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12
언어치료연구 , 제24권 제4호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http://www.ksha1990.or.kr/ 2015, Vol.24, No.4, 171 ~ 182 http://dx.doi.org/10.15724/jslhd.2015.24.4.016 171 Ⅰ. 서 This paper was supported by fund of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Kore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2015). 1) Dept. of Speech-Language, Therapy Youngdong University 2) Dept. of Speech Language Pathology & Audiology, Kaya University 3) Dept. of Industrial & Management Engineering,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4) Monocon Inc. Received November 3, 2015 Revision received December 16, 2015 Accepted December 29, 2015 컴퓨터 혹은 스마트 기기를 학습의 도구로 활용하는 교 육은 현재 사회 전반에서 활용되어지고 있다. 교육과학기술 부에서 제시한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은 21세기 학습자 역 량 강화 방안으로 학습자 요구에 따른 다양한 교육용 어플 개발과 교육방안에 대하여 중점을 두고 있다(Seo et al., 2011). 첨단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스마트 러닝은 학습에 있 어서 자기주도적인 계획과 학습에 대한 흥미를 일이키는 활동으로도 사용되고 있다(Lee et al., 2015; Neeley et al., 2015). Hokanson과 Hooper(2000)는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은 처음 생각과 달리 제한적이지 않고 사람들의 생각과 학습 방법을 변화시켰다고 하였다. 그리고 교육에서 널리 활용되 고 있는 컴퓨터 활용교육이 사람들의 지식 습득과 이에 대 한 평가 혹은 지식들을 개념화시키는 방법을 변화시키고 있다고 하였다. Martin 등(2014)의 연구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초기 아동기의 교육과 수업 활동을 하였을 때 학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요구 분석 An Analysis of Parents' and Experts' Needs for Smart Content for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upport for People with Speech Disorders 이지윤 1) ·김유경 2) ·유희천 3) ·고병욱 4) Ji Yun Lee·Yu Kyung Kim·Hee Cheon You·Benjamin Byung Wook Ko < Abstract > Purpose: The present study surveyed needs of parents and experts to develop a speech-language therapy support tool using contents on various smart devices having high accessibility. Methods: A questionnaire was drafted based on a preliminary study and a literature review. The smart contents needs survey was conducted using paper-and-pencil and web-bas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 total of 234 responses were collected. Results: The survey identified that 80% of the parents use smart contents for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of children, less than 50% of the experts use them in speech-language therapy. In the survey, the households showed that a higher possession rate of digital devices than the rehabilitation centers. Both the groups showed a high level of needs for smart contents-the parent group wanted contents that can be used for self-diagnosis and connected in an integrated way with a therapy program and the expert group wanted those presenting various stimuli for therapy. Furthermore, both the groups wanted simulation- and game-type contents for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training of words and sentences and articulation training. The smart content domains highly needed by the expert group for speech-language therapy support included speech production training for nonverbal children, articulation training, and assesment of articulation correct. Conclusions: The survey results can be utilized for development of smart contents for effective support of speech-language therapy.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develop smart contents with high usability and accessibility based on the identified needs of parents and experts. Keywords: Smart contents, application, digital devices, speech disorder, speech and language therapy

Transcript of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Page 1: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edt.postech.ac.kr/homepage_data/publication... · Yim et al., 2014). 청각장애 학생들의

언어치료연구 , 제24권 제4호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http://www.ksha1990.or.kr/2015, Vol.24, No.4, 171 ~ 182 http://dx.doi.org/10.15724/jslhd.2015.24.4.016

171

Ⅰ. 서 론

This paper was supported by fund of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Korea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2015).

1) Dept. of Speech-Language, Therapy Youngdong

University2) Dept. of Speech Language Pathology & Audiology,

Kaya University3) Dept. of Industrial & Management Engineering,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4) Monocon Inc.

Received November 3, 2015

Revision received December 16, 2015

Accepted December 29, 2015

컴퓨터 혹은 스마트 기기를 학습의 도구로 활용하는 교

육은 현재 사회 전반에서 활용되어지고 있다. 교육과학기술

부에서 제시한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은 21세기 학습자 역

량 강화 방안으로 학습자 요구에 따른 다양한 교육용 어플

개발과 교육방안에 대하여 중점을 두고 있다(Seo et al.,

2011). 첨단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스마트 러닝은 학습에 있

어서 자기주도적인 계획과 학습에 대한 흥미를 일이키는

활동으로도 사용되고 있다(Lee et al., 2015; Neeley et al.,

2015). Hokanson과 Hooper(2000)는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은

처음 생각과 달리 제한적이지 않고 사람들의 생각과 학습

방법을 변화시켰다고 하였다. 그리고 교육에서 널리 활용되

고 있는 컴퓨터 활용교육이 사람들의 지식 습득과 이에 대

한 평가 혹은 지식들을 개념화시키는 방법을 변화시키고

있다고 하였다. Martin 등(2014)의 연구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초기 아동기의 교육과 수업 활동을 하였을 때 학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요구 분석

An Analysis of Parents' and Experts' Needs for Smart Content

for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upport for People with Speech Disorders

이지윤1)·김유경2)·유희천3)·고병욱4)

Ji Yun Lee·Yu Kyung Kim·Hee Cheon You·Benjamin Byung Wook Ko

< Abstract >

Purpose: The present study surveyed needs of parents and experts to develop a speech-language therapy support tool using

contents on various smart devices having high accessibility. Methods: A questionnaire was drafted based on a preliminary

study and a literature review. The smart contents needs survey was conducted using paper-and-pencil and web-bas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 total of 234 responses were collected. Results: The survey identified that 80% of the

parents use smart contents for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of children, less than 50% of the experts use them in

speech-language therapy. In the survey, the households showed that a higher possession rate of digital devices than the

rehabilitation centers. Both the groups showed a high level of needs for smart contents-the parent group wanted contents

that can be used for self-diagnosis and connected in an integrated way with a therapy program and the expert group

wanted those presenting various stimuli for therapy. Furthermore, both the groups wanted simulation- and game-type

contents for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training of words and sentences and articulation training. The smart content

domains highly needed by the expert group for speech-language therapy support included speech production training for

nonverbal children, articulation training, and assesment of articulation correct. Conclusions: The survey results can be

utilized for development of smart contents for effective support of speech-language therapy.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develop smart contents with high usability and accessibility based on the identified needs of parents and experts.

Keywords: Smart contents, application, digital devices, speech disorder, speech and language therapy

Page 2: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edt.postech.ac.kr/homepage_data/publication... · Yim et al., 2014). 청각장애 학생들의

172 언어치료연구 (제24권 제4호)

업습득 방법의 다양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았다.

2013년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조사한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의 만 15에서 50세 사람들 가운데

66.2%가 다양한 응용소프트웨어와 모바일앱 이용을 위해

스마트기기를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기기를

통한 인터넷 이용시간이 PC를 통한 이용시간보다 길다고

대답한 사람이 37.2%에 해당하였다. 이보다 나이가 어린 아

동들도 크게 다르지 않아, 스스로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빠

르게 정보를 접하는 것에 익숙한 세대이다. 따라서 그들의

요구와 관심에 적합한 내용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스마트콘텐츠를 제작한다면 적극적으로 찾아서 활용할 수

있는 세대이다.

