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74

Transcript of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Page 1: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노 지 희

Page 2: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지도 신 윤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3년 6월 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노 지 희

Page 3: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노지희의 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년 6월 일

Page 4: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감사의 글

끝이 나지 않을 것 같던 논문 학기가 마무리 되니 그동안 결코 쉽지 않았던 대학

원 과정을 통해 나와의 싸움이란 긴 시간 동안 조금 더 성장한 저의 모습이 느껴집니

다. 이렇게 결실을 맺기까지 그동안 힘들고 고생스러웠던 시간들이 눈 녹듯 녹아내리

고, 학업을 할 수 있었던 이 시간들이 저를 발전할 수 있는 귀한 시간이었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미흡한 저에게 믿음과 용기를 북돋아 주시고, 포기하려던 저의

손을 끝까지 놓지 않고 꼭 잡아 주신 신윤희 부학장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또한 논문 주제선정부터 끝맺음까지 늘 배려와 격려를 아끼지 않으시고, 성심을 다해

논문의 가치를 높여주시며, 이 학위 과정을 통해 간호의 지적재산 뿐만 아니라 그 이

상의 소중한 진리를 깨닫게 해주신 교수님 존경합니다.

학위 과정 동안 부족한 저를 이끌어주신 송희영 교수님의 섬세한 가르침으로 값진

논문을 쓰고, 무사히 학위를 마칠 수 있게 도움을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항상

외래 진료로 바쁘신 와중에도 저의 논문에 큰 관심을 가져 주시고, 좋은 논문이 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조언을 해 주신 이지용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전합니다.

대학원 과정 동안 학문의 길을 열어주시고, 늘 반갑게 맞아주시는 안양희 교수님,

허혜경 교수님, 임영미 교수님, 박소미 교수님, 김기연 교수님, 김기경 교수님, 서미혜

교수님, 최향옥 선생님, 최지혜 선생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연구를 허락 해주신 김영신 간호국장님, 정혜경 부장님, 심재숙 부장님, 김연

주 부장님과 대학원 과정을 시작할 수 있게 도와주신 김앵도 부장님께 감사드립니다.

무엇보다도 일과 학업을 무사히 마칠 수 있게 적극 지원을 해주시며, 논문학기 동

안 저의 마음을 편하게 해주신 81병동 최미순 과장님과 71병동 이유경 과장님 그리고

흔쾌히 근무를 바꿔주었던 사랑하는 후배들, 격려와 응원을 아끼지 않았던 81병동 가

족들에게 너무나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학위과정의 일등공신이시며, 희노애락을 함께하시고, 끊임없는 도움을 주

신 의학도서관 김보경 선생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Page 5: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논문 비법을 전수해 주신 102병동 함정숙 선생님, 통계의 달인으로 만들어 주신

Stroke Unit 이영자 선생님, 통계책을 흔쾌히 빌려주던 박정남 선생님, 연구지원팀 최

은희 교수님 그리고 간호학부 조교선생님들, 힘든 과정을 함께 하며 서로에게 힘이

되어준 중환자과정 선생님들께 감사드리며, 대학원과정 동안 경험을 통해 많은 도움

을 주시고, 하나뿐인 동기와 함께 하지 못해 더 아쉬워하신 김소영 선생님께 감사드

리며, 학업을 함께 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긴 학위과정 동안 항상 응원해주시고, 든든한 버팀목인 사랑하는 우리 가족, 고생

하고 있는 딸을 안쓰러워하시는 어머니, 대견하고 자랑스럽다고 늘 말씀하시던 아버

지께 말로는 표현 할 수 없는 깊은 감사와 사랑을 전하며, 부모님이 계셨기에 오늘의

영광스러운 날이 있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물심양면 지원을 아끼지 않으시

고, 뒤에서 묵묵히 지켜주시던 그 마음을 잘 알고 있기에 힘겨웠던 날들을 이겨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대학원 과정동안 깨알 같은 조언을 해주시던 큰 형부, 늘 힘내라고 응원을

보내주던 큰 언니와 논문은 잘 진행되고 있는지 종종 안부를 물어보시던 작은 형부,

귀엽고 예쁜 조카의 탄생으로 육아의 전쟁을 치르고 있는 작은 언니의 격려, 그리고

누나 힘들겠다며 늘 걱정하는 동생 부부와 저의 엔돌핀 사랑하는 조카 에릭, 윤이, 선

혜에게 너무나 감사하고 사랑한다는 말을 전합니다.

끝으로 연구도구를 허락해 주신 Dr. Walker 교수님과 서울대학교 윤순녕 교수님께

감사드리며, 이 논문을 위해 성심 성의껏 설문에 응해주신 115名의 연구 대상자 분들

께 감사를 드리며, 늘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저는 이 학위가 헛되지 않도록 어떠한 자리에서도 최선을 다하고 겸손하며, 저의

간호를 받는 대상자의 안녕을 위해 힘쓰고 맡은바 소임을 다하는 간호사가 되도록 노

력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3년 6월

연구자 노지희 올림

Page 6: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i -

차 례

차례 ················································································································································ⅰ

표 차 례 ········································································································································ⅲ

부록 차례 ······································································································································ⅲ

국문 요약 ······································································································································ⅳ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용어의 정의 ·····················································································································6

Ⅱ. 문헌고찰 ···························································································································8

1. 뇌졸중 발생위험 요인 ···································································································8

2.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12

Ⅲ. 연구방법 ·························································································································17

1. 연구설계 ···························································································································17

2. 연구대상 ···························································································································17

3. 연구도구 ···························································································································18

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20

5. 자료 분석 방법 ···············································································································21

Page 7: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ii -

Ⅳ. 연구결과 ·························································································································22

1.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일반적 특성 ·············································································22

2.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24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27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지식 ·······································29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건강증진행위 ·····································31

6.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의 상관관계 ····························35

Ⅴ. 논의 ····································································································································36

Ⅵ. 결론 및 제언 ··············································································································42

1. 결론 ···································································································································42

2. 제언 ···································································································································44

참고문헌 ········································································································································45

부 록 ········································································································································52

영문초록 ········································································································································63

Page 8: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iii -

표 차례

<표 1>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일반적 특성 ····································································23

<표 2-1>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와 뇌졸중 지식 ······························24

<표 2-2>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위험요인에 대한 인지 ······································25

<표 2-3>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건강증진행위 ····································································26

<표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28

<표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지식 ································30

<표 5-1>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건강증진행위 ······························32

<표 5-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건강증진행위 ······························33

(신체활동, 건강책임. 영적성장)

<표 5-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건강증진행위 ······························34

(영양, 대인관계, 스트레스)

<표 6>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의 상관관계 ·····················35

부록 차례

부록 1. 설문지 ·····························································································································52

부록 2. Framingham Heart Study (2013): Stroke Risk Probability ·····························60

Page 9: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iv -

국 문 요 약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본 연구는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W시에 소재한 Y대학병원의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장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대상자 선정기준에 해당되는 총 110명의 환자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도구 중 뇌졸중 발생위험도는 Framingham Heart Study (2013)에서 제시한

Stroke Risk Profile을 사용하여 계산된 점수로 예측할 수 있는 뇌졸중 발생확률로 측

정하였으며, 뇌졸중 지식은 Yoon 등(2001)이 개발하고, 송희영(2008)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건강증진행위는 Walker 등(1995)이 개발한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Ⅱ (HPLP-Ⅱ)를 윤순녕과 김정희(1999)가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3년 4월 한 달간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0.0 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wo sample

t-test와 one way ANOVA, 그리고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졸중 발생위험도의 평균은 11.74±10.76%이고, 뇌졸중 지식의 평균은 67.88±14.51

점이며,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은 2.27±0.44점으로 나타났다.

Page 10: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v -

2)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 건강증

진행위를 살펴본 결과, 대상자의 뇌졸중 발생위험도는 성별(t=2.76, p=.007)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뇌졸중 지식은 최종학력(t=-1.97, p=.052), 소득(t=-2.83,

p=.006)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건강증진행위는 성별(t=-2.36, p=.020)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하부영역 중 신체활동은 직업유무(t=2.41, p=.018),

건강책임은 종교유무(t=-2.23, p=.028), 영적성장과 대인관계는 성별(t=-2.11, p=.037

/ t=-2.83, p=.005), 스트레스관리는 직업유무(t=2.15, p=.034)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뇌졸중 발생위험도와 뇌졸중 지식 및 건강증진행위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

았으며,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326, p<.01)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음주, 흡연 등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는 남자가 여자에 비해 뇌졸중

발생위험도가 더 높게 측정되었고, 이와 반대로 건강증진행위 실천정도는 남자에 비

해 여자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소득과 학력수준이 낮은 사람이 뇌졸중 지식이 더 낮

은 것으로 확인 되었으므로 뇌졸중 예방교육에서 이들 결과를 반영해야 할 것이다.

또한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간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므로 뇌졸중

발생 위험군의 뇌졸중 지식을 향상시키는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이들의 건강증진행위

의 실천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뇌졸중 발생위험도를 줄일 수 있는 예방적 간호

중재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이 되는 말 :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 건강증진행위

Page 11: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1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 사망원인 통계에 의하면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사망 원인 중 부동의

1,2,3위는 각각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이었고, 2011년에는 단일질환 사망 원인 1위

가 뇌혈관 질환, 공동 2위는 폐암과 자살, 4위는 허혈성 심질환(심근경색 등)인 것으

로 보도되어 한국인은 뇌혈관질환으로 가장 많이 죽음을 맞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

다(통계청, 2012). 우리나라의 사망률 1위인 뇌졸중은 뇌의 한 부위에 갑자기 혈액순

환 장애가 발생되며, 그 부위의 신경기능 소실이 발생된 후 24시간 이후 증상이 지

속되는 것을 말한다. 뇌졸중은 경고 없이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수 시간 내

에 적절한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영구적인 신경학적 장애를 남기거나 사망

에 이를 수 있다(강삼석 등, 2005). 뇌졸중이 발병되면 환자의 15-20%가 사망하게

되고, 10%는 완전 회복되며, 나머지 70-75%는 뇌의 침범 영역에 따라 운동, 감각,

인지, 언어 등 다양한 기능장애를 갖게 된다(Hardie, Hankey, Jamrozik, Broadhurst,

& Anderson, 2004).

주로 노인질환으로 인식되었던 뇌졸중이 최근에는 30-40대의 뇌졸중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식생활의 변화와 운동부족 등 불건강한 생활습관으로 인해 뇌

졸중의 주원인인 비만,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

다.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고혈압은 2007년 24.6%에서 2011년 28.5%로

증가하였고, 당뇨병은 2001년 8.6%에서 2011년 9.8%로 최근 10년간 약 1% 증가하였

다. 또한 고지혈증은 1998년 10.0%에서 2011년 13.8%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대

한신경과학회(2007)에서는 이들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질환을 비롯한 고령,

가족력, 흡연, 부적절한 식이와 영양, 운동부족, 비만 등을 뇌졸중 발병의 위험요인으

로 제시하고 있다.

Page 12: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2 -

또한 메사츄세츠 주(州)의 Framingham에서 실시된 36년간의 추적 역학조사 연구

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통해 뇌졸중 위험 프로파일 또는 건강위험평가 함수가 개발

되었는데(Wolf, Agostino, Belanger, & Kannel, 1991), Framingham 심장연구에서 제

시한 뇌졸중 위험지표는 연령, 수축기 혈압, 당뇨 및 심혈관계 질환유무, 흡연여부, 심

방세동, 좌심실 비대, 고혈압 약복용 여부이며, 여기서 제시한 뇌졸중 위험 프로파일

을 통해 상대적 위험확률을 예측할 수 있다(Framingham Heart Study, 2013). 뇌졸중

위험 프로파일의 효용성의 중요한 가치는 여러 잠재적 위험요소를 수정함으로써 뇌졸

중 발생확률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평균수명의 연장과 인구 노령화에 따라 뇌졸중 발생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55세

이후에는 매 10년마다 뇌졸중 위험이 두 배로 증가한다(Rosenberg & Popelka, 2000).

