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EEKLY NEWS 24†µ권-제198... · 2019-06-20 · 24 975 2 12 22 3,453 381 10,903 827 1,275 7...

7
◎ 경기도 감염병 주간소식은 경기천년체로 작성되었으며, http://www.gg.go.kr/archives/3735027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가장 최적화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 경기도 감염병 주간소식을 정기구독하고 싶으시거나 내용에 관련된 문의가 있으시면, E-mail([email protected])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계절적 유행 시기를 맞아 말라리아가 지난 4주 대비 증가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 말라리아 위험지역(경기, 인천, 강원 북부)에 거주하거나 해당 지역을 여행할 때에는 말라리아 감염예방 수칙(야간 외출 시 긴 옷 착용, 야외취침 시 모기장 사용, 모기 기피제 사용 등)을 준수합니다. - 모기에 물린 후 말라리아 의심 증상(오한, 발열, 땀흘림 후 해열 등이 반복적으로 수일간 지속)이 발생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습니다. ☞ [리플렛 / 포스터] 말라리아 온전한 인식이 안전한 예방을 만듭니다 A형간염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 주별 150~200건이 신고되고 있으며, 올해 2,303건이 신고되어 전년동기간 대비 430% 증가하였습니다. ■ 국외 주요 감염병 소식 - 콩고민주공화국 북키부주에볼라바이러스병 유행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2019.6.17.기준 2,481명 환자 보고) - 우간다 카세세구(Kasese district)에서 3명의 에볼라바이러스병 확진환자가 보고되었습니다. 이들은 에볼라바이러스병으로 사망한 할아버지의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유행지역인 북키부주 마발라코 지역을 다녀온 가족으로 첫 번째 환자인 5세 어린이와 두 번째 환자인 50세 할머니는 치료 중 사망하였습니다. 이번 주에는 보건소 사업 소개 「구리시보건소 감염병대응팀의 고군분투 방역민원 정복기」를 담았습니다. 발행일 2019.6.20.(통권 제198호) 발행처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 발행인 이희영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돌마로 172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 4층 4206호 전화 031-738-0300 팩스 031-624-5021 홈페이지 http://www.gidcc.or.kr THE WEEKLY NEWS WEEK 24 경기도 감염병 주간소식 통계 이용 시 주의사항 - 감염병 신고현황은 발행일 기준으로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웹통계시스템(is.cdc.go.kr)에 제공되는 자료에 기초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2018년, 2019년 자료는 변동 가능한 잠정통계로 각 질병별로 규정된 신고범위(환자, 의사환자, 병원체보유자)의 모든 신고건을 포함합니다. - 별도의 감시체계로 운영되는 결핵, HIV/AIDS 및 표본감시대상 감염병은 제외되었습니다. 2019년 제24주 / 6월 9일 - 6월 15일 CRE 감염증 40유행성이하선염 158수두 586라임병 4폐렴구균 5매독(1) 11말라리아 11C형간염 37성홍열 56A형간염 200201924주차 경기도 감염병 신고현황 뎅기열 1해외유입 321홍역 신증후군출혈열 급성B형간염 백일해 매독(2) 레지오넬라증 뎅기열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렙토스피라증 기타 감염병 신고 지난 4평균대비 증가 감소 변동없음 클릭! 하시면 보다 자세한 감염병 현황을 보실 수 있습니다. - 1 -

Transcript of THE WEEKLY NEWS 24†µ권-제198... · 2019-06-20 · 24 975 2 12 22 3,453 381 10,903 827 1,275 7...

Page 1: THE WEEKLY NEWS 24†µ권-제198... · 2019-06-20 · 24 975 2 12 22 3,453 381 10,903 827 1,275 7 2 190 411 115 17 724 1 10 50 3 1 6,974 296 9,873 1,767 2,123 14 5 194 433 66 1 19

◎ 경기도 감염병 주간소식은 경기천년체로 작성되었으며, http://www.gg.go.kr/archives/3735027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가장 최적화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 경기도 감염병 주간소식을 정기구독하고 싶으시거나 내용에 관련된 문의가 있으시면, E-mail([email protected])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계절적 유행 시기를 맞아 말라리아가 지난 4주 대비 증가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 말라리아 위험지역(경기, 인천, 강원 북부)에 거주하거나 해당 지역을 여행할 때에는 말라리아 감염예방 수칙(야간 외출 시

긴 옷 착용, 야외취침 시 모기장 사용, 모기 기피제 사용 등)을 준수합니다.

