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14
- 99 - 한국지형학회지 제22권 제3호(2015) 99~111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http://dx.doi.org/10.16968/JKGA.22.3.99 Vol. 22. No.3(2015) 99~111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 - 제주 여행지리를 사례로 - 박종관 1 ·윤종선 1 ·전재용 2 1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2 ㈜내가시스템 (2015년 8월 31일 접수, 2015년 9월 17일 수정, 2015년 9월 21일 승인) Development of Participation Mobile Service of Field Experiential Travel for the Activation of Local Tourism - In the case of the Jeju travel geography - Jongkwan Park 1 ·Jongsun Yun 1 ·Jae-yong Jeon 2 1 Department of Geography, College of Science, Konkuk University· 2 NEGGA System (Manuscript Received 31 August 2015; Revised 17 September 2015; Accepted 21 September 2015) Abstract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ke App service system for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with social subject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he Jeju Island was selected as from study area and new 103 experiential learning contents were collected in the island. Before the fieldwork, the geographical,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s in social studie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were classified and the details of these important contents were checked in the field. To provide selected contents through mobile application, mobile platform system was developed. Users can make their travel plans and also allow creating, uploading and sharing their contents within their own experiences in the field. Keyword suggested by social study curriculum was taken into account for making the outdoor experiential learning model. The process has been divided into three steps; preparation, activity and organization. The service will help users to record what they have experienced through the field trip, and create their own portfolio. In this way, it is expected that users originated contents for service can be produced without any special difficulties. To obtain the sustainability of the service, it is designed to be capable of continuous updates. The output of this study will be shown as a very useful tool to enjoy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Key Words : field experiential travel, experiential learning model, mobile app service, social study, geographical travel, travel geography 주요어 : 현장체험여행, 체험학습모델, 모바일 앱 서비스, 사회교과, 지리여행, 여행지리 Corresponding Author: Jongkwan Park, Department of Geography, College of Science, Konkuk University, 120, Neungdong-ro, Gwangjin-gu, Seoul, Korea, [email protected], (Tel) +82-2-450-3431·(Fax) +82-2-3436-5433.

Transcript of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Page 1: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jotra.com/nv/Jejumobile.pdf · 2015-10-16 · 후, 사회 여가활용의 변화와 맞물려

- 99 -

한국지형학회지 제22권 제3호(2015) 99~111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http://dx.doi.org/10.16968/JKGA.22.3.99 Vol. 22. No.3(2015) 99~111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 제주 여행지리를 사례로 -

박종관1·윤종선1·전재용2

1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2㈜내가시스템(2015년 8월 31일 접수, 2015년 9월 17일 수정, 2015년 9월 21일 승인)

Development of Participation Mobile Service of Field Experiential Travelfor the Activation of Local Tourism

- In the case of the Jeju travel geography -

Jongkwan Park1·Jongsun Yun1·Jae-yong Jeon2

1Department of Geography, College of Science, Konkuk University·2NEGGA System(Manuscript Received 31 August 2015; Revised 17 September 2015; Accepted 21 September 2015)

Abstract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ke App service system for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withsocial subject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he Jeju Island was selected as from study area and new103 experiential learning contents were collected in the island. Before the fieldwork, the geographical, historicaland social contexts in social studie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were classified and the details ofthese important contents were checked in the field. To provide selected contents through mobile application,mobile platform system was developed. Users can make their travel plans and also allow creating, uploadingand sharing their contents within their own experiences in the field. Keyword suggested by social studycurriculum was taken into account for making the outdoor experiential learning model. The process has beendivided into three steps; preparation, activity and organization. The service will help users to record whatthey have experienced through the field trip, and create their own portfolio. In this way, it is expected thatusers originated contents for service can be produced without any special difficulties. To obtain thesustainability of the service, it is designed to be capable of continuous updates. The output of this study willbe shown as a very useful tool to enjoy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Key Words : field experiential travel, experiential learning model, mobile app service, social study, geographicaltravel, travel geography

주요어 : 현장체험여행, 체험학습모델, 모바일 앱 서비스, 사회교과, 지리여행, 여행지리

Corresponding Author: Jongkwan Park, Department of Geography, College of Science, Konkuk University, 120, Neungdong-ro, Gwangjin-gu,Seoul, Korea, [email protected], (Tel) +82-2-450-3431·(Fax) +82-2-3436-5433.

Page 2: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jotra.com/nv/Jejumobile.pdf · 2015-10-16 · 후, 사회 여가활용의 변화와 맞물려

I. 서 론

학생들의 창의적 체험학습의 중요성은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교육과정개편이진행되면서초중고

교 학생들의 체험학습 콘텐츠의 질적, 양적 발전의 필

요성과 함께 더욱 강조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5). 더욱이 주 5일 근무제와 5일제 수업의 시행 이

후, 사회 여가활용의 변화와 맞물려 여행 행태도 개

별·가족단위 여행, 체험·휴식중시 여행으로 그 패

턴이변화하고있다(Korea Tourism Organization, 2009).

또한 2014년 세월호 사건 이후, 학교의 대단위 수학

여행의 안전 문제가 거론되면서 소단위 현장학습을

위한 앱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게

다가 빠르면 2018년도부터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진

로선택 교과목인 ‘여행지리’ 교과의 출범도 예상되고

있어 여행지리 교과를 위한 지리여행 현장학습의 중

요성도 부각되고 있다.