첨단 기기들의 교육적 혜택에서 비교적 소외된 장애학생

들에게 있어서도 언어치료나 특수교육 분야에서 스마트러

닝, 보완대체의사소통, 컴퓨터보조수업(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AI)에 관한 연구가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Kim & Kim, 2013; Lee & Lee, 2014;

Yim et al., 2014). 청각장애 학생들의 영어발음학습을 위한

스마트앱 개발(Lee et al., 2015), 적응능력에 어려움을 보이

는 자폐성 아동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적응행동 지원 어플리

케이션의 개발(Han & Kang, 2013) 등 컴퓨터 혹은 스마트기

기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 시작단계이지만 개발이 이루어

지고 있다. 컴퓨터나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치료의 장점으로

는 아동 스스로 자발적인 치료활동을 실시할 수 있고, 즉각

적인 피드백과 강화를 받을 수가 있어서 흥미유발에 도움이

된다. 말장애, 특히 음성과 조음에서 어려움을 가지는 대상

자들의 경우 스스로 자신의 말에 대한 피드백을 통하여 수

정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정상 범주에 대한 객관적인

피드백에 어려움은 치료 효과의 일반화에 어려움으로 작용

한다. 음성장애와 조음음운장애를 평가하고 치료하는데 있

어서 객관적이고 타당한 평가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어려

운 일이며 말장애인 일반화 단계에서 스스로 자가수정하는

활동을 위한 말소리의 정확한 피드백에도 어려움이 있다

(Choi, 2013; Kim, 2006).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첨단기기를 활용한 언어치료의 필

요성을 확인하고 접근성이 용이한 스마트 기기의 콘텐츠를

활용하여 말장애 분야의 언어치료 도구 프로그램 개발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통

해 현재 언어치료 및 특수교육을 담당하는 전문가 집단과

언어치료 대상 아동의 부모에게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아

보았다.

첫째, 전문가와 부모의 스마트콘텐츠의 활용도와 이를

위한 기관과 개인의 제반사항이 어떠한가?

둘째, 전문가와 부모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 개

발에 관한 요구도는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1. 설문 대상

이 연구는 현직 언어치료사와 말장애 아동에게 재활 및

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전문가(experts) 집단과 말장애 아동

의 부모 또는 주양육자(parents) 집단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은 Google 스프레드시트로 작성하여 모바일 또는 전자

메일로 배포하였으며, 지필 설문은 동일한 내용으로 제작하

여 기관에 배부하였다. 전문가들은 모두 모바일 또는 전자

메일로 응답하였으며, 부모는 31%(30명)가 지필 설문으로

답하였다. 전문가 집단은 총 134부를 수집하였으며, 부모

집단은 103부를 수집하였다. 그 중 항목이 누락되거나 오기

한 설문지는 분석에서 제외하여 전문가의 설문지 총 120부

(89%), 양육자의 설문지는 총 94부(91%)로 총 214부의 설문

지를 분석하였다. 설문 대상에 대한 정보는 표 1과 같다.

표 1. 설문 대상의 정보

Table 1. Participants’ informations

Experts (N=120)

Parents(N=94)

Gender Male 24(20.0) Relationship with a child

Mother 88(93.6)

Father 5(5.3)Female 26(80.0)

Others 1(1.1)Age <30 57(47.5) Age <30 3(3.2)

30-39 37(30.8) 30-39 37(39.4)≥40 26(21.7) ≥40 54(57.4)

Area Zone 1 33(27.5) Area Zone 1 37(39.4)Zone 2 1(0.8) Zone 2 -Zone 3 8(6.7) Zone 3 -Zone 4 2(1.7) Zone 4 -Zone 5 76(63.3) Zone 5 57(60.6)

Level of education

Bachelor's degree 66(55.0)

Gender of a child Male 56(59.6)

Master's degree 48(40.0)

Female 38(40.4)Doctorate degree 6(5.0)

Career history

(yr)

<1 12(10.0) Age of a child(yr)

<5 17(18.1)1-3 33(27.5) 5-7 18(19.1)3-5 14(11.7) 7-9 23(24.5)5-10 27(22.5) 9-11 16(17.0)≥10 34(28.3) ≥11 20(21.3)

Certifica-tion

1st SLP 22(18.3) Treatment duration

of a child(yr)

<1 18(19.1)

1-2 14(14.9)2nd SLP 93(77.5)

2-3 13(13.8)

Others 5(4.2)3-5 18(19.1)≥5 31(33.0)

Page 3: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edt.postech.ac.kr/homepage_data/publication... · Yim et al., 2014). 청각장애 학생들의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요구 분석 173

Zone 1=Gyeonggi, Seoul, Incheon; zone 2=Gangwon; zone 3= Chungcheong, Daejeon; zone 4=Jeolla, Jeju; zone 5=Gyeongsang, Daegu, Pusan, Ulsan; LI/LD=language impairment/language disorder, HI=hearing impairment, CP=cerebral palsy, AD=articulation disorder, FD=fluency disorder, VD=voice disorder.

2. 설문지 구성

이 연구의 설문지는 전문가용과 말장애 아동의 부모용

설문지 두 가지로 제작하였다. 두 설문지 모두 공통적으로

(1)언어치료 지원 콘텐츠의 활용현황과 사용을 위한 제반사

항(전문가용 15문항, 부모용 9문항), (2)언어치료 지원 스마

트콘텐츠 개발의 요구도(전문가용 25문항, 부모용 24문항),

(3)대상자의 배경 정보를 묻는 영역(전문가용 10문항, 부모

용 8문항)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전문가용만 (4)말장애 치료

를 위한 스마트콘텐츠의 내용 요구도(17문항)에 관한 영역

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전문가용은 총 67문항, 부모용은 총

41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응답 항목은 주로 선다형과 5점

척도형(‘전혀 중요하지 않다’ ①부터 ‘매우 중요하다’ ⑤)으

로 설계하였으나, 콘텐츠 사용 행태와 요구사항은 순위를

표시하여 복수 응답하도록 하였다. 또한 말을 지원하기 위

한 스마트콘텐츠 개발에 대한 추가 의견을 서술형으로 기

입 가능하도록 하였다.

설문지의 영역과 문항은 McRay와 Fitch(1996)의 학교배

치 언어치료사들의 컴퓨터 사용에 관한 조사연구에 기초하

여 수정보완 하였다. 특히 콘텐츠의 사용현황 및 요구를 묻

는 문항은 스마트콘텐츠를 사용한 교육이나 재활에 관한

실태를 조사한 연구들(Han & Kang, 2013, Lee & Lee,

2014; Yim et al., 2014)과 방송통신위원회(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의 ‘2012년 하반기 스마트폰

이용실태 조사’의 문항을 참고하여 개발하였다. 이 중 치료

및 교육을 위한 콘텐츠의 치료유형은 Joe와 Hong(2014)의

교육용 앱 유형 구분을 수정하여 9유형(개인교수형, 반복학

습형, 시뮬레이션형, 게임형, 자료제시형, 평가형, 도구형,

문제해결형, 의사소통도구형)으로 제시하여 답하게 하였다.

