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식품 시장의 할랄 인증제도 의무화에 따른 한국 기업의 대응...

24
한국이슬람학회논총, 제23-3집 한국이슬람학회, 2013, 33~56 이슬람 식품 시장의 할랄 인증제도 의무화에 따른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1) 엄 익 란* ◁ 목 차 ▷ Ⅰ. 들어가는 글 Ⅱ. 음식에 대한 이슬람의 윤리관과 할랄 식품 시장에의 적용 1. 음식에 대한 이슬람의 윤리관과 할랄 인증제도 2. 할랄 인증의 제도화에 따른 도전 과제 3. 할랄 식품 시장의 규모 및 동향 Ⅲ. 할랄 식품 시장의 부상 배경 분석 1. 구조적 측면에서 본 할랄 식품 시장 부상 배경 2. 문화적 측면에서 본 할랄 식품 시장 부상 배경 3. 경제적·정치적 측면에서 본 할랄 식품 시장 부상 배경 Ⅳ. 한국 기업의 현실과 대응 방안 1. 한국 기업의 현실 2. 할랄 시장 진입을 위한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Ⅴ. 결론 * 단국대학교 GCC국가연구소 전임연구원

Transcript of 이슬람 식품 시장의 할랄 인증제도 의무화에 따른 한국 기업의 대응...

  • 한국이슬람학회논총, 제23-3집

    한국이슬람학회, 2013, 33~56

    이슬람 식품 시장의 할랄 인증제도 의무화에 따른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1)

    엄 익 란*

    ◁ 목 차 ▷

    Ⅰ. 들어가는 글

    Ⅱ. 음식에 대한 이슬람의 윤리관과 할랄 식품 시장에의 적용

    1. 음식에 대한 이슬람의 윤리관과 할랄 인증제도

    2. 할랄 인증의 제도화에 따른 도전 과제

    3. 할랄 식품 시장의 규모 및 동향

    Ⅲ. 할랄 식품 시장의 부상 배경 분석

    1. 구조적 측면에서 본 할랄 식품 시장 부상 배경

    2. 문화적 측면에서 본 할랄 식품 시장 부상 배경

    3. 경제적·정치적 측면에서 본 할랄 식품 시장 부상 배경

    Ⅳ. 한국 기업의 현실과 대응 방안

    1. 한국 기업의 현실

    2. 할랄 시장 진입을 위한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Ⅴ. 결론

    * 단국대학교 GCC국가연구소 전임연구원

  • 34 한국이슬람학회논총 제23-3집

    Compulsory Application of Halal Certification on

    Islamic Food Market and counter-strategies of

    Korean companies

    Eum, Ik-Ran

    Dankook University

    There has recently been much global attention given to the emerging

    halal market. Halal market refers to the Shariah(Islamic law) compliant

    products and services, encompassing all economic activities related to food,

    clothing, tourism, finance and logistics. Among these fields of halal market,

    the food industry takes the largest portion, up to 661.5 billion USD a year

    and comprises 10~17% of the total global food market. With the expansion

    of halal food industry on a global scale, the issues of halal certification has

    become a central concern for international food companies to advance the

    market.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the halal food market and its recent

    trend, this study highlights underlying background of the emerging halal

    market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demographic structural,

    socio-cultural, politico-economic stance. Through the research findings,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to Korean food manufacturing companies various

    counter-strategies for entering the emerging Islamic market.

    ※ Key Words: Islam, Halal market, Islamic Ethics, Halal certification,

    Food

  • 이슬람 식품 시장의 할랄 인증제도 의무화에 따른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 엄익란 35

    Ⅰ. 들어가는 글

    최근 이슬람 할랄 시장에 대한 우리사회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할랄 시장이란

    이슬람법 샤리아에 부응하는, 즉 이슬람에서 허락하는 물건이나 서비스를 취급하는

    시장을 총칭한다. 할랄 시장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함께 국내 식품회사의 할랄 인

    증 취득에 대한 소식은 뉴스거리로 빈번히 다뤄지고 있다. 할랄 인증 취득에 대한

    최근 우리사회의 관심 배경에는 동남아 이슬람 시장 진출시 본 인증서 획득이 기존

    의 선택사항에서 의무사항으로 변경되는 추세와 일맥상통한다.

    지금까지 무슬림의 할랄 식품 소비는 제도적인 문제라기보다 종교 윤리적인 관

    점에서 접근되었기 때문에 인증제도에 대한 중요성은 상품수출에 부차적인 문제였

    다. 그러나 식품 산업의 세계화 결과 무슬림 국가와 비무슬림 국가사이에 식품 교

    역이 활발해 진 상황에서 무슬림들은 비무슬림 식품업체가 생산하는 음식의 주 소

    비자가 되었다. 글로벌 식품 시장에서 공급과 수요의 구조로 이슬람 국가에서는 자

    국 내 수입 제품에 대한 할랄 인증 취득이 중요한 요건이 되었다. 또한 식품 공급국

    의 입장에서도 수출 상품에 대한 신뢰 형성을 위해 인증서 획득이 불가피하게 되었

    다.

    이와 함께 전 세계적인 소비트렌드의 하나로 주목받는 ‘가치소비’가 무슬림 할랄

    시장에도 적용되면서 먹거리에 대한 무슬림의 의식도 이슬람의 윤리관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결과 현재 할랄 시장은 매년 20%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 중 음식시장은 규모면에서 적게는 5,500억 달러에서 많게는 6,615억 달

    러로 추정되고 있으며, 전체 글로벌 음식시장의 10~17%를 차지하고 있다. 할랄

    시장의 성장 잠재력과 중요성을 인지하면서 국내에서도 최근 들어 학계뿐만 아니

    라 한국법제연구원, KOTRA, aT농수산물 유통공사를 포함한 정부산하기관을 중심

    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 그러나 기존의 연구와 보고서들은 특정 국가

    1) 할랄 식품과 관련된 국내연구로는 송도영. 2011. “한국 내 이슬람(할랄) 음식의 소비방

    식과 공급체계에 대한 문화적 해석”.『한국중동학회논총』, 오명석. 2011. “이슬람적

    소비의 현대적 변용과 말레이시아의 할랄인증제: 음식, 이슬람법, 과학, 시장의 관계”.

    『한국문화인류학』, 임백빈,김경도,이성필. 2012. “서비스블루프린트를 적용한 할랄식

    한식당 구축 제안연구”.『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이희열,오문향,한태

    숙. 2013. “식품산업 수출 증대를 위한 할랄 SCM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호텔관광

    연구』이 있으며, 단행본으로는 엄익란. 2011.『할랄, 신이 허락한 음식만 먹는다』가

  • 36 한국이슬람학회논총 제23-3집

    를 중심으로 할랄 문화에 대한 인류학적 해석을 조명하거나 인증과 관련된 기술적

    인 문제들을 주로 다루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대 무슬림들의 할랄 제도의 근원을 이해하기 위해 음식에

    대한 이슬람적 윤리관을 재조명하며, 현대 산업사회에서 할랄 시장의 부상 배경을

    인구학적, 사회·문화적, 정치·경제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이제

    막 걸음마를 뗀 한국의 할랄 시장 진출 방향과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미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종교적 관점에서의 이슬람의 허

    용 또는 금지된 식품의 성분 규정에 대한 해석이나 인증절차에 대한 기술적인 제시

    는 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이슬람의 윤리적 관점에서 할랄 시장에 적용되는 무슬

    림의 문화코드를 연구한다는 학문적 의의뿐만 아니라 향후 그들을 대상으로 한 마

    케팅과 광고 산업에 접목될 수 있다는 면에서 그 실용적 의미를 찾아 볼 수 있다.

