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100
의 차원이 다른 모바일 RFID 리더 포스코 설비관리용 납품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 60-5번지 갑을그레이트밸리 B801T. 02.2106.8700 F. 02.2106.8710 국세청 주류진품확인기기 납품 Mobile RFID Reader MUNUS | BLUETOOTH Bluetooth Mobile RFID Reader UHF 900MHz RFID Reader Capability Ergonomic design feels comfortable in your hand compact size and light weigth RFID reader to connect with smart phone Low power consumption Mobile RFID Reader MUNUS | COMBINE Micro USB Mobile RFID Reader UHF 900MHz RFID Reader Capability RFID reader to connect with smart phone Attachable to various models of smart phone Low Power consumphion 자동인식n머신비전 통권 제15호 2013년 05월 01일 발행 | 2012년 3월 5일 등록번 호 강남 라 00576 | 서울시 마포구 마포동 236-1 덕성빌딩 2층 (주)인더스트리솔루션 전화 070-4120-9713 값 10,000원 커버스토리 2013년 국내 RFID/USN 시장 규모 ‘8356억 원’ SPECIAL REPORT 2013년 유비쿼터스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은? INTERVIEW 투테크 남의조 대표 “지워지지 않는 바코드 라벨과 레이저 라벨 프린터로 신시장 창출” RFID 7월 1일부터 전문의약품 RFID 태그나 바코드 부착 의무화 BARCODE 다양한 라벨 프린터, 어떻게 구분될까? MACHINE VISION 스마트 카메라, PC 기반 비전시스템에 도전장 0 5 2013 Monthly AIDC MACHINE VISION www.industrysolutions.co.kr 바코드, RFID, 마킹/코딩, 스마트카드, 머신비전
  • date post

    10-Jun-2015
  • Category

    Technology

  • view

    1.258
  • download

    1

description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COVER STORY 2013년 국내 RFID/USN 시장 규모 ‘8356억 원’ 31 EDITOR’s NOTE RFID/USN 산업 활성화 위해 박근혜 정부에 바라는 것들 46 EXPERT COLUMN NFC 핵심 특허 분석(1) 32 FOCUS RFID 7월 1일부터 전문의약품 RFID 태그나 바코드 부착 의무화 큐빗, “스타시스템으로 싱가포르 썬텍시티 VIP 고객 관리” 76 FOCUS NFC 스마트엠태그, ‘NFC 샘플스와치’로 섬유브랜드 가치 높여 35 FOCUS BARCODE PRINTER 다양한 라벨 프린터, 어떻게 구분될까? 36 FOCUS ID CARD PRINTER 올바른 ID 카드 프린터 선택 방법은? 66 FOCUS MACHINE VISION 스마트 카메라, PC 기반 비전시스템에 도전장 SPECIAL REPORT 2013년 유비쿼터스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은? 52 FOCUS COMPANY 청호컴넷, RFID 토탈솔루션 업체로 ‘부상’ 65 CASE STUDY 독일 의류업체들, RFID 확산 시동...RFID 도입 대세 68 TECHNICAL REPORT 가전 분야 RFID 적용 매뉴얼 (3) 보다 걍력해진 ID : 기술 혁신을 통해 새롭게 도약한 이미지 기반 바코드 리더 77 NEWS INSIGHT BARCODE NEWS INSIGHT RFID NEWS INSIGHT NFC NEWS INSIGHT MACHINE VISION 89 국내 자동인식/마킹/머신비전 대표기업 리스트 INTERVIEW “투테크, 지워지지 않는 바코드 라벨과 레이저 라벨 프린터로 신시장 창출”

Transcript of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Page 1: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의 차원이 다른 모바일 RFID 리더

▶▶포스코 설비관리용 납품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 60-5번지 갑을그레이트밸리 B동 801호

T. 02.2106.8700 F. 02.2106.8710

▶▶국세청 주류진품확인기기 납품

Mobile RFID ReaderMUNUS | BLUETOOTHBluetooth Mobile RFID ReaderUHF 900MHz RFID Reader CapabilityErgonomic design feels comfortable in your hand compact size and light weigthRFID reader to connect with smart phone Low power consumption

Mobile RFID ReaderMUNUS | COMBINEMicro USB Mobile RFID ReaderUHF 900MHz RFID Reader CapabilityRFID reader to connect with smart phone Attachable to various models of smart phone Low Power consumphion

자동

인식

n머신

비전

통권

제15호

2013년 05월

01일 발

행 | 2012년

3월 5일

등록

호 강

남 라

00576 | 서울

시 마

포구

마포

동 236-1 덕

성빌

딩 2층

(주)인

더스

트리

솔루

전화

070-4120-9713

10,000원

커버스토리

2013년 국내 RFID/USN 시장 규모 ‘8356억 원’

SPECIAL REPORT 2013년 유비쿼터스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은?INTERVIEW 투테크 남의조 대표 “지워지지 않는 바코드 라벨과 레이저 라벨 프린터로 신시장 창출”RFID7월 1일부터 전문의약품 RFID 태그나 바코드 부착 의무화BARCODE다양한 라벨 프린터, 어떻게 구분될까?MACHINE VISION스마트 카메라, PC 기반 비전시스템에 도전장

052013

Monthly AIDC MACHINE VISION www.industrysolutions.co.kr

바코드, RFID, 마킹/코딩, 스마트카드, 머신비전

Page 2: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Value Added DistributorOnly One Certified

한국 총판

주식회사 아이디에스글로벌

Granit1910i•2D 산업용

•뛰어난 내구성

•2M Drop Test 50회

•IP65

•영하 30도 사용 가능

Granit1911i•2D 산업용

•2M Drop Test 50회

•100M 무선거리

•IP65

•영하 30도 사용 가능

Xenon1900•최고의 2D 스캔성능

•필요한 설정을

하나의 바코드로 완료

•Smart Interface

•이미지 캡쳐

(color option 가능)

Dolphin Series WMS Solutions OEM

Stratos2700•1D/2D 하이브리드

•BOB Monitoring등

다양한 부가기능

•빠른 반응속도

Voyager1250g•1D Laser

•뛰어난 스캔성능

•1D 4mil 스캔 가능

•Smart Interface

Orbit7120•1D Desk Top

•10년이상 검증된 성능

•국내 및 전세계 최다 판매 장비

Genesis7580•2D Desk Top

•눈부심 최소화로 사용자 배려

•최고의 리딩 성능

Vuquest3310•2D Handsfree

•컴팩트 디자인

•다양한 부가기능

•키오스크, 설비 등 고정형 적합

NEW

NEW

NEW

하니웰 전제품 공식 A/S 센터

상담 및 구입문의

영업 담당자 : 허도영 부장 TEL : 02)405-8420, 8423 E-Mail: [email protected]

www.idsg.co.kr

Page 3: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Value Added DistributorOnly One Certified

한국 총판

주식회사 아이디에스글로벌

Granit1910i•2D 산업용

•뛰어난 내구성

•2M Drop Test 50회

•IP65

•영하 30도 사용 가능

Granit1911i•2D 산업용

•2M Drop Test 50회

•100M 무선거리

•IP65

•영하 30도 사용 가능

Xenon1900•최고의 2D 스캔성능

•필요한 설정을

하나의 바코드로 완료

•Smart Interface

•이미지 캡쳐

(color option 가능)

Dolphin Series WMS Solutions OEM

Stratos2700•1D/2D 하이브리드

•BOB Monitoring등

다양한 부가기능

•빠른 반응속도

Voyager1250g•1D Laser

•뛰어난 스캔성능

•1D 4mil 스캔 가능

•Smart Interface

Orbit7120•1D Desk Top

•10년이상 검증된 성능

•국내 및 전세계 최다 판매 장비

Genesis7580•2D Desk Top

•눈부심 최소화로 사용자 배려

•최고의 리딩 성능

Vuquest3310•2D Handsfree

•컴팩트 디자인

•다양한 부가기능

•키오스크, 설비 등 고정형 적합

NEW

NEW

NEW

하니웰 전제품 공식 A/S 센터

상담 및 구입문의

영업 담당자 : 허도영 부장 TEL : 02)405-8420, 8423 E-Mail: [email protected]

www.idsg.co.kr

Page 4: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Page 5: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Page 6: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춘의동 74-8 TBS빌딩

TEL : 032-665-0014 | ㄹFAX : 032-671-4171 | www.tbs2000.co.kr | E-mail : [email protected]

Page 7: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춘의동 74-8 TBS빌딩

TEL : 032-665-0014 | ㄹFAX : 032-671-4171 | www.tbs2000.co.kr | E-mail : [email protected]

Page 8: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30년 노하우를 보유한 IT산업현장의

소프트웨어/하드웨어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토탈솔루션 기업입니다

Leader in Mobile & RFID Technology

SmarTerminal 은 충격, 방수, 방진, 진동을

핵심 키워드로 사용의 단순, 편리, 특화를 구현한

삼미정보시스템의 고유브랜드입니다

Stainless Smart Station15- Anti-Bacterial housing / IP67

Smart Station Series - 지게차 및 중장비 탑재용 산업용컴퓨터

Bluetooth & USB UHF RFID READER - 산업용 초소형, 초경량 RFID Mobile READER : 9.6 x 5 x 1.5cm , 75gAndroid / Windows CE / Windows Mobile / Windows XP / Windows 7 support

Frequency : 840MHz~960MHz

삼미정보시스템 은

삼미정보시스템 - 본사,제조사업부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 505-14

코오롱애스턴빌딩 11층

Tel. +82-2-790-5505

Fax. +82-2-790-5505

삼미정보시스템(주) - 창원사업본부

경남 창원시 사파구 5번지

그린파크빌딩

Tel. +82-55-264-5151

Fax. +82-55-264-5154

삼미정보시스템(주) - 고객센터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 791-3

노블레스빌딩

Tel. +82-70-8611-4106

SmarTerminal Computer Inc

5300 Orange Ave, Suite 212,

Cypress, CA90630, USA

Tel. +1-714-761-5300

Fax. +1-562-252-8272

www.sammicomputer.co.kr

www.smarterminal.com

IndustrialBluetooth RFID Reader

Mobile & Vehicle Mount Tablet PC Smart-R400TiTAN T8

Mobile & Vehicle Mount Tablet PC - 휴대 및 차량장착용 Tablet PC - 열악한 환경을 극복하는 최강의 내구성 (MIL-STD-810F) - 유연한 통신환경을 지원 (Wi-Fi, CDMA, GPRS/GSM, Bluetooth, GPS)

웹사이트에서 삼미정보시스템의 SmarTerminal 제품을 확인해보세요.

Page 9: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30년 노하우를 보유한 IT산업현장의

소프트웨어/하드웨어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토탈솔루션 기업입니다

Leader in Mobile & RFID Technology

SmarTerminal 은 충격, 방수, 방진, 진동을

핵심 키워드로 사용의 단순, 편리, 특화를 구현한

삼미정보시스템의 고유브랜드입니다

Stainless Smart Station15- Anti-Bacterial housing / IP67

Smart Station Series - 지게차 및 중장비 탑재용 산업용컴퓨터

Bluetooth & USB UHF RFID READER - 산업용 초소형, 초경량 RFID Mobile READER : 9.6 x 5 x 1.5cm , 75gAndroid / Windows CE / Windows Mobile / Windows XP / Windows 7 support

Frequency : 840MHz~960MHz

삼미정보시스템 은

삼미정보시스템 - 본사,제조사업부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 505-14

코오롱애스턴빌딩 11층

Tel. +82-2-790-5505

Fax. +82-2-790-5505

삼미정보시스템(주) - 창원사업본부

경남 창원시 사파구 5번지

그린파크빌딩

Tel. +82-55-264-5151

Fax. +82-55-264-5154

삼미정보시스템(주) - 고객센터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 791-3

노블레스빌딩

Tel. +82-70-8611-4106

SmarTerminal Computer Inc

5300 Orange Ave, Suite 212,

Cypress, CA90630, USA

Tel. +1-714-761-5300

Fax. +1-562-252-8272

www.sammicomputer.co.kr

www.smarterminal.com

IndustrialBluetooth RFID Reader

Mobile & Vehicle Mount Tablet PC Smart-R400TiTAN T8

Mobile & Vehicle Mount Tablet PC - 휴대 및 차량장착용 Tablet PC - 열악한 환경을 극복하는 최강의 내구성 (MIL-STD-810F) - 유연한 통신환경을 지원 (Wi-Fi, CDMA, GPRS/GSM, Bluetooth, GPS)

웹사이트에서 삼미정보시스템의 SmarTerminal 제품을 확인해보세요.

Page 10: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인쇄속도: 70~120mm/sec

•해상도:200dpi/300dpi(12dots/mm)

•인쇄폭:104mm

•Emulations:Datamax / Zebra

•인터페이스:USB, 시리얼, 페러럴

•인쇄속도: 100mm/sec

•해상도:203dpi(8dots/mm)

•인쇄폭:104mm

•Emulations: Datamax / Zebra

•인터페이스:USB, 시리얼, 페러럴

본사 서울시 성동구 성수2가 3동 280-21번지 우림이비즈센터 4층 401호 | tel. 代02)2280-4300 | fax. 02)2024-2319 #401, Woolimebiz Center 280-21, Sungsu2ga 3-dong, Sungdong-Gu, Seoul, Korea지사 서울시 중구 주교동 76-1 2층 | tel. 02)2271-1530 | fax. 02)2268-5706 2F, 76-1, Chukyo-Dong, Chung-Gu, Seoul, Korea

사업소개 바코드사업부 | 라벨사업부 | 인쇄사업부 | 용역사업부 | 토탈의류부자재사업부 | 해외사업부 | 의류프로모션

OS-214PLUS (ARGOX)

AP-5.4 (AVERY)

VEGA-3000 (SEIBU FUTABA)

R400-PLUS (ARGOX)

SEIBU

FUTABA

SEIBU

FUTABA

ARGOX

ARGOX

AVERY

AVERY

ARGOX

ARGOX

OS-750 DS-360HD

•인쇄속도:76mm/sec

•해상도:203dpi(8dots/mm)

•인쇄폭:104mm

•인터페이스:USB, 시리얼, 페러럴

•인쇄속도: 175mm/sec

•해상도:203dpi(12dots/mm)

•인쇄폭:104mm

•인터페이스:USB, 시리얼

•인쇄속도:70~120mm/sec

•해상도:300dpi(12dots/mm)

•인쇄폭:64mm

•인쇄속도: 150mm/sec

•해상도:203dpi(8dots/mm)

•인쇄폭:108mm

•인터페이스:USB, 시리얼, 페러럴

•인쇄속도:200scans/sec

•해상도:4mil or more

•사용분야: 매장관리용

•인쇄속도:100scans/sec

•해상도: 3mil or more

•사용분야:매장관리용

의류부자재의 품질 고급화로 브랜드 가치 상승효과

본사 인트라넷 활용으로 제품의 생산에서 납품까지 완벽한 Feed-back

패션/유통의 바코드 출력물에 효과적인 솔루션 제공

사용자의 편의성을 중시한 철저한 고객만족 A/S지원

본사 서울시 성동구 성수2가 3동 280-21번지 우림이비즈센터 4층 401호 | tel. 代02)2280-4300 | fax. 02)2024-2319 #401, Woolimebiz Center 280-21, Sungsu2ga 3-dong, Sungdong-Gu, Seoul, Korea지사 서울시 중구 주교동 76-1 2층 | tel. 02)2271-1530 | fax. 02)2268-5706 2F, 76-1, Chukyo-Dong, Chung-Gu, Seoul, Korea

사업소개 바코드사업부 | 라벨사업부 | 인쇄사업부 | 용역사업부 | 토탈의류부자재사업부 | 해외사업부 | 의류프로모션

Page 11: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인쇄속도: 70~120mm/sec

•해상도:200dpi/300dpi(12dots/mm)

•인쇄폭:104mm

•Emulations:Datamax / Zebra

•인터페이스:USB, 시리얼, 페러럴

•인쇄속도: 100mm/sec

•해상도:203dpi(8dots/mm)

•인쇄폭:104mm

•Emulations: Datamax / Zebra

•인터페이스:USB, 시리얼, 페러럴

본사 서울시 성동구 성수2가 3동 280-21번지 우림이비즈센터 4층 401호 | tel. 代02)2280-4300 | fax. 02)2024-2319 #401, Woolimebiz Center 280-21, Sungsu2ga 3-dong, Sungdong-Gu, Seoul, Korea지사 서울시 중구 주교동 76-1 2층 | tel. 02)2271-1530 | fax. 02)2268-5706 2F, 76-1, Chukyo-Dong, Chung-Gu, Seoul, Korea

사업소개 바코드사업부 | 라벨사업부 | 인쇄사업부 | 용역사업부 | 토탈의류부자재사업부 | 해외사업부 | 의류프로모션

OS-214PLUS (ARGOX)

AP-5.4 (AVERY)

VEGA-3000 (SEIBU FUTABA)

R400-PLUS (ARGOX)

SEIBU

FUTABA

SEIBU

FUTABA

ARGOX

ARGOX

AVERY

AVERY

ARGOX

ARGOX

OS-750 DS-360HD

•인쇄속도:76mm/sec

•해상도:203dpi(8dots/mm)

•인쇄폭:104mm

•인터페이스:USB, 시리얼, 페러럴

•인쇄속도: 175mm/sec

•해상도:203dpi(12dots/mm)

•인쇄폭:104mm

•인터페이스:USB, 시리얼

•인쇄속도:70~120mm/sec

•해상도:300dpi(12dots/mm)

•인쇄폭:64mm

•인쇄속도: 150mm/sec

•해상도:203dpi(8dots/mm)

•인쇄폭:108mm

•인터페이스:USB, 시리얼, 페러럴

•인쇄속도:200scans/sec

•해상도:4mil or more

•사용분야: 매장관리용

•인쇄속도:100scans/sec

•해상도: 3mil or more

•사용분야:매장관리용

의류부자재의 품질 고급화로 브랜드 가치 상승효과

본사 인트라넷 활용으로 제품의 생산에서 납품까지 완벽한 Feed-back

패션/유통의 바코드 출력물에 효과적인 솔루션 제공

사용자의 편의성을 중시한 철저한 고객만족 A/S지원

본사 서울시 성동구 성수2가 3동 280-21번지 우림이비즈센터 4층 401호 | tel. 代02)2280-4300 | fax. 02)2024-2319 #401, Woolimebiz Center 280-21, Sungsu2ga 3-dong, Sungdong-Gu, Seoul, Korea지사 서울시 중구 주교동 76-1 2층 | tel. 02)2271-1530 | fax. 02)2268-5706 2F, 76-1, Chukyo-Dong, Chung-Gu, Seoul, Korea

사업소개 바코드사업부 | 라벨사업부 | 인쇄사업부 | 용역사업부 | 토탈의류부자재사업부 | 해외사업부 | 의류프로모션

Page 12: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광고

©2013 ZIH Corp. All product names and numbers are Zebra trademarks, and Zebra and representation of Zebra Head are registered trademarks of ZIH Corp. All rights reserved. All other trademarks are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ECONOMICAL, DEPENDABLE, HIGH-PERFORMANCE PRINTING매우 분주한 제조와 창고관리 현장에는 견고하고 안정적인 장비가 필수입니다.

프린터도 예외는 아닙니다.

지브라의 신제품 105SLPlusTM 프린터는 이런 거친 환경에 가장 적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105SLPlusTM 프린터는 내구성 강한

메탈 구조와 복잡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견고한 프린트 메카니즘을 적용하였으며, 지브라의 검증된 전자 플랫폼을 탑재하여

대용량 프린팅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고속 프린팅이 가능합니다. 또한 다국어 LCD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쉽게 사용법을

배울 수 있으며, 간단한 리본 장착 메카니즘으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되었습니다. 이 밖에도 다양한 연결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105SLPlusTM 프린터는 기존 시스템에 바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브라의 105SLPlusTM 프린터는 귀하의 비즈니스를 위한 경제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고성능의 프린터입니다.

SCAN ME NOW

ZEBRA® 105SLPlus PRINTER자세한 사항은 http://105SLPlus.zebra.com 에서 확인하세요.문의: [email protected] (T. 02-6336-3459)

Page 13: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2013 ZIH Corp. All product names and numbers are Zebra trademarks, and Zebra and representation of Zebra Head are registered trademarks of ZIH Corp. All rights reserved. All other trademarks are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ECONOMICAL, DEPENDABLE, HIGH-PERFORMANCE PRINTING매우 분주한 제조와 창고관리 현장에는 견고하고 안정적인 장비가 필수입니다.

프린터도 예외는 아닙니다.

지브라의 신제품 105SLPlusTM 프린터는 이런 거친 환경에 가장 적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105SLPlusTM 프린터는 내구성 강한

메탈 구조와 복잡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견고한 프린트 메카니즘을 적용하였으며, 지브라의 검증된 전자 플랫폼을 탑재하여

대용량 프린팅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고속 프린팅이 가능합니다. 또한 다국어 LCD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쉽게 사용법을

배울 수 있으며, 간단한 리본 장착 메카니즘으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되었습니다. 이 밖에도 다양한 연결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105SLPlusTM 프린터는 기존 시스템에 바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브라의 105SLPlusTM 프린터는 귀하의 비즈니스를 위한 경제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고성능의 프린터입니다.

SCAN ME NOW

ZEBRA® 105SLPlus PRINTER자세한 사항은 http://105SLPlus.zebra.com 에서 확인하세요.문의: [email protected] (T. 02-6336-3459)

Page 14: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Features▶ EthernetTCP/IP탑재(옵션)▶ TiltBarcode복원기능SMART▶ MicroSDcardslot(Setup저장기능)▶ 기능Button추가▶ AutoFocus(CLV65x)▶ Highscanningfrequencyofupto1,200Hz

Xenon1900 2D Imager▶ 세계가인정한Adaptus5.5기술기반의2D바

코드스캐너▶ 업계최고의MotionTolerance -흔들리거나어두운곳에서도최적의바코드

스캔성능▶ 3Mil바코드스캔가능▶ 유선

Voyager1250g 1D Laser▶ 뛰어난스캐닝능력으로거의모든분야

에서활용가능▶ 사용하기편한유저친화적인디자인▶ 튼튼하고강력한내구성▶ 유선

Xenon1902 2D Imager ▶ 세계가인정한Adaptus5.5기술기반의

2D바코드스캐너▶ 업계최고의MotionTolerance -흔들리거나어두운곳에서도최적의바코

드스캔성능▶ 3Mil바코드까지스캔가능▶ 무선

5180 2D EngineThepowerofAdaptusimagingTechnologyMadeavailabletoOEMmanufacturers.▶ High-performanceandversatiledata collectiontechnologythatcanbeintegrated Intoourcustomer’sproductdesigns.

Vuquest3310g 2D Imager▶ AdaptusImagingTechnology6.0장착으로

향상된성능▶ 다양한분야에쉽게설치가능 -키오스크,포스시스템,ATM기등▶ 스마트폰모바일바코드스캔가능▶ 유선

Genesis7580g 2D Imager▶ CodeSelect기술로단한번의플래쉬로

최대일곱가지바코드인식가능▶ 고속으로이동하는상품의바코드를빠른

속도로판독▶ BOX형디자인으로탁상용으로적합▶ 유선

▶ 손상된Barcode도Reading이가능한SMARTDecoder기능탑재

Micro SD Memory Card Slot Cover(opened)

Memory cardparameter set 저장기능(Optional)

▶ Lineararrayofhigh-powerLEDs▶ Largeapertureilluminationoptics▶ Optimizedforreadingdistancesupto3m▶ 구겨진라벨에대한강화된성능▶ 손상된start/stop캐릭터자동복구▶ Highlinerateof19kHz

경기도안양시동안구시민대로401,1102호(관양동,대륭테크노타운15차)TEL 031-389-0380 | FAX 031-389-0384 | www.CSFL.co.kr | E-mail [email protected]

경기도안양시동안구시민대로401,1102호(관양동,대륭테크노타운15차)TEL 031-389-0380 | FAX 031-389-0384 | www.CSFL.co.kr | E-mail [email protected]

▶ Scanfrequency:54Hz▶ Min.cellsize:0.21mm▶ Distance:80~140mm▶ Dimensions:49x40x25mm▶ Interface:USB,RS232C

ICR803 2D Image Code Reader

▶ LX-10XP:WindowsXPLX-10CE:WindowsCE6.0▶ 고성능EmbededSoCCPU탑재LX-10XP:1.6GhzIntel®AtomN270LX-10CE:600Mhz+300MhzPrimaChip채택▶ DisplayLX-10XP:10.4인치TFTTouchLCD(1,024x768),LX-10CE:10.2인치TFTTouchLCD(1,024x600)▶ WIFI 802.11 b/g 11/54Mbps 무선 기본지원▶ PLC, Sensor등 Interface가 가능한 Digital IN/OUT 제공LX-10XP:DigitalInput4/RelayOutput4지원,LX-10CE:DigitalInput8/RelayOutput8지원▶ 알루미늄합금케이스로경량화,높은강성을동시에만족하는Tough한산업용Terminal

지게차, 생산라인 제어 설비관리업무용으로 적합한 산업용 PC 출시

▶ Scanfrequency:60Hz▶ Min.cellsize:0.1mm▶ Distance:25~500mm▶ Dimensions:71x43x35.6mm▶ Interface:USB,RS422/485,

RS232,CAN,Ethernet

ICR620 2D Image Code Reader

CLV6xx시리즈 탄생, Powerful-Flexible-Easy to use LX-10 Windows Industrial Terminal

The Global Leader in imaging Solutions신제품, new applications image code Reader

고성능 카메라 시스템 ICR890

Bargraph Display기능 선택

Button

상태표시 LED

회전이 되는

Connector Unit(Ethernet 옵션)

Page 15: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Features▶ EthernetTCP/IP탑재(옵션)▶ TiltBarcode복원기능SMART▶ MicroSDcardslot(Setup저장기능)▶ 기능Button추가▶ AutoFocus(CLV65x)▶ Highscanningfrequencyofupto1,200Hz

Xenon1900 2D Imager▶ 세계가인정한Adaptus5.5기술기반의2D바

코드스캐너▶ 업계최고의MotionTolerance -흔들리거나어두운곳에서도최적의바코드

스캔성능▶ 3Mil바코드스캔가능▶ 유선

Voyager1250g 1D Laser▶ 뛰어난스캐닝능력으로거의모든분야

에서활용가능▶ 사용하기편한유저친화적인디자인▶ 튼튼하고강력한내구성▶ 유선

Xenon1902 2D Imager ▶ 세계가인정한Adaptus5.5기술기반의

2D바코드스캐너▶ 업계최고의MotionTolerance -흔들리거나어두운곳에서도최적의바코

드스캔성능▶ 3Mil바코드까지스캔가능▶ 무선

5180 2D EngineThepowerofAdaptusimagingTechnologyMadeavailabletoOEMmanufacturers.▶ High-performanceandversatiledata collectiontechnologythatcanbeintegrated Intoourcustomer’sproductdesigns.

Vuquest3310g 2D Imager▶ AdaptusImagingTechnology6.0장착으로

향상된성능▶ 다양한분야에쉽게설치가능 -키오스크,포스시스템,ATM기등▶ 스마트폰모바일바코드스캔가능▶ 유선

Genesis7580g 2D Imager▶ CodeSelect기술로단한번의플래쉬로

최대일곱가지바코드인식가능▶ 고속으로이동하는상품의바코드를빠른

속도로판독▶ BOX형디자인으로탁상용으로적합▶ 유선

▶ 손상된Barcode도Reading이가능한SMARTDecoder기능탑재

Micro SD Memory Card Slot Cover(opened)

Memory cardparameter set 저장기능(Optional)

▶ Lineararrayofhigh-powerLEDs▶ Largeapertureilluminationoptics▶ Optimizedforreadingdistancesupto3m▶ 구겨진라벨에대한강화된성능▶ 손상된start/stop캐릭터자동복구▶ Highlinerateof19kHz

경기도안양시동안구시민대로401,1102호(관양동,대륭테크노타운15차)TEL 031-389-0380 | FAX 031-389-0384 | www.CSFL.co.kr | E-mail [email protected]

경기도안양시동안구시민대로401,1102호(관양동,대륭테크노타운15차)TEL 031-389-0380 | FAX 031-389-0384 | www.CSFL.co.kr | E-mail [email protected]

▶ Scanfrequency:54Hz▶ Min.cellsize:0.21mm▶ Distance:80~140mm▶ Dimensions:49x40x25mm▶ Interface:USB,RS232C

ICR803 2D Image Code Reader

▶ LX-10XP:WindowsXPLX-10CE:WindowsCE6.0▶ 고성능EmbededSoCCPU탑재LX-10XP:1.6GhzIntel®AtomN270LX-10CE:600Mhz+300MhzPrimaChip채택▶ DisplayLX-10XP:10.4인치TFTTouchLCD(1,024x768),LX-10CE:10.2인치TFTTouchLCD(1,024x600)▶ WIFI 802.11 b/g 11/54Mbps 무선 기본지원▶ PLC, Sensor등 Interface가 가능한 Digital IN/OUT 제공LX-10XP:DigitalInput4/RelayOutput4지원,LX-10CE:DigitalInput8/RelayOutput8지원▶ 알루미늄합금케이스로경량화,높은강성을동시에만족하는Tough한산업용Terminal

지게차, 생산라인 제어 설비관리업무용으로 적합한 산업용 PC 출시

▶ Scanfrequency:60Hz▶ Min.cellsize:0.1mm▶ Distance:25~500mm▶ Dimensions:71x43x35.6mm▶ Interface:USB,RS422/485,

RS232,CAN,Ethernet

ICR620 2D Image Code Reader

CLV6xx시리즈 탄생, Powerful-Flexible-Easy to use LX-10 Windows Industrial Terminal

The Global Leader in imaging Solutions신제품, new applications image code Reader

고성능 카메라 시스템 ICR890

Bargraph Display기능 선택

Button

상태표시 LED

회전이 되는

Connector Unit(Ethernet 옵션)

Page 16: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티켓 프린터

▶ 최대 30매까지 티켓 적재 가능▶ 인자 속도 최대 180mm/sec▶ 용지폭 45~82.5mm 가변대응▶ 용지두께 65~150μm 대응▶ 최대 Φ180mm 대형롤지 사용가능

TSP1000 Series

▶ 외장 티켓 사용 가능▶ 인자 속도 최대 180mm/sec▶ 용지두께 65~150μm 대응▶ 티켓프린터 초소형 모델

TSP800II Series

서울시 강서구 등촌동 680-5 영광빌딩 205호 TEL : 02-3661-2070 | FAX : 02-3661-2199 | www.sprintech.kr | E-mail : [email protected]

서울시 강서구 등촌동 680-5 영광빌딩 205호 TEL : 02-3661-2070 | FAX : 02-3661-2199 | www.sprintech.kr | E-mail : [email protected]

키오스크 프린터 Always leading, Always Innovating

적용

TUP900/TUP500 Series

▶ 키오스크 대응 최적 모델▶ 프리젠터 탑재로 용지잼 방지 및 회수▶ 용지폭 TUP900 58~112mm 가변대응▶ 용지폭 TUP500 45~82.5mm 가변대응▶ 최대 Φ254mm 대형롤지 사용가능

▶ 스캐너 유닛 및 무효처리 시스템 탑재 : 발권 과정에서 인쇄 결과 검증 기능 ▶ SPEED MAX. 300mm/s▶ 200mm 대형 롤 용지 사용 가능▶ 향상된 보관함 기능으로 티켓 100매 적재▶ 소프트 전원 스위치 장착▶ Linux용 Star I/O 지원

▶ 고속 인자 및 높은 해상도 출력▶ 라벨 분리기능 표준 탑재▶ Drop-In 방식으로 간단한 용지 셋팅▶ 용지폭 45~112mm 가변대응▶ 최대 Φ110mm 롤지 사용가능▶ Dual 인터페이스 지원(USB/Serial)

레고처럼 다양하게 변환하여 사용 가능

TSP828L Series

최고의 키오스크를 검증된 STAR정밀의 첨단기술과 더불어!!! 신뢰성 높은 인쇄시스템으로 검증된 STAR정밀의 첨단 기술과 더불어!!!

TCP300II Series

복권 및 게임

유통 Coupons & Promotions

티켓 및 항공권

2013년 신제품

Lottery PrinterTSP-L11(스캐너 탑재 모델)

라벨 프린터

적용

티켓의 유효성을 처리하는 무효처리시스템

Page 17: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티켓 프린터

▶ 최대 30매까지 티켓 적재 가능▶ 인자 속도 최대 180mm/sec▶ 용지폭 45~82.5mm 가변대응▶ 용지두께 65~150μm 대응▶ 최대 Φ180mm 대형롤지 사용가능

TSP1000 Series

▶ 외장 티켓 사용 가능▶ 인자 속도 최대 180mm/sec▶ 용지두께 65~150μm 대응▶ 티켓프린터 초소형 모델

TSP800II Series

서울시 강서구 등촌동 680-5 영광빌딩 205호 TEL : 02-3661-2070 | FAX : 02-3661-2199 | www.sprintech.kr | E-mail : [email protected]

서울시 강서구 등촌동 680-5 영광빌딩 205호 TEL : 02-3661-2070 | FAX : 02-3661-2199 | www.sprintech.kr | E-mail : [email protected]

키오스크 프린터 Always leading, Always Innovating

적용

TUP900/TUP500 Series

▶ 키오스크 대응 최적 모델▶ 프리젠터 탑재로 용지잼 방지 및 회수▶ 용지폭 TUP900 58~112mm 가변대응▶ 용지폭 TUP500 45~82.5mm 가변대응▶ 최대 Φ254mm 대형롤지 사용가능

▶ 스캐너 유닛 및 무효처리 시스템 탑재 : 발권 과정에서 인쇄 결과 검증 기능 ▶ SPEED MAX. 300mm/s▶ 200mm 대형 롤 용지 사용 가능▶ 향상된 보관함 기능으로 티켓 100매 적재▶ 소프트 전원 스위치 장착▶ Linux용 Star I/O 지원

▶ 고속 인자 및 높은 해상도 출력▶ 라벨 분리기능 표준 탑재▶ Drop-In 방식으로 간단한 용지 셋팅▶ 용지폭 45~112mm 가변대응▶ 최대 Φ110mm 롤지 사용가능▶ Dual 인터페이스 지원(USB/Serial)

레고처럼 다양하게 변환하여 사용 가능

TSP828L Series

최고의 키오스크를 검증된 STAR정밀의 첨단기술과 더불어!!! 신뢰성 높은 인쇄시스템으로 검증된 STAR정밀의 첨단 기술과 더불어!!!

TCP300II Series

복권 및 게임

유통 Coupons & Promotions

티켓 및 항공권

2013년 신제품

Lottery PrinterTSP-L11(스캐너 탑재 모델)

라벨 프린터

적용

티켓의 유효성을 처리하는 무효처리시스템

Page 18: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Page 19: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Page 20: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Page 21: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손 안에 리더, 스마트폰을 통해 NFC태그에 정보를 입력하거나 내장된 정보를 인식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소사본동 65-11번지 소사프라자 103호

TEL : 032-343-1881 FAX : 032-343-1855 www.u-mck.co.kr E-mail : [email protected]

NFC Total Solution은 ㈜유맥과 함께

Near Field Communication ServiceMobile NFC Application & Direct Call

Mobile NFC Promotion

UMCK NFC APPLICATION 설치

▶▶ Play 스토어 – UMCK NFC 검색▶▶ 다운로드▶▶ NFC Tag Write / Read 기능▶▶ vCard, URL, 전화번호 등을

NFC Tag에 입력

0 3 2 3 4 3 1 8 8 1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NFC태그에 원하는 정보입력

스마트폰을 갖다 대기만 하면 태그

에 입력된 번호로 바로 통화연결

버스 및 지하철 광고에 NFC 태그를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제품 정보 제공 가능

키홀더 등 다양한 액세서리에 NFC태그를 삽입하여 보다 효과적인 기업홍보 가능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소사본동 65-11 103호전화 : 032-343-1881 팩스 : 032-343-1855Homepage : www.u-mck.co.kr

Page 22: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Page 23: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높은 곳?보이지 않는 곳?

