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393
Contents 제 1제 제제제제제 제제제제제제제 제제제 제제 1 제 1제 제제제제제 SI제제 제제제 제제제 제제제제 2 제 1제 제제제제제 SI제제 제제제제 제제제 제제 2 제 2제 SI 제제 제제 제제 3 1. SI 제제제 제제제 제제 제제 2. 제제제제제 제제 2-1 제제제제 제제제제제 제제제제 2-2 제제 제제제제 2-3 제제제 제제 제제제제 제제제 3. SI 제제제 제제제제 제제 4. 제제제제 제제제 제제 3 5 7 8 제 2제 제제제제제 4제제 제제제제제 제제제제 제제 9 제 1제 제제 SI 제제제 제제제제제 제제 제제제 제제 SI 제제 제제 9 제 2제 제제제제제 4제제제 제제제제제 제제제제 제제 10 1. 제제제 1-1 제제제제 1-2 제제 1-3 제제 1-4 제제 1-5 제제제제 제제 2. 제제제제제 2-1. 제제제제 2-2. 제제 2-3 제제 2-4 제제 2-5 제제제제 제제 3. 제제 3-1 제제제제 3-2 제제 3-3 제제 3-4 제제 3-5 제제제제 제제 4. 제제제제제 4-1. 제제제제 4-2. 제제 4-3 제제 4-4 제제 4-5 제제제제 제제 11 19 29 39 제 2제 제제제 제제제제제제 제 SI 제제제제 48

Transcript of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Page 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Contents

제 1편 동남아시아 정보통신산업과 한국의 진출 1제 1장 동남아시아 SI산업 현황과 한국의 진출기회 2제 1절 동남아시아 SI산업 현황조사 배경과 목적 2제 2절 SI 산업 조사 범위 3

1. SI 산업의 정의와 분석 영역2. 조사방법과 대상

2-1 중앙정부 행정기관과 행정수도2-2 일반 공공부문2-3 공기업 혹은 민영화된 공기업

3. SI 산업의 사례조사 내용4. 연구조사 내용의 구성

35

78

제 2장 동남아시아 4개국 지역환경과 한국과의 관계 9제 1절 한국 SI 산업의 동남아시아 지역 진출과 지역 SI 산업 환경 9제 2절 동남아시아 4개국의 일반환경과 한국과의 관계 10

1. 베트남1-1 일반사항1-2 정치1-3 경제1-4 산업1-5 한국과의 관계

2. 인도네시아2-1. 일반사항2-2. 정치2-3 경제2-4 산업2-5 한국과의 관계

3. 태국3-1 일반사항3-2 정치3-3 경제3-4 산업3-5 한국과의 관계

4. 말레이지아4-1. 일반사항4-2. 정치4-3 경제4-4 산업4-5 한국과의 관계

11

19

29

39

제 2편 베트남 정보통신산업 및 SI 산업현황 48제 1장 정보통신산업 관련 국가정책과 환경 49제 1절 정보통신산업의 개발정책과 법적제도 49

Page 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 정보통신산업의 개발정책 현황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58

1. 정부의 정보화 추진 관련 위원회1-1. 정보통신 집행위원회(IT Steering Committee)1-2. 베트남 우편통신국(Department General of Post and

Telecommunications) 과 우편통신공사 (Vietnam Post and Telecommunications Corporation)

2. 정보통신산업 기술후원 기관3. 정보통신산업 협회4. 교육기관

58

59 60 61

제 2장 SI 산업 및 시장 동향 분석 62제 1절 정보통신산업 및 활용의 일반현황 62

1. 일반 현황2. 상세 현황

2-1. 베트남 통신산업 현황2-2. 베트남 인터넷산업 현황2-3. 베트남 정보통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산업 현황

62 64

제 2절 SI(System Integration: 시스템 통합)시장 현황 701. SI시장 규모2. SI 주요 기업들

2-1. 다국적기업2-2. 국내기업

70 72

제 3장 사례조사 - 공공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 77제 1절 중앙정부의 행정부문 77

1. 중앙정부 행정기관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 (Hardware)2-2. 기반 소프트웨어(Software)-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2-3. IT관련 연간 예산

77 78

제 2절 지방정부 행정부문 911. 행정수도 하노이市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중앙정부의 행정기관과의 정보화 연결관계 분석 2-2. 기반 하드웨어 (Hardware)2-3. 기반 소프트웨어(Software)-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2-4. IT관련 연간 예산

9191

제 3절 일반 공공부문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 철도조합) 1001.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 철도조합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2-2. 기반 소프트웨어 2-3. IT관련 연간 예산

100100

제 4절 공기업 혹 민영화된 공기업 부문(베트남 국립은행, 베트남 항공관리공단) 1121. 베트남 국립은행, 베트남 항공관리공단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 2-2. 기반 소프트웨어 - 오퍼레이팅 시스템

112112

| 2 |

Page 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3. IT관련 연간 예산

제 3편 인도네시아 정보통신산업 및 SI 산업 현황 123제 1장 정보통신 산업 관련 국가정책과 환경 124제 1절 정보통신 산업의 개발 정책과 법적 제도 124

1. 정보통신 산업의 개발 정책 현황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 제도

124129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131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34

1. 공공부문 정보화 관련 위원회 및 후원회1-1. 정부위원회1-2. 정보통신산업 발전기구

2. 정보통신 산업협회3. 정보통신 연구기관4. 정보통신 교육기관

134

136138139

제 2장 SI 산업 및 시장 동향 분석 – 사례연구 기준 141제 1절 정보통신산업 현황 141

1. 일반 현황2. 상세 현황

2-1. 인도네시아 통신산업 현황2-2. 인도네시아 인터넷 현황2-3. 인도네시아 정보통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산업 현황

141143

제 2절 SI (System Integration: 시스템 통합)시장 현황 1521. SI 시장 규모2. SI 주요 기업들

2-1. 다국적 기업2-2. 국내 기업

152153

제 3장 사례조사 - 공공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 164제 1절 중앙정부의 행정부문 164

1. 중앙정부 행정기관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 (Hardware) 2-2. 기반 소프트웨어 (Software) - 오퍼레이팅 시스템 (Operating

System)2-3. IT 관련 연간 예산

164165

제 2절 지방정부 행정부문 1771. 지방 정부 (행정수도: 자카르타) 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중앙정부의 행정기관과의 정보화 연결관계 분석 2-2. 기반 하드웨어 (Hardware)2-3. 기반 소프트웨어(Software) -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2-4. IT 관련 연간 예산

177177

제 3절 일반 공공부문 (전화국, 우체국, 철도청) 1841. 일반 공공부문 및 공기업 조직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 (Hardware) 2-2. 기반 소프트웨어 (Software) - 오퍼레이팅 시스템 (Operating

System) 2-3. IT관련 연간 예산

184185

| 3 |

Page 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4절 공기업 혹은 민영화된 공기업 (은행, 항공사) 195 1. 만디리 은행, 가루다 항공

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2-1. 기반 하드웨어 2-2. 기반 소프트웨어 - 오퍼레이팅 시스템 2-3. IT관련 연간 예산

195195

제 4편 태국 정보통신산업 및 SI 산업현황 206제 1장 정보통신산업 관련 국가정책과 환경 207제 1절 정보통신산업의 개발정책과 법적제도 207

1. 정보통신산업의 개발정책 현황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207211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213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15

1. 정부의 정보화 추진 관련 위원회2. 정보통신산업 기술후원 기관3. 정보통신산업 협회4. 정보통신산업 연구기관5. 교육기관

215216217218218218

제 2장 SI 산업 및 시장 동향 분석-사례연구 기준 220제 1절 정보통신산업 및 활용의 일반현황 220

1. 일반 현황2. 상세 현황

2-1. 태국 통신산업 현황2-2. 태국 인터넷 현황2-3. 태국 정보통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산업 현황

220222

제 2절 SI 시장 현황 2311. SI 시장 규모2. SI 주요 기업들

2-1. 주요 외국기업 및 공급자2-2. 주요 현지기업 및 공급자

231232

제 3장 사례조사 - 공공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 235제 1절 정부의 행정부문 (중앙정부, 행정수도) 235

1. 중앙정부 행정기관 1-1 중앙정부 행정기관의 조직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 (Hardware)2-2. 기반 소프트웨어(Software)-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2-3. IT관련 연간 예산

235

235

제 2절 지방정부 행정부문 2471. 방콕 광역직할시 (태국의 행정수도)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중앙정부의 행정기관과의 정보화 연결관계 분석 2-2. 기반 하드웨어 (Hardware)2-3. 기반 소프트웨어(Software)-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2-4. IT관련 연간 예산

247247

| 4 |

Page 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3절 일반 공공부문 (우편전신국, 통신청, 철도청) 2531. 일반 공공부문(우편전신국, 통신청, 철도청)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2-2. 기반 소프트웨어(Software)-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2-3. IT 관련 연간 예산

254254

제 4절 공기업 혹은 민영화된 공기업 부문(타이 은행, 타이항공사) 2651. 타이 은행, 타이항공사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2-2. 기반 소프트웨어 - 오퍼레이팅 시스템 2-3. IT 관련 연간 예산

265266

제 5편 말레이지아 정보통신산업 및 SI 산업현황 277제 1장 정보통신산업 관련 국가정책과 환경 278제 1절 정보통신산업의 개발정책과 법적제도 278

1. 정보통신산업의 개발정책 현황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278283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2861. 멀티미디어 초 전용로(MSC) 입주회사에 대한 특별 혜택2. 연구개발단지 육성3. 하이테크 및 정보통신기술 회사들에 대한 기금지원4. 밴쳐캐피탈 기업의 성장 촉진과 정보통신기술 산업 기금지원5. 멀티미디어 환경 조성을 위한 멀티미디어 초 전용로내의 5개

사이버도시 개발6. 관련 중소규모 산업개발7. 국내 기업의 외국소재 외국기업에 대한 지원8. 다국적기업의 본사유치

286287287287287287

288288288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891. 정부의 정보화 추진 관련 위원회

1-1 국가 정보기술 위원회1-2 국가 정보기술 위원회 전략 아젠다 (NITC Strategic Agenda)

2. 정보통신산업 후원 기관 2-1 멀티미디어 개발사3. SI 산업관련 연구기관 및 후원기관 현황과 활동

3-1 정보통신 산업활동 3-2 정보통신 산업 연구기관

3-3 교육기관

289

291

291

제 2장 SI 산업 및 시장 동향 분석-사례연구 기준 294제 1절 정보통신산업 및 활용의 일반현황 294

1. 일반 현황2. 상세 현황

2-1. 말레이지아 정보통신기술산업 개관2002/20032-2. 말레이지아 통신산업 현황2-3. 말레이지아 인터넷 산업현황

2-4 말레이지아 정보통신 하드웨어 및 소프트 웨어 산업현황

294296

제 2절 SI 시장 현황 307

| 5 |

Page 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 SI 시장 규모2. SI 주요 기업들

2-1. 주요 외국기업 및 공급자2-2. 주요 현지기업 및 공급자

307309

제 3장 사례조사 - 공공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 316제 1절 정부의 행정부문 316

1. 중앙정부 행정기관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 (Hardware)2-2. 기반 소프트웨어(Software)-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2-3. IT 관련 연간 예산

316317

제 2절 지방정부 행정부문 3271. 쿠알라룸프르 광역직할시 (말레이지아의 행정수도)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중앙정부의 행정기관과의 정보화 연결관계 분석 2-2. 기반 하드웨어 (Hardware)2-3. 기반 소프트웨어(Software)-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2-4. IT 관련 연간 예산

327327

제 3절 일반 공공부문 (텔레콤, 전력청, 철도청) 3331. 텔레콤, 전력청, 철도청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2-2. 기반 소프트웨어(Software)-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2-3. IT 관련 연간 예산

333334

제 4절공기업 혹은 민영화된 공기업 부문(말레이지아 중앙은행, 말레이지아 항공사)

344

1. 말레이지아 중앙은행, 말레이지아 항공사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2-2. 기반 소프트웨어 - 오퍼레이팅 시스템 2-3. IT 관련 연간 예산

345345

제 6편 동남아시아 SI 산업과 한국기업의 진출기회 356제 1장 동남아시아 정보통신산업 환경 357제 1절 동남아시아 정보통신산업 시장의 확대 357제 2절 동남아의 정보통신산업 부문별 현황 359

1. 하드웨어 부문2. 소프트웨어 산업부문3. IT 서비스 부문4. 정보통신 산업 부문5. 전자 상거래부문

360360361362364

제 3절 정보통신산업 국가 정책과 제도 3671. 정보통신 법규2. 인터넷 사업자에 대한 법규3. 전자상거래에 대한 법규

368

370371

| 6 |

Page 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4절 정보통신산업의 지역 내 해외직접투자 현황과 제도 371제 2장 동남아시아 SI시장의 공공부문 시장 비교분석과 시장기회 376제 1절 동남아시아 SI시장의 국가환경 및 공공부문의 SI기반과 활용수준 비교 376

1. 동남아시아 정보통신산업 환경 비교2. 동남아시아 정부기관 및 공공부문의 SI 기술활용수준 비교 분석

2-1. 중앙 정부2-2. 지방 정부 2-3. 일반 공공부문2-4. 금융 및 항공산업 부문2-5 정부기관 및 일반 공공부문의 전체 비교

376380

제 2절 동남아시아 공공부문 SI 시장의 시장 기회분석 3851. 베트남

1-1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현황과 시장기회 분석

1-2 지방정부의 행정부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현황과 시장기회 분석

1-3 일반 공공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현황과 시장기회 분석

1-4 공기업 혹은 민영화된 공기업 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기반 현황과 시장기회 분석

1-5 베트남 공공부문 별 시장기회 종합2. 인도네시아

2-1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현황과 시장기회 분석

2-2 지방정부의 행정부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현황과 시장기회 분석

2-3 일반 공공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현황과 시장기회 분석

2-4 공기업 혹은 민영화된 공기업 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현황과 시장기회 분석

2-5 인도네시아 공공부문 별 시장기회 종합3. 태국3-1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현황과

시장기회 분석3-2 지방정부의 행정부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현황과

시장기회 분석3-3 일반 공공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현황과 시장기회

분석3-4 공기업 혹은 민영화된 공기업 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현황과 시장기회 분석3-5 태국 공공부문 별 시장기회 종합

4. 말레이지아4-1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현황과 시장기회

분석4-2 지방정부의 행정부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현황과 시장기회

분석4-3 일반 공공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현황과 시장기회

분석4-4 공기업 혹은 민영화된 공기업 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현황과 시장기회 분석4-5 말레이지아 공공부문 별 시장기회 종합

385

398

406

416

제 3장 맺음말 425

| 7 |

Page 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8 |

Page 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목차

표 1-1 SI 산업 활동의 부문별 범위 4표 1-2 SI 사례조사 구분과 내용 8

표 2-1베트남 전자통신기술 개발기업의 (Vietnam Electronics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ELCOM) 일반현황

60

표 2-2 베트남 소프트웨어 협회(Viet Nam Software Association: VINASA)의 일반현황

61

표 2-3 베트남 정보통신 기반 일반 현황 (2000년 9월 현재) 63

표 2-4 베트남 주요 소프트웨어기업(SI기업 포함)의 일반현황 (2002. 11.) 70

표 2-5 베트남 SI 시장의 성장추정, 2000년-2002년 (2002. 11.) 71

표 2-6 베트남 전산화 활용수준 각 부문별 (2002. 11.) 72표 2-7 베트남 SI산업의 컨설팅 부문의 주요회사 현황일반 (2002. 11.) 74

표 2-8베트남 SI산업의 소프트웨어 공급 부문의 주요회사 현황일반 (2002. 11.)

75

표 2-9 베트남 SI산업의 교육 및 설치 부문의 주요회사 현황일반 (2002. 11.) 76

표 2-10 베트남 SI산업의 보수 및 유지 부문의 주요회사 현황일반 (2002. 11.) 76

표 2-11 베트남 중앙정부의 표본조사 행정부처명과 인원 현황 (2002. 11.) 77

표 2-12 베트남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하는 서버유형 비교 (2002. 11.) 80

표 2-13 베트남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82

표 2-14 베트남 중앙 행정부처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83

표 2-15 베트남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2002. 11.)

84

표 2-16 베트남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의 워크스테이션 보급 및 활용률 현황 비교(2002. 11.)

85

표 2-17 베트남 중앙 행정부처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2002. 11.)

86

표 2-18 베트남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2002. 11.)

87

표 2-19 베트남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 유형 비교(2002. 11.)

88

표 2-20 베트남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89

표 2-21 베트남 중앙 행정부처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2002년 11월 현재)

90

표 2-22 베트남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예산의 부문별 현황 비교(2002. 11.)

91

표 2-23 하노이 시정부와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의 전산 연결망의 유형 현황(2002. 11.)

92

표 2-24 하노이 시정부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유형 (2002. 11.) 93표 2-25 하노이 시정부에서 사용하는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유형 (2002. 11.) 94

| 9 |

Page 1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2-26 하노이 시정부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2002. 11.) 95표 2-27 하노이 시정부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2002. 11.) 96

표 2-28 하노이 시정부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2002. 11.)

96

표 2-29 하노이 시정부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2002. 11.) 97표 2-30 하노이 시정부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2002. 11.) 98표 2-31 하노이 시정부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2002. 11.) 98표 2-32 하노이 시정부의 2002년 연간 전산화 예산의 부문별 현황 (2002. 11.) 99표 2-33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 및 철도조합의 인원현황 (2002. 11.) 100

표 2-34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유형 비교 (2002. 11.)

102

표 2-35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103

표 2-36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104

표 2-37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2002. 11.)

105

표 2-38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2002. 11.)

105

표 2-39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2002. 11.)

107

표 2-40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전산화 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 (2002. 11.)

107

표 2-41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108

표 2-42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109

표 2-43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2002. 11.)

110

표 2-44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의 부문별 현황 비교(2002. 11.)

111

표 2-45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 비교 (2002. 11.)

114

표 2-46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115

표 2-47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116

표 2-48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2002. 11.)

117

표 2-49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2002. 11.)

117

표 2-50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 (2002. 11.)

118

표 2-51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2002. 11.)

119

| 10 |

Page 1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2-52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120

표 2-53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120

표 2-54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2002. 11.)

121

표 2-55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의 부문별 현황 비교(2002. 11.)

122

표 3-1 인도네시아 국가정보시스템 (National Information System, SISFONAS) 계획의 주요 프로젝트 현황

126

표 3-2 인도네시아 국가정보시스템 (National Information System, SISFONAS)의 단계별 실행 계획

127

표 3-3인도네시아 정보통신산업 조정팀 (Tim Koordinasi Telematika Indonesia; Indonesian Telematika Coordination Team, TKTI)의 일반현황

135

표 3-4 인도네시아 정보통신 소프트웨어협회 (Indonesian Telematic Software Association, ASPILUKI)

137

표 3-5인도네시아 컴퓨터산업 경영자협회 (Asosiasi Pengusaha Komputer Indonesia; Indonesian Computer Entrepreneur Association, APKOMINDO) 일반현황

138

표 3-6반둥 공과대학의 극소전자연구소 (Inter University Research Centre on Microelectronics: IURCM, Bandung Institute of Technology: PAU ITB)

139

표 3-7 인도네시아 대학교의 컴퓨터공학과 (Faculty of Computer Science )의 일반 현황

140

표 3-8 인도네시아 정보통신 기반 일반 현황 (2000년 9월 현재) 143표 3-9 인도네시아 최대의 10대 ISP와 가입자 수 (2001. 5.) 146표 3-10 인도네시아의 도메인 유형에 따른 도메인 수 (2001. 3.) 147표 3-11 인도네시아 기업에 의한 현지개발 소프트웨어 패키지와 공급회사 현황 151표 3-12 인도네시아 전산화 활용수준 각 부문별 (2002. 11.) 153표 3-13 인도네시아 IT 기업 부문별 현황 (2002년) 154표 3-14 수입 소프트웨어의 현지화 정도 (2002. 11.) 158표 3-15 인도네시아 주요 SI 컨설팅 기업의 일반 현황 160표 3-16 인도네시아 주요 소프트웨어 패키지 개발 및 공급회사 일반 현황 162표 3-17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표본조사 행정부처 명과 인원 현황 (2002. 11.) 164표 3-18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서버유형 비교 (2002.

11.)166

표 3-19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168

표 3-20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169

표 3-21 인도네시아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170

표 3-22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의 워크스테이션 보급 및 활용률 현황 비교 (2002. 11.)

171

표 3-23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 (2002. 11.)

172

표 3-24인도네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 (2002. 11.)

173

표 3-25 인도네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 유형 비교 (2002. 11.)

174

| 11 |

Page 1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26 인도네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라이센스 현황 비교 (2002. 11.)

175

표 3-27 인도네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 (2002년 11월 현재)

175

표 3-28 인도네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예산의 부문별 현황 비교 (2002. 11.)

176

표 3-29 자카르타 시정부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유형 (2002. 11.) 178표 3-30 자카르타 시정부에서 사용하는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유형 (2002. 11.) 179표 3-31 자카르타 시정부의 행정부서의 모발 컴퓨팅 활용 현황 (2002. 11.) 179표 3-32 자카르타 시정부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2002. 11.) 180표 3-33 자카르타 시정부의 전산시스템의 주요 연결장치 현황(2002. 11.) 180표 3-34 자카르타 시정부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2002. 11.)181

표 3-35 자카르타 시정부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유형 (2002. 11.) 182표 3-36 자카르타 시정부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2002. 11.) 182표 3-37 자카르타 시정부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2002. 11.) 183표 3-38 자카르타 시정부의 2002년 연간 전산화 예산의 부문별 현황 (2002.

11.)183

표 3-39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 및 철도조합의 인원현황 (2002. 11.) 184표 3-40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유형 비교 (2002. 11.)186

표 3-41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188

표 3-42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189

표 3-43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189

표 3-44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 (2002. 11.)

190

표 3-45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 (2002. 11.)

191

표 3-46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 (2002. 11.)

192

표 3-47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 (2002. 11.)

192

표 3-48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 (2002. 11.)

193

표 3-49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 (2002. 11.)

194

표 3-50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의 부문별 현황 비교 (2002. 11.)

194

표 3-51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유형 비교 (2002. 11.)

197

표 3-52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198

표 3-53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모발 컴퓨팅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199

| 12 |

Page 1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4-26 방콕 시정부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유형 (2002. 11.) 252표 4-27 방콕 시정부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2002. 11.) 252표 4-28 방콕 시정부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2002. 11.) 253표 4-29 방콕 시정부의 2002년 연간 전산화 예산의 부문별 현황 (2002. 11.) 253표 4-30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인원현황 (2002. 11.) 254표 4-31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유형 비교

(2002. 11.)256

표 4-32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258

표 4-33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259

표 4-34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2002. 11.)

259

표 4-35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 (2002. 11.)

260

표 4-36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전산시스템의 주요 연결 장치 현황 비교(2002. 11.)

261

표 4-37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2002. 11.)

262

표 4-38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262

표 4-39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263

표 4-40 태국 우편전신국과 철도청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2002. 11.)

264

표 4-41 태국 우편전신국과 철도청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의 부문별 현황 비교(2002. 11.)

265

표 4-42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 비교 (2002. 11.)

267

표 4-43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269

표 4-44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269표 4-45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

(2002. 11.)270

표 4-46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2002. 11.)

270

표 4-47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2002. 11.)

272

표 4-48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2002. 11.)

272

표 4-49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273

표 4-50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2002. 11.)

275

표 4-51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의 부문별 현황 비교(2002. 11.)

275

표 5-1 말레이시아 정보통신 기반 일반 현황 (2000년 9월 현재) 296표 5-2 수입 소프트웨어의 현지화 정도(2002. 11.) 307표 5-3 말레이시아 IT산업과 SI 시장 추세, 1998-2002 307표 5-4 SI 시장 부문별 수요 분석 (2002) 308표 5-5 말레이시아 전산화 활용수준 각 부문별 (2002. 11.) 309표 5-6 말레이시아 시장의 주요 외국 다국적 SI 컨설팅 기업 (2002) 310표 5-7 말레이시아 시장의 주요 외국 다국적 패키지 소프트웨어 기업 (2002) 311표 5-8 말레이시아 시장의 주요 외국 다국적 교육 및 훈련 제공 기업 (2002) 312

| 13 |

표 3-54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199

표 3-55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 (2002. 11.)

200

표 3-56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 (2002. 11.)

201

표 3-57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 (2002. 11.)

202

표 3-58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 (2002. 11.)

203

표 3-59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 (2002. 11.)

203

표 3-60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 (2002. 11.)

204

표 3-61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의 부문별 현황 비교 (2002. 11.)

205

표 4-1 태국 정보통신 기반 일반 현황 (2000년 9월 현재) 221표 4-2 태국의 주요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nternet Service Provider)와 가입자수

(2001.2)224

표 4-3 태국의 IT제품별 시장수요전망, 2002-2003 227표 4-4 태국 소프트웨어 제품과 IT 서비스 시장 추세, 1998-2003 228표 4-5 태국기업의 현지개발 소프트웨어 패키지와 공급회사 현황 230표 4-6 태국 IT산업과 SI 시장 추세, 1999-2003 231표 4-7 태국 전산화 활용수준 각 부문별 (2002. 11.) 232표 4-8 태국 중앙정부의 표본조사 행정부처명과 인원 현황 (2002. 11.) 235표 4-9 태국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서버 유형 비교 (2002. 11.) 237표 4-10 태국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239

표 4-11 태국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240표 4-12 태국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

(2002. 11.)241

표 4-13 태국 중앙 정부의 행정 부처의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2002. 11.) 242표 4-14 태국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의 전산시스템의 주요 연결장치 현황 비교(2002.

11.)243

표 4-15 태국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2002. 11.)

244

표 4-16 태국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 유형 비교(2002. 11.)

245

표 4-17 태국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라이센스 현황 비교(2002. 11.)

245

표 4-18 태국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2002년 11월 현재)

246

표 4-19 태국 시정부와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 전산 연결망의 유형 현황 (2002.11.) 247

표 4-20 방콕시 정부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 (2002. 11.) 248표 4-21 방콕시 정부에서 사용하는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유형 (2002. 11.) 249표 4-22 방콕 시정부의 행정부서의 노트북 활용 현황 (2002. 11.) 249표 4-23 방콕 시정부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2002. 11.) 250표 4-24 방콕 시 정부의 전산 시스템의 주요 연결 장치 현황(2002. 11.) 251

표 4-25 방콕 시 정부의 전산화 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2002. 11.)

251

Page 1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5-9 말레이시아 시장의 주요 현지 다국적 패키지 소프트웨어 기업 (2002 313표 5-10 말레이시아 시장의 주요 현지 교육 및 훈련 제공 기업 (2002 315표 5-11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표본조사 행정부처 명과 인원 현황 (2002. 11.) 316표 5-12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서버유형 비교 (2002. 11.) 318표 5-13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320

표 5-14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321

표 5-15 말레이시아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2002. 11.)

322

표 5-16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의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2002. 11.)

323

표 5-17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2002. 11.)

324

표 5-18 말레이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2002. 11.)

325

표 5-19 말레이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 유형 비교(2002. 11.)

325

표 5-20 말레이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라이센스 현황 비교(2002. 11.)

326

표 5-21 말레이시아 시정부와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 전산 연결망의 유형 현황 (2002.11.)

328

표 5-22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유형 (2002. 11.) 329

표 5-23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에서 사용하는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유형 (2002. 11.)

329

표 5-24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행정부서의 노트북 활용 현황 (2002. 11.) 330

표 5-25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2002. 11.) 330

표 5-26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2002. 11.) 331

표 5-27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2002. 11.)

332

표 5-28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유형 (2002. 11.) 332

표 5-29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2002. 11.)

333

표 5-30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의 인원현황 (2002. 11.) 334

표 5-31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및 철도청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유형 비교 (2002. 11.)

335

표 5-32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337

표 5-33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및 철도청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337

표 5-34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및 철도청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2002. 11.)

338

표 5-35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및 철도청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 (2002. 11.)

339

표 5-36 말레이시아 전력청, 텔레콤및철도청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2002. 11.)

340

표 5-37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및 철도청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2002. 11.)

340

표 5-38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및 철도청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341

| 14 |

Page 1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5-39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및 철도청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342

표 5-40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2002. 11.)

343

표 5-41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의 부문별 현황 비교(2002. 11.)

344

표 5-42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유형 비교 (2002. 11.)

347

표 5-43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348

표 5-44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349

표 5-45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2002. 11.)

349

표 5-46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2002. 11.)

350

표 5-47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2002. 11.)

351

표 5-48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2002. 11.)

352

표 5-49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352

표 5-50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353

표 5-51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2002. 11.)

354

표 5-52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의 부문별 현황 비교(2002. 11.)

355

표 6-1 전자상거래 준비 치수 및 순위, 2002 364표 6-2 동남아시아 정부의 주요 정보통신산업 지원 계획 368표 6-3 동남아시아의 정보통신산업 주요법규 상황 369표 6-4 동남아 지역의 통신 및 기타 정보통신산업 부문의 외국인 소유 제한 374표 6-5 동남아시아의 정보통신 협약하의 정보통신 산업 관세 (기준2002. 단위: %) 375

표 6-6 베트남 각 공공부문의 SI 부문별 시장 기회 분석표 397표 6-7 인도네시아 각 공공부문의 SI 부문별 시장 기회 분석표 405표 6-8 태국 각 공공부문의 SI 부문별 시장 기회 분석표 414표 6-9 말레이시아 각 공공부문의 SI 부문별 시장 기회 분석표 423

| 15 |

Page 1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그림목차

그림 2-1 베트남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78

그림 2-2 베트남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보유 워크스테이션 숫자의 비교 (2002. 11.)

81

그림 2-3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101

그림 2-4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에서 사용되는 보유 워크스테이션 숫자의 비교 (2002. 11.)

103

그림 2-5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113

그림 2-6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보유 수 현황 비교 (2002. 11.)

115

그림 3-1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165

그림 3-2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보유 워크스테이션 숫자의 비교 (2002. 11.)

167

그림 3-3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185

그림 3-4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보유 워크스테이션 숫자의 비교 (2002. 11.)

187

그림 3-5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BM)과 가루다 항공(GI)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196

그림 3-6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보유 수 현황 비교 (2002. 11.)

198

그림 4-1 태국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236

그림 4-2 태국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보유 워크스테이션 숫자의 비교 (2002. 11.)

238

그림 4-3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255

그림 4-4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보유 워크스테이션 숫자의 비교 (2002. 11.)

257

그림 4-5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266

그림 4-6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보유 수 현황 비교 (2002. 11.)

268

그림 5-1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317

그림 5-2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보유 워크스테이션 숫자의 비교 (2002. 11.)

319

그림 5-3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334

그림 5-4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보유 워크스테이션 숫자의 비교 (2002. 11.)

336

그림 5-5 말레이시아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346

그림 5-6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보유 수 현황 비교 (2002. 11.)

348

그림 6-1 현재 교육훈련부의 중앙에 집중된 IT인프라 388그림 6-2 지역 및 기능별로 분리된 인프라 모델 389

| 16 |

Page 1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도표목차

도표 6-1 일인당 ICT 지출애과 GDP에 대비한 지출의 비율. (1995 및 2001, US$ 와 %)

358

도표 6-2 ICT총 지출 중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지출 비교 분석. (2001년, %) 359

도표 6-3 유선 및 무선 전화 보급현황. (1995년 및 2001년, 천 명당 전화 보급수) 365

도표 6-4 PC 및 인터넷 사용자 보급 현황, (1995년 및 2001년, 천 명당 보급수) 366

도표 6-5 해외직접투자 추이, 1997년 부터 2001년까지, 미국 백만 달러기준 372

도표 6-6 정부통신 산업 및 정부 환경 비교 377

도표 6-7 동남아시아 4개국 IT 활용 수준 비교 – 중앙정부 부문 380

도표 6-8 동남아시아 4개국 IT 활용 수준 비교 – 지방정부 부문 381

도표 6-9 동남아시아 4개국 IT 활용 수준 비교 – 일반 공공 부문 382

도표6-10 동남아시아 4개국 IT 활용 수준 비교 – 공기업 부문 383

도표6-11 동남아시아 4개국 IT 활용 수준 비교 – 통합 분석 384

동남아시아 정보통신산업과 한국의 진출

제 1장 - 동남아시아 SI산업 현황과 한국의 진출기회

제 2장 - 동남아시아 4개국 지역환경과 한국과의 관계

| 17 |

제1편

Page 1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18 |

Page 1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1장 - 동남아시아 SI산업 현황과 한국의 진출기회

제 1 절: 동남아시아 SI산업 현황조사 배경과 목적

1990년대 후반 한국은 기존의 한국의 대표적 산업인 제조업을 벗어나 지식 및 기술 집약적인 정보통신산업을 신전략산업으로

선택하여 집중 육성하여 연 30%이상 고도성장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현 한국경제의 구조조정과 더불어 국내시장의 한계, 신경제의

가치창출에 대한 불확실성 그리고 미국의 기술독점과 세계 시장지배력에 대한 종속 등으로 인해 지속 성장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산업의 여러 부문 중에서 가장 현재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문이 SI산업이다. 그 동안 한국의 SI산업은 1990년대

정부기관을 비롯한 공공부문 그리고 금융을 비롯한 일반 대기업 등 모든 부문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정보화 작업으로 인하여 고도

성장을 이룩하였다. 비록 초기 시장 진입에서 한국 SI기업은 기술적 우위를 가진 세계 다국적 SI기업의 도움을 받았지만 그 동안 정부

및 기업의 전략적인 지원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이제는 세계시장으로 나아갈 수 있는 충분한 기술과 관리의 역량을 보유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국 SI기업은 2000년대에 진입하면서 국내시장에서의 성장 한계에 직면하게 된다. 이는 그 동안 SI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기반이 되었던 대규모의 공공부문과 기업부문의 시장에 일차적으로 정보화 기반이 완성됨으로써 발생되는 구조적인 시장의

한계에 직면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내 시장을 기반으로 하는 더 이상의 기업성장은 당분간 큰 기대를 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의 하나로 한국 SI기업의 해외진출이 적극 추진되었다.

한국의 전통적인 제조업기술을 기반으로 한 정보통신산업의 하드웨어 부문은 어느 정도 해외진출에 성공하였으나, 지식 및 기술

집약을 바탕으로 한 SI부문의 해외진출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그 첫 번째 이유는 해외시장에서의 SI관련 한국기업의 인지도

부족이다. 이러한 인지도 부족 때문에 충분한 기술력과 관리능력을 갖춘 한국 SI기업일지라도 해외시장 진입에는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둘째, 세계 다국적 SI기업의 시장 지배력과 기술력 우위는 새롭게 시장진입을 시도하는 한국의 SI기업과 같은 신흥기업에게는

절대적인 시장의 벽으로 작용한다. 세번째 이유는 한국기업의 진출이 가능한 개발도상국의 독특한 SI산업의 시장 구조에 있다. 한국의

경우도 그러했지만, SI산업의 가장 큰 기반은 정부기관과 그 외 일반 공공부문이기에 이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영향력은 클 수 밖에

없다. 또한 개발도상국가의 각 정부는 본격적인 정보화 기술을 공공부문에 도입하면서 동시에 SI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성장시키려는 계획들을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과 달리 충분한 자체 재원과 기술역량을 갖추진 못한 개발도상국가들은

선진국의 재정지원과 함께 자금을 지원한 국가의 정치적 영향력으로 인해 다국적 SI기업의 진입을 허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여기에 개발도상국가는 이러한 구조적 시장환경에서 자국의 관련 산업을 전략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하여 각종 정책적 지원을 하게 된다. 이러한 시장의 정치적 구조는 본격적인 해외진출을 꾀하는 한국 SI기업에게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서는 이러한 한국 SI기업의 해외진출에 대한 국내 외의 구조적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 SI기업의 진출이

가장 용이한 환경을 가진 동남아시아의 개발도상국가 중 지역경제의 중심 축인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및 베트남의 SI산업에

대해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조사를 하였다. 이러한 지역연구를 통하여 한국 SI산업의 동 지역 진출에 관련한 한국의 관련 정책기관 및

기업의 정책 입안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한국 SI산업의 동 지역 진출을 적극 유도하여 한국 IT산업의 세계화를 통한 실질적

가치창출과 수익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제 2 절: SI산업 조사 범위

| 19 |

Page 2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 SI 산업의 정의와 분석 영역

시스템 통합(System Integration, 통칭 SI)산업은 산업을 보는 관점에 따라서 그 규모와 영역이 달라질 수 있다. 작은 의미의 SI는

단순히 각종 시스템을 기술적으로 통합하는 영역으로 주어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응용과 더불어 다양한 사용자들의 기기들과의

기술적 연결을 의미한다. 그러나 한국에서 통상 사용되는 SI산업은 이러한 범위를 벗어나 시스템 통합을 중심 축으로 이해하고 관련

모든 활동을 시스템 통합활동의 한 부분으로 해석한다. 이러한 관점에서의 SI산업 활동에 대한 정의는 1) 사용자의 환경과 요구에 따른

정보기술 및 정보화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고 2) 적절한 관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개발하며 3) 이의 사용을 위한 관련

담당 인력에게 기술을 습득하도록 교육 및 훈련을 시키고 또한 4) 관련 시설과 기능에 대한 보수 및 유지 혹은 개선을 관장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따른 자세한 사업활동 영역은 다음과 같다.

| 20 |

Page 2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1-1> SI산업 활동의 부문별 범위

부문 활동영역 주요활동

컨설팅 IT 컨설팅 사용자의 사업환경과 전략에 따른 정보화기술 및 시설과 운용현황의

전략제공

시스템 컨설팅 정보화기술 및 시설의 기본구조 전략제공

상황에 따른 시스템의 선택환경 전략제공

적응 가능한 기술과 기반 시스템 전략제공

시스템 감사 사용자를 위하여 도입된 정보화 기술 및 시설의 적절성과 효율성에 대한

분석 제공

관련 기술 및 시설 공급자에 의해 수행된 서비스영역에 대한 효과성 분석

시스템개발 네트워크 개발 설계된 시스템에 대하여 적절한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

하드웨어 공급 선택된 하드웨어와 시스템 기반시설에 대한 공급과 평가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소프트웨어 설계와 필요성 분석 그리고 개발

교육 및 훈련 기술 세미나

실무교육 및 사용자 훈련 등

보수 및 유지 설치된 시스템과 하드웨어의 기술적 보수 및 유지 혹은 이용시설에 대한

개선 작업

각 국가마다 응용하는 SI산업의 범위가 달라 정확한 관련 통계와 시장 조사가 나라마다 달라질 수가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컨설팅 부문만을 따로 영역을 만들어 IT서비스라고 통칭하는 보고서를 많이 접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말하는 IT서비스는 간혹

시스템개발 부문도 통합된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조사의 어려움은 지역국가의 보고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지역국가의 각기 정의에

의한 보고는 국제기관의 보고에 어쩔 수 없이 포함되어 자료에 많은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연구조사에서 나눈 시스템

개발부문에 대한 범위 또한 세분화 되어 있어 그 세분화된 부문에 대한 자세한 조사가 사실상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 조사에서는

시스템개발 부문 중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독립하여 전체시장 성격에서 유추해석하는 방법으로 조사를 하였다. 물론 자세한

사례조사에서는 이러한 부문들이 모두 응용되어 있다.

2. 조사방법과 대상

본 연구조사는 기본적으로 현지 지역의 관련기관 및 관련담당자의 직접 방문 및 면담조사를 기본으로 하였다. 방문 조사의

조사기법은 질적 연구 방법론(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으로 이는 사례 대상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관련 행위의

심층적 자료 획득이 용이하고, 다양한 자료의 수집으로 해석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특히 이러한 조사 방법은 동남아시아 국가의

정부기관 및 관련기업의 배타적 조사환경 연구에 적합하며 그러한 과정을 통하여 조사대상의 복잡한 의사 결정 과정과 정보화 기술 및

시설의 활용정책과 현황을 분석하는 데 최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동남아 4개국의 각 지역 조사팀에 의한 관련담당자 약 200여

| 21 |

Page 2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명에 대한 기본 설문조사가 이루어 졌다. 이러한 설문조사는 후기 사례연구에서 자세히 언급이 되겠지만 2차에 걸쳐 실행한 면담조사에

획득한 자료에 대한 신뢰성을 강화시켜 주고 관련 현황에 대한 부족한 부분을 충족시켜주었다. 또한 기존에 현지 및 국제 기관에 의해

출판된 관련 보고서 및 다양한 채널의 1차 자료들이 충분히 검토 활용되었다.

동남아시아 4개국의 현지 공공부문 및 대표적인 SI시장을 분석하기 위하여 조사대상이 된 부문은 첫째, 정부기관부문에서

중앙정부의 정부부처와 지방정부의 대표적인 행정수도를 조사대상으로 삼았고, 둘째, 일반 공공부문에서는 가장 큰 SI 수요시장인

통신기관, 전력기관, 체신기관 및 철도기관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아직은 민영화가 되지 않았거나 혹은 진행 중에 있으며 민간

부문에 가장 큰 SI 수요시장인 은행과 항공관련 부문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SI산업의 가장 큰 수요시장의 다양한 부문을 보고자

하였다.

2-1. 중앙정부 행정기관과 행정수도

본 보고서의 사례조사 부문에 자세히 언급되어 있듯이, 본 연구조사의 목적인 공공부문 SI 시장 현황분석 관련, 핵심 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중앙정부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수준 부문의 자세한 조사를 위하여 모든 정부의 행정부처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가장 적절한

정부부처를 선정 조사하였다. 그 선정 기준은 1) 부서의 고용규모의 분포, 2) 경제의 직접 영향력, 3) 정보통신 산업과 국가 정책의 연관성, 4) 정보통신 산업의

수요시장으로서의 중요성, 5) 공공산업부문의 영향력 등을 적용하였다.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의 중앙 정부의 행정부처 중 10개의

행정부처를 선정하였고 태국과 말레이시아는 물리적 제약환경으로 인하여 중요한 5-6개의 행정부처를 선정하였다. 비록 그 숫자는

적다 하더라도 비슷한 행정부처를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의 조사된 10여 부처 중에서 다시 표본화하였기 때문에 비교분석에는 신뢰성이

확보되었다고 확신한다(자세한 부처 명과 총 인원에 대해서는 각 국가의 사례조사를 참조하기 바람).

중앙정부의 전산화 현황과는 별도로 지방정부의 전산화 현황과 중앙 행정부처와의 네트워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많은 지방정부

중에서 전산화 시스템이 가장 나은 각 국가의 행정수도를 지방정부 전산화 현황 조사의 대표 사례로 선정하였다. 이는 가장 대표적인

지방정부인 행정수도의 정보화 기술과 활용수준을 이해하고자 하는것이 그 주요 목적이지만, 지방정부와 중앙정부 간의 전산화 활용

수준 현황을 비교 이해하고 나아가 상호 정보화 시설과 활용의 연결 수준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도 또 다른 중요 목적의 하나이다. 나아가 동일한 사례를 선정함으로써 국가간의 이러한 수준에 대한 비교도 가능하다.

2-2. 일반 공공부문

중앙정부 및 지역정부를 제외한 일반 공공부문의 전산화 현황과 활용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SI산업의 가장 대표적인 수요시장인

전화통신관련기관, 전력공급기관, 우편 및 체신관련기관 그리고 철도서비스 관련기관을 사례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이러한 공공

핵심부문의 전산화 현황과 활용수준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향후 관련 부문의 시장에 대한 예측을 하고자 하였다. 베트남에서는

Vietnam Posts & Telecommunications Corp.(VNPT: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 Vietnam Electricity Corp. (VEC: 베트남 전력공사)와 Vietnam Railways Union(VRU: 베트남 철도조합)이 조사되었고, 인도네시아에서는 PT Post Indonesia (PTPI: 인도네시아

우체국), PT Telkom (PTT: 인도네시아 통신공사), PT Indonesia Power(PTIP: 인도네시아 전력)와 PT Kereta Api Indonesia (PTKAI: 인도네시아 철도조합)이 조사되었다. 태국에서는 Post and Telegraph Department (PTD: 우편전신국), The Communications Authority of Thailand (CAT: 통신청)와 The State Railway of Thailand (SRW:철도청)이 조사되었고

| 22 |

Page 2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말레이시아에서는 Telekom Malaysia Behard (TMB: 텔레콤), Tenaga Nasional Berhad(Energy Provider, TNB: 전력청)와

Keretapi Tanah Melayu Behard (Malaysian Railway, KTM: 철도청)가 조사되었다(기관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총인원에 대해서는

각 국가의 사례조사를 참고할 수 있다).

2-3. 공기업 혹은 민영화된 공기업

국가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대부분의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아직 국립은행과 항공사가 공기업 혹은 공공기관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본

조사에서 은행과 항공사를 선택한 이유는 첫째, 향후 경제성장과 세계화 추세를 볼 때, 가장 민영화에 민감할 수 있는 것이 이러한

공공부문이기 때문이다. 둘째는 전산화 기술과 활용수준이 가장 높은 SI 수요시장인 금융산업과 항공산업의 대표적 사례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SI 시장의 핵심부문의 전산화 현황과 활용수준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향후 관련 부문의 시장에 대한 예측을 하고자 한다.

베트남에서는 State Bank of Vietnam(SBV: 베트남 국립은행)과 Agency of Vietnam Civil Aviation(AVCA: 베트남

항공관리공단), 그리고 인도네시아에서는 Bank Mandiri(BM: 만디리 은행)과 Garuda International Airline (GI: 가루다 항공), 태국에서는 Bank of Thailand(BT: 타이 은행)과 Thai Airways International Public Company Ltd(TAI: 타이 항공), 말레이시아에서는 Bank Negara Malaysia (BNM: 말레이시아 중앙은행(Central Bank of Malaysia))와 Malaysian Airline System Behard(MAS: 말레이시아 항공)가 조사되었다(기관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총인원에 대해서는 각 국가의 사례조사를 참고할

수 있다).

사례대상 기관과의 협약을 통하여 사례조사를 통하여 획득된 몇 가지 민감한 자료에 대해서는 기술적으로 그 성격만 이해될 수

있도록 처리하였다. 예를 들어 각 기관에 대한 응용 소프트웨어의 라이센스 문제와 소요 숫자에 대한 조사는 관행상 조사기관에 상당한

사회적 영향을 줄 수 있기에 간접적인 의미의 기술 방법에 따라 무리가 없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적 요인들을 전체 보고서에

상당부분 흡수하여 정확히 현장을 이해하는 데 별 무리가 없도록 하였다.

3. SI 산업의 사례조사 내용

각 사례대상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크게 기반 하드웨어인 주요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그리고 주요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조사와 더불어 사용되는 주요 소프트웨어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나아가 각 기관의 정보화를 위한 활용 예산을 조사하여 각

기관의 시장현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지방정부의 경우 중앙정부와의 연결시스템에 대한 조사를 추가로 넣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전산화 연결에 대한 성격도 이해를 하고자 하였다. 자세한 조사부문은 각 국가의 사례조사에 나오겠지만 전체적인 조사 내용 영역은

다음의 그림 1-2와 같다.

| 23 |

Page 2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그림 1-2> SI 사례조사 구분과 내용

4. 연구조사 내용의 구성

본 연구조사 보고서는 총 6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편에서는 앞서 언급한 연구조사의 배경과 목적, SI산업의 정의와 그에 따른

조사 범위와 조사대상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를 하였다. 그리고 동남아시아 4개국의 지역환경과 한국과의 관계를 서술하여 한국 SI산업의 진출에 따른 기초적 배경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제 2편, 3편, 4편 그리고 5편에서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그리고

말레이시아의 SI 산업 현황에 대한 사례조사 내용을 서술하였다. 사례국가의 각 편은 총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편의 제1장은 그

나라의 정보통신산업의 국가정책과 환경에 대한 것으로 정보통신산업의 개발정책과 법적제도, 현지 및 외국인 관련 투자기업에 대한

정부정책 그리고 SI산업 관련 연구기관 및 후원기관 현황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제2장은 SI산업 및 시장 동향 분석으로

정보통신산업 및 활용의 일반현황과 SI시장의 현황 및 현지의 주요 SI기업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제3장은 앞서 언급한 정부기관, 일반

공공부문 및 은행과 항공관련 공기업을 대상으로 공공부문의 정보화기술 및 활용수준을 이해하기 위한 상세한 사례 조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6편에서는 전체적으로 동남아시아 지역의 SI산업을 비롯한 정보통신산업의 환경을 비교 분석하고, 한국 SI산업의 진출을 위한

시장기회를 조사대상인 4개국의 공공부문별, 국가별 혹은 국가 비교 분석으로 통하여 도출하였다.

제 2장 - 동남아시아 4개국 지역환경과 한국과의 관계

| 24 |

Page 2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1 절: 한국 SI산업의 동남아시아지역 진출과 지역 SI산업 환경

현재 아시아의 SI시장 중 하나인 중국은 세계적인 화교자본과 관련 IT기업의 네트워크 및 중국정부의 투자 집중화로 인해 SI시장에

대한 한국 기업경쟁력은 다른 아시아 국가 내에서 보다 더욱 치열한 경쟁이 요구되어진다. 또한 중국 또한 SI산업을 포함한 IT산업을

신산업 전략으로 선택하여 하드웨어를 비롯한 소프트웨어 등 자국의 국내산업 보호와 경쟁력 강화에 더욱 박차를 가하여 향후 중국은

오히려 향후 한국과의 경쟁관계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어진다.

현재 동남아시아 경제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주요 4개국 (태국, 말레이지아, 인도네시아 및 베트남)의 SI산업은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정책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경제위기로 인하여 아직까지는 시장 성장의 큰 가능성과 함께 SI산업의 발전이 초기 혹은 중기단계에

와 있다. 그 결과 동 지역의 4개국은 한국대비 또는 지역내의 국가간 대비 정보화 원천기술 수준 및 제품 상용화의 발전에 단계적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한국이 그 지역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한국 SI부문의 경쟁력이 확보되는

지역시장 진출을 통해 가장 용이하게 해외시장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각국의 SI산업 관련 시장의 가능성을 통해 한국기업이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각국 시장의 환경을 엿볼 수 있다.

이 지역은 아세안 자유무역지대(ASEAN Free Trade Zone) 협약에 의해 향후 2003년 및 2006년 순차적 시장 통합으로 총 8개국 6억 인구의 세계 지역경제권 중 가장 역동적인 단일 경제시장으로 확대된다. 이러한 단일시장의 의미는 지역 내의 자유로운 산업교역을

통하여 지역내의 산업 및 기업의 성장을 도모하고 지역 외부기업에 대한 배타적 시장 차별 정책을 통하여 지역 내 산업 및 기업과의

경쟁력을 제한한다는 것이다. 역으로 한국 SI기업의 시장진출에 대한 선점효과는 현재의 진출에만 있지 않고 향후 미래 통합시장에

따른 성장가능성 또한 크다는 것이다.

동 지역은 1980년대 후반부터 한국의 해외직접투자의 중요한 전략적 기지로 현재 많은 한국기업이 진출하여 한국산업의 하부구조가

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한국기업의 기반구조는 이 지역 진출의 SI기업에 대한 기본적인 정치적 제도적 환경이 이미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직은 이 지역으로의 한국 IT산업 진출은 초기 단계이지만 이미 진출에 대한 초기 기반은 확보가 되어 있어 본격적인

진출에 대한 위험은 많이 제거되어 있는 상황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앞서 언급한 이 지역의 SI시장 진입의 직접적인 시장 기회와

더불어 현재 동 지역은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로 인한 경제위기가 지속되어 아직까지도 IT산업을 포함한 여러 산업분야에서 급격한

구조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장 및 경제 환경은 한국 SI산업이 이 지역 시장에 진입할 경우 기술적 우위로 시장 진입이

용이하고, 현 구조조정기의 진출을 위한 관한 협상과 관련해서 배타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으며, 기술 및 지식 집약적 산업인 SI기업의

유연성으로 신속한 시장 진입 가능성과 함께, 기존 진출한국기업의 형성된 기반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의 한류열풍에서도 확인이 되었듯이 한국은 역사적으로 이 지역과 사회 문화적 전이성의 용이함과 다른 강대국들에 대한 배타적

동류의식을 갖고 있고, 그 동안 정부 및 민간 교류와 함께 제조업을 바탕으로 한 한국기업의 적극적인 노력에 의하여, 이

지역에서 MADE IN KOREA라는 국가적 브랜드는 미/일의 국가브랜드와 비교하여 뒤떨어지지 않으며 사회적 동질성, 문화적

경쟁력이라는 점으로 독특한 차별성을 누리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은 그 어느 때보다 한국기업의 시장진입과 정착을 위한

우호적인 사회문화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사회/문화적 요소는 지식 및 기술집약 산업인 SI산업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

제 2 절: 동남아시아 4개국의 일반 환경과 한국과의 관계

| 25 |

Page 2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본 조사의 대상국인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및 말레이시아의 일반 사회, 정치 및 경제 그리고 한국과의 교류관계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환경에 대한 심층적 이해는 본 연구 조사의 이해와 더불어 향후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 혹은 한국의 정책 입안에 필요한 필수적인

이해 사항으로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대한 SI 환경 변화를 이해하여야 한다.

| 26 |

Page 2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 베트남

1-1. 일반사항

▷ 국명: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 위치: 인도차이나반도 동쪽 (동경 103도 27분에서 109도 28분, 북위 8도 30분에서 23도 20분에 위치)

▷ 면적: 329,560 sq km (남한 면적의 약 3.3배, 남북한 총면적의 약 1.5배)

▷ 기후: 아열대 (북부), 열대몬순 (남부)

▷ 수도: 하노이 (Ha Noi)

▷ 인구: 7,890만 명 (2001년 추정)

▷ 민족: Viet족 (89%), 따이족 (2.0%), 타이족 (1.6%), 호아족(1.5%), 크메르족 (1.3%), 기타 소수민족으로 구성

▷ 언어: 베트남어 (일부 산악족은 고유언어 사용)

▷ 종교: 불교 (60%), 카톨릭교 (10%), 기독교 (3%), 기타 까오 다이교 (2.5%) 등 토속종교

▷ 교육수준: 문맹률 (93.7%)

1-2. 정치

1-2-1. 역사

- 1884년도에 베트남의 전 국토가 프랑스의 식민지로 되었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에 독립을 선포했으나 1954년에 호치민이

이끄는 공산군이 프랑스 군대를 물리치기 전까지 프랑스가 계속 지배했다. 이후 베트남은 남북으로 갈라졌고 미국은 남 베트남

정부를 지원했지만 휴전협정에 따라 1973년도에 미군은 철수했다. 1975년도에 북 베트남 군대가 남 베트남을 점령하면서

베트남 전쟁은 막을 내렸다.

1-2-2. 정치상황

▷ 정체: 사회주의 공화제

- 헌법상 “공산당은 국가와 사회를 영도하는 유일 세력”, “국회는 국가의 최고권력 기관”, “정부는 국회의 집행기관으로 국가의

최고행정 기관”이라 명시되어 있고, 헌법 해석권은 국회의 상무위원회가 행사함.o 당은 국가, 국회, 정부의 활동을 지도

o 과거에 비해 국회의 권한이 점차 강화되고 있고, 이에 따라 국회에서 결정된 정책을 집행하는 정부(총리)의 권한도

강화됨.o 사법부는 헌법 해석권이 없어 국회 정부에 대한 견제 기능 미약

▷ 공산당

- 국가와 사회를 지도하는 유일 세력 (당원 수는 약 248만으로 추정)

| 27 |

Page 2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베트남 공산당의 궁극적 목표는 막스레닌주의와 호치민 사상에 입각한 사회주의 건설

- 당의 조직은 당 내부의 견해와 행동을 통일하고 당의 규율을 유지하기 위해 민주적 중앙집권제 (Democratic Centralism)를

채택하고 있으며, 당내 의사결정은 1인 집권체제를 지양하고, 집단지도체제 형식을 취하고 있음.- 5년마다 전당대회 개최, 매년 2회 중앙집행위원회 정기회의 개최

- 현 당서기장은 Nong Duc Manh (2001.4월 제 9차 전당대회에서 선출)이며, 주요 의사결정 기구로는 중앙서기국 (9명), 정치국 (15명), 중앙집권위원회 (150명)가 있음.

▷ 국가

- 국가주석(임기 5년으로 국회가 국회의원 중에서 선출)이 국가원수로서 대내외적으로 국가를 대표 (현 Tran Duc Luong 국가주석은 97.9 국회에서 선출되었으며 2001.7 재선출)

o 국방 안보위원회 의장으로 인민군대의 최고 통수권자

o 부주석, 총리, 최고인민법원장 (대법원장), 최고인민검찰총장의 임명과 해임을 국회에 건의

o 국회 상무위원회 결의에 따라 전쟁선포, 국민 총동원령 발표

o 국가주석은 국회상무위원회에 참석 할 수 있으며, 필요시 국무회의에도 참석

1-2-3. 정부형태

- 총리 (임기 5년으로 국가주석의 추천으로 국회의원 중에서 선출, 현 Phan Van Khai 총리는 97.9 국회에서 선출되었으며

2001.7 재선출).o 총리는 국가의 수반으로서 중앙정부 및 각급 지방인민위원회를 지도하고, 국회, 주석에게 업무를 보고

o 국무회의를 소집하여 주재

o 정부기구 조정 및 각부 장관의 임명, 해임을 국회에 건의

- 부총리 5인 (97.9 부총리가 3명에서 5명으로 증원되었으나 99.12 Loc 부총리의 해임으로 현재 4명임)- 각료 24명 (17개 부 및 이와 동등한 7개 기관)

1-2-4. 정치구조

▷ 국회

- 인민의 최고대표기관이자 국가의 최고권력기관이며, 유일한 입법기관

o 헌법과 법률의 제정, 개정 및 입안

o 주석, 총리, 최고인민법원장, 최고인민검찰총장의 활동을 보고 받음

o 국가기구의 조직 및 활동규정, 최고 감찰권 행사

o 경제 사회 발전 계획 등 국가 주요정책을 결정

o 국가주석, 부주석, 총리, 부총리, 각부 장관, 최고인민법원장, 최고인민검찰총장 등을 선출 또는 인준

- 의원 수 498명 (임기 5년)으로 매년 2회 정기회의 개최

- 선거권 18세, 피선거권 21세 이상 (선거는 보통, 평등, 직접, 비밀 투표로 함)- 국회 폐회시는 국회의장 (현 Nguyen Van An 국회의장), 부의장 3인, 사무총장, 위원회 위원장 8인으로 구성되는

국회상무위원회 (총 14인)가 국회기능 대행

| 28 |

Page 2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사법제도

- 사회주의 법제보호, 사회주의 제도와 인민의 주권보호, 국가와 집단의 재산보호, 공민의 생명, 재산, 자유, 명예와 인품보호 등

임무

- 최고인민법원, 지방인민법원, 군사법원, 기타 특별법원으로 구성

- 최고인민법원장 (임기 5년)은 국회에서 선출되며, 국회, 국가 주석에게 업무를 보고

- 법이 특별한 규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공개재판을 원칙으로 함

1-2-5. 주요 정당

▷ 베트남 공산당 (Communist Party of Vietnam)이 유일한 정당

| 29 |

Page 3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2-6. 국제활동

▷ 국제기구 참여

- ACCT, APEC, ARF, AsDB. ASEAN, CCC, ESCAP, FAO, G-77, IAEA, IBRD, ICAO, ICRM, IDA, IFAD, IFC, IFRCS, ILO, IMF, IMO, Interpol, IOC, IOM (observer), ISO, ITU, NAM, OPCW, UN, UNCTAD, UNESCO, UNIDO, UPU, WCL, WFTU, WHO, WIPO, WMO, WToO, WTrO (observer)

▷ 대외관계

- 대외적으로는 ‘독립, 자주, 주권존중’ 및 ‘다양화, 다변화’의 외교정책 기조를 표방하면서 “세계 모든 나라와의 우호협력 관계

증진”을 외교정책의 목표로 추진 중

- 95.7 ASEAN 가입 후 98.12 아세안 정상회의 개최 및 2001.7 아세안 의장국 수임 등 아세안 내에서의 위상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ASEAN 내의 개별국가들과 실질협력 증진을 위해 노력중임

- 캄보디아, 라오스 등 인접국들과의 지속적인 유대강화를 위해 노력하는 한편, 중국, 일본,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증진과 쿠바, 북한 등 사회주의권 국가들 및 구 동구권 국가들과의 전통적 협력관계 유지를 위해서도 노력을 경주

1-3. 경제

1-3-1. 경제개발계획 성격

- 베트남은 1988년부터 시장을 개방하면서 경제적 발전을 이룩하였고 1993년부터 1997년까지는 연평균 약 9% 성장을

기록하였다.- 97년 외환위기 이후 경제성장률이 98년 5.8%, 99년 4.8%으로 떨어졌으나 베트남정부는 시장중심 경제가 재앙을 가져올 수

있다는 생각에 개혁을 단행하지 않았다. - 베트남정부는 2001년에 이르러 개혁의 중요성을 깨닫고 무역, 금융, 공기업, 공공투자 분야 및 행정, 법률 제도를 개혁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 30 |

Page 3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3-2. 경제적 장/단점

▷ 장점- 베트남은 풍부한 물적 및 인적자원을 보유하고, 인구 7천만의 대규모 자체시장, 동남북아를 연결하는 지정학적인 위치 등으로

세계 각국에서 앞다투어 시장을 선점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베트남은 임금수준이 외국기업의 경우 US$30-50 수준으로 한국의 1/20 수준에 불과함. 베트남 사람들은 비상한 손재주를

지니고 있고 근면함이 몸에 배어 있어 새로운 기술을 쉽게 익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도 높음

- 베트남은 자국산업 발전을 위해 외국투자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으며, 외국 투자기업에게 세금감면 등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음

▷ 단점- 베트남의 관료주의가 아직도 심하며 따라서 기업활동을 하는데 필요한 국가의 허가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뒷거래 비용이

필요하며 이는 기업의 부담으로 작용함

- 베트남은 경제발전 정도가 낮아 임금이 싼 반면, 이로 인한 현지 원부자재 조달여건이 좋지않아 원부자재를 본국에서 전량

조달할 경우, 경제개발이 앞선 중국이나 여타 동남아시아 등 현지에서 원부자재를 조달하는 기업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도 있음

- 베트남은 외국 투자기업들에 대한 토지소유권을 인정하지 않고 임대차만을 허용하고 있음. 따라서 토지가격 상승으로 인한

이익을 향유할 수 없으며, 또한 토지 소유권이 없기 때문에 토지를 담보로 한 현지금융 조달도 쉽지 않음

- 외국인이 베트남에서 생활하기 위해서는 입국하는 순간부터 고액의 입국 비자주선 수수료 그리고 항공, 호텔, 전기, 전화 등

각종 공공요금에 대한 차별 대우로 인한 고액 사용료, 비교적 높은 사무실 및 주택임차료 등을 감수해야 함

1-3-3. 경제성장률 추이

- 1992-7년간 연평균 8.6% 성장을 이룩했지만, 97년 아시아 경제위기의 영향으로 98년 5.8%, 99년 4.8%의 저성장을 기록

- 2000년도 경제성장률은 국제 고유가에 따른 원유 수출 급증 등으로 인해 당초 예상을 상회하는 6.8%로 회복세를 보였음

- 2001년도에는 미-베 무역협정 체결에 따른 기대효과 및 원유, 농수산물, 봉제제품 등의 수출 신장세에 힘입어 연초 목표치인

5.6%보다 높은 6.8%의 성장률을 달성

- 2002년도에도 미-베 무역협정 영향으로 인해 무역량과 해외투자가 증가해서 6.5%의 성장률을 달성

1-3-4. 전체/1인당 GDP 추이: GDP per capita (US$)

- 1997: $360, 1998: $360, 1999: $370, 2000: $400, 2001: $420, 2002: $420

1-3-5. 화폐 및 환율추이:

- 1997: 11,683, 1998: 13,268, 1999: 13,943, 2000: 14,168, 2001: 14,725, 2002: 15,085 (2002년 1월 기준) - (단위: 1달러 對 Dong)

| 31 |

Page 3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3-6. 외채추이: 대외채무/GDP (%)

- 1997년: US$11 billion, 1998년: US$11 billion, 1999년: US$11 billion, 2000년: US$13.2 billion, 2001년: US$14.3 billion, 2002년: US$15.1 billion

1-3-7. FDI 의존도

- 베트남의 해외투자 조사지 (Vietnam Investment Review)에 의하면 1998년부터 2001년까지의 투자 금액을 살펴볼 때

싱가포르가 총 투자금액의 18.2%을 차지하는 US$ 69억 (6.9 billion)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대만 (US$ 54억, 14.3%), 일본 (US$ 41억, 10.7%), 한국 (US$ 33억, 8.6%), 홍콩 (US$ 28억, 7.5%), 프랑스 (US$ 21억, 5.4%), British Tax Havens (US$ 18억, 4.7%), 네덜란드 (US$ 17억, 4.3%), 러시아 (US$ 15억, 3.9%), 영국 (US$ 11억, 3.0%) 순으로

나타났다

- 1988년부터 2001년까지 해외투자 프로젝트 업종별 분류를 보면, 중공업이 가장 많아 20.6%을 차지하고 있고, 다음은

경공업 11.6%, 호텔 및 관광 8.6%, 석유 및 가스 8.4%, 오피스 빌딩 및 아파트 7.1% 등을 차지하고 있다

| 32 |

Page 3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4. 산업

1-4-1. 산업구조 추이

- 1980년부터 91년까지 농림업이 순생산 물량 (Net Material product)의 50%을 차지하고 전인구 3분의 2 이상의 생계를

조달하고 있었다

- 베트남에서 농림업이 GDP (베트남은 GDP 개념을 91년도에 도입)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91년의 39.5%에서 93년 29.3%로

떨어졌고 2000년에는 24.2%로 감소. 반면에 서비스 부문은 91년의 35.7%로 시작해 93년에는 41.2%로 증가했고 2000년에는 39%을 차지했음. 그리고 공업 분야가 1999년에는 35%에서 2000년에는 37%로 증가

- 중앙 정부 관할 하에 있는 대규모, 중규모의 국영기업들을 민영화할 계획을 세웠지만 민영화 대상 기업 5,571개의 국영기업

중 2001년 중에는 단지 113개만이 민영화되는 성과를 거둠

1-4-2. 주요 수출품

- 2001: 원유 (US$ 3.2 billion, 21.0%), 의류 및 직물 (US$ 2 billion, 13.3%), 수산물 (US$ 1.8 billion, 11.9%), 신발 (US$ 1.5 billion, 10.1%), 전자 및 컴퓨터 (US$ 605 million, 4.0%), 쌀 (US$ 588 million, 3.9%), 커피 (US$ 385 million, 2.5%), 야채 (US$ 305 million, 2.0%), 수공예품 (US$ 237 million, 1.6%), 고무 (US$ 161 million, 1.1%)

1-4-3. 주요 수입품

- 2001: 기계 및 플랜트 (US$ 2.7 billion, 16.9%), 직물 및 의류 (US$ 1.9 billion, 12.0%), 석유제품 (US$ 1.8 billion, 11.7%), 철강제품 (US$ 936 million, 5.8%), 전자 및 컴퓨터 (US$ 668 million, 4.2%), 오토바이 (US$ 576 million, 3.6%), 비료 (US$ 409 million, 2.6%), 자동차 (US$ 322 million, 2.0%)

| 33 |

Page 3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5. 한국과의 관계

1-5-1. 정치

- 한국과는 1992년 12월 외교관계를 수립하여 상주 대사관을 설치하고 있으며 1993.11 주호치민 총영사관을 설치

1-5-2. 사회

- 베트남에는 약 7천여 명에 달하는 한국 교민이 있으며 이 중 약 900 여명은 북부 하노이 인근지역에 진출해 있고 약 5,400 여명은 남부 호치민 인근 지역에 분포되어 있음

1-5-3. 경제

- 한국의 대 베트남 투자는 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국내의 임금 및 지가의 급속한 상승, 잦은 노사분규로 등으로 일부

노동집약적 산업의 국가경쟁력이 상실됨에 따라 관련업체들이 본격적인 해외투자를 모색하면서 시작되었는데, 양국간

경제무역관계 개선 및 미국의 대 베트남 경제제재 해제전망 등으로 베트남이 주요 투자대상국으로 부상하게 되었음

- 베트남 기획투자부 (MPI) 자료에 따르면 88년-2001년까지 누계기준 한국의 대 베트남 투자는 총 334건 US$ 3,265백만을

기록하여 금액면에서 싱가포르 (US$ 6,881백만), 대만 (US$ 5,416백만), 일본 (US$ 4,065백만)에 이어서 대 베트남 4대

투자국의 위치를 점하고 있음

o 한국의 대 베트남 투자요인으로는 저임/양질의 노동력과 한-베 양국간 문화적 유사성과 정서적 친근성에도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음

o 우리 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우리의 대 베트남 수출은 99년 US$ 1,445백만, 2000년 US$ 1,686백만, 2001년

US$1,732백만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또 베트남의 대한 수출도 99년 US$ 264백만, 2000년 US$ 322백만, 2001년 US$ 386백만으로 증가하고 있음

| 34 |

Page 3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5-4. 국제협력관계

- 경제, 기술협력 협정 (93.2), 무역협정, 항공협정, 투자보장협정 (93.5), 이중과세방지협정 (94.5), 문화협정 (94.8), 세관협력협정 (95.3), 해운협정 (95.4), 체육교류협정 (96.11), 원자력협정 (96.11), 외교관 및 관용여권 비자면제협정

(98.12), 교육협력협정 (2000.3), 특허협력협정 (2002.5)

2. 인도네시아

2-1. 일반사항

▷ 국명: 인도네시아 공화국(Republic of Indonesia)

▷ 위치: 동남아시아

▷ 면적: 190만 sq km (한반도의 9배)

▷ 기후: 열대성 몬순기후, 고온 무풍 다습

▷ 수도: 자카르타 (인구 약 9.5백만 명, 면적 664 sq km)

▷ 인구: 약 2억 6백만 명 (2001년 12월 기준)

▷ 민족: 자바족 (45%), 순다족 (13.6%), 아체족, 바딱족, 발리족 등 300여 종족

▷ 언어: 인니어 (Bahasa Indonesia)

▷ 종교: 이슬람교 (90%), 기독교 (5%), 힌두교 (3%), 불교 (2%)

▷ 교육수준: 문맹률 (83.8%)

2-2. 정치

2-2-1. 역사

- 1814년과 1824년에 체결된 런던조약에 따라 네덜란드는 영국으로부터 인도네시아 지배권을 승인 받게 되었다. 1949년 12월 27일 헤이그 원탁회의 결과 인도네시아 연방공화국이 탄생하였고 네덜란드와의 사이에는 네덜란드 인도네시아 연합이

성립되었다. 이어서 1956년 2월 네덜란드 인도네시아 연합을 폐기함으로써 완전한 독립국이 되었다.

2-2-2. 정치상황

▷ 정체: 민주공화국

- 판짜실라 (Pancasila) 기본이념에 따른 1945년 헌법 제정, 이를 토대로 대통령을 국가원수로 하는 민주공화국 건국

- 판짜실라 5개항의 기본이념

o 신앙의 존엄성 (Belief in the One and Only God)

| 35 |

Page 3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o 인간의 존엄성 (Just and Civilized Humanity)o 통일 인도네시아 (The Unity of Indonesia)o 대의 정치 (Democracy guided by the Inner Wisdom in the Unanimity arising out of Deliberations

amongst Representative)o 사회 정의 구현 (Social Justice for the Whole of the People of Indonesia)

2-2-3. 정부형태: 대통령 중심제

▷ 행정부

- 대통령 (임기 5년)이 국가원수 겸 행정수반으로서 국민협의회 (MPR)에서 선출되고 국민협의회에 책임을 짐

- 2000.7.23 메가와티 부통령이 국민협의회에서 대통령직을 승계하고, 7.26 Hamzah Haz 통일개발당 총재가 부통령에

선출됨

- 지방행정 기관은 30개 주 (Province, 이중 Jakarta, Yogyakarta, Aceh는 특별지구), 327개 군 (District 또는 Regency), 55개 구 (Municipality), 3,841개 면 (Sub-District)으로 구성

o 과거 27개 주에서 동티모르 분리로 26개 주로 감소하였으나, Bangka Belitung, Banten, Gorontalo, Maluku Utara등 4개 주가 신설되어 모두 30개 주가 됨

▷ 최고자문위원회 (DPA: The Supreme Advisory Council)- 주요업무

o 정부자문 기능

o 대통령 질의에 대한 답변

o 대통령에 대한 정책제안

- 책임

o 대통령과 국회에 대한 직접 책임은 없으나, 국가 최고기관의 하나로서 국가번영과 사회 정의구현에 대해 책임

- 구성

o 대통령이 위원을 임명하며 임기 5년임

o 위원: 정치지도자, 노동지도자, 지역지도자, 기타 사회지도자 (단, 대통령, 각료, 국회의원 등을 겸직할 수 없음)o 의장과 4명의 부의장 및 45명의 위원으로 구성

o 정치, 경제, 사회복지, 국방안보 분야별 4개 분과위원회, 사무처가 있음

2-2-4. 정치구조: 국민협의회 (MPR)와 국회 (DPR)의 2원적 조직

▷ 국민협의회 (MPR: People's Consultative Assembly)- 주요기능

o 헌법제정 및 개정

o 주요 국가정책 방향 결정

o 대통령, 부통령 선출 및 해임

- 구성: 695명

o 국회의원 (군부대표 38명 포함): 500명

| 36 |

Page 3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o 지역대표: 130명

o 직능대표: 65명

- 임기: 5년

o 99.1월 개정된 정치관계법에 따라 6.7 실시된 총선에서 새롭게 선출된 의원들로 구성된 국민협의회가 10.1 개원

- 의장단

o 의장: Amien Rais (국민수권당)o 부의장 (7명): Cholil Bisri (국민계몽당), Agus Widjojo (군부대표), Ginandjar Kartasasmita (GOLKAR당), Ir.

Sutjipto (인니투쟁민주당), Husni Thamrin (통일개발당), Nazri Adlani (직능단체), Jusuf Faisal (월성당) ▷ 국회 (DPR: The House of Representative)

- 주요기능

o 입법권

o 예산결정 및 예산집행 감독

o 행정부 견제 (단, 정부 불신임권은 없음)- 구성

o 500명 (지역선출 462명, 군부대표 38명)o 주민 45만명당 국회의원 1인 선출

- 임기: 5년 (1999.10-2004.9)o 99.6.7 총선결과에 따라 10.1 새로운 의원으로 구성된 국회가 개원

- 의장단

o 의장: Akbar Tandjung (GOLKAR당)o 부의장 (4명): Soetardjo Soerjogoeritno (인니투쟁민주당), Muhaimin Iskandar (국민계몽당), A.M. Fatwa

(국민수권당), Tosari Widjaja (통일개발당)▷ 사법제도

- 3심제로서 대법원, 고등법원 (26개), 지방법원 및 분원 (287개)으로 구성되며 대법원은 하급 법원을 지도 감독함

- 국방부 관할의 군사재판소, 종교부 관할의 종교재판소가 있음

- 검찰기관으로서는 대검찰청, 고등검찰청, 지방검찰청이 있음

2-2-5. 주요정당

▷ 인니 투쟁 민주당 (PDI Perjuangan)- 73.1월 비회교계 5개당이 통합하여 설립되었던 인니민주당 (PDI: Indonesian Democratic Party)의 96.6월 Medan

전당대회에서 축출된 Megawati 전 당수 및 그 지지세력이 세운 정당으로 98.10월 발리 전당대회를 개최, Megawati여사를

1999년 대선 후보로 지명

- 전국적 조직을 갖추고 있는 정당으로서 과거 수하르토 시절에도 동 정권을 비판해 온 선명 야당으로 99.6.7 총선 개표결과

33.7% 득표율 (의석수 153석)로 최다 득표

▷ GOLKAR당

- 과거 수하르토정권시절 재벌기업 및 전문직업인층을 비롯 250여개의 산하 정치, 사회 단체들로부터 후원을 받았던 인니 최대

| 37 |

Page 3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정치세력 결합체였으며 99.1월 정치관계법 개정에 따라 공무원들이 탈퇴하고 99.3월 정당으로 출범

- 99.6월 실시 총선에서 22.44%의 득표율 (의석수 120석)로 인니 투쟁 민주당에 뒤지는 2위를 차지

▷ 국민계몽당 (PKB)- 최대 회교단체인 NU의 지원하에 창설된 정당으로 국민주권, 정의 및 단결을 목표로 하고 있는 개혁성향의 정당

- 99.6월 총선 결과 12.6%의 득표율 (의석수 51석)로 정당별 득표순위에서 3위를 차지

2-2-6. 국제활동

▷ 국제기구 참여

- APEC, ARF, AsDB, ASEAN, BIS, CCC, CP, ESCP, FAO, G-15, G-19, G-77, IAEA, IBRD, ICAO, ICC, ICFTU, ICRM, IDA, IDB, IFAD, IFC, IFRCS, IHO, ILO, IMF, IMO, Interpol, IOC, IOM (observer), ISO, ITU, MONUC, NAM, OIC, OPCW, OPEC, UN, UNAMSIL, UNCTAD, UNESCO, UNIDO, UNIKOM, UNIMIBH, UNMOP, UNMOT, UNOMIG, UPU, WCL, WFTU, WHO, WIPO, WMO, WToO, WTrO

▷ 대외관계

- 능동적이고 자주적인 비동맹 중립외교 견지

o 비동맹의 창설회원국으로서 비동맹의 순수성 회복을 통한 실질협력 추구

o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경제실리외교 추진

o 강대국 의존관계를 탈피하고 협력의 다변화 추구

o 대인도네시아 원조그룹 (CGI: Consultative Group for Indonesia)을 통한 경협자금 확보 지속

- 역내 협력체제 강화

o 동남아 평화, 자유, 중립지대화 실현 노력 강화

o ASEAN의 확대로 역내문제의 ASEAN 주도 추구

o ASEAN 회원국 및 역외 대화상대국과 정치, 안보 대화 강화

o 아세안에서의 주도적 위치 견지 (사무국 자카르타 소재)- 이슬람제국간 협력 강화

o 이슬람회의기구 (OIC) 주도국

o 이슬람권 국가들과 긴밀한 정치, 경제협력 관계 유지

2-3. 경제

2-3-1. 경제개발계획 성격

- 초기경제사 (1950-1960)o 산업발전환경을 조성

- 경제부흥시대 (1960년대 이후)o 예산 및 재정정책의 균형화를 추구하고 통화공급을 인플레이션과 연결시키는

o 자본주의를 표방

| 38 |

Page 3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o 1970년대에 원유로부터 얻은 세제수입을 정부투자기금으로 활용 철강 및 항공산업에 재투자

o 1980년대 원유수입이 감소에 따른 세제수입이 급격히 감소하여 정부의 경제전략을 개별 산업체위주로 전환하였고

정부규제를 상당 폭 간소화

- 경제개혁시대 (1980년대 이후)o 시장경제 창달

o 중소기업 육성

o 재정적자 및 외채 감소

o 안정 및 구조조정

o 지역개발

2-3-2. 경제적 장/단점

▷ 장점- 거대한 내수시장 활성화

o 인구 2억 6백만명

o 통화 약세 덕분에 수출이 살아나고 수입이 주춤하면서 내수경제가 활성화 ▷ 단점

- 불안한 국내정치 상황

o 현재 인니 국내정국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2004년 대통령 직선제 실시와 관련, 국내정파간 대립이 격화될

가능성 상존

o 금융부문 개혁, 국영기업의 민영화, 사법 개혁 등 각종 개혁조치의 성공적인 추진 여부도 계속 불투명

- 하락하는 외국인 투자

o 임금상승, 노사분규 증가 등에 따라 중국, 베트남, 미얀마 등에 비해 외국인 투자여건의 경쟁력이 계속 약화

o 외국인 투자추이 (승인 기준): 97년 338억불, 99년 109억불, 2001년 90억불, 2002년 상반기 25억불- 사회전체에 만연한 부정부패 및 급격한 지방분권화도 외국인투자를 감소시키는 주요 요인

2-3-3. 경제성장률 추이

- 인도네시아 경제는 90년 이후 96년까지 연평균 7.2%의 고도성장을 기록하였으나, 97.7월 금융위기 발생으로 성장률이

급격히 감소

o 환율: 1US$=2,45Rp (97.6월) → 1US$=17,000 (98.1월)o GDP 성장률: 4.7% (97년) → -13.7% (98년)o 물가상승률: 11.1% (97년) → 77.6% (98년)

- 2000년 이후 인도네시아 경제는 회복 분위기로 전환, 2000년 4.8%, 2001년 3.3%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꾸준한

국내소비 증가에 힘입어 2002년 1/4분기중 2.5%, 2/4분기중 3.5% 성장률을 기록

2-3-4. 전체/1인당 GDP 추이: GDP per capita (US$)

| 39 |

Page 4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1997: $1,070, 1998: $470, 1999: $680, 2000: $730, 2001: $690, 2002: $880

| 40 |

Page 4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3-5. 화폐 및 환율추이

- 1997: 2,909.4, 1998: 10,013.6, 1999: 7,855.2, 2000: 8,421.8, 2001: 10,260.9, 2002: 10,377.3 (2002년 1월

기준) - (단위: 1달러 對 Rupiah)

2-3-6. 외채추이

- 1997: 1,362억불, 1998: 1,509억불, 1999: 1,501억불, 2000: 1,308억불, 2001: 1,400억불

2-3-7. FDI 의존도

- 1997년 338억불에 달했던 외국인 투자가 98년 136억불, 99년 109억불로 크게 감소했음

- 2000년에 154억불을 유치하면서 회복세를 보였으나 2001년 90억불로 크게 다시 감소

- 투자조정위원회는 내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동등한 대우 및 토지사용권의 완화, one-stop 서비스센터 설치, tax-holidays 도입 등을 골자로 하는 신투자법을 입안하는 등 투자여건 개선 추진

- 그러나, 반서방 정서, 임금 상승 등 경영여건 악화 및 법집행 부실 등으로 외국인 투자 전망은 밝지 않음

o 20002.9월까지 54억불을 기록, 작년동기대비 11%의 감소 기록

2-4. 산업

2-4-1. 산업구조 추이

- 인도네시아는 제조업 및 건설업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80년 이후 경제개혁이후 금융산업과 관광산업이 발전했고 반면

농업이나 광업 등 1차 산업 비중은 저조

- 제조업: 수하르토 대통령의 신질서체제 이후 높은 성장률을 보임. 섬유, 목재, 의류 및 직물, 비료산업이 지속적인 성장 추세를

보이고, 석유화학, 신발, 식품업도 높은 성장

- 관광업: 꾸준한 증가를 나타내고 있고 최근 호텔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가 증가, 외국인 관광객수도 매년 늘어남

- 농업: 농업에 대한 투자가 점차 늘고 있으나, 해외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이는 국제농산물 가격 하락이 요인

o 광업: 2000년도에 국제원유가의 급격한 인상으로 석유수출에 의한 외화유입이 증가됨

2-4-2. 주요 수출품 추이

- 인도네시아는 천연자원이 풍부함에 따라 광물제품의 수출 비중이 꾸준히 증가, 97년에 148억달러로 전체수출중 27.8%를

차지

- 제조업부문의 수출도 지속적으로 늘어나 전체 수출중 59.5% (97년 기준)를 차지

- 다음으로 급격한 증가를 나타낸 무기류가 12.1%, 섬유직물이 9.7%, 목제품 8.9%

| 41 |

Page 4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4-3. 주요 수입품 추이

- 자본재 수입이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기계류 등 설비부문의 수입이 34.2%를 점유, 수출을 위한 자본기자재의

수입이 주종

- 특히 기계류 수입중 반용기기가 주요 수입품목

- 소비재의 수입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 않으나 지속적인 수입증가로 화학제품이 12.0%, 금속제품이 10.9%를 점유

2-5. 한국과의 관계

2-5-1. 정치

- 1973년 9월 한국과 인도네시아간 대사급 외교관계가 수립된 이후 매우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지난 2000년 11월 김대중 대통령이 인도네시아를 국빈 방문하고, 인도네시아의 Megawati 대통령이 2002. 3월 말 방한하는 등 정상외교를

통해 양국간의 유대관계가 강화 발전되고 있음

2-5-2. 사회

- 인도네시아에는 약 2만여명에 달하는 한국 교민이 있으며 또한 400여개 이상의 한국기업들이 진출해 있음

- 수라바야 600명, 반둥 400명, 기타지역 300명 등 제외시 대부분 자카르타 및 동 인근지역 거주

o 450여명의 한국선원 (약 50척의 어선) 조업

- 자카르타 한국국제학교

o 학생 수 1,650명 (초.중.고등학교 12학년 51개 학급), 교사 119명 현재 초.중.고등학교 전과정 개설, 99년 고3 과정 신설

2-5-3. 경제

- 우리나라와 인니의 교역규모는 97년 기준 7,640백만 달러에 달했으나 97년 외환위기 이후 1998년 양국간 교역규모가

4,842백만 달러로 급격히 감소했으나 99년 6,526백만 달러, 2000년 8,791백만 달러로 증가

- 2001년 9월 미국 무역센터 피격 사건이후 인니 경제의 급격한 악화로 한-인니간 교역이 급격히 감소, 2001년 중 양국간

교역총액은 7,753백만 달러에 그침

- 인도네시아는 교역상 우리나라의 9대 수출대상국이자 10대 수입대상국의 하나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

o 현재 인도네시아 투자진출 한국기업은 약 570여개사 내외로 이들 한국기업은 대부분 섬유 및 봉제, 신발, 건설, 운송, 완구, 화학, 전기 및 전자, 가발 제조 등 제조업에 종사

o 한국계 기업은 약 50만명 정도의 인도네시아 근로자를 고용

o 한국 투자진출 기업은 인니내 노동집약산업 부분의 생산, 수출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95년 이후 철강, 자동차, 전자, 건설 및 SOC 등 기간산업 분야에도 진출

- 91년 KOICA 설립 이후 2001년까지 16.7백만불 지원 (연평균 1.52백만불)

| 42 |

Page 4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o 무상원조 수원국가중 매년 1-3위를 차지

2-5-4. 국제협력관계

- 경제 및 기술협력과 통상증진에 관한 협정 (1971.8), 건설협력 양해각서 (1981.7), 임업협정 (1987.6), 항공협정 (1989.9), 이중과세방지협정 (1989.11), 투자보장협정 (1991.2), 법무자료교환협정 (1996.12), 대외경제협력기금 (EDCF)협정

(1997.11), 건설협력 약정 (1999.4), 범죄인 인도협정 및 문화협정 (2000.11), 사법공조협정 (2002.3)

| 43 |

Page 4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3. 태국

3-1. 일반사항

▷ 국명: 태국 (The Kingdom of Thailand)

▷ 위치: 동남아시아 (북위: 5.37 - 20.27도, 동경: 97.22 - 105.37도)

▷ 면적: 514천 sq km (한반도의 약 2.3배)

▷ 기후: 열대몬순기후 (건기: 11월-2월, 우기: 7월-10월, 열대기후: 3월-6월)

▷ 수도: 방콕 (Bangkok)

▷ 인구: 62.3 백만 명 (2001년)

▷ 민족: 순수 태국계 (81.5%), 중국계 (13.1%), 말레이계 (2.9%), 기타 (2.5%)

▷ 언어: 태국어 (공용어), 영어 (상용어)

▷ 종교: 소승불교 (90%), 회교 (6%), 기독교 (2%), 기타 (2%)

▷ 교육수준: 문맹률 (93.8%)

3-2. 정치

3-2-1. 역사

- 14세기 중엽에 통일 타이 왕국이 건립되었으며 1939년에는 국호를 시암에서 타이로 변경하였다. 열강의 진출로 아시아

각국이 식민지화된 가운데 유일하게 독립을 유지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일본에 협력하였으나 전후에는 미국과

우방을 맺었다.

3-2-2. 정치상황

▷ 정체: 입헌군주제

- 1932.12. 절대군주제에서 입헌군주제 헌법채택

o 1932.6. 청년장교 및 관료를 중심으로 한 민주개혁 구테타 발생, 입헌군주제 도입

- 현 헌법은 1997.10. 공포

o 96.12. 설치된 헌법기초의회 (Constitution Drafting Assembly)에 의한 8 개월 여 기간동안 개정작업 끝에

사실상 전면 개정된 신 헌법 탄생

o 선거개혁, 인권강화, 부정부패 방지 등을 위한 획기적인 내용 다수 포함

▷ 국가원수: 국왕- 기능

o 의회, 행정부, 사법부를 통해 각각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 행사

| 44 |

Page 4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o 국군의 최고 통수권자

o 내각 및 18명 이내의 추밀원 (Privy Council) 위원, 각급 판사, 헌법재판소 재판관, 선거관리위원회 위원, 반부패위원회 의원 등 임명

- 현 국왕: His Majesty King Adulyadj (푸미폰 국왕)o 현 Chakri 왕조 제 9대 왕 (라마 9세)o 1946.6. 형인 라마 8세 Ananda 국왕의 변사로 왕위 계승

o 1950.5. 대관식 거행

3-2-3. 정부형태: 내각책임제

▷ 구성

- 총리 1명과 35명 이하의 각료로 구성 (국왕이 임명)- 현 내각은 2001.1.6 총선에 따라 출범한 Thai Rak Thai당 중심의 연립내각으로서 Thaksin Shinawatra 총리 및 부총리 5

명, 총리실 장관 4명, 14개 부의 장관, 부장관 등 총 36명으로 구성

▷ 총리

- 임기 4년

- 헌법상 국왕이 임명하고 국회의장이 부서하며, 하원 의원만이 총리에 임명될 수 있음 (단 총리 임명 후에는 의원직 사퇴)- 신 헌법 규정상 총선 후 하원 첫 소집 후 30일 이내에 하원 과반수 찬성으로 선출된 총리 지명자를 국회의장이 국왕에게 임명

제청

- 현 ‘Thaksin' 총리는 2001.2.9 제23대 총리로 취임

▷ 연정구성 정당별 각료직 배분: 총 36석

- Thai Rak Thai당 (TRT): 29석 (총리 포함)- 태국 국민당 (Chart Thai Party): 3석

- 신여망당 (New Aspiration Party): 4석

▷ 지방행정

- 1개 특별시 (방콕), 75개 주 (Changwat), 759개 군 (District), 7,255개 면 (Tambon)- 신 헌법에 의해 지방의회 및 지방행정 관리는 임기 4년으로 선거에 의해 선출

- 단, 현재까지는 방콕 시장만 민선되었으며 주지사, 여타 시장들은 내무장관이 임명 (지방의회 의원들은 모두 선출됨)

3-2-4. 정치구조

▷ 입법부 (양원제)- 상원

o 신 헌법에 따라 200명으로 구성

o 보통선거에 의한 직선 (과거에는 국왕이 임명)o 당적을 가질 수 없으며, 각료직 겸직도 불가

o 신 헌법에 따라 2000.3.4 사상 최초로 상원의원 선거 실시

| 45 |

Page 4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o 연령 및 학력 (40세, 학사 이상, 정당 인사 제외)o 임기 6년

o 하원발의 법률안 및 상정안 심의

o 각종 감찰기구 위원 임명권

o 각료.정무직 공무원, 헌법재판소장, 행정재판소장, 감찰총장, 하원의원의 비행조사 요구권

- 하원

o 신 헌법에 따라 500명의 의원으로 구성

o 2001.1.16 하원의원 선거 실시 (신 헌법에 따른 최초 선거)o 연령 및 학력 (25세 학사 이상, 승려 제외)o 임기 4년

o 대정부 불신임권

o 주요 법률안 발의

o 예산 및 재정에 관한 법률안 발의

▷ 사법제도

- 연혁

o 1907년 근대 사법제도 확립

o 1932년 사법권 독립이 헌법상 보장

- 제도

o 제1심 (중앙 14개소, 지방 119개소)o 제2심 (중앙 1개소, 지방 3개소)o 최결심 (최고재판소 1개소)

3-2-5. 주요정당

▷ Thai Rak Thai Party (TRT: 타이락타이당)- 당수: Thaksin Shinwatra 총리

- 하원 의원수: 264석 (지역구 216, 전국구 48) - 태국 정치사상 최초로 절대 과반수 의석 차지

- 98년 창당한 신생 정당이나, 방콕, 북부, 동북부 등 남부 지방을 제외하곤 전국적으로 고른 지지 확보

▷ Democrat Party (DP: 민주당)- 당수: Chuan Leekpai (전 총리)- 하원 의원수: 127석 (지역구 96, 전국구 31)- 경제위기에 따른 97.11월 Chavalit 내각 사퇴를 계기로 야권세력을 규합, 3년간 정권을 장악했으나, 경제적 어려움 계속으로

2001.1월 총선에서 패함

▷ Chart Thai Party (CTP: 태국 국민당)- 당수: Barharn Slipa-Archa (전 총리)- 하원 의원수: 41석 (지역구 35, 전국구 6)

| 46 |

Page 4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New Aspiration Party (NAP: 신여망당)- 당수: Chavalit Yongchaiyuch (전 총리)- 하원 의원수: 36석 (지역구 28, 전국구 8)

3-2-6. 국제활동

▷ 국제기구 참여

- APEC, ARF, AsDB, ASEAN, BIS, CCC, 체, ESCP, FAO, G-77, IAEA, IBRD, ICAO, ICC, ICFTU, ICRM, IDA, IFAD, IFC, IFRCS, IHO, ILO, IMF, IMO, Interpol, IOC, IOM, ISO, ITU, NAM, OAS (observer), OIC (observer), OPCW (signatory), OSCE (partner), PCA, UN, UNAMSIL, UNCTAD, UNESCO, UNHCR, UNIDO, UNIKOM, UNITAR, UNIMIBH, UNTAET, UNU, UPU, WCL, WFTU, WHO, WIPO, WMO, WToO, WTrO

▷ 대 아세안 정책 및 아세안 제국과의 관계

- 1967년 아세안 결성에 적극 참여이후 아세안의 결속 및 발전에 주도적 역할 추구

-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를 편입시키는 Greater ASEAN 구상의 주역

- 태국은 자국의 안보를 위해 아세안의 지원을 필요로 하고, 아세안과의 경제협력 및 사회, 문화적 교류를 통한 유대 강화가

태국의 이익에 유익하며 단합된 아세안을 배경으로 국제무대에서의 발언권 강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평가

- 아세안 내에서 추진하고 있는 역내 안보대화 관련, 아세안 제국의 합의를 바탕으로 연례 아세안 외무장관회담 (AMM), 아세안

확대 외무장관회의 (PMC)등 정치안보협력을 위한 협의의 장을 확대, 역내 다수 국가가 참여하는 아세안 안보포럼 (ARF) 추진

- 95.12. 방콕개최 제5차 아세안 정상 회담시 동남아 비핵지대화 조약 (SEANFZT) 채택 주도후 비준서 기탁국으로서 조약발효

(97.3)에도 중심 역할

- ASEAN Vision 2020을 중심으로한 아세안의 협력 강화지지

3-3. 경제

3-3-1. 경제개발계획 성격

- 태국은 1980년대 수출지향정책을 추진하면서 섬유, 식품, 신발 등 경공업 외국인투자 유치에 주력, 90년대에는 중화학공업의

외국인 투자가 증가

- 태국정부는 97년 외환 위기 이후 경제 구조조정과정에서 은행 매각, 투자제도 개선, 투자 유치단 파견 등 투자유치 노력을

강화

- 2001 탁신 신 행정부 출범이후 경기회복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외국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보고, 정보통신, 자동차, 패션 (보석, 가죽, 의류), 농산가공, 고부가가치 서비스를 전략분야로 설정 (일본의 자동차투자, 해외지역본부의 태국 유치 노력 등을 강화)

- 태국의 최대 수출국인 일본을 비롯한 미국, EU 등 주요선진국의 경제 침체에 따라, 2001년 이후 태국정부는 내수부양을 통한

경제회복에 적극 나서고 있음

3-3-2. 경제적 장/단점

| 47 |

Page 4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장점- 동남아 최대 규모의 개방된 시장

o 태국은 동남아 국가중 1인당 GDP와 인구규모를 감안할 경우 최대의 시장

o 국내 제조업 기반이 취약하여 일찍부터 외국인 투자를 장려하고 수입을 개방하여 대부분의 제품이 폭넓게 수용됨

- 상류층의 구매력이 높아 국민소득수준에 비해 고급고가품 수요가 큼

o 벤츠 등 고급차 비중이 높고, HDTV 등 최고급 첨단제품 수요도 상당함

- 소비재의 수입의존도가 높고 중산층 이하의 서민은 고급 브랜드보다 값싸고 실용적인 상품을 선호하여 틈새시장 품목의 진출

가능성이 높음

▷ 단점- 대태국 투자는 인건비 및 운송비가 저렴하고 내수시장 진출이 용이한 중국. 베트남 등지와의 경합으로 투자비중이 상대적으로

저하

- 외환위기 이후 경제전망이 불투명하고 일본 또는 유럽 경쟁업체가 이미 진출하여 있거나 유통시장을 장악하고 있어, 태국에서의 비지니스가 어렵다는 인식이 확산

- 높은 임금상승 및 낮은 노동생산성

- 높은 원가부담에 따른 가격경쟁력 약화

- 효율적인 금융서비스 부재

- 대도시지역 투자인센티브 미약

- 정부정책의 일관성 결여 및 행정 지연

- 주재원 생활비의 상승

| 48 |

Page 4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3-3-3. 경제성장률 추이

- 99년 4.2%, 2000년 4.4% 성장한 태국경제는 수출감소, 소비위축, 민간투자 감소 등으로 2001년도에 1.8% 성장

-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 (National Economic & Social Development Board: NESDB)는 2002년도 1/4분기

경제성장률이 3.9%이며, 2002년도 경제성장이 최소 3.5-4%에 달할 것으로 전망

o 그간 580억바트 규모의 경기부양 예산집행과 감세 등 내수부양 효과와 GDP의 58%을 점유하고 있는 수출의

회복세, 현저히 증가하고 있는 산업생산활동 등에 기인

- 2003년의 경우 전쟁 등으로 인한 선진국의 경제회복 지연 및 유가불안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여전히 3.5-4%대의

견실한 성장률이 예상되고 있음

o 태국중앙은행 (BOT) 및 세계은행 (World Bank)은 태국의 2003년도 태국의 경제성장률이 각각 3.5%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IMF 및 Deutsche Bank는 최대 4%까지 전망한 바 있음

3-3-4. 전체/1인당 GDP 추이: GDP per capita (US$)

- 1997: $2,531, 1998: $1,862, 1999: $2,020, 2000: $1,997, 2001: $1,857, 2002: $1,963

3-3-5. 화폐 및 환율추이:

- 1997: 31.36, 1998: 41.36, 1999: 37.81, 2000: 40.11, 2001: 43.43, 2002: 43.98 (2002년 1월 기준) - (단위: 1달러

對 Thai Baht)

3-3-6. 외채추이: 대외채무/GDP (%)

- 1997: 72.4%, 1998: 93.9%, 1999: 77.6%, 2000: 65.2%, 2001: 58.7%, 2002: 47.8%- 2000년 예상금액: US$90 billion, 2001년 예상금액: US$69.4 billion

| 49 |

Page 5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3-3-7. FDI 의존도

- 태국의 투자 유치 기관인 투자청 (BOI)의 통계에 의하면 1985년부터 2001년까지의 투자건수를 기준으로 할 때 일본이 가장

많아 총 투자건수의 44.8%를 차지하는 1,745건을 투자했으며, 다음으로 대만 (579건), 싱가포르 (283건), 미국 (274건), 홍콩 (190건), 영국 (144건), 한국 (119건), 말레시아 (98건), 네덜란드 (98건), 독일 (83건) 순으로 나타남

- 금액 순으로도 역시 일본이 총 투자금액 대비 41.7%로 가장 많고, 다음이 미국 (12.2%), 영국 (11.2%), 싱가포르 (6.2%), 대만 (5.9%), 네덜란드 (3.6%), 홍콩 (3.4%), 한국 (2.1%), 독일 (2.0%), 스위스 (1.2%) 순으로 나타남

- 1996년부터 2001년까지 BOI의 해외투자 프로젝트의 업종별 분류를 보면, 전자부문이 가장 많아 25%를 차지하고 있고, 다음은 기계 금속 24%, 화학 15%, 경공업 12%, 서비스업 11%, 식품 가공 10% 등을 차지하고 있음

3-4. 산업

3-4-1. 산업구조 추이

- 태국은 1980년대 이전 농업 중심의 산업 구조에서 1980년대 이후 제조업 중심구조로 빠르게 전환함 1980년대 이후

제조업의 빠른 성장은 외국인 직접투자를 통해 얻은 선진 자본과 기술을 태국의 값싼 노동력과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임

- 1990년대 들어 전자, 기계, 자동차, 화학 등 중화학공업의 해외투자가 증가하면서 태국의 산업도 이러한 외국인 투자 경향에

따라 변화됨

3-4-2. 주요 수출품 추이: Top 5 Exports

- 1998년: 컴퓨터 및 부품 (US$322.4 billion), 의류 (US$122.9 billion), 집적회로 (US$93.8 billion), 쌀 (US$86.8 billion), 가공 어류 (US$77.4 billion)

- 1999년: 컴퓨터 및 부품 (US$307.3 billion), 집적회로 (US$111.8 billion), 의류 (US$110.2 billion), 가공 어류 (US$76.4 billion), 쌀 (US$73.8 billion)

- 2000년: 컴퓨터 및 부품 (US$348.1 billion), 집적회로 (US$179.3 billion), 의류 (US$124.1 billion), 자동차 및 부품

(US$96.5 billion), 가공 어류 (US$82.8 billion)- 2001년: 컴퓨터 및 부품 (US$351.8 billion), 집적회로 (US$154.9 billion), 의류 (US$129.1 billion), 자동차 및 부품

(US$117.6 billion), 가공 어류 (US$89.4 billion)- 2002년(Jan.-Jun.): 컴퓨터 및 부품 (US$158.0 billion), 집적회로 (US$65.3 billion), 자동차 및 부품 (US$57.1 billion),

의류 (US$52.4 billion), 보석 (US$44.5 billion)

3-4-3. 주요 수입품 추이: Top 5 Imports

- 1998년: 전기기계 (US$240.4 billion), 산업용기계 (US$169.2 billion), 화학제품 (US$151.8 billion), 집적회로

(US$148.9 billion), 원유 (US$120.0 billion)

| 50 |

Page 5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1999년: 전기기계 (US$206.5 billion), 집적회로 (US$168.9 billion), 산업용기계 (151.7 billion), 화학제품 (US$150.6 billion), 원유 (US$148.1 billion)

- 2000년: 전기기계 (US$275.9 billion), 집적회로 (US$259.4 billion), 원유 (US$246.0 billion), 산업용기계 (US$222.4 billion), 화학제품 (US$206.8 billion)

- 2001년: 전기기계 (US$324.5 billion), 산업용기계 (US$269.9 billion), 원유 (US$256.8 billion), 집적회로 (US$240.9 billion), 화학제품 (US$214.8 billion)

- 2002년(Jan.-Jun.): 전기기계 (US$162.0 billion), 산업용기계 (US$126.3 billion), 원유 (US$116.4 billion), 집적회로

(US$114.0 billion), 화학제품 (US$108.4 billion)

3-5. 한국과의 관계

3-5-1. 정치

- 한국과는 1959년 1월 수교하여 상주 대사관을 설치하고 있으며, 1975년 5월에는 북한과도 외교관계를 수립해 남북한

양국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음. 특히 한국전쟁에 UN군으로 참전하는 등 전통적인 우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3-5-2. 사회

- 태국에는 약 5,100여 명의 한국 교민이 있으며 이중 영주권 소지자가 약 100명, 일반 체류자가 5,000여 명에 이르고 있음

3-5-3. 경제

- 태국이 공업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한 80년대부터 양국간 교역이 증가하여 96년 최고액을 기록하여 양국간

교역규모는 39억불에 달함. 그러나 태국이 97년, 우리나라가 98년에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98년 교역량은 22억불로

격감하였다. 99년에 이르러 양국 모두 경제회복기에 들어서면서 교역량이 점차 늘어 99년도에는 28억불, 200년도에는 36억불, 2001년도에는 34억불을 기록하였음

- 전반적으로 2003년도 우리나라의 대 태국수출은 세계경제 침체의 지속과 태국정부의 내수확대를 통한 경제성장정책 한계 및

단일 공급건의 수출종결로 등으로 인해 2002년도보다는 증가율이 다소 둔화될 것으로 전망됨

- 다만, 2002년 하반기 이후 주요 수출시장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태국의 수출이 회복되고 있고,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플랜트

수주의 활기, IT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및 현지 컴퓨터 사용인구의 빠른 증가 등으로 인해 각종 기계류 설비, 자동차, IT부분품을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의 2003년도 대 태국 수출전망은 밝을 것으로 예상됨