    Ⅱ. 음식에 대한 이슬람의 윤리관과 할랄 식품 시장에의

    적용

    1. 음식에 대한 이슬람의 윤리관과 할랄 인증제도

    이슬람의 관점에서 보면 먹는 것은 단순히 인간의 생존문제 이상의 의미를 지니

    고 있다. 코란2)의 “좋은 것을 먹고 올바로 행동하라(23장51절)”라는 구절이 암시

    하는 바처럼 무슬림에게 먹는 행위는 신을 숭배할 수 있도록 에너지를 보급하는 종

    교적인 행위로 이해할 수 있다. 무슬림에게 음식섭취가 종교적인 행위로 간주되는

    만큼 어떤 음식을 먹는가 또는 먹지 않는가는 무슬림 개인의 윤리적인 문제로도 간

    주되기도 한다. 음식에 대한 이슬람의 종교적 윤리는 허용된 ‘할랄(halal)’음식, 금

    지된 ‘하람(haram)’음식, 그리고 권장되지 않는 ‘마크루흐(makruh)’음식 규정에서

    시작되며, 무슬림들은 할랄 식품 섭취를 기본적인 의무사항 중 하나로 간주해 왔

    있다.

    2) 본문에 언급된 코란은 최영길(H.1422). 『성 꾸란: 의미의 한국어 번역』(파흐드 국왕

    꾸란 출판청)의 일부를 인용한 것이다.

  • 이슬람 식품 시장의 할랄 인증제도 의무화에 따른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 엄익란 37

    다.

    음식규정에 대한 무슬림의 윤리관은 크게 코란, 무함마드의 언행록인 하디스, 그

    의 동료들의 의해 규정된 선례들, 법학파들의 법해석과 유추에 의존하고 있다. 음

    식의 허용과 금지에 대한 코란의 구절 5장4절을 보면 할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

    의하고 있다.

    허락된 것이 무엇이냐 그대에게 묻거든 좋은 것들이라 말하라. 또한 하나

    님의 가르침에 따라 육식동물이 너희를 위해 사냥하여 온 것도 허락된 것

    이거늘 이는 하나님이 너희에게 가르친 것이라. 하나님의 이름을 염원하

    고 하나님을 두려워하라.

    반면 코란 2장173절은 금지된 음식에 대해서도 명확히 밝히고 있다. 그에 따르

    면,

    죽은 고기와 피와 돼지고기를 먹지 말라. 또한 하나님의 이름으로 도살되

    지 아니한 고기도 먹지 말라. 그러나 고의가 아니고 어쩔 수 없이 먹을

    경우는 죄악이 아니라 했거늘 하나님은 진실로 관용과 자비로 충만하심이

    라.

    이처럼 이슬람교는 태동 이래 무슬림이 일상생활에 지켜야 하는 규범을 제시함

    으로써 추상적이며 ‘신화(myth)’적인 수준의 윤리문제를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reality)’ 행동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지침을 제공해 왔다. 이와 관련해 템포럴

    (Temporal 2011)은 타 종교에 비해 무슬림 마케팅이 이슬람의 할랄 시장에서 중

    요한 현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유를 일상생활에 대한 이슬람법의 포괄적인 적용

    을 들고 있다.

    코란을 보면 표면적으로 음식과 관련해 무슬림들의 할랄과 하람에 대한 규율은

    명확해 보인다. 코란에서는 무슬림에게 섭취가 허용된 것과 금지된 것에 대한 구분

    이 분명하게 나타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대부분의 음식

    이 산업적으로 대규모로 생산되고 유전자 조작이나 식품 첨가제가 들어가는 음식

    들이 대중화 되면서 할랄과 하람에 대한 문제는 이슬람법의 새로운 해석이 불가피

  • 38 한국이슬람학회논총 제23-3집

    한 영역이 되어버렸다. 다시 말해 이슬람의 태동과 함께 규정된 음식문화에 대한

    현대사회에의 적용문제로 할랄 인증 획득은 음식에 대한 이슬람 윤리관 재정립이

    요구되는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게 된 것이다.

    2. 할랄 인증의 제도화에 따른 도전 과제

    현재 전 세계적으로 할랄 인증을 해 주는 기관은 각 국가의 종교기관과 민간

    기관을 포함하면 150여개에서 200여개가 산재해 있다. 영국만하더라도 자국

    내 인증기관이 20개 이상 존재할 정도이다(Association of Public Service

    Excellence in UK 2011). 이들 기관은 일반적으로 물품이나 서비스가 이슬람

    법인 샤리아에 준수하는지 여부를 서류와 실질적인 감사를 통해 할랄 인증을

    부여하고 있다. 이외에도 할랄 인증을 위한 기타 주요 요건으로는 품질의 우수

    성, 소비자의 안전성, 동물보호, 그리고 공정무역에 부합하는지 등이다(Sungkar

    & Hashim 2009). 그러나 할랄 인증에 대한 요건에 부합하더라도 국제적 교차

    인증이 제한되는 상황 속에서 이슬람 시장에 진출하는 업체는 각 지역에 따라

    달리 적용되는 할랄 인증을 따로 받아야 한다. 이와 같은 할랄 시장 파편화의

    배경에는 할랄 인증기관의 샤리아 법에 대한 해석차이, 종파와 지역의 관습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공인된 할랄 인증기관은 말레이시아의 ‘자킴(JAKIM)’과

    브루나이의 ‘브루나이 할랄(Bruneihalal)’, 미국의 ‘이판카(IFANCA)’, 독일의

    ‘할랄 콘트롤(Halal Countrol EU)’, 이태리의 ‘할랄 이탈리아(Halal Italia)’, 남

    아공의 ‘남아공 국립 할랄 당국(South African National Halal Authority)’, 터

    키의 ‘스믹(SMIIC)’, 파키스탄의 ‘합(HAP)’등이 있다.

    할랄 인증 제도의 파편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 움직임은 말레이시아, 인

    도네시아, 브루나이를 포함한 동남아 이슬람 국가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이들

    국가는 할랄 시장에 대한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한 목적으로 통합된 할랄 인증

    제도를 구축해 의무적 적용을 추진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경우 2011년부터

  • 이슬람 식품 시장의 할랄 인증제도 의무화에 따른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 엄익란 39

    발효된 에 따라 모든 수입식품 또

    는 상품은 말레이사시아의 공식 할랄 인증 기관인 자킴으로 부터 할랄 인증을

    받거나, 자킴이 인정한 외국의 할랄 인증기관으로부터 할랄 인증을 받아야 자

    국 내 판매가 가능하다.3) 이를 어길 경우 벌금이나 징역형을 구형하는 법을 시

    행한다(산업통상자원부 2011). 할랄 인증 제도의 의무화는 다른 무슬림 국가에

    도 확산되는 추세이다. 인도네시아는 2009년부터, 모로코는 2010년부터 시행

    되기 시작했으며, 아랍에미리트도 2014년부터 할랄 상표 등록과 관련된 법령

    을 시행할 예정이다(KOTRA 2013년5월31일).

