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ny Report...

13
유비벨록스(089850) BUY / TP 41,000원 Analyst 박한우 02) 3787-2279 [email protected] 현재주가 (7/5) 상승여력 30,350원 35.1% 시가총액 발행주식수 자본금/액면가 1,677억원 5,526천주 3십억원/500원 52주 최고가/최저가 일평균 거래대금 (60일) 33,700원/18,50029억원 외국인지분율 주요주주 2.14% 이흥복 외9인 30.32% 주가상승률 절대주가(%) 상대주가(%p) 1M 10.2 1.2 3M 26.5 28.0 6M 0.5 5.5 당사추정 EPS 컨센서스 EPS 컨센서스 목표주가 2,485원 2,863원 38,667원 ※ K-IFRS 개별 기준 최근 12개월 주가수익률 자료: WiseFn, HMC투자증권 구분 매출액 영업이익 세전이익 순이익 EBITDA EPS 증감율 PER PBR EV/EBITDA ROE (십억원) (십억원) (십억원) (십억원) (십억원) (원) (%) (배) (배) (배) (%) 2010 80.3 11.1 11.6 10.1 13.1 2,027 59.1 8.6 2.5 5.8 32.1 2011 93.9 11.7 11.6 9.8 13.5 1,776 -12.4 16.8 3.7 13.7 20.4 2012F 113.6 17.2 16.3 13.4 19.0 2,458 38.4 12.6 2.7 9.2 22.2 2013F 143.7 23.1 22.7 19.5 24.8 3,560 44.9 8.7 2.1 6.8 25.3 2014F 175.8 26.7 26.6 22.7 28.5 4,152 16.6 7.5 1.6 5.4 23.1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200 11/07 11/09 11/11 12/01 12/03 12/05 유비벨록스 KOSDAQ 모바일솔루션과 스마트카 수혜 모바일 플랫폼과 솔루션에서 스마트카드 및 스마트카까지 확대 중 유비벨록스는 이동통신사를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사업을 시작으로 시장에 진 입하여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솔루션 사업으로 확대하여 SK텔레콤 및 LGU+ 등에 공 급하였다. 스마트폰의 급격한 확대에 따라 동사는 국내외 이동통신사 및 모바일 제조사 앱스토어 구축 및 운영을하고 있으며, 차량용 앱스토어도 구축하였다. 동사는 기업형 App도 제작하고 있어 NHN, 한경, 인천공항 등에 공급하였고, 최근에는 주목 받고 있 는 NFC 솔루션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카의 플랫폼 등 구축 경험을 가지고 있으 며 스마트카드 사업부문을 가지고 있어, 금융, 통신, 교통 등에 공급하고 있다. 스마트폰 확대에 따른 NFC 시장 커질 전망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아지고, 특히 2011년 이후 생산되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이 NFC를 지원하고 있어 NFC시장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NFC는 정부 주도로 보급을 확대하고 있고, 2015년까지 전체 단말기의 70%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동사는 NFC칩뿐만 아니라, NFC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어, 메가박스 및 신세계 일 부를 구축하였고, 올해 중 확대될 예정으로 수혜가 예상된다. 스마트카는 성장 동력 자동차의 전자화가 가속되고 있는 가운데, 현대차는 모젠서비스를 실시하였고, 최근 신형산타페에 블루링크, K9에 유보서비스를 실시하는 등 스마트카의 보급은 점차 확대 되고 있다. 동사는 모젠 서비스의 플랫폼 등을 구축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그랜저5G 에서는 모바일 서비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블루링크 및 유보에도 플랫폼 등을 구축하였 고, 자동차용 App Store도 구축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자동차에 태블릿 PC를 탑재할 예정으로 2013년부터 시장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Company Report 2012. 07. 06 * 2010은 K-GAAP 기준, 2011~2014F은 K-IFRS 개별 기준

Transcript of Company Report...

  • 유비벨록스(089850) BUY / TP 41,000원

    Analyst 박한우 02) 3787-2279

    [email protected]

    현재주가 (7/5)

    상승여력

    30,350원

    35.1%

    시가총액

    발행주식수

    자본금/액면가

    1,677억원

    5,526천주

    3십억원/500원

    52주 최고가/최저가

    일평균 거래대금 (60일)

    33,700원/18,500원

    29억원

    외국인지분율

    주요주주

    2.14%

    이흥복 외9인

    30.32%

    주가상승률

    절대주가(%)

    상대주가(%p)

    1M

    10.2

    1.2

    3M

    26.5

    28.0

    6M

    0.5

    5.5

    당사추정 EPS

    컨센서스 EPS

    컨센서스 목표주가

    2,485원

    2,863원

    38,667원 ※ K-IFRS 개별 기준

    최근 12개월 주가수익률

    자료: WiseFn, HMC투자증권

    구분 매출액 영업이익 세전이익 순이익 EBITDA EPS 증감율 PER PBR EV/EBITDA ROE

    (십억원) (십억원) (십억원) (십억원) (십억원) (원) (%) (배) (배) (배) (%)

    2010 80.3 11.1 11.6 10.1 13.1 2,027 59.1 8.6 2.5 5.8 32.1

    2011 93.9 11.7 11.6 9.8 13.5 1,776 -12.4 16.8 3.7 13.7 20.4

    2012F 113.6 17.2 16.3 13.4 19.0 2,458 38.4 12.6 2.7 9.2 22.2

    2013F 143.7 23.1 22.7 19.5 24.8 3,560 44.9 8.7 2.1 6.8 25.3

    2014F 175.8 26.7 26.6 22.7 28.5 4,152 16.6 7.5 1.6 5.4 23.1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200

