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관 - CMCibi.cmc.or.kr/mail/201709_vol34.pdf · 2018∼2020년 보건의료 R&D 지원...

20
주요 기관 · 미국 국립 보건원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 미국 국립과학재단 생물과학국 (National Science Foundation Biological sciences) · 미국 빌 앤 멜린다게이츠 재단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 캐나다 보건연구원 (Canadian Institutes of Health Research) · 유럽위원회 (Europe Commission) · 영국 의학 연구회 (Medical Research Council) · 영국 웰컴 트러스트 (Wellcome Trust) · 프랑스 국립 건강의학연구소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Medical Research) · 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 (Pasteur Institute) · 독일연구재단 (Deutche Forschungsgemeinchaft) · 스웨덴 연구협의회 (Vetenskapsradet-Medicine) · 일본 의료연구개발기구 (Japan Agency for Med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 중국 의학과학원 (Chinese Academy of Medical Sciences) · 싱가포르 과학기술청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 Research) · 인도 의학연구위원회 (Indian Council of Medical Research) · 뉴질랜드 건강연구위원회 (Health Research Council of New zealand) · 호주 국립 건강 의료 심의회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 남아프리카 의학 연구 위원회 (South African Medical Research Council) · 아프리카 과학발전촉진연합 (Africa Academy of Sciences)

Transcript of 주요기관 - CMCibi.cmc.or.kr/mail/201709_vol34.pdf · 2018∼2020년 보건의료 R&D 지원...

주요 기관

· 미국 국립 보건원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 미국 국립과학재단 생물과학국 (National Science Foundation Biological sciences)

· 미국 빌 앤 멜린다게이츠 재단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 캐나다 보건연구원 (Canadian Institutes of Health Research)

· 유럽위원회 (Europe Commission)

· 영국 의학 연구회 (Medical Research Council)

· 영국 웰컴 트러스트 (Wellcome Trust)

· 프랑스 국립 건강의학연구소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Medical Research)

· 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 (Pasteur Institute)

· 독일연구재단 (Deutche Forschungsgemeinchaft)

· 스웨덴 연구협의회 (Vetenskapsradet-Medicine)

· 일본 의료연구개발기구 (Japan Agency for Med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 중국 의학과학원 (Chinese Academy of Medical Sciences)

· 싱가포르 과학기술청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 Research)

· 인도 의학연구위원회 (Indian Council of Medical Research)

· 뉴질랜드 건강연구위원회 (Health Research Council of New zealand)

· 호주 국립 건강 의료 심의회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 남아프리카 의학 연구 위원회 (South African Medical Research Council)

· 아프리카 과학발전촉진연합 (Africa Academy of Sciences)

1

‘17년도 상반기

글로벌 보건의료 R&D 정책동향

본 자료는 2017년 6월 런던에서 개최된 HIROs(Heads of International Research Organizations) 회의에 참여한 각국 보건의료 R&D 관련 기관 19개에서 제공한 동향 자료를 요약·정리한 내용임

1 미국 국립보건원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이하 NIH)

예산 집행 현황 및 향후 계획

2017년도 21세기 치료법(21st Century Cures Act) 및 보건의료 R&D 공공성 강화에 따라 국립보건연구원은 20억 달러 규모의 정부 지원을 받으며, 이는 NIH 기금 조성 촉진 및 신약, 의료 기기 승인을 주요 목적으로 예산 집행미 행정부의 2018년 국방 외 예산규모가 감소함에 따라, NIH 예산도 24% 감축

새로운 연구 지원체계

연구 프로젝트 지원금에 포인트를 부여하는 지원금 지원 지수(Grant Support Index)를 통해 연구자들에게 지원되는 총 NIH 지원금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제한할 계획지원금 지원 지수는 연구 유형, 규모 및 다양성에 따라 지원금 지원 지수가 표시되며, 이러한 지원체계 변화를 통해 더 많은 연구자들에게 약 900건의 새로운 연구 지원이 이루어질 것을 기대

효율적인 임상시험 승인 절차를 위한 새로운 계획서 양식 발표

NIH와 미국 식품의약처(FDA)는 임상시험 절차 승인에 필요한 새로운 양식의 계획서를 발표발표된 서식은 임상 2상 및 3상 임상시험계획승인제도 및 의료기기임상시험절차 계획서 작성 시 사용되며, 임상시험 준비 단계에서 필요한 식품의약처와 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목적

DNA 인자 백과사전(Encyclopedia of DNA Elements) 프로젝트 확대

NIH는 국립 인체 유전체 연구소(National Human Genome Research Institute)가 후원하는 DNA 인자 백과사전 프로젝트 확대 진행 중 이를 위해 인간과 생물체의 모든 유전자와 조절인자 카탈로그를 구축, 유전자 후보 기능인자 맵핑 방법 개발 및 유전자 데이터베이스 분석할 연구자 네트워크를 구축 중 이 프로젝트는 연구에서 제공된 데이터 통합 개발을 통해 ENCODE 카탈로그를 개선하고 개인 정보 동의서에 동의한 연구 참가자의 샘플시료를 사용할 예정

2

NIH 주요 연구 진행상황

NIH 산하 국립알레르기감염연구소의 백신연구센터(Vaccine Research Center)에서 지카바이러스 연구용 DNA 백신 개발HIV 백신 효능연구인 HVTN 702 프로젝트를 통해 카나리폭스(canarypox) 벡터 기반 백신인 ALVAC-HIV와 two-component gp120 백신의 남아프리카 HIV 감염 예방 연구NIH 일부 지원 파키스탄 연구를 통해 기능 상실 유전자 변이와 약 200가지의 질병 및 바이오 마커와의 연관성 연구NIH 프로그램 참여 연구자 및 아프리카 연구자들의 협력연구를 통해 회선사상충과 나딩 신드롬(Nodding syndrome) 연관성 연구 진행

2미국 국립과학재단 생물과학국 (National Science Foundation Biological Sciences, 이하 NSF BIO)

국립과학재단 생물과학국은 생물학적 지식을 발전시키고 복잡한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다른 과학 분야의 독창적 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

국립보건원과 미 농무부가 공동으로 감염성 질환 생태학 및 진화(Ecology and Evolution of Infectious

Diseases) 프로그램 지원

지카 등의 전염병 발생의 원인을 환경의 관점에서 파악하기 위해 NIH와 미 농무부가 공동으로 EEID 프로젝트에 1,660만 달러 예산 투자연구자들은 서식지 파괴, 외래종의 침입, 오염 및 여타 환경 조건이 바이러스, 기생충 및 세균성 질병에 주는 영향을 연구EEID의 재정을 지원받는 연구원들은 전염병과 관련된 기본 이론을 발전시키고, 지식 적용을 통해 병원균 개체군에 확산되는 경로에 대해 연구자들의 이해를 증진

CyVerse 프로젝트는 생명과학 연구를 위한 국가 사이버 인프라 설계 및 도입과 연구자 교육을

통해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의 발견이 목표

CyVerse는 아리조나 대학교 내 조직으로 텍사스 어드밴스드 컴퓨팅 센터,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 윌밍턴의 노스 캐롤라이나 대학교 등의 파트너가 공동으로 지원CyVerse 인프라는 생명과학 분야와 관련된 모든 분야와 관계있으며 해당 인프라 내에서 동‧식물 및 미생물의 데이터 모두 작동 가능