3-5-4. 국제협력관계

- 무역협정 (61년), 무역전시품 면세통관협정 (63년), 항공협정 (67년), 관용여권 사증 및 수수료 면제협정 (67년), 이중과세방지협정 (74년), 운수소득면세협정 (77년), 사증면제협정 (81년), 과학기술협력협정 (85년), 투자보장협정 (89년), 범죄자 인도협정 (99년), 해운협정 (2002년)

| 51 |

Page 5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4. 말레이시아

4-1. 일반사항

▷ 국명: 말레이시아 (Malaysia)

▷ 위치: 동남아 적도 북단에 위치

▷ 면적: 329,758 sq km (한반도의 1.5배)

▷ 기후: 고온 다습한 열대성 기후

▷ 수도: 쿠알라룸푸르 (KUALA LUMPUR)

▷ 인구: 23.80 백만명 (2001년)

▷ 민족: 말레이계 (62.6%), 중국계 (24.0%), 인도계 (7.0%), 기타 (6.4%)

▷ 언어: 말레이어 (Bahasa Malaysia, 상용어는 영어)

▷ 종교: 회교 (53%, 국교), 불교 (17.3%), 기독교 (2.6%), 기타 (21.1%)

▷ 교육수준: 문맹률 (83.5%)

4-2. 정치

4-2-1. 역사

- 1963년에 말라야 연방, 싱가포르, 사바, 사라와크를 합쳐서 ‘말레이시아’가 성립하였으나 2년 후 싱가포르가 탈퇴, 독립하여

현재에 이른다

4-2-2. 정치상황

▷ 정체: 입헌군주국

- 서말레이시아 11개주 9말에이반도)와 동말레이시아 2개주 (보르네오 섬) 등 13개주 및 3개의 연방직할지로 (쿠알라룸푸르, 라부안, 푸트라자야)로 구성된 연방국가

▷ 국가원수: 국왕 (Yang Di-pertuan Agong)- 기능 및 선출/임기 년도

o 국회와 내각의 권고에 따라 행정권 행사, 수상임명, 대법원 및 고등법원 판사임명 (총리 권고), 국군 총사령관 등

임명

o 주왕의회 (Conference of Rulers)에서 9명의 주왕중 1명을 국왕으로 선출

o 임기 5년

- 현 국왕: His Majesty Yang Di-pertuan Agong Tuanku Syed Sirajuddino 2001. 12. 13일 취임 (제12대 국왕)

| 52 |

Page 5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4-2-3. 정부형태: 의원내각제

▷ 구성

- 내각은 총리실과 25개 부처로 구성

- 국왕이 하원의원 과반수의 신임을 받은 것으로 판단되는 하원의원을 총리로 임명 (81.7월 이후 마하티르 (Dr. Mahathir bin Mohamad) 총리 집권)

- 국왕이 총리의 추천에 따라 하원의원 (일부 상원의원) 중에서 각료를 임명

▷ 지방제도

- 구성

o 연방직할지인 쿠알라룸푸르 (74년 설정), 라부안 (84년 설정) 및 푸트라 자야 (2001년 설정)외에 서말레이시아

(말레이반도) 11개주 및 동말레이시아 (보르네오 섬) 2개주 등 13개 주로 구성

o 서말레이시아: Perlis, Kedah, Trengganu, Penang, Perak, Pahang, Selangor, Negeri Sembilan, Malacca, Johor, Kelantan

o 동말레이시아: Sabah, Sarawak- 주의회

o 단원제, 주의원의 임기는 5년

o 주의석: 총 504석

- 주정부

o 비말레이계의 페낭, 말라카, 사라와크, 사바주의 4개주는 국왕이 임명하는 총독 (Governor)이 상징적 통치자이며, 이 4개 주를 제외한 나머지 9개 주에서는 주왕 (호칭: Sultan, Perlis 주는 Raja, Negeri Sembilan 주는 Yang Di-pertuan Besar)이 통치자

o 주왕 또는 총독은 주의회 의원 과반수의 신임을 얻은 주의원을 주 수상 (Menteri Besar)으로 임명

o 지방정부는 국방 및 외교를 제외한 분야에서 상당한 실권 행사

4-2-4 정치구조

▷ 입법부 (양원제)- 상원 (DEWAN NEGARA): 69석

o 주대표 29석 (13개 주의회가 각 주별로 2명씩 선출, 연방 직할지 중 쿠알라룸푸르에서 2명, 라부안에서 1명은

국왕이 임명) o 국왕임명 40석 (직능대표, 국가유공자, 소수민족대표 등을 국왕이 임명)o 30세 이상의 자로서 국내거주시민이어야 하며, 3년 임기로 두 번 이상 연임 불가

o 예산안 심의권을 제외한 모든 법안을 발의할 수 있으며 모든 법안은 양원을 모두 통과하여야 함

- 하원 (DEWAN RAKYAT): 192석

o 비밀, 평등, 보통, 직접선거에 의해 192석 선출 (각 선거구별 1명씩 선출), 의회임기만료 (5년)후 또는 의회 해산후

60일 이내에 총선 실시

| 53 |

Page 5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o 단, 의장은 지역구 선출의원이 아닌 원외 인사도 임명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정원은 193명이 되며, 투표권은 없음

o 21세 이상의 국내거주 시민이어야 함. 주재국 헌법상 직업 공무원과 정치인을 엄격히 분리, 전자는 사임하지

않고는 의원으로 피선될 수 없음

o 예산안은 하원 단독처리

▷ 사법제도: 3심제 (지방법원, 고등법원, 대법원)- 대법원

o 연방과 주, 주와 주간의 분쟁해결 및 헌법해석

o 대법원장: Tan Sri Mohamed Dzaiddin- 고등법원

o 말레이반도와 Sarawak/Sabah 주를 관할하는 2개의 고등법원 설치

o 쿠알라룸푸르와 쿠칭 소재

- 지방법원

o 민사 및 체형, 금고 이하의 형사사건 취급

o 고등법원에서 대법원으로의 항소권은 무제한이나 대법원에서 국왕으로의 항소권은 제한되어 있음

o 85.1.17 영국 추밀원에 대한 상고제를 폐지, 연방법원을 대법원 (Supreme Court)으로 발족, 3심제로 개편

o 법관은 총리의 추천에 따라 국왕이 임명

4-2-5. 주요정당

▷ 범여권 (BN, 국민전선)- UMNO (United Malays National Organization)

o 당수: 마하티르, 총리

o 하원 의석수: 72석

- MCA (Malaysian Chinese Association)o 당수: Ling Liong Sik, 교통장관

o 하원 의석수: 28석

▷ 범야권- PAS (Islamic Party of Malaysia)

o 당수: Hj. Fadzil Nooro 하원 의석수: 27석

- DAP (Democratic Action Party)o 당수: Dr. Lim Kit Siango 하원 의원수: 10석

4-2-6. 국제활동

▷ 국제기구 참여

| 54 |

Page 5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APEC, ARF, AsDB, ASEAN, BIS, C, CCC, CP, ESCP, FAO, G-15, G-77, IAEA, IBRD, ICAO, ICFTU, ICRM, IDA, IDB, IFAD, IFC, IFRCS, IHO, ILO, IMF, IMO, Interpol, IOC, ISO, ITU, MINURSO, MONUC, NAM, OIC, OPCW, UN, UNAMSIL, UNCTAD, UNESCO, UNIDO, UNIKOM, UNMEE, UNIMIBH, UNTAET, UPU, WCL, WFTU, WHO, WIPO, WMO, WToO, WTrO

▷ 대외관계

- 비동맹, 온건중립 외교노선 견지

- ASEAN을 중심으로 한 지역협력 강화

- 유엔, 비동맹, 영연방회의, 이슬람국가기구 등 국제무대에서 적극 활동

- G-77 및 G-15를 통한 남남협력에 선도적 역할

- 2020년 선진국 진입을 위한 경제외교 활성화

4-3. 경제

4-3-1. 경제개발계획 성격

- 1971-1990년까지 신경제정책 (New Economic Plan, OPP1)을 단행하면서 빈곤층 해소 및 부의 공평분배에 역점

o 4차례에 걸쳐 5년 단위의 경제개발계획을 성공적으로 추진한 결과, 정치, 경제, 사회적 안정달성 및 수출지향형

제조업이 경제발전을 주도하는 공업화에 성공

- 1991-2000년까지는 국가개발정책 (National Development Plan, OPP2)을 수립

o 신경제정책의 후속으로 후속 국가기본정책으로 인적자원개발, 과학기술진흥 및 환경보호 등을 추가하고

민간부문의 자율성과 역할 강조

- 현재 제3차 장기발전계획 (OPP3: 2001-2010) 추진 중

o 2020년 선진국 진입을 목표로 연 7.5%의 경제성장을 목표로 추진

4-3-2. 경제적 장/단점

▷ 장점- 동남아의 중심상권으로 성장

o 과거, 싱가포를 통한 중계무역에 의존하는 무역패턴에서 탈피하여 대부분 직교역 형태로 무역 전환

o 인구수 (2,326만)에 비하여 교역규모 (US$ 1,600억)가 상대적으로 크고 비즈니스 환경이 양호함에 따라 각

분야의 세계적 우수업체가 진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음

-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내구소비재 구매증가 및 고급화

o 중고가품 혹은 유명 브랜드 제품에 대한 수요층 급증

o 특히 승용차, 가전제품 등 내구 소비재에 대한 보급확대 및 소비패턴이 급속한 고급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단점- 가격이 구매여부를 좌우하는 시장

| 55 |

Page 5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o 80년대 중반 이후 외국인 투자유치정책 추진으로 4,000여 개의 다국적 기업이 진출, 전기 전자 등 공산품 시장을

주도하고 있어 품질 및 가격 경쟁이 특히 치열

o 특히 97년 하반기 이후 현지화 가치의 급락에 따른 수입단가의 상승효과는 제품의 현지화 가격 급상승을 동반, 내수시장 위축과 함께 판매활로 확보를 위해 가격을 중시하는 추세 현저

4-3-3. 경제성장률 추이

- 97년 경제위기 여파로 98년 실질 GDP 성장률이 -7.4%로 하락

- 99년 및 2000년은 경기회복 진전으로 각각 6.1%, 8.3% 성장률 기록

- 2001년의 경우 수출부진 심화로 다시 실질 성장률이 0.4%로 하락했으나 2002년의 경우 5.3%로 회복세

4-3-4. 전체/1인당 GDP 추이: GDP per capita (US$)

- 1997: $4,625, 1998: $3,268, 1999: $3,472, 2000: $3,852, 2001: $3,679, 2002: $3,923

4-3-5. 화폐 및 환율추이: Ringgit 집계수치는 달러당 (US$)

- 1997: 2.8, 1998: 3.9, 1999: 3.8 (고정환율), 2000: 3.8 (고정환율), 2001: 3.8 (고정환율), 2002: 3.8 (고정환율) (2002년 1월 기준) - (단위: 1달러 對 Ringgit)

4-3-6. 외채추이

- 2000년 예상금액: US$41.8 billion, 2001년 예상금액: US$44.7 billion

4-3-7. FDI 의존도

- 95-01 누계 기준으로 대말련 주요 투자국은 미국 RM294.8억, 일본 RM171.9억, 싱가포르 RM128.9억, 대만 RM68.6억, 중국 RM62.9억, 네덜란드 RM59.1억, 한국 RM56.8억, 독일 RM45.9억, 스위스 RM31.1억, 영국 RM23억 순으로 나타났다

- 2001년도 투자순위는 미국 (RM33억), 일본 (RM32.8억), 중국 (RM29억), 싱가포르 (RM21.8억), 네덜란드 (RM21.7억), 한국 (RM17억), 대만 (RM11억), 독일 (RM5억) 등을 차지했다

- 2001년 외국인 투자승인 건수 590건 가운데 전기 전자산업은 198건으로 34.%을 차지했고 투자액 기준시 전기 전자산업은

투자승인 금액 RM94억은 전체 외국인 투자 승인 금액 RM183억의 51%를 차지

4-4. 산업

4-4-1. 산업구조 추이

| 56 |

Page 5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말레이시아는 1990년대 이전 농업 중심의 산업 구조에서 1990년대 이후 제조업 중심의 수출주도 구조로 경제구조 전환

o 1970년대 GDP 구성: 농업: 26.7%, 광업: 16.5%, 제조업: 12.2%o 1980년대 GDP 구성: 농업: 21.0%, 광업: 12.1%, 제조업: 17.2%o 1990년대 GDP 구성: 농업: 16.3%, 광업: 9.4%, 제조업: 24.6%o 2000년 GDP 구성: 농업: 9.3%, 광업: 7.3%, 제조업: 30.0%

- 1차산업: 팜오일과 임산물을 수출산업으로 육성

o 식품은 저소득층 생활안정, 물가관리 차원에서 수입에 의존

- 2차산업: 전자, 석유, 화학, 자동차를 전략산업으로 선정 집중 육성

o 산업별 특성에 따라 외국인 직접투자유치, 국영 및 합작투자방식, 고관세에 의한 부미푸트라 기업육성 등 전략

차별화

o 최근에는 IT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쿠알라룸푸르 인근에 집적단지를 설립 (Multimedia Super Corrodor)하고 외국인 투자 중점 유치

- 3차산업: 금융, 물류, 운송, 관광 부문을 보호, 중점 육성

4-4-2. 주요 수출품

- 전기전자 (56.6%), 팜오일 제품 (4.5%), 원유 (3.3%), LNG (3.4%), 의류 (2.4%)

4-4-3. 주요 수입품

- 기계 수송장비 (60.5%), 화학제품 (7.4%), 원유 윤활유 (5.2%), 식품 (4.4%)

4-5. 한국과의 관계

4-5-1. 정치

- 말레이시아는 1960년 2월 한국과 수교했으며, 상호상주공관을 설치했고 1973년 6월에는 북한과도 수교함 1998년 김대중

대통령이 방문하였으며, 1999년에는 사이드 하미드 외무 장관이 방한하였음

4-5-2. 사회

- 말레이시아에는 약 3,000여명의 한국 교민이 있으며 이 중 영주권 소지자가 약 200명, 일반 체류자가 2,700여명에 이르고

있음

4-5-3. 경제

| 57 |

Page 5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88년 이후 우리나라의 대말련 투자가 본격화된 시점을 전후해 우리나라와 말레이시아의 교역규모는 매년 20%이상 확대되어

왔으나 97년 하반기 이후 외환위기에 따른 수입억제정책으로 대말련 수출입이 감소되어 양국간 교역규모는 98년까지

위축현상을 보임

- 99년 이후 말레이시아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에 힘입어 말련경제의 양대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는 제조업, 건설업 등

경기회복세를 나타냄과 동시에 수입 수요 또한 확대 됨으로써 우리나라의 대말련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

- 2001년 말레이시아는 우리나라의 10위 수출시장, 7위 수입시장의 지위를 기록하여 총교역량 US$67억으로 우리나라 13대

교역대상국의 지위를 기록하고 있음

4-5-4. 국제협력관계

- 무역협정 (1962.12), 문화협정 (1965.12), 항공협정 (1967.7), 이중과세방지 협정 (1983.9), 사증면제 협정 (1983.9), 과학기술협력 협정 (1985.7), 투자보장 협정 (1988.4), 해운 협정 (1988.7), 자원협력 양해각서 (1995.11)

베트남 정보통신산업 및 SI 산업 현황

제 1장 – 정보통신산업 관련 국가정책과 환경

제 2장 - SI 산업 및 시장 동향 분석

제 3장 – 사례조사: 공공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

| 58 |

제2편

Page 5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59 |

Page 6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1장 – 정보통신산업 관련 국가정책과 환경

제 1 절: 정보통신산업의 개발정책과 법적제도

1. 정보통신산업의 개발정책 현황

세계 정보통신산업에 가장 늦게 합류한 베트남의 정보통신산업은 1990년대 후반까지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였다. 이는

국가적으로 그 동안 사회주의 체제의 국내 정치, 사회, 경제 등 모든 부문이 1990년대 초 본격적인 개방 정책으로 인하여 세계 경제와

정치 및 사회와의 조율에 모든 정책을 집중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방의 의미는 세계 자본주의의 산업화 발달과정에로의 편입을

의미함과 동시에 이는 다시 세계 산업화 발달과정 중에서 가장 후진 부분의 산업화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따라서 개방

이후 베트남 정부가 집중한 경제성장 정책은 주로 저임금을 기반으로 외국기업의 노동집약적 부문을 유치하거나, 기술부족으로

외자유치를 통한 낮은 기술을 사용하는 제조업에 집중되었다. 정보통신산업의 수준은 주로 외국기업 유치를 통한 일반 개인용 컴퓨터나

주변장치 등의 단순 조립 생산 등 주로 저임금의 단순 기술 노동력을 바탕으로 한 정보통신산업의 하드웨어 생산 및 수출에 머물러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정부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정보통신사회로의 전환과 관련 산업의 기반을 형성하기위해 다양한

정책을 이행하였다. 그 중에서 베트남 최초로 정보통신산업을 진흥하기 위한 종합정책으로 1993년에 입안된 ‘1993-2000년

정보통신산업 진흥정책 (Decree 49/CP)’이 있다. 이 정책은 1993년부터 2000년까지 공공부문 전산화 체제를 확립하고 이 전산화

시스템을 국제정보통신 네트워크와 연결하며, 이러한 전산화를 통하여 생산성 향상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중요한

제조업과 서비스 산업 부문 및 국방 부문의 현대화를 위한 정보통신기술 활용이 핵심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정책의 목표는

정보통신사회로 변화를 위한 기반 환경조성과 정보통신산업을 위한 기반조성, 관련 정보통신제품 및 서비스 생산, 소프트웨어

산업발전, 관련 기술이전 촉진 등이었다.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1994년 국가 정보통신 프로그램 지도위원회

(Supervisory Committee for the National Program of IS/IT)를 조직하여, 관련 정부정책과의 협의 하에 제도 개발하고 관련 예산

활용과 투자집행 및 평가와 이에 대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며, 정부 부문의 정보통신관련 업무의 종합 관리를 담당하였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 후반까지 베트남 정보통신산업에 대한 정부의 노력은 그 기대한 효과에 미치지 못하였다.

직접적인 이유는 기술적으로 관련 산업 기술에 대한 국내기업의 부족, 선진국가의 기술보호주의, 전산화에 필요한 막대한 재정 부족,

전체적으로 정보화를 주도할 수 있는 정부의 역량부족 등에 있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 이후, 베트남 정부는 아세안 자유무역지대

(ASEAN Free Trade Area: AFTA) 가입과 세계무역기구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가입 검토 등 새롭게 구축되는 경제의

세계화 조류에 적극 합류하기 위한 준비의 일환으로 국내의 모든 공공부문과 관련 금융 시스템 그리고 보다 적극적인 외자 유치 등을

위한 정보통신 기반시설 등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정부는 개방 이후의 고도 성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보통신산업을

향후 베트남 경제의 새로운 성장 원동력으로 구축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각종 관련 정부 정책을 입안하여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베트남의 정보통신산업은 2000년을 기점으로 정책과 관련 법규의 재정비 등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 60 |

Page 6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이러한 결과로 베트남 공산당 정치국은 2000년 작성한 ‘2000-2010년 국가산업화 정책(Policy Directive #58)’의 장기의

종합계획에서 정보통신산업 부문을 비중있게 다루었다. 이 산업화 종합계획의 정보통신산업 부문을 실질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정부는

2005년도까지 정보통신산업 발전과 수출 산업화를 위한 네 부문의 상세한 프로그램(PM Decision #81)을 계획하여 확정했다. 그 네

부문은 첫째, 통신과 인터넷 기반 시설의 확충과 향상, 둘째, 정보통신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셋째,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과

마지막으로 하드웨어 사업의 발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상세한 계획과 더불어 국가적으로 상기의 프로그램의 이행과정을 체계적으로 집행하고 감독하기 위해 관련 행정부처 및

기관 등으로 구성된 ‘정보통신 집행위원회(IT Steering Committee)’를 조직하였다. ‘정보통신 집행위원회’는 본격적으로 관련 제도와

법규, 정책 등을 재정비하고 나아가 각 행정부처 및 관련 기관의 정보통신산업 관련 사업 활동을 조정 및 감독하였다. 예를 들어

상기위원회는 2002년 국가 정보통신산업 기반 확충, 관련 전문인력 양성, 관련 외자유치를 위한 관련법규 및 제도 개혁을 위한 ‘국가

정보통신산업 종합계획 2002-2005년 (National IT Master Plan 2002-2005)’이라는 국가 전체의 개발 계획을 입안하였다. 이러한

위원회의 계획 아래 각 행정부처에서는 집행 계획을 입안하였다. 무역통상부의 경우 ‘전자상거래를 위한 정보통신 종합개발 계획(IT

Master Plan for E-Commerce: MTD)’, ‘교육부의 정보통신교육 종합계획(Master Plan for Education and Training: MET)’, ‘

과학기술부의 통신개발 종합계획(Master Plan for Telecommunications: MSTE)’, ‘농림 수자원 개발부의 관련정보통신 개발

종합계획(IT Master Plan for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MARD)’ 등을 입안 실행하였다.

또한 동 위원회는 정보통신산업 발전과 활용에 관련된 제도적 환경을 개혁하기 위해 각종 법규 및 제도의 재정비를 단행하였다. 예를

들어 ‘정부 행정업무의 전산화 가이드라인 (Guidelines for the Computerization of Government Operations: Decree #112)’,

‘공공업무시스템의 재정비 및 현대화 (Re-engineering and Moderniz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Systems: Decision #136

on Public Administrative Reform)’, ‘정보통신산업 발전을 위한 인센티브 제도 (Incentives to Support the IT industry:

Decisions #128 and 19)’, ‘통신발전전략 (Approving DeGPT’s Telecommunications Development Strategy: Decision

#158)’, ‘ISP 서비스 제도 개선과 시장경쟁 제도 개선 (Liberalisation of ISP Service Delivery and of IT Market: Decree #55)’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국가적인 정보통신사회 기반 조성 및 산업 진흥정책과 더불어 독점적 위치에 있는 베트남 국내의 국영기업으로 하여금 각

산업 부문별 정보통신기술 개발 및 활용을 주도하게 하여 각 정보통신 부문별 균형 발전을 적극 유도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예로는 한국의 한국통신처럼 베트남 정부의 우편통신국 감독 하에 있는 베트남의 우편통신공사(VPTC)의 역할이다. 앞선 언급한 바와

같이 우편통신공사는 정부를 대신하여 베트남 정보통신 기술 개발 및 기반 확대에 우편통신 산업과 시장에서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 정책의 예로는 정부의 우편통신국과의 협의 아래 2002년에 입안된 '우편통신과학기술 및 산업발전 방안’이 있다. 이

정책은 2010년까지, 우편통신산업을 총 거래량 약 25-30%로 성장시키고, 소프트웨어 산업을 2005년까지 약 10% 성장시키며,

2010년까지 2000회선 용량의 수입 스위치보드 시스템과 대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개발하고, 2010년까지 대용량

교환시스템과 스위치보드의 설계 기술 및 소프트웨어 모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61 |

Page 6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이러한 중앙정부 또는 각 산업별 기업정책까지 체계적으로 진행되는 국가정책은 이에 끝나지 않고 ‘정보통신 집행위원회(IT

Steering Committee)’의 정책 지원 및 지도 아래 지방정부인 각 인민위원회에서 시정관련 정보통신 종합계획을 입안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정책은 베트남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고 약 20여 개의 대학교와 40여 개의 전문교육기관, 60여 개의

연구개발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베트남 내에서 최대의 정보화 시설 기반을 갖고 있는 호치민시의 경우 중앙정부와의 협의 아래 '

호치민시의 지식경제 산업 활성화 정책’을 채택하였다. 이 정책의 사업 내용은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총 9년간, 지역의 통신시스템,

도시관리, 교육, 훈련, 기술연구, 보건 부문에 특화된 데이터 네트워크 시설을 확충하고, 관련 지역의 모든 경제활동 분야의 전자화를

유도하며, 관련 정보통신 시설을 위한 관련제품을 생산, 확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에 맞추어 호치민시 인민위원회(People

Committee of Hochiminh City)는 관련 법규 및 모든 분야의 구조 조정과 현대화를 시도하고 있다.

또한 호치민시 인민위원회는 국가 정보통신 개발전략의 일환으로 2002년 ‘정보통신 기술적용 및 개발정책(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Program)’을 입안하여 향후 3년간 약 4억 5720만 달러를 투입하여 2005년까지 년간

약 20%의 정보통신산업 성장을 유도하고, 4-5%의 인구대비 인터넷 사용인구로 확대하며, 50,000여명의 정보통신 전문인력을

양성할 예정이다. 또한 2002년 현재 약 399개인 정보통신 기업의 수를 2005년까지 약 300여 개의 신생 소프트웨어 기업 설립을 적극

후원하여 그 숫자를 두 배로 늘릴 계획이다. 이러한 정책의 실행으로 2005년 후 년간 35-40%의 정보통신산업 성장 (5억 5천만 달러),

약 2만여 명의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가 양성 및 약 2천여 명의 해외 고급인력 수출을 기대하고 있다.

또 다른 대표적인 중앙정부, 시정부 그리고 산업계의 개발협력정책으로는 2002년 중앙정부와 호치민 시정부가 각각 50%씩 자금

지원 (총 510만 달러)을 지원하여 베트남의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단지인 Quang Trung Software City (QTSC)의 정보통신 시스템

설립을 들 수 있다. 이는 Quang Trung Software City (QTSC: 호치민시 소재)의 정보통신시설의 향상을 통하여 관련 업계의 투자를

유도하여 관련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이 소프트웨어 단지는 2001년 호치민시로부터 약 8십만 달러를 지원 받았으나

자금부족으로 중앙정부의 지원을 획득한 사례이다.

최근 2003년 1월 베트남 우편통신부 장관은 IT산업 관계자 모임에서 정부의 IT 산업 집중육성 방침을 대내외에 적극 홍보하기

시작했다. 이 방침에 의하면 정부의 IT 산업육성정책과 통신기기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연내 국제 통화요금 인하조치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밖에도 우편통신부는 경제발전은 물론 사회 모든 부문에서 인터넷 비중이 증대되는 추세에 따라, 2003

년을 '인터넷 활용의 해'로 선언하고 인터넷 사용료 인하와 서비스 강화로 가입자와 인터넷 사용자를 늘여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통신부는 장기적으로 교육부와의 협력을 통한 각급 학교의 컴퓨터 학습 강화, IT 관련 전문가 육성 프로그램을 실시해 관련 인력을

양성하고 베트남 자체 IT 상품개발도 적극 권장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지역적 특성에 맞춰 베트남 IT 산업을 대표하고 선도할

도시로 호치민시를 지정하고, 이에 따라 호치민시를 IT 산업 중심지로 집중투자 육성해 나가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조치는 베트남

정부의 기초 인프라 개발정책이 IT 산업부문으로 확대됨에 따른 것으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관련 상품 제조업체의 육성과 그에

따른 외국 기업과의 협력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 62 |

Page 6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베트남의 정보통신 활용 및 산업에 대한 본격적인 국가 전략이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이제

초기단계에 있으므로 선진국과는 달리 아직까지 베트남은 정보통신활용과 산업에 관련된 통일된 법규가 없다. 현재 베트남의

정보통신관련 법적 제도는 관련 상법이나 정부의 임시 법령 등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예를 들어 ISP 라이센스는 상법에 관련되어 있고,

정보통신 외자기업은 외국인투자관련 세법 등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 중의 하나는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속도가 법규제정에

필요한 시간보다 더 빠르고, 또한 그 발전 양상의 불확실성 등으로 정보통신 활용과 산업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베트남정부로서는

통일된 관련법규를 제정한다는 것이 아직은 역량부족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도의 불투명성과 불합리성의 문제점이

외국투자기업으로 하여금 관련산업의 베트남 투자를 꺼리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적극적인 국가전략으로 정보통신부문이

채택되어 관련 기술개발 및 활용 그리고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관련 법규들을 꾸준하게 재정비하고 있다. 어째든 기존 법규들은 현재

베트남의 정보통신산업 개발과 법적 제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또한 이미 정보통신 관련 법규들이 (예를 들어 인터넷과

전자상거래에 관련된 법규) 선진국에서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는 바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아직 속도는 늦지만 곧 제정될 것으로

예측된다.

정보통신 법규 관련 가장 핵심적인 기관은 중앙정부의 우편통신국(Department General of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DGPT)이다. 베트남 정보통신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베트남 우편통신공사(VNPT)는 1995년 법적으로 우편통신국과 분리되어 독립적인

경영 형태를 취하지만 우편통신공사의 정책과 그 시행을 실질적으로 우편통신국이 지도 감독하며 동 부서는 통신 및 우편 서비스 법규

입안과 시행, 그리고 관련 서비스의 세금 및 비용과 라이센스 관리에 일차적 책임이 있다.

2002년 5월 작성된 우편통신국(DGPT)의 내부 보고서에 의하면 베트남 정부는 정보통신산업의 새로운 법적 기초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부는 현재 정보통신관련 법제 제도를 위해 정책과 법적 기능이 분리된 새로운 통신법(Teleco-mmunication Act)을

입안하고 있다. 이 법안에 따르면, 구조개혁의 방법, 정보통신산업 관리를 위한 정부의 행정부처별 기능 재조정, 허가된 여러 관련

이익집단의 역할의 제도적 구분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법안은 미국과의 상호호혜 무역협약 (Bilateral Trade Agreement)과

WTO 협상안의 내용과 조건 등을 충족시키기 위해 통신산업의 민간참여 확대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전자상거래 법안을 입안하고 있고 이 법안의 목적은 베트남 국내경제의 활동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연구와 조사,

마케팅 그리고 아세안 자유무역지대 (ASEAN Free Trade Area: AFTA) 회원국의 관련 협력자들과 경제활동 연계를 원활히 하기위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전자상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법규 제도를 제정하는데에 베트남은 아직도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데이터의 활용, 전자서명, 전자공증, 전자회계, 전자 송출금 등에 관련된 기술적 문제와 관리능력 문제가 아직은 베트남

국내에 충분히 준비되어 있지 않다. 또한 지적 소유권의 범위와 적용 문제는 현재 관련 소프트웨어나 기술 등의 이용 가격이 베트남

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너무 비싸 대부분 복사제품이 통용되는 현실과 직결되어 있고, 소비자 권리 보호와 분쟁 해결 방법 등에 관련된

복잡한 문제 등이 있다. 어쨌든 우편통신국의 내부 보고서에 의하면 무역통상부 및 관련 부서와 협력해서 이러한 관련 법규를 2002

년말 입안 예정에 있으나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 63 |

Page 6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다음은 정보통신 활용의 활성화 및 관련 산업발전을 위한 제정되었거나 제정될 각종 법규 중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 법안명: No 1110/BC 211

공표년도: 1997년

입안기관: 문화부

적용부문: 인터넷 내용 공급자 (Internet Content Providers (ICP)) 허가와 그 조건

- 법안명: No 679

공표년도: 1997년

입안기관: QD-TCBD

적용부문: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 (Internet Service Providers (ISP)) 허가와 그 조건

- 법안명: 기술이전 법규 (Decree on Technology Transfer: No.45-1998-ND- CP No 679)

공표년도: 1998년

입안기관: 과학 및 기술부

적용부문: 기술이전 내용; 기술이전 유형; 이전 금지 기술; 이전된 기술개발권; 기술이전 계약내용; 신기술 조사 및 개발결과 이전을

위한 계약

- 법안명: 베트남인의 정보통신 사용법규 (Standardization of Vietnamese using in all IT/IS: TCVN 6909)

공표년도: 2003년

입안기관: 국가 집행위원회

적용부문: 모든 전자정보 및 통신사용 및 관련 공공 및 민간 기관

| 64 |

Page 6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2 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1990년대 초 경제 개혁의 일환으로 개방정책을 선택한 이후, 베트남 정부의 주요 경제정책의 핵심은 외국차관 또는 외국기업의

유치를 통한 기술개발 및 국내 산업의 발전에 있다. 따라서 베트남의 외국인투자정책은 모든 경제정책 중 가장 우선 순위를 차지하며

다른 개발도상국과는 달리 가장 빠르게 외국기업투자유치를 위한 각종 호혜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베트남 외국인투자 촉진안(Measure for Encouragemen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Vietnam)’

으로 여기에는 베트남에 투자하는 외국 기업은 시설물 사용비 면제, 세금감면, 수입관세 감세, 소유권의 보장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베트남의 외국인 투자를 총괄하는 외국인 투자법(Law on Foreign Investment in Viet Nam)에 규정된

투자 유치 특별 부문에는 정보통신산업이 정책적으로 들어가 있다. 이는 타 산업 부문보다 가장 우선적으로 호혜적인 정책 및 관련 시설

지원이 되는 것을 의미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가 경제성장 전략에서 동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최근에 외국인 투자법(Law on Foreign Investment in Viet Nam)을 이행하는 법령 24/2000호 (Decree 24/2000/ND-CP)

은 예정된 아세안 자유무역지대 가입과 미국과의 상호호혜 무역협약 및 세계무역기구 가입 노력 등으로 이러한 국제 수준으로 맞추기

위해 현재 법령 개정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상기의 개정에 변경될 수 있는 주요 내용은 외국인 투자기업의 기업법인세율 조정,

산업단지 지역기업의 세금과 인세티브의 조정, 투자금지 부문 조정, 사업부문 조건 조정 그리고 투자촉진지역 조정 등을 담고 있다.

상기의 법안개정과 더불어 정부의 정보통신산업의 외국기업 투자관점의 중요한 정책 변경은, 2002년 1/4분기에 베트남 정부는 현재

국가 독점으로 운영되고 있는 우편통신부문의 고부가가치 사업과 인터넷 서비스 사업에 외국인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부분적

시장경쟁체제를 도입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는 이미 순차적으로 부분적으로 실행된 시장경쟁체제의 일환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독점시장의 경쟁체제를 더욱

개방하겠다는 의미이다. 후기의 베트남 정보통신산업 현황에서 자세히 설명을 하겠지만, 베트남 우편통신공사가 (VNPT)가 유일한

통신부문의 독점 공기업으로 중앙정부의 우편통신국의 감독 하에서 그 독점적 지위를 누렸지만, 1994년 정부의 무선통신 개발전략에

따라 스웨덴의 Comvik International과 우편통신공사(VNPT)와 합작하여 Viet Nam Mobile Services Company (VMS)을 설립하여

운영하였다. 이와 더불어 1996년 우편통신공사의 자회사인 Viet Nam Telecom Services Company의 계열회사로 VinaPhone을

설립, 이 시장의 선두 주자인 VMS(2001년 7십만 여명의 가입자)와 경쟁을 시켰다. 그러나 이 때까지의 시장의 경쟁체제는 공기업인

우편통신공사의 독점시장 내에서의 내부 경쟁이었다. 2000년 이후 통한 정보통신산업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조치로 동 시장의

외국기업의 시장 참여를 제한 정책을 조건부 폐지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로 싱가포르에 등록된 SK Telecom, LG와 동아의 한국

합작기업인 SLD Telecom이 한국에서 성공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전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현지의 Sai

Gon Postel과의 합작으로 베트남 무선통신 시장에 진출하게 되었다. 비록 여러 정책 및 시장의 장애 조건으로 동 기업의 사업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지만, 중요한 것은 이러한 통신시장의 개방정책이 적극적인 정부의 정보통신산업 관련 경제 전략의 결과라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사회주의 체제하에 있었던 독점기업에 주도한 각 부문별 시장이 이제는 국제 개방화 추세에 따라 시장경쟁 체제로

| 65 |

Page 6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바뀐다는 것이다.

베트남 정부의 우편통신국(DGPT)의 계획에 의하면 2004년까지 통신관련 고부가 가치 서비스를 개방하고, 2005년까지 인터넷

서비스 부문, 2006년까지 휴대폰 서비스 부문의 외국기업의 투자를 허용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계획의 일부분 중 가장

중요한 사실은 이러한 국가기간산업에도 외국투자기업의 소유권을 기존의 현지인 혹은 현지합자회사의 명목상 소유권을 외국기업도

인정을 하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체적인 외국기업투자정책과 달리 베트남의 정보통신산업 부문의 발전을 위해 국내외 기업의 투자 유도 및 유치를 위한

세금감면제도가 특별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2000년에 소프트웨어 산업의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제정한 법령 128/2000호(Decree

Number 128/2000QĐ-TT)로 국내에 소재하고 있는 베트남 또는 외국 소프트 기업은 기업법인세를 일정 정도 감면해주고, 소프트웨어

사업의 소득세 발생년도부터 4년간 소득세 감면하며, 소프트웨어 제품과 서비스의 부가가치세 감면혜택, 그리고 국내생산이 불가능한

소프트웨어 제품의 수출입세 면제와 더불어 금융여신 혜택과 소프트웨어 제품의 지적소유권 보호 등의 정책적 지원도 하고 있다. 또한

2000년 3월 동 법령은 컴퓨터 제품을 그 혜택에 포함하고, 컴퓨터 산업을 위한 수입세 감세와 금융 혜택을 포함시켰다. 이러한 변경의

목적은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업과 개인의 컴퓨터 사용을 촉진시키기 위해 컴퓨터 수입과 조립을 활성화 시키는데 있었다.

그러나 베트남 정부는 의욕적으로 정보통신 부문에 외자 유치를 추진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상당히 고전을 하고 있다. 첫번째 이유는

소프트웨어 산업의 경우 Research Viet Nam의 자료에 의하면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의 시장 특성에 기인한다. 베트남 전체에 2002년

초 현재 약 30여 개의 외국투자 혹은 재외 베트남 투자의 소프트웨어 기업이 있으나 소규모의 저가 경쟁력을 가진 현지 기업과의 경쟁,

지역 특성에 맞는 프로젝트 관리와 마케팅 능력의 부족 등으로 고전하고 있다. 그 다음의 이유로는 지역 산업 및 시장 정보의 폐쇄성,

제품의 국제신용 부족, 국내 관련 정보통신시설 기반의 부족, 인터넷 활용의 수준 미달 등을 들 수 있다. 참고로 국가 전체적으로 2002

년 5월 현재 베트남은 해외직접투자 유치 건수로는 총 209건 금액으로는 약 3억 9,380만 달러로 전년의 같은 기간에 비해 26.1%

감소했다. 2001년 12월말 현재 총 3,788건 474억 6천 만 달러에 달했다. 한국은 투자 허가 금액 기준으로 싱가포르, 대만, 일본 다음

4번째로 그 다음은 홍콩이 뒤따르고 있다.

어쨌든, 베트남 정부의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최근 세계 정보통신산업의 불황으로 철수했던 Fuji, Paragon Solutions, HSBC, HP 등

다국적 기업이 베트남 소프트웨어 부문에 재투자를 시작했다. 현재 IBM은 소프트웨어 개발 센터 설립을 추진 중이고, Cisco의 경우,

2002년 SaiGon CTT와 HaNoi CTT의 합작 협력으로 시스코 인증 프로그래머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현재 약 150여 명을 배출했고, 1

천여 명이 등록 교육 중이다. Research Viet Nam의 자료에 의하면 이러한 다국적 기업이 재투자를 시작한 동기 중 첫번째로 꼽은

것은 낮은 비용의 소프트웨어 생산활동으로 이는 현재 인도와 싱가포르에서 생산하는 것보다 약 50%정도 저렴하다는 것이다. 이는

다시 말해, 제3국으로 재수출하는 외국기업의 투자 유치를 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현지 인력의 높은 숙련성과 낮은 비용에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베트남의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전략의 가장 중요한 핵심 전략은 관련 전문인력양성을 통한 산업의 발전이다.

비슷한 맥락으로 한 일본 소프트웨어기업은 Financing and Promoting Technology Corporation(FPT, 공기업임)와의 합작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 베트남 현지인을 모집하여 일본으로 인력 수출을 추진 중이다.

| 66 |

Page 6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통신부문에서 한국기업의 현지투자가 두드려지는데,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은 싱가포르에 등록된 SK Telecom, LG와 동아의

합작기업인 SLD Telecom의 현지 Saigon Postel과의 협력투자를 하여 베트남 무선통신시장을 진출한 사례이다. 한국에서 성공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전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며, 2005년까지 약 15만여 명에서 20만여 명, 2010

년까지 약 1백만여 무선전화 가입자 확보를 목표로 현지 작업 중이다. 또한 이와 더불어, 인터넷 서비스 시장에서는 한국통신(Korea

Telecom: KT)이 베트남 우편공사와의 협력으로 약 4천만 달러를 투자하여 2003년부터 본격적으로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사업을 개설할 예정으로 있다.

| 67 |

Page 6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3 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정보통신기술과 그 기술의 사회 경제적 활용 그리고 그와 관련된 산업의 발전은 많은 국가에서 이미 상당한 수준까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고 또한 주력산업으로 성장시킨 선진국가 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에서도 이 부문은 그 사회 정치적 또는 경제적 효용성

때문에 회피할 수 없는 국가의 중요한 정책사업이다. 따라서 국가정책을 담당하는 베트남 정부로서는 다양한 국가 조직 기구를 통하여

이의 여러 효용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정책과 감독을 이행하려고 노력한다. 이와 관련된 산업의 시장 기회가 확대되고 또한 그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실행의 주체인 기업 또한 정부의 전폭적인 정책 지원 아래 끊임없는 기술개발 및 활용의 확대를 통하여 관련

시장에서의 성장을 꾀한다. 이러한 정부와 기업의 성공적인 관련 활동을 후원하기 위해 공익적 성격을 띤 다양한 관련 사회기관이 그

역할을 담당한다(예: 관련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교육기관과 기초 기술 개발을 연구기관 등). 따라서 제 3절 SI산업 관련 후원기관

현황에서는 베트남에서의 정보통신산업 환경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정치, 사회 및 산업의 관련 기관을 살펴본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베트남은 정보통신기술 및 산업의 발달이 여러 가지 이유로 상대적으로 늦게 진행되었다. 따라서 다른

나라들처럼 이러한 여러 정치, 사회 및 산업의 관련 기관의 조직이 상대적으로 미비하고 따라서 그러한 활동이 활발하지 않다. 그러나

전통적인 사회주의 국가로서 계획경제 속의 국가 정책의 이행에 관한 국가 조직의 중앙집권적인 활동에 익숙해져 있어 비록 그

조직체계가 미비하다 할지라도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1. 정부의 정보화 추진 관련 위원회

1-1. 정보통신 집행위원회(IT Steering Committee)

정보통신 기술적용 및 산업발전에 관련된 국가의 최초 조직기구는 1994년 국가 정보통신 프로그램 지도위원회(Supervisory

Committee for the National Program of IS/IT)이다. 이 조직은 1993년에 입안된 '1993-2000년 정보통신산업 진흥정책 (Decree

49/CP)’의 체계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중앙공산당 소속의 조직이다. 역할은 관련 정부정책과 제도를 개발하고 관련 예산 활용과

투자집행 및 평가와 이에 대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며, 정부부문의 정보통신관련 업무 종합관리를 담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에 들어 관련기술과 예산의 부족 등으로 관련정책의 지지부진한 이행과 함께 이 기구의 역할은 명목상으로만 존재하기에 이르렀다.

2000년대에 들어 본격적인 베트남 정부의 정보통신산업 정책에 힘입어 다시 이 조직은 2001년 ‘2000-2010년 국가산업화

장기계획 및 정책(Policy Directive #58)’의 정보통신산업 부문을 이행하기 위해 정보통신 관련 행정부처 및 기관 등으로 ‘정보통신

집행위원회(IT Steering Committee)’로 개편되었다.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 소속인 ‘정보통신 집행위원회’의 역할은 실질적으로

모든 정부 행정부처 및 지역정부의 관련 활동에 대한 전체적인 조정 및 감독을 하고 나아가 관련 제도와 법규, 정책 등의 재정비 등을

조정하는 등 막강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조직의 지도 아래 중앙의 각 행정부처의 부처별로 혹은

지역정부별로 입안한 정보통신 종합개발정책을 상충되는 문제점을 국가장기계획 아래에서 조정한다. 상기 위원회는 2002년 10월

다시 재창립되어 현재 관련 조직 구성을 서두르고 있다.

| 68 |

Page 6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2. 베트남 우편 통신국(Department General of Post and Telecommunications)과 우편

통신공사 (Vietnam Post and Telecommunications Corporation)

앞서 잠시 언급한 바 있는 베트남의 우편통신국의 역할은 베트남 정보통신산업 정책과 이행에 관련하여 아주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중앙정부의 모든 정보통신관련 실행정책 및 관련 법규와 지침, 각종 인허가, 통신세금 및 관련비용, 나아가 시장 상황에

대한 조정까지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베트남 우편통신공사는 1995년 이전까지 우편통신국의 일개 부서와 같은 공기업으로서

우편통신국의 우편통신관련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비록 1995년 우편통신공사는 우편통신국으로부터 법적으로 독립을

하였지만 아직까지도 정책과 행정적으로 우편통신국의 지도 하에 있다. 후기의 사례 연구에서 자세히 소개를 하겠지만 우편통신공사는

현재 베트남의 통신시장의 거의 독점적인 유무선통신 공급자이며 정부를 대표하여 인터넷 기술과 네트워크공급과 소프트웨어

산업기술 개발의 주도적인 역할을 맡고있다.

2. 정보통신산업 기술후원 기관

상기의 중앙정부 산하의 정보통신산업 관련 정책적 기구말고 중요한 역할을 국영기업이 있다. 이는 베트남 전자통신기술 개발기업

(Vietnam Electronics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ELCOM)이 있다. 이 국영기업은 베트남 전자, 통신 및

정보통신 소프트웨어 제품의 선진기술의 현지 이전과 현지기술의 개발에 관해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으며, 현재 약 135여명의 관련

전문인력이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하였듯이 이 국영 기업은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예산부족, 전문인력의 부족 등으로 아주

기초적인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국영기업은 앞서 언급한 베트남 우편통신공사의 관련 계열기업 및 연구기관과 경쟁해야

하는 상태이고 상대적으로 예산이나 전문인력의 열세에 있다. 따라서 향후 정책적인 지원과 산업의 성장에 따라 그 역할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비슷한 역할을 맡고 있는 또 다른 국영기업으로는 400여 명의 연구진을 확보하고 있는 Financing and

Promoting Technology Corporation (FPT)이 있다. 후기에 자세히 설명되겠지만 이 국영기업은 순수연구보다는 관련 산업의 실용화

기술개발에 힘쓰고 있는 SI산업의 주요 기업이다. 베트남 전자통신기술 개발기업(Vietnam Electronics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ELCOM)의 일반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2-1> 베트남 전자통신기술 개발기업(Vietnam Electronics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ELCOM) 의 일반 현황

이름 베트남 전자통신기술 개발기업(Vietnam Electronics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ELCOM)

목적 전자, 통신 및 소프트웨어 제품의 양적증대와 국제규격화 후원

고용인원 135

주요활동 신기기 및 기법 이전

| 69 |

Page 7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응용 소프트웨어 제품의 개발

전자, 통신제품의 설계와 설치

자동계측 및 통제제품의 설계와 설치

주요업적 신기술제품의 공급을 통한 시장확장

컴퓨터 및 주변기기, 전기 전자제품, 통신기기 제공

자체 연구개발센터 설립

3. 정보통신산업 협회

베트남의 경우 다른 자본주의 국가와 달리 관련 산업의 이익집단인 산업협회가 발달되어 있지 않다. 개방경제이후 정부가 관련산업을

촉진시키기 위해 관련 업계에 종사하는 중요한 기업들을 회원으로 정부의 정책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필요성으로 조직되는

경우가 많다. 아직 정보통신산업 관련 중요한 협회들은 구성이 되지 않았다. 최근 2002년 4월말에 정부의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을

위한 행정정책의 일환으로 중앙정부의 과학, 기술 및 환경부 (Ministry of Science, Technology and Environment)의 정책지도 하에

있는 40여 기업을 회원으로 베트남 소프트웨어 협회(Viet Nam Software Association: VINASA)가 창립되었다. 이 협회는 모두 18여

명의 집행위원회가 있고, 위원장으로 Truong Gia Binh (국영기업 Financing and Promoting Technology Corporation: FPT의

사장), 부위원장으로 Pham Tan Cong (Viet Nam Young Enterprise Association)가 선출되었다. 이러한 전국규모의 협회와는 달리

각 지역정부에 소규모 협회가 있다. 그 중에서 가장 큰 것은 호치민 소프트웨어 기업협회가 있다. 베트남 소프트웨어 협회(Viet Nam

Software Association: VINASA) 협회에 관한 목적과 주요활동은 다음과 같다.

<표 2-2> 베트남 소프트웨어 협회(Viet Nam Software Association: VINASA)의 일반현황

이름 베트남 소프트웨어 협회(Viet Nam Software Association: VINASA)

목적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

소프트웨어 상업화와 수출촉진, 전문인력양성, 국제협력도모

회원기업의 각종 권리 보호 및 국제협상에서의 이익옹호

정부 혹은 관련 기관과 민간 산업계의 조정역할

공식대외관계 2002년4월 창립

주요활동 소프트웨어 사업자의 법적 산업대표성

주요업적 베트남 소프트웨어 산업 축제(Viet Nam Software Festival)

4. 교육기관

이러한 정보통신산업의 직접적인 시장 참여자 중심의 기관과 달리 베트남 정보통신정책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하노이 기술대학(Hanoi University of Technology)과 호치민 기술대학(HoChiMinh University of Technology)의

| 70 |

Page 7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정보통신단과대학이 있다. 모두 베트남 국립대학이라는 명목상의 종합대학교 소속이지만, 통상적으로 서로 독립된 단과대학이다. 다시

말해 타 국가들과 달리 국립대학 모두 명목상의 베트남 국립대학 소속이지만, 지역적으로 학문계열에 따른 단과 대학들이 독립되어

있다. 이 두 기술대학이 중요하게 평가받는 이유는 이 두 대학의 정보통신학과 교수진 및 졸업생들이 베트남의 정보통신산업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하노이 기술대학 출신들은 정부의 정책분야나 중요한 국영기업으로 많이 진출하고 호치민

기술대학 출신들은 외국기업으로 많이 진출하거나 독립적인 사업을 하는 경우가 맡다.

| 71 |

Page 7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2 장 - SI 산업 및 시장 동향 분석

제 1 절: 정보통신산업 및 활용의 일반현황

1. 일반 현황

베트남의 정보통신산업은 앞선 언급한 바와 같이 후발주자라는 제약요인 외에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제반 법률정비 부족,

부적정한 과세정책, 지적재산권 보호 미비, 높은 인터넷 사용료 등으로 아직은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 대내외 모든 기관의

공통적인 평가이다.

베트남의 IT시장규모는 2001년 기준으로 약 3억4천만달러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중 하드웨어 부문은 2억8천만달러, 소프트웨어

부문은 6천만 달러이다. 2002년에는 총 3억 8천만 달러로 전년에 비해 약 12%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02년 초 현재 베트남에서 IT산업에 종사하는 전체 법인 수는 약 800개 정도로 추정되고 있고 이 중 약 600개 정도가 관련

기업이며 나머지는 연구 및 교육기관으로 추정된다. 베트남 PC World의 최근 실태조사에 따르면 IT기업의 75% 이상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부문을 동시에 운영하고 있으며 15.4%가 하드웨어부문, 9.6%가 소프트웨어 부문에서 전문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2년 초 현재 베트남에는 전국적으로 약 23,400명의 정보통신산업 전문인력이 있으며 매년 약 2,500에서 3,000명의

신규인력이 동 분야에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베트남은 성장분야인 소프트웨어 산업 활성화에 소요될

프로그래머 등 정보통신 관련 전문인력 확충을 위해 교육부와 과학기술부가 공동으로 인력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는데 이 계획에 의하면 매년 약 3,500명 가량의 숙련된 프로그래머가 시장에 공급될 계획이다.

다음은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세계의 정보통신산업 관련 조사기관 (ITU, WISTA, Netcraft와 IDC) 등에서 조사한 통계들을

재구성하여 2002년 9월 발표한 세계 각국 정보통신 일반현황 중 베트남의 경우이다. 기존의 자료로서는 베트남의 우편통신국 혹은

우편통신공사, 베트남 데이터통신 등에서 발표하는 자료들이 있지만, 이러한 자료들은 신뢰성에 문제가 있고, 이 자료들은 다시 IDC나

ITU에서 결국 재구성하기 때문에 최대한으로 신뢰성을 주면서 국제 비교가 가능한 세계은행 자료를 인용하였다.

표 2-3에서 나타나듯이 아직 개인 컴퓨터의 보급은 2000년 천명 당 약 8.8명이고 2001년 교육기관에 배치된 개인컴퓨터는 베트남

전체 27,000 대 뿐이다. 여기에 인터넷을 접속하여 사용하는 서비스 공급비가 매월 약 19.7달러 연간 약 230 달러이다. 이는 2001년

베트남의 1인당 GNP가 약 410 달러인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비용이다. 따라서 아직은 광범위하게 사회부문에 정보통신산업과 적용의

활성화를 위한 수준에는 많이 못 미치고 있다. 세계은행에서 비교한 아시아 태평양 국가의 정보통신기반 및 환경지수에서 베트남은

아직 평균에도 훨씬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72 |

Page 7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2-3> 베트남 정보통신 기반 일반 현황 (2000년 9월 현재)

구분 2000년

통신

유선전화(천명당) 32회선

대도시(천명당) 133회선

무선전화(천명당) 10명

컴퓨터

PC(천명당) 8.8명

교육기관 PC 27,000대 (2001년 자료)

인터넷사용자 200,000명

서비스 공급비 19.7달러 (매월)

광대역 망 사용자(전체인구) 0.5%

정보통신지출($, 백만) 2,124.0 달러

* 참고: 2000년 베트남 전체인구 약 79.5백만 명, 광대역 망 사용자 통계는 베트남의 우편통신국의 발표자료임.* 출처: http://www.worldbank.org/data/countrydata/countrydata.html

| 73 |

Page 7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 상세 현황

2-1. 베트남 통신산업 현황

세계통신협회(ITU)에 따르면 아시아에서 베트남은 중국에 이어 통신시장 성장률이 2번째로 높은 국가이다. 최근 통계에 의하면,

지난 5년 동안 베트남의 통신네트워크의 성장률은 26.9%로 이 수치는 중국과 비슷하며 아세안 지역에서는 가장 빠른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1986년에 100명당 0.1대에 불과했던 전화회선수가 1992년 인도네시아 이후, 1994년 1대의 전화회선당 100명의 인구 기준을

넘어섰다. 2000년 3.2대, 2001년 6.26대로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세계시장평균(18~20회신)과 비교하면 아직은 턱없이 부족한 수준으로 베트남 우편통신국(VNPT)은 2010년에 15~18회선, 2020

년에 28~30회선으로 증가시킬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동통신의 경우 현재 160만 명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는데, 2005년이면 약 7

백만 명 가입자 돌파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 추세라면 2006년 약 천만회선을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급속한 성장이

예견되고 있다

그러나 1992년 처음 도입된 무선부문은 유선부문보다 성장세가 약하며, 현재 아세안 지역에서 가장 낮은 보급률을 보여주고 있다.

2000년 말, 약 789,000 무선전화 가입자와 2백5십만 고정회선 가입자가 있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이후 정부의 적극적인 무선전화

활성화 정책과 시장의 경쟁체제 도입 등으로 급속하게 무선전화 시장은 확장되고 있다. 1999년 대비 2000년의 천명당 가입 숫자는 두

배 증가한 약 10명이 이를 말해준다. 시장의 특성상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한번 성장기에 들어가면 향후 급속한 확산이 이루어질

것이다.

현재 베트남의 무선전화 방식은 GMS(Global Mobile System) 시스템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을

동시에 적용하고 있다. 이는 베트남 정부의 세계 무선전화시장의 성격과 기술도입 가능한 다국적기업 간의 투자기회에 의해 결정되어진

결과이다.

1992년 최초의 무선전화 서비스 도입을 결정하여 시행하고 난 후 관련 상용기술과 자본의 부족 그리고 관리시스템에 대한

경험미숙으로 오는 비용의 증대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의 통신시장의 시장경쟁체제 도입이라는 새로운

정책과 함께, 무선시장에서도 기존의 우편통신공사의 독점시장 기회를 포기하고 1994년 스웨덴의 Comvik International과

우편통신공사의 합작으로 Viet Nam Mobile Services Company (VMS)를 설립하였다. 이 스웨덴의 회사로 하여금 그 당시

스웨덴에서 상용화 되었던 GMS(Global Mobile System)900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었다. 2002년 초, 정부의 경제계획 및 투자부

(MPI)로부터 약 1억 달러의 무선전화 네트워크 개발관련 투자를 승인 받아 전체 투자금액은 1억4천8백만 달러로 현재 GMS(Global

Mobile System)900 시스템에서 GMS 1,800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있고, 나아가 2002-2005년 동안 제 3세대 무선전화기술을

개발할 예정에 있다.

| 74 |

Page 7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상기 VMS의 최초 시장진입자의 장점과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아래, 현재 전국 61여 개의 도시 및 지방에 820,000여 번호처리

능력을 가진 6개의 교환기와 500여 개의 기지국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세계 37개국의 66여 개의 무선전화회사와 국제 로밍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1994년 3,200여 명의 가입자에서 2001년 700,000여 명으로 연간 약 64%의 고속성장을 통하여 현재 약

70%의 시장 점유율을 누리는 등 무선시장의 주도적인 위치에 있다. 또한 2002년 146,500여명의 신규 가입자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매출액 또한 1994년 52.8천만 베트남동에서 2002년 1,900천만 베트남동으로 연간 44% 증가를 보이고 2002년 약 2,100

천만 베트남동이 예상된다.

이러한 VMS의 독주를 방지하고 자체 기술개발을 통해 독자적인 베트남 현지기업을 육성하고자, 1996년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산하의 Viet Nam Telecom Services Company의 계열회사로 VinaPhone이 설립되어 무선전화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

회사는 기술 및 자본 그리고 관리능력의 부족으로 아직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여러 문제점을 극복하고 급속하게

VMS의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이 회사 또한 VMS와 마찬가지로 GMS 방식의 무선전화 서비스를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무선시장의 새로운 가능성을 가진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전화 방식의 한국기업 연합체가 현재

베트남 시장을 적극 개입하고 있다. 싱가포르에 등록된 SK Telecom, LG와 동아의 합작기업인 SLD Telecom이 현재 베트남의 Sai

Gon Postel과 합작으로 2001년 8월 베트남 정부로부터 2억3천만 달러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전화

네트워크 설립 투자 허가를 획득하였다. Sai Gon Postel은 베트남 정부기업인 우편공사에서 민영화된 회사로, 최대 8백만 달러의

자본참여와 네트워크관리 책임으로 SLD Telecom과 50:50 세금이전 분배의 협상으로 사업협력자가 되었다. 이 회사는 2002년 말

서비스 시작 후, 2005년까지 약 15만에서 20만, 2010년까지 1백만 가입자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계약조건 당시의 과도한

정부의 분담금 문제, 협력 회사와의 갈등, 그리고 시장의 불안정성과 예측부족으로 현재 상당한 고전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2. 베트남 인터넷산업 현황

베트남은 1997년 12월 국제 인터넷 연결망에 처음 연결한 가장 늦은 인터넷 연결 나라 중 하나이다. 그 이유는 비록 인터넷의

활용이 경제 개발과 사회 및 문화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정치적으로 베트남 정부의 통치이념과 배치되는 개방성과 다양성에

대한 거부감에 기인한다. 이러한 이유로 베트남 정부는 인터넷의 활용에 상당한 통제를 가하고 있다.

현재 베트남의 인터넷 사용자에 관련 통계는 여러 조사기관의 목적과 계산방법에 따라 통계가 다르다. 대체적으로 ITU에 의하면

2000년 말 현재 약 20만의 인터넷 사용자가 있었다. 이 수치로 인구대비 활용률을 계산하면 인구 천명당 사용자 1명으로 아직 상당히

수준이 낮은 편이다. 그러나 이러한 활용률은 매년마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01년 우선 10만명의 Dial-up을 통한 접속자, 약 200

여 인터넷 고속회선 (leased lines)과 인터넷 카페의 사용자 약 4만 여명을 기본 바탕으로 계산하면, 인터넷 활용률은 전체인구대비 약

| 75 |

Page 7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0.25% 혹은 인구 389명당 1명의 인터넷 사용자가 된다. 이러한 주요성장의 원인으로 베트남 주요 도시에 빠르게 성장한 약 1,268여

개의 인터넷 카페다. 어쨌든 최근 ITU의 통계에 의하면 2002년 베트남의 인터넷 가입자수 25만 2천명, 인터넷 이용률은 1.26%로

세계 평균이 11.26%와 비교하면 아직 턱없이 낮은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는 낮은 개인 컴퓨터의 보급률, 인터넷 기반시설의 부족과 활용의 필요성 부족 등 여러 요인이 있지만, 중요한 것은

인터넷의 사용기반 비용이 국민소득과 비교하여 볼 때 너무 비싸다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2001년 인터넷서비스 공급비는

매월 약 19.7달러로 연간 약 230 달러이다. 이는 2001년 베트남의 1인당 GNP가 약 410 달러인 것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비용이다.

현재 12개의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가 있는데 그 중에서 베트남 데이터 통신사 (Viet Nam Data Communication Company:

VDC)와 기술개발 금융회사 (Corporation for Financing and Promoting Technology: FPT) 양사가 전체 시장의 90%를 장악하고

있다. 베트남은 2003년까지 80만 명, 2005년까지 160만 명의 인터넷 가입자 확보라는 목표를 정하고 이를 위해 가장 문제가 되는

통신 비용을 내년 초에 절반 수준으로 그리고 계속 인하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 두 공급자 중에서 가장 주도적인 회사인 VDC는

우편통신공사의 국제회선관련 자회사로 출발, 현재는 정보통신서비스회사로 성장하여 인터넷 접속,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전자상거래와 관련된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2002년 현재 베트남의 인터넷 접속시장의 56%를 점유하고 있다.

2-2-1. 광대역 (Broadband) 인터넷 망 현황

광대역 인터넷 망에서 통상 세 가지 유형을 사용하고 있다. 첫째는 위성통신에 의한 무선접속 시스템, 둘째는 고유회선인 케이블에

의한 접속 시스템 그리고 마지막으로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의 기술을 이용한 접속 시스템이다.

현재 베트남에는 아직 위선통신과 케이블에 의한 광대역 인터넷 망은 설치되어 있지 않고, Dial-up 시스템의 후속으로 ADSL의

기술에 의한 광대역 인터넷망 설치를 서두르고 있다. 이러한 광대역 서비스는 64 kbps에서 2.048 Mbps의 고속 회선에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설치되어 있는 이 회선이 겨우 200 회선에 달해 상대적으로 설치 비용 대비 이용가격이 상당히 비쌀 수 밖에 없다.

64 kbps의 고속회선의 사용료는 월 1,442 달러이고 2 Mbps 회선의 경우 월 17,304 달러이다.

우편통신공사의 자회사인 베트남 데이터통신 회사 (Vietnam Data communications Company: VDC)가 주도적으로 ADSL

기술을 응용한 광대역 인터넷 망을 처음 개발하기 시작하였고, 2001년 약 100여 명의 사용자, 그리고 2002년 약 1,000여 명의

사용자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동 회사의 5개년 성장 계획에 의하면 2005년 약 100,000여명의 광대역 인터넷 망의 사용자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을 응용한 지방 국영회사인 HCM City P&T와 Hai Phong and Ha Noi P&T는 하노이와 호치민시

베트남 최대의 도시를 사업기반으로 고속 인터넷 접속과 사용(8Mbps download and 640 Kbps upload)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 한국의 한국통신이 우편통신공사와의 협력투자(총 4천만 달러)로 ADSL 기반 기술을 응용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사업에

진출하였다. 이 서비스는 2003년 사업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 76 |

Page 7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2-2. 전자상거래 (e-Commerce) 현황

최근 베트남 무역통상부의 2002년 조사에 의하면 전국 70,000 기업 중에서 단지 7% 만이 전자상거래를 하고 있고 그리고 3%는

관심만 있고, 나머지는 전자상거래에 대한 개념조차 이해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고 조사되었다. 이러한 원인에는 기존 거래방식에

익숙한 기업의 거부 반응, 인력 부족, 높은 인터넷 비용, 낮은 접속 속도, 관련법 제정 미비 등이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거시적으로

전자상거래를 위한 우편통신 부분의 기반시설과 경제적 역량이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베트남 정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향후 다가올 아세아 자유무역지대 가입과 세계무역기구 가입에 대한 사전노력으로

전자상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을 적극 기울이고 있다. 예로 무역통상부는 중앙정부에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국가위원회’

설립을 제안하여 중앙행정부와 지방정부의 모든 관련 부처의 중앙 집중적인 관리와 감독을 통하여 활성화를 시도하고 있다. 또한

호치민시 인민위원회는 전자정부(E-government)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실시하고있다. 이 사업의 개요는 약 2천만 달러를 투입하여

각 정부기관과 기업을 네트워크로 연결, 2005년 8월까지 고속 인터넷망을 완성하는 것이다. 또한 2006년 이후 매년 약 650만 달러를

투입하여 관련 기관의 인력양성 및 네트워크 유지, 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베트남의 전자정부 구축의 최대 과제는 저임금의

풍부한 노동력 사용 관행으로 인한 자동화 및 전산화 도입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타파하고 전통적인 기업경영 행위를 전자상거래로

변환시켜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정부의 2001~2005년 정보통신 활용과 발전 장기계획(Master Plan for IT Application and Development in Viet Nam

between 2001-2005)에 의하면, 2005년까지 전체 인구대비 약 5%까지 인터넷 사용자를 확대, 2003년까지 베트남의 모든 대학,

기관, 전문학교 및 직업훈련학교의 인터넷 연결, 2005년까지 약 70%의 공립 중, 고등학교와 병원의 인터넷 연결 등이 전략적 목표로

되어 있다. 이러한 계획이 성공한다면, 전자상거래 또한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3. 베트남 정보통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산업 현황

2-3-1. 하드웨어 산업 현황

베트남 데이터통신 회사(Vietnam Data communications Company, VDC)에 의하면 베트남에는 현재 약 백만 대의 컴퓨터가

보급되어 있고, 약 100여 개 이상의 기관과 학교 등이 정보통신기술 발전과 교육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인터넷상에

약 2,3000여 개의 베트남 웹사이트가 있으며 이중 90%는 기업 웹사이트에 속한다고 한다. 이러한 컴퓨터 관련 시장이

정보통신기술산업 전체 거래의 약 80%이고,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시장은 5천8백만 달러로 2001년도 전체 정보통신시장의 20%를

차지하고 있다.

베트남은 현재 컴퓨터 기기 관련 산업에서 모니터, 케이스, 키보드, CD롬 등 일부 하드웨어제품만을 국내 생산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컴퓨터 기기 관련 시장수요의 24% 수준에 불과하다. 따라서 베트남 정부의 IT산업 활성화 정책에 따르면 향후 국내 생산으로

내수시장 수요의 80% 이상을 공급하고 세계시장에서도 경쟁할 수 있는 우수한 제품을 생산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 77 |

Page 7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세계적 IT그룹인 Intel 등 다국적 정보통신기업에 대해 투자유치 및 기술이전을 시도하는 등 선진기술 도입을 위하여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2-3-2. 소프트웨어 산업 현황

호치민시 정보통신산업협회(HCM City Information Association: HCA)의 2002년 보고서에 의하면 베트남에는 전체적으로 약

370여 개의 소프트웨어 회사가 있고 이중 71개는 2002년 설립되었다. 소프트웨어 산업 분야에는 2002년도에 약 6,560여 명이

고용되었고 2003년에는 고용 인원이 7,400여명으로 증대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 다른 보고서(베트남 소프트웨어협회(VINASA))에

의하면 이중에서 전문 프로그래머는 약 4,700명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1년 통계에 의하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 1

인당 약 8,450달러를 생산했고 이는 2000년도와 비교해서 약 30%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HCA의 가입된 26개의

소프트웨어 회사(1,040 프로그래머 고용)의 연간 매출액은 약 8백8십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베트남

소프트웨어협회(VINASA)에 의하면 국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총 시장가치가 약 1백만 달러도 안될 정도로 시장규모가

협소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시 말해, 아직 베트남 내의 소프트웨어 시장은 주로 외국기업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이다.

최근 2002년 7월 17일 총리명령(Decision 95/2002/QD-TTg)으로 확정된 베트남 정부의 2002~2005년 정보통신산업

발전계획에 따르면 베트남 정보통신산업의 연간성장률 목표는 20~25%이며 특히 소프트웨어 분야는 중점 육성해 정보통신 산업

성장의 견인차로 만들고 2005년까지 IT분야 투자자본이 총 GDP의 2% 이상이 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발전 계획에 따른 후속 조치를

보면 경제계획 및 투자부의 2002년 10월의 제안서에서 정부는 정보통신산업 발전을 위하여 약 1억7천말 달러의 투자를 승인한

것으로 나와 있다. 이중 약 1억 달러 정도는 2005년 천만 달러 생산액을 목표로 하드웨어 산업에, 나머지 7천만 달러는 소프트웨어

산업에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투자와 더불어 베트남 정부는 적극적으로 관련 소프트웨어 다국적기업의 해외투자유치,

발전기금 조성, 소프트웨어공단 조성, 프로그래머 양성을 위한 관련 정부 투자 확대 등을 통해 시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베트남 정부는

연간 약 35%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소프트웨어 시장을 2005년까지 5억 달러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표 2-4는 베트남 주요 소프트웨어 기업의 일반 현황이다. 뒤에 자세히 설명을 하겠지만 표에서 나타나듯이 대부분의 기업은 1990

년대 중반 이후에 설립되었고, 집중되고 있는 부분은 기술력을 요구하는 프로그램 부분이다. 이러한 부분들은 이미 선진국에서 이와

관련한 많은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있기 때문에 베트남 국내기업들에서는 이것을 다시 베트남 여건에 맞게 재수정을 하고 있다(

인터뷰).

<표 2-4> 베트남 주요 소프트웨어기업(SI기업 포함)의 일반현황 (2002. 11.)

회사명 Lac Viet Computing Corp.

Hanoi University of Technology

IOIT Misa JSC Tinh Van Co. Ltd.

창립년도 1994 1995 1977 1999 1997

| 78 |

Page 7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품명 Lac Viet Dictionary (MTD EVA)

BKAV VNDOCR Misa AD Libol

기능 영어-베트남 사전(윈도우용)

바이러스 방지 소프트웨어

베트남어 교과서 (윈도우용)

회계관리 프로그램(윈도우용)

전자도서관 관리시스템

특허여부 있음 있음 있음 없음 없음제품인지도 중 상 상 중 중수출가능성 없음 없음 있음 없음 없음주요고객 다낭대학교, TD&T

Shareholding Ltd.

정부기관, 하노이 시립고등학교

외무부, 재무부출판부

베트남항공, 하노이 고등학교, 하이퐁 인민대학교

교육부 및 타 대학교들

웹사이트 lacviet.com.vn bkav.net ioit.ac.vn misa.com.vn tinhvan.com.vn

제 2 절: SI (System Integration: 시스템 통합) 시장 현황

1. SI시장 규모

아직 베트남의 SI시장에 관한 국내외 공공기관의 정확한 통계가 없다. 이는 SI산업의 특성상 보는 시각에 따라 그 산업의 범위가

달라질 수 있고, 그 범위 역시 정확히 통계를 구하는데 문제점이 많기 때문이다. 어쨌든 기존의 여러 자료와 정부 통계자료 등을

기준으로 추론할 때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중앙정부는 약 4억 달러를 정보통신 산업의 발전에 투자함), 베트남의 SI시장은 1996

년에서 2000년까지 매년 약 20%정도 성장한 것으로 파악된다.

표 2-5는 베트남 데이터통신 회사(Vietnam Datacommunications Company: VDC)에서 추정한 베트남 정보통신산업 전체

시장에 관한 자료이다. 정보통신산업의 전체 시장은 2000년 약 1억9천9백만 달러에서 2002년 약 2억9천만 달러로 성장한 것으로

추산된다. 이 중 SI 관련 시장은 약 20% 미만으로 2001년도 기준으로 약 5천만 달러 정도이다.

<표 2-5> 베트남 SI 시장의 성장추정, 2000년-2002년 (2002. 11.)

단위: 천 달러(US)

년도 2000 2001 2002**

금액 199,000 235,000 290,000

* 성장률은 2000년도 금액대비임 ** 2002년도의 금액은 추정치임.

베트남 데이터통신 회사 (Vietnam Datacommunications Company: VDC)의 자료에 의하면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시장이

지속적으로 2005년까지 약 40% 성장할 것이며 그 시장 규모는 약 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5억 달러의 시장 규모는 약

5만여 명의 정보통신 전문가 교육과 인터넷활용 시장, 하노이와 호치민 그리고 다낭에 관련 소프트웨어 단지가 설립되는 것을 포함한

금액이다.

| 79 |

Page 8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2-6은 베트남에서 가장 큰 SI 수요시장의 각 부문별의 담당자 20여 명 총 100여 명의 정보활용부서에 있는 관계자들을 통해 각

부문별 전산화 활용수준에 대해 조사한 통계이다. 현재 각 부문의 전산화 활용수준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각종 통계자료 등이

미비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제시한 설문 결과도 현재 그 부문에서 전산화를 담당하고 있는 부서와 활용부서 관계자들을 상대로 인위적인

전산화의 활용수준을 조사한 결과이다. 조사 결과, 정부 및 기타 제조업 등이 가장 낮은 활용수치를 기록하고 금융과 정보통신부문이

가장 높은 수치인 중간 정도 활용(50%)을 보여준다. 이러한 조사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앞서 언급한 베트남 전체의 정보통신산업

현황과 향후 사례조사를 한 각 공공 부문 등의 실제 조사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조사는 이렇게 응답한 것보다 더욱

낮은 수치로 나올 수도 있다.

| 80 |

Page 8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2-6> 베트남 전산화 활용수준 각 부문별 (2002. 11.)

부문별 정부/공공 금융 제조업 서비스 정보통신

전산화 활용수준 25% 50% 25% 25% 50%

* 참조: 완전 활용수준 100%, 대부분활용 75%, 중간정도 50%, 최소활용 25%, 전무 0%

2. SI 주요 기업들

현재 2002년 베트남에서 IT에 종사하는 전체 법인 수는 약 800개 정도로 추정하고 있는데 이 중 600개 정도가 기업이며 나머지는

관련 연구 및 교육기관이다. 베트남 PC World에서 최근 실시한 실태 조사에 따르면 IT기업의 75% 이상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부문을 동시에 운영하고 있으며 15.4%가 하드웨어부문, 9.6%가 소프트웨어 부문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의 IT인력은 전국적으로 약 23,400명에 달하며 매년 2,500~3,000명의 신규인력이 IT분야에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은 성장분야인 소프트웨어 산업 활성화에 소요될 프로그래머 등 IT인력 확충을 위해 교육부와 과학기술부가 공동으로

인력개발 5개년 계획을 공동추진하고 있는데, 매년 3,500명 가량의 숙련된 프로그래머가 공급될 계획이다.

2-1. 다국적 기업

주요 SI관련 진출 다국적기업으로 IBM Global, Bearing Point(구 KPMG)와 Braxton (구 Deloitte Consulting), Oracle, Dolsoft

등이 있다. 다른 IT 다국적기업인 Accenture와 Cap Gemini 등은 진출을 하지 않고 시장만 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베트남의 SI

시장에서 이들의 역할은 주로 전체 SI 컨설팅 파트에 집중되어 있고, 대부분의 공공부문 전산화작업은 이들의 기초 안을 중심으로 국내

기업들이 참여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전산화 작업에 대한 이들의 기술적 우위와 관련 적용제품의 세계 선도성,

그리고 일천한 베트남 기업의 전산화 관련기술 등에 기인한다. 실질적으로는 이들 다국적기업이 베트남의 SI시장에 진출하고는 있지만,

아직 베트남의 시장이 다국적 기업이 생각하는 만큼 성숙되지 않았기 때문에 미래의 시장 가능성을 위해 진출하거나 제품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뒤에 정부의 행정부문과 공공부문 사례조사에 자세히 언급을 하겠지만 행정부문의 SI관련 프로젝트는 2년 기간에

건당 약 3만 달러에서 6만 달러 사이로 이들 다국적기업으로서는 시장성이 부족하다. 다른 공기업부문은 상대적으로 20만달러에서 40

만달러 정도의 프로젝트가 간혹 발생하나 이 역시 2년에서 4년의 장기 프로젝트이므로 다국적 기업의 수익성에는 부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기업이 집중하고 있는 부분은 베트남 국내기업과 합작으로 프로젝트를 수주하여 일정한 설계의 프레임과 자사 제품이

들어갈 수 있는 기본안을 작성해주는 역할을 하고 상대적으로 모든 부문의 비용이 저렴한 국내기업에게 그 외의 다른 SI 부문 특히 노동

집약적인 작업을 다시 하청한다. 현재 베트남 내의 일천한 전산화 관련기술 및 제품으로 인하여 이들 다국적기업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베트남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 중에서 SI관련 소프트웨어 제품판매회사에 관련된 기업으로는 Oracle과 Dolsoft가 있다. Oracle의

| 81 |

Page 8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사업활동은 주로 여러 SI부문 중에서 경영활동관련 소프트웨어를 FPT사(Corporation for Financing Promotion of Technology)와

제품 공급 협약을 통해 이루어진다. 2002년 고용인원 약 80여 명의 Dolsoft 경우 여타 다국적기업 보다 일찍 진출하였는데 (1990년)

주로 베트남의 교통부, 전화국, 버스회사와 경찰청 등에 GIS 시스템을 공급하는 회사이다. 제품 공급과 관련하여 전산화 관련 담당자와

작업자들에게 조사한 설문 결과를 보면 Oracle, SAP, Peoplesoft, JD Edwards, Siebel, Access, FoxPro 등의 제품을 현지에서

적용할 때 외국어로 작성된 혹은 외국의 상황에 맞게 제작된 현시화 제품의 특성이 그렇게 구매시 중요한 요소는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역으로 기존의 다국적 기업의 제품에 베트남의 전산화 상황을 적용한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2-2. 국내기업

SI산업 부문 중에서 가장 부가가치가 높고 사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의 Accenture나 Bearing Point처럼 컨설팅 부문의

베트남 국내 SI기업은 그렇게 많이 있지 않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기업들이 기술과 관리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대부분

기업들은 다국적기업과 같이 사업 협력자로 프로젝트의 컨설팅 부분에 참여를 하거나 노동집약적 혹은 후속사업 부문을 대부분

담당한다. 그 중에서 가장 알려진 베트남의 SI 기업에 관해서는 표 2-7에 개괄적인 일반 사항을 나열하고 있다.

표에 나타나듯이 이들 대부분의 기업 규모는 작고 영세하다. 이들 외에도 대표적인 기업으로 VDC (www.vdc.com.vn), SMENET

(www.smenet.com.vn), SAIGONNET (www.saigonnet.vn) 등이 있다.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사항은 이들 대부분의 기업들이 SI

산업의 다른 부문, 하드웨어 공급, 소프트웨어 공급, 교육 및 보수유지 부문에도 모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표 2-7> 베트남 SI산업의 컨설팅 부문의 주요회사 현황일반 (2002. 11.)

기업명 VASC FPT Vietsoftware ISA Co. Ltd. TMA Solutions

본점 하노이 하노이 하노이 하노이 호치민

웹사이트 vasc.com.vn fpt.com.vn vietsoftware.com isa.com.vn tmasolutions.co

m

고용인원 20 30 10 10 10

창립년도 1994 1988 2001 1993 1999

컨설팅 다음으로 중요한 SI부문은 소프트웨어 공급회사로 이 부문은 베트남 정부의 정책과 베트남 현지상황으로 컨설팅 부문보다

다소 활성화 되어 있다. 그러나 앞선 언급한 바와 같이 아직까지 소규모의 형태이고 영역 또한 제한되어 있다. 2001년 말, 베트남은 약

260여 개의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4,700 전문 프로그래머)들이 300여 종류의 사업 활동 부문을 가지고 있다. 이 중에서 약 50%는

국내 또는 국제 하청 계약 관계이고 약 30%만이 지적소유권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회사로는 앞서 언급한 TMA solutions가 있다. 비록 컨설팅 부문은 적은 고용인원 (약 10여명)을 보유하고

있지만 소프트웨어 부문은 약 130여명의 프로그래머를 고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회사이다. 그러나 이 회사의 대부분 제품은 미국 등

| 82 |

Page 8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세계의 다국적 IT기업의 제품생산 용역관계를 가지고 있다. 2002년 미국의 Aberdeen Consultancy Company의 세계 소프트웨어

산업의 하청부문 연간보고서에서 인도의 Infosys, TCS, Wipro와 중국의 Xansa 등과 함께 세계 15대 최고의 소프트웨어

하청공급업자로 선정되었다. 현재 Nortel Network와 NTT Groups에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있고 최근 2002년 6월 US Technology

Company와도 공급계약을 체결하였다.

이와 더불어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회사로는 앞서 언급한 FPT사가 있다. 이 회사는 정보통신기업으로 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인터넷 접속사업을 기반으로 하고있다. 특히 정보통신 기술과 관련하여 약 30여 다국적기업의 국내 독점유통업자이고, 현재

베트남에서 상당한 기반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주요고객으로 정부 및 공기업이 많다. 현재 통신기자재, 의료기자재, 전자부품, 자동화

시험장비 등 다른 부문으로 다각화를 시도하고 있다. FPT사의 이러한 사업 특징은 이 기업 자체가 정부의 공기업이기 때문이다. 1988

년 과학, 기술 및 환경부 (Ministry of Science, Technology and Environment)의 산하 공기업인 식품가공 기술회사(Food

Processing Technology Company)로 설립되었고 이후 정보통신부문으로 진출하여 회사명을 변경하였다. 주요 거래

다국적기업으로는 Metso Automation (핀란드), Baur(오스트리아), Heafely-Tettex(스위스), Herman(독일), Motorola(미국),

TQ(영국) 등이 있다. 매출액은 2001년 4천만 달러로 이 중 IT기자재와 소프트웨어 부문 3천만달러로 이 부문에서 국내 최대의

기업이라 할 수 있다. 최근 2002년 러시아의 TechnoExport와 Olivetti 컴퓨터 공급계약을 체결하였고 총 거래액의 65%는

물물교환방식으로 러시아의 전자부품으로 대체하여 지급 받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기술개발 관련활동으로 1996년 기술개발을 위한

기술이전 및 프로젝트 센터(Centre of Project and Technology Transfer)를 설립하였고 2001년 BVQI’s ISO 9001 인증서와 2002

년 5월 ISO 9000-2000 인증서를 획득하였다.

그 외 베트남 SI산업에서 활동하고 있는 주요 전문 소프트기업의 현황은 아래의 표 2-8와 같다. 이들의 매출액 대부분은 백만

달러에서 2백만 달러 사이이다. 고용 전문프로그램의 수는 최대 150여명 그리고 최소 25명이다. 주요 거래처는 정부의 행정부처이다.

<표 2-8> 베트남 SI산업의 소프트웨어 공급 부문의 주요회사 현황일반 (2002. 11.)

기업명 Lac Viet

Computing

Hai Hoa Tinh Van Misa JSC LACVIET

지역본점 호치민 하노이 하노이 하노이 호치민

고용인원 150 120 50 40 25

연혁 1994 1995 1997 1999 1996

주요

프로젝트

사전, 임금과

인적자원 관리 및

회계 관리시스템

도로설계

GIS 시스템

전자도서관시스템 기업회계관리

시스템

회계관리 시스템

네트워크,

은행관리시스템,

ERP2000, VirusKick,

Accnet2000

| 83 |

Page 8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주요고객 교육부, 통계청,

문화부

교통부, 농림

수자원부

베트남항공, 하이퐁

인민대학교

외무부, 문화부 시티뱅크, 국립은행,

노르텔, AT&T,

유니레버

웹사이트 lacviet.com.vn harmony.com.vn tinhvan.com.vn misa.com.vn lacviet.com.vn

앞서 언급하였듯이 대부분의 베트남 SI 기업들은 SI 전부문에 걸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대규모 컨설팅 분야의

프로젝트에서는 외국의 다국적기업이 맡는 경우가 많고 그 외 다른 부문은 국내기업들이 하청형식으로 맡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베트남 국내 SI의 프로젝트 규모가 작고 또한 대부분의 예산의 약 80%는 하드웨어 기종 교체와 네트워크 장비에 투입되고 나머지 20%

정도가 다른 부문에 대한 예산배정으로 이루어지므로 관례적으로 시장이 열악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 부문의 교육과 설치 서비스는

대부분 외국 컨설팅회사에서 전체를 맡아서 한다. 표 2-9는 국내의 교육 및 설치 부문의 주요회사 현황이다.

<표 2-9>

베트남 SI

산업의

교육 및

설치

부문의

주요회사 현황일반 (2002. 11.)

교육 및 설치부문과 달리 SI의 보수 및 유지부문은 SI공급자로서는 상당히 중요한 부문이다. 프로젝트 완결 후 이러한 보수 및 유지를

통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매출을 보장해주고, 또한 향후 시스템의 교체시 공급자 경쟁에서 유리한 자격을 부여해준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교육 및 설치부문과 달리 많은 고용인원을 보유하고 있다. 아래의 표 2-10은 베트남 SI산업의 보수 및 유지부문에서

활동하는 대표적인 주요회사의 일반 현황이다.

<표 2-10> 베트남 SI산업의 보수 및 유지 부문의 주요회사 현황일반 (2002. 11.)

| 84 |

기업명 FPT-APTECH Center

VDC CDIT Center PT Center SSP Center

지역본점 하노이 하노이 하노이 하노이 호치민웹사이트 fpt.com vdc.com.vn cdit.com.vn ptcenter.net ssp.com.vn고용인원 20 20 15 20 10연혁 1988 1989 1999 1994 2000

기업명 FPT Sinh Lien CMC Robo JSC Viettronics VTB지역본점 하노이 하노이 하노이 호치민 호치민웹사이트 fpt.com SingPC.com.vn cmc.com.vn robovietnam.com idc.com.vn고용인원 60 40 40 40 40연혁 1988 1993 1990 2000 1981

Page 8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3장 – 사례조사: 공공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

제3장에서는 베트남 중앙 및 지방정부의 행정부처, 일반 공공기관과 공기업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수준에 대한 조사내용을 상세히

분석하겠다. 이후에 관련 부문에 대한 종합분석 및 시장기회 그리고 다른 아세안 국가와 비교설명은 6편 현지 SI부문별 한국기업

진출전략 편에서 종합하여 상세히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제 1절: 중앙정부의 행정부문

1. 중앙정부 행정기관

베트남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정보화 시설 및 활용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앞서 1편의 조사대상의 특징에서 자세히 언급하였듯이 모든

정부의 행정부처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중앙정부 행정부처 총 19개 부처 중에서 10여 개의 부처를 표본 선택하였다. 본 연구 조사의

목적인 공공부문의 SI 시장의 현황분석과 관련하여 공공부문 중 가장 중요한 핵심 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중앙정부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수준 부문의 조사를 위하여, 1) 부서의 고용 규모의 분포, 2) 베트남 경제의 직접 영향력, 3) 정보통신 산업과의 정치 및 정책적

연관성, 4) 정보통신산업의 수요시장으로서의 중요성, 5) 공공산업부문의 영향력 등을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조사 대상인 10개의

부처명과 고용 인원은 다음과 같다.

<표 2-11> 베트남 중앙정부의 표본조사 행정부처명과 인원 현황 (2002. 11.)

부처명 농림 수자원개발부

문화부 교육부 재무부 재무부 보건부 산업부 경제계획 및 투자부

무역통상부

교통 및통신부

평균

본부 995 305 1,346 801 489 881 551 401 302 613 668지역 605 295 1,854 5,225 29,511 928 2,120 0 551 15,387 5,648총인원 1,600 600 3,200 6,026 30,000 1,809 26,761 401 853 16,000 8,725

| 85 |

Page 8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 (Hardware)

2-1-1. 기반 서버 (Server)

가. 서버 수

▷ 현재 베트남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서버의 양적분포(0-100)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그림 2-1과 같다. 전산화

기반이 되는 서버 수의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중앙정부의 전산화 정책 중 중앙부처의 전산화 하드웨어 측면의 수준과 더불어

중앙부처 중 전산화 정책집중 순위도를 분석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림 2-1> 베트남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6

7

0 2

3 4 5

100 0 9 8 1

0 – 교통부; 1 - 농림 수자원 개발부; 2 – 문화부; 3 – 교육부; 4 – 재무부; 5 – 외무부; 6 – 보건부; 7 – 산업부; 8 – 경제계획 및 투자부; 9 – 무역 통상부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주요 서버의 수를 조사한 결과 각 부처 당 100여 개의 미만으로 그 중에서 재무부가 가장

많은 수의 서버를 보유하고 있다.- 경제계획 및 투자부는 중간정도 그리고 문화부와 교육부의 서버 숫자가 가장 적게 조사되었다. 상기의 그림에서 나타난

표본 조사된 각 부처의 서버 숫자가 반드시 그 숫자와 정보화 활용수준과의 정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이러한

것은 후기에 상세하게 각 부처의 고용인원 대비 각종 정보화 기반시설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설명하겠다.

▷ 그러나 이러한 중앙정부의 행정 부처의 서버 숫자의 양적분포도를 통하여 몇 가지 중요한 사실을 추론할 수 있다.

▷ 베트남 중앙정부의 각 행정부처에서 정보화 기반의 중요성과 정부의 각 부처 중 우선 순위도를 추측할 수 있다. 즉, 가장 많은 수의

서버가 집중된 부처의 중요성과 가장 적은 수의 서버가 배치된 부처의 낮은 우선 순위도를 통하여 향후 서버공급의 시장에 대한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 향후 서버공급시장과 관련하여 가장 많은 서버가 집중된 재무부의 경우 두 가지 예측이 가능한데, 첫째, 그 우선적 순위도로

부족한 부분의 계속적인 서버공급이 이루어지고 또한 기존의 오래된 서버의 경우 교체 내지 그 재활용을 위한 높은 SI활용 기술이

요구된다.

| 86 |

Page 8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비록 우선 순위도에서는 뒤떨어지지만 낮은 숫자의 서버를 보유하고 있는 다른 행정부처의 경우 지속적인 서버공급이 요구된다.

이는 필연적으로 중앙부처의 정보화 활용의 수준이 고도화 될수록 그 정보화 활용의 최대 이점인 정보이용의 집중화와 효율성이

요구되어지기 때문에 타 부처의 정보화 기반은 필연적인 사업일 수 밖에 없다.

나. 서버 프로세서 유형

▷ 현재 베트남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서버의 주요 프로세서 유형을 통상 사용하는 Mainframe, Intel 그리고 RISC 세

가지의 기본 프로세서 유형을 표본 선택하여 조사한 결과 표 2-12와 같이 나타났다.

▷ 참고로 Mainframe은 구형의 범용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고, Intel은 중급정도의 서버용으로 그리고 RISC는 주로 대형

서버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조사는 향후 기반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과 그 유형에 관련된 SI 소프트웨어 시장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 87 |

Page 8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2-12> 베트남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하는 서버유형 비교 (2002. 11.)

부처명 농림 수자원개발부

문화부 교육부 재무부 재무부 보건부 산업부 경제계획 및 투자부

무역통상부

교통 및통신부

평균

Mainframe 0% 0% 0% 0% 0% 0% 0% 0% 0% 0% 0%Intel 75% 67% 67% 89% 88% 83% 83% 92% 86% 80% 81%RISC 25% 33% 33% 6% 13% 17% 17% 8% 14% 20% 19%기타 0% 0% 0% 5% 0% 0% 0% 0% 0% 0% 0%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조사된 행정부처 중에서는 Mainframe을 기반 프로세서로 사용하고 있지 않다. 모든 행정부처에서는 Intel을 기반으로 하는

서버 프로세서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RISC기반 서버 프로세서의 경우 농림 수자원 개발부, 문화부, 교육부 및 교통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고 (20%이상),

다른 부서에서는 사용률이 미약하다 (20% 미만). - 이러한 조사에서 보여주는 또 다른 특이한 사항은 베트남 행정부처의 네트워크 서버들의 활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각

부처의 규모가 아니라 각 부처의 기능에 있다는 것이다.

2-1-2. 기반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가. 워크스테이션 수

▷ 현재 베트남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양적 분포(0-1,000)에 대한 조사 결과는 그림 2-2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워크스테이션의 숫자에 대한 조사는 상기 기반서버와의 연결되어 활용되는 상관관계 및 각 부처의 전산화 활용 지표를 나타낸다.

| 88 |

Page 8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그림 2-2> 베트남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보유 워크스테이션 숫자의 비교 (2002. 11.)

7

0 2 3 4 5

1,000 0 9 8 1 6

0 – 교통부; 1 - 농림 수자원개발부; 2 – 문화부; 3 – 교육부; 4 – 재무부; 5 – 외무부; 6 – 보건부; 7 – 산업부; 8 – 경제계획 및 투자부; 9 – 무역 통상부;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각 부처 당 1000여 개의 미만으로 그 중에서 재무부가 가장 많은 수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고, 특이하게 서버의

숫자는 가장 낮게 조사된 부처 중 하나인 교통부의 경우 재무부 다음으로 많은 수를 보유하고 있다. - 경제계획 및 투자부는 중간정도 그리고 문화부는 가장 적은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뒤에서

자세하게 분석하겠지만, 이는 서버의 숫자와 워크스테이션의 숫자에 따른 상관관계는 일정하게 적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서버

수와 워크스테이션의 보유 숫자의 불일치한 상관 관계를 SI 활용수준 관점에서 몇 가지 중요한 사실을 추론할 수 있다. - 서버와 워크스테이션의 네트워킹을 통한 정보화 활용도가 아직 높지 않았다. 서버의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것은 다시 말해

보유하고 있는 워크스테이션이 일반 개인적 업무에만 활용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조사된 전

행정부처에 나타난 현상으로 향후 SI시장의 관점에서 중요한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나.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유형

▷ 현재 베트남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표 2-13과 같다.

▷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는 정보화 활용수준 조사에서 개인에게 부여된 컴퓨터 하드웨어의 기술적

처리능력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조사 자료를 통하여 각 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활용수준을 유추할 수 있다.

<표 2-13> 베트남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부처명 농림 수자원개발부

문화부 교육부 재무부 재무부 보건부 산업부 경제계획 및 투자부

무역통상부

교통 및통신부

평균

II ( ) 펜티엄 동급 이하 60% 73% 72% 63% 74% 54% 78% 87% 74% 13% 65% III ( ) 펜티엄 동급 이상 40% 27% 28% 37% 26% 46% 22% 13% 26% 87% 35%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전체적으로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의 대부분은 펜티엄 II 기종(65%)이고 펜티엄 III이상은

35%이다 – 향후 필연적으로 기종 교체 가능성 많음.

| 89 |

Page 9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문화부, 교육부, 재무부, 산업부, 경제계획 및 투자부 및 무역통상부의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이 대부분은 펜티엄 II로 가장 오래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70%이상).

- 특이한 것은 교통부의 경우 가장 낮은 수의 기반 서버를 보유하고 있는 행정부처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최신 (펜티엄 III 이상)기종을 보유하고 있다 (87%이상).

- 상기의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조사를 통해 SI시장 관점에서 중요한 몇 가지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 향후 중앙정부의 정보화 기반 확충과 활용을 위하여 필요한 펜티엄 II 기종의 워크스테이션에 대한 기술적 응용에 관한 재활용 SI

부문과 기종교체로 인한 SI부문의 시장 가능성이 높다. - 이러한 기술적 응용을 통환 재활용 혹은 기종 교체는 오래된 기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교육부, 외무부, 산업부 및

무역통상부를 중심으로 일어날 것이다. - 따라서 이러한 부문은 향후 베트남 중앙정부의 전산화에 대한 정책의 우선 순위로 나타날 것이다.

2-1-3. 노트북의 활용

▷ 현재 베트남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의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의 결과는 아래의 표 2-14와 같다.

▷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는 정부의 대국민 행정 서비스의 유연화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 향상 등을 위한 수준 높은 SI활용의 발전

단계이므로 향후 정보화 활용 수준과 그 시장을 예측하는 중요지표의 하나이다.

<표 2-14> 베트남 중앙 행정부처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부처명 농림 수자원개발부

문화부 교육부 재무부 재무부 보건부 산업부 경제계획 및 투자부

무역통상부

교통 및통신부

평균

데스크탑 99.5% 97.6% 98.3% 99.5% 99.3% 99.1% 98.1% 99.0% 98.5% 99.8% 98.9%노트북 0.5% 2.4% 1.7% 0.5% 0.7% 0.9% 1.9% 1.0% 1.5% 0.2% 1.1%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표 2-14에 나타나듯이 정부의 모든 행정부처에서는 노트북의 활용이 전무한 형편이다.- 그 중에서 문화부와 산업부만이 그 활용도가 약 2%로 조사되어 10개의 정부부처 중 가장 높다.- 따라서 향후 여러 발전 조건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시장에 대한 충분한 가능성이 보인다.

2-1-4.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의 상관관계 종합분석

가.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도

▷ 각 서버 1대당 연결되어 활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수(network client)에 대해 상기의 각 행정부처의 서버 수와 워크스테이션 수를

대비한 결과가 다음의 표 2-15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이 결과의 해석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은 모든 워크스테이션이 서버에 연결되어 사용된다는 가정하에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의

| 90 |

Page 9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수를 단순 대비하였다는 것이다.

▷ 따라서 아래의 표 2-15에서 나타나듯이 앞서 언급한 각 행정부처의 보유 서버 수와 워크스테이션의 수의 상관관계가 일정하지

않다. 다시 말해 각 부처에서 사용되는 서버 1대당 당 워크스테이션의 수는 다르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 그러나 정확한 통계는 아니지만 통상 전산화를 도입한 기관에서는 대부분의 개인 워크스테이션을 서버와 연결할 예정이거나 이미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사 결과에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표 2-15> 베트남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2002. 11.)

부처명 농림 수자원개발부

문화부 교육부 재무부 재무부 보건부 산업부 경제계획 및 투자부

무역통상부

교통 및통신부

평균

1 서버 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101.25 41.33 79.00 13.84 69.88 35.67 26.83 32.31 28.57 163.60 59.23

▷ 분석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농림 수자원 개발부와 교통부의 경우 기반 서버 1대당 약 100여대 이상의 워크스테이션을 사용하고 있다. 물론 사용되는

서버의 활용 성격과 유형 그리고 서버 자원의 용량에 따라 그 유추된 결과는 다르겠지만, 현재로서는 서버 1대당 연결되어

활용되고 있거나, 연결 가능한 워크스테이션의 숫자는 적절하다고 분석된다. - 만약에 서버의 유형과 활용에 관한 기술적 수준이 낙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면 이러한 워크스테이션의 연결 숫자의

적절성에 대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 문제는 그 기반 시설과 활용기술의 낙후로 인한 정보 처리의 병목현상(bottleneck) 등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재무부의 경우 서버 1대당 연결되어 활용되고 있거나, 연결 가능한 워크스테이션의 숫자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인다.- 그 외 다른 행정부처는 서버 1대당 연결되어 활용되고 있거나, 연결 가능한 워크스테이션의 숫자는 전체 평균 (서버 1대당

33.82대의 워크스테이션)의 수준에 머물고 있다. - 그러나 중요한 것은 각 행정부처마다 다르지만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기종 대부분이 낙후되었고, 인터뷰를 통해 파악된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도가 전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워크스테이션의 약 50%에서 60%정도 수준에서

서버에 연결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나. 고용인원대비 PC 보급률

▷ 베트남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고용인원대비 개인 워크스테이션의 보급현황에 관한 조사에 대한 결과는 표 2-16과 같다.

▷ 이 조사는 각 행정부처의 고용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의 수를 나누어 공무원 100명당 몇 대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는지

비율을 산출하여 각 행정부의 워크스테이션 활용도에 대한 지표를 나타내고 있다.

▷ 표 2-16은 두 가지의 경우를 상정하여 도출되었다. 하나는 전체 고용인원 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률이고 다른 하나는 전체

| 91 |

Page 9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고용인구 중에서 중앙 행정본부에서 근무하는 고용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률이다. 전자의 경우 전체의 PC보급률을 나타내지만,

인터뷰에 의하면 전산화 수준의 경우 중앙 행정본부의 수준이 상당히 높고 그 외 관련 하위 행정기관(지방 행정기관 포함)의 경우에는

그 수준이 낮았다. 본 조사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중앙 행정본부의 인원 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률을 도출하여 두 가지의 경우를

모두 고려하였다.

<표 2-16> 베트남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의 워크스테이션 보급 및 활용률 현황 비교(2002. 11.)

부처명 농림 수자원개발부

문화부 교육부 재무부 재무부 보건부 산업부 경제계획 및 투자부

무역통상부

교통 및통신부

평균

1 - 컴퓨터 대당 사용인원수 전체 고용인원 39.51 48.60 126.58 18.06 3.24 125.05 3.73 2.03 2.01 3.91 37.27 1 - 컴퓨터 대당 사용인원수 행정요원 1.51 6.46 2.06 1.12 1.58 2.57 1.89 0.72 2.01 1.65 2.16 - 컴퓨터 보급률 전체 고용인원 2.5% 2.1% 0.8% 5.5% 30.9% 0.8% 26.8% 49.2% 49.9% 25.6% 19.4% - 컴퓨터 보급률 행정요원 66% 15% 48% 89% 63% 39% 53% 139% 50% 61% 62.4%

▷ 조사 결과에 따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전체 고용인원의 관점에서는 PC 1대당 약 38명이 사용하고 중앙행정부의 인원만 계산하였을 경우 약 2명 정도가 1대의 PC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 부처 본부의 행정요원만을 고려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PC 1대당 약 2명 정도가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재무부의 경우 약 89%이상 보급되었고, 경제계획 및 투자부의 경우 그 숫자가 초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표 2-16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경제계획 및 투자부, 무역통상부, 외무부, 산업부, 교통부는 가장 높은 보급률을 나타내는

그룹에 속한다. - 교육부와 보건부의 경우 전체 고용인원 관점에서 보면 각각 PC 1대당 약 27명과 125명 정도가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보급률이 굉장히 열악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교육부와 보건부의 전체 고용인원의 대부분이 교사와 간호원으로서 (인터뷰에 의하면 베트남의 경우 이러한 직종의

고용인원도 정부 행정부처의 고용인원으로 포함된다) 이러한 고용숫자를 제외하고 중앙 행정요원만 고려하면 PC 보급률이

평균 수준으로 회복된다.

2-1-5. 네트워크 주변장치

베트남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와 같이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간의 내,

외부 시스템을 연결하여 주는 네트워크 주요 연결 장치(Network Peripherals)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가. 네트워크 주변장치 유형

▷ 베트남의 중앙정부 각 행정부처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하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표 2-17

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표 2-17> 베트남 중앙 행정부처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2002. 11.)

| 92 |

Page 9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부처명 농림 수자원개발부

문화부 교육부 재무부 재무부 보건부 산업부 경제계획 및 투자부

무역통상부

교통 및통신부

평균

(Hub)허브 81% 77% 70% 69% 67% 67% 55% 81% 75% 58% 70%(Switches)스위치 12% 8% 20% 18% 24% 11% 27% 15% 15% 32% 18%(Bridges)브리지 0% 0% 0% 0% 0% 0% 0% 0% 0% 0% 0%(Routers)라우터 4% 8% 5% 12% 5% 11% 9% 2% 5% 5% 7%

기타 4% 8% 5% 1% 5% 11% 9% 2% 5% 5% 6%

▷ 조사 결과에 따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각 행정부처의 주요 네트워크 연결장치로 HUB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70%).- 산업부, 교통부, 외무부와 교육부에서는 약 20% 이상 Switch를 사용하며 이는 관련 새로운 장치에 대한 적절한 업그레이드를

보여주고 있다.- Router는 상대적으로 낮게 사용되고 있다 (7%).

나. 내부 네트워킹 (Intranet)과 외부 네트워킹 (Extranet)

▷ HUB와 Switch는 주로 내부전산 연결시스템으로 사용하고 Router는 주로 인터넷과 같이 외부 연결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앞의

조사를 결과를 기능적 지표로 응용하여 다음의 표 2-18에 베트남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전산화 시스템에서 Intranet과 Extranet사용

현황을 비교하였다.

▷ 표 2-18에서 나타나듯이 대부분의 경우 Intranet 사용률이 90% 가까이 된다.

▷ 재무부, 보건부와 산업부의 경우 Extranet 사용률이 다른 부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데, 이러한 이유는 다른 부처와 달리 부처의

기능이 지역적으로 많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이다.

<표 2-18> 베트남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2002. 11.)