    11/07 11/09 11/11 12/01 12/03 12/05

    유비벨록스

    KOSDAQ

    모바일솔루션과 스마트카 수혜

    모바일 플랫폼과 솔루션에서 스마트카드 및 스마트카까지 확대 중

    유비벨록스는 이동통신사를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사업을 시작으로 시장에 진

    입하여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솔루션 사업으로 확대하여 SK텔레콤 및 LGU+ 등에 공

    급하였다. 스마트폰의 급격한 확대에 따라 동사는 국내외 이동통신사 및 모바일 제조사

    앱스토어 구축 및 운영을하고 있으며, 차량용 앱스토어도 구축하였다. 동사는 기업형

    App도 제작하고 있어 NHN, 한경, 인천공항 등에 공급하였고, 최근에는 주목 받고 있

    는 NFC 솔루션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카의 플랫폼 등 구축 경험을 가지고 있으

    며 스마트카드 사업부문을 가지고 있어, 금융, 통신, 교통 등에 공급하고 있다.

    스마트폰 확대에 따른 NFC 시장 커질 전망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아지고, 특히 2011년 이후 생산되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이

    NFC를 지원하고 있어 NFC시장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NFC는 정부 주도로

    보급을 확대하고 있고, 2015년까지 전체 단말기의 70%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동사는 NFC칩뿐만 아니라, NFC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어, 메가박스 및 신세계 일

    부를 구축하였고, 올해 중 확대될 예정으로 수혜가 예상된다.

    스마트카는 성장 동력

    자동차의 전자화가 가속되고 있는 가운데, 현대차는 모젠서비스를 실시하였고, 최근

    신형산타페에 블루링크, K9에 유보서비스를 실시하는 등 스마트카의 보급은 점차 확대

    되고 있다. 동사는 모젠 서비스의 플랫폼 등을 구축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그랜저5G

    에서는 모바일 서비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블루링크 및 유보에도 플랫폼 등을 구축하였

    고, 자동차용 App Store도 구축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자동차에 태블릿

    PC를 탑재할 예정으로 2013년부터 시장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Company Report 2012. 07. 06

    * 2010은 K-GAAP 기준, 2011~2014F은 K-IFRS 개별 기준

  • 2

    기아자동차 (000270)

    삼영전자(005680)COMPANY REPORT

    Executive Summary& Valuation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41,000원 제시

    NFC칩과

    솔루션 모두 보유

    NFC확대로 인한 수혜 예상

    NFC 시장은 초기 시장으로 향후 높은 성장이 예상된다. 메가박스와 신세계가 NFC존 구축을

    시작하였고,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NFC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읽기, 쓰기 기능이 있어, 다양

    한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NFC는 지급 결제뿐만 아니라, 각종 정보 제공도 가능하다. 스마트

    폰의 보급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고, LTE단말기 등 최신 휴대폰에는 대부분 NFC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또한, 방송통신위원회는 NFC보급을 주도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전체 단말기에 70%까

    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유비벨록스는 스마트카드 및 모바일IT관련 전문회사이다. 동사는 NFC단말기 증가에 따른

    NFC USIM 카드의 꾸준한 수요와 NFC 관련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어, 국내 NFC인프라 구축의

    확대에 따른 수혜가 예상된다.

    스마트카는

    향후 성장 동력

    국내 스마트카 시장은 현대차의 모젠서비스를 시작으로 현재 신형 산타페에 적용한 BlueLink

    와 기아차 K9에 적용한 UVO 등이 서비스 되고 있다. 기존의 내비게이션과 같은 길 안내를 비롯

    하여 오디오와 비디오, 인터넷과 결합이 되고 있고, 최근에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결합으로 스마

    트폰 App을 통해 차량을 원격 제어하는 등 스마트카에 대한 범위와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 현대

    기아차의 경우 2013년부터 차량에 태블릿PC를 장착할 예정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유비벨록스는 이러한 스마트카에 있어서 플랫폼 및 콘텐츠 개발과 차량용 App스토어를 구축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동사는 현대 기아차의 모젠을 시작으로 BlueLink, UVO에 플랫폼을 제공하

    고 차량용 App스토어도 구축하고 있다. 현대차는 동사의 지분 5.7%를 보유하고 있고, 차량용 전

    자제어 장치들은 안정성이 중요하여, 경험이 없는 업체의 참여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2012년 매출 1,136억 원, 영업이익 172억 원 추정

    목표주가 41,000원

    동사의 2012년 실적은 매출액 1,136억 원, 영업이익 168억 원으로 추정하였다. 2012년에는 모

    바일 부문에서의 기업형 App 구축 및 스마트카 부문에서 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되며, 2013년에

    는 모바일카 부문이 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동사의 목표주가는 2012년 예상 EPS 2,458원

    에 지난해 PER 16.8배를 적용한 41,000원을 제시한다.

    실적추정

    11.1Q 11.2Q 11.3Q 11.4Q 12.1Q 12.2QE 12.3QE 12.4QE 12E 13E

    매출 172 263 231 274 171 257 309 398 1,136 1,437

    모바일 39 49 92 131 61 102 133 177 473 700

    스마트카드 133 213 139 143 110 155 177 221 663 737

    영업이익 12 38 33 35 21 37 47 68 172 231

    당기순이익 11 34 31 22 10 31 38 55 134 195 자료 : 유비벨록스, HMC투자증권

  • 3

    Mid-Small Cap Analyst 박한우 수석연구위원 02) 3787-2279 / [email protected]

    모바일 솔루션, NFC 등으로 성장 예상

    기업개요

    스마트 카드 및 토탈

    솔루션 제공업체

    유비벨록스는 2000년 9월 설립되어 2010년 5월 코스닥에 상장되었다. 동사는 스마트 IT(스

    마트폰, 스마트카) 및 스마트카드 전문업체로 이동통신사 및 제조사 등을 대상으로 모바일 플랫폼,

    차세대 모바일 연동 플랫폼, 대기화면 서비스, 컨텐츠 등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금융, 통신, 교통,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스마트카드 및 SCMS(관리시스템) 등 토탈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동

    사는 5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다. 상장사로 팅크웨어가 있으며, 팅크웨어는 내비게이션 시장에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비상장사 4개를 보유하고 있는데 UBIVELOX International Pte.

