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E-한국 관계 · 2015. 6. 18. · UAE의 건설・플랜트 시장은 최근 2~3년간...

22
UAE-한국 관계

Transcript of UAE-한국 관계 · 2015. 6. 18. · UAE의 건설・플랜트 시장은 최근 2~3년간...

  • ⅤUAE-한국 관계

  • 109

    1 한국-UAE 관계 약사

    [ 한・UAE 관계 현황 ]

    ■ 정치・외교 관계◦ ‘71년 연방 수립 이후, 남·북한과의 수교를 기피하여 왔으나 실질적인

    경제 협력관계 증진을 목적으로 ‘80.6월 우리나라와 단독 수교하였다가 ‘07.9월 북한과도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 외교관계수립 연표

    - 1971.12.10 우리정부, UAE 승인

    - 1980.6.18 한·UAE 수교

    - 1980.12.3 주UAE 한국대사관 개설

    - 1987.3.6 주한 UAE 대사관 개설

    - 2008.3.12 주두바이 총영사관 개설

    - 2013.6.30 제12대 권해룡 대사 부임(2013.8.7 신임장 제정)

    ◦ ‘09.12월 UAE 원전사업 수주 등을 계기로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발전 - 우리의 제2위 건설·플랜트 수주국(185건, 656억불, ‘14년 누계)이자

    제 3위 원유 도입국(‘14년)으로 경제 및 에너지 분야에서의 긴밀한 관계 지속

    ※ ‘10년 기준 우리의 제 1위 건설․플랜트 수주국(31건, 256억불)- ‘11.1월 UAE 군사협력단 파견 등 군사 및 안보, 보건, 교육, 문화 등

    제반 분야에서 협력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

    - 아울러, 우리나라와 UAE는 UN 및 국제기구 이사국 진출을 상호 지지

    하는 등 정치・외교 분야 협력도 점차 증대되고 있는 추세

  • 110

    ■ 주요인사 교류

    ◦ ‘09.12월 이래 우리 대통령의 UAE 방문 총 5회 및 ‘06.6월, ‘10.5월, ‘12.3월 및 ‘14.2월 모하메드 아부다비 왕세제의 방한 등 양국 최고위급 인사 교류를 비롯, 각 분야별 대표단 교류가 지속되고 있는 추세

    < 주요인사 교류 현황 >

    訪UAE 訪韓2006.5 노무현 대통령2006.9 한명숙 총리 2007.2 김영주 산자부 장관 2007.8 송민순 외교장관2008.6 이윤호 지경부 장관 2008.8 정종환 국토부 장관2009.1 김형오 국회의장2009.6 한승수 국무총리 2009.11 유명환 외교장관2009.12 이명박 대통령2010.8 김태영 국방장관2011.2 김성환 외교장관2011.2 김관진 국방장관2011.3 이명박 대통령2011.4 최중경 지경부 장관2011.9 권도엽 국토해양부 장관2012.1 김황식 국무총리2012.2 이명박 대통령2012.3 홍석우 지경부 장관2012.5 박재완 기재부 장관, 임채민 보건복지부 장관2012.11 이명박 대통령2013.1 김성환 외교장관2013.5 윤상직 산업통상장관2013.8 서승환 국토교통장관2013.12 김관진 국방장관2014.1 윤상직 산업통상장관2014.5 박근혜 대통령2014.9 문형표 보건복지부장관2015.2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2015.2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장관

    2006.6 모하메드 아부다비 왕세제2007.5 모하메드 총리 2007.9 함단 부총리2007.9 함단 부총리(사적방문)2007.11 알 수와이디 UAE중앙은행총재2008.5 알 하밀리 에너지 장관 2008.5 유세프 ADNOC 총재2008.6 알 까시미 대외무역장관2008.7 마이타 두바이 공주2009.2 라쉬드 환경부 장관2009.4 알 까시미 대외무역장관2009.6 압둘라 외교장관2010.2 알-루마이씨 총참모장2010.3 알 까시미 대외무역장관2010.5 술탄 알-만수리 경제장관2010.5 모하메드 아부다비 왕세제2011.4 알 까시미 대외무역장관2011.9 알 까시미 샤자 통치자2012.2 알 무바락 아부다비행정청장2012.3 모하메드 아부다비 왕세제2012.9 알 샴시 국무장관2013.2 압둘라 외교장관2013.9 알 무바락 아부다비행정청장2013.9 알 카타미 교육장관2013.10 알 마즈루이 에너지장관2014.2 모하메드 왕세제2014.10 알 무바락 아부다비행정청장

