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53
S6: 심리 게임과 각본 분석 1. 심리 게임의 기본 개념 이해 2. 자기가 연기하는 심리 게임 진단 3. 심리 게임을 제거하는 방법 체득 학습목표

description

TA 101, Session 6

Transcript of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Page 1: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S6: 심리 게임과 각본 분석

1. 심리 게임의 기본 개념 이해

2. 자기가 연기하는 심리 게임 진단

3. 심리 게임을 제거하는 방법 체득

학습목표

Page 2: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심리 게임(Game)

반복해서 행해지고, 또 파괴적인 결말로 끝나는 바람직하지 않은 교류

1. 숨겨진 의도가 있다. 2. Ⓐ 인식이 없다. 3. 시작과 전환과 결말이 있다. 4. 반복하여 행한다. 5. 부정적 인생태도를 확인한다.

Page 3: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에릭 번의 게임 공식

C + G = R → S → X → P · O 거 걸려 응 전 혼 결 는 + 드는 = → → → 사 사람 답 환 란 말 람

(Con)

(Gim

mic

k)

(Response)

(Sw

itch)

(Cro

ss-up)

(Pay-off)

Page 4: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카프만의 게임공식 - Drama Triangle -

박해자 Persecuter

구원자 Rescuer

희생자 Victim

Page 5: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게임분석 반복하여 행해져서 자신도 지긋지긋해 하고 있

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반복해서 트러블을 일으키는 심리적 게임이 있다. 부부생활, 직장생활, 사회생활에서 자주 보여지는 것으로 예측가능하고, 정형화되어 있으며, 통상 불유쾌한 이면적 행동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인생게임의 종류와 구조를 이해하고 그 취급방법을 확인 파악하여 비건설적, 비생산적인 게임을 끊음(game-free)으로써 인간행동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인간관계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고 있다.

Page 6: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심리게임 사례연구

● 박해자 게임 이 게임은 자기를 기만해 온 상대에 대해서 그가 저지른 사소한 잘못, 실언, 착오 등을 이용 해서 그때까지 축적했던 노여움을 폭발하는 것이다.

☞ 사례 연구: 혼내주겠다 게임

Page 7: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 희생자 게임 이 게임은 직장에서 지각을 한다든지 자신도 모르게 실수를 자주하면서 상대를 화나게 해서 「 역시 나는 별 수 없는(Not OK)놈이다 」, 즉 자기부정적 태도를 확인하게 된다.

☞ 사례 연구: 혼내주세요 게임

심리게임 사례연구

Page 8: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 구원자 게임 무엇이든 해주는 식의 지나치게 우세한 NP의 행동은 상대의 주체성이나 자율성을 저해하고 인간에게 있어서 가장 소중한 능력을 체득할 수 없게 한다. 우세한 NP는 결과로서 당신들은 내가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지 」 라는 구원자 게임을 연출하게 된다

☞ 사례 연구: 도와주려고 했는데, 마마 보이 게임

심리게임 사례연구

Page 9: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현실 심리게임 찾기 등장인물 실 제 대 화 내 용

Page 10: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심리 게임 관리방법 *게임의 시초에 주의하고 그것을 피하여야 한다. 많은 게임은 상대를 비난하고 무시하는 데서 시작된다.

*일상생활에서 자기가 때때로 체험하는 주요한 감정, 즉 초조함, 후회, 분노, 자책감 등에 초점을 맞춰서 그것과 행동과의 관계를 객관적으로

(Ⓐ를 가지고) 관찰하도록 한다.

*드라마삼각형의 3가지 역할(박해자, 희생자, 구원자) 의 어느것도 연출하지 않도록 한다. 결말을 생각해서 그것을 철저하게 회피하는 수단을 구체적으로 강구하도록 한다.

*기존의 교류 시스템을 바꾸어 본다. 게임은 항상 비생산적인 교류형태를 계속 하므로 연출된다. Ⓟ, Ⓐ, Ⓒ를 사용해서 자기행동의 발신 원을 밝히고 그것을 바꾸어 본다. 대개의 경우 말하기보다는 경청하는 태도로 바꾸면 게임은 중단된다.

