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42
문법 구분 학습 자료 차시 1 2 3~`6 7 교수·학습 내용 •그림과 문자의 의미 전달력 비교하기 •문자의 특성과 필요성 이해하기 •한글 창제의 동기 및 의의 이해하기 •한글의 제자 및 운용 원리 이해하기 •한글의 문자학적 가치 이해하기 단원의 길잡이 [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2] 국어의 역사 소단원 도입 훈민정음의 창제 •학습 목표 및 주요 활동 개관하기 •생각 열기(플래시) •활동 풀이(ppt) •알아 두기(ppt) •이응태 부인의 편지(플래시) •대단원 도입 영상(동영상) ※어휘 사전·어휘 퀴즈(hwp)(대단원 전 포괄, 소단원별 활용 가능) •찬찬샘 특강(애니메이션) •근대 국어 ①_ 『동국신속삼강행실도』 (플 래시) •근대 국어 ②_ 『신정심상소학』 (플래시) •『동국신속삼강행실도』소개(플래시) •『신정심상소학』소개(플래시) •「유충렬전」소개(플래시) •단원의 마무리(플래시) •문제은행(대단원평가, 수능대비)(hwp) •창의·인성 지문 듣기(mp3) •창의·인성 활동 정리(ppt) •찬찬샘 특강(애니메이션) •한글 위대한 문자의 탄생(동영상) •훈민정음 해례(플래시) •소단원 정리(ppt) •활동 풀이(ppt) •조선 시대 대표적 언해서(hwp) •학습 활동4(플래시) •문제은행(학습지, 소단원평가, 서술형 평가)(hwp) •고대 국어의 고유 명사 표기 방식 이해하기 •향찰 표기의 특징 이해하기 •중세 국어의 표기상의 특징 이해하기 •중세 국어의 음운상의 특징 이해하기 •중세 국어의 문법상의 특징 이해하기 •중세 국어의 어휘상의 특징 이해하기 •한국어의 높아진 위상 확인하기 •남북한 언어의 차이점 이해하기 •바람직한 국어 사용 방향 탐구하기 고대 국어 중세 국어 •찬찬샘 특강(애니메이션) •고대 국어 ①_사포와 곡포(플래시) •고대 국어 ②_ 「서동요」 (애니메이션) •『삼국유사』소개(플래시) •찬찬샘 특강(애니메이션) •중세 국어 ①_ 「용비어천가」 (플래시) •중세 국어 ②_ 『월인석보』 (플래시) •「용비어천가」소개(플래시) •『월인석보』소개(플래시) 8~13 •시대별 국어의 변화 모습 살펴보기 •언어의 변화에 대해 생각해 보기 •근대 국어의 표기상의 특징 이해하기 •근대 국어의 음운상의 특징 이해하기 •근대 국어의 문법상의 특징 이해하기 •근대 국어 시기의 한글 사용의 확대 과정 이해하기 •학습 내용 정리 및 학습 성과 점검하기 •창의·인성 활동 단원의 마무리 소단원 도입 근대 국어 현대 국어 •찬찬샘 특강(애니메이션) •재미있는 북한 말(동영상) •현대 국어 ①_세종 학당(플래시) •현대 국어 ②_ 「황진이」 (플래시) •소단원 정리(ppt) •활동 풀이(ppt) •학습 활동3(플래시) •문제은행(학습지, 소단원평가, 서술형 평가)(hwp) 14 대단원 교수·학습 계획(총 14차시) •생각 열기(플래시) •활동 풀이(ppt) •알아 두기(ppt) •만세보 광고(플래시) 대단원 설정 취지|이 단원은 한글의 창제 동기와 제자 원리를 파악하고 고대·중세·근대·현대 국어 시기의 국어의 변천 과정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이 단원에서는『훈민정음』 (해례본, 언해본) 및 고대·중세·근대·현대 국어의 시대별 특징이 잘 드러나는 문헌 자료를 제시한 후, 다양한 탐구 활동과 학습 활동을 통해 학생들 스스로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국어의 역사를 이해하도록 구성하였다. 이 단원의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이해하고, 국어의 역사 및 미래와 발전 방향을 탐구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한국어와 한글을 소중히 여기고 바르게 쓰는 태도를 기를 수 있을 것이다.

Transcript of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Page 1: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문법

구분 학습자료 차시

1

2

3~`6

7

교수·학습내용

•그림과문자의의미전달력비교하기

•문자의특성과필요성이해하기

•한글창제의동기및의의이해하기

•한글의제자및운용원리이해하기

•한글의문자학적가치이해하기

단원의길잡이

[1] 한글의 제자

원리와가치

[2] 국어의역사

소단원도입

훈민정음의창제

•학습목표및주요활동개관하기

•생각열기(플래시)

•활동풀이(ppt)

•알아두기(ppt)

•이응태부인의편지(플래시)

•대단원도입영상(동영상)

※어휘 사전·어휘 퀴즈(hwp)(대단원 전

체포괄, 소단원별활용가능)

•찬찬샘특강(애니메이션)

•근대 국어①_『동국신속삼강행실도』(플

래시)

•근대국어②_『신정심상소학』(플래시)

•『동국신속삼강행실도』소개(플래시)

•『신정심상소학』소개(플래시)

•「유충렬전」소개(플래시)

•단원의마무리(플래시)

•문제은행(대단원평가, 수능대비)(hwp)

•창의·인성지문듣기(mp3)

•창의·인성활동정리(ppt)

•찬찬샘특강(애니메이션)

•한글위대한문자의탄생(동영상)

•훈민정음해례(플래시)

•소단원정리(ppt) •활동풀이(ppt)

•조선시대대표적언해서(hwp)

•학습활동4(플래시)

•문제은행(학습지, 소단원평가, 서술형

평가)(hwp)

•고대국어의고유명사표기방식이해하기

•향찰표기의특징이해하기

•중세국어의표기상의특징이해하기

•중세국어의음운상의특징이해하기

•중세국어의문법상의특징이해하기

•중세국어의어휘상의특징이해하기

•한국어의높아진위상확인하기

•남북한언어의차이점이해하기

•바람직한국어사용방향탐구하기

고대국어

중세국어

•찬찬샘특강(애니메이션)

•고대국어①_사포와곡포(플래시)

•고대국어②_「서동요」(애니메이션)

•『삼국유사』소개(플래시)

•찬찬샘특강(애니메이션)

•중세국어①_「용비어천가」(플래시)

•중세국어②_『월인석보』(플래시)

•「용비어천가」소개(플래시)

•『월인석보』소개(플래시)

8~13

•시대별국어의변화모습살펴보기

•언어의변화에대해생각해보기

•근대국어의표기상의특징이해하기

•근대국어의음운상의특징이해하기

•근대국어의문법상의특징이해하기

•근대국어시기의한글사용의확대과정이해하기

•학습내용정리및학습성과점검하기

•창의·인성활동

단원의마무리

소단원도입

근대국어

현대국어

•찬찬샘특강(애니메이션)

•재미있는북한말(동영상)

•현대국어①_세종학당(플래시)

•현대국어②_「황진이」(플래시)

•소단원정리(ppt)

•활동풀이(ppt)

•학습활동3(플래시)

•문제은행(학습지, 소단원평가, 서술형

평가)(hwp)

14

대단원교수·학습계획(총 14차시)

•생각열기(플래시)

•활동풀이(ppt)

•알아두기(ppt)

•만세보광고(플래시)

대단원설정취지|이단원은한글의창제동기와제자원리를파악하고고대·중세·근대·현대 국어시기의국어의변천과정을이해하도록하기위해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이 단원에서는『훈민정음』(해례본, 언해본) 및 고대·중세·근대·현대 국어의 시대별 특징이 잘 드러나는 문헌 자료를 제시한 후,

다양한 탐구 활동과 학습 활동을 통해 학생들 스스로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국어의 역사를 이해하도록 구성하였다. 이 단원의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이해하고, 국어의 역사 및 미래와 발전 방향을 탐구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한국어와 한글을 소중히 여기고 바르게 쓰는 태도를

기를수있을것이다.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

Page 2: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훈민정음의창제

(2) 국어의 역사

우리 말과 글이걸어온 길

이단원의성취기준

•[문법]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를 이해하고 우리 말글을 사랑하는 태도를 기른다.̀ : 한글의 제

자원리를탐구하여그과학성과우수성을알게하고배우기쉬운문자인한글이우리사회의발

전에 어떤 기여를 했는지 생각하게 함으로써 그 문화사적 가치를 인식하게 한다. 제자 원리는 자

음자와모음자로나누어탐구하되, 학생들이알고있는다른나라의문자와비교해볼수도있다.

아울러 한글의 가치를 소개한 국내외 학자들의 글을 소개하거나, 한글이 다른 나라의 말을 표기

하는 데까지 쓰이고 있다는 점을 소개할 수도 있다. 이런 활동이 한글을 소중히 여기고 바르게

쓰는태도로이어질수있도록지도한다.

•[문법] 국어의변천과정을이해하고국어의발전방향을탐구한다. :̀ 고대, 중세, 근대의 시기를

거치면서 국어가 어떻게 변해 왔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할 것인지 탐구하고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국어 속에 선인들의 사고가 어떻게 반영되어 왔는지 국어의 변천을 통해

서 이해하고 바람직한 국어 사용의 방향까지 모색해 보도록 한다. 국어의 미래와 관련하여 남북

한의언어동질화문제를다루고국어의위상과발전방향을탐구하여본다.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1 mac02 T

Page 3: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2

단원의

길잡이

62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는지금어떻게살고있을까? 아마도모든국민이평등하

게문명인의삶을누리기는어려웠을것이다. 한글창제는일부계층만이누리고있던

문자세계의문을대중에게열어줌으로써개인의삶을바꾸고, 사회전체를변혁시킨

획기적인사건이었다. 한글이있어서우리는자신의생각과감정을글로표현할수있

게되었고, 우리사회와문화가크게변화하고발전하게된것이다.

그렇다면한글이없던시대의우리말모습은어땠을까? 사실한글창제이전의국어

의모습이어땠는지, 어떻게변하여왔는지명확하게알기는어렵다. 그러나그희미한

흔적 속에서 우리말의 소중한 뿌리를 찾아내고, 흐름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말의 참모

습을 알아 가는 데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다. 이와 더불어 국어의 미래와 관련하여

발전해나아가야할방향또한살펴보아야할것이다.

이단원에서는한글의제자원리와가치를이해하고우리말의변천과정을탐구하기

로한다. 먼저「훈민정음의창제」에서는『훈민정음해례』를토대로한글의자음자와모

음자가어떻게만들어졌고어떻게운용되도록고안되었는지알아보고, 그과학적우수

성을 확인할 것이다. 다음으로「국어의 역사」에서는 우리말을 고대 국어, 중세 국어,

근대 국어, 현대 국어로 나누고 문헌 자료를 통하여 시대별 특징을 탐구할 것이다. 이

와같은학습을통해우리말과글을소중하게여기는태도를기르고, 나아가바람직한

국어사용의방안은물론우리말과글의발전방향도모색할수있을것이다.

참고|우리말·우리글교육의중요성

우리말과 우리글은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 있어 왔다. 만약에 우리말·우리글이 없어진다면 그때가 바로 우리 민족이

사라지는 시기일 것이다. 민족어의 장래는 바로 민족의 장래인 것이다. 개인의 운명이 스스로의 힘에 의하여 개척되는 것

처럼우리민족의운명도우리의손에달려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우리말·우리글의운명도우리가책임져야한다. 말과

글은 저절로 존재하기보다는 관찰·연구·가꿈을 통해서 바른 말·바른 글로 만들어지므로 우리말과 우리글은 꾸준히 연

구하고 교육해야 한다. 국어에 대한 연구는 국어학자들의 몫이라 쳐도, 우리말·우리글에 대한 관찰과 가꿈은 우리 모두

의몫이다. 특히 학교에서의말·글교육은가장기본적인국어사랑의토대이다. 학교에서가르치는학교문법은그런의

미에서모든다른학문보다도우선적으로교육할필요가있다. - 이관규, 『학교문법론』(월인, 2000)

이끌기|학생들에게 만약 한글이 없었다면 우리가 지금 어떻게 살고 있을지를 상상해 보게 한 후, 세종 대왕이 왜 한글을

만들게 되었는지, 한글이 어떠한 면에서 우수한 문자인지, 한글 창제가 개인의 삶과 사회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등

에대해자유롭게이야기하게한다. 또한 한글이없었던시대의우리말모습이어떠했을까를생각해보게하고, 이와 더불

어 현대 한국어의 세계적 위상이 어떠한지, 남북한의 언어는 어떤 차이가 있고 그러한 언어 차이로 인한 문제점은 무엇인

지등에대해이야기해보도록한다. 이를 통해우리말과글에대한학생들의관심을높이고, 이러한 관심을바탕으로하

여이단원에서는한글의제자원리와가치를탐구하고, 우리말의변천과정에대해학습하게될것임을안내한다.

우리말을완전하게표기하는문자인한글이없는상황을가정함.

귀족, 양반 등의지배계층

한글창제의의의

한글창제이전에우리말을어떻게표기했을지에대한궁금증

국어의역사에대한이해

한국어와한글의세계화, 남북한언어의이질화문제, 다문화시대의한국어

한글창제가가져온개인과사회의변화

국어의변천과정과발전방향에대한탐구

이단원에서학습할내용

표기상, 음운상, 문법상, 어휘상의특징

한글의운용방법한글의제자원리

한글과관련된사항이자세히수록된책

『 』̀: 국어를대하는올바른태도

대단원도입영상(동영상)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2 mac02 T

Page 4: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훈민정음의창제(이기문)

•한글의 제자 원리 파악하기

•한글의 과학성과 우수성 탐구하기

•한글을 소중히 여기고 바르게 쓰는 태도 기르기

(2) 국어의 역사

•고대, 중세, 근대 국어 시기의 국어의 변천 과정 이해하기

•국어 속에 반영된 선인들의 사고 이해하기

•국어의 미래와 국어의 발전 방향 탐구하기

■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를 이해하고 우리 말과 글을 사랑하는 태도를 기른다.

■ 국어의 변천 과정을 이해하고 국어의 발전 방향을 탐구할 수 있다.

학|

습|

목|

단원의 길잡이 63

대단원구성방향

이단원은한글의제자원리와국어의변천과정을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우리말과글을사랑

하는태도를기르고, 국어의발전방향을탐구하도록하기위해두개의소단원으로구성하였다.

소단원 (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에서는 한글의 제자 원리를 파악하고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

성을 탐구하는 활동을 할 것이다. 소단원 (2) ‘국어의 역사’에서는 고대·중세·근대 시기의 국어의

변천 과정과 그 속에 반영된 선인들의 사고를 이해하는 활동을 할 것이다. 아울러 현대 국어의 높

아진 위상과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 문제 등을 살펴봄으로써 국어의 미래와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

는활동을할것이다.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5 PM 페이지63 mac02 T

Page 5: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64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 다음 두 표지판은 같은 의미를 담고 있다. (가)의‘그림 표지판’과 (나)의‘문자 표지판’을

의미 전달력이라는 측면에서 비교해 보자.

양은 이 산을 올라가도

사람은 말을 타고 올라갈

수 없습니다.

한글의제자원리와가치

생|각|열|기

(1)

▲ 아메리칸 인디언의 그림 문자 양은 산을 올

라가고, 말을 탄 사람은 넘어져 있는 모습이다.

가 나

예시 답|(가)는 그림의 구체성 덕분에 의미를 빠르고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그림의 특성상 간단한 의미만

담을 수 있어서 복잡한 의미를 전달할 수 없으며 사람마다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반면 (나)는 문자의 특성상 추상성이

강하여그림보다는의미전달이늦고어렵지만인간의복잡한생각을제한없이담을수있고전달하고자하는내용을정

확히전달할수있다.

참고|아메리칸 인디언의 그림

문자

문자 이전에 쓰인 기호 중에

서 가장 보편적으로 통용되었

던 것은 보통 우리가‘그림 문

자’나‘표의 문자’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 중 아메리칸 인디

언들이 사용했던 그림 문자는

수천 개가 있다. ‘통과 금지’라

는 간단한 표시는 뉴멕시코 지

방에서 발견된 것으로, 아주

가파른 오솔길 입구의 암벽에

그림으로 그려져 있다. 산양은

바윗길을 뛰어오를 수 있지만,

말은 곤두박질쳐서 추락해 버

릴 것이라고 표현함으로써 기

마 전사에게 경고하는 내용을

담고있다.

- 조르주장, 『기호의언어』(시

공디스커버리총서 47, 2012)

이끌기|같은 의미를 담고

있는‘그림 표지판’과‘문자

표지판’을 비교해 봄으로써

문자의 특성과 기능을 이해

하는 활동이다. 먼저‘그림

표지판’에 담긴 의미에 대

해 이야기해 보도록 하고,

‘그림’의 의미 전달력과‘문

자’의 의미 전달력이 어떤

점에서 서로 다른지 파악할

수있도록한다. 그리고‘그

림’과‘문자’의특성, 장단점

등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도

록한다.

생각 열기_아메리칸인디언들의암각화(플래시) / 활동 풀이(ppt)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5 PM 페이지64 mac02 T

Page 6: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65

문자의 필요성

문자는 음성 언어와 달리 시·공간의 제약이 없고, 복잡한 내용을 논리적으로 전

달할수있다. 이러한문자의특성덕분에인류는지식을축적하고후손들에게까지

그것을전해줄수있었다. 이같은의미에서볼때문자의등장은인류문명사에서

가장중요한사건이라할수있다.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

한글은 이미 있던 글자를 변형하여 만든 글자가 아니라 독창적으로 만든 글자이

다. 세종은입안에있는발음기관의모양을본떠자음의기본글자를만들고, 우주

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토대로 하여 모음의 기본 글자를 만들었다. 나아가 소리의

속성에따라획을더하는방식으로글자를만들어과학적인문자를완성하였다. 이

처럼독창적이고과학적인한글은세계적으로그가치를인정받고있다.

한글의 보급

세종은백성들이한자를알지못하여죄를짓기도하고억

울한 일을 겪기도 하는 현실을 안타깝게 여겨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는 문자의 필요성과 가치를 깨닫고 고민한 끝에

한글을 창제한다. 이로 인해 백성들은 무지에서 벗어날 수

있었고, 누구나자신의생각과감정을글로전할수있게되

었다. 나아가한글을기반으로한대중예술이꽃피는등한

글은 우리 사회와 문화에 눈부신 발전을 가져왔다. 이렇듯

국민대다수가문맹이던나라가오늘날과같은선진문명국

으로성장하게된것은한글의창제와보급덕분이다.

알|아|두|기

▲ 이응태 부인의 편지 안동의 한 무덤에서 출토된 편지로, 순 한글

로 쓰였다. 세상을 떠난 남편을 그리워하는 부인의 감정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

참고|음성언어와문자언어

언어의수는방대한데비해널리사용되고있는문자체계는수백가지

라고 하니 이 한 가지만 보더라도 언어가 먼저 존재하고 그 뒤에 문자가

생겨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음성 언어, 즉 언어음에 따라‘말하는 언어’

가 먼저 실현되고문자언어, 즉 문자에 의해‘쓰는 언어’는 나중에생겨나

는 것이다. 인간의 역사에서‘말하는 언어’로부터‘쓰는 언어’로 진행되는

이순서는개체로서의인간성장사에서‘말하는언어’로부터‘쓰는언어’로

진행된다는 언어 습득 순서와도 일치한다. 모든 어린아이가 기본적으로 그

렇듯이 사람은 말을 먼저 듣고 말하는 것을 배우고, 그 후에 읽고 쓰는 것

을배운다.

