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한국학대학 문학교재 개발 연구 · 한편 비교적 많은 대학에 개설되어...

189

Transcript of 해외 한국학대학 문학교재 개발 연구 · 한편 비교적 많은 대학에 개설되어...

  • 해외 한국학대학 문학교재 개발 연구

    2006. 12

    책임연구원:박혜주 (한국문학번역원)

    공동연구원:정민 (한양대학교)

    우찬제 (서강대학교)

    박찬응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신지원 (미국, 버클리대학교)

    마이클 페티드 (미국, 뉴욕 빙햄튼대학교)

    테어도어 휴즈 (미국, 콜럼비아대학교)

    이진경 (미국, 샌디에이고대학교)

    한매 (중국, 산동대학교)

    김경선 (중국, 북경외국어대학교)

  • 목 차

    논문개요 ·············································································································ⅲ

    Ⅰ. 서 론 ········································································································1

    Ⅱ. 미국 ···············································································································9

    1. 한국문학 강의 현황과 유형 ·································································11

    1.1. 강의 현황 ························································································12

    1.2. 강의 유형 ························································································21

    2. 한국문학 교재 현황 ···············································································40

    2.1. 고전문학 현황 ················································································40

    2.2. 현대문학 현황 ················································································54

    3. 교재 개선 방향과 제안 ··········································································66

    3.1. 교재 개선 방향 ··············································································66

    3.2. 고전문학 교재 제안 ·······································································69

    3.3. 현대문학 교재 제안 ·······································································73

    Ⅲ. 중국 ·············································································································81

    1. 한국문학 강의 현황 ·············································································83

    2. 한국문학 교재 현황 ···············································································86

    3. 교재 개선 방안과 제안 ··········································································97

    -ⅰ-

  • Ⅳ. 베트남 ········································································································107

    Ⅴ. 결 론 ·······································································································115

    영문초록 ·········································································································119

    부 록 ··········································································································123

    1. 미국 대학의 한국문학 관련 강좌 소개 ·······································125

    2. 앤솔로지에 수록된 현대문학 작품 현황 ·······································142

    3. 앤솔로지에 수록된 고전문학 작품 현황 ·······································162

    -ⅱ-

  • 논 문 개 요

    해외 한국학대학의 문학교재 개발을 위한 본 연구는 2005년도에 이루어진 의 후속 연구이다.

    작년의 연구에서는 미국, 중국, 베트남에서의 한국학과의 역사와 위상, 학습자와

    교수자 현황, 교과과정과 교재 현황 등 한국문학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전반적

    인 환경 파악을 위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현지에서 필요한 문학교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현지의 교육 여건과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선결과제이기 때문이다.

    올해의 연구는 작년의 연구를 바탕으로 이들 세 나라의 한국문학 강의 현황과

    한국문학 교재 현황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여, 앞으로 개발되어야 할 문학교재의 내

    용과 형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특히 현지에서 한국문학 강의를 담당하는 교수자들이 참여하

    여, 현지 한국문학 강의의 실제와 그에 따른 제안들을 출발점으로 연구를 진행하

    고자 하였다. 해외 한국학 대학 문학교재 개발의 목적이 현지의 여건에 맞고 현지

    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교재 개발에 있는 만큼 현지 학자들의 의견과 제안

    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국내 학자들이 제공할 수 있는 풍부한 자료와

    연구성과를 더하여 충실하게 교재 개발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했다.

    Ⅱ장에서는 미국의 한국문학 강의 현황과 교재현황, 그리고 교재의 개선방향과

    제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한국학 역사가 상대적으로 오래 된 미국 대학의

    경우, 대학의 여건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한국문학 강의가 비교적 다양하

    게 개설되어 있는 편이다. 미국 대학에서 제공되는 한국문학 강의들을 전반적인

    조망으로 보면 초급에서 고급, 입문적 접근에서 전문화되고 세분화된 강의 체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어 능력에 따라 강의가 달리 개설되어 있다. 또한 학부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강의가 많으며, 중국·일본·한국 등 아시아의 문학과 문화를

    상호 비교하거나 연관지어 제공하는 강의가 많고, 다민족 국가에다 유학생이 많은

    미국 대학의 특성에 따라 학생들의 언어능력이나 관심영역을 고려하여 강의가 개

    설되는 점 등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ⅲ-

  • 현재 활용되고 있는 교재들은, 특히 문학작품을 번역한 1차 자료의 경우 애초에

    교재로서가 아니라 한국문학의 해외소개 차원에서 번역·출간되었기에, 교재로서는

    내용과 형식 양쪽에서 적절치 못한 경우가 많다. 또한 각 강의 유형에 필요한 교

    재들 역시 1차 자료와 2차 자료 모두 많이 부족한 형편이고, 특정 장르의 부족 등

    이 두드러진다.

    미국 대학의 강의 유형 및 특성과 현재 활용되고 있는 교재들의 문제점을 바탕

    으로 앞으로 개발될 교재의 개선 방향과 구체적인 제안들이 이루어졌다.

    Ⅲ장에서는 중국 대학의 한국문학 강의 현황과 교재 현황, 그리고 앞으로 개발

    될 교재들에 대한 제안이 이루어졌다. 중국의 경우는 한국어학과 교육의 비중을

    주로 한국어 학습에 두는 특성으로 인해 한국문학 관련 강의의 설강 자체가 아직

    은 미흡한 상황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한국문학사’ 강의와 ‘한국문학작

    품 강독’ 강의에 대한 분석과 현재 활용되고 있는 교재들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

    다. 중국 대학의 경우는 한국문학 강의 대상을 한국어학과 학생들로 제한하고, 교

    재도 한국어 교재를 위주로 하기 때문에 강의의 폭이 넓혀지기 어려운 측면이 있

    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 중국 대학에서 한국문학 강의가 활성화되려면 여러 가지

    기반 조성이 필요하겠지만, 교재의 측면에서 볼 때는 한국어 능력과 상관없이 강

    의를 들을 수 있도록 다양한 교재가 번역서로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중국 학생들

    의 관심과 흥미를 끌만한 교재 개발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Ⅳ장에서는 베트남을 다루었는데, 베트남의 한국학 기반은 중국보다 더 열악하

    여 한국문학 강의가 이루어지기에는 아직 여러 가지로 준비가 필요한 단계이다.

    그러나 베트남의 근래의 한국학과 수요의 증가를 생각할 때 앞으로의 발전을 뒷받

    침해줄 준비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교재의 측면에서는 한국문학 전반을 쉽게 설명

    한 초급 수준의 개설서를 비롯하여 한국과 베트남의 문화적 공통점이나 문화교류

    를 주제로 개발된 교재가 우선적으로 마련된다면 한국문학 강의의 발전에 큰 도움

    이 될 수 있을 것이다.

    -ⅳ-

  • Ⅰ. 서 론

  • Ⅰ. 서론 3

    Ⅰ. 서론

    해외 한국학대학의 문학교재 개발을 위한 본 연구는 2005년도에 이루어진 의 후속 연구이다.

    전년도의 연구는 해외 한국학대학에서 활용될 수 있는 문학교재 개발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표를 두고 이루어졌으나, 연구의 대부분은 대상으로 삼

    은 나라들에서의 한국학과의 역사와 위상, 학습자와 교수자 현황, 교과과정과 교재

    현황 등 한국문학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 파악에 치중되었다. 현지에서 필

    요한 문학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현지의 교육 여건과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선결과제였기 때문이다.

    연구 대상으로 삼은 나라는 미국과 중국, 베트남인데, 이는 각 나라별 특성이 다

    른 가운데 각각의 단계에서 나름대로 발전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적절한 문학

    교재의 개발이 효과적인 지원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올해의 연구는 작년의 연구를 바탕으로 이들 세 나라의 한국문학 강의 현황과

    한국문학 교재 현황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여, 앞으로 개발되어야 할 문학 교재의

    내용과 형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각 나라별 현황과 연구의 필요성은 아래와 같다.

