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맞춤법과표준어 - Egloospds14.egloos.com/pds/200902/03/98/a0109498_49871d87f4065.pdf · À...

12
올바른 국어 생활 [ ] 국어 정재영 교수 절 맞춤법과 표준어 1 z 총칙 (1) 한글 맞춤법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 칙로 한다 , . (2) 문 각 단어는 띄어 씀 칙로 한다 . (3)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 에 따라 적는다 . x 자모 한글 모 수는 스물넉 로 하고 그 순서와 름 다과 같 정한다 , . 자음 (1) 기역 디귿 시옷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음 (2) : ( ), ( ), ( ), ( ), ( ), ( ), ( ), ( ), ( ), ( ) (3) 모로써 적 수 없는 소리는 두 개 상 모를 어러서 적되 그 순서와 름 다과 같 , 정한다 . 비읍 시옷 지읒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사전에 올릴 적 모 순서는 다과 같 정한다 . 자음 : , , , , , , , , , , , , , , , , , , ㄱㄲㄴㄷㄸㄹㅁㅂㅃㅅㅆㅇㅈㅉㅊㅋㅌㅍㅎ 모음 : , , , , , , , , , , , , , , , , , , , , ㅏㅐㅑㅒㅓㅔㅕㅖㅗㅘㅙㅚㅛㅜㅝㅞㅟㅠㅡㅢㅣ 예제 c 소리에 관한 것 (1)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 나는 된소리는 다 절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 다음 단어를 국어사전에서 찾을 가장 먼저 나오는 단어는? 괴상하다 꾸러미 노랑 움말 사전을 찾을 는 먼저 첫소리의 순서를 지고 이어서 가운뎃소리 이어서 끝소리를 진다 라서 , , . 과일 괴상 - 하다 꾸러미 노랑 - - 의 순서로 사전에 수록된다.

Transcript of 절맞춤법과표준어 - Egloospds14.egloos.com/pds/200902/03/98/a0109498_49871d87f4065.pdf · À...

  • 올바른 국어 생활[ ] 국어정재영 교수절 맞춤법과 표준어1

    z 총칙(1) 한글맞춤법은표준어를소리대로적되 어법에맞도록함을원칙으로한다, .(2) 문장의각단어는띄어씀을원칙으로한다.(3) 외래어는 ‘외래어표기법’에따라적는다.

    x 자모한글자모의수는스물넉자로하고 그순서와이름은다음과같이정한다, .자음(1)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 지읒 치읓: ( ), ( ), ( ), ( ), ( ), ( ), ( ), ( ), ( ),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키읔 티읕 피읖 히읗( ), ( ), ( ), ( )ㅋ ㅌ ㅍ ㅎ

    모음(2) 아 야 어 여 오 요 우 유 으 이: ( ), ( ), ( ), ( ), ( ), ( ), ( ), ( ), ( ), (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3) 위의자모로써적을수없는소리는두개이상의자모를어울러서적되 그순서와이름은다음과같이,정한다.

    쌍기역 쌍디귿 쌍비읍 쌍시옷 쌍지읒 애 얘 에 예 와 왜 외 워( ), ( ), ( ), ( ), ( ), ( ), ( ), ( ), ( ), ( ), ( ), ( ), ( ),ㄲ ㄸ ㅃ ㅆ ㅉ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웨 위 의( ), ( ), ( )ㅞ ㅟ ㅢ

    (4) 사전에올릴적의자모순서는다음과같이정한다.자음① : , , , , , , , , , , , , , , , , ,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모음② : , , , , , , , , , , , , , , , , , , ,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예제

    c 소리에 관한 것(1) 한단어안에서뚜렷한까닭없이나는된소리는다음음절의첫소리를된소리로적는다.

    다음 단어를 국어사전에서 찾을 때 가장 먼저 나오는 단어는?괴상하다① 꾸러미②과일③ 노랑④도움말 사전을찾을때는먼저첫소리의순서를따지고 이어서가운뎃소리 이어서끝소리를따진다 따라서, , . ‘과일 괴상-

    하다 꾸러미 노랑- - ’의 순서로 사전에 수록된다. 답③

  • 올바른 국어 생활[ ] 국어정재영 교수두 모음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①소쩍새 어깨 오빠 으뜸 아끼다 기쁘다 깨끗하다 어떠하다 해쓱하다 가끔 거꾸로 부썩 어찌 이따금, , , , , , , , , , , , ,

    ② ‘ , , ,ㄴ ㄹ ㅁ ㅇ’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산뜻하다 잔뜩 훨씬 담뿍 움찔 몽땅 엉뚱하다, , , , , ,

    예외③ 다만: ‘ ,ㄱ ㅂ’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경우가,아니면된소리로적지아니한다.국수 깍두기 깍뚜기 법석 갑자기 딱지 색시 싹둑 싹뚝 몹시, ( ×), , , , , ( ×),

    구개음화(2)① ‘ ,ㄷ ㅌ’ 받침뒤에종속적관계를가진 ‘ 이- ’나 ‘ 히- ’가올적에는그 ‘ ,ㄷ ㅌ’이 ‘ ,ㅈ ㅊ’으로소리나더라도 ‘ ,ㄷ ㅌ’으로적는다.맏이 해돋이 굳이 걷히다 닫히다, , , , (‘다치다’는 ‘상하다’의 뜻 묻히다), (‘무치다’는 ‘간과 양념을 버무리어 맛을 고른다’는뜻)

    ② ‘ㄷ’ 소리로나는받침중에서 ‘ㄷ’으로적을근거가없는것은 ‘ㅅ’으로적는다.덧저고리 돗자리 엇셈 웃어른 핫옷 무릇 사뭇 얼핏 자칫하면 뭇 옛 첫 헛, , , , , , , , , ( ), , ,衆

    (3) ‘계 례 몌 폐 혜, , , , ’의 ‘ㅖ’는 ‘ㅔ’ 로소리나는경우가있더라도 ‘ㅖ’로적는다.폐품 계수 사례 연몌 나란히 서서 함께 가거나 온다 즉( ), ( ), ( ), ( , .廢品 桂樹 謝禮 連袂 ‘행동을 같이함’을 뜻한다 혜택.), ( ),惠澤핑계 핑게 계집 계시다( ×), ,

    게시판 휴게실 게송 부처의 공덕이나 가르침을 감탄하는 노래 의 경우는 한자의 본음대로 적는( ), ( ), ( , )揭示板 休憩室 偈頌다.

