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 Korean Church history

Transcript
Page 1: Korean Church history

한국 기독교역사에 나타난한국 기독교역사에 나타난해외선교의 해외선교의 Vision Vision

언더우드 선교훈련원

Page 2: Korean Church history

1. 성경 역사를 통하여 본 한국교회 성장의 역사적 요인2. 새문안교회의 설립과 배경3. 새문안교회의 해외선교

Page 3: Korean Church history

성경 역사를 통하여 본 한국교회 성장의

역사적 요인

Page 4: Korean Church history

성경 역사를 통하여 본성경 역사를 통하여 본한국교회 성장의 역사적 요인한국교회 성장의 역사적 요인

1. 1. 선교사 입국 이전에 한국인에 의해 복음과 선교사 입국 이전에 한국인에 의해 복음과 성경이 전해짐 성경이 전해짐

피선교국의 3M 피해 1) Military

2) Missionary

3) Merchant

Page 5: Korean Church history

성경의 한반도 유입과정성경의 한반도 유입과정

Page 6: Korean Church history

로 스 선 교 사로 스 선 교 사

로스 목사 (1842-1915)

스코틀랜드 선교사최초의 한글 성경을

번역하신 분

Page 7: Korean Church history

로스 목사가 세운 중국 심양에 있는 동관교회

Page 8: Korean Church history

최초의 성경 최초의 성경 -- 누가복음누가복음

Page 9: Korean Church history

서 상 륜 권 서서 상 륜 권 서

서상륜 (1848-1926)

성서 번역에 참여하고한글 성경을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들여오신 분

Page 10: Korean Church history

성경의 한반도 유입과정성경의 한반도 유입과정

Page 11: Korean Church history

최초의 교회최초의 교회 - - 소래교회소래교회

Page 12: Korean Church history

성경의 한반도 유입과정성경의 한반도 유입과정

Page 13: Korean Church history

이 수 정 이 수 정

이수정 (1843-1890)

1885 년 일본에서 우리말 성서 번역함

< 신약마가젼복음서언해 >

Page 14: Korean Church history

언 더 우 드 선 교 사언 더 우 드 선 교 사

언더우드 목사 (1859-1916)

한국 최초의 목사 선교사새문안교회 설립

성경번역 , 찬송가 편찬연세대 , 경신학교 설립

Page 15: Korean Church history

성경의 한반도 유입과정성경의 한반도 유입과정

Page 16: Korean Church history

최초의 신약전서최초의 신약전서 - - 예수셩교젼셔예수셩교젼셔

Page 17: Korean Church history

한글성경의 번역과정한글성경의 번역과정 1877 년 로스 목사와 한국인들이 번역에 착수함 . 1882 년 최초의 한글성서인 < 예수셩교누가복음젼셔 >, <

예수셩 교요안니복음젼셔 > 가 로스 목사와 한국인들에 의해 스 코틀랜드성서공회의 지원으로 만주에서 출간됨 .

서상륜에 의해 복음서가 최초로 국내에 반입됨 . 1884 년 최초의 선교사 , 알렌 의사가 입국함 . 1885 년 이수정에 의해 < 신약마가젼복음셔언히 > 가

미국성서공 회의 지원으로 일본에서 출간됨 . 미국 선교사 , 언더우드 목사와 아펜젤러 목사 입국함 .

1887 년 최초의 신약성서인 < 예수셩교젼셔 > 가 영국성서공회의 지원으로 만주에서 출간됨 .

Page 18: Korean Church history

로스 선교사와 서상륜 권서로스 선교사와 서상륜 권서

로스 (1842 - 1915)최초의 우리말 성서를

번역하신 분

서상륜 (1848 - 1926)성서를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들여오신 분

Page 19: Korean Church history

우리나라 기독교 수용 연도우리나라 기독교 수용 연도 개신교 천주교1644 소현세자 아담샬과 교제 , 귀국 ,

교인 5 명1766 홍대용이 중국에서 신부와 교제함1777 천주교교리연구회 모임 시작1784 이승훈 중국 북경에서 영세 1785 서울 명례방에서 신도들 집회1832 귀츨라프 서해안에 문서 전함1866 토마스 목사 대동강에서 순교1879 백홍준 , 이응찬 , 외 2 인 세례1882 서상륜 국내에 한글복음서 전함1884 첫 선교사 알렌 입국1934 기독교 희년 기념1984 기독교 100 주년 기념 천주교 200 주년 기념

