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35
서울 종로구 돈의동 번지 유적 119, 119-1 소규모 발굴조사 국비지원 약보고서 ( ) 2014. 3.

Transcript of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Page 1: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서울 종로구 돈의동 번지 유적119, 119-1

소규모 발굴조사 국비지원 약보고서( )

2014. 3.

Page 2: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1 -

조 사 개 요.Ⅰ

조 사 명1. 서울 종로구 돈의동 번지 유적 소규모 발굴조사 국비지원: 119, 119-1 ( )

조사지역2. 서울시 종로구 돈의동 번지 일원: 119, 119-1

조사기간3. 년 월 일 년 월 일 현장조사 일: 2014 3 3 ~ 2014 5 30 ( 10 )

조사면적4. : 91.7㎡

조사기관5. 재 겨레문화유산연구원: ( )

조사단 구성6.

조 사 단 장 : 신 창 수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원장( )

책임 조사원 : 박 종 규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책임연구원( )

조 사 원 : 박 종 서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선임연구원( )

준 조 사 원 : 이 상 호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연구원( )

보 조 원 : 김 진 운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연구원( )

조 사 경 과.Ⅱ

조사 목적1.

서울시 종로구 돈의동 번지 일원 주택 신축부지에 대하여 공사에 앞서 정밀발굴119

조사를 실시하여 향후 개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매장문화재의 훼손을 사전에 방

지하고 개발과 유적 보존의 효과적인 조화방안을 수립하고자 함.

조사 경과2.

당해 지역은 년 서울특별시의 주관 아래 실시한 대문안 문화유적 보존방안2011 <4

연구사업 결과 시굴조사 필요지역으로 설정되어 있다 종묘 사적 제 호 원각사> , . ( 125 ),

지 탑골공원 등이 매우 인접하여 위치해 있으며 반경 이내의 돈의동 주변 일( ) , 500m

대에서 기실시된 시 발굴조사에서도 조선시대 전기 일제강점기의 건물지 유구와 도· ~ ·

자기 및 기와 등의 유물이 상당량 출토된 바 있다.

이에 사업지역 내에 시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기관 한울문화재연구원 그 결과( : ),

유구 및 유물이 확인되어 정밀발굴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Page 3: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2 -

〇 시굴조사 문화재청허가제 호 조사기관 한울문화재연구원: 2013. 12. 02 ~ 04 ( 2013-1069 , : )

국비지원발굴조사 신청 문화재청 한문협: 2013. 12 ( )→〇발굴조사 허가 문화재청 허가 제 호: 2014. 02. 27 ( 2014-0167 )〇발굴조사 착수 겨레문화유산연구원: 2014. 03. 03 ( )〇

사진 조사지역 일원 위성사진1.

Page 4: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3 -

도면 1 조사지역 위치도 서울 성동 합본. (1/25,000, NJ52-9-11-4, NJ52-9-12-3 )

Page 5: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4 -

도면 2 조사지역 일원 문화유적 분포도.

Page 6: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5 -

유 적 명 위 치 시 대 종 목 분 류

창덕궁서울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조선시대 사적 제 호122 궁궐

창경궁서울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조선시대 사적 제 호123 궁궐

종묘서울 종로구 종로 157

훈정동( )조선시대 사적 제 호125 사우

서울 운현궁서울 종로구 삼일대로 460

운니동( )조선시대 사적 제 호257 궁궐터

서울 탑골공원서울 종로구 종로 99

종로 가( 2 )대한제국시대 사적 제 호354 유적건조물

서울 청계천 유적

광통교지( ,

표교지와 오간수문지)

서울 종로구 관철동

외270-1 ,

중구 남대문로 외9

조선시대 사적 제 호461 교량

서울 우정총국 서울 종로구 견지동 397 조선시대 사적 제 호213 우정

서울 대한의원 서울 종로구 연건동 28 대한제국시대 사적 제 호248 의료시설

서울 명동성당 서울 중구 명동 가2 1-8 대한제국시대 사적 제 호258 성당

안국동윤보선가 서울 종로구 안국동 외8-1 조선시대 사적 제 호438 유적건조물

서울 관상감 관천대 서울 종로구 원서동 206 조선시대 보물 제 호1740 천문관측

천도교중앙대교당 서울 종로구 경운동 88 일제강점기시도유형문화재

제 호36민족종교

승동교회 서울 종로구 인사동 137 조선시대시도유형문화재

제 호130교회

경운동민병옥가옥 서울 종로구 경운동 66-7 일제강점기시도민속자료

제 호15가옥

조계사 대웅전 서울 종로구 수송동 44 조선시대시도유형문화재

제 호127불전

광통관 서울 중구 남대문로 가1 19 일제강점기시도기념물

제 호19유적건조물

보신각터서울 종로구 종로 가2

번지일대102조선시대

시도기념물

제 호10누정

운니동김승현가서울 종로구 운니동

114-33조선시대

시도민속자료

제 호19가옥

표 1. 조사지역 주변 문화재 분포 현황표

Page 7: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6 -

도면3 조사지역 일원 문화재조사 분포도.