    (4) ‘의’나 자음을첫소리로가지고있는음절의, ‘ㅢ’는 ‘ㅣ’로소리가나는경우가있더라도 ‘ㅢ’로적는다.하늬바람 늴리리 닐리리 나발 피리 따위의 관악기를 흉내 낸 소리 의의 본의 무늬 보늬 밤이나 도토리, ( ×, , ), ( ), ( ), , (意義 本義

    따위의 속껍질 닁큼 머뭇거리지 않고 단숨에 빨리 띄어쓰기 띄워쓰기 씌어 틔어 오늬 화살의 머리를 시위에 끼도록), ( ), ( ×), , , (

    에어낸 부분 희망 희다 유희), , ,

    두음법칙(5)한자음① ‘녀 뇨 뉴 니, , , ’가첫머리에올적에는두음법칙에따라 ‘여 요 유 이, , , ’로적는다.여자 녀자 유대 뉴대 연세 요소 이토 익명( ×), ( ×), , , ( ), ( )泥土 匿名

    다음과같은의존명사에서는㉠ ‘냐 녀, ’음을인정한다.냥 냥쭝 년 몇 년 닢 엽전 한 닢( ), ( -), ( , ), ( )兩 兩 年

    ∙‘년’이 ‘연 회3 ’처럼 ‘한 해 동안( )’란 뜻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의존 명사가 아니므로 두음법칙이 적용된다, .∙‘나뭇잎이 한 잎 두 잎 떨어진다.’에서처럼 이파리를 세는 단위일 때는 ‘잎’으로 표기하지만 ‘동전 한 닢,가마니 다섯 닢’처럼 돈이나 가마니 멍석처럼 납작한 물건을 세는 단위는, ‘닢’으로 표기한다.

    단어의첫머리이외는본음대로적는다.㉡남녀 남여 당뇨 결뉴 은닉( , ×), ( ), ( ), ( )男女 糖尿 結紐 隱匿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 소리로 나더라도두음법칙에따라적는다.신여성 공염불 남존여비( ), ( ), ( )新女性 空念佛 男尊女卑

    둘이상의단어로이루어진고유명사를붙여쓰는경우에도위 에준하여적는다.㉣ ㉢한국여자대학 대한요소비료회사,

  • 올바른 국어 생활[ ] 국어정재영 교수

    한자음② ‘랴 려 례 료 류 리, , , , , ’가 단어의 첫머리에올 적에는 두음법칙에따라 ‘야 여 예 요 유, , , , ,이’로적는다.

    양심 량심 용궁 룡궁 역사 력사 이발 리발 유행 류행( ×), ( , ×), ( ×), ( ×), ( ×)龍宮

    다음과같은의존명사는본음대로적는다.㉠몇∙ 리( )里 냐 그럴? ∙ 리( )理 가 없다.

    단어의첫머리이외에는본음대로적는다.㉡개량 고랭지 고냉지 급랭 급냉 선량 수력 협력 혼례 와룡( ), ( , ×), ( , ×), ( ), ( ), ( ), ( ), (改良 高冷地 急冷 善良 水力 協力 婚禮 臥

    쌍룡 쌍용 하류 급류 도리 진리), ( , ×), ( ), ( ), ( ), ( )龍 雙龍 下流 急流 道理 眞理

    모음이나㉢ ‘ㄴ’ 받침뒤에이어지는 ‘렬 률, ’은 ‘열 율, ’로적는다.모음이나∙ ‘ㄴ’ 뒤 나열 규율 비율 선열 백분율 백분률 전율 비열: ( ), ( ), ( ), ( ), ( , ×), ( ),羅列 規律 比率 先烈 百分率 戰慄

    비렬 선율( , ×), ( )卑劣 旋律

    그 외 졸렬 졸열 법률 능률 출석률 합격률: ( , ×), ( ), ( ), ( ), ( )拙劣 法律 能率 出席率 合格率∙외자로된이름을성에붙여쓸경우에도본음대로적을수있다.㉣신립 최린 하륜 채륜( ), ( ), ( ), ( )申砬 崔麟 河崙 蔡倫

    준말에서본음으로소리나는것은본음대로적는다.㉤국련 국제연합 대한교련 대한교육연합회( ), ( )

    접두사처럼쓰이는한자가붙어서된말이나합성어에서뒷말의첫소리가㉥ ‘ㄴ’ 또는 ‘ㄹ’ 소리로나더라도두음법칙에따라적는다.역이용 연이율 열역학 해외여행, , ,

    둘이상의단어로이루어진고유명사를붙여쓰는경우나십진법에따라쓰는수 도위( )數㉦ ㉥에준하여적는다.서울여관 신흥이발관 육천육백육십육, , ( )六千六百六十六

    한자음③ ‘라 래 로 뢰 루 르, , , , , ’가단어의첫머리에올적에는 두음법칙에따라, ‘나 내 노 뇌 누, , , , ,느’로적는다.낙원 락원 뇌성 뢰성 내일 래일 누각 루각( , ×), ( , ×), ( , ×), ( , ×)樂園 雷聲 來日 樓閣

    단어의첫머리이외의경우에는본음대로적는다.㉠쾌락 극락 거래 왕래 부로 연로 지뢰 낙뢰 고루 광한( ), ( ), ( ), ( ), ( ), ( ), ( ), ( ), ( ),快樂 極樂 去來 往來 父老 年老 地雷 落雷 高樓

    루 광한누 동구릉 동구능 가정란 가정난( , ×), ( , ×), ( , ×)廣寒樓 東九陵 家庭欄

    접두사처럼쓰이는한자가붙어서된단어는뒷말을두음법칙에따라적는다.㉡

    ‘설립 연도 회계 연도 가입 연월일, , ’는 각각 ‘설립’과 ‘연도’, ‘회계’와 ‘연도’, ‘가입’과 ‘연월일’이 이어져 이루어진 말로 말의 첫머리이므로 두음 법칙을 적용하여, ‘설립 연도 회계 연도 가입 연월일, , ’로적어야 옳다 다만. , ‘年度’라 하더라도 ‘ + , +新年 度 舊年 度’와 같이 분석되는 합성어에 있어서는 ‘신년도 구년도, ’로 적어야 한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 이것은 한글 맞춤법 제 항에. 10 “한자음 ‘녀,뇨 뉴 니, , ’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여 요 유 이, , , ’로 적고 단어의 첫머리가 아닐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도록 한다.”라고 한 규정과 관련된다.‘ 차 연도1 ’의 경우 자주 ‘연도’와 ‘년도’로 쓰는 것에 대해 혼동을 일으킨다. ‘년도’는 ‘해를 뜻하는 말뒤에 쓰여 일정한 기간 단위로서의 그 해’를 뜻하는 의존 명사로, ‘ 년도 년도 졸업식1999 , 1970 ,

    년도 예산안2006 ’으로 쓴다. ‘연도’는 ‘사무나 회계 결산 따위의 처리를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일 년동안의 기간’을 뜻하는 명사로, ‘회계 연도 졸업 연도, ’처럼 쓰인다. ‘ 차 차1 , 2 ’는 해를 뜻하는 수사가아니고 어떤 일을 처리하기 위해 편의상 구분해 놓은 것으로서, ‘연도’와 어울려 쓰는 것이 맞다고 할수 있다.

