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대입제도

21
4 조 – 조조 : 조조조 PPT : 조조조 조조 : 조조조 조조조 조조조 조조조조

description

국가별 대입제도. 4 조 – 요약 : 편균범 PPT : 윤현혜 발표 : 임주환 정혜림. 목차. 미국의 대입제도와 특성. 일본의 대입제도와 특성. 독일의 대입제도와 특성. 한국의 대입제도. 한국의 대입제도와 외국의 대입제도의 비교. 한국교육의 문제해결방안. 미국의 대입제도. 대학에 지원한 학생의 선택기준 - 학업성적 , 표준시험성적 , 개인프로필. 표준시험 – SAT, ACT, Subject Test 등. 표준시험을 통해 학생의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of 국가별 대입제도

Page 1: 국가별 대입제도

4 조 – 요약 : 편균범 PPT : 윤현혜 발표 : 임주환 정혜림

국가별 대입제도

Page 2: 국가별 대입제도

목차

미국의 대입제도와 특성

일본의 대입제도와 특성

독일의 대입제도와 특성

한국의 대입제도

한국의 대입제도와 외국의 대입제도의 비교

한국교육의 문제해결방안

Page 3: 국가별 대입제도

미국의 대입제도

대학에 지원한 학생의 선택기준 - 학업성적 , 표준시험성적 , 개인프로필

표준시험 – SAT, ACT, Subject Test 등

표준시험을 통해 학생의 어학적 추리능력 , 분석적인 독서능력 , 수학문제 해결능력 측정

Page 4: 국가별 대입제도

표준시험

학습 능력과 지식을 평가해서 대학 수준의 공부를 할 능력이 있는지를 평가어학적 추리능력 , 분석적인 독서능력 , 수학 문제해결능력을 측정고등학교 교과 과정중심으로 문제를 내기 때문에 학생들이 더 편안하게 느낌

ACT

학업능력 · 적성평가 · 추론능력 평가에 초점 , 2005 년 3 월 SAT 개정되어 시행언어능력평가와 수리능력평가 두 과목에서 작문이 추가11 학년 봄 학기와 12 학년 가을 학기에 각각 1 회씩 총 2 회

SAT

( Preliminary SAT ) SAT 라는 본 고사를 위해 예비적으로 보는 모의고사 같은 시험 . 미국의 10,11 학년 학생들에게 SAT 시험을 대비시키고 친숙하게 해주는 시험대학에 반영되지 않지만 시험 후 결과로 학생의 취약부분을 보고 SAT 를 대비

PSAI

SAT II 라고 불림특정 과목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지 그 지식을 적용할 능력을 측정시험 결과로 학생이 어떤 과목을 들어야 할 지 기준으로 삼음

Subject Test

Page 5: 국가별 대입제도

미국대입제도의 특성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이 원하면 대학 진학은 가능일정 수준의 능력 , 특정 자격을 갖추게 되면 대부분의 4 년제 대학에 진학그러나 명문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경쟁이 요구

내신 성적이나 대학 입학 시험을 위한 공부만 전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됨

입학전형을 각 대학이 주관함으로써 각 대학의 다양성을 살릴 수 있음

입학전형 시기가 연중 분산되어 있어 학생들의 입시 낙방에 대한 공포 및 입시준비의 절박성 등 정신적 문제를 경감해 줌

Page 6: 국가별 대입제도

일본의 대입제도

대학간 서열화나 과도한 입시 경쟁의 폐해를 축소시키기 위해 국공립 대학에서는 사립대학과는 다른 입학전형방식을 채택

기본적으로 대학입시센터시험과 대학별 고사에 의해 대학 입시 이루어 짐 .

대학입시센터시험 - 양질의 문제 등을 통해서 대학 입시의 다양화 , 특성화를 확보하고 특히 입시 선발을 위해 이용하는 교과 과목의 선정을 대학 자율에 맡김 , 대학 서열을 방지하는 역할

Page 7: 국가별 대입제도

대학입학전형 방식

공통 1 차 학력고사의 성적과 대학별로 실시되는 2 차 학력고사의 성적 , 고등학교 내신성적 등을 종합하여 신입생을 선발1 차 학력고사에서는 국어 , 수학 , 사회 , 과학 , 외국어의 5 개 과목을 평가 각 대학별로 독자적으로 시행되는 2 차 대학별 학력고사는 학력검사 , 소논문 , 면접 , 실시검사 등 평가

공국립대학

전체 대학의 약 75% 가 사립 , 입시에 대해 자율권을 지님전형방식 ·입시일이 학교별로 매우 다양 , 여러 학교에 지원할 기회를 주어짐일반적인 입시는 1 월부터 3 월 초순까지 실시주 전형자료는 대학본고사 , 고교내신성적 , 면접 , 실기시험 등일반입시 외 지방시험제도 ,  추천제 등 무시험 전형을 도입