Page 20: Korean Church history

서경조 목사의 입신서경조 목사의 입신 (( 入信入信 ) ) 경위경위

Page 21: Korean Church history

성경 역사를 통하여 본성경 역사를 통하여 본한국교회 성장의 역사적 요인한국교회 성장의 역사적 요인

1. 선교사 입국 이전에 한국인에 의해 복음과 성경이 전해짐

2. 한국 초기의 교회는 대부분 한국인 권서에 의해 세워짐

Page 22: Korean Church history

권서권서 (( 勸書勸書 )) 의 활동의 활동 1. 권서는 성서공회의 직원으로 성경책을 판매함 2. 지역별로 선교사의 지도 아래 전도활동을 함 3. 가가호호 방문하여 기독교의 교리를 소개함 4. 단편 ( 쪽복음 ), 신약을 판매함 5. 성경을 구입한 가정을 , 약속한 날에 다시

방문하여 성경의 의문점을 설명함 6. 성경을 구입한 가정들의 호응이 좋을 경우 ,

선교사와 함께 예배를 드리게 됨 - 교회의 설립

Page 23: Korean Church history

권서의 활동 권서의 활동 - - 어깨에 성경짐을 메고 있다어깨에 성경짐을 메고 있다

Page 24: Korean Church history

권서의 활동 권서의 활동 -- 성경을 판매하고 있다성경을 판매하고 있다

Page 25: Korean Church history

권서의 활동 권서의 활동 -- 성경을 판매하고 있다성경을 판매하고 있다

Page 26: Korean Church history

부인 권서부인 권서 (( 勸書勸書 )) 의 모습의 모습

Page 27: Korean Church history

부인 권서 김 씨의 모습부인 권서 김 씨의 모습

Page 28: Korean Church history

권서에 의해 세워진 상심리교회권서에 의해 세워진 상심리교회

Page 29: Korean Church history

성경 역사를 통하여 본성경 역사를 통하여 본한국교회 성장의 역사적 요인한국교회 성장의 역사적 요인

1. 1. 선교사 입국 이전에 한국인에 의해 복음과 선교사 입국 이전에 한국인에 의해 복음과 성경이 전해짐 성경이 전해짐

2. 2. 한국 초기의 교회는 대부분 한국인 권서에 한국 초기의 교회는 대부분 한국인 권서에 의해 세워짐 의해 세워짐

3. 부흥사경회를 통하여 회개운동과 성경공부로 급격히 성장함

Page 30: Korean Church history

부흥사경회의 배경과 경위부흥사경회의 배경과 경위1. 1903 년 원산에서 모인 선교사 기도회에서 하디

목사가 자신의 무력함을 고백하는 기도를 드림

2. 함께 참석했던 한국인들에게도 큰 감명을 줌3. 1904 년 원산에서 , 1905 년 목포에서 ,

연합기도회가모이면서 그 열기가 전해짐4. 1906 년 8 월 평양에서 , 9 월 서울에서 하디 목사

초청 집회가 열림5. 1907 년 1 월 평양 장대현교회에서 길선주 장로의

인도로 부흥사경회가 열림

Page 31: Korean Church history

부흥사경회의 내용 부흥사경회의 내용 1. 부흥회 - 회개운동 ( 내면적인 죄와 윤리 도덕적인

죄 )

- 용서와 화해 ( 구체적으로 해당자와의 화해 )

2. 사경회 - 성경공부

3. 특별사경회 - 성경공부반 제도 , 여성사경회 , 남성사경회

Page 32: Korean Church history

22 천명이 모인 평양의 여성사경회천명이 모인 평양의 여성사경회

Page 33: Korean Church history

알렉산더 선교사의 평양 집회 광경알렉산더 선교사의 평양 집회 광경

Page 34: Korean Church history

55 백리를 걸어 사경회에 참석한 부인들 백리를 걸어 사경회에 참석한 부인들

Page 35: Korean Church history

부흥사경회 운동의 핵심부흥사경회 운동의 핵심1. 운동의 계기 지도자의 회개에서 시작되었다 .

