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21

Transcript of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Page 1: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생태유아교육연구

2008. 제7권 제1호 , 205 - 225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rtistic Activity Through Eco-friendly play on Young Children's

Art Representation Ability and Self-concept

오 미 경(Mi-Kyung Oh)*

요 약2)

본 연구는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 및 자아개념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S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의 만 4세 유아 남아와

여아 각각 20명씩 전체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에 참여한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미술

표상능력이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하여 자연친화적 놀이에 기초한 미술활동은 유아의 미술

표상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

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자연친화적 놀이 미술에 참여한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개념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하여 자연친화적 놀이에 기초

한 미술활동은 유아의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연

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은 유아들의 미술표상능력 및 자아개념에 긍정적으로 작용하

며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할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주제어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Artistic activity through Eco-friendly play),

미술표상능력Art representation ability)

자아개념(Self-concept)

* 서일대학부설어린이집원장([email protected])

Page 2: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206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Ⅰ. 서 론

유아들의 주변 환경 중에 가장 친숙하고 감각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바로 자연이

다. 자연이 갖는 가치와 중요성은 유치원을 창시한 프뢰벨, 자연의 경험을 중시하는 듀

이(홍은주, 2003)등의 교육이념과 원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자연세계는 유아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며 그 안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생물체들의 독특한 특성과

변화 과정 ,그들 간의 관계 형성 등 신기하고 흥미진진한 과학적 창고와 같아(황의명,

조형숙, 2001) 특별히 구조화된 교육 계획이 없어도 유아들은 자연 그 자체를 접하면서

풍부한 경험을 얻을 수 있다. 아이들은 자연을 좋아하여 산책길에 나무와 꽃을 보면 즐

거워하며 탐색하기도 한다. 자연친화적인 교육 방법으로 자연과 친해지고 교감하며 탐

구하기 접근으로서 자연을 알고 사랑하는 방법(조형숙, 2004)을 제시하고 있는데 자연

과 더불어 풍부한 경험을 제공하여 놀이를 하는 것은 매우 유익한 일이라고 할 수 있

다. 자연친화적인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 조절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고(이영

녀, 2003) 유아들이 본래 가지고 있는 능력과 힘을 발휘하도록 하는 교육으로 자신을

가치로운 존재로 느끼고 성공감을 갖도록 한다(정혜란, 2001).

자연에서 볼 수 있는 흙, 나무, 돌, 들꽃, 열매 등 친숙한 자연의 소재들을 놀이를

통해 보고, 듣고, 만지고, 느껴 보는 직접적이고 감각적인 경험활동은 정서적 안정감과

심미감을 불어넣어 자아개념 형성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유안진, 1985).

유아기에는 자연에 대한 친밀감과 감정 이입적 태도를 갖고 있으므로 자연과의 건전한

관계형성에 주력하여(wilson, 1997) 자연이 우리에게 주는 새로운 경험과 발견을 통해

많은 것을 얻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연과 더불어 놀이가 필요하다. 놀이에 영

향을 미치는 자연세계와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어 자연과 환경교육을 강조하는 연구

(Kilmer, Wilson & Knauerhase, 1996)에 의하면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학습 경험으로

직접 경험을 중요시하여 매일 실외로 나가기를 권장하고 있다.

이에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은 교실을 떠나 자연이라는 넓은 공간에서 환

경과 자신의 관계를 놀이 속에서 발견하여 자연과의 친밀감을 형성하게 되고 자연과 인

간의 밀접한 관계성을 알게 되며 유아에게 독특한 놀이 경험을 제공하여(신동주, 1997

; 노현주, 1994; 고영자, 1998)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미술활동으로 연계하여 유아의 그

림표상능력과 자아개념 형성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활동이다. 최근에는 놀이에 영

향을 주는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의 관계성을 규명하려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

Page 3: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207

어져(이숙재, 1990; 심운숙, 1993; 박수경, 1996; 신동주, 1997; 김성순, 1998) 놀이에

미치는 환경을 중요시하고 있으며 실외환경은 실내 환경 보다 유아가 자유로움을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복합적이고 창조적인 놀이가 진행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으며

(Davis,1995) 실외환경은 활발한 신체활동을 통하여 긴장과 격한 감정을 해소하고 자연

과의 직접적이고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 주어(Cullen, 1993; Rivkin, 1995) 자연친화적

놀이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어 유아기에 발달에 적합한 미술 교육이라고 할 수 있으

며 심도 있게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자연의 본성을 지닌 아이들에게 자연을 탐색하고 생명력을 직접 체험하게 하여 자연

과 함께 공존하는 자연 친화적 프로그램이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임갑빈,

2002) 자연이 주는 순수성이 유아기에 필요함을 입증하고 있다. 특히 자연 속에서 이루

어지는 미술활동은 인간 본래의 순수한 본성의 회복이라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니고 있

어(조현, 2003)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미술활동보다 실외로 나가서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하여 미술활동을 하는 것이 유아기의 본능적인 표상이라고 볼 수 있다.

유아들은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미술활동에 매력을 느끼고 선호하고(박화윤, 2001) 좋

아한다. 표현은 유아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재해석하는 과정이므로 주변의 다양한 세계

에 노출되어 경험, 지각, 판단하는 기회를 유아가 많이 가질수록 표현능력이 향상되어

(Herberholz & Hanson, 1995)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표현을 할 수 있다.