‘스윙’ 이라면!

응 용 구 분 응 용 상 세 지 원 기 능

정수점검 검색

옥내외 시설물관리 도로 표지판관리, 간판관리, 옥내 중계기관리

도서 및 문서관리 검찰청 기록물 관리 – 조달청 ‘나라장터’ 등록

기타 의약품 재고관리, 재물관리, 창고관리, 의류관리

경기도 군포시 당정동 16-1 한솔테크노타운 507호 TEL : 031-427-3037 | FAX : 031-427-3039 | www.nethom.co.kr | E-mail : [email protected]

제품사양UHF 900MHz EPC Class1 Gen2 지원

지향성 안테나 내장 : 특정 태그 검색 및 추적 가능 (70̊ 의 좁은 빔폭)

Bluetooth, USB 통신 : 스마트폰(Android, CE), PDA, 노트북 등과 연동

Dimensions : 430 x 190 x 18 mm, 350g

여기있군 ^_^;

?RFID HanDHelD ReaDeR SWInG

인식거리 향상기존 자사제품 대비 50% 증가

라벨태그 : 8 ~ 10m

메탈태그 : 6 ~ 9m

대용량 배터리 업그레이드 최대 5시간 연속 사용

다목적 디스플레이태그 개수 표시

인식 태그ID 표시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리더 RF 출력 표시

NEW

Page 24: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Page 25: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 UHF 대역▶▶ 콘크리트 매립용: 125 ℃ ~ 200 ℃

▶▶ UHF, 13.56MHz▶▶ 카드형

▶▶ 온습도 센서 노드▶▶ 2.45 GHz▶▶ 인식거리: 100~600m

온도센서 태그, 온습도센서 노드

특수 태그(고온 태그, 메탈 태그)

능동형(active) 태그, RTLS 제품, 카드형

기타

▶▶ UHF 대역▶▶ 고온용: 125 ℃ ~ 200 ℃▶▶ 인식거리: 3~5미터

▶▶ UHF 대역▶▶ 파이프용: 125 ℃ ~ 200 ℃

서울시 강남구 대치4동 889-5 상제리제센터 A-609 | TEL : 02-2051-2636 | www.ubrf.co.kr

▶▶ 2.45GHz▶▶ 능동형 태그▶▶ 인식거리: 15미터▶▶ 영국 제품

▶▶ RTLS 제품▶▶ UBISENSE사 제품▶▶ 인식거리: 30미터▶▶ 오차범위: 30cm

▶▶ e-seal▶▶ 2.45GHz

▶▶ UHF

▶▶ RFID 리더

▶▶ 메모리 버튼

▶▶ UHF 대역▶▶ 인식거리: 5~10m

▶▶ 13.56MHz▶▶ 인식거리: 30cm

Page 26: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Contents2013.3 MONTHLY AIDC MACHINE VISION

심플하고 더 스마트하게지금 사용해 보십시오! 마이크로스캔의 차세대 머신비전 소프트웨어는 강력한 비전 검사 툴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AutoVISION TM 2.0

마이크로스캔 한국지사 TEL : 031-789-0835 | FAX : 031-786-0833 | E-mail : [email protected] | www.microscan.com

▶▶ 비전 툴을 마우스로 드래그

바코드 판독에서 비전 검사 툴까지

▶▶ 확장성

비전 전문가를 위한 프로젝트까지

▶▶ 하위 호환성

시간, 노력, 투자에 대해 보호

▶▶ 멀티 job 지원

Job을 여러 개 저장, 상호 이동 가능

▶▶ GS-1 바코드

GS-1 구문 검증 및 분석

▶▶ Web HMI

웹화면을 통해 모니터링

▶▶ Angle, Shape count

고급 비전 검사 툴 추가

더 스마트해진 AutoVISION 2.0의 새로워진 기능

1. 1D와 2D 바코드 ISO 품질 검증

바코드의 판독은 기본, 스마트 카메라로서 스캐너와 품격을 달리 하기 위한 한층 업그레이된 기능입니다.

특히, 2D Datematrix 바코드를 발명한 업체로서 ISO 표준을 준수하는 검증 알고리즘으로 적용, 바코드의 확신한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2. 인쇄된 문자와 로고의 OCV 품질

인쇈된 문자와 로고의 품질을 검증하기 위한 OCV 검사툴은 라벨 뿐 아니라 직접 마킹된 반도체 부품에

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AutoVISION을 통해 더욱 심플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AND와 OR 로직 툴 추가

여러개의 검사툴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경우, 검사 결과를 로직 툴을 사용하여 조합할 수 있습니다.

4. 외부 시스템과의 연결성 및 제어성 강화

EtherNet/IP를 지원하는 PLC를 통해 내부 설정값들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리얼 및 이더넷 통신을 통해 명령어만으로도 내부 설정값을 변경하거나, 멀티 잡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Page 27: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Contents2013.3 MONTHLY AIDC MACHINE VISION

심플하고 더 스마트하게지금 사용해 보십시오! 마이크로스캔의 차세대 머신비전 소프트웨어는 강력한 비전 검사 툴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AutoVISION TM 2.0

마이크로스캔 한국지사 TEL : 031-789-0835 | FAX : 031-786-0833 | E-mail : [email protected] | www.microscan.com

▶▶ 비전 툴을 마우스로 드래그

바코드 판독에서 비전 검사 툴까지

▶▶ 확장성

비전 전문가를 위한 프로젝트까지

▶▶ 하위 호환성

시간, 노력, 투자에 대해 보호

▶▶ 멀티 job 지원

Job을 여러 개 저장, 상호 이동 가능

▶▶ GS-1 바코드

GS-1 구문 검증 및 분석

▶▶ Web HMI

웹화면을 통해 모니터링

▶▶ Angle, Shape count

고급 비전 검사 툴 추가

더 스마트해진 AutoVISION 2.0의 새로워진 기능

1. 1D와 2D 바코드 ISO 품질 검증

바코드의 판독은 기본, 스마트 카메라로서 스캐너와 품격을 달리 하기 위한 한층 업그레이된 기능입니다.

특히, 2D Datematrix 바코드를 발명한 업체로서 ISO 표준을 준수하는 검증 알고리즘으로 적용, 바코드의 확신한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2. 인쇄된 문자와 로고의 OCV 품질

인쇈된 문자와 로고의 품질을 검증하기 위한 OCV 검사툴은 라벨 뿐 아니라 직접 마킹된 반도체 부품에

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AutoVISION을 통해 더욱 심플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AND와 OR 로직 툴 추가

여러개의 검사툴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경우, 검사 결과를 로직 툴을 사용하여 조합할 수 있습니다.

4. 외부 시스템과의 연결성 및 제어성 강화

EtherNet/IP를 지원하는 PLC를 통해 내부 설정값들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리얼 및 이더넷 통신을 통해 명령어만으로도 내부 설정값을 변경하거나, 멀티 잡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Apple iOS 5.0, Android 2.2 above(as of April 2013)

ARETE POPSmART RFID DOnglE READER

※ 견│적│문│의 TEL : 042 864 2402 | Email : [email protected] | www.arete-mobile.com

Page 28: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31 EDITOR’s NOTE RFID/USN산업활성화위해박근혜정부에바라는것들

46 EXPERT COLUMN NFC핵심특허분석(1)

32 FOCUS RFID 7월1일부터전문의약품RFID태그나바코드부착의무화 큐빗,“스타시스템으로싱가포르썬텍시티VIP고객관리”

76 FOCUS NFC 스마트엠태그,‘NFC샘플스와치’로섬유브랜드가치높여

35 FOCUS BARCODE PRINTER 다양한라벨프린터,어떻게구분될까?

36 FOCUS ID CARD PRINTER 올바른ID카드프린터선택방법은?

66 FOCUS MACHINE VISION 스마트카메라,PC기반비전시스템에도전장

COVER STORY2013년 국내 RFID/USN 시장 규모 ‘8356억 원’

Contents2013.5 MONTHLY AIDC MACHINE VISION

바코드,RFID,마킹/코딩,스마트카드,머신비전

32

38

Page 29: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Contents2013.5 MONTHLY AIDC MACHINE VISION

DataMan 50L을 만나보세요. 전자산업을 위해

최고의 성능을 제공하는 초소형 바코드 리더기.

크기가 작다고 성능이 낮은 것은 아닙니다. DataMan® 50L은 소형 리더기이지만 탁월한 바코드 판독

성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크기는 23.5mm x 27mm x 43.5mm에 불과하고, IP65-등급의 하우징을

갖추고 있는 DataMan 50L은 1D 기반의 바코드 판독을 위해 설계된 최첨단 제품입니다. DataMan 50L은 코그넥스(Cognex)의 독보적인 Hotbars™ 이미지 분석 기술을 통해 99%를 능가하는 판독률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DataMan 50L은 소형 레이저 바코드 스캐너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www.cognex.com/50L에서 확인해 보세요.

한계를 넘어선

소형 리더기의 거대한 혁명

코그넥스 코리아 서울시 강남구 삼성 2동 144-23 연당빌딩 3층 | Tel: (02) 539-9047 | Fax: (02) 539-9592 | 웹사이트: www.cognex.co.kr | 이메일: [email protected]

코드를 스캔하면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Page 30: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발 행 일2013년5월1일

등 록 일2012년3월5일

등록번호강남라00576

통 권제15호

발 행 인김진희

편집인 김진희 [email protected]

취재기자 하준철 [email protected]

손동완 [email protected]

마케팅 하준철 [email protected]

디자인 박진경 [email protected]

인쇄처 예원프린팅 031-906-6551

발행처 (주)인더스트리솔루션

서울시 마포구 마포동 236-1 덕성빌딩 2층

56

Contents2013.5 MONTHLY AIDC MACHINE VISION

52 FOCUS COMPANY 청호컴넷,RFID토탈솔루션업체로‘부상’

65 CASE STUDY 독일의류업체들,RFID확산시동...RFID도입대세

68 TECHNICAL REPORT 가전분야RFID적용매뉴얼(3) 보다걍력해진ID:기술혁신을통해새롭게도약한이미지기반바코드리더

77 NEWS INSIGHT BARCODE NEWS INSIGHT RFID NEWS INSIGHT NFC NEWS INSIGHT MACHINE VISION

89 국내자동인식/마킹/머신비전대표기업리스트

SPECIAL REPORT2013년 유비쿼터스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은?

INTERVIEW “투테크, 지워지지 않는 바코드 라벨과 레이저 라벨 프린터로

신시장 창출”

정기구독및광고문의

070-4120-9713 는도서잡지윤

리강령및실천요강을준수합니다.

에게재된모든

자료는사전허가없이무단복제,변형돼

사용할수없습니다.

바코드,RFID,마킹/코딩,스마트카드,머신비전

54

Page 31: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Contents2013.5 MONTHLY AIDC MACHINE VISION

FARGO® HDP8500 산업용 카드 프린터/인코더는내구성, 신뢰성, 고보안성의 정부의신분증 발급을 위한 기준을 강화합니다.

새로운 수준의강력한 고성능 인쇄

대량의 광범위한 정부의 신분증 발급의 경우, 그 어떤 것도 FARGO ® HDP8500처럼 당신의 성공에 대한 기준을 만족시킬 수 없습니다. 가장 엄격한 환경 조건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견고한 HDP8500은 운영 편리성과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습니다. 인쇄 소모품과 시스템에 대한 액세스는 인증 받지 못한 유저로부터 보호됩니다. 카드 소지자의 데이터는 AES-256 암호화, Resin-삭제 기능과 내구 성 및 템퍼에비던트 (Tamper-Evident) 기능을 가진 High Definition Printing™(HDP®) 기술을 통해 발급 전부터 발급 이후까지 철저하게보안이 이뤄집니다. 당신의 신분증에 품질과 진실성을 확보하십시오. HD P8500으로 보다 향상된 프린터 성능을 경험하십시오.

당신의 광범위한 신분증 발급에 대한 생산성, 신뢰성, 보안성을 강화하는 방법을 찾아보십시오 . hidglobal.com/hdp-avw 에서화이트 페이퍼를 다운로드 받거나 02-2051-1918 또는 [email protected] 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C

M

Y

CM

MY

CY

CMY

K

HID HDP8500 (June 2012) edit.pdf 1 1/18/13 11:28 AM

Page 32: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Page 33: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33 2013. MAY

한국RFID/USN융합협회의 국내 RFID/USN 산업 실태조사

에 따르면, 올해 국내 RFID/USN 시장 규모가 작년보다 18.3%

증가한 약 9,445억 원으로 전망됐다. 내수 총액의 경우, 18% 증

가한 약 8,356억 원, 수출 총액은 20.7% 증가한 약 1,089억 원

으로 예상됐다.

올해 수치상으로 보이는 국내 RFID/USN 산업은 긍정적으

로 보이지만, 초반 분위기는 다르게 흐르는 양상이다. 박근혜

정부의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지면서 전반적인 RFID/USN 관

련 정책을 담당하는 부서의 조직 구성도 늦어지진 것도 영향

을 주는 것 같다.

물론, 매년 상반기보다는 하반기에 기대가 컸던 만큼 새삼스

러울 것은 없다는 분위기지만 새로운 정부에서 미래창조과학

부에서 ICT 차관을 두고 IT 육성을 위해 발벗고 나서는만큼

RFID/USN 관련 확산사업과 함께 정책적인 지원도 활발히 이

뤄질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RFID/USN 시장을 육성코자 한다면 이

들 산업군에 속한 기업들이 정부에 요청하는 지원사항을 귀담

아 들을 필요가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RFID 기업들은 가장

지원할 필요가 있는 산업으로 ‘확산사업 확대’를 꼽았다. 무려

35.3%가 이같이 답했고, 이어 ‘개발 및 도입 자금지원’이 19%,

‘R&D사업 확대’가 17.4%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밖에 표준화 지

원, 해외진출 지원, 기술인력양성 지원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

사됐다.

USN 기업의 정부지원 요청사항은 ‘확산사업 확대’이라는 응

답이 33%로 높게 나타났으며, ‘개발 및 도입자금 지원’이 25.2%,

‘R&D사업 확대가 20% 순으로 조사됐다.

이와함께 정부는 법제도화를 통해 의무화를 하는 것이 필요

하다. 향정신성 의약품의 유통관리를 위해 RFID 도입 의무화

가 추진되고 있는 것과 같이 이 기술 도입 의무화를 추진할만한

항목을 지속적으로 찾아낼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감염성 폐기

물 관리와 조달물품 관리를 위해 RFID 도입이 의무화된 만큼

RFID의 효용성이 입증됐기 때문이다. 현재 바코드 혹은 수기

를 통해 비효율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영역을 찾아내 RFID 도

입으로 효과를 볼 수 있는지 판단해 보는 것도 필요해 보인다.

기업들의 RFID/USN 도입에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책도 고심해야 할 것 같다. 일부 동기부여책이 마련돼 있기

는 하지만 실용적인지 여부를 따져보고 재정립하는 방안도 고

려해 볼만하다. 특히, 이러한 지원책들이 제대로 홍보되지 않은

점은 없지 않았는지 살펴봐야 한다.

국내외 다양한 RFID 도입 성공사례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역할도 필요하다. 정부가 적극적인 수요발굴을 추진하고 있는

7대 분야에 대해서도 전시회나 세미나를 마련해서 정부의 정책

은 물론, 이 영역에서 RFID로 가능한 솔루션과 서비스도 적극

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박근혜 정부에서는 활발한 ICT 정책 속에서 RFID/USN 산

업이 꽃을 피울 수 있을지 주목된다.

EDITOR’s NOTE

RFID/USN 산업 활성화 위해

박근혜 정부에 바라는 것들

김진희 편집장 | [email protected]

Page 34: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34

초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는

2013년 4월 8일부터 2,400여 의약품 제조/수입사, 도매업체를 대

상으로 서울 등 전국 5개 지역을 순회하면서 RFID 태그 정보 연

계방안 등 의약품종합정보시스템 개편 내용 공유를 위한 설명

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5월부터 새롭게 서비스되는 의약

품종합정보시스템의 조기 안정적 정착을 위한 것으로, 참석자

의 편의와 수용인원 등을 고려하여 5개 권역으로 나누어 시스

템 변경내용을 공유하고 시스템 시연을 실시했다. 올 3월 28일

에는 RFID도입 의약품 제조사 7개소와 32개 의약품관리 SW공

급업체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겸한 간담회를 실시하여 개편내용

을 공유하고 의견수렴을 한 바 있다. 의약품종합정보시스템 개편

은 보건복지부 고시(제2011-58호) ‘의약품 바코드와 RFID tag

의 사용 및 관리요령’에 의거 2013년 1월 1일부터 국내에서 제조

하거나 수입해 국내에서 유통하는 의약품에는 의약품바코드 또

는 RFID 태그를 선택해 표시하거나 부착해야 하고, 전문의약품

에 로트(제조)번호, 유통기한 표기가 의무화됨에 따라 추진됐다.

주요 개편 내용은 ① 제조/수입사에서 RFID 태그 부착 의약

품에 대해 출고 전(前)에 의약품정보센터에 로트(제조)번호, 유

통기한을 보고하고, 의약품정보센터는 이를 도매업체 등에 제공

하는 ‘의약품유통정보연계시스템’ ② 식약청에서 규격(함량)/중금

속시험 부적합 등으로 회수/판매 중지된 의약품정보를 공급업체

관리프로그램과 실시간 연동해 의약품 출고(出庫)시점에서 차단

하는 ‘위해의약품차단시스템’ ③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시 오류감

소를 위한 공급업체 ‘자체점검 프로그램’ 제공 ④ ‘의약품유통통

계정보공개시스템’ 등이다.

의약품종합정보시스템이 본격적으로 서비스 되면 안전성에 문

제가 있는 의약품을 시중에 공급되기 이전에 차단함으로써 위해

의약품의 유통/확산을 방지해 의약품 공급업체에 대한 행정처분

방지는 물론 국민의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도모하게 된다. 또한,

의약품 유통 통계정보를 신속하게 공개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 의약품 RFID 유통정보를 연계해 의약품 공

급업체에 원활한 업무지원 기반을 마련하는 등 의약품 유통 선

진화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의

약품정보센터 관계자는 말했다.

다음은 여러 차례 개최된 의약품관리종합정보시스템 설명회

에서 나온 질의응답(Q&A)을 정리해봤다.

Q. 2013. 1. 1.부터 시행되는 의약품 바코드 또는 RFID 태그

관련 규정 내용은 무엇인가?

A. 2013. 1. 1.부터 전문의약품에 확장바코드(GS1-128: 표준

코드에 최대유통일자, 제조번호 추가) 표시가 의무화됐다. RFID

태그 부착 의약품은 일련번호 정보이므로, 최대 유통일자, 제조

번호 정보를 출고전 의약품정보센터에 반드시 송부해야한다. 관

련근거는 ‘의약품 바코드와 RFID tag의 사용 및 관리요령’을 참

고하면 된다.

Q. 바코드 표시 또는 RFID 태그 부착과 최대 유통일자 및 제

조번호의 기록·관리는 무엇이 다른가?

A. 먼저 바코드 표시 또는 RFID 태그 부착의 경우, 의약품 제

조/수입사의 의무이며, 2013년 1월 1일부터 전문의약품에 확장

바코드(GS1-128: 최대 유통일자, 제조번호)를 내/외 포장에 바

코드 표시 또는 RFID 태그 부착을 해야 한다.

최대 유통일자 및 제조번호 기록관리의 경우는 의약품 도매

7월 1일부터 전문의약품

RFID 태그나 바코드 부착 의무화도매 유통업체들 2D/RFID 듀얼 리더기 구입해야

FOCUS RFID

Page 35: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35 2013. MAY

업체의 의무로, 2013년 1월 1일부터 의약품 입출고시 지정 및 전

문의약품에 대해 최대 유통일자와 제조번호를 기록/관리해야 한

다. 다만, 지정의약품을 제외한 전문의약품의 최대 유통일자 및

제조번호의 기록/관리에 대해서는 2013년 6월 30일까지 계도기

간을 부여했다.

Q. 규모가 큰 도매업체는 대량의 물량이 출하되는데 최대 유

통일자와 제조번호를 일일이 기록/관리해야 하나?

A. 규모에 따라 물량이 많은 대형 도매업체는 일시에 인식할

수 있는 장비 도입을 검토하는 등 고시에 따른 준비와 실행이 이

뤄져야 한다. 의약품 최대 유통일자, 제조번호는 의약품의 위조,

불법유통 방지 등 의약품 안전성과 유통 투명화 향상을 위한 정

책으로, 의약품 도매업체 등의 준비를 감안해 연도별, 의약품 분

류별 의무화사항 로드맵을 2008년부터 미리 고시해 준비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별표6]의약

품 유통품질 관리기준 4. 공급관리’에 따라 기록/관리해야 한다.

Q. 입고된 의약품 바코드 등 정보를 리더기로 읽었을 때 바코

드 정보가 다르거나 포장과 직접용기의 정보가 상이하여 관

리에 어려움이 있다. 어떻게 해야 하나?

A. 제약사에서 의약품 출고 직전 확인과정이 있으나, 일부 제

품에서 오류가 발견되는 사례가 있다. 의약품 도매업체에서 의

약품 표시 기재사항 오류 발견시 해당 제조/수입사에 반품하되,

제약사는 수정/출고되도록 협조해줘야 한다.

Q. 의약품에 표기된 정보가 오류일 경우의 책임 소재는?

A. 의약품 포장 및 표시기재 의무는 의약품 제조/수입사에

있다. 관련근거는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제69조를 참

조하면 된다.

Q. 의약품 바코드표시 또는 RFID 태그 오류가 발견된다. 대

책은?

A. 의약품정보센터에서는 올바른 의약품 바코드표시 관리를

위해 매년 실태조사 및 설명회를 실시하고 있으며, 조사결과 해

마다 많이 향상돼 제약사의 규정 준수가 비교적 잘 이뤄지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나고는 있다. 다만, 연도별로 단계적으로 바코드

등의 표시기재 사항이 세분화돼 있음에 따라 제약사와 협조해

보다 정확한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 한편, 2013년 1

월 1일부터 바코드 표시 또는 RFID 태그 부착을 선택할 수 있음

에 따라, 리더기 제품에 따라서는 RFID 태그를 읽지 못하는 경

우가 있어 RFID 태그 부착 의약품을 취급하는 도매업체는 2D/

RFID 듀얼 리더기 등 적합한 리더기 구입이 필요하다.

Q. 유통과정에서 바코드 또는 RFID 태그가 파손된 경우는?

A. 의약품 유통 중 표시의 오류나 파손은 불량품이므로 반

품 처리하면 된다.

Q. 의약품 입고 제품과 명세서 내역이 상이한 경우 처리는?

A. 도매업체마다 검수 의무가 있다. 확인결과 상이하다면 해당

제약사에 영수증 재발행 요청을 해야 한다.

의약품 RFID리더기 개발 기업 및 제품 현황(2013. 4. 17(수) 현재)

구분 기업명 리더기 모델명개발완료 연락처

시 기 전화번호

개발 완료

(주)디오텔 DOTR-900 / DOTH-300U 완료 010-2732-7818

(주)청호컴넷 CMR-400A 완료 02-3670-7607

㈜유타렉스 SecretCode-PLUS+ 완료 010-5192-0911

KIC시스템즈(주)U9-4000(분리형, 휴대형 타입) 완료

02-866-1188

02-866-1188U9-4200(분리형_소형, 휴대형 타입) 완료

LS산전(주) XCODE-IU9060 완료 010-2384-5160

개발

예정

세연

테크놀로지(주)Juno7-900W, SKY900BLU 2013. 5월말 02-3418-3030

㈜유타렉스 SecretCode-PLUS2 2013. 5. 15 010-5192-0911

Alien Technology Asia Si203 2013. 4월말 010-3261-3051

KIC시스템즈(주) U9-4100(일체형, 휴대형 PDA타입) 2013. 5월초 02-866-1188

Page 36: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36

‘RFID기반 VIP관리 시스템’ 환영 개념도

국내 RFID 전문기업인 큐빗(대표: 김종우/www.qbit.ne.kr)이

지난 10일 싱가포르에 위치한 고급복합몰인 썬텍시티 리모델링

프로젝트에 스타시스템을 활용해 RFID 시스템 구축을 성공적

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큐빗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썬텍시티

를 찾는 VIP 고객을 위한 것으로, 썬텍시티의 VIP고객은 RFID

태그를 지니고 정문에 들어서면 전면의 거대한 화면에 고객의 이

름을 포함한 환영메세지와 고객을 위해 특별히 준비한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됐다. 큐빗의 스타시스템이 VIP고객의 RFID 태

그를 인식하면 그 정보를 영상장비로 전송해 수백개의 LCD 패널

을 연결한 대형화면에 표시해 주기에 가능한 일이다.

큐빗 김종우 대표는 “이는 최대 200미터 거리의 패시브 태그

를 읽을 수 있는 스타 리시버의 뛰어난 성능때문에 다른 RFID

리더의 인식거리를 뛰어넘는 원거리에서 안정적으로 태그의 인

식이 가능했다”며 “LG디스플레이와 함께 썬텍시티의 요구를 충

족시킬 수 있어서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선텍시티는 스타시스템

의 도입을 통해 고객이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혁신적인 서비스

를 제공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로써 스타시스템이 기존 제조기업 기반의 공급망, 물류관리

등 산업분야 이외에도 미디어, 보안, 인증 등 다양한 분야에 매

우 유용하다는 것이 입증됐다. 김 대표는 ”이번 구축 경험을 토

대로 앞으로 아시아 시장 공략을 더욱 강화하고 RFID 시스템을

다양한 분야에 접목하여 침체된 국내 RFID 시장을 확대해 나

가겠다”고 밝혔다.

큐빗에 따르면, 스타시스템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

하다. 현재 도로 하이패스에도 바로 적용 가능하며, 자동차와

같이 빠르게 이동하는 사물에도 나사의 위성 신호 수신 기술이

적용되어 기존 리더기 보다 10만배 뛰어난 감도인 스타시스템을

사용해 전력 공급이 필요없는 패시브 태그를 사용해 100% 인

식이 가능하다. 회사 관계자는 “하이패스 단말기를 큐빗 스타

시스템으로 대체할 경우 만원 이하의 저렴한 태그를 사용해 사

용자의 부담을 10배이상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같은

큐빗 스타 시스템은 차세대 RFID 기술로 인정받고 있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썬텍시티는 홍콩의 투자가들이 1997년 홍콩의 중국반

환에 대비한 자본이전의 일환으로 합작건립한 초대형 복합건물

단지로 싱가포르 정부가 썬텍시티 준공에 맞춰 기념우표를 제작

할 정도로 싱가포르의 기념비적인 건축물로 인정받는 곳이다.

이 가운데 큐빗의 스타시스템이 적용된 ‘싱가포르 국제 전시장

(Singapore International Convention Exhibition Center)은

싱가포르 최대 철골 구조물로 유명하다.

큐빗,

“스타시스템으로 싱가포르 썬텍시티 VIP 고객 관리”싱가포르의 상징인 썬텍시티에 RFID기반 지능형 미디어 시스템 구축

초점 FOCUS RFID

스타시스템 기반 ‘RFID VIP관리 시스템’설치 후 테스트 현장

Page 37: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37 2013. MAY

귀사의 비즈니스를 위한 가장 이상적인 라벨 프린터가 무엇인

지 알고 있는가? 일반적으로 라벨 프린터는 10가지 종류로 구분

해 볼 수 있으며, 이 중에서 필요로 하는 프린터를 선택하면 된다.

오늘날 비즈니스 셋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으로 진보된 장비와

도구의 영역은 광범위하다. 라벨 프린터는 전문적인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라벨 프린터는 영구적인 비즈니스 라벨과 표지를 인쇄하는데

사용된다. 비즈니스에 사용할 수 있는 라벨 프린터는 10가지 타

입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1. 표지 및 라벨 프린터(Sign and Label printer : 와이드 포맷)

: 라벨과 종이 위에 사용자가 정의한 사인, 부드러운 비닐 표면

의 표시들을 인쇄한다. 와이드 포맷 기능은 고품질의 인쇄를 보

장하고, 일반적으로 오랜시간에 걸쳐 향상된 기능을 제공한다.

2. 표지 및 라벨 프린터(Sign and Label printer : 광폭) : 홍보

라벨 혹은 대형 신호를 인쇄할 경우, 이 라벨 프린터가 팔요할 것

이다. 이 프린터에 의해 만들어진 라벨은 쉽게 조작할 수 없다.

3. 수축 튜브 프린터(Shrink Tube printer) : 이 프린터의 주요

특징은 쉽게 휴대와 더불어 정밀도와 고해상도 인쇄가 가능하다

는 점이다. 일반적인 표면 인쇄 외에도 이 프린터는 파이프와 케

이블 위에 영구적인 표시를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매끄러

운 인쇄 프로세스가 가능하도록 컴퓨터 연결이 쉽다.

4. 데스크톱 라벨 프린터 : 귀사가 대형 경고 신호, 산업 준수

심볼, 독성 물질의 용기에 부착하는 라벨과 다른 여타 표시를 인

쇄해야 할 경우, 선택하는 첫번째 라벨 프린터가 데스트톱일 것

이다. 이들 제품의 인쇄속도는 최고이며, 인쇄 품질도 상당히 개

선돼 최상급이다.

5. 비닐 커팅 프린터 : 스마트하고 스크패치 방지 레터헤드, 전

문 로고, 복잡한 그래픽 아트 테마를 만들 때 이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작동 또한 상대적으로 쉽다.

6. 멀티컬러 프린터 : 주문에 따른 화려한 인쇄를 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이 프린터는 고해상도 라벨을 생산하

고 비닐 표면과 서로다른 크기의 파이프에도 인쇄할 수 있다. 또

한, 이 라벨 프린터는 사용자 친화적인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7. 오메가 부각기(Omega Embosser) : 이러한 고급 라벨 프

린터는 다양한 표면에 라벨과 표시를 양각하는데 사용한다. 그

것의 메모리 용량과 향상된 인쇄 한계는 특기할만하다. 감열 기

술을 채택함으로써 최고급의 지속적인 인쇄 품질을 보장한다.

8. 감열 바코드 라벨 프린터 : 이 고급 인쇄도구는 편리한 USB

포트, 내구성, 고품질의 전송 케이블을 제공하고 있다. 영구적

인 라벨과 오랜 세월을 견뎌도 건재한 표지를 생성하는데 열전

사 방법을 사용한다.

9. 흑백 프린터 : 표지와 라벨에 여러 색상과 음영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이 라벨 프린터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이

프린터의 인쇄 속도는 인상적이며, 롤 미디어 세팅은 운영 메커니

즘에 더욱 견고성을 더하고 있다.

10. 독립 라벨 프린터 : 대부분 라벨 프린터와는 달리, 이 프린

터는 독립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되는 라벨은 테두

리 그래픽 디자인 설계를 위해 정말 편리하다. 필요한 경우, 컴퓨

터와 노트북에 연결할 수 있다.

귀사가 필요로 하는 최적의 성능과 수명을 보장하기 위해 브

랜드 라벨 프린터를 구입할 수 있다. 귀사의 비즈니스 목적에 부

합하는 다양한 라벨 프린터는 인쇄된 라벨과 표지에 생동감을

불어넣을 것이다.

초점 FOCUS BARCODE

라벨 프린터는 어떻게 구분될까?10가지 타입 중 비즈니스에 가장 이상적인 라벨 프린터 선정해야

Page 38: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38

모든 ID 카드 프린터의 사진을 보면 각기 차별화된 모습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작업에 적합한 ID 카드 프린터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요구에 부합하는지에 따른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도움이 되는 비디오를 참조하거나 사용자 요구에 가장 적합한

ID 카드 프린터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핵심 질문사항을 숙지

하고 있으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첫째, ID 카드를 한 면 혹은 양면 인쇄를 할 것인가? 일부 카

드 프린터는 오직 한면 인쇄만 가능하다. 이 프린터를 보통 ‘단

면(single-sided)’ 프린터라고 한다. 단일 인쇄주기로 카드의

양면에 인쇄할 수 있는 카드 프린터는 ‘양면(dual sided)’ 혹은

‘duplex’라 불린다. 카드의 양면에 컬러와(혹은) 흑백 인쇄를

원할 경우, 양면 카드 프린터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단면과 양

면 프린터는 인터넷을 통해 검색 가능하다.

둘째,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혹은 스마트카드를 인코딩해야

하는가?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는 신용카드나 운전면허증의 뒷

면에 있는 어두운 줄무늬를 말한다. 이러한 스트라이프가 데

이터를 저장하고, 종종 근태 혹은 출입통제 애플리케이션에 사

용된다. 모든 프린터 제조업체는 적어도 일부 프린터를 통해 선

택적으로 마그네틱 인코딩을 제공한다. 향후 마그네틱 인코딩

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프린터를 선택하거나 추가적인 마그

네틱 인코딩 업 프런트를 고려해야 한다. 미리 생각을 해둔다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길이 생긴다.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보다 더 안전하게 더많은 정보를 담는

ID 카드를 필요로하는 경우, 카드 표면에 매장된 메모리칩이 있

는 스마트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스마트카드로 줄어든 비용은

소기업에 메모리 저장 용량을 추가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

사실 모든 프린터 제조업체는 옵션으로 스마트카드 접촉 스테이

션을 제공한다. 프린터 설치 이후 대부분의 스마트카드 접촉 스

테이션을 추가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옵션을 주문하는 것이 좋다.

셋째, 얼마나 많은 ID 카드를 인쇄해야 하는가? 분기 혹은 연

간 단위로 카드를 인쇄하려는 경우, 대량 인쇄를 위해 설계된

프린터를 찾아야 한다. 이러한 프린터는 보통 100개 이상의 카

드를 보관할 수 있는 입출력 카드 호퍼가 있다.

넷째, 얼마나 견딜 수 있는 카드의 내구성을 필요로 하는가?

화학물질에 닿거나 혹은 달아서 마모될 수 있기 때문에 적어

도 1년 이상 카드를 사용해야 한다면, 라이메이션 역량을 갖춘

ID 카드 프린터를 고려해야 한다. 라미네이션 과정에서 얇고 투

명하거나 홀로그램 보호층이 정보와 이미지의 보호를 위해 카

드의 표면에 부착돼 있다. 만약 라미네이션 가능한 프린터를 선

택하면, 100% PVC 카드보다는 합성 PET/PVC 카드를 사용하

는 것이 맞다. 합성 PET/PVC 카드는 라미네이션 과정에서 발

생하는 열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기 때문이다.

다섯째, 시각적인 ID 카드의 보안을 필요로 하는가? 위조 복

제로부터 인쇄된 카드를 보호하는 많은 방법이 있다. 그중 하

나는 중급에서 고급 ID 카드 프린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옵션

라미네이션 스테이션을 사용하는 것이다. 지금 혹은 미래에 카

드의 보안이 필요한 경우에는 라미네이션 가능한 프린터의 구

입을 고려해야 한다.