    Ltd., 몬도시스템즈, 비트앤펄스, 유비벨록스 모바일이다.

    유비벨록스 자회사 현황

    회사명 비고 지분률

    팅크웨어(주) 내비게이션 시장에 Total Solution을 제공하고 있는 회사임. 20.02%

    UBIVELOX International Pte. Ltd.유비벨록스(주)의 100% 자회사이자 싱가포르 현지법인으로 스마트카드

    사업 해외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음. 100%

    (주)몬도시스템즈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Connectivity 기술 보유 회사임. 37.98%

    (주)비트앤펄스 모바일 플랫폼 및 앱스토어, 콘텐츠 공급, H/W 개발 및 검증 등의 기술

    보유 회사임. 30.25%

    (주)유비벨록스 모바일

    (구, 이든티엔에스피) 모바일 솔루션 및 콘텐츠 공급 회사임. 40.00%

    모바일 솔루션 및 스마트카드 전문 기업

    기업형 모바일 솔루션 및

    금융, 그리고 통신 등

    스마트카드 전문기업

    유비벨록스는 스마트폰, 스마트카 및 스마트 카드 전문기업으로 다양한 영역에 Embedded

    S/W 관련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동사의 사업부문은 크게 모바일 및 스마트 카드 부문으로 나

    누어져 있다. 모바일 사업은 App Store, 기업형 APP, 스마트카로 나누어 지며, 스마트카드는 금

    융, 통신, 교통, 기타 등으로 나누어진다.

    유비벨록스는 이동통신사 대상으로 플랫폼 공급을 통해 모바일 플랫폼 시장에 진입을 하였다.

    동사는 사업을 확대하여 모바일 플랫폼 기반 솔루션까지 진출하였다. 동사는 국내 스마트폰 보급

    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앱스토어 콘텐츠 공급 및 차량용 앱스토어를 구축하였으며 국내외 이동통신

    사 및 모바일기기 제조사를 상대로 앱스토어 구축 및 운영도 하고 있다. 기업형 App시장에도 진

    출하고 있는데 NHN의 웹툰, 뮤직, 북스, 한경TV, 스마트폰용 MTS(삼성증권, SK증권), 인천공

    항, NFC Zone(메가박스, 신세계) 등에 공급하였다. 스마트카 부문은 성장 동력으로 스마트폰 연

    동 App, 모바일 연동 플랫폼, App Store, 콘텐츠 제공 등을 하고 있다.

  • 4

    기아자동차 (000270)

    삼영전자(005680)COMPANY REPORT

    스마트 카드는 2012년에도 Cash Cow

    2011년 성장을 이끈

    스마트카드 부문은

    현재진행형

    스마트카드는 CPU와 메모리를 내장하고 있는 IC(Integrated Circuit) chip을 통하여 정보의

    저장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보안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카드로 CPU, EEPROM, RAM, ROM

    등의 하드웨어와 COS, 보안모듈,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의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2011년 동사의 매출은 모바일 310억 원, 스마트카드 629억 원으로 스마트카드가 전체 매출에

    67%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동사의 매출은 17.1% 증가하였는데 스마트카드 부문이 28.5% 증

    가하여 동사의 성장을 이끌었다. 지난해 스마트카드 성장의 주요 요인은 금융부문과 통신부문의

    매출이 크게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금융은 KB카드 분사 이후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인한 수요가,

    통신부문은 스마트폰 보급과 지속적인 3G 교체 수요로 인해 USIM 매출이 크게 증가하였기 때문

    이다.

    스마트카드 제조사 인수

    카드 제조 인수를 통해

    카드제품 라인업 확대

    제조단가 절감

    효과 기대

    동사는 COS(Chip Operating System)에서 스마트카드 제조까지의 수직 계열화를 통한 스마

    트카드 사업 경쟁력확보를 위해 옴니시스템의 카드제조사업부를 영업양수 계약을 체결하였다. 양

    수 금액은 130억 원이다. 이번 계약으로 동사는 카드제조라인 확보를 통해 스마트카드 제조 단가

    절감이 가능하며, 카드제품 라인업확대가 가능하며, 동사가 이미 보유한 VISA, Master, JCB 등

    인증 기술을 통한 제품 다각화가 가능해 진다.

    스마트 카드 응용 서비스 분야의 확대

    스마트 카드 응용 서비스

    분야 확대로 인한

    꾸준한 수요 예상

    기존의 마그네틱 카드는 IC 칩이 내장되어 있지 않아 보안상의 문제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스마트 카드는 이러한 마그네틱 카드와 달리 보안성이 뛰어나며 대용량의

    저장이 가능하여 현재 금융부분(신용카드/직불카드/현금카드 등), 통신부분(USIM), 공공부문(전

    자여권) 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폭 넓은 응용분야로 인해 사용분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통신 및 금융 컨버젼스가 가속화 되고 있으며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

    한다. 이에 따라 향후 동사가 다방면으로 스마트 카드 사업을 적용함에 따라 스마트카드 부문의 수

    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된다.

