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서비스모델개발표준가이드 - tta.or.kr -서비스융합사업모델확장추세:...

213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 공공서비스모델을 중심으로 - 베타리서치앤컨설팅 2009. 11. 30

Transcript of 융합서비스모델개발표준가이드 - tta.or.kr -서비스융합사업모델확장추세:...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 공공서비스모델을 중심으로 -

베타리서치앤컨설팅

2009. 11. 30

1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1. 융합 서비스모델 정의

2. 융합 공공서비스모델 정의 및 필요성

3. 융합 공공서비스모델 개발 및 추진 프로세스

4. 가이드 필요성 및 목적

Ⅱ. 가이드 프레임워크

1. 가이드 구성

2. 단계별 프로세스 구성

3. 단계별 세부활동 내역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1. 추진배경 및 목적 정의

2. 비즈니스모델 수립

3. 이해관계자 분석

4.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5. 기술 분석

6. 재무 분석

7. 정책 지원 과제 제안

8. 실행 계획 수립

9. 기대 효과

Ⅳ. 활용 및 확대 발전 방향

1. 표준가이드 의미 및 기대 효과

2. 가이드 활용 방안

3. 가이드 한계점 및 발전 방안

목 차

* 첨부: 참고문헌 목록

2

II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1.융합 서비스모델 정의

2.융합 공공서비스모델 정의 및 필요성

3.융합 공공서비스모델 개발 및 추진 프로세스

4.가이드 필요성 및 목적

3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융합은 서로 다른 가치사슬을 구성하는 공정(Process)간의 화학적 결합을 통해 새로운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현상

Process A1Process A1 Process A2Process A2 Process A3Process A3 Process A4Process A4 Process A5Process A5

Process B1Process B1 Process B2Process B2 Process B3Process B3 Process B4Process B4 Process B5Process B5

Value Chain AValue Chain A

Value Chain BValue Chain B

Value Chain Value Chain A+BA+B

ProcessProcessB1+B2B1+B2

ProcessProcessA3+B3A3+B3

Process A4+B4+A5Process A4+B4+A5

Process A1Process A1 Process A2Process A2 Process B5Process B5

Vertical IntegrationVertical IntegrationHorizontal IntegrationHorizontal Integrationèè ConvergenceConvergence

Vertical/Horizontal Vertical/Horizontal IntegrationIntegrationèè ConvergenceConvergence

항목 번들링 컨버전스(융합)

정의두 상품을 하나의상품으로 묶어서판매하는 전략

서로 다른 가치사슬을 구성하는 공정 간의 융합 현상

출발역

경제학 경 학

관심사항

결합상품간의 관계(가치의 상관관계혹은 상품간 대체/보완), 산업 내 경쟁에 따른 최적 상품판매전략

가치 사슬의 변화,이 종 산 업 간 의M&A, 지분투자 현상, 산업 구조의 변화

1. 융합 서비스모델 정의- 융합의 정의: 사전적 의미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것이 모여 구별이 없게 하나로 합쳐지는 일

•물리적인 합이 아닌 화학적인 합을 의미함

•특히 기술적인 측면에서 융합을 컨버전스(convergence)라 부르기도 하는 데, 이는 `한점으로 집합'하는`수렴'을 의미함

융합의사전적 정의

4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1. 융합 서비스모델 정의

- 융합의 정의: 산·학 연구

융합이란 디지털화, 네트워크 고도화, 신기술들의 통합(technology integration), 역확대(coverage extension), 새로운 가치창출(value creation)이 일어나는 현상임

ITU(1996)

기존 인프라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새로운

형태의 인프라를 개발하는 것, 새로운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 서비스와 기술들을 향상시키는 것

EU(1997)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능력 및 전화,

PC, TV기기 등이 통합되는 현상

하버드(1997)Digital 기술이 접목되며 통신, 가전, 컴퓨터 등의 기기들이

서로 유사한 기능을 가지게 되는 현상

KISDI(2005)기존 가치의 저하 없이 새로운 가치창출(value creation), 역

확대(coverage extension), 기능통합(function integration)이

이루어지는 현상

OECD(2003)

상이한 네트워크를 통해 동일한 음성, 상, 데이터 등을

전달하거나 상이한 기기들이 동일한 구성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기존 서비스와는 다른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융합 개념 정의

융합이란?

디지털화, 네트워크

고도화, 신기술들의

융합(technology

integration),

역확대(coverage

extension), 새로운

가치창출(value

creation)이 일어나는

현상

5

새로운 수익원과 신시장을 발굴하기 위해 제품의 서비스화, 서비스의 제품화 등 새로운사업모델을 선보이고 있음

1. 융합 서비스모델 정의- 사업모델의 융합 추세

Product Enhancement

iPod

Product Servitization

iTunes

IT서비스2.0 Domain

* Source: 삼성SDS, 2008

2Level

1Level

•PI

•BPR

Process Innovation

효율화효율화고성능화고성능화

차별화차별화

자산화/표준 주도자산화/

표준 주도

3Level

4Level

Service Productization

Tour Option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6

제조기업들은 제품의 제조중심에서 기업의 주 활동과 인접활동, 또는 종합적인 시각에서사업기회를 발견하여 서비스를 확장시켜 나감

1. 융합 서비스모델 정의- 서비스 융합 사업모델 확장 추세

Service/Opportunity Matrixi (MIT)

역의 확장

새로운 활동을 주 활동, 인접활동에

종합적 시각으로 더함으로써 새로

운 서비스를 창출

일시적인 확장새로운 활동을 주된 활동 사슬에 더

함으로써 서비스 창출

일시적 재구성

주요활동 사슬에 있는 활동의 구조

와 통제력을 변화시켜 서비스 창출

역의 재구성

인접한 사슬에 있는 활동의 구조와

통제력을 변화시키는 서비스의 성

Adding newactivities

How?Type of Growth

Reconfiguringexisting activities

Primaryactivity chain

WHERE?Focus of Growth

Adjacentactivity chain

TEMPORAL

EXPANSION

SPATIAL

EXPANSION

SPATIAL

RECONFIGU

-RATION

TEMPORAL

RECONFIGU

-RATION

* Source: Creating growth with service, MIT Sloan Management Review, Winter, 2004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7

GE는 제품 생산 및 유지 보수 수준을 넘어 고객의 생산성을 높이는 솔루션을 제공하는제품의 서비스화를 실천하는 회사 사례임

1. 융합 서비스모델 정의- 서비스 융합 사업모델 확장 추세: GE사례

GE사례

Product

u Evaluation

u Procurement

u Storage

u Test/Monitoring

u Installation

u Financing

u Assembly/Labor cost

u Energy Cost

u Yield loss

u Production cycle

u Services

u Repair

u Training

u Maintenance

u Disposal

u Other

“Little Box”

“Big Box”"GE는 (서비스) 기업입니다. 제품을 판매하는 회사가 아닙니다. 우리

매출액 중 70%가 서비스에서 창출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를(제품

서비스)라 부릅니다. 20년 전에는 서비스 매출은 고작 15% 습니다.

서비스의 목적은 고객의 운 사이트에 있는 우리 제품의 신뢰를

향상시키는 것이었습니다. 즉 전통적인 애프터 서비스 보다 더욱 광범위한

오일 깡통과 동시에 관련된 모든 활동을 지원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GE의 (제품 서비스)는 우리가 하고 있는 모든 하이테크 기술을

의미합니다. GE의(제품 서비스)는 과거의 시스템을 유지보수 수리하는

서비스를 뛰어넘어, (하이테크 기술) 과 (소프트웨어 제품)을 (고객에

제공)하여 (고객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인데, 바로 이것이 GE의

(솔루션 전략)입니다

GE has evolved from a product company to a services company that

also makes great products. Today, 70% of our revenue comes from

services. Increasingly, Product Services. Twenty years ago only 15% of

our revenues came from services. The objective was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our products in our customer operations-the more

traditional what we call"oil can and overalls" activity. Today, product

service is as high technology as anything we do. Product Services,

which used to be thought of as little more than wrench-turning, is

today all about high tech and software products that allow our

customers to be more productive, as is GE's solution strategy)"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8

구글, 아마존, 디즈니 등 세계적인 대기업들은 축적된 서비스를 토대로 융합 제품을 출시하고 있음

1. 융합 서비스모델 정의- 서비스의 제품화 사례: 해외

서비스의 제품화 사례

•Google 웹 서비스 사용을 최적화 시킨 휴대폰을 개발, 서비스를

product화

•온라인 Book 쇼핑몰 서비스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e-

Book(Kindle)을 개발 상품화

• 화 등의 서비스 콘텐트에 기반하여 테마파크, 캐릭터 상품 등을

개발하여 사업화

• IT서비스에 대한 노하우, 프로세스 등을 패키지화하여 SW

제품화(SAP R3 等)

Google(안드로이드폰)

아마존(Kindle)

SAP

디즈니랜드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9

유관 기관에 분산된 교통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 및 가공하여 차량, 유/무선 단말기, 대중교통 정류장, 키오스크 등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교통정보 서비스를 제공

1. 융합 서비스모델 정의- 서비스의 제품화 사례: 국내

교통종합서비스

교통정보 취합/분석/가공교통정보 원시데이터 제공

지방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제공하기 위한 정보 처리 기능

교통정보통합센터

교통정보 분석시스템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교통정보 관리시스템

교통정보 판매 및 활동

수익 사업

기본정보서비스 부가정보 서비스

프로그램모듈판매

단말기 판매

공익 사업

교통통계지원

웹 및 모바일 서비스

기보유 정보통합 서비스

대국민

지자체

정책입안자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10

유형 특징 예시

IT제품/기능간 컨버전스디지털 기술이 적용된 통신, 가전, 컴퓨터 등 기기들간의

통합

멀티미디어PC, PDA, 카메라폰,

MP3폰, PMP 등

네트워크/서비스간

컨버전스

ICT산업내 융합 IT기술의 고도화로 ICT산업내 융복합화가 확산 및 심화VOIP, 원폰, 광대역융합 서비스,

WIBRO

타 산업으로의

확장

It의 활용범위 확대로 ICT산업 이외의 다른 산업으로의

컨버전스 역확대 및 새로운 서비스 창출

• IT+유통

• IT+금융

• IT+교육

• IT+방송

• IT+자동차

사물/기기와 인간과의 융합

IT기술의 보편화와 SENSING, BT/NT 등 신기술의 융합으

로 기기, 사물, 시설물, 인간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

됨으로써 고도화된 가치를 창출하거나 로봇을 통합 생활

의 변화

•U-HEALTH

•U-HOME

•지능형 로봇

1. 융합 서비스모델 정의- IT를 활용한 융합 사업 모델

IT융합 기술이 발전 정도에 따라 IT제품/기능간 컨버전스, 네트워크/서비스간 컨버전스,사물/기기와 인간과의 융합 유형으로 구분됨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11

기존의 Value Chain에서 새로운 형태로 변모되는 데, 제조업의 Product -> Process ->Service 발전해 나갈 것이고, 새로운 가치사슬의 상향이동은 IT서비스가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임

1. 융합 서비스모델 정의- 융합 서비스에서 IT의 역할

Product

제품의 지능화

•제품의 다기능화/고도화

구현을 통해 제품 자체의

부가가치를 향상

프로세스 효율화

•제품 생산공정 및 서비스

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성 제거

•최적화된 프로세스 제공

서비스 고도화

•제품기반의 다양한 신규

서비스 창출 및 고도화

•사용자 편의성 향상 및

신수요 창출

Value chain

Value

과거

현재

Software

R&D설계

디자인

재무

마케팅유통

A/S조립

기존의 Value Curve

새로운 Value Curve

Process Service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12

표준 서비스모델을 통합 모델, 서비스, 업무, 기능단위, 기타 조합 등 5가지 모델로 패키지 상품화 가능함

1. 융합 서비스모델 정의- IT 융합 서비스모델 유형: 패키지 상품화 유형

유형 내 용

통합모델

정보시스템을 분리 및 조합이

가능한 형태로 패키지화하여

통합시스템 모델로 재구성

서비스단위

특정 업무(또는 데이터)의 전

과정을 다루며, 비즈니스

라이프사이클을 포함하는 단위

업무단위

서비스 또는 비즈니스 상의 특정

업무를 다루는 업무단위

기능단위

업무단위 시스템의 기능

구성항목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으로 구성

기타조합모델

다양한 형태로 기능 및 서비스

조합이 가능한 시스템 구성 모델

업무 단위

서비스

단위기능

단위

표준화 통합모델

[우정 사례]

§접수업무

- 창구/사이버접수

- 다량접수

- 외부접수

[우정 사례]

§접수업무

- 창구접수+운송관리+집배

- 소규모 파일럿시스템…

[특허 사례]

§특허공보조회(R)

§출원인정보 변경(U)

[지자체 사례]

§자동차관리(등록→이전→폐차)

§주민등록관리§호적등본관리…

IT서비스모델 패키지 상품화 유형

기타조합모델

: 비즈니스 프로세스 단위

: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

: SW/HW Infrastructure

기능 단위

서비스단위

업무단위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13

전통 물류 기업에서 IT 기반 토털 물류, 첨단 전자상거래 솔루션 기업으로 변신

1. 융합 서비스모델 정의- IT 융합 서비스모델 사례: UPS

UPS사례

•컴퓨터가 자동 분류해주는 물류시스템으로 소포 크기 자동 측정

•소포 온도를 추적하는 센서 개발로 기온 변화에 따른 제품 변질 예방

•전세계 서로 다른 관세를 한 눈에 계산하는 SW 개발

•46개국 13만 5천여 곳을 통신망으로 연결, 화물 위치와 서명자 추적

•연간 10억 달러에 달하는 연구개발비 중 대부분을 최첨단 IT 무장에 투자

비즈니스 모델+ SW 융합

• 수백만개 화물

4시간만에 처리

빠른 화물 처리빠른 화물 처리 물류 경로 단축물류 경로 단축

• 물류 트럭 이동

경로 2,800만 마일

이상 단축

신규 사업 창출신규 사업 창출

• 고객사에 물류 IT

솔루션 판매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14

공인전자문서 서비스는 기업에서 발생하는 전자 및 전자화 문서를 공식적으로 보관/열람/유통을 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구축하여 사용자들 부터 서비스 사용료를 징수하는 모델

1. 융합 서비스모델 정의- IT 융합 서비스모델 사례: 공인전자문서 서비스

고객연계

공인인증기관

타보관소

공공기관

유관기관연계

인프라

서서비비스스

.

DR센타DR센타

SYNC

고객사별 DISK의 Physical 분리보관 기능 구현

관리자료 등

메타

원본.증적

운 본

WORM Disk 1차 Disk

관리자료 등

메타

원본.증적

백업본

WORM Disk 1차 Disk

관리자료 등

메타

원본.증적

DR본

WORM Disk 1차 Disk

보관소Web 포탈

연계Interface솔루션

기업별개인화

서비스구현

채널

운 센터운 센터

기업사용자

WEBBrowser

이미지스캔

개인사용자

Legacy

모바일

열람서비스

발급서비스

유통서비스

기본서비스

보관서비스

WORM Storage

부가서비스 종이문서 스캔

응용서비스

비지니스모델개발/적용

서비스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15

서울시 교통카드 서비스는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카드와 IT 기술을 적용한성공적인 융합 서비스모델임

1. 융합 서비스모델 정의- IT 융합 서비스모델 사례 : 국내 사례

서울시 교통카드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16

유해물질 정보관리 서비스를 둘러싼 수요자, 서비스제공자, 투자자, 사업자 사이의 서비스 및 재화의 흐름은 통합 서비스 센터를 중심으로 통합되고 확장되어, 관련 주체 모두의동반성장을 이룸

1. 융합 서비스모델 정의- IT 융합 서비스모델 사례: 기업유해물질정보관리 서비스

유해물질 정보관리 통합 서비스 센터서비스 제공자 수요자

협력업체

유해물질 정보관리 서비스

Data 정제

및 통합

B2B 서비스

G2B 서비스

서비스 활성화

역량 및

품질 정보

공고 및

광고거래 지원

교육 및

가이드

대체물질

R&D

국가별

정책 분석

시험분석기

품질관리

GLP 인증

지원

Data

품질관리

규제별

포맷 관리

공급망내

data 교환

제조기업

공급망 내 데이터

교환

중소SW 기업

서비스 기업

화학 및 환경 DB

시험 분석

환경 유해성 평가

컨설팅 및

규제대응대행

시험분석 발주 및

데이터 관리

컨설팅 용역 발주

규제대응 용역 발주

전략 수립 및 교육

수강

유해물질 정보활용

중개료 및

광고료

용역 등록

및 관리

DB 활용

Packet

당 수수료

전달망

제공

Packet 당

수수료

용역 제공Service

SaaS

Solution정부

관련 부처 및 기관

Enterprise

SaaS

Solution

Web

Market

Place

투자자

투자금융

Web

Service

용역비

웹 연계

운 수익

구축 및 운

투자

운 수익

DB

connectio

n

Web

Market

Place

DB 제공

Packet 당

수수료

Web

Service

Data

품질관리

품질관리 및

인증지원

수수료

웹 연계

사업자투자자수수료

수수료

주관사업자

IT 서비스 기업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17

융합 서비스모델은 서비스 적용 범위와 수준에 따라 기업, 산업, 국가차원으로 분류할 수있음. 기업이 독자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산업, 국가 수준의 서비스모델 개발은 정부의참여와 지원이 필요함

2. 융합 공공서비스모델 정의 및 필요성- 융합 서비스모델 유형

* Source: 권혁인, 2009, “융합 서비스모델 기업실무자 워크샵”, 중앙대학교

지식콘텐츠

섬유산업디자인

기부채납/

운 수익

정부투자 및 제도지원

컨설팅

유통 사용료

지식

섬유산업디자인

운 수익

투자

컨설팅

정부지식콘텐츠

해외/국내 수요처유통

지식산업

IT/지식콘텐츠 인프라

해외/국내 수요처

정부

전통적 제조업

NSM(NationalLevel SM)

ISM(IndustryLevel SM)

CSM(CorporateLevel SM)

기업 수준의신 사업모델

NSM 산하의 개별 산업을위한 신 산업모델

산업간 융합을 통한 신사업모델

혹은 Government 차원의

새로운 서비스 혁신 모델

정부와 민간의 공동개발 필요 역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18

융합 공공서비스모델은 민간 기업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정부와 협력을 통해 공공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 사업모델을 의미함

2. 융합 공공서비스모델 정의 및 필요성- 융합 공공서비스모델 정의 및 특징

IT와 다른 Product, Service를 융합하여 공공 역의 이슈나

국가의 경제적, 사회적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고객 가치와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 모델

융합 공공서비스모델 정의

공공 역(Public Sector)

산업 역(Private Sector)

신규 서비스 역(3rd Sector)

민원행정서비스공공서비스

1차산업2차산업(제조업)서비스업

정부 기업/국민

국가 현안 역

공공성

국가의 경제적․사회적 이슈를

IT 서비스로 해소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어 공익적 측면이 매우 중요

수익성

민간자본이 투자에 참여하는 사업으로

운 수익 창출을 통해 투자비의 회수가

가능하도록 기대수익 필요

개방성사업기획·실행에 민간기업과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개방적인 구조의 사업

효과성사회적, 정책적 측면에서 사회문제 해소,

산업육성, 경제발전 등의 효과성 요구

혁신성

제품(P)과 서비스(S) 기업과 SI간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신규 사업 진출로 신시장 창출

융합 공공서비스모델 특징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19

융합 공공서비스모델 사업 역은 공공 역, 산업 역, 공통플랫폼 역 등 3대 역으로구분함

2. 융합 공공서비스모델 정의 및 필요성- 융합 공공서비스모델의 사업 역

공공 역(Public Sector)

산업 역(Industry Sector)

순수 공공서비스

국가 현안 해결서비스

서비스산업경쟁력 강화

제조업의 서비스화강화

공통 Platform 서비스

공공과 민간 산업의융합 서비스

§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공공기관의 민원 서비스

§ 국가 경제 기반 강화와 국민 생활 개선을 위한 공공 서비스 역- 국가 경제 역 : 교통/물류, 에너지/환경, 도시/시설, 금융/보험- 국민 생활 역 : 의료/보건, 노동/복지, 교육/학술, 문화/관광, 통신/미디어

