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 ÷ À à ßx Ë ³D I ÿx Â Ñ è ÿx Ô...

16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2004. 12. 12권 제2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2004, Vol. 12, No. 2. 신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근거 김윤희* 9) 국문초록 . . 신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적 근거와 타당성 . 신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의 방법론적 근거와 타당성 IV. 참고문헌 Abstract * [email protected] 숙명여자대학교 체육교육과 시간강사

Transcript of ( S ÷ À à ßx Ë ³D I ÿx Â Ñ è ÿx Ô...

Page 1: ( S ÷ À à ßx Ë ³D I ÿx Â Ñ è ÿx Ô bcfs4.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01-22 · Ï z À O v ¯ ó î. I ì M 7 Ë ³ ¿ ñ 7 I & Ý À Ê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2004. 12. 제12권 제2호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2004, Vol. 12, No. 2.

신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근거

김윤희*9)

목 차

․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신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적 근거와 타당성 Ⅲ. 신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의 방법론적 근거와 타당성 IV. 결 론 ․ 참고문헌

․ Abstract

* [email protected] 숙명여자대학교 체육교육과 시간강사

Page 2: ( S ÷ À à ßx Ë ³D I ÿx Â Ñ è ÿx Ô bcfs4.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01-22 · Ï z À O v ¯ ó î. I ì M 7 Ë ³ ¿ ñ 7 I & Ý À Ê

252 움직임의 철학:한국체육철학회지 제12권 제2호

국문초록

본 연구는 현상학적 접근이라는 연구 하에 행하여진 체육․무용분야에

서의 신체경험 관련 연구들이 특징적으로 함유하고 있는 이론적 근거로

서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검토와 현상학적 관점에서 신체경험을 규명하

는 연구기법으로서의 ‘체험적 기술과 분석’이 갖고 있는 방법론적 근거 및 타당성의 실체를 규명하고자 한다.신체의 움직임을 매체로 하는 신체활동, 운동, 스포츠 등 광의의 체육활동과 관련지어 본다면 현상학은 다음의 두 가지 함축성을 제공하여 주었

다고 할 수 있다. 첫째, 교육적 함의성이다. 체육에서 현상학이 규명하고자 하는 것은

주관적 체험이다. 특별히 살아있는 ‘인식 주체적 신체’의 체험은 교육의

주체인 개개인의 인격적 가치와 의미를 보다 주체적인 방향으로 고양

시킬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체험의 교육적

가치 기반은 신체교육이 이루어지는 학교체육 현장에서의 목적과 목표,

교육과정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방법론적 차원에서 이해될 수 있다. 즉 현상학은 스포츠 혹은

신체활동의 본질적 근원들을 파헤치는 방법론적 도구로서 인간의 신체

경험 현상을 규명하는 새로운 관점과 기법을 제시하여 주었다는 것이

다. 체육에서의 전통적인 연구방법 형태인 계량적 접근이 갖고 있는 한

계와 문제점을 극복하는 수단으로서의 현상학적 방법은 연구자들에게

있어서 매력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 핵심어: 현상학, 신체경험, 이론적 근거, 방법론적 근거

Page 3: ( S ÷ À à ßx Ë ³D I ÿx Â Ñ è ÿx Ô bcfs4.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01-22 · Ï z À O v ¯ ó î. I ì M 7 Ë ³ ¿ ñ 7 I & Ý À Ê

신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근거 253

Ⅰ. 서 론

1970-80년대 미국을 비롯하여 한국에서는 1990년대에 걸쳐서 체육철학 분야에서의 주요한 연구의 초점은 스포츠 및 무용을 포함하는 다양한

신체활동으로부터 야기되는 ‘신체경험(Body Experience)’의 본질과 구조의 규명에 맞추어져 왔다. 이와 같은 연구 성향은 이 시기에 활발하게 이루어진 소위 ‘현상학적 접근(Phenomenological Approach)’의 도입으로부터 촉발되었다고 할 수 있다.현상학은 체육철학을 비롯한 체육의 인문사회분야 연구자에게 있어서

흥미와 함께 각광을 가져다주었던 철학적 연구방법 중의 하나 다. 비록 체육학에 관련된 교재나 문헌들에는 세부적으로 그것의 연구 방법론적

절차가 다루어지지는 않았지만, 그것은 이 시기에 있어서 신체의 경험현상을 전통적인 관점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시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시