Page 11: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각본분석

Page 12: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각본분석

인간은 유아기에 부모와의 접촉을 중심으로 하여 배양된 인간관계에서 일정한 반응의 습관을 갖고 있다.-> 기본적 인생태도

여기에 기타 다른 경험을 통한 결단들이 더해져서 형성된 인생에 대한 청사진: 각본

어린 시절에 프로그램화된 각본이 그 뒤 성인이 되어 하는 행동을 지배하게 되어 마치 어린 시절에 녹화된 테이프나 필름을 성인이 되어 틀거나 방영하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Page 13: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무대와 각본 귀염받는 사람은 귀염받는 짓만 골라하고, 미움받는 사

람은 미운 짓만 골라한다.

어린 시절에 짜여진 인생각본(life script) 그대로 행동하기 때문

인생은 한편의 연극

각본: 인생 드라마에서 내가 현재 연출하고 있는 역할

프레드릭 펄즈(Frederik Perls) 공적인 무대 – 실제의 삶의 무대

사적인 무대 – 연출하고 싶은 삶의 무대

인간은 가소성 동물-> 재결단

Page 14: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인생은 같은 것을 반복

같은 것의 반복이 인생의 대부분

데자뷰(dejavu)

매너리즘(manerism)

각본형성 과정을 알고 불필요한 인생각본(생활각본)에서 탈출

쉽지 않은 일상 탈출

Page 15: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대뇌의 발달과 모형 작성

대체로 최초의 기억(First Memory)이 외상적 체험(Trauma)이 되고 외상적 체험이 초기결단(Early Decision)이 되며, 그 후 두 번째 기억(Second Memory)이 재결단(Redecision)이 됨

생후 더럽혀지지 않는 뉴런 세포가 형성

이어 반복하여 일정한 패턴이 작용

단백질 합성형인 「기억물질」 형성

이어서 영구기억(모형) 형성

Page 16: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조건부여와 그 과정

자극(S=stimulus)

동인(D=driver)

반응(R=reaction)

S-D(S1-R1)-R

모니카는 잊어버리지 않는다

라버밴드(Rubber Band)효과

Page 17: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부모의 영향

부모의 언행이 유아의 “마음” 형성에 깊이 관여

유아 새하얀, 한 점의 오염되지 않은 것

사람은 누구나 왕자와 공주로서 이 세상에 태어나는 존재-에릭 번

정신적 승자로서 태어난 존재-TA제창자 존지워드, 제임스 여사

성선설, 당신도 OK,나도 OK.

왕자와 공주를 개구리로 만드는 부모

Page 18: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유아기의 정보가 기본

생후 3~4년에 걸쳐 무분별하게 모으고 비축한 지식, 체험은 일생 소거되지 않고 그 후의 인생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본적 정보원:인생각본, 심리각본

이같이 과거에 배운 것은 강화도기는 할지언정 수정되는 경우는 드물다

그 사람의 기본적인 행동요인 “인생각본”=>인생태도, 인생개임, 인정자극, 에누리, 시간의 구조화의 기반이 됨

Page 19: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부모가 형성하는 “어린이”

최초의 자아상태는 자연스런 ⓒ=NC만을

갖고 있다.

FC형성

C2의 완성

ⓟⓐⓒ의 모체로서의 C2

Page 20: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각본의 성립

*각본은 인생조기의 결단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파괴적인 각본은 흔히 부모의 ⓒ에 의해서 형성된다

너같은 자식은 태어나지 않았으면 좋았을텐데!

내가 남자아이라면 좋았을 텐데.

나가 버려! 너같은 자식은 O씨 가문에 없다!

*각본은 때로는 이면교류에 의해서 어린아이의 ⓒ에 기록된다

Page 21: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각본의 모형(script matrix)

스타이너(Steiner)는 각본이 형성되는 과정을 도식화

하여 ‘각본의 모형(母型)’을 고안했다. 여기에서 말하

는 심신중환자의 친자관계의 예를 보면 환자는 어머니

로부터 다음 두 가지의 메시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된다.