§ 국내 서비스 산업이 경쟁력 상화를 지원할 수 있는 융합서비스 모델 개발

§ 2차 산업인 제조업과 SW의 접목을 통해 제품의 서비스화 촉진

§ 공공/민간 서비스 융합을 통해 발생하는 신규산업분야 창출eg. 서울시 교통카드 (전자금융+교통+IT), u-City(건축+도시+IT) 등

§ 공공, 산업에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역eg. 기업 유해물질 정보관리 종합지원 서비스 (REACH) 등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20

수요자 편익 중심, 민관협력, 수익형 사업 등 사업목적 및 방식, 주체, 기대효과의측면에서 기존 사업과는 다양한 차별성 존재함

2. 융합 공공서비스모델 정의 및 필요성- 기존 정보화 사업과의 차별성

차별 역 기존 정보화 사업 SW 서비스 융합 신 사업

사업추진주체 •정부주도 •민관 협력

사업방식 •정부고시형 (수주형) •정부고시, 민간 제안 병행

운 방식 •기획/투자 : 정부, 실행/운 : 정부, 일부 민간 •기획/투자 : 정부/민간, 실행 / 운 : 민간

사업목적 •업무효율성을 통한 서비스 제공 •서비스의 효과성 강화를 통한 서비스 전달

사업기대효과 •업무 효율성 제고, 대국민 신뢰도 향상 •경제성장, 부가가치 확대, 고용창출

참여방식•폐쇄적(기획단계에서 소수 고객에 대한 수요조사 수행)

•참여, 공유, 개방(수요자의 지속적인 참여를 위한 추진조직 확보 필요)

활용 및 확산 •서비스 개시 이후 확산에 대한 고민 •서비스 구축 시부터 고객참여를 통한 확산

추진체계•정부 내 의견 반 (고객 의견수렴 체계 부재)

•Top-Down 형 의사 결정

•분야별 Working Group 구성 및 Idea 확보 체계 구축

•MUD 형 의사결정

수익성 •비 수익성 사업도 가능 •수익성 사업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21

수요자 편익증진을 목표로 서비스 모델별로 산.학.연 서비스 모델 추진단(가칭)이 조직되어 산업횡단적인 서비스 발굴.개발로 통합센터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함

2. 융합 공공서비스모델 정의 및 필요성- 융합 공공서비스모델의 구성요소

산업간 융합 신시장창출

통합 서비스

세계시장진출

CB

서비스 A

도로건설

자동차

전자

부품소재

단말기(R

FID, U

SN

등)

기술개발(R&D)

산·학·연 서비스 모델 추진단(표준화, 법제화, 제도개선)

Cross-Industry Service 통합센터

서비스

플랫폼

민간참여

세계 최초 SW 아키텍처 개발 및 적용 R&D 수요자

중소SW기업IT서비스기업

투자회사정부

SPCu장기적 수익성 확보

u부가서비스 시장창출

IT Infra(네트워크, OS 등)

…A 서비스(교통) B 서비스 C 서비스

자동이체서비스

원스탑 자동이체서비스과금서비스원격검침서비스

1 2 3 4 N 1 2 3 4 N

Killer 서비스 교통카드 서비스

공통서비스(BPM)

산업 횡단적공통서비스

공통서비스

….….

특화서비스

IT Infra(네트워크, OS 등)

…A 서비스(교통) B 서비스 C 서비스

자동이체서비스

원스탑 자동이체서비스과금서비스원격검침서비스

1 2 3 4 N 1 2 3 4 N

Killer 서비스 교통카드 서비스

공통서비스(BPM)

산업 횡단적공통서비스

공통서비스

….….

특화서비스

단말기(P

C,

휴대폰,

전광판,

전용단말)

기업&경제 농림수산

의료&헬스 자연환경

교통&물류제조

정부부처

정책연계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22

기존사업 구조

융합 산업Eco-System

철강 조선 반도체

자동차 가전 의류

업종간, Product + 서비스 융합

대·중·소 기업간 협력

Customer 융합산업 모델 A 정부융합산업 모델 N 융합산업 모델 Z

자동차

엔터테인먼트

금융

IT

의류

엔터테인먼트

유통

IT

의료

음식

가전

IT

··· ···

산업간 융합을 통한 IT 서비스 신시장 창출을 위해서는 새로운 사업 모델 개발 및 이를뒷받침할 수 있는 Eco-System 구축이 필요함

2. 융합 공공서비스모델 정의 및 필요성- 신성장 동력 발굴을 위한 새로운 Eco-System 구축

제조업 IT 산업서비스업

의료

엔터테인먼트

유통

금융 교육 숙박

SI SW

H/W 통신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23

효과적인 융합 서비스모델 신사업 발굴은 정부 지원을 기반으로 민간의 원활한 사업 활동을 통해 국가가 직면한 현안과 산업 경쟁력을 강화를 추구할 수 있음

2. 융합 공공서비스모델 정의 및 필요성- 융합 공공서비스모델 개발 정부지원 필요성

정부 참여 및 지원을 통한 활성화SW 서비스 융합 신사업 추진시 장애요인

민간 부문

정부지원 및 참여

Goal

•효율적 현안 해결

•원활한 사업 활동

신규수익발굴

국가 부문민간 부문

장애요인

기술 표준화이슈

법제도

다양한이해관계자

창의성 부족

예산 집행비효율성

산업이나비즈니스지식 부족

Goal

신규수익발굴

•산업 경쟁력 발굴

•국가/사회 문제 해결

•국민 삶의 질 제고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24

호주의 통합 복지 서비스 모델(Centerlink)은 25개 기관으로 부터 통합된 27,000여 명의인력으로 구성된 민간회사가 140여개의 서비스를 전국 서비스 제공 센터를 통해 제공

2. 융합 공공서비스모델 정의 및 필요성- 민관협력 서비스사업모델 성공 사례: 호주

호주 Centerlink 서비스

국민(서비스이용자)

Department of

Human Resources

Policy Departments

25개 부처

• Concession and Health Care Cards• Australian Passport Information Service• Centrelink Access Points Agents• Centrelink Community Officers• Centrelink Multilingual Call\• Services for Homeless People• Social Work Services• Visiting Services, etc..

140여 종의 서비스

1 연간 9천만 통 우편 발송,

연간 2천만 건 고객 통화 응대

2 재해/재난 피해자 보조금 지급

기존 1개월 ⇒ 1~2일 소요

3 정부예산 투자 없는

Pay Per Service 조직

•호주 국민의 ⅓(650만)이 고객이며, 이를 위해 전국 1천여 개의 서비스센터를 운 하고 있음

•정부예산의 투자 없이, 서비스 별 사용료(Pay Per Service) 받는 비즈니스 모델로서 정립

•정보화 투자를 IT투자로 인식하지 않고, 철저히 비즈니스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투자로 인식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25

기존의 교통카드 사업이 안고 있었던 민간소유 및 독점적 운 , 공급자 위주 서비스 등의폐해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카드를 도입한 신교통카드시스템 구축 사업을 통해예산투입대비 이해관계자별 편익이 획기적으로 향상됨

2. 융합 공공서비스모델 정의 및 필요성- 민관협력 서비스사업모델 성공 사례: 서울시 교통카드

서울시 교통카드

민간소유및

독점운폐해

문제해결

교통카드시스템

구축사업

추진

• 재정부담 경감

• 공공성 확보

• 준공 제 정착

• 재정부담 경감

• 공공성 확보

• 준공 제 정착

• 환승편의 향상

• 교통요금 경감

• 세제혜택 부여

• 환승편의 향상

• 교통요금 경감

• 세제혜택 부여

• 쾌적한 운행

• 적자운행 극복

• 경 의 투명화

• 쾌적한 운행

• 적자운행 극복

• 경 의 투명화

운 법인

버스 택시 지하철

수수료지급

서울시

시 민

운송기관

교통운송기관

교통요금지불

카드 휴대폰

시민

주차요금

민원수수료

소액결제

부가서비스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26

융합 서비스모델 과제 도출, 개발, 추진까지 융합 공공서비스모델 의 Seamless한 수행체계 추진 프레임워크를 정립함

3. 공공서비스모델 개발 및 추진 프로세스

융합 서비스모델 과제 도출

Phase 1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Phase 2 Phase 3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융합 서비스모델 추진

기업대상과제 공모

정책연구

사업아이템 도출 사업아이템 도출

과제 제안서비스모델 개발

필요성 평가

서비스모델 개발필요성 및

업체 역량 평가

서비스모델 개발컨소시엄 공모

개발 참여 제안

개발업체역량 편가

서비스모델 개발추진

Drop

Y

Y

N

N

N

정부 정책과과제 추진

필요성

정책 걀정권자 보고회

Y

N

실무 추진단 구성 및공공/민간 MOU체결

서비스모델 사업 범위,사업자 선정

서비스 Test

상용화

Drop융합 서비스모델

구체화융합 서비스모델 구현

계획

추진 배경 및 목적

비즈니스모델 수립

이해관계자 분석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기술 분석

재무 분석

정책 지원 과제 제안

실행계획 수립

기대 효과

대국민 편익 증대, 정부의효율성 재고, 신규시장창출 등

컨소시엄의 사업 추진 근거

현재여건(기술, 제도, Needs)에서실행가능한 BM(#1)

BM(#1)을 기준으로 공공부분분석 및정책과제 도출

BM(#1) 혹은 확장시개발 되어야 할 기술

BM(#1) 혹은 확장시필요한 재원 조달 방안

BM(#1) 혹은 확장시필요한 법제도 및 지원 정책

분석을 바탕으로 사업추진계획 수립

이해관계자 분석을 통한BM(#1)의 수정된 BM

IT 육성 지원 사업

Package 상용화기술지원사업

임베디드상용화

지원사업

첨단기술상용화

지원사업

1 2

27

Key Issue

“융합서비스 모델 개발 시 어떤 작업을 언제어떻게 수행해야 하나?”

“산업 간 융합 및 국가 차원의 융합 사업이 거의없어 참고할 만한 자료가 부족한 상태임”

-표준가이드가 없어 시행착오가 많음

서비스 모델 활성화 사업의 지속적인 추진및 확대 발전

서비스 모델 참여 기업들의 융합서비스모델에 대한 이해도와 개발 역량제고

•융합 공공서비스모델 개발 시 공통으로 적용 할 수있는 최소한의 실무가이드 수립

•업계에 배포 및 활용지원

가이드 수립은 IT기업, 제조업, 서비스 기업의 제휴로 융합 공공서비스모델 개발 시표준화 가이드 필요성과 사업의 지속적인 추진 및 확대 발전을 지원하기 위함

융합 서비스모델 구현 계획

IT기업

제조(Product)

기업

서비스기업

융합서비스모델

4. 가이드 필요성 및 목적

가이드 필요성 목적

Ⅰ.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표준가이드 개요

융합 서비스모델 구체화

28

ⅡⅡ 가이드 프레임워크

1.가이드 구성

2.단계별 프로세스 구성

3.단계별 세부활동 내역

29

세부활동(Activity)세부활동(Activity)단계(Phase)

개념정의 및 목적(Why)

개념정의 및 목적(Why)

수행방법(How)

수행방법(How)

산출물템플릿(What)

산출물템플릿(What)

기법(Tool)기법(Tool)

수행 기관(Who)

수행 기관(Who)

1. 추진배경 및 목적

2. 비즈니스모델 수립

3. 이해관계자 분석

4.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5. 기술 분석

6. 재무 분석

7. 정책 지원 과제 제안

8. 실행 계획 수립

9. 기대 효과

세부활동(Activity)세부활동(Activity)프로세스(Process)

세부활동(Activity)세부활동(Activity)세부활동(Activity)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시 필요한 과업 단계-프로세스-세부 활동을 정리하고 수행 단계별개념정의 및 수행 목적, 수행 방법, 템플릿, 수행 기관, 필요 기법 등을 서술함

1. 가이드 구성Ⅱ. 가이드 프레임워크

30

Ⅱ. 가이드 프레임워크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은 사업 필요성과 시장 가능성을 통해 BM을 수립하고 관련 활동을분석한 후, 성공적 사업 추진을 위한 정책지원과제 제안 및 실행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임

추진 배경 및목적

1

어떤 맥락에서?

비즈니스모델수립

2

어떤 사업을?

이해관계자 분석

3

필요 자원 조달 방안?

정책지원과제제안

7

누가, 언제 무엇을?

기대 효과

9

얻고자 하는 것은?

재무 분석

6

실행 계획 수립

8

실현가능성을 고려한서비스의 변화가 필요한 경우

+/-

확장비즈니스모델 수립

4

기술 분석

5

사업을 왜 추진하려고 하는가?

-핵심역량, 사업환경

활동간 연계성

활동 진행 순서No

현실적으로 추진가능한 초기 서비스모델 도출

이해관계자 요구분석 및 조정방안

초기 BM의 고객, 서비스 확장 방안제시

BM관련 필요 기술도출 및 정부 정책연계 방안

시장성, 수익성, 필요재원 분석

법제도 개선 및민관협력 모델, 정부지원 과제 도출

장단기 추진 로드맵및 세부 실행 계획

경제/산업적, 정책적, 국민 편익적인측면에서의 효과

2. 단계별 프로세스 구성

31

단계 프로세스 세부활동(Activity)

1. 추진배경 및목적

1.1 추진배경 정의 사업 환경 및 핵심역량 정의

1.2 추진목적 정의 신비즈니스모델 추구 목표 및 범위 정의

2. 비즈니스 모델수립

2.1 고객 및 기존서비스 분석

고객요구 분석

기존 서비스 분석

2.2 서비스모델도출

BM 구성도 정의

제공서비스 정의

고객 가치 정의

서비스 플랫폼 정의

3. 이해관계자분석

3.1 이해관계자요구 분석

사업파트너 분석

IT업체 분석

정부/공공기관 분석

3.2 이해관계자조정 방안

이해관계자별 이슈 분석

이슈 조정 방안 도출

4. 확장비즈니스모델 수립

4.1 확장 BM 도출 확장 BM구성도 정의

4.2 BM 확장 방안

단계별 서비스 확장 방안 도출

고객 확장 방안 도출

단계 프로세스 세부활동(Activity)

5. 기술분석

5.1 필요 기술분석

기술 아키텍처 분석

기술 조달 방안 도출

5.2 SW육성정책연계방안 도출

신규 기술개발 필요 과제 정의

정부의 SW육성지원사업과 연계성 검토

특허 출원 필요 기술 정의

6. 재무분석

6.1 투자비/운 비산정

투자비 산정

운 비 산정

6.2 시장성 및수익성 분석

서비스 수익 모델 수립

서비스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

7. 정책지원 과제제안

7.1 법,제도 이슈및 개선 방안 도출

현행 법·제도 이슈 분석

법·제도 개선방안 도출

7.2 추진조직 구성방안 도출

조직 대안 분석 및 역할 정의

7.3 기타 정부지원필요사항 도출

정부지원 과제 정의

8. 실행계획 수립

8.1 장단기 추진계획 수립

사업 추진 로드맵 수립

8.2 상세 추진일정 계획 수립

서비스 설계/기술개발 계획 수립

9. 기대효과

9.1 산업·경제적편익 분석

신규 시장 창출 및 산업육성 효과 분석

9.2 국가·사회적편익 분석

정부 및 국민 편익 분석

Ⅱ. 가이드 프레임워크 3. 단계별 세부활동 내역

32

Ⅲ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1. 추진배경 및 목적 정의

1.1 추진배경 정의

1.2 추진목적 정의

2. 비즈니스모델 수립

3. 이해관계자 분석

4.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5. 기술 분석

6. 재무 분석

7. 정책 지원 과제 제안

8. 실행 계획 수립

9. 기대 효과

33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본 단계에서는 신비즈니스모델을 추진하게 된 환경 요인 및 상황을 제시하고 신비즈니스모델의 추구 목표와 범위를 정의함

• 신비즈니스모델을 추진하게 된 동기 및 상황 필요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함

• 신비즈니스모델이 추구하는 목표와 사업 범위를 사전에 명확하게 정의함목적

단계 요약• 본 단계(1. 추진배경 및 목적 정의)에서는 신비즈니스모델을 추진하게 된 기업 내·외부 요인 및 환경을

분석하고 신비즈니스모델이 추구하는 목표와 사업 범위를 기술함

방법• 사업 환경 문헌 조사: 신비즈니스모델 관련 산업, 소비자, 정책 이슈 조사

• 참여기업 역량 분석: 신비즈니스모델 관련 참여 기업의 핵심 역량 및 사업 현황을 요약 정리

산출물• 신비즈니스모델 추진 배경 및 목적 정의서

- 사업환경 요약, 참여기업의 핵심역량 요약

• 신비즈니스모델 추진 목적 및 목표 정의서- 사업 개발 범위 및 수행 방법 정의

단계 1 추진배경 및 목적

- 개요

34

(1) 사업 환경 분석-추진하고자 하는 사업 관련 사회, 산업,

정책, 법제도 등의 현황 및 이슈 분석

-진출하고자 하는 사업의 필요성 명확화

(2) 핵심 역량 분석-신비즈니스모델 관련 참여 기업 핵심 역량

및 사업 현황 요약

-사업 역량의 활용 방안 정의

(1) 신비즈니스모델 추구 목표 정의-신규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성과

(2) 신비즈니스모델 구체화 범위 및 방법 정의-신비즈니스모델 구체화를 어디까지 어떻게 할

것인지 개략적인 방법 제시

세부 활동

목적

• 국가,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 신비즈니스모델필요성 제시

• 참여 기업이 신비즈니스모델을 왜추진하는지에 대한 이해도 제고

데이터Source

• 신비즈니스모델 추구 목적 및 목표 명확화

• 신비즈니스모델 구체화 범위 및 방향 명확화

• 관련 산업, 시장 동향 분석 보고서

• 정책 이슈 보고서, 관련 보도 자료

• 참여 기업 내부 자료 및 소개 자료

추진 배경 정의 추진 목적 정의

2211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먼저 사업 환경 및 핵심 역량 분석을 통해 추진 배경을 정의한 후, 신사업모델의 추구목표와 구체화 범위를 도출함

단계 1 추진배경 및 목적

- 수행절차

35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사업환경 정의는 제안 모델의 사업 현황 및 거시적 환경 이슈를 조사하는 활동임

① 추진배경 정의 - (1) 사업 환경 분석

단계 1 추진배경 및 목적

- 프로세스 상세: ① 추진배경 정의

11

22

33

정의신비즈니스모델 관련 시장의 현황 및 거시적 사업 환경(사회, 산업, 정부 정책 등)을 조사하여 거시적 측면에서사업필요성을 정의하는 활동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신비즈니스모델 관련 산업/시장 현황 및 동향 분석

–제안 사업 관련 산업, 업종, 분야별 시장을 세분화하여 어느 시장을 주로 다룰 것인지를 기술

–목표 시장의 현황 및 주요 동향을 분석

목표 시장 이슈 파악

–소비자, 사회, 산업 이슈조사

–제안 모델 사업과 관련된 정부 정책 현황, 목표, 이슈 조사

신비즈니스모델 필요성 도출

–사업 환경 조사 결과 어떤 맥락에서 본 사업이 필요한지를 요약, 정리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소비자, 사회, 산업, 정부 정책 관련 현황 및 이슈 분석

• 거시적 환경 측면에서 신비즈니스모델 필요성 도출

전문기관 • 현황 및 이슈 도출 및 분석 방법 제시

NIPA • 거시적 환경 측면에서 신비즈니스모델 필요성 도출 검토

36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 동차 정비 시 약 7조원 규 에 고

, IT 한 가 비 창출 시

가능 큼

• 나라 동차 산업 연 4,086만 생산(2007

년) 로 계 5 에 라 나 정비 비 는

상 적 로 낙 한 실정

• 계 정보 신 프라 , 정비 비

새로 식 비 산업 로 전시킬

계청

동차

매출

- 2007년 말 7조 2,825억원

- 전년 비 1.5%

동차

에프

시 규(2005년 )

- 미 320조원

- 본 62조원

- 한 5.6조원

정비

보(PC 보 )

- 종합정비 100%(평균 4.90 )

- 정비 99.5%(평균 1.56 )

단계 1 추진배경 및 목적

- 프로세스 상세: ① 추진배경 정의(예시)

(1) 사업 환경 분석 예시(자동차 정비 서비스 사업모델)

