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115
교교교 교교교 교교교 교교 교 교 교 www.21erick.org www.leechanseung.pe.kr 교교교교교교교교교 교교 2013 교 1 교 15 교 교교교교교 교교교 교교 교교교교교 교교교 교교

description

[목차] 1. 미래사회와 교육생태계 변화 2. 공교육 위기의 심각성 3. 21세기 학습자의 이해 4. 교사의 새로운 역할과 전문성 신장 5. 21세기가 요구하는 학교장 리더십 6. 수업혁명(뇌기반교육+사회성감성 교육)

Transcript of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Page 1: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대표 이 찬 승www.21erick.org

www.leechanseung.pe.kr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

2013 년 1 월 15 일

교육생태계 변화와미래 학교교육이 나아갈

방향

Page 2: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목차

1. 미래사회와 교육생태계 변화2. 공교육 위기의 심각성3. 21 세기 학습자의 이해4. 교사의 새로운 역할과 전문성 신장5. 21 세기가 요구하는 학교장 리더십6. 수업혁명 ( 뇌기반교육 + 사회성감성 교육 )

2

Page 3: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미래사회와 교육 생태계변화

Page 4: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21 세기 변화의 동인

세계가 특히 경제적으로 매우 빠르게 하나로 상호 연결되고 통합됨으로써 이러한 촘촘한 연결망은 세계와 세계 시민의 삶을 가속적으로 상호 연결시킨다 .

▶ 이런 현상은 인간의 삶과 교육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가 ?

4

세계화 ; 지식기반사회 ; 과학정보기술의 발달 ;생활양식과 가치관 변화 ; 양극화 등

Page 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21 세기 변화동인 – 기술의 발전

5

농업시대B.C 6000

산업시대1700 - 1900

BT

NTIT

CT현재

BT

NTIT

CT2025

Page 6: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6

지구촌이 맞을 대형 위기 6

1. 기후변화 2. 경제 위기 3. 일자리 부족 4. 격차 및 불평등 심화 5. 부패 6. 테러

21 세기가 직면한 위기

“ 가난하게 태어난 아이들은 평생을 가난하게 살아갈 가능성이 높은 사회 – 해법은 무엇인가 ?”

Page 7: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기계가 인간의 지능을 초월하고 인간의 인지기능을

미래사회의 이해 – 특이점의 도래

특이점 - 기계가 인간의 지능을 초월하고 인간의 인지기능을 기계에 업로딩 (uploading) 가능

Page 8: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미래사회의 모습

8

공존의 (Symbiotic) 시대

10 년 변화주기 (2040-2050) ...2 단계 공존시대

• 2 세대 대화형 네트워크 시대 • 더 발전된 인간기능 저장과 업로딩 구현 • 반지능 갖춘 기계와 네트워크 구현으로 공존

의 고도화 • 기계의 유비쿼터스 인공지능 (AI) 플렛폼에

초기적 자립 (autonomy) • 고도의 생명공학기술로 기적의 의술 시대 • 제한된 인간심신기능 확장 기술 향상

• 기능 자동재설정이 가능한 4 세대 지능형 로봇 시대 • 국가 시스템을 비롯한 정치사회분야의 대변화 도래 ... 개인의 삶 ,

사회구조 , 정신성의 대 변화가 사회의 이슈로 등장 • 물질주의 사회적 기반 약화

Page 9: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교육생태계의 변화

9

지식의 민주화 (Democratization of knowledge)

• 지식의 민주화는 개인 / 단체의 평생학습 시대를 열고 , 학교를 21 세기 물리적 / 가상적 공간으로 변화시킨다 .

• 기로에선 교육자 : 공식적 학습과 비공식적 학습을 연결 하는 과제

Educators are at a crossroads. They can embrace this democ-ratization of knowledge by au-thentically connecting their students’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Page 10: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교육 생태계의 변화 - 공식 / 비공식 교육간 무경계

10Source: Constructed based on Rogers, 2004, pp.255-260

정규 / 비정규 교육경계의 불분명

학습 방식 정규학교 교육

유연한 학교 교육

참여 교육

context decontex-tualised

Context-ad-justed

Contextual-ized

교육 유형 정규 교육(formal ed-

ucation)

비정규 교육

(non-formal education)

무형식 교육( informal education)

Table 1. 정규 / 비정규 교육의 관계성

Page 11: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미래사회의 모습 - 취업 가능성

11

일자리가 사라진다

출처 : 박영숙의《당신의 성공을 위한 미래뉴스》

앞으로 일자리는 점점 사라진다 . 미래사회에서는 지금처럼 돈을 많이 버는 사람이 아니라 일자리가 있는 사람이 성공한 사람으로 대접받게 된다 . 일자리만 있어도 사람들의 부러움을 사게 되는 날이 온다 . 미국 정부는 현존하는 직종의 80퍼센트가 10 년 안에 사라진다고 발표했다 .

지금도 이미 평생직장 개념이 흔들리고 있지만 2025~2030 년쯤 되면 평생직종 , 평생직장은 완전히 사라진다 .

Page 12: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미래사회의 모습 – 직업의 생멸

12

미래 직업세계의 이해

“ 일생 동안 3 개 이상의 영역에서 , 5 개 이상의 직업과 12-25 개의 서로 다른 직무를 경험하게 된다 .”

“2020 년 직업의 70% 는 지금 존재하지 않는 것들이고 , 2020 년 기술의 80% 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

Page 13: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문제중심학습과 - Bloom 의 개정교육목표 분류체계

13

고등 사고능력

창조하기 디자인 , 구성 , 생산적 기구 설계 평가하기 확인 , 판단 , 비판 가설검증 , 시험 , 발견 분석하기비교 , 체계화된 질문 ,분해된 구조 파악 , 속성 적용하기 하다 , 실행하다 . 사용하다 , 행동에 옮기다 이해하기해석 , 요약 , 설명 , 분류하여 재구조화비교 기억하기 회상 , 리스트 , 명칭

단순 사고능력

고등 사고능력 창조하기 평가하기

분석하기 적용하기

이해하기 기억하기

단순 사고능력

지식의 창조(knowledge Creation)

지식의 심화(knowledge Deepening)

지식의 습득(Knowledge Acquisition)

Page 14: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P!SA 의 새로운 평가도입 (2015 년 )

14

협업을 통한 문제해결능력 측정 (PISA 2015 년 ) 샘플

출처 : http://atc21s.org

Page 1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변화읽기 – 희망의 우리학교

희망의 우리학교 : “ 학생의 , 학생에 의한 , 학생을 위한 학교”

Page 16: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새로운 학교의 모색 – 해외 성공학교 소개

16

The Mt. Edgecumbe High School model

• 교사와 학생들이 학교를 함께 운영한다 .

• 탁월성 추구를 학교의 최고의 가치로 삼는다 .

• 매년 첫 주는 자부심을 갖는 특별한 기간으로 삼는다 .

• 학습은 학습자 주도 방식이며 교사 역할의 90% 는 학습 촉진자 (facilitator) 이다 .