부처명 농림 수자원개발부

문화부 교육부 재무부 재무부 보건부 산업부 경제계획 및 투자부

무역통상부

교통 및통신부

평균

(Intranet)인트라넷 96% 92% 95% 88% 95% 88% 90% 98% 95% 94% 93%(Extranet)엑스트라넷 4% 8% 5% 12% 5% 13% 10% 2% 5% 6% 7%

2-2. 기반 소프트웨어 (Software) - 오퍼레이팅 시스템 (Operating System)

2-2-1.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 표 2-19는 베트남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 유형 현황을 비교한 것이다.

▷ 표에서 나타나듯이 윈도우 시스템이 행정부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 93 |

Page 9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윈도우 프로그램의 경우 대부분이 NT4 혹은 그 이하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는 향후 하드웨어의 업그레이드와 함께 필연적으로

새로운 윈도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업그레이드 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 재무부의 경우 유닉스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타 프로그램보다 가장 많이 사용한다(61%).

▷ 대부분의 부처에서는 2가지 이상의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을 서버활용 기반 프로그램으로 사용하고 있다.

▷ 특히 교통부의 경우 모든 프로그램들을 비슷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런 경우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 중에서 하나는

통일된 유형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유형들을 비슷한 비중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전산 관리의 최적의 전산화 효과를 내기에는

기술상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여러 관리 기술을 사용하다 보면 관리비용 또한 통일된 유형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많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 94 |

Page 9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2-19> 베트남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 유형 비교(2002. 11.)

부처명 농림 수자원개발부

문화부 교육부 재무부 재무부 보건부 산업부 경제계획 및 투자부

무역통상부

교통 및통신부

평균

Unix 25% 0% 0% 61% 13% 0% 0% 0% 17% 20% 14%Linux 0% 0% 0% 0% 0% 0% 0% 0% 0% 20% 2%Novell 25% 0% 0% 6% 0% 0% 17% 0% 0% 20% 7%Windows

- NT4 or below 50% 33% 50% 14% 63% 83% 50% 92% 83% 20% 54%- Win 2000 0% 33% 25% 19% 25% 0% 17% 0% 0% 20% 14%

기타 0% 33% 25% 0% 0% 17% 17% 8% 0% 0% 10%

2-2-2.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 표 2-20은 베트남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관한 조사이다.

▷ 표 2-20에 나타나듯이 대부분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은 낙후된 것으로 대부분

DOS모드를 사용하거나 (전체의 24%), 윈도우 98 혹은 그 이하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 (전체의 54%).

▷ 그 이유는 예산 부족으로 최신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설치하기에는 이미 그 용량이 부족한 오래된 기종의 하드웨어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 그 중에서도 농림 수자원 개발부, 무역 통상부와 교육부의 경우 가장 최신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타

부처보다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표 2-20> 베트남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부처명 농림 수자원개발부

문화부 교육부 재무부 재무부 보건부 산업부 경제계획 및 투자부

무역통상부

교통 및통신부

평균

DOS 35% 6% 25% 60% 0% 7% 25% 31% 38% 13% 24%Windows

- 98 or below 25% 80% 47% 28% 89% 85% 75% 61% 39% 13% 54%- 2000 / XP 40% 13% 28% 12% 11% 8% 0% 9% 23% 14% 16%

기타 0% 0% 0% 0% 0% 0% 0% 0% 0% 60% 6%

2-3. IT관련 연간 예산

2-3-1. 연간 예산 추이

▷ 베트남 중앙정부의 각 행정부처 전산화를 위해 투입하는 예산 연간추세를 조사한 결과가 다음의 표 2-21에 자세히 나타나있다.

물론 행정부서 자체의 경제적 상황에도 많이 좌우되지만 정부 전체의 예산 배정상 전산화 정책적 우선 순위도를 반영한 것으로 향후 SI

시장의 관점에서 보면 아주 좋은 자료라고 할 수 있다.

▷ 표 2-21에 나타나듯이 교육부, 산업부, 경제계획 및 투자부, 무역통상부 그리고 교통부 등과 같은 부서는 전체적으로 2002년 대비

| 95 |

Page 9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약 200%이상의 전산화 예산의 증가를 볼 수 있다.

▷ 특히 재무부의 경우 연간 전산화를 위해 투입하는 예산이 2001년 대비 2002년 약 1,922%로 증가되었다. 따라서 재무부의

행정부처 전산화는 상당히 진행되었다고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투자는 2003년에도 계속될 것이며 2003년 예산액은 2000년 대비 약

2,347%에 해당한다.

<표 2-21> 베트남 중앙 행정부처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2002년 11월 현재)

단위: 천 달러(US)

부처명 농림 수자원개발부

문화부 교육부 재무부 재무부 보건부 산업부 경제계획 및 투자부

무역통상부

교통 및통신부

평균

2000 67 34 41 245 38 28 21 45 29 68 622001 75 42 38 308 45 63 43 34 36 46 732002 88 56 33 269 910 100 35 32 41 37 1602003 ( )추정 128 105 130 423 930 130 130 130 130 125 236

/연간 증가 감소률 농림 수자원개발부

문화부 교육부 재무부 재무부 보건부 산업부 경제계획 및 투자부

무역통상부

교통 및통신부

평균

2001 12% 24% - 7% 26% 18% 125% 105% - 24% 24% - 32% 27%2002 17% 33% - 13% - 13% 1922% 59% - 19% - 6% 14% - 20% 198%2003 ( )추정 45% 88% 294% 57% 2% 30% 271% 306% 217% 238% 155%2000 /년 대비 증가 감소률 농림 수자원

개발부문화부 교육부 재무부 재무부 보건부 산업부 경제계획

및 투자부 무역

통상부 교통 및

통신부평균

2001 12% 24% - 7% 26% 18% 125% 105% - 24% 24% - 32% 27%2002 31% 65% - 20% 10% 2295% 257% 67% - 29% 41% - 46% 267%2003 ( )추정 91% 209% 217% 73% 2347% 364% 519% 189% 348% 84% 444%

| 96 |

Page 9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3-2. 전산화 부문별 예산 현황 (2002년 기준)

▷ 표 2-22는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예산의 SI 부문별 할당액을 수치화한 것으로 각 행정부처 내에서 가장 우선순위 전산화

부문을 나타내고 있다.

▷ 아래의 표 2-22에서 나타나듯이 대부분의 예산은 하드웨어 구입에 할당되어 있다. 이러한 분야에 대한 투자가 완성되면 그

다음으로 시스템의 활용을 위한 네트워크와 워크스테이션 소프트웨어 그리고 관련 데이터베이스 부문에 예산 투입이 이루어질 것이며,

이를 위한 교육부문 또한 주요 우선 순위가 될 것으로 예측되어진다.

<표 2-22> 베트남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예산의 부문별 현황 비교(2002. 11.)

부처명 농림 수자원개발부

문화부 교육부 재무부 재무부 보건부 산업부 경제계획 및 투자부

무역통상부

교통 및통신부

평균

하드웨어 66% 69% 64% 67% 65% 68% 63% 66% 68% 72% 67%소프트웨어

개발 18% 16% 20% 17% 18% 17% 20% 19% 16% 14% 18% (T&I)교육 및 설치 9% 7% 5% 4% 8% 7% 8% 8% 9% 6% 7%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 5% 6% 8% 10% 7% 5% 6% 5% 4.5% 6% 6%기타 2% 2% 3% 2% 2% 3% 3% 2% 2.5% 2% 2%

제 2 절: 지방정부 행정부문 1. 행정수도 하노이시

중앙정부의 전산화 현황과 별도로 지방정부의 전산화 현황과 중앙 행정부처와의 네트워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많은 지방정부

중에서 전산화 시스템이 가장 나은 베트남의 행정수도 하노이를 지방정부 전산화 현황 조사의 대표 사례로 선정하였다. 또한

전체적으로 현재 베트남의 지방정부 행정부문의 전산화 수준은 상당히 낮으므로 지방정부의 전산화 활용수준을 이해하기 위해서, 본

조사에서는 지방정부 간의 전산화 활용 수준 현황을 비교 이해하는 것보다 베트남 지방정부 중에서 대표적으로 가장 전산화 기반과

활용이 잘되어 있는 행정수도 하노이시에 대한 전산화 현황조사와 그 현황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 비교함으로써 지방정부의 전산화

현황을 이해하고자 한다.

하노이 시정부의 총 고용 규모는 총 25,142여 명으로 그 중에서 3,190명이 수도행정본부에서 근무하며 나머지는 지역기관에서

근무한다.

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중앙정부의 행정기관과의 정보화 연결관계 분석

| 97 |

Page 9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1-1.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 (Communication Devices)

▷ 하노이 시정부와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의 전산연결 망의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는 표 2-23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아래의 표 2-23에서 나타나듯이 가장 기초적인 전산 연결 방법인 모뎀을 통한 접속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61%)

▷ 아래의 표 2-23에서 추론할 수 있는 하노이 시정부의 전산화 발달 유형은 서구에서의 발전유형처럼 모뎀에서 서서히 ISDN을

이용한 유형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후기에는 ADSL 유형으로 옮겨 갈 것으로 예상되어진다.

▷ T1/Leased Line의 경우 중앙정부의 데이터베이스와의 공유를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2-23> 하노이 시정부와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의 전산 연결망의 유형 현황(2002. 11.)

모뎀 ISDN ADSL/Cable T1/Leased Line61% 36% 0% 3%

2-1-2.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Database Synchronisation)

▷ 하노이 시정부와 중앙정부 간의 데이터베이스 동기화는 기본적으로 1주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는 새로운 정보입력에 의한

데이터베이스 정보성격의 변화에 대한 중앙정부의 전산화 처리 결과가 매주 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 이러한 이유 때문에, 시정부의 행정처리를 시정부의 전산 시스템을 통한 중앙정부의 전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경우 그

처리과정은 1주일 간격의 중앙정부의 데이터베이스 승인과정이 포함되기 때문에 행정처리과정이 최소 1주일 이상 걸리게 된다.

▷ 또한 중앙정부의 데이터베이스 변경이 있을 경우, 매주 한 번씩 시정부의 데이터베이스 동기화를 조정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1

주 간격의 시정부 행정처리과정보다 늦은 보통 2주 이상이 더 걸리게 된다.

▷ 이는 이론상의 전산 시스템을 통한 행정처리기간이고, 실제로는 모든 사전 행정처리 및 내부 결제의 시간들을 계산하였을시에는

현실적으로 통상 3-4주 정도가 소요된다.

▷ 따라서 면접조사에 의하면 시정부와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간의 전산시스템 공유를 통한 시간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동기화 및 활용 관련 기반장치 및 소프트웨어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2-2. 기반 하드웨어 (Hardware)

2-2-1. 기반 서버 유형

▷ 하노이 시정부에서 사용하는 기반 서버의 주요 프로세서 유형 조사 결과는 표 2-24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표 2-24> 하노이 시정부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유형 (2002. 11.)

| 98 |

Page 9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Mainframe Intel RISC 기타

0% 100% 0% 0%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사례대상에서 조사된 현재 하노이 시정부에서 사용되는 주요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은 기존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것과 달리, 100% Intel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Mainframe은 구형의 범용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고, Intel은 중급정도의 서버용으로 그리고

RISC는 주로 대형 서버용으로 사용된다.- 100% Intel을 사용하고 있는 이유는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 달리 하노이 시정부의 전산화가 상대적으로 늦게 시작되었기

때문에 최신 기종으로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2-2-2. 기반 워크스테이션 유형

▷ 현재 하노이 시정부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표 2-25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표 2-25> 하노이 시정부에서 사용하는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유형 (2002. 11.)

II ( ) 펜티엄 동급 이하 III ( ) 펜티엄 동급 이상

21% 79%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 달리, 하노이 시정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은 펜티엄 III이상(79%)으로 펜티엄 II 기종의 사용(21%) 보다 높은 편이다.

- 상대적으로 성능이 우수한 펜티엄III 기종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 것은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 달리 하노이 시정부의

전산화가 상대적으로 늦게 시작된 것에 기인한다.

2-2-3. 노트북의 활용

▷ 미약하나마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는 노트북의 활용이 있었는데, 자체 면접조사에 의하면 하노이 시정부에서는 노트북에 대한

시설과 활용이 거의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 99 |

Page 10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2-4.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의 상관관계 종합분석

가.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도

▷ 하노이 시정부에서 사용되고 있는 서버 1대당 연결되어 활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수(network client)는 약 31.53여대로 이는

중앙정부의 수치와 비슷하다 (33.82대).

그러나 이러한 자료 해석에 고려해야 하는 부분은 하노이 시정부의 기반 서버와 워크스테이션의 기술적 능력은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것보다 나은 최신 기종이라는 것이다.

나. 고용인원대비 PC 보급률

▷ 하노이 시정부의 워크스테이션의 보급현황에 관한 조사에 대한 결과는 표 2-26과 같다.

<표 2-26> 하노이 시정부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2002. 11.)

1 컴퓨터 대당 사용인원수 컴퓨터 보급률

9.38 10.7%

▷ 이 조사는 시정부의 전체 고용인원 대비 워크스테이션을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시정부의 워크스테이션 활용도에 대한 중요한

지표를 나타낸다.

▷ 표 2-26에서 나타나듯이, 워크스테이션 1대당 약 9.38여명이 사용하고, 보급률은 약 10.7%이다. 이는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보급률보다 현저히 낮은 편이다.

2-2-5. 네트워크 주변장치 (Network Peripherals)

▷ 하노이 시정부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와 같이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간의 내외부

시스템을 연결하여 주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가. 네트워크 주변장치 유형

▷ 하노이 시정부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하는 주요 네트워크 주요 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는 표 2-27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중앙정부와 마찬가지로 주요 네트워크 연결장치로는 HUB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Switch와 Router는 상대적으로 낮게 사용하고

| 100 |

Page 10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있다.

▷ 조사 결과 다른 연결장치를 사용하거나 특정한 다른 연결장치 한 기종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여러 기타의 장치들을

사용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조사를 하지 않았다.

<표 2-27> 하노이 시정부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2002. 11.)

(Hub)허브 (Switches)스위치 (Bridges)브리지 (Routers)라우터 기타

28.0% 3.4% 0.0% 3.7% 64.8%

나. 내부 네트워킹(Intranet)과 외부 네트워킹(Extranet)

▷ HUB와 Switch는 주로 내부 전산 연결 시스템을 사용하고 Router는 주로 인터넷과 같이 외부 연결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앞의

조사 결과를 기능적 지표로 응용하여 하노이 시정부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Intranet과 Extranet사용 현황을 비교하는 다음의 표 2-28

을 작성하였다.

▷ 표 2-28에서 나타나듯이 중앙정부의 현황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경우 Intranet 사용률이 90%에 이르고 있다.

<표 2-28> 하노이 시정부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2002. 11.)

(Intranet)인트라넷 (Extranet)엑스트라넷

89% 11%

2-3. 기반 소프트웨어 (Software) - 오퍼레이팅 시스템 (Operating system)

2-3-1.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 하노이 시정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는 표 2-29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표 2-29> 하노이 시정부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2002. 11.)

Unix Linux NovellNT4 or below 2000/XP

0% 0% 12% 69% 19% 0%

Windows 기타

| 101 |

Page 10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표에서 나타나듯이 중앙정부와 마찬가지로 하노이 시정부도 윈도우 시스템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88%). - 그러나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는 윈도우 시스템 사용이 약 68% 정도이고 타 프로그램의 사용도 상대적으로 높다.-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윈도우 프로그램이 NT4 혹은 그 이하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는 향후 하드웨어의

업그레이드와 함께 필연적으로 새로운 윈도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업그레이드 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2-3-2.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 하노이 시정부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관한 조사 결과는 표 2-30에서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 2-30에 나타나듯이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주요 프로그램은 윈도우 98혹은 그 이하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

전체의 34%로 중앙정부의 49%보다 낮다. 그러나 중앙 행정부처에서는 DOS 모드가 아직까지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주요 프로그램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전체의 27%), 시정부에는 그 사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 102 |

Page 10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2-30> 하노이 시정부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2002. 11.)

DOS 기타

98 or below 2000/XP19% 34% 9% 38%

Windows

2-4. IT관련 연간 예산

2-4-1. 하노이 시정부의 연간 예산 추이

▷ 하노이 시정부에서 자체 전산화를 위해 투입하는 연간 예산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는 표 2-31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표 2-31> 하노이 시정부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2002. 11.)

단위: 천 달러(US)

Year 2000 2001 2002 2003 ( )추정

Spending 368 924 251 300 /연간 증가 감소률 151% - 73% 20%

2000 /년 대비 증가 감소률 151% - 32% - 18%

▷ 표 2-31에 나타나듯이 2001년에 전년대비 151%의 예산 증가가 있었다. 이는 2001년에 중앙정부와 지방 정부간의 행정전산망

연결작업의 일환으로 대대적인 전산화 교체 작업이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 그러나 2002년 또는 2003년 계획된 전산화 예산은 2000년 대비 낮은 금액으로 2001년의 대대적인 전산화 작업의 후속 작업을

하는데 많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추론 된다.

▷ 이러한 예산의 흐름은 관련 전산화 예산을 확보하는데 시정부로서의 한계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앞으로 좀더

개발된 전산화 시설과 활용에 상당한 문제가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 103 |

Page 10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4-2. 전산화 부문별 예산 현황 (2002년 기준)

▷ 하노이 시정부의 2002년 전산화 관련 연간 예산의 부문별 할당액을 수치화한 결과가 표 2-32에 나타나 있다.

<표 2-32> 하노이 시정부의 2002년 연간 전산화 예산의 부문별 현황 (2002. 11.)

개발 (T&I)교육 및 설치 유지보수 및업그레이드

49.0% 28.0% 5.4% 14.5% 3.3%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기타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표 2-32에서 나타나듯이 대부분의 예산은 하드웨어 구입에 할당되어 있다. 이는 앞서 분석하였듯이 전산화를 위한 가장

기초적인 분야로 이러한 기반 시설이 장착되어야만 보다 나은 전산화 시설과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 이러한 예산의 부문별 현황은 중앙정부의 연간 예산 투입 사용처와 비슷하게 나타난다. - 조사 결과로 보아, 아직 베트남의 경우 전산화 활용수준을 최대화하기 위한 관련 최적 하드웨어가 질적 또는 양적으로

확보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러한 분야에 대한 투자가 완성되면 그 다음으로 시스템의 활용을 위한 네트워크와 워크스테이션 소프트웨어 그리고 관련

데이터베이스 부문에 예산 투입이 이루어질 것이며, 이를 위한 교육부문 또한 주요 우선 순위가 될 것으로 예측되어지는데, 중앙정부의 연간 예산 흐름과 달리, 하노이 시정부의 경우 관련 후속예산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향후 문제점으로 등장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104 |

Page 10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3절: 일반 공공부문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 철도조합)

베트남 중앙정부 및 지역정부를 제외한 일반 공공부문의 전산화 현황과 활용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SI산업의 가장 대표적인

수요시장인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 및 철도조합을 사례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이러한 핵심 공공 부문의 전산화 현황과 활용 수준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향후 관련 부문의 시장에 대한 예측을 하고자 한다.

1.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 철도조합

일반 공공부문의 대표적 SI부문 조사대상이 된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 철도조합의 행정본부의 인원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2-33>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 및 철도조합의 인원현황 (2002. 11.)

기관명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 베트남 전력공사 베트남 철도조합 평균

인원 492 350 254 365

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

2-1-1. 기반 서버

가. 서버 수

▷ 현재 베트남의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에서 사용되는 서버 수의 양적 분포(0-15)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그림 2-3

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이러한 전산화 기반이 되는 서버 수의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일반 공공부문의 전산화 활용수준의 하드웨어 측면을 분석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림 2-3>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 105 |

Page 10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0

1

2 3

15

1 –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 2 – 베트남 전력공사; 3 – 베트남 철도조합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에서 사용되는 서버 수의 조사 결과 전체 15여 개의 서버 미만으로 그 중에서

우편통신공사와 전력공사가 많은 수의 서버를 보유하고 있다.- 철도조합의 미미한 서버 숫자로 보아 아직도 전산화 수준이 상당히 낮은 것으로 보인다. - 상기의 그림에서 나타난 표본 조사된 주요 공공 부분의 서버 숫자가 정보화 활용수준과의 정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이러한 것은 후기에 상세하게 각 기관의 고용인원 대비 각종 정보화 기반 시설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알아보겠다.

나. 서버 프로세서 유형

▷ 사례대상에서 조사된 현재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에서 사용되는 주요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은 통상 사용되는

Mainframe, Intel 그리고 RISC 세 가지의 기본 프로세서 유형을 표본 선택하여 조사한 결과 표 2-34와 같이 나타났다.

▷ 참고로 Mainframe은 구형의 범용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고, Intel은 중급정도의 서버용으로 그리고 RISC는 주로 대형

서버용으로 사용된다.

▷ 이러한 조사는 향후 기반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과 그 유형에 관련된 SI 소프트웨어 시장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표 2-34>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유형 비교 (2002. 11.)

기관명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 베트남 전력공사 베트남 철도조합 평균

Mainframe 0% 0% 0% 0%Intel 86% 57% 100% 81%RISC 14% 14% 0% 10%기타 0% 29% 0% 10%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조사된 기관 중에서는 Mainframe을 기반 프로세서로 전혀 사용하고 있지않다. - 모든 기관에서는 Intel을 기반으로 하는 서버 프로세서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평균 75%).- RISC기반 서버 프로세서의 경우 우편통신공사와 전력공사에서 적게나마 사용하고 있고, 철도조합의 경우 100% Intel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 106 |

Page 10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특이한 것은 전력공사에서는 의외로 다른 여러 서버 프로세서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2-1-2. 기반 워크스테이션

가. 워크스테이션 수

▷ 현재 베트남의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에서 사용하는 주요 워크스테이션의 양적 분포(0-500)에 대한 조사 결과는

그림 2-4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워크스테이션의 숫자에 대한 조사는 상기 기반서버와의 상관관계 및 각 공기업의 전산화 활용 지표를 나타낸다.

| 107 |

Page 10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그림 2-4>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에서 사용되는 보유 워크스테이션 숫자의 비교 (2002. 11.)

0 1 2 3

500

1 –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 2 – 베트남 전력공사; 3 – 베트남 철도조합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각 기관 당 500여 개의 미만으로 그 중에서 우편통신공사가 가장 많은 수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고, 그 다음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이 따르고 있다. - 특이하게도, 서버의 수에서는 우편통신공사와 비슷한 전력공사가 워크스테이션의 숫자는 상당히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나.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유형

▷ 현재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는 표 2-35

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는 정보화 활용수준의 기술적 처리능력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조사자료를 통하여

각 기관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활용수준을 유추할 수 있다.

<표 2-35>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기관명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 베트남 전력공사 베트남 철도조합 평균

II ( ) 펜티엄 동급 이하 72% 69% 40% 60% III ( ) 펜티엄 동급 이상 28% 31% 60% 40%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전체적으로 워크스테이션의 펜티엄 II 기종(65%)이하가 주요 프로세서로 사용되고 있다. - 향후 필연적으로 기종 교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 그러나 가장 적은 수의 서버와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는 철도조합의 경우 주요 프로세서가 펜티엄 III 이상이다(60%).- 이는 철도조합이 다른 공사들 보다 가장 전산화가 늦게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2-1-3. 노트북의 활용

▷ 현재 베트남의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에서의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의 결과는 아래의 표 2-36와 같다.

| 108 |

Page 10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는 일반적으로 업무의 유연화와 효율성 향상을 위한 필연적인 SI활용의 발전 단계이므로 향후 정보화 활용

수준과 그 시장을 예측하는 중요한 지표 중의 하나이다.

▷아래의 표 2-36에 나타나듯이 정부의 모든 기관에서는 노트북의 활용이 전무하다.

<표 2-36>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기관명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 베트남 전력공사 베트남 철도조합 평균

데스크탑 100% 100% 100% 100%노트북 0% 0% 0% 0%

2-1-4.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의 상관관계 종합분석

가.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도

▷ 앞서 분석한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보유 서버 수와 워크스테이션의 수에서 보여주듯이 이 두 지표에 대한

상관관계는 일정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 다시 말해 각 공사에서 사용되는 서버 1대당 당 워크스테이션의 수는 다르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 비록 각 서버 1대당 연결되어 활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수(network client)에 대해 정확한 통계자료는 없으나, 사례 조사에서

나타난 각 기관들의 각 부문의 통계자료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구성된 통계 지표는 다음의 표 2-37과 같다.

<표 2-37>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 베트남 전력공사 베트남 철도조합 평균

1 서버 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35.14 25.43 63.50 41.36

▷ 조사 결과에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표에서 나타나듯이 철도조합이 기반 서버 1대당 약 25.43 대의 워크스테이션과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서버의 용량에 비해

워크스테이션이 충분히 활용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 따라서 향후 충분한 활용을 위하여 워크스테이션 수가 더 늘어나야 한다.- 철도조합이 가장 많은 수의 워크스테이션이 서버에 연결되어 있다 (약 63.50 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철도조합이 세

공기업 중에서 가장 최신 전산화 장비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의 연결숫자는 일반적으로 용량을

초과해서 연결되어 있는데, 적합한 연결 숫자는 약 50여 대로 추정된다.

나. 고용인원대비 PC 보급률

| 109 |

Page 11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워크스테이션의 보급현황에 관한 조사에 대한 결과는 표 2-38과 같다.

▷ 이 조사는 각 기관의 고용인원 대비 워크스테이션의 수로 도출한 것으로 각 기관의 워크스테이션 활용도에 대한 중요한 지표를

나타낸다.

<표 2-38>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 베트남 전력공사 베트남 철도조합 평균

1 컴퓨터 대당 사용인원수 1.21 1.86 1.98 1.69 컴퓨터 보급률 82% 54% 50% 62%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전체 고용인원의 관점에서는 평균 PC 1대당 약 1.52명, 보급률 약 66%로 나타났다.- 우편 통신공사에서는 거의 모든 직원이 1대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다.- 전력공사와 철도조합만이 약 2명당 1대의 워크스테이션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수치는 상대적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상황에 비교해서 월등히 나은 편이다.

2-1-5. 네트워크 주변장치

▷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와 같이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간의 내, 외부 시스템을 연결하여 주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가. 네트워크 주변장치 유형

▷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주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

결과는 표 2-39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주요 네트워크 연결장치로 HUB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51%).

▷ 그 다음으로 Switch를 많이 사용하며 (29%), Router를 가장 적게 사용한다(15%).

▷ 특히 철도조합에서 Router가 다른 공사들 보다 가장 적게 사용되는데 (9%), 이는 지방 사무실과 중앙본부와의 연결이 가장

최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 110 |

Page 11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2-39>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 베트남 전력공사 베트남 철도조합 평균

(Hub)허브 54% 52% 36% 47%(Switches)스위치 32% 30% 18% 27%(Bridges)브리지 0% 0% 0% 0%(Routers)라우터 15% 17% 9% 14%

기타 0% 0% 36% 12%

나. 내부 네트워킹(Intranet)과 외부 네트워킹(Extranet)

▷ HUB와 Switch는 주로 내부전산 연결시스템을 사용하고 Router는 주로 인터넷과 같이 외부 연결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앞의

조사 결과를 기능적 지표로 응용하여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표 2-40에 자세히 나타나있다.

▷ 표 2-40에서 나타나듯이 대부분의 경우 Intranet 사용률이 평균 85% 정도이고 각 공사간에도 사용률이 거의 비슷하다.

<표 2-40>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전산화 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 (2002. 11.)

기관명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 베트남 전력공사 베트남 철도조합 평균

(Intranet)인트라넷 85% 83% 86% 85%(Extranet)엑스트라넷 15% 17% 14% 15%

| 111 |

Page 11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2. 기반 소프트웨어

2-2-1.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을 조사한 결과는 표 2-41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에서 나타나듯이 각 기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윈도우 시스템이다.

▷ 우편통신공사와 전력공사에서는 적게나마 Unix 프로그램도 사용하지만, 철도조합의 경우 모두 윈도우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철도조합이 가장 나중에 전산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 윈도우 프로그램의 경우 대부분이 NT4 혹은 그 이하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는 향후 하드웨어의 업그레이드와 함께 필연적으로

새로운 윈도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업그레이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표 2-41>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기관명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 베트남 전력공사 베트남 철도조합 평균

Unix 14% 14% 0% 10%Linux 0% 0% 0% 0%Novell 0% 0% 0% 0%Windows

- NT4 or below 79% 43% 50% 57%- Win 2000 7% 14% 50% 24%

기타 0% 29% 0% 10%

2-2-2.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에서 사용하는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관한 조사 결과 표 2-42

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 2-42에 나타나듯이 각 기관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낙후된 것으로 윈도우 98혹은 그 이하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DOS포함해서 전체의 67%).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철도조합의 경우는 가장 최신 프로그램인 윈도우 2000 혹은 그 이상을 사용하고 있다(60%).

<표 2-42>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 112 |

Page 11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기관명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 베트남 전력공사 베트남 철도조합 평균

DOS 9% 18% 9% 12%Windows

- 98 or below 62% 57% 30% 50%- 2000 / XP 28% 25% 60% 38%

기타 0% 0% 0% 0%

2-3. IT관련 연간 예산

2-3-1. 연간 예산 추이

▷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에서 자체 전산화를 위해 투입되는 연간 예산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표 2-43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 2-43에 나타나듯이 철도조합은 2001년부터 본격적인 전산화를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 특히 철도조합은 2000년 대비 2001년 전산화 관련 예산이 약 191% 증가하였고, 그 후 같은 규모의 예산 투입이 있는 것으로

보아, 중장기에 걸친 본격적인 전산화 작업이 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철도조합이 가장 늦게 전산화를 시작하였고, 따라서 이에 따른 전산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수준이 타 공사들보다 최신 기종이다.

▷ 우편통신공사는 가장 큰 전산화 관련 예산규모를 갖고 있다. 예산의 증감규모가 안정적인 것은 이미 대규모 전산화 작업을 마치고,

현재는 보수 및 유지 작업을 이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 이는 앞선 살펴본 바와 같이 전체 전산화 관련 기종 및 소프트웨어 수준이 낮으므로 향후 대대적인 수준향상 작업이 다른

공사들보다 먼저 시작될 것이라 판단된다.

▷ 전력공사의 경우 2002년의 예산이 2001년 예산보다 적은데 이는 전략적인 전산화의 수준향상 작업이 2001년에 끝나고 2002

년부터 유지 규모의 예산만 책정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표 2-43>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2002. 11.)

단위: 천 달러(US)

| 113 |

Page 11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기관명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 베트남 전력공사 베트남 철도조합 평균

2000 269 126 43 1462001 287 184 125 1992002 345 158 125 2092003 ( )추정 350 140 130 207

/연간 증가 감소률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 베트남 전력공사 베트남 철도조합 평균

2001 7% 46% 191% 81%2002 20% - 14% 0% 2%2003 ( )추정 1% - 11% 4% - 2%2000 /년 대비 증가 감소률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 베트남 전력공사 베트남 철도조합 평균

2001 7% 46% 191% 81%2002 28% 25% 191% 81%2003 ( )추정 30% 11% 202% 81%

2-3-2. 전산화 부문별 예산 현황 (2002년 기준)

▷ 표 2-44는 상기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예산의 부문별 할당액을 수치화 한 것으로 각 기관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되는

전산화 부문을 보여 주고 있다.

▷ 아래의 표 2-44에서 나타나듯이 대부분의 예산은 하드웨어 구입에 할당되어 있다. 이는 앞서 분석하였듯이 전산화를 위한 가장

기초적인 분야로 이러한 기반 시설이 장착되어야만 보다 나은 전산화 시설과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 이는 다시 말해, 이러한 분야에 대한 투자가 완성되면 그 다음으로 시스템의 활용을 위한 네트워크와 워크스테이션 소프트웨어

그리고 관련 데이터베이스 부문에 예산 투입이 이루어질 것이며, 이를 위한 교육 부문 또한 주요 우선 순위가 될 것으로 예측되어진다.

▷ 아래의 표 2-44에서 나타나듯이, 철도조합의 경우 가장 늦게 전산화가 시작 되었고, 2002년도는 본격적인 전산화 시작 2년

차이기 때문에 관련 소프트웨어 부문의 예산투입이 세 공사들 중에서 가장 높다 (약 49%).

▷ 우편통신공사와 전력공사는 하드웨어 기종 구입 및 교체에 많은 예산을 할당하였는데,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낙후된 하드웨어로 더 이상의 전산화 수준을 향상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나온 조치이다.

<표 2-44> 베트남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조합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의 부문별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 베트남 전력공사 베트남 철도조합 평균

하드웨어 69% 57% 48% 58%소프트웨어

개발 24% 26% 31% 27% (T&I)교육 및 설치 8% 10% 9% 9%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 8% 9% 9% 9%기타 2% 2% 3% 2%

| 114 |

Page 11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4 절: 공기업 혹 민영화된 공기업 부문 (베트남 국립은행, 베트남 항공 관리공단)

국가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에서는 아직 국립은행과 항공사 혹은 항공관리공단이 공기업 혹은 공공기관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본 조사에서 은행과 항공사를 조사 대상에 포함한 이유는 첫째, 향후 경제성장과 세계화 추세를 볼 때, 가장 민영화에

민감할 수 있는 공공부문이며, 둘째, 전산화 기술과 활용수준이 가장 높은 SI 수요시장인 금융산업과 항공산업의 대표사례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SI 시장의 핵심부문의 전산화 현황과 활용수준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향후 관련 부문의 시장에 대한 예측을 하고자

한다.

1. 베트남 국립은행, 베트남 항공관리공단

조사 대상이 된 베트남 국립은행 (SBV: State Bank of Vietnam) 베트남 중앙정부 산하의 주요 국립은행 중 하나로 총 5,498명을

고용하고 있고 그 중에서 2,103명은 행정부서에 일하고 있다. 또 다른 조사 대상인 베트남 항공관리공단 (AVCA: Agency of Vietnam

Civil Aviation)는 베트남 중앙정부 산하의 항공관리 공단으로서 총 1,621명의 행정요원을 고용하고 있다.

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

2-1-1. 기반 서버

가. 서버 수

▷ 현재 베트남의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에서 사용되는 서버 수의 양적분포(0-20)에 대한 조사 결과는 그림 2-5에 나타나 있다.

▷ 이러한 전산화 기반이 되는 서버 수의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정부의 공공부문 다음으로 가장 SI 시장에서 큰 수요자 역할을 하고

있는 금융과 항공관련 기업들에 대한 전산화 하드웨어 측면의 SI 시장 동향을 이해할 수 있다.

| 115 |

Page 11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그림 2-5>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0 1 2

20

1 – 베트남 국립은행; 2 – 베트남 항공관리공단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에서 사용되는 서버 수의 조사 결과 대체적으로 20여 개의 미만의 서버를 보유하고 있다. - 금융기관인 국립은행이 보다 많은 수의 서버를 보유하고 있다. 통상 금융기관의 전산화 수준은 SI 시장에서 가장 활용수준이

높은 기관으로 이해된다.- 상기의 그림에서 나타난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서버 숫자는 물론 그 숫자와 정보화 활용수준과의 정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이러한 것은 후기에 상세하게 각 기업의 고용인원 대비를 통한 각종 정보화 기반시설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기술하겠다.

나. 서버 프로세서 유형

▷ 현재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에서 사용되는 주요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은 통상 사용되는 Mainframe, Intel 그리고 RISC

세 가지의 기본 프로세서 유형을 표본 선택하여 조사한 결과 표 2-45와 같이 나타났다.

▷ 참고로 Mainframe은 구형의 범용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고, Intel은 중급정도의 서버용으로 그리고 RISC는 주로 대형

서버용으로 사용된다.

▷ 이러한 조사는 향후 기반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과 그 유형에 관련된 SI 소프트웨어 시장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 116 |

Page 11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2-45>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유형 비교 (2002. 11.)

기관명 베트남 국립은행 베트남 항공관리공단 평균

Mainframe 0% 0% 0%Intel 67% 50% 58%RISC 22% 0% 11%기타 11% 50% 31%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조사된 기업들은 Mainframe을 기반 프로세서로 전혀 사용하고 있지 않다. - 모든 기업에서는 Intel을 기반으로 하는 서버 프로세서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평균 63%).- RISC기반 서버 프로세서의 경우 국립은행의 경우 작게나마 사용하고 (22%), 항공관리공단의 경우 전혀 사용하고 있지 않다. - 특이하게 국립은행의 경우 통상 구형의 범용컴퓨터를 활용하는 Mainframe이 경제적 이유로 최대한 활용되는데도 불구하고

사용되지 않고 주로 Intel 기반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 중의 하나는 국립은행이 아마 그 중요성으로 가장 먼저

새로운 전산화 기술을 응용하고 있고, 또한 여러 이유로 이 프로젝트를 최초 담당한 외국기업에 의해 Intel이 최적의

경제성으로 추천되고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이한 것은 항공관리공단에서는 의외로 다른 기타 서버 프로세서의 비중이 50% 정도로 높다.

2-1-2. 기반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가. 워크스테이션 수

▷ 현재 베트남의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에서 사용되는 주요 워크스테이션의 양적분포(0-1,000)에 대한 조사 결과는 그림 2-6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워크스테이션의 숫자에 대한 조사는 상기 기반서버와의 상관관계 및 각 기업의 전산화 활용 지표를 나타낸다.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전체 1000여대 미만으로 역시 국립은행이 가장 많은 수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다. <그림 2-6>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보유 수 현황 비교 (2002. 11.)

0 1 2

1,000

1 – 베트남 국립은행; 2 – 베트남 항공관리공단

| 117 |

Page 11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나.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유형

▷ 현재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표 2-46과

같다.

▷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는 정보화 활용수준의 기술적 처리능력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조사자료를 통하여

각 기업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활용수준을 유추할 수 있다.

<표 2-46>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기관명 베트남 국립은행 베트남 항공관리공단 평균

II ( ) 펜티엄 동급 이하 66% 49% 58% III ( ) 펜티엄 동급 이상 34% 51% 42%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전체적으로 워크스테이션의 펜티엄 II 기종(61%)이상이 주요 프로세서로 사용되고 있다. - 향후 필연적으로 기종 교체 가능성이 높다. - 양 기관 중에서 국립은행의 경우 특히 펜티엄 II 기종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항공관리공단의 경우 약 51% 이상이 펜티엄 III 기종이다.- 이는 항공관리공단이 국립은행보다 전산화가 늦게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2-1-3. 노트북의 활용

▷ 현재 베트남의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에서의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의 결과는 아래의 표 2-47와 같다.

▷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는 일반적으로 업무의 유연화와 효율성 향상을 위한 필연적인 SI활용의 발전 단계이므로 향후 정보화 활용

수준과 그 시장을 예측하는 중요지표의 하나이다.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아래의 표 2-47에 나타나듯이 노트북의 활용이 전무한 형편이다.

<표 2-47>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기관명 베트남 국립은행 베트남 항공관리공단 Total데스크탑 100% 100% 100%노트북 0% 0% 0%

| 118 |

Page 11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1-4.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의 상관관계 종합분석

가.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도

▷ 비록 각 서버 1대당 연결되어 활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수(network client)에 대해 정확한 통계자료는 없지만 사례 조사에서 나타난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각 부문의 통계자료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구성된 통계 지표는 다음의 표 2-48과 같다.

| 119 |

Page 12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2-48>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베트남 국립은행 베트남 항공관리공단 평균

1 서버 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54.17 69.67 61.92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표에서 나타나듯이 통상 적정선을 50 여대의 기준으로 볼 때 전체적으로 기반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이 꽤 높게 활용되어

있다 (평균 61.92 대의 워크스테이션).- 항공관리공단이 국립은행보다 최신 전산화 기종을 응용하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이러한 숫자는 적정선을 초과하여 연결되어

있다고 보여진다. 국립은행의 경우 상대적으로 낙후된 전산화 기종으로 이 정도의 연결수준은 서버의 용량 초과로 인한 전산화

기능의 자료유실 등 문제점이 있을 것으로 추론된다.

나. 고용 인원 대비 PC 보급률

▷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워크스테이션의 보급현황에 관한 조사에 대한 결과는 표 2-49와 같다.

▷ 이 조사는 각 기관의 고용인원 대비 워크스테이션의 수로 도출한 것으로 각 기관의 워크스테이션 활용도에 대한 중요한 지표를

나타낸다.

<표 2-49>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베트남 국립은행 베트남 항공관리공단 평균

1 컴퓨터 대당 사용인원수 5.64 3.88 4.76 컴퓨터 보급률 18% 26% 22%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전체 고용인원의 관점에서는 평균 PC 1대당 약 4.76명, 보급률 약 22%로 굉장히 낮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국립은행의 경우 통상적으로 상당한 전산화 수준을 유지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항공관리공단보다도 두 배 정도로

보급률이 낮다. - 따라서 국립은행의 경우 워크스테이션의 보급률을 지금의 수준보다 상당히 높여야 한다.

2-1-5. 네트워크 주변장치

▷ 베트남 국립은행과 베트남 항공관리공단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와 같은 서버와

| 120 |

Page 12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워크스테이션 간의 내, 외부 시스템을 연결하여 주는 네트워크 주요 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가. 네트워크 주변장치 유형

▷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주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 결과는 표

2-50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주요 네트워크 연결장치로 역시 HUB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64%).

▷ 특히 국립은행의 경우 70% 이상 차지한다. 이는 국립은행의 특성상 데이터 용장도(冗長度: data redundancy: 전달될

메시지에서 제거해도 정보가 손상을 입지 않는 부분의 정도)를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 그 다음으로 Switch를 많이 사용하며 (12%), Router가 가장 적게 사용된다(8%)

▷ Router의 경우 본부와 지역 사무실과의 연결에 아주 유용하며 이를 좀더 활용할 수 있으리라 본다.

<표 2-50>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 (2002. 11.)

기관명 베트남 국립은행 베트남 항공관리공단 평균

(Hub)허브 70% 57% 64%(Switches)스위치 16% 9% 12%(Bridges)브리지 0% 0% 0%(Routers)라우터 7% 9% 8%

기타 7% 26% 16%

| 121 |

Page 12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나. 내부 네트워킹(Intranet)과 외부 네트워킹(Extranet)

▷ HUB와 Switch는 주로 내부 전산 연결시스템을 사용하고 Router는 주로 인터넷과 같이 외부 연결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앞의

조사 결과를 기능적 지표로 응용하여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표 2-51에 자세히 나타나있다.

▷ 표 2-51에서 나타나듯이 Intranet의 사용률이 평균 91% 정도이고 Extranet의 사용률은 9%에 불과하다.

<표 2-51>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베트남 국립은행 베트남 항공관리공단 평균

(Intranet)인트라넷 93% 89% 91%(Extranet)엑스트라넷 7% 11% 9%

2-2. 기반 소프트웨어 - 오퍼레이팅 시스템

2-2-1.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조사 결과 표 5-52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에서 나타나듯이 국립은행의 경우 윈도우시스템이 다른 시스템보다 조금 많이 사용되지만 자체 낙후된 전산화 기종과 시설 등의

이유로 여러 시스템을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다.

▷ 예로 국립은행만이 UNIX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 항공관리공단의 경우 낙후된 윈도우 시스템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 122 |

Page 12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2-52>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기관명 베트남 국립은행 베트남 항공관리공단 평균

Unix 33% 0% 17%Linux 0% 0% 0%Novell 17% 0% 8%Windows

- NT4 or below 17% 50% 33%- Win 2000 17% 0% 8%

기타 17% 50% 33%

2-2-2.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에서 사용하고 있는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조사 결과 표 2-53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 2-53에 나타나듯이 국립은행의 경우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은 낙후된 것으로 윈도우 98혹은 그 이하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 (전체의 66%).

▷ 그러나 항공관리공단의 경우 최신 윈도우 프로그램이 약 51% 정도이다.

<표 2-53>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기관명 베트남 국립은행 베트남 항공관리공단 평균

DOS 0% 0% 0%Windows

- 98 or below 66% 49% 58%- 2000 / XP 34% 51% 42%

기타 0% 0% 0%

| 123 |

Page 12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3. IT관련 연간 예산

2-3-1. 연간 예산 추이

▷ 표 2-54는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자체 전산화를 위해 투입하는 연간 예산의 현황을 비교한 것이다.

▷ 표 2-54에 나타나듯이 2001년의 항공관리공단의 전산화 관련 예산이 약 57% 증가하는 것은 새로운 전산화 작업을 이 시기에

시도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이유로 상대적으로 국립은행 보다는 최신 전산화 시설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2002년 이후 예산

감소 경향은 이미 대규모 자체 전산화 작업은 어느 정도 목표에 달성하여 보수 및 유지의 수준으로 내려갔기 때문이다.

▷ 국립은행의 경우 2003년부터 실질적으로 전산화 관련 예산이 증대되는데, 이는 아마 낙후된 전산시설을 향상시키기 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보여진다.

<표 2-54>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2002. 11.)

단위: 천 달러(US)

기관명 베트남 국립은행 베트남 항공관리공단 평균

2000 254 72 1632001 287 113 2002002 326 86 2062003 ( )추정 450 90 270

/연간 증가 감소률 베트남 국립은행 베트남 항공관리공단 평균

2001 13% 57% 35%2002 14% - 24% - 5%2003 ( )추정 38% 5% 21%2000 /년 대비 증가 감소률 베트남 국립은행 베트남 항공관리공단 평균

2001 13% 57% 35%2002 28% 19% 24%2003 ( )추정 77% 25% 51%

2-3-2. 전산화 부문별 예산 현황 (2002년 기준)

▷ 표 2-55는 상기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예산의 부문별 할당액을 수치화 한 것으로 각 기관에서 가장 우선 순위로

전산화되어야 할 부문을 보여 주고 있다.

▷ 아래의 표 2-55에서 나타나듯이 국립은행의 경우 약 68%의 예산 대부분을 하드웨어 구입에 할당했고, 항공관리공단의 경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부문에 비슷하게 할당하였다.

▷ 항공관리공단의 경우 약 31%의 예산이 소프트웨어 개발 부문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2001년 대대적인

| 124 |

Page 12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전산화 기반시설 도입 혹은 교체 이후에 하드웨어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표 2-55> 베트남 국립은행과 항공관리공단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의 부문별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베트남 국립은행 베트남 항공관리공단 평균

하드웨어 68% 49% 59%소프트웨어

개발 18% 31% 25% (T&I)교육 및 설치 5% 10% 8%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 7% 8% 8%기타 2% 2% 2%

인도네시아 정보통신산업 및 SI 산업 현황

제 1장 – 정보통신산업 관련 국가정책과 환경

제 2장 - SI 산업 및 시장 동향 분석

제 3장 – 사례조사: 공공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

| 125 |

제3편

Page 12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126 |

Page 12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1장 – 정보통신산업 관련 국가정책과 환경

제 1 절: 정보통신산업의 개발정책과 법적제도

1. 정보통신산업의 개발정책 현황

1997년의 아시아 외환 위기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에게 치명적인 경제적 타격을 주었다. 특히 일본을 비롯한 다국적기업의 투자에

의지한 경제개발정책은 외환 위기로 다국적 기업들이 철수하면서 경제 기반마저 흔들리는 등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 2000년대에

들어서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경제 위기에서 서서히 회복되는 반면에, 인도네시아는 1997년의 경제적 위기가 정치, 사회 그리고

종교적 문제로까지 이어져 현재까지 그 회복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인도네시아 정부의 야심찬 정보통신산업 발전정책도

이러한 위기적 상황의 구조적 문제점으로 인해 사실상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인도네시아 정부의 본격적인 정보통신산업 발전정책은 1990년대 후반 이후부터 시작되었다. 1998년 인도네시아 정부는 미국의

클린턴 정부 부통령인 앨 고어에 의해 야심차게 추진된 세계 정보기반시설 구축계획 (Glob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GII)

Initiative)의 영향을 받아 본격적인 정보통신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을 입안하기 시작하였다. 1998년 당시 대통령인 Habibie의 주도

아래 ‘국가 텔레매틱스 조정 위원회’가 구성되었고, 이 위원회의 기초안에 따라 국가 정보기반시설 구축을 위한 ‘Nusantara 21 계획’이

인도네시아 국가개발 조정기구(National Development Coordinating Body, BAPPENAS)에 의하여 채택되었다. ‘Nusantara 21

계획’에 의하면 정보통신산업 발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세 부문의 기반시설을 육성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이 부문은 첫째, 정보통신의

초고속도로(Archipelagic Super Highway) 개발, 둘째, 멀티미디어 도시(Multimedia Cities) 개발, 셋째 누산타라 멀티미디어

공동체 접속기지(Nusantara Multimedia Community Access Centre) 개발이다. 이에 대한 실행정책으로 기존의 네트워크와

기반시설을 더욱 체계적인 발전, 민간부문의 정보통신기업과 정책관계자와의 전략적 연계 강화, 관련 전문인력 및 관련 기술의 현지화

등이 있다.

부족한 투자자본의 확보를 위하여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전략적 투자 차관을 획득하는 데 성공하였다. 당시 세계은행의 자료에

의하면, 약 3천4백만 달러의 세계은행 차관이 투자되었으며 이는 ‘Nusantara 21 계획’의 일환인 인도네시아 정보 인프라 개발

프로그램(Indonesian Information Infrastructure Development Program, IIDP)의 2003년 6월 완성을 목표로 투자되었다.

상기의 ‘Nusantara 21 계획’ 중, 세계은행의 차관으로 인한 집중투자 부문은 다음과 같다.

전문인력양성- 산업교역부의 공무원과 관련 중소기업인의 훈련 지원

IPTEKnet 개발- 연구 기술부의 주관 하에 각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업무를 인터넷 기반으로 통합하려는 사업으로 전자

정부를 위한 기초사업

전자상거래 기초개발

저작권법 등 법적환경 조성

정보통신 발전을 위한 제도 구축

| 127 |

Page 12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예: 국가 정보기술 제도 (National Information Technology (IT) Framework at BAPPENAS)

이러한 계획의 일환으로 1999년 인도네시아 정부는 정보통신산업의 급속한 발전을 위해 통신산업 발전 청사진(Blue Print on

Telecommunication)을 제시하였다. 정책의 주요내용은 1) 통신산업 개혁; 2) 통신산업의 구조조정 법규와 법제 입안; 3) 통신산업의

구조조정; 4) 통신산업 환경의 개방화 등이다. 이 정책의 결과로 1999년 신통신법(New Telecommunication Laws)이 제정되어

인도네시아 정보통신산업은 발전을 위한 새로운 법적환경을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들은 국내외의 정치, 경제 및 사회적 위기와 맞물려 그 정책의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세계은행 차관에

의한 인도네시아 정보 인프라 개발 프로그램 (Indonesian Information Infrastructure Development Program, IIDP)의 예산

내역을 보면, 투자예산의 대부분이 다국적기업의 컨설팅 보고서 작성비에 지출되었고 실질적으로 인터넷 기반확보 등 정보통신산업의

하드웨어 측면의 기반조성에 거의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정보통신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적 제도와 환경을

조성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도 있었다.

이러한 실험단계를 거쳐 2000년대 새로운 정부의 출범과 함께 본격적인 종합계획이 수립되고 실천되기 시작하였다. 체계적인

인도네시아 정보통신산업의 육성 및 개발을 위하여 2001년 대통령령 제61/2000호에 의해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책의 우선

순위를 명시하여 전략적인 접근을 시도하기 시작하였다. 그 우선 순위는 다음과 같다.

통일된 국가와 공공이익을 위한 정보통신사회

국민참여의 정보통신 개발

국가 정보통신 기반시설 구축

민간 관련부문과 환경의 우선

국가 잠재력 및 기술의 제고

전자 정부의 구축

인도네시아 정보통신산업 조정팀 (Tim Koordinasi Indonesia; Indonesian Telematika Coordination Team, TKTI)의

역할 강화

이러한 정책적 기조가 통합된 인도네시아 정부의 장기적인 종합계획이 ‘국가정보시스템 (National Information System,

SISFONAS) 계획’이다. 이 계획의 목적은 국가 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인도네시아 관련산업의 잠재적 자원을 적극 개발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나아가 국민의 참여를 높이고 정부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정책은 향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를 포함한

모든 정부 기관의 자원을 전자정부에 통합하려는 개념의 일환이다. 동 정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3-1> 인도네시아 국가정보시스템 (National Information System, SISFONAS) 계획의 주요 프로젝트 현황

부문 내용

| 128 |

Page 12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시스템통합 관련 산업 및 기업 등 민간부문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기반으로 기존의 기반시설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관련 네트워크, 콘텐츠,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 모든

정보시스템 기반을 통합/개선한 국가정보시스템

기본 국가 데이터의 구축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 산재된 데이터를 통합하여 이를 국가 기본정보 데이터로

재구성하고 다시 각 부처의 공유시스템인 국가정보시스템 데이터 구축

정보통신기술 개발 국가정보 시스템 개발과정에서의 최신 정보통신기술의 신속한 반영을 통하여 관련

기술의 개발 및 축적

사용 및 접근의 용이 이 정보시스템의 사용과 활용에 있어 관련 모든 사용자들의 접근과 이용의 자율성 부여

Digital Divide 기반시설과 기술적 차이로 인한 지역별 혹 계층별 장애요인을 제거하여 이용과 활용의

평등성을 부여한 국가정보시스템

정치/ 법률적 지원 국가 정보시스템 실행의 정치적/법률적 환경조성

국가정보시스템 (National Information System, SISFONAS) 개발에 필요한 정책적 과제들을 두 부문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시스템 개발에 필수적인 기본 기반시설로 이는 정부의 종합적인 지도력과 정책개발, 관련 인력자원과 전문가그룹 형성,

그리고 각종 시행지침의 개발이다. 둘째로, 기술적 관점의 기반개발에는 1)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보안시스템, 네트워크 운영을 위한

통신기술 네트워크 개발, 2)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보안, 정보 구성 운용 등 콘텐츠 기반 개발, 3) 전자정부 어플리케이션,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정부 자원 계획 프로그램, Government Resource Planner (GRP),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Decision

Support System) 등 어플리케이션 기반 개발 등이 있다.

이러한 인도네시아의 정부의 장기적인 종합계획의 성공을 위하여 정부는 행정적으로 필요한 모든 관련단체를 조직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통신정보부 산하의 지원단체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모든 관련 부서의 관련 계획 및 실행을 지원해 주는 기구로 이들의

지원내용은 주로 네트워크 보안, 데이터 보안, 시스템 회복, 데이터 백업, 네트워크 관리, 데이터 관리 등이다. 또한 관련 행정기구의

효과적인 통합지원을 위하여 국가 정보원(Lembaga Informasi Nasional; National Information Institute, LIN)을 설립하였다. 동

기관은 국가보안처(National Security Agency), 네트워크 운영국(Network Operation Control), 컴퓨터 사고 대응센터(Computer

Incident Response Center), 데이터 복원센터(Data Recovery Center)와 국립 데이터 웨어하우스(National Data Warehouse) 등

필요 기관의 지원을 통합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인도네시아 국가정보시스템(National Information System, SISFONAS)의 단계별

실행 계획은 다음과 같다.

<표 3-2> 인도네시아 국가정보시스템 (National Information System, SISFONAS)의 단계별 실행 계획

구분 기간 내용

기초단계 2002-2003 개발 계획 수립, 지원 단체 확정, SISFONAS 청사진 수립

통합단계 2003-2004 청사진 개발 및 실행, 정부 어플리케이션의 통합, 시험 프로젝트 수행,

| 129 |

Page 13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SISFONAS 기반 초기단계 구축

실험단계 2004-2005 시험 프로젝트 후, 그 효과를 고려한 재시행 단계

확장단계 2005-2010 전국적 확장단계

인도네시아 정부는 또한 2001년 ‘인도네시아 정보통신 효율성의 육성 및 촉진에 관한 정책의 틀(Framework of Policies on th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Efficiency of Telematika in Indonesia)’을 시행하여 정보통신사회로 가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의 기본 개념으로 이를 활용하도록 하였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일반 국민들의 정보통신기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일련의

정책들을 시행하였다. 대표적인 것으로 2001년 인도네시아 정부의 연구 기술부 (Ministry of Research and Technology)가

야심차게 시행한 전국 9,000여 개의 인터넷 카페 설립 계획이 있다. 또한 2002년 대통령의 정책지도 하에 연구 및 기술부(Ministry of

Research & Technology)와 국가교육부(Ministry for National Education)의 공동협력으로 인도네시아어에 의한 ‘컴퓨터 활용 정책

(Computer Usage and Computer Application in Indonesian Language)’을 시행하였다. 이 정책은 국민의 컴퓨터 활용의 가장

큰 장애 요인인 외국어로 된 컴퓨터 용어와 관련 어플리케이션 용어들을 인도네시아어로 변환하여 컴퓨터의 활용도를 강화하기 위한

정책이다. 이 정책에 따라 모든 공공부문의 관련 용어는 인도네시아어로 변환되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사회적 활용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통신부는 민간 기업 연합체와 함께 2001년 ‘1가구 1PC (Satu Keluarga

Satu Komputer) 정책’을 추진하였다. 민간부문의 Masif Indo Nusa 회사의 주도로 시작된 이 정책은 PC 보급률을 확대시키기 위해

저렴한 가격의 PC 대금 지불을 12-24개월 상환하도록 정부에 요청하여 시행된 것이다. 이와 관련된 주요 민간부문의 회사들로는

금융신용제공의 GE-Finance Indonesia, 국내산 컴퓨터 공급을 위한 Indo-PC, 수입 컴퓨터 공급을 위한 DELL USA 그리고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 M-Web Indonesia 사가 있다.

이러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보통신 산업 사회를 위한 관련 정책에 힘입어 각 부문별로 긍정적인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관련산업 부문에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으로 지난 3년간 정보통신산업 부문의 시장이 급격히 확장되었고 이는 관련 민간기업부문의

산업 활성화로 이어지고 있다. 사회부문에서 인터넷 카페 설립의 정책적 지원과 저렴한 비용으로 국민의 인터넷 활용을 증대시켰고

지역적으로 열악한 교육 환경이 개선되는 등 정보통신기술의 도입과 적용으로 국민에게 여러 혜택이 주어졌다. 대표적인 예로는 인터넷

사용으로 열악한 직업학교의 환경개선이 있다. 교육부의 주도아래 2001년 인터넷 관련 단체와 협력하여 4,000여 개의 학교 중 1,400

여 군데의 직업학교의 인터넷환경을 개선하였고, 또한 25,000여 개의 고등학교와 이에 소속된 2-3백만 학생들에게 인터넷 활용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앞서 언급한 정치경제부문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아직 그 효과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예를 들어

정부의 전국 9,000개 인터넷 카페 설립 계획은 Myoh.com과 Hewlett Packard (HP) Indonesia 등의 회사들이 재원을 지원하는

형식으로 시행하였으나, 시장성의 불안과 낮은 활용, 기반의 미비 등으로 현재 불과 1,500여 개의 인터넷 카페만 설립되었다. 또한

| 130 |

Page 13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전자정부의 성공은 국민이 손쉽고 저렴한 가격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 기반 시설 부족과 비싼

접속비용으로 자바 섬 이외의 지역에서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은 아주 어려운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각 지방정부가

중앙정부의 정책과 달리 자체적으로 정보통신기술을 개발하는 등 전체적으로 정부의 지속적인 지도력 부족에 그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정보통신산업과 사회의 경험부족으로 관련 산업 및 기업으로부터 규제 일관주의에 대한 행정에 대해 많은 불만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 제도

인도네시아에서 시행된 정보통신사업 관련 법규들을 살펴보면 기본방향이 대체적으로 두 가지로 축약된다. 첫째는 관련 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각종 규제의 철폐와 독점시장의 개방 및 민영화, 그리고 시장참여자의 기업권리 강화와 거래의 투명성 확보 등이다.

이러한 정책 기조의 뒷 편에는 현재 인도네시아의 경제상황이 연결되어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현재 인도네시아 정부의 정책은

경제의 구조적 문제점으로 세계은행과 IMF 등의 금융기관의 자유시장경제정책을 이행하는 조건으로 각종 차관들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 어쨌든 이러한 산업발전과 시장에 대한 정책이외에도 정보통신사회로 적극이행하기 위하여 이용자의 권리보호 및 이용의

확대를 위한 기반시설 활용법규 등 이용자 측면의 보호법들을 강화하고 있다.

정보통신산업 및 이용에 관한 여러 법률을 입안하는 기관은 정보통신산업의 정치 사회 및 경제적 성격과 영향력 때문에 인도네시아

중앙부처의 많은 행정부서가 관련되어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행정부처가 통신부 (Ministry of Communications), 법무부

(Ministry of Justice) 그리고 산업교역부(Ministry of Industry and Trade) 등이다. 법무부는 지적소유권 등에 관한 법률들을

관장하고 산업교역부는 각종 전자상거래에 관련된 법률을 입안하고 있다. 통신부는 정보통신산업의 주무부처로서 정보통신의 기본

핵심안은 모두 여기서 입안하고 관장한다. 특히 통신부 산하의 우편통신국 (Department General of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Postel)이 정보통신산업의 실무부문의 총괄 책임을 맡고 있다. 포스텔은 이전 정보부 (Department of

Information)가 2001년 정치적인 이유로 폐쇄되고 직원들이 이 국에 통합되면서, IT, 전화통신 그리고 방송부문의 총괄 책임을 맡게

되었다. 뒤에 자세히 설명을 하겠지만, 정보통신산업과 관련하여 통신부 산하의 중요한 조직기구로 대통령령에 의해 조직된 ‘

인도네시아 정보통신산업 조정팀 (Tim Koordinasi Telematika Indonesia, TKTI)’이 있다. 이 조직은 국가 정보통신산업 발전을

위하여 중앙정부의 모든 행정부처의 정보통신관련 사안들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며 나아가 관련 법안들도 조정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1999년에 ‘신통신법(New Telecommunication Laws, No. 36/ 1999)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1999년 7월에

발표된 인도네시아 통신환경에 대한 정부정책의 일환으로 주요 내용은 통신분야의 효율성과 발전을 확대하기 위해 각종 규제에 대한

투명성을 높이고 기존 공기업인 텔콤(Telkom)과 다른 국영기업의 독점시장을 국내외의 투자기업에게 개방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인도네시아의 전화통신시장은 세 국영기업에 의해 독점되었다. 텔콤/ (Telkom)은 국내 서비스 시장을 인도사트(Indosat)와

인도사트의 계열회사인 새트린도(Satelindo)는 국제전화서비스 시장을 독점해왔다. 신 통신법의 발효와 함께 이러한 독점시장은 각각

2002년과 2003년에 개방하여 공평한 경쟁기반을 구축하도록 되어 있다.

| 131 |

Page 13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또한 통신부는 1998년 ‘통신네트워크와 통신운영자의 내부연결에 관한 세율 (Tariffs of Interconnection of

Telecommunications Network between Telecommunications Operators)’을 입안하였다. 이 법령으로 정부는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최저 통신요금과 최고 통신요금을 제도화하여 통신서비스의 과도한 이용료를 제한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이 법안의 입안은 즉시

관련 통신요금의 인하를 불러왔고 이 통신요금의 인하는 인터넷 기반 활용으로 이어지는 기대 효과를 내었다.

현재 예고되고 있는 통신부 산하의 ‘인도네시아 정보통신산업 조정팀 (Tim Koordinasi Telematika Indonesia, TKTI)’에 의해 입안

예정중인 여러 법규들 중에서 가장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이 '정보기술의 활용화법 (IT Utilization in the Indonesian Cyberlaw)’이다.

동 법은 전자정부를 위한 사이버 법규체제를 갖추기 위해 입안한 것으로 2004년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동 법은 각종 전자거래,

전자서류공증, 전자서명, 인터넷 금융 활용, 정부부문의 정보기술 활용, 도메인명 관리 그리고 IPR 사법권을 총괄하는 상위법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법무부는 지적소유권을 관장한다. 인도네시아는 현재 지적재산권법 (UU 19/2002)이 제정되어 있고 이 법의

기본안은 국제규약에 따르고 관련사항 협약이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외국의 지적재산권도 자동적으로 인도네시아에서

보호를 받는다. 그러나 이를 실행하기에는 그 관련 기반이 취약하다. 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국으로 인용되어 있으며 2000년에 89%에 달하여 약 7천만 달러의 재정손실을 발생시켰다. 환율인하와 낮은 국민소득이 수입

소프트웨어의 비용을 인상시켰고 어플리케이션의 불법공유를 조장하는 상황이 될 수밖에 없었다. 이는 인도네시아만의 현상이 아니라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시아의 모든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법무부가 제정한 중요한 법규 중의 또 다른 법안으로는 저작권법

제 19/2002호 (Laws No 19/2002 on Copyrights)가 있다. 동 법은 컴퓨터 및 정보통신 소프트웨어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2003년 7월 시행할 것으로 예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에 언급하였듯이 동 법도 또한 그 시행에 많은 문제를 안고 출발하고 있다.

산업교역부는 디지털 서명 및 컴퓨터 오용 등을 포함하는 전자상거래 관련법의 입안을 맡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2004년부터

발효될 ‘전자정보와 전자거래법 (Electronic Information and Electronics Transaction in the Indonesian Cyberlaw)’이다. 동

법은 산업교역부의 주관으로 인도네시아 대학, 포스텔 그리고 인권 법제처가 공동 입안위원회를 만들어 정보운용 장전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Bill)이라는 초안을 준비, 2001년 말 의회에 제출하여 통과되었다. 동 법안은 산업교역부가 향후 WTO

(World Trade Organization)의 전자 상거래 관련 계획과 UNICTRAL과 OECD의 개발계획에 대응하기 위한 일환으로 준비되었다. 동

법은 전자수단을 사용하여 맺어진 계약과 그 유효성 및 사생활과 정보 보안을 관장하는 법으로 전자 문서의 유효성, 디지털 서명,

전자매체를 통한 대금지불, 인증기관, 비밀보장 및 정보 네트워크 사용자의 보안 등을 관장한다.

언급한 대표적인 관련법 외에 방송 면허와 콘텐츠 규제 방송법 (UU 24/1997) 등은 현재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속도에 맞추어

재조정하고 있고, 지역 내 도메인 이름 등록 및 쟁의 조정은 전기통신 서비스에 관한 장관 시행령 (KEPMEN 21/2001)으로 시행되고

있고, 사이버 범죄에 관한 법률은 파자자란 대학교 (Pajajaran University)에서 초안을 작성 중에 있다. 인도네시아 법규 중 대부분은

다음의 웹사이트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http://www.internews.or.id - 방송 및 통신정책 및 법률 인터넷 뉴스 등 몇 법규에 대한 영어 번역 제공

| 132 |

Page 13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http://www.hukumonline.com - 뉴스뿐 아니라 각종 법과 규율의 소프트 카피 제공

http://www.postel.go.id - 전기통신 분야의 정책 및 규율 정보제공

http://www.dprin.go.id - 정보통신을 비롯한 관련 산업의 데이터, 정책 및 법규제공

제 2 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외국의 자본과 경영기법, 기술개발을 통한 고용창출, 수출증대 및 자원개발을 통한 경제개발 추진을 목표로 1967년에 최초로 제정된

인도네시아의 외국인 투자법 (Foreign Investment Law)은 그 동안의 여러 번의 개정을 거치면서 인도네시아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되었다. 현재까지 개정된 정책적 방향을 보면 1990년대 이전까지 대체적으로 외국기업의 국내투자로 수출을 진흥하는 방향으로

대부분 노동집약적인 부분에 집중하였다. 따라서 1970년대 이후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들의 신발, 섬유 및 봉제가공 등 노동집약적

산업들이 대거 이전되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 한국 또한 국내의 생산비 상승으로 인해 관련 노동집약적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인도네시아로 진출하였다. 1977년 외국인 투자유치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투자관련 행정을 체계적으로 전담하기 위해 총괄전담기구

(투자조정원: BKPM)를 설립하여 외국인 투자안내, 인허가 발급과 투자 우선분야 선정 등의 역할을 맡겼다. 동 기구는 현재까지

인도네시아의 외국인 투자관련 부문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1990년대부터는 그 동안 제한되었던 투자분야와 외국투자기업의 경영권 문제에 보다 전향적인 정책을 실시하기 시작하였다. 1992

년 외국인 투자 제한 분야를 기존의 60부문에서 51부문으로 축소했고, 다시 1993년에 34개 업종, 1995년에 10여 개 업종으로 다시

축소하였다. 외국인 소유 지분 역시 1992년 특정조건 하에서 100% 외국인 투자를 허용했고, 1994년 최저자본금 규정 폐지와 함께

외국인의 100 % 지분 소유를 허용하였다. 단, 외국인 투자회사는 제한 규정을 두고 있는 산업을 제외하고는 단독투자가 가능하며 설립

후 15년 이내에 소유권 이전이 시작되어야 하며, 그 방법은 인도네시아인이나 인도네시아 법인에 주식을 매각 이전하거나, 주식시장을

통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소유권을 이전할 수 있는 것이다.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인도네시아의 경제정책은 금융위기 해결과 경제개발을 위하여 정책의 기조를 세계은행과 IMF의 기본

정책인 선진국의 시장경제체제 개념 안에서 운영하여 왔다. 이는 즉 모든 경제정책이 개방과 시장경쟁체제로 전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외국인투자정책은 이러한 기조 안에서 개선되어 왔다. 1998년 정부는 ‘민간투자에 대한 신정책 (New Package

Policy on Private Investment)’을 시행하여 투자절차의 간소화, 중앙정부와 지역 내 투자허가서 이중 획득의 해소 등 투자허가

서비스를 개선하였다. 또한 그 동안 고수하였던 이중과세 금지협약을 재조정하였고, 2001년 산업활성화를 위한 각종 세금 (소득세,

부가세, 물품세, 자산증여세 등)을 인하하였다.

정보통신산업의 관점에서 관심을 받고 있는 조세법 중 해외로부터의 직접투자를 억제하고 있는 법규는 컴퓨터와 전자제품에 관한

세금이다. 컴퓨터와 전자제품은 사치품이라는 이유로 높은 세율이 부과되기에 외국인의 인도네시아 직접투자를 억제할 뿐 아니라 관련

산업을 장려하겠다는 다른 행정부서와도 종종 마찰을 빚어 왔다. 2000년도의 대통령령에 의한 외국인투자금지 업종의 재조정에

따르면, 그 동안 중요한 전략산업으로서의 정보통신 및 멀티미디어산업의 투자금지 조항을 국내 사업자와의 합작형태로 취하게

| 133 |

Page 13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함으로써 투자를 허가하기로 하였다. 따라서 동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그 동안 부여되었던 관련제품에 대한 사치세를 조정하였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아직 중앙정부가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에 대한 관심은 지대하지만 이 부문에 대한 외국기업 투자유치정책은

활발하게 펼치지 못하고 있다는 평이다. 이러한 근본 이유는 동 산업에 대한 국내 대기업의 영향력도 있지만 아직 국가전략산업의

일부분으로 생각하여 외국에 대해 개방을 주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직까지도 인도네시아는 아시아 국가 중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볼 때 경쟁력이 매우 높은 국가이다. 인력 이동부의 1999년 발표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최저임금이 적용되고 있는 자카르타의 경우 월 약 30달러에 불과하고, 일반공원의 평균임금은 월 40-60 달러,

중견기술자의 경우 월 80-160달러 그리고 중간관리자의 경우는 월 120-400달러 수준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도네시아의 투자 매력도

최근 계속되는 사회 정치불안과 경제의 구조적 문제점 등으로 점차 상실되고 있다.

최근 인도네시아의 재무부 발표에 의하면 2002년도 경제성장률이 목표치 4%에 다소 못 미치는 3.6%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러한 원인의 근본적 이유는 인도네시아의 경제의 직접적인 원동력이 되어 온 외국인투자가 지난 수년동안 절대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에 있다.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The Investment Coordinating Board, BKPM)의 보고서에 의하면 2002년도 중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총 1,135사업의 97억4천만 달러로 전년도의 총 1,333 사업의 150억6천만 달러보다 약 35% 정도 감소했다. 2002

년도 내국인투자 총액이 약 27억 달러로 이러한 외국인투자의 감소는 절대적으로 경제불황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이러한 투자

감소의 원인에는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계속되는 정치사회적 불안과 경제의 구조적 문제점 등에 있다. 이러한 거시적 환경은

끊임없는 치안불안과 부패 등을 유발하였다. 또한 최근 적극적인 사회민주화의 일환으로 노동자의 임금 및 노동조합의 권리 향상으로

인한 노동 분규, 그리고 임금상승이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산업의 외국인투자 형태를 무너뜨리게 되었다.

2002년 초의 통계를 보면 현재 인도네시아에 약 570개의 한국 기업이 있으며 한국은 인도네시아의 7대 투자국으로 누계 기준

투자액은 100억 달러, 이들 한국인 기업의 연간 수출액은 약 45억 달러에 달하며 이들 한국기업은 인도네시아 전체 노동인구의 0.6%

에 달하는 50여 만 명의 근로자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계속되는 정치불안과 테러 등 정치 사회적요인과 함께, 지난 2000

년 인도네시아 노동부장관령 발효 이후 인도네시아 내 노동분규가 지속되어 한국인 기업의 탈(脫)인도네시아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전통적으로 노동집약적인 투자산업에 집중했던 한국의 중소기업의 이탈은 심각한 상태이다. 노동부장관령의 노동법안은

일방적으로 노동자들에게 유리한 정책으로 불합리한 임금인상, 과도한 시간외 수당 및 퇴직금 규정, 저조한 노동생산성을 야기하였다.

또한 정치적 이유로 노동자 파업 등에 대한 정부의 미온적인 대처 등으로 점차 열악한 환경이 되었기 때문에 노동 집약적인 산업에

투자한 한국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호혜적인 조건인 미얀마, 캄보디아 그리고 베트남으로 이전하고 있다.

 정보통신산업의 한국의 진출기업 중 대표적인 기업은 삼성전자로 공기업인 텔콤과 합작으로 CDMA기술을 개발하여 인도네시아에

보급하기로 하였으며, 2002년 12월 현재 제한적이긴 하지만 수라바야 지역부터 서비스에 들어갔다. 삼성이 공급하는 CDMA 2000

1X-시스템 기기는 4만 개의 전화선을 연결하여, 전화 연결, 인터넷 접속, 이메일, 메신저 서비스, 팩스 전송 및 자동 응답기 기능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프로젝트는 삼성과 텔콤이 인도네시아의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현대화하려는 목표 하에 체결한 2억 달러

계약의 일부분이다. 또한 한-인도네시아 합작회사인, PT Patma Incom Indonesia 는 인도네시아의 Central Kalimantan 지역에

| 134 |

Page 13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정보 네트워크와 전자 정부 시스템을 개발하기로 계약을 체결하였다. 지방 정부는 이 회사의 정보통신 시스템 설치로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외국인 투자를 증가시킬 것으로 전망한다. 이 회사는 이 시범 사업을 통하여 전국의 지방정부와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제 3 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 공공부문 정보화 관련 위원회 및 후원회

인도네시아의 정보통신산업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중앙정부의 행정부처는 두 곳이 있다. 이중 우편통신국 (Department General

of Post and Telecommunication, Postel - www.postel.go.id)은 통신과 인터넷의 기반시설을 관장하고, 산업교역부 (Ministry of

Industry and Trade, MIT- www.dprin.go.id)는 정보통신산업을 관장한다. 따라서 정부관련 추진기구들도 상기의 통신부와

산업교역부의 산하에 구성되어 있다.

1-1. 정부위원회

정부의 정보통신산업 육성을 위한 각종 추진기구 중에서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기구가 산업교역부 소속의 인도네시아

정보통신산업 조정팀 (Tim Koordinasi Telematika Indonesia; Indonesian Telematika Coordination Team, TKTI)이다. 조직의

일반현황은 아래의 표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135 |

Page 13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3> 인도네시아 정보통신산업 조정팀 (Tim Koordinasi Telematika Indonesia; Indonesian Telematika

Coordination Team, TKTI)의 일반현황

위원회명 인도네시아 정보통신산업 조정팀 (Tim Koordinasi Telematika Indonesia; Indonesian

Telematika Coordination Team, TKTI)

목적 인도네시아의 정보통신 및 미디어산업기술 개발 및 적용확대

고용인원 75명

웹 사이트 ww.kominfo.go.id

대외관계 - 중앙정부 관련 16여 행정부처의 관련정책 조정

- 관련산업의 주요 산업 및 기업관계 조정

주요활동 정보통신 및 미디어 관련 주요 5대 집중분야

1- 기반기술 개발

2- 응용기술 개발

3- 관련산업 발전

4- 관련 인적자원양성

5- 관련정책과 법규제정

주요업적 Cyber Law 준비일환인 정보통신기술 활용 확대를 위한 법규 (Regulation on Making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for Cyber Law) 입안

정보 및 전자거래 관련법 (Regulation on Information and Electronic Transaction) 입안

대통령령 6/2001호의 정보통신이용의 이해관계방안 (Instruction of the President no. 6/2001 on Using Telematika with Stakeholders) 입안

인도네시아 정보기술 활동 실행계획 76 (Action Plan 76 of Activities on Information Technology in Indonesia) 입안

조직구조 통신정보부 (State Ministry fo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의 소속으로 대통령이

고문이며, 총 16개 관련부처와 관계산업 및 기업관계자들로 구성됨

1-2. 정보통신산업 발전기구

현재까지 정부산하 관련 산업발전기구가 조직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재무부 소속의 인도네시아 정보통신산업 조정팀 (TKTI)의

구성에 이미 민간부문의 관련 산업 및 기업관계자가 공식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그 역할을 일정하게 하고 있다 (예: 외국에서의

관련부문 전시회), 따라서 현재까지 TKTI가 그러한 조직구성을 통하여 민간부문의 정보통신산업 발전정책은 자연스럽게 산업계 혹은

기업으로 전이되고 있다.

| 136 |

Page 13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 정보통신 산업협회

아직 산업기반이 미비한 관계로 각종 정보통신산업의 민간부문의 이익단체인 관련 산업협회가 활성화되지는 않았다. 인도네시아의

경제구조가 한국처럼 대기업주도 경제형태를 띠고 있기에 다양한 공공이익집단(특히, 정부)과 관련 사업활동에 대한 사안조정은

대기업 자체에서 해결을 하는 경우가 많다. 어쨌든 여러 정보통신산업협회와 관련하여 이제 태동기를 맞고 있는 인도네시아 정보통신

소프트웨어 업종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단체로는 인도네시아 정보통신 소프트웨어협회(Indonesian Telematic Software

Association, ASPILUKI)가 대표적이다. 이 협회의 일반 현황은 표 3-4에 자세히 소개되어있다. 이 소프트웨어 협회와 함께,

정보기술산업계의 하드웨어 관련 대표적인 협회가 인도네시아 컴퓨터산업 경영자협회 (Asosiasi Pengusaha Komputer Indonesia;

Indonesian Computer Entrepreneur Association, APKOMINDO)가 있다. 표 3-4에 자세히 소개 되어 있다.

| 137 |

Page 13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4> 인도네시아 정보통신 소프트웨어협회 (Indonesian Telematic Software Association, ASPILUKI)

협회명 인도네시아 정보통신 소프트웨어협회 (Indonesian Telematic Software Association:

ASPILUKI)

목적 정보통신산업 발전 및 기업활동관련 우호적 환경조성과 정부와 회원기업간의 관련사항

정책적 조정

현지 정보통신기술 및 서비스 제품 개발과 사용확대

정보통신산업(특히 소프트웨어산업) 발전과 성장을 위한 회원 지도와 단합.고용인원 57명

웹 사이트 www.aspiluki.or.id

대외관계 산업교역부 (Ministry for Industry and Trade) 등록 인도네시아 상공회의소 (Indonesian Chamber of Commerce, KADIN) 협회회원

정부 및 다른 민간단체와 공동으로 전국컴퓨터회의 (National Computer Conference) 주관

소프트웨어산업 발전과 협력을 위한 인도의 ESC와 교류

저작권 이행 (Copyright Implementation)을 위한 경영소프트웨어연합 (Business Software Alliance, BSA)과 협력

주요활동 인도네시아 정보통신산업의 관련제품의 국내외 판매촉진

국내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관련 민간조직과의 협력관계 활성화

관련 인적자원 양성 및 회원기업의 후원

주요업적 보상 캠페인

강화 캠페인

세계은행 (World Bank)의 협력으로 인도네시아 소프트산업 발전을 위한 엩마자야

대학교 (University of Atmajaya)과의 전략적 협력

조직구조 최상급 의사결정권을 가진 집행위원회 (Steering Committee)가 있고 이 집행위원회의 감독

아래 회장과 대표이사가 있다. 그리고 사무총장, 재무이사 그리고 3인의 부대표 이사가 실질적인

운영을 맡고 있다. 총 50여 명의 회원을 두고 있다.

<표 3-5> 인도네시아 컴퓨터산업 경영자협회 (Asosiasi Pengusaha Komputer Indonesia; Indonesian Computer

Entrepreneur Association, APKOMINDO) 일반현황

협회명 인도네시아 컴퓨터산업 경영자협회 (Asosiasi Pengusaha Komputer Indonesia; Indonesian

Computer Entrepreneur Association, APKOMINDO)

목적 인도네시아 컴퓨터산업을 발전시키고 나아가 우호적인 산업 및 경영환경과 더불어 관련

| 138 |

Page 13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정책사안에 대한 대외적인 이익 조정을 위한 대표활동을 한다.

고용인원 304

웹 사이트 www.apkomindo.or.id

대외관계 대통령령 제18호 (Presidential Decree 18/2000)에 의해 컴퓨터 제품 및

관련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제정된 공식인증 발급

현재까지 총 111개 회사가 인증을 받음

주요활동 국내외 시장에서 컴퓨터 및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을 위한 활동

주요업적 매년 컴퓨터산업 박람회 (Indocomtech) 개최

국제산업 박람회 (예: Festival and Bazaar) 참여

컴퓨터제품 및 서비스 품질인증 발급

조직구조 최상급 의사결정권을 가진 집행위원회 (Steering Committee)가 있고 이 집행위원회의 감독

아래 회장과 대표이사가 있다. 그리고 사무총장, 재무이사 그리고 3인의 부대표 이사가 실질적인

운영을 맡고 있다. 총 50여 명의 회원을 두고 있다. 총 300여 개의 회원 기업이 있다.

3. 정보통신 연구기관

인도네시아의 반둥 공과대학교(Bandung Institute of Technology, PAU ITB)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정책적으로 산업기술개발을

위해 집중 육성한 대학이다. 따라서 동 대학의 연구소들이 인도네시아 내에서 정보통신산업의 기술적 측면을 주도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2002년 연구 기술부 산하 인도네시아 국가 연구위원회의 보고서에 의하면 5개의 연구 분야 (전자 부품, 전기통신기술,

소프트웨어, 시그널 프로세싱, 전력) 총 88개 정보통신산업 연구 프로젝트에 연구비를 지원되었는데 이중 65%의 연구과제는 전자

부품과 전기통신 분야에 집중되었고, 20% 미만이 소프트웨어 연구에 지출되었다. 연구 기술부에서 지원한 정보통신 연구과제의 40%

이상이 반둥 공과대학 (ITB)에 지원되었다. 동 대학교의 여러 관련 연구소 중에서 극소전자연구소 (Inter University Research

Centre on Microelectronics (IURCM)가 인도네시아 내에서 정보통신산업의 기초기술의 대표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동 연구소의

일반현황은 표 3-6에 자세히 나와있다.

<표 3-6> 반둥 공과대학의 극소전자연구소 (Inter University Research Centre on Microelectronics: IURCM,

Bandung Institute of Technology: PAU ITB)

기관명 반둥 공과대학의 극소전자연구소 (Inter University Research Centre on Microelectronics:

IURCM, Bandung Institute of Technology: PAU ITB)

목적 산학협동을 통한 극소전자과학, 기술, 시스템과 응용기술 개발

고용인원 46명 (교수 및 연구원 23명과 행정요원 23명)

웹 사이트 www.paume.itb.ac.id

대외관계 반둥 공과대학 소속의 연구소로서 관련산업의 산학협동 주도

| 139 |

Page 14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주요활동 산학연구활동

주요업적 RUSNAS, RUT, RUK (Leading National Reserch) in the respective field.

조직구조 총 1명의 소장과 3부의 연구부로 구성되어있다.

4. 정보통신 교육기관

반둥 공과대학교가 주로 개발과 연구를 책임진다면, 인도네시아 제 1의 국립대학인 인도네시아 대학교 (University of Indonesia)의

컴퓨터공학과 (Faculty of Computer Science)는 주로 관련 전문인력을 배출해낸다. 동 대학의 출신들은 정부 및 관련업계의 주요

책임을 맡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동 학교의 간략한 현황은 아래의 표 3-7에 나와있다. 인도네시아 대학교는 국립교육의 주도적

위치에 있다면, 비나 누산타라 대학교 (University Bina Nusantara, www.binus.ac.id)는 정보통신교육 전문대학교로 이 부문에서

인도네시아 최고의 사립 대학교이다. 동 대학은 관련 부문의 활발한 국제적인 교류가 특징이며 현재 약 900여명의 교수진과 행정요원

그리고 23,000여 명의 학생을 두고 있다.

| 140 |

Page 14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7> 인도네시아 대학교의 컴퓨터공학과 (Faculty of Computer Science )의 일반 현황

기관명 인도네시아 국립대학교의 컴퓨터공학과 (Faculty of Computer Science, University of

Indonesia)

고용인원 53명의 교수 및 연구진

웹 사이트 www.cs.ui.ac.id

대외관계 인도네시아 최대의 국립대학

주요업적 1993년 내무부 (Ministry of Internal Affairs)의 의뢰로 5개의 주요 국립대학 입학시험 채점 및

전산처리 프로그램 개발

| 141 |

Page 14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2 장 - SI 산업 및 시장 동향 분석 – 사례연구 기준

제 1 절: 정보통신산업 현황

1. 일반 현황

인도네시아의 정보통신산업과 사회환경은 전체적으로 그 기초기반이 형성되어 있지만 아직까지는 여러 면에서 상당히 열악한

수준이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난 3년 동안 정부의 투자가 급격히 늘어나는 등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열의에도 불구하고

현재 산업발전과 환경조성에 투자할 만큼의 사회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 여건이 받쳐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러 통계를 종합해보면 인도네시아는 2001년에 총 12억2천8백만 달러를 IT관련에 지출한 것으로 발표했는데, 이중에 7억5천만

달러를 IT 하드웨어에, 1억2천만 달러를 소프트웨어에 예산을 지출하였고 (하드웨어 총지출에 대한 16.5%의 소프트웨어 지출), IT

서비스에 약 8천5백만 달러를 지출하였다. 매년 IT관련 부문에 지출되는 총액은 약 20%정도 증가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로

세계은행(World Bank)의 통계에 의하면 2000년 총 IT관련 지출이 35억4천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산업교역부의 공식 통계에 의하면 2000년 인도네시아의 IT관련 수출액은 약 20억 달러에 달하며, 이는 13,500명의 고용 인원의 약

266개 회사와 연관되어 있다. 이 중 소프트웨어의 수출은 약 3천만 달러다. 산업교역부는 2010까지 3,600여 개 회사의 설립을

후원하고 약 56만여 명의 고용을 창출하여 총 140억 달러의 수출을 달성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일련의 통계를 보면, 2002년 현재 정보통신 기반시설은 총인구 대비 약 1-5%의 국민에게만 제공되고 있다. 2002년 현재 7백 10만

선의 100% 디지털 전화선이 공급되어 있고, 2002년 상반기 말까지 약 8백 10만 정도의 무선통신 가입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2001년 국내 PC 사용대수는 약 2천 3백만 대로 추정되고 그 중 1천 9백만 대는 기업과 정부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 25만

대만이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통계의 기반으로 추산한 결과 약 2백만의 인터넷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으며, 이중 60만의

인터넷 가입자가 있다. 60-70%의 인터넷 사용자는 1,500개 정도의 인터넷 카페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은 세계은행 (World Bank)에서 세계의 정보통신산업 관련 조사기관 (ITU, WISTA, Netcraft, IDC) 등에서 조사한 통계들을

재구성하여 2002년 9월 발표한 세계 각국 정보통신 일반현황 중 인도네시아의 경우이다. 기존의 자료는 인도네시아의 산업교역부 등

여러 기관의 자료들이 있지만 이러한 자료들에 대한 신뢰성에 문제가 있고, 이러한 자료들은 다시 IDC나 ITU에서 결국 재가공하므로

최대한의 신뢰성을 갖추고 국제비교를 할 수 있는 세계은행 자료를 재인용 하였다.

표 3-8에서 나타나듯이 여러 면에서 정보통신 기반은 1995년 대비 상당한 진척이 있었지만 5년이라는 발전속도 개념을 적용하여

유추해보면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발전 속도가 상당히 느리다고 할 수 있다. 지난 5년 동안 개인컴퓨터의 보급이 1995년

인구 천명 당 5명에서 겨우 10여명 정도로 보급되었고 교육기관에 배치된 개인컴퓨터의 증가추세도 비슷하다. 여기에 인터넷을

접속하여 사용하는 서비스 공급비가 매월 약 12.5달러 연간 약 150 달러이다. 이는 2001년 인도네시아의 1인당 GNP가 약 2,940

| 142 |

Page 14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달러(일반 제조업노동자의 연평균 임금 약 960-1,920 달러)인 것을 감안하면 가계에서 부담하기에는 힘든 비용이다. 따라서 아직은

광범위하게 사회부문에 정보통신산업과 적용의 활성화를 위한 수준에는 많이 못 미치고 있다. 정보통신 지출에서도 알 수 있듯이 1995

년 대비 예산이 오히려 줄어들었을 만큼 정보통신산업과 기반시설을 뒷받침할만한 경제적 여건이 부족하다. 세계은행에 비교한 아시아

태평양 국가의 정보통신기반 및 환경지수에 인도네시아는 아직 평균에도 훨씬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143 |

Page 14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8> 인도네시아 정보통신 기반 일반 현황 (2000년 9월 현재)

구분 1995년 2000

통신

유선전화 (천명당) 17회선 31회선

대도시 (천명당) 104회선 232회선

무선전화 (천명당) 1명 17명

컴퓨터

PC (천명당) 5.0명 9.9명

교육기관 PC 26,100대 58,500대

(2001년 자료)

인터넷사용자 50,000명 2,000,000명

서비스 공급비 - 12.5달러 (매월)

광대역 망 사용자 (전체인구) - 개설중임

정보통신지출 ($, 백만) 4,337.0 달러 3,540.0 달러

참고: 2001년 인도네시아 전체인구 약 2억1천3백6십만 명

출처: http://www.worldbank.org/data/countrydata/countrydata.html

2. 상세 현황

2-1. 인도네시아 통신산업 현황

인도네시아 통신산업은 국가전략산업 중 하나이다. 그 이유는 수 많은 섬으로 구성된 광범위한 국토의 지리적 특성으로 통신산업의

발전은 필연적으로 국가, 사회 및 산업기반의 가장 중요한 기반이었고 실제로 정부의 경제정책 중 가장 우선시되는 분야였기 때문이다.

역으로 말하면, 이러한 지리적 문제는 경제적 역량의 부족으로 통신산업의 발전에, 특히 유선전화망의 구축에 심각한 장애가 되어 왔다.

1992년 인도네시아는 겨우 인구 100명당 1대의 전화회선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1997년의 외환위기 이후 경제의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더욱더 심각한 상황에 빠졌다. 앞장의 세계은행의 통계를 보면 1995년 인구 100명당 1.7회선이 2000년까지 5년 동안

겨우 두 배인 3.1회선에 도달했다. 이는 전국적인 통계이다. 대도시의 전화설치기반의 현황을 보면 1995년 인구 100명당 10.4회선이

2000년에 23.2회선으로 역시 두 배 성장하였다. 이러한 수치에서 가장 큰 문제는 통신기반이 대부분 도시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대로 인도네시아는 수많은 섬으로 이루어진 광대한 국토가 이러한 지리적 여건이 결정적 장애 요인이다. 따라서 인도네시아

정부와 통신업계는 1990년 후반부터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적극적인 무선통신 도입정책을 펼치기 시작했다.

현재까지 그 보급대수가 현저히 약하지만 세계은행(World Bank)의 통계에 의하면 1995년 천 명당 1명의 무선전화가 5년 뒤 2000년

| 144 |

Page 14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7명으로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시장의 각종 통계들을 살펴보면 1999년 약 2백만 무선통신가입자에서 2002년 상반기

말까지 약 8백 10만까지 증가했다는 것이 대체적인 의견이다.

2002년 현재 인도네시아에서 전화통신을 공급하는 최대의 유선업자로는 공기업인 텔콤(PT Telekomuikasi Indonesia, Telkom)과

인도사트(PT Indonesian Satellite Corporation, Indosat) 그리고 사텔인도 (PT Satelit Palapa Indonesia, Satelindo)가 있다.

텔콤은 주로 국내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인도사트와 사텔인도는 국제전화서비스를 제공한다. 전통적으로 전화통신 시장은 텔콤과

인도사트의 독점적 국영시장이었으나, 1990년 초 제한적으로나마 시장 경쟁을 통해 개방 및 민영화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정부는

텔콤과 인도사트의 대주주로 되어 있고 그 영향력은 결정적이다. 사텔인도는 1994년 8월 국제통신사업을 시작하였고 이 회사 역시

인도사트가 7.5%, 텔콤이 25%의 주식을 소유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정부의 영향을 받고 있다. 또한 전화요금이 국가관장사항이기에

상기 회사들의 경쟁은 요금경쟁보다 서비스의 질로 시장경쟁을 하고 있는 상태이다.

2002년 현재 7백 10만선의 100% 디지털 전화선이 공급되어 있다. 무선통신 사업은 1989년 텔콤이 합작회사로 모비셀을

설립하면서 시작되었고 1994년에 사텔인도와 텔콤셀이 GSM 디지털 면허를 획득하였고 1996년 9월 엑셀코민도회사가 세 번째 GSM

면허를 받았다. 2000말에는 7개의 무선전화 회사, 세 개의 GSM-900 네트워크 공급자 그리고 네 개의 지방 아날로그

네트워크공급자가 존재한다. 사용자의 96%는 GSM에 가입하고 있고 또한 7개의 지역사업자와 인도사트와 텔콤 등 2개의

전국사업자가 GSM-1800면허를 2000년에 획득하였다. PCS 사업자들 중에는 이미 2.5세대 네트워크를 시작하고 있고 2001년 4

분기에 텔콤은 WAP (Wireless Access Protocol)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GPRS도 이미 제공중이다.

이러한 서비스 기술과 달리 최근에 한국에서 상용화에 성공한 CDMA 기술이 인도네시아 텔콤을 통하여 전략적으로 도입되어

한국처럼 험준한 산과 깊은 바다 등으로 유선전화망이 구축되지 못한 벽지를 대상으로 CDMA 방식의 무선전화를 보급할 예정이다.

텔콤은 CDMA기반 전화망 구축 작업을 통해 2003년까지 전국에 무선 중계시설 40만~50만 개를 건립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관련

하드웨어인 휴대폰의 수요시장 또한 급속하게 성장하였다. 2002년 상반기 중, 휴대폰시장의 모델교체 시기와 맞물려 약 242만 대의

판매 중에서 144만여 대가 신규수요로, 98만여 대의 교체 수요가 발생했다. 현재 휴대폰 기기 시장에서 핀란드의 노키아가 70%를

점유하고 한국의 삼성전자는 7위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고가제품 판매에 주력하고 있는 삼성은 2위의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참고로

인도네시아에서의 휴대폰 세트의 평균구입 가격은 약 60 달러이다.

인터넷이 점차 확산됨에 따라 기존의 통신시장에 위협이 되고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통신 (VoIP)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2002

년에 Internet telephony/VoIP를 이용한 국제전화 사용자가 6%로 증가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고 향후 급격히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VoIP 전화료는 통상 전화요금보다 최고 70%까지 저렴하다. 따라서 국제통신사업의 독점기업인 인도사트과 사텔인도의

수익률을 급격히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이러한 문제점에 대비하여 텔콤과 사텔인도 등의 회사는 이 부문의 기반구축을 위해

대대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2002년에 텔콤은 약 7백만 달러를 VoIP 기반구축 투자하였고, 사텔인도도 자카르타, 바탐, 메단,

수라바야 등의 대도시에 비슷한 액수의 투자를 하였다.

| 145 |

Page 14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2 인도네시아 인터넷 현황

앞서 언급하였듯이 인도네시아의 2001년 국내 PC 대수는 2천3백만 대로 추정되고 그 중 1천9백만 대는 기업과 정부에서 사용

중이며 가정에서는 겨우 25만 대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기반으로 약 2백만의 인터넷 사용자가 인터넷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중 60만의 인터넷 가입자가 있다. 60-70%의 인터넷 사용자는 1,500 개 정도의 인터넷 카페에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인터넷

카페가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접속 수단이 되고 있다. 통상 사용료는 시간당 30센트- 1달러 정도이나, 발리를 비롯한

관광지에서는 시간당 5-6달러 정도까지 부과된다. 인터넷 카페에서는 소음이 많은 전화 접속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며 일부

인터넷 카페와 민간기업들은 WiFi 11Mbps 기기 (2.4GHz 의 속도)를 사용하여 텔콤의 기반시설을 건너뛰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경우에 따라서는 5.8GHz 기기를 사용함). 이는 상대적으로 접속 및 연결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인도네시아의 인터넷 활용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곳은 민간기업과 대학교이다. 특히 대학은 인도네시아의 지리적 여건을 극복한

사이버 교육 수요 창출을 위해 인터넷 교육을 계획하고 있으나 현재 관련 법규의 미비와 취약한 기반시설로 실행되지 않고 있다. 현재

사이버 교육이 허락된 학교는 Open University 하나뿐이다. 인도네시아에서 인터넷 활용의 가장 큰 장애요인 중에 하나는

인도네시아의 독특한 문화적 특성에 기인하기도 한다. 인도네시아어는 서양 자모를 사용하고 있고 원주민의 글자나 언어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 또한 인도네시아의 문화는 말하고 듣는 문화이어서 쓰고 읽는 문화에 익숙해 있지 않다. Google.com의 조사에 의하면

인도네시아 웹 페이지의 15.3% 만이 인도네시아 어로 쓰여져 있고 나머지는 영어로 쓰여져 있다.

1990년 우편통신국에 의해 허가된 인도네시아에서의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는 50개 정도였는데,

2000년 139개로 네 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2001년 172개, 2002년 총 180여 개의 공급자로 그 증가세가 다소 정체되고 있다.

이는 현재 인도네시아의 정보통신산업의 현주소를 보여주고 있다. 어쨌든 2002년의 총 180개 공급자 중에서 약 70여 개의

공급자만이 시장에서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추정하기로는 나머지 공급자들은 불법적인 VoIP서비스를 위한

것으로 실질적인 인터넷의 정상공급을 위한 것이 아닌 것으로 파악된다. 지역기준으로 보면 대부분의 ISP 소재지는 인도네시아의

수도인 자카르타에 있고 전국적인 서비스에 충실한 곳은 와산타라 넷 (Wasantara.net.id)으로 이는 인도네시아 우체국에서 소유한

것이다. 다음의 표 3-9는 인도네시아의 10대 ISP와 가입자들에 대한 통계이다 (2001년 5월 기준). 이 통계에서 최근 새로운

최대공급자로 떠오른 M-WEB에 대한 가입자 수는 빠져 있다.

<표 3-9> 인도네시아 최대의 10대 ISP와 가입자 수 (2001. 5.)

ISP 명 가입자수 ISP 명 가입자수

LinkNet 100,000 RadNet 20,000

TelkomNet 100,000 Centrin 20,000

IndosatNet 41,000* Dnet 10,000

CBN 35,000 MegaNet 10,000

| 146 |

Page 14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IndoNet 15,000 Idola 4,000**

참고: *자카르타에 소재한 가입자수; ** 기업 가입자수

출처: Indonesia Internet Service Provider Association (Asosiasi Penyedia Jasa Internet Indonesia, APJII:

http://www.apjii.or.id/)

인터넷의 확산과 함께 인도네시아의 도메인에 대한 숫자도 꾸준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도메인 숫자는 1995년 87개

도메인, 1998년 2,526개 도메인, 2000년 8,918개 도메인, 그리고 2002년 약 15,947개 도메인으로 증가했다. 자세한 정보는

인도네시아 도메인을 관리하는 IDNIC를 찾아보면 된다(www.idnic.net.id).

표 3-10은 인도네시아의 도메인 유형에 따른 도메인 수를 나타내는데, 2001년 3월 기준으로 정부조직 도메인(go.id)을 제외한

자료이다.

<표 3-10> 인도네시아의 도메인 유형에 따른 도메인 수 (2001. 3.)

도메인 유형 도메인 수 도메인 유형 도메인 수

Ac.id(academic) 291 Or.id(others) 1,571

Co.id(company) 6,115 Sch.id(school) 578

Mil.id(military) 6 Web.id(web) 1,059

Net.id(provider) 130 War.net.id(warnet) 34

참고: War.net.id(warnet)은 통상 인터넷 카페와 겸용한다.

출처: IDNIC(www.idnic.net.id)

2-2-1. 광대역 (Broadband) 인터넷 망 현황

인도네시아의 광대역 인터넷 망은 아직 초기 단계이다. 최근까지 대여 회선이나 VSAT등으로 고속 인터넷 접속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켰지만 고비용으로 인한 시장성이 없다는 문제를 안고있다. 따라서 최근 인도네시아의 인터넷 공급회사들은 ADSL이나 케이블

모뎀 등의 광대역 인터넷 접속기술을 채택하려고 기반조성에 나서고 있다. 현재 인도네시아의 고속 인터넷 접속망의 수요는 약 120만

회선으로 추정된다. 2003년에 6,000 개의 시험용 ADSL 회선을 자카르타 지역에 설치할 예정이다.

케이블 모뎀에서는 카벨비젼사 (PT Kabelvision)가 주도적인 위치에 있다. 이 회사는 1999년 9월 23,000여 명의 유선 TV방송

가입자를 대상으로 최초로 카벨넷 (Kabelnet)의 인터넷 접속서비스에 케이블 모뎀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2001년 초에 4,000 명의

가입자 보유하였고 2004년에는 약 30만 명으로 가입자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까지는 카벨비젼사가 케이블 모뎀시장을

| 147 |

Page 14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독점하고 있으나 텔콤이 알카텔사와 제휴를 맺어 Bybrid Fibre Coax (HFC)와 케이블 모뎀 네트워크를 자카르타와 수라바야 지역에

공급하기로 결정할 예정이다.

또한 최대의 통신사 중 하나인 인도사트는 무선 DSL네트워크를 수라바야 지방 15개 도시에 계열회사인 린타사르타사 (PT

Lintasarta)를 통해 설치할 예정으로 있고 텔콤 역시 위성을 이용하여 터보넷 (Turbonet)이라는 이름의 광대역 인터넷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텔콤이 제 1위성을 통해 지역에서는 80센티미터 안테나로 1.5 Mps의 속도로 데이터를 다운 받을 수 있게

하고, 업로드는 전화선 접속을 이용한다. 그러나 일반 가정용이기보다는 고비용 (매월 700달러 정도)으로 거리가 먼 지역의 인터넷

카페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시스템이다. 단지 문제는 아직 기술부족으로 서비스의 질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어쨌든 이러한

무선접속 서비스는 인도네시아의 지리적 여건으로 지방정부에서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는 시스템이다. 카부파텐 쿠타이

(Kabupaten Kutai) 지방 정부는 최근 무선기술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을 확산시키기로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 첫 단계로 2002년 9

월에 외곽 지역에 5,000 개의 전화통신선을 개설하였다.