자동차 정비 서비스는 기업, 산업, 소비자 차원에서 수익성, 노후화, 편이성 등의 문제점과 한계를 드러냄으로써서비스 변화 요구가 일어남

37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에너지 원단위(GDP대비 총에너지 사용량)

세계 1위, 일본의 3배

§온실가스 배출량 세계 10위

§선진국의 에너지 소비는 매년 줄고있으나, 국내는 연간 3.9% 증가

§에너지 절약 모범 정부 구현 방침(녹색청사구현, 그린IT 추진)

국가 에너지관리 이슈 및 전략

§에너지 관리자의 전문성이 낮음(잦은 직무이동, 여러 직무 동시 수행)

§높은 에너지 사용 비용(서울 연간 7억 초과 청사도 존재)

§에너지절감설비 구매예산 부족으로효율화 설비 도입이 어려움

§에너지 사용량 및 절감량 측정시스템 미흡

청사(*) 에너지관리 문제점

§모니터링 서비스 경쟁력 취약(70%이상 해외기업에 서비스 의존)

§일회성 장비 설치 사업 모델(부가 서비스 사업 모델 미흡)

§학교, 공공기관, 기업, 복지시설 등고객 그룹별 표준화 서비스 부재

§ ESCO 사업 신뢰성 취약(에너지 절감량 측정이 어려워 고객 불신)

에너지관리 산업 문제점

정책, 고객,

산업 분석

IT 및 에너지

기술의 융합

USNEmbedded

SW

CloudComputing

SW· IT(지능화, Data Sensing, 통합관리, Anytime Anywhere)

지능형계량기

에너지관리기기

에너지 기술

에너지사용기기

융합

* 산업, 가정, 상업, 공공 등 4개 부문 12개 분야별 16개 표본 인터뷰 조사를 통해 서비스 필요성과 도입·확장 용이성을 평가하여 기초지자체청사를 1차 Target 고객으로 선정함

SaaS

단계 1 추진배경 및 목적

- 프로세스 상세: ① 추진배경 정의(예시)

(1) 사업 환경 분석 예시(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사업모델)

국가 에너지관리 이슈와 고객 및 에너지관리 산업의 문제점을 분석해 본 결과, IT와 에너지 기술을 융합한 SW융합 에너지관리 서비스 사업 모델 필요성이 높음

38

국제환경규제의 강화 제조기업의 수출 애로 증대

제도적 변화

규제범위변화

관리대상변화

패러다임변화

수출 Risk 증가• 국제환경 규제의 강제법령화

• 미준수 시 벌금, 시장 유통 금지, 또는

시장 퇴출

• 개별산업에서

전 산업으로 확산

• 환경오염관리에서

제품구성 최소단위 관리

• 단순 환경보호에서 자국의

산업보호(기술무역장벽)

물질정보의유통 필요

27,39031,899

44,593

52,853

60,282

71,198

-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70,000

80,000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16%

17%

18%

19%

20%

기업, 산업간협력 촉진

• 제조산업의 유럽시장 수출비중 증가• REACH발동으로 세계 최고규모제품대상 환경규제 지역이 됨

• EU REACH의 등록, 신고, 허가절차 중등록 하나만 대응하기 위한 비용이’07~’18년까지- 직접비용 최대 8,722억 원- 간접비용 최대 4조3,610억 원 투입예상

제조 원가상승

• 제품의 화학물질 단위 필요

• 기업간 물질정보 유통 필수

• IT기반 대응의 필요성 증대

자동화연계기반

고객밀착형개방형

IT Service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1 추진배경 및 목적

- 프로세스 상세: ① 추진배경 정의(예시)

(1) 사업 환경 분석 예시(기업유해물질 정보관리 서비스 사업모델)

환경규제의 강제적 법규화, 관리물질의 대상범위 확대 등 규제환경 및 수출 리스크 증가, 제조원가 상승 등 산업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IT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SW 서비스 융합이 필요함

39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사업 참여 기업의 본 사업 관련 핵심 역량 보유 현황 및 이를 활용한 참여 기업차원의사업 필요성을 정의함

① 추진배경 정의- (2) 핵심 역량 정의

- 프로세스 상세: ① 추진배경 정의

단계 1 추진배경 및 목적

11

22

정의신비즈니스모델 관련 참여 기업의 핵심역량 및 사업 현황을 요약 정리함으로써 왜 참여 기업이 본 사업 모델을추진하려고 하는지를 명확하게 하는 활동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사업 참여 기업의 보유 역량 정의

–제안 사업 관련 참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 서비스, 고객, H/W 등 핵심 역량과 관련 사업 수행 내역 및현황을 요약 정리

참여 기업 측면에서 사업 추진 필요성 정의

–참여 기업 측면에서 볼 때 본 사업 모델은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기술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제안 사업모델 관련 참여 기관의 역량 및 수행 내역, 현황 정리

• 참여 기업 측면에서 사업 추진 필요성 정의

전문기관 • N/A

NIPA • N/A

40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사업명

2008년 터널교통관리시스템

(TTMS)실시설계 용역

사업개요

• 터널별 TTMS 현장설비 구축 설계(VDS, VMS, CCTV, 긴급전화)

• 터널별 터널무선중계 통합시스템 설계• 터널 관리동, 지사, 본부 및 교통정보센터 설비구성

사업기간

2008.04

~

2008.12

계약금액(천원)

267,371

발주처

한국도로공사

몽골 울란바토르 지능형교통

망(ITS)구축 컨설팅사업

• 현장설비 구축설계(VDS, AVI, CCTV, VMS)• 센터 H/W, S/W 설계• 정보연계

2007.12

~

2009.04

263,3694몽골 울란바토르

시정부

2008년도 국도ITS기반 인프

라구축 설계용역

• 현장설비 구축설계(VDS, AVI, CCTV, VMS)• 통신망 구성방안• 센터 H/W, S/W 설계

2007.09

~

2007.12

131,120 건설기술연구원

2008년도 서울청 국도ITS 구

축 설계용역

• 현장설비 구축설계(VDS, AVI, CCTV, VMS)• 센터 H/W, S/W 설계• 정보연계

2007.09

~

2007.12

84,080 한국도로공사

경기도 주요도로 첨단교통관

리시스템 구축 기본계획 및

기본설계용역

• 경기도 수도권 내 ITS 현황조사 및 분석/해결방안 도출

• 교통관리 최적화 분야 구축계획 제시• 교통정보 수집, 제공장치 설계

2006.12

~

2007.12

279,730 경기도

협력업체인 ㈜터보메카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진단기기

‘오토스캔(AutoScan)’ 개발 및 상용화

터보메카 차량진단 제품

단계 1 추진배경 및 목적

- 프로세스 상세: ① 추진배경 정의(예시)

(2) 핵심 역량 분석 예시(자동차 정비 서비스 사업모델)

교통정보화 전문 SI 업체 컨소시엄은 자동차 정비진단 기술기업 ㈜터보메카를 통해 차세대 정비서비스 개발 역량 확보

41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신비즈니스모델 추구 목표 정의는 제안 사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성과를 제시하는활동으로 전체적인 사업 추진 범위를 설정함

(1) 신비즈니스모델 추구 목표 정의

단계 1 추진배경 및 목적

- 프로세스 상세: ② 추진목적 정의

정의신비즈니스모델을 통해 얻고자 하는 목표를 국가/사회적 측면, 정책적 측면, IT 산업 측면, 연관 산업 측면에서제시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신비즈니스모델의 국가/사회, 산업, 정책적 이슈 해결 도출 기여 가능성

–앞의 환경 분석에서 도출된 제반 이슈들을 신비즈니스모델이 어느 정도까지 해결할 수 있을지 분석

신비즈니스모델의 추구 목표 정의

–신비즈니스모델을 추진함으로써 국가/사회적 측면, 정책적 측면, IT산업 측면, 연관 산업 측면에서 어떤 편익및 효과가 있을지를 개략적으로 기술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신비즈니스모델의 이슈 해결 가능성 분석 및 추구 목표 정의

전문기관 • 신비즈니스모델 추구 목표에 대한 검토 및 조언

NIPA• 참여 기업이 도출한 신비즈니스모델 추구 목표에 대한 검토 및 조언

–특히 융합사업모델을 도입함으로써 얻게 되는 차별적 효과를 강조

11

22

42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서비스 개선 및 부가서비스 창출로정비산업의 활성화 필요

• 정비에 필요한 장비의 전자화 및 고가화

로 수익성이 세한 정비소는 애로를 겪

고 있음

정비산업의 양성으로국가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강화

• 자동차의 전자화로 2009년 현재 자동차

한대당 평균 25개의 ECU가 장착되어 있으

며 기계적 정비의 한계

• 정비는 자동차 산업의 핵심적인 에프터마

켓 서비스로서 자동차 메어커들의 주요 마

케팅 수단으로 자리잡음

정비산업의 활성화로 인한국민(자동차 운전자)편익 증진

• 정비소 이용자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낮은

편으로, 정비소 이용자는 정비소에 대한

불신을 가지고 있으며 신뢰도가 정비소

선택에 결정적인 향력을 미치고 있음

ECU(Electronic Control Unit)은 차량의각 부분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장치

ECU 장착 개수자동차 수리업 매출현황(통계청)

출처: 통계청(2009)

정비소 만족도

출처: 본 프로젝트 설문조사 결과

불만족

5.1 보통

39.0

만족

55.9

불만족 보통 만족

단계 1 추진배경 및 목적

- 프로세스 상세: ② 추진목적 정의(예시)

(1) 신비즈니스모델 추구 목표 정의 예시(자동차 정비 서비스 사업모델)

정비 서비스의 개선을 통해 산업의 발전은 물론 국민(운전자)들의 편익 증진이 필요함

43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SW 융합 에너지 관리 서비스 사업 모델 개발Software

에너지 기술에너지 기술SW, ITSW, IT

Saas

스마트미터 에너지 관리

기기

에너지사용기기

USN EmbeddedSW

CloudComputing

국가 에너지 절감 및 온실가스 배출 감축

에너지 관리에 특화된 IT 서비스신시장 창출

연관산업 동반성장 및 녹색산업 육성

- USN, 스마트미터기, 에너지 효율화 기기,

Green IT 등

1

2

3

단계 1 추진배경 및 목적

- 프로세스 상세: ② 추진목적 정의(예시)

(1) 신비즈니스모델 추구 목표 정의 예시(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사업모델)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과 S/W기반 신시장 창출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S/W융합 에너지 관리 서비스”사업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함

44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 SW 서비스 융합 신사업으로

환경규제 대응 부분에서

IT서비스 신시장을 창출함

Software 역인 화학물질 정보관리는서비스 융합을 통해 더 큰 시장규모 창출 가능

환경규제 대응 부문 시장 개척을 통해IT산업 신시장 창출과 IT산업 육성의 기회 획득

IT Service신시장 창출

1

2

제반 산업의 동반성장

• SW 서비스 융합 신사업을 통해

제조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며,

규제대응 서비스 산업의 동반

성장을 견인함

기업 및 산업공급망 내 협력체계 구축은IT서비스를 활용함으로써 효율성, 운 효과,

참여 및 확산의 가속화를 유발

SW 서비스 융합으로 환경규제 대응을지원함으로써, 국내 수출기업의

대응력 및 경쟁력 향상

1

2

SW 서비스 융합을 통해기존 환경규제 대응 지원 서비스 산업의

활성화를 유발

3

산업경쟁력 확보및 신규시장 창출

단계 1 추진배경 및 목적

- 프로세스 상세: ② 추진목적 정의(예시)

(1) 신비즈니스모델 추구 목표 정의 예시(기업유해물질 정보관리 서비스 사업모델)

Software와 서비스의 융합을 통해 국제환경규제 부문의 IT 서비스 신시장을 창출함으로써, 제반 산업의 동반 성장과 함께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함

45

Ⅲ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1. 추진배경 및 목적 정의

2. 비즈니스모델 수립

2.1 고객 및 기존 서비스 분석

2.2 서비스모델 도출

3. 이해관계자 분석

4.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5. 기술 분석

6. 재무 분석

7. 정책 지원 과제 제안

8. 실행 계획 수립

9. 기대 효과

46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본 단계에서는 현재 수준에서 실행 가능한 구체적인 신규 융합사업모델을 도출

• 구체적이고 실현가능성이 높은 신규 융합사업모델 도출-목표 고객, 제공서비스, 수익흐름, 제공인프라, 사업참여자 구체화목적

단계 요약• 비즈니스모델이란 기업이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을 표현하는 것으로 고객, 제공서비스, 참여자의 역할,

수익흐름, 운 인프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

• 본 단계(2. 비즈니스모델 수립)에서는 현재 수준에서 실행가능한 구체적인 신규 융합사업모델을

제시하고 사업모델 구성요소를 분석

방법• 고객 요구 분석: 마케팅의 STP(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 기법과 Interview, 설문, 관찰 등

마켓 리서치 기법을 활용

• 산업 분석: 가치사슬 분석, 기존 서비스 및 공급자 분석

• 융합 서비스 컨셉 도출: 사용자 상황(Context)분석과 브레인스토밍 및 아이디어 도출 기법을 토대로

서비스 컨셉을 기술

• 서비스 컨셉 테스트: 도출된 서비스 컨셉을 타겟 고객에게 제시하여 고객의 수용가능성을 테스트

• 비즈니스모델 캔버스: 주요 비즈니스모델 구성요소를 한 장의 장표에 이해하기 쉽도록 표현

산출물

• 고객 분석서: 목표 고객의 현황, 속성, 니즈를 조사 분석한 기술서

• 기존 서비스 분석서: 현행 서비스 수준, 공급자, 문제점 및 개선사항 기술서

• BM 구성도: 비즈니스모델 구성요소간에 서비스/수익원의 흐름을 도식화한 그림

• 서비스 컨셉 기술서: 서비스 내용 및 기능, 용도, 제공방식 등을 기술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개요

47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비즈니스모델의 개념은 인터넷의 확산과 함께 등장했으며 새로운 사업 형태를 소개하고분류하는 측면에서 연구됨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관련 이론: 비즈니스모델 개념 정의

•Timmers, 1998

–다양한 비즈니스 참여자와 역할을 포함하고 있는 제품, 서비스, 정보흐름의 구조이며 다양한 참여자들의 잠재적인 이익을 설명해 주고 수익원천을 설명해 주는 청사진

•Amit & Zott, 2001

–가치 창출을 위해 마련된 거래 내용, 구조, 관리를 설명해 주는 것

•Rappa, 2001

–사업을 운 하는 방식, 가치 창출을 위한 핵심 논리

•Osterwalder, et al. 2005

–특정 기업의 사업논리(business logic)을 설명하는 틀로서 구성요소들과 그들간 관계를 포함하는 것

•Afuah, 2001

–특정 기업이 수행하는 활동들의 집합

–목표: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고 이윤을 창출

•KM lab, Inc., 2000

–특정 기업이 어떻게 시장에서 가치를 창출할 것인가에 대한 설명

•Shafer, et al. 2005

–가치네트워크 내에서 가치를 창출하고 획득하기 위한 특정 기업의 핵심논리(core logic)와 전략적 선택의 집약적 표현(representation)

비즈니스모델 개념의 이론적 고찰

48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Osterwalder, et al.(2005)는 상품, 고객인터페이스, 인프라 관리, 재무 등으로 비즈니스모델 구성 요소를 구분함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관련 이론: 비즈니스모델 구성 요소

대분류 BM구성 요소 설명

상품가치제안(Value Proposition)

제품과 서비스 묶음을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가치

고객 인터페이스(Customer Interface)

고객층 가치제공 대상 고객 segment

유통채널 다양한 고객과의 접촉 채널

관계 고객 segment별 형성하고자 하는 관계

인프라 관리(Infrastructure Management)

가치구성(Value Configuration)

활동들과 자원의 구성

핵심 능력(Core Competency)

비즈니스모델 실행에 요구되는 능력

파트너 네트워크(Partner Network)

가치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파트너기업들과의 협력적 네트워크

재무

비용구조(Cost Structure) 비즈니스 모델의 비용 발생 구조

수익모델(Revenue Model) 수입의 원천과 흐름

* Source: Osterwalder, et al. 2005

49

제조기업이 서비스기능 활용을 통해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시각이 지배적인데 반해, 최근의 시각은 제품에 서비스를 새로운 사업 역으로 편입하여 가치를 창출한다는 개념

u핵심 제품시장이 공급과잉으로 포화상태에 이르고, 경쟁격화로 제조업의 수익성이 갈수록 악화됨에 따라 Global기업들은서비스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성장을 추구하는 경향이 보편화

- 이러한 접근은 기업들이 기존의 제품이나 서비스로 정의한 시장에서 벗어나 고객의 활동과 성과로 시장을再정의함으로써 가능

* Source: Four Strategies for the Age of Smart Service Harvard Business Review

Synergist

Aggregator

Solutionist

Embedded Innovator고객의 관점에서 시장을 再정의함으로써기존의 관련/비관련 다각화와 형태는 유사하지만, 접근방식이 전혀 다른 개념을 채택

•Global기업들의 사례를 보면 서비스업으로 업무 역을 확대하는 경향이 뚜렷한것으로 파악

•GE, 지멘스 등 일부 기업들은 이러한 접근을 통해 성공을 향유하고 있으며, 화학, 자동차, 조선, 철강, 등의 접근전략을Framework함

핵심활동과 인접활동의

종합적 구조와 통제

(Getting Perspective on the whole opportunity)

인접활동에 새로운 서비스 추가

(Checking out Adjacencies)

고객의 핵심활동에 새로운

서비스 추가(Looking at the PLC)

사업기회 발견 4 Strategy주요 동향

4 Strategy for digital age (HBR)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관련 이론: 비즈니스모델 유형(가치창출 전략)

50

기업들은 아래와 같이 4가지 방식으로 제품에 서비스를 결합한 사업모델을 통해 가치를창출하고 있음

사업방향 • 제품판매가 목적• 제품을 많이 팔기 위해

서비스 제공

• 제조자가 제품 전체

PLC에서 제조제품과

관련이 있는 분야로

서비스 확대

• 집합자가 다수의

협력사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

가공하여 재분배

• 다수의 벤더가 협업을

통해 각자 제공

서비스를

부가가치화함

특징 • 제품

• 제품 지능화

• Communication

• 원격모니터링

• 임베디드혁신자+부가서비스

• 고객업무프로세스개선, 타 협력사와 협업등 복합서비스가 추가

• 집합자 중심 정보수집가공

• 네트웍이 폐쇄적

• 협력사 각각이정보수집, 공통공유, 각자 사용

• 네트웍이 open

파트너쉽 • 단독 • 제조기업 단독• 제조 + 협력기업

• (주종관계)

• 제조(집합자) + 다수

• 집합자와 협력사간

• 주종관계

• 제조(시너지자) + 다수

• 수집된 정보 공유하여각자 서비스 제공집합자와 협력사간동등관계

대표사례 • 우리 제조기업 대부분 • Heidelberg(인쇄기)

• HP Printer사업(프린터+ 토너+카트리지+종이)

• GE MRI

• Eaton Electrical Homebit service

• Gardner Denver사(콤프레샤)

• Philps 조명 + IBS

AggregatorProduct onlyEmbedded Innovator

Solutionist Synergist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Ref. 비즈니스모델 유형(가치창출 전략1/6)

4 Strategy 결합 비즈니스모델

51

기존 제품이 새로운 지식·경험·감성 등의 지적자산과 접목(지능화: Intelligent)하여 기존제품을 고부가가치화하고, 제품내·제품간 네트워킹을 촉진시켜 새로운 제품·서비스 창출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4 Strategy 결합 비즈니스모델 – Embedded Innovation

- Ref. 비즈니스모델 유형(가치창출 전략2/6)

52

Solutionist는 Embedded Innovator와 다르게 자체 제품에 지능화와 네트워크 연결을통해 사업기회를 찾되 제품 수명주기 측면(PLC)에서 서비스화를 추진

단일제품 PLC전체 측면에서 고부가가치 서비스 제공+

GE Medical

병원

유지

보수

GE Medical

MRI (병원)

1.