    할랄 인증 제도가 종교윤리의 문제에서 국가의 제도적 차원으로 구축되는 문

    제를 놓고 비 아랍 국가와 아랍 국가간 패러다임 경쟁문제도 주목해야 할 이슈

    로 등장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 표준원인 이스마(ESMA: The Emirates

    Authority for Standardization and Metrology)에서는 이슬람 협력기구

    OIC(The Organization of the Islamic Coperation)에 가입한 57개국에서 인정

    받으면서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하나로 통합된 할랄 인증 제도를 2015년까지

    구축하기 위해 국가적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통합적인 할랄 제도의 도입으로

    아랍에미리트는 할랄 인증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30~50%가량 감소할 수 있다

    고 예상하고 있다(Gulfnews 2012년12월10일). 그러나 할랄 인증을 획득했더

    라도 할랄 인증에 대한 유효기간이 1년이나 2년에 지나지 않아 이를 주기적으

    로 갱신해야 한다는 점, 인증절차가 까다롭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기술과 비용

    면에서 할랄 시장 접근은 여전히 난제로 남아 있다. 할랄 시장 진입과 관련된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할랄 인증에 대한 관심이 끊이지

    않는 이유로는 매년 성장세를 거듭하는 할랄 시장의 규모에 있다.

    3) 현재 말레이시아는 46개국의 74개 이슬람 기관에 대한 할랄 인증을 인정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일본은 ‘일본 무슬림 협회(Japan Muslim Association)’와 ‘일본 할랄 협회(Japan Halal

    Association)’등 2개 기관에서 국제적 교차인증이 인정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이슬람사원

    중앙회는 제외되고 있다. 이는 한국이슬람사원의 할랄 인증으로는 국제 할랄 시장 진출에 미흡하

    다는 것을 시사한다(Department of Islamic Development Malaysia JAKIM 2013).

  • 40 한국이슬람학회논총 제23-3집

    3. 할랄 식품 시장의 규모 및 동향

    지난 10년간 할랄 식품 시장은 빠르게 성장해 그 규모는 6515억 달러에 이르고

    있다. 글로벌 할랄 식품 시장의 규모는 전체 식품시장의 17%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성장세가 예측되고 있다(Agri-Food Trade Service 2011). 할랄 시장의

    성장 동력으로는 - 다음 장에서 자세히 다루겠지만 – 무슬림 인구수의 증가,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가치 소비의 부상, 다국적 기업의 새로운 욕구 창출, 국가적

    차원의 할랄 인증 제도화 구축 및 의무 적용 추진 등을 들 수 있다. 전 세계 할랄

    식품 시장은 2004년과 2010년 사이 약 12.6%의 성장을 보였으며, 지역적 분포 면

    에서는 무슬림 인구수가 가장 많은 아시아와 중동 지역(4161억 달러)에 집중되어

    있다. 그 다음으로는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지역(1534억 달러)-유럽(670억 달러)-

    미국(162억 달러)순서이다.

    글로벌 무슬림 인구수 대 할랄 시장규모 (2010년)4)

    출처: Pew Research Forum 2012,

    http://www.pewforum.org/global-religious-landscape-muslim.aspx

    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 2011,

    http://www.ats-sea.agr.gc.ca/inter/5763-eng.htm

    4) 지난 2010년 퓨 포럼(Pew Forum)에 의하면 무슬림인구수는 총 16억, Global

    Pathfinder Report에 의하면 할랄 시장 규모는 6515억 달러이다.

  • 이슬람 식품 시장의 할랄 인증제도 의무화에 따른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 엄익란 41

    주지할 만한 사항은 지도와 아래 도표에 나와 있는 바처럼 할랄 시장이 지역적

    으로 중동 이슬람 지역의 무슬림 소비시장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 규모면에서

    는 차이가 있지만 - 전 세계적인 현상이라는 점이다. 이를 반증하듯 말레이시아 할

    랄 산업 발전 협회(Halal Industry Development Corporation of Malaysia)에 의

    하면 할랄 육류는 전체 육류 유통규모의 10%를, 가공식품과 비알코홀 식품시장의

    35%를 차지하고 있다(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 2011).

    전 세계 할랄 식품시장 지역별 규모(US억 달러)

    지역/년도 2004년 2005년 2009년 2010년

    아프리카 1369억 1395억 1503억 1534억

    아시아 3696억 3758억 4001억 4161억

    GCC5) 384억 395억 438억 447억

    인도네시아 729억 739억 776억 785억

    중국 185억 189억 208억 212억

    인도 218억 221억 236억 240억

    말레이시아 66억 69억 82억 84억

    유럽 643억 644억 666억 670억

    프랑스 164억 165억 174억 176억

    러시아 207억 208억 217억 219억

    영국 34억 35억 41억 42억

    오세아니아 11억 11억 15억 16억

    북미지역 153억 155억 161억 162억

    미국 123억 125억 161억 162억

    캐나다 14억 15억 18억 19억

    전체규모 5872억 5961억 6345억 6615억

    (출처: 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 2011)

    할랄 시장이 비무슬림 사이에서도 주목받는 이유로는 할랄 인증의 까다로움을

    들 수 있다. 할랄 인증은 위해 요소 관리기준인 해썹(HACC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6), 지엠피(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7), 아

    5) 걸프협력협의회(Gulf Cooperation Council)로 불리는 GCC국가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아

    랍에미리트, 바레인, 쿠웨이트, 오만과 카타르가 포함되어 있다.

    6) 식품의 원재료 생산에서 부터 최종소비자가 섭취하기 전까지 각 단계에서 위해물질이

  • 42 한국이슬람학회논총 제23-3집

    이에스오(ISO: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8)의 기준을 상회하는

    엄격한 검증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비무슬림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할랄 인증 식품

    은 안전하고 위생적이라는 인식이 있다. 게다가 할랄 식품은 공정 무역과 동물 실

    험을 하지 않기 때문에 윤리적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에게도 매력적이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할랄 인증은 종교적인 문제 뿐만 아니라 청결, 건강, 웰빙에

    대한 현대 사회의 보편적인 가치를 반영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가공식품과 유전

    자 변형식품, 각종 첨가제가 난무하는 현대 식품산업의 현실 속에서 할랄 시장의

    소비현상은 무슬림의 종교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건강과 ‘웰빙(well-being)’이라는

    21세기 세계인들의 문화 코드와 부합하는 것이다.

    할랄 시장의 지역별 특성으로는 중동 지역을 포함한 아시아의 할랄 시장이 규모

    면에서는 가장 크다. 중동지역의 경우 대부분의 식량을 해외수입에 의존하며 인구

    구성이 대부분 무슬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중동지역 중 걸프지역 산유국인

    GCC국가는 유가상승으로 인한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수입이 더욱 증대될 예정이

    다.9) 이들 국가는 경작 가능한 토지의 부족과 인구증가의 원인으로 음식의 90%이

    상을 수입에 의존해 왔으며 특히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는 GCC국가 전체 할랄 수

    입액의 75%를 차지할 정도로 큰 시장이다.10) 반면 아시아 시장의 경우 무슬림 인

    구수가 많은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할랄 시장 성장이 주목할 만하다. 비록 동

    남아시아 할랄 시장은 식량의 수입 면에서 그 규모는 작지만 할랄 국제 허브를 목

    표로 국가차원의 할랄 인증 제도를 구축하기 때문에 할랄 식품 시장의 중간 유통지

    해당식품에 혼합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관리 시스템이다.