자연친화적 놀이를 경험한 후 미술활동으로 연계하는 활동은 자연에서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이나 지식을 재결합하고 상상력을 추론하고 아이디어를 재창출하면서 유아의 그

림표상능력에 많은 도움을 주게 된다. 유아기의 미술활동은 언어로 표현하기가 미숙한

기쁨, 슬픔, 분노, 즐거움의 내적 감정을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사용하여 정서적 안정감

을 돕기도 하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타인에 대한 존중과 자신의 자아개념 발달

(Jenkins, 1980)에 영향을 주므로 유아의 내면의 세계를 표출 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자연친화적 놀이는 주변의 다양하고 풍부한 자연의 놀이감들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유아의 감각을 자극할 수 있고 놀이에서 얻는 기쁨이나 즐거움의 감

정을 작품으로 연결하여 유아의 내면의 세계를 자연스럽게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하게 되어 감정의 순화에도 많은 도움이 되어 자아개념증진에 도움이 된다.

최근에 자연 친화적 활동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산책활동의 프로그램 소개 및 사례연구(박진영, 2003; 서영희, 1999; 황미경,

2002)와 활동의 경험 유무에 따라 표상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주고(김윤주, 2000; 신화

식, 1998; 오미경, 1995; 지성애, 2001) 교수방법에 따라 유아의 표상능력에 효과가 있

Page 4: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208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음을 밝히고 있어 교수방법의 중요성을 의미하고 있지만 주로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활

동이 대부분이어서 미술 표상활동 증진을 위해서는 자연을 대상으로 놀이를 하면서 눈

으로 보고 귀로 듣고 손과 발로 접촉하며 코로 냄새를 맡는 과정을 통해 사물의 형태와

모양 색깔을 세밀히 살피게 되어 정교하고 독창적인 표상을 하게 되므로 자연에서 이루

어지는 미술은 매우 유익한 활동이다.

자연친화적 교육 및 자연체험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자연친화적 교

육의 중요성과 그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있고(권은희, 2002; 민현숙, 2002; 이영

녀, 2003; 김선월, 2003) 실외놀이 환경은 비구조적인 자연재료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유아들의 상징놀이와 창의적이고 협동적인 놀이에 더 영향이 크다고 하였다(Henniger,

1985; Shin, 1994).

자연 친화적인 실외환경은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기회를 높여주고(엄옥진, 1997; 곽노

의, 1998) 발도로프 교육에서의 자연적 요소의 중요성과 자연활동이 주는 마음의 부드

러움과 솔직함(Joseph, 1996)이 유아들의 노는 환경을 편안하게 해 주기 때문에 자연친

화적인 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은 바람직한 활동임을 시사하고 있다. 자연과 더불어 놀

이를 하면서 생명의 중요성도 인식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도 존중하여 긍정적인 자아개

념에 싹트기 시작하므로(백경선, 1998; 신은수, 1993; 이숙현, 1995; 최승, 1997) 자연

을 소재로 유아들과 활동한다는 것은 유아들의 전인적 성장을 위해 확산되어야 할 놀이

활동이라고 볼 수 있겠다.

앞에서 살펴본 선행 연구들은 자연친화적인 교육의 중요성과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

고 있으나 자연친화적 놀이와 미술 활동을 연계하는 프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를 떠나 자연 속에서 이루어지는 미술활동으로 자연 친화

적 놀이를 경험 한 후 가장 재미있었던 활동이나 인상 깊은 내용을 미술로 표출하는 활

동으로 유아의 미술표상능력과 유아의 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고 결과

를 분석하여 유아미술교육에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가?

Page 5: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209

Ⅱ. 이론적 배경

1. 자연 친화적 실외 놀이 환경과 교육적의의

자연친화적 실외놀이환경은 유아의 학습과 발달을 증진시키는 교육적인 기능으로 놀

이를 통해 유아들이 수렴적, 확산적 사고를 사용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

회를 제공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상황에 더욱 잘 대처하게 도와주며 주변의 자

연물들을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유아의 감각을 자극할 수 있고 생태계의

변화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Frost, 1992). 자연친화적인 실외환경

은 신체적 발달을 위한 보다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자연과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자

연학습의 장소로 복잡한 도시환경 속에서 심리적 압박감을 덜어줄 수 있는 정서적 안정

감 제공과 동시에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맺는 장소의 기능을 한다(노현주, 1995).

실외놀이환경은 실내 보다 넓고 융통성이 있으며, 비구조적인 자연자료를 많이 사용

하기 때문에 유아들의 상징놀이와 창의적이고 상호 협동적인 놀이에 더 영향력이 크다

고 하였다(Henniger, 1985; Shin, 1994). 실외놀이공간은 실내에서 할 수 있는 대부분의

활동이 가능할 뿐 아니라 실내공간보다 보다 교육적으로 더 큰 가치가 있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이숙재, 1990). 놀이를 장려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실외놀이환경을 강조

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Moore, 1992). 실외놀이에서 학문적 성취를 위해 실외 활

동의 시간을 단축시키려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실외환경은 교육과정 운영시 반드시

반영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Tizard, 1976).

현대 사회에서 유아들의 놀이는 사회성 문제로 예전에는 유아들의 놀이가 넓은 자연

공간 속에서 유아들끼리의 사회적 협동 놀이로 전개되었는데 반해 현대에는 도시의 좁

은 가옥이나 공간으로 놀이 공간이 축소되었고 방안과 같은 실내놀이도 전자게임과 같

은 단독놀이로 변질되고 있다. 특히 유아들간의 사회적 교류가 단절 고립되는 현상이

심화되어 ‘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결함을 가져올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다. 현대 사회의

과학화․정보화로 인한 물질물명의 발달이 주는 편리함 속에 유아의 문제 행동이 날로

증가하고 있어 가정에서 정서적 안정을 위한 환경 조성이 우선시되어야 함은 물론 자연

환경 속에서 유아들이 충분히 사고하고 창의적인 놀이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정금자, 1999). 즉 자연친화적 실외놀이환경은 유아의 건강을 유지․증진시킬 뿐

아니라 다양한 놀이 활동을 통해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으며 자연현상과 자연

스럽게 접촉하는 좋은 기회를 제공해 준다. 또한 심리적 압박감을 덜어줄 수 있으며 환

Page 6: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210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경의 탐색, 발견, 학습의 기회를 갖도록 해준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교육적 의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자연친화적 놀이와 유아의 미술표상능력

유아의 미술 표상 능력이란 유아가 미술활동에서 평면이나 입체작품으로 표현하는 능

력을 말한다. 유아의 미술표상능력은 그리기, 만들기, 꾸미기 등과 같은 미적 조형 활

동에서 나타나는 표현 능력을 들 수 있다.