    ‘11년도 유비벨록스 매출 구성 스마트카드 응용 서비스 분야

    금융, 352.2 ,

    37%

    스마트카,

    35.4 , 4%

    기업형 App,

    120.7 , 13%교통, 30.0 ,

    3%

    App store,

    38.79, 4%

    플랫폼

    &

    솔루션, 115.4

    , 12%

    기타, 34.0 ,

    4%

    통신, 212.8 ,

    23%

    구분 응용 서비스 분야

    공공 민원서류 발급, 전기, 가스, 수도요금 지불, 신분증, 전자

    여권 등

    관광/레져 극장, 공원, 각종 레저시설의 예약 및 좌석지정

    교통 버스, 지하철, 택시, 주차장사용료, 유료도로, 주유소

    금융 신용카드, 직불카드, 자금이체, 전자지갑, 전자상거래

    생활편의 백화점, 슈퍼마켓, Fast-Food점, 자판기,

    홈쇼핑, 자동차관리, 의료

    통신 공중전화, 이동통신분야

    기타 ID 카드, 학내 카드, 도시카드 등 자료 : 유비벨록스, HMC투자증권 자료 : 중소기업청, HMC투자증권

  • 5

    Mid-Small Cap Analyst 박한우 수석연구위원 02) 3787-2279 / [email protected]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뱅킹 이용 실적 급증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등록고객수 297% 증가

    한국은행 자료에 의하면 2011년 말 현재 모바일 뱅킹 서비스 등록고객수는 2,372만 명으로

    2010년 1,575만 명 대비 50.6% 증가하였다. 이 중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등록고객수는

    2010년보다 297% 증가한 1,036만 명을 기록하였다. 2011년 전체 모바일뱅킹 이용건수(일평균

    기준)는 770만 건이며, 이용금액(일평균 기준)은 6,526억 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106%, 57% 증

    가하였고 특히,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이용 실적은 591만 건, 3,727억 원으로 각각 551.6%,

    698.1% 증가하였다. 반면 인터넷 뱅킹용 IC칩을 휴대전화에 내장하여 사용하는 IC칩 방식의 모

    바일 뱅킹 등록고객수는 2009년 이후 3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으며, 구형 휴대전화(feature

    phone)에 전용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사용하는 VM방식 등록고객수는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었다.

    모바일뱅킹서비스 이용실적 모바일뱅킹 등록고객수

    3,736

    1,7211,058

    7,697

    652.6

    415.6

    266.2

    150.8

    0

    3,000

    6,000

    9,000

    08 09 10 11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이용건수 이용금액 십억원천건

    모바일뱅킹 등록고객수¹ (단위: 천명, %)

    2008 2009 2010 2011 IC칩 방식² 4,694 4,627 4,579 4,434

    증감률 (6.4) (-1.4) (-1.0) (-3.2)

    VM 방식³ 3,783 6,528 8,561 8,928

    증감률 (533.7) (72.6) (31.1) (4.3)

    스마트폰 기반 13 2,609 10,358

    증감률 (-) (297.0)

    합계 8,477 11,168 15,748 23,720

    증감률 (69.2) (31.7) (41.0) (50.6)

    1) 연말 현재 등록고객 기준

    2) BankOn, M뱅크, K뱅크서비스(인터넷뱅킹용 IC칩의 이동통신기기를 이용)

    3) Virtual Machine 방식(인터넷뱅킹용 프로그램을 이동통신기기에 다운로드)

    4) () 내는 전년말대비 증감률

    자료 : 한국은행, HMC투자증권 자료 : 한국은행

    NFC의 특징

    NFC 서비스의 특징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은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기술로 RFID 기술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약 10cm이하의 거리에서 통신을 하여 상대적으로 보안

    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또한, NFC단말기가 P2P 모드로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으

    며, 읽고 쓰기가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대금 지불, 스마트포스터, 관광안내, 교통카드,

    모바일 신용카드 등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NFC 시장과 스마트폰 시장 크기는 정비례

    스마트폰 출하량의 증가로

    인한 NFC 적용 범위 확대

    NFC는 그 동안 보급률이 미미하였으나, 2011년을 기점으로 NFC를 탑재한 단말기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삼성전자, LG, 애플, 노키아 등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2011년 이후 출시하는 대부

    분의 스마트폰에 NFC를 탑재할 계획이며, 2015년에 NFC가 탑재된 단말이 전체 휴대폰 시장의

    47%인 8억대 이상으로 전망하고 있다. 2011년 기준 국내 NFC 지원 이동통신 단말기 비중은

    6% 수준이며, 올해 23%, 2015년에는 70%까지 늘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SK텔레콤은 KT, 신한카드, 삼성카드, Master카드 등 국내 통신/카드 업계 대표 5개사와 협의

    체를 구성하였으며, SK텔레콤 단말기용 NFC USIM카드을 출시하였다. NFC/QR코드를 활용한

  • 6

    기아자동차 (000270)

    삼영전자(005680)COMPANY REPORT

    신개념 체험매장 Q-Store with 1번가를 2월 말 본사 지하 1층에 오픈하였다.

    KT는 2010년 삼성전자와 제휴를 통해 NFC를 적용한 휴대폰을 선보였으며, 2011년에는

    NFC를 지원하는 스마트폰인 Google 넥서스S를 출시하였다. KT는 2014년까지 한동대에 국내

    최초로 NFC 기반의 스마트캠퍼스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 예상 글로벌 NFC 휴대폰 출하량

    0

    1,000

    2,000

    3,000

    4,000

    5,000

    09 10 11 12F 13F 14F

    0%

    20%

    40%

    60%

    80%

    100%

    스마트폰 가입자 스마트폰 보급율(우)(만명)

    1,178 1,1561,318

    1,4091,510 1,591

    1,665

    0 13

    310463

    630821

    1,740

    12841

    0

    400

    800

    1,200

    1,600

    2,000

    08 09 10 11F 12F 13F 14F 15F

    글로벌 휴대폰 출하량 NFC 휴대폰 출하량단위: 백만 대

    자료 : 각사, HMC 투자증권 자료 : Visiongain

    해외 NFC시장 급성장 전망

    해외 NFC 시장의

    판이 커지고 있다.