    미국은 1952년 하버드대학에서 한국어와 한국역사 강의가 시작되면서 한국학이

    뿌리를 내린 이래 오늘날은 60개 이상의 대학에서 한국 관련 강의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 대학에서의 한국학 강의는 동아시아 또는 아시아 지역을 단위로 설립된

    (동)아시아 언어와 문화/문명/문학 학과 안에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한국어 강

    의가 가장 많이 개설된 가운데 한국 역사, 사회, 정치, 경제, 문화, 문학 등의 강의들

    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각 대학에서 이처럼 다양한 강의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각 대학의 형편에 따라 한국어 강의만 제공되는 학교도 많고 전임 교원의

    전공에 따라 일부의 강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학을 전공하는 학생의 구성은 현

    지 원어민 학생, 재미교포, 한국유학생 등으로 이민과 유학생이 많은 미주 사회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같은 동아시아권인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서는 수적으로나

    전공 규모로나 미약한 형편이다. 한편 비교적 많은 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한국어

    강좌의 경우 미국 학생들의 숫자에 비해 조기유학생이나 교포 학생들의 수강이 점

    차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미국 학생들의 수강이 저조한 것은 제2외국

    어로서의 한국어의 경쟁력이 중국어나 일본어에 비해 약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 4 해외 한국학대학 문학교재 개발 연구

    이런 상황에서 한국어에 대한 미국 학생들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한국문학이

    나 문화 강좌를 통한 특별한 경험과 동기부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설득력 있게 제

    기되고 있다. 즉 한국문학이나 문화에 대한 교육은 다리를 놓는 일에 해당하고 어

    학은 다리를 건너는 기술에 해당한다고 할 때, 건너야 할 다리가 전제되어야 기술

    을 습득하고자 하는 동기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제기는 그동안 한

    국어에 치중하여 이루어진 정부의 지원정책이 미국적 현실을 고려하여 이제는 전공

    분야별 지원으로 우선순위를 바꾸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북미지역에서 한국문학 강의가 개설되어 있는 대학은 20여개이고 한국문학 전공

    교수가 있는 대학은 15개에 불과하다. 이들 대학에서 활용되고 있는 한국문학 관

    련 교재 현황을 보면, 다른 언어권에 비하여 비교적 많이 번역되어 있는 번역 작

    품들을 주로 활용하고 있으며 수적으로는 상대적으로 풍부한 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교과과정과는 내용과 형식의 측면에서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양화되어 있는 강의 편성의 단계를 교재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

    다. 지역학적 관점이라고는 해도 한국학 강좌의 지향점이 인문학적 성향을 보이는

    미국 대학의 교육환경에서 적절한 한국문학 교재의 개발은 미국내 한국학의 수준

    을 높이고 보다 많은 학생들을 한국문학과 문화에 관심을 갖게 하는 중요한 동인

    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5년 연구에서 파악된 기본 현황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미국 대학의 한국문학 관련 강의의 유형 및 실제를 좀더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한

    편 활용되고 있는 교재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해 교재 개발의 방향을 보다 심층적

    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중국에서의 한국어학과의 설립은 1949년 북경대학과 연변대학에 한국어학과가

    설립된 것으로부터 시작되어 1980년대 말까지는 철저히 중국 정부의 계획에 따라

    몇몇 대학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2년에 한국과 수교가 이루어진 이후 양국간

    경제, 문화교류가 활발해지면서부터 한국어학과의 설립은 중국사회에서의 한국어

    인력 수요의 증가에 발맞춰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오늘날은 적어도 30개 이상

    의 대학에 한국어학과가 개설되어 있다. 이에 따라 중국 대학 내 한국어학과의 위

    상도 올라가고 있는데, 단적으로 동방어계나 아시아-유럽어계 혹은 아시아-아프리

    카어계 안의 ‘한국어 전업(專業)’으로 위치한 전통적인 입장의 학과구성에 비해 외

    국어학원 내에 독립된 학과로 구성된 ‘한국어계(系)’가 늘어나고 있으며, 연변대학

    이나 산동대학 위해분교의 경우처럼 단과대학에 해당하는 ‘한국어학원(學院)’의 규

    모로까지 커진 곳도 있다. 학생 구성은 조선족 학생이 많은 연변대학이나 중앙민

  • Ⅰ. 서론 5

    족대학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한족 중심으로 되어 있으며, 졸업 후의 높은 취업

    률로 인해 지원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교수자의 현황은 아직은 학사 출신

    이 많고 박사학위 소지자는 전체 교수의 5%도 안 되지만 한국으로의 석박사 과정

    유학이 늘고 있으며 중국 내 한국어학과 대학원 과정의 개설도 증가하고 있어 한

    국학의 전문 분야 전공자가 점차 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한국어학과의 교과목

    은 주로 어학 위주로 되어 있어서 보통 1학년에서 3학년까지는 주당 15시간 이상

    한국어 관련 강의가 편성되어 있다. 어학에 치중한 교과 편성은 학생들이 대학에

    들어와서 처음 한국어를 배우게 된다는 점과 졸업 후 취업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한국어 능력이 중요하다는 현실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어 관

    련 과목들이 세분화되고 체계화되어 있는데 비해, 전문 분야에 관련된 과목들은

    주로 개론 형태로 역사, 정치, 경제, 문화, 문학 관련 과목들이 있으나 대학별로 담

    당교수의 전공에 따라 부분적으로 개설되어 있는 형편이다. 그 중에서 한국문학

    관련 교과목들은 문학사와 문학작품 강독과 감상에 해당하는 과목뿐이고 드물게

    ‘중한문학비교’ 라는 과목이 개설된 대학이 있을 뿐이다. 한국문학 강의에 활용되

    는 교재의 수는 매우 적은데다, 한 가지 특징은 번역도서의 활용이 매우 저조하다

    는 점이다. 이는 물론 번역된 작품의 수가 아직 적은 것도 한 원인이지만, 무엇보

    다도 강의의 목표를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배양에 가장 우선적으로 두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 해독에 치중하다보면 한 학기에 두 세 작품의 강독에

    그치게 되는 것이 현실이어서 번역서를 활용한 한국문학 감상이 필요하고,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는 대학원 과정에서는 오히려 번역서들이 유용하다는 의

    견도 있다.

    이러한 중국적 상황에서 한국문학 관련 교재 개발은 과연 어떤 구체성을 가질

    수 있을지 고찰해 보는 것이 2005년에 이은 본 연구의 목표이다.

    베트남의 경우는 한국과 수교가 이루어진 1992년 이후 국립 하노이대학교와 호

    치민 대학교를 비롯하여 9개 대학에 한국학과가 설치되었다. 베트남 역시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과의 경제 문화적 교류가 확대되고, 특히 베트남이 경제개방정책

    을 펼치며 한국을 경제발전의 모델로 삼으면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베트

    남 내에서의 한국어 인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대학에서의 한국학과의 개설 역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베트남 대학에서의 한국학과는 대개 동방학부 안에 속해

    있으며 학과명도 ‘한국학과’로 되어 있다. 한국학과가 문학부에 속하지 않고 동방

    학부에 속해 있는 것은 학과 성격이 지역학의 성격을 띠고 있음을 의미한다. 중국

    의 경우처럼 베트남에서도 졸업 후 취업이 용이하다는 점에 힘입어 한국학과에 지

  • 6 해외 한국학대학 문학교재 개발 연구

    원하는 학생들의 숫자는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늘어나는 학생수에 비해 교수자의

    현황은 매우 열악한데, 한국학과의 설립 역사가 아직 일천한 데다 졸업 후 대학보

    다는 한국 관련 회사에 취직하는 것을 더 선호하는 편이어서 자체적으로 양성된

    한국학 전문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교과과정의 편성을 보면 한국어 강의의

    비중이 압도적인 가운데, 한국의 자연 환경, 정치, 경제, 역사, 문화, 사회, 국제관

    계 등에 대한 강좌명을 커리큘럼에서 발견할 수 있으나 한국어를 제외한 강의의

    진행은 다른 과에서 초빙한 교수들이 맡거나 심지어 일시적으로 방문한 한국 교수

    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형편이다. 교재 상황 역시 매우 열악하여 정식 교재에 해당

    하는 것은 한국어 교재에 국한되어 있고, 그것도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들

    을 가져다 사용하는 수준이다. 아직 교재로 활용할 만한 번역서가 매우 드물고, 베

    트남 역시 한국어 교육을 우선적으로 생각하고 있어 한국문학에 관한 강의가 이루

    어지기에는 아직 여건이 불충분한 편이라 할 수 있다.

    미국과 비교하여 볼 때 중국과 베트남은 자국 내에서의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의 사회경제적 효용이 커져 학과와 학생의 수요가 증가하는, 이른바 시장논리 속

    에서의 발전을 보이고 있으나 이를 뒷받침할 교육 인프라가 따라가 주지 못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학 교육여건을 개선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전문 교수

    인력 양성을 비롯한 다각적인 노력과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이런 상황에서

    의 한국문학 교재의 개발은 아직 시작 단계에 있는 교과과정의 전문화를 견인할

    수 있는 중요한 뒷받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과 관련하여, 이번 연구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현지 학자와

    의 공동연구 체제이다. 2005년 연구 역시 현지의 한국학 교육 현황 파악과 문제점

    을 알아내는 데 중점을 두고 이루어졌지만, 보다 심층적이고 실제적인 교재 개발

    방안을 찾아내고자 하는 올해의 연구에서는 현지에서 한국문학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수자들을 통해 현지 한국문학 강의의 실제와 그에 따른 제안들을 출발점으

    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해외 한국학대학의 문학교재 개발의 목적이 현

    지의 여건에 맞고 현지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교재 개발에 있는 만큼 현지

    학자들의 의견과 제안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국내 학자

    들이 제공할 수 있는 풍부한 자료나 연구성과를 더하여 충실하게 교재개발의 방향

    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실제 연구의 범위는 나라별로 다른 상황으로 인해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는데,

    세 나라 중 가장 한국학 역사가 오래 되었고 한국문학 강좌도 다양하게 개설되어

  • Ⅰ. 서론 7

    있으며 활용되고 있는 교재의 수도 상대적으로 많은 미국의 경우는 강좌와 교재에

    대한 고찰이 비교적 자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중국

    과 베트남의 경우에는 새로운 교재에 대한 제안이 위주가 될 수밖에 없음을 밝혀

    둔다.

    또한 미국과 중국의 경우에는 한국 현대문학과 고전문학을 전공한 현지 학자들

    이 공동연구자로 참여했으나 베트남의 경우에는 한국문학 전공 학자의 참여를 구

    하지 못했다.

