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 #15237 주한미군규정 690-1 APO AP...

497
1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Headquarters United States Forces Korea United States Forces Korea Regulation 690-1 Unit #15237 주한미군규정 690-1 APO AP 96205-5237 주한미군사령부 6 January 2009 부대번호 #15237 2009 1 6 군우 APO AP 96205-5237 [2009 11 10 /2010 2 22 개정 내용 포함] Civilian Personnel 민간인 인사 REGULATIONS AND PROCEDURES KOREAN NATIONALS 규정과 절차 한국인 직원 * This regulation supersedes USFK Regulation 690-1, 4 October 2007. * 규정은 2007 10 4 일자 주한미군 규정 690-1 대체한다. FOR THE COMMANDER 사령관을 대리하여: JOSEPH F. FIL, JR. 조셒 F. 2 Lieutenant General, USA Chief of Staff 육군 중장 참모장 Official: 공식: GARRIE BARNES Chief, Publications and Records Management 개리 반스 출판기록 관리 Summary. This regulation is to establish policies and procedures for the uniform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Korean National (KN) employees of the United States 영한대역본은 주한미군 한국인 직원들의 편의를 위하여 주한미군한국인직원노동조합(USFK KEU)요청에 의해 번역되었으며, 주한미군 당국의 공식 번역본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번역문의 수정이나 개선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아래의 이메일 주소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역자: 박형권 [email protected] / [email protected] .

Transcript of Unit #15237 주한미군규정 690-1 APO AP...

  • 1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Headquarters United States Forces Korea

    United States Forces Korea Regulation 690-1 Unit #15237 주한미군규정 690-1

    APO AP 96205-5237

    주한미군사령부 6 January 2009

    부대번호 #15237 2009 년 1 월 6 일

    군우 APO AP 96205-5237

    [2009 년 11 월 10 일/2010 년 2 월 22 일 개정 내용 포함]

    Civilian Personnel

    민간인 인사

    REGULATIONS AND PROCEDURES – KOREAN NATIONALS

    규정과 절차 – 한국인 직원

    * This regulation supersedes USFK Regulation 690-1, 4 October 2007.

    * 이 규정은 2007 년 10 월 4 일자 주한미군 규정 690-1 을 대체한다.

    FOR THE COMMANDER

    사령관을 대리하여:

    JOSEPH F. FIL, JR.

    조셒 F. 필 2 세

    Lieutenant General, USA

    Chief of Staff

    미 육군 중장

    참모장

    Official:

    공식:

    GARRIE BARNES

    Chief, Publications and

    Records Management

    개리 반스

    출판기록 관리 장

    Summary. This regulation is to establish policies and procedures for the uniform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Korean National (KN) employees of the United States

    본 영한대역본은 주한미군 한국인 직원들의 편의를 위하여

    주한미군한국인직원노동조합(USFK KEU)의 요청에 의해 번역되었으며, 주한미군 당국의

    공식 번역본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번역문의 수정이나 개선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아래의 이메일 주소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역자: 박형권

    [email protected] / [email protected].

    mailto:[email protected]:[email protected]

  • 2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Forces, Korea (USFK). It assigns responsibility for implementation of the policies and

    procedures.

    개요. 본 규정은 주한미군에 근무하는 한국인직원에 대한 일관성 있는 행정 및 관리를 위한

    정책과 절차를 수립하기 위한 것이다. 본 규정은 그 정책과 절차를 이행하기 위한 책임소재를

    규정한다.

    Summary of Change. This revision includes the following changes:

    개정 내용. 개정된 규정의 내용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Civilian Personnel Operations Center is changed to Civilian Human Resources

    Agency throughout the regulation.

    본 규정의 민간인 인사운영 센터(CPOC)는 민간인 인적자원부(CHRA)로 개칭 되었다.

    The ROK Long-Term Care Insurance Plan for the Elderly (LTCIP) is included

    (Chapter I, subparagraph 1-5e).

    대한민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LTCIP)이 포함되었다. (제 1 장, 1-5e 항)

    All announcements to include Korea-wide announcements will remain open for a

    minimum of 7 days (Chapter 2, subparagraph 2-5b(3)).

    한국 전역 채용공고를 포함한 모든 채용 공고는 최소 7 일간 공고한다 (제 2 장, 2-5b(3)

    항).

    It is clarified that mandatory placement to continuing positions occupied by

    noncompeting employees is only conducted within the same fund source, i.e., APF

    or NAF (Chapter 2, paragraph 2-5; Chapter 4, paragraphs 4-8 and 4-35).

    경쟁권 없는 직원이 재직 중인 계속직위에 대한 직권 임용 조치는 같은 자금원, 즉

    세출자금이나 비세출 자금 안에서만 이루어진다 (제 2 장, 2-5 항; 제 4 장, 4-8 항과 4-

    35 항).

    In accordance with the KSC Agreement between the US and ROK Governments on

    the Status of the KSC, placement consideration of RIF-affected employees into

    KSC vacant positions may be restricted (Chapter 2, subparagraphs 2-11b and 2-

    11e).

    ‘대한민국과 아메리카 합중국간의 한국노무단의 지위에 관한 협정’에 따라 감원 대상

    직원들을 한국노무단 직위에 배치하는 조치는 제한될 수 있다 (제 2 장, 2-11b 항과 2-

    11e 항).

    Minimum advance notice period to terminate noncompeting employees prior to the

    established termination date is changed from 7 or 14 days to 30 days (Chapter 2,

  • 3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subparagraph 2-18h and i; Chapter 4, subparagraph 4-29c and Figure 4-1. RIF

    Milestones; Chapter 10, subparagraph 10-3h(1)).

    경쟁권 없는 직원에 대한 최소한의 고용종료 예고 기간이 7 일 또는 14 일에서 30 일로

    개정되었다 (제 2 장, 2-18h 와 i 항; 제 4 장 4-29c 항과 도표 4-1. 감원 일정표; 제 10 장,

    10-3h(1)항).

    Exception to the 30-day advance notice of termination is added (Chapter 4,

    subparagraph 4-29d; Chapter 10, subparagraph 10-3h(2)).

    30 일 간의 고용종료 예고 기간에 대한 예외 조항이 추가되었다 (제 4 장, 4-29d 항;

    제 10 장, 10-3h(2)항.)

    It is clarified that the maximum overtime hours for fire fighters during the hours of

    2200 to 0600 will not exceed 8 hours (Chapter 6, subparagraph 6-3d).

    2200 시부터 0600 시까지 소방원들의 최대 초과근로 시간은 8 시간을 초과할 수 없도록

    명시했다 (제 6 장, 6-3d 항).

    One type of Compressed Work Schedule will be established within one organization

    (Chapter 6, subparagraph 6-3f).

    한 부서 내에서는 한 가지 형태의 압축근무제가 수립되어야 한다 (제 6 장, 6-3f 항).

    Provisions for part-time childcare leave are included in conformance with the

    applicable ROK Act (Chapter 7, paragraph 7-12).

    대한민국의 법령에 부합하도록 시간제 육아휴직 조항들이 포함되었다 (제 7 장, 7-12 항).

    Employees on long-term LWOP may not receive tuition assistance; Reimbursement

    of college tuition per semester is determined by dividing the total amount

    authorized per year by two (Chapter 8, subparagraphs 8-19a(1) and (4)).

    장기 무급휴가 중인 직원들은 자녀 학비 보조금을 지급 받지 못할 수 있다. 학기 별 대학

    학비 보조는 승인된 연간 학비 보조금 총액을 2 등분하여 정한다 (제 8 장, 8-19a(1) 항과

    (4)항).

    Employees who have been employed for less than three months during the trial

    period will be given a 7-day advance notice of termination; employees who have

    been employed for three months or more will receive a 30-day advance notice of

    termination (Chapter 10, subparagraph 10-3g(3)).

    시용기간 중에 있는 직원 중 3 개월 미만 근무한 직원들에 대해서는 7 일간의 퇴직 예고

    기간이 주어진다. 3 개월 이상 근무한 직원은 30 일간의 고용종료 예고 기간을 부여

    받는다 (제 10 장, 10-3g(3) 항).

  • 4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Reduction in grade and pay is included as one of the disciplinary actions for

    misconduct or delinquency committed by an employee (Chapter 12, paragraph 12-9;

    Chapter 13, paragraph 13-5).

    직원의 부정행위나 의무위반 행위에 대한 징계조치의 하나로 강등 및 감봉이 포함되었다

    (제 12 장, 12-9 항; 제 13 장, 13-5 항).

    It is clarified that each appeal file for Korean Employees Appeals Board must

    contain a table of contents with tabs before being forwarded to the CPD for review

    (Chapter 13, subparagraph 13-6d).

    한국인직원소청위원회에 대한 각 심사 서류철에는 심사청구를 위해 CPD 로 발송하기에

    앞서 색인표가 있는 목차를 포함시켜야 한다는 사실을 명시했다 (제 13 장, 13-6d 항).

    USFK Form 155EK is changed to USFK Form 155EK-E (throughout Chapters 14

    and 18).

    (제 14 장과 18 장을 통틀어) 주한미군 서식 155EK 는 주한미군 서식 155EK-E 로

    변경되었다.

    It is clarified that an employee may be appraised by the losing supervisor when

    he/she changes the position after the employee has been in the position for at least

    six months, and leaves the position within six months from the end of his/her

    annual rating period (Chapter 14, subparagraph 14-4b).

    어떤 직원이 한 직위에 최소 6 개월 이상 근무하고 전직(轉職)할 때 연례 근무평정 기간

    종료일까지 잔여 기간이 6 개월 미만일 경우, 기존의 관리감독자한테 근무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을 명시했다 (제 14 장, 14-4b 항).

    Applicability. This regulation applies to the following organizations with exceptions noted:

    적용: 명시된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본 규정은 다음 부처에 적용된다.

    a. All Department of Defense (DOD) components and agencies in Korea that employ

    direct-hire KN civilians paid from funds appropriated by the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U.S.) or from funds generated by U.S. nonappropriated fund instrumentalities (NAFI).