흙이나 돌, 나무, 들꽃, 열매 등 자연물을 직접 보고 느끼며 주변 자연환경에 관심을

갖고 자연과 환경의 관계를 인식하고 놀이를 통해 얻는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생각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미술로 연계하는 활동은 유아들의 표상능력을 돕기 위해 필요하다.

표상은 유아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재해석하는 과정으로 주변의 다양한 세계를 통한 경

험, 지각, 판단하는 기회를 많이 가질수록 표현능력은 향상된다(Herberholz & hanson,

1995). 표현은 표상이라는 말과 동의어로 사용되며 불특정 사물에 대한 막연한 이미지

나 개요가 아니라 특정대상에 따라 떠오르는 내적인 생각, 그리고 그러한 생각이 담긴

외적인 표현물 모두를 의미한다(이종희, 1998). Piaget는 넓은 의미의 표상을 사고와 동

일한 것이라고 하였다. 표상은 상징(Symbol), 이미지(Image), 모방(Imitation)과 혼용되

어 사용된다. 표상은 자유로운 생각과 전환적인 표현의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상징을 도

모하는 동시에 정확한 관찰력과 모방력도 존중하며 이미지 형성과 모방적 표현을 고무

한다(이종희, 1998). 즉 전조작기에서 필수적으로 유아가 ‘상징적 표상’을 사용하는 능력

이 자라나고 있어 전조작기 기간을 ‘표상적 지능기’라고 부른다. 유아는 기억하는 것을

언어나 문자 등 여러 놀이를 통해 자신의 경험을 표현할 수 있지만 자신의 경험을 표현

하는 것이 익숙하지 못한 유아에게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할 때에 그림 표상활동

이 주요한 수단이 된다(차현화, 2000, 재인용). 따라서 그림 표상은 자신의 경험을 표현

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정리하여 표현하게 함으로써 유아에게 의식을 확장시키고

사고를 재 고찰 해보는 기회를 높여 유아의 정서 상태, 자신이 살고 있는 세계를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지를 교사가 인식 할 수 있어 자기 표현과 의사소통 수단으로 그림 그

리기는 유아들이 가진 개념을 더욱 증가시켜 다양한 표현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법

이다. 자연 속에서 이루어지는 미술활동은 인간 본래의 순수한 본성의 회복이라는 측면

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조헌, 2003), 자연과 교감을 하면서 내적인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교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교육부, 2000; 황희선, 2000; 허윤정, 2002; 복현

Page 7: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211

순․김지연, 2003; 조현, 2003; 정희정, 2004; 홍은주, 2003; 최석란, 2004).

유아는 새로운 매체를 탐구하고 접근하기를 흥미로워 한다. 활동에 대한 토론을 통해

서 확산적 사고에 사용될 미술에 대한 많은 사실을 배워야 하며 개별 작업이나 그룹 작

업을 통해 표현방식, 질감, 색, 형태 등에 대한 발견의 경험을 갖게 된다. 유아의 미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주변의 미적 대상 또는 훌륭한 미술작업에 노출되는 기회

를 갖게 하고 유아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과 관련된 느낌이나 정서를 이해하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그리고 환경에 대한 지각뿐만 아니라 사건이나 사물에 대한 기억을 회상

하여 미술표상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유아들은 주변 사물에 대한 호기심이 많으며 이들을 접하게 되면 다양한 방법으로 실

험하고 나름대로 구성하며 즐긴다. 유아의 미술활동은 주변 사물 모두를 미술 재료로

직접 사용함으로 근육감각의 즐거움은 물론 사물의 성질, 모양, 무게, 질감, 색깔을 구

체적으로 다양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경험의 기회를 제공한다(김정화, 2003). 유아에게

있어 미술활동은 주변 세계에 대한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을 표현하는 방법이며, 자신이

갖고 있는 개념을 구체화하고 관련 지식을 통합하게 해준다. 또한 미술 활동은 유아의

경험, 생각, 또는 감정에 대해 그것을 표현하는 상징을 발견하도록 요구하기 때문에 수

준 높은 상징 활동이며 중요한 인지적 성취이다(이윤옥, 1984; Lasky & Mukerji,

1992).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들은 학습을 심화시키며 동시에 미적 감각과 창의성을 증

진시켜 통합적 발달을 이루어 간다. 미술은 인간관계나 사물에 대한 사실과 사고, 감정

을 전달하는 매체이다. 특히 표상활동은 형상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나타내야 함으로

개인의 독특한 가치와 표현이 요구되고 이를 위한 표출은 창조적 과정이 요구된다. 이

러한 내적 요구는 화가가 상상작용에 의해 질서를 통해 조화로 창조되고 이에 대용된

형체의 의미는 새로운 상징을 확립하게 된다. 따라서 미술에 과정은 창조의 과정이며

미술 작품은 창조의 산물이므로 유아기의 미술활동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자

유로운 미술 표상을 격려하여 유아의 창조성을 자연스럽게 발달시켜야 한다(박화윤․김

영애․이선원․이희자․안라리, 2002).