신경과학을 위한 차세대 네트워크(NeuroNex) 진행

BIO는 NeuroNex 프로그램에 향후 5년간 1억 달러의 규모의 예산을 투자하며, 프로그램을 시행을 통해 서로 다른 시스템 및 종에 걸쳐 신경활동 및 행동 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며, 기술 및 이론 프레임 워크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NeuroNex는 1) 혁신적인 연구 자원, 도구 및 신경기술, 2) 여러 조직, 분석 규모 및 인간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종을 아우르는 뇌기능 이해에 대한 이론 프레임 개발 촉진이 목적

3

식물 게놈 연구 프로그램(Plant Genome Research Program) 개요

NSF의 식물 게놈 연구 프로그램은 농업분야의 환경 개선, 환경자원에 대한 수요 감축 및 환경 변화 문제 해결을 위해 기초과학 발전시키기 위하여 총 4,400만 달러를 지원

3 미국 빌 앤 멜린다게이츠 재단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이하 BMGF)

오픈 액세스 정책이 적용됨에 따라 주요 저널지의 재단 지원 연구논문 열람이 허용

지난 5년 동안 Elsevier 및 Lancet에 게재된 연구논문 중 92%가 접근이 개방되었으며, 올해 AAAS/Science 및 NEJM과 오픈 액세스 계약을 체결BMGF는 개별 지원금 및 협력연구 관련 데이터 액세스를 위한 여건을 조성해왔으며, 향후 타 펀딩 기관 및 개별 연구자들과의 협업을 통해 데이터 액세스 관련 기준 수립 예정

보건지표 및 평가 연구소(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는 세계 질병부담(Global Burden

of Disease) 포함 방대한 양의 보건의료 데이터를 구축해왔으며 올해로 10주년 도래

연구자들의 데이터 사용 및 관리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보건의료 데이터를 등급화를 시작했으며, 향후 파트너기관들의 보건 지표를 추가 반영할 예정세계 보건 데이터 교환소(Global Health Data Exchange)에서 보건지표 및 평가 연구소 데이터 보유 및 관리

2017년 10월, 워싱턴 D.C에서 제 13차 그랜드 챌린지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며 참여 파트너 기관

및 연구자들간의 정보 공유를 통해 본 회의가 공동 협력 분야를 논의할 수 있는 장이 될 것으로

기대

해당 회의에서는 백신개발, 신약개발, 농업, 아동발달, 여성건강, 정신건강 및 세계 교육혁신 관련 교육 프로그램 진행 예정* 빌 앤 멜린다 게이츠 재단, 미국 국제개발처, 그랜드 챌린지 캐나다, 웰컴 트러스트 등 다수 파트너 기관 참여

BMGF은 개도국의 빈민층의 주요 질병연구 및 중개연구 강화를 목적으로 2017년 하반기 빌 앤

멜린다게이츠 의학연구소(Bill & Melinda Gates Medical Research Institute)* 설립 추진 중

* BMGF 의학연구소는 미국 시애틀 및 보스턴에 위치하며, 80∼120명 조직 및 1억 달러 예산규모로 확대 예정

연구 주요 질병은 말라리아, 결핵, 장 및 설사 질환으로 신약, 의료기기 개발 및 상용화를 통해 개도국의 말라리아, 결핵, 장 및 설사 질환 해결이 목표

4

4 캐나다 보건연구원 (Canadian Institutes of Health Research, 이하 CIHR)

2016년 12월 캐나다 보건부는 업데이트된 캐나다 마약 및 약물 전략(The Canadian Drugs and

Substances Strategy) 국가 전략 발표

캐나다 마약 및 약물 전략은 기존 전략에서 업데이트된 근거 기반 전략으로 6년 동안 750만 달러 규모 투자를 계획 중캐나다 보건연구원과 캐나다 마약 및 약물 전략은 약물 오남용 사용 해결을 위해 2015년 캐나다 약물 오남용 이니셔티브(Canadian Research Initiative in Substance Misuse, CRISM) 수립* 캐나다 약물 오남용 이니셔티브(CRISM)는 약물 오남용 연구 네트워크로 영국 콜롬비아, 온타리오,

퀘벡, 프레리 및 메리타임 주가 참여하며, 오피오이드(opioid) 의존성에 대한 임상시험 연구를 지원

2016년 9월 국제 평가 전문가 패널 구성

2016년 9월 국제 상호평가 전문가 패널을 출범시켰으며, CIHR의 새로운 연구자 주도 프로그램 및 평가 프로세스를 검토하기 위해 소집

전문가 패널 구성시 CIHR이 제시한 주요 권고사항

■ 전문성에 기초한 평가자 그룹핑

■ 연구자 주도 평가자–신청 건 매칭

■ 자금의 효율적 배분을 위한 그룹 내 신청 건 순위 선정

■ 경력 초기 연구자 성공률 균등화

■ 성공률 균등화를 위한 프로그램 간 연구보조금 재배정

5 유럽위원회 (Europe Commission, 이하 EC)

보건의료 분야의 디지털화 촉진을 위해 업데이트된 유럽 디지털 시장 이니셔티브(Strategy on the

European Digital Single Market) 수립

유럽 내 시민, 환자 및 연구자들에게 실직적인 혜택이 제공되도록, EU 국가간 보건 데이터 공유 활성화, 해외 여행시 개인 전자 처방전 활용, 감염병, 희귀질한 및 보건의료 성과를 한 데이터 활용을 촉진

항생제 내성에 대한 두 번째 유럽의 단일 보건의료시행계획(European One-Health Action Plan against

AMR) 발표

2017년 6월 두 번째 항생제 내성 관련 시행계획이 발표되었으며, 해당 시행계획은 항생제 내성 감소 및 항생제 개발 촉진을 위한 프레임워크 제공이 목적시행계획의 주요 사안은 1) EC 회원국간 교류를 통한 시행계획의 효율적인 이행 및 모니터링, 2) EU 기금 활용 항생제 분야 R&D 개발 촉진, 3) 글로벌 포럼 내 EU의 선구자 역할 확립 및 글로벌 의제 형성을 포함

5

항생제 내성 연합 프로그램 이니셔티브(Joint Programming initiative on antimicrobial resistance, 이하

JPIAMR)* 수립

* 항생제 개발, 약물 재활용 및 항생제 내성 전이 메커니즘 관련 40개 이상의 다국적 연구 프로젝트를 지원

JPIAMR은 항생제 내성에 대한 글로벌 연구협력 구축 기반을 제공하며 WHO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연구주제 발굴 중일본, 아르헨티나, 인도 및 남아프리카공화국은 JPIAMR 참여 논의 중이며, 유럽 위원회는 JPIAMR 연구분야 확장 등 연구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

2018∼2020년 보건의료 R&D 지원 분야 우선순위 선정

Horizon 2020의 건강, 인구통계적 변화 및 복지(Health, Demographic Change and Well-being) R&D 초안이 2017년 10월에 발표될 예정이며, 이에 기반한 주요 지원분야 우선순위 선정

