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음 음운발달 장애 -...

37
조음-음운발달 및 장애

Transcript of 조음 음운발달 장애 -...

조음-음운발달 및 장애

목차

1. 말소리의 분류 2. 조음-음운의 발달 3. 조음-음운장애의 관련 요인 4. 조음-음운장애의 진단 5. 조음-음운장애의 치료

말소리의 산출

• 음소: 특정 언어에서 낱말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소

리의 단위

• 음절: 모음수에 기초한 언어학적 단위

예) 어머니 음소 5개(모음 3개와 자음 2개)

어머니 음절 3개(어, 머, 니)

음소 (모음과 자음)

• 모음: 혀의위치와 입술의 모양에 의해 분류 • 자음: 조음위치, 조음방법, 발성법에 의해 분류

자음

1. 조음위치에 의한 분류

2. 조음방법에 의한 분류

3. 기식성과 긴장도에 의한 분류

자음

조음위치에 의한 분류 • 입이나 혀의 구조부분에 따른 분류 방법

양순음-두 입술소리 : ㅂ, ㅃ, ㅍ, ㅁ

순치음-입술치아소리: f, v

치아사잇소리-치간음: th

치조음-잇몸소리: ㄷ, ㄸ, ㅌ, ㄴ, ㄹ, ㅅ,ㅆ

경구개음-굳은 입천장소리: ㅈ, ㅉ, ㅊ

연구개음-여린입천장소리: ㄱ, ㄲ, ㅋ

성문음-목구멍멍소리 : ㅎ

자음

조음방법에 의한 분류 • 공기의 흐름 통제 방법에 따른 분류 파열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

자음

기식성과 긴장도에 의한 분류 • 공기의 흐름 통제 방법에 따른 분류 예사소리: ㅂ, ㄷ, ㄱ 거친소리: ㅍ, ㅌ, ㅋ 된소리: ㅃ, ㄸ, ㄲ

모음

1. 조음위치 변화여부에 의한 분류

2. 혀의 최고점에 의한 분류

3. 혀의 좁힘점에 의한 분류

모음

조음위치변화 여부에 의한 분류 단모음: 음소를 발음할 때 입이나 혀위치 변화 x ㅣ ㅔ ㅐ ㅏ ㅡ ㅗ ㅜ ㅏ 이중모음: 두 모음 요소의 연결체 ㅚ ㅟ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ㅝ ㅞ ㅙ

모음

혀의 최고점에 의한 분류 혀의 상하 및 전후 위치에 따른 모음 분류 고모음, 중고모음, 중저모음, 낮은 모음, 앞모음, 가운데 모음, 뒤 모음 등으로 구분

모음

혀의 좁힘점에 의한 분류 혀가 입천장이나 인두 쪽으로 좁혀지는 거리나 위치에 의해서 분류 좁힘점 간의 거리: 폐모음, 반폐모음, 개모음 좁힘점 위치: 굳은입천장모음, 여린입천장모음, 인두모음

조음-음운의 발달

1. 언어이전의 단계(1개월-1년)

2. 말단계

언어이전기 단계(1개월-1년)

말소리 변별능력 단계

•0-2개월: 말소리 높이와 같은 음소변별력

•2-4개월: 목소리 변별(남-녀, 화난-다정한, 친숙-낯선)

•6-8개월: 억양패턴 변별

•8-10개월: 친숙한 음소나 억양패턴 구분

언어이전기 단계(1개월-1년)

말소리 산출능력의 발달

•발성단계(0-1개월) : 반사적울음, 칭얼대는 소리, 생리적 소리

•초기옹알이단계(2-3개월): 우, 쿠, 구 등의 소리

•음성놀이단계(4-6개월): 유희적인 음성놀이 (확장단계)

•중첩적 음절성 발음단계(6-8개월): 아빠빠빠, 마마마마

•변형적 음절성 발음단계(9-12개월): 마마, 아두디따

말단계

• 초기 낱말단계(1-1;6)

• 음소 발달단계(1;6-4;0)

• 음운체계의 안정단계(4;0-8;0)

