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51
KOTRA 청청청청청 청청 청청청청 QINGDAO NEWSLETTER 2008-8 2008.2.27 1. 청청청청 - 청청청청 청청청 청청 2. 청청 - 청청청청 청청청청 청청청 3청 청청 청청 3. 청청/청청 - 청, 청청 청청청 청청청청 청청청 청청 - 청, 청청청청청청청청청청 청청청청 청청청청 청청 - 청, 3청 1청청청 청 청청청청청청청청청 2000청청청청 청청 청청 - ‘청청청청’ 청청청 2007청 청청 M&A 청청청청 - 청, 청청·청청청 청청 11청 청청 청청청청 청청 청청 - 청청, 청12청 청청청청 청청 1청 - 2007 청청청청 청청청청청 청청 청청 4. 청청/청청 - 청, 청청 청 150청 청청 청청 - 청청 청청청 청청, 청청청 청청 청청 - 청청, 청청 청청청청 청청 5. 청청 청청, 청청 청청청 청청청청청. - 청청 청청청청 6. 청청청청 1

Transcript of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Page 1: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KOTRA 청도무역관 周刊 뉴스레터QINGDAO NEWSLETTER 2008-8 2008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 중국진출 한국기업 경쟁력 3년 연속 하락

3 경제무역

- 中 물가 급등이 임금인상 기폭제 되나- 中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반입물품 수출관세 면제- 中 3월 1일부터 월 개인소득세공제기준 2000위앤으로 상향 조정- lsquo저우추취rsquo 돋보인 2007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대만 제12대 총통대선 기획 1편-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4 상품산업

- 中 일본 쌀 150톤 수입 예정-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5 우리 기업 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곤산 신우화학

6 구인안내

1

1 보도자료

제 목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한국 정부는 2008128-21 간 청도 상해 광주 지역에 민관 합동 조사단을 파견 투자

기업들의 영업 및 무단철수 현황을 조사한 후 219(화) 관련 대책을 발표하였다

주청도대한민국총영사관은 본국 정부의 방침에 따라 KOTRA 및 중소기업지원센타와 함께

225(월)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을 설치하였으며 앞으로 이를 통해 청산을 준비하는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은 활동 과정에서 지원을 신청하는 기업들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받지

않도록 할 것이다 또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기업 청산 절차 간소화와

청산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기업인의 신변 위협 문제에 관하여 산동성 및 청도시를 비롯한

지방 정부측과 협의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1

한편『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은 변호사 및 회계사 등의 자문 비용도 예산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일부 지원할 계획이다

상담을 희망하는 분들은 아래 연락처를 참조 담당자와 사전 연락 면담 시간을 예약한 후

대책반을 방문하여 주시기 바란다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연락처

1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주청도총영사관)

ㅇ 전화 (0532) 8897-6012 최승희 행정원

ㅇ 팩스 (0532) 8896-3307

ㅇ 주소 青岛市香港东路 101 号

ㅇ 담당 업무 종합 지휘 청산 상담 주재지 정부와 교섭

2

2 기업 청산 지원 데스크(KOTRA)

ㅇ 전화 (0532) 8388-7981 황재원 차장

ㅇ 팩스 (0532) 8388-7935

ㅇ 주소 青岛市香港中路 40 号旗舰大厦 15 楼 AHG 房间

ㅇ 담당 업무 청산 종합 상담 매뉴얼 작성 변호사 및 회계사 관리

3 기업 청산 도우미 센터(중소기업지원센터)

ㅇ 전화 (0532)-8579-3240~2 이병직 과장

ㅇ 팩스 (0532) 8579-3249

ㅇ 주소 青岛市香港中路 59 号青岛国际金融中心 25 楼 G-F

ㅇ 담당 업무 청산 상담 경영진단 내수시장 개척지원

2 초점

중국진출 한국기업 경쟁력 3 년 연속 하락- 中 호라이즌 그룹 2007 년 다국적기업 영향력 결과 발표 -

김명신 베이징 무역관

clairekotraorkr 호라이즌 그룹 2007 년 중국내 다국적기업 영향력 평가결과 발표 중국의 유력 컨설팅사인 호라이즌그룹이 최근 발표한 lsquo2007 년 중국내 영향력이 가장 높은

다국적기업에 대한 연구보고(2007年中國最具影嚮跨國企業硏究報告)rsquo에 따르면 중국진출 한국기업과 일본기업의 중국내 영향력이 2005 년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한 반면 유럽middot홍콩middot중국 로컬기업의 영향력은 지속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 이번 보고서는 베이징middot상하이middot광저우middot우한middot청두middot선양middot시안 등 7 개 도시의 18~60 세 일반시민 2285명과 베이징middot상하이middot광저우middot우한 등 4 개 도시의 기업관리자 4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작성됐으며 호라이즌 그룹은 해마다 다국적기업 영향력 평가결과를 정기적으로 발표하고 있음

- 영향력 평가지표는 외부이미지와 내부관리로 크게 구분되며 외부이미지는 제품이미지middot기업이미지middot친화력middot공공관계middot사회공헌도 등 5 개 지표로 구성되고 내부관리는 시장경쟁력middot인력자원middot리스크 관리middot리더십middot관리체제middot기업문화 등 6 개 지표로 구성됨

최근 3 년간 중국내 한국계 일본계 기업 경쟁력 지속 하락

3

최근 3 년간 중국진출 주요국 다국적기업의 중국내 영향력 종합득점률 변화추이를 보면 미국기업의 2007 년 득점률이 459 로 2006 년에 비해 20 상승하고 유럽기업의 득점률은 ▷183(2005 년) ▷226(2006 년) ▷254(2007 년)로 최근 3 년간 뚜렷한 상승세를 보임

- 중국기업도 2005 년 13 에서 2006 년에는 116 으로 급성장했으며 2007 년 득점률도 117 로 2006 년보다 다소 증가했으나 일본기업과 한국기업은 2005 년부터 영향력 종합득점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함

최근 3 년간 중국내 다국적기업 종합평가득점률 변화추이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미국계 기업 1 위 자리 지켰으나 제품이미지 등 외부평가 하락 지난해 평가지표를 종합해 보면 미국계 기업의 종합득점률이 459 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유럽계 기업(254) ▷중국기업(117) ▷일본계 기업(115) ▷한국계 기업(32) ▷홍콩계 기업(15) ▷대만계 기업(11)순으로 나타남

- 미국계기업과 유럽계기업은 종합평가뿐만 아니라 전체 지표면에서도 수위를 차지했으며 중국내자기업과 일본계기업이 지표별로 3~4 위를 두고 각축을 벌임

- 한국계기업은 모든 개별지표에서 5 위를 차지했고 뒤를 이어 홍콩기업middot대만기업의 순으로 나타남

2007 년 중국내 다국적기업의 중국내 영향력 지표별 평가결과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4

미국계 기업의 최근 3 년간 중국내 영향력 평가결과 추이를 보면 리더십middot리스크관리middot관리체제 등 내부관리요소의 득점률이 다소 상승하거나 2006 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공공관계middot회사이미지middot제품이미지 등 외부이미지는 2006 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하락함

- 중국내 미국계기업중에는 중국진출 선발기업이 많으며 미국계기업이 다른 외국계 기업에 비해 기업내부관리나 리스크 대처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이번 조사에서도 미국계 기업의 리스크 관리 관리체제 리더십의 득점률이 각각 504 과 485 472 로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제품이미지는 437 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최근 3 년간 중국내 미국계 기업의 영향력 지표별 득점률 변화추이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유럽계 기업 최근 3 년간 꾸준히 상승 미국계 기업의 뒤를 이어 2 위의 자리를 지켜온 유럽계 기업은 최근 몇년간 중국내 영향력이 꾸준히 상승함

- 각 지표별 평가결과 최근 3 년간 유럽계 기업은 제품이미지middot회사이미지middot친화력 등 외부이미지 요소에 대한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상승한 반면 기업문화middot공공관계 등 내부관리요소 상승세는 다소 주춤한 것으로 분석됨

- 2007 년 평가결과 중 지표별 제품이미지와 회사이미지의 평가지수는 각각 276 과 275 로 1 2위를 차지했으며 기업문화는 220 점으로 각 지표중 가장 낮게 나타남

- 중국진출 유럽계기업은 기업전략 수립면에서 신중하고 체계화된 진출전략을 갖고 있으며 중국인들과의 의사소통면에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최근 3 년간 중국내 유럽계 기업의 영향력 지표별 득점률 변화추이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일본계 기업 리더십ㆍ인력자원 영향력 크게 하락 일본계 기업의 국가별 순위는 2006 년 3 위에서 2007 년 4 위로 밀려나는 등 최근 몇 년간

중국내 영 향력이 지속적으로 하락했으며 특히 리더십middot인력자원면에서 영향력이 크게 하락함

5

- 그러나 지표별 득점률면에서는 인력자원이 126 으로 다른 지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다음으로 제품이미지가 124 기업문화가 122 로 각각 2 3 위를 차지한 반면 친화력middot공공관계middot기업이미지는 각각 104 과 101 101 로 낮게 나타남

- 일본이 중국과의 역사문제로 인해 일본기업들이 외부이미지 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한다는 분석도 있으나 일본기업이 현지 경영방식면에서 현지인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음

한국계 기업 내부관리에 비해 제품이미지나 회사이미지 평가 낮아 중국내 한국계 기업은 지표별 영향력이 전반적으로 낮게 평가됐으며 기업영향력이 최근 3 년간

지속적으로 하락함 평가지표별로는 올해 관리체제 기업문화 시장경쟁력 득점률이 각각 36 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공공관계 친화력 기업이미지는 모두 3 점미만으로 낮은 수준에 그침 - 한국계기업은 중국진출 후발기업으로서 최근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내부관리체계나 기업경쟁력 확보에 중점을 두면서 공공관계 친화력 등 외부이미지 개선에다소 미흡했던 것으로 분석됨

2007 년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지표별 영향력 득점률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한국계 기업 영향력 2005 년이후 연속 3 년째 하락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종합평가득점률은 2004 년 39 에서 2005 년 48 로 증가했으나 이후 ▷

32(2006 년) ▷30(2007 년)으로 하락함 - 평가지표중 기업이미지 제품이미지와 친화력 공공관계의 득점률이 2005 년부터 꾸준히

하락한 반면 기업문화 관리체제는 2006 년에 비해 소폭상승하면서 2005 년 득점률에 근접함 - 전체 지표중에서는 기업이미지의 득점률이 22 로 가장 낮게 나타남

최근 3 년간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영향력 지표별 득점률 변화추이

6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중국계 기업 2007 년 국별 순위 3 위 자리매김 중국기업의 영향력 평가순위는 2006 년 4 위에서 2007 년에는 3 위로 한단계 상승했으며

지표별로는 기업문화와 기업이미지가 2006 년에 비해 크게 상승함 - 이번 조사에서 중국계 기업이 외국계 기업과 비교해 개선해야 하는 분야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376가 관리체제를 완비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고 기술력을 제고해야 한다는 응답도 전체의 369로 2 위를 차지함

- 이외에도 자금력 개선(210) 영업방식개선(186) 브랜드 이미지 제고(177) 인재양성(171) 순으로 나타남

- 마케팅 방식 제고와 마케팅 채널 다변화 이외의 항목의 경우 개선필요성을 지적한 응답자가 2006 년에 비해 감소해 전반적으로 지난해 중국인들은 2006 년에 비해 자국기업의 경영방식이 개선됐다고 평가함

중국기업이 외국계 기업에 비해 개선해야 하는 분야

주 복수응답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자료원 중국 호라이즌 그룹

3 경제 무역

7

中 물가 급등이 임금인상 기폭제 되나- 연내 lsquo임금 인상 시스템rsquo 마련되면 진출기업 경영비용 부담 될 듯 -

김윤희 상하이무역관

aleakotraorkr

lsquo임금인상시스템rsquo 연내 마련 예정 ㅇ 중국 노동사회보장부는 2008 년 내 lsquo임금조례rsquo 제정을 주요 업무로 확정됨 관련 전문가는 직원

임금 인상과 체불임금 지급보장 문제에 관한 중요한 조치가 될 것으로 예상됨 - lsquo임금 조례rsquo가 제정되면 임금이 물가상승폭에 따라 인상되도록 시스템을 마련할 가능성이 높음 ㅇ 이에 따라 최근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는 중국 내 물가상승은 각지 최저 임금인상을 큰 폭으로 올리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임

중국 물가상승률 추이()

자료원 중국국가통계국 물가 급등에 따라 각 지방정부 잇달아 임금 인상 ㅇ 광둥성 노동발전보장청은 지난 20 일 4 월 1 일부터 최저임금을 재인상할 것이라고 발표함 - 재인상된 최저임금 기준은 각각 860 위앤월 770 위앤월 670 위앤월 580 위앤월 530

위앤월 등 5 개 등급으로 차등화 했으며 평균 상승폭은 129임 - 광둥성 노동보장청 관계자는 경제발전middot취업middot물가 수준 등을 고려해 최저임금 인상 폭을 결정한

것이라고 밝힘

8

ㅇ 지난 19 일 1 월 소비자 물가가 71 상승해 11 년 이래 최고를 기록하자 같은 날 장쑤성은 각 시middot현급에서 집행하는 새로운 최저임금 등급을 발표middot공포했으며 이 가운데 5 개현은 최저임금 등급을 기존 2 등급(620 위앤월)에서 1 등급(850 위앤월)으로 상향조정해 최저 임금 수준이 230 위앤 상승함

ㅇ 2007 년 말까지 중국 27 개 성 최저임금이 인상됐으며 대부분 10 이상의 인상률이 보이고

있음 장씨성 일부 지역은 인상 폭이 50를 넘기도 함 - 2004 년 3 월에 수정된 lsquo최저임금규정rsquo에 따르면 최저 임금은 2 년에 한 차례 조정되도록 돼

있는데 쓰촨성은 4 년 연속 최저임금을 인상하고 있는 등 각지의 최저임금 인상이 잇따르고 있음

CPI 와 임금인상 연동해야 한다는 논의 뜨거워 ㅇ 지난해 상반기부터 CPI(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곡선을 그리며 하반기부터 연속해서 11 년

만에 최고 기록을 갱신하는 물가 급등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물가에 비상이 걸리자 lsquoCPI 와 연동된 임금인상 시스템rsquo을 마련해야 한다는 논의가 나오고 있음

ㅇ 중국 내 노무 전문가는 물가상승 지수를 임금 상승 법정 지표로 삼아야 한다며 임금 인상이

물가 급등으로 상쇄되지 않도록 하고 근로자의 실질 임금이 하락하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함

임금인상 시스템 진출기업 경영에 부담될 듯 ㅇ 지역별 최저 임금을 인상하는 한편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임금 인상 시스템이 연내에 마련될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임 - lsquo임금 조례rsquo 현재 초안이 마련된 상태이며 공청회를 거쳐 국무원 상무회의에 심의를 요청할

예정임 ㅇ 지난해부터 우대세금 축소middot노무비용 상승middot위앤화 절상middot원자재 가격 등 각종 경영비용 상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진출기업에 임금 인상 시스템 마련은 또 다른 압박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상해증권보 참고자료

9

2006~08 년 지역별 최저임금 및 2007 년 임금가이드라인 (단위 위앤 )

지역 2006 년 2007 년 2008 년임금가이드라인

기준율 상한선

北京 640 730 95 145天津 670 650 740720 14 22河北 580 540 480 440 14 20山西 550 510 470 430 610570530490 10 18內蒙古 560 520 460 400 遼寧 590 480 420 12 19吉林 510 460 410 650600550

黑龍江 620 590 475 450420 400380

上海 750 840 9 12江蘇 750620520 850700590 浙江 750670620540 850750700620 10 15

安徽 520500460430390360 560540500460420390(등급축소) 13 18

福建 650600570550480 750700650570480

江西 360330300270 510480450420390(등급확대)

山東 610540480430390 16 24河南 480400320 650550450 18 20湖北 460400360320280 580500460420380 湖南 600500480450420400 635500530480460440

廣東 780690600500450 860770670580530 103 15

廣西 500435390345 海南 580480430 650550450 重慶 580480440

四川 580510450400 650550450(등급 축소) 145 205

貴州 550500450 650600550 15 20雲南 540480420 13 19西藏 495470445 陝西 540500460420 甘肅 430400360320 靑海 460450440 10 15寧夏 450420380 560530490 13 17

10

新疆 670620580550520500480 460440 12 15

大連 650600500 11 17厦門 600550480 750700(등급축소) 深圳 810700 850750 10 15

자료원 베이징 무역관에서 정리한 내용 2008 년 최근 수치 업데이트

中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반입물품 수출관세 면제- 생산기업 대상 2 월 15 일부터 실시 -

김명신 베이징 무역관

clairekotraorkr

주요 내용 중국 국무원관세세칙위원회는 지난 2 월 4 일 lsquo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된 일부품목의

수출관세를 징수하는 않는 것에 관한 통지rsquo(關于對部分進入海關特殊監管區域的産品不徵收出口關稅的通知)를 발표하고 2 월 15 일부터 총 95 개 철강제품(HS Code 8 단위 기준)에 대한 수출관세를 면제함

- 통지문에 따르면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을 건설하거나 구역내 기업의 공장건물을 건설하는데 사용되는 기초건설물자를 해당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할 경우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그러나 이 기초건설물자가 특수감독관리구역으로부터 수출되는 것은 불가하며 특수구역내 미사용분은 해관 감독관리하에 구역외지역으로 반출되어야 함

- 해외로부터 특수구역내 반입된 기초건설물자가 중국내 특수구역외 지역으로 운반될 경우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관련 규정에 따라 통관 및 세금납부수속을 거쳐야 함

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해 구역내

반입할 경우에도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용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했으나 실질적인 가공을

하지 않은 경우 보세물류 창고저장 무역업체 등 구역내 비생산기업에 전입시키거나 판매 직접 반출 또는 보세방식으로 반출할 수 없음

-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은 원부자재가 실질적 가공을 거치지 않고 중국내 특수감독관리외지역으로 판매될 경우 규정에 따라 수입관세와 수입부가가치세가 부과됨

이번 수출관세 면세정책은 보세가공능력이 있는 수출가공구 보세항 종합보세구

주하이ㆍ마카오공업구(주하이원구) 중국-카자흐스탄국제변경협력센터 중국구역 등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에만 적용되며 중국내 비생산기업이 아래 리스트의 원자재를 구매할 경우 에는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을 수 없음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대상 수출관세 면제품목

순서 HS Code 품목명

1 72051000생철 경철 및 철강과립

2 72081000 도안을 압연한 열연코일

3 72082500두께ge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11

4 72082610항복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5 720826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6 72082710두께<1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7 720827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8 72083600두께>10인 기타 열연코일

9 72083700475le두께le10인 기타 열연코일

10 720838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1 720838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2 72083910두께<15인 기타열연코일

13 720839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14 72084000압연해 요철무늬가 있는 열연비코일

15 72085110두께>50인 기타 열연비코일

16 72085120두께>20이나 50를 초과하지 않는 기타 열연비코일

17 72085190 기타 두께>10인 기타 열연비코일

18 72085200475le두께le10인 열연비코일

19 720853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0 72085390 기타 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1 72085410두께<15인 열연비코일

22 72085490 기타 두께<3인 열연비코일

23 72089000 기타 열연강철 또는 비합금강 넓은 판재

24 72111300 무늬를 압연하지 않고 네면을 압연해 만든 압연비코일

25 72111400두께ge475인 기타열연판재

26 72111900 기타 열연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7 72112300냉연 카본함유량<025인 판재

28 72112900냉연 기타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9 72119000냉연 강철 또는 비합금 기타 좁은 판재

30 72121000 도금하거나 주석을 바른 비합금강 좁은 판재

31 721220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2 7212300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강철 좁은 판재

33 72124000 도료를 칠하거나 플라스틱을 칠한 철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4 72125000칠하거나 도금한 기타 재료철 또는 비함금강 좁은 판재

35 72126000덮어씌운 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6 72131000 무늬를 압연한 열연와이어로드

37 72132000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제 열연 와이어로드

38 72139100 직경<14인 둥근 절단면의 기타 열연 와이어 로드

39 72139900 기타 열연와이어로드

40 72142000열가공한 무늬를 압연제작한 로드 대41 72143000열가공해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

12

42 72149100열가공한 기타 직사각형 절단명의 로드 대43 72149900열가공한 기타 로드 대44 72151000냉가공한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45 72155000냉가공하거나 냉각해 형성한 기타 로드 대46 72159000 철강 및 비합금강의 기타 로드 대47 72161010 절단면 높이<80인 H 형강

48 72161020 절단면 높이가 80보다 적은 아이형 강

49 72161090 절단면 높이<80인 U 형강

50 72162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L 형강

51 721622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T 형강

52 72163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ge80인 조형강

53 72163210 절단면 높이가 200이상인 아이형 강

54 72163290열가공 절단면 높이가 ge80인 아이형강

55 72163311 절단명 높이가 800이상인 H 형강

56 72163319 절단면 높이가 ge200인 H 형강

57 72163390 기타 절단면 높이가 ge80인 H 형강

58 72164010열가공한 절단면높이가 ge80인 L 형강

59 72164020열가공한 절단면 높이가 ge80인 T 형강

60 72165010열가공한 Z 형강

61 72165090열가공한 기타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2 72166100냉가공한 판재로 제작된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3 72166900냉가공한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4 72169100냉가공한 기타 판재로 만든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5 72169900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6 72171000 도금하지 않거나 도료를 바르지 은 철강 또는 비합금강 철사

67 72172000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철 또는 비합금강 철사

68 72173010 도금하거나 동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69 72173090 도금하거나 기타 저급 금속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70 72179000 기타 강철사 또는 비합금 강철사

71 721913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2 721913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3 72191329두께가 3이상이나 475보다 작은 염산세척한 기타 스테인리스 와이어판

74 721914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두께<3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5 721914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두께<3인 망간크롬계열 스테인리스

76 722591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금합금강 넒은 평판압연재

77 72259200 기타 도금 또는 아연을 바른 기타 합금강 넓은 판재

13

78 72259910 폭ge600인 고속강평판압연재

79 72259990 폭ge600인 기타합금강 평판압연재

80 72269200 폭<600인 냉연 기타 합금강판재

81 7226991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합금강 좁은 평판압연재

82 7226992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기타합금강 좁음 판재

83 72272000 실리콘망간강의 열연 와이어로드

84 72282000 기타 실리콘망간강의 로드 대85 72286000 기타 합금강 로드 대86 73053100 상하방향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7 73053900 기타 방법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8 73059000 이름을 나열할 수 없는 원형 절단면의 조강강철관

89 73063000 기타 철강 또는 비합금 강 원형 절단면의 용접관

90 73064000 스테인리스강 기타 원형 절단면의 가는 용접관

91 73065000 기타 합금강의 원형 절단면 가는 용접관

92 73066100 직사강형 또는 정사각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3 73066900 기타 비원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4 76041010 비합금 로드 대95 76042910알루미늄 합금 로드 대 자료원 중국 재정부

中 3 월 1 일부터 월 개인소득세공제기준 2000 위앤으로 상향 조정 - 2005 년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 1 차 수정 이후 두 번째 -

- 추가공제기준 조정 등 총 일곱 군데 수정 -

김명신 베이징무역관clairekotraorkr

중국 개인소득세법실시조례 2 차 수정 중국 국무원은 지난 2 월 18 일 lsquo국무원이 중국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를 수정하는데 관한 결정rsquo

(國務院關于修改中華人民共和國個人所得稅法實施條例的決定)(국무원령 519 호)을 발표해 3월 1 일부터 시행에 들어감

중국은 1994 년 1 월 28 일부터 실시한 중국 기업소득세법실시조례(국무원령 142 호)를 지난

2005 년 말 대대적으로 수정(국무원령 452 호)해 2006 년 1 월 1 일부터 실시해 왔으며 소득증가 등 소득세 징수환경이 변화하면서 최근 2 차 수정을 단행함

주요 변경내용 이번 개인소득세법 2 차 수정에서는 개인소득세 공제기준이 월 1600 위앤에서 2000 위앤으로

400 위앤 상향조정된 반면 추가공제비용 기준은 기존 3200 위앤에서 2800 위앤으로 하향조정됨

14

이외에도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서 기존에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을 인정했으나 이번 2 차 수정결정문은 이외에도 lsquo기타 형식의 경제이익rsquo을 추가인정함

특정업종에 대한 범위도 다소 확대돼 기존에는 세법 제 9 조 두 번째 단락이 지칭하는

특정업종이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중국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이었으나 이번 수정결정문에는 특정 업종에 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업종도 추가됨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2 월 18 일 발표된 개인소득세실시조례 수정에 대해 지난 2 월 20 일 각

지방세무국에 lsquo개인소득세 임금급여소득 공제비용표준정책연결문제에 관한 통지rsquo(關于個人所得稅工資薪金所得減除費用標準政策銜接問題的通知)를 하달 3 월 1 일부터 월 소득공제기준을 2000 위앤으로 조정 실시하도록 조치함

- 납세자가 3 월 1 일전에 실제 취득한 임금 급여소득에 대해서는 세액이 3 월 1 일 이후에 납부된다 하더라도 월 1600 위앤의 공제비용기준이 적용됨

중국 개인소득세실시조례내용 변경 전후 비교

순서 구분(조항) 변경 전 변경 후

1소득형태 확대

(제 10 조)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

유가증권을 포함함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과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을 포함함 그중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은

시장가격에 따라 과세소득액을 산정함

2비용공제

기준 상향 조정(제 18 조)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1600 위앤임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 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2000 위앤임

3추가공제

기준(제 27 조)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16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20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4추가공제

적용대상자(제 28 조제 4항)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기타 재정부가 규정하는 자가 포함됨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

인원이 포함됨

5추가공제비용표준 하향조정(제 29 조)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3200 위앤임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2800 위앤임

6특정업종 범위 확대(제 40 조)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기타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임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수업middot원양어업 및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확정한

기타 업종임

7 조항삭제(제 48 조)

본 조례의 해석은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이 공동으로 함 삭제

15

자료원 국무원 판공실

lsquo저우추취rsquo 돋보인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 활발해지고 외국투자자의 중국 MampA 줄어 -

- 중국기업의 해외 MampA 발걸음 거세져 -

이영준 청두무역관ctuktckotraorkr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중국 10 대 MampA 사건은 全國工商聯倂購公會(China Mergers amp Acquisitions Association

CMAA) 全球倂購硏究中心(세계 MampA 연구중심) 中國倂購交易網(wwwmergers-chinacom)이 주관해 2001 년부터 공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하고 있으며 MampA 관련 영향력 있는 행사 중의 하나임

프랑스 다농(Danone)의 와하하(娃哈哈) 합병 쟁의 - 2007 년 4 월 매체를 통해 알려졌으며 프랑스 다농 그룹이 40억 위앤을 투자해 와하하 산하 10

여 개의 비(非)합자회사의 51의 지분을 인수하고자 함 10 여 개의 비합자회사의 자산 총액은 56억 위앤 2006 년 순이익은 10억 4000 만 위앤에 달함

- 다농의 합병 시도는 와하하의 중국 측 주주에 의해 저지됐으며 이는 이후 외자기업의 반독점

문제 민족 브랜드 보호문제에 대한 쟁의를 불러일으킴 중국이동통신(China Telecom) 파키스탄 통신 운영상 Millicom 사 인수 - 중국이동통신은 2007 년 4 월 28 일 발표를 통해 2 개월에 걸쳐 21억 3000 만 위앤(2억 8400

만 달러)를 투자해 룩셈부르크사의 Millicom 사가 가지고 있는 파키스탄 Paktel 사의 8886 지분을 인수했으며 나머지 1114의 주식을 인수하겠다는 협의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함

- 이번 인수는 중국이동통신의 전략적 해외기업 인수 사례로 중국 전신 운영업체의 lsquo저우추취rsquo

전략의 중요한 돌파구 마련한 계기가 됨 중국투자공사 미국 Blackstone Group 지분 참여 - 2007 년 5 월 22 일 중국투자공사 설립 준비(당시 lsquo國家外匯投資公司rsquo) 중 中央匯金公司의

자회사인 中國建銀投資公司는 Blackstone Group 에 225억 위앤(30억 달러)를 투자해 Blackstone Group 이 전 세계에 공개 발행한 주식 중 약 10 정도를 구매했으며 4 년간 보유하는 조건임

- 이는 중국투자공사의 해외 첫 번째 투자로써 중국의 거대한 외환보유량을 줄이고 외화 보유의

다원화를 촉진하는 의미있는 투자임 - 중국투자유한책임공사는 외화자금 전문 투자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늘어나는

외환보유고를 이용해 국제 금융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2007 년 9 월 29 일 정식 설립됨 중국국가개발은행 영국 Barclays Bank 투자

16

- 2007 년 7 월 23 일 중국국가개발은행은 영국의 Barclays Bank 는 협의를 통해 217억 5000만 위앤(14억 5000 만 파운드)에 달하는 2014억 보통주를 획득했으며 지분 비율은 31임 이는 중국국가개발은행의 상업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협력으로 간주하고 있음

중국공상은행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은행인 Standard Bank 투자 - 2007 년 10 월 25 일 중국공상은행은 409억 5000 만 위앤(54억 6000 만 달러)를 투자해

남아프리카공화국 Standard Bank 의 20 지분을 인수하여 이 은행의 최대 주주가 됨 이는 중국공상은행의 주식상장 이후 최대 해외 투자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최대 FDI 로 기록됨

중국항공업 동방항공 인수 경쟁 - 2007 년 9 월 초 싱가포르 항공과 싱가포르 국영투자회사인 TAMASEK 은 중국동방항공의 24

지분을 인수함 이 때문에 AIRCHINA 는 Cathay Pacific Airways 와 연합해 동방항공의 홍콩상장 주식을 늘리는 등 동방항공 인수전에 뛰어듦

- 그러나 중국 3 대 항공사의 대주주인 lsquo중국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rsquo의 제지와 항공업 관련

부문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함 중신증권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와 주식교환 - 2007 년 10 월말 중신증권은 발표를 통해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중신증권과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는 각각 75억 위앤(10억 달러)를 출자하여 주식교환을 실시했으며 40 년 만기의 전환가능 우선주를 획득하였다고 발표함

- 이 주식 수는 Bear Sterns 사의 총주식의 6에 상당하는 규모임 양사는 홍콩에 합자회사를

설립하고 양사의 아시아 지역 업무를 통합하기로 함 중신증권은 중국 국내 증권사중 최초로 해외투자은행의 주식을 인수한 증권사가 됨

세계 제 1 의 철강기업 아르셀로 미탈 철강회사 중국동방집단 인수 시도 - 2007 년 11 월 8 일부터 아르셀로 미탈은 두 차례에 걸쳐 홍콩에 상장된 중국동방집단의 1

대주주와 2 대주주의 주식 약 127억 5000 만위앤(17억 달러)에 달하는 73의 지분 인수를 통해 중국동방집단의 경영을 장악하고자 햇으나 홍콩증권감독위원회의 개입으로 1 차 구매부터 무산됨

- 만약 동 거래가 성사됐을 경우 외국자본이 중국 국내 철강기업을 합병하는 최초의 사례가 됐을

것으로 중국 국내 철강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사건으로 기록됨 중국평안보험 포르티스(Fortis) 지분 획득 - 2007 년 11 월 28 일 중국 제 2 위의 생명보험사인 중국평안보험(Ping An Insurance)과 유럽middot

미국에서 보험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포르티스 그룹은 MOU 체결을 통해 포르티스 그룹의 주식 418에 해당하는 9501 만 주를 인수하기로 함

- 인수가격은 195억 5000 만 위앤(18억 1000 만 유로)로 이로써 평안은 포르티스의 최대 단일

주주가 됨 이는 중국 보험사가 최초로 세계 금융 서비스 그룹에 투자한 사례이며 중국 국내 보험업계의 최대 해외투자로 기록됨

중국국가전망 필리핀 전력망 운영권 획득

17

- 2007 년 12 월 12 일 중국 최대 국유 전력회사인 중국국가전망은 약 296억 위앤(39억 5000만 달러)을 투자해 향후 25 년간의 필리핀 전력망 경영권을 획득함 이는 중국 국가전망의 최대 해외투자임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의 특징 해외진출 두드러져 중국의 2007 년 10 대 MampA 사건에 선정된 사례를 보면 10건 모두 국가 간의

기업인수합병으로 7건은 중국기업이 해외에 투자한 대표적인 사례이며 3건은 외국기업이 중국 본토기업에 투자한 사례임 이는 중국기업의 lsquo저우추취rsquo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현재 이뤄지고 있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주로 자원middot브랜드middot각종 산업 채널확보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lsquo저우추취rsquo전략으로 해외 투자의 발걸음은 더욱 거세지고 있음

또한 10 개의 사례 중 5 개의 사례가 금융업의 MampA 사례로 중국 금융업계의 해외진출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

특히 중국정부는 무역수지 흑자를 통해 늘어나는 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등 외화 활용의 다원화를 시도하고 있음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 간 MampA 활발히 진행 2007 년 12 월 18 일 발표된 PWC(Price Waterhouse Coopers) 차이나의 lsquo企業倂購歲末回顧與展望(MampA 연말회고와 전망)rsquo 보고에 따르면 2007 년 1~11 월 중국 전체 MampA 교역량(해외시장 제외)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700 여 건으로 거래금액은 25 증가한 8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내자기업 간의 전략적 MampA 교역량은 전년대비 45 증가했으며 거래금액도 53 증가한 506억 달러에 달해 외자기업 중국투자금액의 2배에 달한다고 밝힘

- 2006 년 이전에는 외자기업의 중국 직접투자가 MampA 의 증가요인이었으나 2006 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 교역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7 년에도 역시 중국 MampA 시장은 중국 본토기업간의 교역이 두드러졌다고 밝힘

- 이처럼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이 증가한 이유는 기업의 구조조정middot기업규모 확대 욕구middot

중국경제의 전면적 발전으로 M ampA 시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 개혁을 통해 급상승한 주식시장middot자본금middot은행차관 등을 통한 풍부한 유동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내자기업 간의 인수합병 지지 및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임

- 산업별로 보면 금융서비스업middot부동산middot제조업 및 채광업 등 4 대 산업에서 MampA 가 두드러진 증가추세를 보임

- 또한 사모주식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사모펀드의 MampA 는 140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했으며 금액은 106억 달러로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해외 MampA 빠르게 증가 - 중국의 해외 MampA 교역액은 2007 년 1~11 월 164억 달러에 달해 2006 년 79억 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함 보화영도(PWC 차이나)의 융자middotM ampA 의 총책임자인 쟈오량(趙亮)에 의하면 중국의 해외 MampA 는 2011 년에는 2006 년의 10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2007 년 외국투자자의 중국기업 MampA 감소

18

- lsquo亞洲收購與兼倂(아시아 MampA)잡지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2007 년 1~11 월 외국의 전략투자자의 중국 MampA 교역량은 339건으로 교역액은 166억 달러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6 27 감소했다고 밝힘

- 이는 2006 년 4 월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MampA 대상 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가 MampA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규범화돼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중국 정부는 20006 년 8 월 중국 상무부middot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세무총국middot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middot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외환관리국 령으로 lsquo關于外國投資者倂購境內企業的規定(외국투자자의 중국 경내 기업 M ampA 에 관한 규정)rsquo을 발표했으며 2007 년 8월에는 lsquo中華人民共和國反壟斷法(중화인민공화국 반독점법)rsquo이 발표를 통해 기업인수합병에 관한 내용을 규정

시사점 중국 정부의 선별적 투자유치로의 정책 전환과 노동력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은 생산형 투자의 어려움 중국 내수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판매 유통 채널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효율적인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 금융업 개방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 국유기업 개혁 지속 및 민영기업의 빠른 발전으로 MampA 의 기회가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됨

자료원 全國工商聯倂購公會(wwwma-chinacom) 경제관찰보 국제상보 중국증권보 등 종합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 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해외투자진출을 통한 통상마찰 완화 효과 기대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통해 반덤핑 조치 회피 ㅇ 2007 년 말 중국 상무부는 해외공업단지인 ldquo경외경제무역합작구(이하 「합작구」)rdquo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 결과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건설하는 11 개 프로젝트를 신규 허가함 ㅇ 중국의 해외 합작구 설립추진은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완화하면서 막대한 보유 외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임

ㅇ 합작구는 다양한 우대조치가 적용되고 있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합작구 설립을

추진하는 중국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중국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피하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정부의 우대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합작구로 진출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으로 보임

합작구 설립배경 ㅇ 중국산 섬유 어패럴 가전 철강제품 등에 대한 구미의 반덤핑 조사가 매년 증가하자 중국은

반덤핑조사로 인한 통상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국가를 경유해 제 3 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함

- 중국과 인접한 국가 중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곳에 설립된 공업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 3국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낮은 물류 비용으로 반덤핑 조치를 피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19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2: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1 보도자료

제 목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한국 정부는 2008128-21 간 청도 상해 광주 지역에 민관 합동 조사단을 파견 투자

기업들의 영업 및 무단철수 현황을 조사한 후 219(화) 관련 대책을 발표하였다

주청도대한민국총영사관은 본국 정부의 방침에 따라 KOTRA 및 중소기업지원센타와 함께

225(월)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을 설치하였으며 앞으로 이를 통해 청산을 준비하는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은 활동 과정에서 지원을 신청하는 기업들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받지

않도록 할 것이다 또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기업 청산 절차 간소화와

청산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기업인의 신변 위협 문제에 관하여 산동성 및 청도시를 비롯한

지방 정부측과 협의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1

한편『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은 변호사 및 회계사 등의 자문 비용도 예산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일부 지원할 계획이다

상담을 희망하는 분들은 아래 연락처를 참조 담당자와 사전 연락 면담 시간을 예약한 후

대책반을 방문하여 주시기 바란다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연락처

1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주청도총영사관)

ㅇ 전화 (0532) 8897-6012 최승희 행정원

ㅇ 팩스 (0532) 8896-3307

ㅇ 주소 青岛市香港东路 101 号

ㅇ 담당 업무 종합 지휘 청산 상담 주재지 정부와 교섭

2

2 기업 청산 지원 데스크(KOTRA)

ㅇ 전화 (0532) 8388-7981 황재원 차장

ㅇ 팩스 (0532) 8388-7935

ㅇ 주소 青岛市香港中路 40 号旗舰大厦 15 楼 AHG 房间

ㅇ 담당 업무 청산 종합 상담 매뉴얼 작성 변호사 및 회계사 관리

3 기업 청산 도우미 센터(중소기업지원센터)

ㅇ 전화 (0532)-8579-3240~2 이병직 과장

ㅇ 팩스 (0532) 8579-3249

ㅇ 주소 青岛市香港中路 59 号青岛国际金融中心 25 楼 G-F

ㅇ 담당 업무 청산 상담 경영진단 내수시장 개척지원

2 초점

중국진출 한국기업 경쟁력 3 년 연속 하락- 中 호라이즌 그룹 2007 년 다국적기업 영향력 결과 발표 -

김명신 베이징 무역관

clairekotraorkr 호라이즌 그룹 2007 년 중국내 다국적기업 영향력 평가결과 발표 중국의 유력 컨설팅사인 호라이즌그룹이 최근 발표한 lsquo2007 년 중국내 영향력이 가장 높은

다국적기업에 대한 연구보고(2007年中國最具影嚮跨國企業硏究報告)rsquo에 따르면 중국진출 한국기업과 일본기업의 중국내 영향력이 2005 년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한 반면 유럽middot홍콩middot중국 로컬기업의 영향력은 지속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 이번 보고서는 베이징middot상하이middot광저우middot우한middot청두middot선양middot시안 등 7 개 도시의 18~60 세 일반시민 2285명과 베이징middot상하이middot광저우middot우한 등 4 개 도시의 기업관리자 4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작성됐으며 호라이즌 그룹은 해마다 다국적기업 영향력 평가결과를 정기적으로 발표하고 있음

- 영향력 평가지표는 외부이미지와 내부관리로 크게 구분되며 외부이미지는 제품이미지middot기업이미지middot친화력middot공공관계middot사회공헌도 등 5 개 지표로 구성되고 내부관리는 시장경쟁력middot인력자원middot리스크 관리middot리더십middot관리체제middot기업문화 등 6 개 지표로 구성됨

최근 3 년간 중국내 한국계 일본계 기업 경쟁력 지속 하락

3

최근 3 년간 중국진출 주요국 다국적기업의 중국내 영향력 종합득점률 변화추이를 보면 미국기업의 2007 년 득점률이 459 로 2006 년에 비해 20 상승하고 유럽기업의 득점률은 ▷183(2005 년) ▷226(2006 년) ▷254(2007 년)로 최근 3 년간 뚜렷한 상승세를 보임

- 중국기업도 2005 년 13 에서 2006 년에는 116 으로 급성장했으며 2007 년 득점률도 117 로 2006 년보다 다소 증가했으나 일본기업과 한국기업은 2005 년부터 영향력 종합득점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함

최근 3 년간 중국내 다국적기업 종합평가득점률 변화추이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미국계 기업 1 위 자리 지켰으나 제품이미지 등 외부평가 하락 지난해 평가지표를 종합해 보면 미국계 기업의 종합득점률이 459 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유럽계 기업(254) ▷중국기업(117) ▷일본계 기업(115) ▷한국계 기업(32) ▷홍콩계 기업(15) ▷대만계 기업(11)순으로 나타남

- 미국계기업과 유럽계기업은 종합평가뿐만 아니라 전체 지표면에서도 수위를 차지했으며 중국내자기업과 일본계기업이 지표별로 3~4 위를 두고 각축을 벌임

- 한국계기업은 모든 개별지표에서 5 위를 차지했고 뒤를 이어 홍콩기업middot대만기업의 순으로 나타남

2007 년 중국내 다국적기업의 중국내 영향력 지표별 평가결과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4

미국계 기업의 최근 3 년간 중국내 영향력 평가결과 추이를 보면 리더십middot리스크관리middot관리체제 등 내부관리요소의 득점률이 다소 상승하거나 2006 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공공관계middot회사이미지middot제품이미지 등 외부이미지는 2006 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하락함

- 중국내 미국계기업중에는 중국진출 선발기업이 많으며 미국계기업이 다른 외국계 기업에 비해 기업내부관리나 리스크 대처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이번 조사에서도 미국계 기업의 리스크 관리 관리체제 리더십의 득점률이 각각 504 과 485 472 로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제품이미지는 437 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최근 3 년간 중국내 미국계 기업의 영향력 지표별 득점률 변화추이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유럽계 기업 최근 3 년간 꾸준히 상승 미국계 기업의 뒤를 이어 2 위의 자리를 지켜온 유럽계 기업은 최근 몇년간 중국내 영향력이 꾸준히 상승함

- 각 지표별 평가결과 최근 3 년간 유럽계 기업은 제품이미지middot회사이미지middot친화력 등 외부이미지 요소에 대한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상승한 반면 기업문화middot공공관계 등 내부관리요소 상승세는 다소 주춤한 것으로 분석됨

- 2007 년 평가결과 중 지표별 제품이미지와 회사이미지의 평가지수는 각각 276 과 275 로 1 2위를 차지했으며 기업문화는 220 점으로 각 지표중 가장 낮게 나타남

- 중국진출 유럽계기업은 기업전략 수립면에서 신중하고 체계화된 진출전략을 갖고 있으며 중국인들과의 의사소통면에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최근 3 년간 중국내 유럽계 기업의 영향력 지표별 득점률 변화추이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일본계 기업 리더십ㆍ인력자원 영향력 크게 하락 일본계 기업의 국가별 순위는 2006 년 3 위에서 2007 년 4 위로 밀려나는 등 최근 몇 년간

중국내 영 향력이 지속적으로 하락했으며 특히 리더십middot인력자원면에서 영향력이 크게 하락함

5

- 그러나 지표별 득점률면에서는 인력자원이 126 으로 다른 지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다음으로 제품이미지가 124 기업문화가 122 로 각각 2 3 위를 차지한 반면 친화력middot공공관계middot기업이미지는 각각 104 과 101 101 로 낮게 나타남

- 일본이 중국과의 역사문제로 인해 일본기업들이 외부이미지 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한다는 분석도 있으나 일본기업이 현지 경영방식면에서 현지인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음

한국계 기업 내부관리에 비해 제품이미지나 회사이미지 평가 낮아 중국내 한국계 기업은 지표별 영향력이 전반적으로 낮게 평가됐으며 기업영향력이 최근 3 년간

지속적으로 하락함 평가지표별로는 올해 관리체제 기업문화 시장경쟁력 득점률이 각각 36 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공공관계 친화력 기업이미지는 모두 3 점미만으로 낮은 수준에 그침 - 한국계기업은 중국진출 후발기업으로서 최근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내부관리체계나 기업경쟁력 확보에 중점을 두면서 공공관계 친화력 등 외부이미지 개선에다소 미흡했던 것으로 분석됨

2007 년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지표별 영향력 득점률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한국계 기업 영향력 2005 년이후 연속 3 년째 하락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종합평가득점률은 2004 년 39 에서 2005 년 48 로 증가했으나 이후 ▷

32(2006 년) ▷30(2007 년)으로 하락함 - 평가지표중 기업이미지 제품이미지와 친화력 공공관계의 득점률이 2005 년부터 꾸준히

하락한 반면 기업문화 관리체제는 2006 년에 비해 소폭상승하면서 2005 년 득점률에 근접함 - 전체 지표중에서는 기업이미지의 득점률이 22 로 가장 낮게 나타남

최근 3 년간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영향력 지표별 득점률 변화추이

6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중국계 기업 2007 년 국별 순위 3 위 자리매김 중국기업의 영향력 평가순위는 2006 년 4 위에서 2007 년에는 3 위로 한단계 상승했으며

지표별로는 기업문화와 기업이미지가 2006 년에 비해 크게 상승함 - 이번 조사에서 중국계 기업이 외국계 기업과 비교해 개선해야 하는 분야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376가 관리체제를 완비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고 기술력을 제고해야 한다는 응답도 전체의 369로 2 위를 차지함

- 이외에도 자금력 개선(210) 영업방식개선(186) 브랜드 이미지 제고(177) 인재양성(171) 순으로 나타남

- 마케팅 방식 제고와 마케팅 채널 다변화 이외의 항목의 경우 개선필요성을 지적한 응답자가 2006 년에 비해 감소해 전반적으로 지난해 중국인들은 2006 년에 비해 자국기업의 경영방식이 개선됐다고 평가함

중국기업이 외국계 기업에 비해 개선해야 하는 분야

주 복수응답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자료원 중국 호라이즌 그룹

3 경제 무역

7

中 물가 급등이 임금인상 기폭제 되나- 연내 lsquo임금 인상 시스템rsquo 마련되면 진출기업 경영비용 부담 될 듯 -

김윤희 상하이무역관

aleakotraorkr

lsquo임금인상시스템rsquo 연내 마련 예정 ㅇ 중국 노동사회보장부는 2008 년 내 lsquo임금조례rsquo 제정을 주요 업무로 확정됨 관련 전문가는 직원

임금 인상과 체불임금 지급보장 문제에 관한 중요한 조치가 될 것으로 예상됨 - lsquo임금 조례rsquo가 제정되면 임금이 물가상승폭에 따라 인상되도록 시스템을 마련할 가능성이 높음 ㅇ 이에 따라 최근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는 중국 내 물가상승은 각지 최저 임금인상을 큰 폭으로 올리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임

중국 물가상승률 추이()

자료원 중국국가통계국 물가 급등에 따라 각 지방정부 잇달아 임금 인상 ㅇ 광둥성 노동발전보장청은 지난 20 일 4 월 1 일부터 최저임금을 재인상할 것이라고 발표함 - 재인상된 최저임금 기준은 각각 860 위앤월 770 위앤월 670 위앤월 580 위앤월 530

위앤월 등 5 개 등급으로 차등화 했으며 평균 상승폭은 129임 - 광둥성 노동보장청 관계자는 경제발전middot취업middot물가 수준 등을 고려해 최저임금 인상 폭을 결정한

것이라고 밝힘

8

ㅇ 지난 19 일 1 월 소비자 물가가 71 상승해 11 년 이래 최고를 기록하자 같은 날 장쑤성은 각 시middot현급에서 집행하는 새로운 최저임금 등급을 발표middot공포했으며 이 가운데 5 개현은 최저임금 등급을 기존 2 등급(620 위앤월)에서 1 등급(850 위앤월)으로 상향조정해 최저 임금 수준이 230 위앤 상승함

ㅇ 2007 년 말까지 중국 27 개 성 최저임금이 인상됐으며 대부분 10 이상의 인상률이 보이고

있음 장씨성 일부 지역은 인상 폭이 50를 넘기도 함 - 2004 년 3 월에 수정된 lsquo최저임금규정rsquo에 따르면 최저 임금은 2 년에 한 차례 조정되도록 돼

있는데 쓰촨성은 4 년 연속 최저임금을 인상하고 있는 등 각지의 최저임금 인상이 잇따르고 있음

CPI 와 임금인상 연동해야 한다는 논의 뜨거워 ㅇ 지난해 상반기부터 CPI(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곡선을 그리며 하반기부터 연속해서 11 년

만에 최고 기록을 갱신하는 물가 급등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물가에 비상이 걸리자 lsquoCPI 와 연동된 임금인상 시스템rsquo을 마련해야 한다는 논의가 나오고 있음

ㅇ 중국 내 노무 전문가는 물가상승 지수를 임금 상승 법정 지표로 삼아야 한다며 임금 인상이

물가 급등으로 상쇄되지 않도록 하고 근로자의 실질 임금이 하락하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함

임금인상 시스템 진출기업 경영에 부담될 듯 ㅇ 지역별 최저 임금을 인상하는 한편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임금 인상 시스템이 연내에 마련될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임 - lsquo임금 조례rsquo 현재 초안이 마련된 상태이며 공청회를 거쳐 국무원 상무회의에 심의를 요청할

예정임 ㅇ 지난해부터 우대세금 축소middot노무비용 상승middot위앤화 절상middot원자재 가격 등 각종 경영비용 상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진출기업에 임금 인상 시스템 마련은 또 다른 압박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상해증권보 참고자료

9

2006~08 년 지역별 최저임금 및 2007 년 임금가이드라인 (단위 위앤 )

지역 2006 년 2007 년 2008 년임금가이드라인

기준율 상한선

北京 640 730 95 145天津 670 650 740720 14 22河北 580 540 480 440 14 20山西 550 510 470 430 610570530490 10 18內蒙古 560 520 460 400 遼寧 590 480 420 12 19吉林 510 460 410 650600550

黑龍江 620 590 475 450420 400380

上海 750 840 9 12江蘇 750620520 850700590 浙江 750670620540 850750700620 10 15

安徽 520500460430390360 560540500460420390(등급축소) 13 18

福建 650600570550480 750700650570480

江西 360330300270 510480450420390(등급확대)

山東 610540480430390 16 24河南 480400320 650550450 18 20湖北 460400360320280 580500460420380 湖南 600500480450420400 635500530480460440

廣東 780690600500450 860770670580530 103 15

廣西 500435390345 海南 580480430 650550450 重慶 580480440

四川 580510450400 650550450(등급 축소) 145 205

貴州 550500450 650600550 15 20雲南 540480420 13 19西藏 495470445 陝西 540500460420 甘肅 430400360320 靑海 460450440 10 15寧夏 450420380 560530490 13 17

10

新疆 670620580550520500480 460440 12 15

大連 650600500 11 17厦門 600550480 750700(등급축소) 深圳 810700 850750 10 15

자료원 베이징 무역관에서 정리한 내용 2008 년 최근 수치 업데이트

中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반입물품 수출관세 면제- 생산기업 대상 2 월 15 일부터 실시 -

김명신 베이징 무역관

clairekotraorkr

주요 내용 중국 국무원관세세칙위원회는 지난 2 월 4 일 lsquo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된 일부품목의

수출관세를 징수하는 않는 것에 관한 통지rsquo(關于對部分進入海關特殊監管區域的産品不徵收出口關稅的通知)를 발표하고 2 월 15 일부터 총 95 개 철강제품(HS Code 8 단위 기준)에 대한 수출관세를 면제함

- 통지문에 따르면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을 건설하거나 구역내 기업의 공장건물을 건설하는데 사용되는 기초건설물자를 해당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할 경우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그러나 이 기초건설물자가 특수감독관리구역으로부터 수출되는 것은 불가하며 특수구역내 미사용분은 해관 감독관리하에 구역외지역으로 반출되어야 함

- 해외로부터 특수구역내 반입된 기초건설물자가 중국내 특수구역외 지역으로 운반될 경우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관련 규정에 따라 통관 및 세금납부수속을 거쳐야 함

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해 구역내

반입할 경우에도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용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했으나 실질적인 가공을

하지 않은 경우 보세물류 창고저장 무역업체 등 구역내 비생산기업에 전입시키거나 판매 직접 반출 또는 보세방식으로 반출할 수 없음

-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은 원부자재가 실질적 가공을 거치지 않고 중국내 특수감독관리외지역으로 판매될 경우 규정에 따라 수입관세와 수입부가가치세가 부과됨

이번 수출관세 면세정책은 보세가공능력이 있는 수출가공구 보세항 종합보세구

주하이ㆍ마카오공업구(주하이원구) 중국-카자흐스탄국제변경협력센터 중국구역 등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에만 적용되며 중국내 비생산기업이 아래 리스트의 원자재를 구매할 경우 에는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을 수 없음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대상 수출관세 면제품목

순서 HS Code 품목명

1 72051000생철 경철 및 철강과립

2 72081000 도안을 압연한 열연코일

3 72082500두께ge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11

4 72082610항복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5 720826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6 72082710두께<1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7 720827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8 72083600두께>10인 기타 열연코일

9 72083700475le두께le10인 기타 열연코일

10 720838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1 720838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2 72083910두께<15인 기타열연코일

13 720839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14 72084000압연해 요철무늬가 있는 열연비코일

15 72085110두께>50인 기타 열연비코일

16 72085120두께>20이나 50를 초과하지 않는 기타 열연비코일

17 72085190 기타 두께>10인 기타 열연비코일

18 72085200475le두께le10인 열연비코일

19 720853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0 72085390 기타 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1 72085410두께<15인 열연비코일

22 72085490 기타 두께<3인 열연비코일

23 72089000 기타 열연강철 또는 비합금강 넓은 판재

24 72111300 무늬를 압연하지 않고 네면을 압연해 만든 압연비코일

25 72111400두께ge475인 기타열연판재

26 72111900 기타 열연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7 72112300냉연 카본함유량<025인 판재

28 72112900냉연 기타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9 72119000냉연 강철 또는 비합금 기타 좁은 판재

30 72121000 도금하거나 주석을 바른 비합금강 좁은 판재

31 721220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2 7212300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강철 좁은 판재

33 72124000 도료를 칠하거나 플라스틱을 칠한 철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4 72125000칠하거나 도금한 기타 재료철 또는 비함금강 좁은 판재

35 72126000덮어씌운 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6 72131000 무늬를 압연한 열연와이어로드

37 72132000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제 열연 와이어로드

38 72139100 직경<14인 둥근 절단면의 기타 열연 와이어 로드

39 72139900 기타 열연와이어로드

40 72142000열가공한 무늬를 압연제작한 로드 대41 72143000열가공해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

12

42 72149100열가공한 기타 직사각형 절단명의 로드 대43 72149900열가공한 기타 로드 대44 72151000냉가공한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45 72155000냉가공하거나 냉각해 형성한 기타 로드 대46 72159000 철강 및 비합금강의 기타 로드 대47 72161010 절단면 높이<80인 H 형강

48 72161020 절단면 높이가 80보다 적은 아이형 강

49 72161090 절단면 높이<80인 U 형강

50 72162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L 형강

51 721622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T 형강

52 72163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ge80인 조형강

53 72163210 절단면 높이가 200이상인 아이형 강

54 72163290열가공 절단면 높이가 ge80인 아이형강

55 72163311 절단명 높이가 800이상인 H 형강

56 72163319 절단면 높이가 ge200인 H 형강

57 72163390 기타 절단면 높이가 ge80인 H 형강

58 72164010열가공한 절단면높이가 ge80인 L 형강

59 72164020열가공한 절단면 높이가 ge80인 T 형강

60 72165010열가공한 Z 형강

61 72165090열가공한 기타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2 72166100냉가공한 판재로 제작된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3 72166900냉가공한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4 72169100냉가공한 기타 판재로 만든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5 72169900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6 72171000 도금하지 않거나 도료를 바르지 은 철강 또는 비합금강 철사

67 72172000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철 또는 비합금강 철사

68 72173010 도금하거나 동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69 72173090 도금하거나 기타 저급 금속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70 72179000 기타 강철사 또는 비합금 강철사

71 721913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2 721913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3 72191329두께가 3이상이나 475보다 작은 염산세척한 기타 스테인리스 와이어판

74 721914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두께<3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5 721914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두께<3인 망간크롬계열 스테인리스

76 722591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금합금강 넒은 평판압연재

77 72259200 기타 도금 또는 아연을 바른 기타 합금강 넓은 판재

13

78 72259910 폭ge600인 고속강평판압연재

79 72259990 폭ge600인 기타합금강 평판압연재

80 72269200 폭<600인 냉연 기타 합금강판재

81 7226991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합금강 좁은 평판압연재

82 7226992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기타합금강 좁음 판재

83 72272000 실리콘망간강의 열연 와이어로드

84 72282000 기타 실리콘망간강의 로드 대85 72286000 기타 합금강 로드 대86 73053100 상하방향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7 73053900 기타 방법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8 73059000 이름을 나열할 수 없는 원형 절단면의 조강강철관