보건의료 R&D 지원 분야 우선순위

■ 환자 및 일반인 맞춤형 보건의료 서비스 및 시스템 통합

■ 감염병 및 항생제 내성 대응 전략

■ 사회적 약자 수요 및 만성질환 관리

■ 건강에 대한 환경의 영향 및 공공보건 개선 위한 방안 도출

■ 보건의료 혁신 및 디지털화 연구

■ 유럽 보건의료 분야 및 산업 성장 촉진

2017년 3월 한국에서 개최된 감염병 대응 국제 연구협력 회의를 통해 회원국들은 항생제 내성,

임상연구 네트워크 연계, 산업분야 실무회의진 구성, 공중보건 비상사태 관리 대응 사회과학 연구자

네트워크, 지카바이러스 연구 지속 및 데이터 공유 등을 포함

2017년 2월 파리에서 제 3차 희귀질환연구 국제협력 컨소시엄(International Rare Diseases Research

Consortium) 회의 공동 개최

본 회의에서는 희귀질환연구 국제협력 컨소시엄의 향후 활동 방향 및 비전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희귀질환 환자들이 치료 시작 시점으로부터 1년 이내에 정확한 진단, 돌봄 및 가용한 치료 비전에 대해 의견을 일치

2017년 6월 제 6차 환경 보건 장관회의(Sixth Ministerial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Health)

개최

세계 보건기구(WHO) 유럽 사무소와 유엔 환경 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이 공동주최하는 제 6차 환경 및 보건 장관회의를 체코의 오스트라바에서 개최본 회의는 1989년 시작된 유럽의 환경 및 보건의료 프로세스(European Environment and Health Process)에서 중요한 역할 담당 유럽의 환경 및 보건의료 프로세스에서 EC는 1) 유럽 환경청과 공동으로 유럽 인체 생물 모니터링 이니셔티브(European Human Biomonitoring Initiative) 주최하며, 2) 엑스포좀 (Exposome) 관련 프로그램을 담당

6

6 영국 의학 연구회(Medical Research Council, 이하 MRC)

6개 대학연구소가 영국 치매연구소로 지정됨에 따라 치매 치료 분야 400명 이상의 연구원이 참여하

는 연구 커뮤니티 기반 마련

* 새로 지정된 센터로 케임브리지 대학, 카디프 대학, 에딘버러 대학, 임페리얼 컬리지 런던 및 킹스 칼리지 런던 포함

영국 치매 연구소는 창립 자선단체인 알츠하이머 협회(Alzheimer's Society)와 영국 알츠하이머연구소(Alzheimer Research UK)가 주관하는 치매 연구에 2억 5,000만 파운드 투자

영국 보건 데이터 연구소(Health Data Research UK) 설립

영국 보건 데이터 연구소는 영국의 NHS 및 관련 보건 및 생물 의학데이터 기반 기술을 개발을 촉진하며, 세계 최초로 국가 단위 건강 데이터 통합 연구를 진행 영국, 스코틀랜드, 웨일즈의 공동 보건연구팀, 공학 및 물리과학 연구협의회, 경제사회 연구위원회, 영국 심장 재단, 웰컴 트러스트 및 MRC가 공동으로 지원

2017년 2월, MRC와 AMED는 의료연구 및 개발 분야 연구 협력을 위해 양해각서를 체결하였으며,

최우선 공동 연구 분야로 재생의학, 치매, 항생제 내성 및 전염병을 지정

2018년 4월에 설립되는 영국연구혁신청(UK Research and Innvation)은 영국의 7개 연구위원회, 영국

혁신 센터(Innovate UK) 펀딩 및 연구 재정지원, 영국 고등교육 펀딩위원회의 지식 공유 역할을

수행할 예정

영국 혁신 센터 지원하에 설립된 케터폴트 센터(Catapult center) 중 정밀의료 케터폴트(Precision

Medicine Catapult)가 폐쇄되었으며, 신약개발 케터폴트(Medicine Discovery Catapult) 센터와 통합

7 영국 웰컴 트러스트 (Wellcome Trust)

웰컴 트러스트는 영국 대선에 앞서 브렉시트 협상 과정 중 정치인들에게 EU 회원국의 지속적인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전달

공중보건 비상사태 데이터 공유(Data Sharing in Public Health Emergencies) 시행계획 수립

본 시행계획은 핵심 원칙, 가이드라인, 플랫폼 및 도구에 대한 검토, 데이터 공유 소프트웨어, 과거 사례 연구 및 데이터공유 지원 펀딩기관 정책 수립 등의 주요사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무그룹은 관련 포맷 및 용어를 제공웰컴 트러스트는 WHO의 전염병 대비 R&D 청사진(R&D Blueprint for Epidemic Preparedness) 데이터 공유를 지원하고 있으며, 글로벌 조율 메커니즘(Global Coordination Mechanism)에 근거해 실행 계획 중

7

코호트 연구 지원 전략 수립

코호트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종단 연구 데이터의 통합을 장려하고 상호 운용성을 촉진하며 연구 커뮤니티가 데이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코호트 연구 및 지원 활동은 현재 단일 경쟁 펀딩 과정을 통해 진행웰컴 트러스트 및 펀딩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코호트 연구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하고 연구 참여자가 데이터 사용 안전성에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및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개발 중

웰컴 공개연구(Open Research) 플랫폼 발표

2017년 2월 웰컴 트러스트는 과학 발견 및 보건 관련 혜택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출판물, 데이터, 소프트웨어 및 자료를 포함한 연구 결과물의 공유, 접근 및 재사용을 위한 공개연구(Open Research) TF 팀을 조직전담 팀은 연구 커뮤니티 및 파트너 펀딩기관과 협력하에 공개연구 가치에 대한 근거 자료를 구축하면서 공개 액세스 및 데이터 공유를 시행웰컴 공개연구(Wellcome Open Research) 플랫폼을 통해 웰컴 트러스트 지원을 받는 연구자들에게 표준 연구논문, 연구계획서 및 다양한 연구결과물들을 열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8 프랑스 국립 건강의학연구소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Medical Research, 이하 INSERM)

INSERM 윤리위원회는 윤리기준 준수를 위한 일부 지침 제안을 목적으로 2015년 12월 보고서를

발행하였으며 그 후 CRISPR/Cas9 윤리문제 관련 회의 소집

항생제 내성에 대한 유럽 공동대응(Coordination of the European Joint Action on Antimicrobial

Resistance) 현황

항생제 내성 및 의료감염에 대응을 위해 기존의 회원국과 국제기구(OECD, ECDC)의 이니셔티브에 기반하여 증거 기반 해결방안 강구 및 구체적 계획단계를 제안 또한 항생제 내성 대응 시행(Action on AMR) 및 감염 대응 헬스케어(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s) 관련 유럽, 국제 이니셔티브 및 정책수립 프로젝트에서 활동하는 여러 정책결정자 및 전문가들로 구성된 다양한 네트워크가 협력하여 진행

