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neolithic remains

79
한한 한한한 한한 한한 : 20063605 한한한 20063619 한한한 한한 :2010/05/03/ 한한한 - 신신신신신신 신신신 신신 -

Transcript of Korean neolithic remains

Page 1: Korean neolithic remains

한국 고고학 특강

발표 : 20063605 유진훈 20063619 양혜리

날짜 :2010/05/03/월요일

- 신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Page 2: Korean neolithic remains

한국 고고학 특강

첫 번째 발표 :

신석기시대의 유적 분포와 주요 유적지

발표 :20063619 양혜리

두 번째 발표 :

신석기시대의 유물 ; 생활도구를 중심으로발표 :20063605 유진훈

Page 3: Korean neolithic remains

첫 번째 발표

신석기시대의 유적

Page 4: Korean neolithic remains

1. 유적분포의 특성• 어로와 수렵채집 위주의 정착생활시작• 토기사용 • 주로 강안이나 해안에 집중• 특히 두만강 , 압록강 , 대동강 , 한강 ,

낙동강유역이나 서해도 서지역 , 남해도서직역에 밀집 분포

Page 5: Korean neolithic remains

< 신석기 시대 유적 분포도 >○ 주거지◉ 조개더미■ 포함층▲ 동굴△ 분묘

Page 6: Korean neolithic remains

< 신석기시대 빗살무늬 토기 분포도 >

Page 7: Korean neolithic remains

서북지역• 압록강 중 ·하류와 청천강 하류에서 유적 발견• 유적의 수도 적고 층위를 이룬 유적도 거의

없음• 층위를 이룬 유적은 미송리 유적 유일

Page 8: Korean neolithic remains

동북지역• 두만강 상류와 하류

• 동북해안에 밀집 ·분포

• 대표 유적 : 회령 검은개봉 웅기의 서포항 ,

청진의 농포동 ·원수대유적

Page 9: Korean neolithic remains

서해안 지역• 북으로는 대동강 하류 , 남으로는 한강 , 충남·전북해안지역까지 뾰족밑빗살무늬토기를 특징으로 하는 유적 분포

• 대동강 하류 및 한강유역은 여러 기의 주거지가 중첩 => 장기간에 걸쳐 취락 형성

• 서해안 도서지역 : 시도패총 ·별망패총 및 오이도패총 발굴

Page 10: Korean neolithic remains

동해안 지역• 양양 오산리 유적 , 지경리 유적 , 가평리유적• 오산리 유적 : 상층에서는 서해안

뾰족밑빗살무늬토기 , 하증에서는 납직밑토기류 출토

=> 방사성탄소연대 B.C6,000~5,000 년 생각보다 2,000 년 이상 상회

Page 11: Korean neolithic remains

중부 내륙지역

• 발굴조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

• 최근 청원 쌍청리유적에서 주거지 조사

Page 12: Korean neolithic remains

남해안 지역• 동삼동패총 , 수가리 패총의 층위발굴• 토기상 : 가장 이른 시기에는 납작밑의

덧띠무늬토기 사용 , 이후 압인문토기 ·태선식빗살무늬토기 · 이중구연토기 사용

• 상노대도패총 ·산등패총 ·송도패총 등 발굴 => 남해안 일대가 전체적으로 신석기시대

생활터전

Page 13: Korean neolithic remains

남부 내륙지역• 낙동강 하구 , 남강유역 , 보성강유역

• 큰 강의 지류를 따라 입지 , 신석기 후기유적으로 토기양식이 서로 비슷

• 문무토기시대로 이어짐

Page 14: Korean neolithic remains

2. 주요 신석기 유적1) 유적의 분포상태

신석기 시대 유적의 지역별 ·종류별 분포상황

* 한빙희 , < 신석기시대 > (‘한국고고학의 반세기’ , 한국고고학학회 , 1995) 에 의거 작성

Page 15: Korean neolithic remains

유적지역

산포지 포함층 패 총 주거지 동 굴 분 묘 기 타 계

자강도 2 2 2 6

평 북 6 4 1 2 1 14