• 학생들 스스로가 학교의 규율을 정하고 관리한다 .

• 이론적으로 배운 것을 직접 적용해보기 위한 회사를 4 개나 운영하고 있다 .

• 모든 학생은 중국어와 일본어를 배운다 .

• 학생들의 요청에 의해 러시아어 , 물리학 , 미적분 등이 커리큘럼에 추가되었다 .

• 수업은 감독자 없이 이뤄진다 .

• 학교 교사 , 행정 요원들의 교육을 최우선시 한다 .

Page 17: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공교육 위기의 심각성

Page 18: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자기 중심적 / 이기적이다 (24명 )

버릇 없다 (7 명 ) 즉흥적이다 (6 명 ) 주의가 산만하다 ( 각 6 명 ) 솔직하다 (4 명 )

출처 : 전북교육청 소속 초등교사 대상 설문 (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2012, 8)

18

요즘 아동청소년들의 특징은 ?

21 세기 청소년 학습자의 특징 – 교사 설문

Page 19: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21 세기 청소년 학습자의 특징

미래 학교에 대한 예측

1. 분석적 사고보다는 상황설명적(episodical) 사고 증가

2. 성찰적이기보다는 반응적 /반사적 언행 증가

3. 주의 집중가능 시간 짧아짐 4. 문자언어보다 비쥬얼 자료로 소통

5. 학습부진아 증가 6. 충동 및 감정 통제능력 저하

19

출처 : Susan Greenfield (2008), a leading neuroscientist and former director of the Royal Institution of Great Britain

Page 20: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교 교육의 위기 – 정신건강

20

Page 21: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교 교육의 위기 – tipping point 도래

학교 붕괴의 증거들

“ 기존 교육 시스템의 부정적 측면이 긍정적 측면을 능가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Robert J. Marzano

● 원인은 무엇일까 ? • 학습동기의 저하 •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증가 • 문제행동의 증가 • 학교중단을 고민하는 학생

수의 증가 21

“ 학습자의 < 주의 , 흥미 , 시간 > 을 어떤 것이 먼저 차지하는가 ?”이에 대해 교사는 경쟁관계에 있다 .

Page 22: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교 교육의 위기

22

학교의 미래는 있는가 ?

영국은 2015 년이 되면 과반수의 고등학생들이 의무교육을 떠날 것이다 . 2020 년이 되면 전통적인 학교는 역사적 흔적으로 남게 될 것이다 . (Learning Futures 2011)

Page 23: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23

학교교육의 경쟁력에 대한 의견

학교 교육의 위기

Page 24: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중고생 가운데 학교중단을 고민하는 비율( 서울 )

24출처 : FSI 정책연구소 - 미래와 균형 (2011)

Page 2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교를 그만두면 하고 싶은것은 ?

25출처 : FSI 정책연구소 - 미래와 균형 (2011)

Page 26: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교중단 고민 학생이 가장 필요로하는 도움은 ?

26출처 : FSI 정책연구소 - 미래와 균형 (2011)

Page 27: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변화읽기 – 희망의 우리학교

희망의 우리학교 : “ 학생의 , 학생에 의한 , 학생을 위한 학교”

Page 28: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교 특징

□ 선생 없는 학교 △ 학생 , 학부모 , 멘토 모두가 선생이다 . △ 세상에서 더불어 배우고 나누는 학교

□ 학생이 선생이다 . △ 함께 배움 : 학생이 자신 있는 분야의 강의를 개설 하면 , 다른 학생들은 관심 있는 분야의 강의에

참여해 수업하는 토론식 학습

□ 멘토가 선생이다 . △ 멘토 배움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멘토들로 부터 삶의 지혜와 철학을 배움

□ 세상이 선생이다 . △ 체험 배움 : 다양한 문화적 사회적 체험을 통해 스스로의 삶을 개척 △ 프로젝트 : 여행 , 인턴쉽 , 전시회 참가 · 개최 ,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한 학습 △ 문화 즐기기 : 영화 , 연극 , 음악회 , 전시회 , 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

변화읽기 – 희망의 우리학교

Page 29: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계층간 직업 양극화 – 계층이동의 어려움

능력을 가진 계층 (talent) 과 그 외 나머지 계층 ( the rest) 간의 사회 불평등이 심화될 것이다 . 따라서 중간 (the middle) 에 속해있는 사람들의 직업보장이 큰 사회적 문제가 된다 .

세계적으로 유능한 계층 ( Global Tal-ent)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창의적인 전문직이다 .- 소수의 사람들만이 속하며 국가 간의 경계를 벗어나 거주하고 일하며 상당한 보수를 요구한다 .- 국제적 이동성을 갖고 있다 .

나머지 계층 (The rest)

저임금 노동자(Low-wage labor)

-낮은 기술의 직업영역에서 일을 한다 .- 그 일에서 벗어날 기회가 거의 제공되지 않는다 .

중산층( The middle classes)

-개별 분리된 기관에서 상당히 일상화된 임무를 담당하며 높은 기술의 저임금 시장에 갇혀있고 상당히 경쟁적이다 .- 높은 수준의 의사소통능력 , 팀워크 , 개개인의 유능감이 요구되지만 자율성이 보장되는 수준은 낮다 .

Page 30: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30

‘ 빈곤층 자녀와 부유층 자녀 간의 격차는 초등 2학년 이전에 좁히지 않으면 갈수록 더 벌어진다 . 격차를 줄이기 위한 투자는 0 세 ~5 세 사이에 해야 한다 .’James Heckman

학교 – 10~20%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 – 80~90% 출처 : What Works in Schools by Robert J. Marzano

학생의 성취도에 끼치는 학교교육의 영향비중

빈곤층 - 부유층간 격차의 확대

교육격차 완화 – 조기투자로 !

Page 31: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21 세기 학습자의 이해

Page 32: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아동청소년 학습자의 이해 : 망상활성계의 변화

컴퓨터 , 비디오 , 영상물에 대한 과다노출로 인한 뇌의 변화

- 빠른 처리나 검색 - 몰입과 집중의 어려움 - 감성 , 사회성 발달 저해 - 공감능력 부족

Page 33: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반항장애 (ODD) 환자의 뇌

대상회 활동과잉

기저핵 활동과잉

편도체 활동과잉세로토닌조절이상

전두엽억제기능 이상 좌측 측두엽

활동과잉

Page 34: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감각시상 편도체

해마

감각피질

긴 회로

짧은 회로

정서 자극정서 반응

청소년 뇌의 이해 – 편도체 하이제킹

Page 3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전혀 새로운 학습자의 등장

21 세기 청소년 학습자의 특성

1. 분석적 사고보다는 상황설명적(episodical) 사고 증가

2. 성찰적이기보다는 반응적 /반사적 언행 증가

3. 주의 집중가능 시간 짧아짐 4. 문자언어보다 비쥬얼 자료로 소통

5. 학습부진아 증가 6. 충동 및 감정 통제능력 저하

35

출처 : Susan Greenfield (2008), a leading neuroscientist and former director of the Royal Institution of Great Britain

Page 36: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습자의 이해 – 선생님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

• 인생 선배로서 삶의 조언을 진중하게 해주는 선생님• 인격적으로 성숙한 모습을 보여주는 선생님 : “ 교사” 아닌 “스승”“Learners learn much more from who teachers are than

from what teachers teach!”(Eric Jensen)• 서툴거나 하찮아 보여도 무시하지 말고 나의 의견 들어주는 선생님 • 성적과 무관하게 모두에게 언제나 동등한 대우를 해주는 선생님• 수업을 재미있고 귀에 쏙쏙 들어오게 하는 선생님• 지속적으로 새로운 교수법 개발을 위해 노력하는 선생님• 수업시간 외에 사후관리 ( 개별지도 ) 도 친절하게 해주는 선생님 ( 일방향 수업 X, 쌍방향 수업

O)( 전 ) 전국총학생회회장 김 OO, 2012

선생님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

Page 37: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교사의 새로운 역할과 전문성

Page 38: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교사역할의 재정의

38

교사는 누구인가 ?