① “성장하여 독립된 어른으로 되어라”

② “성장하지 말아라.” “나를 떠나서는 안 된다”

각본은 Ⅰ의 가치관(대항각본), Ⅱ의 금지령, Ⅲ의 구체

적 수단(모델)의 세 가지가 콤비로 되어 형성된다

Page 22: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인생 각본 분석

인생태도를 잘 보면 그 사람이 어떤 게임을 선택 할 것인가, 그 종류와 그 이유를 알 수 있고, 평생 어떻게 살아갈 지에 대해서 근거를 얻을 수 있게 됨

Page 23: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각본분석의 목적

어린 시절에 녹화된 내용을 분석하고 지각하여

잘못된 각본에서 탈피(script-free)하고 재결단을 통해 장차 새로운 생활을 설계하고 자기계발을 도모하는 것

Page 24: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초기 결정 및 재결단(redecison-making)

초기결단-유아는 부모의 애정을 잃는 것을 두려워 한 나머지, 부모가 가혹한 요구를 해도 부모를 즐겁게 하기 위해서 또는 부모에게 순응하기 위해서 자신이 해야 할 것에 대해서 내리는 어떤 결단

재결단-초기결단이 각본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삶을 가장 완벽하게 살겠다는 새로운 결심을 하도록 격려 받아야 하는데, 이러한 격려와 지지를 통한 새로운 결심

Page 25: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각본의 종류

승자 각본

Berne-자기가 선언한 목적을 성취한 사람

Robert Goulding – 세상을 더 낫게 만드는 사람의 형성시기

패자 각본 : 선언한 목표를 성취하지 못한 사람

비극적 목적을 성취하는 각본은 ‘실패’

비승자각본

중용주의자(평범한 각본)

Page 26: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기본적 인생각본

병리적 인생각본의 3가지 기본형

1) 억울형 (애정 결핍증) : 어린 시절부터 스트로크에 대해서 부모로부터 주어지는 금지령을 따르고 있다. /애정기아

2) 정신장애형 (사고 결핍형) : 올바르게 생각해선 안돼

3) 약물의존형 (기쁨 결여형) : “느끼지 마”의 금지령

Page 27: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금지령과 대항금지령

금지령(injunction): 부모가 자녀에게 주는 명령 중 불공평하고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것

부모자신의 고통들(분노, 불안, 좌절, 불행 등)으로부터 부모의 내면에 있는 아동에 의해 그 아동에게 주어지는 메시지

이 메시지들은 아동들에게 그들이 무엇을 해야 하며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를 말해준다.

비록 이런 명령들 중의 어떤 것은 부모에 의해 자녀에게 언어적이거나 직접적인 방식으로 전달되기도 하나 부모의 행동으로부터 추론 되는 경우가 더 많다.

Page 28: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금지령의 종류 ①해서는 안 된다 (Don't)

② 있어서는 안 된다 (Don't Be.)

③ 가까이 하지 마라 (Don't Be Close.)

④ 중요한 사람이어서는 안 된다 (Don't Be Important)

⑤ 너(아들, 딸)여서는 안 된다 (Don't Be You)

⑥ 생각하면 안 된다 (Don't think)

⑦ 애들 같이 굴지 말아라 (Don't Be a Child.)

⑧ 성공하지 말아라(Don't succeed.)

⑨ 건강해도 안 되고 바른 정신이어도 안 된다 (Don't Be Sand and Don't Be Well.)

⑩ 성장하지 말아라 (Don't Grow Up.)

⑪ 소속되지 말아라 (Don't Be Belong.)

⑫ 느껴서는 안 된다 (Don't Feel.)

Page 29: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① 해서는 안 된다 (Don't)

위협적인 부모들에 의해 주어지는 명령으로서 이 명령은 아동에게 어떤 일이 재앙을 초래할지 모르니까 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이런 명령을 수락하는 아동들을 그들이 하는 어떤 것도 정당하거나 안전하지 못하다고 생각하게 되어 다른 사람에게 그들을 보호해 달라고 하며 그들을 결정해 달라고 기대한다.

