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 and health in winter

42
겨겨겨 겨겨 겨겨 겨겨 겨겨겨겨겨겨 겨겨겨 겨겨 겨겨겨겨 겨겨겨겨 & 겨겨겨겨겨 겨겨겨

description

겨울철 안전보건 관리 방법 Safety and health in winter 목차 겨울철 안전보건 관리 넘어짐, 화재 등 근골격계 질환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성 평가 스마트 안전보건 안전한 사업장 A to Z

Transcript of Safety and health in winter

Page 1: Safety and health in winter

겨울철 안전 보건

관리안전보건공단 이강돈 과장

안전보건 컨설턴트 & 위험성평가 심사원

Page 2: Safety and health in winter

2

목 차 (Content)산업재해 현주소

사업장 안전보건의 기본 (Must-know)

겨울철 안전 보건

근골격계 질환 (MSD)

위험성 평가 (Risk Assessment)

스마트 안전보건

Page 3: Safety and health in winter

3

산업재해 현주소OECD 국가 중 안전사고 사망률 1 위 (12.1%)

산재사망률 1 위 , 사고사망만인율 0.96 명 (2011)

인구 10 만명당 사망자수 78.2 명 (2009 년 )OECD Health Data 2012

Page 4: Safety and health in winter

4

대한민국 안전사고 발생 영역 변화산재보험 등의 타 보험 영역에서 사고 발생률 증가 (0.7% to 22.4%)* 국내 안전사고의 총량 규모와 취약 영역의 특성 연구 ( 서울대학교 이진석 교수 , 2008)

Page 5: Safety and health in winter

5

산업재해 발생 현황 (1987 ~ 2012)안전보건공단 산업재해통계

Page 6: Safety and health in winter

6

’12 년 산업재해자 수는 ?

Page 7: Safety and health in winter

7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18 조 1,270 억원 = 국내 총생산 (GDP) 의 2% (2011 년 )

* ‘07 년도 서울특별시 예산 (18 조 9,000 억원 ) 과 비슷한 수준

Page 8: Safety and health in winter

8

산업재해 발생 특성

전체 산업재해 중 60% 이상 재래형 재해기본적인 안전수칙 및 안전작업방법 미준수

신규 채용자 산업재해가 전체의 56% 점유 (1 년 미만 )

작업장내 유해위험요인 인지 및 대처 등의 안전의식 부족

50 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 산업재해가 전체의 70% 차지

안전보건의식 부족 및 체계적인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부재

Page 9: Safety and health in winter

9

사업장 안전보건의 기본위험성 평가 ( 법 5 조 )

사업주의 의무 : 근로자 생명 존중 , 안전 및 보건 유지 증진

사업장내 유해 · 위험요인을 지속적으로 파악 · 발굴하고 해당 위험성을 평가 ( 추정 · 결정 ) 하여 관리 · 개선하는 등의 자율 안전관리 활동

※ 근로자의 의무는 산업안전보건법 6 조에 명시되어 있음

Page 10: Safety and health in winter

10

작업관련 사고 발생시 보고 ( 법 10 조 )

사망자 또는 4 일 이상의 요양을 요하는 부상 또는 질병 발생시

1 개월 이내에 산업재해조사표 작성 및 제출 ( 요양신청서 등 )

중대재해 발생시 지체없이 (24 시간 이내 ) 보고

Page 11: Safety and health in winter

11

안전보건 정보 주지 및 게시 ( 법 12 조 )

유해위험요인 ( 시설 , 설비 및 장소 ) 안내 , 경고 및 비상시 조치 등 표지

안내 , 지시 , 경고 , 금지 등의 안전보건 표지 게시 및 부착

※ 비상구 안내 , 안전모 착용 지시 , 감전 , 끼임 등의 경고 , 화기 사용 금지 등

Page 12: Safety and health in winter

12

안전보건 전담자 지정 ( 법 15, 16 조 )