3. 자연 친화적 놀이와 유아의 자아개념

자연공간은 유아의 긴장과 억압된 감정들로부터 해방시켜 건강한 신체와 함께 정서의

순화를 가져온다. 또한 실외 놀이는 유아들에게 외부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용

기를 부여함과 동시에 만족감을 얻게 해준다. 실외 공간의 자연환경은 유아의 지적, 신

Page 8: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212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체적 성장 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품성 및 정서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실

외 공간은 욕구 충족과 발산을 적절히 조절하는 공간으로써 유아들의 정서적 안정과 심

미감을 불어넣는다(유안진, 1985). 따라서 자연 친화적인 실외 환경을 통해 만족감과

억압된 감정으로서의 해소는 자아개념형성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자연의 요소로 자

연을 느낄 수 있는 자연 친화적인 실외 환경은 유아들에게 실내 환경에서의 계속적인

집중으로 생긴 긴장과 억압으로부터 해방감을 느끼게 하는 데 도움을 주며, 나아가서는

감각적인 자극의 기회가 맑고 넓은 실외 공간은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기회를 높여준다.

그러므로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선택의 기회를 높여주어 친사회적 행동을 학습하는데

효과적이다. 넓은 실외 놀이 공간은 유아로 하여금 더욱 다양한 협동 놀이를 촉진시키

며 또래간 협동할 기회를 많이 제공한다(Seefeldt, 1974).

초기의 자연주의 유아교육은 Comenius, Pestalozzi, Frobel 등의 학자들에 의해 감각적

인 경험에 기초하는 놀이 중심이 자연학습으로 이루어졌다. 즉, 이해보다는 감상을 위

한 자연관찰이 주가 된 자연 학습으로서 동․식물 기르기, 정원에서 흥미로운 자연물

관찰, 자연이야기 들려주기 등과 같은 활동이었다.

독일의 숲 유치원은 놀이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모든 활동 영역을 통합적으로 구성하

여 종교, 창의성, 동작, 사회성 교육과 언어, 성, 건강, 지적 교육, 환경과 자연 이해

교육을 다루고 있다. 무엇보다 환경과 자연 이해 교육은 숲에서의 직접적인 감각체험을

통하여 유아기부터 자연에 대한 의식을 확고히 적립하게 된다고 하였다.

미국의 경우 일부 국립 공원과 식물원, 동물원을 중심으로 자연 교육 프로그램을 실

시하고 있으며, ‘공원 교실(Park As Classroom)’이라는 현장 교육 프로그램을 초․중등

교사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환경 교육 프로그램인 ‘Project Learning tree(American frost

foundation, 1993)’와 Project wild 등은 나무와 숲, 야생동물들의 생태를 이해하기 위한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진행되고 있다.

이명환에 의하면, 독일의 숲 유치원은 놀이를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모든 활동영역을

통합적으로 구성하여 종교 교육, 창의성 교육, 동작 교육, 사회성 교육과 언어교육, 성

교육, 지적 교육, 환경과 자연 이해 교육, 건강 교육을 다루고 있다고 한다. 무엇보다

환경과 자연 이해 교육은 숲에서의 직접적인 감각 체험을 통하여 유아기부터 자연에 대

한 의식을 확고히 적립하게 된다고 하였다.

개개인이 자연세계와 어떻게 관련을 맺고 있는가에 대한 “생태학적 자아”를 연구한

Wilson(1997)은 지금의 환경 위기는 자연으로부터의 심리적 괴리, 자연에 대한 편견, 거

부, 자연과의 소심한 관계에 기인하는 것으로 인간과 지구와의 관계회복을 역설하였다.

특히, 그는 유아는 자연과 독특한 친밀감과 감정 이입적 태도를 갖고 있으므로 자연과

Page 9: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213

의 건전한 관계형성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는 실외에서 유아가 느끼는 신비

함(Wonder)이란 추상적 용어나 고매한(Lofty)생각이 아니라 아동의 지각적 능력에 근거

를 둔 구체적인 현상으로 유아의 창조성과 상상력이 기반이라 하였다.

Cohen & Horn-Wingerd(1993)도 3-5세의 유아들도 생태적 인식 능력이 뚜렷이 있다

는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이는 자연에서의 실외 놀이 환경이 단지 놀이장으로서 뿐만

아니라, 교육의 장으로서도 재해석되어야 한다는 점을 암시하고 있어 자연 친화적인 실

외환경은 유아들에게 정서적 안정과 행복감, 만족감을 주어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자아개념과 관련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대학 부속 기관으로 S 어린이집을 선정하였

다. 연구대상 어린이집은 2002년부터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는 기관으로 어린이집 주변

에 산이 인접해 있고 텃밭이 있어 자연 친화적 경험과 자연의 변화, 식물의 순환과정을

매일 접할 수 있는 환경을 갖고 있다. 2007년도에는 수도권 생태유아공동체 시범 유아

교육기관으로 선정되어 텃밭 가꾸기를 시범화하였고 산책활동, 세시풍속, 생태적 식생

활 프로그램을 통해 생태 유아교육을 운영․실천하고 있다. 연구대상 유아는 만 4세 유

아 40명이다. 40명의 유아를 남녀 성별에 따라 각각 10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연구대상 유아들의 평균연령은 남아는 4년 10개월이며, 여아는 4년9

개월이었다. 두 집단 간 동질 집단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연령에 대해 평균을 구한

결과 각 집단은 연령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2. 연구도구

1) 미술표상능력 검사

본 연구에서는 미술표상능력의 양적 연구 분석을 위해서 지성애(2001)가 개발한 미술

표상능력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는 총 45문항으로 구성되며, 9개의 하위척도

Page 10: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214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로서 ‘선과 도형의 병합’, ‘다양한 색채, 세부적 묘사’, ‘조화로운 공간표상’, ‘다양한 형

체’, ‘주제 관련 표상정도’, ‘표상의 독특성’, ‘그림 표상의 완성도’, ‘그림표상과 언어표상

의 연계성’으로 구성된다.

