증 51

체 상자군(비장애인, 장애 체)에서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

본검사의 모든 측정지표와 MVE 오류수는 통계학 으로 유의미한 상 계를

나타내었다. 특히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의 1분 30 , 2분의

완성도 수는 MVE 오류수 뿐만 아니라 수행시간과도 유의미한 상 계를

보 다.

비장애인에서는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의 1분 30 , 2분의

완성도 수, 체 수행시간은 MVE 수행시간과 유의미한 상 계를 보 다.

장애군에서는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의 모든 측정지표와

MVE 오류수에서 유의미한 상 계를 나타내었다.

〈표 4-8〉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와 MVE의 상 계

검사 측정지표

MVE

체 비장애인 장애인

수행

시간오류수

수행

시간오류수

수행

시간오류수

KEPAD

다차원

양손 응

1분 30 -.171(**) -.446(**) -.330(**) -.424(**)

2분 -.154(**) -.463(**) -.325(*) -.434(**)

종 료 -.195(**) -.173(*)

체수행시간 .421(**) -.476(**) .391(**)

총합계 -.194(**) -.173(*)

* p < .05, ** p < .01

② 장애유형별 상 계

장애유형별 직업능력 평가시스템(Mobile Vocational Evaluation : M.V.E)

하 검사인 양팔 응검사와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의 상

계는 <표 4-9>와 같다.

Page 58: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52

지체장애인에서는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의 모든 측정지표

와 MVE 오류수는 통계학 으로 유의미한 상 계를 나타내었다.

정신장애인에서는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1분 30 , 2분의

완성도 수, 체 수행시간과 MVE 오류수는 통계학 으로 유의미한 상

계를 보 다.

지 장애인에서는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종료시 의 완성

도, 체수행시간은 MVE 수행시간과 통계학 으로 유의미한 상 계를 나타

내었다. 뇌병변장애인에서는 각 검사 간 유의미한 상 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4-9〉 장애유형별 MVE와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상 계

검사 측정지표

MVE

지체장애인 정신장애인 지 장애인 뇌병변장애인

수행

시간오류수

수행

시간오류수

수행

시간오류수

수행

시간오류수

KEPAD

다차원

양손 응

1분 30 -.475(**) -.403(**)

2분 -.465(**) -.411(**)

종 료 -.195(**) .496(**)

체수행시간 -.286(**) .309(**) -.365(*)

총합계 .502(**)

* p < .05, ** p < .01

제2 신뢰도

본 연구에서는 검사-재검사(test-retest method) 신뢰도를 측정하여 검사의

신뢰도를 검증하 다.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모두 .01수 에서 유의미한 상 을 보 다. KEPAD 손기능 작업

표본검사는 모든 측정지표의 1차, 2차 검사 간 상 이 .95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는 부분의 측정지표의 1

Page 59: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4장 신뢰도‧타당도 검증 53

차, 2차 검사 간 상 이 .95이상 높게 나타났으나, “ ”의 경우에만 .8 ~ .9이

내의 상 을 보이고 있으나 여 히 매우 높은 상 을 나타내었다.

〈표 4-10〉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신뢰도

측정지표 체 지체장애인 정신장애인 지 장애인 뇌병변장애인

( )우세손 평균 0.975 0.975 0.932 0.986 0.993

( )비우세손 평균 0.981 0.981 0.992 0.990 0.997

( )우세손 평균 0.987 0.987 0.984 0.976 0.994

( )비우세손 평균 0.995 0.995 0.996 0.993 0.999

(소)우세손 평균 0.992 0.992 0.992 0.986 0.996

(소)비우세손 평균 0.990 0.990 0.990 0.988 0.995

(소)양손 평균 0.992 0.992 0.994 0.984 0.991

p < .01

〈표 4-11〉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신뢰도

측정지표 체 지체장애인 정신장애인 지 장애인 뇌병변장애인

원통결합 0.970 0.970 0.946 0.974 0.973

볼트( ) 0.965 0.965 0.920 0.967 0.969

트( ) 0.971 0.971 0.929 0.964 0.990

볼트(소) 0.984 0.984 0.963 0.981 0.986

트(소) 0.978 0.978 0.973 0.974 0.985

0.898 0.898 0.999 0.903 0.809

고정 0.953 0.953 0.991 0.905 0.970

종합(1분30 ) 0.989 0.989 0.970 0.992 0.991

p < .01

Page 60: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54

Page 61: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5장 규 제작 55

제 5 장

규준제작

제1 연구방법

1. 연구 상

개발된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2종의 규 제작을 해 2008년 8월 1

일부터 10월25일까지 비장애인군 200명 장애인 667명을 상으로 평가를 실시

하 다. 장애인 평가는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지사, 직업능력개발센터, 사회

복지시설, 보호작업장, 정신보건센터, 장애인 복지 , 장애인표 사업장 등 25

개 기 을 직 방문하여 평가하 다. 상 장애유형은 손기능과 련이 있는

지체장애인, 지 장애인, 정신장애인, 뇌병변장애인으로 하 다.

2. 연구도구

규 제작을 한 본 조사는 개발된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를 사용하 다.

Page 62: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56

3.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3.0을 사용하여 평균과 앙

값, 표 편차를 산출하 다.

제2 연구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연구 상자의 일반 특징은 <표 5-1>과 같다. 본 연구에 참여한 비장애인

군은 23%(202명), 장애군은 총 677명으로 장애유형별로 지체장애인 18%(155

명), 뇌병변장애인 16%(145명), 정신장애인 11%(101명), 지 장애인 32%(267명)

이었다. 성별은 비장애인군은 여성이 58%(117명)으로 남성 42%(85명)보다 많

았으나, 장애군은 모든 장애유형에서 남자가 많았다. 학력은 비장애인은 학

교 졸업이 47%(92명)으로 가장 많았고, 장애군은 지체장애인 52%, 뇌병변장애

인 40%, 정신장애인 59%, 지 장애인 67%로 모든 장애유형에서 고등학교 졸

업이 많았다.

Page 63: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5장 규 제작 57

〈표 5-1〉 상자의 일반 특성 (단 : 명(%))

목분류

비장애인

(n=202)

지체장애인

(n=155)

정신장애인

(n=101)

지 장애인

(n=276)

뇌병변장애인

(n=145)

20 90(45) 76(49) 22(22) 165(602) 38(26)_

30 61(30) 54(35) 40(39) 72(26) 29(20)

40 이상 51(25) 25(16) 39(39) 39(14) 78(54)

남 85(42) 123(79) 62(61) 180(65) 96(66)

여 117(58) 32(21) 39(39) 96(35) 49(34)

무학 0(0) 0(0) 0(0) 24(9) 12(8)

등학교 졸업 3(1) 8(5) 5(5) 28(10) 18(12)

학교 졸업 9(4) 14(9) 8(8) 25(9) 19(13)

고등학교 졸업 29(8) 80(52) 59(59) 185(67) 57(40)

문 졸업 53(26) 31(20) 8(8) 7(3) 15(10)

학교 졸업 92(47) 22(14) 20(20) 5(2) 23(16)

학원 이상 16(14) 0(0) 0(0) 0(0) 1(1)

2.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기술통계량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하 검사의 장애유형별 우세손 비우세손

수행량 평균의 그래 는 [그림 5-1], [그림 5-2], [그림 5-3]과 같다. 일반 특

징은 <표 5-2>와 같다. 손기능 검사의 모든 하 검사에서 우세손은 지체장애

인-정신장애인-뇌병변장애인-지 장애인 순으로 수행량 평균이 좋았지만, 비우

세손의 경우는 지체장애인-정신장애인-지 장애인-뇌병변장애인 순으로 지 장

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의 순 가 변화한 것을 알 수 있다.

Page 64: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58

〈표 5-2〉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수행량 평균 (단 : 개)

 측정지표 N비장애인 지체장애인 지 장애인 정신장애인 뇌병변장애인

200 156 274 105 171

( ) 우세손

평 균 19.20 16.64 11.18 14.42 12.59

앙값 19 17 11.5 14 13

표 편차 2.20 4.08 4.85 3.00 5.83

( ) 비우세손

평 균 18.32 13.15 10.52 13.69 9.06

앙값 18 16 11 13 8.5

표 편차 2.05 6.66 5.00 3.02 7.32

( ) 우세손

평 균 17.76 15.57 11.50 13.29 11.68

앙값 18 16 11 13 13

표 편차 2.05 4.08 9.95 2.99 5.59

( ) 비우세손

평 균 16.92 12.14 10.13 12.67 8.46

앙값 17 14 11 13 8

표 편차 2.11 6.23 4.73 2.74 8

(소) 우세손 

평 균 16.72 13.63 9.82 11.43 10.39

앙값 17 14 10 12 11

표 편차 2.19 3.66 4.49 2.67 5.07

(소) 비우세손

평 균 15.68 11.13 9.58 11.64 7.68

앙값 16 13 10 12 7

표 편차 2.06 5.80 4.46 2.49 6.44

(소) 양손 

평 균 25.56 16.12 12.97 17.01 9.82

앙값 26 19 13.5 18 6.3

표 편차 3.66 9.41 7.33 4.94 10.34

Page 65: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5장 규 제작 59

〔그림 5-1〕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 )

〔그림 5-2〕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 )

Page 66: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60

〔그림 5-3〕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소)

3.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기술통계량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의 장애유형별 1분 30 완성도 평

균을 비교한 그래 는 [그림 5-4]와 같다. 완성도 평균은 지체장애인, 정신장애

인, 뇌병변장애인, 지 장애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표 5-3〉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비장애인 지체장애인 지 장애인 정신장애인 뇌병변장애인

  N 199 156 274 105 171

1분30  

평 균 21.13 16.42 6.83 11.75 9.42

앙값 21 18 6 11 8

표 편차 3.57 5.33 5.73 5.53 7.54

Page 67: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5장 규 제작 61

〔그림 5-4〕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1분 30 완성도)

4.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2종 직무별 장애유형 분포

직무별 장애유형 분포는 <표 5-4>와 같다. 큰물품 조립 사물취 은 지

장애인이 12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정신장애인 15명, 지체장애인 2명, 뇌병

변장애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은부품 조립작업은 뇌병변장애인과 지

장애인이 13명, 지체장애인 8명, 정신장애인 2명 순으로 나타났다. 정 작업의

경우 23명이 지체장애인이었으며 뇌병변장애인이 1명이었다.