핀란드 한 학교장이 말하는 교사의 역할 :

• 제 1임무 - 가정과 소통하고 가정의 협력을 이끌어 내는 일

• 제 2임무 - 아이들의 생활과 삶을 사랑으로 돌보는 일 " 아이가 수업 중 자는 것 ( 수업관찰 중 실제 사례가 있었음 ) 을 어떻게 처리하는가 ?"란 질문에 대해 "먼저 그 아이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해야 한다 . 간밤에 사랑하는 애완견이 죽어서 밤에 잠을 이루지 못했는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 교장 선생님 답변 )

• 제 3임무 – 가르치는 일

Page 39: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Q. “ 학교에서 교사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 "What are you doing here?"

A. “ 아동의 사회성감성 그리고 학업성취도 향상입니다 . 그것이 교사의 역할이고 바로 그 역할을 위해서 여기 있습니다 .”

"I'm here to promote the social and emotional and aca-demic development of children. That's my job. That's what I'm here for."

(Mark Nichol, The director of Rutgers University's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Lab)

http://www.edutopia.org/maurice-elias-sel-video

교사역할의 재정의

Page 40: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교사의 사명의 예

교사로서 나의 사명은 아동을 도와 평생학습자가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

나는 아동이 실수나 실패의 두려움 없이 학습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실패나 실수로부터 배우고 성공경험을 쌓아가게 할 것이다 . 이를 위해 나는 아동의 성공뿐만 아니라 실패까지 축하해 줄 것이다 .

교사로서 나는 아동이 사회성 , 감성을 키워 타인을 배려할 줄 알고 책임있는 민주시민이 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

또한 교사로서 나는 바른 인성의 모델이 되어 아동이 학교생활을 통해 높은 윤리성 , 도덕성을 몸에 익힐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아울러 경쟁보다는 협력을 통해 이타심과 협동심을 키워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가치를 배우고 실천을 몸에 배게 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다 .

40

교사의 사명

Page 41: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습공동체 (PLC) 활동 모습

교사학습공동체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age 42: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습공동체 (PLC)란 ?

교사학습공동체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들이 학습자의 학습목표를 더 잘 달성할 수 있도록 교사들이 교수 , 연구 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공동으로[팀을 이루어 ] 지속적으로 탐구하고 , 학습하고 ,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교사학습공동체는 기존의 잡다한 학교 과제에 한 가지를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 문화를 바꾸는 프로세스이다 .

Page 43: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생을 학교경영에 참여시키기

학생리더십 (student leadership) 양성부터

기본 리더십 : 개인적 책임감 키우기 주도성 키우기 우선순위 정하는 능력 키우기 의사소통능력 키우기 타협 , 절충 , 화해 (和解 ) 하는 법 배우기 경청하는 법 배우기 시간을 현명하게 사용하는 법 배우기

43

Page 44: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습 태도를 결정하는 3 가지 관계

1. 지지자와의 관계 (담임 , 부모 , 상담교사 등 )

- 일차적인 안정감 속에서 믿고 의지하고 싶어한다 .

- 교사 - 학생의 관계가 학생들의 목표 , 사회화 , 동기 , 학습 성취를 결정한다 .

2. 친구들과의 관계 -친구들과 함께 의논하고 타협점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사회성을 배운다 .

-또래 문화 속에서 동질감 , 소속감 , 유대감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

3. 집단에서의 자신의 위치 확보 (집단과의 관계 )

- 누군가에게 관심 받고 인정받고 싶어한다 .

- 집단 속에서 학생들 각자의 입지를 확보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 위 3 가지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교사의 실천

사항 1. 학생 ( 존중 ) 을 체화하라 . 2. ( 사회성 ) 을 교수요목에 넣어 가르쳐라 . 3. ( 가족적 ) 분위기를 연출하라 .

Page 4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교육의 3 가지 원리

원리 1. 관계 (Relationships)! 원리 2. 관계 (Relationships)! 원리 3. 관계 (Relationships)!

출처 : Jonathan C. Erwin; 2012 Character Education Conference

교육에 성공하려면…

어른은 물론 아동들이 좌절과 상실감으로 누구와도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 폭력적인 방식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높다 .

학생이 공격적이거나 폭력적으로 행동하기 쉬울 때 누군가 다른 사람이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이해해 주려 한다는 것을 알면 , 폭력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

또래와 관계가 좋으면 학생은 도움과 배려를 기꺼이 해주려고 한다 . 이것이 안전을 도모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폭력 동원을 자제하게 하는 사회적 환경이다 .

Page 46: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인성교육에 성공하려면 ..

학생과 관계를 좋게 하는 방법 (1) 1. 아이들의 경험에 ( 호 ) 을 보여라 . 2. 아이들의 경험에 대해 더 많이 (알 ) 위해 질문을 던져라 . 3. ( 경 ) 하라 . ( 경 ) 하라 . ( 경 ) 하라 ! 4. 아이들의 경험을 알아보고 ( 존 ) 하라 . 아이들의 이야기에 항상

동의할 필요는 없다 . 알아봐 주고 존중하면 된다 . 5. 아이들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시작할 때 어떤 감정을 가지는

것은 좋지 않다는 식으로 표현을 ( 방 ) 하지 마라 . 6. 이해하고 ( 인 ) 하는 태도를 보여라 . 7. 혼동이 되거나 잘 (알 ) 못하는 것에 대해 솔직히 인정하라 . 8. 아이들로 하여금 극도로 화난 감정이나 파괴적인 생각을 표현하게 (허 ) 하라 . 이를 이런 행동이 어떤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지

생각해보게 하는 ( 기 ) 로 삼아라 .

Page 47: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인성교육에 성공하려면 ..