  • 올바른 국어 생활[ ] 국어정재영 교수내내월 상노인 실낙원 실락원 중노동 비논리적( ), ( ), ( . ×), ( ), ( )來來月 上老人 失樂園 重勞動 非論理的

    두음 법칙은 한자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고유어나 외래어 뒤에서는 단어의 첫머리가 아니더라도 본음으로

    적지 않는다 따라서. ‘난( )欄 ’은 한자어 뒤에서는 본음대로 ‘란( )欄 ’으로 표기하지만 고유어나 외래어 뒤에서 ‘난’으로표기한다. ‘양( )量 ’도 한자어 뒤에서는 본음대로 ‘량( )量 ’으로 표기하지만 고유어나 외래어 뒤에서는 ‘양’으로 표기한다.한자어 뒤 가정란 경제란 답란 독자란 투고란 가사량 노동량 작업량: ( ), ( ), , ( ), ( ) / , ,家庭欄 經濟欄 讀者欄 投稿欄①고유어나 외래어 뒤 어머니난 어린이난 가십난 구름양 쓰레기양 일양 알칼리양: , , / , , , ,②

    (6) 한단어안에서같은음절이나비슷한음절이겹쳐나는부분은같은글자로적는다.꼿꼿하다 꼿곳하다 누누이 눅눅하다 딱딱 똑딱똑딱 똑닥똑닥 밋밋하다 민밋하다 싹싹하다 쌉쌀하다 쌕( ×), ( -), , , ( ×), ( ×), , ,屢屢

    쌕 쓱싹쓱싹 씁쓸하다 연연불망 그리워서 잊지 못함 유유상종 짭짤하다, , , ( , .), ( ),戀戀不忘 類類相從

    v 형태에 관한 것(1) 체언은조사와구별하여적는다.

    떡이 떡을 떡에 떡도 떡만 손이 손을 손에 손도 손만 꽃이 꽃을 꽃에 꽃도 꽃만 밭이 밭을 밭에 밭도 밭, , , , / , , , , / , , , , / , , , ,

    만 여덟이 여덟을 여덟에 여덟도 여덟만 곬이 곬을 곬에 곬도 곬만/ , , , , / , , , ,

    (2) 용언의어간과어미는구별하여적는다.먹다 먹고 먹어 먹으니 없다 없고 없어 없으니, , , / , , ,

    두개의용언이어울려하나의용언이될적에본뜻이유지되면그원형을밝히어적는다.①넘어지다 늘어나다 늘어지다 되짚어가다 벌어지다 엎어지다 접어들다 흩어지다, , , , , , ,

    본뜻에서멀어진것은밝히어적지않는다.②드러나다 사라지다 쓰러지다, ,

    (3) 용언의종결어미는 ‘ 오- ’ 연결어미는, ‘ 요- ’ 높임의보조사는, ‘요’로적는다.어간이나 선어말 어미 뒤에 붙어 설명의문명령청유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① ․ ․ ․ ‘ 오- ’는 ‘ 요- ’로소리나는경우가있더라도 ‘ 오- ’로적는다.이것은 책이오 책이요 이리로 오시오 오시요 이것은 책이 아니오 아니요 따님이 참 예쁘오 예쁘요 얼마.( ×), .( ×), .( ×), .( ×),

    나 심려가 크시오 크시요?( ×)

    ② ‘ 요- ’는 ‘이다’, ‘아니다’의 어간 뒤에붙어어떤 사물이나사실 따위를열거할때 쓰이는 연결어미이므로 연결형, ‘ 이요- ’는 ‘이요’로적는다.이것은 책이요 저것은 붓이요 저것은 먹이다 이것은 말이요 저것은 소요 그것은 돼지이다, , . / , , .

    ③ 종결어미뒤에덧붙은높임의보조사 ‘요’는 ‘요’로적는다 어간이나선어말어미뒤에오는종결어.미는 ‘ 오- ’이지만 종결어미뒤에는종결어미, ‘ 오- ’가올수없고높임의보조사 ‘요’가올수있다.

    읽어 어간 종결 어미 읽어요 읽어오( + ) : ( ×)∙좋지 어간 종결 어미 좋지요 좋지오( + ) : ( ×)∙참으리 어간 종결 어미 참으리요 참으리오( + ) : ( ×)∙돈이 없어∙ 요 기차가 참 빨리 가지. / 요 잠이 안 오는걸. / 요.

    종결 어미 ‘오’와 연결어미 ‘요’ 높임의 보조사, ‘요’의 구분 : ‘이것은 책이요 저것은 연필이다, .’처럼 연결형일 때에는 ‘이요’이다. ‘이것은 책이오.’와 같이 연결형이 아닌 경우에는 ‘이요’가 아니라 ‘이오’이다 종결어미. ‘오’와 높임의 보조사 ‘요’는 문장 끝에 붙는데 ‘오요/ ’를 빼고 문장이 성립하면 보조사‘요’이고 그렇지 않으면 종결어미 ‘오’이다 즉. ‘어떻게 살리 요- ’, ‘참으리 요- ’, ‘좋지 요- ’는 ‘요’를 빼도 문장이 성립하기 때문에 종결어미 ‘ 리- ’, ‘ 으-리’, ‘ 지- ’ 뒤에 높임의 보조사가 붙은 형태이다 반면에. ‘이리 오시오.’, ‘무엇하오’는 ‘오’를 빼면 문장이 성립하지않기 때문에 선어말어미 ‘ 시- -’와 어간 ‘무엇하-’에 종결어미 ‘오’가 붙은 형태이다 단. , ‘ 세요 셔요- /- ’는 ‘ 세셔- /요+ ’로 나누어지지 않는다.

  • 올바른 국어 생활[ ] 국어정재영 교수④ ‘ 셔요- ’는 ‘ 시어요- ’의 준말이고 ‘ 시어요- ’는 어미 ‘시’와 ‘어요’가 결합한 말로 설명의문명령의, ․ ․뜻을나타내는종결어미이다. ‘ 세요- ’는 ‘ 셔요- ’와같은뜻으로쓰인다.