〈표 5-4〉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직무별 장애유형 분포(단 : 명)

 직무 유형 지체장애인 정신장애인 지 장애인 뇌병변장애인 Total

큰물품 조립 사물 취 2 15 128 0 145

작은부품 조립작업 8 2 13 13 36

정 작업 23 0 0 1 24

Total 33 17 141 14 205

Page 68: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62

5.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직무별 기술통계량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직무별 수행량 평균은 [그림 5-5], [그림 5-6],

[그림 5-7], [그림 5-8], <표 5-5>에 나타나 있다.

〈표 5-5〉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직무별 수행량(단 : 개)

큰 물품조립

사물취 작업

작은 부품

조립작업정 작업

( )우세손

평균 11.16 15.33 19.46

앙값 11.00 17.00 19.50

표 편차 4.14 4.97 2.11

( )비우세손

평균 10.52 14.67 18.83

앙값 11.00 16.00 18.50

표 편차 4.54 5.40 2.06

( )우세손

평균 10.30 15.28 18.21

앙값 10.00 16.00 18.00

표 편차 3.75 5.24 1.67

( )비우세손

평균 9.49 14.36 17.50

앙값 10.00 15.50 17.50

표 편차 4.12 4.19 2.02

(소)우세손

평균 9.42 12.58 16.38

앙값 9.00 13.00 16.00

표 편차 3.65 3.92 1.84

(소)비우세손

평균 8.53 13.28 16.04

앙값 9.00 14.00 16.00

표 편차 3.82 3.38 2.18

(소)양손

평균 12.44 19.19 27.58

앙값 12.00 21.00 27.00

표 편차 6.89 7.60 3.02

수행량 수는 우세손과 비우세손 , , 소, 양손 모두에 있어 정 작업

- 작은 부품 조립작업 - 큰 물품 조립 사물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

무별 장애유형별 분포는 <표 5-4>와 같다. 비록 장애유형 표본수가 지만,

Page 69: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5장 규 제작 63

지 장애인, 정신장애인 유형은 주로 큰 물품 조립 사물취 의 직무를 수

행하는 경우가 많았고, 뇌병변장애인은 작은 부품 조립작업, 지체장애인은 정

작업의 직무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5-5〕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직무별 수행량 ( )

〔그림 5-6〕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직무별 수행량 ( )

Page 70: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64

〔그림 5-7〕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직무별 수행량 (소)

〔그림 5-8〕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직무별 수행량 (양손)

Page 71: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5장 규 제작 65

6.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직무별 기술통계량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직무별 1분 30 완성도 평균은

[그림 5-9], <표 5-6>에 나타나 있다. 완성도 수는 정 작업 - 작은 부품 조

립작업 - 큰 물품 조립 사물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별 장애유형

별 분포는 <표 5-4>에 기술하 다. 비록 장애유형별 표본수가 지만, 지 장

애인, 정신장애인 유형은 주로 큰 물품 조립 사물취 의 직무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았고, 뇌병변장애인은 작은 부품 조립작업, 지체장애인은 정 작업의

직무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5-6〉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N

큰 물품조립 사물취 작은 부품 조립작업 정 작업

145 36 24

1분30

완성도

수 

평 균 6 13.61 19.58

앙값 5 14.5 20.5

표 편차 4.85 6.49 3.82

〔그림 5-9〕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직무별 완성도

Page 72: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66

Page 73: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6장 논의 67

제 6 장

논 의

제1 기존 검사와의 차이

직업재활기 에서 보유하고 있는 작업평가도구는 퍼듀펙보드, MDS,

Valpa17(직업 비도검사), Valpa8(모의조립작업), MVE, VITAS, TAP 등이 있

었으며 손기능을 한 평가도구 활용은 퍼듀펙보드와 MVE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단순 손기능 평가를 해서 많은 평가사들이 퍼듀펙보드를 유용하

게 활용하고 있었으나 퍼듀펙보드는 장애를 가진 사람을 상으로 개발된 것

이 아니며 산업 장에서 근로자 선발을 하여 개발된 도구로(강용주, 2004)

실제 인 규 용과 실시방법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평가사들을 상으로 한 면 조사를 통해 퍼듀펙보드의 제한 을 살펴본

결과 첫째, 핀 크기가 무 작아 장애인 손기능 평가에 제한 이 있고, 둘째,

조립과제의 난이도가 무 어려우며 손기능 보다는 인지능력 작업지시이해

도를 검사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고, 셋째, 도구의 마모로 인한 검사 신뢰도

의 문제가 있었고, 넷째, 이동평가 시 들고 다니기에 불편함이 있었으며, 다섯

째, 규 활용에 제한 이 있었다.

따라서 의 사항을 고려하여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는 부품 굵기를

, , 소로 다양화 했고 부품 굵기에 따른 집기·꽂기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손기능을 변별하고 직업능력을 측하는데 효과 일 것으로 단했다. 한

인지기능을 배제하고 소근육을 사용하는 손기능을 평가하고자 하 다.

이러한 결과는 비검사에서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가 퍼듀펙보드

Page 74: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68

보다 강한 장애유형별 변별력을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 퍼듀펙보드 개

별 손의 수행 결과는 지체장애인, 지 장애인, 정신장애인 간 변별력이 떨어지

는 것으로 나왔고, 특히 조립 평균을 제외하고는 지체장애인과 지 , 정신장애

인간 변별력도 없었다. 조립수행에 있어서는 지체장애인, 지 정신장애인,

뇌병변장애인 간 구분이 가능하 는데 조립은 인지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손기능으로서의 의미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KEPAD 손기

능 작업표본검사의 경우 우세손에 있어서 , , 소 모두 지체장애인과 지 ,

정신장애인간 변별력이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 소의 경우에는

지 장애인과 정신장애인간의 변별력이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퍼듀펙보드 검사

보다는 우수한 것으로 단된다.

본 보고서에서 KEPAD 검사의 신뢰성을 악하기 해 장애 유형별 변별

력에 을 맞추는 것에는 몇 가지 이유가 존재한다. 검사 제작에서 고려되

어야 할 가장 요한 하나가 실제로 우열을 지닌 개인 간의 우열을 검

사 결과가 그 로 반 하는 것이다. 이는 측정-재측정 간 상 을 분석하는 것

으로는 악하기 힘든 측면이다. 왜냐하면 측정-재측정 간 상 은 개인 내의

변화에만 을 맞추고 개인 간의 변별은 가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더

욱이 검사 제작 기 단계에서는 이러한 우열을 볼 수 있는 거 자체가 존재

하지 않기 때문에 상 을 보이는 타 검사에 비해 얼마나 비해 개인 간 변별력

을 안정 으로 가지는가를 통해 검사의 민감도를 악할 수 있다. 그러나 마

찬가지로 개인 간 변별력 자체를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한 검사에

서 보이는 더 큰 개인 간 변별력에 한 타당도가 의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사용 가능한 방법은 범주( , 장애인 집단)는 동일하나 각기

다른 하 범주( , 지체장애, 지 장애, 뇌병변장애 등) 간의 차이를 얼마나 개

별검사가 잘 변별해내는 가를 통해 간 으로 검사의 민감도를 통해 알아볼

수 있다(Tinsley & Brown, 2000).

양손이 서로 다른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일은 단추를 끼우거나 지퍼, 벨

트를 착용하는 등의 의복 착‧탈의나 능숙하게 운 하고 요리를 하거나 다양한

Page 75: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6장 논의 69

형태의 운동에 참여하는 등 일상생활활동의 숙련된 수행에 요한 부분을 차

지하지만, 한 손만을 사용하거나 두 손을 동시에 사용할 때 같은 동작을 수행

하는 것보다 상 으로 어려운 일이다(이채향, 2007). 를 들어, 한 손으로

배를 문지르면서 다른 한 손으로 머리를 두드리는 과제를 동시에 실시했을 때

상 으로 쉬운 각각의 과제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은 우리의 두 팔

이 서로 다른 동작보다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동작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즉,

양손의 결속으로 인해 서로 간섭이 일어나 각각의 손이 독립 으로 정확한 수

행을 할 수 없게 만드는데, 이 게 인간의 운동제어 시스템은 동작의 형태나

환경 요구에 계없이 양손의 연계 는 동일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Huh, Williams, & Burke, 1998; Kelso, Southard,& Goodman, 1979;

Summers, Todd, & Kim, 1993). 이런 운동기술이 양수 응bimanual

coordination)과 련된다.

일상생활에서 두 손을 효과 으로 사용하는 능력의 요성은 장애가 있는

사람도 비장애인과 동일하다 할 수 있는데 난독증이나 발달 응성 장애를

갖고 있는 아동들을 상으로 한 연구(허진 , 2002; Huh et al., 1998)에서 이

들은 정확한 양수제어 특히, 비 칭 양수 응 운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두 손 간의 연계가 나타나는 형태도 비장애인에 비해서 낮은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손 기능의 장애는 근력 장애, 가동역의 장애, 감

각·지각 기능 장애 운동의 빠름과 정확함에서의 장애 신체부 의 결손

에 의한 장애로 분류될 수 있고, 이러한 손기능의 측정은 장애인의 직업능력

을 측하는데 매우 요하다고 할 수 있다.

평가사들을 상으로 한 면 조사를 통해 MVE와 T.A.P 의 제한 을 살펴

본 결과 첫째, 재 활용 인 이동용 직업능력 평가시스템(Mobile Vocational

Evaluation : M.V.E) 하 검사인 양팔 응검사는 평면검사이며 조립기능을

볼 수 없고, 둘째, 재능평가 로그램(Talent Assessment Program : T.A.P)의 1

번인 기계․구조 시각화작업표본검사는 인지 기능의 요소가 무 많고 검사

Page 76: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70

시간이 오래 걸리며 난이도가 무 어려워 장애인을 평가하기에 많은 제한

이 있고, 셋째, 표 화 국내규 이 없어 활용에 제한 이 있었다.