창의적 현장체험학습은 사회과의 지도 교육목표

와 일치하며, 학습공간인 교실을 떠나 자연과 인문이

혼재된 현장에서 답사, 견학, 면접, 관찰 등의 폭넓은

학습형태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기능을 기르는데 목

표를 두고 있다(Hong, 1999). 현장체험학습에 관한

연구는 주로 사회교과를 중심으로 한 체험학습 활동

의 요소 도출과 그 활용방안에 대해 이루어져 왔다

(Oh, 2003;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2; Park,

2013; Park, 2015). 이 같은 연구 주제는 관광학적 측면

에서도 활발히 수행되고 있는데 지역 활성화를 위한

농촌체험활동의 서비스 품질 개선에 관한 연구(Lee

et al., 2008; Jang, 2010; Kim and Um, 2011)와 농촌체험

상품 개발(Ko and Kwak, 2013) 등의 농어촌 체험관광

프로그램 연구 결과가 활발히 보고되고 있다. 또한 정

보기술 관점에서의 위치기반시스템(Location Based

system),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QR코드 등을

기반으로 한 소셜러닝을 활용해 현장체험학습의 한

계점인 공유, 상호작용, 연계를 기술적으로 해결하려

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Park and Jang, 2014; Kim,

2015). 이와 함께 현장체험학습 지원을 위한 애플리

케이션 연구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Hyun and Kim,

2011).

이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현장체험학습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지리와 역사, 사회 교

과내용을 반영해 이를 여행과 연계한 융복합 관점에

서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학습과 체험여

행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체험학습 자

료와 관광자원을 통합한 현장여행 콘텐츠를 발굴, 이

콘텐츠를 토대로 모바일로 서비스하는 시스템을 개

발하고자 하였다. 현장체험여행의 참여와 공유를 통

해 학습의 장을 마련하고 사용자가 주도적으로 콘텐

츠 제작에 참여, 배포함으로서 지속적으로 콘텐츠가

업데이트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였다. 또한 새롭게

개발된 지리, 문화, 역사 체험학습 콘텐츠가 탑재된

모바일 현장학습여행 앱이 지역관광 활성화에 이바

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례

지역으로 제주도를 선정해 초중학교 학생들과 그 가

족을 대상으로 한 현장체험여행 콘텐츠를 사전학습,

현장학습, 사후학습의 세 가지 단계로 구분해 개발하

였다. 현장체험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가능한

엔터테인먼트 요소가 결합된 콘텐츠를 발굴하였다.

또한 교과서에 언급되어 있는 주요 키워드를 중심으

로한 관광자원을 탐구하고 관찰할 수 있는 학습내용

을 모바일 서비스하여 체험여행의 재미를 느낄 수 있

도록 설계하였다. 모바일 시스템 설계는 사용자가 학

습 콘텐츠를 생산하고 공유할 수 있는 참여형 학습여

행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현장감 있는

콘텐츠를 구축하기 위해 2015년 1월부터 4월까지 연

인원 52명이 시범지역인 제주도 전역에서 현장조사

를 실시해 교과서에 수록된 내용을 확인한 후 모바일

체험여행을 위한 참여형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

Figure 1은 본 연구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사회과는 지리, 역사 및 사회과학의 개념과 원리,

사회제도와 기능, 그리고 연구방법과 절차에 관한 요

소를 통합적으로 선정하고 조직화하여 사회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탐구하는 과목이다(Ministry of

- 100 -

한국지형학회지 제22권 제3호(2015)

Page 3: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jotra.com/nv/Jejumobile.pdf · 2015-10-16 · 후, 사회 여가활용의 변화와 맞물려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사회과의 교

육목표 및 내용을 보면 사회교과는 체험학습과 매우

관련성이 깊은 과목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초중학교 사회과 단원분석을 통해 현

장학습 내용을 추출, 새로운 시각의 지리·역사·문

화 현장여행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교육과정에 따른 단원분석 범위는 2012 개정 교육

과정이 적용된 2014년도 초중학교 사회교과와 중학

교 역사교과를 대상으로 하였다. 교과 분석방법은 교

과서를 소주제에 따라 분류해 분석의 최소 단위로 설

정하였으며, 교과서에 견학, 조사, 탐방, 체험 등의 현

장학습이 직접적으로 명시된 경우를 기준으로 주제

어를 도출하였다. 또한 위의 항목에는 해당되지 않으

나 현장여행을 통해 학습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 101 -

박종관·윤종선·전재용 /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

Figure 1. Flow chart of the study

Table 1. App analysis of field experience service

Classification Analyzed App Analysis content

Field trip service

•Pre-Field Trip in Textbook•Gyeonggi-do Field Trip•Field Trip(Cultural assets of Busan)•Edu-Modu Field Trip•Our Neighborhood Exciting Travel Experiences•Field Experience Learning Reports•Creative Field Trip

•Field experiential learning contentconfiguration

•Service function configuration•UX/UI

Travel service•Travel Note•Tourplanb•Korea Visit Korea

Page 4: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jotra.com/nv/Jejumobile.pdf · 2015-10-16 · 후, 사회 여가활용의 변화와 맞물려

새로운 주제어가 발견될 경우 이를 채택하도록 하였

다. 현장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지역관광과 연계될 수

있는 주요 관광자원도 함께 조사되었다. 기존에 서비

스되고 있는 다른 현장학습 앱 특성도 콘텐츠 구성,

서비스 로직, UX/UI(User Experience/User Interface)

기능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 본 연구의 시스템

개발 시 차별화 전략으로 활용하였다(Table 1).