89 73063000 기타 철강 또는 비합금 강 원형 절단면의 용접관

90 73064000 스테인리스강 기타 원형 절단면의 가는 용접관

91 73065000 기타 합금강의 원형 절단면 가는 용접관

92 73066100 직사강형 또는 정사각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3 73066900 기타 비원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4 76041010 비합금 로드 대95 76042910알루미늄 합금 로드 대 자료원 중국 재정부

中 3 월 1 일부터 월 개인소득세공제기준 2000 위앤으로 상향 조정 - 2005 년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 1 차 수정 이후 두 번째 -

- 추가공제기준 조정 등 총 일곱 군데 수정 -

김명신 베이징무역관clairekotraorkr

중국 개인소득세법실시조례 2 차 수정 중국 국무원은 지난 2 월 18 일 lsquo국무원이 중국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를 수정하는데 관한 결정rsquo

(國務院關于修改中華人民共和國個人所得稅法實施條例的決定)(국무원령 519 호)을 발표해 3월 1 일부터 시행에 들어감

중국은 1994 년 1 월 28 일부터 실시한 중국 기업소득세법실시조례(국무원령 142 호)를 지난

2005 년 말 대대적으로 수정(국무원령 452 호)해 2006 년 1 월 1 일부터 실시해 왔으며 소득증가 등 소득세 징수환경이 변화하면서 최근 2 차 수정을 단행함

주요 변경내용 이번 개인소득세법 2 차 수정에서는 개인소득세 공제기준이 월 1600 위앤에서 2000 위앤으로

400 위앤 상향조정된 반면 추가공제비용 기준은 기존 3200 위앤에서 2800 위앤으로 하향조정됨

14

이외에도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서 기존에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을 인정했으나 이번 2 차 수정결정문은 이외에도 lsquo기타 형식의 경제이익rsquo을 추가인정함

특정업종에 대한 범위도 다소 확대돼 기존에는 세법 제 9 조 두 번째 단락이 지칭하는

특정업종이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중국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이었으나 이번 수정결정문에는 특정 업종에 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업종도 추가됨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2 월 18 일 발표된 개인소득세실시조례 수정에 대해 지난 2 월 20 일 각

지방세무국에 lsquo개인소득세 임금급여소득 공제비용표준정책연결문제에 관한 통지rsquo(關于個人所得稅工資薪金所得減除費用標準政策銜接問題的通知)를 하달 3 월 1 일부터 월 소득공제기준을 2000 위앤으로 조정 실시하도록 조치함

- 납세자가 3 월 1 일전에 실제 취득한 임금 급여소득에 대해서는 세액이 3 월 1 일 이후에 납부된다 하더라도 월 1600 위앤의 공제비용기준이 적용됨

중국 개인소득세실시조례내용 변경 전후 비교

순서 구분(조항) 변경 전 변경 후

1소득형태 확대

(제 10 조)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

유가증권을 포함함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과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을 포함함 그중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은

시장가격에 따라 과세소득액을 산정함

2비용공제

기준 상향 조정(제 18 조)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1600 위앤임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 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2000 위앤임

3추가공제

기준(제 27 조)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16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20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4추가공제

적용대상자(제 28 조제 4항)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기타 재정부가 규정하는 자가 포함됨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

인원이 포함됨

5추가공제비용표준 하향조정(제 29 조)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3200 위앤임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2800 위앤임

6특정업종 범위 확대(제 40 조)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기타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임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수업middot원양어업 및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확정한

기타 업종임

7 조항삭제(제 48 조)

본 조례의 해석은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이 공동으로 함 삭제

15

자료원 국무원 판공실

lsquo저우추취rsquo 돋보인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 활발해지고 외국투자자의 중국 MampA 줄어 -

- 중국기업의 해외 MampA 발걸음 거세져 -

이영준 청두무역관ctuktckotraorkr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중국 10 대 MampA 사건은 全國工商聯倂購公會(China Mergers amp Acquisitions Association

CMAA) 全球倂購硏究中心(세계 MampA 연구중심) 中國倂購交易網(wwwmergers-chinacom)이 주관해 2001 년부터 공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하고 있으며 MampA 관련 영향력 있는 행사 중의 하나임

프랑스 다농(Danone)의 와하하(娃哈哈) 합병 쟁의 - 2007 년 4 월 매체를 통해 알려졌으며 프랑스 다농 그룹이 40억 위앤을 투자해 와하하 산하 10

여 개의 비(非)합자회사의 51의 지분을 인수하고자 함 10 여 개의 비합자회사의 자산 총액은 56억 위앤 2006 년 순이익은 10억 4000 만 위앤에 달함

- 다농의 합병 시도는 와하하의 중국 측 주주에 의해 저지됐으며 이는 이후 외자기업의 반독점

문제 민족 브랜드 보호문제에 대한 쟁의를 불러일으킴 중국이동통신(China Telecom) 파키스탄 통신 운영상 Millicom 사 인수 - 중국이동통신은 2007 년 4 월 28 일 발표를 통해 2 개월에 걸쳐 21억 3000 만 위앤(2억 8400

만 달러)를 투자해 룩셈부르크사의 Millicom 사가 가지고 있는 파키스탄 Paktel 사의 8886 지분을 인수했으며 나머지 1114의 주식을 인수하겠다는 협의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함

- 이번 인수는 중국이동통신의 전략적 해외기업 인수 사례로 중국 전신 운영업체의 lsquo저우추취rsquo

전략의 중요한 돌파구 마련한 계기가 됨 중국투자공사 미국 Blackstone Group 지분 참여 - 2007 년 5 월 22 일 중국투자공사 설립 준비(당시 lsquo國家外匯投資公司rsquo) 중 中央匯金公司의

자회사인 中國建銀投資公司는 Blackstone Group 에 225억 위앤(30억 달러)를 투자해 Blackstone Group 이 전 세계에 공개 발행한 주식 중 약 10 정도를 구매했으며 4 년간 보유하는 조건임

- 이는 중국투자공사의 해외 첫 번째 투자로써 중국의 거대한 외환보유량을 줄이고 외화 보유의

다원화를 촉진하는 의미있는 투자임 - 중국투자유한책임공사는 외화자금 전문 투자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늘어나는

외환보유고를 이용해 국제 금융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2007 년 9 월 29 일 정식 설립됨 중국국가개발은행 영국 Barclays Bank 투자

16

- 2007 년 7 월 23 일 중국국가개발은행은 영국의 Barclays Bank 는 협의를 통해 217억 5000만 위앤(14억 5000 만 파운드)에 달하는 2014억 보통주를 획득했으며 지분 비율은 31임 이는 중국국가개발은행의 상업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협력으로 간주하고 있음

중국공상은행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은행인 Standard Bank 투자 - 2007 년 10 월 25 일 중국공상은행은 409억 5000 만 위앤(54억 6000 만 달러)를 투자해

남아프리카공화국 Standard Bank 의 20 지분을 인수하여 이 은행의 최대 주주가 됨 이는 중국공상은행의 주식상장 이후 최대 해외 투자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최대 FDI 로 기록됨

중국항공업 동방항공 인수 경쟁 - 2007 년 9 월 초 싱가포르 항공과 싱가포르 국영투자회사인 TAMASEK 은 중국동방항공의 24

지분을 인수함 이 때문에 AIRCHINA 는 Cathay Pacific Airways 와 연합해 동방항공의 홍콩상장 주식을 늘리는 등 동방항공 인수전에 뛰어듦

- 그러나 중국 3 대 항공사의 대주주인 lsquo중국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rsquo의 제지와 항공업 관련

부문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함 중신증권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와 주식교환 - 2007 년 10 월말 중신증권은 발표를 통해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중신증권과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는 각각 75억 위앤(10억 달러)를 출자하여 주식교환을 실시했으며 40 년 만기의 전환가능 우선주를 획득하였다고 발표함

- 이 주식 수는 Bear Sterns 사의 총주식의 6에 상당하는 규모임 양사는 홍콩에 합자회사를

설립하고 양사의 아시아 지역 업무를 통합하기로 함 중신증권은 중국 국내 증권사중 최초로 해외투자은행의 주식을 인수한 증권사가 됨

세계 제 1 의 철강기업 아르셀로 미탈 철강회사 중국동방집단 인수 시도 - 2007 년 11 월 8 일부터 아르셀로 미탈은 두 차례에 걸쳐 홍콩에 상장된 중국동방집단의 1

대주주와 2 대주주의 주식 약 127억 5000 만위앤(17억 달러)에 달하는 73의 지분 인수를 통해 중국동방집단의 경영을 장악하고자 햇으나 홍콩증권감독위원회의 개입으로 1 차 구매부터 무산됨

- 만약 동 거래가 성사됐을 경우 외국자본이 중국 국내 철강기업을 합병하는 최초의 사례가 됐을

것으로 중국 국내 철강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사건으로 기록됨 중국평안보험 포르티스(Fortis) 지분 획득 - 2007 년 11 월 28 일 중국 제 2 위의 생명보험사인 중국평안보험(Ping An Insurance)과 유럽middot

미국에서 보험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포르티스 그룹은 MOU 체결을 통해 포르티스 그룹의 주식 418에 해당하는 9501 만 주를 인수하기로 함

- 인수가격은 195억 5000 만 위앤(18억 1000 만 유로)로 이로써 평안은 포르티스의 최대 단일

주주가 됨 이는 중국 보험사가 최초로 세계 금융 서비스 그룹에 투자한 사례이며 중국 국내 보험업계의 최대 해외투자로 기록됨

중국국가전망 필리핀 전력망 운영권 획득

17

- 2007 년 12 월 12 일 중국 최대 국유 전력회사인 중국국가전망은 약 296억 위앤(39억 5000만 달러)을 투자해 향후 25 년간의 필리핀 전력망 경영권을 획득함 이는 중국 국가전망의 최대 해외투자임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의 특징 해외진출 두드러져 중국의 2007 년 10 대 MampA 사건에 선정된 사례를 보면 10건 모두 국가 간의

기업인수합병으로 7건은 중국기업이 해외에 투자한 대표적인 사례이며 3건은 외국기업이 중국 본토기업에 투자한 사례임 이는 중국기업의 lsquo저우추취rsquo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현재 이뤄지고 있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주로 자원middot브랜드middot각종 산업 채널확보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lsquo저우추취rsquo전략으로 해외 투자의 발걸음은 더욱 거세지고 있음

또한 10 개의 사례 중 5 개의 사례가 금융업의 MampA 사례로 중국 금융업계의 해외진출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

특히 중국정부는 무역수지 흑자를 통해 늘어나는 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등 외화 활용의 다원화를 시도하고 있음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 간 MampA 활발히 진행 2007 년 12 월 18 일 발표된 PWC(Price Waterhouse Coopers) 차이나의 lsquo企業倂購歲末回顧與展望(MampA 연말회고와 전망)rsquo 보고에 따르면 2007 년 1~11 월 중국 전체 MampA 교역량(해외시장 제외)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700 여 건으로 거래금액은 25 증가한 8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내자기업 간의 전략적 MampA 교역량은 전년대비 45 증가했으며 거래금액도 53 증가한 506억 달러에 달해 외자기업 중국투자금액의 2배에 달한다고 밝힘

- 2006 년 이전에는 외자기업의 중국 직접투자가 MampA 의 증가요인이었으나 2006 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 교역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7 년에도 역시 중국 MampA 시장은 중국 본토기업간의 교역이 두드러졌다고 밝힘

- 이처럼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이 증가한 이유는 기업의 구조조정middot기업규모 확대 욕구middot

중국경제의 전면적 발전으로 M ampA 시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 개혁을 통해 급상승한 주식시장middot자본금middot은행차관 등을 통한 풍부한 유동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내자기업 간의 인수합병 지지 및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임

- 산업별로 보면 금융서비스업middot부동산middot제조업 및 채광업 등 4 대 산업에서 MampA 가 두드러진 증가추세를 보임

- 또한 사모주식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사모펀드의 MampA 는 140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했으며 금액은 106억 달러로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해외 MampA 빠르게 증가 - 중국의 해외 MampA 교역액은 2007 년 1~11 월 164억 달러에 달해 2006 년 79억 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함 보화영도(PWC 차이나)의 융자middotM ampA 의 총책임자인 쟈오량(趙亮)에 의하면 중국의 해외 MampA 는 2011 년에는 2006 년의 10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2007 년 외국투자자의 중국기업 MampA 감소

18

- lsquo亞洲收購與兼倂(아시아 MampA)잡지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2007 년 1~11 월 외국의 전략투자자의 중국 MampA 교역량은 339건으로 교역액은 166억 달러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6 27 감소했다고 밝힘

- 이는 2006 년 4 월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MampA 대상 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가 MampA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규범화돼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중국 정부는 20006 년 8 월 중국 상무부middot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세무총국middot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middot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외환관리국 령으로 lsquo關于外國投資者倂購境內企業的規定(외국투자자의 중국 경내 기업 M ampA 에 관한 규정)rsquo을 발표했으며 2007 년 8월에는 lsquo中華人民共和國反壟斷法(중화인민공화국 반독점법)rsquo이 발표를 통해 기업인수합병에 관한 내용을 규정

시사점 중국 정부의 선별적 투자유치로의 정책 전환과 노동력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은 생산형 투자의 어려움 중국 내수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판매 유통 채널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효율적인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 금융업 개방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 국유기업 개혁 지속 및 민영기업의 빠른 발전으로 MampA 의 기회가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됨

자료원 全國工商聯倂購公會(wwwma-chinacom) 경제관찰보 국제상보 중국증권보 등 종합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 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해외투자진출을 통한 통상마찰 완화 효과 기대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통해 반덤핑 조치 회피 ㅇ 2007 년 말 중국 상무부는 해외공업단지인 ldquo경외경제무역합작구(이하 「합작구」)rdquo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 결과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건설하는 11 개 프로젝트를 신규 허가함 ㅇ 중국의 해외 합작구 설립추진은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완화하면서 막대한 보유 외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임

ㅇ 합작구는 다양한 우대조치가 적용되고 있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합작구 설립을

추진하는 중국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중국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피하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정부의 우대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합작구로 진출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으로 보임

합작구 설립배경 ㅇ 중국산 섬유 어패럴 가전 철강제품 등에 대한 구미의 반덤핑 조사가 매년 증가하자 중국은

반덤핑조사로 인한 통상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국가를 경유해 제 3 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함

- 중국과 인접한 국가 중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곳에 설립된 공업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 3국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낮은 물류 비용으로 반덤핑 조치를 피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19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3: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2 기업 청산 지원 데스크(KOTRA)

ㅇ 전화 (0532) 8388-7981 황재원 차장

ㅇ 팩스 (0532) 8388-7935

ㅇ 주소 青岛市香港中路 40 号旗舰大厦 15 楼 AHG 房间

ㅇ 담당 업무 청산 종합 상담 매뉴얼 작성 변호사 및 회계사 관리

3 기업 청산 도우미 센터(중소기업지원센터)

ㅇ 전화 (0532)-8579-3240~2 이병직 과장

ㅇ 팩스 (0532) 8579-3249

ㅇ 주소 青岛市香港中路 59 号青岛国际金融中心 25 楼 G-F

ㅇ 담당 업무 청산 상담 경영진단 내수시장 개척지원

2 초점

중국진출 한국기업 경쟁력 3 년 연속 하락- 中 호라이즌 그룹 2007 년 다국적기업 영향력 결과 발표 -

김명신 베이징 무역관

clairekotraorkr 호라이즌 그룹 2007 년 중국내 다국적기업 영향력 평가결과 발표 중국의 유력 컨설팅사인 호라이즌그룹이 최근 발표한 lsquo2007 년 중국내 영향력이 가장 높은

다국적기업에 대한 연구보고(2007年中國最具影嚮跨國企業硏究報告)rsquo에 따르면 중국진출 한국기업과 일본기업의 중국내 영향력이 2005 년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한 반면 유럽middot홍콩middot중국 로컬기업의 영향력은 지속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 이번 보고서는 베이징middot상하이middot광저우middot우한middot청두middot선양middot시안 등 7 개 도시의 18~60 세 일반시민 2285명과 베이징middot상하이middot광저우middot우한 등 4 개 도시의 기업관리자 4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작성됐으며 호라이즌 그룹은 해마다 다국적기업 영향력 평가결과를 정기적으로 발표하고 있음

- 영향력 평가지표는 외부이미지와 내부관리로 크게 구분되며 외부이미지는 제품이미지middot기업이미지middot친화력middot공공관계middot사회공헌도 등 5 개 지표로 구성되고 내부관리는 시장경쟁력middot인력자원middot리스크 관리middot리더십middot관리체제middot기업문화 등 6 개 지표로 구성됨

최근 3 년간 중국내 한국계 일본계 기업 경쟁력 지속 하락

3

최근 3 년간 중국진출 주요국 다국적기업의 중국내 영향력 종합득점률 변화추이를 보면 미국기업의 2007 년 득점률이 459 로 2006 년에 비해 20 상승하고 유럽기업의 득점률은 ▷183(2005 년) ▷226(2006 년) ▷254(2007 년)로 최근 3 년간 뚜렷한 상승세를 보임

- 중국기업도 2005 년 13 에서 2006 년에는 116 으로 급성장했으며 2007 년 득점률도 117 로 2006 년보다 다소 증가했으나 일본기업과 한국기업은 2005 년부터 영향력 종합득점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함

최근 3 년간 중국내 다국적기업 종합평가득점률 변화추이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미국계 기업 1 위 자리 지켰으나 제품이미지 등 외부평가 하락 지난해 평가지표를 종합해 보면 미국계 기업의 종합득점률이 459 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유럽계 기업(254) ▷중국기업(117) ▷일본계 기업(115) ▷한국계 기업(32) ▷홍콩계 기업(15) ▷대만계 기업(11)순으로 나타남

- 미국계기업과 유럽계기업은 종합평가뿐만 아니라 전체 지표면에서도 수위를 차지했으며 중국내자기업과 일본계기업이 지표별로 3~4 위를 두고 각축을 벌임

- 한국계기업은 모든 개별지표에서 5 위를 차지했고 뒤를 이어 홍콩기업middot대만기업의 순으로 나타남

2007 년 중국내 다국적기업의 중국내 영향력 지표별 평가결과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4

미국계 기업의 최근 3 년간 중국내 영향력 평가결과 추이를 보면 리더십middot리스크관리middot관리체제 등 내부관리요소의 득점률이 다소 상승하거나 2006 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공공관계middot회사이미지middot제품이미지 등 외부이미지는 2006 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하락함

- 중국내 미국계기업중에는 중국진출 선발기업이 많으며 미국계기업이 다른 외국계 기업에 비해 기업내부관리나 리스크 대처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이번 조사에서도 미국계 기업의 리스크 관리 관리체제 리더십의 득점률이 각각 504 과 485 472 로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제품이미지는 437 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최근 3 년간 중국내 미국계 기업의 영향력 지표별 득점률 변화추이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유럽계 기업 최근 3 년간 꾸준히 상승 미국계 기업의 뒤를 이어 2 위의 자리를 지켜온 유럽계 기업은 최근 몇년간 중국내 영향력이 꾸준히 상승함

- 각 지표별 평가결과 최근 3 년간 유럽계 기업은 제품이미지middot회사이미지middot친화력 등 외부이미지 요소에 대한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상승한 반면 기업문화middot공공관계 등 내부관리요소 상승세는 다소 주춤한 것으로 분석됨

- 2007 년 평가결과 중 지표별 제품이미지와 회사이미지의 평가지수는 각각 276 과 275 로 1 2위를 차지했으며 기업문화는 220 점으로 각 지표중 가장 낮게 나타남

- 중국진출 유럽계기업은 기업전략 수립면에서 신중하고 체계화된 진출전략을 갖고 있으며 중국인들과의 의사소통면에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최근 3 년간 중국내 유럽계 기업의 영향력 지표별 득점률 변화추이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일본계 기업 리더십ㆍ인력자원 영향력 크게 하락 일본계 기업의 국가별 순위는 2006 년 3 위에서 2007 년 4 위로 밀려나는 등 최근 몇 년간

중국내 영 향력이 지속적으로 하락했으며 특히 리더십middot인력자원면에서 영향력이 크게 하락함

5

- 그러나 지표별 득점률면에서는 인력자원이 126 으로 다른 지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다음으로 제품이미지가 124 기업문화가 122 로 각각 2 3 위를 차지한 반면 친화력middot공공관계middot기업이미지는 각각 104 과 101 101 로 낮게 나타남

- 일본이 중국과의 역사문제로 인해 일본기업들이 외부이미지 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한다는 분석도 있으나 일본기업이 현지 경영방식면에서 현지인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음

한국계 기업 내부관리에 비해 제품이미지나 회사이미지 평가 낮아 중국내 한국계 기업은 지표별 영향력이 전반적으로 낮게 평가됐으며 기업영향력이 최근 3 년간

지속적으로 하락함 평가지표별로는 올해 관리체제 기업문화 시장경쟁력 득점률이 각각 36 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공공관계 친화력 기업이미지는 모두 3 점미만으로 낮은 수준에 그침 - 한국계기업은 중국진출 후발기업으로서 최근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내부관리체계나 기업경쟁력 확보에 중점을 두면서 공공관계 친화력 등 외부이미지 개선에다소 미흡했던 것으로 분석됨

2007 년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지표별 영향력 득점률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한국계 기업 영향력 2005 년이후 연속 3 년째 하락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종합평가득점률은 2004 년 39 에서 2005 년 48 로 증가했으나 이후 ▷

32(2006 년) ▷30(2007 년)으로 하락함 - 평가지표중 기업이미지 제품이미지와 친화력 공공관계의 득점률이 2005 년부터 꾸준히

하락한 반면 기업문화 관리체제는 2006 년에 비해 소폭상승하면서 2005 년 득점률에 근접함 - 전체 지표중에서는 기업이미지의 득점률이 22 로 가장 낮게 나타남

최근 3 년간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영향력 지표별 득점률 변화추이

6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중국계 기업 2007 년 국별 순위 3 위 자리매김 중국기업의 영향력 평가순위는 2006 년 4 위에서 2007 년에는 3 위로 한단계 상승했으며

지표별로는 기업문화와 기업이미지가 2006 년에 비해 크게 상승함 - 이번 조사에서 중국계 기업이 외국계 기업과 비교해 개선해야 하는 분야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376가 관리체제를 완비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고 기술력을 제고해야 한다는 응답도 전체의 369로 2 위를 차지함

- 이외에도 자금력 개선(210) 영업방식개선(186) 브랜드 이미지 제고(177) 인재양성(171) 순으로 나타남

- 마케팅 방식 제고와 마케팅 채널 다변화 이외의 항목의 경우 개선필요성을 지적한 응답자가 2006 년에 비해 감소해 전반적으로 지난해 중국인들은 2006 년에 비해 자국기업의 경영방식이 개선됐다고 평가함

중국기업이 외국계 기업에 비해 개선해야 하는 분야

주 복수응답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자료원 중국 호라이즌 그룹

3 경제 무역

7

中 물가 급등이 임금인상 기폭제 되나- 연내 lsquo임금 인상 시스템rsquo 마련되면 진출기업 경영비용 부담 될 듯 -

김윤희 상하이무역관

aleakotraorkr

lsquo임금인상시스템rsquo 연내 마련 예정 ㅇ 중국 노동사회보장부는 2008 년 내 lsquo임금조례rsquo 제정을 주요 업무로 확정됨 관련 전문가는 직원

임금 인상과 체불임금 지급보장 문제에 관한 중요한 조치가 될 것으로 예상됨 - lsquo임금 조례rsquo가 제정되면 임금이 물가상승폭에 따라 인상되도록 시스템을 마련할 가능성이 높음 ㅇ 이에 따라 최근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는 중국 내 물가상승은 각지 최저 임금인상을 큰 폭으로 올리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임

중국 물가상승률 추이()

자료원 중국국가통계국 물가 급등에 따라 각 지방정부 잇달아 임금 인상 ㅇ 광둥성 노동발전보장청은 지난 20 일 4 월 1 일부터 최저임금을 재인상할 것이라고 발표함 - 재인상된 최저임금 기준은 각각 860 위앤월 770 위앤월 670 위앤월 580 위앤월 530

위앤월 등 5 개 등급으로 차등화 했으며 평균 상승폭은 129임 - 광둥성 노동보장청 관계자는 경제발전middot취업middot물가 수준 등을 고려해 최저임금 인상 폭을 결정한

것이라고 밝힘

8

ㅇ 지난 19 일 1 월 소비자 물가가 71 상승해 11 년 이래 최고를 기록하자 같은 날 장쑤성은 각 시middot현급에서 집행하는 새로운 최저임금 등급을 발표middot공포했으며 이 가운데 5 개현은 최저임금 등급을 기존 2 등급(620 위앤월)에서 1 등급(850 위앤월)으로 상향조정해 최저 임금 수준이 230 위앤 상승함

ㅇ 2007 년 말까지 중국 27 개 성 최저임금이 인상됐으며 대부분 10 이상의 인상률이 보이고

있음 장씨성 일부 지역은 인상 폭이 50를 넘기도 함 - 2004 년 3 월에 수정된 lsquo최저임금규정rsquo에 따르면 최저 임금은 2 년에 한 차례 조정되도록 돼

있는데 쓰촨성은 4 년 연속 최저임금을 인상하고 있는 등 각지의 최저임금 인상이 잇따르고 있음

CPI 와 임금인상 연동해야 한다는 논의 뜨거워 ㅇ 지난해 상반기부터 CPI(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곡선을 그리며 하반기부터 연속해서 11 년

만에 최고 기록을 갱신하는 물가 급등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물가에 비상이 걸리자 lsquoCPI 와 연동된 임금인상 시스템rsquo을 마련해야 한다는 논의가 나오고 있음

ㅇ 중국 내 노무 전문가는 물가상승 지수를 임금 상승 법정 지표로 삼아야 한다며 임금 인상이

물가 급등으로 상쇄되지 않도록 하고 근로자의 실질 임금이 하락하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함

임금인상 시스템 진출기업 경영에 부담될 듯 ㅇ 지역별 최저 임금을 인상하는 한편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임금 인상 시스템이 연내에 마련될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임 - lsquo임금 조례rsquo 현재 초안이 마련된 상태이며 공청회를 거쳐 국무원 상무회의에 심의를 요청할

예정임 ㅇ 지난해부터 우대세금 축소middot노무비용 상승middot위앤화 절상middot원자재 가격 등 각종 경영비용 상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진출기업에 임금 인상 시스템 마련은 또 다른 압박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상해증권보 참고자료

9

2006~08 년 지역별 최저임금 및 2007 년 임금가이드라인 (단위 위앤 )

지역 2006 년 2007 년 2008 년임금가이드라인

기준율 상한선

北京 640 730 95 145天津 670 650 740720 14 22河北 580 540 480 440 14 20山西 550 510 470 430 610570530490 10 18內蒙古 560 520 460 400 遼寧 590 480 420 12 19吉林 510 460 410 650600550

黑龍江 620 590 475 450420 400380

上海 750 840 9 12江蘇 750620520 850700590 浙江 750670620540 850750700620 10 15

安徽 520500460430390360 560540500460420390(등급축소) 13 18

福建 650600570550480 750700650570480

江西 360330300270 510480450420390(등급확대)

山東 610540480430390 16 24河南 480400320 650550450 18 20湖北 460400360320280 580500460420380 湖南 600500480450420400 635500530480460440

廣東 780690600500450 860770670580530 103 15

廣西 500435390345 海南 580480430 650550450 重慶 580480440

四川 580510450400 650550450(등급 축소) 145 205

貴州 550500450 650600550 15 20雲南 540480420 13 19西藏 495470445 陝西 540500460420 甘肅 430400360320 靑海 460450440 10 15寧夏 450420380 560530490 13 17

10

新疆 670620580550520500480 460440 12 15

大連 650600500 11 17厦門 600550480 750700(등급축소) 深圳 810700 850750 10 15

자료원 베이징 무역관에서 정리한 내용 2008 년 최근 수치 업데이트

中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반입물품 수출관세 면제- 생산기업 대상 2 월 15 일부터 실시 -

김명신 베이징 무역관

clairekotraorkr

주요 내용 중국 국무원관세세칙위원회는 지난 2 월 4 일 lsquo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된 일부품목의

수출관세를 징수하는 않는 것에 관한 통지rsquo(關于對部分進入海關特殊監管區域的産品不徵收出口關稅的通知)를 발표하고 2 월 15 일부터 총 95 개 철강제품(HS Code 8 단위 기준)에 대한 수출관세를 면제함

- 통지문에 따르면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을 건설하거나 구역내 기업의 공장건물을 건설하는데 사용되는 기초건설물자를 해당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할 경우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그러나 이 기초건설물자가 특수감독관리구역으로부터 수출되는 것은 불가하며 특수구역내 미사용분은 해관 감독관리하에 구역외지역으로 반출되어야 함

- 해외로부터 특수구역내 반입된 기초건설물자가 중국내 특수구역외 지역으로 운반될 경우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관련 규정에 따라 통관 및 세금납부수속을 거쳐야 함

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해 구역내

반입할 경우에도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용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했으나 실질적인 가공을

하지 않은 경우 보세물류 창고저장 무역업체 등 구역내 비생산기업에 전입시키거나 판매 직접 반출 또는 보세방식으로 반출할 수 없음

-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은 원부자재가 실질적 가공을 거치지 않고 중국내 특수감독관리외지역으로 판매될 경우 규정에 따라 수입관세와 수입부가가치세가 부과됨

이번 수출관세 면세정책은 보세가공능력이 있는 수출가공구 보세항 종합보세구

주하이ㆍ마카오공업구(주하이원구) 중국-카자흐스탄국제변경협력센터 중국구역 등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에만 적용되며 중국내 비생산기업이 아래 리스트의 원자재를 구매할 경우 에는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을 수 없음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대상 수출관세 면제품목

순서 HS Code 품목명

1 72051000생철 경철 및 철강과립

2 72081000 도안을 압연한 열연코일

3 72082500두께ge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11

4 72082610항복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5 720826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6 72082710두께<1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7 720827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8 72083600두께>10인 기타 열연코일

9 72083700475le두께le10인 기타 열연코일

10 720838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1 720838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2 72083910두께<15인 기타열연코일

13 720839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14 72084000압연해 요철무늬가 있는 열연비코일

15 72085110두께>50인 기타 열연비코일

16 72085120두께>20이나 50를 초과하지 않는 기타 열연비코일

17 72085190 기타 두께>10인 기타 열연비코일

18 72085200475le두께le10인 열연비코일

19 720853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0 72085390 기타 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1 72085410두께<15인 열연비코일

22 72085490 기타 두께<3인 열연비코일

23 72089000 기타 열연강철 또는 비합금강 넓은 판재

24 72111300 무늬를 압연하지 않고 네면을 압연해 만든 압연비코일

25 72111400두께ge475인 기타열연판재

26 72111900 기타 열연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7 72112300냉연 카본함유량<025인 판재

28 72112900냉연 기타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9 72119000냉연 강철 또는 비합금 기타 좁은 판재

30 72121000 도금하거나 주석을 바른 비합금강 좁은 판재

31 721220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2 7212300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강철 좁은 판재

33 72124000 도료를 칠하거나 플라스틱을 칠한 철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4 72125000칠하거나 도금한 기타 재료철 또는 비함금강 좁은 판재

35 72126000덮어씌운 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6 72131000 무늬를 압연한 열연와이어로드

37 72132000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제 열연 와이어로드

38 72139100 직경<14인 둥근 절단면의 기타 열연 와이어 로드

39 72139900 기타 열연와이어로드

40 72142000열가공한 무늬를 압연제작한 로드 대41 72143000열가공해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

12

42 72149100열가공한 기타 직사각형 절단명의 로드 대43 72149900열가공한 기타 로드 대44 72151000냉가공한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45 72155000냉가공하거나 냉각해 형성한 기타 로드 대46 72159000 철강 및 비합금강의 기타 로드 대47 72161010 절단면 높이<80인 H 형강

48 72161020 절단면 높이가 80보다 적은 아이형 강

49 72161090 절단면 높이<80인 U 형강

50 72162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L 형강

51 721622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T 형강

52 72163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ge80인 조형강

53 72163210 절단면 높이가 200이상인 아이형 강

54 72163290열가공 절단면 높이가 ge80인 아이형강

55 72163311 절단명 높이가 800이상인 H 형강

56 72163319 절단면 높이가 ge200인 H 형강

57 72163390 기타 절단면 높이가 ge80인 H 형강

58 72164010열가공한 절단면높이가 ge80인 L 형강

59 72164020열가공한 절단면 높이가 ge80인 T 형강

60 72165010열가공한 Z 형강

61 72165090열가공한 기타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2 72166100냉가공한 판재로 제작된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3 72166900냉가공한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4 72169100냉가공한 기타 판재로 만든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5 72169900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6 72171000 도금하지 않거나 도료를 바르지 은 철강 또는 비합금강 철사

67 72172000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철 또는 비합금강 철사

68 72173010 도금하거나 동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69 72173090 도금하거나 기타 저급 금속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70 72179000 기타 강철사 또는 비합금 강철사

71 721913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2 721913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3 72191329두께가 3이상이나 475보다 작은 염산세척한 기타 스테인리스 와이어판

74 721914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두께<3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5 721914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두께<3인 망간크롬계열 스테인리스

76 722591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금합금강 넒은 평판압연재

77 72259200 기타 도금 또는 아연을 바른 기타 합금강 넓은 판재

13

78 72259910 폭ge600인 고속강평판압연재

79 72259990 폭ge600인 기타합금강 평판압연재

80 72269200 폭<600인 냉연 기타 합금강판재

81 7226991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합금강 좁은 평판압연재

82 7226992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기타합금강 좁음 판재

83 72272000 실리콘망간강의 열연 와이어로드

84 72282000 기타 실리콘망간강의 로드 대85 72286000 기타 합금강 로드 대86 73053100 상하방향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7 73053900 기타 방법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8 73059000 이름을 나열할 수 없는 원형 절단면의 조강강철관

89 73063000 기타 철강 또는 비합금 강 원형 절단면의 용접관

90 73064000 스테인리스강 기타 원형 절단면의 가는 용접관

91 73065000 기타 합금강의 원형 절단면 가는 용접관

92 73066100 직사강형 또는 정사각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3 73066900 기타 비원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4 76041010 비합금 로드 대95 76042910알루미늄 합금 로드 대 자료원 중국 재정부

中 3 월 1 일부터 월 개인소득세공제기준 2000 위앤으로 상향 조정 - 2005 년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 1 차 수정 이후 두 번째 -

- 추가공제기준 조정 등 총 일곱 군데 수정 -

김명신 베이징무역관clairekotraorkr

중국 개인소득세법실시조례 2 차 수정 중국 국무원은 지난 2 월 18 일 lsquo국무원이 중국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를 수정하는데 관한 결정rsquo

(國務院關于修改中華人民共和國個人所得稅法實施條例的決定)(국무원령 519 호)을 발표해 3월 1 일부터 시행에 들어감

중국은 1994 년 1 월 28 일부터 실시한 중국 기업소득세법실시조례(국무원령 142 호)를 지난

2005 년 말 대대적으로 수정(국무원령 452 호)해 2006 년 1 월 1 일부터 실시해 왔으며 소득증가 등 소득세 징수환경이 변화하면서 최근 2 차 수정을 단행함

주요 변경내용 이번 개인소득세법 2 차 수정에서는 개인소득세 공제기준이 월 1600 위앤에서 2000 위앤으로

400 위앤 상향조정된 반면 추가공제비용 기준은 기존 3200 위앤에서 2800 위앤으로 하향조정됨

14

이외에도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서 기존에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을 인정했으나 이번 2 차 수정결정문은 이외에도 lsquo기타 형식의 경제이익rsquo을 추가인정함

특정업종에 대한 범위도 다소 확대돼 기존에는 세법 제 9 조 두 번째 단락이 지칭하는

특정업종이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중국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이었으나 이번 수정결정문에는 특정 업종에 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업종도 추가됨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2 월 18 일 발표된 개인소득세실시조례 수정에 대해 지난 2 월 20 일 각

지방세무국에 lsquo개인소득세 임금급여소득 공제비용표준정책연결문제에 관한 통지rsquo(關于個人所得稅工資薪金所得減除費用標準政策銜接問題的通知)를 하달 3 월 1 일부터 월 소득공제기준을 2000 위앤으로 조정 실시하도록 조치함

- 납세자가 3 월 1 일전에 실제 취득한 임금 급여소득에 대해서는 세액이 3 월 1 일 이후에 납부된다 하더라도 월 1600 위앤의 공제비용기준이 적용됨

중국 개인소득세실시조례내용 변경 전후 비교

순서 구분(조항) 변경 전 변경 후

1소득형태 확대

(제 10 조)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

유가증권을 포함함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과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을 포함함 그중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은

시장가격에 따라 과세소득액을 산정함

2비용공제

기준 상향 조정(제 18 조)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1600 위앤임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 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2000 위앤임

3추가공제

기준(제 27 조)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16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20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4추가공제

적용대상자(제 28 조제 4항)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기타 재정부가 규정하는 자가 포함됨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

인원이 포함됨

5추가공제비용표준 하향조정(제 29 조)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3200 위앤임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2800 위앤임

6특정업종 범위 확대(제 40 조)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기타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임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수업middot원양어업 및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확정한

기타 업종임

7 조항삭제(제 48 조)

본 조례의 해석은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이 공동으로 함 삭제

15

자료원 국무원 판공실

lsquo저우추취rsquo 돋보인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 활발해지고 외국투자자의 중국 MampA 줄어 -

- 중국기업의 해외 MampA 발걸음 거세져 -

이영준 청두무역관ctuktckotraorkr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중국 10 대 MampA 사건은 全國工商聯倂購公會(China Mergers amp Acquisitions Association

CMAA) 全球倂購硏究中心(세계 MampA 연구중심) 中國倂購交易網(wwwmergers-chinacom)이 주관해 2001 년부터 공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하고 있으며 MampA 관련 영향력 있는 행사 중의 하나임

프랑스 다농(Danone)의 와하하(娃哈哈) 합병 쟁의 - 2007 년 4 월 매체를 통해 알려졌으며 프랑스 다농 그룹이 40억 위앤을 투자해 와하하 산하 10

여 개의 비(非)합자회사의 51의 지분을 인수하고자 함 10 여 개의 비합자회사의 자산 총액은 56억 위앤 2006 년 순이익은 10억 4000 만 위앤에 달함

- 다농의 합병 시도는 와하하의 중국 측 주주에 의해 저지됐으며 이는 이후 외자기업의 반독점

문제 민족 브랜드 보호문제에 대한 쟁의를 불러일으킴 중국이동통신(China Telecom) 파키스탄 통신 운영상 Millicom 사 인수 - 중국이동통신은 2007 년 4 월 28 일 발표를 통해 2 개월에 걸쳐 21억 3000 만 위앤(2억 8400

만 달러)를 투자해 룩셈부르크사의 Millicom 사가 가지고 있는 파키스탄 Paktel 사의 8886 지분을 인수했으며 나머지 1114의 주식을 인수하겠다는 협의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함

- 이번 인수는 중국이동통신의 전략적 해외기업 인수 사례로 중국 전신 운영업체의 lsquo저우추취rsquo

전략의 중요한 돌파구 마련한 계기가 됨 중국투자공사 미국 Blackstone Group 지분 참여 - 2007 년 5 월 22 일 중국투자공사 설립 준비(당시 lsquo國家外匯投資公司rsquo) 중 中央匯金公司의

자회사인 中國建銀投資公司는 Blackstone Group 에 225억 위앤(30억 달러)를 투자해 Blackstone Group 이 전 세계에 공개 발행한 주식 중 약 10 정도를 구매했으며 4 년간 보유하는 조건임

- 이는 중국투자공사의 해외 첫 번째 투자로써 중국의 거대한 외환보유량을 줄이고 외화 보유의

다원화를 촉진하는 의미있는 투자임 - 중국투자유한책임공사는 외화자금 전문 투자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늘어나는

외환보유고를 이용해 국제 금융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2007 년 9 월 29 일 정식 설립됨 중국국가개발은행 영국 Barclays Bank 투자

16

- 2007 년 7 월 23 일 중국국가개발은행은 영국의 Barclays Bank 는 협의를 통해 217억 5000만 위앤(14억 5000 만 파운드)에 달하는 2014억 보통주를 획득했으며 지분 비율은 31임 이는 중국국가개발은행의 상업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협력으로 간주하고 있음

중국공상은행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은행인 Standard Bank 투자 - 2007 년 10 월 25 일 중국공상은행은 409억 5000 만 위앤(54억 6000 만 달러)를 투자해

남아프리카공화국 Standard Bank 의 20 지분을 인수하여 이 은행의 최대 주주가 됨 이는 중국공상은행의 주식상장 이후 최대 해외 투자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최대 FDI 로 기록됨

중국항공업 동방항공 인수 경쟁 - 2007 년 9 월 초 싱가포르 항공과 싱가포르 국영투자회사인 TAMASEK 은 중국동방항공의 24

지분을 인수함 이 때문에 AIRCHINA 는 Cathay Pacific Airways 와 연합해 동방항공의 홍콩상장 주식을 늘리는 등 동방항공 인수전에 뛰어듦

- 그러나 중국 3 대 항공사의 대주주인 lsquo중국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rsquo의 제지와 항공업 관련

부문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함 중신증권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와 주식교환 - 2007 년 10 월말 중신증권은 발표를 통해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중신증권과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는 각각 75억 위앤(10억 달러)를 출자하여 주식교환을 실시했으며 40 년 만기의 전환가능 우선주를 획득하였다고 발표함

- 이 주식 수는 Bear Sterns 사의 총주식의 6에 상당하는 규모임 양사는 홍콩에 합자회사를

설립하고 양사의 아시아 지역 업무를 통합하기로 함 중신증권은 중국 국내 증권사중 최초로 해외투자은행의 주식을 인수한 증권사가 됨

세계 제 1 의 철강기업 아르셀로 미탈 철강회사 중국동방집단 인수 시도 - 2007 년 11 월 8 일부터 아르셀로 미탈은 두 차례에 걸쳐 홍콩에 상장된 중국동방집단의 1

대주주와 2 대주주의 주식 약 127억 5000 만위앤(17억 달러)에 달하는 73의 지분 인수를 통해 중국동방집단의 경영을 장악하고자 햇으나 홍콩증권감독위원회의 개입으로 1 차 구매부터 무산됨

- 만약 동 거래가 성사됐을 경우 외국자본이 중국 국내 철강기업을 합병하는 최초의 사례가 됐을

것으로 중국 국내 철강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사건으로 기록됨 중국평안보험 포르티스(Fortis) 지분 획득 - 2007 년 11 월 28 일 중국 제 2 위의 생명보험사인 중국평안보험(Ping An Insurance)과 유럽middot

미국에서 보험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포르티스 그룹은 MOU 체결을 통해 포르티스 그룹의 주식 418에 해당하는 9501 만 주를 인수하기로 함

- 인수가격은 195억 5000 만 위앤(18억 1000 만 유로)로 이로써 평안은 포르티스의 최대 단일

주주가 됨 이는 중국 보험사가 최초로 세계 금융 서비스 그룹에 투자한 사례이며 중국 국내 보험업계의 최대 해외투자로 기록됨

중국국가전망 필리핀 전력망 운영권 획득

17

- 2007 년 12 월 12 일 중국 최대 국유 전력회사인 중국국가전망은 약 296억 위앤(39억 5000만 달러)을 투자해 향후 25 년간의 필리핀 전력망 경영권을 획득함 이는 중국 국가전망의 최대 해외투자임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의 특징 해외진출 두드러져 중국의 2007 년 10 대 MampA 사건에 선정된 사례를 보면 10건 모두 국가 간의

기업인수합병으로 7건은 중국기업이 해외에 투자한 대표적인 사례이며 3건은 외국기업이 중국 본토기업에 투자한 사례임 이는 중국기업의 lsquo저우추취rsquo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현재 이뤄지고 있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주로 자원middot브랜드middot각종 산업 채널확보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lsquo저우추취rsquo전략으로 해외 투자의 발걸음은 더욱 거세지고 있음

또한 10 개의 사례 중 5 개의 사례가 금융업의 MampA 사례로 중국 금융업계의 해외진출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

특히 중국정부는 무역수지 흑자를 통해 늘어나는 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등 외화 활용의 다원화를 시도하고 있음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 간 MampA 활발히 진행 2007 년 12 월 18 일 발표된 PWC(Price Waterhouse Coopers) 차이나의 lsquo企業倂購歲末回顧與展望(MampA 연말회고와 전망)rsquo 보고에 따르면 2007 년 1~11 월 중국 전체 MampA 교역량(해외시장 제외)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700 여 건으로 거래금액은 25 증가한 8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내자기업 간의 전략적 MampA 교역량은 전년대비 45 증가했으며 거래금액도 53 증가한 506억 달러에 달해 외자기업 중국투자금액의 2배에 달한다고 밝힘

- 2006 년 이전에는 외자기업의 중국 직접투자가 MampA 의 증가요인이었으나 2006 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 교역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7 년에도 역시 중국 MampA 시장은 중국 본토기업간의 교역이 두드러졌다고 밝힘

- 이처럼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이 증가한 이유는 기업의 구조조정middot기업규모 확대 욕구middot

중국경제의 전면적 발전으로 M ampA 시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 개혁을 통해 급상승한 주식시장middot자본금middot은행차관 등을 통한 풍부한 유동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내자기업 간의 인수합병 지지 및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임

- 산업별로 보면 금융서비스업middot부동산middot제조업 및 채광업 등 4 대 산업에서 MampA 가 두드러진 증가추세를 보임

- 또한 사모주식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사모펀드의 MampA 는 140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했으며 금액은 106억 달러로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해외 MampA 빠르게 증가 - 중국의 해외 MampA 교역액은 2007 년 1~11 월 164억 달러에 달해 2006 년 79억 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함 보화영도(PWC 차이나)의 융자middotM ampA 의 총책임자인 쟈오량(趙亮)에 의하면 중국의 해외 MampA 는 2011 년에는 2006 년의 10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2007 년 외국투자자의 중국기업 MampA 감소

18

- lsquo亞洲收購與兼倂(아시아 MampA)잡지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2007 년 1~11 월 외국의 전략투자자의 중국 MampA 교역량은 339건으로 교역액은 166억 달러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6 27 감소했다고 밝힘

- 이는 2006 년 4 월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MampA 대상 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가 MampA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규범화돼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중국 정부는 20006 년 8 월 중국 상무부middot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세무총국middot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middot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외환관리국 령으로 lsquo關于外國投資者倂購境內企業的規定(외국투자자의 중국 경내 기업 M ampA 에 관한 규정)rsquo을 발표했으며 2007 년 8월에는 lsquo中華人民共和國反壟斷法(중화인민공화국 반독점법)rsquo이 발표를 통해 기업인수합병에 관한 내용을 규정

시사점 중국 정부의 선별적 투자유치로의 정책 전환과 노동력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은 생산형 투자의 어려움 중국 내수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판매 유통 채널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효율적인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 금융업 개방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 국유기업 개혁 지속 및 민영기업의 빠른 발전으로 MampA 의 기회가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됨

자료원 全國工商聯倂購公會(wwwma-chinacom) 경제관찰보 국제상보 중국증권보 등 종합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 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해외투자진출을 통한 통상마찰 완화 효과 기대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통해 반덤핑 조치 회피 ㅇ 2007 년 말 중국 상무부는 해외공업단지인 ldquo경외경제무역합작구(이하 「합작구」)rdquo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 결과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건설하는 11 개 프로젝트를 신규 허가함 ㅇ 중국의 해외 합작구 설립추진은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완화하면서 막대한 보유 외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임

ㅇ 합작구는 다양한 우대조치가 적용되고 있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합작구 설립을

추진하는 중국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중국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피하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정부의 우대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합작구로 진출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으로 보임

합작구 설립배경 ㅇ 중국산 섬유 어패럴 가전 철강제품 등에 대한 구미의 반덤핑 조사가 매년 증가하자 중국은

반덤핑조사로 인한 통상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국가를 경유해 제 3 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함

- 중국과 인접한 국가 중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곳에 설립된 공업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 3국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낮은 물류 비용으로 반덤핑 조치를 피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19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4: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최근 3 년간 중국진출 주요국 다국적기업의 중국내 영향력 종합득점률 변화추이를 보면 미국기업의 2007 년 득점률이 459 로 2006 년에 비해 20 상승하고 유럽기업의 득점률은 ▷183(2005 년) ▷226(2006 년) ▷254(2007 년)로 최근 3 년간 뚜렷한 상승세를 보임

- 중국기업도 2005 년 13 에서 2006 년에는 116 으로 급성장했으며 2007 년 득점률도 117 로 2006 년보다 다소 증가했으나 일본기업과 한국기업은 2005 년부터 영향력 종합득점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함

최근 3 년간 중국내 다국적기업 종합평가득점률 변화추이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미국계 기업 1 위 자리 지켰으나 제품이미지 등 외부평가 하락 지난해 평가지표를 종합해 보면 미국계 기업의 종합득점률이 459 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유럽계 기업(254) ▷중국기업(117) ▷일본계 기업(115) ▷한국계 기업(32) ▷홍콩계 기업(15) ▷대만계 기업(11)순으로 나타남

- 미국계기업과 유럽계기업은 종합평가뿐만 아니라 전체 지표면에서도 수위를 차지했으며 중국내자기업과 일본계기업이 지표별로 3~4 위를 두고 각축을 벌임

- 한국계기업은 모든 개별지표에서 5 위를 차지했고 뒤를 이어 홍콩기업middot대만기업의 순으로 나타남

2007 년 중국내 다국적기업의 중국내 영향력 지표별 평가결과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4

미국계 기업의 최근 3 년간 중국내 영향력 평가결과 추이를 보면 리더십middot리스크관리middot관리체제 등 내부관리요소의 득점률이 다소 상승하거나 2006 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공공관계middot회사이미지middot제품이미지 등 외부이미지는 2006 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하락함

- 중국내 미국계기업중에는 중국진출 선발기업이 많으며 미국계기업이 다른 외국계 기업에 비해 기업내부관리나 리스크 대처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이번 조사에서도 미국계 기업의 리스크 관리 관리체제 리더십의 득점률이 각각 504 과 485 472 로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제품이미지는 437 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최근 3 년간 중국내 미국계 기업의 영향력 지표별 득점률 변화추이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유럽계 기업 최근 3 년간 꾸준히 상승 미국계 기업의 뒤를 이어 2 위의 자리를 지켜온 유럽계 기업은 최근 몇년간 중국내 영향력이 꾸준히 상승함

- 각 지표별 평가결과 최근 3 년간 유럽계 기업은 제품이미지middot회사이미지middot친화력 등 외부이미지 요소에 대한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상승한 반면 기업문화middot공공관계 등 내부관리요소 상승세는 다소 주춤한 것으로 분석됨

- 2007 년 평가결과 중 지표별 제품이미지와 회사이미지의 평가지수는 각각 276 과 275 로 1 2위를 차지했으며 기업문화는 220 점으로 각 지표중 가장 낮게 나타남

- 중국진출 유럽계기업은 기업전략 수립면에서 신중하고 체계화된 진출전략을 갖고 있으며 중국인들과의 의사소통면에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최근 3 년간 중국내 유럽계 기업의 영향력 지표별 득점률 변화추이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일본계 기업 리더십ㆍ인력자원 영향력 크게 하락 일본계 기업의 국가별 순위는 2006 년 3 위에서 2007 년 4 위로 밀려나는 등 최근 몇 년간

중국내 영 향력이 지속적으로 하락했으며 특히 리더십middot인력자원면에서 영향력이 크게 하락함

5

- 그러나 지표별 득점률면에서는 인력자원이 126 으로 다른 지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다음으로 제품이미지가 124 기업문화가 122 로 각각 2 3 위를 차지한 반면 친화력middot공공관계middot기업이미지는 각각 104 과 101 101 로 낮게 나타남

- 일본이 중국과의 역사문제로 인해 일본기업들이 외부이미지 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한다는 분석도 있으나 일본기업이 현지 경영방식면에서 현지인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음

한국계 기업 내부관리에 비해 제품이미지나 회사이미지 평가 낮아 중국내 한국계 기업은 지표별 영향력이 전반적으로 낮게 평가됐으며 기업영향력이 최근 3 년간

지속적으로 하락함 평가지표별로는 올해 관리체제 기업문화 시장경쟁력 득점률이 각각 36 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공공관계 친화력 기업이미지는 모두 3 점미만으로 낮은 수준에 그침 - 한국계기업은 중국진출 후발기업으로서 최근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내부관리체계나 기업경쟁력 확보에 중점을 두면서 공공관계 친화력 등 외부이미지 개선에다소 미흡했던 것으로 분석됨

2007 년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지표별 영향력 득점률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한국계 기업 영향력 2005 년이후 연속 3 년째 하락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종합평가득점률은 2004 년 39 에서 2005 년 48 로 증가했으나 이후 ▷

32(2006 년) ▷30(2007 년)으로 하락함 - 평가지표중 기업이미지 제품이미지와 친화력 공공관계의 득점률이 2005 년부터 꾸준히

하락한 반면 기업문화 관리체제는 2006 년에 비해 소폭상승하면서 2005 년 득점률에 근접함 - 전체 지표중에서는 기업이미지의 득점률이 22 로 가장 낮게 나타남

최근 3 년간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영향력 지표별 득점률 변화추이

6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중국계 기업 2007 년 국별 순위 3 위 자리매김 중국기업의 영향력 평가순위는 2006 년 4 위에서 2007 년에는 3 위로 한단계 상승했으며

지표별로는 기업문화와 기업이미지가 2006 년에 비해 크게 상승함 - 이번 조사에서 중국계 기업이 외국계 기업과 비교해 개선해야 하는 분야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376가 관리체제를 완비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고 기술력을 제고해야 한다는 응답도 전체의 369로 2 위를 차지함

- 이외에도 자금력 개선(210) 영업방식개선(186) 브랜드 이미지 제고(177) 인재양성(171) 순으로 나타남

- 마케팅 방식 제고와 마케팅 채널 다변화 이외의 항목의 경우 개선필요성을 지적한 응답자가 2006 년에 비해 감소해 전반적으로 지난해 중국인들은 2006 년에 비해 자국기업의 경영방식이 개선됐다고 평가함

중국기업이 외국계 기업에 비해 개선해야 하는 분야

주 복수응답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자료원 중국 호라이즌 그룹

3 경제 무역

7

中 물가 급등이 임금인상 기폭제 되나- 연내 lsquo임금 인상 시스템rsquo 마련되면 진출기업 경영비용 부담 될 듯 -

김윤희 상하이무역관

aleakotraorkr

lsquo임금인상시스템rsquo 연내 마련 예정 ㅇ 중국 노동사회보장부는 2008 년 내 lsquo임금조례rsquo 제정을 주요 업무로 확정됨 관련 전문가는 직원

임금 인상과 체불임금 지급보장 문제에 관한 중요한 조치가 될 것으로 예상됨 - lsquo임금 조례rsquo가 제정되면 임금이 물가상승폭에 따라 인상되도록 시스템을 마련할 가능성이 높음 ㅇ 이에 따라 최근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는 중국 내 물가상승은 각지 최저 임금인상을 큰 폭으로 올리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임

중국 물가상승률 추이()

자료원 중국국가통계국 물가 급등에 따라 각 지방정부 잇달아 임금 인상 ㅇ 광둥성 노동발전보장청은 지난 20 일 4 월 1 일부터 최저임금을 재인상할 것이라고 발표함 - 재인상된 최저임금 기준은 각각 860 위앤월 770 위앤월 670 위앤월 580 위앤월 530

위앤월 등 5 개 등급으로 차등화 했으며 평균 상승폭은 129임 - 광둥성 노동보장청 관계자는 경제발전middot취업middot물가 수준 등을 고려해 최저임금 인상 폭을 결정한

것이라고 밝힘

8

ㅇ 지난 19 일 1 월 소비자 물가가 71 상승해 11 년 이래 최고를 기록하자 같은 날 장쑤성은 각 시middot현급에서 집행하는 새로운 최저임금 등급을 발표middot공포했으며 이 가운데 5 개현은 최저임금 등급을 기존 2 등급(620 위앤월)에서 1 등급(850 위앤월)으로 상향조정해 최저 임금 수준이 230 위앤 상승함

ㅇ 2007 년 말까지 중국 27 개 성 최저임금이 인상됐으며 대부분 10 이상의 인상률이 보이고

있음 장씨성 일부 지역은 인상 폭이 50를 넘기도 함 - 2004 년 3 월에 수정된 lsquo최저임금규정rsquo에 따르면 최저 임금은 2 년에 한 차례 조정되도록 돼

있는데 쓰촨성은 4 년 연속 최저임금을 인상하고 있는 등 각지의 최저임금 인상이 잇따르고 있음

CPI 와 임금인상 연동해야 한다는 논의 뜨거워 ㅇ 지난해 상반기부터 CPI(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곡선을 그리며 하반기부터 연속해서 11 년

만에 최고 기록을 갱신하는 물가 급등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물가에 비상이 걸리자 lsquoCPI 와 연동된 임금인상 시스템rsquo을 마련해야 한다는 논의가 나오고 있음

ㅇ 중국 내 노무 전문가는 물가상승 지수를 임금 상승 법정 지표로 삼아야 한다며 임금 인상이

물가 급등으로 상쇄되지 않도록 하고 근로자의 실질 임금이 하락하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함