•한국어

비음 –> 파열음 –> 파찰음 –> 유음 -> 마찰음

순으로 발달

말단계

• 말 늦은 아동들의 잠재예측변인

1. 많은 모음 오류

2. 다양한 초성 자음의 생략

3. 전설자음을 후설자음으로 대치하는 오류

4. 많은 종성 생략을 보이는 경우

조음-음운 장애의 관련 요인

1. 청각장애

2. 조음기관의 결함

3. 신경운동결함

4. 감각적인 요인

5. 개인적인 요인

조음-음운 장애

• 조음장애: 조음기관(예, 협, 입술, 치아, 입천장)을 통하여 말

소리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결함을 나타내는 것

• 음운장애: 연령에 적합한 음운지식이나 능력이 부족하여 음

운규칙을 단순화하거나 나름대로의 대치교칙 즉 오류음운패턴을

사용하는 것을 일컬음

청각장애

• 청력손실의 정도와 시기에 따란 미치는 영향 다름

• 난청보다는 농의 경우아 조음-음운능력 낮음

• 언어를 습득하기 이전에 청력을 잃으면 어려서부터 촉각적이고

시각적인 자극을 통해 조음훈련을 시작해야 함

조음기관의 결함

• 입술: 주로 뇌성마비와 같은 경우를 제외하고 드뭄

• 혀의 결함: 설소대가 짧은 설구착증

혀가 너무 큰 대설증 / 혀가 너무 작은 소설증

조음할 때 혀를 내미는 혀내밀기 등

• 치아와 턱: 일부 치아가 빠졌거나, 치열이 비정상

턱과 치아 구조 이상

• 입천장에 파열이 있거나 너무 높을 경우

신경운동결함

• 조음기관의 근육을 통제하는 중추신경계나 말초신경계에 결함을

보임

• 말초신경계 결함: 근육의 마비나 약화현상에 의한 마비말장애

• 중추신경계 결함: 마비장애와 달리 조음에 관여하는 근육의 마비

나 결함없이 말 프로그래밍에 결함을 나타내는 말실행증

• 말실행증이 마비말장애와 다른점

1) 조음오류에 일관성 없음

2) 빠르게 말할 때 더 오류 적음

3) 읽기보다는 자발어 과제에서 오류가 더 적음

감각적인 요인

• 음소에 대한 변별능력

• 정상아동: 만 1세가 되면 음향학적 음소 구별

만 2세가 되면 음운적 자질을 구분

9세 이전: 청각적 음소구별력과 조음능력 간에 높은 상관

개인적인 요인

• 인지능력: 지능과 조음-음운 능력간에 큰 관련 없음

• 성차: 여아보다는 남아에게서 높은 발생률

• 형제: 맏이나 외아들, 나이 차가 많이 나는 형제를 가진 아동이

더 나음 조음-음운 능력을 보임

• 언어장애: 언어장애가 있는 아동들이 조음-음운장애를 나타낼 가

능성이 높으나, 항상 동반하는 것은 아님

조음-음운 장애 진단

1. 조음 음운 오류 형태

2. 조음검사방법

3. 진단 시 사용되는 평가기준

조음-음운 오류 형태

• 개별음소의 조음 오류 형태 • 생략: 음소를 빠뜨리고 발음 • 대치: 목표 음소 대신 다른 음소로 바꾸어 발음 • 왜곡: 변이음의 형태로 바꾸어 발음 • 첨가: 목표 음소나 단어에 필요없는 음소 첨가

조음-음운 오류 형태

• 생략 및 첨가 음운변동 1. 음절 구조에 다른 변동: 음절생략, 초성생략, 종선생략

2. 조음방법에 따른 변동: 마찰/파찰음 생략, 파열음 생략, 비음 생략, 유음생략

3. 조음위치에 따른 변동: 두 입술소리 생략, 입몸소리 생략,

굳은 입천장소리 생략, 여린입천장소리 생략, 목구멍소리 생략

조음-음운 오류 형태

• 대치음운변동 1. 조음위치에 따른 변동: 앞소리되기, 뒷소리되기, 두입술소리되

기, 잇몸소리되기, 굳은입천장소리되기, 여린입천장소리되기, 목구멍

소리되기

2. 조음방법에 따른 변동: 파열음화, 마찰음화, 파찰음화, 유음화,

비음화

3. 동화에 의한 변동: 조음위치에 따른 동화/ 조음방법에 따른 동

화 4. 긴장도와 기식도에 따른 변동: 긴장음화, 이완음화, 기식음

화, 탈기식음화

조음검사방법

1. 선별검사: 생활연령에 따른 음소를 중심으로 간단히 검사

2. 조음검사도구: 낱말이나 문장수준에서 음소검사

한국어 발음검사 우리말 조음-음운검사

3. 말샘플 분석: 자연스러운 생활속에서 조음분석

진단시 평가기준

1. 오조음 발생빈도와 음소정확도

2. 발달연령

3. 오류음운과정 발생 빈도와 출현율

4. 자극반응도

5. 오류자질의 패턴분석

6. 말 명료도

조음-음운 장애의 치료

1. 목표 음소 설정 시 고려할 사항

2. 훈련단계에 따른 조음-음운장애 치료

3. 전이 및 유지단계

목표음소 설정시 고려할 사항

1. 아동 연령

2.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음소의 빈도

3. 아동의 자극반응도

4. 조음 오류를 보이는 정도

훈련 단계에 따른 치료접근법

치료 단계 • 목표 음소의 조음 정확도를 높이는 음소습득단계 • 습득된 음소를 안정화시키는 확립단계 • 치료에서 사용하지 않은 문맥이나 상황으로 확대시키

는 전이단계

• 훈련자극 없이도 조음정확도를 지속시키는 유지단계

훈련 단계에 따른 치료접근법

전통적 접근법 • 청지각을 이용한 훈련법: 청각적으로 오류 발음 판별하고 다른

음소와 구별

• 조음적 지시법: 목표음소에 대한 조음기관의 바른 위치와 공기 흐름의

바른 사용 가르치기

• 다중음소 접근법: 19개의 독립음소로 5번 이상 반복훈련

• 열쇠 낱말법: 목표 음소를 정확하게 발음하는 낱말 찾아 낱말에서

반복 연습

• 점근법: 목표 음소와 유사한 발음의 소리를 통해 형성하기

훈련 단계에 따른 치료접근법

언어인지적 접근법 • 변별자질 접근법: 한가지 다른 음소와 짝을 지어 변별

훈련

• 음운변동 접근법: 잘못된 음운변동패턴을 소거하는 데 초점

훈련 단계에 따른 치료접근법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 • 훈련상황을 실제상황과 유사하게 설정 • 목표음소는 의사소통적인 발화속에 포함 • 사용하는 낱말이나 구는 아동 수준에 맞추어 사용 • 목표 발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강화 • 습득 훈련과 일반화 훈련은 함께 이루어져야 함

전이 및 유지 단계

1. 위치 및 문맥 전이 : 초성-> 종성, 다른 문맥에서 발음 유도

2. 언어학적 단위 전이: 독립음에서 음절, 낱말, 구 등으로 전이

3. 자질전이: 습득된 음소와 자질이 유사한 다른 음소로 전이

4. 상황전이: 습득단계에서 대상이나 장소를 바꾸어 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