  • Ⅱ. 미 국

  • Ⅱ. 미국 11

    1. 한국문학 강의 현황과 유형

    미국 대학에서의 한국문학 관련 강의 현황은 대학에 따라 매우 다르게 나타나는

    데, 학교에 따라 강좌의 내용이나 숫자가 다른 데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다.

    먼저 강의를 제공하는 교수자의 측면에서 볼 때, 아직 한국문학 전공 교수가 많

    지 않은 것이 한 요인이 된다, 현재 북미에서 한국어를 포함하여 한국학이 개설된

    대학은 56개에 이르지만, 한국문학 강의가 제공되는 대학은 20여개에 불과하고 그

    중에서 한국문학 전공 교수가 있는 대학은 18개 대학이다.1) 그리고 이들 대학에서

    한국문학 전공 교수는 단지 한 명에 그친다. 고전문학과 현대문학 또는 다양한 문

    학 장르별 전공 영역을 단 한 명의 교수가 모두 담당해야 하는 상황에서, 강의는

    담당교수의 전공 영역이나 관심분야에 따라 개설되는 경향을 보일 수밖에 없고,

    1) 현재 미국에서의 한국문학 전공 교수가 있는 대학은 아래와 같다.

    표에서 나타나듯이 현대문학 전공자가 비교적 많고, 고전문학 전공자는 매우 드물다, 전공분

    야가 한국문학으로 표기된 경우는 고전과 현대를 딱히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 해당한다.

    대학명 교수명 전공분야

    Columbia Univ. Theodore Hughes 현대문학

    Cornell Univ. Michael Shin 한국역사와 현대문학

    George Washington Univ. Young-Key Kim Renauld 언어학

    Harvard Univ. David McCann 한국문학

    Ohio State Univ. Chan E. Park 한국문학과 공연예술문화

    State Univ. of N.Y. Binghamton Michael Pettid 고전문학

    Univ. of California Berkeley Jiwon Shin 한국문학

    Univ. of California, L. A. Peter H. Lee 한국문학

    Univ. of Chicago Kyeong-Hee Choi 현대문학

    Univ. of Hawaii, Manoa Yung-Hee Kim 한국문학

    Univ. of Southern California Jinhee Kim 비교문학

    Univ. of Utah Kiweon Cho 비교문학

    Univ. of Washington Scott Swaner 현대문학

    Rutgers Univ. Ann Y. Choi 현대문학

    Univ. of British Columbia Fulton Bruce 현대문학

    New York Univ. Janet Poole 현대문학

    Univ. of California, San Diego Jinkyung Lee 현대문학

    Univ. of California, Irvine Serk-Bae Suh 근대문학과 근현대지성사

  • 12 해외 한국학대학 문학교재 개발 연구

    따라서 대학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다.

    한국문학 관련 강의가 다르게 나타나는 또 다른 이유는 미국 대학의 학제와 수

    강 학생의 구성에서도 찾을 수 있다. 우선 미국 대학의 학제상 한국문학이 제공될

    수 있는 동아시아 혹은 아시아학과의 구조는 대학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동아시

    아학과 안에서 포괄적으로 수업을 듣고 한국을 초점으로 하여 학부와 대학원에서

    학위를 받을 수 있는 대학이 있는가 하면 동아시아학과 안에 일본학, 중국학과 함

    께 한국학으로 전공이 나뉘어져 있는 대학도 있고, 또한 아직 학부과정에만 한국

    학 과정이 있고 한국학 전공 대학원 과정이 설치되지 않은 대학도 있다. 이러한

    차이는 강좌 개설에 있어서도 차이를 만들어낼 수밖에 없는데, 각 대학의 학제에

    따라 단적으로 수강 학생들이 동아시아학과 안의 모든 학생들이 대상이 될 수도

    있고 한국 전공 학생들만이 대상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각 대학별로 학생들의

    학과 연관성이나 관심 사항에 따라 강좌는 달리 구성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한편, 동아시아학과의 운영과 관련된 학제에 따른 수강 학생의 구성 외에, 한국

    학 전공 학생들의 구성도 학교에 따라 강의의 수준이나 내용을 다르게 만드는 요

    인이 된다. 한국학 전공 학생들의 구성은 통상 한국계와 비한국계로 나눌 수 있는

    데, 한국계는 교포, 조기유학생, 유학생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되고 비한국계 역시

    다양한 인종 구성을 보이고 있다. 학생들의 다양한 구성은 한국어 능력을 비롯하

    여 한국문학에 대한 사전 지식, 관심의 방향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이는 수업의 운영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각 대학의 조건에 따라 한국문학 관련 강좌의 강의 현황은 층차가 클 수

    밖에 없음을 전제로 하여, 일단 강좌들을 개관해본 후 강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징을 찾아보기로 한다.

    1.1. 강의 현황 아래에 제시된 표는 미국 대학의 한국문학 강의 현황이다. 해당 대학의 웹사이

    트와 담당 교수 등을 통해 파악한 강의명과 강의 설명(Course Description)2)을 바

    탕으로 각 대학에 개설된 강의들이 다루고 있는 시대와 주제, 수강 대상학생, 교재

    형식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이 표는 미국에서 한국문학 강의가 제공되는 모든 대학을 담고 있지는 못

    2) 부록 1 참조.

  • Ⅱ. 미국 13

    번호 대학 강좌명 시대 주제대상

    학년교재 비고

    1

    Columbia

    KOREAN G9010y

    Seminar on Korean

    Prose Literature

    구분

    없음

    특정 주제나

    장르 대학원

    한국어본

    주요 산문

    작품

    2

    EAST ASIAN G9500x

    Korean Literature and

    Colonial Modernity

    1900~

    1945

    식민지 시대

    한국문학대학원

    한국어본

    문학 작품과

    비평

    3

    EAST ASIAN V3215x

    Korean Literature and

    Film

    1945~

    현재

    영화와

    문학작품에

    반영된 한국

    사회

    학부 영화, 문학작품

    4

    EAST ASIAN 4200W

    Modern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현대한국문학

    개론

    학부

    Survey영역본

    5

    EAST ASIAN V2363

    Intro. to East Asian

    Civilization: Korea

    고전

    현대

    한국 문화,

    역사, 종교.

    사회, 문학

    학부

    교양영역본

    6

    Cornell

    ASIAN 311

    Modern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1945~

    현재

    한국 현대시의

    전개와

    지성사와의

    관계

    학부

    300-level

    영역본

    현대시, 관련

    논문

    7

    ASIAN 312

    Intellectuals In Early

    Modern Korea

    19세기

    초~1945

    한국 근대사

    개론

    학부

    Survey

    300-level

    영역본

    역사 수업

    (문학

    작품

    취급)

    8George

    Washington

    111 & 112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111:

    고전

    112

    111:

    고전문학

    112:

    학부

    Survey영역본

    하며, 또한 각 대학별 강좌 소개도 빠짐없이 제시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1차적으

    로는 연구가 진행된 2006년 7월 시점에서 각 대학 웹사이트에 올라와 있는 자료들

    에, 개별적으로 연락이 닿은 담당교수들이 보내준 자료를 더하여 표를 작성하였다.

    웹사이트에 올라온 강의 소개는, 학교에 따라 한국문학 관련 전 강좌에 대한 소개

    인 경우도 있고 해당 학기에 개설된 강좌 소개만 하는 경우도 있어 모든 한국문학

    강의를 망라했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미국 대학에서 제공되는 한국문학 강의

    현황을 개괄하고 그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기에는 충분한 자료라고 생각된다.3)

    3) 한국어 고급 과정에서 한국어로 된 문학 텍스트를 쓰는 경우나, 비정규적인 성격의 강의들

    예를 들어 방문교수의 1학기 짜리 강의 또는 “Independent Study” 코스는 대상에서 제외

    하기로 한다.

  • 14 해외 한국학대학 문학교재 개발 연구

    번호 대학 강좌명 시대 주제대상

    학년교재 비고

    :현대 현대문학

    9

    Harvard

    Foreign Cultures 80

    Korea's Cultural

    Identities

    고전

    현대

    구분없음

    한국문화

    개관

    학부

    초급

    영역본 :