  • 111

    ■ 양국간 협정 체결 현황

    ◦ 투자보장협정 (‘02.6 서명 / ‘04.6 발효)◦ 이중과세방지협정 (‘03.9 서명 / ‘05.3 발효)◦ 항공협정 (‘05.11 서명 / ‘10.7 발효) ◦ 경제・무역 및 기술협력 협정 (‘06.5.13 서명 / ‘08.4 발효)◦ 군사협력협정 (‘07.5 서명 / ‘08.2 발효) ◦ 문화협력협정 (‘07.5 서명 / ‘08.2 발효)◦ 원자력협력협정 (‘09.6 서명 / ‘10.1 발효)◦ 형사사법공조조약 (‘14.2 서명 / 미발효)◦ 범죄인인도조약 (‘14.2 서명 / 미발효)

  • 112

    2 한국-UAE 경제관계

    ■ 교역 동향

    ◦ 투자보장협정(‘02.6), 이중과세방지협정(‘03.9), 항공협정(‘05.11), 원자력협력협정(‘09.6), 경제협력강화협정(‘09.12)을 체결하는 등 협력 확대를 위한 제도적 기반 구축

    - ‘06.5 노무현 대통령 방문 계기, 양국간 경제・기술・무역협력 협정이 체결된 바, 이에 따라「한-UAE 공동위원회」설치

    - ‘09.12 이명박 대통령 UAE 방문 및 원전수주 계기, 양국간 경제・산업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강화된 경제 파트너쉽 협정(Agreement for an Enhanced Economic Partnership)’ 체결

    ◦ ‘08년 UAE 경제호황으로 양국간 교역 규모가 사상 최대치인 250억불을 기록하였다가 ‘09년에는 두바이 경제 위기로 전년 대비 42.8% 감소한 143억불로 크게 줄어든 후, ‘10년 이후 점차 ‘08년 수준을 회복해 나가는 단계

    < 한-UAE 연도별 교역현황 >

    (단위 : 백만불)

    년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11월)

    교역규모

    수출 5,749 4,978 5,487 7,268 6,862 5,738 6,632수입 19,248 9,310 12,170 14,759 15,115 18,123 14,862합계 24,997 14,288 17,657 22,027 21,977 23,861 21,494

    무역수지 △13,500 △4,332 △6,683 △7,492 △8,254 △12,385 △8,230 * 출처 : 국가무역통계포털, 무역협회

  • 113

    ■ 주요 교역 품목

    ◦ 對UAE 10대 수출품은 승용차, 무선전화기, 자동차부품, TV, 석유화학합성원료, 축전지, 폴리에스터직물, 철강관, 연초류, 타이어 등

    - UAE 및 인근 시장의 소비 수요가 살아나면서 전통적 강세 품목인

    승용차, 무선전화기, 자동차부품, TV 등이 꾸준히 수출

    ◦ 對UAE 10대 수입품은 원유, 나프타, LPG, 알루미늄괴 및 스크랩, 중유, 동괴 및 스크랩, 폐건전지, 연괴 및 스크랩, 환원철, 당류 등

    - 우리나라의 對UAE 수입제품군은 원유, 나프타, LPG 등 상위 3개

    품목이 전체 수입액의 95.9%를 차지

    ■ 투자 동향

    ◦ 통계수치상 UAE 기업의 대한국 투자보다 우리 기업의 대UAE 투자가 훨씬 더 많은 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중동 투자자들의 경우 우회 투자가

    많은 것을 고려시 실제 UAE 기업의 대한국 투자규모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