Page 8: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7 -

유 적 명 위 치 성 격 출 전

서울중구명동가 번지2 2-1근린생활시설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중구명동가22-1

유적이나유물의흔적확인되지않음

재한울문화재연구원( ) , 2013,서울중구명동가2 2-1

근린생활시설부지내유적문화재시굴조사약식보고서

서울종로운니동 번지45-2근린생활시설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운니동 번지45-2

석렬유구 기 도자기편들과1 ,기와류출토

재한울문화재연구원( ) , 2013,서울종로운니동 번지45-2근린생활시설신축부지내유적발굴조사약식보고서

서울종로와룡동 번지106근린생활시설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와룡동 번지106

유적이나유물의흔적확인되지않음

재한강문화재연구원 서울시( ) , 2013,종로와룡동 번지근린생활시설106예정부지내문화재발굴시굴조사( )

약식보고서

서울종로율곡로창경궁앞도로구조개선공사추가부지내

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율곡로

유적이나유물의흔적확인되지않음

재서울문화유산연구원 서울( ) , 2012,종로율곡로창경궁앞도로구조개선공사추가부지내유적매장문화재정밀발굴조사약식보고서

서울종로구권농동 번지187-25근린생활시설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권농동 번지187-25

구들시설 입사지정 중복된잡석, ,지정각 기1 ,

조선시대자기편 기와편출토⋅

재한울문화재연구원( ) , 2013,서울종로구권농동 번지187-25근린생활시설부지내유적문화재

시굴조사약식보고서

서울종로와룡동 번지86-1일원

건물신축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와룡동번지86-1

유적이나유물의흔적확인되지않음

재한울문화재연구원( ) , 2012,서울종로와룡동 번지일원86-1건물신축부지시굴조사약식보고서

서울종로돈의동 번지170제종근린생활시설부지내유적2

서울특별시종로구돈의동 번지170

조선시대건물지 개소 우물 기3 , 2등

백자편 기와편등유물출토,

재한울문화재연구원( ) , 2012,종로돈의동 번지170

제종근린생활부지문화재발굴조사2약식보고서

서울종로원남동 번지25관광숙박시설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원남동 번지25

유적이나유물의흔적확인되지않음

재겨레문화유산연구원 서울( ) , 2012,종로원남동 번지관광숙박시설부지25내문화재시굴조사약식보고서

서울종로경운동 번지22도시형생활주택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경운동 번지22

유적이나유물의흔적확인되지않음

재한울문화재연구원( ) , 2012,서울종로경운동 번지도시형22

생활주택부지내문화재시굴조사약식보고서

서울종로관수동 번지113-1숙박시설신축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관수동 번지113-1

건물지및담장지 우물지, ,청자돈편 명문분청자편등,

재불교문화재연구소( ) , 2013,서울종로구관수동 번지113-1

숙박시설신축부지내유적발굴조사약식보고서

서울중구을지로가2번지비즈니스호텔101-1신축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중구을지로가2 101-1

조선시대 근대건물지 개소~ 22 ,담장지 개소 우물 개소및2 , 4

배수로

재한울문화재연구원( ) , 2013,서울중구을지로 가2 101-1비즈니스호텔신축부지내유적발굴조사약식보고서

서울종로송현동 번지내49-1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송현동49-1

미대사관사기초부분 동 건물지8 ,동 연도 기 방지 기 담장29 , 2 , 1 ,기 축대 기 배수로 기 우물5 , 6 , 4 ,기 도로 기 호안석축 기3 , 8 , 1 ,석축 기 미상석렬 기등1 , 3

재한강문화재연구원( ) , 2012,서울송현동유적발굴조사보고서

서울중구명동성당종합계획 단계 증축공사부지(1 )

내유적서울특별시중구명동

배수로시설,건물지 개소2

재한울문화재연구원 명동성당( ) , 2011,종합계획 단계 신축공사부지(1 )매장문화재발굴조사약식보고서

서울종로청진구역지구내유적5

서울특별시종로구청진동

근현대에서조선시대까지문화층들이확인

재한울문화재연구원( ) , 2012,종로청진 지구유적5

연합뉴스사옥재건축부지서울특별시종로구

수송동

조선시대건물지 동 담장 기2 , 1 ,석렬 기 수혈 기근대건물지3 , 1

동 석축 기3 , 2

재한강문화재연구원 연합뉴스( ) , 2011,사옥재건축부지내문화재발굴조사

약식보고서

표 조사지역 주변 문화재조사 현황표2.