측정방법은 사전 1회와 사후 1회 총 2회에 걸쳐 개별 유아에게 자유화를 그리도록 한

후 이를 수집하여 검사지의 평가준거에 따라 5점 척도로 점수화 하였고, 각 항목은 영

역별 세부 특성에 따라 1-5점으로 점수화되었으며, 한 유아가 받을 수 있는 최고 점수

는 45점이다.

2) 자아개념검사

유아의 자아개념을 검사하기 위한 연구 도구는 Bently & Yeatts(1974)가 공동 제작한

“나는 이렇게 느껴요”(I Feel...Me Feel)라는 자아개념 그림 검사도구를 기초로 하여 임

춘금(1995)이 우리나라 유아교육 수준에 적합하도록 번역, 수정한 유아용 자아개념 그

림 검사도구이다. 이 도구는 자아개념을 인지적 자아개념, 정서적 자아개념, 사회적 자

아개념, 신체적 자아개념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이들을 각각 10개씩 문항을 통해 검사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검사방법은 문항의 순서대로 유아에게 그림을 제시하면서 그림에 해당하는 질문을 하

여 유아 스스로 자신의 생각을 자연스럽게 응답하도록 하면서 훈련된 검사자가 유아의

응답 내용을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응답하는 방법은 각 문항의 사물, 사람 또는 활동

을 묘사하는 그림을 보고 느낀 정도를 유아의 반응을 고려하여 “싫다” 또는 “좋다”의 두

가지 반응으로 응답하도록 하였고, “좋다”에 1점, “싫다”에 반응하면 0점을 주었고, 하위

검사의 총점은 40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영역에 더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3. 연구절차

본 연구의 실험 처치는 2007년 9월 3일부터 11월 14일까지 10주간에 걸쳐 실시하였고,

예비연구를 거쳐 교사훈련,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1) 예비연구

본 연구에서 사용할 검사도구의 소요시간, 실험절차와 도구의 적절성 및 유아의 활동

시간을 알아보기 위하여 9월3일부터 9월5일까지 3회에 걸쳐 실험에 참여하지 않는 M 어

Page 11: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215

린이집 만 4세 유아 10명을 대상으로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을 실시하여 활

동의 목적, 내용의 방법, 활동자료, 평가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해 예비실험을 실시하

였다. 예비실험 결과 유아들은 자연 친화적 놀이과정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을 하였고 미

술활동에 있어서는 자연물 소재라서 친근감을 갖고 부담감 없이 즐겁게 참여하였다. 주

제선정은 사전예비조사 활동으로 선행연구 조사와 자연친화, 생태유아교육 관련 워크샾

및 교사연수, 관련기관 방문을 통한 자료수집 및 견학과 체험활동을 위한 사전답사를

하여본 연구에 적합할 것 같은 주제와 내용을 선별하여 본 연구자와 유아교육전문가 원

장 교사와 협의를 하여 주제를 선정하였다

2) 교사훈련

2007년 9월 6일부터 9월 7일까지 2회에 걸쳐 매일 3시간씩 본 연구자로부터 자연 친화

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에 관한 교사 훈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실험집단과 통

제집단 교사에게 자연 친화적인 놀이 방법, 실험연구의 목적, 유의사항, 수업활동의 구

성, 실험처치 방법, 활동전개 방법 및 과정, 유아가 놀이 활동에 적극적으로 원활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수용적인 분위기를 지원하도록 설명하고 실제로 시연을 해 보는 기회

를 가졌다. 또한 미술표상능력 검사의 평정척도의 측정 항목의 내용과 평가 준거에 대

해 설명하고 평정에 익숙하도록 훈련하였다. 이를 실시한 후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3) 사전검사

본 연구의 실험을 실시하기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2007년 9월 8일부터 9월 9일에 걸쳐 각 집단의 담임교사가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미술표상능력 검사는 각 집단 유아들에게 ‘숲’이란 주제를 제시하여 8절 도화지에 크레

파스를 사용하여 유아들이 주제에 따라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였다. 자아개념검사는

유아에게 그림을 보여주면서 그림에 해당하는 질문을 하여 유아의 응답 내용을 기록하

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를 실시 한 결과 두 집단은 동질집단임을 알 수

있었다.

4) 실험처치

본 연구는 2007년 9월 10일부터 11월 10일까지 8주간 24회에 걸쳐 본 연구자가 실시하

였다. 실험집단은 자연 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을 하였고, 통제 집단은 실험집단

Page 12: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216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과 동일한 시간에 담임교사와 함께 교실에서 일반적인 미술활동을 하였다.

실험처치는 자연 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명의 실험집단 유아를 4명의 소그룹 형태로 구성하여

오전 실외 활동시간에 30분간 숲 체험활동을 하고 오후에 자연 친화적 놀이를 한 후 미

술과 연계하는 활동을 1시간 하였다. 사전예비조사를 통해 선정된 주제로 유아, 교사,

학부모, 실험집단 보육기관의 환경적 배려, 지역사회와의 연계성을 구축으로 접근하여

활동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활동주제와 내용은 <표 1>, 미술활동의 예는 <표 2>와 같다.