도로서 연구자들에게 많은 주목을 받았다(Fraleigh, 1973). 체육학에서 신체교육에 관한 현상학적 전개의 구심점과 발판은 실존-현상학자들에 의하여 제기된 현상학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Merleau-Ponty, Marcel, Sartre 등으로 대변되는 실존현상학자들에 의하여 제기된 체험의 인식인 ‘주체로서의 신체(Body as Subject)’라는 획기적인 개념과 Husserl의 ‘현상학적 방법(Phenomenological Method)’으로부터 형성된 ‘기술적 접근(Descriptive Approach)’은 현상학적 연구의 뿌리를 제공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신체개념에 관한 사상적 근거와 방법론을 바탕으로 체육학 내에서 특히, 체육철학 분야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현상학적 연구들이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현상학적 접근’으로 명명되어온 신체경험에 대한 연구태도가 국․내외의 “스포츠 및 체육철학의 연구토대를 제공하고 형성하는데 큰 기여를 하 다(이형일, 2004)”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결국 현상학적 관점에서 수행된 연구들은 그 이론적 근거와 방법론적 적합성을 실존현상학자들에 의하여 제시된 주체적 신체의 개념과 현상학

적 체험기술에 두었다고 할 수 있다.

Page 4: ( S ÷ À à ßx Ë ³D I ÿx Â Ñ è ÿx Ô bcfs4.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01-22 · Ï z À O v ¯ ó î. I ì M 7 Ë ³ ¿ ñ 7 I & Ý À Ê

254 움직임의 철학:한국체육철학회지 제12권 제2호

특히 Kleinman(1964)의 “인간 동작의 의의: 현상학적 접근(The Signifi-cance of Human movement: A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이 방면의 주도적 연구로서 그 이후부터 미국의 스포츠철학 분야에서 지금까지 스포

츠 혹은 무용 분야에서 현상학적 개념과 방법론을 근거로 다양한 형태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반면에 국내에서는 현상학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지 못했다. 그러나

1990년대를 전후해서 철학계의 현상학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활발한 발간 작업과 함께 스포츠철학 분야에서 연구 방법론적 시각의 제시라는 차

원에서 다양한 연구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전통을 바탕으로 스포츠에서의 질적 체험현상이나 스포츠 경험의 체험적 요소들을 본질적으

로 규명하기 위하여 스포츠 및 무용 철학 분야에서 점진적으로 이러한 현

상학적 연구들이 확산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스포츠 및 무용분야에서 수행되는 현상학적 관점에서의 연구들은 주로 스포츠 및 무용 혹은 신체수행 경험에 대한 본질적 탐구 작업과

그에 따른 방법론적 시각 그리고 움직임 현상 그 자체에 내재된 의미와

가치의 체험적 차원 역에 집중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상학적 접근이라는 연구 하에 행하여진 체육․무

용분야에서의 신체경험 관련 연구들이 특징적으로 함유하고 있는 이론적

근거로서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검토와 현상학적 관점에서 신체경험을

규명하는 연구기법으로서의 ‘체험적 기술과 분석’이 갖고 있는 방법론적 근거 및 타당성의 실체를 규명하고자 한다.

Ⅱ. 현상학적 관점에서 신체경험의

이론적 근거와 타당성

Merleau-Ponty, Sartre, Marcel 등으로 대변될 수 있는 실존-현상학자들에 있어서 신체를 조명하는 시각은 공통적으로 ‘주체로서의 신체(Body as Subject)’로 귀결된다. 전통적 사상체계와는 달리 이들 실존현상학자들은

Page 5: ( S ÷ À à ßx Ë ³D I ÿx Â Ñ è ÿx Ô bcfs4.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01-22 · Ï z À O v ¯ ó î. I ì M 7 Ë ³ ¿ ñ 7 I & Ý À Ê

신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근거 255

인간의 신체적 가치에 대한 우위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전통 철학에서의 이론적 관점에서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신체의 개념을

거부하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의 현상학적 신체관의 특성이 체육 교육자에게 스포츠 또는 무용에서의 신체경험을 체험적이고 주체적인 관점으

로 조명하기 위한 사상적 또는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다음의 논의에서는 스포츠 및 무용에서의 연구들이 어떻게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통하여 신체경험을 현상학적으로 타

당하게 다루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국내외에서 수행되어온 현상학적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스포츠나 무용에서의 ‘살아있는 신체(Lived Body)’ 경험의 특성과 의미를 현상학적 기반 위에서 파악하려고 시도했다는 점에서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조명해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현상학이 왜 체육철학을 비롯하여 체육의 역에서 이렇듯 파급적으로 확산 되었을까? 체육 교육자에게 현상학이 매력적으로 부각되었던 주된 요인은 그것이 수반하고 있는 신체 교육적 함축성에 있다.

