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49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아시아 보고서 N°112 – 2006 년 2 월 1 일

Transcript of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Page 1: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아시아 보고서 N°112 – 2006 년 2 월 1 일

Page 2: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목 차

내용 요약.................................................................................................................... i

I. 서 론 ................................................................................................................................. 1

II. 지속적 관계 ..................................................................................................................... 2

A. 유교적 맥락 ........................................................................................................................2

B. 전장의 형제들 ....................................................................................................................2

C. 중소갈등의 이용.................................................................................................................3

D. 보호자에서 구원자로 ........................................................................................................4

E. 핵논쟁 .................................................................................................................................6

1. 차 북핵위기 ..............................................................................................................6

2. 차 북핵위기 ..............................................................................................................7

III. 중국의 우선순위들 ......................................................................................................... 8

A. 신중한 보수주의 ................................................................................................................8

B. 외교정책의 우선순위 ......................................................................................................10

1. 영토보존 .................................................................................................................11

2. 내정 불간섭 ............................................................................................................12

3. 무력의 사용 ............................................................................................................12

4. 개발도상국에 한 지원 .......................................................................................13

C. 국내적 안정성 ..................................................................................................................14

1. 북한의 붕괴와 혼란 ...............................................................................................14

2. 량이민 방지 ........................................................................................................15

D. 지역적 안정성 ..................................................................................................................16

1. 핵무장 이웃국가 불허 ...........................................................................................16

2. 갈등 회피 ................................................................................................................17

3. 지역의 현상유지 ....................................................................................................18

IV. 중국 영향력의 한계 ...................................................................................................... 20

A. 북한의 불신 ......................................................................................................................20

1. 역사 .........................................................................................................................20

2. 이데올로기 .............................................................................................................21

B. 북한에 한 어려운 접근성.............................................................................................22

1. 당 당 관계 ..........................................................................................................22

2. 군사 군사 관계 ..................................................................................................23

Page 3: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C. 중국의 군사력 재건 .........................................................................................................24

D. 북한의 의사결정 과정 ......................................................................................................25

V. 중국은 무엇을 준비하고 있는가? ................................................................................ 26

A. 핵문제 ...............................................................................................................................26

1. 협상 .........................................................................................................................26

2. 제 재 ........................................................................................................................28

B. 불법거래방지 ...................................................................................................................29

1. 수출통제 .................................................................................................................30

2. 국경통제 .................................................................................................................31

3. 해상 및 공중에서의 저지 ......................................................................................33

C. 경제개혁 ...........................................................................................................................34

D. 난민들과 이주자들 ..........................................................................................................39

VI. 결 론 ............................................................................................................................... 42

부 록

A. 중국과 북한 지도.. ................................................................................................ 43

B. 북한지도............................................................................................................... 44

Page 4: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내용 요약

중국의 북한에 한 영향력은 중국 스스로 인정하 는 것보다는 크고 외부에서 믿는 것보다는 작다. 비록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라는 국제사회 공동의 목표를 공유하고 있지만 그 목표를 달성하는 방 법에 해서는 자기 고유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 중국은 위기를 조장하는 어떤 자극적이고 위험한 행동도 용인하지 않을 것이며 평양과 서울에 한 자신의 영향력을 위협하거나 한반도에 불안정을 야기한다고 믿어지는 어떠한 정책도 승인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것이다. 중국과 북한의 긴 한 관계 에서 오는 이익들은 중국의 우선순위와 한계들에

한 좋은 평가가 국제전략에 통합될 때만이 작동 할 수 있다. 중국이 북한에 순응할 것을 강요하기 를 기다리는 것은 단지 평양에게 핵무기를 개발할 시간만 더 줄 뿐이다.

중국의 북한에 한 우선순위들은 다음과 같다:

한반도 전쟁발발로 인한 경제적손상을 줄 이는 것

미국의 통일한국 지배를 방지하는 것

북한을 그들의 개발계획에 편입시킴으로써 경제적으로 취약한 동북 3성의 안전을 확 보하는 것

원조를 무역과 투자로 체함으로써 양자 관계의 재정적부담을 줄이는 것

비핵지 화에 동참함으로써 자국과 동북아 지역에서 미국의 신뢰를 획득하는 것

가능하면 오랫동안 두 개의 한국이라는 현상 태를 유지함으로 양국에 한 영향력을 확보 하고 만문제에 관해서 북한을 미국에 한 지렛 로 이용하는 것

핵무장한 북한이 일본이나 만의 핵무장을 유도하는 상황을 피하는 것

연간 약20억 달러에 이르는 중국과 북한의 양자간 무역투자액은 여전히 핵협상의 교착상태를 종료 시키고 핵협상을 재개시키려는 지렛 역할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사실상 중국이 그것 을 이용해서 북한으로 하여금 핵을 포기하도록 강 요하는 상황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 비록 2005 년 9월 마카오은행의 북한과의 금융거래 중단조치가 중국이 불법행동을 억제하는데 한 외부세계의 압력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않음을 보여주었지만 중국은 남아있는 다른 중국에서의 북한은행활동을 중단할 것 같지는 않다.

중국은 북한에 한 제재가 불안정을 야기할 뿐 그 정권을 제거하지도 못하고 이제 막 진행되고 있는 시장개혁과정을 손상시키며 가장 취약한 계층에 해를 끼칠 것이라고 믿기때문에 북한에 한 제재 를 반 한다. 중국이 조건부원조, 주권 침해, 제재 조치를 취하기를 꺼려하는데에는 만통일에 한 중국 자신의 요구에도 원인이 있다 - 신장과 티벳 의

Page 5: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ii

인권문제, 그리고 수단 및 기타 지역에 한 경제적이익에 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하더라도.

양자관계는 중국에게 북한에 한 비강제적 영향 력을 거의 부여하지 않는다. 중북관계를 단지 역사 와 이데올로기로 유지해온 관계로만 보는 것은 강 한 전략적 불신, 지도부의 균열된 관계와 사상적 차이들을 무시하는 것이다. 북한은 전쟁이 일어날 경우 중국이 다시 한번 북한의 방어막이 되어주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으며 중국의 국가이익 을 위해서는 북한을 처분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을 가지고 있다.

중국이 북한의 현상유지를 선호하게 된 또 하나의 요인은 약 1 만명에서 10 만명으로 추정되는 탈북 자 및 이주자들을 포함해서 2 백만의 조선족들이 중국에 거주하고 있기때문이다. 비록 북한이 정치∙ 경제적으로 붕괴할 경우 난민유입이 중국에 큰 위 협이 될 것이라고 인식되고 있지만 다수 중국 분석가들 및 관리들은 월경자들이 끼칠 단기적 위 협에 해서는 관심이 없는 것 같다. 한편 순수한 정치적 난민들은 현재 그들이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떠나는 한 중국의 반 없이 – 어떤 때는 중국 의 도움으로 - 조용히 중국을 떠나 남한에 정착하 고 있다.

2005 년 10 월 중국 국가주석 후진타오의 방북과 2006 년 1 월 김정일의 답방은 경제관계의 심화를 부각시켰다. 중국은 북한 안팎에서 많은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들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북한

외무역의 40%를 차지한다. 2003 년부터 150 여개가 넘는 중국기업들이 북한에 진출해 있거나 북한과 거래하고 있다. 북한시장에서 거 래되고 있는 상품의 80%가 중국산이다. 중국은 장기적 으로 친중국적∙개혁적 북한을 만들 목적하에 계속 적으로 북한경제를 정상화시키는데 노력할 것이다.

비록 중국이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을 빨리 종속 시킬 수는 없지만 중국은 북한의 핵무장 위협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는 점에서 여전히 다른 어떤 나라보다 영향력이 큰 행위자임에 틀림 없다. 어떤 다른 나라도 북한에 협상을 촉구하고 중재할 정치적 포지션과 이익을 가지고 있지 않다. 비록 물류적인 한계와 정보의 한계, 그리고 중북 국경무역을 되돌이키려하지 않음으로 인해 그 실 행능력이 제한받기는 하지만 중국이 북한의 핵물 질 반입 및 불법물품유통을 방지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사실이다. 장기적으로 중국과 북한의 경제적 상호작용은 북한의 체제개혁과 자유화를 심화시키는데 가장 좋은 희망이 될 것이 다.

서울/브뤼셀, 2006 년 2 월 1 일

Page 6: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I. 서 론

중국은 베이징 6 자회담을 연속적으로 주재함 으로써 북한 핵위협을 처하는데 큰 역할을 해 왔다. 북한과의 긴 한 경제적∙외교적 유 관계와 북한의 핵무장 방지에 한 중국의 관심이 중국에 게 핵심적 위치를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적 적 행동이나 협상지연을 막기위한 강제적전술 의 사용을 거부하고 좋은 경찰의 역할을 하겠다는 주장은 중국이 위기를 일방적으로 끝내려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2005 년 7 월, 9 월, 11 월 북한의 핵협상참여는 중국으로 하여금 좀 더 강경 책을 써야하는 압력을 덜어주었다. 그러나 북한이 비핵화 협상의 내용과 순서, 그리고 핵폐기 검증 및 협의 이행에 있어서 완강한 태도를 보이고 경제 개혁과 인권문제 등 또 다른 도전들이 도사리고 있어 중국이 오래된 동맹국인 북한과의 관계를 어 떻게 맺어갈 것인가라는 결정적인 문제가 제기되 고 있다.

미국과 다른 나라의 많은 이들은 중국이 단순히 미국의 목적과 정책을 좀더 강하게 지지해야 한다 고 믿는다. 그러나 최근 통화평가절상과 무역문제 에 관한 협상이 보여주듯이 중국은 자신의 이익이 존중받을 때 가장 잘 응하고 있다. 그 우선순위 와 한계들이 국제적전략에 부합될 때에만 중북관 계에서 발생하는 이익들이 제 로 작동할 수 있다.

이 보고서는 북한을 다룰 때 중국의 정책입안자들 이 고려하는 핵심적인 이슈들에 한 중국의 입장 을 고찰하고 북한의 위협을 완화시키기 위해 중국

이 구상하고 있는 처방안을 살펴보았다. 중국과 북한의 고위급 정책결정에 한 자세한 사항은 세 계의 그 어느 나라보다 접근이 어렵다. 그러나 중 국공산당과 인민해방군 원로관리들, 외교부 외교 관들, 학자들, 외국 전문가들과의 토론을 통해 중 국의 국내외정책의 우선순위와 중북관계에 해 어느 정도 그려낼 수 있다. 중국 접경지역의 무역 관리들, 국경 보초들, 상인들, NGO 활동가들 그리 고 접경지역 거주자들에 한 광범위한 조사는 중북 경제관계에 한 정보와 인사이트, 그리고 조선족에 한 독특한 시각을 제공해준다.

Page 7: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2

II. 지속적 관계

A. 유교적 맥락

명(明)(1368-1643)∙청(淸)(1644-1911) 왕조시기 에 조선은 다른 이웃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중국황 실에 조공을 바칠 것인지 아니면 침략당할 것인지 에

해 선택을 해야만 했다. 연이은 조선왕조는 조공책봉을 선택했으며 개화기 전까지의 한국은 친중화문명적이어서 중국의 정치, 경제, 문화면에 서 상당한 정도로 영향력을 받았다. 부분의 새로운 발명, 기술이나 종교들(유교와 불교)은 중국으로부터 들어왔다. 한자는 몇세기동안 한국 엘리트들의 언어였으며 국가제도적으로도 중국의 법과 정치제도를 수용했다.1 후원관계는 베이징에

한 의전방문과 조공책봉이라는 형태로 이루어 졌지만 충성맹세는 동맹을 표현하는 것이었지 굴 종은 아니었다. 양국관계는 중국은 “형”, 한국은 “아우” 같이 전통적 유교에서의 형제관계처럼 보여졌다.2

B. 전장의 형제들

중국이나 한국은 일본의 침략에 맞설만큼 강하지 못했기에 1930 년 초반, 한반도와 중국의 많은 지역이 조직적이고 난폭한 일제식민통치하에 들어 가게 되었다. 1920 년 후반부터 중국 연변지역 에서 활동하던 중국과 한국의 공산주의자들은 조직적 게릴라를 구성해서 일본에 항해서 무장

1 한국단어의 약 70 %가 한자로 이루어져있다. See You Ji, “China and North Korea: A Fragile Relationship of Strategic Convenience”,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vol. 10, No. 28 (August 2001); and Adrian Buzo, The Making of Modern Korea (London, 2002). 2 John Fairbank and S.Y Teng, “On the Ching Tributary System”, 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1942.

투쟁을 벌였다. 3 이들 가운데에는 미래 중국의 지도자 마오쩌둥과 덩샤오핑도 있었으며 중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고 러시아 공산주의를 추종했던 미래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도 있었다. 중국과 한국의 많은 공산주의자들이 그랬던 것처럼 마오 쩌둥과 김일성은 이 시기를 통해 개인적으로 친

한 유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2 차 세계 전 의 말미에 일본이 중국과 한국에서 물러나고 중국 에 국공내전이 일어나자 김일성은 식량, 물자, 군 를 보내 중국을 돕는다.4

중국과 북한의 공산주의자들은 1950 년 한국전쟁 이 발발했을 때 다시 함께 연합하여 싸웠는데 이는 중국 공산주의자들이 중국 륙을 통치하게 된지 1 년후였고 김일성이 북한에 공산국가를 세 운지 2 년 후였다. 미국은 북한의 침공을 막기 위해 군 를 남한에 보냈고 중국은 북한의 인민 군을 도와 싸우면서 백만명의 희생자를 내었다.5 중공의 개입은 1953 년 38 선에서 휴전을 하게 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고 중국군 는 그 이후 5 년동안 한반도에 주둔하면서 재건사업을 지휘 했다. 마오쩌둥은 아시아 공산주의를 주도하고 중국의 국제적 역할을 회복하기 위한 기회로서 북한을 강하게 지원했던 것이다. 그는 또한 혁명 적투쟁이 중국인민에게 그의 정당성을 증 시키 고 한국이 중국의 영향권 아래로 다시 들어오게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 마오쩌둥은 중국 지도층 내부의 회의론자들에 해 중국의 국 경에

한 미국의 침략위협, 특히 중북 접경지역 의 중공업에 한 위협과 국공내전 당시 중국을

3 Anthony Coogan, “Northeast China and the Origins of the Anti-Japanese United Front”, Modern China, July 1994. 4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and North Korea signed a mutual assistance pact in 1946. Robert Simmons, The Strained Alliance (New York, 1975). 5 The precise figure is still not known. Mao Zedong even lost his own son, Mao Anying, in the first year of the war.

Page 8: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3

도와줬던 북한에 한 빚을 이유로 들어 설득시켰 다.6

C. 중소갈등의 이용

피로써 맺어진 동맹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양국관 계는 한국전쟁 이후 급속하게 냉각되었다. 사회주 의권의 이념균열은 1953 년 스탈린의 서거로 악화 되기 시작했고 니키타 후루시쵸프의 등장은 자신 들의 운동에서 독립적 지도자가 되기를 원하는 마오쩌둥이나 김일성에게는 수정주의자처럼 보였 다. 김일성이 북한에서의 최고통치권자로서의 권 력강화와 통일에 집중했던 반면 마오쩌둥은 부분 적으로 자신을 세계의 혹은 적어도 아시아 공산주 의권에서의 합법적인 리더로 여겼다. 중북관계는 북한이 중국과 러시아 두 나라로부터 군사적∙경제 적지원은 받아내는 한편 너무 많은 영향력은 받지 않으려고 노력함에 따라 변화해 왔다. 1961 년 북 한은 중국, 소련과 각각 안보조약을 체결했다. 그 러나 1964 년 후루시쵸프가 물러날 때까지는 북한 은 중국쪽에 더 기울어졌다. 중국과 북한은 후루시 쵸프와 함께 서구와 평화공존을 추구하는 신 모스크바의 수정주의이념에 해 비판하였으며 제국주의를 물리치기 위해 제 3 세계에서의 사회 주의혁명을 지원해야 한다는 목표를 공유했다. 7

6 중국에서는 “抗美援朝 운동”이라는 구호로 이 전쟁

을 선전하는 캠페인이 적으로 일어났다. 한국전쟁

동안의 중한관계에 한 다른 시각에 관해서는 Chen Jian, Mao’s China (Chapel Hill, 2001); Jung Chang and Jon Halliday, Mao: The Unknown Story (London, 2005); 과 Woodrow Wilson

Center 에서 수행한 the Cold War International History

Project 에서의 소련 자료들을 참조. http://www. woodrowcenter.org/cwihp. 7 토론을 위해 다음 글 참조. Chin Chung, Pyongyang Between Peking and Moscow: North Korea’s Involvement in the Sino-Soviet Dispute, 1958-1975 (Alabama, 1978).

중국의 문화혁명시기(1966-1976)에 양국관계는 최악의 수준으로 경색되었다. 홍위병들은 김일성 을 “뚱뚱한 수정주의자”라고 비난하고 베이징에 있는 북한 외교관들을 공격했다. 북한은 군사적, 경제적원조에 한 의존의 균형을 맞추려는 노력 을 포기하고 거의 모든 원조에 해서 소련에 의 지했다. 1970 년 중국은 북한에 군사장비와 식량, 에너지공급을 재개하기 시작함으로써 변경지역에

한 소련의 영향력을 저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1980 년 까지 두 나라 각각의 경제적규모로 보면 러시아와 중국의 영향력이 비등했지만 소련의 더 발달된 군사력과 경제발전이 우세적역할을 차지했다.8 1980 년 후반까지 중국은 북한경제 와 군부의 가장 큰 후원자였고 모스크바는 서구 와의 새롭게 조성된 긴장국면동안 평양과의 동맹 관계를 다시 세워보려고 노력했다.9

비록 북한과 관계가 경색될 때도 있었지만 중국은 냉전기간 동안 남한정권을 인정하기를 거부하고 공산정권이 합법적인 정권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1989 년 중소화해와 연이은 소련의 붕괴로 평양의 충성을 받고자 하는 경쟁은 끝났다. 한국전쟁이후 최초로 북한은 중국이 북한을 필요로 했던 것보다 더 중국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1991 년 중국은 남 한정부의 UN 가입신청에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았 다. 그 이듬해 중국은 새 러시아 연방정권에 이어

8 1946 년에서 1991 년사이 북한은 중국과 다른 사회

주의권을 비롯하여 주로 소련으로부터 외국원조를 받

았다. 원조규모는 환율문제와 러시아와 중국의 공식

적기록의 불투명함때문에 정확히 측정되지는 않고

략적인 정도만 알 수 있다. 9 중국과 소련의 북한에 한 지원의 자세한 내용들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보고서 N°96 을 참조하라.

북한: 철권통치는 보이지 않는 손을 받아들일 수 있을

까?, 2005 년 4 월 25 일.

Page 9: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4

남한과 관계를 정상화하고 하나의 한국정책을 끝내 게 된다.

D. 보호자에서 구원자로

1992 년 중국의 한국정부 인정이후 연이어 1994 년 김일성의 죽음은 중북관계에 극적인 변화를 가 져 왔다. 비록 친선관계를 유지하고자 1993 년 휴전 협정 40 주년 기념식에 중국공산당 제 4 세 리더 미래의 주석 후진타오와 국방부 장관 츠하오티엔을 북한에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은 또한 더욱 등한 관계를 맺기 위해 노력했다. 그 이듬해 중국은 최소한 북한 GDP 의 3 분의 1 을 차지했던 곡물과 석유, 석탄의 무상원조와 우호 가격제, 그리고 물물교환방식을 현금결제방식으로

체하기를 원한다고 발표했다.10북한의 기아사태 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그렇게 했고 양국관계는 1990 년 를 거치면서 급속히 냉각되었다. 매년 자국의 필요를 요청하기 위해 실행해 왔던 북한 고위급관료의 베이징방문도 1995 년에 중지되었 다. 1999 년까지 중국의 연간 북 원조무역량은 3 억 달러가 감소한 8 억 달러로 떨어졌으며 평양은 무역 적자를 맞게 되었다.11

2000 년에서 2003 년 사이에 중국의 북 원조액 또한 감소했는데 4 년간 약 1 억 8 백만 달러에 불과했다.12 2004 년엔 조금 늘어서 1 억 45 백만

10 중앙일보, 1995 년 2 월 2 일, FBIS, DR/EAS, 1995 년 2 월

2 일. 11 이 보고서에서 $라는 표시는 미국달러를 말한다. 정

원준, “1999 년 북한의 외무역”, KOTRA ( 한무역

투자진흥공사) 북한정보. 2001 년 1 월 17 일, http://crm.kotra.or.kr/main/info/nk/eng/main.php3. 12 “2004 년 북한의 무역”, KOTRA, 2005 년. 한국은행 이

국가정보원에서 취득한 원자료를 입력하여 북한연

구모델을 만든다. 위성사진과 목격자의 증언도 농업활

동과 공장가동률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어떤 분석가

달러에 달했는데 이는 그 해 4 월 김정일의 베이징 방문시 농업과 산업분야에 한 기술원조협약에 의 한 것임을 알 수있다.13 1994 년 2 개의 경수로를 지어주기로 한 협약에 의해 진행되어오던 미국으 로부터의 중유공급이 2002 년말에 중단되면서 중 국만이 현재 북한에 매년 30 만에서 100 만톤의 석유를 공급하는 유일한 공급자가 되었다.14

중국은 계속해서 식량원조하고 있고 매월 북한관료 들을 만나 북한정권이 필요한 기본적인 수준의 식 량 및 에너지 공급을 약속하고 있다. 그러나 서방의 측정으로는 2005 년에 중국이 50 만톤의 곡물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15 세계식량 계획(WFP)의 엄격한 북한가구조사에 의하면 중국 에서 후원한 식량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한국과 국제사회가 더욱 중요한 인도주의 후원자인 것 으로 나타난다.16 비록 정확한 수치는 제공하기

들은 그 정확성에 의문을 표하기도 한다. 국제위기감

시기구의 한국은행 및 한국정부관료들과의 인터뷰. 서 울,

2004 년 12 월. 그러나 연변특별자치구의 조선족

분석가들은 한국측 자료가 중국의 자료보다 더 정확하

다고 말한다.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Piao Cheng -xian,

연변 동북아연구소 소장, 2005 년 9 월 15 일. 13 Willy Lam, “Kim Jong-il’s visit to Beijing: what does it mean for the West?”, China Brief, 29 April 2004. 14 중국의 접경도시 단동의 외곽에 있는 환승역의 역

무원에 따르면 북쪽 800km 에 위치한 따칭 유전에서

오는 석유가 북한에서 정제되어서 배분된다고 한다. 조

선일보. 2004 년 7 월 15 일. 석유공급량의 정확한 수치 는

불명확하다. 15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평양에서 활동하는 NGO

와 UN 직원들, 베이징, 2005 년 6 월. 16 북한에서 가장 규모 식량원조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는 세계식량계획(WFP)에 의하면 북한은 연간 550 만

톤의 곡물과 쌀이 필요하다고 한다. 평균 400 만에서

450 만톤이 국내에서 생산되며(비록 2005 년 북한의

곡물수확량이 특별히 높았지만) 략 60 만톤이 국제

사회를 통해 공급된다. 중국은 부족량의 일부를 메꾸

Page 10: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5

힘들지만 중국전문가들은 중국의 북원조관계 가 “사소하다”고 주장함으로써 중국의 북지 원이 규모일 것이라는 통설을 반박한다.17

비록 중국의 원조가 줄어들었지만 2002 년 북한이 경제개혁을 시작하면서 상품교역은 극적으로 늘 어났다.18 2004 년동안 8 억달러에 달하는 중국 산 상품들이 북한에 수입되고 북한은 6 억달러치 의 상품을 수출하면서 양국의 무역관계는 최고조 에 다다르게 되었다. 2005 년의 가추정치에 의하 면 북한은 10 억 달러 이상의 상품들을 수입한 것 으로 나온다.19 중국은 지금 북한 외무역의 4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남한의 외무역에 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의 2 배, 일본에서의 비율의 6 배에 달한다. 20 이전의 주요 수출품목 이었던 곡물이 지금 외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 에서 급격히 떨어져 전기, 기계, 제조산업부품에 이어 8 위를 차지하는 것은 산업부문에서 중국 기업에 의한 투자가 증가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 이다.