    < 한-UAE 연도별 투자현황 >

    (단위 : 백만불, 신고기준)

    구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누계對한국투자

    건수 4 2 4 8 9 14 13 70금액 6 1 7 61 14 35 14 200

    對UAE투자 건수 80 63 71 63 50 43 29 553금액 248 190 89 219 510 23 17 1,652

  • 114

    ■ 에너지 도입 현황

    ◦ ‘14년 기준 UAE는 우리의 총 원유 도입 물량의 11.6%(108만 배럴)를 차지하는 제3의 원유 공급국(1위 사우디아라비아, 2위 쿠웨이트)이며, 우리의

    LPG 도입 물량의 21.1%를 차지하는 제1의 LPG 공급국

    < 2014년 우리나라의 국가별 원유·LPG 도입 현황 >

    (원유 도입 순위)

    순위 1위 2위 3위 4위 5위국가명 사우디 쿠웨이트 UAE 카타르 이라크

    도입량(백만배럴) 292 136 108 100 71도입비중(물량) 31.4% 14.6% 11.6% 10.7% 7.6%

    (LPG 도입 순위)

    순위 1위 2위 3위 4위 5위국가명 UAE 쿠웨이트 카타르 사우디 이란

    도입량(천배럴) 13,410 10,926 9,134 8,215 682도입금액(백만불) 1,038 831 690 634 41도입비중(물량) 21.1% 17.1% 14.2% 13% 0.8%

    * 출처 : 한국석유공사 외

    < 우리나라의 UAE 원유도입량 추이 >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물량(일일 천배럴) 433 314 289 239 237 304 297금액(백만불) 16,209 7,166 8,231 8,865 9,964 12,121 11,183도입비중(%) 18.3 13.7 12.1 9.4 9.1 12.1 11.6

    * 출처 : 한국석유공사 Petronet 외 (2014)

  • 115

    ■ 건설 및 플랜트 수주 현황

    ◦ UAE는 ‘07~‘10년간(‘08년 제외) 우리의 제1위 해외건설 수주 시장이었으며, 최근 우리 강세 분야인 플랜트 프로젝트 발주 감소로 수주규모가 감소

    - UAE는 ‘10년 기준 우리의 제 1위 건설․플랜트 시장(31건, 256억불)으로 전체 수주액 약 716억불(588건)의 약 35%를 UAE에서 수주

    - 2014년 누계 기준 우리의 제 2위 건설․플랜트 시장(185건, 656억불) - UAE 원전 수주(‘09.12월, 186억불) 등 ‘75년 UAE 건설 시장에 최초로

    진출(동아건설, 아부다비 신교량 공사)한 이래, 각종 플랜트, 발전・담수, 항만 건설 등에 지속적으로 참여중

    < 연도별 수주실적 >(단위 : 건, 백만불)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누계건수 26 27 30 31 15 15 12 14 185금액 5,585 4,841 15,860 25,602 2,125 2,959 1,831 3,736 65,613순위 1 2 1 1 9 6 14 6 2

    ◦ UAE의 건설・플랜트 시장은 최근 2~3년간 위축되었으나, ‘13년부터 소폭 회복세로 전환

    - UAE의 건설경기 회복은 아부다비의 인프라 프로젝트 발주 확대와

    두바이의 부동산 시장, 관광산업 등의 회복과 두바이의 Expo 개최 등이

    향후 경기회복의 호재로 작용 전망

    ◦ UAE 건설시장 규모는 년간 900억불 수준이나, 최근 유가하락의 영향으로 신규 프로젝트의 발주가 지연될 가능성도 존재

    ■ 보건의료 협력 현황

    ◦ 추진경과- ‘11.11월 아부다비보건청과 국내 의료기관(4개소)간 환자송출 협약 최초

    체결을 통한 정부간 네트워크 구축

  • 116

    ※ ‘11년 환자송출 협약 의료 기관 :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 우리 보건복지부와 보건협력 MOU 체결 : UAE 보건부ㆍ아부다비보건청ㆍ두바이보건청ㆍ샤르자 보건청