고혈압은 유병률이 높은 가장 중요한 조절 가능한 위험요인(Wang & Wang, 2004)으

로 선행연구에서 이완기압을 5-6mmHg 낮추면 뇌졸중 발병을 42%까지 낮출 수 있는

보고가 있어(Greenland, Croft, & Mensah, 2004), 뇌졸중 예방을 위한 혈압조절의 중

요성을 지지하고 있다. 흡연여부는 뇌졸중 발생에 2배 정도 영향을 미치고(Thom et

al., 2006), 같은 연령의 당뇨환자가 비당뇨환자 보다 뇌경색 빈도가 1.8-6배 정도 높

으며(Pearson et al., 2002; Goldstein et al., 2001), 당뇨를 잘 치료하지 않는 그룹에서

뇌졸중 재발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최진영, 1999). 또한 비활동적인 사람은 활

동적인 사람에 비해 뇌출혈의 빈도가 2-3배 증가되며(Abott, Rodriguez, Burchfiel, &

Curb, 1994), 매일 30분씩 중등도 운동을 하면 비만과 당뇨병을 조절할 수 있고,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며 혈압을 낮추는 동시에 뇌졸중을 예방할 수 있다

(Goldstein et al., 2001). 결국 이들 뇌졸중 발생위험요인을 줄이면 궁극적으로 뇌졸중

발병을 줄일 수 있으므로 뇌졸중 발병이전의 발병 위험요소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연

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안산 지역사회 노인 코호트 연구에 참여한 2.767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뇌

졸중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44.8%만이 뇌졸중이 뇌혈관성 질환임을 알고 있

었으며, 정확한 뇌졸중 전구증상을 2개 이상 알고 있는 노인은 24%밖에 되지 않았다

(박범식 등, 2002). 뇌졸중 위험요인 관리 및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뇌졸중에 대

Page 13: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3 -

한 지식이 중요하며(Yoon, Heller, Levi, Wiggers, & Fitzgerald, 2001), 특히 뇌졸중의

징후 및 경고증상에 대한 지식은 신속한 병원방문과 성공적인 초기치료에 중요한 요

인으로 제시되고 있어(Lee, Kim, & Lim, 2005) 일차, 이차예방을 위해 중요하다 하겠

다. 그리고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뇌졸중 발생 위험요인을 갖고 있는 대상자의

뇌졸중 지식 증가를 위한 교육과 중재가 필요하며, 이러한 중재에 앞서 대상자 집단

의 지식에 대한 정확한 사정이 선행되어야 한다(Yoon et al., 2001).

뇌졸중은 발병 후 치료에 역점을 두는 것보다 위험요인이 있는 대상자를 발견하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며(Ezzati et al., 2003), 이를 통해 뇌졸중 발병율을 80% 감소시

킬 수 있다(National Stroke Association〔NSA〕, 2010). 또한 한 번 뇌졸중이 발생하

면 다시 뇌졸중이 재발할 위험이 높아 가장 최선의 치료는 예방이다(대한뇌졸중학회,

2005). 하지만 2006년 우리나라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보면 만성질환 예방과 재발 방지

를 위한 건강증진행위가 많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조사 대상의 대다수 국민이 뇌,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은 75.8%, 예방가능성은 74%로 높게 인지하고 있으나 본인과

질병과의 연관성은 17.1%, 예방활동 실천율은 9.2%에 불과하였다(보건복지가족부,

2008). 이명신(2004)의 연구에서는 뇌졸중 관리 및 예방을 위해 건강증진행위 및 생활

습관을 변화하려는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자기관리에 대한 인식도 부족한 것으로 나

타났다. 일상생활에서의 바람직한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을 통해 뇌졸중 위험인자를 제

거하고 유병율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뇌졸중 위험요인에 대한 관리 미

흡으로 뇌졸중이 발생하므로 뇌졸중 증상을 경험하지 않은 대상자에게 위험요인 감소

를 위해 불건강한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증진함으로써 뇌졸중 발

생을 예방하도록 돕는 간호접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중요성에 입각하여 지금까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뇌졸중관련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관한 선행연구가 시도되었으며(박선일, 2004; 박해숙, 2012; 박

혜경, 2003; 이명신, 2004; 이은정, 2011; 이혜련, 2010 등), 이들 연구들은 대부분 뇌

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었다. 이외에 노인(장미경, 2004), 직장인(배성신,

2007)과 고혈압 전 단계인 성인 여성(송희영, 2008)을 대상으로 시도한 연구가 있었

으며, 뇌졸중 환자가 아닌 뇌졸중 발생위험군을 대상으로 시도된 국내 연구는 이민경

Page 14: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4 -

(2010)이 건강증진행위와 발작예상 대처행동에 대해 조사한 연구 외에는 찾기가 어

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발생위험군인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장질환 환

자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 그리고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추후 뇌졸중 예방관리에 필요한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프로그램을 고안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뇌졸중 발생위험을 줄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Page 15: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5 -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발생 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

증진행위를 파악하여 뇌졸중 발생위험을 줄이기 위한 예방적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를 파악한다.

2)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지식 정도를 파악한다.

3)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를 파악한다.

4)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

증진행위의 차이를 파악한다.

5)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간의 상관관

계를 파악한다.

Page 16: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6 -

3. 용어의 정의

1) 뇌졸중 발생위험군

뇌졸중 발생의 위험을 가진 집단으로서 고혈압, 당뇨병, 심장질환, 고지혈증, 고령,

가족력, 흡연, 부적절한 식이와 영양, 운동부족, 비만 등 한 가지 이상 위험요인을 가

진 대상자를 말한다(대한신경과학회, 2007).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질환 중 한 가지 이상을 진단받은 자로서 뇌졸중을 진단받지 않은 사람이다.

2)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발생위험도는 뇌졸중 위험요인으로 인해 뇌졸중에 걸릴 우려정도를 의미하

며(대한뇌졸중학회, 2011), 본 연구에서는 Framingham Heart Study (2013)에서 제시

한 Stroke Risk Profile을 사용하여 계산된 점수로 예측할 수 있는 뇌졸중 발생확률로

측정한다. 뇌졸중 위험을 사정하는 Stroke Risk Profile은 나이, 수축기혈압, 흡연, 당

뇨 및 심혈관계 질환 유무에 따라 점수를 주는 것으로 점수에 따라 10년 내 뇌졸중

예상 발병확률이 제시된다.

Page 17: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7 -

3) 뇌졸중 지식

지식이란 일반적으로 한 개인의 욕구와 호기심에서부터 그 대상의 특정한 방향으

로 사고가 진행된 결과로 생긴 것이고, 동기, 욕구, 호기심 같은 정의적 요소의 지원

으로 만들어지며(허경철, 조덕주, 소경희, 2001), 뇌졸중 지식이란 뇌졸중에 관한 객관

적 타당성을 요구하는 판단의 체계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Yoon 등(2001)이 개발한

뇌졸중의 위험요인, 경고증상과 치료에 대한 지식을 묻는 15문항의 도구를 송희영

(2008)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뇌졸중 위험요인 인지는 대한뇌졸중학회(2011)와 미국뇌졸중학회(American Stroke

Association〔ASA〕, 2009)에서 제시한 뇌졸중 위험요인의 목록을 제시한 후 뇌졸중

위험요인으로 알고 있는지 여부를 의미한다.

4) 건강증진행위

생활양식의 구성요소가 되는 계속적인 활동으로 더 높은 수준의 건강을 위하여 능

동적으로 환경에 반응하는 것을 의미하며 안녕 수준 뿐 아니라 자아실현, 자기성취를

증진시키기 위한 행위이다(Pender, 1987; Walker, Sechrist, & Pender, 1987). 본 연구

에서는 Walker, Sechrist와 Pender(1995)가 개발한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Ⅱ (HPLP-Ⅱ)를 윤순녕과 김정희(1999)가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Page 18: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8 -

Ⅱ. 문 헌 고 찰

1. 뇌졸중 발생위험 요인

뇌졸중이란 흔히 중풍이라고 불리는 뇌혈관 질환으로써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

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손상이 오고 그에 따라 신체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한

다(대한뇌졸중학회, 2011). WHO에서는 “뇌졸중은 분명한 혈관의 원인이 없으면서, 뇌

기능의 국소적인 혹은 전반적인 결손의 증후가 급속하게 발생되어 죽음에 이르게 하

거나 24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5).

뇌졸중은 미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사망 원인으로 만성적인 장애와 질병의 주된 원

인이며(American Heart Association〔AHA〕, 2007), 우리나라 사망원인 중 2위이고,

단일 질환으로는 1위로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율은 13.9%로 추정되며 이로 인해 매년

총 의료비 지출이 10% 이상 증가되고 있다. 또한 뇌졸중은 성인에서 신체적 장애를 일

으키는 주범이기도 하며 특히 이러한 신체적 장애는 환자 본인은 물론, 가족 구성원에

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의 경우 뇌졸중 유병율 추이를 살펴보면 50세 이

상 전체에서 2010년 3,071명에서 2011년 3,204명으로 약 13.3% 증가하였다. 연령별로 살

펴보면, 50-59세는 2010년 1,170명에서 2011년 1,185명으로 증가하였고, 60-69세는 2010

년 1,028명에서 2011년 1,029명으로 증가하였으며, 70세 이상에서는 873명에서 2011년

990명으로 증가하여(통계청, 2012), 70세 이상의 노인보다는 50대 이상에서 뇌졸중 유병

율이 꾸준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뇌졸중 발생시 1인당 연간 약 500만원의 진료

비가 들어가며(국민건강보험공단, 2013), 연간 뇌졸중 진료비는 2005년 5,625억원에서

2009년 8,703억원으로 54.7%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0).

이전에는 뇌졸중이 주로 노인질환으로 인식되었지만 요즈음은 30-40대에도 흔히

발병하며, 이는 식생활의 변화와 운동부족으로 인해 뇌졸중의 주원인인 비만, 고혈압,

Page 19: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9 -

당뇨, 고지혈증 등의 발생률이 높아졌고, 이에 대한 조절이 적절하게 되지 않기 때문

이라 할 수 있다(대한뇌졸중학회, 2011). 뇌졸중의 위험인자로는 고혈압, 심장질환, 부

정맥, 고지혈증, 당뇨, 혈액응고 장애, 흡연, 과섬유소원혈증, 뇌졸중의 가족력 등이 있

으며, 그 외에도 음주, 경구피임약 등의 영향을 주며(AHA, 2007; Goldstein et al.,

2001; 대한뇌졸중학회, 2011), 교정 불가능한 요인과 교정 가능한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교정 불가능한 요인으로는 나이, 성별, 인종, 뇌졸중 가족력, 저체중, 출산 등이

있으며, 교정 가능한 위험요인으로는 고혈압, 당뇨병, 심장질환, 고지혈증, 무증상 경동

맥협착 등이 있다(Goldstein et al., 2006). 뇌졸중 위험요인 중 교정 가능한 위험요인

을 예방하는 것으로 뇌졸중 발병을 80% 감소시킬 수 있음이 발표되어 교정 가능한

위험요인 조절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옥지원, 2007).

조절 가능한 위험요인 중 고혈압은 가장 중요한 뇌졸중의 원인으로 뇌졸중 환자의

약 70%가 고혈압으로 발생하며(Sacco, Shi, Zamanillo, & Kargman, 1994; 박혜경,

2003), 우리나라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한 Framingham 뇌졸중 위험점수에 의한 뇌

졸중 10년 평균 발생 확률이 21%인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Choi & Park, 2010). 실제

로 수축기압을 5-6mmHg를 낮추면 뇌졸중 발병률을 42%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

였다(Greenland et al., 2004).

고혈압은 혈관 내벽의 손상으로 동맥경화증을 유발하고 혈관 벽이 두꺼워지면서

혈관이 좁아져 막히면 뇌경색을 초래하거나 좁은 혈관벽이 높은 압력을 견디지 못해

파열하게 되어 뇌출혈의 원인이 된다(박철완, 2003). 2011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고혈압 유병율 추이는 28.5%이고, 여자에 비해 남자가 약 6% 정도 높으며, 30대, 40

대, 50대는 남자의 고혈압 유병율이 여자보다 높고, 60대와 70대에서는 여자의 유병율

이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고혈압을 관리하는 수준의 편차가 큰데 특히 30대와

40대 남자 고혈압 유병자의 인지율 및 치료율, 조절률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음을

알 수 있다(국민건강영양조사, 2011).

당뇨병은 뇌혈관의 동맥경화성 병변을 생성시키는 독립 인자로 관상동맥과 뇌동맥

에 죽상경화증을 유발하고, 가속화시키는 인자로 작용하여 혈전색전증의 위험을 높인

다(Nagata et al., 2003). 따라서 당뇨환자가 같은 연령의 비당뇨환자보다 뇌경색의 빈

Page 20: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10 -

도가 2-4배 정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노재규, 1990; 최진영, 1999). 당뇨병의

유병율을 살펴보면, 2001년 8.6%에서 2011년 9.8%로 최근 10년간 약 1% 증가하였음

을 알 수 있다(국민건강영양조사, 2011).