보건의료 데이터시스템 접근성 법규 개정

보건의료 데이터를 둘러싼 프랑스의 법적 프레임이 최근 변경되었으며, 법 193조는 주요 약물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하고 공공목적의 데이터 접근을 촉진할 국가 건강정보 시스템 구축이 목표INSERM은 당국으로부터 보건의료 데이터에 접근하도록 국가 연구 인프라 구축 권한을 부여받았으며 보건의료 연구 커뮤니티 및 서비스 제공을 통해 10만 개 이상의 새로운 코호트 구축 및 기존 코호트 정보를 구체화 할 예정

8

3개의 공동 주관기구 및 12개 회원국이 협력하는 글로벌 보건 위기 TF팀 구성

TF의 역할은 보건위기에 대한 글로벌 대응에 관한 고위급 패널이 2016년 2월에 제출한 미래 보건위기로부터의 인류 보호(Protecting humanity from future health crises)라는 보고서의 이행 및 모니터링이 목적UN 사무총장에게 세계 보건 시스템의 위기에 대하여 경고하고, 이를 위해 REACTing 컨소시엄의 주요 내용을 공유2013년 보건위기 발생 기간 연구준비환경을 개선하였으며 전염병 발생 위기시 연구 프로젝트를 수립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조치 업데이트

BSL4의 에볼라 바이러스 진단, JIKI와 JIKIMapp의 에볼라를 대상으로 한 favipiravir와 ZMapp의 효능과 내성 실험, EVD 완치 후 성인 및 아동 내 에볼라 후유증(PostEboGui) 코호트 실시 등의 중요한 이정표를 수립새로운 에볼라 백신 예방 요법 개발을 위하 다양한 임상 시험이 진행되고 있으며 해당 임상시험들은 INSERM이 참여하는 EBOVAC1과 EBOVAC2 프로젝트 내 두 개의 별도 팀이 연구를 조율본 임상시험들은 상이한 백신 후보물질의 안전성과 면역원성, 그리고 질병에 대한 실제 효과에 대해 평가하며, 산업 및 학계 이해관계자들이 협력을 통해 EBOVAC 2 컨소시엄 진행INSERM이 연구수행을 지도하고 존슨앤드존슨의 얀센이 후원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옥스포드 대학교, 런던 위생 및 열대의학 대학원(London Sschool of Hygiene & Tropical Medicine), Burkina Faso의 Centre MURAZ 및 INSERM Transfert가 포함

2017년 2월 신흥감염에 대한 백신-글로벌 예방책 컨퍼런스 공동 개최

INSERM 및 전염병대비혁신연합(The Coalition for Epidemic Preparedeness, 이하 CEPI)은 새로운 감염에 대한 백신-글로벌 예방책 컨퍼런스 공동 개최신흥감염에 대한 백신-글로벌 예방책’ 컨퍼런스에 약 200명의 사절단, 과학자, 외교관, 민간 기업, 자선 단체가 참석하였으며, 전세계 전염병 위기 지역에서의 대응책과 백신개발의 시급성을 알리는 것이 목표CEPI는 2016년 1월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빌 앤 멜린다게이츠 재단, 세계은행, 웰컴 트러스트, 인도와 노르웨이 정부인 5개 창립조직에 의해 발족1)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니파바이러스, 라사열바이러스, 에볼라, 마버그 바이러스라는 5개 병원균에 대한 백신개발, 2) 비상사태 대비 임상시험 준비, 3) 전염병 대응 개선을 위한 플랫폼 활용, 4) 신기술 및 파트너십, 연구에 대한 정치적 및 재정지원 의제에 맞추어 포럼 진행

9

9 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 (Pasteur Institute)

이사회는 연구소의 혁신 및 기술 연구를 장려하고 플랫폼의 관리를 개선하며 일관된 공동 과학

전략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 서비스 유닛으로 대체된 파스퇴르연구소의 기술 플랫폼 재편

을 검증

유럽 위원회는 모기로 전염되는 질병에 대항하기 위한 1억 유로 규모의 Infravec 2 프로젝트 공식

승인

이 프로젝트는 인수 질병 매개체인 모기 및 여타 곤충에 대한 연구를 위한 유럽의 대규모 기반시설을 개선하고, 유럽 연구자들에 의한 시설공유를 장려Infravec2 프로젝트는 Horizon 2020 연구 인프라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되며, Infravec2는 24개 파트너 기관의 국제 컨소시엄으로, 파리의 파스퇴르연구소가 연구 활동을 주도

타기관과의 파트너쉽 및 연구 네트워크 강화

브라질과 국제 협력 파트너쉽을 강화하고 있으며 최근 이사회는 Fiocruz 및 상파울루 대학교와의 연구 협력 강화를 위해 파스퇴르 연구소 브라질 지사 설립을 승인세포수준에서 생물체 활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위한 컴퓨터 기반 연구 공동연구조직 창설을 위해 INRIA와 파트너십을 구축하였으며, École Normale supérieure와는 두 기관 간의 과학적 협업을 강화파스퇴르연구소는 연구자들의 여건 및 역량 파악을 통해 국제 네트워크 내 젊은 연구자 교류를 지원하며, 생명공학 분야 연구자들이 파스퇴르연구소 국제 네트워크(RIIP) 내 2개의 연구팀 창설 지원을 신청

10 독일연구재단 (Deutche Forschungsgemeinchaft)

독일 우수성 전략(Excellence Strategy) 개요

독일 우수성 전략(Excellence Strategy)의 첫 번째 선정과정 단계에서 2017년 4월까지 우수 클러스터(Clusters of Excellence)에 대한 195개의 제안서 접수 제안서의 67%는 대학 이외 연구 파트너의 참여를 고려하고 있으며 제안서의 총 27 %는 자연 과학, 25%는 인문 사회 과학, 24%는 공학, 나머지 24%는 생명과학이 주제수개월에 걸쳐 21 개 국제 패널들이 제안서를 검토할 예정

- 2017년 9월 28일, 해외에 기반을 둔 39 명의 연구원과 우수성 전략 전문가위원회가 검토 결과에 따라 공식제안제출 대상이 될 초안을 선정할 예정

- 2018년 9월 전문가위원회와 연방 및 주정부의 연구분야 각료들로 구성된 전문 위원회(Excellence Commission)가 자금 지원받을 우수성 클러스터 대상을 최종 선정할 계획

해당 자금지원은 2019년 1월부터 시작되며 합의서에 명시된 대로 45-50개의 전문 클러스터(Clusters of Excellence)에 대해 연간 3억 8,500만 유로가 제공되며, 우수성 전략에 대한 상세한 정보 및 자료는 DFG 웹사이트에서 확인 가능

10

연구의 재현성에 대한 성명서 발표

2017년 4월, 독일연구재단은 연구의 재현성(replicability)에 대한 성명서를 발표하였으며, 해당 성명서에서 발견의 재현성이 실증적 정량적 과학에서 결과의 질을 보증하는 많은 방법 중 하나에 불과함을 언급또한 비재현성이 반드시 낮은 과학적 수준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비재현성의 이유로 연구 시스템의 경쟁 및 시간압박과 같은 구조적인 문제에도 있음을 강조