    - 환자송출 협약에 따라, 아부다비보건청(‘11~), UAE 통합군(‘13~)이 각각 10개, 12개 국내 의료기관으로 환자 송출

    ※ 아부다비보건청 환자송출기관 : 서울대병원, 서울삼성병원, 서울아산병원, 서울성모병원, 신촌 세브란스병원, 우리들병원, 이대목동병원, 강남차병원, 보바스병원, 대전선병원

    ※ UAE군 환자송출기관 : 강남차병원, 보바스기념병원, 우리들병원, 이대목동병원, 대전선병원, 분당서울대병원, 고려대학교병원

    - UAE통합군과 공동으로 중동보건의료협력 지원센터 개소(‘13.12), 한국의료 인지도 제고를 위한 현지 홍보회 실시

    ※ 의료기관 연계 지원, 환자 민원ㆍ불만사례 접수ㆍ해소, 비 의료서비스 지원※ UAE 한국의료 홍보회 개최(‘13.3), 아부다비 ‘KOREA WEEK’(‘13.11월),

    UAE 한국의료 및 제약홍보회 개최(‘14.12.8)

    ◦ UAE 환자 유치(민간 포함) 지속 증가 - 환자송출협약에 따라 2011.12월부터 UAE 환자가 본격적으로 국내

    병원에 치료받기 시작한 이래 매년 꾸준한 증가 추세

    - (‘09) 17명 → (‘10) 54명 → (‘11) 158명 → (‘12) 342명 → (‘13) 1,151명 → (‘14) 2,000명 수준 예상※ UAE 정부 송출환자 증가 추이 : ‘11년 1명 → ‘12년 89명 → ‘13년 351명

    → ‘14년 약 850명

    < UAE 방한 환자 추이 >(단위: 명)

    년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추정)정부송출 환자수 - - 1 89 351 850

    민간 환자 수 17 54 157 253 800 1,000계 17 54 158 342 1,151 1,850

    *‘14.12월말 기준 UAE 정부송출 환자수는 약 850명으로 전년대비 대폭 상승 추정

  • 117

    ■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주재국 진출 현황

    ◦ 두바이 보건청과 합작으로 우리나라 재활병원(보바스병원) 진출 - 2012.9월 중동 최초로 우리 민간 병원(보바스)이 주재국 최초 재활

    병원인 ‘두바이 재활병원’ 경영에 직접 참여(의료진 12명 파견) 시작※ 두바이 보건청은 아부다비에 비해 열악한 재정으로 환자 송출보다는 중동

    의료 Hub를 지향한 의료기관・인력 유치에 관심이 높아 우리의료 인력 진출에 적합

    ◦ 우리들병원 : 무바달라헬스케어시티 내 척추센터 위탁운영(‘12년)- 아부다비 자예드 메디컬센터(‘14년 상반기 개원) 내 척추분야도 위탁

    경영 수임

    ◦ 서울대 병원 : UAE 칼리파 왕립병원 수주(‘14년)- 미국, 영국, 독일 등 세계 주요 병원들과 경쟁, 국내 최초로 해외 대형

    종합병원 위탁운영자로 선정되는 성과 달성

    ※ 칼리파 병원 : 248 병상 규모의 3차 병원- UAE 정부로부터 5년간 약 1조원 이상의 운영비 수주로 국부 창출 효과

    및 1,420명의 칼리파병원 채용 인력 중 우리 의료진이 약 15~20%를

    차지하는 등 해외 인력진출 효과 다대

    ◦ 서울 성모병원 - VPS Health Care Group과 한국 성모병원간 협력으로 UAE 내 건강

    검진센터를 건립 및 오픈하기로 합의하고 계약식 체결(‘14.9월)※ 2015.2월말 우리측 의료진 약 26명(전체 운영인력의 1/3 비율) 진출 예정