문자로 쓰이고 또 표기법과 정서법을 갖춘 문자 체계가 구축되어‘쓰는

언어’로서 실현되는 혜택을 받은 언어는 많은 언어 중에서 아주 소수에 지

나지 않는다. 대부분의 언어는‘말하는 언어’로서만 존재하며, 어느 사이엔

가소멸되곤한다. - 노마 히데키, 『한글의탄생』(돌베개, 2012)

문자의특성

한글의독창성

한글의과학성

문자의특성과의의

한글의독창성과과학성

한글창제의동기와의의

한글창제의동기

한글창제의의의

문자의의의

알아두기(ppt)

이응태부인의편지(플래시)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5 PM 페이지65 mac02 T

Page 7: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6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6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6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6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6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6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6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6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6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6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6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6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6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6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6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6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6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훈민정음의 창제」는 한글 창제의 동기, 제자와 운용의 원리 및 문자학적 가치를 설명하는

글이다. 어떠한 까닭에서 한글이 과학적으로 우수하다고 하는지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한글을 소중히 여기고 바르게 쓰는 태도를 지녀 보자.

제재선정취지

「훈민정음의 창제」는『훈민정음』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글의 창제 동기

와 정신, 한글의 제자 및 운용 원리, 한글의 문자학적 가치를 설명한 글이

다. 『훈민정음』에는세종이훈민정음을만든목적과동기, 제자 원리, 글자

를 만든 과정 등의 사항들이 자세하게 수록되어 있다. ‘서문’은 언해본 자

료와 현대어 풀이를 함께 제시하여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으며,

‘제자와 운용의 원리’에서는 한글의 제자 원리인 상형과 가획, 합성의 원

리에 대해, 그리고 음소 문자이면서도 음절 단위로 모아쓰는 운용 방식의

장점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문자학적 가치’에서는

한글의 제자 방식이나 운용 원리의 독창성과 문자가 음소들의 발음 특징

을나타내는과학성을자세하게풀이하고있다.

핵심정리

•갈래:̀ 설명문

•성격:̀ 해설적, 객관적, 논리적

•주제:̀ 한글의제자와운용의원리및한글의가치

•특징

- 『훈민정음』어제 서문 자료를 제시하여 15세기 한글의 모습을 생생하

게느낄수있다.

- 『훈민정음』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글 창제의 동기와 의의, 제자와 운용

의원리, 한글의문자학적가치를알기쉽게설명하고있다.

- 구체적인예를들어한글의독창성과과학성을설명하고있다.

- 외국 언어학자의평가를인용하여한글의우수성을강조하였다.

•구성

내용연구

1. 한글의창제동기와정신및의의

•창제 동기:̀ 백성들이 한자를 모르는 탓에 천대받고 때로는 억울한 일을

겪기도 하는 현실을 안타깝게 여겨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는 문자를 창

제하였다.

•창제정신

- 자주정신:̀ 우리나라말이중국과달라한자와서로통하지않는다.

- 애민 정신:̀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제 뜻을 펴지

못하는사람이많아이를가엾게여기게되었다.

- 실용 정신:̀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서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하고자한다.

•창제 의의:̀ 국어의 전면적 표기가 이루어짐으로써 백성들의 문자 생활

이 가능해졌다. 또한 한글을 기반으로 한 대중 예술이 꽃피는 등 사회와

문화에눈부신발전을가져왔다.

2. 한글의제자와운용의원리

•초성 글자의 제자 원리:̀ 기본 다섯 글자(ㄱ, ㄴ, ㅁ, ㅅ, ㅇ)는 입과 입안

발음기관의모양을상형하였으며, 그 밖의 초성글자들은다섯글자에가

획의 원리를 적용하여 만들었다. 상형이나 가획의 원리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이체자(ㆁ, ㄹ, ㅿ)도 있다.

•중성 글자의 제자 원리:̀ 기본 세 글자(·, ㅡ, ㅣ)는 하늘, 땅, 사람의 모

양을 상형하였으며, 그 밖의 중성 글자들은 기본 글자들의 합성으로 만들

었다.

•종성 글자는 따로 만들지 않고 초성 글자를 다시 쓰도록 하였다. 이는

초성과 종성의 자음을 발음할 때 다른 소리로 발음되나 두 소리를 같은

음소로인식하였음을드러낸다.

•한글은 음소 문자이지만 발음의 단위까지 고려하여 음절 단위로 모아쓰

는방식을택했다. 모아쓰기는기존에쓰던한자와함께쓸때효과적이다.

3. 한글의문자학적가치

•독창성:̀ 한자 문화권에서 만들어진 유일한 음소 문자이면서도 글자를

만드는방식이나운용하는방법이매우독창적이다.

•과학성:̀ 국어의 음소를 하나씩의 기호로 나타내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음소들의 발음 특징을 기호로 나타내고 있다. 발음 위치나 소리의 세기에

따라각문자의속성이비례적으로나타난다.

서문- 한글창제의동기와정신

- 한글창제의의의

- 초성글자를만든원리

- 중성글자를만든원리

- 종성글자를만든원리

- 음절단위로모아쓰기의장점

- 한글의제자방식과운용방법의독창성

- 음소들의발음특징을나타내는한글의과학성

- 한글의독창성과과학성에대한세계적인찬사

제자와

운용의

원리

문자학적

가치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5 PM 페이지66 mac02 T

Page 8: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67

훈민정음의창제이기문

세종 `어제 ̀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

世·솅宗 御· 製· 訓·훈`民민`正· 音`

나·랏:말` ·미 中` `國·귁·에 달·아 文문`字· ·와·로 서`

르 ` ·디 아·니` ··이`런 젼· ·로 어·린 百· `姓·

·이니`르·고·져· ·배이·셔·도 · :내제· ·들 `시·러

펴·디 : ` ·노·미하·니·라·내·이· `爲·윙· ·야 :어`

엿·비 너·겨·새·로 ·스·믈`여· 字· · · `노·니 :사`

:마·다 : · :수· 니·겨 ·날·로 · ·메 便` `安` ·

·고·져 ` ·미`니·라

현대어 풀이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니 이런

까닭에, 어리석은백성이말하고자하는바가있어도마침내제뜻

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도다. 내가 이를 가엾게 여기어 새

로스물여덟글자를만드니, 모든사람들로하여금쉽게익혀서날

마다쓰는데편하게하고자할따름이니라.

이기문(1930~ )

국어학자. 주로 우리말의 계통과

역사를 연구하였다. 주요 저서로

『국어사 개설』, 『국어 음운사 연구』

등이 있다.

『훈민정음』서문

훈민정음은 문자의 이름이자 책 이

름이기도 하다. 책『훈민정음』에는

세종의 서문이 있는데, 이 서문을

통해 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와 더불

어 세종이 지니고 있던 자주, 실용,

애민의 정신을 엿볼 수 있다.

내용연구

①언어적특징

- 성조(음의 높낮이)를 표시하

는방점을사용함.

- 이어적기(연철)를 함.

- ‘ㆆ, ㆁ, ㅸ,·’등을사용함.

- 모음 조화가 비교적 잘 지켜

짐.

-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법을

사용함.

- 주격 조사로‘ㅣ’를사용함.

② 의미가변한단어

- 말 (말 → 남의 말을 높이거

나자기말을낮추는말)

- 어리다(어리석다 → 나이가

적다)

- 놈(사람 → 남자를 낮잡아 이

르는말)

- 하다(많다 → 행동이나 작용

을이루다)

- 여엿브다(가엾다→예쁘다)

참고|훈민정음의창제동기

『훈민정음』의서문을근거로할때우리말을쉽게표기할수있는문자를만들려고한것이훈민정음창제의주

된 동기였다고 볼 수 있다. 국어는 중국어와 다르니 한자와는 다른 문자가 있어야 한다는 생각과 백성의 편의를

도모해야한다는생각이서문에분명히나타나있다. 이런 생각은현대적의미의자주정신이나민본주의또는민

주주의와동일시할수는없지만, 중세의통치자에게우리가기대할수있는최선의것이라할수있다.

백성을 위하는 세종의 마음은 여러 모로 나타난다. 세종은 일찍부터 이두가 꺽꺽하고 막히어서 백성들이 사용

하기에는 부적합함을 안타깝게 여겼음이 분명하다. 그리하여 이보다 더 간편한 문자를 만들어서백성들이 쓰도록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특히 범죄 재판이 공평하게 다스려지지 않음을 가슴 아프게 여겨 백성들에게

억울함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을 갖게 해야겠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리하여 훈민정음을 처음 세상에

발표했을때이런뜻을밝힌것으로보인다. - 국사편찬위원회, 『신편한국사』(탐구당, 2003)

나라+ㅅ+말 +이(주격조사) 다 +아

과(비교격조사)

와(공동격조사)

까닭으로 어리석은

+오+ㅭ 바`+ㅣ(주격 조사) 끝내이(주격조사)

나`+ㅣ(주격 조사)

+이+어, 하여금 닉+이+어, 익혀 +움+에(부사격조사)

+ +오+니

훈민정음창제당시 28자

•자음(초성 17자)̀: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 ㅈ, ㅊ, ㅋ, ㅌ, ㅍ, ㅎ, ㆆ, ㅇ, ㅿ

•모음(중성 11자)̀: ·, ㅡ, ㅣ,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

너기+어가엾게

놈(사람)+이(주격 조사) 하다(多)

+이+니라(<다)

+을 능히

아니 +ㄹ (이유)통하지

세종대왕께서만드신백성을가르치는바른소리

음운·어휘·문법체계가다름, 자주 정신

애민정신

실용정신

찬찬샘특강_훈민정음의창제①(애니메이션) / 한글, 위대한문자의탄생(동영상)

소단원정리(ppt) / 참고 자료_̀̀조선 시대대표적언해서(hwp)

『 』̀: 실용 정신

『 』̀: 애민 정신

『 』̀: 자주 정신

동국정운식한자음표기(세종당시의한자음을중국한자의원음에가깝게표기함.)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5 PM 페이지67 mac02 T

Page 9: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68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삼강행실도』는충신, 효자, 열녀에관한이야기들을모아백성들의모범으로

삼고자편찬■̀

한책이다. 그러나이책이편찬될당시에는우리의문자가없었으

므로책내용은백성들이읽을수없는한문으로표기할수밖에없었다. 그래서

세종이 떠올린 것은 그림이었다. 세종은 그림이 있으면 글을 모르는 백성들도

내용을 알 수 있으리라 생각했던 것이다. 하지만 그림만으로는 백성들을 이해

시키기에 여전히 부족했다. 글을 모르는 탓에 천대받고 때로는 억울하게 지내

야했던백성들을걱정하던왕은결국새로운문자를우리에게선물했다.

세종 25년(1443년)에‘훈민정음’이라는이름의새문자가탄생했다. 이는 세

종의여러문화적업적중에서도가장뛰어난것이었을뿐아니라, 우리민족의

다양한문화적창조중에서도가장빛나는것이었다. 한글창제의가장큰의의

는국어의전면적표기가이루어질수있었다는것이다. 한글창제이전에는한

자를이용하여국어를표기하는길밖에없었는데이것은극히불완전하고단편

적이었다. 즉, 말을할때는국어를말하고글을쓸때는한자를쓰는기형적인

상태가오래지속되어온것이다. 그러니문자생활은일부계층의전유물이될

수밖에없었다.

이리하여국어를전면적으로그리고완전하게표기하고싶은소망이수천년

동안우리민족사이에쌓여왔던것이다. 한글의창제는이러한민족적소망을

성취한것이었다. 여기에한글창제의역사적필연성이있다.

■편찬 여러 가지 자료를 모아서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책을 만듦.

▲ 훈민정음언해 ▲ 훈민정음해례

■편찬 여러 가지 자료를 모아서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책을 만듦.

참고|한글창제의동기와목적

•언어·문화적 측면:̀ 한문과 이

두문 사용의 모순과 불편, 표준

발음의필요와한자음정리

•정치·사회적 측면:̀ 문서 보급

의 필요성과 교화, 왕조의 정당

성홍보

한문본, 1434년 간행

세종의애민정신이한글창제로이어짐.

세종의한글창제동기

한글창제의의의

한글창제의역사적필연성

한자및차자표기법 - 이두, 향찰 등을활용함.

한글창제의의의

언문불일치

한자를이용하여국어를표기하는방법은극히불완전하고단편적이기때문에

양반등의지배계층만이문자생활을누림.

참고|『훈민정음해례본』과『언해본』

『훈민정음해례본』은 1446년(세종 28년)에 발간된 원간본이다. 1940년

경상북도 안동에서 발견되어 현재 간송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책에

는세종대왕이훈민정음을만든목적과동기, 제자 원리, 훈민정음을만든

과정등의사항이수록되어있다. 특히 훈민정음의제자원리, 창제와반포

의시기, 편찬자의이름이자세히기술되어 있어서, 훈민정음과 관련하여

제기되었던 많은 의문이 이 책으

로써 풀리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훈민정음해례본』의 학술적, 문화적, 역

사적 가치를 인정하여서 국보 70호로 지정하였으며, 유네스코에서도 세계

기록유산으로등재하였다.

『훈민정음언해본』은 한문으로 된『훈민정음해례본』에서 어제 서문과 예

의(例義) 부분만을 한글로 풀이하여 세조 5년에 간행한 것으로, 중세 한국

어의모습을알수있는중요한문헌자료이다.

- 나찬연, 『훈민정음의이해』(월인, 2012)

『 』̀: 한글 창제이전의상황

한글은 1443년에창제되었으므로

『삼강행실도』의간행목적

『 』̀: 한글 창제의역사적필연성

훈민정음해례(플래시)

(060~077)241교사용2 2016.1.4 10:39 AM 페이지68 mac02 T

Page 10: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69

제자와 운용의 원리

이새로운문자에대한설명서라고할수있는『훈민정음해례』에는초성글자

17자와중성글자11자를만든원리에대한설명이보인다.

이것은초성글자를만든기본원리가입과입안발음기관의모양을본뜬것

임을 간명하게 설명하고 있다. 먼저 초성들이 발음되는 위치를 다섯으로 나누

고, 이 다섯 위치에서 나는 가장 약한 소리를 고른 다음, 이 다섯 소리와 직접

관련이 있는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ㄱ, ㄴ, ㅁ, ㅅ, ㅇ’을 만들었다는 것

이다.

훈민정음 28자는 각각 그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초성은 모두 17자이

다. 어금닛소리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은 모양을 본떴고, 혓소리 ㄴ은

혀가윗잇몸에붙은모양을본떴다. 입술소리ㅁ은입의모양을, 잇소리ㅅ

은이의모양을, 목구멍소리ㅇ은목구멍의모양을본뜬것이다.

『훈민정음해례』의성격과내용

초성기본글자들을만든원리 - 상형

참고|독창적이고합리적인한글의자형

문자를 만들 때에 어떤 종류의 발음을 표기할 문자를 몇 자 만들 것인가도 어려운 문제이지만, 어떤 발음에 대

한 문자의 자형을 어떻게 만드는가도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대개는 기존의 문자에서 빌리거나 따서

쓰는 방법을 취한다. 가령 티베트 문자가 인도 문자에서, 몽골 문자가 위구르 문자에서 각각 파생한 것과 같다.

그런데 훈민정음은그처럼모방하는방식을따르지않고그소리가나는발음기관을상형하여자형을새로만들

었다. 참으로독창적이고합리적인창안이실현되었다.

초성은 발음의 위치에 따라 구분된 다섯 음에서 각각 기본이 된 글자 하나씩을 정하여 그 발음 기관의 모양을

상징하는 자형을 먼저 만들었다. 그리고 다섯 개의 기본 글자를 기초로 발음의 세기에 따라 획을 조금씩 더해서

글자 수를 늘려 갔다. 다음으로 중성은 후설 모음을 하늘, 중설 모음을 땅, 전설 모음을 사람으로 정하여 이를 상

징하는 기본 글자의 자형을 만들고, 이 세 개의 기본 글자를 토대로 서로 결합시켜 점점 글자 수를 늘렸으며, 많

은 이중모음도조성되었다. - 조르주장, 『문자의역사』(시공디스커버리총서 1, 2005)

아음(牙音)

초성(자음) 17자 + 중성(모음) 11자

설음(舌音)

순음(脣音)

상형

치음(齒音)

후음(喉音)

발음기관의모양을상형하여초성글자(자음자)를 만듦.

『훈민정음해례』의성격과내용 ‘해례(解例)’의사전적의미: 보기를들어서풀이함.

제자(製字)의 원리

글자를만듦.

무엇을움직이게하거나부리어씀.

혀, 입, 이, 목구멍

찬찬샘특강_훈민정음의창제②(애니메이션)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5 PM 페이지69 mac02 T

Page 11: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7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이밖의초성글자들은앞의다섯글자에가획(加劃)의원리를적용하여만들

었다.

가획의원리란다섯개의기본글자에획을하나또는둘을더하여같은위치

에서나는강한소리들을표시하는글자를만드는것이다. 이리하여글자와그

것이 표시하는 소리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성립되었다. 우리가 한글을 과학적

이라 함은 바로 이 사실을 가리킨다. 일찍이 어떤 문자도 이와 같은 과학적 원

리로만들어진일이없었던것이다.

초성글자들이발음기관의상형■̀

을기본방법으로삼아만들어졌음에비하여

중성글자들은상형이기는하되그대상이달랐다. 중성의기본글자를셋으로

보고이셋을각각하늘, 땅, 사람의모양을본떠‘·, ㅡ, ㅣ’의모양으로만들

었다. 이는중성의경우그것이소리나는발음기관의모양을본뜨기도어렵다

는 이유도 있었지만, 당시의 지배적 이론이었던 성리

학을반영하고자하였던의도도있었던것으로보

인다. 예로부터동양철학에서는하늘, 땅, 사람

을 삼재(三才)라고 하여 우주 만물의 기본 요

소로 생각하여 왔는데 이들의 상형으로 중성

의기본글자를만들었던것이다.

이밖의중성글자들은기본중성글자들의합

성으로 이루어졌다. 먼저‘ㅡ’와‘ㅣ’의 위와 아래,

오른쪽과 왼쪽에‘·’가 덧붙어‘·ㅡ, ·ㅡ,ㅣ·,·ㅣ’가

만들어졌고, 이들에 다시‘·’가 하나씩 덧붙어

‘·ㅡ·,·ㅡ·,ㅣ··,··ㅣ’가 만들어졌다. 이렇게 기본자의

합성으로만들어진모음자를복합어라고하였다.

ㅋ은ㄱ에비하여소리가조금세게나기때문에획을더한것이다. ㄴ과

ㄷ, ㄷ과ㅌ, ㅁ과ㅂ, ㅂ과ㅍ, ㅅ과ㅈ, ㅈ과ㅊ, ㅇ과ㆆ, ㆆ과ㅎ은그소

리에따라획을더한뜻이모두이와같다.

