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19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민주주의 공론장인가 대중의 환상인 진민정 Jin Min-Jung

description

진민정의 박사논문인 [인터넷 시대의 아마추어 저널리즘: 공중의 환상인가 혹은 자유로운 표현의 장인가?]을 바탕으로 2013년 8월 20일 한국언론정보학회에서 행한 발표 자료입니다.

Transcript of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Page 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민주주의 공론장인가 대중의 환상인

진민정

Jin Min-Jung

Page 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파리2대학

2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전공 간단한 설명)

3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자기 소개 끝)

4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몇 가지 질문

• 아마추어 저널리즘은 어떤 개념인가

• 아마추어 저널리즘은 어떤 환경 속에서 태어나 성장

했는가

• 아마추어 저널리즘과 전통 저널리즘은 어떤 상호 영

향을 주고 받았나

• 아마추어 저널리즘은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가5

Page 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늘 나눌 이야기

•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개념

• 시민 저널리즘의 부상

•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실제

• 포털의 지배력 확장과 언론의 위기

• 인터넷 규제 강화와 자기 검열의 확산

•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과 미래

6

Page 7: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익숙한 구호

7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8: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우리가 미디어다"(Dan Gillmor)

8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9: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대중의 미디어들"(Joël de Rosnay)

9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0: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하지만

10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우리'는 누구인가?

'대중'은 누구인가?

11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시민 저널리즘?

풀뿌리 저널리즘?

참여 저널리즘?

아마추어 저널리즘?

디지털 저널리즘?

12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

여전히 모호한 개념

13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개념 구별 1.]

시민 v. 아마추어

14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시민: "개인의 이익이 아닌 공공의 이익을 위해

표현하는 본질적으로 정치적인 존재"

(J-J Rousseau)

15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아마추어: "자기 활동 분야를 자유롭게 선택해 열정을

갖고 자기 만족을 위해 대응하는 존재"

(Patrice Flichy)

16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7: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고로

17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8: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아마추어 ⊃ 시민

18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9: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범주 구별 2.]

시민 v. 시민

19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20: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인식론적 단절의 조건

20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2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minoci.net

Page 2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minoci.net

Internet

Page 2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minoci.net

Internet1989

Page 2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minoci.net

Internet1989

팀 버너스-리

Page 2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minoci.net

W.W.W1989

인터넷 시대의 개막

Page 2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공공 저널리즘에 기반한 시민 저널리즘('80)

≠디지털 시대의 시민 저널리즘('90 이후)

26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27: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인터넷 시대

프로슈머

소비 + 생산

27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28: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minoci.net

2006<TIME>

올해의 인물

Page 29: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minoci.net

Page 30: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범주 구별 3.]

아마추어 저널리즘이란?

30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3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누가) 비직업 기자가

(어디에서) 인터넷에서 행하는

(무엇을) 모든 형태의 저널리즘 행위

31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3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늘 나눌 이야기

•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개념

• 시민 저널리즘의 부상

•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실제

• 포털의 지배력 확장과 언론의 위기

• 인터넷 규제 강화와 자기 검열의 확산

•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과 미래32

Page 3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2000년 2월 22일 2시 22분

33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3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34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3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935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3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36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37: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게릴라의 점령 시간

37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38: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9개월영향력 있는 10대 미디어

38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39: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9개월영향력 있는 10대 미디어

39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40: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마이뉴스 성공 요인

민주화 체험

주류언론 불신

시민기자제

40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4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이어지는

인터넷뉴스

사이트

41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4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이슈투데이(2000)

민중의 소리(2001)

프레시안(2001)

42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4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2011년 기준

인터넷신문

43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4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3200

44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4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3200

45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4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3200

46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47: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3200

47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48: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그리고

48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49: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49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50: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블로그 시대의 개막

(1999)

50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5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블로그전문 사이트

"이글루스" (2003)

독립(설치형) 블로그

"태터툴스" (2004)

51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5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네이버 다음 포털 가세

(2003)

52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5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블로거 천만 돌파

(2003. 7.)

53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5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메타블로그

'블로그의 광장'

블로그 영향력 확대

54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5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블로그코리아 (2003)

올블로그 (2004)

블로거뉴스 (2005)

55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5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블로그코리아 (2003)

올블로그 (2004)

블로거뉴스 (2005)

56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57: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블로그코리아 (2003)

올블로그 (2004)

블로거뉴스 (2005)

57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58: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블로그코리아 (2003)

올블로그 (2004)

다음뷰 (2009)

58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59: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다음뷰

포털 기업으로서의 정치적

부담감

> 연성 콘텐츠 전면 배치

군소 독립 블로그 영향력 쇠락

59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60: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그리고

60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6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빼놓을 수 없는 사건

61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6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62kkalyan (CC BY SA)