    말씀하셔요 어서 가셔요 어서 오시어요 벌써 가시어요. / . / . / ?∙어서 가세요 계속 말씀하세요 갑자기 웬일이세요 이분이 우리 어머님이세요. . ? .∙

    (4) 어간의끝음절모음이 ‘ ( ),ㅏ ㅑ ㅗ’일때에는어미를 ‘ 아- ’로적고 그밖의모음일때에는, ‘ 어- ’로적는다.① ‘ 아- ’로 적는 경우

    나아 나아도 나아서 막아 막아도 막아서 얇아 얇아도 얇아서, , / , , / , ,∙ ∙ ∙돌아 돌아도 돌아서 보아 보아도 보아서, , / , ,∙ ∙

    ② ‘ 어- ’로 적는 경우개어 개어도 개어서 겪어 겪어도 겪어서 되어 되어도 되어서, , / , , / , ,∙ ∙ ∙베어 베어도 베어서 쉬어 쉬어도 쉬어서 희어 희어도 희어서, , / , , / , ,∙ ∙ ∙

    (5) 어미가바뀔경우어간이나어미가원칙에서벗어나면벗어나는대로적는다.용언의어간받침① ‘ㄹ’은 ‘ 오- , - , - , - , -ㄹ ㄴ ㅅ ㅂ’ 앞에서반드시탈락한다.

    갈다 가니 간 갑니다 가시다 가오: , , , ,∙놀다 노니 논 놉니다 노시다 노오: , , , ,∙불다 부니 분 붑니다 부시다 부오: , , , ,∙둥글다 둥그니 둥근 둥급니다 둥그시다 둥그오: , , , ,∙어질다 어지니 어진 어집니다 어지시다 어지오: , , , ,∙

    다음과같은말에서도② ‘ㄹ’이준대로적는다.마지못하다 마지않다 하 다마다 하 자마자 하 지 마라 하 지 마 아, , ( ) , ( ) , ( ) , ( ) ( )

    ③ ‘ㅅ’ 불규칙용언은어간의끝 ‘ㅅ’이모음어미를만나면탈락한다.긋다 그어 그으니 그었다 낫다 나아 나으니 나았다: , , / : , ,∙ ∙

    ※ ‘말다’의 활용형 : ‘말다’의어간 ‘말-’에직접명령형어미 ‘ 아- ’ 또는 ‘ 아라- ’가결합하는 경우 ‘ㄹ’이탈락하고 동음 생략이 일어나 ‘말아 말아라, ’가 아닌 ‘마 마라, ’가 된다.그러나 간접 명령문에 쓰이는 어미 ‘ 으라-( ) ’가 결합하는 경우에는 탈락이 일어나지않고 ‘말라’가된다 따라서직접 명령형인. “제발가지말아.”는 “제발가지 마.”로, “떠들지 말아라.”는 “떠들지 마라.”로 써야 옳다 반면에 간접 명령형인. “가지 말라고 했어요.”의 ‘말라고’는 ‘말 라 고+ + ’의구조이기때문에 ‘말라고’로쓰는것이맞다.

    말 아 명령형 직접 명령 마+ ( - )∙ > → ‘ㄹ’이 탈락하고 동음 생략이 일어난다.말 아라 명령형 직접 명령 마라+ ( - )∙ > → ‘ㄹ’이 탈락하고 동음 생략이 일어난다.말 라 명령형 간접 명령 말라+ ( - )∙ >그러지 말아요 그러지 마요(×) ( ) :∙ → ○ ‘그러지 마요’의 ‘마요’는 ‘말다’의 어간 ‘말-’에 어미 ‘ 아- ’가붙어 ‘마’가 된 다음 보조사 ‘요’가 붙은 것이다. ‘말다’는 어미 ‘ 아 아라- /- ’가 붙으면 받침의 ‘ㄹ’이 탈락하고 동음 생략이 일어나 ‘마 마라, ’가 된다.

    ※ ‘ㄹ’ 탈락에 의한 표기 용언의 어간: ‘ㄹ’은 ‘ 오- , - , - -, - -, -ㄴ ㄹ ㅂ ㅅ ’ 앞에서 예외 없이 탈락한다.거칠다 거칠 거친 거칠은 그을다 그을 그은 그을은 낯설다 낯설 낯선 낯설은: + ( ×), : + ( ×), : + (ㄴ> ㄴ> ㄴ>

    녹슬다 녹슬 녹슨 녹슬은 눈멀다 눈멀 눈먼 눈멀은 매달다 매달 매단 매×), : + ( ×), : + ( ×), : + (ㄴ> ㄴ> ㄴ>달은 물들다 물들 물든 물들은 서툴다 서툴 서툰 서툴은×), : + ( ×), : + ( ×)ㄴ> ㄴ>

  • 올바른 국어 생활[ ] 국어정재영 교수잇다 이어 이으니 이었다: , , /∙ 짓다 지어 지으니 지었다: , ,∙

    ④ ‘ㅎ’ 불규칙용언은모음어미가올때 ‘ㅎ’이탈락하고 일부자음이올때에도, ‘ㅎ’이탈락한다.그렇다 그러니 그럴 그러면 그러오: , , ,∙까맣다 까마니 까말 까마면 까마오: , , ,∙동그랗다 동그라니 동그랄 동그라면 동그라오: , , ,∙퍼렇다 퍼러니 퍼럴 퍼러면 퍼러오: , , ,∙하얗다 하야니 하얄 하야면 하야오: , , ,∙

    용언의 어간 끝⑤ ‘ㅜ’는 ‘푸다’만 모음 어미 앞에서 ‘ㅜ’가 탈락되지만 용언의 어간, ‘ㅡ’는 모음 어미를만날때반드시탈락한다.

    ∙‘ㅜ’ 탈락 푸다 퍼 펐다: ,→∙‘ㅡ’ 탈락 뜨다 떠 떴다 끄다 꺼 껐다 크다 커 컸다 담그다 담가 담갔다 고프다 고파 고팠: , / , / , / , / ,→ → → → →다 따르다 따라 따랐다 바쁘다 바빠 바빴다/ , / ,→ →

    ⑥ ‘ㄷ’ 불규칙용언은어간의끝 ‘ㄷ’이모음어미를만날때 ‘ㄹ’로바뀐다.걷다 걸어 걸으니 걸었다 듣다 들어 들으니 들었다[ ] : , , / [ ] : , ,步 聽∙ ∙묻다 물어 물으니 물었다 싣다 실어 실으니 실었다[ ] : , , / [ ] : , ,問 載∙ ∙

    ⑦ ‘ㅂ’ 불규칙용언은모음조화와상관없이어간의끝 ‘ㅂ’이모음어미를만날때 ‘ㅜ’로바뀐다.깁다 기워 기우니 기웠다 굽다 구워 구우니 구웠다: , , / [ ] : , ,炙∙ ∙가깝다 가까워 가까우니 가까웠다 괴롭다 괴로워 괴로우니 괴로웠다: , , / : , ,∙ ∙맵다 매워 매우니 매웠다 무겁다 무거워 무거우니 무거웠다: , , / : , ,∙ ∙밉다 미워 미우니 미웠다 쉽다 쉬워 쉬우니 쉬웠다: , , / : , ,∙ ∙다만, ‘돕 곱-, -’과 같은 단음절 어간에 어미 ‘ 아- ’가 결합되어 ‘와’로 소리 나는 것은 ‘ 와- ’로 적는다.