사립대학

Page 8: 국가별 대입제도

일본대입제도의 특성

대학의 신입생 선발에서 대학의 자율성이 보장

고등정신기능을 어느 정도 측정할 수 있는 주관식 시험형태가 강조

Page 9: 국가별 대입제도

독일의 대입제도

초등학교 4 년 이수 후 진로방향에 따라 중등교육기관 ( 김나지움 , 종합학교 , 직업학교 , 중등학교 ) 을 정함 ‘ 김나지움’으로 불리는 인문계 중등학교 학생에게 대학진학의 기회를 줌

최종학년에 아비투어 (Abitur) 라는 졸업자격시험을 치러 합격하면 원하는 대학 , 원하는 학과에 진학

최근 입학희망자가 늘어 수시로 입학제한

대학의 학비가 전액 국가부담이나 졸업은 실력을 갖춘 학생만 졸업시키는 엄격한 학사 관리

Page 10: 국가별 대입제도

아비투어 시험

김나지움 마지막 학기 ( 대체로 5 월 중순 ) 에 치러지며 , 적성에 맞는 4 과목을 정하여 각 과목에 대한 필기 , 구술 및 실기시험을 치르는 형태이 4 가지 시험과목은 김나지움 상급반 교육과정의 세 가지 분야에 해당하는 과목들이 하나씩 포함되어야 하며 , 한 과목은 국어 , 수학 , 외국어 중의 하나 시험에서 일정 수준이상의 성적이면 고등학교졸업자격과 대학진학자격이 주어짐 .

공국립대학

대학진학을 목적으로 하는 수준 높은 교양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곳 학생들은 10 학년까지의 전기중등교육 과정을 마친 후 상급반에 진학3 년간의 후기 중등교육과정 마지막 학기에 아비투어 시험을 치름김나지움 상급반에서 수강한 과목의 성적이 아비투어 시험의 성적에 종합해최종 대학입학전형자료로 쓰임대학입학정원 중앙관리소에서 이 자료를 토대로 대학이 요구하는 조건에 맞추어 학생에게 입학허가를 통지

사립대학

Page 11: 국가별 대입제도

독일 대입제도의 특성

초등교육부터 고등교육에 이르기까지 무상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 특히 모든 대학이 국립대학이며 평준화되어 있음따라서 대학간의 서열이나 우열은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대학은 동급

대학입학을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자격과 동시에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자격을 평가하는 아비투어 (Abitur) 시험에 통과

Page 12: 국가별 대입제도

한국의 대입제도

‘ 대학수학능력시험 '으로 통해 얻은 점수와 고등학교 내신 성적뿐만 아니라학교마다 개별적으로 다른 입시 요강을 발표하고 그에 따라 학생들을 선발

학교마다 다른 수학능력 시험과 내신성적 외의 입학시험으로 '심층면접고사 ' 나 '논술고사 '를 추가로 실시하는 대학

수시모집과 정시모집으로 나눔 이외에 특별전형제도가 있음

Page 13: 국가별 대입제도

한국의 대입제도

대학 교육에 필요한 수학 능력을 측정 , 시험 영역과 과목을 선택할 수 있게 함 목적 - 대학수학 적격자의 선발 기능을 제고하고 고교교육 정상화에 기여 , 학생선발에 공정성과 객관성이 높은 자료를 제공 과목 : 언어 , 수리 , 사회 /과학 /직업탐구 , 외국어 ( 영어 ), 제 2 외국어 /한문영역

대학능력시험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성적을 주로 반영하며 내신과 대학별고사의 성적을 종합하여 학생들을 선발 성적이 발표된 이후 실시 , 각 대학을 가 , 나 ,다 3 개군으로 나눠서 모집

정시모집

고등학교 성적과 대학별고사의 성적을 종합하여 학생들을 선발수시모집에서 합격 한 사람은 정시모집에 응시할 수 없음수시모집은 주로 대학수학능력 시험이 실시되기 이전에 모든 절차를 마치며 , 대학에 따라 시험의 결과를 수시모집에서 반영하는 경우도 더러 있음

수시모집

취업자전형 ·특기자 전형 ·대학 독자적 기준전형 실업계고교졸업자 , 농 ·어촌학생 , 특수교육대상자 , 외국인 대상전형

특별전형제도

Page 14: 국가별 대입제도

대입제도의 비교

대학입시 경쟁이 우리와 같이 치열하지 않다

독일 - 대학이 평준화 되어 명문대학진학에 치열하지 않으며 입학 후 노력하는 과정을 거쳐 졸업을 함

미국 - 서열마다 여러 대학들이 군을 형성 ,분야별로 특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보다는 독보적이지 않음

프랑스 - 어느 대학을 나왔는가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 어느 과정까지 수학했는가 하는 것이 학력을 평가하는 관심사