Page 9: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8 -

서울종로청진구역 지구12~16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청진동119-1

건물지 개소시전행랑 도로161 , ,우물등

도자기 기와 금속기등, ,

재한울문화재연구원( ) , 2013,종로청진 지구유적12~16

서울종로영동빌딩신축부지내유적발굴조사보고서

서울특별시종로구종로가 번지일원2 40

시전행랑유구 피맛길도로, ( )건물지 개소4

재한울문화재연구원( ) , 2009,서울종로영동빌딩신축부지내유적발굴조사약보고서

서울시종로구낙원동184,번지내유적185-1

서울특별시종로구낙원동번지184 185-1⋅

유적이나유물의흔적확인되지않음

재서울문화유산연구원 서울시( ) , 2011,종로구낙원동 번지내184·185-1신축건물부지매장문화재발굴시굴조사약식보고서( )

서울대학교치과대학별관신축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연건동일원28-22

건물지 동 배수구등2 ,명지대학교한국건축문화연구소, 2007,서울대치과대학별관신축부지유적

발굴조사보고서

서울종로함춘원지내유적서울특별시종로구연건동

번지일원28-2정전 이안청 복도각 행각, , , ,담장지 배수로등,

재한울문화재연구원( ) , 2012,서울영희전지유적

서울장교지구5도시환경정비구역내유적

서울특별시중구장교개의문화층6 ,

일제 조선전기까지유구~

재고려문화재연구원 장교구역( ) , 2011,제지구도시환경정비사업문화재5

발굴조사약보고서

서울관철동 번지일원35-2근린생활시설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관철동번지35-2

조선시대건물지 기 석렬 기4 , 3재고려문화재연구원( ) , 2008,서울관철동유적 번지35-2근린생활시설부지내유적

서울종로다이렉트코리아신축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관철동 건물지 개소 담장지 우물등2 , ,재한울문화재연구원( ) , 2011,파고다타워종로

서울세운구역재정비촉진사업4대체영업장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인의동번지일대112-2

조선시대건물지 개소 배수로19 ,기 우물지 동아연초회사3 , ,

제조공장지

재한울문화재연구원( ) , 2011,종로어영청지유적

서울종로율곡로창경궁앞도로개설사업

서울특별시종로구율곡로유적의흔적확인되지않음

재서울문화유산연구원 서울( ) , 2011,종로율곡로창경궁앞도로개설구간내유적매장문화재발굴시굴조사( )

약식보고서

서울율곡로창경궁앞도로구조개선공사담장지 내( )

유적서울특별시종로구율곡로

열의담장유구2 ,수혈과구상유구각 기1

재서울문화유산연구원 서울( ) , 2011,율곡로창경궁앞

도로구조개선공사담장지 내유적( )매장문화재정밀발굴조사약식보고서

서울명동구역제지구3도시환경정비사업

서울특별시중구명동근대건물지 동3 ,

조선후기건물지 동 조선중기4 ,건물지 동외9

재한강문화재연구원( ) , 2012,서울명동구역제지구3

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내문화재발굴조사약식보고서

서울관훈동복합시설신축공사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관훈동근현대층건물지 개소· 16 ,

조선시대층건물지 개소우물 기6 3등

재한울문화재연구원( ) , 2012,서울관훈동복합시설신축부지발굴조사약식보고서

서울종로세무서재건축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낙원동번지일원58-8

일제강점기소로 기 석축 기1 , 1 ,초석 기등4

재한강문화재연구원( ) , 2013,서울낙원동 번지유적58-8

서울종로청진지구8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내유적

서울특별시종로구청진동건물지 개소50 ,

우물 개소 도로 개소등13 , 2재한울문화재연구원( ) , 2013,종로청진 지구유적8

Page 10: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9 -

유적의 입지 및 환경.Ⅲ

자연1. ・지리적 환경

조사지역이 속해있는 종로구는 서울특별

시의 총 개 구 중 한강 이북 서울25 ( ) ,區

시의 중북부지역에 해당하며 동경 126°5

북위 에 위치한다 종로구의 동9 , 37°24 .′ ′

서 간 거리는 남 북 간 거리는- 6.066 , -㎞

이고 총면적은 로 서울시7.299 24.01㎞ ㎡

전체면적 의 를 차지하고605.2 3.95%㎢

있다 남쪽으로 청계천을 경계로 중구와.

접하고 동쪽으로는 난계로 와 신설( )蘭溪路

동 로터리를 경계로 동대문구가 자리하

고 북악터널과 낙산성곽을 경계로 성북,

구가 있으며 의주로를 경계로 서쪽에 서대문구가 있으며 북쪽에 있는 북한산 남장대는

경기도 고양군과 경계하고 있다.1)

종로구는 백악산을 주산 으로 하여 동쪽에 타락산 서쪽에 인왕산 남쪽으로는 청( ) , ,主山

계천이 동류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북악산 사면의 말단부로 북고남저 지형이다( ) .北高南低

이에 최저점인 청계천 연안과 최고점인 북한산 남장대 와의 고도 차이가 무려(716m)

이상 차이나며 대보화강암의 침식 및 풍화작용으로 형성된 전형적인 화강암 산지700m

로 분지 지형이다 이를 기준으로 서울시 중심부를 관류하는 청계천은 충적층이 발달한.

남부의 저지와 북부의 험준한 산지 지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대체로 종로구의 남부 지역

은 청계천이 동류하면서 형성된 범람원에 해당하는 저지대이다 따라서 종로구는 평탄한.

충적지의 발달과 교통발달에 유리한 지형에 위치해 있다.