따라서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는 양손과 양팔을 동시에 사

용하여 제시된 모형사진을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부품(기둥, 볼트와 트,

, 연결핀)을 조립하여 입체구조물을 완성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로 개발

되었다. 쥐기, 집기, 꽂기, 조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의 작업표본검사와

달리 기억력, 문제해결능력 등 인지 요소를 가능한 배제하고, 양손과 양팔을

동시에 사용하는 근육 작업에 을 두었다.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는 MVE와 강한 상 을 보이는 지

표를 보유하여 타당도가 높은 검사로 생각할 수 있다. 한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의 수행종료시간 결정을 한 비조사를 살펴보면 종

료 시까지의 수행량에 있어서 지체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수행량에 근 하여 장

애와 비장애인의 차이가 었고, 1분30 의 수행량이 2분 종료 시 보다 장애

와 비장애인의 구분과 장애유형별 차이를 잘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의 수행종료시간을 1분 30 로 결정

하 는데, 짧은 시간동안 장애와 비장애인, 장애유형별 차이를 가장 잘 보여

수 있다는 장 이 있다.

제2 검사 신뢰도 타당도

본 연구에서는 검사-재검사(test-retest method) 신뢰도를 측정하여 검사의

신뢰도를 검증하 는데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모두 .01수 에서 유의미한 상 을 보 다.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는 모든 측정지표의 1차, 2차 검사 간 상 이 .95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는 부분의 측정지

Page 77: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6장 논의 71

표의 1차, 2차 검사 간 상 이 .95이상 높게 나타났으나, “ ”의 경우에만 .8

~ .9이내의 상 을 보이고 있으나 여 히 매우 높은 상 을 나타내었다. 학습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개연성에도 불구하고 높은 상 을 보이고 있는 은

두 도구 모두 매우 신뢰도가 높은 도구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단된다.

타당도에 있어서는 도구 개발 단계에서 교수 7인과 작업평가사 5인, 도구

제작 문가 2인으로 구성된 문가 집단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하 다.

한 수렴타당도(convergence validity)는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는 퍼

듀펙보드와 비교하 고,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는 직업능력

평가시스템(Mobile Vocational Evaluation : M.V.E) 하 검사인 양팔 응검

사 퍼듀펙보드의 양손, 조립 항목과 비교하여 검증하 다.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는 퍼듀펙보드와 검사 간 상 이 높은 것으로

보아 타당도는 확보된 것으로 단된다. 한 퍼듀펙보드와 비교했을 때 장애

유형별 변별력에서 보다 나은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아 퍼듀펙보드 보다

타당도가 높은 검사로 생각할 수 있다.

퍼듀펙보드 검사와 KEPAD 손기능 검사 간의 상 계는 비장애인의 집단

에서 오히려 더 낮은 상 지수들을 보인다. 이에 해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

정은 다음과 같다. 두 검사 모두 비장애 집단은 만 에 해당하는 수 까지 도

달할 수 있다는 상을 쉽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단순 작업 주의 두 검사에

서 비장애인 집단은 과제 난이도를 매우 낮게 평가할 가능성이 크고 이는 가

능한 빨리 최 한의 수행을 하려는 경향이 아닌 자신의 고유한 수행 거에

의해 과제를 수행하려는 경향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Proctor & Van Zandt,

2008). 이는 가능한 빠르고 최 한의 수행을 보이려는 수행 거를 사용한 비

장애인들과 자신의 수행 거를 고집한 비장애인들이 같은 집단에 혼재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검사 동기를 극 화시킴으로써 보다 높은 두 검사 간 상

이 찰가능 할 것이고 향후 연구에서는 이 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의 경우 MVE 검사와 강한 상 을

Page 78: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72

보이는 지표를 보유하고 있어 타당도가 높은 검사로 생각할 수 있다. 한 1

분 30 에서 비장애인과 장애 그리고 장애유형간 변별력을 가장 잘 나타내주

고 있는 것으로 보아 1분 30 에서의 검사시간이 양손 응을 통한 조립능력을

잘 나타내고 있다고 단되어진다.

본 비검사를 통해 연령의 효과가 특정 장애유형과 상호작용하여 유의미

한 차이를 만들어 내는 경우는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령-장애유형간의

상호작용 검사에서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은 것은 그 자체로도 자료의 안정

성을 말해주기도 하지만 이후 본 검사의 규 제작에 있어서 연령을 나 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생각해보아야 함을 의미한다.

제3 규 제작

규 집단은 한 어떤 개인이나 집단의 검사 결과를 그 개인이나 집단이

속해 있는 모집단에 비추어 해석하는 기 를 제공한다. 이때 규 표를 작성하

는 방법에 따라 연령, 백분 규 , 표 수 규 등으로 나 어질 수 있다.

백분 규 은 특정 원 수가 부합하는 백분율 표로 구성되는데, 특정 개인의

수를 그 집단에서 그 사람보다 수가 낮은 사람들의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성태제, 1995; 한국심리학회, 1998). 백분 는 개인의 수가 규 집단 내의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서 어느 수 에 있는지를 가장 이해하기 쉽게 알려 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2종의 규 제작을

해 비장애인 200명 장애인 667명을 상으로 평가를 실시하 고, 상 장애유

형은 손기능과 련이 있는 지체장애인, 지 장애인, 정신장애인, 뇌병변장애

인로 하 다.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하 검사의 장애유형별 우세손은 지체장애인

-정신장애인-뇌병변장애인-지 장애인 순으로 수행량 평균이 좋았지만, 비우세

Page 79: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6장 논의 73

손의 경우는 지체장애인-정신장애인-지 장애인-뇌병변장애인 순으로 지 장애

인와 뇌병변장애인의 순 가 변화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뇌병변

장애인의 경우 비우세손의 마비가 수행정도를 크게 하시킨 것으로 보여진

다.

한 지 장애인들이 일반인들보다 운동기능면에서 지체되어 있다는 것은

이상춘과 조인수(1989), 박화문(1995) 그리고 김도호(2005) 등의 연구에서 여러

차례 확인되었다. 일반 으로 근육 운동기능은 성장과 더불어 발달되기는

하지만 지 장애인의 경우 달리기, 뛰기, 던지기, 잡기, 기어오르기 등과 같

은 기 인 운동능력의 발달속도가 매우 느리고 지체되기 때문에 과제에

한 반응속도가 느리고 반응이 부정확하게 나타난다. 특히 지 장애인의 작은

근육 운동 발달의 미성숙을 뇌의 두엽과 소뇌부분의 불완 발달로 언 하

면서 손가락 부 가 뇌의 피질에서 넓은 역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운동검

사를 실시하면 작은 근육활동이 불완 하게 나타나며, 이것은 지 장애인에게

많이 나타나는 결핍의 특징이라고 하 다(이창규, 1998).

지 장애인 그리고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의 비우세손의 경우 정규분

포를 이루고 있지 않았는데 지 장애인의 경우 인지기능의 결여가 작업지시

이해 손기능에 많은 향을 주고 있어 수행도가 떨어지는 비율이 크게 나

타났으며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의 경우 장애의 특성상 비우세손인 장애

부 의 기능이 크게 떨어져 수행하지 못하는 비율이 높았기 때문으로 생각되

어진다.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의의 경우 지 장애인, 뇌병변장애

인에서 정규분포를 이루고 있지 않았는데, 뇌병변장애인이 정규분포를 이루고

있지 않음은 장애의 특성상 한손기능 양손 응의 기능이 히 떨어져 수

행하지 못하는 비율이 많았기 때문이며, 지 장애인의 경우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가 인지기능을 최 한 배제하 다고 하나 조립과제의

특성상 일정 정도 이상의 인지기능이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혹은 이 집

Page 80: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74

단이 향후 자료가 축 되었을 때 장애 유형 내 2개 이상의 집단으로 구분하는

것도 고려해야 하지 않나 생각된다.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모

두 비장애인 그룹에서 정규분포를 이루지 못하 는데 이러한 상은 장애인을

상으로 하는 검사도구의 특성상 비장애인이 수행하기에 난이도가 비교 낮

았거나. 반응의 완료가 무 쉽기 때문에 각자 자신의 수행 방식에 따라 두

개의 집단으로 크게 나눠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의

직무별 수행정도에 있어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수행량 수는 우세손과 비우세손 , , 소, 양손 모두에 있

어 정 작업 - 작은 부품 조립작업 - 큰 물품 조립 사물취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직무별 1분 30 완성도 평

균역시 정 작업 - 작은 부품 조립작업 - 큰 물품 조립 사물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비록 장애유형별 표본수가 지만 컵이상의 물품을 조립, 포장

하는 큰 물품 조립 사물취 작업과 볼펜크기의 사물을 조립하는 작은 부

품 조립작업, 그리고 시계부품 조립 정도의 정 작업에 있어서 한손기능

다차원 양손 응 기능의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 장애인과 정신장애인 유형은 주로 큰 물품 조립 사물취 의 직무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았고, 뇌병변장애인은 작은 부품 조립작업, 지체장애인은

정 작업의 직무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추후 자료의 활

용 시 이를 잘 고려해야 할 것으로 단된다.

Page 81: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7장 결론 제언 75

제 7 장

결론 및 제언

제1 결론

본 연구에서는 KEPAD 작업표본검사(손기능, 다차원 양손 응) 2종을 개발

하여 직업능력을 평가하는데 요한 비 을 차지하는 손기능을 평가하고, 검

사결과 해석 시 국내 비장애인 장애유형별 규 을 제시하여 장애인의 직업

능력을 측하는데 활용하고자 하 다. 본 연구결과를 토 로 한 결론은 다음

과 같다.

첫째,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가 기존의 퍼듀펙보드와 검사 간 상

이 높은 것으로 보아 타당도가 확보되었으며 퍼듀펙보드와 비교했을 때 보다

강한 장애유형별 변별력을 지닌 유용한 도구로 나타났다.

둘째,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가 MVE와 강한 상 을 보이

는 지표를 보유한 타당도가 높은 검사로 나타났다.

셋째,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에 있어서 1분 30 가 비장애

인과 장애 그리고 장애유형별 변별력이 가장 높은 검사시간으로 보여주고 있

다.