학생과 관계를 좋게 하는 방법 (2) 1. ( 질 ) 하라 “ 네가 그 사람의 입장이라면 어떤 기분이겠니 ?” “ 지금 어떤 기분이니 ?” 2. 문제 , 실수 등을 ( 인 ) 하라 . “ 우리 문제가 있는데 ,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

가 ?” 3. 아이들에 대해 (알 ) 노력하고 경청하라 . “ 무엇이 네게 중요하니 ?”“거기에 대해서 좀 더 알 수 있을까 ?” 4. 가정과 학교 수업시간에 시간을 내서 자신의 ( 관 ) 과 타인의 ( 관 )

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져라 . 5. 아동의 타고난 기질과 환경 간 ( 부 ) 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관심을

기울여라 . 6. 아이들의 신체적 , 사회적 , 정서적 ( 변 ) 를 인지하라 . 이런 ( 변 )

들이 자연스러운 것임을 인정하면서 ( 자 ) 의 어린 시절의 관련 얘기를 해주어라 .

Page 48: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교사 질의 중요성

48

( 출처 : Sanders & Rivers Cumulative and Residual Ef-fects on Future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McKin-sey

교사의 질과 학생의 수행능력간의 상관관계

Page 49: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교장의 학교변화 리더십

Page 50: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교육 / 학교 혁신의 트랜드

21 세기 교육 / 학교 개선의 핵심 키워드 28

분산리더십 , 학생리더십 , 교사리더십 , 학부모리더십 , 학교 - 교장 -교원의 역할변화 , 협업 (working together) 과 팀워크 ,

내부 책무성 , 상호작용 , 전문성 신장 , 학습공동체 , 학교문화 , 집단유능감 , 네트워크 , 조직역량 , 높은 기대 , 학교 - 가정 -지역사회의 협력체제

자기주도학습 , 직접지도주의와 구성주의 , 협동학습 , 부가가치평가법 , 성장을 위한 과정 중심평가 , 21 세기스킬과 역량통합교육과정 , 뇌기반교육과 학습 (brain-based educa-tion & learning)

일과 배움의 통합 , 보완교육시스템 (supplementary education),  확장 문제 (scale-up issues),  개입프로그램(intervention), 교육성과 격차 (achievement gap)

50

Page 51: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교장 역할의 재정의

51

물리적 건물환경 총괄 책임자

the building coordinator 학교운영 총괄팀장 the school team leader 공동 교장 the co-principal

“ 학교장이 위계의 힘을 가지고 통제할 수 있는 것은 극히 적다 .” “21 세기 교장은 교사와 학생에게 위임하는 만큼 성공할 수 있다 .”

출처 : Hayes Mizell at The Middle School Principals Institute, "The Principal's Role"

21 세기 학교장의 역할

Page 52: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교장의 변화관리 리더십

52

변화의 비결 6(Michael Fullan 2008)

Page 53: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53

교직원들에게 투자하라

많은 학교들과 학군들은 “학생이 최우선입니다 !” 같은 슬로건을 내세운다 . 이런 슬로건이 구호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교직원들 또한 학교의 주인이고 , 적절한 지원을 받고 있으며 , 든든한 지원 하에 도전적인 일을 하고 있다는 생각을 갖도록 해야 한다 . 다시 말해서 학생들뿐 아니라 교직원들도‘최우선’이라고 느껴야 한다는 말이다 ! 이처럼 학교가 먼저 교직원들을 챙길 때 , 그들이 학생들을 제대로 키워낼 수 있다 . 출처 : 수업혁명 1( 교육을 바꾸는 책 , 이찬승 번역 )

학교장의 변화관리 리더십

Page 54: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54

학교장의 변화관리 리더십 – 성공전략 4

Page 5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55

교사의 학습Teacher learning

교사의 열정Teacher commitment

교사의 확신Teacher certainty

교사들의 협업Teacher collaboration

학생의 학습Student learning

목표의 공유SharedSchoolgoals

학교장의 변화관리 – 핵심성공요소

Page 56: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21 세기 학교사회에 맞는 리더십 은 ?

56

Page 57: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57

파트너 관계파트너 관계 높은 단계의 위임높은 단계의 위임

21 세기 학교사회에 맞는 리더십 은 ?

Page 58: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왜 분산리더십이어야 하는가 ?

학교장 혼자서 수업지도자로서의 역할을 해가는 시대는 지났다 . 다른 교사들도 함께 참가하지 않고 한 교육리더가 학교 전체의 교육을 책임질 수 있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 .(엘모어 외 )

한 사람이 공식적 교육리더로서의 역할을 하는 낡은 모델에서는 많은 교사들의 역량이 사장된다 . 이런 모델 아래서 어떤 향상이나 개선이 일어난다 해도 이것이 지속되기 어렵다 . 학교장이 떠나고 나면 기대하던 유망한 프로그램도 탄력을 잃고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 이런 모델은 풀런 (Fullen 2003) 의 용어를 빌면 개인의존 오류의 피해를 보는 것이다 .

개혁의 방향으로 한 단계 더 나아가기 위한 변화의 과정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힘든 일이다 .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소수의 우수한 지도자가 아니라 특별한 노력을 함께 할 다수의 구성원들이다 .(Fullan,2003).

새로운 리더십의 모색 - 분산리더십

Page 59: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분산리더십은 실행과정 (a practice) 으로서 , 오랜 기간에 걸쳐 학교장과 그 외의 교직원 그리고 학교가 처한 다양한 상황들 간의 상호작용의 산물을 말한다 .

아래와 같은 현재의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실행 노력이다 .

“ 지금의 학교는 각자 교실문을 걸어 잠궈 놓고 교사의 개인적 지도만 존재하는 상황이다 .”

“ 우리는 학습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 병원의 회진 (回診 ) 처럼 전문성을 공동으로 발휘하고 공동으로 책임을 질 필요가 있다 .” (엘모어 )

59

분산 리더십 Distributed Leadership

새로운 리더십의 모색 - 분산리더십

Page 60: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교문화 바꾸기

학교 경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은 무엇인가 ?

“ 학교 경영자가 가장 중요하면서 해결하기 어려운 일은 십중팔구는 기존의 학교문화를 바꾸는 일이다 .”

“Probably the most important and most dif-ficult job of an instructional  leader is to change the prevailing culture of the school.”

60

Page 61: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1. 권한의 분산과 동료적 협력관계 2. 정직과 열린 소통3. 높은 기대 4. 신뢰 5. 실제적인 지원 6. 지식 DB 의 접근성

61

7. 감사와 인정

8. 배려 , 축하 , 유머

9.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

10. 성공사례의 발굴과 공유

11. 실험

12. 끈질긴 추진

성공적인 학교문화의 12 가지 요소

학교문화 바꾸기

Page 62: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교경영 성공사례 (A 공립고 )

62

Page 63: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교경영 성공사례 (A 공립고 )

63

Page 64: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교경영 성공사례 (A 공립고 )

64

Page 6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교경영 성공사례 (A 공립고 )

65

Page 66: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66

교사들 역량 이끌어 내기

1. 소통 2. 교사 숨은 역량 이끌어 내기교사들마다 교장의 역량 잠재되어 있다 . 잘 관찰해서 이런 욕구를 발휘할 수 있게 해주고 이를 담아 학교의 비전으로 전환하여 실천한다 . 3. 교사들과 함께 학교 문제 해결 행사기말고사 끝나고 여름 방학 전까지 느슨한 시간 이용 모든 교사들이 팀으로 나누어 학교 문제와 대책 발표하기 행사를 함 . 4. 학교 홈페이지 통해 상시 건의사항 받아 실천학교 홈페이지에 건의 사항란 만들어 활용 . 학생 , 학부모 , 지역 주민의견 수렴하고 답변함 . 5. 신문의 교육기사 스크랩하여 공유 / 활용신문의 교육 관련내용 스크랩하여 매일 읽고 다른 학교의 우수 사례에서 배움 .