여섯째, 여러 컴퓨터에서 인쇄할 수 있을 정도로 네트워크가

잘돼 있는가? 대부분 ID 카드 프린터는 USB 인터페이스 표

준을 제공한다. 이더넷 연결 또한 여러 카드 프린터에서 사용

할 수 있다. 많은 프린터는 또한 이더넷 인터페이스와 USB를

제공하고, USB와 함께 Parallel 조합을 사용하기도 한다.

초점 FOCUS CARD PRINTER

올바른 ID 카드 프린터 선택 방법은?도움되는 비디오 참고하거나 여섯가지 핵심 질문사항 숙지할 것

HID global ID 카드 프린터(左)와 지브라 ID 카드 프린터(友)

Page 39: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다양한 사이즈의 태그 제작 가능

박스, 팔레트, 케이스 단위 및 개별 아이템 관리에 효율적

국가 물품자산관리, 의료폐기물, 의약품, 주류, 서적류 및 기록물 관리 등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소사본동 65-11번지 소사프라자 103호

TEL : 032-343-1881 FAX : 032-343-1855 www.u-mck.co.kr E-mail : [email protected]

UHF TAG (900MHz) EPC Global Class1 Gen2 /ISO 18000-6C (860~960Mhz)

물류관리 시스템 (Supply Chain Management)

자산관리시스템 (Asset Management)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소사본동 65-11 103호전화 : 032-343-1881 팩스 : 032-343-1855Homepage : www.u-mck.co.kr

900MHz TAG 전문업체 ㈜유맥

일반 라벨태그 뿐 아니라 금속태그 및 고리형태의 태그를

제작하여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크기의 자산관리 가능

제품명 안테나 사이즈 (mm)

인식거리 칩 정보

휴대용 고정용 제조사 메모리

O-Ring 94 x 12 최대 2.0m 최대 6.0m

NXP G2XL

EPC: 96-bit (240-bit)USER: NONE

Bird 70 x 13.2 최대 1.5m 최대 5.0m

Frog 44 x 20 최대 1.5m 최대 5.0m

Mini 35 x 10 최대 0.3m 최대 1.0m

제품명 안테나 사이즈 (mm)

인식거리 칩 정보

휴대용 고정용 제조사 메모리

Portia 92 x 22 최대 2.5m 최대 6.0m Alien

Higgs 3 EPC: 96-bit (496-bit)

USER: 512-bit Pug 44 x 20 최대 2.0m 최대 5.0m

* 인식거리는 안테나 사이즈 및 리더기 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인식거리는 안테나 사이즈 및 리더기 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Page 40: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40

2012년 RFID/USN관련 총 매출액은 약 7,982억 원으로 전

년 대비 28.1% 증가했고, 2013년에는 18.3% 증가한 약 9,445억

원으로 전망됐다. 여기서 내수 총액의 경우, 2012년은 약 6,230

억 원으로 전년 대비 29.1% 증가했고, 2013년에는 18% 증가

한 약 8,356억 원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함께 2012년 RFID/

USN관련 수출 총액은 약 902억 원으로 전년 대비 21.2% 증가

했고, 2013년에는 20.7% 증가한 약 1,089억 원으로 예상됐다.

COVER STORY

2013년 국내 RFID/USN 시장 규모 ‘8356억 원’협회, 국내 RFID/USN 산업 실태조사 보고서 발표...올해 RFID/USN 수출액 1,000억 돌파 전망

Page 41: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41 2013. MAY

RFID/USN 산업 총 매출액 현황 및 전망(단위 : 백만 원, %)

구 분 2011년2012년 2013년(전망)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계 623,057 798,186 (28.1) 944,483 (18.3)

합 계 내수 548,617 707,985 (29.1) 835,578 (18.0)

수출 74,440 90,201 (21.2) 108,905 (20.7)

RFID

매출액

계 554,147 709,805 (28.1) 813,744 (14.6)

내수 488,559 630,025 (29.0) 724,297 (15.0)

수출 65,588 79,780 (21.6) 89,447 (12.1)

USN

매출액

계 68,910 88,381 (28.3) 130,739 (47.9)

내수 60,058 77,960 (29.8) 111,281 (42.7)

수출 8,852 10,421 (17.7) 19,458 (86.7)

한국RFID/USN융합협회에서 발표한 2012년 국내 RFID/USN

산업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RFID관련 매출액은 전

년대비 28.1% 증가한 약 7,098억 원으로 집계됐고, 2013년에는

14.6% 증가한 약 8,137억 원으로 전망됐다. 각 분야별 매출점

유율은 RFID 리더가 35.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태그가

31.8%, SW는 11.1%, 칩이 6.8% 순으로 집계됐다.

국내 기업의 RFID 사업 분야별 매출 현황(단위 : 백만 원, %)

구 분합계

H/WS/W

컨설팅

기타칩

태그

리더

리안더테용나

프린터

소계

2011년 554,147 31,625 201,015 195,764 5,425 5,751 439,581 82,962 7,110 24,494

2012년

709,805 48,205 226,058 252,066 6,016 5,474 537,819 78,663 8,974 84,349

(28.1) (52.4) (12.5) (28.8) (10.9) (-4.8) (22.3) (-5.2) (26.2) (244.4)

2013년

(전망)

813,744 66,197 247,617 286,462 6,882 8,293 615,451 98,120 7,541 92,632

(14.6) (37.3) (9.5) (13.6) (14.4) (51.5) (14.4) (24.7) (-16.0) (9.8)

2012년 USN관련 매출액은 전년대비 28.3% 증가한 약 884억

원이고, 2013년에는 약 47.9% 증가한 1,307억 원으로 예상됐다.

분야별 매출 점유율을 보면 센서노드가 41.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USN 네트워크가 20.8%로 조사됐다. 이밖에 USN 소

프트웨어가 17.6%, 서비스 인프라가 6.7%로 각각 점유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기업의 USN사업 분야별 매출액 현황(단위 : 백만 원, %)

구 분 합 계 센서노드USN

네트워크USNS/W

서비스 인프라 기타

2011년 68,910 28,358 14,582 13,887 5,357 6,726

2012년

88,381 36,798 18,397 15,512 5,914 11,760

(28.3) (29.8) (26.2) (11.7) (10.4) (74.8)

2013년

(전망)

130,739 67,535 22,639 16,546 8,324 15,696

(47.9) (83.5) (23.1) (6.7) (40.8) (33.5)

RFID/USN 관련 수출은 연평균 20% 정도 증가해 2012년

902억 원, 2013년 약 1,089억 원으로 예상되며, 수입은 2012년

에 전년대비 9% 증가한 188억 원에서 2013년 28% 증가한 240

억 원으로 예상됐다.

국내 기업의 RFID/USN 수출입 현황(단위 : 백만 원, %)

구 분

수 출 수 입 수출입 차액

합 계 RFID USN 합 계 RFID USN 합 계 RFID USN

2011년 74,440 65,588 8,852 17,201 11,884 5,317 57,239 53,704 3,535

2012년

90,201 79,780 10,421 18,756 13,439 5,317 71,445 66,341 5,104

(21.2) (21.6) (17.7) (9.0)  (13.1) (0.0) (24.8) (23.5) (44.4)

2013년

(전망)

108,905 89,447 19,458 24,022 18,313 5,709 84,883 71,134 13,749

(20.7) (12.1) (86.7) (28.1) (36.3) (7.4) (18.8) (7.2) (169.4)

협회는 국내 기업의 RFID/USN 제품 연간 판매량도 조사해

발표했다. RFID 태그는 2011년 약 2.3억 개, 2012년에는 36.4%

증가한 약 3.1억 개로 정부의 확산사업의 주 대상인 제약, 의류,

양주 등에 사용되는 900MHz 태그가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신

용카드, 교통카드 등에 많이 사용되는 13.56MHz 태그 순으로

점유율을 보였다.

리더 판매량은 2011년 약 328만대로 나타났고, 2012년에는

Page 42: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42

40.1% 증가한 약 459만 대로 조사됐다. 제약업종 판매가 약

55%로 추정됐고, 전체 제품 판매량에서 정보서비스업 대상이

50.5%를 차지했다.

국내 기업의 RFID 제품별 연간 판매량(단위 : 개, %)

구 분2011년 2012년

판매량 점유율 판매량 점유율

계 228,936,442 100.0 312,187,514 100.0

135KHz 이하 205,100 0.1 205,200 0.1

13.56MHz

스마트카드 4,014,000 1.8 4,811,500 1.5

교통 카드 3,110,564 1.3 8,202,400 2.6

NFC 426,400 0.2 3,560,600 1.2

기타(일반카드) 5,555,600 2.4 11,540,400 3.7

433MHz - - - -

900MHz 215,099,178 94.0 283,289,214 90.7

2.45GHz 525,600 0.2 578,200 0.2

계 3,279,904 100.0 4,594,104 100.0

135KHz 이하 75,560 2.4 376,160 8.2

13.56MHz 3,110,952 94.8 4,083,106 88.9

433MHz 20,240 0.6 20,240 0.4

900MHz 63,450 1.9 102,596 2.2

2.45GHz 9,702 0.3 12,002 0.3

계 2,250,146 100.0 4,147,604 100.0

리더용 안테나 8,240 0.4 8,240 0.2

프린터 2,088 0.1 2,212 0.1

리더칩 1,844,046 82.0 3,267,110 78.7

기타 분야 395,772 17.5 870,042 21.0

USN 제품 판매량의 점유비중은 통신칩 약 70%, 센서노드 모

듈이 약 20%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의 USN 관련 제품별 연간 판매량(안위 : 개, %)

구 분2011년 2012년

판매량 점유율 판매량 점유율

전 체 620,507 100.0 670,633 100.0

센 서 35,296 5.7 50,896 7.6

통 신 칩 439,000 70.7 490,000 73.1

센서노드 모듈 139,780 22.5 115,870 17.3

H/W 플랫폼 20 0.1 3,200 0.5

전 원 부 1,100 0.2 1,120 0.2

기 타 5,311 0.8 9,547 1.3

국내 RFID/USN 기업은 총 455개사로, RFID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가 302개사, USN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가 105개사, RFID

와 USN을 같이 하는 업체가 48개로 나타났다.

RFID 사업분야별 국내기업 현황(매출발생 기업 기준 - RFID : 163개사)

사업분야

칩 태그 리더

리더용

안테나

프린터

응용 S/W

미들웨어

컨설팅

기타

135㎑

이하

13.5

6㎒

433㎒

900㎒

2.45㎓

135㎑

이하

13.5

6㎒

433㎒

900㎒

2.45㎓

135㎑

이하

13.5

6㎒

433㎒

900㎒

2.45㎓

기업수 2 13 0 10 - 11 45 1 48 5 15 56 3 61 10 11 12 59 23 11 23

국내 RFID 기업별 사업영역(기업명 영문, 가나다순)

번호 회사명

칩 태그 리더 리더용안테나

프린터프린터

응용 S/W

미들웨어 미들웨어

컨설팅

기타

135㎑

이하

13.56㎑

433㎑

900㎑

2.45㎓

135㎑

이하

13.56㎑

433㎑

900㎑

2.45㎓

135㎑

이하

13.56㎑

433㎑

900㎑

2.45㎓

1 CS O

2 EC글로벌 O

3 EMW O O O

4HID GLOBAL

CORPORATIONO

5 LG CNS O O

6 LG히다찌 O O O

7 LS산전 O O O O O

8 ND TECH O

9 RF Camp O O

10 SCS pro O O O O O

11 가드텍 O O

12 나인티시스템 O O

13 네스랩 O O O O

14 네오글로벌 O O O O O O

15 넥스윌 O O

16 대도전자 O O

17 대명아이티에스 O

18 대양디앤티 O

19 대우정보시스템 O O O O O O

Page 43: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43 2013. MAY

번호 회사명

칩 태그 리더 리더용안테나

프린터프린터

응용 S/W

미들웨어 미들웨어

컨설팅

기타

135㎑

이하

13.56㎑

433㎑

900㎑

2.45㎓

135㎑

이하

13.56㎑

433㎑

900㎑

2.45㎓

135㎑

이하

13.56㎑

433㎑

900㎑

2.45㎓

20 더블유티 O

21 동부CNI O

22 듀얼아이 O

23 디오텔 O

24 디지털베이시스템 O O

25 라코스시스템 O O

26 램퍼스테크 O

27 레이디오펄스 O

28 롯데정보통신 O O O O O

29 루셈 O O

30 리드메디 O O

31 리테일테크 O O O O

32 맥테크놀러지 O

33 메타비즈 O O

34 모노스타 O O O

35 모노시스 O

36 모비트론 O O O

37 모텍스 O O

38 모토로라솔루션 O

39 밉스테크널러지 O O O O O O O O O O

40 바올테크 O O O

41 바이텍테크놀로지 O O

42 베이스세븐 O O O

43 보나뱅크 O O O

44 블루버드소프트 O

45 비오더블 O

46 비츠로셀 O

47 삼미정보시스템 O O

48 삼성SDS O O O O O O

49 삼성테크윈 O O

50 삼성피아이티 O

51 삼원에프에이 O O O O

번호 회사명

칩 태그 리더 리더용안테나

프린터프린터

응용 S/W

미들웨어 미들웨어

컨설팅

기타

135㎑

이하

13.56㎑

433㎑

900㎑

2.45㎓

135㎑

이하

13.56㎑

433㎑

900㎑

2.45㎓

135㎑

이하

13.56㎑

433㎑

900㎑

2.45㎓

52 성현시스템 O O

53 세경씨앤피 O

54 세연테크놀로지 O O O O O O O O O O

55 세우테크 O

56 소프트너울 O O

57 수퍼락 O

58 스마트랙코리아 O O O

59시그너스

정보기술O O O O O O O O

60 싸이버로지텍 O O O

61 쓰리에이로직스 O O O

62 씨아이토피아 O

63 씨엔에스디지텍 O

64 아이넷씨엔씨 O O O

65 아이디테크 O O O O O O O O

66 아이리얼 O O O O

67 아이에이치에스 O O

68 아이온텍 O O

69 아이콘트롤스 O O

70 아이티아이엑스 O

71 아젠텍 O O O

72 알에프링크 O O O O

73 알에프엔진 O O O O O O

74 액션테크 O O O O O

76 액트케이디이 O

77 에디넷 O

78 에스넷시스템 O O

79 에스아이텍 O

80 에스아이티코리아 O O O O O O

81 에스알에프아이디 O O O O O O O O O

82 에어포인트 O O

83 에이치엠씨 O

Page 44: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44

번호 회사명

칩 태그 리더 리더용안테나

프린터프린터

응용 S/W

미들웨어 미들웨어

컨설팅

기타

135㎑

이하

13.56㎑

433㎑

900㎑

2.45㎓

135㎑

이하

13.56㎑

433㎑

900㎑

2.45㎓

135㎑

이하

13.56㎑

433㎑

900㎑

2.45㎓

84 에이티아이디 O O

85 에이티알에프 O O O O

86에일리언

테크놀로지아시아O O O

87 엔에스스마트 O O

75 엔이아이디 O

88 엔젤넷 O O

89 엘앤아이소프트 O O O

90 엘텍아이앤씨 O

91 엠씨페이 O

92 와이비엘 O O O

93 위트콤 O O O

94 유니온커뮤니티 O O O O

95 유로아이티에스 O

96 유미테크 O O O

97 유비유홀딩스 O O O O O O

98 유비케이션 O O O O

99유비쿼터스

커뮤니케이션O O

100 유시스정보기술 O

101 유진프린팅 O

102 유타렉스 O O

103 이그잭스 O O

104 이노바인텍 O O

105 이비 O O

106 이스마텍 O

107 이씨테크날리지 O O

108 인터멕코리아 O O

109 인트모아 O O O

110 인포에스티 O O

111 일래스틱네트웍스 O

112 일신시큐리티 O O

113 잉크테크 O

번호 회사명

칩 태그 리더 리더용안테나

프린터프린터

응용 S/W

미들웨어 미들웨어

컨설팅

기타

135㎑

이하

13.56㎑

433㎑

900㎑

2.45㎓

135㎑

이하

13.56㎑

433㎑

900㎑

2.45㎓

135㎑

이하

13.56㎑

433㎑

900㎑

2.45㎓

114 자바정보기술 O O O O

115 조은시스템 O O O O O

116 지멘스코리아 O O O O

117지브라

테크놀로지스O

118 지앤월드 O O O O

119 창신정보통신 O O

120 청호컴넷 O O

121 카이노스 O

122 캐치웰 O

123 케이비씨테크 O O

124 케이엘넷 O

125 코드시스템 O O O O O O O

126 코리아컴퓨터 O O

127 콘포테크 O O

128 큐빗 O O O

129 큐앤솔브 O O

130 태양이티엔씨 O

131 태인 O

132 터크코리아 O O O O O O

133 테스콤 O

134 티이씨앤코 O O O O

135 파이칩스 O O

136 파츠맨 O O

137 패스테크 O

138 포스비브테크 O

139 포스코ICT O O O

140 퓨전정보시스템 O O O O O O

141 플레닉스 O O O O

142 피앤아이 O

143 필데라 O

144 하나마이크론 O

Page 45: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45 2013. MAY

번호 회사명

칩 태그 리더 리더용안테나

프린터프린터

응용 S/W

미들웨어 미들웨어

컨설팅

기타

135㎑

이하

13.56㎑

433㎑

900㎑

2.45㎓

135㎑

이하

13.56㎑

433㎑

900㎑

2.45㎓

135㎑

이하

13.56㎑

433㎑

900㎑

2.45㎓

145 하렉스인포텍 O

146한국공간

정보통신O

147 한국인식산업 O O

148 한국하니웰 O

149 한국후지필름 O O O O O

150 한림GST O

151 한맥ENG O O O

152 한미IT O O

153 한백전자 O

154 한송시스템 O O O

155 한진정보통신 O

156 해든브릿지 O

157 혁산정보시스템 O

158 현대유엔아이 O O O O O O O

159 현대통신 O O O

160 현암바씨스 O O

161 혜림데이타시스템 O O O

162 호크마시스템 O O O

163 휴메이트 O O O O

*기타 : 네트워크, 서비스(교통카드수수료 포함), 자동화장비 및 계측기, 잡자재, 교육용품 등.

USN 사업분야별 국내기업 현황(매출발생 기업 기준 - USN : 48개사)

사업분야

센서노드 네트워크 S/W 서비스인프라 기타

센서통신칩

센서노드모듈

전원부

싱크노드

게이트웨이

기타

센서노드계층S/W

센서네트워크

서비스계층 S/W

응용서비스계층S/W

센터설계및

구축

정보 체계설계구축

부가서비스제공(감리)포함)

잡자재

교육용품

기타

기업수 18 6 13 3 11 8 1 9 7 11 3 6 3 1 2 3

국내 USN 기업별 사업 영역(가나다순)

번호 회사명

센서노드 네트워크 S/W 서비스인프라 기타

센서통신칩

센서노드모듈

전원부

싱크노드

게이트웨이

기타

센서노드계층SW

센서네트워크

서비스계층 SW

응용서비스계층SW

센터설계및

구축

정보 체계설계구축

부가서비스제공(감리)포함)

잡자재

교육용품

기타

1 CS O

2 GS네오텍 O

3 NDS O O O O

4 가림정보기술 O

5 넷블루 O O O O

6 대양전기공업 O

7 대우정보시스템 O O

8 동일기연 O O O O

9 라코스시스템 O

10 레이디오펄스 O O O

11 맥스포 O O

12 밉스테크널러지 O O

13 바이오스페이스 O O O O O O O O O O O

14 빅텍 O O O

15 산들정보통신 O

16 씨아이토피아 O O O O O O O O

17 씨엔케이골프 O O O O

18 아이리얼 O O O

19 아이씨엔아이티 O O O O O O

20아이에스

테크놀로지O O O

21 야긴스텍 O

22 에스코넥 O O

23 에이스테크놀로지 O O O

24 에이시에스 O O O O

25 에이에스엔 O O

26 엔씨씨 O

27 엠투엠코리아 O

Page 46: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46

번호 회사명

센서노드 네트워크 S/W 서비스인프라 기타

센서통신칩

센서노드모듈

전원부

싱크노드

게이트웨이

기타

센서노드계층SW

센서네트워크

서비스계층 SW

응용서비스계층SW

센터설계및

구축

정보 체계설계구축

부가서비스제공(감리)포함)

잡자재

교육용품

기타

28 오경컴텍 O O

29 옥타컴 O

30 우진네트웍스 O O

31 이비 O

32 이지정보기술 O

33 인사이드알에프 O O

34 인포마인드 O

35 인포피아 O

36 일래스틱네트웍스 O

37 제일기술 O O

38진우소프트

이노베이션O

39 케이비티 O

40 코리아컴퓨터 O O O

41 코쓰케이아이디 O O

42 코어테크놀로지 O

43 큐로스 O

44 파이칩스 O O

45 플레닉스 O

46 피보텍 O O

47 휴메이트 O

48 휴텍21 O

*기타 : 잡자재, 교육용품 등.

보고서는 올해부터 RFID/USN 기업의 제품/서비스 공급형태

를 직접 생산 공급, 반가공 공급, 완제품 수입 공급, 반제품 수입

공급, 유통 공급 등으로 분석했다. 먼저 RFID 제품/서비스 공급

형태별 국내기업 현황을 보면, 태그, 리더, S/W는 제품을 직접

생산, 공급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특히 S/W는 직접 개발해

공급하는 비율이 약 86%로 매우 높은 반면, 프린터의 경우는

완제품을 수입해 공급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국내기업의 RFID 제품/서비스 공급형태별 비율(단위 : %)

생산 및 공급형태

공급 제품

2011년 2012년 2013년(전망)

직접생산공급

반가공공급

완제품수입공급

반제품수입공급

유통공급

직접생산공급

반가공공급

완제품수입공급

반제품수입공급

유통공급

직접생산공급

반가공공급

완제품수입공급

반제품수입공급

유통공급

H

/

W

태그 40.4 22.9 12.6 1.1 23.0 41.5 19.7 14.9 3.6 20.2 41.9 20.0 15.1 3.0 20.1

리더 53.9 18.4 4.9 1.4 21.5 53.6 17.4 6.3 1.1 21.5 52.7 18.3 5.8 1.0 22.2

안테나 37.2 25.6 - 4.8 32.4 53.5 14.0 - 4.1 28.4 53.5 14.8 - 4.2 27.5

프린터 44.4 11.2 11.2 - 33.2 16.6 11.2 22.4 - 49.8 25.0 10.1 20.1 - 44.8

S/W 86.0 7.3 - 1.1 5.6 86.2 7.8 - 0.9 5.1 85.9 8.1 - - 6.0

기타 66.6 18.3 4.0 - 11.1 67.7 15.4 3.6 - 13.3 71.2 13.2 3.3 - 12.3

이와함께 USN 관련 제품 및 서비스는 생산 및 공급형태가

다양하며, 센서와 센서노드 모듈은 직접 생산해 개발 공급하

는 비율이 높고, 통신칩은 완제품을 수입해 공급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국내 기업의 USN 제품/서비스 공급형태별 비율(단위 : %)

생산 및 공급형태

공급 제품

2011년 2012 2013년(전망)

직접생산공급

반가공공급

완제품수입공급

반제품수입공급

유통공급

직접생산공급

반가공공급

완제품수입공급

반제품수입공급

유통공급

직접생산공급

반가공공급

완제품수입공급

반제품수입공급

유통공급

센서 64.1 24.9 4.3 0.9 5.8 60.4 26.2 7.2 0.8 5.4 60.4 27.7 7.2 0.7 4.0

통신칩 26.1 17.4 46.2 - 10.3 26.1 17.4 46.2 - 10.3 26.1 17.4 46.1 - 10.4

센서노드모듈 63.0 28.8 4.4 - 3.8 56.6 27.2 12.9 - 3.3 62.8 23.2 11.1 - 2.9

전원부 - 40.6 11.2 - 48.2 - 40.6 11.2 - 48.2 - 40.6 11.3 - 48.1

기타 57.1 37.1 - - 5.8 57.7 36.6 - - 5.7 58.0 29.7 - - 12.3

보고서에 따르면, RFID/USN 분야 총 종사자수는 2012년 총

3,257명으로 나타났고, 2013년에는 27.2%(887명) 증가한 4,144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RFID 인력은 2012년 2,209명에서

2013년도에는 28.6%(632명) 증가한 2,841명으로 전망됐고, USN

종사인력은 2012년 1,048명에서 2013년도에는 24.3%(255명) 증

가한 1,303명으로 전망됐다.

RFID/USN 관련 종사인력 현황(단위 : 명, %)

구 분 2012년 2013년(전망) 증가율

합 계 3,257 4,144 27.2

R F I D 2,209 2,841 28.6

Page 47: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47 2013. MAY

구 분 2012년 2013년(전망) 증가율

USN 1,048 1,303 24.3

RFID 기술인력은 2012년 S/W부문 634명, 태그 487명, 리더

482명으로 나타났고, 2013년 S/W 기술인력이 39.9% 증가한

887명으로 예상됐다.

RFID 분야별 기술인력 현황(단위 : 명, %)

구 분 소 계 태 그 리 더 S/W 컨설팅 기타*

2012년 2,209 487 482 634 206 400

2013년

(전망)2,841 609 592 887 253 500

증가율 28.6 25.0 22.8 39.9 22.8 25.0

USN 기술인력은 2012년 센서노드 348명, S/W 284명으로

나타났고, 2013년 센서노드 기술인력이 33.0% 증가한 463명

으로 전망됐다.

USN 분야별 기술인력 현황(단위 : 명, %)

구 분 소계 센서노드USN

네트워크USNS/W

서비스인프라

기타*

2012년 1,048 348 138 284 123 155

2013년 (전망) 1,303 463 150 331 145 214

증가율 24.3 33.0 8.7 16.5 17.9 38.1

RFID 기업의 애로사항의 응답 순위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

미비’가 21.9%, ‘불확실한 시장성’이 21.2%, ‘비즈니스 모델 부

재’가 17.8% 등으로 나타났다. RFID 기업의 정부지원 요청사항

의 경우, ‘확산사업 확대’가 35.3%로 가장 높았고, ‘개발 및 도

입 자금지원’이 19%, ‘R&D사업 확대’가 17.4% 순으로 나타났

으며, 이밖에 표준화 지원, 해외진출지원, 기술인력양성지원 등

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RFID 기업의 애로사항(단위 : %)

국내 RFID 기업의 정부지원 요청사항(단위 : %)

USN 기업의 애로사항은 ‘불확실한 시장성’이라는 응답이

21.7%, ‘보유 기술력/인력 부족’이 20%, ‘정부의 정책적 지원

미비’가 18.3% 등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사업추진 자금의 부

족(15.7%), 비즈니스 모델 부족(13%)도 애로사항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의 정부지원 요청사항은 ‘확산사업 확대’이라는 응

답이 33%로 높게 나타났으며, ‘개발 및 도입자금 지원’이 25.2%,

‘R&D사업 확대가 20% 순으로 조사됐다.

국내 USN 기업의 애로사항(단위 : %)

국내 USN 기업의 정부지원 요청사항(단위 : %)

Page 48: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48

칼럼 EXPERT COLUMN

NFC 표준화 현황 (1)

NFC

NFC 핵심특허 분석 개요

NFC 기술을 크게 ‘칩/컨트롤러/모뎀’, ‘단말/장치’, ‘응용시

스템’ 등 세 가지 기술 분야로 구분하고, 각 기술 분야별로 키

워드 검색을 통해 한국, 미국, 일본, 유럽 등 주요국에 공개/등

록된 특허를 조사한 결과(2012. 2월), NFC 기술과 관련된 특허

(이하 ‘NFC 특허’라고 함)는 2,729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NFC 특허 현황

국가 및 기술분야별 NFC 특허 건수

기술분야국가

계한국 미국 일본 유럽

칩/컨트롤러/모뎀 124 472 134 211 941

단말/장치 176 549 106 159 990

응용시스템 156 377 63 202 798

계 456 1,398 303 572 2,729

※ 스마트카드나 RFID에 한정된 기술에 관한 특허는 제외함

NFC 특허 2,729건을 대상으로 7가지 객관적 평가기준 및

3가지 주관적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한 결과, 향후 특허문제가

예상되거나 기술적 가치가 높은 특허(이하 ‘NFC 핵심특허’ 라고

함)는 46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NFC 핵심특허 현황

기술분야 및 법적상태별 NFC 핵심특허 건수

기술분야법적상태

공개 등록

칩/컨트롤러/모뎀 10 17 27

단말/장치 4 2 6

응용시스템 13 0 13

계 27 19 46

NFC 핵심특허에 대한 출원인을 분석한 결과, 총 19개 기업

의 특허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 2건 이상의 특허가

포함된 기업은 Sony(8건), Qualcomm(6건), Sony Ericsson(5

건), Broadcom(3건), Inside secure(3건), Nokia(3건), NXP(3

한국RFID/USN융합협회

Page 49: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49 2013. MAY

건), First Data(2건), Microsoft(2건), Sagem Orga(2건) 등 10

개 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NFC 핵심특허의 출원인 현황

연번 출원인 공개 등록 계 연번 출원인 공개 등록 계

1 Sony 3 5 8 11 Anyquitous 1 0 1

2 Qualcomm 6 0 6 12 Apple 1 0 1

3 Sony Ericsson 1 4 5 13Dainippon

Printing1 0 1

4 Broadcom 2 1 3 14 Intel 0 1 1

5 Inside secure 1 2 3 15 Sharp 0 1 1

6 Nokia 1 2 3 16 SK Telecom 1 0 1

7 NXP 2 1 3 17 Vivotech 1 0 1

8 First Data 2 0 2 18 삼성전자 0 1 1

9 Microsoft 1 1 2 19 엘지텔레콤 1 0 1

10 Sagem Orga 2 0 2

※ SONY가 ERICSSON의 지분을 인수하여 SONY ERICSSON을 자회사로 편입하고,

사명을 Sony Mobile Communications로 변경

특히, Sony는 Sony Ericsson의 특허를 포함해 총 13건의

특허가 NFC 핵심특허로 포함되어 NFC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

및 특허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Sony의

특허동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으며, 본 호에서는 Sony가 보유

한 13건의 NFC 핵심특허 중 NFC 포럼(nfc-forum.org) 등에

서 제정한 NFC 기술표준과 관련성이 높은 특허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Sony社 특허 분석결과

한국등록특허 1,055,251호

한국등록특허 1,055,251호(이하 ‘251특허’라고 함)는 Sony사

가 일본에 출원한 특허 2건(JP2002-364748(우선일 2002.12.17),

JP2003-307840(우선일 2003.08.29))에 대해 우선권 주장하며

PCT 출원한 특허(출원일 2003.10.28)가 국내에 번역문을 제출

해 심사절차를 받아 등록된 특허이다.

PCT 출원은 한국 외에 오스트레일리아, 중국, 독일, 홍콩,

일본, 미국에 국내 단계 진입해 오스트레일리아를 제외하고

모두 등록됐다.

251특허는 이니시에이터 장치와 타겟 장치 사이에서 근접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니시

에터 장치, 타겟 장치, RF 필드 감지 단계 및 RF 필드가 감지

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특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51특허의 기술구성은 ISO/IEC 18092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NFC 인터페이스 규격과 관련성이 높다.

Page 50: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50

251특허의 서지사항 및 기술요약

발명의

명칭통신 방법

출 원 인 Sony 상태 등록

공개/

등록번호

KR20100086513 /

KR1055251

공개/

출원일

2010.07.30 /

2003.10.28

기술분류 칩/컨트롤러/모뎀 세부분류 동작모드 구현

기술요약

대표도

본 발명은 다양한 근접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및 데이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NFC 통신 장치(1 내지

3)는 2개의 통신 모드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것과 복수의 전송 레이트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것의 2개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2개의 통신 모드로서는 패시브 모드와

액티브 모드가 있다. 패시브 모드에서는

NFC 통신 장치 (1)과 (2) 중, 예를 들면

NFC 통신 장치(1)는 자신이 발생하는

전자파를 변조함으로써, NFC 통신 장치(2)

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NFC 통신 장치(2)

는 NFC 통신 장치(1)가 발생하는 전자파를

부하변조함으로써, NFC 통신 장치(1)

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한 편, 액티브

모드에서는 NFC 통신 장치 (1)과 (2) 모두,

자신이 발생하는 전자파를 변조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IC

카드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251특허의 분석결과

특허기술

내용

○ 복수의 NFC 통신장치 간의 통신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복수의 통신 모드와

복수의 전송 레이트를 이용하여 통신장치 간의 원활한 통신을 가능케 하는

방법에 대한 것임

○ 현재 이용되는 다양한 IC 카드의 전송레이트와 호환성을 도모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어 있음

특허

청구

범위

○ 이니시에이터 장치와 타깃 장치 사이에서 근접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현재 청구하고 있는 권리범위가 그대로 확정된 상태임

○ NFC 통신을 통한 P2P 통신방법에 필수적인 이니시에터 장치, 타깃 장치

및 RF 필드 감지 단계를 구성요소로 하고 있으며, 이에 덧붙여 RF 필드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의 이니시에터 장치에 의한 RF 필드 발생과 미리 정해진

전송 레이트로 동작 속성에 대한 리퀘스트를 송신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음

○ NFC 통신방법에 따른 기본적 개념만으로 청구범위를 기재하고 있어

청구범위는 넓은 특허임

○ 제삼자가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한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권리범위에 속하게 될 가능성이 있음

○ 동작 속성에 대한 리퀘스트 송신이라는 구성을 제외하고 모두 일반적 구성을

구성요소로 하고 있어 NFC 통신방법 활용에 장벽이 될 가능성이 있음

상업적

요소

○ NFC 통신장치 간의 무선 통신 설정을 위해 필요한 단계로서 상업적으로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됨

○ 액티브 및 패시브 모드 모두에 활용가능함을 개시하고 있으나 RF 필드의 감지

및 발생을 구성요소로 하여 NFC 통신방법 중 P2P 모드에 보다 활용성이 높음

○ 청구범위가 넓고 구성요소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근접 무선 통신 기반의 기술

활용 시 제한적일 수 있다고 판단됨

활용분야

○ NFC 통신장치, IC 시스템 등 근접 무선 통신을 활용하는 분야 모두에

활용가능함

○ 액티브 및 패시브 모드 모두에 활용가능함을 개시하고 있으나 RF 필드의 감지

및 발생을 구성요소로 하여 NFC 통신방법 중 P2P 모드에 보다 활용성이 높음

Page 51: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51 2013. MAY

종합 의견

○ 본 특허는 이니시에이터 장치와 타깃 장치 사이에서 근접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방법으로 RF 필드의 검출, 검출되지 않은 경우 RF 필드의

발생 및 동작 속성에 대한 리퀘스트를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교적 넓은 권리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특허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임

○ NFC 통신기술 중 동작모드 구현에 있어서 기본적인 개념만으로 권리범위를

취득한 바 NFC 통신기술의 활용에 있어서 장벽이 될 가능성이 있음

○ 출원일(2003년)을 고려할 때 기타 통신시스템(예를 들어 CDMA등)에서

이미 적용되고 있는 포괄적인 기술인 것으로 사료됨

국가별

권리현황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유럽

등록 등록 등록 등록 등록

종합결과

기술과제의 중요성 핵심기술(○), 요소기술( ), 응용기술( ), 참조기술( )

해 결 하 고 자 하 는

기 술 과 제 에 대 한

기여도

높음(○), 중간( ), 낮음( )

특허권리범위의 정도 기초적(○), 특징적( ), 구체적( )

미국등록특허 7,734,307호

미국등록특허 7,734,307호(이하 ‘307특허’라고 함)는 Sony사

의 독일 지사인 Sony Deutschland GmbH가 유럽 특허청에

출원한 특허(EP04025775(우선일 2004.10.29))에 대해 우선권 주

장하며 미국에 2005년 10월 27일에 출원해 2010년 6월 8일

에 등록받은 특허이다.