Page 6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그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63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6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64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6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촛불

65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6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2008년 미국산 소고기

수입반대 촛불시위

66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67: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촛불시위]

발원: 다음 아고라 (토론 중심지)

확산: 커뮤니티 (비정치성향 사이트

합류)

재생산: 디지털 영상 기술 (아프리카 등)

기본 성격: 이명박 탄핵 정치운동

부수적 성격: 기성 보수언론 반대

67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68: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느슨한 연대

수평적 네트워크

자발적 참여

68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69: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포털 토론방

블로그

각종 커뮤니티

인터넷 방송

69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70: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포털 토론방 + 블로그

+ 각종 커뮤니티 +

인터넷 방송

70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7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시민 저널리즘의

가능성과 정치적

영향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준 사건

71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7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늘 나눌 이야기

•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개념

• 시민저널리즘의 부상

•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실제

• 포털의 지배력 확장과 언론의 위기

• 인터넷 규제 강화와 자기 검열의 확산

•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과 미래

72

Page 7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두 가지 사례 비교

영향력 표준

73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7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마이뉴스

v.

블로거뉴스

74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7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마이뉴스 1.]

4 → 70

727 → 63300

75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7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마이뉴스 1.]

4 → 70

727 → 63300

76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77: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마이뉴스 1.]

4 → 70

727 → 63300

77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78: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마이뉴스 1.]

4 → 70

727 → 63300

78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79: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마이뉴스 1.]

4 → 70

727 → 63300

79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80: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마이뉴스 1.]

4 → 70

727 → 63300

80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8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마이뉴스 2.]

남성 76%

서울(근교) 60%

81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8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마이뉴스 2.]

남성 76%

서울(근교) 60%

82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8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마이뉴스 2.]

남성 76%

서울(근교) 60%

83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8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마이뉴스 2.]

남성 76%

서울(근교) 60%

84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8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마이뉴스 3.]

형식 파괴: 대화체

편지체

현장 목격담, 개인 체험

85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8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마이뉴스 4.]

기사의 위계화

편집기자의 게이트키핑

86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87: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그렇다면

다음 블로거뉴스는?

87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88: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다음 블로거뉴스 1.]

2005~2009

전 세계 네트워크 활용

88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89: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다음 블로거뉴스 1.]

28만 명

하루 평균 6000개

89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90: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다음 블로거뉴스 2.]

특종: 사회(26%)

일상(25%) 국제(14%)

90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9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다음 블로거뉴스 3.]

논평보다는 취재와 경험

직접취재(47%), 직접경험(24%)

91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9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다음 블로거뉴스 4.]

문제 해결 저널리즘:

농촌진흥청

폐지, 우토로, 미아찾기

92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9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다음 블로거뉴스 5.]

"스포츠, 신변잡기 등

피플 저널리즘에 기여" (KISDI)

93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9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다음 블로거뉴스 6.]

블로거의 진지한 뉴스 생산

가능성

베스트 글은 기사 형식이 대부분

94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9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다음 블로거뉴스 7.]

"다음뷰"로 개편(2009)

→ 신변잡기, 연예뉴스 전면 배치

95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9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마이뉴스 & 블로거뉴스

공통점?

96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97: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마이뉴스 & 블로거뉴스

본질적으로 '게이트 키핑' 모델

97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98: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마이뉴스 & 블로거뉴스

등급화: 소수 편집부 선택

98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99: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질문.

블로깅은

저널리즘인가?

99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00: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블로거면 블로거고,

기자면 기자지

블로거기자는 뭔가?"

(민노씨)

100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0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지켜지지도 않을 중립성과 객관성이라는

언론의 신화를 흉내낸다면 블로그가 아니다.

블로거라면 현실도피식 반응에 끊임없이

자극을 주고, 첨예한 이슈에 관점과 의견을

더해줘야 한다. 블로거는 인터넷 시대의

대자보를 붙여대는 인지적 활동가"

(아거)

101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0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블로기즘의 본질

'게이트키핑' 제거

독립적 1인 미디어 구현

102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0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하지만

103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0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게이트키핑 부재의 위험

편집 절차 생략에 따른

사실 확인 문제

104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0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취재원 문제

취재원 접근성 약점

취재원 중요성에 관한 인식 부족

105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0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그럼에도

106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07: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불구하고

107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08: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블로그는

108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09: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기성 저널리즘의

불평부당이라는 신화를

공격하고,

저널리즘 행위의 본질을 질문

109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10: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늘 나눌 이야기

•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개념

• 시민저널리즘의 부상

•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실제

• 포털의 지배력 확장과 언론의 위기

• 인터넷 규제 강화와 자기 검열의 확산

•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과 미래

110

Page 11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포털의 위상(2009. KISA)

인터넷 이용자 95.7% 포털 통해

뉴스소비

111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1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95.7%(2009. KISA)

인터넷 이용자 95.7% 포털 통해

뉴스소비

112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1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95.7%(2009. KISA)

인터넷유저 대부분 '포털' 통해 뉴스 소비

113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1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3위(2007)

'네이버' 미디어 영향력 순위

114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1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3위(2007)

'네이버' 미디어 영향력 순위

115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1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역전

116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17: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포털에 트래픽 의존

기성언론, 단순 뉴스공급자로 전락

뉴스 소비 문화의 변화

117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18: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포털 뉴스 논쟁]

포털은 언론 주체인가?