넷째,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

검사 모두 검사-재검사 신뢰도에서 모든 상 이 .01 수 에서 유의미하고 검

사 간 상 이 .95이상의 매우 높은 상 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수행량 수는 우세손과 비우세

Page 82: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76

손 , , 소, 양손 모두에 있어 정 작업 - 작은 부품 조립작업 - 큰 물품 조

립 사물취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의 직무별 1분 30 완성도 역시 정 작업 - 작은 부품 조립작업 - 큰 물품

조립 사물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제2 제언

직무를 수행하기 해서는 손기능이 매우 요한 요소 하나이다. 그러

나 직업능력을 평가하는데 있어 신체 (physical), 인지 (cognitive), 의료

(medical), 사회경제 (socioeconomic), 심리 (psychological), 행동 (behavior),

생태학 (ecological)측면 등 직업과 연 된 모든 측면을 포함하여 고려해야한

다. 따라서 손기능만으로 장애인의 직업능력을 측하여 직업을 안내해 주는

것은 다소 제한 이 있다. 하지만 직무를 수행하기 해 요한 요소인 만큼

손기능에 한 정확한 평가가 매우 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 KEPAD 다차원 양

손 응 작업표본검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되었으며 국내 비장애인과 장

애유형별 규 을 갖게 된 최 의 도구라는 에서 의미가 있고 장애인 직업능

력평가의 실질 인 서비스 제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 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장 직 장애인의 평가에 제한이 있었으며 직무유형별 장애인

손기능 평가에 있어 다양한 장애유형을 반 하지 못했다.

둘째, 지 장애인과 뇌병변 장애의 특성상 장애정도에 따른 손기능의 차이

가 기타 장애에 비해 크기 때문에 장애정도를 고려하여 규 을 제작하는데 어

려움이 있었다.

Page 83: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제7장 결론 제언 77

셋째, 규 제작을 한 평가 상자의 연령, 성별, 장애등 등이 모집단의

특성을 고려하도록 노력하 으나 장애인 평가의 특성상 이러한 부분이 충분히

반 되지 못하 다.

따라서 이러한 제한 을 보완할 후속 연구는 직무유형별 장애인 손기능에

한 보다 추가 인 연구와 정규분포를 이루고 있지 않은 장애에 한 향후

추가 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한 다양한 도구 활용을 한 손

기능 평가와 한국 실정에 맞는 작업환경과 유사한 상황평가도구의 개발이 시

하다고 할 수 있다.

Page 84: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78

Page 85: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참고문헌 79

참고문헌

강용주(2002), 「직업능력평가센터 황과 방향」,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고용

개발원.

(2004), 「장애인 직업재활기 간의 직업능력평가체계 통합을 한 실태

조사」,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고용개발원.

강 ‧나운환(2001), 「직업재활개론」, 나눔의 집.

강 (1991), “장애인 직업재활 책에 한 연구”, 「직업재활연구」, 제1집,

한국직업재활학회.

강필수(1992), 「장애인 직업평가모델 연구」,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고 규(1992), “운동제어에서의 다이나믹 : Ⅰ. 응된 동작형태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3(2), 49-66.

김도호(2005), “감각통합 운동 로그램이 등도 정신지체아동의 운동능력과

인지기능에 발달에 미치는 향”, 미간행 박사학 논문, 부산 학교

학원.

김선진(1998), “운동기술 학습의 다이내믹 근”, 한국스포츠심리학회(편) : 태

근, 173-203.

김언아(2000), 「직업능력평가 기법 개발연구」,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김희정(1992), “뇌성마비 아동의 조형활동 로그램 연구”, 시각-운동능력 향상

을 심으로 미간행 석사학 논문 : 경상 학교 학원.

박양신(1992), “표본작업평가법의 이해”, 성지 6월호.

박화문(1995), 「운동기능검사 MSTB」, 서울 : 특수교육.

변경희 외(2005), 「장애인 직업능력 분석방법 개발연구」, 한신 학교 산학 력

단.

Page 86: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80

성태제(1995), 「신뢰도와 타당도」, 서울 : 학지사.

성태제(1995), 「 기 통계학의 이해와 용」, 서울 : 양서원.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1981), 「 사회와 장애인복지」,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오 하(2002), “만들기 미술 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작은 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 논문 : 단국 학교 학원.

오혜원(2000), “취학 ‧후 정상 아동의 장악력과 손가락 쥐는 힘에 한 표

화 연구” : 연세 학교 보건 학원 석사학 논문.

이경민‧최정실‧황상희 (2008), 「작업치료사를 한 직업재활」, 군자출 사.

이달엽(2001), 「직업평가의 이론과 실제」,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고용개발원

교육연수부.

이상춘‧조인수(1989), 「정신지체아 교육」, 주 : 신아.

이지은(2000), “양손 활동과 한 손 활동에 따른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 향상

비교”, 「재활연구」, 20, 121-132.

이창규(1998), “운동 로그램 참여가 정신지체인의 반응시간과 정서 련 호르

몬 반응 사회 은행동에 미치는 향”, 미간행 박사학 논문 : 고려

학교 학원.

장미리(2000), “경직성 양지마비 학생의 손기능 평가 연구”, 단국 학교 석사

학 논문.

최종철‧홍자 ‧진홍섭‧이효성‧ 정훈(2006), 「 증장애인 고용정책 연구」, 한

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고용개발원.

한국심리학회(1998), 「심리검사 제작 사용 지침서」, 서울 : 앙 성출 사.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2001), 「직업평가센터의 사업과 운 」, 3, 70-73.

허진 (2002), "자동자세 제어의 발달; 인지과제 수행 시 감각 통합 변화를

심으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3(2), 163-177.

황희경‧정미경(2003), "손기능 에서 본 등실과 수공노작의 교육 가치",

「한국작업치료학회」, 16(3), 55-73.

Page 87: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참고문헌 81

Bernstein N.(1967), The coordination and regulation of movements, New york:

pergamon.

Carroll D.(1965), "A quatitative tes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J chron

Dis. 18, 479-91.

Emener. W. G.(1980), “Relationships among rehabilitation counselor

characteristics and rehabilitation client outcomes”,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23.

Exner C.E.(2001), Development of hand skills, In J.Case-Smith (Ed.),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St. Louis. MO : mosby, (289-328).

Gilfoyle. E. M., Grandy. A. P., and Moore. J. C.(1990), Child adapt, 2nd ed,

NY: SLACK.

Huh. J. Y., Williams. H. G., and Berke. J.(1998), "Development of bilateral

motor control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40(7), 474-484.

Hutchison. J. and Cogan. F.(1974), "Rehabilitation Manpower Specialist",

Journal of Rehabilitation, March/April, 31-33.

Jebsen RH, Taylor N, Trieschmann RB, Troter HJ and Howard LA(1959).

"An abjective and standarized test of hand function", Arch Phys Med

Rehabil, 50, 311-319.

Malikin. D. and Rusalem. H(1969),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

An Overview, NewYork: NewYork University Press.

Napier J. R.(1956), "The Prehensile movements of the human hand", J Bone

and Jint Neurol, 35, 870-880.

Pedretti L. W. and Zoltan B(1990), Occupational therapy : Practice skill for

physical dysfunction, St. Louis : Mosby Co.

Proctor, R. W., and Van Zandt, T.(2008), Human factors in simple and complex

Page 88: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82

systems, 2nd ed, Boca Raton, FL : CRC Press.

Sollerman C and Sperling L.(1978), "Evaluation of adal-function-especially

hand function", Scand J Rehabil Med Suppl, 6 : 139-43.

Tinsley, H. E. A., and Brown, S. D.(2002), Handbook of applied multivariate

statistics and mathematical modeling, San Diego : Academic Press.

Turvey. M. T.(1990). "Coordination", American Psychologist, 45, 938-953.

Tydesley B. and Grieve J. I.(1989), Muscles, nerves and movemnet, Kinesiology

in daily living : G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Inc.

Page 89: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 부 록 -

1.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검사지 ···························· 85

2.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검사지 ············ 86

3.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규 표 ···························· 87

4.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규 표 ·········· 112

Page 90: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Page 91: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부록 85

[부록 1]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검사지

Page 92: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86

[부록 2] KEPAD 다차원 양손협응 작업표본검사 검사지

Page 93: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부록 87

[부록 3]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규준표

〈부록 표 3-1〉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소) - 비장애인 남성(단 %)

수행량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0 1.2 1.2 1.2

1 1.2 1.2 1.2

2 1.2 1.2 1.2

3 1.2 1.2 1.2

4 1.2 1.2 1.2

5 1.2 1.2 1.2

6 1.2 1.2 1.2

7 1.2 1.2 1.2

8 1.2 1.2 1.2

9 1.2 1.2 1.2

10 1.2 1.2 1.2

11 1.2 2.4 1.2

12 2.4 5.9 1.2

13 2.4 10.6 1.2

14 9.5 21.2 1.2

15 26.0 48.3 1.2

16 48.4 71.8 1.2

17 73.1 83.6 1.2

18 84.9 94.2 1.2

19 94.3 97.7 1.2

20 99.0 98.9 7.1

21 100 100 8.3

22 100 100 18.9

23 100 100 18.9

24 100 100 36.5

25 100 100 37.7

26 100 100 60.1

27 100 100 64.8

28 100 100 81.3

29 100 100 84.8

30 100 100 96.6

31 100 100 96.6

32 100 100 100

33 100 100 100

34 100 100 100

Page 94: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88

〈부록 표 3-2〉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소) - 비장애인 여성(단 %)

수행량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0 0.9 0.9 1.2

1 0.9 0.9 1.2

2 0.9 0.9 1.2

3 0.9 0.9 1.2

4 0.9 0.9 1.2

5 0.9 0.9 1.2

6 0.9 0.9 1.2

7 0.9 0.9 1.2

8 0.9 0.9 1.2

9 0.9 0.9 1.2

10 0.9 2.6 1.2

11 0.9 4.3 1.2

12 4.4 9.5 1.2

13 9.6 12.1 1.2

14 18.3 23.4 1.2

15 30.5 46.9 2.1

16 41.8 59.1 3.0

17 55.7 76.5 3.0

18 77.4 94.8 3.0

19 87.8 99.1 3.0

20 95.6 100 9.1

21 96.5 100 11.7

22 100 100 21.3

23 100 100 23.0

24 100 100 42.1

25 100 100 45.6

26 100 100 66.5

27 100 100 69.1

28 100 100 88.2

29 100 100 89.1

30 100 100 97.8

31 100 100 97.8

32 100 100 100

33 100 100 100

34 100 100 100

Page 95: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부록 89

〈부록 표 3-3〉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소) - 비장애인 체(단 %)