안 친선유리공장은 중북합작사업의 좋은 예이 다. 2 천 5 백만 달러의 투자로 중국기업들은 자 재, 노동력, 전문가를 제공하고 공장에서는 북한

지만 부분의 북한사람들은 여전히 기본적인 영양공

급을 받고 있지 못한다.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WFP

관리들, 2004 년 10 월과 2005 년 6 월 베이징, 2005 년 10 월

평양. UNICEF 는 2006 년에 약 4 만명의 북한아이들이

영양결핍으로 죽을 수 있다고 추정한다. http://www.unicef.org. 17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홍콩, 베이징, 상하이,

2005 년 5-9 월. 18 북한 경제개혁에 관한 자세한 분석은 다음글 참조.

국제위기감시기구 보고서, 북한: 철권통치는 보이지

않는 손을 받아들일 수 있을까?, op. cit. 19 통일부, Inter-Korean Issues Weekly, 2006 년 1 월 13 일, http://www.unikorea.go.kr. 20 “중북 경제관계의 심화”, KOTRA, 2006 년 1 월 6 일.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다.21 접경지역인 무산철광의 채광을 50 년간 계약임 하는 회사에서부터 평양 의 가장 큰 백화점을 10 년간 임 한 회사에 이르 기까지 100 개 이상의 중국기업들이 북한에 투자 하고 있다.22 북한은 지금 베이징과 션양에 중국 IT 회사에 일하게 될 수백명의 노동자들의 기술 교육훈련을 위한 IT 훈련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23

경제적 유 관계는 국가방문에 의해 가장 두드러 지게 나타나고 있다: 2005 년 10 월 28 일에서 30 일까지의 후진타오의 북한방문과 2006 년 1 월 10 일부터 18 일까지 김정일이 베이징 및 중국의 경제발달지구인 남부지역을 방문한 것 등이 그것 이다.24 중국은 후진타오의 방북시, 원조액을 늘릴 것을 제안하고 “경제기술협력조약”에 조인했는데 무역신용과 투자부문에만 20 억 달러치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25 한국의 표적인 뉴스매거진 “시사저널”은 실제 원조액은 30 억 달러에 달하는 양이며 이는 1 년전에 후진타오 방북을 계획할 당 시 염두에 두었던 3 억달러에서 증가시킨 것이라 고 한다. 26 한편 중국은 중북접경지역을 따라 고속 도로와 철도를 건설하고 있는데 이는 북한에서 철 광석과 기타 원자재들을 편리하게 들여오기 위한 것이다. 중국기업은 중국의 동북지역과 북한의 나진항을 연결하는 도로를 건설하기로 합의했고 50 년 동안 나진항의 부두 두 곳의 독점운영권을 계약합의했다.27

21 조선중앙통신. 2005 년 11 월 8 일, 2005 년 6 월 30 일. 22 조선일보, 2004 년 7 월 15 일. 23 한겨레신문, 2006 년 1 월 5 일. 24 김정일 집권이후 총 6 번의 외국순방중 4 번이 중국

방문이었다. 2006 년 1 월의 방문은 기간과 거리면에서

가장 긴 여행이었다.(약 5,000 km). 25 조선일보, 2005 년 10 월 31 일. 26 동아일보, 2006 년 1 월 16 일. 27 조선일보, 2005 년 12 월 26 일 .

Page 11: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6

중국은 한편으로는 중북 쌍무관계의 비용을 줄이 고 북한을 중국의 동북지역개발계획에 편입시키면 서 북한의 경제적 생존을 유지키시는 목표를 성취 해 왔다. 사실 서울의 북한전문가들은 북한을 중국 동북의 제 4 성으로 부르고 있다. 28

E. 핵논쟁

중국과 북한과의 점점 서먹해지는 군사관계는 북 한의 NPT 탈퇴와 핵무기 프로그램을 둘러싼 지속 되는 위험요인들때문에 더욱 뚜렷해졌다. 1980 년

북한의 핵야망을 제한하려는 시도를 취하기를 거부했던 것과 조적으로 양국관계는 지금 핵문 제로 점철되었다. 2003 년에 중국은 6 자회담을 연 이어 개최함으로 핵문제타결 노력의 한 가운데 서 게 되면서 위신을 높이게 되었다.29

1. 차 북핵위기

북한이 IAEA 에 최초로 신고를 하였지만 핵시설물 과 핵물질들에 관한 조사결과의 불일치가 심각했 던 1992 년에 중국은 교착된 북핵문제에 관여하게 되었다. 북한의 IAEA 의 핵사찰에 협력을 종용하 게 한 배후조종자가 있을 것이라는 소문이 있었다. 1993 년 1 월 핵사찰단의 접근확장과 사찰결과 제시에 한 국제여론의 압박이 점증했을 때 중국 이 김일성을 베이징에 초청했다는 미확인된 보도 가 있었다.30

사찰결과에 절망한 IAEA 가 그 문제를 1993 년 2 월 이사회에 보고했을 때 중국은 워싱턴과 평양 사이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기로 동의했다. 미국은 중국에게 “책임있는 행동”을 할 것을 요구했다.

28 신동아, 2005 년 12 월, 동아일보 2005 년 12 월 14 일 29 6 자는 북한, 남한, 중국, 일본, 러시아, 미국이다. 30 Joel S. Wit et al, Going Critical: The First North Korean Nuclear Crisis (Washington DC, 2004), pp. 154-155.

베이징의 공식적인 반응은 미국무성에 다소 비 스러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었다. 31 그러나 IAEA 에서 북한으로 하여금 안전조치협정이행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하려고 했을 때 베이징의

응은 좀 더 직접적이었다. 베이징은 그 결의안 을 통과시키는데 기권했던 것이다. 2 달후 북한이 NPT 에서 탈퇴할 것을 표명한 후에 중국은 북한 으로 하여금 NPT 하에 IAEA 핵사찰을 수용하도록 촉구하는 UN 안보리 결의안 채택에서 또 한 번 기권했다.32

미국이 평양의 전면적 핵사찰을 수용하거나 혹은 추출했던 플루토늄을 폐기하도록 애썼던, 제네 바와 뉴욕사이의 긴장된 외교의 16 개월동안, 중 국은 북한에게는 협력할 것을 그리고 국제사회 에게는 제재를 삼가할 것을 요구했다.33 1994 년 5 월에 5-6 개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플루토늄 을 담고있는 원자로에서 연료봉을 인출했을 때 긴장은 최고조에 다다랐다. 양국이 전쟁을 향해 치닫고 있을 때 중국은 미국이 북한을 침범할 경우를 비해 5 만에서 7 만 5 천명의 군 를 북한 에 보낼 준비를 하기 시작했다.34 그러나 중국은 UN 제재에 해 반 하던 태도를 바꾸어 결의안에

31 “산과 강의 끝에서는 어디에 길이 있는지 모른다. 그

런데 갑자기 버드나무와 꽃이 핀 마을을 찾게 된다.”, Ibid, pp. 154-155. 32 중국은 제재에 관한 어떤 내용이 들어있는 결의안도

지지하지 않으려 했다. 중국은 단지 “필요한 경우에 안

보리의 깊은 고려가 필요하다”는데 동의했지 “심화된

행동”이 아니었다. 안보리 결의안 825, 1993 년 5 월 11 일. 33 1994 년 3 월 중국은 직접적으로 제재를 가하는 안

보리 결의안을 통과시키기를 거부하고 IAEA 사찰에

따를 것을 촉구하고 제재의 가능성을 우회적으로 표

현한 성명서에 동의했다. Statement of the President of the Security Council, S/PRST/1994/13, 31 March 1994. 34 “North Korea Nuclear Crisis, February 1993-June 1994”, http://www.globalsecurity.org/military/ops/dprk_nuke.htm.

Page 12: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7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35 위기 를 모면한 후 중국은 합의서를 이끌었던 북미협 상의 재개를 지지하고 북한측에 특사를 보내 마지 막제안을 수용할 것을 설득했다.36

2. 차 북핵위기

2 차 북핵위기를 풀기위한 중국의 노력은 더욱 분 명해졌다. 미국의 제임스 켈리 국무차관보가 2002 년 10 월 워싱턴은 북한이 고농축 우라늄 프로그램 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믿는다고 발표한 후에 후 진타오는 이 프로그램에 해 아는 바가 없다고 강 조하면서도 북한의 계획된 NPT 탈퇴를 비난했다. 2002 년 10 월 러시아 통령 블라디미르 푸틴과 의 공동성명에서 후진타오는 북한에게 핵합의서 에 복귀할 것을 주문했다. 중국의 관료들은 김정 일 및 하위급 북한관료들을 만날 때마다 핵프로 그램을 해체하고 미국과 IAEA 핵사찰요구를 따 를 것을 촉구했다.37

북한이 2003 년 1 월 IAEA 사찰단을 축출하고 NPT 를 탈퇴함으로써 중국의 북조정력이 권고 와 충고 수준밖에 안된다는 것이 밝혀졌고 이는 중국의 태도를 바꾸는 전환점이 될 것을 암시했다. 중국은 중러 공동압박 정책에서 전환해 북한과 미 국 사이에서 일방적으로 메시지를 보내는 것에 중 점을 두기 시작했다. 2003 년 4 월 미국의 아태지 역 군사력 증강과 이라크전쟁 발발은 북한에 한 선제공격에 한 우려를 증 시켰고 중국은 미국 과 북한에게 양자협상을 베이징에서 하도록 촉구 했다. 미국이 북한의 행동에 해 협상으로 보상

35 중국은 “경제제재 반 ”에서 “경제제재를 선호하지

않는다”는 입장으로 바꾸었다. Statement by the President of the Security Council, S/PRST/1994/13, 30 May 1994. 36 중앙일보, 1995 년 3 월 23 일, in FBIS, DR/EAS. 37 Jonathan Pollack, “The United States, North Korea, and the End of the Agreed Framework”, Naval War College Review, vol. lvi, no. 3 (Summer 2003), pp. 35-38.

하지 않겠다고 완강히 버티고 북한은 핵무장하겠 다는 “거친 항의”로 인해 베이징 3 자회담은 실패 했다. 그러나 2003 년 여름, 중국은 미국, 남한, 일본과 함께 북한의 다자회담 참여의지를 얻기 위 해 노력했다. 2003 년 8 월말, 제 1 차 6 자회담이 베이징에서 열렸다.38 전 미국 북특사 찰스 잭 프 리처드는 중국이 없었더라면 6 자회담은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39

비록 관료들이 선언문을 작성하고 세부적 논평을 제공하는 중심적 역할을 하긴 했지만 중국의 회 담 직접 참여는 회의 소집자와 중개자로서의 중 요한 역할을 했다. 회담장 밖에서 중국 간부급 관리들이 북한의 고농축 우라늄 프로그램에 한 미국의 정보에 해 의심을 제기하며 미국의 유연성에 의문을 품고 북한의 평화적 핵이용권 리를 주장했지만 그들은 이런 시각을 회담장에 서 주장하지는 않았다.40

2004 년 6 월과 2005 년 7 월 사이의 13 개월동 안의 회담휴지기는 비록 중국이 회담을 지속적 으로 개최하고자 노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들 의 북 강제력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중국관리들이 회담재개를 위해 서울과 평양, 워싱 턴을 오갔으나 북한은 완강하게 회담참가를 거부 했다. 중국의 고위 외교부 관료들은 2005 년 5 월

38 국제위기감시기구 보고서 N°61, North Korea: A Phased

Negotiation Strategy, 1 August 2003 과 N°87, 북한:

철권통치는 보이지 않는 손을 받아들일 수 있을까?,

2004 년 11 월 15 일을 보라. 39 “The North Korea Deadlock: A Report from the Region”, 브루킹스 연구소 세미나, 2004 년 1 월 15 일, 전체 행사

자료는 다음을 참조. https://www.brookings.edu/dybdocroot/ comm/events/20040115.pdf. 40 국제위기감시기구 보고서 N°61, North Korea: A Phased

Negotiation Strategy, 1 August 2003 과 N°87, 북한:

철권통치는 보이지 않는 손을 받아들일 수 있을까?, op.

cit 를 보라.

Page 13: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8

중국은 회담 교체상태가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되 던지 상관없이 제재나 공개적 압박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 고위 외교부 변인은 뉴욕 타임즈에 중국은 북한에 한 석유나 식량 공급을 줄이라는 어떤 제안들도 거절했다며 그것은 양국 의 정상적 무역관계이며 핵문제와는 별개의 것이 라고 말했다.41

그러나 또한 2005 년 북한의 회담참석이 정말로 문제를 해결하고자하는 의지를 반영하는 것인지 아니면 단지 핵무기를 제조하기 위한 시간벌기 였는지는 아직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다. 한편 비 핵화협상의 내용과 순서, 그리고 핵폐기 검증의 규 모, 협의에 따를 것인지에 한 북한의 완강함은 중국이 잘못된 이웃을 제 궤도에 돌려놓기 위해 무 엇을 할 수 있는지에 한 의문을 품게 한다.

41 “정상적인 무역관계는 핵문제와 연계되어서는 안된 다.

우리는 강경책을 통해 문제를 풀려 하지 않을 것이

다.”라고 중국관리가 말했다. “China rules out using sanctions on North Korea”, The New York Times, 11 May 2005.

III. 중국의 우선순위들

미국과 북한의 요구에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중국 의 태도를 바꾸라고 하는 것은 자국과 한반도, 그 리고 동북아지역차원에서의 중국의 목표들을 무시 하는 것이다. 때때로 모순적인 중국의 우선순위 들 중에서 어떤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인지를 따져보 는 것은 고위급 관료들과 정책결정자들의 모호함 으로 인해 방해받는다. 심지어 중국의 전문가들 조차 중국의 북정책의 내부작동과 속셈을 알려 하지 말라고 충고한다. “그것은 좋은날에 가깝고, 북한에게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라고 오랫동안 중북관계를 지켜본 관찰자는 말한다.42 주요 정책 우선순위들을 략적으로나마 개괄함으로써 적어 도 베이징의 정책결정과정에 영향을 끼치는 사람 들을 이해하는 것은 가능하다.

A. 신중한 보수주의

중국의 최고 지도자 마오쩌둥과 덩샤오핑은 북 한과의 긴 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김일성과 의 혁명경험 공유를 강조하곤 했다. 1970 년 와 1980 년 는 고위급 인사들의 접촉으로 양국관계 를 규정짓는 “정상외교”의 시 로 알려져 있다. 비 록 혁명세 는 아닐지만 덩샤오핑의 후계자 장쩌 42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과 상하이, 2005 년

8 월. 중국의 최고 정책결정기구 정치국 상무위원회에

관한 내용은 다음글 참조. H. Lyman Miller, “Hu Jintao and the Party Politburo”, China Leadership Monitor, no. 9 (Winter 2004). 후주석은 2006 년 1 월 김정일의

방중기간동안 중국의 공식적 우선권에 해서 언급했다.

신화뉴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중국정부와

인민은 진정으로 북한의 정치적안정과 경제적번영과

인민들의 행복을 바라며 북한이 강하고 번영하는 나

라로 세워지는 것을 보기를 희망한다”. “Top leaders of China and DPRK meet in Beijing 18 January 2005”, Xinhua Online, http://news.xinhuanet.com/english/.

Page 14: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9

민은 이 전통적 유산을 깨기에는 여전이 보수적 인 중국공산당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후진타오 주석과 원자바오 총리는 이념가나 군 장성출신보다는 기술관료로 이루어진 새로운 리 더십을 이끌고 있다. 둘 다 그들 자신을 기괴한 은둔자 김정일과는 전혀 다른 중국의 실용주의 노선을 상징하는 얼굴로 여기고 있다. 미국관료와 개인적인 만남에서 후진타오는 김정일에 한 인내심의 한계와 북한의 자멸적인 정책들에 한 절망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43 역사왜곡 - 보통 사회주의국가들에서 민감한 문제들은 적 국 지도자나 혹은 화난 동맹들에 의한 실수로 지적 하려는 경향이 있는 – 이 이루어졌다. 오랫동안 학생들은 한국전쟁이 남한에 의해서 발발했다고 배웠다. 지금 교과서는 한국전쟁의 원인에 해서 는 설명하고 있지 않다.44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지도자들은 중국의 역 사와 국가의식에 한국전쟁이 차지하는 중심적역 할을 바꿀 수 없다. 많은 도시의 젊은 중산층 중국 인들은 그들 정부가 북한을 돕는 것은 시 착오적 이라고 비판한다. 많은 인터넷 블로그와 채팅룸에 는 광범위한 기아상태 중에도 핵프로그램을 개발 하는 북한을 꾸짖고 중국의 지속적인 북한 지지에 의문을 표하는 글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베 이징을 벗어난 지역의 비슷한 세 의 시각은 또 다 르다.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남한보다는 북한에 더

43 2005 년 4 월 워싱턴 DC. 미국 정부 관리와의 국제

위기감시기구 인터뷰. 44 베이징의 고등학교 2 학년 교과서에는 “1950 년 6 월

25 일 한국전쟁이 일어났다”라고 써있다. 국제위기

감시기구 인터뷰, 2005 년 7 월 베이징; Robert

Marquand 의 글, “China, North Korea no longer close as lips and teeth”, Christian Science Monitor, 25 July 2003.

친근감과 신뢰를 느끼고 있다.45 중국인들은 실제 로는 아마 그 두배가 될 수 있지만 공식적으로 약 50 만명의 중공군인들이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것 으로 파악하고 있다. 한국전 참전군인들중 뛰어난 군인들은 아직도 역사적, 근 적 스포츠와 함께 사상적, 군사적, 문화적 영웅들로 칭송받고 있다.46 한국전쟁은 중국이 “미제국주의자들”에 직접적으 로 맞서 싸운 처음이자 마지막 전쟁이었기에 그 영 웅들은 근 사의 중요한 일부분으로 간주되는 것 이다.

일부 중국학자들이나 민간분석가들은 중국의 북 정책을 결정짓는데 역사가 점차 덜 중요해질 것으 로 예상한다.47 그러나 베이징의 전략연구소 소장 판쩐 치앙은 보수여론이 여전히 지도자들로 하여 금 적어도 겉으로 보기에는 북한과 친 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 다:

우리는 그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여론이 정부에 등질 것이다. 여전히 일부의 평범한 중국인들 가운데는 중국이 북한을 도와야 한 다는 강한 여론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북한 에 해서 공격적 행동을 취해야하는 정당성 이 없어 보일 때 더욱 그렇다. 48

냉전시 로 회귀하는 듯 많은 중국 분석가들과 정 책결정자들은 여전히 미국에 해 깊은 보수주의 적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미국과의 충돌 가능성이

45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난징, 옌지, 단동.

2005 년 7-9 월. 46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항미전쟁기념관, 단동,

2005 년 7 월. 47 Banning Garrett and Bonnie Glaser, “Looking Across the Yalu: Chinese Assessments of North Korea”, Asian Survey, vol. 35, no. 6, June 1995. 48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 월.