일본 – 치열한 입시경쟁의 문제로 교육개혁 정책 진행 중

Page 15: 국가별 대입제도

대입제도의 비교

입학전형 시 단순히 학력이나 학업성취도에 국한되지 않으면서 , 학생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전형 자료들을 활용 함

독일 - 대학 서열이 느슨하거나 아예 없기 때문에 각 대학 마다 학생의 총체적인 평가를 위해 전형자료는 다양하게 활용

한국 - 최근 각 대학마다 다양하고 특성화된 전형방식을 한다고 하였지만 , 실제로 작년의 경우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수능 성적의 서열화에 따라 성적순으로 학생을 선발

서울대의 입시전형에 따라 대부분의 대학과 고등학교의 입시준비가 좌우됨

Page 16: 국가별 대입제도

대입제도의 비교

대학에 지원할 수 있는 자격과 선발하는 기능이 분리되어 있다

독일 - 중등교육과정졸업의 자격과 대학 입학의 자격을 평가하는 시험을 따로 치르고 거기에서 합격한 학생들 가운데 대학 입학생을 선발하는 방식은 중등 교육과정을 거친 실질적인 학력을 매우 중요하게 고려할 수 있음

Page 17: 국가별 대입제도

대입제도의 비교

대학이 평준화되어 있는 경우 절대평가의 형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정한 자격수준을 갖추기 위한 스스로의 노력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는 반면 , 대학간의 서열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경쟁이 이루어 짐

독일 , 프랑스 - 대학이 평준화되어 자격고사가 이루어지며 , 학생들간의 상대적 서열을 가리기 위한 상대평가가 아닌 절대평가의 형식

미국 - 대학간에 다소 서열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학교육의 과정에 있어서도 다소 느슨할 수 있다고 예상할 수 있으나 , 특히 명문 군에 속한 대학들의 경우에는 능력위주의 경쟁 선발로 다소 느슨한 상태의 경쟁이 이루어 짐

Page 18: 국가별 대입제도

한국교육의 문제 해결방안

입시 제도의 개혁

•대학입시제도는 학생 모집 정원 결정 방식이 변화되어야 할 것

• 다양하고 특색 있는 평가 자료와 항목에 의하여 학생을 선발하고 양적 평가보다 질적 평가에 의해 학생을 선발

•"상대기준평가보다 절대기준 평가에 의하여 학생을 선발하는 입시제도

•학력 " 우수자만을 선발하려는 의식과 태도를 바꿈

•대학은 ‘고등학교 이하의 정상적인 교육’에도 이바지하는 입시제도를 마련

Page 19: 국가별 대입제도

①학부모와 학생들의 가치관 교육 사람들이 자신을 객관화 시켜 바라 볼 수 있게 하고 가진것에 감사하며적절한 기대 수준을 유지함으로써 행복을 느끼도록 해야 한다 .

② 학력 위주의 풍토의 변화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진로를 자녀에게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며사회 역시 그런 방향으로 정책을 마련하고 투자해야 입시위주 교육에서 오는 병폐를 바로 잡을 수 있다 .

③ 평생 교육 이념의 확립 유아교육 , 청소년 교육 , 중 ·장년교육 , 노인 교육 등 발달단계에 따른 교육내용을 수직적으로 조정 ·통합하고 , 가정교육 , 학교교육 , 사회 교육등으로 각각 전개되는 형식 , 비 형식 , 무 형식적인 교육내용과 형태를 수평적으로 통합하여 삶이 곧 교육인 교육사회 구축을 지향한다

한국교육의 문제 해결방안

Page 20: 국가별 대입제도

한국교육의 문제 해결방안

공교육의 투자 늘리기

아이들이 거칠어져 교직이 과거보다 더욱 힘든 직업으로 인식되고 있는데교직에 대한 사회적 대우나 인식은 힘든 정도에 비추어 크게 향상되지 않는다

① 학교 차원의 노력 학교에서 주입식이나 암기식 , 객관식 못지 않게 주관식을 섞어 다양하게 가르치려고 노력할 때 입시 위주 교육의 해소 , 나아가 고교 교육의 정상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② 실업고 육성 및 확충 입시 위주의 교육을 청산하기 위해서는 입시 과열을 원천적으로 불가피 하게 만드는 수급의 불균형을 시정해야 함

Page 21: 국가별 대입제도

자료출처

한국의 입시제도 http://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EC%9D%98_%EB%8C%80%ED%95%99_%EC%9E%85%EC%8B%9C_%EC%A0%9C%EB%8F%84

일본의 입시제도 http://k.daum.net/qna/view.html?boardid=QQM&qid=2eJ5W&q=%C0%CF%BA%BB%C0%C7+%B1%B3%

C0%B0%C1%A6%B5%B5

일본의 입시제도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 개혁 국제비교 연구’중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10/09/

200710090003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