수행량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0 1.0 1.0 0.5

1 1.0 1.0 0.5

2 1.0 1.0 0.5

3 1.0 1.0 0.5

4 1.0 1.0 0.5

5 1.0 1.0 0.5

6 1.0 1.0 0.5

7 1.0 1.0 0.5

8 1.0 1.0 0.5

9 1.0 1.0 0.5

10 1.0 2.0 0.5

11 1.0 3.5 0.5

12 3.5 8.0 0.5

13 6.5 11.5 0.5

14 14.5 22.5 0.5

15 28.5 47.5 1.0

16 44.5 64.5 1.5

17 63.0 79.5 1.5

18 80.5 94.5 1.5

19 90.5 98.5 1.5

20 97.0 99.5 7.5

21 98.0 100 9.5

22 100 100 19.5

23 100 100 20.5

24 100 100 39.0

25 100 100 41.5

26 100 100 63.0

27 100 100 66.5

28 100 100 84.5

29 100 100 86.5

30 100 100 96.5

31 100 100 96.5

32 100 100 99.5

33 100 100 99.5

34 100 100 100

Page 96: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90

〈부록 표 3-4〉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소) - 지체장애 남성(단 %)

수행량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0 1.6 17.1 18.7

1 1.6 17.1 18.7

2 2.4 17.9 18.7

3 2.4 17.9 18.7

4 2.4 18.7 21.1

5 4.1 22.8 22.8

6 5.7 25.2 23.6

7 9.0 26.8 26.0

8 12.2 30.9 26.8

9 13.8 31.7 26.8

10 17.1 35.0 30.1

11 22.0 42.3 32.5

12 29.3 50.4 35.0

13 42.3 57.7 37.4

14 58.6 72.3 39.0

15 73.2 82.9 43.1

16 85.4 88.6 48.0

17 92.7 93.5 49.6

18 95.1 96.7 52.9

19 96.7 99.1 56.9

20 97.5 99.1 65.9

21 100 99.1 67.5

22 100 99.1 74.0

23 100 100 78.1

24 100 100 86.2

25 100 100 89.4

26 100 100 91.1

27 100 100 92.7

28 100 100 96.8

29 100 100 97.6

30 100 100 98.4

31 100 100 98.4

32 100 100 100

33 100 100 100

34 100 100 100

Page 97: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부록 91

〈부록 표 3-5〉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소) - 지체장애 여성(단 %)

수행량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0 1.0 6.1 6.1

1 1.0 6.1 6.1

2 1.0 6.1 6.1

3 1.0 6.1 6.1

4 1.0 6.1 9.1

5 1.0 12.1 12.1

6 7.1 12.1 12.1

7 7.1 15.2 12.1

8 7.1 18.2 12.1

9 13.1 21.2 12.1

10 13.1 24.2 15.2

11 22.2 24.2 21.2

12 25.2 30.3 21.2

13 34.3 42.4 21.2

14 52.5 63.6 24.2

15 64.6 75.7 24.2

16 67.7 84.8 24.2

17 85.8 97.0 30.3

18 97.9 97.0 30.3

19 100 97.0 30.3

20 100 100 39.4

21 100 100 45.5

22 100 100 60.6

23 100 100 63.6

24 100 100 69.7

25 100 100 72.7

26 100 100 84.9

27 100 100 87.9

28 100 100 93.9

29 100 100 93.9

30 100 100 97.0

31 100 100 100

32 100 100 100

33 100 100 100

34 100 100 100

Page 98: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92

〈부록 표 3-6〉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소) - 지체장애 체(단 %)

수행량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0 1.3 14.7 16.0

1 1.3 14.7 16.0

2 1.9 15.4 16.0

3 1.9 15.4 16.0

4 1.9 16.0 18.6

5 3.2 20.5 20.5

6 5.8 22.4 21.2

7 8.3 24.3 23.1

8 10.9 28.2 23.7

9 13.5 29.5 23.7

10 16.0 32.7 26.9

11 21.8 38.4 30.1

12 28.2 46.1 32.1

13 40.4 54.4 34.0

14 57.1 70.4 35.9

15 71.2 81.3 39.1

16 81.4 87.7 43.0

17 91.1 94.1 45.5

18 95.6 96.6 48.1

19 96.9 98.6 51.3

20 97.5 99.2 60.3

21 100 99.2 62.8

22 100 99.2 71.2

23 100 100 75.0

24 100 100 82.7

25 100 100 85.9

26 100 100 89.8

27 100 100 91.7

28 100 100 96.2

29 100 100 96.8

30 100 100 98.1

31 100 100 98.7

32 100 100 100

33 100 100 100

34 100 100 100

Page 99: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부록 93

〈부록 표 3-7〉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소) - 정신장애 남성(단 %)

수행량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0 1.6 1.6 3.2

1 1.6 1.6 3.2

2 1.6 1.6 3.2

3 1.6 1.6 3.2

4 1.6 1.6 3.2

5 3.2 1.6 3.2

6 3.2 1.6 4.8

7 6.4 4.8 4.8

8 14.3 7.9 6.3

9 22.2 19.1 6.3

10 41.3 36.5 11.1

11 52.4 47.6 12.7

12 73.0 65.1 20.6

13 84.1 79.4 22.2

14 93.6 93.7 36.5

15 98.4 98.4 36.5

16 98.4 100 47.6

17 98.4 100 47.6

18 98.4 100 63.5

19 100 100 66.7

20 100 100 82.5

21 100 100 84.1

22 100 100 92.1

23 100 100 92.1

24 100 100 98.4

25 100 100 98.4

26 100 100 100

27 100 100 100

28 100 100 100

29 100 100 100

30 100 100 100

31 100 100 100

32 100 100 100

33 100 100 100

34 100 100 100

Page 100: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94

〈부록 표 3-8〉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소) - 정신장애 여성(단 %)

수행량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0 2.4 2.4 2.4

1 2.4 2.4 2.4

2 2.4 2.4 2.4

3 2.4 2.4 2.4

4 2.4 2.4 2.4

5 2.4 2.4 2.4

6 2.4 2.4 2.4

7 2.4 2.4 2.4

8 4.8 2.4 2.4

9 16.7 16.7 2.4

10 28.6 31.0 4.8

11 40.5 42.9 4.8

12 57.2 57.1 11.9

13 76.2 71.4 11.9

14 85.8 80.9 21.4

15 93.0 95.2 23.8

16 95.4 97.6 42.9

17 100 100 45.2

18 100 100 61.9

19 100 100 64.2

20 100 100 81.0

21 100 100 83.3

22 100 100 88.1

23 100 100 88.1

24 100 100 88.1

25 100 100 92.9

26 100 100 97.6

27 100 100 97.6

28 100 100 100

29 100 100 100

30 100 100 100

31 100 100 100

32 100 100 100

33 100 100 100

34 100 100 100

Page 101: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부록 95

〈부록 표 3-9〉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소) - 정신장애 체(단 %)

수행량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0 1.0 1.0 1.9

1 1.0 1.0 1.9

2 1.0 1.0 1.9

3 1.0 1.0 1.9

4 1.0 1.0 1.9

5 1.9 1.0 1.9

6 2.9 1.0 2.9

7 4.8 3.8 3.8

8 10.5 5.7 4.8

9 20.0 18.1 4.8

10 36.1 34.3 8.6

11 47.6 45.7 9.5

12 66.7 61.9 17.1

13 81.0 76.2 18.1

14 90.5 88.6 30.5

15 96.2 97.2 31.4

16 97.1 99.1 45.7

17 99.1 100 46.7

18 99.1 100 62.9

19 100 100 65.7

20 100 100 81.9

21 100 100 83.8

22 100 100 90.5

23 100 100 90.5

24 100 100 94.3

25 100 100 96.2

26 100 100 99.1

27 100 100 99.1

28 100 100 100

29 100 100 100

30 100 100 100

31 100 100 100

32 100 100 100

33 100 100 100

34 100 100 100

Page 102: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96

〈부록 표 3-10〉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소) - 지 장애 남성(단 %)

수행량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0 7.3 8.4 12.3

1 8.9 8.9 12.3

2 8.9 8.9 14.0

3 10.1 10.6 14.5

4 12.3 13.4 15.1

5 15.1 16.2 15.6

6 19.6 20.7 20.7

7 25.2 27.9 21.8

8 34.2 35.2 25.1

9 42.6 44.7 28.5

10 51.0 54.7 36.4

11 58.8 63.7 39.7

12 67.7 72.7 45.3

13 76.1 81.1 49.3

14 85.6 91.7 58.3

15 91.7 95.6 60.0

16 95.6 97.8 68.4

17 97.9 98.4 70.1

18 97.9 98.9 75.1

19 99.0 98.9 76.8

20 99.5 99.5 82.9

21 100 100 83.5

22 100 100 86.3

23 100 100 87.9

24 100 100 96.3

25 100 100 96.3

26 100 100 99.1

27 100 100 99.1

28 100 100 99.7

29 100 100 99.7

30 100 100 99.7

31 100 100 99.7

32 100 100 100

33 100 100 100

34 100 100 100

Page 103: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부록 97

〈부록 표 3-11〉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소) - 지 장애 여성(단 %)