    Includes the Army and Air Force Exchange Service (AAFES) -Korea and Dragon Hill

    Lodge (DHL).

    a. 미합중국의회가 승인한 세출자금, 또는 미국 비세출 자금 기관(NAFI)에서 조성된

    재원으로부터 급여를 받는 직접 고용 한국 민간인직원을 고용하는 모든 주한 미 국방부 소속

    부대와 기관들. 한국 교역처(AAFES)와 드래곤힐 호텔(DHL)을 포함한다.

    b. USFK invited contractors except as modified by Chapter 19.

  • 5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b. 본 규정 제 19 장에 별도로 규정된 사항을 제외한 주한미군 초청계약업체.

    c. This regulation also applies to the Korean Service Corps (KSC) except as modified

    in Eighth Army Regulation 550-1.

    c. 본 규정은 미 8 군 규정 550-1 에 별도로 규정된 사항을 제외하고 한국노무단에도 적용된다.

    d. This regulation does not cover individual DOD members or activities conducting

    business as private associations, who employ individual KN employees and pay such

    employees from private funds. Persons so employed are commonly called personal hire

    employees.

    d. 사적으로 개인 자금을 지출하여 한국인을 고용하는 미 국방부 소속 개인 또는 사적인

    단체로서의 사업체에 대해서는 본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 그와 같이 고용되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개인 고용인이라 한다.

    e. This regulation does not contain information that affects the Unit Manning System.

    e. 본 규정은 단위부대 인력편성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내용을 포함하지 않는다.

    Supplementation. Issue of further supplements to this regulation by subordinate commands

    is prohibited unless prior approval is obtained from Headquarters (HQ) USFK, (FKCP-

    SES), Unit #15237, APO AP 96205-5237.

    부속규정발행. 예하 사령부에서 본 규정에 대한 부속규정 발행은 주한미군사령부(FKCP-SES,

    부대번호 15237, 군우 AP 96205-5237)의 사전 승인이 없을 경우 금지된다

    Forms. USFK forms are available at www.usfk.mil.

    서식. 주한미군 서식은 www.usfk.mil 에 게시되어 있다.

    Records Management. Records created as a result of processes prescribed by this

    regulation must be identified, maintained and disposed of according to applicable DOD

    and/or service component regulations.

    문서의 관리. 본 규정에 규정되어 있는 절차에 따라 작성된 문서는 미 국방부 또는 각 군(軍:

    component)의 관련 규정에 따라 식별, 보관, 폐기 되어야 한다.

    Suggested Improvements. The proponent of this regulation is HQ USFK, (FKCP-SES).

    Users are invited to send comments and suggested improvements on DA Form 2028

    (Recommended Changes to Publications and Blank Forms) to HQ USFK, (FKCP-SES), Unit

    #15237, APO AP 96205-5237.

    http://www.usfk.mil/http://www.usfk.mil/

  • 6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개선 제안. 본 규정의 소관 부서는 주한미군 사령부 (FKCP-SES)이다. 규정 이용자들은 의견이나

    개선을 위한 제안 사항이 있을 경우 미육군 서식 2028 (간행물과 서식에 대한 수정 요청서)에

    작성하여 주한미군사령부 (FKCP-SES), 부대번호 15237, 군우 96205-5237 로 우송하면 된다.

    Distribution. Electronic Media Only (EMO).

    배부. 전자 미디어에 한함 (EMO)

  • 7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CONTENTS

    목차

    Chapter 1 제 1 장

    Introduction, page 11 서문, 11 쪽

    1-1. Purpose 목적

    1-2. References 참고문헌

    1-3. Explanation of Abbreviations 약어 해설

    1-4. Responsibilities 책임

    1-5. Policy 정책

    1-6. Approval Procedures for Conversion of Positions from KN to U.S. Occupancy 한국인

    직위를 미국인 직위로 전환하기 위한 승인 절차

    Chapter 2

    제 2 장

    Recruitment and Placement, page 14 충원과 배치, 14 쪽

    2-1. General 총칙

    2-2. Responsibilities 책임

    2-3. Definitions 용어의 정의

    2-4. Restrictions on Employment of Relatives and Personal Favoritism 친척 고용과 개인

    정실에 대한 제한

    2-5. Announcement of Vacancies 공석의 공고

    2-6. Competitive Actions 공개 경쟁 인사조치

    2-7. Noncompetitive Actions 비경쟁 인사조치

    2-8. Applicant Supply File 지원자 등록철

    2-9. Evaluating Candidates 후보자 평가

    2-10. Suitability and Qualifications 적합성과 자격 요건

    2-11. Priority Groups 우선 순위 그룹

    2-12. Release of Employees 직원의 전출

    2-13. Documentation Required for Placement Actions 배치 조치에 필요한 서류

    2-14. Employment Criteria, Restrictions, and Conditions 임용 기준, 제한, 조건

    2-15. Type of Appointment 임용의 형태

    2-16. Employee In-Processing and Orientation 신규직원 임용 수속과 신입 설명회

    2-17. Reappointment after Age 60 60 세 이후의 재임용

    Chapter 3

    제 3 장

    Details and Temporary Promotions, page 35 임시보직과 임시승진, 35 쪽

  • 8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3-1. General 총칙

    3-2. Definitions 용어의 정의

    3-3. Conditions Relative to Using Details and Temporary Promotion 임시보직과 임시승진

    활용 조건

    3-4. Limitations 제한

    3-5. Procedures 절차

    3-6. Korean National Employee Time and Attendance Form 한국인 직원 출근기록표

    Chapter 4

    제 4 장

    Reduction-In-Force (RIF), Furlough, And Transfer Of Function (TOF), page 39 감원, 일시귀휴, 기능 이전, 39 쪽

    4-1. General 총칙

    4-2. Definitions 용어의 정의

    4-3. RIF Principles 감원의 원칙

    4-4. Action Coverage 조치의 적용범위

    4-5. Actions Excluded 제외되는 인사조치

    4-6. Reclassification 직위 재분류

    4-7. Reassignment Authority and RIF Procedures 재배치 권한과 감원 절차

    4-8. Noncompeting Employees 경쟁권 없는 직원

    4-9. Planning 계획

    4-10. Responsibilities 책임

    4-11. Alternative Actions 대안 조치

    4-12. Impact Analysis 영향 분석

    4-13. Korean Employees’ Union (KEU) Participation 한국인 노동조합 (KEU)의 참여

    4-14. Retention Register 잔류권 우선 순위자 명부

    4-15. Competitive Area 감원 경쟁 지역

    4-16. Commuting Area 통근지역

    4-17. Competitive Levels 감원 경쟁 직종

    4-18. Effective Date of Retention Standing 잔류권 서열 발효일

    4-19. Service Computation Date 근속기간 기산일

    4-20. Tenure Groups and Subgroups 잔류우선그룹과 하위 그룹

    4-21. First Round Competition – Release from Competitive Level 제 1 차 감원 경쟁 –

    감원경쟁 직종으로부터의 이직

    4-22. Second Round Competition – Assignment Rights 제 2 차 감원 경쟁 – 임용 권리

    4-23. Bumping 밀어내기

    4-24. Retreating 전직(前職) 복귀

    4-25. Qualification Standard 자격 기준

    4-26. Qualification Waivers 자격 요건 면제

    4-27. Grades and Grade-Intervals 직급과 직급단위

    4-28. Offering Temporary and Intermittent Positions 임시직과 수시근무 직위의 제안

    4-29. RIF Notices 감원 통고서

    4-30. Release of Employees 직원의 전출

  • 9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4-31. Status during the Notice Period 통고 기간 중 직원의 지위

    4-32. Right to Request Review 재심 요청권

    4-33. Furlough 일시귀휴

    4-34. Transfer of Function 기능 이전

    4-35. Placement Assistance Programs 배치 지원 제도

    4-36. Area Reemployment Priority List (ARPL) 지역 재고용 우선권자 명단

    Chapter 5

    제 5 장

    Employee Health and Injury Compensation, page 77 직원 건강과 공상 보상, 77 쪽

    5-1. General 총칙

    5-2. Applicability 적용

    5-3. Responsibilities 책임

    5-4. Medical Treatment 치료

    5-5. Benefits under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Plan (IACIP)

    산업재해보상보험에 따른 혜택

    Chapter 6

    제 6 장

    Hours of Duty, Holidays, Night Duty, and Overtime, page 82 근무 시간, 공휴일, 야간근로 및 초과근로, 82 쪽

    6-1. General 총칙

    6-2. Responsibilities 책임

    6-3. Work Schedule and Tour of Duty 근무형태와 근무일정

    6-4. Night duty, Holiday Work, and Overtime 야간근로, 휴일근로 및 초과근로

    6-5. Lunch Periods 점심 시간

    6-6. Rest Periods 휴게 시간

    6-7. Incidental Duties 부수적 업무

    6-8. Reporting for Duty 출근

    Chapter 7

    제 7 장

    Leave Administration, page 91 휴가 행정, 91 쪽

    7-1. General 총칙

    7-2. Responsibilities 책임

    7-3. Transfer of Leave Balances 잔여 휴가의 이월

    7-4. Enforced Lleave 강제휴가

    7-5. Annual Leave 연가

    7-6. Sick Leave 병가

  • 10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7-7. Maternity Leave for Childbirth, Miscarriage, and Stillbirth 출산, 유산, 사산 관련

    산전후휴가

    7-8. Unpaid Absences 무급 결근

    7-9. Excused Absences 행정 휴가

    7-10. Paid Days Off for Family Events 유급 경조휴가

    7-11. Voluntary Leave Transfer Program (VLTP) 자발적 휴가 양도 제도

    7-12. Childcare Leave 육아휴직

    Chapter 8

    제 8 장

    Pay Administration, page 112 급여 행정, 112 쪽

    8-1. General 총칙

    8-2. Definitions 용어의 정의

    8-3. Wage Schedules 급여표

    8-4. Setting Pay Rates 급여율의 책정

    8-5. Advanced In-Hiring Rates 별정 급여율

    8-6. Night Shift Differential 야간근로 수당

    8-7. Holiday Rates (Holiday Premium) 공휴일 근무 수당 (공휴일 특별수당)