2-2-2. 전자상거래 (E-Commerce) 현황

인도네시아는 지리적 인구통계학적으로 보면 수많은 섬으로 시장이 흩어져 있기에 전자상거래가 발달하기에 아주 적합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전자상거래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반조성에 앞서 언급한 전자정부 실현 프로그램 일환으로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2001년에 IT부문에 지출된 총 12억2천8백만 달러 예산 중에서 9.8%가 전자상거래 기술개발에

투자되었다. 하지만 현재 인도네시아의 인터넷 기술과 활용 수준으로 보아 짧은 시일에 빠른 성장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

가장 최근의 통계인 2002년도 현재 인도네시아의 전자상거래의 시장 규모는 약 1억 달러 수준으로 GDP의 0.1%에 불과하다. 2001

년에는 전자상거래 이용률은 전체 상거래의 0.1%에 불과하며 일인당 2.11 달러 수준이다. 이러한 전자상거래의 성장의 저해 요소로는

앞서 언급한 부족한 기반시설, 인식 부족, 보안 미비, 문화와 습관, 온라인 거래회사의 부족 등이 있다. 그리고 비즈니스의 디지털화에는

투명성이 필연적으로 수반되는데 인도네시아의 회사들이 아직 이에 익숙치 않고 이에 대한 관련법규도 미비한 상태이다. 또한 기업들의

입장에서는 높은 실업률과 낮은 임금을 고려하여 볼 때 노동력의 사용이 정보기술로 인한 비용절감보다 더 많은 이익이 있다.

| 148 |

Page 14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3. 인도네시아 정보통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산업 현황

2-3-1. 하드웨어 산업 현황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도네시아 정부는 전략적 산업인 정보통신부문의 하드웨어 부문을 발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육성정책을

펼치고 있다. 2001년 인도네시아 정부는 총 12억2천8백만 달러의 예산 중 IT 관련 하드웨어 산업 진흥을 위해 지출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대부분의 정보통신기반 하드웨어는 다국적 기업의 투자에 의한 의존도가 높다. 다만

개인용 컴퓨터 같은 경우는 중요기술은 다국적 기업에 의해 수입되고 제품의 조립생산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의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계속되어 온 열악한 경제적 조건을 들 수 있다. 역으로 적극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시장을

형성할 정부의 투자재원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인도네시아의 산업교역 통계에 정보통신부문의 자료는 많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 중에서 인도네시아 정보통신 산업 중 하드웨어

부문을 추론할 수 있는 것은 각 제조업체의 숫자이다. 전자/하드웨어 제조업체 중 핵심 업체들은 전자기기 구성요소 제조업체 11개

회사, 전자기기 부품 제조업체 10개 회사 그리고 전자기기 제조업체 10개 회사, 총 31개 회사가 시장에서 주도적인 위치에 있다. 2000

년에 인도네시아의 IT관련 수출액은 266개의 회사(총 13,500명 고용)에 의한 20억 달러에 달하며 이 중 소프트웨어의 수출은 3천만

달러이다. 나머지는 앞서 말한 노동집약적인 컴퓨터 관련 기기나 통신기기들이다. 참고로 산업교역부는 2010년까지 56만 명의 고용을

창출할 수 있는 3,600개의 회사를 조성하고 140억 달러의 수출을 달성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2-3-2. 소프트웨어 산업 현황

인도네시아 소프트웨어 산업에 대해서는 여러 평가가 있다. 전체적으로 인도네시아의 IT 수준과 환경으로 볼 때 아직은 초기 발전

단계에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인도네시아 정부도 관련 소프트웨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 일정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 현재의 경제적 여건과 정부의 역량으로 이 부문을 활성화하기에는 턱없이 역량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2001

년 정부지출 예산의 총 12억2천8백만 달러 중에서 겨우 1억2천만 달러만 지출되었다. 이는 하드웨어 지출예산 대비 겨우 16.5%이다.

또한 2000년 IT관련 총 수출액 약 20억 달러에서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겨우 3천만 달러이다. 이는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투자재원과 열악한 환경으로 국내기업 발전은 아직은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고 대부분의 시장은 국내에 국한되고 있다.

다만 뒷 부분에서 인도네시아의 SI 기업부분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을 하겠지만 인도네시아의 경제적 특징 중 하나는 대기업 위주의

경제라는 것이다. 이는 다시 말해 국가 전체적으로 아직은 경제 수준과 기업 수준이 선진국에 못 미치지만 특정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 신사업에 대한 투자능력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후기에 기술될 인도네시아의 대부분의 주도적인 위치에 있는

컴퓨터 관련 기업들은 대기업들이다. 또한 정보통신관련 소프트웨어 기술 자체가 외국에서 유입되어 온 것으로 1990년대 후반의

경제위기 이후 계속되는 국내의 정치경제 불안으로 관련 전문인력이 적절히 양성되어 있질 않다. 따라서 전적으로 이 부문에 대한

| 149 |

Page 15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다국적 기업에 대한 기술 및 제품의 대외의존도는 상당히 심각하다. 또한 이와 더불어 여력을 가진 국내기업의 보수적인 태도도

시장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어쨌든 2000년대에 들어 활성화되기 시작한 정보통신 기반시설 구축으로 소프트웨어 시장에

대한 중소기업의 창업들이 꾸준히 시도되고 나름대로 시장을 형성해 나가고 있다. 예를 들어 제조업에서는 전산화 이후 예상 목표

달성률이 약 75%, 그리고 금융부문에서는 100%에 달할 정도로 차츰 기업들의 인식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후기의 인도네시아 SI기업 편에서 자세히 설명을 하겠지만 아래의 표 3-11은 인도네시아의 대표적인 지역 소프트웨어 개발기업으로

현재 인도네시아의 소프트웨어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국내기업들이다. 대부분의 개발기업이 대기업 소속 자회사로 우선 자체내의 SI

시장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외국의 다국적기업으로부터 관련기술을 전수 받아 현지화를 한 후 관련시장으로 진출한 기업들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기업의 특성상, 또는 인도네시아 정부의 자국기업의 성장을 선호하는 정책으로 동 기업들은 정부의 금융관련기관

혹은 정부 및 공공기관의 소프트웨어 시장 진입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기업의 특성상 신사업 개척을 위한 정책과 자본의

역량이 뒷받침된다. 아래의 표에서도 나타났듯이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회사들의 제품들은 수입된 소프트웨어들이 인도네시아 사정에

맞게 현지화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특별한 특허권 등이 없고 수출가능성 또한 가능성에 머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중 성공을

거두고 있는 기업은 eBdesk와 Jati Piranti Solusindo회사로 동 회사의 소프트웨어는 국제 시장으로 수출하기도 하고 있다.

| 150 |

Page 15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11> 인도네시아 기업에 의한 현지개발 소프트웨어 패키지와 공급회사 현황

회사명

eBdesk Ltd Pt Meitraco

Bahana

Sejahtera

(Trabas)

PT Sigma Cipta

Caraka

PT Jati

Piranti

Solusindo

PT Cipta Piranti

Sejahtera

제품명Ebdesk Trabas (재무,

CRM)

SIGMA/AlphaBITS Jatis Accurate

기능 기업포털/ 인트라넷 금융서류관리 금융관리프로그램 전자상거래 회계관리

웹사이트 ebdesk.com trabas.com sigma.co.id jatis.com cpssoft.com

주요고객

Telkom Indonesia;

인도네시아 정부;

PNG; Permodalan

Nasional Madani;

Syariah Mandiri

Bank

Telkom

Multimedia;

Exelcomindo

Pratama; IBM

Indonesia;

Fedex;

Berdikasi

Bank Danamon;

Bank Mandiri;

Bank Permata;

Bank Jatim

Bank

Bumiputera;

Central Sari

Finance

Bank

Central Asia;

Bank Mega;

BII

BPPT;

Travoo

Online;

Kewalram

Indonesia

정부공공기관

은행 및

금융기관

창립년도 1998 1995 1987 1993 1998

특허여부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제품

인지도

상 중 중 상 중

수출

가능성

있음 없음 있음 있음 있음

| 151 |

Page 15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2 절: SI (System Integration: 시스템 통합)시장 현황

1. SI 시장 규모

아직 인도네시아의 SI 시장에 대한 국내외 공공기관의 정확한 통계가 없다. 이는 SI산업 특성상 SI 시장은 그 산업의 범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고 그 범위 또한 정확히 통계를 잡는 데 문제점이 많기 때문이다. IDC의 2001년 10월 통계를 기준으로 볼 때,

인도네시아의 IT시장의 크기는 약 8억5천8백만 달러로 이는 전년도 8억8천1백만 달러보다 오히려 감소되었다. 그러나 최근 발표된

자료에 의하면 2002년 IT 시장은 약 10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보도도 있었다 (The Jakarta Post 2002년 8월 5일). 산업교역

기준으로 볼 때, 앞서 언급하였듯이, 2000년 IT관련 총 20억 달러 수출에 약 3천만 달러가 소프트웨어였다. 이러한 사실들을 기준하여

볼 때 SI관련 시장은 아직 전체 IT산업의 약 10%에 못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의 SI산업 동향을 분석해보면 다국적 기업과 국내 대기업이 SI 산업의 증가 추세를 이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도

비용절감과 수익 증가를 위해 solution-related services 등의 정보기술을 서서히 사용하기 시작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기업들이 IT 비용 증가에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다. SI 부문별 시장의 관점에서 보면 ERP 등의 정보기술

어플리케이션과 솔루션 시장의 전망은 다소 밝다. 그 이유는 중소기업의 20%인 5,000개의 기업만이 현재 ERP 기술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아직도 50% 비율의 다른 아시아 국가보다 낮기 때문에 향후 성장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실제로 현지의

면접조사에서 ERP 사용시 30%의 운영비용절감 효과가 나타난다고 한다. 현지 시장에서 ERP의 사용비용은 약 1만 달러에서 50만

달러로 그 규모와 복잡성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부실한 하드웨어 기반시설, 인터넷과 전화통신 서비스의 부족 등이 ERP 솔루션의

도입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표 3-12는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SI 수요시장의 각 부문별의 담당자 20여 명 등 총 100여 명의 정보활용부서에 있는 관계자들에게

각 부문별 전산화 활용수준을 질문한 통계이다. 이러한 설문서는 현재 각 부문의 전산화 활용수준을 정확히 조사할 수 있는 각종

통계자료 등이 미비하여 현재 그 부문에서 전산화를 담당하고 있는 부서와 활용부서 관계자들을 상대로 한 인위적인 활용수준

조사이다. 어쨌든 그 결과, 정부 및 기타 제조업 등이 각각 40%와 50%의 가장 낮은 활용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조사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앞서 언급한 인도네시아 전체의 정보통신산업 현황과 향후 사례 조사를 한 각 공공부문 등의 실제 조사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조사는 이렇게 응답한 것보다 더욱 낮은 수치로 나올 수 있다.

<표 3-12> 인도네시아 전산화 활용수준 각 부문별 (2002. 11.)

참조:

완전

활용수준 100%, 대부분활용 75%, 중간정도 50%, 최소활용 25%, 전무 0%

| 152 |

부문별 정부/공공 금융 제조업 서비스 정보통신전산화 활용수준 40 % 60 % 30 % 55 % 80 %

Page 15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 SI 주요 기업들

인도네시아의 IT산업 관련한 기업의 정확한 통계는 없다. 다만 상당히 상세하고, 일관적인 정보통신산업 자료가 인도네시아

상공회의소 웹사이트와 인도네시아 기업안내 전화번호부에 나타나 있다. 상공회의소 사이트에는 574개의 기업이 기재되어 있고

인도네시아 업소별 전화번호부(www.yellowpages.co.id)에 의하면 총 649개의 정보통신기업이 등재되어 있다. 따라서 두 기관의

자료가 상당히 일치된다고 보며, 인도네시아 업소별 전화번호부에 등재된 회사들을 다시 재분류한 것이 다음의 표 3-13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153 |

Page 15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13> 인도네시아 IT 기업 부문별 현황 (2002년)

대분류 소분류 등록회사 수

SI관련 컴퓨터 컨설턴트 53

컴퓨터 프로그래밍 컨설턴트 52

컴퓨터 소프트웨어 68

컴퓨터 토탈 솔루션 27

소프트웨어 일반 88

소계 288

인터넷관련 인터넷- 서비스 133

컴퓨터 인터넷 59

인터넷 데이터 13

인터넷 포탈 25

인터넷 제공업체 90

웹 디자인 2

소계 322

정보기술일반 멀티미디어 13

전자상거래 2

기타 24

소계 39

총 계 649

출처: 인도네시아 업소별 전화번호부 (www.yellowpages.co.id)

위의 표 3-13에서 나타나듯이 총 649개 IT기업 중에 인터넷 관련 기업이 약 322개 기업으로 가장 많고 SI관련 기업이 약 133개

기업, 그리고 나머지 일반 정보통신기업이 약 39개 기업 순으로 되어 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가 상당한 숫자임을 보면 인터넷과

관계된 비즈니스의 수요가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래머, 컨설턴트, 소프트웨어 및 토털 솔루션도 수요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인도네시아 업소별 전화번호부 자료에 의하면 대부분의 정보통신회사는 자카르타에 약 466개

기업이 있고 반둥에 75개 기업이 위치하고 있다. 나머지 극소수의 기업이 전국에 퍼져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인도네시아 경제의 약

70%를 책임지는 자카르타 지역이 가장 큰 정보통신업종의 핵심 시장이다.

2-1. 다국적 기업

인도네시아는 전통적으로 다국적 기업들이 많이 진출하고 있다. 최근에 열악한 정치경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SI관련 대부분의

| 154 |

Page 15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다국적 기업들이 진출해있다. 세계적인 다국적 SI 컨설팅기업인 IBM, BearingPoint(구 KPMG), Braxton(구 Deloitte Consulting),

Accenture와 Cap Gemini의 진출여부를 조사한 결과 Cap Gemini만 빼고 모두 진출해서 활발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ap Gemini는 현재 동남아시아에서 싱가포르와 쿠알라룸프르에만 사업장을 두고 있다. 또한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공급회사인 SAP, Oracle, JD Edwards, Microsoft, IFS 등이 진출해 있고, Cisco, Hewlett-Packard, E-Linux Technology 등 교육과

유지 보수부문의 다국적 기업들도 진출해 있다. 현지 SI 부문별 시장 중 교육과 보수 및 유지 부문에도 Executrain Nusantara Jaya,

Hewlett-Packard Indonesia, E-Linux Technology Indonesia, Cisco Indonesia 등 다국적 기업들과 앞에 기술한 컨설팅사와

패키지 공급회사가 같이 진출하는 경우가 많다. 비록 이들이 이런 부문에 진출해 있으나, 이러한 시장의 규모는 상당히 영세하여

대부분은 인도네시아 국내의 관련 SI기업에 하청을 주는 형식을 취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록 인도네시아의 정보통신산업의 현황은 상당히 열악하나, 전통적으로 인도네시아는 외국기업의

진출지역이기 때문에 이들로 구성된 SI시장규모가 만만치 않다. 또, 현재 인도네시아는 세계은행과 IMF의 권고로 정치경제 및

산업부문 전반적인 구조조정이 일어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조정 시장은 SI 기업들로 하여금 상당한 진출기회와 시장을 제공해주고

있다. 예를 들어 앞서 1장의 정부의 정책에서 언급하였듯이 1999년 약 3천4백만 달러의 세계은행 차관이 Nusantara 21 계획의

일환인 인도네시아 정보 인프라 개발 프로그램 (Indonesian Information Infrastructure Development Program, IIDP)에

투자되었으며 이 투입예산의 대부분이 세계적인 다국적 SI 기업에게 들어갔을 정도이다. 또한 1997년 외환위기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금융기관의 구조조정이 이 시장에서 다국적 기업으로서는 상당한 매력을 느끼고 있다. 예를 들어 본 사례조사의 대상인

인도네시아의 만디리 은행 (Bank Mandiri, BM)의 경우, 1998년 인도네시아의 국립은행들의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Bank Bumi

Daya, Bank Dagang Negara, Bank Ekspor Impor and Bank Pembangunan 등 네 개의 국립은행이 통합하였다. 이러한 통합의

결과로 네 개의 국립은행이 통합할 당시 각기 다른 금융전산화 시스템으로 고전을 면치 못했으나, 전산화 시스템을 포함한 약 2천3백만

달러의 금융시스템을 개선작업을 통하여 현재는 상당한 효과를 보고 있다. 또, 현재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약 2억 달러에 달하는 제

2의 금융시스템 개발작업을 진행중이다.

다음은 컨설팅 관련 다국적 기업들의 간단한 현황들이다.

IBM Indonesia (www.id.ibm.com)는 약 250여 명의 컨설턴트를 고용하고 있고 전통적인 컴퓨터 하드웨어 기업으로 상당히

오래된 진출역사를 갖고 있다. 1937년 Watson Bedriffsmachine Java NV라는 이름으로 사업을 시작하여 1953년에 IBM Indonesia

가 되었지만, 모든 외국 기업은 현지 에이전트가 대표해야 한다는 정부의 실행령에 의해 PT USI Jaya로 바뀌었다가 1997년에 정부는

PT IBM Indonesia를 IBM Trade Cooperation의 100% 소유 자회사로 인가하였다. 주요 고객으로 인도네시아 정부, Garuda

Indonesia Airlines, Caltex Indonesia, Telkom Indonesia와 Bank Danamon 등이 있다. 그 동안 수행한 주요 SI프로젝트로는

가루다 항공 발권 시스템, Borobudur Statue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PT Telkom Indonesia 의 데이터 웨어하우스, Bank

Danamon의 e-비즈니스 인프라 구축 등이 있다.

BearingPoint (구 KPMG: www.aspac.kpmg.com/about/indonesia_office.html)는 1957년에 Basuki T. Siddharta에 의해

Siddharta Siddharta & Harsono 회사로 설립되었고, 후에 IT 분야에 신규 비즈니스를 확장하였다. 주요 고객으로 Unilever, Chase

| 155 |

Page 15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Manhattan, Nestle ICI와 Xerox 등이 있다. Braxton (구 Deloitte Consulting: www.deloitte.com)은 직접 영업보다는 Hans

Tuanakotta & Mustofa (HTM)기업과 인도네시아 대표협약을 맺고 있다. Accenture (www.accenture.com)의 경우 1968년에

SGV-Utomo사로 설립되었고 2001년에 명칭을 Accenture로 바꾸었다. 대표적인 SI 프로젝트로는 Pertamina에 ERP 청사진을

수립하고 실행하였다.

주요 진출 다국적 소프트웨어 패키지 개발기업으로는 공급회사인 SAP, Oracle, JD Edwards, Microsoft와 IFS 등으로 그 중에서

Oracle은 주요 SI 소프트웨어 패키지 프로젝트로 Bisnis Indonesia사의 오라클 어플리케이션, Perkasa Pilar Utama사를 위한

Oracle Developer suite 등을 제공하였고, 주요 고객으로 Coca Cola Bottling Indonesia, PT Mustika Ratu, PT Dexa Medica,

Bisnis Indonesia, PT Perkasa Pilar Utama, PT Anugrah Argon Medica 등을 보유하고 있다. IFS Indonesia는 96명의

컨설턴트를 고용하고 있으며, 1997년에 인도네시아의 현지 파트너 PT Versa Torron Sistemindo를 매입하여 공식적으로 설립하였다.

주요 SI 소프트웨어 패키지로 Jakarta International Container Terminal의 HR 솔루션, Lautan Luas Tbk Petrochemicals사의

종합 IFS 어플리케이션 솔루션, PT PAL Indonesia사의 ERP Shipyard IFS, Indah Kiat Pulp & paper의 산업 어플리케이션, PT INTI

사의 IFS 어플리케이션 솔루션, Mitsui OSK Lines Seafreight services사의 IFS 어플리케이션 솔루션 등이 있고 주요 고객으로

Lautan Luas Tbk, Petrochemical PT PAL Indonesia, Indah Kiat Pulp & Paper, PUSRI Fertilizer, Dexa Medica,

Pharmaceutical와 Mitsui OSK Lines Seafreight Services 등이 있다.

Microsoft (www.microsoft.com/156ndonesia)사는 현재 30명의 컨설턴트를 고용하고 있고 1996년에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인도네시아에 지점을 개설하기로 결정하였다. 현재 약 20개의 현지 회사와 협력관계를 체결하였다. 그 중 주요 고객으로는 PT Bank

Central Asia, Tbk (BCA), PT Asuransi Allianz Utama Indonesia, Bina Nusantara University, Bank Rakyat Indonesia,

Exelcom, PT Caltex Pasific Indonesia 등을 확보하고 있다. JD Edwards (www.jdedwards.com / www.berca.co.id)는

직접진출을 하지 않고 Berca Hardayaperkasa사가 인도네시아의 사업활동을 대표한다. 예전에는 PT Berca Indonesia의

회사명으로 사업하였고, HP Computer사와 Test & Measurement Products의 판매 업체였다. 1990년에 Berca Hardayaperkasa

사가 되었다. 주요 SI 소프트웨어 패키지로 Semen Gresik회사에 JD Edward ERP 솔루션을 제공하였고, Indomobil Suzuki

International사에 JD Edwards ERP 솔루션을 제공하였다. 주요고객으로는 Semen Gresik Indomobil Suzuki International이

있다.

SAP (www.sap.com/indonesia)의 경우 1997년 9월에 설립되었고, 주요 SI 소프트웨어 패키지로 토요타 렌터카 온라인 예약

시스템, 아스트라 인터내셔날회사의 공개 고용 시스템, 아트스라 모빌 그룹(ASMO)사의 세일즈 예측시스템, 제조 공정, 텔콤사의 SAP

R/3 재정, HR 로지스틱 모듈운용, 아모코 미쯔이 사의 비스니스 응용 소프트웨어 시스템, 가루다 항공의 mySAP.com 공중 및 방위

어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하였다. 주요 고객으로는 Astra International, Amoco Mitsui TPA Indonesia, Telkom Indonesia,

Pertamina, Exxon Mobil Oil Indonesia와 General Motor Indonesia 등이 있다.

이들의 제품공급 중 현지 전산화관련 담당자 혹은 작업자 100명을 대상으로 면담한 본 연구 조사의 질문서에 답한 내용을 보면,

| 156 |

Page 15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Oracle, SAP, JD Edwards, IFS, Peoplesoft, Siebel, I2 Linux, 그리고 Microsoft 등의 제품을 현지에서 적용할 때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외국어로 작성되거나 외국의 상황에 맞게 제작된 제품의 인도네시아 현지적용을 위한 현지화가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는 것으로 나왔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 3-14에 나와 있다.

| 157 |

Page 15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14> 수입 소프트웨어의 현지화 정도 (2002. 11.)

공급자 Oracle SAP Peoplesof

t

JD

Edwards

Siebel I2 Microsof

t

Linux

현지어 Yes Yes No No No No Yes Yes

GUI Yes Yes No No No No Yes Yes

사용법 Yes Yes No No No No Yes Yes

도움말 Yes Yes No No No No Yes Yes

현지세금 Yes Yes Yes Yes Yes No Yes Yes

현지화수준 100% 100% 25% 25% 25% 0% 100% 100%

수입중요성 매우 매우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매우 매우

2-2. 국내 기업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록 국내 SI시장의 환경은 열악하지만 인도네시아의 현지 기업도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인도네시아의 경제구조상 한국의 재벌과 비슷한 형태를 지닌 대기업 집단의 구조를 띠고 있기에, 이러한 대기업의 내부시장과 투자여력

그리고 대 정부 영향력 등이 SI산업으로 다각화하는 데에 충분한 밑받침이 되고 있다. 이러한 대기업의 SI산업의 성장과정을 분석해

보면 대부분 내부의 시장을 이용한 기술축적과 더불어 상기에 언급한 대기업의 장점을 인도네시아 진출 다국적 SI기업과의 합작을 통한

SI기술 및 영업능력을 축적하여 성장하는 형태를 띤다.

그 대표적인 인도네시아 기업집단이 아스트라 (Astra Group)이다. Astra Graphia Information Technology (AGIT)는 아스트라

인터내셔널 (Astra International)의 계열회사로 현재 SI부문 컨설팅부문에서 2001년 약 7,92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동

사는 1971년에 Astra International 사의 Xerox Division으로 사업을 개시하였고, 1976년에 Astra Graphia사로 독립되었다. 1983

년에 Digital Equipment Corp의 판매회사가 되어 IT 사업에 진출하였다. 2000년에 AG Document Solution과 AG IT Solution 등

두 부문으로 SI사업을 개편하였다.

| 158 |

Page 15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그 다음 주요 현지 컨설팅회사는 Mitra Integrasi Informatika (METRODATA)로 1996년 Metrodata Electronics Tbk사의

계열사로 시작하여 2000년에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최초로 마이크로소프트 대행 허가업체가 되어 본격적인 SI컨설팅 부문에

진출하였다. Multipolar Corporation Tbk (Multipolar)사의 경우 1975년에 설립되었고, 2000년 AcrossAsia Multimedia Limited

(AAM)와 합병하였다. 주요 SI 프로젝트로 Bank Niaga의 이 중 데이터 센터 설치 및 운용하였고 2001년 관련부문 260만 달러

매출액을 기록했다. 또 다른 SI 컨설팅 기업인 Sigma Karya Sempurna (BALICAMP)의 경우 1998년 SIGMA Group의 자회사로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사로 설립되었다. 주요 SI 프로젝트로는 SOS System의 여신 관리 제도, AsiaMarket Link사의 전자 거래

어플리케이션, Indonesian IT Solution Provider 의 사무자동화 프로그램, 독일 소프트웨어 솔루션 회사를 위한 웹 구축 및

응용프로그램, 은행 프로그램 공급사를 위한 eCharge 개발 등을 수행했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SI 컨설팅 기업으로 Integrasi Teknologi, Tbk가 있다. 2001년 480만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한 동 사는 1989년

Integrasi Investama사로 시작하여 1999년 Integrasi Investama와 Citra Permata Gemilang사간의 합작을 통해 Integrasi

Indonesia으로 공식 출범하여 2000년부터 본격적인 SI부문의 사업을 시작하였다. 동 사는 2000년 Compact 고객만족조사에서

최고의 서비스사로 선정되었고, 2001년 Microsoft사로부터 최고 솔루션 개발회사로 선정되는 등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회사이다. 동

사의 주요 SI 프로젝트로는 AIG Lippo 사를 위한 데이터 검색 및 저장 프로그램, Cocacola Indonesia사를 위한 비즈니스 정보솔루션,

Pricewaterhouse Coopers사를 위한 비즈니스 정보솔루션 등이 있다. 아래의 표 3-15는 앞서 언급한 인도네시아의 주요 SI 컨설팅

부문 5개사의 일반 현황에 대한 것이다.

| 159 |

Page 16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15> 인도네시아 주요 SI 컨설팅 기업의 일반 현황

기업 PT Astra

Graphia

Information

Technology

(AGIT)

PT Mitra

Integrasi

Informatika

(METRODATA)

PT Multipolar

Corporation Tbk

(Multipolar)

PT Sigma Karya

Sempurna

(BALICAMP)

PT Integrasi

Teknologi, Tbk

사업장 Jakarta와

주요도시

Jakarta Jakarta와

주요도시

Tabanan Bali Jakarta

웹사이트 astragraphia.co

m

metrodata.co.id multipolar.com balicamp.com integrasi.com

고용인원 400 280(추정) 300 100 180(추정)

주요고객 Bank Danamon

PT Astra

International

Tbk

PT Telkom

Indonesia

PT Satelindo

PT Indosat Tbk

Bank Central

Asia

Petrosea

ABN Amro Bank

Astra CMG

Glaxo Smith

Kline

Krakatau Steel

Earnst and

Young

Central Bank of

Indonesia

Bank Mandiri

Citibank

Indonesia

Standard

Chartered Bank

Indonesia

Epson Indonesia

GE Capital

Pivotal

Euronet

Worldwide

Caatoosee ag

Asiapot

Lippobank

AIG Lippo

Asahimas

FlatGlass

Cocacola

Indonesia

Pricewaterhouse

Coopers

컨설팅 부문의 활성화에 따라 현지 소프트 패키지 공급부문도 상대적으로 활성화 되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대부분의 수입

소프트웨어는 인도네시아의 시장에 맞추어 현지화가 필수이고 이러한 현지화를 통한 국내기업의 기술이전과 축적은 상기의

컨설팅부문과 함께 어느 정도 성장의 기반을 형성할 수가 있었다. 주요 현지 소프트웨어 개발공급회사로 Sigma Cipta Caraka,

eBdesk, Meitraco Bahana Sejahtera (Trabas), Jati Piranti Solusindo, Asistama Nugraha Solusindo사 등의 기업들이 있다.

EBdesk사의 경우 2001년 총 44억 달러에 달하는 매출액을 올렸다. 동 사는 1998년 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포탈 및 소프트웨어

회사로 설립되었다. Sigma Cipta Caraka사의 경우 1987년 IBM의 시스템 재마케팅 회사로 시작하여 1989년 Alphabits(은행

어플리케이션)을 도입하여 30개 이상의 은행에 공급하였다. 2001년 멀티 파이낸스 어플리케이션을 도입하였고, 동 년도에 IFC &

Caatoosee의 주식 보유회사가 되어 국제 시장 진출의 초석을 쌓았다. 2002년 파이낸스 시장에서 주요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2002년

인도네시아 정부로부터 최고의 소프트웨어 상인 Best of the Best APICTA Indonesia 수상하였다. 지금까지 공급한 주요 소프트웨어

| 160 |

Page 16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패키지로는 Bank Bank Bank Jatim, Danamon과 Syariah Mandiri 등의 주요 은행 어플리케이션을 공급하였고, Central Sari

Finance의 다중 파이낸스 어플리케이션, Bank Permata의 인터넷 뱅킹 어플리케이션, Bank Bumi Artha에서 서명 감정시스템을

공급하였다. 동 사의 Syariah banking 어플리케이션은 향후 3년 내에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Jati Piranti Solusindo사의 경우 1997년 설립되어 2000년 3i Plc사의 투자에 의해 “eBusiness enavler” 라는 회사로

다각화하였다. 동 사는 Oracle, Exe Technology Silverstream, Microsoft와 Progress Software 등과 전략적 제휴관계를 맺고

있다. 지금까지 공급한 주요 소프트웨어 패키지로는 aboutHR.com의 인사관리 포탈, General Public & Doctors at Ezyhealth Asia

를 위한 건강 정보 포탈, Kewalram Indonesia 사의 JATIS eManage 솔루션, BII의 인터넷 신용카드 지불 게이트웨이, BPPT의 테크노

포탈, Travoo Online의 웹 페이지 구축 등이 있다. Asistama Nugraha Solusindo사의 경우 2001년 약 1억2천만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하였다. 1985년 설립되었으며, 1997년 MAGIC 개발 툴을 기본 개발 도구로 선정하여 임업관련 산업부문에 전문적인 농장관리 및

공장관리의 산업 솔루션을 제공하였다. 최근에 자카르타지역 여러 병원을 위한 ANS Hospital 솔루션을 개발하여 영업부문을

다각화하고 있다. 또 다른 주요 회사인 Meitraco Bahana Sejahtera (Trabas)는 1995년 반둥에서 설립되어 지금은 네트워킹 시스템

전문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다음의 표 3-16은 지금까지 언급한 인도네시아의 주요 소프트웨어 패키지 개발 및 공급회사의 일반

현황이다.

| 161 |

Page 16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16> 인도네시아 주요 소프트웨어 패키지 개발 및 공급회사 일반 현황

기업 PT Sigma Cipta

Caraka

eBdesk Ltd PT Meitraco

Bahana

Sejahtera

(Trabas)

PT Jati Piranti

Solusindo

PT Asistama

Nugraha

Solusindo

사업장 Jakarta Jakarta Jakarta,

Bandung

Jakarta Jakarta

웹사이트 sigma.co.id ebdesk.com trabas.com jatis.com ans.co.id

고용인원 150 200(추정) 180(추정) 150 270

주요고객 Bank Danamon

Bank Mandiri

Bank Permata

Bank Jatim

Bank

Bumiputera

Central Sari

Finance

Interim

HealthCare

Indonesian

Gov’t

PNG

PT

Telokomunikasi

Ind – Probis IN

Permodalan

Nasional Madani

Bank Syariah

Mandiri

PT Telkom

Multimedia

PT Exelcomindo

Pratama

PT IBM

Indonesia

PT Repex

Perdana

Internasional

(Fedex)

PT Berdikasi

Niaga Utama

PT Jasa Marga

Ezyhealth Asia

Pasific Ltd

aboutHR.com

Bank

International

Indonesia(BII)

Bank Central

Asia

Bank Mega

Indonesian

Government

PT Barito Pasifik

Lestari Wood

PT Tidar Kerinci

Agung

PT Gunung

Manik

PT Dieng Jaya

PT Musi Hutan

Persada

PT Sircom

Indonesia

인도네시아의 SI시장 부문 중 교육부문은 대부분 인도네시아의 현지회사들이 다국적기업보다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이 부문이

아직 그렇게 규모가 크지 않을 뿐더러 컨설팅과 소프트웨어 패키지 개발보다 상대적으로 노동집약적이기에 다국적 기업들이 회피하는

부문이다. 만약에 컨설팅 계약상 일괄수주가 되면 대부분 인도네시아 현지기업에게 하청이 된다. 어쨌든 동 부문의 주요 기업으로

Inixindo Persada Rekayasa Komputer, Metrodata Edukasi Informatika, ASABA Computer Centre (ASABA), Sisindosat

Lintasbuana 그리고 Intellisys Tripratama (Intellisys)사 있다. Inixindo Persada Rekayasa Komputer (www.inixindo.co.id)

사는 전국 주요도시에 사업장을 두고있다. 동 사는 예전에는 주요 PC 제조회사인 PANASATEK Corp의 한 부서였다가 1991년

| 162 |

Page 16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INIXINDO사로 공식 설립되었다. 동 사는 Oracle에서 인증을 받은 교육센터이며 Cisco Showcase 2002과 Cisco Roadshow 2002

교육에 대한 경쟁력을 갖고 있다.

Metrodata Edukasi Informatika(www.metrodata.co.id)사의 경우 이전 Mitra Integrasi Informatika의 인사훈련부 소속의

Computer Learning Centre로 있다가 2001년 MII으로부터 Metrodata Edukasi Informatika사로 독립하였다. 현재 Metradata

Electronics Tbk사의 자회사로 교육 서비스가 주 업무이다. 동사는 2002년 Microsoft Partner Award를 수상하였다. ASABA

Computer Centre (ASABA: www.asaba.co.id)는 1990년 SI 컨설팅 및 Novell 교육센터로 설립되었다. 최근에는 토털 IT 솔루션

제공회사로 변신 중이다. 또한, 2002년 1월 Computer Associate사와 전략적 제휴관계를 맺었다. Sisindosat Lintasbuana

(www.sisindosat.co.id)사의 경우 1990년 IT 솔루션 회사로 설립되었고 Oracle의 전략적 제휴관계를 맺고 이후 토털 솔루션 업체로

변신 중이다. Intellisys Tripratama(Intellisys: www.intellisys.co.id)는 주요 고객으로 Unocal, Total Indonesia, Arco Indonesia,

Indosat 그리고 Wilson Walton Indonesia 등을 확보하고 있다. 그 외 SI시장 부문 중 보수 및 유지 부문이 있는데 이 부문들의

대부분은 앞서 언급한 주요 SI 컨설팅 혹은 패키지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회사들이 대부분 독점하여 시장을 이끌고 있다.

| 163 |

Page 16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3장 사례조사 - 공공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

제 3장에서는 인도네시아 중앙 및 지방정부의 행정부처, 일반 공공기관과 공기업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수준에 대한 조사내용을 상세

분석하기로 한다. 이후 관련 부문에 대한 종합분석 및 시장기회 그리고 다른 아세안 국가와 비교설명을 6편 현지 SI부문별 한국기업

진출전략 편에서 종합하여 상세화 하기로 한다.

제 1 절: 중앙정부의 행정부문

1. 중앙정부 행정기관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정보화 시설 및 활용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앞서 1편의 조사대상의 특징에서 자세히 언급하였듯이

모든 정부의 행정부처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중앙정부 행정부처 총 16개 부처 중에서 10여 개 부처를 표본으로 선택하였다. 본

연구조사 목적인 공공부문의 SI 시장의 현황분석과 관련하여 공공부문 중 가장 중요한 핵심 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중앙정부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수준 부문의 조사를 위하여 1) 부서의 고용규모 분포, 2) 인도네시아 경제의 직접영향력, 3) 정보통신 산업과의 정치 및

정책적 연관성, 4) 정보통신산업의 수요시장으로서의 중요성, 5) 공공산업부문의 영향력 등을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조사 대상인 10여

부처명과 고용인원은 다음과 같다.

<표 3-17>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표본조사 행정부처 명과 인원 현황 (2002. 11.)

부처명 농업부 통신부 에너지광물자원부

국방부 재무부 외무부 보건부 산업교역부

교육부 인력이동부

평균

총인원 18,025 28,192 6,034 5,981 18,025 3,509 152,010 9,377 5,500 6,700 25,335

| 164 |

Page 16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 (Hardware)

2-1-1. 기반 서버 (Servers)

가. 서버 수

▷ 현재 인도네시아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서버의 양적분포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그림 3-1과 같다. 전산화 기반이

되는 서버 수의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중앙정부의 전산화 정책 중 중앙부처의 전산화 하드웨어 측면의 수준과 더불어 중앙부처 중

전산화 정책집중 순위도를 분석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림 3-1>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4 0

2

3 5

100

9 8 1

0

7 6

0 – 인력 이동부; 1 – 농업부; 2 –통신부; 3 – 에너지 자원부; 4 – 국방부; 5 – 재무부; 6 – 외교부; 7 – 보건부; 8 –산업무역부; 9 – 국가교육부

▷ 조사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주요 서버의 수 조사 결과 각 부처당 100여 개의 미만으로 그 중에서 재무부가 가장 많은 수의

서버를 보유하고 있다.- 산업교역부 (MIT) 는 두 번째로 많은 수의 서버를 보유 및 사용하고 있다. - 통신부 (MC)와 국가 교육부 (MNE)가 가장 적은 수의 서버를 보유하고 있다.- 그림 3-1에 나타나듯이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기반서버 수는 국내의 전반적인 열악한 정보통신 기반을 반영하듯이 상당히 낮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상기의 그림에서 나타난 표본 조사된 각 부처의 서버 숫자는 물론 그 숫자와 정보화 활용수준과의 정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이러한 것은 후기에 상세하게 각 부처의 고용인원 대비 각종 정보화 기반시설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설명하겠다. - 그러나 이러한 중앙정부의 행정 부처의 서버 숫자의 양적분포도를 통하여 몇 가지 중요한 사실이 추론 가능하다.-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각 행정부처에서 정보화 기반의 중요성과 정부의 각 부처 중 우선 순위도를 추측할 수 있다. 즉, 가장

많은 수의 서버가 집중된 부처의 중요성과 가장 적은 수의 서버가 배치된 부처의 낮은 우선 순위도를 통하여 향후 서버공급의

시장에 대한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나. 서버 프로세서 유형

| 165 |

Page 16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현재 인도네시아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서버의 주요 프로세서 유형인 통상 사용되는 Mainframe, Intel 그리고 RISC

세 가지의 기본 프로세서 유형을 표본 선택하여 조사한 결과 표 3-18과 같이 나타났다.

▷ 참고로 Mainframe은 구형의 범용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고, Intel은 중급정도의 서버용으로 그리고 RISC는 주로 대형

서버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조사는 향후 기반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과 그 유형에 관련된 SI 소프트웨어 시장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표 3-18>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서버유형 비교 (2002. 11.)

부처명 농업부 통신부 에너지광물자원부

국방부 재무부 외무부 보건부 산업교역부

교육부 인력이동부

평균

Mainframe 0% 0% 0% 0% 17% 0% 0% 0% 0% 0% 2%Intel 69% 75% 25% 92% 83% 64% 100% 100% 100% 100% 81%RISC 31% 0% 0% 8% 0% 36% 0% 0% 0% 0% 8%기타 0% 25% 75% 0% 0% 0% 0% 0% 0% 0% 10%

▷ 조사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모든 행정부처에서는 Intel을 기반으로 하는 서버 프로세서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평균 81%).- 조사된 행정부처 중에서는 Mainframe을 기반 프로세서로 사용하고 있는 유일한 부서는 재무부다(17%). 참고로 이 재무부는

서버수의 양적분포에서 제일 많은 서버를 보유하고 있다.- RISC 기반 서버는 농업부(31%)와 외교부(36%)에서 상당한 수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 이러한 조사에서 보여주는 또 다른 특이한 사항은 인도네시아 행정부처의 네트워크 서버들의 현재 활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각 부처의 규모가 아니라 각 부처의 기능에 있다는 것이다.

2-1-2. 기반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가. 워크스테이션 수

▷ 현재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양적 분포에 대한 조사결과는 그림 3-2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워크스테이션의 숫자에 대한 조사는 상기 기반서버와의 연결되어 활용되는 상관관계 및 각 부처의 전산화 활용 지표를 나타낸다.

<그림 3-2>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보유 워크스테이션 숫자의 비교 (2002. 11.)

0 3 5

2,000 9 1 4 2 8 6 7 0

| 166 |

Page 16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0 – 인력 이동부; 1 – 농업부; 2 –통신부; 3 – 에너지 자원부; 4 – 국방부; 5 – 재무부; 6 – 외교부; 7 – 보건부; 8 –산업무역부; 9 – 국가교육부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각 부처 당 2000여 개의 미만으로 그 중에서 재무부가 가장 많은 수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고, 특이하게 농업부가

재무부 다음으로 많은 수를 보유하고 있다. - 국방성은 워크스테이션 보유 대수에 관하여 다른 부처에 뒤지고 있다.- 에너지 자원부는 워크스테이션 보유수에도 다른 부처의 중간에 위치하였다.- 뒤에서 자세하게 분석되겠지만, 이는 서버의 숫자와 워크스테이션의 숫자에 따른 상관관계가 일정하게 적용되지 않는다. - 이러한 서버 수와 워크스테이션의 보유숫자의 불일치한 상관관계는 SI 활용수준 관점에서 몇 가지 중요한 사실을 추론 가능케

하여준다.- 서버와 워크스테이션의 네트워킹을 통한 정보화 활용도가 아직 고도화되지 않았다.- 서버의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것은 다시 말해 보유하고 있는 워크스테이션이 일반 개인적 업무에만 활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나.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유형

▷ 현재 인도네시아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표 3-19와

같다.

▷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는 정보화 활용수준 조사에서 개인에게 부여된 컴퓨터 하드웨어의 기술적

처리능력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조사자료를 통하여 각 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활용수준을 유추할 수 있다.

<표 3-19>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부처명 농업부 통신부 에너지광물자원부

국방부 재무부 외무부 보건부 산업교역부

교육부 인력이동부

평균

II ( ) 펜티엄 동급 이하 70% 71% 73% 70% 36% 85% 20% 17% 86% 45% 57.2% III ( ) 펜티엄 동급 이상 30% 29% 27% 20% 64% 15% 80% 83% 14% 55% 41.7%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전체적으로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유형이 펜티엄II 기종 이하로 낙후되어 있다(평균53%). - 그 중에서 특히 농업부, 통신부, 에너지 광물 자원부, 국방부, 외무부 그리고 교육부가 보유한 워크스테이션 중 70% 이상이

펜티엄II 기종 이하이다. 따라서 이들 부처는 향후 필연적으로 기종교체가 예상된다.- 보건부는 80% 이상이 펜티엄III 이상의 최근 기종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신기종 평균 보유율 평균 41.7%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로 아마 최근에 전산화 작업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 인력이동부는 펜티엄II 이하 기종과 펜티엄III 이상의 기종이 각각 50% 정도이고 이는 전 행정부처의 평균치와 비슷한 수준이다.- 상기의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조사는 SI시장 관점에서 중요한 몇 가지 사실을 유추하게 해준다.

| 167 |

Page 16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향후 중앙정부의 정보화 기반확충과 활용을 위하여 필연적으로 현재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펜티엄 II 기종의 워크스테이션에

대한 기술적 응용을 통한 재활용 SI부문 또는 기종교체로 인한 SI부문의 시장 가능성이 많다. - 그러한 기술적 응용을 통환 재활용 혹은 기종 교체는 오래된 기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농업부, 통신부, 에너지 광물자원부,

국방부, 외무부 그리고 교육부를 중심으로 일어날 것이다. - 따라서 이러한 부문은 향후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전산화에 대한 정책의 우선 순위로 나타날 것이다.

2-1-3. 노트북의 활용

▷ 현재 인도네시아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의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의 결과는 아래의 표 3-20와 같다.

▷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는 정부의 대국민 행정 서비스의 유연화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 향상 등을 위한 수준 높은 SI활용의 발전

단계이므로 향후 정보화 활용 수준과 그 시장을 예측하는 중요 지표의 하나이다.

<표 3-20>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부처명 농업부 통신부 에너지광물자원부

국방부 재무부 외무부 보건부 산업교역부

교육부 인력이동부

평균

데스크탑 99% 98% 95% 93% 100% 96% 100% 95% 100% 100% 98%노트북 1% 2% 5% 7% 0% 4% 0% 5% 0% 0% 2%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표 3-20에 나타나듯이 정부의 모든 행정부처에서는 노트북 컴퓨터의 활용이 상당히 저조하다.- 그 중에서 국방부, 산업교역부와 에너지 광물자원부의 활용도가 5-7%정도로 10여 개의 정부부처 중 가장 높다.- 따라서 향후 여러 발전조건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시장에 대한 충분한 가능성이 보인다.

| 168 |

Page 16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1-4.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의 상관관계 종합분석

가.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도

- 각 서버 1대당 연결되어 활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수 (network client)에 대해 상기의 각 행정부처의 서버 수와 워크스테이션

수를 대비한 결과가 다음의 표 3-21에 자세히 나타나있다. - 이 결과의 해석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은 모든 워크스테이션이 서버에 연결되어 사용된다는 가정 하에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의 수를 단순 대비하였다는 것이다. - 따라서 아래의 표 3-21에서 나타나듯이 앞서 언급한 각 행정부처의 보유 서버 수와 워크스테이션의 수의 상관관계가 일정하지

않다. 다시 말해 각 부처에서 사용되는 서버 1대당 당 워크스테이션의 수는 다르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그러나 정확한 통계는 아니지만 통상 전산화를 도입한 기관에서는 대부분의 개인 워크스테이션을 서버와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연결할 것이므로 이러한 조사결과에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표 3-21> 인도네시아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부처명 농업부 통신부 에너지광물자원부

국방부 재무부 외무부 보건부 산업교역부

교육부 인력이동부

평균

1 서버 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69.50 89.50 69.83 15.92 33.66 47.27 100.00 24.95 87.50 112.83 65.10

▷ 분석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물론 사용되는 서버의 활용 성격과 유형 그리고 서버자원의 용량에 따라 그 유추결과는 다르겠지만 현재 이러한 사실로 볼 때, 기반 서버 1대당 전체 평균 약 48 대의 워크스테이션 활용도는 적절하다고 분석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각 부처별의

활용현황을 보면 상당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보건부와 인력이동부의 경우 기반 서버 1대당 약 100 대 이상의 워크스테이션을 사용하고 있다(100%, 112.83%). 교육부 또한

서버 1대당 약 88 대의 워크스테이션으로 과다하게 활용되고 있다. - 인도네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서버의 유형과 활용에 관한 기술적 수준이 낙후되어 있다는 현실과 더불어 상기 부처들의

과다한 활용수치는 정보처리의 병목(bottleneck) 현상 등 전산화 활용에 상당한 문제들을 안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국방부와 산업교역부의 경우 서버 1대에 연결되어 활용되고 있거나, 연결 가능한 워크스테이션의 숫자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15.92%, 24.95%). 이는 보건부와 인력이동부의 활용도와 상대적으로 아주 낮은 수치로 활용에 관한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나. 고용 인원 대비 PC 보급률

▷ 인도네시아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고용인원대비 개인 워크스테이션의 보급현황에 관한 조사에 대한 결과는 표 3-22와 같다.

▷ 이 조사는 각 행정부처의 고용인원 대비 워크스테이션의 수로 나누어 공무원 100명당 몇 대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는지

비율을 산출하여 각 행정부의 워크스테이션 활용도에 대한 지표를 나타내고 있다.

| 169 |

Page 17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22>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의 워크스테이션 보급 및 활용률 현황 비교 (2002. 11.)

부처명 농업부 통신부 에너지광물자원부

국방부 재무부 외무부 보건부 산업교역부

교육부 인력이동부

평균

1 컴퓨터 대당 사용인원수 16.21 78.75 7.20 31.31 32.30 6.75 253.35 18.79 15.71 7.86 46.82 컴퓨터 보급률 6% 1% 14% 3% 3% 15% 0% 5% 6% 13% 7%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전체 평균 PC 1대당 약 42명이 사용하고 있고 이는 전체 고용인원 대비 평균 2.4%의 보급률로 아주 저조한 편이다.- 그 중에서 에너지 광물자원부, 외무부와 인력 이동부가 가장 높은 컴퓨터 보급률을 나타내는 그룹에 속한다(평균 PC 1대당 약 7

명 정도 사용). - 통신부와 보건부는 78.75명이 1대의 PC를 사용하고 있고, 보건부에서는 253.35명당 컴퓨터 1대가 보급되어 가장 열악한

보급률의 그룹에 속한다.

| 170 |

Page 17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1-5. 네트워크 주변 장치

인도네시아 중앙 정부의 행정부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와 같이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간의

내외부 시스템을 연결하여 주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Network Peripherals)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가. 네트워크 주변장치 유형

- 인도네시아의 중앙정부 각 행정부처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네트워크 주요 연결 장치에 대한 조사결과는 아래의 표

3-23에 자세히 나타나있다.

<표 3-23>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 (2002. 11.)

부처명 농업부 통신부 에너지광물자원부

국방부 재무부 외무부 보건부 산업교역부

교육부 인력이동부

평균

(Hub)허브 38% 57% 33% 57% 25% 53% 83% 74% 75% 73% 57%(Switches)스위치 47% 43% 58% 30% 56% 44% 8% 13% 25% 9% 33%(Bridges)브리지 0% 0% 0% 0% 3% 0% 0% 7% 0% 0% 1%(Routers)라우터 16% 0% 8% 13% 17% 3% 8% 6% 0% 9% 8%

기타 0% 0% 0% 0% 0% 0% 0% 0% 0% 9% 1%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각 행정부에서 주로 사용되는 장치는 HUB이다(57%).- 산업교역부, 보건부와 인력이동부를 제외하면, Switch 이용률은 25% 이상으로, 비교적 최신기술이 잘 보급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농업부, 에너지광물자원부 그리고 재무부는 HUB보다 Switch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Router의 사용률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8%).

| 171 |

Page 17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나. 내부 네트워킹(Intranet)과 외부 네트워킹(Extranet)

▷ HUB와 Switch는 주로 내부전산 연결시스템으로 사용하고 Router는 주로 인터넷과 같이 외부 연결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앞의

조사결과를 기능적 지표로 응용하여 다음의 표를 작성하였다. 다음의 표 3-24는 인도네시아 중앙 정부의 행정 부처 전산화 시스템에서

Intranet과 Extranet사용 현황을 비교하였다.

▷ 표 3-24에서 나타나듯이 대부분의 경우 Intranet 사용률이 91% 에 이른다.

▷ Extranet의 사용률이 전 부서 평균 10%를 밑도는 것을 감안하면, 인터넷 사용이 아주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국방부, 재무부와 농업부의 경우 Extranet 사용률이 다른 부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데, 이러한 이유는 다른 부처와 달리 부처의

기능이 지역적으로 많이 분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표 3-24> 인도네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 (2002. 11.)

부처명 농업부 통신부 에너지광물자원부

국방부 재무부 외무부 보건부 산업교역부

교육부 인력이동부

평균

(Intranet)인트라넷 84% 100% 92% 87% 83% 97% 92% 94% 100% 82% 91%(Extranet)엑스트라넷 16% 0% 8% 13% 17% 3% 8% 6% 0% 9% 8%

2-2. 기반 소프트웨어 (Software) - 오퍼레이팅 시스템 (Operating system)

인도네시아의 중앙정부 행정부처 IT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라이센스에 대한 자료는 자료의 성격상 외부 공개를 정책적으로

불허하고 있다. 대신에 연구팀은 조사에 채택된 소프트웨어가 각 부서에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표 3-25에서 V로

표시된 항목은 각 부처에서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2-2-1.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 표 3-25는 인도네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 유형 현황을 비교한 것이다.

▷ 표에서 나타나듯이 윈도우 시스템이 행정부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 통신부, 국방부 그리고 외교부는 유닉스 시스템을, 농업부, 국방부, 외교부 그리고 보건부는 리눅스 오픈소스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각각 윈도우 시스템과 더불어 사용하고 있다.

▷ 모든 부서는 각기 두 종류 이상의 서버 작동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표 3-25> 인도네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 유형 비교 (2002. 11.)

| 172 |

Page 17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부처명 농업부 통신부 에너지광물자원부

국방부 재무부 외무부 보건부 산업교역부

교육부 인력이동부

Unix - V - V - V - - - -Linux V - - V - V V - - -Novell V V - - - - V V - VWindows - - - - - - - - - V

- NT4 or below V V V - V V V V V -- Win 2000 V - V V V - - V V V

기타 - - - - - - - - - -

2-2-2.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 표 3-26은 인도네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관한 조사이다.

▷ 모든 부서는 윈도우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윈도우의 다른 버전의 사용 비율에 대하여 자세한 구분은 불가능하였고, 각 부처간

비교 분석도 가능하지 않았다. 그러나 면접조사에 의하면 대부분 약 50% 이하가 낙후된 워크스테이션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으로 대부분 DOS모드를 사용하거나 윈도우 98 혹은 그 이하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론된다.

| 173 |

Page 17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26> 인도네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라이센스 현황 비교 (2002. 11.)

부처명 농업부 통신부 에너지광물자원부

국방부 재무부 외무부 보건부 산업교역부

교육부 인력이동부

DOS - - - - - - - - - -Windows

- 98 or below V V V V V V V V V V- 2000 / XP V V V V V V V V V V

기타 - - - - - - - - - -

2-3. IT관련 연간 예산

2-3-1. 중앙 행정부처의 연간 예산 추이

▷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각 행정부처 전산화를 위해 투입되는 예산 연간추세를 조사결과가 다음의 표 3-27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물론 행정부서 자체의 경제적 상황에도 많이 좌우되지만 정부 전체의 예산 배정상 전산화 정책적 우선 순위도를 반영한 것으로 향후 SI

시장의 관점에서 보면 아주 좋은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표 3-27> 인도네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 (2002년 11월 현재)

단위: 천 US$부처명 농업부 통신부 에너지

광물자원부국방부 재무부 외무부 보건부 산업

교역부교육부 인력

이동부평균

2000 6 445 101 270 189 178 356 25 1962001 45 41 222 324 490 97 75 145 37 1642002 115 59 111 265 280 51 312 45 1552003 ( )추정 150 556 167 3.35 200 555 134 252

/연간 증가 감소률 농업부 통신부 에너지광물자원부

국방부 재무부 외무부 보건부 산업교역부

교육부 인력이동부

평균

2001 583% - 50% 221% 81% - 49% - 58% - 59% 48% 90%2002 156% 44% - 50% - 18% - 43% - 47% 316% 22% 47%2003 ( )추정 - 100% 154% 401% - 37% - 99% 292% 78% 198% 111%2000 /년 대비 증가 감소률 농업부 통신부 에너지

광물자원부국방부 재무부 외무부 보건부 산업

교역부교육부 인력

이동부평균

2001 583% - 50% 221% 81% - 49% - 58% - 59% 48% 90%2002 883% - 75% 162% 4% - 73% 75% 80% 151%2003 ( )추정 2400% 25% 65% - 99% 6% 212% - 100% 436% 368%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표 3-27에 나타나듯이 통신부, 에너지 광물자원부, 보건부 그리고 인력이동부의 IT 예산은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전년대비

2002년 150%의 성장을 보였다. 따라서 동 부처들은 2002년에 전산화 기반 구축예산을 상당히 증액했음을 나타낸다.- 최근 수년의 증가 총액을 조사하면, 통신부에서 다른 부보다 더 많은 증가를 보였고, 향후에도 대형 IT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임을

알 수 있다. 2000년 예산 대비 2,400%의 증가를 보였다.

| 174 |

Page 17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국방부는 2002년에 IT 지출을 삭감했으며 2003년에도 이 추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이를 통해 2001년부터 기술 개발이

정지되었으며, 최소한의 지출을 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2-3-2. 중앙부처의 전산화 부문별 예산 현황 (2002년 기준)

▷ 표 3-28는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예산의 SI 부문별 할당액을 수치 한 것으로 각 행정부처 내에서 가장 우선순위 전산화

부문을 나타내고 있다.

▷ 아래의 표 3-28에서 나타나듯이 국방부, 재무부, 산업교역부 그리고 보건부를 제외한 대부분부처의 예산은 하드웨어 구입에

할당되어 있다.

▷ 한 가지 특이한 사실은, 다른 부처와는 달리 국가교육부에서는 예산의 50%를 훈련 및 설치에 사용하였다. 다른 부서에는 훈련 및

설치에 가장 적은 비율의 예산을 할당하였다.

<표 3-28> 인도네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예산의 부문별 현황 비교 (2002. 11.)

부처명 농업부 통신부 에너지광물자원부

국방부 재무부 외무부 보건부 산업교역부

교육부 인력이동부

평균

하드웨어 5% 30% 30% 75% 55% 45% 51% 25% 20% 37%소프트웨어

개발 45% 30% 50% 0% 15% 10% 15% 10% 15% 21% (T&I)교육 및 설치 30% 10% 10% 15% 10% 10% 6% 50% 30% 19%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 20% 20% 10% 10% 20% 20% 6% 0% 20% 14%기타 0% 10% 0% 0% 0% 15% 22% 15% 15% 9%

| 175 |

Page 17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2 절: 지방 정부의 행정부문

1. 지방 정부 (행정수도: 자카르타)

중앙정부의 전산화 현황과 별도로 지방정부의 전산화 현황과 중앙 행정부처와의 네트워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많은 지방정부

중에서 전산화 시스템이 가장 나은 인도네시아의 행정수도 자카르타를 지방정부 전산화 현황 조사의 대표 사례로 선정하였다. 또한

전체적으로 현재 인도네시아의 지방정부 행정부문의 전산화 수준은 상당히 낮으므로 지방정부의 전산화 활용수준을 이해하기 위해, 본

조사에서는 지방정부 간의 전산화 활용 수준 현황을 비교 이해하는 것보다 인도네시아 지방정부 중에서 대표적으로 가장 전산화 기반과

활용이 잘되어 있는 행정수도 자카르타시에 대한 전산화 현황조사와 그 현황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 비교함으로써 지방정부의

전산화 현황을 이해하고자 한다. 자카르타 시정부의 총 고용규모는 총 95,414여명이다.

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중앙정부의 행정기관과의 정보화 연결관계 분석

2-1-1.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 (Communication Devices)

▷ 자카르타 시정부와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의 전산 연결망의 유형에 대한 조사를 한 결과 현재 인도네시아의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의 데이터베이스 사이에 전산 연결이 없거나 미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1-2.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Database Synchronisation)

▷ 위의 결과 두 정부기관 사이에 데이터 베이스의 공동관리 및 데이터 공유가 전무한 상태임을 할 수 있다. 이 부분은 관련 SI 업계에

좋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 시장이다. 부처간 데이터 공유가 전무하므로, 이 절의 분석은 수집한 데이터의 분석에 국한될 수 밖에

없다.

| 176 |

Page 17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2. 기반 하드웨어 (Hardware)

2-2-1. 기반 서버 (Servers) 유형

▷ 자카르타 시정부에서 사용하는 기반 서버의 주요 프로세서 유형 조사결과는 표 3-29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표 3-29> 자카르타 시정부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유형 (2002. 11.)

Mainframe Intel RISC 기타

17% 75% 8% 0%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사례 대상에서 조사된 현재 자카르타 시정부에서 사용되는 주요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은 Intel로서 75% 이상 사용되고 있다.- 또한 Mainframe을 그 다음의 서버 주요 프로세서로 사용하고 있다.

2-2-2.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유형

▷ 현재 자카르타 시정부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표 3-30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 달리, 자카르타 시정부는 모든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은 100% 펜티엄 III이상으로 이러한

이유는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 달리 자카르타 시정부의 전산화가 상대적으로 늦게 시작되어서 최신 기종으로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 177 |

Page 17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30> 자카르타 시정부에서 사용하는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유형 (2002. 11.)

II ( ) 펜티엄 동급 이하 III ( ) 펜티엄 동급 이상

0% 100%

2-2-3. 노트북의 활용

▷ 현재 자카르타 시정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의 결과는 아래의 표 3-31과 같다.

▷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는 정부의 대국민 행정 서비스의 유연화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 향상 등을 위한 수준 높은 SI활용의 발전

단계이므로 향후 정보화 활용 수준과 그 시장을 예측하는 중요지표의 하나이다.

▷ 약 5% 정도의 노트북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는데 중앙정부의 평균치보다 높은 편이다.

<표 3-31> 자카르타 시정부의 행정부서의 노트북 활용 현황 (2002. 11.)

데스크탑 노트북

95% 5%

2-2-4.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의 상관관계 종합분석

가.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도

▷ 자카르타 시정부에서 사용되고 있는 서버 1대당 연결되어 활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수 (network client)는 약 66.33 대로 이는

중앙 정부의 48.82 대보다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

▷ 그러나 이 자료해석에서 고려해야 하는 부분은 자카르타 시정부의 기반 서버와 워크스테이션의 기술적 능력은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것보다 나은 최신 기종이라는 것이다.

나. 고용 인원 대비 PC 보급률

▷ 자카르타 시정부의 워크스테이션의 보급현황에 관한 조사에 대한 결과는 표 3-32와 같다.

▷ 자카르타 시정부에는 74.64명의 직원 당 1대 꼴로 보급되어 있고 보급률을 계산하면 1.3%에 불과하며 이는 중앙정부의 2.4%

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이다.

| 178 |

Page 17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32> 자카르타 시정부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2002. 11.)

1 컴퓨터 대당 사용인원수 컴퓨터 보급률

74.64 1%

2-2-5. 네트워크 주변장치(Network Peripherals)

▷ 자카르타 시정부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와 같이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간의 내외부 시스템을

연결하여 주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가. 네트워크 주변장치 유형

▷ 자카르타 시정부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주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 결과는 표 3-33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중앙정부는 대체적으로 HUB를 주요 네트워크 연결장치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비해, 자카르타 시정부는 Switch가 대표적

네트워크 연결장치이다(43%). HUB와 Router는 약 29%로 상대적으로 낮게 사용되고 있다.

<표 3-33> 자카르타 시정부의 전산시스템의 주요 연결장치 현황(2002. 11.)

(Hub)허브 (Switches)스위치 (Bridges)브리지 (Routers)라우터 기타

29% 43% 0% 29% 0%

나. 내부 네트워킹(Intranet)과 외부 네트워킹(Extranet)

▷ HUB와 Switch는 주로 내부전산 연결시스템을 사용하고 Router는 주로 인터넷과 같이 외부 연결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앞의

조사 결과를 기능적 지표로 응용하여 자카르타 시정부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을 비교하는 다음의 표 3-

34를 작성하였다.

▷ 표 3-34에서 나타나듯이 중앙정부의 경우 Intranet 사용률이 90%인데 반해, 자카르타 시정부는 상대적으로 낮게 사용하고

(71%) 대신 Extranet을 좀더 많이 사용한다(29%).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사이에 아무런 연결 시스템이 없으므로 이러한 외부 네트워킹은 인터넷의 활용과 관계 있거나, 혹은

지방정부 지역 내의 지점 간의 연결에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 179 |

Page 18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34> 자카르타 시정부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2002. 11.)

(Intranet)인트라넷 (Extranet)엑스트라넷

71% 29%

2-3. 기반 소프트웨어 (Software) - 오퍼레이팅 시스템 (Operating system)

2-3-1.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 자카르타 시정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에 대한 조사결과는 표 3-35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자카르타 지역의 서버 작동환경은 대부분 리눅스 시스템(67%)이다.

▷ 윈도우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비율을 보였다(33%). 그러나 최신 프로그램인 윈도우 2000의 프로그램이 원도우 NT4

이하보다 상대적으로 비율이 높다.

▷ 이러한 이유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근에 전산화 작업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3-35> 자카르타 시정부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유형 (2002. 11.)

Unix Linux NovellNT4 or below 2000/XP

67% 11% 22%

기타Windows

2-3-2.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 자카르타 시정부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관한 조사 결과는 표 3-36에서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 3-36에 나타나듯이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주요 프로그램은 윈도우 98혹은 그 이하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

(68%). 그러나 최신 버전인 윈도우 2000/XP의 경우도 32% 가까이 된다. 최근에 전산화를 하였기 때문에 DOS 모드는 전무하다.

▷ 앞서 조사된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대부분 리눅스 시스템인 것을 고려하면, 윈도우 98은 자카르타 지역에서 적당한

시스템임을 알 수 있다.

<표 3-36> 자카르타 시정부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2002. 11.)

| 180 |

Page 18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DOS98 or below 2000/XP

68% 32%

기타Windows

| 181 |

Page 18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4. IT관련 연간 예산

2-4-1. 자카르타 시정부의 연간 예산 추이

▷ 자카르타 시정부에서 자체 전산화를 위해 투입되는 연간 예산현황에 대한 조사결과 표 3-37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 3-37에 나타나듯이 전년대비 2002년의 IT예산은 24%, 전년대비 2003년의 관련예산은 73% 증가하는 등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현재 전산화 활용 현실을 고려할 때 상당히 긍정적인 상황이라고 판단된다.

<표 3-37> 자카르타 시정부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2002. 11.)

Year 2000 2001 2002 2003 ( )추정

Spending 4.0 3.7 4.6 7.9 /연간 증가 감소률 - 8% 24% 73%

2000 /년 대비 증가 감소률 - 8% 14% 97%

2-4-2. 전산화 부문별 예산 현황 (2002년 기준)

▷ 자카르타 시정부의 2002년 전산화관련 연간예산의 부문별 할당액을 수치화 한 결과가 표 3-38에 나타나 있다.

<표 3-38> 자카르타 시정부의 2002년 연간 전산화 예산의 부문별 현황 (2002. 11.)

개발 (T&I)교육 및 설치 유지보수 및업그레이드

30% 40% 10% 20% 0%

기타하드웨어 소프트웨어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IT예산 중 70%는 소프트웨어에 그리고 나머지 30%는 하드웨어에 지출되었다. - 이를 다시 세분화하여 살펴 보면 소프트웨어의 개발에는 전체 예산의 약 40%가 지출됨을 알 수 있다. - 2002년에 하드웨어에 지출된 30%의 예산은 리눅스 시스템을 주 서버 작동환경으로 구축하는데 지출되었으리라 추정한다.

제 3 절: 일반 공공부문 (전화국, 우체국, 철도청)

인도네시아 중앙정부 및 지역정부를 제외한 일반 공공부문의 전산화 현황과 활용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SI산업의 가장 대표적인

수요시장인 우체국, 텔콤(인도네시아 통신공사), 전력공사(인도네시아 전력) 및 철도청(인도네시아 철도조합)을 사례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이러한 공공 핵심부문의 전산화 현황과 활용수준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향후 관련 부문의 시장에 대한 예측을 하고자

| 182 |

Page 18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한다.

1. 일반 공공부문 및 공기업 조직

일반 공공부문의 대표적 SI부문 조사대상이 된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 및 철도청의 행정본부의 인원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3-39> 우편통신공사, 전력공사 및 철도조합의 인원현황 (2002. 11.)

기관명 인도네시아 우체국 인도네시아 통신공사 인도네시아 전력 인도네시아 철도조합 평균

인원 27,100 38,000 3,587 30,000 24,672

| 183 |

Page 18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 (Hardware)

2-1-1. 기반 서버 (Servers)

가. 서버 수

▷ 현재 인도네시아의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서버 수의 조사 결과는 아래의 그림 3-3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이러한 전산화 기반이 되는 서버 수의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일반 공공부문의 전산화 활용수준의 하드웨어 측면을 분석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림 3-3>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0 1 2 3

200 4

1 – 인도네시아 우체국; 2 – 텔콤; 3 – 인도네시아 전력공사; 4 – 인도네시아 철도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서버 수의 조사 결과 전체 200여 개 미만으로 그 중에서 철도청이 다른 기관에

비해 두 배 이상의 서버를 보유하고 있다.- 다른 기관들에 비해 인도네시아 우체국 (PTIP)은 서버의 숫자 면에서 많이 뒤지고 있다.- 상기의 그림에서 나타난 표본 조사된 주요 공공부분의 서버 숫자는 물론 그 숫자와 정보화 활용수준과의 정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이러한 것은 후기에 상세하게 각 기관의 고용인원 대비 각종 정보화 기반시설과의 상관관계를 통한 분석을

하도록 하겠다.

나. 서버 프로세서 유형

▷ 사례대상에서 조사된 현재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통신공사), 전력공사와 철도청 에서 사용되는 주요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은

통상 사용되는 Mainframe, Intel 그리고 RISC 세 가지의 기본 프로세서 유형을 표본 선택하여 조사한 결과 표 3-40과 같이 나타났다.

▷ 참고로 Mainframe은 구형의 범용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고, Intel은 중급정도의 서버용으로 그리고 RISC는 주로 대형

서버용으로 사용된다.

▷ 이러한 조사는 향후 기반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과 그 유형에 관련된 SI 소프트웨어 시장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 184 |

Page 18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40>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유형 비교 (2002. 11.)

기관명 인도네시아 우체국 인도네시아 통신공사 인도네시아 전력 인도네시아 철도조합 평균

Mainframe 0% 0% 0% 3% 1%Intel 50% 38% 100% 47% 59%RISC 0% 63% 0% 0% 16%

s기타 50% 0% 0% 50% 25%

▷ 조사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모든 기관에서는 Intel을 기반으로 하는 서버 프로세서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평균 51%).- 조사된 기관 중에서는 인도네시아 철도청이 유일하게 Mainframe을 기반 프로세서로 미미하게 사용하고 있다. - RISC기반 서버 프로세서의 경우 텔콤이 주로 사용하고(63%), 우체국과 전력공사는 Intel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전력공사의

경우 100% Intel 기반이다.

| 185 |

Page 18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1-2. 기반 워크스테이션

가. 워크스테이션 수

▷ 현재 인도네시아의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주요 워크스테이션의 양적 분포(0-12,000)에 대한 조사결과는

그림 3-4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워크스테이션의 숫자에 대한 조사는 상기 기반서버와의 상관관계 및 각 공기업의 전산화 활용 지표를 나타낸다.

<그림 3-4>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보유 워크스테이션 숫자의 비교 (2002. 11.)

0 1 2 3

12,000 4

1 – 인도네시아 우체국; 2 – 텔콤; 3 – 인도네시아 전력공사; 4 – 인도네시아 철도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전체 12,000여 대 미만의 양적 분포에서 가장 많은 수의 서버를 보유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철도가 가장 적은 수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다.- 텔콤은 다른 기관에 비교하여 월등히 많은 약 12,000 대에 가까운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다.

나.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유형

▷ 현재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결과는 표 3-41

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는 정보화 활용수준의 기술적 처리능력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조사자료를 통하여

각 기관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활용수준을 유추할 수 있다.

<표 3-41>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기관명 인도네시아 우체국 인도네시아 통신공사 인도네시아 전력 인도네시아 철도조합 평균

II ( ) 펜티엄 동급 이하 40% 29% 60% 26% 39% III ( ) 펜티엄 동급 이상 60% 71% 40% 74% 61%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186 |

Page 18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전체적으로 워크스테이션의 펜티엄II 기종이 아직도 거의 40%에 달하고 있어, 향후 필연적으로 펜티엄II 기종(55%) 이하에

대해서는 기종 교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 우체국과 전력공사는 펜티엄II 기종(55%) 이하가 각각 58%와 60%로 낙후된 워크 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텔콤과 인도네시아 철도 (PTKAI)는 비교적 최신의 기종을 보유하고 있다.

▷ 특히 인도네시아 철도의 경우 펜티엄 III 이상의 기종이 74% 차지한다. 이는 철도청이 다른 공사들 보다 전산화가 늦게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2-1-3. 노트북의 활용

▷ 현재 인도네시아의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에서의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의 결과는 아래의 표 3-42와 같다.

▷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는 일반적으로 업무의 유연화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필연적인 SI활용의 발전 단계이므로 향후

정보화 활용 수준과 그 시장을 예측하는 중요지표 중의 하나이다.

▷ 아래의 표 3-42에 나타나듯이 정부의 모든 기관에서는 노트북의 활용이 미미하지만 10% 미만의 사용률을 보였다. 이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수치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 187 |

Page 18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42>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기관명 인도네시아 우체국 인도네시아 통신공사 인도네시아 전력 인도네시아 철도조합 평균

데스크탑 95% 1% 93% 95% 71%노트북 5% 99% 7% 5% 29%

2-1-4.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의 상관관계 종합분석

가.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도

▷ 앞서 분석한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보유 서버 수와 워크스테이션의 수에서 보여주듯이 이 두 지표에 대한 상관관계는

일정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 다시 말해 각 공사에서 사용되는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의 수는 다르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 비록 각 서버 1대당 연결되어 활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수 (network client)에 대해 정확한 통계자료는 없지만 사례 조사에서

나타난 각 기관들의 각 부문의 통계 자료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구성된 통계 지표는 다음의 표 3-43과 같다.

<표 3-43>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기관명 인도네시아 우체국 인도네시아 통신공사 인도네시아 전력 인도네시아 철도조합 평균

1 서버 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58.50 8.88 33.42 2.44 25.81

▷ 조사 결과에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표에서 나타나듯이 전체적으로 평균 서버 1대당 약 44 대의 워크스테이션이 배치되어 있다. - 인도네시아 철도의 경우 서버 1대당 약 2.44 대로 가장 낮은 수의 워크스테이션이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해 이 수치는

상대적으로 서버의 용량에 비해 워크스테이션이 충분히 활용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 텔콤은 가장 높은 서버당 워크스테이션 수를 보였다 (133.75대의 워크스테이션). 이러한 과도한 연결지수로 인해 전산화

시스템의 이용시 병목현상 등 많은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충분한 활용을 위하여 서버의 수를 더 늘려야 한다.

나. 고용 인원 대비 PC 보급률

▷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워크스테이션의 보급현황에 관한 조사에 대한 결과는 표 3-44와 같다.

▷ 이 조사는 각 기관의 고용인원 대비 워크스테이션의 수로 산출한 것으로 각 기관의 워크스테이션 활용도에 대한 중요한 지표를

나타낸다.

| 188 |

Page 18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44>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 (2002. 11.)

기관명 인도네시아 우체국 인도네시아 통신공사 인도네시아 전력 인도네시아 철도조합 평균

1 컴퓨터 대당 사용인원수 23.16 53.52 2.98 71.43 37.77 컴퓨터 보급률 4% 2% 34% 1% 10%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전체 고용인원의 관점에서는 평균 PC 1대당 약 37.77명, 보급률 약 10%로 나타났다.- 인도네시아 전력이 가장 높은 PC 보급률을 보였고 (직원 3명당 PC 1대), 우체국이 그 다음이다(23.16 명당 1대의 PC).- 인도네시아 철도는 가장 많은 수의 서버를 보유하고 있지만 워크 스테이션 보급률은 아주 저조하다(PC 1대당 약 71.43명). 이는

본 조사 당시 인도네시아 철도에서 IT 인프라를 개선하고 있는 중이었기 때문에 서버 구축이 먼저 이루어지고 워크스테이션

공급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 189 |

Page 19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1-5. 네트워크 주변장치

▷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와 같이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간의 내, 외부 시스템을 연결하여 주는 네트워크 주요 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가. 네트워크 주변장치 유형

▷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주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

결과는 표 3-45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주요 네트워크 연결장치로 HUB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71.1%).

▷ 그 다음으로 Switch를 많이 사용하며(22.9%), Bridge와 Router는 미미하게 사용된다.

▷ 특이하게 인도네시아 우체국에서는 Router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인터넷이나 지점간 연결 등의 외부 연결이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표 3-45>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 (2002. 11.)

기관명 인도네시아 우체국 인도네시아 통신공사 인도네시아 전력 인도네시아 철도조합 평균

(Hub)허브 75.0% 86.2% 64.3% 58.8% 71.1%(Switches)스위치 25.0% 8.6% 28.7% 29.4% 22.9%(Bridges)브리지 0.0% 0.0% 0.0% 2.4% 0.6%(Routers)라우터 0.0% 5.2% 7.0% 9.4% 5.4%

기타 0.0% 0.0% 0.0% 0.0% 0.0%

나. 내부 네트워킹(Intranet)과 외부 네트워킹(Extranet)

▷ HUB와 Switch는 주로 내부전산 연결시스템을 사용하고 Router는 주로 인터넷과 같이 외부 연결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앞의

조사 결과를 기능적 지표로 응용하여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표 3-46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 3-46에서 나타나듯이 대부분의 경우 Intranet 사용률이 평균 94.6%로 거의 외부 네트워킹 사용률이 전무한 형편이다. 다만

인도네시아 철도가 가장 높은 외부 연결 사용률을 보이고 있다(9.4%)

<표 3-46>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 (2002. 11.)

| 190 |

Page 19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기관명 인도네시아 우체국 인도네시아 통신공사 인도네시아 전력 인도네시아 철도조합 평균

(Intranet)인트라넷 100.0% 94.8% 93.0% 90.6% 94.6%(Extranet)엑스트라넷 0.0% 5.2% 7.0% 9.4% 5.4%

2-2. 기반 소프트웨어 (Software) - 오퍼레이팅 시스템 (Operating system)

2-2-1.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을 조사한 결과는 표 3-47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에서 나타나듯이 윈도우 시스템이 각 기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평균 68%). 그 중에서도 NT4 이하가 주

시스템이다 (36%).

▷ 인도네시아 우체국에서는 리눅스(50%)가, 텔콤에서는 유닉스(40%)를 기본 작동 환경으로 채택하고 있다.

▷ 인도네시아 전력에서는 83%의 서버가 최신 환경인 윈도우 2000을 사용하고 있다.

<표 3-47>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 (2002. 11.)

기관명 인도네시아 우체국 인도네시아 통신공사 인도네시아 전력 인도네시아 철도조합 평균

Unix 0% 40% 0% 0% 10%Linux 50% 8% 0% 0% 15%Novell 10% 0% 0% 0% 3%Windows 0% 0% 0% 0% 0%

- NT4 or below 20% 24% 17% 67% 32%- Win 2000 20% 8% 83% 33% 36%

기타 0% 20% 0% 0% 5%

2-2-2.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인도네시아 전력)와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관한

조사결과 표 3-48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전반적으로 윈도우98 이나 그 이하의 작동시스템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60.5%).

▷ 최신 버전인 윈도우 2000 이상의 경우 텔콤과 전력공사에서 각각 40%와 100% 사용하고 있다. 특히 전력공사의 경우 최근에 IT

환경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철도청의 경우 DOS 시스템을 아직도 사용하고 있다(9%).

<표 3-48>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 (2002. 11.)

| 191 |

Page 19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기관명 인도네시아 우체국 인도네시아 통신공사 인도네시아 전력 인도네시아 철도조합 평균

DOS 0% 0% 0% 9% 2%Windows

- 98 or below 91% 60% 0% 91% 60%- 2000 / XP 3% 40% 100% 0% 36%

기타 7% 0% 0% 0% 2%

2-3. IT관련 연간 예산

2-3-1. 연간 예산 추이

▷ 인도네시아 우체국과 텔콤의 IT 예산 내역은 대외비로 취급되어 보고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인도네시아 전력공사와 철도청에서

자체 전산화를 위해 투입하는 연간 예산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가 표 3-49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인도네시아 전력공사의 IT예산은 2002년도에 괄목할만한 증가를 보였고, 이에 따라 앞서 언급한 최신 기종 및 소프트웨어 등이

도입되어 크게 IT환경이 개선된 것으로 이해된다.

▷ 인도네시아 전력과 철도는 2003년 예산에 소폭의 증가를 예상하고 있어 최소수준의 확장이 기대된다.

<표 3-49>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 (2002. 11.)

단위: 천 달러(US)기관명 인도네시아 우체국 인도네시아 통신공사 인도네시아 전력 인도네시아 철도조합 평균

2000 1,167 335 7512001 278 315 2972002 989 335 6622003 ( )추정 1.222 670 336

/연간 증가 감소률 인도네시아 우체국 인도네시아 통신공사 인도네시아 전력 인도네시아 철도조합 평균

2001 - 76% - 6% - 41%2002 256% 6% 131%2003 ( )추정 - 100% 100% 0%2000 /년 대비 증가 감소률 인도네시아 우체국 인도네시아 통신공사 인도네시아 전력 인도네시아 철도조합 평균

2001 0% 0% 0%2002 256% 6% 131%2003 ( )추정 - 100% 113% 7%

2-3-2. 전산화 부문별 예산 현황 (2002년 기준)

▷ 표 3-50은 상기의 전산화를 위한 2002연 투입예산의 부문별 할당액을 수치화한 것으로 각 기관에서 가장 우선순위 전산화 부문을

얘기해주고 있다.

▷ 아래의 표 3-50에서 나타나듯이 앞서 분석한데로 인도네시아 철도는 대부분 하드웨어의 구입에 예산을 투입하였고 인도네시아

전력의 경우 약 50%를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 투자하여 전산화 활용 환경을 개선하였다.

| 192 |

Page 19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50> 인도네시아 우체국, 텔콤, 전력공사와 철도청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의 부문별 현황 비교 (2002. 11.)

기관명 인도네시아 우체국 인도네시아 통신공사 인도네시아 전력 인도네시아 철도조합 평균

하드웨어 20% 70% 45%소프트웨어

개발 50% 5% 28% (T&I)교육 및 설치 15% 5% 10%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 15% 20% 18%기타 0% 0% 0%

제 4 절: 공기업 혹은 민영화된 공기업 (은행, 항공사)

국가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개발도상국의 대부분 국가에서는 아직 국립은행과 항공사가 공기업 혹은 공공기관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본 조사에서 은행과 항공사를 선택한 이유는 첫째, 향후 경제성장과 세계화 추세를 볼 때, 가장 민영화에 민감할 수 있는 공공부문이다.

둘째는 전산화 기술과 활용수준이 가장 높은 SI 수요시장인 금융산업과 항공산업의 대표사례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SI 시장의

핵심부문의 전산화 현황과 활용수준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향후 관련 부문의 시장에 대한 예측을 하고자 한다.

1. 만디리 은행, 가루다 항공

조사 대상이 된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ank Mandiri BM)은 재무부 (Ministry of Finance)의 직접 통제하에 있는 인도네시아

최대의 국책은행으로 모든 금융부문의 사업영역을 갖고있다. 현재 각 지역의 지점을 포함한 총 고용인원은 16,000여명이다. 또 다른

조사 대상인 인도네시아 가루다 항공 (Garuda Indonesia, GI)은 인도네시아의 최대의 항공사로서 약 9,000여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

2-1-1. 기반 서버

가. 서버 수

▷ 현재 인도네시아의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에서 사용되는 서버 수의 양적분포(0-1,000)에 대한 조사 결과는 그림 3-

5에 나타나 있다.

▷ 이러한 전산화 기반이 되는 서버 수의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정부의 공공부문 다음으로 가장 SI 시장에서 큰 수요자 역할을 하고

있는 금융과 항공관련 기업들에 대한 전산화 하드웨어 측면의 SI 시장 동향을 이해할 수 있다.

| 193 |

Page 19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그림 3-5>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BM)과 가루다 항공(GI)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0 1 2

100

1 –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2 – 인도네시아 가루다 항공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만디리 은행 (BM)이 가루다 항공 (GI) 보다 약 7배에 가까운 많은 수의 서버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주요 이유는 금융기관

특성상 통상 타 업종보다 많은 서버를 보유하고 있고, 또한 전국적으로 많은 지점들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 상기의 그림에서 나타난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서버 숫자는 물론 그 숫자와 정보화 활용수준과의 정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이러한 것은 후기에 상세하게 각 기업의 고용인원 대비 각종 정보화 기반시설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이유를 설명하겠다.

나. 서버 프로세서 유형

▷ 현재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에서 사용되는 주요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은 통상 사용되는 Mainframe,

Intel 그리고 RISC 세 가지의 기본 프로세서 유형을 표본 선택하여 조사한 결과 표 3-51과 같이 나타났다.

▷ 참고로 Mainframe은 구형의 범용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고, Intel은 중급정도의 서버용으로 그리고 RISC는 주로 대형

서버용으로 사용된다.

▷ 이러한 조사는 향후 기반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과 그 유형에 관련된 SI 소프트웨어 시장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 194 |

Page 19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51>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유형 비교 (2002. 11.)

기관명 만디리 은행 가루다 항공 평균

Mainframe 9% 3% 6%Intel 91% 78% 84%RISC 0% 19% 10%기타 0% 0% 0%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만디리 은행과 가루다 항공은 Intel을 서버에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각각 91%, 78%).- 그리고 만디리 은행은 Mainframe을 9%정도 사용하고 있고, 가루다 항공은 RISC를 19%, 그리고 Mainframe은 3%정도

사용하고 있다. - 이러한 것은 지역적인 망을 갖고 있는 금융기관과 항공업종의 대표적인 현상으로 중앙의 행정본부에는 Mainframe을 사용하고

지역적으로 Intel 시스템을 운용한다.

2-1-2. 기반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가. 워크스테이션 수

▷ 현재 인도네시아의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에서 사용되는 주요 워크스테이션의 양적분포(0-10,000)에 대한

조사결과는 그림 3-6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워크스테이션의 숫자에 대한 조사는 상기 기반서버와의 상관관계 및 각 기업의 전산화 활용 지표를 나타낸다.

▷ 조사결과 전체 10,000여대 미만으로 만디리 은행에서는 가루다 항공보다 4배나 많은 워크 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었다. 각

회사의 업무 성격을 볼 때, 이 결과는 예측 가능한 결과이다.

| 195 |

Page 19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그림 3-6>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보유 수 현황 비교 (2002. 11.)

0 1 2

12,000

1 –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2 – 인도네시아 가루다 항공

나.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유형

▷ 현재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표 3-52와 같다.

▷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는 정보화 활용수준의 기술적 처리능력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조사자료를 통하여

각 기업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활용 수준을 유추할 수 있다.

▷ 조사 결과 만디리 은행은 펜티엄III 이상의 최신 기종을 보유하고 있으나(100%), 가루다 항공은 현재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가

상당히 낙후되어 있으나(펜티엄II 이하의 기종이 70%) 점차로 최신 기종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펜티엄III 이상의 기종이

30%).

<표 3-52>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기관명 만디리 은행 가루다 항공 평균

II ( ) 펜티엄 동급 이하 0% 70% 35% III ( ) 펜티엄 동급 이상 100% 30% 65%

2-1-3. 노트북의 활용

▷ 현재 인도네시아의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에서의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의 결과는 아래의 표 3-53과 같다.

▷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는 일반적으로 업무의 유연화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필연적인 SI활용의 발전 단계이므로 향후

정보화 활용 수준과 그 시장을 예측하는 중요지표의 하나이다.

▷ 조사결과 만디리 은행과 가루다 항공은 모두 4%씩 미미하게 사용하고 있다.

<표 3-53>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 196 |

Page 19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기관명 만디리 은행 가루다 항공 평균

데스크탑 96% 96% 96%노트북 4% 4% 4%

2-1-4.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의 상관관계 종합분석

가.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도

▷ 비록 각 서버 1대당 연결되어 활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수 (network client)에 대해 정확한 통계자료는 없지만 사례 조사에서

나타난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각 부문의 통계자료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구성된 통계 지표는 다음의 표 3-54와 같다.

<표 3-54>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기관명 만디리 은행 가루다 항공 평균

1 서버 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11.00 33.77 22.38

▷ 조사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표에서 나타나듯이 만디리 은행의 경우 서버 1대당 11여 대의 워크스테이션이 연결되어 있고, 가루다 항공의 경우 33.77여

대가 연결되어있다. - 따라서 만디리 은행의 경우 서버가 불충분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루다 항공의 경우 통상 적정선을 50여 대의

기준으로 볼 때 이 정도의 여유는 가질 수 있다고 판단된다.

나. 고용 인원 대비 PC 보급률

▷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BM)과 가루다 항공(GI)의 워크스테이션의 보급현황에 관한 조사에 대한 결과는 표 3-55와 같다.

▷ 이 조사는 각 기관의 고용인원 대비 워크스테이션의 수로 도출한 것으로 각 기관의 워크스테이션 활용도에 대한 중요한 지표를

나타낸다.

<표 3-55>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 (2002. 11.)

기관명 만디리 은행 가루다 항공 평균

1 컴퓨터 대당 사용인원수 1.92 3.46 2.69 컴퓨터 보급률 52% 29% 41%

| 197 |

Page 19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전체 고용인원의 관점에서는 평균 PC 1대당 약 2.69여명, 보급률 약 40.5%로 정부 부문보다 상당히 양호한 편이다.- 특히 만디리 은행 (BM)의 경우 평균 PC 1대당 약 2명 미만으로 가루다 항공보다 많이 보급 되어 있다. - 그러나 가루다 항공은 직원 PC보급률이 29%이나, 과반수의 직원이 승무원, 엔지니어, 기술직 직원이므로, 개인 PC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이므로 이 역시 아주 양호한 수치이다.

| 198 |

Page 19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1-5. 네트워크 주변장치

▷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와 같이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간의 내외부 시스템을 연결하여 주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가. 네트워크 주변장치 유형

▷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주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 결과 표 3-56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주요 네트워크 연결장치로 역시 HUB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55.5%).

▷ 그러나 Router도 상당한 수준으로 사용하고 있다(만디리 은행 43%, 가루다 항공 32%). 이 경우 금융기관과 항공사 특성성

본부와 지역 사무실과의 데이터의 공유 및 동시 관리를 해야 할 필요성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 가루다 항공의 경우 Switch도 약 14% 정도 사용한다.

<표 3-56>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 (2002. 11.)

기관명 만디리 은행 가루다 항공 평균

(Hub)허브 57% 54% 55%(Switches)스위치 0% 14% 7%(Bridges)브리지 0% 0% 0%(Routers)라우터 43% 32% 38%

기타 0% 0% 0%

나. 내부 네트워킹 (Intranet)과 외부 네트워킹 (Extranet)

▷ HUB와 Switch는 주로 내부전산 연결시스템을 사용하고 Router는 주로 인터넷과 같이 외부 연결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앞의

조사를 결과를 기능적 지표로 응용하여 만디리 은행(BM)과 가루다 항공(GI)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Intranet과 Extranet사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표 3-57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표 3-57>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 (2002.

11.)

| 199 |

Page 20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기관명 만디리 은행 가루다 항공 평균

(Intranet)인트라넷 57% 68% 62%(Extranet)엑스트라넷 43% 32% 38%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표 3-57에서 나타나듯이 Intranet사용률이 평균 62% 정도이고 Extranet의 사용률은 38%에 달한다. - 두 기업 모두 Router의 사용이 빈번하므로 외부 연결장치도 비교적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만디리 은행은 인도네시아 전역에 걸친 지점 및 타 은행과 연결하기에 외부 연결장치의 이용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인터넷 뱅킹

서비스도 역시 외부 연결장치의 이용도를 높였다. - 가루다 항공도 역시 중앙 예약 시스템 (Central Reservation Systems, CRM)을 사용하여 여행사들과 정보의 교환 및

동시관리, 발권을 하고, 온라인 고객 서비스도 실행하므로 외부연결장치의 이용률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2-2. 기반 소프트웨어 - 오퍼레이팅 시스템

2-2-1.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조사결과 표 3-58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에서 나타나듯이 만디리 은행과 가루다 항공에서는 윈도우시스템이 주요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 사용된다. 특히 최신

버전인 윈도우2000의 사용이 각각 91%와 60%에 달한다.

▷ UNIX 시스템의 경우 사용되고 있는데(각각 9%, 12%)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Mainframe을 위한 것으로 주로 중앙

행정본부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200 |

Page 20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58>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 (2002. 11.)

기관명 만디리 은행 가루다 항공 평균

Unix 9% 12% 11%Linux 0% 12% 6%Novell 0% 0% 0%Windows

- NT4 or below 0% 16% 8%- Win 2000 91% 60% 75%

기타 0% 0% 0%

2-2-2.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 만디리 은행(BM)과 가루다 항공(GI)에서 사용하고 있는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조사 결과는 표 3-59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 3-59에 나타나듯이 주로 윈도우 프로그램이 대부분 사용되나, 만디리 은행의 경우 윈도우 2000 이상이 100%에 도달하고,

가루다 항공의 경우 상대적으로 낙후된 것으로 윈도우 98 혹은 그 이하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전체의 56%).

<표 3-59>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 (2002. 11.)

기관명 만디리 은행 가루다 항공 평균

DOS 0% 0% 0%Windows

- 98 or below 0% 56% 28%- 2000 / XP 100% 44% 72%

기타 0% 0% 0%

2-3. IT관련 연간 예산

2-3-1. 연간 예산 추이

▷ 표 3-60은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자체 전산화를 위해 투입되는 연간 예산의 현황을 비교한 것이다.

▷ 표 3-60에 나타나듯이 두 기업 모두 최근 IT 예산을 삭감하여 예산이 감소되는 추이를 보였다.

▷ 예산 삭감에도 불구하고, 두 기업의 예산 규모는 각각 5천만 달러 이상으로 예산을 상당히 높게 책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 201 |

Page 20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3-60>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 (2002. 11.)

단위: 천 US$기관명 만디리 은행 가루다 항공 평균

20002001 74,0002002 63,500 57,778 60,6392003 ( )추정 62,500 51,000

/연간 증가 감소률 만디리 은행 가루다 항공 평균

20012002 - 14%2003 ( )추정 - 2% - 12% - 7%

| 202 |

Page 20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3-2. 전산화 부문별 예산 현황 (2002년 기준)

▷ 표 3-61은 상기의 전산화를 위한 2002연 투입예산의 부문별 할당액을 수치화 한 것으로 각 기관에서 가장 우선 순위 전산화

부문을 얘기해 주고 있다.

▷ 만디리 은행은 예산의 80%를 소프트웨어 부문에 사용하였다. 이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의 재정적 부담을 피하는 동시에 현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최고의 생산성을 이룩하려는 시도이다.

▷ 가루다 은행은 예산 지출 내역을 공개하지 않았다.

<표 3-61> 인도네시아 만디리 은행 (BM)과 가루다 항공 (GI)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의 부문별 현황 비교 (2002. 11.)

기관명 만디리 은행 가루다 항공 평균

하드웨어 20% 20%소프트웨어

개발 40% 40% (T&I)교육 및 설치 10% 10%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 30% 30%기타 0% 0%

태국 정보통신산업 및 SI 산업 현황

제 1장 – 정보통신산업 관련 국가정책과 환경

| 203 |

제4편

Page 20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2장 - SI 산업 및 시장 동향 분석

제 3장 – 사례조사: 공공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

| 204 |

Page 20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1장 – 정보통신산업 관련 국가정책과 환경

제 1 절: 정보통신산업의 개발정책과 법적제도

1. 정보통신산업의 개발정책 현황

동남 아시아에서 태국은, 싱가포르나 말레이시아와 함께, 정보통신산업과 정보통신사회 발전을 위한 정책을 가장 먼저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시행한 나라 중 하나이다. 태국 정부가 본격적으로 준비 작업을 시작한 것은 1980년대 후반부터이다. 여러 준비 작업 중 가장

중요한 초석이 된 것은 1989년에 설립한 국립 전자 컴퓨터기술 센터 (National Electronics and Computer Technology Centre, NECTEC)이다. NECTEC은 과학 기술부 산하 국립 과학기술 개발처에 설립된 3개의 기간센터 중 하나인데, 그 산하에 정보통신산업

국가정책 수립 조직인 국립 정보기술 위원회(National Information Technology Committee, NITC)를 1992년 설립하여 체계적인

발전전략을 입안하고 이행 감독하도록 하였다. 뒷 부분에서 기술하겠지만 이 조직의 의장은 수상으로 조직 구성원은 정부 및

민간부문의 여러 주요 인사들로서 태국 정보통신산업 및 사회 발전을 위한 실질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상기의 NITC와 NECTEC는 1996년에 최초로 국립 정보통신기술 종합개발 5개년 계획인 IT-2000이라는 정책을 발표하였다. 동

정책은 태국정부의 제8차 국가 경제사회개발계획(1997-2001)의 중요한 정책 중 하나로 결정되고 총 1억6천8백만 달러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IT-2000의 안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집중 개발 분야를 선정하였다. 첫째, IT 기반시설을 육성하고, 둘째 관련

인력자원을 적극 양성하며, 셋째 관련산업발전과 활용을 주도적으로 이끌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모색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기본 방향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가 IT 기반시설 강화정책의 기본이념은 전 국민이 평등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태국 농촌지역에 유선통신망을 구축함으로써 고용을 창출하고 국가의 부를 농촌지역까지 분배하며 더 나아가서 교육과 개인의

계발에 평등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며, 기초 정부 서비스를 국민 모두에게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관련 전기통신법을

신기술과 새로운 국제 기업환경에 맞도록 개정하려고 계획하였다. 인적자원 개발의 기본 이념은 국민을 위한 투자로 IT 인력을 여러 계층에 골고루 공급하여 현재 당면한 심각한 인력부족과

향후 급격한 수요증가에 대비하고, 모든 단계의 교육 및 훈련에 정보기술을 주요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과학 기술 분야 뿐만

아니라 나아가 인문과 예술 분야까지 확대한다는 것이다. 관련 산업 발전과 활용을 주도적으로 이끌 수 있는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모색하기 위하여 모든 정부 기관의 업무를

전산화함으로써 산업 발전을 주도하고 발전된 IT 활용기술을 극대화함으로써 효율적인 대국민 서비스를 기한다는 것이다. 또한 태국 기업 중 특히 열악한 환경에 있는 중소기업들을 전산화하고 정보 기술 활용을 위해 우선적으로 지원하며, 이에 따라

관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콘텐츠를 망라하는 모든 정보통신 및 지원 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기본 토대롤 구축한다는

것이다.

위의 IT-2000계획 추진에 따라 많은 실행정책과 IT 관련사업들이 여러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그리고 공공부문에서 대대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사업을 보면 다음과 같다.

국립 인터넷 교환소(National Internet Exchange Points)를 설립하였다. 이 교환소는 태국을 벗어나 타국에서의 인터넷

| 205 |

Page 20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트래픽의 교환이 아니라 국내의 모든 트랙픽은 국내에서 교화되도록 국립 인터넷 교환소 두 곳을 설립하였다. 이의 설립은

국내 내부연결 아키텍처의 안정성을 제고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태국 스쿨넷(SchoolNet Thailand: http://school.net.th) 정책을 통하여 국내 모든 학교에 인터넷 설치를 목표로 시작하여

2002년까지 총 5700여개의 학교를 인터넷과 연결하였다. 인터넷 접속 비용을 면제하여 시내 통화료(통화 당 8센트)에 의한

낮은 접속 비용만으로도 최대한 활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교육과 학습에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콘텐츠 개발을

시작하였고, 디지털 도서관과 서류보관소 등의 관련 시설을 제공하여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국립

인터렉티브 멀티미디어 연구소(National Interactive Multimedia Institute)를 설립하여 교육 자료 및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개발을 주도하였다. 정부 정보네트워크(Government Information Network, GINet)를 정부 IT서비스(Government IT Services, GITS)에 의해

설립 운영하고 있으며, 고속 및 가상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 VPN) 서비스를 모든 정부기관에 제공하고 있다. GITS는 네트워크 연결서비스 이외에도 전자 신문, 뉴스 교환 서비스, 정부 안내 서비스, 전자정부 포털, 디지털 ID를 사용하는 보안

이메일 및 공개키 기반구조(Public-key Infrastructure, PKI) 등을 제공하였고. GITS는 2000년 이후 디지털 서명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시험 인증기관 서비스도 하고 있다. 관련 법규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태국 정부는 또한 IT-2000계획 기간 동안 많은 것을 이루었다. 그 중에서 NITC가 기안한

전자거래법안(Electronic Transactions Bill)은 2002년 4월 3일부터 효력을 발하고 있다(단. 전자 서명 허가 조항 포함). 후기에서 자세히 설명을 하겠지만, 현재 의회 상정이 내각 인준을 기다리고 있는 법안은 데이터 보호법 (Data Protection Law), 국립 정보기반 시설법(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Law), 컴퓨터 범죄법(Computer Crime Law), 전자자금 이체법(Electronic Funds Transfer Law) 등이 있다.

이러한 사업 이외에 가장 중요한 IT-2000 계획의 하나인 관련 인적자원 양성도 국가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실시되어 상당한 결과를

달성하였다. 동 기간 동안 전국적으로 IT 기술 및 활용 관련 기초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상당한 효과를 거두었다. 예를 들어 비주얼

베이직 과정(Visual Basic Programming), 데스크톱 어플리케이션 과정(Desktop Application Programming), 데이터베이스 과정

(Database Programming), IT 하드웨어 및 네트워크 과정 (IT Hardware and Network), 전자상거래 관리과정(E-Commerce Business Administration) 등을 적극 개설 지원하여 상당수의 관련 기초전문가를 양성하였다. 또한 정부 내에서도 정보기술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하여 각 공무원 계층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필수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고급공무원

(level 9-11)은 CEO과정(Chief Executive Officer Program) 및 CIO(Chief Information Officer Training)를 이수해야 한다. IT 전문가의 기술을 표준화하고 관련 각종 자격증을 제정하여 관련 전문가의 기술 수준을 보장해 주었다. 2002년 NECTEC은 일본

정보기술 연구소(Japan Information Technology Engineer Center)와 연계하여 기초 IT부문의 표준화 시험을 시작하였다.

비록 1997년 아시아의 외환위기로 인하여 태국정부의 야심찬 계획은 수정 내지 부분적 실패를 거듭하였지만, 2000년대에 들어

본격적인 정보통신 산업의 기반 조성에는 전반적으로 성공했다는 평가가 일반적이다. 어쨌든, 이러한 성공적인 기반조성을 바탕으로

2001년 미래의 지식기반 경제 및 사회(Knowledge-Based Economy and Society)를 위하여 IT-2010이라는 2단계 발전을 위한

정책을 입안하고 그 실행에 들어갔다. 이를 위하여 2002년 중앙정부조직의 구조조정을 단행하여 2002년 10월 정보통신기술부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를 설립하였다. IT-2010이라는 십 여년에 걸친 장기 계획 기조와

관련하여 인적자원을 구축하고 창조성을 고양하며, 더 나아가서 정보통신 기반을 확충하고 관련 산업을 발전시킨다는 목표로

출발하였다. 상기 계획의 효과적 실행을 위하여 국립 정보통신종합 5개년 계획(National ICT Plan, 2002-2006)을 수립하였다. 동

종합계획은 태국 IT의 효과적 개발을 위해 5개 부문 및 3개 특별 부문의 전략 수립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e-ASEAN 계획에 발

맞추어 NITC는 e-Thailand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과학기술 환경부장관의 주도 아래 전자 서비스, 전자 교역, 전자 정부의 구축과

| 206 |

Page 20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실행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e-Thailand 계획에 소개된 e-정부의 목적은 정부 업무의 효율화와 정부의 대국민

서비스의 질을 높이며, 전국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e-Thailand는 모든 정부 기관에게

ID카드, 대금 지불 서류 그리고 세금신고 서류 등의 온라인 어플리케이션 등을 만드는 국가실행계획을 만들도록 하였다.

IT-2010정책의 성공을 위하여 태국 정부는 정부역할에 대한 기본 개념을 사용자로서의 정부, 공급자로서의 정부 그리고

지원기관으로서의 정부로 설정하였다. 그 세 가지 기본 개념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로서의 정부

사용자로서의 정부의 개념은 정부가 정보통신 기술 활용에 선구적인 모델이 되어 튼튼한 기반시설, 통신 네트워크 그리고 관련

전문성을 갖춘 유능한 직원을 보유한 정부시스템을 만들려는 구상이다. 따라서 태국정부는 정부의 정보기술 서비스 (Government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GITS) 하에 더욱 적극적으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또한 정부

정보네트워크(The Government Information Network, GINet)를 이용하여 국가 전역의 모든 기관을 고속 통신망으로 연결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서로 다른 연결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일어나는 데이터 네트워크의 중복이나 공유되지 않는 비효율성을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GINet는 또한 모든 지방의 통신국(Telephone Organization of Thailand, TOT)의 기존 시스템을 연결하여 기존의

네트워크와 현금인출서비스를 확대하려고 하고 있다. 현재는 128kbps와 2Mbps 연결되어 있는 것을 장기적으로는 155Mbps 속도로

연결할 계획이다. GITS는 기반시설 공급뿐만 아니라 여러 어플리케이션과 고부가 가치 서비스를 제공하여 모든 공무원들의

정보통신기술 활용도를 높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또한 모든 기관의 공무원 이메일 주소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일간지의 전자판을

제공할 계획이다. 아직 정부 기관간의 연결과 조절이 제한적이지만 정보사용 지침서를 수립하고, 이를 통해 정보의 공유와 교환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으로 있다. 이러한 기초 작업이 완성되면 실질적으로 태국정부가 기대하는 전자정부 서비스의 기초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공급자로서의 정부

현재까지 우선 급한 순위로 정부 자체 내의 활용을 목적으로 관련 정보통신 프로젝트를 대부분 기안하고 실행하였지만, 대중을 위한

전자 서비스는 아직도 여전히 제한적이다. 그러나 IT-2010의 계획안은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국가적 E-appclication의 실행 계획안을

담고 있다. 이미 소수의 행정기관에서는 온라인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를 위하여 과학기술환경부는 2001년에서 2002년 총 2년간 약

35만 달러를 투입하여 산간 벽지에도 정보 기술이 활용 가능하도록 기반 시설과 교육을 지원하였다.