II. 현장체험여행 콘텐츠 개발

1.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정의와 유형

현장체험여행이란 현장학습과 체험학습이라는 두

개의 단어에 여행 개념을 도입해 만든 말로서 현장학

습이란 학습장소를 학습자료가 있는 현장으로 옮겨

학습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학습법으로

정의한다. 또한 체험학습이란 학습자가 작업현장, 일

터 또는 모의학습장에서 특정 활동에 참여해 새로운

지식을얻게되는학습법이다(http://terms.naver.com).

본고에서 말하는 ‘참여형’ 현장체험여행이란 일반

사용자가 콘텐츠 생산과 관리의 주체가 되는 체험여

행을 말하는데 일반사용자가 어떤 지역의 자연과 인

문 특성을 잘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본 콘텐

츠를 생산, 배포할 수 있는 자격을 갖는다. 본 연구에

서 구사한 참여형 전략으로는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는 관찰참여이다. 관찰참여란 제주해녀 체험이

나 감귤농장 체험과 같은 단순체험을 넘어 학생들 스

스로가 자연과 인문 속에서 무엇을 어떻게 터득할 것

인지 고민하며 지역을 생각하게 함을 의미한다. 비용

을 지불하고 배우는 보통의 농어촌 체험 프로그램이

아닌 현장관찰을 통해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를 깊게

고민해 보는 관찰 행위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참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는 위키피디아식 전략이다.

업로드된 사용자 자료 평가를 통해 꾸준히 리뉴얼된

콘텐츠는 긴 생명력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

을 지닌다. 사용자들이 작성한 여행지의 관찰 내용은

SNS를 통해 자신들의 리포트 작성에 활용되어 교실

밖 체험학습 결과보고서를 학교로 제출하는 등의 유

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

현장체험여행 유형은 학습집단의 규모와 학습내

용, 학습목적, 학습활동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구

분된다(Table 2). 학습집단의 규모는 학년, 학급, 소모

임, 개별학습자 등에 의해 결정되며, 학습내용은 교

과내용 충실도 여부에 따라 구분된다. 또한 현장체험

여행의 목적은 교양형, 봉사형, 휴양형, 훈련형, 통합

형 등으로 나뉜다. 학습활동의 성격은 학습 주체가

누가 되느냐에 따라 학습자 또는 교사 주도형으로 구

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체험여행의 유형을 학습

집단은 소규모 가족중심으로, 학습내용은 교과내용

의 확장 관점에서, 학습목적은 통합형으로, 학습활동

은 관찰형으로 정의해 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구축

을 위한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2. 초중학교 사회과 내용체계와 제주 콘텐츠 개발

Table 3과 Table 4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사회과

내용체계를 나타낸 것이다. 초등학교의 경우를 보면

사회과 주요 학습용어가 각 영역별로 고학년으로 올

라갈수록 학습대상 범위가 넓어지고 있으며 내용도

세분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able 3). 일례로 초등

- 102 -

한국지형학회지 제22권 제3호(2015)

Table 2.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field experiential travel

Classification Field experiential learning types

Learning group size Grade units, Class units, Small group units, Individual learners units

Learning content Within curriculum, Expanded curriculum

Learning objectives Liberal, Service, Recreation, Training and Integrated(Field trips, Excursions, Camps, Volunteer, Self-controltraining, Field trips, etc.) Learning

Character of learningactivity

Learner-directed and Teacher-directed Activity

Observation, Exploration(Participation)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2

Page 5: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jotra.com/nv/Jejumobile.pdf · 2015-10-16 · 후, 사회 여가활용의 변화와 맞물려

- 103 -

박종관·윤종선·전재용 /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

Table 3. Conten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

Classification Geography General Sociology History

3~4 Class

•Where we live•Varied lifestyle•The formation of villages andresidents living

•Our regions, other areas

•Democracy and autonomy byresidents

•Communicating with neighbors•Economic life and the preferredchoice

•Improvement in community

•Where people gathers•Urban development and residents’living

•The appearance of the variety lives•Social change and our lives

5~6 Class

•Our livable land•Homeland achieves harmony withthe environment

•Environment and the lives of ourneighbors

•Global environment and lifestyleof various countries

•The growth of our economy•Korea’s democracy•Challenges and the developmentof culture in our society

•Informatization, globalization ofour world

•One of the brethren•Flowers smoked diverse culturesGoryo

•Nestled in the Chosun confuciantradition

•Newmovements of Chosun society•The acceptance of new civilizationand independence

•Development of the Republic ofKorea toda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Table 4. Field experiential learning contents in Jeju

Classification Section name Experiential learningsub-themes Keyword Experiential

method Jeju experiential fields

ElementaryschoolSociety(3-1)

Where we live

Relationships andunderstanding of thenatural environment

and life

•Compass(north, south, east,and west)