이러한 유형은 학습형태와 상호작용 방식에 따라 구분된

것으로 개인교수형은 새로운 개념이나 지식을 가르치기 위

해 설명이나 안내를 하는 유형(동영상 강의 등), 반복학습

형은 보충이나 심화학습을 위해 반복적으로 지식을 확인하

거나 기능을 연습하는 유형(단어 암기 등), 시뮬레이션은

실제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연습할 수 있도

록 하는 유형(천체 관측 등), 게임형은 목표, 규칙, 경쟁, 흥

미, 도전, 호기심 등의 게임적인 요소를 첨가하여 학습을

하도록 설계한 유형(단어 게임 등), 자료제시형은 콘텐츠

안에 많은 분량의 자료를 저장하여 필요한 자료를 찾아보

며 학습하도록 한 유형(사전, 그림자료 제시 등), 평가형은

교수-학습 결과의 평가를 주된 내용으로 만든 유형(지능

검사 등), 도구형은 학습을 촉진시켜 주기위한 도구적 성격

이 강한 유형(진도 및 일정 관리 등), 문제해결형은 학습자

가 고차원적인 사고 기능을 활용하여 비구조화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유형(탐험용 등), 의사소통도구형은 AAC

와 같은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위해 사용되는 유형으로 정의

하였다.

설문지는 콘텐츠의 (1)활용현황과 제반사항을 조사하기

위해 ①디지털과 스마트콘텐츠의 사용정도, ②사용 혹은 보

유하고 있는 콘텐츠의 유형, ③콘텐츠의 재활 및 교육 활용

영역, ④디지털과 스마트 기기 보유현황, ⑤콘텐츠의 치료

유형, ⑥콘텐츠 사용의 효과 정도와 효과 혹은 비효과 요인

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2)콘텐츠의 요구도는 ①구

입 의도(콘텐츠와 콘텐츠와 연결된 장비), ②요구하는 재활

영역(치료, 진단, 자료저장, 가정숙제용 등), ③치료영역(단

어 이해 및 표현, 문장 이해 및 표현, 조음치료, 음성치료,

유창성치료 등), ④치료유형, ⑤대상연령, ⑥비용 그리고 ⑦

스마트콘텐츠의 시스템 요인들의 중요성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3)전문가만을 대상으로 여러 말치

료 영역들에 대해 콘텐츠 개발의 중요성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3. 연구절차

이 연구의 설문지는 선행연구 및 조사를 통하여 언어병

리학 전문가(교수) 2명에 의해 1차로 개발되었다. 1차 개발

된 설문지는 인간공학 전문가(교수) 1명과 언어병리학 전문

가(교수) 1명과 임상경력 10년 이상의 1급 언어치료사 2명,

2급 언어치료사 2명, 언어발달 장애를 가지고 3년 이상 재

Experts (N=120)

Parents(N=94)

Working place type

Private clinics 78(65.0)

Institution type of a

child(yr)

Private clinics 76(80.9)

Nursery facility 3(2.5) Nursery

facility 1(1.1)

Welfare center 11(9.2) Welfare

center 13(13.8)

Hospital 18(15.0) Hospital -Special-ed

ucation school

6(5.0)Special-ed

ucation school

-

Others 4(3.3) Others 4(4.3)Main

type of disorder (multi check)

LI/LD 119(35.5) Disorder type of

child

LI/LD 64(68.1)HI 34(10.1) HI 7.0(7.4)CP 14(4.2) CP -AD 107(31.9) AD 12(12.8)FD 45(13.4) FD 6(6.4)VD 8(2.4) VD -

Others 8(2.4) Others 5(5.3)

Page 4: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edt.postech.ac.kr/homepage_data/publication... · Yim et al., 2014). 청각장애 학생들의

174 언어치료연구 (제24권 제4호)

활을 받고 있는 아동의 부모 2명(부모용만)을 대상으로 타

당성과 소요시간을 검증받았다. 이 과정에서 전문가용 설문

지의 콘텐츠의 종류를 디지털과 스마트로 구분하고, 치료

전반에 관한 콘텐츠의 구성을 묻는 문항과 말치료 영역의

콘텐츠를 묻는 문항을 세분화시키고 구분하였다. 또한 불필

요한 문항을 삭제하고 용어의 난이도, 문항제시 순서 등을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언어병리학 전공교수 2인의

검토를 거쳐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설문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은 전문가용은 약 10-15분, 부모용은 약 5-10분 정도로

나타났다.

설문실시 기간은 2015년 9월 말부터 10월 중순에 걸쳐

서울 및 경기, 경남 및 경북을 중심으로 전국 기관에 근무

하는 언어치료사 및 관련전문가에게 메일, 전화 또는 구두

로 연구의 목적 및 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설문조사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 및 기관에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지필

설문은 1주 후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설문을 회수하였다.

4.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윈도우용 SPSS 18.0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선다형 중 단일응답을 요구하는 문항에

대해서는 빈도와 반응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복수응답을

허용한 문항은 ‘1위’를 선택한 답에 대해 빈도와 반응백분

율을 산출 한 후, 선택한 모든 답에 대해 빈도와 반응백분

율 산출하였다. 그리고 전문가와 부모에게 동일하게 조사한

문항에 대해서는 카이제곱(Chi-square) 검정을 실시하여 집

단 간 응답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전문가와 부모의 콘텐츠 활용현황과 이를 위한

기관과 개인의 제반사항 조사

1) 전문가와 부모의 콘텐츠 활용현황

말장애 관련 전문가와 부모를 대상으로 말장애 대상자 또

는 자녀에게 언어치료를 지원하기 위한 콘텐츠의 사용 여부

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스마트콘텐츠는 45%(54), 디지털

콘텐츠는 46.7%(56)의 전문가들이 ‘사용하지 않는다’고 답하

였다. 그러나 부모를 통해 자녀가 재활기관에서 치료 시에

콘텐츠의 사용 여부를 조사한 결과 ‘모르겠다’(38.3%)고 답한

응답을 제외하면 8.6%(5)만이 ‘사용하지 않는다’고 답하였다.

두 집단의 콘텐츠 사용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는 그림 1과

같으며, 카이제곱 검정 결과 스마트콘텐츠(χ2(3)=19.079,

p<.01)와 디지털콘텐츠(χ2(3)=14.181, p<.01)의 사용 정도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 전문가와 부모 집단이 재

활 시 콘텐츠 사용 여부에 대하여 다르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문가들은 과반수가 언어치료 지원을 위해

콘텐츠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고 있으나, 부모들은 약 10%

만이 사용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

Experts Response

Frequency of Smart content use

Frequency of Digital content use

Parents Response

Frequency of content use in clinics Frequency of content use

그림 1. 전문가와 부모의 콘텐츠의 사용 현황

Figure 1. Content utilization status in experts and

parents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을 위해 전문가와 부모가 주로

사용하는 콘텐츠의 유형을 조사한 결과, 두 집단 모두 동영

상, 사진, 노래 등과 같은 ‘인터넷 무료 공개 멀티미디어’(전문가 44.1%, 부모 72.6%), 어플리케이션(전문가 28.4%,

부모 13.7%) 순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

참조). 또한 전문가의 13%가 현재 CD 형태로 개발되어 있

는 설치용 콘텐츠 사용하여 언어치료 혹은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는 CD 형태의 콘텐츠를

한명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5: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edt.postech.ac.kr/homepage_data/publication... · Yim et al., 2014). 청각장애 학생들의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요구 분석 175

표 2. 사용 콘텐츠 유형 현황

Table 2. Content types are used

Experts Parents

1st Free public multimedia(44.1%)

Free public multimedia(72.6%)

2ndApplication of treatment

or education (28.4%)

Application of treatment or education

(13.7%)

3rd CD contents (12.7%)