또한 각 정부기관에서는 2001년부터 2002년까지 대대적인 온라인 정보 서비스 시스템 (On-line Information Service System)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면 투자진흥청의 투자 관련 절차 및 관련서비스, 타이 은행의 금융 경제 정보 온라인 서비스, 국회의 모든

회의록과 입법활동 서비스 등으로써, 이들 작업은 앞서 언급한 정부 정보기술서비스(GITS)의 체계적인 관리하에 진행되었다. 그러나

아직 모든 정부 부처간의 전산화 시스템이 연계되지는 못하고 있어서 전자 대국민 서비스와 관련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One-Stop Service System)의 구축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각 부처간 시스템의 상호 호환성이 낮아서 기술적 개발과 그 응용 문제가 남아

있다 (예: XML 기술 등).

중앙 부처 이외에 관련 지방 정부 기관에도 2001년부터 2002년까지 많은 온라인 정보서비스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등기청은 1,000여 곳의 전국 등기소 중 500곳 이상에서 ID 카드, 거주 및 이전을 전자서비스를 통해서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상업등기부에서는 기업명을 온라인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세무국은 소득세 등 납세 업무를 인터넷 온라인 서비스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현재 세무국은 이와 같은 시스템을 2002년에서 2004년까지 2년 동안 전국 1,500 팀과 8,000개의 터미널을

| 207 |

Page 20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상업 등기청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여, 전국의 5천5백만 회사의 납세 관리를 온라인 서비스할 목적으로, 시스템 확충 및 관련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원자로서의 정부

IT-2000부터 실행된 개념으로 정부는 관련 산업발전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기관으로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 바로 전술한 NECTEC이다. 후기에 자세히 설명을 하겠지만 NECTEC는 IT부문의 연구개발을 장려하기 위해 설립된 것으로

공공기관, 대학 및 정보통신 교육기관 등 관련단체에 지속적으로 자금을 지원하고 있고 NITC의 사무국으로서 국립 정보통신정책을

추진하는 본산이기도 하다. 또한 2차 계획인 IT-2010를 관장하며 각종 관련 홍보행사 및 관련 산업 단지 등의 설립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또한 대기업과 달리 전산화 여력이 부족한 태국 중소기업의 전산화 구축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특히 중앙 부처의 산업부는

산업재원조달공사 (Industrial Finance Corporation of Thailand, IFCT)의 설립을 통해 중소기업에게 관련 자금을 지원하고

전자상거래와 전자 자원 관리 소프트웨어(ERP Software)의 개발 및 사용비용을 조달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

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현재 태국의 법규와 관련 시스템의 운용에는 태국 고유 전통을 기반으로 하는 관습법과 서구의 대륙법이 혼용되어 있다. 태국의

남부지방의 인구 대부분은 무슬림으로 종교법인 코란 법도 적용되고 있다. 정보통신산업과 사회발전을 위한 정책들이 1990년대

초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지만 이러한 사회적 다양성과 기반시설의 부재 등으로 인해 먼저 정보통신산업과 사회의 기반시설에

집중을 하였고, 그 동안 관련 법적기반을 개선 혹은 입안하기보다는 정부의 수상령이나 행정관리지침 등을 통하여 그 법적기반을

뒷받침해 왔다. 어쨌든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관련 법적 기반은 199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개발되었다.

1998년 태국의 국립정보통신산업 및 사회발전을 관장하는 국립정보기술위원회(NITC)와 국립 전자컴퓨터기술 센터 (NECTEC)는

정보화 산업기반 조성을 확대시켜 관련 산업발전과 관련 기술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하여 다음의 여섯 부문의 소위원회를 구성하여

법안을 기안하기 시작하였다.

전자 거래법(Electronic Transaction Act) 전자 서명법(Electronic Signature Law) 컴퓨터 범죄 및 컴퓨터 관련 범죄법(Computer Crime / Computer-Related Crime Law) 데이터 보호법(Data Protection Law) 전자자금 이체법(Electronic Funds Transfer Law) 공통 접근법(Universal Access Law)

이중에서 최근 전자 거래법과 전자 서명법은 2001년 말 의회를 통과하여 인준을 받았다. 이 두 법안을 하나로 재정리하여

전자거래법안(Electronic Transactions Bill)의 이름으로 공포하여 2002년 4월 발효되었다. 이 전자거래법안의 입안 배경은 국민, 기업 및 정부 기관의 통신 및 전자 기술 사용이 어느 정도 구축되어 그 활용이 활발해진 것을 들 수 있는데, 그 목적은 세계적으로 관련

산업과 사회거래관계가 전자거래 성격상 국제적으로 이루어져 이에 대한 태국내의 법적환경을 조성하여 정보기술 활용에 대한

투명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동 법안은 전자거래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인 전자서명의 인증관련 법규가 제도화 됨으로써

그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 208 |

Page 20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990년대 후반부터 정부의 주도로 본격적인 정부 및 금융관련기관에 온라인을 통한 지불거래관계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자금거래의 환경이 이전의 환경과는 달리 전산화된 시스템의 온라인 거래로 이루어져 이에 대한 투명성과 신뢰성

그리고 보안성을 제도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정부는 전자자금이체법(Electronic Fund Transfer, Law)을 제정하기에 이르렀다. 현재

입법안이 여러 관련 국제법규와의 조율 때문에 기안 중에 있지만 곧 국회에 상정되어 발효되리라 추정된다.

그리고 국회상정을 위하여 현재 내각의 인준을 기다리고 있는 중요 정보통신기술 활용법안 중 하나는 데이터 보호법(Data Protection Law)이다. 이는 전자 송신 중 발생할 수 있는 개인 및 기업의 정보 유출을 방지하고, 이를 법적으로 보호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현재 보고된 내용을 보면 데이터 보호법의 골격은 전체적으로 개인 및 기업의 정보를 보호하는 규제와 개인 및 기업의 권리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유럽의 관련 법규들과 비슷하게 만들어졌다. 이는 현재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국경을 넘어선

정보교류와 그 관련 활동에 대한 국제규격의 동일성을 위해 입안하였다. 또한 이 법은 개인 및 기업 정보의 보호권리와 정보기술의

사용으로 인한 정보조사 및 활용의 자율성간의 문제점들을 충분히 조율하였다. 이는 개인 및 기업 정보에 대한 지나친 보호가 정보통신

산업과 사회 발전의 핵심인 인터넷과 관련 시스템을 통한, 정보의 조사와 활용에 대한 규제로 작용함으로써 오히려 관련 산업 발전을

저해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외에도 본격적인 국가의 정보기술 및 활용의 기반 시설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활용하기 위한 국립정보기술기반법(National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s Law)이 내각의 인준을 거쳐 현재 국회에 상정되어 통과를 기다리고 있다. 그리고 또 다른

법 중의 하나인 컴퓨터 범죄 및 컴퓨터 관련 범죄법(Computer Crime/ Computer-related Crime Law)은 현재 국립

정보기술위원회의 최종 입안을 기다리고 있다. 이 법은 컴퓨터와 그 기반시설의 연결과 관련하여 발생될 수 있는 각종 범죄들을

체계적으로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규제를 통하여 관련기술의 활용에 대한 공익성과 안정성을 보장하여 관련산업의 발전과 기술

활용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 2 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태국은 1980년대 이후 기존의 농업 중심의 경제성장에서 급격한 산업화를 이루어내기 위하여 적극적인 외국인 투자 유치 정책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외국인 직접 투자 유치를 통하여 선진자본과 기술을 태국의 값싼 노동력과 결합하여 1980년대 이후 경제구조가

제조업 중심구조로 빠르게 전환했다. 태국의 투자유치 기관인 투자위원회(Board of Investment)의 자료에 의하면 태국에 집중

투자하고 있는 나라는 주로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이다. 1985년부터 2001년까지의 투자건수를 기준으로 할 때 일본이 가장

많은 총 투자건수의 44.8%의 1,745건이고 다음으로 대만(579건)과 싱가포르(283건)이며 미국은274건에 불과하다. 한국은 119건을 차지하였다. 총 투자금액 대비 일본이 41.7%, 미국은 12.2% 그리고 한국은 2.1% 차지하였다.

통계에서 보다시피 태국의 외국인 투자는 건수 면에서나 금액 면에서나 일본이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1980년대 초반부터

일본은 국내의 임금인상과 고비용 경제구조를 타개하기 위해 생산거점 이전을 모색했는데, 이때 태국에 집중적으로 투자를 하였다. 태국은 1980년대 일본의 해외 투자 붐을 배경으로 산업 구조 고도화를 이루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의 경우는 건수 면에서 7번째이며, 금액 면에서 8번째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1997년의 아시아 경제위기 이후 일본은 국내산업의 구조 조정 일환으로

점차 대 아시아투자 집중정책이 약해지고 있다. 투자업종을 보면 초기는 주로 노동집약적인 경공업 위주였으나, 1990년대 들어 전자, 기계, 자동차, 화학 등 중화학공업의 투자가 증가했다. 태국의 산업도 이러한 외국인 투자 경향에 따라 변화되었다. 최근의 태국에 대한

외국인 투자는 전자, 기계, 자동차, 화학 등이 중심을 이루며, 특히 전자, 기계, 자동차 산업에 외국인 투자 의존도가 크다. 전자산업의

경우 80%가 외국인 기업이고, 자동차 역시 대부분 외국인 투자 기업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역시 투자 제조업체 중 전자관련 분야

| 209 |

Page 21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투자가 가장 많아 23%를 차지하고 있다.

태국의 정보통신 산업 발전과 관련해서 이러한 전기전자 부문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는 상당한 공헌을 하였다.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와 달리 이러한 부문이 태국에 집중됨으로써 정보통신사회로 가기 위한 기본적 사회기반시설을 확충하는 데 국내의 관련

제조업이 중요한 기반 역할을 하였다.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2002년 컴퓨터 하드웨어 시장은 약 7억1천만 달러로 이는 전체 IT시장의 60%를 차지하며 대부분의 기반이 되는 워크스테이션과 관련 부품들이 태국 국내 산업으로부터 공급되었다.

상기의 태국의 외국인 투자유치 정책 및 집행을 총괄하는 기관은 투자위원회(Board of Investment, BOI)이다. 이는 투자 장려를

목적으로 설립된 정부기관으로 1977년에 제정된 투자진흥법 (Investment Promotion Act, 1991년 개정)에 의해 조직되었다. 조직은

위원장으로 총리가 임명되고 위원은 관련 경제 및 교역장관 그리고 주요 민간단체 대표와 학계 자문위원으로 구성되는 국가적인

조직이다. 그 하위 조직으로 사무국, 기획개발국, 투자서비스센터, 국제국, 해외사무소 등이 있다. 이 기관의 주요 임무는 외국인 투자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 제공 및 투자보장, 외국인 투자 회사 설립 과정에서 각종 편의와 서비스 제공, 투자 관련 정보 제공 및 해외투자

지원 등을 하는 것이다.

태국의 투자위원회를 중심으로 1991년 개정되고 최근 여러 정책으로 새롭게 발표된 외국인 투자유치정책의 기본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경제에 기여하는 투자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강화, 둘째는 태국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외국인 투자 촉진으로

태국산업의 질 및 생산 기준을 향상시켜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일정금액 이상의 투자를 철저히 관리한다는 것이다. 셋째는 수출

및 국산품 이용규정 철회 방안으로 국제 교역 및 투자에 관한 협정 준수를 위해 협정에 위반되는 생산품의 수출 비율 및 원료의 국산품

이용 규정을 철회한다는 것이다. 넷째는 지역의 균등 발전 목표에 부합되는 투자우대정책으로 저소득 및 저개발지역에 대한 투자는

특별혜택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다섯째는 중소형 투자를 중시하며, 이를 통하여 국내 관련 산업의 기반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투자 장려 분야에 대한 우선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농업 및 농업생산품, 고도기술 및 인적자원개발, 공익 및 사회기반시설, 환경보호, 그리고 기타 정부지정 특정산업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투자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외국인 지분 소유 기준에 관해서는 농업, 축산업, 임업, 광업, 서비스업 혹은 외국인 기업법(Foreign Business Act B.E. 2542) 범주

A에 해당하는 사업은 태국인이 51% 이상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제조업의 경우는 지역에 관계없이 외국인이 다수

또는 전체의 지분을 소유할 수 있다. 태국 정부는 또한 균등지역 발전 및 환경보전을 위해 투자지역을 3개 지역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다. 방콕을 중심으로 방콕에서 가까운 지역일수록 투자 인센티브가 적고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투자 인센티브를

많이 주고 있다.

현재까지 명시적인 정보통신산업 부문에 대한 외국인 투자강화정책이 발표되지는 않았으나 최근 정부의 적극적인 발전의지와 외국인

투자정책의 정책방향을 볼 때 정보통신산업 관련 외국인 투자 정책도 함께 지원하는 부문이기도 하다. 후기에 IT 시장에 대한 내용에서

자세히 설명을 하겠지만 정보통신과 관련하여 한국의 대기업인 삼성, LG, SK 그리고 데이콤도 활발하게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제 3 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태국의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을 위한 여러 정책후원 및 지원기관으로 대표적인 것은 국립 정보기술 위원회(National Information Technology Committee Secretariat, NITC)와 국립과학기술개발국(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Agency,

| 210 |

Page 21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NCTDA)의 두 정부 후원 조직, 전술한 국립전자컴퓨터센터(National Electronics and Computer Technology Center, NECTC)의

관련 국책연구소 그리고 태국 컴퓨터산업협회(Association of Thai Computer Industry, ATCI)의 민간부문 관련산업 참여자들의

협회와 태국 과학기술 대학원(Thailand Graduate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GIST)이라는 최고의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이 있다. 이들 조직의 역할과 활동에 대한 상세한 현황은 다음과 같다.

1. 정부의 정보화 추진 관련 위원회

국립 정보기술 위원회(National Information Technology Committee Secretariat, NITC: http://www.nitc.go.th)는 1989년에

설립한 국립 전자컴퓨터기술 센터 (National Electronics and Computer Technology Centre, NECTEC)의 관련기관으로 1992년

본격적인 정보통신산업 및 사회 발전 정책인 IT-2000을 실행하기 위해 설립한 기관이다. 이의 설립 목적은 태국의 국가적 전산망

개발과 확충을 통한 활용의 극대화를 위해 노력하고 관련 산업의 발전에 대한 발전을 후원하는 기관이다. 세부적인 역할은 일천한

정보통신 활용의 상황에서 정보통신 서비스에 대한 정부 구매활동을 통합하는 프로젝트를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관련 제도적인 기반과

기술적인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러 행정 부문의 통합 관리 네트워크 지원 제도의 구상 및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고, 기업, 보건

그리고 교육 등 여러 부문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서비스 기준 마련 및 전략과 관련 예산 수립을 한다.

또한, 나아가 지역사회와 경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정보통신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사회 기술 위원회를 후원하며, 전자 보건

제도의 운용을 위한 청사진과 전략 수립 및 지적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략을 지원한다. 또한 정부 및 교육 서비스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해 정보기술 사용을 장려한다. 이 외에도 주요한 역할로는 정부의 정보통신 투자에 대한 효과적인 계획, 관리 및 장려를 들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위원회는 정부와 공기업의 정보통신 투자계획과 관리를 감독하고 기술 관련 예산 요청 및 프로젝트의 우선 순위 결정에

대해서 각 행정 부처의 장관 및 국회의원 활동을 지원하는 국가적인 추진기관이다.

2. 정보통신 산업 후원 기관

중앙 정부에서 태국 정보통신산업 및 발전을 위해서 조직한 후원기관으로 국립과학 기술발전기관(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Agency, NCTDA: http://www.nstda.or.th)이 있다. 이 기관은 1991년 12월 29일 국가 과학기술

개발법(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Act)에 의해 설립된 독립 기관이다. 이 기관의 위원회는 정책과 활동을 관리하고

있고 위원장은 과학기술 환경부 장관이 맡고 있으며, 정부와 민간이 같은 수의 위원을 구성하고 있다. 동 기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생명공학, 금속 및 재료공학 기술과 전자 및 컴퓨터의 기초 및 산업기술을 지원한다. 즉, 기업 및 산업에서 필요한 기초 및 기반 기술에

대한 연구와 지원 서비스 수행을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이다. 따라서 적극적으로 민간 부문의 과학기술의 상업화와 기술 벤처 창업 등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자체내 3개 연구소를 통해서 700여 개의 연구사업 및 33여 가지의 기술 개발 관련 프로젝트가 이미 상업화에

성공하였다. 이 기관의 산하에는 유전 및 생명공학 국가센터(National Centre for Genetic Engineering and Biotechnology,

NCGEB), 금속 및 재료공학 국가센터(National Metal and Materials Technology Centre, MTEC) 그리고 국립 전자 컴퓨터

(National Electronics and Computer Technology Centre, NECTEC)의 세 부문으로 나누어져 있다. 세부적인 역할을 보면 다음과

같다.

| 211 |

Page 21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연구개발 정책: 유전공학과 생명공학, 금속 및 재료공학기술 그리고 전자 컴퓨터 기술 관련 개발 재정 지원

관련 전문인력 육성: 국내 관련대학과 연계하여 우수학생과 교수를 지원하며 관련 기반시설 확충을 지원한다. 민간부문 지원: 민간부문의 기술개발에 필요한 개발비용을 우호적인 조건으로 융자를 하거나 동 기관의 전문인력과 연계한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이러한 정책 중 하나가 지난 2001년에 태국의 47개 회사가 대한민국 대전의 테크노마트에

참가할 수 있도록 기술 지원을 하는 등 국내 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경우다.

3. 정보통신산업 협회

태국 컴퓨터산업 협회(Association of Thai Computer Industry, ATCI: http://www.atci.or.th)는 태국 정보통신산업 부문의 협회

중에서 가장 오래된 협회의 하나로 정부에 의한 조직이 아니라 1983년 태국내 컴퓨터기업이 관련 무역박람회를 조직하기 위해 임시로

설립한 협회이다. 동 협회가 시작한 1983년의 IT 무역박람회는 이후 태국의 정보기술산업을 발전시키는 데 상당히 공헌을 하였다.

임시로 설립된 동 협회는 관련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1989년에 공식으로 동 협회를 국가에 등록하고 대내외적으로 컴퓨터 산업의 대표

이익집단으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현재 내부직원 25명으로 총 70여 개의 컴퓨터 관련사를 회원으로 두고 있다. 동 협회의 설립 목적은

회원의 이익을 도모하며, 태국의 정보기술 산업에 공헌하고 나아가 협력을 통해 산업활동을 장려하는 것이다. 또한, 이 협회는 태국 IT

산업의 성장을 위해 기반 시설과 인적 자원을 개발, 지원하고, 회원사, 관련 단체 및 일반기업을 대상으로 지식과 경험, 사업 및

연구활동을 촉진시킨다. 이 외에도 관련 산업계의 필요한 사안에 따른 지원과 조정을 하며 산업계의 다른 협회 및 단체와 협력하여 관련

기관의 이익을 대변한다. 동 협회는 아시아 대양주 컴퓨터산업 기구(Asian-Oceanian Computing Industry Organization, ASOCIO)

와 세계 기술 및 서비스 협회(World Organization Technology and Services Association, WITSA)의 회원 단체이다.

동 협회의 활동으로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영역뿐만 아니라 태국 IT산업의 효율적인 발전을 위한 사회기반시설을 지원하고

소프트웨어 개발을 촉진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이중에서 소프트웨어 개발부문은 상당히 심혈을 기울이며 지원하고 있다. 이

협회는 국립정보기술위원회의 구성원으로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모델 백서를 제출하고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을 도모한다. 또한

회원사의 전자상거래를 지원하기도 한다. 본 협회의 주요 활동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소프트웨어 산업의 방향 설정을 정부 기관과 협력

IT 정책 특히 전자정부 및 정보통신관련법 설정에 정부기관과 협력

지적 재산권과 국제 교역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 구성

산업 내 기업의 의견 수렴을 위한 설문조사

태국의 IT산업의 시장 동향과 투자 및 판매 통계 작성

4. 정보통신산업 연구기관

앞에서 언급한 국립 전자컴퓨터기술 센터(National Electronics and Computer Technology Centre, NECTEC:

http://www.nectec.or.th)는 태국 정부가 정보통신 산업 및 사회 발전을 위한 본격적인 준비 작업의 일환으로 1989년에 설립한

기관이다. NECTEC은 과학 기술부 산하 국가과학기술개발처에 설립된 3개의 기간 센터 중 하나로 그 산하에 정보통신산업 국가정책

수립 조직인 국립 정보기술 위원회(National Information Technology Committee, NITC)를 두고 있다. 현재 약 700여 명의 전문

| 212 |

Page 21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인력을 고용하고 있다. 연구개발과 관련한 주요 사업은 대학, 정부 및 민간 부문의 관련기술의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산업계와 조율한 내부 연구사업을 수행하고 민간부문의 제품 개발에 기술지원하며, 기술 개발 및 취득에 투자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또한 전자 컴퓨터 기술과 관련 분야에 정보를 제공한다.

총 7개의 집행위원회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위원회는 정보기술 정책을 기획하고 공공부문의 정보기술활용을 장려하며, 국제교역을

위한 전자정보 교환을 촉진하고 인적자원 개발 및 계획과 더불어 정보기술의 대중화 그리고 관련 법적기반 구축을 관장한다. 이들의

주요 업적으로는 전국학교의 전산화기반 구축사업(SchoolNet Thailand), 인터넷 정보센터 설립(Internet Information Research

Center) 그리고 전자상거래 자원센터 설립(Commerce Resource Center: www.ecommerce.or.th) 등을 들 수 있다.

5. 교육기관

태국 과학기술 대학원(Thailand Graduate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GIST: http://tgist.nstda.or.th/)은 기술

과학의 경영분야에 전문 인적 자원을 개발하여 지식집약산업을 지향하고 태국의 경쟁력을 제고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이

대학원은 국립 과학기술 개발기관(NSTDA)과 대학교육부(Ministry of University Affairs) 그리고 국내외 주요 대학교와 공동으로

설립한 사이버 교육기관이다. 이 대학원은 하이테크 분야에서 여러 대학의 자원을 공동 활용하게하여 관련 대학원 수의 증가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 대학원 과정은 국가와 지역의 산업동향에 따라 졸업생을 단기에 배출해 내는 기관으로 다음과 같은

관련 교육기구를 두고 있다.

대학원 연구 및 교육 연합(Graduate Research and Education Consortium, GREC) 고급 학습 센터(Center for Advanced Studies, CAS) 공학실습 학교(Schools of Engineering Practice, SEP) 과학경영 학교(School of Technology Management, STM) 태국 훈련 네트워크(Thailand Training Network, TTN) 과학기술 전자출판 프로그램(Science and Technology Electronic Publishing Program, STEP)

| 213 |

Page 21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2 장 - SI 산업 및 시장 동향 분석 – 사례연구 기준

제 1 절: 정보통신산업 및 활용의 일반현황

1. 일반현황

태국의 정보통신산업은 아직 세계적인 수준에는 못 미치지만 상당한 수준까지 정보통신산업이 발달할 수 있는 기반시설과 활용에

도달하였다는 것이 여러 조사기관의 대체적인 평가이다. 태국의 정보통신산업 수준은 싱가포르를 제외한 동남 아시아 국가 중

말레이시아보다는 아직 상대적 평가에서 우월하다고 얘기할 수는 없다. 그러나, 외국 기업에 의한 하드웨어 기반산업과 정부의

체계적인 관련산업과 활용의 지원 그리고 대기업 경제구조로 인한 충분한 최신 기술 개발 및 사업 진출의 역량 등으로, 지난 5년 동안

상당한 수준으로 발전되었으며 향후 동남 아시아 정보통신 시장에서 주목되는 국가 중 하나이다.

최근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의 통계 조사에 따르면, 아시아 14개국 중 IT 분야에 지출이 많은 국가는 일본, 중국

순이며 태국은 11번째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지역시장(2,150억 달러)의 약 1%). 후기에 자세히 설명되겠지만 2002년 태국 IT산업의 규모는 약 18억 6천만 달러로 추정되며, 2006년까지 5년 동안 약 37억2천만 달러로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분야별 시장규모는 하드웨어 71%, 소프트웨어 17%, 서비스분야가 12%를 각각 차지하고 있어 시장 규모로 볼 때는

하드웨어 분야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PC 판매량은 2001년 67만 3천대였으며 2002년에는 76만 8천대까지 판매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02년 전체 PC 판매 중 데스크탑 PC가 82.7%, 노트북 PC 15.6%, 서버급 PC 1.5%를 각각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다음은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세계의 정보통신산업 관련 조사기관(ITU, WISTA, Netcraft와 IDC) 등에서 조사한 통계들을

재구성하여 2002년 9월 발표한 세계 각국 정보통신 일반현황 중 태국의 경우이다. 기존의 자료는 태국의 관련 협회와 국립 전자

컴퓨터 센터 등 여러 기관의 자료들이 있지만 이러한 자료들에 대한 중복성 및 상이성의 문제가 있고, 이러한 자료들은 다시 IDC나 ITU에서 재구성되기 때문에 신뢰성을 높이고 국제비교를 할 수 있도록 세계은행 자료를 재인용하였다.

표 4-1에서 나타나듯이 여러 면에서 정보통신 기반은 1995년과 대비해서 상당한 진척이 있었다. 5년이라는 발전속도 개념을

대비하여 유추해 보면 말레이시아보다는 다소 뒤지지만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1997년 아시아의 외환위기와

그 경제적 여파로 인한 구조조정시기의 정부의 재원부족 등을 감안해보면 더욱 그러하다. 이는 상대적으로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보다

정부와 기반산업이 상대적으로 튼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5년 동안 개인 컴퓨터의 보급이 1995년 인구 천명 당 14.1명에서

24.3명으로 보급되었고, 교육 기관에 배치된 개인 컴퓨터는 8만 8천 9백대에서 2001년 27만 천 5백대로 증가하였다. 특히 정부의

적극적인 정보통신산업과 사회발전 정책에 힘입어 인터넷을 사용하는 인구가 5만 5천명에서 2000년 약 2백30만 명으로 엄청난

확대를 보이고 있다. 인터넷 서비스 공급비가 매월 약 9달러, 연간 약 108 달러로 인도네시아의 150 달러보다는 낮다. 그러나, 2001년

태국의 1인당 GNP가 약 1,970달러인 것을 감안하면 가계에서 부담을 느낄만한 비용이라 하겠다. 정보통신사업 정책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도 1997년 아시아의 외환위기 여파인 구조적 회복문제 때문에 정보통신 지출이 급속하게 증가되지는 못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튼튼한 관련 제조업 기반 그리고 대기업 위주의 경제구조 등의 여건으로 이러한 성장을

달성하였다.

<표. 4-1> 태국 정보통신 기반 일반 현황 (2000년 9월 현재)

| 214 |

Page 21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구분 1995년 2000년

통신

유선전화(천명당) 61회선 92회선

대도시(천명당) 290회선 384회선

무선전화(천명당) 23명 50명

컴퓨터

PC(천명당) 14.1명 24.3명

교육기관 PC 88,900대 271,500대 (*2001년 현재)인터넷

사용자 55,000명 230만 명

서비스 공급비 - 9.0달러 (매월)광대역 망 사용자(전체인구) - 개설중임

정보통신지출($, 백만) 4,464.0 달러 4,751.0 달러

*참고: 2001년 태국 전체인구 약 61.2백만 명

**출처: http://www.worldbank.org/data/countrydata/countrydata.html

2. 상세현황

2-1. 태국 통신산업 현황

태국 통신산업은 1997년 중반까지 20년 동안 호황을 누려왔고 이로 인해 정부나 민간 모두 외자를 유치 네트워크 확장에 엄청난

투자를 해왔다. 그러나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바트화 평가절하로 별도의 안전장치 없이 외자를 유치했던 정부나 기업 모두가 타격을

받았지만, 1999년 이후 태국경제가 회복됨에 따라 시장이 회복되고 있다. 유선 전화 천명당 1995년 약 61회선에서 2000년 92회선까지 성장을 하였지만, 2002년 현재 태국의 전화 가입률은 약 14%로 아직은 낮은 편에 속한다. 다만, 대도시의 전화 가입률은

전국통계 수치보다 5배 가까이 높다. 특히 최근 무선 전화 시장은 급속히 성장해 2001년에 휴대폰 가입자가 1,600만 명에 이르러

보급률이 약 27%에 달했다. 유선전화 기반시설을 설치하는 비용보다 무선전화 기반시설 설치 비용이 더욱 저렴하기 때문에 미국이나

호주 등 다른 선진국과는 달리 무선 전화가 유선전화보다 더 많이 보급되어 있다. 메릴린치의 보고서에 의하면 2006년까지 태국

휴대폰 가입률이 약 53.4% 될 것이며, 동 기간 동안 매년 평균 성장률은 34.6%가 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현재 태국의 가장 큰 이동 통신 회사는 61.8%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AIS이고, 다음으로는 32.6%를 차지하는 DTAC이 있으며, 이외에 신규 주자로서 6%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TA Orange가 있다. 최근 국제정보통신협회(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의 조사에 의하면 태국의 휴대폰 서비스 신규가입자 증가율은 현재 아시아 국가 중 최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 기관의 아시아 휴대폰 서비스 업체들의 가입자수 및 연간 매출액 변동 현황자료에 의하면 태국의 가장 큰 이동 통신

회사인 AIS는 2001년도 12월말 가입자수 481만 명에서 2002년 6월말 무려 54.9% 증가한 745만 명으로 늘어났다. 비록 전체

가입자수가 중국 CMHK사(8,030만 명)의 10%에도 미치지 않으나, 동일 기간 동안의 신규 가입자 수는 약 264만 명으로

CMHK(1,066만 명, 중국)과 Unicom(704만 명, 중국)의 뒤를 이어 아시아에서 3번째로 신규 가입자수가 많이 늘었다. AIS사의 뒤를

| 215 |

Page 21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이어서 태국내 제2의 휴대폰 서비스 업체인 DTAC사의 경우 2002년도의 6개월 동안 신규 가입자수는 420만 명에서 500만 명으로

19%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휴대폰 사용인구의 급속한 증가는 소비 증가, 휴대폰 사용료 인하, 휴대폰 판매 규제 완화 등에 기인한다. 현재 방콕 지역의 시장은 포화 상태이며 휴대폰 판매 업자들은 지방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태국의 이동통신의 주요시스템은 GSM으로 태국의 주요 이동통신 회사인 AIS, DTAC, TA Orange는 모두 GSM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2002년 태국 통신국(Communications Authority of Thailand)은, GSM이 거의 장악하고 있는 태국의 이동통신

시장에 GSM보다 CDMA가 비용 면에서 효율적이고 질이 좋은 네트워크를 제공하며 특히 데이터 전송에는 GSM보다 4배나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는 장점을 내세워, CDMA 시스템의 확산 방안을 마련 관련 다국적기업과 국내통신업자의 참여를 확대시키고 있다. 이

CDMA 시스템은 1997년 이전에도 소개된 바 있으나, 협소한 네트워크, 고가의 사용료와 휴대폰 가격 등으로 시장에서 실패한 바가

있다. 홍콩에 기반을 둔 허치슨 그룹(Huchison Group)이 민영화를 앞둔 태국 통신청 (Communications Authority of Thailand)과

손을 잡고 CDMA의 상업화를 시도하고 있다. Huchison-CAT(Hutchison-CAT Wireless Multimedia Co.)는 2002년 말 방콕과 중부

지역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현재 4,000명의 가입자가 시험 사용 중이며 다음달 말에 태국 동부 지역 네트워크 설치

공사가 끝날 예정이며 22개 중부 지방에 대한 네트워크 공사는 2002년 말로 종료될 예정이다. IT와 관련하여 중요한 것은 새로 선보일

CDMA 시스템이 CDMA 1X라고 불리는 기술로 인터넷을 통한 음성과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시스템이라는 것이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전화를 통한 정보 획득뿐 아니라 온라인거래 및 오락도 가능하다. Huchison-CAT 는 허치슨 그룹이 65% 태국 통신청이 35%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2002년 현재 CDMA 총 가입자는 약 15,000여 명 미만이다.

현재 태국의 통신시장과 관련하여 한국의 SK Telecom이 1997년 태국의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WCS)의 지분 20%를 구입하여 현지 회사를 통한 통신 서비스 시장을 진출하였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당시 CDMA의 시장성 문제 때문에 고전을 면치

못했다. 그러나 한국의 휴대폰 기기들이 삼성을 선두로 하여 상당한 수준까지 시장 진출에 성공하였다. 삼성은 전체 판매량에서

순위에서 밀리지만 수익률은 현지업계 2위로 상대적으로 고급 기종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2002년 1~10월 중 한국이 태국에

수출한 휴대폰은 전년 대비 29% 증가한 1억 7,813만 달러로서 전체 수출품목 중 두 번째로 수출액이 많았다. 다만, 한국제품의

태국시장 점유율이 2%미만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보아 휴대폰 수출액의 대부분이 OEM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2-2. 태국 인터넷 현황

태국의 국립 전자 컴퓨터 기술센터(NECTEC)에 의하면, 1999년 80만 명에 불과했던 인터넷 인구가 2000년에는 230만 명에

이르고, 2001년도에는 460만 명으로 증가했다. 2000년 현재 설치된 총 PC는 1,500만대였으나 2001년에는 1,800만대, 2002년에는 2,100만대로 증가했다. 또한 1999년 태국의 인터넷 시장은 약 3천만 달러에 불과했지만 2003년에는 1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인터넷 이용자의 남녀 비율은 남(53%), 여(47%)이며, 연령별로는 15-24세 54.6%, 25-34세 28.3%, 35-44세 22.7%, 45세 이상이 5.5%로 파악되고 있다. 태국 정부는 태국 정부기관을 고속망으로 연결하는 GINet 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이외에 많은 기업과

학교가 전산망을 구축 중에 있다. 그러나 태국의 전화 가입률은 10%, 컴퓨터 보급률 역시 3.3%에 불과해 인터넷 사용 환경은 사실상

선진국에 비해 열악한 편이다. 대부분의 인터넷 사용자들은 학교와 PC방의 인터넷 시설을 이용하는 형편이다.

태국에는 모두 18개의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있는데 이중 3개 회사 정도만 이익을 내고 있으며

나머지는 모두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는 태국 통신청(Communication Authority of Thailand, CAT)이 모든 ISP 지분의 35% 이상을 갖고 있어 이익의 35% 이상을 사실상 CAT에 지불해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ISP 업체들은 주장하고 있다. 이는 태국 정보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음의 표 4-2는 태국의 주요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nternet Service Provider)와 가입자 수를

| 216 |

Page 21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보여주고 있다.

<표 4-2> 태국의 주요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nternet Service Provider)와 가입자수(2001.2)

ISP 브랜드 가입자수

KSC Commercial Internet Internet KSC 100,000Internet Thailand Inet 80,000Loxley Information Service Loxinfo 35,000C.S. Communication C.S. Internet 27,000A-Net A-Net 20,000Asia Infonet Asia Infonet 10,000Samart Infonet Samart.com 10,000JI Net JI net 10,000출처: Merrill Lynch of Thailand, Internet in Thailand, 2001

2-2-1. 광대역 (Broadband) 인터넷망 현황

태국의 대부분 인터넷 사용자들은 전화선으로 접속하는 Dial-up 방식으로 ISP와 연결하고 있다. ADSL, 케이블 모뎀, ISDN, 위성

모뎀 등 고속 인터넷 서비스가 최근부터 실시되고 있으나 비싼 사용료로 일부 기업에서만 사용하고 있을 뿐 대중화되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ISP들의 인프라 직접 공급을 금지하는 태국 정보통신 시장의 성격 때문에 지연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인터넷

사업자들은 수요가 낮은 현재 고액의 투자를 꺼려하기 때문에 소비자 광대역 인터넷망 제품의 시장 창출이 억제되고 있는 형편이다. ADSL의 가입자는 2000여 명, 케이블 모뎀의 경우 100여 명, ISDN의 경우 4000여 명, 위성모뎀의 경우의 이용자가 200여 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ADSL 주요 공급회사로 Lenso DataCom과 TelecomAsia가 있다. Lenso DataCom 은 TOT와 Lenso group의 합작회사로 1999년 설립되었고 Q-Net 16이라는 제품 명의 ADSL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방콕지역의 지상 회선을 담당하는 TelecomAsia도 1999년부터 ADSL 기술을 시험하여 2001년 7월부터 TA Express라는 이름으로 128 kbps 과 1 Mbps 속도의 ADSL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동 사는 향후 8 Mbps로 증설할 계획이다.

작년 12월부터 무선인터넷 기술의 일종인 WAP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시험 중에 있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태국의 양대

무선통신 서비스 업체인 AIS와 TAC가 모두 실시하고 있으며, 각각 3만 명과 2만 명의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인터넷 사용 가능한

태국의 휴대폰 보급률은 약 27%로 높아 휴대폰을 이용한 인터넷이 급속히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현재 무선 인터넷의 전송 속도는

9.6Kbps에 불과한 실정이지만 AIS와 TAC는 올해 하반기부터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를 통해 115 Mbps까지

속도를 향상시킬 계획이다.

2-2-2. 전자상거래 (E-Commerce) 현황

| 217 |

Page 21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태국의 전자 상거래 수입은 2000년에 9,000만 달러에서 매년 25%의 성장률을 보여 2004년에는 약 123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 수준은 아직 주변 국가에 비하면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소득 수준이 높은 싱가포르와 말레이지아는 태국보다 인구

수는 훨씬 적지만 더 높은 전자상거래 수익을 기록하고 있다. 2001년 5월의 Economist Intelligence Unit의 전자상거래 순위

보고서에 의하면 태국의 전자 상거래 진행 상황은 60개국 중 46위로 상당히 낮게 보고되었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전자상거래가

보편화되기 위해선 저렴한 인터넷 사용비용과 거래비용 그리고 제도적으로 전자 상거래법이 확립되어 있어야 하지만 아직 이러한

기반에 대한 준비가 부족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립 전자컴퓨터기술센터(NECTEC)의 주도로 각종

법규들이 확정되거나 입안을 기다리고 있다.

태국의 B2C 분야는 아직 초기 단계로 대부분의 국민들은 아직 온라인 구매를 꺼리고 있다. NECTEC의 조사에 의하면 태국의 인터넷

사용자 중 18.4%만이 인터넷을 통한 구매 경험이 있다고 한다. 온라인을 통해 구매를 꺼리는 이유는 첫째, 물건을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이고 둘째, 신용카드번호 노출을 꺼리기 때문이다. 태국의 B2B 전자상거래 활기를 띠기 시작한 것은 2000년부터이다. Oracle은

Berli Jucker와 Saha 그룹과 손잡고 B2B e-marketplace를 준비하고 있으며, 태국의 농산물 재벌인 CP그룹 역시 B2B 사이트

(www.asiafreewill.com)를 준비하고 있다. e-banking 분야의 경우 Boston Consulting Group이 태국은 "e-banking 서비스 미개발

지역"이라고 말할 정도로 낙후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 Bank of Asia와 Siam Commercial Bank등이 e-banking 분야에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태국 정부 역시 전자상거래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 여러 정책과 사업들을 주도적으로 펼치고 있다. 1998년부터 상업부가 주관한

ThaiEcommerce.net (1998)이 전자상거래 기반 구축을 위한 시범 프로젝트로 이 서비스를 무상제공 하였다. 2001년의 태국

제조업체 및 수출업체를 장려하기 위한 전자 상거래를 통한 수출 진흥 프로젝트, 산업부 산하 산업진흥과의 웹 포탈 사이트를 이용한

중소기업 전자상거래 지원 정책 등 다양한 시범사업을 하고 있다.

또한 태국은 현재 제공되고 있는 초기 단계의 휴대폰 WAP 서비스로 뉴스, 식당, 주식, 금융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이지만, 태국의 이동 통신 업체들은 휴대폰으로 극장 티켓도 사고, 증권 거래 및 은행 거래까지 할 수 있는 수준인 소위 "m-commerce" 단계까지 발전시킬 계획이다. AIS와 TAC는 올해 말 정도면 휴대폰으로 상거래를 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3. 태국 정보통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산업 현황

2000년 이후 선진국 경제의 전반적인 침체로 인해 IT투자를 꺼렸던 태국 정부와 기업들이 2002년에는 IT분야 투자를 대폭 확대하여

금년도 태국의 IT산업 성장을 이끌었다. 태국 컴퓨터산업협회에 따르면 금년도 태국의 IT시장 규모는 17억 3,570만 달러로 지난해의

15억4,980만 달러보다 약 12%가까이 성장한 것으로 추정했다. 수요시장 별로는 정부의 전자상거래 육성의지와 통신산업에 대한

투자확대계획에 따라, 공공부문이 약 30% 가까이 성장한 3억2,190만 달러에 달하면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고 이어서 1999년과

2000년 초에 대규모 IT투자를 한 바 있는 금융부문이 약 20%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추정했다. 반면, 정부 및 기업부문의

수요증가율이 다소 낮았던 지난 1∼2년 동안 10% 이상의 높은 수요증가율을 보였던 가정부문의 수요는 증가율이 약 3%로 크게

둔화되면서 전체 IT시장의 약 14.7%인 2억5,505만 달러 내외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의 표 4-3은 태국 IT 제품별 시장수요

전망에 대한 태국 컴퓨터 산업협회의 추정이다.

| 218 |

Page 21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4-3> 태국의 IT제품별 시장수요전망, 2002-2003

(단위: 백만 THB)구 분 2002 2003 증감률(%)PC(출하대수) 688,000 750,000 9PC(이하 금액 기준) 29,000 30,000 3Server 3,800 4,300 13데이터통신장비 6,500 8,700 34소프트웨어 12,792 15,000 17IT 서비스 13,000 14,900 15총 계 65,092 72,900 12

출처: 태국 컴퓨터 산업협회(http://www.atci.or.th)

2-3-1. 하드웨어 산업 현황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는 올해 781억6백만 바트(18억6천만 달러)인 태국의 IT 시장이 2006년에는 1,564억2천만

바트(37억2,400만 달러)로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태국에서 2001부터 2006년까지의 IT 분야별 성장률을 보면

하드웨어가 8.3%의 지속적인 성장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올해 분야별 시장규모는 하드웨어 71%로 시장 규모로 볼

때는 하드웨어 분야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2003년에는 하드웨어가 64%로 감소 추세를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PC 판매량은 2001년 67만3천대였으며 2002년에는 76만8천대, 2003년에는 86만6천대가 판매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02년 전체

PC 판매 중 데스크탑 PC가 82.7%, 노트북 PC 15.6%, 서버급 PC가 1.5%를 각각 차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PC 판매 대상 그룹은 가정, 기업, 정부기관, 교육기관 등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중 기업부문이 최대의 시장으로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 가정과 교육기관이다. 정부 기관은 약 10% 미만이나 이는 소비시장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타시장에 비해 적기

때문이다. PC 시장은 수입품 시장과 국산 조립품 시장으로 나눌 수 있는데 작년까지 각각 50%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었으나 조립품 PC의 시장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조립생산업체의 PC는 수입품에 비해 절반 가격인 대당 500-600달러 선에서 판매하고

있다.

IT부문별로는 지난 수년동안 높은 성장률을 보여왔던 데이터 통신시장이 2002년에도 가장 높은 성장률(약 34%)을 보이고 있다. 가장 높은 성장이 기대되는 데이터 통신시장에서는 스위치시장이 6,230만 달러로 전체시장을 주도하고, 이어서 라우터 제품이 4,038만 달러의 시장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1990년대 중반에 인터넷 상업 서비스를 시작한 태국은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인터넷

투자가 상당히 지연되었다가 최근의 경제호조에 따라 인터넷 접근에 필요한 데이터 통신 시장이 급성장하였기 때문이다.

2-3-2. 소프트웨어산업 현황

태국의 2001부터 2006년까지의 IT 분야별 성장률을 보면 소프트웨어 부문이 37.6%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 IT 시장의 성장률 16.5%의 두 배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 시장규모는 하드웨어 71%에 훨씬 못 미치는 17%를

| 219 |

Page 22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2003년에는 하드웨어 64%, 소프트웨어 23%로 예상되어 하드웨어의 경우는 감소 추세이며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부문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다음의 표 4-4를 통해 태국 소프트웨어 제품과 IT 서비스 시장의 추세를 1998년부터 볼 수

있다. 여러 기관의 다양한 자료들이 있지만, 태국 컴퓨터 산업협회의 추정자료를 사용하였다. 아래의 자료에 나타나듯이 소프트웨어

시장은 1998년 대비 2003년은 약 3억 4800만 달러로 세 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2003년에는 IT 서비스 시장보다

강세를 보일 것이라는 예상이다.

<표 4-4> 태국 소프트웨어 제품과 IT 서비스 시장 추세, 1998-2003

단위: 백만 달러

연도

부문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소프트웨어 123 166 210 264 279 348IT 서비스 174 230 235 282 302 346참조: 2003은 추정치 출처: 태국 컴퓨터 산업협회(http://www.atci.or.th)

소프트웨어 시장의 부문별 조사를 보면 전통적으로 응용 솔루션(application solution) 관련 제품이 전체 소프트웨어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한다(2001년 현재 약 1억4천2백9십만 달러). 그러나 2001년 이전에는 약 50% 정도로 2000년 이후부터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어 내고 있다. 이전에는 주로 시스템과 응용 툴에 관한 소프트웨어가 같은 정도의 비중을 시장에서 차지하고 있었으나

2000년을 기점으로 응용 솔루션 제품이 주도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다시 말해 그 이전에는 시장의 성격이 정보기술 활용을 위한 기본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집중한 결과로 이러한 구축이 어느 정도 확보된 이후 본격적인 활용단계로 시장이 넘어가고 있다는 것으로

의미한다.

후기의 태국 SI기업 편에서 자세히 설명을 하겠지만 아래의 표 4-5는 태국의 대표적인 지역 소프트웨어 개발기업으로 현재 태국의

소프트웨어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국내기업들이다. 아래의 표 4-5에서 나타나듯이 대부분의 기업들은 기업의 경영관리 시스템에 대한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이다. 후기에 자세히 서술하겠지만 이러한 것들은 대부분 다국적기업의 제품들을 응용하여 현지화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현지의 적응에 대한 시장 인지도는 좋으나 제품의 독창성과 기술력은 상당히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220 |

Page 22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4-5> 태국기업의 현지개발 소프트웨어 패키지와 공급회사 현황

기업명 Banchiangsoft Prosoft Comtech Solution Corner Business Soft제품명 BC Account ERP Enterprise BENEFIT DOCUMENT

2000POS-Pro Point of Sale

기능 재고정리 시스템

제품구입시스템

회계관리 시스템

신용관리 시스템

경영관리 시스템

회계관리 시스템

제품구입 시스템

부가가치 관리 시스템

원가관리 시스템

재고감사/통제시스템

ISO 9000 관리 시스템 제품구입시스템

원가관리 시스템

세금관리 시스템

정산관리 시스템

웹 사이트 bcaccount.com prosoft.co.th slc1998.com businesssoft.com주요고객 DTAC Shop

FASCINOJohnson & JohnsonPHILIPS LightingNestle Ice Cream

World phone shop Thairakthai Party PublicForeign Currency InternationalCaltex Oil (Lao)NDC Global Services

Siam Commercial BankBangkok HospitalOffice of the Secretarial of the Prime MonistThammasart UniversityStandard Charter BankFurukawa Metal (Thailand) Public

N/A

창립년도 1994 1995 1998 1990특허여부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제품인지도 상 상 상 중

수출가능성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제 2 절: SI 시장 현황

1. SI시장 규모

태국의 SI 시장에 대한 규모는 세계적으로 비교하면 아직은 그 규모가 국제적인 수준에 도달하지 않지만 지난 5년 동안의 추세를

보면 상당히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의 표 4-6의 자료에서 나타나듯이 태국 IT 산업의 전체 시장규모는 2002년 15억1천3백만 달러에 이르고 있다. 이는 1999년 8억1천7백만 달러 대비 약 85% 가 성장한 결과이다. 앞서 언급한 소프트웨어 시장도

| 221 |

Page 22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역시 동 기간동안 약 두 배에 가까운 성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IT 서비스 시장에 대한 추세는 비록 지속적인 성장세에 있지만 타

부문의 성장세에 훨씬 못 미친다. 그렇다 하더라도 1999년 대비 IT 서비스 시장의 규모는 2002년 약 3억 2백만 달러로 30%정도의

성장을 이룩하였고 나아가 2003년에는 3억4천6백만 달러 규모로 추정된다.

<표 4-6> 태국 IT산업과 SI 시장 추세, 1999-2003

단위: 백만 달러

연도

부문

1999 2000 2001 2002 2003

IT 산업 817 1,142 1,324 1,513 1,695소프트웨어 166 210 264 279 348IT 서비스 230 235 282 302 346

참조: 2003은 추정치 출처: 태국 컴퓨터 산업협회(http://www.atci.or.th)

표 4-7은 태국에서 가장 큰 SI 수요시장의 각 부문별 담당자 20여 명등 총 100여 명의 정보활용부서에 있는 관계자들에게 각 부문별

전산화 활용수준을 조사한 통계이다. 설문지는 현재 각 부문의 전산화 활용수준을 정확히 조사할 수 있는 각종 통계자료 등이 미비하여

현재 그 부문에서 전산화를 담당하고 있는 부서와 활용부서 관계자들을 상대로 한 인위적인 활용수준 조사에 해당한다. 이에 따르면, 정부 및 기타 제조업 등이 각각 60%와 55%의 가장 낮은 활용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조사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앞서 언급한

태국 전체의 정보통신산업 현황과 향후 사례조사를 한 각 공공부문 등의 실제 조사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조사는

이렇게 응답한 것보다 더욱 낮은 수치로 나올 수 있다.

<표 4-7> 태국 전산화 활용수준 각 부문별 (2002. 11.)

참조: 완전

활용수준 100%, 대부분활용 75%, 중간정도 50%, 최소활용 25%, 전무 0%

2. SI 주요 기업들

태국은 하드웨어의 60%를 수입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는 90%를 수입하고 있다. IT 서비스의 경우 50-60%를 외국 다국적 기업이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장 상황은 한마디로 외국의 주요 다국적 기업에 의한 시장주도와 국내기업의 현지화 하청을 통한

연계구조로 설명을 할 수 있다.

2-1. 주요 외국기업 및 공급자

SI 시장 부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컨설팅 분야에서는 Pricewater Coopers, Anderson, Ernst & Young, Booz Allen & Hamilton, Deloitte and Touche, KPMG등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중 KPMG, Ernst & Young등은 IT 시스템 설치 및 운영이

전문화되어 있다. 최근의 통계는 없지만 1995년도 이들 컨설팅 회사의 매출은 약 1,900만 달러로 대부분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 222 |

부문별 정부/공공 금융 제조업 서비스 정보통신

전산화 활용수준 60 % 70 % 60 % 55 % 90 %

Page 22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당시 이들의 시간당 비용은 일반 컨설턴트 기준으로 시간당 200-300달러 정도였다.

태국의 소프트웨어 시장에서는 Microsoft, IBM/LOTUS, Oracle, Intel, Sun Micro System와 같은 외국 다국적 기업들이 지배하고

있다. 소프트웨어는 직접판매 또는 현지기업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소프트웨어 시장의 주요 공급업자는 Oracle, SAP, Infomix, Bann, People Soft가 있다. 이들이 장악하고 있는 시장은 대형공급시장으로 정부기관, 은행 그리고 통신과 제조업으로 나누어져 있다. 태국에 소프트웨어 진출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불법 복제이다. 일반적으로 약 70-80%의 제품 불법 복사사용이 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이다. 따라서 이들 주요 다국적 기업들은 중소규모의 시장보다는 앞서 언급한 대규모 공급시장을 주로 선점하고 일반

중소규모의 시장들은 지역기업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유지보수 서비스는 시스템의 규모에 따라 결정이 되며, 시스템 유지보수 60%, PC의 유지보수가 30% 정도를 차지한다. 평균 가격이

1백만 달러의 대규모의 시스템은 대개 판매업체가 유지보수 서비스를 한다. 서비스 가격은 판매가의 10-20%이다. 이 분야의

선도업체는 미국기업인 IBM과 Tandom이다. 중소형 시스템의 유지보수서비스는 Metro Systems, SVOA, Loxley, UCOM, Datamat등 태국업체가 하고 있다. 대개 이들 업체는 Compaq, Hewlett Packard, Sun Microsystems와 같은 미국업체를 대신해 활동하고

있다. 서비스 가격은 판매가의 5-10% 수준이다. PC의 경우는 주로 판매업자가 유지보수를 담당한다. 태국의 PC시장은 수입품의 경우

Acer, Hewlett Packard, Laser, Compaq, IBM등 상위 5개사가 전체 시장의 55%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조립 PC와 경쟁하기 위해

애프터 서비스와 장기간의 보증 기간을 제공하고 있다. 경기 침체 기간에도 하드웨어의 업그레이드 수요는 계속 증가해 왔다.

2-2. 주요 현지기업 및 공급자

앞서 언급하였듯이 태국의 SI시장은 외국의 다국적기업에 의한 시장이다. 현지기업은 주로 그들의 태국 내의 하청관계를 형성하거나

아니면 중소규모의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현지의 컨설팅 회사로는 T.N. Information Systems, Maxite Network, LtdBara Advanced InfoTech, BIG Communications와 Nexus System Resources 등이 있다.

T.N. Information Systems(http://www.tnis.com)의 경우 1946에 설립된 대기업으로 독일의 Siemens의 컴퓨터 부품 수입회사로

성장을 하다가, 1990년대 중반 SI 시장으로 진입했다. 주요 고객으로 Bank of Thailand, Electricity Generating Authority of

Thailand, Telephone Organization of Thailand, Jim Thompson, Carrefour와 Robinson Department Store 등이 있다. Bara

Advanced InfoTech Co의 경우 COMPAQ PC 와 IBM eServer pSeries (RS/6000)의 주요 하청회사로 1994년에 설립되었다. BIG

Communications (http://www.bcl.co.th)는 1985년에 설립되어 주요 고객으로 The Oriental Hotel – Bangkok, U.S Chamber of

Commerce, Srithai Superware PCL, Green Spot Ltd., The Imperial Hotel Group 그리고 ASEFA Co., Ltd. 등이 있다. Nexus

System Resources Co(http://www.nexus-sr.com)는 SAP를 집중적으로 개발하는 기업으로 BMW (Thailand) Company, MMC

Sittiphol Company, Vickem Patana Company와 Siam City Cement Public Company를 주요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태국의 소프트웨어의 90% 이상이 외국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국내생산 소프트웨어 역시 외국 패키지

소프트웨어의 현지화에 불과한 형편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기초적인 회계, 재고, 경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태국에 처음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소개된 것은 1985년이며 이후 주로 정부 분야에서 프리랜서 개발업자나 컨설턴트들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태국 국내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미국 등 선진국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저가 소비층을 대상으로 점차

| 223 |

Page 22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확산되어 가고 있는 중이다. 태국의 소프트웨어업체는 중소규모(종업원 20명 이하) 300개, 대규모(종업원 100명 이상) 20개 정도가

있으며 소프트웨어 기술자는 약 8,000명 정도가 있다. 이들은 주로 기초적인 회계 프로그램, 교육 및 오락 프로그램, 산업용

customized software 등을 개발하고 있다. 이들의 평균 자산은 32만 달러이다. 태국의 비교적 큰 소프트웨어 회사로는 Thai Software Service, Datamat, Soft Square, PummSoft, Extreme, CDG System, ISOFAC, Metrosft, Business Soft등을 꼽을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국내 소프트웨어 생산업체는 비즈니스 관리 소프트웨어(business management software)에

집중하고 있다. 외국산 소프트웨어에 비해 국내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저렴한 구입비와 보수유지비, 외국산 소프트웨어에서

찾을 수 없는 현지화 시스템과 언어 장벽 극복 등이다.

유지보수 서비스는 시스템의 규모에 따라 결정이 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스템공급회사가 대부분 담당을 한다. 대표적인

회사들로 Metro Systems Corporation PLC, CDG Group, Value Systems Co., Datasoft System Co.와 Modernform Integration Services Co. 등이 있다. 교육 훈련의 경우도 컨설팅 회사 혹은 그 용역을 맡은 하청회사들이 대부분 담당을 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회사들로 SVOA Public Co., Network Info Solution, Co., Infowave (Thailand) Co.와 ISONET Company 등이

있다.

| 224 |

Page 22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3장 - 사례조사: 공공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

제 1 절: 정부의 행정부문 (중앙정부, 행정수도)

1. 중앙정부 행정기관

1-1. 중앙정부 행정기관의 조직

태국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정보화 시설 및 활용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앞서 1편의 조사대상의 특징에서 자세히 언급하였듯이 모든

정부의 행정부처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중앙정부 행정부처 총 14개 부처 중에서 조사 가능한 7개 부처를 표본 선택하였다. 본 연구조사

목적인 공공부문의 SI 시장의 현황분석과 관련하여 공공부문 중 가장 중요한 핵심 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중앙정부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수준 부문의 조사를 위하여 1) 부서의 고용규모의 분포, 2) 태국 경제의 직접영향력, 3) 정보통신 산업과의 정치 및 정책적 연관성, 4) 정보통신산업의 수요시장으로서의 중요성, 5) 공공산업부문의 영향력 등을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조사 대상인 7개 부처명과 고용

인원은 다음과 같다.

<표 4-8> 태국 중앙정부의 표본조사 행정부처명과 인원 현황 (2002. 11.)

부처명 상업부 국방부 교육부 재무부 산업부 과학기술환경부

교통 통신부 평균

총인원 5,637 4,600 540,000 33,996 5,650 3,253 17,214 87,193

| 225 |

Page 22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 (Hardware)

2-1-1. 기반 서버 (Server)

가. 서버 수

▷ 현재 태국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서버의 양적분포(0-1,000)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그림 4-1과 같다. 전산화

기반이 되는 서버 수의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중앙정부의 전산화 정책 중 중앙부처의 전산화 하드웨어 측면의 수준과 더불어

중앙부처 중 전산화 정책집중 순위도를 분석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림 4-1> 태국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7

0 1 2

3

4 5 6

1,000

1 – 교육부; 2 – 과학 기술환경부; 3 – 국방부; 4 – 교통 통신부; 5 – 상업부; 6 – 산업부; 7 – 재무부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주요 서버의 수 조사 결과 각 부처 당 1,000여 개의 미만으로 그 중에서 재무부가 가장

많은 수의 서버를 보유하고 있다.- 위의 표에 의하면 상업부와 산업부가 비교적 많은 수의 서버를 사용하고 있다.- 교육부가 가장 적은 수의 서버를 사용하고 있다. 참고로 교육부에는 일반 공립학교의 교사 및 행정요원을 포함한 숫자이기

때문에 통계해석에 이러한 점을 고려해야 한다. - 상기의 그림에서 나타난 표본 조사된 각 부처의 서버 숫자는 물론 그 숫자와 정보화 활용수준과의 정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이러한 것은 후기에 상세하게 각 부처의 고용인원 대비 각종 정보화 기반시설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설명하겠다. - 그러나 이러한 중앙정부의 행정 부처의 서버 숫자의 양적분포도를 통하여 태국 중앙정부의 각 행정부처에서의 정보화

기반의 중요성과 정부의 각 부처 중 우선 순위도를 추측할 수 있다. 즉, 가장 많은 수의 서버가 집중된 부처의 중요성과 가장

적은 수의 서버가 배치된 부처의 낮은 우선 순위도를 통하여 향후 서버공급의 시장에 대한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나. 서버 프로세서 유형

▷ 현재 태국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서버의 주요 프로세서 유형을 통상 사용되는 Mainframe, Intel 그리고 RISC 세

가지의 기본 프로세서 유형을 표본 선택하여 조사한 결과 표 4-9와 같이 나타났다.

| 226 |

Page 22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참고로 Mainframe은 구형의 범용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고, Intel은 중급정도의 서버용으로, 그리고 RISC는 주로 대형

서버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조사는 향후 기반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과 그 유형에 관련된 SI 소프트웨어 시장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표 4-9> 태국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서버 유형 비교 (2002. 11.)

부처명 상업부 국방부 교육부 재무부 산업부 과학기술환경부

교통 통신부 평균

Mainframe 0% 0% 0% 6% 0% 0% 0% 1%Intel 100% 95% 100% 1% 0% 100% 42% 62%RISC 0% 5% 0% 0% 0% 0% 58% 9%기타 0% 0% 0% 93% 100% 0% 0% 28%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재무부와 산업부를 제외한 국방부, 교육부, 과학기술환경부, 상업부는 Intel을 기반으로 하는 서버 프로세서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재무부의 경우 재무부 이전 세대에서 사용하던 Mainframe을 사용하고 있고(6%), 기타 여러 종류의 서버들이 사용되어 향후

SI서비스의 수요가 창출될 가능성이 가장 많다. 또한 산업부의 경우 기타 여러 종류의 서버들이 복잡하게 많이 사용되고 있다. - RISC 기반 서버는 교통부(58%)에서 상당한 수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 이러한 조사에서 보여주는 또 다른 특이한 사항은 태국 행정부처의 네트워크 서버들의 현재 활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각

부처의 규모가 아니라 각 부처의 기능에 있다는 것이다.

2-1-2. 기반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가. 워크스테이션 수

▷ 현재 태국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양적 분포(0-15,000)에 대한 조사 결과는 그림 4-2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워크스테이션의 숫자에 대한 조사는 상기 기반서버와의 연결되어 활용되는 상관관계 및 각 부처의 전산화 활용 지표를 나타낸다.

<그림 4-2> 태국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보유 워크스테이션 수의 비교 (2002. 11.)

7

0

1 2 3 4 5 6

1 – 교육부; 2 – 과학 기술환경부; 3 – 국방부; 4 – 교통 통신부; 5 – 상업부; 6 – 산업부; 7 – 재무부

| 227 |

15,000

Page 22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각 부처 당 15,000여 개 미만으로 그 중에서 재무부가 가장 많은 수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고, 상업부가 재무부

다음으로 많은 수를 보유하고 있다. - 국방부가 3위로 가장 많은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고 교육부의 경우 많은 고용인원으로 인해 가장 적은 수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다. - 뒤에서 자세하게 분석되겠지만, 이는 서버의 숫자와 워크스테이션의 숫자에 따른 상관관계가 일정하게 적용되지 않는다.

나.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유형

▷ 현재 태국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표 4-10과 같다. ▷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는 정보화 활용수준 조사에서 개인에게 부여된 컴퓨터 하드웨어의 기술적

처리능력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조사자료를 통하여 각 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활용수준을 유추할 수 있다.

<표 4-10> 태국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부처명 상업부 국방부 교육부 재무부 산업부 과학기술환경부

교통 통신부 평균

II ( ) 펜티엄 동급 이하 27.0% 7.1% 86.0% 87.5% 24.6% 31.7% 56.7% 45.8% III ( ) 펜티엄 동급 이상 73.0% 92.9% 14.0% 12.5% 75.4% 68.3% 43.3% 54.2%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상업부, 국방부, 산업부 그리고 과학기술부를 제외한 교육부(86%), 재무부(87,5%) 그리고 교통통신부(56.7%)가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유형이 펜티엄II 기종 이하로 낙후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부처는 향후 필연적으로 기종교체가

예상된다.- 상업부, 국방부, 산업부 그리고 과학기술부의 경우 펜티엄III 이상의 최근 기종을 각각 73%, 92.9%, 75.4%, 68.3% 보유하고

있다. - 상기의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조사는 SI시장 관점에서 중요한 몇 가지 사실을 유추하게 해준다. - 향후 중앙정부의 정보화 기반확충과 활용을 위하여 필연적으로 현재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펜티엄 II 기종의 워크스테이션에

대한 기술적 응용을 통한 재활용 SI부문 또는 기종교체로 인한 SI부문의 시장 가능성이 높다. - 그러한 기술적 응용을 통환 재활용 혹은 기종 교체는 오래된 기종의 대부분을 차지고 하고 있는 교육부, 재무부 그리고

교통통신부를 중심으로 일어날 것이다. - 따라서 이러한 부문은 향후 태국 중앙정부의 전산화에 대한 정책의 우선 순위로 나타날 것이다.

2-1-3. 노트북의 활용

▷ 현재 태국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의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표 4-11과 같다. ▷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는 정부의 대국민 행정 서비스의 유연화와 업무의 효율성 향상 등을 위한 수준 높은 SI활용의 발전

단계이므로 향후 정보화 활용 수준과 그 시장을 예측하는 중요지표의 하나이다.

| 228 |

Page 22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4-11> 태국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부처명 상업부 국방부 교육부 재무부 산업부 과학기술환경부

교통 통신부 평균

데스크탑 100.0% 90.2% 100.0% 99.6% 98.7% 96.8% 99.2% 97.8%노트북 0.0% 9.8% 0.0% 0.4% 1.3% 3.2% 0.8% 2.2%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표 4-11에 나타나듯이 정부의 모든 행정부처에서는 노트북의 활용이 상당히 저조하다 (2.2%).- 그 중에서 국방부가 9.8%로 가장 높다. 그 다음이 과학 기술부로 3.2%이다.- 따라서 향후 여러 발전조건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시장에 대한 충분한 가능성이 보인다.

2-1-4.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의 상관관계 종합분석

가.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도

▷ 각 서버 1대당 연결되어 활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수(network client)에 대해 상기의 각 행정부처의 서버 수와 워크스테이션 수를

대비한 결과가 다음의 표 4-12에 자세히 나타나있다. ▷ 이 결과의 해석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은 모든 워크스테이션이 서버에 연결되어 사용된다는 가정 하에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의

수를 단순 대비하였다는 것이다. ▷ 따라서 아래의 표 4-12에서 나타나듯이 앞서 언급한 각 행정부처의 보유 서버 수와 워크스테이션의 수의 상관관계가 일정하지

않다. 다시 말해 각 부처에서 사용되는 서버 1대당 당 워크스테이션의 수는 다르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그러나 정확한 통계는 아니지만 통상 전산화를 도입한 기관에서는 대부분의 개인 워크스테이션을 서버와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연결할 것이므로 이러한 조사 결과에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표 4-12> 태국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2002. 11.)

부처명 상업부 국방부 교육부 재무부 산업부 과학기술환경부

교통 통신부 평균

1 서버 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27.34 30.58 8.33 19.41 2.23 5.73 13.37 15.28

▷ 분석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물론 사용되는 서버의 활용 성격과 유형 그리고 서버자원의 용량에 따라 그 유추결과는 다르겠지만 현재 이러한 사실로 볼 때,

기반 서버 1대당 전체 평균 약 15.28대의 워크스테이션 활용도를 나타내고 있다. - 상업부와 국방부의 경우 기반 서버 1대당 각각 27.34대와 30.58대를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재무부의 겨우 19.41

대를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다. - 교육부, 산업부, 과학기술부의 경우 그 연결수치가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 연결수치가 과도하게 높은 것도 문제이지만

이렇게 너무 낮은 것도 상대적으로 그만큼 서버의 활용도에 상당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229 |

Page 23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나. 고용 인원 대비 PC 보급률

▷ 태국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고용인원대비 개인 워크스테이션의 보급현황에 관한 조사 결과는 표 4-13과 같다. ▷ 이 조사는 각 행정부처의 고용인원 대비 워크스테이션의 수로 나누어 공무원 100명당 몇 대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는지

비율을 산출하여 각 행정부의 워크스테이션 활용도에 대한 지표를 나타낸다.

| 230 |

Page 23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4-13> 태국 중앙 정부의 행정 부처의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2002. 11.)

부처명 상업부 국방부 교육부 재무부 산업부 과학기술환경부

교통 통신부 평균

1 컴퓨터 대당 사용인원수 1.82 7.92 10800.00 2.63 14.79 51.63 67.77 1563.79 컴퓨터 보급률 55.02% 12.63% 0.01% 38.02% 6.76% 1.94% 1.48% 16.55%

▷ 조사 결과에 따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전체 평균 PC 1대당 약 1563.79명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저조한 편이다. 그러나 이는 교육부의 고용인원 때문에

발생하였다. 교육부에는 10,800명의 직원당 1대의 PC가 보급되어 있다. 자세한 통계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학교와

교사들에게 아직 IT 기반 시설이 충분하게 보급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 상업부, 재무부의 경우 상당한 수준으로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과학 기술환경부와 교통 통신부의 경우 예상 외로 상당히

열악한 수준이다 (각각 51.63%, 67.77%). - 이러한 불균형적인 분포를 보면 SI시장 관점에서 여러 가능성을 볼 수 있을 것이다.

2-1-5. 네트워크 주변장치

▷ 태국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와 같이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간의 내외부

시스템을 연결하여 주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Network Peripherals)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가. 네트워크 주변장치 유형

▷ 태국의 중앙정부 각 행정부처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네트워크 주요 연결 장치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표 4-14에

자세히 나타나있다.

| 231 |

Page 23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4-14> 태국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의 전산시스템의 주요 연결장치 현황 비교(2002. 11.)

부처명 상업부 국방부 재무부 산업부 과학기술환경부

교통 통신부 평균

(Hub)허브 39% 56% 62% 30% 6% 54% 41%(Switches)스위치 24% 23% 1% 63% 9% 37% 26%(Bridges)브리지 0% 0% 0% 0% 0% 0% 0%(Routers)라우터 7% 18% 37% 7% 6% 10% 14%

기타 30% 4% 1% 0% 78% 0% 19%

▷ 조사 결과에 따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각 행정부에서 주로 사용되는 장치는 Hub7%) 그 다음으로 Router를 많이 사용한다 (31%)- 부처별로 보면 산업부가 Switch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63%) 그 다음 Hub를 30% 정도 사용한다. 과학 기술환경부의 경우

기타 여러 종류의 전산장치 연결장치를 사용하며 이는 전산화 연결상태가 굉장히 복잡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앞서 조사한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기종에서 최근 기술이 어느 부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지 알 수 있다. 산업부, 상업부

교통통신부, 국방부에서 최근의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는 이전의 조사 결과를 위 표에서도 뒷받침 해주고 있다.

나. 내부 네트워킹 (Intranet)과 외부 네트워킹 (Extranet)

▷ HUB와 Switch는 주로 내부전산 연결시스템으로 사용하고 Router는 주로 인터넷과 같이 외부 연결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앞의

조사 결과를 기능적 지표로 응용하여 다음의 표 4-15에서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전산화 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을

비교하였다. ▷ 표 4-15에서 나타나듯이 대부분의 경우 Intranet 사용률이 81.5%이고 Extranet은 18.5% 가까이 된다. ▷ 그 중에서 재무부가 가장 높은 Extranet의 사용하고 있고 (37%) 그리고 과학 기술환경부가 29%이다. 이 수치를 뺀 나머지

부처의 평균 외부 네트워킹 사용률 수치는 상당히 낮은 편에 속한다.

| 232 |

Page 23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4-15> 태국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2002. 11.)

부처명 상업부 국방부 재무부 산업부 과학기술환경부

교통 통신부 평균

(Intranet)인트라넷 90% 82% 63% 93% 71% 90% 81%(Extranet)엑스트라넷 10% 18% 37% 7% 29% 10% 19%

2-2. 기반 소프트웨어 (Software) - 오퍼레이팅 시스템 (Operating System)

태국의 중앙정부 행정부처 IT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라이센스에 대한 자료는 자료의 성격상 외부 공개를 정책적으로 불허하고

있다. 그 대신에 연구팀은 조사에 채택된 소프트웨어가 각 부서에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2-2-1.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 표 4-16은 태국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 유형 현황을 비교한 것이다. ▷ 표에서 나타나듯이 윈도우 시스템이 행정부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44.4%). 그 중에서 오래된 윈도우 NT4

이하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부처별로 보면 국방부와 재무부는 윈도우 프로그램 중 가장 최신 프로그램인 윈도우 2000 이상을 많이 사용한다 (89.5%,

55.6%).▷ 교육부와 산업부는 유닉스 시스템과 윈도우 시스템을 함께 사용하고 있다. ▷ 과학기술환경부는 윈도우보다 리눅스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리눅스가 오픈 소스 서버 기술을 사용하고

비용면에서 효율적임을 감안하면, 이 부처는 이 기술을 시험적으로 사용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 국방부가 재무부보다 더 최신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 233 |

Page 23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4-16> 태국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 유형 비교(2002. 11.)

부처명 상업부 국방부 재무부 산업부 과학기술환경부

교통 통신부 평균

Unix 5% 50% 4% 22% 0% 58% 23%Linux 5% 17% 1% 0% 64% 26% 19%Novell 0% 0% 0% 0% 0% 0% 0%Windows

- NT4 or below 0% 0% 42% 22% 36% 0% 17%- Win 2000 89% 33% 2% 56% 0% 16% 33%

기타 0% 0% 52% 0% 0% 0% 9%

2-2-2.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 표 4-17은 태국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관한 조사이다. ▷ 자세한 통계는 수집하지 못하였지만, 다음의 여러 요인에 의해 최신 기술이 도입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적 제약,

하드웨어 용량의 한계, 및 신기술 교체에서 얻는 이익의 부재 등). 그러나, 국방부과 교통통신부의 경우 가장 최신 프로그램인 윈도우

2000 이상이 각각 93%, 59% 가까이 된다. 여러 각도의 조사에서도 이는 확인되었으며, 이 두 부서에서는 IT 기술이 최근에

업그레이드 되었거나 도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표 4-17> 태국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라이센스 현황 비교(2002. 11.)부처명 상업부 국방부 재무부 과학기술

환경부 교통 통신부 평균

DOS 0% 0% 0% 2% 0% 0%Windows

- 98 or below 7% 86% 38% 61% 41% 47%- 2000 / XP 93% 14% 12% 0% 59% 35%

기타 0% 0% 47% 37% 0% 17%

| 234 |

Page 23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3. IT관련 연간 예산

2-3-1. 연간 예산 추이

▷ 태국 중앙 정부의 각 행정 부처 전산화를 위해 투입되는 예산 연간 추세의 조사 결과가 다음의 표 4-18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물론

행정부서 자체의 경제적 상황에도 많이 좌우되지만 정부 전체의 예산 배정상 전산화 정책적 우선 순위도를 반영한 것으로 향후 SI 시장의 관점에서 보면 아주 좋은 자료라고 할 수 있다.

▷ 자세한 통계는 아니지만, 아래의 표는 상업부, 재무부에서 2002년 대비 2003년에 IT 재정이 각각 269% 및 117% 인상했음을

보여준다.▷ 교육부에 가장 큰 액수의 재정이 할당되었지만, 광대한 지역에 걸쳐 사업이 수행되므로, 재무부와 같이 최신 기술을 도입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표 4-18> 태국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2002년 11월 현재)

단위: 천 달러 USD부처명 상업부 국방부 교육부 재무부 산업부 교통 통신부 평균

2000 2,093 62,530.09 4,581 30 17,3092001 0 62,790.56 2,860 5 16,4142002 852 5,814 53,504.51 12,326 5.5 14,5002003 ( )추정 3,147 0 26,744 3,657 7 6,711

/연간 증가 감소률 상업부 국방부 교육부 재무부 산업부 교통 통신부 평균

2001 - 100% 0% - 38% - 83% - 55%2002 - 15% 331% 10% 109%2003 ( )추정 269% - 100% - 100% 117% 27% 43%2000 /년 대비 증가 감소률 상업부 국방부 교육부 재무부 산업부 교통 통신부 평균

2001 - 100% 0% - 38% - 83% - 55%2002 178% - 14% 169% - 82% 63%2003 ( )추정 - 100% - 100% 484% - 77% 52%

| 235 |

Page 23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2 절: 지방정부 행정부문

1. 방콕 광역직할시 (태국의 행정 수도: Bangkok Metropolitan Administration, BMA)

중앙정부의 전산화 현황과 별도로 지방정부의 전산화 현황과 중앙 행정부처와의 네트워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많은 지방정부

중에서 전산화 시스템이 가장 나은 태국의 행정수도 방콕을 지방정부 전산화 현황 조사의 대표 사례로 선정하였다. 또한 전체적으로

현재 태국의 지방정부 행정부문의 전산화 수준은 낮기에 지방 정부간의 전산화 활용 수준 현황을 비교 이해하기보다 태국 지방정부

중에서 대표적으로 가장 전산화 기반과 활용이 잘되어 있는 행정수도 방콕 광역직할시에 대한 전산화 현황조사와 그 현황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 비교함으로써 지방정부의 전산화 현황을 이해하고자 한다. 방콕 시정부의 총 고용규모는 총 93,000여 명이다.

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중앙정부의 행정기관과의 정보화 연결관계 분석

2-1-1.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 (Communication Devices)

▷ 방콕 시정부와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의 전산 연결망의 유형에 대한 조사에 대한 결과 아래의 표 4-19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표 4-19> 태국 시정부와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 전산 연결망의 유형 현황 (2002.11.)

모뎀 ISDN ADSL/Cable T1/Leased Line90% 0% 0% 10%

▷ 방콕 시정부와 중앙정부의 주요 연결장치는 모뎀을 통한 방법이다(90.16%). ▷ ISDN, ADSL, Cable 등의 고속 데이터 전송시스템은 사용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앞 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가 전체의 전산화

기반이 아직 부족함을 나타낸다. ▷ 구체적으로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T1/Leased line은 데이터 베이스 공유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2.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Database Synchronisation)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간의 데이터 베이스 공유는 실시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양쪽 데이터 베이스 중 한 곳에 변경사항이

있을 때, 즉시 상대방 데이터 베이스에도 같이 변경됨을 의미한다.

2-2. 기반 하드웨어 (Hardware)

2-2-1. 기반 서버 (Servers) 유형

| 236 |

Page 23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방콕시 정부에서 사용하는 기반 서버의 주요 프로세서 유형 조사 결과는 표 4-20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조사 결과 RISC 서버를 제외한 기타 여러 종류의 서버를 사용하고 있다. 좀더 정밀한 조사가 요구되기는 하지만, 이는 어느 동일한

한 특정 서버를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따라서 여러 많은 종류의 서버를 복잡하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표 4-20> 방콕시 정부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 (2002. 11.)

Mainframe Intel RISC 기타

0% 0% 10% 90%

2-2-2.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유형

▷ 현재 방콕시 정부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표 4-21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 달리, 방콕시는 모든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은 펜티엄 III이 73%이상인데, 이러한 이유는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 달리 방콕시 정부의 전산화가 상대적으로 늦게 시작되어서 최신 기종으로 설치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표 4-21> 방콕시 정부에서 사용하는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유형 (2002. 11.)

II ( ) 펜티엄 동급 이하 III ( ) 펜티엄 동급 이상

27% 73%

2-2-3. 노트북의 활용

▷ 현재 방콕시 정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의 결과는 아래의 표 4-22와 같다. ▷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는 정부의 대국민 행정 서비스의 유연화와 업무의 효율성 향상 등을 위한 수준 높은 SI활용의 발전

단계이므로 향후 정보화 활용 수준과 그 시장을 예측하는 중요 지표 중의 하나이다.▷ 약 3% 정도의 노트북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는데 중앙정부의 평균치인 0.7% 보다 높은 편이지만 아직도 낮은 수치이다.

<표 4-22> 방콕 시정부의 행정부서의 노트북 활용 현황 (2002. 11.)

데스크탑 노트북

97% 3%

2-2-4.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의 상관관계 종합분석

| 237 |

Page 23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가.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도

▷ 방콕 시정부에서 사용되고 있는 서버 1대당 연결되어 활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수(network client)는 약 15.1대로서, 이는

중앙정부의 평균 15.28대와 거의 비슷한 숫자이다. ▷ 그러나 이러한 자료 해석에서 고려해야 하는 부분은 방콕 시정부의 기반 서버와 워크스테이션의 기술적 능력은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것보다 나은 최신 기종이라는 것이다.

나. 고용 인원 대비 PC 보급률

▷ 방콕 시정부의 워크스테이션의 보급현황에 관한 조사에 대한 결과는 표 4-23과 같다. ▷ 방콕 시정부에는 178.5명의 직원 당 1대 꼴로 보급되어 있고 보급률을 계산하면 1%에 불과하며 이는 중앙정부의 16.55% 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이다.

<표 4-23> 방콕 시정부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2002. 11.)

1 컴퓨터 대당 사용인원수 컴퓨터 보급률

178.50 1%

2-2-5. 네트워크 주변장치(Network Peripherals)

▷ 방콕 시정부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와 같이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간의 내외부 시스템을

연결하여 주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가. 네트워크 주변장치 유형

▷ 방콕 시정부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주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한 조사 결과는 표 4-24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중앙정부는 대체적으로 여러 연결장치를 고루 사용하고 있다.▷ 그 중에서 Hub를 네트워크 연결장치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55%), 그 다음으로 Switch가 약 20%, Router는 25% 정도

사용되고 있다.

<표 4-24> 방콕 시 정부의 전산 시스템의 주요 연결 장치 현황(2002. 11.)

(Hub)허브 (Switches)스위치 (Bridges)브리지 (Routers)라우터 기타

55% 20% 0% 25% 0%

| 238 |

Page 23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2-6. 내부 네트워킹 (Intranet)과 외부 네트워킹 (Extranet)

▷ Hub와 Switch는 주로 내부전산 연결시스템을 사용하고 Router는 주로 인터넷과 같이 외부 연결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앞의

조사를 결과를 기능적 지표로 응용하여 방콕 시정부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을 비교하는 다음의 표 4-25를 작성하였다.

▷ 표 4-25에서 나타나듯이 Intranet 사용률은 75%, Extranet 사용률은 25%로 중앙 정부의 Intranet(81%)과 Extranet 사용률

(19%) 보다 높은 수치이다.

<표 4-25> 방콕 시 정부의 전산화 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2002. 11.)

(Intranet)인트라넷 (Extranet)엑스트라넷

75% 25%

2-3. 기반 소프트웨어 (Software) - 오퍼레이팅 시스템 (Operating system)

2-3-1.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 방콕 시 정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는 표 4-26에 나타나 있다. ▷ 조사 결과 방콕 시의 서버 작동환경의 대부분은 기타 여러 종류의 서버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정부 부서와는 다르게

리눅스는 전혀 사용되지 않고 있고, 최신 프로그램인 윈도우 2000의 프로그램이 가장 보편적인 운영환경이다.

<표 4-26> 방콕 시정부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유형 (2002. 11.)

Unix Linux Novell 기타

NT4 or below 2000/XP0% 0% 0% 88% 13% 0%

Windows

2-3-2.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 방콕 시정부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관한 조사 결과는 표 4-27에서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 4-27에 나타나듯이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주요 프로그램은 윈도우 98혹은 그 이하의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73%). 최신 버전인 윈도우 2000/XP의 경우는 17% 정도이다. 최근에 전산화를 하였기 때문에 DOS 모드는 전무하다.

<표 4-27> 방콕 시정부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2002. 11.)

| 239 |

Page 24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DOS98 or below 2000/XP

0% 73% 17% 10%

Windows 기타

2-4. IT관련 연간 예산

2-4-1. 방콕 시정부의 연간 예산 추이

▷ 방콕 시정부에서 자체 전산화를 위해 투입되는 연간 예산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 표 4-28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증가 추세를 보면 2002년 방콕 시에서 IT관련 지출은 대폭적으로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2003년에는 2002년 대비 22%의

증가가 예상된다. 이는 2002년 대폭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2000년과 대비하여 2002년에는 181%가 증가하였고, 2003년에는 243%가 증가하였다. 방콕시가 IT 인프라 구축에 지속적인

투자를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표 4-28> 방콕 시정부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2002. 11.)

단위: 천 달러 USDYear 2000 2001 2002 2003 ( )추정

Spending 605 814 1702 2077 /연간 증가 감소률 35% 109% 22%

2000 /년 대비 증가 감소률 35% 181% 243%

2-4-2. 전산화 부문별 예산 현황 (2002년 기준)

▷ 방콕 시정부의 2002년 전산화관련 연간예산의 부문별 할당액을 수치화 한 결과가 표 4-29에 나타나 있다.

<표 4-29> 방콕 시정부의 2002년 연간 전산화 예산의 부문별 현황 (2002. 11.)

개발 (T&I)교육 및 설치 유지보수 및업그레이드

30% 20% 20% 20% 10%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기타

▷ IT예산 중 60%는 소프트웨어(약 1백만 달러)에 그리고 나머지 30%는 하드웨어에 지출되었다. ▷ 이를 다시 세분하면 소프트웨어의 개발, 교육 및 보수 유지에 골고루 20% 정도 배정되었다.

제 3 절: 일반 공공부문 (우편전신국, 통신청, 철도청)

| 240 |

Page 24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태국 중앙정부 및 지역정부를 제외한 일반 공공부문의 전산화 현황과 활용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SI산업의 가장 대표적인 수요시장인

우편전신국(Post and Telegraph Department. PTD), 통신청(The Communications Authority of Thailand, CAT) 및 철도청(The State Railway of Thailand, SRW)을 사례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이러한 공공 핵심부문의 전산화 현황과 활용수준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향후 관련 부문의 시장에 대한 예측을 하고자 한다.

1. 일반 공공부문 (우편전신국, 통신청, 철도청)

일반 공공부문의 대표적 SI부문 조사대상이 된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행정본부의 인원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4-30>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인원현황 (2002. 11.)

기관명 우편전신국 통신청 철도청 평균

인원 534 20,214 26,412 15720

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 (Hardware)

2-1-1. 기반 서버 (Servers)

가. 기반서버 수

▷ 현재 태국의 우편전신국, 통신청과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서버의 양적 분포(0-50)에 대한 조사 결과는 그림 4-3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이러한 전산화 기반이 되는 서버 수의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일반 공공부문의 전산화 활용수준의 하드웨어 측면을 분석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 241 |

Page 24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그림 4-3>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0 1 2 3

50

1–우편전신국; 2–철도청; 3–통신청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서버 수의 조사 결과 전체 50여 개 미만으로 그 중에서 통신청이 다른 기관에

비해 두 배 이상의 서버를 보유하고 있다.- 철도청과 우편전신국의 서버 수는 10개 미만이다.- 상기의 그림에서 나타난 표본 조사된 주요 공공부분의 서버 숫자는 그 숫자와 정보화 활용수준과의 정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이러한 것은 후기에 상세하게 각 기관의 고용인원 대비 각종 정보화 기반시설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살펴보겠다.

나. 서버 프로세서 유형

▷ 사례대상에서 조사된 현재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주요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은 통상 사용되는

Mainframe, Intel 그리고 RISC 세 가지의 기본 프로세서 유형을 표본 선택하여 조사한 결과 표 4-31과 같이 나타났다.▷ 참고로 Mainframe은 구형의 범용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고, Intel은 중급 정도의 서버용으로 그리고 RISC는 주로 대형

서버용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조사는 향후 기반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과 그 유형에 관련된 SI 소프트웨어 시장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표 4-31>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유형 비교 (2002. 11.)

기관명 우편전신국 통신청 철도청 평균

Mainframe 0% 7% 0% 2%Intel 14% 0% 92% 35%RISC 86% 10% 8% 35%기타 0% 83% 0% 28%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특이하게 각 기관에서 사용하는 주요 서버 프로세서가 각각 다르다.- 우편전신국의 경우 86% RISC를 사용하고 있고, 철도청의 경우 92% Intel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통신청의 경우 기타 여러

서버 프로세서를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다. 유일하게 통신청이 Mainframe도 사용하고 있다. 이는 다른 기관보다 전산화

| 242 |

Page 24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이용이 오래 전부터 되었음을 보여준다.

2-1-2. 기반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가. 워크스테이션 수

▷ 현재 태국의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주요 워크스테이션의 양적 분포(0-1,500)에 대한 조사 결과는 그림 4-4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워크스테이션의 숫자에 대한 조사는 상기 기반서버와의 상관관계 및 각 기관의 전산화 활용 지표를 나타낸다.

| 243 |

Page 24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그림 4-4>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보유 워크스테이션 숫자의 비교 (2002. 11.)

0

1 2 3

1,500

1–우편전신국; 2–철도청; 3–통신청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전체 1,500여대 미만의 양적분포에서 통신청이 가장 많은 수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고 또한 앞서 언급한 서버숫자의

분포와 비슷한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철도청은 우편전신국보다 훨씬 많은 수의 워크 스테이션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서버의 수는 비슷하다. 따라서 이는

서버당 워크스테이션 수가 많음을 의미한다.

나.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유형

▷ 현재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는 표 4-32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는 정보화 활용수준의 기술적 처리능력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조사자료를 통하여

각 기관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활용수준을 유추할 수 있다.

| 244 |

Page 24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4-32>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기관명 우편전신국 통신청 철도청 평균

II ( ) 펜티엄 동급 이하 63.7% 100.0% 17.6% 60.4% III ( ) 펜티엄 동급 이상 36.3% 0.0% 82.4% 39.6%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펜티엄III 이상 기종이 평균 39.6%이다. - 그러나 통신청의 경우 워크스테이션의 펜티엄II 이하의 기종이 100%이다. 향후 필연적으로 이 낙후된 기종의 교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 우편전신국은 펜티엄III 이상의 기종이 36.3%이고 펜티엄II 이하의 기종이 두 배 이상이다(63.7%). 우편전신국은 현재 최신

기종으로 업그레이드 하고 있는 중이거나, 최신 기종을 사용할 수 있는 기반을 도입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철도청의 경우 가장 최신 기종을 보유하고 있다. 펜티엄III 이상의 기종이 82.4%인데, 이는 철도청이 다른 공사들보다 가장

전산화가 늦게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2-1-3. 노트북의 활용

▷ 현재 태국의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에서의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표 4-33과 같다. ▷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는 일반적으로 업무의 유연화와 효율성 향상을 위한 필연적인 SI활용의 발전 단계이므로 향후 정보화 활용

수준과 그 시장을 예측하는 중요지표의 하나이다. ▷ 아래의 표 4-33에 나타나듯이 정부와 공공기관에서 노트북의 활용이 굉장히 미미한 편이다. 그러나 우편전신국은 그 중 가장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 이는 그 업무의 특성에서 나온 것으로 생각되며, 다른 기관보다 거리가 더 먼 지역을 관할하고 그리고 이동하는

직원들의 비율이 높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12.10%)

| 245 |

Page 24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4-33>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기관명 우편전신국 통신청 철도청 평균

데스크탑 87.9% 100.0% 99.3% 95.7%노트북 12.1% 0.0% 0.7% 4.3%

2-1-4.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의 상관관계 종합분석

가.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도

▷ 앞서 분석한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보유 서버 수와 워크스테이션의 수에서 보여주듯이 이 두 지표에 대한 상관관계는

일정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비록 각 서버 1대당 연결되어 활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수(network client)에 대해 정확한 통계자료는 없지만 사례 조사에서 나타난

각 기관들의 각 부문의 통계자료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구성된 통계 지표는 다음의 표 4-34와 같다.

<표 4-34>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우편전신국 통신청 철도청 평균

1 서버 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35.43 22.00 124.33 60.59

▷ 조사 결과에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표에서 나타나듯이 전체적으로 평균 서버 1대당 약 50.60대의 워크스테이션이 배치되어 있다. - 철도청의 통계를 보면 서버 1대당 과다한 수의 워크스테이션이 할당되어 있다 (124.33대). 서버 용량을 고려하지 않고

워크스테이션 수를 늘린 것으로 평가된다. 전 절의 조사에 의하면 철도청이 최신 기술을 가장 많이 도입하였음을 고려하면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적정수인 50-60대를 훨씬 초과하는 숫자이지만, 용량이 충분히 큰 서버를 도입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 통신청은 가장 많은 수의 워크스테이션과 서버를 보유하고 있지만 현재 서버의 용량이 작아 적은 수의 서버밖에는 연결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나. 고용 인원 대비 PC 보급률

▷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워크스테이션의 보급현황에 관한 조사에 대한 결과는 표 4-35와 같다. ▷ 이 조사는 각 기관의 고용인원 대비 워크스테이션의 수로 산출한 것으로 각 기관의 워크스테이션 활용도에 대한 중요한 지표를

나타낸다.

<표 4-35>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 (2002. 11.)

| 246 |

Page 24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기관명 우편전신국 통신청 철도청 평균

1 컴퓨터 대당 사용인원수 2.15 31.68 17.70 17.18 컴퓨터 보급률 46% 3% 6% 18%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통신청이 가장 많은 수의 서버와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지만, 총 직원 당 PC 보급률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대당

31.68명, 보급률 3.16%). 이는 다른 기관에 비해 현장 근무를 하는 직원의 비율이 높기 때문일 수도 있다. - 우편전신국은 직원 PC 보급률은 아주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1대당 2.15명, 보급률, 46.44%). 다른 기관의 비율 및 총

평균에 비하면 상당히 높은 보급률이다. - 철도청은 최신 기종을 보유하기는 하였지만, PC 보급률은 아주 저조하게 나타났다. 이는 철도청 직원의 업무형태가

노동집약적인 이유도 있다.

2-1-5. 네트워크 주변장치(Network Peripherals)

▷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와 같이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간의

내외부 시스템을 연결하여 주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 247 |

Page 24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가. 네트워크 주변장치 유형

▷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주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 결과는 표 4-36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전체적으로 주요 네트워크 연결장치로 Hub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55%). 그 다음으로 Router(24%)와 Switch(20%)를 많이

사용한다. ▷ 통신청에서는 특히 Router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55%). ▷ 우편국과 철도청에서 Router의 사용은 아주 미미한 수준이다. 이는 전산화 기반이 중앙에 집중되어 있고, 지역 사무소 간의 통신

연결망이 충분히 설치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표 4-36>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전산시스템의 주요 연결 장치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우편전신국 통신청 철도청 평균

(Hub)허브 67% 45% 59% 57%(Switches)스위치 27% 0% 39% 22%(Bridges)브리지 0% 0% 0% 0%(Routers)라우터 3% 55% 2% 20%

기타 3% 0% 0% 1%

나. 내부 네트워킹 (Intranet)과 외부 네트워킹 (Extranet)

▷ Hub와 Switch는 주로 내부전산 연결시스템을 사용하고 Router는 주로 인터넷과 같이 외부 연결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앞의

조사 결과를 기능적 지표로 응용하여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Intranet과 Extranet사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표 4-37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 4-37에서 나타나듯이 Intranet 평균 사용률 75%, Extranet의 평균 사용률 25%이다. ▷ 통신청의 경우 Extranet의 사용률이 55%로 Intranet 사용률보다 높다. 이는 통신청이 각 지역별로 산재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따라서 다른 두 기관에서는 지역 사무소와의 연계를 더 개선해야 할 것이다.

<표 4-37>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우편전신국 통신청 철도청 평균

(Intranet)인트라넷 97% 45% 98% 80%(Extranet)엑스트라넷 3% 55% 2% 20%

2-2. 기반 소프트웨어 (Software) - 오퍼레이팅 시스템 (Operating system)

| 248 |

Page 24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2-1.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을 조사한 결과 표 4-38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에서 나타나듯이 특이하게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각 기관마다 분포가 다르게 나타났다.▷ 우편전신국은 유닉스(75%)나 리눅스(12.5%) 등의 윈도우 외의 다른 작동시스템을 사용하였고, 철도청은 윈도우를 사용하고

있었다 (윈도우 NT4 이하 63.6%).

<표 4-38>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기관명 우편전신국 통신청 철도청 평균

Unix 75.0% 0.0% 18.2% 31.1%Linux 12.5% 0.0% 0.0% 4.2%Novell 0.0% 0.0% 0.0% 0.0%Windows

- NT4 or below 12.5% 0.0% 63.6% 25.4%- Win 2000 0.0% 0.0% 18.2% 6.1%

기타 0.0% 100.0% 0.0% 33.3%

| 249 |

Page 25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2-2.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관한 조사 결과 표 4-39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전반적으로 윈도우 98이나 그 이하의 작동시스템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철도청의 경우 윈도우 98이나 그 이하의 시스템을 99.2% 사용하고 있다. ▷ 통신청의 경우 설문에 답하지 않았다.

<표 4-39> 태국 우편전신국, 통신청 및 철도청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기관명 우편전신국 통신청 철도청 평균

DOS 0.0% 0.6% 0.3%Windows

- 98 or below 62.5% 99.2% 80.8%- 2000 / XP 37.5% 0.3% 18.9%

기타 0.0% 0.0% 0.0%

2-3. IT 관련 연간 예산

2-3-1. 연간 예산 추이

▷ 태국 통신청의 IT 예산 내역은 대외비로 취급되어 보고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태국 우편 전신국과 철도청에서 자체 전산화를 위해

투입되는 연간 예산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표 4-40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우편전신국의 IT 지출은 2001에 전년 대비 2배의 증가를 보인 후 감소 추세이다. 이는 현재 IT 기반이 최신 기술로 업그레이드

되어, 추가 지출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2003년 예산에서 추가 삭감을 보인다. ▷ 태국 철도청의 IT예산은 반대의 추세를 보인다. 2001년과 2002년에는 200%의 증가 추세를 보이고 2000년 수치와 비교하여

2004년에는 2,500%의 증가를 보였다. 향후 IT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250 |

Page 25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4-40> 태국 우편전신국과 철도청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2002. 11.)

단위: 천 달러 US$기관명 우편전신국 통신청 철도청 평균

2000 629,069 4,977 60 211,3692001 350,000 193 175,0972002 350,000 695 175,3482003 ( )추정 280,000 1,597 140,799

/연간 증가 감소률 우편전신국 통신청 철도청 평균

2001 - 44% 222% 89%2002 0% 260% 130%2003 ( )추정 - 20% 130% 55%2000 /년 대비 증가 감소률 우편전신국 통신청 철도청 평균

2001 - 44% 222% 89%2002 - 44% 1058% 507%2003 ( )추정 - 55% 2562% 1253%

2-3-2. 전산화 부문별 예산 현황 (2002년 기준)

▷ 표 4-41은 상기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예산의 부문별 할당액을 수치화 한 것으로 각 기관의 전산화와 관련하여 우선 순위

부문을 잘 보여주고 있다. ▷ 2002 년도에 우편전신국은 그 예산 전체를 관리와 업그레이드에 지출하였다. 이는 위의 예산 추이에서도 볼 수 있다.▷ 철도청은 하드웨어에 더 큰 지출을 하였다. 이는 IT시스템 개발이 최근에 이루어졌고, 작업 환경의 전산화로 이전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2003년도에 전산화는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 251 |

Page 25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4-41> 태국 우편전신국과 철도청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의 부문별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우편전신국 통신청 철도청 평균

하드웨어 0% 54% 27%소프트웨어

개발 0% 27% 14% (T&I)교육 및 설치 0% 3% 2%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 100% 7% 54%기타 0% 9% 5%

제 4 절: 공기업 혹은 민영화된 공기업 (타이은행, 타이항공사)

국가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개발도상국의 대부분 국가에서는 아직 국립은행과 항공사가 공기업 혹은 공공기관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조사에서 은행과 항공사를 선택한 이유는 첫째, 향후 경제성장과 세계화 추세를 볼 때, 가장 민영화에 민감할 수 있는 공공

부문이다. 둘째는 전산화 기술과 활용수준이 가장 높은 SI 수요시장인 금융산업과 항공산업의 대표사례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SI 시장의 핵심부문의 전산화 현황과 활용수준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향후 관련 부문의 시장에 대한 예측을 하고자 한다.

1. 타이 은행, 타이 항공사

조사 대상이 된 태국 타이은행(Bank of Thailand, BT)는 재무부(Ministry of Finance)의 직접통제 하에 있는 태국 최대의

중앙은행으로 모든 금융기관을 감독하고 있다. 현재 각 지역의 지점을 포함한 총 고용인원은 5,050여 명이다. 또 다른 조사 대상인

태국 타이항공(Thai Airways International Public Company Ltd, TAI)는 태국의 최대의 항공사로서 약 23,781 여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 252 |

Page 25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 (Hardware)

2-1-1. 기반 서버 (Servers)

가. 서버 수

▷ 현재 태국의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에서 사용되는 서버 수의 양적분포(0-150)에 대한 조사 결과는 그림 4-5에 나타나 있다. ▷ 이러한 전산화 기반이 되는 서버 수의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정부의 공공부문 다음으로 SI 시장에서 가장 큰 수요자 역할을 하고

있는 금융과 항공관련 기업들에 대한 전산화와 하드웨어 측면의 SI 시장 동향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림 4-5>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0 1 2

150

1–타이 항공; 2–타이 은행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150대의 서버 미만으로 상당한 수준이다. 현재 조사된 태국의 모든 기관보다 높은 수준이라 할 수 있다.- 타이은행이 타이항공보다 약 1.5배에 가깝게 많은 수의 서버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주요이유는 중앙은행이자 가장

핵심적인 국책 금융기관이므로 특성상 통상 타 업종보다 많은 서버를 보유하고 있고 또한 전국적으로 많은 지점들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 상기의 그림에서 나타난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서버 숫자는 물론 그 숫자와 정보화 활용수준과의 정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이러한 것은 후기에 상세하게 각 기업의 고용인원 대비 각종 정보화 기반시설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살펴보겠다.

나. 서버 프로세서 유형

▷ 현재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에서 사용되는 주요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은 통상 사용되는 Mainframe, Intel 그리고 RISC 세

가지의 기본 프로세서 유형을 표본 선택하여 조사한 결과 표 4-42와 같이 나타났다.▷ 참고로 Mainframe은 구형의 범용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고, Intel은 중급 정도의 서버용으로 그리고 RISC는 주로 대형

서버용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조사는 향후 기반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과 그 유형에 관련된 SI 소프트웨어 시장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 253 |

Page 25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4-42>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 비교 (2002. 11.)기관명 타이은행 타이항공 평균

Mainframe 0% 6% 3%Intel 88% 78% 83%RISC 12% 16% 14%기타 0% 0% 0%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은 Intel을 서버에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88%, 78%). IT의 신기술을 금융부문에서 가장 먼저 도입하는

추세를 감안하여 타이은행은 노후된 시스템을 가장 먼저 Intel 서버로 변환시켰을 것으로 추정된다. - 타이항공 역시 노후화된 시스템을 Intel 서버로 이전하고 있으며, 그래도 아직 Mainframe을 6% 정도로 사용하고 있고 RISC

는 16% 정도 각각 사용하고 있다. - 이러한 것은 지역적인 망을 갖고 있는 금융기관과 항공업종의 대표적인 현상으로 중앙의 행정본부에는 Mainframe을

사용하고 지역적으로는 Intel 시스템을 운용한다.

2-1-2. 기반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가. 워크스테이션 수

▷ 현재 태국의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에서 사용되는 주요 워크스테이션의 양적분포(0-5,000)에 대한 조사 결과는 그림 4-6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워크스테이션의 숫자에 대한 조사는 상기 기반서버와의 상관관계 및 각 기업의 전산화 활용 지표를 나타낸다.▷ 조사 결과 전체 5,000여 대 미만으로 두 기관의 워크 스테이션 수는 다른 어떤 기관보다 많다. 양 기관 모두 업무의 규모와 각

사업부문에서의 중요성으로 보아 IT 네트워크의 규모도 상당히 큰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림 4-6>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보유 수 현황 비교 (2002. 11.)

0 1 2

5,000

1–타이 항공; 2–타이 은행

나.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유형

▷ 현재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표 4-43과 같다. ▷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는 정보화 활용수준의 기술적 처리능력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조사자료를 통하여

| 254 |

Page 25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각 기업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활용 수준을 유추할 수 있다.

<표 4-43>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기관명 타이은행 타이항공 평균

II ( ) 펜티엄 동급 이하 71.1% 30.0% 50.6% III ( ) 펜티엄 동급 이상 28.9% 70.0% 49.4%

▷ 조사 결과,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타이항공은 펜티엄III 이상의 최신 기종의 보유율이 70%에 이른다. 반면에

타이은행은 펜티엄II 이하의 기종이 71.1%를 차지할 정도로 현재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가 상당히 낙후되어 있으며, 향후 기종

전환이 크게 필요함을 보여준다. ▷ 타이항공은 이미 상당수 최신 기종으로 IT 기반을 개선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IT 기반 개선 여지가 없어진 것은 아니다.

가까운 장래에 타이항공에서는 IT 투자와 관련하여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보다는 수익률을 더 향상 시킬 수 있는 분야에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예: 사용자 훈련 및 현 전산화 기반의 효율적 사용 방안 등).

2-1-3. 노트북의 활용

▷ 현재 태국의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에서의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의 결과는 아래의 표 4-44와 같다. ▷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는 일반적으로 업무의 유연화와 효율성 향상을 위한 필연적인 SI활용의 발전 단계이므로 향후 정보화 활용

수준과 그 시장을 예측하는 중요지표의 하나이다.▷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타이은행은 11.1%이고 타이항공은 전무하다. 타이항공에서는 사내에 노트북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이유는 보안상의 이유로

데스크톱에 거의 의존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표 4-44>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기관명 타이은행 타이항공 평균

데스크탑 88.9% 100.0% 94.4%노트북 11.1% 0.0% 5.6%

2-1-4.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의 상관관계 종합분석

가.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도

▷ 비록 각 서버 1대당 연결되어 활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수(network client)에 대해 정확한 통계자료는 없지만 사례 조사에서 나타난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각 부문의 통계자료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구성된 통계 지표는 다음의 표 4-45와 같다.

| 255 |

Page 25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두 기관 모두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연결상황을 볼 때 사용량 적체나 비효율적인 사용을 보여 주지는 않는다.