•Map drawing•Mountains, rivers and the sea•The natural environmentand living(rural, fishing,industry)

Fishing, mountainvillage(Ranch)exploration

•Sagye fishing experience•Jongdal fishing groundsexperience

•Pony experience park sableranch experience

•Gueomri fishing experiencevillage

Transportationand

communication

Meaning of changesin transportationand communication

•Transportation: horse, kilns,rafting, sailing

•Communication: kite,bongsu, parbal

Exploration abouttransportation andcommunication

•Teu experience•Sanbang beacon mound

Where peoplegather Center

•Capital changes(new town,old town)

•The name originated region

Museumobservations •Jeju National Museum

ElementaryschoolSociety(3-2)

Our regions,other areas

Relationshipbetween the area

•Story about name of places(Toponym)

•Specialties•Attractions, historical sites(Introduce our province)

Specialties, myths,tourist attractions,monumentsobservation

•Samseonghyeol•Jeju Citrus Museum

Varied lifestyle Living culturechange

•Clothes: seasonal, age-specific changes(Hanbok)

•Food: Kimchi•Houses: Thatch, Neowajip,Giwajip, detached houses,apartments

•Play

Food, clothing andshelter, play

observation andexploration

•Jeju folklore & naturalmuseum

•Seongeup folk village

The appearanceof the varietyof life

Appearance of thelife(culture)

•Wedding ceremonies,funerals and festivals

•Dancing, singing, festivalsFestival exploration •Lantern festival

Page 6: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jotra.com/nv/Jejumobile.pdf · 2015-10-16 · 후, 사회 여가활용의 변화와 맞물려

학교 3∼4학년의 지리 영역은 동네와 마을 중심의 관

점에서 촌락과 지역의 관점으로까지 넓혀지고 있으

나, 5∼6학년이 되면 국토와 세계로 그 시야가 확대

되고 있다. 일반사회와 역사 영역의 경우에는 학년별

주제어가 달라 사회과 내용체계가 학생들의 사고의

범위를 키우고 있는 방향으로 편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중학교 사회과의 경우는 초등학교와는 달리

매우 세부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지리 영역의 경우는 자연과 인문, 환경, 재해와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사회 영역의

경우는 국내외 정치, 경제, 법 등의 내용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또 역사 영역의 경우에는 근대 이전과 이

후로 구분해 우리나라의 고대와 중세, 근대 역사를

기반으로 하여 현대 역사를 파악할 수 있는 내용으로

편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체험여행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상기와 같은 초중학교 사회교과 내용

을 반영, 사용자의 학년과 지역 범위를 구분한 모바

일 서비스를 구축하였다.

Table 4는 이러한 기준에 따라 초등학교 사회과 단

원을 분석해 시범지역인 제주도의 현장체험여행 장

소를 선별한 것이다. 현장체험여행 장소 추출은 우선

- 104 -

한국지형학회지 제22권 제3호(2015)

Table 5. List of Jeju experiential learning contents(Geography part)

Classification Major categories Sub-categories Content Inquiry place in Jeju

Geography

Topography

Mountaintopography Mountain, Plateau, Basin, Cave Manjanggul lava tube, Gimnyeongsagul

cave

Fluvialtopography

Waterfalls, Valleys, Flood plains, Fluvialterrace, Back swamp, Natural levee

Jeongbang falls, Cheonjiyeon falls,Cheonjeyeon falls, Yongyon valley

Coastaltopography

Sand beach, Islands, Coastal terraces,Sandbar, Lagoons, Land-tied island,Tideland, Sea stack, Coastal sand dune,Beach, Tombolo

Seongsan Ilchulbong tuff cone,Seopjikoji, Oedolgae rock, Akgeun river,Gaetkkak coast, Marado island, Biyangisland, Udo island

Plaintopography

Sedimentary plains, Structural plains,Coastal plains Gosan plain

Karsttopography

Limestone cave, Doline, Stalagmite,Stone pillar

Volcanictopography

Caves, Volcanoes, Craters, Lavatopography, Basalt

Sangumburi crater, Manjanggul lava tube,Abu oreum, Sanbangsan mountain,Yongduam rock, Yongmeori beach,Songak mountain, Suwolbong peak,Jungmum Daepo Jusangjeolli cliff

Climate

Temperature Average air temperature, Solar radiation

Precipitation Precipitation, Humidity, Snowfall,Drought, Flood, Frost, Fog

Wind Monsoon, Dust storm, Northeasterly wind Wind power plant

Atmospheric High atmospheric pressure, Lowatmospheric pressure, Typhoon

Hydrology

River stream River, Stream, Rivers of state, Local Stream

Groundwater Spring water, Water of crystallization,Spring waterNonjinmul water, GwakJi water, Yusuamwater

Lake water Lake water, Reservoir, Swamp, Marsh 1100 marshy land, Mulyoungari oreumwetland

Ocean Current, Tide, Red tide, Mud flat Jongdal-ri clam fishing pond

EcologyAnimal Mammals, birds, amphibians, fish, insects Aquaplanet

Plant Sub-tropical forest, Temperate forest,Frigid forest, Grassland, Gotjawal

Hallimpark, Bijarim forest, Gotjawalecology experience center

Page 7: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jotra.com/nv/Jejumobile.pdf · 2015-10-16 · 후, 사회 여가활용의 변화와 맞물려