    8-8. Overtime Rates 초과근무수당

    8-9. Step Increases 호봉 인상

    8-10. Payment of Money Due the Employee 직원에 대한 급여의 지급

    8-11. Severance Pay 퇴직금

    8-12. Bonuses 상여금

    8-13. Relocation Allowance 이동 수당

    8-14. Remote Area Allowance 벽지수당

    8-15. Allowance for Payments-In-Kind 현물수당 (PIK)

    8-16. Consolidated Allowance Payment 종합수당 (CAP)

    8-17. Benefits Allowance 혜택수당 (BA)

    8-18. Supervisory Differential 관리감독자 수당

    8-19. Tuition Assistance 학자금 보조

    8-20. Condolence Payment 조위금

    8-21. Fractional Hours 부분 시간

    Chapter 9

    제 9 장

    Position Management and Classification, page 134 직위 관리 및 분류, 134 쪽

    9-1. General 총칙

    9-2. Responsibilities 책임

    9-3. Procedures 절차

    9-4. Position Reviews and Management 직위 조사 및 직위관리

    9-5. Position Classification Files 직위 분류 기록철

  • 11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9-6. Implementation of New Standards 새로운 기준의 적용

    9-7. Establishment of Development and Trainee Jobs

    계발직/견습직의 제정

    Chapter 10

    제 10 장

    Separation, page 137 이직, 137 쪽

    10-1. General 총칙

    10-2. Definitions 용어의 정의

    10-3. Procedures 절차

    Chapter 11

    제 11 장

    Employee Services and Facilities, page 144 직원 후생복지와 편의시설, 144 쪽

    11-1. General 총칙

    11-2. Responsibilities 책임

    11-3. Types of Services and Facilities 후생복지와 편의시설의 유형

    Chapter 12

    제 12 장

    Conduct and Discipline, page 146 품행과 징계, 146 쪽

    12-1. General 총칙

    12-2. Policy 정책

    12-3. Definitions 용어의 정의

    12-4. Responsibilities 책임

    12-5. General Procedures 일반 절차

    12-6. Informal Disciplinary Actions 비공식 징계 조치

    12-7. Formal Reprimand 공식 견책

    12-8. Suspension 정직

    12-9. Reduction in Grade and Pay 직급 강등 및 감봉

    12-10. Removal 파면

    12-11. Enforced Leave 강제휴가

    Chapter 13

    제 13 장

    Grievances and Appeals, page 155 고충진정과 소청, 155 쪽

    13-1. General 총칙

  • 12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13-2. Definitions 용어의 정의

    13-3. Policy 정책

    13-4. Responsibilities 책임

    13-5. Grievance 고충진정

    13-6. Appeal Procedures 소청 절차

    13-7. Maintenance of Records 기록 보존

    Chapter 14

    제 14 장

    Performance Appraisal, page 163 근무평정, 163 쪽

    14-1. General 총칙

    14-2. Objectives 목표

    14-3. Responsibilities 책임

    14-4. Procedures 절차

    14-5. Performance Requirements 근무수행 필수요건

    14-6. Rating Performance Elements 업무수행 평가 요소

    14-7. Supervisor’s Evaluation 관리감독자의 평가

    14-8. Employee’s Comments 직원의 의견

    14-9. Trial Period 시용(試用) 기간

    Chapter 15

    제 15 장

    Employee training and Development, page 171 직원 교육훈련과 계발, 171 쪽

    15-1. Purpose 목적

    15-2. General 총칙

    15-3. Responsibilities 책임

    15-4. Policy 정책

    15-5. Determining Needs and Planning Training 교육 필요성 결정과 계획

    15-6. Required Training Programs 의무 교육 과정

    15-7. On-the-Job Training 현장 직무 교육

    15-8. Out-of-Country Resident Training 해외 거주 교육

    15-9. Training through Nongovernment Facilities 민간 시설을 통한 교육훈련

    15-10. Correspondence Course Program 통신교육 과정

    15-11. Attendance at Meetings 회의 참석

    15-12. Evaluation of Training 교육훈련의 평가

    Chapter 16

    제 16 장

    Incentive Awards and Suggestion Programs, page 174 상훈과 제안 제도, 174 쪽

  • 13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16-1. General 총칙

    16-2. Definitions 용어의 정의

    16-3. Responsibilities 책임

    16-4. Policy 정책

    16-5. Awards Based on Sustained Superior Performance 지속으로 우수한 근무수행에

    근거한 상훈

    16-6. Awards Based on Special Acts or Service 특별 공로 또는 근무에 기초한 상훈

    16-7. Time off Awards (TOA) 포상휴가

    16-8. Length of Service Awards 장기근속상

    Chapter 17

    제 17 장

    Labor-Management Relations, page 180 노사관계, 180 쪽

    17-1. General 총칙

    17-2. Definitions 용어의 정의

    17-3. Policy 정책

    17-4. Responsibilities 책임

    17-5. Consultation and Negotiation with the Union 노동조합과의 협의와 협상

    17-6. Reports 보고

    17-7. Files 문서의 보관

    Chapter 18

    제 18 장

    Intern Program, page 183 인턴 제도, 183 쪽

    18-1. Purpose 목적

    18-2. General 총칙

    18-3. Objectives 목표

    18-4. Definitions 용어의 정의

    18-5. Program Requirements 제도의 요건

    18-6. Responsibilities 책임

    18-7. Conditions for Promotion 승진 조건

    18-8. Placement of Korean Interns 한국인 인턴직원의 배치

    Chapter 19

    제 19 장

    Special Provisions for Employees of Invited Contractors, page 195 초청계약업체 직원에 관한 특별 조항, 195 쪽

    19-1. General 총칙

    19-2. Responsibilities 책임

    19-3. Recruitment and Placement 충원과 배치

  • 14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19-4. Details and Temporary Promotions 임시보직과 임시승진

    19-5. Reduction in Force 감원

    19-6. Injury Compensation, and Employee Health 공상보상 및 직원건강

    19-7. Tours of Duty and Holidays 근무일정과 공휴일

    19-8. Leave Administration 휴가 행정

    19-9. Pay Administration 급여 행정

    19-10. Separation 이직

    19-11. Employee Services and Facilities 직원 후생복지와 편의시설

    19-12. Conduct and Discipline 품행과 징계

    19-13. Grievances and Appeals 고충진정과 소청

    19-14. Labor-Management Relations 노사관계

    Appendices, page 202 부록, 202 쪽

    A. References

    B. Areas Designated as Remote 벽지(僻地)로 지정된 지역

    C. Procedures for Applying New Wage schedules 새로운 급여표 적용 절차

    D. Table of Standard Penalties 표준 벌칙표

    E. Standards of Conduct 품행기준

    F. Synopsis of Removal Action 파면조치의 개요

    G. Guide for Calculating Awards 상금 산정 지침

    H. 260 Day Work Year Chart 260 일 근무년표

    Figures

    도표

    4-1. RIF Milestones, page 73 감원 절차표, 73 쪽 4-2. First Round Competition Flowchart, page 74 1 차감원경쟁 흐름도, 74 쪽 4-3. Second Round Competition Flowchart, page 75 2 차감원경쟁흐름도, 75 쪽 4-4. Placement Assistance, Repromotion, and ARPL, page 76 배치 지원, 재승진, 재고용 우선권자 명단, 76 쪽 18-1. USFK Form 257-E (Intern Individual Development Plan) , page 194 주한미군 서식 257-E 인턴 개인 계발 계획, 194 쪽

    Tables

    7-1. Annual Leave Accrual Schedule, page 111 연가 적립표, 111 쪽 8-1. Step Advancement Schedule, page 119 호봉 승급 예정표, 119 쪽

  • 15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14-1. Periods of Appraisals, page 165 근무평정 기간, 165 쪽 16-1. Long-Term Service Cash Awards, page 179 장기근속금전상, 179 쪽

    Glossary (용어해설), page 221 용어해설, 221 쪽

    * (역주) 위의 페이지 수는 규정 원본의 페이지 수임.

  • 16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Chapter 1

    Introduction

    제 1 장 서문

    1-1. Purpose

    1-1. 목적

    The purpose of this regulation is to establish policies and procedures for the uniform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KN employees of the USFK. It assigns responsibility

    for implementation of the policies and procedures.

    이 규정은 주한미군 한국인 직원들에 대한 일관성 있는 관리 경영 정책과 절차를 수립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규정은 정책과 절차를 적용하기 위한 책임 소재를 규정하고 있다.

    1-2. References

    1-2. 참고문헌

    Required and related publications are listed in Appendix A.

    관련 필수 간행물 목록은 부록 A 에 있다.

    1-3. Explanation Of Abbreviations

    1-3. 약어 해설

    Abbreviations used in this regulation are explained in the Glossary.

    이 규정에서 사용된 약어는 용어해설편에 해설되어 있다.

    1-4. Responsibilities

    1-4. 책임

    a. The USFK Joint Labor Affairs Committee (JLAC ) serves as the medium through

    which the military component commanders (Army, Air Force, and Navy) coordinate the

    development of civilian personnel policies and plans. The USFK JLAC is responsible for

    implementing those policies; coordinating the matters to be negotiated with employee

    unions; recommending compensation schedule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and

    otherwise coordinating the administration of a uniform personnel system within Korea.

    a. 주한미군 합동 노동 자문위원회의 (JLAC)는 각 군(軍: component) 사령관들(육군, 공군,

    해군)이 민간인 직원 인사 정책과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협력기구이다. 이 위원회는 그 같은

    정책들을 시행하고, 노동조합과 협상이 필요한 사안에 대해 협력하며, 급여 계획과 고용 조건을

    건의하고, 그 외에 한국 내에서의 일관성 있는 인사제도의 관리를 위한 협력할 책임을 갖는다.