307특허는 복수의 NFC 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기기

간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링 신호를 듣고 전송하는 것

에 따라 개시자 또는 타겟으로 동작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핵심요소로 하고 있다.

307특허의 기술구성은 ISO/IEC 18092 표준에서 정의하

고 있는 NFC 인터페이스 규격과 관련성이 높으며, 또한 NFC

포럼에서 제정한 표준 중 NFC Digital Protocol Technical

Specification 표준과 관련성이 높다.

307특허의 서지사항 및 기술요약

발명의

명칭Method for operat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출 원 인 Sony 상태 등록

공개/

등록번호US7734307

등록/

출원일

2008.12.17 /

2005.10.27

기술분류 칩/컨트롤러/모뎀 세부분류 전송기술

기술요약

대표도

A method for operat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participa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s, the method

comprising repeatedly changing,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cipa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s,

an operational mode of the respective

participa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a target operational

mode and an initiator operational

mode until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respective

participa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and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participa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s, or until an

interruption condition is fulfilled.

Page 52: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52

307특허의 분석결과

특허기술

내용

○ 복수의 NFC device들을 포함하여 NFC system을 운영하는 방법임

○ 복수의 NFC 장치들에 대해 각각의 장치들에 대한 communication

이 달성될때까지 혹은 interruption condition이 만료될 때까지 target

operational mode와 initiator operational mode로 운영 mode를

주기적으로 변화시켜주는 방법임

특허

청구

범위

○ 복수의 NFC 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기기간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링 신호를 듣고 전송하는 것에 따라 개시자 또는 타깃으로 동작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핵심요소로 하고 있어, 권리범위는 비교적 넓은 편임

○ 제3자가 NFC 기기간의 통신에 있어서 개시자 모드와 타깃 모드간의 변경을

통해 통신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품에 채택하는 경우 권리범위에 속하게 될

가능성이 있음

○ 심사과정에서 최초 출원시보다 청구범위가 감축되어 등록됨

상업적

요소

○ 복수의 NFC 장치들이 포함된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NFC 장치들의 통신을

운영하는 방법으로서, 향후 구현/적용된다면 경제적인 효과는 클 것으로 예상됨

○ 표준과의 일치여부에 따라 경제적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보임

○ 단, 권리범위의 축소로 인해 상업적 파급효과도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됨

활용분야 ○ 복수의 NFC 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통신에서 유용하게 사용가능

종합 의견

○ 본 특허는 메쉬 네트워크에 있어서 AP가 캐리어에 대한 통신 채널을 모니터링

및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측정된 신호세기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면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통신 리소스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교적 넓은 권리범위를

가지고 있음

○ 국내에 출원된 특허는 현재 심사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태로 향후 심사경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으며, 기본적인 개념만으로 권리범위가 청구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심사과정에서 권리범위가 일부 축소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임

국가별

권리현황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유럽

진행중 - - 진행중 진행중

종합결과

기술과제의 중요성핵심기술(○), 요소기술( ), 응용기술( ), 참조기술

( )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과제에 대한

기여도

높음( ), 중간(○), 낮음( )

특허권리범위의 정도 기초적( ), 특징적(○), 구체적( )

미국공개특허 20080090520호

미국공개특허 20080090520호(이하 ‘520특허’라고 함)는 Sony

ericsson mobile사가 미국 특허청에 2006년 10월 17일에 출

원한 특허로서, 이를 우선권 주장의 기초로 하여 중국, 유럽,

PCT 출원을 한 바 있다. 520특허는 미국내 심사절차에 있어서

현재(2012년 7월 기준)까지 3번의 RCE를 진행한 바 있으며, 현재

3번째 RCE가 2012년 1월 11에 요청됐으며 이에 따른 IDS를 제

출해 심사 중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20특허는 모바일 단

말기에서 모바일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NFC

통신 작업을 수행토록 구성된 제1 모바일 트랜시버 및 단거리

통신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모바일 트랜시버를 가진

듀얼 모드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여 NFC 링크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NFC로부터 엑세스 데이터를 통신하고, 모바일 단말

기 엑세스 데이터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모바일 단말기에서

단거리 통신 링크를 실시하며,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하여 모

바일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에 단거리 통신 링크에 대응 데

이터를 라우팅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520특허의 기술구

성은 NFC 포럼에서 제정한 표준 중 NFC Forum Connection

Handover 1.2 표준과 관련성이 높다.

520특허의 서지사항 및 기술요약

발명의 명칭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mobility management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s

출 원 인 - 상태 공개

공개/등록번호

KR2008-0109802공개/출원일

2008.04.17 / 2006.10.17

기술분류 응용시스템 세부분류 장치/기기/제어

기술요약

A system for managing mobi le

communications includes a dual-mode

mobile terminal that has a first mobile

transceiver configured t○ perform near-

field communication operations and a

second mobile transceiver configured

t○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operations. The system als○ includes a

first network transceiver in a local-area-

network (LAN) configured t○ transmit

access data t○ the first mobile transceiver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 operations

and a second network transceiver in the

LAN configured t○ communicat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operations,

with the second mobile transceiver, based

on the access data.

Page 53: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53 2013. MAY

520특허의 분석결과

특허기술

내용

○ 듀얼 모드 휴대 단말기는 지속 가능한 단거리 네트워크 리소스에 대해 스캔이

수행되는데, 단거리 네트워크 범위에 대한 지속적인 검사로 인하여 단말기의

배터리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음

○ 본 특허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모바일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NFC 통신 작업을 수행토록 구성된 제1 모바일 트랜시버 및 단거리 통신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모바일 트랜시버를 가진 듀얼 모드 휴대 단말기를

포함함

○ NFC 링크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NFC로부터 액세스 데이터를 통신하고,

모바일 단말기 액세스 데이터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모바일 단말기에서

단거리 통신 링크를 실시하며,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에 단거리 통신 링크에 대응 데이터를 라우팅 함

특허

청구

범위

○ 듀얼 모드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모바일 통신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권리범위는 다소 넓게 해석될 수 있음

○ 다만, 본 특허는 종래 듀얼 모드 휴대 단말기를 구현하는 방법보다 우수한

기술적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널리

보급되거나 표준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강력한 특허가 될 소지가 있음

상업적

요소

○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보다 효율적인 NFC 통신 작업이 요구됨에 따라, 향후

큰 경제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활용분야○ NFC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경우 본 특허를

활용할 수 있음

종합 의견

○ 본 특허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모바일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NFC 통신 작업을 수행토록 구성된 제1 모바일 트랜시버 및 단거리 통신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모바일 트랜시버를 가진 듀얼 모드 휴대 단말기를

포함함.

○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을 구현하는 시스템 등에 활용 가능성 있음.

○ 심사가 완료되지 않아 심사과정에서 청구범위가 감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출원하지 않음

국가별

권리현황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유럽

- 진행중 - 진행중 진행중

종합결과

기술과제의 중요성핵심기술( ), 요소기술( ), 응용기술(○), 참조기술

( )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

과제에 대한 기여도높음( ), 중간(○), 낮음( )

특허권리범위의 정도 기초적( ), 특징적(○), 구체적( )

시사점

Sony社 특허 분석결과, NFC 기술표준에서 제정한 기술규

격의 범위를 모두 포함할 정도로 권리범위를 광범위하게 획득

한 등록 특허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기술구성이 일부 추가되

는 형식으로 권리화한 것으로 나타나 NFC 기술표준을 보다

구체화한 특허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NFC 기술을 단말에 적용하여 구현하는 경

우에는, NFC 기술표준에는 나타나 있지는 않으나 구현을 위

해 필요한 다양한 ‘필수요소’들이 존재할 것이며, 이러한 관점

에서 보면, 앞서 살펴본 Sony社 특허는 NFC 표준특허(필수특

허)라 할 수 없지만, NFC 기술의 구현시 활용될 가능성이 높

은 특허라 할 수 있다.

국내에서 NFC 기술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기술 활용에

적극성이 높아지고 있는 바, 본 호에서 살펴본 Sony社 특허

와 같이 표준기술 운용에 활용 가치가 높은 주변특허들을 확

보하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문의 : 하준철 팀장 010-3932-0816 [email protected]

연간 정기구독료 10만원

정기구독 문

www.scmjournal.co.kr 사이트에 가

입하시고

구독신청란에 신

청하시면 됩

니다.

할인 이벤트 실시50%

5만원

Page 54: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chunghocomnet

FOCUS COMPANY 기업탐방

ATM 대명사인 청호컴넷이 미래 먹

거리로 RFID 사업에 기대를 걸고 있다.

올 하반기 지난 5년 동안 야심차게 준

비했던 RFID 관련 제품을 공개하며 본

격적으로 사업을 펼칠 계획이다.

청호컴넷은 하반기 개최될 RFID 제

품 설명회를 통해 특정제품에 국한되

지 않고 RFID 토탈솔루션 공급업체로

써의 면모를 선보일 예정이다. 태그부터

리더 등의 하드웨어부터 미들웨어, 솔

루션, SI까지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보

여준다는 것. 청호컴넷은 기존의 RFID

시장영역에 대한 RFID 토탈 솔루션도

공급하지만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면서

사업을 전개할 계획이다. 여기에 제품

및 기술적인 차별화를 통해 청호컴넷

의 브랜드 이미지를 부각시킬 계획이다.

태그부터 SI까지 토탈솔루션 제공

청호컴넷은 20여명으로 구성된 컨버

전스사업부는 RFID/USN 사업에 주력

하고 있다. 토탈솔루션 공급업체로써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 RFID 태그 개발

부터 전념하고 있다. 청호컴넷의 RFID/

USN 사업을 이끌고 있는 이인식 부장

은 “정부의 RFID 정책방향인 향정신

성 의약품의 RFID 의무화에 따라 앰플

태그를 개발했다. 이와같이 청호컴넷은

범용 태그보다는 특수 분야에 적합한

태그를 지속적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

다.”라고 강조했다. 청호컴넷은 태그와

함께 다양한 RFID 리더 라인업을 구축

했다. 미들웨어가 탑재된 고정형 리더부

터, 셋톱박스형, 바코드 및 RF 겸용 멀

티형 리더, RF 전용 리더, 휴대형 리더

등이 개발돼 있다. 주목할 만한 것은 저

렴하면서 바코드와 RFID 기능이 동시

작동 가능한 리더를 개발했다는 것이

다. 이인식 부장은 “기존의 휴대형 혹은

고정형 리더는 어플의 변환이나 전환버

튼을 누르는 등 임의의 수동작업을 통해

RFID 혹은 1D/2D 바코드 기능을 수행

해야 했지만, 우리가 개발한 제품은 현

장 작업자의 편의성을 고려해 아무런 변

환작업없이 전원만켜면 바코드와 RFID

기능이 동시에 작동가능하도록 구현했

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저렴한 가격

으로 구입해 소형 물류창고와 약국에

서 검수과정에서 개별 인식할 수 있도

록 했다.”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청호컴넷은 라벨 부착기,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처리기, 물류용

멀티리더 카트기ㆍ의약품용 특수 캐비

닛 등 특화된 영역에서 활용 가능한 하

드웨어 솔루션도 개발했다. 이 제품들

은 현장의 니즈를 충분히 반영해 개발

된 제품으로 편의성을 극대화했다는 장

점이 있다. 이인식 부장은 “우리는 다

양한 RFID 하드웨어 제품군과 더불어

ATM 제품의 AS 망을 활용한 서비스

및 유지보수 정책의 강점을 갖추고 있

다. 전국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음식물

종량제 시스템 역시 사업 아이템으로

선정한 이유도 AS망을 적극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청호컴

넷은 SW의 경우, 서버형과 셋톱박스형

미들웨어도 보유하고 있다. 청호컴넷은

오는 6월 북경 RFID 전시회에 현재 개

발된 모든 제품군을 선보이면서 본격적

인 RFID 사업을 전개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별도로 국내에서도 RFID 사업 설

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태그부터 미들웨어, SI까지 고객에게 원스톱 서비스 제공할 수 있는 역량 갖춰

청호컴넷

청호컴넷, RFID 토탈솔루션 업체로 ‘부상’

www.chunghocomnet.com

54

Page 55: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문의 및 안내 T. 02-6000-6680/6697/6716/6684 E. [email protected] H. www..smarttechshow.co.kr

2013. 6. 18 (화) - 20 (목),

SMART MEGA - TECH SHOW 2013

스마트 라이프로 변화를 선도하는 국내 대표적인

스마트 기술 전문 전시회로 우리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스마트 기술과 제품이 전시됩니다.

스마트 산업 트렌드를 선도하는 귀사의 참가를

기다립니다.

참가업체 모집중

ㅣ주 최ㅣ ㅣ주 관ㅣ ㈜엑스포럼

Smart Work/Mobile Office Fair스마트워크/모바일오피스 페어

Smart Learning Korea - Educational IT Solution Fair스마트러닝 코리아 - 교육용 IT 솔루션 페어

NFC,SmartCard&Payment FairNFC,스마트카드&결제 박람회

Smart Life Show스마트라이프 쇼

SM

ART M SHOW

Page 56: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56

INTERVIEW

투테크, 지워지지 않는 바코드 라벨과 레이저 라벨 프린터로 신시장 창출삼성전자를 비롯, 태양광, LED 대표기업들 이미 사용 중

2003년 설립된 투테크가 급변하는 제조/유통 시스템에서 고객

에게 더나은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끊임없는 연구와 개발을 거

듭해 세계 최초로 지워지지 않는 바코드 라벨과 레이저 바코드 라

벨기를 개발했다. 2004년 지워지지 않는 바코드 라벨 특허 출원에

이어 2005년에는 레이저 바코드 라벨기 개발을 완료했다. 2010년

레이저 바코드 라벨 UL 인증을 획득하고 , 최근에는 레이저 마킹기

와 바코드 프린터를 융합시킨 레이저 바코드 프린터를 개발해 주목

을 받고 있다. 새로운 시장 영역이지만 관련 업계의 관심은 뜨겁다.

이미 삼성전자를 비롯해, 태양광, 내비게이션, LED 업체들이 적용

하고 있다. 곧 해외 시장도 진출할 계획이어서 앞으로 투테크의 행

보가 주목된다. 투테크 남의조 대표를 만나 지워지지 않는 바코드

라벨의 시장성과 최근 개발 완료된 레이저 바코드 프린터의 특장점,

향후 장비 개발을 비롯한 시장공략을 위한 전략에 대해 들어봤다.

Q. 지워지지 않는 바코드 라벨을 개발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A. 이미 바코드 프린터를 비롯한 라벨, 소모품 등 바코드 시장

자체가 포화상태이다 보니 경쟁력을 갖춰나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장과 블루오션이 필요했다. 고객의 니즈 분석에 충실했고, 그 과

정에서 기존 리본을 사용하는 바코드 라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고민했다. 특수 원단을 개발하면서 레이저를 활용한

지워지지 않는 바코드 라벨을 개발하게 됐고, 2006년 특허 출원을

하면서 국내에서는 독점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태양광 업체, 내비게이션 제조업체 등에서 폭넓게 사용하고 있다.

Q. 그렇다면 투테크가 개발한 바코드 라벨의 특징은 무엇인가?

A. 기존 리본 타입 바코드 라벨은 표면에 리본이 인쇄되는 것으

로 외부환경에 의한 지워짐이 발행했으나, 우리가 개발한 지워지지

않는 레이저 바코드 라벨은 라벨 중간층에 바코드가 각인되는 것

으로 외부환경에 의한 파손이 없다. 즉, 바코드 및 데이터가 화학물

질 및 마찰에 절대 지워지지 않고, 바코드 프린터헤드가 손상돼 바

코드가 읽히지 않는 문제가 전혀 없다. 리본에 의한 인쇄불량이 발

생하지 않으며, 리본과 같은 소모품이 필요없어 추가 유지비가 전혀

없다. 특히, 바코드 정보가 훼손되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유통

과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복제와 위조가 불가능하

기 때문에 소중한 기술력과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투테크

남의조 대표

Page 57: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57 2013. MAY

라벨의 원단이 비싸기 때문에 라벨 가격은 조금 올라가기는 하지

만, 실질적으로 리본을 이용하는 라벨보다 10% 가량 비용이 추가되

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우리 제품은 앞서 언급된 장점들이 있기

때문에 기존 라벨과 경쟁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직접

개발한 원단의 경우 기존에는 은색 뿐이었으나 최근 컬러 레이저 라

벨을 개발했다. 컬러 라벨에 대해서는 국제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Q. 최근에 개발완료한 레이저 바코드 프린터의 개념이 생소하

다. 무엇인가?

A. 레이저 마킹기와 바코드 프린터를 융합시킨 제품라고 보면

된다. 우리가 최초 개발했던 1호기는 레이저 라벨 마커로 드라이

버가 없고, 마킹기 프로그램을 사용했으며 부피도 커 투박했다.

이번에 개발한 2호기 장비는 1호기에 비해 소형화시켰고, 드라이

버를 사용하기 때문에 프린터라고 보면 된다. 마킹기가 제품 표면

에 직접 마킹하고, 기존 라벨 프린터는 리본을 사용해 바코드를

인쇄한다면, 레이저 바코드 프린터는 리본 대신 레이저로 제품 표

면이 아닌 특수 원단의 라벨에 각인시키는 것이다.

Q. 투테크가 앞으로 장비 개발 계획은 어떻게 되며, 이들 장비

를 통해 타깃으로 삼고 있는 영역은 어디인가?

A. 아직까지는 우리 제품이 기존 바코드 프린터에 비해 고가다.

향후 3~4호기를 개발하면서 바코드 프린터와 견줄 수 있는 가격

대로 공급할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조만간 좀더 소형화되고 저렴

한 비용대가 형성되면 기존 범용 바코드 프린터 시장 영역에서 충

분히 경쟁할 수 있을 것이다. 타깃 시장은 기존에 바코드 라벨을

사용했지만 프린터 헤드 문제, 바코드 스캔 인식오류 등이 발생해

문제가 됐던 영역들이고, 서서히 영역을 넓혀나가면서 궁극적으로

는 기존 바코드 라벨이 사용되고 있는 시장이다.

Q. 레이저 바코드 라벨의 사용처가 다양하겠지만, 실제 적용

사례에 대한 설명해 달라.

A. 삼성전자 카메라 사업부가 우리 제품을 적용하고 있다. 불필

요하게 지출되는 카메라 AS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다. 제품이 판

매될 당시 정보는 제품에 부착돼 있는 바코드 라벨을 통해 인식된

정보로 저장되는데, 카메라는 제품의 특성상 손에 의한 접촉이 많

아 바코드 라벨이 손상되거나 일부가 지워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

하고 있다. 때문에 무상/유상 AS 기준이 모호해지는 경우가 발생

하면서 구입한지 1년 이상이 된 카메라도 지워진 바코드 정보 때문

에 고객의 말만 믿고 무상으로 수리해줘야 하면서 비용이 발생하

게 된 것. 이러한 문제도 투테크의 레이저 바코드 라벨을 적용하면

서 해결됐다. 무상/유상 AS 기준이 명확해지고, 불필요하게 지출

되던 무상 AS 비용의 절감효과도 얻게 됐다. 뿐만 아니라 태양광

모듈을 생산하는 S-에너지는 2008년 독일에서 열린 유럽 최대의

태양광박람회 인터솔라에 참가하면서 신에너지에 관심이 높은 유

럽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그러나 유럽에 수출한지 1년

이 지난 후 클라이언트로부터 예상치 못한 클레임이 들어왔다. 태

양광 모듈 전면에 부착돼 있는 바코드의 정보가 모두 백지로 변해

있었던 것이다. 리본 타입으로 인쇄된 바코드 라벨이 직사광선과

비 등에 견디지 못하고 1년 만에 완전 산화해 버린 것이다. 태양광

모듈의 제품 수명이 20년 이상인데, 1년 만에 제품 정보가 모두 없

어졌으니 제품에 대한 정보는 물론 AS문제도 동반된 것이다. 이 문

제를 해결한 것이 우리가 개발한 지워지지 않는 바코드 라벨이다.

외부환경으로 인해 바코드가 지워질 일이 전혀 없고 20년 이상 긴

제품 수명 동안 제품의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됐다. 아

울러, 타 경쟁업체들에 비해서도 제품 경쟁력이 생겼다.

Q. 국내 시장 창출과 해외 공략을 위한 준비는 어떻게 진행되

고 있나?

A. 새로운 시장이기 때문에 시장 파이를 키우기 위한 다양한 전

략이 필요하다. 그중 하나가 레이저 업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우

리 제품을 공급하고, 지워지지 않는 라벨을 공급할 수 있는 창구

를 제공해주려고 한다. 레이저 업체에게는 새로운 사업영역이 될

수 있어 시장 창출을 위한 충분한 동기부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고 본다. 지워지지 않는 바코드 라벨은 레이저 바코드 프린터를 통

해서만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비 판매 외에도 인쇄를 통한 라

벨 판매도 가능해 수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해외 시장에 대한

기대도 크다. 시장에 없는 제품이기 때문에 국내 레퍼런스를 통해

지워지지 않는 바코드 라벨의 장점을 충분히 어필한다면 승산이

있다고 본다. 우선 일본에서 유수 업체와 총판 대리점 계약을 체

결했고, 미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대리점 계약을 할 업체를 물

색하고 있다.

남의조 대표는 "앞으로 소형화된 저가 장비를 공급함으로써 범용 바코드 프린터 시장

영역에서 진검승부를 펼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Page 58: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58

2013년 유비쿼터스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은?신규과제 7개(53억원)와 확산과제 5개(42억원)로 구성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지난 4월 17일 무교청사에서 2013년 유비쿼터스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 통합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사업은 센서, 모바일 등 u-IT 기술을 재난/안전, 복지 등 현장 중심의 공공서비스에 접목해 국가현안 해결을 위한 u-서비스를

개발·보급하는 것으로, 국민행복 실현 및 미래 창조사회 선도를 위해 국가정보화 선도 응용서비스 개발, 미래 스마트 기술수요

창출 및 생활밀착형 서비스 확산에 목표를 두고 있다. 올해에는 12개 과제가 추진되며 사업별로 10억원 내외의 예산이 지원된

다. <표1>과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규과제 7개(53억원)와 확산과제 5개(42억원)로 구성되며, 이들 과제에 책정된 정부의 총

예산은 95.42억원이다. 올해 과제는 대기업 참여제한(SW사업진흥법 개정, 13.1.1시행)에 따라,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전문기술지원을

강화해 주관기관 및 전문중소기업과 상생을 도모하도록 추진된다. 추진 방향은 새 정부의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중점과제 발굴

및 u-서비스 6대 중점분야와 연계해 향후 중장기 정책과제로 지속 발전시킬 계획이다. 중장기 6대 중점추진 분야는 재난대응, 맞

춤형 복지, 환경오염 대응, 농어촌 경쟁력 강화, 교육양극화/정보격차 해소, 국민생활 안전/치안 등이다.

SPECIAL REPORT

Page 59: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59 2013. MAY

글로벌AIDC공급업체인지브라테크놀로

지가지금까지다양한분야에RTLS태그100

만개를납품했다고발표했다.지브라의솔루션

은RTLS와UWB기술을기반으로하는RFID

시스템,WhereNet2.4GHz태그를포함하고

있다.이솔루션은실시간으로자산및사람등

의위치를추적하는데활용되고있다.

지브라관계자는“100만개의RTLS태그를

판매했다는것은RTLS시장에서지브라의새

로운이정표를제시한것으로실시간위치시스

템의수요가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다는것을

의미한다.”고말했다.특히,그는“RTLS기술

이추적운영효율성과품질관리개선,비용절

감등여러산업에서비즈니스성과를개선하

고있다.”고강조했다.지브라에따르면,능동

형RFID기술과RTLS솔루션의주요고객은

자동차,제조,의료,스포츠산업등으로다양하

다.지브라는기업들이가시성을개선하고더많

은정보를비즈니스의사결정을가능하게하기

위해RFID및RTLS솔루션도입을진행할것

으로내다보고있다.시장조사기관인프로스트

앤설리반관계자는“오늘날비즈니스경쟁환경

에서자산과인력에대한정확한추적모니터링

을요구하는것은전세계적으로RTLS솔루션

에대한높은수요를이끌어내고있다.RTLS는

정확한실시간비즈니스정보를제공하기때문

에기업들이선호하고있다.”고말했다.

또한,그는“기술의발전은최종사용자로하

여금WiFi,초광대역,초음파,적외선,능동형

및수동형RFID와같은여러기술중에서선택

을가능하게했다.아울러,더나은결과를얻

기위해RTLS솔루션과여러다른기술들의

조합을사용할수도있다.”고덧붙였다.

신규 시범과제

확산 검증과제

추진 과제별 세부 내용(안)

지브라, 100만개 RTLS

태그 납품...새로운 이정표

가시성 개선과 정확한 비즈니스 의사결정

위해 RFID 및 RTLS 도입 늘어날 것

Page 60: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60

가축분뇨 전자인계관리시스템 구축주관기관 : 환경부, 한국환경공단, 제주특별자치도

예산 : 15억원

이 사업은 축산농가의 가축분뇨 배출, 수집/운반, 처리 및 재

활용 사업장에서의 업무처리 전 과정을 시스템화해 전국 가축

분뇨 발생/처리 현황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서비스 개념도

이 사업의 핵심은 가축분뇨 운송차량에 대한 실시간 위치 및

중량측정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활용해 중앙시스템으로 전송하

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과 웹기반의 가축분뇨전자인계관리시스

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 차량의 중량과 위치정보의

정확한 측정방안 및 기술, 차량의 중량 및 위치정보를 무선통신

망을 이용해 중앙시스템으로 전송 방안, 전송된 차량의 위치정

보와 중량정보를 활용해 GIS의 좌표정보를 활용해 전자인계정

보 생성 및 사용자에게 전송 방안, 무선통신망 장애지역에서 중

앙시스템으로 정보 전송 방안, 향후 통신장비에 대한 확장성 및

호환성, 위치추적장치 및 중량측정장치와 영상장비의 봉인 방

안 등이 필요하다. 웹기반의 가축분뇨전자인계관리시스템 구축

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인증방안 및 가축분뇨전자인계관리시스

템 사용자의 편의성, 가축분뇨 사용자의 고령화에 따른 정보시

스템 접근의 편의성 및 효용성, 다량의 위치정보와 중량정보의

처리 방안 및 기술, 기초정보와 전자인계정보 및 대장정보, 실적

정보의 연계분석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이를 ㅌ오해 향후 가축분뇨전자인계관리시스템 확산을 위한

공동화룡ㅇ 활성화 가이드라인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 구축을 통한 기대효과로는 종이인계서의 전자서식

대체 및 생산유발효과, 가축분뇨 민원정보 제공 등으로 연간 약

96억 원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정성적 기대효과로는

축산농가에서 수거되는 분뇨수거량을 집계해 총발생량 대비 자

가 처리량 및 처리장을 통한 분뇨처리량의 파악이 가능해진다.

액비의 불법살포 감시가 가능해짐에 따라 불법살포에 대한 환경

오염 방지 및 민원발생의 감소가 예상된다. 또한, 가축분뇨 관련

민원발생시 인계서 및 액비살포 영상자료를 통해 오염 발생원인

에 대한 추적이 가능하다. 시스템을 통해 입력된 자료를 근거로

현장점검이 필요한 축산농가 및 처리업체를 추출함으로써 효율

적인 점검이 가능하다.

로컬푸드 연계형 학교급식운영시스템 구축주관기관 : 충청남도

예산 : 14억 원

이 사업은 로컬푸드 연계형 학교급식운영시스템을 구축함으

로써 학교급식 식재료의 안정적 공급 및 지역 내 생산자 소득 증

대에 목표를 두고 있다. 각 학교의 영양(교)사가 학교급식지원센

터를 통해 식재료를 수급하기 위한 발주체계와 로컬푸드 생산

자 및 공급업체가 식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수주체계를 시스템

화하고 학교와 생산자의 매개체인 도내 시군 학교급식지원센터

의 운영/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로컬푸드 학교급식운영시스템’

을 구축하는 것이다.

서비스 개념도

지역 내 친환경 농수산물을 학교급식 식자재로 공급해 학생

들에게 보다 신선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한 학교급식

지원센터 운영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학교급식 식자재 유통

Page 61: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61 2013. MAY

단계를 개선해 지역 내 생산자에게 보다 안정적이고 높은 소득

을 보장할 수 있는 로컬푸드의 공동생산/보관/유통지원 체계를

마련하게 된다. 또, 학교급식 식자재의 생산지에서 소비자까지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비교적 좁은 지역을 단위로 하는 로컬

푸드 식자재 공급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핵심은 2013년에 2개 지역(당진/아산)에 시범 구축 후 충남 전

역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하며, 2013년 시범구축 이후 전국적

으로 확산이 가능한 ‘학교급식운영 표준 시스템’으로 구축하는

것이다. 충남에 웹기반 서비스로 구축하고, 이를 각 시군에서 공

동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축하고, 학교 영양(교)사, 학교

급식지원센터, 생산자 및 공급업체의 요구사항 분석 참여를 통

해 표준화된 기능 및 데이터베이스 설계로 향후 공공기관으로

확대시킬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축하게 된다. 학교급식을 위한

NEIS/EDUFINE 시스템 연계 및 기존 운영 데이터를 참고해 학

교급식 식자재에 대한 품목별 코드 표준화 작업 및 요구사항 의

견수렴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러한 시스템 구축을 통해 다양한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정량적 효과로 계약재배를 통한 참여농가의 소득 창출, 학교급

식 식재료의 농가 계약재배를 통한 로컬푸드 공급 비율을 60%

까지 확대함으로써 농가의 평균소득률 10% 이상 증대, 학교 급

식식자재 구입비용 절감, 학교별 개별업체 공급에서 급식센터를

통한 일괄 공급체계 전환, 식재료의 일괄 공급 체계로 발주 시

간 및 식재료 검수시간 단축, 충분한 급식 준비시간 확보로 급

식의 질 향상 등을 들 수 있다. 정성적 효과로는 학교급식 소비

자인 학생에게는 보다 안전하고 신선한 로컬푸드 친환경 농수

산물 공급체계 마련, 친환경/우수 농수산물의 유통구조 개선

으로 지역 내 농어업인의 안정적인 판로처 확보, 지역 내 농어업

인과 소비자의 윈윈 체계 마련 등이 기대할 수 있는 대목이다.

u-IT기반 급경사지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주관기관 : 소방방재청, 산청군

예산 : 7억 원

이 사업은 u-IT 기술을 접목한 급경사지의 체계적이고 과학

적인 관리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고에 목적을 두고 있다. 세부적으

로는 급경사지 통합관리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기준을 통한

급경사지 관리 활성화, 현장 계측시스템 구축으로 급경사지 위

험성 평가 및 대국민 안전대책 마련, 시범 구축된 시스템을 개선

하고 확산 적용을 위해 통합관리시스템의 기능을 확장해 지자

체에 보급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목표시스템

급경사지 현장에 강우량계, 지표변위계, 지표신축계, 크랙게이

티, 신축계, 지하수위계, 간극수압계, 함수비센서, 지중경사계, 구

조물경사계, 변형률계, 온도계, 주민대피 경보방송시설을 설치하

고, 시군구 재난상황실에는 급경사지 통합관리시스템과 실시간

모니터링시스템일 설치된다. 이를 통해 대민 재난 경보 서비스를

구축하게 되는 것이다. 2012년도 시범구축 사업에서 9종류 9개

계측방식에 대한 시스템이 개발돼 1차 시범구축 현장과 유사한

현장에 대해 적용 가능해졌다. 1차 시범구축 현장과 유사하지

않을 경우 시스템 적용에 애로가 있고, 전국 확산을 위한 시스

템의 사용성 및 편의성, 확장성이 부족했다.

이번 2차 확산사업에서 11종류 16개 계측방식에 대한 데이

터 변환 모듈이 개발될 경우, 현재 국내 급경사지 ‘상시계측관

리’에 활용되는 대부분의 센서를 시스템에 연결할 수 있다. 전국

확산시 지자체에서 사용성 및 편의성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이 사업을 통한 기대효과로 정량적인 효과와 정성적인 효과로

나눠볼 수 있다. 정량적 효과로 단위 현장 급경사지 모니터링 프

로그램 보급으로 인한 예산 절감, 관리기관 담당자 및 전문가가

참여한 붕괴위험 급경사지 정기점검, 해빙기 및 여름철 우기대

비 긴급점검 등의 예산 절감, 업무처리단계 및 처리시간 단축 등

이 있다. 반면 정성적 효과로 급경사지 ‘상시계측관리’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기준(안) 마련, 계측센서 및 계측기기 설치 표준화

정립, 관리기관 재난관리 담당자들에게 전문화된 시스템의 제

공 및 세부 설치 기준 제공으로 급경사지 ‘상시계측관리’ 활성화

기반 구축, 붕괴위험지역 ‘상시계측관리’를 통한 인명 피해 방지

및 재산피해 최소화에 기여 등을 들 수 있다.

Page 62: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62

스마트폰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화유산 관광안내 서비스 주관기관 : 문화재청

예산 : 6억 원

이 사업은 스마트사회(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문화유산 콘텐츠

를 확충하고 기존 문화유산 안내서비스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모바일 기반 표준 서비스 모델을 개발 보급하는 것이 목표다.

서비스 개념도

주요 서비스는 위치기반 증강현실 서비스, 스토리텔링 방식의

문화유산 안내서비스, 경복궁 주변 관광정보서비스, 다국어 지

원서비스 등으로 이러한 서비스가 더해지면서 달라진 문화유산

답사안내서비스와 문화재 주변 관광정보서비스가 마련된다. 문

화유산 답사안내서비스의 경우, 스마트폰 앱을 통한 증강현실

기반 무인 문화유산 안내서비스가 실시되고, 전국 어디서나 스

마트폰을 통한 관란 정보 서비스가 실시되며, 현장에서 정보 획

득 및 현장에서 직접 실시간 정보 조회가 가능해진다. 문화재 주

변 관광정보서비스의 경우, 스마트폰 앱을 통해 문화유산 현장

에서 안내서비스를 받으면서 실시간 주변 관광정보를 제공받고,

SNS를 통한 관광객 간 실시간 소통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말하

는 스토리텔링 방식의 문화유산 안내서비스는 3D 문화유산해

설사를 사용해 인문적 소재를 스토리텔링으로 구성해 한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경복궁 관광 체험을 얻을 수 있도록 각종 역

사자료를 수집 가공하는 서비스다. 위치기반 증강현실 서비스

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POI 표시 및 문화

재 인식을 통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시스템 구

축을 통한 기대효과는 크게 4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고품질 문화유산 현장서비스의 제공이다. 국민들에게 우리의 소

중한 문화재 정보를 현장에서 바로 안내받을 수 있게 된다. 둘

째, 국내 모바일 최신기술 육성의 기반을 조성할 수 있다. 문화

유산 분야에 증강현실 등 신기술 적용을 통해 국내 모바일 최신

기술 육성 및 국민에게 입체적인 문화재 정보 향유 기회가 제공

된다. 셋째, 관광객 유치 및 국내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는 고품질의 문화재 정보 제공을 통해 가능하다. 넷째, 지자체

의 문화유산 관련 서비스 구축시 표준 제시 및 사례 제공을 통

한 예산 절감도 가능하다.