Page 15: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10

점증하고 있다고 여기고 있다. 49 특히 영향력 있는 군부의 보수주의자들은 여전히 동북아에서의 미국의 장기적 목표에 관해 의심하고 있다. 판 소장은 이렇게 설명한다:

우리는 미국이 진정으로 핵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우리 생각 에는 그들은 핵위협을 그 로 두는 것을 원 하는 것 같다. 왜냐하면 핵문제가 없어지면 그들은 자신들의 군 주둔의 정당성을 잃어 버리기 때문이다. 때때로 우리는 미국의 의 도가 무엇인지 – 정말로 핵 비확산을 원하는 것인지 아니면 이 지역에 긴장을 유지함으로 인해 군 를 주둔하고자 하는건지 – 자문해 보곤 한다. 50

진보자유적관점들이 더욱 분명해졌고 어떤 저명 한 분석가들은 북한에 한 미국과의 협력을 강 화하는 것에 해 강하게 반 하는 의견들을 발 표하기도 했다. 51 현재 이런 점들은 본질적인 정책의 변화라고 보기보다는 아마 중국의 통제하 기 어려워지는 언론과 정보환경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에 기인하는 것 같다. 역사와 결별하고 깊게 자리잡은 보수주의와 달리 걷는 것은 중국 지도자

49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2005 년 5-9 월 베이징,

상하이. 이 결론은 팬타곤의 중국연구위원 Michael

Pillsbury 의 책, The Future of China’s Ancient Strategy

(Washington DC, 출판예정)의 주제와 부합한다. 50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 월. 51 텐진사회과학원 해외경제조사연구소 Wang Zhong-

wen 의 글 참조, “Examining the North Korea Question and the Situation in North East Asia from a New Perspective”, 战略与管理, 2004 년 4 월. 이 글이 발표된 후 이 잡지와

웹사이트는 폐쇄되었다. 많 은 중국학자와 관리들이

개인적으로 중국의 정책에 해 불만을 표시하고 정책에

반 하는 글들을 썼다. 이런 생각들이 어느정도로 정책에

반영되는지는 그 저자들에게조차 분명하지 않다.

국제위기감시기구 인 터뷰, 베이징, 2005 년 6 월.

에게 도박이 될 것이다. 지난 2 년간 후진타오의 통치 스타일을 볼 때 – 신중함, 인민폐 평가절상에

한 중도적 정책선택, 이제 일어나고 있는 미디 어 산업에 한 엄격한 단속, 그리고 지체되는 정치자유화 – 그는 결코 도박하는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있다.52 더 솔직히 말해 중국의 한 고위 급학자는 이렇게 말한다, “후진타오는 변화를 일으킬만 한 배짱을 가지고 있지 않다”53 그러나 윌리엄과 메리 학의 툰젠청이 지적하듯이 후진 타오 집권 첫 2 년간의 부분은 권력공고화와 그의 선임자 장쩌민의 그늘에게 벗어나는데 집중 되었다. 54

B. 외교정책의 우선순위

중국 학자들에 따르면 마오쩌둥사상과 맑시즘에 기반한 외교정책이념은 오늘날 거의 중시되지않는 것으로 보인다.55 그러나 국경지역에 강하게 군사 적으로 힘을 행사하기엔 상 적으로 약한 군사 력과 강 국이 되고자 하는 중국의 야망이 결합 하여 특히 만에 한 주권과 통일에 관해서는 몇몇 중국의 외교정책 우선순위들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주요 외교원칙은 평화공존, 주권과 영토 의 보존, 상호불가침, 상호내정 불간섭, 그리고 호 혜평등이다. 중국은 또한 공정하고 합리적인 정치 경제 세계질서에 한 필요성을 강조하며 위협과 무력의 불사용, 그리고 국가들의 평등성을 강조 한다. 또한 중국은 항상 개발도상국의 편에 설 것 이며 결코 헤게모니나 패권을 추구하지 않을 것

52 다음글을 참조 Richard McGregor and Mure Dickie, “The drivers of the rate of change”, Financial Times, 23 July 2005; “Hu’s in charge”, The Economist, 20 August 2005. 53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 월. 54 국제위기감시기구 이메일 인터뷰, 2006 년 1 월 20 일. 55 Deng Wang, In the Eyes of the Dragon (Oxford, 1999).

Page 16: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11

이라고 주장한다. 56 이러한 점들이 북한을 압박 하기 꺼려하는 것을 잘 설명해준다.

1. 영토보존

중국의 가장 중심되는 정책우선순위는 영토의 통일이다. 중국은 이것을 위협하는 어떤 정책에 도 승인하지 않을 것이다. 중국은 만과의 통일 을 강 국이 되기 위한 신뢰성을 반영하는 최상의 우선순위로 간주한다.57 또한 신장과 티벳의 분리 독립위협을 우려한다. 이 지역의 분리독립을 합법 으로 인정하는 것이나 자국 인민들을 위한 외국의 개입을 인정하는 것은 매우 민감한 문제이다. 중국 은 또한 압록강부근 중북 접경지역에 위치한 동북 조선족 자치구가 북한에 편입되는 것에 해 우려 하며 경제적 변화, 조선족 민족주의, 인구통계학 적인 변화로 인해 그 지역의 통합을 위협하는 상 황을 우려하고 있다. 58

중국의 조선족

연변조선족 자치구의 2 백만명 인구 중에 조선족 의 인구 퍼센트는 한 세기 전에 분리된 후 최고치 였던 1940 년 의 70%에서 현재는 40% 미만으 로 떨어졌으며 앞으로 더욱 떨어질 것으로 예상 된다. 중국의 다수족인 한족이 이전해오고 있으 며 조선족들은 한국으로, 또는 러시아, 중국의 다 른

56 Wu Xinbo, “Four Contradictions Constraining China’s Foreign Policy Behaviour”,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vol. 10, no. 27, 2001. 57 Crisis Group Asia Report N°54, Taiwan Strait II: The Risk of War, 6 June 2003. 58 2 백만의 조선족들이 중국에 살고 있다. 13 번째 큰 소

수민족이며 90%가 북한과 국경을 접하는 연변자치 구에

살고 있다. 최우길, [중국의 조선족 연구] (서울, 2005); Kim Doo-sub and Kim Jung-min, “Endangered Korean Minority Society in China”,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vol. 12, no. 1, June 2005, 이한우, “간도는 조선땅이다”,

조선일보, 2004 년 9 월 11 일.

지역으로 나가고 있다. 비록 그 수의 감소와 거 의 한 세기 전에 규모로 이전해왔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조선족들은 강한 문화정체성을 유지하 고 있다. 5 세 에 이르는 다수의 조선족들이 모국어인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조선족이 아 닌 사람과 결혼하는 비율은 5% 미만이다. 중국정 부는 고등교육과 한국의 활발한 지역매체를 허용함 으로써 이 정체성을 발양하도록 도왔다. 조선족들 은 위성으로 한국 TV 의 20 개 채널을 시청할 수 있다. 공공간판과 상업간판들은 같은 크기의 글 씨로 한글과 중국어를 병기하도록 되어있다. 조 선족들은 ‘한자녀 낳기정책’에 제한 받지 않는다.

한족의 이주에는 명백한 인센티브가 제공되지 않 는다. 베이징에서 최고위직의 조선족은 국무원의 민족위원회 위원장이다. 59 전국인민 표 회는 각 소수민족에서 한 명이상의 표를 선출하도록 하고있다.60 비록 부분의 지역은 공산당서기가 한족이지만 연변자치구에서는 조선족이 지방정 부관료의 44%를 차지하고 있다.61

민족적 정체성에도 불구하고 조선족들은 중국에 한 강한 충성심을 가지고 있다. 중국과 한국의

수입격차때문에 가장 부유한 조선족일지라도 통일 한국에서는 갑자기 가난한 동포가 될 것이다. 문화 적으로 유창하게 한국말을 구사함에도 불 구하고 한국을 방문하는 조선족들은 2 등 국민으로 우 받는다. 아이러니하게도 한국인들은 체로 외국 인들에 해서 가장 관 하게 접하지만 그들 자 신의 민족에 해서는 차별하고 용서하지 않는다.

59 Li Dezhu 도 또한 베이징에 가기 전에 연변조선족

자치구의 당관리였다. 국제위기감시기구 이메일 인터

뷰, 중국 사회과학원 Andy Zhang, 2006 년 1 월 10 일. 60 Si-Joong Kim, “The Economic Status and Role of Ethnic Koreans in China”, in Korean Diaspora in the World Economy, Institute of International Economics (2003). 61 http://abazhou.gov.cn/softdown/shaoshu.doc (중문).

Page 17: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12

최근까지도 말투가 약간 다르다는 이유로 조선족 들의 경력이나 만나는 사람들의 범주마저도 다르 게 만들고 있다. 비록 문화적으로 부분의 조선 족들이 북한보다는 남한쪽에 더 많이 가까워졌 지만 부분은 단지 돈을 벌기위해 서울에 갔다 다 시 중국으로 돌아온다.

약 3 분의 1 의 조선족들이 북한에 친척을 두고 있 고 그들은 비자없이도 방문할 수 있지만 장기적 으로 북한에 투자하는데 흥미있어하는 조선족들 은 거의 없다. “개혁을 한다해도 경제적상황이 정 말로 나아지기는 어려울 겁니다. 왜냐면 성공적 인 개혁은 정권의 붕괴를 이끌 것이기때문이지 요” 라고 혹자는 말했다. “지금까지 실행된 개혁은 시작에 불과하고 진짜 개혁은 아니지요. 인플레는 통제불능이고 빈부격차는 매우 큽니다.” 북한에 친척을 두고 있는 것 또한 경제적 부담이다. “저는 제 친척들이 일년에 한번 혹은 두번만 방문하는 것 을 허용합니다. 왜냐하면 그들을 위해 컴퓨터며,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등을 사주기 위한 돈을 저축하려면 상당히 오래 걸리기때문이죠” 라고 또 다른 옌지 주민이 말했다.

김정일이나 북한정권을 지지하는 조선족을 찾아 보기는 어렵다. 북한에 친척을 두고 있는 자들에 게는 그들의 가족이 억압과 궁핍 속에 사는 것을 보는 것은 고통이다. 그러나 부분의 조선족들은 무역을 단절시키는 것이 북한 일반주민들의 여 건을 더욱 악화시킬 뿐 어떤 다른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북한정권은 중국없이 도 생존이 가능하지만 북한 주민들이 생존 할 수 있 다고는 생각하지않습니다” 라고 한 사람이 말했 다.62

62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연변조선족자치구, 2005 년

9 월.

2. 내정 불간섭

중국은 오랫동안 모든 나라들은 각자의 정치제도 와 발전모델을 선택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해왔으 며 1989 년 천안문에서 민주화운동가들을 량학 살한 사건으로 인해 비난받기 시작한 이후에 더욱 이 점을 강조하고 있다. 중국은 조건부 원조와 무역이 내정불간섭을 야기한다고 믿으며, 이는 1950 년 소련의 경험과 1950 년에서 1971 년 까지의 미국의 경제재제, 그리고 1989 년 이후 EU 의 무기수출금지로 인해 형성된 관점이다.

중국은 최근의 이라크와 수단에 한 제재를 포 함하여 UN 의 제재에 해 계속적으로 강하게 반 해왔다. 2004 년 9 월 수단의 다포르지역에

한 안보리의 논쟁에서 중국의 상임 표는 이렇 게 말했다. “복잡한 문제를 풀기 위해 지원을 하지 않고 제재를 가하는 것은 오히려 문제를 더욱 복잡 하게 만들 뿐이라는 것이 우리의 일관된 견해이 다.”63

3. 무력의 사용

미국과 일부 유럽 국가들, 그리고 일본에 의해 정 치, 경제, 군사적으로 압박받아온 역사적경험으로 인해 중국은 무력의 사용을, 특히 아태지역에서 의 무력사용을 강하게 반 해왔다.64 이러한 맥락 에서

만문제가 중요하다. 지난 10 여년 동안 베이징, 워싱턴, 도쿄에서는 동아시아에서의 세력 균형과 중국의 만위협이 그 세력균형에 끼칠 영향에

한 점증하는 이념의 충돌이 있어왔다. 비록 어느 중국정부관료도 드러내놓고 미국의 만정책과 중국의 북한정책 사이의 연계를 말하지 않았지만 –

63 Wang Guangya 사, 2004 년 9 월 18 일. http://www. chinaun.org. 64 Wu Xinbo, “Four Contradictions”, op. cit. 이 원칙 은 1979 년

베트남 침략을 막지는 못했다.

Page 18: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13

만이 중국의 외정책문제 로 간주되지 않기때문만이어서가 아니라 – 베이 징 국제관계학과 지아칭궈 교수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만약에 중국과 미국이 동맹이었다면 중국은 북한에 해 다르게 생각했을 것이다. 동맹 의 군사력은 자산이지 위협이 아니다. 그러나 미국과 중국은 동맹이 아니다. 미 국의

만지원은 중국의 핵심적 국가이익을 손상 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중국은 잠재적 위협 시나리오에 응하여 방어책을 세워야 하며 이것은 중국의 한반도 정책에 영향을 끼친다. 무의식적으로 이 두 문제는 연계되 어 있다.65

4. 개발도상국에 한 지원

냉전시기 중국은 개발도상국들의 리더역할을 자 처했는데 석유와 미네랄이 풍부한 아프리카와 중 동지역 나라들과 우호관계를 맺는 것이 필요하다 는 관점이 다시 부활되었다.66 라틴 아메리카에서 부터 서아프리카까지 중국은 신뢰를 얻을만한 산 업과 자원에 접근가능한 산업에 규모 국가지 원의 인프라건설에 투자하고 있다.67 외정책의 우선권은 정치제도와는 상관없이 모든 나라들과 협력하려는 책임있는 강국으로서의 중국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다. 중국은 중국과 함께 일하고 싶어

65 국제위기감시기구, 베이징 학자와의 인터뷰. 2005 년

6 월. 66 Andy Rothman, “China Eats the World”, CLSA Asia Pacific Markets, 2005; David Zweig and Bi Jianhai, “The Foreign Policy of a Resource Hungry State”, Centre on China’s Transnational Relations,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Working Paper no. 5, 2005 참조. 이것은

국제위기 감시기구의 차기 보고서의 주제가 될 것이다. 67 부분적인 중국의 도움으로, 아프리카의 GDP 가 2004

년에 5.8% 올랐다 – 이는 30 년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

다. Jonathan Watts, “No questions, no lies in China’s quest for Oil”, Guardian Weekly, 3 June 2005.

하는 어떤 나라에게도 이념노선을 제시하지 않을 것이 다.68

2005 년 5 월 안디잔에서 있었던 시위자들에 한 량학살로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은 우즈벡의 이

슬람 독재자 카리모프와 일주일 후에 맺은 석유 및 가스개발협정, 이 도덕적 중립정책의 비용은 약 6 억 달러치에 달한다69 로버트 무가베에 한 지지 는 짐바브웨이의 금과 플루토늄자원에 한 접근 을 용이하게 했다.70 서방에서 수단정부가 저지른 다포에서의 량학살을 비난하는 동안 중국은 석 유자원을 개발을 돕고 UN 안보리에서의 지위를 이 용해 수단에 제재를 가하는 것을 막았다.71

중국의 가장 발달된 외교규범은 외교적 불간섭 원 칙이다. 그러나 모든 불간섭원칙은 과거에 위반 되어왔다. 중국은 1970 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의 인종차별정책에 한 UN 의 제재를 지지했고 1979 년 북베트남에 해 일방적인 제재를 가했다. 2002 년에는 티벳의 망명 지도자 달라이 라마의 몽골방문에 항의하기 위해 이틀동안 몽골로 가는 철도를 폐쇄했다.72 궁극적으로 중국의 외교정책 은 자신의 국가이익에 가장 잘 부합한다고 여겨 지는 것에 움직이고 있으며 필요할 경우 실용주 의를 으뜸패로 사용하고 있다.

68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2005 년 6-8 월. 베이징 과

상하이의 중국 외교정책 전문가들과의 인터뷰. 69 Crisis Group Asia Briefing N°38, Uzbekistan: The Andijon Uprising, 25 May 2005. 70 “No Questions, No Lies”, op. cit.; Crisis Group Africa Report N°97, Zimbabwe’s Operation Muram-batsvina: The Tipping Point?, 17 August 2005. 71 수단은 중국에 중국석유총량의 5%를 공급하고 중국

은 수단의 가장 큰 무역 파트너이다. 수단에 관한 국제

위기감시기구의 보고서와 자료 참조. http://www.crisisgroup. org/home/index.cfm?id=3060 72 David Murphy, “Softening at the Edges”, Far Eastern Economic Review, 4 November 2004.

Page 19: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14

C. 국내적 안정성

그 실용주의를 가늠하기 위해 중국은 항상 외부적 으로 혹은 군사적으로 규정된 상황들보다 더 종합 적인 개념으로 위협에 해 관찰해왔다. “국내안정 이 항상 최우선이다. 외부의 위협은 주로 그것이 얼마나 국내의 불안정을 악화시키는가에 따라 인식된다”고 중국 외교전문가 펑화이동이 말한 다.73 북한의 정치적변화나 경제적붕괴가 중국의 국내 발전, 특히 동북지방에 끼칠 즉각적 영향에

한 측정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북한의 급속한 붕괴에 관한 두가지 최악의 시나리오가 이 생각을 지배하고 있다.

1. 북한의 붕괴와 혼란

중국과 북한의 1,400km 에 이르는 접경지역은 한 나라에 무슨일이 일어나면 다른 나라에까지 영향 을 끼친다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접경지역 자체는 아주 조용하며 드문드문 보초가 있지만 구멍이 많아 보인다. 양국사이를 연결하는 다리 주변에 약 간의 군인들이 있는 것을 빼고는 양쪽에서 군 는 보이지 않는다. 북한군인들은 50 미터 간격으로 있 지만 그들 중 다수는 북한을 떠나는 북한사람들과 중국쪽에서 강을 건너는 한국인들과 다른 관광객 들에게 쉽게 뇌물을 받는다. 서쪽의 압록강과는 다르게 동쪽의 두만강은 강을 건너기에 충분할만 큼 수심이 얕다.74 그래서 이 국경 자체로는 북한 인들이 중국에 들어오는 것을 거의 막지 못한다. 오히려 많은 탈북자들이 이곳을 통해 넘어와서 한 번씩 숨어있게 되는 곳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73 Peng Huaidong, “A Discussion of the Major Differences in Chinese and Western Views of War”, Zhongguo Junshi Kexue, no. 1, 1997, pp. 127-131, in David Shambaugh, Modernising China’s Military (London, 2004), p. 284. 74 부분의 강이 수심 50 cm 안팎이다.

중국은 김정일의 철권통치가 무너지면 북한에 통제불가능한 시민폭동이나 혹은 중무장한 군부 엘리트의 파벌로 인한 내전이 일어날 것이며 이 불안정이 국경지역에까지 번질 것을 두려워 하 고 있다. “북한내부에 다양한 분파로 나뉘어져서 경쟁하거나 싸울 것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을 겁니다. 한 부류는 좀더 중국에 가까운 친중파, 또 한 부류는 친미파, 또 한부류는 친한파가 될 것입니다. 각 분파는 도움을 요청할 것이고 그렇 게되면 상황은 극도로 혼란스러워질 것입니다.”라 고 중국 안보전문가가 경고했다.75

길림성, 요녕성, 흑룡강성등 북한을 접하고 있는 동북 3 성의 25 년간의 경제침체를 극복하려는 새 로운 캠페인 동북개발계획은 이 시나리오를 근거 로 베이징에 제시하고 있다. 원자바오 총리는 2003 년에만 3 번 이 지역을 방문했는데 21 세기 중국 경제성장을 이끌 “두 축”으로서 동북 3 성 개 발계획을 강조했다. 후진타오 주석 또한 그의 전 임자 장쩌민보다 자신이 더 평등주의자라는 것 을 부각시키기 위해 이 프로젝트에 개인자산을 투자했다.76 10 억 이상의 인구가 있는 이 나라에 전통적인 중공업지역인 “녹슨벨트”의 중화학, 철 강, 정유, 조선업을 회복하는 것은 개발의 우선순 위이며 이는 경제적 이익의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높은 실업률과 불평등이 불만의 위험한 근원이 되 어왔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것이다. 77

75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 월. 이 런

우려는 러시아의 군사전문가들에게도 공유되고 있다.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모스크바, 2005 년 12 월 13 일. 76 전통적인 산업기초를 부활시키는 전략적인 계획은 제

16 차 3 중전회 에서 발표되었다. Cheng Li, “China’s Northeast: From Largest Rust Belt to Fourth Economic Engine?”, China Leadership Monitor, no. 9 (Winter 2004). 77 매년 중국사회과학원에서 출간하는 중국사회동향조

사 2003 년 보고서에 의하면(Blue Book of Chinese Society)

Page 20: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15

오랫동안 이 지역은 동남부 해안도시들에 비해 뒷 전에 렸고 국가생산에 차지하는 몫이 16.5%에 서 9.3%로 떨어졌었다. 장쩌민의 상하이 및 기타 해안도시들에 한 집중은 그 지역의 만연한 부패, 불평등, 실업률등에서부터 시선을 돌리게 했으며 잠재적붕괴에 비고 있었다. 후진타오/ 원자바오 정권은 좀더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사회적약자그룹 과 균형있는 지역개발에 좀 더 주의를 기울이고 있 는 것처럼 보인다.78

중국의 중앙은행은 성정부에 특별 출을 제공하 는 한편79 사영기업과 외국투자는 국가평균수준보 다 높아서 2003 년에서 2004 년까지 동북 3 성에서 성장률 78%을 달성했다. 80 이 흐름을 유지하고 지역개발을 정상화시키는 것이 동북지역개발정 책의 핵심이다.81

만약에 북한이 붕괴되어 내전이 발생하면 국경의 안전을 지키고 북한의 새지도부가 친중적이 되도록 만들기 위해서 중국군부가 북한에 개입하려는 계획

요녕성 조사인구의 80%가 중국사회가 “매 우

불평등”하거나 “ 체로 불평등하다”고 답했다; 28%가

직장 동료나 이웃이 요청할 경우 “집단행동”에

참여하거나 지지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런 수치들은 중

국사회의 안정을 희망하는 사람들을 우려케 한다. Joseph Fewsmith, “China’s Domestic Agenda: Social Pressures and Public Opinion”, China Leadership Monitor, no. 6 (Spring 2003). 78 Cheng Li, “China’s Northeast”, op. cit. 79 “NE China province gets huge bank loans for rejuvenation”, 인민일보, 2005 년 1 월 27 일. 80 “Three characteristics in China’s utilisation of foreign investment”, 인민일보, 2005 년 1 월 18 일; “Six channels for multinational corporations to participate in rejuvenation of the north east”, 인민일보, 2005 년 2 월 22 일. 81 Leading Group for Revitalising Northeast China and Other Old Industrial Bases 의 책임자 Zhang Guobao 의 코멘트, “China To Speed Up Innovation In SOEs To Revitalize Old Industrial Base”, 신화뉴스, 2005 년 3 월 3 일.