수행량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0 7.8 9.5 11.6

1 7.8 9.5 11.6

2 7.8 9.5 11.6

3 10.5 11.6 11.6

4 11.6 12.6 13.7

5 13.7 14.7 14.7

6 21.1 16.8 17.9

7 24.2 26.3 19.0

8 36.8 35.8 24.2

9 48.4 49.6 30.5

10 63.1 62.2 40.0

11 72.6 69.6 42.1

12 77.9 80.1 52.6

13 86.3 81.1 56.8

14 90.5 86.4 67.4

15 92.6 93.8 67.4

16 97.9 97.0 77.9

17 100 99.1 79.0

18 100 99.1 84.2

19 100 99.1 87.4

20 100 100 93.7

21 100 100 94.7

22 100 100 96.8

23 100 100 97.9

24 100 100 100

25 100 100 100

26 100 100 100

27 100 100 100

28 100 100 100

29 100 100 100

30 100 100 100

31 100 100 100

32 100 100 100

33 100 100 100

34 100 100 100

Page 104: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98

〈부록 표 3-12〉 KEPAD 손기능 작업표본 검사 (소) - 지 장애 체(단 %)

수행량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0 7.3 8.8 12.0

1 8.4 9.1 12.0

2 8.4 9.1 13.1

3 10.2 11.0 13.5

4 12.0 13.1 14.6

5 14.6 15.7 15.3

6 20.1 19.3 19.7

7 24.8 27.4 20.8

8 35.0 35.5 24.8

9 44.5 46.5 28.1

10 55.1 57.5 36.5

11 63.5 65.9 39.5

12 71.2 75.4 46.8

13 79.6 81.2 50.8

14 87.3 90.0 60.3

15 92.0 95.1 61.4

16 96.4 97.7 70.6

17 98.6 98.8 72.0

18 98.6 99.1 77.1

19 99.3 99.1 79.3

20 99.7 100 85.5

21 100 100 86.2

22 100 100 88.8

23 100 100 90.3

24 100 100 96.5

25 100 100 96.5

26 100 100 98.6

27 100 100 99.0

28 100 100 99.7

29 100 100 99.7

30 100 100 99.7

31 100 100 99.7

32 100 100 100

33 100 100 100

34 100 100 100

Page 105: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부록 99

〈부록 표 3-13〉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소) - 뇌병변장애 남성(단 %)

수행량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0 8.3 30.2 37.5

1 11.5 31.3 39.6

2 12.5 34.4 41.7

3 13.5 39.6 43.8

4 18.8 45.8 47.9

5 21.9 49.0 52.1

6 28.1 56.3 56.3

7 33.3 60.4 60.4

8 40.6 63.5 64.6

9 49.0 69.8 65.6

10 55.2 74.0 71.9

11 63.5 76.0 74.0

12 71.9 81.2 82.3

13 78.1 89.6 82.3

14 89.5 93.7 84.4

15 92.7 94.8 85.4

16 94.7 96.8 89.6

17 100 100 89.6

18 100 100 91.7

19 100 100 91.7

20 100 100 94.8

21 100 100 95.8

22 100 100 95.8

23 100 100 96.9

24 100 100 97.9

25 100 100 97.9

26 100 100 100

27 100 100 100

28 100 100 100

29 100 100 100

30 100 100 100

31 100 100 100

32 100 100 100

33 100 100 100

34 100 100 100

Page 106: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00

〈부록 표 3-14〉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소) - 뇌병변장애 여성(단 %)

수행량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0 4.0 25.3 29.3

1 5.3 26.7 29.3

2 6.7 26.7 29.3

3 6.7 29.3 29.3

4 9.3 30.7 33.3

5 12.0 33.3 36.0

6 16.0 38.7 42.7

7 22.7 44.0 42.7

8 25.3 45.3 46.7

9 33.3 45.3 48.0

10 36.0 46.7 50.7

11 40.0 48.0 52.0

12 45.3 49.3 54.7

13 56.0 57.3 56.0

14 64.0 66.7 57.3

15 72.0 69.3 57.3

16 81.3 77.3 57.3

17 90.7 91.9 57.3

18 94.7 95.9 57.3

19 97.3 97.3 57.3

20 100 100 60.0

21 100 100 60.0

22 100 100 62.7

23 100 100 62.7

24 100 100 69.3

25 100 100 69.3

26 100 100 80.0

27 100 100 80.0

28 100 100 84.0

29 100 100 84.0

30 100 100 93.3

31 100 100 94.7

32 100 100 98.7

33 100 100 100

34 100 100 100

Page 107: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부록 101

〈부록 표 3-15〉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소) - 뇌병변장애 체(단 %)

수행량 우세손 비우세손 양손

0 6.4 28.1 33.9

1 8.8 29.2 35.1

2 9.9 31.0 36.3

3 10.3 35.1 37.4

4 14.6 39.2 41.5

5 17.5 42.1 45.0

6 22.8 48.5 50.3

7 28.7 53.2 52.7

8 33.9 55.6 56.8

9 42.1 59.1 57.9

10 46.8 62.0 62.6

11 53.2 63.7 64.4

12 60.2 67.3 70.2

13 68.4 75.5 70.8

14 78.4 81.9 72.6

15 83.7 83.6 73.1

16 88.9 88.3 75.5

17 95.9 96.5 75.5

18 97.7 98.3 76.7

19 98.9 98.9 76.7

20 100 100 79.6

21 100 100 80.2

22 100 100 81.3

23 100 100 81.9

24 100 100 85.4

25 100 100 85.4

26 100 100 91.3

27 100 100 91.3

28 100 100 93.0

29 100 100 93.0

30 100 100 97.1

31 100 100 97.7

32 100 100 99.5

33 100 100 100

34 100 100 100

Page 108: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02

〈부록 표 3-16〉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 ) - 비장애인 (단 %)

수행량남 성 여 성 체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0 1.2 1.2 3.5 1.7 2.5 0.5

1 1.2 1.2 3.5 1.7 2.5 0.5

2 1.2 1.2 3.5 1.7 2.5 0.5

3 1.2 1.2 3.5 1.7 2.5 0.5

4 1.2 1.2 3.5 1.7 2.5 0.5

5 1.2 1.2 3.5 1.7 2.5 0.5

6 1.2 1.2 3.5 1.7 2.5 0.5

7 1.2 1.2 3.5 1.7 2.5 0.5

8 1.2 1.2 3.5 1.7 2.5 0.5

9 1.2 1.2 3.5 1.7 2.5 0.5

10 1.2 1.2 3.5 1.7 2.5 0.5

11 1.2 1.2 3.5 1.7 2.5 0.5

12 1.2 2.4 3.5 1.7 2.5 2.0

13 1.2 4.8 3.5 4.3 2.5 4.5

14 7.1 11.9 7.8 11.3 7.5 11.5

15 15.3 27.2 12.1 20.0 13.5 23.0

16 23.5 44.8 22.5 33.9 23.0 38.5

17 54.1 66.0 38.2 53.0 45.0 58.5

18 75.3 87.2 58.2 71.3 65.5 78.0

19 85.9 94.3 73.0 87.8 78.5 90.5

20 96.5 97.8 88.7 98.2 92,.0 98.0

21 98.9 100 96.5 100 97.5 100

22 100 100 99.1 100 99.5 100

23 100 100 99.1 100 99.5 100

24 100 100 100 100 100 100

25 100 100 100 100 100 100

26 100 100 100 100 100 100

27 100 100 100 100 100 100

28 100 100 100 100 100 100

29 100 100 100 100 100 100

30 100 100 100 100 100 100

31 100 100 100 100 100 100

Page 109: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부록 103

〈부록 표 3-17〉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 ) - 지체장애 (단 %)

남 성 여 성 체

수행량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0 1.6 17.1 6.1 6.1 1.3 14.7

1 1.6 17.1 6.1 6.1 1.3 14.7

2 1.6 17.1 6.1 6.1 1.3 14.7

3 1.6 17.9 6.1 6.1 1.3 15.4

4 2.4 17.9 6.1 6.1 1.9 15.4

5 2.4 20.3 6.1 6.1 1.9 17.3

6 2.4 21.1 6.1 9.1 1.9 18.6

7 4.8 23.6 6.1 12.1 5.1 21.2

8 6.4 27.6 6.1 15.2 6.4 25.0

9 8.8 32.5 6.1 15.2 8.3 28.9

10 12 34.2 6.1 18.2 10.9 30.8

11 16.1 38.2 12.1 21.2 15.4 34.6

12 16.9 42.3 12.1 24.2 16.0 38.5

13 25.8 51.2 18.2 24.2 24.4 45.5

14 37.2 61.8 27.3 33.3 35.3 55.8

15 49.3 67.5 36.4 39.4 46.8 61.6

16 60.7 78.8 39.4 51.5 56.3 73.2

17 74.5 84.5 48.5 69.7 69.1 81.5

18 82.6 92.6 75.8 90.9 81.3 91.8

19 89.1 97.5 84.9 97.0 88.3 96.9

20 92.4 98.3 94.0 97.0 92.8 97.6

21 94.8 100 97.0 100 95.3 100

22 95.6 100 100 100 96.6 100

23 98.0 100 100 100 98.5 100

24 98.8 100 100 100 99.2 100

25 98.8 100 100 100 99.2 100

26 100 100 100 100 100 100

27 100 100 100 100 100 100

28 100 100 100 100 100 100

29 100 100 100 100 100 100

30 100 100 100 100 100 100

31 100 100 100 100 100 100

Page 110: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04

〈부록 표 3-18〉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 ) - 정신장애 (단 %)

수행량남 성 여 성 체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0 1.6 1.6 4.8 2.4 1.0 1.0

1 1.6 1.6 4.8 2.4 1.0 1.0

2 1.6 1.6 4.8 2.4 1.0 1.0

3 1.6 1.6 4.8 2.4 1.0 1.0

4 1.6 1.6 4.8 2.4 1.0 1.0

5 1.6 1.6 4.8 2.4 1.0 1.0

6 1.6 1.6 4.8 2.4 1.0 1.0

7 1.6 3.2 4.8 2.4 1.0 1.9

8 3.2 4.8 4.8 2.4 1.9 3.8

9 11.1 6.4 4.8 9.5 8.6 7.6

10 17.5 23.8 11.9 16.7 15.2 21.0

11 31.8 34.9 16.7 28.7 25.7 32.4

12 44.4 55.6 28.6 40.5 38.1 49.5

13 63.5 65.1 35.7 54.8 52.9 61.0

14 73.0 77.8 64.3 71.4 69.5 75.2

15 84.1 87.3 76.2 81.0 80.9 84.8

16 90.5 98.4 83.3 85.7 87.6 93.3

17 95.2 98.4 88.1 97.6 92.4 98.1

18 96.8 100 95.2 97.6 96.2 99.1

19 98.4 100 97.6 100 98.1 100

20 98.4 100 97.6 100 98.1 100

21 100 100 100 100 100 100

22 100 100 100 100 100 100

23 100 100 100 100 100 100

24 100 100 100 100 100 100

25 100 100 100 100 100 100

26 100 100 100 100 100 100

27 100 100 100 100 100 100

28 100 100 100 100 100 100

29 100 100 100 100 100 100

30 100 100 100 100 100 100

31 100 100 100 100 100 100

Page 111: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부록 105

〈부록 표 3-19〉 KEPAD 손기능 작업표검사 ( ) - 지 장애 (단 %)