교과서에 명시된 단원명을 파악한 후, 체험학습 소주

제를 단위로 하여 체험학습의 주요어와 체험방법을

도출해 제주도와 관련된 장소를 선정하였다. 주요어

선정은 교과서에서 기술되고 있는 내용을 파악해 핵

심어라고 판단되는 용어를 선별하였다. Table 4를 보

면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내용에 알맞는 체험장소로

서 박물관, 마을, 공원, 축제 등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체험

장소 선정은 굳이 단원분석을 하지 않아도 추출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나 사실 초중학교 학생들의 현장체

험여행 장소로서는 박물관이나 마을, 공원 등과 같은

장소보다 더 훌륭한 곳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

같은 결과는 결국 박물관이나 마을의 무엇을 어떻게

보느냐에 대한 관점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사회교과

단원과 관련된 부분을 어떻게 관찰하고 기록해 그것

을 얼마나 잘 현장학습여행 결과물로 소화할 수 있느

냐 하는 문제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Table 5는 지리 영역별 주제를 기준으로 해 제주도

조사지점을 선정한 것이다. 지리교과는 지형, 기후,

수문, 식생 등 주로 자연지리와 관련된 내용으로 구

성되어 있는데 이 표에서 인문지리 관련 내용이 누락

된 이유는 사회 영역의 주제와 중복되기 때문이다.

사회 영역의 주제는 경제와 문화로 구분하여 조사지

역을 선정하였으며, 역사 영역은 선사시대부터 현대

에 이르기까지의 제주도에서 발견되는 유적지를 중

심으로 그 주제를 선정하였다.

III. 현장체험여행 서비스 시스템 개발

1. 현장체험여행 서비스 분석

현장체험여행의 서비스 현황 분석은 체험학습과

여행 서비스 앱 중심의 서비스를 대상으로 콘텐츠 구

성, 서비스 기능, UX/UI 등의 세 가지 부분으로 나누

어 실시하였다. 도출된 시사점은 금번의 시스템 설계

에 반영하도록 하였다. 현장학습 서비스 현황 분석은

‘교과서 속 미리 가는 체험학습여행’, ‘경기도현장체

험학습장’, ‘현장체험학습(부산의 문화재)’, ‘에듀 모

두 체험학습’, ‘우리동네 신나는 체험여행’, ‘현장체험

학습보고서’, ‘창의적 체험활동’과 같은 7개 체험학습

서비스 앱과 ‘여행노트’, ‘투어플랜비’, ‘대한민국 구

석구석’의 3개 여행 서비스 앱 등 모두 10개의 앱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앱을 분석한 결과, 학습 콘텐츠와 지도와의

연동의 중요성, 사용자가 있는 현재의 메뉴 위치 확

인, 여행지 리스트의 화면 보임, UI 이미지 크기, 종

료 시의 버튼 클릭, 콘텐츠 제공 화면 크기, 체험녹음

의 보고서 누락, 더블터치 기술 활용, 콘텐츠 조회 확

인 유무, 사용자 리뷰, 좋아요, 댓글, 신고 내용 조회

법 등과 관련된 시사점을 얻어 본 모바일 앱 개발 시

반영하도록 하였다. 특히, ‘교과서 속 미리 가는 체험

학습여행’, ‘경기도 체험학습장’ 등의 체험학습 전용

앱 대부분은 교과학습 중심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

어 지도와 연동된 위치기반 정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학습 위주의 구성방식으로 인해 여행의

재미가 덜한 경향이 있는 것으로도 분석되었다. 한

편, ‘여행노트’ 등의 여행 전용 앱은 학습보다는 여행

지 소개 위주의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어 여행계획이

나 기록 관리, 공유 서비스 등에는 높은 점수를 줄 수

있으나 학습 내용과는 괴리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 등

성격이 상이한 두 종류 앱의 접근법에 큰 차이가 나

타나고 있다.

2. 현장체험여행 서비스 설계

현장체험여행 서비스는 사전활동, 현장활동, 사후

활동의 세 단계로 구분해 설계되었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은 현장체험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

며, 위치기반의 콘텐츠 서비스와 Open API 기반의

지도가 연계되었다. 화면 설계는 사용자 경험에 충실

한 화면구성 및 화면연계를 고려해 실시하였다. 서비

스 설계방안은 앱 서비스 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콘텐

츠, 서비스, UX/UI 측면에서 도출되었다.

시스템 설계 시 사용자의 콘텐츠 제작 참여와 제

작 필요요소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다양

한 체험학습 콘텐츠 검색결과와 여행기록 저장자료

를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UX/UI 측

- 105 -

박종관·윤종선·전재용 /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

Page 8: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jotra.com/nv/Jejumobile.pdf · 2015-10-16 · 후, 사회 여가활용의 변화와 맞물려

면에서는 정보의 메뉴 단계를 적절히 해 사용자 중심

의 경험에 맞추어 설계하고자 하였다. 참여형 현장체

험학습 서비스 설계 방향은 Table 6과 같다.