임금인상 시스템 진출기업 경영에 부담될 듯 ㅇ 지역별 최저 임금을 인상하는 한편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임금 인상 시스템이 연내에 마련될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임 - lsquo임금 조례rsquo 현재 초안이 마련된 상태이며 공청회를 거쳐 국무원 상무회의에 심의를 요청할

예정임 ㅇ 지난해부터 우대세금 축소middot노무비용 상승middot위앤화 절상middot원자재 가격 등 각종 경영비용 상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진출기업에 임금 인상 시스템 마련은 또 다른 압박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상해증권보 참고자료

9

2006~08 년 지역별 최저임금 및 2007 년 임금가이드라인 (단위 위앤 )

지역 2006 년 2007 년 2008 년임금가이드라인

기준율 상한선

北京 640 730 95 145天津 670 650 740720 14 22河北 580 540 480 440 14 20山西 550 510 470 430 610570530490 10 18內蒙古 560 520 460 400 遼寧 590 480 420 12 19吉林 510 460 410 650600550

黑龍江 620 590 475 450420 400380

上海 750 840 9 12江蘇 750620520 850700590 浙江 750670620540 850750700620 10 15

安徽 520500460430390360 560540500460420390(등급축소) 13 18

福建 650600570550480 750700650570480

江西 360330300270 510480450420390(등급확대)

山東 610540480430390 16 24河南 480400320 650550450 18 20湖北 460400360320280 580500460420380 湖南 600500480450420400 635500530480460440

廣東 780690600500450 860770670580530 103 15

廣西 500435390345 海南 580480430 650550450 重慶 580480440

四川 580510450400 650550450(등급 축소) 145 205

貴州 550500450 650600550 15 20雲南 540480420 13 19西藏 495470445 陝西 540500460420 甘肅 430400360320 靑海 460450440 10 15寧夏 450420380 560530490 13 17

10

新疆 670620580550520500480 460440 12 15

大連 650600500 11 17厦門 600550480 750700(등급축소) 深圳 810700 850750 10 15

자료원 베이징 무역관에서 정리한 내용 2008 년 최근 수치 업데이트

中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반입물품 수출관세 면제- 생산기업 대상 2 월 15 일부터 실시 -

김명신 베이징 무역관

clairekotraorkr

주요 내용 중국 국무원관세세칙위원회는 지난 2 월 4 일 lsquo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된 일부품목의

수출관세를 징수하는 않는 것에 관한 통지rsquo(關于對部分進入海關特殊監管區域的産品不徵收出口關稅的通知)를 발표하고 2 월 15 일부터 총 95 개 철강제품(HS Code 8 단위 기준)에 대한 수출관세를 면제함

- 통지문에 따르면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을 건설하거나 구역내 기업의 공장건물을 건설하는데 사용되는 기초건설물자를 해당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할 경우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그러나 이 기초건설물자가 특수감독관리구역으로부터 수출되는 것은 불가하며 특수구역내 미사용분은 해관 감독관리하에 구역외지역으로 반출되어야 함

- 해외로부터 특수구역내 반입된 기초건설물자가 중국내 특수구역외 지역으로 운반될 경우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관련 규정에 따라 통관 및 세금납부수속을 거쳐야 함

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해 구역내

반입할 경우에도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용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했으나 실질적인 가공을

하지 않은 경우 보세물류 창고저장 무역업체 등 구역내 비생산기업에 전입시키거나 판매 직접 반출 또는 보세방식으로 반출할 수 없음

-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은 원부자재가 실질적 가공을 거치지 않고 중국내 특수감독관리외지역으로 판매될 경우 규정에 따라 수입관세와 수입부가가치세가 부과됨

이번 수출관세 면세정책은 보세가공능력이 있는 수출가공구 보세항 종합보세구

주하이ㆍ마카오공업구(주하이원구) 중국-카자흐스탄국제변경협력센터 중국구역 등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에만 적용되며 중국내 비생산기업이 아래 리스트의 원자재를 구매할 경우 에는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을 수 없음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대상 수출관세 면제품목

순서 HS Code 품목명

1 72051000생철 경철 및 철강과립

2 72081000 도안을 압연한 열연코일

3 72082500두께ge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11

4 72082610항복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5 720826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6 72082710두께<1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7 720827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8 72083600두께>10인 기타 열연코일

9 72083700475le두께le10인 기타 열연코일

10 720838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1 720838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2 72083910두께<15인 기타열연코일

13 720839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14 72084000압연해 요철무늬가 있는 열연비코일

15 72085110두께>50인 기타 열연비코일

16 72085120두께>20이나 50를 초과하지 않는 기타 열연비코일

17 72085190 기타 두께>10인 기타 열연비코일

18 72085200475le두께le10인 열연비코일

19 720853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0 72085390 기타 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1 72085410두께<15인 열연비코일

22 72085490 기타 두께<3인 열연비코일

23 72089000 기타 열연강철 또는 비합금강 넓은 판재

24 72111300 무늬를 압연하지 않고 네면을 압연해 만든 압연비코일

25 72111400두께ge475인 기타열연판재

26 72111900 기타 열연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7 72112300냉연 카본함유량<025인 판재

28 72112900냉연 기타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9 72119000냉연 강철 또는 비합금 기타 좁은 판재

30 72121000 도금하거나 주석을 바른 비합금강 좁은 판재

31 721220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2 7212300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강철 좁은 판재

33 72124000 도료를 칠하거나 플라스틱을 칠한 철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4 72125000칠하거나 도금한 기타 재료철 또는 비함금강 좁은 판재

35 72126000덮어씌운 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6 72131000 무늬를 압연한 열연와이어로드

37 72132000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제 열연 와이어로드

38 72139100 직경<14인 둥근 절단면의 기타 열연 와이어 로드

39 72139900 기타 열연와이어로드

40 72142000열가공한 무늬를 압연제작한 로드 대41 72143000열가공해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

12

42 72149100열가공한 기타 직사각형 절단명의 로드 대43 72149900열가공한 기타 로드 대44 72151000냉가공한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45 72155000냉가공하거나 냉각해 형성한 기타 로드 대46 72159000 철강 및 비합금강의 기타 로드 대47 72161010 절단면 높이<80인 H 형강

48 72161020 절단면 높이가 80보다 적은 아이형 강

49 72161090 절단면 높이<80인 U 형강

50 72162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L 형강

51 721622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T 형강

52 72163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ge80인 조형강

53 72163210 절단면 높이가 200이상인 아이형 강

54 72163290열가공 절단면 높이가 ge80인 아이형강

55 72163311 절단명 높이가 800이상인 H 형강

56 72163319 절단면 높이가 ge200인 H 형강

57 72163390 기타 절단면 높이가 ge80인 H 형강

58 72164010열가공한 절단면높이가 ge80인 L 형강

59 72164020열가공한 절단면 높이가 ge80인 T 형강

60 72165010열가공한 Z 형강

61 72165090열가공한 기타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2 72166100냉가공한 판재로 제작된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3 72166900냉가공한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4 72169100냉가공한 기타 판재로 만든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5 72169900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6 72171000 도금하지 않거나 도료를 바르지 은 철강 또는 비합금강 철사

67 72172000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철 또는 비합금강 철사

68 72173010 도금하거나 동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69 72173090 도금하거나 기타 저급 금속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70 72179000 기타 강철사 또는 비합금 강철사

71 721913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2 721913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3 72191329두께가 3이상이나 475보다 작은 염산세척한 기타 스테인리스 와이어판

74 721914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두께<3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5 721914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두께<3인 망간크롬계열 스테인리스

76 722591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금합금강 넒은 평판압연재

77 72259200 기타 도금 또는 아연을 바른 기타 합금강 넓은 판재

13

78 72259910 폭ge600인 고속강평판압연재

79 72259990 폭ge600인 기타합금강 평판압연재

80 72269200 폭<600인 냉연 기타 합금강판재

81 7226991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합금강 좁은 평판압연재

82 7226992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기타합금강 좁음 판재

83 72272000 실리콘망간강의 열연 와이어로드

84 72282000 기타 실리콘망간강의 로드 대85 72286000 기타 합금강 로드 대86 73053100 상하방향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7 73053900 기타 방법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8 73059000 이름을 나열할 수 없는 원형 절단면의 조강강철관

89 73063000 기타 철강 또는 비합금 강 원형 절단면의 용접관

90 73064000 스테인리스강 기타 원형 절단면의 가는 용접관

91 73065000 기타 합금강의 원형 절단면 가는 용접관

92 73066100 직사강형 또는 정사각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3 73066900 기타 비원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4 76041010 비합금 로드 대95 76042910알루미늄 합금 로드 대 자료원 중국 재정부

中 3 월 1 일부터 월 개인소득세공제기준 2000 위앤으로 상향 조정 - 2005 년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 1 차 수정 이후 두 번째 -

- 추가공제기준 조정 등 총 일곱 군데 수정 -

김명신 베이징무역관clairekotraorkr

중국 개인소득세법실시조례 2 차 수정 중국 국무원은 지난 2 월 18 일 lsquo국무원이 중국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를 수정하는데 관한 결정rsquo

(國務院關于修改中華人民共和國個人所得稅法實施條例的決定)(국무원령 519 호)을 발표해 3월 1 일부터 시행에 들어감

중국은 1994 년 1 월 28 일부터 실시한 중국 기업소득세법실시조례(국무원령 142 호)를 지난

2005 년 말 대대적으로 수정(국무원령 452 호)해 2006 년 1 월 1 일부터 실시해 왔으며 소득증가 등 소득세 징수환경이 변화하면서 최근 2 차 수정을 단행함

주요 변경내용 이번 개인소득세법 2 차 수정에서는 개인소득세 공제기준이 월 1600 위앤에서 2000 위앤으로

400 위앤 상향조정된 반면 추가공제비용 기준은 기존 3200 위앤에서 2800 위앤으로 하향조정됨

14

이외에도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서 기존에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을 인정했으나 이번 2 차 수정결정문은 이외에도 lsquo기타 형식의 경제이익rsquo을 추가인정함

특정업종에 대한 범위도 다소 확대돼 기존에는 세법 제 9 조 두 번째 단락이 지칭하는

특정업종이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중국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이었으나 이번 수정결정문에는 특정 업종에 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업종도 추가됨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2 월 18 일 발표된 개인소득세실시조례 수정에 대해 지난 2 월 20 일 각

지방세무국에 lsquo개인소득세 임금급여소득 공제비용표준정책연결문제에 관한 통지rsquo(關于個人所得稅工資薪金所得減除費用標準政策銜接問題的通知)를 하달 3 월 1 일부터 월 소득공제기준을 2000 위앤으로 조정 실시하도록 조치함

- 납세자가 3 월 1 일전에 실제 취득한 임금 급여소득에 대해서는 세액이 3 월 1 일 이후에 납부된다 하더라도 월 1600 위앤의 공제비용기준이 적용됨

중국 개인소득세실시조례내용 변경 전후 비교

순서 구분(조항) 변경 전 변경 후

1소득형태 확대

(제 10 조)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

유가증권을 포함함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과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을 포함함 그중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은

시장가격에 따라 과세소득액을 산정함

2비용공제

기준 상향 조정(제 18 조)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1600 위앤임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 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2000 위앤임

3추가공제

기준(제 27 조)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16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20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4추가공제

적용대상자(제 28 조제 4항)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기타 재정부가 규정하는 자가 포함됨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

인원이 포함됨

5추가공제비용표준 하향조정(제 29 조)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3200 위앤임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2800 위앤임

6특정업종 범위 확대(제 40 조)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기타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임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수업middot원양어업 및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확정한

기타 업종임

7 조항삭제(제 48 조)

본 조례의 해석은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이 공동으로 함 삭제

15

자료원 국무원 판공실

lsquo저우추취rsquo 돋보인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 활발해지고 외국투자자의 중국 MampA 줄어 -

- 중국기업의 해외 MampA 발걸음 거세져 -

이영준 청두무역관ctuktckotraorkr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중국 10 대 MampA 사건은 全國工商聯倂購公會(China Mergers amp Acquisitions Association

CMAA) 全球倂購硏究中心(세계 MampA 연구중심) 中國倂購交易網(wwwmergers-chinacom)이 주관해 2001 년부터 공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하고 있으며 MampA 관련 영향력 있는 행사 중의 하나임

프랑스 다농(Danone)의 와하하(娃哈哈) 합병 쟁의 - 2007 년 4 월 매체를 통해 알려졌으며 프랑스 다농 그룹이 40억 위앤을 투자해 와하하 산하 10

여 개의 비(非)합자회사의 51의 지분을 인수하고자 함 10 여 개의 비합자회사의 자산 총액은 56억 위앤 2006 년 순이익은 10억 4000 만 위앤에 달함

- 다농의 합병 시도는 와하하의 중국 측 주주에 의해 저지됐으며 이는 이후 외자기업의 반독점

문제 민족 브랜드 보호문제에 대한 쟁의를 불러일으킴 중국이동통신(China Telecom) 파키스탄 통신 운영상 Millicom 사 인수 - 중국이동통신은 2007 년 4 월 28 일 발표를 통해 2 개월에 걸쳐 21억 3000 만 위앤(2억 8400

만 달러)를 투자해 룩셈부르크사의 Millicom 사가 가지고 있는 파키스탄 Paktel 사의 8886 지분을 인수했으며 나머지 1114의 주식을 인수하겠다는 협의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함

- 이번 인수는 중국이동통신의 전략적 해외기업 인수 사례로 중국 전신 운영업체의 lsquo저우추취rsquo

전략의 중요한 돌파구 마련한 계기가 됨 중국투자공사 미국 Blackstone Group 지분 참여 - 2007 년 5 월 22 일 중국투자공사 설립 준비(당시 lsquo國家外匯投資公司rsquo) 중 中央匯金公司의

자회사인 中國建銀投資公司는 Blackstone Group 에 225억 위앤(30억 달러)를 투자해 Blackstone Group 이 전 세계에 공개 발행한 주식 중 약 10 정도를 구매했으며 4 년간 보유하는 조건임

- 이는 중국투자공사의 해외 첫 번째 투자로써 중국의 거대한 외환보유량을 줄이고 외화 보유의

다원화를 촉진하는 의미있는 투자임 - 중국투자유한책임공사는 외화자금 전문 투자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늘어나는

외환보유고를 이용해 국제 금융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2007 년 9 월 29 일 정식 설립됨 중국국가개발은행 영국 Barclays Bank 투자

16

- 2007 년 7 월 23 일 중국국가개발은행은 영국의 Barclays Bank 는 협의를 통해 217억 5000만 위앤(14억 5000 만 파운드)에 달하는 2014억 보통주를 획득했으며 지분 비율은 31임 이는 중국국가개발은행의 상업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협력으로 간주하고 있음

중국공상은행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은행인 Standard Bank 투자 - 2007 년 10 월 25 일 중국공상은행은 409억 5000 만 위앤(54억 6000 만 달러)를 투자해

남아프리카공화국 Standard Bank 의 20 지분을 인수하여 이 은행의 최대 주주가 됨 이는 중국공상은행의 주식상장 이후 최대 해외 투자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최대 FDI 로 기록됨

중국항공업 동방항공 인수 경쟁 - 2007 년 9 월 초 싱가포르 항공과 싱가포르 국영투자회사인 TAMASEK 은 중국동방항공의 24

지분을 인수함 이 때문에 AIRCHINA 는 Cathay Pacific Airways 와 연합해 동방항공의 홍콩상장 주식을 늘리는 등 동방항공 인수전에 뛰어듦

- 그러나 중국 3 대 항공사의 대주주인 lsquo중국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rsquo의 제지와 항공업 관련

부문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함 중신증권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와 주식교환 - 2007 년 10 월말 중신증권은 발표를 통해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중신증권과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는 각각 75억 위앤(10억 달러)를 출자하여 주식교환을 실시했으며 40 년 만기의 전환가능 우선주를 획득하였다고 발표함

- 이 주식 수는 Bear Sterns 사의 총주식의 6에 상당하는 규모임 양사는 홍콩에 합자회사를

설립하고 양사의 아시아 지역 업무를 통합하기로 함 중신증권은 중국 국내 증권사중 최초로 해외투자은행의 주식을 인수한 증권사가 됨

세계 제 1 의 철강기업 아르셀로 미탈 철강회사 중국동방집단 인수 시도 - 2007 년 11 월 8 일부터 아르셀로 미탈은 두 차례에 걸쳐 홍콩에 상장된 중국동방집단의 1

대주주와 2 대주주의 주식 약 127억 5000 만위앤(17억 달러)에 달하는 73의 지분 인수를 통해 중국동방집단의 경영을 장악하고자 햇으나 홍콩증권감독위원회의 개입으로 1 차 구매부터 무산됨

- 만약 동 거래가 성사됐을 경우 외국자본이 중국 국내 철강기업을 합병하는 최초의 사례가 됐을

것으로 중국 국내 철강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사건으로 기록됨 중국평안보험 포르티스(Fortis) 지분 획득 - 2007 년 11 월 28 일 중국 제 2 위의 생명보험사인 중국평안보험(Ping An Insurance)과 유럽middot

미국에서 보험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포르티스 그룹은 MOU 체결을 통해 포르티스 그룹의 주식 418에 해당하는 9501 만 주를 인수하기로 함

- 인수가격은 195억 5000 만 위앤(18억 1000 만 유로)로 이로써 평안은 포르티스의 최대 단일

주주가 됨 이는 중국 보험사가 최초로 세계 금융 서비스 그룹에 투자한 사례이며 중국 국내 보험업계의 최대 해외투자로 기록됨

중국국가전망 필리핀 전력망 운영권 획득

17

- 2007 년 12 월 12 일 중국 최대 국유 전력회사인 중국국가전망은 약 296억 위앤(39억 5000만 달러)을 투자해 향후 25 년간의 필리핀 전력망 경영권을 획득함 이는 중국 국가전망의 최대 해외투자임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의 특징 해외진출 두드러져 중국의 2007 년 10 대 MampA 사건에 선정된 사례를 보면 10건 모두 국가 간의

기업인수합병으로 7건은 중국기업이 해외에 투자한 대표적인 사례이며 3건은 외국기업이 중국 본토기업에 투자한 사례임 이는 중국기업의 lsquo저우추취rsquo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현재 이뤄지고 있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주로 자원middot브랜드middot각종 산업 채널확보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lsquo저우추취rsquo전략으로 해외 투자의 발걸음은 더욱 거세지고 있음

또한 10 개의 사례 중 5 개의 사례가 금융업의 MampA 사례로 중국 금융업계의 해외진출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

특히 중국정부는 무역수지 흑자를 통해 늘어나는 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등 외화 활용의 다원화를 시도하고 있음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 간 MampA 활발히 진행 2007 년 12 월 18 일 발표된 PWC(Price Waterhouse Coopers) 차이나의 lsquo企業倂購歲末回顧與展望(MampA 연말회고와 전망)rsquo 보고에 따르면 2007 년 1~11 월 중국 전체 MampA 교역량(해외시장 제외)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700 여 건으로 거래금액은 25 증가한 8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내자기업 간의 전략적 MampA 교역량은 전년대비 45 증가했으며 거래금액도 53 증가한 506억 달러에 달해 외자기업 중국투자금액의 2배에 달한다고 밝힘

- 2006 년 이전에는 외자기업의 중국 직접투자가 MampA 의 증가요인이었으나 2006 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 교역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7 년에도 역시 중국 MampA 시장은 중국 본토기업간의 교역이 두드러졌다고 밝힘

- 이처럼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이 증가한 이유는 기업의 구조조정middot기업규모 확대 욕구middot

중국경제의 전면적 발전으로 M ampA 시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 개혁을 통해 급상승한 주식시장middot자본금middot은행차관 등을 통한 풍부한 유동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내자기업 간의 인수합병 지지 및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임

- 산업별로 보면 금융서비스업middot부동산middot제조업 및 채광업 등 4 대 산업에서 MampA 가 두드러진 증가추세를 보임

- 또한 사모주식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사모펀드의 MampA 는 140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했으며 금액은 106억 달러로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해외 MampA 빠르게 증가 - 중국의 해외 MampA 교역액은 2007 년 1~11 월 164억 달러에 달해 2006 년 79억 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함 보화영도(PWC 차이나)의 융자middotM ampA 의 총책임자인 쟈오량(趙亮)에 의하면 중국의 해외 MampA 는 2011 년에는 2006 년의 10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2007 년 외국투자자의 중국기업 MampA 감소

18

- lsquo亞洲收購與兼倂(아시아 MampA)잡지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2007 년 1~11 월 외국의 전략투자자의 중국 MampA 교역량은 339건으로 교역액은 166억 달러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6 27 감소했다고 밝힘

- 이는 2006 년 4 월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MampA 대상 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가 MampA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규범화돼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중국 정부는 20006 년 8 월 중국 상무부middot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세무총국middot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middot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외환관리국 령으로 lsquo關于外國投資者倂購境內企業的規定(외국투자자의 중국 경내 기업 M ampA 에 관한 규정)rsquo을 발표했으며 2007 년 8월에는 lsquo中華人民共和國反壟斷法(중화인민공화국 반독점법)rsquo이 발표를 통해 기업인수합병에 관한 내용을 규정

시사점 중국 정부의 선별적 투자유치로의 정책 전환과 노동력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은 생산형 투자의 어려움 중국 내수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판매 유통 채널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효율적인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 금융업 개방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 국유기업 개혁 지속 및 민영기업의 빠른 발전으로 MampA 의 기회가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됨

자료원 全國工商聯倂購公會(wwwma-chinacom) 경제관찰보 국제상보 중국증권보 등 종합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 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해외투자진출을 통한 통상마찰 완화 효과 기대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통해 반덤핑 조치 회피 ㅇ 2007 년 말 중국 상무부는 해외공업단지인 ldquo경외경제무역합작구(이하 「합작구」)rdquo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 결과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건설하는 11 개 프로젝트를 신규 허가함 ㅇ 중국의 해외 합작구 설립추진은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완화하면서 막대한 보유 외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임

ㅇ 합작구는 다양한 우대조치가 적용되고 있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합작구 설립을

추진하는 중국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중국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피하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정부의 우대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합작구로 진출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으로 보임

합작구 설립배경 ㅇ 중국산 섬유 어패럴 가전 철강제품 등에 대한 구미의 반덤핑 조사가 매년 증가하자 중국은

반덤핑조사로 인한 통상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국가를 경유해 제 3 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함

- 중국과 인접한 국가 중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곳에 설립된 공업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 3국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낮은 물류 비용으로 반덤핑 조치를 피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19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5: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미국계 기업의 최근 3 년간 중국내 영향력 평가결과 추이를 보면 리더십middot리스크관리middot관리체제 등 내부관리요소의 득점률이 다소 상승하거나 2006 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공공관계middot회사이미지middot제품이미지 등 외부이미지는 2006 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하락함

- 중국내 미국계기업중에는 중국진출 선발기업이 많으며 미국계기업이 다른 외국계 기업에 비해 기업내부관리나 리스크 대처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이번 조사에서도 미국계 기업의 리스크 관리 관리체제 리더십의 득점률이 각각 504 과 485 472 로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제품이미지는 437 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최근 3 년간 중국내 미국계 기업의 영향력 지표별 득점률 변화추이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유럽계 기업 최근 3 년간 꾸준히 상승 미국계 기업의 뒤를 이어 2 위의 자리를 지켜온 유럽계 기업은 최근 몇년간 중국내 영향력이 꾸준히 상승함

- 각 지표별 평가결과 최근 3 년간 유럽계 기업은 제품이미지middot회사이미지middot친화력 등 외부이미지 요소에 대한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상승한 반면 기업문화middot공공관계 등 내부관리요소 상승세는 다소 주춤한 것으로 분석됨

- 2007 년 평가결과 중 지표별 제품이미지와 회사이미지의 평가지수는 각각 276 과 275 로 1 2위를 차지했으며 기업문화는 220 점으로 각 지표중 가장 낮게 나타남

- 중국진출 유럽계기업은 기업전략 수립면에서 신중하고 체계화된 진출전략을 갖고 있으며 중국인들과의 의사소통면에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최근 3 년간 중국내 유럽계 기업의 영향력 지표별 득점률 변화추이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일본계 기업 리더십ㆍ인력자원 영향력 크게 하락 일본계 기업의 국가별 순위는 2006 년 3 위에서 2007 년 4 위로 밀려나는 등 최근 몇 년간

중국내 영 향력이 지속적으로 하락했으며 특히 리더십middot인력자원면에서 영향력이 크게 하락함

5

- 그러나 지표별 득점률면에서는 인력자원이 126 으로 다른 지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다음으로 제품이미지가 124 기업문화가 122 로 각각 2 3 위를 차지한 반면 친화력middot공공관계middot기업이미지는 각각 104 과 101 101 로 낮게 나타남

- 일본이 중국과의 역사문제로 인해 일본기업들이 외부이미지 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한다는 분석도 있으나 일본기업이 현지 경영방식면에서 현지인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음

한국계 기업 내부관리에 비해 제품이미지나 회사이미지 평가 낮아 중국내 한국계 기업은 지표별 영향력이 전반적으로 낮게 평가됐으며 기업영향력이 최근 3 년간

지속적으로 하락함 평가지표별로는 올해 관리체제 기업문화 시장경쟁력 득점률이 각각 36 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공공관계 친화력 기업이미지는 모두 3 점미만으로 낮은 수준에 그침 - 한국계기업은 중국진출 후발기업으로서 최근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내부관리체계나 기업경쟁력 확보에 중점을 두면서 공공관계 친화력 등 외부이미지 개선에다소 미흡했던 것으로 분석됨

2007 년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지표별 영향력 득점률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한국계 기업 영향력 2005 년이후 연속 3 년째 하락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종합평가득점률은 2004 년 39 에서 2005 년 48 로 증가했으나 이후 ▷

32(2006 년) ▷30(2007 년)으로 하락함 - 평가지표중 기업이미지 제품이미지와 친화력 공공관계의 득점률이 2005 년부터 꾸준히

하락한 반면 기업문화 관리체제는 2006 년에 비해 소폭상승하면서 2005 년 득점률에 근접함 - 전체 지표중에서는 기업이미지의 득점률이 22 로 가장 낮게 나타남

최근 3 년간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영향력 지표별 득점률 변화추이

6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중국계 기업 2007 년 국별 순위 3 위 자리매김 중국기업의 영향력 평가순위는 2006 년 4 위에서 2007 년에는 3 위로 한단계 상승했으며

지표별로는 기업문화와 기업이미지가 2006 년에 비해 크게 상승함 - 이번 조사에서 중국계 기업이 외국계 기업과 비교해 개선해야 하는 분야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376가 관리체제를 완비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고 기술력을 제고해야 한다는 응답도 전체의 369로 2 위를 차지함

- 이외에도 자금력 개선(210) 영업방식개선(186) 브랜드 이미지 제고(177) 인재양성(171) 순으로 나타남

- 마케팅 방식 제고와 마케팅 채널 다변화 이외의 항목의 경우 개선필요성을 지적한 응답자가 2006 년에 비해 감소해 전반적으로 지난해 중국인들은 2006 년에 비해 자국기업의 경영방식이 개선됐다고 평가함

중국기업이 외국계 기업에 비해 개선해야 하는 분야

주 복수응답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자료원 중국 호라이즌 그룹

3 경제 무역

7

中 물가 급등이 임금인상 기폭제 되나- 연내 lsquo임금 인상 시스템rsquo 마련되면 진출기업 경영비용 부담 될 듯 -

김윤희 상하이무역관

aleakotraorkr

lsquo임금인상시스템rsquo 연내 마련 예정 ㅇ 중국 노동사회보장부는 2008 년 내 lsquo임금조례rsquo 제정을 주요 업무로 확정됨 관련 전문가는 직원

임금 인상과 체불임금 지급보장 문제에 관한 중요한 조치가 될 것으로 예상됨 - lsquo임금 조례rsquo가 제정되면 임금이 물가상승폭에 따라 인상되도록 시스템을 마련할 가능성이 높음 ㅇ 이에 따라 최근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는 중국 내 물가상승은 각지 최저 임금인상을 큰 폭으로 올리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임

중국 물가상승률 추이()

자료원 중국국가통계국 물가 급등에 따라 각 지방정부 잇달아 임금 인상 ㅇ 광둥성 노동발전보장청은 지난 20 일 4 월 1 일부터 최저임금을 재인상할 것이라고 발표함 - 재인상된 최저임금 기준은 각각 860 위앤월 770 위앤월 670 위앤월 580 위앤월 530

위앤월 등 5 개 등급으로 차등화 했으며 평균 상승폭은 129임 - 광둥성 노동보장청 관계자는 경제발전middot취업middot물가 수준 등을 고려해 최저임금 인상 폭을 결정한

것이라고 밝힘

8

ㅇ 지난 19 일 1 월 소비자 물가가 71 상승해 11 년 이래 최고를 기록하자 같은 날 장쑤성은 각 시middot현급에서 집행하는 새로운 최저임금 등급을 발표middot공포했으며 이 가운데 5 개현은 최저임금 등급을 기존 2 등급(620 위앤월)에서 1 등급(850 위앤월)으로 상향조정해 최저 임금 수준이 230 위앤 상승함

ㅇ 2007 년 말까지 중국 27 개 성 최저임금이 인상됐으며 대부분 10 이상의 인상률이 보이고

있음 장씨성 일부 지역은 인상 폭이 50를 넘기도 함 - 2004 년 3 월에 수정된 lsquo최저임금규정rsquo에 따르면 최저 임금은 2 년에 한 차례 조정되도록 돼

있는데 쓰촨성은 4 년 연속 최저임금을 인상하고 있는 등 각지의 최저임금 인상이 잇따르고 있음

CPI 와 임금인상 연동해야 한다는 논의 뜨거워 ㅇ 지난해 상반기부터 CPI(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곡선을 그리며 하반기부터 연속해서 11 년

만에 최고 기록을 갱신하는 물가 급등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물가에 비상이 걸리자 lsquoCPI 와 연동된 임금인상 시스템rsquo을 마련해야 한다는 논의가 나오고 있음

ㅇ 중국 내 노무 전문가는 물가상승 지수를 임금 상승 법정 지표로 삼아야 한다며 임금 인상이

물가 급등으로 상쇄되지 않도록 하고 근로자의 실질 임금이 하락하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함

임금인상 시스템 진출기업 경영에 부담될 듯 ㅇ 지역별 최저 임금을 인상하는 한편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임금 인상 시스템이 연내에 마련될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임 - lsquo임금 조례rsquo 현재 초안이 마련된 상태이며 공청회를 거쳐 국무원 상무회의에 심의를 요청할

예정임 ㅇ 지난해부터 우대세금 축소middot노무비용 상승middot위앤화 절상middot원자재 가격 등 각종 경영비용 상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진출기업에 임금 인상 시스템 마련은 또 다른 압박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상해증권보 참고자료

9

2006~08 년 지역별 최저임금 및 2007 년 임금가이드라인 (단위 위앤 )

지역 2006 년 2007 년 2008 년임금가이드라인

기준율 상한선

北京 640 730 95 145天津 670 650 740720 14 22河北 580 540 480 440 14 20山西 550 510 470 430 610570530490 10 18內蒙古 560 520 460 400 遼寧 590 480 420 12 19吉林 510 460 410 650600550

黑龍江 620 590 475 450420 400380

上海 750 840 9 12江蘇 750620520 850700590 浙江 750670620540 850750700620 10 15

安徽 520500460430390360 560540500460420390(등급축소) 13 18

福建 650600570550480 750700650570480

江西 360330300270 510480450420390(등급확대)

山東 610540480430390 16 24河南 480400320 650550450 18 20湖北 460400360320280 580500460420380 湖南 600500480450420400 635500530480460440

廣東 780690600500450 860770670580530 103 15

廣西 500435390345 海南 580480430 650550450 重慶 580480440

四川 580510450400 650550450(등급 축소) 145 205

貴州 550500450 650600550 15 20雲南 540480420 13 19西藏 495470445 陝西 540500460420 甘肅 430400360320 靑海 460450440 10 15寧夏 450420380 560530490 13 17

10

新疆 670620580550520500480 460440 12 15

大連 650600500 11 17厦門 600550480 750700(등급축소) 深圳 810700 850750 10 15

자료원 베이징 무역관에서 정리한 내용 2008 년 최근 수치 업데이트

中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반입물품 수출관세 면제- 생산기업 대상 2 월 15 일부터 실시 -

김명신 베이징 무역관

clairekotraorkr

주요 내용 중국 국무원관세세칙위원회는 지난 2 월 4 일 lsquo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된 일부품목의

수출관세를 징수하는 않는 것에 관한 통지rsquo(關于對部分進入海關特殊監管區域的産品不徵收出口關稅的通知)를 발표하고 2 월 15 일부터 총 95 개 철강제품(HS Code 8 단위 기준)에 대한 수출관세를 면제함

- 통지문에 따르면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을 건설하거나 구역내 기업의 공장건물을 건설하는데 사용되는 기초건설물자를 해당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할 경우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그러나 이 기초건설물자가 특수감독관리구역으로부터 수출되는 것은 불가하며 특수구역내 미사용분은 해관 감독관리하에 구역외지역으로 반출되어야 함

- 해외로부터 특수구역내 반입된 기초건설물자가 중국내 특수구역외 지역으로 운반될 경우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관련 규정에 따라 통관 및 세금납부수속을 거쳐야 함

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해 구역내

반입할 경우에도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용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했으나 실질적인 가공을

하지 않은 경우 보세물류 창고저장 무역업체 등 구역내 비생산기업에 전입시키거나 판매 직접 반출 또는 보세방식으로 반출할 수 없음

-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은 원부자재가 실질적 가공을 거치지 않고 중국내 특수감독관리외지역으로 판매될 경우 규정에 따라 수입관세와 수입부가가치세가 부과됨

이번 수출관세 면세정책은 보세가공능력이 있는 수출가공구 보세항 종합보세구

주하이ㆍ마카오공업구(주하이원구) 중국-카자흐스탄국제변경협력센터 중국구역 등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에만 적용되며 중국내 비생산기업이 아래 리스트의 원자재를 구매할 경우 에는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을 수 없음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대상 수출관세 면제품목

순서 HS Code 품목명

1 72051000생철 경철 및 철강과립

2 72081000 도안을 압연한 열연코일

3 72082500두께ge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11

4 72082610항복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5 720826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6 72082710두께<1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7 720827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8 72083600두께>10인 기타 열연코일

9 72083700475le두께le10인 기타 열연코일

10 720838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1 720838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2 72083910두께<15인 기타열연코일

13 720839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14 72084000압연해 요철무늬가 있는 열연비코일

15 72085110두께>50인 기타 열연비코일

16 72085120두께>20이나 50를 초과하지 않는 기타 열연비코일

17 72085190 기타 두께>10인 기타 열연비코일

18 72085200475le두께le10인 열연비코일

19 720853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0 72085390 기타 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1 72085410두께<15인 열연비코일

22 72085490 기타 두께<3인 열연비코일

23 72089000 기타 열연강철 또는 비합금강 넓은 판재

24 72111300 무늬를 압연하지 않고 네면을 압연해 만든 압연비코일

25 72111400두께ge475인 기타열연판재

26 72111900 기타 열연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7 72112300냉연 카본함유량<025인 판재

28 72112900냉연 기타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9 72119000냉연 강철 또는 비합금 기타 좁은 판재

30 72121000 도금하거나 주석을 바른 비합금강 좁은 판재

31 721220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2 7212300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강철 좁은 판재

33 72124000 도료를 칠하거나 플라스틱을 칠한 철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4 72125000칠하거나 도금한 기타 재료철 또는 비함금강 좁은 판재

35 72126000덮어씌운 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6 72131000 무늬를 압연한 열연와이어로드

37 72132000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제 열연 와이어로드

38 72139100 직경<14인 둥근 절단면의 기타 열연 와이어 로드

39 72139900 기타 열연와이어로드

40 72142000열가공한 무늬를 압연제작한 로드 대41 72143000열가공해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

12

42 72149100열가공한 기타 직사각형 절단명의 로드 대43 72149900열가공한 기타 로드 대44 72151000냉가공한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45 72155000냉가공하거나 냉각해 형성한 기타 로드 대46 72159000 철강 및 비합금강의 기타 로드 대47 72161010 절단면 높이<80인 H 형강

48 72161020 절단면 높이가 80보다 적은 아이형 강

49 72161090 절단면 높이<80인 U 형강

50 72162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L 형강

51 721622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T 형강

52 72163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ge80인 조형강

53 72163210 절단면 높이가 200이상인 아이형 강

54 72163290열가공 절단면 높이가 ge80인 아이형강

55 72163311 절단명 높이가 800이상인 H 형강

56 72163319 절단면 높이가 ge200인 H 형강

57 72163390 기타 절단면 높이가 ge80인 H 형강

58 72164010열가공한 절단면높이가 ge80인 L 형강

59 72164020열가공한 절단면 높이가 ge80인 T 형강

60 72165010열가공한 Z 형강

61 72165090열가공한 기타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2 72166100냉가공한 판재로 제작된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3 72166900냉가공한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4 72169100냉가공한 기타 판재로 만든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5 72169900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6 72171000 도금하지 않거나 도료를 바르지 은 철강 또는 비합금강 철사

67 72172000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철 또는 비합금강 철사

68 72173010 도금하거나 동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69 72173090 도금하거나 기타 저급 금속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70 72179000 기타 강철사 또는 비합금 강철사

71 721913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2 721913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3 72191329두께가 3이상이나 475보다 작은 염산세척한 기타 스테인리스 와이어판

74 721914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두께<3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5 721914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두께<3인 망간크롬계열 스테인리스

76 722591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금합금강 넒은 평판압연재

77 72259200 기타 도금 또는 아연을 바른 기타 합금강 넓은 판재

13

78 72259910 폭ge600인 고속강평판압연재

79 72259990 폭ge600인 기타합금강 평판압연재

80 72269200 폭<600인 냉연 기타 합금강판재

81 7226991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합금강 좁은 평판압연재

82 7226992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기타합금강 좁음 판재

83 72272000 실리콘망간강의 열연 와이어로드

84 72282000 기타 실리콘망간강의 로드 대85 72286000 기타 합금강 로드 대86 73053100 상하방향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7 73053900 기타 방법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8 73059000 이름을 나열할 수 없는 원형 절단면의 조강강철관

89 73063000 기타 철강 또는 비합금 강 원형 절단면의 용접관

90 73064000 스테인리스강 기타 원형 절단면의 가는 용접관

91 73065000 기타 합금강의 원형 절단면 가는 용접관

92 73066100 직사강형 또는 정사각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3 73066900 기타 비원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4 76041010 비합금 로드 대95 76042910알루미늄 합금 로드 대 자료원 중국 재정부

中 3 월 1 일부터 월 개인소득세공제기준 2000 위앤으로 상향 조정 - 2005 년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 1 차 수정 이후 두 번째 -

- 추가공제기준 조정 등 총 일곱 군데 수정 -

김명신 베이징무역관clairekotraorkr

중국 개인소득세법실시조례 2 차 수정 중국 국무원은 지난 2 월 18 일 lsquo국무원이 중국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를 수정하는데 관한 결정rsquo

(國務院關于修改中華人民共和國個人所得稅法實施條例的決定)(국무원령 519 호)을 발표해 3월 1 일부터 시행에 들어감

중국은 1994 년 1 월 28 일부터 실시한 중국 기업소득세법실시조례(국무원령 142 호)를 지난

2005 년 말 대대적으로 수정(국무원령 452 호)해 2006 년 1 월 1 일부터 실시해 왔으며 소득증가 등 소득세 징수환경이 변화하면서 최근 2 차 수정을 단행함

주요 변경내용 이번 개인소득세법 2 차 수정에서는 개인소득세 공제기준이 월 1600 위앤에서 2000 위앤으로

400 위앤 상향조정된 반면 추가공제비용 기준은 기존 3200 위앤에서 2800 위앤으로 하향조정됨

14

이외에도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서 기존에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을 인정했으나 이번 2 차 수정결정문은 이외에도 lsquo기타 형식의 경제이익rsquo을 추가인정함

특정업종에 대한 범위도 다소 확대돼 기존에는 세법 제 9 조 두 번째 단락이 지칭하는

특정업종이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중국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이었으나 이번 수정결정문에는 특정 업종에 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업종도 추가됨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2 월 18 일 발표된 개인소득세실시조례 수정에 대해 지난 2 월 20 일 각

지방세무국에 lsquo개인소득세 임금급여소득 공제비용표준정책연결문제에 관한 통지rsquo(關于個人所得稅工資薪金所得減除費用標準政策銜接問題的通知)를 하달 3 월 1 일부터 월 소득공제기준을 2000 위앤으로 조정 실시하도록 조치함

- 납세자가 3 월 1 일전에 실제 취득한 임금 급여소득에 대해서는 세액이 3 월 1 일 이후에 납부된다 하더라도 월 1600 위앤의 공제비용기준이 적용됨

중국 개인소득세실시조례내용 변경 전후 비교

순서 구분(조항) 변경 전 변경 후

1소득형태 확대

(제 10 조)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

유가증권을 포함함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과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을 포함함 그중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은

시장가격에 따라 과세소득액을 산정함

2비용공제

기준 상향 조정(제 18 조)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1600 위앤임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 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2000 위앤임

3추가공제

기준(제 27 조)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16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20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4추가공제

적용대상자(제 28 조제 4항)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기타 재정부가 규정하는 자가 포함됨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

인원이 포함됨

5추가공제비용표준 하향조정(제 29 조)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3200 위앤임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2800 위앤임

6특정업종 범위 확대(제 40 조)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기타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임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수업middot원양어업 및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확정한

기타 업종임

7 조항삭제(제 48 조)

본 조례의 해석은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이 공동으로 함 삭제

15

자료원 국무원 판공실

lsquo저우추취rsquo 돋보인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 활발해지고 외국투자자의 중국 MampA 줄어 -

- 중국기업의 해외 MampA 발걸음 거세져 -

이영준 청두무역관ctuktckotraorkr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중국 10 대 MampA 사건은 全國工商聯倂購公會(China Mergers amp Acquisitions Association

CMAA) 全球倂購硏究中心(세계 MampA 연구중심) 中國倂購交易網(wwwmergers-chinacom)이 주관해 2001 년부터 공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하고 있으며 MampA 관련 영향력 있는 행사 중의 하나임

프랑스 다농(Danone)의 와하하(娃哈哈) 합병 쟁의 - 2007 년 4 월 매체를 통해 알려졌으며 프랑스 다농 그룹이 40억 위앤을 투자해 와하하 산하 10

여 개의 비(非)합자회사의 51의 지분을 인수하고자 함 10 여 개의 비합자회사의 자산 총액은 56억 위앤 2006 년 순이익은 10억 4000 만 위앤에 달함

- 다농의 합병 시도는 와하하의 중국 측 주주에 의해 저지됐으며 이는 이후 외자기업의 반독점

문제 민족 브랜드 보호문제에 대한 쟁의를 불러일으킴 중국이동통신(China Telecom) 파키스탄 통신 운영상 Millicom 사 인수 - 중국이동통신은 2007 년 4 월 28 일 발표를 통해 2 개월에 걸쳐 21억 3000 만 위앤(2억 8400

만 달러)를 투자해 룩셈부르크사의 Millicom 사가 가지고 있는 파키스탄 Paktel 사의 8886 지분을 인수했으며 나머지 1114의 주식을 인수하겠다는 협의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함

- 이번 인수는 중국이동통신의 전략적 해외기업 인수 사례로 중국 전신 운영업체의 lsquo저우추취rsquo

전략의 중요한 돌파구 마련한 계기가 됨 중국투자공사 미국 Blackstone Group 지분 참여 - 2007 년 5 월 22 일 중국투자공사 설립 준비(당시 lsquo國家外匯投資公司rsquo) 중 中央匯金公司의

자회사인 中國建銀投資公司는 Blackstone Group 에 225억 위앤(30억 달러)를 투자해 Blackstone Group 이 전 세계에 공개 발행한 주식 중 약 10 정도를 구매했으며 4 년간 보유하는 조건임

- 이는 중국투자공사의 해외 첫 번째 투자로써 중국의 거대한 외환보유량을 줄이고 외화 보유의

다원화를 촉진하는 의미있는 투자임 - 중국투자유한책임공사는 외화자금 전문 투자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늘어나는

외환보유고를 이용해 국제 금융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2007 년 9 월 29 일 정식 설립됨 중국국가개발은행 영국 Barclays Bank 투자

16

- 2007 년 7 월 23 일 중국국가개발은행은 영국의 Barclays Bank 는 협의를 통해 217억 5000만 위앤(14억 5000 만 파운드)에 달하는 2014억 보통주를 획득했으며 지분 비율은 31임 이는 중국국가개발은행의 상업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협력으로 간주하고 있음

중국공상은행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은행인 Standard Bank 투자 - 2007 년 10 월 25 일 중국공상은행은 409억 5000 만 위앤(54억 6000 만 달러)를 투자해

남아프리카공화국 Standard Bank 의 20 지분을 인수하여 이 은행의 최대 주주가 됨 이는 중국공상은행의 주식상장 이후 최대 해외 투자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최대 FDI 로 기록됨

중국항공업 동방항공 인수 경쟁 - 2007 년 9 월 초 싱가포르 항공과 싱가포르 국영투자회사인 TAMASEK 은 중국동방항공의 24

지분을 인수함 이 때문에 AIRCHINA 는 Cathay Pacific Airways 와 연합해 동방항공의 홍콩상장 주식을 늘리는 등 동방항공 인수전에 뛰어듦

- 그러나 중국 3 대 항공사의 대주주인 lsquo중국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rsquo의 제지와 항공업 관련

부문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함 중신증권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와 주식교환 - 2007 년 10 월말 중신증권은 발표를 통해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중신증권과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는 각각 75억 위앤(10억 달러)를 출자하여 주식교환을 실시했으며 40 년 만기의 전환가능 우선주를 획득하였다고 발표함

- 이 주식 수는 Bear Sterns 사의 총주식의 6에 상당하는 규모임 양사는 홍콩에 합자회사를

설립하고 양사의 아시아 지역 업무를 통합하기로 함 중신증권은 중국 국내 증권사중 최초로 해외투자은행의 주식을 인수한 증권사가 됨

세계 제 1 의 철강기업 아르셀로 미탈 철강회사 중국동방집단 인수 시도 - 2007 년 11 월 8 일부터 아르셀로 미탈은 두 차례에 걸쳐 홍콩에 상장된 중국동방집단의 1

대주주와 2 대주주의 주식 약 127억 5000 만위앤(17억 달러)에 달하는 73의 지분 인수를 통해 중국동방집단의 경영을 장악하고자 햇으나 홍콩증권감독위원회의 개입으로 1 차 구매부터 무산됨

- 만약 동 거래가 성사됐을 경우 외국자본이 중국 국내 철강기업을 합병하는 최초의 사례가 됐을

것으로 중국 국내 철강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사건으로 기록됨 중국평안보험 포르티스(Fortis) 지분 획득 - 2007 년 11 월 28 일 중국 제 2 위의 생명보험사인 중국평안보험(Ping An Insurance)과 유럽middot

미국에서 보험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포르티스 그룹은 MOU 체결을 통해 포르티스 그룹의 주식 418에 해당하는 9501 만 주를 인수하기로 함

- 인수가격은 195억 5000 만 위앤(18억 1000 만 유로)로 이로써 평안은 포르티스의 최대 단일

주주가 됨 이는 중국 보험사가 최초로 세계 금융 서비스 그룹에 투자한 사례이며 중국 국내 보험업계의 최대 해외투자로 기록됨

중국국가전망 필리핀 전력망 운영권 획득

17

- 2007 년 12 월 12 일 중국 최대 국유 전력회사인 중국국가전망은 약 296억 위앤(39억 5000만 달러)을 투자해 향후 25 년간의 필리핀 전력망 경영권을 획득함 이는 중국 국가전망의 최대 해외투자임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의 특징 해외진출 두드러져 중국의 2007 년 10 대 MampA 사건에 선정된 사례를 보면 10건 모두 국가 간의

기업인수합병으로 7건은 중국기업이 해외에 투자한 대표적인 사례이며 3건은 외국기업이 중국 본토기업에 투자한 사례임 이는 중국기업의 lsquo저우추취rsquo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현재 이뤄지고 있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주로 자원middot브랜드middot각종 산업 채널확보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lsquo저우추취rsquo전략으로 해외 투자의 발걸음은 더욱 거세지고 있음

또한 10 개의 사례 중 5 개의 사례가 금융업의 MampA 사례로 중국 금융업계의 해외진출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

특히 중국정부는 무역수지 흑자를 통해 늘어나는 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등 외화 활용의 다원화를 시도하고 있음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 간 MampA 활발히 진행 2007 년 12 월 18 일 발표된 PWC(Price Waterhouse Coopers) 차이나의 lsquo企業倂購歲末回顧與展望(MampA 연말회고와 전망)rsquo 보고에 따르면 2007 년 1~11 월 중국 전체 MampA 교역량(해외시장 제외)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700 여 건으로 거래금액은 25 증가한 8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내자기업 간의 전략적 MampA 교역량은 전년대비 45 증가했으며 거래금액도 53 증가한 506억 달러에 달해 외자기업 중국투자금액의 2배에 달한다고 밝힘

- 2006 년 이전에는 외자기업의 중국 직접투자가 MampA 의 증가요인이었으나 2006 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 교역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7 년에도 역시 중국 MampA 시장은 중국 본토기업간의 교역이 두드러졌다고 밝힘

- 이처럼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이 증가한 이유는 기업의 구조조정middot기업규모 확대 욕구middot

중국경제의 전면적 발전으로 M ampA 시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 개혁을 통해 급상승한 주식시장middot자본금middot은행차관 등을 통한 풍부한 유동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내자기업 간의 인수합병 지지 및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임

- 산업별로 보면 금융서비스업middot부동산middot제조업 및 채광업 등 4 대 산업에서 MampA 가 두드러진 증가추세를 보임

- 또한 사모주식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사모펀드의 MampA 는 140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했으며 금액은 106억 달러로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해외 MampA 빠르게 증가 - 중국의 해외 MampA 교역액은 2007 년 1~11 월 164억 달러에 달해 2006 년 79억 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함 보화영도(PWC 차이나)의 융자middotM ampA 의 총책임자인 쟈오량(趙亮)에 의하면 중국의 해외 MampA 는 2011 년에는 2006 년의 10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2007 년 외국투자자의 중국기업 MampA 감소

18

- lsquo亞洲收購與兼倂(아시아 MampA)잡지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2007 년 1~11 월 외국의 전략투자자의 중국 MampA 교역량은 339건으로 교역액은 166억 달러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6 27 감소했다고 밝힘

- 이는 2006 년 4 월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MampA 대상 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가 MampA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규범화돼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중국 정부는 20006 년 8 월 중국 상무부middot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세무총국middot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middot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외환관리국 령으로 lsquo關于外國投資者倂購境內企業的規定(외국투자자의 중국 경내 기업 M ampA 에 관한 규정)rsquo을 발표했으며 2007 년 8월에는 lsquo中華人民共和國反壟斷法(중화인민공화국 반독점법)rsquo이 발표를 통해 기업인수합병에 관한 내용을 규정

시사점 중국 정부의 선별적 투자유치로의 정책 전환과 노동력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은 생산형 투자의 어려움 중국 내수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판매 유통 채널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효율적인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 금융업 개방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 국유기업 개혁 지속 및 민영기업의 빠른 발전으로 MampA 의 기회가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됨

자료원 全國工商聯倂購公會(wwwma-chinacom) 경제관찰보 국제상보 중국증권보 등 종합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 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해외투자진출을 통한 통상마찰 완화 효과 기대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통해 반덤핑 조치 회피 ㅇ 2007 년 말 중국 상무부는 해외공업단지인 ldquo경외경제무역합작구(이하 「합작구」)rdquo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 결과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건설하는 11 개 프로젝트를 신규 허가함 ㅇ 중국의 해외 합작구 설립추진은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완화하면서 막대한 보유 외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임

ㅇ 합작구는 다양한 우대조치가 적용되고 있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합작구 설립을

추진하는 중국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중국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피하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정부의 우대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합작구로 진출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으로 보임

합작구 설립배경 ㅇ 중국산 섬유 어패럴 가전 철강제품 등에 대한 구미의 반덤핑 조사가 매년 증가하자 중국은

반덤핑조사로 인한 통상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국가를 경유해 제 3 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함

- 중국과 인접한 국가 중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곳에 설립된 공업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 3국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낮은 물류 비용으로 반덤핑 조치를 피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19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6: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 그러나 지표별 득점률면에서는 인력자원이 126 으로 다른 지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다음으로 제품이미지가 124 기업문화가 122 로 각각 2 3 위를 차지한 반면 친화력middot공공관계middot기업이미지는 각각 104 과 101 101 로 낮게 나타남

- 일본이 중국과의 역사문제로 인해 일본기업들이 외부이미지 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한다는 분석도 있으나 일본기업이 현지 경영방식면에서 현지인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음

한국계 기업 내부관리에 비해 제품이미지나 회사이미지 평가 낮아 중국내 한국계 기업은 지표별 영향력이 전반적으로 낮게 평가됐으며 기업영향력이 최근 3 년간

지속적으로 하락함 평가지표별로는 올해 관리체제 기업문화 시장경쟁력 득점률이 각각 36 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공공관계 친화력 기업이미지는 모두 3 점미만으로 낮은 수준에 그침 - 한국계기업은 중국진출 후발기업으로서 최근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내부관리체계나 기업경쟁력 확보에 중점을 두면서 공공관계 친화력 등 외부이미지 개선에다소 미흡했던 것으로 분석됨

2007 년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지표별 영향력 득점률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한국계 기업 영향력 2005 년이후 연속 3 년째 하락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종합평가득점률은 2004 년 39 에서 2005 년 48 로 증가했으나 이후 ▷

32(2006 년) ▷30(2007 년)으로 하락함 - 평가지표중 기업이미지 제품이미지와 친화력 공공관계의 득점률이 2005 년부터 꾸준히

하락한 반면 기업문화 관리체제는 2006 년에 비해 소폭상승하면서 2005 년 득점률에 근접함 - 전체 지표중에서는 기업이미지의 득점률이 22 로 가장 낮게 나타남

최근 3 년간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영향력 지표별 득점률 변화추이

6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중국계 기업 2007 년 국별 순위 3 위 자리매김 중국기업의 영향력 평가순위는 2006 년 4 위에서 2007 년에는 3 위로 한단계 상승했으며

지표별로는 기업문화와 기업이미지가 2006 년에 비해 크게 상승함 - 이번 조사에서 중국계 기업이 외국계 기업과 비교해 개선해야 하는 분야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376가 관리체제를 완비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고 기술력을 제고해야 한다는 응답도 전체의 369로 2 위를 차지함

- 이외에도 자금력 개선(210) 영업방식개선(186) 브랜드 이미지 제고(177) 인재양성(171) 순으로 나타남

- 마케팅 방식 제고와 마케팅 채널 다변화 이외의 항목의 경우 개선필요성을 지적한 응답자가 2006 년에 비해 감소해 전반적으로 지난해 중국인들은 2006 년에 비해 자국기업의 경영방식이 개선됐다고 평가함

중국기업이 외국계 기업에 비해 개선해야 하는 분야

주 복수응답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자료원 중국 호라이즌 그룹

3 경제 무역

7

中 물가 급등이 임금인상 기폭제 되나- 연내 lsquo임금 인상 시스템rsquo 마련되면 진출기업 경영비용 부담 될 듯 -

김윤희 상하이무역관

aleakotraorkr

lsquo임금인상시스템rsquo 연내 마련 예정 ㅇ 중국 노동사회보장부는 2008 년 내 lsquo임금조례rsquo 제정을 주요 업무로 확정됨 관련 전문가는 직원

임금 인상과 체불임금 지급보장 문제에 관한 중요한 조치가 될 것으로 예상됨 - lsquo임금 조례rsquo가 제정되면 임금이 물가상승폭에 따라 인상되도록 시스템을 마련할 가능성이 높음 ㅇ 이에 따라 최근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는 중국 내 물가상승은 각지 최저 임금인상을 큰 폭으로 올리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임

중국 물가상승률 추이()

자료원 중국국가통계국 물가 급등에 따라 각 지방정부 잇달아 임금 인상 ㅇ 광둥성 노동발전보장청은 지난 20 일 4 월 1 일부터 최저임금을 재인상할 것이라고 발표함 - 재인상된 최저임금 기준은 각각 860 위앤월 770 위앤월 670 위앤월 580 위앤월 530

위앤월 등 5 개 등급으로 차등화 했으며 평균 상승폭은 129임 - 광둥성 노동보장청 관계자는 경제발전middot취업middot물가 수준 등을 고려해 최저임금 인상 폭을 결정한

것이라고 밝힘

8

ㅇ 지난 19 일 1 월 소비자 물가가 71 상승해 11 년 이래 최고를 기록하자 같은 날 장쑤성은 각 시middot현급에서 집행하는 새로운 최저임금 등급을 발표middot공포했으며 이 가운데 5 개현은 최저임금 등급을 기존 2 등급(620 위앤월)에서 1 등급(850 위앤월)으로 상향조정해 최저 임금 수준이 230 위앤 상승함

ㅇ 2007 년 말까지 중국 27 개 성 최저임금이 인상됐으며 대부분 10 이상의 인상률이 보이고

있음 장씨성 일부 지역은 인상 폭이 50를 넘기도 함 - 2004 년 3 월에 수정된 lsquo최저임금규정rsquo에 따르면 최저 임금은 2 년에 한 차례 조정되도록 돼