연구와 전문의학교육의 더 나은 균형 모색에 대한 성명서 발표

DFG의 상원 임상연구위원회(Senate Commission for Clinical Research)와 독일의학협회(German Medical Faculty Assocation)는 연구와 전문의학교육의 더 나은 균형 모색에 대한 성명서 발표현재 진행 중인 독일 의학협회의 모델 전문교육 규정(MWBO) 개정과 관련된 것으로 개정을 통해 전문의학교육을 역량기반과정으로 구성하고 전반적인 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의도

독일 대학의학에 대한 공동 전문가 토론회 개최

2017년 4월 독일연구재단, 독일 과학 및 인문 학회 및 독일 국립과학원(Leopoldina)은 대표들과 ‘환자들이 의학연구로부터 얻는 혜택 및 보건의료 체계를 위한 의학‘이라는 주제로 전문가 토론 개최전문가 토론은 정치인들에게 연구와 의학교육을 결합한 대학의학의 독창성에 대해 알리는 것을 목표로 학의학은 과학적 증거를 의료보건 서비스에 적용하는 데 중요한 역할

과학의 행진 시위 활동 후원

DFG가 회원인 독일의 과학단체연합(Alliance of Science Organisation)은 독일과 미국에서 개최된 ‘과학의 행진 (March of Science)’ 시위 활동을 후원하였으며, 이를 통해 과학의 자유를 지지하는 메시지 전달

11 스웨덴 연구협의회 (Vetenskapsradet-Medicine)

스웨덴 연구협의회 2017년 예산 현황

2017년 스웨덴 연구협의회 예산은 약 58억 스웨덴 크로나로 매년 9억 8,000천만 크로나가 의학 및 보건연구 분야에 할당되고, 1억 크로나가 임상 치료 연구, 5,000만 크로나가 임상연구에 배정스웨덴 연구협의회 이사회는 2015년 과학협의회 및 위원회 예산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기로 결정했으며, 증액된 예산은 의약품 및 보건 부문에서 보조금 승인율이 아닌, 보조금 규모를 높이는 데 사용하기로 결정

지식을 위한 협업-사회의 도전과 경쟁력 강화 연구정책 법안 의회 제출

지식을 위한 협업-사회의 도전과 경쟁력 강화 연구정책 법안이 2016년 11월 의회에 제출되었으며, 해당 법안은 2017∼2020년 전략에 초점을 둔 10년간의 연구정책 방향에 대한 정부 전략 포함법안의 주요 내용은 고등교육기관 기본 예산 증대, 세계 사회 문제 관련 연구 이니셔티브, 스웨덴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재원 확대 등이 해당

11

스웨덴 내 임상연구 평가 진행

스웨덴 연구협의회는 스웨덴 정부로부터 스웨덴에서 실시되는 임상연구를 정기적으로 평가하도록 권한을 위임 스웨덴 정부는 7개 스웨덴 대학병원에서 이루어지는 임상연구에 대하여 연간 17억 크로나에 달하는 자금을 지원하며 장기적인 목적은 임상 연구 및 적용, 혁신, 의료기기 개발 및 사용을 개선하고 차세대 임상의 및 임상 연구자를 양성평가의 결과에 따라 2019년부터 보조금의 20%가 재분배되며 평가는 북유럽 국가뿐만 아니라 EU 회원국의 국제 평가자들이 수행할 예정

과학 협의회를 위한 전략적 계획 수립

스웨덴 내 과학 협의회들의 활동과 스웨덴 연구협의회의 활동 계획의 통합을 위해 이사회는 2016년에 관련된 과학 협의회를 대상으로 2017∼2019년 활동에 대한 전략적 계획 수립보건의료 분야 과학협의회는 동료평가 과정 개선, 연구원 주도 기초연구, 연구인력 간 교류 개선, 경력초기 연구원들을 경력과정 확보, 청년 임상의 대상 연구경력 장려 등의 목표를 계획에 포함

단백질 연구, 연구방법 개발 및 생물제제 생산을 위한 국가 프로그램 개요

단백질 연구, 연구방법 개발 및 생물제제 생산을 위한 국가 프로그램은 2016년부터 시작되었으며 건강 증진, 사회 문제 해결 및 스웨덴의 국가경쟁력 강화가 목표정부의 전략적 생명과학 투자의 일환으로 8년 동안 진행되며, 정부 지원 예산 규모는 총 3억 2,000만 크로나로 예상

고령화 및 보건 분야 연구 지원

스웨덴 연구협의회는 고령화 및 보건 분야의 연구지원으로 연간 5,000만 크로나를 제공받으며 해당 이니셔티브의 지원 예산 규모는 기존 연구 및 혁신 법안에 기반하며, 신규 법안에서도 동일한 수준으로 진행 과학협의회는 2017년 해당 분야에서 연구 환경 지원을 위해 고령화 분야의 맞춤화된 의약품 지원을 요청하였으며 2017∼2020년 동안 총 예산 규모는 1억 크로나에 해당

항생제 내성에 대한 합동 프로그램 이니셔티브(Joint Programming initiative on antimicrobial

resistance, 이라 JPIAMR) 업데이트 현황

스웨덴 연구협의회는 JPIAMR의 사무국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EXEDRA 방법을 통해 JPIAMR의 영역을 확대하고,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구조를 통해 국가 펀딩 및 협력을 조율하는 데 초점을 맞출 예정 스웨덴 연구협의회 운영이사회는 2020∼2025년 JPIAMR 미래전략을 공식적으로 채택하였으며, 해당 전략은 공동 프로그램 및 9FP에 대해 추가적으로 논의를 위해 GPC 고위그룹과 EU 집행위원회에 제출

EU 및 ASEAN 공동 기금 설립

스웨덴 연구협의회는 2018∼2020년 EU와 ASEAN의 총 1,500만 크로나 규모의 공동 재정지원 계획에 동참하기로 하였으며 공동 제안요청의 주요 주제는 항생제 내성 및 신종 전염병 포함* ASEAN에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브루나이,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미얀마 참여

12

12 일본 의료연구개발기구 (Japan Agency for Med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이하 AMED)

희귀질환 및 미진단 질병 이니셔티브(IRUD) 및 중앙 IRB(CIRB) 업데이트 현황

IRUD는 2015년부터 발족한 포괄적 의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기존의 차세대 시퀀서(sequencer) 및 기술을 활용하여 건강보험체계에 기반한 임상 데이터 구축이 목표IRUD 네트워크가 확대되어 일본 전역에 약 200개 임상 센터로 확대되었으며 이를 통해 2,000 명의 미진단질병 환자 가족이 등록CIRB 관련 현재까지 엑솜 서열분석 또는 유전자 분석 환자의 30∼40 %의 성공적인 진단과, 약 500 명 환자의 유전자 분석 결과가 임상 센터에 처음 방문이 후 6개월 이내에 제공되는 성과미국, 유럽, 아시아 국가와의 협력을 통해 IRDiRC, UDN 인터네셔널 등 국제 표준 환자 매칭 시스템을 통해 6건의 신규 질병을 새로 파악