을 가지고 있다는 소문이 있었다.82 그러나 2004 년 10 월 한국의 조선일보는 중국이 “북한을 군사 연합체로 병합시켜서 마침내는 종속국가로 만들” 전략적 증거가 있다고 보도하면서 중국이 한 국의 통일을 막으려 한다는 서울의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우려를 상기시켰다.83 중국의 분석가들 은 재빠르게 중국은 영토합병에 한 야욕이 전혀 없다고 부인 했다. “중국은 이미 충분히 가난하다. 문제있는 지역을 더 얻어서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84

2. 량이민 방지

북한내부의 사회적통제가 붕괴되는 것에 한 중국의 두번째 우려는 사회적, 범죄적, 정치적 문제들을 동반한 난민들의 량유입에 따른 위 협이다.85 비록 중국이 약 15 만 군 를 국경지 에 배치해놓고 필요할 경우 국경을 봉쇄할 준비를 하 고 있다는 소문이 있기는 하지만 이 불확실한 계획 에 해서는 아무것도 밝혀진바가 없다.86 난민유입 이 시작되었다는 근거에 기반한 최악의 시나리오 를 상정하여 2003 년 러시아는 북한과 맞댄 국경 지역에서 17Km 떨어진 곳에서 국경보초들과 민방 위 원들과 함께 공동 훈련을 실시했었다. 이 훈련 에서 러시아는 중국의 100 의 1 크기에 해당하 는 러시아-북한 접경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75 의

82 Rebecca MacKinnon, “Internet rumours of Chinese plans for N. Korea”, 20 October 2004. www.NKZone.org. 83 조선일보, 2004 년 10 월 19 일 84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7 월. 85 기아사태가 최고에 달했던 1990 년 후반동안 중

국에 있는 탈북자수에 한 통계는 10 가지이상의 요

소들에 의해 다양한데 북한정권이 붕괴할 경우 얼마나

많은 탈북자들이 나올지는 측정이 불가능하다. 86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8 월.

Page 21: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16

전투함, 20 의 전투비행기, 그리고 3 만 명의 군인들을 동원했다.87

D. 지역적 안정성

중국은 북한의 행동과 핵프로그램을 동북아지역의 안전을 위협하는 것으로 본다. 중국은 또 하나의 핵국가가 등장함으로 인해 연쇄작용을 일으켜 일본이나 한국 그리고 잠재적으로 만이 핵무장 하여 핵각축이 일어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더 나쁜 경우는 북한 핵무기에 한 결정적인 증거 가 나올 경우 미국주도의 일방적인 북공격이든 지 혹은 코너에 몰린 북한이 한국이나 일본을 선제 공격하게 되면서 전쟁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것은 중국의 직접적 전쟁개입 여부와 상관없이 중국자 신의 경제성장에 치명적인 재앙이 될것이다. 중국 의 선택은 두 개의 한국이 현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국의 전략적 이익에 부합한다는 계산에 의해 제 한받는다. 북한을 중국과 미국 군 사이의 완충지

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더 중요한 것은 중국자신 의 만과의 통일문제카드로 사용하는 것이 핵심 적인 우선권이라는 것이다.

1. 핵무장 이웃국가 불허

핵무기 그 자체에 군사적 중요성이 있다기보다 핵 무기가 존재하는 합법적 목적은 오직 핵위협을 방 지하기 위함이라고 중국은 주장해왔다. 중국은 무 조건적으로 비핵국가에 해서 핵무기를 사용하지 도 위협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공표했다. 핵억제력 의 정당성에 해서는 자주 도전했고88 한반도 비 핵화에 한 중국의 기여를 강조했다.

87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7 월; and James Brooke, “Old allies turn up the heat on North Korea”, The New York Times, 19 August 2003. 88 “Fact Sheet: China’s Nuclear Disarmament Policy”, 27 April 2004, http://www.fmprc.gov.cn.

베이징의 또 다른 우려는 일본이 북한의 위협을 이용하여 더욱 “정상적”인 방위정책으로 만들어 야 한다고 정당화하는 것인데 이는 중국이 불가피 하게 적의로 해석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89 북한 의 핵무기 프로그램과 미사일 개발은 일본에 스 파이를 침투했던 과거경력과 더불어 특히 1998 년 8 월 북한이 일본상공을 지나가는 미사일발사 실험을 한 이후부터 일본의 방어계획에 차지하 는 북한의 중요성을 높여주었다. 북한위협은 미 사일 방어체제(MD)와 위성개발, 무력사용을 허용 하는 평화헌법개정, 그리고 미일동맹의 강화를 정 당화하는 명분으로 이용되었다. 핵도미노 시나리 오, 즉 북한의 핵무장화가 결정적으로 증명되면 일본이 핵무장화하고 이어서 한국이, 그리고 아마 도 만까지 핵무장할 것이라는 핵도미노 시나리 오는 비록 일본에서 조사된 것은 아니지만 베이징 에서는 매우 그럴듯하게 보여지고 있다.90

핵무장한 북한이 중국에 직접적인 위협이 될 가능 성도 있다. 중국전문가들은 사적으로 이야기 할 때 일본의 MD 개발의 가능성과 한반도에 무기를 떨어뜨리지 않을 것이라는 점, 그리고 미국을 가격할 수 있는 장거리미사일 개발의 기술적 장 애물들로 인해 오히려 중국이 북한의 가시적 타 겟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일부 중국 전문가들은 북한이 중국으로부터 원조를 얻어 내기 위해 핵무기를 이용하는 것이라고 우려한다. 좀 더 그럴듯한 시나리오는 국경근처를 따라 위 치해 있는 핵시설물에 사고가 나서 중국 동북지 역에 피해를 끼치는 것이다.91

89 중일관계는 국제위기감시기구의 다음번 주제가 될

것이다. 90 국제위기감시기구 보고서 N°100, 일본과 북한:

불화의 초점, 2005 년 6 월 27 일. 91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상하이, 단동,

2005 년 6-8 월.

Page 22: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17

2. 갈등 회피

베이징 중국국제문제연구소의 외교정책전문가 진린보는 비록 중국의 공식적 정책은 한반도의 비 핵화를 추구하는 것이지만 중국이 정말로 이 목적 을 진지하게 추구하고자 하는 것인지 아니면 단지 한반도 비핵화라는 원칙 자체가 너무나 중요해서 강경한 행동을 취하지 않는 것인지 분명하지 않다 고 말했다.92 이란의 핵야망을 좌절시키는데 국제 적인 노력이 어려움을 겪고 있듯이 중국의 정책결 정 서열계도에서도 비확산의 개념보다 국내적 계 산이 앞서는 것이다. “이란이 무엇을 하던지, 우 리는 석유가 필요하다”고 복단 학의 미국학센 터 션띵리는 말한다.93 중국은 이란의 외교적 보 호를 수지타산에 맞는 석유와 가스계약과 바꿀 수 있는 것이다. 이란의 지도자들은 미국이 UN 안보 리에 해 압력을 가하려는 어떤 시도에 해서도 중국이 막아줄 것이며 중국은 무역관계로 인해 일 방적인 미국이나 서구국가들의 제재를 무마시킬 것이라고 생각한다. 2004 년 10 월 중국은 이란 으로부터 30 년간 석유와 가스를 구입하는 계약 을 70 억 달러에 체결했다. 중국국영석유회사 시노펙은 이란의 규모 유전지를 개발하고 있 다.94

중국이 북한 핵프로그램에 해 가장 두려워하 는 것은 북핵문제가 한반도에 분쟁을 일으키게 되면 중국의 경제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는 점이 다. 전쟁은 중국의 내외적 안정에 큰 영향을 끼 칠 것이다. 소비자와 기업들은 지출을 줄일 것이 고 이는 곧바로 경제성장률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

외무역투자 그리고 단기자본의 유입도 중단될

92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5 월 28 일. 93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2005 년 8 월 30 일. 94 See Crisis Group Middle East Briefing N°18, Iran: What Does Ahmadi-Nejad’s Victory Mean?, 4 Au-gust 2005; and Crisis Group Middle East Briefing N°15, Iran: Where Next on the Nuclear Standoff?, 24 Novemver 2004.

것이다. 일본, 한국과 같은 두 중요한 자본과 상품 의 공급자들과의 무역도 영향을 받을 것이다.95 수 출과 제조성장률의 원동력인, 일반적으로 GDP 의 5%를 차지하는 해외직접투자도 급속하게 감 소할 것이라고 금융전문가들은 말한다.96

금융방면의 타격이 가장 클 것이다. 중국은 환율 재평가에 한 기 로 인한 규모의 단기자본 유 입에서 이익을 톡톡히 봐왔다. 만약 이런 자본의 유입이 역전된다면 중국은행은 심각한 압력을 받 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중국은 심각한 금융위기 를 겪지 않았지만 갑작스런 자본의 유출은 은행 부문의 결함을 들어내면서 심각한 손상을 가져올 것이다.97 “중국은 미국이나 북한을 도울 목적으 로 핵문제를 풀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단지 지역의 안정과 중국의 이익에 해 고려할 뿐이다”라고 베이징 신화사의 한 기자는 말했 다.98

이웃나라들과의 경제적교류를 확 하면서 발생 하는 일들의 연쇄작용을 막기위해 중국은 부 분의 국경지역에서 일촉즉발의 불씨를 끄려고 노력해왔다. 2001 년부터 중국은 러시아, 카자흐 스탄, 키르키즈스탄, 타지키스탄과의 국경분쟁을 해결해왔다. 중국은 중앙아시아국가들과 러시아 와 함께 상해협력기구(SCO)를 발족시키고 사무국 은 베이징에 두었다. 남부지역에서는 동남아국가

95 일본과 한국은 중국 전체수입의 각각 15%, 11% 를

차지하며 중국시장에서 일본과 한국은 첫번째, 두번째 의

가장 많은 주식을 가지고 있다. 일본은 중국의 4 번 째

수출시장으로 12%를 차지하며 한국은 중국의 6 번째

수출시장으로 5%를 차지한다. 96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Andy Rothman, CLSA Asia Pacific Markets, 5 August 2005 and Domini-que Dwor-Frécault, Barclays Capital, 2005 년 8 월 12 일. 97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Dominique Dwor-Fré-cault,

Barclays Capital, 2005 년 8 월 12 일. 98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 월.

Page 23: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18

연합(ASEAN)과 협력해서 ASEAN-중국 FTA 협상 을 착수했다. 또한 중국은 필리핀, 베트남과 남중 국해의 행동수칙을 개발하여 공동조사협정을 체 결했다. 99 중국의 이웃나라들과의 분쟁에 한 접근은 여전히 서투르다. 일본에 한 정책을 구 성하는데는 민족주의를 사용하려하여 불필요한 긴 장관계를 조성하고 있다. 여전히 북한은 특별히 위 험하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중국경제에 직접적 인 위협이 되고 있다.100

이것이 바로 1994 년 5 월 전쟁의 위기와 같이 현 재까지도 수차례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이유이다. 부시행정부는 항상 고양된 중국의 행동과 외교적 천재성을 마주하게 된다. 베이징과 상하이의 관찰 자들은 2003 년 중국의 6 자회담제안은 미국의 이라크침공이후 다음 목표는 북한이 될 것이라는 두려움때문에 추진하게 되었다는데에 동의한다.101 2005 년에 이르러 미국이 두 곳에서 군사적행동을

99 “Philippines, Vietnam to work with China on offshore resources dispute”, Xinhua News Agency, 11 April 2005; “Oil pact marks new approach to disputes by China”, Financial Times, 3 September 2004. 2005 년 4 월 원총리는 인도와

국경분쟁해결 로드맵을 만들기로 한 합의에 사인을

했으며 군부는 뉴델리와 캘커타에서 국경분쟁감소를

위한 군사회담을 가졌다. S.N.M. Abdi, “PLA chief opens dialogue in India”, South China Morning Post, 26 May 2005. 100 중국공산당의 지속적 통치를 도전하는 사회적인

문제들은 중국이 경제개혁을 실시한 이후 30 년동안 많은

연구의 주제가 되어왔다. 예) Victor Louis, The Coming Decline of the Chinese Empire (New York, 1979); Christopher Wren, The End of the Line: the Failure of Communism in the Soviet Union and China (New York, 1990); 금융위기방면의

가장 최근의 관찰 에 해서는 다음 글 참조, Gordon Chang, The Coming Collapse of China (London, 2001). 101 Robert Marquand, “Watching Iraq, China begins to lean on North Korea”, Christian Science Monitor, 8 April 2003. 이러한 두려움때문에 김정일은 2003 년 지하벙커에서 몇

달동안 숨어있으면서 미국이 언제 폭 탄을 떨어뜨릴지

기다리고 있었다는 소문이 있다. Thom Shanker, “In Iraq, U.S. learned how to scare top North Korean”, The New York Times, 11 May 2003.

유지할 수 없을 것이라는 깨달음이 베이징의 긴박 함을 많이 감소시켰다.102

3. 지역의 현상유지

중국의 1 세 공산주의 리더들은 미국군의 중국 국경접근을 막는 완충지 로서 북한이 필요하다 고 믿었다.103 비록 이 전략적 가치는 1970 년 경제개혁을 추진하고 미국과 수교함으로써 많이 약화되었으나 중국의 지도자들은 아직도 여전히 북한을 잃게 될 경우의 예측불가능한 상황을 염 려하고 있다.104 일부 현 중국전문가들은 완충 지 전략은 “불필요한 냉전적 사고”라며 이 전략 을 버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중국은 한국과의 빠 르게 성장하고 있는 경제, 정치, 군사적관계를 높 이 평가하고 있으며 더이상 한국을 잠재적인 적 국가로 여기지 않는다고 말한다. 중국과 미국은 이 지역의 평화를 유지하고 무역관계를 개선하기 위 해 한반도 비핵화에 한 공통의 이익을 공유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한국이 한미동맹에 있어서 조 금 더 독립적인 방향으로 움직이면 통일은 중국의 이익에 해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그러나 가장 자유주의적 전문가들조차 중국이 두 개의 한국에 영향력을 유지할 수 있다면 가능한 남북한의 현상태를 유지하기를 선호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중국에겐 독립적이고 공산주의

102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9 월. 103 미국군 가 압록강을 건너 들어올 것이라는 개념이

바로 한국전쟁 초기에 중국의 참전에 해 회의적이었 던

지도부로 하여금 미국에 항하여 싸우기 위해 중국

군 를 보내야 한다는 마오쩌둥의 주장을 지지하게 만 든

이유이다. Scott Snyder, “North Korea’s Decline and China’s Strategic Dilemmas”, United States Institute for Peace, October 1997; Jianwei Wang, “Against Us or With Us? The Chinese Perspective of America’s Alliances with Japan and Korea”, Asia/Pacific Research Center, June 1998. 104 Ming Liu, “China and the North Korean Crisis: Facing Test and Transition”, Pacific Affairs, vol. 76, no. 2, Fall 2003, p. 350.

Page 24: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19

국가인 북한의 생존이 절 적으로 필요하다”고 베이징 런민 의 스인홍교수는 말한다. 중일관계 의 악화와 중미관계의 예측불가능성에도 불구하 고 중국은 안정적인 환경을 위해 그것은 “필수적” 이라고 말했다. 두 개의 한국과 긴 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전술한 강제력을 의미한다. “만약 우리가 북한을 압박하면 남북한 모두 우리를 미워 할 것이다.”105

복단 학의 미국학 연구센터 션띵리는 더 나아가 북한에 한 압박은 북한으로 하여금 미국의 동맹 이 되게끔 몰고갈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면 그것 이 중국에 도 체 무슨 이익이 되겠는가?” 완충지 를 잃는 것뿐만 아니라 션은 또한 만 정책에 한 부정적 영향을 염려한다. “우리는 미국의 군사배치와 미래에 만해협에서 중국에 군사적으로 개입하기 위한 전쟁 비를 막을 수가 없다.”106 두 개의 한국정책은 많은 중국인들에게 인기가 있다. 상해의 사업가 메이꼬 료우씨가 말했다:

차도 한 보다는 두 가 좋다. 북한은 중 국과 미국, 중국과 일본 사이의 완충 역할을 한다. 왜 우리가 미국와 일본이 그들 스스로 이 더러운 일을 하려 할 때 북한을 압박해야 하는가? 만약 내가 외교부에서 일하는 사람 이었다면 나도 똑같이 했을 것이다. 그것이 현명한 일이다.107

중국의 지역안정에 한 우려는 한미동맹에 한 남한의 입장을 바꾸는 것을 피하는 데에까지 미쳐 있다. 비록 1992 년 한중관계 정상화이후로 양국 의 정치, 경제적 관계가 번창했지만 서울이 좀 더 중국쪽에 가까워지는 것이 베이징에서는 미국에

105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 월. 106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상하이, 2005 년 8 월 30 일. 107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상하이, 2005 년 9 월 1 일.

한 불필요하고 원하지 않는 자극으로 보여지는 것이다.108 2005 년 3 월 한국의 노무현 통령은 한국이 한반도와 동북아에서 균형자역할을 해야 한다는 정책을 발표했다. 이것은 도쿄와 베이징, 워싱턴에서 볼 때 좀 더 중국쪽으로 기우는 서막 인 것처럼 해석되었다.109 그러나 베이징의 유명한 학자는 말한다. “중국 자신의 이익을 위해 이 상황 을 이용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그것이 결적인 냉 전적접근으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남 한이 동맹을 깨뜨리고 우리편이 되도록 고무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그러한 갑작스런 변화를 보기 원치 않는다. 그것은 이 지역에서 혼돈과 혼란을 일으킬 것이다.”110

108 중국은 2004 년에 미국을 제치고 한국의 최 의 무

역교역국이 되었다. 한국과 중국사이에는 일주일에 300

이상의 비행기가 운행하고 있다. 2004 년에 180 만명의

한국인들이 중국을 방문했고 50 만명의 중국인들이

한국을 방문했다. 그동안 15 차례 이상의 한중회담이

있었고 양국 외교관리들간의 협력이 증가 하고 있다.

한국의 해군과 공군은 중국의 해군, 공군 과 긴 한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하원, “한중관계 12 주년

특별보고서”, 조선일보, 2004 년 8 월 24 일. 109 2005 년 5 월에 일본 외무부 사무차관 Yachi Shotaro 는

이를 관찰하며 이렇게 말했다. “미국과 일 본은 오른쪽에

서있고 중국과 북한은 왼쪽에 서있습 니다. 한국은 점점

중심에서 왼쪽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일본은

외교적인 발언들때문에 한국을 화 나게 하고 있습니다.”,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5 년 5 월 27 일. 110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 월.

Page 25: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20

IV. 중국 영향력의 한계

재정적인 도움과 역사적인 연 에도 불구하고 중 국은 북한의 신뢰를 얻지 못했다. 평양은 중국의 경제적지원과 외교적보호를 중요시하기에 관계 를 위태롭게 하는 것을 피하고자 한다. 그러나 “우리는 중국을 전적으로 믿지만은 않을 것이다” 라고 북한관리들은 말한다.111 아래에서 언급하겠 지만 이러한 불신은 부분적으로 한국전쟁의 굴욕 적인 경험과 중국개혁에 한 이데올로기적 분노 에서 기인한다. 더 중요한 것은 북한이 공격받을 때 중국이 방위를 위해 도우러 오지 않을 것이며 중국 자국의 이익은 항상 상황변화에 종속되어 있기에, 예를 들어, 양안관계에 있어서 자국의 이익을 위해 북한을 희생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북한사람들이 잘 알고 있다는 점이다. 북한에 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능력에 한계가 있다 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중국은 북한의 정책결정 과정을 고려하여 북한과 미국에게 조언을 할 때 신중을 기하고 있는 것이다.

A. 북한의 불신

1. 역사

한국전쟁은 북한에서 중국에서만큼의 위엄을 발 생시키지 못했다. 김일성의 정통성은 동북아에서 일본을 패퇴시키던 중국의 역할을 경시하고 조선의 독립을 위해 싸우던 항일 빨치산으로서의 독보적인 역할을 찬양하는데 기반을 두고 세워졌다. 김일성 전기작가 중 한 명인 서 숙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김일성은 단지 작은 세력가였다. 그의 역할은

111 세미나 “North Korea Status Report: What’s Next After

Round Four of the Six Party Talks?” 에서 나온 발언이다.

Brookings Institution, Washington DC, 2005 년 8 월 11 일.

자신의 인격을 신격화하는 것이었다. 중국과 김 일성의 개인적 관계는 좋았으나 그는 한국 국민 들의 독립적인 최고권력자가 되길 원했다.”112

김일성정권은 남한침략을 성공적으로함으로써 김일성을 통일국가의 리더로 세우려고 한 것으 로 보여진다. 최근에 워싱턴에서 냉전국제역사 프로젝트에 의해 발간된 문서들은 그가 전쟁이 전에 마오쩌둥의 군병력제공제안을 계속 거절했 음을 보여준다. 중공의 개입은 유엔군이 38 선을 넘어서야 마지못해 받아들여졌다.113

전쟁중에 중국과 러시아의 역할을 최소화하고 경시하려는 김일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같은 경험은 모욕이었다. 전쟁은 중국의 명령하에 이루 어졌다. 마오쩌둥의 리인인 펑더화이장군 은 인민군의 리더십과 조직에 해 혹평을 하며 한때는 사령부를 “유치하다”고까지 표현했다. 114 김일성은 총체적인 전략에 한 합의가 있었음 에도 불구하고 전술과 운용에서 반복적으로 무시 당했다.

조직화된 분노는 김일성의 정통성과 중국의 우 세사이의 모순에서 기인되었다. 냉전국제역사프 로젝트의 Kathryn Weathersby 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전쟁이 김일성과 북한정권 그리고 김정일 까지 세우는 경험이었다는 것을 염두에 두면

112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2005 년 6 월 21 일. 113 중국지도부는 1950 년 6 월 20 일 공격에 한 공지 를

받지 못했다. 김일성은 그 후에 장교들에게 정보를

중국 사관에 알리는 것을 금지시켰다. Shen Zhihua, “Sino-North Korean Conflict and its Resolution during the Korean War”, Cold War International History Project Bulletin, Issue 14/15, Winter 2003-Spring 2004. 114 1950 년 10 월의 한 보고서에서 그는 북한의 군부 에

관해 이렇게 언급한다: “장기적 계획은 없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모험뿐이다! 군부통치는 극히 유치하 다.”, Ibid.