    전 세계 NFC 시장은 ‘14년에 총 1조 1,300억 달러의 시장가치를 지닌 전 세계 모바일 결제

    거래의 1/3(3,700억 달러) 전망(IE Market Research, ‘10.7월) 되고, ‘15년에는 전체 휴대

    폰의 약 85% 이상에 NFC 기능이 구현될 것으로 예측(HI. Business Partners, ‘11.2월)하고

    있다.

    해외의 다양한 사업자들이 점차 NFC 진출을 선언해왔으며 그 수는 증가하고 있다. Nokia 는

    자사모델에 NFC 칩을 탑재하고 있으며 올해부터 모든 모델에 확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세계적인

    카드 회사 VISA 역시 NFC를 이용한 새로운 결제시스템을 스마트폰에 도입하였며 Google 은

    Android 2.3부터 정식적으로 NFC를 탑재하였다. Apple은 향후 I-Phone 5 에 NFC를 탑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듯 해외 업체들의 NFC 진출 노력으로 인해 NFC 휴대폰 판매량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NFC 결제금액 역시 증가하고 있다. 올해 전세계 NFC 휴대폰 판매량은 13.7억 대로 예상

    되며 2015년에는 16.2억대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2015년 NFC 결제금액은 올해

    129억 유로에서 982억 유로 증가한 1,111억 유로로 추정된다.

  • 7

    Mid-Small Cap Analyst 박한우 수석연구위원 02) 3787-2279 / [email protected]

    전세계 NFC 휴대폰 판매량 전세계 NFC 결제 금액 예측

    7 39 128315

    536748 863

    1,152 1,1941,180

    1,056963

    815765

    0

    300

    600

    900

    1,200

    1,500

    1,800

    09 10 11F 12F 13F 14F 15F

    NFC 폰 일반폰단위:백만대

    1.4 2.2 2.912.9

    31

    61.2

    111.4

    0

    20

    40

    60

    80

    100

    120

    09 10 11F 12F 13F 14F 15F

    전세계 유럽 아시아 북미 기타단위: 십억 유로

    자료 : Frost&Sullivan 자료 : Frost&Sullivan

    NFC시범서비스

    시범 서비스로 인한

    NFC 모바일 결제서비스

    가시화

    방송통신위원회와 Grand NFC Korea Alliance는 2011년 11월부터 3개월 간 진행되었던 명

    동 NFC Zone 시범사업을 토대로 마트·편의점·커피숍·주유소 등 9개 대형 가맹점들이 NFC

    기반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전국적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주요 가맹점들에서는 NFC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모바일 카드를 가지고 있으면 누구나 신용카드 결제 또는 모바일카드 결제를

    요청하고, 별도의 앱을 동작시킬 필요 없이 단순히 스마트폰을 매장 결제기에 터치하여 쉽게 결제

    할 수 있게 된다고 발표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NFC 기반 모바일 결제가 가능한 스마트폰은 갤럭시S2, 캘럭시노트, 베가레이

    서 LTE, 옵티머드 LTE 등 약 700만여대로 추산되며, 아이폰4/4S의 경우(KT 가입자 한정)에

    도 NFC 케이스인 ‘아이까르떼 (iCarte)’를 부착할 경우 이용이 가능하다.

    NFC 모바일결제 전국 서비스 확산 일정 참여 기업 설치 현황 서비스 일시 비 고

    6,500개 매장, 13,000대

    6,900개 매장, 13,800대

    127개 매장, 4,000대

    (Express 매장 제외)

    90개 매장, 3,500대

    롯데 모바일카드만 가능

    (향후 확대 예정)

    4,500개 매장, 13,000대

    2,800개 매장, 5,000대

    (셀프주유소, LPG충전소 제외)

    38개 매장, 2,000대

    롯데 모바일카드만 가능

    (향후 확대 예정)

    401개 매장, 830대

    즉시

    VISA 모바일카드만 가능

    (향후 확대 예정)

    700개 매장, 700대 설치 예정 4월 1일

    합 계 22,056개 매장, 55,830대 결제기 자료 : 방송통신위원회(2012,2)

  • 8

    기아자동차 (000270)

    삼영전자(005680)COMPANY REPORT

    NFC 스마트폰 출시 현황

    구분 기기명

    SKT 갤럭시S2, 갤럭시노트, 갤럭시S2 LTE, 베가레이서 LTE, 옵티머스 LTE

    KT 갤럭시S2, 갤럭시노트, 베가레이서, 타키, 아이폰4, 아이폰4S, 갤럭시S2 HD LTE, 베가LTE M, 테이크HD, 베가No.5

    ※ 아이폰4/4S의 경우, 아이까르떼 케이스를 부착한 경우만 가능

    LG U+ LG 옵티머스 LTE, 갤럭시S2 HD LTE, 베가레이서 LTE, 갤럭시노트

    자료 : 방송통신위원회(2012,2)

    주요모바일 신용카드

    구분 모바일 카드 발급 종류 발급 가능한 이통사

    신한카드 ‘Tap', ‘LOVE’, ‘HI-POINT' 등 103여종 SKT, KT, LG U+

    하나SK카드 ‘Touch 1’, ‘Touch T’ 등 60여종 SKT, LG U+

    삼성카드 ‘카앤모아’, ‘수퍼S’ 등 92종 SKT, KT(3월 예정),

    LG U+(5월 예정)

