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남창동 211번지 일원 근린생활시설부지 내 유적 문화재...

12
서울 중구 남창동 211 번지 근린생활시설부지 유적 문화재 시굴조사 약보고서 2013. 9.

Transcript of 중구 남창동 211번지 일원 근린생활시설부지 내 유적 문화재...

Page 1: 중구 남창동 211번지 일원 근린생활시설부지 내 유적 문화재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nam... · 211번지에 계획중인

서울

중구

남창동 211

번지

근린생활시설부지

유적

문화재

시굴조사

약보고서

2013. 9.

Page 2: 중구 남창동 211번지 일원 근린생활시설부지 내 유적 문화재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nam... · 211번지에 계획중인

- 1 -

Ⅰ.

1.

명 :

서울

중구

남창동 211

번지

근린생활시설부지

유적

문화재

시굴조사

2.

조사지역 :

서울특별시

중구

남창동 211

번지

3.

허가번호 :

문화재청

제2013-0775

호(2013. 8. 26)

4.

조사면적 :

총 224.8㎡

5.

조사기관 :

재단법인

겨레문화유산연구원

6.

조사기간 : 2013

년 9

월 2

일 ~ 2013

년 9

월 6

일 (

실조사일수 1

일)

7.

조사단구성

장 :

수(

겨레문화유산연구원장)

책임조사원 :

덕(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조사연구부장)

원 :

웅(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연구원)

조사보조원 :

님(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연구원)

원 :

정(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연구원)

Page 3: 중구 남창동 211번지 일원 근린생활시설부지 내 유적 문화재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nam... · 211번지에 계획중인

- 2 -

Ⅱ.

황1.

조사목적

이번에

실시된

발굴(

시굴)

조사는

진윤경․

김기석(

개인사업자)

서울특별시

중구

남창동 211

번지에

계획중인 ‘

근린생활시설

신축공사’

앞서,

추후

공사로

인해

훼손

가능성이

있는

매장문화재에

대하여

기초

자료를

확보하는데

있다.

이와

함께

개발과

문화유적의

보존이

합리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조사경위

2010~2011

한울문화재연구원․

한강문화재연구원에

의해

실시된 4

대문안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존방안

연구

결과,

해당지역에

대한

시굴조사의견이

제기되었다.

이에

기석․

진윤경(

개인사업자)

우리

연구원에

시굴조사를

의뢰하였다.

3.

조사경과 〇

시굴조사

계획서

제출 : 2013. 7. 3.(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시굴조사

허가 : 2013. 8. 26.(

문화재청

제2013-0775

호)

시굴조사

착수 : 2013. 9. 2.(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시굴조사

완료 : 2013. 9. 6.(

겨레문화유산연구원)

Page 4: 중구 남창동 211번지 일원 근린생활시설부지 내 유적 문화재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nam... · 211번지에 계획중인

- 3 -

[

지도 1]

조사지역

근세지도(近世五萬分之一地形圖, 1921

년)

Page 5: 중구 남창동 211번지 일원 근린생활시설부지 내 유적 문화재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nam... · 211번지에 계획중인

- 4 -

[

지도 2]

조사지역

위치

주변

문화유적

분포도(1/20,000)

Page 6: 중구 남창동 211번지 일원 근린생활시설부지 내 유적 문화재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nam... · 211번지에 계획중인

- 5 -

유적명

소재지

시대

종류

비고1

서울

숭례문(崇禮門)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4

가 29

조선

도성

국보

제1

호2

중구

남대문로4

이층한옥상가(中區 南大門路4街 二層韓屋商家)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4

가 72-1

근대/

일제강점기

근대건축3

중구

남창동

상진

가지 (中區 南倉洞 尙震 家址)