    문학작품,

    역사적 저작물,

    미술, 음악 등

    10East Asian Studies 97

    Sophomore Tutoria고전

    한국문학과

    역사

    학부

    2학년영역본

    한·중·일

    팀티칭

    11East Asian Studies 98

    Junior Tutorial고전

    한국문학과

    역사

    학부

    3학년영역본

    12

    East Asian Studies 160

    Three Forms of Asian

    Poetry: Reading and

    Composition/Imitation

    고전 고전

    학부

    고급

    강좌

    영역본감상 및

    창작

    13

    Korean Literature 132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고전

    현대

    한국문학

    개론

    학부

    고급강좌,

    *대학원

    영역본

    14

    Korean Literature 210

    Pre-modern Korean

    Literature

    고전고전 문학

    자세히 읽기대학원 한글본 텍스트

    15Korean Literature212

    Modern Korean Poetry현대

    한국 현대시

    읽고 번역

    실습

    번역

    16

    Ohio

    State

    Korean 231

    Elements of Korean

    Culture

    역사, 사회,

    정치, 종교,

    지리

    학부 영역본

    17

    Korean 251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고전

    현대

    한국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문학의 변천

    학부 영역본

    영화

    18

    Korean 505

    Korean Drama in

    Translation

    현대20세기

    희곡작품학부 영역본

    19

    Korean 600

    Performance Tradition in

    Contemporary Korea

    전통공연문화

    의 현대적

    존재와 수용

    학부

    대학원

    영역본 및

    구비문학,

    판소리 작품

    20

    Korean 645

    Korean American

    Literature

    한미작가들의

    시, 소설,

    희곡작품

    학부

    대학원영어원본

    21

    Korean 654

    Korean Literary

    Tradition

    고전 고전문학학부

    대학원영역본

    22East Asian 677

    Performance Tradition in

    공연예술의

    민속학적

    학부

    대학원

    영어원본

    영역본

    한․중․일

    팀티칭

  • Ⅱ. 미국 15

    번호 대학 강좌명 시대 주제대상

    학년교재 비고

    Contemporary East Asia 고찰

    23

    Korean 753

    Advanced Reading in

    Classical Text

    고전

    현대

    고대에서

    현대까지

    작품 및 비평

    학부

    대학원한국어원본

    24

    SUNY at Binghamto

    n

    Korean 240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고전

    문학작품을

    통해 보는

    20세기 이전의

    한국 사회와

    문화

    학부 영역본

    25

    KOR 241

    Korean Literature of the

    Twentieth Century

    현대

    사회 문화적

    흐름 속에서의

    20세기

    한국문학

    학부 영역본

    26

    Korean 380W

    Topics in Korean

    Literature

    고전조선후기

    문학학부 한국어원본

    27

    UC

    Berkeley

    Korean 7A &7B

    Introduction to

    Pre-Modern/Modern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고전

    현대

    한국

    고전문학/

    문화 입문,

    한국 현대

    문학/문화

    입문

    학부

    초급영역본

    28

    East Asian Literature 100

    Reading Alternative

    Space

    구분없음

    ‘유배’를

    주제로 고전

    및 현대

    문학작품 분석

    학부

    고급영역본

    29

    Korean 180

    Critical Approaches to

    Korean Literature

    구분없음문학 작품

    분석 비평

    학부

    고급영역본

    30

    Korean 130

    Genre and Occasion in

    Traditional Poetry

    고전고전 운문

    읽기

    학부

    전공

    고급

    한글본 작품

    영역된 논문

    31

    Korean 140

    Narrating Persons and

    Objects in Traditional

    Korean Prose

    고전고전 산문

    읽기

    학부

    전공

    고급

    한글본 작품

    영역된 논문

    32

    Korean 200Special Topics in Korean Literature for Graduate Students

    구분없음대학원

    세미나대학원

    한국문학

    부전공생

    수강가능

    33

    Korean 207A

    Major Issues in

    Premodern Korean

    고전대학원

    세미나대학원

    한국문학

    부전공생

    수강가능

  • 16 해외 한국학대학 문학교재 개발 연구

    번호 대학 강좌명 시대 주제대상

    학년교재 비고

    Literature and Culture

    34Korean 150

    Modern Korean Poetry현대 현대 시

    학부

    전공

    고급

    한글본 작품

    영역된 논문

    35Korean 155

    Modern Korean Fiction 현대 현대 소설

    학부

    전공

    고급

    한글본 작품

    영역된 논문

    36

    Korean 157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현대 당대 문학

    학부

    전공

    고급

    한글본 작품

    영역된 논문

    37

    Korean 163

    Translation Theory and

    Practice

    문학

    번역

    현대 문학

    번역 이론과

    실기

    학부

    전공

    고급

    한글본 작품

    영역된 논문

    38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KOR 463

    Introduction to

    Traditional Korean

    Literature

    고전

    한국

    고전문학

    소개

    학부 영역본

    39

    KOR 464

    Introduction to Modern

    Korean Literature

    현대

    한국

    현대문학

    소개

    학부 영역본

    40Modern Korean Woman

    Writers and Culture현대 여성문학 학부 영역본

    41KOR 613 (Alpha)

    Korean Verse고전 고전시가 대학원 한글본

    42KOR 614 (Alpha)

    Korean Narrative고전 고전 산문 대학원 한글본

    43KOR 615 (Alpha)

    Korean Drama한국 희곡 대학원 한글본

    44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EALC 332

    Korean Literature in

    English Translation

    고전

    현대모든 장르 학부 영역본

    45

    EALC 335

    Literature of the Korean

    People

    현대

    국내외

    한국인들의

    문학

    학부 영역본

    46

    EALC 385

    Readings in Korean

    Poetry

    고전

    현대

    고전 시가

    현대 시

    영역본

    한글본

    47

    EALC 386

    Readings in Modern

    Korean Literature

    현대현대소설

    희곡

    영역본

    한글본

  • Ⅱ. 미국 17

    번호 대학 강좌명 시대 주제대상

    학년교재 비고

    48University

    of Utah

    3100

    Korean Culture Through

    Literature & Film

    동양과

    서양문학

    비교를 통해

    본 한국 문화

    학부

    survey

    영역본

    영화

    49

    University

    of

    Washingto

    n

    KOREAN 415

    Social Science Literature

    in Korea

    현대 한국 문화학부

    고급한국어본

    50

    KOREAN 416

    Readings in Korean

    Literature

    현대현대소설

    읽기

    학부

    고급한국어본

    51

    KOREAN 531

    Advanced Readings in

    Modern Korean

    Literature

    해방후해방 후

    현대시인대학원 한국어본

    52

    U.C.L.A.

    130A/B

    Readings in Modern

    Korean Literature.

    현대

    주요

    한국문학

    작품

    학부

    53

    150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Classical.

    고전

    한국

    고전문학

    개론

    학부

    survey영역본

    54

    151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Modern.

    현대

    한국

    현대문학

    개론

    학부

    survey영역본

    55215

    Korean Literary History한국문학사

    대학원

    세미나

    56

    230A/B

    Seminar: Literary

    Translation from Korean

    문학번역 대학원문학

    번역

    57

    235A/B

    Seminar: Topics in

    Modern Korean

    Literature

    현대

    한국

    현대문학

    연구

    대학원 2차 자료 포함

    58

    240A/B

    Seminar: Classical

    Korean Fiction

    고전

    한국

    고전문학

    연구

    대학원 2차 자료 포함

    59

    243

    Translation Workshop:

    Premodern Korean Texts

    한국

    고전문학

    번역

    대학원번역

    강좌

    60

    245A/B

    Seminar: Classical

    Korean Poetry

    고전

    고전문학

    비평적 읽기/

    분석

    대학원

    61 University ASIA347 고전 한국 학부 영역본

  • 18 해외 한국학대학 문학교재 개발 연구

    번호 대학 강좌명 시대 주제대상

    학년교재 비고

    of British

    Columbia

    Traditional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고전문학

    소개

    62

    ASIA 357

    Modern Korean Fiction

    in Translation

    현대

    한국

    현대문학

    소개

    학부 영역본

    63

    KORN 410

    Modern Korean Short

    Fiction

    현대한국 현대

    단편소설 학부

    한글 발췌본,

    부대자료

    영어본

    번역

    포함

    64

    KORN 412

    Korean-to-English

    Literary Translation

    한영 번역번역

    강좌

    65

    ASIA 583A

    Topics in Modern

    Korean Literature

    1906-

    1990

    한국 문학과

    한국 사회의

    관계

    대학원

    위의 표에서 표면적으로 발견되는 몇 가지 특징들을 교재를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Korean Literature in English’,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과 같이

    강좌명에서 영역본 텍스트로 진행되는 한국문학 강좌임을 부각시킨 강좌들이 대부

    분의 대학에서 발견된다는 점이다. 이는 미국 대학에서 번역본 텍스트가 광범위하

    게 활용되고 있음을 말해주는데, 위의 표에서 교재 항목을 보아도 대학원 과정이

    나 학부의 일부 과정을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번역본 텍스트가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충실하게 잘 번역된 교재의 중요성은 거듭 인식되어야

    할 부분이라 하겠다.

    둘째로 ‘East Asian Civilization : Korea’, ‘Korea's Cultural Identities’, ‘Korean

    Culture Through Literature & Film’ 등과 같이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라는 큰 범

    주 안에서 문학 텍스트가 다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동아시아 혹은

    아시아 문화/문명과 언어/문학 학과라는 학과 성격 속에서 문학 연구가 문화연구

    와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문학 연구와 문화

    연구의 연계성 역시 교재로서의 문학작품 번역이 갖추어야 할 내용과 형식, 그리

    고 문학 이외의 다양한 문화적 영역의 1차 자료와 2차 자료들의 번역의 필요성을

    일깨워주는 대목이다.