가능한 결정들 : ‘나는 스스로 결정할 수 없어요. 그래서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해야 할지를 나에게 말해 달라고 부탁하려고 해요.’ ‘나는 잘못된 결정을 내릴 까봐 두려워요. 그래서 결정하고 싶

지 않아요.

Page 30: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② 있어서는 안 된다 (Don't be.)

모든 메시지 중 가장 치명적인 것으로 이것은 때로 말로서는 전달하지 않지만 부모의 태도 속에서 은연중에 아동에게 전달된다. 이 메시지는 ‘내가 너를 낳지 말았어야 하는 건데, 그리고 너와 함께 지내지 말았어야 하는 건데’라는 식으로 나타날 것이다. 이 존재하지 말았어야 한다는 메시지는 잔인성이나 무관심을 내포한다.

가능한 결정들 : ‘나는 당신이 원하는 것을 하겠어요. 그리고 내가 이 집안에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행동하겠어요.’ '만약 상태가 너무 나빠진다면 난

죽겠어요.’

Page 31: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③ 가까이 하지 마라 (Don't be close.)

이 부모적 메시지는 신체적으로 접촉하지 않거나 아동을 한쪽으로 밀어놓는 부모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이런 명령에 의한 메시지는 ‘믿지 말고 사랑하지 말라’이다.

가능한 결정들: '나는 다시는 여자(남자)를 믿지 않겠어요.' 나는 가까이 가지 않겠어요. 그렇게 하는 것이 상처 받지 않는 길이니까요’ 로 나타난다.

Page 32: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④ 중요한 사람이어서는 안 된다 (Don't be important)

예) ‘너는 아이니까 침묵하고 있어라’

‘나는 결코 중요한 사람이 되지도 않을 것이고 그런 느낌마저도 갖지 않겠다. 내가 어떤 값진 일을 했더라도, 절대 알리지 않겠다.’와 같은 초기결단을 내리게 할 수 있다.

이런 금지령을 받고 초기결단을 내린 사람은 늘 그늘에서 뒷바라지 일을 맡는데 만족해 하며 역경을 헤쳐 나가지 못하고 열등감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Page 33: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⑤ 너(아들, 딸)여서는 안 된다 (Don't be you)

예) “네가 남자(여자)였더라면”

자기의 성별을 싫어한다든가 자신을 알지 못하고 부적응을 일으키기 쉬운 삶의 행동을 지배하는 금지령이다.

Page 34: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⑥ 생각하면 안 된다 (Don't think)

어른자아상태의 기능을 금지한다.

‘나는 아무 것도 모른다.’ ‘생각해서는 안 된다.’

유연성과 창조성이 결여되어있다.

Page 35: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⑦ 애들 같이 굴지 말아라 (Don't be a child.)

보다 나이가 든 아동이 받는 이런 메시지는 책임감을 갖고 다른 아동을 돌볼 것을 요구한다.

성장함에 따라 아동은 자신이 장난치거나 어린아이처럼 행동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음을 알게 될 것이다.

가능한 결정들 : ‘나는 언제나 어른다울 거에요.' 결코 어린아이 같은 짓은 하지 않겠어요.’

Page 36: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⑧ 성공하지 말아라(Don't succeed.)

만약 전형적으로 부모가 아동을 비난한다면 그 메시지는 '너는 그것을 할 수 없어.’ ‘너는 옳은 일을 할 수 없어’가 될 것이다.

이런 아동들은 실패에 부딪히면 결코 성공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갖게 될 것이다.

가능한 결정들 : ‘내가 아무리 노력한다고 하더라도 난 결코 충분히 훌륭해질 수 없을 거예요.’

Page 37: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⑨ 건강해도 안 되고 바른 정신이어도 안 된다 (Don't be well and Don't be sane.)

어떤 아동은 신체적으로 아프거나 미친 것처럼 행동할 때 부모의 애정을 받는다.

미친 행동이 보상 받아서 조형된다.

가능한 결정들 : ‘나는 미칠 거에요.’ (아플 거에요. 그래서 주위를 끌겠어요)

‘나는 미쳤어요.’