    - 300병상 규모의 암센터(‘16년 개원 목표) 설립 및 운영위한 MOU 체결

  • 118

    3 한-UAE 문화ㆍ교육 관계

    ■ 정치ᆞ경제 협력 관계를 포괄적 분야로 확대

    ◦ 문화・교육 분야 다양한 교류를 통해 양국간 이해 증진 모색 - 대학간 교류 확대, 우리 공연예술의 UAE내 소개 등 공공외교(Public

    Diplomacy)를 통해 한국 이미지 제고

    ■ 문화・학술 분야 교류 현황◦ "UAE Youth Ambassadors"프로그램 실시(2013.6월)

    ※ 아부다비 왕세자실에서 주관하는 행사로 약 한 달간 왕세자실에서 선발한 UAE 대학생, 차세대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에서 산업체 현장 방문, 한국 정부시스템 견학, 문화․역사 현장 방문 등을 통해 한국전문가를 양성키 위한 프로그램

    ◦ 한국아랍소사이어티-제주평화연구원-에미리트전략문제연구소 공동주최 제10차 한-중동협력포럼 개최(2013년)

    ◦ 한국학 및 한국어과정 관련 협력- 자이드대학 세종학당 설치 및 운영(2010.10월)

    - 이화여대-UAE대학 학술교류약정 체결(2011.10월)

    - UAE대학 한국어 정규강좌 개설 지원(2012.2월)

    - 칼리파대학 한국어 학점과정 개설 지원(2015.1월)

    ◦ 다양한 한국 문화예술 행사 개최를 통한 UAE내 한국 위상 및 이미지 제고

    - 배우 송중기 한국영화 상영회 및 한국의료홍보 (2013.3월)

    - 아부다비 국제도서전 한국출판사 참가 (2013.4월)

    - 아부다비 영화제 한국영화 상영 (2013.10월)

    - Korea Week in UAE 개최 (2013.11월)

    - 제 1회 한국어말하기 대회 개최 (2013.11월)

  • 119

    - K-pop 그룹 인피니트 두바이 공연 (2013.12월)

    - Korea Festival in UAE 개최 (2014.10월)

    - 제1회 한-UAE 친선 태권도 대회 개최 (2014.10월)

    - K-pop 그룹 엠블랙 아부다비 공연 (2014.10월)

    - 아부다비 국립도서관 한국자료실 개실 (2014.12월)

    ◦ 한류 확산 지원- UAE 주요 대학내 한류 동아리 활성화, 대학생 교류 및 한류 이해증진을

    위해 주UAE대사관은 Korea Week, 영화제, 한식 시식회, 태권도 시범

    등을 공동 개최중

    UAE 주요 대학내 한류 동호회 현황 (회원규모 내림차순)

    가. UAE대학교 (알아인)

    ◦ 동아리명 : Arirang Club◦ 회원수 : 약 700명◦ 임원진 : 회장 외 임원단(부회장, 총무, 회계 등)으로 구성◦ 주요 활동

    - 2008년 UAE내에서 최초로 설립된 한류 동아리로 주UAE대사관과

    2009-2014년간 매년 Korea Day 또는 Korea Week를 개최하고

    - 자체적으로 한글 강의, 한국 노래 경연대회 등 매우 활동적으로 한국

    문화 행사 개최

    ◦ 특이 사항- Arirang Club/UAE 페이스북 운영

    나. 샤르자 대학교 (샤르자)

    ◦ 동아리명 : Daebak Club◦ 회원수 : 약 400명

  • 120

    ◦ 특이 사항 - 2013. 3월 교내 Global Day 문화행사 개최

    - 2013. 5월 주두바이(총) 관저 문화행사 참여

    - 2014. 3월 교내 Global Day 문화행사 개최

    다. 샤르자 아메리칸 대학교 (샤르자)

    ◦ 동아리명 : The Korean Cultural Club◦ 회원수 : 약 250명◦ 특이 사항

    - 2013. 9월 Club Fair 행사 개최

    라. 자이드대학교 (두바이)

    ◦ 동아리명 : Korean Club◦ 회원수 : 약 200명◦ 임원진 : 회장 외 임원단으로 구성◦ 주요 활동

    - 2012년부터 매년 Korean Town 행사 개최

    마. 자이드대학교 (아부다비)