서비스

계약

2.장비설치

(투자),유지보수 3.진료

4.서비스 사용료

5.수수료

모니터링

GE MRI Scanner PLC

HW 업그레이드13

SW업데이트 하기12

스캔 해석하기11

환자 스캔하기10

스캔을 위한 환자 준비9

환자에 대한 스캔사용 결정8

스캐너 사용자 교육7

소모품 보충6

유지와 부품 교체5

테스트, 측정 그리고 시험4

설치3

구매 자금 확보2

스캐너 구매사유 및 요구사항결정1

Before After

• 병원은 Lease 계약으로MRI도입

• 물품 판매대금이 주 수익원

• 년간 MRI소요량이 많지 않음

• MRI 서비스 제공 contract (long-term relationship)

• Price per miles (MRI 사용량)

• 몇 장을 찍을 것인가 사전 예측이 필요(Biz. Is Science)

• 네트워크에 연결, 원격 모니터링을 통해 Proactive서비스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4 Strategy 결합 비즈니스모델 – Solutionist(GE사)

- Ref. 비즈니스모델 유형(가치창출 전략3/6)

53

고객사와 프린팅 서비스 제공 계약을 체결한 후 네트웍과 연결된 Printer를 설치하여Life Time 전반을 자가진단하여 장애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

Supplier

문서관리시스템

Workflow 솔루션

보안 관리 솔루션

문서 변환

키워드

자동 검색/전송/저장

Scan

사용자

기밀문서 출력

보안관리자 전송

출력 관리 솔루션

Admin Center장애조치,

Software Patch를 통한 문제해결

토너, 용지, 고장상태 원격 모니터링 엔지니어

엔지니어 지원, 소모품 보충

필요시

Off-line

지원요청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4 Strategy 결합 비즈니스모델 – Solutionist(삼성전자-삼성SDS, MPS(Managed Printing Service) 사업 공동 추진)

- Ref. 비즈니스모델 유형(가치창출 전략4/6)

54

Eaton Electrical사는 가정에 사용하는 전자제품을 설치된 센스를 통해 원격모니터링 또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지정하여 원격으로 통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4 Strategy 결합 비즈니스모델 – Aggregator(Eaton사)

Aggregator System데이터 수집, 분석 및 데이터 분배

모니터링

Datawarehouse

- 사용량, 오류 분석,

- 최적화 분석 …

- 과금 보고, 오류 보고

- 사고, 사용량 보고..

분석 Module 보고 Module

- 데이터 수집,전환 … - …

데이터 Module Others

Partnership(협업)

데이터마이닝

Aggregator 협력사

데이터

수수료

(서비스가입)

서비스 제공

수익분배제품제조기업

A B C ..

정보제공기업

A B C ..

고객이 사용하는 제품/서비스 전체

지하실, Homkey, open/closed, water, power,garage, attention etc

각종제품

각종센스

Aggregator제품 A제조사 제품 B제조사 제품 기타 ….

제품공급

수익분배

정보제공

사용자

- Ref. 비즈니스모델 유형(가치창출 전략5/6)

55

병원 의료기기 위주의 시스템 공급사업에서 의료기기 제품을 기반으로 전자제품 등을네트웍으로 통합하여 다양한 네트웍 채널을 통해 유비쿼트스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4 Strategy 결합 비즈니스모델 – Synergist(GE사)

- Ref. 비즈니스모델 유형(가치창출 전략6/6)

56

제품서비스 융합(PSS: Product Service System) 유형을 고객이 제품을 사용하는 방식에따라 아래 8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음

제품중심의가치 창출

순수제품

서비스 중심의 가치 창출

순수서비스

제품-서비스 시스템

제품중심 융합(유형)

서비스중심 융합(무형)

A: 제품구매 연계서비스

C: 성과지향 서비스B: 제품활용지향

서비스

1. 제품 판매 후 지원서비스(AS)

2. 제품구매/활용 관련 조언/컨설팅

7. 대행활동에 따른비용부과

8. 서비스 성과에 따른 비용부과

3. 제품 리스 서비스

4. 제품 임대/공유 서비스

5. Pooling을 통한 제품 동시 활용 서비스

6. 제품사용량에 따른 비용부과 서비스

* Source: Arnold Tukker & Ursula Tischner, 2006, New Business for Old Europe, p. 33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제품-서비스 시스템 서비스모델 유형

- 관련 이론: 비즈니스모델 유형(고객관점에서의 제품 융합 서비스모델)

57

제품서비스 융합(PSS: Product Service System) 유형별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음

* Source: Arnold Tukker & Ursula Tischner, 2006, New Business for Old Europe, p. 33

유형 세부 유형 내용

A: 제품구매연계서비스

1. 제품 판매 후 지원서비스(AS)• 공급자는 제품 판매뿐만 아니라 제품 사용에 필요한 서비스까지 제공예) 자동차 구입후 A./S서비스를 제공

2. 제품구매/활용 관련조언/컨설팅

• 공급자는 제품 판매시 효과적인 제품 활용 방법을 가이드예) 자동차 구입시 자동차 기능 매뉴얼 및 간단한 사용방법을 알려줌

B: 제품활용지향서비스

3. 제품 리스 서비스

• 제품에 대한 모든 소유권과 권리는 공급자에게 있으며 고객은 제품을 구매하지않고 제품 사용에 대한 사용료를 규칙적으로 지불하고 무제한 혹은 개인적으로제품을 사용함예) 자동차 리스 서비스

4. 제품 임대/공유 서비스

• 제품에 대한 모든 소유권과 권리는 공급자에게 있으며 하나의 제품을 여러 고객이사용하는 것으로 고객은 제품 사용에 대한 사용료를 지불하지만 무제한 혹은개별적으로 사용하지 못함예) 자동차 렌탈 서비스

5. Pooling을 통한 제품 동시활용 서비스

• 제품의 임대/공유 서비스의 확장된 개념으로 동시에 여러 고객이 제품을 사용예) 자동차 카플 서비스

6. 제품사용량에 따른 비용부과서비스

• 고객은 제품을 사용한 양에 대한 서비스료를 지불예) 자동차 사용 시간, 거리에 따른 비용지불

C: 성과지향 서비스

7. 대행활동에 따른 비용부과• 공급자와 고객은 서비스 성과에 대해 일정 수준의 합의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예) 택시/리무진, 자동차 택배서비스

8. 서비스 성과에 따른 비용부과• 공급자와 고객은 서비스 성과에 대해 일정 수준의 합의를 통해 서비스를제공하지만 성과 달성의 방법에 관계없이 고객이 원하는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예) 배달시간, 정확성, 안정성에 따라 다르게 비용이 부과되는 자동차 택배 서비스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Ref. 비즈니스모델 유형(고객관점에서의 제품 융합 서비스모델)

58

(1) 고객요구 분석-고객 세분화(Segmentation)

-목표고객 선정(Targeting)

-선정된 목표 고객의 속성 및 니즈 분석

-고객 니즈를 충족 시킬 수 있는 신규

융합서비스 방향 분석

(2) 기존 서비스 문제점 분석-현재 제공되고 있는 관련 서비스 및 제공

사업자 분석

-현재 서비스 문제점 및 신규 융합서비스

방향 분석

(1) BM 구성도 정의(BM 캔버스)-비즈니스모델 구성요소들의 연계성 분석

(2) 제공서비스 정의(Service Offering)-현재 수준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도출

(3) 고객 가치 정의(Value Proposition)-신규 융합서비스를 통해 고객에게 제공하는

가치 정의

(4) 서비스 제공 플랫폼 정의-제공 서비스를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플랫폼, 조직, 사업참여자 정의

세부 활동

목적

• 정확한 목표 고객 선정

• 고객의 니즈가 반 된 신규 서비스모델도출

• 기존 서비스 및 산업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있는 혁신적인 서비스모델 도출

데이터Source

• 현재 수준에서 제공 가능한 신사업모델을구체적으로 표현

• 자체적인 마켓 리서치(설문, 인터뷰, 관찰 등)

• 국·내외 서비스 제공 현황 및 사례(인터넷 검색, 사업자 인터뷰, 기존 문헌 조사)

고객 및 기존 서비스분석

서비스모델 도출

2211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고객 요구 분석 및 기존 서비스 문제점 분석을 통해 신규 융합서비스 기회를 도출하고이를 토대로 신규 융합서비스 비즈니스모델을 구체화 함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수행절차

59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목표 고객을 선정하고 신규 서비스 관련 고객의 요구를 상세하게 분석하여 고객의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함

① 고객 및 기존 서비스 분석 - (1) 고객 요구 분석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① 고객 및 기존 서비스 분석

정의목표 고객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신규 서비스 관련 고객의 상황, 속성, 요구를 상세하게 분석하여 신규 서비스도출 시 고객 요구가 정확하게 반 될 수 있도록 하는 활동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잠재 고객군 분석(Segmentation)

–제안 사업 모델의 잠재 고객이 될 수 있는 대상들을 고객 속성에 따라 분류

–분류된 고객군들에 대한 특징 및 시장 가능성 분석(시장규모, 적용여건, 서비스 필요성 등)

–기존 문헌 조사 또는 설문 조사를 통해 고객군별 특징 및 시장가능성을 분석

1차 목표 고객 선정(Targeting)

–고객군의 특징 및 시장가능성(시장규모, 적용여건, 서비스 필요성)을 평가하여 우선적으로 시장가능성과적용용이성이 높은 고객군을 목표 고객으로 선정

목표 고객의 상세 서비스 요구 분석

–목표 고객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인터뷰 및 관찰을 통해 신규 서비스 관련 고객 상황, 행태, 속성, 문제점 및애로사항, 요구사항, 지불의향 등을 분석

–고객의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토대로 신규 융합서비스 도출 시 고려사항(Design Principle)을 정리

* 활용기법

- STP 분석: 시장세분화(Segmentation), 타겟 고객 선정(Targeting), 타겟 고객별 제품/서비스 선정(Positioning) 과정을 통해체계적으로 시장을 창출 및 확대해 가는 마케팅 기법

- Design Principle 분석: 목표 고객의 요구 사항(Unmet Needs)을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신규 서비스 설계시 고객의 요구 사항이정확하게 반 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기획 방법론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잠재 고객군 분류 및 조사/분석, 목표 고객 선정, 목표 고객 방문 조사 실시(설문, 인터뷰, 관찰), 목표 고객 상세 요구사항 정의

전문기관 • 고객 요구 분석 방법 조언

NIPA • 정부 및 공공 고객 요구 사항 조사 지원

11

22

33

60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제품 속성별 의미를 파악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기법으로 고객의 만족 수준을 평가하여제품에 필수 요소와 제거 요소를 도출하여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법임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① 고객 및 기존 서비스 분석(활용 기법)

(1) 고객 요구 분석: Kana 방법론

정의

제품의 품질속성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수준을 Attractive Quality Attribute(매력적 품질 요소). One-dimensional Quality Attribute(일원적 품질 요소), Must-be Quality Attribute(필수적 품질요소), Indifferent Quality Attribute(무관심적 품질요소), Reverse Quality Attribute(반대적 품질요소) 등 5가지로 구분하고 제품 속성에 대한 고객 만족 여부를 측정하는 기법

세부내용제품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떄

(Product Dysfunctional)

불만족한고객

제품이 제대로 작동될 때(Product Fully Functional)

만족한고객

필수요인(Must-be)

만족요인 (Attractive) 비례요인(One- dimensional)

제품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떄(Product Dysfunctional)

불만족한고객

제품이 제대로 작동될 때(Product Fully Functional)

만족한고객

필수요인(Must-be)

만족요인 (Attractive) 비례요인(One- dimensional)

Kano 고객 만족 모델 구성요소

1) Basic Factor

–미충족시 만족과 상관이 없음

–충족시 만족과 상관이 없음

2) Excitement Factor

–고객에게 전달되면 큰 만족

–전달되지 않더라도 불만족 야기하기 않음

3) Performance Factors

61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 및 시장의 거시적 트랜드를 파악할 수 있는 기법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① 고객 및 기존 서비스 분석(활용 기법)

(1) 고객 요구 분석: 마켓 트랜드 분석 방법론

정의 1, 2차 자료 조사 내용을 토대로 소비자 동향이나 패턴을 분석하고 시장의 흐름을 예측하는 방법

세부내용

Primary Data (1차 자료)

정성Data • 심층인터뷰, 관찰, FGI 등

• 전문가 조사

–과학자, 작가, 기자, 교육자, 화감독등

– 욕망의 진화

–Popcorn의 Trend Bank

• Trend Hunters

•직접 설문조사

–전문가 조사 (Delphi)

–소비자 조사 (Questionnaire)

• Media, Hit 상품 Trend, 한 제품이나 산

업 역의 변화 추적–문화를 읽는 코드, 드라마 및 화

인기비결 등

• Life Style 조사, 사회통계, Census–결혼의사, 출산율, 가족규모, 평균수

명, 주 5일제 설문결과, 소득과 지출

추이 등

TrendTracking

정량Data

Secondary Data (2차 자료)

* Source: 삼성전자마케팅연구소, 강의자료 (조은정)

62

(1) 고객 요구 분석 예시 - 시장세분화(기업유해물질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① 고객 및 기존 서비스 분석(예시)

신고 시장의 고객 역인 Article 기업은 일반적인 제조기업으로 구분되며, Article 기업은 복잡한 공급망으로연결되어 각 공급망에서의 역할에 따라 소재 제조, 부품 제조, 조립품 제조 및 완제품 제조로 구분 할 수 있음

기업

범위

소재

제조

부품

제조

조립

제조

완제

제조

• 원재료를 기반으로 주조, 단조, 복합성형 등의 공법을 통해 부품을 구성하는 소재 제조

• 소재 및 원재료를 기반으로 부품을제조

• 원재료 및 소재, 부품을 이용하여전자, 기계, 자동차, 선박 등의 완제품 제조를 위한 조립품을 생산 및납품

• 원재료 및 소재, 부품, 조립품을 이용하여 완제품을 제조

REACH에서의 Article

• Substance 및 Preparation을 이용하여 생산 과정을통해 특정 모양(Shape), 표면(Surface), 또는 디자인(Design)을 갖게 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물제(Object)

Article 기업 정의

• TV, 프린터, 냉장고, 자동차, 가구, 의류, 장난감 등을생산하는 일반 제조기업을 Article 기업으로 정의함

REACH 대응 의무

• 의도적 배출 물질 – 상위공급자가 등록하지 않은 EU 내에서 유통되는 물질은 등록 기간 내 등록의 의무를가짐

• 비의도적 배출 물질 – 완제품 내 SVHC가 0.1% 이상함유되어 있고, 특정용도로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서EU 내에서 연간 1톤 이상 거래되며 노출 가능성을배제할 수 없을 때 신고의 의무를 가짐

Article 기업 정의 Article 기업 범위

63

(1) 고객 요구 분석 예시 - 타겟 고객 선정(기업유해물질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① 고객 및 기존 서비스 분석(예시)

고객 현황 분석 결과 조립품/부품/소재 제조업체의 공급망 관리를 위한 대응 전략 체계 수립이 시급하며 향후이들을 고려한 비즈니스 모델 설계 및 서비스 기능 정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64

(1) 고객 요구 분석 예시 - 타겟 고객 선정(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① 고객 및 기존 서비스 분석(예시)

분야별 기관 심층 인터뷰/설문조사를 통해 서비스 필요성과 적용/확장 용이성이 가장 높은 기초지방자치단체청사를 최우선 Target 고객으로 선정함

Target 고객 선정기준 선정결과

HL

H

L

서비스 필요성

l 산업, 가정, 상업, 공공 등 4개부문 12개 분야별

16개 기관 방문 인터뷰/설문조사 및 관련 문헌

조사를 통하여 평가 실시

- (중앙부처) 정부중앙청사, (산업지원시설) 누리꿈스퀘어, (기초지

지체) 송파구청/ 구로구청, (대학) 서울산업대학, (의료기관) 강남

성모병원, (문화시설) 세종문화회관, (대기업) SK 네트웍스/ SK

에너지 울산공장/ SK 텔레콤 IDC 센터, (중소기업) 남성프라자/

마니커 육가공 공장, (호텔) 워커힐, (복합시설) 코엑스, (아파트)

도곡 렉슬/ 올림픽

서비스필요성

적용/확장

용이성

관리 역

속성유사성

구매의사결정용이성

타 역으로확장용이성

• 관리하는 면적이나 건물수가 적을 수록구축/운 비용이 낮아지므로 적용용이성이 높음

• 건물규모나 기능의 유사성이 높을수록동일한 서비스 적용이 용이함

• 구매의사 결정자가 적을수록 도입이 용이함

• 적은 투자비용으로 서비스를 타 역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면 확장용이성이높음

법/규제 의무

현행 에너지관리수준

고가 에너지관리솔루션 구매여력

에너지비용절감가능성

•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에너지이용합리화법 등의 규제대상일 경우 서비스 필요성이 높음

• 에너지관리 인력이나 솔루션 도입 정도가 낮을 수록 서비스의 필요성이 높음

• 약간의 구매예산은 있지만, 고가 솔루션도입이 어려운 경우 서비스 필요성이 높음

• 에너지사용비용이 높을 수록 서비스의필요성이 높음

적용/확장용이성

기초지자체

대학

중앙부처

문화시설

의료기관

공장

빌딩IDC

아파트

호텔&복합시설빌딩&공장

산업지원시설

65

(1) 고객 요구 분석 예시 – 니즈 분석(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① 고객 및 기존 서비스 분석(예시)

타겟대상인 기초지자체 분석결과 아래와 같이 특징, 니즈 및 서비스 수요가 나타남

청사 에너지관리 문제점 / 요구사항

에너지진단• 주기적인 맞춤형 에너지진단 필요

“진단항목이 일률적이어서 진단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건물의 특징에 맞게 진단항목이 달라져야 하는데 똑같다”

모니터링시스템

• 편리하고 저렴한 모니터링 시스템 필요“전력절감설비를 도입해서 일정부문 절감이 된 것 같은데정확한 절감금액을 알 수 없다”

“에너지관리 담당자이지만, 정확한 에너지사용비용을 알수 가 없고, 총무부에 연락해야 알 수 있음”

예산지원

• 중앙정부의 에너지설비 예산지원 필요“업체에서 전기사용량 모니터링시스템을 제안 받은 적이있지만, 비용 때문에 도입을 못했다”

“ESCO 보다 설비를 더 경제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이필요”

청사 에너지관리 서비스 Design Principle 도출

1. 지속적인 에너지효율화 목표 설정 및 성과관리 서비스 제공

2. 지자체 예산으로 도입할 수 있는 경제적인 서비스를 제공

3. 관리부담이 적고 사용하기 쉬운 서비스 제공

4. 다양한 에너지관리 보고용 지원 맞춤형 보고서 제공

5. 민간의 에너지 절약을 선도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6. 최적의 에너지설비 도입 지원 서비스 제공설비업체신뢰성

• 신뢰할 만한 업체 정보 필요“정확한 절감량에 대한 정보 없이 단순 제품기능에 대한정보만 제공하여 믿음이 안간다”

청사 에너지관리 특징

• 시설규모의 유사성: 본관, 별관 2~3개로 근거리 위치• 공간의 유사성: 1층,2층 민원실과 그 외 사무공간• 에너지다소비기관으로 지정: 연간 에너지소비량이 2,000 TOE 이상

또는 연면적 10,000m2 이상• 강력한 법/규제 의무: 에너지진단, 및 사용량, 절감량, 설비투자의

의무적 보고• 낮은 에너지관리 수준: 에너지관리자의 잦은 직무이동 및 여러 가지

직무 의 동시 수행으로 전문성이 낮음• 에너지효율화 예산부족: 예산이 1억원 내외로 중앙정부 지원 없이

고가 설비투자 어려움• 높은 에너지 비용: 연간 에너지 비용이 1~7억원 내외로 높음

청사(송파, 구로) 필요 서비스 우선순위 분석

66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신비즈니스모델과 관련된 산업 및 국·내외 시장 동향, 기존 서비스를 분석하여 기존보다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서비스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함

① 고객 및 기존 서비스 분석 - (2) 기존 서비스 분석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① 고객 및 기존 서비스 분석

정의신비즈니스모델과 관련된 기존 서비스 및 산업, 시장 동향을 분석하여 기존 서비스로 제공하기 어려운 차별적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신규 서비스를 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활동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기존 서비스 제공 현황 분석

–신비즈니스모델과 관련된 기존 국·내외 서비스/제품의 공급자, 가치 사슬, 서비스 현황을 조사

–기존 서비스의 강·약점을 조사 분석(기능, 성능, 가격, 기술 등)