    셋째로 현대문학과 고전문학의 강의 현황에 관한 것이다. 위의 표에서는 우선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을 구분 없이 대상으로 삼거나 혹은 고전문학 시기에서부터

  • Ⅱ. 미국 19

    현대문학에 이르기까지 전체를 대상으로 삼는 강좌들이 눈에 띄는데, 주로 앞에서

    언급한 영어로 번역된 한국문학을 대상으로 한 개론 성격의 강좌나 한국문화 관련

    강의들, 혹은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강의가 진행되는 경우들에 해당한다. 현대문학

    이나 고전문학의 시대구분이나 장르 구분을 망라하는 혹은 아우르는 이러한 강의

    방식은 미국 대학에서의 한국문학 강좌의 한 특징이라 할 만한데, 이런 경우에 과

    연 어떤 교재들이 활용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한편 현대문학과 고전문학이 구분되어 강의가 개설되어 있는 상황을 위의 표만

    으로 본다면, 현대문학 강좌의 개설이 단연 우세한 가운데 대학에 따라서는 고전

    문학 강의가 집약적으로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가장 단적으로는

    각 대학에 한국문학 전공 교수가 단 1명밖에 없어서 강의의 개설이 해당 교수의

    전공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단 한

    명의 교수가 주로 한국문학 강의를 전담해야 하는 상황에서,4) 커리큘럼 상 현대문

    학과 고전문학 강의가 이미 각각 설강되어 있을 경우 본인의 전공에 상관없이 강

    의를 담당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고, 이는 교수들로 하여금 자신의 전공을 고

    전문학이나 현대문학이 아닌 ‘한국문학’으로 표현하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5)

    이처럼 강의 인력이 충분치 않고 한 명의 교수가 다양한 분야의 강의를 해야 하

    는 상황에서 적절한 교재는 현실적으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고, 상대적으

    로 전공 교수가 훨씬 적은 고전문학의 경우에는 더욱더 그 필요성이 강조될 수 있

    겠다.

    넷째로 위의 표에 나타난 강좌만으로 볼 때 한국문학 관련 강의가 그다지 다채

    로운 편이 되지 못함을 지적할 수 있다. 물론 위의 표가 완전하지 못하고 또 학교

    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감안하더라도 강좌의 종류나 수가 빈약함을 부인할 수 없

    다. 전공교수도 많고 수강학생도 많은 중국학이나 일본학과 단순 비교하는 것은

    부질없는 일이지만, 적어도 동아시아학과 안에서 다른 나라의 문학과의 비교문학

    적 관점에서 강의와 연구가 이루어지고 또 그 안에서 학생들의 전공이 정해지는

    점을 고려할 때, 다양한 강좌의 설강은 매우 긴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다양한

    강좌의 설치를 위해서는 물론 교수자 여건이나 한국문학에 대한 수요 등 충족되어

    야 할 선결조건들이 많겠지만, 교재의 제한성이 강좌의 제한성을 낳기도 한다는

    4) 경우에 따라서는 타 전공 강사나 한국에서 온 방문교수가 일시적으로 강의를 담당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혼자서 담당해야 하는 형편이다.

    5) 물론 전공을 학위논문만으로 규정하는 것이 불합리한 경우나 딱히 현대문학이나 고전문학

    으로 전공을 표현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 20 해외 한국학대학 문학교재 개발 연구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로 한국문학 번역강좌가 설치되어 있는 대학들이 눈에 띄는데 하버드 대

    학과 UCLA, Ohio State, UBC, UC Berkeley등이 그러하다. 이들 대학의 경우 대

    부분 한국문학 작품의 번역에 힘써온 한국문학 담당 교수들이 동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주지하다시피 하버드대학의 데이비드 맥켄 교수와 UCLA의 피터 리

    교수, UBC의 브루스 풀턴 교수는 그동안 많은 한국문학 작품들을 번역해 왔고 그

    들의 노고의 결과물이 교재로 활용되고 있는데, 한국문학 번역가이자 연구자인 이

    들의 노력이 후학 양성을 위한 번역 강좌로까지 이어짐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 아

    닐 수 없다. 특히 미국의 경우 교포나 조기유학생 등 이중언어 능력을 가진 인재

    들의 저변이 넓은 환경임을 고려할 때, 번역강좌의 활성화는 번역 전문가의 개발

    과 육성이라는 측면에서 특별히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여섯째로 한국 희곡에 관한 강좌는 하와이 대학과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만 발

    견되고 있어 동아시아학과 안에서는 한국 희곡 관련 강의가 별로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미국 대학에서 한국 연극은 연극과에서 전공할 수 있는데,

    현재 CSUN의 김아정 교수, USC의 김진희 교수, SUNY Stonybrook의 김기자 교

    수 UC Santa Barbara의 김숙영 교수 등이 연극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대

    학에서 한국 연극을 따로 가르치는 경우는 드물고6), World Theatre 혹은 동양 연

    극 등의 강의의 일부로 다루어지며, 판소리, 탈춤 등 소위 고전 연극이 커리큘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현상은 미국에서의 세계 연극의 관점이 이국적인 면들

    을 주목하는 때문이기도 하지만, 현실적으로 한국 현대 희곡작품의 번역이 거의

    되어 있지 않아 강의의 대상으로 삼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중국이나 일본

    은 고전극은 물론 20세기 근현대 작품 역시 번역되어 있어 제공되는 강의도 다양

    하고 전공자도 많은 편이다.

    그동안 다른 장르에 비해 희곡 작품의 번역과 출판이 등한시된 것은, 희곡을 독

    립된 문학작품으로서 보다 무대 위에서의 상연을 전제로 한 각본으로 취급하여 소

    외시켜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학에서의 한국문학 강의와 연구의 대상으로 볼 때

    는 한국 희곡 작품의 번역은 다른 장르와 다름없이 중요하게 여겨져야 할 것이다.

    6) 예외적으로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는 박찬응 교수의 지도로 한국어연극 연습과 공연이 이

    루어지고 있다.

  • Ⅱ. 미국 21

    1.2. 강의 유형 이제 북미 지역 한국학 대학에서 실제 진행되고 있는 한국문학 관련 강의의 실

    제를 유형별로 살펴보기로 하자. 모든 대학의 실제 강의 내용을 검토하는 것은 현

    실적으로 어렵고, 앞의 표에 제시된 강좌들의 강의 소개를 중심으로 수강학생(대

    상)과 강의 성격(목표), 강의 내용 그리고 사용되고 있는 교재에 따라 강의 유형

    을 분류해보기로 한다. 당연한 말이지만 강의 유형에 따라 강의의 성격과 내용, 강

    의 목표는 확연히 달라지고, 교재 또한 유형별로 구성 및 목표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미국의 한국문학 교재 개발이 단순하지 않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제 각

    유형별 특성과 구체적 강의 진행 사례를 검토하겠다.

    제 1 유형 : Undergraduate Lower Division Courses Open to All Students (학부 오픈 초급 강좌)

    1. 대상 : 한국어 능력 유무를 막론하고 어느 학생에게나 오픈 되어 있음.

    2. 강의 성격 : 일반 필수교양과목으로 정해져 있는 ‘비서구적인 과목’의 일환

    동아시아 문학/문화 전공에 대한 흥미를 갖도록 하는 과목

    3. 강의 내용 : 한국문학/문화에 대한 입문(introduction) 또는 개론(Survey)적

    접근

    4. 교재 : 영역본

    5. 교재요건 및 필요한 교재 : 문학 작품으로서 읽힐 수 있는 좋은 번역의 영역

    본 텍스트. 문화사, 미술사, 사상 및 종교사 등

    에 관한 영문 부대자료

    Columbia : East Asian V2363 Introduction to East Asian Civilization :

    Korea / East Asian 4200W Modern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George Washington :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Harvard : Foreign Cultures 80 Korea's Cultural Identities

    Ohio State : Korean 231 Elements of Korean Culture / Korean 251

  • 22 해외 한국학대학 문학교재 개발 연구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Berkeley : Korean 7A & 7B Introduction to Pre-Modern/Modern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Hawaii : KOR463 Introduction to Traditional Korean Literature /

    KOR464 Introduction to Modern Korean Literature

    Southern California : EALC 332 Korean Literature in English Translation

    Utah : 3100 Korean Culture Through Literature & Film

    UCLA : 150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Classical / 151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Modern

    UBC : ASIA347 Traditional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 ASIA357

    Modern Korean Fiction in Translation

    제1유형에 속하는 위의 강의들은 한국 문화에 대한 강의에 문학이 활용되는 경

    우와, 한국 문학에 대한 개설적 이해를 도모하는 강의들이다. 학부의 모든 학생들

    에게 개방되는 강의로 학교에 따라 일반 필수 교양과목으로 설정되어 있는 ‘비서

    구적 과목’에 속하거나 혹은 동아시아 문학 전공에 대한 흥미유발을 목표로 개설

    되어 있는 강좌이다. 학생들은 한국어 능력과 관계없이 이 강좌를 수강할 수 있으

    며 교재로는 영역본을 사용하게 된다.

    실제 강의의 예를 살펴보자.

    먼저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속에서 한국 문학 작품이 대상이 되는 경우를 보자.

    Korean 7A: Introduction to Pre-modern Korean Literature &

    Culture(UC Berkeley) : A survey of pre-modern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from the seven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the

    relation between literary texts and various aspects of performance

    tradition. Topics include literati culture, gender relations, humor, and

    material culture. Texts to be examined include ritual songs, sijo, kasa,

    p'ansori, prose narratives, art, and contemporary media representation of

    performance traditions. All readings are in English.

  • Ⅱ. 미국 23

    Foreign Cultures 80: Korea's Cultural Identities(Harvard) :

    Surveys Korean cultural history from Unified Silla, through Koryo, Choson,

    and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Then considers major topics

    and issues in twentieth-century Korean history: the Japanese Occupation,

    1910-1945; the Korean War; the relations of state and society in

    contemporary Korea; reunification. Course materials include literary works,

    historical writings, and other cultural forms, such as art and music.