Page 26: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21

중국은 북한이 파괴되는 것을 막아준 큰 형 이었다. 마치 가족에서의 형과 같은 존재였고 그런 일이 북한에서 일어났던 것이다. 그래서 북한은 그 후에 그들 자신이 자신의 문제를 수행할 주권과 능력이 있다는 것을 확실히 해야할 강한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115

그러한 유산은 계속되었다. 중국은 한국전쟁과 항 일전쟁에 한 북한의 모든 기사에서 언급되지 않 고 있다. 평양에 있는 한국전쟁 박물관에는 사망한 중국군 나 그들의 역할에 한 어떠한 언급도 없 다. 그곳에는 오직 중국인 방문객에게 제한적으로 보여지는 몇몇을 제외하고는 중국의 참전을 보여 주는 어떠한 기념물이나 전시물이 없다.116 남한으 로 망명한 전직관료는 북한이 중국과 주종관계로 병들어 있다고 말했다. 북한에 해 선도적인 미 국전문가인 박한식교수는 40 번 이상 북한을 방문 해왔는데 북한사람들의 중국에 한 이러한 태도 를 모순적이라고 한다.117 그러나 적어도 한국전 쟁에서만큼은 중국에서와 같은 동일한 향수를 북한에서는 불러일으키지 않았다.

2. 이데올로기

북한의 소련과 중국의 이데올로기적, 경제적 모델 로부터의 탈피는 소련에 한 헝가리의 반란과 그 들의 관계가 악화되기 시작한 1956 년 이후 가속 화되었다. 김일성은 중국군 를 몰아내고 친중파 관료들을 숙청했으며 1956 년 초반에 러시아와 중국의 압력에 의해 강요된 경제자유화와 서방세 계와 평화공존정책을 뒤집었다. 그는 국가를 주체 의 길로 확고히 세웠는데 이는 극도로 경제를 내수중심화하고 외부로부터 고립화해 자립적으로

115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2005 년 6 월 22 일. 116 “China sees itself on holidays in Pyongyang”, Globe and Mail, 6 October 2003. 117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서울, 2005 년 5 월.

만드는 독특한 이데올로기이다.118 중국이 북한의 주요 적국인 미국과 접촉하고 또다른 적국인 일본 과 수교를 했던 1970 년 부터 북한은 중국의 경제, 이념적 모델에서 분명하게 갈라서기 시작했다.

1989 년 천안문사태는 김일성에게 경제적개혁에 의한 위협이 어떤 것인지 여실히 보여주었고 결과 적으로 러시아와 동유럽 그리고 일시적으로 중국 에 거주하던 모든 북한인들을 소환하게 만들었다. 가장 심한 타격은 중국이 남한과 화해하고 남한이 유엔에 가입을 막아달라는 북한의 요구를 거절한 1992 년에 일어났다. 중국분석가들은 중국 경제 개방에 한 깊은 이념적 불신에 의한 이 결정이 쌍방의 관계를 악화시켰으며 깊은 배신감을 남 겼다고 말했다. 베이징의 한 학자는 다음과 같이 진술했다:

북한정당이 순수한 맑스레닌주의정당이다. 중국공산당은 더이상 맑스주의정당이 아니 다. 마오쩌둥이 죽기전부터 그들은 자신들 이 공산주의 운동의 리더들이라고 믿었지만 사실 중국은 더이상 공산주의국가가 아닌 것이다. 119

비록 1994 년에 김일성이 사망하고 2002 년 이후 로 북한이 온건한 경제개혁을 실행하고 있지만 북 한은 맑스교조주의를 바꾸고 있지않고 중국의 이 데올로기적 결함에 한 수정주의라는 평가도 변 하지 않았다. 120 한 학자에 따르면 그와 함께

118 Mao 와 Joseph Stalin 은 전후에도 김일성을 구속 하려

했다. 어느 누구도 미국과의 또다른 전쟁을 일으 키고

싶어하는 욕망을 공유하지 않았고 둘 다 사회주 의권

국가들에게 동의를 얻는 것에 해 우려했다. 119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 월. 120 경제개혁에 관해서는 다음글 참조. 국제위기감시

기구 보고서, 북한: 철권통치는 보이지 않는 손을 받아

들일 수 있을까?, op. cit.

Page 27: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22

경제개혁에 관한 토론회에 참석했던 북한사람들 이 솔직하게 이렇게 물었다고 한다: “나는 맑스 주의자고 당신은 수정주의자인데 내가 어떻게 당 신을 믿을 수 있겠는가?”121 또 다른 학자는 더욱 퉁명스럽게 말했다고 한다. “북한은 사실 여전히 중국을 미워한다”.122

B. 북한에 한 어려운 접근성

중국의 북한관료에 한 접근은 불규칙하다. 예를 들어 2003 년 1 월과 6 월 사이에 중국은 60 명이상 의 표단을 파견했다. 그러나 양은 질을 의미하지 않는다. 평양에 영향력을 끼치기위해 각 관계를 이 용하는 능력은 양자관계의 신랄한 현실과 당, 군, 및 두 나라의 주요 연락주체 표들에 한 천 에 의해 제한받고 있다.

1. 당 당 관계

수십년동안 중국은 다른 공산국가들과 중국공산당 외연락부를 통해 당관계 차원에서 외교관계를

맺어왔다. 1995 년에 중국은 북한을 국가차원으 로 승격시켜서 양국관계를 다루기 시작했고 다른 나라들과 같은 지위를 부여하기 시작했 다.123 외 연락부는 여전히 존재하며 북한과 접촉하는 중요한 통로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 역할이 이데올로기에 상관없이 모든 나라들과 친선우호관계를 맺는 데까지 확장되었고 중국외교 정책수행과 전달에 한 직접적 개입은 줄어들게 되었다.124

121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 월. 122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 월. 123 Banning Garrett and Bonnie Glaser, “Looking across the Yalu: Chinese assessments of North Korea”, Asian Survey, vol. 35, no. 6, June 1995. 124 http://www.idcpc.org.cn/index.htm.

중국분석가들에 의하면 외연락부역할에 한 이 데올로기적 오염으로 인해 북한에 한 영향력이 감소했다. “지금 북한지도자들은 중국지도자들이 서방세계와 심지어 그들보다는 남한과 더 많이 이 야기하고 있다고 보며 그래서 그들은 그것을 싫어 한다”라고 중국공산당관리가 말했다.125 북한은 특 별히 외연락부의 역할이 미국과 한국과의 더 친

한 관계조성에 있다는 것과 미국의 북강경정 책에 공모할 가능성에 해 경계하고 있다. 기존의 전통을 깨고 2003 년 신지도부가 들어선 후 후진 타오주석은 평양보다 워싱턴을 먼저 방문했고 2005 년 후반기에 APEC 회담참석차 한국을 방문 하기 직전에 북한의 체면을 위해 잠시 북한을 방 문했다.126

북한은 또한 중국의 관점에서 “친선우호관계”가 현실정치에서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잘 알고 있다. 1996 년 베이징이 평양에서 요구한 곡물의 10 분의 1 을 보내려고 했을 때 북한은 만과 문화적, 경제적협력을 강화하겠다고 위협했다. 이 는 한중수교 직후인 1993 년에도 있었던 일이다. 베이징은 재빨리 더 나은 제안을 북한에 했다.127 1997 년과 흡사하게 UNDP 와 함께 북한에서 일 하고 있는 중국 농업전문가들이 북한으로 하여 금 중국식모델을 채택할 것을 권고한 직후 평양은 덩샤오핑을 사회주의의 배신자라고 불렀다. 베이 징은 식량원조를 중단하겠다고 위혔했고 평양은

만과 5 억톤의 식량제공을 조건으로 직항로

125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 월 126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서울, 2005 년 11 월. 127 Andrew Scobell, “China and North Korea: From Comrades in Arms to Allies at Arm’s Length”, Strategic Studies Institute, U.S. Army War College, March 2004, p. 5.

Page 28: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23

개설에 해 논의했다. 중국은 위협을 중단했고 북 한은 만과의 화를 중단했다.128

중국 한 당관료는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아킬레스건을 가지고 있다. 북한은 자신이 중국에 해 지렛 를 가지고 있음 을 잘 알고 있으며 자신이 무엇을 하건 중 국이 너무 많이 뒤돌아서지 않을 것이란 것 또한 알고 있다. 북한은 중국에게 말한다. “우리는 보호해야 할 우리의 이익을 가지 고 있다. 중국은 우리를 존중해야한다”고. 때때로 중국이 북한에게 무얼 해야할지 말 하는 것이 아니라 북한이 중국에게 말한 다.129

2. 군사 군사 관계

중국과 북한간의 군사적유 는 더욱 지속적인 것 으로 보인다. 1960 년 , 70 년 , 80 년 를 거치 면서 강력한 후원체계는 한국전쟁 참전용사들로 하여금 중국의 최고위층에서 영향력있는 목소리를 낼 수 있게 해주었던 반면 북한군부에 있는 그들의 옛 동맹친구들은 중국과 북한간의 중개인들로 인 정받고 있었다. 오늘날까지도 중국군의 최고 연락 망, 중국 중앙군사위원회와 북한의 국방위원회사이 의 접촉은 북경이 김정일에게 안보관련 정보나 긴급한 메시지를 전달할 때 선호하는 통로이다.130

군부간의 관계는 중국의 영향력있는 참전관료들 이 퇴역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희석되고 있다. 현 재 중국 중앙군사위원회 멤버중에서 이전 군생활 경력을 통해 북한과 관련된 일을 해 온 사람은 한 명뿐이다. 그나마 몇 안되는 소수의 북한관련업무

128 Andrew S. Natsios, The Great North Korean Famine: Famine, Politics, and Foreign Policy (Washington DC, 2002), p. 139. 129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 월. 130 Crisis Group interview, Ken Gause, Center for Defense Information, Washington DC, 22 June 2005.

를 다루는 사람들이 존재하지만 북한에 한 중요 성은 아태지역과 미국, 유럽에서의 중국의 이익을 선전해야하는 또 다른 책임들때문에 약화되고 있다.131

쉬 차이허우는 북한문제를 다루는 중앙군사위원 회 상임정치국 국장이다. 군부자료에 따르면 그 의 북한관련 공식적 경력은 지난과 션양 군사지역 에서 복무했던 경험이 전부이고 유럽, 미국, 한국 을 수차례 방문하는 동안 북한은 2003 년 이후로 는 딱 한번만 방문한 것으로 나온다. 전통적으로 북한과의 긴 한 관계를 유지해왔던 션양 군사지 역의 사령관은 2003 년에 쿠바를, 2004 년엔 한국을 방문했지만 북한은 방문하지 않았다.132

중국의 북한에 한 중요성의 상 적 결여는 군사 적영향력을 더욱 감소시키고 있다. 단지 국방위원 회의 2 명의 부위원장인 조명록과 김일철만이 2003 년 이후 중국에 방문했던 것으로 알려진다. 김정일의 2 인자 박봉주가 이끌었던 2005 년 4 월 의 고위급 북경방문 표단에서 북한의 표적인 중국연락장교가 양국관계에 한 특별한 임무를 부여받거나 지도부에 접촉할 뚜렷한 라인이 없는 일반공무원들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나는 그들을 중국정책전문가들이라 보지 않는다. 아무도 표 단을 이끌고 있지 않았다; 김정일의 긴 한 내부조언자도 없어 보였다”고 워싱턴 국방정보 센터의 한반도전문가 Ken Gause 은 말한다. 133 미국연구원에 따르면 중국의 중앙군사위원회 또 한 외교 정책결정이나 수행의 역할이 크게 감소 되었다.134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중국학자가 지적

131 Kenneth Allen, “China’s Foreign Military Relations With Asia Pacific”,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vol. 10, no. 29 November 2001. 132 Ibid. 133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2005 년 6 월 21 일. 134 Ranjit Singh (ed.), “China’s Foreign Military Relations”, Henry Stimson Center, Washington DC, October 1999; and

Page 29: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24

하듯이 북경과 평양의 정책결정의 불투명성으로 인해 군사 관계의 정확한 판독이 어렵게 되었다.135

C. 중국의 군사력 재건

이 논문에서 중국과 북한과의 전략적 유 관계부 분이 가장 중요하다. 1961 년 양국은 어느 일방이 공격을 당할 때에 다른 일방이 원조하기로 한 우호 협력조약을 체결했다.136 비록 조약이 관계의 정점 에서 나왔지만 중국은 그 의무에 해서 수사적 으로 지켜왔을 뿐이다.137 미국의 북한침공이 가능 해보이던 1994 년 5 월, 중국은 5 만에서 7 만 5 천명의 병력을 공급할 준비를 착수했었다. 설사 북한이 전쟁을 시작했더라도 중국은 나머지 부분, 무기와 병력을 지원할 용의가 있었다.138 육군중 장출신인 전략연구소의 팬소장에 따르면 약간의 변화가 있어왔다고 한다:

만약 미국이 정확한 증거나 명분 또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승인없이 북한을 침공한 다면 내가 생각하기에 중국은 북한을 도울

manuscript provided by Kenneth Allen, “Showing the Red Flag: The PLA Navy as an Instrument of Foreign Policy”. 135 국제위기감시기구 이메일 인터뷰, Tun-jen Cheng,

College of William and Mary (U.S.), 2006 년 1 월 20 일. 136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Mutual Assistance Betwee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eking Review, vol. 4, no. 28, 1961, p. 5, cited in “From Comrades In Arms To Allies at Arm’s Length”, op. cit., p. 2. 137 중국은 소련으로부터 이데올로기적, 경제적단절의

비용으로 휘청거리고 있었고 북한은 소련의 수정주의에

해 우려하고 있었다. 조약이 체결된 직후 문화혁명이

시작되자 양국관계는 급속하게 냉각되었다. 138 “North Korea Nuclear Crisis February 1993-June 1994”, http://www.globalsecurity.org/military/ops/ dprk_nuke.htm. 미국 조지타운 의 Robert Sutter은 중국이 만약 북한이

공격자가 된다면 북한의 방어를 위해 중국군이 돕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북한에 분명 하게 밝혔다고 한다.

국제위기감시기구 이메일 인터뷰, 2006 년 1 월 19 일.

것이다. 하지만 만일 북한이 먼저 도발한다 면 그것은 전혀 다른 문제가 될 것이다. 만약 북한이 자신의 생존을 위해 상황을 더욱 혼란 스럽게 만들려한다면 나는 중국이 그런 행동 을 지원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139

사실 북한방위에 한 중국의 헌신은 흔들리고 있었다. 2003 년 중국은 평양에 그 조약의 상호 원조조항을 수정할 것을 요구했다. 북한은 그 문 제를 논의하기에 “시기가 안좋다”며 되풀이해서 거절했다. 140 그 이듬해 김정일의 방중기간에 중국은 더 많은 군사적원조 및 미사일방어시스템 이전요청을 거절했다.141 그러나 군사장비를 파는 데는 합의했다. 한국 국방부는 북한이 2004 년 에 중국산 트럭과 해군장비에 1 천만달러를 쓴 것으 로 추정한다.142

북한은 중국이 만해협에서 1950 년 처럼 북한 때문에 자신을 희생하려 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 을 또한 알아야 한다.143 비록 중국이 공개적으로 미국의 만정책과 북한에 한 협력문제사이를 밝히지는 않았지만 – 적어도 만은 “외교정책” 으로 간주되지 않기 때문만은 아닌 – 2003 년 12 월 후주석이 “ 만과 북한의 맞교환”에 관한 보상을 미국에 암시적으로 제안한 것으로 전해

139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 월. 140 Quoted in “Old allies turn up the heat on North Korea”, op. cit. 141 “Kim Jong-il’s visit to Beijing: what does it mean for the West?”, op. cit. 142 북한동향 05-10-31-1, 경남 극동문제연구소, 2005 년

10 월 31 일. 143 1950 년 마오쩌둥은 만공격에 쓰여진 자금과 장비

를 전환하여 한국전쟁에 썼다. 1954 년에 미국은 만과

만의 분리를 공고화하는 상호방위조약을 맺었다.

국제위기감시기구의 만에 관한 다음 글 참조. http://www.crisisgroup.org/home/index.cfm?id=2957.

Page 30: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25

진다.144 이는 2004 년 미국 부통령 딕 체니의 방중 기간동안 또다시 언급되었다.145

비록 중국이 북한을 지원하기를 원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1994 년 약속했던 자원들은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서방 군사현 화 평가들은 전망했다. 따리엔에 있는 션양군구의 세 부 와 10,000 명의 신속한 지난 군부 들은 만문제에 초점을 맞추 어서 감축되거나 재배치되고 있다. 북한은 중국의 무장력이 미국에 응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146

D. 북한의 의사결정 과정

북한 정치체제의 불투명성때문에 중국 분석가들조 차 북한정권 내부의 움직임을 정확히 간파하지 못한다. 의사결정과정과 내부여건에 한 인식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이징에서 승인하고자 하는 정책선택이나 권고를 제한한다. 중국의 북한에

한 통찰력이 다른 나라 외교분석들보다 나은지 에 해서는 의문이다. 중국의 전직 관리들에 의하 면 북한에 있는 중국의 인적정보망은 평양이 그들 자신을 사회주의권에서 확산되던 개혁으로부터 고립시켰던 1990 년 초반에 위태롭게 되었다고 말한다.147 그럼에도 불구하고 3 가지 가설들은 매우 영향력이 있다.

강경파의 부상. 중국의 분석가들은 일반적으로 “강경파들”이 – 미국과의 협상과 타협에 반 하는 반동적이고 결적인 관료들 – 이 부상하고 있 다고

144 “Kim Jong-il’s visit to Beijing: what does it mean for the West?”, op. cit. 145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9 월. 어떤

중국전문가들은 그 제안이 미국에서 나왔다고 말한다. 146 “Annual Report to Congress: the Military Power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June 2005 147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홍콩, 2005 년 4 월.

믿는다.148 어떤 중국 분석들은 북한의 관료전 체에 걸쳐 각 사무실과 부서 그리고 조직들과 같은 단체와 개인들간의 잠재적 차이점들을 보다 잘 묘사하고 있다.149 이러한 분파는 상 방이 항상 잘 드러나지는 않는 내부정치에 기반한 전략과 아젠다를 따를 것으로 믿어질 경우 중국 외교사절 의 직접적인 영향력을 제한하는 것처럼 보인다. 중국 전문가에 따르면:

북한의 의사결정제도는 국제사회의 의사결 정에 앞서서는 잘 작동하지만 국제사회에 반 응하는 역할에서는 잘 작동하지 않는다. 그 들은 항상 그들의 결정에 반 할 사람들이 있 어야 한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중국으로 하 여금 북한에게 명령하기 어렵게하는 부분이 다. 왜냐하면 그들은 이미 무엇을 할지 계획 을 세워 놓았기 때문이다.150

압박에 한 정부의 무관심. 중국분석가는 만약 중국과 국제사회가 강압적접근을 취할지라도 북한 의 정치적 변화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다. 한 고위관리가 지적하듯이 “심지어 우리가 ‘네가 우리말을 듣지 않으면 우리는 석유와 식량을 끊겠 다’고 말해도 나는 북한이 굴복할 것이라고 생각 하지 않는다. 매우 자존심 강한 나라로서 누르면 오히려 반발하게 된다.” 151 분석가들은 외부의 압력이 정권의 강경파들과 극단적인 민족주의자 들, 정치적 보수주의자들만 더 부추기고 경제자유

148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8 월. 149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상해, 단동, 션양과

옌지, 2005 년 7-9 월 이 분석은 미국의 북한전문가에 의해

널리 알려졌다. 다음 글 참조. Kongdan Oh, “DPRK Policy Elites”, Institute for Defense Analysis, Washington DC, 2004. 150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7 월. 151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 월.

Page 31: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26

화, 미국과 교역과 화해를 선호하는 이들의 입지 를 좁게 만들뿐이라고 주장한다.152

지속되는 사회통제. 중국 분석가들은 사회적 무질서나 초기의 정치화, 북한 공산당에 한 반 움직임이 일어날 기미를 전혀 찾지 못한다.153 국경 지역의 탈북자나 이주자들을 조사한 바에 의하면 정치적 이유로 남은 사람들은 거의 없고 부분이 중국에 온 이후 외국의 종교자선단체와의 접촉에 의해 자신들이 비정상적인 상태에서 살아왔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념적 세뇌와 고립은 아직도 강하게 남아있다. 한 NGO 활동가는 북한에서 얼마나 열악한 조건에 사는지 에 상관없이 “김일성에 한 숭배와 그 체제에

한 믿음이 그 로 남아있다”는 것을 관찰했 다. 154 연변 학교의 피야오 쳥씨엔은 부분의 중국인들이 삼천만명의 사람들이 정권에 한 비 판조차 못하고 죽어갔던 약진 운동때의 중국의 경험에 비추어 봤을 때 북한정권도 경제적원조없 이 생존이 가능하다고 믿는다고 말했다.155

152 이 상황은 이란에서도 재현되고 있다. 이란의 경제·

정치개혁가들은 미국의 제재가 그들의 입지를 약화시

키고 오히려 정권을 더 강화한다고 주장한다. 다음 글

참조. Crisis Group Briefing, Iran: Where Next on the Nuclear Standoff?, op. cit. 153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8 월. 154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7 월. 155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옌진, 2005 년 9 월 15 일.