<표 1>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 활동주제와 내용

주 제 내 용

흙속의

비밀

흙집을 짓자: 흙집을 짓고 흙과 수수깡으로 꾸미기

돌다리를 건너자: 돌다리를 만들어 건너고 돌과 색종이로 꾸미기

땅 굴 속 비밀: 땅속을 파고 굴속을 만든 후 CD케이스에 컬러 점토로 땅굴 꾸미기

나무들의

합창

나뭇가지 모양 찾기: 나뭇가지 모양을 탐색한 후 나뭇가지에 사탕나무 꾸미기

메아리 불러보기: 메아리를 불러보고 전지에 메아리 느낌 표현하여 붙이기

숲속 숨바꼭질: 재미있는 숨바꼭질을 한 후 우유곽 기차 만들어 나무에 붙이기

들꽃여행

들국화 향기 모으기: 들국화 향기 모으고 허수아비와 들국화 꾸미기

코스모스랑 뽀뽀: 코스모스에 뽀뽀하고 무명천 위에 핀 코스모스 꾸미기

과꽃으로 가면놀이: 인형들과 꽃들의 축제 꾸미기

예쁜

단풍잎

은행잎 부채: 은행잎을 모아 부채놀이 해 보고 상자곽과 은행잎 꾸미기

밤나무 친구되기: 밤나무와 친구 되어 보고 밤나무에 한지옷 꾸며 매달기

은행나무 되어보기: 은행나무 모양 표현해보고 은행나무와 우두락으로 꾸미기

가을

나무

단풍잎 모양 찾기: 단풍잎 모양 신체 표현 후 단풍잎과 칫솔로 꾸미기

나뭇잎 배 놀이: 나뭇잎을 물에 띄워보고 나뭇잎과 생수병으로 꾸미기

단풍나무 몸에 붙이기: 단풍 나뭇잎으로 신체에 붙이고 단풍나무에 그림 붙이기

풍성한

열매

들꽃 색깔 찾기: 다양한 색깔의 들꽃을 채취한 후 들꽃과 요쿠르트병으로 꾸미기

풀꽃 우산 만들기: 풀꽃으로 우산을 만든 후 풀꽃과 우산으로 꾸미기

민들레 홀씨 불기: 민들레 홀씨를 입으로 불어서 날리고 민들레와 병뚜껑으로 꾸미기

떨어지는

낙엽

열매 소리 듣기: 열매 소리를 탐색 후 열매와 털실로 꾸미기

도토리 팽이 돌리기: 도토리로 팽이를 돌려본 후 도토리와 찰흙으로 꾸미기

열매 키 재기: 열매를 주워 키를 비교해 본 후 열매와 잡지책으로 꾸미기

자연의

놀이

낙엽 자동차 붕: 붕낙엽을 주워 하늘로 날려 본 후 낙엽과 자동차로 꾸미기

생태계 놀이: 생태계 놀이를 한 후 나무와 천 테이프로 꾸미기

씨앗을 빨대로 불기: 씨앗으로 빨대로 분 후 씨앗과 단추로 꾸미기

Page 13: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217

<표 2> 실험집단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 계획안 예시

활 동 명 흙집을 짓자 참여인원 4명

활동주제 흙속의 비밀

활동목표 흙으로 하는 놀이를 이해하고 자연을 소재로 다양한 표상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활동자료 흙, 수수깡, 나뭇가지

활동단계 활 동 내 용

도 입

흙에 대하여 이야기 나눈다.

.흙으로 자유롭게 놀이를 한다.

.흙의 느낌은 어떠니?

.흙으로 할 수 있는 놀이는 무엇일까?

.흙 속에는 무엇이 있을까?

.흙과 수수깡으로 무엇을 꾸미면 좋을까?

(유아의 다양한 생각을 존중하고 격려한다)

전 개

.4명이 한 조가 되어 각 조의 맞는 재료와 도구를 선택하고 탐색한다.

.흙으로 자유롭게 놀이를 한다.

.흙집을 다양하게 꾸미고 만들어 본다

.수수깡이나 자연물을 활용하여 흙집을 꾸민다.

.여러 가지 형태의 흙집을 꾸민다.

(유아 스스로 활동 방법을 선택하도록 한다)

마무리

활동을 평가한다.

.우리가 만든 흙집을 보고 어떤 생각을 했니?

.오늘 놀이 미술을 하면서 가장 즐거웠던 것은 무엇이었니?

.친구들 작품을 보면서 어떤 생각을 했니?

.숲 속에 와서 놀이와 미술을 한 후 어떠한 생각을 했니?

(작품을 감상하고 이야기 나누기 한다)

5) 사후검사

실험처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8주간의 실험 처치 후 사후검사를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 사전검사와 같은 도구와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4. 자료처리 및 분석

본 연구에서는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 및 자아개념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

Page 14: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218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전․사후 검사 결과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각 문항에 대한 타당도 분석으로 주성분 분

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을 실시하여 문항의 요인으로 묶어서 SPSSWIN 12.0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후 t-검증을 실시하였다.

Ⅳ. 연구결과 및 해석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을 경험한 집단의 유아와 일반적

인 미술활동을 경험한 집단의 유아간의 그림표상능력과 자아개념의 차이가 있는가를 알

아보는 것이었다. 연구의 문항별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과 유아의 미술표상능력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미술활동을 경험한

비교집단 간 유아의 미술표상능력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

단의 미술표상능력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비교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미술표상능력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

구 분 실험집단 비교집단

N M SD t M SD t

미술표상

능력

사전 20 28.15 5.304-3.883***

28.45 4.249-.993

사후 20 35.15 6.072 30.25 6.904

0

10

20

30

40

사전

사후

미술표상능력

Page 15: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219

유아의 미술표상능력은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사전검사의 결과 실험집단의 평

균이 28.15점 비교집단의 평균이 28.4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나 실험처치 후 미술표상능력 검사 결과는 실험집단의 미술표상능력평균 35.15점

으로 비교집단의 미술표상능력평균 30.25점 보다 더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림표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한다.