    Berkeley의 Korean 7A: Introduction to Pre-modern Korean

    Literature & Culture는 한국어 능력과 관련 없이 모든 학생에게 개방된 입문 코

    스 강좌로, 동아시아 문학 전공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데 목표를 둔다.

    Berkeley의 경우 동아시아 언어문화과에는 동일한 계열 과목으로 Chinese 7A:

    Introduction to Pre-modern Chinese Literature & Culture 와 Japanese 7A:

    Introduction to Pre-modern Japanese Literature & Culture 가 개설되어 있다. 전

    공 또는 부전공을 동아시아 언어문학과의 세부 전공 중 하나(Chinese 전공,

    Japanese 전공, 또는 Korean 부전공, Buddhism 부전공)로 선택한 학생들은 이 시

    리즈의 강의를 적어도 한 과목 이상 듣는 것이 필수 요구로 부과된다. 미국 지역

    타 대학에서 한국 문학/문화에 대한 입문 수업이 고전과 현대를 뭉뚱그려서 진행

    되는 경우들이 많은 데 반해 Berkeley의 경우 고전과 현대를 한 학기 씩 구분하여

    가을 학기는 Korean 7A(Pre-modern)를, 봄 학기는 Korean 7B(Introduction to

    Modern Korean Literature & Culture)를 나누어 수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Harvard의 Foreign Cultures 80: Korea's Cultural Identities는 이 대학

    학부 교육 제도의 중점을 이루는 ‘Core Curriculum’(보통의 경우 general education

    이라고 함) 중 한 부분인 “타국 문화에 대한 이해"(Foreign Cultures)를 구성하는

    강의 가운데 하나다. 참고로 Foreign Cultures 관련 강좌는 20~30가지 정도가 있

    는데, 한국 문화 정체성을 주제로 하는 이 강의는 그 가운데 하나다. 과

    달리 는 고전과 현대의 구분 없이 한국 문화사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식

    을 취한다.

    이 두 강의의 교재는 당연히 모두 영역본만 쓴다. 두 강좌 모두 한국문학과 문

    화의 입문적 접근을 통해 학부 학생들에게 대학 교육 중 인문학 전반에서 중요시

    되는 비판적 사고 능력(critical thinking skill), 자세히 읽기 능력(close reading),

    분석적 글쓰기 능력 (analytical writing) 및 타국 문학/문화에 대한 학구적인 접근

  • 24 해외 한국학대학 문학교재 개발 연구

    태도 등을 성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단순히 한국 문화와 문학에 대한 입문적

    성격보다는 한국 문화와 문학이라는 ‘창'을 통해서 대학 보편 수준의 인문학 교육

    을 수행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그 한 예로 에서는 고전 문학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는 것을 넘어 계층성과 젠더 담론, 물질문화 및 공연예술까지를 포괄

    하는 사회 문화 전반에 관련한 문화활동을 이해하는 데 강의의 중점이 놓인다.

    이 경우 교재로서의 요건은 영역본이어야 하고, 취급하는 문학 텍스트는 한국문

    화에 대해 전혀 모르는 일반 학생들이 문학으로서 향유할 수 있는 보편적 텍스트

    여야 한다. 또한 동시에 문학 텍스트만으로 국한되지 않고 한국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는 보조 읽기 자료, 특히 문화사와 미술사, 사상 및 종교사 등에 관한 영

    문 자료들이 필요하다.

    다음은 한국문학에 대한 개설적인 이해와 입문적 접근을 하고 있는 강의들의 예

    이다.

    Kor 111 & Kor 112: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George

    Washington University): An introductory survey of Korean literature read

    in English translation. Kor 111: traditional poetry, fiction, storytelling, drama,

    diaries. Kor 112: modern fiction, drama, poetry, essays. (Academic year)

    EALC 332: Korean Literature in English Translation(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Korean novel, poetry, prose, and drama;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Western influence on Korean literature.

    EAST ASIAN 4200W: Modern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University of Columbia): Examines representative Korean literary texts of

    the twentieth century. Texts are drawn from bot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and the post-liberation period (1945-present). Literary works

    supplemented by theoretical texts and recent scholarship on modern Korea.

    Treatment of works written in the colonial period includes consideration of the

    formation of “modern literature," the emergence of rival literary camps,

    representations of gender, nationalism, assimilation, and resistance against

  • Ⅱ. 미국 25

    Japanese rule. Topics central to the Korean postcolonial experience include

    national division, war, the emergence of women writers, rapid industrialization,

    and authoritarianism.

    ASIA 357: Modern Korean Fiction in Translation(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Selected novels and stories written between 1906 and

    the present.

    한국문학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하는 위의 강의들에서 먼저 발견되는 사실은,

    학교에 따라 의 경우처럼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을 강좌를 따로 개설하여

    소개하는 경우와 의 경우처럼 하나의 강좌에서 고전부터 현대에 이르는

    한국문학 전체를 다루는 경우, 그리고 이나 처럼 현대문학을 중

    심으로 소개하는 경우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영어 번역으로 읽는 한국문학개론에 해당하는 이러한 입문 강의들은 대표적인

    장르, 작품, 시대 등을 고찰하며 한국문학을 소개하고 있는데, 의 경우 한

    국문학에 미친 서양의 영향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은 20세기 한국문학을

    시대적 흐름을 좇아 문학 내적인 주제와 문학 외적인 변화 속에서 고찰하고 있다.

    이들 강의 역시 교재로는 영역본이 쓰이고 있으며, 한국문화에 대한 사전 지식

    이 없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잘 번역되어 문학작품 자체로 향유될 수 있

    는 텍스트가 필요하다. 또한 한국문학을 통시적으로 혹은 주요 장르나 주제, 작품

    을 통해 소개하는 강의 내용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잘 만들어진 앤솔로지가 필요

    하다고 하겠다.

    종합하면, 학부 오픈 초급 인문학 강좌에 해당하는 제1유형의 강의들은 대학생

    의 일반교양으로 요구되는 비판적 사고 능력, 자세히 읽기 능력, 분석적 글쓰기 능

    력, 타국 문학에 대한 학구적 접근 태도와 성취에 중점 목표가 놓인다. 다시 말해

    한국문학 또는 한국문화의 창을 통해 대학 보편 수준의 인문학 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목적이며, 한국문학과 한국문화에 대한 초보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열린 세계

    인을 육성한다는 문화적 의미가 강하다. 제1유형의 강의에 활용되는 교재로는 번

    역된 한국문학 작품이 중심이 되는데, 그밖에 문학 텍스트를 넘어서는 한국 예술

    사, 종교사 등과 관련된 자료들이 함께 제공될 필요가 있고, 또한 한국문학 전반을

    보여줄 수 있는 잘 짜여진 앤솔로지들이 필요하다.

  • 26 해외 한국학대학 문학교재 개발 연구

    제 2 유형 : Undergraduate Lower Division Course Open to East Asian

    Concentrators (Tutorial 방식의 초급 강좌 )

    1. 대상 : 동아시아학 전공생들에게만 오픈 되어 있음

    2. 강의 성격 : 동아시아 문명을 소개하면서 동아시아학 상의 주요 개념 및 방

    법론 소개

    3. 강의 내용 : 동아시아 각국 문화에 대한 좀더 상세한 접근과 비교 분석

    4. 교재 : 영역본

    5. 교재 요건 및 필요한 교재 : 한국 문학/문화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논문이나

    저서

    Harvard : East Asian Studies 97 Sophomore Tutoria

    East Asian Studies 98 Junior Tutorial

    East Asian Studies 97: Sophomore Tutorial : The Sophomore

    Tutorial in East Asian Studies provides students witha broad introduction

    to the cultures, literatures, philosophies, religions, histories and societies of

    East Asia, especially China, Japan and Korea. It also aims to introduce

    students to the major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that occupy

    scholars in the field of East Asian Studies in the academy today.

    East Asian Studies 98: Junior Tutorial : In the Junior Tutorial,

    students are divided into sections specializing in China, Japan, Korea, and

    Vietnam.

    제2유형에 속하는 이 강의들은 동아시아학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면서, 동

    아시아의 각국 문화에 대한 비교 분석과 좀더 상세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과목

    이다.