    돕다 도와 도와서 도와도 도왔다[ ] : , , ,助∙곱다 고와 고와서 고와도 고왔다[ ] : , , ,麗∙

    불규칙 용언의 활용※ 불규칙 용언은 대개는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변하지 않고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만 변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붇다’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올 때에는 ‘불-’로 활용하며 자음으로 시작되는,어미가올때에는어간이바뀌지않는다.

    붇다 붇 고 자음어미 붇고 붇 지 자음어미 붇지 불지: + ( ) , + ( ) ( ×)∙ > >붇 어 모음어미 불어 붇 으니 모음어미 불으니+ ( ) , + ( )> >재산이 불지 않았다 재산이 붇지 않았다. (×), . ( )∙ ○라면이 불기 전에 어서 먹어라 라면이 붇기 전에 어서 먹어라. (×), . ( )∙ ○

    주의 라면이< > ∙ 불면 붇면(×)/ (×) 맛이 없다 불으면. ( )→ ○→ ‘ 면- ’이라는 어미는 서술격 조사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 으시- ’ 뒤에 붙는다 그 외의 받침으로 끝난 어간 뒤에는.매개 모음이 ‘ 으- -’가 와야 하므로 ‘ 으면- ’의 형태가 된다 예문에서 기본형은. ‘붇다’이기 때문에 어간 ‘붇-’에 모음 어미 ‘ 으면- ’이 오면 ‘ㄷ’이 ‘ㄹ’로 변한다. ‘ㄷ’ 불규칙용언은 모음 어미가 올 때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 ‘ 스럽다- ’의 활용 : ‘ 스럽다- ’가붙은말은 ‘ㅂ’ 불규칙활용을하므로 ‘ 스럽- -’에모음어미 ‘ 은- ’, ‘ 어- ’가붙을때 ‘ 스러운 스러워- , - ’와같이활용해야한다 따라서. ‘사랑스런 만족스런 신비스런, , ’은틀린표기이고 ‘사랑스러운 만족스러운 신비스러운, , ’으로써야한다.

  • 올바른 국어 생활[ ] 국어정재영 교수⑧ ‘하다’의활용에서어간 ‘ 하- -’ 뒤의어미 ‘ 아- ’는 ‘ 여- ’로바뀐다 이를. ‘여’ 불규칙용언이라고한다.

    하다 하여 하여서 하여도 하여라 하였다: , , , ,

    ⑨ ‘러’ 불규칙용언은어간의끝음절 ‘르’ 뒤에오는어미 ‘ 어- ’가 ‘ 러- ’로바뀐다.이르다 이르러 이르렀다 노르다 노르러 노르렀다[ ] : , / [ ] : ,至 黃∙ ∙누르다 누르러 누르렀다 푸르다 푸르러 푸르렀다[ ] : , / : ,黃∙ ∙

    ⑩ ‘르’ 불규칙용언은어간의끝음절 ‘르’의 ‘ㅡ’가줄고 그뒤에오는어미, ‘ 아 어- /- ’가 ‘ 라 러- /- ’로바뀐다.

    가르다 갈라 갈랐다 부르다 불러 불렀다: , / : ,∙ ∙거르다 걸러 걸렀다 오르다 올라 올랐다: , / : ,∙ ∙구르다 굴러 굴렀다 이르다 일러 일렀다: , / [ , ] : ,早 謂∙ ∙벼르다 별러 별렀다 지르다 질러 질렀다: , / : ,∙ ∙

    (6) ‘ 이- ’나 ‘ 음- ’, ‘-ㅁ’이붙어명사로된것과 ‘ 이- ’, ‘ 히- ’가붙어부사로된것은원형을밝히어적는다.① ‘ 이- ’가 붙어서 명사로 된 것

    길이 깊이 높이 다듬이 땀받이 달맞이 먹이 미닫이 벌이 벼훑이 살림살이 쇠붙이, , , , , , , , , , ,

    ② ‘ 음- /-ㅁ’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걸음 묶음 믿음 얼음 엮음 울음 웃음 졸음 죽음 앎 만듦 만듬, , , , , , , , , , ( ×)

    ‘ㄹ’ 받침을 가진 용언의 명사형은 ‘ㄻ’이 된다 용언의 어간 받침. ‘ㄹ’은 ‘ 오, , , ,ㄹ ㄴ ㅅ ㅂ’ 앞에서는 탈락하지만‘ㅁ’앞에서는 탈락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만들다’의 명사형은 ‘만듦’, ‘갈다’의 명사형은 ‘갊’이 된다.

    ③ ‘ 이- ’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같이 굳이 길이 높이 많이 실없이 좋이 짓궂이, , , , , , ,

    ④ ‘ 히- ’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밝히 익히 작히, ,

    ⑤ 어간에 ‘ 이- ’나 ‘ 음- ’이 붙어서 명사로 바뀐 것이라도 그 어간의 뜻과 멀어진 것은 원형을 밝히어적지아니한다.

    국어에서 명사형이나 파생 명사를 만들기 위해서 어미나 접사로① ‘-ㅁ’과 ‘ 음- ’을 용언에 덧붙인다.‘-ㅁ’은 모음으로 끝나는 용언 어간에 결합되며 ‘ 음- ’은 자음으로 끝나는 용언 어간에 결합된다.그런데 ‘ㄹ’을 말음으로 가진 용언의 경우에는 ‘ㄹ’의 독특한 특성 때문에 ‘ 음- ’이 아닌 ‘-ㅁ’이결합된다 따라서 파생 명사나 명사형의 받침은. ‘ㄻ’이 된다.가령 ‘날 만들 살 갈-[ -], -[ -], -[ -], -[ -]飛 造 生 磨 ’등과같이받침이 ‘ㄹ’인경우명사형이나파생명사는 각각 ‘낢 만듦 삶 갊, , , ’이 된다.그러나 역사적인 이유 등으로 ‘졸다 얼다 울다, [ ],凍 ’ 등은 파생 명사는 명사 파생 접사 ‘ 음- ’이와서 ‘졸음 얼음 울음, , ’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단어 역시 명사형을 만들 때는 명사형 어.미는 ‘-ㅁ’이 와서 ‘졺 얾 욺, , ’이 된다.