    롯데카드 ‘DC Supreme카드’, ‘Olleh카드’ 등 2종 SKT, KT

    KB국민카드 ‘굿데이카드’, ‘와이즈카드’ 등 60종 SKT, KT, LG U+

    현대카드 ‘M’, ‘M2’, ‘M3’ 등 3종 SKT, KT(4월 예정),

    LG U+(6월 예정)

    BC카드 ‘우리V카드’, ‘그린카드’ 등 33종 KT

    자료 : 방송통신위원회(2012,02)

    NFC의 비젼

    NFC 기반 모바일

    스마트라이프

    서비스 활성화 추진

    지난해 3월 방송통신신위원회는 ‘근접통신(NFC)기반 Mobile Smart Life 서비스 활성화 본

    격 추진’ 자료를 발표하였다. 주요 내용은 ‘이통사, 카드사, 제조사 등 Grand NFC Korea

    Alliance 구성’, ‘NFC 기반 Mobile Smart Life 서비스 공동인프라 구축 추진, ‘Mobile 결제,

    티켓팅, 관광정보 안내, 개인정보 인증 등 NFC 기반 응용서비스 시범사업 및 테스트 베드 구축

    등이다.

    방통위 발표 NFC 비전 NFC 응용 서비스

    자료 : 방송통신위원회 자료 : 방송통신위원회

  • 9

    Mid-Small Cap Analyst 박한우 수석연구위원 02) 3787-2279 / [email protected]

    유비벨록스 NFC USIM 공급뿐만 아니라 관련 토탈 솔루션 제공

    NFC 토탈 솔루션 업체

    NFC 확산에 따른

    성장기회 다변화

    유비벨록스는 NFC 확산에 따른 NFC USIM공급뿐만 아니라 관련된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동사는 NFC Zone구축을 통한 기업형 App공급을 하고 있는데 메가박스 및 신세계 등에

    공급하였다. 또한, 카드사에 NFC 모바일 전자 지갑 구축 및 공급을 하였다. 메가박스의 경우 1차

    로 10개를 구축하였는데 향후 42개 지점을 추가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티켓 발권부터

    제휴상가, 쿠폰, 이벤트 등 부가 서비스, 검표 및 좌석안내까지 영화관에서 가능한 서비스를 스마

    트폰을 이용해 받을 수 있다. 또한 신세계백화점도 1개 지점을 구축하였고, 향후 추가로 9개 점

    포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마트까지 확대될 가능성도 있어 긍정적이다. NFC 토

    탈 솔루션은 현재 뚜렷한 경쟁사가 없어 향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카드사 및

    대형 마트도 구축이 예상된다.

    기업형 App사업부문은 NFC관련 솔루션 외에 1분기에 NHN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유지보수

    및 스마트TV용 App개발 등을 수행하고 있다. 지난해 기업형 App 매출은 121억 원이며, 올해는

    NFC 관련 추가 구축 등으로 200억 원을 넘어 설 것으로 예상되며, 1분기에 42억 원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 동기대비 135% 성장하였다.

    모바일 사업 중 앱스토어구축 및 플랫폼/솔루션 사업의 매출은 각각 2011년 대비 43%, 8%

    증가한 56억 원, 125억 원으로 추정하였다.

    기업형 App 분기별 매출 추이 및 추정 앱스토어,모바일 플랫폼/솔루션 매출 및 추정

    0

    10

    20

    30

    40

    50

    60

    70

    80

    10.1Q 10.3Q 11.1Q 11.3Q 12.1Q 12.3QE

    (억원)

    0

    20

    40

    60

    80

    100

    120

    10.1Q 10.3Q 11.1Q 11.3Q 12.1Q 12.3QE

    플랫폼&솔루션

    App store(억원)

    자료 : 유비벨록스, HMC투자증권 자료 : 유비벨록스, HMC투자증권

  • 10

    기아자동차 (000270)

    삼영전자(005680)COMPANY REPORT

    또 하나의 성장동력 스마트카

    스마트카 플랫폼 및

    콘텐츠 담당

    동사는 모바일 사업 중 스마트카 부문을 가지고 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는

    운전과 길 안내 등 필요한 정보를 뜻하는 Information과 다양한 오락거리와 인간친화적인 기능을

    말하는 Entertainment의 통합시스템이다. 차량 내 내비게이션, 오디오와 비디오, 그리고 인터넷

    결합을 넘어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대중화, 정보기술의 발달로 기술 수준과 시장은 성장을

    보이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와 IT융합시장은 2008년 864억 달러에서 2014년 2,112억 달러까

    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결합으로 전세계 자동차 중 1억 대 이상

    이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갖출 것으로 전망하였다. 동사는 스마트카에 있어서 플랫폼 및 콘텐츠부

    문을 개발 공급하고 있다.

    플랫폼/SW부문에서 동사는 Embedded OS와 차량용 App Store, 텔레매틱스, 차량용 서비스

    UI/UX를 담당하고 있고 콘텐츠 부문에서는 멀티미디어, LBS, 지도, 광고 등을 담당하고 있다.

    현대기아차와 협력

    현대차 모젠, BlueLink

    기아차 UVO

    현대차는 동사의 지분 5.7%를 보유하고 있다. 동사는 현대차의 모젠서비스의 플랫폼 등을 개발

    하였다. 모젠은 차량도난이나 주행중 긴급상황발생시 신속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교통정보

    가 반영된 빠른길 안내와 차량의 이상유무에 대한 원격진단 등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모

    젠 스마트폰 App은 그랜저 5G에 적용하였는데 운전자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을

    원격제어 할 수 있는 서비스로,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주차 위치찾기, 원격 문열림, 경적울림/ 비상

    등 켜짐 등의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또한, 동사는 신형산타페와 제네시스 적용한 BlueLink와 K9에 적용된 UVO도 담당하였다. 이

    둘은 모젠이 업그레이드된 서비스이다. BlueLink는 스마트폰 연동을 통해 원격으로 편리하게 시

    동을 걸고, 위치를 찾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또한, 차량관련 각종 사고로부터 운전자를 시켜주는

    안전서비스, 차 상태 진단부터 소모품교체주기 알려주며, 차안에서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하고, 운

    전 중에도 음성인식과 상담원을 통해 정보 이용이 가능하다.