    7) 품질이 고도화된 우수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한 여러 요건을 구체화한 것으로 원료의 입

    고에서부터 출고에 이르기까지 품질관리의 전반에 지켜야 할 규범이다. 현대화·자동화

    된 제조시설과 엄격한 공정관리로 의약품 제조공정상 발생할 수 있는 인위적인 착오를

    없애고 오염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정성이 높은 고품질의 의약품을 제조하는 데 목적이

    있다.

    8)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의 약어로 표준화(standardization)를 위한

    국제 위원회이며, 각종 분야의 제품과 서비스의 국제적 교류를 용이하게 하고, 상호 협

    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9) AT Kearney에 의하면 GCC지역 거주민들은 인구증가와 수입의 증가로 2017년까지 식

    품수입에 1060억 달러로 지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MENAFN 2013년3월5일).

    10) 사우디의 경우는 경작 가능한 땅은 없는 반면 인구증가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이슬

    람성지 순례여행을 기반으로 하는 여행의 증가로, 그리고 UAE의 경우는 중동아프리카

    지역의 식품산업 제조와 유통의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Halal Focus

    2013년2월26일).

  • 이슬람 식품 시장의 할랄 인증제도 의무화에 따른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 엄익란 43

    로 잠재적 성장이 예측되고 있다. 아시아국가 중 싱가포르, 태국, 브루나이, 파키스

    탄과 필리핀도 할랄 시장의 인증제도 구축과 물류센터의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유럽의 경우 1인당 높은 수입과 무슬림 인구수 증가로 할랄에 대한 구매력이 높

    아지고 있다. 유럽 국가 중 무슬림 인구수가 많은 동유럽(알바니아의 83%; 보스니

    아 헤르체고비나 41%; 코소보 92%; 마케도니아 35%; 러시아 12%), 프랑스와 영

    국이 할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유럽시장의 주목할 만한 현상은 안전한 음식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 때문에 윤리적이고 위생적인 식품을 취급하는 할랄 시장이 비

    무슬림에게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사하라 이남지역 아프리카의 경우 수입이 적기 때문에 구매력도 떨어지지만 무

    슬림 인구가 전체 무슬림 인구의 15.5%를 차지하며 젊은 계층이 많기 때문에 향후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북미지역의 무슬림 인구수는 타 지역에 비해 작지만 이 지

    역의 할랄 시장 역시 점진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 미국에 거

    주하는 무슬림의 구매력은 2000억 달러 규모수준이며, 이는 1인당 약25,000달러

    에 해당하는 규모이다(Masud 2010).

    할랄 식품 시장의 주요 공급 국가들로는 브라질,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 프랑

    스, 호주, 네덜란드, 뉴질랜드로 실질적으로 할랄 식품을 취급하는 80%는 서구 국

    가이다. 아시아에서는 비 이슬람국가 중 태국이 최고의 할랄 식품 공급국이며, 이

    슬람 국가 중에서는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가 최고의 공급국이다(Halalfocus

    2013년2월17일). 품목별로는 호주와 뉴질랜드가 인도네시아 시장에 육류를 주로

    제공하며, 미국과 유럽 연합은 아랍 걸프 지역과 주로 거래하는 반면 브라질은 중

    동지역에 가금류와 소고기를 제공하고 있다. 브라질 산 할랄 가금류와 육류는 각각

    할랄 시장의 33%와 40%를 차지한다. 브라질은 육류뿐만 아니라 중동 지역에 할랄

    커피, 초콜릿, 비스킷에 제공하는 주요 공급 국가이다. 그밖에 터키 역시 유럽과 아

    시아를 잇는 지리적 이점과 이슬람 국가라는 종교적 정체성을 부각시켜 주요 할랄

    식품 공급지로 부상하고 있다.

  • 44 한국이슬람학회논총 제23-3집

    Ⅲ. 할랄 식품 시장의 부상 배경 분석

    1. 구조적 측면에서 본 할랄 식품 시장 부상 배경: 인구 구조의 변

    화와 할랄 소비 시장의 확대

    전 세계 음식시장의 17%를 자치하는 할랄 시장 부상의 가장 큰 요인으로는 무

    슬림 인구수의 증가와 이들의 구매력 향상을 들 수 있다. 현재 무슬림 인구수는 전

    세계 약57개국에 많게는 약16억, 적게는 약13억이 분포되어 있다. 전 세계 무슬림

    인구수는 향후 점차로 증가해 10년 후가 되면 전 세계 인구의 약 30%를 차지할 것

    으로 추정되고 있다.11) 유엔(UN)의 자료에 따르면 1950년 이래 지난 반세기 동안

    무슬림 인구는 약4배 증가했다(Roudi-Fahimi and Kent 2008). 통계에 의하면 무

    슬림 평균 자녀수는 1960년대 7명에서 2006년 3명으로 감소하긴 했으나 여전히

    다른 문화권에 비해 평균 자녀수는 많은 편에 속했다. 그러나 퓨 포럼(The Pew

    Forum 2011)의 통계에 의하면 향후 무슬림 인구수는 전 세계적인 저출산 추세 속

    에서 줄어들 것으로 보이며, 그 수는 2010-2015년 무슬림 국가에서는 2.9명, 비무

    슬림 개발도상국가에서는 2.3명, 중도 국에서는 1.6명으로, 2020-2025년에는 각

    각 2.6명, 2.3명, 1.7명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The Pew Forum 2011).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비 시장 측면에서 접근할 때 무슬림의 잠재적 소비력에 주

    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 전 세계 무슬림 인구수 중 약 50%가 25세 미만으

    로 이들은 전 세계인구의 약11%를 차지하고 있다. 고령화와 세계경제의 재편과 관

    련해 매그너스(Magnus, 2008)는 『노령화 시대: 인구구성이 글로벌 경제와 우리

    세 계에 미치는 영향(The Age of Aging: How Demographics are changing the

    Global Economy and our world)』에서 전 세계가 고령화로 인한 저성장의 위협

    에 처할 때 비교적 젊은 인구수가 많은 인도, 중동, 아프리카가 향후 발전가능성이

    가장 많은 지역임 주장하고 있다. 이는 바꿔 말하면 젊은 소비자층이 많은 무슬림

    시장이 세계의 주요 시장으로 부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1) 무슬림 인구수가 증가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는 개종과 출산율이다. 이슬람교에서는 낙

    태를 권장하지 않으며 자녀를 많이 출산하는 것을 미덕으로 보고 있다. 이런 이유 때

    문에 전통적으로 무슬림 여성에게는 조혼이 권장되어 왔으며 출산능력과 자녀수는 여

    성성의 상징이 되었다.