학교성공의 비결 – 교사 역량 이끌어 내기

Page 67: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67

학교 성공의 비밀 10 가지

1. 학기의 첫 주는 학생들 또래 간에 서로의 장점을 알고 자존감을 키우는 기간으로 삼는다 . 2. 열정은 결과에 대한 책임감과 사명감에서 온다 . 3. 교사는 학교 경영에 발언권을 갖고 참여할 수 있을 때 책임감이 생긴다 . 4. 교직원들의 열정과 헌신을 이끌어 내려면 수평적 조직문화부터 만든다 . 5. 교사가 책임감이 적을 때는 반드시 이유가 있다 . 6. 경영은 관계 관리다 . - 교사와 학생의 관계 - 학생들 또래 간의 관계 - 학생과 멘토와의 관계 7. 학생들과 교사의 관계가 좋지 않으면 무엇을 이루는데 그 만큼 더 힘든다 . 8. 학교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은 관계의 질이다 . 9. 개인화 수업 (differentiated learning) 만이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이다 . 10. 증세를 치료하지 말고 , 원인을 치료한다 .

학교성공의 비결

Page 68: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수업혁명( 뇌기반교수학습에 의한 )

Page 69: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69

가르친다고 배움이 일어나지 않는다 . 지도란 배움이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 .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은 본질적으로 관련이 없다 . 배움의 많은 부분은 가르침 없이 일어나며 , 또 가르침의 많은 부분 역시 배움 없이 일어난다 . “Instruction does not cause learn-ing; it creates a context in which learning takes place, as do other contexts. Learning and teaching are not inherently linked. Much learning takes place without teach-ing, and indeed much teaching takes place without learning.”

가르침의 착각

가르침의 착각 … “가르치면 배울 것이다 ??”

Teaching does not cause learning. Learners cause learning. Or more precisely, the thought, reflection, resourceful-ness, ingenuity, atten-tion and curiosity of the learner causes learning.

Page 70: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진화발달 단계로 뇌를 구분하면 ?

- MacLean 의 삼위일체 뇌 모델 (1978,1990)

진화발달 단계에 근거하여 제시한 뇌 구조 모델

' 신포유류 ', ' 구포유류 ', ' 파충류 ' 라는 명칭은 해당 뇌 부위의

기능과 종의 발달을 연관지어 명명됨 .

신포유류구포유류

파충류

대뇌피질

변연계 감정

뇌간 생명유지

이성

명칭 뇌의 부위 기능

Page 71: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습의 이해

71

★효과적인 교수학습이란 ? 학습자 뇌 세포의 신경 가지가 잘 자라고 새로운 학습과 복습을 통해 신경세포 간 연결을 강화시키는 것( 장기기억 )

Page 72: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매슬로우의 욕구 위계이론 (Maslow, 1943)

기본적인 편의 지원 Accomo-dation

자아실현의 욕구(Self-Actualiza-

tion)존경의 욕구(Esteem)

소속감과 사랑의 욕구(Love & Belonging)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안전의 욕구(Safety)

인격적 성장과 잠재력의 실현 등 자신의 꿈을 펼치고자 하는 욕구

자기존중 , 성취나 책임 , 평판 등 자신의 이미지에 대한 욕구

특정 집단이나 가족에 소속되어 사람들과 교류하며 사랑 받고 싶은 욕구

위협적인 요소를 피하고 보호받고자 하는 욕구

공기 , 음식 , 음료 , 주거 , 난방 , 생식 , 수면 등 살아가는 데 반드시 필요한 기본적인 욕구

☞ 기본적 욕구 (음식 , 주거 , 의료 서비스 , 안전 , 가족 ,

우정 ) 가 채워지지 않으면 상위 단계에 위치한 학습에서의 성공을 기대하기 어렵다 .

Page 73: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73

감정과 학습

감정은 학습에 관한 온오프 스위치 (emotion as the on-off switch to learning) 감정은 학습으로 가는 관문 (Emotion is the gateway to learning)

어떤 외부 정보도 이 관문을 통과하지 않고는 정보처리를 위해 대뇌피질로 올라갈 수 없다 . 학습의 문지기인 감정의 뇌는 대뇌로 들어오는 외부 정보를 끊임없이 해석하고 평가한다 . 정보 해석의 결과 , 부정적인 것으로 분석되면 학습의 관문은 닫히고 스위치도 오프 (off) 상태가 된다 . 감정에 의해 어떤 자극에 주의 (attention) 를 줄지 , 무엇을 학습하고 기억할지가 결정되는 것이다 (Kovalik, 2009).

학습의 이해 – 감정

Page 74: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74

“ 교실은 학습자의 마음상태 (‘ 주의 채널’ ) 를 투가 차지하느냐를 둘러싼 경연장이다”

교사의 과제 : 학습자를 어떻게 집중시킬 것인가 ?; 교육적 채널 ( 공부에 적합한 태도 , 기술 , 습관 등을 발휘 ) 과 경쟁관계에 있는 학습자의 문화코드 4 가지 채널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

사교 채널 (짝끼리 소곤대기 , 쪽지 돌리기 , 핸드폰으로 문자 보내기 등 ) 개성 채널 (마음대로 떠들기 , 소리 지르기 , 일어나 돌아다니기 ,

교실밖으로 도망치기 등 ) 생존 채널 ( 아 배고파 ; 너무 추워 / 열 받아 미치겠어 등의 마음 상태 ) 거리형 채널 ( 사회에 대한 분노 / 불만에 차있으며 , 학교는 공부 못하는

아이들에 대해 차별하는 억압적 사회의 전형이라 생각하고 학교의 모든 규칙을 지킬 생각이 없고 반교육적 언행을 일삼는 도시 빈민가 아이들의 저질 문화 )

어떤 수업으로 이런 학습자들의 관심을 잡을 수 있을까 ? (길들여져 있는 특정 문화 , 특정 행동패턴 -> 정교한 교실 스킬 ( 태도 , 스킬 , 행동 ) 지도 )

교실 수업의 이해 – 학습자의 관심 잡기

Page 7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망각

감각기억감각기억1-2 초

청각

촉각

미각

후각

시각

감각기억작업기억

10-30 초혹은

의식적으로 사고하면 더 길어진다 .

뇌의 여러 부위에 걸쳐 정보를

조작하고 연결하고 연합한다 .