조사지역이 속한 돈의동 일원은 서울분지 중앙에 위치한 청계천에 인접하고 있으며 삼

청동에서 발원하여 청계천으로 흐르는 회동 제생동천과 파자교동천이 지나는 곳에 위치

한다 따라서 이들 하천의 영향으로 형성된 충적층이 발달하였다. .

1) 종로구청 환경위생과 종로환경백서 쪽, 2005, , 36

도면 4 서울시 행정 구획도.

Page 11: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10 -

고고2. ・역사적 배경

서울은 북한산 백악산으로 이어지는 산세와 청계천 한강으로 둘러싸인 배산임수의 지, ,

리적 조건을 바탕으로 역사적 환경이 이루어졌다 서울에서 확인되는 선사시대의 유적은.

대부분 한강변과 그 지류인 중랑천 성내천 탄천 양재천 가까이에 분포하고 있다 인하, , , .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년 서대문 무악산에서 출토된 사냥돌 유물과 같은1976

해 서대문 부근에서 출토된 주먹도끼2) 외에도 빗살무늬토기가 출토된 암사동 유적 등이

신석기시대 대표유물과 유적지라고 할 수 있다 청동기시대 유적으로는 년 조사된. 1958

성북구 정릉동 지석묘가 있으며 년에는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조사한 서대문구 안산, 2003

유물산포지에서 소량의 무문토기편이 확인되었다.3)

삼한 삼국시대에 들어서는 진국 과 마한 그리고 초기백제 가 한강( ) ( ) ( )辰國 馬韓 初期百濟ㆍ

유역을 바탕으로 등장한다 삼한사회는 군장사회 로 발전하게 되는데 종로구. ‘ ( )’君長社會

지역과 관련되는 것으로 마한 국 중 하나인 백제국 을 들 수 있다54 ( ) .伯濟國 4) 한성시대

기원전 년 로 대별되는 한성 백제의 주요 유적으로는 풍납토성 사적 제 호( 18 475 ) ( 11 ),∼

몽촌토성 사적 제 호 석촌동 적석총 사적 제 호 과 방이동 고분군 사적 제 호( 296 ), ( 243 ) ( 270 )

등 이다.5) 이 후 한강유역은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영토전쟁 격전지가 되었다 개로, , .

왕 년 장수왕은 한성을 함락하고 한강 일대에 북한산주 를 설치 이후 년간21 (475) ‘ ’ , 77

통치하였으며 진흥왕 년 에 나제동맹군 에 의해 한강 유역을 점령하였으나 결국11 (550) ‘ ’

신라에 복속된다 이들 지역을 삼국통일의 전진기지로 삼아 신라는 중국과 적극적인 교.

섭을 시작할 수 있었으며 결국 한반도에서 주도권을 차지하고 삼국을 통일하게 되었다.

신라 경덕왕 이후 한양군으로 불리던 지금의 서울지방은 고려초기 양주 로 불렸다( ) .楊州

고려 성종 년 전국에 목을 설치하고 중앙에서 처음으로 지방관을 파견하였는데2 (983) 12

이때에 양주목 으로 승격 고려 문종 년 삼경제 가 실시되면서 남( ) , 21 (1067) ( )楊州牧 三京制

경이 설치되었다 남경 개창 후 년 만에 양주로 환원되었으나 숙종대에 다시 남경으로. 9

승격된다.

이 후 조선 초기 태조 태종 세종대를 거치면서 조선왕조의 기틀과 함께 한성부의 구성, ,

도 완성되었다 도성의 도로체계 뿐만 아니라 전국의 통신제도를 한성부 중심으로 개편.

함으로써 정치 군사 경제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태조 년 한양으로 천도하여, , , . 3 (1394)

이듬해 월 일에는 한양 을 한성부 로 고쳤으며 월에는 종묘 사직6 6 ( ) ( ) 9 ( ),漢陽 漢城府 宗廟

2) 이경수 서울지역 선사유적의 조사현황 서울특별시 문화유적 지표조사 종합보고서, 2005, , Ⅰ「 」쪽, 99

3) 이경수 앞의 책 쪽, , 114

4) 쪽, 1994, ( ), 72 73鍾路區 鍾路區誌 上卷 ∼

5) 서울특별시 서울역사박물관 앞의 책 쪽, , 32

Page 12: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11 -

궁궐을 완성하였다 태조 년 에는 백악산 타락산 목멱산 인왕산을 연결( ), . 5 (1396) , , ,社稷

하는 약 도성을 쌓았으며 한성부의 행정구역을 부 방 동부 방 남부 방 서18 5 52 ( 12 , 11 ,㎞

부 방 북부 방 중부 방 으로 하였으며 이외에도 관아와 시전 도성과 문묘 교량11 , 10 , 8 ) , , ,

의 축조 등 조선 초기 왕도로서의 면모를 갖추어 나갔다 조선 전기 한성부의 인구는 세.