체육교육 역 내에서의 주체적 신체경험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확대는 소위 인본주의자라고 일컬을 수 있는 현상학적 배경을 가진 일련의 체

육 교육자에 의하여 주도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들에게 있어서, 신체와 신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배경은 보다 올바른 신체교육을 실현시킬 수 있

는 도구이자 자산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의 공통된 인식에 따른다면, 스포츠나 무용 수행 상황에서의 신체경험 그 자체는 계량적, 기계론적, 실증적 관찰의 방법으로 측정 가능한 신체기능을 초월한 그 무엇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신체경험과 같은 스포츠에서의 주관적인 체험은 신체활동의 장에서 부인할 수 없는 현상

으로 인간경험의 원초적 양상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체육교육 현장에서는 이러한 신체활동의 주관적 체험을 소홀히 하거나 심지어 부정하

고 있는 것인가에 대한 반문과 이것에 대한 집중적 규명작업이 현상학적

신체의 개념 하에 그들에 의해서 시도되었던 것이다. 그들은 신체를 매체로 하는 움직임의 발현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스포츠 및 무용은 실체적 현상이며 그 자체에 의식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그들에게 있어서 그것들은 인간의 가장 원초적이고 직

Page 6: ( S ÷ À à ßx Ë ³D I ÿx Â Ñ è ÿx Ô bcfs4.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01-22 · Ï z À O v ¯ ó î. I ì M 7 Ë ³ ¿ ñ 7 I & Ý À Ê

256 움직임의 철학:한국체육철학회지 제12권 제2호

접적인 체험의 신비를 담고 있는 총체적 현상으로 고려되었다. 결국 현상학적 입장에서 조명된 스포츠 및 무용 현상은 역동적 상황의 특성을 본질적으로 갖고 있다고 본 것이다. 따라서 그것들의 체험에 관련된 국면과 상황을 조명해 볼 수 있는 현상학은 체육교육이 소홀히 하

던 총체성의 차원에서 신체의 체험적 국면들을 부각시킬 수 있는 대안

적 이론체계이자 방법론으로 부각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의식과 신체의 역동적 체험의 주체로서 신체를 기계적이고 물질적인 존재가 아닌 살

아있는 존재로서의 상황을 생생하게 겪게 해주는 주체적 매개체로 본 것

이다. 신체경험의 중요성에 관련된 연구는 대부분 현상학과 실존철학에서 제시하는 신체의 개념에 그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다. Merleau-Ponty의 ‘주체로서의 신체(Body as Subject)’와 ‘살아있는 신체(Lived Body)’, Sartre의 ‘의식-신체(Conscious Body)’의 방식 그리고 Marcel의 ‘존재로서의 신체(I am My Body)’ 등은 신체경험을 다루고 있는 체육 역의 연구자들이 근

거로 삼고 있는 대표적인 이론 혹은 개념들이다. Merleau-Ponty는 아마도 신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를 시도한 체육학자들의 주요한 이론적 및 사상적 원천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주체적 신체(Body-Subject)’라는 독특한 신체에 대한 해석을 통하여 전통적인 관점에서의 과학주의에 근거한 계량화 및 대상화 된 신체의 개념을 비

판하 다. “내가 보고 듣고 만져볼 때, 나의 눈이나 귀나 손은 바로 나의 눈이요 나의 손이다. 즉 나의 신체이자 나의 인식인 것이다. 따라서 인간에게 존재한다는 것은 신체적으로 행동하는 것이다(Merleau-Ponty, 1962).” 그는 이러한 신체의 존재 양태를 ‘인식 주체적 신체(Body subject)’라고 불다. 그는 또한 “지각과 관련하여 객관적이고 과학적이며 기계적인 인간경험을 지양하고 보다 활동적이고 자유스러운 인간의 독특한 경험을 강

조하 다(신현군 외, 1993).” 이러한 존재 양식은 마음이나 혹은 신체의 방식만으로는 개별적으로 설명될 수 없고 의식이 신체 속에 구현된

(Embodied) ‘살아있는 신체’의 방식으로 체험되어야 한다는 점을 역설하다.