이체자

초성 글자들 중에는 상형과 가획만

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것도 있

다. 예를 들어‘ㆁ’은 초성과 종성

에 모두 쓰인 글자로‘ㄱ’과 같은

어금닛소리이지만 그 소리가 목구

멍소리인‘ㅇ’과 비슷하여 목구멍

모양을 본떠 만들었다. 또‘ㄹ’과

‘ㅿ’은 각각‘ㄴ’과‘ㅅ’에 획을 더

하여 만든 글자이기는 하지만, 획을

더한 이유가 소리가 세지기 때문은

아니었다. 이렇게 예외적으로 만들

어진 글자를‘이체자’라고 한다.

■상형(象形) 물체의 형상을 본

떠서 글자를 만드는 방법.

기본글자를제외한초성글자들을만든원리 - 가획

가획의원리와한글의과학성

그밖의중성글자들을만든원리 - 합성

중성기본글자들을만든원리 - 상형

한글의과학성

ㄱ, ㄴ, ㅁ, ㅅ, ㅇ ㅌ, ㅍ, ㅊ, ㅎ

ㅋ, ㄷ, ㅂ, ㅈ, ㆆ

천(天, 하늘), 지(地, 땅), 인(人, 사람) 삼재(三才)의 상형

중성글자(모음자)를 만든철학적바탕

초출자(初出字), 단모음

재출자(再出字), 이중 모음

기본자보다소리가세게나기때문에획을더함.

가획의원리

아음

(牙音)ㄱ ㅋ ㄲ ㆁ

설음

(舌音)ㄷ ㅌ ㄸ ㄴ

순음

(脣音)ㅂ ㅍ ㅃ ㅁ

치음

(齒音)ㅅ, ㅈ ㅊ ㅆ, ㅉ ㅇ

후음

(喉音)ㆆ ㅎ

반설음

(半舌音)ㄹ

반치음

(半齒音)ㅿ

전청

(全淸)

차청

(次淸)

전탁

(全濁)

불청불탁

(不淸不濁)

상형 기본자

하늘

사람

·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

ㅘ, ㆇ

ㅝ, ㆊ

초출자 재출자 합용자여ㅣ상합자(與ㅣ相合字)

기본, 초출, 재출, 합용자에ㅣ를합용한자

ㆎㅚㅐㆉㅒㅙㆈ

ㅢㅟㅔㆌㅖㅞㆋ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5 PM 페이지70 mac02 T

Page 12: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1

종성을위한글자는따로만들지않고초성글자를다시쓰도록하였다. 예를

들어‘밥’의 초성‘ㅂ’은 양 입술을 붙인 후 터뜨리는 소리이고, 종성의‘ㅂ’은

양 입술을 붙이고 터뜨리지 않는 소리로 실제로 발음할 때 그 소리가 다르다.

그러나이를표기할때는똑같이‘ㅂ’으로쓰도록한것이다. 이것은쉽게지나

쳐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사실이다. 우리가 초성의‘ㅂ’과 종성의‘ㅂ’을 발음

할때에는서로다른소리로발음하면서그소리를인식할때는같은음소■̀

로인

식하고있음을드러내고있기때문이다.

한편 한글은 음소 문자이지만, 그 합자법■̀

이 특이하다. 즉 초성·중성·종성

을 가로 또는 세로로 나란히 배열하지 않고 한 덩어리로 묶어서 쓰는 것이다.

예를 들어‘한글’이라는 단어는‘ㅎ, ㅏ, ㄴ, ㄱ, ㅡ, ㄹ’의 자음과 모음의 연속

으로이루어져있다. 하지만우리는그각각을발음하고인식하기보다는‘한’과

‘글’처럼 더 큰 단위인 음절■̀

로 묶어서 말하고 듣는다. 한글은 음소 문자이면서

도 이러한 발음의 단위까지 고려하여 음절 단위로 모아쓰는 방식을 택한 것이

다. 이밖에도모아쓰기는기존에쓰던한자와함께쓸때도효과적이라는장점

을지닌다. 이것은이미쓰고있는한자가하나의글자로하나의음절을나타내

고있으니, 이와섞어쓸수있도록한글도음절단위로모아쓰도록한것으로여

겨진다.

■음소 단어의 의미를 구별 짓는

최소의 소리 단위. 음운.

■합자법(合字法) 둘 이상의 글

자를 합하여 한 글자를 만드는

방법.

■음절 한 번에 낼 수 있는 소리

의 덩어리. 몇 개의 음소로 이루

어지며, 모음은 단독으로 한 음

절이 되기도 한다. ‘아침’의‘아’

와‘침’따위이다.

종성에는초성글자를다시쓰도록함.

음절단위로모아쓰는한글의합자법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

파열음

불파음

같은음소에속하지만음운환경에따라소리가달라지는변이음관계를알고있었음.

표음문자가운데음소적단위의음을표기하는문자

같은음소에속하지만음운환경에따라소리가달라지는변이음임.

발음할수있는최소의단위

발음단위인음절단위로모아씀.

한글의합자법(모아쓰기)이 한자와함께쓸때효과적인이유

참고|‘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규정의의미

세종은 국어의 음소 체계를 수립함에 있어 중국 음운학의 영향을 받았지만, 우리 국어의 연구에 적합한 새로운

이론을 발전시켰다. 세종의 음운 이론은 음절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 점은 중국 이론의 영향이 드러나지만,

우리나라 이론과 중국 이론의 본질적 차이는 음절의 분석에서 드러난다. 중국에서는 한 음절을 두 도막으로 나누

어 그 첫 도막을 성(聲)이라 하고 나중 도막을 운(韻)이라 하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한 음절을 세 도막으로 나누

었던것이다. 그 결과초성·중성·종성이라는새로운술어가생겨나게되었다.

그런데 한 음절을 세 도막으로 나누는 데 그쳤다면 그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없었을 것이다. 세 도막으로

나누고 그 첫 도막(초성)과 끝 도막(종성)의 동일성을 확인한 것이 이 새로운 이론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훈민정

음』(해례본)의“종성은 초성을 다시 쓴다.”고 한 규정은 비록 짧은 한마디에 지나지 않지만, 이론적으로 매우 큰

중요성을지니는것이다. 훈민정음이진정한의미의음소문자가된것도이규정덕분이었다.

- 국사편찬위원회, 『신편한국사』(탐구당, 2003)

참고|음소와음성

음소는 한 언어에서 의미를 분화시키는, 즉 의미를 변별시키는 구실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음성과 구별된다. 가

령, 한국어의 음소‘ㄹ’은 종성에서는 설측음(舌側音) [l]로 실현되지만(예⃝ 불[bul], 날다[nalda]), 초성에서는 탄설

음(彈舌音) [r]로 실현된다(예⃝ 나라[nara]). 곧, 한국어에서는 두 음성 [l]과 [r]은 출현하는 자리에 따라 실현되는

음성은 다르지만 의미 변별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그러나 영어의 [l]과 [r]은‘light[lait]’와‘right[rait]’에서 보듯

이같은자리인어두(語頭)에 실현되면서‘가벼운’과‘옳은’과같이그뜻을변별시키고있다. 즉, 음성적으로다른

[l]과 [r]은 영어에서는 의미 변별력이 있어 두 음소를 이루고 있는 반면에, 한국어에서는 의미 변별력이 없어 하

나의음소를이루고있는것이다.

세종 대왕은 이런 한국어의 특징을 파악하고 종성의 글자를 따로 만들지 않고 초성 글자를 다시 쓰도록 하였

다. 이 규정으로인해한글이진정한음소문자로인정받을수있는것이다.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5 PM 페이지71 mac02 T

Page 13: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72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문자학적 가치

문자는그림으로부터발달하였다. 이것을회화문자라부르기도하나엄밀한

의미에서는문자라고할수없다. 기호들이의미또는소리의단위를나타내야

문자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문자는 크게 둘로 나뉜다. 첫째

는표의문자■̀

요, 둘째는표음문자■̀

이다. 표음문자에는크게두종류가있다. 그

하나는음절을표기하는것이요, 또하나는음소를표기하는것인데, 한글은음

소를표기하는‘음소문자’에속한다.

그렇다면 세계 문자들 중에서 한글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위치는 어떤 것인

가. 첫째로 독창성을 들 수 있다. 한글은 한자 문화권에서 만들어진 유일한 음

소 문자이면서도 글자를 만드는 방식이나 운용하는 방법 등이 매우 독창적이

다. 사실 한글과 같이 한 개인이 주도적으로 창제한 문자가 성공을 거둔 것은

그유례를찾기어렵다.

둘째로과학성을들수있다. 우선한글은국어의음소를하나씩의기호로나

타내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음소들의 발음 특징을 기호로 나타내고 있다. 가령

로마문자의‘M’은본래발음인 [m]과는아무런본질적인관계가없다. 하지만

한글의‘ㅁ’은 이 음소가 발음되는 입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한글은각문자의속성이비례적으로나타난다. 예를들어양입술을이용하여

발음하는자음인‘ㅁ, ㅂ, ㅍ’에입술의모양을본뜬‘ㅁ’모양이공통으로나타

난다든지, ‘ㄴ, ㄷ, ㅌ’처럼 소

리가 강해질 때 모두 똑같이

가로로된획을더한다든지하

는 것이다. 이러한 한글의 과

학성은 한글을 배울 때 기본

글자와일정한원리만알면나

머지 글자들을 쉽게 배울 수

있게 해 주어 문자의 보급에

이바지하였다. 이러한 문자의

보급이우리사회와문화의발

■표의 문자(表意文字) 하나하나

의 글자가 언어의 음과 상관없

이 일정한 뜻을 나타내는 문자.

고대의 회화 문자나 상형 문자

가 발달한 것으로 한자가 대표

적이다.

■표음 문자(表音文字) 말소리를

그대로 기호로 나타낸 글자. 한

글, 로마자, 아라비아 문자 따위

가 있다.

그림문자

음절문자 - 일본어의가나등 음소문자 - 영어의로마자등

기호들이의미의단위를나타내는문자 기호들이소리의단위를나타내는문자

한글의독창성한글의문자학적가치①

한글의문자학적가치② 한글의과학성

음소들의발음특징을기호로나타낸예①

음소들의발음특징을기호로나타낸예②

한글의제자방식이나운용방법의독창성

음소문자에속하는한글

발음기관의모양이나소리의특성과같은음운적자질을시각적으로표현하여만든문자체계로‘자질문자’라고도함.

음소들의발음특징을기호로나타낸예③

한글의과학성의효과와의의

문자의기본요건

참고|문자의분류

문자 운용의 원리에 따라 문자를 분류하면, 문자의 기능이 표의적으로 쓰인 표의 문자와 표음적으로

쓰인표음문자로나눌수있다. 그림 문자나상형문자는표의문자에속하고, 음절 문자나음소문자는

표음문자에속한다.

그림 문자는 고대인들의 신앙이나 생활을 반영하는 그림들로 동굴이나 무덤 속, 바위 등에 남아 있는

것들이며, 단어 이상의 문장 단위를 표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후 그림 문자가 대체로 어떤 단어 단

위의 의미를 가리키는 개체 도형으로 간결화한 것이 상형 문자이다. 상형 문자 중에 잘 알려진 것이 이

집트의신성문자, 수메르의초기설형문자와고대한자이다.

음절 문자는 단어 단위에서 음절 단위를 표시하는 문자 기호가 나타나는 문자를 말한다. 일본의 가나

문자는 한자를 이용한 음절 문자이다. 음소 문자는 자음과 모음 단위를 표시하는 문자 기호를 만들어 쓴

경우로, 히브리 문자, 페니키아 문자처럼 자음자만으로 운용되는 경우와 한글, 영문자, 희랍자처럼 자음

자와모음자를다갖추어운용하는경우로나뉜다. - 민현식, 『국어정서법연구』(태학사, 2001)

중국으로부터한자를받아들인나라들. 중국, 한국, 일본 등

세종대왕

같거나비슷한예

찬찬샘특강_훈민정음의창제③(애니메이션)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5 PM 페이지72 mac02 T

Page 14: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전에큰기여를하였음은물론이다.

음소문자, 아니 그것보다더분석적인문자로서의한글을두고미국의언어

학자레드야드는“비교할수없는문자학적사치”라는찬사를보낸바있다. 이

렇듯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독창적이고 과학적인 문자 한글. 한글 덕분에 우리

는한글을‘수 니겨’찬란한문화를꽃피우고, 국민들한명한명에게까지그

‘곶’과‘여름’이돌아가게된것은아닐까.

(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3(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3(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3(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3(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3(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3(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3(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3(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3(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3(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3(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3(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3(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3(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3(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3(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3

음소들의발음특징이기호에나타나는한글의과학성

한글의독창성과과학성에대한세계적인찬사

참고|자질문자

영국의 언어학자 제프리 샘슨은 1985년 자신의 저서『문자 체계』에서

한글을‘가장독창적이고도훌륭한음성문자’라고명명했다.

샘슨은 한글의 자음을 입안에서 소리가 만들어지는 위치(조음점)와 소리

를만들어내는방법(조음 방식)을 중심으로체계를세웠다. 15세기에만들

어진한글이오늘날언어학이론으로봐도결코손색이없을정도로잘짜

인체계를이루고있다는점은놀라운일이다. [중략]

여기서 양순음, 설단음과 같은 다섯 계열에 속해 있는 글자들은 우리가

가획의 원리라고 알고 있는 것이다. 기본 글자에 획을 하나씩 더 그어서

속성이 비슷한 다른 글자를 만들어 나가는 방식이다. 샘슨은 바로 이러한

성질을‘자질’의 관점에서 새롭게 접근했다. 그는‘ㅇ:̀̀ㆆ:̀̀ㅎ’이나‘ㅁ:̀̀ㅂ:̀̀

ㅍ’과 같은 대립 쌍에서‘수평선 없음, 수평선 하나, 수평선 둘’의 의미를

각각‘발음의방해가없는상태, 순간 방해가있는상태, 연장 방해가있는

상태’를 표시한다고 말하고 있다. 음성적으로 같은 계열에 속하는 글자들

이그모양에서동질성을유지하면서기본자에획을더함으로써새로운문

자를 파생시켰다는 점을 매우 높이 평가한 것이다. 한글을 음소 문자이지

만 새로운 차원의 자질 문자로 분류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영어의

경우 소리가 비슷한‘t’와‘d’, ‘m’과‘p’는 글자 모양에서 어떤 공통점도

없지않은가.

- 최경봉외『한글에대해알아야할모든것』(책과함께, 2008)

참고|한글에대한외국언어학자들의평가

•미국 라이샤워(E. O. Reischauer) 교수:̀ 한글은 오늘날 사용되는 문자

체계중가장과학적이다.

•네덜란드포스(F. Vos) 교수:̀ 한국인이 세계에서가장좋은알파벳을발

명했다.

•미국 맥콜리(J. D. McCawley) 교수:̀ 한글은 조음 음성학적 분석을 바

탕으로 만들어진 알파벳이며, 소리의 음성적 특징을 시각화하는 데 우수하

다.

•영국 샘슨(G. Sampson) 교수:̀ 한글은‘ㄷ-ㅌ-ㄸ’처럼 기본 글자에 획

을 더하거나 같은 글자를 반복함으로써 음소의 자질을 체계적으로 나타내

주고있고, 이러한특징은다른문자체계에서는찾을수없다.

•독일 자쎄(W. Sasse) 교수:̀ 서양이 20세기에 들어서 완성한 음운 이론

을 세종 대왕은 그보다 5세기나 앞서 체계화했고, 한글은 전통 철학과 과

학이론이결합한세계최고의문자이다.

•일본 우메다(H. Umeda) 교수:̀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발달된 음소 문자

이며, 로마자보다 진일보한 자질 문자로서 세계에 자랑할 만한 문자 체계

이다. - 디지털한글박물관(http://www.hangeulmuseum.org)

한글의문자학적가치를매우높이평가함.

글자의모양이음소의자질을반영함으로써자질문화의성격을지닌한글의특성을염두에둔표현임.

꽃과열매, 문자 생활의혜택

쉽게익혀

▼「훈민정음 반포도」(가상도)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5 PM 페이지73 mac02 T

Page 15: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한글의 창제 정신 파악하기

74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1)『훈민정음』서문을 참고로 하여 한글 창제 이전의 백성들의 삶을 짐작해 보고,

어떤어려움을겪었을지생각해보자.

1『훈민정음』서문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학습 활동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니, 이런 까닭에 어

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많도다. 내가이를가엾게여기어새로스물여덟글자를만드니, 모든

사람들로하여금쉽게익혀서날마다쓰는데편하게하고자할따름이니라.

(2)『훈민정음』서문에서한글의창제정신이드러난부분을찾아써보자.

자주 정신

애민 정신

실용 정신`

이끌기|1-(1) 문자와 관련

하여 한글 창제 이전의 백

성들의 삶을 짐작해 보는

활동이다. 문자가 지식을

습득하고 생각과 감정을 표

현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

임을 알게 하고, 이를 바탕

으로 문자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어

떤 어려움이나 불편함을 겪

을지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

다.

이끌기|1-(2) 『훈민정음』

서문의 내용을 통해 세종의

한글 창제 정신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먼저 서문에 한

글 창제와 관련하여 세종의

어떤 생각이 드러나 있는지

이야기해 보도록 하고, 그

후에 세종의 자주·애민·

실용 정신이 드러나는 구절

을찾도록지도한다.

예시답|글자를모르기때문에무지하였고, 문명의 혜택을온전히누릴수가없었으며, 문서를 읽을수없었기

때문에많은일에서억울함을겪었을것이다.

예시답|우리나라말이중국과달라한자와서로통하지아니하니이런까닭에

예시 답|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

이많도다. 내가 이를가엾게여기어

예시 답|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서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니

라.

참고|세종의훈민정음창제의도를뒷받침하는사례

세종 10년에 진주의김화라는사람이자신의아버지를살해한사건이일어났는데, 세종이 이사실을듣고놀

라면서“세상 풍속이 박악하여 자식이 자식 노릇을 하지 않는 자도 있다. 효행록을 지어 이런 어리석은 백성을

깨우쳐주고자하니집현전이이를주관하라.”라고하였다.

또 14년 음력 11월 7일 정사를 볼 때“비록 사리를 아는 사람이라도 법률을 알아야 죄의 경중을 알게 되거

늘, 하물며 어리석은 백성이야 어찌 범죄의 경중을 알아서 스스로 고치겠는가. 비록 백성들로 하여금 법을 다

알게 할 수는 없을지라도 따로 이 큰 죄의 조항만이라도 뽑아 적고 이두로 번역하여 민간에 반포하여 그들로

하여금 범죄를 피할 줄 알게 함이 도리가 아니겠는가.”라고 좌우 신하들에게 언급한 것이 보이는데 이것이 바

로그기록이다. 이처럼세종은우민을교도하기위하여여러방편을마련하려고노력하였으며『농사직설』, 『삼

강행실도』등에 그림을 그려 글보다 앞에 넣기도 하고 이두로 번역을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도 세

종이 생각하는 바에 미치지 못하자, 우리말에 적합한 새 글자를 만들어 우민을 깨우치는 수밖에는 별도리가

없다고생각하였을것이다. - 디지털한글박물관(http://www.hangeulmuseum.org)

활동 풀이(ppt) / 문제은행(학습지, 소단원평가, 서술형평가)(hwp)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5 PM 페이지74 mac02 T

Page 16: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한글의 제자 원리 이해하기

(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5

2 한글의 제자 원리에 주목하여 다음의 표를 완성해 보자.