- 모기에 물린 후 말라리아 의심 증상(오한, 발열, 땀흘림 후 해열 등이 반복적으로 수일간 지속)이 발생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습니다. ☞ [리플렛 / 포스터] 말라리아 온전한 인식이 안전한 예방을 만듭니다

■ A형간염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 주별 150~200건이 신고되고 있으며, 올해 2,303건이 신고되어 전년동기간 대비 430% 증가하였습니다.

■ 국외 주요 감염병 소식

- 콩고민주공화국 북키부주의 에볼라바이러스병 유행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2019.6.17.기준 2,481명 환자 보고)

- 우간다 카세세구(Kasese district)에서 3명의 에볼라바이러스병 확진환자가 보고되었습니다.

이들은 에볼라바이러스병으로 사망한 할아버지의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유행지역인 북키부주 마발라코 지역을 다녀온

가족으로 첫 번째 환자인 5세 어린이와 두 번째 환자인 50세 할머니는 치료 중 사망하였습니다.

■ 이번 주에는 보건소 사업 소개 「구리시보건소 감염병대응팀의 고군분투 방역민원 정복기」를 담았습니다.

발행일 2019.6.20.(통권 제198호)

발행처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

발행인 이희영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돌마로 172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 4층 4206호

전화 031-738-0300 팩스 031-624-5021 홈페이지 http://www.gidcc.or.kr

T H E W E E K L Y N E W S

W E E K

24

경기도 감염병 주간소식 통계 이용 시 주의사항

- 감염병 신고현황은 발행일 기준으로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웹통계시스템(is.cdc.go.kr)에 제공되는 자료에 기초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2018년, 2019년 자료는 변동 가능한 잠정통계로 각 질병별로 규정된 신고범위(환자, 의사환자, 병원체보유자)의 모든 신고건을 포함합니다.

- 별도의 감시체계로 운영되는 결핵, HIV/AIDS 및 표본감시대상 감염병은 제외되었습니다.

2019년 제24주 / 6월 9일 - 6월 15일

CRE 감염증40건

유행성이하선염158건

수두586건

라임병4건

폐렴구균5건

매독(1기)11건

말라리아11건

C형간염37건

성홍열56건

A형간염200건

2019년 제24주차 경기도 감염병 신고현황

뎅기열1건

해외유입

3건

2건

1건

홍역

신증후군출혈열급성B형간염백일해

매독(2기)

레지오넬라증

뎅기열

쯔쯔가무시증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렙토스피라증

기타 감염병 신고

지난 4주 평균대비

증가 감소 변동없음

클릭! 하시면 보다 자세한 감염병 현황을 보실 수 있습니다.

- 1 -

Page 2: THE WEEKLY NEWS 24†µ권-제198... · 2019-06-20 · 24 975 2 12 22 3,453 381 10,903 827 1,275 7 2 190 411 115 17 724 1 10 50 3 1 6,974 296 9,873 1,767 2,123 14 5 194 433 66 1 19

(경기도 감염병 주간소식 통계 이용 시 주의사항)

- 감염병 신고현황은 발행일 기준으로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웹통계시스템(is.cdc.go.kr)에 제공되는 자료에 기초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2018년, 2019년 자료는 변동 가능한 잠정통계로 각 질병별로 규정된 신고범위(환자, 의사환자, 병원체보유자)의 모든 신고건을 포함합니다.

- 별도의 감시체계로 운영되는 결핵, HIV/AIDS 및 표본감시대상 감염병은 제외되었습니다.