    (1) The JLAC has three voting members, one from each military service. There

    are two associate (nonvoting) members, i.e., one from AAFES-Korea, and one from DHL.

    Other associate members and advisors may be appointed to the as deemed necessary by

  • 17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the committee.

    (1) 이 위원회는 각 군으로부터 각 1 인씩, 모두 3 인의 의결권이 있는 상임위원으로

    구성된다. 두 명의 비상임위원, 즉 교역처에서 1 인, 드래곤힐 호텔에서 1 인의 의결권이 없는

    비상임 위원을 둔다. 위원회가 필요하다고 간주할 경우 이 위원회에 다른 비상임위원과

    자문위원을 임명할 수 있다.

    (2) The Civilian Personnel Director (CPD), USFK, serves as chairperson.

    (2) 주한미군 민간인인사국장(CPD)이 의장직을 맡는다.

    (3) Normally, the members representing the military services will be the CPD of

    the respective service component.

    (3) 통상적으로, 각 군을 대표하는 위원들이 각 군(軍: component)의 CPD 가 된다.

    (4) The JLAC will establish subcommittees and internal operating procedures as

    deemed necessary by the committee.

    (4) 합동노동자문위원회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분과 위원회와 내부 운영절차를

    수립한다.

    b. Commanders of the military services, and other associate members will --

    b. 각군 사령관과 여타 비상임 위원은

    (1) Appoint a representative to serve on the JLAC.

    (1) 주한미군합동노동 자문위원에서 활동할 대표자를 임명한다.

    (2) Ensure that personnel under their jurisdictions are informed and uniformly

    comply with the policies and procedures contained in this regulation and/or developed by

    the JLAC.

    (2) 이 규정에 포함되어 있거나 동위원회가 수립한 정책과 절차를 직원들에게 주지시키고

    이들을 일관성 있게 준수하도록 한다.

    c. The Commander, USFK, will assign responsibility for providing administrative and

    logistical support to the JLAC.

    c. 주한미군 사령관은 동 위원회에 행정과 군수지원 책임을 부여한다.

    d. Commanders, managers, and supervisors at all levels will:

    d. 각급 부대장과 관리관, 감독자는

  • 18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1) Ensure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employees under their

    jurisdiction.

    (1) 관할 직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한다.

    (2) Ensure training of supervisors and timekeepers in civilian time and attendance

    (T&A) responsibilities and reporting procedures and comply with DOD and service

    component regulations and policies on timekeeping.

    (2) 민간인직원 근무시간과 출근기록 책임과 보고절차에 대해 감독관과 출근기록담당자를

    교육하고 출근기록(T&A)에 관한 미 국방부와 각 군(軍: component) 규정과 절차를 준수한다.

    (3) Ensure training of supervisors in Human Resources Management

    responsibilities and procedures.

    (3) 감독자들이 인적자원관리 책임과 절차에 대한 교육을 받게 한다.

    e. The CPD, USFK, will monitor the applications of the provisions of this regulation to

    ensure USFK-wide compliance. Most issues are expected to be resolved via informal

    coordination with concerned organizations. Matters which cannot be resolved informally

    will be brought to the JLAC for resolution.

    e. 주한미군 CPD 는 이 규정이 모든 주한미군 기관에서 준수되도록 이 규정의 적용을

    감시한다. 대부분의 문제들은 관련 부처들과의 비공식적인 협력을 통해 해결한다. 비공식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은 동 위원회에 상정하여 해결을 의뢰한다.

    f. The USFK human resources officers/directors/managers will provide management

    advice and central personnel administration services for employees and managers

    (including those of invited contractors) in assigned geographic and organizational areas of

    responsibility.

    f. 주한미군 인사관리 관계관들은 담당지역과 소속기관 내 직원들과 관리관 (초청계약업체

    포함)들에 대해 관리 자문과 중추적인 인사행정서비스를 제공한다.

    g. Invited contractors will appoint a senior manager (normally a U.S. citizen) to

    accomplish duties otherwise identified to be accomplished by the human resources

    officers.

    g. 초청계약업체들은 인사관리관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기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선임관리관(일반적으로 미국민)을 임명한다.

    h. Contracting officers will ensure that invited contractors comply with the USFK

    personnel policies contained in this and other regulations. Contracting officers will

    provide information on USFK invited contractors employing KN employees to the CPD,

  • 19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USFK.

    h. 계약관들은 초청업체들이 이 규정과 여타 규정에 포함된 주한미군 인사정책을 준수하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계약관들은 한국인 직원을 고용하고 있는 주한미군 초청계약업체 정보를

    주한미군 CPD 에 제공한다.

    1-5. Policy

    1-5. 정책

    a. In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Preferential Hiring of Korean Employees and

    Employment of Family Members, 18 January 20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Republic of Korea have agreed to the following:

    a. 2001 년 1 월 18 일, 한국인 직원 우선 고용과 미군 가족 고용에 관한 양해각서에서

    미합중국과 대한민국은 다음 사항에 합의했다.

    (1) The USFK will employ KNs exclusively for those positions that have been

    designated by USFK for occupancy by KNs. Although those positions may be open to

    dependents of the U.S. armed forces and dependents of civilian component members, the

    dependents will be considered for the vacancies only when there are no internal KNs who

    are available and qualified as candidates.

    (1) 주한미군은 한국인 직위로 지정된 직위에 한국인만을 배타적으로 고용한다. 그러한

    직위가 미합중국 군대 군인과 소속 민간인들의 가족에게 개방 되어 있기는 하지만, 자격을 갖춘

    내부 한국인 후보자가 없을 때에만 미국인 가족의 공석 채용을 고려할 수 있다.

    (2) Positions designated for KNs may be converted into U.S. positions only for

    reasons of national security. Refer to paragraph 1-6, below, for conversion procedures.

    (2) 한국인을 위해 지정된 직위는 국가안보상의 이유가 있을 때에 한하여 미국인 직위로

    전환될 수 있다. 직위 전환 절차는 아래 1-6 항을 참조한다.

    b. Personnel management practices will be applied uniformly to all elements of USFK.

    b. 인사관리 관행은 주한미군의 모든 부서에 균일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c. The administration and employment of KNs will conform with provisions of labor

    legisl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to the extent not inconsistent with the

    provision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Republic of Korea Status of Forces

    Agreement (SOFA) Article XVII or the military requirements of the United States Armed

    Forces.

    c. 한국인 직원에 대한 관리와 고용은 미합중국과 대한민국 간의 주한미군 지위협정

    제 17 조의 규정 또는 미합중국 군대의 군사상 필요성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에서 대한민국의

    노동법규 조항에 준한다.

  • 20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d. Wage rates and benefits for KN employees will be established according to

    applicable DOD regulations and procedures. Locality surveys and data collected from

    Korean firms and ROK Government agencies may be used to determine KN employees

    wage rates and benefits.

    d. 한국인 직원의 급여율과 혜택은 적용 가능한 미 국방부 규정과 절차에 따라 수립된다.

    지역임금조사와 한국 기업과 대한민국 정부기관에서 수집한 자료를 한국인 직원 급여율과 혜택을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e. KN employees (including employees of the KSC), both appropriated and non-

    appropriated funds, will be covered by the ROK social security and welfare programs

    shown below in conformance with the ROK laws governing each program and/or with

    procedures approved by the SOFA Joint Committee, if there are such procedures. Invited

    contractors will provide the coverage for each program to their KN employees.

    e. 세출/비세출 자금 한국인직원들은 (한국노무단 직원 포함) 각 제도에 관한 대한민국의 법령

    에 준하거나 SOFA 합동위원회가 승인한 절차가 있을 경우 그 절차에 따라 아래의 대한민국

    사회보장 복지 제도의 적용을 받는다. 초청계약업체들도 한국인 직원들에게 각 제도의 수혜를

    받게 한다.

    (1) National Pension Plan (NPP)

    (1) 국민연금제도(NPP)

    (2) National Health Insurance Plan (NHIP)

    (2) 국민건강보험제도 (NHIP)

    (3) Employment Insurance Plan (EIP)

    (3) 고용보험제도 (EIP)

    (4)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Plan (IACIP)

    (4) 산업재해보상보험 (IACIP)

    (5) Long-Term Care Insurance Plan for the Elderly (LTCIP)

    (5) 노인장기요양보험 (LTCIP)

    f. Employment,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KN employees will be based on

    merit.

    f. 한국인 직원의 고용, 계발과 승진은 고과를 근거로 한다.

  • 21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1) The offering or acceptance of any gratuity by anyone concerning any

    employment matter is prohibited. Offering or accepting any gratuity, or the involvement of

    current employees in such activities, will be grounds for removal.

    (1) 고용문제와 관련하여 누구든지 어떠한 사례를 제공하거나 받는 일을 금지한다.

    사례를 주고받는 일, 또는 그러한 일에 현직 직원이 간여되었을 경우 파면의 사유가 될 수 있다.

    (2) There will be no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of KNs because of race, age,

    sex, marital status, religion, or physical handicap, if that handicap does not incapacitate a

    candidate for the duties of the position sought. These nondiscrimination policies do not

    restrict or impede specific provisions contained elsewhere in this regulation regarding

    basic employment conditions.

    (2) 한국인을 고용함에 있어 인종, 연령, 성별, 결혼여부, 종교, 또는 장애로 인해 후보자가

    희망하는 직위의 업무 수행이 불가능하지 않을 경우 신체 장애를 이유로 어떠한 차별도 해서는 안

    된다. 이 차별금지 정책은 기본적인 고용조건과 관련하여 이 규정의 다른 부분에 규정되어 있는

    구체적인 조항을 제한하거나 저해하지 않는다.

    g. KN intern positions. A formally designated KN intern position must meet all of the

    following conditions:

    g. 한국인 인턴 직위. 공식적으로 지정된 한국인 인턴직위는 다음의 모든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1) Is developed to meet the component’s needs and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skilled professional personnel.