–고객 측면에서 기존 서비스 활용 시 문제점 및 이슈 분석

–국가/사회, 정책적 측면에서 기존 서비스 관련 문제점 및 이슈 분석

신규 서비스의 차별적 가치 창출 방안 분석

–기존 서비스와 산업의 문제점 및 약점 해결 방안 모색

–해결 방안을 신규 서비스모델에 반 하기 위한 서비스 전략 방향 도출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국·내외 관련 산업/서비스/시장 현황 분석, 기존 서비스 강·약점 분석, 신규 서비스의 차별적 가치 창출 방안 도출

전문기관 • 기존 서비스 분석 방법 조언

NIPA • 신비즈니스모델과 관련된 정부/공공 서비스 및 정책 자료 획득 지원

11

22

67

(2) 기존 서비스 분석 예시 (자동차 정비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① 고객 및 기존 서비스 분석(예시)

정비소의 애로 사항은 매출감소, 쏠림현상으로 인한 종합정비소와 부분정비업체의 격차, 신차출시에 따른 정비교육의 한계로 나타남

교육 훈련의 기회 多

자동차기술발달에 따른 정비 수요 감소

고장 발생 빈도하락에 따른 정비소 방

문 횟수 감소오일교환, 타이어교환등 단순 소모품 교체

위주의 정비

정비 노임 인상 불가능에도 불구 장비의 고가화

자동차 전자화에따라 ECU스캐너

보유 필수

에어컨 가스 주입 및 교체 장비, 엔진오일 교환기 등은 자동화 되면서

가격 상승

1) 매출 감소

2) 대형 종합정비소 쏠림현상으로 부분정비업체와의 격차 3) 신차 출시에 따른 지속적인 교육 필요

2007년 기준 종합정비업체들의 연평균 매출은 9억9,751만원인 반면, 부분정비업체는 1억2,414만원 수준

매년 15종 내외의 신차가 출시되고 있으며, 자동차의 전자화에 따른 인적 기계적 정비의 한계가 있음

자동차메이커

전문교육장

장비생산업체

But, 현실적으로 따라잡기 노력에 어려움

종합정비업체월평균 447.2

부분정비업체월평균 204.7대

68

(2) 기존 서비스 분석 예시(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① 고객 및 기존 서비스 분석(예시)

국내 에너지관리 산업 문제점을 분석해볼 때 경제적인 모니터링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종합적이면서도 지속적인 에너지관리 서비스가 필요함

§ 건물 에너지 모니터링 서비스 경쟁력취약

- 하니웰, 존슨컨트롤즈, 앤도버,델타컨트롤즈, 지멘스 등 해외해외 기업에 의존

§ 일회성 장비 설치 사업 모델

- 고효율 기자재, 절감 장치 등 장비설치 서비스가 주요 사업 모델

§ 고객 그룹별 표준화 서비스 부재

- 학교, 공공기관 등 동일 성격을갖고 있는 고객 그룹별 특성을반 한 표준화 된 서비스가 부재함

§ ESCO 사업의 신뢰성 취약

- 절감액에 따른 투자회수 사업방식을 제시하지만, 절감량 산출이용이치 않아 고객과 사업자간의불신 발생

국내 에너지관리 산업 문제점

경제적인 에너지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1

지속적인 에너지관리 서비스 제공2

모니터링 기반 종합 에너지관리 서비스 제공3

Ø 해외 고가 모니터링 설비/솔루션 대비 저렴하고 도입이 용이한서비스 제공

Ø 모니터링 서비스를 통해 Data를 축적함으로써 고객 맞춤형에너지관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

Ø 모니터링 서비스를 토대로 신뢰성 있는 ESCO 사업 및 부가서비스를 제공

에너지관리

서비스

전략 방향

에너지 공급자

한국전력

지방자치제수도사업소

도시가스 회사

수요자 에너지 관리 산업

에너지 공급

서비스 이용료

서비스 제공

서비스 이용료

에너지절감 (Demand Response등)

에너지사용량, 요금 Data 제공(Smart Grid, Meter 계측 관련)

공공

산업

가정

상업

수송

모니터링

진단

교육 및인력 양성

절감 설비

신 재생에너지설비

자금서비스

토탈아웃소싱

에너지거래

탄소배출권거래

에너지포탈

중앙정부(환경부, 지식경제부- 에너지 관리 공단 등)/ 지방자치단체

사용량·절감량 보고

에너지, 온실가스배출량 ·감축량

사용절감·합리화 지침

관련 법령제공 현황 보고공급 관리

이동통신사

원격검침

서비스 이용료

진입 예상

IT업체

건설 회사

에너지 공급자

한국전력

지방자치제수도사업소

도시가스 회사

수요자 에너지 관리 산업

에너지 공급

서비스 이용료

서비스 제공

서비스 이용료

에너지절감 (Demand Response등)

에너지사용량, 요금 Data 제공(Smart Grid, Meter 계측 관련)

공공

산업

가정

상업

수송

모니터링

진단

교육 및인력 양성

절감 설비

신 재생에너지설비

자금서비스

토탈아웃소싱

에너지거래

탄소배출권거래

에너지포탈

중앙정부(환경부, 지식경제부- 에너지 관리 공단 등)/ 지방자치단체

사용량·절감량 보고

에너지, 온실가스배출량 ·감축량

사용절감·합리화 지침

관련 법령제공 현황 보고공급 관리

이동통신사

원격검침

서비스 이용료

진입 예상

IT업체

건설 회사

국내 에너지관리 산업의 가치 사슬

69

(2) 기존 서비스 분석 예시 – 신규 서비스의 차별적 가치 창출 방안 분석(기업유해물질 정보관리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① 고객 및 기존 서비스 분석(예시)

규제환경 및 현황분석 결과, 가장 강력한 규제인 REACH산업의 ‘신고’ 의무 이행 시장을 선점하여 1) 규제 및 물질정보 확보 2) 규제 대응 전략 수립 및 전담 인력/시스템 구축 3) 공급망 Layer 간 정보 공유/수집/교환 체계 설계 4) 중소기업 지원 서비스 마련 5) 각 이해관계자 간 역할 연계 방안 수립의 필요성이 도출됨

Issues To-Be 방향성

환경규제 동향 분석

− Product Lifecycle 상 제조자의 책임 확대

− 제품 규제에서 제품 내 유해물질 관리의 규제화

− 제품환경 규제의 자율적 이행에서 강제적 법규화로 변화

기업 유해물질 규제 분석

−다양한 기업 유해물질 규제 중 REACH는 규제의 복잡도, 법령의 강제력, 최소 단위의 물질 관리 등 가장 강력한 환경규제로 출현

산업분석

− 원재료의 물질정보를 제공하면 책임이 완료되는 ‘등록’과 달리,

− ‘신고’는 제조기업 전반이 수행 의무를 가지며, 성숙기의 지속성 및규제 대응을 위한 공급망 관리 비용 측면에서 시장성 우수

− 현재 REACH 대응 산업은 ‘등록’ 위주로 구성됨

고객분석

− 국내 제조산업은 대부분 환경관리 역량이 낮은 중소기업으로 구성

− 수직계열화된 공급망 구조로 사실상 조립품 사업자가 ‘신고’ 의무의실행주체이나 현재 정보 취득, 대응 전략 및 인력/시스템 측면에서미흡

이해관계자분석

− 정부의 서비스는 대규모 원재료 업체의 ‘등록’ 의무 지원이 주요 대상이며, 물질정보 공유 및 관련 S/W 배포는 활성화되지 못 함

− 환경컨설팅기관, 시험분석기관, 화학물질DB업체, 업종별 협회의 기존 역할과 REACH ‘신고’ 시장의 연계성 존재

요구사항분석

− 규제 정보 및 화학물질 정보 취득의 어려움

− 공급망 상의 교섭력에 따라 각 Layer간 협력의 어려움

−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전략/인력/시스템 등 자원 부족

화학물질 관리를 기반으로 하는 환경규제 최신 경향에 따라제품 조성정보 관리 체계 마련 필수

환경규제정보와 물질정보 Contents의 확보 및 공유 체계 설계

가장 강력한 규제인 REACH에 대한 대응력 필요(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대응)

REACH ‘신고’ 의무 지원하는 기업 수요 Market에 집중하고, 초기 시장 선점을 위한 핵심전략 수립(시장성이 높고, 경쟁자가 적음)

기업의 환경규제에 대한 총괄적인 대응 전략 및 전담 인력Sourcing 서비스 개발

완제품과 조립품 제조업체의 화학물질정보 공유 체계 및 상위 공급자의 화학물질정보를 수집/교환 할 수 있는 공급망내 물질 정보 관리 체계 구축

중소기업의 역량 지원을 위한 환경업무 지원 서비스 개발

산업 내 각 이해관계자의 기존 서비스 연계를 위한 체계를 마련하며, 현재 누락된 기능은 개발

전략

부분

부분

시스템

부분

70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BM 구성도는 사업모델 구성요소들과 이들간의 연계성, 서비스 및 수익의 흐름을 한눈에알기 쉽게 그림으로 표현하는 활동임

② 서비스모델 도출 - (1) BM 구성도 정의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

정의고객, 제공서비스, 공급자, 인프라, 수익모델 등 비즈니스모델 구성요소들의 연계성을 한눈에 알기 쉽게 표현해주는 그림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BM 구성 요소 도출

–고객, 제공서비스, 고객가치, 서비스인프라, 파트너, 수익모델 등 사업에 필요한 핵심요소를 도출

–구성 요소 분석 상세 수행방법은 BM구성도 정의 이후 세부 활동을 참조함

BM 구성 요소간 연계성 분석

–BM 구성 요소간 연계성을 제품, 서비스, 자금 흐름에 따라 분석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구성 요소 도출 및 개념화, 제안 사업의 구성 요소 내용 분석, 구성 요소간의 연관성 파악, BM 구성도 작성

전문기관• BM 구성도 작성 방법 조언, 산출물 개선방안 코칭, BM 구성도의 구성 요소와 구성 요소간 연계성 분석의 타당성 검토및 의견 제시(사업모델 표현의 적절성, 논리성, 구체성 등)

NIPA • 작성된 BM 구성도에 대한 공공측면에서의 의견제시

11

22

71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비즈니스 캔버스 기법은 일반적으로 BM 구성에 필요한 요소들을 정의하고 있어 BM 구성요소 도출 과정에 기본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

(1) BM 구성도 정의: 비즈니스 캔버스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

비즈니스 캔버스기법

다양한 비즈니스모델의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요소들을 한 장의 장표에 정리해서 제공해 놓은 기법

세부내용

* Source: Alex Osterwalder, http://business-model-design.blogspot.com

Finance

CustomerInfrastructure Offer

Key Activities

Building Block

Partner Network

Building Block

Value Proposition

Building Block

Customer Relationship

Building Block

Customer Segments

Building Block

Key Resources

Building Block

Distribution Channel

Building Block

Cost Structure

Building Block

Revenue Streams

Building Block

72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예시)

(1) BM 구성도 정의 예시(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사업모델)

청사 공간별/용도별 전력 사용량을 통합관리센터에서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전력효율화 기기를 제공해줌으로써지속적으로 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관리해주는 사업

고객가치

지자체 청사

– 전력 비용절감

– 효율적/전문적전력관리

– 지자체 에너지효율화 선도

– 녹색청사 비전 구현

정부 기관

– 지자체/공공기관에너지 절감

– 에너지절감기기 보급예산의 효율적 활용

Supply Chain

전력 효율화 기기 업체(조명, 냉난방 등)

IT 서비스 업체

에너지 컨설팅 업체

한국전력

금융기관

서비스 흐름

자금 흐름

수익 모델

월모니터링서비스사용료

월모니터링서비스사용료

전력비용절감배분금액

전력비용절감배분금액

탄소배출권판매수익

탄소배출권판매수익

+ +

설비 투자자금 지원

서비스 이용료수익 배분/투자회수

운 비 조달

서비스 Offering

기기설치 서비스

기본 관리 서비스

사전 투자 효과 분석

전력 효율화 기기 설치

운 /유지보수

투자성과 분석

모니터링/진단

전력 절감 가이드

전력공급정보

IT솔루션

진단서비스

설비 기기

서비스 Platform

전국통합관리센터

관제시설

통합DBSOA SaaS

청사시설

USN, 지능형 계량기

조명 냉난방IT기기

청사시설

USN, 지능형 계량기

조명 냉난방IT기기

청사시설

USN, 지능형 계량기

조명 냉난방IT

기기

73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목표 고객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실현 가능성이 높고 구체적이며 기존 서비스와 차별화되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도출함

② 서비스모델 도출 - (2) 제공서비스 정의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

정의고객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수용성과 실현 가능성을 평가하여 구체적인서비스 컨셉을 정의하는 활동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 도출

–고객의 상황과 활동을 분석하여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 아이디어 도출

–기존 제품에 서비스를 결합하거나 제품 제공 방법을 서비스 형태로 변환 (PSS 분석)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 평가 및 서비스 선정

–서비스 아이디어 평가 기준을 선정(고객 수용도, 실현 가능성 등)

–도출된 서비스 아이디어를 유사 기능으로 그룹핑하고 평가 기준에 따라 Mapping하여 우선 순위를 매김

선정된 서비스 컨셉 기술서 작성

–제공서비스로 선정된 서비스는 주요 기능, 서비스 개념도, 기존 서비스와 차별화된 특징 등의 서비스 기술서작성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제공서비스 아이디어 도출, 서비스 컨셉 기술서 작성, 제공서비스와 기존 서비스의 차별적 특징 분석

전문기관 • 서비스 도출을 위한 다양한 기법 적용 지원, 도출된 서비스에 대한 개선방안 조언 및 코칭

NIPA • 공공 측면에서 도출된 서비스에 대한 의견 제시

11

22

33

74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고객의 활동 별 잠재 요구를 도출하여 서비스 기회를 파악하고 이를 서비스 컨셉으로 구체화함

(2) 제공서비스 정의: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 도출(컨버전스 서비스 컨셉 개발)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

컨버전스 서비스컨셉 개발

잠재요구 예측, 서비스 기회 파악, 서비스 컨셉 도출 3단계 절차를 통해 서비스 컨셉을 도출하는 방법

세부 내용

* Source: 김광재 외7(2006), 고객중심의 컨버전스 서비스 컨셉 개발: 절차 체계 및 통신 컨버전스 서비스 사례 연구

1) 대상 고객 선정

–고객 세분화 과정을 통해 선정된 목표 고객의 특성 파악

2) 주요 활동 수집

–고객 관찰이나 인터뷰를 통해생활 속에 잠재요구 발견

3) ‘4W1H’관점의 잠재 요구 도출

1) 잠재요구-서비스분야 관계평가

–시간/공간적 범위, 생활의잠재요구와 서비스 분야의관련성 평가

2) 서비스 기회 도출

–연관 관계가 있는 잠재요구는서비스 분야별 그룹핑하여서비스 기회 도출

1) 서비스 컨셉 정의

–도출된 서비스 컨셉의 개요와기능, 특성, 가치 등으로구성되는 서비스 컨셉 기술서작성

2) 서비스 컨셉 포트폴리오 분석

–작성된 서비스 컨셉을 토대로기업, 고객, 전달, 기여관점에서 서비스 컨셉 평가

잠재요구 예측단계 1 서비스 기회 파악단계 2서비스 컨셉

아이디어 도출단계 3

75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2) 제공서비스 정의: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 도출(컨버전스 서비스 컨셉 개발-단계1 예시)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Ref.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예시))

잠재요구 도출 고객 활동을 분석하여 목표 고객의 잠재된 요구를 예측

예시

* Source: 김광재 외7(2006), 고객중심의 컨버전스 서비스 컨셉 개발: 절차 체계 및 통신 컨버전스 서비스 사례 연구

76

서비스 기회 파악도출된 목표 고객의 잠재 요구와 서비스 분야와의 관련성을 평가하여 새로운 서비스의 필요성이 잠재되어 있는서비스 기회 파악

예시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Ref.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예시))

* Source: 김광재 외7(2006), 고객중심의 컨버전스 서비스 컨셉 개발: 절차 체계 및 통신 컨버전스 서비스 사례 연구

(2) 제공서비스 정의: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 도출(컨버전스 서비스 컨셉 개발-단계2 예시)

77

서비스 컨셉 도출 「 단계 2. 서비스 기회파악」에서 기술된 서비스 기회로부터 컨셉 도출 및 정리

예시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Ref.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예시))

* Source: 김광재 외7(2006), 고객중심의 컨버전스 서비스 컨셉 개발: 절차 체계 및 통신 컨버전스 서비스 사례 연구

(2) 제공서비스 정의: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 도출(컨버전스 서비스 컨셉 개발-단계3 예시)

78

Product Servitization

제품과 서비스의 통합/융합을 포괄하는 PS(Product-Service)의 확장 개념으로 고객 경험 중심의 시각을 통한서비스 개발

세부 내용

공급자

제품/서비스

공급자

제품/서비스

고객경험context

공급자

제품/서비스

고객경험context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Product Servitization 유형별 관점에서의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음

(2) 제공서비스 정의: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 도출(Product Servitization 사업기회 도출 방법-유형분류)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

* Source: 서용원(2009), 고객경험 컨텍스트 기반의 제품 서비스화 프레임워크, 세미나 자료

Mfg

SpS

p

Sp

Sp

Mfg’

Sp’

Sp’

Sp’

P

S

SS

P

S

P

PS

S

S

S

S

P’

S’ S

S’

Servitization유형 1 M

fg

SpS

p

Sp

Sp

Mfg’

Sp’

Sp’

Sp’

P

S

S

S

PS

PSS

S

P’

S’ S

S’

Servitization유형 2

P

S

P

P

S

S

SS

ContextContext확장확장

편리

쾌락

인정

iPhone 2.0iPhone 2.0

통화통화한다한다

이동이동통화통화생활생활

인터인터넷넷,,메일메일,,채팅채팅

음음악악,,동동

상상감감상상

GamGamee

SWSW유유통통AppApp

StoreStore

-- Mobile life platformMobile life platform

Mfg

SpS

p

Sp

Sp

Mfg’

Sp’

Sp’

Sp’

P

S

SS

PS

PSS

S

P’

S’ S

S’

Servitization

P

S

P

P

S

S

SS

S새로운새로운ContextContext의의 창조창조

유형1

기존 경험context내에서의연관관계 발견

유형2

기존 context의확장

유형3

관련context통합의확장된 고객경험

context 설계

유형4

새로운 context의 창조

예시) 부엌가구회사

– 부엌가구 관련 제품/서비스?

– 고객의 Kitchen Life Context : Cooking+TV시청+…

– TV가 부착된 부엌가구

예시) 현대자동차

– ‘고객의 자동차 생활’로부터 자동차 리스, 할부금융(현대캐피탈), 정비, 광고, 자동차유통 등으로의 확장

예시) Apple iPhone 2.0

– App Store를 통해iPhone S/W의 개발자와 사용자간 직거래 마켓 제공. 이를 위해 API와 SDK를 공개하 음

예시) Starbucks

– 고객의 커피 사용의 서비스 욕구를 재정의. 커피를 사용하는 상황을먼저 생각하고, 이에 맞추어서 제품/서비스를개발

79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고객이 제품을 사용하고 경험하는 컨텍스트를 분석하여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아이디어를 도출함

(2) 제공서비스 정의: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 도출(고객 경험 컨텍스트 분석)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

고객 경험컨텍스트 분석

고객 경험 컨텍스트를 분석하여 컨텍스트 별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고객 경험 컨텍스트를 더욱 가치 있게해줄 수 있는 서비스 기회를 도출하는 방법론

세부 내용

* Source: 서용원(2009), 고객경험 컨텍스트 기반의 제품 서비스화 프레임워크, 세미나 자료

• 기존의 질문(1차적 서비스화)

– 이 제품의 특성은 무엇인가?

– 경쟁 제품에 비해 어떤 점이 강점인가?

– 이 제품에 관련된 서비스는 어떤 것이 있을까?

– 다른 제품/서비스와 통합될 수 없을까?

• Context 관점의 질문(2차적 서비스화)

– 사람들이 이 제품과 관련된 생활에서 무엇을 하는가?

– 사람들이 이 제품생활에서 어떤 것을 원하는가?

– 이러한 생활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려면 어떻게 해줄 것인가?