평 남 12 3 2 4 5 26

황 북 2 1 3 6

황 남 7 1 4 1 13

경기도 30 14 23 3 70

충 남 4 3 3 3 13

충 북 16 4 1 4 25

전 남 * 4 34 1 39

전 북 1 2 10 13

제 주 3 2 1 1 7

경 남 13 7 35 2 57

경 북 3 2 1 1 1 8

강 원 24 5 4 1 34

함 남 1 1 2

함 북 42 14 9 1 66

양강도 6 6

계 172 69 122 26 13 1 2 405

Page 16: Korean neolithic remains

2) 각 지방의 유적과 유물① 자강도와 평안북도 지방ㄱ . 중강 토성리 유적- 신석기 시대부터 철기시대까지 여러 시기의 유구와 유물 출토 => 이 중 2.5.6.7.8 호 주거지가 신석기시대에 해당- 2 호 주거지는 평면 장방형 , 바닥 중앙에 6 개의 강돌을 둘린 화덕자리가

있음- 5 호 주거지는 평면 원형 , 바닥의 북쪽으로 치우쳐 원형 화덕자리 있음- 6 호 주거지는 파괴가 심하여 평면형태는 불명- 7 호 주거지는 평면 방형 , 중앙에 돌을 원형으로 돌린 화덕자리 있음- 8 호 주거지는 평면 장방형 , 북쪽으로 약간 치우쳐서 돌을 돌린 화덕자리가

있음- 토기 : 바리형토기에 어골무늬가 아가리부터 바닥 위 5cm 까지 시문되어

있는 빗살무 늬 토기 , 납작바닥의 깊은 바리형토기에 몸통 상부에만 집선무늬가 시문되어 있는 빗살무늬 토기 출토

- 석기 : 도끼 , 활촉 , 그물추 , 괭이 , 흑요석기 조각들 출토

Page 17: Korean neolithic remains

ㄴ . 의주 미송리유적-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의 동굴 주거지유적 => 석회석

천연동굴- 지표하 105~130cm 깊이에 두께 약 50cm 의

문화층 , 그 밑에 유물이 없는 20~40cm 두께의 간층 , 그아래 다시 15~20cm 두께의 문화층이 있는데 아래의 것이 신석기시대 문화층

- 빗살무늬토기편과 그물추 2 점 , 석촉반제품 , 곡옥파편처럼 생긴 장신주 등이 출토

Page 18: Korean neolithic remains

② 평안남도 ·평양 ·황해도지방ㄱ . 온천 궁산리패총- 궁산리 동남쪽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는 패총유적- 1 호 집자리는 직경 560~580cm 의 불규칙한 원형- 2 호 집자리는 파괴가 심하여 크기와 평면형태는 알 수 없으나 깊이는 70cm

정도이고 바닥에는 진흙을 깔았다- 3 호 집자리도 파괴가 심하여 크기와 평면형태는 알수 없음 . 깊이는

12~130cm 이고 화덕은 중앙에 위치- 4 호 집자리는 직경 520~550cm 의 원형 , 깊이는 90cm- 5 호 집자리는 원형 , 깊이는 70cm 이고 바닥은 진흙을 깔음- 빗살무늬토기는 점토질 바탕흙에 활석과 석면을 섞은것과 모래와 운모를 섞은

것 사용- 석기는 활촉 , 창끝 , 어망추 등과 가공한 석기조각 , 골기는 송곳 , 예새 , 괭이

등 - 그 외에 가락바퀴 , 옥도끼 . 가공한 조개껍질 등 출토

Page 19: Korean neolithic remains

ㄴ . 봉산 지탑리 유적- 지탑리의 대방군 토성 안팎에 위치하는 주거지와

포함층유적- Ⅰ 지구 층위 : 표통층 ·고대문화층 ·신석기문화층 =>

신석기문화층에서 움집터 1 기 조사- Ⅱ 지구 층위 : 신석기시대 움집터 2 기발굴 - 움집터의 깊이는 40~60cm, 형태는 방형 ·말각방형- 토기는 바탕흙에 활석과 석면이 섞여 있는 밑이 뾰족한

심발형토기가 대부분 - 석기는 삼각형의 미늘식 활촉 , 창끝 ·도끼 ·맷돌 ·낫 등

출토 - 2 호 움집터에서 피또는 조로 보이는 탄화곡물 3흡 정도

출토 => 한반도 최초의 농경 가능 성 시사

Page 20: Korean neolithic remains

< 지탑리 출토 돌낫 > < 지탑리 출토 빗살무늬토기 >

Page 21: Korean neolithic remains

③ 서울 ·경기도 지방ㄱ . 서울 암사동유적- 한강 남안에 강변을 따라 동서로 형성되어 있는 포함층유적- 3 개의 문화층으로 구성- 제 1 문화층 : 전형적인 서해안식 빗살무늬토기와 주거지