  • 이슬람 식품 시장의 할랄 인증제도 의무화에 따른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 엄익란 45

    인구구성이 소비 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유로모니터(Euromonitor)의

    2012년 자료에 의하면, 2012년 30세미만 인구는 전세계 인구의 50.5%로 이들 대

    부분은 개발도상국인 중동과 아프리카, 인도에 집중되어 있다(2013년2월13일). 이

    보고서에 의하면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 젊은이들의 소비 패턴은 세계적 소비 패턴

    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젊은 노동 가능 인구의 증가는 곧 가

    처분 소득의 증가와 잠재적 소비력의 향상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UN도 이들을 “세

    계를 재편할 새로운 글로벌 파워(new global power reshaping world)”로 지칭한

    바 있다(The Pew Forum 2011). 무슬림 젊은 인구수 증가가 소비 패턴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도 중동 지역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목격할 수 있다. 일례로 북아프리

    카 출신의 무슬림 이주민을 뜻하는 ‘베르베르’인과 ‘브르조아’의 합성어인 프랑스의

    ‘뵈르주아’라는 용어 역시 무슬림의 소비력을 반영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연합

    뉴스 2010년4월4일).

    2. 문화적 측면에서 본 할랄 식품 시장 부상 배경: 가치 소비의 부

    상과 할랄 시장 확대

    이슬람의 종교적 윤리와 현대의 소비행위는 종종 양립할 수 없는 가치로 여겨져

    왔다. 왜냐하면 이슬람 전통주의나 극단주의 관점에서 서구에서 탄생한 현대식 소

    비문화는 물질주의와 개인주의를 양산하고 숭고한 이슬람의 전통적 가치를 훼손하

    는 서구문화를 상징하기 때문이다(Gokariksel & McLarney 2010). 그러나 아이러

    니하게도 이슬람교의 교리와 이행은 상업화의 형태를 빌러 점점 더 그 영역을 확장

    해 왔으며, 지금은 할랄 시장이나 여행 산업, 금융전반에 걸쳐 적용되고 있다. 게다

    가 이러한 상품과 소비 행태를 통해 무슬림의 정체성 형성은 더욱 공고해 지고 네

    트워크 또한 강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슬람 할랄 시장의 부상 배경에는 무슬림들의

    소비 패턴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회귀현상’을 들 수 있다. 현재까지는 갑작스럽게

    급부상하는 무슬림의 할랄 시장을 특수현상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는 특수한 현상이라기보다 글로벌 소비시대의 일반적인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

    다.

    이와 관련해 드 무이(De Mooij)는 『글로벌 브랜드 커뮤니케이션(Globlal

  • 46 한국이슬람학회논총 제23-3집

    Marketing and Advertising)』에서 “사람들의 교육수준이 높아지고 부유해질수록

    사람들은 그들의 문명의 정체성에 보다 더 관여(2007, 57)”하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즉 의식주와 같은 생존문제가 해결되고 어느 정도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수준

    에 도달하면 사람들은 보다 높은 수준의 충족되지 못한 욕구에 다다르게 되는데 드

    무이에 따르면 이때가 문화적 가치가 드러나는 순간이며, 제품과 브랜드에서 문화

    적 선택을 하는 ‘수렴’현상으로 도출된다는 것이다.

    소비문화에서 나타나는 문화수렴현상은 무슬림 소비시장에서도 나타난다.12) 이

    슬람 역내에서는 - 특히 걸프지역의 두바이를 중심으로 - 유가상승으로 인한 경제

    적 수혜 덕에 이슬람의 정체성에 기반을 둔 국가 브랜드를 구축할 수 있었으며, 역

    외에서는 무슬림의 정체성을 자극하는 다국적 기업의 마케팅이 원동력이 되었다.

    무슬림의 종교정체성에 기초한 할랄 마케팅은 자신들만을 위한 소비재에 목마른

    무슬림의 소비욕구를 자극했다. 최근 이슬람 사회에서 서구 소비문화를 수용하면서

    동시에 의복, 음식, 영화, 잡지, 음료 등에 종교적 규범을 적용하는 이슬람식 소비

    가 출현한 것도 바로 이런 배경 때문이다. 같은 맥락에서 코코슈카(Kokoschka)는

    무슬림 소비자들이 이슬람식 소비를 통해 자신의 소비행동에 정당성을 부여하며

    동시에 자신의 종교적·문화적 정체성을 재창출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즉 무슬림에

    게 이슬람 식 소비는 ‘구체화된 도덕적인 행동(materialized moral performance)’

    을 표출하는 또 다른 종교적인 행위인 것이다. 결국 할랄 시장의 부상은 이슬람과

    세속적인 자본주의 소비문화의 양립 가능성을 제시한다(재인용, 엄익란, 2011).

    3. 경제적·정치적 측면에서 본 할랄 식품 시장 부상 배경: 보호무역

    과 다국적 기업의 새로운 욕구의 창출

    할랄 인증이 최근에는 점차 보호무역의 형태를 띠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일례로 2009년 인도네시아는 도축과정이 이슬람법인 샤리아에 부합하지

    12) 그에 대한 배경으로 헤레라(Herrera)와 바야트(Byat)(2010)는 9.11 사건을 지목하고

    있다. 높은 교육수준으로 정치문제에 민감한 젊은이들은 9.11을 겪으면서 한 나라의

    국민이기보다 정치·문화·종교적인 공감대를 형성해 글로벌 무슬림으로서의 정체성을

    우선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9.11세대’라고 불리는 이들은 인터넷과 휴대전화,

    SNS등 최첨단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이용해 서로 연결되어 ‘글로벌 무슬림’이라는 새로

    운 문화적 정체성을 창출하고 있는데 이는 유럽에서 더욱 확연히 드러난다.

  • 이슬람 식품 시장의 할랄 인증제도 의무화에 따른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 엄익란 47

    않는다는 이유로 뉴질랜드 산 쇠고기 수입에 대한 전면 금지 조치를 취한바 있다.

    종교적인 이유를 앞세워 쇠고기 수입 거부에 대한 정당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할랄 시장이 보호무역의 형태를 띠는 또 다른 예로는 말레이시아를 들 수

    있다. 말레이시아 역시 앞서 언급한 바처럼 할랄 인증을 받지 않는 상품에 대한 수

    입 허가를 내 주지 않을 것이라고 선포한 바 있다. 이와 같이 할랄 무역에 대한 관

    리와 적용은 전 세계적인 추세로 확대되고 있다. 할랄 인증은 표면적으로는 종교문

    제처럼 인식될 수 있지만 그 이면으로는 자국의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무슬림 국가

    들의 새로운 전략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게다가 개인의 종교적 윤

    리 문제를 국가적 제도차원에서 관리·감독함으로써 인증기관은 이전에는 없던 새

    로운 영역에서 경제적 수입을 창출할 수 있게 되었다. 할랄 인증제도는 이제 종교

    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정치적·경제적 문제로 비화될 여지가 생긴 것이다. 결국 지

    적재산권이나 특허권과 같은 역할을 하는 할랄 인증은 자유무역시대에 윤리적인

    ‘신의 말씀’으로 위장한 새로운 정치·경제적 ‘무기’로 등장하게 될 가능성을 제시한

    다.