• 단계 1: 대상 제품의 식별(예시:TV)

• 단계 2: 컨텍스트 식별(예시: 하루를 마무리하는 침실 Life)

• 단계 3: 해당 제품의 사용자 이미지의 구체화(예시: 힘든하루를 마무리하고 머리를 식히면서 잠자리에 들고자 하는40세 전문직 남)

• 단계 4: 컨텍스트의 해석 및 고객 욕구 규명

– 시간/공간적 범위, 생활의 편리/쾌락/사회적 인정측면의 욕구 해석

– ‘사람들이 이 제품과 관련된 생활에서 무엇을 하는가?’

– ‘사람들이 이 제품생활에서 어떤 것을 원하는가?

• 단계 5: 컨텍스트의 재설계

– PS 유형 2, 3, 4의 제품 서비스화를 가능하게 함 (PS 유형 1의 서비스화 도출시에는 5단계 생략)

• 단계 6: 컨텍스트를 지원하기 위한 제품/서비스의 설계 및사업화 방안 도출

– ‘이러한 생활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려면 어떻게 해 줄것인가?’’

고객 경험 Context 관점의 질문11 고객 경험 컨텍스트 관점에서의 접근22

80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목표 고객과 서비스 제공자의 가치 창출 프로세스와 상호 인터페이스 프로세스를 혁신시킬 수 있는 서비스 아이디어를 도출함

(2) 제공서비스 정의: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 도출(가치행위네트워크 분석)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

가치행위네트워크분석

기존 가치 창출 프로세스 상에서 고객과 제공자의 활동을 분석하고 이들간의 인터페이스(Encounters)를 분석하여 기존 가치 창출 프로세스를 혁신할 수 있는 서비스 아이디어를 도출함

세부 내용

Mapping of encounter activities between suppler and customer

Goals in Life• Relaxation

• New Experience• Holiday plans• Social intercourse • Developing hobbies•Language skills

Support of Guidelines

• Supporting the mission of customers that want to travel

• Improving BR• Attractive MC

Customer processes

Supplier

processes

Encounters

• Advertisement

• Direct mail

• Contact request

Travel Plans• Deciding time &

destination • Collecting info• Applying for passport• Considering health,

insurance

Planning support• Planning budget• Own contact person at

travel agency• Updating customer

information• Checking timetable

• Discussing plans

• Budget proposal

• Direct mail

•Good to know document

Decision Making• Applying for

vacation• Choosing

destination• Booking• Making use of

benefits

Support of Decision making

• Consultative sales• Information Support• Idea generation

• Brochure

• Sales call

• Application forms

Follow-up• Giving feedback• Laundry, unpacking• Giving souvenirs • Currency exchange

Follow up Support

• Welcome home letter

• Airport transportation

• Contacting• Billing/ crediting

• Feedback form

• Feedback discussions

• Offering

•Credit note

•Home transportation

* Source: 김용진(2009), 서비스 시스템 혁신: 이론적 고찰과 혁신을 위한 분석 프레임워크, 워크샵 자료

81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제품서비스 융합(PSS: Product Service System) 유형별 서비스 아이디어를 도출함

(2) 제공서비스 정의: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 도출(PSS 서비스 아이디어 도출)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

PSS 서비스 아이디어 도출 방법

기존 제품에 8가지 PSS 유형을 적용하여 신규 융합 서비스 아이디어를 도출함

예시

* Source: Arnold Tukker & Ursula Tischner(2006), New Business for Old Europe

82

프로세스 그래픽분석법

기존 혹은 관련 서비스의 운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이를 그림으로 표현한 후, 각 단계별로 발생하는 활동에 간편화/복합화/통합화/분리화/추가 등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기법

예시

외적인 움직임을 나타내는 프로세스

서비스 운 자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

접수원이고객을 맞이함

고객입장

접수원이 고객에게정보를 전달함

접수원이방 보조에게

고객을 소개함

고객이workstation으로

안내됨

고객퇴장

고객의멤버십카드가

갱신됨

고객이요금을 지불함

요금 수납직원이계산서를 처리함

고객이요금을

지불하러 감

고객로그인

고객이 서비스이용

입장 / 접수 작업 환경

(2) 제공서비스 정의: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 도출(프로세스 그래픽 분석법)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기존 서비스 프로세스를 그림으로 도식화한 후 프로세스 단계별 활동의 변화 혹은 혁신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는데 활용함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

* Source: Arnold Tukker & Ursula Tischner(2006), New Business for Old Europe

83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고객의 속성과 효용의 이상적인 조합을 도출하여 제품을 개발하는 분석법으로 본 프로젝트 서비스 아이디어 선별과정에 평가 Tool로 활용할 수 있음

(2) 제공서비스 정의: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 평가(Conjoint분석)

Conjoint분석어떤 제품(혹은 서비스)이 가지고 있는 속성(feature) 하나하나에 고객이 부여하는 효용(utility)을 추정함으로써그 고객이 어떤 제품을 선택할지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신제품의 시장진입이나 기존 제품의 속성변경 혹은 마케팅 전략에 있어 미래의 이익실현가능성, 매출 그리고 시장점유율 평가와 관련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법

세부 내용

세부목적 구체적 내용

신제품 개발• 소비자들은 어떤 신제품을 갈망하는가?• 신제품이 시장에서 성공할 것인가?

컨셉트개발 및포지셔닝

• 어떤 속성이나 특징이 구매의사결정을유인하는가?

라인확장• 제품 라인확장시 신제품으로의

전환율(Cannibalization)은?

가격설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부과할 수 있는 최적의

가격은?• 가격 상승시 시장점유율의 변화는?

시장세분화 • 특정 제품에 대한 세분시장이 존재하는가?

수요예측• 제품 디자인의 변화 혹은 가격의 변화가

소비자 선호도와 시장점유율을 어느 정도변화시키는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 특정 세분시장에서 어떠한 광고 소구점이가장 성공적인가?

수준 1수준 2수준 3수준 4

속성 A

수준 1수준 2수준 3수준 4

속성 D

수준 1수준 2수준 3수준 4수준 5

속성 C

수준 1수준 2수준 3

속성 B

가능한 속성조합가능한 속성조합

총 240개(4´3´5´4)의 속성조합(제품)이 가능총 240개(4´3´5´4)의 속성조합(제품)이 가능

각 속성의 효용함수 계산각 속성의 효용함수 계산

최적 속성 조합의 도출최적 속성 조합의 도출

최적 속성조합을 이용한 목표의 분석최적 속성조합을 이용한 목표의 분석

FGI 혹은전문가인터뷰

FGI 혹은전문가인터뷰

중요속성 도출

FractionalFactorial Design

FractionalFactorial Design

최적 카드 추출

통계분석 프로그램통계분석 프로그램

결과의 해석과 적용결과의 해석과 적용

Multiple RegressionANALYZERLINMAP

PREFMAPMONANOVA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

* Source: 이석규(2009), 고객중심의 신상품 기획 및 마케팅조사, 워크샵 자료

84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다양한 서비스 컨셉 중 고객의 선호 정도를 파악하여 서비스 컨셉을 평가하는 방법임

(2) 제공서비스 정의: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 평가(NPS분석)

NPS 분석 “순수 추천고객 지수”를 통해 충성도가 높은 고객을 얼마나 많이 보유하고 있는지를 산출하는 방법

세부 내용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

10 9 8 7 6 5 4 3 2 1 0

PromoterPromoter PassivePassive DetractorDetractor

Extremelylikely

Not atall likely

“How likely is it that you would recommendCompany X to a friend or colleague?”

Mapping responses to the ultimate question

10 9 8 7 6 5 4 3 2 1 0

PromoterPromoter PassivePassive DetractorDetractor

Extremelylikely

Not atall likely

“How likely is it that you would recommendCompany X to a friend or colleague?”

Mapping responses to the ultimate question•NPS 산출방법

1)고객의 구전의향을 1-10

점 척도로 측정

2) 낮은 응답자(1-6점)는

‘detractor’, 중간 응답자 (7-

8점)는 ‘passively satisfied’ ,

상위 응답자(9-10점)는

‘promoter’로 규정

3)promoter의 비중에서

detractor 비중을 뺀 값을

‘Net Promoter Score’로

산출

* Source: 이석규(2009), 고객중심의 신상품 기획 및 마케팅조사, 워크샵 자료

85

방사형다이어그램 분석

평가 기준(해당 사업의 필요 제공 가치)을 정의하고 기존 서비스와 신규 서비스 아이디어들을 점수화하여 방사형 그래프로 표시함으로써 기존 서비스와 신규 서비스 아이디어, 또는 신규 서비스 아이디어들간의 차별적 우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

예시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방사형 다이어그램은 신규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를 기존 서비스와 비교해 봄으로써 신규 서비스 아이디어의 차별적 가치를 평가하는데 활용할 수 있음

(2) 제공서비스 정의: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 평가(방사형 다이어그램 분석)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

* Source: Tischner et al(2000)

0

1

2

3

4

5

6원

애 피

안전

충족

•서비스 1:

•서비스 2:

• 평가 기준 선정 및 개념 정의

• 0~6점까지 아이디어 점수화

• 점수화된 아이디어를 평가 역에 표기

86

Sustainability of Ideas

도출된 다양한 아이디어를 경제, 환경, 사회기여 측면 등 종합적인 지속가능성을 분석하여 -1(기존보다 떨어짐), 0(기존과 동일), 1(기존보다 우월함)로 평가하여 아이디어의 우선순위를 매기는 방법

(총계가 0보다 크면 기존보다 종합적으로 볼 때 우월한 서비스로 볼 수 있음)

세부 내용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를 경제, 환경, 사회 기여 측면에서 분석하여 평가하는 방법으로 서비스의 수익성은 물론 공공성까지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

(2) 제공서비스 정의: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 평가(Sustainability of Ideas 평가 방법)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

아이디어명: No.

역 평가 항목 점수

경제

• 사업참여자 측면에서 가치창출의 효과(비용절감, 시장가치)가 있는가? 경쟁사 제품보다 가격경쟁력이 있는가?

• 고객측면에서 가치창출의 유형(시간절약, 사용편의)·무형(자존감, 경험 등 가격에 상관없이 기존 서비스와 비교하더라도 효용을 높여 줄 수 있는요소)의 효과를 제공하고 있는가?

• 사업참여자 측면에서 실현가능성과 위험요소 내포 정도는 어느 정도인가? 측정가능하며 성공가능성이 높은 제공산출물 제공하는가? 투자자들의강한 투자 의지가 있는가? 투자비 회수 예상 기간은 언제인가?

• 지속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가? 향후 가치 사슬의 비교우위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가?

소계

환경

• 서비스 생산 및 제공을 위해 투입되는 자원 효율성(자원의 투입과 산출, 사용 측면)이 어느 정도인가?

• 서비스 생산 및 제공시 에너지 효율성(에너지 투입 정도/에너지 회수)이 어느 정도인가?

• 서비스 생산 및 제공을 위해 발생되는 유해물질 배출은 어느 정도인가?

소계

사회기여

• 서비스 제공자의 업무 환경(충분한 교육 기회를 통한 환경, 건강, 안전 측면 등)의 질 개선에 기여하는가?

• 적극적으로 고객 교육 및 자격 부여, 홍보 활동 등을 제공함으로써 고객 삶의 질을 제고하게 하는데 기여하는가?

• 세대 내 혹은 세대 간 복지(Wealth and Power Distribution-특정한 사회 집단이나 지역에 상관없이 동일한 혜택을 제공하고 다음 세대에 해롭지 않는 수준)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가?

• 문화적 가치와 다양성을 인정하는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맞춤형 솔루션 제공, 사회복지 등)

소계

총계

* Source: Arnold Tukker & Ursula Tischner(2006), New Business for Old Europe

87

Pragmatic Differential tool

Pragmatic Differential tool은 가능성 있는 솔루션과 기존 제품의 품질을 비교할 수 있는 분석 방법

세부 내용

• 제공서비스에 대해 고객이 판단하는 가치를 -3부터 +3까지의 점수로 평가

• 각 평가 요소 점수를 연결하면 해당 솔루션에 대한 품질 분석 내용이 도출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Pragmatic Differential tool은 고객의 판단 가치를 긍정과 부정 이분법적으로 분류하여간단하게 서비스 컨셉을 평가하는데 활용함

(2) 제공서비스 정의: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 평가(Pragmatic Differential tool)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

* Source: Arnold Tukker & Ursula Tischner(2006), New Business for Old Europe

서비스명:책임자:

날짜: 년 월 일

부정적 가치 -3 -2 -1 0 1 2 3 긍정적 가치

비용 증가 비용 절감

서비스(제품) 제공 역량 미흡 서비스(제품) 제공 역량 보유

환경 문제 증가 환경 문제 감소

고객에게 부정적임 고객에게 긍정적임

기술적으로 실현 불가능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

이미 제공/실행되고 있는 서비스 새롭고 혁신적임 서비스

불법적 합법적

이해하기 어려움 쉬움

88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서비스 컨셉 아이디어 도출 과정을 통해 도출된 서비스를 명확히 정의하는 활동으로 개괄적인 서비스 내용과 흐름을 정리함

(2) 제공서비스 정의: 최종 서비스 도출(서비스 기술서)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

서비스 기술서서비스 컨셉 아이디어 도출 과정을 통해 최종 선정된 서비스를 정리하는 양식으로 서비스의 개략적인 개념, 기능, 고객 가치, 개념도 등을 기술함

예시

89

(2) 제공서비스 정의: 최종 서비스 도출(스토리보드)

스토리보드최종 선정된 서비스 제공 내용을 스토리보드 형태의 시나리오로 만들어 서비스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알기 쉽게 표현함

예시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서비스의 제공 내용을 스토리보드 형태의 시나리오로 표현하여 서비스를 이해하기 쉽게설명하는데 활용함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

* Source: Arnold Tukker & Ursula Tischner(2006), New Business for Old Europe

플랫폼

역 정(RUBI)

사무실 근무

La Fiambrera

노 사

비 팅

플랫폼프랜차 징 주문신청 주문

비 행

주문식사 비

시 에주문 접

매 록조

SMEs 에식사 주문

노 시 에식 가져

근무 가에

식 가져

규정식단 제공주 보조제

열 보 함 제공여 보조키 제공

식사 뉴 택시 에 신 한 료 주문가능

로 빌 앞에 착사무실 내 coolbox 찾아감

라 등해 식물

찾 게함

판매점 한 ; 사 사업가브 핑 련; Lunch box 비규정; Lunch box 계약; 비 에 적합한사람 식

정 간격 또는 적 로 넷에 접쇼핑한 짐 찾 는 공간과 원 련

격 취득 절차프랜차 징 계약Coolbox

시 과 조보 저

역 SMEs에비 보

로 시 문주차 에 coolbox 찾아감

90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예시)

(2) 제공서비스 정의 예시 (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사업모델)

수집된 청사 전력 사용 정보를 토대로 모니터링/진단, 전력 절감 가이드, 경제성 높은 전력 효율화 기기 설치/운서비스를 제공

• 청사의 층별/부서별/기기별 전력 사용 정보를자동 센싱 및 수집

• 이해하기 쉬운 다양한 그래프 분석 정보 제공

• 에너지 절감 목표 설정 및 목표 대비 실적 관리

• 보고 목적·대상·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보고서를 실시간 제공

모니터링/진단 서비스

전력 절감 가이드 서비스

사전 투자 효과 분석 서비스

전력 효율화 기기 설치 및 운 /유지 보수

투자 성과 분석 서비스

전국 청사 전력 사용량 분석 서비스

• 경제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전력 효율화 기기를청사 비용 투자 없이 설치

• 설치된 기기의 가동현황, 전력 사용량, 성능등을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운 관리

• PC, 휴대폰, TV Display 등을 통해 전력 관리문제 상황을 직원들에게 알려 신속한 대응조치 유도

• 에너지 사용량 목표치나 전력 피크치에 임박할경우 전력 조절이 가능한 층별/부서별/기기별전력 사용을 줄이는 방안 제시

• 전력 효율화 설비 투자 전에 모니터링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입 효과 시뮬레이션 및타당성 검토 지원

– 설비 도입 경제성 분석

– 예상 전력 절감량 분석

– 타 구청 도입 사례 분석

• 설비 설치 전·후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데이터를 통해 객관적인 절감 성과 측정

• 절감 성과를 토대로 성과배분에 의한 서비스이용료 청구

• 설비 품목별/업체별 성과와 기능 비교 분석

• 전국 청사의 전력 사용량 비교 분석

– 청사별 사용량, 청사공간별 사용량,인당 사용량, 기기별 사용량

– 전력 절감 우수 사례

• 전국 청사 전력 사용량, 탄소배출 절감량 통합분석

91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고객 가치 정의는 서비스 제공을 통해 고객이 얻게 되는 효용을 고객 관점에서 정의하는활동임

② 서비스모델 도출 - (3) 고객 가치 정의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

정의고객 가치는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하고 얻는 효용으로 고객이 기꺼이 물리적 비용이나 심리적 손실을감안하고도 구매하여 얻는 만족이나 욕구 충족 효과를 도출하는 활동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목표 고객의 요구 사항에 부응할 수 있는 차별적 가치 분석

–목표 고객의 요구 및 특성 자료를 토대로 서비스의 제공 방식, 가격, 비용, 운 프로세스의 창의성과 혁신적요소를 중심으로 차별적 우위요소 조사

–정량적 혹은 정성적 기대 효과 도출

*고객 가치는 ①목표 고객 층이 명확하고 ②제공되는 편익(Benefit)과 가격(Price)이 구체적으로 설정되고 ③경쟁사의 가치명제

에 비해 우월해야 하며 ④기업의 자원과 능력을 통해 실현가능하며 ⑤충분한 이익 가능성(Profit Generation Mechanism)을 담보할 요소를 분석하는 것임(이 곤, 2002)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목표 고객을 위한 차별화된 가치 도출

전문기관 • 고객 가치 정의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 제시, 도출된 고객 가치에 대한 검토 및 개선 방안 제시

NIPA • 공공 측면에서 도출된 고객 가치에 대한 의견 제시

11

92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비즈니스모델이 고객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4가지 핵심적인 요소들을 분석해 놓은 방법임

(3) 고객 가치 정의: (인터넷) 비즈니스모델 가치 창출 요소 프레임웍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

가치 창출 분석비즈니스모델이 고객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효율성, 상보성, 고객 고착화, 혁신성 등 4가지 요소 중 1가지이상을 갖추어야 함

세부 내용 Value

Novelty (Innovation)

Efficiency (Transaction

cost )

Lock-In(Loyal

customers)

Complementarities(Bundling)

Virtualmarkets

‘Winner takes most’

First mover

Reducing search costs

High profilepartners

상보성Complementarities

고객고착화Lock-In

혁신성Novelty

효율성Efficiency

• 기업내, 기업간의 거래 및 조정 비용을줄임

– 효율적 재고 관리, 공급사슬의성과향상, 트랜잭션과정의 단순화, 주문충족 사이클 타임 단축

• 재화나 서비스를 Web을 이용하여엮음으로 통합가치의 시너지 창출

• 이질성, 경쟁자 진입 후 비교우위자원요소, 이동 제한성, 경쟁자 진입제한 자원요소를 활용한 경쟁우위 확보

• 고객과 지속적으로 행상된 관계를유지함으로써 반복구매를 유인

– 전환비용과 네트워크 외부성 강조

• Web을 이용한 혁신적 제품, 서비스, 새로운 거래방식, 거래구조, 시장창출에의한 가치 생성

* Source: 한현수(2009), IT기반 비즈니스 모델의 가치 창출 요소, 세미나 자료

93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PSS 8가지 서비스 유형들이 6가지 잠재 가치 측면에서 각각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분석함

(3) 고객 가치 정의: 고객 잠재 가치 분석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

가치 창출 분석서비스를 PSS 8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서비스들이 비용절감, 안정성, 규모의 경제, 위험 감소, 이미지 제고, 가치 제고 등의 고객 잠재가치 측면에서 어느 정도 의미가 있는지를 평가 분석하는 방법

예시

• 서비스 축에 PSS의 8가지 유형에 알맞은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도출된 아이디어를 토대로 잠재가치 축의 적합성을 판단하여 알맞은 빈칸을 채움

• 빈칸의 경우, ‘왜 관련 서비스가 없을까?’에 관해 분석하고 관련된 새로운 아이디어를 다시 한번 모색함

서비스 비용절감 안정성 증가 규모의 경제 위험 감소 이미지 제고 가치 제고

1. 제품 판매 후 지원서비스(AS)