있는데 쓰촨성은 4 년 연속 최저임금을 인상하고 있는 등 각지의 최저임금 인상이 잇따르고 있음

CPI 와 임금인상 연동해야 한다는 논의 뜨거워 ㅇ 지난해 상반기부터 CPI(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곡선을 그리며 하반기부터 연속해서 11 년

만에 최고 기록을 갱신하는 물가 급등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물가에 비상이 걸리자 lsquoCPI 와 연동된 임금인상 시스템rsquo을 마련해야 한다는 논의가 나오고 있음

ㅇ 중국 내 노무 전문가는 물가상승 지수를 임금 상승 법정 지표로 삼아야 한다며 임금 인상이

물가 급등으로 상쇄되지 않도록 하고 근로자의 실질 임금이 하락하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함

임금인상 시스템 진출기업 경영에 부담될 듯 ㅇ 지역별 최저 임금을 인상하는 한편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임금 인상 시스템이 연내에 마련될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임 - lsquo임금 조례rsquo 현재 초안이 마련된 상태이며 공청회를 거쳐 국무원 상무회의에 심의를 요청할

예정임 ㅇ 지난해부터 우대세금 축소middot노무비용 상승middot위앤화 절상middot원자재 가격 등 각종 경영비용 상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진출기업에 임금 인상 시스템 마련은 또 다른 압박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상해증권보 참고자료

9

2006~08 년 지역별 최저임금 및 2007 년 임금가이드라인 (단위 위앤 )

지역 2006 년 2007 년 2008 년임금가이드라인

기준율 상한선

北京 640 730 95 145天津 670 650 740720 14 22河北 580 540 480 440 14 20山西 550 510 470 430 610570530490 10 18內蒙古 560 520 460 400 遼寧 590 480 420 12 19吉林 510 460 410 650600550

黑龍江 620 590 475 450420 400380

上海 750 840 9 12江蘇 750620520 850700590 浙江 750670620540 850750700620 10 15

安徽 520500460430390360 560540500460420390(등급축소) 13 18

福建 650600570550480 750700650570480

江西 360330300270 510480450420390(등급확대)

山東 610540480430390 16 24河南 480400320 650550450 18 20湖北 460400360320280 580500460420380 湖南 600500480450420400 635500530480460440

廣東 780690600500450 860770670580530 103 15

廣西 500435390345 海南 580480430 650550450 重慶 580480440

四川 580510450400 650550450(등급 축소) 145 205

貴州 550500450 650600550 15 20雲南 540480420 13 19西藏 495470445 陝西 540500460420 甘肅 430400360320 靑海 460450440 10 15寧夏 450420380 560530490 13 17

10

新疆 670620580550520500480 460440 12 15

大連 650600500 11 17厦門 600550480 750700(등급축소) 深圳 810700 850750 10 15

자료원 베이징 무역관에서 정리한 내용 2008 년 최근 수치 업데이트

中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반입물품 수출관세 면제- 생산기업 대상 2 월 15 일부터 실시 -

김명신 베이징 무역관

clairekotraorkr

주요 내용 중국 국무원관세세칙위원회는 지난 2 월 4 일 lsquo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된 일부품목의

수출관세를 징수하는 않는 것에 관한 통지rsquo(關于對部分進入海關特殊監管區域的産品不徵收出口關稅的通知)를 발표하고 2 월 15 일부터 총 95 개 철강제품(HS Code 8 단위 기준)에 대한 수출관세를 면제함

- 통지문에 따르면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을 건설하거나 구역내 기업의 공장건물을 건설하는데 사용되는 기초건설물자를 해당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할 경우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그러나 이 기초건설물자가 특수감독관리구역으로부터 수출되는 것은 불가하며 특수구역내 미사용분은 해관 감독관리하에 구역외지역으로 반출되어야 함

- 해외로부터 특수구역내 반입된 기초건설물자가 중국내 특수구역외 지역으로 운반될 경우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관련 규정에 따라 통관 및 세금납부수속을 거쳐야 함

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해 구역내

반입할 경우에도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용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했으나 실질적인 가공을

하지 않은 경우 보세물류 창고저장 무역업체 등 구역내 비생산기업에 전입시키거나 판매 직접 반출 또는 보세방식으로 반출할 수 없음

-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은 원부자재가 실질적 가공을 거치지 않고 중국내 특수감독관리외지역으로 판매될 경우 규정에 따라 수입관세와 수입부가가치세가 부과됨

이번 수출관세 면세정책은 보세가공능력이 있는 수출가공구 보세항 종합보세구

주하이ㆍ마카오공업구(주하이원구) 중국-카자흐스탄국제변경협력센터 중국구역 등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에만 적용되며 중국내 비생산기업이 아래 리스트의 원자재를 구매할 경우 에는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을 수 없음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대상 수출관세 면제품목

순서 HS Code 품목명

1 72051000생철 경철 및 철강과립

2 72081000 도안을 압연한 열연코일

3 72082500두께ge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11

4 72082610항복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5 720826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6 72082710두께<1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7 720827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8 72083600두께>10인 기타 열연코일

9 72083700475le두께le10인 기타 열연코일

10 720838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1 720838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2 72083910두께<15인 기타열연코일

13 720839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14 72084000압연해 요철무늬가 있는 열연비코일

15 72085110두께>50인 기타 열연비코일

16 72085120두께>20이나 50를 초과하지 않는 기타 열연비코일

17 72085190 기타 두께>10인 기타 열연비코일

18 72085200475le두께le10인 열연비코일

19 720853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0 72085390 기타 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1 72085410두께<15인 열연비코일

22 72085490 기타 두께<3인 열연비코일

23 72089000 기타 열연강철 또는 비합금강 넓은 판재

24 72111300 무늬를 압연하지 않고 네면을 압연해 만든 압연비코일

25 72111400두께ge475인 기타열연판재

26 72111900 기타 열연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7 72112300냉연 카본함유량<025인 판재

28 72112900냉연 기타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9 72119000냉연 강철 또는 비합금 기타 좁은 판재

30 72121000 도금하거나 주석을 바른 비합금강 좁은 판재

31 721220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2 7212300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강철 좁은 판재

33 72124000 도료를 칠하거나 플라스틱을 칠한 철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4 72125000칠하거나 도금한 기타 재료철 또는 비함금강 좁은 판재

35 72126000덮어씌운 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6 72131000 무늬를 압연한 열연와이어로드

37 72132000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제 열연 와이어로드

38 72139100 직경<14인 둥근 절단면의 기타 열연 와이어 로드

39 72139900 기타 열연와이어로드

40 72142000열가공한 무늬를 압연제작한 로드 대41 72143000열가공해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

12

42 72149100열가공한 기타 직사각형 절단명의 로드 대43 72149900열가공한 기타 로드 대44 72151000냉가공한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45 72155000냉가공하거나 냉각해 형성한 기타 로드 대46 72159000 철강 및 비합금강의 기타 로드 대47 72161010 절단면 높이<80인 H 형강

48 72161020 절단면 높이가 80보다 적은 아이형 강

49 72161090 절단면 높이<80인 U 형강

50 72162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L 형강

51 721622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T 형강

52 72163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ge80인 조형강

53 72163210 절단면 높이가 200이상인 아이형 강

54 72163290열가공 절단면 높이가 ge80인 아이형강

55 72163311 절단명 높이가 800이상인 H 형강

56 72163319 절단면 높이가 ge200인 H 형강

57 72163390 기타 절단면 높이가 ge80인 H 형강

58 72164010열가공한 절단면높이가 ge80인 L 형강

59 72164020열가공한 절단면 높이가 ge80인 T 형강

60 72165010열가공한 Z 형강

61 72165090열가공한 기타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2 72166100냉가공한 판재로 제작된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3 72166900냉가공한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4 72169100냉가공한 기타 판재로 만든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5 72169900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6 72171000 도금하지 않거나 도료를 바르지 은 철강 또는 비합금강 철사

67 72172000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철 또는 비합금강 철사

68 72173010 도금하거나 동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69 72173090 도금하거나 기타 저급 금속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70 72179000 기타 강철사 또는 비합금 강철사

71 721913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2 721913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3 72191329두께가 3이상이나 475보다 작은 염산세척한 기타 스테인리스 와이어판

74 721914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두께<3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5 721914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두께<3인 망간크롬계열 스테인리스

76 722591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금합금강 넒은 평판압연재

77 72259200 기타 도금 또는 아연을 바른 기타 합금강 넓은 판재

13

78 72259910 폭ge600인 고속강평판압연재

79 72259990 폭ge600인 기타합금강 평판압연재

80 72269200 폭<600인 냉연 기타 합금강판재

81 7226991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합금강 좁은 평판압연재

82 7226992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기타합금강 좁음 판재

83 72272000 실리콘망간강의 열연 와이어로드

84 72282000 기타 실리콘망간강의 로드 대85 72286000 기타 합금강 로드 대86 73053100 상하방향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7 73053900 기타 방법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8 73059000 이름을 나열할 수 없는 원형 절단면의 조강강철관

89 73063000 기타 철강 또는 비합금 강 원형 절단면의 용접관

90 73064000 스테인리스강 기타 원형 절단면의 가는 용접관

91 73065000 기타 합금강의 원형 절단면 가는 용접관

92 73066100 직사강형 또는 정사각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3 73066900 기타 비원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4 76041010 비합금 로드 대95 76042910알루미늄 합금 로드 대 자료원 중국 재정부

中 3 월 1 일부터 월 개인소득세공제기준 2000 위앤으로 상향 조정 - 2005 년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 1 차 수정 이후 두 번째 -

- 추가공제기준 조정 등 총 일곱 군데 수정 -

김명신 베이징무역관clairekotraorkr

중국 개인소득세법실시조례 2 차 수정 중국 국무원은 지난 2 월 18 일 lsquo국무원이 중국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를 수정하는데 관한 결정rsquo

(國務院關于修改中華人民共和國個人所得稅法實施條例的決定)(국무원령 519 호)을 발표해 3월 1 일부터 시행에 들어감

중국은 1994 년 1 월 28 일부터 실시한 중국 기업소득세법실시조례(국무원령 142 호)를 지난

2005 년 말 대대적으로 수정(국무원령 452 호)해 2006 년 1 월 1 일부터 실시해 왔으며 소득증가 등 소득세 징수환경이 변화하면서 최근 2 차 수정을 단행함

주요 변경내용 이번 개인소득세법 2 차 수정에서는 개인소득세 공제기준이 월 1600 위앤에서 2000 위앤으로

400 위앤 상향조정된 반면 추가공제비용 기준은 기존 3200 위앤에서 2800 위앤으로 하향조정됨

14

이외에도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서 기존에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을 인정했으나 이번 2 차 수정결정문은 이외에도 lsquo기타 형식의 경제이익rsquo을 추가인정함

특정업종에 대한 범위도 다소 확대돼 기존에는 세법 제 9 조 두 번째 단락이 지칭하는

특정업종이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중국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이었으나 이번 수정결정문에는 특정 업종에 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업종도 추가됨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2 월 18 일 발표된 개인소득세실시조례 수정에 대해 지난 2 월 20 일 각

지방세무국에 lsquo개인소득세 임금급여소득 공제비용표준정책연결문제에 관한 통지rsquo(關于個人所得稅工資薪金所得減除費用標準政策銜接問題的通知)를 하달 3 월 1 일부터 월 소득공제기준을 2000 위앤으로 조정 실시하도록 조치함

- 납세자가 3 월 1 일전에 실제 취득한 임금 급여소득에 대해서는 세액이 3 월 1 일 이후에 납부된다 하더라도 월 1600 위앤의 공제비용기준이 적용됨

중국 개인소득세실시조례내용 변경 전후 비교

순서 구분(조항) 변경 전 변경 후

1소득형태 확대

(제 10 조)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

유가증권을 포함함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과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을 포함함 그중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은

시장가격에 따라 과세소득액을 산정함

2비용공제

기준 상향 조정(제 18 조)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1600 위앤임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 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2000 위앤임

3추가공제

기준(제 27 조)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16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20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4추가공제

적용대상자(제 28 조제 4항)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기타 재정부가 규정하는 자가 포함됨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

인원이 포함됨

5추가공제비용표준 하향조정(제 29 조)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3200 위앤임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2800 위앤임

6특정업종 범위 확대(제 40 조)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기타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임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수업middot원양어업 및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확정한

기타 업종임

7 조항삭제(제 48 조)

본 조례의 해석은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이 공동으로 함 삭제

15

자료원 국무원 판공실

lsquo저우추취rsquo 돋보인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 활발해지고 외국투자자의 중국 MampA 줄어 -

- 중국기업의 해외 MampA 발걸음 거세져 -

이영준 청두무역관ctuktckotraorkr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중국 10 대 MampA 사건은 全國工商聯倂購公會(China Mergers amp Acquisitions Association

CMAA) 全球倂購硏究中心(세계 MampA 연구중심) 中國倂購交易網(wwwmergers-chinacom)이 주관해 2001 년부터 공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하고 있으며 MampA 관련 영향력 있는 행사 중의 하나임

프랑스 다농(Danone)의 와하하(娃哈哈) 합병 쟁의 - 2007 년 4 월 매체를 통해 알려졌으며 프랑스 다농 그룹이 40억 위앤을 투자해 와하하 산하 10

여 개의 비(非)합자회사의 51의 지분을 인수하고자 함 10 여 개의 비합자회사의 자산 총액은 56억 위앤 2006 년 순이익은 10억 4000 만 위앤에 달함

- 다농의 합병 시도는 와하하의 중국 측 주주에 의해 저지됐으며 이는 이후 외자기업의 반독점

문제 민족 브랜드 보호문제에 대한 쟁의를 불러일으킴 중국이동통신(China Telecom) 파키스탄 통신 운영상 Millicom 사 인수 - 중국이동통신은 2007 년 4 월 28 일 발표를 통해 2 개월에 걸쳐 21억 3000 만 위앤(2억 8400

만 달러)를 투자해 룩셈부르크사의 Millicom 사가 가지고 있는 파키스탄 Paktel 사의 8886 지분을 인수했으며 나머지 1114의 주식을 인수하겠다는 협의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함

- 이번 인수는 중국이동통신의 전략적 해외기업 인수 사례로 중국 전신 운영업체의 lsquo저우추취rsquo

전략의 중요한 돌파구 마련한 계기가 됨 중국투자공사 미국 Blackstone Group 지분 참여 - 2007 년 5 월 22 일 중국투자공사 설립 준비(당시 lsquo國家外匯投資公司rsquo) 중 中央匯金公司의

자회사인 中國建銀投資公司는 Blackstone Group 에 225억 위앤(30억 달러)를 투자해 Blackstone Group 이 전 세계에 공개 발행한 주식 중 약 10 정도를 구매했으며 4 년간 보유하는 조건임

- 이는 중국투자공사의 해외 첫 번째 투자로써 중국의 거대한 외환보유량을 줄이고 외화 보유의

다원화를 촉진하는 의미있는 투자임 - 중국투자유한책임공사는 외화자금 전문 투자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늘어나는

외환보유고를 이용해 국제 금융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2007 년 9 월 29 일 정식 설립됨 중국국가개발은행 영국 Barclays Bank 투자

16

- 2007 년 7 월 23 일 중국국가개발은행은 영국의 Barclays Bank 는 협의를 통해 217억 5000만 위앤(14억 5000 만 파운드)에 달하는 2014억 보통주를 획득했으며 지분 비율은 31임 이는 중국국가개발은행의 상업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협력으로 간주하고 있음

중국공상은행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은행인 Standard Bank 투자 - 2007 년 10 월 25 일 중국공상은행은 409억 5000 만 위앤(54억 6000 만 달러)를 투자해

남아프리카공화국 Standard Bank 의 20 지분을 인수하여 이 은행의 최대 주주가 됨 이는 중국공상은행의 주식상장 이후 최대 해외 투자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최대 FDI 로 기록됨

중국항공업 동방항공 인수 경쟁 - 2007 년 9 월 초 싱가포르 항공과 싱가포르 국영투자회사인 TAMASEK 은 중국동방항공의 24

지분을 인수함 이 때문에 AIRCHINA 는 Cathay Pacific Airways 와 연합해 동방항공의 홍콩상장 주식을 늘리는 등 동방항공 인수전에 뛰어듦

- 그러나 중국 3 대 항공사의 대주주인 lsquo중국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rsquo의 제지와 항공업 관련

부문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함 중신증권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와 주식교환 - 2007 년 10 월말 중신증권은 발표를 통해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중신증권과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는 각각 75억 위앤(10억 달러)를 출자하여 주식교환을 실시했으며 40 년 만기의 전환가능 우선주를 획득하였다고 발표함

- 이 주식 수는 Bear Sterns 사의 총주식의 6에 상당하는 규모임 양사는 홍콩에 합자회사를

설립하고 양사의 아시아 지역 업무를 통합하기로 함 중신증권은 중국 국내 증권사중 최초로 해외투자은행의 주식을 인수한 증권사가 됨

세계 제 1 의 철강기업 아르셀로 미탈 철강회사 중국동방집단 인수 시도 - 2007 년 11 월 8 일부터 아르셀로 미탈은 두 차례에 걸쳐 홍콩에 상장된 중국동방집단의 1

대주주와 2 대주주의 주식 약 127억 5000 만위앤(17억 달러)에 달하는 73의 지분 인수를 통해 중국동방집단의 경영을 장악하고자 햇으나 홍콩증권감독위원회의 개입으로 1 차 구매부터 무산됨

- 만약 동 거래가 성사됐을 경우 외국자본이 중국 국내 철강기업을 합병하는 최초의 사례가 됐을

것으로 중국 국내 철강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사건으로 기록됨 중국평안보험 포르티스(Fortis) 지분 획득 - 2007 년 11 월 28 일 중국 제 2 위의 생명보험사인 중국평안보험(Ping An Insurance)과 유럽middot

미국에서 보험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포르티스 그룹은 MOU 체결을 통해 포르티스 그룹의 주식 418에 해당하는 9501 만 주를 인수하기로 함

- 인수가격은 195억 5000 만 위앤(18억 1000 만 유로)로 이로써 평안은 포르티스의 최대 단일

주주가 됨 이는 중국 보험사가 최초로 세계 금융 서비스 그룹에 투자한 사례이며 중국 국내 보험업계의 최대 해외투자로 기록됨

중국국가전망 필리핀 전력망 운영권 획득

17

- 2007 년 12 월 12 일 중국 최대 국유 전력회사인 중국국가전망은 약 296억 위앤(39억 5000만 달러)을 투자해 향후 25 년간의 필리핀 전력망 경영권을 획득함 이는 중국 국가전망의 최대 해외투자임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의 특징 해외진출 두드러져 중국의 2007 년 10 대 MampA 사건에 선정된 사례를 보면 10건 모두 국가 간의

기업인수합병으로 7건은 중국기업이 해외에 투자한 대표적인 사례이며 3건은 외국기업이 중국 본토기업에 투자한 사례임 이는 중국기업의 lsquo저우추취rsquo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현재 이뤄지고 있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주로 자원middot브랜드middot각종 산업 채널확보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lsquo저우추취rsquo전략으로 해외 투자의 발걸음은 더욱 거세지고 있음

또한 10 개의 사례 중 5 개의 사례가 금융업의 MampA 사례로 중국 금융업계의 해외진출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

특히 중국정부는 무역수지 흑자를 통해 늘어나는 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등 외화 활용의 다원화를 시도하고 있음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 간 MampA 활발히 진행 2007 년 12 월 18 일 발표된 PWC(Price Waterhouse Coopers) 차이나의 lsquo企業倂購歲末回顧與展望(MampA 연말회고와 전망)rsquo 보고에 따르면 2007 년 1~11 월 중국 전체 MampA 교역량(해외시장 제외)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700 여 건으로 거래금액은 25 증가한 8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내자기업 간의 전략적 MampA 교역량은 전년대비 45 증가했으며 거래금액도 53 증가한 506억 달러에 달해 외자기업 중국투자금액의 2배에 달한다고 밝힘

- 2006 년 이전에는 외자기업의 중국 직접투자가 MampA 의 증가요인이었으나 2006 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 교역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7 년에도 역시 중국 MampA 시장은 중국 본토기업간의 교역이 두드러졌다고 밝힘

- 이처럼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이 증가한 이유는 기업의 구조조정middot기업규모 확대 욕구middot

중국경제의 전면적 발전으로 M ampA 시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 개혁을 통해 급상승한 주식시장middot자본금middot은행차관 등을 통한 풍부한 유동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내자기업 간의 인수합병 지지 및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임

- 산업별로 보면 금융서비스업middot부동산middot제조업 및 채광업 등 4 대 산업에서 MampA 가 두드러진 증가추세를 보임

- 또한 사모주식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사모펀드의 MampA 는 140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했으며 금액은 106억 달러로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해외 MampA 빠르게 증가 - 중국의 해외 MampA 교역액은 2007 년 1~11 월 164억 달러에 달해 2006 년 79억 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함 보화영도(PWC 차이나)의 융자middotM ampA 의 총책임자인 쟈오량(趙亮)에 의하면 중국의 해외 MampA 는 2011 년에는 2006 년의 10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2007 년 외국투자자의 중국기업 MampA 감소

18

- lsquo亞洲收購與兼倂(아시아 MampA)잡지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2007 년 1~11 월 외국의 전략투자자의 중국 MampA 교역량은 339건으로 교역액은 166억 달러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6 27 감소했다고 밝힘

- 이는 2006 년 4 월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MampA 대상 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가 MampA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규범화돼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중국 정부는 20006 년 8 월 중국 상무부middot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세무총국middot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middot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외환관리국 령으로 lsquo關于外國投資者倂購境內企業的規定(외국투자자의 중국 경내 기업 M ampA 에 관한 규정)rsquo을 발표했으며 2007 년 8월에는 lsquo中華人民共和國反壟斷法(중화인민공화국 반독점법)rsquo이 발표를 통해 기업인수합병에 관한 내용을 규정

시사점 중국 정부의 선별적 투자유치로의 정책 전환과 노동력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은 생산형 투자의 어려움 중국 내수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판매 유통 채널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효율적인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 금융업 개방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 국유기업 개혁 지속 및 민영기업의 빠른 발전으로 MampA 의 기회가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됨

자료원 全國工商聯倂購公會(wwwma-chinacom) 경제관찰보 국제상보 중국증권보 등 종합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 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해외투자진출을 통한 통상마찰 완화 효과 기대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통해 반덤핑 조치 회피 ㅇ 2007 년 말 중국 상무부는 해외공업단지인 ldquo경외경제무역합작구(이하 「합작구」)rdquo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 결과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건설하는 11 개 프로젝트를 신규 허가함 ㅇ 중국의 해외 합작구 설립추진은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완화하면서 막대한 보유 외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임

ㅇ 합작구는 다양한 우대조치가 적용되고 있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합작구 설립을

추진하는 중국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중국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피하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정부의 우대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합작구로 진출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으로 보임

합작구 설립배경 ㅇ 중국산 섬유 어패럴 가전 철강제품 등에 대한 구미의 반덤핑 조사가 매년 증가하자 중국은

반덤핑조사로 인한 통상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국가를 경유해 제 3 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함

- 중국과 인접한 국가 중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곳에 설립된 공업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 3국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낮은 물류 비용으로 반덤핑 조치를 피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19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7: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중국계 기업 2007 년 국별 순위 3 위 자리매김 중국기업의 영향력 평가순위는 2006 년 4 위에서 2007 년에는 3 위로 한단계 상승했으며

지표별로는 기업문화와 기업이미지가 2006 년에 비해 크게 상승함 - 이번 조사에서 중국계 기업이 외국계 기업과 비교해 개선해야 하는 분야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376가 관리체제를 완비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고 기술력을 제고해야 한다는 응답도 전체의 369로 2 위를 차지함

- 이외에도 자금력 개선(210) 영업방식개선(186) 브랜드 이미지 제고(177) 인재양성(171) 순으로 나타남

- 마케팅 방식 제고와 마케팅 채널 다변화 이외의 항목의 경우 개선필요성을 지적한 응답자가 2006 년에 비해 감소해 전반적으로 지난해 중국인들은 2006 년에 비해 자국기업의 경영방식이 개선됐다고 평가함

중국기업이 외국계 기업에 비해 개선해야 하는 분야

주 복수응답 자료원 2007年中國最具影響跨國企業評選硏究報告

자료원 중국 호라이즌 그룹

3 경제 무역

7

中 물가 급등이 임금인상 기폭제 되나- 연내 lsquo임금 인상 시스템rsquo 마련되면 진출기업 경영비용 부담 될 듯 -

김윤희 상하이무역관

aleakotraorkr

lsquo임금인상시스템rsquo 연내 마련 예정 ㅇ 중국 노동사회보장부는 2008 년 내 lsquo임금조례rsquo 제정을 주요 업무로 확정됨 관련 전문가는 직원

임금 인상과 체불임금 지급보장 문제에 관한 중요한 조치가 될 것으로 예상됨 - lsquo임금 조례rsquo가 제정되면 임금이 물가상승폭에 따라 인상되도록 시스템을 마련할 가능성이 높음 ㅇ 이에 따라 최근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는 중국 내 물가상승은 각지 최저 임금인상을 큰 폭으로 올리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임

중국 물가상승률 추이()

자료원 중국국가통계국 물가 급등에 따라 각 지방정부 잇달아 임금 인상 ㅇ 광둥성 노동발전보장청은 지난 20 일 4 월 1 일부터 최저임금을 재인상할 것이라고 발표함 - 재인상된 최저임금 기준은 각각 860 위앤월 770 위앤월 670 위앤월 580 위앤월 530

위앤월 등 5 개 등급으로 차등화 했으며 평균 상승폭은 129임 - 광둥성 노동보장청 관계자는 경제발전middot취업middot물가 수준 등을 고려해 최저임금 인상 폭을 결정한

것이라고 밝힘

8

ㅇ 지난 19 일 1 월 소비자 물가가 71 상승해 11 년 이래 최고를 기록하자 같은 날 장쑤성은 각 시middot현급에서 집행하는 새로운 최저임금 등급을 발표middot공포했으며 이 가운데 5 개현은 최저임금 등급을 기존 2 등급(620 위앤월)에서 1 등급(850 위앤월)으로 상향조정해 최저 임금 수준이 230 위앤 상승함

ㅇ 2007 년 말까지 중국 27 개 성 최저임금이 인상됐으며 대부분 10 이상의 인상률이 보이고

있음 장씨성 일부 지역은 인상 폭이 50를 넘기도 함 - 2004 년 3 월에 수정된 lsquo최저임금규정rsquo에 따르면 최저 임금은 2 년에 한 차례 조정되도록 돼

있는데 쓰촨성은 4 년 연속 최저임금을 인상하고 있는 등 각지의 최저임금 인상이 잇따르고 있음

CPI 와 임금인상 연동해야 한다는 논의 뜨거워 ㅇ 지난해 상반기부터 CPI(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곡선을 그리며 하반기부터 연속해서 11 년

만에 최고 기록을 갱신하는 물가 급등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물가에 비상이 걸리자 lsquoCPI 와 연동된 임금인상 시스템rsquo을 마련해야 한다는 논의가 나오고 있음

ㅇ 중국 내 노무 전문가는 물가상승 지수를 임금 상승 법정 지표로 삼아야 한다며 임금 인상이

물가 급등으로 상쇄되지 않도록 하고 근로자의 실질 임금이 하락하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함

임금인상 시스템 진출기업 경영에 부담될 듯 ㅇ 지역별 최저 임금을 인상하는 한편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임금 인상 시스템이 연내에 마련될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임 - lsquo임금 조례rsquo 현재 초안이 마련된 상태이며 공청회를 거쳐 국무원 상무회의에 심의를 요청할

예정임 ㅇ 지난해부터 우대세금 축소middot노무비용 상승middot위앤화 절상middot원자재 가격 등 각종 경영비용 상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진출기업에 임금 인상 시스템 마련은 또 다른 압박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상해증권보 참고자료

9

2006~08 년 지역별 최저임금 및 2007 년 임금가이드라인 (단위 위앤 )

지역 2006 년 2007 년 2008 년임금가이드라인

기준율 상한선

北京 640 730 95 145天津 670 650 740720 14 22河北 580 540 480 440 14 20山西 550 510 470 430 610570530490 10 18內蒙古 560 520 460 400 遼寧 590 480 420 12 19吉林 510 460 410 650600550

黑龍江 620 590 475 450420 400380

上海 750 840 9 12江蘇 750620520 850700590 浙江 750670620540 850750700620 10 15

安徽 520500460430390360 560540500460420390(등급축소) 13 18

福建 650600570550480 750700650570480

江西 360330300270 510480450420390(등급확대)

山東 610540480430390 16 24河南 480400320 650550450 18 20湖北 460400360320280 580500460420380 湖南 600500480450420400 635500530480460440

廣東 780690600500450 860770670580530 103 15

廣西 500435390345 海南 580480430 650550450 重慶 580480440

四川 580510450400 650550450(등급 축소) 145 205

貴州 550500450 650600550 15 20雲南 540480420 13 19西藏 495470445 陝西 540500460420 甘肅 430400360320 靑海 460450440 10 15寧夏 450420380 560530490 13 17

10

新疆 670620580550520500480 460440 12 15

大連 650600500 11 17厦門 600550480 750700(등급축소) 深圳 810700 850750 10 15

자료원 베이징 무역관에서 정리한 내용 2008 년 최근 수치 업데이트

中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반입물품 수출관세 면제- 생산기업 대상 2 월 15 일부터 실시 -

김명신 베이징 무역관

clairekotraorkr

주요 내용 중국 국무원관세세칙위원회는 지난 2 월 4 일 lsquo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된 일부품목의

수출관세를 징수하는 않는 것에 관한 통지rsquo(關于對部分進入海關特殊監管區域的産品不徵收出口關稅的通知)를 발표하고 2 월 15 일부터 총 95 개 철강제품(HS Code 8 단위 기준)에 대한 수출관세를 면제함

- 통지문에 따르면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을 건설하거나 구역내 기업의 공장건물을 건설하는데 사용되는 기초건설물자를 해당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할 경우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그러나 이 기초건설물자가 특수감독관리구역으로부터 수출되는 것은 불가하며 특수구역내 미사용분은 해관 감독관리하에 구역외지역으로 반출되어야 함

- 해외로부터 특수구역내 반입된 기초건설물자가 중국내 특수구역외 지역으로 운반될 경우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관련 규정에 따라 통관 및 세금납부수속을 거쳐야 함

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해 구역내

반입할 경우에도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용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했으나 실질적인 가공을

하지 않은 경우 보세물류 창고저장 무역업체 등 구역내 비생산기업에 전입시키거나 판매 직접 반출 또는 보세방식으로 반출할 수 없음

-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은 원부자재가 실질적 가공을 거치지 않고 중국내 특수감독관리외지역으로 판매될 경우 규정에 따라 수입관세와 수입부가가치세가 부과됨

이번 수출관세 면세정책은 보세가공능력이 있는 수출가공구 보세항 종합보세구

주하이ㆍ마카오공업구(주하이원구) 중국-카자흐스탄국제변경협력센터 중국구역 등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에만 적용되며 중국내 비생산기업이 아래 리스트의 원자재를 구매할 경우 에는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을 수 없음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대상 수출관세 면제품목

순서 HS Code 품목명

1 72051000생철 경철 및 철강과립

2 72081000 도안을 압연한 열연코일

3 72082500두께ge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11

4 72082610항복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5 720826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6 72082710두께<1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7 720827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8 72083600두께>10인 기타 열연코일

9 72083700475le두께le10인 기타 열연코일

10 720838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1 720838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2 72083910두께<15인 기타열연코일

13 720839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14 72084000압연해 요철무늬가 있는 열연비코일

15 72085110두께>50인 기타 열연비코일

16 72085120두께>20이나 50를 초과하지 않는 기타 열연비코일

17 72085190 기타 두께>10인 기타 열연비코일

18 72085200475le두께le10인 열연비코일

19 720853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0 72085390 기타 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1 72085410두께<15인 열연비코일

22 72085490 기타 두께<3인 열연비코일

23 72089000 기타 열연강철 또는 비합금강 넓은 판재

24 72111300 무늬를 압연하지 않고 네면을 압연해 만든 압연비코일

25 72111400두께ge475인 기타열연판재

26 72111900 기타 열연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7 72112300냉연 카본함유량<025인 판재

28 72112900냉연 기타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9 72119000냉연 강철 또는 비합금 기타 좁은 판재

30 72121000 도금하거나 주석을 바른 비합금강 좁은 판재

31 721220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2 7212300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강철 좁은 판재

33 72124000 도료를 칠하거나 플라스틱을 칠한 철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4 72125000칠하거나 도금한 기타 재료철 또는 비함금강 좁은 판재

35 72126000덮어씌운 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6 72131000 무늬를 압연한 열연와이어로드

37 72132000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제 열연 와이어로드

38 72139100 직경<14인 둥근 절단면의 기타 열연 와이어 로드

39 72139900 기타 열연와이어로드

40 72142000열가공한 무늬를 압연제작한 로드 대41 72143000열가공해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

12

42 72149100열가공한 기타 직사각형 절단명의 로드 대43 72149900열가공한 기타 로드 대44 72151000냉가공한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45 72155000냉가공하거나 냉각해 형성한 기타 로드 대46 72159000 철강 및 비합금강의 기타 로드 대47 72161010 절단면 높이<80인 H 형강

48 72161020 절단면 높이가 80보다 적은 아이형 강

49 72161090 절단면 높이<80인 U 형강

50 72162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L 형강

51 721622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T 형강

52 72163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ge80인 조형강

53 72163210 절단면 높이가 200이상인 아이형 강

54 72163290열가공 절단면 높이가 ge80인 아이형강

55 72163311 절단명 높이가 800이상인 H 형강

56 72163319 절단면 높이가 ge200인 H 형강

57 72163390 기타 절단면 높이가 ge80인 H 형강

58 72164010열가공한 절단면높이가 ge80인 L 형강

59 72164020열가공한 절단면 높이가 ge80인 T 형강

60 72165010열가공한 Z 형강

61 72165090열가공한 기타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2 72166100냉가공한 판재로 제작된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3 72166900냉가공한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4 72169100냉가공한 기타 판재로 만든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5 72169900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6 72171000 도금하지 않거나 도료를 바르지 은 철강 또는 비합금강 철사

67 72172000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철 또는 비합금강 철사

68 72173010 도금하거나 동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69 72173090 도금하거나 기타 저급 금속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70 72179000 기타 강철사 또는 비합금 강철사

71 721913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2 721913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3 72191329두께가 3이상이나 475보다 작은 염산세척한 기타 스테인리스 와이어판

74 721914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두께<3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5 721914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두께<3인 망간크롬계열 스테인리스

76 722591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금합금강 넒은 평판압연재

77 72259200 기타 도금 또는 아연을 바른 기타 합금강 넓은 판재

13

78 72259910 폭ge600인 고속강평판압연재

79 72259990 폭ge600인 기타합금강 평판압연재

80 72269200 폭<600인 냉연 기타 합금강판재

81 7226991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합금강 좁은 평판압연재

82 7226992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기타합금강 좁음 판재

83 72272000 실리콘망간강의 열연 와이어로드

84 72282000 기타 실리콘망간강의 로드 대85 72286000 기타 합금강 로드 대86 73053100 상하방향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7 73053900 기타 방법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8 73059000 이름을 나열할 수 없는 원형 절단면의 조강강철관

89 73063000 기타 철강 또는 비합금 강 원형 절단면의 용접관

90 73064000 스테인리스강 기타 원형 절단면의 가는 용접관

91 73065000 기타 합금강의 원형 절단면 가는 용접관

92 73066100 직사강형 또는 정사각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3 73066900 기타 비원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4 76041010 비합금 로드 대95 76042910알루미늄 합금 로드 대 자료원 중국 재정부

中 3 월 1 일부터 월 개인소득세공제기준 2000 위앤으로 상향 조정 - 2005 년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 1 차 수정 이후 두 번째 -

- 추가공제기준 조정 등 총 일곱 군데 수정 -

김명신 베이징무역관clairekotraorkr

중국 개인소득세법실시조례 2 차 수정 중국 국무원은 지난 2 월 18 일 lsquo국무원이 중국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를 수정하는데 관한 결정rsquo

(國務院關于修改中華人民共和國個人所得稅法實施條例的決定)(국무원령 519 호)을 발표해 3월 1 일부터 시행에 들어감

중국은 1994 년 1 월 28 일부터 실시한 중국 기업소득세법실시조례(국무원령 142 호)를 지난

2005 년 말 대대적으로 수정(국무원령 452 호)해 2006 년 1 월 1 일부터 실시해 왔으며 소득증가 등 소득세 징수환경이 변화하면서 최근 2 차 수정을 단행함

주요 변경내용 이번 개인소득세법 2 차 수정에서는 개인소득세 공제기준이 월 1600 위앤에서 2000 위앤으로

400 위앤 상향조정된 반면 추가공제비용 기준은 기존 3200 위앤에서 2800 위앤으로 하향조정됨

14

이외에도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서 기존에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을 인정했으나 이번 2 차 수정결정문은 이외에도 lsquo기타 형식의 경제이익rsquo을 추가인정함

특정업종에 대한 범위도 다소 확대돼 기존에는 세법 제 9 조 두 번째 단락이 지칭하는

특정업종이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중국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이었으나 이번 수정결정문에는 특정 업종에 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업종도 추가됨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2 월 18 일 발표된 개인소득세실시조례 수정에 대해 지난 2 월 20 일 각

지방세무국에 lsquo개인소득세 임금급여소득 공제비용표준정책연결문제에 관한 통지rsquo(關于個人所得稅工資薪金所得減除費用標準政策銜接問題的通知)를 하달 3 월 1 일부터 월 소득공제기준을 2000 위앤으로 조정 실시하도록 조치함

- 납세자가 3 월 1 일전에 실제 취득한 임금 급여소득에 대해서는 세액이 3 월 1 일 이후에 납부된다 하더라도 월 1600 위앤의 공제비용기준이 적용됨

중국 개인소득세실시조례내용 변경 전후 비교

순서 구분(조항) 변경 전 변경 후

1소득형태 확대

(제 10 조)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

유가증권을 포함함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과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을 포함함 그중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은

시장가격에 따라 과세소득액을 산정함

2비용공제

기준 상향 조정(제 18 조)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1600 위앤임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 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2000 위앤임

3추가공제

기준(제 27 조)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16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20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4추가공제

적용대상자(제 28 조제 4항)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기타 재정부가 규정하는 자가 포함됨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

인원이 포함됨

5추가공제비용표준 하향조정(제 29 조)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3200 위앤임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2800 위앤임

6특정업종 범위 확대(제 40 조)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기타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임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수업middot원양어업 및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확정한

기타 업종임

7 조항삭제(제 48 조)

본 조례의 해석은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이 공동으로 함 삭제

15

자료원 국무원 판공실

lsquo저우추취rsquo 돋보인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 활발해지고 외국투자자의 중국 MampA 줄어 -

- 중국기업의 해외 MampA 발걸음 거세져 -

이영준 청두무역관ctuktckotraorkr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중국 10 대 MampA 사건은 全國工商聯倂購公會(China Mergers amp Acquisitions Association

CMAA) 全球倂購硏究中心(세계 MampA 연구중심) 中國倂購交易網(wwwmergers-chinacom)이 주관해 2001 년부터 공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하고 있으며 MampA 관련 영향력 있는 행사 중의 하나임

프랑스 다농(Danone)의 와하하(娃哈哈) 합병 쟁의 - 2007 년 4 월 매체를 통해 알려졌으며 프랑스 다농 그룹이 40억 위앤을 투자해 와하하 산하 10

여 개의 비(非)합자회사의 51의 지분을 인수하고자 함 10 여 개의 비합자회사의 자산 총액은 56억 위앤 2006 년 순이익은 10억 4000 만 위앤에 달함

- 다농의 합병 시도는 와하하의 중국 측 주주에 의해 저지됐으며 이는 이후 외자기업의 반독점

문제 민족 브랜드 보호문제에 대한 쟁의를 불러일으킴 중국이동통신(China Telecom) 파키스탄 통신 운영상 Millicom 사 인수 - 중국이동통신은 2007 년 4 월 28 일 발표를 통해 2 개월에 걸쳐 21억 3000 만 위앤(2억 8400

만 달러)를 투자해 룩셈부르크사의 Millicom 사가 가지고 있는 파키스탄 Paktel 사의 8886 지분을 인수했으며 나머지 1114의 주식을 인수하겠다는 협의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함

- 이번 인수는 중국이동통신의 전략적 해외기업 인수 사례로 중국 전신 운영업체의 lsquo저우추취rsquo

전략의 중요한 돌파구 마련한 계기가 됨 중국투자공사 미국 Blackstone Group 지분 참여 - 2007 년 5 월 22 일 중국투자공사 설립 준비(당시 lsquo國家外匯投資公司rsquo) 중 中央匯金公司의

자회사인 中國建銀投資公司는 Blackstone Group 에 225억 위앤(30억 달러)를 투자해 Blackstone Group 이 전 세계에 공개 발행한 주식 중 약 10 정도를 구매했으며 4 년간 보유하는 조건임

- 이는 중국투자공사의 해외 첫 번째 투자로써 중국의 거대한 외환보유량을 줄이고 외화 보유의

다원화를 촉진하는 의미있는 투자임 - 중국투자유한책임공사는 외화자금 전문 투자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늘어나는

외환보유고를 이용해 국제 금융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2007 년 9 월 29 일 정식 설립됨 중국국가개발은행 영국 Barclays Bank 투자

16

- 2007 년 7 월 23 일 중국국가개발은행은 영국의 Barclays Bank 는 협의를 통해 217억 5000만 위앤(14억 5000 만 파운드)에 달하는 2014억 보통주를 획득했으며 지분 비율은 31임 이는 중국국가개발은행의 상업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협력으로 간주하고 있음

중국공상은행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은행인 Standard Bank 투자 - 2007 년 10 월 25 일 중국공상은행은 409억 5000 만 위앤(54억 6000 만 달러)를 투자해

남아프리카공화국 Standard Bank 의 20 지분을 인수하여 이 은행의 최대 주주가 됨 이는 중국공상은행의 주식상장 이후 최대 해외 투자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최대 FDI 로 기록됨

중국항공업 동방항공 인수 경쟁 - 2007 년 9 월 초 싱가포르 항공과 싱가포르 국영투자회사인 TAMASEK 은 중국동방항공의 24

지분을 인수함 이 때문에 AIRCHINA 는 Cathay Pacific Airways 와 연합해 동방항공의 홍콩상장 주식을 늘리는 등 동방항공 인수전에 뛰어듦

- 그러나 중국 3 대 항공사의 대주주인 lsquo중국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rsquo의 제지와 항공업 관련

부문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함 중신증권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와 주식교환 - 2007 년 10 월말 중신증권은 발표를 통해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중신증권과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는 각각 75억 위앤(10억 달러)를 출자하여 주식교환을 실시했으며 40 년 만기의 전환가능 우선주를 획득하였다고 발표함

- 이 주식 수는 Bear Sterns 사의 총주식의 6에 상당하는 규모임 양사는 홍콩에 합자회사를

설립하고 양사의 아시아 지역 업무를 통합하기로 함 중신증권은 중국 국내 증권사중 최초로 해외투자은행의 주식을 인수한 증권사가 됨

세계 제 1 의 철강기업 아르셀로 미탈 철강회사 중국동방집단 인수 시도 - 2007 년 11 월 8 일부터 아르셀로 미탈은 두 차례에 걸쳐 홍콩에 상장된 중국동방집단의 1

대주주와 2 대주주의 주식 약 127억 5000 만위앤(17억 달러)에 달하는 73의 지분 인수를 통해 중국동방집단의 경영을 장악하고자 햇으나 홍콩증권감독위원회의 개입으로 1 차 구매부터 무산됨

- 만약 동 거래가 성사됐을 경우 외국자본이 중국 국내 철강기업을 합병하는 최초의 사례가 됐을

것으로 중국 국내 철강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사건으로 기록됨 중국평안보험 포르티스(Fortis) 지분 획득 - 2007 년 11 월 28 일 중국 제 2 위의 생명보험사인 중국평안보험(Ping An Insurance)과 유럽middot

미국에서 보험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포르티스 그룹은 MOU 체결을 통해 포르티스 그룹의 주식 418에 해당하는 9501 만 주를 인수하기로 함

- 인수가격은 195억 5000 만 위앤(18억 1000 만 유로)로 이로써 평안은 포르티스의 최대 단일

주주가 됨 이는 중국 보험사가 최초로 세계 금융 서비스 그룹에 투자한 사례이며 중국 국내 보험업계의 최대 해외투자로 기록됨

중국국가전망 필리핀 전력망 운영권 획득

17

- 2007 년 12 월 12 일 중국 최대 국유 전력회사인 중국국가전망은 약 296억 위앤(39억 5000만 달러)을 투자해 향후 25 년간의 필리핀 전력망 경영권을 획득함 이는 중국 국가전망의 최대 해외투자임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의 특징 해외진출 두드러져 중국의 2007 년 10 대 MampA 사건에 선정된 사례를 보면 10건 모두 국가 간의

기업인수합병으로 7건은 중국기업이 해외에 투자한 대표적인 사례이며 3건은 외국기업이 중국 본토기업에 투자한 사례임 이는 중국기업의 lsquo저우추취rsquo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현재 이뤄지고 있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주로 자원middot브랜드middot각종 산업 채널확보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lsquo저우추취rsquo전략으로 해외 투자의 발걸음은 더욱 거세지고 있음

또한 10 개의 사례 중 5 개의 사례가 금융업의 MampA 사례로 중국 금융업계의 해외진출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

특히 중국정부는 무역수지 흑자를 통해 늘어나는 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등 외화 활용의 다원화를 시도하고 있음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 간 MampA 활발히 진행 2007 년 12 월 18 일 발표된 PWC(Price Waterhouse Coopers) 차이나의 lsquo企業倂購歲末回顧與展望(MampA 연말회고와 전망)rsquo 보고에 따르면 2007 년 1~11 월 중국 전체 MampA 교역량(해외시장 제외)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700 여 건으로 거래금액은 25 증가한 8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내자기업 간의 전략적 MampA 교역량은 전년대비 45 증가했으며 거래금액도 53 증가한 506억 달러에 달해 외자기업 중국투자금액의 2배에 달한다고 밝힘

- 2006 년 이전에는 외자기업의 중국 직접투자가 MampA 의 증가요인이었으나 2006 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 교역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7 년에도 역시 중국 MampA 시장은 중국 본토기업간의 교역이 두드러졌다고 밝힘

- 이처럼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이 증가한 이유는 기업의 구조조정middot기업규모 확대 욕구middot

중국경제의 전면적 발전으로 M ampA 시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 개혁을 통해 급상승한 주식시장middot자본금middot은행차관 등을 통한 풍부한 유동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내자기업 간의 인수합병 지지 및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임

- 산업별로 보면 금융서비스업middot부동산middot제조업 및 채광업 등 4 대 산업에서 MampA 가 두드러진 증가추세를 보임

- 또한 사모주식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사모펀드의 MampA 는 140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했으며 금액은 106억 달러로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해외 MampA 빠르게 증가 - 중국의 해외 MampA 교역액은 2007 년 1~11 월 164억 달러에 달해 2006 년 79억 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함 보화영도(PWC 차이나)의 융자middotM ampA 의 총책임자인 쟈오량(趙亮)에 의하면 중국의 해외 MampA 는 2011 년에는 2006 년의 10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2007 년 외국투자자의 중국기업 MampA 감소

18

- lsquo亞洲收購與兼倂(아시아 MampA)잡지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2007 년 1~11 월 외국의 전략투자자의 중국 MampA 교역량은 339건으로 교역액은 166억 달러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6 27 감소했다고 밝힘

- 이는 2006 년 4 월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MampA 대상 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가 MampA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규범화돼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중국 정부는 20006 년 8 월 중국 상무부middot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세무총국middot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middot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외환관리국 령으로 lsquo關于外國投資者倂購境內企業的規定(외국투자자의 중국 경내 기업 M ampA 에 관한 규정)rsquo을 발표했으며 2007 년 8월에는 lsquo中華人民共和國反壟斷法(중화인민공화국 반독점법)rsquo이 발표를 통해 기업인수합병에 관한 내용을 규정

시사점 중국 정부의 선별적 투자유치로의 정책 전환과 노동력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은 생산형 투자의 어려움 중국 내수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판매 유통 채널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효율적인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 금융업 개방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 국유기업 개혁 지속 및 민영기업의 빠른 발전으로 MampA 의 기회가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됨

자료원 全國工商聯倂購公會(wwwma-chinacom) 경제관찰보 국제상보 중국증권보 등 종합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 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해외투자진출을 통한 통상마찰 완화 효과 기대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통해 반덤핑 조치 회피 ㅇ 2007 년 말 중국 상무부는 해외공업단지인 ldquo경외경제무역합작구(이하 「합작구」)rdquo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 결과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건설하는 11 개 프로젝트를 신규 허가함 ㅇ 중국의 해외 합작구 설립추진은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완화하면서 막대한 보유 외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임

ㅇ 합작구는 다양한 우대조치가 적용되고 있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합작구 설립을

추진하는 중국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중국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피하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정부의 우대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합작구로 진출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으로 보임

합작구 설립배경 ㅇ 중국산 섬유 어패럴 가전 철강제품 등에 대한 구미의 반덤핑 조사가 매년 증가하자 중국은

반덤핑조사로 인한 통상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국가를 경유해 제 3 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함

- 중국과 인접한 국가 중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곳에 설립된 공업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 3국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낮은 물류 비용으로 반덤핑 조치를 피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19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8: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中 물가 급등이 임금인상 기폭제 되나- 연내 lsquo임금 인상 시스템rsquo 마련되면 진출기업 경영비용 부담 될 듯 -

김윤희 상하이무역관

aleakotraorkr

lsquo임금인상시스템rsquo 연내 마련 예정 ㅇ 중국 노동사회보장부는 2008 년 내 lsquo임금조례rsquo 제정을 주요 업무로 확정됨 관련 전문가는 직원

임금 인상과 체불임금 지급보장 문제에 관한 중요한 조치가 될 것으로 예상됨 - lsquo임금 조례rsquo가 제정되면 임금이 물가상승폭에 따라 인상되도록 시스템을 마련할 가능성이 높음 ㅇ 이에 따라 최근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는 중국 내 물가상승은 각지 최저 임금인상을 큰 폭으로 올리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임

중국 물가상승률 추이()

자료원 중국국가통계국 물가 급등에 따라 각 지방정부 잇달아 임금 인상 ㅇ 광둥성 노동발전보장청은 지난 20 일 4 월 1 일부터 최저임금을 재인상할 것이라고 발표함 - 재인상된 최저임금 기준은 각각 860 위앤월 770 위앤월 670 위앤월 580 위앤월 530

위앤월 등 5 개 등급으로 차등화 했으며 평균 상승폭은 129임 - 광둥성 노동보장청 관계자는 경제발전middot취업middot물가 수준 등을 고려해 최저임금 인상 폭을 결정한

것이라고 밝힘

8

ㅇ 지난 19 일 1 월 소비자 물가가 71 상승해 11 년 이래 최고를 기록하자 같은 날 장쑤성은 각 시middot현급에서 집행하는 새로운 최저임금 등급을 발표middot공포했으며 이 가운데 5 개현은 최저임금 등급을 기존 2 등급(620 위앤월)에서 1 등급(850 위앤월)으로 상향조정해 최저 임금 수준이 230 위앤 상승함

ㅇ 2007 년 말까지 중국 27 개 성 최저임금이 인상됐으며 대부분 10 이상의 인상률이 보이고

있음 장씨성 일부 지역은 인상 폭이 50를 넘기도 함 - 2004 년 3 월에 수정된 lsquo최저임금규정rsquo에 따르면 최저 임금은 2 년에 한 차례 조정되도록 돼

있는데 쓰촨성은 4 년 연속 최저임금을 인상하고 있는 등 각지의 최저임금 인상이 잇따르고 있음

CPI 와 임금인상 연동해야 한다는 논의 뜨거워 ㅇ 지난해 상반기부터 CPI(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곡선을 그리며 하반기부터 연속해서 11 년

만에 최고 기록을 갱신하는 물가 급등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물가에 비상이 걸리자 lsquoCPI 와 연동된 임금인상 시스템rsquo을 마련해야 한다는 논의가 나오고 있음

ㅇ 중국 내 노무 전문가는 물가상승 지수를 임금 상승 법정 지표로 삼아야 한다며 임금 인상이

물가 급등으로 상쇄되지 않도록 하고 근로자의 실질 임금이 하락하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함

임금인상 시스템 진출기업 경영에 부담될 듯 ㅇ 지역별 최저 임금을 인상하는 한편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임금 인상 시스템이 연내에 마련될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임 - lsquo임금 조례rsquo 현재 초안이 마련된 상태이며 공청회를 거쳐 국무원 상무회의에 심의를 요청할

예정임 ㅇ 지난해부터 우대세금 축소middot노무비용 상승middot위앤화 절상middot원자재 가격 등 각종 경영비용 상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진출기업에 임금 인상 시스템 마련은 또 다른 압박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상해증권보 참고자료

9

2006~08 년 지역별 최저임금 및 2007 년 임금가이드라인 (단위 위앤 )

지역 2006 년 2007 년 2008 년임금가이드라인

기준율 상한선

北京 640 730 95 145天津 670 650 740720 14 22河北 580 540 480 440 14 20山西 550 510 470 430 610570530490 10 18內蒙古 560 520 460 400 遼寧 590 480 420 12 19吉林 510 460 410 650600550

黑龍江 620 590 475 450420 400380

上海 750 840 9 12江蘇 750620520 850700590 浙江 750670620540 850750700620 10 15

安徽 520500460430390360 560540500460420390(등급축소) 13 18

福建 650600570550480 750700650570480

江西 360330300270 510480450420390(등급확대)

山東 610540480430390 16 24河南 480400320 650550450 18 20湖北 460400360320280 580500460420380 湖南 600500480450420400 635500530480460440

廣東 780690600500450 860770670580530 103 15

廣西 500435390345 海南 580480430 650550450 重慶 580480440

四川 580510450400 650550450(등급 축소) 145 205

貴州 550500450 650600550 15 20雲南 540480420 13 19西藏 495470445 陝西 540500460420 甘肅 430400360320 靑海 460450440 10 15寧夏 450420380 560530490 13 17

10

新疆 670620580550520500480 460440 12 15

大連 650600500 11 17厦門 600550480 750700(등급축소) 深圳 810700 850750 10 15

자료원 베이징 무역관에서 정리한 내용 2008 년 최근 수치 업데이트

中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반입물품 수출관세 면제- 생산기업 대상 2 월 15 일부터 실시 -

김명신 베이징 무역관

clairekotraorkr

주요 내용 중국 국무원관세세칙위원회는 지난 2 월 4 일 lsquo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된 일부품목의

수출관세를 징수하는 않는 것에 관한 통지rsquo(關于對部分進入海關特殊監管區域的産品不徵收出口關稅的通知)를 발표하고 2 월 15 일부터 총 95 개 철강제품(HS Code 8 단위 기준)에 대한 수출관세를 면제함

- 통지문에 따르면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을 건설하거나 구역내 기업의 공장건물을 건설하는데 사용되는 기초건설물자를 해당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할 경우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그러나 이 기초건설물자가 특수감독관리구역으로부터 수출되는 것은 불가하며 특수구역내 미사용분은 해관 감독관리하에 구역외지역으로 반출되어야 함

- 해외로부터 특수구역내 반입된 기초건설물자가 중국내 특수구역외 지역으로 운반될 경우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관련 규정에 따라 통관 및 세금납부수속을 거쳐야 함

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해 구역내

반입할 경우에도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용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했으나 실질적인 가공을

하지 않은 경우 보세물류 창고저장 무역업체 등 구역내 비생산기업에 전입시키거나 판매 직접 반출 또는 보세방식으로 반출할 수 없음

-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은 원부자재가 실질적 가공을 거치지 않고 중국내 특수감독관리외지역으로 판매될 경우 규정에 따라 수입관세와 수입부가가치세가 부과됨

이번 수출관세 면세정책은 보세가공능력이 있는 수출가공구 보세항 종합보세구

주하이ㆍ마카오공업구(주하이원구) 중국-카자흐스탄국제변경협력센터 중국구역 등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에만 적용되며 중국내 비생산기업이 아래 리스트의 원자재를 구매할 경우 에는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을 수 없음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대상 수출관세 면제품목

순서 HS Code 품목명

1 72051000생철 경철 및 철강과립

2 72081000 도안을 압연한 열연코일

3 72082500두께ge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11

4 72082610항복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5 720826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6 72082710두께<1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7 720827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8 72083600두께>10인 기타 열연코일

9 72083700475le두께le10인 기타 열연코일

10 720838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1 720838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2 72083910두께<15인 기타열연코일

13 720839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14 72084000압연해 요철무늬가 있는 열연비코일

15 72085110두께>50인 기타 열연비코일

16 72085120두께>20이나 50를 초과하지 않는 기타 열연비코일

17 72085190 기타 두께>10인 기타 열연비코일

18 72085200475le두께le10인 열연비코일

19 720853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0 72085390 기타 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1 72085410두께<15인 열연비코일

22 72085490 기타 두께<3인 열연비코일

23 72089000 기타 열연강철 또는 비합금강 넓은 판재

24 72111300 무늬를 압연하지 않고 네면을 압연해 만든 압연비코일

25 72111400두께ge475인 기타열연판재

26 72111900 기타 열연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7 72112300냉연 카본함유량<025인 판재

28 72112900냉연 기타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9 72119000냉연 강철 또는 비합금 기타 좁은 판재