수행량남 성 여 성 체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0 8.9 8.9 8.4 11.6 8.8 9.9

1 8.9 9.5 8.4 11.6 8.8 10.2

2 11.2 10.1 9.5 11.6 10.6 10.6

3 11.2 11.2 11.6 12.6 11.3 11.9

4 14.0 12.3 12.6 13.7 13.5 12.8

5 15.6 14.0 12.6 15.8 14.6 14.6

6 17.3 17.3 20.0 19.0 18.3 17.9

7 22.9 22.9 23.2 23.2 23.0 23.0

8 26.3 28.5 31.6 33.7 28.1 30.3

9 32.4 38.0 37.9 42.1 34.3 39.4

10 41.3 48.0 47.4 49.5 43.4 48.5

11 49.7 56.4 53.7 60.0 51.1 57.6

12 58.1 63.1 60.0 71.6 58.8 66.0

13 65.9 72.6 68.4 86.4 66.8 77.3

14 70.4 79.9 80.0 91.6 73.8 83.9

15 76.6 89.4 85.3 95.8 79.6 91.6

16 86.1 96.1 91.6 96.9 88.0 96.3

17 91.1 97.2 94.8 96.9 92.4 97.0

18 95.0 98.3 95.8 97.9 95.3 98.1

19 95.0 98.9 95.8 99.0 95.3 98.8

20 95.5 100 96.9 99.0 96.0 99.6

21 96.7 100 96.9 99.0 96.7 99.6

22 97.8 100 96.9 100 97.5 100

23 98.3 100 96.9 100 97.9 100

24 98.9 100 97.9 100 98.6 100

25 98.9 100 99.0 100 98.9 100

26 100 100 99.0 100 99.3 100

27 100 100 99.0 100 99.3 100

28 100 100 99.0 100 99.3 100

29 100 100 100 100 100 100

30 100 100 100 100 100 100

31 100 100 100 100 100 100

Page 112: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06

〈부록 표 3-20〉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 ) - 뇌병변장애(단 %)

수행량남 성 여 성 체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0 8.3 29.2 4.00 26.7 6.4 28.1

1 9.4 29.2 5.33 26.7 7.6 28.1

2 11.5 31.3 6.67 26.7 9.4 29.2

3 12.5 34.4 6.67 28.0 9.9 31.6

4 16.7 36.5 8.00 28.0 12.9 32.8

5 20.8 42.7 9.33 30.7 15.8 37.4

6 25.0 51.0 9.33 34.7 18.1 43.9

7 29.2 55.2 12.00 38.7 21.6 48.0

8 36.5 60.4 18.67 41.3 28.7 52.1

9 39.6 65.6 25.33 45.3 33.3 56.7

10 45.8 69.8 29.33 46.7 38.6 59.7

11 55.1 71.8 34.67 48.0 46.2 61.4

12 58.3 78.1 38.67 49.3 49.7 65.5

13 65.6 83.3 45.33 50.7 56.7 69.0

14 74.9 87.5 52.00 56.0 64.9 73.7

15 81.1 93.7 56.00 58.7 70.2 78.4

16 88.4 95.8 64.00 69.3 77.8 84.2

17 96.7 98.9 69.33 80.0 84.8 90.6

18 98.8 100 84.00 85.3 92.4 93.57

19 98.8 100 92.00 92.0 95.9 96.5

20 100 100 96.00 97.3 98.3 98.8

21 100 100 97.33 100 98.8 100

22 100 100 98.67 100 99.4 100

23 100 100 100 100 100 100

24 100 100 100 100 100 100

25 100 100 100 100 100 100

26 100 100 100 100 100 100

27 100 100 100 100 100 100

28 100 100 100 100 100 100

29 100 100 100 100 100 100

30 100 100 100 100 100 100

31 100 100 100 100 100 100

Page 113: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부록 107

〈부록 표 3-21〉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 ) - 비장애인 (단 %)

수행량남 성 여 성 체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0 1.2 2.4 0.9 0.9 0.5 1.0

1 1.2 2.4 0.9 0.9 0.5 1.0

2 1.2 2.4 0.9 0.9 0.5 1.0

3 1.2 2.4 0.9 0.9 0.5 1.0

4 1.2 2.4 0.9 0.9 0.5 1.0

5 1.2 2.4 0.9 0.9 0.5 1.0

6 1.2 2.4 0.9 0.9 0.5 1.0

7 1.2 2.4 0.9 0.9 0.5 1.0

8 1.2 2.4 0.9 0.9 0.5 1.0

9 1.2 2.4 0.9 0.9 0.5 1.0

10 1.2 2.4 0.9 0.9 0.5 1.0

11 1.2 2.4 0.9 0.9 0.5 1.0

12 1.2 2.4 0.9 0.9 0.5 1.0

13 1.2 2.4 0.9 0.9 0.5 1.0

14 1.2 2.4 0.9 0.9 0.5 1.5

15 4.7 9.5 0.9 7.0 2.5 8.0

16 5.9 17.7 9.6 18.3 8.0 18.0

17 30.6 35.3 21.8 36.6 25.5 36.0

18 43.5 52.9 36.6 52.3 39.5 52.5

19 63.5 77.6 50.5 67.1 56.0 71.5

20 80.0 92.9 69.6 86.2 74.0 89.0

21 92.9 97.6 84.4 93.2 88.0 95.0

22 95.3 98.8 92.2 97.5 93.5 98.0

23 96.5 100 94.8 100 95.5 99.5

24 98.9 100 98.3 100 98.5 99.5

25 100 100 99.2 100 99.5 99.5

26 100 100 99.2 100 99.5 99.5

27 100 100 99.2 100 99.5 99.5

28 100 100 100 100 100 100

29 100 100 100 100 100 100

30 100 100 100 100 100 100

31 100 100 100 100 100 100

Page 114: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08

〈부록 표 3-22〉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 ) - 지체장애 (단 %)

수행량남 성 여 성 체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0 1.6 17.1 3.0 6.1 1.3 14.7

1 1.6 18.7 3.0 6.1 1.3 16.0

2 1.6 18.7 3.0 6.1 1.3 16.0

3 2.4 18.7 3.0 6.1 1.9 16.0

4 2.4 18.7 3.0 6.1 1.9 16.0

5 2.4 19.5 3.0 6.1 1.9 16.7

6 2.4 20.3 3.0 6.1 1.9 17.3

7 3.2 21.1 3.0 6.1 3.2 18.0

8 3.2 23.5 3.0 9.1 3.2 20.5

9 5.6 26.7 6.1 9.1 5.8 23.1

10 9.7 31.6 6.1 15.2 9.0 28.2

11 11.3 33.2 6.1 15.2 10.3 29.5

12 12.9 37.3 6.1 15.2 11.5 32.7

13 16.1 43.0 15.2 21.2 16.0 38.5

14 21.8 47.9 15.2 24.2 20.5 43.0

15 31.5 55.2 21.2 30.3 29.5 50.0

16 43.7 65.7 27.3 39.4 40.4 60.2

17 58.4 81.2 33.3 54.5 53.2 75.5

18 73.9 87.7 45.5 69.7 67.9 83.8

19 81.3 92.6 60.6 78.8 77.5 89.6

20 87.8 95.8 75.8 93.9 85.9 95.4

21 92.6 96.6 81.8 93.9 91.0 96.1

22 94.2 99.0 93.9 100 94.8 99.3

23 95.8 100 100 100 96.8 100

24 96.6 100 100 100 97.4 100

25 100 100 100 100 100 100

26 100 100 100 100 100 100

27 100 100 100 100 100 100

28 100 100 100 100 100 100

29 100 100 100 100 100 100

30 100 100 100 100 100 100

31 100 100 100 100 100 100

Page 115: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부록 109

〈부록 표 3-23〉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 ) - 정신장애(단 %)

수행량남 성 여 성 체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0 1.6 1.6 2.4 2.4 1.0 2.4

1 1.6 1.6 2.4 2.4 1.0 2.4

2 1.6 1.6 2.4 2.4 1.0 2.4

3 1.6 1.6 2.4 2.4 1.0 2.4

4 1.6 1.6 2.4 2.4 1.0 2.4

5 1.6 1.6 2.4 2.4 1.0 2.4

6 1.6 1.6 2.4 2.4 1.0 2.4

7 3.2 1.6 2.4 2.4 2.9 2.4

8 3.2 3.2 2.4 2.4 2.9 2.4

9 3.2 6.4 2.4 2.4 2.9 2.4

10 6.4 11.1 4.8 4.76 5.7 4.8

11 9.5 23.8 7.1 14.3 8.6 14.3

12 23.8 36.5 11.9 38.1 19.1 38.1

13 46.0 50.8 28.6 52.4 39.1 52.4

14 58.7 68.3 54.8 57.1 57.1 57.1

15 65.1 76.2 57.1 69.1 61.9 69.1

16 82.5 84.1 71.4 78.6 78.1 78.6

17 90.5 88.9 80.9 90.5 86.6 90.5

18 92.1 95.2 95.2 95.2 93.3 95.2

19 95.2 98.4 100 97.6 97.1 97.6

20 96.8 98.4 100 100 98.1 100

21 98.4 98.4 100 100 99.0 100

22 100 100 100 100 100 100

23 100 100 100 100 100 100

24 100 100 100 100 100 100

25 100 100 100 100 100 100

26 100 100 100 100 100 100

27 100 100 100 100 100 100

28 100 100 100 100 100 100

29 100 100 100 100 100 100

30 100 100 100 100 100 100

31 100 100 100 100 100 100

Page 116: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10

〈부록 표 3-24〉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 ) - 지 장애(단 %)