Educational broadcasting (5.5%)

4th Free program/ programs associated with special

equipment(5.9%)

Others (4.1%)

5th AAC(2.7%)

현재 기관에서 말 ․ 언어장애인에게 치료 및 교육재활을

위해 구비해 둔 유료 콘텐츠의 보유현황을 설문한 결과,

50%(60)가 기관에 유료 콘텐츠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고 답

하였으며, 30%(36)는 CD형태의 콘텐츠, 7.5%(9)는 특수 장

비와 연결된 콘텐츠, 5.8%(7)는 개발사에 가입비를 내고 사

용하는 시스템(RScare system 등) 순으로 갖추고 있다고 답

하였다. 이 중 특수 장비와 연결된 콘텐츠를 사용한다고 답

한 전문가 9명 중 7명은 ‘병원’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

나 특수 장비의 사용은 근무지의 유형에 제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현재까지 사용한 디지털 혹은 스마트

콘텐츠의 재활 및 교육 활용영역을 조사한 결과(복수선택

가능) 치료 41.2%, 진단 30.5%, 자료저장 17.1%, 보완대체의

사소통도구(AAC) 11.2% 순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영역에서는 강화제 16.8%, 단어 이해 16.2%, 인지 ․ 학습 15.6%, 조음 14.5% 순으로 콘텐츠를 사용한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사용한 콘텐츠의 유형은 게임형 25.0%, 자

료제시형 21.4%, 반복학습형과 시뮬레이션형 각 11.9% 순

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현재까지 사용해본 디지털 콘텐츠의 효과에 대해

전문가는 ‘효과적이다’ 54.4%(56), ‘보통이다’ 37.9%(39), ‘매우 효과적이다’ 3.9%(4) 순으로 응답하여 많은 전문가들이

콘텐츠가 효과적이라고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전문가와 부모의 스마트콘텐츠 활용을 위한 제반사항

및 효과에 관한 인식

전문가가 근무 기관에서 말 ․ 언어장애인에게 치료 및

교육재활 시, 개별치료에 사용 가능한 스마트 및 디지털 기

기의 보유를 묻는 질문에 컴퓨터 91.7%(110), 터치스크린

모니터 10%(12), 스마트폰 97%(136), 태블릿 PC 28.3%(34),

스마트 TV 11.7%(14)를 보유하고 있다고 하였다. 부모는 가

정에 컴퓨터 91.5%(86), 터치스크린 모니터 21.3%(20), 스마

트폰 94.9%(89), 태블릿 PC 51.1%(48), 스마트 TV 51.1%(48)

를 보유하고 있다고 답하여 기관이 가정에 비해 터치스크

린, 태블릿 PC, 스마트 TV의 보유가 적게 나타났다.

전문가와 부모에게 언어치료를 지원하기 위해 다운받아

사용해 본 스마트콘텐츠의 개수에 대해 질문한 결과, 전문

가는 65%(78), 부모는 34%(32)가 1개 이상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카이제곱 검정 결과(χ2(3)=22.324,

p<.01)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

문가의 스마트콘텐츠 사용 경험이 부모보다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전문가와 부모 모두 현재까지 5개

이하의 스마트콘텐츠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콘텐츠의 사용이 언어치료 시에 효과적인 지를 조

사한 결과, 전문가의 56.3%, 부모의 50% 가 ‘보통’이라고

답하였으며, 효과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전문가 32.4%, 부모

33.3%)이 비효과적(전문가 11.3%, 부모 16.7) 이라고 응답한

비율보다 두 집단 모두 10% 이상 높게 나타났다.

현재까지 사용해 본 스마트콘텐츠가 치료 및 교육재활의

어떠한 부분에 효과가 있는지를 설문한 결과, 전문가는 치

료 58%, 의사소통능력향상 20.3%, 자료저장 14.5%, 진단

2.9% 순으로 효과적이라고 답하였다. 부모는 단어 이해와

같은 특정 능력의 향상 57.1%, 아동 행동 촉구 및 동기유발

20.0%, 의사소통능력 향상 11.42%, 문제행동 감소 8.52% 순

으로 효과적이라고 답하였다. 반면 스마트콘텐츠의 사용에

대한 비효과적인 부분을 설문한 결과 전문가는 스마트콘텐

츠의 다양성 58.2%, 치료지원의 타당성과 언어차이(한국어

와 타국 언어차이)를 각각 13.4% 순으로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답하였다. 그리고 부모의 47.1%가 스마트 기기의 집

착을 가장 비효과적인 부분이라고 답하였다.

2. 전문가와 부모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

개발에 관한 요구

1) 스마트콘텐츠 개발의 내용 및 대상 요구

전문가와 부모에게 말 ․ 언어장애인의 언어치료와 교육

재활을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콘텐츠 개발 요구를 재활목

적, 치료영역, 치료형태, 치료대상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재

활목적에서 전문가는 치료용(83.3%), 진단용(9.2%), 자료저

장용(6.7%) 순으로 스마트콘텐츠의 개발을 요구하였으나,

부모는 자가 진단용(50.0%), 치료사와 연계된 가정 숙제용

(25.5%), 치료용(23.4%) 순으로 스마트콘텐츠 개발을 요구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치료 지원을 위한 치료용 스마트콘텐츠 개발의 1순

위 치료영역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문가는 단어이해 및 표

현(21.7%)과 의사소통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텐츠(21.7%)를

Page 6: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edt.postech.ac.kr/homepage_data/publication... · Yim et al., 2014). 청각장애 학생들의

176 언어치료연구 (제24권 제4호)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는 단어이해 및

표현(37.2%), 의사소통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텐츠(14.9%)

순으로 나타났다. 즉, 두 집단 모두 단어이해 및 표현과 의

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콘텐츠의 개발을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콘텐츠 개발을 요구

하는 치료영역을 다중응답으로 3개를 선택한 결과는 표 3

과 같다.

표 3. 콘텐츠 개발의 치료영역 요구

Table 3. Development of content needs treatment

area

Experts Parents

1stComprehension and

expression vocabulary (14.2%)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vocabulary

(23.0%)

2ndComprehension and expression sentence

(13.3%)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sentence

(18.8%)

3rd Articulation training(12.7%)

Reading, writing/ Articulation training

(11.3%)

4thCommuication skill

training (10.6%) Commuication skill

training(9.6%)

5th Auditory training(8.9%)

언어치료 지원을 위한 치료용 스마트콘텐츠 개발의 1순

위 치료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문가와 부모 모두 시뮬레이

션형(전문가 37.5%, 부모 29.3%), 게임형(전문가 17.5%, 부

모 22.8%), 반복학습형(12.5%, 19.6%) 순으로 요구하였다.

다중응답으로 희망하는 치료형태를 3개 선택하게 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시뮬레이션형(전문가 23.3%, 부모 23.6%), 게

임형(전문가 18.6%, 부모 20.7%), 반복학습형(전문가 10.3%,

부모 21.0%)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가는 문제해결형

(10.8%)을 차순위로 요구하였다.

언어치료 지원을 위한 치료용 스마트콘텐츠 개발의 1순

위 대상연령을 조사한 결과, 전문가와 부모 모두 ‘5세 이

하’(전문가 38.3%, 부모 40.4%)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다중응답으로 3개를 선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초등 저학

년’(전문가 26.4%, 부모 25.2%), ‘6-7세’(전문가 25.0%, 부모

23.4%) 순으로 스마트콘텐츠의 개발을 차순위로 요구하였

다. 즉, 초등 저학년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콘텐

츠의 개발을 요구하는 전문가 및 부모가 많은 것으로 나타

났다.