30 72121000 도금하거나 주석을 바른 비합금강 좁은 판재

31 721220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2 7212300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강철 좁은 판재

33 72124000 도료를 칠하거나 플라스틱을 칠한 철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4 72125000칠하거나 도금한 기타 재료철 또는 비함금강 좁은 판재

35 72126000덮어씌운 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6 72131000 무늬를 압연한 열연와이어로드

37 72132000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제 열연 와이어로드

38 72139100 직경<14인 둥근 절단면의 기타 열연 와이어 로드

39 72139900 기타 열연와이어로드

40 72142000열가공한 무늬를 압연제작한 로드 대41 72143000열가공해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

12

42 72149100열가공한 기타 직사각형 절단명의 로드 대43 72149900열가공한 기타 로드 대44 72151000냉가공한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45 72155000냉가공하거나 냉각해 형성한 기타 로드 대46 72159000 철강 및 비합금강의 기타 로드 대47 72161010 절단면 높이<80인 H 형강

48 72161020 절단면 높이가 80보다 적은 아이형 강

49 72161090 절단면 높이<80인 U 형강

50 72162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L 형강

51 721622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T 형강

52 72163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ge80인 조형강

53 72163210 절단면 높이가 200이상인 아이형 강

54 72163290열가공 절단면 높이가 ge80인 아이형강

55 72163311 절단명 높이가 800이상인 H 형강

56 72163319 절단면 높이가 ge200인 H 형강

57 72163390 기타 절단면 높이가 ge80인 H 형강

58 72164010열가공한 절단면높이가 ge80인 L 형강

59 72164020열가공한 절단면 높이가 ge80인 T 형강

60 72165010열가공한 Z 형강

61 72165090열가공한 기타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2 72166100냉가공한 판재로 제작된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3 72166900냉가공한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4 72169100냉가공한 기타 판재로 만든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5 72169900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6 72171000 도금하지 않거나 도료를 바르지 은 철강 또는 비합금강 철사

67 72172000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철 또는 비합금강 철사

68 72173010 도금하거나 동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69 72173090 도금하거나 기타 저급 금속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70 72179000 기타 강철사 또는 비합금 강철사

71 721913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2 721913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3 72191329두께가 3이상이나 475보다 작은 염산세척한 기타 스테인리스 와이어판

74 721914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두께<3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5 721914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두께<3인 망간크롬계열 스테인리스

76 722591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금합금강 넒은 평판압연재

77 72259200 기타 도금 또는 아연을 바른 기타 합금강 넓은 판재

13

78 72259910 폭ge600인 고속강평판압연재

79 72259990 폭ge600인 기타합금강 평판압연재

80 72269200 폭<600인 냉연 기타 합금강판재

81 7226991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합금강 좁은 평판압연재

82 7226992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기타합금강 좁음 판재

83 72272000 실리콘망간강의 열연 와이어로드

84 72282000 기타 실리콘망간강의 로드 대85 72286000 기타 합금강 로드 대86 73053100 상하방향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7 73053900 기타 방법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8 73059000 이름을 나열할 수 없는 원형 절단면의 조강강철관

89 73063000 기타 철강 또는 비합금 강 원형 절단면의 용접관

90 73064000 스테인리스강 기타 원형 절단면의 가는 용접관

91 73065000 기타 합금강의 원형 절단면 가는 용접관

92 73066100 직사강형 또는 정사각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3 73066900 기타 비원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4 76041010 비합금 로드 대95 76042910알루미늄 합금 로드 대 자료원 중국 재정부

中 3 월 1 일부터 월 개인소득세공제기준 2000 위앤으로 상향 조정 - 2005 년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 1 차 수정 이후 두 번째 -

- 추가공제기준 조정 등 총 일곱 군데 수정 -

김명신 베이징무역관clairekotraorkr

중국 개인소득세법실시조례 2 차 수정 중국 국무원은 지난 2 월 18 일 lsquo국무원이 중국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를 수정하는데 관한 결정rsquo

(國務院關于修改中華人民共和國個人所得稅法實施條例的決定)(국무원령 519 호)을 발표해 3월 1 일부터 시행에 들어감

중국은 1994 년 1 월 28 일부터 실시한 중국 기업소득세법실시조례(국무원령 142 호)를 지난

2005 년 말 대대적으로 수정(국무원령 452 호)해 2006 년 1 월 1 일부터 실시해 왔으며 소득증가 등 소득세 징수환경이 변화하면서 최근 2 차 수정을 단행함

주요 변경내용 이번 개인소득세법 2 차 수정에서는 개인소득세 공제기준이 월 1600 위앤에서 2000 위앤으로

400 위앤 상향조정된 반면 추가공제비용 기준은 기존 3200 위앤에서 2800 위앤으로 하향조정됨

14

이외에도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서 기존에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을 인정했으나 이번 2 차 수정결정문은 이외에도 lsquo기타 형식의 경제이익rsquo을 추가인정함

특정업종에 대한 범위도 다소 확대돼 기존에는 세법 제 9 조 두 번째 단락이 지칭하는

특정업종이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중국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이었으나 이번 수정결정문에는 특정 업종에 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업종도 추가됨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2 월 18 일 발표된 개인소득세실시조례 수정에 대해 지난 2 월 20 일 각

지방세무국에 lsquo개인소득세 임금급여소득 공제비용표준정책연결문제에 관한 통지rsquo(關于個人所得稅工資薪金所得減除費用標準政策銜接問題的通知)를 하달 3 월 1 일부터 월 소득공제기준을 2000 위앤으로 조정 실시하도록 조치함

- 납세자가 3 월 1 일전에 실제 취득한 임금 급여소득에 대해서는 세액이 3 월 1 일 이후에 납부된다 하더라도 월 1600 위앤의 공제비용기준이 적용됨

중국 개인소득세실시조례내용 변경 전후 비교

순서 구분(조항) 변경 전 변경 후

1소득형태 확대

(제 10 조)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

유가증권을 포함함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과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을 포함함 그중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은

시장가격에 따라 과세소득액을 산정함

2비용공제

기준 상향 조정(제 18 조)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1600 위앤임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 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2000 위앤임

3추가공제

기준(제 27 조)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16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20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4추가공제

적용대상자(제 28 조제 4항)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기타 재정부가 규정하는 자가 포함됨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

인원이 포함됨

5추가공제비용표준 하향조정(제 29 조)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3200 위앤임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2800 위앤임

6특정업종 범위 확대(제 40 조)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기타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임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수업middot원양어업 및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확정한

기타 업종임

7 조항삭제(제 48 조)

본 조례의 해석은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이 공동으로 함 삭제

15

자료원 국무원 판공실

lsquo저우추취rsquo 돋보인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 활발해지고 외국투자자의 중국 MampA 줄어 -

- 중국기업의 해외 MampA 발걸음 거세져 -

이영준 청두무역관ctuktckotraorkr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중국 10 대 MampA 사건은 全國工商聯倂購公會(China Mergers amp Acquisitions Association

CMAA) 全球倂購硏究中心(세계 MampA 연구중심) 中國倂購交易網(wwwmergers-chinacom)이 주관해 2001 년부터 공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하고 있으며 MampA 관련 영향력 있는 행사 중의 하나임

프랑스 다농(Danone)의 와하하(娃哈哈) 합병 쟁의 - 2007 년 4 월 매체를 통해 알려졌으며 프랑스 다농 그룹이 40억 위앤을 투자해 와하하 산하 10

여 개의 비(非)합자회사의 51의 지분을 인수하고자 함 10 여 개의 비합자회사의 자산 총액은 56억 위앤 2006 년 순이익은 10억 4000 만 위앤에 달함

- 다농의 합병 시도는 와하하의 중국 측 주주에 의해 저지됐으며 이는 이후 외자기업의 반독점

문제 민족 브랜드 보호문제에 대한 쟁의를 불러일으킴 중국이동통신(China Telecom) 파키스탄 통신 운영상 Millicom 사 인수 - 중국이동통신은 2007 년 4 월 28 일 발표를 통해 2 개월에 걸쳐 21억 3000 만 위앤(2억 8400

만 달러)를 투자해 룩셈부르크사의 Millicom 사가 가지고 있는 파키스탄 Paktel 사의 8886 지분을 인수했으며 나머지 1114의 주식을 인수하겠다는 협의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함

- 이번 인수는 중국이동통신의 전략적 해외기업 인수 사례로 중국 전신 운영업체의 lsquo저우추취rsquo

전략의 중요한 돌파구 마련한 계기가 됨 중국투자공사 미국 Blackstone Group 지분 참여 - 2007 년 5 월 22 일 중국투자공사 설립 준비(당시 lsquo國家外匯投資公司rsquo) 중 中央匯金公司의

자회사인 中國建銀投資公司는 Blackstone Group 에 225억 위앤(30억 달러)를 투자해 Blackstone Group 이 전 세계에 공개 발행한 주식 중 약 10 정도를 구매했으며 4 년간 보유하는 조건임

- 이는 중국투자공사의 해외 첫 번째 투자로써 중국의 거대한 외환보유량을 줄이고 외화 보유의

다원화를 촉진하는 의미있는 투자임 - 중국투자유한책임공사는 외화자금 전문 투자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늘어나는

외환보유고를 이용해 국제 금융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2007 년 9 월 29 일 정식 설립됨 중국국가개발은행 영국 Barclays Bank 투자

16

- 2007 년 7 월 23 일 중국국가개발은행은 영국의 Barclays Bank 는 협의를 통해 217억 5000만 위앤(14억 5000 만 파운드)에 달하는 2014억 보통주를 획득했으며 지분 비율은 31임 이는 중국국가개발은행의 상업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협력으로 간주하고 있음

중국공상은행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은행인 Standard Bank 투자 - 2007 년 10 월 25 일 중국공상은행은 409억 5000 만 위앤(54억 6000 만 달러)를 투자해

남아프리카공화국 Standard Bank 의 20 지분을 인수하여 이 은행의 최대 주주가 됨 이는 중국공상은행의 주식상장 이후 최대 해외 투자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최대 FDI 로 기록됨

중국항공업 동방항공 인수 경쟁 - 2007 년 9 월 초 싱가포르 항공과 싱가포르 국영투자회사인 TAMASEK 은 중국동방항공의 24

지분을 인수함 이 때문에 AIRCHINA 는 Cathay Pacific Airways 와 연합해 동방항공의 홍콩상장 주식을 늘리는 등 동방항공 인수전에 뛰어듦

- 그러나 중국 3 대 항공사의 대주주인 lsquo중국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rsquo의 제지와 항공업 관련

부문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함 중신증권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와 주식교환 - 2007 년 10 월말 중신증권은 발표를 통해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중신증권과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는 각각 75억 위앤(10억 달러)를 출자하여 주식교환을 실시했으며 40 년 만기의 전환가능 우선주를 획득하였다고 발표함

- 이 주식 수는 Bear Sterns 사의 총주식의 6에 상당하는 규모임 양사는 홍콩에 합자회사를

설립하고 양사의 아시아 지역 업무를 통합하기로 함 중신증권은 중국 국내 증권사중 최초로 해외투자은행의 주식을 인수한 증권사가 됨

세계 제 1 의 철강기업 아르셀로 미탈 철강회사 중국동방집단 인수 시도 - 2007 년 11 월 8 일부터 아르셀로 미탈은 두 차례에 걸쳐 홍콩에 상장된 중국동방집단의 1

대주주와 2 대주주의 주식 약 127억 5000 만위앤(17억 달러)에 달하는 73의 지분 인수를 통해 중국동방집단의 경영을 장악하고자 햇으나 홍콩증권감독위원회의 개입으로 1 차 구매부터 무산됨

- 만약 동 거래가 성사됐을 경우 외국자본이 중국 국내 철강기업을 합병하는 최초의 사례가 됐을

것으로 중국 국내 철강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사건으로 기록됨 중국평안보험 포르티스(Fortis) 지분 획득 - 2007 년 11 월 28 일 중국 제 2 위의 생명보험사인 중국평안보험(Ping An Insurance)과 유럽middot

미국에서 보험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포르티스 그룹은 MOU 체결을 통해 포르티스 그룹의 주식 418에 해당하는 9501 만 주를 인수하기로 함

- 인수가격은 195억 5000 만 위앤(18억 1000 만 유로)로 이로써 평안은 포르티스의 최대 단일

주주가 됨 이는 중국 보험사가 최초로 세계 금융 서비스 그룹에 투자한 사례이며 중국 국내 보험업계의 최대 해외투자로 기록됨

중국국가전망 필리핀 전력망 운영권 획득

17

- 2007 년 12 월 12 일 중국 최대 국유 전력회사인 중국국가전망은 약 296억 위앤(39억 5000만 달러)을 투자해 향후 25 년간의 필리핀 전력망 경영권을 획득함 이는 중국 국가전망의 최대 해외투자임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의 특징 해외진출 두드러져 중국의 2007 년 10 대 MampA 사건에 선정된 사례를 보면 10건 모두 국가 간의

기업인수합병으로 7건은 중국기업이 해외에 투자한 대표적인 사례이며 3건은 외국기업이 중국 본토기업에 투자한 사례임 이는 중국기업의 lsquo저우추취rsquo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현재 이뤄지고 있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주로 자원middot브랜드middot각종 산업 채널확보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lsquo저우추취rsquo전략으로 해외 투자의 발걸음은 더욱 거세지고 있음

또한 10 개의 사례 중 5 개의 사례가 금융업의 MampA 사례로 중국 금융업계의 해외진출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

특히 중국정부는 무역수지 흑자를 통해 늘어나는 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등 외화 활용의 다원화를 시도하고 있음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 간 MampA 활발히 진행 2007 년 12 월 18 일 발표된 PWC(Price Waterhouse Coopers) 차이나의 lsquo企業倂購歲末回顧與展望(MampA 연말회고와 전망)rsquo 보고에 따르면 2007 년 1~11 월 중국 전체 MampA 교역량(해외시장 제외)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700 여 건으로 거래금액은 25 증가한 8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내자기업 간의 전략적 MampA 교역량은 전년대비 45 증가했으며 거래금액도 53 증가한 506억 달러에 달해 외자기업 중국투자금액의 2배에 달한다고 밝힘

- 2006 년 이전에는 외자기업의 중국 직접투자가 MampA 의 증가요인이었으나 2006 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 교역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7 년에도 역시 중국 MampA 시장은 중국 본토기업간의 교역이 두드러졌다고 밝힘

- 이처럼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이 증가한 이유는 기업의 구조조정middot기업규모 확대 욕구middot

중국경제의 전면적 발전으로 M ampA 시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 개혁을 통해 급상승한 주식시장middot자본금middot은행차관 등을 통한 풍부한 유동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내자기업 간의 인수합병 지지 및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임

- 산업별로 보면 금융서비스업middot부동산middot제조업 및 채광업 등 4 대 산업에서 MampA 가 두드러진 증가추세를 보임

- 또한 사모주식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사모펀드의 MampA 는 140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했으며 금액은 106억 달러로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해외 MampA 빠르게 증가 - 중국의 해외 MampA 교역액은 2007 년 1~11 월 164억 달러에 달해 2006 년 79억 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함 보화영도(PWC 차이나)의 융자middotM ampA 의 총책임자인 쟈오량(趙亮)에 의하면 중국의 해외 MampA 는 2011 년에는 2006 년의 10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2007 년 외국투자자의 중국기업 MampA 감소

18

- lsquo亞洲收購與兼倂(아시아 MampA)잡지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2007 년 1~11 월 외국의 전략투자자의 중국 MampA 교역량은 339건으로 교역액은 166억 달러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6 27 감소했다고 밝힘

- 이는 2006 년 4 월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MampA 대상 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가 MampA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규범화돼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중국 정부는 20006 년 8 월 중국 상무부middot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세무총국middot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middot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외환관리국 령으로 lsquo關于外國投資者倂購境內企業的規定(외국투자자의 중국 경내 기업 M ampA 에 관한 규정)rsquo을 발표했으며 2007 년 8월에는 lsquo中華人民共和國反壟斷法(중화인민공화국 반독점법)rsquo이 발표를 통해 기업인수합병에 관한 내용을 규정

시사점 중국 정부의 선별적 투자유치로의 정책 전환과 노동력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은 생산형 투자의 어려움 중국 내수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판매 유통 채널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효율적인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 금융업 개방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 국유기업 개혁 지속 및 민영기업의 빠른 발전으로 MampA 의 기회가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됨

자료원 全國工商聯倂購公會(wwwma-chinacom) 경제관찰보 국제상보 중국증권보 등 종합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 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해외투자진출을 통한 통상마찰 완화 효과 기대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통해 반덤핑 조치 회피 ㅇ 2007 년 말 중국 상무부는 해외공업단지인 ldquo경외경제무역합작구(이하 「합작구」)rdquo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 결과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건설하는 11 개 프로젝트를 신규 허가함 ㅇ 중국의 해외 합작구 설립추진은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완화하면서 막대한 보유 외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임

ㅇ 합작구는 다양한 우대조치가 적용되고 있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합작구 설립을

추진하는 중국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중국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피하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정부의 우대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합작구로 진출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으로 보임

합작구 설립배경 ㅇ 중국산 섬유 어패럴 가전 철강제품 등에 대한 구미의 반덤핑 조사가 매년 증가하자 중국은

반덤핑조사로 인한 통상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국가를 경유해 제 3 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함

- 중국과 인접한 국가 중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곳에 설립된 공업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 3국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낮은 물류 비용으로 반덤핑 조치를 피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19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9: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ㅇ 지난 19 일 1 월 소비자 물가가 71 상승해 11 년 이래 최고를 기록하자 같은 날 장쑤성은 각 시middot현급에서 집행하는 새로운 최저임금 등급을 발표middot공포했으며 이 가운데 5 개현은 최저임금 등급을 기존 2 등급(620 위앤월)에서 1 등급(850 위앤월)으로 상향조정해 최저 임금 수준이 230 위앤 상승함

ㅇ 2007 년 말까지 중국 27 개 성 최저임금이 인상됐으며 대부분 10 이상의 인상률이 보이고

있음 장씨성 일부 지역은 인상 폭이 50를 넘기도 함 - 2004 년 3 월에 수정된 lsquo최저임금규정rsquo에 따르면 최저 임금은 2 년에 한 차례 조정되도록 돼

있는데 쓰촨성은 4 년 연속 최저임금을 인상하고 있는 등 각지의 최저임금 인상이 잇따르고 있음

CPI 와 임금인상 연동해야 한다는 논의 뜨거워 ㅇ 지난해 상반기부터 CPI(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곡선을 그리며 하반기부터 연속해서 11 년

만에 최고 기록을 갱신하는 물가 급등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물가에 비상이 걸리자 lsquoCPI 와 연동된 임금인상 시스템rsquo을 마련해야 한다는 논의가 나오고 있음

ㅇ 중국 내 노무 전문가는 물가상승 지수를 임금 상승 법정 지표로 삼아야 한다며 임금 인상이

물가 급등으로 상쇄되지 않도록 하고 근로자의 실질 임금이 하락하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함

임금인상 시스템 진출기업 경영에 부담될 듯 ㅇ 지역별 최저 임금을 인상하는 한편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임금 인상 시스템이 연내에 마련될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임 - lsquo임금 조례rsquo 현재 초안이 마련된 상태이며 공청회를 거쳐 국무원 상무회의에 심의를 요청할

예정임 ㅇ 지난해부터 우대세금 축소middot노무비용 상승middot위앤화 절상middot원자재 가격 등 각종 경영비용 상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진출기업에 임금 인상 시스템 마련은 또 다른 압박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상해증권보 참고자료

9

2006~08 년 지역별 최저임금 및 2007 년 임금가이드라인 (단위 위앤 )

지역 2006 년 2007 년 2008 년임금가이드라인

기준율 상한선

北京 640 730 95 145天津 670 650 740720 14 22河北 580 540 480 440 14 20山西 550 510 470 430 610570530490 10 18內蒙古 560 520 460 400 遼寧 590 480 420 12 19吉林 510 460 410 650600550

黑龍江 620 590 475 450420 400380

上海 750 840 9 12江蘇 750620520 850700590 浙江 750670620540 850750700620 10 15

安徽 520500460430390360 560540500460420390(등급축소) 13 18

福建 650600570550480 750700650570480

江西 360330300270 510480450420390(등급확대)

山東 610540480430390 16 24河南 480400320 650550450 18 20湖北 460400360320280 580500460420380 湖南 600500480450420400 635500530480460440

廣東 780690600500450 860770670580530 103 15

廣西 500435390345 海南 580480430 650550450 重慶 580480440

四川 580510450400 650550450(등급 축소) 145 205

貴州 550500450 650600550 15 20雲南 540480420 13 19西藏 495470445 陝西 540500460420 甘肅 430400360320 靑海 460450440 10 15寧夏 450420380 560530490 13 17

10

新疆 670620580550520500480 460440 12 15

大連 650600500 11 17厦門 600550480 750700(등급축소) 深圳 810700 850750 10 15

자료원 베이징 무역관에서 정리한 내용 2008 년 최근 수치 업데이트

中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반입물품 수출관세 면제- 생산기업 대상 2 월 15 일부터 실시 -

김명신 베이징 무역관

clairekotraorkr

주요 내용 중국 국무원관세세칙위원회는 지난 2 월 4 일 lsquo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된 일부품목의

수출관세를 징수하는 않는 것에 관한 통지rsquo(關于對部分進入海關特殊監管區域的産品不徵收出口關稅的通知)를 발표하고 2 월 15 일부터 총 95 개 철강제품(HS Code 8 단위 기준)에 대한 수출관세를 면제함

- 통지문에 따르면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을 건설하거나 구역내 기업의 공장건물을 건설하는데 사용되는 기초건설물자를 해당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할 경우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그러나 이 기초건설물자가 특수감독관리구역으로부터 수출되는 것은 불가하며 특수구역내 미사용분은 해관 감독관리하에 구역외지역으로 반출되어야 함

- 해외로부터 특수구역내 반입된 기초건설물자가 중국내 특수구역외 지역으로 운반될 경우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관련 규정에 따라 통관 및 세금납부수속을 거쳐야 함

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해 구역내

반입할 경우에도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용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했으나 실질적인 가공을

하지 않은 경우 보세물류 창고저장 무역업체 등 구역내 비생산기업에 전입시키거나 판매 직접 반출 또는 보세방식으로 반출할 수 없음

-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은 원부자재가 실질적 가공을 거치지 않고 중국내 특수감독관리외지역으로 판매될 경우 규정에 따라 수입관세와 수입부가가치세가 부과됨

이번 수출관세 면세정책은 보세가공능력이 있는 수출가공구 보세항 종합보세구

주하이ㆍ마카오공업구(주하이원구) 중국-카자흐스탄국제변경협력센터 중국구역 등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에만 적용되며 중국내 비생산기업이 아래 리스트의 원자재를 구매할 경우 에는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을 수 없음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대상 수출관세 면제품목

순서 HS Code 품목명

1 72051000생철 경철 및 철강과립

2 72081000 도안을 압연한 열연코일

3 72082500두께ge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11

4 72082610항복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5 720826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6 72082710두께<1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7 720827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8 72083600두께>10인 기타 열연코일

9 72083700475le두께le10인 기타 열연코일

10 720838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1 720838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2 72083910두께<15인 기타열연코일

13 720839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14 72084000압연해 요철무늬가 있는 열연비코일

15 72085110두께>50인 기타 열연비코일

16 72085120두께>20이나 50를 초과하지 않는 기타 열연비코일

17 72085190 기타 두께>10인 기타 열연비코일

18 72085200475le두께le10인 열연비코일

19 720853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0 72085390 기타 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1 72085410두께<15인 열연비코일

22 72085490 기타 두께<3인 열연비코일

23 72089000 기타 열연강철 또는 비합금강 넓은 판재

24 72111300 무늬를 압연하지 않고 네면을 압연해 만든 압연비코일

25 72111400두께ge475인 기타열연판재

26 72111900 기타 열연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7 72112300냉연 카본함유량<025인 판재

28 72112900냉연 기타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9 72119000냉연 강철 또는 비합금 기타 좁은 판재

30 72121000 도금하거나 주석을 바른 비합금강 좁은 판재

31 721220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2 7212300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강철 좁은 판재

33 72124000 도료를 칠하거나 플라스틱을 칠한 철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4 72125000칠하거나 도금한 기타 재료철 또는 비함금강 좁은 판재

35 72126000덮어씌운 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6 72131000 무늬를 압연한 열연와이어로드

37 72132000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제 열연 와이어로드

38 72139100 직경<14인 둥근 절단면의 기타 열연 와이어 로드

39 72139900 기타 열연와이어로드

40 72142000열가공한 무늬를 압연제작한 로드 대41 72143000열가공해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

12

42 72149100열가공한 기타 직사각형 절단명의 로드 대43 72149900열가공한 기타 로드 대44 72151000냉가공한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45 72155000냉가공하거나 냉각해 형성한 기타 로드 대46 72159000 철강 및 비합금강의 기타 로드 대47 72161010 절단면 높이<80인 H 형강

48 72161020 절단면 높이가 80보다 적은 아이형 강

49 72161090 절단면 높이<80인 U 형강

50 72162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L 형강

51 721622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T 형강

52 72163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ge80인 조형강

53 72163210 절단면 높이가 200이상인 아이형 강

54 72163290열가공 절단면 높이가 ge80인 아이형강

55 72163311 절단명 높이가 800이상인 H 형강

56 72163319 절단면 높이가 ge200인 H 형강

57 72163390 기타 절단면 높이가 ge80인 H 형강

58 72164010열가공한 절단면높이가 ge80인 L 형강

59 72164020열가공한 절단면 높이가 ge80인 T 형강

60 72165010열가공한 Z 형강

61 72165090열가공한 기타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2 72166100냉가공한 판재로 제작된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3 72166900냉가공한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4 72169100냉가공한 기타 판재로 만든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5 72169900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6 72171000 도금하지 않거나 도료를 바르지 은 철강 또는 비합금강 철사

67 72172000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철 또는 비합금강 철사

68 72173010 도금하거나 동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69 72173090 도금하거나 기타 저급 금속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70 72179000 기타 강철사 또는 비합금 강철사

71 721913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2 721913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3 72191329두께가 3이상이나 475보다 작은 염산세척한 기타 스테인리스 와이어판

74 721914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두께<3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5 721914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두께<3인 망간크롬계열 스테인리스

76 722591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금합금강 넒은 평판압연재

77 72259200 기타 도금 또는 아연을 바른 기타 합금강 넓은 판재

13

78 72259910 폭ge600인 고속강평판압연재

79 72259990 폭ge600인 기타합금강 평판압연재

80 72269200 폭<600인 냉연 기타 합금강판재

81 7226991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합금강 좁은 평판압연재

82 7226992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기타합금강 좁음 판재

83 72272000 실리콘망간강의 열연 와이어로드

84 72282000 기타 실리콘망간강의 로드 대85 72286000 기타 합금강 로드 대86 73053100 상하방향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7 73053900 기타 방법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8 73059000 이름을 나열할 수 없는 원형 절단면의 조강강철관

89 73063000 기타 철강 또는 비합금 강 원형 절단면의 용접관

90 73064000 스테인리스강 기타 원형 절단면의 가는 용접관

91 73065000 기타 합금강의 원형 절단면 가는 용접관

92 73066100 직사강형 또는 정사각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3 73066900 기타 비원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4 76041010 비합금 로드 대95 76042910알루미늄 합금 로드 대 자료원 중국 재정부

中 3 월 1 일부터 월 개인소득세공제기준 2000 위앤으로 상향 조정 - 2005 년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 1 차 수정 이후 두 번째 -

- 추가공제기준 조정 등 총 일곱 군데 수정 -

김명신 베이징무역관clairekotraorkr

중국 개인소득세법실시조례 2 차 수정 중국 국무원은 지난 2 월 18 일 lsquo국무원이 중국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를 수정하는데 관한 결정rsquo

(國務院關于修改中華人民共和國個人所得稅法實施條例的決定)(국무원령 519 호)을 발표해 3월 1 일부터 시행에 들어감

중국은 1994 년 1 월 28 일부터 실시한 중국 기업소득세법실시조례(국무원령 142 호)를 지난

2005 년 말 대대적으로 수정(국무원령 452 호)해 2006 년 1 월 1 일부터 실시해 왔으며 소득증가 등 소득세 징수환경이 변화하면서 최근 2 차 수정을 단행함

주요 변경내용 이번 개인소득세법 2 차 수정에서는 개인소득세 공제기준이 월 1600 위앤에서 2000 위앤으로

400 위앤 상향조정된 반면 추가공제비용 기준은 기존 3200 위앤에서 2800 위앤으로 하향조정됨

14

이외에도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서 기존에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을 인정했으나 이번 2 차 수정결정문은 이외에도 lsquo기타 형식의 경제이익rsquo을 추가인정함

특정업종에 대한 범위도 다소 확대돼 기존에는 세법 제 9 조 두 번째 단락이 지칭하는

특정업종이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중국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이었으나 이번 수정결정문에는 특정 업종에 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업종도 추가됨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2 월 18 일 발표된 개인소득세실시조례 수정에 대해 지난 2 월 20 일 각

지방세무국에 lsquo개인소득세 임금급여소득 공제비용표준정책연결문제에 관한 통지rsquo(關于個人所得稅工資薪金所得減除費用標準政策銜接問題的通知)를 하달 3 월 1 일부터 월 소득공제기준을 2000 위앤으로 조정 실시하도록 조치함

- 납세자가 3 월 1 일전에 실제 취득한 임금 급여소득에 대해서는 세액이 3 월 1 일 이후에 납부된다 하더라도 월 1600 위앤의 공제비용기준이 적용됨

중국 개인소득세실시조례내용 변경 전후 비교

순서 구분(조항) 변경 전 변경 후

1소득형태 확대

(제 10 조)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

유가증권을 포함함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과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을 포함함 그중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은

시장가격에 따라 과세소득액을 산정함

2비용공제

기준 상향 조정(제 18 조)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1600 위앤임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 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2000 위앤임

3추가공제

기준(제 27 조)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16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20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4추가공제

적용대상자(제 28 조제 4항)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기타 재정부가 규정하는 자가 포함됨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

인원이 포함됨

5추가공제비용표준 하향조정(제 29 조)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3200 위앤임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2800 위앤임

6특정업종 범위 확대(제 40 조)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기타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임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수업middot원양어업 및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확정한

기타 업종임

7 조항삭제(제 48 조)

본 조례의 해석은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이 공동으로 함 삭제

15

자료원 국무원 판공실

lsquo저우추취rsquo 돋보인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 활발해지고 외국투자자의 중국 MampA 줄어 -

- 중국기업의 해외 MampA 발걸음 거세져 -

이영준 청두무역관ctuktckotraorkr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중국 10 대 MampA 사건은 全國工商聯倂購公會(China Mergers amp Acquisitions Association

CMAA) 全球倂購硏究中心(세계 MampA 연구중심) 中國倂購交易網(wwwmergers-chinacom)이 주관해 2001 년부터 공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하고 있으며 MampA 관련 영향력 있는 행사 중의 하나임

프랑스 다농(Danone)의 와하하(娃哈哈) 합병 쟁의 - 2007 년 4 월 매체를 통해 알려졌으며 프랑스 다농 그룹이 40억 위앤을 투자해 와하하 산하 10

여 개의 비(非)합자회사의 51의 지분을 인수하고자 함 10 여 개의 비합자회사의 자산 총액은 56억 위앤 2006 년 순이익은 10억 4000 만 위앤에 달함

- 다농의 합병 시도는 와하하의 중국 측 주주에 의해 저지됐으며 이는 이후 외자기업의 반독점

문제 민족 브랜드 보호문제에 대한 쟁의를 불러일으킴 중국이동통신(China Telecom) 파키스탄 통신 운영상 Millicom 사 인수 - 중국이동통신은 2007 년 4 월 28 일 발표를 통해 2 개월에 걸쳐 21억 3000 만 위앤(2억 8400

만 달러)를 투자해 룩셈부르크사의 Millicom 사가 가지고 있는 파키스탄 Paktel 사의 8886 지분을 인수했으며 나머지 1114의 주식을 인수하겠다는 협의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함

- 이번 인수는 중국이동통신의 전략적 해외기업 인수 사례로 중국 전신 운영업체의 lsquo저우추취rsquo

전략의 중요한 돌파구 마련한 계기가 됨 중국투자공사 미국 Blackstone Group 지분 참여 - 2007 년 5 월 22 일 중국투자공사 설립 준비(당시 lsquo國家外匯投資公司rsquo) 중 中央匯金公司의

자회사인 中國建銀投資公司는 Blackstone Group 에 225억 위앤(30억 달러)를 투자해 Blackstone Group 이 전 세계에 공개 발행한 주식 중 약 10 정도를 구매했으며 4 년간 보유하는 조건임

- 이는 중국투자공사의 해외 첫 번째 투자로써 중국의 거대한 외환보유량을 줄이고 외화 보유의

다원화를 촉진하는 의미있는 투자임 - 중국투자유한책임공사는 외화자금 전문 투자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늘어나는

외환보유고를 이용해 국제 금융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2007 년 9 월 29 일 정식 설립됨 중국국가개발은행 영국 Barclays Bank 투자

16

- 2007 년 7 월 23 일 중국국가개발은행은 영국의 Barclays Bank 는 협의를 통해 217억 5000만 위앤(14억 5000 만 파운드)에 달하는 2014억 보통주를 획득했으며 지분 비율은 31임 이는 중국국가개발은행의 상업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협력으로 간주하고 있음

중국공상은행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은행인 Standard Bank 투자 - 2007 년 10 월 25 일 중국공상은행은 409억 5000 만 위앤(54억 6000 만 달러)를 투자해

남아프리카공화국 Standard Bank 의 20 지분을 인수하여 이 은행의 최대 주주가 됨 이는 중국공상은행의 주식상장 이후 최대 해외 투자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최대 FDI 로 기록됨

중국항공업 동방항공 인수 경쟁 - 2007 년 9 월 초 싱가포르 항공과 싱가포르 국영투자회사인 TAMASEK 은 중국동방항공의 24

지분을 인수함 이 때문에 AIRCHINA 는 Cathay Pacific Airways 와 연합해 동방항공의 홍콩상장 주식을 늘리는 등 동방항공 인수전에 뛰어듦

- 그러나 중국 3 대 항공사의 대주주인 lsquo중국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rsquo의 제지와 항공업 관련

부문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함 중신증권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와 주식교환 - 2007 년 10 월말 중신증권은 발표를 통해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중신증권과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는 각각 75억 위앤(10억 달러)를 출자하여 주식교환을 실시했으며 40 년 만기의 전환가능 우선주를 획득하였다고 발표함

- 이 주식 수는 Bear Sterns 사의 총주식의 6에 상당하는 규모임 양사는 홍콩에 합자회사를

설립하고 양사의 아시아 지역 업무를 통합하기로 함 중신증권은 중국 국내 증권사중 최초로 해외투자은행의 주식을 인수한 증권사가 됨

세계 제 1 의 철강기업 아르셀로 미탈 철강회사 중국동방집단 인수 시도 - 2007 년 11 월 8 일부터 아르셀로 미탈은 두 차례에 걸쳐 홍콩에 상장된 중국동방집단의 1

대주주와 2 대주주의 주식 약 127억 5000 만위앤(17억 달러)에 달하는 73의 지분 인수를 통해 중국동방집단의 경영을 장악하고자 햇으나 홍콩증권감독위원회의 개입으로 1 차 구매부터 무산됨

- 만약 동 거래가 성사됐을 경우 외국자본이 중국 국내 철강기업을 합병하는 최초의 사례가 됐을

것으로 중국 국내 철강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사건으로 기록됨 중국평안보험 포르티스(Fortis) 지분 획득 - 2007 년 11 월 28 일 중국 제 2 위의 생명보험사인 중국평안보험(Ping An Insurance)과 유럽middot

미국에서 보험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포르티스 그룹은 MOU 체결을 통해 포르티스 그룹의 주식 418에 해당하는 9501 만 주를 인수하기로 함

- 인수가격은 195억 5000 만 위앤(18억 1000 만 유로)로 이로써 평안은 포르티스의 최대 단일

주주가 됨 이는 중국 보험사가 최초로 세계 금융 서비스 그룹에 투자한 사례이며 중국 국내 보험업계의 최대 해외투자로 기록됨

중국국가전망 필리핀 전력망 운영권 획득

17

- 2007 년 12 월 12 일 중국 최대 국유 전력회사인 중국국가전망은 약 296억 위앤(39억 5000만 달러)을 투자해 향후 25 년간의 필리핀 전력망 경영권을 획득함 이는 중국 국가전망의 최대 해외투자임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의 특징 해외진출 두드러져 중국의 2007 년 10 대 MampA 사건에 선정된 사례를 보면 10건 모두 국가 간의

기업인수합병으로 7건은 중국기업이 해외에 투자한 대표적인 사례이며 3건은 외국기업이 중국 본토기업에 투자한 사례임 이는 중국기업의 lsquo저우추취rsquo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현재 이뤄지고 있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주로 자원middot브랜드middot각종 산업 채널확보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lsquo저우추취rsquo전략으로 해외 투자의 발걸음은 더욱 거세지고 있음

또한 10 개의 사례 중 5 개의 사례가 금융업의 MampA 사례로 중국 금융업계의 해외진출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

특히 중국정부는 무역수지 흑자를 통해 늘어나는 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등 외화 활용의 다원화를 시도하고 있음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 간 MampA 활발히 진행 2007 년 12 월 18 일 발표된 PWC(Price Waterhouse Coopers) 차이나의 lsquo企業倂購歲末回顧與展望(MampA 연말회고와 전망)rsquo 보고에 따르면 2007 년 1~11 월 중국 전체 MampA 교역량(해외시장 제외)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700 여 건으로 거래금액은 25 증가한 8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내자기업 간의 전략적 MampA 교역량은 전년대비 45 증가했으며 거래금액도 53 증가한 506억 달러에 달해 외자기업 중국투자금액의 2배에 달한다고 밝힘

- 2006 년 이전에는 외자기업의 중국 직접투자가 MampA 의 증가요인이었으나 2006 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 교역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7 년에도 역시 중국 MampA 시장은 중국 본토기업간의 교역이 두드러졌다고 밝힘

- 이처럼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이 증가한 이유는 기업의 구조조정middot기업규모 확대 욕구middot

중국경제의 전면적 발전으로 M ampA 시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 개혁을 통해 급상승한 주식시장middot자본금middot은행차관 등을 통한 풍부한 유동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내자기업 간의 인수합병 지지 및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임

- 산업별로 보면 금융서비스업middot부동산middot제조업 및 채광업 등 4 대 산업에서 MampA 가 두드러진 증가추세를 보임

- 또한 사모주식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사모펀드의 MampA 는 140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했으며 금액은 106억 달러로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해외 MampA 빠르게 증가 - 중국의 해외 MampA 교역액은 2007 년 1~11 월 164억 달러에 달해 2006 년 79억 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함 보화영도(PWC 차이나)의 융자middotM ampA 의 총책임자인 쟈오량(趙亮)에 의하면 중국의 해외 MampA 는 2011 년에는 2006 년의 10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2007 년 외국투자자의 중국기업 MampA 감소

18

- lsquo亞洲收購與兼倂(아시아 MampA)잡지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2007 년 1~11 월 외국의 전략투자자의 중국 MampA 교역량은 339건으로 교역액은 166억 달러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6 27 감소했다고 밝힘

- 이는 2006 년 4 월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MampA 대상 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가 MampA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규범화돼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중국 정부는 20006 년 8 월 중국 상무부middot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세무총국middot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middot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외환관리국 령으로 lsquo關于外國投資者倂購境內企業的規定(외국투자자의 중국 경내 기업 M ampA 에 관한 규정)rsquo을 발표했으며 2007 년 8월에는 lsquo中華人民共和國反壟斷法(중화인민공화국 반독점법)rsquo이 발표를 통해 기업인수합병에 관한 내용을 규정

시사점 중국 정부의 선별적 투자유치로의 정책 전환과 노동력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은 생산형 투자의 어려움 중국 내수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판매 유통 채널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효율적인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 금융업 개방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 국유기업 개혁 지속 및 민영기업의 빠른 발전으로 MampA 의 기회가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됨

자료원 全國工商聯倂購公會(wwwma-chinacom) 경제관찰보 국제상보 중국증권보 등 종합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 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해외투자진출을 통한 통상마찰 완화 효과 기대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통해 반덤핑 조치 회피 ㅇ 2007 년 말 중국 상무부는 해외공업단지인 ldquo경외경제무역합작구(이하 「합작구」)rdquo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 결과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건설하는 11 개 프로젝트를 신규 허가함 ㅇ 중국의 해외 합작구 설립추진은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완화하면서 막대한 보유 외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임

ㅇ 합작구는 다양한 우대조치가 적용되고 있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합작구 설립을

추진하는 중국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중국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피하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정부의 우대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합작구로 진출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으로 보임

합작구 설립배경 ㅇ 중국산 섬유 어패럴 가전 철강제품 등에 대한 구미의 반덤핑 조사가 매년 증가하자 중국은

반덤핑조사로 인한 통상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국가를 경유해 제 3 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함

- 중국과 인접한 국가 중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곳에 설립된 공업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 3국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낮은 물류 비용으로 반덤핑 조치를 피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19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10: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2006~08 년 지역별 최저임금 및 2007 년 임금가이드라인 (단위 위앤 )

지역 2006 년 2007 년 2008 년임금가이드라인

기준율 상한선

北京 640 730 95 145天津 670 650 740720 14 22河北 580 540 480 440 14 20山西 550 510 470 430 610570530490 10 18內蒙古 560 520 460 400 遼寧 590 480 420 12 19吉林 510 460 410 650600550

黑龍江 620 590 475 450420 400380

上海 750 840 9 12江蘇 750620520 850700590 浙江 750670620540 850750700620 10 15

安徽 520500460430390360 560540500460420390(등급축소) 13 18

福建 650600570550480 750700650570480

江西 360330300270 510480450420390(등급확대)

山東 610540480430390 16 24河南 480400320 650550450 18 20湖北 460400360320280 580500460420380 湖南 600500480450420400 635500530480460440

廣東 780690600500450 860770670580530 103 15

廣西 500435390345 海南 580480430 650550450 重慶 580480440

四川 580510450400 650550450(등급 축소) 145 205

貴州 550500450 650600550 15 20雲南 540480420 13 19西藏 495470445 陝西 540500460420 甘肅 430400360320 靑海 460450440 10 15寧夏 450420380 560530490 13 17

10

新疆 670620580550520500480 460440 12 15

大連 650600500 11 17厦門 600550480 750700(등급축소) 深圳 810700 850750 10 15

자료원 베이징 무역관에서 정리한 내용 2008 년 최근 수치 업데이트

中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반입물품 수출관세 면제- 생산기업 대상 2 월 15 일부터 실시 -

김명신 베이징 무역관

clairekotraorkr

주요 내용 중국 국무원관세세칙위원회는 지난 2 월 4 일 lsquo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된 일부품목의

수출관세를 징수하는 않는 것에 관한 통지rsquo(關于對部分進入海關特殊監管區域的産品不徵收出口關稅的通知)를 발표하고 2 월 15 일부터 총 95 개 철강제품(HS Code 8 단위 기준)에 대한 수출관세를 면제함

- 통지문에 따르면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을 건설하거나 구역내 기업의 공장건물을 건설하는데 사용되는 기초건설물자를 해당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할 경우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그러나 이 기초건설물자가 특수감독관리구역으로부터 수출되는 것은 불가하며 특수구역내 미사용분은 해관 감독관리하에 구역외지역으로 반출되어야 함

- 해외로부터 특수구역내 반입된 기초건설물자가 중국내 특수구역외 지역으로 운반될 경우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관련 규정에 따라 통관 및 세금납부수속을 거쳐야 함

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해 구역내

반입할 경우에도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용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했으나 실질적인 가공을

하지 않은 경우 보세물류 창고저장 무역업체 등 구역내 비생산기업에 전입시키거나 판매 직접 반출 또는 보세방식으로 반출할 수 없음

-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은 원부자재가 실질적 가공을 거치지 않고 중국내 특수감독관리외지역으로 판매될 경우 규정에 따라 수입관세와 수입부가가치세가 부과됨

이번 수출관세 면세정책은 보세가공능력이 있는 수출가공구 보세항 종합보세구

주하이ㆍ마카오공업구(주하이원구) 중국-카자흐스탄국제변경협력센터 중국구역 등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에만 적용되며 중국내 비생산기업이 아래 리스트의 원자재를 구매할 경우 에는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을 수 없음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대상 수출관세 면제품목

순서 HS Code 품목명

1 72051000생철 경철 및 철강과립

2 72081000 도안을 압연한 열연코일

3 72082500두께ge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11

4 72082610항복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5 720826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6 72082710두께<1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7 720827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8 72083600두께>10인 기타 열연코일

9 72083700475le두께le10인 기타 열연코일

10 720838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1 720838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2 72083910두께<15인 기타열연코일

13 720839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14 72084000압연해 요철무늬가 있는 열연비코일

15 72085110두께>50인 기타 열연비코일

16 72085120두께>20이나 50를 초과하지 않는 기타 열연비코일

17 72085190 기타 두께>10인 기타 열연비코일

18 72085200475le두께le10인 열연비코일

19 720853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0 72085390 기타 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1 72085410두께<15인 열연비코일

22 72085490 기타 두께<3인 열연비코일

23 72089000 기타 열연강철 또는 비합금강 넓은 판재

24 72111300 무늬를 압연하지 않고 네면을 압연해 만든 압연비코일

25 72111400두께ge475인 기타열연판재

26 72111900 기타 열연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7 72112300냉연 카본함유량<025인 판재

28 72112900냉연 기타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9 72119000냉연 강철 또는 비합금 기타 좁은 판재

30 72121000 도금하거나 주석을 바른 비합금강 좁은 판재

31 721220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2 7212300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강철 좁은 판재

33 72124000 도료를 칠하거나 플라스틱을 칠한 철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4 72125000칠하거나 도금한 기타 재료철 또는 비함금강 좁은 판재

35 72126000덮어씌운 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6 72131000 무늬를 압연한 열연와이어로드

37 72132000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제 열연 와이어로드

38 72139100 직경<14인 둥근 절단면의 기타 열연 와이어 로드

39 72139900 기타 열연와이어로드

40 72142000열가공한 무늬를 압연제작한 로드 대41 72143000열가공해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

12

42 72149100열가공한 기타 직사각형 절단명의 로드 대43 72149900열가공한 기타 로드 대44 72151000냉가공한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45 72155000냉가공하거나 냉각해 형성한 기타 로드 대46 72159000 철강 및 비합금강의 기타 로드 대47 72161010 절단면 높이<80인 H 형강

48 72161020 절단면 높이가 80보다 적은 아이형 강

49 72161090 절단면 높이<80인 U 형강

50 72162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L 형강

51 721622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T 형강

52 72163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ge80인 조형강

53 72163210 절단면 높이가 200이상인 아이형 강

54 72163290열가공 절단면 높이가 ge80인 아이형강

55 72163311 절단명 높이가 800이상인 H 형강

56 72163319 절단면 높이가 ge200인 H 형강

57 72163390 기타 절단면 높이가 ge80인 H 형강

58 72164010열가공한 절단면높이가 ge80인 L 형강

59 72164020열가공한 절단면 높이가 ge80인 T 형강

60 72165010열가공한 Z 형강

61 72165090열가공한 기타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2 72166100냉가공한 판재로 제작된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3 72166900냉가공한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4 72169100냉가공한 기타 판재로 만든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5 72169900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6 72171000 도금하지 않거나 도료를 바르지 은 철강 또는 비합금강 철사

67 72172000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철 또는 비합금강 철사

68 72173010 도금하거나 동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69 72173090 도금하거나 기타 저급 금속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70 72179000 기타 강철사 또는 비합금 강철사

71 721913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2 721913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3 72191329두께가 3이상이나 475보다 작은 염산세척한 기타 스테인리스 와이어판

74 721914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두께<3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5 721914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두께<3인 망간크롬계열 스테인리스

76 722591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금합금강 넒은 평판압연재

77 72259200 기타 도금 또는 아연을 바른 기타 합금강 넓은 판재

13

78 72259910 폭ge600인 고속강평판압연재

79 72259990 폭ge600인 기타합금강 평판압연재

80 72269200 폭<600인 냉연 기타 합금강판재

81 7226991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합금강 좁은 평판압연재

82 7226992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기타합금강 좁음 판재

83 72272000 실리콘망간강의 열연 와이어로드

84 72282000 기타 실리콘망간강의 로드 대85 72286000 기타 합금강 로드 대86 73053100 상하방향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7 73053900 기타 방법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8 73059000 이름을 나열할 수 없는 원형 절단면의 조강강철관

89 73063000 기타 철강 또는 비합금 강 원형 절단면의 용접관

90 73064000 스테인리스강 기타 원형 절단면의 가는 용접관

91 73065000 기타 합금강의 원형 절단면 가는 용접관

92 73066100 직사강형 또는 정사각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3 73066900 기타 비원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4 76041010 비합금 로드 대95 76042910알루미늄 합금 로드 대 자료원 중국 재정부

中 3 월 1 일부터 월 개인소득세공제기준 2000 위앤으로 상향 조정 - 2005 년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 1 차 수정 이후 두 번째 -

- 추가공제기준 조정 등 총 일곱 군데 수정 -

김명신 베이징무역관clairekotraorkr

중국 개인소득세법실시조례 2 차 수정 중국 국무원은 지난 2 월 18 일 lsquo국무원이 중국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를 수정하는데 관한 결정rsquo

(國務院關于修改中華人民共和國個人所得稅法實施條例的決定)(국무원령 519 호)을 발표해 3월 1 일부터 시행에 들어감

중국은 1994 년 1 월 28 일부터 실시한 중국 기업소득세법실시조례(국무원령 142 호)를 지난

2005 년 말 대대적으로 수정(국무원령 452 호)해 2006 년 1 월 1 일부터 실시해 왔으며 소득증가 등 소득세 징수환경이 변화하면서 최근 2 차 수정을 단행함

주요 변경내용 이번 개인소득세법 2 차 수정에서는 개인소득세 공제기준이 월 1600 위앤에서 2000 위앤으로

400 위앤 상향조정된 반면 추가공제비용 기준은 기존 3200 위앤에서 2800 위앤으로 하향조정됨

14

이외에도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서 기존에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을 인정했으나 이번 2 차 수정결정문은 이외에도 lsquo기타 형식의 경제이익rsquo을 추가인정함

특정업종에 대한 범위도 다소 확대돼 기존에는 세법 제 9 조 두 번째 단락이 지칭하는

특정업종이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중국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이었으나 이번 수정결정문에는 특정 업종에 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업종도 추가됨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2 월 18 일 발표된 개인소득세실시조례 수정에 대해 지난 2 월 20 일 각

지방세무국에 lsquo개인소득세 임금급여소득 공제비용표준정책연결문제에 관한 통지rsquo(關于個人所得稅工資薪金所得減除費用標準政策銜接問題的通知)를 하달 3 월 1 일부터 월 소득공제기준을 2000 위앤으로 조정 실시하도록 조치함

- 납세자가 3 월 1 일전에 실제 취득한 임금 급여소득에 대해서는 세액이 3 월 1 일 이후에 납부된다 하더라도 월 1600 위앤의 공제비용기준이 적용됨

중국 개인소득세실시조례내용 변경 전후 비교

순서 구분(조항) 변경 전 변경 후

1소득형태 확대

(제 10 조)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

유가증권을 포함함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과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을 포함함 그중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은

시장가격에 따라 과세소득액을 산정함

2비용공제

기준 상향 조정(제 18 조)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1600 위앤임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 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2000 위앤임

3추가공제

기준(제 27 조)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16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20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4추가공제

적용대상자(제 28 조제 4항)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기타 재정부가 규정하는 자가 포함됨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

인원이 포함됨

5추가공제비용표준 하향조정(제 29 조)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3200 위앤임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2800 위앤임

6특정업종 범위 확대(제 40 조)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기타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임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수업middot원양어업 및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확정한

기타 업종임

7 조항삭제(제 48 조)

본 조례의 해석은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이 공동으로 함 삭제

15

자료원 국무원 판공실

lsquo저우추취rsquo 돋보인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 활발해지고 외국투자자의 중국 MampA 줄어 -

- 중국기업의 해외 MampA 발걸음 거세져 -

이영준 청두무역관ctuktckotraorkr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중국 10 대 MampA 사건은 全國工商聯倂購公會(China Mergers amp Acquisitions Association

CMAA) 全球倂購硏究中心(세계 MampA 연구중심) 中國倂購交易網(wwwmergers-chinacom)이 주관해 2001 년부터 공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하고 있으며 MampA 관련 영향력 있는 행사 중의 하나임

프랑스 다농(Danone)의 와하하(娃哈哈) 합병 쟁의 - 2007 년 4 월 매체를 통해 알려졌으며 프랑스 다농 그룹이 40억 위앤을 투자해 와하하 산하 10

여 개의 비(非)합자회사의 51의 지분을 인수하고자 함 10 여 개의 비합자회사의 자산 총액은 56억 위앤 2006 년 순이익은 10억 4000 만 위앤에 달함

- 다농의 합병 시도는 와하하의 중국 측 주주에 의해 저지됐으며 이는 이후 외자기업의 반독점

문제 민족 브랜드 보호문제에 대한 쟁의를 불러일으킴 중국이동통신(China Telecom) 파키스탄 통신 운영상 Millicom 사 인수 - 중국이동통신은 2007 년 4 월 28 일 발표를 통해 2 개월에 걸쳐 21억 3000 만 위앤(2억 8400

만 달러)를 투자해 룩셈부르크사의 Millicom 사가 가지고 있는 파키스탄 Paktel 사의 8886 지분을 인수했으며 나머지 1114의 주식을 인수하겠다는 협의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함

- 이번 인수는 중국이동통신의 전략적 해외기업 인수 사례로 중국 전신 운영업체의 lsquo저우추취rsquo

전략의 중요한 돌파구 마련한 계기가 됨 중국투자공사 미국 Blackstone Group 지분 참여 - 2007 년 5 월 22 일 중국투자공사 설립 준비(당시 lsquo國家外匯投資公司rsquo) 중 中央匯金公司의

자회사인 中國建銀投資公司는 Blackstone Group 에 225억 위앤(30억 달러)를 투자해 Blackstone Group 이 전 세계에 공개 발행한 주식 중 약 10 정도를 구매했으며 4 년간 보유하는 조건임

- 이는 중국투자공사의 해외 첫 번째 투자로써 중국의 거대한 외환보유량을 줄이고 외화 보유의

다원화를 촉진하는 의미있는 투자임 - 중국투자유한책임공사는 외화자금 전문 투자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늘어나는

외환보유고를 이용해 국제 금융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2007 년 9 월 29 일 정식 설립됨 중국국가개발은행 영국 Barclays Bank 투자

16

- 2007 년 7 월 23 일 중국국가개발은행은 영국의 Barclays Bank 는 협의를 통해 217억 5000만 위앤(14억 5000 만 파운드)에 달하는 2014억 보통주를 획득했으며 지분 비율은 31임 이는 중국국가개발은행의 상업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협력으로 간주하고 있음

중국공상은행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은행인 Standard Bank 투자 - 2007 년 10 월 25 일 중국공상은행은 409억 5000 만 위앤(54억 6000 만 달러)를 투자해

남아프리카공화국 Standard Bank 의 20 지분을 인수하여 이 은행의 최대 주주가 됨 이는 중국공상은행의 주식상장 이후 최대 해외 투자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최대 FDI 로 기록됨

중국항공업 동방항공 인수 경쟁 - 2007 년 9 월 초 싱가포르 항공과 싱가포르 국영투자회사인 TAMASEK 은 중국동방항공의 24

지분을 인수함 이 때문에 AIRCHINA 는 Cathay Pacific Airways 와 연합해 동방항공의 홍콩상장 주식을 늘리는 등 동방항공 인수전에 뛰어듦

- 그러나 중국 3 대 항공사의 대주주인 lsquo중국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rsquo의 제지와 항공업 관련

부문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함 중신증권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와 주식교환 - 2007 년 10 월말 중신증권은 발표를 통해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중신증권과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는 각각 75억 위앤(10억 달러)를 출자하여 주식교환을 실시했으며 40 년 만기의 전환가능 우선주를 획득하였다고 발표함

- 이 주식 수는 Bear Sterns 사의 총주식의 6에 상당하는 규모임 양사는 홍콩에 합자회사를

설립하고 양사의 아시아 지역 업무를 통합하기로 함 중신증권은 중국 국내 증권사중 최초로 해외투자은행의 주식을 인수한 증권사가 됨

세계 제 1 의 철강기업 아르셀로 미탈 철강회사 중국동방집단 인수 시도 - 2007 년 11 월 8 일부터 아르셀로 미탈은 두 차례에 걸쳐 홍콩에 상장된 중국동방집단의 1

대주주와 2 대주주의 주식 약 127억 5000 만위앤(17억 달러)에 달하는 73의 지분 인수를 통해 중국동방집단의 경영을 장악하고자 햇으나 홍콩증권감독위원회의 개입으로 1 차 구매부터 무산됨

- 만약 동 거래가 성사됐을 경우 외국자본이 중국 국내 철강기업을 합병하는 최초의 사례가 됐을

것으로 중국 국내 철강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사건으로 기록됨 중국평안보험 포르티스(Fortis) 지분 획득 - 2007 년 11 월 28 일 중국 제 2 위의 생명보험사인 중국평안보험(Ping An Insurance)과 유럽middot