    ◦ 동아리명 : Korean Club (2008년 결성)◦ 회원수 : 약 150명◦ 임원진 : 회장 외 임원단으로 구성◦ 주요 활동

    - 2011.3월 이명박 대통령 방문시 영부인 동 대학 방문, 한국 관련 행사

    개최

    - 2012.4월 Korea Film Week 개최, ‘들소리’ 공연단 초청- 대사관과 공동으로 한국 관련 문화 행사 등을 개최

  • 121

    ◦ 특이 사항- 2009년 자이드대학내 최우수 동아리로 선정 (Korea Club 페이스북 운영)

    - 학생들이 자체적으로 경비를 마련, 하계 방학 등을 이용해 한국 방문

    및 연수

    바. HCT 라스 알 카이마 여자대학교 (라스 알 카이마)

    ◦ 동아리명 : Korean Club◦ 회원수 : 약 150명◦ 특이 사항 : 2013.2월 Hello Korea 행사 개최

    사. 칼리파 대학교 (아부다비)

    ◦ 동아리명 : Han Club◦ 회원수 : 약 100명◦ 특이 사항

    - 2011.4월 한국계 교수를 지도교수로 하여 동아리 결성

    - 2012.3~4월 한식 시식 행사 및 Cooking Class 행사

    - 2011년부터 매년 교내 Global Day 행사 일환으로 Korean Day 개최

    자. HCT 아부다비 여자대학교 (아부다비)

    ◦ 동아리명 : ADWC Korean Club (UAE ♡ Korea)◦ 회원수 : 약 80명◦ 임원진 : 회장 외 임원진으로 구성◦ 주요 활동

    - 매년 5월 자체적으로 한국 주간을 개최하여 한국 음식 시식회, 한국어

    강좌, 서예, 한복 체험 등 다양한 문화 소개

    ◦ 특이 사항- UAE ♡ Korea 페이스북 운영

    - 동아리 회원중 상당수가 한국 방문 경험

  • 122

    차. HCT 알아인 여자대학교 (알아인)

    ◦ 동아리명 : K-Chingu Korean Club◦ 회원수 : 약 60명◦ 특이 사항

    - 교내 International Day 개최

    - 교내 Club Day 개최, 한글 및 한식 홍보

    타. 칼리파 대학교 (사르자)

    ◦ 동아리명 : K Club◦ 회원수 : 약 15명◦ 특이 사항

    - 2013.5월 Anyong(안녕) 행사 개최

    파. 아부다비 대학교 (아부다비)

    ◦ 동아리명 : K Club◦ 회원수 : 약 20명◦ 특이 사항

    - 2013년부터 매년 교내 Global Day 행사에서 한국홍보부스 운영 및 한국

    전통공연

  • 123

    4 우리 기업 및 교민 현황

    ■ 우리 기업의 UAE 진출 현황

    ◦ 2014년말 현재 UAE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수는 약 170개이며, 이들 기업들은 현지투자법인, 지점, 지사 등의 다양한 형태로 진출 중

    -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가장 많은 약 60여개사(대형 20社, 중소 40社)이며,

    그 밖의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지상사(무역 및 도․소매업)가 50여개사, 그 외 제조업체, 운송업체, 금융․보험업체 등이 진출

    - 지역별로는 두바이에 약 100여개사, 아부다비 약 70개사 등이 분포해

    있으며, '09년 말 UAE 원전 수주 이후 우리 기업의 아부다비 사무소

    개설이 증가하였으나, 최근 건설지사는 감소추세

    ◦ 우리 기업들의 현지 비즈니스 활동을 지원하는 공공기관 및 공기업이 다수 진출(KOTRA, 한국관광공사, 중소기업진흥공단, 한국전력, 석유공사, 가스

    공사, 수출입은행 등)

    - 특히, ‘11.9월 아부다비에 개소한 ‘중동지역건설・플랜트수주지원센터’에는 해외건설협회 및 건설공제조합 소속 직원이 파견되어 수주지원 및 건설