<표 4-45>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타이은행 타이항공 평균

1 서버 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32.85 39.06 35.95

나. 고용인원대비 PC 보급률

▷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워크스테이션의 보급현황에 관한 조사에 대한 결과는 표 4-46과 같다. ▷ 이 조사는 각 기관의 고용인원 대비 워크스테이션의 수로 도출한 것으로 각 기관의 워크스테이션 활용도에 대한 중요한 지표를

나타낸다.

<표 4-46>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타이은행 타이항공 평균

1 컴퓨터 대당 사용인원수 1.12 9.51 5.32 컴퓨터 보급률 89% 11% 50%

| 256 |

Page 25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타이은행은 거의 모든 직원이 PC를 보유하고 있다 (1대당 1.12명).- 타이항공의 경우 비교적 낮은 보급률을 나타내고 있다 (1대당 9.51명). 이는 항공기 승무원, 지상 직원 및 엔지니어등이 개인

전용 PC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고용인원이 포함된 것으로 추정되며, 따라서 PC사용을 사무실용과 기술 및 승무원용으로

분류하면, 타이 은행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낼 것으로 추정된다.

2-1-5. 네트워크 주변장치 (Network Peripherals)

▷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와 같이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간의 내외부

시스템을 연결하여 주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가. 네트워크 주변장치 유형

▷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주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 결과 표 4-47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타이항공은 주요 네트워크 연결장치로 역시 Hub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88%). ▷ 그리고 타이은행은 Switch를 많이 사용한다 (71%). 이는 은행에서 불필요한 데이터를 최소화하려는 시도임을 보여준다.▷ 두 기관에서 Router의 사용은 아주 낮게 나타났다. 두 기관 모두 지역사무소와는 Router를 사용한 데이터 공유관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 257 |

Page 25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4-47>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타이은행 타이항공 평균

(Hub)허브 21% 88% 55%(Switches)스위치 71% 4% 37%(Bridges)브리지 0% 0% 0%(Routers)라우터 7% 9% 8%

기타 0% 0% 0%

나. 내부 네트워킹(Intranet)과 외부 네트워킹(Extranet)

▷ HUB와 Switch는 주로 내부전산 연결시스템을 사용하고 Router는 주로 인터넷과 같이 외부 연결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앞의

조사를 결과를 기능적 지표로 응용하여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Intranet과 Extranet사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표

4-48에 자세히 나타나있다. ▷ 표 4-48에서 나타나듯이 Intranet 사용률이 평균 92% 정도이고 Extranet의 사용률은 8%에 달한다. 향후 인터넷 이용과 최신

기술 이용에 급속한 진전이 있으리라 예상된다.

<표 4-48>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타이은행 타이항공 평균

(Intranet)인트라넷 93% 91% 92%(Extranet)엑스트라넷 7% 9% 8%

| 258 |

Page 25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2. 기반 소프트웨어 - 오퍼레이팅 시스템

2-2-1.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조사 결과 표 4-49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표 4-49>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기관명 타이은행 타이항공 평균

Unix 12.4% 16.7% 14.5%Linux 0.0% 0.0% 0.0%Novell 36.5% 0.0% 18.2%Windows

- NT4 or below 14.6% 83.3% 49.0%- Win 2000 36.5% 0.0% 18.2%

기타 0.0% 0.0% 0.0%

▷ 표에서 나타나듯이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에서는 윈도우시스템이 주요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 사용된다. ▷ 타이은행에서 윈도우를 다른 작동환경보다 약간 많이 사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다른 작동환경의 서버를 통합하는 게이트웨이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 노벨 서버를 사용하고 있는 기관으로는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타이항공은 유닉스와 윈도우 기반을 사용한다. 윈도우가 주 작동환경이지만 유닉스는 중앙 예약제도 Central Reservation

Systems (CRM)를 운영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향후 윈도우 2000 혹 NET을 사용하여 모든 작동환경을 통합할 가능성이 있다.

| 259 |

Page 26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2-2.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 두 기관 모두 워크 스테이션의 작동환경에 대하여는 자료 공개를 거부하였다. ▷ 그러나, 서버 작동환경과 비슷할 것으로 생각되며, 최신 기종보다는 노후된 기종이 더 많이 사용될 것으로 추정된다.

2-3. IT관련 연간예산

2-3-1. 연간예산 추이

▷ 표 4-50은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자체 전산화를 위해 투입되는 연간 예산의 현황을 비교한 것이다. ▷ 충분한 자료가 제공되지 않았지만, 2003년에 타이은행은 IT 예산을 삭감하였다. 대부분의 기관에서 Y2K이전 또는 인터넷 사용

급증 시기에 전산화 기반 개선을 빠르게 추진한 결과라고 추정된다. ▷ 타이항공도 비슷한 추세에 있다. 타이항공은 타이은행보다 두 배의 예산을 배정하고 있다.

| 260 |

Page 26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4-50>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2002. 11.)

단위: 천 US$기관명 타이은행 타이항공 평균

2000 34,884 34,8842001 62,791 62,7912002 29,000 55,814 42,4072003 ( )추정 27,000

/연간 증가 감소률 타이은행 타이항공 평균

2001 80% 80%2002 - 11% - 11%2003 ( )추정 - 7% - 7%2000 /년 대비 증가 감소률 타이은행 타이항공 평균

2001 80% 80%2002 60% 60%2003 ( )추정

2-3-2. 전산화 부문별 예산 현황 (2002년 기준)

<표 4-51> 태국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의 2002년 전산화 예산의 부문별 투입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타이은행 타이항공 평균

하드웨어 42% 45% 44%소프트웨어

개발 30% 16% 23% (T&I)교육 및 설치 1% 5% 3%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 15% 8% 12%기타 12% 26% 19%

▷ 표 4-51은 상기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 예산의 부문별 할당액을 수치화한 것으로 각 기관의 전산화와 관련한 우선 순위

부분을 잘 보여준다. ▷ 타이은행 및 타이항공 두 기관 각각 하드웨어 구입에 42%, 45%씩 지출하였다. ▷ 다른 기관과는 달리, 타이은행과 타이 항공은 소프트웨어 개발에도 상당한 규모의 예산을 배정하고 있는데, 특히 타이 은행은 그

서버 기반이 여러 종류의 서버를 동시에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통합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훈련과 설치 비용이 다른 분야보다 현저히 뒤지고 있다. 사용자가 훈련되어 있어야, 최대한으로 가능한 효과를 낼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기관에서는 이 분야에 대한 투자가 적음을 보여 준다.

| 261 |

Page 26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말레이시아 정보통신산업 및 SI 산업 현황

제 1장 – 정보통신산업 관련 국가정책과 환경

제 2장 - SI 산업 및 시장 동향 분석

제 3장 – 사례조사:공공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

| 262 |

제5편

Page 26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1장 – 정보통신산업 관련 국가정책과 환경

제 1 절: 정보통신산업의 개발정책과 법적제도

1. 정보통신산업의 개발정책 현황

말레이시아 정부는 1990년대 중반부터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체계적인 정책을 실행하기 시작하였다. 최초의 종합적인 정책은 1994년 구성된 총리실 직속의 자문팀에 의해

구체화된 ‘비젼 2020(Vision 2020)’이다. 이 계획은 말레이시아가 2020년까지 선진국에 도달하기 위한 경제 및 사회개발

종합계획인데, 이 중 가장 중요한 한 부문을 차지한 것이 바로 정보통신산업에 대한 산업기술 개발과 산업화 정책이다. 즉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을 통하여 신경제의 기반을 형성함으로써 2020년까지 현재 말레이시아의 경제수준을 선진국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원동력으로 삼고자 하는 국가전략인 것이다. 이와 관련한 실질적인 추진을 위하여 조직된 기관이 국가정보기술위원회

(National Information Technology Council: NITC(www.nitc.org.my)이다.

말레이시아 총리가 직접 의장직을 맡고 있는 국가정보기술 위원회(NITC)는 말레이시아 마이크로일렉트로닉 시스템협회(Malaysian

Institute of Microelectronic Systems: MIMOS)는 정보통신 기술과 관련된 모든 실행 계획을 집행하는데, 관련 정부기관은 물론

일반공공부문 그리고 기업을 포함한 사회의 여러 이익집단이 위원으로 참여하는 범 국가적인 조직이다. 이 위원회는 1996년 12월

말레이시아를 지식기반 사회(Knowledge-based society: K-society)로 빠르게 전환시키고 이에 필요한 정보통신기술의 적극적인

활용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국가 IT아젠다(National Information Technology Agenda: NITA) 정책과 관련사업을 본격적으로 펼치기

시작하였다. 동 사업은 사람, 기반 그리고 응용이라는 세 가지 토대 위에서 모든 실행계획이 입안되고 실행되었다. 즉, 정보통신산업

사회로의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관련기술, 충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반시설을 갖추고, 이를 효율적으로 조합 응용해

나감으로써 좀더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정보통신기술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각 부문별 실행계획을 입안하여 범국가적으로 정보통신

기술과 산업을 발전시키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범국가적인 계획의 일환으로 정보통신기술 산업 사회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환경들을 제 7차 말레이시아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96-2000) 틀 안에서 체계적으로 진행하였다. 비록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로 인해 추진되었던 정책들이 기대에 미치지를

못하였지만, 싱가포르를 제외하고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고 체계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 2000년 이전까지 추진된 이들

정책들 중에서 상당한 효과를 내었던 주요 내용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뒤에 상술하겠지만, 먼저 관련 법규의 입안과 재정비를 통한 제도적 환경 구축면에서 다른 어떤 동남아시아

국가보다 신속하고도 체계적으로 도입하였다. 즉, 디지털 서명법(1997), 컴퓨터 범죄법(1997), 원거리의료법(1997) 그리고 저작권법

(1997)과 같은 정보통신 관련 법령들이 신속하게 1990년대 후반 제정되었다. 이러한 법령에 의하여 다른 동남아시아보다 전자문서의

법률책임 그리고 인터넷의 지적 재산 소유권 보호 등을 빠르게 제도화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상기 부문에 대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 263 |

Page 26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불법복제에 대한 오명을 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법규들의 도입으로 말레이시아에서 소프트웨어 저작권 침해 비율을 1995년

77%에서 1999년 71%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통신 및 멀티미디어법(Communication and Multimedia Act: CMA. 1998)을

도입하여 다른 아시아 국가들보다도 훨씬 빨리 관련 시장을 개방함으로써 외국인 직접투자 및 시장경쟁력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법규들을 통하여 제도적 환경을 조성하고 또한 다양한 정보통신산업 정책을 통하여 관련 기업들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예컨대, 1995년 컴퓨터 및 부품에 대한 판매세를 철폐 등 재정보조금 혹은 특별 특혜정책을 실시함으로써

관련산업의 성장 및 구매 활용을 꾀하였다. 또한 관련산업의 신속한 성장을 위한 재정후원의 일환으로 1999년, 한국의 코스닥이나

미국의 나스닥과 같은, 말레이시아 메스닥 (MESDAQ)을 설립하여 정보통신기술 벤처기업을 지원하였다. 1999년 4월 개장 이래 현재

첨단 전자, 정보통신기술, 전자통신, 생명공학, 항공 등 최첨단 기술부문에 12개의 벤처기업들이 등록되었다 (3A, Btech, Discomp,

IE, Iris, Motra, MCM Tech, Palette Multimedia, Puc, Supercomal Technologies, Willow, YTLE). 또한 메스닥은 외국인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이 부문 투자금 송출을 외환관리법에서 면제해 주고 있다

또한 말레이시아 정부는 정보통신기술의 사회적 기반 구축과 적극적인 사회적 활용 관련 기술과 산업 활성화 노력의 일환으로 다양한

사회 후원정책을 실행하였다. 즉, 1999년 고용공제기금(EPF) 가입자를 상대로 컴퓨터 구입을 위한 기금인출을 허용하여 컴퓨터

구입을 적극 장려하였다. 이 정책이 실행된 이후 24만5,460명의 신청인 중 199,293명(총 6억 6천 5백 3십만 링깃)이 컴퓨터를

구입하였다. 또한 정부와 기업의 협동으로 ‘1가구 1컴퓨터’라는 컴퓨터 소유 캠페인(PC Ownership Campaign)을 2000년부터

시작하였다. 또한 1996년 농어촌 및 산간지역의 정보통신기반 및 활용의 확대를 정책으로 Gerakan Desa Wawasan을 시행했다. 동

정책은 지역개발 안보위원회(Village Development and Security Committees)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의 효율적인 자치운영을

지원하고 지역단위의 정보통신기술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하여 관련 기반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2000년 이후 인터넷

시범사업 지역을 선정하여 체계적인 확산 정책을 실행한 결과, 현재 전국적으로 약 12개의 지역 시범 사업소가 설립되어 전국적인

정보통신기술의 사회적 활용에 기반이 되고 있다. 또한 말레이시아 정부는, 일반 국민의 정보통신 기술 활용에 대한 인식전환과

활용방법 및 관련 기초 인적자원을 양성하기 위해, 1998년 정보통신기술 훈련을 지원하는 인적자원개발기금(Human Resource

Development Fund, HRDF)을 조성했다. 동 기금은 일반 국민 및 근로자의 정보통신활용 기술 습득을 목표로 설립되었는 바,

정보통신기술의 체계적인 확산에 밑거름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말레이시아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로 인한 경제불황으로 인해 애초의 목표와 의도와는

달리 상당히 고전을 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정보통신의 사회적 기반확대를 목표를 한 고용공제기금의 활용정책은, 초기의 의도와

달리 경제불황으로 인한 전용이 심하여 결국 2002년에 철폐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7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1996-2000)

기간 동안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어냈다. 동 계획 기간 동안 정보통신기술 투자가 1995년 38억 링깃에서 2000년 59억 링깃으로 년

9.2% 증가했다. 또한 민간부문이 정보통신기술 지출에 있어서 년 44.1%의 성장을 기록했다. 개인 컴퓨터 숫자는 1995년에 60만여

대에서 2000년 220만 대로 증가했고, 인구 천명 당 컴퓨터 수 역시 1995년에 29.5명에서 2000년에 95.7명으로 증가했다. 각종

사회지원 정책 또한 그 결과가 주목할 만하다. 동 계획의 기간 동안 인적자원개발기금(HRDF)의 지원으로 정보통신기술 과정을 위해 1

억 160만 링깃(전체 예산 중 14.7%)가 지출되었다. 이 지원으로 296,800개의 관련 교육 및 훈련소가 설립되거나 활성화되어 관련

| 264 |

Page 26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기초전문인력이 대대적으로 필요한 부문에 공급되었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시스템 분석가, 컴퓨터 프로그래머 그리고

기술지원자로 구성된 정보통신기술 노동자에 대한 수요가 1998년에 88,160명에서 2000년에 108,200명으로 증가했다. 이것은 동

기간에 전체 노동시장의 성장 비율인 3.7%와 비교할 때 연 10.7%라는 빠른 성장을 나타냈다. 그 중에서 기술지원 인력과 시스템

분석가가 각각 32.1%와 23.7%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그룹이다.

2000년대 이전의 성공을 이러한 기반으로 20001년 말레이시아 8차 5개년 계획(Eighth Malaysia Plan, 2001-2005)에서는

정보통신기술 및 산업개발을 핵심부문으로 선정하고 정보통신기술 개발을 위해 13억7천만 달러(정부예산의 5%)를 투자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러한 과감한 투자 결정은 정보통신 기술 및 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정부의 사용자로서의 역할, 공급자로서의 역할 및

후원자로서의 역할을 보다 체계적이고 주도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즉, 사용자로서 정부의 각 부문의 적극적인 전산화 작업과

활용 수준을 높이고, 정보통신 기술을 개발 및 응용하는 주체로서 동 기술의 개발에 따라 대국민 전자서비스를 향상시키며, 나아가

정보통신 활용의 계층간 간격을 없앤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활동과 각종 산업정책을 통하여 관련 산업을 발전시키는 지원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말레이시아 정부는 본격적인 전자정부를 구성하고자 정부의 모든 행정체제의 역량을 일차적으로 정부기능의

전자화 노력에 집중시켰다. 그 중에서 정부의 정보통신기술 활용을 조정 및 이행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조직이 바로 총리실 산하의

말레이시아 행정현대화 및 행정기획실(Malaysian Administrative Modernization and Management Planning Unit. 이하

행정기획실(MAMPU), www.mampu.gov.my)이다. 1977년 본격적인 산업화와 근대화를 위해 조직된 행정기획실(MAMPU)은

공공부문의 기능을 보다 효율적이고 생산적으로 방향으로 조정 및 감독하는 책임을 지고 있다. 따라서 자연히 정부 및 공공기능의

전자화 작업은 행정기획실(MAMPU)이 중심에 설 수 밖에 없었다. 행정기획실(MAMPU)은 국가정보기술위원회(NITC)와 멀티미디어

초전용로(MSC) 집행위원회의 핵심 기관이며, 나아가 정부의 정보기술 및 인터넷 위원회 그리고 전자정부 집행위원회의 총무처이기도

하다. 따라서 행정기획실(MAMPU)은 정부 부처간, 사회 각 부문간 그리고 기업과 정부간의 관계를 향상시키고 관련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등 전자정부의 목표 달성을 위해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행정기획실(MAMPU)은 각 정부 부처 및 기관의

업무를 재조정하고 업무의 규격화 작업을 이행하여 정부 및 공공부문의 정보통신기술 활용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행정기획실(MAMPU)의 정책표준안은 정부 기관 및 공공부문의 모든 기관에서 그 표준안의 범위 내에서 자체의 세부적인

정보통신전략계획을 입안하여 전체적인 조율을 유도해 내는 역할을 한다. 또, 이의 신속한 이행을 위해 정부의 모든 부처에서는 1999

년부터 간부급의 정보경영자를 선임하여 부서의 전체적인 정보기술 활용을 책임지도록 하였다. 또한 정부의 다양한 정보통신 산업과

사회 발전을 위한 효율적인 정책 집행을 위해, 2003년 정부의 조직개편을 통하여 에너지·통신 및 멀티미디어부(Ministry of Energy,

Telecommunications and Multimedia)를 신설하였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전자정부를 향한 종합계획의 일환으로 정보통신 활용기반 구축작업을 지속적으로 이행하여 2000년 말까지 18개

정부 중앙부처를 연결한 정부통합전자통신 네트워크(Government Integrated Telecommunication Network: GITN)란

전용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또한 정부는 향후 5년간 약 4천 개의 다양한 정부의 각 부서를 정부통합전자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할

계획이며, 또한 연결회선을 200 Mbps로 향상시킬 계획이다. 연방정부가 멀티미디어 초전용로가 있는 신도시 푸트라자야(Putrajaya)

| 265 |

Page 26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로 옮긴 것이 고도의 정보통신기술 기반을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러한 정부의 이전으로 각 행정부처들은 최신

동기식 디지털 종(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DH)의 광대역 망 기반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전자정부를 향한 내부적인 기반형성을 바탕으로 본격적인 대 국민 서비스의 향상 작업을 진행시켰다. 이를 위한

작업은 크게 두 가지로 진행되었다. 하나는 국민들이 정보통신기술 서비스와 활용을 충분히 누릴 수 있도록 관련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를 개발하여 온라인 사용자들이 공공 부문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 통신산업을 민영화하여 관련 기술개발과 시장의 활발한 참여와 투자를 유도하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또한 교육부문에서 정보통신기술 활용을 확대하고, 개인컴퓨터의 구입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정책들을 펼쳤다.

이러한 정부 노력의 대표적인 결실로 말레이시아 민간서비스링크(Malaysia Civil Service Link: MCSL,

www.mcsl.mampu.gov.au)를 들 수 있다. 민간서비스링크는 말레이시아 온라인 정부에 접속하는 정부 핵심 포털 사이트로 현재

말레이와 영어 두 언어로 제공되며 연방정부, 주정부 그리고 지역정부 각 부처 간의 연결이 가능하다. 이러한 민간서비스링크는

사용자들의 적극적 활용과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정부의 기능적 서비스 이외에도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동 링크의

총괄운영에 대한 책임을 맡고 있는 행정기획실(MAMPU)은 공공 부문 웹 사이트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표준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개인 일반 사이트를 말레이시아 민간서비스링크로 다시 연결하도록 하였다. 현재 중앙정부의 각 부처 장관실을 포함한

기관들의 절반 가량이 개인 웹 사이트를 개설하였다. 또한 가상개인네트워크(Virtual Private Network)의 기능을 통해 정부관련

정보검색, 예약서비스, 청구서 지불 그리고 개인정보 변경 등의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활용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동 서비스를

통하여 일반국민은 신용카드를 통해 각종 공과금 등을 온라인으로 결제할 수 있으며 정부관련 서류승인을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금까지 추진하여 온 말레이시아 정부의 정보통신산업 정책 중 가장 중요한 사업은 대내외적으로 잘 알려진 멀티미디어 초전용로

(The Multimedia Super Corridor) 구축 사업이다. 동 사업은 1997년에 관련 하이테크 회사들의 유치 및 육성을 통하여

정보통신기술 산업과 제품 개발의 중심 역할을 하기 위해 추진된 주요 사업이다.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로 인한 경제불황으로

우여곡절을 겪어지만, 현재 멀티미디어개발사(The Multimedia Development Corporation: MDC, www.mdc.com.my)의 관리

하에 있는 멀티미디어 초전용로는 쿠알라룸푸르 남부의 멀티미디어 단지에 위치해 있으며, 텔레콤 말레이시아는 최신 광대역

네트워크를 기반시설로 설치해 놓았다. 정부는 멀티미디어 초전용로를 지원하기 위해 지식도시인 푸트라자야(Putrajaya)와

사이버자야(Cyberjaya) 지역에서 관련 기술개발 및 사업활동을 하는 기업들에 대한 조세혜택 등 다양한 유인정책을 제도화하였다.

2001년 12월 30일 기준으로 멀티미디어 초전용로에 631개의 지역회사들과 50개의 다국적 기업들이 입주해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정부는 향후 2년 안에 70개 다국적 기업과 680여 개의 국내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전역의

정보통신기술 개발 중심 역할을 한 멀티미디어 초전용로는 현재 주요사업으로 전자 정부 (Electronic Government), 다목적 카드

(Multipurpose Card), 영재 학교 (Smart Schools), 원거리의료 (Telehealth), 연구개발 집단 (R&D Cluster)과 전자상거래(E-

Business) 등 여섯 부문을 집중 개발하고 있다.

| 266 |

Page 26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이러한 정부의 집중과 선택을 통한 멀티미디어 초전용로 (The Multimedia Super Corridor) 구축사업 이외에도 다양한 정책들이

현재 입안되어 이행되고 있다. 2003년 현재 예산승인을 위해 계류중인 다목적 스마트 카드인 마이카드 (MyKad)사업은 2005년까지

모든 말레이시아 국민들에게 배포할 계획으로 추진 중이다. 동 카드는 기본 주민정보의 역할 이외에도 현금자동인출기능(ATM)과

신용카드 기능도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현 카드의 활용으로 정부 기관의 서비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일반 국민의 정보통신기술 활용을 확산시키고 정보통신이용의 계층별

지역별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위한 정책으로 말레이시아 사바(Sabah)와 사라왁(Sarawak) 등의 오지에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연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03년 현재 관련 예산이 승인을 위하여 계류 중에 있지만 첫 사업으로 약 250

개의 오지에 위치한 학교가 이런 시설을 제공 받을 계획으로 있으며, 특히 이는 관련 지역 주민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정부는

정부 전자구매 서비스를 200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할 계획으로 있다. 현재 공급자 등록 및 중앙 계약 및 구매절차 등의 준비작업을

마쳤고 곧 입찰 및 가격 견적에 따른 구매 서비스가 시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모든 구매 과정을 전자송금을 포함하여 전자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고안하였다. 이러한 정부의 선도적인 역할로 관련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에 있는 정부의

관련 산업 후원 정책으로 말레이시아 벤처캐피탈 경영회사(Malaysia Venture Capital Management Berhad: MAVCAP)와

말레이시아 부채벤처회사(Malaysia Debt Venture Berhad, MDV) 설립을 들 수 있다. 이런 회사들은 정보통신기술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총 21억 링깃의 벤처자본기금을 투자하여 전자통신, 포토닉스, 생물공학과 생명공학 등 신 지식산업을 적극 후원하기로 하였다.

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싱가포르를 제외한 동남아시아의 여러 국가들 중에서 가장 빠르게 정보통신산업을 위한 각종 법규들을 도입하였다. 이는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를 바탕으로 하여, 전통적으로 외국인 투자유치를 통한 경제개발의 정책에 대한 경험을 살려 관련 법규를 구축함으로써

외국인 투자를 비롯해 국내외 관련 업계를 위한 법적 환경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말레이시아의 정보통신산업 및 사회 발전을 위한 각종 법규들을 통합한 것이 바로 사이버 법규(Cyber Laws)이다. 이 사이버 법규는

각종 관련 사안에 대한 실행법들을 종합해 놓은 법안이다. 이 사이버 법규의 기본적인 실행내용을 부문별로 보면 보전 및 정보보호,

온라인 거래의 법적 지위, 프라이버시 및 정보비밀보장 그리고 저작권에 관련된 것들이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는 1997년과 1998년

사이에 분산되어 있던 관련 실행법들을 사이버 법규로 통폐합하여 도입한 것이다. 디지털 서명법 (Digital Signature Act, 1997),

컴퓨터 범죄법 (Computer Crimes Act, 1997), 원거리 의약법 (Telemedicine Act, 1997), 저작권법 (Copyright Act, 1997)과

통신 및 멀티미디어법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Act, 1998) 등이 있고 현재 개인정보보호법(Personal Data Protection

Bill)을 입안하고 있고 나아가 기존의 지적 소유권법이 전자환경과 국제수준에 맞추도록 개정하고 있다. 전술한 통신 및 멀티미디어

법을 제외한 기존의 법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서명법(Digital Signature Act, 1997)

이 법은 인터넷을 통한 전자거래가 증가함에 따라 사이버 공간에서의 익명성으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좀더 건강한 사이버

| 267 |

Page 26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활용을 위해 도입된 것이다. 따라서 이 법은 크게 사전 허가 및 감독 인증기관(Certification Authorities, CA)에 관련된 법규로

인증기관(CA)을 통해 발급받은 디지털 서명인증에 대한 법적 보장과 그 인증의 법적 타당성을 확보하게 하여 사회적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한다. 관련 웹 사이트는 www.cca.gov.my/legislate.htm 이다.

컴퓨터 범죄법 (Computer Crime Act, 1997)

동 법은 컴퓨터 활용이 이제 일반 국민 생활 속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됨에 따라, 컴퓨터가 범죄 목표 및 도구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입하였다. 따라서 위법적 행위들을 명시함으로써 컴퓨터 활용의 부정적인 요소를 제거하고자 하였다. 그 컴퓨터

범죄법의 주요 내용은 첫째, 컴퓨터나 컴퓨터 시스템을 해킹하는 행위 및 시도, 둘째, 바이러스 유포나 다른 방법으로 컴퓨터 또는

컴퓨터 시스템 정보를 훼손하거나 변경하는 경우, 셋째, 비밀번호를 허가 받지 않은 사람에게 부여하는 경우 등이다. 관련 웹 사이트는

www.mycert.mimos.my/crime.html 이다.

원거리 의료법 (Telemedicine Act, 1997)

현재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국경을 넘은 의료서비스가 활성화 되고 있다. 또한 지역 내에서도 지리적 한계를 극복하게 하였다.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 이외에도 이로 인한 부정적인 의료행위 또한 현재 정보통신사회의 중요한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정부는 그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하고자 이 법을 도입하였다. 이 법에 따르면 관련 의료서비스를 희망하는 의료진은 사전에 정부기관에 등록되어

있어야 하며, 보조 의료제공자(예: 의료 보조원, 간호사 그리고 조산원 등)에 의한 원거리 의료서비스는 할 수 없다고 명시하고 있다.

관련 웹 사이트는 www.mycert.mimos.my/telemed-eng.html; www.mycert.mimos.my/crime.html이다.

저작권법 (Copyright (Amendment) Act, 1997)

이 법은 정보통신기술 발달에 따라 기존의 창조적인 생각이 표현된 실물을 불법복제 또는 허가 없이 원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기존의 지적소유권 및 저작권에 대한 보호가 더욱 절실해졌기 때문에 수립된 것이다. 법은 1987년 저작권법(Copyright Act)을

수정하여 새롭게 통합된 멀티미디어 환경을 포함시켰다. 저작권법에 적용되는 작품을 불법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등의 행위를

명시적으로 금지를 시켰고, 작품을 보호하는 기술적인 방법은 물론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없는 정보 역시 보호하도록 명시하였다. 이

수정 저작권법은 1999년 4월 1일자로 시행되고 있다. 관련 웹 사이트는 www.mycert.mimos.my/copyright.html이다.

통신 및 멀티미디어 법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Act, 1998)

이 법안은, 빠르게 발전하여 온 정보통신기술로 인하여 전자통신, 방송, 컴퓨팅 그리고 콘텐츠 산업 등에 대한 경계구분이 모호해지고

그 파급효과가 커지자, 이전까지 각각 다른 여러 법령들에 의해 규제되고 있던 것(예: 전자통신법, Telecommunication Act, 1950;

방송법, Broadcasting Act, 1988)을 통합하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한 것이다. 통신 및 멀티미디어법(CMA)는 통합

정보통신기술 산업을 재조정하는 법적 환경을 제공하고 새로운 사전 허가 제도를 통하여 통신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체들의 역할과 책임을 정의하였다. 비록 통합 정보통신기술 산업의 자정 노력을 허용하기 위한 의도로 제정되었지만, 이법은 통신 및

멀티미디어위원회(Communication and Multimedia Commission), 역할과 권한을 관련 통신 및 멀티미디어 위원법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Commission Act, 1998)으로 강화하여 통합 정보통신기술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을

| 268 |

Page 26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체계적으로 관장하도록 하였다. 관련 웹사이트는 www.cmc.gov.my/akta588/eng/ legis_cma1998_pg3.html 이다.

이 외에 입안이 진행 중인 법안으로 개인정보보호법(Personal Data Protection Act)이 있다. 이 법의 도입 목적은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특히 개인정보가 특정 목적을 위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법안으로 현재 구체화되고 있는 것은

국민들에게 정부 서비스를 전자 형식으로 제공하는 것을 장려하기 위한 전자정부법(Electronic Government Act)이 있다.

제 2 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말레이시아는 전통적으로 외국기업 투자에 의한 경제성장 정책을 채택하여 그 동안 동남아시아 국가 중에서 싱가포르 다음으로

급속한 성장을 이루어 온 바 있다. 말레이시아로 유입되는 해외 직접 투자는 1997년에 60억 달러에 달했으나 1997년 아시아

경제위기에 따라 1998년에는 38억 달러로 감소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그러나, 1999년에는 해외 직접 투자 유입이

다시 31% 증가하고 국민 총생산이 5.4%로 증가하는 등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주목 되는 것은 이러한 회복세의 기반에는

제조업 특히 정보통신기술 관련 전자 제품 수출이 주도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정보통신산업이 이제는 말레이시아 경제의 원동력으로

성장할 정도의 수준까지 성장하였다. 경제위기 직후인 1999년도의 정보통신기술 부문이 국민 총생산의 약 36.5%에 달한다는 통계

결과가 이를 증명해준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이러한 성장의 원동력을 더욱 확대 재생산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을 국내외 관련 투자기업에 제공하고 있다.

정부는 말레이시아 기업들에게 재정 및 비재정적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재정 혜택은 10년 동안 무 소득세, 기술개발 보조금, 그리고

멀티미디어 초전용로(MSC)의 신 투자시 100% 투자세 공제 혜택 등을 포함한다. 비재정적 혜택은 무제한 외국 지식 노동자 고용, 국제

자본의 무제한 유입과 소유에 대한 한정 제한을 포함한다. 주요 정책 중 대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

1. 멀티미디어 초전용로(MSC) 입주 회사에 대한 특별 혜택

정부는 높은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세계적 회사들을 대상으로 멀티미디어 초전용로(MSC)를 사용할 수 있는 특별 혜택을

제공했다. 멀티미디어 제품과 서비스를 사용하거나 제공하여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회사들은 멀티미디어 초전용로(MSC)에

가입할 수 있게 되며, 이 회사들은 정부 공인 보증서(Bill of Guarantees) 범위 내에서 특혜와 혜택을 누리게 된다. 이 회사들은 최고

10년까지 소득세 면제와 5년간 100% 투자세 공제를 포함하는 재정 혜택을 누리게 되며, 주요 멀티미디어 초전용로(MSC) 기반

계약에 입찰할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된다. 2000년 말까지 총 429개 회사들이 멀티미디어 초전용로(MSC)에 가입했다. 이 429개 회사

중에 274개는 말레이시아인 소유 회사였다.

2. 연구개발단지 육성

연구개발집단은 협동 멀티미디어 연구개발센터 및 회사단지를 만들어서 최신 기술과 제품을 개발 생산하고, 동시에 현지 하이테크

기업의 창업을 권장하여 말레이시아 경쟁력 향상을 위해 지역 연구개발 활동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정부는 1997년 10월에

| 269 |

Page 27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멀티미디어 초전용로(MSC) 연구개발 보조안(MSG)과 2000년에 멀티미디어 초전용로(MSC) 학생 연계 프로그램 등 여러

프로젝트들을 시행했다. 멀티미디어 초전용로 연구개발 보조안(MSG)에 의해 계획 기간 동안 할당된 1억 링깃을 제공하였다. 이 안의

목적은 말레이시아 멀티미디어 초전용로 지위 회사들, 특히 중소형 기업들이 연구개발을 통해 기술능력을 제고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

안이 시행된 이래 3천8백만 링깃 가치의 총 19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이 프로젝트들은 컴퓨터 전화통신 통합, 청각장애자를 위한

대화식 보청기 그리고 거래정보경영 엔진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상품과 서비스를 포함한다.

3. 하이테크 및 정보통신기술 회사들에 대한 기금지원

2000년 하이테크 및 정보통신기술 관련 회사들에게 금융지원을 하기 위하여 5십억 링깃 규모의 정보통신기술 기금을 만들었다. 총

기금 중 2억 링깃은 첨단 전자, 정보통신기술, 생물공학 그리고 첨단 제조기술에 관련된 하이테크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3

억 링깃은 하이테크 산업 발전을 위한 벤처캐피탈 재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조성되었다. 2000년 말까지 승인된 대출금액은 2천 7백 3

십만 링깃이다.

4. 밴처캐피탈 기업의 성장 촉진과 정보통신기술 산업 기금지원

밴처캐피탈 기업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이들의 투자재원을 정보통신기술 분야로 유도하기 위하여, 1999년에 멀티미디어 개발사

(MDC)의 자회사로서 멀티미디어 초전용로 벤처사(MSC VC)를 설립하였다. 멀티미디어 초전용로 벤처사(MSC VC)는 멀티미디어

초전용로 지위를 가지고 있거나 획득할 수 있는 회사들, 특히 중소기업들이 벤처캐피탈 기금을 용이하게 획득하는 것을 도와준다.

멀티미디어 초전용로 벤처사(MSC VC)는 1999년 6월에 120백만 링깃 규모의 첫 기금(MSC Venture One이라 칭함) 조성에

착수했다. 이 기금은 신생, 성장 혹은 상장 단계에 있는 회사들을 지원대상으로 하였다. 2000년 말까지 멀티미디어 초전용로 벤처사

(MSC VC)는 10개 회사에 43백만 링깃의 기금을 투자했다.

5. 멀티미디어 환경 조성을 위한 멀티미디어 초전용로내의 5개 사이버도시 개발

혁신적인 멀티미디어 환경을 조성하여 세계 정상급 기술 선도 회사들을 유치하기 위한 지원정책의 일환으로 5개의 사이버시티를

멀티미디어 초전용로 안에 개발되었다. 멀티미디어 초전용로 안에 개발된 5개의 사이버시티는 사이버자야(Cyberjaya), 말레이시아

테크노럴지 공원(Technology Park Malaysia), 말레이시아 푸트라대학-말레이시아 테크노럴지 개발사(Universiti Putra Malaysia-

Malaysian Technology Development Corporation, UPM-MTDC), 페트로나스 쌍둥이 빌딩(Petronas Twin Towers) 그리고

케이엘 빌딩(KL Tower)이다. 사이버자야(Cyberjaya)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살면서 일하기 위해 고안되고 개발되었다. 사이버자야

(Cyberjaya)에 핵심적인 도시 중추 역할을 할 23개의 통합 시스템을 포함하는 도시 통제소가 설치 되었다. 그리고 윌라야 퍼세쿠투안

푸트라자야(Wilayah Persekutuan Putrajaya)에 전자정부 개념이 소개되었고 이 곳이 말레이시아의 새로운 행정수도가 되었다.

6. 관련 중소규모 산업 개발

| 270 |

Page 27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관련 중소규모 산업을 더욱 개발하기 위하여 불입자본금 250만 링깃으로 낮추고 중소규모 산업의 법인세를 더욱 낮추었다. 또한

현지투자를 장려하기 위하여 소득세를 최고 10만 링깃까지 28%에서 20%으로 낮췄다. 이것은 2000년말 현재 2003년 말레이시아

정부예산 신청에 포함되어 승인 계류 중에 있다.

7. 국내 기업의 외국소재 외국기업에 대한 지원

말레이시아 국내 기업이 외국에 있는 외국기업을 매입할 때 발생하는 비용 중 5년 동안 연간 보조금 20%을 받을 수가 있다. 이는

2000년말 현재 2003년 말레이시아 정부예산 신청 승인 계류 중에 있고, 이 정책은 현지 투자가들이 상품을 세계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세계 수준의 상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현지 회사 투자 장려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8. 다국적기업의 본사유치

다국적 기업이 말레이시아에 본사 혹은 지역경영본부를 이전할 경우 현지 다국적기업의 소득세를 10년 동안 면제하는 정책으로,

2002년 말 현재 2003년 말레이시아 정부예산 신청 승인 계류 중에 있다. 이 정책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말레이시아가 정책적으로

세계산업의 중심지 중 하나로 발돋움하기 위하여 말레이시아를 다국적기업의 중심지로 만들 계획하에 추진하고 있다.

제 3 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말레이시아는 정보통신기술 산업 관련 정책의 입안과 실행을 위한 기관들이 상당히 조직적으로 구성되어 관련 산업 및 사회 각

부문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부문별 대표적인 기관과 조직으로는 국가정보기술위원회 (National Information Technology

Council, NITC), 국가정보기술위원회 전략 아젠다 (NITC Strategic Agenda), 멀티미디어 개발사 (Multimedia Development

Corporation, MDC), 컴퓨터 및 멀티미디어 산업 협회 (Asssociation of the Computer and Multimedia Industry, Malaysia:

PIKOM), 말레이시아 마이크로일렉트로닉 시스템협회 (Malaysian Institute of Microelectronic Systems, MIMOS)와 멀티미디어

대학교 (Multimedia University)가 있다. 이들 기관과 조직의 상세한 현황은 다음과 같다.

1. 정부의 정보화 추진 관련 위원회

1-1. 국가정보기술위원회 (National Information Technology Council, NITC)

동 위원회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말레이시아 국가개발에 관계된 문제에 대해 정부의 주요 자문 및 상담 기능을 한다. 주요 목적은

연구개발 계획 및 기술습득 전략과 관련해 IT 개발 및 응용의 지속적 성장을 장려하고 새로운 기술이 사회와 경제 개발에 적절히 통합될

수 있도록 정책을 개발하는 데 있다. 또한 IT가 경제 및 사회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대비한다. 이 위원회의 조직 구조는 총리가

의장직을 맡고 부총리가 부의장직 그리고 서기관으로서, 이 위원회의 핵심 추진기관 중 하나인, 마이크로일렉트로닉 시스템협회

(MIMOS)의 사장직을 맡는다. 이 위원회는 일년에 두 번 공식적으로 회의를 소집한다. 위원회 자격은 3년이고 총리가 임명한다.

| 271 |

Page 27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의원들은 세 가지 다른 분야, 즉, 공공 부문이나 사립 부문 그리고 시민단체의 이익을 대변하게 된다. 이 위원회는 결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동반관계나 전략 제휴를 하기도 한다.

| 272 |

Page 27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위원회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전략적 계획 및 경영: IT의 개발과 영향력 분석, 국가계획 계발 및 운용 프로그램화, 국가경쟁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국가 우선

순위 분석, IT 관련 주요 조직 및 협의회 재조정

- 조정 및 평가: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감독, IT이행척도와 IT 이행 표준안 개발, IT 사용 효과 평가, IT 분야의 감독

및 개발을 위한 법적 토대 입안, 성장 가속화 정책 개발

- 기술평가 및 예측: 미래예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관련 부문의 통합기술개발 분석

- 홍보: 활용지수에 대한 자료와 정보수집, 프로그램의 인식확대와 평가 선전, 공공 부문, 민간 부문, 비정부 기구, 노동조합 그리고

언론과 협력관계 형성

1-2. 국가정보기술위원회 전략 아젠다 (NITC Strategic Agenda)

전략 아젠다의 목표는 국민과 사회 각 분야가 효과적이고도 순조롭게 전자 사회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본 아젠다의

기본 방침은 기술과 하드웨어를 통해 전자사회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에 의한 변혁을 추구한다. 따라서 국민들과 사회 각

부문에 필요한 의지와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주요 사업이다. 전자사회로 변환하기 위해 선정한 5가지 공략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전자 경제(E-Economy): 말레이시아의 모든 경제분야가 지식기반 세계 경제에 성공적으로 참여하면서 가치와 부를 창조한다.- 전자 공공서비스(E-Public Services): 공공 부문, 민간 부문, 시민 단체 분야가 사람과 고객 위주의 서비스를 전자방식을 통해

제공한다.- 전자 공동사회(E-Community):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통치 과정에 역동적으로 참여하는 공동사회 네트워크를 조성한다.- 전자 교육(E-Learning): 공식 및 비공식 네트워크들이 개인, 조직, 협회 그리고 사회 진보를 위한 사회 풍조를 조장하고 기회를

제공한다.- 전자 주권(E-Sovereignty): 시민과 협회들이 국가 동질성 통합을 향상시키고 국경 없는 전자사회 시대에 말레이시아

전자주권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2. 정보통신 산업 후원 기관

2-1. 멀티미디어 개발사 (Multimedia Development Corporation, MDC)

1996년 설립된 멀티미디어 개발사(MDC)는 말레이시아 정부 산하 부처로 멀티미디어 초전용로(MSC)의 개발과 시행의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멀티미디어 개발사는 다국적 기업과 현지 기업들을 멀티미디어 초전용로 내에서 혹은 멀티미디어 초전용로로

재배치하는 것을 장려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초전용로를 국제적으로 홍보하고 말레이시아 정부에 조언을 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초전용로에 관련 법규, 정책 그리고 관행을 개발하거니와 현실화하고 멀티미디어 초전용로의 정보 기반과 도시개발을 표준화 한다.

멀티미디어 개발사는 신청서를 30일 안에 해결하는 것을 보증하며 신청서 처리 기간 내내 기업들을 지도해 준다. 따라서 대부분의

| 273 |

Page 27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사업에서 멀티미디어 초전용로 기업들은 다른 정부 부처의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이 단지 멀티미디어 개발사의 승인만 받으면 된다.

의장을 대표로 하고 이사회와 경영팀으로 구성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개발사는 특히 멀티미디어 개발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마하트르(YAB Data Seri Dr, Mahathir Mohamad) 총리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최초 멀티미디어 개발사는 말레이시아 회사법

내에서 만들어졌지만 정부 소유의 공기업 성격이 강하다. 동 개발사는 현재 186명의 전문인력을 고용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개발사의 주요 업적은 2002년 5월까지 약 총 56억 5천 링깃의 매출과 47억 링깃 지출을 기록한 국내외 800개의 기업

유치와 함께 18,000개의 고용창출을 들 수 있다. 현재 동 기업들은 총 연구개발비 4억7천4백만 링깃, 약 3,500명의 연구개발원을

전용로 내 보유하고 있다.

3. SI 산업 관련 연구기관 및 후원기관 현황과 활동

3-1. 정보통신 산업 협회

3-1-1. 컴퓨터 및 멀티미디어 산업 협회 (Asssociation of the Computer and Multimedia Industry, Malaysia: PIKOM)

컴퓨터 및 멀티미디어 산업협회(PIKOM)는 1986년 8월에 말레이시아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의 성장을 위한 촉진제 역할을 하기

위하여 구성되었다. 컴퓨터 및 멀티미디어 산업협회(PIKOM)의 목적은 말레이시아 정보통신 산업의 자원, 전문 기술 그리고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면서, 현지 정보통신 기술 산업에 대해 현지와 해외에 정부에 대변하고 민간 부문을 대표하는

것이다. 또한 산업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및 이행하는 포럼을 제공하고, 정보통신기술 산업 전반에 걸친 시행, 서비스 수준을

높이는 것이다. 또한, 정보통신기술 산업에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여 산업과 거래에 관련된 서비스를 회원들에게 제공하기도 한다.

컴퓨터 및 멀티미디어 산업 협회(PIKOM)의 첫 피씨박람회(PCFair)가 1995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되었으며, 그 이후 이 행사는

말레이시아 최대의 개인용 컴퓨터 매매행사로 자리를 잡았다.

3-2. 정보통신산업 연구기관

3-2-1. 말레이시아 마이크로일렉트로닉 시스템협회 (Malaysian Institute of Microelectronic Systems, MIMOS)

말레이시아 마이크로일렉트로닉 시스템협회(MIMOS)는 1985년 1월에 마하티르(Dr Mahathir Mohamad) 수상의 적극적인 지지

하에 설립되었다. 초창기의 말레이시아 마이크로일렉트로닛 시스템협회는 총리실의 작은 부서로 운영되었다. 1990년에는

과학기술환경부(Ministry of Science, Technology and the Environment, MOSTE)로 소속되었으며, 1995년에는 국가 정보기술

위원회(NITC)의 책임 추진국으로 지정되었다. 국가 정보기술위원회(NITC)는 비젼 2020의 국가 장기계획 중 정보기반 사회를

| 274 |

Page 27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구현하고 정보통신기술의 응용 및 개발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

1996년 말레이시아 마이크로일렉트로닉 시스텝협회(MIMOS)는 민영화되어 말레이시아 마이크로일렉트로닉 시스템협회사(MIMOS

Berhad)로 재창립되었다. 그러나 동사는 민영화 이후에도 정부와 정책적 협력기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동사의

업무가 정부의 기술개발 관련 전략과 정책 부문에 조언하는 기능을 가진 기술 연구개발 조직으로 다시 창립되었다는 점이다. 주요

업적으로는 차세대 인터넷(Next Generation Internet, NGI)개발, 동등계층통신 (Peer-to-Peer Computing, P2P) 개발, 적응 정보

관리(Adaptive Information Management, AIM) 개발, 암호작성 (Cryptography) 기술개발 등을 들 수 있다.

| 275 |

Page 27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3-3. 교육기관

3-3-1. 멀티미디어 대학교 (Multimedia University)

멀티미디어 대학교는 정보통신기술 및 산업 그리고 사회적 활용을 위한 전문인력 배출을 목적으로 설립된 대학으로 멀티미디어대학

(Faculty of of Creative Multimedia), 공학대학(Faculty of Engineering), 정보기술대학(Faculty of Information Technology),

그리고 경영대학(Faculty of Management)의 4개 단과대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보기술 및 통신 관련 학부 및 대학원 과정도

있다. 멀티미디어 대학교는 고속도 자동인출기(ATMs), 멀티미디어 교육장소, 지능건물 시스템, 전자행정, 디지털 도서관, 그리고 통합

캠퍼스 경영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기술과 수준을 확보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대학교의 주요 역할은 멀티미디어 초전용로(MSC)의

개발과 성공을 지원하는 것이다.

3-3-2. 말레이시아 개방대 (Open University Malaysia, UNITEM)

말레이시아 개방대(UNITEM)는 2002년 10월에 운영을 시작하게 된다. 말레이시아 개방대(www.unitem.edu.my)는 사립대학이며

온라인 교육을 제공하는 말레이시아 11개 대학 연합체인 멀티미디어 기술향상 계획(Multimedia Technology Enhancement

Operations, Meteor)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말레이시아 개방대는 공개 소스 리눅스 운영시스템(OS)에 기반한 말레이시아 운영

시스템를 개발하기 위하여 리눅스 능력 센터(Linux Competency Centre)를 설립하였다. 리눅스 능력 센터(LCE)는 일반 국민과 정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리눅스와 다른 공개 소스 소프트웨어(Open Source Software, OSS)에 대한 세미나와 훈련도 실시하고 있다. 이

센터는 또한 응용, 서버, 보안, 네트워킹 솔루션을 개발하고 관리 서비스를 시행한다. 이 센터는 선진기술 연구센터사(Advanced

Technology Studies Centre Sdn Bhd, atSC)와 협동으로 리눅스 교육과정을 시작했다.

| 276 |

Page 27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2 장 – SI 산업 및 시장 동향 분석

제 1 절: 정보통신 산업 및 활용현황

1. 일반 현황

말레이시아는 정보통신기술이 국가 발전의 교두보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다양한 조치를 통해 여러 분야에 걸쳐 정보통신기술

사용을 권장해 왔고, 정보통신기술 분야의 성장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정부의 여러 종합정책을 수립, 시행해 왔다. 무역 및 투자정책,

공정거래 제도, 그리고 수출입 관세에 포함된 여러 종류의 혜택을 통하여 국내 투자와 해외투자를 장려하고 있다. 정부는 1987년에

전자통신국을 민영화하였고, 1994년에 채택된 국가 전자통신정책 (National Telecommunications Policy, NTP)의 시행 결과, 국내

시장은 완전 자유화되었다. 전자통신산업을 위한 말레이시아 정부 종합기본계획(Malaysian Government’s Master Plan)은 경쟁,

연결비용, 사용 요금 그리고 네트워크 개발에 대한 초석을 세웠다. 1995년 말 현재 모든 사업자는 각 업자들간의 협정을 맺고 있지

않지만, 이용하는 통신회사에 관계없이 원활한 통신의 제공을 목적으로 말레이시아 텔레콤(Telekom Malaysia)과 상호연결 협정을

맺고 있다. 아직도 정부입찰 참여와 생산기지 설립을 위한 지분 허가에 대한 제한이 남아 있지만 이를 제외하고는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시장은 완전히 규제를 철폐했다. 현재 남아 있는 장애요소는 말레이시아 회사와 합작회사 및 현지 독점판매권을 권장하고 있는

수준으로, 경쟁적인 시장 조성에 결정적인 걸림돌은 되지 않고 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세계적인 수준의 인프라 구축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실행하였다. 말레이시아 멀티미디어 수퍼코리도

(Multimedia Super Corridor [MSC])는 정보통신기술 관련 상품을 위해 적절한 환경의 제공뿐 아니라 정보고속도로를 위한 기반을

육성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이 네트워크는 고속통신망을 통해(10 Gb/s network) MCS를 통해 일본, 아세안, 미국, 그리고 유럽에

연결되고 광범위한 공공 부문 행정, 교육, 사업 등에 응용 지원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 고속 통신망의 구축 목적은 국제정보를 빠르고도

쉽게 접속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시범 업자 지원제도(Demonstrator Application Grant)는 혁신적인 정보통신기술의

사용을 통해 사회 및 경제 발전을 촉진시킨다. 또 국민들에게 멀티미디어 수퍼코리도에 접하여 사업을 응용할 수 있는 기회 및

멀티미디어 개발 등을 위한 기금을 제공한다.

적극적인 정보통신기술 정책으로 전화기 사용률은 1995년 16.%에서 1999년 23.2%로 증가했고, 농촌지역 지상연결선은 1994년

5.2%에서 1999년에 11%로 증가했다. 말레이시아는 향후 5년 동안 매 천명당 250개 인터넷 접속 장소, 250개 이동전화, 그리고 500

개 고정선 제공을 위해 지속적인 기본 전자통신 기반 구축에 노력하고 있다. 이는 전기 공급, 운송, 공항, 오피스빌딩 그리고 연장 사업

장소 같은 주요 외형기반 개발과 관련한 인프라의 구축 사업이다.

경제 성장에 따라 숙련 지식노동자 및 전문가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하여 숙련 노동자, 특히 정보통신기술 및 제조업의 인적자원은

여전히 공급이 부족한 상태이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하여 말레이시아 정부는 고용시장내의 수요 증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교육제도에 대규모 자원을 투자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수퍼코리도 내에 설립된 멀티미디어 대학교에서는 정보 및 지식경영 등의 새로운

| 277 |

Page 27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분야를 포함하여 프로그램 응용도 교육 및 훈련 교과과정에 포함할 예정이다. 정보통신기술 습득을 높이기 위하여 여러 부가제도가

고안되어, 컴퓨터를 통한 교육(Computer In Education, CIE) 프로그램에 따라 90개 중등학교와 20개 초등학교에 컴퓨터실을

설치했다. 1996년부터 1998년까지 약 1,230명의 교사들이 컴퓨터를 통한 교육(CIE) 시행을 위한 훈련에 참가하였다.

CAD(Computer Aided Design)와 컴퓨터 원용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교육도 기술고등학교의 교과과정에

포함되었다.

다음은 세계은행(World Bank)이 세계의 정보통신산업 관련 조사기관 (ITU, WISTA, Netcraft와 IDC) 등에서 조사한 통계들을

재구성하여 2002년 9월 발표한 세계 각국 정보통신 일반현황 중 말레이시아와 관련된 부분이다. 현지의 여러 자료들도 있지만, 주로

말레이시아의 정부기관의 자료들을 바탕으로 작성된 것이다. 이 정부 기관 발표자료는 IDC나 ITU에서 재구성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가장 높고 국제 비교가 가능한 세계은행 자료를 중심으로 인용하였음을 밝힌다.

표5-1에서 나타나듯이 아직 개인컴퓨터의 보급은 2000년 천명 당 약 103.1명이고 2001년 교육기관에 배치된 개인컴퓨터는

말레이시아 전체 121,900대로 싱가포르 다음으로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는 최고 수준이다. 여기에 인터넷을 접속하여 사용하는 서비스

공급비가 매월 약 5.3달러 연간 63.6 달러로 연구대상인 4개국에서 가장 싼 가격이다. 이는 2001년 말레이시아의 1인당 GNP가 약

3,640 달러인 것을 감안하면 일반 국민이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비용이라 하겠다. 세계은행이 비교한 아시아 태평양 국가의

정보통신기반 및 환경지수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상당한 수준에 도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법적 환경부문에서는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

<표 5-1> 말레이시아 정보통신 기반 일반 현황 (2000년 9월 현재)

구분 2000년도 기준

통신

유선전화(천명당) 199회선

대도시(천명당) 282회선

무선전화(천명당) 213명

컴퓨터 & 인터넷

PC(천명당) 103.1명

교육기관 PC 121,900대 (2001년 자료)

인터넷사용자 3,700,000명

서비스 공급비 5.3달러 (매월)

광대역 망 사용자(전체인구) 1% 미만

정보통신지출($, 백만) 6,325.0 달러

참고: 2000년 말레이시아 전체인구 약 2,380만 명

| 278 |

Page 27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출처: http://www.worldbank.org/data/countrydata/countrydata.html

2. 상세 현황

2-1. 말레이시아 정보통신기술 산업 개관 (2002/2003)

말레이시아의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은 2002년 현재 정보통신기술 지출이 10% 증가함에 따라 양호한 성장을 이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그 중 일부 분야는 타 분야보다 더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경제 둔화 효과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경기부양에 더 많은 기금을 투입하는 등 과감한 조치를 취했다. 말레이지아 정부는 지식경제(k-economy)의 구축과,

정보통신기술 개발을 위한 지식 근로자(k-workers)의 육성을 위하여 교육 분야에 더 큰 지출을 하였다.

금융부문은 이미 합병 및 통합의 미결 부문을 매듭지었고, 향후 부가가치 서비스 창출 특히 온라인 은행업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서, 세계무역협회(World Trade Organisation, WTO)와 함께 금융기관들은 경쟁력 유지를 위해

정보통신기술에 지출을 계속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통신 분야에서는 고객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빠른 밴드(bandwidth) 기반

구축에 더 많은 지출이 예상되고 있다. 더욱이 전자통신 회사 사이에 경쟁이 강화됨에 따라 많은 회사들이 전자통신업계의 선두 회사가

되기 위하여 더 나은 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하려 노력하고 있다.

국가경제 성장에 주 기여부문인 제조업 분야는 2002년 2분기와 2003년의 국제 경제 침체 예상으로 인해 경기 후퇴가 예상된다.

국제 수요 감소로 인해 제조업 특히 전자 및 반도체의 가치사슬(value-chain) 수용 분야의 투자가 상당히 감소하게 될 것이다.

유통분야는 B2B(business-to-business) 지원 경영 시스템 및 전자구매 서비스를 위한 수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인터넷은

말레이시아의 대외 무역거래를 활성화시키고 있는데, 운송 부문의 높은 활동과 성장뿐 아니라 유통분야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 분야는 특히 2003년에 아시아 자유무역지대(AFTA)가 도입되면서 활발한 활동이 예상되고 있다. 사람들이 원격의료

(telemedicine) 같은 의료서비스에 더 의존하게 됨에 따라 의료분야의 투자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부문은 말레이시아 정부가 도입한 공제고용기금 컴퓨터 대출안(Employee Provident Fund PC Withdrawal Scheme)이

철폐되어서 개인용 컴퓨터 및 핸드핼드 장치에 대한 수요는 감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2-2. 말레이시아 통신산업 현황

말레이시아는 전자통신 서비스를 국민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했다. 1960년에 유선 전화선이 5만선 미만이었지만

2000년에는 450만 선으로 늘어났다. 자세한 통계를 살펴보면, 전화회선 수(100명 당 유선 전화선)는 같은 기간 동안 0.6%에서

19.9%으로 34배 증가했는데, 전화회선 수의 증가는 말레이시아의 고도성장을 반영하고 있다. 1999년에는 아시아 금융위기 영향으로

전화회선 수는 약간 감소하였는데, 일인당 GNP의 감소를 반영하고 있다 (1997년과 1999년 사이에 1,000달러 이상 떨어짐). 1999

년에 말레이시아의 경제가 회복되기 시작하자 전화회선 수도 다시 증가하였다. 지역별 전자통신 이용률은 모든 국가에서 나타나듯이

| 279 |

Page 28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말레이시아에도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말레이시아 전반에 걸쳐 전신공급 밀도(Tele-density)는 오지 서부 사바(Sabah) 지역이

가장 낮아 8을 기록하였고 신공항, 멀티미디어 수퍼코리도가 위치하고 있는 서부 중심지역인 셀랑고르(Selangor)에서는 최고 36까지

기록하였다. 셀랑고르 (Selangor)지역에는 말레이시아 인구의 15%가 거주하지만 국내전화선의 25%가 이 지역에 가설되어 있는

실정이다.

정보통신 산업의 대중 보급 기본 척도로 사용되는 가정용 전화 사용에서도 큰 진척을 이루었다. 가정 유선전화선 설치율은 20년 전

10% 미만의 수준에서 2000년 말에는 69%로 증가하였다. 가정 전화 신규 설치 수는 1994년에 최고 약 340,000까지 증가했으나 그

이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약 37%의 가정에 고정 전화선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2000년 말까지 98,000명의 대기자가 있는

것을 감안하면 특이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가정 유선 전화선의 부족은 경제적 이유에서만 기인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전화 이용비용 (전화선 대여비 및 한 달 100회

통화)은 소수민족과 농촌거주자를 포함하여도 가정소득의 2% 미만 수준에 불과하다. 현재 전화서비스를 제공 받지 못하는 지역은

공급비가 너무 높거나 신규신청자들이 지난 몇 년 동안 크게 성장한 무선전화 서비스를 선호하기 때문일 것으로 보여진다.

말레이시아는 전국 각 지방별 전화 이용상황의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여러 계획을 수행하였다. 농촌지역 공중 전화 설치 계획은 약

40,000개의 마을을 대상으로 11개 마을 당 최소한 한 대의 공중 전화기를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이 프로젝트의 진행은

대체로 성공적이라고 평가되었다. 전화요금도 농촌지역 지원 계획에 의해 사바(Sabah)와 사라왁(Sarawak) 지방과 소규모 교환국에

연결된 주민들에게 저렴한 설치비 및 사용료를 부과한다.

말레이시아 통신 및 멀티미디어 위원회(MCMC)는 전국 기초 서비스(Universal Service) 공급계획안을 발표하였는데, 모든

사업자들이 자신의 수익에 따라 부담금을 지불하여 조성하는 기금 확보를 제시하였다. 이전의 계획에 따르면 텔레콤 말레이시아사

(Telekom Malaysia Berhad’s, TMB)가 2001년까지 전국 기초 서비스(Universal Service Obligation) 공급사로 지정되어 있고,

재정 보조가 필요한 지역의 서비스는 기금에서 보조금을 충당하여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이 계획안은 텔레콤 말레이시아사(TMB)의

서비스가 미치지 않는 지역의 사업자들도 유사한 역할을 담당할 것을 제안했다. 이 보고서는 공공장소에서 이용하는 공공이용자와

가정에서 이용하는 개인이용자를 구분하고 있으며, 인터넷 접속을 전국 기초서비스의 범주에 포함할 것을 제안했다.

2-3. 말레이시아 인터넷 산업 현황

말레이시아 인터넷 개발은 1988년에 말레이시아 마이크로 전자 시스템협회(MIMOS)가 랑카이안 콤퓨터 말레이시아(Rangkaian

Komputer Malaysia: Malaysia Computer Network) 또는 랑콤24(RangKom.24)로 칭하는 대학 컴퓨터 네트워크의 설립이 그

기원이 된다. 이 시스템은 호주, 한국, 네덜란드, 그리고 미국으로 다이얼 호출선을 구비하고 있고, 이메일과 뉴스 그룹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고비용의 전화 다이얼 연결시스템은 1992년에 미국에 연결하는 위공위성 네트워크로 대체되었고, 이 시기에 말레이시아의

인터넷 연결이 영구적으로 제공되었다. 말레이시아 마이크로 전자시스템협회(MIMOS)는 협동 고급 통합 네트워킹사(Joint Advanced

| 280 |

Page 28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Integrated Networking, JARING)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ISP)로 설립하였다. 이 회사(JARING)는 1996년 7월에 텔레콤

말레이시아사(TMB)가 인가되어 11월에 서비스를 시작할 때까지 말레이시아의 유일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ISP)이었다. 이후 또다른

인터넷 제공자 추가 승인이 이루어진 2000년도까지는 위의 두 회사가 독점하게 된다.

말레이시아 통신 및 멀티미디어 위원회(MCMC)에 의하면 2001년 6월의 인터넷 가입자 수는 2백만 명에 이른다. 말레이시아

컴퓨터 및 멀티미디어 산업협회(PIKOM)의 집계의 의한 2000년 12월 당시 인터넷 사용자 수는 약 4백만 명에 달하며, 이는 인구의

17.2%에 달한다. 시장 구조 면에서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시장은 자유화 되었지만 티엠넷(TMnet)이 최고 위치를 지키고 있다.

2001년 6월 기준으로 티엠넷(TMnet)은 105만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어 전체 시장규모의 70%를 가입자로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보면 이 회사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ISP)가 된다. 정부는 국내 디지털사용의 양분화,

특히 도시와 농촌간의 이용률의 현저한 차이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2000년 말 자료에 의하면 쿠알라룸푸르와 셀랑고르(Selangor)

지역의 인구는 총인구의 24%에 불과하지만 인터넷 가입자의 54%가 이 두 지역에 분포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001년 초에는 인터넷 가입자 비율이 총인구의 4%를 차지하였는데, 수도 쿨알라룸푸르에는 인구 100명당 10명의 인테넷

가입자가 있는 반면에 나머지 7개 주에는 10명당 2명 미만이었다. 이런 현저한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정부는 두 가지 정책을

채택하였다. 첫째로 이 문제를 분석하고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지 않는 인구에 대한 통계를 수집 분석하려는 노력이다. 국가

정보기술위원회(NITC)의 상세한 보고서에서 “정보통신기술의 이용 가능 상태”에 대한 정의를 다음과 같이 내렸다.

정보 및 통신장비 (라디오, 텔레비전, 전화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그리고 네트워크 등)를 실제로 소유하거나 사용 가능한

상태

정보통신기술 상품과 서비스를 구입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재정적인 여유

정보통신기술 상품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초 기술 및 가능성과 또 이들의 실제 사용

이 보고서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더라도 이용하지 않으려는 사람들이 항상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또, 이 보고서는 정보통신기술 이용이 불가능한 사람들에 대해 사회적, 인구통계학적 그리고 경제적인 기준에 의하여 분석 보고하며,

이들을 위한 해결책은 일괄적으로 표준화하여 시행될 수 없음을 제안했다.

둘째로 정부는 농촌지역의 문제점에 대하여 직접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조치를 취했다. 예를 들어 1996년에 제라칸 데사 와와산

(Gerakan Desa Wawasan) 프로젝트가 시행되었다. 마을 지도자들에게 행정업무 수행을 위한 개인용 컴퓨터가 지급되었는데, 2000

년 말까지 1,000여 개에 달하는 마을이 이 프로젝트에 포함되었다. 2000년 3월에 인터넷 데사(Internet Desa: 농촌 인터넷 센터)가

셀랑고르(Selangor)지방의 숭가이 아이어 타와(Sungai Ayer Tawar)와 사라와크(Sarawak) 지방의 카노윗잇(Kanowit) 두 장소에서

시범 운영되었다. 이 두 지역 우체국에는 인터넷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가 주민들에게 무료로 제공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정부

서비스와 현지 활동에 대한 정보가 담긴 특별 웹 포털이 구축되었고, 2001년 말까지 약 12개의 센터가 추가 시행되었다. 2002년

현재는 이바리오(e-Bario) 프로젝트에 따라 말레이시아 대학 사라와크 캠퍼스(University of Malaysia Sarawak)의 주도 하에

| 281 |

Page 28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말레이시아의 오지 바리오(Bario) 마을에 정보통신기술 이용을 제공하는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또 다른 계획으로는 정보통신기술 학교 도입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이에는 민간 부문도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는데, 예를 들어

막시스(Maxis)사는 농촌지역에 위치한 여러 셀(Shell) 주유소에 농촌 인터넷 센터를 설립하였다. 인터넷 사용안은 말레이시아의 전국

기초 서비스에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모든 지역과 가정에 최소 128kbps(기본 종합 서비스 디지털 통신망) 속도의 인터넷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선 도서관, 학교 등의 공공 장소를 통한 공동 이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고급 정보통신기술 이용의 장애 요소

중에 주요인은 개인용 컴퓨터 보급 비율이 낮다는 점이다. 위에 언급했듯이 국가정보통신위원회(NITC) 보고서에 의하면 개인용 컴퓨터

구입을 포함하여 인터넷 이용 비용은 농촌 가정의 가처분 소득의 90% 수준에 달하게 된다. 이 높은 비용을 극복하기 위해 고려된 대책

중 하나는 1999년 10월에 시작된 PC 보급 캠페인(PC Ownership Campagin)이다. 이 프로그램은 10살 이상의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 고용공제기금(Employee Provident Fund)을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를 구입할 수 있게 하였는데 2000년 말까지 약 20,000

명이 이 제도의 혜택을 누렸다.

정부에서 채택한 다른 프로그램으로는 정부-산업 프로젝트로서 “1가구 1 컴퓨터”의 표어로 특별 전시장에서 저렴한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병행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ISP)들도 인터넷 서비스에 가입할 때 저렴한 가격의 컴퓨터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착수했다. 말레이시아는 도시와 농촌 간에 정보통신기술 수준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 정보통신기술의

광범위한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주변국가와 비교할 때 아주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2000년 인구조사 결과가 발표되면,

가정의 정보통신기술 장치 소유에 대한 통계는 향상된 수치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가정에서 정보통신기술 사용 정도에 대해

간략하게 국제적으로 비교해 본다면 말레이시아는 선진국과 비교해서도 뒤지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랑스보다도 더 높은 가정내 인터넷

사용률을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말레이시아의 가장 큰 문제점은 컴퓨터의 부족이 아니라 고정 전화선의 부족이다. 말레이시아가

상대적으로 높은 가정내 인터넷 이용률을 기록하는 이유는 전화통화비가 저렴하기 때문이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2005년까지 인터넷

가입자 비율을 국민의 25%까지 증가시킨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2-3-1. 광대역(Broadband) 인터넷 망 현황

멀티미디어에 대한 정부의 강한 의지와 멀티미디어 수퍼코리도의 개설에도 불구하고 말레이시아의 광대역 인터넷 망의 이용은

전체적으로 아직은 낮은 수준이다. 산업용 접속을 제외하고는 2000년 말 기준 가정이나 소기업의 고속 인터넷 접속은 아주 제한된

사용율을 기록하였다. 이것은 시장에 제공되어 있는 선택 여지의 제한에 기인하기도 한다. 말레이시아에는 유선 TV방송이 제한되어

있고 무선기술을 이용하는 가입자의 수도 매우 적은 실정이다. 따라서 케이블 모뎀을 통한 고속인터넷 접속은 현재 상황으로는

가입자들이 쉽게 선택할 수 있는 조건이 되지 않는다. ADSL의 전국적인 설치도 진전이 아주 느린 실정이다. 이는 현재 지상 고정선을

소유하고 있는 현 운영회사의 확장 지연 때문에 초래된 면도 있고, TMB 등의 회사가 대여 회선 (leased lines)과 관련하여 다른 종류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선택함으로 인해 생길지도 모를 수익 감소를 막기 위한 경영전략의 일부로 지연되는 면도 있다.

또한 텔레콤 말레이시아사가 현재 가설된 유선망을 통한 인터넷 서비스 공급을 세분화 및 자유화해, 다른 회사가 ADSL서비스를

| 282 |

Page 28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공할 수 있게 하거나, 좋은 조건의 도매율을 제공하기 어렵게 되어 있는 현행 규정도 중요한 제약조건이다. 현지 루푸(loop)를 세분화

및 서비스를 각각 공급하는 데서 생기는 이득이 그 비용보다 클 것인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TMB의 경쟁사들도, 각 회사에 직접

연결된 가입자들에게 ADSL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본격적으로 고려하고 있는지도 확인 해 볼 여지가 있다. 하지만, 낮은 진전도에

대한 또 한가지의 이유는, 경쟁사들이 각 지역 회선을 설치하는 데 필요한 투자를 할 의사가 없다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아직 수요가

부족하다고 주장한다. 광대역 인터넷 접속법 중 인공위성을 통해 가정으로 직접 연결(Direct-to-Home statellite)하는 방법과 고정

무선 접속(Fixed Wireless Access) 등의 무선 연결법의 타당성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2001년 12월에 말레이시아 통신 및 멀티미디어 위원회(MCMC)는 고정 무선 접속(Fixed Wireless Access)을 통한 광대역 인터넷

네트워크의 제공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무선 주파수를 추가로 허가했다. ADSL서비스는 2000년 3월에 텔레콤 말레이시아사가

멀티미디오 초전용로에 최초로 설치 제공하였다. 텔레콤 말레이시아사는 2001년에 도심 지역에 30,000 ADSL선을 확장할 계획이다.

2-3-2. 전자 상거래 (e-Commerce) 현황

말레이시아의 전자상거래는 2000년에 급속히 성장했다. 수입은 이전 해보다 약 600% 상승하여 16억 링깃(RM 1.6 billion)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후에도 년 평균 60%로 계속 성장하여, 2004년에는 114억 링깃(RM 11.4 billion or US$ 3 billion)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현재 전자상거래에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잇고 또한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정부는 여러 정책을 수립

시행하고 있는데, 정부 태스크포스 수립, 디지털 법 통과, 지불 시스템에 대한 작업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정부는 국가 전자상거래 위원회(National E-Commerce Committee, NECC)를 수립하여 이 분야의 정책과 활동을 조정하도록

하였다. 1998년 11월에 국가 전자상거래 위원회(NECC)는 전자상거래의 토대를 발표했는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지침 규정을

발표했다. 첫 번째, 정부, 기업, 시민단체 간의 협력 및 제휴가 있어야 하며, 국경이 없고 국제적인 전자상거래의 성격을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모든 말레이시아 국민이 전자상거래에서 혜택을 볼 수 있도록 기회 창출 등이 포함되었다. 국가 전자상거래

위원회는 4가지 전략적 분야를 강조하였다.

신뢰와 자신감 구축

법률 및 감독 기반의 강화

인프라와 유통과정의 지원 강화

경제 사회 이익의 극대화

1997년도에 제정된 디지털 서명법(Digital Signature Act)은 전자서류가 법적 효력을 가질 수 있도록 인정했다. 이로 인해 1998

년에 인증감독 감사관(Controller of Certification Authority)직이 제정되고, 이 분야에 두 종류의 인증감독 즉 디지털인증(Digicert)

및 사이버서명(Cybersign)을 허가하여, 온라인 거래를 인증하는데 사용되도록 하였다. 1997년 판권법(Copyright Act)은 판권물이

인터넷상에 전송되는 것을 법에 저촉되는 사항으로 인정하였다.

| 283 |

Page 28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정부는 소프트웨어 보호도 적극적으로 강화하여 해적판 사용률이 1995년 77%에서 1999년 71%로 감소하였다. 한 연구에 의하면

2000년에 말레이시아 인테넷 사용자의 5%가 온라인을 통하여 구매를 해서 27개 조사 대상국 중 17위를 기록했다. 온라인 구매를

권장하기 위하여 지불방식을 개선하려고 여러 정책을 수행하였다. 중앙은행(Bank Negara)은 전자지불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말레이시아 전자 지불 시스템(Malaysian Electronic Payment System: MEPS, www.meps.com.my)을 허가하였다. 전자 지불

시스템(MEPS)은 27개 말레이시아 금융기관이 공동 소유하고 있으며, 말레이시아 안전 전자거래(Secured Electronic Transaction:

SET)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2001년 12월 기준으로 9개의 은행이 안전 전자거래(SET) 지불 게이트웨이

(Gateway)를 사용하였다.

신용카드의 수는 1992년 기준으로 2.6배 증가해서 2000년 말에는 약 2백 3십만 개가 통용되었다. 이는 대략 말레이시아 가정의 약

절반에 해당한다. 따라서 신용카드 소유 부족이 온라인 구매를 막는 요인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한 가지 괄목할만한 개선점은 국립

은행 중 몇 개사에 의한 가상 신용카드의 발행인데, 이 무형의 신용카드는 온라인 쇼핑을 홍보하기 위하여 발급되고 있다. 또 다른

프로젝트의 산물로 출현한 국가 다목적 카드(National Multi-Purpose card flagship)는 신용카드, 지불카드, 자동인출기, 사이버

현금 기능 등을 지원하는 수단이다. 이 카드는 모든 말레이시아 성인에게 언젠가는 지급될 것으로 보인다. 말레이시아 회사들의

전자상거래 적용 의지는 아주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1999년에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전자상거래 적용준비도(e-readiness)를 조사하기 위하여 두 종류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참가한

800개 중소기업 중 약 90%가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그 중 약 반 수가 인터넷을 이용했고, 또 웹사이트를 보유하고 있는 회사는

20%를 밑돌았다. 인터뷰에 응한 385개 대기업(고용인 150명 이상, 연 소득 2천5백만 링깃 이상)은 예상대로 훨신 높은 이용률을

나타냈다. 모든 회사가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었고, 그 중 86%가 인터넷을 이용했고, 44%가 웹사이트를 보유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

두 부류의 기업 모두 인터넷 거래의 이용도는 낮았는데, 1999년에 인터넷 지불 시스템을 운용한 회사는 5% 미만이었다.

2-3-3. 전자정부(e-government) 현황

말레이시아 전자정부 프로그램의 목표는 정부 운영의 개혁을 필두로 하여 열린 정부의 구현, 정보 및 서비스의 이용률 향상, 양질의

서비스 제공 및 최상의 업무 처리 및 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정부의 국민 및 기업부문과의 연계도를 향상시키는 데 있다. 총 여섯 개의

전자정부 시행 프로젝트 중 4개는 각 시험 부처에서 이미 시작되었다. 이 중 프로젝트 감시 시스템(Project Monitoring System,

PMS), 전자구매, 일반사무환경(Generic Office Environment, GOE), 서비스 프로젝트 등이 포함된다. 인적자원 경영정보시스템

(Human Resour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HRMIS)과 전자노동 교환 시스템(Electronic Labour Exchange System,

ELX)은 현재 개발 중에 있고 가까운 시일에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전자정부의 운용은 어플리케이션, 네트워크, 보안,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 운영 및 지원, 교환 경영, 기술 과 지식 등을 모두

포함하는, 총체적인 접근을 택하였다. 미래로 도약하기 위하여 4가지 시행 원칙을 세웠는데, 1) 정부와 민간 부문 협력, 2) 테이터 및

정보 공유, 3) 고객만족, 4) 정보 및 테이터 보안 등이 포함된다.

| 284 |

Page 28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현재 6개의 시험 어플리케이션이, 멀티플 웹사이트와 멀티플 플랫폼에서 운용되고 있다. 향후 다수의 서비스가 정부전자서비스

포털에 추가될 것이며, 1회 수행에 데이터 입력, 테이터 통합 및 1회 서명과 같은 개념을 응용함으로 데이터 및 정보의 공유를 개선할

것이다. 한 가지 해결되어야 할 과제는 정부가 하나의 플랫폼이나 제품으로 정부 모든 부서에 표준화하여 적용할 것인지, 아니면 서로

호환이 가능하다면 현재 사용되는 여러 시스템을 병행해서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이다. 이러한 해결 과제는 전자 정부 도입

추세중, 전자 정부응용에 관한 2차 정책의 운용이 2년 전에 시작되어야 했으나, 1차 정책의 운용이 지연됨에 따라 함께 지연되면서

일어나는 문제들이다. 전자정부 프로그램의 수행이 진행되고 있는 동안에도 정부전산화는 다른 부처에서 계속 진전되고 있다.

전자행정넷(E-Governance*Net)이라 불리는 내부인터넷을 통해 모든 부처에 전자정부를 구축하는데, 1개의 사업자가 지정되어

모두에게 연결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당면한 문제는 많은 부처들이 이미 다른 제공회사의 서비스를 이용해서 그들 자체 네트워크를

운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 부처를 푸트라자야(Putrajaya)에 있는 연방정부행정 센터(Federal Government Administrative

Centre)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부처들이 푸트라자야에 있는 다른 부처 및 전 세계로 동시에 연결이 필요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통신사업의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그러므로 bandwith 사용이 용이하고 통신 및 네트워크의 신기술을 응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더 경제적인 전자행정넷(E-Goverance*Net)으로 정부 부처의 작업에 점진적으로 진행 될 것으로 보인다.

보안문제에 관해 정부는 스마트카드 및 공공 부문 주요 인프라 등의 도입을 비롯하여 IT 보안정책(IT SecurityPolicy)을 수립하였고,

향후에는 홍보, 집행, 표준화 작업 등이 진행 될 것이다.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 (process reengineering)을 통해 현 전자정부 어플리케이션은은 현 과정을 간소화 및 자동화하였는데,

이는 특정 부서의 직원들에게 새로운 역할과 책임을 만들어 내었다. 향후 어플리케이션은 기능중심에서 고객 중심으로 바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부처간 업무한계를 없애고 조직을 개편하며, 끊임없는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공통된 지침을 수립하고 채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장관실과 각 부처들이 푸트라자야로 이전하고, 전자정부 응용을 시행하는 부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자원을 공유할 필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안내 데스크(Help Desk), 총괄 및 데이터 센터(Command and Data Centre), 그리고 네트워크 및

기업시스템 관리(Networks and Enterprise Systems Management) 등의 중앙 시설을 제공하는 공동서비스 유닛 (Shared

Services Outfit, OSS)을 설립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이를 위해 해결하여야 할 가장 큰 문제는 부처들이 자원을 공유하도록

설득하고, 공동서비스집단(OSS)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같이 활용하는 것이다. 향후, 해결할 문제들은 부처간 IT 조율의 개선,

향상된 정책 및 서비스 계약, 서비스 제공 회사와의 서비스 수준 합의(service level agreement, SLAS), 보수 및 유지 지침의 기준

제정을 통한 지원 등이다.

전자정부의 시행에 있어서 가장 큰 난관은 국민을 어떻게 설득하고, 그들의 지지 및 계속적인 사용을 유도하는가에 있다. 전자 정부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은 본질적으로, 세 종류의 근본적인 경영혁신을 수반하는데, 이는 과도기 경영, 통신 경영, 이익 창출이다. 향후

전자정부의 성패는 성공이 예측되는 부분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국민의 의식 내지는 문화 개조를 이룩할 수 있는지 여부에

| 285 |

Page 28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달려 있다.

마지막으로 기술과 지식분야에 있어 정부는 회사 컨소시엄을 지정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시행하기 위한 전담 프로젝트팀을

설치했다. 그러나 컨소시엄으로부터 정부 팀 멤버들에게로의 기술 전수는 의도한 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는 그

당시 기술을 받아들일 수용자가 부족한 요인도 있고 또한 컨소시엄 회사들은 정해진 기간 안에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마치는 것에

대부분의 노력을 쏟아 부었던 까닭도 있다.

2-4. 말레이시아 정보통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산업 현황

반도체와 통합회로의 주 생산국가인 말레이시아는 컴퓨터 및 부품뿐 아니라 광섬유, 인공위성 그리고 디지털기기 등의 최신 기술을

이용한 전자통신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현지 제조사들이 생산한 품목은 메모리 및 칩, 컴퓨터 모니터, 디스크 드라이브 및 현지 조건에

맞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등이 있다. 그러나 이 산업은 여전히 훈련된 숙련 IT 근로자 부족, 저조한 인터넷 사용 능력, 대학의 저조한

연구개발 능력 등의 문제들에 직면해 있다. 2000년에 현지 컴퓨터 산업은 2%~4%의 성장을 예측하고 있고, 또한 개인용 컴퓨터의

판매도 기관보다 일반 대중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가격은 더 인하될 전망이다.

말레이시아 전자산업(전자 부품, 소비자 그리고 산업전자 포함)은 현재 최종조립 산업의 저가품시장, 반도체 부품 패키지와 소비자

전자 상품에 집중되어 있고 수출의존도가 높다. 산업 전반에 걸쳐 훈련을 통한 국제 수준으로의 경쟁력 향상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국내 IT 및 인터넷 사용의 급속한 확산은 개인용 컴퓨터 및 다른 전자 상품의 수요를 증가시킬 것이고, 말레이시아 멀티미디어

수퍼코리도 프로젝트도 이 분야의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정부는 전자 및 전자 하급 분문을 보완하기 위하여

웨이퍼 조립산업 개발을 장려하고 있고 이는 궁극적으로 정밀 부속품 그리고 진공기, 정밀 밸브 등의 부품 개발을 통해 산업연계를

강화하고 연구개발 활동을 활성화할 것이다.

뒷 편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연구의 주요 조사대상인 태국, 인도네시아 그리고 베트남에 비하여 말레이시아 소프트웨어 산업은

상당한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성장의 이유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 세계적인 다국적기업의 진출과 현지기업의

경제적 그리고 전략적 역량에 기인한다. 이와 더불어 소프트웨어의 기반언어인 영어가 공용어로 상용되고, 문화적 차이에 대한 갈등의

정도도 낮아서 관련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었다.

표5-2는 전산화관련 담당자 혹은 작업자들과의 면접조사를 통해 수입 소프트웨어의 현지화 수준을 알아본 연구조사의 결과이다.

답한 내용을 보면 Oracle, SAP, Peoplesoft, JD Edwards, Siebel, Microsoft 그리고 Linux 등의 제품을 현지에서 적용할 때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외국어로 작성된 혹은 외국의 상황에 맞게 제작된 제품의 말레이시아 현지적용을 위한 현지화가, 구매시에 그리 중요하지는

않다고 답하였다. 이러한 근본 이유는 말레이시아에서 영어가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고 일찍부터 서구 특히 영국과 미국의 사회적 기반

시스템이 구축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도 다국적 기업에게는 상당한 시장매력과 나아가서 투자매력을 주는 요소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는 역으로 생각해서 기존의 다국적 기업의 제품에 말레이시아의 정보기술 활용상황을 적용한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 286 |

Page 28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재미있는 것은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수입 중요성에 답한 것으로 보면 수입할 필요가 없다고 되어있다. 이는 어느 정도 기술수준이

있다는 자신감의 표현일 것으로 추정된다.

| 287 |

Page 28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5-2> 수입 소프트웨어의 현지화 정도(2002. 11.)

공급자 Oracle SAP Peoplesoft JD Edwards Siebel Microsoft Linux현

현지어 No No No No No No NoGUI No No No No No No No사용법 No No No No No No No 도움말 No No No No No No No

현지세금 Yes Yes Yes Yes Yes Yes Yes현지화수준 0% 0% 0% 0% 0% 0% 0%수입중요성 전무 전무 전무 전무 전무 전무 전무

제 2 절: SI(System Integration: 시스템 통합)시장 현황

1. SI시장 규모

표5-3의 자료에서 나타나듯이 말레이시아의 IT 산업 전체규모는 말레이시아의 약 2배에 달한다. 지난 5년 동안 1998년 1,851백만

달러에서 2002년 2,450백만 달러로 안정적인 성장을 이룩하였고, 동남아시아 최대의 시장이 되었다. 그 중 SI 시장은 약 30%로 이는

다른 동남아시아의 IT 산업에서 SI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다.

<표 5-3> 말레이시아 IT산업과 SI 시장 추세, 1998-2002

단위: 백만 달러(US)

Year 1998 1999 2000 2001 2002IT 산업 1,851 1,940 2,033 2,130 2,450SI 시장 611 640 671 703 808참조: 수입 정보통신기술 기기 및 부품은 통계에 빠져 있음. 2002년은 추정치임.

출처: 컴퓨터 멀티미디어 산업협회 (www.pikom.org.my)

다음의 표5-4는 SI 시장부문에서 가장 많은 비용을 지출하는 부문별 시장수요자들이다. 여러 부문별 시장 수요자 중에서 제조업

부문이 18%, 금융부문이 14% 그리고 정부부문이 11%로 이 세 부문이 전체시장의 43%를 차지한다. 좀더 자세히 분석을 해보면,

상기 3대 주요시장에서 금융부문과 정부부문이 상대적으로 경제 및 사회적 규모 관점에서 제조업보다 작으므로 이러한 단순 금액 대비

보다는 실제 시장의 관점에서 상당히 수요를 흡수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표 5-4> SI 시장 부문별 수요 분석 (2002)

| 288 |

Page 28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부문 비율 부문 비율

금융 14% 일반공공 4%제조 18% 전문서비스 4%정부 11% 의료서비스 1%통신 8% 교육 및 연구 4%유통 11% 가정 8%석유 및 가스 5% 기타 11%

표 5-5는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큰 SI 수요시장의 각 부문별 담당자 20여 명 즉, 총 100여 명의 정보활용부서에 있는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각 부문별 전산화 활용수준에 관한 통계이다. 이러한 설문서는 현재 각 부문의 전산화 활용수준을 정확히 조사할 수 있는

각종 통계자료 등이 미비하여 현재 그 부문에서 전산화를 담당하고 있는 부서와 활용부서 관계자들을 상대로 한 인위적인 활용수준

조사이다. 어쨌든 그 결과, 동남아시아의 다른 국가와 비교하였을 때 상당히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조사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앞서 언급한 말레이시아 전체의 정보통신산업 현황과 향후 사례조사를 한 각 공공부문 등의 실제조사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실제조사는 이렇게 응답한 것보다 더욱 낮은 수치로 나올 수 있다.

| 289 |

Page 29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5-5> 말레이시아 전산화 활용수준 각 부문별 (2002. 11.)

참조:

완전

활용수준 100%, 대부분활용 75%, 중간정도 50%, 최소활용 25%, 전무 0%

2. SI 주요 기업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말레이시아는 전통적으로 외국기업의 투자에 의한 경제성장 정책을 펼치고 있고 또한 싱가포르와 밀접한

관계를 정치적 지리적으로 맺고 있다. 또한 전술한 관련 법규환경에 잘 나오듯이 외국기업의 투자요인에 대한 과감한 정책들이 잘

개발되어 있고, 관련 법규 또한 투명성을 보장하는 등 외국기업 진출요건이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 보다 상대적으로 잘 되어 있다.

또한 인근의 싱가포르라는 경제적 선진국과의 역사적 지리적 관계는 싱가포르에 진출한 다국적기업이 제2의 투자 장소로 가까운

말레이시아를 선택하도록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SI관점에서 보면 이러한 요소들은 다국적 SI 기업들에게 말레이시아에서의

외국기업이라는 중요한 시장을 제공해준다. 또한 말레이시아 정부는 다른 어떤 동남아시아 정부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정보통신 산업을

개발하였기에 다국적 SI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를 유도하였고, 또한 그들의 기술이전이 가능하도록 말레이시아 기업과의 연계성을

적절하게 제도화 하였다. 말레이시아 국내경제는 중소기업에 의한 성장이라기보다는 인도네시아처럼 대기업에 의한 성장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 기업자체의 경제적 그리고 전략적 역량, 그리고 인적자원의 역량 등으로 새롭게 떠오르는

정보통신 산업으로 쉽게 진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다국적기업에 대한 상대적 기술과 관리능력의 부족으로 대부분

중소규모의 시장과 정부의 정책 시장인 공공부문 등에서 다국적기업과의 협력관계로 참여하고 있는 실정이다.

2-1. 주요 외국기업 및 공급자

SI 시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컨설팅 분야에서는 IBM Malaysia, Cap Gemini Malaysia, Deloitte Consulting, BearingPoint

그리고 Accenture 등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이중에서 가장 오랜 말레이시아 투자경험을 가진 IBM의 경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공급 그리고 IT서비스까지 상당한 시장의 주도권을 잡고 있다. IBM은 주로 대형 프로젝트를 많이 수행하였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정부의 대국민서비스 조직개선, 국가 Y2K 작업, 텔레콤 말레이시아 시스템공급 등을 들 수 있다. Cap Gemini Malaysia의

경우 가장 큰 SI수요처인 말레이시아 항공을 주요고객으로 보유하고 있고, Deloitte Consulting의 경우 말레이시아 가스공사의

경영관리 SI 컨설팅을 제공하였다. Accenture의 경우 멀티미디어 초전용로 작업에 적극 참가하여 말레이시아 정부의 전자정부 작업과

금융기관의 SI 컨설팅을 주로 하고 있다. 다국적 컨설팅 기업들은 또한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에서의 활동과 달리 상당한 투자와 규모의

사업활동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구KPMG Consulting인 BearingPoint는 2002년 현재 1천만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이들의

간단한 현황은 아래의 표5-6과 같다.

<표 5-6> 말레이시아 시장의 주요 외국 다국적 SI 컨설팅 기업 (2002)

| 290 |

부문별 정부/공공 금융 제조업 서비스 정보통신전산화 활용수준 75% 80% 65% 65% 90%

Page 29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기업명 IBM Malaysia Deloitte Consulting Accenture Cap Gemini Malaysia웹사이트 ibm.com/my dc.com accenture.com capgemini.com컨설턴트 712 30 500 20매출액 1억 2천만 달러 1천만 달러 3천만 달러 2백만 달러

참조: Deloitte Consulting와 Cap Gemini Malaysia의 컨설턴트 숫자는 간부급 책임파트너의 숫자이다.

말레이시아의 소프트웨어 시장에서는 SAP Malaysia, Peoplesoft Malaysia, Oracle Systems Malaysia , JD Edwards Malaysia,

Computer Associates (M) 과 같은 외국 다국적 기업들이 지배하고 있다. 소프트웨어는 직접판매 또는 현지기업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이들이 장악하고 있는 시장은 대형 공급시장으로 정부기관, 은행 그리고 통신과 제조업으로 나누어져 있다.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보다는 상황이 낮지만 말레이시아에 소프트웨어 진출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불법 복제이다. 일반적으로 약 50-60%의 불법

복사 제품이 사용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이다. 정부에서 법규환경개선에 따라 적극적으로 규제를 하고 있지만 이들 다국적 기업의

소프트웨어가 워낙 비싸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들 주요 다국적 기업들은 중소규모의 시장보다는 앞서 언급한 대규모

공급시장을 주로 선점하고, 일반 중소규모의 시장들은 지역기업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말레이시아와 비슷하다. 위

기업의 일반 현황은 다음의 표5-7과 같다.

| 291 |

Page 29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5-7> 말레이시아 시장의 주요 외국 다국적 패키지 소프트웨어 기업 (2002)

기업명 SAP Malaysia Peoplesoft Malaysia

Oracle Systems Malaysia

JD Edwards Malaysia

Computer Associates (M)

웹사이트 sap.com/Malaysia

peoplesoft.com oracle.com jdedwards.com ca.com.my

컨설턴트 100 30 200 30 60매출액(USD) 2천 2백만 달러 3천만 달러 4천 7백만 달러 3천만 달러 2천 6백만 달러

주요고객 PetronasMamee-Double DeckerBank IslamDRB-Hicom GroupMalaysia Airports Tenaga Nasional

Bank NegaraAffin BankHong Leong BankTenaga Nasional CelcomING Insurance Malaysia

Malaysian Accountant General’s OfficeMedical OnlineArab Malaysian Bank MaybankInland Revenue Department

Bumi Hiway (M) Shell MalaysiaMalaysia Shipyard Engineering Suncon BerhadSuruhanjaya Perumahan Dan BP Petronas Acetyls (Malaysia

TMTouchBank Simpanan NasionalAffin-UOB SecuritiesBank Pertanian MalaysiaMalaysia Airlines System

참조: Peoplesoft Malaysia와 JD Edwards Malaysia의 컨설턴트 숫자는 간부급 책임파트너의 숫자이다.

교육 및 훈련 부문의 말레이시아 SI 시장은 IBM Malaysia, Microsoft Malaysia, Siemens Multimedia, Sun Microsystems

Malaysia와 Hewlett-Packard Sales (Malaysia)가 주도적인 위치에 서 있다. 앞서 언급한 IBM Malaysia은 보수 및 유지 부문의

시장에도 상당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Microsoft Malaysia 는 1992년 상반된 기업으로 약 150여 개의 기업을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고, Siemens Multimedia는 1972년 반도체 공장을 위한 직접투자로 진출한 이후 관련 컴퓨터 기기 및 이에 연관된 교육시장에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고 있다. Sun Microsystems(M)은 1982년 설립되었고, 2002년 현재 RISC/Unix 서버시장의 36.8%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보수 및 유지 부문의 SI 시장은 상기의 IBM Malaysia, Hewlett-Packard Sales 그리고 Sun Microsystems

Malaysia 등과 더불어 Electronic Data Systems IT Services Malaysia와 Unisys MSC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Electronic Data

Systems IT Services(www.eds.com/malaysia/my_profile.shtml)는 총 200여 명의 컨설턴트를 확보하고 있고 2002년 현재 5

천만 달러의 매출액을 올리고 있으며, 주요 프로젝트로 MSC Smart Schools Project, MSC Pilot Generic Office Environment

Project, Minolta Precision Engineering, Telekom Malaysia Smart Schools Project Malaysian Government – MAMPU와

Bumiputra-Commerce Bank (BCB)가 있다. 또한 Unisys MSC(www.unisys.com)의 경우 총 100여 명의 컨설턴트에 2002년 현재

2천 5백만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하고 있다. 주요 프로젝트로는 MSC MyKad Project, CRM Data Warehousing e-@ction Payment

Solutions, Automatic Check Clearing System, Malaysian Governmentt (National Registration Dept), Arab Malaysian

| 292 |

Page 29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Merchant Bank 그리고 Maybank Bumiputra-Commerce Bank 등이 있다. 주요 교육 및 훈련부문의 다국적 기업의 일반적 현황은

표 5-8에 있다.

<표 5-8> 말레이시아 시장의 주요 외국 다국적 교육 및 훈련 제공 기업 (2002)

기업명 Microsoft Malaysia Siemens Multimedia

Sun Microsystems (M)

Hewlett-Packard Sales (Malaysia)

웹사이트 micorsoft.com/malaysia

siemens.com malaysia.sun.com www.hp.com/country/my

컨설턴트 20 9,000(공장포함) 30 280매출액(USD) 50백만 달러 250백만 달러 40백만 달러 100백만 달러

주요고객 Celcom NasionCom

MaxisPort Tanjung Selangor Water Celcom Malaysia

Medical Online PetronasTelekom MalaysiaMaybank

CSE Multimedia TechnologiesGoodyear AsiaMaybank Telekom Malaysia

참조: Microsoft Malaysia와 Sun Microsystems (M)의 컨설턴트 숫자는 간부급 책임파트너의 숫자이다.

2-2. 주요 현지기업 및 공급자

앞서 언급하였듯이 태국이나 인도네시아처럼 말레이시아의 SI시장은 외국의 다국적기업에 의한 시장이다. 현지기업은 주로 그들의

말레이시아 내의 협력 내지 하청관계를 형성하거나 아니면 중소규모의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

대기업의 경제적 역량과 충분한 인적자원 등을 바탕으로 시장에서 상당한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 그 중에서 활발히 다른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진출하는 기업들도 있다. 현지의 대표적인 컨설팅 회사로는 Derilium CyberTouch(www.deriliumctouch.com)와 앞서

자세히 설명한 국영기업의 Multimedia Development Corporation이 있다. Derilium CyberTouch는 2001년 Delirium

Corporation와 CyberTouch 합병으로 재 창립된 회사로 말레이시아 제 1세대 컨설팅 회사 그룹이다. 주력 시장부문은 현지

말레이시아 기업과 정부 그리고 동남아시아 지역 기업들로 Bernama National News Agency, Bumiputra-Commerce Bank, BP

Amoco, DHL, Perwira-Affin Bank, RHB Bank 등이 있다.

패키지 소프트웨어 공급회사로는 Sapura Holdings, Mesiniaga, HeiTech Padu, Formis Holding와 CSA (M) Bhd 등이 있다.

1975년 창립된 Sapura Holdings은 처음에는 통신기기 조립에 주력한 회사로 지금은 약 40여 개의 계열기업을 거느린 대기업

그룹이다. 지금은 통신, 정보기술, 재료산업와 연구개발 등에 집중하고 있다. Formis Holdings, Formis (Malaysia) Berhad의

자회사로 지난 18년 동안 IT 산업에 집중투자를 해온 기업이다. 현재 28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고 인도네시아 시장에도 진출을 하고

있다. SI,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유통에 전문적인 회사로 또한 다국적기업과 제휴도 활발하다. 제휴 기업들로는 Avid, Tera, Compaq,

Storagetek, Lightbridge, 3Comm, Hewlett Packard, IBM, Nortel 그리고 Security Dynamics 등이 있다. HeiTech Padu는 예전

| 293 |

Page 29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PNB Training and Resort Management사에서 재창립하여 지금은 12여 개의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다. 주요 부문으로는 SI,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유지 등이고 IDC에 의해 말레이시아 4대 기술개발회사로 조사된 바 있고 현재 시장점유율 약 10%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말레이시아 SI부문에서는 IBM 말레이시아 다음으로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이다. Mesiniaga는 1982년 IBM의 전직 50여명

전문 컨설턴트들이 독립하여 만든 회사이고, CSA(M)는 1971년 설립되어 말레이시아 IT기업으로는 최초로 MS ISO 9001 Quality

Management and Assurance Standard Award 획득하였고, 현재 약 900여 명의 관련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이들에 대한 일반적

현황은 다음의 표5-9와 같다.

<표 5-9> 말레이시아 시장의 주요 현지 다국적 패키지 소프트웨어 기업 (2002)

기업명 Sapura Holdings

Formis Holdings HeiTech Padu Mesiniaga CSA (M)

웹사이트 sapura.com.my formis.com.my heitech.com.my mesiniaga.com.my

csam.com.my

컨설턴트 700 280 700 350 900매출액(USD) 1억 천7백만 달러 4천 5백만 달러 5천 7백만 달러 6천 5백만 달러 7천 6백만 달러

주요 프로젝트 Total Airport Mgmt Systems (TAMS) for KLIAB.Polis Reporting SystemiComms ProjectSmart School ProjectKLCC Cable Plant

Application Software Development

Unit Trust SystemDelivery of Terminal ServicesVehicle and Driver Info SystemBusiness Area Information SystemSistem Informasi Rekod Penduduk Negara

Malaysian Courts System.Financial, sales and distribution, inventory and materials mgmt system.IBM Premier University Program -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Sun E10K ProjectMS Enterprise and Digital Nervous SystemMulti-Application Smart Terminals for MyKadKnowledge and

주요고객 KLIA Ministry of Defense, MalaysiaPolis DiRaja

Bank NegaraCelcom Telekom Malaysia Hong Leong

Permodalan Nasional Pos MalaysiaRoad Transport Dept Malaysia

Ministry of JusticeMamee-Double Decker (M) Kolej Universiti

Sabah Electricity Bank Muamalat Malaysia GMPC Corp

| 294 |

Page 29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MalaysiaTelekom Malaysia Ministry of EducationKuala Lumpur City Center

Finance Maybank Kementerian PertanianMinistry of Trade and Industry

Jabatan Imigressen MalaysiaJabatan Pendaftaran NegaraMinistry of Home Affairs

Sains dan Teknologi MalaysiaUniversiti Teknologi MaraMaybank National Panasonic

Malaysia Debt Ventures Boustead Holdings Padini Holdings

교육 및 훈련부문의 주요 기업으로 SCS Computer Systems, Edaran Komputer, Xybase Technologies, Patimas Computers

와 MCSB Systems Malaysia가 있다. 이들 기업 중에서 외국 진출에 상당한 노력을 하고 있는 기업이 CSB Systems Malaysia이다.

동 기업은 현재 동남아시아를 벗어나 동아시아까지 활발하게 진출을 하고 있다. 현재 지점을 내고 있는 곳이 중국, 홍콩, 인도네시아

그리고 싱가포르이다. 보수 및 유지부문은 앞의 컨설팅 혹은 소프트웨어 패키지 공급회사들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다. 주요 기업으로

Sapura Telecommunications, HeiTech Padu, Mesiniaga과 CSA Malaysia가 있다. 다음의 표는 말레이시아 IT 서비스 시장에서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는 주요기업의 일반 현황이다.

<표 5-10> 말레이시아 시장의 주요 현지 교육 및 훈련 제공 기업 (2002)

기업명 SCS Computer Systems

Edaran Komputer

Xybase Technologies

Patimas Computers

MCSB Systems (M)

웹사이트 scs.com.my edaran.com xybase.com patimas.com mcsb.com컨설턴트 300 119 100 380 332매출액(USD) 5천 5백만 달러 3천 백만 달러 1천만 달러 4천 백 오십만 달러 천 4백만 달러

주요고객 Putrajaya HospitalMaybank Sitt TattKrystal Point Corportate Park, Penang

Municipal CouncilsPolis DiRaja Malaysia Department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Tenaga Nasional Jabatan Perdana MenteriKintetsu

KLIABAmpang Puteri Hospital (Johor)UPMKontena Nasional MNIMalaysian Accountant’s General Office

MaybankTA SecuritiesUnimas

Bank Negara MalaysiaTourism MalaysiaStar PublicationsMaxis CommunicationsCelcom MalaysiaCapital and China Holding

| 295 |

Page 29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296 |

Page 29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3장. 사례조사 - 공공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

제 1 절: 중앙정부의 행정부문

1. 중앙정부 행정기관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정보화 시설 및 활용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모든 정부의 행정부처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중앙정부

행정부처 총 25개 부처 중에서 불가피하게 조사 가능한 6개 부처를 표본 선택하였다. 본 연구조사 목적인 공공부문의 SI 시장의

현황분석과 관련하여 공공부문 중 가장 중요한 핵심 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중앙정부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수준 부문의 조사를 위하여

1) 부서의 고용규모의 분포, 2) 말레이시아 경제의 직접 영향력, 3) 정보통신 산업과의 정치 및 정책적 연관성, 4) 정보통신산업의

수요시장으로서의 중요성, 5) 공공산업부문의 영향력 등을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조사 대상인 6개 부처 명과 고용인원은 다음과 같다.

표본조사의 각 행정부처의 인원 중에서 교육부의 경우 관련 교직원 숫자가 포함된 경우이고 과학 기술 및 환경부의 경우 산하

관련기관의 직원도 포함한 숫자이다.

<표 5-11>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표본조사 행정부처명과 조사 대상 인원 현황 (2002. 11.)