본뜬 모양 기본자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은 모양ㄱ

혀가 윗잇몸에

붙은 모양ㄷ

본뜬 모양 기본자 초출자 재출자

하늘 •

ㅡ· ·ㅡ·

사람

ㅣ·

초출자와 재출자

모음의 기본자인‘·’와‘ㅡ’,

‘ㅣ’를 한 번씩 합성하여 만

든 글자를‘초출자’라고 하고,

이 초출자에‘·’를 한 번 더

덧붙여 만든 글자를‘재출자’

라고 한다.

가획자

입술 모양 ㅁ

이 모양 ㅅ

목구멍 모양 ㆆ

●자음자

●모음자

이끌기|2 한글의 제자 원

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글 자음자와 모음자를 도

표로 정리해 보는 활동이

다. 자음자를 만든 상형과

가획의 원리, 모음자를 만

든 상형과 합성의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음의 기본자와

가획자, 모음의 기본자와

초출자, 재출자를 차례대로

만들도록지도한다.

ㅇ ㅎ

·ㅡ ㅡ··

ㅡ ··

ㅡ··ㆎ

참고|한글의제자원리에담긴독창성

세종 대왕은 한국어에 적합한 문자 체계를 고안하는 데 몽골 또는 티베트의 불교 문자의 예에서 착안한 표음 문자

의 개념과 중국 한자의 블록 형식의 문자 형태로부터 영감을 얻었지만, 몽골 문자나 중국의 블록형 문자 중 어느 것

도 세부까지 차용하지는 않았던 것입니다. 그 대신 세종 대왕은 표음 문자와 블록형 문자 형태의 기본적인 개념만을

차용했습니다. 세종과 집현전 학자들은 문자의 운용 원칙과 형태 등 모든 세부 사항을 스스로 고안해 냈습니다. 그리

하여그들은세계의어떠한문자체계에서도유례가없는놀랍고도새로운원칙을만들었습니다. 세종은음소를블록

안에 배열하여 음절별로 분류하도록 했고, 특정 문자 형태가 정해진 소리를 대표하도록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특정

자음을발음할때의혀와입술의모양에착상한자음의형태를생각해냈습니다.

- 제레드다이아몬드, 『총, 균, 쇠』(문학사상사, 1998)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5 PM 페이지75 mac02 T

Page 17: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한글의 과학성 이해하기

7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3 다음의 활동을 통해 한글의 과학성에 대해 알아보자.

(1) (가)와 같이 혀가 윗잇몸에 붙어 소리 나는 글자를 (나)에서 고르고,‘한글’이

‘로마자’와‘가나’에비하여어떤점에서더과학적인지말해보자.

ㄱ, ㄴ, ㅁ K, N, M글자

한글 로마자

(2) <보기>의 글자를순서대로발음해보고, 소리나는위치와소리의세기를파악

해보자.

(3) (2)의활동을바탕으로한글의과학적원리를정리해보자.

か, な, まka na ma

가나

가 나

보기

소리 나는 위치 소리의 세기

한글은같은위치에서소리가나는글자에 ( )의 원리를적용하여더강한

소리를표시하는글자를만들었다. 이렇게글자와그것이발음되는 ( ) 사이

에밀접한관계가있는것이한글의과학적원리이다.

한글의과학적원리

이끌기|3-(1) 다른 나라

문자와의 비교를 통해 한글

의 과학성을 이해하는 활동

이다. 로마자와 가나는 문

자의 모양과 발음 사이에

아무런 관련이 없지만, 한

글은 자음의 기본 글자의

모양이 발음 기관의 모양을

나타냄을 이해하도록 지도

한다.

이끌기|3-(2) 가획의 원리

에 따라 만들어진 자음자는

글자의 모양이 소리의 세기

를 반영하고 있음을 이해하

는 활동이다. 자음을 직접

발음하면서 소리 나는 위치

와 소리의 세기에 따라 글

자의 모양이 어떻게 달라지

는지확인하도록지도한다.

이끌기|3-(3) (2)의 활동

을 바탕으로 한글의 과학성

을 정리해 보는 활동이다.

자음의 제자 원리를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소리의 특

성을 반영한 문자를 왜 과

학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지

이야기해보도록지도한다.

혀끝으로모두같다.

소리

가획

가로 획의 개수가 늘어나면서 소

리의세기가더강해진다.

예시답|ㄴ, N, な

한글의‘ㄴ’은로마자의‘N’이나가나의‘な’와다르게문자모양이발음할때의발음기관(혀) 모양을나타낸다.

참고|훈민정음의도형적특징

훈민정음은 최소한의 원형 문자를 설정하고 확장해 나가는 방식을 택

했고, 이 과정에서 도형의 기본 요소를 도입하였다. 가장 기본적 도형인

점, 선, 원으로 원형 문자를 만들었다. 평면의 네모와 세모도 이런 기본

도형의 확장으로 볼 수 있다. 도형을 확장하고 응용하는 원리는 규칙성

을 띠거나 과학적 배치를 이루는데, 그에 따른 훈민정음의 핵심 전략은

획더하기와합체방식이었다.

자음자의 배치는 철저하게 대칭 구조를 적용하여 글자 사이의 관계는

논리적이 되었고 전체 문자 배치 또한 과학적인 구조를 띠게 되었다. 모

음자 역시 한 글자의 내부 대칭은 물론이고 11자가 완전한 입체 구도를

형성하여짜임새있는대칭을이루고있다.

자음과모음을확연하게다른형체로상형한것도일종의과학적배치

다. 같은 부류끼리는 비슷한 모양을 띠게 해서 자음과 모음의 합리적 배

합을 가능하게 했고 눈에 잘 띄어 좀 더 쉽게 배울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았다. 특히 이러한 구도는 컴퓨터 자판의 문자 입력에서 대단히 뛰어

난효율성을제공한다.

- 김슬옹, 『세종대왕과훈민정음학』(지식산업사, 2011)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5 PM 페이지76 mac02 T

Page 18: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한글의 가치 이해하기

(1)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77

4 다음의 질문들에 답하며 한글의 가치에 대해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삼강행실도(̀1434년)

훈민정음(̀1443년)

홍길동전(̀17세기)

독립신문(̀1896년)

(2) 훈민정음이창제된이후어

떤변화가있었을까?

(3) 한글의 보급은 당대 백성들의

생활을어떻게바꾸었을까?

(4) 한글이우리사회발전에

어떤영향을주었을까?

(1) 한자를 모르는 백성들이 그림만으로 책의

내용을얼마나이해할수있었을까?

우리신문이한문을안쓰고한글로만쓰는이유는 전 국민이 다 보게함이라.

이끌기|4 시대별 문헌 자

료를 토대로 한글의 가치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다양한

사진 자료 또는 동영상 자

료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각각

의 문헌 자료가 가진 특성

을 통해 한글의 가치를 확

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

고 이를 바탕으로 한글의

창제와 보급이 개인과 사회

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이야기해보도록지도한다.

예시 답|(3) 한글 사용이 확대되어 많은

사람들이 문자 생활을 누리게 되었으며,

문학 작품 등을 즐겨 읽는 등 문화생활을

영위할수있게되었다.

예시 답|(4) 문맹률이 낮아짐으로

써 국민 대다수가 글을 통해 지식

과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으며,

이것이 전체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

될수있었다.

예시 답|(2) 모든 백성이 문자를 쉽

게 배워 익힐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한글이 일반 백성들에게 널리 보급되

기까지는오랜세월이걸렸다.

예시 답|(1) 그림만으로는 책의 내용을 대충 짐작만 할

뿐정확하게알수없었을것이다.

학습활동4_자료연구(플래시)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5 PM 페이지77 mac02 T

Page 19: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78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 다음그림을 보고 언어의 변화에 대해 생각해 보자.

국어의역사

생|각|열|기

(2)

善化公主主隱

므·스게· 시·리

어듸갈터이뇨

인터넷뱅킹

신청합니다.

예시답|시간의흐름에따라언어는언제나변화하고있다.

참고|언어의역사성

언어의 역사성은 언어가 세월이 흐름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을 뜻한다.

언어는 사회적 소산이기 때문에 함부로 변하지는 않지만, 오랜 시간이 흐

르면 음운, 형태, 통사, 의미 등 여러 가지 언어 특성들이 변화하게 된다.

약 500여 년 전에 사용되던‘ㆆ, ㅿ, ㆁ, ·’와 같은 문자들이 사라진 것이

나, ‘ㅸ’같은 음운이 사라지거나 변화한 것이 바로 언어의 역사성을 보여

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버스, 라디오’라는 단어가 새로 등장하여 일반화되

거나, ‘빨갱이’라는 단어에서‘공산당’이라는 수십 년 전의 의미가 지금은

거의 없어지고 있다거나, ‘인터넷’이라는 단어가 컴퓨터의 발달로 새로 등

장한 것도 언어의 역사성을 보여 주는 것이다. 변할 수 있는 언어의 속성

을언어의가역성(可逆性)이라고한다.

- 이관규, 『학교문법론』(월인, 2000)

이끌기|시대별로 국어의

모습을 살펴보면서 언어의

변화에 대해 생각해 보는

활동이다. 그림을 보면서

한글 창제 이전과 이후 우

리말의 표기 방식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살펴보고, 또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

지 국어의 모습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파악해 보

도록 한다. 이를 통해 언어

는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끊임없

이 변화하는 것임을 이해하

도록지도한다.

생각열기_국어의변천(플래시) / 활동 풀이(ppt)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6 PM 페이지78 mac02 T

Page 20: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2) 국어의 역사 79

고대 국어

먼옛날우리말은북방의부여계언어와남방의한계언어로이루어져있었다. 고

대국가들이세워지고삼국시대를거쳐통일신라시대가되면서우리말도신라어

를중심으로통일되었는데이시기까지의국어를고대국어라고한다. 그러나당시

의언어를알수있는자료가매우적은까닭에정확한실상을알기는어렵다.

중세 국어

고려가 건국되고 수도가 개성으로 옮겨지면서 국어는 새로운 변화를 겪게 된다.

이때부터 국어의 중심지가 동남 지방에서 중부 지방으로 옮겨지게 된 것이다. 이

시기부터를중세국어라하는데, 조선이건국된후에도여전히수도는중부지방이

었으므로국어의모습은크게달라지지않았다. 그리고 15세기에한글이창제된이

후국어의실상을면밀히살펴볼수있게되었다.

근대 국어

조선후기우리사회는근대로의전환을경험하게된다. 때를같이하여 17세

기부터국어는음운, 문법, 어휘등여러면에서중세국어와는다른양상을보

인다. 이때부터 19세기까지의국어를근대국어라고하는데이시기는한글사

용이확대되어많은사람들이문자생활을누릴수있게된시기이기도하다.

현대 국어

20세기 이후의 국어는 현대 국어라고 한다. 개화기를 거치면서 우리말에는

새로운개념을지니는외래어들이급격히증가하게되었고, 우리말의음운이나

문법등도현재와같은모습을띠게되었다. 한편남한과북한의분단이장기화

되면서남북한의언어가점차이질화되어가고있다.

알|아|두|기

▲ 1907년『만세보』에 실린 염색약

광고

“이 물감은 빛도 곱고 (물을) 들이기

도 쉬운 상등(上等) 물감이니 사다

(물을) 들여 보시오.”

용표와 꽃표와 ◇표는

세상에 제일 물감

“이 물감은 빨아도 (물이) 빠지지도

않고 벗겨지지도 않는 참 좋은 물감

이오.”

부여, 고구려, 옥저, 예의 언어 마한, 진한, 변한의언어

고구려어, 백제어, 신라어

통일신라시대까지의국어

10세기부터 16세기말까지의국어

상업, 수공업, 농업의변화, 서양 문물의유입→ 18세기실학과서민문학의발전

17세기초부터 19세기말까지의국어

중국과일본을통해서구학문이들어오면서한자번역어가급증하고서구외래어가무분별하게차용됨.

고대국어의계통과시기

중세국어의시기와한글창제

근대국어의시기와한글사용의확대

현대국어의시기와남북한

언어의이질화

참고|한국어의기원

한국어의 기원에 관한 지금까지의 주류 이론은 한국어가 알타이 어에 속한다는 주장이다. 즉, 아시아의 서쪽부

터 동쪽에 이르는 지역에서 사용되는 알타이 어족에 한국어가 속한다는 것이다. 이 학설에 따르면 한반도와 주변

지역의언어들중고구려어는알타이어중부여어계통의언어였고, 백제어와신라어는한어계통의언어였는데,

삼국 통일 후 신라어가 한반도의 중심 언어로서 지위를 획득하고 조선 시대까지 이어져 중세 국어를 형성하였으

며, 오늘날의한국어가중세국어의연장선상에있으므로결국현대한국어는신라어에뿌리를두고있다는것이다.

- 강범모, 『언어 - 풀어쓴언어학개론』(한국문화사, 2011)

참고|광고문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

①언어적특징

- 띄어쓰기를하지않음.

- ‘·, ㅽ’을사용함.

- 현재와표기법이다름.

② 사회문화적특징

- 옷에물감을들여입음.

- 옷감의염색을집에서함.

918년

경주

1443년 한글창제로인해국어의전면적표기가이루어져서

개성, 한양

알아두기(ppt)

『만세보』광고(플래시)

(078~101)241교사용2 2016.1.4 10:42 AM 페이지79 mac02 T

Page 21: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8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8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8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8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8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8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8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8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8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8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8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8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8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8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8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8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8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국어의 역사」는 구체적인 자료를 통하여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말이 겪어 온 변

화를 탐구하는 글이다. 언어의 변천과 그 속에 담긴 우리 선인들의 정신을 이해하면서 앞으로

우리말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여 보자.

고대국어

중세국어

근대국어

현대국어

- 한자의뜻과음을빌려고유명사를표기함.

- 한자를활용한우리말표기방식과향찰

- 중세국어의표기상, 음운상, 문법상, 어휘상의특징

- 근대국어의표기상, 음운상, 문법상의특징

- 한글사용의확대

- 한국어의위상

- 남북한언어의차이점

제재선정취지

이단원에는고대국어, 중세 국어, 근대 국어, 현대 국어의모습을확인

할수있는문헌자료들을각각 2개씩선정하여수록하였다. 『삼국유사』에

서 발췌한 자료 및「서동요」는 고대 국어의 모습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

료들로서, 한글 창제 이전에 한자를 활용하여 우리말을 표기하던 차자 표

기법을 학습할 수 있는 자료이다. 『용비어천가』와『월인석보』는 한글 창제

직후에 한글을 사용하여 만든 문헌으로, 15세기 중세 국어의 모습과 특징

을 잘 보여 주는 자료이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는 우리나라의 충신, 효

자, 열녀의 덕행을 수록한 자료이고, 『신정심상소학』은 소학교용 교과서인

데, 이들은 17세기에서 19세기에 이르는 근대 국어의 모습과 변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세종 학당 지정 현황’자료를 통해서는 세계

속에서 높아진 한국어의 위상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북한 소설「황

진이」는분단이후처음으로국내문학상을수상한작품으로, 남북한 언어

의차이점을쉽게확인할수있는자료이다.

핵심정리

•갈래:̀ 설명문

•성격:̀ 해설적, 객관적, 체계적

•제재:̀ 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의자료

•주제:̀ 국어의역사와발전방향

•특징

- 국어의역사를시기별로나누어설명하였다.

- 문헌 자료를바탕으로국어의시대별특징을알기쉽게설명하였다.

- 국어의 시대별 특징과 변화 양상을 표기, 음운, 문법 등의 차원으로 나

누어서이해하기쉽도록설명하였다.

- 지도 자료를 활용하여 세계 속의 한국어의 위상을 한눈에 파악하기 쉽

게하였다.

- 탐구 과제를 제시하여 본문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심화 학습을

할수있도록구성하였다.

•구성

내용연구

1. 고대국어

•시기:̀ 통일 신라시대까지의시기

•한자의뜻과음을빌려우리말을표기하였다(차자표기).

- 고유명사표기:̀ 한자를빌려인명, 지명등의고유명사를표기하였다.

- 향찰:̀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의 조사나 어미까지 전면적으로

기록하였던표기체계이다.

2. 중세국어

•시기:̀ 고려의건국부터 16세기에이르는시기

•표기상의특징

- 글자왼쪽에방점을찍어성조(음의높낮이)를 표시하였다.

- 소리 나는대로이어서표기하였다(이어적기).

•음운상의특징

- 모음조화현상이잘지켜졌다.

- ‘·, ㅸ, ㅿ’등현재는발음되지않는음운들이있었다.

•문법상의특징

- 주격조사로서‘가’가없이‘이’만쓰였다.

- 특별한어미들을사용하여객체높임을나타냈다.

•어휘상의특징

- 중국어, 몽골 어, 여진어로부터들어온외래어가있었다.

3. 근대국어

•시기:̀ 17세기에서 19세기에이르는조선후기

•표기상의특징

- 성조를표시하던방점이사라졌다.

- 체언과조사, 어간과어미를분리하여적는경향이강해졌다(끊어적기).

•음운상의특징

- ‘·’의소릿값이소실되었다.

- 구개음화현상이일어났다.

•문법상의특징

- 주격조사‘가’가생겨나쓰이게되었다.

- 객체 높임을나타내던어미가상대높임어미의일부가되었다.

•한글사용의폭이확대되었다.

4. 현대국어

•시기:̀ 20세기이후오늘날에이르는시기

•세계속한국어의위상이높아졌다.

•북한어의특징(남북한언어의이질화)

- 두음 법칙이나사이시옷의표기가적용되지않는다.

- 의존 명사를붙여쓴다.

- 남한에서는쓰이지않는단어가많고러시아어에서온외래어가많다.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6 PM 페이지80 mac02 T

Page 22: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2) 국어의 역사 81

1. 고대 국어

고대에는우리말을표현할고유의문자가없었으므로당시국어의모습을보

여주는자료는모두한자로되어있다. 한글이없던때, 표현하고자하는뜻은

한자를 통해 전할 수 있었지만, 우리말의 소리를 전하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우리선조들은이러한상황에서도한자의뜻과음을빌려우리말을표기하였다.

위의 자료에서‘絲浦(사포)’와‘谷浦(곡포)’는 같은 곳을, ‘得烏失(득오실)’과

‘得烏谷(득오곡)’은 같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즉‘絲’와‘谷’, 그리고‘失’

과‘谷’은 같은 발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자세히 살펴보면‘絲’는 뜻이

‘실’이고, ‘失’은그음이‘실’이다. 여기에이둘을연결하고있는‘谷’은골짜기

의 옛말인‘실’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 세 글자는 그 뜻이나 음을

이용하여‘실’이라는발음을나타내는글자들이라고할수있다. 이렇게고대에

는인명이나지명같은고유명사를한자를빌려표현하였다.