고지혈증은 동맥경화의 원인을 제공하므로 뇌졸중의 중요한 위험인자의 하나이며

(노재규, 1990),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만 30세 이상)은 1998년 10.0%에서 2011년

13.8%로 3.8% 증가하였다. 또한 고중성지방혈증 유병률(만 30세 이상)은 1998년

10.2%에서 2001년 19.6%로 9.4% 증가하였지만 2005년을 기준으로 약 16% 수준을 유

지하고 있다. 또한 협심증, 심근경색증, 심장판막증, 심실세동 등 심장질환이 있으면

심장 내 혈액의 흐름에 이상이 생겨 혈액이 심장 내에 부분적으로 정체되어 응고되고

혈전이 생겨 뇌혈관을 막으면 뇌경색이 발생하게 된다(박철완, 2003).

또한, LDL-콜레스테롤 농도가 정상보다 높을 때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이 남자는

49%, 여자는 32% 증가되고(Giles, Croft, Greenlund, Ford, & Kittner, 1998), 혈중 콜

레스테롤이 높으면 뇌경색이 발생하며(Plutzky & Ridker, 2001), 총콜레스테롤 수치의

증가에 비례해 비출혈성 뇌졸중 환자의 사망위험이 증가한다(Iso, Jacobs, Wentworth,

Neaton, & Cohen, 1989)는 것을 의미한다.

흡연 여부는 뇌졸중 발생에 2배 정도 영향을 미친다(Thom et al., 2006). 또한 흡

연은 동맥경화를 일으키고, 담배에 함유된 니코틴이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높이

고, 혈액 중의 지방산이나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킨다(이상복 등, 1997). 현재 흡연율

(만 19세 이상)은 2011년 남자 47.3%로, 1998년 이후 감소 경향이었으나 2008년 이

후 답보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여자의 경우 6.8%로 연도별 큰 차이는 없었다. 미

국의 경우 2011년 흡연율(18세 이상)은 남자 21.5%, 여자 16.5%로 미국에 비해 우리

나라 남자는 약 2배 정도 흡연율이 높았고, 여자는 약 2배 낮음을 알 수 있다(국민

건강영양조사, 2011).

적당량의 음주(남성 1-2잔/일, 여성 1잔/일)는 혈전생성을 억제하고, HDL-콜레스

테롤 수치를 높임으로써 뇌졸중 위험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Goldstein et al., 2001).

하지만 과다한 음주는 혈관의 긴장도를 높여주고 심박출량의 증가, 호르몬의 증가 등

을 유발하여 혈압을 상승시킨다(박영임, 1994). 2011년 월간 음주율(만 19세 이상)은

Page 21: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11 -

2011년 남자 77.6%, 여자 44.2%로 2010년과 유사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국민건강영

양조사, 2011).

비활동적인 사람은 활동적인 사람에 비해 뇌출혈의 빈도가 2-3배 증가하며 신체활

동이 뇌졸중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Abott et al, 1994). 비만은 뇌졸

중을 일으킬 수 있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병의 원인이 되며, 간접적으로 뇌

졸중을 일으키는 위험요인으로 간주된다. 비만의 유병률(만 19세 이상)은 1998년

26.0%에서 2005년 31.3%로 5.3% 증가한 상태로 최근 5년간 31% 수준을 유지하고 있

다(국민건강영양조사, 2011).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뇌졸중의 위험요인의 발생률과 유병률은 매년 증가

하고 있으며,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조절 가능한 뇌졸중 위험요인은 일상생활을 통한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하므로 이상에 제시된 위험요인에 대한 보건의료 전문가의 문제

인식과 중재 노력이 필요하다.

Page 22: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12 -

2.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건강지식은 건강증진행위를 수행함에 있어 기본적이고 과학적인 지식(박용희, 안옥

희, 정연강, 1998)으로 교육을 통해 지식을 습득한 환자의 행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박춘자, 1995). 지식의 중요성은 행동변화에 있으며(장미경, 2004), 또한 건강에 대한

인식, 태도 등은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고 그 행위는 다시 그 개인의 건강에 영향을

주므로(Maggs & Abedi, 1997) 건강증진을 위한 올바른 인식과 건강지식은 무엇보다

중요하다(이혜련, 2010).

지식이란 일반적으로 한 개인의 욕구와 호기심에서부터 그 대상의 특정한 방향으

로 사고가 진행된 결과로 생긴 것이고 동기, 욕구, 호기심 같은 정의적 요소의 지원으

로 만들어진다(허경철 등, 2001). 또한 개인의 건강관련 정보에 대한 이해는 적절한

건강행동을 수정할 수 있는 정보에 대한 능력과 관련되므로 뇌졸중 위험질환 관련 주

요 지표들과 발병 위험과의 관련성을 인식시키는 것은 개인에게 자신의 뇌졸중 예방

과 관련된 중요 정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증진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개인에게 생

활습관 개선을 위한 행위실천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송희영, 허혜경, 박소미,

2012). 대상자의 환경과 생활습관 및 건강상태에 맞는 체계적이고, 적절한 교육을 개

별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대상자의 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결과적으로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대상자의 교육요구도가 충족되지 않을 경우 질병

에 대한 지식부족을 초래한다(Clark & Smith, 1998).

뇌졸중으로 인해 한 번 죽은 뇌세포는 다시 살릴 수 없으므로 되도록 빨리 병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뇌졸중 발병 시 빠른 초기 대응이 중요한 이유는 뇌졸중

초급성기에는 혈전용해제 치료가 가능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이 치료를 시행할 수 없

으므로 그만큼 뇌조직의 손상이 심해지기 때문이다(대한뇌졸중학회, 2005).

뇌졸중의 초기 증상 및 징후는 한 쪽 팔다리의 힘이 없거나 감각이 둔하거나, 말

을 못하거나 발음이 어눌하다. 그리고 어지럽고 술 취한 사람처럼 비틀거리며 걷고,

한쪽 눈이 안보이거나 물체가 두 개로 겹쳐 보인다. 심한두통이 있으면 속이 울렁거

리고 토한다(고명환, 신용일, 이삼규, 2008). 이러한 뇌졸중 초기 증상 및 징후에 대한

Page 23: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13 -

지식을 갖고서 적절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미시간에 거주하는 성

인을 대상으로 전화로 뇌졸중 증상 및 징후와 관련된 3개의 가상 시나리오를 주었을

때, 적절하게 911에 전화하는지를 조사하여 뇌졸중에 대한 지식과 911 요청과의 관계

를 조사한 바 있으며, 이 조사에서는 뇌졸중 지식과 911 요청에는 상관관계가 없었고

지식뿐만 아니라 대상자의 동기부여가 중요하다고 하였다(Reeves, Rafferty, Aranha,

& Theisen, 2008).

미국은 뇌졸중으로 인한 직접적, 간접적인 비용으로 2007년까지 620억이 넘는 금

액을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하면서, 미국뇌졸중협회는 대중의 뇌졸중 위험 증상

과 징후에 대한 지식을 증가시켜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AHA, 2007). 뇌졸중에 대

한 지식이 선행되어야 개인이 자신의 뇌졸중 위험요인 노출여부 및 건강관리의 필요

성을 인식할 수 있고, 생활습관 개선행위 실천이 동기화될 수 있다(Weltermanl et al,

2003; Morgann, Chambers, Banerji, Gater, & Jordan, 2005).

건강증진이란 안녕상태에 도달하기 위하여 스스로 필요한 요구를 확인하여 생활방

식을 변화하도록 대상자로 하여금 힘을 갖게 하는 활동이 확장되는 것이다(변영순, 장

희정, 1992). 건강증진행위는 개인이 건강의 유지 및 향상을 위해 조화로운 정서와 긍

정적인 삶의 태도를 가지고 질병치료 및 관리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Pender,

1996), 이러한 건강증진행위가 건강한 생활양식내로 통합될 때 각 발달단계에서는 건

강의 증진, 기능적 능력의 강화, 더 나은 삶의 질을 가져오게 되며, 개인의 전 생애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Pender, 1996).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측정하기 위해 Walker 등(1987)은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HPLP)을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이후 이를

1995년 HPLP-Ⅱ로 수정하였는데, HPLP-Ⅱ의 6가지 영역은 신체 활동, 영적 성장, 자

신의 건강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이고 돌보거나 필요시 건강 교육을 받는 건강책임, 음

식의 선택과 식사양상을 설정하는 영양, 친밀감 및 친교와 관련된 관계를 유지하는 대

인관계, 스트레스원을 인식하고 조절, 이완하는 스트레스 관리이다(Walker et al, 1995).

건강증진 생활양식은 한 번 형성되면 변화하기 어렵기 때문에(옥지원, 2007), 생활

양식 변화를 위해서는 그릇된 생활양식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의지와 실제적인 행동의

Page 24: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14 -

변화가 요구된다(박주성, 1994). 또한 현대의 질병 양상인 뇌졸중, 심장질환, 당뇨 같

은 만성질환은 서구화, 현대적 생활양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의 건강증진행위가 더 중요하게 부각되었으며(이혜련, 2010), 건강증진행위는 만성질

환의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키며, 건강관리 비용을 감소시키는데 잠재적

이고 장기적인 이익을 가져 온다는 것에 대해서 사회 전반적인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김미경, 2003).

매일 30분씩 중등도의 운동을 하면 비만과 당뇨병을 조절할 수 있고, HDL-콜레스

테롤을 증가시키고 혈압을 낮추는 동시에 뇌졸중을 예방할 수 있다(Goldstein et al.,

2001). 또한, 과다한 소금 섭취 등의 식이는 나이의 증가와 함께 고혈압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제시되었고(김종성, 최스미, 1998; Nagata, Takatsuka, Shimizu, &

Shimizu, 2004), 실제 수축기압을 5-6mmHg 낮추는 경우 뇌졸중 발병률을 42%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는 보고(Greenland et al., 2004)는 뇌졸중 예방 측면에서 생활습관

위험요인 조절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송희영 등, 2012). 또한 Law, Frost와

Wald(1991)의 연구에 의하면 혈압치료 후 뇌졸중에 의한 사망률은 15% 감소되고, 소

금 섭취를 하루 3g 줄인 경우 뇌졸중에 의한 사망률은 28% 감소된다고 하였다.

또한, 흡연과 음주를 많이 할수록 뇌졸중 위험이 높고, 식습관이 좋고 운동을 많이

할수록 뇌졸중 위험이 낮다(김노영, 2008). Chiuve 등(2008)도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해

서는 금연을 하거나 매일 운동을 하고, 절주와 적정 몸무게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

다고 하여 건강증진행위를 수행함으로써 뇌졸중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하였다. 이

밖에 우리나라에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뇌졸중 관련 지식과 관련 변수로 건강증

진행위, 자기효능감, 약물복용이행, 교육요구도 등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가 그동안

아래와 같이 시도되어 왔다.

일과성 허혈발작 환자의 지식에 관한 연구결과(이은정, 2011), 뇌졸중지식은 평균

21.41±5.69점으로, 하위영역에서 뇌졸중 증상 지식 7.48±2.52점, 뇌졸중 정의 및 대처

방법 8.77±2.38점, 뇌졸중 위험인자 5.17±2.34점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증진행위는

2.82±0.42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뇌졸중 지식은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영역인 자아실

현(r=.208, p=.016), 건강책임(r=.172)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25: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15 -

또한,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약물복용이행과의 관계를 연구

한 박해숙(2012)은 뇌졸중 환자의 학력에 따라 뇌졸중관련 지식의 차이가 있으며 동

반질환의 유무에 따라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보였다. 뇌졸중관련 지식과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약물복용이행과 자기효

능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뇌졸중 관련 지식이 많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았으며, 약물복용이행을 잘 할수록 자기효능감이 증가함을 알 수 있

었다.

그리고 이혜련(2010)의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 건강 지식, 건강증진행위, 건강위험

지표에 관한 연구에서는 뇌졸중 건강지식과 뇌졸중 건강증진행위, 뇌졸중 건강위험지

표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으나 진단기간이 길수록 뇌졸중 건강지식의 정의 및

관리방법 영역과 뇌졸중 건강증진행위와 치료이행도 영역 및 뇌졸중 건강위험지표는

좋은 점수가 나왔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도한

박선일(2004)의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 자기효능

감과 건강증진행위,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 건강증진행위의 관계는 각각 유의한 상

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명신(2004)의 뇌졸중 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와 관련요인의 연구에서 영역별 수행정도를 살펴보면, 금연이 수행정도가 가장 높았

으며 그 다음으로 식습관, 건강관리, 스트레스관리, 운동영역으로 나타났다.