평창 동계올림픽 스마트 기상지원주관기관 : 기상청, 2018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예산 : 9.5억 원

이 사업은 첨단 IT기술이 접목된 u-관측환경 구축으로 경기

종목별/지점별 상세예측기술로 원활한 경기 진행 및 안전을 도

모하고, 맞춤형 상세 기상정보 및 의사결정 지원을 통한 기상정

보서비스로 올림픽 경기력 향상 및 성공적 국제행사 개최 지원

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목표시스템

사업의 범위는 특화기상지원시스템 개발, u-관측망 및 인프

라 구축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특화기상지원시스템은 기상

정보지원 웹서비스 고도화, 지점별 상세기상예측시스템 고도화,

경기장 주변 및 관광객을 위한 실시간 기상정보 서비스 고도화,

경기종목별 맞춤형 상세기상 및 의사결정 지원 기상정보 서비

스 등의 세부 기술이 개발될 예정이다. u-관측망 및 인프라 구

축을 위해 올림픽 경기의 원활한 진행과 안전도모 지원을 위한

관측장비의 설치와 관측장비의 안정적 운영 및 자료수집 기반

구축, 유관기관의 기상관측자료 연계 활용 등을 통해 완성된다.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량적 기대효과로는 특화기상지원표

Page 63: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63 2013. MAY

출시스템 운영으로 기상정보지원 정확도 제고, 동계올림픽 기상

관측망 확대, 기상정보지원 전달체계 개선, 실시간 기상실황 매

1분 자료 제공이 가능해진다.

정성적 기대효과로 예측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기상정보 콘

텐츠 지원으로 경기장 내 미기상 변화에 대한 대처로 선수들의

경기력의 질적 향상, 올림픽 경기 시설별로 구축된 관측/예보/

정보 전달 체계를 레저, 스포츠, 관광에 적용해 새로운 산업 및

부가가치 창출 도모 등을 기대할 수 있다.

u-IT 기술을 이용한 작물 컨테이너 시스템주관기관 : 전북 김제시

예산 : 5억 원

이 사업은 u-IT 기술을 활용한 작물 컨테이너의 표준 모델을

제시하고 IT 기술과 농업기술의 융복합으로 시간적, 절차적 프

로세스를 개선하며, 농촌 환경오염 예방 등 친환경 첨단 농업기

술 선도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서비스 개념도

사업의 범위는 u-IT 기술을 활용한 작물 컨테이너, 컨테이너

재배환경 정보가 확보된 작물과 김제시 대표작물인 벼 등을 재

배 실시해 최적의 재배환경 정보를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원격

모니터링도 사업 범위에 속한다.

이 사업을 통한 사용자 대상 서비스는 모종을 육묘하는 작물

컨테이너 시스템을 보급하고, 작물 컨테이너 내의 온도, 조도, 습

도 등의 임계치를 설정해 이상 발생시 농민에게 모바일로 전송

해 농민이 최적의 생육 환경을 직접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자

연광이 아닌 LED 빛을 이용함으로써 작물의 모종 생육에 최적

의 환경을 제공하고 1년 365일 지속적 재배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 수경재배 방식에 상토를 이용한 생육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관리자 대상 서비스는 각종 통계 및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하

고, 컨테이너별 상황 감시 및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다.

사업의 핵심사항은 최적의 생육 환경 제공으로 육묘기간의 단

축, 계절의 제한이 없는 작물 육성 환경 구현, 년10개월 이상 작

물재배 환경 구현, 온도/습도/조도/CO2 제어, 운영시간 및 작

물재배 등의 성과를 수치로 도출, 작물별 최적의 온도/습도/조

도/CO2 등의 환경 도출 등이다.

이 시스템 구축을 통한 정량적 효과로는 우선, 최적의 생육 환

경 제공으로 육묘기간 단축 및 계절의 제한이 없는 작물 육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작물 컨테이너를 이용해 농

업 노동시간과 경지면적을 줄여 노동생산성을 증가시키고 노동

집약도 감소로 농촌 일손부족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야지 대비

작물 컨테이너의 생산량이 약 2배 이상 예상되며, 연중 끊임없

는 모종 생산으로 농촌의 수익 증가에 기여하고, 반영구적 친환

경적 시설물로 환경오염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u-IT기반 버섯 생장관리 분석시스템주관기관 : 경기도

예산 : 7.1억 원

이 사업은 버섯 생장 환경정보 수집 및 실시간 모니터링 구현

을 통해 효과적인 재배활동을 지원하고, 수집 정보 분석 및 환

류 체계 구축을 통해 고품질의 버섯 생산 활용 정보를 제공하

면서 농가 확산/보급을 위한 공통 활용 플랫폼 기반을 마련하

는 것이 목적이다.

서비스 개념도

Page 64: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64

이 사업의 개발 내용은 세 가지로, 농가현장장비 구축, 버섯생

장관리시스템 및 버섯생장분석시스템 구축이다. USN과 RFID

를 적용해 온도, 습도센서 등의 생장정보를 수집하고, RFID 태

그를 통해 배치-생장-생산량 정보를 연계하는 농가현장장비 구

축을 한다. 스마트패드와 RFID 리더 장치, 모바일앱을 통해 생

장정보관리를 하고, 웹과 모바일앱으로 생장정보모니터링을 함

으로써 버섯생장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DBMS와 리포

팅 툴로 생장정보를 분석하고 웹을 통해 분석결과를 환류해 버

섯생장분석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서비스 도입 전에는 생장정

보 1일 1~2회 측정 수동 기록, 종이카드에 현황 정보 관리, 과거

기록 및 현재 상태 현황 정보 관리, 과거 기록 및 현재 상태 확

인 불편, 일부 현장정보만 모니터링, 작업장 이동 중 섞임현상 발

생 우려, 배지수분 및 생산량 측정 불편, 버섯연구소에 농가 데

이터 부재, 생산량 및 위해요소 등 수기관리 정보로 대략적 분

석, 피드백 수단 미비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서비스

도입 후에는 센서를 통한 24시간 자동 기록, 시스템을 통한 정

보관리, 과거기록 및 현재 상태 실시간 확인 가능, 재배 전과정

에 대한 모니터링, RFID를 통한 배치와 생장정보 연계, 수분측

정기와 자동계근기 등을 통한 자동 측정 및 정보수집 가능, 다

수 참여농가 데이터 수집 가능, 시스템을 통한 정밀한 분석 가

능, 시스템을 통해 분석 즉시 피드백 등을 통해 문제가 대부분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시스템 구축을 통한 정량적 효과로 온습도 관리 비용 절감, 재

배과정 중 폐기병 발생률 감소, 배치별 생산량 차이의 감소 등을

기대하고 있다. 정성적 효과로 u-IT 기술을 적용, 생산예측 가

능체계 구축 및 효과적인 버섯재배 관리, 생산수율 차이의 원인

분석자료 농가 피드백을 통한 생산성 향상, 전산화된 작업일지

를 통한 정보 분석과 업무관리 편의성 증대 등을 기대하고 있다.

재해구호물자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주관기관 : 소방방재청

예산 : 8.26억 원

이 사업은 재해발생시 재해구호물자의 효율적 배분 및 관리

와 현장 중심의 통합적 응급구호 지원의 필요에 따라 현장 및

수요자 중심의 ‘재해 응급구호 선진화’ 실행 체계를 구현하고,

u-ICT 신기술을 활용한 미래 지능형 재난관리 실현기반을 마

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서비스 개념도

사업범위를 살펴보면, 우선 재해구호물자 비축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시군구 담당자가 재해구호물자 비축현황관리

에 대한 재해별 지급현황 모니터링, 시군구 담당자가 구호협회

및 대한적십자가 관리하는 재해구호물자 비축현황 모니터링, 구

호협회 및 대한적십자의 창고별 재해구호물자 비축현황 모니터

링, 지자체가 재해구호협회에 위탁 보관하는 재해구호물자현황

조회기능, 재해구호물자에 부착된 RFID 태그 불량시 재발행 기

능 구현 등이 세부적으로 구현될 예정이다.

다음으로 재해구호물자 유통관리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

다. 재해구호협회 및 적십자사의 재해구호물자에 대한 창고별

관리 기능과 지자체의 요청에 의해 재해구호협회 및 적십자

사의 재해구호물자 내역 확인, 보관창고의 출고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 등을 구현하게 된다. 이밖에 국가재난관리시스

템(NDMS)과 연계하고, 재해구호물자 현장단말 시스템을 구

축할 예정이다.

이 사업에는 태그발행기 3대, RFID 태그 17만개, 현장업무 전

용단말기 242대, 휴대형 RFID 리더 247대가 투입될 예정이다.

이 사업을 통한 정량적 효과로는 재해구호물자 접수 및 배분

업무처리 시간 단축으로 인해 인건비 절감이 연간 1억 9,800

만원으로 기대되고 있다. 아울러, 연평균 재해구호물자 지급량

10%에 해당하는 재해구호물자 망실에 의한 비용 절감도 연간

1.5억 원으로 예상된다. 정성적 효과는 기관간 협업 확대에 따

른 대국민 구호업무 품질 향상, 재해구호물자 지급 및 구호활

동 관련 정보화를 통해 이재민 구호활동의 신속성과 투명성 향

상, 재난현장 지원역량 강화, 재해구호물자의 자원수급 채널 최

적화 등으로 대국민 신뢰도 향상 등 국가 이미지 제고도 기대

하는 부문이다.

Page 65: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65 2013. MAY

u-IT 기술을 활용한 유해야생동물 퇴치시스템 구축주관기관 : 제주특별자치도, 김제시, 국립공원관리공단

예산 : 19.5억 원

이 사업은 안전한 유해 야생동물 퇴치 및 포획과 농가 피해

저감과 등산객 보호를 위해 효율적이고 선도적인 u-IT 기술을

활용한 유해 야생동물 퇴치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

적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유해 야생동물 포획시스템을, 김제시

는 유해조류퇴치시스템을, 국립공원관리공단은 u-에코펜스 구

축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서비스 개념도

사업의 범위는 참여 주관기관마다 상이하다. 제주특별자치도

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공통으로 야상동물퇴치 및 포획시스템

의 통합모니터링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농가에 피해를 주는 유해 야생노루 생포를 위한 이동형 포획시

스템과 포획 야생동물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김제시는

김제시 공덕면 제말리와 용지면 부교리에 지향성 음파기반 조류

퇴치 시스템을 설치할 예정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리산국

립공원 유평지구에 u-에코펜스를 설치해 유해 야행동물의 접

근을 감지해 초음파 등을 이용해 퇴치하고, u-에코펜스 관리시

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 사업의 정량적 효과로 출현 개체수

대비 포획 성공률 60% 이상 달성, 야생노루에 대한 농작물 피

해액 5% 감소, 장비 설치인근에 출현하는 조류 60% 이상 퇴치,

배 과수농가의 전년도 대비 최상급 품질 수확률 3% 이상 증가,

유해 야생동물 출현 대비 퇴치 성공률 60% 이상 달성 등을 기

대하고 있다. 정성적 효과로 유해야생동물로부터 농가의 보호체

계를 수립하고, 최근 가결된 제주특별자치도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 조례가 제정됨으로써 농민과 환경보호단체의 찬반여론으

로부터 대안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조류퇴치 음원

을 임의 송출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방지하고, 공원출입 일반인

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의 차단과 국립공원의 주요 생물자원

인 야생동물 희생방지 및 관련 연구 연계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아시안게임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주관기관 : 인천광역시

예산 : 7억 원

이 사업은 경기장 내 안전요원 상호간 상황 및 일반정보 등 송

수신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의 단일 통신망(음성, 문자, 사진, 영상

등) 체계를 마련하고, 경기 관람을 위해 다수의 시민, 외국인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인 지하철 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화재 자

동신고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대회경기장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이 사업의 범위는 크게 두 가지다. 첫째 대회경기장 스마트 안

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 조직위원회와 각 경기장

별 안전 상황실간의 보고/상황전파 체계를 구축하고 조직위 안

전상황실 <-> 안전요원(소방, 경찰, 군 등)간 통합된 무선지령체제

를 구축하게 된다. 아울러 주 경기장내 설치된 CCTV 영상을 안

전요원 스마트폰을 제공하고, 스마트폰 무전시스템을 소방 무선

망(UHF)과 연계해 기존 장비 활용 방안 및 이중화 통신망 구성,

향후 유관기관 확장성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둘째, 지하철 지

능형 재난감시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 USN 기반의 화재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하철 역사 내 화재 및 방법, 화재감

시 CCTV를 119 상황실과 연계하게 된다.

이 사업을 통한 정량적 효과로 안전관리 상황전파 업무 개선

을 통한 처리시간 단축, 이동통신망 활용으로 인한 경기장 기지

국 설치비용 절감, 경기관람객 중 응급환자 발생시 신속한 현장

Page 66: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66

조치로 소생률 증가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정성적 효과로는 최

첨단 시스템 구축으로 평창동계올림픽 등 국제경기 운영시스템

의 국가 경쟁력 강화로 해외 수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안전상황실과 현장 안전요원의 정확하고 실시간 정보

전송을 통해 응급상황 발생시 대체 능력 향상도 기대해 볼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향후 인천지하철 전체 역사 및 남동공단

등 공장지역 119 자동신고장비에 확산 적용해 인명 및 재산 피

해도 감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광양만 국가산단 대기환경감시시스템주관기관 : 전남 광양시

예산 : 11억 원

이 사업은 대기오염물질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역추적, 예보

서비스를 통한 환경감시를 강화하고 업무의 효율성 제고, 유해

물질 누출사고 예방과 유사시 신속한 대응체계 확립에 목표를

두고 추진되는 것이다.

서비스 개념도

광양만 국가산단 대기환경감시시스템은 시민과 상생을 위

한 친환경 미래 산업단지 통합 환경/안전관리 솔루션으로 사

업범위는 크게 네 가지다.

첫째, 자료 수집 및 생성이다. 이를 위해 관측장비 설치, 관

측자료 수집, 관측장비 설치 위치 조사, 장비 및 시스템 이력

관리, CCTV는 광양시 CCTV 통합관제센터에 통합하게 된다.

둘째, 주민 환경/안전 서비스 SW개발이다. 악취/먼지 배출목

록을 작성하고 사업장 배출원 관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기

본 DB(기상/대기질/기상청 황사) 연계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셋째, 안전 및 환경 모델링/추적 SW 개발이다. 이를 위해

대기질(먼지, 악취) 확산 예측시스템, 유해 물질 확산 예측시스

템, 배출원 추적 소프트웨어, 기상 예보 등의 세부 내용을 개

발한다.

넷째, 대기환경 감시시스템 통합 SW 개발이다. 이를 위해 시

민 감시 웹/앱 개발, 유해물질 및 환경 장비 데이터 활용 및 도

식화, 빠른 감시 체계화를 통한 경보 전송, 시 대표 홈페이지

에 서비스 등이 이뤄진다. 이러한 사업을 통한 서비스는 예측/

예보 서비스, 환경정보 모니터링 서비스, 대시민 서비스, 통합

관리 서비스, 긴급 대응 서비스, 사업장 관리 서비스 등이 제

공될 예정이다.

광양만 국가산단 대기환경감시시스템의 정량적 효과로 환

경오염 민원 발생건수의 80% 감소와 업무처리단계 및 처리

시간의 단축을 기대해볼만 하다. 정성적 효과로는 지자체, 주

민, 사업장, 유관기관간 유기적인 통합 환경관리시스템 구축

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이 가능할 것이다. 또 타

지역 국가산단으로 서비스 확산을 통한 기술의 가용성도 향

상될 수 있다.

도시바테크, UHF 신주파수 대응 RFID 상품 출시‘B-EX4T1’용 옵션으로 RFID 키트나 RFID 리더 라이터 등 출시

일본 AIDC 공급업체인 도시바테크가 물류나 금융

업 등 업종·업태별의 라벨프린터용 RFID 키트나

RFID 리더 라이터 등 UHF대 신주파수(920MHz)

대응의 RFID 상품을 단계적으로 출시한다고 발

표했다. 일본에서 작년 7월 25일부터 시행된 UHF

대 신주파수(920MHz)는 세계 표준의 주파수 대역

으로, 여러 나라와 공통 주파수 대역이다. 일본 업

계는 앞으로 새로운 주파수상에서 물류, 제조, 유

통 등의 SCM 분야와 추적, 창고관리, 재고관리 등

에서 RFID 시스템 활용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

하고 있다. 도시바테크는 기존의 950MHz 대역의

RFID 기기 및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는 고객에 대

해서는 신주파수로 변환할 수 있도록 컨설팅에서

부터 기기 설치, 시스템 조정·확인까지 전부 지원

할 계획이다. 이번 출시된 제품은 물류·제조업 전

용의 라벨프린터 ‘B-EX4T1’용 옵션으로 RFID 키

트(UHF 대역), 금융업 전용의 RFID 리더라이터

‘UF-2010-DT-R’,’UF-2010-ST-R’, ‘UF-2010-

WL-R’, 유통업과 물류업, 제조업 전용의 RFID 리

더라이터 ‘UF-2110-DS-R’, ‘UF-2110-AM-R(안

테나)’다.

Page 67: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67 2013. MAY

성공사례

독일 의류 유통업체들이 판매 잠재력을

높이기 위해 RFID를 본격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먼저 Adler Modemarkte가 재고 가

용성을 향상시키고, 전체 소매 네트워크를

통해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RFID를 도입

했다. 이 회사는 RFID 확산 이전에 두나라

의 7개 상점을 대상으로 장기 파일럿 프로

젝트를 실시했다. Adler의 목표는 전체 의

류 사업 영역에 RFID를 도입하는 것으로,

마지막 단계까지 적용할 경우, 연간 사용되

는 RFID 태그는 약 3,000만개에 달할 것

으로 예상되고 있다. EAS 시스템이 통합된

RFID 시스템을 Adler의 재고관리 시스템

에 통합함으로써 회사는 새로운 제품과 오

래된 제품, 회사의 주요 판매 제품에 대한

재고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재고목록을 유지관리할 수 있다.

회사 관계자는 “우리는 RFID 도입으로

재고관리의 정확성이 개선되는 것을 기대

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는 판매 증가도 좋

지만, 매장에서 고객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Adler는 또한 보다 쉬운 재고관리, 신

속한 매장내 판매된 제품 진열과 함께 전

체 공급망에서의 프로세스 최적화에 대한

기대가 높다. 2012년 파일럿 이후 회사의

RFID 운영위원회는 판매 잠재력을 높이

고,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전체 판매 네

트워크에 RFID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이 회사는 현재 독일, 오스트리아, 룩셈부

르크에 167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의류산업, RFID 도입이 정답이다

이와함께 남녀, 아동 의류와 신발을 제

조하고 있는 C&A가 독일 내 5개 매장에

시범적으로 도입했던 RFID 시스템을 25개

매장으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이 회사는

RFID 기술이 항상 각 매장에서 선반에 놓

은 특정 제품의 판매와 매장 재고와 공급

망 가시성을 개선시키고 테스트하고 있다.

C&A는 전세계 20여개국에 1,600개 매

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속가능성에 초점

을 맞춰 오가닉 코튼과 같은 재질로 의류

를 제조해 저렴하고 품질좋은 의류를 전문

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C&A는 상점의 매

장과 백룸에 적절한 수량의 제품을 공급

하고 판매되는 즉시 보충할 수 있도록 노력

해오고 있다. 판매되고, 매장과 상점의 백

룸에 있는 제품들을 추적하는 재고 데이

터 뿐만 아니라 제품을 특정 매장에 선적

하는 사전 배송통지를 포함하는 자동화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2012년 6월 UHF

EPC RFID 솔루션 적용을 시작했다.

이러한 방법으로 회사는 ‘NOS(Never

out of stock)=아이템은 언제나 선반에 위

치할 수 있도록 한다’라는 더나은 것을 목

표를 실현하고자 했다. RFID 시스템은 여

성과 어린이 속옷, 남성 및 여성 청바지,

남성 정장과 바지 블레이저에 적용됐다.

회사에 따르면, RFID 기반 상점으로 가

는 NOS 아이템에는 의류 제조 시점에 행

태그에 에이버리 데니슨이 공급한 EPC

Gen2 수동형 UHF 태그를 부착했다. 지

금까지 11개 의류 공급업체는 13개 로케이

션에서 RFID 태그를 인식하고 적용하고

있다. 현장에서 태그를 인식하기 위해 모

토로라솔루션의 MC 3190-Z 휴대형 리더

와 FX 7400 고정형 리더를 사용하고 있다.

C&A는 오는 5월까지 독일 내 25개 매

장에 RFID 시스템 적용을 완료할 계획이

다. C&A 관계자는 “다섯개 매장의 RFID

적용 결과 결품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혜택

을 봤다. 매장의 선반과 백룸 프로세스의

효율성도 높아졌다”고 말했다.

CASE STUDY

독일 의류업체들,

RFID 확산 시동...RFID 도입 대세매장 재고 등 공급망 가시성 개선해 판매 높이기 위해

RFID

Page 68: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68

대부분의머신비전공급업체들이머신비전

시스템의구축비용은억제하면서비전의정

확성과다양한기능을요구하는새로운고객

에대응하고,시장의트렌드에맞춰‘스마트

카메라’시스템을제공하고있다.스마트카

메라는올인원카메라시스템으로렌즈와센

서,프로세서,카메라와컴퓨터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를통합함으로써,별도의카메라,

프레임그래버,PC및소프트웨어구성요소

에의존하는PC시스템을대체하기위해설

계됐다.현재까지약20개이상의카메라제

조업체가바코드판독에서산업검사에이르

기까지다양한애플리케이션구축을위해다

양한제품들을공급하고있다.

스마트 센서, 단순화 추가

모든스마트카메라가똑같은형태로똑같

은기능을탑재해만들어지지는않는다.종종

‘스마트센서’라불리는많은저가형모델은

바코드판독과같은특정애플리케이션에맞

도록만들어졌다.이러한장치들은몇가지이

유로기존의레이저기반스캐너의역할을대

신하면서이들을위협하고있다.대부분고정

형이기때문에기계고장에취약하지않고,

DataMatrix코드와같은다양한형태의바

코드를처리할수있는장점을가지고있다.

제조업체들은스마트센서의신속한구성을

위해개발자로하여금리더가올바른시야에

서정확하게초점을잡고위치하도록하는

GUI(GraphicalUserInterfaces)를제공한

다.해당소프트웨어는코그넥스와마이크로

스캔과같은벤더들이제공한다.DataMan

소프트웨어와함께코그넥스는<그림1>과같

이개발자가한화면에서조명과카메라,초

점과통신설정을조정하고,캡처된이미지

를살펴볼수있도록하고있다.

스마트센서는CPU와DSPs를통합할수있

지만,바코드판독과같은특정애플리케이션

만을타겟으로하지일반적으로사용자가프

로그래밍할수있도록설계돼있지는않다.

사용자가프로그램을짤수있는장치를위

한시장의문제를해결하기위해일부공급업

체들은타제조업체에서청구하는라이센스

및배포비용을들이지않고독자적인소프트

웨어를개발할수있도록소프트웨어개발킷

(SDKs)과함께OEM으로카메라를제공한

다.그러나이방법은머신비전코드를종종

C++로작성해야하기때문에장시간의개

발사이클로이어질공산이크다.

시스템에 맞는 소프트웨어 툴 킷

일부공급업체는또한개발소프트웨어를가

속화하기위해다양한애플리케이션에맞게

맞춤화할수있는범용머신비전소프트웨어

가있는스마트카메라를제공한다.이러한

스마트카메라는이러한경험을실현하는수

단으로써이전PC기반의하드웨어와소프트

웨어전문지식을갖춘기업들이제공하고있

다.이들기업들은상대적으로저가의스마

트카메라의혜택과친숙한PC기반소프트

웨어를제공함으로써고객들에게새로운소

프트웨어나개발툴의학습없이스마트카메

라시스템을구축할수있는쉬운방법을제

공한다.많은스마트카메라시스템이프로그

래밍없이머신비전검사프로그램을개발하

는데사용할수있는GUIs와함께제공되고

있다.이러한방법을통해시스템개발시간

을대폭절감할수있다.MatroxImaging,

TeledyneDALSA,내쇼날인스트루먼트,

마이크로스캔,코그넥스는이러한방식의스

마트카메라시스템을제공하고있다.

MatroxImaging은개발자가IrisGT스마

트카메라를프로그래밍하기위해Window

EmbeddedCE혹은WindowsXP

Embedded에서구동하는MIL(Matrox

ImagingLibrary)와함께Window도구

를사용할수있도록하고있다.두개의마이

크로소프트운영체에서MicrosoftVisual

Studio를실행하는PC를사용해애플리케

이션개발을수행한다.개발자들이스마트카

메라시스템의신속한구현업무를할경우,

IrisGT는<그림2>와같이기존의프로그래

밍없이IDE안에서수행할수있는이미지캡

처,분석,로케이션,측정,판독,검증,통신,

I/O작업등이가능한통합개발환경(IDE)인

MatroxDesignAssistant를제공한다.

내쇼날인스트루먼트는스마트카메라의

비용 절감하고 정확성과 기능성 높인 스마트 카메라 등장

스마트 카메라, PC 기반 비전시스템에 도전장

FOCUS VISION초점

Page 69: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69 2013. MAY

NI177x시리즈의개발에유사한접근방식

을취하고있다.회사의LabVIEW,C/C++,

VisualBasic,.NET를위한비전개발소프트

웨어는다양한이미지처리및머신비전기능

을포함하는반면,회사의VisionBuilder소

프트웨어는시스템통합구성및벤치마크를

하고,메뉴중심의접근방식을사용해머신비

전을구축한다.<그림3참조>

마찬가지로TeledyneDALSA의BOAPro

스마트카메라는개발자가광학문자인식

(OCR),레이저프로파일,이미지측정및색

상분류를위해개발툴을사용할수있도록

자사의Sherlock검사소프트웨어를사용할

수있다.카메라의이미지를PC에서구동되

는SherlockGUI에전송하고,카메라에서직

접명령을실행할수있다.덜정교한개발자를

위해TeledyneDALSA는또한BOA에대한

iNspectExpress를제공한다.이소프트웨

어를사용해클릭앤어플라이프로세스를통해

포지셔닝,식별,측정툴에접근할수있다.

써드 파티 패키지 등장하기 시작

이들공급업체중일부는오직자사의라이

브러리및툴과함께제품을제공하지만,다

른스마트카메라공급업체는다른접근방식

을가지고있다.자사제품에고속CPU를통

합함으로써카메라제조업체들은자사의제

품과함께다양한써드파티소프트웨어패키

지를사용할수있도록한다.반면동시에다

양한영역의카메라타입을선택하면서,시

스템통합업체들은특정애플리케이션을설

계하는데익숙한기성소프트웨어툴을사용

할수있다.아마도이개념을도입한첫회사

가소니로,이회사의PC기반XCI시리즈카

메라가이러한모델이다.카메라에x86시리

즈프로세서를탑재함으로써시스템통합업

체들이써드파티머신비전과이미지처리소

프트웨어를올바르게실행할수있도록하

고있다.MVTechSoftware의HALCON

이가장대표적인소프트웨어패키지다.또한,

Euresys의eVisionTools,Matrox의MIL,

VisionX의VisionGauge와같은소프트웨

어패키지역시여기에포함된다.소니와마찬

가지로,XIMEA는Currera-R스마트카메라

에x86기반CPU를통합했다.Windows와

Unix운영체제에서실행되는이카메라는코

그넥스의VisionPro와MVTecSoftware의

HALCON에서Tordivel의ScorpionVision

소프트웨어에이르기까지다양한써드파티소

프트웨어패키지를사용할수있다.HALCON

Embedded에대한지원도MatrixVision

의Cortex-A8ARM기반스마트카메리인

mvBlueLYNX-x에서찾을수있다.일반적

으로스마트카메라에내장돼사용되는써드

파티는충분히새로운소프트웨어패키지를

학습해야하는개발자의익숙한소프트웨어개

발자의업무를소프트웨어는덜어줄수있다.

그러나꼭필요로하는어떠한기술지원은카

메라와소프트웨어공급업체간에공유해야한

다.스마트카메라제품은지난몇년동안상당

히증가해왔고,더불어이를지원할수있는애

플리케이션역시늘어나고있다.오늘날스마

트카메라는이전에별도의카메라,조명,프레

임그래버,그리고PC가있어야만작업할수

있었던많은산업검사애플리케이션에서쉽

게찾아볼수있다.애플리케이션의확대는중

요한개발이정표다.그러나스마트카메라는

고속웹검사와같은애플리케이션에제한돼

사용될수도있고,전용라인스캔카메라,고속

인터페이스와멀티코어프로세서를필요로하

는곳도있다.

기아자동차가엔진과변속기부품의2DData

MAtrixDPM코드의추적을위해코그넥스바

코드리더를선택했다.기아자동차는생산시스

템을6속도변속장치생산라인으로전환한후

부품의2DDataMatrix인식률향상에초점을

맞췄다.회사의기존변속장치생산라인은하루

약1,800개를생산했지만,이전에사용했던시

스템은96~97%인식률들제공했다.반면,하

루1,300~1,400개를생산하는엔진라인의인

식률은97%이하였다.기아자동차의자동차부

품은녹방지오일스프레이을사용하는데리더

가피해야할문제중하나는코드의기름으로인

한오류다.또한부품들의청결을유지한다하더

라도먼지나흡집에의해2DDataMatrix코드

가얼룩지게하거나손상될수있다.축소된마

킹사이즈와함께코드는매우작고마킹품질에

커다란변화가생김으로써코드를인식하기가

더욱힘든환경이되고있다.이러한문제에도

불구하고기아자동차는6속도변속생산라인에

부품의코드를식별하는2DMax+코드인식

알고리즘과함께코그넥스In-Sight5110바코

드리더를적용했다,그로인해인식률99%를

달성했다.기아자동차는현재모든변속기및엔

진부품조립현장에코그넥스In-Sight5110을

설치했다.아울러작고좁은공간에는컴팩트한

In-SightMicro1110을적용하고있다.또한,

기아자동차는백업시스템으로DataMan8500

휴대형리더를설치했다.고정형DataMan

100X바코드리더는또한생산라인에서레이저

마크의품질을확인하는데사용됐다.

기아차, 코그넥스 바코드 리더 도입부품의 2D Data Matrix 인식률 향상에 초점 맞춰

Page 70: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70

기술자료

RFID

TECHNICAL REPORT

3. 유통단계별 RFID 도입 방안

가전 분야 유통 과정은 협력업체 → 제조사 → 물류창고(CDC/

RDC) → 유통매장의 흐름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표준화된 물

류 프로세스를 거의 비슷하게 가지고 있다.

RFID 시스템을 가전 제품의 생산·입고·판매 등의 업무에 도입

하면, 첫째, 제품을 판매하는 업체의 입장에서는 제품의 제조정

보 및 유통정보가 자동으로 수집되어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다.

둘째,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RFID 시스템 구축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가지며 안심하고 제품을 소비할 수 있다.

본 지침에서는 다음과 같이 협력·제조·물류창고(CDC/RDC)·

유통매장의 제품 생산 및 유통 상에서 발생하는 RFID 시스템 프

로세스 등의 업무에 대한 RFID 시스템 도입을 설명한다.

1) 협력업체 프로세스

협력 업체에서 RFID 적용 상세 프로세스는 <그림1>과 같다.

협력회사 RFID 적용 프로세스의 목적은 공급 물류 가시성 확

보 및 재고관리의 효율성 확보이다. 따라서 협력회사와 제조업체

는 생산 계획 수립에서부터 프로세스를 공유한다.

일반적으로 가전 제품의 원자재에 대한 RFID 적용 프로세스

는 다음과 같다.

① 핵심 부품에 대한 RFID 적용 : 제조업체의 생산계획 수립

가전 분야

RFID 적용 매뉴얼 (3)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가전제품에대한RFID를적용하기위한기준과사례를제공함으로써가전제품RFID를적용하고자하는가전업체와이해관계자의이해를높이

고자한다.본매뉴얼은국내에유통되는가전제품에RFID를적용할수있도록관련정보를수록했으며,사용자인제조사가RFID시스템을도

입할때참조할수있도록했다.또한,RFID관련업체가RFID시스템을구축할때EPC표준코드를RFID에인코딩하고,디코딩하는방법을정

의해오류없이적용할수있도록했다.

<그림1> 협력회사 프로세스

Page 71: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71 2013. MAY

및 조정 결과가 협력회사의 생산 자재 확인 및 납기 가능성

에 대한 시스템적인 프로세스를 거친다.

② 생산 프로세스 공유 : 제조업체와 협력업체 간 생산 프로세

스에 대한 공유를 통한 생산 계획을 확정 후 협력회사는 부

품을 생산한다.

③ RFID 매핑 : 사례에서는 협렵업체 원자재 RFID 매핑은 팔

렛트(대차)단위로 했다. 생산 부품에 대한 팔렛트(혹은 대차)

단위의 RFID 매핑은 투자 대비 산출의 극대화를 위하여 개

별 부품 단위가 아닌 팔렛트(혹은 대차) 단위로서 RFID 적

용을 한 것이다.

④ 제조업체의 주문 확인 : RFID 적용된 부품의 제조업체의 주

문 확인에 대하여 출발 처리 후 납품을 시행한다. 제조업체

에 입고된 부품은 제조업체의 자재 입고정보 입력을 통하여

라인 투입 및 제품 생산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1) 협력업체 도입 시스템 및 고려사항

협력업체에서 RFID 활용하기 위해 도입해야하는 하드웨어의

기본 구성은 <표1>과 같다.

<표1> 협력업체 도입 하드웨어

협력업체에서 RFID 활용하기 위하여 도입해야하는 소프트웨

어의 기본 구성은 <표2>와 같다. 생산 이력 취합을 위해 RFID 장

비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도입돼야 하며, 네트워크 장애로 인

한 이력 송신 실패에 대비하기 위해 이력 정보를 임시 저장할 데이

터베이스의 도입이 필요하다.

<표2> 협력업체 도입 소프트웨어

(2) 협력업체 RFID 적용 사례

협력업체의 RFID 도입은 공급 물류 가시성 확보를 통한 재고

및 유통 관리의 효율성 증대를 꾀할 수 있다.

현재 협력업체의 경우 비용적 측면 문제로 인해 핵심 공급자재

에 대해 RFID 태그를 부착하고 있으며, 개별 아이템 단위의 태그

부착이 아닌 대차 혹은 팔렛트 단위의 태그 부착으로 공급 자재

에 대한 물류 가시성 확보를 하되 비용 대비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따라서 공급업체의 레거시 시스템의 아이

템 단위와 RFID 적용 기준인 대차 및 팔렛트 단위의 공급 자재간

의 정확한 연동이 필요하다. 협력업체 RFID 도입은 대차라인에

RFID 태그를 부착하는 단계와 출고시 RFID 태그를 리딩하는 단

계로 구분할 수 있다.<표3 참조>

<표3> 협력업체 RFID 도입사례

첫째, 대차 라인에 RFID 태그를 부착하는 단계는 현재 투입 비용

의 최적화를 위해 자동화 태그 부착이 아닌 수작업 RFID 태그를

Page 72: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72

발행 및 부착하고 있다. RFID 태그는 제조업체에서 관리하여 협

력업체의 공급 자재 정보와 제조업체의 조달 정보가 서로 매핑이

쉽게 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기업 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

도록 하기 위해서 EPCglobal 표준을 적용하는 것이 향후 공급 자

재 RFID 시스템 적용 확대에 유리하다. 대차 라인 RFID 태그 부

착 시 유의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면, 수작업 태그 부착이기 때문

에, 태그가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태그가 부착될 공간에 대한 인

지가 필요하고 쉽게 떨어지지 않는 재질로 태그가 구성돼야 한다.

수작업 태깅이기 때문에 눈에 쉽게 보일 수 있는 장소에 태그를

부착하여 태그가 제대로 부착돼 있는지의 확인이 필요하다.