종 때의 기록을 보면 도성 안에 만 명이 넘고 성저십리지역에 천 명 이상의 대략10 , 5 11

만 명 정도의 인구가 살고 있었다.6)

임진왜란 이후 한성부는 도성의 모든 시설이 불타고 파괴되었으나 광해군 집권기로부터

궁궐과 많은 건물들이 증축되어 점차적으로 왕도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했다 조선후.

기에 들어오면서 한성은 상업도시로 탈바꿈하는 경향을 띤다 특히 세기 후반 이후 상. 17

업의 발달에 따라 교통로의 발달이 이루어졌으며 세기 이후 경강상인을 중심으로 한18

상업의 발달은 한성부의 도시 구조를 변화시켰다 세기와 비교해보아 인구가 만을. 16 20

헤아리게 되었고 종루의 시전상점과 아울러 칠패 베오개 시장은 도심의 대 시장으로, , 3

자리 잡았다 년 개항이후 한성부는 급속한 근대사회로의 이행 중심지가 된다. 1876 .

년 한일합방과 부령 제 호 년 월 일 공포 에 인하여 한성부가 경성1910 ( ) 7 (1910 10 1 )府令

부 로 개칭되었으며 년 월 일에는 부령 제 호로 경성부의 행정조직이( ) , 1911 4 1 31京城府

도성을 기준으로 성 안은 부 방으로 성 밖은 면으로 하는 부 면제를 시행함에 따5 36 8 5 8

라 지금의 종로구 지역은 중부 방과 동부의 방이 해당된다8 2 .7) 년 총독부령 호로1936 8

경성부의 구역 확장과 구제 가 실시되면서 종로구와 중구가 신설되었다 또한 소의( ) .區制

문 서소문 돈의문 서대문 혜화문 경희궁 등이 차례로 철거되는 등 여 년간 이어져( ), ( ), , 500

내려온 도성의 모습은 사라지게 된다.

년 해방이후 주변 국가의 동포와 북한주민들이 남하하여 서울 등 대도시에 거주하1945

게 되면서 서울의 인구는 급격하게 늘어났다 년부터 미국과 소련의 군정 속에서 미. 1945

군정에 의해 서울시헌장 등이 발표되어 년 월 서울은 특별시로 승격되었고 월‘ ’ 1946 9 10

동리제가 시행되었다.

년 남한단독정부 수립과 동란 등으로 휴전이 성립되는 년까지 중앙정부1948 ‘6.25 ’ 1953

의 행정력은 미비하여 정부에 의한 수도 서울의 정비는 없었다 전후 상당수가 서울에.

정착하였고 이때부터 서울의 인구가 급격히 증가한다 특히 년대부터 매년 급속도. , 1960

로 경제성장이 이루어져 인구의 도시집중은 심화되었으며 종로구 일대는 급속히 발전하

게 되었다 그 후 서울 개발과 확장으로 종로와 세종로 일대는 중심업무지역으로 중앙. ,

정부의 행정과 상업의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다.

6) 서울특별시 서울역사박물관 앞의 책 쪽, , 34

7) 앞의 책 쪽, , 606鍾路區

Page 13: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12 -

도면 5 조선경성도 년 추정 조사지역 일원. ( , 1789 )朝鮮京城圖

도면 6 도성대지도 년대 조사지역 일원. ( , 1770 )都城大地圖

Page 14: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13 -

도면 7 동여도 세기 조사지역 일원. ( , 19 )東與圖

도면 8 한양도성도 세기 초 조사지역 일원. ( , 19 )漢陽都城圖

Page 15: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14 -

도면 9 조사지역 일원 년 지적도. 1912

도면 10 조사지역 일원 일제 현재지적중첩도. ⋅

Page 16: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15 -

도면 11 서울시 대문안 문화유적 보존방안 조사 결과도. ‘4 ’

Page 17: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16 -

조사지역 및 조사과정.Ⅳ

조사지역 및 조사전 상황1.

조사지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의동 번지와 번지로 전체 면적이 이119 119-1 91.7㎡

다 조사지역 일원은 종로 가 피맛길의 북측에 인접하며. 3 , 대규모의 재개발사업이 이루어

지지 않아서 대부분 목조 혹은 조적조의 소규모 건물이 자리 잡고 있으며, 상업시설이

밀집해있어 유동 인구가 많은 곳이다 사업시행자는. 지상 층 규모의 근린생활시설을 신3

축하고자 계획하였으며 조사지역은 서울시의 대문안 문화유적 보존방안 에 의해 문화, “4 ”

재 시굴조사 대상지역으로 설정되어 건축공사 이전에 시굴조사를 실시해야 하는 지역이

었다 이에 사업시행자는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시굴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기관 한울. ( :

문화재연구원 조사결과 조선시대 건축유적이 확인되어 국비지원발굴조사를 신청하였다), .

조사지역은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중심에 자리하며 서측에는 원각사지 현 탑골공원 가, ( )

위치하였고 남측에는 종로 대로를 사이에 두고 시전행랑이 자리했었다 특히 조사지역, . ,

은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는 피맛길 북측에 인접해 있다 조선시대와 관련.