한편 송희영(2008)은 고혈압 전 단계의 여성을 대상으로 뇌졸중 위험과 뇌졸중 지

식을 측정하였을 때 지식측정 점수는 총 45점 만점에 29.15점이었고, 뇌졸중 위험요인

에 대한 지식 중 위험요인으로 가장 많이 제시한 요인은 스트레스였으며, 뇌졸중 경

고증상으로는 얼굴이나 사지의 갑작스런 저림이나 무력감이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

다. 또한 노인을 대상으로 뇌졸중 지식을 연구한 장미경(2004)은 대상자의 지식정도는

질환의 특성에 관해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증상에 대해서는 뇌졸중 교육을 받은 경우

에서 높았고, 정보획득 경로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위험요인에 대한 지식정도는 본

인이 당뇨병이 있는 경우에 높았으며, 대처방법에 대해서는 연령이 65-69세인 경우,

고혈압이 있는 대상자가 높았다. 대상자의 지식, 교육요구도의 상관관계는 지식이 높

으면 교육요구도가 높았으며, 질환의 특성에 대한 지식이 높으면 질환의 특성, 위험요

Page 26: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16 -

인, 배우고 싶은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고, 증상에 대한 지식이 높으면 배우

고 싶은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다. 그리고 배성신(2007)이 직장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뇌졸중 지식 및 교육요구도 조사 연구에서는 대상자들이 가지고 있는 지식은

총점 27점 만점에 평균 17.52점으로 보통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으로는

뇌졸중 질환의 특성이 3.0±1.00점으로 나타나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흔히 나타나

는 뇌졸중 증상 6.01±2.53점, 뇌졸중의 위험요인 8.56±3.02점 순으로 나타났다.

뇌졸중 발생위험군을 대상으로 시도된 연구로 이민경(2011)의 연구에서 건강증진

행위 이행정도의 전체 평균점수는 69.25점으로 낮은 정도의 이행수준을 나타내었으며,

건강증진행위 영역 중 건강책임, 영양, 대인관계, 스트레스관리, 영적성장, 신체활동 순

으로 건강증진행위를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뇌졸중지식과 건강증진에 관해 조사한 선행연구들

에서 올바른 건강지식 습득과 바람직한 건강증진행위를 유도하여 뇌졸중 악화와 재발

을 방지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는데, 뇌졸중 발생위험군을 대상으로 뇌졸중 지식과 건

강증진행위를 확인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였다. 따라서 뇌졸중 발생위험군으로 하여금

뇌졸중의 질병을 이해하고 위험요인 및 생활습관을 바꾸어 건강증진행위를 이행하여,

뇌졸중을 예방함으로써 건강을 유지, 증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연구가 시도

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에서 뇌졸중발생 위험군의 뇌졸중 지식과 건강

증진행위 이행정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Page 27: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17 -

Ⅲ.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뇌졸중 발생위험군을 표적모집단으로 하고, 강원도 W시에 거주

하는 뇌졸중 발생위험군을 근접모집단으로 하여 W시에 소재한 Y 대학병원에서 고혈

압, 당뇨, 고지혈증, 심장질환을 진단받은 사람으로 선정한다.

표본수를 결정하기 위해 G*Power 3.1.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효과크기(f²)를 0.15

로, 유의수준(α)를 0.05, 검정력 0.80 하에서 회귀분석을 위해 산출된 표본수는 104명

이었으나 탈락률을 고려하여 115명을 선정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대상자의 선정 기준

은 다음과 같다.

1)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자

2) 질문내용을 이해하고 국문해독이 가능한 자

3) 54-84세 중 뇌졸중으로 진단받지 않은 자

4) 의무기록을 통해 2년 이내의 심전도 검사 결과 확인이 가능한 자

Page 28: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18 -

3. 연구도구

1)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발생위험도는 Framingham Heart Study (2013)에서 제시한 Stroke Risk

Profile을 사용하여 계산된 점수로 예측할 수 있는 뇌졸중 발생확률로 측정한다. 뇌졸

중 위험을 사정하는 Stroke Risk Profile은 나이, 수축기혈압, 흡연, 당뇨 및 심혈관계

질환 유무에 따라 점수를 주는 것으로 점수에 따라 10년 내 뇌졸중 예상 발병확률이

함께 제시된다(부록 2. 참조). 뇌졸중 발생위험도를 분석하기 위한 혈압 측정은 외래

를 방문한 환자는 10-15분 휴식을 취한 후 외래에 배치된 전자혈압계로 측정한 값을

사용하였으며, 병동에 입원한 환자는 오전 8시에 전자혈압계로 측정한 혈압을 사용하

였다. 당뇨 병력과 흡연여부는 대상자에게 물어서 확인하였으며, 심혈관 질환은 환자

가 알고 있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로 모두 전자의무기록(수진내역)으로 연구자가 직접

확인하였다. 심방세동과 좌심실 비대유무는 전자의무기록을 통해 대상자의 최근 2년

이내 심전도 결과를 연구자가 직접 확인하였다.

2) 뇌졸중 지식

뇌졸중 지식은 Yoon 등(2001)이 개발한 뇌졸중의 위험요인, 경고증상과 치료에

대한 지식을 묻는 15문항의 도구를 송희영(2008)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

며, 송희영(2008)에서의 Cronbach's ɑ값은 .80이었고, 본 연구에서의 Kuder–

Richardson Formula 20 (KR-20)의 값은 0.45였다. 본 연구에서의 뇌졸중 지식 측정

도구는 뇌졸중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묻는 다양한 내용의 질문들로 구성되어 있어

KR-20의 값이 낮게 나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Mcdowell, 2006; Wikipedia, 2013).

문항 점수는 정답은 1점, 오답과 모르겠다는 0점 처리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Page 29: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19 -

사용하였으며, 가능점수 범위는 0-10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뇌졸중 지식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뇌졸중 위험요인 인지는 대한뇌졸중학회(2011)과 미국뇌졸중학회(ASA, 2009)

에서 제시한 뇌졸중 위험요인의 목록을 제시한 후 뇌졸중 위험요인으로 알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3) 건강증진행위

건강증진행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Walker 등(1995)이 개발한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Ⅱ (HPLP-Ⅱ)도구의 문항을 윤순녕과 김정희(1999)가 한국어로 번역

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HPLP-Ⅱ는 6개의 하위개념으로 신체 활동 8문항, 건강책임 9

문항, 영적 성장 9문항, 영양 9문항, 대인관계 9문항, 스트레스관리 8문항의 총 52문항

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가끔 그렇다’ 2점, ‘자주 그렇

다’ 3점, ‘항상 그렇다’ 4점 Likert 척도로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의 수행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원 도구 개발당시 Cronbach's ɑ값은 .94이고, 윤순녕과 김정

희(1999)에서의 Cronbach's ɑ값은 .91이며,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ɑ값은 .92이었

다. 하부영역의 Cronbach's ɑ값은 신체활동 .91, 건강책임 .80, 영적성장 .78, 영양 .56,

대인관계 .70, 스트레스 .67로 나타났다.

Page 30: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20 -

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연구 대상자의 윤리적 보호를 위해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

학 연구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2012-2)을 받은 후 실시하

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4월 한 달 동안 이루어졌으며, 자료수집 장소는 강원도

에 소재한 Y대학병원으로 연구자가 간호국을 방문하여 연구 목적과 내용, 자료수집

등에 대한 사전 승인을 받은 후 해당 외래, 병동의 간호과장을 만나 연구 목적과 내

용, 자료수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연구자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장질환자가 방문 또는 입원

하는 외래와 병동을 방문하여 선정기준에 적합한 대상자를 확인한 후 본 연구의 목적

을 설명하고 서면으로 동의를 얻은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직접 면접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응답에 소요되는 시간은 15-25분 정도였으며, 115명의 대상자 중

에서 중도 철회, 응답이 누락되거나 중복 체크한 5명의 대상자가 탈락 되어 최종 110

명(96%)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논문을 계획할 때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가 뇌졸중 발생위험도에 미치는 영

향을 확인하고자 회귀분석에 필요한 대상자수를 선정하였으나 자료수집 후 분석결과,

뇌졸중 발생위험도와 이들 독립변수들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서 회귀분

석을 실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의 최종 분석에 사용된 대상자 110명은 상관관

계 분석의 효과크기(ρ) 0.3, 유의수준(α) 0.05, 검정력 0.80 하에서 상관분석을 위한 표

본 수 84명을 충족한다.

Page 31: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21 -

5.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는 수집된 자료를 IBM SPSS statistics 20.0 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의수준(α)을 0.05로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도구의 신뢰도는 KR-20과 Cronbach's alph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 대상자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는 평균과 표준

편차로 산출하였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수

행 정도의 차이는 two sample t-test와 one way ANOVA로 분석하였다.

4)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Page 32: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22 -

Ⅳ. 연 구 결 과

1.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일반적 특성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평균연

령은 65.05±6.99세이며, 54-64세가 55명(50%)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은 남자 46명

(41.8%), 여자 64명(58.2%)이며, 종교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74명(67.3%)이고, 종교가

없는 사람은 36명(32.7%)으로 나타났다. 결혼 상태에서 배우자의 유무에서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는 77명(70.0%)이고, 배우자가 없는 경우는 33명(30.0%)이며, 가족형태는 동

거인이 있는 경우는 81명(73.6%), 동거인이 없는 경우는 29명(26.4%)이었다. 또한 직

업이 있는 경우는 45명(40.9%), 직업이 없는 경우는 65명(55.5%)이며, 소득은 100만원

미만은 61명(55.5%), 100만원 이상은 49명(44.5%)이었다. 뇌졸중 발생 위험질병의 종

류는 고혈압 85명(77.3%), 당뇨병 47명(42.7%), 고지혈증 33명(30.0%), 심장질환 48명

(43.6%)으로 중복 응답을 포함하였다.

Page 33: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23 -

특성 구분 실수(백분율)평균±표준편차

(범위)

연령

54-64세

65-74세

75-84세

55(50.0)

40(36.4)

15(13.6)

65.05±6.99

(54-81)

성별남자

여자

46(41.8)

64(52.8)

종교유

74(67.3)

36(32.7)

결혼 상태배우자 유

배우자 무

77(70.0)

33(30.0)

가족 형태동거인 유

동거인 무

81(73.6)

29(26.4)

최종학력초졸 이하

중졸 이상

50(45.5)

60(54.5)

직업유

45(40.9)

65(59.1)

소득100만원 미만

100만원 이상

61(55.5)

49(44.5)

질병종류*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질환

85(77.3)

47(42.7)

33(30.0)

48(43.6)

<표 1>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일반적 특성

N=110

* 중복 응답 포함

Page 34: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24 -

2.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의 평균은 11.74±10.76%로 나타났다. 뇌졸

중 지식은 67.88±14.51점으로 나타났으며<표 2-1>, 뇌졸중 위험요인에 대한 인지정도

를 분석한 결과는 <표 2-2>와 같다. 뇌졸중 위험요인으로 고혈압(96.4%)을 가장 높

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가장 낮게 인지하고 있는 것은 심장질환(59.1%)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의 평량 평균은 2.27±0.44점이며, 하부영역별로는 신체활동 1.94±0.83

점, 건강책임 1.90±0.52점, 영적성장 2.26±0.65점, 영양 2.73±0.44점, 대인관계 2.46±0.52

점, 스트레스관리 2.28±0.56점으로 영양영역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2-3>.

<표 2-1>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와 뇌졸중 지식

N=110

변수(문항 수) 평균±표준편차(단위) 범위

뇌졸중 발생위험도 11.74±10.76(%) 1-52

뇌졸중 지식(15) 67.88±14.51(점) 13.33-100

Page 35: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25 -

위험요인 빈도(백분율)

고혈압 106(96.4)

비만 89(80.9)

고지혈증 88(80.0)

뇌졸중 가족력 87(79.1)

흡연 82(74.5)

음주 81(73.5)

순환문제 80(72.7)

고령 72(65.5)

당뇨병 68(61.8)

심장질환 65(59.1)

<표 2-2>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위험요인에 대한 인지

N=110

*중복 응답 포함

Page 36: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26 -

<표 2-3>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건강증진행위

N=110

변수(문항 수) 평균±표준편차 범위 평량평균±표준편차 범위

건강증진행위(52) 117.78±23.01 79-198 2.27±0.44 1-4

신체활동(8) 15.54±6.67 8-32 1.94±0.83 1-4

건강책임(9) 17.09±4.67 10-34 1.90±0.52 1-4

영적성장(9) 20.34±5.82 9-34 2.26±0.65 1-4

영양(9) 24.53±3.95 15-35 2.73±0.44 1-4

대인관계(9) 22.11±4.65 13-36 2.46±0.52 1-4

스트레스(8) 18.26±4.48 10-32 2.28±0.56 1-4

Page 37: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27 -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

위험도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를 분석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성별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도는 남자는 14.98±11.33%, 여자는

9.41±9.77%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뇌졸중 발생위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t=2.76, p=.007). 종교의 유무, 배우자의 유무, 동거인의 유무, 학력, 직업유무, 소득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age 38: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28 -

특성 구분 평균±표준편차 t p

성별남자

여자

14.98±11.33

9.41±9.772.76 .007

종교유

12.19±11.61

10.81±8.83-.63 .529

결혼 상태배우자 유

배우자 무

11.45±10.52

12.39±11.45.42 .677

가족 형태동거인 유

동거인 무

11.41±10.67

12.66±11.16.53 .594

최종학력초졸 이하

중졸 이상

11.84±10.83

11.65±10.80.09 .927

직업유

11.31±11.27

12.03±10.47.34 .732

소득100만원 미만

100만원 이상

12.26±11.11

11.08±10.39.57 .570

<표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N=110

Page 39: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29 -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지식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지식을 분석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연령이 낮을수록, 여자에 비해 남자가 뇌졸중 지식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에 따른 차이는 초졸 이하는 64.93±15.23점,

중졸 이상은 70.33±13.53점으로 학력이 높을수록 뇌졸중 지식이 유의하게 높았고

(t=-1.97, p=.052), 소득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100만원 미만은

64.48±14.84점, 100만원 이상은 72.11±13.03점으로 소득이 높을수록 뇌졸중 지식이 유

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83, p=.006).