부처명 교육부 에너지 통신멀티부

과학가술 및환경부

재무부 국제교역 및산업부

보건부 평균

총인원 360,000 171 5775 1680 692 1240 61,593

| 297 |

Page 29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 (Hardware)

2-1-1. 기반 서버 (Servers)

가. 서버 수

▷ 현재 말레이시아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서버의 양적분포(0-100)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그림 5-1과 같다.

전산화 기반이 되는 서버 수의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중앙정부의 전산화 정책 중 중앙부처의 전산화 하드웨어 측면의 수준과

더불어 중앙부처 중 전산화 정책집중 순위도를 분석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림 5-1>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의 비교 (2002. 11.)

0 2 3

4

5 100

1 6

1 - 교육부; 2 - 에너지, 통신 및 멀티미디어부; 3 - 재무부; 4 -보건부; 5 - 국제교역 및 산업부; 6 – 과학 기술 및 환경부

▷ 조사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주요 서버 수 조사 결과 각 부처 당 100여 개 미만이며 그 중에서 재정부가 가장 많은 수의

서버를 보유하고 있다.- 위의 표에 의하면 교육부가 재무부 다음으로 타 부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숫자를 보유하고 있다. - 에너지, 통신 및 멀티미디어부가 예상과 달리 상대적으로 낮은 숫자를 보유하고 있다. - 위의 그림에서 제시된 각 부처의 서버 숫자는 정보화 활용수준과의 정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 주는 것은 아니라 하겠다.

이러한 것은 각 부처의 고용인원 대비 각종 정보화 기반시설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후술히고자 한다. - 그러나 이러한 중앙정부의 행정 부처의 서버 숫자의 양적 분포도를 통하여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각 행정부처에서 정보화

기반의 중요성과 정부의 각 부처 중 우선 순위도를 추측할 수 있다. 즉, 가장 많은 수의 서버가 집중된 부처의 중요성과 가장

적은 수의 서버가 배치된 부처의 낮은 우선 순위도를 통하여 향후 서버공급의 시장에 대한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나. 서버 프로세서 유형

▷ 현재 말레이시아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서버의 주요 프로세서 유형을 통상 사용되는 Mainframe, Intel 그리고 RISC

세 가지의 기본 프로세서 유형을 표본 선택하여 조사한 결과 표 5-12와 같이 나타났다.

| 298 |

Page 29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참고로 Mainframe은 구형의 범용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고, Intel은 중급 정도의 서버용으로 그리고 RISC는 주로 대형

서버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조사는 향후 기반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과 그 유형에 관련된 SI 소프트웨어 시장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표 5-12>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서버유형 비교 (2002. 11.)

부처명 교육부 에너지 통신멀티부

과학가술 및환경부

재무부 국제교역 및산업부

보건부 평균

Mainframe 0% 0% 0% 4% 0% 0% 1%Intel 87% 100% 87% 67% 100% 100% 90%RISC 13% 0% 13% 29% 0% 0% 9%기타 0% 0% 0% 0% 0% 0% 0%

▷ 조사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정부의 전체적인 서버유형을 볼 때 Intel 기반서버가 90% 가까이 사용되어 가장 핵심적인 기반으로 분석되고 있다. - 재무부의 경우 Mainframe을 약 4% 정도 유일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는 재무부가 타 부처에 비해서 상당히 오래 전부터

전산화 시스템을 먼저 도입했기 때문이다. - RISC 기반서버의 경우 재무부가 29% 사용하며, 교육부와 과학기술 및 환경부가 각각 약 13%를 사용하고 있다. - 이러한 조사에서 보여주는 또 다른 특이한 사항은 말레이시아 행정부처의 네트워크 서버들의 현재 활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각 부처의 규모가 아니라 각 부처의 기능에 있다는 것이다.

2-1-2. 기반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가. 워크스테이션 수

▷ 현재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양적 분포(0-2,000)에 대한 조사결과는 그림 5-2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워크스테이션의 숫자에 대한 조사는 상기 기반서버와 연결되어 활용되는 상관관계 및 각 부처의 전산화 활용 지표를 나타낸다.

<그림 5-2>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보유 워크스테이션 숫자의 비교 (2002. 11.)

0 2 3 4

5 2,000

1 6

| 299 |

Page 30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 - 교육부; 2 - 에너지, 통신 및 멀티미디어부; 3 - 재무부; 4 -보건부; 5 - 국제교역 및 산업부; 6 – 과학 기술 및 환경부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각 부처 당 2,000여 개의 미만으로 그 중에서 재무부가 가장 많은 수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고, 교육부가 그 다음으로

많은 수를 보유하고 있다. - 에너지, 통신 및 멀티미디어부가 예상과 달리 낮은 숫자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다. - 비록 앞의 서버 숫자와 비슷한 분포를 보이고 있지만, 후기의 분석을 참고해보면 이는 서버의 숫자와 워크스테이션의 숫자에

따른 상관관계가 일정하게 적용되지 않는다.

나.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유형

▷ 현재 말레이시아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표 5-13과

같다.

▷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는 정보화 활용수준 조사에서 개인에게 부여된 컴퓨터 하드웨어의 기술적

처리능력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조사자료를 통하여 각 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활용수준을 유추할 수 있다.

<표 5-13>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의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등급 유형 비교 (2002. 11.)

부처명 교육부 에너지 통신멀티부

과학가술 및환경부

재무부 국제교역 및산업부

보건부 평균

II ( ) 펜티엄 동급 이하 20% 12% 19% 38% 0% 24% 19% III ( ) 펜티엄 동급 이상 80% 88% 81% 62% 100% 76% 81%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위의 자료에서 나오듯이 그 동안 말레이시아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대부분의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가 대체로

최신기종이다 (펜티엄III 이상의 최근 기종 81%). - 국제교역 및 산업부의 경우 100% 펜티엄III 이상의 최근 기종을 사용하고 있다.- 재무부의 경우 낙후된 펜티엄II 이하의 기종을 38% 정도 사용하고 있다. 이 수치는 부처 비교에서 가장 높은 수치이다. 이러한

이유는 재무부가 가장 먼저 전산화 시스템을 도입하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특히 후술하겠지만 재무부는 DOS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다시 기종 교체로 인한 SI 프로젝트가 발생한다면 재무부가 최우선 순위가 될 것이다.

| 300 |

Page 30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1-3. 노트북 의 활용

▷ 현재 말레이시아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의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의 결과는 아래의 표 5-14와 같다.

▷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는 정부의 대국민 행정 서비스의 유연화와 업무의 효율성 향상 등을 위한 수준 높은 SI활용의 발전

단계이므로 향후 정보화 활용 수준과 그 시장을 예측하는데 중요 지표의 하나가 된다.

<표 5-14>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부처명 교육부 에너지 통신멀티부

과학가술 및환경부

재무부 국제교역 및산업부

보건부 평균

데스크탑 98% 94% 98% 97% 99% 98% 97%노트북 2% 6% 2% 3% 1% 2% 3%

▷ 조사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표 5-14에 나타나듯이 정부의 모든 행정부처의 노트북의 활용이 상당히 저조하다 (3%).- 그 중에서 에너지 통신 멀티미디어부가 6%로 가장 높고, 재무부가 3%로 그 뒤를 잇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여러 발전조건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시장에 대한 충분한 가능성이 보인다.

2-1-4.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의 상관관계 종합분석

가.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도

▷ 각 서버 1대당 연결되어 활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수(network client)에 대해 상기의 각 행정부처의 서버 수와 워크스테이션 수를

대비한 결과가 다음의 표 5-15에 자세히 나타나있다.

▷ 이 결과의 해석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은 모든 워크스테이션이 서버에 연결되어 사용된다는 가정 하에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의

수를 단순 대비하였다는 것이다.

▷ 따라서 아래의 표 5-15에서 나타나듯이 앞서 언급한 각 행정부처의 보유 서버 수와 워크스테이션의 수의 상관관계가 일정하지

않다. 다시 말해 각 부처에서 사용되는 서버 1대당 당 워크스테이션의 수는 다르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 그러나 정확한 통계는 아니지만 통상 전산화를 도입한 기관에서는 대부분 개인 워크스테이션을 서버와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연결할 것이므로 이러한 조사결과에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표 5-15> 말레이시아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2002. 11.)

| 301 |

Page 30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부처명 교육부 에너지 통신멀티부

과학가술 및환경부

재무부 국제교역 및산업부

보건부 평균

1 서버 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27.56 31.50 30.93 23.32 57.63 35.75 34.45

▷ 분석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물론 사용되는 서버의 활용 성격과 유형 그리고 서버자원의 용량에 따라 결과는 다르겠지만, 현재 기반 서버 1대당 전체 평균

약 34.45 대의 워크스테이션 활용도를 나타내고 있다. - 국제교역 및 산업부는 기반 서버 1대당 57.63대로 활용도가 상당히 높다. 그 이외의 부처는 상대적으로 활용도가 낮다고 할

수 있다. - 국제교역 및 산업부의 활용도 수치가 높다는 것은 앞서 언급한 기반 서버인 Intel을 가장 최적화해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 고용 인원 대비 PC 보급률

▷ 말레이시아의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고용인원대비 개인 워크스테이션의 보급현황에 관한 조사에 대한 결과는 표 5-16과 같다.

▷ 이 조사는 각 행정부처의 고용인원 대비 워크스테이션의 수로 나누어 공무원 100명당 몇 대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는지

비율을 산출하여 각 행정부의 워크스테이션 활용도에 대한 지표를 나타낸다.

| 302 |

Page 30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5-16> 말레이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2002. 11.)

부처명 교육부 에너지 통신멀티부

과학가술 및환경부

재무부 국제교역 및산업부

보건부 평균

1 컴퓨터 대당 사용인원수 1.95 1.07 2.74 0.99 1.50 2.89 1.86 컴퓨터 보급률 51% 93% 37% 101% 67% 35% 64%

▷ 조사결과에 따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전체 평균 PC 1대당 약 1.86 여명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상당한 수준의 보급률을 보여준다. - 그 중에서 에너지, 통신 및 멀티미디어부와 재무부는 가장 보급률이 높으며 90%이상 보급되어 있다. - 특이하게도 재무부의 경우 100% 이상의 보급률 수치가 나왔다. 이러한 이유는 현재 재무부 내에서 전체적으로 시스템 향상

작업의 일환으로 구 기종을 교체하면서, 그 숫자도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 보건부의 경우 가장 낮은 수의 보급률을 보여주고 있다 (34.6%). 이는 전체 평균이 63.9% 보다 낮은 것으로 고용 직원 수에

워크스테이션과 관련 없는 업무에 종사하는 숫자까지 포함되었기 때문이라 추정된다.

2-1-5. 네트워크 주변장치 (Network Peripherals)▷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와 같이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간의

내, 외부 시스템을 연결하여 주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Network Peripherals)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가. 네트워크 주변장치 유형

▷ 말레이시아의 중앙정부 각 행정부처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한 조사결과는 아래의

표 5-17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303 |

Page 30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5-17>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2002. 11.)

부처명 교육부 에너지 통신멀티부

과학가술 및환경부

재무부 국제교역 및산업부

보건부 평균

(Hub)허브 36% 50% 49% 49% 53% 55% 49%(Switches)스위치 32% 24% 25% 19% 26% 20% 24%(Bridges)브리지 0% 0% 0% 0% 0% 0% 0%(Routers)라우터 32% 26% 25% 31% 21% 25% 27%

기타 0% 0% 0% 0% 0% 0% 0%

▷ 각 행정부에서 주로 사용되는 장치는 HUB이고(49%) 그 다음으로 Router를 많이 사용한다 (27%)

▷ 부처별로 보면 교육부가 Switch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32%) 그 다음 Hub를 36%정도 사용한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HUB,

Switch, Router의 사용 비율이 전체적으로 비슷한 수치를 보여 준다는 것이다.

나. 내부 네트워킹(Intranet)과 외부 네트워킹(Extranet)

▷ HUB와 Switch는 주로 내부전산 연결시스템으로 사용하고 Router는 주로 인터넷과 같이 외부 연결용으로 사용된다. 다음의 표 5-

18은 앞의 조사 결과를 기능적 지표로 응용하여 베트남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전산화 시스템에서 Intranet과 Extranet사용 현황을

비교하였다.

▷ 표 5-18에서 나타나듯이 대부분의 경우 Intranet 사용율이 73%이고 Extranet은 27%로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보다 상당히 높은

편이다.

▷ 그 중에서 재무부와 교육부가 30% 이상의 가장 높은 Extranet의 사용수치를 보여주고 있고 국제교역 및 산업부가 가장 낮은

수치인 21%를 보여주고 있다.

| 304 |

Page 30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5-18> 말레이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2002. 11.)

부처명 교육부 에너지 통신멀티부

과학가술 및환경부

재무부 국제교역 및산업부

보건부 평균

(Intranet)인트라넷 68% 74% 75% 69% 79% 75% 73%(Extranet)엑스트라넷 32% 26% 25% 31% 21% 25% 27%

2-2. 기반 소프트웨어 (Software) - 오퍼레이팅 시스템 (Operating system)

말레이시아의 중앙정부 행정부처 IT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라이센스에 대한 자료는 자료의 성격상 외부 공개를 정책적으로

불허하고 있다. 대신에 연구팀은 조사에 채택된 소프트웨어가 각 부서에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2-2-1.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 표 5-19는 말레이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 유형 현황을 비교한 것이다.

<표 5-19> 말레이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 유형 비교(2002. 11.)

부처명 교육부 에너지 통신멀티부

과학가술 및환경부

재무부 국제교역 및산업부

보건부 평균

Unix 5% 0% 13% 7% 0% 0% 4%Linux 8% 0% 33% 25% 0% 0% 11%Novell 0% 0% 0% 3% 0% 0% 0%Windows

- NT4 or below 31% 0% 27% 31% 0% 42% 22%- Win 2000 56% 100% 27% 35% 100% 58% 63%

기타 0% 0% 0% 0% 0% 0% 0%

▷ 표에서 나타나듯이 윈도우 시스템이 행정부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윈도우 전체 평균 85%). 윈도우 시스템

중에서 최신인 윈도우 2000 이상이 평균 63%이다.

▷ 특이한 것은 리눅스 시스템이 상당히 활용화 되어 있다는 것이다. 비록 전체적으로 11%에 불과하지만 과학기술 환경부와

재무부의 경우 각각 33%와 25% 정도 활용하고 있다.

▷ 재무부의 경우 여러 종류의 서버를 동시에 사용하고 있으므로 상당한 수준의 네트워킹 방법이 응용되고 있으리라 본다.

▷ 보건부가 가장 낙후된 윈도우 NT 프로그램 이하를 42%나 사용하고 있다.

| 305 |

Page 30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2-2.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 표 5-20는 말레이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관한 조사이다.

▷ 전체적으로 가장 최신 프로그램인 윈도우 2000 XP이상을 63%나 사용하고 있다.

▷ 그 중에서 국제교역 및 산업부의 경우 가장 최신 프로그램인 윈도우 2000 XP 이상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87%).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재무부에서는 DOS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14%). 다른 부처에서는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재무부와 정부회계 시스템의 연동관계에 있기 때문이라 추정된다.

<표 5-20> 말레이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라이센스 현황 비교(2002. 11.)

부처명 교육부 에너지 통신멀티부

과학가술 및환경부

재무부 국제교역 및산업부

보건부 평균

DOS 2% 6% 5% 14% 2% 17% 8%Windows

- 98 or below 39% 37% 20% 26% 11% 44% 29%- 2000 / XP 59% 57% 75% 61% 87% 40% 63%

기타 0% 0% 0% 0% 0% 0% 0%

2-3. IT관련 연간예산

불행히도 본 연구조사팀은 말레이시아 중앙정부의 조사대상 행정부처의 IT관련 예산을 구하지 못했다.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와 달리

정보에 대한 상당한 배타심을 보이고, 내부비밀로 취급하였다. 어쨌든 지금까지 조사에 의하면 말레이시아의 IT관련 예산은 조사된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보다 상당히 많은 수준의 예산을 확보하고 있으리라 추정된다.

제 2 절: 지방 정부 행정부문

1. 쿠알라룸푸르 광역직할시(말레이시아의 행정수도: Dewan Bandaraya Kuala Lumpur, DBKL)

중앙정부의 전산화 현황과 별도로 지방정부의 전산화 현황과 중앙 행정부처와의 네트워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여러 지방정부

중에서 전산화 시스템이 가장 나은, 말레이시아의 행정수도 쿠알라룸푸르르를 지방정부 전산화 현황 조사의 대표 사례로 선정하였다.

또한 전체적으로 현재 말레이시아의 지방정부 행정부문의 전산화 수준이 낮은 편이기 때문에 지방정부 간의 전산화 활용 수준 현황을

비교 이해하는 것보다, 말레이시아 지방정부 중에서 대표적으로 가장 전산화 기반이 잘되어 있는 행정수도 쿠알라룸푸르 광역직할시에

대한 전산화 현황조사를 하였다. 그와 더불어 현황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 비교함으로써 지방정부의 전산화 현황을 이해하고자

한다.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총 고용규모는 총 32,450 여명이다.

| 306 |

Page 30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중앙정부 행정기관과의 정보화 연결관계 분석

2-1-1.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Communication Devices)

▷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와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의 전산연결 망의 유형에 대한 조사에 대한 결과 아래의 표 5-21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307 |

Page 30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5-21> 말레이시아 시정부와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 전산 연결망의 유형 현황 (2002.11.)

모뎀 ISDN ADSL/Cable T1/Leased Line45% 46% 0% 9%

▷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와 중앙정부의 주요 연결장치는 ISDN을 46% 그리고 모뎀을 통한 방법이 45% 정도 활용되고 있다.

▷ 따라서 중앙정부와 시정부의 연결시스템이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보다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 비록 자세히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T1 and Leased Line의 사용은 9%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2-1-2.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Database Synchronisation)

▷ 지방정부와 중앙정부 간의 데이터 베이스 공유는 실시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양쪽 데이터 베이스 중 한 곳에

변경사항이 있을 때, 즉시 상대방 데이터 베이스에도 같이 변경됨을 의미한다. 또한 쿠알라룸푸르 지역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인구

밀접도가 높은 지역으로 전체인구 2천4백만 여명 중 약 1백3십만 여명이 거주하고 있다.

2-2. 기반 하드웨어 (Hardware)

2-2-1. 기반 서버 유형

▷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에서 사용하는 기반 서버의 주요 프로세서 유형 조사 결과는 표5-22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조사 결과 Intel 기반 서버 사용이 98%로 가장 핵심적인 기반서버이며, RISC의 경우 약 2%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5-22>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유형 (2002. 11.)

Mainframe Intel RISC 기타

0% 98% 2% 0%

2-2-2. 기반 워크스테이션 유형

▷ 현재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표 5-23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308 |

Page 30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모든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등급 유형은 81% 펜티엄 III 이상으로 이러한 이유는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전산화가 최근에 이루어져 최신 기종으로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표 5-23>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에서 사용하는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유형 (2002. 11.)

II ( ) 펜티엄 동급 이하 III ( ) 펜티엄 동급 이상

19% 81%

2-2-3. 노트북의 활용

▷ 현재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의 결과는 아래의 표 5-24와 같다.

▷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는 정부의 대국민 행정 서비스의 유연화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 향상 등을 위한 수준 높은 SI활용의 발전

단계이므로, 향후 정보화 활용 수준과 그 시장을 예측하는 중요지표의 하나이다.

▷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 비슷한 약 2% 정도의 노트북을 보유하고 있으며, 노트북 컴퓨터의 활용이 미미한 편이다. 특이하게

태국의 방콕시 정부의 3%보다 낮다.

| 309 |

Page 31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5-24>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행정부서의 노트북 활용 현황 (2002. 11.)

데스크탑 노트북

98% 2%

2-2-4.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의 상관관계 종합분석

가.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도

▷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에서 사용되고 있는 서버 1대당 연결되어 활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수(network client)는 약 77.19대로 이는

중앙정부의 전체 평균 약 28.24여 대의 워크스테이션 활용도보다 상당히 높은 편이다.

▷ 이러한 활용도 수준은 사용되는 서버의 용량에 좌우되지만 기본적으로 이정도의 활용도는 전산처리의 병목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나. 고용인원 대비 PC 보급률

▷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워크스테이션의 보급현황에 관한 조사에 대한 결과는 표 5-25와 같다.

▷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에는 2.6명의 직원 당 1대 꼴로 보급되어 있고 보급률을 계산하면 38.5%로 중앙정부보다 보급률은 낮은

편이나 다른 동남아시아의 행정수도보다는 상당히 높은 편이다.

<표 5-25>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2002. 11.)

1 컴퓨터 대당 사용인원수 컴퓨터 보급률

2.60 38.5%

2-2-5. 네트워크 주변장치 (Network Peripherals)

▷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와 같이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간의 내외부

시스템을 연결하여 주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 310 |

Page 31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가. 네트워크 주변장치 유형

▷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주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힌 조사 결과는 표 5-26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중앙정부는 대체적으로 여러 연결장치를 고루 사용하고 있다.

▷ 그 중에서 HUB를 주요 네트워크 연결장치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42.4%), 그 다음으로 Switch가 약 31%. Router는

26.7% 정도 사용되고 있다.

<표 5-26>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2002. 11.)

(Hub)허브 (Switches)스위치 (Bridges)브리지 (Routers)라우터 기타

42.4% 31.0% 0.0% 26.7% 0.0%

나. 내부 네트워킹(Intranet)과 외부 네트워킹(Extranet)

▷ HUB와 Switch는 주로 내부전산 연결시스템을 사용하고 Router는 주로 인터넷과 같이 외부 연결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앞의

조사를 결과를 기능적 지표로 응용하여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Intranet과 Extranet사용 현황을 비교하는 다음의

표 5-27를 작성하였다.

▷ 표5-27에서 나타나듯이 Intranet 사용률은 73% Extranet 사용률은 27%로 중앙정부와 비슷하다. 이러한 것은 중앙정부와

실시간 데이터 베이스 공유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표 5-27>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2002. 11.)

(Intranet)인트라넷 (Extranet)엑스트라넷

73% 27%

2-3. 기반 소프트웨어 (Software) - 오퍼레이팅 시스템 (Operating system)

2-3-1.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 311 |

Page 31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에 대한 조사결과는 표 5-28에 나타나 있다.

▷ 조사 결과 쿠알라룸푸르 시의 서버 작동환경의 최신 프로그램인 윈도우 2000의 프로그램이 가장 보편적인 운영환경이다. 또한

리눅스의 경우 9%로 이는 중앙정부의 정책의 일환으로 추정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 리눅스의 상당한 활용을

볼 수 있다.

<표 5-28>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유형 (2002. 11.)

Unix Linux Novell 기타

NT4 or below 2000/XP2% 9% 0% 28% 60% 0%

Windows

2-3-2.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관한 조사 결과는 표 5-29에서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 5-29에 나타나듯이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주요 프로그램은 최신 버전인 윈도우 2000/XP로 71% 정도 사용한다.

윈도우 98혹은 그 이하의 프로그램은 27% 정도이다.

<표 5-29>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2002. 11.)

DOS98 or below 2000/XP

2% 27% 71% 0%

Windows 기타

2-4. IT관련 연간 예산

본 연구조사팀은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IT관련 예산을 중요한 대외비 문서로 규정되어 있어 구하지 못했다. 지금까지 조사에 의하면

시정부의 IT관련 예산은 조사된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보다 상당히 많은 수준의 예산을 확보하고 있으리라 추정된다.

제 3 절: 일반 공공부문 (텔레콤, 전력청, 철도청)

말레이시아 중앙정부 및 지역정부를 제외한 일반 공공부문의 전산화 현황과 활용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SI산업의 가장 대표적인

수요시장인 텔레콤 (Telekom Malaysia Behard; TMB), 전력청 (Tenaga Nasional Berhad Energy Provider; TNB) 및 철도청

(Keretapi Tanah Melayu Behard Malaysian Railway; KTM)을 사례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이러한 공공 핵심부문의 전산화 현황과

| 312 |

Page 31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활용수준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향후 관련 부문의 시장에 대한 예측을 하고자 한다.

1. 텔레콤, 전력청, 철도청

일반 공공부문의 대표적 SI부문 조사대상이 된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의 인원 현황은 다음과 같다.

| 313 |

Page 31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5-30>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의 인원현황 (2002. 11.)

기관명 텔레콤 전력청 철도청 평균

인원 32,694 25,686 5,098 21,159

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 (Hardware)

2-1-1. 기반 서버 (Servers)

가. 기반 서버 수

▷ 현재 말레이시아의 전력청, 텔레콤과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기반 서버의 양적 분포(0-600)에 대한 조사결과는 그림 5-3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이러한 전산화 기반이 되는 서버 수의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일반 공공부문의 전산화 활용수준 중 하드웨어 측면을 분석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림 5-3>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서버 숫자 비교 (2002. 11.)

0 1

2 3

600

1 – 텔레콤; 2 – 전력청; 3 – 철도청

▷ 조사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서버 수의 조사결과 전체 600여 개 미만으로 그 중에서 텔레콤이 다른 기관에 비해

가장 많은 서버를 보유하고 있다.- 전력청이 그 다음이고 철도청이 가장 낮은 수의 서버를 보유하고 있다. - 상기의 그림에서 나타난 표본 조사된 주요 공공부분의 서버 숫자는 물론 그 숫자와 정보화 활용 수준과의 정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이러한 것은 후기에 상세하게 각 기관의 고용인원 대비 각종 정보화 기반시설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분석

하겠다.

| 314 |

Page 31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나. 서버 프로세서 유형

▷ 사례대상에서 조사된 현재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주요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은 통상 사용되는

Mainframe, Intel 그리고 RISC 세 가지의 기본 프로세서 유형을 표본 선택하여 조사한 결과 표 5-31와 같이 나타났다.

▷ 참고로 Mainframe은 구형의 범용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고, Intel은 중급 정도의 서버용으로 그리고 RISC는 주로 대형

서버용으로 사용된다.

▷ 이러한 조사는 향후 기반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과 그 유형에 관련된 SI 소프트웨어 시장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표 5-31>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 비교 (2002. 11.)

기관명 텔레콤 전력청 철도청 평균

Mainframe 2% 3% 0% 2%Intel 84% 81% 81% 82%RISC 14% 16% 19% 16%기타 0% 0% 0% 0%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모든 기관에 Intel 기반 서버가 가장 핵심 기반서버로 사용된다 (80% 이상). - 텔레콤과 전력청은 Mainframe을 각각 2%와 3% 정도 사용한다. - 모든 기관에서는 RISC를 14-19% 정도 사용하고 있다.

2-1-2. 기반 워크스테이션

가. 워크스테이션 수

▷ 현재 말레이시아의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주요 워크스테이션의 양적 분포(0-17,000)에 대한 조사결과는 그림

5-4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워크스테이션의 숫자에 대한 조사는 상기 기반 서버와의 상관관계 및 각 기관의 전산화 활용 지표를 나타낸다.

<그림 5-4>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보유 워크스테이션 숫자의 비교 (2002. 11.)

0 1

2 3

17,000

| 315 |

Page 31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 – 텔레콤; 2 – 전력청; 3 – 철도청

▷ 조사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전체 17,000여대 미만의 양적분포에서 텔레콤이 가장 많은 수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다. 그 다음 전력청이고 철도청의

경우 가장 낮은 수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다.

나.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유형

▷ 현재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는 표 5-32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는 정보화 활용수준의 기술적 처리능력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조사자료를 통하여

각 기관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활용수준을 유추할 수 있다.

<표 5-32>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기관명 텔레콤 전력청 철도청 평균

II ( ) 펜티엄 동급 이하 25% 26% 5% 19% III ( ) 펜티엄 동급 이상 75% 74% 95% 81%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전체적으로 펜티엄III 이상 기종이 평균 81%로 가장 최신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

- 특이하게 앞서 언급한 서버숫자와 워크스테이션의 양적분포에서 가장 낮은 수를 보인 철도청의 경우 워크스테이션의 펜티엄III

이상의 기종이 95%이다.

2-1-3. 노트북의 활용

▷ 현재 말레이시아의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에서의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의 결과는 아래의 표 5-33과 같다.

▷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는 일반적으로 업무의 유연화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필연적인 SI활용의 발전 단계이므로 향후

정보화 활용 수준과 그 시장을 예측하는 중요 지표의 하나이다.

▷ 아래의 표 5-33에 나타나듯이 공공기관에서 노트북의 활용이 상대적으로 정부보다 높다(10%). 이는 정부기관의 보안과 관계가

있다고 추정된다.

<표 5-33>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 316 |

Page 31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기관명 텔레콤 전력청 철도청 평균

데스크탑 90% 90% 92% 91%노트북 10% 10% 8% 9%

| 317 |

Page 31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1-4.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의 상관관계 종합분석

가.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도

▷ 앞서 분석한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의 보유 서버 수와 워크스테이션의 수에서 보여주듯이 이 두 지표에 대한 상관관계는

일정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 비록 각 서버 1대당 연결되어 활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수(network client)에 대해 정확한 통계자료는 없지만 사례 조사에서 나타난

각 기관들의 각 부문의 통계자료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구성된 통계 지표는 다음의 표 5-34와 같다.

<표 5-34>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텔레콤 전력청 철도청 평균

1 서버 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63.12 74.89 63.73 67.24

▷ 조사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표에서 나타나듯이 전체적으로 평균 서버 1대당 약 67.24대의 워크스테이션이 배치되어 있다. RISC와 같은 초대형 컴퓨터 서버를

사용하는 것을 감안하면 이 정도의 활용도 수준은 적정선이라고 추정된다.

그러나 전력청의 경우 74.89대로 과다한 수의 워크스테이션이 할당되어 있다

나. 고용인원 대비 PC 보급률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의 워크스테이션의 보급현황에 관한 조사 결과는 표 5-35와 같다.

이 조사는 각 기관의 고용인원 대비 워크스테이션의 수로 산출한 것으로 각 기관의 워크스테이션 활용도에 대한 중요한 지표를

나타낸다.

| 318 |

Page 31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5-35>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및 철도청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 (2002. 11.)

기관명 텔레콤 전력청 철도청 평균

1 컴퓨터 대당 사용인원수 2.06 2.13 1.73 1.97 컴퓨터 보급률 49% 47% 58% 51%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전체적으로 워크스테이션 1대당 약 2명 정도의 인원이 할당되어 있다.- 철도청이 그 중에서 가장 나은 1대당 1.73대로 약 58%의 보급률을 보여주고 있다.- 텔레콤과 전력청은 상대적으로 50% 미만의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2-1-5. 네트워크 주변장치 (Network Peripherals)

▷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와 같이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간의 내외부 시스템을 연결하여 주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가. 네트워크 주변장치 유형

▷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및 철도청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주요 네트워크의 주요 연결장치에 대해서 조사

결과는 표 5-36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전체적으로 주요 네트워크 연결장치로 HUB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52%). 그 다음으로 Router(27%)와 Switch(22%)를 많이

사용한다.

▷ 텔레콤에서는 특히 Router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33%).

▷ 철도청의 경우 다른 기관에 비해 Router의 사용은 적다. 이는 전산화 기반이 중앙에 집중되어 있고 지역 사무소 간의 통신

연결망은 충분히 설치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 319 |

Page 32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5-36> 말레이시아 전력청, 텔레콤 및철도청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텔레콤 전력청 철도청 평균

(Hub)허브 49% 51% 54% 52%(Switches)스위치 18% 20% 26% 22%(Bridges)브리지 0% 0% 0% 0%(Routers)라우터 33% 28% 20% 27%

기타 0% 0% 0% 0%

나. 내부 네트워킹(Intranet)과 외부 네트워킹(Extranet)

▷ HUB와 Switch는 주로 내부전산 연결시스템을 사용하고 Router는 주로 인터넷과 같이 외부 연결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앞의

조사를 결과를 기능적 지표로 응용하여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Intranet과 Extranet사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표 5-37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 5-37에서 나타나듯이 Intranet 평균 사용률 73%, Extranet의 평균 사용률 27%이다.

▷ 철도청의 경우 그 중에서 가장 낮은 Extranet의 사용률을 보여주고 있다(20%).

<표 5-37>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의 전산화시스템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텔레콤 전력청 철도청 평균

(Intranet)인트라넷 67% 72% 80% 73%(Extranet)엑스트라넷 33% 28% 20% 27%

| 320 |

Page 32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2. 기반 소프트웨어 (Software) - 오퍼레이팅 시스템 (Operating system)

2-2-1.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 텔레콤, 전력청및 철도청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을 조사한 결과 표 5-38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에서 나타나듯이 철도청과 전력청의 경우 최신 프로그램인 윈도우 2000 이상을 각각 67%와 63% 정도 사용하고 있고

텔레콤의 경우 36%에 지나지 않는다.

▷ 세 기관에서 유닉스의 경우도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평균 17% 정도에 달한다. 이는 RISC 서버와 관계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표 5-38>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및 철도청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기관명 텔레콤 전력청 철도청 평균

Unix 15% 19% 19% 17%Linux 0% 0% 0% 0%Novell 0% 0% 0% 0%Windows

- NT4 or below 48% 14% 19% 27%- Win 2000 36% 67% 63% 55%

기타 2% 0% 0% 1%

2-2-2.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관한 조사 결과는 표 5-39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전반적으로 윈도우 2000 XP 이상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 (평균 73%).

▷ 텔레콤의 경우 미미한 수치이기는 하나 DOS를 1% 정도 사용하고 있다.

<표 5-39>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및 철도청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 321 |

Page 32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기관명 텔레콤 전력청 철도청 평균

DOS 1% 0% 0% 0%Windows

- 98 or below 24% 24% 32% 27%- 2000 / XP 75% 76% 68% 73%

기타 0% 0% 0% 0%

2-3. IT관련 연간 예산

2-3-1. 연간 예산 추이

▷ 말레이시아 텔레콤의 IT 예산 내역은 대외비로 취급되어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말레이시아 우편 전신국과 철도청에서 자체

전산화를 위해 투입되는 연간 예산 현황을 조사하여 표 5-40에 자세히 나타내었다.

| 322 |

Page 32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5-40>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2002. 11.)

단위: 천 US$

▷ 텔레콤과 전력청의 IT 지출은 상대적으로 철도청에 비해서 많은 예산을 배정하고 있다. 자료에 보이듯이 각 기관에서는 지난 3년간

관련 예산이 상당히 안정적으로 증가하였다. 이것은 이미 전산화 기반을 어느 정도 달성했기에 부분적 개선 혹은 관련 보수 및 유지에

주력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 전력청 IT 지출의 경우 2002년에 전년 대비 약 31% 감소하였는데 이것은 전년도에 전산화 시스템에 대한 개선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래도 2003년에 약 2천만 달러가 배정되었는데, 이 또한 SI시장으로서 상당한 매력적이다.

▷ 철도청은 2001에 전년 대비 거의 2배의 증가를 보인 후 감소 추세이다. 이는 현재 IT 기반이 최신 기술로 업그레이드 되어, 추가

지출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2003년 예산에서 추가 삭감을 보인다.

▷ 말레이시아 철도청의 2003년 IT예산은 2000년보다 100% 이상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수치는 앞서 살펴 보았듯이

철도청이 세 기관 중 가장 나은 전산화 활용 기반을 구축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 323 |

Page 32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3-2. 전산화 부문별 예산 현황 (2002년 기준)

▷ 표 5-41은 상기의 전산화를 위한 2002연 투입예산의 부문별 할당액을 수치화 한 것으로 각 기관에서 전산화 부문 중 가장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부문을 보여주고 있다.

▷ 철도청의 경우 다른 기관보다 많은 예산이 소프트웨어 부문에 배정되었다. 이것은 2001년에 구축된 하드웨어 기반의 활용과 관계

있으리라 추정된다.

▷ 텔레콤의 경우 65%의 예산을 하드웨어 구입에 배정하였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세 기관 중에서 텔레콤의 하드웨어 기반이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기에 이러한 기종 교체의 일환으로 추정된다.

<표 5-41> 말레이시아 텔레콤, 전력청 및 철도청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의 부문별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텔레콤 전력청 철도청 평균

하드웨어 65% 53% 43% 54%소프트웨어

개발 25% 22% 28% 25% (T&I)교육 및 설치 5% 10% 9% 8%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 5% 15% 20% 13%기타 0% 0% 0% 0%

제 4 절: 공기업 혹 민영화된 공기업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말레이시아 항공사)

국가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개발도상국의 대부분 국가에서는 아직 국립은행과 항공사가 공기업 혹은 공공기관으로 되어있다. 본

조사에서 은행과 항공사를 선택한 이유는 첫째, 향후 경제성장과 세계화 추세를 볼 때 민영화에 가장 민감한 공공부문이기 때문이다.

둘째는 전산화 기술과 활용수준이 가장 높은 SI 수요시장의 대표적 사례가 금융산업과 항공산업의 대표사례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SI

시장의 핵심부문의 전산화 현황과 활용수준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향후 관련 부문의 시장에 대한 예측을 하고자 한다.

| 324 |

Page 32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말레이시아 항공

조사 대상이 된 말레이시아 중앙은행(Bank Negara Malaysia (Central Bank of Malaysia), BNM)은 재무부(Ministry of

Finance)의 직접 통제 하에 있는 말레이시아 최대의 중앙은행으로 모든 금융기관을 감독하고 있다. 현재 각 지역의 지점을 포함한 총

고용인원은 2,047여명이다. 또 다른 조사 대상인 말레이시아 항공(Malaysian Airline System Behard (MAS))은 말레이시아 최대의

항공사로서 21,438여 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2.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

2-1. 기반 하드웨어 (Hardware)

2-1-1. 기반 서버 (Servers)

가. 서버 수

▷ 현재 말레이시아의 중앙은행과 말레이시아 항공에서 사용되는 서버 수의 양적분포(0-150)에 대한 조사 결과는 그림 5-5에 나타나

있다.

▷ 이러한 전산화 기반이 되는 서버 수의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정부의 공공부문 다음으로 가장 SI 시장에서 큰 수요자 역할을 하고

있는 금융과 항공관련 기업들에 대한 전산화 하드웨어 측면에서 SI 시장 동향을 이해할 수 있다.

| 325 |

Page 32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그림 5-5> 말레이시아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에서 사용되는 주요 보유 서버 수의 비교 (2002. 11.)

0 1 2

150

1-말레이시아 중앙은행; 2.-말레이시아 항공

▷ 조사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전체적으로 150대의 서버 미만으로 조직 규모에 비교하여 상당한 수준이다. -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보유 서버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이는 조사된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의 수준과 비교했을 때도

상대적으로 적은 숫자이기도 하다. - 서버 숫자는 물론 그 숫자와 정보화 활용수준과의 정확한 상관 관계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이는 각 기업의 고용인원 대비 각종

정보화 기반시설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뒤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 보기로 한다.

나. 서버 프로세서 유형

▷ 현재 말레이시아 타이은행과 타이항공에서 사용되는 주요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은 통상 사용되는 Mainframe, Intel 그리고 RISC

세 가지의 기본 프로세서 유형을 표본 선택하여 조사한 결과 표 5-42와 같이 나타났다.

▷ 참고로 Mainframe은 구형의 범용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고, Intel은 중급 정도의 서버용으로 그리고 RISC는 주로 대형

서버용으로 사용된다.

▷ 이러한 조사는 향후 기반 서버의 프로세서 유형과 그 유형에 관련된 SI 소프트웨어 시장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 326 |

Page 32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5-42>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프로세서유형 비교 (2002. 11.)

기관명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말레이시아항공 평균

Mainframe 9% 2% 6%Intel 84% 82% 83%RISC 6% 16% 11%기타 0% 0% 0%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은 서버에 Intel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84%, 82%). -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의 경우 Mainframe을 9% 정도 사용하고 있다. 이는 말레이시아 항공보다 먼저 전산화 기반이

형성되었음을 추정케 해 준다. - RISC의 경우 말레이시아 항공이 상대적으로 16% 정도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2-1-2. 기반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가. 워크스테이션 수

▷ 현재 말레이시아의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에서 사용되는 주요 워크스테이션의 양적 분포(0-10,000)에 대한 조사 결과는

그림 5-6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워크스테이션의 숫자에 대한 조사는 상기 기반서버와의 상관관계 및 각 기업의 전산화 활용 지표를 나타낸다.

▷ 조사결과 전체 10,000여 대 미만으로 말레이시아 항공이 중앙은행보다 세 배 정도 많은 수를 보유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항공의

고용 인원이 중앙은행보다 약 10배 가까이 많은 정도를 감안하면 충분히 이해되는 숫자이기도 하다.

| 327 |

Page 32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그림 5-6>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보유 수 현황 비교 (2002. 11.)

1-말레이시아 중앙은행; 2.-말레이시아 항공

나.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유형

▷ 현재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표 5-43과 같다.

▷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 등급 유형에 대한 조사는 정보화 활용수준의 기술적 처리능력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조사자료를 통하여

각 기업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활용수준을 유추할 수 있다.

▷ 조사 결과 말레이시아 항공은 펜티엄III 이상의 최신 기종을 보유하고 있으나(97%),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72%)

<표 5-43>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에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등급의 유형 비교 (2002. 11.)

기관명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말레이시아항공 평균

II ( ) 펜티엄 동급 이하 28% 3% 16% III ( ) 펜티엄 동급 이상 72% 97% 84%

2-1-3. 노트북의 활용

▷ 현재 말레이시아의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에서의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표 5-44와 같다.

▷ 노트북 현황에 관한 조사는 일반적으로 업무의 유연화와 효율성 향상을 위한 필연적인 SI활용의 발전 단계이므로 향후 정보화 활용

수준과 그 시장을 예측하는 중요 지표 중 하나이다.

▷ 조사결과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3%이고 말레이시아 항공은 2% 정도이다.

<표 5-44>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노트북 활용 현황 비교 (2002. 11.)

기관명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말레이시아항공 평균

데스크탑 97% 98% 98%노트북 3% 2% 2%

| 328 |

Page 32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1-4.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의 상관관계 종합분석

가.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도

▷ 비록 각 서버 1대당 연결되어 활용되는 워크스테이션 수(network client)에 대해 정확한 통계자료는 없지만, 사례 조사에서

나타난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각 부문의 통계자료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구성된 통계 지표는 다음의 표 5-45와 같다.

<표 5-45>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기반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말레이시아항공 평균

1 서버 대당 워크스테이션 활용 29.75 59.76 44.76

▷ 두 기관 모두 서버 1대당 워크스테이션 연결상황을 볼 때 말레이시아 항공은 서버 1대당 약 59.76대의 워크스테이션이 연결되어

있고, 중앙은행의 경우는 서버 1대당 약 29.75대의 워크스테이션이 연결되어 있다.

▷ 따라서 비록 말레이시아 항공이 중앙은행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숫자의 하드웨어 기반을 갖추고 있어도 서버와 워크스테이션의

연결 활용도에서는 그 수준이 낮다고 추정된다.

▷ 이러한 이유 중의 하나는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이 각 지점 사무실 그리고 중앙정부의 기반 시설과 연결활용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나. 고용인원대비 PC 보급률

▷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워크스테이션의 보급 현황에 관한 조사에 대한 결과는 표 5-46과 같다.

▷ 이 조사는 각 기관의 고용인원 대비 워크스테이션의 수를 통해 도출한 것으로 각 기관의 워크스테이션 활용도에 대한 중요한

지표를 나타낸다.

<표 5-46>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인원대비 워크스테이션 보급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말레이시아항공 평균

1 컴퓨터 대당 사용인원수 1.08 2.87 1.97 컴퓨터 보급률 93% 35% 64%

▷ 조사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거의 모든 직원이 PC를 보유하고 있다 (1대당 1.08명).

| 329 |

Page 33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말레이시아 항공의 경우 비교적 낮은 보급률을 나타내고 있다 (1대당 2.87명). - 이러한 이유는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의 경우 워크스테이션에 의한 업무의 활용이 말레이시아 항공의 직원보다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2-1-5. 네트워크 주변장치(Network Peripherals)

▷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와 같이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간의

내, 외부 시스템을 연결하여 주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가. 네트워크 주변장치 유형

▷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주요 네트워크 주요연결 장치에 대해서 조사 결과 표 5-47

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특이하게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이 Switch(48%)를 Hub(23%)보다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이유는 은행과 같이 데이터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곳은 통상적으로 시스템의 보안수준이 가장 우선시 되기 때문에 Hub보다는 Switch가 보다 많이 사용된다.

▷ 말레이시아 항공의 경우 주요 연결장치가 Hub이다 (65%).

<표 5-47>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전산시스템의 주요연결장치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말레이시아항공 평균

(Hub)허브 23% 65% 44%(Switches)스위치 48% 13% 30%(Bridges)브리지 0% 0% 0%(Routers)라우터 29% 23% 26%

기타 0% 0% 0%

나. 내부 네트워킹(Intranet)과 외부 네트워킹(Extranet)

▷ HUB와 Switch는 주로 내부전산 연결 시스템을 사용하고 Router는 주로 인터넷과 같이 외부 연결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앞의

조사를 결과를 기능적 지표로 응용하여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전산화 시스템에서 Intranet과 Extranet사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표 5-48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 5-48에서 나타나듯이 Intranet 사용률이 평균 74% 정도이고 Extranet의 사용률은 26%에 달한다.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이

말레이시아 항공보다 Extranet의 사용률이 높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이 각 지점 사무실 그리고

중앙정부의 기반 시설과 연결활용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 330 |

Page 33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5-48>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Intranet과 Extranet 사용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말레이시아항공 평균

(Intranet)인트라넷 71% 77% 74%(Extranet)엑스트라넷 29% 23% 26%

2-2. 기반 소프트웨어 - 오퍼레이팅 시스템

2-2-1.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조사 결과 표 5-49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표 5-49>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기관명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말레이시아항공 평균

Unix 16% 21% 18%Linux 0% 0% 0%Novell 0% 0% 0%Windows

- NT4 or below 53% 0% 27%- Win 2000 31% 79% 55%

기타 0% 0% 0%

▷ 표에서 나타나듯이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에서는 윈도우시스템이 주요 서버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 사용된다.

▷ 말레이시아 항공의 경우 최신 프로그램인 윈도우 2000이상이 79% 이고 중앙은행의 경우 윈도우 NT4 이하가 53%로 상대적으로

낙후된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

▷ 유닉스의 경우 두 기관에서 각각 16%, 21% 정도 사용한다.

2-2-2.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

▷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에서 사용하고 있는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조사 결과 표 5-50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 표 5-50에 나타나듯이 대부분 최신 프로그램인 윈도우 2000/XP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표 5-50>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워크스테이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유형 비교(2002. 11.)

| 331 |

Page 33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Organiation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말레이시아항공 평균

DOS 0% 0% 0%Windows

- 98 or below 28% 3% 16%- 2000 / XP 72% 97% 84%

기타 0% 0% 0%

2-3. IT관련 연간 예산

2-3-1. 연간 예산 추이

▷ 표 5-51은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자체 전산화를 위해 투입되는 연간 예산 현황을 비교한 것이다.

▷ 두 기관 모두 상당한 IT관련 예산을 지출하고 있다.

▷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의 경우 2003년의 추정되는 지출은 2002년과 비교하여 증가하였다. 이는 2001년의 예산에서 약 2%

감소한 2002년의 예산 추이에 반대되는 현상이라 특이하다.

▷ 말레이시아 항공의 경우 상당히 안정적인 증가세에 있다.

| 332 |

Page 33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5-51>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전산화를 위한 연간 예산의 현황 비교(2002. 11.)

단윈: 천 달러(US)기관명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말레이시아항공 평균

2000 22,400 40,000 31,2002001 32,350 40,000 36,1752002 31,600 50,000 40,8002003 ( )추정 34,000 60,000 47,000

/연간 증가 감소률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말레이시아항공 평균

2001 44% 0% 22%2002 - 2% 25% 11%2003 ( )추정 8% 20% 14%2000 /년 대비 증가 감소률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말레이시아항공 평균

2001 44% 0% 22%2002 41% 25% 33%2003 ( )추정 52% 50% 51%

2-3-2. 전산화 부문별 예산 현황 (2002년 기준)

▷ 표 5-52는 상기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투입예산의 부문별 할당액을 수치화 한 것으로 각 기관에서 전산화 부문 중 가장 우선

순위를 두고 있는 부분을 보여 주고 있다.

▷ 두 기관 모두 상당한 비중을 소프트웨어에 투입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하드웨어 기반에 대한 어느 정도의 구축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의 경우 보수 및 유지부문에 25% 정도의 예산을 배정하였는데, 이는 2001년 어느 정도의 시스템 개선이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 333 |

Page 33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5-52>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항공의 전산화를 위한 2002년 부문별 투자 현황 비교(2002. 11.)

기관명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말레이시아항공 평균

하드웨어 30% 20% 25%소프트웨어

개발 35% 30% 33% (T&I)교육 및 설치 10% 15% 13%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 25% 10% 18%기타 0% 25% 13%

동남아시아 SI 산업과 한국기업의 진출기회

제 1장 – 동남아시아 정보통신산업 환경

제 2장 - 동남아시아 SI시장의 공공부문의

시장 비교분석과 시장기회

제 3장 – 맺음말

| 334 |

제6편

Page 33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335 |

Page 33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1장 - 동남아시아 정보통신산업 환경

그 동안 불확실성과 유동성이 많았지만 동남아의 정보통신산업 및 전자상거래 시장은 지난 10년 동안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룩하였다. 정보통신산업의 이용률도 상당히 증가하였고, 고정회선과 이동전화, 또 컴퓨터와 인터넷의 사용률도 꾸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동남아 지역에서 정보통신산업 및 전자 상거래의 운용이 경제의 생산성과 소득 증가로 이어지려면 통신망과 컴퓨터의 보급률이

증가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사실이 본 조사분석에서 밝혀졌다.

아시아 경제위기가 정보통신산업의 사용의 발전에 일시적인 장애 요소가 되긴 하였지만, 현재 동남 아시아는 중요한 정보통신 산업과

관련하여 중요한 시장으로 부상하였다. 향후 성장률이 잠재 성장률에 근접하고, 교육 투자가 증가하고, 기술 홍보가 진척된다면,

정보통신 산업 및 전자상거래 시장은 향후 10년간 건실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제 1 절: 동남아시아 정보통신산업 시장의 확대

2001년에 아시아는 거대하고, 성장하는 정보통신산업 시장이 되었다. 즉, 지역 내 11개 국가에서는 정보통신산업 기재와 서비스에

6,126억 US달러를 지출하였는 바, 이는 전 세계 정보통신 산업 지출의 24%에 해당하는 수치로서, 1993년 이래 연평균 9% 성장을

거듭해 온 것이다. 이중 중국과 베트남의 정보통신 산업 지출이 27%로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하지만, 아직도 일본이 이 지역

정보통신산업 시장의 72%를 차지하고, 2위는 중국으로서 12%에 달한다.

지역 내 선진 시장인 일본, 한국, 싱가포르, 홍콩, 대만에 비교하면, 베트남이나 태국, 인도네시아 등의 동남 아시아 국가들은 국민 1

인당 정보통신 산업 지출이 저조한 것이 사실이나, 전체적으로 1인당 정보통신 산업 지출과 관련하여 최근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베트남은 1993년의 2.4%에서 2001년에는 6.7%로, 말레이시아는 동 기간, 4%에서 7%, 태국은 2.6%에서 7%로 증가하였다.

인도네시아는 이중 가장 낮은 비율을 기록하였는데 동기간 1.8%세 2.1%로 증가하였다 (도표 6-1 참조)

<도표 6-1> 일인당 ICT 지출애과 GDP에 대비한 지출의 비율. (1995 및 2001, US$ 와 %)

| 336 |

Page 33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한국 호주 미국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국달

0

2

4

6

8

10

12

GDP

비비

ICT , 1995 ( )일인당 지출 좌축

ICT , 2001 ( )일인당 지출 좌축

GDP ICT , 1995 ( )대비 지출 우축

GDP ICT , 2001 ( )대비 지출 우축

Source: World Bank, 2002.

동남아 4개국의 정보통신산업 지출은 현재까지 하드웨어 지출이 그 주요 지출 항목이었다. 그러나, IDC보고서에 나타났듯이, 경제

성장과 함께 이 추이는 변화할 것이다. 경제 성장이 계속됨에 따라, 기업은 하드웨어 지출의 비중을 줄이고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지출의 비중을 늘일 것이다. 지역 내 선진국은 총 지출의 40-50%를 하드웨어에 지출한 반면, 개도국은 60-80%를 하드웨어에

지출하였다. 이를 보면 각 국의 경제성장에 따라 소프트웨어 지출이 현저하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도표 6-2 참조)

| 337 |

Page 33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도표 6-2> ICT총 지출 중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지출 비교 분석. (2001년, %)

0%10%20%30%40%50%60%70%80%90%

100%

한국 호주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IT 서비스

Source: 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2002.

제 2 절: 동남아의 정보통신산업 부문별 현황

동남아 정보통신산업 산업은 정보통신산업기재 생산 및 정보통신 서비스 부문에 치우치고 있다. 몇몇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보통신 산업 서비스와 소프트웨어 생산은 저조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국가들에서도 단순 정보통신 산업 기재의 생산에서

탈피하여, 정보통신 산업을 경제 전반에 응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정보통신 산업 서비스와 소프트웨어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각국 정부가 경제 성장을 위해 정보통신산업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부문을 장려하고 있어 이 현상을 가속화하고 있다.

| 338 |

Page 33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 하드웨어산업 부문

아시아의 정보통신 기기산업 현황은, 현재 지역내 전반적인 산업화 정도에 비례하고 있다. 지역내 선진국은 기술 및 자본집약적인

정보통신산업 기기 생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개도국은 노동집약적인 조립산업이 그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일본, 한국, 싱가포르,

대만은 고부가 가치 기술 생산에 견실한 기반을 보유하고 있고, 하급 기술 및 조립 과정은 개도국에 아웃소스하고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 4개국에서는 정보통신산업 회사들은 수입 부품과 현지의 값싼 노동력을 이용하여 정보통신 산업기기를 대량

조립 생산하고 있고, 기술 집약적인 생산 공정의 사용은 아주 저조한 수준이다. 국내 생산품이, 각국의 국내 소비의 대부분을

충당하지만, 생산품의 대부분은 수출되고 있다. 정보통신산업 제조업체들의 대부분은 외국 기업의 자회사이고, 조립에 사용되는 고급

부품의 대부분은 선진국 정보통신산업 기업에서 공급하고 있다. 이는, 지역 내에 다른 국가들보다 전기 전자 공급체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말레이시아에서 조차 이런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 지역 내에 컴퓨터, 전자 통신기기의 주 조립국은 중국, 말레이시아,

태국이다. 인도네시아에도 미국, 일본, 한국 등의 외국 정보통신 산업 기기 생산업체들이 진출하였는데 대부분 조립 생산을 위한

것이며, 인도네시아 정부는 부품 업체들의 진출도 장려하고 있다. 1990년 중반 이래 베트남도 정보통신산업 하드웨어 조립부문을 집중

육성하고 있는데, 이 부문의 연평균 성장률은 15-20%에 달한다.

2. 소프트웨어산업 부문

아시아 지역의 소프트웨어 부문은 미미한 기반에서 출발하였지만,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현재 상태는, 미국 회사가 개발한

제품의 수입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지역 내 개도국보다 선진국에서 소프트웨어 산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아직도 기반이 미약한 편에 속하기는 하나, 이 지역 내에서 한국의 소프트웨어 산업은 1996년부터 2000

까지 연평균 31%의 성장률을 기록할 정도로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동남아 4개국 중에서는, 베트남이 북미, 유럽 일본 시장의 소프트웨어 공급원으로서 성장하고 있다. 인도나 중국보다 프로그래머의

급여가 더 낮다는 이점 때문에, 전반적으로 미약한 기반에서나마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베트남 정부는 소프트웨어 산업이 지난

5년간 평균 25%의 성장률을 달성하는 등 향후 주요 경제 활동분야가 될 것으로 판단하고, 2005년까지 25,000여 명의 프로그래머

양성과 함께 5억 달러 수출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실천에 옮기고 있다.

반면에 인도네시아나 태국 등의 국가에서 소프트웨어 부문은 상대적으로 아직은 왜소하고 국내지향적인 상황이다. 즉, 인도네시아의

소프트웨어 부문은 전체 정보통신 산업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아주 적은 실적이고, 소프트웨어 회사들은 주로 경영이나 오퍼레이팅

시스템, 회계, 급여 시스템 등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정도이다. 소프트웨어 산업의 향후 성장 가능성은, 훈련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공급여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태국의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은 아직 유년기에 불과하며, 대부분의 패키지

소프트웨어 수요는 수입에 의해 충당되고 있다. 다른 개도국과 비슷하게 태국에서도, 미국의 소프트웨어 회사들이 비즈니스 통합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툴, 시스템 관리,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등의 8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 339 |

Page 34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3. IT서비스 부문

아시아의 정보통신산업서비스 시장은 전체 시장의 비율로는 아직 미약한 수준이긴 하지만,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정보통신 산업 서비스의 사용자는 은행 금융, 정부 행정, 공기업, 정보통신, 미디어, 그리고

일부 제조업 부문이 주를 이루고 있다. 아시아의 기업계는 최근에서야 어플리케이션과 시스템 인프라 서비스 제공 회사들의 제품을

인식하고 받아들이고 있다.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정보통신 산업 서비스 시장은 연 평균 20%의 성장을 거듭하며, 2006년도에는 그 규모가 388

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은 2003년도에 지역 내 3대 정보통신산업 서비스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Internet.com International, from IDC forecasts, 26 August 2002). 한국도 2001년부터 2006 사이에 연 평균 28%의 성장을

기록하여, 2005년도에는 호주의 정보통신산업 서비스 시장의 규모를 능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1996년부터 2000년 사이의 기간 동안

한국의 컴퓨터 서비스는 연평균 37%의 성장을 기록하였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 서비스는 매년 50%의 속도로 성장하였다.

아시아 지역 내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정보통신산업 서비스의 수요에 부응할 만한 숙련된 인력 자원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태국의

경우 특히 인터넷, 인트라넷, 그리고 전자상거래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할 수 있는 장비를 작동할 만한 정보통신산업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는 전반적으로 컴퓨터 판매 회사들이 보수 및 관리 서비스, 마케팅 툴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정보통신

산업 컨설팅 서비스업은 아주 수익률이 높은 업종에 해당한다. 현재 정보통신 산업 벤쳐와 컨설팅을 맡고 있는 다국적기업 및 국내

기업들이 정보통신산업 관계 기술면에서 전문적인 조언을 담당하고 있다.

4. 정보통신 산업 부문

전년도에 비해 2001년에 세계 정보통신 서비스 시장의 성장은 둔화되었으나, 아시아 시장은 더 활발하게 성장하였다. 2000년에

세계 정보통신 서비스 수익의 23%는 아시아에서 일어났으며, 이는 1992년의 19%에 비해 상당히 증가한 것이다. 아직도 일본이

지역내 최대 시장이고, 중국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WTO 요구에 따른 정보통신업계의 자유화에 따라,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이고,

아시아의 선진국과 개도국내에 정보통신산업의 성장은 계속 진행 될 것으로 예상된다.

말레이시아는 정보통신 인프라를 계속 개선하고 있으며, 이는 고정회선 및 이동전화서비스, 전자 상거래, 원거리 교육, 비디오 온

디맨드, 인터액티브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 등의 수요를 담당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정보통신 기본 인프라를

계속 개발하여, 2006년도에는 인구 1000명당, 250개의 인터넷 접속, 250대의 이동전화, 500선의 고정회선을 설치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1990년도 말에 비하면 고정회선의 성장은 둔화되었는데, 그 주 원인은 아시아 금융위기, 시장 포화상태, 그리고 이동전화로의

전이 등을 꼽을 수 있다. 종합 국영기업인 텔레콤 말레이시아가 아직도 고정회선의 99%을 담당하여 고정회선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2002.3월 현재 말레이시아는 780만 명의 이동전화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고, PC 보급률보다 훨씬 높은 이동전화 보급률을 기록하여,

| 340 |

Page 34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이동전화 이용자들을 위한 고부가가치 온라인 서비스 업계에 높은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아직도 기본적인 정보통신 인프라만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동전화 서비스는 이제 도약을 시도하고 있다. 산재된

섬으로 구성된 넓은 국토가, 통합된 정보통신 인프라의 구축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지만 이들의 네트워크 구축 가능성은 99%에 이른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에는 2000년도 현재 수치로 2억 1,200만 명의 인구 규모에 비하여 단지 1천만 선의 고정 회선이 설치되어 있었다.

아시아 경제 위기 이전에 인도네시아 정부는 네트워크와 서비스를 현대화하고 확장하려는 계획을 수립하여, 1995부터 1999년까지

500만 개의 신규 전화 회선을 설치하려는 계획을 세웠었다. 그러나, 이 계획은 1997년의 경제 위기로 좌절되었다가, 그 후 소수의

신규 전화 회선만이 가설된 상태이다. 반면에 인도네시아의 이동전화 보급률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는 60만 선을 새로

개발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정부가 WTO와 ASEAN협약을 준수하기 위하여 수입관세를 인하함에 따라 이동전화 수신기의 가격이

인하되고 있으며, 그 사용이 앞으로 더욱 현저하게 증가할 것이 전망된다. 노키아사는 이동전화 프로토콜 기술의 공동 개발사인데,

인도네시아의 이동전화 서비스를 개발 계획을 확정한 상태이다.

태국 정부도 정보통신 인프라를 확장하고 있다. 1997-2001년간의 8차 개발계획의 일부로, 정부는 6백만의 고정회선을 증설하고,

정보통신의 민간기업 참여를 증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 계획에는 농촌 지역에서 장거리 공중전화 이용의 증가와, 해저

광케이블, 신규 이동전화서비스 면허 발급, 위성통신 수신소의 설치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계획이 실현되면, 전자 상거래의 확장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이동전화 공급회사인 Advanced Information Services사도 통신소를 증설하고, 소프트웨어를 개선하며, 스위치

시스템과 전송네트워크의 용량을 증설하고, 정보 통신 속도를 가속화하고,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것이다. 태국의 무선시장도 급속히

신장하고 있는데, 이동전화 가입자가 현재 210만 명에 이르며, 연평균 10%의 성장률이 예상되고 있다. 이는 앞으로 이동전화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와 제품 공급 등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2001-2002년 사이에 실시된 자유화가 태국의 이동전화

서비스를 활성화하여, 현재는 세계 어느 국가에서 구입한 전화기로도 국내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수신기 구입비를

현저히 절감시켰다. 이동전화 시장의 해외투자를 허가함으로써, 저소득층은 물론 이전에 공급이 불충분하였던 지역에도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 인프라와 관련하여 크게 호황을 누리게 되었고, 가격 경쟁은 소비자들의 네트워크 접속을 더욱

수월하게 하고 있다.

베트남의 정보통신 부문도 전반적으로 미약한 수준이기는 하지만, 1993-2001년에 연평균 34%의 급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1998년

말에 베트남에는 2백만 선의 전화선이 설치되어 있었는데, 이는 1991년의 127,000선에 비하면 괄목할 만한 성장이다. 1992년이래

베트남 정부는 정보통신 인프라 부문을 최우선 순위 투자의 하나로 지정하였으며, 그 결과 네트워크는 이 지역 국가 중에 가장 최신의

인프라 수준을 갖추게 되었다. 호주의 텔스트라를 비롯한 주요 정보통신 회사들은 베트남에 지사를 설립하였으며, 베트남

우편정보통신회사 (Vietnam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Corporation, VNPT)와 협약을 맺어 정보통신기기 및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다. VNTP는 해외 정보통신 회사와 계약을 맺어, 서비스를 공동으로 공급하고 있다. 2001부터 2005년 사이에 베트남

정부는 현대식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건설하여, 전화 및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정부는 전화 공급률을 2010

년까지 100명당 12 –15 선을 공급하여 총 1천만 선을 설치할 계획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베트남은 2010년까지 63억 달러에

달하는 액수를 정보통신 기기에 투자할 계획인데, 이는 여러 회사에 많은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동전화 시장도 역시 급속히

| 341 |

Page 34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성장하고 있으며, 베트남의 경우 이동전화 시장 초기부터 최신 디지털 시스템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구형 이동전화 시스템을 대체할

필요가 없었다. 앞으로 벽지와 농촌지역을 연결하는 데 고정선의 사용을 건너뛰어 무선 기술이 도입될 예정이다.

5. 전자상거래 부문

아시아의 전자상거래는 급속히 신장하고 있으며, 특히 지역내 선진국에서는 일인당 인터넷 상거래 거래량이 꾸준히 늘어났다. 1999-

2001년에 중국의 인터넷 상거래는 763% 증가하였으며, 대만은 동기간521% 한국은 434% 증가하였다. 아시아 지역의 인터넷 및

전자상거래 이용 기반은 나라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2002년의 준비 상태를 보면, 호주, 싱가포르, 홍콩이 전자상거래 이용면에서

선두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다른 나라는 훨씬 저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은 아주 낮은 기록을 보였고,

네트워크 이용상태도 이와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표 6-1). 지역 내 많은 나라가 최근 비교 순위가 낮아진 현상을 보였지만, 일본과

필리핀을 제외하고는 전자상거래 준비 절대치수는 높아졌다. 지역 내 모든 국가에서, 정보통신산업지출은 정부부문 정보통신산업

산업, 정보통신, 은행 금융부문에서 가장 높았으며, 정보통신산업 이용률은 대기업이 가장 높았다. 또한 대기업에서는 LAN과

웹사이트의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

<표 6-1> 전자상거래 준비 치수 및 순위, 2002

국가 E-readiness ranking

2002 (2001)

E-readiness score

(out of 10)

Networked

readiness index

Networked

readiness index

ranking

미국 1 (1) 8.41 6.05 1

호주 6 (2) 8.30 5.22 14

싱가포르 11 (7) 8.17 5.47 8

홍콩 13 (13) 8.13 5.23 13

대만 20 (16) 7.26 5.18 15

대한민국 21 (21) 7.11 4.86 20

일본 25 (18) 6.86 4.86 21

말레이시아 32 (33) 5.50 3.82 43

태국 46 (46) 3.86 3.58 43

필리핀 49 (39) 3.72 3.27 58

중국 51 (49) 3.64 3.10 64

인도네시아 52 (54) 3.29 3.24 59

베트남 56 (58) 2.96 2.42 74

Source: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Pyramid Research, 2002; and Kirkman et al., 2002.

| 342 |

Page 34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전자상거래 사용 준비도의 척도로 가장 기초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전화선 보급률이라고 할 수 있는데, 동남아시아의 저조한

전화선 보급률은 단기적으로는 전자상거래 사용의 기회가 상당히 제한적임을 나타내 주고 있다 (도표 6-3 참조). 그러나, 정보통신의

투자 및 전화 보급률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지역내 중장기간 성장 기회는 상당히 빨리 증가하리라 전망된다. PC 및 인터넷 보급률도

조사 대상 4개국에서는 저조한 보급률을 보이고 있으나, 지역내 선진국에서는 높은 보급률을 보이고 있다 (도표 6-4 참조). 동남아시아

지역의 PC 및 인터넷 보급률은 저조하지만, 중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의 많은 사용자들은 인터넷 카페에서 인터넷을

접속하고 있다. 하지만, 낮은 소득 수준과 비효율적인 규제 시스템은 향후 전자상거래의 성장에 저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도표 6-3> 유선 및 무선 전화 보급현황. (1995년 및 2001년, 천 명당 전화 보급수)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한국 호주 미국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명당

0

100

200

300

400

500

600

명당

, 1995 ( )우선 전화 보급률 좌축 , 2001 ( )유선 전화 보급률 좌축

, 1995 ( )무선 전화 보급률 우축 , 2001 ( )무선 전화 보급률 우축

Source: World Bank, 2002

전자 상거래와 정보통신 산업 이용을 결정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요소는 저렴하고 효율적인 전자 통신 서비스의 공급 상황인데, 상업

및 기업용 인터넷 사용 및 인터넷 기술의 상업적 이용을 가능하게 해 준다. 지역 내에 경제 발전이 낙후된 필리핀 베트남,

인도네시아에서는 인터넷 사용요금이 높고, 일인당 국민소득에 비해 전화 가입비가 높아서, 정보통신산업 이용의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도표 6-4> PC 및 인터넷 사용자 보급 현황, (1995년 및 2001년, 천 명당 보급수)

| 343 |

Page 34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한국 호주 미국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명당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천명

PC , 1995 ( )보급률 좌축 PC , 2001 ( )보급률 좌축

( ), 1995 ( )인터넷 사용자 천명 단위 우축 ( ), 2001 ( )인터넷 사용자 천명 단위 우축

Source: World Bank, 2002

결론적으로 전자상거래가 1999년이래 성장하고 있지만, 지역 내 총 거래량의 비율로는 아직도 미미한 수준이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거래량보다 아시아의 선진국들이 적은 거래량을 보이고 있고, 지역내 개도국은 훨씬 더 적은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다. 전자

상거래를 장려하기 위해 지역내 각 국은 관리행정 및 환경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시아의 인터넷 상거래의 대부분은 기업간에

이루어지며 B2C 거래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2001년에 일본의 B2B 거래는 총 거래의 90%를 기록하였고, 말레이시아에서는 67%

를 기록하였다. 아시아의 포탈 사업자와 주요 B2B 사업자들은 주로 수출 지향적인 업체들이다. 정보통신산업, 자동차, 선박, 화학,

철강, 의류, 보건업계 등이 B2B거래가 활발한 업종이다. 이 업계의 특징은 공급 과정에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부품 배달과 함께 수급자들이 B2B 주문을 사용할 것이 요구된다.

제 3 절: 정보통신 산업 국가 정책과 제도

아시아 각국의 정부는 정보통신산업 산업이 경제 성장에 미치는 중요도를 인식하여 이 부문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아시아

지역내 선진국은 첨단 기술 기기 제조업체 지원으로 시작하여 이 산업을 지난 수년간 지원하였으나, 개도국은 최근에 이 산업의 개발에

중요성을 두기 시작하였다. 이중 한국과 말레이시아 정부가 특히 상당한 지원을 제공하였다. 대부분의 정부 지원 프로그램은 업계를

직접적으로 지원하고 있고, 그 외에도 정보통신 산업 인프라의 개선, 법적 제도, e-보안 및 기타 지원을 통해 전자 상거래를 장려하는

| 344 |

Page 34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등의 간접 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인력 시장에 정보통신산업 기술을 교육하고 국가의 디지털 양분화 현상을 해소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 (표2). 정보통신 부문의 자유화 및 산업계의 규제 등도 중요한 골자이고 이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였다.

말레이시아는 비전 2020 계획 아래 지식경제의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적극적이고 총괄적인 정보통신산업 프로그램을 세워,

원격의료제도, 전자 정부, 교육 및 산업에 이르는 경제와 사회의 모든 부문에 영향을 주려 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수퍼 코리도

(Multimedia Super Corridor) 계획은 최고급, 기술 및 산업 도시의 개발인데, 해외 정보통신산업 및 서비스 회사의 유치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지역내 다른 개도국들도 정보통신산업을 도입하여 국제사회의 경쟁력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고, 인프라와 서비스를 개선하고,

기술을 개발하며, 최신 기술을 받아들이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아시아 경제위기는 여러 정부의 정보통신산업 지원계획에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인도네시아와 태국이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 345 |

Page 34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6-2> 동남아시아 정부의 주요 정보통신산업 지원 계획

국가 정책 기관 주요 프로그램 연구개발후원 전자 정부

인도네시아 통신 정보부

우편 통신국

정보통신 정책 청사진

정보 인프라 개발 계획

관련 민간부문 온라인 실행을 위한

정부의 종합계획

말레이시아 에너지 통신

멀티미디어부

말레이시아 8차 계획

2001-5

Vision 2020

( Multimedia Super

Corridor 포함)

국가 정보기술

Multimedia Super

Corridor

정부 다목적 스마트

카드 및 부처간

네트워킹 등 다수

태국 국가 정보 기술 위원회,

교통 통신부

IT2000 (1995)

IT2010 (개발중)

9차 경제사회 개발계획

2002-06

e-태국 프로젝트

소프트웨어 단지 의

후원제도

정부 정보기술 서비스

2001-06

정부 정보 네트워크

베트남 우편 통신부 정보통신산업 종합계획

2001-05

전자상거래 개발계획

정보통신산업 단지 전자 상거래 개발 전략

Source: Austrade, 2002 various; www.gbde.org, accessed 16 September 2002.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아시아의 정보통신 및 전자상거래 부문은 상당한 규제를 받고 있으며 이는 정보통신산업 산업의 성장 및

전자 상거래의 수용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1. 정보통신 법규

지난 10년 동안에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들은 정보통신 부문을 자유화하였는데, 그 시기와 정도는 국가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많은

국가들이 우편업무와 정보통신업무를 분리하였고, 정책수립과 규제 기능을 업무 수행 기능과 분리시켰다. 그리고 민간부문의 경쟁을

허가하였고, 상호 연결 비용을 조정하는 제도를 시행하였다. (표 6-3)

<표 6-3> 동남아시아의 정보통신산업 주요법규 상황

국가 민영화연도 주 사업자 규제 부처 규제 업무의 독립 상호 연결 규정

인도네시아 1995 부분적 민영화 우편 통신국 없음 정부 지침 하에

| 346 |

Page 34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기획원 업자들 간 규정

말레이시아 1996 부분적 민영화 말레이시아 통신, 멀티미디어 위원회

있음

태국 1993 국영기업 태국

교통통신부산하

우편 전신국

없음 허가과정을 통해

수익 공유

베트남 - 국영기업 우편 통신부 없음 없음

Source: APEC Regulatory Outlook, 2001;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2002.

말레이시아의 정보통신 부문은 아직도 낮은 수준의 경쟁을 보이고 있으나, 정보통신 규정은 경쟁을 장려하고 있다. 1989년에

말레이시아는 정보통신 시장을 개방하기 시작하였다. 그 이전에는 말레이시아 텔레콤(Telecom 말레이시아 Berhad)이 유일한 통신

제공 회사였다. 1993-1995년 사이에 정부 규제가 완화되어 3개사에게 여러 개의 운영 허가를 발부하였다. WTO의 기초 통신 서비스

협약 아래, 말레이시아는 모든 기초 통신 분야에 제한적인 약속을 하였고, 이에 따라 규제 협정의 기본각서를 받아 들였다. 말레이시아

통신 멀티미디어 위원회 (The 말레이시아n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Commission)는 서비스에 기준한 허가를

기술상으로 중립적인 네 종류의 허가로 교체하였다. 이것들은 기술보다는 활동에 중점을 두기는 하지만, 이 방법은 다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데, 이 중 대표적인 것이 이동 통신업을 위해서는 여러 개의 허가를 취득해야 한다는 것이다. 2002년 7월 말레이시아

통신 멀티미디아 위원회는 3 Telekom 말레이시아 사와 Maxis Communications 사에 조건부 G spectrum 허가를 발급하였다.

WTO 준수사항과 IMF 조건 때문에, 인도네시아도 통신시장을 서서히 자유화하고 있는 과정이다. 정부는 국영기업 2개사 (PT

Telkom and PT Indosat)를 부분 민영화하여, PT Telkim이 모든 통신 사업자의 지분을 소유한다는 원칙을 폐지하고, PT Telkom사와

PT Indosat사간의 상호 주식보유상태도 제거하였다. PT Indosattksms 2003년 8월 Satelindo의 경영권을 획득하여, 국제 통화를

시장을 독점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 변화로 인해 PT Telkom사와 PT Indosat사가 단기적으로는 시장을 복점하는 결과가

되었다. 2002년 초, PT Telkom사의 지역 고정회선 서비스의 독점이 당초 예정보다 8년이나 일찍 마무리되었고, 장거리 전화의

독점권도 2005년이 아니라, 2003년까지로 줄어들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PT Telkom사도 2003년부터 국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PT Indosat사도 2002년부터 지역 전화 서비스를, 2003년부터는 장거리 전화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사업자들은

상호 연결 비용 및 소비자 요금을 정부 지침을 기반으로 정할 수 있게 되고, 통신 네트워크 사업자들은 요구가 있을 시에 다른 네트워크

사업자들에게 상호 연결을 보장하는 의무가 생기게 된다. 2002년 1월, 정부는 전화요금을 시장 수준으로 인상하였고, 이는 민간

투자자들이 투자하기에 더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줄 것이다.

태국도 통신 부문의 경쟁을 장려하기 위하여 여러 조치를 취하였다. 2001년 2월 태국의 국가민영화위원회는 고정회선 사업자인

Communications Authority of Thailand와 국제통화 사업자인 Telephone Organisation of Thailand의 구조조정 계획을

승인하였다. 2001년 9월 국회는 새로운 통신법을 인준하였는데, 여기에는 Telephone Organisation of Thailand를 민영화하는

계획이 포함되어 있다. 정부는 두 개의 기관을 부분 민영화할 계획을 세웠고, 민영화 이전에 이 두 개사를 합병할 계획도 세웠다.

그러나, 아직도 민영화는 먼 훗날의 일이고, 합병 가능성도 현재로서는 희박하다고 판단된다. 정부는 또 국가통신위원회 (National

| 347 |

Page 34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Telecommunications Commission)를 2000년 10월까지 설립할 계획을 세웠으나, 이 계획은 연기되었다. 이 위원회의 활동 개시를

위해서는 아직 승인, 상호교환, 기술 수준 등의 선결 과제가 기다리고 있다. 국가 통신위원회가 설립되면, 이를 통해 새로운 시장 규정을

수립하고, 인터넷 보급과 전자상거래의 성장에 도움을 줄 것이다.

베트남 정부는 통신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새로운 국영기업을 세웠으나, 통합된 국영독점기업이 시장을 석권하고 있고, 경쟁 상태는

미흡하다. 정부는 새로운 통신 법을 기안하고 있고, 이 법을 통해 정책입안 기능과 규제 기능이 분리될 예정이다.

2. 인터넷 사업자에 대한 법규

아시아의 인터넷 사업자 부문은 대체로 경쟁상태가 양호하며 규제도 심하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중국과 베트남 및 몇몇 다른 국가의

정부는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소통을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인터넷이 방송활동으로 간주되고 있고 검색의 대상이

되고 있다. 실행 규칙이 없으므로 실행 정도는 명확하지 않으나, 도덕, 사회의 융화 및 정치적 안정을 해친다고 간주되는 내용은

허가되지 않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인터넷 컨텐츠는 통신 멀티미디어 법에 의해 공식적으로 거의 규제를 받고 있지 않다. 정부는 기업의

경영 원칙 및 자율적 규제에 의해 문제 해결을 유도하고 있다.

3. 전자 상거래에 대한 법규

전자상거래의 발전에 필요한 요구조건은, 이 부문을 지원할 강력한 법적 및 규제 구조이다. 아시아 국가 중 많은 수가, 전자 상거래를

지원할 법적 규제를 수립하였지만, 아직도 모자라는 실정이다. 말레이시아의 경우 가장 일찍 1997년 디지털 서명법을 수립하였고,

태국의 경우 전자상거래법이 현재 통과되어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의 경우는 현재 준비 중에 있다. 대부분은 UN

국제교역 법 위원회가 제정한 전자상거래법을 받아들이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전자 문서 형태로 전송, 수신되어 저장된 정보가

법정에서 증거로 사용될 수 있는 서류로 간주된다는 원칙을 제정하고 있다. 제정된 법 대부분은 컴퓨터 범죄에 대한 규정도 포함하고

있다.

지역 내 국가 중에 아직도 온라인 및 전자 거래, 인증 기관, 지불 보증 등의 보안에 관한 법적 규정이 불확실한 나라가 많이 있어, 전자

계약의 사용을 제약하고, 전자 상거래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 예를 들면, 중국에서는 전자 계약 체결에 대한 규정을 제정하였으나,

전자 서명이나, 전자 계약의 시행에 대해서 국가적 차원의 법률이 부재한 실정이다. 베트남에서도 역시 전자 거래나 디지털 서명을

관장하는 법령이나 규칙이 부재하여, 전자 계약을 증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인도네시아의 전자 상거래 산업은 전자 거래를 관장하는

법이나, 인증 부처가 없는 실정이다. 계약법은,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의 법이 아직도 통용되고 있는 실정이라 전자 상거래의 실행에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의 법 제정도 전자상의 증거를 인정하는 쪽으로 진행되고 있고. 새로 제정된 법은 기업이 문서를

전자상으로 보관하도록 허가하고 있다. 관세 지불 제도도, 서면상 기록이 없는 전자 데이터 교환시스템으로 변경되었고. 인도네시아

증권 거래소에서도 서류를 기반으로 하지 않는 거래를 실행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적은 수의 준비위원회가 전자 서명과 컴퓨터

오용에 관한 법을 기안하고 있다.

| 348 |

Page 34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4 절: 정보통신산업의 지역 내 해외직접투자 현황과 제도

경쟁력 있는 임금 구조, 우호적인 정부 정책, 그리고, 투자 유인 등으로 인해, 여러 아시아 국가들은 정보통신 산업 기기 부문에

상당한 수준의 해외직접투자를 유치하였는데, 이들 대부분은 수출 지향적인 기업들과 관련된다. 아시아는 정보통신 산업, 특히

전자산업 부문에 있어서 일본 및 미국 다국적 기업의 투자 대상 지역이 되어 왔다. 비록 아시아 경제 위기로 인해 지역 내 여러 국가

특히 인도네시아에 대한 직접 투자가 상당 부분 감소되기는 하였으나, 중국을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꾸준한 증가 추세에 있으며, 경제

위기로 인한 감소를 상당 부분 상쇄하였다.

도표 6-5에 나타나 있듯이 인도네시아를 제외한 다른 세 나라에서는 간혹 해외투자유치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나그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현상을 찾아낼 수 있다.

<도표 6-5> 해외직접투자 추이, 1997년 부터 2001년까지, 미국 백만 달러기준.

-6,000

-4,000

-2,000

0

2,000

4,000

6,000

8,000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백만

미국

달러

1997 1998 1999 2000 2001

출처: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2002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 정부는 정보통신산업 부문의 성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유화를 진행하였으며 국제 협약 하에 외국 기업의

시장 참여를 개방하고 있다. 특히 직접투자 규제가 가장 낮은 홍콩과 싱가포르는 어느 국가에 비해 시장 진입이 용이한 편이다. 즉, 이들

두 지역은 외환 규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외국인 투자가에 대한 제약도 가장 낮은 편이다.

| 349 |

Page 35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그러나, 아시아 국가 대부분은 아직도 외국인 투자에 대해 여러 종류의 규정과 규제가 적용되고 있다. 정보기술 분야는 다른 산업과

유사한 대외투자 규정이 적용되지만, 인터넷 부문은 더 경직된 규제 규정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들은

외국기업의 통신 시장 진입과 관련하여 외국인 소유 상한선을 규정해 규제하고 있는 것이다. (표 6-4 참조).

말레이시아는 정보통신 산업 부문 투자 중 수출지향적 제조업과 그 기술 부문을 권장하고 있으나, 투자 개별 건수에 대해 정부가

선별적인 규제를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 기업과 합작투자를 선호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컴퓨터산업, 소프트웨어

산업은 대부분 자유화되었으나, 정부 사업에 입찰할 때는 제약이 따르며, 제조업의 외국인 소유 한도는 합작투자 및 말레이시아

회사와의 현지 판매망 공유 등을 권장한다.

인도네시아의 WTO 기본 통신 서비스협약 동의 정도는 다른 개도국에 비해 그리 적극적이지 않고, 시장 개방 일정도 애초에 상당히

길게 잡혀 있었다. 그러나, 일정보다 몇 년이 빠른 2003년도에 인도네시아 정부는 국내 및 장거리 전화서비스를 국내외 경쟁시장에

개방할 예정이다.

태국의 통신 시장의 경우, 가격 자유화 정책에 따라 외국 기업 대부분은 훨씬 수월하게 태국의 통신 시장에 진입할 수 있게 되었다.

예전에는 높은 설치비와 기본료 때문에 경쟁사의 시장 진입이 크게 제약을 받아왔었던 것이다. 영국의 오렌지사는, 태국 정부의 인프라

자유화에 힘입어, 현재 주 이동전화 사업사인 Advanced Information Services를 인수하여 광범위한 인프라를 저렴한 사용료로 이용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WTO와 동의한 일정에 따라 2006년 1월에는 태국은 통신 서비스 부문을 기반으로 한 시설을 해외 경쟁에

개방할 예정이다.

베트남은 통신 분야와 같은 전략 분야의 해외직접투자에 아주 강력한 규제를 부과하고 있어, 이 부문의 직접투자의 수준은 저조한

편이며, 외국 기업은 현재 수익 공유 합작 계획에 참가하는 정도이다. 외국 기업은, 기재를 공급하고, 훈련, 관리 및 재정을 제공하고,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 (Vietnam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Corporation)는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며 운영 감독한다.

외국 기업과,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는 15년 동안 수입을 공유하게 된다. 최근의 미-베트남 쌍무교역협정에 의해 사업 기회가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

| 350 |

Page 35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표 6-4> 동남아 지역의 통신 및 기타 정보통신산업 부문의 외국인 소유 제한

국가 허가 부처 주 법령 내용

인도네시아 자본투자 관리 위원회

및 기타 관청

1960s대에 제정된

1998년에 정부는 이전에 금지되었던 통신분야

투자를 개방하였음. 통신서비스의 해외 지분 소유 한도는 35% 현재는 외국인 투자가들은 포탈,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 컨텐츠 제공사, 전자상거래사 등의

인터넷관련 부문에 자유롭게 투자 가능

말레이시아 국제 교역 산업부 국내 시장을 겨냥한 제조업 투자는 외국인 지분 소유

한도.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서비스, 컨설팅 데이터

베이스 서비스 등도 30%의 지분한도가 적용됨.2003년 12월 31일까지 100% 지분 소유가 가능하게

됨. 이는 국내 생산자와 직접적으로 경쟁하지 않는

회사의 신규투자와 제조업의 현 생산을 확장하려는

의도.통신 분야의 외국인 지분 소유한도는49%이며

개별적으로 심사하여 5년 동안 61%로 인상 예정

태국 투자국 (Board of Investment)

외국인 사업령

2000투자국이 제정한 특별 혜택을 받는 프로젝트는 외국인

지분한도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쌍무 교역협정의

제약에 우선하지 않음.베트남 경제계획 투자부 해외 투자법 전략 부문의 해외 투자에 강력한 규제 적용. 외국인

소유 및 통신 네트워크 경영은 금지됨.베트남은 미국과의 쌍무 교역협정 하에, 외국인

투자가들에게 통신 시장을 개방할 것임.Sources: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 2002; Coudert Brothers LLP, 2002.

| 351 |

Page 35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990년 중반부터 지역 내 여러 국가는 정보통신산업 제품 서비스, 전자 교역을 자유화하기 위한 국제적, 지역내의 대화에 참가

하였다. 그 결과, 정보통신산업 상품의 국제 교역에 대한 관세가 현저하게 인하되었고, 이제 비관세 장벽에 초점이 맞추어 지고 있다.

WTO의 정보 기술 협약 (ITA)은 정보통신산업 제품의 관세를 인하하는 데 아주 효과적이었다. 아시아의 서명국은 홍콩,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대만, 태국 등이다. 중국은 WTO 가입을 전제로 ITC에 가입하였다. 개도국은 정보통신 산업

상품 관세 철폐의 기한 (2000년)을 면제 받았으나, 이들 중 대부분 국가는 2005년에 모든 관세를 철폐하기로 동의하였다. 일반적으로

아시아 국가에서 소프트웨어, 전자거래 어플리케이션의 수입은 수입 관세 부과대상이 되지 않는다. 베트남은 WTO회원이 아니기

때문에, 정보기술 협약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 현재 대부분의 정보통신산업 기기에는 10%의 관세가 부과되고, 통신 장비에는 10-20%

의 관세가 부과된다.

<표 6-5> 동남아시아의 정보통신 협약하의 정보통신 산업 관세 (기준2002. 단위: %)

국가 정보통신산업 제품 관세

인도네시아 대부분의 정보통신산업 기기

일부 정보통신산업 기기 (케이블 등)일부 통신 장비

0%5-10%; 0% (2005)5-10%; 0% (2005)

말레이시아 대부분의 정보통신산업 기기

일부 정보통신산업 기기 (스위치 등)일부 통신 장비

0%5-20%; 0%(2005)5-25%; 0%(2005)

태국 일부 정보통신산업 기기

다른 정보통신산업 기기

0%8-19.3%; 0%(2005)

베트남 현재 조정 중에 있음 약 10-20%Source: World Trade Organisation, 2002.

| 352 |

Page 35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2장 - 동남아시아 SI시장의 공공부문 시장 비교분석과 시장기회

제1절: 동남아시아 SI시장의 국가환경 및 공공부문의 SI기반과 활용수준 비교

1. 동남아시아 정보통신산업 환경 비교

이 절에서는 동남아 4개국의 정부 부문의 정보통신 산업, 환경, 인터넷 및 IT 운용 현황에 대한 비교 분석을 요약하였다. 이 장에서

제시된 표나 수치들은 정보통신 산업의 투입 요소 및 생산 과정에 대해 조사한 통계자료를 근거로 조사한 것이며, 평가와 관련해서는

정보통신 산업을 여러 각도에서 질적 수준을 평가한 것이다. 특히 기업 및 정부 환경에 대한 정보 통신의 질적 평가 기준은 보고서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01-2002”에 의거한 것으로, 이는 전문가들의 독립적인 평가에 의한 것이다 (이 통계치는 75

개국의 4,600명의 중견 비즈니스 지도자들에 대한 서베이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들 중 일부를 간추린 것임을

밝힌다. 자세한 기준, 서베이 내용, 방법 등에 대해서는 부록 1을 참조).

<도표 6-6> 정부통신 산업 및 정부 환경 비교

| 353 |

Page 35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0.0

2.0

4.0

6.0

8.0

정보통신 산업 및 정부 환경 비교

미국 6.6 5.0 6.7 6.7 5.4 5.6 6.0

한국 5.3 4.5 4.8 6.1 4.5 4.5 5.0

말레이시아 4.1 3.6 4.9 4.4 3.3 4.8 4.2

태국 4.2 3.7 4.9 4.6 3.2 3.3 4.0

인도네시아 3.7 3.7 4.5 4.6 2.0 2.7 3.5

베트남 2.4 3.8 4.0 3.1 2.2 2.6 3.0

인터넷 속도 및 접속

인터넷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

IT 전문 인력 유치 수준

ISP간의 경쟁 수준

정부의 온라인

서비스 수준

정보통신 관련 법적

환경국가별 평균

출처: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01-2002”

미국과 한국의 통계는 동남아시아의 통계자료의 비교를 위한 벤치마킹을 위해 첨부되었다. 도표에서 나타나듯이 미국은 이 부문에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다른 국가들과의 비교 기준을 제공해 준다.

특히 한국이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비교에서 유념해야 할 부분은, IT 전문 인력 유치 수준면에서 말레이시아나 태국에 비해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정신통신 관련 법적 환경 마련의 경우도 말레이시아에 비해 많이 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이 말레이시아나 태국보다 IT 전문 인력 유치 수준이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나는 이유의 하나는,

일반적으로 다른 두 나라보다 한국에서 영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전문가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위

서베이에 참가한 전문가들의 판단과 관련하여, 기술적인 숙련도와 함께 언어(영어) 숙련도가 크게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이 결론에 반박의 여지가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과 인터넷의 소프트웨어와 프로그래밍 언어에 영어가

사용된다는 점과 함께 특히 말레이시아의 경우 전반적으로 영어 구사가 자유롭다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는 점이다.

다음으로는 정보 통신 관련 법규의 문제이다. 전술한 바 있지만, 동남아의 상당수 국가들 특히 말레이시아의 경우 관련 법규가 한국에

비해 훨씬 개방적이며, 이는 실질적으로 한국을 크게 압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것처럼, 말레이시아에서는 정부의 MSC 설립의

일부로 5대 cyber 법령을 제정한 바 있다. 이 노력은 국가 경쟁력을 크게 제고하였고, 그 프로젝트 실행 이후 외국인 투자 대상

| 354 |

Page 35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지역으로서의 경쟁력도 크게 제고되었다. 이는 ‘서양식 경영 방식의 도입’ 이전에 그 법적 환경과 기반 마련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겠다. 말레이시아에서는 1997년에 이 사이버 법령이 법적 효력을 갖게 되었는데, 이는 1999년에 한국

정부가 정보통신관계 법규를 기안한 시점보다 훨씬 앞선 것이었다.

말레이시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인프라가 구축되면 언제든지 사용 가능한 수준으로 그 준비 작업이 잘 진행된 ‘주목할 만한

국가’로 분류된다. 이는 MSC등과 같은 국가 차원의 정보통신 진흥 방안과 함께 법적 규제를 마련하는 등, 정보통신발전의 기초를

다지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 이루어진 것이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태국은 말레이시아의 정책 및 진전 경로를 벤치마킹하려는 노력을 보여 주었다. 도표에 보인 6가지 사항 중 3개 사항에

말레이시아보다 더 양호한 결과를 보임으로써, IT 직업 시장에 동등한 위치를 확보하였다. 이는 1996년에 통신 산업의 자유화를

시작한 말레이시아에 보다 더 일찍 1993년에 자유화를 시작한 결과, 인터넷 인프라를 잘 개발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인도네시아도 세계의 정보통신 발전 추세에 맞추어 경쟁적인 산업구조를 이룩하려, 적극적인 노력을 보이고 있다. 1998년에 시행한

‘Nusantra 21’ 등의 정부 정책을 추진하였는데, 이 비용의 대부분은 세계은행의 차관으로 충당하였다. 하지만 이 개발 청사진은

아시아 경제위기의 영향으로 1999년에 포기하게 되었다. 정부 온라인 서비스 제공상태는, 베트남보다도 못 미치는 성과를 유지하였다.

이 정책의 실패로 인한 여파가 있지만 정부는 모든 노력을 포기한 것은 아니고, ‘SISFONAS’라고 부르는 계획을 재 수립하게 되었다. 이

정책이 인도네시아의 정보통신 산업에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제공할 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베트남은 정보통신산업 개발 및 국내 정보통신운용을 가장 늦게 시작하였지만, 이미 인터넷이 사업에 미치는 영향, 및 정부 온라인

서비스 등 몇몇 부문에는 태국과 인도네시아를 능가하는 결과를 보여, 급성장하는 후발주자의 면모를 보였다. 이는 다른 부문에서도

급성장을 이루는 견인차 역할을 해 주고 있다. 부연 설명을 하자면, 기업이 인터넷 활용의 효과를 인식하고, 개발에 박차를 가한 다음에

주 성장 부문은 정부 온라인 서비스 제공이 될 것이다. 개도국에서는 정부 부문이 정보통신의 주요 소비자가 된다는 사실을 생각해 볼

때, 베트남 시장에 정보통신 산업의 수요 및 시장 전망은 밝다고 볼 수 있다.

| 355 |

Page 35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 동남아시아 정부기관 및 공공부문의 SI기술 활용 수준 비교분석

이 절에서는 사례조사에 의해 밝혀진 여러 사실을 바탕으로 좀 더 포괄적인 측면에서 동남아시아 4개국에 대한 SI기술 활용 수준

비교 분석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각 비교 항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부록 2를 참조하기 바란다.

2-1. 중앙 정부

<도표 6-7> 동남아시아 4개국 IT 활용 수준 비교 – 중앙정부 부문

0.0

1.0

2.0

3.0

4.0

4 IT - 동남 아시아 개국 활용 수준 비교 중앙 정부

말레이시아 4.0 3.0 3.5 3.8 3.6

태국 2.5 4.0 2.5 2.8 3.0

인도네시아 1.0 2.5 2.0 1.7 1.8

베트남 1.0 2.0 1.5 1.0 1.4

PC 보급률 IT 기반 활용 수준 IT 기술 활용 수준 Extranet 활용 수준 국가별 평균

▷ 도표 분석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말레이시아에 비교하면,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은 중앙정부 내에 비교적 낮은 PC 보급률을 기록하였다.- IT 기반 활용 수준은 말레이시아가 태국에 뒤지고 있다. 이는 다른 분야에 말레이시아가 선두를 기록한 것을 고려하면

예외적인 현상이다. 이는 태국의 정부 부처의 직원 수가 월등히 많은 것에 기인한다. (예: 태국의 재무부 직원 수는 12,925이고, 말레이시아는 1,680). 결과적으로 PC 보급률은 말레이시아가 훨씬 높지만, 각 부처의 컴퓨터 숫자는 태국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2-2. 지방 정부

<도표 6-8>동남아시아 4개국 IT 활용 수준 비교 – 지방정부 부문

| 356 |

Page 35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0.0

1.0

2.0

3.0

4.0

4 IT - 동남 아시아 개국 활용 수준 비교 지방 정부

말레이시아 3.5 4.0 3.5 3.8 3.7

태국 1.0 2.0 2.5 3.5 2.3

인도네시아 1.0 1.0 3.0 3.9 2.2

베트남 2.0 2.5 2.5 2.0 2.3

PC 보급률 IT 기반 활용 수준 IT 기술 활용 수준 Extranet 활용 수준 국가별 평균

▷ 도표 분석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베트남에서는 하노이 시의 개발 노력에 힘입어, PC 보급률이 태국과 인도네시아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IT

기반 활용 수준도 베트남이 인도네시아와 태국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인도네시아가 최신기술 활용면과, Extranet 활용 수준은 높았는데, 이는 자카르타 지역이 IT 인프라 도입을 가장

최근에 시작하였기 때문이다. 최신 기술 활용면에서는 선두를 기록하였지만, IT 기반 활용수준 및 PC 보급률은 아주 낮은

수준에 그쳤다. 하지만, 가까운 시일에 이면은 상당한 변화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은 지방 정부의 IT 사용도에 비슷한 수준을 기록하였다.

2-3. 일반 공공부문

<도표 6-9>동남아시아 4개국 IT 활용 수준 비교 – 일반 공공 부문

| 357 |

Page 35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0.0

1.0

2.0

3.0

4.0

4 IT 동남 아시아 개국 활용 수준 비교 일반 공공 부문

말레이시아 3.5 4.0 3.5 3.8 3.7

태국 2.5 1.5 2.0 3.0 2.3

인도네시아 2.0 3.0 2.5 1.0 2.1

베트남 4.0 1.0 2.0 2.5 2.4

PC 보급률 IT 기반 활용 수준 IT 기술 활용 수준 Extranet 활용 수준 국가별 평균

▷ 도표 분석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베트남의 공공부문에 집중 지원노력은 PC 보급률면에서 말레이시아보다도 더 양호한 결과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IT 기반 활용수준은 베트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베트남 기관의 활동 규모가 주변 국가보다 훨씬 낮기

때문이다. 베트남 경제 전반의 규모가 다른 나라보다 작은 것을 반영한 결과이다.- 인도네시아가 IT 기반 활용수준과, 신기술 도입 면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지만, extranet 연결 장치 활용은 훨씬 뒤지고

있다. 이는 공공 서비스 기관이 국가 전체에 골고루 퍼져 있지 않고, 근접한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인도네시아의 지리적 분포를 생각하면 이해할 수 있는 결과이다.

- 전체적으로 말레이시아가 모든 부문에 선두를 기록하고 있고, 나머지 3개국의 위치는 비슷하였다.

2-4. 금융 및 항공산업 부문

<도표 6-10>동남아시아 4개국 IT 활용 수준 비교 – 공기업 부문

| 358 |

Page 35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0.0

1.0

2.0

3.0

4.0

4 IT 동남 아시아 개국 활용 수준 비교 ( )금융 및 항공 산업 공기업

말레이시아 4.0 2.5 4.0 3.8 3.6

태국 3.5 3.0 2.5 1.7 2.7

인도네시아 3.0 4.0 3.0 4.0 3.5

베트남 2.3 1.5 2.0 1.0 1.7

PC 보급률 IT 기반 활용 수준 IT 기술 활용 수준 Extranet 활용 수준 국가별 평균

▷ 도표 분석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이 부문에서 인도네시아의 수치가 돋보인다. 이는, 인도네시아의 만디리 은행이 이전 4개 주 은행이 경제 위기 이후

합병하였기 때문에 큰 규모의 기업이 된 것에 기인한다. 만디리 은행은 조사대상으로 채택된 다른 나라의 은행보다 월등히 큰

규모를 가지고 있다.- 베트남이 향후 성장 가능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최신 기술 도입면에서 태국의 수치와 많이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유를

찾아 본다면, IT 시스템을 최근에 도입하였고, 현재 IT 인프라 수준이 낮기 때문이다. 그러나, PC 보급률이 향상되면, 상황은

급격히 변할 것이고 IT 기반 활용수준도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종합적으로, 말레이시아가 아직도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인도네시아도 아주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2-5. 정부기관 및 일반공공부문의 전체 비교

<도표 6-11>동남아시아 4개국 IT 활용 수준 비교 – 통합 분석

| 359 |

Page 36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0.0

1.0

2.0

3.0

4.0

4 IT - 동남 아시아 개국 활용 수준 비교 통합 분석

말레이시아 3.8 3.4 3.6 3.8 3.6

태국 2.4 2.6 2.4 2.8 2.5

인도네시아 1.8 2.6 2.6 2.7 2.4

베트남 2.3 1.8 2.0 1.6 1.9

PC 보급률 IT 기반 활용 수준 IT 기술 활용 수준 Extranet 활용 수준 국가별 평균

▷ 도표 분석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종합적으로 말레이시아가 모든 부문에서 가장 양호한 결과를 보여, 지역 내 벤치 마크를 제공하고 있고, 인도네시아와 태국은

비슷한 수준의 IT 이용 상태를 기록하였고 베트남이 가장 낮은 상태를 보였다.- 이미 설명하였듯이, 베트남은 인도네시아와 태국보다 그리 많이 떨어지지는 않는다. PC 보급률만 보더라도, 이미

인도네시아를 능가하였고, 향후에도 계속 증가하리라고 예상된다. IT 기반 활용 규모가 다른 나라의 수준으로 증가한다면 여러

기준으로 인도네시아를 추월할 것이고, 태국에 인접할 날도 멀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제 2절: 동남아시아 공공부문 SI시장의 시장기회 분석

이 절에서는 각국 공공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수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각국의 정부 기관과 일반 공공 부분의 SI 사업 영역

부문별로 시장 기회를 도출하였다.

1. 베트남

1-1.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과 시장 기회 분석

1-1-1.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분석

가. 기반 하드웨어

| 360 |

Page 36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베트남 정부는 각 부처의 하드웨어 선택에 일관된 정책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는 각 서버 시스템의 사용률이 부처마다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는 사실에서도 확인된다. 베트남의 중앙정부 중 재무부 등 1, 2개 부처를 제외하고는, 베트남 정부가 각 부처에서 IT 시스템을

사용하기 시작한 시기는 비교적 최근의 일로 파악된다. 이는 후술되겠지만, 워크스테이션의 펜티엄III 프로세서나 네트워크 인프라에

스위치 사용 정도, 인텔 기반 서버가 모든 부처에서 기본 기술로 사용되는 점 등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또한 베트남 중앙정부의 PC

보급률을 보면, 향후 개선의 여지가 많음을 보여준다. 경제 전반을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을 달성하기 위하여 향후 정보통신 시설의

개선이 크게 기대된다고 판단된다.

나. 기반 소프트웨어

서버 작동시스템의 선택은 서버 하드웨어 인프라에 상당히 의존한다. 이는 각 서버 작동시스템이 특정 서버 프로세서를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즉, 윈도우는 인텔/알파 기반 서버에만 설치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든 부처의 평균 서버 작동시스템 분포는, 하드웨어

분포와 거의 비례하게 된다. 베트남 정부의 경우 아직도 일부 부처에서는, 워크스테이션의 작동 시스템으로 DOS 운영체계가 사용되고

있음이 특기할 만한 현상이다. 이는 각 부처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의 종류와 직결되는 것으로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기반이 아직 취약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다. 네트워크 연결 장치

중앙정부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연결장치의 대부분은 Intranet (내부 연결을 담당)을 위한 것이었다. 이는 각 지방 부처간의 상호

연결이나 인터넷 사용 정도가 미약하며 관련 기반이 낙후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베트남 정부는 전자 정부 구현을 국가 정책으로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 실제로 전자정부는 물리적인 인프라 (통신 채널 – 통신 인프라), 대량 데이터 보관 시설, 대량 IT 시스템, 정보의 보호 및

정보 안전성 유지의 토대 위에서 달성 될 수 있다고 하겠는데, 실질적으로 이들 조건에 적절한 네트워크 연결 장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베트남 정부는 향후 라우터, 광대역 접속, 방화벽 및 extranet 인프라 구축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1-1-2 중앙정부 행정부처별 시장 기회 분석

베트남 중앙정부의 행정부처들에 대한 정보통신 수준과 활용 현황 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시장 기회 분석을 정리하여 부처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 교육훈련부 (Ministry of Education and Training)

베트남 교육훈련부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과 관련한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보유 서버나 워크스테이션 수가 가장 낮음

- 가장 높은 RISC 서버 숫자 (전체 서버의 33%)

| 361 |

Page 36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가장 낙후된 워크스테이션 기종

- 서버당 워크 스테이션 수가 가장 높음 (서버당 72 대)- 가장 낮은 PC 보급률 (0.8%)- 비교적 낮은 extranet 사용률

요컨대, 현재에는 교육훈련부의 활동은 중앙부처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이들 중앙 부처에 RISC 서버의 사용이 집중되어

있고, 지역 사무소에서는 인텔 서버의 사용률이 저조하게 나타난다는 점, 업무가 전국 각처에 분산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extranet

네트워크의 사용률이 매우 낮다는 점 등은 부서간의 연결이 매우 저조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교육훈련부는 지역 사무소 및 학교와의 연결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업무수행에 아주 중요한 부서이다. 현재 사용되는 IT 시스템은

예산 부족과 중앙정부의 지원 부족으로 이러한 인프라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업무를 위한 IT 시스템 개선이 중요할 뿐 아니라,

베트남 학교 교육에 PC나 인터넷 사용이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는, 향후 교육훈련부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풀어야 할 가장

어려운 당면 과제이다. 베트남 교육훈련부는 2002년 말을 전후하여 IT 예산이 294% 증가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기 때문에 향후 그

발전 정도가 크게 주목된다고 하겠다. 그러나 교육훈련부는 대체로 어느 국가나 직원 수가 높은 부서 중 하나이며, 학교나 지역 사무소

및 학교가 넓은 지역에 산재해 있기 때문에 향후 지속적인 투자가 불가피하다.