    금융 지원 등의 역할 수행 중

    ■ 교민현황

    ◦ 이주 약사- 1970년대 현대건설․동아건설 등 우리 건설 업체들이 아부다비에 진출

    하면서 노동인력 수천 명이 상주

    - 1990년대 중동건설 경기 악화로 우리기업들이 대부분 철수하여 교민수가

    대폭 감소, 두바이를 중심으로 상사원 등 100여명만 거주

    - 2001년 3월 UAE가 관광 및 물류산업 육성을 위해 무비자 제도를

    도입함에 따라 한국인들의 두바이 입국이 점진적으로 증가

  • 124

    - ‘09-‘10년간 우리 기업의 UAE내 신규 대형 공사 수주로 하청 부문포함 우리 건설 인력이 2011년 3,000여명 → 2012년 4,800여명 → 2013년

    5,000여명까지 증가하다 2004년부터는 일부 대형 플랜트 사업 준공

    등으로 3,400명 수준으로 인력이 감소하였으며, 당분간 3,400여명 수준의

    건설인력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

    ◦ 각 에미리트별 교민 현황- 건설 인력, 자영업자ㆍ지상사원 등이 주류를 이루며, 2013년 4월 기준

    UAE 이민국 통계상 거주비자를 발급받아 체류하는 교민은 총 9,751명

    이나, 단기 체류하는 교민의 수까지 감안할 경우, 총 12,000여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

    ・ 아부다비 : 약 6,500여명 ・ 두바이 : 약 5,000여명・ 후자이라 : 20여명・ 샤자 : 400여명・ 아즈만 : 30여명・ 움 알콰인 : 10여명・ 라스 알 카이마 : 40여명

    ◦ 교민단체 현황- 在아랍에미리트 한인회

    ・ 회장 : 이영규(13.1월 선출, 무역업 및 제조업)・ 주요사업 : 이사회(년 6회 홀수월), 체육대회(11월), 광복절 행사,

    한인의 밤(12월) 등

    - 아부다비 한글학교 (10.9월 개교)

    ・ 교장 : 윤호준 / 학생수 : 60여명 / 교사수 : 9명 - 두바이 한글학교

    ・ 교장 : 정계현 / 학생수 : 270여명 / 교사수 : 21명 - 제16기 민주평화통일자문위원 (총 12명)

    ・ 아부다비 5명(김현중 등), 두바이 및 기타지역 7명(윤대영 등)

  • 125

    분야별 UAE 진출 우리 기업 현황(13.12월 기준)

    업종 업 체 명

    건설‧플랜트구산토건, 국제플랜트, 금호건설, 다우산업개발, 대명기전, 대아공무, 대림산업, 대우건설, 동명기술공단, 도화엔지니어링, 두산중공업, 삼성물산(건설), 삼성엔지니어링, 삼우종합건축, 서본건설, 성보C&E, 성창 E&C, 유명건설, 쌍용건설, 포스코건설, 한라건설, 한화건설,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현대중공업, GS건설, SK건설 등

    제조(판매법인 포함)

    금호타이어, 기아자동차, 넥센타이어, 대우일렉트로닉스, 대우조선, 동부메탈, 무림페이퍼, 롯데제과, 무림페이퍼, 삼성전자, 삼성테크윈, 삼성SDS, 상신브레이크, 세아제강, 신광스틸, 아라기술, 아태위성산업, 에버다임, 영화스틸, 오리온, 인피니티헬쓰케어, 제일모직, 퍼시스, 포스코, POSCO-GSFC, 한국타이어, 한맥, 현대모비스, 현대미포조선, 현대자동차, 현대제철, 효성, 휴맥스, Blue Ocean E&C Trading, Deu11 Aniframe, Gulf Transitional, Harmony Networks, H&Friends, KCC, LG전자, LG CNS, LS전선, LS산전, Oceanus, Otay International, SK글로벌 케미컬, STX, Undine Marine Industries, WhiteBox Robotics

    공기업 KOTRA, 관광공사, 석유공사, 가스공사, 중소기업흥공단, 해외건설협회, 건설공제조합, 한전기술, 한국전력, 전기안전공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물류・서비스・에너지