    (2) 숙련된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되는 각 군(軍: component)의 필요와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개발되어야 한다.

    (2) Is designated as an intern position in a two-grade interval series with an offer

    of career progression to the journeyman level.

    (2) 숙련직급 수준까지 2 직급단위 직무계열의 인턴직위로 지정되어야 한다

    (3) Is announced to employees and supervisors, and standard selection procedures

    are used.

    (3) 직원들과 감독자들에게 공고되어야하며, 표준 선발 절차를 따라야 한다.

    (4) Is fully implemented with a formal (written) training plan for each level of

    progression.

    (4) 각 직급 별 공식 (서면) 교육 계획안에 의해 완전하게 시행되어야 한다.

  • 22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h. Persons normally may not be employed in more than one full-time position at any

    one time. Full-time employees are precluded from having any additional employment

    within the USFK. Part-time or intermittent employees may be permitted to have multiple

    appointments provided that appointments collectively do not aggregate more than 40 hours

    of work in any calendar week. The JLAC, or its individual voting members, in the case of

    service unique cases, may grant exceptions under conditions mutually agreed to by the

    JLAC. Off-duty non-USFK employment is not prohibited if it does not constitute a conflict

    of interest.

    h. 일반적으로 한 사람이 동시에 하나 이상의 상근직 직위에 임용될 수 없다. 상근직 직원은

    주한미군 내의 어떠한 추가적인 임용으로부터도 배제된다. 시간제 직원이나 수시직 직원의 경우,

    전체 근무시간이 1 주일에 40 시간 이상 되지 않을 경우 둘 이상의 직위에 대한 임용이 허용된다.

    주한미군 합동 노동 자문위원회, 또는 의결권이 있는 개별 상임위원은 각 군별로 예외적인 경우에

    한해 이 위원회에서 상호 합의된 조건 하에 예외를 승인할 수 있다. 이해상충이 되지 않을 경우

    근무 시간 외 주한미군 이외의 고용은 금지하지 않는다.

    1-6. Approval Procedures For Conversion Of Positions From KN to U.S. Occupancy

    1-6. 한국인 직위를 미국인 직위로 전환하기 위한 승인 절차

    a. Positions designated as KN positions as of 2 April 2001, whether authorized or not,

    may not be converted to U.S. positions unless the conversion is required for U.S. national

    security reasons, for example, requirement for possessing DOD industrial security

    clearances. This restriction also applies to reestablishment of abolished KN positions into

    U.S. positions.

    a. 한국인 직위로 지정된 직위는 2001 년 4 월 2 일 부로, 인가여부와 무관하게, 미합중국 국가

    안보상의 이유로 직위 전환이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미국인의 직위로 전환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이는 미 국방부 방위 안보 기밀취급허가를 취득해야하는 요건과 같은 경우이다. 이러한 제한은

    폐지된 한국인 직위를 미국인 직위로 재수립할 경우에도 적용된다.

    b. Requests for conversion to U.S. position will be submitted on an appropriate staff

    summary sheet with justification through appropriate command channels to the USFK Chief

    of Staff for approval. The action must be coordinated with the Assistant Chief of Staff, J2,

    and appropriate USFK component resource management officer. The justification for

    conversion will address cost factors and will include a copy of the official KN and U.S.

    position description document. The justification will also address the need for the change

    prompting the conversion of the position.

    b. 미국인 직위로의 전환 요청은 적합한 참모요약보고서에 사유를 명기하여 적절한

    지휘계통을 통해 주한미군 참모장에게 승인을 받기 위해 제출되어야 한다. 이 요청은 J2 참모와

    적절한 주한미군의 각 군(軍: component) 재무관리관과 협조해야한다. 직위 전환 사유는

    비용요소를 언급해야하며 한국인과 미국인 직위의 업무기술서 사본을 첨부해야한다. 사유서에는

    그 직위를 전환해야 하는 필요성을 또한 언급해야 한다.

  • 23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c. Approved conversion requests will be forwarded to the Civilian Personnel

    Directorate (CPD), USFK, ATTN: FKCP, for union notification.

    c. 승인된 전환 요청서는 노동조합에 대한 통보를 위해 주한미군 CPD (참조: FKCP)으로

    발송되어야 한다.

    Chapter 2

    Recruitment and Placement

    제 2 장

    충원과 배치

    2-1. General

    This chapter establishes policy and procedures for recruitment and placement actions, and

    explains how qualified KN employees are selected, assigned or promoted to vacant

    positions based on merit. Merit is determined by each candidate’s knowledge, skills, and

    abilities (KSAs) as determined by evaluating performance, experience, education, and

    employment record.

    2-1. 총칙

    본 장은 충원과 배치에 관한 정책과 절차를 수립하고 유자격 한국인 직원들을 고과에 의해 공석에

    선발, 임용 또는 승진시키는 방식을 설명한다. 고과는 근무수행, 경력, 교육, 고용 기록의 평가에

    의해 결정된 각 후보자의 지식, 전문기술과 능력 (KSA)에 의해 결정된다.

    2-2. Responsibilities

    2-2. 책임

    a. Commanders of USFK, major and separate major commands, and assigned units

    will--

    a. 주한미군 사령관과 주요 사령부와 단독 주요 사령부, 그리고 소속부대의 지휘관은--

    (1) Implement this chapter in their area of responsibility.

    (1) 자신들의 책임 영역 내에서 본 장의 내용을 시행한다.

    (2) Inform commanders, selecting officials, and employees of the provisions of this

    chapter.

    (2) 지휘관과 선발 담당관, 직원들에게 본 장의 내용을 알린다.

    b. Commanders, selecting officials, and supervisors will--

    b. 지휘관, 선발 담당관, 관리감독자는--

    (1) Forecast personnel needs and initiate actions to ensure timely quality

  • 24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placement.

    (1) 인력수요를 예상하고 적시에 우수한 직원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2) Post vacancy announcements on activity bulletin boards and inform subordinate

    personnel of the posting(s).

    (2) 공석채용공고를 부서 게시판에 게시하고 부하직원들에게 게시 사실을 알린다.

    (3) Consider all candidates referred and give reasons for selection. Reasons for

    selection must relate to KSAs of the candidate selected. The reason for nonselection must

    be given when deviating from the order of priority referral.

    (3) 회부된 모든 후보자를 고려하고 선발 사유를 제시한다. 선발 사유는 선발된 후보자의

    지식, 기술, 능력에 관계되는 것이어야 한다. 선발 제고 우선 순위에 어긋나는 경우 선발하지 않은

    이유를 제시해야 한다.

    (4) Release employees selected for promotion or reassignment in a timely manner.

    (4) 승진이나 재배치를 위해 선발된 직원을 적시에 전출 조치한다.

    c. Employees will--

    c. 직원은--

    (1) Check vacancy announcements on bulletin boards or internet web sites, and if

    desired, apply for vacancies for which they feel qualified.

    (1) 게시판이나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공석 채용공고를 확인하고 원할 경우 자격요건을

    갖추었다고 생각되는 공석에 지원한다.

    (2) Provide Civilian Human Resources Agency (CHRA)/Civilian Personnel Advisory

    Center (CPAC)/Human Resources Office (HRO)/Civilian Personnel Flight (CPF) proof of

    pertinent education, training, and experience acquired to be filed in their official personnel

    folders (OPFs). Employees will report changes or additions to the servicing

    CHRA/CPAC/HRO/CPF.

    민간인 인적자원부(CHRA)/민간인인사자문센터(CPAC)/인사관리실(HRO)/민간인인사관리실

    (CPF)에 자신이 습득한 적절한 교육, 훈련, 경력에 관한 증명서를 제출하여 공식인사기록철

    (OPF)에 철하게 한다. 직원은 소속 CHRA/CPAC/HRO/CPF 에 변동 되거나 추가된 사항에 대해

    알린다.

    (3) Inform the CHRA/HRO/CPF when no longer interested in jobs for which they

    have applied.

  • 25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3) 자신이 지원한 직책에 더 이상 관심이 없을 때는 CHRA/HRO/CPF 에 통보한다.

    d. The CHRA/CPAC/HRO/CPF will--

    d. CHRA/CPAC/HRO/CPF 는--

    (1) Provide technical guidance and staff assistance to commanders, supervisors,

    and employees, on the merit system.

    (1) 지휘관, 감독자, 직원에게 고과제도에 대한 기술적 지침과 자문을 제공한다.

    (2) Assist commanders, operating officials, and supervisors in--

    (2) 지휘관, 운영담당관, 관리감독자가 다음의 업무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a) Planning early recruitment to fill anticipated vacancies.

    (a) 예상 되는 공석에 대한 조기 충원 계획 수립.

    (b) Using position management effectively.

    (b) 효율적인 직위 관리 활용.

    (3) Equitably consider qualified and available candidates for vacant positions.

    (3) 유자격 가용 후보자들을 공석에 대해 공평하게 고려한다.

    (4) Evaluate system effectiveness periodically to ensure that the merit promotion

    system is being fully implemented and identify areas that require policy or procedural

    changes.

    (4) 고과승진제도가 완전하게 시행될 수 있도록하고 정책이나 절차상의 변경이 필요한

    분야를 파악하기 위해 제도의 효율성을 정기적으로 평가한다.

    (5) Conduct periodic internal audits of promotion and placement actions to ensure

    compliance with this chapter.

    (5) 이 장의 규정을 준수하게 하기 위해 승진과 배치 조치들에 대한 정기적인 내부감사를

    실시한다.

    2-3. Definitions.

    2-3. 용어의 정의.