    UVO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임베디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차량용 인포테인먼

    트시스템으로 휴대폰 등 다양한 모바일 기기와 차량 간에 연결성을 제공하며, 운전자의 음성인식

    을 통한 오디오/미디어 기기를 실행한다.

    UVO와 BlueLink는 서로 크게 다르지 않지만, 현대차와 기아차가 각각 다른 이름을 사용하여

    차별화를 보였고, 현대차는 원격조정 등에 중점을 둔 텔레매틱스 서비스가 주이며, 기아차는 정보

    와 엔터테인먼트를 중심으로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더한 것이다.

  • 11

    Mid-Small Cap Analyst 박한우 수석연구위원 02) 3787-2279 / [email protected]

    현대차 BlueLink 기아차UVO

    자료 : 현대차 자료 : 기아차

    2013년 6월 현대기아차 차량내 태블릿PC 탑재

    2013년부터 스마트카

    사업부문 본격적인

    성장궤도 진입

    현대차는 2013년 중순부터 내비게이션과 통신 기능을 통합한 태블릿 PC를 탑재한 차를 생산

    할 계획이다. 자동차의 전자화가 가속화하면서 이제는 콘텐츠 싸움으로 바뀌고 있다. 현대차는

    2013년형 모델부터 태블릿PC를 내장하되, 초기에는 옵션으로 탑재하기로 했다. 또한, 2013년 6

    월부터 차량용 앱스토어를 만들어 현대차 운전자들에게 각종 모바일 콘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동사의 수혜가 예상된다. 그 이유는 동사는 현대기아차와 앞서 언급하였듯이 모젠,

    블루링크, 우보 등을 통하여 이미 기술을 개발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동사는 App Store

    구축 경험이 있어, 차량용 App Store도 구축 중에 있으며, 차량용 태블릿 PC도 보유하고 있기 때

    문이다. 자동차에 탑재되는 기기는 일반 태블릿PC나 모바일기기와 달리 자동차 전장 시스템에 대

    한 지식이 필요하며, 안전에 민감하여 이러한 경험이 없는 업체들이 진입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어 높은 진입 장벽이 존재한다. 지난해 스마트카 부문의 매출은 35억 원을 기록하여 2011

    년대비 234% 증가하였고, 올해는 80억 원으로 추정된다. 스마트카 부문의 본격적인 성장은 차량

    에 태블릿PC가 장착되는 2013년부터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 12

    기아자동차 (000270)

    삼영전자(005680)COMPANY REPORT

    (단위:십억원) (단위:십억원)

    포괄손익계산서 2010 2011 2012F 2013F 2014F 재무상태표 2010 2011 2012F 2013F 2014F

    매출액 80 94 114 144 176 유동자산 43 34 57 79 104

    증가율 (%) 78.5 17.0 21.0 26.4 22.4 현금성자산 14 1 6 7 2

    매출원가 55 62 74 92 114 단기투자자산 6 6 14 20 39

    매출원가율 (%) 68.6 66.5 64.9 64.0 64.8 매출채권 11 14 19 26 31

    매출총이익 25 31 40 52 62 재고자산 11 11 13 21 24

    매출이익률 (%) 31.4 33.5 35.1 36.0 35.2 기타유동자산 1 2 5 5 7

    증가율 (%) 118.0 24.8 26.8 29.8 19.7 비유동자산 11 54 49 50 50

    판매관리비 14 20 23 29 35 유형자산 4 5 4 5 6

    조정영업이익 (GP-SG&A) 11 12 17 23 27 무형자산 4 9 4 4 3

    조정영업이익률 (%) 13.8 12.6 15.0 16.0 15.2 투자자산 1 40 40 40 41

    증가율 (%) 127.0 6.8 43.5 35.0 16.3 기타비유동자산 2 0 0 0 0

    기타영업손익 0 0 0 0 0 기타금융업자산 0 0 0 0 0

    EBITDA 13 14 19 25 28 자산총계 54 88 107 128 154

    EBITDA 이익률 (%) 16.3 14.4 16.8 17.2 16.2 유동부채 11 10 15 17 20

    증가율 (%) 114.4 3.5 40.8 30.1 15.0 단기차입금 0 3 0 0 0

    영업이익 11 12 17 23 27 매입채무 6 4 10 11 14

    영업이익률 (%) 13.8 12.5 15.1 16.1 15.2 유동성장기부채 0 0 0 0 0

    증가율 (%) 127.0 5.4 46.8 34.2 15.8 기타유동부채 6 3 5 6 7

    금융손익 0 0 -1 -1 0 비유동부채 0 24 24 24 24

    기타영업외손익 0 0 0 0 0 사채 0 9 9 9 9

    종속/관계기업관련손익 0 0 0 0 0 장기차입금 0 15 15 15 15

    세전계속사업이익 12 12 16 23 27 장기금융부채 (리스포함) 0 0 0 0 0

    세전계속사업이익률 (%) 14.4 12.4 14.4 15.8 15.1 기타비유동부채 0 0 0 0 0

    증가율 (%) 132.3 0.6 40.2 39.4 16.7 기타금융업부채 0 0 0 0 0

    법인세비용 1 2 2 3 4 부채총계 11 34 39 42 45

    계속사업이익 10 10 14 19 23 지배주주지분 42 54 67 87 109

    당기순이익 10 10 13 19 23 자본금 3 3 3 3 3

    당기순이익률 (%) 12.6 10.4 11.8 13.6 12.9 자본잉여금 20 21 21 21 21

    증가율 (%) 124.5 -3.4 37.4 44.9 16.6 자본조정 등 -1 -1 -1 -1 -1

    지배주주지분 순이익 10 10 13 19 23 기타포괄이익누계액 0 0 0 0 0

    비지배주주지분 순이익 0 0 0 0 0 이익잉여금 21 31 45 64 87

    기타포괄이익 0 0 0 0 0 비지배주주지분 0 0 0 0 0

    총포괄이익 0 10 13 19 23 자본총계 42 54 67 87 109

    (단위:십억원) (단위: 원,배,%)