Sartre(1956)에 있어서 신체는 의식과 존재 사이에 있는 매개체가 아

Page 7: ( S ÷ À à ßx Ë ³D I ÿx Â Ñ è ÿx Ô bcfs4.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01-22 · Ï z À O v ¯ ó î. I ì M 7 Ë ³ ¿ ñ 7 I & Ý À Ê

신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근거 257

니라 의식이 “구체적, 개별적, 시간적으로 존재와 관계하는 근원적인 존재방식이다.” 따라서 의식은 신체의 존재형태로 관계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인간의 의식은 결국 신체적 의식일 수밖에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것은 다름 아닌 ‘신체의 의식’이다. 그에 따르면, “의식이 신체를 의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은 자신의 신체로 실존 한다”는 것이다. 의식과 신체의 이러한 관계를 ‘실존적 관계’로 부른다. 그는 의식이 용해된 신체는 더 이상 ‘대상화된 신체(Objectified Body)’가 아니며 신체는 주관성으로 작용하며 이러한 주관성 속에서 ‘생생한 신체(Lived Body)’로서 자신의 본 모습을 찾는다고 하 다. 따라서 Sartre에 있어서 신체는 더 이상 생리적, 물리적, 해부학적 대상체가 아닌 것이며 신체를 통하여 인간의 ‘세계내 존재’가 가능하게 되므로 이러한 관점은 인간에게 열리는 세계가 갖는 의미는 생생한 신체로서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Marcel(1949)의 현상학적 신체관은 인간에 관한 실존적 신념과 가치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 “모든 현상의 존재적 특성을 지니게 하는 실체는 나의 것으로서의 신체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신체는 소유로서의 신체와 존재로서의 신체로 구분된다. 첫째, 소유에 대한 신체의 문제에 있어서 ‘나의 신체를 내가 소유한다(I have My Body)’는 것은 결국 내가 나의 신체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신체를 하나의 대상 혹은 객체로서 취할 때 발생한다고 한다. 이때 사용되는 신체는 수단으로서 행하여지며 종국적으로 인간존재의 소외를 야기시키는

것이다. 둘째, 존재에 대한 신체의 문제에 있어서 소유로서의 신체를 극복하기 위한 상대적 입장으로서 존재의 신체를 제시한다. 그것은 주체적이며 인격적이고 또한 실존 및 개성적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신체는 ‘나의 것으로서의 신체(I am My Body)’로 모든 대상과 소유 혹은 수단의 포용을 가능하게 해주는 절대적 수단이며 실존의 지표라는 것이다.현상학자들의 신체에 관한 이러한 인식론적, 존재론적 관점은 현대 체육철학의 새로운 문제점인 체육활동의 체험 그 자체에 대한 탐구의 근거

인 주체적, 주관적인 신체의 문제를 해결하는 사상적 및 이론적 단서가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신체 움직임은 지향적이며, 의식과 행동이 육화된 전체적 양태이며, 그것은 ‘인지적 및 정의적으로 체험되는 표현의

Page 8: ( S ÷ À à ßx Ë ³D I ÿx Â Ñ è ÿx Ô bcfs4.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01-22 · Ï z À O v ¯ ó î. I ì M 7 Ë ³ ¿ ñ 7 I & Ý À Ê

258 움직임의 철학:한국체육철학회지 제12권 제2호

과정(Allen & Fahey. 1977)’으로 고려될 수 있는 것이다.인간의 신체를 객체가 아닌 주체로 삼고 있는 실존현상학은 의식과 존

재, 신체 자각과 의미 같은 실존적 차원에서의 인간적 관심을 탐구 역으

로 삼고 있다. 이 같은 측면들이 함축적으로 시사하고 있는 점은 스포츠나 무용에서 수행자 자신의 신체경험의 의미를 체험적으로 규명하는데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여 왔다는 것이다. 또한 인간 존재론적 측면에서 볼 때, “인간은 신체를 통해서만 진정한 존재성이 실현된다(Slusher, 1967)”는 점을 내포하고 있다.이와 같은 맥락에서 Allen과 Thomas(1977)는 인간경험을 있는 그대로 탐구하려면 계량적 지식 형태의 이용보다는 인격에 관계된 새로운 지식

체계로서 질적 지식을 만들어 내야한다는 점을 제기하면서 체육교육이

지향해야 할 좌표는 체험적 신체경험을 바탕으로 근간으로 한 인간교육

을 주창하 다.스포츠와 무용을 비롯하여 신체경험이 수반되는 다양한 신체활동의 범

주들은 그것의 교육적 가치로 인하여 학교체육의 주요 교과목 중의 하나

로 수행되고 있다. 전통적인 시각에서 볼 때, 이것들의 교육적 가치들은 대부분 어떠한 신체적 목적 혹은 가시적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구적 혹은 수단적 기능으로 인식되어 왔다.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인식보다는 신체활동 그 자체에 내재된 어떠한