미국에서 보험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포르티스 그룹은 MOU 체결을 통해 포르티스 그룹의 주식 418에 해당하는 9501 만 주를 인수하기로 함

- 인수가격은 195억 5000 만 위앤(18억 1000 만 유로)로 이로써 평안은 포르티스의 최대 단일

주주가 됨 이는 중국 보험사가 최초로 세계 금융 서비스 그룹에 투자한 사례이며 중국 국내 보험업계의 최대 해외투자로 기록됨

중국국가전망 필리핀 전력망 운영권 획득

17

- 2007 년 12 월 12 일 중국 최대 국유 전력회사인 중국국가전망은 약 296억 위앤(39억 5000만 달러)을 투자해 향후 25 년간의 필리핀 전력망 경영권을 획득함 이는 중국 국가전망의 최대 해외투자임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의 특징 해외진출 두드러져 중국의 2007 년 10 대 MampA 사건에 선정된 사례를 보면 10건 모두 국가 간의

기업인수합병으로 7건은 중국기업이 해외에 투자한 대표적인 사례이며 3건은 외국기업이 중국 본토기업에 투자한 사례임 이는 중국기업의 lsquo저우추취rsquo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현재 이뤄지고 있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주로 자원middot브랜드middot각종 산업 채널확보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lsquo저우추취rsquo전략으로 해외 투자의 발걸음은 더욱 거세지고 있음

또한 10 개의 사례 중 5 개의 사례가 금융업의 MampA 사례로 중국 금융업계의 해외진출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

특히 중국정부는 무역수지 흑자를 통해 늘어나는 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등 외화 활용의 다원화를 시도하고 있음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 간 MampA 활발히 진행 2007 년 12 월 18 일 발표된 PWC(Price Waterhouse Coopers) 차이나의 lsquo企業倂購歲末回顧與展望(MampA 연말회고와 전망)rsquo 보고에 따르면 2007 년 1~11 월 중국 전체 MampA 교역량(해외시장 제외)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700 여 건으로 거래금액은 25 증가한 8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내자기업 간의 전략적 MampA 교역량은 전년대비 45 증가했으며 거래금액도 53 증가한 506억 달러에 달해 외자기업 중국투자금액의 2배에 달한다고 밝힘

- 2006 년 이전에는 외자기업의 중국 직접투자가 MampA 의 증가요인이었으나 2006 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 교역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7 년에도 역시 중국 MampA 시장은 중국 본토기업간의 교역이 두드러졌다고 밝힘

- 이처럼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이 증가한 이유는 기업의 구조조정middot기업규모 확대 욕구middot

중국경제의 전면적 발전으로 M ampA 시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 개혁을 통해 급상승한 주식시장middot자본금middot은행차관 등을 통한 풍부한 유동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내자기업 간의 인수합병 지지 및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임

- 산업별로 보면 금융서비스업middot부동산middot제조업 및 채광업 등 4 대 산업에서 MampA 가 두드러진 증가추세를 보임

- 또한 사모주식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사모펀드의 MampA 는 140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했으며 금액은 106억 달러로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해외 MampA 빠르게 증가 - 중국의 해외 MampA 교역액은 2007 년 1~11 월 164억 달러에 달해 2006 년 79억 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함 보화영도(PWC 차이나)의 융자middotM ampA 의 총책임자인 쟈오량(趙亮)에 의하면 중국의 해외 MampA 는 2011 년에는 2006 년의 10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2007 년 외국투자자의 중국기업 MampA 감소

18

- lsquo亞洲收購與兼倂(아시아 MampA)잡지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2007 년 1~11 월 외국의 전략투자자의 중국 MampA 교역량은 339건으로 교역액은 166억 달러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6 27 감소했다고 밝힘

- 이는 2006 년 4 월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MampA 대상 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가 MampA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규범화돼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중국 정부는 20006 년 8 월 중국 상무부middot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세무총국middot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middot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외환관리국 령으로 lsquo關于外國投資者倂購境內企業的規定(외국투자자의 중국 경내 기업 M ampA 에 관한 규정)rsquo을 발표했으며 2007 년 8월에는 lsquo中華人民共和國反壟斷法(중화인민공화국 반독점법)rsquo이 발표를 통해 기업인수합병에 관한 내용을 규정

시사점 중국 정부의 선별적 투자유치로의 정책 전환과 노동력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은 생산형 투자의 어려움 중국 내수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판매 유통 채널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효율적인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 금융업 개방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 국유기업 개혁 지속 및 민영기업의 빠른 발전으로 MampA 의 기회가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됨

자료원 全國工商聯倂購公會(wwwma-chinacom) 경제관찰보 국제상보 중국증권보 등 종합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 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해외투자진출을 통한 통상마찰 완화 효과 기대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통해 반덤핑 조치 회피 ㅇ 2007 년 말 중국 상무부는 해외공업단지인 ldquo경외경제무역합작구(이하 「합작구」)rdquo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 결과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건설하는 11 개 프로젝트를 신규 허가함 ㅇ 중국의 해외 합작구 설립추진은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완화하면서 막대한 보유 외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임

ㅇ 합작구는 다양한 우대조치가 적용되고 있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합작구 설립을

추진하는 중국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중국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피하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정부의 우대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합작구로 진출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으로 보임

합작구 설립배경 ㅇ 중국산 섬유 어패럴 가전 철강제품 등에 대한 구미의 반덤핑 조사가 매년 증가하자 중국은

반덤핑조사로 인한 통상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국가를 경유해 제 3 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함

- 중국과 인접한 국가 중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곳에 설립된 공업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 3국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낮은 물류 비용으로 반덤핑 조치를 피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19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11: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新疆 670620580550520500480 460440 12 15

大連 650600500 11 17厦門 600550480 750700(등급축소) 深圳 810700 850750 10 15

자료원 베이징 무역관에서 정리한 내용 2008 년 최근 수치 업데이트

中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반입물품 수출관세 면제- 생산기업 대상 2 월 15 일부터 실시 -

김명신 베이징 무역관

clairekotraorkr

주요 내용 중국 국무원관세세칙위원회는 지난 2 월 4 일 lsquo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된 일부품목의

수출관세를 징수하는 않는 것에 관한 통지rsquo(關于對部分進入海關特殊監管區域的産品不徵收出口關稅的通知)를 발표하고 2 월 15 일부터 총 95 개 철강제품(HS Code 8 단위 기준)에 대한 수출관세를 면제함

- 통지문에 따르면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을 건설하거나 구역내 기업의 공장건물을 건설하는데 사용되는 기초건설물자를 해당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반입할 경우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그러나 이 기초건설물자가 특수감독관리구역으로부터 수출되는 것은 불가하며 특수구역내 미사용분은 해관 감독관리하에 구역외지역으로 반출되어야 함

- 해외로부터 특수구역내 반입된 기초건설물자가 중국내 특수구역외 지역으로 운반될 경우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 관련 규정에 따라 통관 및 세금납부수속을 거쳐야 함

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해 구역내

반입할 경우에도 수출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구역내 생산기업이 수출용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중국내 구매했으나 실질적인 가공을

하지 않은 경우 보세물류 창고저장 무역업체 등 구역내 비생산기업에 전입시키거나 판매 직접 반출 또는 보세방식으로 반출할 수 없음

-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은 원부자재가 실질적 가공을 거치지 않고 중국내 특수감독관리외지역으로 판매될 경우 규정에 따라 수입관세와 수입부가가치세가 부과됨

이번 수출관세 면세정책은 보세가공능력이 있는 수출가공구 보세항 종합보세구

주하이ㆍ마카오공업구(주하이원구) 중국-카자흐스탄국제변경협력센터 중국구역 등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에만 적용되며 중국내 비생산기업이 아래 리스트의 원자재를 구매할 경우 에는 수출관세 면제혜택을 받을 수 없음

해관특수감독관리구역내 생산기업대상 수출관세 면제품목

순서 HS Code 품목명

1 72051000생철 경철 및 철강과립

2 72081000 도안을 압연한 열연코일

3 72082500두께ge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11

4 72082610항복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5 720826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6 72082710두께<1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7 720827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8 72083600두께>10인 기타 열연코일

9 72083700475le두께le10인 기타 열연코일

10 720838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1 720838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2 72083910두께<15인 기타열연코일

13 720839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14 72084000압연해 요철무늬가 있는 열연비코일

15 72085110두께>50인 기타 열연비코일

16 72085120두께>20이나 50를 초과하지 않는 기타 열연비코일

17 72085190 기타 두께>10인 기타 열연비코일

18 72085200475le두께le10인 열연비코일

19 720853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0 72085390 기타 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1 72085410두께<15인 열연비코일

22 72085490 기타 두께<3인 열연비코일

23 72089000 기타 열연강철 또는 비합금강 넓은 판재

24 72111300 무늬를 압연하지 않고 네면을 압연해 만든 압연비코일

25 72111400두께ge475인 기타열연판재

26 72111900 기타 열연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7 72112300냉연 카본함유량<025인 판재

28 72112900냉연 기타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9 72119000냉연 강철 또는 비합금 기타 좁은 판재

30 72121000 도금하거나 주석을 바른 비합금강 좁은 판재

31 721220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2 7212300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강철 좁은 판재

33 72124000 도료를 칠하거나 플라스틱을 칠한 철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4 72125000칠하거나 도금한 기타 재료철 또는 비함금강 좁은 판재

35 72126000덮어씌운 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6 72131000 무늬를 압연한 열연와이어로드

37 72132000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제 열연 와이어로드

38 72139100 직경<14인 둥근 절단면의 기타 열연 와이어 로드

39 72139900 기타 열연와이어로드

40 72142000열가공한 무늬를 압연제작한 로드 대41 72143000열가공해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

12

42 72149100열가공한 기타 직사각형 절단명의 로드 대43 72149900열가공한 기타 로드 대44 72151000냉가공한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45 72155000냉가공하거나 냉각해 형성한 기타 로드 대46 72159000 철강 및 비합금강의 기타 로드 대47 72161010 절단면 높이<80인 H 형강

48 72161020 절단면 높이가 80보다 적은 아이형 강

49 72161090 절단면 높이<80인 U 형강

50 72162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L 형강

51 721622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T 형강

52 72163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ge80인 조형강

53 72163210 절단면 높이가 200이상인 아이형 강

54 72163290열가공 절단면 높이가 ge80인 아이형강

55 72163311 절단명 높이가 800이상인 H 형강

56 72163319 절단면 높이가 ge200인 H 형강

57 72163390 기타 절단면 높이가 ge80인 H 형강

58 72164010열가공한 절단면높이가 ge80인 L 형강

59 72164020열가공한 절단면 높이가 ge80인 T 형강

60 72165010열가공한 Z 형강

61 72165090열가공한 기타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2 72166100냉가공한 판재로 제작된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3 72166900냉가공한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4 72169100냉가공한 기타 판재로 만든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5 72169900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6 72171000 도금하지 않거나 도료를 바르지 은 철강 또는 비합금강 철사

67 72172000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철 또는 비합금강 철사

68 72173010 도금하거나 동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69 72173090 도금하거나 기타 저급 금속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70 72179000 기타 강철사 또는 비합금 강철사

71 721913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2 721913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3 72191329두께가 3이상이나 475보다 작은 염산세척한 기타 스테인리스 와이어판

74 721914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두께<3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5 721914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두께<3인 망간크롬계열 스테인리스

76 722591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금합금강 넒은 평판압연재

77 72259200 기타 도금 또는 아연을 바른 기타 합금강 넓은 판재

13

78 72259910 폭ge600인 고속강평판압연재

79 72259990 폭ge600인 기타합금강 평판압연재

80 72269200 폭<600인 냉연 기타 합금강판재

81 7226991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합금강 좁은 평판압연재

82 7226992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기타합금강 좁음 판재

83 72272000 실리콘망간강의 열연 와이어로드

84 72282000 기타 실리콘망간강의 로드 대85 72286000 기타 합금강 로드 대86 73053100 상하방향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7 73053900 기타 방법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8 73059000 이름을 나열할 수 없는 원형 절단면의 조강강철관

89 73063000 기타 철강 또는 비합금 강 원형 절단면의 용접관

90 73064000 스테인리스강 기타 원형 절단면의 가는 용접관

91 73065000 기타 합금강의 원형 절단면 가는 용접관

92 73066100 직사강형 또는 정사각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3 73066900 기타 비원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4 76041010 비합금 로드 대95 76042910알루미늄 합금 로드 대 자료원 중국 재정부

中 3 월 1 일부터 월 개인소득세공제기준 2000 위앤으로 상향 조정 - 2005 년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 1 차 수정 이후 두 번째 -

- 추가공제기준 조정 등 총 일곱 군데 수정 -

김명신 베이징무역관clairekotraorkr

중국 개인소득세법실시조례 2 차 수정 중국 국무원은 지난 2 월 18 일 lsquo국무원이 중국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를 수정하는데 관한 결정rsquo

(國務院關于修改中華人民共和國個人所得稅法實施條例的決定)(국무원령 519 호)을 발표해 3월 1 일부터 시행에 들어감

중국은 1994 년 1 월 28 일부터 실시한 중국 기업소득세법실시조례(국무원령 142 호)를 지난

2005 년 말 대대적으로 수정(국무원령 452 호)해 2006 년 1 월 1 일부터 실시해 왔으며 소득증가 등 소득세 징수환경이 변화하면서 최근 2 차 수정을 단행함

주요 변경내용 이번 개인소득세법 2 차 수정에서는 개인소득세 공제기준이 월 1600 위앤에서 2000 위앤으로

400 위앤 상향조정된 반면 추가공제비용 기준은 기존 3200 위앤에서 2800 위앤으로 하향조정됨

14

이외에도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서 기존에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을 인정했으나 이번 2 차 수정결정문은 이외에도 lsquo기타 형식의 경제이익rsquo을 추가인정함

특정업종에 대한 범위도 다소 확대돼 기존에는 세법 제 9 조 두 번째 단락이 지칭하는

특정업종이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중국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이었으나 이번 수정결정문에는 특정 업종에 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업종도 추가됨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2 월 18 일 발표된 개인소득세실시조례 수정에 대해 지난 2 월 20 일 각

지방세무국에 lsquo개인소득세 임금급여소득 공제비용표준정책연결문제에 관한 통지rsquo(關于個人所得稅工資薪金所得減除費用標準政策銜接問題的通知)를 하달 3 월 1 일부터 월 소득공제기준을 2000 위앤으로 조정 실시하도록 조치함

- 납세자가 3 월 1 일전에 실제 취득한 임금 급여소득에 대해서는 세액이 3 월 1 일 이후에 납부된다 하더라도 월 1600 위앤의 공제비용기준이 적용됨

중국 개인소득세실시조례내용 변경 전후 비교

순서 구분(조항) 변경 전 변경 후

1소득형태 확대

(제 10 조)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

유가증권을 포함함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과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을 포함함 그중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은

시장가격에 따라 과세소득액을 산정함

2비용공제

기준 상향 조정(제 18 조)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1600 위앤임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 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2000 위앤임

3추가공제

기준(제 27 조)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16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20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4추가공제

적용대상자(제 28 조제 4항)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기타 재정부가 규정하는 자가 포함됨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

인원이 포함됨

5추가공제비용표준 하향조정(제 29 조)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3200 위앤임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2800 위앤임

6특정업종 범위 확대(제 40 조)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기타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임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수업middot원양어업 및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확정한

기타 업종임

7 조항삭제(제 48 조)

본 조례의 해석은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이 공동으로 함 삭제

15

자료원 국무원 판공실

lsquo저우추취rsquo 돋보인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 활발해지고 외국투자자의 중국 MampA 줄어 -

- 중국기업의 해외 MampA 발걸음 거세져 -

이영준 청두무역관ctuktckotraorkr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중국 10 대 MampA 사건은 全國工商聯倂購公會(China Mergers amp Acquisitions Association

CMAA) 全球倂購硏究中心(세계 MampA 연구중심) 中國倂購交易網(wwwmergers-chinacom)이 주관해 2001 년부터 공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하고 있으며 MampA 관련 영향력 있는 행사 중의 하나임

프랑스 다농(Danone)의 와하하(娃哈哈) 합병 쟁의 - 2007 년 4 월 매체를 통해 알려졌으며 프랑스 다농 그룹이 40억 위앤을 투자해 와하하 산하 10

여 개의 비(非)합자회사의 51의 지분을 인수하고자 함 10 여 개의 비합자회사의 자산 총액은 56억 위앤 2006 년 순이익은 10억 4000 만 위앤에 달함

- 다농의 합병 시도는 와하하의 중국 측 주주에 의해 저지됐으며 이는 이후 외자기업의 반독점

문제 민족 브랜드 보호문제에 대한 쟁의를 불러일으킴 중국이동통신(China Telecom) 파키스탄 통신 운영상 Millicom 사 인수 - 중국이동통신은 2007 년 4 월 28 일 발표를 통해 2 개월에 걸쳐 21억 3000 만 위앤(2억 8400

만 달러)를 투자해 룩셈부르크사의 Millicom 사가 가지고 있는 파키스탄 Paktel 사의 8886 지분을 인수했으며 나머지 1114의 주식을 인수하겠다는 협의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함

- 이번 인수는 중국이동통신의 전략적 해외기업 인수 사례로 중국 전신 운영업체의 lsquo저우추취rsquo

전략의 중요한 돌파구 마련한 계기가 됨 중국투자공사 미국 Blackstone Group 지분 참여 - 2007 년 5 월 22 일 중국투자공사 설립 준비(당시 lsquo國家外匯投資公司rsquo) 중 中央匯金公司의

자회사인 中國建銀投資公司는 Blackstone Group 에 225억 위앤(30억 달러)를 투자해 Blackstone Group 이 전 세계에 공개 발행한 주식 중 약 10 정도를 구매했으며 4 년간 보유하는 조건임

- 이는 중국투자공사의 해외 첫 번째 투자로써 중국의 거대한 외환보유량을 줄이고 외화 보유의

다원화를 촉진하는 의미있는 투자임 - 중국투자유한책임공사는 외화자금 전문 투자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늘어나는

외환보유고를 이용해 국제 금융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2007 년 9 월 29 일 정식 설립됨 중국국가개발은행 영국 Barclays Bank 투자

16

- 2007 년 7 월 23 일 중국국가개발은행은 영국의 Barclays Bank 는 협의를 통해 217억 5000만 위앤(14억 5000 만 파운드)에 달하는 2014억 보통주를 획득했으며 지분 비율은 31임 이는 중국국가개발은행의 상업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협력으로 간주하고 있음

중국공상은행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은행인 Standard Bank 투자 - 2007 년 10 월 25 일 중국공상은행은 409억 5000 만 위앤(54억 6000 만 달러)를 투자해

남아프리카공화국 Standard Bank 의 20 지분을 인수하여 이 은행의 최대 주주가 됨 이는 중국공상은행의 주식상장 이후 최대 해외 투자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최대 FDI 로 기록됨

중국항공업 동방항공 인수 경쟁 - 2007 년 9 월 초 싱가포르 항공과 싱가포르 국영투자회사인 TAMASEK 은 중국동방항공의 24

지분을 인수함 이 때문에 AIRCHINA 는 Cathay Pacific Airways 와 연합해 동방항공의 홍콩상장 주식을 늘리는 등 동방항공 인수전에 뛰어듦

- 그러나 중국 3 대 항공사의 대주주인 lsquo중국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rsquo의 제지와 항공업 관련

부문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함 중신증권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와 주식교환 - 2007 년 10 월말 중신증권은 발표를 통해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중신증권과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는 각각 75억 위앤(10억 달러)를 출자하여 주식교환을 실시했으며 40 년 만기의 전환가능 우선주를 획득하였다고 발표함

- 이 주식 수는 Bear Sterns 사의 총주식의 6에 상당하는 규모임 양사는 홍콩에 합자회사를

설립하고 양사의 아시아 지역 업무를 통합하기로 함 중신증권은 중국 국내 증권사중 최초로 해외투자은행의 주식을 인수한 증권사가 됨

세계 제 1 의 철강기업 아르셀로 미탈 철강회사 중국동방집단 인수 시도 - 2007 년 11 월 8 일부터 아르셀로 미탈은 두 차례에 걸쳐 홍콩에 상장된 중국동방집단의 1

대주주와 2 대주주의 주식 약 127억 5000 만위앤(17억 달러)에 달하는 73의 지분 인수를 통해 중국동방집단의 경영을 장악하고자 햇으나 홍콩증권감독위원회의 개입으로 1 차 구매부터 무산됨

- 만약 동 거래가 성사됐을 경우 외국자본이 중국 국내 철강기업을 합병하는 최초의 사례가 됐을

것으로 중국 국내 철강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사건으로 기록됨 중국평안보험 포르티스(Fortis) 지분 획득 - 2007 년 11 월 28 일 중국 제 2 위의 생명보험사인 중국평안보험(Ping An Insurance)과 유럽middot

미국에서 보험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포르티스 그룹은 MOU 체결을 통해 포르티스 그룹의 주식 418에 해당하는 9501 만 주를 인수하기로 함

- 인수가격은 195억 5000 만 위앤(18억 1000 만 유로)로 이로써 평안은 포르티스의 최대 단일

주주가 됨 이는 중국 보험사가 최초로 세계 금융 서비스 그룹에 투자한 사례이며 중국 국내 보험업계의 최대 해외투자로 기록됨

중국국가전망 필리핀 전력망 운영권 획득

17

- 2007 년 12 월 12 일 중국 최대 국유 전력회사인 중국국가전망은 약 296억 위앤(39억 5000만 달러)을 투자해 향후 25 년간의 필리핀 전력망 경영권을 획득함 이는 중국 국가전망의 최대 해외투자임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의 특징 해외진출 두드러져 중국의 2007 년 10 대 MampA 사건에 선정된 사례를 보면 10건 모두 국가 간의

기업인수합병으로 7건은 중국기업이 해외에 투자한 대표적인 사례이며 3건은 외국기업이 중국 본토기업에 투자한 사례임 이는 중국기업의 lsquo저우추취rsquo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현재 이뤄지고 있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주로 자원middot브랜드middot각종 산업 채널확보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lsquo저우추취rsquo전략으로 해외 투자의 발걸음은 더욱 거세지고 있음

또한 10 개의 사례 중 5 개의 사례가 금융업의 MampA 사례로 중국 금융업계의 해외진출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

특히 중국정부는 무역수지 흑자를 통해 늘어나는 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등 외화 활용의 다원화를 시도하고 있음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 간 MampA 활발히 진행 2007 년 12 월 18 일 발표된 PWC(Price Waterhouse Coopers) 차이나의 lsquo企業倂購歲末回顧與展望(MampA 연말회고와 전망)rsquo 보고에 따르면 2007 년 1~11 월 중국 전체 MampA 교역량(해외시장 제외)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700 여 건으로 거래금액은 25 증가한 8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내자기업 간의 전략적 MampA 교역량은 전년대비 45 증가했으며 거래금액도 53 증가한 506억 달러에 달해 외자기업 중국투자금액의 2배에 달한다고 밝힘

- 2006 년 이전에는 외자기업의 중국 직접투자가 MampA 의 증가요인이었으나 2006 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 교역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7 년에도 역시 중국 MampA 시장은 중국 본토기업간의 교역이 두드러졌다고 밝힘

- 이처럼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이 증가한 이유는 기업의 구조조정middot기업규모 확대 욕구middot

중국경제의 전면적 발전으로 M ampA 시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 개혁을 통해 급상승한 주식시장middot자본금middot은행차관 등을 통한 풍부한 유동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내자기업 간의 인수합병 지지 및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임

- 산업별로 보면 금융서비스업middot부동산middot제조업 및 채광업 등 4 대 산업에서 MampA 가 두드러진 증가추세를 보임

- 또한 사모주식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사모펀드의 MampA 는 140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했으며 금액은 106억 달러로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해외 MampA 빠르게 증가 - 중국의 해외 MampA 교역액은 2007 년 1~11 월 164억 달러에 달해 2006 년 79억 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함 보화영도(PWC 차이나)의 융자middotM ampA 의 총책임자인 쟈오량(趙亮)에 의하면 중국의 해외 MampA 는 2011 년에는 2006 년의 10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2007 년 외국투자자의 중국기업 MampA 감소

18

- lsquo亞洲收購與兼倂(아시아 MampA)잡지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2007 년 1~11 월 외국의 전략투자자의 중국 MampA 교역량은 339건으로 교역액은 166억 달러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6 27 감소했다고 밝힘

- 이는 2006 년 4 월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MampA 대상 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가 MampA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규범화돼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중국 정부는 20006 년 8 월 중국 상무부middot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세무총국middot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middot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외환관리국 령으로 lsquo關于外國投資者倂購境內企業的規定(외국투자자의 중국 경내 기업 M ampA 에 관한 규정)rsquo을 발표했으며 2007 년 8월에는 lsquo中華人民共和國反壟斷法(중화인민공화국 반독점법)rsquo이 발표를 통해 기업인수합병에 관한 내용을 규정

시사점 중국 정부의 선별적 투자유치로의 정책 전환과 노동력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은 생산형 투자의 어려움 중국 내수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판매 유통 채널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효율적인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 금융업 개방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 국유기업 개혁 지속 및 민영기업의 빠른 발전으로 MampA 의 기회가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됨

자료원 全國工商聯倂購公會(wwwma-chinacom) 경제관찰보 국제상보 중국증권보 등 종합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 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해외투자진출을 통한 통상마찰 완화 효과 기대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통해 반덤핑 조치 회피 ㅇ 2007 년 말 중국 상무부는 해외공업단지인 ldquo경외경제무역합작구(이하 「합작구」)rdquo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 결과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건설하는 11 개 프로젝트를 신규 허가함 ㅇ 중국의 해외 합작구 설립추진은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완화하면서 막대한 보유 외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임

ㅇ 합작구는 다양한 우대조치가 적용되고 있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합작구 설립을

추진하는 중국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중국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피하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정부의 우대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합작구로 진출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으로 보임

합작구 설립배경 ㅇ 중국산 섬유 어패럴 가전 철강제품 등에 대한 구미의 반덤핑 조사가 매년 증가하자 중국은

반덤핑조사로 인한 통상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국가를 경유해 제 3 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함

- 중국과 인접한 국가 중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곳에 설립된 공업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 3국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낮은 물류 비용으로 반덤핑 조치를 피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19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12: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4 72082610항복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5 720826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6 72082710두께<15인 기타 염산세척을 거친 열연코일

7 720827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8 72083600두께>10인 기타 열연코일

9 72083700475le두께le10인 기타 열연코일

10 720838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1 72083890 기타 3le두께<475인 기타 코일

12 72083910두께<15인 기타열연코일

13 72083990 기타 두께<3인 기타 열연코일

14 72084000압연해 요철무늬가 있는 열연비코일

15 72085110두께>50인 기타 열연비코일

16 72085120두께>20이나 50를 초과하지 않는 기타 열연비코일

17 72085190 기타 두께>10인 기타 열연비코일

18 72085200475le두께le10인 열연비코일

19 72085310항목강도가 355 뉴턴2보다 크고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0 72085390 기타 3le두께<475인 열연비코일

21 72085410두께<15인 열연비코일

22 72085490 기타 두께<3인 열연비코일

23 72089000 기타 열연강철 또는 비합금강 넓은 판재

24 72111300 무늬를 압연하지 않고 네면을 압연해 만든 압연비코일

25 72111400두께ge475인 기타열연판재

26 72111900 기타 열연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7 72112300냉연 카본함유량<025인 판재

28 72112900냉연 기타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29 72119000냉연 강철 또는 비합금 기타 좁은 판재

30 72121000 도금하거나 주석을 바른 비합금강 좁은 판재

31 721220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강철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2 7212300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강철 좁은 판재

33 72124000 도료를 칠하거나 플라스틱을 칠한 철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4 72125000칠하거나 도금한 기타 재료철 또는 비함금강 좁은 판재

35 72126000덮어씌운 강 또는 비합금강 좁은 판재

36 72131000 무늬를 압연한 열연와이어로드

37 72132000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제 열연 와이어로드

38 72139100 직경<14인 둥근 절단면의 기타 열연 와이어 로드

39 72139900 기타 열연와이어로드

40 72142000열가공한 무늬를 압연제작한 로드 대41 72143000열가공해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

12

42 72149100열가공한 기타 직사각형 절단명의 로드 대43 72149900열가공한 기타 로드 대44 72151000냉가공한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45 72155000냉가공하거나 냉각해 형성한 기타 로드 대46 72159000 철강 및 비합금강의 기타 로드 대47 72161010 절단면 높이<80인 H 형강

48 72161020 절단면 높이가 80보다 적은 아이형 강

49 72161090 절단면 높이<80인 U 형강

50 72162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L 형강

51 721622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T 형강

52 72163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ge80인 조형강

53 72163210 절단면 높이가 200이상인 아이형 강

54 72163290열가공 절단면 높이가 ge80인 아이형강

55 72163311 절단명 높이가 800이상인 H 형강

56 72163319 절단면 높이가 ge200인 H 형강

57 72163390 기타 절단면 높이가 ge80인 H 형강

58 72164010열가공한 절단면높이가 ge80인 L 형강

59 72164020열가공한 절단면 높이가 ge80인 T 형강

60 72165010열가공한 Z 형강

61 72165090열가공한 기타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2 72166100냉가공한 판재로 제작된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3 72166900냉가공한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4 72169100냉가공한 기타 판재로 만든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5 72169900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6 72171000 도금하지 않거나 도료를 바르지 은 철강 또는 비합금강 철사

67 72172000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철 또는 비합금강 철사

68 72173010 도금하거나 동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69 72173090 도금하거나 기타 저급 금속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70 72179000 기타 강철사 또는 비합금 강철사

71 721913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2 721913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3 72191329두께가 3이상이나 475보다 작은 염산세척한 기타 스테인리스 와이어판

74 721914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두께<3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5 721914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두께<3인 망간크롬계열 스테인리스

76 722591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금합금강 넒은 평판압연재

77 72259200 기타 도금 또는 아연을 바른 기타 합금강 넓은 판재

13

78 72259910 폭ge600인 고속강평판압연재

79 72259990 폭ge600인 기타합금강 평판압연재

80 72269200 폭<600인 냉연 기타 합금강판재

81 7226991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합금강 좁은 평판압연재

82 7226992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기타합금강 좁음 판재

83 72272000 실리콘망간강의 열연 와이어로드

84 72282000 기타 실리콘망간강의 로드 대85 72286000 기타 합금강 로드 대86 73053100 상하방향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7 73053900 기타 방법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8 73059000 이름을 나열할 수 없는 원형 절단면의 조강강철관

89 73063000 기타 철강 또는 비합금 강 원형 절단면의 용접관

90 73064000 스테인리스강 기타 원형 절단면의 가는 용접관

91 73065000 기타 합금강의 원형 절단면 가는 용접관

92 73066100 직사강형 또는 정사각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3 73066900 기타 비원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4 76041010 비합금 로드 대95 76042910알루미늄 합금 로드 대 자료원 중국 재정부

中 3 월 1 일부터 월 개인소득세공제기준 2000 위앤으로 상향 조정 - 2005 년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 1 차 수정 이후 두 번째 -

- 추가공제기준 조정 등 총 일곱 군데 수정 -

김명신 베이징무역관clairekotraorkr

중국 개인소득세법실시조례 2 차 수정 중국 국무원은 지난 2 월 18 일 lsquo국무원이 중국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를 수정하는데 관한 결정rsquo

(國務院關于修改中華人民共和國個人所得稅法實施條例的決定)(국무원령 519 호)을 발표해 3월 1 일부터 시행에 들어감

중국은 1994 년 1 월 28 일부터 실시한 중국 기업소득세법실시조례(국무원령 142 호)를 지난

2005 년 말 대대적으로 수정(국무원령 452 호)해 2006 년 1 월 1 일부터 실시해 왔으며 소득증가 등 소득세 징수환경이 변화하면서 최근 2 차 수정을 단행함

주요 변경내용 이번 개인소득세법 2 차 수정에서는 개인소득세 공제기준이 월 1600 위앤에서 2000 위앤으로

400 위앤 상향조정된 반면 추가공제비용 기준은 기존 3200 위앤에서 2800 위앤으로 하향조정됨

14

이외에도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서 기존에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을 인정했으나 이번 2 차 수정결정문은 이외에도 lsquo기타 형식의 경제이익rsquo을 추가인정함

특정업종에 대한 범위도 다소 확대돼 기존에는 세법 제 9 조 두 번째 단락이 지칭하는

특정업종이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중국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이었으나 이번 수정결정문에는 특정 업종에 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업종도 추가됨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2 월 18 일 발표된 개인소득세실시조례 수정에 대해 지난 2 월 20 일 각

지방세무국에 lsquo개인소득세 임금급여소득 공제비용표준정책연결문제에 관한 통지rsquo(關于個人所得稅工資薪金所得減除費用標準政策銜接問題的通知)를 하달 3 월 1 일부터 월 소득공제기준을 2000 위앤으로 조정 실시하도록 조치함

- 납세자가 3 월 1 일전에 실제 취득한 임금 급여소득에 대해서는 세액이 3 월 1 일 이후에 납부된다 하더라도 월 1600 위앤의 공제비용기준이 적용됨

중국 개인소득세실시조례내용 변경 전후 비교

순서 구분(조항) 변경 전 변경 후

1소득형태 확대

(제 10 조)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

유가증권을 포함함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과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을 포함함 그중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은

시장가격에 따라 과세소득액을 산정함

2비용공제

기준 상향 조정(제 18 조)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1600 위앤임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 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2000 위앤임

3추가공제

기준(제 27 조)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16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20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4추가공제

적용대상자(제 28 조제 4항)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기타 재정부가 규정하는 자가 포함됨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

인원이 포함됨

5추가공제비용표준 하향조정(제 29 조)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3200 위앤임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2800 위앤임

6특정업종 범위 확대(제 40 조)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기타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임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수업middot원양어업 및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확정한

기타 업종임

7 조항삭제(제 48 조)

본 조례의 해석은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이 공동으로 함 삭제

15

자료원 국무원 판공실

lsquo저우추취rsquo 돋보인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 활발해지고 외국투자자의 중국 MampA 줄어 -

- 중국기업의 해외 MampA 발걸음 거세져 -

이영준 청두무역관ctuktckotraorkr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중국 10 대 MampA 사건은 全國工商聯倂購公會(China Mergers amp Acquisitions Association

CMAA) 全球倂購硏究中心(세계 MampA 연구중심) 中國倂購交易網(wwwmergers-chinacom)이 주관해 2001 년부터 공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하고 있으며 MampA 관련 영향력 있는 행사 중의 하나임

프랑스 다농(Danone)의 와하하(娃哈哈) 합병 쟁의 - 2007 년 4 월 매체를 통해 알려졌으며 프랑스 다농 그룹이 40억 위앤을 투자해 와하하 산하 10

여 개의 비(非)합자회사의 51의 지분을 인수하고자 함 10 여 개의 비합자회사의 자산 총액은 56억 위앤 2006 년 순이익은 10억 4000 만 위앤에 달함

- 다농의 합병 시도는 와하하의 중국 측 주주에 의해 저지됐으며 이는 이후 외자기업의 반독점

문제 민족 브랜드 보호문제에 대한 쟁의를 불러일으킴 중국이동통신(China Telecom) 파키스탄 통신 운영상 Millicom 사 인수 - 중국이동통신은 2007 년 4 월 28 일 발표를 통해 2 개월에 걸쳐 21억 3000 만 위앤(2억 8400

만 달러)를 투자해 룩셈부르크사의 Millicom 사가 가지고 있는 파키스탄 Paktel 사의 8886 지분을 인수했으며 나머지 1114의 주식을 인수하겠다는 협의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함

- 이번 인수는 중국이동통신의 전략적 해외기업 인수 사례로 중국 전신 운영업체의 lsquo저우추취rsquo

전략의 중요한 돌파구 마련한 계기가 됨 중국투자공사 미국 Blackstone Group 지분 참여 - 2007 년 5 월 22 일 중국투자공사 설립 준비(당시 lsquo國家外匯投資公司rsquo) 중 中央匯金公司의

자회사인 中國建銀投資公司는 Blackstone Group 에 225억 위앤(30억 달러)를 투자해 Blackstone Group 이 전 세계에 공개 발행한 주식 중 약 10 정도를 구매했으며 4 년간 보유하는 조건임

- 이는 중국투자공사의 해외 첫 번째 투자로써 중국의 거대한 외환보유량을 줄이고 외화 보유의

다원화를 촉진하는 의미있는 투자임 - 중국투자유한책임공사는 외화자금 전문 투자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늘어나는

외환보유고를 이용해 국제 금융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2007 년 9 월 29 일 정식 설립됨 중국국가개발은행 영국 Barclays Bank 투자

16

- 2007 년 7 월 23 일 중국국가개발은행은 영국의 Barclays Bank 는 협의를 통해 217억 5000만 위앤(14억 5000 만 파운드)에 달하는 2014억 보통주를 획득했으며 지분 비율은 31임 이는 중국국가개발은행의 상업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협력으로 간주하고 있음

중국공상은행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은행인 Standard Bank 투자 - 2007 년 10 월 25 일 중국공상은행은 409억 5000 만 위앤(54억 6000 만 달러)를 투자해

남아프리카공화국 Standard Bank 의 20 지분을 인수하여 이 은행의 최대 주주가 됨 이는 중국공상은행의 주식상장 이후 최대 해외 투자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최대 FDI 로 기록됨

중국항공업 동방항공 인수 경쟁 - 2007 년 9 월 초 싱가포르 항공과 싱가포르 국영투자회사인 TAMASEK 은 중국동방항공의 24

지분을 인수함 이 때문에 AIRCHINA 는 Cathay Pacific Airways 와 연합해 동방항공의 홍콩상장 주식을 늘리는 등 동방항공 인수전에 뛰어듦

- 그러나 중국 3 대 항공사의 대주주인 lsquo중국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rsquo의 제지와 항공업 관련

부문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함 중신증권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와 주식교환 - 2007 년 10 월말 중신증권은 발표를 통해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중신증권과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는 각각 75억 위앤(10억 달러)를 출자하여 주식교환을 실시했으며 40 년 만기의 전환가능 우선주를 획득하였다고 발표함

- 이 주식 수는 Bear Sterns 사의 총주식의 6에 상당하는 규모임 양사는 홍콩에 합자회사를

설립하고 양사의 아시아 지역 업무를 통합하기로 함 중신증권은 중국 국내 증권사중 최초로 해외투자은행의 주식을 인수한 증권사가 됨

세계 제 1 의 철강기업 아르셀로 미탈 철강회사 중국동방집단 인수 시도 - 2007 년 11 월 8 일부터 아르셀로 미탈은 두 차례에 걸쳐 홍콩에 상장된 중국동방집단의 1

대주주와 2 대주주의 주식 약 127억 5000 만위앤(17억 달러)에 달하는 73의 지분 인수를 통해 중국동방집단의 경영을 장악하고자 햇으나 홍콩증권감독위원회의 개입으로 1 차 구매부터 무산됨

- 만약 동 거래가 성사됐을 경우 외국자본이 중국 국내 철강기업을 합병하는 최초의 사례가 됐을

것으로 중국 국내 철강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사건으로 기록됨 중국평안보험 포르티스(Fortis) 지분 획득 - 2007 년 11 월 28 일 중국 제 2 위의 생명보험사인 중국평안보험(Ping An Insurance)과 유럽middot

미국에서 보험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포르티스 그룹은 MOU 체결을 통해 포르티스 그룹의 주식 418에 해당하는 9501 만 주를 인수하기로 함

- 인수가격은 195억 5000 만 위앤(18억 1000 만 유로)로 이로써 평안은 포르티스의 최대 단일

주주가 됨 이는 중국 보험사가 최초로 세계 금융 서비스 그룹에 투자한 사례이며 중국 국내 보험업계의 최대 해외투자로 기록됨

중국국가전망 필리핀 전력망 운영권 획득

17

- 2007 년 12 월 12 일 중국 최대 국유 전력회사인 중국국가전망은 약 296억 위앤(39억 5000만 달러)을 투자해 향후 25 년간의 필리핀 전력망 경영권을 획득함 이는 중국 국가전망의 최대 해외투자임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의 특징 해외진출 두드러져 중국의 2007 년 10 대 MampA 사건에 선정된 사례를 보면 10건 모두 국가 간의

기업인수합병으로 7건은 중국기업이 해외에 투자한 대표적인 사례이며 3건은 외국기업이 중국 본토기업에 투자한 사례임 이는 중국기업의 lsquo저우추취rsquo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현재 이뤄지고 있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주로 자원middot브랜드middot각종 산업 채널확보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lsquo저우추취rsquo전략으로 해외 투자의 발걸음은 더욱 거세지고 있음

또한 10 개의 사례 중 5 개의 사례가 금융업의 MampA 사례로 중국 금융업계의 해외진출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

특히 중국정부는 무역수지 흑자를 통해 늘어나는 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등 외화 활용의 다원화를 시도하고 있음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 간 MampA 활발히 진행 2007 년 12 월 18 일 발표된 PWC(Price Waterhouse Coopers) 차이나의 lsquo企業倂購歲末回顧與展望(MampA 연말회고와 전망)rsquo 보고에 따르면 2007 년 1~11 월 중국 전체 MampA 교역량(해외시장 제외)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700 여 건으로 거래금액은 25 증가한 8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내자기업 간의 전략적 MampA 교역량은 전년대비 45 증가했으며 거래금액도 53 증가한 506억 달러에 달해 외자기업 중국투자금액의 2배에 달한다고 밝힘

- 2006 년 이전에는 외자기업의 중국 직접투자가 MampA 의 증가요인이었으나 2006 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 교역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7 년에도 역시 중국 MampA 시장은 중국 본토기업간의 교역이 두드러졌다고 밝힘

- 이처럼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이 증가한 이유는 기업의 구조조정middot기업규모 확대 욕구middot

중국경제의 전면적 발전으로 M ampA 시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 개혁을 통해 급상승한 주식시장middot자본금middot은행차관 등을 통한 풍부한 유동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내자기업 간의 인수합병 지지 및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임

- 산업별로 보면 금융서비스업middot부동산middot제조업 및 채광업 등 4 대 산업에서 MampA 가 두드러진 증가추세를 보임

- 또한 사모주식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사모펀드의 MampA 는 140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했으며 금액은 106억 달러로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해외 MampA 빠르게 증가 - 중국의 해외 MampA 교역액은 2007 년 1~11 월 164억 달러에 달해 2006 년 79억 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함 보화영도(PWC 차이나)의 융자middotM ampA 의 총책임자인 쟈오량(趙亮)에 의하면 중국의 해외 MampA 는 2011 년에는 2006 년의 10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2007 년 외국투자자의 중국기업 MampA 감소

18

- lsquo亞洲收購與兼倂(아시아 MampA)잡지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2007 년 1~11 월 외국의 전략투자자의 중국 MampA 교역량은 339건으로 교역액은 166억 달러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6 27 감소했다고 밝힘

- 이는 2006 년 4 월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MampA 대상 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가 MampA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규범화돼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중국 정부는 20006 년 8 월 중국 상무부middot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세무총국middot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middot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외환관리국 령으로 lsquo關于外國投資者倂購境內企業的規定(외국투자자의 중국 경내 기업 M ampA 에 관한 규정)rsquo을 발표했으며 2007 년 8월에는 lsquo中華人民共和國反壟斷法(중화인민공화국 반독점법)rsquo이 발표를 통해 기업인수합병에 관한 내용을 규정

시사점 중국 정부의 선별적 투자유치로의 정책 전환과 노동력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은 생산형 투자의 어려움 중국 내수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판매 유통 채널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효율적인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 금융업 개방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 국유기업 개혁 지속 및 민영기업의 빠른 발전으로 MampA 의 기회가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됨

자료원 全國工商聯倂購公會(wwwma-chinacom) 경제관찰보 국제상보 중국증권보 등 종합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 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해외투자진출을 통한 통상마찰 완화 효과 기대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통해 반덤핑 조치 회피 ㅇ 2007 년 말 중국 상무부는 해외공업단지인 ldquo경외경제무역합작구(이하 「합작구」)rdquo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 결과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건설하는 11 개 프로젝트를 신규 허가함 ㅇ 중국의 해외 합작구 설립추진은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완화하면서 막대한 보유 외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임

ㅇ 합작구는 다양한 우대조치가 적용되고 있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합작구 설립을

추진하는 중국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중국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피하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정부의 우대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합작구로 진출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으로 보임

합작구 설립배경 ㅇ 중국산 섬유 어패럴 가전 철강제품 등에 대한 구미의 반덤핑 조사가 매년 증가하자 중국은

반덤핑조사로 인한 통상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국가를 경유해 제 3 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함

- 중국과 인접한 국가 중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곳에 설립된 공업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 3국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낮은 물류 비용으로 반덤핑 조치를 피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19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13: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42 72149100열가공한 기타 직사각형 절단명의 로드 대43 72149900열가공한 기타 로드 대44 72151000냉가공한 기타 자르기 쉬운 철강으로 만든 로드 대45 72155000냉가공하거나 냉각해 형성한 기타 로드 대46 72159000 철강 및 비합금강의 기타 로드 대47 72161010 절단면 높이<80인 H 형강

48 72161020 절단면 높이가 80보다 적은 아이형 강

49 72161090 절단면 높이<80인 U 형강

50 72162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L 형강

51 721622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80인 T 형강

52 72163100열가공한 절단한 높이가ge80인 조형강

53 72163210 절단면 높이가 200이상인 아이형 강

54 72163290열가공 절단면 높이가 ge80인 아이형강

55 72163311 절단명 높이가 800이상인 H 형강

56 72163319 절단면 높이가 ge200인 H 형강

57 72163390 기타 절단면 높이가 ge80인 H 형강

58 72164010열가공한 절단면높이가 ge80인 L 형강

59 72164020열가공한 절단면 높이가 ge80인 T 형강

60 72165010열가공한 Z 형강

61 72165090열가공한 기타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2 72166100냉가공한 판재로 제작된 L 형강 형재 및 이형재

63 72166900냉가공한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4 72169100냉가공한 기타 판재로 만든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5 72169900 기타 각재 형재 및 이형재

66 72171000 도금하지 않거나 도료를 바르지 은 철강 또는 비합금강 철사

67 72172000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철 또는 비합금강 철사

68 72173010 도금하거나 동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69 72173090 도금하거나 기타 저급 금속을 바른 강철사와 비합금 강철사

70 72179000 기타 강철사 또는 비합금 강철사

71 721913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2 721913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3le두께<475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3 72191329두께가 3이상이나 475보다 작은 염산세척한 기타 스테인리스 와이어판

74 7219141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을 하지 않은 두께<3인 크롬망간계열 스테인리스

75 72191422 중량에 따라 망간함유량이 55와 그 이상인 염산세척한 두께<3인 망간크롬계열 스테인리스

76 7225910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금합금강 넒은 평판압연재

77 72259200 기타 도금 또는 아연을 바른 기타 합금강 넓은 판재

13

78 72259910 폭ge600인 고속강평판압연재

79 72259990 폭ge600인 기타합금강 평판압연재

80 72269200 폭<600인 냉연 기타 합금강판재

81 7226991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합금강 좁은 평판압연재

82 7226992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기타합금강 좁음 판재

83 72272000 실리콘망간강의 열연 와이어로드

84 72282000 기타 실리콘망간강의 로드 대85 72286000 기타 합금강 로드 대86 73053100 상하방향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7 73053900 기타 방법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8 73059000 이름을 나열할 수 없는 원형 절단면의 조강강철관

89 73063000 기타 철강 또는 비합금 강 원형 절단면의 용접관

90 73064000 스테인리스강 기타 원형 절단면의 가는 용접관

91 73065000 기타 합금강의 원형 절단면 가는 용접관

92 73066100 직사강형 또는 정사각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3 73066900 기타 비원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4 76041010 비합금 로드 대95 76042910알루미늄 합금 로드 대 자료원 중국 재정부

中 3 월 1 일부터 월 개인소득세공제기준 2000 위앤으로 상향 조정 - 2005 년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 1 차 수정 이후 두 번째 -

- 추가공제기준 조정 등 총 일곱 군데 수정 -

김명신 베이징무역관clairekotraorkr

중국 개인소득세법실시조례 2 차 수정 중국 국무원은 지난 2 월 18 일 lsquo국무원이 중국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를 수정하는데 관한 결정rsquo

(國務院關于修改中華人民共和國個人所得稅法實施條例的決定)(국무원령 519 호)을 발표해 3월 1 일부터 시행에 들어감

중국은 1994 년 1 월 28 일부터 실시한 중국 기업소득세법실시조례(국무원령 142 호)를 지난

2005 년 말 대대적으로 수정(국무원령 452 호)해 2006 년 1 월 1 일부터 실시해 왔으며 소득증가 등 소득세 징수환경이 변화하면서 최근 2 차 수정을 단행함

주요 변경내용 이번 개인소득세법 2 차 수정에서는 개인소득세 공제기준이 월 1600 위앤에서 2000 위앤으로

400 위앤 상향조정된 반면 추가공제비용 기준은 기존 3200 위앤에서 2800 위앤으로 하향조정됨

14

이외에도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서 기존에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을 인정했으나 이번 2 차 수정결정문은 이외에도 lsquo기타 형식의 경제이익rsquo을 추가인정함

특정업종에 대한 범위도 다소 확대돼 기존에는 세법 제 9 조 두 번째 단락이 지칭하는

특정업종이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중국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이었으나 이번 수정결정문에는 특정 업종에 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업종도 추가됨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2 월 18 일 발표된 개인소득세실시조례 수정에 대해 지난 2 월 20 일 각

지방세무국에 lsquo개인소득세 임금급여소득 공제비용표준정책연결문제에 관한 통지rsquo(關于個人所得稅工資薪金所得減除費用標準政策銜接問題的通知)를 하달 3 월 1 일부터 월 소득공제기준을 2000 위앤으로 조정 실시하도록 조치함

- 납세자가 3 월 1 일전에 실제 취득한 임금 급여소득에 대해서는 세액이 3 월 1 일 이후에 납부된다 하더라도 월 1600 위앤의 공제비용기준이 적용됨

중국 개인소득세실시조례내용 변경 전후 비교

순서 구분(조항) 변경 전 변경 후

1소득형태 확대

(제 10 조)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

유가증권을 포함함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과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을 포함함 그중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은

시장가격에 따라 과세소득액을 산정함

2비용공제

기준 상향 조정(제 18 조)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1600 위앤임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 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2000 위앤임

3추가공제

기준(제 27 조)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16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20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4추가공제

적용대상자(제 28 조제 4항)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기타 재정부가 규정하는 자가 포함됨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

인원이 포함됨

5추가공제비용표준 하향조정(제 29 조)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3200 위앤임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2800 위앤임

6특정업종 범위 확대(제 40 조)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기타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임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수업middot원양어업 및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확정한

기타 업종임

7 조항삭제(제 48 조)

본 조례의 해석은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이 공동으로 함 삭제

15

자료원 국무원 판공실

lsquo저우추취rsquo 돋보인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 활발해지고 외국투자자의 중국 MampA 줄어 -

- 중국기업의 해외 MampA 발걸음 거세져 -

이영준 청두무역관ctuktckotraorkr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중국 10 대 MampA 사건은 全國工商聯倂購公會(China Mergers amp Acquisitions Association

CMAA) 全球倂購硏究中心(세계 MampA 연구중심) 中國倂購交易網(wwwmergers-chinacom)이 주관해 2001 년부터 공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하고 있으며 MampA 관련 영향력 있는 행사 중의 하나임

프랑스 다농(Danone)의 와하하(娃哈哈) 합병 쟁의 - 2007 년 4 월 매체를 통해 알려졌으며 프랑스 다농 그룹이 40억 위앤을 투자해 와하하 산하 10

여 개의 비(非)합자회사의 51의 지분을 인수하고자 함 10 여 개의 비합자회사의 자산 총액은 56억 위앤 2006 년 순이익은 10억 4000 만 위앤에 달함

- 다농의 합병 시도는 와하하의 중국 측 주주에 의해 저지됐으며 이는 이후 외자기업의 반독점

문제 민족 브랜드 보호문제에 대한 쟁의를 불러일으킴 중국이동통신(China Telecom) 파키스탄 통신 운영상 Millicom 사 인수 - 중국이동통신은 2007 년 4 월 28 일 발표를 통해 2 개월에 걸쳐 21억 3000 만 위앤(2억 8400

만 달러)를 투자해 룩셈부르크사의 Millicom 사가 가지고 있는 파키스탄 Paktel 사의 8886 지분을 인수했으며 나머지 1114의 주식을 인수하겠다는 협의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함

- 이번 인수는 중국이동통신의 전략적 해외기업 인수 사례로 중국 전신 운영업체의 lsquo저우추취rsquo

전략의 중요한 돌파구 마련한 계기가 됨 중국투자공사 미국 Blackstone Group 지분 참여 - 2007 년 5 월 22 일 중국투자공사 설립 준비(당시 lsquo國家外匯投資公司rsquo) 중 中央匯金公司의

자회사인 中國建銀投資公司는 Blackstone Group 에 225억 위앤(30억 달러)를 투자해 Blackstone Group 이 전 세계에 공개 발행한 주식 중 약 10 정도를 구매했으며 4 년간 보유하는 조건임

- 이는 중국투자공사의 해외 첫 번째 투자로써 중국의 거대한 외환보유량을 줄이고 외화 보유의

다원화를 촉진하는 의미있는 투자임 - 중국투자유한책임공사는 외화자금 전문 투자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늘어나는

외환보유고를 이용해 국제 금융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2007 년 9 월 29 일 정식 설립됨 중국국가개발은행 영국 Barclays Bank 투자

16

- 2007 년 7 월 23 일 중국국가개발은행은 영국의 Barclays Bank 는 협의를 통해 217억 5000만 위앤(14억 5000 만 파운드)에 달하는 2014억 보통주를 획득했으며 지분 비율은 31임 이는 중국국가개발은행의 상업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협력으로 간주하고 있음

중국공상은행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은행인 Standard Bank 투자 - 2007 년 10 월 25 일 중국공상은행은 409억 5000 만 위앤(54억 6000 만 달러)를 투자해

남아프리카공화국 Standard Bank 의 20 지분을 인수하여 이 은행의 최대 주주가 됨 이는 중국공상은행의 주식상장 이후 최대 해외 투자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최대 FDI 로 기록됨

중국항공업 동방항공 인수 경쟁 - 2007 년 9 월 초 싱가포르 항공과 싱가포르 국영투자회사인 TAMASEK 은 중국동방항공의 24

지분을 인수함 이 때문에 AIRCHINA 는 Cathay Pacific Airways 와 연합해 동방항공의 홍콩상장 주식을 늘리는 등 동방항공 인수전에 뛰어듦

- 그러나 중국 3 대 항공사의 대주주인 lsquo중국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rsquo의 제지와 항공업 관련

부문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함 중신증권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와 주식교환 - 2007 년 10 월말 중신증권은 발표를 통해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중신증권과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는 각각 75억 위앤(10억 달러)를 출자하여 주식교환을 실시했으며 40 년 만기의 전환가능 우선주를 획득하였다고 발표함

- 이 주식 수는 Bear Sterns 사의 총주식의 6에 상당하는 규모임 양사는 홍콩에 합자회사를

설립하고 양사의 아시아 지역 업무를 통합하기로 함 중신증권은 중국 국내 증권사중 최초로 해외투자은행의 주식을 인수한 증권사가 됨

세계 제 1 의 철강기업 아르셀로 미탈 철강회사 중국동방집단 인수 시도 - 2007 년 11 월 8 일부터 아르셀로 미탈은 두 차례에 걸쳐 홍콩에 상장된 중국동방집단의 1

대주주와 2 대주주의 주식 약 127억 5000 만위앤(17억 달러)에 달하는 73의 지분 인수를 통해 중국동방집단의 경영을 장악하고자 햇으나 홍콩증권감독위원회의 개입으로 1 차 구매부터 무산됨

- 만약 동 거래가 성사됐을 경우 외국자본이 중국 국내 철강기업을 합병하는 최초의 사례가 됐을

것으로 중국 국내 철강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사건으로 기록됨 중국평안보험 포르티스(Fortis) 지분 획득 - 2007 년 11 월 28 일 중국 제 2 위의 생명보험사인 중국평안보험(Ping An Insurance)과 유럽middot

미국에서 보험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포르티스 그룹은 MOU 체결을 통해 포르티스 그룹의 주식 418에 해당하는 9501 만 주를 인수하기로 함

- 인수가격은 195억 5000 만 위앤(18억 1000 만 유로)로 이로써 평안은 포르티스의 최대 단일

주주가 됨 이는 중국 보험사가 최초로 세계 금융 서비스 그룹에 투자한 사례이며 중국 국내 보험업계의 최대 해외투자로 기록됨

중국국가전망 필리핀 전력망 운영권 획득

17

- 2007 년 12 월 12 일 중국 최대 국유 전력회사인 중국국가전망은 약 296억 위앤(39억 5000만 달러)을 투자해 향후 25 년간의 필리핀 전력망 경영권을 획득함 이는 중국 국가전망의 최대 해외투자임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의 특징 해외진출 두드러져 중국의 2007 년 10 대 MampA 사건에 선정된 사례를 보면 10건 모두 국가 간의

기업인수합병으로 7건은 중국기업이 해외에 투자한 대표적인 사례이며 3건은 외국기업이 중국 본토기업에 투자한 사례임 이는 중국기업의 lsquo저우추취rsquo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현재 이뤄지고 있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주로 자원middot브랜드middot각종 산업 채널확보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lsquo저우추취rsquo전략으로 해외 투자의 발걸음은 더욱 거세지고 있음