    하버드 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위의 두 강좌는 tutorial 방식으로 운영되는데, 한·

    중·일을 하나의 묶음으로 강의한다. Harvard 대학의 경우, 동아시아학 학부 전공생

    은 2학년부터 tutorial을 수강하는 것이 필수다. 2학년 tutorial은 한·중·일 세부 전

  • Ⅱ. 미국 27

    공을 나누지 않고 동아시아 전공자가 한 강의를 듣게 되어 있다. 강의는 해당 전

    공 교수들에 의해 옴니버스식으로 진행되는데, 한·중·일의 분담은 중국과 일본의

    경우는 각 3-4주, 한국은 2-3주 정도다. 한편 한국 파트 안에서도 다시 역사와 문

    학으로 나누어지게 되므로 정작 한국 문학 관련 강의는 강좌 전체에서 고작 1주일

    정도를 차지한다. 이에 비해 3학년 tutorial은 한·중·일 세부 전공에 따라 분리되어

    수업을 받는다. 이에 따라 각 문화의 좀더 상세한 부분을 다루지만 한국 파트의

    경우 역사 부분의 비중이 커서 문학은 오히려 2차적 관심사로 다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유형의 강의에서 주목할 점은, 강의를 통해 동아시아 3국의 문화를 비교

    하며 접하게 된다는 것이다. 학생들은 한·중·일의 텍스트와 자료들을 비교 분석하

    고 토론하면서 각 문화의 차이를 이해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강의에서

    중국과 일본은 다양한 자료와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는 데 반해 한국의 경우는

    이에 상응하는 콘텐츠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동아시아 삼국의 문화를 비교함에

    있어 비교의 축을 함께 할만한 적절한 자료의 뒷받침이 안 되면 결과적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빈약한 이해에 그치게 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영문 교재로 진행되는 이 강의에 적합한 자료들이 풍부하게 개발될 필

    요가 있는데, 이 강좌의 중심이 동아시아 문명 소개와 동아시아학상의 주요 개념

    및 방법론을 소개하는데 놓이므로 장황한 개설서보다는 문화사 또는 문학사상 중

    요한 주제들에 대한 심층 토론 자료가 더 요긴하다고 하겠다.

    제 3 유형 : Undergraduate Upper Division Courses Open to All Students (학부 오픈 고급 강좌 )

    1. 대상 : 모든 학생(문학 전공이 아니어도 수강 가능)

    2. 강의 성격 : 주로 동아시아 문학 관련 개론 강의 수강 후에 듣게 됨.

    3. 강의 내용 : 한국 문학 텍스트를 특정한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분석

    4. 교재 : 영역본

    5. 교재 요건 및 필요한 교재 : 영역 한국문학 작품

    Berkley : East Asian Literature 100 Reading Alternative Space

    Harvard : East Asian Studies 160 Three Forms of Asian Poetry: Reading

  • 28 해외 한국학대학 문학교재 개발 연구

    and Composition/Imitation

    Hawaii : Modern Korean Woman Writers and Culture

    Southern California : EALC 335m Literature of the Korean People

    제3유형의 학부 오픈 고급 강좌는 제1유형의 강좌들 즉 동아시아 문학 관련 개

    론 강의를 수강한 후에 듣게 되는 강의로, 제1유형 강의가 모든 학생들에게 오픈

    되어 있듯이 동아시아 문학 전공이나 비교문학, 영문학 또는 타국어 문학 전공자

    들은 물론 문학 전공이 아닌 학생들도 수강이 가능하다. 주로 한국문학 텍스트를

    비교문학적 관점에서 특정 연구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방식으로 강의가 진행

    되며 교재는 영역본이 사용된다.

    실제 개설된 강좌의 구체적인 예시를 살펴보자.

    East Asian Literature 100: Reading Alternative Space(UC

    Berkeley) : This course is a wide-ranging investigation of Korean literary

    and visual practices that hypothesize an alternative sociocultural realm.

    Topic for spring 2005 is “exile and empire." Statements about being

    isolated or outcast articulate not only the conditions of seclusion and

    difference, but also the politics of space and identity that foreground a

    mode of ordering the world. The trope of exile as it appears in literature

    thus provides a useful site to comparatively examine the various

    texts'critical engagement with both global and local spaces and identities.

    We will be looking at the texts that either narrate the experience of exile

    or hypothesize exile, by focusing particularly on Korean literary

    imaginations, in the context of imperialism, colonialism, national division,

    and diaspora. A few texts outside the Korean contexts will provide useful

    points of comparison. All readings will be in English translation.

    East Asian Studies 160: Three Forms of Asian Poetry:

    Reading and Composition/Imitation(Harvard) : Readings in selected

    Chinese, Japanese, and Korean verse forms, and composition or imitation in

    English. Study of Li Po and Tu Fu (Chinese quatrain), Basho (haiku and

    haibun mixed prose and poetry), Yun Son-do and other Korean poets

    (shijo), and composition/imitation. Final project, an extended suite of

  • Ⅱ. 미국 29

    poems or mixed prose and poetry. No Asian language knowledge is

    required; all writing will be in English.

    Modern Korean Woman Writers and Culture(Hawaii) : This

    course explores Korean women's personal, familial,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experiences have been articulated in short stories of

    modern/contemporary Korean women writers. Major issues to be examined

    in the course include : gender ideologies/relations, male and female

    identity, gender social role expectations, love morality, marriage customs,

    family institutions, the question of conformity and individual choice,

    Korean' colonial and war experiences, and the problem of aging and the

    care of the old, and others.

    EALC 335m: Literature of the Korean People(Southern

    California) :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of the Korean people, both native

    writings as well as works written outside of Korea. Focus on issues and topics

    central to the Korean-American experience, as well as experiences within

    Korea and throughout Asia

    위의 예시 강좌들을 보면, 한국문학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이해와 다양한 관점

    에서의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UC Berkeley의

    East Asian Literature 100 강의에서는 ‘또 하나의 공간 읽기’라는 주제로, 특히 ‘유

    배’를 주제로 한 한국의 고전 및 현대 문학 작품들을 비교 문학적인 관점에서 분

    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고전 문학에서는 「어부사시사」, 「홍길동전」, 그리고 한국

    근대 문학에서는 이상과 이태준의 식민지 도시 상황을 반영한 글들, 한국 현대 문

    학에서는 한국 전쟁 후의 한반도의 재인식에 관련된 조정래의 「유형의 땅」, 오정

    희의 「중국인 거리」 등을 분석 대상으로 하되, Michel Foucault의 논문 “Of Other

    Spaces," 그리고 한국인 2세 미국 작가인 Changrae Lee의 A Gesture Life, 폴란드

    출생 미국 작가 Eva Hoffmann의 미국 이민 생활을 다룬 소설 Lost in

    Translation: A Life in a New Language, 샌프란시스코 근방을 중심으로 환경운

    동주의적인 유토피아를 상상한 Ernest Callenbach의 싸이언스 픽션 Ecotopia 등

    의 작품과 함께 읽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한편 는 중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의 시 형식을 각국의 대표적인 시인들

  • 30 해외 한국학대학 문학교재 개발 연구

    의 작품을 공부하는 과정을 통해 경험하는 한편, 스스로 각각의 형식을 모방하여

    시를 지어보는 수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의 하와이 대학에 개설된 강의는

    한국 현대 여성작가들의 단편소설을 성 이데올로기 및 성 정체성, 사회적 역할 등

    다양한 이슈들을 통해 분석하고 있다. 의 강의에서는 국내와 해외의 한국

    인 작가에 의해 쓰여진 작품들을 서로 다른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있다.

    특정한 주제와 관점을 통해 한국문학 작품을 분석하게 되는 이런 유형의 강의에

    는 문학적인 특성을 살려 영문으로 잘 읽혀질 수 있는 번역본이 교재로서 무엇보

    다도 중요하다. 또한 주제에 따라 선정될 수 있는 번역 작품의 저변이 넓을수록

    보다 다양한 강의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제 4 유형 : Undergraduate Upper Division Courses with Prerequisite of 3rd

    Year Korea (학부 전공 고급 강좌)

    1. 대상 : 한국어 3년 수업 이상의 한국어 해독능력이 있는 학생

    2. 강의 성격 : 한국어 교재를 쓰면서 전문적인 문학 강의 제공

    3. 강의 내용 : 한국문학을 다양한 주제를 중심으로 보다 전문적으로 다룸.

    4. 교재 : 한국어본 작품, 영문 2차 자료

    5. 교재 요건 및 필요한 교재 : 한국어 교재와 영문으로 된 논문들

    Berkeley : Korean 130 Genre and Occasion in Traditional Poetry

    Korean 140 Narrating Persons and Objects in Traditional

    Korean Prose

    Southern California : EALC 385 Readings in Korean Poetry

    EALC 386 Readings in Modern Korean Literature

    Washington : KOREAN 531 Advanced Readings in Modern Korean

    Literature

    UBC : KORN 410 Modern Korean Short Fiction

    제4유형의 두드러진 특징은 일정한 수준의 한국어 능력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

    으로 한다는 점이다. 강의의 내용은 제 3유형과 유사하여 한국문학을 보다 전문

    적으로 다양하게 다루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때 텍스트로 한국어 원본을 활

  • Ⅱ. 미국 31

    용한다는 점이 다른 점이라 할 수 있다. 이 유형의 강의에는 동아시아 문학 전

    공이 아니어도 한국어 능력이 있으면 수강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전공의 한국

    계 학생들이 수강하는 경우도 많다.7)

    개설된 강좌의 구체적인 예시를 살펴보자.

    Korean 130: Genre and Occasion in Traditional Poetry(UC

    Berkeley): Course may be repeated for credit as topic varies.

    Prerequisites: 100B or equivalent. This course will examine the poetic

    tradition including hyangga, sijo, kasa, and hansi, and consider the

    performative and cultural contexts of compositional practice before the

    20th century. The course is intended to introduce key verse forms as well

    as basic reading knowledge of premodern Korean texts.

    Korean 140: Narrating Persons and Objects in Traditional

    Korean Prose(UC Berkeley): Course may be repeated for credit as

    topic varies. Prerequisites: 100B or equivalent. This course is a critical

    exploration of the broad range of prose literature before the 20th century,

    including classical and vernacular fiction, memoirs, travel accounts, and

    essays. Particular attention will be given to narrative styles, issues of

    personal identity, and a link between literary text and material culture in

    the development of prose literature before the 20th century. The course is

    intended as a close reading of key prose narrative works, while

    functioning simultaneously as an introduction to basic reading knowledge

    of premodern Korean texts.