의미를 찾기 위하여 신체활동 수행체험 그 자체에 교육적 가치를 두는 성

향을 보여 왔다. 체육교육자 Metheny(1970)는 이러한 시각을 ‘의미중심 교육’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교육적 가치로서 신체활동의 중요성은 도구적이거나 외재적인 차원에서 찾기보다는 신체체험의 다양한 상황과 국면

같은 수행체험 그 자체에서 찾아야 함을 주창하고 있다. 이러한 체육교육에서의 변화된 교육적 가치와 내용으로 볼 때, 스포츠 혹은 무용에 참여하는데 있어서 개인적 수행체험의 의미를 탐구하고

전개하려는 현상학적 접근은 신체경험 현상을 연구하는 것뿐만 아니라

신체교육을 주안점으로 삼고 있는 체육에서의 교육적 중요성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현상학적 성향을 가진 체육교육자들에게 있어서 현상학은 체육에서의 신체경험 또는 스포츠의 중요성을

Page 9: ( S ÷ À à ßx Ë ³D I ÿx Â Ñ è ÿx Ô bcfs4.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01-22 · Ï z À O v ¯ ó î. I ì M 7 Ë ³ ¿ ñ 7 I & Ý À Ê

신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근거 259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사상적 또는 이론적 근간이라고 명료화되었던

것이다.

Ⅲ. 현상학적 관점에서 신체경험의

방법론적 근거와 타당성

체육학자들이 현상학을 파급적으로 수용하여 전개한 또 다른 요인은 그것의 방법론적 특이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즉 현상학이 근본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인간경험의 규명을 위한 학으로서의 방법론적 체계는

스포츠나 다양한 신체활동을 연구하는 체육학자에게 있어서 전통적 과학

주의에 근거한 연구체계인 ‘계량적 연구(Quantitative Research)’ 형태와는 확연히 구별되는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가 대표적인 유형으로서 부각되었기 때문이다.현상학을 창시한 Husserl에 의하면 모든 객관적 실체는 의식적 형성의 산물이. 따라서 의식에 대한 이해 없이 객관적 존재를 알 수 없다. 그러므로 현상학은 의식에 의한 경험적 상황에 대한 연구인 것이다.그것은 하나의 객관적인 사물을 가리킴이 아니라 어떤 의식에 의한 경

험의 대상이 의식 앞에 나타나는 구체적인 모습을 지적한다. ‘현상 그 자체로!(To the Things Themselves!)’라는 말은 현상학의 개념과 방법론적 특성을 가장 적절하게 나타내 준다. 그러므로 현상학에서 가장 근본적 지식의 근원은 ‘의식 속의 체험’인 것이다.

결국,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란 우리가 의식하고 있는 경험의 발생과 의미의 원천을 이해하려는 노력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이 실제로 어떻게 행해지고, 어떤 종류의 경험에 대해 행해지는가 하는 것은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에게 달려 있다. 그러한 점에서 현상학적 접근을 통한 연구는 인간경험과 관련된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탐색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그것은 어떤 설명이나 분석을 하는 것이 아니라 묘사하는 작

Page 10: ( S ÷ À à ßx Ë ³D I ÿx Â Ñ è ÿx Ô bcfs4.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01-22 · Ï z À O v ¯ ó î. I ì M 7 Ë ³ ¿ ñ 7 I & Ý À Ê

260 움직임의 철학:한국체육철학회지 제12권 제2호

업이다. 따라서 현상학적인 연구는 체험을 묘사하되, “직접 경험한 사람의 관점에서 그 경험을 묘사해야 함을 말한다(Ihde & Silverman, 1987).” 살아있는 생생한 체험의 세계에 대한 파헤침의 방법론인 것이다. 체험의 근원을 논리적, 객관적, 계량적 형태의 단정적이고 전제된 체계 혹은 선입관으로부터 배제하고 “있는 그대로의 체험된 의식을 바탕으로 현상에 대한 탐구를 시작하는 것이다(Barritt, 1987)”.

현상학적 관점에서의 접근 시각은 현상에 대한 직접적이고도 근원적인 본질을 밝혀내기 위해서 객관성의 관점을 유보시킨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시각은 개개인의 자각, 의미, 행동, 상황의 이해 등을 체험적 과정에 의해서 데이터를 얻게 된다.