서울특별시

중구

남창동 1-2

조선

위인선현

유적4

제일은행본점(舊 朝鮮貯蓄銀行 本店)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1

가 53-1

근대/

일제강점기

근대건축

시도유형문화재

제71

호5

중구

봉래동1

칠패시장지 (中區 蓬萊洞1街 七牌市場址)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1

가 48

조선

장시

6

중구

봉래동1

남지지(中區 蓬萊洞1街 南池址)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1

가 104

조선

생활유적 7

중구

회현동 1

은행나무(

서2-4)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1

가 36-3

조선

노거수

8

중구

회현동1

정광필

가지 (中區 會賢洞1街 鄭光弼 家址)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1

가 14

조선

위인선현

유적9

중구

회현동1

은행나무(

서2-5)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1

가 14-3

조선

노거수

10

중구

남대문로5

제중원지(中區 南大門路5街 濟衆院址)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5

가 84

근대/

일제강점기

근대건축11

중구

남대문로5

이덕형

가지(中區 南大門路5街 李德馨 家址)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5

가 526

조선

위인선현

유적12

서울

성곽(

서울城郭)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상동

산1-3

조선

도성

사적

제10

호13

중구

남창동

쌍회정지(中區 南倉洞 雙檜亭址)

서울특별시

중구

남창동 202

조선

건물지

14

중구

남대문로5

느티나무(

서2-9)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5

가 219

조선

노거수

중구

남대문로5

모감주나무(

서2-8)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5

가 459

근대/

일제강점기

노거수[

표 1]

조사지역

주변(500m

이내)

지정․

비지정

문화재

현황

유적명

소재지

시대

종류

비고1

서울상공회의소

구간내

서울성곽유구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4

가 45

번지

일원

조선

성곽

기타

2

서울

중구

남대문시장

도로정비사업내

유적

서울특별시

중구

남창동 64-1

번지

일대 ·

유적

없음

기타

3

서울

북부역세권

사업부지내

조성사업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1

가 2

가 122

번지

일원 ·

유적분포

가능지

건물

건립

4

신안산선

복선전철

개설사업

서울특별시

구로구~

동대문구

청량리

일원 ·

유적

없음

철도

건설

5

서울성곽(

회현지구)

유적

서울특별시

중구

남창동 205-4

근대/

일제강점기

석축·

미상유구

문화재

복원정비 6

서울

중구

안중근의사

기념관

석비

건립부지내

유적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5

가 471-2 ·

유적

없음

기타 [

표 2]

조사지역

주변(500m

이내)

매장문화재

조사

현황

Page 7: 중구 남창동 211번지 일원 근린생활시설부지 내 유적 문화재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nam... · 211번지에 계획중인

- 6 -

[

도면 1]

시굴 Tr.

배치도

Ⅲ.

용1)

조사방법

조사방법은

기본적으로

지형에

따라

폭 2m

크기의

시굴 Tr.

설치하여

조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현장

여건에

맞춰

총 2

개의

시굴 Tr.

설치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도면 1

참조).

2)

조사내용

조사지역은

행정구역상

서울특별시

중구

남창동 211

번지로,

해당

지역

일대는

퇴계로

소파로의

사이에

위치하며

소규모의

주거

상업시설

등이

자리하고

있다.

조사지역

주변으로는

지정문화재인

숭례문(

국보

제1

호),

서울

성곽(

한양도성:

사적

제10

호),

일은행본점(

시도유형문화재

제71

호)

칠패시장지,

제중원지,

이덕형가지,

쌍회정지

Page 8: 중구 남창동 211번지 일원 근린생활시설부지 내 유적 문화재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nam... · 211번지에 계획중인

- 7 -

[

사진 1]

조사지역

항공사진

문화유적이

다수

상존하고

있다.

전체적인

지형을

살펴보면,

북동쪽의

숭례문에서

시작해

남산으로

이어지는

서울

성곽

입지한

구릉의

북서사면부에

해당한다.(

사진 1)

조사지역은

과거

소규모

주택이

들어서

있었으며,

주택이

화재로

폐기된

이후

시멘

트로

포장되어

주차장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

사진 2]

조사지역

조사

전경(

남동

북서) [

사진 3]

조사지역

조사

전경(

남동

북서)

Page 9: 중구 남창동 211번지 일원 근린생활시설부지 내 유적 문화재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nam... · 211번지에 계획중인

- 8 -

①: Ⅰ

층(

교란층)

②: Ⅱ

층(

암반쇄설층)

③: Ⅲ

층(

기반층)[

사진 4]

조사지역

층위(Tr. 1

서벽)

[

사진 5]

조사

전경

조사지역의

전반적인

위양상은 Ⅰ:

교란층(

현대

폐기층)-Ⅱ:

암반쇄설층-Ⅲ:

기반층(

풍화암반)

이다.