2019년 제24주차 주요 법정감염병 발생현황연도 2019 주차 24 등록보건소 전체

질.. 감염병명

2019

24주 23주 22주 21주

1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A형간염

총계

2 백일해

파상풍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일본뇌염

수두

급성B형간염

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폐렴구균

풍진(후천성)

총계

3 말라리아

성홍열

한센병

수막구균성수막염

레지오넬라증

비브리오패혈증

발진열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브루셀라증

공수병

신증후군출혈열

매독(1기)

매독(2기)

매독(선천성)

CJD/vCJD

C형간염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

총계

4 뎅기열

큐열

라임병

유비저

치쿤구니야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

지카바이러스감염증

보툴리눔독소증

신종감염병증후군

웨스트나일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총계

202

200

2

160

159

1

184

180

1

3

172

169

3

753

5

1

586

158

2

1

732

3

3

574

147

3

2

863

1

2

709

146

4

1

852

6

1

672

168

2

2

1

165

40

37

3

11

1

2

2

2

56

11

150

27

34

4

5

2

1

1

1

4

53

18

149

37

44

3

4

1

1

1

3

45

10

163

53

36

4

4

2

1

57

6

7

2

4

1

3

1

1

1

4

1

1

2

3

2

1

동기간대비 (1.1-24주)

2019 2018

479

435

1

13

4

26

2,343

2,303

9

8

5

18

14,448

102

48

11,560

2,692

3

1

42

14,199

2

72

42

11,653

2,298

109

3

20

4,825

735

1,008

7

2

90

214

20

3

58

24

1

2,573

90

3,325

894

925

10

1

62

142

19

9

11

19

2

43

4

1,119

65

34

5

1

15

13

58

2

4

1

11

21

19

증감율(%)

389.8

429.9

800.0

-30.8

25.0

-30.8

-0.4

-25.5

-12.5

2.2

-13.9

3,533.3

200.0

-50.0

-30.4

23.5

-7.5

42.9

-50.0

-30.0

-33.6

-5.0

266.7

-67.2

79.2

300.0

-56.0

-27.8

70.6

-20.0

1,000.0

40.0

46.2

이전해 연간 보고건수

2018 2017 2016 2015 2014

558

484

10

14

8

42

693

648

4

11

8

22

1,305

1,231

22

23

3

26

1,504

1,379

42

31

15

35

2

819

720

11

28

13

47

18,426

13

45

13,437

8

3

4,757

147

2

14

18,696

56

43

13,581

11

4,982

1

1

21

18,762

83

87

14,732

3

5

3,829

2

5

16

28,017

113

1

97

23,120

2

4,593

1

90

32,812

166

103

27,000

3

5,409

5

2

124

3,121

15

12

60

197

93

10

813

4

8

5

2

1

1,603

298

3,740

8

6

69

260

101

16

812

2

6

13

1

2,027

419

5,403

8

4

117

266

139

24

975

2

12

22

3,453

381

10,903

827

1,275

7

2

190

411

115

17

724

1

10

50

3

1

6,974

296

9,873

1,767

2,123

14

5

194

433

66

1

19

507

2

8

63

2

4,344

325

63

8

5

50

142

67

7

1

2

2

63

134

2

28

1

2

5

9

87

132

4

56

1

7

9

55

119

47

1

5

23

43

해외유입(24주)

1

1

질병군

2019년 제24주차 주요 법정감염병 신고현황

- 2 -

Page 3: THE WEEKLY NEWS 24†µ권-제198... · 2019-06-20 · 24 975 2 12 22 3,453 381 10,903 827 1,275 7 2 190 411 115 17 724 1 10 50 3 1 6,974 296 9,873 1,767 2,123 14 5 194 433 66 1 19

산과 개천, 저수지 등이 있는 구리시에서는 매년 200~300건의 방역민원이 접수되어 왔지만, 방역 담당자 1명이

매일 접수되는 다양한 방역민원을 대응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또한 민간업체에 위탁하여 방역을 실시하다보니

정해진 일정에 맞춰 일률적으로 방역을 실시하기 때문에 필요한 곳에 추가방역을 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구리시보건소에서는 2019년 현 방역 담당자가 역임하면서 이런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역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발생현황 분석