적석유구 확인- 제 2 문화층 : 후기 빗살무늬토기와 청동기시대 유물출토- 제 3 문화층 : 백제문화층- 1 문화층 => 움집터확인 , 말각방형이 가장 많고 , 그다음이

원형 , 네 모서리에 1 개씩 기둥구멍이 있는 것 이 많음 , 대부분의 움집 중앙에는 돌을 돌린 원형 ·방형 ·장방형의 화덕이 있음

- 빗살무늬토기 태도는 운모가 섞인 사질토가 대부분 , 기형은 직립구연과 첨저의 반란형 또는 포탄형이 기본 , 무늬는 전면시문토기 주류

- 석기는 긁개와 찍개 ·도끼 등 타제석기 주류

Page 22: Korean neolithic remains

< 암사동 주거지 > < 암사동 빗살무늬토기 >

Page 23: Korean neolithic remains

ㄴ . 시흥 오이도 신포패총- 3 개의 패총이 남아있음- A 패총은 패각층이 극히 일부만 남아 있고 , 층위는 표토

아래에 10~20cm 의 혼토패각층과 그아래 검은 부식토층으로 되어 있음 , 간혹 빗살무늬토기편이 채집

- B 패총은 규모가 각기 다른 10 개의 패각무더기로 구성 , 부분적으로 상호연결 , 유구로는 야외노지 3 개소 발견 , 유물은 빗살무틔토기편과 석촉 1 점 , 석부 2 점 , 굴다는 석기 1 점 , 골촉 1 점

- C 패총은 단사선문 ·조형문 ·횡주어골문 ·종주어골문의 빗살무늬토기 출토

Page 24: Korean neolithic remains

< 시흥 오이도 패총 빗살무늬토기 >

Page 25: Korean neolithic remains

④ 충청도 지방ㄱ .단양 상시 바위그늘 유적- 상시 2·3 바위그늘유적에 모두 신석기 시대 유물 출토

=> 3 바위그늘에 자세히 소개- 3 바위 그늘 : 6 개의 층위로 구분 , 4 층에서 1 창까지

토기 출토 , 4 층은 적색 사질점토층으로 융기문토기 , 3층은 갈색 고운 모래층으로 빗살무늬토기가 출토 . 1·2층은 교란되어 빗살무늬토기 ·석기 ·골각기 ·사람뼈 등이 함께 출토

- 석기는 자르개 ·석촉 ·숫돌 ·갈동 등 출토 , 4 층에서는 찍개 ·긁개 ·대팻날이 , 1 층에서는 밀개 ·긁개 ·공이 ·곰배괭이가 추가로 출토

Page 26: Korean neolithic remains

단양 상시 바위그늘 (3 바위그늘 )

Page 27: Korean neolithic remains

⑤ 전라도 및 제주도 지방ㄱ . 여천 돌산 송도패총- 섬의 북안에 있는 표고 2~10m 내외의 낮은 언덕지대에 있는 패총- 4 개의 퇴적층으로 이루어 져있고 이 층위는 다시 7 개의 작은 층으로 나뉨- 제 Ⅰ층은 표토인 경작층은 Ⅱ층인 흑갈색 혼토패층과 교란된 패층 ,

여러종류의 유물이 출토되나 표지적 유물은 점령무늬토기 및 두터운 아가리 또는 겹아가리토기 , 석기류는 긁개 , 날은 간돌도끼 등 출토 , Ⅲ층은 다시 3 개층으로 세분 =>Ⅲ-a 층은 덧무늬토기와 함께 굵은 침선문토기와 가는 침선문토기 및 무늬없는 토기 출토 , Ⅲ-b 는 유물이 출토가 안됨 , Ⅲ-c 는 비교적 얇은 띠형태로 존재 , 굵은 침선문토기가 새로 등장 , 최하층인 Ⅳ층은 흑갈색 진흙층으로 덧무늬 토기 · 붉은칠토기 · 무늬없는 토기등 출토