표 4. 콘텐츠 개발의 치료유형 요구

Table 4. Development of content need training type

Experts Parents

1st Simulation type (14.2%)

Simulation type(23.0%)

2nd Game type(17.5%)

Game type(22.8%)

3rd Problem-solving(10.8%)

Iterative-learning (19.6%)

4th Iterative-learning (10.3%)

Individual instruction(9.8%)

5th Materials presented(9.7%)

Tools(5.4%)

2) 스마트콘텐츠 구입 의사 및 비용 요구

전문가에게 언어치료 지원을 위한 스마트콘텐츠 구입 비

용 지불여부를 묻는 질문에 50.8%가 ‘보통이다’, 21.7%가

‘구입하겠다’, 6.7%가 ‘반드시 구입하겠다’로 ‘절대 구입하지

않겠다’ 5.8%와 ‘구입하지 않겠다’ 15.0%보다 높게 나타났

다. 스마트콘텐츠 구입을 위해 지불할 적절한 금액을 전문

가는 1천-1만(37.5%), 1-3만(30.0%)을 부모는 1-3만(28.7%),

1천-1만(21.3%)을 적절한 비용으로 선택하였다. 두 집단 모

두 1천-3만원 정도로 구입할 수 있는 스마트콘텐츠 비용으

로 답하였다.

전문가와 부모에게 스마트콘텐츠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수장비의 구입을 위해 지불 가능한 금액에 대한 질

문에, 두 집단 모두 1-5만(전문가 30.9%, 부모 39.2%), 5-10

만(전문가 28.7%, 부모 20.8%)을 적절한 가격으로 답하였고,

약 14%가 비용과 관계없이 ‘구입을 하지 않겠다’라고 답하

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에 소속 기관에서 콘텐츠나 기기를

구입하기 위해 투자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는 비용을

설문한 결과, 10만원 이하(30.8%), 10-30만원(29.2%), 30-50

만원(12.5%) 순으로 나타났으며, 10%는 기관이 ‘절대 투자

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답하였다.

3) 전문가와 부모의 스마트콘텐츠 선택 요인에 관한 중

요도

(1) 스마트콘텐츠 시스템 측면 요인의 중요도

전문가와 부모에게 말 ․ 언어장애인의 언어치료를 지원

할 수 있는 스마트콘텐츠를 선택할 때 시스템적 측면의 요

소인 비용, 환불가능성, 초기화가능성, 조작용이성, 동기유

발 및 강화, 자료저장, 도움제공 기능, 컴퓨터(서버)와의 연

동, 장소제약 없음, 시도사용기간, 정부보조금(부모만 조사)

들에 대한 중요도를 5점 척도(‘전혀 중요하지 않다’ ①부터

‘매우 중요하다’ ⑤)로 살펴본 결과, 그림 2와 같이 두 집단

Page 7: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edt.postech.ac.kr/homepage_data/publication... · Yim et al., 2014). 청각장애 학생들의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요구 분석 177

모두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으며, 모든 요인들의 중요도 평

균이 4점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콘텐츠 조작의 용이

성’(전문가: M=4.55, SD=0.79, 부모: M=4.49, SD=0.852)의 중

요도를 가장 높게 평가하였으며, ‘콘텐츠의 비용’은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그림 2. 스마트콘텐츠 시스템 측면 요인의 중요도

Figure 2. Importance of smart-contents selection

factor in system perspective

(2) 스마트콘텐츠 치료적 측면 요인의 중요도

전문가와 부모에게 말 ․ 언어장애인의 언어치료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콘텐츠를 선택할 때 치료적 측면의 요소인

치료계획 수립, 임상가와 부모의 통제, 치료실과의 연계,

다양한 훈련자극 제식, 행동결과의 판단 정확성, 선별 및

진단 가능성, 콘텐츠의 임상 실험 결과보고 등에 대한 중요

도를 5점 척도(‘전혀 중요하지 않다’ ①부터 ‘매우 중요하

다’ ⑤)로 살펴본 결과, 그림 3과 같이 두 집단 모두 모든

항목의 평균이 4점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전문가는 ‘다양한 훈련자극’(M=4.47, SD=0.75)을 부

모는 ‘임상가와 부모의 통제’(M=4.34, SD=0.87)에서 중요도

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림 3. 콘텐츠 치료적 측면 요인의 중요도

Figure 3. Importance of smart-content selection

factor in therapeutic perspective

(3) 전문가의 말장애 스마트콘텐츠 구성 내용의 중요도

전문가에게 말장애의 언어치료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콘텐츠에 포함될 수 있는 말치료의 하위 영역들의 개발 필

요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표 5와 같이 나타났다. 전문가들

은 첫 번째로, 무발화 아동의 발성을 촉진할 수 있는 발성

산출 훈련, 두 번째로. 조음정확도의 평가, 세 번째로, 특정

오류음을 치료할 수 있는 조음훈련, 네 번째로, 구비강 분

리 훈련, 다섯 번째로, 과대비성 감소 훈련을 할 수 있는

영역 순으로 중요하다고 답하였다. 반면 호흡길이 및 호흡

량 측정에 대한 필요성은 낮게 나타났다.

표 5. 말장애 치료용 스마트콘텐츠 구성 내용의 중요도(전

문가)

Table 5. Importance of smart-content components for

speech treatment(in experts)

Contents for Speech Treatment(N=120) M SD

Calculated vocalization training 4.39 .91

Articulation accuracy assessment 4.35 .91

/s, l, etc./ articulation training 4.25 .96

Oral & nasal separate training 4.24 .97

Reduction training of hypernasality 4.23 .95

Modulation of speech rate training 4.23 .92

Resonance problem measurement 4.18 .88

Promoting training Respiratory quantity & length training 4.17 .98

Speech rate assessment 4.16 .91

Modulation of intensity training 4.13 .96

Sustained phonation training 4.12 .98

Pitch, intensity, quality assessment 4.10 1.01

Reduction training of denasality 4.10 1.00

Modulation of intonation training 4.07 1.01

Modulation of intonation training 4.02 1.08

Respiratory length measurement 3.88 .91

Expiratory volume measurement 3.78 .92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말장애인의 언어치료를 지원해 줄 수 있는 스

마트콘텐츠 개발을 위한 수요조사를 위해 시도되었다. 현재

언어치료 및 재활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전문가와 자녀가

언어치료를 받고 있는 부모를 대상으로 기존의 디지털 콘

텐츠와 스마트 콘텐츠의 사용 현황을 조사하여, 스마트 콘

텐츠의 수요를 추측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

였다. 또한 향후 발성, 조음, 공명의 말산출 문제에 대한

Page 8: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edt.postech.ac.kr/homepage_data/publication... · Yim et al., 2014). 청각장애 학생들의

178 언어치료연구 (제24권 제4호)

치료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콘텐츠의 개발을 목적으로

전문가를 대상으로 말치료의 주요 평가 및 치료 분야들의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본 설문지 조사로 첫째, 스마트콘텐츠의 현황에 대한 정

보와 둘째, 스마트콘텐츠 개발 요구 요인에 대한 다음과 같

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대부분의 대상자는 디지털 및 스마트 기기를 구비

하고 있었으나, 전문가와 부모 모두 70% 정도가 콘텐츠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의 스마트

기기의 보유율은 2013년(Ha, 2013) 기준의 보급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높은 보유율에 비해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의 사용은 1996년 McRay와 Fitch(1996)가 조사한 학교

배치 언어치료사의 컴퓨터의 사용에 비해서도 낮았다. 최근

우리나라는 스마트 교육의 추진을 위해 교사들의 스마트

교육 활성화 정책과 전자문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교육현장의 콘텐츠 활용은 급속도로 증가

하고 있어 국내 유아 교육기관에서 컴퓨터 활동을 실시하

는 비율 71.4%로 보고 있다(Choi, 2013; Kim & Lee, 2005).