    세계화라는 글로벌 경제구조 외에도 다국적 기업의 새로운 욕구 창출도 할랄 시

    장 확대에 한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네슬레(Nestle)와 같은 다국적 기업은 할랄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예견하면서 일찌감치 이 시장에 뛰어들었다. 네슬레는 1992

    년부터 할랄 제품 개발을 시작해 할랄 시장의 새로운 소비자로 부상하는 무슬림의

    소비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샤리아 법에 부합하는 각종 물품과 서비스를 출시해 왔

    다. 네슬레와 같은 친 할랄 상품 브랜드를 출시하는 회사들은 상품을 종교적 가치

    로 포장해 무슬림의 종교심을 자극하고 있다. 다시 말해 다국적 기업들은 무슬림의

    새로운 ‘필요성(needs)’를 자극함으로써 그들의 종교적 소비 행태를 부추기고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무슬림들 사이에 인지도가 높은 상품의 브랜드는 90% 이상이

    서구 브랜드라는 점은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네슬레 외에도 대표적인 친 이슬람 할랄 브랜드로는 립톤(Lipton), 네스카페

    (Nescafe), 크래프트(Craft), 프링글스(Pringles), 세븐업(Sevenup), 콜게이트

    (Colgate) 등이 있다(Ogilvy & Mather 2010). 이들 기업은 할랄 제품의 소비를 통

    한 종교적 경건성을 강조하면서 무슬림의 종교적 소비행태에 부합하는 소비행위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 48 한국이슬람학회논총 제23-3집

    Ⅳ. 한국 기업의 현실과 대응 방안

    1. 한국 기업의 현실

    우리나라에서 할랄 인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를 중

    심으로 시작된 할랄 인증제도의 의무화와 관련 있다. 앞서 언급한 바처럼 대부분의

    국가에서 할랄 인증제도는 그동안 종교 윤리문제로 취급되어 왔다. 따라서 할랄 인

    증은 국가차원의 제도화를 통한 통합적 관리 대신 지역의 사원이나 종교 관련 기관

    에서 담당해 왔다. 그러나 인증제도에 대한 전 세계적 통합 움직임과 이슬람 시장

    내 비할랄 인증 제품에 대한 배타성이 가속화 되면서 우리 기업에도 할랄 인증은

    이제 필수사항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할랄 인증은 해외시장 진출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한류의 영향으로 국내로 유입되는 무슬림 관광객 수와 무슬림 유학생 수를

    감안해 국내 몇몇의 대학식당(한양대, 단국대, 선문대), 병원(삼성병원), 관광지의

    식당에서는 할랄 음식점과 기도소가 속속 들어서고 있다. 그러나 국내 기업의 할랄

    시장의 변화에 대한 대응 자세는 여전히 부진하다.

    우리나라 기업의 할랄 인증 식품은 2010년 ‘대상(주)’을 필두로 시작되었고,

    2012년 서울 푸드(Seoul Food)에 의하면 아직 220여 개 제품에 불과하다

    (KOTRA 2013년5월18일). 이는 아직 해외 기업들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

    다. 현재까지 농심의 신라면, 롯데제과와 오리온의 과자류, 남양유업의 우유, CJ제

    일제당 등 87개사가 할랄 인증을 취득해 이슬람 국가에 수출하고 있다. 이중 대상,

    롯데제과, 농심, 오리온 제품은 인도네시아와 인도에서 할랄 인증을 받은 것이며,

    2013년 CJ그룹이 자사제품 3개의 공장과 30개종의 제품-햇반, 김치, 조미김-에

    자킴의 인증을 받은 바 있다.

    비록 국내 기업의 할랄 시장 진출은 해외 기업에 비해 다소 늦어졌으나 최근 코

    트라, 무역협회, 대한상공회와 같은 정부산하기관에서는 할랄 인증에 대한 홍보를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그 결과 국내 기업의 할랄 인증에 대한 인식은 점차

    폭넓어 지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의 고무적인 현상은 현정부하에 시행중인 ‘골목

    상권’ 보호를 위해 출점제한에 걸린 SPC의 파리바게트가 국내 이슬람 사원에서 인

    증한 할랄 마크로 중국시장에 진출해 소비자 계층을 넓히고 있다는 점이다(토마토

  • 이슬람 식품 시장의 할랄 인증제도 의무화에 따른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 엄익란 49

    뉴스 2013년2월21일).

    2. 할랄 시장 진입을 위한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할랄 시장 진입을 위한 한국 기업의 진출전략 및 대응 방안은 크게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이슬람의 할랄 시장 진출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 기본

    적인 요건은 이슬람 윤리관의 시장 적용 사례연구를 통한 신뢰구축을 들 수 있다.

    이슬람의 윤리관에서는 정의를 기반으로 가치의 극대화를 허용하지만 타인에 대한

    기만과 속임을 금지하고 있다(Hassan, Chach and Latiff 2008, 28). 이슬람 물품

    을 취급하는 회사의 경우 할랄 제품에 대한 거짓된 홍보로 이슬람 시장의 신뢰를

    져버린 일이 종종 벌어지고 있다. 일례로 미국의 디트로이트 지역의 한 맥도널드

    매장에서는 2011년 9월 구입한 할랄 치킨 샌드위치에 대한 허위광고 혐의로 2013

    년 1월 지역 무슬림 공동체에 70만 달러를 지급판결을 받은 바 있다

    (Miciganjournal 2013년1월29일). 또한 2013년 1월에는 중국 신장의 한 회사는

    말레이시아로부터 수입된 상품에 대한 가짜 할랄 마크를 붙여 판매해 중국내 위구

    르 무슬림들이 격분을 사기도 했다(Halal Foucs 2013월1월21일). 이와 같은 신뢰

    의 상실에 대한 파장은 동질적인 종교적 윤리관을 공유하는 무슬림 시장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다.13)

    둘째, 국제 할랄 인증제도의 패러다임 다툼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 지

    금까지 국내 기업은 인증 제도의 편의를 위해 한국 이슬람교 중앙회에서 인증을 받

    아 해외로 진출해 온 사례들이 많다. 그러나 한국의 할랄 인증의 경우 국제적 인지

    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지리적·문화적으로 접근성 있으면서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할랄 인증에 대한 기술적 습득이 글로

    벌 할랄 시장 진출에 더욱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향후 할랄 인증 시장의

    표준화와 함께 염두에 둘 사항은 아랍에미리트의 인증 표준제도 구축이다. 아랍에

    미리트는 최근 비 아랍권 할랄 인증제도 표준화 움직임에 자극받아 뒤늦게 이 시장

    에 뛰어들었다. 향후 할랄 인증제도는 아랍과 비 아랍이라는 할랄 인증제도의 패러

    13) 그밖에도 할랄 식품 인증제도와는 거리가 있으나 2005년 무함마드를 테러리스트로 묘

    사한 한 덴마크 일간지의 만평사건으로 덴마크 유제품 회사인 아를라(Arla)에 대한 무

    슬림의 보이콧 사건과 1997년 나이키사의 ‘알라’로고 사건을 들 수 있다.