국어의역사

골짜기를 뜻하는‘실’

지금은‘실’이‘골짜기’를 뜻하는

단어로 쓰이지 않지만, ‘시내(골짜

기를 흐르는 내)’나‘한실(큰 골짜

기)’등의 단어를 볼 때 고대에는

골짜기를‘실’이라 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

海南有一巨舫來泊於河曲縣之絲浦[今蔚州谷浦也]

바다남쪽에큰배한척이나타나서하곡현사포(지금의울주곡포)에닿았다.

竹曼郞之徒有得烏失[一云谷]級干

죽만랑의무리중에득오실(곡이라고도함.)이라는급간■̀

이있었다.

- 『삼국유사』에서

고대국어자료①

絲浦= 谷浦

得烏失= 得烏谷뜻

표기

실 실(골짜기) 잃을

사 곡 실

絲 谷 失

■급간(級干) 신라 때에 둔 십칠

관등 가운데 아홉째 등급.

참고|차자표기법(借字表記法) - 고유명사의표기

한자를 빌려서 우리말을 표기한 것을 차자 표기라고 한다. 차자 표기법에는 두 가지 원리가 적용되었다.

첫째, 표음적 원리다. 한자의 뜻은 버리고 소리만 빌려 쓰는 것이다. 예를 들어, ‘古, 乙’이라는 글자로 우

리말의‘고, 을’을표기하는것이다. 이렇게소리로읽히는한자를‘음독자(音讀字)’라고한다.

둘째, 표의적 원리다. 한자의 소리는 버리고 뜻만 빌려 쓰는 것이다. 예를 들면, ‘天, 水’라는 글자로 우

리말의‘하늘, 물’을나타내는것이다. 이렇게뜻으로읽히는한자를‘석독자(釋讀字)’라고한다.

차자 표기의 첫 단계는 인명, 지명 따위의 고유 명사를 표기한 데서 찾아볼 수 있다. “삼국사기”‘지리

지’에는고구려, 백제, 신라 시대의언어를살펴볼수있는지명표기들이등장한다.

“買忽一云水城”

‘買忽(매홀)’은 고구려사람들이어떻게읽었는지는알수없으나소리로읽은글자이고, ‘水城’은뜻으로

읽은글자다. 고구려에서는‘물(水)’을‘매’라하고, ‘성(城)’을‘홀’이라했던것으로추정할수있다.

- 이규호, 『학교문법』(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0)

내용연구

① 고대 국어에 골짜기를 뜻하는

‘실’이라는 말이 있었다면, ‘絲浦,

谷浦’모두 당시에는‘실포’라고

읽었을 것이며, ‘得烏失, 得烏谷’

역시 모두‘득오실’이라고 읽었을

것이다.

② 훈차(훈독)와 음차(음독) 구분

絲:̀ 음을 버리고뜻을택함(훈차).

谷:̀ 음을 버리고뜻을택함(훈차).

失:̀ 뜻을 버리고음을택함(음차)

한자가표의문자이므로 한자로우리말의소리를나타내기어려움.

한자의뜻과음을빌려우리말을표기함.

한자를빌려고유명사를표기한사례차자표기의첫번째단계:̀ 고유 명사표기

‘絲’와‘谷’에서는뜻을빌려(훈차), ‘失’에서는음을빌려(음차) ‘실’이라는우리말소리를표기함.

‘絲’와‘谷’과‘失’은모두같은소리를나타내는표기임.

차자표기

『 』̀: ‘絲’, ‘谷’, ‘失’이같은소리를나타내는것으로, ‘絲’와‘谷’과‘失’세글자의공통점을찾을수있음.

찬찬샘특강_고대국어(애니메이션) / 소단원정리(ppt)

고대 국어①_사포와곡포(플래시)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6 PM 페이지81 mac02 T

Page 23: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82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우리말을우리말소리대로표기하고자하는조상들의노력은한문문장사이

에고유명사몇개를적어넣는것에서그치지않고, 완전한우리의문장을표

기하는데까지이르게된다. 표기는한자로하되한문어순이아닌우리말어순

에 따라 적는‘서기체’, 한문 어순대로 쓰되 필요한 곳에 토를 다는‘구결’, 두

방식을합해한자를우리말어순으로적고토도달아두는‘이두’등이그노력

의예이다. 이런표기체계들중백미는바로‘향찰’이다.

「서동요」의 첫 줄‘善化公主主隱’을 해석해 보자. ‘善化’는 사람 이름이니 그

음대로‘선화’라고 읽고, ‘公主’또한 원래 한자어이니 그대로‘공주’라고 읽지

만, 다음의‘主’는 음이 아닌 뜻을 빌려‘님’으로 읽는다. 마지막에 의미상으로

보아관계없는‘隱’자는그음만을빌려중국어에는없는우리말의조사‘은’을

표기한것이다. 이렇게향찰은한자의음과뜻을빌려우리말의조사나어미까

지도 전면적으로 기록하는 표기 체계이다. 향찰 표기는 한자를 사용하기는 하

지만 한문과는 전혀 다르고, 또 한문만으로 그 뜻을 파악할 수 있는 것도 아니

다. 각 한자의 음과 뜻을 절묘하게 이용하여 우리말 문장을 소리 나는 그대로

적은것이기때문이다. 즉향찰은한자를빌려쓸수밖에없었던상황에서우리

선조들이고안해낸가장정밀하고도종합적인표기체계이다.

서동요(薯童謠)

善化公主主隱 선화공주(善化公主)니믄

他密只嫁良置古 그 지얼어두고

薯童房乙 맛둥바

夜矣卯乙抱遣去如 바 몰안고가다.

- 양주동옮김

고대국어자료②

「서동요」의 배경 설화

「서동요」는 백제 서동(무왕의 어릴

적 이름)이 지은 4구체 향가이다.

무왕이 어릴 때 마[薯]를 캐어 팔

아 생활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

를 서동이라 불렀다. 서동은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인 선화 공주가

아름답다는 소문을 듣고 그녀를 사

모해 신라에 온다. 그리고 동네 아

이들에게 마를 나누어 주며 노래를

부르게 하였는데 그 노래가 바로

「서동요」이다. 결국「서동요」는 신

라에 퍼지게 되고, 서동은 선화 공

주를 아내로 맞게 되었다.

현대어 풀이

선화공주님은 / 남몰래결혼하고

맛둥서방을/ 밤에몰래안고가다.

▲『삼국유사』「서동요」수록 부분

내용연구

① 대체적으로 실질적 의미를 가

진 부분은 훈독(훈차)을 하였고,

문법적 의미를 가진 부분은 음독

(음차)을 하였음. (예외`: 卯乙,

如)

② 향찰 표기는 한자의 음과 뜻

을 빌려 우리말의 조사나 어미까

지도 전면적으로 기록하여 우리

말 문장을 소리 나는 그대로 적

었다는 점에서 이전의 고유 명사

표기나 차자 표기보다 발전한 표

기법이라고할수있다.

신라시대의‘임신서기석’에새겨진글이대표적임.

흰 눈썹(白眉)이라는뜻으로, 여럿 중에서가장뛰어난사람이나사물을비유하는말

음차선 화 공 주 주 은향찰로표기됨.

음차

훈차

음차

문법형태소

한자를활용하여우리말문장을표기하고자한노력들

한자의음과뜻을빌려우리말의조사, 어미까지표기한향찰

┌음을빌려조사‘은’을표기

┌뜻의일부를빌려어미‘-다’를표기

향찰의표기방식

향찰의의의

薯 童 房 乙 夜 矣 卯 乙 抱 遣 去 如

뜻 마 아이 방 새 밤 어조사 토끼 새 안다 보내다 가다 같다

음 서 동 방 을 야 의 묘 을 포 견 거 여

해독 맛 둥 바 안 고 가 다바 몰

善 化 公 主 主 隱 他 密 只 良 置 古

뜻 착하다 되다 귀인 님 님 숨다 남 그윽하다 다만 좋다 두다 옛

음 선 화 공 주 주 은 타 밀 지 량 치 고

해독 선 화 공 주 니 믄 어 두 고

시집가다(얼다)

얼그 지

고대국어②_「서동요」(애니메이션)

서동

『삼국유사』소개(플래시)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6 PM 페이지82 mac02 T

Page 24: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翰山縣本百濟大山縣景德王改名今鴻山縣

한산현(翰山縣)은 본래 백제의 대산현(大山縣)인데,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으

며지금은홍산현(鴻山縣)이다.

- 『삼국사기』에서

(2) 국어의 역사 83

1. 고대 국어에서 인명이나 지명을 한자를 빌려 표기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무엇인

지 말해 보자.

3. 향찰 표기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1)「서동요」에나오는‘隱’, ‘乙’과‘古’, ‘如’는문장에서어떠한기능을하는

지말해보자.

(2)‘고대국어자료①’에도 (1)과같은기능을하는글자가있는지살펴보고향

찰표기의특징을말해보자.

탐구

2. 다음의 자료를 참고하여‘(크기가) 큰’이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는 단어를 고대에는

어떻게 썼을지 추측해 보자.

=

백제

크다 대

뫼 산

=

통일 신라

편지 한

뫼 산

고려

크다 홍

뫼 산

‘한밭’과‘한길’의 의미

『표준국어대사전』을 보면‘한밭’은

‘대전(大田)’의 옛 이름으로, ‘한길’

은 사람이나 차가 많이 다니는 넓

은 길로 풀이되어 있다.

2. 다음의 자료를 참고하여‘(크기가) 큰’이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는 단어를 고대에는

어떻게 썼을지 추측해 보자.

참고|향가와향찰

6세기 이전 신라는 한자의 음과 훈을 차용하여 그들의 말을 기록할 수 있는 표기법인‘향찰’을 고안하여 사용하였다.

이로써 신라는 그들의 말로 된 노래를 문자로 표기하여 후대에 남길 수 있었다. 향찰로 표기한 자국의 말로 된 노래를

‘향가’라고 불렀다. 향가라는 말은 외래의 노래, 특히 한과 당의 가요와 범패류의 불교 가요에 대하여 신라의 노래를 가

리켜 이르던 정감 어린 명칭이었다. 향가는 중국의 시송에 견줄 만큼 국민적 숭앙을 받으면서 널리 제작되고 애송된 신

라의가요였다. - 국사편찬위원회, 『신편한국사』(탐구당, 2003)

예시 답|사람이나 땅의 이름은 고유 명사여서 그 소리를 밝혀 적는 것이 중요한데, 우리말 소리를 표기할 수 있

는고유의문자가없었기때문에한자를빌려표기할수밖에없었다.

예시 답|‘(크기가) 큰’이라는 뜻으로‘한’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을 것이며, 大와 鴻의 훈을 빌리고 翰의 음을 빌려

서표기했다. 따라서‘한산’이라는지명을세가지로달리표기하였을수있다.

예시답|조사와어미의문법적기능을한다.

‘隱(은)’은 보조사‘은’을 표기한 것이고, ‘乙(을)’은 목적격 조사‘을’을 표기한 것이다. ‘古(고)’는 연결 어미

‘-고’를표기한것이고, ‘如(여)’는종결어미‘-다’를표기한것이다.

예시 답|‘고대 국어 자료 ①’에는 (1)과 같이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의 조사나 어미를 표기한 글자

가 없다. 이로 보아 향찰은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의 조사나 어미, 즉 형식(문법) 형태소까지도 전면

적으로기록할수있는종합적인표기체계였음을알수있다.

활동풀이(ppt)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6 PM 페이지83 mac02 T

Page 25: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84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2. 중세 국어

중세 국어는 지금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었다. 위의‘용비어천가’에서 확인할

수있는표기상의특징은글자왼쪽에방점이찍혀있다는것이다. 방점은중세

국어에 성조, 즉 단어를 발음할 때 음의 높낮이가 있었음을 보여 준다. 표기의

또다른특징은소리나는대로이어적었다는점이다. 예를들어위자료의‘기

픈’은 지금이라면 어간과 어미를 구별하여‘깊은’이라고 적지만 중세 국어에는

소리나는대로이어서표기하였다.

중세 국어 음운상의 특징은 모음 조화 현상이 잘 지켜졌다는 것이다. 위의

‘남 ’이나‘므른’같은표기는지금이라면모두조사‘은’이쓰일자리지만당

시에는‘남ㄱ`+` ’과‘믈`+`은’과 같이 체언의 모음이 무엇이냐에 따라 서로 다

른모음을지닌조사가각각쓰이고있음을보여준다.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불·휘■̀

기·픈 남· ·매■̀

아·니 :뮐·■̀

곶 :됴·코■̀

여·름■̀

·하 ·니■̀

: ·미 기·픈 ·므·른 · ·래■̀

아·니 그·츨·

:내·히■̀

이·러■̀

바· ·래■̀

·가 ·니

(1445년)

중세국어자료①

현대어 풀이

뿌리가깊은나무는바람에흔들리지아니하므로

꽃이좋고열매가많습니다.

샘이깊은물은가뭄에도끊이지아니하므로

내가이루어져바다로흘러갑니다.

■불휘 뿌리.

■ 매 바람에.

■뮐 움직이므로.

■곶 됴코 꽃이 좋고.

■여름 열매.

■하 니 많습니다.

■ 래 가물에. 가뭄에.

■내히 내가. 냇물이.

■이러 이루어져.

■바 래 바다에.

▲ 용비어천가 조선 세종 27년

(1445)에 정인지, 안지, 권제 등이

지어 세종 29년(1447)에 간행한 악

장의 하나이다. 세종의 선조(先祖)

인 목조에서 태종에 이르는 여섯

대의 행적을 노래한 서사시로, 임

금이 된다는 것은 오랜 세월에 걸

쳐 피나는 노력을 하여 덕을 쌓아

하늘의 명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후대 임금은 이렇게 어

렵게 쌓아 올린 공덕을 헛되게 하

지말아야할것임을경계하고있다.

내용연구

① 조선 왕조가 어떤 시련이나 풍파에도 흔들림 없이

번영하고발전할것임을노래함.

② 언어적특징

- 성조를나타내는방점을표시함.

- 이어적기를함.

- 모음 조화현상이잘지켜짐.

- ‘·’를사용함.

- 주격 조사‘ㅣ’가쓰임(‘가’는없음.).

- ‘아니’에의한짧은부정문이쓰임.참고|방점

•평성:̀ 낮은 소리(무점)

•상성:̀ 낮다가 높아지는 소리

(두 점)

•거성:̀ 높은 소리(한 점)

•입성:̀ 빨리 끝을 닫는 소리(일

정하지않음.)

해동 육룡(六龍)이 하늘로올라갔다는뜻

깊+은 남ㄱ(나모)+

뮈+ㄹ (이유)

하+ +니, 많으니

+애(부사격조사)

바 +애(부사격조사)

+고 열매

내ㅎ+이(주격조사)

+이 믈+은 +을 (이유)+애(부사격조사)

기초가튼튼한나라는어떤풍파에도흔들리지않고

안정적으로유지될것임을노래함.

유서가깊은나라는국가의존립이위협받는일없이

영원히지속될것임을노래함.

중세국어의표기상의특징① ̀방점표시

성조를표시하기위해글자왼쪽에찍은둥근점

음의높낮이

중세국어의표기상의특징② ̀이어적기 이어적기의예

끊어적기의예

중세국어의음운상의특징①

앞음절의모음과뒤음절의모음이같은종류끼리만나는음운현상

‘나모(木)’가 모음앞에서는‘남ㄱ’으로나타남.

중세국어의표기상의특징

중세국어의음운상의특징①

모음조화가지켜진예

찬찬샘특강_중세국어(애니메이션) / 중세 국어①_「용비어천가」(플래시)

중세국어 현대국어

다 좋다

깨끗하다

열매

여름

많다, 크다

하다

좋다

여름

녀름

하다

일+어

「용비어천가」소개(플래시)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7 PM 페이지84 mac02 T

Page 26: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2) 국어의 역사 85

월인석보(月印釋譜)

善慧(선혜) 니 ·샤·

“五百(오백) 銀(은)̀:도· ·로 다· 줄·기· ·사·아지·라■̀

俱夷(구이) :묻 · 샤·■̀

“므·스게■̀

· 시·리”

善慧(선혜) 對答(대답)· 샤·

“부 ·긔 받 · 리·라■̀

俱夷(구이) · :묻 · 샤·

“부 ·긔 받 · 므·슴 ·호려 · ·시 ·니”

善慧(선혜) 對答(대답)· 샤·

“一切(일체)■̀

種種(종종)■̀

智慧(지혜)·를 일·워■̀

衆生(중생)· 濟渡(제도)■̀

·코져· 노·라”

俱夷(구이) 너·기샤· ‘·이 男子(남자)ㅣ 精誠(정성)·이至極(지극) ·

:보· · 아·니 앗·기놋·다■̀

’· ·야니 ·샤·

“·내 ·이 고· 나· 리·니■̀

願(원) · ·내 生生(생생)·애■̀

그딧 가

·시■̀

외·아지·라■̀

(1459년)

중세국어자료②

■사아지라 사고 싶다.

■묻 샤 여쭈시되. 여쭈시

기를.

■므스게 무엇에.

■받 리라 바치리라. 바칠 것

이다.

■一切(일체) 모든. 모든 것.

■種種(종종) 여러 가지.

■일워 이루어.

■濟渡(제도) 중생을 구제하여

해탈하게 함.

■앗기놋다 아끼는구나.

■나 리니 드리겠으니.

■生生(생생)애 모든 생애에서.

환생해 살게 될 모든 생애에서.

■가시 아내가.

■ 외아지라 되고 싶다.

▲ 월인석보 조선 세조 5년(1459)

에 간행된 책으로, 세조가 수양 대

군일 때 돌아가신 어머니 소헌 왕

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석보

상절』과 세종이 지은 부처에 대한

찬가인『월인천강지곡』을 합친 것

이다.

현대어 풀이

선혜가말씀하시기를 / “은돈오백냥으로다섯줄기를사고싶다.”

구이가여쭈시기를/ “무엇에쓰실고?”

선혜가대답하시기를 / “부처님께바칠것이다.”

구이가또여쭈시기를/ “부처님께바쳐무엇하려고하시는고?”

선혜가대답하시기를 / “모든갖가지 ©깨달음을이루어중생을제도

하고자한다.”

구이가생각하시되‘이남자가정성이지극해서보

배를아끼지않는구나.’하여말씀하시기를/ “내

가이꽃을드리겠으니, 원컨대나의모든생애

에그대의아내가되고싶다.”

참고|『석보상절』과『월인천강지곡』

•『석보상절』̀: 조선 세종 28년(1446)에 수양 대군이 어머니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석가의 일대기를 엮은 책. 최초

의 번역 불경이며, 이 책은 조선 전기의 언어 연구에 귀중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유려한 문장으로 문학적 가치가

높다.

•『월인천강지곡』̀: 조선 세종 31년(1449)에 세종이 직접 지은 석가에 대한 찬가로, 당시의 표기법과는 다르게 끊

어적기를했으며한글을크게앞세우고한자를작게적는등한글을사용하려는주체성을보여준다.