국외에서도 최근 언어치료사들이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스

마트 콘텐츠들이 다채롭게 개발되어 있으며 치료 시에 쉽

게 통합할 수 있다고 보고하면서 ASHA 홈페이지나 소셜커

뮤니티의 기사를 통해 추천할 만한 콘텐츠들을 공유하고

있다. 특히 모바일 기기를 사용한 콘텐츠들은 의사소통의

향상, 비용과 시간의 절약, 모니터링 기능, 동기부여, 읽기

쓰기 능력 향상, 활동 및 학습 지원, 게임을 통해 많은 보

상과 언어자극 제시 등을 장점으로 들고 있다(ASHA, 2015).

이에 반해 국내 전문가들의 콘텐츠 활용이 낮은 이유를 본

연구의 결과로 해석하자면, 우선적으로 국내 언어치료 관련

전문가들은 과반수가 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40% 정도만이 디지털 콘텐츠(30%가

CD형태)나 언어치료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서버 접속 시스

템(5.8%), 그리고 주로 병원에서 특수장비(7.5%)와 연결된

콘텐츠만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개발된 콘텐츠의

보유율이 낮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전문가들은 이러

한 콘텐츠들이 치료적인 부분(58%)에서 효과적이지만 콘텐

츠의 다양성이 적어(58%)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고 답하여

국내 언어치료 콘텐츠 지원이 미흡한 것을 알 수 있다.

부모들 또한 전문가와 유사하게 콘텐츠의 활용률이 낮게

나타났다. 사용한 경험이 있는 스마트콘텐츠의 효과 측면에

서는 두 집단 모두 효과적이라고 답하였으나, 부모는 아동

의 스마트 기기 집착을 우려하고 있었다. 스마트 기기 어플

리케이션이 특정 언어능력 특히, 단어 이해와 학습과 같은

인지학습 향상에는 긍정적으로 보고하였으나, 자녀의 스마

트 기기에 집착(47%)을 스마트 콘텐츠 사용의 문제로 지적

하였다. 이는 Lee와 Lee(2014)의 디지털 기기나 스마트 기

기에 대한 부모의 인지를 살펴본 연구결과에서도 나타난

것으로, 과반수의 아동이 순순히 기기를 건네지 않는다는

보고에 기초하면 부모들의 우려가 현실적이라고 볼 수 있

다. 부모들은 콘텐츠의 사용이 효과적임을 부정하지 않으나

아동의 언어발달, 관계형성, 기기에 대한 집착 등에 대한

부정적인 우려로 인해 자녀에게 콘텐츠 사용하는 것을 의

지적으로 제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콘텐츠에 대한 ‘치료사와 부모의 통제’의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전문가와 부모 모두 평균 4점 이상으로 두 집단 모두

중요한 사항으로 보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콘텐츠를 개발

할 때 부모가 아동의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통제할 수 있

도록 고려해야지만 스마트 콘텐츠의 활용성이 증가할 것임

을 시사한다.

현재 치료용 콘텐츠의 사용면에서 살펴보면 자료저장용

이 30%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치료 시에는 강화용으로 많

이 활용한다고 하였다. 이는 사용되는 콘텐츠의 종류 부족

으로 기존 디지털 콘텐츠와 스마트 기기로 녹음, 녹화 등의

기능을 많이 활용하며, 치료목표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찾기

어려워 동요, 동영상, 게임 등을 활동성 강화로 사용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둘째, 스마트콘텐츠 개발에 대한 요구조사 분석 결과, 대

부분의 전문가는 치료용(83%) 콘텐츠의 개발을 요구하였으

나 부모는 자가진단용(50%), 치료사와 연계된 가정 숙제용

(26%)을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가들의

임상현장에서 치료 서비스 제공에 대한 시간적 소비와 노

력이 가장 크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반면 부모는 자녀의 진

전과 능력을 살피고, 자가치료 보다 치료실과 연계된 가정

에서의 치료과업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치료용 콘텐츠의 개발 요구 영역을 조사한 결과 두 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단어 이해 및 표현’, ‘문장 이해 및 표현’, ‘조음’, ‘의사소통’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텐츠의 개발을 상

대적으로 많이 요구하였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 치료용 콘

텐츠의 치료유형을 시뮬레이션형과 게임형을 가장 많이 요

구하였다. 집단 간 치료유형의 차이로 전문가는 문제해결형

과 자료제시형을, 부모는 개인교수형과 도구형을 요구하였

다. 최근 말장애인의 스마트 콘텐츠 사용에 대한 연구는 상

당수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에 밀집되어 있으며, 보급률은

적지만 많은 임상가들의 AAC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어

이에 관한 콘텐츠 또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Kim et al., 2010). 이에 반해, 언어치료를 위해 체계적으로

개발된 콘텐츠 특히 스마트콘텐츠는 매우 부족하다. 특히,

말과 언어는 나라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국외 콘텐츠를

사용하는데 상당한 제한을 가지기 때문에 온전히 우리 말

Page 9: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edt.postech.ac.kr/homepage_data/publication... · Yim et al., 2014). 청각장애 학생들의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요구 분석 179

소리와 언어로 제시되는 콘텐츠의 개발을 전문가와 부모가

더욱 요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연구에서도 ‘언어차이’를 콘텐츠 사용의 문제로 지적한 전문가가 13% 정도 나타

나 이를 뒷받침한다. 언어치료의 언어능력의 향상을 위해

반복적으로 과업을 실시해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상과 동기유발이 잘 이루어지는 게임형에 대한 요

구도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콘텐츠를 선택할 때 수요자들이 고려하는 요인들

의 중요도를 전문가와 부모에게 질문한 결과, 전문가와 부

모 모두 대부분의 시스템적 측면과 치료적 측면의 요소들

을 중요하게 간주하고 있었다. 시스템적 측면에서 전문가와

부모 모두 ‘조작의 용이성’에 대한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

나 사용자 측면에서 아동들이 직접적으로 콘텐츠를 조작을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또한 치료사의 치료

시 사용 측면에서도 콘텐츠의 구성이 자극 제시 및 결과에

따른 후속자극 제시가 조작하기 어렵다면 활용성이 낮아질

것이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는 콘텐츠의 개발 시 아동의

신체적 기능과 핸디캡 그리고 치료사가 요구하는 기능을

옵션을 통해 쉽게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의미한다. 반면 ‘비용’의 중요도가 두 집단 모두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부모의 국가 보조금의 지원의 여부 중요

도가 4점 이상으로 비용적인 부분이 간과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치료적 측면의 요소들에 대한 중요도 조사 결과에

서는 모든 요소들의 중요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그 중 ‘자극의 다양성’이 가장 높이 평가되었는데 이는 전문가들이

언어치료를 제공할 때 자극 준비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기

때문일 것이다. 자극은 대상자의 목표행동을 이끌기 위한

선행자극으로 매우 중요하다. 또한 자극의 다양성은 대상자

들의 일반화를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에 보다 기여한다. 현재 전문가들은 언어치료를 위한

좋은 자료를 끊임없이 필요로 한다.