된 유구들은 인근 종로 청진동 일원의 발굴조사들과 조사지역 서측에 인접한 종로 가‘ 2

번지 시전행랑 유적 종로 육의전빌딩 신축부지 발굴조사 에서 보고된 바 있다 또한40 ( )’ .

최근 조사지역 북측의 종로 낙원동 번지 의 정밀발굴조사에서도 조선시대 유구들이‘ 142 ’

확인되었다 따라서 조사지역 역시 조선시대 관련 유적이 잔존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지.

역이다.

금번 조사지역에는 지상 층 규모의 목조 건물이 자리 잡고 있었으나 현재는 신축공사를1

위해 철거된 상태이고, 지표층에서는 철거과정에서 생긴 폐기물과 기존 건물의 석재들이

흩어져 있는 상태였다 한울문화재연구원이 실시한 시굴조사에서 구역 북쪽부에 자형의. ‘l’

시굴갱을 설치하여 시기에 걸친 유구층이 중복된 상태를 확인한 바 있다, 3 8).

조사방법 및 조사과정2.

금번 조사지역은 대지 면적이 협소하고 주변이 상가 및 주택 밀집지역이다 따라서 통, .

행자의 안전 문제 및 토사적치 공간 부재 해결이 우선 선행되어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

러나 국비지원 발굴조사의 특성 상 한정된 예산으로 조사를 진행해야 했기 때문에 토사,

8) 한울문화재연구원 서울 종로 돈의동 번지 일원 신축부지 내 유적 시굴조사 약식보, 2013, 119

고서

Page 18: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17 -

는 최대한 조사 구역 내에 적치하기로 하였다 따라서 유적 전체를 동시에 조사하기는.

불가능하였고 씩 개의 구역으로 나눈 후 순차적으로 조사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1/2 2 .

유구조사는 시굴조사에서 확인된 개의 문화층 가운데 조선 후기층 유구를 중심으로 전3

면 조사를 진행하였다 상층의 근. ․현대층은 유구가 확인될시 사진기록만 진행하기로 하

였고 선대 유구는 탐색갱 조사를 통해 부존 범위 및 성격 등을 파악하기로 하였다 이후, .

조사결과에 대한 전문가 검토 후 선대 유구의 처리 방향을 결정하고 추가적인 조사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사진 시굴조사 후 전경 북 한울문화재연구원2. ( ) :↑

Page 19: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18 -

조사 내용.Ⅴ

도면 발굴조사 유구 현황도12.

Page 20: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19 -

층위1.

금번 조사지역은 북악산에서 남측으로 연장되는 가지능선의 말단부에 위치하며 종로대

로와 청계천이 조사지역의 남측에 인접해있다 조사지역은 서울 분지의 중앙부에 해당하.

며 이 일대의 지형은 기복이 거의 없는 완만한 평탄지이다, .

기준 층위는 구역의 동측 경계벽을 활용하여 전체적인 양상을 파악하였다 기본적으로.

시굴조사에서 파악한 층위를 중복관계 등을 고려하여 좀 더 세분하였다.

층위는 크게 개층으로 나누고 개 층으로 세분하였다 층은 현대교란층이다 시굴조6 , 17 . I .

사시 층으로 구분하였던 구역 북동쪽의 구들시설은 기준층 남쪽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II

이 현대의 연탄보일러가 시설된 구들시설로 현대 민가의 흔적으로 파악하였다.

사진 조사구역 동벽 기준 층위3.

Page 21: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20 -

층은 개 층위로 세분되는데 세기 일제강점기 유물이 혼입된 층위이다 특히3 , 18 ~ . .Ⅱ Ⅱ

층은 시굴조사에서 층으로 구분하였던 초석 잡석열 등이 포함된 층위이다 근대 건-2 , .Ⅲ

물지 유구 조성층으로 기단으로 추정되는 장대석 매와 적심으로 추정되는 원형 집석유1

구 기가 확인되었다1 .

층은 개 층위로 세분된다 세기 전후로 편년되는 도자기편들이 혼입되어 있고 입5 . 19 ,Ⅲ

자가 굵은 모래 소토 유물 부스러기 등이 다량 포함되어 있다 층은 층 층, , . 1~2 , 3 ,Ⅲ

층으로 다시 묶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층은 구역 남쪽으로 상당히 넓은 범4~5 . 1~2

위로 성토되었는데 상부에서 적심으로 추정되는 소형 집석유구와 기단으로 추정되는 석,

재가 확인되는데 잔존상태가 좋지 않아 명확히 확인하기는 어렵다 층의 집석유구는 시, . 3

굴조사에서 층으로 구분하였던 잡석지정이 포함된 층위이다.Ⅳ

층은 개 층위로 세분되는데 세기의 도자기편들이 포함된 층위이다 특히6 , 18~19 .Ⅳ Ⅳ

층과 층은 유구조성층으로 확인되었다 층은 시굴조사에서 미상석재가 확-4~5 -6 . -6Ⅳ Ⅳ

인된 층위로 금번 조사결과 넓은 범위로 집석유구가 확인되었다.