현상학과 상반된 입장을 취하는 대부분의 자연과학 그리고 “실증과학적인 입장에 근거한 사회과학의 기본적 가정은 그것이 물질현상이건

정신현상이건 간에 객관적으로 주어진 하나의 독립된 실체가 존재한다

(Fraleigh, 1970)”는 것이다. 즉 이러한 현상들을 과학적 절차와 방법을 통하여 그것의 본질들을 탐구 내지는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모든 인간은 하나의 현상이나 실체를 하나의 동일한 방법으로 보고 받아

들인다. 그러므로 객관화, 일반화라는 형태의 패턴은 하나의 현상과 실체에 대한 가장 정확한 답변을 가져다 줄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일반적으로

가정의 확립과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이다.이러한 절차는 필연적 현상과 관련된 데이터를 객관화의 명제 하에 계

량적 및 논리적 가치체계의 형태라는 도구로 사용한다. 예를 들면, 부호나 수의 개념으로 현상에 대한 각양각색의 요소들이 수량적 체계의 개념

으로 전환된다. 이는 근원적 현상에 대한 직접적이고 원초적이라기보다는 간접적인 현상의 요인으로 전환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현상학은 엄 한 관점에서의 과학적 태도를 견지한다. 그러나 자연과학이나 사회과학의 기본적 전제인 존재하는 실체의 ‘전제적 가정’에 대한 판단을 유보하며 오직 지식의 근원은 ‘의식적 체험으로부터 출발 된다’고 본다. 즉 아무런 가정, 개념 혹은 이론이 전제되지 않는 원초적인 순수의식의 체험이야말로 모든 과학적 지식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질적 접근의 한 유형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과 실증주의에 근거한 계량

Page 11: ( S ÷ À à ßx Ë ³D I ÿx Â Ñ è ÿx Ô bcfs4.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01-22 · Ï z À O v ¯ ó î. I ì M 7 Ë ³ ¿ ñ 7 I & Ý À Ê

신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근거 261

적 접근의 방법론적 시각은 다 같이 스포츠 및 무용에서의 신체경험 현상

의 본질과 관련된 양상과 국면들을 규명하는데 유용한 방법적 도구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앞에서 살펴본 인간경험과 관련된 내재성, 주관성, 질적 속성을 고려하여 볼 때, 이것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데에는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일면 타당할 수 있을 것이다. 스포츠 혹은 무용에서의 신체경험의 의미는 내재적인 것으로 행위체험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체계의 메카니즘은 기계론적인 분석 혹은 설명을 초월한다. 그것은 살아있는 생생한 인식체험을 통하여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어떠한 면에서 정량적 언어개념으로는 표현될 수 없는 직접적이고 생생한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신현군, 1992).” 따라서 ‘스포츠 및 무용현상에 대한 현상학’은 개개인 신체활동 수행자의 체험에 근거한다. 스포츠나 무용에서의 현상학적 접근은 연구방법의 체계상 ‘질적 접근’의 속성을 가지며 주관적 경험에 대한 ‘기술과 분석’이라는 방법에 의해서 시작된다. 방법론적 시각에서 볼 때, 이것은 신체활동 경험 현상을 수량화된 데이터로의 환원을 통하여 그것의 수행 능력과 가치를 우열의 가

치척도로 분석하여 파악하려는 소위 ‘계량적 접근’의 방식과는 달리, 인간 신체경험의 질적 상태와 국면을 보다 직접적이고 내재적인 차원에서 표

출하여 그것의 본질과 구조를 체험적으로 파악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이것은 과학적으로 해석하기 어려운 살아있는 신체와 움직임 체험의 즉

각적인 상황과 국면에 보다 면 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공통된 방법론적 특징은 체험자의 주관적 경험국면과 상황에 대한

규명이라는 측면에서 ‘심층면담(Depth Interview)’ 혹은 ‘체험기술(Exper-iential Description)’ 기법을 사용한 ‘질적 연구’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연구의 기본적 속성은 연역적으로나 귀납적으로 증명하지 않고, 신체활동에서 체험되는 경험의 양상들을 수행자의 주관적 관점에서 기술하는 것이

다.인간이 수행하는 “스포츠 활동 현상은 과학적인 방법만으로는 충분하게 객관화시킬 수 없으며 그 전체적인 이해와 체험의 면목은 개인적으로

체험되고 실감될 뿐이다”라는 Lenk(1979)의 지적과 같이, 현상학은 그동

Page 12: ( S ÷ À à ßx Ë ³D I ÿx Â Ñ è ÿx Ô bcfs4.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01-22 · Ï z À O v ¯ ó î. I ì M 7 Ë ³ ¿ ñ 7 I & Ý À Ê

262 움직임의 철학:한국체육철학회지 제12권 제2호

안 과학적 실증주의에 근거한 계량적 연구가 가지고 있는 한계와 문제점

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연구로서 간주되었다. 그것은 인간경험의 주관적, 질적, 내재적 차원의 경험세계를 규명하는 적합한 연구도구로서 적합하게 여겨졌다.이와 같은 맥락에서 볼 때, 신체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은 스포츠 혹은 운동체험의 진행과정에 초점을 두고 주체로서의 신체체험의 의미와