기존의 언어치료를 지원하기 위한 콘텐츠와 장비들이 고

비용으로 인해 보유 및 활용도가 낮은 것을 고려하여 전문

가와 부모가 요구하는 콘텐츠와 치료용 장비의 구입비용에

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가와 부모 모두

스마트 콘텐츠의 구입을 위해서는 천원-3만원 정도가 적당

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치료용 장비의 구입비용으로는 대부

분 10만원 이하가 적절하다고 하였다. Han과 Kang(2014)은

장애아동을 위한 교육용 앱의 개발이 수익성 문제 때문으

로 지적하고 있으며, 이는 개발자 입장에서 수요자가 적기

때문에 개발비용을 고려하여 콘텐츠의 가격을 올릴 수 밖

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수요자들이 생각하는 적정 가격

을 고려한 콘텐츠의 개발을 통해 비용적인 측면에서 콘텐

츠의 접근성이 낮아지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콘

텐츠 구입 결정의 요인에 대한 중요도를 조사결과, 비용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게 나타나 콘텐

츠의 운영 시스템과 구성 내용이 더 중요하게 고려된 점에

서 가격에 대한 문제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10%의 전문가는 기관에서 콘텐츠 구입을 절대 투자하지 않

을 것이라고 보고했고, 부모의 16%가 콘텐츠에 대한 부정

적인 측면 등으로 인해 콘텐츠를 구입하지 않겠다고 응답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McRay와 Fitch(1996)의 조사에서 컴

퓨터의 사용이 전문가에게 중요한 지를 묻는 결과 8.6%만

이 컴퓨터의 사용이 중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것과

Choi(2013)의 스마트 교육의 학습 성과에 대한 기대를 유치

원 교사들에게 조사한 결과인 7.5%만이 부정적으로 응답한

것에 비하면 언어치료 관련 전문가들의 콘텐츠 사용 의지

나 기대가 다소 부정적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Yim 등

(2014)이 부모와 언어전문가를 대상으로 의사소통증진을 위

한 콘텐츠 요구도를 알아본 결과, 부모가 전문가에 비하여

부정적인 인식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이는 본 연구가 의사소통증진 이 외 인지

및 학습을 포함한 전반적인 치료측면에서의 요구를 조사했

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 연구에서는 부모가 전문가에 비

해 전반적인 언어발달과 치료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접근

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치료와 접목하여 활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놀이용 게임과 같은 맥락에서 효과적인 측면을 확

인하지 못한 경우가 많아 부정적인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은 콘텐츠에 사용에 대한 치료사와의

연계를 통해 해소시켜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전문가를 대상으로 말장애 스마트콘텐츠 구

성 개발 필요성을 알아본 결과, 말치료의 하위 영역 중 발

성산출 훈련, 조음정확도의 평가, 특정 오류음을 치료할 수

있는 조음훈련, 구비강 분리 훈련, 과대비성 감소 훈련 순

으로 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음성장애인의 음성언어치료

시, 음향학적 ․ 생리학적인 매개 변수를 측정하여 치료의

진전사항을 평가하고, 조음음운장애 치료에 있어서는 음성

적 ․ 음운적 치료로 말소리 산출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피드백과 반복적인 훈련(Jo & Jeong, 2004; Seok, 2009)을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훈련을 하기 위해서는 기준

데이터를 탑재한 고가의 음성기기가 유용하나 이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져서 일반 사설 언어치료실 혹은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언어장애, 특히 말소리에

대한 피드백에 어려움이 있거나 음성장애나 조음음운장애

등과 같이 일반화된 호흡, 발성, 공명, 조음에 어려움을 보

이는 말장애를 다루기에 편리한 콘텐츠의 요구가 높은 것

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러닝 관련 콘텐츠 개발에 관심을

Page 10: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edt.postech.ac.kr/homepage_data/publication... · Yim et al., 2014). 청각장애 학생들의

180 언어치료연구 (제24권 제4호)

가지고는 있지만 일반아동과 달리 접근이 용이하지가 않아

서 스마트 교육 시대에 있어서 또 다른 박탈된 학습 경험

(Kim & Kim, 2013)을 가지는 특수교육 및 언어치료 분야에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교육에 보다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훈련이 요구되는 말장애 언어치

료 분야에서 이러한 스마트 기기 관련 콘텐츠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는 콘텐츠 개발 이전에 반드시 살펴보아야하

는 내용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앞서 이전 연구들에서도

나왔듯이 최근 스마트기기에 대한 관심과 활용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제반사항들에 대한 조사와 함께 구체적으

로 언어치료 콘텐츠의 개발; 말장애 치료를 위한 세부하위

영역 구성을 위한 구체적인 정보들을 수집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연구에서는 말장애 치료에

사용되는 고가의 치료기기에 대한 대안 혹은 치료사의 피

드백이 없는 가정에서도 스마트앱을 활용한 치료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개발연구를 후속연

구로 제안하는 바이다.

위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설문 대상자의 선정에 있어서

각 지역별, 연령별 표본들이 일부 지역과 실시 대상 대다수

가 학령전기 아동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결과이므로 모

든 언어장애 이용자의 인식조사로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

가 있다.

참 고 문 헌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2015).

Applications (Apps) for speech-language pathology

practice. Retrieved from http://www.asha.org/SLP/

schools/Applications-for-Speech-Language-Pathology

-Practice/.

Choi, H. S. (2013). Research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uses and utility for smart

education contents (Master's thesis). Korea PaiChai

University, Daejeon.

[최희숙 (2013). 스마트 교육 콘텐츠에 대한 유치원 교

사들의 활용과 효용성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한류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Choi, S. H. (2013). Speech-Language pathologists' voice

assessment and voice standard clinical guideline and

evidence-based practic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4), 473-485.

[최성희 (2013). 음성언어재활사의 음성평가와 음성치

료의 임상실제: 표준 임상지침과 증거기반중재를 위

한 설문조사. 언어청각장애연구, 18(4), 473-485.]

Ha, T. R. (2013). Analysis of media utilization capacity in

according to retention of smart devices. KISDI STAT

report 13-09. Retrieved from http://www.kisdi.re.kr/ki

sdi/fp/kr/publication.

[하태림 (2013). 스마트 기기 보유 여부에 따른 미디어

활용능력 분석. KISDI STAT Report 13-09.

http://www.kisdi.re.kr/kisdi/fp/kr/publicatio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o hold the smart equipment,

analysis of media utilization capacity

Han, D. W., & Kang, M. C. (2013). Study on contents

development directions for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to enhance adaptive behavio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0), 123-131.

[한동욱, 강민채 (2013). 자폐성장애 아동의 적응행동

향상을 위한 스마트콘텐츠 개발 방향에 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1(10), 123-131.]

Han, D. W., & Kang, M. C. (2014). Policy directions for par

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to invigorate smart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3), 63-68.

[한동욱, 강민채 (2014). 장애아동 부모 관점에서 스마

트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향에 대한 연구. 디

지털융복합연구, 12(3), 63-68.]