  • 50 한국이슬람학회논총 제23-3집

    다임 갈등문제로 대두될 가능성이 있으며, 그로인한 우리 기업의 진출 전략에 미치

    는 영향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어느 한 기관의 할랄 인증제도에 대한 전적

    인 의지보다는 지역적으로 진출하기 유리한 할랄 인증을 조사해 인증제도의 지역

    화를 추구하는 것도 현명한 진출전략이라 할 수 있다. 일례로 네슬레의 경우 지역

    적으로 다양화된 할랄 인증 제도를 활용해 오히려 성공적인 마케팅을 구현하고 있

    다. 네슬레는 표준화된 할랄 인증 로고를 채택하는 대신 인증제도의 파편화를 역이

    용해 각 이슬람 시장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은 할랄 인증을 개별적으로 획득함으로

    써 지역화에 성공을 거둔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셋째, 할랄 시장의 확장으로 인한 유통구조망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 기존 할랄

    시장은 지역의 에쓰닉(ethnic) 시장 중심으로 발달하다가 최근 수요가 많아짐에 따

    라 유럽에서는 소매점이나 대형마트에서 할랄 식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기 시작했

    다. 할랄 시장의 유통구조의 대형화·전문화와 함께 마트에서는 이미 조리된 음식

    (ready-to-eat)도 선보이고 있다. 유럽 국가에서는 프랑스와 영국, 그리고 네덜란

    드를 포함해 대형 슈퍼마켓에서는 이미 할랄 식품 전문 코너가 등장하기도 했다.

    또한 할랄 음식점이 가맹점(franchise) 형태로 운영되면서 소비자들은 즉석식품

    (fast food)나 포장음식(take away)을 좀 더 손쉽게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

    보수적인 무슬림 사회인 걸프국가에서조차 외국인 노동자를 자국민으로 대체하려

    는 ‘노동력의 자국민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여성의 사회진출을 독려하고 있다. 여성

    의 사회참여가 늘어나는 분위기 속에서 포장이나 조리음식은 향후 할랄 시장의 새

    로운 블루오션 영역으로 부상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넷째, 할랄 인증을 통한 가격상승에 대한 고민과 이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 이

    슬람 시장의 할랄 인증에 대한 의무화 움직임으로 기업들은 수출을 위해 많은 시간

    과 비용 부담하게 되었다. 할랄 제품은 하람 제품과 생산-가공-저장-포장-유통 전

    과정이 분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용 생산 라인을 구축해야 하며 생산된 물품을 따

    로 관리해야 하는 전용 물류 센터도 마련해야 한다. 게다가 할랄 인증을 받기 위한

    서류 준비 과정으로 들어가는 시간적 소모(적게는 3개월에서 6개월, 길게는 1년에

    서 2년)와 신청 비용(현재는 완성품의 성분 각각에 인증을 따로 해야 하는 시스템

    과 공장 당 인증을 받는 방식 두 가지가 있다)발생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

    이 크다. 다시 말해 그동안 없던 새로운 영역인 할랄 인증에 드는 제반 비용 발생은

    고스란히 소비자의 몫으로 부담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할랄 인증을 받

  • 이슬람 식품 시장의 할랄 인증제도 의무화에 따른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 엄익란 51

    고 중국에 진출한 파리바게트가 현지에서 비 할랄 제품보다 1.5배가량 비싼 가격으

    로 팔린다는 점을 감안할 때 할랄 시장을 계층, 나이, 성별, 학력 수준 등을 고려해

    차별적으로 진입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국내 무슬림 소비자를 겨냥한 할랄 시장의 경우 할랄 상표 병행 표

    기문제가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국내 무슬림 유동인구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현

    재 이들이 이용할 수 있는 할랄 음식점의 수와 음식에 대한 정보 면에서 국내시장

    은 상당히 제한적이다. 이와 관련해 국내 기업들이 할랄 상표를 취득했음에도 불구

    하고 국내에서는 할랄 인증에 대한 표기 병행을 금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소비자

    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은 범위 내에서 국내 무슬림들이 할랄 인증 식품에 대한 정

    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고안되어야 할 것이다. 일례로 일본의 경우 스마트폰 할

    랄 앱 개발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최근 개발된 이 앱을 통해 사용자는 할

    랄 식품을 자유롭게 구매할 수 있으며 자신과 가까운 할랄 식당에 대한 정보도 실

    시간 얻을 수 있다.

    Ⅴ. 결론

    전 세계 할랄 식품 시장의 규모가 확대되는 가운데 다국적 기업들은 이 시장의

    주요 소비자인 무슬림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상품들을 속속 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 추세에 부응하고 틈새시장 개척을 위해 우리나라 기업들도 할랄 시장 입성

    에 많은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기업의 할랄 시장에 대한 진입에 대한

    인식과 진출은 아직 초보적인 단계이다. 또한 본격적인 할랄 시장 진출에 필요한

    인증절차의 까다로움과 할랄 전용 라인 구축에 드는 막대한 비용 역시 걸림돌로 작

    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는 전 세계 무슬림 인

    구수와 무슬림 소비자의 구매력 향상을 고려할 때 이슬람 할랄 시장은 우리에게 더

    이상 틈새시장이 아니라 향후 주요 전략시장으로 떠오를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대 무슬림들의 할랄 제도의 근원을 이해하기 위해 음식에 대

    한 이슬람적 윤리관의 현대적 재해석을 조명하면서, 할랄 시장의 부상 배경을 인구

    구조적, 사회·문화적 그리고 정치·경제적 관점에서 분석했다.

  • 52 한국이슬람학회논총 제23-3집

    국제적 할랄 시장의 부상 배경은 크게 무슬림 인구수 증가의 측면에서 본 소비

    계층의 인구구조 변화, 무슬림 가치소비의 부상, 할랄 인증제도의 도입과 의무적

    시행 등이 있다. 이러한 국제적 요구에 부응하고 할랄 시장에서 성공적 진출을 위

    해 우리 기업은 첫째, 이슬람 윤리관의 시장에의 적용 사례연구를 통한 신뢰구축을

    우선적으로 해야 한다. 특정지역의 이슬람 소비자에 대한 허위광고나 기만은 동질

    적인 종교적 윤리관을 공유하는 전 이슬람 시장으로 확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

    째, 네슬레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 국제 할랄 인증제도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인증

    제도의 파편화와 지역적인 현상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 셋째, 할랄 시장

    의 확장으로 인한 유통 구조망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 참여로 인한 새로운 식품 시

    장의 트렌드를 읽어야 한다. 넷째, 할랄 인증에 드는 비용부담 상승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며, 할랄 시장에 대한 계층, 나이, 성별, 학력수준을 고려한 차별적 진출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국내 할랄 시장 역시 새로운 관심시장으로 주목해야 하며,

    기업에서는 할랄 식품에 대한 정보를 국내 무슬림 소비자에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

    요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 외에도 염두에 둘 사항은 성장하는 할랄 시장에 대한 진출

    전략을 마련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바로 기존 소비자 에 대한 충성도를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국내외 이슬람 시장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는 만큼 반대로 이 시장

    의 종교관이나 윤리에 반대하는 소비자 집단의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따

    라서 국내 기업들은 이슬람에 대한 부정적 시각도 인지하면서 향후 국내외 할랄 시

    장 개척 시 균형 잡힌 전략으로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주제어: 이슬람, 할랄 시장, 이슬람 윤리, 할랄 인증제도, 음식

  • 이슬람 식품 시장의 할랄 인증제도 의무화에 따른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 엄익란 53

    ◁ 참고문헌 ▷

    드 무이 마리케(1999). 『Globlal Marketing and Advertising』, 김유경.전성률

    공역(2007).『글로벌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파주: 나남.