    파생 명사 철수는 슬픈 영화를 보고:∙ 울음을 울었다.명사형 철수는 슬픈 영화를 보고 많이:∙ 울음 욺(x) ( ) → ○

    철수가 울음은 허리가 아프기 때문이다 욺.(x) ( ) → ○명사형 어미에는② ‘ 으 기-( ) , -ㅁ ’가 있고, ‘ 슴- ’의 형태는 없다 따라서. ‘없다 있다 갔다, , ’를 명사형으로 만들 때 어간, ‘없 있 갔-, -, -’에 명사형 전성 어미 ‘ 음- ’을 결합하면 ‘없음 있음 갔음, , ’이된다 이를. ‘없슴 있슴 갔슴, , ’으로 쓰는 것은 잘못이다.

  • 올바른 국어 생활[ ] 국어정재영 교수굽도리 방 안 벽의 밑 부분 방 안 벽의 아랫도리에 바르는 종이 다리 목거리 목병 무녀리 코끼리 거름 비료( , ), [ ], ( ), , , ( ),髢고름 노름 도박[ ], ( )膿

    ⑥ 어간에 ‘ 이- ’나 ‘ 음- ’ 이외의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다른 품사로 바뀐 것은 그 어간의원형을밝히어적지아니한다.․명사로바뀐것㉠귀머거리 까마귀 너머 뜨더귀 조각조각으로 뜯어내거나 가리가리 찢어 내는 짓 또는 그 조각 마감 마개 마, , , ( , ), , ,

    중 무덤 비렁뱅이 쓰레기 올가미 주검, , , , ,

    부사로바뀐것㉡거뭇거뭇 너무 도로 뜨덤뜨덤 바투 두 대상이나 물체의 사이가 썩 가깝게 불긋불긋 비로소 비로서 오긋오, , , , ( ), , ( ×),

    긋 자주 차마, ,

    조사로바뀌어뜻이달라진것㉢나마 부터 조차, ,

    (7) 명사뒤에 ‘ 이- ’가붙어서된말은그명사의원형을밝히어적는다.부사로 된 것①곳곳이 낱낱이 몫몫이 샅샅이 앞앞이 집집이, , , , ,

    명사로 된 것②곰배팔이 바둑이 삼발이 애꾸눈이 육손이 절뚝발이 절름발이, , , , , /

    ③ ‘-이’ 이외의모음으로시작된접미사가붙어서된말은그명사의원형을밝히어적지아니한다.꼬락서니 끄트머리 모가치 몫으로 돌아오는 물건 바가지 바깥 사타구니 싸라기 이파리 지붕 지푸라기 짜개, , ( ), , , , , , , ,

    (8) 명사나 혹은 용언의 어간 뒤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은 그 명사나 어간의 원형을밝히어적는다.명사 뒤에 자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된 것①값지다 홑지다 복잡하지 아니하고 단순하다 또는 성격이 옹졸한 데가 있다 넋두리 넉두리 빛깔 옆댕이, ( . .), ( ×), , (‘옆’을 속되게 이르는 말 잎사귀 잎새), ( ×)

    어간 뒤에 자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된 것②낚시 늙정이, (‘늙은이’를 속되게 이르는 말 뜯게질 뜯개질 갉작갉작하다 갉작거리다 뜯적거리다 뜯적뜯적하다 손), ( ×), , , , (톱이나 칼끝 따위로 자꾸 뜯거나 진집을 내는 모양 또는 괜히 트집을 잡아 짓궂게 자꾸 건드리는 모양 굵다랗다 굵, ), ,

    직하다 넓적하다 널쩍하다 높다랗다 늙수그레하다 늙그수레하다 얽죽얽죽하다 깊숙하다, ( ×), , ( ×), ,

    겹받침의 끝소리가 드러나지 않는 것은 소리대로 적는다.③할짝거리다 널따랗다 넓다랗다 널찍하다 넓직하다 말끔하다 말쑥하다 말짱하다 실쭉하다 실큼하다 얄따랗다, ( ×), ( ×), , , , , ,

    얇다랗다 얄팍하다 짤따랗다 짧다랗다 짤막하다 실컷( ×), , ( ×), ,

    어원이 분명하지 않거나 본뜻에서 멀어진 것은 소리대로 적는다.④넙치 올무 골막하다 담긴 것이 가득 차지 아니하고 조금 모자란 듯하다 납작하다, , ( ),

    용언의 어간에 다음과 같은 접미사들이 붙어서 이루어진 말들은 그 어간을 밝히어 적는다(9) .① ‘ 기 리 이 히 구 우 추 으키 이키 애- -, - -, - -, - -, - -, - -, - -, - -, - -, - -’가붙는것

    맡기다 옮기다 웃기다 쫓기다 뚫리다 울리다 낚이다 쌓이다 핥이다 굳히다 굽히다 넓히다 앉히다 얽히다 잡, , , , , , , , , , , , , ,

    히다 돋구다 솟구다 돋우다 갖추다 곧추다, , , , ,

    다만,② ‘ 이 히 우- -, - -, - -’가붙어서된말이라도본뜻에서멀어진것은소리대로적는다.도리다 칼로 드리다 용돈을 고치다 바치다 세금을 부치다 편지를 거두다 미루다 이루다( ), ( ), , ( ), ( ), , ,~ ~ ~ ~

  • 올바른 국어 생활[ ] 국어정재영 교수③ ‘ 치 뜨리 트리- -, - -, - -’가붙는것

    놓치다 덮치다 떠받치다 받치다 밭치다 부딪치다 뻗치다 엎치다 부딪뜨리다 부딪트리다 쏟뜨리다 쏟트리다 젖뜨, , , , , , , , / , / ,

    리다 젖트리다 찢뜨리다 찢트리다 흩뜨리다 흩트리다/ , / , /

    ④ ‘ 업 읍 브- -, - -, - -’가붙어서된말은소리대로적는다.미덥다 우습다 미쁘다, ,

    (10) ‘ 하다- ’, ‘ 거리다- ’가붙은어근에 ‘ 이- ’가붙어서명사가된것은그원형을밝히어적는다.깔쭉이 깔쭈기 살살이 살사리 꿀꿀이 꿀꾸리 쌕쌕이 쌕쌔기 눈깜짝이 눈깜짜기 오뚝이 오뚜기 더펄이 더( ×), ( ×), ( ×), ( ×), ( ×), ( ×), (