임상연구를 위한 ICT 인프라 개발

AMED는 의료 빅 데이터에 ICT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기존의 의료 데이터베이스 통합, 전자의료기록 시스템 표준화 등의 의료 ICT 인프라를 추진 중이러한 데이터의 활용 개선 및 인공지능 진단 이미징을 목적으로 2017년 학회 참여를 통해 병리학, 방사선학 및 내시경 검사 영상 데이터베이스 구축 프로젝트를 시작일본 진단 이미징 우수성 그룹(Japan Excellence of Diagnostic Imaging) 설립을 통해 ICT 분야의 국립 정보 연구소(National Information Institute)와 진단 이미징 AI 연구 협력을 추진 중

임상연구 권한강화를 위한 주기적 혁신(Cyclic Innovation for Clinical Empowerment) 개요

정부는 2016년 AMED에 5.5억 달러를 투자하였으며 AMED는 역방향 중개연구(reverse TR) 및 기초과학 발전을 위하여 대학, 연구 기관 및 산업 간의 협력 플랫폼을 구축하여 기초연구와 임상연구가 통합된 의료 연구 및 ICT 개발을 계획 중

만성질환에 대한 국제연합(Global Alliance for Chronic Dseases) 참여

AMED는 2016년 만성질환 국제연합에 합류했으며, 주로 저소득 및 중간소득 국가 내 연구실행에 중점을 둔 만성질환 국제연합의 정신장애 예방 및 관리에 참여AMED는 2017년 2월 다른 11개 펀딩기관과 함께 제안서 요청을 발표하였으며, 6건의 신청서를 접수했으며, 펀딩 대상 프로젝트의 최종 선정은 2017년 10월에 발표 예정

인간 첨단과학 프로그램(Human Frontier Science Program) 소개

인간 첨단과학 프로그램은 일본 정부의 주도하에 만들어진 프로그램으로, 일본 정부와 파트너 운영지원 조직이 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으며, 2017년 2,100만 달러 규모의 예산 투자 예정* 2017년 인간 첨단과학 프로그램 예산은 AMED 총 예산의 38.1%에 해당

13

미국-일본 의료과학 프로그램(US-Japan Cooperative Medical Sciences Program) 지원 요청

2016년 AMED와 NIH 산하 알레르기 및 전염병 연구소(NIAID)는 USJCMSP 공동 재정 지원 요청해당 기금은 일본, 아시아 및 미국의 연구자들 간 전염병 및 면역학 분야 연구협력을 촉진하고 경력초기 연구자들과 여성연구자 대상 멘토링 및 트레이닝 장려가 목적일본과 미국이 참여하는 합동심사 패널 회의를 통해 제출된 29개 중 13개가 펀딩 대상 프로젝트로 최종 선정

AMED와 싱가포르 과학기술청(A*STAR) 협력양해각서 체결

2016년 3월 16일, AMED와 싱가포르 과학기술청(A*STAR)은 협력양해각서 체결에 따라 생물의학 및 과학연구 분야의 일본과 싱가포르의 과학자 간 R&D 협력 강화 표명AMED와 A*STAR는 인간 고령화 연구 분야의 일본, 싱가포르 연구자들 프로젝트 접수를 시작했으며 공동 평가위원회는 싱가포르와 일본의 과학자들로 구성

치매연구 분야 2개 국제 협력 프로젝트 지원

첫 번째 프로젝트에서는 세계 치매 위원회(World Dementia Council)와의 협력을 통해 효과적인 치매연구 추진 및 국제 민관협력 제안을 목표로 연구가 진행 중또 다른 프로젝트는 일본 치매 지원 이니셔티브가 고령화를 직면하고 있는 저소득 및 중간 소득 아시아 국가로 확산하는 것을 목표

2017년 2월 세 번째 AMED 런던 지사 설립

런던 지사의 주요 업무는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 펀딩기관과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펀딩기관, 대학 및 연구자와의 네트워크 구축이 목표AMED와 MRC는 의학연구 및 개발 분야에서 일본과 영국의 파트너십을 발전시키기 위한 협력양해각서 체결

13 중국 의학과학원 (Chinese Academy of Medical Sciences, 이하 CAMS)

2016년 중국 의학과학원 보건의료 혁신 기금(CAMS innovation Fund for Medical Sciences) 수립

처음 3년간 암, 심혈관 질환, 당뇨병, 신경퇴행성 질환, 감염성 질환 및 희귀질환 관련 질병 예방 및 치료에 20억 위안 예산 투자아동건강 및 질병, 노인의학, 생물안전성, 혈액안전 및 방사선과 같은 국가 주요관심분야 연구 프로그램도 지원하고 있으며, 줄기세포 및 재생의학, 정밀의학, 미생물 유전체 등의 의학분야 및 신약 개발 연구 프로그램을 지원

14

중국 의학과학원 보건의료 혁신 기금 전략은 1년차 성과평가를 완료했으며 2017년에는 다학제적

연구 팀 집중연구영역을 집중 투자할 계획

CAMS는 현재 국가간 연구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차기 재정지원을 계획하고 있으며 협력을 계획중인 타국가 연구 프로젝트는 혁신적 신약개발, 주요 감염성 질병, 줄기세포, 정밀의학, 만성질환 등을 포함

CAMS는 해외대학 및 연구소와 함께 공동연구센터 이니셔티브를 통해 국제 연구협력 전략 구축

최근 옥스포드 대학교를 포함 다른 연구소의 연구 팀과 연구 프로그램 지원을 시작했으며, 연구자 및 의사 교류, 회의 및 학술대회를 지원할 계획

중앙정부 및 국립보건가족계획위원회의 지원으로 CAMS는 선전(Shenzen)시와 협력 하에 중국 의학

과학원, 암병원, 종합 임상 암 연구센터를 설립

2017년 3월에 설립된 종합 임상 암 연구센터는 800개 병상과 141,288평방 피트 크기의 병원 및 연구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2020년까지 병상 수가 2,000개로 확대 예정심혈관 질환, 혈액 질환 및 중개연구 분야 관련 CAMS 임상 연구 센터 설립 중 Sabin-IPV 백신 연간생산능력이 6천만 도즈(dose)인 CAMS백신 연구 센터 완공 예정새롭게 설립되는 센터는 국가 백신 연구 및 제조 센터의 중추 역할을 할 것이며, 의학적 수요가 필요한 전염병 및 새로운 질병 분야를 중점적으로 투자할 계획

14 싱가포르 과학기술청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 Research, 이하 A*STAR)

A*STAR는 R&D 투자, 고용 창출, 보건의료 사업 및 펀딩기관 파트너십 구축과 같은 R&D 투자를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

성과 창출에 있어 교육부 및 보건부는 학술 및 임상 연구를 주도하는 선도 기관의 역할을 하고, A*STAR는 R&D 주도를 통해 경제 및 산업발전 성과 도출

A*STAR 조직 운영의 유연성을 높이고 다학제적 프로그램 진행 등과 같은 연구기관으로써의 위치를

다지기 위해 A*STAR 내의 바이오 의학 연구위원회(Biomedical Research Council)는 다음과 같은 전략

목표를 제시

1) 다국적, 국내 및 스타트업 기업 참여를 통한 싱가포르 보건의료 R&D 생태계 성장, 2) 싱가포르의 경쟁력 있는 바이오 R&D 지원, 3) 정밀의료, 스마트 헬스, 예방의학 및 건강 등의 보건의료 혁신 추진이 목표