V. 중국은 무엇을 준비하고 있는가?

북한을 다루는 반복적인 정책선택범위는 승인에서 부터 협상, 군사력보다는 약간 약한 제재들, 그 리고 최후에는 군사력에 이르기까지 강도가 점증 하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156 이러한 선택들에

한 중국의 입장은 명백하다. 북한이 심각한 위협을 일으킨다면 중국은 북한의 별나고 위험한 행동을 하도록 용인하지 않을 것이지만 만약 한반 도에 불안정을 유발하거나 한반도에 한 자신의 지속되온 영향력을 위협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정 책은 결코 채택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중국의 강제력 행사에 한 반감은 6 자회담 지연, 핵확 산, 북한의 경제체제개혁, 탈북난민과 경제적 이 주민들에 한 보호등과 같이 국제사회에 위협과 우려를 끼치는 북한의 제 문제들에 한 중국의 건설적인 개입까지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중국 은 비핵화라는 목적에 해서는 동의하지만 어떻 게 달성하느냐에 해서는 견해를 달리하고 있다. 중국은 부시행정부의 PSI( 량살상무기확산방지 구상)참여에 꺼려하는 내색을 보였고 북한이 핵 실험같은 매우 자극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다면 중국은 강제적수단을 인정하는 안보리의 결의안 을 지지하지 않을 것이다.

A. 핵문제

1. 협상

베이징은 모든 회담국에게 회담이 퇴보되거나 시 간이 얼마나 걸리는지에 상관없이 계속적으로 회 담참여를 독촉할 것이다. 만족할만한 결론을 얻기 는 힘들다는 것을 알지만 중국의 6 자회담 운영에

156 이 선택들에 한 토론은 다음 글 참조. Crisis Group Asia Report N°61, North Korea: A Phased Negotiation Strategy, 1 August 2003, pp. 21-29.

Page 32: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27

한 열의는 단지 북핵위기가 평화롭게 해결되는 것을 보겠다는 실용적인 바램을 넘어서고 있다. 회담에서 주의를 딴데로 돌리거나 혹은 단호하 게 회담을 끝내려는 정책들에 순응하는 것을 강 하게 막음으로 회담장에서의 ‘빛나는 중국의 부 각’은 중국 국내적으로나 국외적으로 중요한 목 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내부적. 중국의 경제가 성장하면서 영향력있는 민족주의자들은 중국정부가 국제사회에서 점증 하고 있는 경제적역할에 걸맞는 자신감있는 정 치적 역할을 수행하기를 기 하고 있다. 정치적 정당성이 이데올로기에서 경제로 이동했다는 것은 정부가 이런 목소리들을 무시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들은 중국이 그런 중요한 역 할을 감당할 것을 기 하고 미국이 중국에게 주의 를 기울이는 것이 중국에게 큰 자부심을 주고 있 다”고 중국의 새로운 민족주의를 쓴 짜오 수이 셩은 말한다.157 부분의 사람들에게 “결과보다 는 그 과정 자체가 더 중요하다.”158

외부적. 몇 년간의 중국공산당, 군사∙경제외교관계 의 중심목표는 “중국 위협론”이라는 인식 – 중국 의 군사적, 경제적성장이 위험으로 작용한다는 두려움 – 을 맞닥뜨리게 되었다. 최근에 중국과 갈등을 겪은 적이 없는 나라들에게는 중국위협에

한 불안을 성공적으로 반감시킨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본, 한국, 만의 다수는 아직도 여 전히

157 Suisheng Zhao, A Nation State by Construction: China’s New Nationalism (Palo Alto, 2004). 158 후진타오 주석도 공개적으로 그 자신을 북핵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인물로 설정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정치국 상무위원회의 국가안전영도그룹을 직접 주재하

고 공개성명을 발표하는 등 이런 기 에 부응했다. “회

담의 공개적 실패는 후진타오의 체면을 손상시킬 것이

다”, 베이징의 유럽 외교관은 말한다.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 월.

중국의 증 하는 영향력을 위협으로 간주 한다.159 지역에서 책임있는 무력사용에 한 공 약을 증명해야하는 중국의 필요는 다자주의에 한 기여를 강화하며 특히 한반도에서의 분쟁을 방지할 의무를 강화시키고 있다.160 중국관리들 또한 그들의 북한에 한 예방적태도가 만 독 립운동에 한 미국의 지지를 약화시키는데 기여했 다고 믿는다. 일본의 시사평론가 후나바시 요이 치는 161 “북경은 양안의 현상유지와 통일달성을 위해 6 자회담을 지속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한 다.162 중국은 또한 6 자 회담이 향후에 지역의 안보 협력을 위한 기구가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2005 년 8 월 회담에서 중국은 북한을 제외한 미국, 한국, 러시아, 일본의 동의에 의해 안보기구의 원칙에 관한 공동성명 초안을 포함시켰는데 이는 영속적 인 기구가 될 것이다.163

미국의 관점 에너지정책에서부터 미국의 중앙아메 리카와의 무역관계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미국의회 논쟁의 이면에는 반중국정서가 깔려있다. 2005 년 의 섬유무역, 지적재산권, 인민폐 평가절상문제같

159 호주,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말레이

시아, 필리핀, 싱가폴, 만, 태국과 베트남에서 실행된

Time 지와 CNN 의 여론조사, “Japan’s Nervous Neighbours ”,

2005 년 8 월 8 일. 160 “중국이 모든 이웃나라들과의 관계를 향상시키고 그의

부상을 지지하도록 지역에 평화로운 이미지를 파 는 것에

해 베이징에서 강한 반발이 있었다. 중국은 그 지역에서

건설적인 세력인것처럼 보여지기를 원하 고 있다”,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상하이, 2005 년 8 월 5 일. 161 후나바시 요이치는 국제위기감시기구 이사진의

멤버이다. 162 Yoichi Funabashi, “China’s New Thinking on North Korea Policy?”,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12 July 2005, http://www.ssrc.org. 163 “China Wants N. Korea Talks as Security Forum”, 로이터

통신, 2005 년 8 월 28 일, 이것은 후속회담에서 논의되지

않았다.

Page 33: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28

은 눈에 띄는 논쟁들은 워싱턴에서 많은 비판과 논 쟁을 야기했다.164 “중국이 점점 건설적인 존재가 되는 것처럼 보인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 라 고 프린스턴 의 중국학자 토마스 크리스텐슨은 말한다. 6 자회담에서의 미래지향적역할이 반 중국정서에 한 유일한 방패막이가 될 것이다. 그래서 만약 베이징이 회담진전의 장애물로 보일 경우 “부시로 하여금 의회에서 친 한 전략적관계 에 해 이야기하기 어렵게 만들 것이며 중국에 해 제재를 가하거나 강경정책을 채택하는데 반 하기 어렵게 만들 것이다”라고 그는 덧붙여 말했다. 165 이것은 중국이 결과에 상관없이 가능한 회담을 성사시키고자 노력하게 하는 인센티브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나 만약 양자관계가 계속해서 악화된다면 북한에 한 정책에 협력 하기가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더구나 중국이 한반 도의 안정에 최우선을 두고 미국은 한반도 비핵화 에 최상의 중요성을 둘 경우 북한문제 자체는 분단 고착화의 핵심논쟁거리가 될지 모른다.

회담이 지연되기를 바라는 중국의 열망은 협상국 들이 안보리 같은 다른 회의에 북핵문제를 상정하 려는데 강하게 반 할 것을 의미한다. 6 자회담이 위험상태에 빠진 것처럼 보일 때만 – 2004 년 2 월 북한이 핵연료봉을 추출했다고 선언했을 때처 럼 – 중국은 좀 더 강제적인 조치를 취할 것이다. 그때는 북한을 비난하는 안보리 결의안에 회부 하는 것에 동의하기는 했지만 최종목표는 북경 6 자회담재개라는 것을 분명히 했다. 국영매체와 인터넷 채팅룸에서는 그 위기가 지속되는 몇달동 안 드물게 평양에 해 비판적이었다. CCTV 에서 도

164 “China finds few friends in Congress”, Financial Times, 6 August 2005, and “The Dragon comes calling”, The Economist, 2005 년 9 월 2 일. 165 Crisis Group interview, 2005 년 8 월 5 일.

북한에 한 국제사회의 비난여론을 집중적으 로 다루면서 북한이 회담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 다.166

2. 제 재

그러나 회담을 위한 회담은 미국을 무한정으로 만 족시킬 수 없을 것이다. 20 억 달러에 이르는 중북 양국 무역투자관계가 언뜻 보기엔 협상을 촉진하 는 지렛 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것을 이용하여 북 한의 행동을 향상시키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의 경제적개입은 그 자체가 목적으로서 불 안정성보다는 안정성을 띠고 있다. 중국은 원조 관계에 조건부를 적용할 원칙을 가지고 있지않 다.(비록 때때로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와의 관계 에서는 적용을 했었지만) 정권붕괴가 미칠 영향 에

한 큰 우려가 그 원칙을 어기는 것을 막아주고 있다. 2003 년초 중국이 북송유관을 잠시 끊음 으로 인해 석유공급을 중단했다는 뉴스보도가 있 었지만 정부는 이를 북한의 협상에 나오지 않음에

한 불유쾌함 때문이 아니었다고 해명했다.167

제재는 북한지도부를 해체시키지 못할 것이며 오 히려 이제 막 시작한 시장개혁에 큰 타격을 주고 더

166 큰 두 자매지 the Beijing News 와 South Metro-politan

Daily 는 필명 Dongang Shuo 의 신랄한 글을 실었는데

그는 때때로 중국전문가의 비공식적인 관점 을

반영하는 글로 사용된다. 다음 글 참조. “China calls on North Korea to return to regional talks”, The New York Times, 13 February 2005. 167 “China appears to be trying to rein in North Korea”, Reuters, 31 March 2003. 북한 수뇌부원들이 베이징 에서

평양으로 가는 비행기와 기차에 타는 것이 전자

위성에 잡혔는데 이는 중국의 부의 거래가 인도주의

적 목표에는 부족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나 중국

의 목적은 안정이기에 지도자를 행복하게 해주는 것이

그 거래의 한 부분이었다.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과 단동, 2005 년 7 월. 토론은 다음 글 참조. “Dependency and Humanitarian Relief: A Critical Analysis”,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Humanitarian Policy Group Report no. 19 July 2005, http://www.odi.org.uk.

Page 34: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29

많은 주민들에게 간접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 라는 중국전문가들의 분석이 맞을지도 모른다. 중국인들은 자주 3 백만명의 북한사람들이 죽었 던 1994 년부터 1999 년까지 기근을 언급하곤 하는데 2005 년도의 북한주민들의 생활여건은 전년도의 혹한 그리고 악화된 에너지부족으로 인 해 기아사태때만큼 혹은 더 악화되었다.168

더구나 중국은 그것이 정권에 한 효과적인 제 재의 유일한 요소가 아니라고 정확하게 깨닫고 있다.169 북무역이 중북무역규모의 반정도 차지 하는 남한은 서울에서 일어날 것 같지 않은 포용 정책에 한 초당파적인 지지를 바탕으로한 총체 적인 합의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170 러시아 또한 2000 년 이후로 외교적, 경제적으로 북한에 접근 하고 있다. 푸틴 통령은 북한을 방문한 최초의 러시아 수장이 되었다. 그때부터 북러관계는 급속 하게 발전하기 시작했다.171

중국은 여전히 북한에 한 원조를 중단시킴으로 써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비록 증명할 수는 없지만 최근 KOTRA 통계에 의한 남한의 북 무상원조 14 억 달러보다 더 많은 다른 원조관계가 있다고

168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상하이, 단동,

2005 년 7-9 월. 169 북한에 한 효과적인 제재에 필요한 요소들에 관한

자세한 분석은 다음의 글을 참조. 국제위기감시 기구

보고서, 북한:철권통치는 보이지 않는 손을 받아들일 수

있을까?, op. cit., pp. 17-19. 170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89, 한국인의

북인식: 다른 별로부터 온 형제에 한 한국인의 시각,

2004 년 12 월 15 일. 171 푸틴은 극동지역에서의 러시아의 정치·경제적 핵

심목표가 북한의 재결합없이는 달성될 수 없다는 것 을

알고 있다. 국제위기감시기구 보고서, 북한: 핵협상을

위한 다음 단계, op. cit., p. 22.

한다.172 2004 년에만 중국은 3 억 달러의 원조를 몽골173에게, 1 억 5 천만 달러를 아프가니스탄에 제공했으며, 174 재정, 인프라, 기술협력 패키지를 리베리아, 마우리타냐, 잠비아, 나이지리아, 수단, 에디오피아를 포함한 아프리카국가들에 제공했다. 175 2005 년 1 월에 중국은 6 천 3 백만 달러를 쓰나미 피해국가들에 기부했다.176

B. 불법거래방지

협상이 지연되고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 우라늄 농축사실이 완전히 모니터되지 못하는 동안에도 북한이 핵무기나 핵물질을 다른 나라나 심지어 테러단체에게 거래하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허용될 수 없다. 비록 1960 년 이래로 중국이 북한의 핵기술발전을 공식적으로 돕지는 않았지만 몇몇 중국기업들은 핵과 민군겸용부품들을 제공해왔 다. 중국영토는 북한이 핵프로그램에 쓸 비용을 위해 파키스탄,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미얀마, 리비아 그리고 이집트로 보내는 핵물질 과 아시아와 미국에 위조지폐와 마약을 유통시 키는 통로로 사용된 것으로 보여진다.177 중국의 권위자들은 그들이 이런 불법 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수출과 국경통제를 강화해왔다고 말한다.

172 중국은 외국원조액을 발표하지 않는다. OECD 의

“비회원국들과의 협력”프로그램의 멤버라는 상태는 중

국이 OECD 개발원조위원회에 상세한 사항을 제공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 한다. OECD 와의 국제위기감시 기구

인터뷰, 2005 년 6 월 파리. 173 David Murphy, “Softening at the Edges”, Far Eastern Economic Review, 4 Novemver 2004. 174 China Daily, 1 April 2004. 175 중국-아프리카 협력에 관한 포럼 http://www.focac.org/ eng/zt/jmhz/default.htm. 176 Jim Yardley, “Size of China’s aid marks a policy shift but is still dwarfed by that of richer countries”, The New York Times, 4 January 2005. 177 “China and Proliferation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Missiles: Policy Issue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CRS) Report for Congress, 20 May 2004.

Page 35: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30

그러나 물류적 어려움, 정부의 확 된 정치·경제적 민감성, 그리고 북한의 핵불법유통이 중국에 끼칠 직접적인 위협에 한 만연한 모호함으로 인해 여 전히 위험한 허점들이 남아있음을 나타낸다.178

1. 수출통제

량살상무기개발에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이전 을 저지하기 위해 고안된 다자적, 양자적 수출통제 체제에 한 중국의 공약은 1990 년 에 의미있는 진전이 있었다. 179 또한 중국은 제 3 세계에 핵물질 이 이전되는 것을 금지한 유엔안보리결의 1540 에

한 지지를 여러 차례에 걸쳐 공식적으로 선언 해왔다.180

중국은 유엔과 IAEA 의 다자적 군비통제와 비확산 을 위한 포럼들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중 국의 관료들은 그러한 포럼들에서 미국의 미사일

178 북한의 불법행위들에 관한 공개된 자료분석은 다음 글

참조. David Asher, “The North Korean Criminal State, its Ties to Organised Crime, and the Possibility of WMD Proliferation”, Nautilus Policy Forum Online, 15 November 2005,http://www.nautilus.org. 179 중국은 NPT에 가입했고 핵무기협약에 비준서명

했으며 포괄적 핵실험 금지조약에 서명했다. 1996 년 에

중국은 세이프 가드를 지키지 않은 핵물질에 원조를

제공하지 않을 것을 약속했다. 중국은 또한 핵보유국에

가입했기에 다른 다자 수출통제기구들-호주 그룹,

Wassenaar 협정, 미사일 기술통제체제(MTCR)-에

자문으로 참여하고 있다. 베이징은 또한 미국과 MTCR

가이드라인을 준수할 것을 약속하는 양자협정을 맺었

는데 이 협정은 미사일 수출시, 최 적재용량 300kg,

최 사정거리 300km로 제한하고 있으며 핵무기개발에

이용될 수 있는 탄도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는 나라들을

지원하는 것을 금지한다. Jonathan Davis, “Export Control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Center for International Trade and Security, University of Georgia, February 2005, http://www.uga.edu/cits. 180 가장 최근의 서약, 공동성명 참조, 2005 년 5 월 17 일, http://www.fmprc.gov.cn/eng/wjb/zzjg/jks/ kjfywj/t195938.htm.

방어(MD)계획과 우주공간에서의 군비경쟁에 반 하는 로비를 벌였다. 1994 년 무역법의 발효와 함께 일련의 규제조치들과 법률들의 초안을 작성 했다. 그러한 조치들이 초기단계의 수출통제체 제를 구성했다고 할 수 있다. 외교부에는 군비통제 와 군축을 담당하는 부서가 설치되었고 정부와 비 정부기구(NGO)간 조정기능이 향상되었다.181 2003 년과 2005 년에 출간된 비확산에 관한 백서들은 중국의 수출통제체제가 직면한 도전들을 조명하고 그러한 이슈의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182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수출통제체제를 구축 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측면에서 여전히 중요한 문제들이 남아 있다. 2003 년 CIA 가 의회에 제출 한 한 보고서(이 보고서는 비 보고서가 아니다)에 따르면 중국 정부당국이 비확산문제에 한 체제 를 정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기업들의 행 태는 여전히 “최 의 우려사항”으로 남아있다는 것이다. CIA 는 중국의 기업들이 여전히 파키스탄 과 이란의 핵프로그램에 협력하고 있으며 북한과 이란, 리비아에 이중용도의 미사일 부품과 원자재 등을 제공하고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183 이러한 지적들에 해 중국 외교부는 강하게 부인하고 있 다. 184 2000-2004 년사이에 미국정부가 수출통제 조치를 어긴 협의로 중국기업체등에 해 가한 제 재의 횟수는 50 회에 이른다. 2004 년 한해만 해도

181미중 경제안보검토위원회에서의 Daniel Pinkston 의

증언, “China’s Proliferation Practices and its Role in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10 March 2005. 182 “China’s Endeavours for Arms Control,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White Paper at http://www.fmprc.gov.cn. 183 “Unclassified Report to Congress on the Acquisition of Technology Related to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Advanced Conventional Munitions, 1 January through 30 June 2003”. 184 중국외교부 변인의 브리핑, 2003 년 11 월 18 일 http://www.fmprc.gov.cn.

Page 36: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31

14 개 기업체등에 총 23 회의 제재조치가 부과되 었다.185

중국의 수출통제체제 강화조치가 안고 있는 문제 들은 부분적으로는 병참과 관련되어 있다. 광 한 국가규모, 엄청난 숫자의 국내기업과 외국기업, 방

한 수출량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사업허가심사를 수행하고, 불법무역을 적발하며, 정교화된 정보기 술을 활용할 수 있는 고도로 전문화된 인력을 필요 로 한다. 중국은 해외연구기관들과의 협력을 증가 시켜가는 것뿐만 아니라 법집행능력의 향상과 산 업훈련, 그리고 무역업자들에 한 복지와 교육 프로그램에 관해서도 국제적인 협력을 필요로 하 고 있다. 또한 의심이 가는 기업체들을 적발하고 신뢰할만한 정보를 찾아 낼 수 있도록 국내외의 정보원들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중국의 당국 자들은 자신들은 상당부분 해외의 정보에 의존해 불법행위에 한 주의조치를 취함에도 불구하고 종종 조사과정에서는 배제되곤 한다는 불만을 털 어놓는다.186

정부의 비확산정책과 경제성장우선정책 사이의 해결되지 않고있는 모순 또한 수출통제체제강화 에 있어서 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이다. 정부는 정부보조금을 축소 혹은 폐지를 통해 국유군수 산업체들에 예산상의 제약을 가하는 동시에 그 들 기업들의 수출시장개척을 제한한다. 국유 군수산업체의 책임자들은 군부 - 전통적으로 민

185 여기에는 2001 년 미사일확산봉쇄 조치가 포함되어

있다. 그 조치는 중국의 기업이 파키스탄에 기술이전

을 한 직후 2 년동안 중국에 한 인공위성기술 수출을

금지한 것이며 미국무부는 그러한 제재조치의 부과를

2003 년, 2004 년 그리고 2005 년 3 월까지 연장했다. “China and Proliferation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Policy Issues”, op. cit. 186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무기통제전문가, 베이 징,

2005 년 8 월; Davis, “Export Control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p. cit.

감한 이중용도물품의 수출정책에 영향력을 행사 해왔다 - 와 긴 한 인간관계를 맺고 있으며 따라 서 국유군수산업체들은 기존의 매루트와 매 업자들에게 접근하게 되는 것이다. 187 그러나 일반적으로 비확산전문가들은 장기적관점에서 본 다면 방위산업체들이 불법수출로부터 얻을 수 있 는 이익이 수출통제조치를 위반하는 비용을 상쇄 할 수 없다는 점에 동의한다.

2. 국경통제

계속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수출통제레짐의 국내 적 적용에서 오는 문제점보다 더 위험한 것은 국 경통제에서 보이는 큰 헛점들이다. 국경통제의 헛점은 북한에 의해 야기될 가능성이 있는데 핵 및 기타 량살상무기 (WMD)와 관련부품의 거 래, 마약, 미국달러 위조지폐, 그리고 담배의 수 출 등이 그것이다. 들리는 바에 의하면 농축 우라 늄장비가 파키스탄과 중국을 이어주는 카라코람 고속도로와 중국영토를 지나는 육로를 통해 운송 되었다고 한다.188 2001 년 이후, 북한엔지니어들 이 카라코람 고속도로 개량공사작업에 보였는데 이것은 이 고속도로가 상당히 중요한 루트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들리는 바에 의하면 파키스 탄으로 보내지는 북한의 미사일 또한 이 고속도로 를 통해 운송되었다고 한다.189 2005 년 여름에 미국과 만의 법집행 관리들은 량의 마약과 담배와 함께 북한 국영단체에서 만든 5 백만 달러 가량의 1 백달러짜리 위조지폐들을 몰수했다.190 고위급간부였던 한 탈북자의 증언에 따르면 중국

187 Pinkston 의 증언, op. cit. 188 Andrew Prosser, “Nuclear Trafficking Routes: Dangerous Trends in Southern Asia”, Center for Defense Information, 22 November 2004, http://www.cdi.org. 189 Ibid. 190 “U.S. examines Asian banks for links to North Korea”, Asian Wall Street Journal, 8 September 2005.