아니면 단순 유통업자인가?

118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19: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포털 뉴스 논쟁]

문제는 영향력

"네이버는 평정됐다"(진성호. 2007)

119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20: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포털 뉴스 논쟁]

특정 매체 편애 논란

정치적 중립성 논란

120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2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네이버의 궁여지책

121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2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가장 비싼 첫 화면을

공짜로 제공할테니

언론사들 알아서 올려라

122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2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뉴스캐스트 도입(2009. 1.)

123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2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그래서

출현한

새로운 저널리즘!

124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2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헉!

125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2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충격!

126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27: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숨막히는

127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28: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뒷태!

128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29: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129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30: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미끼 저널리즘

낚시 저널리즘

130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3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트래픽에 급급

미끼질에 몰두

131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3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결국

132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3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뉴스캐스트 폐지

뉴스스탠드 도입(2013. 4.)

133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3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언론사 트래픽 급감

하지만 … 자승자박

134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3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신문의 종말"(Bernard Poulet, 2010)

135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3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프랑스

La Tribune 종이신문 폐간

France Soir 발행 중단→파산

136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37: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한국

½(2000년 대비 수익)

48%→13% (신뢰도: 96년 → 2010년)

137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38: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위기의 원인]

디지털 환경 변화 적응 실패

혁신의 부재

온라인에 대한 차별

(온라인 종사자 중 5.5%만 기성언론 출신)

138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39: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문제는 '언론사' 흥망이 아니다

저널리즘 질적 하락 진짜 문제

139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40: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좋은 저널리스트는 독자가

요구하지 않는 그 이상의 것을

제시하는 사람"

(Jay Rozen)

140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4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내가 먹는 것이 곧 나인 것처럼 내가 소비하는

정보가 곧 나다. 사람들이 영양가 없는 흰 빵을

선호하는 것처럼 대다수 독자의 정보에 대한

기호는 스포츠, 오락, 잡보 기사에 집중되어 있다.

언론이 이런 기사에 주목한다면 사회적 혹은

정치적 쟁점들은 결국 외면당하고 말 것이다."

(Pablo Boczkowski)

141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4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늘 나눌 이야기

•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개념

• 시민저널리즘의 부상

•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실제

• 포털의 지배력 확장과 언론의 위기

• 인터넷 규제 강화와 자기 검열의 확산

•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과 미래

142

Page 14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이명박 정부

강력한 인터넷 규제 드라이브

143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4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인터넷 실명제 적용범위 확대

저작권법 강화

포털 임시조치 왜곡 작동

포털 모니터링 의무화

사이버 모욕죄 도입 시도

(2008, 2009)

144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4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가령

145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4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최진실

146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47: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그녀의

안타까운 죽음(2008.10.2)

147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48: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그 다음 날

148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49: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사이버 모욕죄 도입

논의(2008.10.3.)

149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50: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인터넷 실명제 강화(2009.4.)

정보통신망법 확대 적용, 일 10만 방문자 이상 사이트

150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5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질문.

인터넷 실명제는

과연 악플을 줄였나?

151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5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인터넷 실명제(제한적 본인확인제)2007. 7.(시행) ~ 2012. 8. (위헌판결)

152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5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www.leejeonghwan.com

Page 15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www.leejeonghwan.com

서울대 행정대학원

우지숙 교수 연구(2009. 11.)

Page 15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www.leejeonghwan.com

[실명제 효과 1.]

자기 검열"자신의 글을 스스로 삭제"

Page 15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www.leejeonghwan.com

Page 157: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www.leejeonghwan.com

[실명제 효과 2.]

악플은 다소 감소5.1%(시행 전) → 2.1%(시행 후)

Page 158: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www.leejeonghwan.com

Page 159: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www.leejeonghwan.com

[실명제 효과 3.]

게시글 약 70% 감소1,319건(전)→ 399.7건(후)

Page 160: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www.leejeonghwan.com

[실명제 효과 4.]