중요성을 탐구하려는 시도로 이해될 수 있다.따라서 신체의 경험양상을 규명하는 방법으로서의 주관적 방법인 현상

학적 접근으로서의 체험적 기술은 스포츠 혹은 무용에서의 주관적 혹은

직관적 신체수행에 관련된 체험을 표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방법론적 체계가 궁극적으로 표출하고자 했던 것은 신체활동 수행 경험의 의미 발현과 가치의 창출이었다

고 할 수 있다. 즉 인간은 왜 스포츠를 수행하는가? 신체활동 경험의 본질은 무엇인가? 등등 이러한 물음에 대한 근원적인 추적 작업이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하나의 ‘학(Discipline)’으로서 체육학이 갖고 있는 본질적 특성을 고려하여 볼 때, 인접학문들의 지식체계나 방법론적 유형들을 도입하여 형성된 체육학은 나름대로의 주체적이고 독특한 연구방법론의 체계를 갈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현상학은 매우 설득력 있는 방법론적 체계를 가지고 있었

던 것이다. 방법론적 시각에서 볼 때, 현상학적 접근은 인간 신체경험의 질적 상황과 국면을 보다 직접적이고 내재적인 차원에서 생생하게 표출하여 그

것의 본질과 구조를 파악하려고 한다. 이 같은 특징은 과학적으로 해석하기 어려운 살아있는 신체와 움직임 체험의 즉각적인 상황과 국면에 보다

면 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 방법론적 장점을 수반하고 있다. 이는 신체활동 경험 현상을 수량화된 데이터로의 환원을 통하여 그것의 수행 능력과

가치를 우열의 가치척도로 분석하여 설명하려는 소위 계량적 접근의 방

식과 확연히 구별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체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우리 분야의 이러한 학문적 배경과 성향은 이 시기에 정의적 역으로 간주되는 신체체험 현상의 질적 차원

Page 13: ( S ÷ À à ßx Ë ³D I ÿx Â Ñ è ÿx Ô bcfs4.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01-22 · Ï z À O v ¯ ó î. I ì M 7 Ë ³ ¿ ñ 7 I & Ý À Ê

신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근거 263

을 규명하거나 다룰 수 있는 연구 접근을 갈망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현상학적 연구는 스포츠나 무용에서의 신체를 매체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주관적 경험 차원에 관한 연구를 위한 일종의

역할모델이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시도는 계량적 연구접근이 전횡적으로 장악해왔던 체육학 연구에 있어서 인간 신체활동의 질적인 차원을 보다 주체적으로 규명

하는 유용한 수단으로서 신체경험의 내재적 의미와 가치를 주체적으로

정립하고 파악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해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인간의 의식과 신체가 통합된 신체행위의 속성을 갖는 스포츠 및 무용의 본질적 의미와 구조의 규명작업이 현상학적 접근이라는 방법에 의

하여 더욱 가속화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Ⅳ. 결론

신체의 움직임을 매체로 하는 신체활동, 운동, 스포츠 등 광의의 체육활동과 관련지어 본다면 현상학은 다음의 두 가지 함축성을 제공하여 주

었다고 할 수 있다.첫째, 교육적 함의성이다. 체육에서 현상학이 규명하고자 하는 것은 주관적 체험이다. 특별히 살아있는 ‘인식 주체적 신체’의 체험은 교육의 주체인 개개인의 인격적 가치와 의미를 보다 주체적인 방향으로 고양시킬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체험의 교육적 가치 기반은 신체교육이 이루어지는 학교체육 현장에서의 목적과 목표, 교육과정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둘째, 방법론적 차원에서 이해될 수 있다. 즉 현상학은 스포츠 혹은 신체활동의 본질적 근원들을 파헤치는 방법론적 도구로서 인간의 신체경험

현상을 규명하는 새로운 관점과 기법을 제시하여 주었다는 것이다. 체육에서의 전통적인 연구방법 형태인 계량적 접근이 갖고 있는 한계와 문제

점을 극복하는 수단으로서의 현상학적 방법은 연구자들에게 있어서 매력

Page 14: ( S ÷ À à ßx Ë ³D I ÿx Â Ñ è ÿx Ô bcfs4.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01-22 · Ï z À O v ¯ ó î. I ì M 7 Ë ³ ¿ ñ 7 I & Ý À Ê

264 움직임의 철학:한국체육철학회지 제12권 제2호

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체육학 혹은 스포츠에서 신체활동의 현상학적 탐구는 인간의 신체경험