또한 10 개의 사례 중 5 개의 사례가 금융업의 MampA 사례로 중국 금융업계의 해외진출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

특히 중국정부는 무역수지 흑자를 통해 늘어나는 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등 외화 활용의 다원화를 시도하고 있음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 간 MampA 활발히 진행 2007 년 12 월 18 일 발표된 PWC(Price Waterhouse Coopers) 차이나의 lsquo企業倂購歲末回顧與展望(MampA 연말회고와 전망)rsquo 보고에 따르면 2007 년 1~11 월 중국 전체 MampA 교역량(해외시장 제외)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700 여 건으로 거래금액은 25 증가한 8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내자기업 간의 전략적 MampA 교역량은 전년대비 45 증가했으며 거래금액도 53 증가한 506억 달러에 달해 외자기업 중국투자금액의 2배에 달한다고 밝힘

- 2006 년 이전에는 외자기업의 중국 직접투자가 MampA 의 증가요인이었으나 2006 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 교역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7 년에도 역시 중국 MampA 시장은 중국 본토기업간의 교역이 두드러졌다고 밝힘

- 이처럼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이 증가한 이유는 기업의 구조조정middot기업규모 확대 욕구middot

중국경제의 전면적 발전으로 M ampA 시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 개혁을 통해 급상승한 주식시장middot자본금middot은행차관 등을 통한 풍부한 유동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내자기업 간의 인수합병 지지 및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임

- 산업별로 보면 금융서비스업middot부동산middot제조업 및 채광업 등 4 대 산업에서 MampA 가 두드러진 증가추세를 보임

- 또한 사모주식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사모펀드의 MampA 는 140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했으며 금액은 106억 달러로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해외 MampA 빠르게 증가 - 중국의 해외 MampA 교역액은 2007 년 1~11 월 164억 달러에 달해 2006 년 79억 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함 보화영도(PWC 차이나)의 융자middotM ampA 의 총책임자인 쟈오량(趙亮)에 의하면 중국의 해외 MampA 는 2011 년에는 2006 년의 10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2007 년 외국투자자의 중국기업 MampA 감소

18

- lsquo亞洲收購與兼倂(아시아 MampA)잡지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2007 년 1~11 월 외국의 전략투자자의 중국 MampA 교역량은 339건으로 교역액은 166억 달러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6 27 감소했다고 밝힘

- 이는 2006 년 4 월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MampA 대상 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가 MampA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규범화돼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중국 정부는 20006 년 8 월 중국 상무부middot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세무총국middot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middot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외환관리국 령으로 lsquo關于外國投資者倂購境內企業的規定(외국투자자의 중국 경내 기업 M ampA 에 관한 규정)rsquo을 발표했으며 2007 년 8월에는 lsquo中華人民共和國反壟斷法(중화인민공화국 반독점법)rsquo이 발표를 통해 기업인수합병에 관한 내용을 규정

시사점 중국 정부의 선별적 투자유치로의 정책 전환과 노동력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은 생산형 투자의 어려움 중국 내수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판매 유통 채널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효율적인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 금융업 개방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 국유기업 개혁 지속 및 민영기업의 빠른 발전으로 MampA 의 기회가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됨

자료원 全國工商聯倂購公會(wwwma-chinacom) 경제관찰보 국제상보 중국증권보 등 종합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 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해외투자진출을 통한 통상마찰 완화 효과 기대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통해 반덤핑 조치 회피 ㅇ 2007 년 말 중국 상무부는 해외공업단지인 ldquo경외경제무역합작구(이하 「합작구」)rdquo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 결과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건설하는 11 개 프로젝트를 신규 허가함 ㅇ 중국의 해외 합작구 설립추진은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완화하면서 막대한 보유 외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임

ㅇ 합작구는 다양한 우대조치가 적용되고 있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합작구 설립을

추진하는 중국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중국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피하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정부의 우대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합작구로 진출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으로 보임

합작구 설립배경 ㅇ 중국산 섬유 어패럴 가전 철강제품 등에 대한 구미의 반덤핑 조사가 매년 증가하자 중국은

반덤핑조사로 인한 통상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국가를 경유해 제 3 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함

- 중국과 인접한 국가 중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곳에 설립된 공업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 3국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낮은 물류 비용으로 반덤핑 조치를 피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19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14: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78 72259910 폭ge600인 고속강평판압연재

79 72259990 폭ge600인 기타합금강 평판압연재

80 72269200 폭<600인 냉연 기타 합금강판재

81 72269910 아연을 전기도금한 기타 합금강 좁은 평판압연재

82 72269920 기타 도금하거나 아연을 바른 기타합금강 좁음 판재

83 72272000 실리콘망간강의 열연 와이어로드

84 72282000 기타 실리콘망간강의 로드 대85 72286000 기타 합금강 로드 대86 73053100 상하방향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7 73053900 기타 방법으로 용접한 기타 조강강철관

88 73059000 이름을 나열할 수 없는 원형 절단면의 조강강철관

89 73063000 기타 철강 또는 비합금 강 원형 절단면의 용접관

90 73064000 스테인리스강 기타 원형 절단면의 가는 용접관

91 73065000 기타 합금강의 원형 절단면 가는 용접관

92 73066100 직사강형 또는 정사각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3 73066900 기타 비원형 절단면의 기타 용접관

94 76041010 비합금 로드 대95 76042910알루미늄 합금 로드 대 자료원 중국 재정부

中 3 월 1 일부터 월 개인소득세공제기준 2000 위앤으로 상향 조정 - 2005 년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 1 차 수정 이후 두 번째 -

- 추가공제기준 조정 등 총 일곱 군데 수정 -

김명신 베이징무역관clairekotraorkr

중국 개인소득세법실시조례 2 차 수정 중국 국무원은 지난 2 월 18 일 lsquo국무원이 중국 개인소득세법 실시조례를 수정하는데 관한 결정rsquo

(國務院關于修改中華人民共和國個人所得稅法實施條例的決定)(국무원령 519 호)을 발표해 3월 1 일부터 시행에 들어감

중국은 1994 년 1 월 28 일부터 실시한 중국 기업소득세법실시조례(국무원령 142 호)를 지난

2005 년 말 대대적으로 수정(국무원령 452 호)해 2006 년 1 월 1 일부터 실시해 왔으며 소득증가 등 소득세 징수환경이 변화하면서 최근 2 차 수정을 단행함

주요 변경내용 이번 개인소득세법 2 차 수정에서는 개인소득세 공제기준이 월 1600 위앤에서 2000 위앤으로

400 위앤 상향조정된 반면 추가공제비용 기준은 기존 3200 위앤에서 2800 위앤으로 하향조정됨

14

이외에도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서 기존에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을 인정했으나 이번 2 차 수정결정문은 이외에도 lsquo기타 형식의 경제이익rsquo을 추가인정함

특정업종에 대한 범위도 다소 확대돼 기존에는 세법 제 9 조 두 번째 단락이 지칭하는

특정업종이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중국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이었으나 이번 수정결정문에는 특정 업종에 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업종도 추가됨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2 월 18 일 발표된 개인소득세실시조례 수정에 대해 지난 2 월 20 일 각

지방세무국에 lsquo개인소득세 임금급여소득 공제비용표준정책연결문제에 관한 통지rsquo(關于個人所得稅工資薪金所得減除費用標準政策銜接問題的通知)를 하달 3 월 1 일부터 월 소득공제기준을 2000 위앤으로 조정 실시하도록 조치함

- 납세자가 3 월 1 일전에 실제 취득한 임금 급여소득에 대해서는 세액이 3 월 1 일 이후에 납부된다 하더라도 월 1600 위앤의 공제비용기준이 적용됨

중국 개인소득세실시조례내용 변경 전후 비교

순서 구분(조항) 변경 전 변경 후

1소득형태 확대

(제 10 조)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

유가증권을 포함함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과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을 포함함 그중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은

시장가격에 따라 과세소득액을 산정함

2비용공제

기준 상향 조정(제 18 조)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1600 위앤임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 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2000 위앤임

3추가공제

기준(제 27 조)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16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20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4추가공제

적용대상자(제 28 조제 4항)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기타 재정부가 규정하는 자가 포함됨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

인원이 포함됨

5추가공제비용표준 하향조정(제 29 조)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3200 위앤임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2800 위앤임

6특정업종 범위 확대(제 40 조)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기타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임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수업middot원양어업 및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확정한

기타 업종임

7 조항삭제(제 48 조)

본 조례의 해석은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이 공동으로 함 삭제

15

자료원 국무원 판공실

lsquo저우추취rsquo 돋보인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 활발해지고 외국투자자의 중국 MampA 줄어 -

- 중국기업의 해외 MampA 발걸음 거세져 -

이영준 청두무역관ctuktckotraorkr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중국 10 대 MampA 사건은 全國工商聯倂購公會(China Mergers amp Acquisitions Association

CMAA) 全球倂購硏究中心(세계 MampA 연구중심) 中國倂購交易網(wwwmergers-chinacom)이 주관해 2001 년부터 공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하고 있으며 MampA 관련 영향력 있는 행사 중의 하나임

프랑스 다농(Danone)의 와하하(娃哈哈) 합병 쟁의 - 2007 년 4 월 매체를 통해 알려졌으며 프랑스 다농 그룹이 40억 위앤을 투자해 와하하 산하 10

여 개의 비(非)합자회사의 51의 지분을 인수하고자 함 10 여 개의 비합자회사의 자산 총액은 56억 위앤 2006 년 순이익은 10억 4000 만 위앤에 달함

- 다농의 합병 시도는 와하하의 중국 측 주주에 의해 저지됐으며 이는 이후 외자기업의 반독점

문제 민족 브랜드 보호문제에 대한 쟁의를 불러일으킴 중국이동통신(China Telecom) 파키스탄 통신 운영상 Millicom 사 인수 - 중국이동통신은 2007 년 4 월 28 일 발표를 통해 2 개월에 걸쳐 21억 3000 만 위앤(2억 8400

만 달러)를 투자해 룩셈부르크사의 Millicom 사가 가지고 있는 파키스탄 Paktel 사의 8886 지분을 인수했으며 나머지 1114의 주식을 인수하겠다는 협의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함

- 이번 인수는 중국이동통신의 전략적 해외기업 인수 사례로 중국 전신 운영업체의 lsquo저우추취rsquo

전략의 중요한 돌파구 마련한 계기가 됨 중국투자공사 미국 Blackstone Group 지분 참여 - 2007 년 5 월 22 일 중국투자공사 설립 준비(당시 lsquo國家外匯投資公司rsquo) 중 中央匯金公司의

자회사인 中國建銀投資公司는 Blackstone Group 에 225억 위앤(30억 달러)를 투자해 Blackstone Group 이 전 세계에 공개 발행한 주식 중 약 10 정도를 구매했으며 4 년간 보유하는 조건임

- 이는 중국투자공사의 해외 첫 번째 투자로써 중국의 거대한 외환보유량을 줄이고 외화 보유의

다원화를 촉진하는 의미있는 투자임 - 중국투자유한책임공사는 외화자금 전문 투자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늘어나는

외환보유고를 이용해 국제 금융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2007 년 9 월 29 일 정식 설립됨 중국국가개발은행 영국 Barclays Bank 투자

16

- 2007 년 7 월 23 일 중국국가개발은행은 영국의 Barclays Bank 는 협의를 통해 217억 5000만 위앤(14억 5000 만 파운드)에 달하는 2014억 보통주를 획득했으며 지분 비율은 31임 이는 중국국가개발은행의 상업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협력으로 간주하고 있음

중국공상은행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은행인 Standard Bank 투자 - 2007 년 10 월 25 일 중국공상은행은 409억 5000 만 위앤(54억 6000 만 달러)를 투자해

남아프리카공화국 Standard Bank 의 20 지분을 인수하여 이 은행의 최대 주주가 됨 이는 중국공상은행의 주식상장 이후 최대 해외 투자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최대 FDI 로 기록됨

중국항공업 동방항공 인수 경쟁 - 2007 년 9 월 초 싱가포르 항공과 싱가포르 국영투자회사인 TAMASEK 은 중국동방항공의 24

지분을 인수함 이 때문에 AIRCHINA 는 Cathay Pacific Airways 와 연합해 동방항공의 홍콩상장 주식을 늘리는 등 동방항공 인수전에 뛰어듦

- 그러나 중국 3 대 항공사의 대주주인 lsquo중국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rsquo의 제지와 항공업 관련

부문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함 중신증권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와 주식교환 - 2007 년 10 월말 중신증권은 발표를 통해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중신증권과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는 각각 75억 위앤(10억 달러)를 출자하여 주식교환을 실시했으며 40 년 만기의 전환가능 우선주를 획득하였다고 발표함

- 이 주식 수는 Bear Sterns 사의 총주식의 6에 상당하는 규모임 양사는 홍콩에 합자회사를

설립하고 양사의 아시아 지역 업무를 통합하기로 함 중신증권은 중국 국내 증권사중 최초로 해외투자은행의 주식을 인수한 증권사가 됨

세계 제 1 의 철강기업 아르셀로 미탈 철강회사 중국동방집단 인수 시도 - 2007 년 11 월 8 일부터 아르셀로 미탈은 두 차례에 걸쳐 홍콩에 상장된 중국동방집단의 1

대주주와 2 대주주의 주식 약 127억 5000 만위앤(17억 달러)에 달하는 73의 지분 인수를 통해 중국동방집단의 경영을 장악하고자 햇으나 홍콩증권감독위원회의 개입으로 1 차 구매부터 무산됨

- 만약 동 거래가 성사됐을 경우 외국자본이 중국 국내 철강기업을 합병하는 최초의 사례가 됐을

것으로 중국 국내 철강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사건으로 기록됨 중국평안보험 포르티스(Fortis) 지분 획득 - 2007 년 11 월 28 일 중국 제 2 위의 생명보험사인 중국평안보험(Ping An Insurance)과 유럽middot

미국에서 보험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포르티스 그룹은 MOU 체결을 통해 포르티스 그룹의 주식 418에 해당하는 9501 만 주를 인수하기로 함

- 인수가격은 195억 5000 만 위앤(18억 1000 만 유로)로 이로써 평안은 포르티스의 최대 단일

주주가 됨 이는 중국 보험사가 최초로 세계 금융 서비스 그룹에 투자한 사례이며 중국 국내 보험업계의 최대 해외투자로 기록됨

중국국가전망 필리핀 전력망 운영권 획득

17

- 2007 년 12 월 12 일 중국 최대 국유 전력회사인 중국국가전망은 약 296억 위앤(39억 5000만 달러)을 투자해 향후 25 년간의 필리핀 전력망 경영권을 획득함 이는 중국 국가전망의 최대 해외투자임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의 특징 해외진출 두드러져 중국의 2007 년 10 대 MampA 사건에 선정된 사례를 보면 10건 모두 국가 간의

기업인수합병으로 7건은 중국기업이 해외에 투자한 대표적인 사례이며 3건은 외국기업이 중국 본토기업에 투자한 사례임 이는 중국기업의 lsquo저우추취rsquo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현재 이뤄지고 있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주로 자원middot브랜드middot각종 산업 채널확보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lsquo저우추취rsquo전략으로 해외 투자의 발걸음은 더욱 거세지고 있음

또한 10 개의 사례 중 5 개의 사례가 금융업의 MampA 사례로 중국 금융업계의 해외진출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

특히 중국정부는 무역수지 흑자를 통해 늘어나는 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등 외화 활용의 다원화를 시도하고 있음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 간 MampA 활발히 진행 2007 년 12 월 18 일 발표된 PWC(Price Waterhouse Coopers) 차이나의 lsquo企業倂購歲末回顧與展望(MampA 연말회고와 전망)rsquo 보고에 따르면 2007 년 1~11 월 중국 전체 MampA 교역량(해외시장 제외)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700 여 건으로 거래금액은 25 증가한 8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내자기업 간의 전략적 MampA 교역량은 전년대비 45 증가했으며 거래금액도 53 증가한 506억 달러에 달해 외자기업 중국투자금액의 2배에 달한다고 밝힘

- 2006 년 이전에는 외자기업의 중국 직접투자가 MampA 의 증가요인이었으나 2006 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 교역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7 년에도 역시 중국 MampA 시장은 중국 본토기업간의 교역이 두드러졌다고 밝힘

- 이처럼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이 증가한 이유는 기업의 구조조정middot기업규모 확대 욕구middot

중국경제의 전면적 발전으로 M ampA 시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 개혁을 통해 급상승한 주식시장middot자본금middot은행차관 등을 통한 풍부한 유동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내자기업 간의 인수합병 지지 및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임

- 산업별로 보면 금융서비스업middot부동산middot제조업 및 채광업 등 4 대 산업에서 MampA 가 두드러진 증가추세를 보임

- 또한 사모주식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사모펀드의 MampA 는 140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했으며 금액은 106억 달러로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해외 MampA 빠르게 증가 - 중국의 해외 MampA 교역액은 2007 년 1~11 월 164억 달러에 달해 2006 년 79억 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함 보화영도(PWC 차이나)의 융자middotM ampA 의 총책임자인 쟈오량(趙亮)에 의하면 중국의 해외 MampA 는 2011 년에는 2006 년의 10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2007 년 외국투자자의 중국기업 MampA 감소

18

- lsquo亞洲收購與兼倂(아시아 MampA)잡지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2007 년 1~11 월 외국의 전략투자자의 중국 MampA 교역량은 339건으로 교역액은 166억 달러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6 27 감소했다고 밝힘

- 이는 2006 년 4 월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MampA 대상 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가 MampA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규범화돼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중국 정부는 20006 년 8 월 중국 상무부middot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세무총국middot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middot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외환관리국 령으로 lsquo關于外國投資者倂購境內企業的規定(외국투자자의 중국 경내 기업 M ampA 에 관한 규정)rsquo을 발표했으며 2007 년 8월에는 lsquo中華人民共和國反壟斷法(중화인민공화국 반독점법)rsquo이 발표를 통해 기업인수합병에 관한 내용을 규정

시사점 중국 정부의 선별적 투자유치로의 정책 전환과 노동력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은 생산형 투자의 어려움 중국 내수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판매 유통 채널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효율적인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 금융업 개방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 국유기업 개혁 지속 및 민영기업의 빠른 발전으로 MampA 의 기회가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됨

자료원 全國工商聯倂購公會(wwwma-chinacom) 경제관찰보 국제상보 중국증권보 등 종합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 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해외투자진출을 통한 통상마찰 완화 효과 기대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통해 반덤핑 조치 회피 ㅇ 2007 년 말 중국 상무부는 해외공업단지인 ldquo경외경제무역합작구(이하 「합작구」)rdquo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 결과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건설하는 11 개 프로젝트를 신규 허가함 ㅇ 중국의 해외 합작구 설립추진은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완화하면서 막대한 보유 외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임

ㅇ 합작구는 다양한 우대조치가 적용되고 있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합작구 설립을

추진하는 중국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중국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피하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정부의 우대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합작구로 진출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으로 보임

합작구 설립배경 ㅇ 중국산 섬유 어패럴 가전 철강제품 등에 대한 구미의 반덤핑 조사가 매년 증가하자 중국은

반덤핑조사로 인한 통상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국가를 경유해 제 3 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함

- 중국과 인접한 국가 중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곳에 설립된 공업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 3국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낮은 물류 비용으로 반덤핑 조치를 피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19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15: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이외에도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서 기존에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을 인정했으나 이번 2 차 수정결정문은 이외에도 lsquo기타 형식의 경제이익rsquo을 추가인정함

특정업종에 대한 범위도 다소 확대돼 기존에는 세법 제 9 조 두 번째 단락이 지칭하는

특정업종이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중국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이었으나 이번 수정결정문에는 특정 업종에 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업종도 추가됨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2 월 18 일 발표된 개인소득세실시조례 수정에 대해 지난 2 월 20 일 각

지방세무국에 lsquo개인소득세 임금급여소득 공제비용표준정책연결문제에 관한 통지rsquo(關于個人所得稅工資薪金所得減除費用標準政策銜接問題的通知)를 하달 3 월 1 일부터 월 소득공제기준을 2000 위앤으로 조정 실시하도록 조치함

- 납세자가 3 월 1 일전에 실제 취득한 임금 급여소득에 대해서는 세액이 3 월 1 일 이후에 납부된다 하더라도 월 1600 위앤의 공제비용기준이 적용됨

중국 개인소득세실시조례내용 변경 전후 비교

순서 구분(조항) 변경 전 변경 후

1소득형태 확대

(제 10 조)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

유가증권을 포함함

개인이 취득한 소득형태로는 현금middot실물middot유가증권과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을 포함함 그중 기타 형식의 경제이익은

시장가격에 따라 과세소득액을 산정함

2비용공제

기준 상향 조정(제 18 조)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1600 위앤임

세법 제 6 조 1 단락 제 3항이 의미하는 납세연도 수입총액은 납세의무자가 하청경영middot임차경영 규정에 의거해 나누어 획득한 경영이윤과 급여middot

인센티브 성격의 소득이며 필요비용 공제액은 월 2000 위앤임

3추가공제

기준(제 27 조)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16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추가공제비용이라 함은 매월 2000위앤을 기본공제액하고 다시 본 조례 제

29 조에 규정된 액수의 비용을 추가공제하는 것을 의미함

4추가공제

적용대상자(제 28 조제 4항)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기타 재정부가 규정하는 자가 포함됨

추가공제비용 적용대상자에는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 확정한 기타

인원이 포함됨

5추가공제비용표준 하향조정(제 29 조)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3200 위앤임

세법 제 9 조 3 단락이 의미하는 추가공제비용표준은 2800 위앤임

6특정업종 범위 확대(제 40 조)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송업middot원양어업

및 기타 재정부가 지정한 업종임

세법 제 9 조 2 단락이 의미하는 특정업종은 채굴업middot원양운수업middot원양어업 및 국무원 재정middot세무주관부문이확정한

기타 업종임

7 조항삭제(제 48 조)

본 조례의 해석은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이 공동으로 함 삭제

15

자료원 국무원 판공실

lsquo저우추취rsquo 돋보인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 활발해지고 외국투자자의 중국 MampA 줄어 -

- 중국기업의 해외 MampA 발걸음 거세져 -

이영준 청두무역관ctuktckotraorkr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중국 10 대 MampA 사건은 全國工商聯倂購公會(China Mergers amp Acquisitions Association

CMAA) 全球倂購硏究中心(세계 MampA 연구중심) 中國倂購交易網(wwwmergers-chinacom)이 주관해 2001 년부터 공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하고 있으며 MampA 관련 영향력 있는 행사 중의 하나임

프랑스 다농(Danone)의 와하하(娃哈哈) 합병 쟁의 - 2007 년 4 월 매체를 통해 알려졌으며 프랑스 다농 그룹이 40억 위앤을 투자해 와하하 산하 10

여 개의 비(非)합자회사의 51의 지분을 인수하고자 함 10 여 개의 비합자회사의 자산 총액은 56억 위앤 2006 년 순이익은 10억 4000 만 위앤에 달함

- 다농의 합병 시도는 와하하의 중국 측 주주에 의해 저지됐으며 이는 이후 외자기업의 반독점

문제 민족 브랜드 보호문제에 대한 쟁의를 불러일으킴 중국이동통신(China Telecom) 파키스탄 통신 운영상 Millicom 사 인수 - 중국이동통신은 2007 년 4 월 28 일 발표를 통해 2 개월에 걸쳐 21억 3000 만 위앤(2억 8400

만 달러)를 투자해 룩셈부르크사의 Millicom 사가 가지고 있는 파키스탄 Paktel 사의 8886 지분을 인수했으며 나머지 1114의 주식을 인수하겠다는 협의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함

- 이번 인수는 중국이동통신의 전략적 해외기업 인수 사례로 중국 전신 운영업체의 lsquo저우추취rsquo

전략의 중요한 돌파구 마련한 계기가 됨 중국투자공사 미국 Blackstone Group 지분 참여 - 2007 년 5 월 22 일 중국투자공사 설립 준비(당시 lsquo國家外匯投資公司rsquo) 중 中央匯金公司의

자회사인 中國建銀投資公司는 Blackstone Group 에 225억 위앤(30억 달러)를 투자해 Blackstone Group 이 전 세계에 공개 발행한 주식 중 약 10 정도를 구매했으며 4 년간 보유하는 조건임

- 이는 중국투자공사의 해외 첫 번째 투자로써 중국의 거대한 외환보유량을 줄이고 외화 보유의

다원화를 촉진하는 의미있는 투자임 - 중국투자유한책임공사는 외화자금 전문 투자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늘어나는

외환보유고를 이용해 국제 금융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2007 년 9 월 29 일 정식 설립됨 중국국가개발은행 영국 Barclays Bank 투자

16

- 2007 년 7 월 23 일 중국국가개발은행은 영국의 Barclays Bank 는 협의를 통해 217억 5000만 위앤(14억 5000 만 파운드)에 달하는 2014억 보통주를 획득했으며 지분 비율은 31임 이는 중국국가개발은행의 상업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협력으로 간주하고 있음

중국공상은행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은행인 Standard Bank 투자 - 2007 년 10 월 25 일 중국공상은행은 409억 5000 만 위앤(54억 6000 만 달러)를 투자해

남아프리카공화국 Standard Bank 의 20 지분을 인수하여 이 은행의 최대 주주가 됨 이는 중국공상은행의 주식상장 이후 최대 해외 투자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최대 FDI 로 기록됨

중국항공업 동방항공 인수 경쟁 - 2007 년 9 월 초 싱가포르 항공과 싱가포르 국영투자회사인 TAMASEK 은 중국동방항공의 24

지분을 인수함 이 때문에 AIRCHINA 는 Cathay Pacific Airways 와 연합해 동방항공의 홍콩상장 주식을 늘리는 등 동방항공 인수전에 뛰어듦

- 그러나 중국 3 대 항공사의 대주주인 lsquo중국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rsquo의 제지와 항공업 관련

부문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함 중신증권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와 주식교환 - 2007 년 10 월말 중신증권은 발표를 통해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중신증권과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는 각각 75억 위앤(10억 달러)를 출자하여 주식교환을 실시했으며 40 년 만기의 전환가능 우선주를 획득하였다고 발표함

- 이 주식 수는 Bear Sterns 사의 총주식의 6에 상당하는 규모임 양사는 홍콩에 합자회사를

설립하고 양사의 아시아 지역 업무를 통합하기로 함 중신증권은 중국 국내 증권사중 최초로 해외투자은행의 주식을 인수한 증권사가 됨

세계 제 1 의 철강기업 아르셀로 미탈 철강회사 중국동방집단 인수 시도 - 2007 년 11 월 8 일부터 아르셀로 미탈은 두 차례에 걸쳐 홍콩에 상장된 중국동방집단의 1

대주주와 2 대주주의 주식 약 127억 5000 만위앤(17억 달러)에 달하는 73의 지분 인수를 통해 중국동방집단의 경영을 장악하고자 햇으나 홍콩증권감독위원회의 개입으로 1 차 구매부터 무산됨

- 만약 동 거래가 성사됐을 경우 외국자본이 중국 국내 철강기업을 합병하는 최초의 사례가 됐을

것으로 중국 국내 철강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사건으로 기록됨 중국평안보험 포르티스(Fortis) 지분 획득 - 2007 년 11 월 28 일 중국 제 2 위의 생명보험사인 중국평안보험(Ping An Insurance)과 유럽middot

미국에서 보험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포르티스 그룹은 MOU 체결을 통해 포르티스 그룹의 주식 418에 해당하는 9501 만 주를 인수하기로 함

- 인수가격은 195억 5000 만 위앤(18억 1000 만 유로)로 이로써 평안은 포르티스의 최대 단일

주주가 됨 이는 중국 보험사가 최초로 세계 금융 서비스 그룹에 투자한 사례이며 중국 국내 보험업계의 최대 해외투자로 기록됨

중국국가전망 필리핀 전력망 운영권 획득

17

- 2007 년 12 월 12 일 중국 최대 국유 전력회사인 중국국가전망은 약 296억 위앤(39억 5000만 달러)을 투자해 향후 25 년간의 필리핀 전력망 경영권을 획득함 이는 중국 국가전망의 최대 해외투자임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의 특징 해외진출 두드러져 중국의 2007 년 10 대 MampA 사건에 선정된 사례를 보면 10건 모두 국가 간의

기업인수합병으로 7건은 중국기업이 해외에 투자한 대표적인 사례이며 3건은 외국기업이 중국 본토기업에 투자한 사례임 이는 중국기업의 lsquo저우추취rsquo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현재 이뤄지고 있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주로 자원middot브랜드middot각종 산업 채널확보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lsquo저우추취rsquo전략으로 해외 투자의 발걸음은 더욱 거세지고 있음

또한 10 개의 사례 중 5 개의 사례가 금융업의 MampA 사례로 중국 금융업계의 해외진출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

특히 중국정부는 무역수지 흑자를 통해 늘어나는 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등 외화 활용의 다원화를 시도하고 있음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 간 MampA 활발히 진행 2007 년 12 월 18 일 발표된 PWC(Price Waterhouse Coopers) 차이나의 lsquo企業倂購歲末回顧與展望(MampA 연말회고와 전망)rsquo 보고에 따르면 2007 년 1~11 월 중국 전체 MampA 교역량(해외시장 제외)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700 여 건으로 거래금액은 25 증가한 8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내자기업 간의 전략적 MampA 교역량은 전년대비 45 증가했으며 거래금액도 53 증가한 506억 달러에 달해 외자기업 중국투자금액의 2배에 달한다고 밝힘

- 2006 년 이전에는 외자기업의 중국 직접투자가 MampA 의 증가요인이었으나 2006 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 교역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7 년에도 역시 중국 MampA 시장은 중국 본토기업간의 교역이 두드러졌다고 밝힘

- 이처럼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이 증가한 이유는 기업의 구조조정middot기업규모 확대 욕구middot

중국경제의 전면적 발전으로 M ampA 시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 개혁을 통해 급상승한 주식시장middot자본금middot은행차관 등을 통한 풍부한 유동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내자기업 간의 인수합병 지지 및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임

- 산업별로 보면 금융서비스업middot부동산middot제조업 및 채광업 등 4 대 산업에서 MampA 가 두드러진 증가추세를 보임

- 또한 사모주식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사모펀드의 MampA 는 140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했으며 금액은 106억 달러로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해외 MampA 빠르게 증가 - 중국의 해외 MampA 교역액은 2007 년 1~11 월 164억 달러에 달해 2006 년 79억 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함 보화영도(PWC 차이나)의 융자middotM ampA 의 총책임자인 쟈오량(趙亮)에 의하면 중국의 해외 MampA 는 2011 년에는 2006 년의 10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2007 년 외국투자자의 중국기업 MampA 감소

18

- lsquo亞洲收購與兼倂(아시아 MampA)잡지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2007 년 1~11 월 외국의 전략투자자의 중국 MampA 교역량은 339건으로 교역액은 166억 달러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6 27 감소했다고 밝힘

- 이는 2006 년 4 월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MampA 대상 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가 MampA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규범화돼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중국 정부는 20006 년 8 월 중국 상무부middot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세무총국middot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middot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외환관리국 령으로 lsquo關于外國投資者倂購境內企業的規定(외국투자자의 중국 경내 기업 M ampA 에 관한 규정)rsquo을 발표했으며 2007 년 8월에는 lsquo中華人民共和國反壟斷法(중화인민공화국 반독점법)rsquo이 발표를 통해 기업인수합병에 관한 내용을 규정

시사점 중국 정부의 선별적 투자유치로의 정책 전환과 노동력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은 생산형 투자의 어려움 중국 내수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판매 유통 채널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효율적인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 금융업 개방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 국유기업 개혁 지속 및 민영기업의 빠른 발전으로 MampA 의 기회가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됨

자료원 全國工商聯倂購公會(wwwma-chinacom) 경제관찰보 국제상보 중국증권보 등 종합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 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해외투자진출을 통한 통상마찰 완화 효과 기대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통해 반덤핑 조치 회피 ㅇ 2007 년 말 중국 상무부는 해외공업단지인 ldquo경외경제무역합작구(이하 「합작구」)rdquo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 결과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건설하는 11 개 프로젝트를 신규 허가함 ㅇ 중국의 해외 합작구 설립추진은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완화하면서 막대한 보유 외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임

ㅇ 합작구는 다양한 우대조치가 적용되고 있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합작구 설립을

추진하는 중국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중국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피하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정부의 우대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합작구로 진출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으로 보임

합작구 설립배경 ㅇ 중국산 섬유 어패럴 가전 철강제품 등에 대한 구미의 반덤핑 조사가 매년 증가하자 중국은

반덤핑조사로 인한 통상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국가를 경유해 제 3 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함

- 중국과 인접한 국가 중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곳에 설립된 공업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 3국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낮은 물류 비용으로 반덤핑 조치를 피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19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16: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자료원 국무원 판공실

lsquo저우추취rsquo 돋보인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 활발해지고 외국투자자의 중국 MampA 줄어 -

- 중국기업의 해외 MampA 발걸음 거세져 -

이영준 청두무역관ctuktckotraorkr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중국 10 대 MampA 사건은 全國工商聯倂購公會(China Mergers amp Acquisitions Association

CMAA) 全球倂購硏究中心(세계 MampA 연구중심) 中國倂購交易網(wwwmergers-chinacom)이 주관해 2001 년부터 공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하고 있으며 MampA 관련 영향력 있는 행사 중의 하나임

프랑스 다농(Danone)의 와하하(娃哈哈) 합병 쟁의 - 2007 년 4 월 매체를 통해 알려졌으며 프랑스 다농 그룹이 40억 위앤을 투자해 와하하 산하 10

여 개의 비(非)합자회사의 51의 지분을 인수하고자 함 10 여 개의 비합자회사의 자산 총액은 56억 위앤 2006 년 순이익은 10억 4000 만 위앤에 달함

- 다농의 합병 시도는 와하하의 중국 측 주주에 의해 저지됐으며 이는 이후 외자기업의 반독점

문제 민족 브랜드 보호문제에 대한 쟁의를 불러일으킴 중국이동통신(China Telecom) 파키스탄 통신 운영상 Millicom 사 인수 - 중국이동통신은 2007 년 4 월 28 일 발표를 통해 2 개월에 걸쳐 21억 3000 만 위앤(2억 8400

만 달러)를 투자해 룩셈부르크사의 Millicom 사가 가지고 있는 파키스탄 Paktel 사의 8886 지분을 인수했으며 나머지 1114의 주식을 인수하겠다는 협의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함

- 이번 인수는 중국이동통신의 전략적 해외기업 인수 사례로 중국 전신 운영업체의 lsquo저우추취rsquo

전략의 중요한 돌파구 마련한 계기가 됨 중국투자공사 미국 Blackstone Group 지분 참여 - 2007 년 5 월 22 일 중국투자공사 설립 준비(당시 lsquo國家外匯投資公司rsquo) 중 中央匯金公司의

자회사인 中國建銀投資公司는 Blackstone Group 에 225억 위앤(30억 달러)를 투자해 Blackstone Group 이 전 세계에 공개 발행한 주식 중 약 10 정도를 구매했으며 4 년간 보유하는 조건임

- 이는 중국투자공사의 해외 첫 번째 투자로써 중국의 거대한 외환보유량을 줄이고 외화 보유의

다원화를 촉진하는 의미있는 투자임 - 중국투자유한책임공사는 외화자금 전문 투자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늘어나는

외환보유고를 이용해 국제 금융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2007 년 9 월 29 일 정식 설립됨 중국국가개발은행 영국 Barclays Bank 투자

16

- 2007 년 7 월 23 일 중국국가개발은행은 영국의 Barclays Bank 는 협의를 통해 217억 5000만 위앤(14억 5000 만 파운드)에 달하는 2014억 보통주를 획득했으며 지분 비율은 31임 이는 중국국가개발은행의 상업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협력으로 간주하고 있음

중국공상은행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은행인 Standard Bank 투자 - 2007 년 10 월 25 일 중국공상은행은 409억 5000 만 위앤(54억 6000 만 달러)를 투자해

남아프리카공화국 Standard Bank 의 20 지분을 인수하여 이 은행의 최대 주주가 됨 이는 중국공상은행의 주식상장 이후 최대 해외 투자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최대 FDI 로 기록됨

중국항공업 동방항공 인수 경쟁 - 2007 년 9 월 초 싱가포르 항공과 싱가포르 국영투자회사인 TAMASEK 은 중국동방항공의 24

지분을 인수함 이 때문에 AIRCHINA 는 Cathay Pacific Airways 와 연합해 동방항공의 홍콩상장 주식을 늘리는 등 동방항공 인수전에 뛰어듦

- 그러나 중국 3 대 항공사의 대주주인 lsquo중국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rsquo의 제지와 항공업 관련

부문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함 중신증권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와 주식교환 - 2007 년 10 월말 중신증권은 발표를 통해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중신증권과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는 각각 75억 위앤(10억 달러)를 출자하여 주식교환을 실시했으며 40 년 만기의 전환가능 우선주를 획득하였다고 발표함

- 이 주식 수는 Bear Sterns 사의 총주식의 6에 상당하는 규모임 양사는 홍콩에 합자회사를

설립하고 양사의 아시아 지역 업무를 통합하기로 함 중신증권은 중국 국내 증권사중 최초로 해외투자은행의 주식을 인수한 증권사가 됨

세계 제 1 의 철강기업 아르셀로 미탈 철강회사 중국동방집단 인수 시도 - 2007 년 11 월 8 일부터 아르셀로 미탈은 두 차례에 걸쳐 홍콩에 상장된 중국동방집단의 1

대주주와 2 대주주의 주식 약 127억 5000 만위앤(17억 달러)에 달하는 73의 지분 인수를 통해 중국동방집단의 경영을 장악하고자 햇으나 홍콩증권감독위원회의 개입으로 1 차 구매부터 무산됨

- 만약 동 거래가 성사됐을 경우 외국자본이 중국 국내 철강기업을 합병하는 최초의 사례가 됐을

것으로 중국 국내 철강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사건으로 기록됨 중국평안보험 포르티스(Fortis) 지분 획득 - 2007 년 11 월 28 일 중국 제 2 위의 생명보험사인 중국평안보험(Ping An Insurance)과 유럽middot

미국에서 보험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포르티스 그룹은 MOU 체결을 통해 포르티스 그룹의 주식 418에 해당하는 9501 만 주를 인수하기로 함

- 인수가격은 195억 5000 만 위앤(18억 1000 만 유로)로 이로써 평안은 포르티스의 최대 단일

주주가 됨 이는 중국 보험사가 최초로 세계 금융 서비스 그룹에 투자한 사례이며 중국 국내 보험업계의 최대 해외투자로 기록됨

중국국가전망 필리핀 전력망 운영권 획득

17

- 2007 년 12 월 12 일 중국 최대 국유 전력회사인 중국국가전망은 약 296억 위앤(39억 5000만 달러)을 투자해 향후 25 년간의 필리핀 전력망 경영권을 획득함 이는 중국 국가전망의 최대 해외투자임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의 특징 해외진출 두드러져 중국의 2007 년 10 대 MampA 사건에 선정된 사례를 보면 10건 모두 국가 간의

기업인수합병으로 7건은 중국기업이 해외에 투자한 대표적인 사례이며 3건은 외국기업이 중국 본토기업에 투자한 사례임 이는 중국기업의 lsquo저우추취rsquo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현재 이뤄지고 있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주로 자원middot브랜드middot각종 산업 채널확보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lsquo저우추취rsquo전략으로 해외 투자의 발걸음은 더욱 거세지고 있음

또한 10 개의 사례 중 5 개의 사례가 금융업의 MampA 사례로 중국 금융업계의 해외진출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

특히 중국정부는 무역수지 흑자를 통해 늘어나는 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등 외화 활용의 다원화를 시도하고 있음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 간 MampA 활발히 진행 2007 년 12 월 18 일 발표된 PWC(Price Waterhouse Coopers) 차이나의 lsquo企業倂購歲末回顧與展望(MampA 연말회고와 전망)rsquo 보고에 따르면 2007 년 1~11 월 중국 전체 MampA 교역량(해외시장 제외)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700 여 건으로 거래금액은 25 증가한 8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내자기업 간의 전략적 MampA 교역량은 전년대비 45 증가했으며 거래금액도 53 증가한 506억 달러에 달해 외자기업 중국투자금액의 2배에 달한다고 밝힘

- 2006 년 이전에는 외자기업의 중국 직접투자가 MampA 의 증가요인이었으나 2006 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 교역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7 년에도 역시 중국 MampA 시장은 중국 본토기업간의 교역이 두드러졌다고 밝힘

- 이처럼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이 증가한 이유는 기업의 구조조정middot기업규모 확대 욕구middot

중국경제의 전면적 발전으로 M ampA 시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 개혁을 통해 급상승한 주식시장middot자본금middot은행차관 등을 통한 풍부한 유동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내자기업 간의 인수합병 지지 및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임

- 산업별로 보면 금융서비스업middot부동산middot제조업 및 채광업 등 4 대 산업에서 MampA 가 두드러진 증가추세를 보임

- 또한 사모주식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사모펀드의 MampA 는 140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했으며 금액은 106억 달러로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해외 MampA 빠르게 증가 - 중국의 해외 MampA 교역액은 2007 년 1~11 월 164억 달러에 달해 2006 년 79억 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함 보화영도(PWC 차이나)의 융자middotM ampA 의 총책임자인 쟈오량(趙亮)에 의하면 중국의 해외 MampA 는 2011 년에는 2006 년의 10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2007 년 외국투자자의 중국기업 MampA 감소

18

- lsquo亞洲收購與兼倂(아시아 MampA)잡지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2007 년 1~11 월 외국의 전략투자자의 중국 MampA 교역량은 339건으로 교역액은 166억 달러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6 27 감소했다고 밝힘

- 이는 2006 년 4 월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MampA 대상 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가 MampA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규범화돼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중국 정부는 20006 년 8 월 중국 상무부middot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세무총국middot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middot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외환관리국 령으로 lsquo關于外國投資者倂購境內企業的規定(외국투자자의 중국 경내 기업 M ampA 에 관한 규정)rsquo을 발표했으며 2007 년 8월에는 lsquo中華人民共和國反壟斷法(중화인민공화국 반독점법)rsquo이 발표를 통해 기업인수합병에 관한 내용을 규정

시사점 중국 정부의 선별적 투자유치로의 정책 전환과 노동력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은 생산형 투자의 어려움 중국 내수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판매 유통 채널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효율적인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 금융업 개방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 국유기업 개혁 지속 및 민영기업의 빠른 발전으로 MampA 의 기회가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됨

자료원 全國工商聯倂購公會(wwwma-chinacom) 경제관찰보 국제상보 중국증권보 등 종합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 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해외투자진출을 통한 통상마찰 완화 효과 기대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통해 반덤핑 조치 회피 ㅇ 2007 년 말 중국 상무부는 해외공업단지인 ldquo경외경제무역합작구(이하 「합작구」)rdquo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 결과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건설하는 11 개 프로젝트를 신규 허가함 ㅇ 중국의 해외 합작구 설립추진은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완화하면서 막대한 보유 외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임

ㅇ 합작구는 다양한 우대조치가 적용되고 있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합작구 설립을

추진하는 중국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중국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피하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정부의 우대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합작구로 진출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으로 보임

합작구 설립배경 ㅇ 중국산 섬유 어패럴 가전 철강제품 등에 대한 구미의 반덤핑 조사가 매년 증가하자 중국은

반덤핑조사로 인한 통상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국가를 경유해 제 3 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함

- 중국과 인접한 국가 중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곳에 설립된 공업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 3국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낮은 물류 비용으로 반덤핑 조치를 피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19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17: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 2007 년 7 월 23 일 중국국가개발은행은 영국의 Barclays Bank 는 협의를 통해 217억 5000만 위앤(14억 5000 만 파운드)에 달하는 2014억 보통주를 획득했으며 지분 비율은 31임 이는 중국국가개발은행의 상업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협력으로 간주하고 있음

중국공상은행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은행인 Standard Bank 투자 - 2007 년 10 월 25 일 중국공상은행은 409억 5000 만 위앤(54억 6000 만 달러)를 투자해

남아프리카공화국 Standard Bank 의 20 지분을 인수하여 이 은행의 최대 주주가 됨 이는 중국공상은행의 주식상장 이후 최대 해외 투자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최대 FDI 로 기록됨

중국항공업 동방항공 인수 경쟁 - 2007 년 9 월 초 싱가포르 항공과 싱가포르 국영투자회사인 TAMASEK 은 중국동방항공의 24

지분을 인수함 이 때문에 AIRCHINA 는 Cathay Pacific Airways 와 연합해 동방항공의 홍콩상장 주식을 늘리는 등 동방항공 인수전에 뛰어듦

- 그러나 중국 3 대 항공사의 대주주인 lsquo중국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rsquo의 제지와 항공업 관련

부문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함 중신증권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와 주식교환 - 2007 년 10 월말 중신증권은 발표를 통해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중신증권과 미국투자은행 Bear

Sterns 사는 각각 75억 위앤(10억 달러)를 출자하여 주식교환을 실시했으며 40 년 만기의 전환가능 우선주를 획득하였다고 발표함

- 이 주식 수는 Bear Sterns 사의 총주식의 6에 상당하는 규모임 양사는 홍콩에 합자회사를

설립하고 양사의 아시아 지역 업무를 통합하기로 함 중신증권은 중국 국내 증권사중 최초로 해외투자은행의 주식을 인수한 증권사가 됨

세계 제 1 의 철강기업 아르셀로 미탈 철강회사 중국동방집단 인수 시도 - 2007 년 11 월 8 일부터 아르셀로 미탈은 두 차례에 걸쳐 홍콩에 상장된 중국동방집단의 1

대주주와 2 대주주의 주식 약 127억 5000 만위앤(17억 달러)에 달하는 73의 지분 인수를 통해 중국동방집단의 경영을 장악하고자 햇으나 홍콩증권감독위원회의 개입으로 1 차 구매부터 무산됨

- 만약 동 거래가 성사됐을 경우 외국자본이 중국 국내 철강기업을 합병하는 최초의 사례가 됐을

것으로 중국 국내 철강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사건으로 기록됨 중국평안보험 포르티스(Fortis) 지분 획득 - 2007 년 11 월 28 일 중국 제 2 위의 생명보험사인 중국평안보험(Ping An Insurance)과 유럽middot

미국에서 보험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포르티스 그룹은 MOU 체결을 통해 포르티스 그룹의 주식 418에 해당하는 9501 만 주를 인수하기로 함

- 인수가격은 195억 5000 만 위앤(18억 1000 만 유로)로 이로써 평안은 포르티스의 최대 단일

주주가 됨 이는 중국 보험사가 최초로 세계 금융 서비스 그룹에 투자한 사례이며 중국 국내 보험업계의 최대 해외투자로 기록됨

중국국가전망 필리핀 전력망 운영권 획득

17

- 2007 년 12 월 12 일 중국 최대 국유 전력회사인 중국국가전망은 약 296억 위앤(39억 5000만 달러)을 투자해 향후 25 년간의 필리핀 전력망 경영권을 획득함 이는 중국 국가전망의 최대 해외투자임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의 특징 해외진출 두드러져 중국의 2007 년 10 대 MampA 사건에 선정된 사례를 보면 10건 모두 국가 간의

기업인수합병으로 7건은 중국기업이 해외에 투자한 대표적인 사례이며 3건은 외국기업이 중국 본토기업에 투자한 사례임 이는 중국기업의 lsquo저우추취rsquo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현재 이뤄지고 있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주로 자원middot브랜드middot각종 산업 채널확보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lsquo저우추취rsquo전략으로 해외 투자의 발걸음은 더욱 거세지고 있음

또한 10 개의 사례 중 5 개의 사례가 금융업의 MampA 사례로 중국 금융업계의 해외진출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

특히 중국정부는 무역수지 흑자를 통해 늘어나는 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등 외화 활용의 다원화를 시도하고 있음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 간 MampA 활발히 진행 2007 년 12 월 18 일 발표된 PWC(Price Waterhouse Coopers) 차이나의 lsquo企業倂購歲末回顧與展望(MampA 연말회고와 전망)rsquo 보고에 따르면 2007 년 1~11 월 중국 전체 MampA 교역량(해외시장 제외)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700 여 건으로 거래금액은 25 증가한 8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내자기업 간의 전략적 MampA 교역량은 전년대비 45 증가했으며 거래금액도 53 증가한 506억 달러에 달해 외자기업 중국투자금액의 2배에 달한다고 밝힘

- 2006 년 이전에는 외자기업의 중국 직접투자가 MampA 의 증가요인이었으나 2006 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 교역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7 년에도 역시 중국 MampA 시장은 중국 본토기업간의 교역이 두드러졌다고 밝힘

- 이처럼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이 증가한 이유는 기업의 구조조정middot기업규모 확대 욕구middot

중국경제의 전면적 발전으로 M ampA 시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 개혁을 통해 급상승한 주식시장middot자본금middot은행차관 등을 통한 풍부한 유동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내자기업 간의 인수합병 지지 및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임

- 산업별로 보면 금융서비스업middot부동산middot제조업 및 채광업 등 4 대 산업에서 MampA 가 두드러진 증가추세를 보임

- 또한 사모주식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사모펀드의 MampA 는 140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했으며 금액은 106억 달러로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해외 MampA 빠르게 증가 - 중국의 해외 MampA 교역액은 2007 년 1~11 월 164억 달러에 달해 2006 년 79억 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함 보화영도(PWC 차이나)의 융자middotM ampA 의 총책임자인 쟈오량(趙亮)에 의하면 중국의 해외 MampA 는 2011 년에는 2006 년의 10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2007 년 외국투자자의 중국기업 MampA 감소

18

- lsquo亞洲收購與兼倂(아시아 MampA)잡지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2007 년 1~11 월 외국의 전략투자자의 중국 MampA 교역량은 339건으로 교역액은 166억 달러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6 27 감소했다고 밝힘

- 이는 2006 년 4 월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MampA 대상 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가 MampA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규범화돼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중국 정부는 20006 년 8 월 중국 상무부middot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세무총국middot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middot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외환관리국 령으로 lsquo關于外國投資者倂購境內企業的規定(외국투자자의 중국 경내 기업 M ampA 에 관한 규정)rsquo을 발표했으며 2007 년 8월에는 lsquo中華人民共和國反壟斷法(중화인민공화국 반독점법)rsquo이 발표를 통해 기업인수합병에 관한 내용을 규정

시사점 중국 정부의 선별적 투자유치로의 정책 전환과 노동력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은 생산형 투자의 어려움 중국 내수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판매 유통 채널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효율적인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 금융업 개방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 국유기업 개혁 지속 및 민영기업의 빠른 발전으로 MampA 의 기회가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됨

자료원 全國工商聯倂購公會(wwwma-chinacom) 경제관찰보 국제상보 중국증권보 등 종합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 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해외투자진출을 통한 통상마찰 완화 효과 기대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통해 반덤핑 조치 회피 ㅇ 2007 년 말 중국 상무부는 해외공업단지인 ldquo경외경제무역합작구(이하 「합작구」)rdquo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 결과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건설하는 11 개 프로젝트를 신규 허가함 ㅇ 중국의 해외 합작구 설립추진은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완화하면서 막대한 보유 외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임

ㅇ 합작구는 다양한 우대조치가 적용되고 있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합작구 설립을

추진하는 중국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중국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피하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정부의 우대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합작구로 진출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으로 보임

합작구 설립배경 ㅇ 중국산 섬유 어패럴 가전 철강제품 등에 대한 구미의 반덤핑 조사가 매년 증가하자 중국은

반덤핑조사로 인한 통상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국가를 경유해 제 3 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함

- 중국과 인접한 국가 중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곳에 설립된 공업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 3국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낮은 물류 비용으로 반덤핑 조치를 피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19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18: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 2007 년 12 월 12 일 중국 최대 국유 전력회사인 중국국가전망은 약 296억 위앤(39억 5000만 달러)을 투자해 향후 25 년간의 필리핀 전력망 경영권을 획득함 이는 중국 국가전망의 최대 해외투자임

2007 년 중국 10 대 MampA 의 특징 해외진출 두드러져 중국의 2007 년 10 대 MampA 사건에 선정된 사례를 보면 10건 모두 국가 간의

기업인수합병으로 7건은 중국기업이 해외에 투자한 대표적인 사례이며 3건은 외국기업이 중국 본토기업에 투자한 사례임 이는 중국기업의 lsquo저우추취rsquo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현재 이뤄지고 있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주로 자원middot브랜드middot각종 산업 채널확보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lsquo저우추취rsquo전략으로 해외 투자의 발걸음은 더욱 거세지고 있음

또한 10 개의 사례 중 5 개의 사례가 금융업의 MampA 사례로 중국 금융업계의 해외진출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

특히 중국정부는 무역수지 흑자를 통해 늘어나는 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외 금융시장에

진출하는 등 외화 활용의 다원화를 시도하고 있음 2007 년 중국 MampA 시장동향 내자기업 간 MampA 활발히 진행 2007 년 12 월 18 일 발표된 PWC(Price Waterhouse Coopers) 차이나의 lsquo企業倂購歲末回顧與展望(MampA 연말회고와 전망)rsquo 보고에 따르면 2007 년 1~11 월 중국 전체 MampA 교역량(해외시장 제외)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700 여 건으로 거래금액은 25 증가한 8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내자기업 간의 전략적 MampA 교역량은 전년대비 45 증가했으며 거래금액도 53 증가한 506억 달러에 달해 외자기업 중국투자금액의 2배에 달한다고 밝힘

- 2006 년 이전에는 외자기업의 중국 직접투자가 MampA 의 증가요인이었으나 2006 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 교역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7 년에도 역시 중국 MampA 시장은 중국 본토기업간의 교역이 두드러졌다고 밝힘

- 이처럼 내자기업간의 인수합병이 증가한 이유는 기업의 구조조정middot기업규모 확대 욕구middot

중국경제의 전면적 발전으로 M ampA 시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 개혁을 통해 급상승한 주식시장middot자본금middot은행차관 등을 통한 풍부한 유동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내자기업 간의 인수합병 지지 및 국유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임

- 산업별로 보면 금융서비스업middot부동산middot제조업 및 채광업 등 4 대 산업에서 MampA 가 두드러진 증가추세를 보임

- 또한 사모주식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사모펀드의 MampA 는 140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했으며 금액은 106억 달러로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해외 MampA 빠르게 증가 - 중국의 해외 MampA 교역액은 2007 년 1~11 월 164억 달러에 달해 2006 년 79억 달러 대비 배

이상 증가함 보화영도(PWC 차이나)의 융자middotM ampA 의 총책임자인 쟈오량(趙亮)에 의하면 중국의 해외 MampA 는 2011 년에는 2006 년의 10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2007 년 외국투자자의 중국기업 MampA 감소

18

- lsquo亞洲收購與兼倂(아시아 MampA)잡지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2007 년 1~11 월 외국의 전략투자자의 중국 MampA 교역량은 339건으로 교역액은 166억 달러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6 27 감소했다고 밝힘

- 이는 2006 년 4 월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MampA 대상 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가 MampA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규범화돼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중국 정부는 20006 년 8 월 중국 상무부middot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세무총국middot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middot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외환관리국 령으로 lsquo關于外國投資者倂購境內企業的規定(외국투자자의 중국 경내 기업 M ampA 에 관한 규정)rsquo을 발표했으며 2007 년 8월에는 lsquo中華人民共和國反壟斷法(중화인민공화국 반독점법)rsquo이 발표를 통해 기업인수합병에 관한 내용을 규정

시사점 중국 정부의 선별적 투자유치로의 정책 전환과 노동력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은 생산형 투자의 어려움 중국 내수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판매 유통 채널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효율적인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 금융업 개방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 국유기업 개혁 지속 및 민영기업의 빠른 발전으로 MampA 의 기회가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됨

자료원 全國工商聯倂購公會(wwwma-chinacom) 경제관찰보 국제상보 중국증권보 등 종합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 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해외투자진출을 통한 통상마찰 완화 효과 기대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통해 반덤핑 조치 회피 ㅇ 2007 년 말 중국 상무부는 해외공업단지인 ldquo경외경제무역합작구(이하 「합작구」)rdquo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 결과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건설하는 11 개 프로젝트를 신규 허가함 ㅇ 중국의 해외 합작구 설립추진은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완화하면서 막대한 보유 외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임

ㅇ 합작구는 다양한 우대조치가 적용되고 있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합작구 설립을

추진하는 중국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중국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피하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정부의 우대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합작구로 진출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으로 보임

합작구 설립배경 ㅇ 중국산 섬유 어패럴 가전 철강제품 등에 대한 구미의 반덤핑 조사가 매년 증가하자 중국은

반덤핑조사로 인한 통상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국가를 경유해 제 3 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함

- 중국과 인접한 국가 중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곳에 설립된 공업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 3국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낮은 물류 비용으로 반덤핑 조치를 피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19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19: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 lsquo亞洲收購與兼倂(아시아 MampA)잡지에서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2007 년 1~11 월 외국의 전략투자자의 중국 MampA 교역량은 339건으로 교역액은 166억 달러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6 27 감소했다고 밝힘

- 이는 2006 년 4 월 이후 중국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MampA 대상 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가 MampA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등 규범화돼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중국 정부는 20006 년 8 월 중국 상무부middot국무원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세무총국middot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middot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middot국가외환관리국 령으로 lsquo關于外國投資者倂購境內企業的規定(외국투자자의 중국 경내 기업 M ampA 에 관한 규정)rsquo을 발표했으며 2007 년 8월에는 lsquo中華人民共和國反壟斷法(중화인민공화국 반독점법)rsquo이 발표를 통해 기업인수합병에 관한 내용을 규정