2.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과 유아의 자아개념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미술활동을 경험한

통제집단 간 유아의 자아개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자아개념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비교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표 4> 자아개념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

구분 실험집단 비교집단

시기 N M SD t p M SD t p

사회적

자아개념

사전 20 7.15 1.182-2.173* .036

7.30 1.1741.184 .244

사후 20 7.95 1.146 6.75 1.713

신체적

자아개념

사전 20 6.55 1.191-2.180* .035

5.95 1.317-1.021 .313

사후 20 7.40 1.273 6.40 1.465

인지적

자아개념

사전 20 8.00 1.686 -1.894 .066

7.80 1.642.382 .704

사후 20 8.90 1.294 7.60 1.667

정서적

자아개념

사전 20 7.25 1.164-2.716** .010

6.90 1.210.694 .492

사후 20 8.25 1.164 6.55 1.905

자아개념

전체

사전 20 28.95 4.058-2.894** .006

27.95 4.123.461 .647

사후 20 32.50 3.692 27.30 4.769

Page 16: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220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0

5

10

15

20

25

30

35

사전

사후

사회적자아개념

신체적자아개념

인지적자아개념

정서적자아개념

자아개념전체

유아의 자아개념은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사전검사의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이

28.95점 비교집단의 평균이 27.9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실험처치 후 자아개념 검사 결과는 실험집단의 자아개념평균 32.50점으로 비교집

단의 자아개념평균 27.30점보다 더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도 의의 있는 차이가 나타났

다(p<.01). 따라서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한다.

Ⅴ.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자연 친화적 놀이에 기초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 및 자아개념

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육기간에 다니는 만 4세 남아와 여아를 대상으

로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자연 친화적 놀이를 통해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른 사람의 생각을 존중하고 자

신의 소중한 감정을 미술로 표출하여 자연 속에서 놀이와 미술을 연계하는 활동으로 미

술표상능력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 하고자 한다.

첫째,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을 경험한 집단은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

Page 17: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221

술활동을 경험하지 않는 집단의 유아보다 미술표상능력에 있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연 친화적 놀이를 하면서 자연의 특징이나 세부적인 면을 관

찰할 수 있고 놀이를 통해 각인된 형체와 그와 관련된 아이디어와 느낌이 기본도형과

선을 다양하게 병합하도록 했으며 자신의 경험 안에 형성화한 이미지를 기본 바탕으로

새로운 형태의 미술표상능력이 생성되었다고 사료된다. 이는 표현은 유아 자신의 감정

과 경험을 재해석하는 과정으로 주변의 다양한 세계에 노출되어 경험, 지각, 판단하는

기회를 유아가 많이 가질수록 표현능력은 더욱더 향상되어 질 수 있다(Herberholz &

hanson, 1995)는 연구 결과와 맥을 같이하고 자연친화교육의 방법으로서 자연과 친해지

고 교감하며 탐구하기를 제안하여 자연친화적인 활동의 중요성과(조형숙, 2004) 자연과

교감을 이루면서 자연물 및 자연의 변화를 체험할 수 있는 교수방법(교육부, 2000; 김

지연, 2003; 복현순, 2002; 정희경, 2004; 조헌, 2003; 최석란, 2004; 허윤정, 2002;황

희선, 2000; 홍은주, 2003)이 같은 맥락을 하고 있으며 미래사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정보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기보다는 정보에 대해 생각하고 느낀 것을

재조직하고 분석하여 표상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제안(Csikszentmihaly I, 1993; 이승옥,

2005, 재인용)하여 자연 친화적 놀이를 하면서 새롭게 얻은 지식이나 독창적인 생각을

미술활동으로 연계하는 활동은 교육적 측면으로 의미 있는 활동이라 하겠다. 자연친화

적 놀이 활동을 하면서 얻은 아이디어나 생각을 미술활동으로 표출하기 위해서는 이미

지를 생성해야 하는데 표상은 특정대상에 대한 내적인 생각과 이에 대한 이미지 지식도

포함되어(지성애, 2001)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이를 지지하고 있다.

둘째,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을 경험한 집단의 유아는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의 유아보다 자아개념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하여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하위영역 유

아의 인지적 자아개념, 정서적, 자아개념, 신체적 자아개념, 사회적 자아개념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아는 자연 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을 하면서 유아자신에게

정서적 안정과 인지적, 사회적, 신체적 자아에 자극을 받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활

동한 자연친화적 놀이 ‘흙집을 짓자’에서 4명이 한 그룹이 되어 흙을 모으고 쌓는 활동에

서 또래와의 관계 속에서 사회적 자아개념과 신체적 자아개념이 생성되고 놀이를 경험

한 후 미술활동으로 연계하면서 인지적 자아개념과 정서적 자아개념의 도움을 주었다.

실제 흙으로 흙집을 짓는 과정에서 서로의 다른 생각으로 의견을 대립하는 과정을 발견

하였고 미술로 연결하면서 표현의 차이로 화를 내는 유아도 있었으나 차차 타인의 의

견을 존중하면서 의견을 조율하는 모습이 나타났으며 이런 과정을 통해 자애개념증진에

Page 18: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222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영향을 주었다고 사료된다.