Table 7은 용두암을 사례로 본 장소 콘텐츠 구성내

용을 정리한 것이다. 콘텐츠 구축을 위해 선정된 제

주도에서 현장체험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103개의

POI(지역정보)를 발굴하여 현장답사를 통해 콘텐츠

를 구축하였다. 현장 POI 구축을 위한 세부항목은 시

스템 사용자들이 무엇을 제일 궁금해 할 것이며. 또

무엇을 제일 먼저 알아야 할지를 우선 고려해 개발되

었다. 그 지점의 주요 내용은 물론, 이들 지점의 지역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체류시간을

점검하였다. 추천 이유와 추천도도 제시하였으며, 주

요어와 관련 사이트 주소도 정리하였다.

Table 8은 현장체험학습 콘텐츠 구축 사례를 제시

한 것이다. 콘텐츠는 사전학습(준비하기), 현장학습

(활동하기), 사후학습(정리하기)의 3단계로 구분해

학생들의 학습모듈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현장학습 출발 이전에 준비해야 할 내용과 현장에서

의 관찰활동 방법, 또 체험여행 후의 정리방법 등과

관련된 내용을 각 POI 마다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이

는 본 체험학습여행 모바일 앱의 주요 특성전략 중의

- 106 -

한국지형학회지 제22권 제3호(2015)

Table 6. Service system design of participation service for field experiential learning

Classification System design plan

Contents

•Categorize by the activity type•Apply the categorization with search and search results.•Include specific element for experiential activity in addition to the ordinary ways such as texts and photos.•Suggest multiple methods of participation in intension of provid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to user.•Elements required for creating user content such as text, photos should be easy to input.

Service

•Minimize the instability due to variety of mobile OS•Suggest multiple types of searching to fulfill the demand of user•Present a multiple sorting methods for the search result•Consider the way of storing the history of every contents that is being serviced.•Photos taken while activity on the route should be automatically sorted and saved.•Appropriate instruction for the application should be inherent.

UX/UI

•Excessively sophisticated information might cause confusion, thus proper depth for the information shouldbe considered.

•Linkage between contents and information, and moving back to previous stage of menu should be easy tofigure out.

•Compose within 3~5 main menus, and it should be arrayed readable enough without distraction.•‘Back’button should follow the common sense of users.•Users should be announced in advance about when the application will be quitted.•Must support resolution optimization function due to multiple devices with variety of display resolution.

Table 7. Example of site contents for Jeju experiential learning

Items Content description

Name(residence time) Yongduam rock(0.5 hours)

Category Geography/ Topography/ Volcanic terrain/ History(modern)

Survey date 2014. 11. 10.

Field description•Lava was solidified just after magma eruption due to rapid cooling.•The lava, after the eruption and solidification, formed current figure due to vigorous wave-cut action.

Reason for recommendation(recommendation degree) Understanding volcanic rock(basalt) formation(★★★)

Keyword Volcano, basalt, wave-cut action

Applicable textbook information Middle school social 1, trip to visit the volcanic terrain, p.93

Related information http://www.jejutour.go.kr,contents,?mid=TU&act=view&mode=2&seq=217

Page 9: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jotra.com/nv/Jejumobile.pdf · 2015-10-16 · 후, 사회 여가활용의 변화와 맞물려

하나인 참여형 관찰학습을 달성시키기 위한 핵심 접

근법으로 이러한 방식 하에 제주의 103개 지점 콘텐

츠를 개발하였다.

3. 현장체험여행 기능 설계

현장체험여행 논리모델은 콘텐츠를 데이터베이

스에 저장하고 서비스하기 위한 것으로 관계형 모델

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현장체험여행의 장소 콘텐

츠는 콘텐츠의 명칭, 해당 교과내용, 장소설명, 추천

사유, 추천도, 주요어, 관련정보, 조사정보 등으로 구

성된다. Table 8에서 언급된 장소 콘텐츠의 서비스 기

능 설계는 학습모형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콘텐

츠 검색을 통해 마련된 여행계획을 현장에서 위치기

반에 입각해 에듀테인먼트 관점에서 즐겁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상되었다. 현장체험이 완료된 후에는 현

장에서 취득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

다(Figure 2). 이 그림을 보면 모바일 앱 서비스 기능

은 체험계획, 체험활동, 체험완료, 사용자로 구분되

- 107 -

박종관·윤종선·전재용 /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

Table 8. Example of field experiential learning contents

Classification Activities and description

Prior Learning(Preparation)

1. Volcanic eruptions and volcanic activity of Jeju▷It is formed by magma from underground, which refers to the phenomenon of rock bursting through tothe surface.

2. Basalt features▷Once hardened magma erupted over land or near the surface, it cools rapidly and becomes basalt, socrystals are not developed.

Field Learning(Activity)

1. What color is the rock? ▷Tinged black. What is the reason?

2. What does the rock look like? ▷Pores are well developed. What would be the reason?

3. How do you feel when you touch the rocks? ▷Roughness appears to be very tough on one side. What would be the reason?

4.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basalt and the other? ▷Compare with other rocks such as granite.