층은 흑갈색사질점토층으로 기준 층위의 서쪽 방향으로 일부 확인된다 층보. -4~5Ⅴ Ⅳ

다는 먼저 형성된 층위는 분명하지만 층과는 연속되지 않아 선대 층위인지는 분명, -6Ⅳ

치 않다 다만 층의 집석유구가 보축시설 또는 석축시설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동시. , -6 ,Ⅳ

기 유구층일 가능성이 있다.

층은 암반풍화토로 자연층이다.Ⅵ

조사내용2.

조사는 시굴조사 당시의 시굴갱이 구역 동쪽에 치우쳐 있어 우선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현대 민가의 폐기된 정화조를 제거하고 추가적인 층위 파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역의 서쪽 및 북쪽으로 교란이 매우 심한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추가적인 확인을 위해,

구역 북쪽에 동 서 방향의 탐색갱을 설치하여 층위를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 구역의 북- . ,

쪽 및 서쪽 일대는 교란이 심해 유구의 잔존 흔적은 확인할 수 없었으며 유구가 조사지,

역의 동쪽 벽면 시굴갱 주변에 집중적으로 잔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조사는 구역의 동쪽 및 남쪽 일대에 집중하였으며 시굴조사시의 층에서 확인, Ⅲ

되는 유구를 중점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층에서 유구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조. Ⅲ

사면을 하강하여 선대의 유구를 확인하였다.

Page 22: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21 -

사진 조사구역 중앙부 폐기된 정화조 제거 후 층위 상태4.

사진 조사구역 북쪽 동 서 탐색갱 전경5. - 사진 조사구역 북동쪽 탐색갱 전경6.

Page 23: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22 -

사진 조사구역 북쪽 동 서 탐색갱 층위 상태7. -

사진 조사구역 북쪽 동 서 탐색갱 층위 상태8. -

Page 24: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23 -

사진 조사구역 북쪽 동 서 탐색갱 조사 전경9. -

사진 조사구역 남쪽 층 및 층 유구 조사 후 전경10. Ⅱ Ⅲ

Page 25: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24 -

유구는 크게 개의 층위에서 확인된다 층 층 층 층6 . -2 , -1~2 , -3 , -4~5 ,Ⅱ Ⅲ Ⅲ Ⅲ Ⅳ

충 층에서 확인되는데 모두 세기 일제강점기 사이에 조성-4~5 , -6 , 18 ~Ⅳ ․운영 되었으며,

일부는 동시기 유구로 추정된다.

우선 층 유구는 동벽의 중앙부에서 기단석으로 추정되는 장대석 매 노출된 길이-2 1 (Ⅱ

와 내외의 소형 석재 개가 나란히 확인되었는데 이미 시굴조사에서48cm) 12~25cm 3 ,

확인된 바 있다 한편 장대석에서 북서쪽으로 떨어진 곳에서는 원형의 집석유구. , 130cm

가 확인되는데 층위 상 서쪽 일부가 중복된 것으로 보이며 선대 초석을 활용해 후대 적, ,

심으로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층 유구는 동벽 시굴갱의 남쪽에서 확인된 원형의 집석유구와 그 서쪽의 소형-1~2Ⅲ

석재 매이다 원형 집석유구는 하부에 가량 바닥을 다지고 쌓은 흔적이 보이며 그3 . 5cm ,

동쪽 되는 곳에 길이 의 석재가 확인된다 소형 석재 매는 모두0.6~0.7m 44cm . 3 40cm

내외의 크기이며 남쪽으로 면맞춤 하였다 잔존 상태가 좋지 않아 유구의 성격은 정확히, .

알 수 없으나 기단열과 적심석으로 추정된다, .

사진 층 장대석 및 소형 석재 노출 전경11. -2Ⅱ 사진 층 추정 초석 및 적심 노출 전경12. -2Ⅱ

사진 층 집석유구 노출 전경13. -1~2Ⅲ 사진 층 소형 석재 매 노출 전경14. -1~2 3Ⅲ

Page 26: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25 -

층 유구는 시굴조사에서 확인된 바 있는 잡석지정이다 적심으로 추정되며 규모는-3 . ,Ⅲ

직경 내외이다 층 상부 일부가 상층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여 층에서60cm . , -4~5Ⅲ

확인되는 잡석열과 관련된 건물지 흔적으로 추정된다 다만 잔존 상태가 좋지 않아 정확.

한 내용은 알 수 없다.

층 유구는 조사지역의 중앙 남쪽부와 동벽에서 일부 확인되는 집석유구이다-4 . -6Ⅳ Ⅳ

층을 기반층으로 조성되었으며 상층 중복으로 대부분 유실되어 잔존상태는 좋지 않다, .

층 내에서 세기의 자기편 등의 유물이 수습되었다18~19 .

층 유구는 구역 남쪽에서 확인된 대형 집석유구로 금번 조사구역 내 가장 이른 시-6 ,Ⅳ

기의 유구이다 시굴조사에서 확인된 두 매의 미상석렬을 확장 노출한 결과 확인되었다. .