첫 단계는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민원의 주관성을 배제할 수는 없으나 방역민원이 많이 접수된 지역이 아무래도

모기발생 빈도가 높을 것이라 생각했다. 2016~2018년까지 3년간의 민원 데이터 662건의 월별, 연도별, 지역별

방역민원 발생 추이 및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도별, 월별 민원 발생의 지역적 차이는 거의 없었다. 지역적으로는 교문1동, 수택1동, 수택2동 순서로

민원이 많이 제기되었으며, 발생 장소는 주택가 주변, 공원, 복개천 주변 순으로 민원 접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 장소에서 해충발생 민원이 반복적으로 신고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구리시 보건소는 민원이 많이

접수된 지역의 데이터를 공간 시각화하여 모기제로 방역지도를 제작하였다.

해충 발생원인 조사

연도별 민원발생의 지역적 차이가 거의 없고, 동일 장소에서 민원이 반복적으로 신고 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지역(취약지역)을 해충 발생 전 선제적으로 방역을 실시하면 해충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따라서 취약지역의 해충 발생 원인을 조사하여 맞춤형 방역을 실시하기 위해 해충 발생 원인을 조사하기로 했다.

취약지역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크게 행태적 원인, 지리적 원인, 구조적 원인, 일시적 원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원인에 따라 민원 발생 시기에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체계적인 원인 분석을 위해서는 데이터 분석 뿐

아니라 현장 점검이 필요했다. 3~4월 두 달간 복개천, 공원, 정화조 등 민원이 제기된 장소를 직접 발로 뛰고

눈으로 확인하며 취약지역에 맞는 선제적 방역 방법을 구상하였다.

<보건소 사업 소개>

구리시보건소 감염병대응팀의 고군분투 방역민원 정복기- 모기제로 방역지도부터 민간자율방역 시범마을 운영까지 -

- 3 -

<그림1. 연도별 방역 민원 발생 현황(2016~2018년)>

Page 4: THE WEEKLY NEWS 24†µ권-제198... · 2019-06-20 · 24 975 2 12 22 3,453 381 10,903 827 1,275 7 2 190 411 115 17 724 1 10 50 3 1 6,974 296 9,873 1,767 2,123 14 5 194 433 66 1 19

더불어 관련부서(공원녹지과, 하수과)와 관내 방역 민간 위탁업체에 분석결과를 공유하여 해충발생 감소를 위한

방제방안을 마련하였다.

맞춤형 선제적 방역 실시산, 개천 등 지리적 특성이 문제가 되는 지역과 반복되는 민원발생 지역에는 유문등을 설치하여 월별로 포집되는

모기종을 조사하고 유충이 발견되는 지역은 유충구제 방역을 실시했다. 또한 복개천, 수변산책로 부근에는 포충기를

설치하여 주민 야간활동 시 모기방역을 실시하였다. 행태적 원인이 제기된 지역은 아무래도 주민들의 인식 개선과

참여가 필요하므로 자율방역 시범마을을 선정하여 주민주도형 방역 사업을 추진하였다. 자율방역 시범마을로

수택2동이 선정되었고, 자원봉사자 10여명의 주민은 민간 전문가에게 방제 교육을 받은 후 월 2회 마을 곳곳에

방역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사업의 효과 및 남은 과제본격적인 사업을 진행한지 3개월 만에 방역민원이 44%감소하였다. 복개천의 모기민원에 따른 해결문제는 영원한

숙제로 남아 있지만 민간자율방역단으로 새마을 지도자회 딸기원청년회, 사노동청년회, 인창동 노인회가 활동하고

있으며, 또한 각 동 자율방제단과 여타의 봉사단체에서도 민간자율방역에 참여하겠다는 의견을 타진함에 따라

사업이 종료되는 10월 말에는 좀 더 큰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해본다.