    퍼리 성미가 침착하지 못하고 덜렁대는 사람 성미가 스스럼이 없고 붙임성이 있어 꽁하지 않은 사람 코납작이 코납자×, . ), (

    기 배불뚝이 배불뚜기 푸석이 푸서기 삐죽이 삐주기 홀쭉이 홀쭈기×), ( ×), ( ×), ( ×), ( ×)

    ‘ 하다- ’나 ‘ 거리다- ’가 붙을 수 없는 어근에 ‘ 이- ’나 또는 다른 모음으로 시작되는 접미사가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그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개구리 귀뚜라미 기러기 깍두기 꽹과리 날라리 누더기 동그라미 두드러기 딱따구리 매미 부스러기 뻐꾸기 뻐, , , , , , , , , , , , (

    꾹이 얼루기 얼룩이 칼싹두기×), ( ×),

    ‘부스러기’는 ‘부스럭거리다’란 말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형을 밝혀 적어 ‘부스럭이’라고 표기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의문이 있을 수 있지만 이 때, ‘부스러기’는 ‘부스러지다부스러뜨리다/ ’에서 파생된 말로 ‘부스럭거리다’에서 온 말이 아니다.

    (11) ‘ 하다- ’가붙은어근에 ‘ 히- ’나 ‘ 이- ’가붙어서부사가되거나 부사에, ‘ 이- ’가붙어서뜻을더하는경우에는 그어근이나부사의원형을밝히어적는다, .① ‘ 하다- ’가붙는어근에 ‘ 히- ’나 ‘ 이- ’가붙는경우

    꾸준히 도저히 깨끗이 어렴풋이, , ,

    부사에② ‘ 이- ’가붙어서역시부사가되는경우곰곰이 더욱이 더우기 생긋이 오뚝이 오뚜기 일찍이 일찌기 해죽이, ( ×), , ( ×), ( ×),

    (12) 둘이상의단어가어울리거나접두사가붙어서이루어진말은각각그원형을밝히어적는다.국말이 꺾꽂이 싫증 실증 생긋이 받내다 벋놓다 새파랗다 샛노랗다 시꺼멓다 싯누렇다 엇나가다 엎누르다 엿듣, , ( ×), , , , , , , , , ,

    다 옻오르다 짓이기다 헛되다, , ,

    어원은분명하나소리만특이하게변한것은변한대로적는다.①할아버지 할아범/

    어원이분명하지아니한것은원형을밝히어적지아니한다.②골병 골탕 며칠 몇일 아재비 부리나케 업신여기다, , ( ×), , ,

    ③ ‘이[ , ]齒 蝨 ’가합성어나이에준하는말에 ‘니’로소리날때는 ‘니’로적는다.간니 덧니 사랑니 송곳니 앞니 어금니 윗니 웃니 젖니 톱니 틀니 가랑니 머릿니, , , , , , ( ×), , , , ,

    (13) 끝소리가 ‘ㄹ’인말과딴말이어울릴적에 ‘ㄹ’ 소리가나지아니하는것은아니나는대로적는다 즉.

    새-시-

    양성모음앞 빛깔이짙고산뜻함.된소리나거센소리( , ‘ㅎ’ 앞)

    새빨갛다 새파랗다 새하얗다, ,음성모음앞 시뻘겋다 시퍼렇다 시허옇다, ,

    샛-싯-

    양성모음앞 빛깔이짙고산뜻함.유성음앞( )

    샛노랗다 샛말갛다,음성모음앞 싯누렇다 싯멀겋다,

  • 올바른 국어 생활[ ] 국어정재영 교수다음과같은단어는 ‘ㄴ’, ‘ㄷ’, ‘ㅅ’, ‘ㅈ’ 앞에서 ‘ㄹ’이탈락하며, ‘불( )不 ’은 ‘ㄷ’, ‘ㅈ’ 앞에서 ‘ㄹ’이탈락하여 ‘부’로표기한다.나날이 따님 마소 마되 무자위 바느질 부나비 부나방 부삽 불삽 부손 소나무 싸전 여닫이 우짖다 부주의, , , , , , , , ( ×), , , , , , (不注

    부동), ( )意 不動

    표준국어대사전 에서는< >∙ ‘불나비 불나방, ’도 표준어로 인정한다.용언의 어간∙ ‘ㄹ’은 어미 ‘ 오, , , ,ㄴ ㅅ ㅂ ㄹ’ 앞에서 반드시 탈락하지만 어근과 어근 어근과 접사 사이에서, , ‘ㄹ’은‘ , , ,ㄴ ㄷ ㅅ ㅈ’ 앞에서 탈락될 수 있으나 ‘달나라’처럼 탈락되지 않는 단어도 있다.

    (14) 끝소리가 ‘ㄹ’인말과딴말이어울릴적에 ‘ㄷ’ 소리로나는것은 ‘ㄷ’으로적는다.반짇고리 바느질 고리 섣달 설 달 이튿날 이틀 날 사흗날 사흘 날 나흗날 나흘 날 숟가락 술 가락 섣부르다 설 부( + ), ( + ), ( + ), ( + ), ( + ), ( + ), ( +

    르다 잗다듬다 잘 다듬다 잗다랗다 잘 다랗다 잗주름 잘 주름 푿소 풀 소 여름에 생풀만 먹고 사는 소), ( + ), ( + ), ( + ), ( + , )

    합성어를 이룰 때① ‘ㄹ’이 ‘ㄷ’으로 교체되는 현상을 ‘호전 현상’이라고 한다.사흘 날 사흗날 술 가락 숟가락 설 달 섣달 바느질 고리 반짇고리+ , + , + , +∙ > > > >

    ② ‘숟가락’은 ‘술’과 ‘가락’의 합성 과정에서 호전 현상이 일어난 표기이지만, ‘저’와 ‘가락’이 결합할 때에는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서 사이시옷을 표기한 ‘젓가락’이 맞는 표기이다.