    대한항공, 열림기술, 우리들헬쓰케어, 제일기획, 판토스, 포스코걸프, 한국선급, 한진해운, 현대상선, 현대오일뱅크, Eukor, GS칼텍스, Korman Energy, Pantos Logistics, SK그룹, SK가스, SK에너지, STX Pan Ocean

    무역 대우인터내셔널, 삼성물산(상사), 코오롱글로벌, 한화, 현대종합상사, 효성, GS글로벌, LG상사, SK네트웍스

    금융 수출입은행, 외환은행, 산업은행, 삼성화재, 서울보증보험, 우리은행, 코리안리* 출처 : KOTRA 중동아프리카지역본부, 두바이 무역관

  • 126

    5 북한-UAE 관계

    [ 정치・외교 분야 ]◦ ‘07.9.18 UAE-북한간 대사급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으나 북한의 국제적

    위상 및 행동을 감안, UAE 정부는 상주 공관 개설에 대해서는

    미온적인 것으로 파악

    ◦ ‘08.5월 주한 UAE 대사가 북한 겸임 신임장 제출◦ ‘08.8월 주쿠웨이트 북한 허종대사 UAE 겸임 신임장 제출◦ ‘12.12월 서창식 주쿠웨이트 북한대사가 부임했으나 현재까지 UAE 정부로

    부터 신임장 미제정

    ※ 북한의 對GCC 회원국 수교현황- 오만(‘92.5), 카타르(‘93.1), 쿠웨이트(‘01.4), 바레인(‘01.5), UAE(‘07.9)

    < UAE-북한 주요인사 교류 현황 >

    UAE 방문 방 북o 1995.5 김영남 외교부장 이란 방문시,

    두바이 경유o 2001.1 김형준 주시리아 북한대사,

    UAE 수교 교섭차 방문 o 2003.10 김창룡 외무성 부상 o 2004.12 허종 주쿠웨이트 북한 대사

    (UAE 정부측과 미접촉)o 2008.4 박의춘 외상 및 허종 주쿠웨이트

    대사,(UAE 외교부 차관 면담)o 2008.8 허종 주쿠웨이트대사, UAE 아부다비

    개발기금 방문(신임장 제출시)

    o 2012.6 허종 주쿠웨이트대사, UAE 외교부 아주국장 면담, 항공협정 체결 등 제의

    o 2012.9 박길연 주유엔대사, 압둘라 외교장관과면담, UAE 외교부와 협력협정 체결 등 제의

    o 1988.5 쉐이크 모하메드 국방장관, 중국・일본 방문 후 북한 방문

    ※ 동 방북을 계기로 89-94년간 북한제 야포, 포탄 등 구매(1.2억불), 이후 1989-2006년간 다연장 로켓, 야포, 포탄 등 추가 구매

  • 127

    ◦ 북한은 UAE와의 외교관계 수립을 계기로 정치․경제 교류확대를 추진- 현재 약 1,200명의 북한 인력이 주재국내 진출중인 가운데 건설 근로자

    약 1,050명, 봉제공장 및 식당 등 기타 150명 수준

    - 두바이 시내 북한식당 평양 옥류관 분점(2010.8)에 이어 고려식당 분점

    (2014.9)도 개설되어 외화 벌이 수단으로 활용 중

    [ 경제・통상 분야 ]◦ 수출입 및 투자 현황

    - 북한의 대UAE 수출은 2000~2008년간 매년 약 100만불에서 약

    2,500만불 수준이었으나, 2009년에는 기계류, 전자부품 등 분야에서

    약 2.8억불 규모로 일시 증가

    ※ 북한의 대UAE 수입은 2000~2009년간 약 1만 3,000만불, 재수입이 약 9만불 수준

    ◦ 진출인력: 건설인력, 상사원 및 가족 등 포함 약 1,200여명 추정- 건설인력 : 약 1,050명

    - 보통강상사(제벨 알리 지역內 봉제공장) 및 북한식당 : 약 150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