- 브리태니커세계대백과사전

니 +샤(주체높임)+(오)

돈+ 로(부사격조사)

받+ (객체 높임)+오+리(미래)+라(<다)

+ (현재)+오+라(<다)

석가모니의전신(前身)

석가모니의출가전아내

묻+ (객체 높임)+ 샤+(오)

묻+ (객체 높임)+ 샤+(오)

므슥+에, 무엇에 +시(주체높임)+리

+샤+(오)

+샤+(오)

받+ (객체 높임)+아 무엇 +오려(의도) +시+ (현재)+니

일+우+어

나+ㅣ(주격 조사)

곶+ (목적격조사)

그디+ㅅ(관형격)

너기+샤(주체높임)+(오)

앗기+ (현재)+옷(강조)+다

갓+이(보격조사) 외+아지라(소망)

사+아지라(소망)

주격조사 +ㄹ (이유)

願 +ㄴ (조건)

니 +샤(주체높임)+(오)

모음 조화현상이지켜짐.

중세국어②_『월인석보』(플래시)

『월인석보』소개(플래시)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7 PM 페이지85 mac02 T

Page 27: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8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중세 국어에는 현재는 발음되지 않는 음운들이 있었다. 『월인석보』의‘받

’에서보이는초성‘ㅸ’, 중성‘·’그리고‘나 리니’의초성‘ㅿ’은지금은발

음되지않는자음과모음을표기한글자들이다.

문법에서는 주격 조사로서‘가’가 없이‘이’만 쓰인 것이 특징이다. 『월인석

보』에있는‘男子ㅣ’, ‘내’는각각‘男子’와‘나’뒤, 지금이라면‘가’가와야할

자리에‘이’가 결합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중세 국어의 높임법도 지금과는 달

랐다. 특히행위를하는주체가아니라행위가미치는대상을높이는객체높임

을나타낼때는특별한어미‘- -’을사용하여‘묻 샤 ’와같이나타냈다.

이는지금이라면‘묻다’, ‘주다’대신‘여쭙다’, ‘드리다’를쓰는것과같은높임법

이었다.

한편외래어가들어와있었다는점은지금과비슷하다. 위자료의‘보 ’는중

국어‘寶貝(보패)’를차용한것이며, 이외에몽골어나여진어로부터들어온외

래어도있다.

1. 중세 국어의 표기 및 음운의 특징을 알아보자.

(1) 다음의중세국어와현대국어의표기방법차이에주목하여중세국어의표

기상특징을말해보자.

탐구

줄·기,

:̀일

기픈,

어드리라

중세 국어

줄기,

깊은,

얻으리라

현대 국어 중세 국어의 표기상 특징

중국, 몽골, 여진에서 들어온 말

중국어

몽골 어

여진어

붓, 김치, 배추

보라매, 송골매, 수라

호미, 메주, 수수

객체 높임을 나타내는 특별한 어미

/ /

어간과 어미가 결합할 때 소리 나는 대로 이어 적었다(이어

적기). 오늘날은 어간의 원형을 밝혀 적는 것이 원칙이다(끊

어적기).

방점을 사용하여 음의 높낮이(성조)를 표기에 반영하였다. 오

늘날음의장단을표기하지않는것과대조적이다.

참고|우리말어휘에영향을미친인근지역어

국어사적으로 볼 때 우리말 어휘에 영향을 미친 인근 지역어로 몇 개의 언어권을 손꼽을 수 있다. 인도어는 불

교의전래와함께중국을통해들어와고대국어에적지않은영향을끼쳤다. ‘아미타, 석가, 보살, 가사, 삼매, 사

바, 나락, 달마’등이그런예이다. 중세 국어에서는정치적, 지리적여건으로몽골어, 여진어 등의북방민족어의

영향을받을수밖에없었다. 몽골 어는대개유목민족의특징을보이는것으로관직, 군사에 관한어휘가주류를

이루는데, ‘가라 , 고라 ’과 같은 말 이름에 관한 것, ‘보라매, 숑골’과 같은 매 이름에 관한 것, ‘타락, 수라’와

같은 음식 이름에 관한 것 등이 문헌상의 기록으로 전한다. 몽골 어 외에도 함경 지방에서 쓰였던 여진어의 흔적

으로는‘투먼, 미르, 사돈’등이있다. - 천소영, 『한국어와한국문화』(우리책, 2007)

내용연구

① 구이(석가모니의 출가 전의

아내)가 선혜(석가모니의 전신(前

身))를 만나 구혼하는 장면임. 이

어지는 장면에서는 선혜가 처음

에 구혼을 거절했다가 다시 구이

의 말에 따라 부부의 인연을 맺

게됨.

② 언어적특징

- 성조를 나타내는방점을표시

함.

- 이어적기를함.

- 모음 조화현상이잘지켜짐.

- ‘ㅸ, ㅿ, ·’를사용함.

- 어두자음군(ㅄ, ㅼ)이 나타남.

- 주격 조사‘ㅣ’가 쓰임(‘가’는

없음).

-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시-, -샤-’를사용함.

-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

-’을사용함.

-‘아니’에 의한 짧은 부정문이

쓰임.

- 중국에서 들어온외래어를사

용함.

순경음ㅂ 반치음아래아

중세국어의문법상의특징① ̀주격조사로‘이’만쓰임.

중세국어의문법상의특징② ̀선어말어미‘- -’등에의해표현되던객체높임법이발달함.

중세국어의어휘상의특징: 중국, 몽골, 여진 등에서들어온외래어가있었음.

중세국어의음운상의특징②

중세국어의문법상의특징

중세국어의어휘상의특징

중세국어의음운상의특징②

참고|방점이말하는 600년언어사

『훈민정음』에서 상성으로 표시된 단어(방점 2개가 찍혔던 단어) 중에는 오늘날 고저가 소멸된 대신 장모음화된

것들이 있다. 예컨대 :감( ), :별(星), :셤(島)은 고저가 소멸된 대신 오늘날 서울말에서는 [ka:m], [pj∧:l], [s∧:m]

으로 장모음화되었다. 오늘날 서울말에서는 그 장모음조차 사라지고 있다. 600년 사이에 언어는 맹렬히 변화하

고있는것이다. - 노마 히데키, 『한글의탄생』(돌베개, 2012)

활동 풀이(ppt)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7 PM 페이지86 mac02 T

Page 28: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2) 국어의 역사 87

현대 국어중세 국어

(2) 밑줄친부분을중세국어표기로바꾸고, 중세국어높임법의특징을파악해

보자.

● 俱夷(구이)가 또 여쭈시되 俱夷(구이) ·

● 부처님께 바칠 것이다 부 ·긔

2. 중세 국어의 문법의 특징을 알아보자.

(1) 밑줄 친 부분을 중세 국어 표기로 바꾸고, 중세 국어 주격 조사의 특징을 파

악해보자.

● 뿌리가 깊은 나무는 기·픈 남·

● 이 男子(남자)가 정성이 지극하니 `·이 精誠(정성)·이 至極(지극) ·

(2) 다음의중세국어와현대국어의음운의차이를비교해보고, 중세국어의음

운상특징을말해보자.

보 ,

받 리라

보배를,

바람에

바치오리라

마음

중세 국어의 음운상 특징

중세 국어 주격 조사의 특징:̀

중세 국어 높임법의 특징:̀

•모음조화현상이잘지켜졌다.

•‘·, ㅸ, ㅿ’등의모음과자음이존재하였다.

참고|주격조사‘가’

주격 조사‘가’는 15세기에는 문헌상에 나타나지 않는다. 1572년에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한 편지(송강 정철 자당 안씨)에 그 최초의 예라

고 할 만한 것이 보인다. “찬 구 자니 가 세니러셔 로 니니.”

적어도 16세기 후반의 국어에는 존재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중략] 그

뒤 이‘가’의 용법은 점차 모음으로 끝난 모든 명사의 뒤에서 사용되는

현대어의 상태로 확대된 것인데, 이 과정은 문헌에 잘 드러나지 않는

다. 구어(口語)에서는‘가’의 사용이 자못 광범했을 것으로 추측되는

18, 19세기에도문어(文語)에는이것이잘사용되지않았던것이다.

- 이기문, 『국어사개설』(태학사, 2010)

불·휘

男子ㅣ

: 묻 · 샤·

받 · 리·라

예시 답|중세 국어의 주격 조사에는‘가’가 없이‘ㅣ’만 쓰였다. ‘남자’와 같이 앞말이 모음으로 끝

나면 주격 조사‘ㅣ’를 쓰고,‘불휘’와 같이 앞말이 모음 중에서‘ㅣ’나‘ㅐ, ㅔ, ㅚ, ㅟ, ㅢ’로 끝나면

주격조사를생략하여표기하지않았다.

예시 답|행동의 객체가 되는 사람을 높이는 객체 높임을 나타낼 때 선어말 어미‘- -’을 결합하여

표현하였다. 현대 국어에서는객체를높일때서술어를다른단어로대체하여객체높임을표현한다.

(078~101)241교사용2 2016.1.4 10:42 AM 페이지87 mac02 T

Page 29: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3. 근대 국어

근대 국어의 표기에서 우선 눈에 띄는 것은 방점이 사라졌다는 점

이다. 이는곧 16세기후반부터동요를보이던성조가완전히사라졌

음을의미한다. 표기상의또다른중요한변화는체언과조사를분리

하여적는경향이강해졌다는것이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사

이’, ‘손으로’는중세국어시기에는‘사 미’, ‘소 로’와같이체언과

조사를이어서적었던것들이다. 이러한표기경향은이후용언의어

간과어미의결합에도나타나게되면서현대와같은표기법에이르게

되었다.

88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상 애 상사(喪事)에. 사람이

죽은 일에.

■시묘 사니 부모의 상중(喪中)에

3년간 그 무덤 옆에서 움막을

짓고 사니.

■일향(一鄕) 한 고을.

■잇 더니 일컫더니.

■니 러 이르러.

■ 가지로 한가지로. 함께.

■금 샹됴애 지금의 임금 대에.

■졍문 시니라 정문(旌門)을 내

리셨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

진 김응회 담양부 사 이니 텬셩이 지극히 효도롭더니 아 상 애■̀

묘사니■̀

일향■̀

과 을사 이효 잇 더니■̀

그어미 봉양호 반 시 며

만난거스로밧 더라뎡유왜난애그어미 뫼셔수프레수멋더니도적이

믄득니 러■̀

몬져그어미 해 거늘응회크게소 야도적을 짓고손

으로도적을텨드 여어미로더브러 가지로■̀

주그니라금샹됴애■̀

졍문

시니라■̀

(1617년)

근대국어자료①

현대어 풀이

진사 김응회는 담양 사람이고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

웠는데, 아버지의상사(喪事)에시묘(侍墓)하여사니고

을과마을사람이효성을일컫더니(칭송하니) 그어머

니를봉양할때반드시달고맛있는것을바치더라.

정유재란에 그 어머니를 모시고 수풀에 숨었는데

도적이갑자기다가와먼저그어머니를해치거

늘응회가크게소리쳐도적을꾸짖고손으로도

적을 쳐서 결국 어머니와 더불어 함께 죽었다.

지금의임금께서정문(旌門)을내리셨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조선 광

해군 9년(1617)에 유근, 이성 등이

왕명에 따라 편찬한 책으로『삼강

행실도』의 속편이다. 우리나라의

충신, 효자, 열녀의 업적을 수록하

고 그 덕행을 찬양하였다.

내용연구

① 어머니를 봉양하다가 도적에게 죽음을

당한 김응회의 효성과 기개를 소개함. 유교

이념을중시하는사회상을엿볼수있음.

② 언어적특징

- 성조를표시하던방점이사라짐.

- 끊어적기와이어적기가혼용됨.

- ‘ㅿ’이소멸됨.

- ‘·’가 사용되나 둘째 음절에서 소실되는

양상을보임.

- 모음 조화가파괴된예가나타남.

- 구개음화가일어나지않음.

- 과거 시제선어말어미‘-엇-’을사용함.

끊어적기

구개음화가안일어남.

> > 을>마을

이어적기 밧+ (객체 높임)+더+라 숨+엇(과거)+더+니

끊어적기 끊어적기,

모음 조화파괴이어적기구개음화가안일어남.

어머니를봉양하는효성스런행실

죽음을두려워하지않는기개와효성

임금이정문을내림.

근대국어의표기상의특징

끊어적기, 형태적표기법 이어적기, 음소적표기법

끊어적기, 형태적표기법

근대국어의표기상의특징①

근대국어의표기상의특징②

찬찬샘특강_근대국어(애니메이션) / 근대 국어①_『동국신속삼강행실도』(플래시)

『동국신속삼강행실도』소개(플래시)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7 PM 페이지88 mac02 T

Page 30: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2) 국어의 역사 89

『신정심상소학』에서관찰되는국어의모습은지금의국어의모습과

매우가까워진것이다. 우선음운에서가장큰특징은중세국어에서

발음되던‘·’의 소릿값이 소실되었다는 점이다. ‘·’는 원래 [ㅏ]와

[ㅗ]의 중간소리였는데 16세기부터그소릿값을잃기시작하더니 18

세기이후완전히그소리를잃었다. 예를들어‘갈오 ’는이전에‘

오 ’로 적던 것인데‘·’의 소리가 없어지면서‘ ’의‘·’가‘ㅏ’로

변하였다.

신정심상소학(新訂尋常小學)

第十五課(제십오과) 부엉이가비둘기의게우슴을보앗더라■̀

비둘기가부엉이의移居(이거)■̀

랴 貌樣(모양)을 보고어듸갈터이뇨무

르니부엉이對答(대답) 야갈오 이地方(지방) 은내우름쇼 미

워 故(고)로나 다른地方(지방)으로올무랴■̀

노라 니비둘기우서

갈오 네우 쇼 를곳치지안코居處(거처)만옴기면如舊(여구)히■̀

미워 을 免(면)치 못 리라 얏소 이 이 기 滋味[재미]잇 이다■̀

여러분 에도 自家(자가)의 악 일은 곳치지 안코 다른 로만 가랴고

니■̀

잇스면이 亦是(역시) 이비둘기의게우슴을보오리다

(1896년)

근대국어자료②

■우슴을 보앗더라 웃음을 사더

라.

■移居(이거) 사는 곳을 옮김.

■올무랴 옮기려.

■如舊(여구)히 모양이나 상태가

옛날과 같이.

■滋味[재미]잇 이다 재미있

습니다.

■ 니 하는 이가.

문자로서의‘•’

‘•’는 근대 국어 시기에 그 소리가

없어졌지만 표기로는 남아 있었다.

1933년‘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

‘•’표기가 폐지될 때까지‘•’는

계속 글자로 그 생명을 유지하고

있었다.

현대어 풀이

비둘기가 부엉이가 이사하려는 모습을 보고“어디 갈 작정이냐?”라고 물으

니부엉이가대답하여말하기를“이지방사람은내울음소리를미워하는까닭

에나는다른지방으로옮기려한다.”라고하니비둘기가웃으며말하기를“자

네가 우는 소리를 고치지 않고 거처만 옮기면 여전히 미움

받기를 피하지 못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 이야기는

참 재미있습니다. 여러분 중에도 자기의 나쁜 점은

고치지않고다른데로만가려고하는사람이있

으면 이것 역시 이 비둘기에게 웃음을 살 것입

니다.

▼ 신정심상소학 고종 35년(1896)에

간행한 소학교용 교과서이다. 인문,

사회, 자연 등 여러 방면에 걸쳐 고

사성어, 이솝 우화, 역사적 사실 등

매우 다양한 내용들로 소학교 학생

들에게 가르칠 지식과 교훈을 담고

있다.

비둘기와부엉이의우화(교훈제시)

근대국어의음운상의특징①

주격조사‘가’가쓰임.

끊어적기

모음조화가파괴됨

긴부정문 + +이, 이어적기

구개음화가일어남(>고티다)

구개음화가일어남. 잇+ (상대 높임)+ +이+다

모음조화가파괴됨.

거듭적기

첫음절에서도‘·’가소실됨.불규칙활용, 이어적기

1단계소실:̀ 둘째 음절이하에서‘ㅡ’로바뀜.

2단계소실:̀ 첫째 음절에서‘ㅏ’로바뀜.

근대국어의음운상의특징①

‘·’가첫째음절에서‘ㅏ’로바뀜.

근대국어②_『신정심상소학』(플래시)

『신정심상소학』소개(플래시)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7 PM 페이지89 mac02 T

Page 31: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9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이밖에‘免(면)치(<免(면)티)’, ‘곳치지(<고티디)’에서확인되는구개음화는

앞선『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텬셩’, ‘텨’에서알수있듯 17세기초반만해도

아직일어나지않았던음운현상이다.

문법도현대국어와비슷한모습을많이보인다. 우선‘비둘기가’에서보이듯

이 이전에는 쓰이지 않았던 주격 조사‘가’가 쓰이고 있다. 이와 더불어‘滋味

[재미]잇 이다’에서 볼 수 있듯 중세

국어에서 객체 높임을 나타내기 위해 쓰

이던‘- -’이이제는청자를높이는상

대높임법어미의일부가되어있다.

나아가 근대 국어 시기에는 한글 사용

의 폭이 확대되었다. 한글로 쓴 문학이

대중들의 인기를 모으고, 한글을 사용하

는 계층의 사회 참여가 활발해지면서 사

회변화가두드러지게나타났다.

1. 15세기와 17세기의 표기법을 비교해 보고, 근대 국어 표기법의 특징을 말해 보자.

탐구

사 미

도 기

소 로

15세기

사 이

도적이

손으로

17세기 근대 국어 표기법의 특징

구개음화

‘ㅣ’, ‘ㅑ, ㅕ, ㅛ, ㅠ’등의 앞에서

‘ㄷ, ㅌ, ㄸ’이‘ㅈ, ㅊ, ㅉ’으로 변

하는 음운 현상이다.

▲ 유충렬전 「유충렬전」은 근대 국어 시기에 인기

를 모았던 소설 가운데 한 편으로, 이 시대에는 한글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다양한 계층이 한글 소설을 읽

을 수 있게 되었다.

체언에 조사가 결합할 때 체언과 조사를 분리하여 표기하는

경향이강해졌다.

(끊어적기, 형태적표기법)

참고|근대국어시기의국문문학의성장

근대 국어 시기의 문학적 변화를 특징짓는 가장 중요한 양상은 국문 문학의 성장과 활발한 유통이라 말할 수

있다. 15세기에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 관찬 문학과 여성 중심의 생활 기록 문학을 통해 점차 성장해 오던 국문

문학이 17세기에는 좀 더 창작, 소통의 폭을 넓혔고, 18세기에 이르러서는 더욱 활기를 띠게 되었다. 시조 향유층

의 확대와 가집 편찬, 가사의 다양한 분화, 국문 소설의 발달과 방각본 소설 출판의 성행, 국문 기록 문학의 성장

등이그주요양상이다.

이처럼 국문 문학이 활기를 띠게 된 데에는 평민층의 사회 경제적 성장과 문화적 욕구의 증대, 한글 해독 인구

의 증가, 상업적 출판 및 서책 유통업의 대두 등이 직접·간접적인 연관을 맺으면서 작용했다. 사회 전반의 생산

력증가와상당수평민층의생활수준향상은문자해독인구의증가를가능하게했고, 실용 분야와문학분야양

면에서문자문화에대한수용능력을높였다. - 국사편찬위원회, 『신편한국사』(탐구당, 2003)

근대국어의음운상의특징②

근대국어의문법상의특징

근대국어시기에한글사용이확대됨.

현대국어‘-습니다’의‘-습-’

소설이대표적임.