2. 제품구매/활용 관련조언/컨설팅

3. 제품 리스 서비스

4. 제품 임대/공유 서비스

5. Pooling을 통한 제품 동시 활용서비스

6. 제품사용량에 따른 비용부과서비스

7. 대행활동에 따른 비용부과

8. 서비스 성과에 따른 비용부과

잠재가치

* Source: Arnold Tukker & van Halen(2003)

94

(3) 고객 가치 정의 예시 (기업유해물질 정보관리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기업 유해물질 정보관리 종합지원 서비스는 비용 절감은 물론, 규제 대응 속도 향상, 전문성 확보, 지속적인 대응 체계 수립, 정보의 활용성 제고 측면의 Value를 창출할 것임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예시)

Input

(비용 절감)

Output

(가치 향상)

규제 대응 속도 향상• 대내∙외 환경 규제의 최신정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규제에 대응할 수 있음

• 공급망 전체적으로 규제 정보 및 환경 정책을 명확하게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함

• 규제 파악 및 시스템 기반의 업무 수행을 통해 하위사용자의 요청사항에 따른 업무 대응 속도를향상시킬 수 있음

규제 대응의 전문성 확보• 다양한 화학물질의 전문적인 정보를 확보하여 환경 규제에 제한되는 화학물질을 식별함

• REACH 대응 노하우를 활용하여 전문성을 증가시킴

지속적인 대응 체계 수립• 환경 규제 변화를 반 한 중장기 경 전략을 수립하여 외부 변화 동인에 지속적으로 대응함

• 특정 규제 발효 시 이에 대한 이행 전략을 확보할 수 있음

• 공급망 전체적으로 Event 발생(ex. 하위사용자의 정보 요청) 시마다 Spot 적으로 대응하던 Case가 감소됨

정보의 활용성 제고• 전자문서 유통을 통해 위조된 서류 유통을 방지하는 등 정보의 신뢰성이 증가함

• 공급망 내 혹은 기업 간/산업 간 정보 공유를 통해 정보의 양적, 질적인 고도화가 이루어짐

• 시스템 기반의 업무 수행으로 수작업 시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 누락된 기입사항 및 정보 검색 등에 소요되는 시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인력 및 시간 비용 절감

불필요한 업무 감소• 시스템 기반의 Data 표준화를 통해 정보의 입∙출력 Form이 통일되어 불필요한 기입사항 및 중

복 업무를 감소시킬 수 있음

시험분석 비용 절감• 화학물질 정보 DB를 통해 위해성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시험분석 비용을 절감시킴

• 컨소시엄 구성 등 업계 공동 대응을 통해 시험분석 비용을 절약하고 정보 조작의 Risk를 줄임

95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구체적인 인프라를 분석하는 활동으로 서비스 운 을 위해 갖추어야 할 프로세스, 조직, 시설/기술 등을 정의하는 활동임

② 서비스모델 도출 - (4) 서비스 플랫폼 정의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

정의제공서비스를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운 프로세스, 기반 시설, 기술 등의 유·무형의 인프라를정의하는 단계임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서비스 운 프로세스 정립

–파트너와 비즈니스 프로세스, 내부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 등 가치사슬전반에 걸친 프로세스를 분석

운 조직 정의

–서비스 운 프로세스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사업참여자를 명확히 하여 운 조직을 설립

–운 조직의 역할과 책임에 따른 필요 인력 정의

기반 시설 및 역량 정의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유형의 인프라 분석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분석 분석

전문기관 • 서비스 흐름에 따른 운 프로세스, 운 조직, 기반 시설, 기술 등의 내용 및 분석 타당성 검토

NIPA • 운 조직 및 기술분석에 필요한 정보 지원

11

22

33

96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서비스 시스템 Map은 서비스 운 프로세스를 한눈에 볼 수 있게 구조화 하는 기법임

(4) 서비스 플랫폼 정의: 서비스 시스템 Map

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활용 기법)

서비스 시스템Map 작성

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업참여 공급자부터 최종 고객까지 서비스와 정보의 전달 내용과 과정을 순차적으로 작성하는 방법

예시

공중 관리포장업자식품생산자

가전제품생산자

시스템 조직자

지역 식료품점

보조 공급자

서비스 관리자규정식 관리소프트웨어공급자

식이 요법 전문가가구공급자

가정주치의

대학/체육관

사무실

가져가는음식

집모든 식사서비스

식사코너

개인식사공간

플랫폼 공급자 통합 공급자 중간 사용자 최종 사용자

재료 흐름

정보 흐름

유기농 음식관리자

* Source: E. Manzini, L. Collins and Evans, Solution Oriented Partnership(2004)

97

(4) 서비스 플랫폼 정의 예시 (기업유해물질 정보제공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2 비즈니스모델 수립

공급망을 통하여 환경규제 대응에 필요한 정보, 지식 및 서비스가 유통되는 통합 환경을 제공하는 시스템이 목표임

- 프로세스 상세: ② 서비스모델 도출(예시)

연계 역 제휴 기관기업유해물질관리 서비스

서비스 역인터페이스역

HR 역

웹 연계

E-mail 연계

SMS 연계

Call 연계

공급망 연계

공인인증기관 연계

공인보관소 연계

이용자

공인전자문서보관소

공인인증기관

완제품제조자

조립품제조자

부품제조자

원재료제조자

컨텐츠서비스

플랫폼 서비스

컨설팅 서비스

해외 DB 업체

정책기반정부서비스 기관

환경 컨설팅 기관

환경 컨설팅 기관

시험분석 기관

환경규제전문가

화학물질전문가

경컨설턴트

정보시스템전문가

교육 컨텐츠규제/동향 컨텐츠

화학물 DB

화학물질데이터베이

CMS(공급망기반)

데이터 표준화 공인시험분석서유통

환경규제 대응 대행서비스

전문가

경 전략 컨설팅

각종 환경

규제

연계

98

Ⅲ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1. 추진배경 및 목적 정의

2. 비즈니스모델 수립

3. 이해관계자 분석

3.1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

3.2 이해관계자 조정 방안

4.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5. 기술 분석

6. 재무 분석

7. 정책 지원 과제 제안

8. 실행 계획 수립

9. 기대 효과

99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직접적인 사업참여자 뿐만 아니라 사업과 관련된 공공기관, 기존 사업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이해 관계를 조율하고 사업모델에 반 하는 방안을 수립함

•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해관계를 사전에 조정하여 제공서비스, 추진 조직,

프로세스 등을 신규 사업 모델에 반목적

단계 요약• 직접 참여하는 Product/Service 업체, IT업체 뿐만 아니라 사업과 관련성이 있는 공공기관, 기존

사업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현황과 니즈를 분석하고 쟁점사항을 사전에 도출 및 조정하여 신규

사업모델에 반 함

산출물

• 이해관계자 분석서: 사업 참여 이해관계자의 현황, 속성, 니즈를 조사 분석한 기술서

• 정부정책 현황 분석서: 해당 사업과 관련된 정부 부처 추진 정책과제와 예산을 분석한 기술서

• 이해관계자 Map: 이해관계자 현황 조사를 통해 도출된 현재 사업 구조 그림

• 이해관계자 조정 계획서: 이해관계자들간의 갈등요인, 정책 중복 등의 이슈와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분석한 계획서

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개요

방법• 이해관계자 단계별 분석

1단계

이해관계자 분석

2단계

이해관계자우선순위 도출

3단계

이해관계자별현황 및 계획

분석

4단계

이해관계자 분석요약 및 조정

필요 분야 도출

5단계

이해관계자 조정방안

100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이해관계자는 상호 작용을 통해 향을 주거나 받는 집단을 의미하며 향력과협력관계에 따라 전략적 관계를 형성해 가는 특성을 지님

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관련 이론: 개념 정의

• Freeman, 1984

–기업의 경 목표 달성에 향을 주거나 향을 받을 수 있는 모든 조직 또는 집단

이해관계자 개념의 이론적 고찰

101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정부 정책과 프로그램이 가외성, 비정합성, 누락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조정의핵심원리는 계층제, 시장, 네트워크에 기반하고 있음

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관련 이론: 조정 원리

정책 조정의 3대 원리와 정책 통합

계층제

시장 거버넌스

조정의 3대 원리

계층제의 대안으로 대두

정부실패에 대한 반성(정부능력의 부족 등)

정책 주체에 다원화와 다양화(사회문제해결과 수요충족)

• 권한 위임과 명령체계에 따른 조정

• 집권적이고 하향적 조정

• 지시, 규제, 통제 등이 주요 조정기제

• 적절성의 논리에 따른 조정

• 법과 제도, 규제 등에 따른 조정

• 수평적 네트워크에 의한 조정

• 거버넌스 관점

• 신뢰, 상호주의, 호혜주의가 주요 조정기제

시장실패에 대한 반성(공공재와 외부효과 등)

•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한 조정

• 자기 이익 추구에 따른 이해 조정

• 민 화, 규제 개혁, 성과주의 예산 등으로시장 역할 강화

• 분권과 자율 강조

• 가격과 경쟁이 주요 조정기재

* Source: Peters(1998), Managing horizontal government: The politics of coordination

102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정책 통합은 정책 조정의 적극적인 한 유형으로 정책간 시너지를 창출하고 공동의 정책목적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정책 협력이나 조정과 차이가 남

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관련 이론: 정책 유형

정책 협력, 조정, 통합의 차이점과 수단

* Source: Meijers and Stead(2004), Policy Integration: What Does It Mean and How Can It Be Achieved?: A Multi-discilinary Review

상호작용과 의존성 증대

정책 통합(공동 목표 활용)

정책 조정(투명성 확보와 갈등 회피)

정책 협력(대화 촉진과 정보공유)

새로운 공동 정책(섹터간 시너지 창출)

부문 정책의 효율성 제고와 조정

부문 정책의 효율성 제고

103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Anja & Ewald(2007)에 따르면 정책 통합 유형은 역간 조정 산물, 특정 정책 목표나관심을 타 정책분야로 통합, 공동 정책 목표를 다른 정책과 연계하는 것으로 규명함

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관련 이론: 정책 통합 유형

정책 통합 유형

* Source: 정책통합유형 Anja & Ewald(2007)

정책통합 유형

정책 A 정책 B

새로운 공동 정책

정책 A

정책 B

정책 A 정책 B

정책 A 정책 B 정책 A 정책 B 정책 A 정책 B

경쟁 공생 대립과 모순

1. 정책 역간 조정 과정의 산물

2. 정책 관심을 다른 정책 역에 포함

3. 공동의 새 정책 개발

104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정책통합은 서로 상충되는 정책간의 갈등을 줄이고 이들간의 시너지를 창출하며, 새롭게시도하는 정책 패러다임 전환이나 사회경제적 시스템 전환을 위한 핵심 과제가 됨

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관련 이론: 정책 통합의 의의

정책 통합의 핵심 역할

* Source: 성지은(2009), 정책통합의 의의와 과학기술혁신정책 통합을 위한 과제

지속가능발전정책

녹색에너지정책

친환경 혁신정책

보건복지

자원에너지

과학기술

환경

개별화된부문형 정책

사회지향적 혁신정책

단기적 장기적

정책간 시너지 창출과시스템 전환수단으로서 정책통합 통합형 정책의 포괄성/통합성 확보

정책의 장기적 일관성 확보개별형

정책의 상충성/갈등 유발

105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과학기술혁신정책은 과학 활동의 선형적 과정을 강조한 제1세대, NIS 개념을 도입한 제2세대, 혁신정책과 관련 분야 간의 연계와 통합을 강조한 제3세대 혁신정책으로 진화함

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관련 이론: 정책 통합 환경 변화

혁신정책의 진화와 핵심과제

환경

과학기술

에너지

복지

제1세대 혁신정책

환경

과학기술

에너지

복지

제2세대 혁신정책 제3세대 혁신정책

- 파편화된 정책 추진- 정책간 상호작용 부재- 각개약진식 정책 형성- 정책 역 강조

- 혁신활동의 시스템 사고 반- 혁신주체의 연계 강조- 정책 간 갈등과 경쟁 증대- 정책의 복잡성 증대

- 정책의 시스템 사고 반- 정책간 연계와 통합 강조- 포괄적인 혁신정책 의제 강조- 자율성과 정합성의 결합

지속가능한혁신

환경

과학기술

에너지

복지

* Source: 성지은(2009), 정책통합의 의의와 과학기술혁신정책 통합을 위한 과제

106

1) 사업파트너 분석-사업에 직접 참여하는

Product/Service업체 니즈 분석

2) IT업체 분석- IT서비스 업체 니즈 분석

- IT솔루션 및 기술 제공 업체 니즈 분석

3) 정부/공공기관 분석-추진 사업 관련 정부/공공 기관들의 추진

정책 현황 및 예산 조사

1) 이해관계자별 이슈 분석-사업 관련 이해관계자들의 쟁점 사항 및 상호

이해 충돌 요인 분석

2) 이슈 조정 방안 도출-이해관계자들의 갈등요인을 최소화하고 상호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해결방안 도출

세부 활동

목적

• 사업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다양한이해관계자들의 현황 및 요구에 대한정확한 분석

데이터Source

• 이해관계자들의 사업참여를 촉진하고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이해관계자들의 갈등 요인을 사전에해결하고 상호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방안 도출

• 이해관계자 현황 및 요구 분석(인터넷 검색, 문헌조사, 설문, 인터뷰 등)

분석이해관계자 요구 분석 방안이해관계자 조정 방안

2211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사업 관련 이해관계자들의 쟁점 이슈를 도출하고조정 방안을 마련함

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수행절차

107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사업 관련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현황 및 니즈, 사업참여자간의 이해관계 구도를분석함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 – 사업파트너, IT업체, 정부/지자체 분석

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

정의사업에 직접 참여하는 업체들 뿐만 아니라 사업과 관련이 있는 기존 사업자, 정부/공공기관의 현황 및 요구 사항을 분석하는 활동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민간 사업자 현황 및 니즈 분석

–사업에 직접 참여하는 Product/Service, IT업체 현황 및 니즈 분석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IT기술 및 솔루션 제공 업체 니즈 분석

–서비스 제공과 관련 있는 기존 사업자들의 현황 및 니즈 분석

–설문 및 인터뷰를 활용한 사업자들의 현황 및 신규 사업모델에 대한 의견 조사

정부 추진 과제 및 예산 현황 분석

–해당 사업 관련 부처/공공기관을 도출하고 정책과제 및 관련 예산을 분석

이해관계자 Map 작성

–이해관계자 현황 분석 자료를 토대로 이해관계자간 상호작용을 반 한 이해관계자 Map 작성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사업 참여 기업 현황 조사, 정부 추진 과제 및 예산 조사, 이해관계자 Map 분석

전문기관 • 상세한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 방법 제시, 도출된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 자료 검토 및 개선방안 코칭

NIPA • 정부 추진 과제 분석 자료 획득 지원, 공공분야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 내용에 대한 의견 제시

11

22

33

108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템플릿)

구분 공공부문 민간부문

현재 유사 서비스제공자

신규 서비스모델에필요한 공급자

(정보,솔루션 제품)

신규 서비스에향을 줄 수 있는

기관이나이해관계자 집단

(법·제도)

기타

이해관계자 대상을 분석하는데 사용함

이해관계자 분석 1 단계 – 이해관계자 분석

분석 내용 “누가 서비스모델의 이해관계자인가?”에 관해 파악하는 단계

템플릿

109

분석 내용 “본 사업의 서비스모델과 관련성이 높은 이해관계자는 누구인가?”를 도출하기 위한 단계

템플릿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템플릿)

이해관계자직접적인공급자관계

법·제도관련성

유통채널의존성

기타종합우선순위

민간부문

A기업

B기업

C기업

공공부문

A부처

B부처

C부처

1단계에서 조사된 이해관계자들의 관련성 정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도출함

이해관계자 분석2 단계 – 이해관계자 우선순위 도출

A

B

C

D

E

F

G

기본서비스모델

1차 이해관계자 그룹

2차 이해관계자 그룹

3차 이해관계자 그룹

• 1차 서비스모델과의 관련성 정도에 따라이해관계자들을 Mapping함

• 1차 서비스모델 이해관계자들 중 현재 사업추진을 위해 필요한 이해관계자들을Grouping함

110

분석 내용 2차 단계에서 도출된 이해관계자 그룹의 미션, 현행 서비스, 추진계획, 예산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단계

템플릿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템플릿)

구분

조직 미션

현행 제공 서비스 수행업무

관련 법·제도

향후 추진 사업계획 및예산

추진 조직

문제점 및 이슈

기타 특기 사항

1차 이해관계자 그룹으로 도출된 그룹의 상세 현황을 분석함

이해관계자 분석 3 단계 – 이해관계자 현황 및 계획 분석

이해관계자 1 A 부처

111

분석 내용3단계에서 분석한 1차 이해관계자 그룹의 상세 분석을 종합하고 가치 사슬에 따른 이해관계자 연계성을 도출하여 조정 필요 분야를 분석하는 활동

템플릿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템플릿)

구분민간부문 공공부문

A업체 B업체 A부처 B부처

조직 미션

현행 제공 서비스 수행 업무

관련 법·제도

추진 예산

1차 이해관계자 그룹의 상세 분석 내용을 요약하여 조정 필요 분야를 도출함

이해관계자 분석 4 단계 – 이해관계자 분석 요약 및 조정 필요 분야 도출

이해관계자 분석 종합

가치사슬에 따른 이해관계자 연계성

민간부문

A기업

B기업

공공부문

A부처

B부처

이해관계자가치사슬

구분 분석 내용

업무/서비스중복 역

법·제도 제약

기타 갈등요인

조정 필요 분야 도출

112

분석 내용이해관계자들의 협력 필요성, 협력 방법, 협력시 이해관계자 편익 제고 효과 등을 분석하여 이해관계자들의 편익을 조정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는 활동

템플릿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템플릿)

업무/서비스 중복 역, 법·제도 제약, 기타 갈등 요인 분석을 통해 본 사업 추진을 위한협력 목적, 방법, 협력 시 편익제고 효과 등을 도출함

이해관계자 분석 5 단계 – 이해관계자 조정 방안

이해관계자 분석 종합

이해관계자협력

필요성협력 방법

협력시이해관계자편익 제고

효과

민간부문

A기업

B기업

C기업

공공부문

A부처

B부처

C부처

이해관계 조정 후 상호 편익 관계도

A기업 B기업 C기업 A부처 B부처 C부처

A기업

B기업

C기업

A부처

B부처

C부처

제공

113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사업 참여자간의 상호작용 내용 분석을 토대로 이해관계 구도 및 편익 분석에 활용함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 Stakeholder Motivation Matrix

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활용 기법)

Stakeholder Motivation

Matrix

사업 참여자간의 기여 정도나 편익을 분석하여 나타내는 기법으로 파트너십, 시너지, 잠재 갈등 등을 파악할 수있어 사업추진시 사업계획 수립과 사업자간 형식적 합의 도출 분석에 유용함

예시

가전제품생산자

보조 공급자

서비스 관리자

솔루션센터

솔루션 기반조합

유기농 음식관리자 & 시스템

조직자

규정식 관리소프트웨어공급자

• 유기농 음식 산업의 새로운 전망

• 비 의료시장으로의 진입

• 새로운 역 개방과교섭 연구

• 진보된 음식 관련 제품발견

• 서비스 범위 개방

• 현행 서비스의 완벽한제공

• 서비스 포트폴리오 확장

• 새로운 환경 제공을확장

• 솔루션 디자인의 전문성 개발

• 솔루션 전문가로서의가시성 확보

• 음식에 대한 감소된다른 접근 환경에서건강하고 편리한 식사 제공

• 소프트웨어 유효성 테스트를 위한 유기농음식 시장에 대한 전문성

• 가전제품의 성능향상을 위한 유기농 음식시장에 대한 전문성

• 고객에게 공급될 고품질 식품

• 자판기용 신규 고품질편의식

• 새로운 서비스 개념

• 유기농 음식 분야로부터의 지식과 전문성

• 유기농 브랜드 정체성

• 유기농 공급 관리의전문성

• 음식물 처리에 있어서의 경쟁력

• 특정한 음식 니즈에 따른 제품 개발을 위한새로운 기준과 식이요법 도구

• 고객 니즈 만족도 향상방안

• 음식 전문가와의 잠재적인 네트워킹

• 서비스 포트폴리오에대한 가치 부가

• 규정식 산업에 있어서의 전문성

• 전문 소프트웨어를 통한 진단과 규정식 관리

• 유기농 음식 공급의 실질적인 가치 증진 방안

• 음식물 처리에 있어서의 경쟁력

• 소프트웨어와 결합될하드웨어 장치

• 고객을 위한 전용 제품 • 리한 자판기 시스템

• 대형 가전제품 분야에 있어서의 전문성과 제품 제조

• 음식물 처리를 위한리한 장치

• 브랜드 정체성

• 매우 미묘한 분야에대한 특정 지식

• 음식환경에 대한 감소된 접근으로 부터의input과 피드백

• 매우 미묘한 분야에대한 특정 지식

• 새로운 사업 역

• 새로운 기기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향상을 위한 인지적이고 생리적인 피드백