공공부문에서의 신약개발

A*STAR는 실험 치료 센터(Experimental Therapeutic Center)와 임상 신약발견 및 개발(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부서 투자를 통해 연구신약이라는 프로젝트들와 초기 인체임상시험을 진행했으며, 이는 바이오마커 발견 뿐 아니라 치료제 개발로 확대

15

싱가포르 보건의료 R&D 연구 우선순위로 5가지 질병을 지정

보건의료 R&D 질병 연구 우선순위

■ 당뇨병 및 혈관 합병증

■ 아시아에서 발병 빈도수가 높은 암

■ 심혈관 질환

■ 신경 퇴행성 질환 및 안구 질환

■ 감염성 질환

각 분야별 TF 팀 구성을 통해 해당 분야 국가 전략 수립, R&D 로드맵 제시, 각 질병에 대한 보건의료 성과를 정의할 계획이며, 분야별 연구지원 신청은 향후 5년 간 진행될 계획

15 인도 의학연구위원회 (Indian Council of Medical Research, 이하 ICMR)

ICMR 5개년 신규 보건연구전략(New Health Research Strategy) 수립

인도 보건의료 연구 내 항생제 내성, 감염 등의 새로운 주제들을 다루고 보건의료 인프라 및 인적자원을 강화하며 지속가능한 국가 보건의료 연구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5개년 신규 보건연구전략을 수립인도 보건부와의 협력을 통해 연구의사 양성을 위해 역량 구축 트레이닝 추진 중

ICMR은 항생제연구와 관련하여 노르웨이 연구위원회(Research Council), NIH 산하 국립 알레르기

전염병연구소, NIH, 일본 국립감염병기관과의 협력을 개시하고 공동 연구지원을 신청

ICMR은 항생제연구와 관련하여 가 공공 및 민간 병원에서 처방되는 방식을 변화시키기 위해 항생제 사용법, 복용량 및 치료기간에 대한 지침을 발표국가 내 항생제 사용 감시 강화를 목적으로 항생제 내성 데이터를 수집할 국가 항생제 내성 연구 및 감시 네트워크(National Anti-Microbial Resistance Research and Surveillance Network) 설립ICMR은 최근 인도 Pfizer와 항생제 관리프로그램 확대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

CMR–인도 당뇨연구(ICMR-INDIAB) 연구 현황

ICMR–인도 당뇨연구(ICMR-INDIAB) 연구는 인도의 여러 주에서 당뇨병, 전당뇨증,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및 비만에 관한 역학자료를 제공한 최초의 연구로 ICMR-INDIAB 연구는 인도의 여러 주 및 연방직할지에서 데이터 수집에 중요한 의의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각 주의 보건부와 공유되며, 당뇨병 전증, 당뇨병, 고혈압 및 비만에 대한 기존정보를 제공하며 일부 데이터는 저명한 저널에 발표

ICMR은 국내 및 국제기관과의 협력을 통하여 미션모드(Mission Mode) 내의 인도 결핵연구 컨소시엄

설립 이니셔티브 창안

컨소시엄은 과학적 역량 구축 및 강화에 대해 다학제적 전문성을 활용하고 신규 결핵 진단법, 백신, 면역요법 및 의약품 개발 위한 기술 및 제품 개발을 진전시키는 것이 목표

16

컨소시엄을 통해 국내 협력 및 글로벌 파트너십이 이루어지며, ICMR, DBT, BIRAC, ICGEB, CSIR, 중앙 결핵본부 (Central TB Division), MoH & FW, 게이츠 재단, WHO, 타타 트러스트가 지원을 약속

뎅기열 대응 연구 협력을 위해 ICMR과 호주 Monash 대학 간 양해각서 체결

호주 Monash 대학과의 연구에서 자연 발생 박테리아를 뎅기열 바이러스 매개체인 모기에 주입하여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는 연구를 진행하며, 질병통제법의 효과성은 푸두체리의 매개체통제 연구센터에서 진행될 예정

ICMR의 국립영양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Nutrition)는 45년만에 개정된 식품성분표 발표했으며,

비타민 D2 및 아미노산과 같은 미량 영양소 포함 526개의 식품 분석 정보를 제공

ICMR은 인도 외교부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인도 및 아프리카 정부, 학계, 산업계 및 시민사회 조직

연계를 통해 지속적인 인도와 아프리카 간 보건의료 분야 협력 토대를 마련

인도-아프리카 보건과학 회의 개최

인도와 아프리카 보건의료협력 향후 발전 방향 논의를 위해 정책입안자, 전문가, 연구자, 의학 전문가 및 업계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2016년 9월 인도 뉴델리에서 회의를 개최회의에서는 파트너십의 기본 원칙에 호혜, 상호보완적 강점과 기존 플랫폼의 활용, 민관협력 및 국제 펀딩을 포함한 창의적인 펀딩 모델 모색, 양자 및 다자간 참여를 위한 아프리카 지역의 우선순위를 안건으로 회의를 진행주요 핵심 연구 분야로 전염병 및 비전염성 질병을 포함

16 뉴질랜드 건강연구위원회 (Health Research Council of New zealand, 이하 HRC NZ)

뉴질랜드 정부의 보건의료연구 투자 비율을 증가함에 따라 뉴질랜드 보건연구위원회의 연구지원

성공률이 최근 10% 이하에서 15%로 증가

이와 관련하여 2017년 6월 뉴질랜드 보건연구전략(New Zealand Health Research Strategy)을 발표했으며 이는 향후 10년간 진행될 예정

국제 연구협력 체결

호주 국립보건 및 의료 심의회(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와 R&D 협약을 체결하였으며, 협약을 통해 가시적인 결과 도출할 것을 합의EU 건강 식단 및 생활 JPI(EU Healthy Diet for a Healthy Life JPI)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비유럽 회원국 가입을 장려하는 정책으로 호주 국립보건 및 의료 심의회 및 다수 HIROs 회원들이 HRC를 지원 중HRC와 국립 자연과학재단(National Natural Science Foundation)과의 협약 포함, 연구협력 촉진을 위한 타기관과 다수의 협약 체결

17

17호주 국립 건강 의료 심의회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이하 NHMRC)

NHMRC의 새로운 연구보조금 지원 구조 발표

NHMRC 및 여타 다수 펀딩 기관에 연구보조금 지원률이 감소함에 따라, 보건의료 분야의 창의력과 혁신 촉진, 유능한 연구자에게 기회 제공, 과도한 신청 및 동료평가 부담 최소화로 연구 시간 확보를 주요 개선 분야로 새로운 연구보조금 지원 구조를 발표

국립 연구 인프라 로드맵(National Research Infrastructure Roadmap) 설립

호주의 수석 과학관 Alan Finkel 박사는 국립 연구 인프라 로드맵을 설립하였으며, 해당 로드맵은 호주의 연구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해 향후 10년 동안의 국가적 연구 기반 시설에 대한 개요 포함2016년 수립된 국립 연구 인프라 로드맵은 디지털 데이터 및 전자연구플랫폼, 인문, 예술 및 사회과학, 특성화, 전문제조, 고급 물리 및 천문학, 지구 및 환경 시스템, 생물안정성, 복합 생물학 및 치료 개발 분야의 9개 중점 분야를 집중 투자