    EALC 385: Readings in Korean Poetry(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Texts will include sijo, kasa, changga and modern poetry,

    with emphasis on modern poetry. Readings will be in English and Korean.

    7) 단지 한국어 능력이 있다는 이유로 학점을 쉽게 얻을 요량으로 제 4유형의 강좌에 등록하

    는 한국 유학생들이 늘어가는 현상을 개탄하는 지적들이 있다. 문학과 관계없는 전공의 이

    들 한국계 유학생들은 비한국계 학생들의 수강 포션을 잠식하면서 강의 분위기를 흐려 놓

    거나 수업에 진지하게 임하지 않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 32 해외 한국학대학 문학교재 개발 연구

    EALC 386: Readings in Modern Korean Literature(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Selected readings from modern Korean short stories,

    novels, plays and essays. Readings will be in English and Korean.

    KORN 410: Modern Korean Short Fiction(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This course is an introduction to the 20th-century Korean

    short story. Students read excerpts from one short story per week in the

    original Korean, and supplement this with additional readings of related

    stories and criticism in English. Each Korean story is accompanied by

    detailed grammar, culture and vocabulary notes, as well as translations.

    Course Requirements: regular quizzes, one examination and one translation

    project per term. Text: all Korean texts and support materials are on

    UBC's Korean Language Programme website.

    과 는 고전 문학을 좀더 전문적으로 다루는 강좌로 고전 운문

    과 산문을 여러 주제로 융통성 있게 다루고 있다. 130은 고전 운문, 140은 고전 산

    문이라는 정도로만 규정되어 있어 해마다 다른 주제를 다룰 수 있도록 유동적으로

    구성된다. 이 두 강좌는 주로 한국어로 된 교재를 쓰면서 영문으로 된 논문 등 부

    대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수강 학생에게는 적어도 한국어 3년을

    수업한 정도의 독해 능력이 요구된다. 이 유형의 강의에서는 학생들의 한국어 독

    해력 정도에 따라 최근 한국 학자들이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간행한 조선 생활사

    중심 도서들이 참고 도서로 활용되기도 한다.

    의 강좌에서는 영어로 번역된 텍스트와 한국어로 된 원문을 동시에 사

    용하여 고전부터 현대에 이르는 한국의 시를 읽고, 에서는 소설, 희곡, 수

    필 작품을 읽는다. 는 20세기 한국 단편 소설 강좌로 학생들은 매주 단편

    소설 한 작품에서 발췌된 글을 한국어 원문으로 읽고, 이에 더하여 관련된 이야기

    와 비평을 영문으로 읽는다. 이 강좌에서는 한국 단편 소설 강독을 통해 상세한

    문법, 문화 그리고 어휘 공부도 병행한다.

    위에 예시된 강의들에서 두드러지는 현상은 한국문학에 대한 장르별 접근이 이

    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과 에서는 고전 시가와 고전 산문이 각

    기 강의의 대상이 되고 있고, 에서는 고전에서 현대에 이르는 다양한 형

    식의 시들이, 에서는 현대문학의 산문 장르들이 그 대상이 되고 있으며,

  • Ⅱ. 미국 33

    에서는 특별히 현대 한국 단편소설이 그 대상이 되고 있다. 이처럼 장르

    별로 강의가 세분되는 것은 강의 내용이 보다 전문적이 되는 한 방향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이러한 전문성을 위해서는 각 장르별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한국어 원

    문 해독능력이 당연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학생들로 구성된 미국적 상황에서, 한국어 교재를 사용하는 전공과

    목의 설강은 수강학생들의 한국어 수준 및 출신의 다양성과 맞물려 있음을 알 수

    있는데, UBC 브루스 풀턴 교수가 강의하는 의 강의 계획서를 보면 이러

    한 사실이 여실히 드러난다.

    Course Materials

    1. texts, grammar notes, vocabulary, and translations: available online at

    http://www.korean.arts.ubc.ca(user ID: kor, password: dori)

    2. list of supplementary readings: available from instructor

    3. Korean-English dictionary(must be brought to every class)

    4. (optional)Korean-Korean dictionary

    우선 강의에 필요한 자료로 텍스트 외에 문법과 어휘 공부를 위한 자료들이 포

    함되어 있는데 이는 이 강의의 수강 대상 학생들이 한국어 원문을 완전히 자유롭

    게 읽을 수 없는 학생들임을 말해주며, 이를 감안하여 원문 강독을 위한 한국어

    공부까지 함께 진행됨을 보여준다. 실제로 강의계획서에서 제시한 수강 가능 학생

    은 다음과 같다.

    Language Level and Background

    This course caters to a broad range of students, including

    1. second-generation Korean-Canadian students and non-Korean who have

    learned Korean “the hard way" and/or taken Korean 300 at UBC;

    2. “1.5-generation" Korean-Canadians who, though perhaps orally fluent in

    Korean, have had little or no formal instruction in Korean and little or no

    exposure to authentic Korean literary materials.

    Each type of student faces different challenges in this class, and both types

    of students have different contributions to make to the class. The key is to

  • 34 해외 한국학대학 문학교재 개발 연구

    work together and have some fun wrestling with Korean stories in the

    original Korean. If everyone pitches in, we'll all learn a lot of language and

    improve our language skills (both Korean and English).

    No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is necessary for this course.

    브루스 풀턴 교수는 자신의 강의를 들을 수 있는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수준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데, 이 수업이 수용할 수 있는 학생들의 범주를 한국

    어를 배운 한국계 이민 2세대와 비한국계 학생, 그리고 말하기는 잘하지만 한국어

    를 정식으로 배운 적이 없거나 한국문학 작품을 접한 적이 없는 이민 1.5세대 학

    생들을 포함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처럼 다른 언어적 배경을 가진 학생

    들은 이 수업에서 각기 다른 어려움을 겪겠지만 함께 열심히 하면 언어능력 역시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강의 계획서에 이처럼 수강 가능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레벨을 자세히 제시하고

    있는 것은 북미 대학에서 학생 구성이 강의의 성격이나 내용에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역으로 수요자인 학생에 맞추어 강의를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

    인 예이다.

    한편 제4유형의 강의에서 사용되는 교재는 대체로 대상 문학작품은 한국어 원문

    교재로 강의를 진행하면서 관련된 논문들은 영문으로 된 자료들을 활용하는 것으

    로 나타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수강 학생들의 한국어 수준에 따라 담당교

    수가 융통성 있게 한국어 원본 작품을 영문 번역본과 함께 읽거나, 또는 한글로

    된 2차 자료들을 읽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국어 원문 작품들을 직접 읽으

    면서 진행하는 이런 강좌를 위해서는 한국어로 본문을 제시하고, 해설 등 관련 정

    보를 영어로 제공하는 형태이거나, 혹은 영한 대역 앤솔로지 같은 형식의 교재도

    고려해 봄직하다. 특히 고전문학의 경우 학생들은 원문 해독부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해설에 해당하는 부분이 더욱 필요하다고 할 수 있고,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을 고려할 때 관련된 자료들은 영어로 된 것이 훨씬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 Ⅱ. 미국 35

    제 5 유형 : Graduate Courses(대학원 세미나 강좌 )

    1. 대상 : 동아시아학과 학생 중 한국문학 전공 혹은 부전공 대학원생

    한국어 교재를 독해할 수 있는 한국어 능력이 요구됨

    2. 강의 성격 : 한국문학 전공 또는 부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대학원 강의

    3. 강의 내용 : 대학원생들을 위한 다양한 주제의 세미나

    4. 교재 : 한국어본 작품, 영문 2차 자료

    5. 교재 요건 및 필요한 교재 : (부전공생이나 한국어에 완전히 자유롭지 못한

    학생들을 위한)영역본 텍스트, 영문 2차 자료

    Columbia : KOREAN G9010y Seminar on Korean Prose Literature

    EAST ASIAN G9500x Korean Literature and Colonial

    Modernity

    Harvard : Korean Literature 210 Pre-modern Korean Literature

    Berkeley : Korean 207A Major Issues in Premodern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Hawaii : KOR 613(Alpha) Korean Verse

    KOR 614(Alpha) Korean Narrative

    KOR 615(Alpha) Korean Drama

    UCLA : 215 Korean Literary History

    235A/B Seminar: Topics in Modern Korean Literature

    240A/B Seminar: Classical Korean Fiction

    243 Translation Workshop: Premodern Korean Texts

    245A/B Seminar: Classical Korean Poetry

    UBC : ASIA 583A Topics in Modern Korean Literature

    제5유형은 대학원 학생들을 위한 강좌로, 한국문학상의 여러 쟁점과 국문학 연

    구 방법론의 이해와 비판 등 수준 높은 비평적 세미나와 특정 주제와 관련된 장르

    별 세미나로 구성된다. 현재 북미에 한국문학 전공 대학원 과정이 있는 대학은 시

    카고대학, 하버드대학, UCLA, 하와이대학, 콜럼비아대학, 워싱턴대학, UBC 정도

    이고, 그밖에 부전공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