    This chapter uses the following definitions:

  • 26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본 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용어의 정의를 사용한다:

    a. Applicant - a person who has applied for consideration for a job with USFK. An

    applicant may be a current appropriated fund (APF) or non-appropriated fund (NAF)

    employee of USFK, or a person not currently employed as a USFK APF or NAF employee.

    a. 구직자 – 주한미군에 있는 직책에 제고되도록 지원한 사람. 지원자는 주한미군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 세출자금 또는 비세출 자금 직원일 수도 있고, 주한미군의 세출 또는 비세출 자금

    직원으로서 현재 고용되어 있지 않은 사람일 수도 있다.

    b. Area of consideration - the geographic and organizational area in which the agency

    makes a search for eligible candidates for a recruitment action. The minimum area is the

    area designated by the recruitment plan in which the organization should expect to locate

    sufficient high quality candidates to fill vacant positions covered by the plan.

    b. 선발 제고 지역 – 기관에서 특정 충원 인사조치를 위해 가용 후보자들을 찾는 지리적 또는

    기관별 지역. 최소지역은 충원계획에 의해 지정된 지역으로 기관에서 공석을 충원하기 위해

    충분한 숫자의 우수한 후보자를 찾을 수 있는 지역이어야 한다.

    c. Break in service - the amount of time an employee is separated and not employed

    by the USFK. A separation of more than three calendar days is considered a break in

    service for purpose of this regulation.

    c. 근무 중단 기간 – 직원이 주한미군에서 이직하여 고용되어 있지 않은 기간. 3 달력일을

    초과하는 이직 기간은 이 규정의 목적 상 근무 중단 기간으로 간주된다.

    d. Candidate - an applicant who meets all established qualification requirements, bona

    fide selective placement factors (if any), and priority group eligibility requirements.

    d. 후보자 – 모든 정해진 자격요건, (만일 있다면) 신뢰성 있는 선발 기준 요소들, 그리고

    우선순위집단 자격 요건을 충족시키는 지원자.

    e. Change to lower grade (CLG) (also called demotion) - a personnel action that moves an employee to a lower graded position. This includes movement to a position in a

    different pay plan with a lower representative rate.

    e. 하위 직급으로의 전환 (CLG) (강등이라고도 함)– 직원을 하위 직급의 직위로 전보시키는

    인사조치. 이는 대표 급여율이 낮은 다른 급여계획으로의 전직을 포함한다.

    f. Commuting area - the local geographic area that usually includes any population

    center (or two or more neighboring ones) and the surrounding localities. This is the area

    in which people live and can reasonably be expected to travel back and forth daily to their

    usual place of employment.

  • 27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f. 통근 지역 – 일반적으로 특정 인구조밀 중심 지역 (또는 두개 이상의 인접한 중심지)과 이를

    둘러싼 지역을 포함하는 지역. 이는 사람들이 거주하고 일상 근무지로 매일 출퇴근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되는 지역이다.

    g. Competitive area (CA) - the organizational unit and geographical boundaries in

    which employees compete in a Reduction in Force (RIF).

    g. 경쟁 지역 (CA) – 직원들이 감원(RIF) 시 경쟁하는 부서 및 지리적 범위.

    h. Continuing position - a position expected to continue or last at least 90 days. A

    continuing position may be permanent or temporary with any type of work schedule (e.g.,

    full-time, part-time, or intermittent) in either the APF or NAF workforce.

    h. 계속직위 - 최소 90 일 이상 존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직위. 계속직위는 세출 또는 비세출

    자금에 속한 모든 유형의 근무형태(예들 들어, 상근직, 시간제, 또는 수시직과 같이)에 속한 영구직

    또는 임시직 직위일 수 있다.

    i. Days - calendar days.

    i. 일 – 달력일 (역일: 曆日)

    j. Promotion - a personnel action that moves an employee to a position at a higher

    grade level or to a position in a different pay plan with a higher representative rate. A

    promotion may or may not be in the same job classification system and pay schedule.

    j. 승진 – 직원을 상위의 직급 또는 높은 기준급여율을 가진 다른 급여계획에 있는 직위로

    이동하는 인사조치. 승진은 같은 직위분류체계와 급여계획 안에서의 이동일 수 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2-4. Restrictions On Employment Of Relatives And Personal Favoritism

    2-4. 친척 고용과 개인 정실에 대한 제한

    a. Relatives as used in this paragraph include: aunt, brother, brother-in-law,

    daughter, daughter-in-law, father, father-in-law, first cousin, grandchild, grandparent,

    half brother, half sister, husband, mother, mother-in-law, nephew, niece, sister, sister-in-

    law, son, son-in-law, stepbrother, stepdaughter, stepfather, stepmother, stepsister,

    stepson, uncle, and wife.

    a. 본 절에 사용된 친척이란 용어는 고모(이모, 외숙모), 남자형제, 처남(매부/동서/시숙), 딸,

    며느리, 아버지, 시아버지(장인), 사촌, 손자, 조부모, 이복 형제, 이복 자매, 남편, 어머니,

    시어머니(장모), 조카, 조카딸, 누이, 시누이(처제/처형/형수/제수/올케/동서), 아들, 사위, 의붓형제,

    의붓딸, 의붓아버지, 의붓어머니, 의붓자매, 의붓아들, 숙부(큰아버지/외삼촌/친삼촌), 부인을

    포함한다.

  • 28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b. A public official is anyone who by law, rule, regulation, or delegation, has

    appointment or promotion authority, or authority to recommend employees for appointment

    or promotion. Any supervisor at any grade level, who has authority to appoint or promote,

    or to recommend the appointment or promotion of employees, is a public official. A

    personnel or placement officer who has authority to appoint or promote, or to recommend

    the appointment or promotion of employees, is also a public official.

    b. 공직자란 법률, 규칙, 규정, 또는 위임에 의해 임용하거나 승진 시킬수 있는 권한, 또는

    직원에 대한 임용이나 승진을 추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임용, 승진, 또는

    임용이나 승진을 추천할 수 있는 모든 직급의 감독자는 공직자이다. 직원을 임용하거나 승진시킬

    수 있는 권한을 가지거나, 또는 임용이나 승진을 추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이나 임용관

    역시 공직자이다.

    c. Public officials are prohibited from selecting, advocating, or recommending relatives

    for positions. A public official may not recommend verbally or in writing, a relative’s

    appointment, employment, promotion, or advancement anywhere in the official’s own

    organization or the organization over which the official exercises jurisdiction or control.

    This prohibition includes any action that reveals an interest in helping a person’s

    consideration for appointment, employment, promotion, or advancement. This includes

    referring a relative for consideration to a subordinate employee, letters of introduction,

    and transmittal of applications.

    c. 공직자들은 공석에 친인척을 선발, 제청, 또는 추천할 수 없다. 공직자는 자신의 기관이나

    자신이 관할하거나 통제하는 기관 어디에서도 구두상으로나 서면으로 친척의 임용, 고용, 승진,

    또는 영전을 추천해서는 아니 된다. 이는 어떤 개인을 임용, 고용, 승진 또는 영전에 고려하도록

    도우려는 관심을 표시하는 모든 조치를 포함한다. 이는 임용을 고려하도록 부하 직원에게

    친인척을 의뢰하는 일, 소개서, 지원서의 전달을 포함한다.

    d. Relatives will not be assigned to a position having any level of supervisor-employee

    relationship or leader-employee relationship where a relative is to supervise the employee

    or to be supervised by the employee, or where a relative is to have control/influence over

    the work of the employee or the employee is to have control/influence over the work of

    the relative. (See subparagraph 2-4e for an exception to this rule.) Employees may not

    advocate selection of any relative for any position in the same office or organizational

    element. Management officials should avoid appointing relatives to the same

    organizational unit under the same first-line supervisor unless no reasonable alternative

    exists.

    d. 친인척이 직원을 감독하거나 직원의 감독을 받거나, 또는 친척이 직원의 업무를 통제하고

    영향을 행사하거나 직원이 친척의 업무를 통제하고 영향을 행사하는 경우와 같이 모든 직급의

    감독자-직원 관계, 또는 리더-직원 관계를 갖는 직위에 친척을 임용할 수 없다. 직원들은 같은

    사무실이나 부서에 있는 여하한 직위에도 친척의 선발을 제청할 수 없다. 경영관리관은 다른

    합당한 대안이 없는 한 친인척 관계인 사람들을 같은 직속 감독자가 관할하는 같은 부서에

    임용하는 일을 회피해야한다.

  • 29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e. When submitting job applications, applicants are responsible for identifying their

    relatives employed by USFK. When the assignment of an employee will violate

    restrictions on employment of relatives, the servicing CHRA/CPAC/HRO/CPF will try to

    offer an alternate placement, when possible. An employee’s assignment right under RIF

    takes precedence over restrictions on employment of relatives and personal favoritism.

    e. 구직자는 구직 신청서를 제출할 때 주한미군에 고용된 친인척을 밝힐 책임이 있다. 직원의

    임용이 친인척 고용에 대한 제한 규정을 위반하게 될 경우, 관할 CHRA/CPAC/HRO/CPF 는

    가능할 경우 다른 직위에 임용하도록 노력을 기울인다. 직원의 감원시 배치권리가 친인척고용과

    개인적 정실인사에 대한 규제 조항보다 우선한다.

    (1) When a supervisor marries a subordinate, the appointing authority must

    prescribe procedures to ensure proper personnel actions. In this case, an involuntary

    reassignment may be appropriate. Each case is to be evaluated separately,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fic circumstances involved. An appropriate action is for management to

    give either of the parties the opportunity to decide to leave. If the parties involved do not

    make a decision on which will leave, management will take action. Both employees will be

    screened against all vacancies within the CPAC/HRO/CPF serviced area and given an

    involuntary reassignment. In view of the sensitivity and possible legal implications in

    addressing this situation or potential nepotism situation, CPAC/HRO/CPF labor

    management employee relations staff should be involved immediately.