둘째, RFID 태그를 리딩하는 단계다. 가전 분야의 특성상 출고

시 한번에 많은 양의 공급 자재가 출고되기 때문에, 이동형 리더를

이용하는 것은 추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업체는 고정형 리

더를 활용한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즉, 공급 자재의 게이트 통

과를 통한 태그 인식을 하고 있다. RFID 태그 리딩 단계에서 유의

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면, 게이트에서 대차 또는 팔렛트 단위의 태

그 리딩을 하기 때문에 미인식 또는 오인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

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 시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

는 것이 필요하고 해결 프로세스에 대한 매뉴얼 개발을 통한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전파 공급이 원활해 대차에 다양한 형태 및 위치에

부착될 태그를 정확하게 읽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제조업체 프로세스

제조업체에서 RFID를 적용하는 프로세스는 <그림2>와 같다.

<그림2> 제조업체 상세 프로세스

협력회사의 자재 납품 및 제조업체 제품 생산 공정은 다음과

같다.

① 자재 입고: 협력회사의 RFID 매핑된 자재 납품이 제조업체

에 이루어진다.

② 협력사별 자재 입고 정보 입력 : 제조업체는 협력사별 자재

입고 정보를 RFID 리더를 사용하여 입력 후 기반 시스템으로 전

송하게 된다. 또한 제품 생산 계획에 맞춰 자재를 보내고 제품 생

산을 실시한다.

태그 부착 및 출고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1. 태그 부착 : 태그 제조사로부터 수령한 태그를 제품 가공공

정에서 부착하고, 생산 라인 상에서 포장이 완료된 박스에 박

스 태그를 자동 부착기를 통해 부착한다.

2. 박스 단위 태그 부착 : 태그가 부착된 박스는 계속해서 생산

라인 상의 제품·박스 매핑 구간을 통과하고, 통과하는 동

안 제품 및 박스 태그가 RFID 리더에 의해 인식돼 제품·박

스 태그 정보가 매핑돼 생산 이력 취합용 PC의 데이터베이

스에 저장된다.

3. 팔렛트(대차) 단위 적재 : 제품·박스 매핑이 완료된 박스는

팔레트(대차) RFID 태그 맵핑 전에 RFID 리더에 의해 박스

태그가 인식돼 팔레트(대차) 태그 발행용 PC에 계수된다.

4. 팔렛트 태그 부착 : 팔레트 적재 박스 개수와 박스 태그 계수

가 같으면 팔레트 태그가 자동 발행되며, 박스·팔레트 태그

정보 매핑이 완료된다.

5. 생산이력 정보 등록 및 출고 : 제품·박스·팔레트 매핑 정보

로 이루어진 생산이력정보는 기반 시스템으로 전송되며, 출

고된다.

(1) 제조업체 도입 시스템 및 고려사항

제조업체에서 RFID 활용하기 위하여 도입해야하는 하드웨어의

기본 구성은 <표4>와 같다.

Page 73: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73 2013. MAY

<표4> 제조업체 도입 하드웨어

(2) 제조업체 RFID 적용 사례

제조업체 RFID 적용은 제품의 생산 이후 태그를 부착하고, 리

더에서 제품을 인식하고 포장하여 출고하는 것까지가 포함된다.

<표5 참조>

<표5> 제조업체 RFID 적용 사례

제조업체의 RFID 적용 프로세스는 RFID 제품 박스 태그 부착

단계와 태그 인식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RFID 태그 부착은 원천적으로 제품 자체에 대한 태깅과

더불어 박스 태깅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테스트 결과 가전제품

이 가지고 있는 제품 특성인 메탈 특성으로 인해 인식률이 기대

치만큼 나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제품 1개당 1 박스를

가지는 가전제품을 착안해 박스에 태깅을 함으로써 유통 프로세

스 상에서의 가시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본 단계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은 박스 태깅 미인식을 방지하기 위해 박스의 우측 상단에 2

개의 태그가 포함된 1개의 라벨을 이용해 태그를 적용한 것이다.

둘째, 제품 박스 태그 리딩 단계다. 리더의 성능 상 다중 인식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독립된 공간에 설치된 리더를 통해 박스

태그 매핑을 통해 다중인식을 해결했다. 또한 제품 인식이 정확하

게 됐는지 파악하기 위해 경광등을 통해 정확성을 높이고자 했다.

제조업체에서 RFID 활용하기 위하여 도입해야하는 소프트웨

어의 기본 구성은 <표6>과 같다. 생산 이력취합을 위해 RFID 장

비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도입돼야 하며, 네트워크 장애로 인

한 이력 송신 실패에 대비하기 위해 이력 정보를 임시 저장할 데이

터베이스의 도입이 필요하다.

<표6> RFID 소프트웨어 기본 구성

다음 호에서는 물류창고(CDC/RDC)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보

도록 한다.

Page 74: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74

기술자료

AIDC

TECHNICAL REPORT

서론: 레이저 스캐너 및 기존 이미지 기반 리더를 사용하는

제조업체

과거에 제조업체들이 ID 과제를 해결하고자할 때 선택할 수 있는

주요 범주로는 레이저 스캐너와 전통적인 이미지 기반 리더 등 2

가지가 있었다.

레이저 스캐너는 바코드를 비추기 위해 움직이는 핀포인트 조명

을 사용한다. 개별 포토 셀은 반사광을 받고 바코드를 가로질러

이동함으로써 <그림1>과 같이 바코드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그런 다음 스캐너는 이 바의 상대적 폭과 공간을 측정하고, 서로

다른 패턴을 바코드 데이터로 전환한 다음, 이를 컴퓨터나 휴대

용 터미널로 전송한다.

<그림1> 레이저 스캐너 기술. 대부분의 레이저 스캐너는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진동

미리를 이용해 수평으로 레이저 빔을 확산시킨다.

레이저 스캐너는 전통적으로 높은 명암비를 갖춘 애플리케이션

에서 1D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데, 특히 고속 단방향 스캐닝에

서 탁월한 성능과 넓은 초점심도를 제공하며, 설정이 간단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여러 개의 레이저를 ‘X’ 혹은 별모양으로 함

께 연결해 전방위 스캐닝도 가능하다. 그러나 명암이 떨어지는 코

드, 품질이 나쁜 코드, 원근(각이 있는) 판독과 같은 이상적인 조

건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나 갈수록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Data

Matrix 및 더욱 복잡한 2D 매트릭스 코드의 판독이 필요한 경우

보다 안정적인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레이저 기반 시스템의 설정이 용이하다 하더라도, 스캐너가 해석

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사용자가 볼 수 없기 때문에 판독률을 극

대화하기란 쉽지 않다. 또한 종종 판독 실패의 원인을 규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곧바로 공정을 최적화해 이를 판명하기가 불가능

하다. 인쇄 품질이 낮은 코드, 미스트리거(misstriggers), 코드가

없거나 손상된 코드, 어긋난 타이밍 등은 모두 레이저 스캐너로

디버그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레이저 스캐너는 MTBF(Mean-

Time-Between Failures) 및 사용 수명을 제한하는 움직이는 부

품(진동 미러)을 포함하고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전통적인 이미지 기반 리더기는 <그림2>와 같이 일

반적으로 기존 PCB 상에 상용으로 공급되고 있는 CCD나 CMOS

리미저 및 DSP(Digital Signal Processor)와 같은 부품들을 연

결시킨다. 리더는 이미지를 캡처하고, 존재하는 모든 바코드를 디

코딩하고 정확한 위치를 찾아내기 위해 DSP로 이미지를 보낸 다

음, 파이프라인 방식으로 다음 이미지를 캡처한다.

잘 형성된 고명암 1D 바코드를 갖춘 생산환경에서는 최고 초당

45디코딩의 판독속도를 달성할 수 있으며, 이는 보다 안정적인 판

독 성능의 이미지 기반 시스템의 장점이 필요한 많은 고속 애플리

보다 걍력해진 ID : 기술 혁신을 통해 새롭게

도약한 이미지 기반 바코드 리더코그넥스코리아(Cognex)

Page 75: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75 2013. MAY

케이션에 적합하다.

<그림2> 전통적인 이미지 기반 기술. 수평폭과 수직 높이는 카메라가 감지할 수 있는 폭으로

정의된다. 카메라 시야각은 렌즈를 움직임으로써 더 넓어질 수 있지만, 각 픽셀은 더 넓은

면적을 커버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거리에서 리더기는 코드의 셀이나 모듈을 더이상

구별할 수 없게 된다.

레이저 및 이미저의 장점과 한계

바코드 품질 및 위치, 방위 등은 공급업체와 코드 프린터, 처리되

거나 해야 할 제품 규모를 비롯해 여러 요인들에 따라 달라진다.

속도에도 불구하고, 레이저 스캐너의 판독률은 일관성이 없는 코

드로 인해 심각하게 저하되는데, 스캐너는 일반적으로 손상된 코

드나 극심한 원근 상태의 코드 판독을 처리할 수 없다.

반면, 이미지 기반 리더는 고체(Solid-State) 카메라 기술에 기반

하고 있어 하나의 스냅샷으로 풀-프레임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고,

레이저 방식처럼 바코드의 스캔 라인을 끝에서 끝까지 가로지를

필요가 없다. 이미저가 바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프레임을 캡처할

때 프레임 안 어디에 있든 코드의 위치를 정확히 찾아낼 수 있다.

사실상 각 이미지는 보다 안정적으로 모든 방향에서 바코드를 찾

아내고 판독할 수 있도록 수천 개의 스캔 라인을 가지고 있다. 이

미지 분석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은 레이저 스캐너가 수행할 수 있

는 것보다 캡처된 코드를 더 높은 비율로 해석할 수 있으며, 또한

복잡한 2D 코드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자체를 트레이닝

및 이력분석 혹은 자료화를 위해 저장이 가능하다.

전통적인 이미지 기반 리더는 일반적으로 단일 초점면을 위해 설

계됐으며, 심도에 있어서는 제한적이다. 시스템 설정은 초점 렌즈

와 조리개 크기, 대상체 명도 등과 같은 고정 변수가 필요하다. 설

정 이후 거리의 변화는 이미지의 초점이 맞지 않거나 과도 노출을

유발하고, 또한 정렬이 어긋나게 될 수도 있다. 프로세스에서 일

정한 초점과 조명이 지원된다면, 기존의 이미지 기반 리더도 확실

한 혜택을 제공한다.

일부 이미지 기반 리더는 초점 및 조명 요건에 따라 손쉽게 작동

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코그넥스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춘 리퀴

드 렌즈 기술을 통합한 ID 리더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사

용자들이 라인을 전환하더라고 쉽게 초점 거리를 변경할 수 있어

레이저 스캐너의 심도 장점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툴

은 일부 명암 변경 및 조명 변화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안정

적인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 및 자동 대상체 밝기 조정과 같은 기

능으로 보다 손쉽게 설정을 최적화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레이저 스캐너와 이미저 간에는 애

플리케이션 특성에 따라 항상 트레이드 오프가 존재해 왔다. 사

용 편의성 및 잘 설계된 유저 인터페이스로 일부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종류의 문제흘 가지고 있는 레이저 스캐너를

통해 높은 속도와 처리량을 달성할 수 있다.

전례가 없는 보다 높은 수준의 칩 통합도

지금까지 이미지 기반 리더의 발전은 주로 개별 하드웨어 부품들

을 개선함으로써 향상됐다. 써드 파티 DSP는 성능 및 속도가 향

상됐고, 이미지 분해능도 개선됐으며, 다층 PCB 도입으로 부품의

배치가 최적화되고 폼 팩터가 감소됐다.

발전은 계속되겠지만, 보다 더 근본적인 변화를 실현하기에 시스

템 아키텍처는 한계가 있다.

초당 25디코드 이상의 뛰어난 속도를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은 이미지 캡처 속도 및 프로세싱 속도 처리량 향상을 요구한다.

이미지를 캡처하고 이를 분석하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정의된 디

코드 속도는 현재 이미저와 프로세서 간의 거리, 관련 데이터 전

송속도, 그리고 단일 DSP로는 부담이 되는 대량 분석 등으로 인

해 제한된다. 따라서 단일 실리콘 상에 이미저와 프로세서를 통

합함으로써 2가지 작업을 거의 동시에 처리할 수 있으며, 획기적

으로 디코드 속도와 전반적인 프레임 레이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코그넥스 VSoC(Vision System on a Chip)로 불리는 이러한 독

보적인 기술을 통해 코그넥스는 DataMan 500 바코드 리더에 이

러한 레벨의 통합도를 실현했다.<그림3 참조>

Page 76: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76

<그림3> 코그넥스의 VSoC 기술이 적용된 DataMan 500 이미지 기반 리더

HDR(High Dynamic Range)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는 4분의 3

인치 XGA CMOS 액티브 픽셀 이미지 센서와 LAP(Liner Array

Processor)라고 불리는 SIMD(Singel Instruction Multiple Data)

머신을 포함하고 있는 VSoC는 실시간 이미지 분석에 적합하다. 외

부 DSP는 데이터 디코딩, 포맷, 통신을 위한 추가 프로세싱을 제

공한다. 이러한 혁신적인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된 이미지 기반 리

더는 레이저 스캐너와 견줄 만한 1D 디코딩 속도와 더불어 안정적

인 이미지 분석은 물론 2D 코드 판독 성능,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다른 이미지 캡처 기법의 탁월한 장점들을 제공한다.

이미지를 캡처하고 이를 병렬로 프레세싱함으로써 VSoC는 이미

지 캡처 속도를 최고 초당 1,000프레임까지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미지 기반 1D 바코드 판독 속도를 실질적으로 거의 두 배에 이

르는 초당 90디코드까지 배가시킬 수 있다. 각각 별도의 이미저와

프로세서를 가지고 있는 <그림4>와 같은 전형적인 시스템은 시리

얼 파이프라인 방식으로 동작한다. (하나의 트리거, 하나의 이미

지, 하나의 파인더, 하나의 디코더, 하나의 출력)

<그림4> 전통적인 시리얼 파이프라인

예를 들어, 전형적인 시스템은 초당 60프레임으로 동작한 다음,

매 16ms마다 이미지를 캡처한다. 이 이미지는 프로세서로 보내

지고, 다음 이미지를 수신사기 전에 16ms안에 이를 디코드하고

찾아야만 한다. 만약 프로세서가 16ms 이내에 이를 처리하지 못

한다면 이미지는 버퍼에서 대기하면서 처리되기를 기다려야만 하

며, 이로 인해 시스템 처리량은 감소된다. VSoC 온칩 프로세서는

자동 노출 루틴을 통해 다중 이미지를 캡처하고 이미지 내의 바

코드 유무를 판단하고, 시야각 내에서 이 위치를 정확히 찾아낸

다음, 이 좌표와 방위를 그때그때 DSP로 전송한다. <그림5 참조>

<그림5> VSoC로 최적화된 시스템. 이 시스템은 위의 파이프라인 시스템과 비교해 두

배의 속도로 디코드한다.

VSoC가 외부 DSP로 이미지를 보내면, 이는 어떤 이미지를 처리

하고 어떤 이미지는 무시할 것인지를 식별한다. 외부 프로세서는

바코드를 포함하지 않은 이미지를 분석하는데 귀중한 시간을 낭

비하지 않는다. 이는 바코드의 좌표를 파악함으로써 프로세서가

이미지의 적은 부분만을 디코드해도 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DSP의 프로세싱 부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VSoC

는 실질적으로 이미지 캡처 프레임 레이트와 시스템 처리량을 동

시에 증대시킨다. ‘하나의 트리거, 하나의 이미지, 하나의 파인더,

하나의 디코더, 하나의 출력’은 곧 ‘트리거 없음, 다중 이미지 찾기,

하나의 디코더, 하나의 출력’이 된다.

이 모든 것은 간편성, 용이한 설정, 비용 효과적인 동작 의미

DSP 내에 막대한 버퍼 백업을 유발시키지 않고 프레임 레이트를

증대시키기 때문에 다른 혜택들도 얻을 수 있다. 보다 높은 프레임

레이트와 더 큰 픽셀의 결합은 노출 시간이 더 짧아짐을 의미한

다. 더 짤아진 노출 시간과 큰 픽셀은 시스템이 고속 애플리케이션

에서 전통적인 이미저보다 낮은 조도에서 보다 빠른 속도를 달성

할 수 있고, 보다 명확하고 깨끗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음을 의

미한다. 전형적인 ‘하나의 트리거, 하나의 이미지, 하나의 파인더,

하나의 디코더, 하나의 출력’ 구조는 라인 속도나 부품의 위치 변

경에 특히 민감하다. 트리거는 바코드가 이미지 상에서 언제나 동

일하게 위치하도록 카메라와의 동기화가 제대로 돼야 한다. 반면,

VSoC의 높은 프레임 레이트와 코드가 없는 이미지를 폐기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남아 있는 이미지에서 이를 제거하기 위해 코드

Page 77: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77 2013. MAY

를 정확히 찾아내는 기능은 트리거를 위해 필요하다.

일부 전통적인 고속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은 위치상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 ‘버스트 모드(Burst Mode)’라고 불리는 첨단 트리

거링 기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코그넥스의 DataMan 100이나

200 이미지 기반 리더는 최고 초당 60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에서

최고 22개의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22개 이미지 중에서 바코드

를 포함하고 있는 오직 2~3개 만이 리더에서 버퍼링된다. 이러한

2~3개의 이미지를 디코드하기 위해 적절하게 설정된 디코드 타임

아웃은 모든 22개의 이미지에 적용된다. 리더로 향해 다가오는 부

품들은 리더가 다음 22세트를 수집하기 전에 버퍼링된 이미지 프

로세싱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둬야 한다. 비록 이러한 접근

법이 위치상의 불확실성을 해결할 수 있다 하더라도, 부품 분리의

필요성으로 인해 추가적인 공정 문제가 유발된다. 반면, VSoC의 뛰

어난 고속 프레임 레이트는 부품 분리나 버퍼링을 하지 않고도 이미

지를 캡처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높은 프레임 레이트는 바코드를 포

함하고 있는 더 많은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으며, 각 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낟. 즉, 위치 불확실성에 대한 영향이

적어지면서 보다 안정적인 판독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손상된 코

드나 이상적인 조명 조건에 미치지 못한다하더라도 최소한 캡처된

이미지 중 하나는 비교적 손쉽게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코드

를 가지고 있는 이미지의 프로세싱 타임아웃은 최대값 보다는 평균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전체 시스템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VSoC는 고속 자동-조절 루틴으로 대상체 밝기와 자연 조

명 변화에도 대응이 가능하다. 보통 이러한 세팅은 설정 단계에

서 고정되기 때문에 이미저가 조건의 변환에 영향을 받게 된다.

VSoC로 최적화된 시스템은 이러한 기능을 칩 레벨에서 실시간으

로 수행하며, 조명 및 심도 변화에 보다 탁월한 허용범위를 제공

한다. ‘이미지 장면’에 기반해 이 루틴은 특별히 코드와 배경 간의

명암을 최적화한다. 예를들어, 이미지 기반 리더로부터 부품이 멀

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빛의 양을 조절한다. 고속 자동

노출 루틴은 특히 부품의 높이나 섬광, 하나의 부품에서 다음 부

품에 이르기까지의 명암 레벨, 그리고 컨베이어 상의 부품 배치의

차이로 인해 유발되는 이러한 변화들을 처리한다. 판독이 어려운

코드를 위해 설계된 알고리즘과 통합된 자동노출 루틴은 고정 초

점 C-마운트 렌즈와 F-8 조리개로 최고 10인치의 심도를 달성한

다. 또한 고속 자동-조절 루틴은 옵션으로 제공되는 리퀴드 렌즈

와 함께 동작하며, 보다 탁월한 심도를 구현한다.

이러한 자동화를 통해 DataMan 500내에 구현된 VSoC 기술은

근본적으로 큰 심도를 제공해 위치로 인한 영향을 적게 받기 때

문에 전반적으로 시스템 사용을 보다 간편하게 만든다. 또한 초

점, 노출, 특수조명, 트리거에 대한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없기 때

문에 가동중단 및 전환시간을 모두 줄여준다.

<그림6> DataMan 500

요약

이미징 기기들이 직면한 도전과제는 PC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

과 다르지 않다. PC는 예전과 달리 보다 큰 이미지를 처리하고 분

석해야 하기 때문에 이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그래픽 프

로세서를 갖추고 있다. 전통적인 DSP가 보다 일반적인 프로세싱

을 처리하는 반면, 특화된 DSP가 이미지 기반 작업을 처리하고,

두번째 DSP는 이러한 작업을 가속화시킨다. 코그넥스 VSoC 기

술은 전용 이미저와 프로세서를 하나의 칩에 통합해 비전 관련

기능들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고도로 최적화돼 있으며, 전통적인

SDP가 가진 작업 부담을 덜어준다. 레이저 스캐너는 프린트가 잘

된 1D 바코드를 고속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판독하기만 하면 되는

간단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계속해서 안정적이고 비용 효과적인

솔루션으로 남게 될 것이다. 전통적인 이미지 기반 리더는 높은

처리량 보다는 Data Matrix, QR과 같은 2D 코드 판독이나 라인

에서 트리거를 제공하기 위해 움직이거나 고정된 부품을 분류할

때 품질, 위치, 방위가 변하는 코드를 상세하고 매우 안정적으로

분석해야 하는 분야에 더욱 적합할 것이다. 하지만 이미지 기반

스캐닝의 첨단 성능 뿐만 아니라 높은 처리량이 모두 필요하다면,

VSoC 기반 DataMan 500이 최상의 실행 가능한 솔루션이 될 것

이다. 차세대 시스템은 가동중단이나 전환시간을 줄이는 것은 물

론, 불량품을 최소화하고,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재정비를 감소시

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여러 제조분야에서 이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결과로 드러날 것이다.

Page 78: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78

초점

NFC 태그 부착된 섬유, 직물 등의 원단 샘플 견본

(sample swatch)

스마트엠태그(오명진 대표, https://

www.smartmtag.com)가 최근 섬유, 직

물 등의 원단 샘플 견본(sample swatch)

에 부착된 행거 및 카드에 NFC 태그를

부착, 스마트폰을 통해 상품 및 판매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NFC 샘플스와

치’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 보급한

다고 밝혔다.

현재 섬유. 직물 제조사들은 섬유원단

의 물류 및 정품인증관리에 RFID 태그를

활용하고 있으나, RFID태그는 전용 리더

기가 있어야만 태그 정보를 확인할 수 있

어 대다수의 바이어들과 고객들의 접근

이 쉽지 않다. 또한 섬유, 패션 분야를 전

공하는 학생들의 관련정보 접근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접근성이 제한된 RFID 방식과 달리 스

마트엠태그가 개발한 ‘NFC 샘플스와치’

는 국내에 2000만대 이상 보급된 NFC

지원 스마트폰 사용자라면 쉽게 태깅하

여 샘플스와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NFC 샘플스와치’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웹 방식으로 개발되어 별도의 애플

리케이션 다운로드 절차 없이 정보 확인

이 가능하다. 스마트엠태그 오명진 대표

는 “전 세계 섬유산업은 과거 제조기반의

‘굴뚝’형 산업에서 과학기술기반의 첨단소

재 및 기능성 소재산업으로 변모해가고

있다. 각국의 섬유 제조브랜드경쟁이 치

열한 상황에서 국내 기업들의 브랜드 경

쟁력 강화 방안으로 ‘NFC 샘플스와치’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NFC 샘

플스와치’는 ‘IT기술 강국 메이드인코리아’

라는 메시지가 담겨 있어 첨단, 기능성 소

재 원단의 브랜드 가치를 한 층 더 돋보이

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현재 스마트엠태그는 국내 섬유, 직물

제조사들의 니즈를 반영해 ‘NFC 샘플스

와치’를 통해 얻어지는 태깅정보를 유용

한 마케팅 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차세

대 ‘NFC 샘플스와치’ 개발을 진행중이다.

차세대 ‘NFC 샘플스와치’는 모바일웹과

앱이 결합된 하이브리드형 앱을 적용, 전

세계 지역, 도시, 색상별 샘플원단에 대

한 선호도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바이어의 피드백(장.단점/개선방향 등)을

분석하고, 신제품 출시 전 설문을 진행하

거나 바이어들의 니즈를 분석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의 스마트엠태그 ‘NFC 샘플스와치’

애플리케이션 화면

오명진 대표는 “스마트엠태그는 NFC/

RFID 기술이 M2M(사물지능통신, Ma-

chine to Machine)과 IoT(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의 기반 기술로 차

세대 IT한류 바람을 일으킬 동력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NFC 활성화와 대중화

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앞으로

NFC 활성화, 대중화가 어느정도 진행된

다면 NFC가 전통산업과 첨단기술을 융

합하는 매개체가 되어 ‘창조경제’의 동력

으로 급부상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의] 스마트엠태그(02-2038-8115)

스마트엠태그,

‘NFC 샘플스와치’로 섬유브랜드 가치 높여지역, 도시, 색상별 샘플원단 선호도 분석 및 바이어 의견 수렴 가능

FOCUS NFC

Page 79: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79 2013. MAY

1코그넥스, 최신 판독기술 탑재

‘DataMan 300’ 출시획기적인 ‘Hotbars™’ 기술, ‘‘1DMax+™’

알고리즘 적용

2인터멕, 초고속 고감도 바코드 스캐

너 ‘SG20’ 제품군 출시의료용 SG20 모델에 세균 살균 기능 적용

1코그넥스, 최신 판독기술 탑재

‘DataMan 300’ 출시획기적인 ‘Hotbars™’ 기술,

‘1DMax+™’ 알고리즘 적용

2인터멕, 초고속 고감도 바코드

스캐너 ‘SG20’ 제품군 출시의료용 SG20 모델에 세균 살균 기능 적

1코그넥스, 최신 판독기술 탑재

‘DataMan 300’ 출시획기적인 ‘Hotbars™’ 기술, ‘‘1DMax+™’

알고리즘 적용

2인터멕, 초고속 고감도 바코드 스캐

너 ‘SG20’ 제품군 출시의료용 SG20 모델에 세균 살균 기능 적용

NEWS INSIGHT NFC

01NFC로 병원 약물 투여 및 추적관리한다美병원, NFC 기반 시스템 개발...현재 테스트 중

02쇼핑몰 디스플레이 광고, NFC로 소비자와

교감눈, 귀, 몸짓과 연결해 광고 효과 극대화

하버드 의과대학 계열 병원인 BWH(Brigham and Women’s Hospital)이 간호사가 각 환자의 약

물 투여를 쉽게 추적하고 관리하기 위한 NFC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안드로이

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각 환자들에 관한 세부 사항과 처방 약물을 저장하는 태블릿

PC(구글 넥서스 7)와 환자의 손목밴드와 약물, 간호사의 ID 배지에 부착되는 NFC 태그를 결합한

것으로, 비용 효율적이며 보다 쉽고 안전하고 신속하게 약물처리를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것이다.

약물을 투여할 때, 간호사는 약물과 간호사의 ID 뱃지, 환자의 손목밴드에 부착된 태그를 접촉할

수 있는 NFC 태블릿을 사용한다. 그리고 나서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약물과 복용량이 환자

에게 올바른 것인지 확인하고, 누가 어떠한 약물을 투약했는지 기록하게 된다.

현재 이 병원은 새로운 NFC 시스템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바코드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

다. 그러나 NFC 태그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간호사들은 휴대형 단말기를 사용해 바코드를 스캔

하고 있다. 병원은 현재 NFC 애플리케이션을 환자 대신 마네킹을 사용해 병원의 시뮬레이션 실

험실에서 테스트하고 있다.

NFC 시스템을 개발한 한 관계자는 “지금 사용하고 있는 바코드 시스템은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하나는 간호사가 사용하는 단말기가 너무 크고 의료 설정에 있어서 기기를 다루기가 너무 어렵다.

다른 하나는 바코드는 스캔하기 어려운 경우도 발생한다”며 “그래서 바코드 시스템보다 사용하기

쉬운 시스템으로 NFC를 활용한 시스템을 개발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병원 측은 이번 테스트가 성공할 경우, 실제 병원 환경에서 직접 실험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병원 관계자는 “미국은 기술에 대한 강력한 욕구가 있다. 왜냐하면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간호사

에게 매우 일반적인 활동이기 때문에 병원에서 eMAR(eletronic Medication administration

record) 기술의 도입이 증가하는 추세다. 간호사들은 약물 투여에 자신들의 업무 시간의 28%를

할애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그러한 프로세스를 보다 쉽고 안전하고 빠르고 비용 효율적으

로 만들어주게 되면 NFC에 대해 많은 병원들이 관심을 갖게 될 것이고 더 나아가서는 보편적인

기술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테스트되고 있는 NFC 애플리케이션은

간단하다. 오직 환자의 이름과 약물 정보만 포함하고 있다. 그렇지만 앞으로 NFC의 활용성 측면

에서 봤을 때 너무 많은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쇼핑몰 디스플레이 광고업체인 Eye가 NFC 솔루션 공급업체 Zappit과 제휴를 통해 NFC

기반의 양방향 디지털 광고플랫폼을 새로 선보였다.

새롭게 선보인 Eye의 광고플랫폼은 구매자가 NFC, QR코드, SMS 등 스마트폰 통신과 연

계해 다양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특히 소비자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화면, 소

리, 움직임 등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소비자별 맞춤형 디스플레이 광고를 보여줄 수 있다.

Eye는 자사가 서비스하고 있는 미국 내 250여개의 쇼핑몰에 설치된 3100여개의 디지털 광

고플랫폼에 NFC를 지원할 예정이다.고성능 아날로그 IC와 센서의 선도 제조 및 설계업체인

ams(지사장: 이종덕, www.ams.com)는 자사의 AS3911 판독 IC를 내장한 NBS 페이먼트

솔루션사(NBSPS)의 결제 단말기 신제품들이 EMV 인증을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Page 80: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80

1코그넥스, 최신 판독기술 탑재

‘DataMan 300’ 출시획기적인 ‘Hotbars™’ 기술, ‘‘1DMax+™’

알고리즘 적용

2인터멕, 초고속 고감도 바코드 스캐

너 ‘SG20’ 제품군 출시의료용 SG20 모델에 세균 살균 기능 적용

1코그넥스, 최신 판독기술 탑재

‘DataMan 300’ 출시획기적인 ‘Hotbars™’ 기술,

‘1DMax+™’ 알고리즘 적용

2인터멕, 초고속 고감도 바코드

스캐너 ‘SG20’ 제품군 출시의료용 SG20 모델에 세균 살균 기능 적

1코그넥스, 최신 판독기술 탑재

‘DataMan 300’ 출시획기적인 ‘Hotbars™’ 기술, ‘‘1DMax+™’

알고리즘 적용

2인터멕, 초고속 고감도 바코드 스캐

너 ‘SG20’ 제품군 출시의료용 SG20 모델에 세균 살균 기능 적용

03ams의 AS3911 NFC Reader IC 이용 비

접촉 결제 단말기, EMV 인증 획득고집적 AS3911 칩 내장한 NBSPS 단말기, 마스터카

드 페이패스와 비자 페이웨이브 카드 판독

04“이제 스마트폰으로 원스톱 스마트 진단 및

원격 A/S 가능”동부대우전자, NFC 스마트 냉장고 출시

이로써 NBSPS 의 NOIRE 단말기 510과 710시리즈는 마스터카드 페이패스 혹은 비자 페이

웨이브 심볼이 찍힌 비접촉식 카드를 결제 처리하게 된다.

NBSPS 단말기에 내장된 AS3911 RFID 판독 IC 는 RF와 아날로그 프론트엔드를 제공해

EMV 요구 조건에 부합하는 모든 비접촉식 결제 카드를 판독해낸다. ams가 개발한 최첨단 비

접촉 결제 시스템과 유사한 레퍼런스 설계는 새로운 EMV 인증 단말기를 생산하고자 하는 제

조사들에게 즉시 사용 가능한 솔루션을 제시한다.

AS3911은 고도(1W)의 차동 RF 출력과 집적된 EMV 가 지정한 오류 처리 기능을 제공해

NBSPS를 포함한 여러 글로벌 단말기 제조사들에게 공급된다. 이 제품의 유연한 최신식 회

로 설계는 외부의 RF 부스터 회로 필요성을 배제할 뿐만 아니라 저출력, 빠른 설계 공정, 제

품 출시 기기 단축 등의 기능을 제공하므로 경쟁사 제품보다 제조사들에게 자재명세서 비용

(BOM)을 절감시켜준다. NBSPS의 사업부 부사장인 리처드 구더햄(Richard Gooderham)

은 “ams의 AS3911 판독기 IC가 새로운 NOIRE 시리즈의 결제용 단말기가 필요로 하는 RFID

카드 판독 요구사항을 완벽히 충족시켰다”며 “고출력 AS3911은 그 동안 경쟁사들이 기술적

난제로 얻지 못했던 EMV 인증을 획득했다. 이제 ams가 제공하는 경쟁력 있는 기술 지원을

통해 결제 정보 기능을 더욱 신속하고 유연하게 집적한 단말기를 출시하게 됐다.”고 말했다.

ams의 RFID/NFC 사업부 수석 마케팅 매니저인 마크 딕슨(Mark Dickson)은 “NBSPS

NOIRE 시리즈 단말기의 성공적인 출시는 AS3911가 EMV의 요구 사항을 준수하는 비접촉

식 결제 인터페이스에 신속하고도 신뢰성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게 됐음을 증명한다.”고 말했다.

동부대우전자(대표 이재형 부회장)가 22일 출범 이후 첫 신제품으로 국내 최초로 근거리 양방

향 무선통신기술을 적용한 대용량 3도어 스마트 냉장고를 츨시했다. 이번에 선보인 3도어 냉

장고 ‘클라쎄 큐브’(모델명: FR-L86MRSS)는 최첨단 근거리 양방향 무선통신기술(NFC) 기

술을 적용해 스마트폰을 통해 ▲원스톱 스마트 진단 및 원격 A/S ▲온도점검 및 절전관리 ▲

모바일 서비스를 바로 제공받을 수 있는 신개념 스마트 제품이다. 특히, A/S 절차를 획기적으

로 바꿔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인 ‘원스톱 스마트 진단 및 원격 A/S’ 기능이 주목할만하다.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에 ‘클라쎄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냉장고 도어에 위치한 센서

에 가져다 대면 별도의 조작없이 무선 통신기능을 통해 제품의 이상 내역 등이 서비스센터로

바로 전송돼 A/S 접수가 완료되며, 일부 고장의 경우는 ‘원스톱 원격 진단’을 통해 곧바로 수

리할 수 있게 됐다. 그 동안 전화나 방문을 통해 A/S를 접수하고, 서비스기사들이 각 가정을

방문하여 제품의 이상 내역을 확인하고, 다시 서비스센터에서 부품을 가져와 수리하던 기존의

길고 번거로운 A/S 절차를 대폭 개선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스마트폰을 통해 냉장고의 구역별

온도 점검, 도어오픈 점검, 절전효과 분석 등 소비자 사용습관 분석 자료를 제공해 신개념 절

전관리가 가능하게 했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최근 인기가 높은 요리 애플리케이션 ‘만

개의 레시피’를 제공함으로써 필요한 상황에 맞추어 냉장고에 있는 재료를 가지고 요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게 했다. 전영석 동부대우전자 냉장고 사업담당 상무는 “이번 제품은

첨단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적용해 소비자가 느끼는 A/S의 불편을 최소화한 신개념 냉장

고”라며, “앞으로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기능과 디자인 모두를 만족시키고 소비자 생활에 가치

를 더하는 혁신적인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Page 81: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81 2013. MAY

1코그넥스, 최신 판독기술 탑재

‘DataMan 300’ 출시획기적인 ‘Hotbars™’ 기술, ‘‘1DMax+™’

알고리즘 적용

2인터멕, 초고속 고감도 바코드 스캐

너 ‘SG20’ 제품군 출시의료용 SG20 모델에 세균 살균 기능 적용

1코그넥스, 최신 판독기술 탑재

‘DataMan 300’ 출시획기적인 ‘Hotbars™’ 기술,

‘1DMax+™’ 알고리즘 적용

2인터멕, 초고속 고감도 바코드

스캐너 ‘SG20’ 제품군 출시의료용 SG20 모델에 세균 살균 기능 적

1코그넥스, 최신 판독기술 탑재

‘DataMan 300’ 출시획기적인 ‘Hotbars™’ 기술, ‘‘1DMax+™’

알고리즘 적용

2인터멕, 초고속 고감도 바코드 스캐

너 ‘SG20’ 제품군 출시의료용 SG20 모델에 세균 살균 기능 적용

05ST,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에 NFC 컨

트롤러 공급NFC 컨트롤러, 모든 테스트 및 인증 성공적으로 통과

06렌쯔, NFC로 제어하는 산업용모터 선보여“NFC가 산업자동화 혁신 가속화”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는 자사의 근거리 무선 통신 (NFC)

컨트롤러가 NEC 카시오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의 안드로이드 기반 흥미로운 지즈원(G’zOne) CA-201L 스마트폰에 사용된다고 발표했다.