Page 40: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30 -

특성 구분 평균±표준편차 t/F p

연령

54-64세

65-74세

75-84세

71.03±14.92

65.00±10.54

64.00±19.81

2.70 .072

성별남자

여자

70.87±13.29

65.73±15.071.85 .672

종교유

67.12±15.10

69.44±13.27.79 .432

결혼 상태배우자 유

배우자 무

67.36±14.89

69.09±13.73.57 .567

가족 형태동거인 유

동거인 무

68.64±14.43

65.75±14.77-.92 .359

최종학력초졸 이하

중졸 이상

64.93±15.23

70.33±13.53-1.97 .052

직업유

68.30±14.51

67.59±14.62-.25 .803

소득100만원 미만

100만원 이상

64.48±14.84

72.11±13.03-2.83 .006

<표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지식

N=110

Page 41: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31 -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건강증진행위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건강증진행위를 분석한 결과는 <표 5-1>과

같다. 남자 2.15점±0.41점에 비해 여자 2.34±0.46점으로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가 유의

하게 높게 나타났다(t=-2.36, p=.020). 또한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수

행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건강증진행위의 하부영역(신체활동, 건강

책임, 영적성장, 영양, 대인관계, 스트레스)을 분석한 결과는 <표 5-2, 5-3>과 같다.

신체활동 영역에서는 직업이 없는 사람(2.10±0.85점)이 직업이 있는 사람(1.72±0.66점)

에 비해 신체활동을 유의하게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2.41, p=.018). 건강책

임 영역에서는 종교가 없는 사람(1.74±0.45점)보다 종교가 있는 사람 (1.97±0.54점)이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으며(t=-2.23, p=.028), 소득이 높을수록 건강책임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15, p=.034).

영적성장 영역에서는 남자(2.11±0.60점)에 비해 여자(2.37±0.66점)가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으며(t=-2.11, p=.037), 영양 영역에서는 각 항목에 따라 통계적

으로 유의한 결과가 없었다. 그리고 대인관계 영역에서는 남자(2.30±0.39점)에 비해 여

자(2.57±0.52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t=-2.83, p=.005), 스트레스 영역에서 직업

이 있는 사람(2.17±0.48점)보다 직업이 없는 사람(2.38±0.60점)이 더 유의하게 건강증

진행위를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2.15, p=.034).

Page 42: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32 -

특성 구분 평균±표준편차 t/F p

연령

54-64세

65-74세

75-84세

2.30±0.46

2.26±0.42

2.15±0.45

.68 .509

성별남자

여자

2.15±0.41

2.35±0.45-2.36 .020

종교유

2.31±0.47

2.18±0.37-1.49 .138

결혼 상태배우자 유

배우자 무

2.27±0.44

2.26±0.46-.07 .944

가족 형태동거인 유

동거인 무

2.26±0.43

2.27±0.48.10 .923

최종학력초졸 이하

중졸 이상

2.18±0.42

2.32±0.46-1.41 .160

직업유

2.20±0.39

2.20±0.411.20 .232

소득100만원 미만

100만원 이상

2.22±0.41

2.33±0.48-1.31 .193

<표 5-1>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건강증진행위

N=110

Page 43: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33 -

특성 구분신체활동

(M±SD)t/F p

건강책임

(M±SD)t/F p

영적성장

(M±SD)t/F p

연령

54-64세

65-74세

75-84세

1.93±0.80

2.02±0.92

1.79±0.71

.42 .660

1.96±0.56

1.86±0.49

1.76±0.41

1.05 .354

2.34±0.65

2.24±0.62

2.03±0.69

1.35 .263

성별남자

여자

1.84±0.77

2.01±0.88-1.06 .290

1.80±0.51

1.97±0.52-1.63 .105

2.11±0.60

2.37±0.66-2.11 .037

종교유

1.98±0.85

1.87±0.80-.65 .519

1.97±0.54

1.74±0.44-2.23 .028

2.32±0.67

2.14±0.60-1.37 .173

결혼 상태배우자 유

배우자 무

1.92±0.82

2.00±0.87.45 .658

1.86±0.49

1.97±0.57.98 .329

2.32±0.65

2.14±0.64-1.22 .224

가족 형태동거인 유

동거인 무

1.96±0.84

1.90±0.81-.34 .734

1.86±0.48

2.01±0.601.32 .190

2.27±0.65

2.22±0.64-.40 .691

최종학력초졸 이하

중졸 이상

1.87±0.81

2.01±0.85-88 .379

1.88±0.48

1.92±0.55-.39 .697

2.17±0.63

2.33±0.65-1.28 .203

직업유

1.72±0.66

2.10±0.912.41 .018

1.90±0.54

1.90±0.51-.08 .937

2.24±0.68

2.31±0.61-.43 .670

소득100만원 미만

100만원 이상

1.89±0.80

2.01±0.88-.71 .480

1.81±0.47

2.02±0.56-2.15 .034

2.20±0.63

2.34±0.66-1.14 .257

<표 5-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건강증진행위(신체활동, 건강책임, 영적성장)

N=110

Page 44: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34 -

특성 구분영양

(M±SD)t/F p

대인관계

(M±SD)t/F p

스트레스

(M±SD)t/F p

연령

54-64세

65-74세

75-84세

2.77±0.44

2.67±0.42

2.71±0.47

.67 .514

2.44±0.53

2.48±0.51

2.45±0.51

.04 .960

2.31±0.57

2.29±0.51

2.15±0.68

.50 .611

성별남자

여자

2.64±0.39

2.79±0.46-1.74 .084

2.30±0.39

2.57±0.52-2.83 .005

2.20±0.46

2.35±0.59-1.39 .167

종교유

2.74±0.45

2.70±0.41-.36 .721

2.52±0.50

2.33±0.52-1.85 .066

2.30±0.60

2.26±0.47-.34 .736

결혼 상태배우자 유

배우자 무

2.75±0.45

2.67±0.54-.86 .390

2.45±0.50

2.47±0.56.20 .845

2.28±0.52

2.28±0.65.14 .989

가족 형태동거인 유

동거인 무

2.73±0.41

2.70±0.51-.23 .815

2.45±0.50

2.47±0.56.18 .859

2.28±0.52

2.29±0.67.11 .910

최종학력초졸 이하

중졸 이상

2.65±0.37

2.79±0.48-1.68 .096

2.43±0.53

2.48±0.51-.47 .639

2.17±0.52

2.38±0.58-1.91 .059

직업유

2.71±0.40

2.74±0.48.43 .670

2.44±0.49

2.48±0.56.46 .651

2.17±0.48

2.38±0.602.15 .034

소득100만원 미만

100만원 이상

2.66±0.40

2.81±0.48-1.73 .087

2.45±0.50

2.46±0.54-.11 .913

2.27±0.57

2.30±0.56-.26 .796

<표 5-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건강증진행위(영양, 대인관계, 스트레스)

N=110

Page 45: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35 -

구분 뇌졸중지식 건강증진행위

발생위험도 -.039 -.048

뇌졸중 지식 .326**

6.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의 상관관계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간의 상관관계는 <표 6>과 같다.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는 상관관계(r=.326, 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6>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의 상관관계

N=110

**p <.01

Page 46: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36 -

Ⅴ. 논 의

본 연구는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 건강증진행위 이

행정도를 파악하여 뇌졸중 발생위험을 줄이기 위한 예방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뇌졸중 위험발생확률을 사정하기 위해 사용된 Framingham 위험점수

는 뇌졸중 주요 위험요인의 심각도 및 유무에 따라 점수를 매겨 각 위험점수의 총합

으로 뇌졸중의 위험도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이 Framingham 위험점수는 뇌졸중뿐만

아니라 관상동맥질환과 일과성 허혈성 발작 등의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위험도를 산

출할 수 있도록 분화되어 있고(Framingham Heart Study, 2013), 이 방법은 즉각적으

로 중재해야 할 위험군을 감별해내고, 환자에게 위험을 감소시키려는 치료에 대해 동

기를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Choi et al., 2001).

본 연구대상자의 10년 내 뇌졸중 발생위험도, 즉 위험확률이 11.74%로 나타났는데,

고혈압 전 여성을 대상으로 한 송희영(2008)의 연구에서는 뇌졸중 위험점수가 4.48점

으로 대상자의 72%가 위험점수, 5점 이하로 10년 내 뇌졸중 예상 발생률이 2% 미만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는 54-81세의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

장질환자인데 반해 송희영(2008)의 연구는 20세 이상의 고혈압 전 단계의 여성으로

대상자 모두 비흡연자였고, 심장질환이 없으므로 Framingham 발생위험 확률이 본 연

구보다 낮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개인병원과 3차 병원을 방문하는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Framingham 위험점수의

뇌졸중 발생확률을 비교한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평균 연령이 68.1세로 두 집단의 뇌졸

중 발생확률은 21%이며 개인병원 환자의 경우 16%, 3차 병원 환자의 경우 24%로 3차

병원 고혈압 환자가 뇌졸중 발생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Choi & Park,

2010), 이는 본 연구대상자의 평균연령이 65.05세임을 감안하더라도 마찬가지로 3차 병

원에서 자료 수집을 실시한 본 연구대상보다 두 집단 모두 발생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Page 47: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37 -

그리고 Choi와 Park(2010)의 연구에서 뇌졸중 발생확률이 남자 21%, 여자 19.5%

로 여자보다 남자가 높게 나타나서 성별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도에서 남성이 여성

보다 높은 것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이는 같은 대상자나

도구는 아니지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혈압, 콜레스테롤, 혈당, 비만도를 이용하여

위험지표를 조사한 이혜련(2010)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위험지표가 더 높게 나타난 결

과와도 일치한다. 반면에 전국 37개 종합병원의 심장내과를 방문하는 1,402명의 고혈

압환자를 대상으로 뇌졸중의 발생확률을 조사한 연구(Choi & Park, 2009)에서는 여자

(24.17%), 남자(24.39%)로 남녀의 뇌졸중 발생확률은 큰 차이가 없었고, 본 연구의 남

자(14.98%), 여자(9.41%)보다 높은 뇌졸중 발생확률을 보였는데, 뇌졸중 발생에 가장

중요한 고혈압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한다.