    현금흐름표 2010 2011 2012F 2013F 2014F 주요투자지표 2010 2011 2012F 2013F 2014F

    영업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10 3 18 8 17 EPS(당기순이익 기준) 2,027 1,776 2,458 3,560 4,152

    당기순이익 10 10 13 19 23 EPS(지배순이익 기준) 2,027 1,776 2,458 3,560 4,152

    유형자산 상각비 1 1 1 1 1 BPS(자본총계 기준) 7,013 8,176 11,364 14,991 19,185

    무형자산 상각비 1 1 1 1 0 BPS(지배지분 기준) 7,013 8,176 11,364 14,991 19,185

    외환손익 0 0 0 0 0 DPS 0 0 0 0 0

    운전자본의 감소(증가) -3 -10 3 -13 -7 PER(당기순이익 기준) 8.6 16.8 12.6 8.7 7.5

    기타 1 1 0 0 0 PER(지배순이익 기준) 8.6 16.8 12.6 8.7 7.5

    투자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7 -44 -11 -8 -21 PBR(자본총계 기준) 2.5 3.7 2.7 2.1 1.6

    투자자산의 감소(증가) 0 -39 0 0 0 PBR(지배지분 기준) 2.5 3.7 2.7 2.1 1.6

    유형자산의 감소 0 0 0 0 0 EV/EBITDA(Reported) 5.8 13.7 9.2 6.8 5.4

    유형자산의 증가(CAPEX) -2 -1 -1 -2 -2 배당수익률 0.0 0.0 0.0 0.0 0.0

    기타 -5 -4 -10 -5 -19 성장성 (%)

    재무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8 28 -3 0 0 EPS(당기순이익 기준) 59.1 -12.4 38.4 44.9 16.6

    장기차입금의 증가(감소) -2 18 -3 0 0 EPS(지배순이익 기준) 59.1 -12.4 38.4 44.9 16.6

    사채의증가(감소) 0 9 0 0 0 수익성 (%)

    자본의 증가 11 1 0 0 0 ROE(당기순이익 기준) 32.1 20.4 22.2 25.3 23.1

    배당금 0 0 0 0 0 ROE(지배순이익 기준) 32.1 20.4 22.2 25.3 23.1

    기타 -1 0 0 0 0 ROA 23.4 13.8 13.8 16.6 16.1

    기타현금흐름 0 0 0 0 0 안정성 (%)

    현금의증가(감소) 11 -13 5 1 -4 부채비율 26.9 63.4 58.3 48.0 40.9

    기초현금 3 15 1 6 7 순차입금비율 -47.2 37.3 6.2 -2.3 -15.6

    기말현금 14 1 6 7 2 이자보상배율 147.3 20.3 12.8 18.4 21.3

    * 2010은 K-GAAP 기준, 2011~2014F은 K-IFRS 개별 기준

  • 13

    Mid-Small Cap Analyst 박한우 수석연구위원 02) 3787-2279 / [email protected]

    ▶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추이 ▶ 최근 2년간 유비벨록스 주가 및 목표주가 일 자 투자의견 목표주가 일 자 투자의견 목표주가

    10/08/24 BUY 20,000원 10/09/30 BUY 20,000원 11/01/07 BUY 27,000원 11/03/22 BUY 33,000원 11/05/11 BUY 33,000원 11/07/27 BUY 33,000원 11/11/28 BUY 41,000원 12/03/14 BUY 41,000원 12/04/25 BUY 41,000원

    담당자변경 12/07/06 BUY 41,000원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10/07/05 11/01/05 11/07/05 12/01/05 12/07/05

    유비벨록스종가

    목표주가

    담당자변경

    ▶ Compliance Note • 본 자료를 작성한 애널리스트는 해당 회사의 유가증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본 자료는 기관투자자 또는 제3자에게 제공된 사실이 없습니다.

    • 당사는 추천일 현재 해당회사와 관련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 이 자료에 게재된 내용들은 자료작성자 박한우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 투자의견 분류 ▶ HMC투자증권의 업종투자의견은 3등급으로 구분되며 향후 6개월간 업종 펀더멘털과 업종주가의 전망을 의미함.

    • Overweight : 업종 펀더멘털의 개선과 함께 업종주가의 상승 기대

    • Neutral : 업종 펀더멘털상의 유의미한 변화가 예상되지 않음

    • Underweight : 업종 펀더멘털의 악화와 함께 업종주가의 하락 기대

    ▶ HMC투자증권의 종목투자의견은 3등급으로 구분되며 향후 6개월간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추천종목의 예상 상대수익률을 의미함.

    • BUY : 추천일 종가대비 초과수익률 +15%P 이상

    • HOLD : 추천일 종가대비 초과수익률 -15%∼+15%P 이내

    • SELL : 추천일 종가대비 초과수익률 -15%P 이하

    • 본 조사자료는 투자자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당사의 사전 동의 없이 무단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가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로 얻어진 것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최종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주식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