시연과 반복연습

감각기억장기기억

서술적 ( 의식적 )정보나 개념 , 일화에

대한 기억

절차적 ( 무의식적 )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순서나 과제에 대한

기억

Page 76: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기억의 이해 – 저장과 응고화

1. 습득 (15분 )

뉴런과 뉴런 사이 , 시냅스 간 연결이 처음

형성된다 .

2. 세포연결 강화

(60 분 )

해마에서 시냅스 연결이

단단해진다 .

3. 웅고화 Consolidation

(1-3 일 )잠을 자는 동안

학습 내용이 응고화된다 . 장기기억으로

연결된다 .

4. 연결 / 통합(3-30 일 )

관련된 정보를 지닌 다른

세포들과 연결/ 통합된다 .

Page 77: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77

학습과 신 -냅스 (synapse -> syn-naps)

신경전달물질의 역할 시냅스에서는 도파민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는데 , 이 신경전달물질을 통해 신경정보가 다른 뉴런의 가지돌기로 전달된다 .

신경전달물질의 고갈 뇌에 정보가 쉬지 않고 들어와 시냅스에 신경전달물질이 고갈되면 , 신호전달 속도가 느려져 신경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 .

15 분마다 배운 내용 굳히기 교사의 일방적 강의식 수업의 경우 , 최소한 15 분마다 syn-naps( 주입 활동을 잠시 쉬고 배운 내용을 굳히는 과정 ) 활동을 하는 것이 좋다 . 예 : 수업의 핵심 내용 써본 후 짝과 돌려보기

학습의 이해 – 신경전달물질

Page 78: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습의 이해 - 수업은 몇 분 단위로 ?

78

출처 : Sousa, D. (2009). How the brain learns

몇 개의 짧은 수업으로 나누기Rest Between Block Lesson Segments

Page 79: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기억의 과정

1. 자극의 인지 2. 부호화 (encoding) 글자 , 숫자 , 도형 등의 시각자극이 시각부호로 , 사람의 목소리 등의

청각자극이청각부호로 변환되어 흔적을 형성하는 과정 3. 응고화 (consolidation) 4. 저장 (storage) 5. 인출 (retrieval) ① 재인 (recognition) 현재 지각되는 것을 과거에 경험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 ② 회상 (recall)

79

기억의 이해

Page 80: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부호화 (encoding) 의 종류

부호화란 관심을 끌었던 정보를 뇌에 저장하고 , 나중에 회상할 수 있도록 전기화학적 자극 형태로 부호 (code) 화 하는 과정을 말한다 . 1. 의미를 통한 부호화 (Semantic Encoding) 2. 음성을 통한 부호화 (Acoustic Encoding) 3. 시각을 통한 부호화 (Visual Encoding)

80

※ 대문자로 시작하는 단어에 동그라미를 치시오 .

ScarfPencil`Water

※ 아래 문장의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

"I left the house, but forgot to put on my _________"

ShadowhatPool

기억의 이해

Page 81: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81

기억의 종류

의미기억 semantic memory 사건 [ 일화 ] 기억 event memory 절차기억 procedural memory 감정기억 emotional memory

기억의 이해 – 기억의 종류

Page 82: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82

기억회로 강화

의미 찾기 ( 자신의 삶과 연결시키기 ) 다양한 감각 통해 정보 받아들이기 - 형태보다 의미에 집중할 때 기억이 더 잘 된다 . - 의미 추론 같은 복잡한 인지과정을 거칠 때 기억이 더 잘 된다 .

▶ 활용 예 눈으로 관찰한 것 그림으로 표현하기 배운 내용 짝꿍과 질문하고 이야기 나누기 (Think-Pair-

Share)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글쓰기 노트 바꾸어 보기

기억의 이해 - 기억전략

Page 83: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83

1. 의미의 탐색과 주의집중의 유지 뇌는 새로운 정보를 제대로 받아들이기 위해 정보가 가진 의미를 탐색한다 . 학습자가 새로운 정보를 인식하고 의미를 찾아 패턴을 만들어 낼 때까지는 그 정보에 대한 주의 집중이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 .(수업혁명 2 52쪽 )

2. 개인적 의미부여와 연관기억 정보를 처음 받아들일 때부터 자신의 경험에 연결하여 개인적인 의미를 부여하게 되면 , 그러한 기억은 연관기억이나 장기기억의 형태로 저장되어 나중에 회상하기가 훨씬 쉽다 . 53쪽

3. 반복과 리허설 어떤 정보를 오래 기억하기 위해서는 4-5 회 정도의 복습을 해야 한다 . 반복해서 연습하면 신경연결망 간에 전기화학적 신호를 통한 소통이 일어나 연결이 단단해 진다 .

▶ 시사점은 ?

기억의 이해 - 기억전략

Page 84: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기억의 이해 – 학습피라미드 Learning Pyramid

읽은 내용

들은 내용본 내용

보고 들은 내용

말한 내용

말과 행동

수동적

능동적

읽기듣기

시각자료 보기

영화보기전시 관람시연 보기

직접 보고 행하기토론 참여

대화하기감동적인 발표 하기

실제의 경험으로 자극하기진짜로 해보기

Page 8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작업기억의 이해

Page 86: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작업기억 Working Memory 이란 무엇인가 ?

뇌가 어떤 일을 수행하는 동안 필요한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처리하는 능력 / 시스템

“ 뇌 속의 메모지”

☞ 기억해야 하는 정보 조각을 마음속에 메모하고 , 그것을 이용해 정보를 기억할 뿐만 아니라 인지적으로 처리하고 관리한다 .

   

  

Page 87: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작업기억의 중요성

1. 학생들이 배운 내용이 아니라 배울 수 있는 역량을 측정한다 .2. 학업 성취도를 예측하는 가장 뛰어난 지표이며 , IQ 보다 훨씬

중요하다 .3. 학생 10 명 중 1 명은 작업기억 문제를 겪고 있다 .4. 학습능력을 근본적으로 개선시키려면 작업기억을 향상시켜야

한다 .

작업기억이란 ,

Page 88: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습 피라미드

작업기억

IQ

습관

3Rs

3R- 읽기 reading- 쓰기 writing- 셈하기 arith-

metic

3R 교육 (읽기 , 쓰기 , 셈하기 ) 을 열심히 시키는데도 왜 성적이 오르지 않을까 ?

→ 학업성취를 위해서는 학습기반이 중요하다 . 학습 과정의 가장 근본적인 부분은 작업기억이며 , 작업기억이 IQ 보다 중요하다 .

Page 89: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습장애와 작업기억의 관련성

학습장애 유형에 따라 원인과 증상은 모두 다르지만 ,

이들 장애 학생들은 공통적으로 작업기억 능력이 부족하다 .

ADHD

통합운동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읽기장애계산장애

Page 90: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작업기억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1. 지시사항을 한번에 너무 많이 주기 때문이다 .- 작업기억 용량은 제한이 있으며 , 연령별로 용량이 다르다 . (7 살짜리 아이는 지시사항 3 개 정도만을 기억 )

2. 교사가 정보를 제시하는 속도가 학생들의 작업기억 처리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이다 .

3. 작업기억이 부족한 아이들은 다른 친구들보다 더 애쓰고 노력해야 수업을 따라갈 수 있다 .