Page 37: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32

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북한지역엔 헤로인과 필로 폰 생산시설물들이 가득하다고 한다.191

중국은 2003 년부터 이미 소비통제를 위해 필요한 법을 가지고 있고 범죄사실을 명확히 하고 위반사 항에 한 벌금을 강화해왔다.192 그러나 국경의 초소들과 세관들은 불법거래를 검사할만한 적당한 장비를 갖추고 있지 않다. 2004 년 6 월의 조사에 따르면 접경지역 무역거래량의 많은 부분을 차지 하고 있는 단동 세관에 X 레이장비와 기타 운송차 량과 수출품을 정 조사할만한 적절한 장비가 부 족하다고 한다. 전문가들은 또한 현장조사를 위한 적당한 공간도 부족하다고 한다. 2004 년엔 비록 어떤 세관에서는 방사선, 생물화학의 물품을 검사 할 정 한 장비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접 경지역에 다른 세관들은 열악한 현장조건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193 법률강화 또한 훈련받은 공무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있다. 194 그러나 미국의 소식통과 정부관료들은 중국이 가능한 불법거래에

한 몇가지 방식을 습득하면 중국이 신속하고 적절하게 행동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한다.195

중국국경의 전략적 경제적 이익은 그 거래가 중국 국내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것처럼 보일 때

191 Kim Young-il, “North Korea and Narcotics Trafficking: A View from the Inside”, North Korea Review, vol. 1, issue 1 March 2004. 192 “중화인민공화국 관세법”은 1987 년 발표한 이후 정

기적으로 업데이트되고 보충되었다. http://www.novexcn.com/customs_law.html. 193 Davis, “Export Control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p. cit. 9 월의 국제위기감시기구의 현장확인은 6 월

이후부터 나진 선봉지역을 국경을 넘어 방문하는 것을

방문자에 한 제한위반으로 간주함에 따라 방해 받았다. 194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군축전문가, 베이징,

2005 년 8 월; Davis, “Export Control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p. cit. 195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Washington DC, 2005 년

4 월 29 일.

불법거래를 단속하려는 의지를 약화시키기도 한 다. 북한에 해 외교적으로나 경제적인 압박을 가하는 것을 꺼려하거나 합법적 변경무역으로 제한하는 것에 해 꺼려하는 것은 통제가 조중 국경지점에서 모호하게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한 다. 세 겹의 철조망이 쳐져있고 간첩색출을 위해 일반인들을 검문하는 동북쪽의 러시아 국경과는 조적으로 중국과 북한의 접경지역에는 눈에 띌만한

규모군 가 보이지 않는다. 196 과거에 핵과 미사일기술을 판매했던 적이 있는 중국과 파키스탄과의 긴 한 군사무역관계는 그 접경지 역의 문제들에 해 강력한 통제를 하고 있다.197 카라코람 고속도로 또한 이란이나 중국의 중요 한 전략적 파트너에게로 물품과 기계를 운반하 는데 사용되고 있다.198

중국이 얼마나 자국의 이익에 위협이 되는 것에 해 단호하게 행동하는지는 2004 년 후반 나진-

선봉 경제특구의 황제 카지노에서 지방관리에 의 해 42 만 3 천달러의 공적자금이 낭비되었을 때 북경은 그 카지노 문을 닫게 했고 다른 나라 즉 러시아,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에 있는 카지노 까지 단속했다. 199 북한의 불법거래가 미국이나 다른 아시아국가들과 관련이 되는 한 중국관리들 은 중국정부가 불법거래금지조치를 심각한 우위 에 두지 않으려 한다는데 동의한다.

196 국제위기감시기구 관찰, 2005 년 9 월. 197 2003 년 파키스탄과 중국은 “Joint Declaration on

Directions of Bilateral Cooperation”에 서명했다. 그 협정은

군 교환, 합동훈련, 그리고 군수산업개발협력 에 관한

내용이다. Xinhua News Agency, 4 November 2003. The CIA suspects this includes nuclear weapons cooperation. See “Unclassified Report to Congress”, op. cit. 198 Prosser, “Nuclear Trafficking Routes”, op. cit. 199 “Chinese main guests at N. Korea casino”, China Daily, 5 January 2005; Zach Coleman, “Emperor Casino closure tied to graft crackdown”, The Hong Kong Standard, 20 January 2005.

Page 38: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33

마카오 – 중국이 행동에 나설 가능성

비록 중국은 국경통제에 해 전향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지만 무역의 표적인 사례인 러시 아와 브라질의 경우를 보면 길고 떨어져 있는 국경 을 단속하는 것보다는 매의 배후조직을 직접 붙 잡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미 국도 이를 깨닫고 북한에 의한 불법거래를 조장하는 몇몇 조직들 특히 마카오 지역의 조직들을 표적으로 삼아왔다.200 2005 년 9 월 재무부의 테러 및 금융 범죄국은 마카오에 있는 방코델타 아시아은행에 해 북한에 한 돈세탁 협의로 조사를 하기 시작했 다. 201 재무부의 테러범죄국은 또한 셩헝(Seng Heng)은행과 마카오의 중국은행도 비슷한 위법 행위로 조사했다. 은행들은 혐의를 부인했으나 홍콩은 돈세탁법을 재점검하고 마카오는 금융기 관들을 적으로 개편했으며 돈세탁방지법을 통과시켰다. 이러한 조치들은 고객들의 예금인 출에 나섬에 따라 방코텔타 아시아은행으로부터 4 천만 달러의 인출과 3 일간의 금융시스템의 폐 쇄를 야기했다. 북한의 주요 혐의자인 중앙무역 회사는 자금을 모두 인출했고 스탭은 중국의 심천 으로 도망갔으나 2005 년 11 월 중순 마카오로 돌아왔다.

이 모든 일들은 마카오와 홍콩에서 널리 보도되 었는데 미국이 북한에 의한 불법유통에 해 매 우 심각하게 처했으며 중국도 자신의 집을 청

200 “U.S. examines Asian banks for links to North Korea”, Asian Wall Street Journal, 8 September 2005; “U.S. focuses on Macau Bank in probe into North Korean ties”, Asian Wall Street Journal, 16 September 2005. 201 See remarks made by David Asher, Senior Adviser for East Asian and Pacific Affairs, U.S. State Department, at the Counter-Proliferation Strategy Group, Woodrow Wilson Center, “The North Korean Criminal State, its Ties to Organised Crime, and the Possibility of WMD Proliferation”, 1 October 2005

소할 것을 요구했다는 메시지를 보내려한 것으로 해석되었다.202 북한에 있는 서양관료들은 2005 년 9 월 하순에서 10 월 초에 단호한 단속으로 인 해 북한의 금융시스템에 큰 충격을 준 적이 있었 다고 말한다. 이는 북한정권에 한 압박을 가하 기 위한 중요한 방법을 제공했다는 점을 내포한 다. 203 북한의 무역관리들은 1999 년초 마카오가 포르투갈에서 중국으로 넘겨진 때부터 위조지폐 제작과 돈세탁에 관여해온 기록이 있다.204 미법무 부는 또한 아일랜드의 무장 조직을 평양과 공모하 여 수백만의 위조지폐를 유럽의 통화시장에 유통 시킨 범인으로 지목했으며 처음으로 미법정에서 북한을 100 달러짜리의 위조지폐를 량으로 만든 국가로 공식 지목했다.

3. 해상 및 공중에서의 저지

파키스탄과 북한사이의 바닷길은 미사일과 핵장비 의 운송을 위해 사용되었다. 선적들은 동해와 남중 국해사이의 중국영해를 거쳐 지나갔을 것이다. 중 국의 항구들은 화물을 옮기는데 쓰여졌다. 이전에 도 그랬던 것처럼 2002 년 11 월 이란의 배 한척이 천진항에 정박해서 미사일부품들을 실었다. 2002 년 12 월 스페인과 미국의 해군은 스커드 미사일을 싣고 예멘을 향해 가는 북한선박을 저지시켰다. 그

202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홍콩과 마카오, 2005 년

11 월; “U.S. encouraged as Macao acts on money laundering”, The Standard(Hong Kong), 27 October 2005; “U.S. says radical helped North Korea; Garland indictment marks crackdown on Pyongyang in counterfeiting industry”, Asian Wall Street Journal, 13 October 2005. 203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평양, 2005 년 10 월. 204 1994 년에 외교관여권을 소지한 북한관리들이 마카오

은행에서 위조지폐 25 만 달러를 예금하려다가 체포되었

다. John Pomfret, “Macao: North Korean crime centre”,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6 April 1999; William Bach, Director, Office of African, Asian and European Affairs Bureau for International Narcotics and Law Enforcement Affairs, U.S. Department of State, statement to the Senate, 20 March 2003

Page 39: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34

배의 마지막 기항지는 중국이었다. 205 핵장비와 핵물질을 탑재했을 가능성이 있는 비행기들은 중 국의 상공을 이용해 북한에서 파키스탄, 북한에서 이란사이를 직행으로 비행했다.206 중국의 WMD 저 지에 한 법적제도는 아직 저발전수준 – 비행기 의 저지에 한 전례와 법이 없다 -에 놓여있다. 2005 년 10 월 미국의 위성이 이란 비행기가 평양 에 착륙하는 것을 포착해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은 미국 당국이 압력을 가하자 그제서야 이란비 행기의 자국영공통과를 거부했다.207 해안경비 역 시 WMD 저지에는 부적합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208

중국은 2003 년이후에 한국, 일본과 함께 합동해 상안보훈련에 참가해왔다. 그러나 중국은 미국 주도하의 량살상무기확산방지구상(PSI)에 참여 하는 것은 꺼려했는데 PSI 는 생화학무기나 핵 무기를 싣고 테러리스트국가나 량살상무기를 획득하려는 것으로 의심되는 나라들로 이동하는 선박을 저지시키기 위한 훈련으로 50 여개국 이상이 참여하고 있다. 참여국들은 바다와 공중 과 지상에서 화물을 신속하게 저지시키고; 정보 공유를 위해 협력하며; 2004 년 일본해에서 실시 되었던 팀 사무라이 그리고 2005 년 남중국해의 싱가폴 앞바다에서 실시되었던 딥 사브레(Deep Sabre)등의 공동훈련을 수행한다. 처음 2 년동안 이 훈련체제는 11 건의 성공적인 저지로 신뢰를 쌓 았다. 매년 적어도 65 건의 핵물질 매사건들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면 이 훈련을 더 향상 시켜야함을 알 수 있다.209 그러나 중국은 미국주도

205 “China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op. cit. 206 Ibid. 207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9 월; “U.S. widens campaign on North Korea”, The New York Times, 24 October 2005. 208 “China won’t sign on to PSI”, United Press International, 2 September 2005. 209 See the Stanford Database on Nuclear Smuggling, Theft and Orphan Radiation Sources at http://iis-db.stanford.edu;

의 컨테이너안보에 관한 다른 훈련에 참여했는데 상해와 심천을 떠나 미국으로 향하는 컨테이너들 의 사전검색을 허용하는 것이다.

중국의 PSI 를 공식적으로 거부하는 이유는 그 것이 국제해양에서 선박을 저지하는 것을 금하 고 있는 국제해양법에 어긋나므로 국제법에 위 배되며 또한 – 중국 자신의 노력때문이지만 – 그것이 안보리의 승인을 받지않았다는 이유때문 이다. 2004 년 4 월 량살상무기비확산에 관한 안보리 결의안 1540 에 관한 협상이 끝난 후 중 국의 UN 사 왕광야는 그의 표단이 언어를 교묘하게 사용하여 저지를 “차버렸다”고 비난했다. 210 PSI 를 주도권 경쟁으로 보는 중국의 공식견해 는 북한을 표적으로 하며 북한을 압박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에 그들이 승인할 수 없다는 것이다.211

C. 경제개혁

중국이 북한 정부의 급격한 변화가 초래할 수 있는 혼란을 염려한다고 해서 그것이 곧 북한의 현제 도가 존속하기를 바란다고 볼 수 없다. 전문가들 은 중앙계획체제 실패의 주요원인으로 다음의 세 가지를 꼽고 있다. 식량난, 에너지난, 자원난이 바로 그것이다. 중국은 장기적으로 북한이 외국인 투자와 일상적인 무역거래가 허용되는 즉 보다 심도깊은 체제개혁으로까지 나아가길 바라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이미 약 40 여년동안 경제적 퇴보 상태를 이끌고 있는 북한지도자들에게 위와 같은 변화를 강요할 수는 없다고 믿는다. 신 북한 지도자들로 하여금 경제성장과 정치적안정이 상호

the IAEA Illicit Trafficking Database at http://www.iaea.org; and “Remarks on the Second Anniversary of the PSI”, U.S. Department of State, 31 May 2005, at http://www.state.gov. 210 See “Rough Waters Ahead”,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vol. 61, no. 6, November/December 2005. 211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군축전문가들, 베이징과

상하이, 2005 년 8-9 월.

Page 40: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35

배타적인 것이 아님을 인식시키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본다. 또한 1980 년 중국이 취했던 것 과 유사한 형태의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할 수 있 도록 동력과 도구들을 구축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고 본다.

김정일과 그의 측근들은 중국의 개혁개방을 보기 위해 여러 차례 직접 중국을 방문했다. 2001 년 1 월 김정일은 4 일동안 상하이에 머물면서 상하이 주식시장, 상하이 GM, 장쟝하이테크개발구, 발전 하고 있는 푸동개발지역 등을 돌아봤다. 212 중국 관리에 따르면 위 지역을 돌아보며 김정일은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 213 중국은 경제자유화와 정치체제를 성공적으로 조화시킨 자국과 베트남 의 사례가 비록 청사진까지는 아닐지라도 북한 에게 좋은 선례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 경제개혁 을 단행한 이래로 중국지도자들은 북한 역시 개 혁으로 나올 것을 독려해왔다. 상하이의 많은 전 문가들은 2001 년 방중때 본 중국의 발전이 김 정일로 하여금 그 이듬해 북한의 개혁을 이끌게 했다고 분석하고 있다.214

2004 년 3 월 북한의 박봉주 내각총리는 베이징 외곽에 있는 이동전화 공장과 양조장을 순례했다. 그리고 상하이에서 이틀을 머물면서 고속열차를 타고 박람회가 열리고 있는 푸동을 방문했다. 그리 고 공산주의와 경제발전이 상호모순되지않는다는 것을 과거사례들을 통해 수긍하면서 또한 중국 공산당 최고의회를 방문했다. 그 성지는 초현 판

212 Ministry of Foreign Affairs, China, “Foreign Relations”, http://www.fmprc.gov.cn/eng/wjb/zzjg/ yzs/gjlb/2701/default.htm; “North Korea leader kicks the tires in Shanghai”, The New York Times, 18 January 2001. 213 조선일보, 2001 년 1 월 21 일. 214 개혁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국제위기감시기구

보고서를 보라. 북한:철권통피는 보이지 않는 손을

받아들일 수 있을까?, op. cit.

신톈띠 쇼핑지역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유명 다국적 기업 및 미국 회사들과 바로 마주하고 있다.

2006 년 1 월, 9 일간의 베이징 및 남부지역 시찰은 그의 가장 긴 중국방문이었을 뿐만 아니라 시찰범 위 역시 하이테크회사, 항만시설, 최초의 특별 경제구역인 선전등 이제까지는 유례가 없을 정도 로 포괄적이어서 서울의 많은 분석가들은 이번 방문을 1992 년 덩샤오핑의 남순강화와 비교하고 있다. 215 북한중앙방송은 김정일이 “자유경제특 구를 돌아보며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216 또한 2001 년 상하이 방문과는 달리 2006 년 방문에는 고위 경제기술관료들을 동했다.217

중국은 또한 북한이 관료주의를 약화시키도록 변 화의 계기를 제공하는데 도와주고 있다. 중국사 회과학원의 수많은 센터에서 북한사람들이 에너 지협력, 금융, 회계와 같은 주제들을 공부하고 있다.218 몇몇 학들은 교환학생들을 받고 있다. 외국 NGO 들과 남한의 현 아산은 북한사람들을 위한 교육훈련 과정을 개설하고 그들을 베이징, 상하이, 션쩐 등지로 견학시켜 줄 수 있도록 허가받았다. 219 중국의 부상하는 시장과 자신들 보다 비교적 자유로운 제도에 한 노출은 평양 에서 온 교환 학생들에게 심 한 영향을 미칠 것 이 분명하다. 이런 프로그램을 늘리면 놀랄만큼 큰 효과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연변 학교의 이종림은 학교에서 북한학생들에게 전액장학금 을 제공할 것을 제안했지만 한 명의 학생도 받아

215 조선일보, 2006 년 1 월 13 일 216 조선일보, 2006 년 1 월 19 일; “Kim Jong-il visits the Shenzhen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akungpao, 15 January 2006 (중문). 217 중앙일보, 2005 년 1 월 19 일 218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7 월. 219 국제위기감시기구 보고서, 북한:철권통피는 보이지

않는 손을 받아들일 수 있을까?, op. cit., p. 20.

Page 41: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36

들여지지않았다고 말한다. 또한 연변 학교의 교수들중 아무도 북한에서 강의를 위해 초빙되 지 못했다.220

비록 북한이 2002 년 7 월 이래로 시장 친화적인 정책들을 펼쳐왔지만 중국인들은 이것을 거 한 바다위에 물방울을 떨어뜨린 것과 같다고 비유 한다. 김정일은 1980 년 덩샤오핑이 김일성에 게 실험할 것을 재촉했던 자유시장경제개혁의 일 부분을 시도해보라는 후주석과 원총리의 개인적 인 설득노력들을 여태껏 무시해왔다. 2004 년 4 월 김정일은 중국지도자들에게 그는 여전히 경 제자유화가 정통사회주의사회를 와해시킬 것이 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221 북경에서는 북한개혁 의 비현실성을 설명하면서 쿠바를 예로 드는데 쿠바는 2005 년에 북한이 실행했던 것과 같이 피상적인 개혁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회귀했다.222

공식적으로 중국은 북한의 개방이 더딘 이유로 핵문제와 북미, 북일간의 관계악화를 들며 비난 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초기 북한의 체제변환 시기동안 미일과의 관계정상화 같은 “우호적인 외부환경”의 조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이 북한사업환경에 많이 노출 되면서 중국관료들은 북한을 변화시키는데 제도 적 장애물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특별히 정책결정자들이 더 깊은 변화를 추진하는데 게으 르다는 것 에 절망하게 되었다.

북한의 중국경제개혁에 한 지속적 의구심과 북 한내부문제에 개입하기를 꺼려하는 중국의 입장 은 북한의 개혁과정을 가속화할 수 있는 중국의 직접적인 기여를 제한하고 있다. 유엔과 같은 다

220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옌지, 2005 년 9 월 24 일. 221 “Kim Jong-il’s visit to Beijing: what does it mean for the West?”, op. cit. 222 “Cuba’s economy: the return of the state sandwich”, The Economist, 23 June 2005.

자적기관(세계 은행, 아시아개발은행, IMF) 혹은 쌍무적 기부자들이 북한이 요구하는 자산, 기술적 지원, 교육과 인프라 등을 제공하는데 훨씬 적합 할 것이다. 중국전문가들은 북한이 미국과 안보 및 경제문제에 있어 자신감을 가지기 전에는 개혁 을 단행하지 못할 것이라는데 동의하고 있다.223

중국은 북한의 개혁을 도울 수 있는 가장 가치있고 직접적인 기여는 개인사업영역과 원료시장, 상점, 식당 등의 서비스 산업부문을 발전시킬 수 있는 종 자돈, 천연자원, 사업기회라고 믿는다. 북한에서 운영되는 중국회사와 접경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무 역은 놀랄만큼 큰 성장을 이루고 있다. 남한학계 는 북한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생필품의 80% 이상이 중국산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224

무역의 증가는 유기적인 발전을 이루지 못했다.225 중국정부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정치적, 전략적 고려가 자주 그 결정들의 기반이 된다. 2002 년에 중국의 해외진 출기업 4 분의 3 정도가 정부에 의해 통제 받았다. 정부는 또한 외국투자 승인절차를 통해 규제한 다. 국영은행은 북한과의 합작투자사업에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출자에 승인했다.226 2005 년 10 월 후주석은 평양에서 김정일과 만나 중국은 앞으로 계속적으로 중국기업들에 의한 투자와 “양국의 경 제무역관계의 새로운 발전”을 “격려하고 지지”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223 국제위기감시기구 보고서, 북한:철권통피는 보이지

않는 손을 받아들일 수 있을까?, op. cit. 224 “일반시장의 80%되는 상품들이 중국산이다”, 북방

저널, 2005 년 10 월. 225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정부관리들, 도쿄, 2005 년

8 월. 226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8 월.

Page 42: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37

중국의 전략적계획은 해외 제조기지를 통합해서 한국의 재벌이나 독일의 거 다국적기업과 같은 “기업그룹”을 만드는 것이다. 227 비록 다수의 중국지역에서는 중앙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 자유 롭게 외무를 수행할 수 있지만 접경지역은 상당한 단속을 받고 있다.228 그러나 중국은 음식 및 소비 재산업부문에서는 십만달러 이하의 소규모 투자가 성공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인식한 그 지역사정 을 반영하여 계속적으로 소규모기업과 기업가들 을 이용하여 북한시장진출을 도모할 것이다. 229 플라스틱, 섬유, 철강, 기계, 전자 및 자동차는 2004 년 북한에 수출된 수출품 중 상위 8 위를 차지하는 품목들이며 이는 중국기업들이 취약한 산업부문에 전략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는 것을 반 영하고 있다.