50 인 이상 사업장은 안전관리자 , 보건관리자 선임

※ 자체 선임 또는 대행기관에 안전 , 보건관리자 전담 업무 위탁

※ 수급 ( 하청 ) 업체의 상시 사용 근로자는 도급업체 근로자 산정시 포함

Page 13: Safety and health in winter

13

안전보건 유해위험요인 제거 ( 법 23, 24 조 )

안전상의 조치

기계기구 및 설비 등의 위험

폭발성 , 발화성 , 인화성 물질에 의한 위험

전기 , 열 , 그 밖의 에너지에 의한 위험

보건상의 조치

원재료 · 가스 · 증기 · 분진 · 흄 · 미스트 · 산소결핍 · 고온 · 저온 · 소음 ·진동 등 유해요인

컴퓨터 단말기 작업 , 단순 반복적인 작업 , 인체에 과도한 부담 작업

환기 , 채광 , 조명 등으로부터의 건강장해

Page 14: Safety and health in winter

14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 법 31 조 )

정기 안전보건교육※ 일반 근로자 ( 생산직 , 사무직 ), 관리감독자

채용시 교육 : 신규 채용자 작업 투입 전※ 작업 투입 전 8 시간 이상 ( 제조업 )

특별 안전보건교육 : 38 가지 유해위험 작업※ 동력 프레스 5 대 이상 , 하역운반기계 5 대 이상 , 목재가공용 기계 5 대 이상 , 1 톤 이상의 크레인 작업 등 38 가지 위험 작업이 대상임

Page 15: Safety and health in winter

15

유해위험 기계기구 및 건축물 방호조치 ( 법 33조 )

유해위험방지를 위한 방호조치※ 예초기 , 원심기 , 공기압축기 , 금속절단기 , 지게차 , 포장기계 등

유해위험방지를 위해 필요한 조치※ 사무실 , 공장용 건축물 , 불도저 , 타워크레인 등 차량용 건설기계 등

Page 16: Safety and health in winter

16

위험기계기구 안전검사 ( 법 36 조 )

안전검사 대상 위험기계기구 (12 종 )

※ 프레스 , 전단기 , 크레인 ( 이동식 크레인과 정격하중 2 통 미만 호이스트 제외 ), 리프트 , 압력용기 , 곤돌라 , 국소배기장치 ( 이동식은 제외 ), 원심기( 산업용에 한정 ),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 , 건조설비 및 그 부속설비 , 롤러기( 밀폐형 구조는 제외 ), 사출성형기 ( 형 체결력 294KN 미만은 제외 )

Page 17: Safety and health in winter

17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 비치 ( 법 41 조 )

화학물질 · 화학물질을 함유한 제재를 제조 · 수입 · 사용 · 운전 ·저장할 경우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를 게시 또는 비치

화학물질 등을 함유한 용기 · 포장 등에 경고표지 부착

화학물질 등을 취급하는 근로자에게 교육 실시

Page 18: Safety and health in winter

18

작업환경 측정 ( 법 42 조 )

화학적 인자 (183 종 )

※ 유기화합물 (113 종 ), 금속류 (23 종 ), 산 및 알카리류 (17 종 ), 가스상 물질류 (15 종 ), 허가대상 유해물질 (14 종 ), 금속가공유 (1종 )

물리적 인자 (2 종 ) : 8 시간 시간가중평균 80dB 이상 소음 , 고열

분진 (6 종 ) : 광물성 , 곡물 , 면 , 나무 , 용접 흄 , 유리 섬유

Page 19: Safety and health in winter

19

근로자 건강진단 ( 법 43 조 )

일반건강진단 : 사무직 (2 년에 1 회 ), 생산직 (1 년에 1 회 )

특수건강진단 : 특수검진 유해인자 종사 근로자

배치전건강진단 : 특수건강진단 대상 업무에 종사할 근로자에 대하여 배치 예정업무에 대한 적합성 평가

Page 20: Safety and health in winter

20

겨울철 안전 보건겨울철 재해발생 현황 (2010 ~ 2012 경기북부 )

넘어짐 재해가 전체 겨울철 재해의 15% 점유 ( 총 1,373 건 )