이 폰은 원래 한국의 LGU+ 사업자를 겨냥했던 제품이다.

ST의 NFC 컨트롤러 IC는 모든 경우의 NFC 사용을 지원하며 SWP ?SIM[2] 및 SWP-

microSD 카드 또는 임베디드 보안 요소와 같은 몇 개의 보안 장소에 저장된 복수의 NFC 보

안 앱을 제어할 수 있다. 터미널 호스트에서 구동되는 스톨만(Stollmann E+V GmbH)의 해

당 NFC 소프트웨어 스택은 최신 젤리 빈 OS를 포함 모든 구글 안드로이드 버전을 지원한다.

NEC 카시오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의 요시후미 사카구치(Yoshifumi Sakaguchi) 공통 플

랫폼 개발 본부장은 “모바일 지불 방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NFC 능력 및 호

환 가능한 보안 요소를 우리 최신 폰에 통합한 것은 매우 중요한 특징이다. 통합의 용이성, 탁

월한 성능 및 ST NFC 컨트롤러 및 보안 요소의 뛰어난 전력 프로파일 덕분에 자사의 지즈원

CA-201L 스마트폰에 채택되었다.”고 밝혔다.

ST의 NFC 디바이스들은 최첨단 무선 주파수(RF) 성능을 갖춘 비용효과적인 솔루션을 구현

한다. 최적화된 디바이스 설계는 비용 대비 뛰어난 가치를 구현한다. 특히 RF 유닛 설계는 전

반적인 시스템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통합에 요구되는 PCB 면적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디바

이스들은 최신 RF 성능 요건을 충족하여, 최적화된 NFC 사용자 경험을 보장하고 시장 진입

시간을 단축시켜 주는데, 이러한 특성은 여러 애플리케이션 충족 요건에 포함된다.

ST의 보안 마이크로컨트롤러 사업부 총괄 본부장인 마리-프랑스 프로랑텡(Marie-France

Florentin)은 “지즈원 CA-201L 스마트폰에 NFC 기능을 제공하도록 선택된 것을 매우 기쁘

게 생각한다. 한국의 T-머니 e-교통 및 지불 기술 관련 테스트를 포함 모든 필요한 상호운영

성 테스트를 통과하였고 상호운영성을 돕는 SIM 보안 요소 하드웨어 부문 ST의 리더십이 뒷

받침된 ST의 NFC 컨트롤러는 지즈원 CA-201L 스마트폰에 채택되었고 곧 한국의 최종 사

용자들에게 혁신적인 비접촉식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고 말했다.

독일 산업용모터 제조업체인 랜즈(Lenze)가 NFC 기반 제어가 가능한 산업용모터를 출시했

다고 밝혔다.

NFC지원 산업용모터는 랜즈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할 수 있으며, 수평, 수직

등의 컨베이어벨트 등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렌쯔 관계자는 “NFC 지원 산업용모터를 적용하면 다양한 산업시설의 제어를 손쉽게 할 수 있

으며, 산업자동화의 혁신이 가속화 될 것이다”고 말했다.

Page 82: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82

1코그넥스, 최신 판독기술 탑재

‘DataMan 300’ 출시획기적인 ‘Hotbars™’ 기술, ‘‘1DMax+™’

알고리즘 적용

2인터멕, 초고속 고감도 바코드 스캐

너 ‘SG20’ 제품군 출시의료용 SG20 모델에 세균 살균 기능 적용

NEWS INSIGHT RFID

01삼성피아이티, 에스앤텍 설립해 RFID 사업

주력컨버팅 장비 2호기 도입...

태그 사업 강화

02이그잭스, “2012년도 RFID/NFC 매출 급증”주력사업 케미칼 분야 매출 줄고, 인쇄분야 매출 350% 가

량 늘어..NFC 리더 안테나 판매 급증

03태그텍, 조달청RFID물품관리용 태그 납품국내 주파수대역에서 최초로 진행된 시험테스트 통과

인쇄산업 선두업체인 삼성피아이티(대표 유정기)가 RFID 전문회사인 에스앤텍을 설립하고 RFID

사업 강화에 나섰다.2010년 모텍스의 RFID 컨버팅 장비를 도입해 RFID 사업에 뛰어든 삼성피

아이티는 지난 2~3년 동안 RFID 시장에서 어느 정도 입지를 다져놓은 상태로, 최근 RFID 시

장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들을 접하면서 올해 모텍스에서 컨버팅 장비 2호기를 도입하고, RFID

사업 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에스엔텍을 설립하게 된 것이다.

삼성피아이티와 에스앤텍 유정기 대표는 “우리의 미래먹거리로 RFID 사업에 뛰어들어 실적을

쌓아나가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RFID 활용이 많아질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우리의 RFID 사업

을 강화하기 위해 RFID 전문회사를 설립하게 됐다.”고 말했다.

에스앤텍은 RFID 태그 컨버팅은 물론, 앞으로 태그 안테나 제작을 통한 UHF와 NFC까지 태그

사업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유 대표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노하우를 통해 태그 핵심 역량

을 강화하고 관련 업계와 협력관계를 가져가면서 국내 RFID 시장 창출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문의](주)에스앤텍 02-859-7236

이그잭스(대표 조근호)의 2012년 매출이 전년 대비 20% 성장한 553억 원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성장을 이끈 원동력은 RFID 태그와 NFC 리더 안테나 등의 인쇄전자였다.

최근 공시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이그잭스의 주력 분야인 케미칼 매출이 2011년 390.97

억원에서 작년 322.39억원으로 20% 넘게 줄어들었지만, 인쇄전자가 222억원으로 전년

대비 350%의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뒀다. 회사 관계자에 따르면, 회사 전체 매출의 40%에

육박하는 인쇄전자의 매출 비중은 NFC 리더 안테나가 70%, RFID 태그 20%, 재료 10%

로 구성돼 있다. 올해를 기점으로 이그잭스의 인쇄분야 매출이 주력사업인 케미칼을 넘어

서면서 인쇄전자 전문업체로써의 입지를 강화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이그잭스는 2010년

부터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NFC 안테나 개발을 시작해 2011년 6월부터 공급을 시작했다.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세와 NFC 안테나를 탑재하는 스마트폰의 종류 확대에 따라 2011년

대비 2012년에는 성장률이 급증하면서, 이에 대한 매출액도 급증한 것이다. 특히 S전자에

NFC 리더 안테나의 고정물량을 공급하게 된 것이 매출 확대의 효자노릇을 했다.이그잭스

는 향후 RFID 태그에 대한 기대감도 크다. 최근 독일 설비업체의 RFID 본딩 장비를 구매해

RFID 태그 공급 역량을 대폭 확충했다. 연간 RFID 태그 공급량이 1억 개 규모로 늘어났다.

RFID 태그공급업체인 태그텍(대표 김성호)이 최근 개발한 AZ-9654 UHF 인레이를 조

달청 RFID 물품관리용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됐다. RFID/USN센터에서 조달청RFID물

품관리용 시험규격으로 시험테스트 결과, 신뢰성시험, 상호운용성, 표준적합성 부문을

100% 합격판정으로 인증을 통과했다. 지금까지 조달청에 공급하는 태그 시험규격은 글

로벌 주파수대역인 860~960MHz 시험테스트를 진행했으나, 조달청이 국내 주파수대

역에서의 시험 테스트를 요구하면서 테크텍의 AZ-9654 라벨태그는 국내 주파수대역인

917~923.5MHz대역으로 최초 진행돼 인증을 통과했다.

태그텍 김홍기 전무는 “AZ-9654 UHF 인레이는 차폐재를 사용해 금속환경에 적용 시에

도 우수한 인식거리성능과 감도를 유지할 수 있게 설계됐다.”고 말했다.

한편, 테크텍은 향후 국내에서 원활한 태그 공급을 위해 태그 안테나 디자인에 대한 디자

인특허출원을 했다.(출원번호: 30-2013-0020806)

Page 83: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83 2013. MAY

1코그넥스, 최신 판독기술 탑재

‘DataMan 300’ 출시획기적인 ‘Hotbars™’ 기술, ‘‘1DMax+™’

알고리즘 적용

2인터멕, 초고속 고감도 바코드 스캐

너 ‘SG20’ 제품군 출시의료용 SG20 모델에 세균 살균 기능 적용

04에일리언, 소매업계 타겟 새로운 태그 출시소매업계 여러 당면 과제 해결한 탁월한 성능의 태그

05임핀지, 새로운 RFID 리더 모델 출시Indy RS500 리더칩과 Speedway xArray 리더

전세계적으로 소매업계의 단품단위 EPC Gen2 UHF RFID 태그 사용이 늘어나면서 에일리

언테크놀로지가 소매업계를 타겟으로 새로운 태그를 출시했다.

이 태그는 아이템이 단단히 포장될 때, 태그 방향이 편향돼 있을 때, 휴대형 리더를 사용할 때,

금속과 액체가 존재할 때 등에 향상된 기능을 제공한다. 즉, 소매 분야에서 태그 인식에 어려

움이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현재 일부 소매업체와 제조업체가 이 태그를 테스트하고 있으며, 바로 사용가능하다. 회사에

따르면, 새롭게 출시된 세종류의 태그는 에일리언의 Higgs-4IC 칩을 기반으로 하며, 128비

트 EPC 메모리를 포함해 448비트 메모리를 갖고 있다. GT(ALN-9728)는 일반적인 단품 단

위 태깅에 대한 인식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GT는 행태그, 조커 라벨 및 다양한

의류나 기타 소매상품에 부착하는 다른 태그에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태그로 활용할 수 있

다. 드라이 버전 인레이는 5cm x 3cm 사이즈로, 이전 버전인 H-Tag보다 인식거리가 길고

더 나은 신뢰성을 제공한다. HiScan(ALN-9720)는 휴대형 리더를 통한 인식 효율성을 개선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HiScan은 고정형 또는 데스크톱 모델보다 낮은 전력을 사용

하는 일반적인 휴대형 리더로 인식할 때 가장 잘 동작하도록 설계됐다. 드라이 버전 인레이는

4cm x 1.55cm 사이즈로, 저전력 환경에서 잘 대응하는 것이 특징이다.

BAT(ALN-9770)는 금속 혹은 액체가 포함된 제품과 같이 가장 도전적인 환경에서 인식 가

능하도록 설계됐다. BAT 태그는 8.25cm x 3.2cm 사이즈로, 금속 혹은 액체로 채워진 플라

스틱 용기 및 자동차 배터리 등에 부착돼 인식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글로벌 RFID 하드웨어 공급업체인 임핀지가 수동형 UHF RFID 태그가 사용되는 방식을 확

장할 수 있는 두가지 모델 RFID 리더를 개발했다. 하나는 RTLS 기능을 제공하는 리더이고,

다른 하나는 많은 비용없이 어떠한 장치에든 RFID 리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제품이다.

Speedway xArray 시스템은 리더와 40피트 직경에서 인식하고 천장에 설치할 수 있는 통

합안테나로 구성된다. 그 때문에 40피트 반경안에서 태그의 위치를 통한 실시간 가시성을 확

보하고, 수미터 내에서 리더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Indy RS500 SiP(System in Package) 리더 칩은 도구 케이지, 음료 자동판매기, 제조 장

비와 같은 물건에 설치돼 제품 혹은 특정 설비 등에 부착된 EPC 태그를 인식할 수 있다. 안테

나, 전원 및 백엔드 시스템 연결 등의 다른 RFID 리더 하드웨어가 전혀 필요하지 않다.

임핀지에 따르면, Indy RS500은 29mm x 32mm 크기로 수천개를 구입할 경우 개당 100달

러 이하로 구매가 가능하다. 올여름 테스트를 거쳐 상용제품은 올 9월부터 생산할 계획이다.

이미 리더칩은 POS 장치, 프린터, 휴대형 리더 등 OEM 제품들에 탑재되고 있다.

임핀지 관계자는 “기존 RFID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비용에 대한 고려를 할 수밖에 없

다. 이번에 출시한 제품들은 전통적인 RFID 구현에 대한 접근법을 넘어선 임핀지의 진화를

말해준다.”고 말했다.

한편, 몇년 전만해도 모든 RFID 리더는 4개 포트를 가진 범용 리더였지만, 수동형 UHF 태그

를 인식하기 위한 특수 목적 장치와 접근제저 리더, 휴대형 장치, POS 리더가 등장했다. 최근

들어서는 기업들이 아주 보편적으로 커피 메이커, 중장비에서부터 소비재에 사용되는 소모품

을 추적하고자 RFID를 내장하고 있다.

Page 84: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84

06獨 가구업체, RFID로 가구 입출고 정확

성 높여기존 바코드 시스템을 RFID 시스템으로 대체

독일 가구 제조업체인 Walter Knoll가 제조시설과 창고에 설치된 RFID 시스템으로 가구의

입고와 출고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독일 SI업체인 avus Services가

제공한 이 솔루션은 모토로라솔루션과 Feig Electronic이 공급한 RFID 리더가 적용됐다.

Walter Knoll는 연간 7만개 이상의 의자, 소파, 테이블 및 다른 주거, 사무실 가구 품목을

생산하고 전세계 딜러 및 쇼륨을 통해 해당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약 3000개 가구가 구

매 전 원하는 고객들에게 혹은 위탁으로 가구 상점에 배송되는데 판매되지 않으면 일정기

간 후에 창고로 반환된다. 이 제품들은 샘플 가구의 풀에 추가된다.

개별 가구는 반환되면 검사를 하고 상태를 기록하고 시스템에 입력한다. 예를 들어, 특정

가구에 손상이 있을 경우, 이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회사에 따르면, 새로운 가구의 출고와 위치를 관리하는 것도 문제지만, 각 샘플 가구의 위

치와 이력을 추적하는 것은 더욱 그렇다. Walter Knoll는 각 가구에 부착된 바코드 라벨

을 통해 추적을 하는데 종종 라벨이 손상되거나 떨어진 경우가 발생해 새로운 바코드 라

벨을 재등록하고 재부착해야 한다.

이러한 바코드 기반 시스템은 가구에 부착된 바코드를 일일이 스캔해야 하는 번거로움

과 손상되거나 떨어진 바코드 라벨을 교체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노동력이 들

어가게 된다.

Walter Knoll는 2009년 바코드 라벨 대안으로 UHF RFID 태그를 테스트하고 이듬해부

터 적용하기 시작했다. 추가적으로 태그와 리더를 설치해 나가면서 솔루션을 확대해 가고

있다. 현재까지 12개 RFID 게이트를 설치했고, 제조하는 모든 가구에 태깅을 하고 있다.

가구들이 입출고를 위해 게이트를 통과할 경우, 태그 인식 정보가 소프트웨어에 전송되고

전체 RFID 시스템에 저장되도록 구현했다. 이 시스템에 적용된 RFID 하드웨어는 에이버

리 데니슨의 UHF RFID 태그, 모토로라솔루션의 Psion Workabout Pro 3 휴대형 리

더, 고정형 Feig LRU 3000 리더가 포함돼 있다.

회사 관계자는 “RFID 기반의 솔루션을 사용하면서 입출고되는 가구의 정확한 정보를 확

인하기 쉬워졌고, 직원들이 휴대형 리더를 통해 시스템에 반환되는 가구를 검사하고 상태

에 대한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수리가 필요할 때, 가구의 상태에 대한 정확한

기록을 보유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RFID 시스템이 설치된 이후 직원들이 제조 사이트나 창고에서 휴대형 리더를 통해

언제든 쉽게 재고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향후 회사는 트럭의 ID번호와 트럭에 실리는 특정 항목의 연결 뿐만 아니라 직원들이 피킹

프로세스에서 제품들을 확인하는데도 RFID 기술의 사용을 희망하고 있다.

1코그넥스, 최신 판독기술 탑재

‘DataMan 300’ 출시획기적인 ‘Hotbars™’ 기술, ‘‘1DMax+™’

알고리즘 적용

2인터멕, 초고속 고감도 바코드 스캐

너 ‘SG20’ 제품군 출시의료용 SG20 모델에 세균 살균 기능 적용

Page 85: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85 2013. MAY

1코그넥스, 최신 판독기술 탑재

‘DataMan 300’ 출시획기적인 ‘Hotbars™’ 기술, ‘‘1DMax+™’

알고리즘 적용

2인터멕, 초고속 고감도 바코드 스캐

너 ‘SG20’ 제품군 출시의료용 SG20 모델에 세균 살균 기능 적용

01바우머 코리아, 새로운 대리점 체제로 영업

가속공식 대리점 및 특약점으로 구성

바우머 코리아가 2013년부터 새로운 대리점망을 구성하여 한국내 판매를 활성화할 계획이

다. 바우머는 4개의 사업부를 운영하고 있으며, 센서 (Sensor), 엔코더 (Encorder), 계장

(Process Instrument)와 비젼 (Carmera Vision)으로 구성돼 있다.

각 사업부별 한국내 공식 대리점 및 특약점은 다음과 같다.

NEWS INSIGHT VISION

<대리점>

삼정 오토메이션(www.sjautomation.

com)

전화 : 031-469-3090, 팩스 : 031-468-

3095

취급품목 : 센서, 엔코더, 계장, 비젼

엔에스텍(www.nstec.co.kr)

전화 : 031-777-3750, 팩스 : 031-777-

3752

취급품목 : 센서, 엔코더, 계장, 비젼

(주)스트로마그코리아(www.stromag-

korea.co.kr)

전화 : 042-934-3737, 팩스 : 042-934-

3738

취급품목 : 엔코더, 센서

엑세코실업(www.execo.co.kr)

전화 : 031-813-3280, 팩스 : 031-905-

3288

취급품목 : 계장, 비젼

제이엔씨(www.eurosensor.co.kr)

전화 : 031-608-8663, 팩스 : 031-604-

8664

취급품목 : 센서, 엔코더, 비젼

미래 ATS

전화 : 070-7012-4370, 팩스 : 031-8013-

4717

취급품목 : 센서, 비젼

코아시스템(www.corefa.co.kr)

전화 : 054-289-2501, 팩스 : 054-289-

2570

취급품목 : 센서, 엔코더, 비젼

금강 M&C

전화 : 051-319-4757, 팩스 : 051-319-

4758

취급품목 : 계장

<엔코더 취급특약점>

로리텍(www.roritec.co.kr)

전화 : 052-288-7114, 팩스 : 052-288-

7124

<센서 취급특약점>

(주)라디안(www.radian21.com)

전화 : 02-6343-6400, 팩스 : 02-6343-

6410

(주)파코시스(www.pacosystem.com)

전화 : 02-838-4038, 팩스 : 02-838-

4110

<계장 취급특약점>

라텍(www.la-tech.co.kr)

전화 : 051-312-7711, 팩스 : 051-312-

7890

청림인더스(www.chunglimindus.com)

전화 : 055-313-9940, 팩스 : 055-313-

9942

(주)스마트라인(www.smartline.co.kr)

전화 : 02-848-8066, 팩스 : 02-848-

8067

뉴메틱스(www.pneumatic.co.kr)

전화: 031-594-9807, 팩스 : 031-594-

0807

<비젼 취급특약점>

(주)한국로보트(www.hankukrobot.com)

전화 : 031-454-0050, 팩스 : 031-454-

0053

(주)제이엔제이 테크놀로지

전화 : 051-701-7255, 팩스 : 051-701-

7256

Page 86: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02코그넥스, 강력한 휴대형 바코드 판독 장비

라인 업그레이드새 기능으로 기존 기술에서 한 단계 더 도약

86

코그넥스(www.cognex.com)가 판독 기능성과 속도 측면 모두에서 뛰어난 성능 향상을 이

루어 내며, DataMan 8000 시리즈 휴대형 산업용 바코드 판독 장비 라인을 업그레이드했다.

이미 강력한 기능으로 정평이 나 있는 DataMan 8000 시리즈 휴대형 판독 장비에 이제 최고

속도의 1-D 바코드 판독 성능을 위한 코그넥스 독점 Hotbars™ 이미지 분석 기술과 2-D 인

쇄 및 DPM 매트릭스 코드의 효과적인 디코딩을 위한 코그넥스 2DMax+™ 알고리즘이 탑재

된다. 또한, 전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폭넓은 크기의 바코드를 디코딩 할 수 있는 고속 이중

초점 영상취득 루틴 기능도 포함됐다.

코그넥스의 칼 거스트 (Carl Gerst) ID 제품 사업부 매니저는 “DataMan 8000 시리즈는

2010년 출시될 당시 휴대형 산업용 판독 장비의 진정한 도약을 이루어 냈다”라며 “하지만 완

벽함을 추구하는 코그넥스는 항상 한 단계 더 기술적인 도약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을 끊임없이

모색하고 있다. 이번 업그레이드로 Hotbars, 2DMax+와 더불어 보다 빠른 초점 조절 기능

을 추가로 지원하게 된 DataMan 8000 시리즈는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 중 가장 강력하고 안

정적인 기능을 자랑하는 휴대형 산업용 판독 장비”라고 설명하였다.

Hotbars를 지원하는 1DMax+™ 덕분에 DataMan 8000 시리즈는 손상된 바코드, 흐리

거나 심한 원근 등 까다로운 조건이 있는 경우에도 가장 난관으로 꼽히는 1-D 바코드를 빠르

고 쉽게 판독할 수 있다.

DataMan 8000 시리즈는 강력한 2DMax+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디코딩 시간을 최소한으

로 단축하며, 원근, 왜곡, 저대비 또는 파인더나 클러킹 패턴 손상이 있는 코드에서도 효과적

인 성능을 발휘한다. DataMan 8000 시리즈 사용자는 쉬운 코드에서 매우 까다로운 코드

까지 판독할 코드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인쇄 또는 고대비 코드만을 판독하거

나 표준 설정으로는 판독할 수 없는 까다로운 DPM 코드를 처리할 때와 같이 높은 판독 속도

가 필요할 경우 유용하다.

또한, DataMan 8000 시리즈는 특허를 취득한 자동 노출 알고리즘과 보다 빠른 영상취득,

리퀴드 렌즈 성능 옵션을 지원한다. 빠른 영상 촬영 속도로 이제 판독 장비를 이중 초점 모드

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심도를 높이거나, 매우 큰 멀티인치 바코드에서부터

작은 5 mil 2-D Data Matrix코드까지 광범위한 크기의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DataMan

8000 시리즈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기본 모델로 제공된다.

DataMan 8500 판독 장비에는 모든 마크 유형과 표면에서 우수한 영상 형상을 위해 특허를

취득한 코그넥스의 UltraLight 기술이 통합되어 있다. UltraLight 조명 장치는 전자식으로 조

절되는 하나의 조명으로 암시야, 명시야 및 확산 조명을 모두 제공한다.

DataMan 8100에는 DataMan 8500 판독 장비의 모든 기능과 함께 명시야 조명 기능이 포

함되어 있다. DataMan 8100 판독 장비는 특수 조명 없이 우수한 코드 판독 성능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 이상적이다.

DataMan 8000 시리즈 휴대형 산업용 판독 장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코그넥스 홈페이지

(http://www.cognex.com/handheld-barcode-scanners.aspx) 에서 확인할 수 있다.

Page 87: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87 2013. MAY

1코그넥스, 최신 판독기술 탑재

‘DataMan 300’ 출시획기적인 ‘Hotbars™’ 기술, ‘‘1DMax+™’

알고리즘 적용

2인터멕, 초고속 고감도 바코드 스캐

너 ‘SG20’ 제품군 출시의료용 SG20 모델에 세균 살균 기능 적용

1코그넥스, 최신 판독기술 탑재

‘DataMan 300’ 출시획기적인 ‘Hotbars™’ 기술,

‘1DMax+™’ 알고리즘 적용

2인터멕, 초고속 고감도 바코드

스캐너 ‘SG20’ 제품군 출시의료용 SG20 모델에 세균 살균 기능 적

03코그넥스, ID·라벨 검증 위한 새 SW 버전

출시In-Sight Track & Trace, 제약 제품의 일련번호화

실현

04e2v, 4천만 파운드 규모 계약 갱신선형가속기에 사용되는 자사의 RF 파워 솔루션 부문 제

품 공급

코그넥스(Cognex)가 건강 관리 제품의 일련번호를 위한 In-Sight Track & Trace ID 및 데이

터 검증 솔루션의 새로운 버전을 발표했다. 성공적으로 적용되어 온 In-Sight Track & Trace

1.0의 후속 버전으로 출시되는 이 버전에는 제약 및 의료 장비 제작사들이 단위별로 제품의 이

력관리를 실현할 수 있는 기능이 개선되었다.

고객들은 데이터 매트릭스, GS1-128, GS1 DataBar, securPharm, Pharmacode를 포

함한 2D 및 1D 바코드와 함께 사람이 직접 식별 가능한 텍스트를 디코딩하기 위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여러 In-Sight 비전 시스템들과 함께 In-Sight Track & Trace 2.0을 사용할 수 있다.

“In-Sight Track & Trace는 GS1 및 FDA 규정뿐만 아니라 전세계 다른 국가의 유사한 법

률을 준수해야 하는 저희 제약사 고객들을 위해 설계된, 구매 후 바로 사용 가능한 라벨 검증

및 일련번호 판독 소프트웨어입니다.” Vision Systems 부사장 겸 사업부 매니저인 Herbert

Lade는 이렇게 말했다. “이 최신 버전에서는 번들 판독 지원, 보조 검사 기능, 업계 최고 수준

의 판독률을 달성하기 위한 OCRMax™ 툴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새로운 기능들을 통해서 사

람이 판독 가능한 날짜와 로트 코드, 시리얼 번호 등을 탁월한 성능으로 판독할 수 있습니다.”

사전에 프로그램된 이 애드온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터치스크린이나 HMI를 통한 설정이 거의

필요하지 않다. In-Sight Track & Trace는 산업용 프로토콜 표준 및 내장된 I/O 제어 기능

을 통해서 서드파티 일련번호 소프트웨어나 MES에 쉽게 통합 가능하다. 또한 안전한 사용자

인증 및 자동 이력관리 생성을 포함하여 FDA 21 CFR 파트 11 검증에 필요한 기술적인 통

제가 제공된다. In-Sight Track & Trace 2.0은 현재 판매 중이며, 자세한 정보는 www.

cognex.com/tracktrac에서 확인할 수 있다.

e2v가 4천만 파운드 규모에 달하는 다년 계약을 연장했다고 밝혔다.

e2v는 방사선 암 치료 장비 운용을 위한 핵심적인 하위 시스템인 선형가속기에 사용되는 자사

의 RF 파워 솔루션 부문 제품을 영국 Crawley에 위치한 Elekta에 공급한다고 발표했다. 이

번 계약은 신규 장비 및 기존 시스템의 지속적 서비스 및 지원을 위한 것이다. 계약기간은 2013

년 2월 1일 발효되었으며 발효 시점 이후 3년 3개월 간 유효하다.

e2v의 제품은 방사선 암 치료 시스템의 선형가속기 구동에 필요한 마이크로파를 생성, 공급

해 종양의 이미징 및 방사선 치료에 사용되는 X-레이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Elekta는 인류 건강 증진을 위해 암과 뇌질환 치료를 위한 기술 혁신 및 임상 솔루션을 제공

하는 기업으로, 뛰어나고 자원효율적인 기술 제공을 통해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수명을 연장

하는데 기여한다.

키이스 애트우드(Keith Attwood) e2v CEO는 “이번 Elekta와의 계약을 통해 시장의 혁신

적인 솔루션을 위한 믿을 수 있는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 말했다.

Page 88: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88

1코그넥스, 최신 판독기술 탑재

‘DataMan 300’ 출시

획기적인 ‘Hotbars™’ 기술, ‘‘1DMax+™’

알고리즘 적용

2인터멕, 초고속 고감도 바코드 스캐

너 ‘SG20’ 제품군 출시의료용 SG20 모델에 세균 살균 기능 적용

NEWS INSIGHT

01모토로라솔루션, ES400 기업용 PDA 출시물류, 제조, 헬스케어 및 운송 등 현장 환경에 최적

모토로라솔루션(www.motorolasolutions.com, NYSE:MSI)은 ES400 기업용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국내 시장에 선보인다고 밝혔다. ES400 음성 및 데이

터 기능을 통합하여 운영방식을 획기적으로 전환하고, 기업 수익성을 높이는 한편 언제 어디서

나 업무를 완료하는데 정보에 접속하고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여 업무의 지속성을 최대한 발

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다양한 기업의 관리자와 직원은 콤팩트하고 가벼운 디자인의 푸시-투-토크(push-to-talk)

기능과 모바일 컴퓨팅의 가장 강력한 성능 조합을 자랑하는 ES400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모토로라솔루션의 가장 작고 가벼운 기업용 PDA 모델인 ES400은 뛰어나 성능에 날렵한 폼

팩터(form factor)를 결합해 업무상 이동이 잦은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을 보장하고 업무 수행

중에 필수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ES400은 마이크로소프

트 원도우 모바일 6.5 플랫폼을 채택했으며 현장 서비스나 영업, 소매, 헬스케어, 공공설비, 제

조, 운송 및 중소기업이 언제 어디서나 즉시 정보를 수집, 업무에 필수적인 애플리케이션 백 엔

드(back end) 시스템을 접속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세계적인 IT 마케팅, 리서치, 미디어 전문기관인 UBM(United Business Media)의 자

회사인 에브리싱 채널(Everything Channel)의 CRN매거진은 휴대용 기기 부문에서 모토로

라솔루션의 ES400 엔터프라이즈 모바일 컴퓨터를 ‘기술혁신상(Tech Innovator Award)’ 수

상작으로 선정한 바 있다.

ES400 모델은 모토로라 기업용 UI 플랫폼인 모토로라 엔터프라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 (MEUI)

를 지원하여 단 한 번의 버튼 클릭으로 업무에 중요한 정보를 살펴보거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320만 화소 카메라가 장착되었고, 사진에 주석을 다는 기능도 제공한다. 1D 및 2D 바코드

스캐닝을 지원하는 ‘푸시 투 스캔’ 기능과 크거 선명한 3인치 VGA 화면(750NITS ? 일반 소비

자용 기기 대비 2배 밝기를 제공)을 탑재하고 있으며 키보드가 통합 장착되어있다.

기본 배터리는 1,540mAh를 제공하며 확장 배터리팩은 3,080mAh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

다. 듀얼 3.5G를 지원하여 GSM HSPA와 CDMA EVDO Rev A네트워크를 선택적으로 사

용할 수 있다. 이밖에, ES400 모델은 윈도우 모바일6.5.3 프로페셔널이 탑재되어 끊김 없는

연결성, 애플리케이션 호환성과 업계 특성에 맞는 애플리케이션, 첨단 보안 및 기기 관리 모빌

리티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모토로라솔루션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솔루션 사업부 총괄 김경석 상무는 “모토로라솔루션

은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모바일 근로자(mobile worker)’가 조직의 원동력이며 이들에게 탁월

한 기능을 갖춘 기기를 제공해 현장의 원활한 업무 수행을 지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다. 새롭게 선보인 ES400 기업용 PDA는 탁월한 성능과 세련된 디자인을 자랑

하며 이동성, 우수한 통신 및 작업 기능을 결합한 기기로, 모바일 근로자 및 관리자들이 현장에

서 즉각적인 업무 수행과 사무실에서의 관리 업무를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구성이 가능한 UI를 통해 단 한번의 클릭으로 주요 업무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을 접속할 수 있어

현장에서도 수준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Page 89: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89 2013. MAY

1코그넥스, 최신 판독

기술 탑재 ‘DataMan

300’ 출시획기적인 ‘Hotbars™’ 기술,

‘‘1DMax+™’ 알고리즘 적용

2인터멕, 초고속 고감도 바코드 스캐

너 ‘SG20’ 제품군 출시의료용 SG20 모델에 세균 살균 기능 적용

02Adlink Technology, 산업용 모바일 휴대형 컴

퓨터 출시IMX-9000, 물류관리, 운송

및 소매, 공장 자동화 등 다양한

산업 타겟

03지멘스, 산업용 모니터 출시 ‘멀티 터치 작동

가능’정전식 터치 기술이 적용된 19인치로, 스크래치 방지 및

고내산성의 100% 무반사 전면 유리

대만에 본사를 두고 있는 산업용 컴퓨팅 제품 제조업체인 Adlink Technology가 윈도우

CE6.0 R3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산업용 모바일 휴대형 컴퓨터인 IMX-9000을 출시했다.

회사에 따르면, 휴대형 리더는 ISO 15693과 14443A 표준을 지원하는 13.56MHz HF RFID

데이터 캡처와 바코드 스캐너, GPRS/WLAN 무선 전송기능을 결합한 제품이다. 이 제품은 완

벽하게 지원하는 물류관리, 운송 및 소매, 공장 자동화 등 다양한 산업을 위해 설계됐다. IMX-

9000은 WiFi와 블루투스, GSM, GPS, A-GPS 기술을 통합하고, 방진과 방수에서 테스트

를 완료하고 거친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하며, 1.5미터 낙하 테스트를 통

과한 IP65 등급을 획득했다. 3.5인치 터치 패널과 실시간 비디오 통신 및 감시를 위한 5메가픽

셀의 후면 카메라와 0.3메가픽셀의 앞면 카메라가 장착돼 있다. 임베디드된 3000mAh 재충전

용 리튬 건전지는 장기간 작동을 보장하고 충전 크래들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된다. IMX-

9000은 162mm x 80mm x 30.5mm 사이즈에 무게는 표준 배터리르 포함해 380그램이다.

지멘스가 최근 멀티 터치 및 손가락 동작 인식 오퍼레이션을 위해 정전식 터치 기술(PCT:

projected capacitive touch)이 적용된 산업용 모니터를 출시했다. Simatic IFP1900 MT

는 지멘스가 PCT 기술이 적용된 산업용 모니터로 처음으로 출시한 제품으로, 와이드스크린

형식의 견고한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니터 제품의 기능을 확장시킨 제품이다.

빌트인 설치가 가능한 이 모니터는 전면이 고내산성의 스크래치 방지 100% 유리로 되어 있고

크기는 19인치다. 회사에 따르면, 이 새로운 산업용 플랫 패널 모니터의 가장 큰 특징은 전면

이 특수 산업용 무반사 유리와 엄지로 잘못 건드리거나 먼지가 묻는 등의 터치 오류와 작업자의

오퍼레이션을 자동 감지하는 기능이다. Simatic IFP1900 MT는 설비에 바로 설치하여 HMI

로 사용하거나, 최대 30미터 떨어진 산업용 PC에 연결하여 분산 제어 솔루션의 원격 HMI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싱글 터치 방식의 기존 애플리케이션들도 사용 가능하다.