After Field Learning(Organize)

1. Show me the photograph showing characteristics of basalt2. Organizing the details that felt worth reporting

Figure 2. Flow chart of system service function

Page 10: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jotra.com/nv/Jejumobile.pdf · 2015-10-16 · 후, 사회 여가활용의 변화와 맞물려

는데 체험계획이란 콘텐츠 검색, 추천 콘텐츠, 최신

콘텐츠, 조회 콘텐츠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체험계

획은 여행 전의 준비단계에서 콘텐츠를 검색한 후 이

를 토대로 가고 싶은 장소의 체험여행 코스를 미리

계획할 수 있도록 구상한 것이다. 또한 체험 활동이

란 지도보기, 목적지 안내,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기

록관리에 의해 사용자들이 현장에서 체험학습여행

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말한다. 그리고 체

험 완료는 체험 활동을 통해 얻어진 콘텐츠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능을 뜻한다.

사용자 기능이란 사용자가 활동한 결과물을 저장, 관

리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하는데 자신이 조회했던 내역

도 목록으로 보여지도록 설계하였다.

Figure 3은 본 연구의 현장체험여행 시스템 흐름도

를 나타낸 것이다. 본 서비스 시스템은 web server를

기반으로 한 무선통신 앱 기술로서 안드로이드 4.4를

기반으로 설계되어 있다 .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mysql server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콘텐츠를 서비스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 개발환경은 Apache

Tomcat 6.0, JAVA, PHP, Eclipe 3.1.2 JDK 1.5를 사용

하였다

4. 현장체험여행 서비스 구현

본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는 사용자가 현장

콘텐츠를 다운 받지 않고서도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

를 이용해 현장체험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 108 -

한국지형학회지 제22권 제3호(2015)

Figure 3. System service configuration

Figure 4. Menu structure

Page 11: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jotra.com/nv/Jejumobile.pdf · 2015-10-16 · 후, 사회 여가활용의 변화와 맞물려

Figure 4는 모바일 기기 화면상 나타나는 메뉴를 도

식화한 것이다. 현장체험여행 메뉴는 메인 홈, 검색,

체험여행, 사용자 페이지로 구분된다.

우선 메인 페이지는 통합검색, 여행계획, 여행안

내로 구성된다. 앱 이용자는 현장학습 시작 전에 모

바일에서 제공되는 추천 코스를 수정해 여행계획을

세울 수 있으며, 이렇게 결정된 현장체험여행 계획은

지도 서비스와 연계해 앱 이용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다(Figure 5). 통합검색은 앱 이용자가 원하는 키워

드를 입력해 어느 페이지에서도 검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앱의 가장 큰 특징은 메인화면에서 사용자

들이 체험여행 일정을 짤 수 있다는 점이다. 디폴트

로 제공된 1박 또는 2박, 3박 일정의 세부 여행지를

시간 단위로 가감 선별해 사용자들의 형편에 맞게 답

사여행이 진행되도록 하였다. 그 일정은 화면 하부에

지도로 표시되어 여행지의 동선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이 여행 플래너 기능은 체험학습여행의 완성도

를 위한 중요한 출발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또한 검색 페이지는 사용자가 다양한 검색을 통해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도록 통합검색, 분류검

색, 위치검색 메뉴로 구성된다. 이들 검색 결과는

GPS 좌표에 표시되어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결과 내 검색기능을 제공해 현재 검색

된 결과 안에서 재검색할 수 있게 하여 검색범위가

점차 축소되게 하였다. 이렇게 검색된 내용은 북마크

기능에 의해 관심 콘텐츠로 옮겨져 새로운 콘텐츠 제

작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체험여행 페이지는 사용자에게 관심 콘텐츠

를 제공하는 화면을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학습모

형에 따라 사전학습, 현장학습, 사후학습으로 구분해

상세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사전학습 메뉴는 여

행 전에 미리 알고 있어야 할 내용으로 구성되며, 현

장학습 메뉴는 현장에서의 탐구활동과 관련된 콘텐

츠로, 그리고 사후학습 메뉴는 현장활동을 마친 후

현장에서 기록된 자료를 사용자의 포트폴리오로 작

성해 프린트 할 수 있게 구성된다.

- 109 -

박종관·윤종선·전재용 /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

Figure 5. Examples of screen capture for the field experiential travel

Page 12: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jotra.com/nv/Jejumobile.pdf · 2015-10-16 · 후, 사회 여가활용의 변화와 맞물려

마지막으로 사용자 페이지는 사용자 정보와 콘텐

츠 관리를 등록, 수정할 수 있는 메뉴로 이루어진다.

이 메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콘텐츠를 쉽게 제

작,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페이지 내의 관심 메

뉴에서는 사용자가 관심(북마크) 설정한 콘텐츠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서비스는 아래와 같은 측면에서 기존의 체험학

습 서비스와 차별화된다. 첫째로 기존 서비스는 어떤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점의 관점에서 소개하고 있으

나, 본 연구에서는 지점들을 공간으로 묶어 공간개념

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로는 앱 사용자가

위치기반의 사회교과 내용을 체험할 수 있도록 세부

관찰 포인트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관찰은 본

서비스 개발에서 가장 중요시 취급하고 있는 체험여

행 수단이다. 셋째로는 본 서비스가 참여형 관점에서

개발되었다는 점이다. 참여형이란 사진, 댓글 등 기

존의 단순 개인 업로드 방식의 참여의 수준을 넘어

본 앱에서 제공된 콘텐츠 메뉴를 사용해 제작하는 위

키피디아 방식의 콘텐츠 제작을 말한다.