용량

시간

노력

Page 91: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기억률을 높이기 위한 책략

1. 반복시연 (rehearsal) 시연이란 나중에 회상해 낼 것을 생각하고 미리 기억해야 할 대상이나 정보를 눈으로 여러 번 보아 두거나 말로 되풀이하는 것 .

2. 정보를 더 큰 단위로 묶기 (chunking) 3. 범주화 (categorization) 자료들 중 속성이 같거나 비슷한 것들을 상위 부류로 묶는 과정 . 예 : 사과 , 나팔꽃 , 제비꽃 , 배 , 귤 , 복숭아 , 코끼리 등의 단어를 암기할 때는 동물끼리 , 과일끼리 , 꽃끼리 묶어서 기억하는 것 .

4. 정교화 (elaboration) 기억해야 할 둘 이상의 자료간의 공유하는 의미나 공통된 참조물을 찾아 이들

자료들을 어떤 의미를 가지도록 연결지어 기억에 저장하는 방법 . 예 : TV-토끼를 기억해야 할 경우 , ‘TV 안테나처럼 귀를 쫑끗 세운 토끼

가 ...’ 처럼 심상 (mental image) 을 이용하여 기억하는 것 .

91

작업기억의 효율성 높이기

Page 92: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청킹 Chunking

정보를 친숙한 더 큰 단위로 묶는 것

1-4-9-2-1-7-7-6-1-8-1-2-1-9-4-1 ->1492, 1776, 1812, 1941 how about now?

• put up my umbrella. 우산을 쓰다 • open [unfold] an umbrella 우산을 펴다 • close[shut; fold] an umbrella 우산을 접다

92

작업기억의 효율성 높이기

Page 93: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93

그래픽 오거나이저

정보 간에 연결을 만들고 , 패턴을 발견하고 , 기존의 기억과 연결시키며 , 기억 회로를 확장해 갈 수 있기 때문에 기계적 단순 암기의 훌륭한 대안이 된다 .

뇌가 패턴을 만드는 방식과 잘 어울린다 . 작업기억이 순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수는 5-9 개이다 .

더 많은 정보를 처리하고 기억하기 위해서는 개별 정보를 패턴화를 통해 더 큰 단위로 묶는 것이 필수적이다 .

기억의 이해 – 기억률 향상

Page 94: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수업혁명( 사회성 감성교육을 통한 )

Page 9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인성교육과 사회성감성교육의 차이점은 ?

출처 : http://casel.org/why-it-matters/what-is-sel/other-movements/

현 한국 공교육에서 당장 필요한 것은 인성교육인가 , 사회성감성교육인가 ?

인성 , 사회성감성 교육의 차이이해

http://en.wikiversity.org/wiki/Character_Education_-_Back_in_Style

Page 96: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사회성감성 학습 (SEL: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정의 1: 사회성감성 학습은 성공적인 삶을 사는데 꼭 필요한 기본적인 스킬을 개발하는 과정이다 . 사회성감성 교육은 학습자 자신 , 타인과의 관계 , 우리의 공부나 일을 효과적이고 윤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킬을 가르친다 .

이런 스킬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조절할 수 있게 하며 , 남에 대한 배려와 관심을 갖게 하고 , 또 책임 있는 결정을 내리며 ,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도전적인 상황에 건설적이고 윤리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해준다 . 아동 청소년들에게는 화를 진정시키고 , 친구를 사귀고 , 갈등을 원만하게 해결하며 , 윤리적이고 위험에 빠지지 않을 좋은 판단과 선택을 할 수 있게 해주는 능력이다 .

또 , 사회성감성 학습은 안전하고 배려가 넘치는 학습환경(learning environment) 을 만들기 위한 학교개혁의 토대가 된다 .(CASEL)

정의 2: 사회성 및 감성 발달을 촉진하는 스킬 , 지식 및 가치를 배우고 가르치는 일 (CSEE)

사회성 - 감성 교육이란 ?

Page 97: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사회성감성 교육의 이해

사회성 - 감성 능력

사회성 - 감성 지능 (social and emotional intelligences) 과 비슷한 개념으로 아래 두 가지 능력이 사회성감성 역량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을 구성하는 기초적 토대(building block) 라고 할 수 있다 . 이는 어린이가 문자와 단어를 읽기 위해서 음소를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 가장 기본인 것과 같다 .

자기성찰적 능력 (self-reflective capacities) 타인의 생각과 감정을 알아차리는 능력 (ability to recognize

what others are thinking and feeling)

97

Page 98: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사회성감성 교육의 이해

자기Self

자기 관리Self-management

자기 인식Self-awareness

타인Other

관계 기술Relationship skills

사회적 인식(타인의 욕구에 대한

이해와 반응능력 )Social-awareness

의사결정Decision-making

책임감 있는 의사결정

Responsible Deci-sion-making

사회성 감성 핵심 역량 5

Page 99: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사회성감성 교육의 목적이해

Coordinated School, Family, and Community Programming Coordinated School, Family, and Community Programming

사회성감성교육

학습환경

사회성감성스킬지도

사회성 ,감성

스킬습득태도향상

긍정적 ,사회적 행위향상

문제해결능력향상

정서적 스트레스

감소학업성취도

향상

Page 100: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인성교육에 성공하려면…

모델이 되는 것은 힘들고 희생이 따른다 !

Modeling Is Costly!

아동청소년은 교사나 부모가 모델이 되어 주고 윤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멘토가 되어 주길 원한다 .

실제 경험 / 체험그들은 을 통해 배운다(They LEARN by doing).

그들은 실제 좋은 모델을 볼 때 잘못된 것을 고친다 (They UNLEARN by watch-ing!).

  비주얼 자료 , 포스터 , 인센티브 , 상 ,

인성을 갖추는 것을 강조하는 것 등이 모든 학교생활 , 가정생활에서 활발히 이루어질 때 가능하다 .

Page 101: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각각의 감정들을 하나의 키보드에 비유해보자 . 타고난 감정만으로는 적은 계이름으로만 연주가

가능 사회적으로 중요한 감정들은 의도적 학습이 필요

학습 되는 감정들

• 겸손• 관대함• 공감능력• 낙관주의• 열정

청소년 문제행동의 이해 - 감성의 키보드

학습 되는 감정들타고난 감정들

슬픔 기쁨 역겨움 분노 놀라움 두려움

• 동정심• 인내심• 수치심• 협동심• 감사

Page 102: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긍정적인 감성 마침표 – 긍정적 감정 강화로 기억 생성을 돕자 !

가정이나 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것들긍정적인 발언 , 웃음 , 몸짓 , 고개 끄덕임 , 칭찬 , 신나는

음악 , 축하 , 이름 불러주기 , 미리 정해진 축하 의식들

긍정적인 사건(Episode)

긍정적인 감성 마침표

기억 향상

Page 103: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감성 마침표의 예

1. 지금 잘하고 있어 .2. 네가 해낸 거야 .3. 괜찮아 .4. 좋아 , 잘했어 . 5. 오늘 정말 열심히 했구나 . 6. 걱정하지마 , 잘하게 될 거야 .7. 열심히 하는 걸 보니 선생님이 기분이 좋구나 .