이는 실외환경은 공간적으로 실내와 다른 특성을 지니기 때문에 유아에게 독특한 놀

이경험을 제공한다(신동주, 1997)는 연구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고 자연과 접촉을 통해

자아의 성숙과 도덕적인 발전도 제공한다(Schmacher & Skolimowski, 1981)는 연구결과

와 생태학적 자아를 통한 연구에서 유아는 자연과 독특한 친밀감과 감정 이입적 태도를

갖고 있으므로 자연과의 건전한 관계형성에 주력해야(Wilson, 1997) 자아개념에 효과를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이상에서 제시한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자연환경이 유아들이 활동하기에 적합한 곳을 선정해야 한다. 본 실험을 위해

주로 학교 뒷산 숲에서 이루어 졌다. 숲이 언덕이 있어 유아들이 활동하기에는 불편한

점도 있었다. 평지의 숲을 활용하고 가까운 공원이나 텃밭, 놀이터, 둔치 등을 활용하

여 유아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활동이 되어야 하겠다.

둘째,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다른 변인의 영향을 줄이고 실험 처치를 위해 단기간 제

한을 두고 집중적으로 실시하였기에 심층적인 변화를 다루지 못했다. 이에 후속연구에

서는 자연친화적 놀이에서 오는 변인들을 분석하고 계절에 따른 변화 과정을 탐색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연간 활용할 수 있는 장기간 연구가 필요하겠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제한된 몇 가지의 자연친화적인 놀이와 미술활동을 선정하였기

에 다소 국한되고 주제와 연관성 있는 활동을 다루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자연을 소재

로 생물, 무생물, 동물, 식물, 광물 등을 매체로 자연친화적인 놀이 개발과 건강, 사

회, 표현, 언어, 탐구영역을 촉진할 수 있는 활동과 연계된 다양한 미술 프로그램 개발

에 대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할 것이다.

Page 19: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223

참 고 문 헌

교육부(1998).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권은희(2002). 자연친화적인 실외 환경에서의 놀이환경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옥(2000). 미술 교수방법과 유아의 그림 그리기 능력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선월(2003).자연산책을 통한 미술요소 탐색 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일태(2001). 미술활동으로 미술자아개념 EQ․IQ․창의성 기르기. 서울: 양서원.

김윤주(2000). 미술 교육방법과 유아의 그림 그리기 능력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화윤(2001). 유아를 위한 창조적 미술활동. 서울: 정민사.

신동주(1997). 실외놀이환경 구성 지침. 서울: 교육과학사.

신동주(1997). 유치원 실외 놀이환경의 질에 관한 연구. 영유아보육학회지, 8(12), 53

-70.

신화식․이진이(1998). 통합적 미술교육 접근법이 유아의 창의적 그림표현에 미치는 영

향. 유아교육연구, 18(1), 89-103.

안진아(2003). 탐색․표현․감상의 통합적 미술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정서 지능에 미치

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엄옥진(1999) 자유 발도르프 유치원과 한국유치원의 교육 비교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오미경(1995). 그림이야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그림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

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금숙(2003). 치료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산업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이숙재(1990). 유아를 위한 놀이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이종희(1998). 표상의 개념 : 상징, 이미지, 모방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18(1), 55-

68. 한국유아교육학회.

임갑빈․김순녀․박영란․이진수(2004). 자연친화 생태 유아교육프로그램Ⅱ, 서울: 양서원.

임상훈(2002). 자연친화 건축. 서울: 고원.

Page 20: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224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임재택(2003). 가르치지 않는 유아교육. 생태유아교육연구, 2(1), 1-20.

임지애(2000). 협동학습에 기초한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

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현(2003). 자연친화적인 유아조형활동 지도를 위한 모색. 동주대학 논문집, 25.

조형숙(2004). 유아를 위한 자연친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연구. 학술진흥재단 연

구보고서.

지성애(2001). 미술교수방법이 유아의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1(1),

177-202.

최기영(1993). 현대사회와 유아교육. 서울: 교문사.

최 승(1997). 미술활동을 통한 소집단 협동학습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

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유아교육학회(1996). 유아교육사전.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황의명․박찬옥(1997). 유아를 위한 감성교육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홍은주(2003). 자연환경구성활동의 교육적 의미 탐색. 중앙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Cullen, J.(1993). Preschool children's use and perceptions of outdoors play areas.

Early Children Development and Care, 89, 45-56.

Davies, M.(1996). Outdoors : An Important Context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Early Children Development and Care, 115, 37-49.

Eisner, E. W.(1995). 김인용, 김대현 역. 학문기초 미술교육운동. 서울: 학지사.

Herberholz, B, & Hanson,L,(1995). Eariy childhood art. LA: Win.C.Brown.

Jekins, P. D(1980). Art for fun of it a guide for teaching young children. New

Zeaiand: Prentice-Hall Inc.

Johnson, D. W. & Johnson, R. T.(1995). Cooperative learning and nonacademic

outcomes of schooling. in J. E. Pedersen & A. D. Dogby (Eds), Secondary

schools and cooperative learning, 81-150. New York: Garland. Dornyei(1997) 재

인용.

Willson, R. A.(1997). A Sense of plac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4(3),

191-194

Page 21: R h ad © | R RúC MR Ö · 2014-08-14 · @S Hg ! ( !"#%( @#z '()c ¥ < >aÓ A

자연친화적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상능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225

Abstract

The Effect of Artistic Activity Through

Eco-friendly play on Young Children's

Art Representation Ability and Self-concept

Mi-Kyung Oh

This study lays its purpose on examining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eco-friendly

play on their art representation ability and self-concept, and for this purpose it chose 40

young children (20 males and 20 females) at full four years of age in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young children in the S city, as subjec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an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eco-friendly art-play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art representation ability

than a control group, indicating that art activities based on eco-friendly play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young children's art representation ability, an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eco-friendly on their self-concep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eco-friendly art-play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concept than the control group, indicating that art activities based on eco-friendly

play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young children's self-concept. Therefore it

suggests that eco-friendly art-play has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art

representation ability and self-concept, and is worth being applied to educational settings

for young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