- 3 층에서는 2 채의 집자리 확인 => 1 호 주거지는 패각을 파고 그안에 진흙을 채워 만듯 것 , 규모는 확실하지 않고 , 평면은 원형으로 추정 , 2호 주거지는 바닥 가운데 화덕이 있고 , 기둥구멍이 1 개 존재 , 평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추정

Page 28: Korean neolithic remains

ㄴ . 제주 고산리 유적- 퇴적물 상부 1m 미만의 깊이에 황갈색생토층 ·

황갈색점토층 ·흑색부식토층 등이 차례로 퇴적 , 유물은 생토층 위에 황갈색점토층과 흑색부식토층에서 출토

- 유물은 석기가 대부분이고 토기편은 약간 있음 . 석기는 모두 타제석기로 약 3,000 여점 출토 , 대부분 박편이고 모양을 갖춘 석기는 390 여점 , 종류는 석촉이 가장 많고 , 긁개 ·첨두기 ·돌날석기 등 눌러떼기기법으로 제작한 소형석기

- 토기는 심발의 아가리 주변에 3줄의 태선융기문을 돌린 덧무늬토기 등 출토

Page 29: Korean neolithic remains

< 제주도 고산리유적 - 압인문 호형토기 > < 제주도 고산리유적 주거지 >

Page 30: Korean neolithic remains

⑥ 경상도 지방ㄱ . 부산 동삼동패총- 남해안 일대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 여러 문화층이 겹쳐져 있음- Ⅰ 기 : 융기문 토기가 대부분 , 석기는 박편찍개 출토- Ⅱ 기 : 단도마연토기 ·융기문토기 ·두립문토기 ·압인문토기 ·침선문계빗

살무늬토기 등 출토 석기 및 골각기로는 이음식낚시 , 박편찍개 , 뼈바늘 등 출토- Ⅲ 기 : 단도마연토기 ·태선침선문계토기 등 출토 , 이시기에는 융기문토기가 거의 없어지고 중 ·서부지방의 전형 적인 빗살무늬토기의 영향을 받은 태선침선문계토기가 크게 유행하다 점차 변질되는 양상- Ⅳ 기 : 침선문의 퇴화현상이 더욱 뚜렷해지고 , 새로이 겹구연토기 등 장 , 무늬없는 토기가 절대 다수 석기는 긁개 ·타제석부 ·흑요석제석기 등이 출토

Page 31: Korean neolithic remains

< 부산 동삼동 패총 >

Page 32: Korean neolithic remains

ㄴ . 울산 신암리유적- 신암리에는 4 곳에 신석기 시대 유적 존재 => 모두 포함층유적- 제 1 지구유적의 층위는 표토층 밑에 5 개의 퇴적층 확인 => 유물은 제 3 층 바닥과 최하층인 4 층에서만 출토- 유물은 토기 외에 토제품과 약간의 석기가 출토 , 토기는

대부분 덧무늬토기고 , 그 외에 침선문계토기 , 무늬없는토기 , 단도마연토기 등이 출토

- 석기는 조갯날 도끼와 납작한 편인 석부 ·숫돌 ·갈돌과 공기가 보이고 이외에 긁개 ·격지 등의 타제석기가 많음 .

Page 33: Korean neolithic remains

⑦ 강원도 지방ㄱ . 양양 오산리 유적- 모두 6 개의 자연층위가 확인 Ⅰ층 : 청동기 시대층 Ⅱ층 : 신석기시대 상층 , 첨저형빗살무늬토기 출토 Ⅲ층 : 신석기시대 중층 , 토기의 기형은 평저형 , 저부에는 나뭇잎모양이 찍혀있음 Ⅴ층 : 신석기시대 하층 , 6 기의 주거지 확인 , 지름 6m

정도의 원형주거지 , 사각형 노지가 한두 개씩 있고 , 다수의 평저형토기 및 소량의 융기선문토기 , 돌로 만든 생활도구류가 출토 , 석기는 이음식낚싯바늘 ,톱 ,사각형석도 , 흑요석인기 등 출토 , 특히 어업관련도구들이 다수 출토

=> 어업에 크게 비중을 둠

Page 34: Korean neolithic remains

<빗살무늬 토기> <평저 아가리 무늬 토기>

<발굴조사 광경>

Page 35: Korean neolithic remains

ㄴ . 춘천 교동유적- 신석기시대 후기의 동굴집터 및 매장지유적- 동굴 안에서 발은 굴의 중심부로 , 머리는 벽쪽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눕혀진 인골 3 구가 매장되어 있었음 . 인골 옆에서 부장품으로 매납된 대형 돌도끼 , 잡작자귀날 돌도끼 5 점 , 슴베있는 삼각형 돌활촉 1 점 , 돌망치 1 점 등이 발견