Simatic IFP1900 MT의 PCT 기술은 얇은 보호 장갑을 끼고도 효율적이고 빠르게 화면을 조

작할 수 있게 한다. 동시에 최대 다섯 손가락을 사용한 작업자의 멀티 터치 및 손가락 동작 인

식 오퍼레이션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에서처럼 이미지 콘텐츠를 패닝, 확대/축소하

거나 숨길 수 있어 직관적이고 신속하게 확인이 가능하다. 이 새로운 산업용 플랫 패널은 전면

이 크리스털처럼 투명한 유리를 채택해 이미지를 보다 정확하고 밝게 표현하는 선명한 화면을

제공하며, 표면을 무반사 처리하여 어떤 각도에서든 가독성이 우수하고 조작 신뢰성이 뛰어

나다. 패널 전면은 100% 유리로 스크래치에 강하고 특히 내산성이 우수하며 패널 유리 주변

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얇은 금속 테두리로 둘러 보호한다. 새 견고한 Simatic IFP1900

MT 와이드스크린 모니터는 전면이 IP65 보호등급을 만족하고, 혹독한 온도, 진동, 충격 및

EMC요구사항이 적용되는 거친 산업 현장에서도 24시간 연속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에너지 절약형 LED 배경 조명은 0~100%까지 연속으로 밝기 조절이 가능하고, 조명이 아

주 밝은 작업 환경에서도 우수한 가시성과 특히 긴 수명 주기를 보장한다. 이 19인치 HD 와이

드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적정 지원 해상도는 1366 x 768 픽셀이며, Display 포트나 DVI-D

인터페이스를 통해 최대 30미터 거리의 산업용 PC와 원격 연결이 가능하고, 세로 방향 장착

도 지원하다. 24 V DC 및 100~230 V AC 전원 공급 장치와 2개의 USB 인터페이스가 내

장되어 있으며 필요한 경우 패널 전면부의 디자인을 고객 사양에 맞추어서 공급할 수 있다.

Page 90: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90

1코그넥스, 최신 판독기술 탑재

‘DataMan 300’ 출시획기적인 ‘Hotbars™’ 기술, ‘‘1DMax+™’

알고리즘 적용

2인터멕, 초고속 고감도 바코드 스캐

너 ‘SG20’ 제품군 출시의료용 SG20 모델에 세균 살균 기능 적용

1코그넥스, 최신 판독기술 탑재

‘DataMan 300’ 출시획기적인 ‘Hotbars™’ 기술,

‘1DMax+™’ 알고리즘 적용

2인터멕, 초고속 고감도 바코드

스캐너 ‘SG20’ 제품군 출시의료용 SG20 모델에 세균 살균 기능 적

04마이크로스캔, 새로운 미니 호크 제품 출시ESD 세이프, 컴팩트한 사이즈로 고해상도 광학과 X-모

드 디코딩 알고리즘 통합

05코그넥스, 경제적인 고성능 바코드 리더기 시

리즈 확장”래스터 및 단일 라인 스캐너 분야 대상 새로운 컴팩트 시리즈

출시

글로벌 머신비전 및 바코드 공급업체인 마이크로스캔이 미니 호크(Mini Hawk) 제품 라인에

‘ESD 세이프’ 모델을 추가했다고 발표했다.

미니 호크 ESD 세이프는 컴팩트한 사이즈로 고해상도 광학과 마이크로스캔의 X-모드 디코

딩 알고리즘이 통합돼 전자기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정전기에 민감한 부품 및 구성요소에 있는

가장 어려운 DPM을 근거리에서 인식할 수 있다.

정전기 방지(ESD)와 민감한 부품에 가할 수 있는 손상은 생산량, 재작업비용 및 보증 반환의

중요한 소스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반도체, 인쇄 회로 기판 조립과 같은 산업분야의 제조

업체는 바코드 추적 솔루션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소량의 정전기에 의해서도 전기적인 부품들

은 손상이 될 수 있다. 제조업체들은 고품질의 영구적인 1D 및 2D 바코드를 필요로 한다. 그리

고 인쇄 접착 라벨을 대체하하는 기술로 레이저 에칭과 다른 DPM 기술에 점점 의존하고 있다.

마이크로스캔의 새로운 소형 고정형 마운트 바코드 이미저는 각 부품에 표시된 1D 및 2D 바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EDS에 민감한 조립공정에 안전하고 쉽게 통합할 수 있다.

EDS 세이프 이미저는 도트 핀과 레이저/화학 에칭과 같은 DPM을 포함해 손상되고 왜곡되며

어려운 낮은 대비의 1D와 2D 기호의 인식을 위한 마이크로스캔의 X-모드 디코드 알고리즘

을 갖추고 있다. X-모드 기술은 거의 모든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에 쉽게 설치 및 적용할 수 있

도록 한다. 이밖에도 미니 호크 EDS 세이프는 RoHS/WEEE를 준수한다.

머신비전 시스템 및 ID 자동인식 분야 글로벌 리더인 코그넥스(www.cognex.com)가 컴팩

트 바코드 리더기인 DataMan 50 시리즈에 신규 모델 2종과, 이더넷 연결을 지원하는 3종 모

델을 추가한 새로운 DataMan 60 시리즈를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 출시로 코그넥스의 경제적인 고성능 바코드 판독 제품 라인이 한층 더 다양해졌으

며, 일반적으로 단일 라인 또는 래스터 (한 줄에서 연속된 픽셀들의 집합) 레이저 스캐너로 처

리되던 분야를 대상으로 한다. 새로운 DataMan 리더기는 소형 폼팩터를 비롯하여 코그넥스

의 최고급 리더기에서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강력한 독점 바코드 판독 기술, 성능 피드백을 위

한 시각화, 내구성이 튼튼한 설계 등을 두루 갖추고 있다. DataMan 50/60 시리즈 바코드 리

더기는 기존의 레이저 스캐너 제품과 동일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

코그넥스의 칼 거스트 (Carl Gerst) 부사장 겸 ID 제품 사업부 매니저는 “1-D 방향성 바코드

스캔 분야에서 최근 출시한 DataMan 50L 에 대한 엄청난 수요가 있었다”며 “레이저 스캐너

사용자들은 끊임없는 수리와 교체 비용에 지쳐 있었으며, 보다 새롭고 향상된 기술로 전환할

준비되어 있었다. 이번 새로운 모델을 통해 기존 래스터와 단일 라인 레이저 스캐너가 사용되

던 모든 분야에 저렴한 비용과, 뛰어난 성능을 겸비한 완벽한 바코드 리더기를 제공하는 동시

에, 기존의 고급 산업용 바코드 리더기 라인을 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DataMan 50 및 DataMan 60 시리즈 바코드 리더기는 다음과 같은 3가지 모델로 제공된다.

첫째, DataMan 50/60L은 빠르고 정확한 1-D 바코드(래더나 막대형 방향)를 판독할 수

있다. 둘째, DataMan 50/60QL은 업계 최고 수준의 1-D 전방향 바코드를 판독한다. 셋

째, DataMan 50/60 S은 1-D 전방향 바코드 또는 2-D 매트릭스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Page 91: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91 2013. MAY

업체명 전화번호 홈페이지

A+솔루션 02)2113-1723 www.aps1.co.kr

APS코리아 02)336-0300 www.aps-printer.co.kr

ATRF 02)2113-1945 www.atrf.co.kr

HID 글로벌 동북아시아 지사 02)2051-1918 www.hidglobal.com

IDS글로벌 02)405-8400 http://idsg.co.kr

ITW스페셜티필름 02)2104-9200 www.itwsfk.co.kr

KB테크 02)957-9574 www.kbtechgate.com

M3모바일 02)574-0037 www.mobilecompia.co.kr

SICK 코리아 02)786-6321 www.sickkorea.net

다누리정보기술 02)833-4600 www.danury.com

대성L&A 02)3408-1461 www.dslna.com

데이타로직 ADC 02)3281-9296 www.datalogic.com

데이타로직 오토메이션 02)2627-3231 www.datalogic.com

데이터카드코리아 02)551-2235 www.datacard.kr

도시바테크코리아 02)3279-0001www.toshibateckorea.

com

디오텔 02)850-3629 www.dotel.co.kr

로이체 일렉트로닉 031)382-8228 www.leuze.co.kr

마이크로스캔

한국지사031)786-0835 www.microscan.com

매직카드코리아 070)8279-8200

모토로라솔루션 02)3497-3600 www.motorolasolutions.com/KR-KO

바올테크 02)2029-7555 www.barall.co.kr

바코드 마트 02)861-1198 www.barcodemart.com

바코드인터내셔날시스템 02)325-6063 www.rflabel.kr

버텍스아이디 02)3446-0337 www.vertexid.com

브라더 인터내셔널코리아

02)572-4343http://wecome.brother.com/kr-ko.html

업체명 전화번호 홈페이지

블루버드소프트 070)7730-8357 www.bluebird.co.kr

빅솔론 031)218-5500 www.bixolon.com

사토아시아퍼시픽 02)761-5072 www.satokorea.com

삼미페이텍 031)211-5596 www.smartpaytech.com

새빛맥스 02)2024-0011 www.mylabel.co.kr

세우테크 031)459-8200 www.miniprinter.com

스카이텍 031)429-2777 www.stw.co.kr

시그너스정보기술 02)2108-1600 www.cygnusin.co.kr

시스트데이타 02)461-9222 www.easybarcode.co.kr

씨엔피테크 02)866-0440 www.cnptech.co.kr

아우시스템 031)436-1191 www.awoo.co.kr

아이넷뱅크 02)3400-7490 www.i-netbank.co.kr

아이디정보시스템 053)745-4160 www.idif.co.kr

아이디맥스 02)838-1170 www.idmax.co.kr

아이온텍 02)2082-3800 www.aiontec.com

아이콤정보시스템 02)861-1175 www.idssystems.co.kr

아이템즈 02)453-5200 www.astems.co.kr

알에스포 02)3143-5590 www.rs4.co.kr

알피온 02)3281-1300 www.alpion.kr

에스오에스정보기술 02)2233-5552 www.sosit.co.kr

에스프린텍 02)3661-2070 www.sprintech.kr

알모(ARMOR)를 보면 바코드 리본이 보인다

AWR 470, AWR 6, AWX FH, APR 6, APX FH, AXR 7+,

AXR 8, AXR 9

www.armor-tt.com 담당자 이현미 팀장 ([email protected])

* ‘대표기업’에 등록하길 원하면 하준철 팀장([email protected])에게로 연락주십시오.

국내 자동인식(바코드) 대표기업 리스트

Windows Industrial Terminal지게차, 생산라인 제어 및

설비관리업무용으로적합한 산업용 PC 출시

www.CSFL.co.kr전화031-389-0380 팩스031-389-0384 담당자이래형 부장([email protected])

패션, 물류, 병원에 적합한바코드프린터의 선두기업

wwwdoosoun.co.kr전화02-2280-4300 팩스02-2024-2319 담당자김경호 차장([email protected])

Page 92: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92

업체명 전화번호 홈페이지

에이버리데니슨 02)3479-7397 www.machines.avery-dennision.com

에이스카드넷 02)2093-3161 www.acecard.net

영우디지탈 02)6004-7000 www.youngwoo.co.kr

유니온넷 02) 3142-4531 www.unionnet.co.kr

인터멕코리아 02)552-2484 www.intermec.com

인터컴알에프 02)517-3561 www.intercomrf.co.kr

지멘스테크 02)3409-0525 www.siemenstech.co.kr

진코퍼레이션 02)6292-2222 www.zin.co.kr

지엔비테크 02)3281-1301 www.gnbtech.co.kr

진코퍼레이션 02)6292-2222 www.zin.co.kr

진테크 02)486-7430 www.labelwriter.co.kr

창성정보기술 02)597-5972 www.csitcorp.co.kr

캐치웰 031)788-5300 www.catchwell.com

코그넥스 코리아 02)539-9047 www.cognex.co.kr

코림 043)857-2950 www.korimttr.co.kr

키스컴 02)861-2251 kiscom.smarthomepage.co.kr

업체명 전화번호 홈페이지

키앤스코리아 031)789-4300 www.ikeyence.com

테크스캔코리아 02)890-5440 www.techscan.co.kr

토마텍 02)463-2626 www.tomatec.co.kr

한국하니웰 02)799-3517 www.honeywellaidc.com

한도씨앤에스 02)2029-6881 www.handocns.com

한맥E N G 02)6309-7000 www.hmtrade.co.kr

한국바코드시스템 02)467-5077 www.barcode114.co.kr

한국전자인식 02-866-1051 www.keid.co.kr

한샘디지텍 032)581-5375 www.hsdgt.com

한솔데이타 031)427-0377 www.hansoldata.com

고객 만족 무한책임 경영품질 제일주의 실천 경영

창조적 사고에 의한 기술혁신

www.tbs2000.co.kr 전화032-665-0014 팩스032-671-4171 담당자정문호 과장([email protected])

바코드스템, PDA솔류션, DVR화물추적시스템, 콜CRM, IP-PBX

www.pointsystem.co.kr 전화1544-6587 팩스032-624-0553 담당자윤옥순 부장([email protected])

바코드 라벨 프린터, ID카드 프린터 최강자!!

More UptimeMore Productivity More

Efficiency

www.zebra.com 전화02-6336-3456 팩스02-6336-3457 담당자서희정 과장([email protected])

문의

정기구독 및 광고에 대한 문의사항이 있으신 분은 연락을 주시면 성심성의껏 도와 드리겠습니다

다양한 서비스 제공광고

문의 온오프라인 광고 연계를 통한 광고효과 극대화(온라인 배너 서비스 제공)

문의 : 김진희 팀장 / 010-2421-9713 / [email protected]

50% 할인 이벤트 실시 정기구독

문의 www.scmjournal.co.kr 사이트에 가입하시고 구독신청란에 신청하시면 됩니다.

문의 : 하준철 팀장 / 010-3932-0816 / [email protected]

10만원

5만원

연간 정기구독료

Page 93: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93 2013. MAY

* ‘대표기업’에 등록하길 원하면 하준철 팀장([email protected])에게로 연락주십시오.

국내 자동인식(RFID/USN) 대표기업 리스트

업체명 전화번호 홈페이지

ATRF 02)2113-1945 www.atrf.co.kr

EMW 02)2107-5500 www.emwantenna.com

KIC시스템즈 02)866-1188 www.kicsystems.co.kr

LG히다찌 070)8290-3700 www.lghitachi.co.kr

NDS 02)827-2114http://nds.nongshim.co.kr

NEID 02)969-6756 www.neid.co.kr

나루기술 032)818-1890 www.narutec.co.kr

네스랩 031)206-1774 www.nesslab.com

네오엠텍 02)6675-6585 www.neomtech.com

네톰 031)427-3037 www.nethom.co.kr

누리텔레콤 02)781-0741 www.nuritelecom.com

대양이티엔씨 02)3295-3335 www.detnc.com

동부CNI 02)2136-6000 www.dongbucni.co.kr

듀얼아이 031)213-0074 www.duali.com

디오텔 02)850-3636 www.dotel.co.kr

레몬컵 02)511-2924 www.lmcup.co.kr

루셈 054)470-0900 www.lusem.com

루텍 02)2088-1461 www.rutec.co.kr

리드메디 02)2627-5858 www.leadmedi.co.kr

리테일테크 031)622-4200 www.retailtech.co.kr

린텍어드벤스테크놀로지코리아

02)548-1537 www.lintec.co.kr

맥스포 031)212-0663 www.maxfor.co.kr

모노스타 032)9589-4254 www.monostar.co.kr

모텍스 02)2274-2257 www.motex.co.kr

바올테크 02)2029-7555 www.barall.co.kr

바이텍테크놀로지 032)834-4860 www.bitekps.com

보나뱅크 1644-7676 www.bonabank.com

비경시스템 02)2108-1700 www.bkyung.co.kr

빅솔론 031)218-5500 www.bixolon.com

빅텍 031)631-7301 www.victek.co.kr

업체명 전화번호 홈페이지

삼미정보시스템 02)790-5505www.sammicomputer.co.kr

삼미페이텍 031)211-5596 www.smartpaytech.com

삼성피아이티 031)798-8700www.samsungprinting.com

세우테크 031)459-8200 www.miniprinter.com

센서웨이 02)957-6500 www.sensorway.co.kr

셀리지온 031)778-4500 www.celizion.com

손텍 02)890-5880 www.sontec.co.kr

스마트로 02)2109-9000 www.smartro.co.kr

시고 031)737-6201 www.sigo.co.kr

시그너스정보기술 02)2108-1600 www.cygnusin.co.kr

시앤시인스트루먼트 032)327-3344 www.cncinst.co.kr

쓰리에이로직스 031)715-7117 www.3alogics.com

씨제이지엘에스 02)870-6114 www.cjgls.co.kr

씨제이텍 054)975-8020 www.cjt21.com

아이디로 031)225-7881 www.idro.co.kr

아이디맥스 02)838-1170 www.idmax.co.kr

아이에스테크놀로지 032)850-2600 www.sondar.com

아이온텍 02)2082-3800 www.aiontec.com

알에프링크 02)894-6578 www.rflink.co.kr

알에프캠프 02)593-8804

www.rfcamp.com

에스알에프아이디 02)864-2114 www.s-rfid.com

에스엔알 042)712-6500 www.snr.kr

에스원 080)023-8259 www.s1.co.kr

에이디칩스 031)463-7500 www.adc.co.kr

에이스웨이브텍 032)831-0401 www.acewavetech.com

에이티아이디 070)8677-8583 www.atid1.com

에이플러스솔루션 02)2113-1723 www.aps1.co.kr

고객 만족 무한책임 경영품질 제일주의 실천 경영

창조적 사고에 의한 기술혁신

www.dmits.co.kr 전화02-818-7777 팩스 02-865-0156 담당자 윤택근 팀장([email protected])

World Best RFID/USN Technology

LF부터 HF, UHF, 2.45GHz까지 모든 주파수 대역 라인업 확충

www.ceyon.co.kr 전화 02-3418-3030 팩스 02-3418-5678 담당자 황한춘 이사([email protected])

“택 아니면 택도 없다!”RFID 특수 택 (tag) 전문 업체2004년 이후 44개국 수출

www.rfcamp.com 전화 02-593-8808 팩스 02-593-8804 담당자 유재형 대표이사[email protected])

Page 94: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94

업체명 전화번호 홈페이지

에일리언테크놀로지아시아

070)7012-1316 www.alienasia.com

엔젤넷 02)836-2811 www.wa1004.co.kr

엔피케이 031)730-0650 www.npk.co.kr

엘엔아이소프트 032)426-2770 www.u-lni.com

엠텍비젼 031)627-0100 www.mtekvision.com

엠프론티어 02)3016-7300 www.emfrontier.com

영진글로지텍 02)6925-5366 www.yjglogitech.co.kr

오경컴텍 02)864-5480 www.iokcom.com

오스트라마이크로시스템즈 한국

02)3490-3400www.austriamicrosys-tems.com

오토닉스 055)371-5000 www.autonics.co.kr

옥타컴 042)627-8886 www.octacomm.net

유로지스넷 02)3669-7560 http://uln.logisall.com/

유맥 032)343-1881 www.u-mck.co.kr

유비알에프 02)2051-2636 www.ubrf.co.kr

유알에프 053)856-1845 www.urf.co.kr

유알테크 031)500-4055 www.ur-tech.co.kr

유타렉스 02)2631-3611 www.utarex.com

이그잭스 054)461-7395 www.exax.co.kr

이씨오 02)2024-9900 www.eco.co.kr

업체명 전화번호 홈페이지

인터로젠 02)1644-2317 www.interlogen.com

인포에스티 02)575-7545 www.inpoesti.com

잉크테크 031)494-0001 www.inktec.com

자바정보기술 064)724-6900 www.javainfo.co.kr

지브라코리아 02)6336-3460 www.zebra.com

청호컴넷 02)3670-7700www.chunghocomnet.com

캐치웰 031)788-5300 www.catchwell.com

유비쿼터스 RFID/

USN 분야 전문 솔루

션 업체

Creating RFID/USN

Total Solution for

professionals

kic 시스템즈 l전화l 02-866-1188 l팩스l 02-866-5012 l담당자l 임수동 차장

([email protected])

코비스 031)323-1612 http://www.cobis.co.kr/

코아전기 031)453-3088 http://www.f-core.co.kr/

큐빗 02)543-9731 www.qbit.ne.kr

키스컴 02)861-2251 www.kiscom.co.kr

태인 02)588-2215 www.taein.info

태일기업 031)351-5061 www.taeillabel.co.kr

테스콤 031)920-6600 www.tescom.co.kr

파루 061)755-5114 www.paru.co.kr

파이칩스 042)864-2402 www.phychips.com

퍼스텍I&C 031)601-5500 www.firstech.co.kr/

하렉스인포텍 02)3406-4000 www.mzoop.com

한국전자인식 02-866-1051 www.keid.co.kr

한맥E N G 02)6300-7000 www.hmtrade.co.kr

한미IT 1588-9708 www.hanmiit.co.kr

한울옵틱스 02)3397-5580 www.hahnwool.co.kr

휴텍21 02)2107-7200 www.hutech21.com

유비쿼터스 RFID/USN

분야 전문 솔루션 업체

Creating RFID/USN

Total Solution

for professionals

www.kicsystems.com전화 02-866-1188 팩스 02-866-5012 담당자 임수동 차장([email protected])

유비쿼터스 통합 자산관리 시스템

“SMART ASSET”귀찮고 성가신 자산관리는 이주데

이타시스템에 맡겨주십시오.

www.ejudata.co.kr전화 02-6925-4700 팩스 02-890-6564 담당자 이준연 이사([email protected])

다년간 축적된 기술과 노하우RFID 노트북 보안관리 솔루션

RFID/QR 농산물생산이력관리 솔루션

RFID 소셜마케팅 솔루션

www.ubiu.com전화 02-3288-3651 팩스 02-3288-3657 담당자 [email protected]

각종 특수 RFID 태그 판매온도센서 태그고온용 태그메탈 태그

온습도 센서 노드( USN제품)RTLS 제품

능동형 (active) 태그

www.ubrf.co.kr전화 02-2051-2636 담당자 조대진 대표([email protected])

Page 95: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95 2013. MAY

업체명 전화번호 홈페이지

GS시스템 053)354-0476 www.gsst.co.kr

SNI 010-2722-0712 www.sinnov.co.kr

광우 031)446-2900 www.kwangwo.co.kr

기정교역 031)478-0635 www.kijeong.com

넥스트아이 031)478-2700 www.nexteye.com

노아텍 032)330-7282 www.noatech.com

다래비전 031)381-7130 www.dareavision.co.kr

다산뉴텍 032)462-1624 www.dsnt.com

다우시스템 032)330-3419 www.dawoosys.co.kr

다이트론코리아 02)6910-3334 www.daitron.co.kr

다트비젼 02)2027-0055 www.datvision.co.kr

대곤코퍼레이션 02)6675-6600 www.daekhon.co.kr

데이타로직 오토메이션

02)2627-3231 www.datalogic.com

디쌤 031)383-3611 www.dissem.co.kr

라온피플 031)707-7043 www.laonpeople.com

리오시스템 02)3461-3937 www.leosystem.co.kr

마이콘 02)508-5345 www.miconcorp.com

머신비전 분야의 새로운 3가지 혁신

더 작고더 쉽고 스마트한

마이크로스캔코리아 l전화l 031-786-0835 l팩스l 031-786-0833 l담당자l help-

[email protected]

메가정보기술 031)236-6100 www.megainfo.co.kr

미래로시스템 031)215-2905 www.mirero.co.kr

미토스 02)497-3131 www.mythos.co.kr

바올테크 02)2029-7555 www.barall.co.kr

바텍 053)523-0821 http://m.바텍.kr/

뷰런 070)7017-8710 www.viewrun.co.kr

뷰웍스 070)7011-6161 www.vieworks.com

브이에스테크 031)477-4692 www.vstech.co.kr

비스메카 031)796-3400 www.vismecha.com

비스텍 02)2630-2580 www.vistec.co.kr

비저너스 02)589-1818 www.visionus.co.kr

비전트론 070)7600-5060 www.visiontron.co.kr

비코시스 02)6264-7783 www.vicosys.co.kr

업체명 전화번호 홈페이지

빈나통상 031)467-2681 www.vinnacable.com

서광옵티컬 031)354-2202 www.skoptical.com

선하이테크 031)478-3062 www.sunhightech.co.kr

세현교역 02)424-6212 www.sehyunscope.com

스마트비전텍 02)868-3444 www.svtech.co.kr

시원광기술 031)479-6023 www.siwon.co.kr

싸이로드 070)7018-0720 www.cylod.com

씨켐스 02)2109-8110 www.cicams.co.kr

아이디맥스 02)838-1170 www.idmax.co.kr

아이피스 031)425-4691 www.ifis-vision.com

알티에스 031)746-8400 www.rtsvision.co.kr

알포스텍 031)366-5677 www.elpostech.co.kr

앤비전 02)2624-5503 www.envision.co.kr

앤아이피 02)863-3137 www.nip.co.kr

앰비전 043)273-2910 www.mv21.co.kr

에스피오 042)673-4400 www.spoptics.co.kr

에이치티에스 070)8201-9975 www.hts21.com

에프에이플러스 042)824-5121 www.faplus.co.kr

엔시스 041)568-7222 www.n-sys.co.kr

엘브이에스 070)8620-7250 www.lvs.co.kr

엘파인 032)323-6899 www.lfine.co.kr

엠에스비전 031)695-6744 www.msv.kr

와이엔케이솔루션 031)342-2076 www.ynksolution.com

위프비전 031)303-5560 www.warpvision.co.kr

유스테크코리아 02)808-3133 www.ytkorea.co.kr

이미지포커스 02)563-9034 www.imagefocus.co.kr

이오비스 02)424-8832 www.iovis.co.kr

이씨에이시스템 02)704-0747 [email protected]

이지비전 02)847-2954 www.egvision.com

인더스원 031)420-4375 www.indusone.co.kr

인덱서 02)2692-1022 www.indexer.co.kr

인터코아 070)8633-0015 www.intercore.co.kr

자비스 031)740-3831 www.xavis.co.kr

자이로시스템 031)717-5480 www.gyro.co.kr

주토스 031)385-0701 www.zootos.com

준비젼 031)735-9517 www.junvision.com

* ‘대표기업’에 등록하길 원하면 하준철 팀장([email protected])에게로 연락주십시오.

국내 머신비전 대표기업 리스트

머신비전 분야의 새로운 3가지 혁신

더 작고더 쉽고 스마트한

www.microscan.com전화 031-786-0835 팩스 031-786-0833 담당자 김문수 지사장([email protected])

Page 96: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96

업체명 전화번호 홈페이지

지케이 031)737-2245 www.gkpns.co.kr

진성하이텍 031)454-9727 www.jinsunghitec.com

카디스 02)2062-2581 www.cadiseng.com

카이스 031)776-0555 www.kais21.co.kr

제조 및 유통 공정 전체에서 다양한 검사,

ID인식 및 가이드 분야

세계 최고 브랜드‘코그넥스’

코그넥스 l전화l02-539-9047 팩스l 02-539-9592 l담당자l support@

cognex.co.kr

타노스 02)899-7738 www.타노스.kr

테크닉스 02)529-5000 www.teknix.co.kr

업체명 전화번호 홈페이지

텍트리 02)864-3721 www.tectree.kr

파비스 02)561-7321 www.favis.co.kr

표준정보기술 02) 2026- 4463 www.standard21.co.kr

플러스텍 031)477-9429 www.plus-tek.co.kr

한국내쇼날인스트루먼트 02)3451-3400 www.ni.com

한국영상기술 031)422-2812 www.kit-fa.com

한국지능기계 070)4124-9481 www.mechakorea.com

화인스텍 02)579-1274 www.fainstec.com

화인옵틱스 031)388-0321 www.fineoptics.co.kr

힘스 032)821-2511 www.hims.co.kr

SICK코리아 02)786-6321 www.sickkorea.net

Basler Korea 0707) 1363 114

제조 및 유통 공정 전체에서 다양한 검사,

ID인식 및 가이드 분야

세계 최고 브랜드‘코그넥스’

www.cognex.com전화 02-539-9047 팩스 02-539-9592 담당자 [email protected]

Page 97: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97 2013. MAY

업체명 전화번호 홈페이지

GCCKOREA 050)5893-7942 www.gcckorea.co.kr

K2레이저시스템 02)3141-2401 www.k2laser.co.kr

NeXpectrum 031)427-6212 www.nexpectrum.net

거성테크 062)382-9301 www.gusungtech.com

경일마킹시스템 041)574-4567 www.ekyungil.co.kr

국제상사 02)2273-2616 www.globalpack.kr

그라보그래프 02)2025-3791 www.gravograph.co.kr

금용마킹 053)384-3077 www.kymarking.co.kr

금정마킹 02)969-1414 www.kjmarking.co.kr

기성이엔지 061)793-8243 www.kisungeng.co.kr

나눔오토메이션 052)223-9150 www.nanumauto.co.kr

네오엠테크 031)434-5197 www.neomt.co.kr

다인엔지니어링 032)624-3294 www.dineeng.co.kr

다솜옵틱스 031)450-6660 www.dasompia.com

대주 031)372-9600 www.taechu.co.kr

도미노코리아 02)797-1811 www.dominokorea.com

도제테크 02)2068-6844 www.dojetech.co.kr

동성레이저 02)2109-8080 www.dslaser.biz

동우툴마켓 031)225-6486 www.dongwootm.com

동화시스템 070)4212-4183 www.donghwasystem.com

라온텍 070)4086-1481 www.laontek.co.kr

레이저발코리아 070)7542-4400 www.laservall.co.kr

레이저통 031)508-0387 www.lasertong.co.kr

레이저픽스코리아 031)796-0017 www.laserpixkorea.com

레전스 032)572-8711 www.레이져가공.kr

로닉스 050)2070-7771 www.ronixkorea.com

마크텍코리아 054)762-0051 www.marktec.co.kr

마이씨앤씨 070)8202-3246 www.mycnc.co.kr

메이쓰 031)404-8775 www.mace-inkjet.co.kr

모던마킹 053)314-5462 www.mmarking.com

미래마킹 055)365-7760 www.mrmarking.co.kr

미야찌코리아 031)8003-6886 www.miyachikorea.co.kr

베스트레이져 032)772-8595 www.bestlaser.kr

베닉스 054)458-8989 www.venix.co.kr

브래디 02)2192-0700 www.brady.co.kr

비디오젯코리아 02)2118-7961 www.videojet.kr

업체명 전화번호 홈페이지

비슬로 031-349-8692 www.visslo.com

비트오토메이션 032)588-0567 www.bitautomation.com

산호기계 02)864-5947 www.sanho.co.kr

서브텍 032)683-6320 www.servetec.ne.kr

서울 정인사 02)2266-2433 www.junginsa.co.kr

서울마킹시스템 02)456-3153 www.seoulmarking.com

성지마킹 031)721-4197 www.sjms.kr

성남마킹 070)7538-4395 www.snmarking.com

세아LMS 032)342-7200 www.seahlms.co.kr

세진테크 031)479-7090 www.sejintech.kr

수성마킹시스템 032)515-2212 www.ssmark.com

수아통상 031)443-0185 www.suatrade.com

신지하이테크 031)955-5315 www.디지털인쇄기.kr

신화정공 032)343-8935 www.dopogi.com

썬테크 031)222-8566 www.suncode.co.kr

씨아이제이코리아 031)378-3045 www.cijkorea.com

아시아마킹 031-777-5181 www.asiam.co.kr

아이엔지 02)805-5800 www.ingkgk.co.kr

아이엠센트럼 031-695-6670 www.marking0imc.co.kr

아이티앤티 031)657-6111 www.itnt.net

아이프리즘 063)465-0248 www.lager91.blog.me

아이지 트레이딩 031)453-8111 www.uvmarking.com

아이피에스시스텍 053-262-2242 www.ipsst.com

알이디테크놀로지 070)7011-0905 www.iredt.com

앰버 031)557-8524 www.amber-kr.com

에스엠코드 055)329-4700 www.smcode.co.kr

에프티에스 055)908-3316 www.fromthesea.co.kr

엘브이아이테크놀로지

02)511-4790 www.lvitech.com

엘시스테크놀러지 031)790-4544 www.elsys.co.kr

엘케이텍 02)894-4587 www.lktech.co.kr

엘피텍 031)720-5450 www.lptech.co.kr

예스레이저 02-2107-7177 www.yeslaser.com

오토닉스 055)371-5000 www.autonics.co.kr

온빛테크닉스 031)790-1553 www.marker.co.kr

윌렛코리아 02)2118-7961 www.willettkorea.com

유니마크 031)746-3686 www.unimark.kr

* ‘대표기업’에 등록하길 원하면 하준철 팀장([email protected])에게로 연락주십시오.

국내 마킹/코딩 대표기업 리스트

Page 98: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98

업체명 전화번호 홈페이지

유로마킹 053)524-8009 www.유로마킹.kr

이노스타 02)3427-7100 www.innosta.com

이디오스 031)234-0391 www.idiosolution.co.kr

이스코 032)433-1582 www.isko.co.kr

이오테크닉스 031)422-2501 www.eotechnics.com

인레이저 032)624-3215 www.inlaser.co.kr

인터맥마킹 02)855-4002 www.macell.com

일우인터내셔날 031)608-2451 www.ilwooin.co.kr

정인테크놀로지 02-2627-5566 www.jungintech.com

제일엠텍 031-776-0803 www.pinmarking.com

제이원 031)458-9300 www.joneco.com

진영 031)238-5877 www.markpoint.co.kr

케이아이티코리아 054)471-7921 www.kitkorea.net

케이엠시스 02)575-6693 www.kmsys.co.kr

코리아트 031)426-1123 www.coryart.co.kr

쿱스 031)913-3149 www.coofs.co.kr

탑레이저 070-8730-3357 www.etoplaser.com

테크노마킹 055)297-8383 www.kgkkorea.co.kr

토탈마킹시스템 031)790-4435 www.ijp.kr

업체명 전화번호 홈페이지

티에이에스 031)8086-5290 www.tascorp.co.kr

파스웰드풍산레이저 02-6343-0000 www.fasweld.com

피사마킹 031)796-5077 www.pmarking.com

피코레이저시스템 032)327-8593 www.picolaser.net

피플레이저테크 02)3272-0375 www.peoplelaser.com

필옵틱스 031)292-8321 www.philoptics.com

하이텍엔지니어링 031)479-0710 www.clc-korea.co.kr

한국알엠아이 031)454-1792 www.rmikorea.com

한국테크 031)212-1711 www.한국테크.kr

한맥하이테크 043)234-9900 www.imaje.kr

한스레이저 02)2197-8839 www.hanslaser.co.kr

한스 씨앤씨 070-4118-6436 www.hanscnc.co.kr

한올시스텍 02)859-6301 www.hanallsystech.co.kr

해광 070)8805-5492 www.all-4u.co.kr

현대조각 레이저마킹 032)678-1852 www.hyunde7.co.kr

혜성패키징 053)633-0094 www.hs-marking.co.kr

화인티엠 02)2666-6797 www.finetm.co.kr

효성레이저 031)477-8112 www.hylaser.co.kr

Page 99: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
Page 100: 자동인식&스마트SCM(MONTHLY AIDC+SMART SCM) 2013년 5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