에 관한 묘사를 통하여 스포츠 혹은 신체활동 수행이 수반하고 있는 의미

세계의 펼쳐냄을 주안점으로 삼고 있다. 현상학적 견해를 옹호해온 선도적 학자들이나 연구를 수행한 연구자들에게 있어서, 그것은 스포츠를 비롯하여 다양한 신체활동에서 발현되는 경험의 기술을 통하여 그것에 내

재되어 있는 의미나 가치를 이해하고 고양시킬 수 있는 작업으로서 각인

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그들에게 있어서 이 같은 시도는 곧 계량주의적인 가치 일변도로 지속

되어온 체육에서의 신체교육의 목적이나 목표 방향 또는 교육과정의 내

용들을 보다 ‘인본적인 차원’에서 질적 가치체계로의 전환을 꾀하는 움직임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결국 현상학은 주로 체육철학에 관련된 학자들의 연구에 있어서 신체경

험이 수반되는 스포츠를 비롯한 다양한 신체활동의 본질을 보다 생생하

게 살아있는 현상으로서 규명하고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력적인 이론적

혹은 방법론적 도구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과 그것의 교육적 파급과 효

과에 대한 새로운 안목을 간파하 음을 알 수 있다.

Page 15: ( S ÷ À à ßx Ë ³D I ÿx Â Ñ è ÿx Ô bcfs4.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01-22 · Ï z À O v ¯ ó î. I ì M 7 Ë ³ ¿ ñ 7 I & Ý À Ê

신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근거 265

참고문헌

김정은(2003). 발레무용수의 신체현상학: Gabriel Marcel의 실존-현상학적 신체관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철학회지. 11(1).

신현군(1992). 동․서 체육의 문화적 전용과정: 인지, 수용, 변용. 한국체육학회지. 31(1).

신현군, 김대식, 김 환(1993). 체육철학. 서울: 나남출판사.이형일(2004). 스포츠 경험에 대한 메를로-퐁티의 살 철학적 접근. 한국체육학회지.

43(3).Allen, D. J. and Fahey, B. W.(1977). Being Human in Sport. Philadelphia: Lea &

Febiger. Allen, D. J. & Thomas, C. E.(1977). The Sport Experience and The

Experiencing of Self: In Human Being in Sport. Philadelphia: Lea & Febiger.Fraleigh, W.(1970). Theory and Design of Philosophic Research in

Physical Education. Proceedings in NCPEAM. Eugen. Oregon.Fraleigh, W. F.(1973). The Moving I. In Osterhoudt, R. G.(ed.). The

Philosophy of Sport. Springfield. Illinois. Chales, C. Thomas.Ihde, D. & Silverman, H.(1987). Description. New York: SUNY Press.Kleinman, S.(1964). The Significance of Human Movement: A Phenomenological

Approach. Lenk, H.(1979). Social Philosophy of Athletics. Champaign. Stipes Publishing Company.Marcel, G.(1949). Being and Having. Westminster: Dacre Press.Merleau-Ponty, M.(1962). Phenomenology of Percept. Colin Smith Translator, Boston:

Beacon Press.Metheny, E.(1968). Movement and Mean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Sartre, J. P.(1956). Being and Nothingness. Translated by Hazel, B. E. New York:

Washington Square Press.Slusher, H. S.(1967). Man, Sport and Existence: A Critical Analysis. Philadelphia: Lea

& Febiger.

Page 16: ( S ÷ À à ßx Ë ³D I ÿx Â Ñ è ÿx Ô bcfs4.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01-22 · Ï z À O v ¯ ó î. I ì M 7 Ë ³ ¿ ñ 7 I & Ý À Ê

266 움직임의 철학:한국체육철학회지 제12권 제2호

ABSTRACT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s of

Phenomenology in Body Experiences

Kim, Youn-Hee(Sookmyu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philosophical contexts of the studies dealing with somatic experiences and to explore the feasibility and the validity of "experiential description and analysis" that has been performed in somatic phenomenology.

Phenomenology in relation to physical activities has two types of implication; First, phenomenology in association with physical activities provides an

educational conceptual framework. Phenomenology in physical education deals with individual and subjective experiences. Phenomenological values in education underlies philosophical foundation in development of educational goals, objectives, curriculum, and so on.

Secondly, phenomenology provides methodological foundation in physical education. Phenomenology becomes an instrument to understand human movement and a way to go beyond the bounds that quantitative studies have set forth.

* 논문접수일자: 2004년 10월 20일* 논문심사일자: 2004년 11월 2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