근대국어시기에일어난구개음화현상

근대국어의문법상의특징①

근대국어의음운상의특징②

참고|이어적기, 끊어적기, 거듭적

중세 국어에서는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을 밝히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적는 이어적기(연철)의 표기 방식이

사용되었다. 현대 국어의 맞춤법과

같이 체언과 용언의 어간을 밝혀

적는 것은 끊어적기(분철)라고 하는

데 끊어적기 방식은 15세기 말~16

세기 초 무렵부터 명사와 조사 사

이에서 가끔 보이기 시작하다가 16

세기 말부터는 용언과 어미 사이에

서도 흔히 보인다. 근대 국어부터는

끊어적기가 더욱 보편화되어 현대

국어에이르게된다.

이어적기와 끊어적기를 잇는 과

도기적 표기 방식이 거듭적기(중철)

다. 거듭적기는 형태를 밝히면서 발

음도 표기하려는 의도로 해석되며,

16세기초부터발견된다.

- 이규호, 『학교문법』(한국외국어

대학교출판부, 2010)

『 』̀: 근대 국어의문법상의특징②:̀ 객체 높임선어말어미의약화

활동풀이(ppt)

내용연구

① 비둘기와 부엉이의 우화를 통해

자신의 단점을 고치지 않고 눈앞의

상황만 피한다면 아무 소용이 없다

는교훈을제시함.

② 언어적특징

- 성조를표시하던방점이사라짐.

- 이어적기와 끊어적기가 혼용되

며, 거듭적기도나타남.

- 모음 조화가더욱문란해짐.

- ‘·’가 첫음절에서도 소실되는

양상을보임.

- 구개음화가일어난예가있음.

- 주격 조사‘가’를사용함.

- 객체 높임선어말어미의기능이

약화됨.

- 긴 부정문을사용함.

- 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앗-’

을사용함.

「유충렬전」소개(플래시)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7 PM 페이지90 mac02 T

Page 32: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2) 국어의 역사 91

2. 본문의‘근대 국어 자료’를 참고하여 근대 국어의 음운적 특징을 알아보자.

(1) 다음 글을 읽고‘·’의 변화를 보여 주는 단어를『동국신속삼강행실도』와

『신정심상소학』에서찾아보자.

15세기까지국어에존재하던모음‘·’는 16세기에들어오면서소리에변화

를 겪었다. 우선 단어의 둘째 이하 음절에 있는‘·’가‘ㅡ’로 바뀌었다. 그리

고 18세기에 이르러서는 단어의 첫째 음절의‘·’마저‘ㅏ’로 바뀌게 되어 국

어의모음체계에서완전히사라지게된다.

(2) 다음근대국어를현대국어와비교해보고, 19세기에일어난음운변동현상

이무엇인지말해보자.

● 조사의 사용:̀

● 높임의 표현:̀

3. 다음의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 문장을 보고, 근대 국어의 문법적 특징을 말해 보자.

이男子ㅣ精誠이至極

俱夷 (善慧께)묻 샤

중세 국어

비둘기가 부엉이의 移居 랴 貌

樣을보고

이이 기는 滋味잇 이다

근대 국어

근대 국어

현대 국어 천성(天性), 상조(上朝)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617년)

자료

시기

곳치지, 免(면)치

고치지, 면치

『신정심상소학』

(1896년)

텬셩, 샹됴

● 16세기의 변화 (· ㅡ)̀̀:

● 18세기의 변화 (· ㅏ)̀: 갈오오

참고|‘·’의 소실과 모음 체계

의변화

근대 국어에서 모음 체계가 큰

변화를 겪게 된 것은 18세기 후

반에 들어서의 일이었다. 모음

‘·’는 앞서 16세기에 제1 단계

의 소실을 경험했는데, 18세기

후반에 와서 제2 단계의 소실이

일어남으로써 완전히 그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제2 단계 소실에

대한 결정적인 예를 보여 주는

것은『한청문감』이다. 이 책에는

‘래년’과‘ 년’, ‘타다’와‘ 다’

등이 혼기되어 있으며, ‘가래’(<

래), ‘달팽이’(< 팡이), 다 (<

래) 등 많은 예에서 그 이전 문

헌의‘·’자가‘ㅏ’자로 기록되

어있음을볼수있다.

- 이기문, 『국어사개설』

(태학사, 2010)

참고|구개음화현상

구개음화는‘ㄷ, ㅌ, ㄸ’이‘이’

나 반모음‘ㅣ(j)’앞에서‘ㅈ, ㅊ,

ㅉ’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것을 ’ㄷ‘ 구개음화라고 부르

는데, 16세기부터 경상, 전라의

남부 방언에서부터 시작하여 북

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부

방언에서는 17~18세기에 구개

음화를경험하였다.

‘ㄱ’이‘ㅣ’모음 앞에서‘ㅈ’으

로 바뀌는 현상을‘ㄱ’구개음화

라고한다. 예를 들면‘길→질’,

‘김→짐’따위가여기에해당한

다. ‘ㄱ’구개음화는 중부 방언에

까지영향을미치지는못하였다.

- 이규호, 『학교문법』(한국외국

어대학교출판부, 2010)

예시 답|현대 국어에서‘ㅊ, ㅈ’으로 표기되는 단어가『동국신속삼강행실도』에는‘ㅌ, ㄷ’으로 표기되어 있

고, 『신정심상소학』에는‘ㅊ, ㅈ’으로표기되어있다. 이로 보아 17세기 초에는구개음화현상이일어나지않

았으나 19세기에는구개음화현상이일어났음을알수있다.

예시답|주격조사‘가’가쓰이기시작하였다.

예시답|객체높임의선어말어미(- -)가 그 기능을잃고듣는사람을높이는상대높임의

선어말어미의일부로남게되었다.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7 PM 페이지91 mac02 T

Page 33: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92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4. 현대 국어

한국어는 남북한 및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교민들을 포함하여 약 7,700만 명

정도의사람들이사용하고있다. 이는몇천종의언어가운데사용자수로 13위

를 차지하는 수치다. 나아가 우리나라가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으로꾸준하게

성장함에따라최근에는 세계 각지의 외국인

들이 우리와 호흡을 같이하기 위하여

자신의 나라에서 혹은 국내에 들어

와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이렇

게 한국어의 위상이 높아지는 상

황 속에 우리는 모국어 화자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세계의 여러 사

람들에게 한국어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 주는 등 세계 속 한국어

의 위상을 굳건히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세계곳곳의세종학당

현대국어자료①

▲ 전 세계의 세종 학당 지정 현황(2012년)

세종 학당

‘세종 학당’이란 외국어 또는 제2

언어로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

를 알리고 교육하는 기관이다.

참고|한글의세계화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글자

로 입증된 한글을 이제 한국의

것으로만 묶어 둘 것이 아니라

세계 보편 문자로 공유해야 한

다. [중략] 이 편리하고 과학적인

문자를 문자가 없는 세상 사람들

과 더불어 나누어 쓸‘한글 나눔

이’운동을 전개해야 한다. 소멸

위기에 처한 소수 언어권에서 보

편 문자로 한글을 활용할 수 있

도록 한글에 대해 일종의 저작권

공유 운동을 벌이는 것이야말로

한글세계화운동의첫걸음이다.

제주도 방언을 비롯한 국내의

다양한 생활 언어뿐만 아니라 아

시아권의 소수 민족들의 언어 유

산을 한글로 전사하여 인류 언어

자산을 보존하는 방안도 설계해

볼 필요가 있다. 무조건 한글이

우수하니 기록 문자로 활용하라

고 강요하는 것보다 무문자 국가

에 필요한 기록물을 한글로 제작

하여 장기적으로 보급하는 일이

야말로 한글 나눔 운동의 첫걸음

이아닐까?

- 이상규, 『한국어세계화어디

까지왔나』(국립국어원, 2008)

높아진한국어의위상과모국어화자로서의바람직한자세

한국어사용자수

한국어는세계에서 13번째로많이사용되는언어임.

세계속에서높아진한국어의위상

모국어화자로서한국어에대한책임감을가지고노력해야함.

찬찬샘특강_현대국어(애니메이션) / 현대 국어①_세종학당(플래시)

위치나상태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7 PM 페이지92 mac02 T

Page 34: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2) 국어의 역사 93

오늘날 남북한의 언어는 의사소통이 불가능할 만큼 심각한 이질성을 보이는

것은아니지만지리적, 이념적인차이와서로다른언어정책으로인해차이점

이나타나고있다. 우선북한의어문규정에서는두음법칙이나사이시옷의표

기를적용하지않거나, 의존명사를붙여쓰는등띄어쓰기방식도다르게규정

하고있다. 어휘면을보아도북한어에는남한에서는쓰이지않는단어가적지

않다. 또한남한에는영어에서온외래어가많은데비해북한에는러시아어에

서온외래어가많은편이다.

황진이

홍석중

진이는아주이상한환경에서자라났다. 부귀한량반댁고명딸■̀

이라면흔

히응석받이로생각하기쉽지만아버지인황진사는그가일곱살때황천의

객이 되여 기억에조차 희미했고 어머니는 자애지정■̀

을 표현하는데 몹시 린

색한녀인이여서응석이나어리광을부릴래야그것을받아줄다정한어른

이 없었다. 원래 딸을 사랑하는 어머니의 마음이란 유별한것이기 때문에

‘어미는딸의흠을모른다’는말도있고‘막내딸시집보내려

면내가가지’라는우스개소리도생긴것이지만그것도사

실은어머니와딸자식간의밀착된생활이있을때를두

고 하는 말이다. [중략] 하긴 집안의 후사■̀

를 이어야 할

외아들과어느때인가는집난이가되여버릴딸의경우

가다르다는것을진이도모르지는않았다.

현대국어자료②

1. 다음의 특징을 보여 주는 북한어를 소설「황진이」에서 찾아보자.

탐구

● 두음 법칙을 적용하지 않는다.̀:

●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는다.̀:

● 의존 명사를 띄어 쓰지 않는다.̀:

● 남한에서 쓰지 않는 단어를 사용한다.̀:

홍석중의「황진이」

홍석중의 소설「황진이」는 분단 이

후 처음으로 국내 문학상인‘제19

회 만해 문학상’을 수상한 북한 작

품이다. 우리 역사상 가장 빼어난

여성 시인으로 알려진 황진이에 대

한 이야기를 새로운 시각에서 재창

조하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고명딸 아들 많은 집의 외딸.

■자애지정(慈愛之情) 아랫사람

을 인자하게 사랑하는 마음.

■후사(後嗣) 대를 잇는 자식.

내용연구

①문화어

- 북한의표준어를지칭하는말

- 평양말을토대로함.

- 국가 주도하여 새롭게 만들어지

고다듬어진말의비중이높음.

② 북한어의특징

- 두음법칙을적용하지않음.

- 사이시옷을표기하지않음.

- 의존 명사를띄어쓰지않음.

- 러시아어에서온외래어가많음.

- 외래어표기에된소리를사용함.

- ‘ㅣ’모음 순행 동화를 표기법에

서도인정함.

참고|홍석중의역사소설「황진이」

홍석중의 소설에서 황진이는 가부장적 사회 질서, 사족 중심의 성리학적

지배 질서로 인한 계급 차별, 사회 모순에 대한 분노와 저항을 그녀가 교

유하는위선적인양반들을향하여풀었다. [중략] 홍석중은비록위대한역

사적 사명감으로 점철된 혁명 영웅은 아닐지라도 그 시대 그 사회에서 끊

임없이 자아를 구축해 가며 자신의 삶을 소신 있게 살고자 한‘숨은 영

웅 황진이’를 형상화했다. 또한 정치적 창작 의도가 노골적으로 드러나지

않고 권력자나 기득권자가 아닌 역사 속의 민중을 주인공으로 설정하여

‘혁명 전통’과‘대중 교양’이 아닌 진실한‘사랑’을 이야기하고 있는 점은

순수 문학의 논리로 남북한 문학의 통합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열어 놓고

있다.- 박미현, 『홍석중의역사소설「황진이」연구』(전북대대학원, 2007)

남한어와다른북한어의특징⑤

삐오네르(소년단), 뜨락또르(트랙터), 꼼비나트(집단공장) 등

남한어와다른북한어의특징①, ②

남한어와다른북한어의특징③

남한어와다른북한어의특징④

예시답|량반댁, 린색한, 녀인

예시답|우스개소리

예시답|표현하는데, 유별한것, 생긴것, 다르다는것

예시답|집난이(시집간딸)

남한에서는쓰지않는단어, 시집간딸

사이시옷의표기가적용되지않음.

:̀ 두음 법칙이적용되지않음. :̀ 의존 명사를붙여씀.

남북한언어의이질화의원인

남북한언어의이질화의정도

‘ㅣ’모음순행동화를표기법에서도인정함.

활동풀이(ppt)

재미 있는북한말(동영상) / 현대 국어②_「황진이」(플래시)

남북한언어의차이점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7 PM 페이지93 mac02 T

Page 35: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국어의 변화 이해하기

국어의 흐름 파악하기

94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1 국어의 역사와 관련된 내용을 바르게 연결해 보자.

2 밑줄 친 부분에 주목하여 중세 국어에서 현대 국어에 이르기까지 일어난 국어의

변화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자.

방점이찍힘.

주격조사‘가’가쓰임.

향찰이쓰임.

모음조화가잘지켜짐.

한글사용이늘어남.

‘·, ㅸ, ㅿ’등이발음됨.

『번역 노걸대』(16세기)

네닐·오·미·올·타나·도 ·매·이·리너·기노·라

『노걸대 언해』(17세기)

네니 미올타나도 애이리 각 엿더니

『중간 노걸대 언해』(18세기)

네니 미올타나도 에이리 각 엿더니

현대 국어 풀이

네가이르는것이옳다. 나도마음에이리(이렇게) 생각하였는데,

중세 국어

고대 국어

근대 국어

학습 활동

노걸대(老乞大)

『노걸대』는 고려 때부터 중국

어 교습을 위하여 역관들이

사용하던 중국어 학습서이다.

수세기에 걸쳐 여러 차례 우

리말로 번역되어 우리말, 특

히 구어(口語)의 변화된 모습

을 살펴볼 수 있다.

이끌기|1 우리 말과 글을

고대 국어, 중세 국어, 근대

국어로 나누고, 시대별 특

징을 연결해 보는 활동이

다. 국어의 역사를 그렇게

나눌 수 있는 근거가 무엇

인지 구체적인 예를 들어

학생들 스스로 설명해 보도

록지도한다.

이끌기|2 문헌 자료를 통

해 16세기 중세 국어부터

현대 국어에 이르기까지 일

어난 국어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는 활동이다. 각 자

료에 나타나 있는 국어의

모습을 직접 살펴보고 그

변화 양상을 학생들 스스로

찾아낼 수 있도록 지도한

다. 그리고 찾아낸 내용을

표기, 음운, 문법의 차원으

로 구분해서 정리해 보도록

지도한다.

참고|‘노걸대(老乞大)’의의미

‘노걸대’의‘노(老)’는 상대를

높이는 접두사로 우리말로 하

면‘씨(氏)’정도가 될수있다.

‘걸대(乞大)’는 몽골 어 발음으

로 읽으면 [kita(i)]가 되는데

이는 몽골 어로‘한(漢)’을 의

미한다. 따라서 노걸대는 한나

라 사람, 한족, 결국 중국인을

가리키는말이다. 예시답|•표기상의변화: 명사와조사를이어적다가분리하여적게되었다(이어적기→끊어적기).

•음운상의변화: ‘ㅿ’이쓰이다소멸되었다.

•음운상의변화: 단어 내부의명사와조사의결합에서모음조화가지켜지다가붕괴되었다.

•음운상의변화: ‘·’가첫음절에서는‘ㅏ’로, 둘째 음절에서는‘ㅡ’로바뀌었다.

활동 풀이(ppt) / 문제은행(학습지, 소단원평가, 서술형평가)(hwp)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7 PM 페이지94 mac02 T

Page 36: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바람직한 국어 사용 방향 탐구하기

(2) 국어의 역사 95

3 다음은 새터민이 남한에서 언어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보여 주는 만화이다.

이를 보고, 바람직한 국어 사용의 방향에 대해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1) 위의 만화를 참고하여 새터민이 언어생활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해보자.

(2) 위와 같은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바람직한 국어 사용이라는 관점에서

친구들과토의해보자.

이끌기|3-(1) 만화를 통해

새터민이 남한에서 겪는 언

어생활의 어려움을 이해하

는 활동이다. 만화에 나오

는 말 중 새터민이 가장 이

해하기 어려운 것이 무엇인

지 찾아보게 한다. 그리고

이 단어들 이외에도 새터민

이 이해하기 어려워할 만한

외래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

는지, 또 외래어 말고도 남

한에서의 언어생활의 어려

움을 야기하는 요소는 무엇

일지 이야기해 보도록 한

다.

이끌기|3-(2) 남한의 수많

은 외래어와 외국어로 인해

새터민들이 일상생활이나

학교생활에서 어려움을 겪

고 있음을 알게 하고, 새터

민 문제뿐만 아니라 우리의

언어생활까지 확대시켜 활

동할수있도록지도한다.

예시 답|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일 때, 외국어나 외래어를 그대로 쓰지 말고, 고유어를 이용하여 단어를 만들어

쓰는방안에대해생각해보자.

예시답|분단이후남한에는외래어들(특히서구언어로부터)이 많이유입되었기때문이다.

참고|북한이탈주민의남한언어적응문제

2012년 7월 현재 국내에 정착한 북한 이탈 주민이 24,000명을 넘어섰다. 문민 정부 이전까지 633명에 불과

하던북한이탈주민들이 2006년 이후부터는그수가크게늘어매년 2천명이상이남한에들어오고있다.

북한 이탈 주민은대한민국에 들어온이후남북한의언어차이때문에여러가지어려움을겪는다. 그중 남한

의낯선어휘, 특히 수많은외래어와외국어로인해일상생활, 직장 생활, 학교생활에서어려움을겪고있다.

정착 초기 남한 주민들의 말을‘전혀’또는‘거의’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한 응답자가 44.8%에 달했으며, 그

원인으로 생소한 단어, 발음과 억양, 의미 차이를 지적하였다. 이때 생소한 단어로는 외래어와 한자어, 다른 사

회문화체제에기인한낯선단어등을꼽았으며외래어, 특히 영어로인한어려움이심각하다고반응하였다.

북한 이탈 주민의 남한 언어 적응을 위해서는 정착 기간, 연령, 직업에 따른 다양한 어휘 교육 방안이 논의되

어야 한다. 직장 생활 어휘나 직장 전문 어휘를 중심으로 한 직장 어휘 교재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북한 이탈

청소년을대상으로한학습어휘교재및학습보충교재가개발되어야한다.

- 국립국어원, 『새국어생활』(국립국어원, 2012)

학습 활동3_새터민(플래시)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7 PM 페이지95 mac02 T

Page 37: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한글의 제자 원리와 가치

● 제자의 원리

● 운용의 원리

● 문자학적 가치

|내|용|정|리|

단원의

마무리

96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발음기관의모양을본떠‘ㄱ, ㄴ, ㅁ, ㅅ, ㅇ’의기본글자를만듦.

•음의세기가강해지면획을하나더붙이는가획의원리를적용해가획자를

만듦.