2. 부흥회 회개에서 시작되어 용서와 화해로 열매 맺었다 .

3. 사경회 성서의 가르침을 배우고 실천으로 열매 맺었다 .

Page 36: Korean Church history

부흥사경회 운동의 의미부흥사경회 운동의 의미1. 1. 한국교회에 순수한 신앙형태 한국교회에 순수한 신앙형태 (( 새벽기도회새벽기도회 , , 성경공부성경공부 , ,

헌금헌금 , , 개인전도개인전도 , , 등등 )) 가 뿌리내리게 되었다가 뿌리내리게 되었다 ..

2. 2. 한국교회와 교인들의 도덕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한국교회와 교인들의 도덕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높은 수준의 윤리 기준을 가지게 되었다높은 수준의 윤리 기준을 가지게 되었다 ..

3. 3. 한국인과 선교사 간의 이해가 크게 증진되고한국인과 선교사 간의 이해가 크게 증진되고 , , 한국인 한국인 교회 지도자의 지도력이 인정받게 되었다교회 지도자의 지도력이 인정받게 되었다 . .

4. 4. 여성들에게 정체성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다여성들에게 정체성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

5. 5. 우리나라의 역사가 고난우리나라의 역사가 고난 (( 일제일제 , , 군사독재군사독재 )) 을 당할 을 당할 때에 하나님께서는 이를 교회 부흥의 계기로 삼아 때에 하나님께서는 이를 교회 부흥의 계기로 삼아 주셨다주셨다 . . 

Page 37: Korean Church history

새문안교회의 설립과 배경

Page 38: Korean Church history

새문안교회의 첫 예배 첫 예배는 1887 년 9 월 27 일 ( 화 ) 저녁시간에 드렸다 . 첫 예배에 언더우드 목사 , 알렌 의사 , 로스 목사가

참석하였다 . 첫 예배에 서상륜을 포함하여 한국인 14 명이 참석하였다 . 이들 중 13 명은 서상륜의 전도로 세례받은 교인들이었다 . 첫 예배에서 장로 2 인을 선출하여 다음 주일 당회를

조직하였다 . 새문안교회는 조직교회로서 한국의 첫 교회가 되었다 . 새문안교회의 시작은 곧 한국교회의 시작이다 .

Page 39: Korean Church history

새문안 , 한국교회를 세우신 분들

로스최초의

한글 성경을 번역하신 분

서상륜 우리나라에 한글 성경을처음으로

들여오신 분

언더우드새문안교회를 설립하신 분

알렌우리나라

최초의 선교사

Page 40: Korean Church history

새문안교회 설립의 배경

1. 로스의 성서번역과

한국선교에 대한 열정

2. 서상륜 등의 한국인의 기독교 수용과

헌신적인 전도 열정

3. 언더우드의 복음주의 정신에 입각한

개척자적인 정신

Page 41: Korean Church history

새문안교회 역사의 특징1. 서구의 보수적인 전통과 미국의 개척자적인

복음주의 신앙에 기초한 교회 로스 목사의 한글성경 번역과 보급운동을 통하여

기초를 다지는 서구의 보수적인 전통을 심어왔다 . 여기에 미국의 언더우드 목사는 개척자적이고

모험적인 미국교회의 전통을 심어 주었다 .

Page 42: Korean Church history

새문안교회 역사의 특징2. 교회 연합과 교회 일치운동에 충실한 교회 언더우드 목사는 새문안교회 지교회의 목회보다는

한국 전체를 그의 목회지로 생각하고 초교파적으로 모든 선교사들과 협력하였다 .

언더우드 목사는 교회를 개척하는 사역 외에도 고아원사업 , 교육사업 , 의료사업 , 성경번역과 찬송가 출판 등 , 기독교 문화운동에 크게 기여하여 교회연합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

해방 후 장로교의 뼈아픈 분열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교회연합과 일치운동을 지속적으로 펴왔고 KNCC, WARC, CBS, CLS, KBS 등 연합기관에 적극 협조하였다 .