얼음 , 빙판길 재해가 넘어짐 재해의 16.4% 차지 (33 건 )

감김 / 끼임 넘어짐 떨어짐 절단 날아옴 기타 부딪힘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579

201153 148

110 10577

겨울철 재해자수 (11 월 ~ 2 월 )

Page 21: Safety and health in winter

21

눈길 , 빙판길 넘어짐 주요 원인

환경적인 원인

보행시 신발과 얼음 사이에 형성되는 얇은 수막

바닥이 평평하고 문양이 없는 신발 ( 구두 , 부츠 등 )

불안전한 행동

시간에 쫓겨 급하고 서두름

손을 넣은 채 걷는 등 불안전한 보행 방법

Page 22: Safety and health in winter

22

눈길 , 빙판길 넘어짐 예방대책

바닥이 넓고 문양 ( 요철 등 ) 이 많은 미끄럼 방지용 신발 착용

손을 주머니에 넣지 않고 빙판 등을 확인하며 걷기

특히 , 보행시 무게 중심을 낮추고 종종 걸음으로 걷기

사업장 내외부 물기 등은 발견 즉시 제거

미끄럼 , 넘어짐 주의 및 경고 표지 부착

시간을 넉넉히 배분하여 급하게 뛰거나 서두르지 않음

정기적인 휴식 및 적절한 스트레칭 실시

Page 23: Safety and health in winter

23

미끄럼 방지용 신발의 효과는 ?

바닥이 평평하고 문양이 없는 신발의 몇 배 ?

http://www.youtube.com/watch?v=VOh0IFIzfPk

Page 24: Safety and health in winter

24

제설작업시 안전수칙

제설 작업 시작 전 · 중 ·후 스트레칭을 실시하고 적절한 휴식

체온 저하를 막을 수 있도록 보온성 있는 방한복 착용

주 도로 및 이면도로를 주행하는 차량 주의

미끄럼 방지용 안전화 및 안전모 착용하고 턱끈 조임

인력에 의한 제설작업 지양 , 제설 차량 등을 이용

Page 25: Safety and health in winter

25

겨울철 넘어짐 재해예방 동영상

https://vimeo.com/57790880

Page 26: Safety and health in winter

26

겨울철 화재폭발 주요 원인

난방기구 및 전열기구 사용 중 과열로 주변 가연성 물질 착화

전기 배선 등의 과열로 피복 착화

전동기 , 변압기 등 전기기기 과열로 화재 폭발

가연성 또는 인화성 물질 등의 취급 부주의

Page 27: Safety and health in winter

27

겨울철 화재폭발 예방대책

난방기구 및 전열기구 주변 유류 및 가연성 물질 등 격리 보관

규격품의 난방용 전열기 사용 및 문어발식 배선 사용 금지

화기 주변 및 출입구 주위에 소화기 및 방화용 모래 등 비치

평소에 화재시 대피 및 소화요령 등에 대한 안전교육

Page 28: Safety and health in winter

28

화재폭발 예방대책 동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5on43UxhWdE

Page 29: Safety and health in winter

29

근골격계 질환근골격계 질환이란 ?

특정 신체 부위 및 근육의 부적절하고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목 , 어깨 , 팔 , 손목 , 허리 등에 나타나는 만성적인 건강장해

같은 동작을 고정된 자세로 오랫동안 반복함으로써 근육 , 관절 , 신경 등에 발생한 미세한 손상이 주요 원인

신 경 (神 )

힘 줄 (睷 )

근 육 (筋 )

구 조 (骨 )

근골격계질환

목 , 어깨 , 팔 , 허리 , 다리 등

국소신체

부위의 이상 및 통증

작업에 의하여 유발 또는 증상 악화

작업관련 질환

Page 30: Safety and health in winter

30

근골격계 질환 예방대책

공학적 개선 : 인간공학적으로 설계된 인력작업 보조설비 및 편의시설

관리적 개선

의학적 조치 ( 치료와 징후 발생시 예방 포함 )

사업장 : 작업공정 개선 , 교육 , 예방관리 프로그램 시행 , 유해성 주지 등

개인 : 유해성 인식 , 자기 주도적 관리 ( 예방운동 , 근력 강화 , 자기관리 강화 )

Page 31: Safety and health in winter

31

올바른 중량물 운반작업 및 기준

※ 일본 후생성 중량물 운반작업 기준

Page 32: Safety and health in winter

32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자기관리 3 단계

평소 본인의 잘못된 생활습관 및 자세를 찾아라 .