여기에서 베트남 교육훈련부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좀더 효율적인 IT 활용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장 큰

문제점은, 다음 그림 6-1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IT 인프라가 중앙에 지나치게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 362 |

Page 36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그림 6-1> 현재 교육훈련부의 중앙에 집중된 IT인프라

따라서 좀더 효율적으로 IT 인프라를 구축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들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 그림에 제시된 것처럼, 지역별

기능별로 분리된 인프라 모델을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현재 RISC 서버 이용을 검토 – 그 목적과 자원

- 데이터 베이스를 중앙 부처에 단일화하고, 현재 RISC 서버에 보관.- 특정 기능 (파일 공유 및 인쇄)을 작은 규모의 서버에 할당하여, RISC 서버의 공간 확보

- 지역 보관소를 설치하여, 특정 지역에 소규모 서버를 배치

- 지역 사무소와 학교가 지역 보관소를 통하여 중앙 데이터베이스 및 정보 은행에 연결 가능하게 함. 이는 중앙 서버의 과대

부하를 축소할 수 있음.

<그림 6-2> 지역 및 기능별로 분리된 인프라 모델

| 363 |

Page 36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나. 재무부(Ministry of Finance)

베트남 재무부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과 관련한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가장 많은 수의 서버 사용

- 인텔 서버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부처 중 하나 (총 서버의 89%)- 가장 많은 수의 워크 스테이션 사용

- 낙후된 워크스테이션이 여전히 상당수에 이름

- 서버 당 워크스테이션 수가 가장 낮음 (서버 당 13.84)- 행정사무원 PC 보급률이 가장 높은 부처 중 하나. (89%)- 중앙정부 부처 중에 가장 높은 extranet 사용률을 보임

- 현재 IT 인프라에 3 종류의 다른 서버 작동시스템 사용중

- 워크스테이션에 가장 높은 DOS 사용률

- IT 예산 지출이 가장 높은 부처 중 하나

| 364 |

Page 36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2003 년에 IT 지출이 57% 증가하여 총 예산 규모 423 만 달러

상기 재무부는 베트남에서 IT도입의 선구 부서라 하겠다. 재무부의 기능이 정보 업무가 기조를 이루고 그 업무 수행에 데이터 처리가

필수적임을 반영한다. 모든 부처 중에 IT 인프라 규모가 가장 큰 사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재무부는 IT 시스템을 개발

초기부터 사용하였고, 정부의 시범 프로젝트의 시험 케이스로 이용되기도 한다.

재무부가 당면한 기본 과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통합 문제라 하겠다. 다음의 사항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 UNIX, Novell, Windows NT4 and 2000 서버들의 사용 혼재

- extranet 연결 장치의 부분적 이용

- 다른 부처에 비하여 가장 높은 보수비 예산 책정

최근 재무부는 중앙 통합식 모델에서 역할 분담식 IT 인프라 모델로 전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체적으로 재무부에서 인텔

서버의 사용률이 가장 높다는 것도 하나의 방증이 되는데, 만일 최신 기술로 전이하지 않았다면 RISC 및 Mainframe 서버가 아직도

사용되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DOS 운영 체계가 아직도 많은 워크스테이션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보면, 이 부처의 응용프로그램이 비교적 낙후된

수준이라는 것을 말해 준다고 하겠다. 윈도우와 DOS운영 체계의 주요 차이점이 멀티 태스크 ‘Muti-task’이므로, PC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베트남의 재무부와 관련하여서는 다음과 같은 제안이 가능하다.

- 현재의 서버 인프라를 조사 평가 – 특히 운영체계에 초점을 맞춘다.- 부처에서 사용되는 서버 중에 가장 적절한 서버로 이전함으로써, 다른 시스템 간의 통합을 위한 요구 조건이 무엇인지 확인 -

현재 4 개의 시스템을 2 개로 줄이려고 노력함.- 하드웨어 상황이 허락하는 한도 내에서 우선적으로 DOS 시스템을 윈도우로 교체

다. 보건부(Ministry of Health)

베트남 보건부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과 관련한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서버나 워크스테이션 수는 다른 부처에 비하여 뒤지지 않음.- 아주 높은 인텔 서버 사용 (총 서버의 88%)- 비교적 높은 최신 기술 사용률

- 모든 부처를 기준으로 보면 서버당 워크 스테이션 수는 평균치

- 가장 낮은 PC 보급률(0.8%)

| 365 |

Page 36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모든 서버에 윈도우 운영체계 사용

- DOS 운영체계 이용률이 가장 낮은 부처 중 하나 (7%)- IT 지출 예산은 안정적 성장, 2003 년에 130 만 달러

보건부는 SI/IT 시장 진출 기회가 전혀 없는 부처로 간과될 수 있으나, 이 부처의 기능을 정확히 고려한다면 사정은 전혀 다르다. 즉,

보건부는 재무부와 마찬가지로 부처의 기능면에서 IT 시스템 운용이 매우 중요하며 보건부 또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즉, 베트남

보건부는 국내 모든 공립병원을 관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주의 국가인 베트남이 국민 의료복지 문제를 중요하게 고려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IT 시스템의 구축과 활용은 매우 긴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IT 사용률뿐 아니라 최신 기술의 도입 속도도 보건 관련

업무 수행에 매우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트남 보건부는 최신 기술을 도입하기는 하였지만, 사용률면에서는

여전히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그런데, 보건부의 서버 인프라는 단일 체계이므로 별도의 서버 통합은 현재로서는 불필요한 상황이라

하겠다. 따라서 베트남 보건부의 향후 개선책의 초점은 PC 보급률의 제고에 있다 하겠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건부의 당면 과제와 해결 과제는 여타 부처에 비해 비교적 단순하다고 하겠는데, 현재의 IT 사용률을 재검토하여

향후 개선 영역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되, PC보급률을 개선하기 위한 IT 예산 증액이 급선무인 것으로 판단된다.

라. 산업부(Ministry of Industry), 계획투자부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베트남의 산업부와 계획투자부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과 관련한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산업부와 계획투자부는

비슷한 네트워크 인프라와 이용 수준을 보여준다. 두 부처 모두 서버 운영 체계에 인텔 기반 서버를 사용하고 있다.

- 계획투자부는 가장 높은 인텔 서버 이용률을 기록 (총 서버의 92%)- 그러나 여전히 낙후된 기술을 비교적 많이 사용하고 있음

- 서버당 워크 스테이션 수는 여타 부처의 평균치를 보임

- 낮은 PC 보급률 (0.8%)- 계획투자부는 가장 높은 PC 보급률 (50%), 산업부는 (26.8%), 총 부서 평균치인 19.4%에 비하면 높은 실적.- 산업부의 extranet 이용률은 비교적 높은 10% 수준이나, 계획투자부는 가장 낮은 2% 수준을 보임

- 두 부처 모두 비교적 높은 DOS 운영체계 사용률

- 2003 년에는 2002 년 기준 300% 증가하여 130 만 달러의 IT 예산 책정

산업부와 계획투자부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는 것은 워크 스테이션 운영 체계가 낙후되었다는 것이다. 즉, 아직도

상당수의 워크 스테이션이 DOS 운영체계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즉, PC보급률은 높은 편이나, 가까운 장래에 운영

체계가 모두 교체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계획투자부와 관련한 한가지 특징적인 사항으로는 저조한 extranet 사용 현황을 들 수 있다. 대체로 부처 업무가 중앙에 집중되어

있고, 지역사무소가 중앙 부처와 연결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extranet 연결은 필요하지 않다. 그런데, 특이한 점은 이 부서에서는 정보

| 366 |

Page 36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보안이 극히 중요한 사안이라는 점이다. 계획투자부의 책임과 기능을 고려하면 쉽게 이해가 된다. 그러므로 정보의 보호 차원에서는

extranet의 사용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산업부와 계획투자부의 당면 과제와 해결 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 신규 하드웨어의 구입 및 업그레이드로 PC 보급률 유지/향상

- 현재의 DOS 응용프로그램을 조사하여, 현재 시스템의 한계를 평가하고, 시스템을 계속 유지하는 기회 비용 계산

- 계획투자국은 현재의 정보보안 인프라 및 정책을 검토하여, extranet 사용과 정보 보안의 유지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안

모색

마. 기타 부처

기타 부처들과 관련한 핵심적인 특성이나 과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ㄱ. 농업및농촌개발부 (Ministry of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문화정보부

(Ministry of Culture and Information)

농업농촌개발부 및 문화정보부는 전체적으로 보건부와 비슷한 상황을 보여주는데, 무엇보다도 PC 보급률 향상이 급선무로

판단된다.

ㄴ. 외교부 (Ministry of Foreign Affairs)

외교부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PC 보급률과 IT이용률을 보여준다. 특기할만한 사실은 2003년의 예산이 2000년과 비교하여 2,347%

나 증가한 930만 달러에 달한다. 이는 괄목할 만한 증가로서 IT/SI 공급사에게 상당한 시장기회를 제공해 줄 것으로 예상된다.

ㄷ. 교역부 (Ministry of Trade)

교역부는 현재 IT 이용률이 비교적 높고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유지 및 보수, 전자 정부가 구축될 때의 부처간 네트워크

구축 등에 개발 여지가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ㄹ. 교통 통신부 (Ministry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MTP)

교통 통신부의 IT 이용 상황 역시 비교적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평가된다. 한가지 특기할 만한 사실은, 현재 5개의 다른 서버

운영체계가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서버를 통합하는 기능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된다. 통합 문제뿐만 아니라,

다섯 개의 서로 다른 서버 시스템을 유지하는 것은 비용면에서도 큰 문제가 된다.

| 367 |

Page 36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1-2. 지방정부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과 시장 기회

1-2-1. 하노이 시의 시장 기회 분석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기타 IT 이용 상태와 관련한 하노이 시의 특기할 만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인텔 서버의 전면 사용

- 신기술 사용

- 낮은 PC 보급률

- 비교적 높은 DOS 운영체계 사용

- 비교적 낮은 extranet 의 사용

- 안정된 IT 예산 지출

| 368 |

Page 36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하노이 시와 중앙부처간의 연결 방식은 전화 접속이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속도, 통신 인프라 의존도 빈약, 전화

요금과 관련한 고가의 사용료 문제 등의 비용 문제 등이 큰 제약 요소가 되고 있다.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기타 IT 이용 상태와

관련하여서는 중앙정부와의 연결 문제 외에는 특별히 별다른 문제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낮은 PC보급률과 DOS 운영체계 시스템

이용 등이 가장 큰 개선 과제로 남는다.

하노이 시의 경우 특히 중앙정부와의 연결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해결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현재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검토하여, 양기관 사이의 데이터의 일관성 구축 및 유지 방안

- 가장 적절한 데이터베이스 디자인 구축

- 가장 적합한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기간 및 방법 모색

-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등에 소요되는 조건들을 정밀 검토, 실행

- 신규 컴퓨터 구입이나, 업그레이드로 PC 보급률 인상/ 유지

- Dos 응용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현 시스템의 제약조건을 찾아 시스템 유지를 위한 기회 비용 재검토

1-3. 일반 공공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과 시장 기회 분석

1-3-1.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 (VNPT), 베트남 전력공사 (VEC), 베트남 철도조합 (VRU)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나 전력공사, 철도조합은 비록 정부가 관리하는 업체들이지만, 민간 협동조합의 특징인 자금의 유통 및

대소비자 및 기업 직접 서비스, 민영화 가능성 등을 지니고 있다. 위 세 기관들의 IT 관련 특징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VNPT)는 서버와 워크 스테이션 보유에 있어서 가장 큰 규모를 보인다. - 베트남 철도조합은 IT 시스템과 관련하여 가장 최신의 기종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예산 투자의 증가를 반영한 결과이다. 즉,

2000 년의 4 만 3 천 달러에서 2001 년에는 125 만 달러의 증가를 보여준다. - 베트남 우편 통신공사의 PC 보급률은 82%를 보여주며, 전력공사와 철도조합도 50% 이상의 상대적으로 높은 보급률을

보인다. - 중앙 부처들과 비교하여, 이들 업체들은 상대적으로 지역적, 부서별로 상호 연결이나 엑스트라넷의 사용이 잘 되고 있는

편이다. - 베트남 철도 연합은, 다른 행정부처나 업체들과는 달리,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더 많은 IT 예산을 집중 투자하고

있다.

1-4. 공기업 혹은 민영화된 공기업 부문의 정보화기술 및 활용기반 현황과 시장기회 분석

1-4-1. 베트남 국립은행(SBV), 베트남 민항(AVCA)

| 369 |

Page 37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베트남 국립은행와 베트남 민항은 정부 소유 및 운영하에 있다가 완전 민영화된 업체이다. 그러나 여전히 경영 방향 등에 있어서

정부의 영향력은 크게 작용하고 있다. 이들 업체들의 그 특성상 모두 IT 활용이 필수적이라 하겠는데, 그 활용 실태를 분석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베트남 국립은행는 서버나 워크스테이션 수에 있어서 베트남 민항의 두 배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 두 업체 모두 최신 기종을 보유한 편이나, 민항에 비해 국립은행이 상대적으로 뒤지고 있다. - 엑스트라넷의 활용은 민항이 국립은행에 비해 높다. - 민항의 경우 윈도우를 핵심 운영체제로 사용하고 있는 반면에 국립은행은 4 개의 서로 다른 서버 운영 체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민항의 IT 체제가 최근에 업데이트 된 데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 국립은행의 IT 예산은 민항의 5 배에 해당한다. 국립은행 200 년도 예산은 450 만 달러로서 38%의 증가를 보인다. - 민항은 하드웨어 부문보다는 소프트웨어에 더 많은 예산을 투자하는 반면에, 국립은행은 하드웨어에 더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비록 민항과 국립은행 모두 IT 체제와 관련하여 좀더 개발되어야 할 여지가 있지만, 현재의 보급률을 감안해 볼 때 고객들에 대한

부가 서비스 제공에 대한 관심이 최우선 과제임을 보여준다. 또한 두 업체 모두 컴퓨터에 보관된 정보와 데이터의 보호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된다. 또 데이터의 정확성 역시 두 업체에 모두 중요하다 하겠는데, 특히 민항의 경우 그 중요성은 더욱 크다. 즉,

여행사들을 통해서 제한된 좌석에 대한 실시간 예약 시스템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과정에서 중복이나 예약 초과 사태 등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1-5. 베트남 공공부문별 시장기회 종합

아래의 표 6-6은 앞서 자세히 서술된 베트남의 공공 부문별 조사현황을 기초로 각 SI 부문의 시장기회 분석을 토대로 작성한 일종의

일람표이다.

<표 6-6> 베트남 각 공공부문의 SI 부문별 시장 기회 분석표

교육

훈련부

재무부 보건부 산업부

계획

투자부

하노이

시청

공공부문 공기업

기반 하드웨어

구입가능성

기반 서버

중/대형서버 (e.g. RISC)소형서버 (e.g. Intel)

워크스테이션

| 370 |

Page 37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네트워크 주변장치

Hubs/SwitchesRouters/Firewalls

확장가능성

이전가능성

개선가능성

기반 소프트웨어

구입가능성

확장가능성

이전가능성

개선가능성

IT 서비스

보수 및 유지

IT 컨설팅

기반 하드웨어 설치

교육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통합

데이터 웨어하우징 및 통합

2. 인도네시아

2-1.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정보화기술 및 활용기반 현황과 시장기회 분석

2-1-1. 정보화 기술 및 활용기반 분석

가. 기반 하드웨어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에 설치된 기반 서버와 워크스테이션의 하드웨어 양적 분포는 비교 대상인 베트남, 태국 및

말레이시아에 비해 상당히 낮은 편에 속한다. 행정부처 중에서 몇 부처의 경우는 가장 최신의 기종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도네시아 정부의 행정부처의 전산화 시설이 막 시작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최근의 정보화 작업도

상당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예를 들어 재무부의 경우 가장 오래된 기종을 현재까지 보유하고 있는데 반해 최신 기종에 대한

개선작업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최근의 경제 불황과 연관된 예산의 삭감 혹은 예산의 부족으로 인한 현상으로 이해된다. PC의

보급률 또한 상당히 저조한 편으로 이는 SI시장과 관련하여 상당한 의미를 부여한다.

나. 기반 소프트웨어

| 371 |

Page 37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인도네시아 중앙정부 행정부처의 정보화 기반에는 LINUX 기반 소프트웨어가 상당히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상기 프로그램의

저렴한 개발비용과 이용으로 인한 것으로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처럼 최대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 네트워크 주변장치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의 경우 네트워크 주변장치로 Switch의 사용이 HUB를 능가하며 이러한 이유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근 정보화 작업을 시작하였기에 최신의 주변장치를 설치할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2-1-2. 중앙정부 행정부처별 시장기회 분석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중 SI시장 관점에서 가장 많은 기회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은 국가교육부, 재무부, 통신부와

보건부에 대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가. 국가교육부 (Ministry of National Education)

전체적으로 국가교육부의 정보화기술 및 활용수준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SI 특성이 도출되었다.

- 낮은 기반 서버 수 보유

- 대부분 윈도우 시스템의 활용

- 가장 낮은 워크스테이션 수 보유

- 가장 낙후된 워크스테이션 기종

- 낮은 PC 보급률(6.4%)- Extranet 을 사용하지 않음

- 행정부처 중 지역적으로 가장 넓은 행정망과 지역 학교와의 연결문제

조사 보고서에 자세히 나타나듯이 인도네시아 국가교육부는 정보화 기술의 활용관점에서는 상당히 낙후되어 있다. 따라서 정부의

여건이 허락된다면 동 부처는 최소한 다른 부처와의 수준을 맞추기 위해서라도 향후 상당한 정보화 작업을 상기에 조사된 다섯

부문에서 시작될 것으로 추정된다.

| 372 |

Page 37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나. 재무부 (Ministry of Finance)

전체적으로 재무부의 정보화기술 및 활용수준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SI 특성이 도출되었다.

- 높은 수의 기반 서버 수 보유

- 대부분 윈도우 시스템의 활용

- 높은 수의 워크스테이션 수 보유

- 최신 기종의 워크스테이션 보유

- 높은 Extranet 사용

- 낮은 PC 보급률(3.2%)- 행정 부처 중 가장 많은 SI 예산 (2003 년 335,000)- 행정부처 평균 고용인원 대비 상당히 높은 고용인원

조사 보고서에 자세히 나타나듯이 인도네시아 재무부는 가장 정보화 기술의 활용관점에서는 행정부처 중에서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조사에서 나타나듯이 다른 국가에서는 재무부의 PC보급률이 상대적으로 높은데 반해 인도네시아의 재무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에 속한다. 따라서 낮은 PC 보급률이 가장 시급한 SI 현안 중 하나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이유 중의 하나는 타 부처

대비 고용인원이 많기 때문이다(57,631명). 또한 재무부의 성격상 가장 많은 데이터 작업을 수행하는 바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이

필요하고 나아가 이러한 기반시설에 대한 작업 프로세서의 점검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정부의 여건이 허락된다면 동

부처의 이러한 부문에 대한 SI 작업이 시작될 것으로 추정된다.

다. 통신부 (Ministry of Communication)

전체적으로 통신부의 정보화기술 및 활용수준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SI 특성이 도출되었다.

-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정보화 기반시설

- 기반 서버의 유형으로 주로 Intel 사용

- 낙후된 시스템 기술의 사용

- 낮은 PC 보급률(1.3%)- UNIX, Novell 과 Windows 서버기술의 혼용

- 2003 년 254% 증가된 IT 예산 (150,000 달러)

조사 보고서에 자세히 나타나듯이 인도네시아 통신부는 현재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전체 수준에 맞추어 볼 때 낮은 PC

보급률과 서버기술의 혼용문제를 제외하고는 시급한 SI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현재 예산 증가는 낮은 PC보급률을

높이는데 사용될 것으로 추정되며 또한 좀더 개선된 정보화 시설과 활용 수준으로 가기 위한 각 부문별 계획 작업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혼용해서 사용하는 서버기술의 통폐합을 예상해 볼 수 있다.

| 373 |

Page 37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라. 보건부 (Ministry of Health)

전체적으로 보건부의 정보화기술 및 활용수준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SI 특성이 도출되었다.

- 낮은 PC 보급률(0.4%)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수준은 상당히 양호함

- 주요 기반 서버유형으로 Intel 사용

- 타 행정부처 대비 상대적으로 최신 시스템 사용

- 2003 년 400% 증가된 IT 예산 (200,000 달러)- 행정부처 평균 고용인원 대비 높은 고용인원

조사 보고서에 자세히 나타나듯이 인도네시아 보건부는 가장 최근에 정보화 작업을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낮은 PC

보급률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수준이 양호한 것이 그 증거이다. 또한 이 낮은 PC보급률은 전체 고용 인원152,010명의 숫자 대비로

인한 것으로 이 고용인원에는 각 지역의 공공 의료 관계자들을 포함한 인원이다. 따라서 중앙행정부처만 계산 하였을 때에는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전국에 산재하고 있는 관련기관의 전산화 시설과 연결관계 또한 SI관점의 중요한 시장으로 볼 때 향후 여건이

허락되면 상당한 가능성을 보여 준다.

| 374 |

Page 37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2-2. 지방정부의 행정부처 정보화기술 및 활용기반 현황과 시장기회 분석

2-2-1. 자카르타 지방정부의 시장기회 분석

가. 중앙정부의 행정기관과의 정보화 연결관계

현재 자카르타 시정부와 중앙정부의 관련 행정기관 간의 연결관계는 아주 심각하다. 기본적인 작업조차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나. 기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수준

전체적으로 자카르타 시정부의 기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활용수준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SI 특성이 도출되었다.

- 주요 기반서버가 Intel 이 사용되지만 Mainframe 과 RISC 서버유형도 많이 사용됨

- 최신 시스템기술 사용

- 낮은 PC 보급률

- 상대적으로 높은 Extranet 사용(29%)- 주요 서버기술로 LINUX 사용(67%)- 2003 년 IT 예산 약 8 백만 달러

위에 언급하였듯이 자카르타 시정부와 중앙정부의 관련 행정기관 간의 전산시스템 연결장치가 전무하므로 데이터베이스 동기화에

대한 어떤 작업도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부문은 SI 시장관점에서 상당한 기회를 제공해준다. 현재 이러한 시스템의 연결이

없어 시정부와 중앙정부의 관련 행정기관 간의 관련 서류 및 자료 공유에서 수작업을 통한 행정처리가 이루어 질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시장접근이 필요하다. 다만 이러한 연결작업에 대한 SI부문은 기초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더불어 상당한

예산과 시간이 필요하므로 정부로서는 상당한 재원이 소요되기에 현재 인도네시아 정부로서는 선뜻 시작하기 어려운 점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부문을 제외하고는 자카르타 시정부의 상당한 관심은 낮은 PC 보급률을 확대하는 것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이유는 앞서

인도네시아 편의 조사에서도 밝혔듯이 자카르타 시정부의 정보화 작업이 상대적으로 가장 최근에 시작되어 활용기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한 관심이 가는 부분은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에서와 같이 저렴한 활용 비용으로 인한 LINUX 원용이 상당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자카르타 시정부의 IT관련 예산은 중앙정부의 행정부처와 비교해 볼 때 상당한 규모의 예산으로 이는 인도네시아의 경제력의 70%를

책임지는 행정수도이고, 또한 많은 외국인 투자가 이루어지는 지역이기에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중앙정부의 SI

부문보다 오히려 경제력을 가진 지방정부의 SI부문이 더욱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관점으로 볼 때, 아마 자카르타

| 375 |

Page 37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시정부의 중앙정부의 관련 행정기관과의 데이터베이스 동기화를 위한 연결시설은 이미 갖추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오히려

중앙정부의 관련행정기관의 시설미비로 인한 연결이 늦추어 지고 있을 것으로도 추정된다.

2-3. 일반 공공부문의 정보화기술 및 활용기반 현황과 시장기회 분석

2-3-1. 우체국 (PT Post Indonesia), 통신공사(PT Telkom), 전력공사(PT Indonesia Power), 철도청(PT Kereta Api Indonesia)

전체적으로 우체국, 통신공사, 전력공사 그리고 철도청의 기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활용수준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SI

특성이 도출되었다.

- 철도청은 가장 많은 수의 서버를 보유하고 가장 적은 수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음. 따라서 가장 낮은 수의 서버당

워크스테이션의 관계를 나타냄(2.44 대)- 통신공사는 가장 적은 수의 서버를 보유하고 가장 많은 수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음. 따라서 가장 많은 수의 서버당

워크스테이션의 관계를 나타냄(133.75)- 우체국과 철도청은 상대적으로 가장 최신 기종의 시스템 기술을 원용하고 있고 통신공사와 전력공사는 반대의 현상을 보이고

있음

- PC 보급률은 통신공사와 전력공사가 가장 높은 그룹에 속하고 (30%), 철도청과 우체국은 가장 낮은 그룹에 속함 (5% 미만)

조사 보고서에 자세히 나타나듯이 철도청과 통신공사의 서버 활용 수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철도청의 경우 활용기반시설을

낭비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통신공사의 경우 활용기반의 수준에 비해 상당히 무리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체국과 철도청의

경우 최신 시스템 기술의 높은 활용률과 동시에 낮은 PC 보급률을 보이고 있고 통신공사와 전력공사의 경우 반대의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문에 대한 전반적인 SI 작업의 검토가 필요하다.

2-4. 공기업 혹은 민영화된 공기업 부문의 정보화기술 및 활용기반 현황과 시장기회 분석

2-4-1. 만디리 은행(Bank Mandiri), 가루다 항공(Garuda Indonesia)

전체적으로 만디리 은행과 가루다 항공의 기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활용수준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SI 특성이

도출되었다.

- 두 기관 모두 비슷한 양적분포의 서버수를 나타냄

- 워크스테이션의 양적분포에서는 만디리 은행이 가루다항공보다 상당힌 높음

- 만디리 은행은 Mainfra 을 주 기반 서버로 사용하고 가루다 항공은 Intel 을 주 기반서버로 사용하고 있음 (아주 작게나마

Mainframe 과 RISC 기반서버도 사용함).

| 376 |

Page 37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만디리 은행은 100% 최신 기종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상대적으로 가루다 항공은 낙후된 기종의 워크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음

- PC 보급률은 만디리 은행이 67% 가루다항공이 상대적으로 낮은 29%로 나타남

- 두 기관의 Extranet 사용현황은 상당히 높음. - 두 기관의 IT 예산은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또는 자카르타 시정부보다 상당히 높음(만디리 은행 2003 년 6 천 2 백 5십만 달러,

가루다 항공 5 천 백만 달러)- 만디리 은행은 전체 IT 예산 중 40%를 소프트웨어 개발에 지출하며, 하드웨어 개선에는 약 20%를 지출하고 있음.

조사 보고서에 자세히 나타나듯이 만디리 은행의 정보화 활용 수준은 가루다 항공보다 상당히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예를 들어

2002년 IT예산 중 대부분이 소프트웨어 개발에 지출하는 것으로 보아 이미 그 전에 시스템의 하드웨어 기반에 대한 대대적인 작업이

이루어졌고 이제는 응용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이행된다. 이는 앞서 인도네시아 편에서 자세히 설명을 하였듯이 만디리 은행이 최근 4

개의 국책은행 통폐합으로 새롭게 재창립된 인도네시아 최대의 은행으로 이미 상당한 수준의 전산화 작업을 구조 조정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이와 달리 가루다 항공의 경우 최근의 경제위기로 인한 심각한 항공산업의 불황과 기업자체의 높은 부채로 인한 재정압박

등 상당한 위기에 처해져 있기 때문에 기업내 정보화 활용시설에 대한 개선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어쨌든 이러한 조사를 통하여 상기 두 기관에 대한 SI 시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현 인도네시아의 금융관련 구조조정과 SI시장에

대한 관점 그리고 가루다 항공의 구조 조정으로 인한 SI 부문에 대한 향후 가능성으로 엿볼 수 있다.

2-5. 인도네시아 공공부문별 시장기회 종합

아래의 표 6-7은 앞서 자세히 서술된 인도네시아의 공공부문별 조사현황을 기초로 각 SI 부문의 시장기회 분석을 토대로 작성한

일종의 일람표이다.

<표 6-7> 인도네시아 각 공공부문의 SI 부문별 시장 기회 분석표

국가

교육부

재정부 통신부 보건부 자카르타

시청

일반

공공부문

공기업

기반 하드웨어

구입가능성

기반 서버

중/대형서버 (e.g. RISC)소형서버 (e.g. Intel)

워크스테이션

네트워크 주변장치

| 377 |

Page 37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Hubs/SwitchesRouters/Firewalls

확장가능성

이전가능성

개선가능성

기반 소프트웨어

구입가능성

확장가능성

이전가능성

개선가능성

IT 서비스

보수 및 유지

IT 컨설팅

기반 하드웨어 설치

교육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통합

데이터 웨어하우징 및 통합

3. 태국

3-1.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정보화 기술 및 활용기반 현황과 시장기회 분석

3-1-1.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분석

가. 기반 하드웨어

태국 중앙 정부의 행정부처들이 활용하고 있는 기반 하드웨어의 가장 큰 특징은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활용 기술과 시스템이 확연하게

구분된다는 점이다. 즉, 활용도 면에서 구식 기술을 사용하는 그룹과 최신 기술을 사용하는 그룹으로 양분된다. 교통통신부(MTC) 한

곳을 제외하고는 부처별로 구식 기술 활용도가 높은지 또는 최신 기술 활용도가 높은지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대체로 구식 시스템을 아직도 사용하고 있는 부처는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와 재무부(Ministry of Finance)이다. 반면에

대부분 최신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부처로는 상업부(Ministry of Commerce), 국방부(Ministry of Defence), 산업부(Ministry of

Industry), 과학기술환경부(Ministry of Science, Technology and Environment)가 포함된다. 이는 교육부나 재무부가 IT시스템을

조기에 도입한 부처라는 점을 시사해 준다. 또한 상업부(MC), 국방부(MD), 산업부(MI) 그리고 과학기술환경부(MSTE)는 정부로부터

| 378 |

Page 37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IT시스템을 지속적이고도 집중적으로 업데이트와 지원을 받는 부처라는 점이다. 태국 중앙정부 부처의 PC보급률은 현재 전반적으로

보급률이 불충분한 상황이며 따라서 시장 참여의 기회가 많다는 것을 말해 준다.

나. 소프트웨어(Software)

태국 중앙정부의 행정부처들의 시스템 사용과 관련한 결정은 각 부처별로 독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교통통신부

(Ministry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는 유닉스를, 과학기술환경부(Ministry of Science, Technology and

Environment)는 리눅스를, 국방부(Ministry of Defence)와 산업부(Ministry of Industry)는 윈도우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재정부

(Ministry of Finance)의 경우 특별히 지정된 운영체제를 보여주지 않고 있다. 이는 중앙정부 내에 전 부처에 적용되는 중심적인 IT

정책이 없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 보다는, 어떤 시스템을 사용하는가에 대한 결정이 각 부처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사실은 통제를 취약하게 하며, 부처간 통합이 요구될 경우, 가령 모든 정부 부처가 통합된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목표로 할 경우

큰 부담으로 작용할 소지가 크다.

다. 네트워크 장치

태국 정부가 엑스트라넷 시설에 힘쓰고 있다는 사실은 다음 몇 가지 사실들을 시사해 준다.

- IT 인프라 구축이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전술한 부처별 사례에서도 확인되는 바이기도 하다. - 특정 부처내 혹은 서로 다른 부처간 네트워크 연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터넷 사용이 어느 정도 활성화 되어 가는

추세이다.

태국의 일부 부처들은 이미 기본적인 네트워크 설비를 갖추고 더 발전된 다음 단계로의 준비 하에서 엑스트라넷 설비를 구축한

것으로 평가되며, 향후 IT 서비스나 통합 컨설팅, 시스템 유지 및 보수 같은 시장 기회가 곧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 379 |

Page 38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3-1-2. 중앙정부 행정부처별 시장 기회 분석

태국 중앙정부의 행정부처 IT 시스템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고 관련 시장 기회를 정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 교육부(ME)

태국 교육부는 다음에 제시된 것처럼 대체로 IT 활용 수준이 미약한 실정이다.

- 이용 중인 서버의 수가 가장 적다.- 윈도우 서버 기술은 충분히 이용하고 있다.- 이용 중인 워크스테이션의 수가 가장 적다. - 구식 워크스테이션의 활용도가 높다.- PC 이용률이 가장 낮다. (0.01%)- IT 지출에 대한 예산이 매우 제한적이다.

태국의 교육부는 인력이 가장 많은 부처 중 하나이며, 지방 사무소와 학교들이 지리적으로 널리 산재해 있는 상황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태국 정부가 가까운 미래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계획 중 하나는 ‘SchoolNet Thailand’프로젝트에 의해 모든 학교를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미 전국의 4,743개 학교를 인터넷으로 연결하였고, 향후 그 숫자는 훨씬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앞으로 정부가 교육개발 부문 IT환경 조성에 적극적 노력을 기울일 것을 보여주는 것이기는 하나, 현재로서는 결코 만족스러운

수치라고 볼 수는 없다. 즉, PC 이용률이 0.01% 밖에 되지 않으며, ME의 구식 워크스테이션 이용률이 가장 높다. 이는 교육부(ME)의

IT 체제 구축과 관련한 정부의 관심이 빠른 기간내에 더욱더 크게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육부(ME)가 현재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안이 요구된다.

- 현재 부처의 운영 현황을 검토하고 IT 시스템을 시급하게 필요로 하는 분야를 선별 집중 투자한다. - 필요성을 강조하는 제안서와 그 실행 계획을 정부에 제출하도록 한다. - 오래된 하드웨어, 학교 및 지역 교육청과의 연결, 요구되는 소프트웨어와 같은 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현재의 인프라 체제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한다.- 현재의 PC 보급률 개선을 위한 구체적 계획을 작성한다. 예산 제약이나 기술 부족 때문에 어려움이 따른다면 단계적으로

실시한다.

나. 재무부(MF)

태국 재무부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과 관련한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용되는 서버의 수가 가장 많다.

| 380 |

Page 38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서버 유형은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용되는 워크스테이션의 수가 가장 많다.- 구식 워크스테이션의 이용률이 가장 높다.- 엑스트라넷 설비의 이용률이 가장 높다.- PC 이용률은 다른 부처에 비교할 때 평균 수준이다. (38%)- 현행 IT 인프라에서 4 개의 서로 다른 운영체제가 공존하고 있다. - 2003 년 예산은 2,670 만 달러로서 2002 년 1,230 만 달러의 두 배 이상이다.

다른 국가에서도 그러하듯이 재무부(MF)는 최대의 IT 시스템 규모를 보여준다. 그러나 4개의 서로 다른 서버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는 사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를 통합 유지하는 데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향후 그러한 문제는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점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재무부가 사용하고 있는 서버와 워크스테이션이 구체적으로 어느 유형인지 확인되지 않았다. 매킨토시

기반의 시스템일 것으로 추측되기도 하지만, 관련 부서의 공식적인 답변을 통해서 밝혀진 사실은 미확인 서버와 워크스테이션이

매킨토시가 아니라는 점 정도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태국 재무부의 IT 시스템 구축과 관련한 제안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 현재의 하드웨어의 수명을 표시하고 구체적인 교체 계획을 수립한다.- 특히 운영 체제를 중심으로 현재의 서버 인프라를 전면 재검토한다.- 부처내 가장 적절한 서버 시스템을 중심으로 현재의 4 개 시스템 체제를 2 개로 축소하는 방안을 강구한다. - 서로 다른 시스템을 통합, 제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수립한다.

다. 교통통신부(MTC)

태국 교통통신부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과 관련한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IT 인프라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다.- RISC 서버의 이용률이 가장 높다. (전체 서버의 58%)- 최신 기술 이용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다.- PC 보급률이 낮다(1.48%)- 전체적으로 윈도우 서버 운영 체제를 활용하고 있다. - 최근 유닉스와 리눅스 기반 시스템을 활용하고자 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 연간 IT 지출이 7,000 달러 정도로 시장 규모가 상대적으로 매우 미약하다.

교통통신부의 경우 낮은 PC 보급률을 제외하고는 크게 관심을 끌만한 사항은 현재로서는 많지 않다. 그러나 윈도우 서버 운영 체제

이외에 리눅스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것은 적은 비용의 이점을 반영하는 것으로 개도국의 일반적인 현상의 하나라 하겠다.

| 381 |

Page 38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현 상태에서 교통통신부의 가장 큰 이슈는 PC 보급률 향상을 위한 IT예산 증액이며, 이를 위한 정부 지원이 관건이라 하겠다.

라. 과학기술환경부 (MSTE)

- 태국 과학기술환경부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과 관련하여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낮은 보급률과는 별도로, 조사상 모든 측면에서 유망한 IT 활용 수치를 보여준다.- 상대적으로 최신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최신 시스템의 이용을 지원하는 IT 인프라 구축이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된다. - LINUX 서버의 이용률이 여타 부서에 비해 가장 높다. (63.6%)

과학기술환경부는 리눅스서버 이용을 선도하는 부처로 간주되고 있으며, 그 실제적인 이점의 확인과 관련하여 여타 부서들의 관심

대상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과학기술환경부의 LINUX 이용은 여타 부처들에게는 하나의 임상실험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 결과에 따라 향후 다른 부처들에게 하나의 기준을 제시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마. 기타 부처

ㄱ. 상업부(MC), 국방부(MD)

이 두 조직은 최신 기술로 업데이트 된 상태이며, 특히 상업부(MC)는 PC보급률이 55%로서 가장 높은 부처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이 두 부처의 경우 시장 기회와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여타 부처에 비해 주목의 대상이 되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ㄴ. 산업부 (MI)

산업부(MI)는 위의 상업부나 국방부와 유사한 특징을 보여준다. 그러나 서버당 평균 워크스테이션의 수가 2.23개로 나타나고 있는

바, 이는 서버의 수가 너무 많거나 워크스테이션의 수가 너무 적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해 준다. 따라서 서버 자원들이 낭비되고 있지는

않는지 그에 대한 정확한 실사가 요구되는 상황이며, 만일 서버 자원들이 과다한 상황이라면 다른 부처로 재배치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3-2. 지방정부 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과 시장 기회 분석

3-2-1. 방콕시의 시장 기회 분석

태국의 중앙 부처와 지방 정부의 상호 네트워킹 현황을 방콕시(Bangkok Metropolitan Administration, BMA)를 중심으로 전개해

보기로 한다. 이는 현실적으로 방콕시가 가장 큰 규모의 시장 기회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며, 여타 지방 정부에 미치는 영향도 클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간의 상호 네트워킹 현황을 논의하기 위해 통신 설비의 이용 및 데이터베이스,

| 382 |

Page 38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synchronisation intervals 등 두 가지 분야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분석을 통해 확인된 방콕시의 IT 시스템 현황과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주로 RISC 서버 이용하고 있다.- 다른 서버 타입은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고 있다.- 최신 기술은 적용되고 있으나 PC 보급률은 낮은 편이다. - 상대적으로 엑스트라넷의 이용률이 높다.- IT 예산 지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방콕시의 주요 통신 장치로는 다이얼 업 모뎀(dial up mode) 형태를 주로 취하고 있다. 이는 전술한 여타 동남아 국가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닌다.

- 데이터 전송 속도의 문제

- 전화 요금 체계에 따른 비용 문제 등

또한 방콕시와 중앙정부간의 데이터 베이스 동기화(Database synchronisation)는 T1/Leased line을 통해 실시간으로 일어난다.

여기에서 시스템이 기대한 방법으로 확실하게 작동할 것인가의 여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그 밖에 현 상황에서 방콕시의 경우 가장

개선이 필요한 부문은 낮은 PC 보급률이라 하겠다. 낮은 PC 보급률은 BMA가 IT이용 측면에서 개선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방콕 시의 IT 시스템 구축과 관련한 제안의 방향은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다.

- 중앙정부와의 통합을 유지하고 두 조직간 데이터의 관성을 보증하기 위해 현재의 데이터베이스 동기화를 재조사할 필요성이

있다. - 그 밖에 최신 하드웨어를 구입하여 PC 보급률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3-3. 일반 공공 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과 시장 기회 분석

3-3-1. 우편전신국(PTD), 태국국영철도(SRT), 태국 통신청(CAT)

위 업체들은 태국 정부가 경영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자금 흐름이나 소비자와 기업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 제공, 민영화 가능성 등의

측면에서 민간 기업체의 특징들을 지니고 있다. 이들 조직이 지니고 있는 IT 시스템의 특징과 제안들을 종합적 혹은 개별적으로 정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383 |

Page 38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태국 통신청(CAT)은 사용중인 서버나 워크스테이션의 규모가 가장 크다.- 태국 국영철도(SRT)의 IT 시스템은 동 예산 지출이 2000 년 6 만 달러에서 2001 년 70 만 달러로 급등하였으며, 가장 최신의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 우편전신국(PTD)의 PC 보급률은 46.44%인데 반해 다른 두 조직은 6%이하의 상대적으로 낮은 보급률을 보인다. - 태국통신청(CAT) 의 엑스트라넷 설비 이용률은 45%인데 반해, 국영철도(SRT)와 우편전신국(PTD)은 각각 2%와 3%

수준이다. 이것은 주로 통신청이 전자통신 회사라는 특성에 기인한다.

3-4. 공기업 혹은 민영화된 공기업 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과 시장 기회 분석

3-4-1. 타이국제 항공(TIA), 타이은행(BT)

위의 두 조직은 정부가 한 때 소유, 경영했지만 현재는 완전히 민영화된 기업들이다. 하지만 이들 회사의 대주주는 정부이며, 정부는

경영 방향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타이 은행(BT)은 경영을 위해 전형적으로 IT시스템 이용에 크게 의존하는 은행이며, 타이항공

(TIA) 역시 항공기 운영을 위해서 IT 시스템의 활용이 필수적인 업체에 해당한다. 이 두 업체의 IT 시스템의 특징과 관련 제안은 다음과

같다.

- 타이은행(BT)은 서버와 워크스테이션의 수에 있어서 타이항공의 2 배 이상의 능력을 갖추고 있다.- 타이항공(TIA)은 최신 기술을 갖추고 있지만, 타이은행(BT)은 그렇지 못하다. - 타이은행의 PC 보급률은 89%로 매우 높지만, 타이항공은 11%에 지나지 않는다.- 두 조직의 엑스트라넷 이용률은 10% 미만으로 매우 낮다.- 타인은행은 4 개의 서버 운영 시스템을 갖고 있지만, 타이항공은 윈도우를 핵심 기술로 이용하고 있다. 타이항공의 IT 시스템은

최근에 업데이트된 것으로 보인다.

타이은행의 IT 인프라 구축 규모는 타이항공에 비해 2배에 이른다. 그러나 IT 예산과 관련하여서는 타이항공이 2001년도 현재

5,500만 달러로서, 같은 기간에 2,700만 달러에 그친 타이은행에 비해 두 배에 이르는 정반대의 현상을 보여 준다. 이는 타이 항공이

비용이 많이 드는 최신 기술의 구축에 투자하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

타이은행은 향후 PC보급률을 좀더 높여 수년 내에 95% 이상으로 달성할 것으로 평가된다. 타이항공은 최신 기술을 적극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보급률을 높여 나가면서 현재의 IT시스템을 긴급히 확대하여 고객들에게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두 업체 모두 컴퓨터에 저장된 정보와 데이터의 보호는 경영에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거래가 컴퓨터로 처리되고 있고 따라서 보안 문제가 언제나 최우선이기 때문이다.

데이터의 정확성은 두 조직에 모두 중요하지만 타이 항공(TIA)에 더 중요성이 뒤따른다. 비행기의 제한된 좌석 수가 여행사를 통해

예약되고 있으며, 만약 시스템이 실시간 기준으로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하지 못하면 예약을 너무 많이 받는다든지 또는 이중 예약을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산업 특유의 운영상 특성에 집중하여 현재 시스템을 재조사하여 시스템 개발에 반영해야 한다.

| 384 |

Page 38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3-5. 태국 공공부문별 시장기회 종합

아래의 표6-8은 앞서 자세히 서술된 인도네시아의 공공부문별 조사현황을 기초로 각 SI 부문의 시장기회 분석을 토대로 작성한

일종의 일람표이다.

<표 6-8> 태국 각 공공부문의 SI 부문별 시장 기회 분석표

교육부 재무부 교통

통신부

과학

기술

환경부

방콕

시정부

일반공

공부문

공기업

기반 하드웨어

구입가능성

기반 서버

중/대형서버 (e.g. RISC)소형서버 (e.g. Intel)

워크스테이션

네트워크 주변장치

Hubs/SwitchesRouters/Firewalls

확장가능성

이전가능성

개선가능성

기반 소프트웨어

구입가능성

확장가능성

이전가능성

개선가능성

IT 서비스

보수 및 유지

IT 컨설팅

기반 하드웨어 설치

교육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통합

| 385 |

Page 38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데이터 웨어하우징 및 통합

| 386 |

Page 38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4. 말레이시아

4-1. 중앙 정부의 행정부처 정보화 기술 및 현황과 시장기회 분석

4-1-1. 정보화 기술 및 활용기반 분석

가. 기반 하드웨어

말레이시아 정부는 평균PC 보급률이 63.9%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정부가 추진해 온 IT개발을 활성화하는 정책이 뚜렷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말레이시아 정부의 IT 인프라는 그 수준이 이미 선진국에 뒤지지 않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실, PC보급 숫자뿐만 아니라 IT 인프라의 스케일도 말레이시아 정부의 IT인프라가 기본적인 구축은 완성되어 있다고 보는 본

보고서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각 부처의 기능, IT이용 기간, 전반적인 정부 IT인프라의 미래 방향에 따라

하드웨어를 훌륭하게 조합하여 이용하고 있다. 이것은 말레이시아의 IT인프라가 다른 나라처럼 복잡하지 않고, 미래를 대비하여 잘

준비, 계획된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나. 기반 소프트웨어

윈도우의 사용률이 다른 나라에서와 마찬가지로 수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말레이시아의 경우에는 최소한 지금은 아니라고 해도 몇 년

뒤 윈도우의 아성을 위협할 수 있는 새로운 운영 체제의 등장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LINUX와 같은 OSS(Open Source Systems)가

바로 그것이다. 말레이시아는 OSS가 다른 시스템에 비해 유연성이나 비용 효과에서 뛰어나므로 차세대 운영체제로 보는 몇 안 되는

국가들 중 하나이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언젠가는 말레이시아인이 자국어로 만들어진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을 만들게 될 기회를 갖고자 하는

바람을 갖고 있다. 사실상 많은 관련 기관들이 현재 이러한 추세를 뒤따르고 있으며, 일부 말레이시아 정부 사이트에서 LINUX 시스템의

배너를 볼 수 있을 정도로 LINUX 시스템에 대한 말레이시아 정부의 애착을 엿볼 수 있다. 아울러, 최신 시스템을 받아들여 활용하는

데에 있어서도 조사 대상 4개국 중 가장 적극적이다.

| 387 |

Page 38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다. 네트워크 주변장치

현재 대다수의 말레이시아 정부부처 내에서 HUB의 활용이 수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활발한 Switches의 활용 수준을 감안한다면

머지 않아 HUB의 수위 자리를 대체하게 될 것으로 추정된다. 또 다른 말레이시아 중앙 정부의 뚜렷한 특징 중 하나는 Router의 활용

수준이 다른 나라에 비해 높다는 것이다. 통합된 정부 IT 인프라 구축에 필수적인 요소 중의 하나는 모든 부처를 중앙 정부로 연결하는

것이다. 위의 사실은 그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음을 보여주는 실례이다.

4-1-2. 중앙정부 행정부처별 시장 기회 분석

말레이시아 중앙 정부의 행정부처 중 SI 시장 관점에서 가장 많은 기회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은 교육부, 재무부, 보건부와 과학기술

환경부에 대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가.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

전체적으로 교육부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수준 분석에서 특별하게 거론되어야 할 특징은 없다. 그 이유는 최신 기술의 수용, PC보급,

엑스트라넷의 이용에 관한 한, 교육부는 모든 면에서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현재 구축되어 있는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준 유지와 추가 개발 등이 차후 사업으로 뒤따라 와야

할 것으로 본다.

나. 재무부(Ministry of Finance)

전체적으로 재무부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수준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SI특성이 도출되었다.

- 가장 높은 기반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수 보유.- 100%을 초과한 PC 보급률

- 최신 기종의 워크스테이션 보유

- 활발한 LINUX 서버 이용

조사 보고서에 자세히 나타나듯이 말레이시아 재무부는 가장 정보화 기술의 활용 관점에서는 행정부처 중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앞에서 간단히 설명한 것과 같이 교육부 PC보급률이 100%를 초과한 이유는 현재 도스 시스템에 구축된 회계 시스템을 이용하는 데에

있어서 대다수의 워크스테이션이 다른 부처 또는 지역 사무실 간의 연결(interface)을 위해서만 이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차후 사업으로 현행 도스 시스템에 구축된 회계 시스템을 철저히 분석하여 도스 시스템 자체에 근본적인 한계에 의하여 부처 영업에

제약되는 요인을 면밀히 분석한다. 이런 한계의 해결 방법으로 현행 회계 시스템을 윈도우 베이스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 388 |

Page 38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한 가지 염두 할 점은 시스템 업그레이드가 장, 단기적인 측면에서 볼 때 업무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지는 앞으로도 면밀히 검토한 후에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 보건부(Ministry of Health), 과학기술환경부(Ministry of Science, Technology & Environment)

보건부와 과학기술환경부는 IT 인프라 수준이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여기에서 함께 기술하도록 하겠다. 전체적으로 두

부처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수준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SI특성이 도출되었다.

- 상대적으로 작은 IT 인프라 규모

- 최신 기종의 워크스테이션 보유

- 높은 PC 보급률(보건부; 34.6%, 과학기술환경부; 36.5%)- 높은 DOS 시스템 이용률

- 가장 높은 LINUX 사용률(과학기술환경부)

현재의 이용률이 유지되는 한, 두 조직에 대해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 절박한 요인은 없다. 차후로 시행될 프로젝트로는 현재 양

부처에서 운영되는 인터넷 서비스 수준 발전에 관련된 다양한 과제가 예상된다.

현재 비록 양 부처가 자기 부처의 정보와 활동을 전해주는 간단한 인터넷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예를 들어

의료보험 기금을 인터넷으로 요청하는 것과 같이, 정부와 시민들간의 실제적인 사무 처리를 할 수 있는 기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말레이시아 정부는 전자정부 objectives를 개발하기 위해 광범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리고

각 부처 웹사이트 상의 거래 서비스가 다음 단계의 움직임이 될 것임이 분명하다.

앞으로도 현재 시스템이 전자 정부에 부과된 목표와 부합하는지를 보기 위해 현재의 IT인프라를 재검토하는 활동이 필요하다.

라. 에너지 통신 멀티미디어부(Ministry of Energy, Communication & Multimedia: MECM); 국제교역산업부(Ministry of International Trade & Industry: MITI)

두 조직은 매우 비슷한 수의 서버와 워크스테이션을 갖고 있다. 전체적으로 양 부처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수준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SI 특성이 도출되었다.

- 인텔 서버 인프라를 충분히 이용

- 최신 워크스테이션 기술을 충분히 이용(국제교역 산업부)

| 389 |

Page 39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에너지통신 멀티미디어부는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률이 93.1%로 가장 높은 부처 중의 하나인데 비해 국제교역산업부의

보급률은 66.6%임.- 양 부처는 네트워크 설비의 이용율은 거의 비슷하며, 상대적으로 Switches 이용은 높음.

시장과 다른 부처의 변화에 따라 보다 새로운 기술을 채택하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펴고 전반적인 변화에 끊임없이 상호 작용하는

것이 중요함.

4-2. 지방 정부의 행정부처 정보화 기술 및 현황과 시장기회 분석

4-2-1. 쿠알라룸푸르 지방 정부의 시장기회 분석

가. 중앙 정부의 행정기관과의 정보화 연결 관계

다른 비교 대상의 국가들에 비해 말레이시아의 경우에는 중앙 정부와 지방 행정 기관과의 정보 공유가 활발한 편이다. 여기에서는

통신 설비의 이용 및 데이터베이스 synchronisation intervals 등 두 가지 분야에 초점을 두어 살펴 보겠다.

나. 기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수준

전체적으로 쿠알라룸푸르 시정부의 기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활용수준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SI 특성이 나타났다.

- 지방 정부와 중앙 정부간 연결을 위해 첨단 기술인 ISDN 의 이용이 많음.- 주요 기반 서버로 Intel 이 사용되나 RISC 형태의 서버도 사용함.-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은 적절한 수준.- 엑스트라넷의 이용률이 29%로 상대적으로 높음.

말레이시아 정부는 중앙 행정부처와 지방 행정부처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새로운 통신 장비 측면에서 다른 동남아 국가와는 사뭇

다른 형태의 장치를 사용한다. 쿠알라룸푸르의 경우, 모뎀을 통해서 정보를 공유할 때 발생하는 데이터 손실 등의 피하고 안전하고 빠른

정보 전달을 위해 ISDN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속 통신망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개인용 컴퓨터의 낮은 보급률은 IT 이용과 관련하여 개선해야 할 문제이다.

또한, 초고속 통신망과 관련한 중앙 행정부처와의 통합을 위해서는 쿠알라룸푸르 ADSL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전형적으로 ISDN 라인은 최대 전송 속도가 128kbps로 모뎀(56kbps)의 2.5배이다. 하지만 1.5 Mbps인 ADSL보다는 상대적으로

늦다. 또한 대부분의 전화 서비스 공급업체들은 데이터 전송량 보다는 이용 기간에 대해 ISDN 요금을 부과한다. 그러므로

| 390 |

Page 39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쿠알라룸푸르 정부는 양 행정 부처간 상시 연결이 필요할 경우에는 ISDN보다는 ADSL라인을 이용하는 것을 고려하는 편이 보다

비용면에서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쿠알라룸푸르 정부는 앞으로 새롭고 업그레이드된 최신 하드웨어을 구입하여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률을 유지하는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4-3. 일반 공공부분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과 시장 기회 분석

4-3-1. 텔레콤(Telekom Malaysia Berhad: TMB), 전력청(Tenaga Nasional Berhad; TNB), 철도청(Keretapi Tanah Melayu Berhad; KTM)

위의 기관들은 정부가 경영하는 것이기는 하나, 자금 흐름, 소비자와 기업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 제공, 민영화 가능성 등과 같이

경영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운영 측면에서 사기업체의 특징을 갖고 있다.

세 기관을 비교해 본 결과, IT 인프라는 다른 동남아의 어떤 나라들보다도 잘 구축되어 있고, 세 기관의 SI사업 관련 통계 수치가

비슷하게 나오는 흥미로운 점이 발견되었다.

전체적으로 우체국, 통신공사, 전력공사 그리고 철도청의 기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활용수준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SI

특성이 도출되었다.

- 앞에서 논의된 것처럼 텔레콤과 전력청은 철도청보다 상대적으로 큰 IT 인프라를 갖추고 있음.- 인텔은 세 기관에서 모두 사용되는 핵심 기술임.- 세 기관은 모두 최신 기술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음.- 세 기관 모두 서버 당 워크스테이션 수가 65 대 이상으로 상당히 큰 편임.- PC 보급률은 세 기관 모두 약 50%임.- UNIX 와 윈도우는 세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음.

세 기관 모두 시장 추세를 추적할 필요가 있으며, 투자 대비 최대한의 수익을 얻기 위해 IT 시스템을 이용하는데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위에서 간단히 설명한 것처럼 세 기관의 기본적인 IT 인프라가 모두 구축되었으므로 각 기관에 맞는 목표에 따른 일련의 IT

정책을 수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즉, IT 인프라를 구축했으므로 이상의 조직에 대한 시장 기회는 컨설팅이나, 시스템 재조사, 시스템의

수정, 개선, 전환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 391 |

Page 39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4-4. 공기업 혹은 민영화된 공기업 부문의 정보화 기술 및 활용 기반 현황과 시장 기회 분석

4-4-1. 말레이시아 중앙 은행(Bank Negara Malaysia; BNM), 말레이시아 항공사(Malaysian Airline System Berhad; MAS)

말레이시아 중앙 은행은 정부가 소유, 경영하고 있는 반면 말레이시아 항공사는 과거 정부가 소유, 경영하였다가 지금은 완전히

민영화된 기업들이다. 하지만 이들 회사의 대주주는 정부이며, 정부는 경영 방향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중앙 은행은 경영을 위해 전형적으로 IT시스템의 활용에 크게 의지하는 은행이며, 말레이시아 항공사는 규모면에서 더 큰

IT 인프라를 갖고 있는 기관이다.

전체적으로 말레이시아 중앙 은행과 항공사의 기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활용수준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SI 특성이

도출되었다.

- 말레이시아 항공사의 IT 인프라는 관련 사용 서버와 워크스테이션의 숫자에 관한한 그 스케일이 3 배 이상 큼. - Intel 이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나, Mainframe 과 RISC 도 두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음.- 워크스테이션의 프로세서의 경우 72%를 사용하는 말레이시아 항공사에 비해 말레이시아 중앙 은행의 경우는 97%를

사용함. - 말레이시아 항공사는 평균적으로 서버 한대당 29.75 대의 워크스테이션을 사용하는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에 비해 두

배에 가까운 숫자인 59.78 대의 워크스테이션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 개인용 컴퓨터는 하드웨어의 경우와는 반대로 말레이시아 중앙 은행의 경우 93%를 사용하고 말레이시아 항공사의

경우에는 35%를 사용하고 있음

-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의 경우에는 HUB 보다는 Switches 를 더 많이 사용하고 말레이시아 항공사의 경우에는 이와

반대의 수치를 보이고 있음

-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사무실이나 국가 내에서 내부 연결을 위해서 extranet 의 장치를 26% 사용하고 있음

- 윈도우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운영 체제는 IT 인프라에 중요한 요소임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IT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시장과 산업의 요구에 따른 급격한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두 기관 모두 하드웨어나 인프라는 잘 구축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이를 유지, 개발하는 데에 주의를 집중할

것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SI 사업의 공급자도 현재의 시스템을 상세히 분석하고 IT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데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앞으로 해야 할 사업을 위해서는 두 기관 모두 인터넷 사용이 필수적이다. IT사업의 투자 측면에서, 현재의

단계를 유지하고 미래의 발전을 위해서는, 그리고 효율적으로 사업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업과 관련된 IT 분야에 더 많은

| 392 |

Page 39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투자가 이루어질 것이다.

4-5. 말레이시아 공공부문별 시장기회 종합

아래의 표 6-9는 앞서 자세히 서술된 말레이시아의 공공부문별 조사현황을 기초로 각 SI 부문의 시장기회 분석을 토대로 작성한

일종의 일람표이다.

<표 6-9> 말레이시아 각 공공부문의 SI 부문별 시장 기회 분석표

교육부 보건부

과학기술

자원부

에너지

통신

멀티미디

어부

국제 교역

산업부

쿠알라

룸프 시청

공공부문 공기업

기반 하드웨어

구입가능성

기반 서버

중/대형서버 (e.g. RISC)소형서버 (e.g. Intel)

워크스테이션

네트워크 주변장치

Hubs/SwitchesRouters/Firewalls

확장가능성

이전가능성

개선가능성

기반 소프트웨어

구입가능성

확장가능성

이전가능성

개선가능성

IT 서비스

보수 및 유지

IT 컨설팅

기반 하드웨어 설치

| 393 |

Page 39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교육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통합

데이터 웨어하우징 및 통합

| 394 |

Page 39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제 3장 - 맺음말

이 보고서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의 동남아시아 4 개국과 관련한 SI 사업의 구체적 현황과 정보 통신 기술의 활용

수준, 향후 동향, 장단기적인 시장 기회 가능성을 분석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는 향후 이들 지역에 대한 SI 산업 진출과 투자

계획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보고서는 모두 편으로 나뉘는 바, 1 편은 서론과 전체 현황을, 2-5 편은

동남아 4 개국의 국가별 정보화 현황과 시장 기회 분석 등을, 6 편은 4 개국의 전체 내용을 요약하면서 구체적인 시장 기회 분석과 향후

동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보고서의 주요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 설문조사, 현지 인터뷰와 실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즉, 국가별 정보화 현황과 활용 수준,

시장 기회 분석 등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이루어진 각종 자료들을 방대하게 수집, 정리, 분석함과 아울러 현지 관련 전문가나 담당장와의

실사와 설문조사, 인터뷰 등을 바탕으로 최대한의 객관성과 정확성을 추구하고자 노력하였다.

 

베트남은 전술한 동남아 4개국 중 정보화 수준이 가장 뒤쳐져 있는 것으로 평가되는 것이 사실이나, 이는 그만큼 시장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본 보고서에서는 베트남에 많은 관심을 기울인 것도 사실이다. 실제로 본 연구진의

장시간에 걸친 여러 조사 내용과 분석결과, 잠재적으로 베트남 국내 자체 SI 산업 발전 성장가능성과 한국 SI산업시장 진출 가능성을

가장 많이 갖추고 있다고 판단된다. 베트남은 이미 여러 방면에서 한국과 밀접한 관계에 놓여있다. 이런 점들을 감안할때, 앞에서

언급한 국가 인지도를 바탕으로한 한국 SI산업 해외 시장 진출 사업전략면에서 베트남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겠다.

 

인도네시아는 1990년대 후반의 아시아 지역 경제 위기에도 불구하고 끊임없는 SI 사업 추진 정책들이 인상적이다. 그러나

Nusantra 21등의 범 국가적인 사업을 위해 World Bank등의 금융기관을 통한 차관 도입 등의 끊임없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애초의

계획들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는 못했다. 최근 추진되고 있는 SISFONAS 정책은 정부가 국민에게 잃었던 신뢰를 되찾으려는 정부의

노력이라는 큰의미를 담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의 기업들이 인도네시아 시장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판단을 바탕으로 SI

사업 등 여러 방면의 다시 자리를 잡을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할 수 있겠다.

태국은 오래 전부터 차세의 SI산업 부흥을 국가 경제 발전의 디딤돌로 삼는다는 목표하에 SI 산업 관련 법적제도 구축, 통신산업

개발,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등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실제로 본 연구 과정에서도 밝혀진 것처럼, 태국 내의 국제적 관광

대도시들은 이미 상당한 수준의 인터넷 인프라 구축이 이루어져 왔다. 연구진의 주목을 끌었던 것 중 하나는 태국 정부가 말레시아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여러 SI 관련 정책들을 수입 적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태국과 관련하여서는 한국 SI

산업의 우수성과 인지도, 신뢰도, 안정성 등에 대한 홍보 노력도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말레이시아가 이미

전자정부(e-Government) 인프라 구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고, 그에 상응하는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는 점도 중요한 고려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즉, 우리 나라 정부나 SI 산업 기업들은, 태국 정부가 전술한 말레이시아의 성과들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을 확실히

인식하면서, 여전히 비교적 초기 실행 단계에 있는 태국의 SI 산업 진출을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 395 |

Page 39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말레이시아는 이미 SI산업 발전도가 한국 또는 여타 선진국에 버금갈 정도로 상당한 수준에 도달해 있다는 것이 객관적 평가이며,

이는 본 연구에서도 밝혀진 사실이다. 말레이시아는 Multimedia Super Corridor (MSC)와 같은 국가 정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감으로써 SI와 관련한 인지도가 세계적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것이다. 국가 인지도 상승이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감안할 때, 말레이시아의 이러한 국가적 사업은 귀감이 된다고 하겠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 기업들의 말레이시아 시장 진출을 고려할

때, 전술한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의 3개국과는 방향을 달리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즉, SI기반 구축에 초점을 두게 되는 이들 3

개국과는 성격을 달리하여, 한 걸음 나아간 IT 서비스, 최신의 신기술과 초고속 인터넷망 구축 등과 관련한 부문에 전략적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 보고서는 전술한 동남아 4개국의 SI 산업 동향과 실제 활용 수준, 향후 시장 기회의 구체적 분석을 위해 중앙 행정 부처, 주요

은행, 항공사, 우체국, 철도청 등의 국영기업체는 물론 핵심적인 지방 정부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하드웨어는 물론

소프트웨어, 인프라넷과 엑스트라넷, 시스템 통합 등 전반적으로 객관적 분석과 수치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보고서는 한국 기업들의 동남아 4개국에 대한 SI 산업 진출 및 확장과 관련한 실질적 활용과 적용 가능성을 목표로 작성된 것이다.

SI 분야만큼 빠르게 변하고, 세계적인 관심을 끄는 산업 분야도 드물 것이다. 앞으로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보완되면서 더욱 확대되어

나가야 할 것이다.

| 396 |

참고문헌

Page 39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 397 |

Page 39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참고 문헌종합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2001, APEC Regulatory Outlook, APEC. Austrade (Australian Trade Commission), 2002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to China,

www.austrade.gov.au, accessed 26 October 2002. 2002b,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to Indonesia, www.austrade.gov.au, accessed 27 October

2002. 2002c, Telecommunications to Indonesia, www.austrade.gov.au, accessed 27 October 2002. 2002d, E-Commerce to Indonesia, www.austrade.gov.au, accessed 28 October 2002. 2002e, Information Technology to Malaysia, www.austrade.gov.au, accessed 3 November 2002. 2002f, Telecommunications to Thailand, www.austrade.gov.au, accessed 5 November 2002. 2002g, Information Technology to Vietnam, www.austrade.gov.au, accessed 5 November 2002. Baker and McKenzie, 2001a, APEC E-Com Legal Guide: Indonesia, www.bakerinfo.com/apec/indoneapec.htm,

accessed 15 October 2002. 2002b, E-Com Legal Guide: Malaysia, www.bakerinfo.com/apec/malayapect_main.htm, accessed 14 October

2002. 2002c, E-Com Legal Guide: Thailand, www.bakerinfo.com/apec/thaiapec.htm, accessed 13 October 2002. 2002d, E-Com Legal Guide: Vietnam, www.bakerinfo.com/apec/vietapec_main.htm, accessed 13 October 2002. The Economist, 2002, Making the Web World Wide, Vol. 364, Issue 8291, p. 76, 28 September. The Economists Intelligence Unit/Pyramid Research, 2002, E-Readiness Rankings, www.ebusinessfoyrum.com,

accessed 3 September 2002. Inter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Alliance, 2002, 2002 Special 301 Report: Thailand, Inter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alliance. 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2002, Digital Planet 2002: The Global Information Economy, World Information

Technology and Services Alliance, Arlington, Virginia, February. International Planning and Research Corporation, 2002, Seventh Annual BSA Global Software Piracy Study,

Business Software Alliance, June. 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 2002, ‘Vietnam: Growing Demand and a Historic Trade Agreement Opening

Doors for US Telecom Firms’, TIA around the Globe, Pulse Online, September, pulse.tiaonline.org, access 11 June 2002.

Internet.com International, ‘Korea, Asia’s Largest ICT Services Market By 2005’, asia.Internet.com/asia-news/print/0,161_1452021,00.html, 26 August, accessed 9 September.

National Telecommunications Commission, 2001, Paper to ITU Workshop on Internet in South East Asia, 21-23 November, Bangkok.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 2002, 2002 National Trade Estimate Report on Foreign Trade Barriers, Washington DC, www.ustr.gov/reports/nte/2002/, accessed 20 May 2002.

| 398 |

Page 39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2002, Digital Planet 2002: Global Information Economy, World Information Technology and Services Alliance, Arlington, Virginia, February.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01, Balance of Payments Statistics Yearbook, Vol. 52, Parts 2 and 3, Washington DC.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2002, World Telecommunications Development Report 2002, ITU, Geneva.

Kirkman, G., Cornelius, P., Sachs, J. and Schwab, K., 2002, The Global Information technology Report 2001-2002: Readiness for Networked World, World Economic Forum and Harvard University Center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Mekong Research, 2000, Vietnam Market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Access the ICT and E-Commerce Markets in South East Asia, exportit.ita.doc.gov, accessed 13 November 2002.

US Department of State, 2002, 2001 Country Reports on Economic Policy and Trade Practices, Bureau of Economic and Business Affairs, Washington DC, February.

World Trade Organization, 2002, International Trade Statistics, World Trade Organization, Geneva.

| 399 |

Page 40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베트남

리포트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March 2002, Vietnam Internet Case Study, Geneva Switzerland Kenan Institute Asia, October 2002, Vietnam’s emerging software industry: Competitiveness, positioning, and

strategy in a global market, Bangkok, Thailand Elmer, L., June 2002, Vietnam’s ICT Enabling Environment: Policy, Infrastructure and Applications,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Hanoi, Vietnam

신문기사 – 베트남 뉴스 (www.vnagency.com.vn)

E-customs system to slash paperwork, 27/03/02 First ODA website launched in Viet Nam, 23/09/02 Project 112, 29/09/02 HCM City prepares to enter knowledge economy, 10/05/01 HCM City trials ADSL technology, 27/05/02 HCM City prepares to enter knowledge economy’, 10/05/02 HCM City okays big IT spend’, 02/09/02 IT knowledge to be developed in HCM City, 25/05/02 Government chips in for southern software park, 12/08/02 Govt to meet half of software park’s costs, 6/8/02 Ha Noi’s silicon valley underway, 27/09/02 Bids invited for railroad telecom upgrade, 28/05/02 World Bank urges VN to open up IT, 26/08/02 Viet Nam’s IT sector surges in 2002, 12/08/02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to receive $170m financial injection, 22/10/02 Pham Hoang Nam Exhibition connects VN with IT experts, 20/09/02 DGPT moves to regulate VoIP tariffs, 27/05/02 VN army finally offers Internet service, 2/10/02 Vietnamese cyber surfers on the rise, with 1 in 20 to log on, 11/09/02 Viet Nam needs to catch up on IT, 27/08/02 IT industry needs a major boost: FPT chief, 26/07/02 Future bright for local IT sector despite infrastructure constraints, 10/05/01 World Bank urges VN to open up IT, 31/07/02 IT education in schools a national imperative: official, 30/12/01 Vietnamese firms dragging heels on websites, 14/10/02

| 400 |

Page 40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School teachers told to get technical, 13/05/02 Tech firms tackle skills shortage, 5/5/02 Thanh Hai, IT firms told to focus on home needs, 17/06/02 PM, Intel CEO discuss Viet Nam’s IT sector, 30/08/02 Software industry not growing as hoped, 04/10/02 Experts fear VN software industry growth targets over-optimistic, 21/12/02 Software industry still has long road to travel, 31/08/02 Viet Nam’s software industry faces uphill struggle to get competitive, 11/05/02 Developing Viet Nam’s IT industry needs long-term strategic thinking, 01/09/01 Software producers to enjoy tax incentives, 04/06/02 Software companies enjoy free corporate tax for four years, 22/11/00 Govt blueprint sets fledgling IT industry on road to rapid growth, 29/05/02 What is the procedure for obtaining tax incentives for software and software services?, 8/8/02 Tax policy made for foreign contractors, 22/06/02 The e-government saga continues, 8/11/02 Thua Thien-Hue wants to get technical, 26/01/02 Viet Nam gets E-d up to help make firm business friends, 1/11/02 IT development plan targets regional parity, 24/07/02 Govt aims to build legal framework for e-commerce by this year’s end, 15/03/02 Decision of the Prime Minister on Measure for Encouragemen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Vietnam,

26/03/99 Regulations for FDI projects to be reviewed, 18/05/02 Internet pricing changes spark debate among service providers, 11/04/02 Licence made compulsory for information providers, 16/10/02 Internet cafe owners asked to watch over customers’ access, 19/08/02 More domestic investment needed to spur nation’s economic growth, 24/05/02 Information security gets regulatory boost, 16/06/01 E-government progress wins World Bank support, 02/08/02 Deputy PM praises software industry body as timely, vital, 30/04/02 Software association to safeguard members’ rights, 15/04/02 HCM City college, administration team up to advance IT development, 27/07/02 Major telecom firm lands contract with Japan’s KDDI, 23/09/02 Private IT firm named among world’s best, 23/09/02 FPT harnesses technology strengths, 31/05/01 Siemens to upgrade VNPT exchange system, 20/09/02 $4b communications plan unveiled, 4/10/02 US funds state treasury’s IT plan, 28/09/02 Australia to advise VN on governance, 13/09/02

| 401 |

Page 40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VMS upgrade gets ministry go ahead, 19/4/02 German IT giant debuts in Viet Nam?, 21/10/02 RoK offers up secrets of its IT success, 12/04/02 Korean telco helps get Net up to speed, 05/06/02

Eximbank gets Korean help for major technology upgrade, 29/10/02 Korean gift helps close IT gap, 11/10/02 RoK-funded research centre opens in Ha Noi, 25/01/02 CDMA mobile phone venture gets govt nod, 30/08/01

| 402 |

Page 40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유용한 인터넷 사이트

Organization Website

Main government-related ICT organizations/providers

Vietnam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Corporation www.vnpt.com.vn

Vietnam Department General of Posts and www.vnpt.com.vn/DGPT/dgpt_general.html

Telecommunications

Vietnam Telecoms National www.vtn.com.vn

Vietnam Datacommunication Company www.vdc.com.vn

Mobifone (VMS) www.mobifone.com.vn

Vinaphone (GPC) www.gpc.vnn.vn

Saigon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www.saigonpostel.com.vn

Main ICT providers

Corporation for Financing and Promoting Technology

(FPT)

www.fpt.com.vn

NetNam www.netnam.vn

Mass media

Ministry of Culture and Information www.cinet.vnn.vn

Vietnam News Agency www.vnagency.com.vn

Nhan Dan (The People’s Daily) www.nhandan.org.vn

Saigon Times Daily www.saigon-news.com

Vietnam News www.vietnamnews.vnagency.com.vn

Academic

Ministry of Science, Technology and the Environment www.moste.gov.vn

Ministry of Education and Training www.moet.edu.vn

Hanoi University of Technology www.hut.edu.vn

Health

Ministry of Health www.moh.gov.vn

Electronic commerce

Ministry of Trade www.mot.gov.vn

Vietnamese Chamber of Industry and Commerce www.vcci.com.vn

Vietnam Trade Network www.vitranet.com.vn

Portals

Value-added services company www.vasc.com.vn

| 403 |

Page 40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VITRANET www.vinakey.com.nv

Other

Vietnam National Tourist Agency www.vietnamtourism.com

National Assembly www.na.gov.vn

National Transport Development Strategy www.vitranss.org

Ministry of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www.mard.gov.v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www.mofa.gov.vn

Value-added services company www.vasc.com.vn

Saigon Software Park www.saigonsoft.com.vn

인도네시아

리포트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March 2002, Indonesia Internet Case Study, Geneva Switzerland

신문 기사 – 자카르타 포스트 (www.thejakartapost.com) IT product retail sales up 15% this year, Thursday, May 16, 2002. IT spending seen reaching $1b this year, Monday, August 05, 2002. Educational technology's place in Indonesia, Friday, July 09, 1999. Lack of clear strategy hampers IT development, Saturday, December 08, 2001. New industrial policy centers on technology, Saturday, August 19, 2000. Makindo uses new technology, Tuesday, June 06, 2000. Telkom using technology from Korea, Saturday, December 28, 2002. Galang to become biotechnology hub, Wednesday, May 29th, 2002. 'Marketing in Venus': Consumers are still king,, Sunday, February 23, 2003 Korean businessmen to invest in RI's component industry, Friday, February 21, 2003 Visionary leaders needed to reform higher education, Tuesday, February 18, 2003 Promoting efficiency through collaboration, Tuesday, February 18, 2003 How SCM practices affect business performances, Tuesday, February 18, 2003 Why should senior management care?, Tuesday, February 18, 2003 Combating money laundering and terrorist financing, Saturday, February 15, 2003 Copyright law treats govt offices differently, Thursday, February 13, 2003 Riza Marlon captures wildlife on film, Thursday, February 13, 2003 Reforming the RI educational system, Friday, February 07, 2003 Magic of digitalization makes life richer, Tuesday, February 04, 2003

| 404 |

Page 40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Italy provides help for local shoe industry, Friday, January 31, 2003 Unpredictable year expected from the Goat, Friday, January 31, 2003 Rastika, a stranger in his own land, Thursday, January 30, 2003 Internet worm to have small impact on Indonesia, Tuesday, January 28, 2003 High-tech gear turns Mercedes into road office, Sunday, January 19, 2003 RI to seize control over its airspace, Thursday, January 16, 2003 E-government to be launched to promote good governance, Wednesday, January 15, 2003 PASI urged to optimize RDC's resources, Wednesday, January 15, 2003 A matter of commitment: Porsea pulp, Tuesday, January 14, 2003 New Year, new gear, Monday, January 13, 2003 How to scrimp on fuel after the price hike, Sunday, January 12, 2003 Rich culture underpins Stuttgart, Sunday, January 12, 2003 Demystifying globalization, Sunday, January 05, 2003 Police to examine Bali suspect's laptop, Friday, January 03, 2003 Experts warn of more floods and landslides, Tuesday, December 31, 2002 2002: A slow year for IT in RI, Monday, December 30, 2002 Samsung sees rosy days in RI despite economic woes, Monday, December 30, 2002 Techno-ethics: Dealing with ambivalence of advancements, Monday, December 30, 2002 Television industry still belongs to oldtimers, Saturday, December 28, 2002 East Timor human rights trials: All just a game, Thursday, December 26, 2002 RI, Malaysian police boost cooperation, Saturday, December 21, 2002 Promoting the newer ASEAN member states, Saturday, December 21, 2002 Farewell to Severino, Friday, December 20, 2002 Money laundering and terrorist financing, Friday, December 20, 2002 Hilda's groundbreaking ceramics in retrospect, Tuesday, December 17, 2002 Knowledge management is a sharing culture, Saturday, December 14, 2002 Saving 'detikcom' from the storm, Friday, December 13, 2002 The absence of law enforcement, Thursday, December 12, 2002 Canada moves into to knowledge-based economy, Tuesday, December 03, 2002 Unindo to continue helping SMEs, Monday, December 02, 2002 Samudra moved to Jakarta for probe into earlier blasts, Tuesday, November 26, 2002 No cause for celebration, Tuesday, November 26, 2002 WTO forgets that free trade won't reduce poverty, Tuesday, November 26, 2002 Taipei embodies philosophy of yin and yang, Sunday, November 24, 2002 An unstrategic plan, Friday, November 15, 2002 Text messages cut revenue of PT Pos Indonesia, Tuesday, November 12, 2002 Australian students risk losing credits for stay in RI, Tuesday, November 12, 2002 Survey predicts 376% rise in Internet banking transactions, Monday, November 11, 2002

| 405 |

Page 40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DVD technology is getting more and more popular, Sunday, November 10, 2002 RI-Australia ties: Are we emotionally mature?, Thursday, November 07, 2002 ASEAN to seek common platform in fighting terrorism New health law to address new technology, social change, Saturday, November 02, 2002 Internet kiosks losing business, Monday, October 28, 2002 'WordWeb', another dictionary worth looking at, Monday, October 28, 2002 Hewlett-Packard plans to increase investment in RI, Thursday, October 24, 2002 China's research enriches computing experience, Monday, October 21, 2002 Police, Internet industry join forces to stop cyberfraud, Tuesday, October 08, 2002 How IBM helped Nazi Germany, Sunday, October 06, 2002 South Korea: A nation of readers, Sunday, October 06, 2002 A size too large, Wednesday, October 02, 2002 Disposing of ulcers: Privatization in Indonesia, Monday, September 30, 2002 Exploring bits and pieces of Printhead and Office XP, Monday, September 23, 2002 'Luxury tax on electronic goods must be scrapped', Friday, September 20, 2002 Targeting investors, Wednesday, September 18, 2002 Partnerships for online community's benefit, Monday, September 16, 2002 Temple of Sound and humanized technology, Sunday, September 15, 2002 Minister drafts cyber bills, Thursday, September 12, 2002 Delphi IT center opens in Jakarta, Saturday, September 07, 2002 Getting right information with iFinger, Monday, August 12, 2002 Taking advantage of third party logistics providers' services, Sunday, August 11, 2002 Internet banking, is it really safe and worth it?, Monday, August 05, 2002 The sky's the limit: The broadcasting law, Thursday, August 01, 2002 Wireless LAN: Getting better with time, Monday, July 29, 2002 Alarming, cyberfraud in Indonesia, Monday, July 22, 2002 Hard disks, data storage and latest drives, Monday, July 15, 2002 Why partnership is key to success, Tuesday, July 09, 2002 Microsoft sales jump after piracy lawsuit, Thursday, July 04, 2002 RI's 'madrasah' producing techno-illiterates, Wednesday, July 03, 2002 IT,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programming, Monday, July 01, 2002 Productivity virus is all around you at work, Saturday, June 29, 2002 Satellite demand to pick soon, Tuesday, June 25, 2002 Ernst & Young warns of IT security threat, Tuesday, June 25, 2002 Fighting cyber crimes, Friday, June 21, 2002 Oracles opens business conference in China, Thursday, June 13, 2002 It's not just about the best hardware and software, Tuesday, June 11, 2002

유용한 인터넷 사이트

| 406 |

Page 40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Organization Website

Government

Poster (Telecom regulator) www.postel.go.id

BAPPENAS (National Planning Agency) www.bappenas.go.id

BPS (Central Bureau of Statisitics) www.bps.go.id

National Development Planning Agency www.bappenas.go.id/bap_eng.html

Ministry of Research and Technology www.ristek.go.id/english/home.htm

The Ministry of Industry and Trade www.dprin.go.id/default_e.htm

Main telecom operators

Indosat www.indosat.com

Satelindo www.satelindo.co.id

Telkom www.telkom.co.id

Leading ISPs

CBN www.cbn.net.id

IndosatNet www.indosat.net.id

LinkNet www1.link.net.id

TelkomNet www.telkom.net.id

ICT industry associations

APJII (Indonesian ISP Association) www.apjii.or.id

Mastel (Indonesian Information Society) www.mastel.or.id

Media

Kablevision www.kabelvision.com

Detikom www.detik.com

Kompas www.kompas.co.id

Tempo www.tempo.co.id

The Jakarta Post www.thejakartapost.com

FDI promotion agencies

Investment Coordinating Board www.bkpm.go.id

IPTEKnet www.iptek.net.id/eng/index.htm

Information portal

PT Insan Indonesia www.insan.co.id

Statistical resources

Badan Pusat Statistik www.bps.go.id/index.shtml

| 407 |

Page 408: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태국

리포트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March 2002, Thailand Internet Case Study, Geneva Switzerland

신문기사 – 방콕 포스트 (www.bangkokpost.com)

Wichit Sirithaveeporn, Online tax to improve efficiency, 14 Jan 2002 Sasiwimon Boonruang and Karnjana Karnjanatawe, Government services come on-line, 09 Jan 2002 Karnjana Karnjanatawe, Web site to provide health information, May 19 1999 B800m pilot scheme to issue `e-citizen' cards, 12 May 2002 BAY to debut raft of Net banking services, Aug 07 2002 Asia-Pacific rapidly gains in rankings Singapore jumps into fourth spot, Thailand 45th, 8 April 1999 Karnjana Karnjanatawe, 7-11 boosts investment New system will help with executive decision making, 19 May

1999 Strong growth potential for local market persists Companies to tap in with more initiatives, July 28 1999 Borisuthiboun Dasaneyavaja, Indicators suggest Asian e-business is up Valued at US$21 billion this year, Oct

27 1999 Srisamorn Phoosuphanusorn, Superhighway cost cut Transparent bids promised this time, Nov 2 1999 Srisamorn Phoosuphanusorn, Emerging markets test Thai competitiveness Ranking slips but still strong in

some areas, 30 Nov 2001 Karnjana Karnjanatawe, Private sector calls for Govt transparency Software leasing on the agenda, 09 January

2002 Woranuj Maneerungsee, Technology gap hinders Asean, 03 Jan 2002 World Bank warns signs of recovery could be deceptive, March 27, 1999 Tony Waltham, Knowledge management could counter information overload, 31 March 1999 Karnjana Karnjanatawe, widens its net Hosted email service aimed at SMEs, Feb 14 2001 Sasiwimon Boonruang, VBS to be solution provider Offering servicesto mid-market firms, May 5 1999 Tony Waltham, Microsoft sees XML shake up Web standard may change the Internet, April 5 2000 Thai Powerlan launches ERP application, July 12 2000 Oracle online, September 13 2000 Karnjana Karnjanatawe, Danish ERP office to open, September 27 2000 Sasiwimon Boonruang, Management buys Baan, Dec 27 2000 Tony Waltham, Frontstep emerges afresh Symix adopts new name, sets new sights, June 13 2001

| 408 |

Page 409: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Karnjana Karnjanatawe, SAP and Microsoft offer e-business solutions here Targetting different market segments, June 20 2001

Hosted ERP, 05 September 2001 Karnjana Karnjanatawe, Exact targets manufacturers Latest solution Internet-enabled, 21 Nov 2001 Tony Waltham, Oracle sees new path for software Will bundle business apps with database, Oct 27 2000 Sasiwimon Boonruang, JSG offers made-in-India ERP apps to SMEs here Emphasising the ability to customise,

03 April 2002 Ping na Thalang, From the 'merchant of information' to the horse's mouth, Feb 3 1999 Karnjana Karnjanatawe, Hospital offers Net checkups Health services moving to the web, July 21 1999 Charoen Kittikanya, Dow Chemical aims for more e-business Goal is 20% of all transactions online, Oct 27

2000 Sasiwimon Boonruang, Thailand PC shipments to rise 62% of new PCs are networked, 21 March 2001 Karnjana Karnjanatawe, SMEs look to ERP software Thailand still in adoption phase, 05 Sep 2001 Sasiwimon Boonruang, Schools get Net-based management System in trial phase now, 05 Dec 2001 Tony Waltham, Making IT investments pay their way Report says three key ingredients needed, Sep 11 1996 It's true, we lag behind in technology, Sep 8 1999 Fax services a growing area Internet-based service cheaper, Oct 6 1999 Rationalisation predicted for ERP market Software maker says prices are dropping, Oct 20 1999 James Hein, Keeping us up-to-date with the IT world, 31 Oct 2001 Sasiwimon Boonruang, Software directions Industry wants 10% growth annually, April 5 2000 Karnjana Karnjanatawe, Regional market shrinks 2%, 03 April 2002 DVD sales ahead, March 26 2001 Ping na Thalang, Long-term perils in spinning off an IT department IT departments have evolved a long way in

the space of a decade, Jan 02 2002 SSA to join with 4 major firms to open centre here To address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July 31 1996 Karnjana Karnjanatawe, Intel commits hardware as well as expertise Firm will train 500 software developers,

April 2 1998 HP Thailand plans to split, March 31 1999 Sasiwimon Boonruang, HP aiming for top spot in enterprise server market, Jan 13 1999 Karnjana Karnjanatawe, Siemens introduces ISDN PABX system for SMEs, January 27 1999 Sasiwimon Boonruang, Control Data (Thailand) to sell Amdahl mainframes Greater need for mainframe use

seen, Feb 17 1999 Karnjana Karnjanatawe, Fore Systems offers an alternative to router, March 1, 1999 Karnjana Karnjanatawe, Novell continues to be a network leader, March 3 1999 Karnjana Karnjanatawe, Welcom launches project management software, March 31 1999 Karnjana Karnjanatawe, Lotus to integrate ERP technology with Domino, March 31 1999 Hot-line centre for Macintosh users, July 21 1999 Local language Linux magazine, 18 Aug 1999

| 409 |

Page 410: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Tony Waltham, E is for Internet HP hitches its future to enhanced Internet services, June 2 1999 Karnjana Karnjanatawe, IBM pushes storage area networks to local business Free trial period for companies here, 18 Aug 1999 Tony Waltham, SAP turns to the Net for future business strategy New web model to be launched soon,

September 15 1999 AIT to master disk technology Joins with Seagate to offer new course, Sep 29 1999 Karnjana Karnjanatawe, Local buyers get Mac preview iMacs and iBooks on show at Apple World, Oct 20 1999 Sasiwimon Boonruang, Loxinfo, Metro in strategic alliance New 'Internet era' for Metro Systems, Sep 8 1999 Logic links up with major supplier Sun Will extend system to customers soon, Oct 18 2000 Karnjana Karnjanatawe, New service provider finds Net access a tough market Ji-Net to explore ASP

opportunities, Dec 20 2000 Karnjana Karnjanatawe, reduce waste Supply chain a key focus April 25 2001 Yuwadee Tunyasiri, Three hi-tech plans to be considered Software Park to be among the proposals, April 16,

1997 Sasiwimon Boonruang, Thailand and Singapore ink mutual accord Marks first official IT cooperation between

the two February 17, 1999 Arnat Leemakdej, Funding models for e-government, 30 Nov 2002 Yuwadee Tunyasiri, PM: Don't merge IT agency Senate expected to reject panel's revision, 10 September 2002 Govt to expand Internet in rural areas, 27 May 2002 Sasiwimon Boonruang, ICT likely to get ministry, 11 Sep 2002 Taxing technology use, 14 Tuesday 2002 Srisamorn Phoosuphanusorn, High-tech park poised to grow, 13 August 2002 Time to be serious about technology, 12 Feb 2002 Sasiwimon Boonruang, Prime Minister to get draft ICT master plan tomorrow, 01 May 2002 Sasiwimon Boonruang, Lack of agreement causes delay to critical Y2K bill, June 16 1999 Mongkol Bangprapa, What is it you want to know?, Aug 4, 1999 Karnjana Karnjanatawe, PM says three draft laws will be finished by year's end, May 19 1999 Mongkol Bangprapa, Agencies that block info face penalties, March 1, 1999 Mongkol Bangprapa, Agencies still leave people in the dark, July 29, 1999 Chatrudee Theparat, Cabinet backs quick cut for IT tariffs, July 4, 2000 Breakthroughs on show in July, June 2 1997 Cholada Ingsrisawang, New body may oversee market, May 13 2000 Sasiwimon Boonruang, Suvit details structure of IT ministry, 17 July 2002 Sasiwimon Boonruang, Thailand to seek APEC e-commerce role, June 9, 1999 Karnjana Karnjanatawe, Multimedia design centre in the works, May 19 1999 Web Traveller, Take an online course, 17 Oct 2001 Yingyord Klangsombut, Industry needs Internet update TTS seminar will highlight cost-saving online

applications, June 11 1998

| 410 |

Page 411: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Mongkol Jullayothin, Technology showcased to the world Korean firms tap huge interest in 3G 07 May 2002 Arnat Leemakdej, How Korea helps businesses use IT, 14 June 2002 Arnat Leemakdej, Koreans provide one-stop service Help for small businesses to improve management skills is

offered under one roof, 21 June 2002 Phusadee Arunmart, Itochu and Samsung eye projects Korn and PTT chief outline opportunities, March 14

1997 Yuthana Priwan, Thai affiliate gets B360m from parent, June 6 1998 Sukanya Jitpleecheep and Krissana Parnsoonthorn, B400m committed by Korean parent Thai firm will repay

loans, add promotions, Aug 28 1998 Charoen Kittikanya, Siam Samsung opts for steady growth New company taps Korean expertise, Nov 4 1998 Sukanya Jitpleecheep, Samsung moving upmarket Video CD players to be made locally, July 12 1999 Mongkol Jullayothin, Nokia and Samsung step up marketing Finnish giant counts on high-speed units to catch

local fancy, June 26 2001 Kim Myong-hwan, Samsung unveils next-generation screen Smaller versions to hit market in 2003, Oct 26

2001 Komsan Tortermvasana, Bidders pass technical test for CAT phone project, 11 Dec 2002 Yeom Yoon-Jeong, Handphone paradise lost? Increased competition and lower profits are on the line for

operators in a country where mobile phones are an obsession, March 9 1000 Sukanya Jitpleecheep, LG plans Thai production base Factory to make air-conditioners, August 11 1999 Tor Chittinand, Thailand beaten by Korea's LG Caltex Japan rally to beat Kazakhstan, May 21 1999 Achara Ashyagachat, LG Electronics may boost investment Afta's prospects will shape restructuring, Oct 20

1999 TAC plans roaming service South Korea and Indonesia in focus, June 30 1997 Sukanya Jitpleecheep, SK expects to match 1996 salesNew lines will use 'green' technology, July 10 1997 Srisamorn Phoosuphanusorn, Suphaphan Plengmaneepun and Vivat Prateepchaikul, CP revives WCS in B3bn

deal Talk of alliance with TT&T, Feb 29 2000 Suphaphan Plengmaneepun, WCS seeks partner for 3G launch TAC and AIS see less need for urgency, 07 May

2002

| 411 |

Page 412: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유용한 인터넷 사이트

Organization Website

Main government-related ICT organizations

Communications Authority of Thailand www.cat.or.th

Telephone Organization of Thailand www.tot.or.th

Post and Telegraph Department www.ptd.go.th

NECTEC www.nectec.or.th

Main ICT providers

TelecomAsia www.telecomasia.co.th

Shin Corporation www.shincorps.com

Thai Telephone & Telecommunications (TT&T) www.ttt.co.th

Advanced Information System (AIS) www.ais900.com/e/home.shtml

Total Access Communications (TAC) www.dtac.co.th/Eng/index.htm

Internet Thailand www.inet.co.th

A Net www.anet.net.th/default.htm

Loxley Information Services www.loxinfo.co.th/html/about.shtml

CS Communication www.cscoms.com/index_en.html

Mass media

Mass Communications Organization of Thailand www.mcot.or.th

Pubic Relations Department of Thailand www.prd.go.th

The Bangkok Post www.bangkokpost.com

United Broadcasting Corporation www.ubctv.com

Academic

Ministry of Education www.moe.go.th

SchoolNet Thailand www.school.net.th

Kanchanapisek Network (Golden Jubilee) www.goldenjubilee.or.th

ThaiSARN ntl.nectec.or.th/thaisarn/

Intern-University Network www.uni.net.th

Health

Ministry of Public Health www.moph.go.th

Electronic commerce

Electronic Commerce Resource Center (ECRC) www.ecommerce.or.th

Portals

| 412 |

Page 413: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Public Relations Department www.prd.go.th/prdnew_e1.asp

Thailand’s Official Information Center www1.thaimain.org/en/

Other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ww.nso.go.th/index.htm

Internet Information Research Center ntl.nectec.or.th/internet/

Tourism Authority of Thailand www.tat.or.th

말레이시아

리포트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March 2002, Malaysia Internet Case Study, Geneva Switzerland

신문기사 – 스타 일간신문 (www.thestar.com.my)

Phang, J., National value chains and the public sector, March 12 2002 M. Madhavan, US expert: The military should guard our cyberspace borders, Jan 17 2002 Sabah government goes Trend Micro all the way, April 26 2002 Victor Knight, Broadband: The facts, Nov 13 2001 M. Madhavan, Kodak moment and more at eWorld, Nov 21 2001 Still hope for e-marketplaces, says IDC, Jan 8 2002 There’s money to be made here, April 02 2002 J. Phang, Do local universities fit into the K-Economy?, April 9 2002 Chew Chuan Chin, Primer on pervasive computing, April 16 2002 Charles F. Moreira, Doctors opt for Open Source, April 26 2002 L.C. Wong, We’ve got the moves, but not the money, May 29 2002 A talk on OSS development models, July 02 2002 Charles F. Moreira, Samba co-creator to speak at local event, July 18 2002 Charles F. Moreira, Consumer, small business solutions take centrestage, Sep 17 2002 Steven Patrick, Local industry lacks R&D drive, Sep 26 2002 Raslan Sharif, BM software: Not enough love, too little money, July 18 2002 Zam Karim, i-ing the digicam market, July 18 2002 Ahmad Zuber Ibrahim, NasionCom gets Veritas backup, Sep 11 2002 Chan Lee Meng, Pikom: Industry still short of workers, Nov 2 2001 Looking back, Jan 02 2002 J. Phang, Industry value chains for K-competitiveness, Feb 14 2002 Charles F. Moreira, IBM: Linux is safer, and better, than you think, April 09 2002

| 413 |

Page 414: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Asohan, Not resting on our laurels, April 16 2002 Rethinking in security, April 30 2002 Raslan Sharif, IDC: Malaysian IT on the rebound, May 02 2002 Steven Patrick, Ushering in a new breed of music video-makers, May 14 2002 IBM eyes RM163bil e-learning market, May 28 2002 10 million Internet Users Next Year, says Tengku Shariffadeen, June 04 2002 Malaysia is Pace Setter for ICT, says Swiss Expert, Jun 04 2002 Charles F. Moreira, Asian expansion plans for Formis, Sep 20 2001 Chan Lee Meng, Biodata, BioID to improve biometric technology, Sep 25 2001 Formis plans to expand further into Asia, Sep 25 2001 Chan Lee Meng, Biodata, BioID to improve biometric technology, Sep 25 2001 M. Madhavan, Oracle: Hit the books before you’re laid off, Oct 12 2001 Analysts expect dismal quarter for EMC, Oct 16 2001 Sun enters web services fray, targets .NET, Oct 24 2001 Chipping away at Palm, Oct 11 2001 Huge losses, major layoffs at Fujitsu, Oct 30 2001 EMC aims for larger piece of software pie, Nov 6 2001 Go Linux, universities urged, Feb 1 2002 P. Angelina, Sun sets sights on storage market, March 26 2002 Jennifer Tan, Boost in Asian customer activity, Feb 5 2002 HP sees profit surprise, touts merger, Feb 14 2002 P. Angelina Dell, aided by EMC, sets sights on midrange storage, March 26 2002 Storage makers create ‘Bluefin’ standard, May 28 2002 H. Amir Khalid, Apple helps out HELP, May 31 2002 Charles F. Moreira, ASP-based solution for SMIs, June 7 2002 It’s a murky market, says EMC, Sep 10 2002 HP loses its place in genomics race, Sep 27 2002 Proton Edar standardises on EMC, Oct 03 2002 Zam Karim, IBM financing plan for local companies, Oct 30 2001 Developing skills in IT,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April 2002 Ahmad Zuber Ibrahim, IBM 'Made in Malaysia' PCs for govt projects, Oct 08 2002 Charles F. Moreira, Managing burgeoning storage costs, April 30 2002 ACA Pacific to offer NetIQ security apps, June 20 2002 SAP to strengthen banking presence, Oct 01 2002 Raslan Sharif, Govt preps info security standards, Sep 10 2002 MoE to offer Cisco programme, Aug 07 2002 Edwin Yapp, Malaysia next stop for IBM outsourcing push, Oct 16 2001 Charles F. Moreira, Homegrown high-tech apps from UTM, Sep 25 2001

| 414 |

Page 415: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Charles F. Moreira, Searching vector maps from your desktop, Nov 27 2001 Charles F. Moreira, Retrenched? Outsource yourself then, Feb 19 2002 Raslan Sharif, Government to decide Mimos’ fate, June 25 2002 CSN launches Linux competency centre, Aug 06 2002 Changing old school ways at Royal Selangor, Aug 20 2002 Ahmad Zuber, Ibrahim Business should be more aware of e-security, Sep 19 2002 Steven Patrick, Nine more companies under VC funding review Friday, February 22, 2002 Steven Patrick, Giving (virtual) voice to the people, Feb 22 2002 Local governance, and its role in the k-society, May 23 2002 Charles F. Moreira, MNCC to form Open Source interest group, Jan 25 2002 Anthony Thanasayan, Time to correct vision, Oct 9 2002 Charles F. Moreira, Go to CeBIT, Malaysian companies urged, Oct 15 2001 Charles F. Moreira, Matrade: Local companies need to exhibit abroad, Oct 09 2002 Charles F. Moreira, Turning Penang into a callcentre hub, Feb 11 2002 Charles F. Moreira, Malaysian Linux movement gets down to work, Feb 28 2002 Building communities with OSS, April 02 2002 Malaysia faces off against Singapore for WCIT 2008, March 19 2002 Charles F. Moreira, Moggie: Good infrastructure will attract callcentres here, April 16 2002 Teaching management how to take control of technology, May 07 2002 Charles F. Moreira, More SMEs embracing IT, June 14 2002 Malaysia to host GPPC 2003, Sep 18 2002 Raslan Sharif, Pikom banks on experience, July 17 2002 Simrit Kaur, Better e-commerce security with training, March 29 2002 Charles F., Moreira Open University to develop Malaysian Linux, Sep 02 2002 Ravind Ramesh, Welcome to the new millennium: Two premier shows merge to show convergence at work, Oct

18 2001 Thailand to study Malaysia’s EDI implementation, Oct 18 2001 JB hospital spends RM76.4mil on THIS January, 22 2002 Streamline your business by outsourcing logistics, 23 April 2002 Raslan Shari,f Speedier payments with new E-Gov system, April 26 2002 Sabah government goes Trend Micro all the way, April 26 2002 Indian firm to set up local ops, appoint channel partners, May 21 2002 Ahmad Zuber Ibrahim, Hospitals to go paperless, and ‘film-less’, July 8 2002 Charles F. Moreira, Satellite broadband trials on TIME, July 12 2002 Raslan Sharif, Haggling stumps E-Village revival, July 24 2002

유용한 인터넷 사이트

| 415 |

Page 416: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Organization Website

Main government-related ICT organizations

Ministry of Energy,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www.ktkm.gov.my

Malaysian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Commission www.cmc.gov.my

National Information Technology Council www.nitc.org.my

Multimedia Development Corporation www.mdc.com.my

Malaysian Institute of Microelectronic Systems (MIMOS) www.mimos.my

Malaysian Administrative Modernisation and Management

Planning Unit (MAMPU)

www.mampu.gov.my

Main ICT providers

Telekom Malaysia Berhad (TMB) www.telekom.com.my

Celcom (Malaysia) Sdn. Bhd www.celcom.com.my

Maxis Communications Berhad www.maxis.com.my

DiGi Telecommunications Sdn. Berhad www.mutiara.com.my

TIME dotCom Berhad www.time.com.my

Mass media

Bernama, national news agency www.bernama.com

New Straits Times www.emedia.com.my

The Star thestar.com.my

Radio Television Malaysia (RTM) www.rtm.net.my

Sistem Televisyen Malaysia Berhad (TV3) www.tv3.com.my

Natseven (ntv7) www.ntv7.com.my

Cableview www.megatv.com.my

MEASAT Broadcast Network Systems www.astro.com.my

Academic

Ministry of Education (MOE) www.moe.gov.my

Telekom Smart School Portal www.tss.com.my/portal_smart1.htm

MDC Smart School flagship www.mdc.com.my/msc/flagship/ss.html

My e tutor: educational portal www.myetutor.com

Multimedia University (MMU) www.mmu.edu.my

Unversiti Tun Abdul Razak (UNITAR) www.unitar.edu.my

Health

Ministry of Health www.moh.gov.my

MDC Telehealth flagship www.mdc.com.my/msc/flagship/tm.html

| 416 |

Page 417: Contents · Web view2. 정보통신산업의 법적제도 49 52 제 2절 SI 산업관련 현지 및 외국기업 투자 유인 정책 55 제 3절 SI 산업관련 후원기관 현황

Electronic commerce

Malaysian Electronic Payment System www.meps.com.my

Portals

Malaysia Civil Service Link mcsl.mampu.gov.my

Malaysia Portal www.mymalaysia.net.my

Other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www.statistics.gov.my/English/

page2.html

Economic Planning Unit www.epu.jpm.my

Ministry of Information www.kempen.gov.my

Malaysian Network Information Centre (MYNIC) www.mynic.net

Official tourism site Malaysia www.tourism.gov.my

Kuala Lumpur Stock Exchange www.klse.com.my

| 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