    ③ ‘잗주름’은 ‘옷 따위에 잡은 잔주름’이고, ‘잔주름’은 ‘잘게 잡힌 주름’으로 사람이나 동물 옷 등에 두루 쓸 수 있는 말이다, .(15) 사이시옷은다음과같은경우에받치어적는다.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①뒷말의첫소리가된소리로나는것㉠귓밥 나뭇가지 쇳조각 나룻배 냇가 댓가지 맷돌 머릿기름 못자리 바닷가 뱃길 부싯돌 잇자국 잿더미 찻, , , , , , , , , , , , , ,

    집 핏대 햇볕, ,

    뒷말의첫소리㉡ ‘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덧나는것고갯마루 냇물 깻묵 멧나물 아랫니 아랫마을 텃마당 뒷머리 잇몸 빗물, , , , , , , , ,

    뒷말의첫소리모음앞에서㉢ ‘ㄴㄴ’ 소리가덧나는것도리깻열 뒷윷 두렛일 뒷입맛 깻잎 나뭇잎 댓잎, , , , , ,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②뒷말의첫소리가된소리로나는것㉠

    귓병 기댓값 대푯값 머릿방 안방 뒤에 딸린 방 사잣밥 샛강 아랫방(- ), ( -), ( -), (-- , ), ( -), (- ), (-病 期待 代表 房 死者 江

    자릿세 찻잔 탯줄 텃세 핏기 햇수 횟가루 횟배), (- ), (- ), ( -), (- ), (- ), (- ), ( -), ( -)房 貰 盞 胎 勢 氣 數 灰 蛔

    뒷말의첫소리㉡ ‘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덧나는것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 ( -), ( -), ( --)契 祭祀 後 退

    뒷말의첫소리모음앞에서㉢ ‘ㄴㄴ’ 소리가덧나는것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뒷일( -), ( -), ( -), ( -, )加外 私私 例事 後

    ‘후일( )後日 ’은 ‘뒷날’의 뜻이고, ‘훗일( -)後 ’은 ‘뒤에 생기거나 일어날 일’의 뜻이다.

    보충 학습사이시옷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뒷말이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시작되는 경우는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사이시①옷을 붙이지 않는다.위층 윗층 나루터 나룻터 뒤뜰 뒷뜰( ×), ( ×), ( ×)

  • 올바른 국어 생활[ ] 국어정재영 교수

    예제

    사이시옷은 합성어로 인정되는 것들 중에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는 말들에 한해서 적을 수②있다. ‘성묫길’, ‘휴갓길’이라는 단어가 표준국어대사전에 합성어로 실려 있지 않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이들은 각각 ‘성묘 길’, ‘휴가 길’로 써야 한다.앞 어근이 받침을 가졌을 때에는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났더라도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는다.③논길 논낄 등불 등뿔[ ], [ ]

    한자어에서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다.④대가 댓가 대구법 댓구법 마구간 마굿간 수라간 수랏간( , ×), ( , ×), ( , ×), ( , ×),代價 對句法 馬廐間 水剌間

    전세방 전셋방 초점 촛점 화병 홧병( , ×), ( , ×), ( , ×)傳貰房 焦點 火病

    다음과 같은 단어는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을 표기한다.⑤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 ( ), ( ), ( ), ( ), ( )庫間 貰房 數字 車間 退間 回數

    외래어 다음에는 사이시옷을 적지 아니한다.⑥피자집 핑크빛,

    ⑦ ‘새 주소 부여 사업’의 하나로 새로 명명하고 있는 도로명 고유명사 ‘ 길○○ ’에는 사이시옷을받쳐 적지 아니한다.개나리길 경찰서길 곰달래길 여고길 은행나무길, , , ,○○

    사이시옷 표기와 관련된 정리▂① ‘말[ ]言 ’과 결합된 합성어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는 단어 공대말: (㉠ 꼬리말 나라말 머리말 반대말-), , , , ( -),恭待 反對소개말 예사말 우리말 인사말 장사말 토박이말( -), ( -), , ( -), ( -), (紹介 例事 人事 葬事 土

    풀이말 흉내말----), ,사이시옷을 표기하는 단어 귀엣말 귀엔말 귓속말 귀쏭말: [ ], [ /㉡ 귇쏭말 노랫말 노랜말 뒷말], [ ],뒨말 본딧말 본딘말 시쳇말 시첸말[ ], ( --)[ ], ( -)[本 時體 그 시대에 유행하는 말]( ) 우스갯말,우스갠말 웃음엣말 우스멘말 이젯말 이젠말 존댓말 존댄말 치렛말 치렌말[ ], [ ], [ ], ( -)[ ], [ ],尊待혼삿말 혼산말 혼잣말 혼잔말( -)[ ], [ ]婚事

    ② ‘일’과 결합된 합성어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는 단어 나무일 농사일 후일: , ( -), ( )農事 後日㉠사이시옷을 표기하는단어 가욋일 가왼닐 곗일 곈닐 나랏일 나란닐 두렛일: ( -)[ ], ( -)[ ], [ ],加外 契㉡두렌닐 뒷일 뒨닐 뱃일 밴닐 부좃일 부존닐 사삿일 사산닐 예삿일[ ], [ ], [ ], ( -)[ ], ( -)[ ], (扶助 私私 例事예산닐 좀쳇일 좀첸닐 햇일 핸닐 허드렛일 허드렌닐 훗일 훈닐-)[ ], [ ], [ ], [ ], ( -)[ ]後

    다음 중 사이시옷의 용법이 맞는 말을 고르라.백지장 백짓장,① 하교길 하굣길,②아래집 아랫집,③ 개수 갯수,④동지달 동짓달,⑤ 뒤일 뒷일,⑥뒤풀이 뒷풀이,⑦ 양치물 양칫물,⑧처가집 처갓집,⑨ 처가댁 처갓댁,⑩도움말 백지장 백찌짱 한자어 사이에서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아니한다( )[ ] : .白紙張①

    하굣길 하교낄하굗낄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난다( -)[ / ] : .下校②아랫집 아래찝아랟찝 고유어 사이에서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난다[ / ] : .③개수 개쑤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지만 한자어 사이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적지 아니한다( )[ ] : .個數④동짓달 동지딸동짇딸( -)[ / ] :冬至⑤ ‘한자어 고유어+ ’ 사이에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났다.

  • 올바른 국어 생활[ ] 국어정재영 교수

    예제

    뒷일 뒨닐 모음 앞에서[ ] :⑥ ‘ㄴㄴ’소리가 덧나는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난다.뒤풀이 뒤푸리 거센소리 앞에서는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는다[ ] : .⑦양칫물 양친물( -)[ ] :養齒⑧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난다.처갓집 처가찝처갇찝( -)[ / ] :妻家⑨ ‘한자어 고유어+ ’ 사이에서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난다.처가댁 처가땍 한자어 사이에서는 사이시옷을 적지 아니한다( )[ ] : .妻家宅⑩

    다음 중 ‘사이시옷’의 사용이 잘못된 것은? ‣ 년 국가직2004조갯살 베갯잇,① 전셋집 나뭇잎,②제삿날 툇마루,③ 횟수 댓가( ), ( )回數 代價④도움말 ‘대가( )代價 ’는 발음상 대까 로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지만 한자어 사이이므로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는다[ ] .

    답 답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