뇌졸중 지식은 위험요인 및 경고증상에 대한 뇌졸중의 예방과 조기 치료의 필수적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뇌졸중 지식은 위험요인과 경고증상으로 측정하였으며,

뇌졸중 정의 및 경고증상의 점수는 100점 만점에 67.88점이었고, 뇌졸중 위험요인에

대한 인지의 비율은 고혈압(96.4%)이 높은 반면 당뇨병(61.8%)과 심장질환(59.1%)은

고혈압에 비해 현저히 낮은 인지를 나타내고 있었다.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뇌졸중 지식을 측정한 송희영(2008)의 연구는 지식점수의

범위가 15-45점으로 평균 29.15점이었으며, 100점으로 환산 하였을 때 64.78점으로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뇌졸중 지식 점수가 송희영(2008)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송희영 등(2012)의 도시 중년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

구에서는 뇌졸중 지식이 15점 만점에 평균 9.34점이며, 100점으로 환산 하였을 때

62.26점으로 본 연구보다 뇌졸중 지식의 점수가 낮게 측정되었다. 그리고 고혈압, 스

트레스 및 운동 부족은 78% 이상이 위험요인이라고 응답한 반면 협심증 및 심방세동

을 위험요인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47% 미만으로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송희영 등, 2012). 본 연구와 송희영 등(2012)의 대상자 모두 당뇨와 심장질

환이 뇌졸중의 조절 가능한 위험요인이라는 것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비율이 높다는

것은 뇌졸중 예방을 위한 위험요인 조절측면에서 정확한 인식도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일치하므로 뇌졸중 교육에서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Page 48: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38 -

지식 측정도구가 같지는 않지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혜련(2010)의 연구

에서는 뇌졸중 건강지식이 25점 만점에 평균 17.08점으로 100점으로 환산하였을 때

68.32점이었고, 이은정(2011)은 33점 만점에 평균 21.41점으로 100점 환산하였을 때

64.88점으로 측정되었다. 이혜련(2010)의 평균 연령이 53.75세이고, 이민경(2011)의

평균 연령이 61.68세인 것을 감안하면, 본 연구의 평균 연령 65.05세, 뇌졸중 지식

점수 67.88인 것과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 대상자가 연령에 비해 뇌졸중관련 지식을

더 많이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혜련(2010)과 이은정(2011)은 뇌졸중 환

자를 대상으로 지식을 묻는 것이어서 뇌졸중 관리방법에 대한 문항이 포함되어 있

고, 이에 대한 지식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전체적인 지식 점수가 낮게 나온 것으로

해석된다.

그 외 노인을 대상으로 뇌졸중 지식을 조사한 장미경(2004)의 연구에서 뇌졸중 지

식은 25점 만점 중 평균 18.30점이며, 100점으로 환산하였을 때 73.2점으로 본 연구보

다 높았고, 직장인을 대상으로 뇌졸중 지식을 조사한 배성신(2007)의 연구에서는 27점

만점의 뇌졸중 지식 평균이 17.58점으로 100점 환산점수는 65.11점으로 본 연구의 평

균 67.88점보다 낮게 나타나서 배성신(2007)의 지식점수가 평균 연령 41.45세에 비해

다소 낮게 측정되어 30-40대 젊은 층에 대한 뇌졸중 정보 및 지식이 낮으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예방적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뇌졸중은 발생위험 요인인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질환 등의 관리 및 규칙

적인 운동, 올바른 식이, 금연, 금주를 통해 예방이 가능한데, 본 연구에 포함된 고혈

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질환의 질병을 가지고 있는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건강증진

행위의 이행정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27점으로 100만 만점을 환산 하였을 때 56.5점

으로 낮은 이행수준을 보였다. 이는 Walker 등(1995)이 개발한 HPLP-Ⅱ 도구를 사용

한 연구들 중 뇌졸중 발생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이민경(2010)의 연구에서 건강증진행

위 이행정도가 4점 만점의 평균 2.77점으로 100만점으로 환산하였을 때 69.25점으로

본 연구의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본 연구에서 대상자

의 연령에 따라 건강증진행위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연령이 올라갈수록

건강증진행위 이행점수 평균이 낮아진 본 연구결과를 감안할 때, 본 연구의 연령이

Page 49: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39 -

65.05세인 반면 이민경(2010)의 평균 연령은 60.77세로 상대적으로 젊기 때문에 건강

증진행위 이행이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조심스럽게 해석해 본다.

본 연구 대상자의 뇌졸중 지식은 최종학력과 소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였는데, 이는 교육수준과 월 소득에 따라 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인 박해숙(2012),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이은정(2011), 그리고 월 평균

수입에 따라 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인 배성신(2007)의 결과와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임상현장에서 학력과 소득이 낮은 대상자에게 뇌졸중 관련지식을 더욱

강조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민경(2010)의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연구에서는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가 남자보다 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에서 뇌졸중

발생위험도와 건강증진행위 간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건강증

진행위 이행정도가 남자보다 더 높은 여자의 뇌졸중 발생위험확률이 남자보다 유의하

게 낮게 나타난 결과를 볼 때 건강증진행위를 더 적극적으로 실천할수록 뇌졸중 발생

위험도는 더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건강증진행위 하부 영역 중 이민경(2010)의 연구에서는 건강

책임, 영양, 대인관계, 스트레스 관리, 영적성장, 신체활동 순으로 이행정도를 보인 반

면 본 연구에서는 영양, 대인관계, 스트레스 관리, 영적성장, 신체활동, 건강책임 순으

로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고 있었으며 영양영역이 높은 수준의 이행정도를 보였고,

건강책임영역의 이행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HPLP 도구와 박혜경(2003)의 도구

를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건강증진행위를 조사한 이혜련(2010)

의 연구에서는 4점 만점의 평균이 3.08점으로 비교적 건강증진행위 이행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각 영역별 이행정도는 건강책임, 생활습관, 대인관계 및 스트레스, 치료이

행도, 자아실현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혜련(2010)과 같은 도구를 사용한 이은정

(2011)의 연구에서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 평균은 2.82점이며, 자아실현, 건강책임, 스

트레스, 대인관계, 치료이행도, 생활습관 순이었다. 또한 이명신(2004)에서는 건강증진

행위 이행의 평균이 2.71점이고 금연, 식습관, 건강관리, 스트레스 관리, 운동 순으로

Page 50: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40 -

나타났으며, 박선일(2006)에서는 건강증진행위 이행의 평균이 2.37점으로 나타났다. 이

들 연구들은 모두 뇌졸중을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질병에 대한 심각

성을 인식하여 행위실천의 동기가 더 부여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보다 상대적으로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가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되며, 하부 영역별 이행정도는

연구마다 각각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뇌졸중 발생위험도와 뇌졸중 지식 및 건강증진행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뇌졸중 발생위험도와 뇌졸중 지식, 뇌졸중 발생위험도와 건강증진행위 간에는 아주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

진행위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송희영(2008)에서

뇌졸중 위험과 뇌졸중 지식 간의 상관관계가 음의 상관관계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

지 않았고, 송희영 등(2012)에서 뇌졸중 생활습관 위험요인의 수와 뇌졸중 지식이 음

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와 일치한다. 그리고 이혜

련(2010)에서도 뇌졸중 위험지표와 건강증진행위, 뇌졸중 위험지표와 뇌졸중 지식의

상관관계가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도 일치한다. 이는 뇌졸중 지식이 높은 사람이 뇌

졸중 발생위험이 낮을 수도 있지만 반대로 뇌졸중 발생위험이 높은 사람이 본인의 건

강상태에 더욱 민감하여 관련 지식을 더 많이 습득하고 있을 수도 있으므로 일관된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뇌졸중 발생위험이 높

은 사람이 본인의 건강상태를 개선하기 위해서 건강증진행위를 더 실천할 수도 있지

만 건강증진행위를 평소에 실천하지 않음으로 인해 뇌졸중 발생위험이 더 높을 수도

있어서 일관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혜련(2010)에서 뇌졸중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 이행의 상관관계가 유의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은정(2011)에서도 뇌졸중 지식의 하위영역과 건강증진

행위 하위영역 중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영역이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뇌졸중 지

식과 건강증진행위 이행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이행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뇌졸중 지식이 높을수

록 건강증진행위 실천이 더욱 향상될 수 있음을 제시한 본 연구결과와는 상충됨을 보

였으므로 이에 대해 추후 연구를 통해 좀 더 규명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Page 51: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41 -

본 연구의 결과는 일 대학병원에서 뇌졸중 발생위험군에 해당하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장질환자를 선정하였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주의가 필요하

다. 다양한 지식이나 기술을 측정하고 있을 때 KR-20값이 낮을 수 있다고 설명하고

(Gigawiz, 2013) 있지만, 본 연구에 앞서 뇌졸중 발생위험군을 대상으로 뇌졸중 지식

을 측정하는 도구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도구의 신뢰도를 미리 검증하지 못하

였다는 제한점을 지닌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갖는 간호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이행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므로 뇌졸

중 발생위험 집단을 대상으로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한 전략으로 뇌졸중 지식을 적극

적으로 잘 교육하면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뇌졸중 발생의 조절 가능한 위험요인을 조절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뇌졸중 발생

위험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여자보다 남자가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가 낮고 뇌졸중 발생위험도가 높았

으므로 실무에서 특히 남자 환자의 뇌졸중 예방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학

력과 소득이 낮은 사람의 뇌졸중 지식이 상대적으로 더 낮았으므로 이들에게 뇌졸중

에 대한 정보를 더욱 강조하여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추후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예방을 위한 중

재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Page 52: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42 -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본 연구는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를 파악하여 뇌졸중 발생위험을 줄이기 위한 예방적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W시에 소재한 Y 대학병원의 뇌졸중 발생위험군인 고혈압, 당뇨

병, 고지혈증, 심장질환을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

사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뇌졸중 발생위험도는 Framingham Heart Study

(2013)의 Stroke Risk Profile에서 제시하는 나이, 수축기 혈압, 흡연, 당뇨 및 심혈관

계 질환 유무에 따라 계산되는 점수에 의한 10년 내 뇌졸중 발생확률로 측정하였다.

뇌졸중 지식은 Yoon 등(2001)이 개발한 뇌졸중 위험요인, 경고증상과 치료에 대한 지

식을 묻는 15문항을 송희영(2008)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뇌졸중 지식이 높음을 의미하며, 뇌졸중 위험요인은 대한뇌졸중학회(2011)와 미국뇌졸

중학회(ASA, 2009)에서 제시한 10개 항목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건강증진행위는

Walker 등(1995)이 개발한 HPLP-Ⅱ를 윤순녕과 김정희(1999)가 한국어로 번역한 도

구 52문항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자료 수집은 2013년 4월 한 달간 연구자와 대상자의 일대일 면접 방식으로 실시하

였으며 총 115명의 자료 중 110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0.0 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변수의 실수와 백분율, 평

균과 표준편차, two sample t-test와 one way ANOVA, 그리고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age 53: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43 -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뇌졸중 발생위험도의 평균은 11.74±10.76%이고, 뇌졸중 지식의 평균 67.88±14.51점

이며, 뇌졸중 위험요인에 대한 인지는 고혈압(96.4%)을 가장 높게, 심장질환

(59.1%)을 가장 낮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은 2.27±0.44

점이었으며, 건강증진행위의 하부영역은 영양 영역이 2.73±3.95점으로 이행정도가

가장 높았고, 건강책임 영역이 1.90±0.52점으로 이행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

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발생위험도는 성별(t=2.76, p=.007)에 따라 유

의한 차이를 보였고, 뇌졸중 지식은 최종학력(t=-1.97, p=.052))과 소득(t=-2.83,

p=.006)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성별(t=-2.36, p=.020)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건강증진행위 하부영역 중 신체활동은 직업유무(t=2.41, p=.018)에

따라, 건강책임은 종교유무(t=-2.23, p=.028)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영적

성장과 대인관계는 성별(t=-2.11, p=.037 / t=-2.83, p=.005)에 따라, 스트레스 관리

는 직업유무(t=2.15, p=.034)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뇌졸중 발생위험도와 뇌졸중 지식 및 건강증진행위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으

며,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326, 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54: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44 -

2. 제언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의 뇌졸중 발생위험군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이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세팅에서 폭넓게 반복연구를 시도할 것을 제안

한다.

2) 뇌졸중 지식과 뇌졸중 위험요인의 인지를 높이기 위해 뇌졸중 예방교육 프로그램

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할 것을 제안한다.

3)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므로 뇌졸중 위험요인 중 조절

가능한 위험요인을 줄임으로써 뇌졸중을 예방할 수 있도록 뇌졸중 발생위험군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

과를 검증할 것을 제안한다.

Page 55: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45 -

Ⅶ. 참고문헌

강삼석, 강준기, 고영초, 고용, 권성오, 권양 외 (2005). 신경외과학. 서울: 중앙문화사.

고명환, 신용일, 이삼규 (2008). 알기쉬운 뇌졸중 재활. 광주: 전남대학교 출판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0). 뇌졸중 평가결과. Retrieved Feb, 2013, from

http://www.hira.or.kr/

국민건강보험공단 (2013). 뇌졸중 1인당 진료비. http://www.nhic.or.kr/

국민건강영양조사 (2011). 2011 국민건강통계. Retrieved Feb, 2013, from

http://www.knhnes.cdc.go.kr/

김노영 (2008). 노인 만성질환 영향요인 조사연구. 원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익산.

김미경 (2003). 재가 뇌졸중 환자의 발병 전 후 건강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김종성, 최스미 (1998). 뇌졸중의 모든 것. 서울: 도서출판 정담.

노재규 (1990).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최신치료. 대한의학협회지, 32(10), 1288-1293.