    엄익란(2011). “무슬림의 소비성향을 통해 본 이슬람지역 광고 전략 연구: 걸프지

    역을 중심으로”, 『중동연구』, 30(2). pp. 151-175.

    Gokariksel, Banu & Ellen McLarney(2010). “Muslim Women, Consumer

    Capitalism, and the Islamic Culture Industry”, 『Journal of Middle

    East Women's Studies』6(3) Fall. pp. 1-18.

    Hassan Abul, Abdelkader Chachi and Salma Abdul Latiff(2008). “Islamic

    Marketing Ethics and Its Impact on Costumer Satisfaction in the

    Islamic Banking Industry” 『Islamic Economy』 21(1). pp27-46.

    Herrera, Linda & Asef Bayat(2010). 『Being young and Muslim: New

    cultural politics in the global south and north』,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Kokoschka, Alina(2009). "Islamizing the Market? Advertising, Products, and

    Consumption in an Islamic Framework in Syria", 『Muslim

    Societies in the Age of the Mass Consumption』 Johanna Pink.

    Ed.. Newcast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pp. 225-240.

    Magnus, George(2008). 『The Age of Aging: How Demographics are

    changing the Global Economy and our world』Wiley.

    Masud, Saud(2010) "10 Facts about the Muslim Consumer".

    http://www.elanthemag.com/index.php/site/blog_detail/10_facts_ab

    out_the_muslim_c(검색: 2012년6월30일).

    Roudi-Fahimi and Ken(2008) “Challenges and Opportunities—The Population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http://www.prb.org/

    Publications/PopulationBulletins/2007/ChallengesOpportunitiesinME

    NA.aspx(검색: 2011년11월25일).

    SungKar, Irfan and Darhim Hashim(2009). “The Global Halal Food Market

  • 54 한국이슬람학회논총 제23-3집

    and Updates on Global Halal Standards", http://siteresources

    .worldbank.org/INTEAPREGTOPRURDEV/Resources/IrfanSungkar.

    pdf (검색: 2011년11월).

    Temporal, Paul(2011). 『Islamic Branding and Marketing: Creating a Global

    Islamic Business』. Wiley.

    Association of Public Service Excellence in UK. 2011. "The Halal Dilemma".

    http://www.apse.org.uk/briefings/11/11-48%20The%20Halal%20Dil

    emma.pdf. (검색일: 2013년6월8일)

    Agri-Food Trade Service. 2011. “Global Halal Food Market”.

    http://www.ats.agr.gc.ca/inter/4352-eng.htm. (검색일: 2013년6월10

    일).

    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 2011. “Global Pathfinder Report: Halal

    Food Trends”. http://www.gov.mb.ca/agriculture/statistics/food/

    halal_market_pathfinder_en.pdf. (검색일: 2013년5월10일).

    Department of Islamic Development Malaysia JAKIM. 2013. “Recognized

    International Bodies”. http://www.hdcglobal.com/publisher/bhihc_

    rec_int_bod. (검색일: 2013년6월10일).

    Ogilvy & Mather. 2010. "Ogilvy Publishes Index of Muslim Friendly Brands".

    http://www.zawya.com/story/Sharjah_becomes_Halal_Capital_of_wo

    rld_for_3_days-ZAWYA20121210132544/. (검색일: 2013년6월5일).

    Pew Research Forum. 2012. “Religious Landscape”. http://www.pewforum

    .org/global-religious-landscape-muslim.aspx. (검색일: 2013년6월5

    일).

    Pew Research Forum. 2011. "The Future of the Global Muslim Population".

    http://www.pewforum.org/future-of-the-global-muslim-population-main-fact

    ors-fertility.aspx. (검색일: 2013년 6월5일).

  • 이슬람 식품 시장의 할랄 인증제도 의무화에 따른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 엄익란 55

    토마토뉴스. 2013년2월21일. “파리바게뜨 할랄(halal) 인증 획득, 중동 진출 교두

    보 마련”. http://finance.daum.net/rich/news/finance/photo/MD20130

    221145107959.daum. (검색일: 2013년6월15일).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표준원 TBT 통보문 주간동향. 2011년12월12일-12월18일.

    http://www.tbt.kr. (검색일: 2013년6월15일).

    연합뉴스 2010년4월4일, “프랑스서 이슬람식 '할랄' 음식 붐”. http://www.

    yonhapnews.co.kr/bulletin/2010/04/04/0200000000AKR201004040

    07200081.HTML?did=1179m

    KOTRA. 2013년5월31일. "UAE 식품, 할랄인증 등록 강화: 식품에서 화장품까지

    확대". http://www.globalwindow.org/. (검색일: 2013년6월15일)

    KOTRA. 2013년5월18일. “네덜란드 할랄 비즈니스”. http://www.globalwindow.

    org/. (검색일: 2013년6월15일)

    Euromonitor. 2013년2월13일. "The future of the global muslim

    population-pew forum". http://www.pewforum.org/The-Future-of-

    the-Global-Muslim-Population.aspx. (검색일: 2013년6월15일).

    Gulfnews. 2012년12월10일. “UAE kicks off halal standardisation worldwide”.

    http://gulfnews.com/business/general/uae-kicks-off-halal-standar

    disation-worldwide-1.1116893. (검색일: 2013년6월10일).

    Halal Focus. 2013년2월17일. “Golden halal opportunity beckons at heart of

    Islamic world”. http://halalfocus.net/uae-halal-opportunity-

    beckons-at-the-heart-of-the-islamic-world/ (검색일: 2013년5월

    15일).

    Halal Focus. 2013년2월26일. “GCC Food Consumption to Hit $106bn by

    2018”. http://halalfocus.net/gcc-food-consumption-to-hit-106bn-

    by-2018/concourse0005-620x310/. (검색일: 2013년6월15일).

    Halal Foucs. 2013월1월21일. “Fake halal imports anger China's Muslims”.

    http://muslimvillage.com/2013/01/21/34421/fake-halal-imports-an

    ger-chinas-muslims/. (검색일: 2013년6월15일).

    MENAFN. 2013년3월5일. “GCC to spend USD106b on food sector in 5

  • 56 한국이슬람학회논총 제23-3집

    years”. http://www.menafn.com/menafn/1093614794/GCC-to-

    spend-USD106b-on-food-sector-5-years. (검색일: 2013년6월15

    일).

    Miciganjournal. 2013년1월29일. “Dearborn McDonald’s makes settlement in

    non-Halal chicken sandwich lawsuit”.

    http://michiganjournal.org/2013/01/29/dearborn-mcdonalds-makes-settleme

    nt-in-non-halal-chicken-sandwich-lawsuit/ (검색일: 2013년6월15

    일).

    엄익란

    소 속 단국대학교 GCC국가연구소

    이메일 [email protected]

    논문접수일 2013년 08월 15일

    심사완료일 2013년 09월 26일

    게재확정일 2013년 10월 0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