상층 유구들에 비해 유실이 덜하여 잔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 다만 상층 유구 중복. ,

으로 전면적인 확인은 어려운 상태이다 이에 층의 일부 유구를 기록작업 후 제거. III-1~2

하고 조사면을 하강하여 노출하였다 유구는 서쪽으로 유사한 형태로 이어지며 조사지역. ,

의 남서쪽까지 확인된다 또한 조사지역의 남쪽 외곽으로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

축조형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두 개의 를 설치하여 조사한 결과 석재를 단으로 쌓, pit , 2

았으며 그 사이는 모래를 다짐하여 성토하였음을 알 수 있다 성토된 두께는 구간별로.

차이가 있는데 대체로 북쪽과 동쪽으로 갈수록 더 두껍다 이러한 축조형태로 볼 때, . ,

층의 유구와 층 유구의 관계를 추정해 볼 수 있는데 층 유구의 상IV-4 IV-6 , IV-6 ‧하단석재 축조와 유사한 방법으로 축조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층의. , IV-4

유구와 층의 유구는 조성된 시기나 목적이 동일한 유구로 판단되며 이 유구는 석재IV-6 ,

를 배치하고 성토하는 과정을 회 정도하여 단의 석재를 쌓아 축조한 것으로 추정된다2 3 .

유구는 형태 및 층위관계로 보아 보축시설일 가능성이 있다 층 내에서 세기의, . 18~19

도자편이 출토되었다.

Page 27: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26 -

사진 층 잡석지정 노출 전경15. -3Ⅲ 사진 층 집석유구 노출 전경16. -4Ⅳ

사진 층 집석유구 서부 노출 전경17. -6Ⅳ 사진 층 층 집석유구 중복 상태18. -4 , -6Ⅳ Ⅳ

사진 층 층 집석유구 노출 전경 서 동20. -4 , -6 ( - )Ⅳ Ⅳ사진 층 층 집석유구 노출 전경 동 서19. -4 , -6 ( - )Ⅳ Ⅳ

Page 28: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27 -

사진 조사지역 남쪽 층 집석유구21. -4Ⅳ

사진 층 집석유구 서부22. IV-6 사진 층 집석유구 상단 석재 제거후 전경23. IV-6 1Tr.

사진 층 집석유구 상단 석재 제거후24. IV-6 1Tr. 사진 층 집석유구 층위상태25. IV-6 1Tr.

사진 층 집석유구 층위상태26. IV-6 2Tr. 사진 층 출토유물27. -2Ⅱ

Page 29: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28 -

사진 층 출토유물28. Ⅲ 사진 층 출토유물29. -4Ⅳ

사진 층 출토유물30. -6Ⅳ 사진 층 집석유구 출토30. -6 Tr.Ⅳ

사진 조사지역 조사 완료 후 전경32.

Page 30: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29 -

조사 결과.Ⅵ

금번 발굴조사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의동 번지 일원 근린생활시설 신축부119, 119-1

지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조사지역은 년에 걸쳐 시행된. 2010~2011 대문안 문화유적<4

보존방안 연구사업>를 통해 시굴조사 필요 지역으로 선정된 지역이다 이에 년 월. 2013 12

시굴조사를 실시하여 유적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동년 월 사업시행자가 국비지원 발굴, 12

조사를 신청하였다 발굴조사는 년 월 일 착수하여 현재까지 진행되었다 금번 발. 2014 3 3 .

굴조사 면적은 이다91.7 .㎡

금번 발굴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 지역 내 층위는 크게 개층으로 구분되며 개 층으로 세분된다 이 중 모두6 , 17 .

개 층 내에서 세기 일제강점기의 유구가 중복 확인되었다6 18 ~ .

유적 내 대부분이 후대 교란이 심해 유구는 대부분 유실되고 잔존상태가 좋지 않다2. , .

다만 가장 선대 유구인 층 확인 집석유구는 비교적 잔존상태가 좋은 편이지만 조, -6 ,Ⅳ

사지역 외곽으로 연장되고 있어 전체 규모는 파악하지 못하였다.

출토유물은 세기 일제강점기의 도자편이 주를 이루며 가장 선대 유구인 층3. 18 ~ , -6Ⅳ

에서 세기 이후로 편년되는 도자편이 출토되었다 따라서 금번 조사 유적은 조선 후기18 .

에 최초 조성되어 여러차례의 용도 변화가 있었던 건축 유적으로 판단된다.

다만4. , 금번 발굴조사는 소규모 조사로 조사구역 내에서 관련 유구 규모를 완전히 확

인할 수 없었으며 조사구역 외곽의 동쪽과 남쪽으로 관련 유적이 연장된다, .

Page 31: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30 -

부록 - 사업 개요

Page 32: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31 -

Page 33: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32 -

Page 34: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

- 33 -

Page 35: 서울종로구돈의동 번지유적119,119-1 소규모발굴조사국비지원 …gyeore.or.kr/images/SUBS_LAYOUT_000/data/download/data_yak/seoul/doneui.pdf · 서울종로구돈의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