•초성과종성에모두사용함.

자음자

•하늘, 땅, 사람을본떠‘·, ㅡ, ㅣ’를만듦.

•합성의방법으로복합어를만듦.

모음자

•초성, 중성, 종성을한덩어리로묶어서표기하는모아쓰기방식을택함.

•모아쓰기는발음과표기의편의성을위한것임.

합자법

•음소 문자이지만 음절 단위로 표

기함.

•이미 있는 글자를 변형해서 사용

한것이아니라개인이창제하고,

창제원리를밝힘.

•글자 모양이 글자의 발음을 나타

내고있음.

•발음이 세지는 속성을 글자 모양

에반영함.

•배우기쉬워사회문화발전에이

바지함.

(1)

독창성 과학성

참고|훈민정음과모아쓰기

영어 문자는 음절이 고려되지

않은 문자지만 훈민정음은 음절

을 고려한 문자이다. 영어는 모

아쓰려야 쓸 수 없는 단선 평면

문자이지만, 훈민정음은 모아쓰

기와 풀어쓰기가 다 가능한 입체

문자이다. 세종은 한자의 모아쓰

기와 같은 전통 관습에도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 독창적이고

간결한 모아쓰기를 개발하여 문

자의 효율성을 한층 높였다. 이

러한 모아쓰기는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생성 가능한 음절 글자

가 많은, 과학적 원리의 실용성

을 보여 주는 예가 된다. 현대

자모음만 보더라도 생성될 수 있

는음절글자는 11,172자나 된다.

- 김슬옹, 『세종대왕과훈민정

음학』(지식산업사, 2011)

단원의마무리(플래시) / 문제은행(대단원평가, 수능대비)(hwp)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7 PM 페이지96 mac02 T

Page 38: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국어의 역사

단원의 마무리 97

중세 국어

근대 국어

현대 국어

고대 국어

•통일신라시기까지의국어

•한자의음과뜻을빌려고유명사를표기함.

•향찰은한글이없던시기에우리말의조사나어미까지도전면적으

로기록하던표기체계임.

• 10세기에서16세기까지의국어

•표기:̀ 방점을표기하고, 소리나는대로이어적음.

•음운:̀ ‘·, ㅸ, ㅿ’등 지금은 발음되지 않는 음운이 존재하고, 모

음조화를잘지킴.

•문법:̀ 주격조사에‘이’만있으며, 객체높임법이발달함.

• 17세기에서19세기까지의국어

•표기:̀ 방점이사라지고, 끊어적기가보임.

•음운:̀ ‘·’가소멸하고, 구개음화가일어남.

•문법:̀ 주격조사에‘가’가생기고높임법에변화가생김.

•국어의위상이강화됨.

•남북한의언어가점차이질화되고있음.

(2)

|자|기|점|검|

한글의 제자 원리와 운용법을 파악하였는가?

한글의 우수성을 이해하였는가?

고대, 중세, 근대 국어의 흐름 및 특징을 설명할 수 있는가?

세계화 시대에 국어의 위상을 높이고, 남북한 언어의 동질화를 이루기 위

해 노력하는 태도를 갖추었는가?

학습 내용 점검 결과

예 아니요

예 아니요

예 아니요

예 아니요

차자표기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7 PM 페이지97 mac02 T

Page 39: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98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한국문화사에서가장자랑스럽게내세울수있는우리의문화유산한글은세

종이 만들었다. 사람에 따라서는 한글의 창제자로 집현전 학자들을 들기도 하

고, 왕자나공주가한글을만드는데관여하였다고이야기하기도하지만, 그누

구도세종이한글창제에가장깊숙이관여하였다는사실을부인할수는없다.

그런데여기서잠시엉뚱한상상을해본다. 세종이아닌다른사람, 그것도서

양에서 태어난 르네상스 시대의 천재적 미술가이자 과학자인 레오나르도 다빈

치가 한글을 만들었다면 그 문자의 모양은 어떻게 되었을까? 역사적으로는 불

가능한일이지만, 이러한공상은한글의자형(字形) 속에감추어져있던새로운

사실을밝혀준다.

『훈민정음해례』「제자해」의설명에의하면

한글의자음은발음기관을상형하여만들어

졌고, 모음은 하늘과 땅과 사람을 상형하여

만들어졌다. 그런데「제자해」의‘ㄱ’과‘ㄴ’에

대한 설명에는 그동안 관심을 끌지 못했던

흥미로운비밀이숨어있다. 「제자해」에서는

어금닛소리‘ㄱ’은혀의뿌리가목구멍을막는형상을본떴고, 혓소리‘ㄴ’은혀

가 윗잇몸에 붙는 형상을 본떴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 설명은‘ㄱ’과‘ㄴ’이

<그림 1>과같은옆얼굴을토대로이루어졌음을알려준다.

▲ <그림 1>

한글과레오나르도다빈치

다음활동을하며창의적인사고능력과올바른인성을키워보자.

김성규(1962~ )

국어학자. 주로 우리말 발음과 역

사를 연구했다. 주요 저서로『소리

와 발음』,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등이 있다.

김성규

제재선정취지

르네상스 시대의 천재 미술가인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한글을 만들었다면 그 문자의 모양이 어떻게 되

었을까하는상상을통해한글자형속에담긴새로운사실을밝히는글이다. 세종은좌안의얼굴을전제

로한글을만들었지만, 왼손잡이인다빈치는우안의얼굴을전제로글자를만들었을것이라는상상, 그러

나 오른손잡이 사회의 관행에 따라 오른손잡이에게 편리한 모양으로 글자를 수정하였을 것이라는 상상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 글을 통해 한글 창제의 과정과 의미를 새로운 각도에서 이해하고, 나아가 언어와

사회·문화의관계에대해서도생각해볼수있을것이다.

김성규, 「한글과 레오나르도 다

빈치」

•갈래:̀ 중수필

•성격:̀ 공상적, 주관적, 논리적

•제재:̀ 한글의자형

•주제:̀ 한글의 자형 속에 숨어

있는오른손잡이문화

•특징

- 한글의 문자모양과관련하여

다양하고 재미있는 상상을 펼치

고있다.

- 주관적인 상상을바탕으로내

용을 전개하고 있지만, 논리적

으로 자신의 생각을 뒷받침하고

있다.

- 그림 및 사진 자료를 제시하

여독자의이해를돕고있다.

- 한글의 자형속에오른손잡이

문화가 반영되어 있음을 밝힘으

로써 언어와 사회·문화의 관계

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

를제공하고있다.

정인지, 신숙주, 성삼문, 이개, 최항, 박팽년등

글자문양

레오나르도다빈치가한글을만들었다는공상을하는이유

문종, 수양 대군, 안평 대군, 정의 공주등

훈민정음에관한최초의기록인“세종실록”(세종 25년)에는“세종께서언문 28자를친제하셨다.”라고쓰여있음.

한글창제에관한글쓴이의상상

‘ㄱ’과‘ㄴ’의자형속에숨어있는비밀

한글의제자원리

왼쪽옆열굴임.

글쓴이가말하고자하는것

창의·인성지문듣기(mp3) / 창의·인성활동정리(ppt)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7 PM 페이지98 mac02 T

Page 40: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창의·인성 활동 99

<그림 1>처럼혀끝과잇몸이왼쪽에

있고혀뿌리와목구멍이오른쪽에있

는 좌안(左顔)의 모습이 전제되어야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ㄱ’과‘ㄴ’의

자형이만들어지는것이다. 「제자해」

에서‘ㄱ’과‘ㄴ’을 <그림 2>와 같은

우안(右顔)의얼굴을전제로설명하였다면, ‘ㄱ’과‘ㄴ’의모양은각각 <그림 3>

과같이좌우가뒤집힌‘ ’과‘ ’이되어있어야한다.

「제자해」의 설명에서 좌안이 전제가 된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당시

에 쉽게 떠오르는 옆얼굴 그림이 좌안이었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를 포함하여

1936년이전에제작된 448점의초상화를분석해보면좌안이 333점으로전체

의 4분의 3을차지하고우안은 32점에불과하여좌안의 10분의 1 수준이며, 나

머지는기타정면상등임을알수있다. 이로보아한글이만들어진 15세기에도

‘옆얼굴’하면우선적으로떠오르는모습은좌안이었음을짐작할수있다.

이렇게 초상화중 좌안이많은 것은‘오른손잡이’가 많았기 때문이라고추정

할 수 있다. 오른손잡이의 대뇌는 그림의 왼쪽을 더 주목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옆얼굴에서 중요한 요소인 눈, 코, 입 등이 왼쪽을 향하는 그림을 그리

게된다. 또, 오른손잡이는사람의옆얼굴을그릴때우안보다는좌안을그리는

것이 자연스럽다. 이 현상은 손목의 운동 방향과 관련이 있는데, 원을 그릴

때왼손은시계방향으로손을돌리는것이편하고, 오른손은반시계방향으

로손을돌리는것이편하기때문이다. 오른손잡이가옆얼굴을그릴때는반

시계 방향으로 얼굴의 윤곽을 그려 나가므로 그림의 왼쪽이 얼굴이 향하는

앞부분이될것이고, 그방향으로얼굴을틀고있는초상화는자연스럽게좌

안이된다.

이쯤에서 생각을 멈추어도 한글과 관련된 상상에는 문제가 없으므로, 다

시레오나르도다빈치의이야기로돌아가기로하자.

ㄴㄱ

ㄱㄴ▲ <그림 2>

▲ 조선 시대 송시열을 그린 초상화

▲ <그림 3>

‘ㄱ’과‘ㄴ’의자형은좌안의얼굴을전제로만들어짐.

좌안을전제로글자의모양을만든이유

오른손잡이에게는좌안을그리는것이자연스러움.

레오나르도다빈치의이야기에대한환기

참고|언어의폭력성, 오른쪽과왼쪽

중세 국어에서‘올 다’는 옳다는

의미, ‘외다’는 그르다는 의미다. ‘외

다’는‘물건을 좌우가 뒤바뀌게 놓아

쓰기 불편하다’는 뜻도 지닌다. ‘왼

일’이란 그릇된 일, 잘못된 일을 뜻한

다.

영어에서 right(오른쪽)은 오른손을

사용하는 것이‘옳다(right)’는 뜻을

암시한다. 사전적 의미로‘정당한, 정

확한, 곧은, 적절한, 정상적인, 건강

한, 참된’등의 좋은 뜻은 모두 포함

된다. 반면에 left(왼쪽)는‘무시된다’

는 뜻을 암시한다. 왼손잡이를 뜻하

는 left-handed는‘서투른, 솜씨 없

는, 의심스러운, 애매한, 성의가 없는,

신분에 맞지 않는, 불길한’등의 부정

적인 뜻을 지닌다. 독일어에서도 왼

쪽을 나타내는 link는‘의심스러운,

하위의, 열등한, 하급의’라는 뜻을 지

니며, 오른쪽을 뜻하는 recht는‘정

의, 정당함, 훌륭함’등을 나타내며

‘법률, 판결’등의뜻도내포하고있다.

- 주강현, 『왼손과오른손』

(시공사, 2002)

우안의얼굴을전제로하여한글을만들었을경우예

상되는글자모양

좌안의얼굴을전제로글자의모양을만든이유

오른손잡이에게좌안이자연스러운이유①

오른손잡이에게좌안이자연스러운이유②

『 』̀: 오른손잡이에게 좌안이

자연스러운 이유를 논리적으

로설명함.

왼쪽얼굴

오른쪽얼굴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7 PM 페이지99 mac02 T

Page 41: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100 2. 우리 말과 글이 걸어온 길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왼손잡이의 역사를 이야기할 때 항상 앞자리를 차지하

는인물이다. 레오나르도다빈치는그림을그릴때나글씨를쓸때왼손을자유

자재로사용할수있던사람이었다. 이는왼쪽위에서오른쪽아래로향하는그

의 붓질 방향(\\)으로도 확인되지만, <그림 4>처럼 글씨의 좌우를 뒤집으면

서우에서좌로써가는뒤집힌글씨(거울영상서체)를통해서도확인된다. 이

처럼뒤집힌서체를쓰던왼손잡이레오나르도다빈치가발음기관을상형하여

한글을 만들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아마도 좌안이 아닌 우안을 옆얼굴의 기

준으로떠올렸을것이고, 그에따라‘ㄱ’과‘ㄴ’의방향은앞에서본 <그림 3>처

럼되었을지도모른다.

그러나여기서한가지고려해야할사항이있다. 레오나르도다빈치가뒤집

힌 글씨만 쓴 게 아니라는 점이다. 그는 글씨를 뒤집어서 쓰기도 했지만, 다른

사람이 읽어야 하는 글은 당시의 관행대로 표기하였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뒤집힌 글씨를 두고 비밀을 유지하기 위한 조처라고 해석하는 사람도 있지만,

평소에는뒤집힌글씨를쓰고다른사람에게글의내용을보여주려고할때는

일반적으로통용되던서체로썼다고거꾸로해석하는편이온당한것으로보인

다. 이러한레오나르도다빈치가문자를만들었다고가정해보자. 처음에는왼

손잡이의관점에서문자를만들었을수도있다. 그러나그는결국자신이만든

문자를오른손잡이사회에서쓰기편한문자로수정하였을것이다.

▶<그림 4>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뒤집힌

글씨(거울 영상 서체)와 일반적 관행

대로 쓴 글씨

한글의자형과관련한글쓴이의첫번째상상

한글의자형과관련한글쓴이의두번째상상

사리에어그러지지않고마땅한

왼손잡이인레오나르도다빈치는우안을기준으로한글을만들었을것임.

레오나르도다빈치는오른손잡이에게편리한문자로수정했을것임.

오른손잡이처럼왼쪽에서오른쪽으로표기

참고|레오나르도다빈치의거울글씨

우리가 레오나르도를 최고의 천재로 부르는 가장 큰 이유는 그의 설계도를 바탕으로 한 수많은 발명품들 때문

이다. 500여 년 전 그가 이미 생각했던 자동차, 낙하산, 비행기 등의 개념 설계도를 기록한 일종의 노트북을‘코

덱스(codex)’라고부른다. 왼손잡이였던그는거꾸로쓰는방식의글씨(거울 글씨)나 놀랍도록아름다운그림으로

자신의생각을 40여 년간 3만여쪽의원고로남겼다. [중략]

그는 양손으로 글을 쓰고 그림을 그렸다. 특히 거꾸로 글을 쓰는 것으로도 유명했다. 이건 결코 비밀을 숨기기

위해서가 아니라 어려서부터 들인 습관이 어른이 되어서도 고쳐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가 왼손으로 쓴 글씨는

방향이모두거꾸로돼있어서거울에비춰봐야만무슨글자인지알수있었다. 물론 지형도에대한설명이나아

버지의 부고(訃告) 같은 정확한 의사 전달이 요구되는 글은 정상적으로 글씨를 썼다. 그러나 서신을 보내야 할 때

는보통다른사람에게대신쓰게했다. - 우젠광, 『다 빈치의두뇌사용법』(아라크네, 2006)

왼손을사용했던대표적인위인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7 PM 페이지100 mac02 T

Page 42: (060~077)241교사용2 2015.12.30 1:4 PM 페이지60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이끌기|학생들에게만약한글이없었다면우리가지금어떻게살고있을지를상상해보게한후,

창의·인성 활동 101

여기서상상의방향을레오나르도다빈치가아닌세종에게맞추어보자. 만약

세종이 레오나르도 다빈치처럼 왼손잡이였다면 어떠했을까? 세종이 왼손잡이

였다면 글자의 획을 우에서 좌로 쓸 때 편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훈민정음도

<그림 3>과 같이 만들어졌을까? 이러한 질문에 대해서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경우와마찬가지로“아니.”라고답할수있다. 세종이훈민정음을만든이유중

하나는백성을위한다는‘위민(爲民)’이었다. 당시에도분명히오른손잡이가사

회의주류로서문화를지배하였기때문에세종은자신이편하다고생각하는글

쓰기를고집하지는않았을것이다.

우리는오른손잡이의문화속에서살고있다. 오른손잡이문화속에서한글이

만들어진 이상, 그것을 만든 사람이 왼손잡이였다 하더라도 그 글자는 지금처

럼오른손잡이문화를담고있는모습이될수밖에없었을것이다. 문자는사회

적인의사소통을위해고안된매개체이기때문이다.

■윗글의내용을바탕으로다음활동을해보자.

세계의각문자들중에획의방향이위에서아래로, 왼쪽에서오른쪽으로진행되

지않는경우가있는지찾아보자.

1

컴퓨터 자판은 왼손으로 자음을, 오른손으로 모음을 입력하게 되어 있어 왼손을

오른손보다더많이사용하게된다. 컴퓨터자판이이렇게구성된이유를생각해

보고, 이또한오른손잡이문화가반영된것인지친구들과이야기해보자.

2

세종이왼손잡이였더라도오른손잡이에게편리한문자를만들었을것임.

문자는사회적의사소통을위한매개체임.

참고|두벌식자판과세벌식자판

1982년 정부는 컴퓨터자판의표준을정하면서기존에타자기자판에서사용되던세벌식을배제하고텔레타이

프에 사용되던 두벌식자판을 국가 표준으로 정하였다. 세벌식 자판이 초성·중성·종성을 각각의 글쇠에할당했

다면, 두벌식은 초성·중성·종성의 구별이 아니라 자음과 모음만을 구별하여서 자판에 할당하였기 때문에‘도깨

비불 현상’이라는 것이 발생한다. 가령, ‘사람’이라는 낱말을 입력하면, ‘ㅅ → 사 → 살 → 사라 → 사람’과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살’의 종성에 나타나는‘ㄹ’은 아직 현재 음절의 종성이 될지, 다음 음절의 초성이

될지가 결정되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초성·중성·종성을 각각 다른 글쇠에 할당한 세벌식 자판에서는

나타나지않는현상이다. 또한 두벌식자판은자음을자판의왼쪽에, 모음을자판의오른쪽에배열하고있는데한

글에서자음의사용빈도가월등히높기때문에왼쪽손에무리가가는자판배열이라고할수있다.

- 디지털한글박물관(http://www.hangeulmuseum.org)

한글의자형과관련한글쓴이의세번째상상

예시답|드물지만없지는않다. 아랍 어, 히브리어등은오른쪽에서왼쪽으로적어간다.

예시 답|한국어 음절은 기본적으로‘자음+모음+자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왼손으로 자음을 입력

하고그다음오른손으로모음을입력한다음다시왼손으로자음을입력하게된다. 그런데 이순서는마치

종이 위에 글을 쓸 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써 나가다가 한 줄이 끝나면 다시 왼쪽으로 돌아오는 것과 유

사하다. 일반적으로 오른손잡이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글을 쓰는 것이 자연스러우므로, 컴퓨터 자판의 구

성에도오른손잡이문화가반영된것으로볼수있다.

(단, 세벌식 자판은 글자가 자주 사용되는 빈도에 따라 자음과 모음이 뒤섞여 배열되어 있으므로 오른손잡

이문화가반영된것으로볼수없다.)

세종이왼손잡이였다해도우안을전제로글자를만들지않았을것임.

문자는사회적의사소통을위해존재하므로(언어와사회·문화의관계)

(078~101)241교사용2 2015.12.30 1:7 PM 페이지101 mac02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