“앞으로도 체계적인 분석을 통한 근거중심의 선제적 맞춤형 방역으로

매개체 감염병에서 안전한 구리시를 만들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여

시민이 행복한 구리 시민행복특별시를 만들어갈 예정입니다” (최애경 구리시보건소장)

- 4 -

<그림3. 자율방역 시범마을 발대식>

◆ 행태적 원인

- 주민들의 행태적인 문제와 주변 환경에 의해 주로 발생

- 3~12월까지 민원 신고

◆ 지리적 원인

- 산, 개천, 저수지, 고원 등 지리적 특성에 영향 받음

- 날씨가 따뜻해지는 4월부터 12월까지 민원 신고

◆ 구조적 원인

- 복개천이 지나가는 지역으로 계절과 상관없이 민원 발생

◆ 일시적 원인

- 전통시장 화재, 재건축 지역의 쓰레기 무단투기 등으로 일시적, 다발적 민원 발생

<그림2. 모기제로 방역지도> <취약지역의 해충 발생원인조사 결과>

Page 5: THE WEEKLY NEWS 24†µ권-제198... · 2019-06-20 · 24 975 2 12 22 3,453 381 10,903 827 1,275 7 2 190 411 115 17 724 1 10 50 3 1 6,974 296 9,873 1,767 2,123 14 5 194 433 66 1 19

밑줄을 클릭! 하시면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 매일 언론을 통해 발표되는 경기도 및 국내 주요 감염병소식을

www.gidcc.or.kr/gypd-type/국내 소식에서 한 눈에 확인하세요.

※ 세계보건기구(WHO) 에 보고된 감염병소식(DONs)은

www.gidcc.or.kr/gypd-type/국외소식에서 번역된 요약본을 확인 하세요.

에볼라바이러스병(Ebola virus disease) - 우간다(Republic

of Uganda)

- 2019.6.11. 우간다 보건국(Ministry of Health, MoH)은

카세세 구(Kasese district)에서 에볼라 확진환자를 확인함

· 확진환자는 2019.6.2. 에볼라 확진환자로 판명된 할아버지

장례식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참석 후 마발라코 헬스존

(Mabalako Health Zone)으로부터 가족과 함께 여행을 한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온 5세 아이임

· 2019.6.10. 첫 번째 환자와 가족들은 브웨라(Bwera) 국경초소를

통해 우간다로 들어왔으며, 에볼라 의심환자로 진단한 카간도

(Kagando) 병원에서 진료 받기를 희망하여, 브웨라 에볼라

치료소(Ebola Treatment Unit, ETU)로 이송됨

· 2019.6.11. 우간다 바이러스 연구소(UVRI)는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을 확인함

· 2019.6.12. 첫 번째 환자 사망함

- 2019.6.12. 사망한 첫 번째 환자와 함께 여행하고, 브웨라

에볼라 치료소(ETU)를 같이 방문했던 두 명의 의심환자

(사망한 첫 번째 확진환자의 할머니(50세)와 남동생(3세))가

에볼라 확진 판정을 받음

· 2019.6.13. 두 번째 확진환자인 할머니 사망함

· 카간도 병원과 브웨라 에볼라 치료소 의료진들은 이미 예방접종을

마친 상태였음

· 다른 접촉자들 현재 계속 모니터링 중임

국내 소식 해외 감염병 발생 소식

THE WEEKLY NEWS

- 5 -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 교육 및 행사

[질병관리본부]

인수공통감염병 관리를 위한 효과적 협력방안 모색 06.13(목)

[질병관리본부]

경기도 파주지역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얼룩날개모기 올해 첫

확인! 06.14(금)

[질병관리본부]

전남(순천시, 함평군)·충남(아산시, 태안군) 어르신 대상 찾아가는

결핵 조기검진사업 시행 06.16(일)

[질병관리본부]

말라리아 없는 자유롭고 건강한 국가 만들기를 추진한다! 06.17(월)

[질병관리본부]

영아 보툴리눔독소증 환자 감염경로 조사중 06.18(화)

[질병관리본부]

국제의약품구매기구(Unitaid) 제32차 집행이사회 개최 06.19(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처, 여름철 다소비식품' 집중 수거.검사 06.13(목)

[식품의약품안전처]

IOT 활용 여름철 수산물 비브리오 안전관리 06.20(목)

[경기도청]