부정행위 지침 및 윤리규정 제정

NHMRC는 호주 연구협의회(Australian Research Council) 및 호주 대학과 공동으로 연구 및 부정행위 지침 개편을 진행 중에 있으며, 2017년 하반기에 개정 윤리법규 공개 예정

18남아프리카 의학 연구 위원회 (South African Medical Research Council, 이하 SAMRC)

남아프리카 공화국 지역 결핵 관찰 연구(RePORT-SA) 조직

남아프리카공화국 과학기술부, 보건부, 미국국립보건원의 알레르기 및 전염병 연구소 지원을 받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지역 결핵 관찰 연구(RePORT-SA)를 조직2015년 SAMRC는 본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SAMRC TB HIV 협력센터를 설립하였으며, 5개 연구를 지원

남아프리카 과학 기술부, 노바티스(Novartis)와 SAMRC 양해각서 체결

이를 기반으로 노바티스 프로그램을 통해 과학 역량개발 및 보건의료연구 분야의 일자리 창출 및 보건의료연구 및 개발 위한 투자 확대 기대해당 파트너십은 선정된 전염성 질병 및 비전염성 질병에 대한 공동 연구프로그램의 재정 지원을 통해 정량적 성과를 창출하고 환자 치료시기에 적절한 신약 처방을 통해 아프리카의 R&D역량 생태계를 강화하는 것이 목표

18

SAMRC와 베이징 유전체학 연구소(Beijing Genome Institute) 양해각서 체결

아프리카의 R&D 역량 개발 및 유전체 지식전파를 위해 아프리카 유전체 센터 구축을 지원을 결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SAMRC는 대규모 유전자 시퀀싱 시설 구축 및 트레이닝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역량 개발을 추구

다양한 국제협력 네트워크 형성

SAMRC는 ICMR를 방문하여 향후 협력분야에 대해 함께 논의하고 양해각서 초안을 완성하였으며, HIV 및 결핵 분야의 협력 및 바이오 정보통계 지원과 관련하여 논의 중나이지리아 의학연구소 마다가스카르 파스퇴르 연구소와 공동 협력분야에 대한 논의 중

19 아프리카 과학발전촉진연합 (Africa Academy of Sciences, 이하 AESA)

AESA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연구자들이 R&D 분야에서 아프리카 보건의료 관련 제품 및 정책을 구상 및 제공하도록 지원AESA의 프로그램은 건강 및 복지, 기후 과학, 식량 및 영양, 에너지, 수자원 및 위생, 환경 분야를 포함하는 6개의 아프리카 과학아카데미 전략에 중점을 두고 프로그램 및 투자의 방향성을 정기적으로 평가정부가 효과적인 과학기술 관련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데이터 및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지식 허브 구축

프로그램 내 용

DELTAS 아프리카• 감염병, 비전염성 질병, 인구 및 공중보건 분야에서 보건의료 연구를 수행할 세계적

수준의 연구자 및 리더 양성 프로그램

그랜드 챌린지 아프리카

(Grand Challenges Africa)

• 초기투자지원금 제공을 통해 아프리카 국가들의 지속가능한 연구 지원

• 주요 타겟 분야는 모자, 신생아 및 아동 보건, 항생제 내성, 생물의학공학, 감염성 질환

및 비전염성 질환

아프리카 인간유전 및 건강

(H3Africa) 이니셔티브

• 아프리카 인구의 건강향상을 목표로 일반적 질병의 유전 및 환경 요인 연구를 지원

• 감염병, 신장 질환, 겸상 적혈구 빈혈, 당뇨병, 고혈압, 심장병 및 뇌졸중과 같은 비전염성

질병에 초점을 맞추어 아프리카의 정밀의료 및 유전의학의 기반을 마련

기후영향 연구 능력 및

리더십 향상 (CIRCLE)

프로그램

• 보건의료, 농업, 물, 에너지 및 정책 5개 분야에서 기후변화를 연구하는 경력 초기의

아프리카 연구자 지원

AESA-RISE 박사후 과정

프로그램

• 재료과학, 공학, 수자원 관리, 해양 생물학 및 천연물 분야에서 증거를 산출하기 위한

박사후 과정 연구자 트레이닝 및 연구지원

과학, 기술, 공학 및 수학

(STEM) 교육

• AESA 및 협력 파트너들은 역량구축, 멘토십 및 네트워킹에 중점 두며 새로운

지식기반경제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고등 교육 시스템 제공

연구관리 및 우수 재정

지원금 (GFGP)

• 재정적 관리체계를 표준화, 간소화 및 강화를 위해 제공자 및 수급자에게 효과적인 재정

관리 정보를 제공하기 설립됨

19

현재 진행중인 활동에는 과학 분야 이슈 분석, 연구에 대한 이해 촉진, 정책 문서 작업 및 이해당사자 포럼 소집 등 포함

국제 파트너십 구축

향후 AESA는 주요 세계적인 펀딩기관들과의 성공적 이력을 바탕으로 아프리카 정부, 민간, 공공 및 자선 기관들의 참여를 이끌 예정2017년 초 이해관계자 협력을 통해 아프리카 연구 및 혁신 연합(Coalition for African Research and Innovation)는 아프리카 R&D 개발을 목적으로 이해 관계자들간의 지속적인 대화를 할 수 있도록 기여

투자 분야 내 용

리더십 • 웰컴 트러스트 및 DFID가 DELTAS 아프리카를 통해 1,300명 이상의 연구자 양성을 목표로 100만 달러 투자

유망 인재• DFID 및 뉴욕카네기재단이 CIRCLE 및 RISE 프로그램을 통해 100명의 석사과정 및 박사 과정 이후 초기

경력 연구자 양성을 위해 750만 달러 투자

혁신

• 2010년부터 현재까지 그랜드 챌린지 파트너들 (빌앤멜린다게이츠 재단, 그랜드 챌린지 캐나다, USAID)이

29개 아프리카 국가의 380개 프로젝트에 1억 2,000만 달러를 투자하였으며, 그랜드 챌린지 아프리카가

추가 1,000만 달러 투자 예정

유전체

• 25개 H3Africa 프로젝트에 7,600만 달러가 투자되었으며, 이를 통해 700명 이상의 연구자들이 미국

국립보건원 및 웰컴 트러스트의 지원을 받음. AESA, 웰컴 및 글락소스미스클라인 (GSK)이 2017년 1,300만

달러 추가 투자 예정

※ 본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기획단에서는 보건의료 R&D 관련 동향 주제를 수시로

발굴‧선정하고 있습니다. 관심 있는 분야나 주제를 제안해주시면 적극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발 간 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진흥본부 R&D기획단 R&D조사분석팀 ▶ 담 당 자 : 이경원 연구원 (Tel. 043-713-8581)▶ 홈 페 이 지 : http://www.khidi.or.kr / https://www.htdrea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