IV. 결 론

본 연구는 현장체험여행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개발된 모바일 앱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제주

를 대상으로 진행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내

용으로 요약된다.

첫째,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앱 서비스 구축을 위

해 초중학교 사회교과서를 기반으로 한 제주도 103

개 장소에서 현장체험여행 콘텐츠를 수집하였다. 이

콘텐츠는 기존의 문헌조사에 의해 구축된 다른 모바

일 앱 콘텐츠와는 전혀 성격이 다른 경쟁력 있는 콘

텐츠로 평가된다.

둘째, 기존의 현장체험학습을 장소 기반의 관광자

원과 연계해 새로운 현장체험여행 모델을 구축하였

다. 그 결과 지리, 역사, 사회교과에 근거한 통합 모바

일 지리여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셋째, 지속가능한 현장체험여행 콘텐츠 구축을 위

해 사용자 중심의 관찰참여형 콘텐츠 제작 방식을 도

입하였다. 사용자가 직접 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위

키피디아 방식의 콘텐츠 구축 수법은 새로운 참여형

콘텐츠 제작 기법으로 평가된다.

넷째, 본 모바일 서비스는 현장체험여행을 통해

기록된 내용들을 저장해 자신의 공간 포트폴리오로

지속 관리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체험학습 결

과물로도 활용된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한 체

험학습의 기록들은 깊이 있는 지리여행 결과물이 될

것이다.

다섯째, 본 모바일 서비스는 새로운 시각의 지리,

문화, 역사 지식을 전달하는 메신저 기능을 담당하고

있어 본 모바일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비지니스 모델

은 지역관광 활성화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앱은 고등학교에 신설되는 여행지리 교

과의 워크북 기능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은 가족 중심의 관찰여행을 통해 가족 간의 유대

감을 높이는 한편, 지역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해 방

문지에서의 관찰을 토대로 지역의 공간 개념이 도출

되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본 모바일 앱은 교사

들에게 현장학습 지도를 위한 도우미 역할도 제공해

줄 것이다. 국토 공간인식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

학생들에게 담임교사나 사회과 교사가 현장을 어떻

게 지도하면 좋을 지에 대한 대안도 마련해 줄 것이

다.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 결과물은 현

장체험여행을 위한 효용가치가 대단히 클 것으로 판

단된다. 본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앱은 향후 다양한

테스트 단계를 거쳐 빠른 시일 내에 일반인들이 다운

받아 실용할 수 있도록 진행될 예정이다.

사 사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 및 한국문화관광연구

원의 2014년 관광서비스 R&D지원 사업의 연구 결과

로 수행되었음(SF0714207).

- 110 -

한국지형학회지 제22권 제3호(2015)

Page 13: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jotra.com/nv/Jejumobile.pdf · 2015-10-16 · 후, 사회 여가활용의 변화와 맞물려

References

Hong, K. D., 1999, A Study on Method of Field Study

Through Community-based Research Activity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Education, 32, 257-281 (in Korean).

Hyun, D. L. and Kim, J. H., 2011, Development of a

Field-Experience Learning Support Android

LBS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5(4), 579-587 (in

Korean).

Jang, K. S., 2010, The Effects of Rural Tourism Service

Quality on the Visitor’s Satisfaction, Revisit and

Recommendation,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24(6), 457-472 (in Korean).

Kim, H. J., 2014, Using social learning field experiential

learning application desig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of the Graduate School (in

Korean).

Kim, S. H. and Um, S. H., 2011, The Effects of Rural

Tourists On-site Experiences on Satisfaction

of Service Quality and Attitude Change Related

to Rural Village,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5(3), 91-108 (in Korean).

Ko, Y. K. and Kwak, Y. D., 2013, A Study on the Plan

of Rural Experience Travel Products : Focused

on School Excursion Trip of Domestic, The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and Leisure,

25(1), 269-283 (in Korean).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09, 2009 Family Travel

Survey, Family Travel Survey Report (in

Korean).

Lee, H. C., Kim, H. G., Kim, S. J., You, C. G. and Han,

E. J., 2008, Qualitative Approach for the

Satisfaction of Rural Tourism, Korean Rural

Tourism Association, 15(1), 113-137 (in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5, Plan of

Integrated Social Subjects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32 (in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otification, 2012-14

(in Korean).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2, Conversation

experiential learning curriculum (activities) factors,

Colloquium Kit, 12-S44.

Oh, S. T., 2003, Methods of the Effective Application to the

Field Experience Study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Hwacheon,

Master’s thesis,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n).

Park, C. W., 2013, The Implication of Fieldwork as

Experience Activities in Geography Education,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3), 163-177 (in Korean).

Park, D. J. and Jang, J. J., 2014, The Current Status of

the IT-based Field Experience Learning

Content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2),

27-30 (in Korean).

Park, J. K., 2015, The Promotion and Content

Composition of Geotravel as a New Way of

Tourism,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0(1), 53-71 (in Korean).

http://terms.naver.com

영문 교열: Sara Khodadad

- 111 -

박종관·윤종선·전재용 /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

Page 14: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참여형 현장체험여행 모바일 서비스 개발jotra.com/nv/Jejumobile.pdf · 2015-10-16 · 후, 사회 여가활용의 변화와 맞물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