도, 접경지 ‘말라리아 철통 방어’ 정기 방역등 선제적 대응체계 구축

06.13(목)

2019년 경기도 감염병관리 역량강화 실무자 3차 교육(FETP)

일시 / 장소 : 2019년 6월 19일(수)~6월 21일(금), 2박3일 / YBM 연수원(경기도 화성시)

대상 : 경기도 보건소 감염병 관리 담당자 및 도청 관계자 총 43명 [담당 : 이선영(031-738-0311)]

2019년 경기도 지역사회 감염관리 교육

일시 / 장소 : 2019년 7월 5일(금) 09:00~18:00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 제5세미나실

대상 : 경기도 의료기관(병원) 내 감염관리간호사 및 업무관련자 (약 30명) [담당 : 홍희윤(031-738-0306)]

Page 6: THE WEEKLY NEWS 24†µ권-제198... · 2019-06-20 · 24 975 2 12 22 3,453 381 10,903 827 1,275 7 2 190 411 115 17 724 1 10 50 3 1 6,974 296 9,873 1,767 2,123 14 5 194 433 66 1 19

해외여행 시 말라리아 대국민 예방수칙말라리아, 이것이 궁금하다!

말라리아 예방법에는 모기기피 및 예방약을 복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예방약을 복용하는 경우에도 모기기피제 사용을 병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예방약을 복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의사와 상담 후

적절한 약을 복용해야 합니다.

말라리아는 어떻게 감염되나요?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가 사람을 물어 감염

되며, 드물게는 수혈이나 주사기 공동 사용에

의해 전파되기도 합니다.

말라리아에 감염되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말라리아에 감염되면 초기에는 권태감과 발열

증상이 수일간 지속되며, 이후 오한, 발열, 발한 후

해열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두통이나 오심, 설사

등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국내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여행하는 경우에도 예방약

복용이 필요한가요?

아닙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내 말라리아 위험

지역을 방문한다고 하여 예방약 복용을 권고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국내 말라리아 위험 지역을

방문하는 경우에는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말라리아에 감염되면 격리를 해야 하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말라리아는 모기매개 감염병으로

환자 또는 접촉자 격리 등의 조치는 필요하지 않지만,

수혈 등을 통한 혈액 전파 가능성이 있어 헌혈을

금지해야 합니다.

말라리아 감염이 의심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말라리아 의심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 즉시 의료기관

(주로감염내과)을 방문하여 치료 받으시면 됩니다.

국내 말라리아의 경우, 해외 말라리아와 달리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완치가능합니다.

만약, 말라리아 발생 지역(해외) 여행 또는 거주

후에 말라리아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가까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해외 여행력을 알리고 치료를

받으셔야합니다. 해외에서 발생하는 말라리아의

경우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시기 예방법

여행 전

• 모기에 물리지 않는 회피 수단에 대해 숙지

• 모기에 물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적절한

기피수단(피부노출을 최소화 하는 긴 옷, 기피제,

체류기간·체류장소에 따라 적절한 모기장 등)을 준비

• 각 국가별로 발생하는 말라리아 종류 및 약제내성

등이 다르므로 여행하는 국가에 따라 의사와 상담 후

적절한 예방약을 복용

• 응급상황에 대비하여 여행지역에서 이용 가능한

의료시설에 대해 숙지

•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는 시간 (해 질녁 ~ 새벽

시간)에는 가능한 외출을 자제

• 취침 시에는 가급적 창문을 닫고, 적절한 방법으로

모기장을 설치하며, 특히 야외에서 취침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모기장을 이용

• 외출 시에는 가급적 긴 팔, 긴 바지 등 을 착용하고,

의복이나 노출된 부위에 기피제 사용

• 말라리아 예방 약의 경우 종류에 따라 위험

지역에서 벗어난 후에도 길게는 4주까지

복용하여야 하므로 정해진 기간 동안 적절한

복용법에 따라 복용기간을 준수

• 해외 위험지역 여행 후 모기매개 감염병 의심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가까운 병·의원을 찾아 전문

의사에게 여행력을 알리고 진료 받기

• 여행 후 최소 1개월 간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할 것을 권고

여행 중

여행 후

말라리아온전한 인식이

안전한 예방을

만듭니다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서 전파되는 급성 열성질환으로

원충종류에 따라 총 5가지의 말라리아가 존재합니다.