시사점 중국 정부의 선별적 투자유치로의 정책 전환과 노동력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투자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은 생산형 투자의 어려움 중국 내수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판매 유통 채널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중국 기업의 인수합병을 통한 효율적인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 금융업 개방에 따른 자본시장의 확대 국유기업 개혁 지속 및 민영기업의 빠른 발전으로 MampA 의 기회가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됨

자료원 全國工商聯倂購公會(wwwma-chinacom) 경제관찰보 국제상보 중국증권보 등 종합

中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11 개 해외 공업단지 설립 승인- 해외투자진출을 통한 통상마찰 완화 효과 기대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통해 반덤핑 조치 회피 ㅇ 2007 년 말 중국 상무부는 해외공업단지인 ldquo경외경제무역합작구(이하 「합작구」)rdquo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 결과 한국middot베트남 등에 건설하는 11 개 프로젝트를 신규 허가함 ㅇ 중국의 해외 합작구 설립추진은 외국과의 통상마찰을 완화하면서 막대한 보유 외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임

ㅇ 합작구는 다양한 우대조치가 적용되고 있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합작구 설립을

추진하는 중국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중국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피하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정부의 우대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합작구로 진출하는 기업도 많아질 것으로 보임

합작구 설립배경 ㅇ 중국산 섬유 어패럴 가전 철강제품 등에 대한 구미의 반덤핑 조사가 매년 증가하자 중국은

반덤핑조사로 인한 통상마찰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국가를 경유해 제 3 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함

- 중국과 인접한 국가 중 시장경제국 지위를 보유한 곳에 설립된 공업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제 3국으로 수출하면 비교적 낮은 물류 비용으로 반덤핑 조치를 피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19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20: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 WTO 에 의하면 중국은 95 년 이래 11 년 연속 세계 최다 반덤핑 조사국이며 2006 년 중국의 반덤핑 조사건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68건를 기록함

ㅇ 또한 중국은 급증하는 외환보유고 부담을 완화하고 막대한 보유 외환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투자 촉진하고자 함 - 2006 년 국가외환관리국은 중국내 투자자가 해외투자를 하기 위한 외환 수요는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상무부는 합작구에 최대 20억위앤의 중장기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함

아시아 시장경제국에 합작구 설립 ㅇ 2006 년 상무부는 파키스탄 태국 캄보디아 등 시장경제국내 합작구 설립을 승인함 -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는 06 년 11 월 기존 하이얼 공업단지를 확장해 설립한 중국 최초의

합작구임 - 파키스탄 정부는 합작구내의 기업에 대해 생산설비나 프로젝트용 건설기계의 수입면세 생산이나 서비스의 개시일부터 5 년간 법인세 면제 수출우대정책 향유 등 중국 기업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시함

- 캄보디아는 태호경영합작구에 이익의 분배와 재투자의 소득세 면제 외화 취급의 자유화 등의 우대정책을 정함

상무부 승인 아시아 소재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공업단지명 소재국 투자기업의 지분비율 투자총액 부지면적

하이얼middotRUBA 경제구 파키스탄하이얼그룹 55

파키스탄 RUBA 45 25 103

라욤중국공업원 태국절강성 華立그룹 70 태국 Amata 그룹 30 100 350

태호국제경영합작구 캄보디아無錫市 紅豆그룹 및 光明그룹 70

캄보디아측 30 38 1000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합작구 설립지역 확대 ㅇ 상무부는 06 년 총 8 개의 합자구를 승인한데 이어 2007 년 말 베트남의 2 개 합작구 외 한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나이지리아 이집트 에티오피아 알제리 멕시코 베네수엘라의 11 개 합작구를 추가 승인함

2007 년 상무부 승인 해외경제무역합작구 현황표

(단위 억달러 만 msup2)

공업단지명 소재국 주요 투자기업 지분소유투자액(예정) 부지면적

1 龍江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절강성 前江投資 80 6002 深圳經濟貿易合作區 베트남 심천 華强集團등 50 500

3 한국국제산업원구 한국東泰華安國際投資 51

한국측 49 15 1990

4 WONOGIRI 경제무역합작구 인도네시아 광서農墾集團 05 200

20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21: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5 톰스크 목재공업무역합작구 러시아산동성 煙臺西北産業

중국 국제컨테이너그룹157 200(1 기)

6 Lekki 자유무역구 나이지리아 강소성 中土北亞國際投資發展 약 30 1000(1기)

7 중국middot이집트 경제무역합작구 이집트 천진 泰達投資 약 27 약 500

8 東方工業園 에티오피아강소성 張家港市永銅集團

60 강소성 其元集團 40

25 500

9 中國江鈴經濟貿易合作局 알제리강소성 中鼎國際工程 江鈴汽

車集團약 50 500

10 吉利工業經濟貿易合作區 멕시코절강성 吉利美日汽車 등 5

개사약 33 500

11 쿠아과학기술공업무역구 베네수엘라 산동성 浪潮集團 na na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ㅇ 중국이 베트남에 2 개의 합작구를 설립한 것은 베트남이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다른

국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임 - 베트남은 지리적middot사회제도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임금과 토지비용이 저렴하고 경제발전속도가 빨라 중국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큼

- 또한 미국으로부터 시장경제국의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지만 미국이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대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반덤핑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도 장점임

ㅇ 또한 상무부가 허가한 2 개의 베트남 합작구 외 호북성의 宜化그룹과 가전업체인 美的그룹도

베트남에 합작구 설립을 계획함 이 밖에 베트남에 가까운 광서자치구 崇左市와 東興市 운남성 紅河市가 합작구 설립을 추진함

ㅇ 한편 민간기업에 뒤이어 정부기관인 중국경제개발구도 중국에서의 공단 건설 경험과 관리 노하우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합작구 건설에 참가함

- 천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経済技術開発区)는 天津太達投資(TEDA) HOLDIING 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합작구를 설립하고 소주공업원구(蘇州工業園区)는 라오스의 Vientiane 에서 공업단지 설립을 계획함

- 또한 강소성장가항보세구(江蘇省張家港保税区)나 연대경제기술개발구(煙台経済技術開発区)는 현지기업이 투자하는 합작구와 자금 조달과 인재육성 면에서 협력함

향후 전망 ㅇ 과거 중국의 해외투자는 기업 개별적으로 추진하거나 하이얼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정기업에 한정된 해외공업단지를 건설하는데 그침 이에 반해 최근 중국정부는 해외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제고하고 기업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에 공업단지를 건설함

ㅇ 중국은 합작구의 설립이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합작구 건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합작구 설립국가도 중국 주변국인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남미 유럽 등지로 다변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과 가깝고 경제발전속도가 빠른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중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현지신문 종합

21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22: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대만 제 12 대 총통대선 기획 1 편- 현지 유권자 표심 읽기 -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2008 년 3 월 22 일 대만은 제 12 대 총통대선을 앞두고 대만 양대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출마자가 동일하게 lsquo경제 되살리기rsquo에 포커스를 맞춘 정견으로 민심잡기에 열기를 더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현지 경선 분위기를 집중 조명해 본다(이 기획 리포트는 무역관에서 현지 언론 보도자료 등을 근거로 종합해 정리한 것으로 당관의 정치적 입장은 개입되지 않음)[편집자주]

대만 경제와 집권자 간의 연관성 1978~88 년 쟝징궈 전 총통 집권시기 대만의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였으며(홍콩 83 한국 73 싱가포르 69) 리덩휘 전 총통 집권시기에는 비록 싱가포르(81)에 1 위를 내주었으나 아시아 四龍 중 2 위 경제성장률 국가로 여전한 위세를 자랑한 바 있음

- 한편 천수이볜 현 총통 집권시기에 이르러 연간 평균 경제성장률이 41로 급락하면서 싱가포르와 홍콩 한국의 57~52 경제성장률에 현저히 못 미치는 성장률을 거두면서 아시아 四龍의 꼴찌로 전락함

또한 대외 수출실적 방면에서 역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쟝진궈 전 총통 임기말년인

1987 년도 대외 수출액은 아시아 四龍 중 1 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세계 11 대 수출대국으로 성장했음

- 한편 리덩휘 전 총통 임기 말년인 1999 년도에는 홍콩과 한국에 밀리면서 세계 14 대 수출국으로 하락했고 2006 년도 현 총통 임기시기에는 싱가포르에 밀리면서 수출액 기준 아시아 四龍의 4 위로 하락하고 세계 순위도 16 위로 하락함

역대 총통과 현총통 집권시기 대만경제 추이

(단위 )

성명 임기 소속 정당

蔣經國 중화민국 제 6middot7 대 총통1978 년 5 월 20 일~1988 년 1 월 13

일 중국국민당

李登輝 중화민국 제 7middot8middot9 대 총통1988 년 1 월 13 일~2000 년 5 월 20

일 臺灣團結聯盟

22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23: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陳水扁 중화민국 제 10middot11 대 총통 2000 년 5 월 20 일~현재 민주진보당

자료원 主計處 聯合報 자료종합 정리 도표로 보는 제 12 대 대만 총통대선

제 12 대 총통대선 후보자 프로필

씨에창팅(좌측) 마잉지우(우측)

謝長廷(씨에창팅) 후보자명 馬英九(마잉지우)

民主進步黨 소속정당 中國國民黨

1946 년 5 월 18 일 생년월일 1950 년 7 월 13 일

대만 타이베이시 본적 중국 湖南省

대만 타이베이시 출생지 홍콩 九龍

middot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일본 교토대학교 법률철학 석사 취득 박사과정 수료

middot한국 동양대학교 명예박사 middot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연구원

학력 middot1972 년 국립대만대학 법학과 학사 취득 middot1976 년 미국 뉴욕대학교 법학석사

(LLM) 취득 middot1981 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SJD) 취득

middot199812~200212 제 15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07~200212 민주진보당 제 9 대 당주석 역임

middot200212~200512 제 16 대 가오슝시장 역임

middot20051~20061 행정원장 역임

주요 경력 middot19932~19966 제 11 대 법무부 부장 역임

middot199812~200212 제 22 대 타이베이시장 역임

middot200212~200612 제 23 대 타이베이시장 연임

middot20068~20072 중국국민당 제 4 대 당주석 역임

자료원 Wikipedia 등 관련 자료 종합 정리

23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24: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현지 유권자들이 보는 차기 총통 후보자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유권자 지지율 추이 (단위 )

070803

謝長廷 蘇貞昌을

러닝메이트로 결정

070814馬英九비리자금 1심 무죄판결

070922謝長廷 amp蘇貞

昌 비리자금사건

무사통과

071024민주진보당 UN 가입운동

개시

080113제 7 대

입법위원선거 중국국민당

대승

080126

총통대선 후보자 등록 전

080214

후보자 기호추첨

080224

후보자 amp유권자 TV토론 후

24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25: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馬英九 40 52 51 50 60 54 56 49謝長廷 27 22 27 25 18 23 18 21미결정 33 25 22 25 22 23 25 28

자료원 聯合報 계열 여론조사기관 대만 유권자들의 표심은 어디로hellip 후보자별 현지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대체로 마잉지우가 평균 50 선을 유지하며 비교적

우세를 보이는 반면 씨에창팅에 대한 지지율은 30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음 한편 미정으로 응답한 비중은 평균 25 선에서 다소 변동을 보이고 있음

- 한편 2008 년 1 월 12 일에 실시된 제 7 대 입법위원선거에서 중국 국민당이 총 113 개 의석수 가운데 81 석을 획득하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유권자 지지율은 60선을 돌파한 바 있음

- 또한 입법위원선거 후 민주진보당이 실시한 유권자 지지율 조사에 의하면 씨에창팅에 대한 민남족(閩南族)의 지지율이 마잉지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집계돼 씨에창팅 표심끌기에 우려를 보인 바 있음

- 마잉지우는 대체로 外省人과 客家族의 표심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상태로 씨에창팅이 本省人과 閩南族의 표심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음 한편 마잉지우는 더높은 지지율 달성를 위해 남부에 집중된 本省人 표심을 끌기에 매진하고 있음

- 최근에는 입법위원선거 당시의 상기된 분위기가 평정을 회복하면서 마잉지우에 몰려있던 유권자 민심이 다소 분산되고 씨에창팅파 유권자 민심이 회복되면서 마잉지우에 대한 지지율이 50 이하로 하락돼 후보자별 유권자 지지율이 평균치로 복귀됨

대만기업인 귀국투표수 급증 예상 - 2004 년도 제 11 대 총통선거 당시 약 15 만 명의 중국 지역 대만기업인들이 귀국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한편 오는 제 12 대 총통선거에는 4 년 전에 선거 당시에 비해 무려 10 만 명 이상 증가한 25 만 표가 행사될 것으로 예측됨(全國臺灣同胞投資企業聯誼會 통계)

- 현지 언론은 귀국투표자수가 급증한 것은 대만기업인들이 얼마나 새날의 도래를 고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고 전함

- 한편 중국지역 대만기업인 협회 인사들은 대체로 어느 정당을 막론하고 진정으로 양안관계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표를 행사할 것으로 응답하는 한편 적잖은 중국 대만기업인협회 회장들은 마잉지우 후보자 지지 의사를 표명함

- 그 외에도 1 월 12 일 제 7 대 입법위원선거 후 대만 최대 전자제품 업체 혼하이정밀 궈타이밍(郭臺銘) 회장은 본인은 특정 지지정당이 없으나 중국국민당이 입법위원선거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대만 경제에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발언

- 대만 유력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UMC 의 명예회장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중국국민당이 70 이상의 의석수를 차지함에 따라 일간에서는 대만정권이 균형과 견제를 상실하게 된 것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본인은 오히려 기존의 무모한 정쟁이 감소하게 돼 국정이 비로소 안정괘도에 오르는 희망이 보인다고 의견을 표함

자료원 聯合報 工商時報 보도자료 종합 정리

2007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동향 분석-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ndash

- 한국은 2 년 연속 1 위 투자국 등극 -

안유석 호치민 무역관

25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26: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sean-ahnkotraorkr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동향 ㅇ 203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 - 신규투자 178억 6000 만 달러 증액투자 24억 4000 만 달러 - 대베트남 투자누계(1988~2007 년) 금액의 20에 해당 - 전년대비 신규투자 건수 735 금액 963 증가 ㅇ 투자실행률 35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831억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92억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35를 기록 ㅇ 투자규모의 대형화 -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1236 만 달러로 2004 년 307 만 달러 2005 년 463 만 달러 2006 년

972 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 - 이는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중소형 투자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중공업 서비스(부동산 개발 등)

업 등 대형투자의 증가율이 급증함에 비롯 ㅇ 서비스업 투자 약진 - 제조업이 여전이 가장 많은 투자를 기록했으나 대형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업종의 투자가

금액기준 4778를 차지 - 2004 년 2384 2005 년 3544 2006 년 3119 대비 급증 ㅇ 5 대 투자국이 전체 외국인투자의 7937 차지 - 2007 년 대베트남 외국인투자 순위는 한국(44억 6000 만 달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42억

7000 만 달러) 싱가포르(26억 1000 만 달러) 대만(17억 4000 만 달러) 말레이시아(10억1000 만 달러)로 이들 5 개국 투자가 전체의 7937 차지

ㅇ 지역별로는 호치민(Hochiminh) 하노이(Hanoi) 동나이(Dong Nai) 빈증(Binh Duong) 푸년(Phu Yen) 순

- 호치민시가 307건 22억 8000 만 달러로 가장 많은 투자 유치 - 푸년의 경우 영국과 러시아의 정제공장 투자 한건(17억 달러)으로 5 위에 랭크 - 누계기준 5 위는 바리아붕따우(Ba Ria-Vung Tau)

2007 년 10 대 외국인투자(단위 US$ 백만)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총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1118Vung Ro Oil amp Gas

(British Virgin Island)

1700 100단독 Phu Yen

Oil amp gas production distribution

amp transportation

2 121Yen So Park

Development(Malaysia)

864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new urban area with

apartments amp parks

3 118Setiabecamex JSC

(British Virgin Island)

620 합작 Binh Duong

Real estate development brokerage services entertainment park

26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27: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4 316India Steel Production

(India)52726 100

단독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5 629 Keangnam Vina (Korea) 500 100

단독 Hanoi Real estate development Hotel restaurants

6 104Compal Vietnam

(British Virgin Island)

500 100 단독 Vinh Phuc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home appliances

7 1115 Vina Dai Phuoc(Taiwan) 400 합작 Dong Nai New urban development

8 1010 He Duong Cement(Taiwan) 360 100

단독 Ninh Binh Production of cement amp construction materials

9 622Lee amp Man Paper

Production(British Virgin

Island)349 100

단독 Hau Giang Production of paper pulp

10 1214GS Saigon

Development(Korea)

340 100 단독 HCMC Road construction amp real

estate development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국가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국가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1 Republic of Korea 1837 13533627172 405 44631516452 Singapore 543 10739202313 84 26141850003 Taiwan 1788 10528143878 211 17355825144 Japan 928 9037778118 154 9651648715 British Virgin Islands 338 7710776348 56 42676519306 Hong Kong 452 5824000834 68 2388195627 Malaysia 246 2821171518 45 10912393588 USA 375 2795833488 62 3582812509 Holland 84 2592537747 12 15483962510 France 195 2419216335 19 15842260011 Cayman Islands 29 1838565385 6 15515164512 China 536 1699011985 115 46047520613 Thailand 168 1666884302 24 28509637314 UK 99 1443398564 18 4703586815 Samoa 54 1266741668 16 21060000016 Australia 167 869638551 34 11808347917 Luxembourg 15 803816324 - -18 Switzerland 47 749346029 4 222500019 Germany 98 545926081 13 49360500

27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28: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20 British West Indies 6 511231090 1 10000021 Canada 63 489726124 6 14502246622 Denmark 50 382849954 9 414559023 Russia 55 302924841 5 994100024 Bermuda 6 285822867 1 1550000025 Philippines 34 268878899 6 2622000026 Mauritius 28 201703600 3 690000027 Brunei 44 157681421 16 6292142128 Indonesia 18 145392000 5 1530000029 India 21 144563710 3 617000030 Bahamas 4 128350000 - -31 Channel Islands 15 106671907 2 31000032 Poland 8 99721948 - -33 Italy 24 94374968 4 4963598034 Belgium 31 83668227 3 31884835 Cook Islands 3 73570000 - -36 New Zealand 15 70397000 2 3500000037 Barbados 2 66143000 - -38 Turkey 7 64050000 1 60000039 Sweden 15 53233913 4 134000040 Czech 13 49941173 5 1331250041 Laos 9 48353528 1 2500000042 Saint Kitts amp Nevis 2 39685000 - -43 Liechtenstein 2 35500000 - -44 Norway 14 35231918 1 320000045 Finland 5 33435000 2 1710000046 Belize 5 31000000 1 1000000047 Macau 7 30700000 1 1800000048 Iraq 2 27100000 - -49 Ukraine 5 22754667 - -50 Panama 7 18000000 2 250000051 Isle of Man 1 15000000 - -52 Sri Lanca 4 13014048 - -53 Austria 10 12425000 - -54 Dominica 2 11000000 - -55 Israel 7 8680786 2 112000056 Saint Vincent 1 8000000 - -57 Spain 8 7119865 3 23000058 Cuba 1 6600000 - -59 Cambodia 5 5200000 1 100000060 Ireland 4 4377000 2 382700061 Slovenia 2 4000000 2 4000000

28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29: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62St Vincent amp The

Grenadines 1 3000000 - -63 Brazil 1 2600000 - -64 Turks amp Caicos Islands 2 3100000 - -65 Kypros 2 2004000 1 150400066 Hungary 4 1936196 1 13000067 Guatemala 1 1866185 - -68 Yugloslavia 1 1580000 - -69 Guinea Bissau 1 1192979 - -70 Syria 3 1050000 - -71 Bungaria 2 770000 1 5000072 Guam 1 500000 - -73 Belarus 1 400000 - -74 Argentina 1 120000 - -75 North Korea 1 100000 - -76 Pakistan 1 100000 1 10000077 Mexico 1 50000 - -78 Rumania 1 40000 - -79 South Africa 1 29780 1 2978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산업별 투자현황(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5745 50029948532 910 90423191451 경공업 2542 13268720908 441 24743038172 중공업 2404 23976819332 337 34770206863 식품공업 310 3621835550 38 2430661424 건설업 451 5301060927 87 9796085005 석유 가스산업 38 3861511815 7 1868320000II 농업수산업임업 933 4465021278 79 2824715546 농업임업 803 4014833499 63 1805403047 수산업 130 450187779 16 101931250III 서비스업 1912 28609159424 456 85311043128 교육 건강 문화산업 271 1248845062 42 2357342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53 9262878164 28 4721042082

10 호텔 여행업 223 5883985332 48 187279640811 수송 통신업 208 4287047923 26 57125005212 산업단지 개발 28 1406024546 7 33350000013 금융업 66 897417080 1 2000000014 신도시개발 9 3477764672 3 40000000015 기타 954 2145196645 301 376781570

29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30: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지역별 투자현황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1 Hanoi 987 12423918902 210 19908481212 Hai phong 268 2600681471 53 3701755533 Vinh Phuc 140 1866195001 18 7806200004 Hai Duong 271 1757068293 41 3129260885 Ha Tay 74 1504570048 16 2810973416 Bac Ninh 106 932807501 35 4494430697 Quang Ninh 94 775832560 9 1610000008 Thanh Hoa 29 751132144 5 241300009 Hung Yen 116 612420890 32 18461700010 Ninh Binh 13 470214910 6 40433565211 Phu Tho 41 313217987 1 50000012 Lao Cai 31 300502040 2 2841000013 Thai Nguyen 16 293205472 1 10000000014 Nghe An 20 262175001 2 585000015 Ha Nam 21 118359490 10 5750000016 Thai Binh 20 105808921 2 2700000017 Lang Son 30 98593876 3 102000018 Bac Giang 42 87165820 11 3915300019 Nam Dinh 17 76099022 4 560000020 Hoa Binh 16 62060391 2 388000021 Ha Tinh 10 41695000 - -22 Quang Binh 4 32333800 - -23 Tuyen Quang 2 26000000 - -24 Son La 7 25620000 2 55000025 Cao Bang 11 19600812 3 678081226 Bac Can 6 17572667 - -27 Yen Bai 7 17147688 - -28 Ha Giang 3 15925000 1 1000000029 Lai Chau 2 3000000 - -30 Dien Bien 1 129000 - - 소계 2405 25611053707 469 5245436636

남부지역31 Hochiminh city 2398 16583370767 307 228072921232 Dong Nai 918 11666711568 119 178676816133 Binh Duong 1570 8468605783 280 175412522334 Ba Ria - Vung Tau 159 6111349896 18 1069447000

30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31: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35 Phu Yen 39 1975576438 5 170377012536 Da Nang 113 1872820789 21 81212789537 Long An 188 1864378294 66 80944818038 Quang Ngai 15 1124528689 2 575000039 Thua Thien Hue 40 791439810 8 56059134840 Hau Giang 5 630763217 2 62900000041 Tay Ninh 149 575787853 22 6938500042 Khanh Hoa 76 573166086 8 2501493243 Quang Nam 54 522871371 16 20995130044 Kien Giang 10 457358000 - -45 Binh Dinh 29 366211000 11 6608750046 Lam Dong 93 318477045 12 12830518347 Binh Thuan 58 281904183 11 5109950048 Tien Giang 15 215366723 5 11630000049 Binh Phuoc 60 185285000 30 9072500050 Ninh Thuan 15 151125566 5 11860456651 Can Tho 45 145546611 6 2860625052 Ben Tre 10 103469048 2 6880000053 Gia Lai 9 74934616 1 150000054 Vinh Long 13 56995000 1 600000055 Quang Tri 14 52659500 3 804500056 Tra Vinh 12 43937701 1 50000057 Dong Thap 13 36113037 4 2521000058 Bac Lieu 8 35942476 1 180000059 Soc Trang 5 24583000 2 1549700060 Dak Lak 2 16668750 1 600000061 Dac Nong 5 15499000 - -62 An Giang 4 15161895 - -63 Kon Tum 2 10130000 - -64 Ca Mau 4 6875000 1 5000000 소계 6150 55375613712 971 12454188375

해안지역65 Oil amp Gas 35 2117461815 5 156270000 소계 35 2117461815 5 156270000

합계 8590 83104129234 1445 17855895011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동향 ㅇ 45억 8000 만 달러로 대베트남 투자 2 년 연속 및 누계 1 위국 - 신규투자 44억 6000 만 달러로 전년대비 552 증가 - 증액투자 12억 달러 ㅇ 투자실행률 203

31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32: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 누계기준으로 대베트남 투자총액은 1837건 135억 3000 만 달러이며 투자실행액은 27억4000 만 달러로 투자실행률은 203를 기록

- 이는 최근 대형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등이 진행중이기 때문으로 분석 ㅇ 부동산 개발투자 급증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액중 부동산 개발은 32억 달러로 전체의 673에 달함 - 이는 2004 년 166 2005 년 491 2006 년 351 대비 엄청난 증가세 -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금액기준) 1~14 위까지가 모두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이며 30

대 투자 프로젝트 중 21 개가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산업(섬유 가죽 신발 등) 투자형태가 대형

서비스업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 ㅇ 100 단독투자 선호 - 2007 년 405건의 한국투자의 86에 해당하는 349건이 100 단독투자 - 합작은 106 - 이는 합작이 의무시되는 업종이 제한되 있으며 일반 제조업의 경우 100 단독투자가 여러모로

편리하기 때문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 선호 - 2007 년 한국투자기업의 69가 호치민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 투자 - 호치민 하노이 롱안 동나이 다낭 순 - 1억 5000 만 달러 이상 11 개 투자프로젝트중 9 개가 남부에 위치 - 그러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한국의 대베트남 산업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산업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I 공업산업 1030 5757476796 271 12491840451 경공업 652 2455341974 144 3663119312 중공업 291 2898533124 87 3908441143 식품공업 28 146983486 5 527500004 건설업 57 172118212 34 4112780005 석유 가스산업 2 84500000 1 28000000II 농업수산업임업 81 135945466 7 119562506 농업 임업 63 106131966 3 76000007 수산업 18 29813500 4 4356250III 서비스업 186 2382015685 128 32009468508 교육 건강 문화산업 36 270857398 7 22920009 아파트 사무실건설 16 796071002 13 173706241310 호텔 여행업 18 129168000 14 95352018311 수송 통신업 33 283134161 6 6271436512 산업단지 개발 2 156950000 2 1250000013 금융업 6 80000000 0 014 신도시개발 2 526090672 1 25000000015 기타 73 139744452 85 182857889

32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33: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한국의 대베트남 지역별 투자동향

(단위 US$)

연번 지역누계(198811~20071222) 2007(11~1222)건수 금액 건수 금액

북부지역

1 Hanoi 117 1277045844 68 7635647092 Ha Tay 13 444479450 3 2146900003 Hai Phong 31 313875712 5 933643654 Phu Tho 33 269817987 1 5000005 Hung Yen 36 148292742 14 1094890006 Vinh Phuc 25 128841834 4 68000007 Hai Duong 18 62716400 7 205587208 Quang Ninh 10 58200000 1 180000009 Nam Dinh 4 51316272 2 1400000

10 Hoa Binh 1 30000000 1 220000011 Thai Binh 7 28413000 - -12 Bac Ninh 6 19372000 5 6350494913 Bac Giang 9 14935820 6 1025300014 Ha Nam 4 10400000 6 1690000015 Ha Tinh 2 4100000 - -16 Son La 2 3000000 - -17 Ninh Binh 2 2664972 2 3405275218 Thai Nguyen 1 2310000 - -19 Nghe An 1 2000000 - -20 Thanh Hoa 3 1010144 - - 소계 325 2872792177 125 1355277495

남부지역

21 Dong Nai 161 1476375103 39 48697288522 Hochiminh City 406 1257264293 112 141836385223 Ba Ria ndash Vung Tau 18 1180898000 6 1437000024 Binh Duong 257 635975786 57 11662830025 Quang Ngai 3 275500000 - -26 Khanh Hoa 14 185184680 - -27 Da Nang 11 79890419 7 26325000028 Long An 17 54356489 12 54398818029 Tay Ninh 28 50296425 9 18315000

33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34: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30 Binh Phuoc 13 46210440 26 8660000031 Binh Thuan 11 17128000 3 3689000032 Lam Dong 7 15343135 3 3277518333 Tra Vinh 1 10000000 - -34 Phu Yen 6 9735000 - -35 Thua Thien ndash Hue 3 6180000 1 650000036 Binh Dinh 2 5350000 1 150000037 Tien Giang 2 2850000 - -38 Quang Nam 1 2200000 2 5150000039 Ben Tre 2 2000000 - -40 Kien Giang 2 1668000 - -41 Dong Thap 3 1600000 1 100000042 Can Tho 2 1440000 1 15625043 Vinh Long 1 1200000 - - 소계 971 5318645770 280 3078809650

42 Offshore oil-gas exploitation 1 84000000 1 28000000

소계 1 84000000 합계 1297 8275437947 406 4462087145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2 071214GS Saigon

Devel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3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4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5 07925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34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35: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6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7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

8 07518 GS Nha Be Co Ltd 188976 100

단독 Hochiminh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9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0 07101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1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2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13 07830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1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

17 0761 Hyoil Develop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18 07425 Mai Doan JSC 50000 100단독 Quang Nam Development of a r-star

resort

19 07119Branch of Orion Vina Food Co

Ltd47000 100

단독 Bac Ninh Production of confectionery

20 07520 GS Cu Chi Co Ltd 426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21 07718 Song San-Vinashin 41064 합작 Hai Phong

Production of steel structures for ship

building22 071026 SI

Development Co Ltd

34300 합작 Binh Thu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resort

amp condos

35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36: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23 07621 Enzo Viet JSC 32812 합작 Ninh Binh Fabric weaving amp dyeing

24 0772 Contract of oil amp gas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28000 경여협력계약(BCC) Offshore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of oil

amp gas

25 0785 Hyman 275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paper

26 07312 Mabaek Hai Phong(Golf

course)

27300 100 단독

Hai Phong Development of golf course club house

amp condos

27 0728 IDE Vietnam 25000 100 단독

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28 07516 Hanoi Plaza Hotel

20000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5-star hotel

29 07622 Felix Technics 20000 100 단독

Hai Phong Production of technical components

for oil exploration industry

30 07522 Hyosung Vietnam

18744 100 단독

Dong Nai Production of fibre amp yarn Spandex nylon Polyester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누계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30 대 투자프로젝트(단위 US$ 천)

연번 투자일 프로젝트명 투자금액 투자형태 위치 내용

1 061115

Posco-Vietnam Co Ltd

1128000

100 단독

Ba Ria ndash Vung Tau

Steel production

2 07629 Keangnam-Vina Co Ltd

500000 100 단독

Hanoi Development of hotel restaurant amp food

services and real estate

3 071214

GS Saigon Developt Co

Ltd

340000 100 단독

Hochiminh Construction of road amp development of real

estate

4 06119 THT DeveloptCo Ltd

314125 100 단독

Hanoi Construction of a new urban area on 20766ha

5 9316 Orion-Hanel Picture Tube Co

Ltd

297347 합작 Hanoi Mfg TV picture tubes (B ampW and color)

6 071115

Taekwang Vina Co Ltd

290000 100 단독

Dong Nai Development of Long Tan-Phu Ho urban area in

Nhon Trach Dist

36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37: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7 071012

Viet Han JSC 284610 합작 Long An Development of a golf course amp apartments for

sales

8 07925 Da Phuoc International ndash Da

Nang

250000 100 단독

Da Nang Development of a new urban area golf course

amp transportation for tourism

9 071026

Yon Woo-Van Phuc Co Ltd

250000 100 단독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10 0599 Kwang Myung Vietnam Hospital

198448 100 단독

Hanoi Healthcare complex

11 071025

Hyundai RNC Ha Tay Co Ltd

196045 100 단독

Ha Tay Development of apartments amp trade

center12 07518 GS Nha Be Co

Ltd188976 100

단독Hochiminh Development of

apartments for lease amp sales

13 07929 Midas Co Ltd 175000 100 단독

Long An Development of a 36-hole golf course

amp affiliated services

14 061115

Booyoung Intrsquol Apartments

171151 100 단독

Ha Tay Construction of 6 blocks of 30-storey

apartments15 96930 Hyundai-

Vinashin Co Ltd

167284 합작 Khanh Hoa Ship building amp repairing

16 9372 DAEHA Co Ltd 162899 합작 Hanoi 5-star hotel and office building

17 07101 Dai Quang Real Estate

Development JVC

160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development

18 0783 Pine amp Dai Tun JVC

150000 합작 Hochiminh Development of office building

apartments amp hotel

19 95314 Intrsquol Business Center (IBC ndash

Diamond Plaza)

91941 합작 Hochiminh Office and serviced apartment building

20 92520 Oil exploration amp exploitation

(Lot 11-2) ndash KNOC

84000 경영협력계약(BCC) Offshore Oi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1 07511 Hotel of Charmvit

80000 100 단독

Hanoi Hotel construction amp services

22 951129

PangRim Neotex Co Ltd

79076 100 단독

Phu Tho Mfg yarn fabrics Dyeingfinishing

37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38: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23 07830 Vietnam-Korea House

Developt Co Ltd

79000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4 0787 Kien A Service amp Investment

74738 합작 Hochiminh Real estate businesses

25 071130

Kukje Battery Co Ltd

72300 100 단독

Hanoi Production of dry battery for civil

amp industrial applications

26 07314 Bridge Inter-line Leisure

Vietnam

70000 100 단독

Hung Ye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amp affiliated

work27 0761 Hyoil

Development Co Ltd

58353 100 단독

Long An Services

28 95717 Choongnam Vietnam Textile

58000 100 단독

Dong Nai Mfg yarn grey fabrics amp dyeing

29 96124 LG-Vina Cable JV Co

58000 합작 Hai Phong Mfg MampL electric cables

30 94118 VSC-POSCO Steel Co

56120 합작 Hai Phong Mfg construction steel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시사점 ㅇ 2007 년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 특징은 전통적인 중소형 노동집약적 산업투자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대기업 중심의 기간산업(중공업 등) 대형투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며 ㅇ 특히 부동산개발투자가 금액기준 상위 1~14 위까지 차지하면서 서비스업 투자 급증 ㅇ 이는 베트남의 인건비 상승 높은 물가상승률 공단가격 상승 열악한 인프라 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투자매력이 점차 줄어드는 반면 부동산 시장 활황세와 한국내 건설불경기가 맞물려 서비스시장 투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제조업의 경우 베트남이 집중 육성하고 있는 중공업 중화학 및 하이테크업종의 경우 아직

선점되지 않은 미개척 시장이라는 점과 생산후 수출하는 생산거점형 투자로서의 매력이 여전하나

ㅇ 투자여건이 성숙함에 따라 중소형 투자보다는 대기업 위주의 대형투자가 증가하는 추세 ㅇ 중국을 대신할만한 투자처로써의 베트남 생산거점으로서의 베트남 투자여건이 상대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편이나 노동집약적 중소형 제조업 투자여건은 점점 악화될 것으로 전망 ㅇ 이에 반해 부동산 개발 등 서비스 업종 대형 투자의 증가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자료원 베트남 계획투자부(MPI) 무역관 자체 조사

38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39: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4 상품 산업

中 일본 쌀 150 톤 수입 예정- 고가 일본 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호조 -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최고급 일본쌀 중국시장에서 판매 개시 ㅇ 중국은 작년 일본 쌀 25 톤을 수입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일본 쌀 50 톤을 추가로 수입해

광저우(广州) 시장에 판매하기로 함 ㅇ 중국이 추가 수입한 쌀 50 톤은 작년 12 월 일본 정부와 합의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 할당분은 중국의 시장 판매상황을 지켜보면서 수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함 ㅇ 한편 일본은 중국시장에 쌀 수출을 재개하는 동시에 기타 일본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중국의 일본 쌀 수입 재개 경과 ㅇ 2007 년 4 월 중-일 양국은 2003 년 2 월 이후 중단된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2007 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중-일 양국 간 일본 쌀의 중국 수출

재개에 정식 합의함 - 이에 따라 2003 년 2 월 중국이 일본 쌀의 병해충 반입 가능성을 이유로 수입을 중단한 지 4 년

만인 2007 년 7 월 일본 쌀 수입을 재개함 ㅇ 2007 년 7 월 중국이 1 차로 수입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되는 호조를

보임 - 중국이 1 차 수입한 일본 쌀 24 톤은 니가타(新潟)산 코시히카리와 미야기(宮城)산의 히토메보레로 소매가격은 1포대(2)에 각각 198 위앤과 188 위앤임

- 베이징과 상하이의 고급 매장에서 판매된 일본 쌀은 중국 쌀에 비해 25배 일본 내수 판매가격보다 2~3배 비싼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판매 1 개월 만에 매진됨

- 최고급 일본 쌀의 주요 구매처는 고객 사은품용으로 일본 쌀을 구입한 대기업 직원 선물용으로

구입한 기관과 기업 그리고 중국의 부유층으로 분류됨 ㅇ 2007 년 12 월 중국은 일본 쌀 150 톤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초 50 톤을 수입함 - 쌀 수출을 책임지는 일본전국농업협동조합사에 따르면 연초 수출한 50 톤은 작년 12 월 중-일 양국이 결정된 수입쿼터 150 톤의 일부이며 나머지분은 중국시장의 판매 추이에 따라 수출 시기를 결정할 예정임

39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40: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 이번에 수입한 일본 쌀 50 톤은 니가타산 코시히카리 40 톤과 미야기산의 히토메보레 10톤이며 판매가격은 종전과 동일한 1포대(2)에 198 위앤과 188 위앤임

쌀 수입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반응 ㅇ 일본은 농촌경제를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자국산 쌀을 비롯한 농산품의 對중국시장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

- 일본 내 서구식 식생활 인구가 증가하고 노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하자 일본은 쌀 여유분의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나섬 - 4 년 만에 대중 수출을 재개한 일본 쌀이 중국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은데 힘입어 일본은 쌀

외에 사과middot배middot복숭아middot딸기 등의 농산품과 수산품 그리고 가공식품의 대중 수출확대에 나섬 - 올해 1 월 북경에서 일본산 딸기rdquo美莓rdquo가 중국산보다 2배 이상 고가로 판매됐으나 품절현상이

발생하는 등 판매호조를 보임 ㅇ 이 같은 일본의 동향에 대해 중국은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고급시장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중국의 대일 연간 쌀 수출량은 7 만 톤에 달하나 대부분 저렴한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회사

구매식당을 위주로 유통됨 - 중국은 그동안 lsquo품질보다는 생산량rsquo을 중요시한 결과 자국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낮아진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중국 농산품의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품의 맛middot영양middot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것으로 보임

- 한편 중국의 농업정책 변화는 한국의 농산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중국 농산물 시장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 자료원 시장보 인민망 등

홍콩 자동차 시장 이렇게 가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전시장 자동차 보유율 증가세 -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홍콩 자동차 시장 최근 동향 ㅇ 자동차 판매 증가 - 2006 년 주춤했던 홍콩 내 차량 판매량은 작년 한해 증가세를 보여 2007 년 총 판매대수는(

정부차량 택시제외) 약 3 만 6000 대 이러한 수치는 2004 년의 사스사태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었음 - 2007 년 1~10 월에 자가용 영업용차량 버스는 각각 2 만 4061 대 3163 대 296 대의 판매량을 기록

홍콩의 자동차 등록현황 (20071~10 월)

40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41: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단위 대)

월 자가용 영업용 차량 버스

1 2281 284 352 1306 214 363 1933 302 434 2319 299 425 2467 344 446 2620 359 547 2826 339 478 2971 269 869 2284 295 4610 3054 458 63

총합 24061 3163 496자료원 BMI 보고서

홍콩 자동차 산업 특성 ㅇ 국내 완제품 제조사 부재 부품산업 발달 - 국내에서 완제품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홍콩의 차량부품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문적 부품시장이 잘 발달돼 있으며 관련 분야의 고급이 인력 풍부함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 기업과 활발한 기술협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전 세계 차량 전시장 - 홍콩은 전 세계 차량 전시장을 방불케 할 만큼 값싼 차량에서부터 럭셔리 차량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브랜드 차량이 수입되고 있음 - 자동차 수요는 많지 않으나 높은 국민소득과 무관세 혜택으로 고급 차량의 수요는 높은 편임

특히 벤츠middotBMWmiddot아우디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페라리middot포르쉐middot람보르기니와 같은 고가의 럭셔리 차량도 인기가 높음

ㅇ 자가용 보유율 저조 - 홍콩시민의 자가용 보유율은 49이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평균 1645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이는 편리한 대중교통시설과 고가의 자동차 등록세 및 유지비용이 주요 원인임

ㅇ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 -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 시장 진출이 용이하며 현재 홍콩에서 수출되는

자동차 완제품은 100 재수출로 중국으로 약 77 재수출되고 있음 홍콩 자동차 수출입 동향 ㅇ 수입 동향 - 2007 년 홍콩의 자동차 수입은 전년 대비 20 이상의 대폭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2007 년의

경제 호황으로 인한 내수활성에 기인함

41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42: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홍콩의 자동차 수입현황(HS 8703)(단위 US$ 백만 )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916 -97 1752 -8 1685 -38 2041 21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 HS 8703 - 주로사람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승용자동차와 기타의 차량

ㅇ 수출동향 - 홍콩의 수출은 100 재수출이며 2005~06 년 대폭 감소세를 보이던 수출증감률은 2007 년

84의 증가를 보였음 - 홍콩 자동차 재수출의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2007 년 對중국 수출은 전체 수출의 77를

차지함 - 기타 주요 수출국으로는 마카오middot베트남middot태국middot싱가포르 등이 있이며 2007 년 수출액 비율은 각각 13 38 21임

홍콩의 자동차 수출현황(HS 8703)

(단위 US$ 백만)

품목(HS)

2004 2005 2006 2007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284 -156 1217 -52 919 -245 996 84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주요 에이전트 ㅇ 주요 외국브랜드를 수입하는 대표적 에이전트는 Crown Motors 사로

ToyotamiddotLexusmiddotDaihatsu(여객차량)middotHino(트럭) 등을 수입하고 있음 ㅇ Mercedes-Benz China 는 Mercedes-Benz 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중국middot홍콩middot마카오를

대상으로 영업하고 있음 홍콩에서 판매되는 주요 모델은 S-E-A- C-Class 승객용 M-Class SUV C-ClassCLKClCLK Coupe 등임

ㅇ Sime Darby China 는 BMW Mitsubishi Ford Suzuki Land Rover 를 주로 판매하고 있음 한국산 자동차 진출 동향 (현대자동차 홍콩 담당자 전화인터뷰) ㅇ 현대 기아자동차 에이전트 의존 판매 - 홍콩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으로는 현대 기아자동차가 있으며 주요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대의 실속 있는 차량을 원하는 20~30 대의 젊은 층임 - 현대자동차는 과거 홍콩 현대자동차 법인이 영업했으나 판매 저조로 철수했으며 현재

Zung Fu 사가 판매를 대리하고 있음 TussanmiddotNF Sonata 등이 주력상품이며 2008 년의 주력 상품은 i30 시리즈임

- 기아자동차는 단독 에이전트(Kia Motors (HK) Limited)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PicantomiddotNew RiomiddotMorning 등의 소형차량 및 SportagemiddotCeratomiddotCarensmiddotSorentomiddotNew Carnival 등의 레저용 차량에 주력함

ㅇ 한국자동차 판매의 어려움

42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43: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 한국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는 서서히 상승 중이나 홍콩의 자동차 시장자체가 고급브랜드 위주의 시장이기 때문에 인지도 면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음

- 홍콩인은 자동차가 아예 없거나 있다면 고급차를 선호하고 있어 인지도면에서 떨어지는 현대middot기아자동차는 영업에 애로사항이 많음 그러나 고급차로 마케팅하기에는 벤츠middotBMW 등 명품 자동차가 보편화돼 있음

- 현대middot기아 자동차는 20~30 대의 실속파를 대상으로 SUV 및 소형차를 주력 판매하고 있으나 편리한 대중교통 고가의 차량 유지비 AS 시설 부재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또한 홍콩은 무관세이기 때문에 홍콩인은 같은 값이면 일본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자동차 판매량은 매우 저조함

향후 시장전망 - 고급차량 선호 양상 지속 중국시장진출 기회 노려야 ㅇ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하는 소수 소비자 중심의 시장형태 및 고급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결국 브랜드 파워를 가진 고가의 차량이 홍콩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됨

ㅇ 2007 년의 경기호황은 홍콩 자동차 내수시장의 부활을 불렀으며 2008 년 역시 경기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경제호황이 전망되는 향후 5 년간 내수 역시 증가할 조짐이나 판매 증가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임(약 15)

홍콩 내 자동차 판매 동향 및 예상

(단위 대)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홍콩 30306 34717 34028 34436 34849 35267 35691 36119

자료원 BMI 보고서 ㅇ 홍콩과 중국 시장과의 높은 연계성은 對중국 시장 수출 및 재수출에 용이하므로

홍콩에이전트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함 또한 홍콩 자동차 업계는 중국 소비자 성향을 고려해 보았을 때 對중국 수출에는 소형차보다 중형차가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홍콩 정부는 자동차 보급에 부정적 입장 - 홍콩의 도심지역 교통이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대중교통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은 자가용시장 활성화에 부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홍콩의 대중교통이 매우 편리하게발달돼 있는 점 역시 부정적 요소임

홍콩 국제 자동차 부품 전시회(Hong Kong International Auto Parts amp Accessories Fair)

43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44: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ㅇ 일자 2008428~200851 ㅇ 장소 Asia World Expo ㅇ 주관 홍콩무역발전국 ㅇ 출품품목 Automotive Care amp Accessories Automotive Parts amp Components Manufacturing Machinery Technology amp Repair Services Motorcycle Parts amp Accessories Refinement Accessories amp Equipment ㅇ 연혁 2006 년 첫 개최 2008 년 3 회째 ㅇ 2007 년 통계 참가사 방문자 수 규모 263 개사 6523명 7255sqm ㅇ 홈페이지 httphkautopartsfairtdctradecom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홍콩언론종합 Business Monitor 보고서 현대자동차 홍콩담당자

인터뷰

대만 대형 할인매장 동향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kotratpemsahinetnet

최근 현지 시장 동향 2007 년 11 월 기준 대만 종합상품분야 소매업의 총 영업액은 NT$ 702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05 증가한 가운데 대형 할인매장의 영업액은 NT$ 1349억으로 1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대만의 대형 할인매장 밀집도는 약 21 만 명당 1 개 매장 정도로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높은 밀집도를 보임

대만 4 대 대형 할인매장 -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으로 외자유통기업 까르푸와 코스트코 본토 유통기업 RT-MART 와

FE-Geant 가 있음 - 특히 대만 최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까르푸는 2007 년 기준 최다 점포 소유업체로 대만

전역에 48 개의 점포가 분포해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우수한 지점 확보를 통해 대만 소비자가 가장 애용하는 대형 할인매장임

- 한편 RT-MART 의 경우 23 개 FE-Geant 는 14 개 COSTCO 는 4 개 점포를 소유하고 있음 PB 상품(유통업체 브랜드) 경쟁 열기 - 유통비와 마케팅비 부담이 적어 이윤율이 높은 장점 하에 대만 대형 할인매장도 PB 상품 개발에 열기를 올리고 있음 현재 PB 상품을 개발 중인 업체는 까르푸middotRT-MARTmiddotFT-Geant 로 까르푸의 경우 연간 PB 상품 판매액이 NT$ 87억에 달함

44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45: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 RT-MART 의 경우 현재 1500 개 이상의 PB 상품이 출시된 상태로 식품류가 최다수이며 판매실적이 가장 우수한 애완동물상품 가운데 강아지 사료가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편 대만 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는 아직까지 기타 국가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편으로 소비자의 구매율은 35에 불과하며 현지 소비자의 PB 상품 구매품목 순위는 화장지 등의 종이류가 53 개인용품(36) 주거용품(31) 과자middot사탕류(10) 기타 잡화용품(10) 순임

업체별 PB 상품 브랜드 수 까르푸(超價 家樂福 精選 총 3 종) RT-MART(大姆指) FE-Geant(最划算 Extra Cove 총 3 종)

소비자 트렌드 선호도 - 대만의 유력 경제일간지가 실시한 소비형태 조사결과 응답자의 74가 까르푸 이용 경험이

있으며 RF-MART 는 57 45는 FE-Geant 28는 코스트코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소비자 선호도 방면에서 까르푸가 42로 1 위를 차지했으며 RT-MART 가 21 FE-Geat 와 코스트코는 각각 8 비중을 차지함

- 애용도 역시 까르푸가 47로 가장 높았으며 차순위로 RF-MART(24) FE-Geant(9) 코스트코(6)를 즐겨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대만의 4 대 대형 할인매장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이용빈도 - 대만 소비자의 대형 할인매장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최소 한번이 12 15 일에 한 번은 16 1달에 한 번은 19이며 나머지 비중은 필요 시 불규칙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됨

- 한편 주요 이용 시간대는 대체로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대형 할인매장을 방문하는 비중 45

로 높았으며 평일을 이용하는 비중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소비금액의 양극화

45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46: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 한묶음에 NT$ 5 채소가 불티나게 판매되는 한편 병당 NT$ 1 만 상당의 고급 와인이 매진되는 등 대형 할인매장에서 역시 소비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설문조사 결과 역시 동일하게 소비양극화를 대변하고 있는데 NT$ 2000~3000 대의 중간대

비중에 비해 오히려 NT$ 2000 이하의 저가대와 NT$ 3000 이상의 고가대 비중이 높음

평균 소비금액 (단위 NT$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선호 구입품목 - 생선과 야채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상생활용품과 건조식품은 대체로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품목별 상품 구매경로 (단위 )

자료원 2008臺灣民衆生活形態大調査 참고자료

대만 내 대형 할인매장 리스트

업체명 점포수 평균면적(평) 분포지역 전화 홈페이지

家樂福Carrefour 48 5000 전국 각지 886-2-8809-4965 wwwcarrefourcomtw

大潤發

RT-MART 23 7000 전국 각지 886-2-2795-2888 wwwrt-martcomtw

46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47: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愛買吉安FE-Geant 14 4000 전국 각지 886-2-2361-3691 wwwfe-geantcomtw

萬家福MEGAFUL 9 3500 북middot중middot남부 886-2-2981-8000 wwwmegafulcomtw

全買 6 3000 중middot남부 886-5-236-2300 -喜互惠 13 800 동부 886-39-922-5200 wwwsurewellcomtw好市多

COSTCO 4 3500 북middot남부 886-2-8791-9988 wwwcostcocomtw

台糖量販 4 5000 중middot남부 886-7-353-7853 wwwtsctaisucocomtw大樂 3 9131 남부 886-7-3926-900 -佳世客JUSCO 1 6000 북부 886-2-2226-9888 -

亞洲購 1 5000 중부 886-4-2524-0099 wwwasia-gocomtw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자료원 2008臺灣連鎖店年鑑 工商時報 經濟部統計處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47

-곤산 신우화학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48: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48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49: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쿤산신우화학 산동영업소영업소장 김진필 133-4631-7891TEL 0631-5225239 FAX 0631-3681239ADD 威海市昆明路16号1109室 쿤산신우화학공장TEL 0512-57407015FAX 0512-57951046ADD 江苏省昆山市石浦镇陆巷路988号HOME PAGE wwwxinyuchemcomcn

6 구인안내

산 동 연 합 대 학 교 한국어과 소개 및 취업 협조 안내

산동연합대학은 산동성 제남에 있는 3년제 대학으로서 중국과 한국이 국교 수립 이후 규모가 나날이 커져 가는 양국간의 교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희 산동연합대학교에서는 한국어과를 신설하여 2008년 6월에 첫 졸업생이 배출됩니다

아래와 같이 산동연합대학 한국어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참고하시고 혹시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언제라도 연락 부탁 드립니다

아 래 一 학제 3년 二 주요 과목 한국어 시청각 초급 한국어 한국어 읽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쓰기 번역

한국개황 및 중 한관계bull 관리학 원리 시장 경영학(Marketing) 초급 비서학 국제예의 등 三 학생 수준 1우수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나면 한국어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음2보통학생 약 2개월의 연수 기간이 지난 후 통역 일부와 사무 보조 가능3열등학생 한국어와 관련되지 않은 곳이나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에서 업무 가능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학생들에 대한 프로필을 원하시면 별첨-1을 참고하시고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께서는 별첨-2를 참고하시어 메일이나 전화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9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50: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연락처 김재영 外敎 (135-1531-6074 acetrdhanmailnet sdlhdxhotmailcom)

별첨-1이 름 주 소 자 격 증

사너매(史汝梅)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한국어 능력시험 3급정균효(郑钧爻) 연대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포운하(鲍云霞) 하택시 성무현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유진(刘 振) 男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장진진(张珍珍) 제녕시 컴퓨터 초급백옥초(白玉超)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진봉(陈凤) 연대봉래시 컴퓨터 초급최유화(崔维花) 덕주시 영어 free talking

정하(丁霞) 일 조 시 람 산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동찬로(董灿路) 男 제남시 컴퓨터 초급

동건군(董建军) 男 제녕시 컴퓨터 초급동효화(董晓华) 태안시 한국어 능력시험3급

번무(樊茂) 제남시 컴퓨터 초급 경나(耿娜)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2급

한수연(韩秀娟) 래우시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후광봉(侯光凤) 임기시 영어 free talking관아평(管亚萍) 유방주성시 영어 free talking장문연(蒋文娟) 청도시 기목구 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초급 이국영(李国荣) 임기시 기수현 한국어 4급 영어 3급 컴퓨터 초급 이건령(李建伶) 린이시린술현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이청화(李清华) 하택시 컴표터 초급 이문하(李文霞) 연대시치하현 컴표터 초급

이양(李杨) 즈버시 컴표터 초급 유명나(刘明娜) 임기시 영어 능력 시험 3급 한국어 능력시험3급

노려(卢丽) 태안시 영어 free talking 려해정(吕海静) 요성시 관현현 영어 능력등급증 컴퓨터 초급

마홍단(马弘单)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마나나(马娜娜) 제녕시 문상현 컴퓨터 초급

맹단(孟丹) 유방시 안구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반금국(潘金国) 男 제남시 한국어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배교진(裴巧珍) 제남시 영어 free talking기운(亓云) 래무시래성구 한국어 능력시험3급

거언민(渠彦敏) 제남시 컴표터 초급 고급비서증서상교교(尚姣姣) 쯔버이시쯔천구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성금환(盛金焕) 제녕시양산현 컴퓨터 초급 석효아(石晓雅) 요성시 고탕현 컴표터 초급 손홍려(孙红丽) 일조시 람산구 영어 CET-4급 컴표터 초급 손설암(孙雪岩) 청도즉먹시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

50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51: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손연하(孙延霞) 태안시 비성현 검퓨터 초급

왕보민(王宝敏) 연대시 봉래현영어 free talking 컴퓨터 능력시험 1급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오정정(吴婷婷) 연대시 컴표터 초급사신령(谢新玲) 하택시 컴퓨터 초급

양수리(杨秀利) 男 일조시 컴퓨터 초급 장혜연(张慧娟) 제녕시 컴표터초급

장려(张黎) 즈버시 컴퓨터 2급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장염염(张冉冉) 태안시 태산구 컴퓨터 초급

장우(张宇) 조장 등주시 한국어 능력시험 3 급 컴퓨터 능력시험 초급장지외(张志巍) 태안시 컴퓨터 2급 주평평(周萍萍) 유방시 영어 능력시험 3급 컴퓨터 초급 설진(薛振) 男 제녕시 우대현 컴표터 초급

백준보(柏俊宝) 제남시 컴표터 초급고사동(高祀栋) 男 교주시 컴퓨터 초급 궁정정(宫婷婷) 청도시 컴표터 초급 곡홍하 (谷红霞) 제녕시 가상현 컴표터 초급

이춘휘( 李春晖) 요성시 고당현 컴퓨터 초급유뢰(刘磊男) 교주시 영어 능력시험 3급

맹수봉(孟秀凤) 래무시 컴퓨터 초급 손정(孙静) 유방시 컴퓨터 초급

전춘영(田春英) 요성시고당현 컴퓨터 초급 왕동승(王东升) 男 제남시 한국어 능력시험증 컴표터 초급

오효효(吴晓晓) 제남시 장청구 영어3급 컴퓨터 초급형화명(邢华铭) 男 안구시 컴퓨터 초급

서로염(徐鲁艳) 요성시 양고현 컴퓨터 초급 장미하(张美霞) 임기시 컴퓨터 자격증 장신성(张新星) 조장시 영어3급장패패(张贝贝) 연대시치하현 컴퓨터 초급

별첨-2

채 용 공 고회사명 회사 소개(자본금 독자 또는 합자 종업원 수)

채용인원 남 명 여 명주요업무월 급여

51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
Page 52: KOTRA 중국경제무역뉴스2… · Web view周刊 뉴스레터 QINGDAO NEWSLETTER 200 8-8 200 8. 2.27 목 차 1. 보도자료 -『기업 청산 지원 대책반』 설치 2. 초점

숙식제공여부연락처 E-mail Tel담당자마감일채용 희망 학생 명단 (필요시)

52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무역
    • 1 보도자료
    • 2 초점
    • 3 경제 무역
    • 4 상품 산업
    • 5 우리 회사우리 제품을 소개합니다
    • 6 구인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