수행량남 성 여 성 체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0 6.2 8.4 7.4 9.5 6.6 8.8

1 6.2 10.6 7.4 9.5 6.6 10.2

2 6.7 11.2 7.4 9.5 6.9 10.6

3 7.3 11.2 7.4 10.5 7.3 11.0

4 9.5 12.9 9.5 12.6 9.5 12.8

5 10.6 15.6 11.6 15.8 11.0 15.7

6 14.5 19.0 17.9 17.9 15.8 18.6

7 17.3 22.9 23.2 25.3 19.4 23.7

8 24.0 27.4 29.5 31.6 26.0 28.8

9 33.0 35.2 36.8 40.0 34.4 36.8

10 42.5 46.3 43.2 47.4 42.8 46.6

11 51.4 51.9 49.5 54.8 50.9 52.8

12 61.4 60.2 59.0 65.3 60.7 61.9

13 65.9 66.9 69.5 75.9 67.3 70.0

14 70.9 75.9 76.8 79.0 73.1 76.9

15 78.2 82.6 85.2 91.6 80.8 85.7

16 82.7 88.7 90.5 96.9 85.6 91.6

17 90.5 94.3 96.8 96.9 92.9 95.2

18 97.8 97.1 97.9 99.0 98.0 97.8

19 98.3 98.8 98.9 99.0 98.7 98.8

20 98.9 100 98.9 99.0 99.1 99.6

21 98.9 100 100 99.0 99.5 99.6

22 99.4 100 100 100 99.8 100

23 100 100 100 100 100 100

24 100 100 100 100 100 100

25 100 100 100 100 100 100

26 100 100 100 100 100 100

27 100 100 100 100 100 100

28 100 100 100 100 100 100

29 100 100 100 100 100 100

30 100 100 100 100 100 100

31 100 100 100 100 100 100

Page 117: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부록 111

〈부록 표 3-25〉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 ( ) - 뇌병변장애 (단 %)

수행량남 성 여 성 체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우세손 비우세손

0 7.3 29.2 4.0 24.0 5.9 26.9

1 9.4 30.2 4.0 26.7 7.0 28.7

2 10.4 30.2 6.7 26.7 8.8 28.7

3 11.5 32.3 6.7 28.0 9.4 30.4

4 11.5 36.5 8.0 28.0 9.9 32.8

5 15.6 40.6 9.3 32.0 12.9 36.8

6 18.8 45.8 10.7 34.7 15.2 40.9

7 20.8 54.1 14.7 36.0 18.1 46.2

8 29.2 59.4 16.0 38.7 23.4 50.3

9 35.4 63.5 20.0 41.3 28.7 53.8

10 41.7 66.6 26.7 44.0 35.1 56.7

11 51.0 69.8 30.7 46.7 42.7 59.7

12 53.1 76.0 32.0 46.7 44.4 63.2

13 59.3 80.1 40.0 48.0 51.4 66.1

14 67.6 84.3 48.0 49.3 59.6 69.0

15 71.8 89.5 52.0 52.0 63.7 73.1

16 80.1 91.6 53.3 58.7 69.0 77.2

17 89.4 94.7 62.7 65.3 78.4 81.9

18 93.6 96.8 72.0 76.0 84.8 87.7

19 97.8 98.9 77.3 85.3 89.5 93.0

20 98.8 100 88.0 93.3 94.8 97.1

21 100 100 94.7 94.7 98.3 97.7

22 100 100 96.0 100 98.9 100

23 100 100 97.3 100 99.5 100

24 100 100 97.3 100 99.5 100

25 100 100 97.3 100 99.5 100

26 100 100 100 100 100 100

27 100 100 100 100 100 100

28 100 100 100 100 100 100

29 100 100 100 100 100 100

30 100 100 100 100 100 100

31 100 100 100 100 100 100

Page 118: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12

[부록 4] KEPAD 다차원 양손협응 작업표본검사 규준표

〈부록 표 4-1〉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 비장애인(단 %)

수행량 남 성 여 성 체

0 15.6 13.3 14.6

1 20.8 17.3 19.3

2 25.0 25.3 25.1

3 28.1 26.6 27.5

4 32.3 34.6 33.3

5 37.5 37.3 37.4

6 44.8 40.0 42.7

7 52.1 41.3 47.4

8 57.3 46.6 52.6

9 62.5 48.0 56.1

10 67.7 52.0 60.8

11 70.8 52.0 62.6

12 74.0 57.3 66.7

13 77.1 58.6 69.0

14 79.2 61.3 71.3

15 80.2 65.3 73.7

16 84.4 70.6 78.4

17 86.5 72.0 80.1

18 89.6 74.6 83.0

19 90.6 74.6 83.6

20 95.8 81.3 89.5

21 96.9 88.0 93.0

22 99.0 90.6 95.3

23 99.0 97.3 98.2

24 100 97.3 98.8

25 100 100 100

Page 119: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부록 113

〈부록 표 4-2〉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 지체장애(단 %)

수행량 체 남 성 여 성

0 0.8 3.0 1.3

1 0.8 3.0 1.3

2 1.6 6.0 2.6

3 1.6 6.0 2.6

4 1.6 6.0 2.6

5 4.9 6.0 5.1

6 5.7 6.0 5.7

7 7.3 6.0 7.0

8 7.3 9.0 7.6

9 9.7 12.0 10.2

10 13.1 27.2 16.6

11 17.2 27.2 19.8

12 19.6 33.3 23.0

13 21.2 39.4 25.6

14 23.6 42.4 28.2

15 32.5 45.4 35.9

16 41.4 48.4 43.6

17 43.8 51.4 46.2

18 55.2 60.5 57.1

19 60.1 63.5 61.6

20 77.2 81.7 78.9

21 87.8 93.8 89.8

22 90.2 96.8 92.4

23 94.3 100 96.2

24 95.1 100 96.8

25 100 100 100

Page 120: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14

〈부록 표 4-3〉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 정신장애(단 %)

수행량 남 성 여 성 체

0 4.8 2.4 3.8

1 4.8 2.4 3.8

2 6.4 2.4 4.8

3 6.4 9.5 7.7

4 6.4 11.9 8.7

5 9.6 19.0 13.5

6 11.2 26.2 17.3

7 16.0 31.0 22.1

8 20.8 35.7 26.9

9 22.4 35.7 27.0

10 39.9 54.8 45.1

11 51.0 57.1 52.7

12 55.8 59.5 56.5

13 60.6 71.4 64.1

14 66.9 76.2 69.8

15 74.8 80.9 76.5

16 78.0 80.9 78.4

17 79.6 80.9 79.4

18 84.4 85.7 84.2

19 87.6 90.5 88.0

20 93.9 92.9 92.8

21 97.1 100 97.6

22 97.1 100 97.6

23 98.7 100 98.6

24 100 100 100

25 100 100 100

Page 121: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부록 115

〈부록 표 4-4〉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 지 장애(단 %)

수행량 남 성 여 성 체

0 13.4 23.2 16.8

1 15.1 27.4 19.3

2 21.8 35.8 26.6

3 30.7 40.0 33.9

4 36.8 51.6 42.0

5 42.9 62.1 49.6

6 50.2 69.5 56.9

7 52.4 72.6 59.5

8 60.2 77.9 66.4

9 63.0 77.9 68.2

10 72.5 85.3 77.0

11 77.5 86.3 80.7

12 79.2 86.3 81.8

13 84.2 88.4 85.8

14 85.3 89.5 86.9

15 90.3 93.7 91.6

16 92.5 93.7 93.1

17 93.6 93.7 93.8

18 94.7 96.8 95.6

19 95.3 97.9 96.4

20 97.0 100 98.2

21 98.1 100 98.9

22 98.1 100 98.9

23 99.2 100 99.6

24 99.2 100 99.6

25 100 100 100

Page 122: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16

〈부록 표 4-5〉 KEPAD 다차원 양손 응 작업표본검사 - 뇌병변장애(단 %)

수행량 남 성 여 성 체

0 15.6 13.3 14.6

1 20.8 17.3 19.3

2 25.0 25.3 25.1

3 28.1 26.6 27.5

4 32.3 34.6 33.3

5 37.5 37.3 37.4

6 44.8 40.0 42.7

7 52.1 41.3 47.4

8 57.3 46.6 52.6

9 62.5 48.0 56.1

10 67.7 52.0 60.8

11 70.8 52.0 62.6

12 74.0 57.3 66.7

13 77.1 58.6 69.0

14 79.2 61.3 71.3

15 80.2 65.3 73.7

16 84.4 70.6 78.4

17 86.5 72.0 80.1

18 89.6 74.6 83.0

19 90.6 74.6 83.6

20 95.8 81.3 89.5

21 96.9 88.0 93.0

22 99.0 90.6 95.3

23 99.0 97.3 98.2

24 100 97.3 98.8

25 100 100 100

Page 123: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 - KEAD · therapeutics, rehabilitation crane, hygienic, medical science, statistics,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자 문 위 원(가나다순)

․박은 ( 주 학교 재활학과 교수)

․박정일 (가톨릭 학교 방의학교실 교수)

․박희찬 (가톨릭 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배미희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지사 직업능력평가사)

․오덕원 ( 학교 물리치료학과 교수)

․이채식 (우송공업 학 사회복지아동과 교수)

․이상진 (평택 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 병진 (건양 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허태라 ( 직업능력개발센터 직업능력평가사)

탁연구 2008-06(1)

KEPAD 작업표본검사 2종 개발인쇄 2008년 12월 26일

발행 2008년 12월 29일

발 행 인 김 종 진

발 행 처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고용개발원

주 소 (463-939)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165 (구미동)

화 (031) 728-7000

팩 스 (031) 728-7199

홈페이지 (공단) http://www.kepad.or.kr

(고용개발원) http://edi.kepad.or.kr

자우편 [email protected]

I S B N 978-89-5813-667-5 93330

인 쇄 처 (복) 머인쇄사 ☏ (02) 868-6854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