댓글 약 50% 감소4,259.5 건(전)→ 2,156.4 건(후)

Page 16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www.leejeonghwan.com

"실명제가 비방과 욕설 감소 목적을

달성한다 하더라도,

이 제도로 인해 이용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절대량이 적어지고 참가구성원이 달라지며 의사소통

내용에 변화가 생긴다면

이러한 변화가 가져올 본질적이고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 우지숙, <연구> 결론 중에서

Page 16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결국,

악플 방지 효과 미미

표현의 자유 위축 효과 심대

162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6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그 밖에도

163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6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SNS에 대한 규제

(특히 트위터)

164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6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2MB18nomA(방송통신심의위원회)

165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6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행정기관이

표현물 내용을 규제하는 건

검열"

(프랑크 라 뤼, UN 표현의 자유 특별 보고관)

166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67: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박정근 사건(국가보안법)

167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68: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국가보안법은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단계와 맞지 않은

구시대적 악법"

(국경 없는 기자회)

168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69: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늘 나눌 이야기

•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개념

• 시민저널리즘의 부상

•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실제

• 포털의 지배력 확장과 언론의 위기

• 인터넷 규제 강화와 자기 검열의 확산

•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과 미래 169

Page 170: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아마추어 저널리즘은

전통 저널리즘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170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7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영향]

아마추어와 직업 기자 구분은 점점 더 모호해짐

수준 높은 콘텐츠는 기성 매체에 역발행

논평, 분석, 리뷰 등 특정 영역은 아마추어가 점령

모바일 대중화: 현장 목격자 역할 더욱 중요

171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7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그리고

172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7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마지막 질문

173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7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모바일로 진화하는

디지털 저널리즘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174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7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몇 가지 우울한 자료

175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7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여전히 계속되는

빅브라더의 악몽

176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77: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전 세계 30% 자유로운 인터넷 접속 불가능

60여 개 국가 인터넷 검열 존재

호주, 한국, 프랑스를 “감시 중”인 나라로 분류

(국경 없는 기자회 보고서, 2010)

177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78: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그렇다면

'빅 브라더'만 문제일까?

178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79: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조지 오웰의 것보다)

약간 더 오래되고 덜 알려진

어두운 예언"(Neil Postman)

179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80: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Brave New World(Aldous Huxley, 1931)

180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8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오웰은 외적으로 우리를 압제하는 세력에 의해 우리가 지배당할

것이라고 내다 보았다. 반면 헉슬리의 혜안은 사람들에게서 개인의

자주성, 성숙함, 그리고 역사성을 뺏는 데는 Big Brother같은 사람이

필요없다고 내다 보았다. 바로 사람들은 자신들을 억누르는 것을

사랑하게 되고, 그들에게서 생각할 능력을 빼앗아간 테크놀로지를

사랑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중략…)

오웰이 두려워 했던 것은 우리가 증오하는 것들이 우리를 지배할

것을 두려워 한 반면, 헉슬리는 우리가 사랑하는 것이 우리를 망칠

것을 두려워 했다.

(Neil Postman, 'Amusing Ourselves to death' 서문, 번역: 아거)

181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8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사이버 쾌락주의

182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8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 인터넷 콘텐츠 시장에서 뉴스 미디어가

생산하는 뉴스 콘텐츠는 아주 작은 부분에

불과하다.

어마어마하게 많은 웹사이트와 수백 개의

케이블 채널들이

영화, 비디오게임, 오락물, 포르노그라피

등 유혹을 뿌리치기 힘든 콘텐츠들을

제공하고 있고 바로 이들이 소비자를

끌어들인다.”(evgeny morozov)

183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8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모바일+SNS

뉴스보다는 일상적인 의사소통

유희성 강한 게임과 오락물

실용적 앱

즉물적 연성 콘텐츠 소비 체질화

184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8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정보의 역설

쏟아져오는 정보

정보의 영양실조

185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8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그리고,

"집단지성 삥뜯기" 현상의 구조화

186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87: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인터넷 이용자들은 집단적인 프로젝트에

참여한다는 환상을 갖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단지 몇몇 거대 기업들의

콘텐츠를 풍성하게 하는 자발적인

‘봉사자’들일 뿐이다”

(조엘 포시옹)

187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88: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빛 1.

아마추어 저널리즘은 많은

새롭고 의미 있는 매체를

만들어 냈다

188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89: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빛 2.

그리고 기성 매체의 독과점을

종식시켰다

189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90: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그림자.

하지만 인터넷 규제는 시민

저널리즘의 영역를 잠식했다

190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91: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그림자 2.

하지만 더 큰 숙제는 '감시와

검열'이 아니라 테크놀로지와

거대 기업을 향한 '자발적인

포로화'다

191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92: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돈의 논리가 압도하는 현실

192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93: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무비판적인 기술 순응

193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94: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사이버 쾌락주의

194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95: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지금 아마추어 저널리즘은

혁신의 잠재력을 거세당할

위기상황에 처해 있다

195발표자 / 발표자 소속

Page 196: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명암

진민정

Jin Min-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