Page 43: Korean Church history

새문안교회 역사의 특징3. 민족과 역사에 대한 책임 의식을 가진 교회 1895 년 서울에 콜레라가 창궐하였을 때에 온 교인이 퇴치운동에 나섰다 .

일제때에는 안창호 , 김규식 , 서병호 등 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하였다 .

해방후 기독교 전반에 걸친 재건운동에 우리교회의 많은 지도자들이 참여하였다 .

1970-80 년대 군사독재에 항거하는 기독학생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

Page 44: Korean Church history

새문안교회의 해외선교

Page 45: Korean Church history

해외선교사 명단1. 우상범 선교사 / 멕시코 / 1966 - 19722. 조준형 선교사 / 태국 / 1987 - 2003 3. 정균오 선교사 / 러시아 / 1994 - 현재 4. 이태홍 선교사 / 중국 / 1995 - 현재5. 김장원 선교사 / 태국 / 1999 - 현재 6. 정영식 선교사 / 러시아 / 2001 - 2005 7. 박철범 선교사 / 태국 / 2004 – 현재8. 태원식 선교사 / 러시아 / 2005 - 현재

Page 46: Korean Church history

해외 선교의 특징1. 선교지에서의 교회 설립보다는 현지인 지도자 양성에 주력한다 . 양육된 사역자가 교회를 개척하면 이를 지원한다 . * 태국 - 파얍대학 사역 , 기숙사 사역 * 러시아 - 신학교 사역 , 문화 사역 * 중국 – 지하교회 지도자 교육

Page 47: Korean Church history

해외 선교의 특징2. 교회연합 운동에 충실하게 사역한다 . * 현지의 모든 개신교 교단과 협력한다 . 태국 – 태국기독교교단 , 라오스교단 러시아 – 침례교 , 오순절교회 * 현지의 한국인 선교사와 협력한다 . 러시아 – 초교파로 한국인 선교사와 협력

Page 48: Korean Church history

해외 선교의 특징3. 합리적으로 행정적인 뒷받침을 한다 . * 현지 적응기간을 충분히 제공한다 * 주어진 범위 안에서 많은 재량권을 가진다 . * 실적위주의 보고를 강요하지 않는다 . * 사례비와 사역비 전액을 지불한다 .

Page 49: Korean Church history

해외 선교의 특징4. 평신도 성도들의 선교 참여이다 . * 선 교 지 를 위한 연 합 기 도 회 를 통 하 여

선 교 지 의 상황을 파악하 고 합 심 하 여 기도한다 .

* 선교지에 6 개월 이상 , 평신도 단기선교사 파송함으로 선교활동에 직접 참여한다 .

* 교육 1 부 , 청 년 부 , 대학부 의 단 기 선교활동을 통하여 선교훈련을 실시한다 .

Page 50: Korean Church history

선교는 하나님의 명령이다 .

그러므로 가서 너희는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 볼지어다 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함께 있으리라 하시니라

( 마 28:19-20)

Page 51: Korean Church history

성경 번역의 비교성경 번역의 비교시편 8 편 4절1961 년 < 개역한글판 > 사람이 무엇이관대 주께서 저를 생각하시며

인자가 무엇이관대 주께서 저를 권고 (眷顧 ) 하시나이까1977 년 < 공동번역 > 사람이 무엇이기에 이토록 생각해주시며

사람이 무엇이기에 이토록 보살펴 주십니까 ?1993 년 <표준새번역 > 사람이 무엇이기에 주께서 이렇게까지 생각하여 주시며 사람의 아들이 무엇이기에 주께서 이렇게까지 돌보아 주십니까 ?1998 년 < 개역개정판 > 사람이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생각하시며

인자가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돌보시나이까

1901 년 <American Standard Version>What is man, that thou art mindful of him? And the son of man, that thou art visitest him? 1952 년 <Revised Standard Version> What is man that thou art mindful of him, and the son of man that thou dost care for him?1976 년 <Today’s English Version>What is man, that thou you think of him; mere man, that you care for him?1979 년 <New International Version>What is man that you are mindful of him, the son of man that you care for him? 1995 년 <Contemporary English Version>Then I ask, “Why do you care about us humans? Why are you concerned for us weakling?”

Page 52: Korean Church history

항상 승리하는 삶을 누리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