- 토기들은 아가리가 약간 오므라든 단지형 , 두 어깨에 고리손잡이가 달린 것이 한 개씩 출토

Page 36: Korean neolithic remains

<춘천 교동 동굴 출토 – 구연무 , 무문양토기 >

Page 37: Korean neolithic remains

⑧ 함경도와 양강도지방ㄱ . 선봉 서포항동 유적- 함경북도 웅기군 굴포리의 서포항동 마을 위치- 신석기시대 문화층에서 움집터 유구발견 => 조개더미 유적의 1 기층에서

1 기 , 2 기층에서 4 기 , 3 기층에서 8 기 , 4 기층에서 5 기 . 5 기층에서 2 기 등 21 기 조사

- 유물 : 1 기층 => 납작밑토기 , 괭이 ·화살촉 ·긁개 등 석기 , 창 ·작살 등 골기 출토 2 기층 => 납작밑토기 , 석기와골기는 1 기층과 유사

하나 증가함 3 기층 => 토기의형태 및 문양 다양 (능형문 ·원형문 , 손톱무늬등 ), 흑요석제석기 등장 4 기층 => 민무늬토기 증가 , 번개무늬 출현 , 적색토 기 등장 5 기층 => 대부분 민무늬토기 , 조개껍데기로 만든 반월형석 등장

Page 38: Korean neolithic remains

< 굴포리 조각품 - 1. 망아지 , 2,3,6,7. 치레거리 4.뱀 5. 인형 >

Page 39: Korean neolithic remains

두 번째 발표

신석기시대의 유물 ; 생활도구를 중심으로

Page 40: Korean neolithic remains

신석기 시대• 시대설정 -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여 극지방의 얼음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는 후빙기의 어느 시점 ( 약 10,000 년 전 ∽ 3,000 년 전 )

• 우리나라의 신석기 - 약 10,000 년 /8,000 년 전부터 시작 ( 기원전 6,000 ∽ 300 년 까지 )

Page 41: Korean neolithic remains

Ⅰ. 한반도의 신석기 설정

신석기 시대의 시작

= 토기의 출현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아시아 지역

Page 42: Korean neolithic remains

Ⅱ. 우리나라 신석기 유적 특징

• 전국적으로 분포

• 큰 강변이나 바닷가 , 가까운 섬 주위

• 토기의 특징에 따라 문화권을 구분

Page 43: Korean neolithic remains

Ⅲ.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적지

• ( 지도 )

Page 44: Korean neolithic remains

우리나라 신석기의 흔적과 유물분류

• 활과 화살촉의 대량출토• 보다 날카로워진 석기• 동물 사냥의 증가 흔적• 조개더미서 출토된 낚시와 작살• 보습 , 낫 , 호미 등 모양의 석기• 탄화된 조 , 기장 , 미• 조개더미에서 출토된 팔찌• 동물 뼈로 만든 바늘• 직조의 흔적• 다양한 모양의 토 제품

• 수렵구

• 어로구

• 농경구

• 직조구

• 장신구

• 예술품

Page 45: Korean neolithic remains

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화살촉 ( 제주 고산리 )

1. 수렵구

Page 46: Korean neolithic remains

* 화살촉 (춘천 교동 )1. 수렵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47: Korean neolithic remains

* 창 ( 제주 고산리 )1. 수렵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48: Korean neolithic remains

* 사슴뿔 ( 부산 동삼동 )

1. 수렵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49: Korean neolithic remains

* 개 머리뼈 ( 부산 동삼동 )

1. 수렵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50: Korean neolithic remains

* 호랑이 다리뼈 ( 부산 동삼동 )1. 수렵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51: Korean neolithic remains

* 이음낚시 허리 ( 고성 문암리 )2. 어로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52: Korean neolithic remains

* 이음낚시 바늘 ( 통영 연대도 )2. 어로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53: Korean neolithic remains

* 이음낚시 ( 부산 범방 )2. 어로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54: Korean neolithic remains

* 돌 그물추 ( 서울 암사동 )2. 어로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55: Korean neolithic remains