최상층인

교란층은

비교

최근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며,

폐기된

건축자재

생활쓰레기가

대부분

구성하고

있다. 2

층인

암반쇄설층에서

산지사면부에서

내려

암반쇄설물과

갈색점

토가

혼입된

양상이다. 3

층인

기반층은

화강편마암계의

풍화암반층이

확인되고

있다.

시굴 Tr.

조사지역의

동서방향에

평행하는

형태로,

총 2

개를

설치하여

조사를

진행하

였다.

시굴 Tr.

설치한

결과, 2

개의

시굴 Tr.

내부에서

유물

유구는

확인되지

않았다.

시굴 Tr. 1

내부의

교란층

깊이는

부분적으로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략 130~170cm

내외이며

내부에서

유물

유구는

확인되지

않았다.

Page 10: 중구 남창동 211번지 일원 근린생활시설부지 내 유적 문화재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nam... · 211번지에 계획중인

- 9 -

[

사진 6]

시굴 Tr. 1

전경(

동) [

사진 7]

시굴 Tr. 1

세부

[

사진 8]

시굴 Tr. 1

세부 [

사진 9]

시굴 Tr. 1

세부

시굴 Tr. 2

에서는

지하시설물이

확인되었다.

지하시설물은

현대에

조성된

것으로

기반

층까지

굴착이

이뤄진

상태이다.

현재

지표면에서

약 180~200cm

정도

깊이에서

확인되

었으며,

구조형태는

철근콘크리트로

조성된

벽체와

타일로

마감된

바닥면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시굴 Tr.1

마찬가지로

건축

생활폐기물들이

충진되어

있으며,

유물

유구는

확인되지

않았다.

[

사진 10]

시굴 Tr. 2

전경(

남) [

사진 11]

시굴 Tr. 2

세부

Page 11: 중구 남창동 211번지 일원 근린생활시설부지 내 유적 문화재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nam... · 211번지에 계획중인

- 10 -

[

사진 12]

시굴 Tr. 2

세부 [

사진 13]

시굴 Tr. 2

세부

조사

경과를

요약하면

금번

시굴조사가

실시된

서울

중구

남창동 211

번지는

현대

축물이

축조

폐기되면서

형성된

교란층

이외에는

인위적인

퇴적층

또는

문화층이

인되지

않았으며,

하부에서는

자연층인

암반쇄설층과

풍화암반층만

관찰되었다.

조사

과정을

통해

유구

유물의

흔적을

확인할

없었다.

Page 12: 중구 남창동 211번지 일원 근린생활시설부지 내 유적 문화재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nam... · 211번지에 계획중인

- 11 -

Ⅳ.

이번에

시행된

시굴조사는

진윤경․

김기석(

개인사업자)

계획한 ‘

근린생활시설

신축공

사’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조사지역은

행정구역상

서울특별시

중구

남창동 211

번지

원으로,

주변지역은

대부분

소규모의

주거시설

상업시설이

자리하고

있다.

조사결과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지역은 2010~2011

년에

걸쳐

시행된 ‘

서울 4

대문안

지표조사’

통해

시굴조

실시지역으로

선정되었으며,

이에 2013

년 9

월 2

일부터

동년 9

월 6

일까지

유적의

유무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둘째,

시굴조사

결과,

조사지역

내에서

유물

유구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사가

진행된

지역에

대해서는

공사가

진행되어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제한된

범위에

대한

조사로

인해

매장문화재의

매장

가능성은

완전히

배제할

없기

때문에

진행시

유물이나

유구가

확인된

경우에는

관련

법령에

따라

반드시

관계

기관에

신고

해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