Page 38: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⑩성장하지 말아라 (Don't grow up.)

부모의 메시지 중 하나는 '아동을 넘어서서 자라지 말아라’, '자라서 내 곁을 떠나지 말아라’ 등이다.

이런 명령은 그들의 아동이 자라서 자신들이 다룰 수 없게 될 것을 염려하는 부모들에 의해 주어진다.

가능한 결정들 : ‘나는 어린아이로 남아 무기력한 상태로 있을 거예요. 왜냐하면 나의 부모로부터 좋은 선물을 받을 수 있으니까요.’

Page 39: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⑪소속되지 말아라 (Don't be belong.)

이 메시지는 공동사회나 집단에 소속되지 않았을 때 어떤 편안함을 느끼는 것을 가리킨다.

가능한 결정들 : ‘나는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아서 아무도 날 좋아하지 않을 거예요.’ ‘나는 어디서도 편안함을 느낄 수 없어요.’

Page 40: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⑫ 느껴서는 안 된다 (Don't feel.)

예) ‘우는 아이는 싫어’

희노애락의 감정표현을 하지 못하게 한다. ‘나는 아무것도 느끼지 못한다.’ ‘부모가 느끼는 대로 느끼겠다.’

이런 금지령은 감정과 행동이 분리되는 경향이 생긴다.

Page 41: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대항 금지령(counterinjunction)

금지령에 대항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각본의 진행에 가담하는 작용으로 부모의 내면에 있는 어버이 자아에서 나오는 메시지

부모의 기대를 표현하는 것으로 자녀들이 아무리 열심히 할지라도 불충분하고 이루기 어렵다.

Page 42: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대항 금지령 *금지령은 아동 초기에 부모로부터 받은 메시지

*(1-5세) 아동들은 성장하면서 금지령에 따라서 행동하는 것보다는 자기 자신들의 생각과 느낌대로 행동하려고 한다.

*이것을 부모들은 ‘길항(counter)’이라고 하고, 여기에서 길항금지령이라는 개념이 도출된다.

*어른의 P에서 아동의 P로 전달되는 메시지는 금지령에 반대되는 모형이기 때문에 대항금지령이라고 칭한다.

Page 43: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대항금지령의 명령과 속성 *아동의 각본결단을 부모가 강제적으로 할 수는 있으나 각본 메시지

를 통해서 아동에게 강한 영향력을 줄 수 있다. 이런 각본 메시지는 언어적, 무언어적으로 아동에게 전달된다.

*무언어적 메시지는 아동의 각본 형성에 가장 기본적인 각본 결단을 이루는데 영향을 준다.

(1)명령(Command and Attribution) 각본메시지는 직접적인 명령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방해하지 말라’, ‘공부해라’, ‘속상하게 굴지 말라’등 대부분의

부모들은 헤아릴 수 없는 명령으로 매일 아동에게 각본 메지를 주고 있다.

(2)속성 ① 아동에게 ‘무엇을 해라’가 아니라 그 아동이 어떤 아이인지를

말하게 될 때 이를 ‘속성 (Attribution)’이라 일컫는다. ② 예로써 ‘바보 같은 놈’, ‘절대로 성공 못할 놈’, ‘이러다가는

감옥에나 같힐 놈’,’못된 자식’, ‘내 귀여운 강아지 같은 녀석’등을 들 수 있다.

Page 44: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드라이버(Drivers) *부모들이 아동에게 ‘하라’, 혹은 ‘되어라’

등의 강력한 명령을 전달하는데, 이 명령대로 행하면 인정 받게 되는 부모의 명령

(1) 완전하라(Be Perfect)

(2) 타인을 기쁘게 하라(Please Others)

(3) 강하라(Be Strong)

(4) 열심히 하라(Try Hard)

(5) 서둘러라(Hurry Up)

(6) 조심하라(Be Careful)

Page 45: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자율성의 3가지 능력 - 인식

*알아챈다는 말은 신생아가 하듯이 사물을 보고, 듣고, 느끼고, 맛보고, 냄새를 맡는 등 순수한 감상적 인상을 뜻한다.