*먹고 버린 조가비 ( 부산 동삼동 )2. 어로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56: Korean neolithic remains

* 그물이 찍힌 토기 ( 부산 동삼동 )2. 어로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57: Korean neolithic remains

* 뒤지개 ( 서울 암사동 )3. 농경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58: Korean neolithic remains

* 따비 ( 서울 암사동 )3. 농경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59: Korean neolithic remains

* 낫 ( 서울 암사동 )3. 농경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60: Korean neolithic remains

* 도끼 ( 서울 암사동 )3. 농경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61: Korean neolithic remains

* 갈 판과 갈 돌 ( 양양 지경 리 )3. 농경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62: Korean neolithic remains

* 공이 ( 서울 암사동 )3. 농경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63: Korean neolithic remains

* 시루형 토기 ( 서울 암사동 )3. 농경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64: Korean neolithic remains

* 도토리와 가래 ( 창녕 비봉리 )3. 농경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65: Korean neolithic remains

* 뼈바늘과 가락바퀴 ( 함북 옹기군 서포항 )4. 직조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66: Korean neolithic remains

* 비녀 ( 부산 동삼동 )

5. 장신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67: Korean neolithic remains

*삽입 형 귀걸이 ( 부산 동삼 동 )

5. 장신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68: Korean neolithic remains

* 고리모양 귀걸이 / 결 상 이식 ( 고성 문암 리 )

5. 장신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69: Korean neolithic remains

* 발 찌 ( 통영 연대도 )

5. 장신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70: Korean neolithic remains

* 치레 걸이 ( 통영 연대도 )

5. 장신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71: Korean neolithic remains

* 대롱 옥 (춘천 교동 )

5. 장신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72: Korean neolithic remains

* 얼굴모양 조가비 ( 부산 동삼 동 )

5. 장신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73: Korean neolithic remains

* 조개 팔찌 ( 부산 동삼 동 )

5. 장신구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74: Korean neolithic remains

* 흙으로 빚은 여인 (울산 신암 리 )6. 예술품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75: Korean neolithic remains

* 흙으로 빚은 얼굴 ( 양양 오산리 )6. 예술품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76: Korean neolithic remains

* 흙으로 빚은 멧돼지 ( 통영 욕지도 )6. 예술품Ⅳ. 우리나라 신석기 대표적 유물

Page 77: Korean neolithic remains

• 수렵구

• 어로구

• 농경구

• 직조구

• 장신구

• 예술품

Ⅵ.. 정리 하기

• 사냥의 방식 변화- 근거리→원거리사냥 ( 안전 )-창 → 활 , 화살촉

• 화살촉의 대량 출토-동북지역 VS 중부지역

• 동물화석의 대량 출토- 사냥의 증가 , 가축 시작

• 외낚시 VS 이음낚시 - 이음낚시 허리 + 바늘

• 돌 그물추 - 그물 이용 어로 행위

•조개무지 ( 패총 ) - 신석기의 기후와 신석기인 들의 변화한 식생활

• 뒤지개 ( 따비 , 낫 ), - 경작유구로 추정

• 갈돌과 갈판 , 공이 - 곡식을 갈거나 빻음 - 도토리 등 견과류 갈다가 농사시작후 곡물의 껍질을 벗기는데 사용

• 도토리와 가래 - 창녕 비봉리 , 합천 봉계리

Page 78: Korean neolithic remains

• 수렵구

• 어로구

• 농경구

• 직조구

• 장신구

• 예술품

Ⅵ.. 정리 하기

• 뼈바늘 - 직조 활동의 증거 - 그러나 아직은 동물가죽의 이용 더 많아

• 가락바퀴 - 다양한 모양 - 실을 감는 기구

비녀 , 삽입형 귀걸이고리식 결상이식 , 발찌 &팔찌치레걸이 , 대롱옥 , 조가비

• 의복이 신체를 보호한다면 장신구는 신체를 장식하는 것

• 개인의 신분과 지위 , 성을 의미

• 주술적 의미와 신앙

• 흙으로 빚은 여인 - 모계 중심 사회 - 다산과 풍교 기원

• 흙으로 빚은 얼굴 - 자연에 대한 두려움 ,경외심

• 흙으로 빚은 멧돼지 - 성공적인 사냥을 기원

Page 79: Korean neolithic remains

감사합니다

신석기 시대의 유적과 유물

발표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