    (1) 관리감독자가 부하직원과 혼인할 경우, 임명권자는 적절한 인사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 이 경우 직권에 의한 재배치가 적합할 수 있다. 모든 경우 구체적인

    사정을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평가해야 된다. 관련 당사자들 중 한 편이 전근하도록 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적절한 조치이다. 어느 편이 전근할 것인지 관련 당사자들이 결정을 하지

    못할 경우 경영진이 조치를 취한다. 양측 직원들을 관할 CPAC/HRO/CPF 내의 모든 공석에 대해

    고려하여 직권 재배치한다. 이 같은 상황이나 있을 수 있는 친인척고용 상황을 언급함에 있어

    민감성과 법적인 사안이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 CPAC/HRO/CPF 의 노사관계직원이 즉시

    개입해야 한다.

    (2) When relatives are reassigned in a public official’s own organization or an

    organization over which the public official exercises jurisdiction or control, the

    CHRA/HRO/CPF will offer alternative placement by screening vacancies within the

    CPAC/HRO/CPF serviced area. The employee who was placed into the organizational

    element by RIF where a relative is to supervise the employee or to be supervised by the

    employee will be reassigned to the first available position for which he or she meets

    qualifications as specified by USFK Reg 690-118. The CPAC/HRO/CPF labor management

    employee relations staff should be involved when this situation exists.

    (2) 친인척이 공직자 자신의 기관이나 그 공직자가 관리하거나 통제권을 행사하는 기관에

    재배치되었을 때, CHRA/HRO/CPF 는 관할지역 내의 공석을 검토하여 대체 직위를 제안한다.

    친척이 직원을 관리감독하거나 직원이 친척을 관리감독하는 부서로 감원배치된 직원은 주한미군

    규정 690-118 에 명시된 자격요건을 충족시키는 배치가능한 첫번째 직위로 재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CPAC/HRO/CPF 의 노사관계직원이 간여해야한다.

  • 30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2-5. Announcement of Vacancies

    2-5. 공석의 공고

    a. Supervisors will submit a Request for Personnel Action (RPA)/SF 52 through

    appropriate channels to their servicing CHRA/HRO/CPF. The servicing CHRA/HRO/CPF

    will prepare and distribute vacancy announcements, unless there is an available candidate

    in priority group 1 through priority group 4 or non-competitive placement candidate.

    Supervisors will encourage employees to apply under vacancy announcements.

    a . 관리감독자는 적절한 관리계통을 통해 인사조치신청서(RPA/SF 52)를 관할

    CHRA/HRO/CPF 로 제출한다. 관할 CHRA/HRO/CPF 는 우선순위 그룹 1~4 에 임용가능한

    후보자가 없을 경우, 또는 비경쟁배치후보자가 없을 경우 공석공고를 배포한다. 관리감독자들은

    직원들에게 공석채용공고에 지원하도록 장려한다.

    b. The CHRA/HRO/CPF will--

    b. CHRA/HRO/CPF 는--

    (1) Widely publicize information on vacant positions in accordance with (IAW) this

    regulation.

    (1) 본 규정에 따라 공석에 대한 정보를 널리 공고한다.

    (2) Screen candidates. Jobs requiring proficiency in English will be advertised in

    English. Jobs which do not require English, or only a very low level of English written

    comprehension, will be advertised in both English and Hangul.

    (2) 후보자를 선별한다. 영어 능력을 요구하는 직위는 영문으로 공고한다. 영어 능력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극히 낮은 수준의 영어 독해능력만이 요구되는 직위는 영문과 한글로

    공고한다.

    (3) The servicing CHRA/HRO/CPF will maintain a central announcement register

    and a copy of all published announcements. As a minimum, an announcement will contain

    the following:

    (3) 관할 CHRA/HRO/CPF 는 중앙채용공고등록철과 모든 공고된 채용공고 사본을

    관리유지한다. 채용공고는 최소한 다음 사항을 포함해야 한다.

    (a) Title, pay plan, series, grade, salary/salary range, organization, and duty

    location of the position.

    (a) 직위의 명칭, 급여계획, 직무계열, 급수, 급여액/급여 범위, 소속기관, 소재지

  • 31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b) A 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duties to be performed.

    (b) 수행할 주요 업무에 대한 간략한 기술.

    (c) A summary of the minimum qualifications required for the position.

    (c) 해당 직위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자격요건 개요.

    (d) Whether the position has a promotion potential.

    (d) 해당 직위의 승진 가능성 여부.

    (e) Whether the position is temporary or permanent; if temporary, not to

    exceed (NTE) date will be provided.

    (e) 해당직위가 임시직인지 영구직인지; 임시직일 경우 고용 만료일 (NTE) 명시.

    (f) Opening and closing dates. Announcements will be distributed and posted on

    bulletin boards and/or internet web sites prior to the opening date and remain open for at

    least 7 consecutive days.

    (f) 공고 개시일과 공고 마감일. 채용공고는 공고 개시일 전에 게시판,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해서 배포되고 게시되어야 하고 최소 7 연속일동안 계속공고 되어야한다.

    (g) Who may apply and the area of consideration (geographic or organizational)

    from which applications will be accepted. The minimum area of consideration for Korean

    General Schedule (KGS)-12 positions and above is component-wide. If there are

    sufficient eligible candidates available for KGS-11 positions and below, a Korea-wide

    announcement need not be made. The labor market condition controls when an

    announcement is open to applicants outside the current workforce.

    (g) 지원 대상자와 지원서 접수 대앗 고려 지역 (지역 또는 부서). 한국인 사무직 12 급

    이상의 직위에 대한 최소 고려지역은 각 군(軍: component)이어야 한다. KSG-11 이하 직위에

    대해서는 후보자가 충분하게 있을 경우 주한미군 전역에 공고할 필요가 없다. 현직 직원이 아닌

    외부구직자들에게 채용공고가 개방된 경우 노동시장 환경에 따른다.

    (h) A statement regarding entitlement to preferential consideration based on

    established priority groups. Placement preference is applied using priority groups in

    descending order, priority 5 (highest) to priority 9 (lowest).

    (h) 채용 우선 순위 그룹을 근거로 한 임용 우선권에 관한 설명. 임용 우선권은 높은

    순위에서부터 낮은 순위로, 즉 우선순위 그룹 5 (가장 높은 순위)부터 우선순위 그룹 9 (가장 낮은

    순위) 순으로 적용한다.

    (i) Information on how and where to apply.

  • 32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i) 지원 방법과 접수처에 관한 정보.

    (j) The statement “It is the policy of USFK to employ based on qualifications

    and merit. No employee may request, offer, or accept gratuity, in exchange for

    employment or promotion within USFK, nor may they interfere with applicants exercising

    their rights to apply for consideration. Any employee found guilty of these practices will

    be subject to removal from USFK employment. Anyone aware of acts or omissions

    contrary to this policy is urged to immediately contact the servicing CHRA/HRO/CPF or

    HQ USFK, CPD, ATTN: FKCP-SES, Unit #15237, APO AP 96205-5237, commercial

    telephone: 0505-724-4106, 02-7914-4106, or military telephone: 724-4106.”

    (j) “자격요건과 능력에 따른 임용은 주한미군의 정책입니다. 어떠한 직원도 주한미군

    내에서의 고용이나 승진을 대가로 금품을 요구하거나 주고 받을 수 없으며, 구직자의 구직 권리

    행사를 방해 할 수 없습니다. 이와 같은 행위로 적발되는 직원은 주한미군으로부터 파면될

    것입니다. 이 정책에 위배되는 행동이나 이를 방조한 행위를 알고 있는 사람은 관할

    CHRA/HRO/CPF 또는 주한미군 사령부, CPD, 참조: FKCP-SES, 부대번호 15237, 군우 96205-

    5237, 전화 0505-724-4116, 02-7914-4106, 또는 영내전화 724-4106 으로 즉시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라는 안내문.

    (k) Selective placement factors. Include special skills, education, credentials,

    and language requirements, if applicable.

    (k) 선발 기준 요소: 해당될 경우, 전문 기술, 교육, 자격, 언어구사능력.

    (l) Conditions of employment. Include tour of duty, working conditions, and

    travel information, if applicable.

    (l) 근무 조건: 해당될 경우, 근무일정, 근무 환경, 여행 정보 등.

    (4) Not accept applications after the closing date of an announcement unless late

    receipt of the applications is caused by reasons for which the applicant is not responsible.

    (4) 직원의 귀책사유가 아닌 이유로 인해 지원서 접수가 늦어진 경우를 제외하고는

    채용공고 마감일 이후에는 구직신청서를 받지 않는다.

    (5) A vacancy announcement announced as “open until filled” cannot be amended

    once a referral list has been issued to management and selection is made unless an

    administrative error occurred. However, referral lists developed may be used in the

    future for multiple similar positions.

    (5) “충원시까지 계속 공고”로 공고된 채용공고는 ‘후보자 명부’가 경영진에 발부되고

    선발이 끝나고 나면 행정상의 착오가 있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변경할 수 없다. 그러나 작성된

    ‘후보자 명부’는 이후 여러 개의 비슷한 직위에 대해 사용할 수 있다.

  • 33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2-6. Competitive Actions

    2-6. 공개 경쟁 인사조치

    Competitive placement procedures apply to the following placement actions:

    경쟁절차를 통한 임용 절차는 다음의 임용 조치에 적용된다:

    a. Promotion of an employee to a higher grade than that currently held. Promotions

    will be processed competitively, except as noted in paragraph 2-7.

    a. 현재의 직급보다 높은 직급으로 직원 승진. 2-7 항에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승진은 경쟁

    절차를 거쳐 이루어진다.

    b. Movement from a nonsupervisory position to a supervisory position, to a leader or

    foreman position, or to a position that has known promotion potential beyond the

    employee’s current grade.

    b. 비관리감독직으로부터 관리감독직, 리더나 작업감독직, 직원의 현재 직급보다 높은

    직급으로의 승진 가능성이 있는 직위로의 이동,

    c. Temporary promotion or detail of an employee to a higher grade position for more

    than 120 days within a consecutive 12 month period.

    c. 연속되는 12 개월기간 내에 상위직급의 직위로 120 일 이상 임시승진 또는 임시보직 부여.

    d. Referral or placement of any candidate from outside the current USFK KN APF and

    NAF workforce. This includes reemployment of former USFK APF and NAF employees.

    d. 현직 주한미군 세출/비세출 자금 직원 외의 외부 구직자의 선발제고를 위한 회부 또는 배치.