Hokanson, B., & Hooper, S. (2000). Computers as cognitive

media: Examining the potential of computers in

educa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6,

537-552.

Jo, S. M., & Jeong, O. R. (2004). A correlation study

between acoustic and physiologic parameters in voice

pati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3(3), 137-145.

[조성미, 정옥란 (2004). 음성장애인의 음향학적 측정

치와 생리학적 측정치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 언어치

료연구, 13(3), 137-145.]

Joe, Y. J., & Hong, S. Y. (2014). Comparison of utilization

and need of educational applications between elderly

and younger adult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0(3), 99-124.

[조연정, 홍성연 (2014). 장노년층 대상 교육용 앱 설

계를 위한 요구분석. 교육문화연구, 20(3), 99-124.]

Kim, J. Y., Park, E. H., & Kim, K. Y. (2010). Preliminary

study regarding voice output communication content

Page 11: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edt.postech.ac.kr/homepage_data/publication... · Yim et al., 2014). 청각장애 학생들의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요구 분석 181

and system development.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11(4), 345-374.

[김정연, 박은혜, 김경양 (2010). 음성산출 의사소통

콘텐츠 및 시스템 개발 기초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

과 실천, 11(4), 345-374.]

Kim, K. H., & Kim, C. G. (2013). Smart learning in special

education: A review of research in Korean journals

2000 to 2012.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48(2), 191-218.

[김건희, 김창걸 (2013). 스마트러닝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특수교육학연구,

48(2), 191-218.]

Kim, S. J. (2006). Development of a Korean assessment

model for the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1(2), 32-55.

[김수진 (2006). 조음음운장애진단 및 평가에 관한 질

적 연구: 진단모형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언어청각장

애연구, 11(2), 32-55.]

Kim, S. O., & Lee, K. O. (2005). An investigation of online

contents environm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Korean Journal of Children's Media, 4,

223-241.

[김승옥, 이경옥 (2005). 유아교육기관의 온라인 콘텐

츠 사용실태 및 요구. 어린이미디어연구, 4, 223-241.]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3). Survey of using

smartphone on the second half of 2012. Retrieved

from http://www.kcc.go.kr.

[방송통신위원회 (2013). 2012년 하반기 보도자료

‘스마트폰 이용실태 조사’ http://www.kcc.go.kr.]

Lee, H. R., & Lee, S. B. (2014). Parent survey on the

effects of digital instrument on the language

development in Korean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9(2), 178-190.

[이희란, 이승복 (2014). 아동의 디지털 기기 사용과

언어발달에 관한 부모의 인식조사. 언어청각장애연구,

19(2), 178-190.]

Lee, K. M., Kim, D. O., Lee, S. Y., Park, H. J., Choi, B. G.,

& Heo, S. Y. (2015). Comparable study on learning

english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for the

development of english learning smart application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ed.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9(1), 345-365.

[이근민, 김동욱, 이신영, 박혜정, 최봉근, 허서윤

(2015). 청각장애학생의 영어발음학습 스마트앱 개발

을 위한 교사와 학생 간 영어 교육 실태 비교연구. 재

활복지, 19(1), 345-365.]

Martin, S., Shaw, E., & Daughenbaugh, L. (2014). Using

smart boards and manipulatives in the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Tech Trends: Linking Research &

Practice to Improve Learning, 58(3), 90-96.

McRay, L. B., & Fitch, J. L. (1996). A survey of computer

use by public school speech-language pathologist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27, 40-47.

Neeley, R. A., Pullian, M. H., Catt, M., & McDaniel, D. M.

(2015). The impact of interrupted use of a speech

generation device on the communication acts of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case study.

Education, 135(3), 371-379.

Seo, J. H. & Kim, M. C., Kim, T. H., Kim, H. A., & Lee, S.

J. (2011). Educational application research kit.

Retrieved from http://keris.or.kr/data/dt_research.jsp?

bbsid=board04&gbn=view&gp=1&ps=10&sp=&sw=&ob=

sor1&ix=19097&orderkey=2

[서정희, 김민철, 김택훈, 김현아, 이숙자 (2011). 교육

용 어플 조사 분석 자료집. 한국교육학술정보원.

http://keris.or.kr/data/dt_research.jsp?bbsid=board04&g

bn=view&gp=1&ps=10&sp=&sw=&ob=sor1&ix=19097&o

rderkey=2]

Seok, D. I. (2009).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phonetic

therapy and phoneme therapy in articulation/

phonology therapy for cochlear impla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18(4),

55-73.

[석동일 (2009).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조음음운치료에

서 음성적 치료와 음운적 치료의 효과비교. 언어치료

연구, 18(4), 55-73.]

Yim, D. S., Kim, S. Y., Park, W. J., Cheon, S. H., & Lee, Y.

J. (2014). Analysis on needs based survey of parents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for smartphone

program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9(4), 486-500.

[임동선, 김신영, 박원정, 천성혜, 이여진 (2014). 스마

트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의사소통장애 아동 부모

미 전문가 요구 분석. 언어청각장애연구, 19(4),

486-500.]

Page 12: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edt.postech.ac.kr/homepage_data/publication... · Yim et al., 2014). 청각장애 학생들의

182 언어치료연구 (제24권 제4호)

국문초록

말장애인의 언어치료 지원 스마트콘텐츠에 관한

부모 및 전문가의 요구 분석

이지윤1)·김유경2)·유희천3)·고병욱4)

목적: 본 연구는 말장애 언어치료를 위해 접근성이 용이한 스마트 기기의 콘텐츠 개발을 목적으로 전문가와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방법: 선행연구를 기초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전자 및 지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34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결과: 콘텐츠의 사용에 대해 전문가는 과반수가 언어치료를 위해 콘텐츠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는 80%가 자녀의 교육 및 재활을 위해 콘텐츠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보다 재활기관의 디지털기기 보유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반수의 재활기관에서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디지털 및 스마트콘텐츠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는 기존 콘텐츠의 다양성 부족을, 부모는 스마트 기기에 대한 집착을 콘텐츠의 비효과적 측면으로 가장 많이 답하였다.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스마트 콘텐츠의 요구가 높았다. 전문가는 치료용으로 다양한 자극이 제시되는 것을, 부모는 자가 진단용과 치료실과 연계되는 콘텐츠를 요구하였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 단어나 문장의 이해 및 표현, 조음훈련을 위한 시뮬레이션형과 게임형 콘텐츠 개발을 많이 요구하였으며, 콘텐츠 구입 비용으로 천원-3만원 정도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말장애 언어치료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콘텐츠 내용 요구에 대해 조사한 결과, 무발화 아동의 발성 산출, 조음 정확도 평가, 조음훈련에 대한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결과를 기초로 전문가와 부모의 실질적 요구를 반영한 말․언어장애인의 언어치료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콘텐츠의 개발이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이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접근성과 활용성을 고려한 콘텐츠의 개발을 모색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검색어> 스마트콘텐츠, 어플리케이션, 디지털기기, 말장애, 말-언어치료

본 연구는 전북대학교 의생명연구원의 지원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2015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S2255379)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1) 이지윤(제1저자) : 영동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2) 김유경(교신저자) : 가야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email protected])3) 유희천(공동저자) :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4) 고병욱(공동저자) : ㈜모노콘 대표이사

▶게재신청일 : 2015. 11. 3▶수정제출일 : 2015. 12. 16▶게재확정일 : 2015. 1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