8. 앞으로 충분히 더 잘 할 수 있을 거야 . 9. 네가 자랑스럽구나 . 10.그렇지 , 그렇게 하는 거란다 . 11.오늘은 네가 최고구나 . 12. 대단한데 . 13. 정말 놀라운 발전이구나 . 14. 네가 해내리란 걸 예전부터 알고 있었단

다 . 15.축하한다 .

16. 정말 빨리 배우는 구나 . 17.오늘은 정말 너의 날이구나 .18.너 스스로도 자랑스럽지 않니 ? 19. 한번 더 해봐 , 틀림없이 할 수 있을 거야 .

20. 계속 좋아지고 있어 . 21.오우 , 멋진데 ! 22. 정말 놀라운 일이구나 . 23. 이제 어떻게 하는 건지를 아는 것 같구나 .

24. 기억력이 좋은데 .25.좋아 , 계속 그렇게 해 . 26.잘했어 , 선생님이 계속 지켜 볼게 .27. 정말 자랑스럽구나 . 28.힘내자 !29.행운이 너의 편인 것 같구나 .

http://www.princetonol.com/groups/iad/Files/praise.htm

Page 104: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수업혁명( 학습부진의 새로운 접근 )

Page 10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새로운 접근

105

학습부진학생 지도정책의 방향 전환

1. 보정교육 , 보충학습에 기초한 학력신장-> 강점발견 , 강점계발을 위한 강점기반 학습지원 프로그램

2. 교과 위주 지도 -> 학습부진학생의 전인적 발달을 고려한 지원

3. 개별 교사의 열정과 헌신을 강조 -> 학교 단위 학습부진 해소 및 학력 향상을 위한 학교 내 시스템 구축 출처 :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지원연구 (KICE 2011)

Page 106: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106

전통적 품행지도와 긍정적 행동지원 (PBS) 의 비교

출처 : http://digitalcommons.calpoly.edu/cgi/viewcontent.cgi?article=1032&context=gse_fac

새로운 접근

Page 107: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107출처 :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지원연구 (KICE 2011)

강점발견은 학생이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힘을 키우기 위한 출발점 !

새로운 접근

Page 108: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108

행동이해를 위한 주요개념

문제행동은 어떤 내재된 원인의 증상이다 . 행동은 의사소통이다 문제행동은 하는 데는 목적이 있고 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다 . “그런 행동이 어떻게 나오는 거야 ?”란 질문 대신 , “ 저 학생은 저런 행동을 통해 무엇을 말하려는 것인가 ?” 라고 물어라 . 모든 행동은 목적 ( 기능 ) 이 있다 - 주의 끌기 - 회피하기 -필요한 물건 획득하기 -오감 즐기기 행동은 일어나는 패턴이 있다 교사 / 학부모가 통제할 수 있는 행동은 교사자신의 행동뿐이다

행동은 변화가능하다 출처 : The Behavior Code, 2012

청소년의 문제행동 이해

Page 109: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업 성공을 위한 학교 시스템 구축

3 차 개입 ( 개별 학생 )

• 평가 기반• 강도 높은 개입

2 차 개입 (몇몇 학생 )

• 높은 효율성• 신속한 반응

1 차 개입 ( 모든 학생 )

• 예방 차원• 사전 대책 마련

3 차 개입 ( 개별 학생 )• 평가 기반• 영구적이고 강도 높은

개입

2 차 개입 ( 위험군 , 몇몇 학생 )

• 높은 효율성• 신속한 반응

1 차 개입 ( 모든 학생 )• 주변 환경 개선• 예방 차원 / 사전 대책 마련

학업 지도 행동 지도

http://www.pbis.org/school/rti.aspx

Page 110: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습부진의 3 가지 카테고리 (OECD) 1. 카테고리 A - 사회경제적 , 문화적 , 언어적 요인에 의한 불리함

( 학생의 80-85%) - 정규 교실수업을 통한 정규교사의 중재 / 개입 - 교수방법적 변수 - 수업내용적 변수 - 수업시간구성 변수 2. 카테고리 B -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행동장애 , 정서장애 ,

학습장애 (15-20%) - 지속적 어려움 발생 - 정규교사 외 보조교사 투입 3. 카테고리 C - 유전적 , 생물학적 장애 (5-10%) -커테고리 I, II 를 통해 해결 안 됨 - 학업 , 사회성 , 행동 영역에서 어려움이 매우 큼 - 개인이나 소그룹 단위로 중재 필요 (추가시간 필요 ) - 전문가의 투입

Page 111: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습부진의 해결 – 효과적인 칭찬

예측가능성 : 어떤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했을 때 교사가 칭찬을 하는지를 학생들이 명확하게 알아야 한다 .

구체성 : 어떤 부분이 인정받을 만한지를 구체적으로 알려주어야 한다 . ‘그림이 멋지구나 .’ 처럼 단순하게 말하지 말고 , ‘ 해가 지는 것을 표현하려고 색을 절묘하게 섞었구나 .’ 하고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말해주도록 한다 .

개별성취에 대한 칭찬 : 학생들이 이전에 비해 나아졌다는 사실을 알도록 지난번에 한 과제에서 얼마나 나아졌는지를 말해준다 . 학생들이 평가 과정에 속임수가 있다고 느끼거나 , 과제에 대한 칭찬 기준이 낮다고 느끼게 해서는 안 된다 . 과제를 대충했는데도 형식적으로 칭찬을 해주기보다는 학생들이 진짜 성공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좋다 .

노력에 대한 칭찬 : 학생들에게 똑똑해서 해낸 것이라고 말해주기보다 노력해서 해낸 것이라고 칭찬하는 것이 좋다 . 노력에 대해 칭찬을 받은 학생들은 과제가 힘들더라도 더 힘을 내려고 노력하게 된다 (Mueller & Dweck, 1998).

Page 112: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112

자신감을 키워주는 아이디어

1.첫시험 쉽게 출제해서 모두 90 점 이상 맞게 하기

2. 질문과 답하기에 모두 참가시키기 3. 긍정적 코멘트하기4. 구체적으로 칭찬하기 5. 높은 기대 갖기 6. 매일 긍정적 피드백 주기

학습부진의 해결

Page 113: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문에서 인사로 학생들을 맞아주기

“훌륭한 교사의 지도는 교실문에서부터 시작된다 !”

“Good teachers start teaching at the door.”

출처 : www.halurban.com

학습부진 탈출은 – ‘사랑과 존경’으로 !!

Page 114: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학습부진 탈출은 생각바꾸기부터 !!

이렇게 하면 어떨까 ?

“ 어떻게 성적을 올릴까 ?” 대신에 “ 모든 학생들이 안전하다고 느끼고 ,

사랑받고 , 칭찬받는 학교를 만들 수 있을까 ?”

Page 115: 부산남부교육지원청 특강(2013 01-15)

Thank you very mu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