    이는 전직 주한미군 세출/비세출 자금 직원들의 재고용을 포함한다.

    e. An employee can apply for a vacancy announcement IAW this regulation even

    though the employee has less than six months in his/her current position (see Chapter 2,

    subparagraph 2-7h(2)(b)), except when the employee has moved to the current position

    involving payment of a relocation allowance within six months. USFK NAF employees

    newly hired on or after 1 July 2004 will be required to serve no less than one year in the

    position to which they are initially hired before they can voluntarily accept any other

    position unless approved by management.

    e. 직원은 본 규정에 의거하여 현직에 6 개월 미만 근무했더라도 채용공고에 지원할 수 있다.

    (제 2 장 2-7h(2)(b)항 참조. 직원이 6 개월 내에 이동수당을 지급 받고 현재의 직위로 전직했을

    경우는 제외한다.) 2004 년 7 월 1 일 또는 그 이후에 새로 채용된 주한미군 비세출 자금 직원들은

    관리측의 승인이 없는한 다른 직위로 자발적으로 전직하기에 앞서 최초로 채용된 직위에 최소한

    1 년 이상 근무해야한다.

  • 34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2-7. Noncompetitive Actions

    2-7. 비경쟁 인사조치.

    The following placement actions do not require competitive procedures:

    다음의 임용조치들은 경쟁적인 절차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a. Position changes to avoid adverse actions under RIF, Transfer of Function (TOF), or

    discontinuance of activities. These placement provisions have priority over provisions in

    this regulation for positions at the same or lower grade of surplus employees to be placed.

    This provision does not include assignments to positions of higher grade or to positions

    with known promotion potential. Placements of employees affected by RIF will be made in

    priority group order.

    a. 감원, 기능이전 (TOF), 또는 업무중단과 같은 상황에서 불리한 인사조치를 피하기 위한

    직위 전환. 이 배치 관련 조항들은 잉여 직원들에 대한 동일 직급 또는 하위 직급 직위로의 배치에

    관한 조항들에 대해 우선권을 가진다. 본 조항은 상위 직급 직위로의 임용이나 명백한 승진

    가능성을 가진 직위로의 임용은 제외된다. 감원 대상 직원에 대한 임용은 우선순위그룹의 순위에

    따라 이루어진다.

    b. Repromotion of an employee under subparagraph 2-11d(1).

    b. 2-11d(1)항에 따른 직원의 재승진.

    c. Involuntary management initiated actions (reassignment) when the actions are

    considered in the best interests of the government and will not violate other provisions of

    this regulation. An example of this type of action would be to assist in pre-RIF placement

    efforts.

    c. 관리측 직권에 의한 인사조치 (그러한 인사조치가 정부에 최선의 이익이 되고 본 규정의

    다른 조항들에 위배되지 않을 때 재배치). 감원전 배치노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인사조치가

    이러한 유형의 인사조치의 예이다.

    (1) Notice period. Employees affected by an involuntary management directed

    action will normally be informed, in writing, of the reason for the action at least 30 days

    before the effective date (exclusive of the date of receipt by the employee and the

    effective date). A notice of less than 30 days is acceptable in an emergency situation,

    provided the pay of the employee is not affected for at least 30 days.

    (1) 통고 기간. 관리측 직권에 의한 인사조치에 영향을 받은 직원들은 일반적으로 (직원이

    통보를 수령한 날짜와 발효일을 제외하고) 발효일 최소 30 일 전에 그 인사조치에 대한 사유를

    서면으로 통보 받는다. 직원의 급여가 최소 30 일 동안 영향을 받지 않을 경우, 비상시에는 30 일

    미만의 사전 통고도 허용될 수 있다.

  • 35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2) Involuntary management directed reassignments may be to positions in the

    same or a different area: serviced, competitive, or commuting area, and the employee will

    not be involuntarily reduced in grade. Management directed reassignments to a different

    commuting area will require employee’s concurrence. (See subparagraph 4-34c for a TOF

    action.) The action must not violate the employee’s assignment right under RIF

    procedures.

    (2) 관리측 직권에 의한 재배치 조치는 동일 또는 타지역 (인사처 관할 지역, 경쟁지역,

    또는 통근지역)에 취할 수 있으며, 직원은 비자발적으로 강등되지 않는다. 경영관리측 지시에

    의한 타통근지역으로의 재배치는 직원의 동의를 필요로 한다. (기능이전에 관해서는 4-34c 항

    참조). 해당 조치는 감원절차상 직원의 임용 권리에 위배되어서는 아니된다.

    (3) If the employee does not concur with the proposed involuntary management

    directed reassignment within the same commuting area, the employee will be subject to

    termination-involuntary.

    (3) 직원이 경영진이 제시한 관리측 직권의 통근권내 재배치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직원은 비자발적 고용종료의 대상이 된다.

    d. Normal progression of an employee from an established trainee position to a higher

    grade or the full performance level of a nonsupervisory position when competition was

    held at the time of initial placement. Promotions under this rule must have supervisory

    approval and CHRA/HRO/CPF concurrence. When formal on-the-job or other training is

    required as part of the development program, the employee development officer/specialist

    must certify that all training requirements have been completed.

    d. 최초 임용시 경쟁과정을 거쳤을 경우, 직원이 견습직 직위에서 상위 직급 또는 완전한 업무

    수행 수준의 비감독직으로 정상적인 영전. 이 규칙에 의한 승진은 관리감독자의 승인과

    CHRA/HRO/CPF 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 직원 계발 프로그램의 일부로서 공식적인

    현장직무교육이나 다른 교육훈련이 필요할 경우 직원계발담당관/전문직원은 모든 필수

    교육훈련을 이수했음을 증명해야한다.

    e. Promotion of an incumbent when the job is upgraded because of a change in position

    classification standards or the correction of a classification error.

    e. 직위분류기준이 변경되거나 직위분류 오류의 정정으로 인해 재직 중인 직위의 직급이

    상향조정되었을 경우 재직자의 승진.

    f. Promotion resulting from reclassification to a higher grade of encumbered position

    because of the addition of duties and responsibilities if—

    f. 업무 내용과 책임의 추가로 인한 직위 재분류로 인해 재직 중인 직위의 직급이 상향

    조정됨으로 인한 승진.

  • 36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1) The employee continues to do the same basic functions present in the former

    position and the duties of the former position are included in the new position.

    (1) 직원은 기존 직위에서와 같은 기본 기능을 계속 수행하며 기존 직위의 업무가 새로운

    직위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2) The addition of the duties and responsibilities does not adversely affect other

    encumbered positions (e.g., abolishing another position, reducing the known potential of

    another position).

    (2) 업무와 책임이 추가 됨으로써 재직자가 있는 다른 직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다른 직위를 폐지하거나 다른 직위의 직급을 낮추는 것).

    (3) The employee meets qualification requirements for the reclassified position.

    When the selecting official supervises several employees who are performing substantially

    equivalent duties, he/she must consider all such employees for the addition of the newly

    identified, higher graded duties. Once a determination is made as to which position will be

    reclassified, the selecting official must certify, in writing, that all such employees were

    considered for addition of the higher level duties. That certification must accompany the

    reclassification RPA/SF 52. This action requires no vacancy announcement.

    (3) 직원은 재분류된 직위의 자격요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선발담당관이 근본적으로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는 여러 명의 직원들을 관리감독하는 경우, 그는 새롭게 파악된 상위직급

    업무를 추가하는데 있어 모든 직원을 고려해야한다. 어떤 직위를 재분류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이

    일단 이루어지면, 선발담당관은 해당되는 모든 직원들에 대해 상위직급 업무 추가를 고려했음을

    서면으로 증명해야 한다. 이 증명서에는 직위재분류 인사조치신청서(RPA/SF 52)를 첨부해야

    한다. 이 조치는 공석 채용공고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g. Temporary promotions and details to higher graded positions of not exceeding 120

    days within any consecutive 12 month period. Prior service during the preceding 12

    months under noncompetitive temporary promotions and noncompetitive details to higher

    graded positions counts toward the 120-day total.

    g. 연속되는 12 개월 기간 내의 120 일을 초과하지 않는 기간동안 상위직급으로의 임시승진과

    임시보직. 직전 12 개월동안의 상위직급으로의 비경쟁 임시승급과 비경쟁 임시보직은 120 일

    기간에 포함되어 계산된다.

    h. Reassignment or CLG of an employee to a position, which provides no higher

    promotion potential than the position currently held, based on mutual agreement between

    management and the employee. The following procedures will be followed in requesting

    noncompetitive reassignment or CLG.

    h. 관리측과 직원의 합의 하에, 현재 재직중인 직위보다 높은 직급으로 승급될 가능성이 없는

    직위로 직원을 재배치 또는 하위직으로의 재배치. 비경쟁 재배치 또는 하위 직급의 직위로의

    재배치를 요청함에 있어 다음의 절차가 적용된다.

  • 37 USFK Reg 690-1, 6 January 2009

    (1) Employees may request reassignment or CLG. There is no guarantee of

    movement to a new position. This is a voluntary request to be considered for

    noncompetitive selection by supervisors having vacant positions. A request for

    reassignment or CLG may be processed without the issuance of a referral list if the

    gaining supervisor requests the placement, the employee concurs in writing and the

    CHRA/HRO/CPF determines that the employee meets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1) 직원은 재배치 또는 하위직급으로의 재배치를 요청할 수 있다. 새로운 직위로

    재배치된다는 보장은 없다. 이는 공석을 보유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