알아채고 있는 사람은 자신의 어버이 자아 상태에 적합하도록 세상에 관한 자기의 경험을 해석하거나 여과하지 않는다. 이러한 사람은 외계 자극과 함께 자신의 신체적 감각과도 접촉하고 있다.

Page 46: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자발성: 어떤 사람이 자신의 세 개의 자아상태 중 어떤 자아로도 자유롭게 반응할 수 있음을 의미함

*자신의 어른자아를 사용하여 성인답게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할 수 있다.

*원하기만 한다면 자신의 어린이 자아상태에 몰입되어 자신이 어렸을 때 소유하고 있었던 창의력, 직관력 그리고 강력한 감정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

*부모나 부모상으로부터 학습된 사고, 감정, 행동을 재연시킴으로써 어버이 자아 상태에 반응 할 수도 있다.

*어떤 자아상태를 사용하든지 간에 옛날 부모의 명령에 순응하는 선택보다는 현 상황에 적합하도록 자유롭게 반응할 줄 아는 선택을 할 수 있다.

자율성의 3가지 능력 - 자발성

Page 47: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친밀성: 자신과 타인에게서 각자의 감정과 욕구를 공개적으로 나눌 수 있음을 의미함

*여기서 표출된 감정은 진실된 것이기 때문에 친밀성은 ‘라케티어링’과 ‘게임 플레잉’을 배제시킴

자율성의 3가지 능력 - 친밀성

Page 48: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자율성은 각본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

1) 각본이론은 사람들이 그렇게 행동하는 것은 각본을 보강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라고 주장한다. 각본에 빠지게 되면 ‘과거의 아동’으로 돌아가 우리가 생존하고 욕구충족을 시키는 최선의 방법이 각본대로 하는 것이라고 믿게 되기 때문이다.

2) 만일 자기 각본과 다른 행동, 사고, 감정을 연출한다면 이것은 아동기의 어린이 자아상태에 있는 자신이 미술적 해결책을 포기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자기가 두려워 해오던 어떤 재난에 봉착하게 된다고 믿게 된다.

Page 49: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자율성은 각본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

3) 그래서 현재의 각본재연에 어느 정도의 고통이 따른다고 해도 미래에 다가올지 모르는 재난에 봉착하는 것보다는 낫다고 믿게 된다.

4) 그러므로 진정한 자율성이란 자신의 각본 변화를 통해서 과거에 충족되지 못한 욕구를 발견하고 과거 아동기의 전략이 아닌 현재의 성인으로서의 모든 자질을 회복하고 동원하여 그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Page 50: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자율 행동

교류분석훈련을 통하여 자율적 허가, 자율적 보호, 자율적 치료능력을 배양하여

개인적, 단체적인 정신면을 자기 통제함으로써

A의 자아상태를 강화하여 자발성, 자각성, 친밀성을 통하여 자율성을 갖도록 한다.

교육과 계약으로 문제를 지적으로 해결해서 자아실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age 51: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재결단 (redecision)

*Bob&Mary Gouding의 재결단(redecision)

*Ⓐ를 교육해서 오염된 Ⓟ를 대치(대체)하고 Ⓒ를

‘혼란해서 해제하면’ 분명하게 한다.

*그러면 자각현상(aware)이 일어나서 ’창조적

‘(creative)이고 ’직관적‘(intuitive)이

고 ’자발적‘(spontaneous)인 인간이 되어

서 환상이 아니라 지금(now) 여기에서 이 순간

의 현실을 살줄 아는 변화된 실존적 인간으로 거

듭 태어남

Page 52: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재결단(Redecision)

*Relpace the Parent

*Educate the Adult

*Deconfuse the Child

*awarE

*Creative

*Intuitive

*Spontaneous

*Intimate

*autOnomous

*Now

*오염된 ⓟ의 대치 *ⓐ를 교육

*ⓒ 혼란 해제

*지각현상

*창조적

*직관적

*자발적

*친밀한 인간

*자율적

*지금(여기에서)

Page 53: TA 지도자과정_1단계_S6_출력본

수고하셨습니다.

쏟 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