중국은 또한 단동 및 기타 접경도시에 지역과 성정부를 표하는 북한무역사무소를 설립할 것 을 권고했다. 1990 년 후반 단동에서만 800 여 명의 표들이 활발하게 무역활동을 하고 있었다. 230 2005 년의 조사에 의하면 옌지지역에 최소 200 개의 북한무역사무소와231 10 개의 북한무역 회사들이 주로 쌀을 수출하고 철광석을 수입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232

227 Mark Yaolin Wang, “China’s Industrial Investments Overseas”, Pacific Affairs, vol. 75, no. 2, Summer 2002. 228 Peter Cheung and James Tang, “The External Relations of China’s Provinces”, in David M. Lampton (ed.), The Making of Chinese Foreign and Security Policy In The Era of Reform (Stanford, 2001), p. 96. 229 Crisis Group interview, Lee Yong-nan, Commerce Bureau,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23 September 2005. 230 Scott Snyder, “North Korea’s Decline and China’s Strategic Dilemmas”, 미국평화연구소, 특별보고서. 1997 년 10 월

27 일. 231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일본연구자들, 도쿄,

2005 년 8 월. 232 국제위기감시기구 조사, 옌지, 2005 년 9 월.

무역을 촉진시키기 위해 중국은 북한의 국경을 따라 인프라건설에 투자를 쏟아 부었다. 중국의 국경도시 훈춘은 자유무역과 위탁가공시설을 위한 지역으로 변했지만 북한을 포함시키고자 하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지역의 작은 규모의 무역은 중국과 러시아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233 중국은 북한의 동해안에 이르는 철도와 중국의 국가철도 를 연결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또한 중국∙북한접 경국경을 따라 달리는 철도사업을 진행시키고 있 다. 중국은 또한 러시아와 국경을 맞닿는 지역에 까지 연결되는 철도와 도로를 건설하고 있다. 2004 년과 2005 년에 북한의 문산시와 함경북도 사이의 압록강 위로 새로운 2 개의 다리가 각각 지어졌는데 단동과 신의주를 연결하는 중조우의 교를 확장교체하는 작업이 계획되어있다. 그러나

부분의 국경을 가로지르는 다리는 매우 비좁아 서 차와 보행자가 함께 다니기엔 불편하다. 하루 에 24 정도의 트럭과 차들이 다닌다.234

중국은 또한 북한을 지역경제협력프로젝트에 편 입시키고 있다. 1990 년 초부터 일본 및 남북 한과의 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랴오닝성, 지린성, 허롱장성은 “동북경제권”로 묶여졌다. 235 1995 년 중국은 북한, 러시아, 몽골, 한국 그리고 UNDP 과 함께 두만강개발계획프로그램을 시작했다. 그 센터는 러시아, 중국과 국경을 맞 고 있는 북한의 가장 동북쪽 끝인 나진선봉 자유무 역지 이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중국기업은 북한으로부터 나진항에서 앞으로 50 년간 2 개의 부두 에 한 독점운영권을 임 받았다. 비록 나진특구가 실

233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및 관찰, 훈춘과 옌지,

2005 년 9 월; “China, DPRK arrange seven-day service for cross-border road connections”, People’s Daily, 7 April 2004. 234 국제위기감시기구 관찰, 연변특별자치구와 단동,

2005 년 6-9 월. 235 Peter Cheung and James Tang, “The External Relations of China’s Provinces”, op. cit., p. 116.

Page 43: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38

패하긴 했지만 – 투자가의 약한 확신과 한국의 직접투자를 꺼려하는 북한때문에 – 중국은 계속 해서 프로젝트의 주도권을 갖고 있는 UNDP 에 게 나진특구를 지속적으로 열도록 요청했다.236 중국이 이러한 조치를 취한 부분적인 이유는 자신 의 항구시설이 부족해짐에 따라 그 부담을 줄이 고자 하는데에 있다. 중국은 또한 북한사업을 동북 지역개발계획에 통합시키려하며 그 지역을 이용하 여 변경무역을 활성화시키고자 한다. 예를 들어 2005 년 9 월 북한사업가들은 중국, 러시아, 몽골 그리고 한국사업가들과 함께 장춘에서 지린 동 북아무역엑스포에 참여했다. 베이징과 평양의 관리들이 어떤 낙관과 찬사를 펼치는가와 달리 사람들은 개인적으로 그 지역에 투자하지 않을 것 이고 그 실험은 실패했다는데 동의하고 있다. 그러 나 다른 관리들은 그것이 구조 및 정치와 관련된 문제들이라 믿고 있으며 일단 잘 닦인 도로가 건설 되고 전화선이 설치되면 나진의 미래는 밝아질 것 이라고 한다.237

계획경제에서 벗어나면서 중국의 투자는 북한정 부의 주민의 유입, 상품, 정보에 한 통제능력 을 약화시키고 있다. 비록 중국기업들은 자본주 의의 기초에서 필요한 경험을 만들어가고 있지 만 중국에 만연한 부패와 체계가 잡혀있지 않은 무역회사들은 좋은 모델이 될 수는 없을 것이다. 개인기업부문의 강화는 중국과 베트남의 경제개 혁 초기단계에서 절 필요한 부분이었다.238 중 국의 경제적개입은 또한 장기적인 북한재건비용 을 삭감하고 있다. 2005 년 미국의 랜드연구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통일은 북한의 극심한

236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8 월. 237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옌지(延吉)과 나진, 2005 년

9 월. 238 국제위기감시기구 보고서, 북한:철권통피는 보이지

않는 손을 받아들일 수 있을까?, op. cit.

퇴보와 고립으로 인해 독일 통일이후 1991 년부터 2004 년까지 서독에서 동독에 1 조 4 천억 달러가 들어갔던 것보다 더 많은 비용이 한국, 중국, 일본 에 부과될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통일비용을 줄이 는데 가장 핵심적인 변수는 통일전 단계에서 한국 과 비교한 북한경제의 규모이다.239

북한에서 사업하기

웨이 꾸이 밍은 북한과 연락하는 비정부라인을 구축하려고 애쓰고 있는 중국의 전직외교관이 다. “그들은 함께 일하기 정말 정말 어려운 사람들 이다”라고 말한다. “나의 계약파트너는 계약건건 마다 바뀐다. 그들은 팩스나 전화로 답할 수 없다 고 말하며 방문은 매우 복잡하다”고 그는 덧붙였 다. 웨이는 북한에 자전거를 팔아서 북한의 철광석 가루를 들여오는 것을 준비하고 있으며 북한과의 더 많은 협력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 그러 나 그는 성공을 확신하지 못한다. “가장 나쁜 것은 모든 것이 비용처리가 먼저 되어야 한다는 것이 다. 그러나 종종 그들이 일단 돈을 받고 나면 전에 상 하던 사람들이 사라져버린다. 그리고 당신은 그들과 연락할 아무런 방법도 없이 아무 것도 얻 지못한채 남겨진다”는 것의 그의 주장이다. 240 웨이의 경험은 중국사업가들에게 일반적인 것이 어서 많은 사람들이 북한을 투자의 “블랙홀” 이 라고 묘사하고 있다. 1998 년 백만달러를 평양의 백화점건설에 쏟아부었지만 백화점을 오픈할 수가 없었던 션양의 츄스무역회사의 경우는 업계에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인내심과 좋은 계약 네트워크,

239 다른 변수들은 채택된 제도개혁전략과 북한군부의

무기감축으로 얻어진 자산이 있다. Charles Wolf and Kamil Akramov, “North Korean Paradoxes: Circum-stances, Costs and Consequences of Korean Unification”, RAND National Defense Research Institute, 2005, p. 28. 240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7 월.

Page 44: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39

그리고 상 파트너와의 긴 한 관계가 성공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들로 지적된다.

D. 난민들과 이주자들

북한이 정치∙경제적으로 붕괴할 경우 량난민의 유입이 중국에게 가장 큰 위협 중의 하나로 간주됨 에도 불구하고 부분의 중국 전문가들과 관료들은 단기적위협에 해 잘 모르고 있다. 지린사회과학 원의 김종국은 북한의 기아사태 당시 많은 난민이 있었다며 그가 조사한 표본만 해도 20 만명 이상의 난민들이 정치붕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때 한국으 로 가길 희망하며 몰려올 것이라고 말한다.241

탈북난민인지 경제적이주민인지에 한 중국의 판 단은 부분 국제적조사에 의존한다. 망명추구자 들이 그들의 행동을 공개화할 때 – 예를 들어 2001 년 이후에 유행했던 한국 NGO 에 의해 촬 영되면서 북경의 사관 담을 넘는 방법같이 – 중 국은 북한이 민감해할 것을 고려해 그들을 되돌려 보내거나 적어도 그들이 중국에서 떠나는 것을 지 연시킨다.242 그러나 만약 탈출을 은 히 할 수 있 다면 방해받지 않고 한국이나 다른 곳으로 가기 전까지 정치적난민들의 수용시설에서 도움을 받 을 수 있다. 그리고 많은 국경지역의 경제적 이주 민들에 해 눈 감아주기도 한다.243

북한의 기아사태가 한참 심각했던 1995 년에서 1996 년무렵 수없이 많은 난민들이 음식과 일자

241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김종국, 연변연구소, 지 린

사회과학원, 2005 년 9 월 16 일. 그는 북한 다수

사람들에게 남한이 중국보다 더 가깝고 더 잘사는 것

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말했다. 242 2005 년 5 월에 100 명이상의 북한사람들이 베이

징의 사관들에 있었다고 엠네스티는 말한다. 243 중국과 제 3 세계의 탈북난민들의 상황은 다음번

국제위기감시기구 보고서의 주제가 될 것이다.

리와 장사할 기회와 안전을 찾아 압록강을 건너왔 다. 탈북자 수는 감소되었으나 이주의 자유는 증 되었고 북한의 국영식량배급제 폐지로 인해 여성 과 아이들은 식량과 안전을 찾으러 남자들은 장사 할 기회와 단기 일자리를 찾기 위해 꾸준히 들어 오게 되었다. 배급제도는 아직까지 존재하고 있고 2005 년에 북한이 배급제도를 다시 부활시켰다는 사인들이 있었지만 그러나 평균적으로 전체인구 의 50%에서 60%정도에게만 식량이 공급된다.244 중국분석가들과 외국 NGO 관리들은 략 만명에 서 십만명의 이주자들이 중국국경지역에 있는 것 으로 추정한다. 국경지역에서 일하는 원조기구 사람들은 최근에 국경을 넘는 부분의 사람들이 정치적고문이나 북한정권의 잔인함에 눈뜲에 의해 서 보다는 가난과 실업이라는 경제적동기로 넘어 오고 있다고 믿는다.245 2003 년 6 월과 2004 년 5, 6 월동안 국제난민기구에 의해 인터뷰 받은 북한 난민 65 명 중에 단지 2 명만이 정치적이유로 탈출한 것으로 나와있다.246

중국과 북한의 양자간 국경협정에 의하면 모든 불 법월경자들을 송환해야 한다.247 그러나 2001 년 까지 중국은 이주민들이 범죄행위에 개입되었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강제송환을 하지 않았다. 부분의 불법입국자들은 간단히 체포되어 2 주동 안 감옥에 갇혔다가 풀려났다.248 중국의 관용은 2002 년 3 월 25 명의 탈북자들이 일본 NGO 의

244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평양, 서울, 베이징 그리고

옌지, 2005 년 9-11 월 245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단동, 옌지,

2005 년 6-9 월. 246 Joel R. Charny, “Acts of Betrayal: The Challenge of Protecting North Koreans in China”, Refugees International, April 2005. 247 A similar agreement exists with Mongolia. The text is not publicly available. 248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김강일, 연변 , 옌지,

2005 년 9 월 16 일.

Page 45: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40

도움을 받아 주베이징 스페인 사관에 난민을 신청하면서 끝이 났다. 2002 년 5 월, 7 명의 탈북자들이 션양에 있는 일본과 미국영사관에 들 어갔고 다음달에 두 명이 베이징에 있는 한국영사 관에 진입했다. 중국은 북한을 화나게 하지 않으려 는 의지와는 다르게 국제법을 따르고 한국과 일본 과의 관계를 지키도록 강요받았다. 응은 서툴렀 다. 무장경찰은 망명추구자들을 막기위해 베이징 에 있는 한국과 일본 사관에 들어감으로서 외교 적인 폭풍을 만들었다. 국경지역에 한 적 색출조사후에 수천명의 탈북자들이 강제송환되었 다.249 한 외국 NGO 는 조심스럽게 말했다: “중국 은 원칙을 무시하면서 이 문제에 제 로 응하 지 못하고 있다.”250

2004 년 7 월, 487 명의 탈북자들이 공개적으로 베트남에서 서울로 이송되었던 2004 년 7 월까지

사관 진입사건은 계속되었다. 그 사건 이후로 베이징은 한국과 공동으로 협력하여 베이징 사 관에 있는 망명자들에게 제공하는 인센티브를 제 한했으며 정치적으로 동기화된 NGO 들의 행동을 단속하기 시작했다.

외교적 곤경을 피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베이징은 더 많은 이주민들을 오도록 “유인하는 요인”을 형성할 만한 조건을 만들지 않기위해 심의를 기울 였다. 중국은 비록 1996 년에 일부의 한국 NGO 들에게는 접근을 허용하기도 했지만 UN 고등난 민판무관(UNHCR)이 국경지역에 캠프를 만들거 나 보호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금지시켜왔다. 중 국을 선택하겠다는 인식이 북한에서 아직 상 적 으로 낮다는 것과 부분의 이주자들이 경제적이

249 Elisabeth Rosenthal, “North Koreans in China now live in fear of dragnet”, The New York Times, 12 July 2002. 250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7 월.

유때문에 오는 것이며 중국에 머물거나 여행하려 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그나마 다행이다.251

공개적인 시선을 의식한 중국은 국경을 넘어오는 탈북자들에 해 좀 덜 가혹한 방법을 채택할 수 있고, 채택할 것이라는 것을 증명해 보여주었다. 국경을 열어놓는 것이 중국에게는 유용한 “압력 밸브”로 여겨지는 것이 사실이다. 왜냐하면 국경을 열어놓음으로써 가장 절박하고 또 잠재적으로 말 썽을 부릴수 있는 탈북자들이 그 나라를 떠날 수 있게 해주는 동시에 또한 북한에 필요한 돈과 식 량을 보내기 위한 뒷문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252 관리들은 정상적인 환경하에서 10% 미만의 탈북 자들이 강제송환 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또한 중국에서 범죄나 분열행동을 일으킬 경우에 만 해당한다.253 원조단체들은 범죄가 조선족들의 동정심을 가라앉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고 언급 한다. 그러나 단지 “적은 소수의 탈북자들”만이 중 국에서 범죄를 저지른다고 주장한다.254 이런 그룹 들은 중국정부가 불법월경자를 색출하기위해 불시 단속하고 탈북자에 한 신고자에게 상금을 주고 그들을 돕는 자들에게 벌을 주는 것에 하여 강하 게 비난하고 있다. 어떤 경우에 불법월경자들은 250 달러에서 600 달러까지 벌금을 물어야 한다. 억류된 몇몇 사람들은 공정한 우를 요구하지만 어떤이들은 범죄를 저지르고 심지어 북한군인들 과 결탁하기도 한다.255 어떤 경우든 탈북자들을

251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7 월. 252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8 월. 253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옌지, 2005 년 8 -

9 월. 254 Charny, “Acts of Betrayal”, op. cit. 255 James Seymour, “China: Background Paper on the Situation of North Koreans in China”, Writenet, January 2005; “The Invisible Exodus: North Korean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uman Rights Watch, November 2002.

Page 46: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41

송환하는 것은 중국이 난민에 한 국제의무를 위 반하는 것으로 보여진다.256

여성인구의 증가는 조선족 여성들의 남한 및 중국 의 다른 지역으로의 규모 이주로 인해 발생되었 던 인구감소와 성비불균형의 추세를 역전시켰다. 중국남성과 북한여성사이의 결혼이 늘어나고 중 국시민권을 얻기 위해 결혼하는 탈북 여성들이 증가함으로 인해 중국동북지역의 조선족 인구의 감소현상이 2001 년에 역전되었다.257 인권단체들 은 그 지역의 많은 탈북여성들이 브로커에게 팔려 가서 강간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해 왔다.258 많은 북한이주자들은 국경지역의 빈 일자리들을 채우고 있다. 특히 중국인들이 하려 하지 않는 힘 들고 더럽고 보수가 낮은 일들을 주로 하게 된다. 중국 사회과학원은 중국동북지역의 일부는 10% 에 달하는 노동부족현상을 갖고 있다고 추정한다. 하얼빈시 노동고용국에 따르면 2005 년 2 분기에 허롱장성에서만 서비스업종과 건설업종에서 약 5 만명의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측정했다.259

한편 탈북자들이 자신들의 이동을 공개적으로 밝 히지 않고 중국에 한 모욕을 유발하지 않는 한

256 1951 년 제네바 난민협약과 1967 년의 프로토콜은

생명과 자유가 위협받는 곳으로 난민들을 되돌려 보내 는

것을 금지하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 http://www.unhcr.ch/ cgibin/texis/vtx/protect/opendoc.pdf?tbl=PROTECTION&id=3b66c 2aa10. 중국은 이 협약에 1982 년 에 가입했다. http://www.unhcr.ch/cgi-bin/texis/vtx/protect/ opendoc.pdf?tbl= PROTECTION&id=3b73b0d63.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몇

퍼센트의 난민들이 강제송환 되고 있는지 파악하기는

매우 어렵다. 257 인구는 1.75 백만 에서 2.05 백만으로 증가했다. Ming Liu, “China and the North Korean Crisis: Facing Test and Transition”, Pacific Affairs, vol. 76, no. 2, Fall 2003, p. 354. 258 See “The Invisible Exodus: North Koreans in the PRC”, Human Rights Watch, November 2002, http://www.hrw.org. 259 Li Fangchao, “Labourers unwilling to work for low wages”, China Daily, 20 July 2005 and Ming Liu, “China and The North Korean Crisis: Facing Test and Transition”, op.cit.

순수한 정치 난민들은 지금 조용하게 – 어떤 때는 중국의 도움으로 – 중국의 반 없이 중국을 떠나 한국에 자리잡고 있다.260

260 국제위기감시기구 인터뷰, 베이징, 2005 년 6-8 월.

탈북자들과 난민들은 국제위기감시기구의 다른 보고서

의 주제가 될 것이다.

Page 47: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42

VI. 결 론

1993-1994 년의 1 차 북핵위기와 2002 년의 2 차 북핵위기 사이에 중국에서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전통적 사상이나 동맹으로부터 자유로운 새로운 리더십으로의 교체, 서울과의 발전하는 관계, 그리 고 북한과의 긴 한 관계를 위한 명분이 약화되어 러시아가 일시적으로 지정학적 방정식으로부터 이 탈한 것 등이 그것이다. 정치적통제의 완화는 높은 정치적 학구적 범주에 여과된 의견을 달리하는 정책여론을 만들어냈다. 증가하는 여론의 독립, 그리고 인터넷이 떠오르는 중간계층사이에 북한 에 한 비판적인 시각을 양성하게 되었다. 중국 외교관들은 예측불가능하고 위험부담이 큰 다자 협상을 수행할 자유와 확신을 얻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북한생존에 한 핵심 적인 국가이익은 냉전시 와 거의 비슷하거나 혹 은 더 강하다. 역사적 유 관계에 한 보수적인 관점과, 더 중요하게는, 통일한국에 한 미국의 의도에 한 전략적 의심은 여전히 중국 지도자들 이 주의를 기울이는 강한 내부적 힘이다. 중국경 제가 성장하게 되면서 그 지도자들도 지속적성장 에 더 많은 합법성을 부여하게 되었고 한반도분쟁 에 개입된 부분들은 더욱 많아졌다. 동북지역개발 계획은 북한정권붕괴를 피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 도록 만들었다. 만문제를 풀기위해 미국에 한 지렛 를 확장시킬 필요, 분쟁예방에 기여하 고 있다는데 한 지역의 확신을 유지해야 하는 중국의 필요는 이웃과의 관계를 끊는 것을 불가 능하게 만들고 있다. 이런 접근은 평양에서는 확 실하게 잘 이해되는 반면 베이징의 배후세력으로 서의 영향력 행사능력을 심각하게 제한한다.

정책결정자를 위한 이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함의 는 중국이 더욱 협력적인 북한을 회담장에 데려오 거나 회담에서 합의된 것들을 지키도록 강제할 수

없다는 데 있다. 중국의 복잡한 국내, 지역, 그리고 국제적 우선권들은 중국으로 하여금 6 자 회담을 주최하고 중재하게 하며 가능하면 긍정적인 인센 티브를 보류함으로써 어느 정도 건설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만든다. 중국이 북한을 순응하도록 압박을 가하는 것을 기 하는 것은 시간만 낭비할 뿐이며 평양에게 핵무기 개발할 시간만 주는 셈이 된다.

제재의 방법을 배제시킴으로써 베이징이 북한을 다 룸에 있어 이제 남은 정책 선택은 핵국가의 수용, 국제 비확산 레짐의 붕괴의 심화, 협상을 통한 북한의 군축과 정상화를 수용하던지 혹은 한반도와 중국의 경제를 파괴하는 미국주도의 전쟁을 지켜 봐야하는 쪽으로 좁혀지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있 다. 그러므로 베이징회담에서 일어나는 일이 중국 과 남북한에게만 아니라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이것은 적어도 중국이 북한의 무장해체를 강요하 지않으면서도 회담이 위기에 처하면 회담 재개를 지속하도록 노력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비록 중국은 북한의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공유하지만, 어떻게 그 목표에 도달할 것인가에

한 자신만의 비전을 가지고 있다. 평양과의 긴 한 관계에서 오는 이익들은 베이징의 우선권 과 제한들에 한 좋은 평가가 국제전략에 통합될 때만 활성화될 수 있다. 중국은 또한 개혁된 친중적 북한을 만들려는 장기적목표하에 점차적 으로 북한경제를 정상화하려고 노력할 것이 다.

서울/브뤼셀, 2006 년 2 월 1 일

Page 48: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43

APPENDIX A

중국과 북한 지도

Courtesy of The General Libraries,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Page 49: 중국과 북한 : 영원한 동지인가? · 2016-09-01 · 중국과 북한: 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년 2 월 1 일 Page

중국과 북한:영원한 동지인가?

국제위기감시기구 아시아 보고서 N°112, 2006 년 2 월 1 일 Page 44

APPENDIX B

북한 지도

Courtesy of The General Libraries,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