신체 부위별 중립 자세를 인지하고 잘못된 자세를 개선하라 .

중립 자세를 위한 스트레칭 및 근력 강화 운동을 생활화하라 .

신체 중립 자세의 중요성

몸에 주는 부담 최소화

효율적인 근육 에너지 사용

Page 33: Safety and health in winter

33

목의 중립 자세

턱을 최대한 당겨 귀 볼과 어깨뼈 봉우리가 일직선 상에 위치

손가락을 깍지 끼고 양 엄지손으로 밀어 줌 ( 저항 운동 )

수건을 말아서 턱과 목 사이에 끼고 떨어지지 않도록 잡아줌

Page 34: Safety and health in winter

34

어깨 (견갑골 ) 의 중립 자세

뒤쪽 갈비뼈 위에 미끄러지듯 움직이고 , 몸통에 붙어 있음

양팔의 무게를 지탱해야 하므로 어깨 부위 근육 부하가 큼

Page 35: Safety and health in winter

35

어깨 (견갑골 ) 의 잘못된 자세

어깨 비대칭 견갑골 이완 견갑골 수축

어깨 (견갑골 ) 강화 운동 : Chicken Exercise

Page 36: Safety and health in winter

36

척추 근력 강화 운동

척추 ( 허리 ) 보호 근육

횡복근과 복직근

핑퐁 테스트 (Ping-Pong Test)

배꼽 당기기 괄약근 수축 Back Extension

Page 37: Safety and health in winter

37

근골격계 질환 동영상

http://youtu.be/-d6JDSXczOE

Page 38: Safety and health in winter

38

뇌심혈관 질환뇌혈관 질환 +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뇌 속에 있는 혈관이 막히는 뇌경색

뇌 속 혈관이 터지는 뇌출혈

심혈관 질환

심장 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혈관이 좁아져 발생하는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Page 39: Safety and health in winter

39

뇌심혈관 질환 주요 원인

개인적인 위험요인

건강상태 : 고혈압 , 고지혈증 , 당뇨 , 비만 등

생활습관 : 흡연 , 운동 부족 등

유전적 요인 : 연령 , 성별 등

작업관련 위험요인

작업관련 요인 : 과다한 업무 , 교대 근무 , 야간 근무 , 장시간 근무 등

정신적 / 신체적 요인 : 업무 스트레스 , 과도한 신체활동 등

Page 40: Safety and health in winter

40

뇌심혈관 질환 전조 증상

갑자기 한쪽 팔다리에 힘이 없거나 처질 때

말이 어눌해 지거나 잘 나오지 않을 때

갑자기 물체가 두 개로 보일 때

의식장애로 깨워도 잘 일어나지 못할 때

갑자기 심한 두통이 올 때

Page 41: Safety and health in winter

41

뇌심혈관 질환 예방대책

아침에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수축된 근육을 풀어 혈액 순환

식사 조절 , 가벼운 운동 등으로 평소 혈압 관리 철저

달리기 , 걷기 등의 꾸준한 유산소 운동

작업 중 음주는 금물

작업 후라도 한번에 소주 2잔 , 맥주 2잔 이상은 삼가함

뇌졸중 환자 발견시 즉시 119 신고

신고 후 입안 이물질 제거 , 흔들거나 때려서 깨우지 않음 ( 통증 자극으로 혈압 상승 위험 )

Page 42: Safety and health in winter

42

뇌심혈관계 질환 동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yZ3E4foUyI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