대한뇌졸중학회 (2005). 뇌졸중초기 치료의 중요성, 뇌졸중의 치료방법. Retrieved

Feb, 2013, from http://www.stroke.or.kr/

대한뇌졸중학회 (2011). 뇌졸중 이야기(정의, 원인). Retrieved Feb, 2013, from

http://www.stroke.or.kr/

대한신경과학회 (2007).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안내문(뇌졸중). Retrieved Feb, 2013,

from http://www.neuro.or.kr/

박범식, 이종문, 고성범, 김병조, 박민규, 박건우 등 (2002). 안산 시민의 뇌졸중에

관한 인식도. 대한신경과학회지, 20(4), 339-345.

박선일 (2004).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자기효능감 및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광주.

박영임 (1994). 본태성 고혈압환자의 자가간호증진을 위한 자기조절프로그램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Page 56: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46 -

박용희, 안옥희, 정연강 (1998). 초등학교 교사의 건강지식과 건강행위에 관한 조사

연구. 중앙간호논문집, 2(1), 27-49

박주성 (1994). 교육이 고혈압 환자의 건강신념 및 생활양식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박철완 (2003). 뇌졸중(중풍)의 예방과 치료. 가천의과대학교 길병원 신경외과.

박춘자 (1995). 만성요동 환자의 대처 유형과 요통 지식 및 자기 효능감에 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7(1), 106-117.

박해숙 (2012). 뇌졸중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약물복용이행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박혜경 (2003). 뇌졸중 이차예방프로그램이 재가뇌졸중환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건

강위험지표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배성신 (2007). 직장인의 뇌졸중에 대한 지식 및 교육 요구도 조사. 가천의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인천.

변순영, 장희정 (1992). 건강증진개념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2(3),

362-372.

보건복지가족부 (2008). 주요 만성질환관리사업 안내. Retrieved Feb, 2013, from

http://www.mw.go.kr/

송희영 (2008). 고혈압 전 단계 성인여성의 뇌졸중 위험과 뇌졸중 지식. 기초간호자연

과학회지, 10(2), 121-130.

송희영, 허혜경, 박소미 (2012). 도시 중년 성인이 인지하는 뇌졸중 생활습관 위험요인

과 뇌졸중 인식. Korean J Health P romot, 12(1), 47-57.

옥지원 (2007).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자가간호 이행 및 위험지표

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윤순녕, 김정희 (1999). 제조업 여성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 분석. 한국산업

간호학회지, 8(2), 130-140.

이명신 (2004). 뇌졸중환자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부산.

Page 57: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47 -

이민경 (2010).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건강증진행위와 발작예상대처활동.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주.

이상복, 김명호, 김상욱, 김영, 최일생, 경난호, 김진수, 유동준 (1997). 뇌졸중(중풍)

百科. 서음출판사.

이은정 (2011). 일과성 허혈발작(TIA) 환자의 뇌졸중지식과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진주.

이혜련 (2010). 일 대학병원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 건강지식,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

위험지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인천.

장미경 (2004). 노인의 뇌졸중 지식 및 교육요구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최진영 (1999). 충주 지역에서의 첫 뇌경색증 발병 후의 생존과 재발에 관한 연구.

대한뇌졸중학회지, 1(2), 208-219.

통계청 (2012). 2011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Retrieved Feb, 2013, from

http//www.kostat.go.kr/

허경철 조덕주, 소경희 (2001). 지식 생성 교육을 위한 지식의 성격 분석. 교육과정

연구, 19(1), 231-250.

Abbott, R. D., Rodriguez, B. L., Burchfiel, C. M., & Curb, J. D. (1994).

Physical activity in older middle-aged men and redued risk of stroke:

The Honolulu Heart Progrc.,mam.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39,

881-893.

American Heart Assosiation (2007).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

Americam Heart Association, Dallas.

American Stroke Association (2009). Stroke Warning signs. Retrieved Feb, 2013,

from http://www.strokeassociation.org.

Chiuve, S. E., Rexrode, K. M., Spiegelman, D., Logroscine, G., Manson, J. E.,

& Rimm, E. B. (2008). Primary prevention of stroke by healthy lifestyle.

Circulation, 118, 1-8

Page 58: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48 -

Choi, Y. H., Yang, J. H., Choi, H. J., Lee, K. H., Cho, B., & Huh, B. Y. (2001).

Assessment of risk factors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a university

hospital using the Framingham risk score. J Korean Acad Fam Med, 22,

324-335.

Choi, C. U., & Park, C. G. (2009). Estimating the probability of stroke in korean

hypertensive patients visiting tertiary hospitals using a risk profile from

the framingham study. BMC Neurology, 9(16), 1-8.

Choi, C. U., & Park, C. G. (2010). Comparing the probability of stroke by the

Framingham risk score in hypertension Korean patients visiting private

clinics and tertiary hospitals. BMC Neurology, 10(78), 1-7.

Clark, M. S., & Smith D. S. (1998). Factors contributing to patients satisfaction

with rehabilitation following stroke. International Jorunal of Rehabilitation.

21, 143-154.

Ezzati, M., Hoorn, S. V,. Rodgers, A., Lopez, A. D., Mathers, C. D., & Murray,

C. J. (2003). Estimates of global and regional potential health gains

from reducing multiple major risk factors. Lancet. 362(9380), 271-280.

Framingham Heart Study. (2013). Stroke risk score profile. Retrieved Feb & June,

2013, from http://www.framinghamheartstudy.org/risk/stroke.html

Gigawiz (2013).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Retrieved May 29, 2013, from

http://www.gigawiz.com/reliability.html

Giles, W. H., Croft, J. B., Greenlund, K. J., Ford, E. S., & Kittner, S. J (1998).

Total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the likehood of nonfatal stroke: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troke, 29(12), 2473-2477.

Goldstein, L. B., Adams, R., Albert, M. J., Apple, L. J., Brass, L. M., Bushnell, C.

D., et al. (2006). Primary prevention of ischemic stroke. Stroke, 37,

1583-1633.

Page 59: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49 -

Goldstein, L. B., Adams, R., Becker, K., Furberg, C. D., Gorelick, P. B.,

Hademenos, G., et al. (2001). Primary prevention of ischmic stroke:

Astate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Stoke Counci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03(1), 163-182.

Greenland, K. J., Croft, J. B., & Mensah, G. A. (2004). Prevalence of heart

disease and stroke risk factors in persons with prehypertension in the

United States, (1999-2000). Arcb Intern Med, 164, 2113-2118.

Hardie, K., Hankey, G. J., Jamrozik, K., Broadhurst, R. J., & Anderson, C. (2004).

Ten-Year Risk of First Recurrent Stroke and Disability After First-Ever

Stroke in the Perth Community Stroke Study. Stroke, 35(3), 731-735.

Iso H., Jacobs, D. R., Wetworth, D., Neaton, J. D., & Cohen J. D. (1989). Serum

cholesterol levels and six year mortality from stroke. in 350, 977 men

screened for the multiple risk factor intervention trial. N . Eng. J . Med.,

320, 904-910.

Kuder–Richardson Formula 20 From Wikipedia. (2013). the free encyclopedia.

Law, M. R., Frost, C. D., & Wald, N. J. (1991). Analysis of data from trials of

salt reduction. British Medical Journal, 302, 811-824.

Lee S. H., Kim, W., & Lim, K. S. (2005). Factors associated with early

presentataion and rapid imaging evaluation of acute stroke. J Korean

Emergency Med, 16, 363-370.

Maggs, C., & Abedi, H. A. (1997). Indentifyng the health needs of elderly people

using the Classification Shern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6, 698-703.

McDowell, I. (2006).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

-es (3rded). NewYork: Oxford University Press.

Morgan LJ, Chambers R, Banerji J, Gater J, & Jordan J. (2005). Consumers

leading public consultation: the general public's knowledge of stroke. Fam

P ract, 22, 8-14.

Page 60: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50 -

Nagata. C., Takatsuka. N., Shimizu. N., & Shimizu. H. (2004). Sodium intake and risk

of death form stroke in Japanese men and women. Stroke, 35, 1543-1547.

Nagata, K., Sasaki, E., Goda, K., Yamamoto, N., Sugino, M., Hanafusa, T.,

et al. (2003). Cerebrovascular disease in type diabetic patients without

hyprtension. Stroke, 34(12), 689-694.

National Stroke Association (2010). Stroke Risk Scorecard. Retrieved Feb, 2013,

from http://www.stroke.org.

Pearson, T. A., Blair, S. N., Daniel, S. R., Eckel, R. H., Fair, J. M., & Fortmann,

S. (2002). AHA Guidlines for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Stroke: Consensus Panel Guide to Comprehensive Risk

Reduction for Adult patients Without Coronary or Other Atherosclerotic

Vascular Disease. American Heart Association Science Advisory and

Coordinating Committee. Circulation, 106(3), 388-391.

Pender, N. J. (1987). Health promoting in nursing practice(2rd ed.).

Applet on & Lange Stamford, Connetocut.

Pender, N. J. (1996). Health promoting in nursing practice(3rd ed.).

Applet on & Lange Stamford, Connetocut.

Plutzky, J., & Ridker, P. M. (2001). Statin for Stroke: the second story,

Circulation, 103, 348-350.

Reeves, M. J., Rafferty, A. P., Aranha, A. R., & Theisen. V. (2008). Changes in

kowledge of stroke risk factors and warning sign among Michigan adults,

Cerebrovasc DIS, 25, 385-395.

Rosemberg, C. H., & Popelka, G. M. (2000). Post-stroke Rehabilitation: A review

of the Guidelines for management. Geriatrics, 55(9), 75-81.

Sacco, R. L., Shi T., Zamanillo, M, C., & Kargman, D. E. (1994). Predictors of

mortality and recurrence after hospitalized cerebral infarction in an urban

community: The Northern Manhattan stroke study. Neurology, 44, 626-634.

Page 61: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51 -

Thom, T., Haase, N., Rosamond, W., Howard, V. J., Rumsfeld, J., Manolio, T.,

et al. (2006). ; American Heart Association statistics Committee and

Stroke Statistics Subcommittee.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Statistics Committee and Stroke Statistics Subcommittee. Circulation,

113(6), 85-151.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 Promoting Life

Style Profile : Develope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2), 76-81.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95). The Health P romoting

Lofesyle P rofile Ⅱ. College of Nursing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Omaha.

Wang, Y., & Wang, Q. J. (2004). The prevalence of prehypertension and

hypertension among US adults according to the new JNC guideline:

New challenges of the old problem. Arcb Intern Med, 164, 2126-2134.

Weltermann BM, Homann, Rogalewski A, Brach S, Voss S, & Ringelstein EB.

(2003). Stroke knowledge among stroke support group members. Strok,

31(6), 1230-1233.

Wolf, P. A, Agostino, R. B. D, Belanger, A. J, & Kannel, W. B. (1991). Probability

of stroke: a risk profile from the Framingham Study. Stroke, 22, 312-31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 WHO steps stroke Manual.

Yoon, S. S., Heller, R. F., Levi, C., Wiggers, J., & Fitzgerald, P. E. (2001).

Knowledge of stroke fisk factors, warning symptoms, and treatment among

an Australian urban population. Stroke, 32, 1926-1930.

Page 62: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52 -

안녕하십니까?

저는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일반대학원에서 간호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입

니다.

본 설문지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장질환을 진단 받으신 환자분의 뇌졸중

위험, 뇌졸중 관련 지식, 건강증진행위 이행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토대로 앞으로 뇌졸중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

고자 합니다. 여러분께서 답하여 주신 모든 내용은 중요한 자료가 되며, 무기명으

로 처리됩니다. 또한 순수하게 연구목적으로만 사용하게 되며 절대 비밀이 보장됩

니다.

연구는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지며,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언제라도 자유롭게

철회를 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본 연구와 관련된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아래

의 연락처로 문의하시면 성심껏 답변 드리겠습니다.

바쁘시더라도 모든 질문에 빠짐없이 성실하고 솔직하게 응답해 주시어 소중한

자료가 될 수 있도록 부탁드립니다.

귀한 시간 내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13년 4월

연세대학교 대학원(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석사과정

연구자 노 지 희 드림

연락처 : 010-44**-****

이메일 : red*****@hanmail.net

------------------------------------------------------------------

본인은 연구의 취지와 참여 및 철회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연구자로부터 듣고 이

해하였으며 자의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함에 동의합니다.

2013년 월 일

연구참여자 (인)

부록 1. 동의서 및 설문지

Page 63: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53 -

▶ 일반적 특성

※ 다음 문항을 읽고 해당란에 V 표시를 하거나 기록하여 주십시오.

1. 귀하의 연령은? 만 ( )세

2. 귀하의 성별은? ① 남 ② 여

3. 귀하의 종교는?