문과 창에 방충망을 설치하고, 방충망이 없을

시에는반드시 모기장을 사용합니다.

말라리아 환자 중 충분한 치료를 받지 않아서 혈액내에 원충이 계속

남아있게 되는 경우, 매개모기가 감염되어 새로운 환자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치료 후에는 검사를 통해 혈액 내 원충이 사라졌는지 꼭

확인하여야 합니다.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는 저녁(해질녘)부터

새벽까지는 가능한 외출을 자제하고, 불가피하게

외출 시에는 가능한 밝은 색의 옷으로 긴 소매의

상의와 긴 바지를 착용합니다

기피제는 식약처에 등록된 용법용량을준수하며

노출된 피부나 옷에 엷게 바르고, 눈이나 입,

상처에는 사용을 금합니다.종류 (잠복기) 분포

열대열말라리아(9~14일)

주로 아열대 및 열대지방에 분포하며 특히

아프리카 지역에서 발생하고 병원성이 가장 높음

삼일열말라리아단기(12~18일)장기 (6~12일)

열대열 말라리아보다 증상은 심하지 않으나

지리적으로 가장 넓게 분포하며, 주로 온대,

아열대지방에서 발생

사일열말라리아(18~24일)

열대열과 비슷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나 발생

빈도가 낮음

난형열말라리아(12~18일)

아프리카 지역 및 아시아, 오세아니아 일부

지역에서 국지적으로 발생

원숭이열말라리아(11~12일)

원숭이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종으로 최근

사람에서의 감염이 확인

주요 증상

전세계 말라리아 발생 및 위험지역

2018년 국내 말라리아 위험지역

전파경로

한국의 말라리아 발생현황

주요 임상증상은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 증상을 의미하며, 보다 자세한 증상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참조

연도별 국내 말라리아 환자 발생현황

감염된 모기가

사람을 흡혈

사람이 말라리아에

감염됨

모기가 흡혈하여

말라리아 감염

말라리아란? 말라리아 발생현황 국내 위험지역 방문 시

말라리아 감염예방 수치

말라리아 완치조사에 참여

권태감과 서서히 증가하는 발열이 초기 수일간 지속

오한, 발열, 발한 후 해열이 반복적으로 나타남

0

500

1,000

1,500

0

30

60

9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782

64

501

55

385

60

558

80

국내발생 (명) 국외유입(명)

628

71

602

71

438

79

509

71

치료가 완료될 때까지 보건소와 함께 하세요!

≥1 CASES

Certified malaria free

since year 2000

Zero CASES in 2016

말라리아 위험지역

1명 - 20명

41명 - 60명

61명 - 80명

101명 - 122명

2018년 1주 - 52주

Page 7: THE WEEKLY NEWS 24†µ권-제198... · 2019-06-20 · 24 975 2 12 22 3,453 381 10,903 827 1,275 7 2 190 411 115 17 724 1 10 50 3 1 6,974 296 9,873 1,767 2,123 14 5 194 433 66 1 19

말라리아로부터 안전할 수 있는 방법

말라리아 예방수칙 준수

외출시 모기 물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적절한 기피수단(긴옷, 기피제 등)을 준비하세요.

외출 시

실내취침시에는 가급적 창문을 닫도록 하고,

야외에서 취침하는 경우 모기장을 이용하세요.

취침 시

말라리아 위험국가 여행시, 국가별 말라리아

예방약 종류 및 약제내성이 다르므로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와 상담후 예방약을 복용하세요.

말라리아 위험국가 여행시

말라리아 위험국가 또는 지역에서 벗어난 후에도

말라리아 의심 증상 (오한, 발열 등)이 나타나면

즉시 가까운 병의원을 찾아 진료받으세요.

위험국가를 벗어난 후

말라리아온전한 인식이안전한 예방을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