① 없음 ② 기독교 ③ 천주교 ④ 불교 ⑤ 기타 ( )

4. 귀하의 결혼 상태는?

① 미혼 ② 기혼 ③ 사별 ④ 이혼 ⑤ 기타 ( )

5. 귀하의 가족 형태는?

① 혼자 산다. ② 부부끼리만 산다. ③ 가족과 함께 산다. ④ 동거인과 함께 산다.

⑤ 기타( )

6. 귀하의 최종학력은?

① 무학 ② 초등학교 졸업 ③ 중학교 졸업 ④ 고등학교 졸업 ⑤ 대학교 졸업이상

⑥ 교육 년수 ( )

7. 귀하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① 공무원 ② 회사원 ③ 전문직 ④ 자영업 ⑤ 농업 및 어업 ⑥ 주부 ⑦ 무직

⑧ 기타 ( )

8. 귀하의 월 평균 소득은 어느 정도 입니까?

① 100만원 미만 ② 100만원-199만원 ③ 200만원-299만원 ④ 300만원-399만원

⑤ 400만원 이상

Page 64: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54 -

▶ 뇌졸중 위험

※ 다음 문항을 읽고 해당란에 V 표시를 하거나 기록하여 주십시오.

1. 귀하는 혈압이 있습니까? ① 있다. ② 없다. ③ 진단 ( )개월 또는 년

2. 귀하는 당뇨가 있습니까? ① 있다. ② 없다. ③ 진단 ( )개월 또는 년

3. 귀하는 흡연을 하십니까? ① 한다. ② 안 한다.

③ ( )개월 또는 년 ④ ( )개피/일

4. 고혈압 약물을 복용하고 계십니까?

① 약물을 복용한다. ②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다.

Page 65: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55 -

문 항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1. 뇌졸중은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생기는 병이다.

2. 평소 먹는 혈압약이 있다면 뇌졸중이 의심되는 증상

이 나타날 때 약을 추가로 더 먹는다.

3. 피를 묽게하는 약(예:아스피린)을 먹으면 뇌졸중을

예방할 수 있다.

4. 뇌졸중은 40-50대 보다는 60대 이후에 많이 생긴다.

5. 뇌졸중이 의심되는 증상이 갑자기 나타났다가 저절로

사라지는 경우는 다 나은 것으로 볼 수 있다.

6. 뇌졸중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면 일단 변화가 있는지

지켜본다.

7. 가족 중 뇌졸중이나 심장발작을 경험한 사람이 있으

면 뇌졸중 걸릴 위험이 많다.

8. 뇌졸중과 생활습관과는 별 관계가 없다.

뇌졸중

초기에는

갑자기

9. 한 쪽 팔다리가 힘이 빠져 움직이기

어렵거나 저리고 감각이 없어진다.

10. 전신이 마비된다.

11. 한쪽 눈 또는 양쪽 눈 모두가 흐려

지거나 잘 보이지 않는다.

12. 갑자기 말이 제대로 나오지 않거나

발음이 어눌해지거나 남이 무슨 말

을 하는지 알아듣지 못한다.

13. 특별한 이유 없이 머리가 심하게

아프다.

14. 특별한 이유 없이 어지럽거나 중심

을 못 잡고 넘어진다.

15. 갑자기 가슴이 아프거나 조인다.

▶ 뇌졸중 지식

※ 다음은 뇌졸중에 대한 설명입니다. 각 문항을 읽고 귀하가 알고 있는 것과

일치되는 것에 V 표시하여 주십시오.

Page 66: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56 -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가끔

그렇다

자주

그렇다

항상

그렇다

1. 나의 문제와 관심을 가까운 사람에게 이야기

한다.

2. 지방, 포화지방, 콜레스테롤이 적은 음식을

먹는다.

3. 비정상적인 증상과 징후가 있으면 의사, 약사,

간호사와 상의한다.

4. 계획된 운동 프로그램을 따른다.

5. 충분한 수변을 취한다.

6. 나는 더 좋은 방향으로 변화하려고 노력한다.

7. 나는 다른 사람이 잘한 일에 대해 칭찬을 잘

한다.

8. 설탕과 당분 함유 음식을 적게 먹으려고 노력

한다.

9. 건강증진에 관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보거나

글을 읽는다.

고령 뇌졸중 가족력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콜레스테롤 높음) 심장질환(부정맥, 좌심실 비대 등)

비만 순환문제(팔, 다리 저림 등)

흡연 음주

※ 아래 항목 중 뇌졸중 위험요인이라고 생각하시는 것에 V 표시하여 주십시오.

▶ 건강증진행위

※ 다음은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설명입니다. 각 문항을 읽고 해당하는 곳에 V 표시

하여 주십시오.

Page 67: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57 -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가끔

그렇다

자주

그렇다

항상

그렇다

10. 일주일에 적어도 3번 정도 20분 이상 활기차

게 운동을 한다. (예;활기찬 산책, 자전거

타기, 에어로빅이나 춤, 계단 오르기 등)

11. 매일 약간의 휴식을 갖는다.

12. 나는 삶의 목적이 있다고 믿는다.

13. 나는 하루 세끼를 먹는다.

14. 의미 있고 만족스러운 대인관계를 유지한다.

15. 건강 전문가(의사, 약사, 간호사)의 교육 내용

에 잘 모르는 것이 있으면 질문한다.

16. 경하거나 중정도의 신체 활동을 한다.

(예:주 5회 이상 또는 30-40분 간 지속적인 걷기)

17. 나의 삶에서 변화할 수 있는 것은 받아들인다.

18. 미래에 대한 희망이 있다.

19. 가까운 친구들과 시간을 보낸다.

20. 매일 소량의 과일을 먹는다.

21. 나는 의사, 약사, 간호사의 충고에 의문이

있을 때 다른 의사나, 약사, 간호사에게 의견

을 묻는다.

22. 취미, 오랜시간을 갖고 신체활동을 한다.

(예:수영, 댄스 등)

23. 잠들기 전 즐거운 생각을 한다.

24. 만족감과 평화로움을 느낀다.

25. 다른 사람에게 관심, 사랑, 따뜻함을 잘 표현

한다.

26. 매일 야채류를 충분하게 먹는다.

Page 68: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58 -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가끔

그렇다

자주

그렇다

항상

그렇다

27. 나의 건강문제를 건강전문가와 상의한다.

28. 일주일에 적어도 3회 이상 스트레칭 한다.

29. 스트레스를 조절하기 위해 특정한 방법을

사용한다.

30. 장기적인 삶의 목적을 향해 살아간다.

31.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들과 잘 지낸다.

32. 매일 우유, 요구르트, 치즈를 적당량 먹는다.

33.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신체적인 변화나 위험

신호를 알기위해 나의 몸을 관찰하다.

34. 일상생활 중에 운동을 한다.

35. 알하는 시간과 노는 시간에 균형이 있다.

36. 매일 흥미와 보람을 찾는다.

37. 친교의 시간을 갖기 위해 노력 한다.

38. 고기나 생선, 달걀, 견과류(호두,땅콩)를

적당량 먹는다.

39. 자신의 건강관리 방법을 알기 위해 의사,

약사, 간호사에게 정보를 구한다.

40. 운동은 나의 몸 상태에 맞게 적당량 한다.

(예: 운동 할 때 맥박수를 확인)

41. 매일 15-20분 동안 이완이나 명상을 한다.

42. 내 인생에서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 알고

있다.

43. 지역사회원(보건소, 주간보호센터 등)의 간호

제공자로부터 도움을 받는다.

Page 69: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59 -

위험요소 항목 결 과

혈압(SBP)

당뇨(history of diabetes)

흡연

CVD

(cardiovascular disease)

myocardial infarction

angina pectoris

coronary insufficiency

intermittent claudication

congestive heart failure

AF: history of atrialfibrillation

LVH: electrocardiogram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가끔

그렇다

자주

그렇다

항상

그렇다

44. 상품화된 식품은 영양소, 지방, 염분의 성분

표시를 읽고 산다.

45. 건강 교육 프로그램에 참석한다.

46. 내가 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최대한으로

운동을 한다.

47. 피곤하지 않도록 스스로 조절한다.

48. 나보다 더 큰 힘(예: 절대자)과 연결되어

있다고 느낀다.

49. 다른 사람들과의 갈등을 토론과 타협으로

해결한다.

50. 아침을 먹는다.

51. 필요하면 상담이나 지도를 받는다.

52. 새로운 경험이나 도전을 한다.

▶ 연구자 기록

대상자 이름: 병원번호:

Page 70: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60 -

point

0 +1 +2 +3 +4 +5 +6 +7 +8 +9 +10

Age,y 54-56 57-59 60-62 63-65 66-68 69-72 73-75 76-78 79-81 82-84 85

Untreated SBP,

mmHg97-105

106-

115

116-

125

126-

135

136-

145

146-

155

156-

165

166-

175

176-

185

186-

195

196-

205

Treated SBP,

mmHg97-105

106-

112

113-

117

118-

123

124-

129

130-

135

136-

142

143-

150

151-

161

162-

176

177-

205

Diabetes No Yes

Cigs N0 Yes

CVD N0 Yes

AF N0 Yes

LVH No Yes

부록 2. Framingham Heart Study(2013): Stroke Risk Probability

남자

Page 71: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61 -

point

0 +1 +2 +3 +4 +5 +6 +7 +8 +9 +10

Age,y 54-56 57-59 60-62 63-64 65-67 68-70 71-73 74-76 77-78 79-81 82-84

Untreated

SBP, mmHg95-106

107-

118

119-

130

131-

143

144-

155

156-

167

168-

180

181-

192

193-

204

205-

216

Treated SBP,

mmHg95-106

107-

113

114-

119

120-

125

126-

131

132-

139

140-

148

149-

160

161-

204

205-

216

Diabetes No Yes

Cigs N0 Yes

CVD N0 Yes

AF N0 Yes

LVH No Yes

여자

Page 72: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62 -

point

10-year

Probability,

%

point

10-year

Probability,

%

point

10-year

Probability,

%

point

10-year

Probability,

%

point

10-year

Probability,

%

point

10-year

Probability,

%

1 3 11 11 21 42 1 1 11 8 21 43

2 3 12 13 22 47 2 1 12 9 22 50

3 4 13 15 23 52 3 2 13 11 23 57

4 4 14 17 24 57 4 2 14 13 24 64

5 5 15 20 25 63 5 2 15 16 25 71

6 5 16 22 26 68 6 3 16 19 26 78

7 6 17 26 27 74 7 4 17 23 27 84

8 7 18 29 28 79 8 4 18 27

9 8 19 33 29 84 9 5 19 32

10 10 20 37 30 88 10 6 20 37

남자 여자

Page 73: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63 -

ABSTRACT

Probability of stroke, knowledge of stroke,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stroke risk groups

Noh, Ji Hee

Dep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bability of stroke,

knowledge of stroke,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among stroke risk group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was used.

Among patients with underlying hypertension, diabetes, hyperlipidemia, or

cardiovascular diseases, data were analyzed for 110 patients who were recruited

from a hospital located in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The probability of

stroke was calculated using the Stroke Risk Profile from the Framingham Heart

Study (2013), knowledge of stroke was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Yoon et al. (2001) and revised by Song (2008),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was measured using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Ⅱ (HPLP-Ⅱ),

developed by Walker et al. (1995)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Yoon and Kim

(1999).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April, 2013.

Frequency analysis, two sample t-test, one 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with IBM SPSS statistics 20.0 version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Page 74: YUHSpace: Home · 2020. 7. 3. · sz ÀÅ^£ y 3_ggjh¬Ó KL TÑ O A ¬ªPQV ÌD Q `Þëîîð.-ðlßëì êÇ îðp-iOcKL P 4xy/R ...

- 64 -

Results are as followed:

1) The average probability of stroke was 11.74±10.76%, the average score for

knowledge of stroke was 67.88±14.51, and for health-promoting lifestyle,

2.27±0.44.

2) The probability of strok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t=2.76, p=.007). Knowledge differed according to patients’ highest level of

education (t=-1.97, p=.052) and salary (t=-2.83, p=.006). Health-promoting lifesty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2.36, p=.020). Among the

subcategories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physical activity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job status (t=2.41, p=.018), health responsibility according to

religion status (t=-2.23, p=.028), spiritual growth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ccording to gender (t=-2.11, p=.037/ t=-2.83, p=.034), and stress management

according to job status (t=2.15, p=.034).

3)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robability of stroke and knowledge

of stroke or probability of stroke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of stroke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e necessity of active education to increase

knowledge related to stroke which will contribute to an increase in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make primary prevention a reality in the reduction of the risk of

stroke among stroke risk groups.

Key words : probability of stroke, knowledge of stroke, health promoting life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