• 특정한 환경에서 사람을 돕는 전문기술

• 사회적 범위• 특정 환경에 접근

• 특정 시장에 있어서의전문성

• 서비스 관리에 있어서의 전문성

• 최종 사용자로부터의피드백

• 통계적 데이터베이스

• 최종 사용자로부터의피드백

• 통합 서비스와 제품 디자인에 대한 입력정보

• 자판기 산업에 있어서의 전문성과 기업가정신

• 특정 환경에서의 서비스 관리

• 디자인과 아이디어 개발의 촉매 역할

• 파트너 발전 관리

• 신규 사업으로의 진입용이

• 디자인과 아이디어 개발 지원

• 신규 사업으로의 진입용이

• 디자인과 아이디어 개발 지원

• 신규 사업으로의 진입용이

• 고객과 함께 솔루션 아이디어의 테스트 지원

• 신규 사업으로의 진입용이

• 파트너 기반 솔루션용이화와 관리를 위한 도구와 전문성

• 사업 확장과 새로운시장 기회

• 음식 솔루션 공급자가되게 함

• 최종 사용자를 위한가시성과 인식

• 새로운 고객으로부터의 피드백

• 새로운 판매망• 서비스 전문성

• 신규 고객에게 제공할서비스에 대한 새로운아이디어

• 접할 가능성이 있는새로운 사업 환경에활용될 신규 서비스

• 방법론적인 기법을테스트할 기회

• 음식 분야에 있어서의 전문성

유기농 음식관리자 & 시스템

조직자규정식 관리 소프트웨어 공급자

가전제품생산자

보조공급자

서비스 관리자솔루션센터

솔루션 기반조합

제공

* Source: Arnold Tukker & Ursula Tischner(2006), New Business for Old Europe

114

정책 특징 및 이슈도출방법

각 개별 정책 의제결정부터 정책 학습까지 정책 결정 과정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분석

세부 내용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개별 정책 결정을 같은 방향으로 재배열함으로써 개별 정책의 연계나 정합성을 발견하고 정책의 중첩이나 법제도 관련 이슈를 도출할 수 있음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 - 정책 특징 및 이슈 도출방법

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활용 기법)

의제설정

정책학습

정책평가

정책집행

정책설계

정책결정의특징

폐쇄적인 정책결정 정부주도의 Top-down 방식 레트릭 중심 세련된 의제 선점 경쟁정책의 장기적 일관성 확보 실패

희생양식 처벌로 학습부재학습의 장 미흡실패 공개와 기록 미흡평가를 통한 학습 미흡

정책평가기능 미흡가시적 성과에 집착평가지표의 부재경제적 성과에 대한 지나친 강조

수평적 네트워크와 커뮤니케이션 부재지나친 부처이기주의, 할거주의실효성 있는 집행력 부재법제도간 상충과 모순 존재

기존정책 재배열과 덧대기식 변화정책의 형식주의백화점식 정책기획과잉과 실천빈곤정책의 시스템적 설계 미흡

* Source: 성지은(2009), 정책통합의 의의와 과학기술혁신정책 통합을 위한 과제

115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예시)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 예시(정부 정책 과제 및 예산 분석)

정부/공공기관의 에너지관리는 지식경제부, 환경부, 행정안전부, 에너지관리공단, 광역지자체가 에너지기본법,에너지이용합리화법 등에 의거하여 관련 과제를 시행 중임

기관 관련사업(근거법) 예산 주요 추진 내용

지식경제부

u-IT 활용 에너지절감모델 발굴·확산(에너지기본법)

‘09년 사업비 : 773억원-향후 5년간 5,521억원 투자예정

o’08년 공공건물 에너지통합관리시스템 구축사업o제주대학과 매칭방식으로 U-IT검증확산사업(신기술검증사업)추진

환경부

지자체 기후변화대응 역량 강화(에너지이용합리화법)

‘09년도 72억원국고 : 36억원지방비 : 36억원

o기후변화대응 시범도시 지정․운 (탄소포인트제, 공공기관배출권거래제 시범사업, 자전거 이용 확인 시스템구축 등 테마사업선정 및 지원)

지자체의 온실가스배출 통계작성 기반 구축(에너지기본법)

‘09년도 21억원(전액국고)

o지자체별 온실가스배출량 조회가 가능한 상향식 통계시스템 도입예정

o지역별 온실가스 배출량조사 추진 중

행정안전부

지 방 자 치 단 체 청 사 에 대 한친환경 에너지효율화 추진계획(에너지이용합리화법)

ESCO 투자사업1,700억원(‘08년)청사정비기금 5,978억(‘08년)

o(기존청사) 에너지효율화사업 : LED, 고기 창호개선, 에너지절약형고효율기기 설치

o(신청사) 모든 청사신축 시 친환경, 고효율 청사 건립/건축 계획 및설계시점부터 신재생에너지 도입 검토

에너지관리공단

지역에너지사업(에너지기본법)

‘09년 기준 334억기반구축사업소요자금의 100%

o지역특성에 맞는 환경친화적인 신재생에너지 공급체계 구축

o에너지이용합리화를 통한 지역경제발전을 위하여 지자체에서추진하는 제반 사업

광역지자체(서울시)

공공기관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공공기관 에너지이용합리화추진지침)

‘09년 기준 사업예산 103억-국비(25억)-시비(78억)

o신재생에너지 관련 공공부문의 선도적 역할을 촉진하기 위한 사업

116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 예시(자동차 정비 서비스 사업모델-이해관계자 Map)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국가 차원의 전반적인 자동차 관리 정책을 수립하는 국토해양부가 본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 관계자이며, 지경부,행안부, 환경부와 지자체도 관련이 있음

- 프로세스 상세: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예시)

해양

동차커

• 동차 련 정보 보

보험사• 동차 보험 가 보험료 결정 보

식경제

• 동차 생산 련산업담당

행정안전

• 가 로 한 경염 담당

경체

• 동차 등록과 담당

• 자동차 등록업무와 정비소 등록 >> 지방자치단체에 위임

• 검사업무 >> 산하기관인교통안전공단에 위임

직접적 이해관계자

민간 역 이해관계자

간접적 이해관계자

정비소

차량운전차

CarCheck

사업자

보험사

자동차전산망고도화정비유 공유

오프라인 서비스

국토부

동차

환경부

행안부

배기가스관리

등록관리

자동차정보

보험수가결정

지경부

SW개발지원

117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 예시(자동차 정비 서비스 사업모델-가치사슬에 따른 정부기관 연계성)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국토해양부는 자동차 생산에서 폐차에 이르는 전 역에 걸친 정책 방향을 수립. 자동차 산업 활성화 측면에서지경부, 행안부, 지자체, 환경부 등이 정책에 참여하고 있음

- 프로세스 상세: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예시)

신규등록 운행 검사 정비 사고 말소등록중고매매생산

지경부

• 자동차산업활성화

환경부(서울시)

• 배출가스, 소음진동 관리 강화• 공회전 제한 장치 장착

행안부(지자체)

• 신규, 이전, 말소등록• 지방세 과세

국토해양부

• 자동차선진기술개발촉진

• 자동차정 검사(자동차관리법)

• 자동차전산망고도화 사업

• 운행기록계정장착의무화 추진

• 보험수가 재조정• 운행기록계 장착 차량보험료 인하

• 보험료 주행거리비례제

118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이해관계자들의 이슈 및 쟁점 사안을 분석하고 조정 방안을 도출함

② 이해관계자 조정 방안

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② 이해관계자 조정 방안

정의이해관계자들의 신비즈니스 관련 이해관계자 충돌 분야 및 쟁점 사안을 분석하고 이를 조정할 수 있는 방안을도출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이해관계자별 이슈 도출

–사업파트너, IT업체, 정부 부처/공공기관 등 해당 사업 이해관계자들의 중복 사업 추진으로 인한 문제점 분석

–신사업 추진으로 인해 부정적인 향이 우려되는 기존 사업이나 정책 분석

–이해관계자간 협력 필요성 및 구체적인 협력 대상/방법이 명확하지 않아 발생하는 이슈 분석

–민간 업체 수준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환경, 법·제도, 정책 등)로 인한 이슈 분석

이슈 조정 방안 도출

–이해관계자 워크샵을 통해 협력 가능성 및 방향성을 정립

–이해관계자들이 신사업에 참여시 얻게 될 편익 분석

–이해관계자 협력 목적/대상에 따른 적절한 협력 방법 제시

–이해관계자 모두 편익을 얻을 수 있는 사업 협력 구도를 도출: 제공서비스, 프로세스, 추진 체계 등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이해관계자들의 신사업 관련 이슈 분석 및 이슈 조정 방안 도출

전문기관 • 이해관계자별 이슈 도출을 위한 세부 방법 제시, 이해관계자 워크샵 가이드 등 이슈 조정 방안 도출 지원

NIPA • 이해관계자 워크샵 개최지원, 공공부문 이해관계자 이슈와 이슈 조정 방안 도출 내용에 대한 검토 및 개선 의견 제시

11

22

119

통합적 관점에서이해관계 조정

방안 도출

이해관계자 개별적 관점(산업·정책)에서 발생되는 중복이나 갈등을 수요자 관점, 정책 통합 관점, 사회 목표관점에서 조정, 통합하는 방안 도출

세부 내용

주거 교통 에너지 과학기술 산업 복지 환경

사회목표지향

사회목표지향

정책통합

정책통합정책통합

정책통합

- 개별 산업, 정책 관점- 산업·정책간 중복, 이해관계 충돌 수요지향수요지향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개별 산업·정책 관점에서 벗어나 수요지향, 사회목표지향, 정책통합지향 등 새로운관점으로의 접근을 통해 이해관계의 중복이나 갈등을 조정할 수 있음

② 이해관계자 조정 방안 – 통합적 관점에서의 이해관계 조정 방안 도출

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② 이해관계자 조정 방안(활용 기법)

* Source: 성지은(2009), 정책통합의 의의와 과학기술혁신정책 통합을 위한 과제

120

공공/민간 사회시스템 분석

사회 시스템 전환을 위한 정책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의 변화 분석

세부 내용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사회적 공감대, 수요, 공동정책 설계 및 비전 창출 관점에서 Forecasting/Backcasting방법을 활용하여 이해관계자 이슈 및 조정 방안을 도출함

② 이해관계자 조정 방안 - 공공/민간 사회 시스템 분석

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② 이해관계자 조정 방안(활용 기법)

정책적 측면(정책결정자, 관련부처, 에이전시 등)backcasting

forecasting사회적 수요 반

사회적 공감대 확보

니치 개발 니치 확대 시스템 전환실험

정부-민간 공동 정책 설계공동의 비전 창출

사회적 측면(기업, NGO, 시민, 연구 공동체 등)

저탄소녹색성장

기술

시장

산업

정부의전략성 강화

민간의자생성 강화

121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 예시(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사업모델-이해관계자별 이슈 분석)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에너지모니터링 사업참여자들(에너지공급자, 정부, 에너지관리 PS업체, 기술협력 업체)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이슈 사항은 다음과 같음

- 프로세스 상세: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예시)

구분 분류 서비스 관련 Issue 사항

에너지 공급자

한국전력

도시가스

수도사업소

• 에너지공급자가 가지고 있는 전기, 가스, 물 사용량과 사용금액 등 정보 제공 여부

• 스마트계량기 등 관련 인프라의 설치, 기술적 호환, 기술 이전, 시스템 호환 등 관련 기술에대한 제공 여부

정부

지식경제부

환경부

에너지관리공단

광역지자체

• 녹생성장기본법, 에너지관리공단, 광역지자체 등에 신고하게 되어있는 에너지 사용 실적 및절감 보고서를 별도로 입력할 필요 없이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자동 연결하는 방안

• 에너지절약 추진실적 점검 및 평가, 공공기관 온실가스 감축실적 평가체계 제도화 추진 시기반데이터로 활용 여부

• 에너지관리공단의 스마트계량기 보급사업을 공공기관으로 확대와 에너지교육을 본 서비스로대체 보완하는 방안

• 자금이 부족한 지자체에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보조금 또는 설치지원자금 제공 여부

에너지관리

PS업체

ESCO

신재생에너지

교육

• 대규모 ESCO 업체들의 경우 모니터링과 설비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어 경쟁구도로 작용될 수있음

• 모니터링 시스템과 다양한 에너지관리 기기/설비와의 기술적인 연계방안 및 번들 제공 방안협의 필요

기술협력

전자부품연구원

ETRI

한전KDN

• 에너지 모니터링을 위한 USN, 스마트미터기, 원격제어 등 녹색청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기술 이전 및 협력연구 필요

122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 예시(기업유해물질 정보관리 서비스 사업모델-이슈 조정 방안 도출)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3 이해관계자 분석

환경부문 신규 SW융합서비스를 전개해 나가기 위해서는 여러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이 필요함

- 프로세스 상세: ① 이해관계자 요구 분석(예시)

이해관계자 협력의 필요성 협력대상 기관 협력의 주요 목적

환경부문에서의 SW융합서비스신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기존시장내 기존 Player들의 역량과

산업계의 협조를 활용하여 고객 서비스제공을 전개해 나갈 필요가 있음

정부와의협력

민간역에

서의협력

• 산업 공통의 환경규제 대응 인프라로서의 본 서비스를 많은 중소기업들이이용하고 표준화를 통해이종산업간으로 서비스확장을 도모할 수 있음

• 협력의 대상은 업종별 협의회, 국내 환경컨설팅기관, 글로벌 환경컨설팅기관, 물질정보DB업체, R&D 및 시험분석기관, 민간의 IT서비스기업 등이있음

시험분석 및R&D 기관

민간 IT서비스기업

글로벌 환경컨설팅기관

환경컨설팅 기관

물질정보 DB업체

산업 업종별협의회

정부 및 공공기관

R&D 연구소

서비스 운

관련기관

관련기관

관련기관

업종별 협회

정부/공공기관

시험분석 및 DBGathering

시스템 구축 및서비스 운

글로벌 환경규제대응 네트워크

환경전문성 확보

물질 DB확보

고객확대

공익성/신뢰성활용

시험분석 의뢰 및 분석 DB Gathering, 분석정보의 신뢰성확보(공인전자시헙분석서)

IT Software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역량 활용

해외의 최신 규제동향의 해석과 기업의대응전략 수립

환경컨설팅 서비스를 위한 전문 역량활용

기본 물질정보 DB확보

환경규제 취약 산업을 중심으로 고객(군) 확대의 Contact channel 확보

규제대응 서비스 역량의 활용과산업표준 리딩, 산업인프라로서의공공서비스의 기능 확대

123

Ⅲ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1. 추진배경 및 목적 정의

2. 비즈니스모델 수립

3. 이해관계자 분석

4.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4.1 확장 BM 도출

4.2 BM 확장 방안

5. 기술 분석

6. 재무 분석

7. 정책 지원 과제 제안

8. 실행 계획 수립

9. 기대 효과

124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비즈니스모델 수립 단계에서 도출된 1차 BM에 공공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조정하고 최적화하여 확장된 BM을 도출하는 활동임

• 사업 참여 기업 차원의 융합사업모델을 발전시켜 산업/국가 차원의 대규모 혁신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융합사업모델 도출

• 융합사업모델의 발전 비전 및 도달 전략 도출

목적

단계 요약• 비즈니스모델 수립 단계분석에서 도출된 1차 BM과 관련된 다양한 이해관계자, 특히 정부/공공부문의

요구 및 추진 정책을 최적 조정 및 통합할 수 있는 확장 BM을 도출함– 1차 BM의 핵심서비스와 동 단계를 통해 추가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가 도출되며 이 서비스의 수요

예측을 통해 신시장의 규모가 추정됨

방법• 비즈니스모델 수립 단계에서 도출된 1차 BM구성요소의 확대 변경

- 목표 고객, 고객 가치, 제공서비스, 서비스 인프라, 공급사슬, 서비스 운 조직, 운 프로세스, 수익모델 등

산출물

• 확장 BM구성도: 1차 BM 구성도에 이해관계자 이슈를 조정하고 통합하여 BM 서비스 범위를 확장 및 재

구성한 그림

• 단계별 서비스 및 고객 확장 계획서: BM을 고객과 서비스 측면에서 어떤 단계로 어떻게 확대 시켜 갈 것

인지에 대한 계획 기술

단계 4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 개요

125

(1) 확장 BM구성도 정의– 비즈니스모델 수립과정에서 1차 도출된

BM에 이해관계자 조정 방안을 통합한

수정 BM 구성도 도출

(1) 단계별 서비스 확장 방안 도출– BM의 제공서비스 확대 발전 계획 도출

(2) 고객 확장 방안 도출– 목표 고객(공공/민간/해외부문 등) 확장 방안

도출

세부 활동

목적

• 산업 및 국가 차원의 대규모 혁신 효과를유발할 구 있는 서비스모델 도출

데이터Source

• 서비스 모델 비전 수립• 비전 실현을 위한 서비스모델 발전 로드맵

도출

• 「비즈니스모델 수립」, 「이해관계자 분석」 등 선행 과제 산출물

• 기존 산업 가치사슬 분석, 정책 통합모델

확장 BM 도출 BM 확장 방안

2211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이해관계자 조정 사항을 반 한 확장 BM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단계별 서비스 발전및 고객 확장 계획을 수립함

단계 4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 수행절차

126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1차 도출된 BM에 이해관계자 조정 방안을 통합한 수정 BM 구성도 도출

① 확장 BM 도출 - (1) 확장 BM구성도 정의

단계 4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① 확장 BM 도출

정의 비즈니스모델 수립을 통해 도출된 1차 BM 구성 요소들을 이해관계자 조정 사항을 반 하여 재구성한 그림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확장된 BM 구성 요소 도출

–이해관계자 조정 방안 및 정책 통합방안을 반 하여 1차 BM에서 정의한 목표 고객 및 고개 가치 서비스를 확대하고 서비스인프라, 제공프로세스, 공급사슬, 수익모델을 재구성

–구성요소의 상세 수행 방법은 「2. 비즈니스모델 수립」 단계의 세부 활동을 참조함

확장된 BM 구성 요소간 연계성 재구성

–사업참여자들의 이해 관계 조정으로 BM 구성 요소 내용 및 흐름이 변경된 경우, 구성 요소간의 관계 및 제품/서비스, 자금 흐름 재분석을 구성함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이해관계자 조정 사항을 반 한 확장 된 목표 고객, 고객 가치, 서비스 도출 및 서비스 인프라, 제공프로세스, 공급사슬, 수익모델 재구성, 구성요소간의 연계성을 재구성하여 확장 BM 구성도 작성

전문기관• 확장 BM구성도 작성 방법 조언, 산출물 개선 방안 코칭, 확장된 BM 구성도의 구성 요소와 구성 요소간 연계성 분석의타당성 검토 및 의견 제시

NIPA • 확장 BM 구성도에 대한 공공 측면에서의 의견 제시

11

22

127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4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① 확장 BM 도출(활용 기법)

(1) 확장 BM구성도 정의: 확장 BM 도출 방법

구분 확장 내용

고객

서비스

유통경로

기술

기타

확장 가능 역 도출 확장 가능 고객/서비스 도출 확장 BM 도출

고객 요구 역

A부처

C부처B부처

1차서비스모델

고객 요구미충족 역

2차 서비스2차 서비스3차서비스

3차서비스

시장(산업) 확대

1차서비스

고객 요구 역

고객요구

미충족역

(신서비스역)

1차서비스모델

3차서비스모델 A

2차서비스모델 B

C

중복되지 않고 고객요구를 충분히 수용

할 수 있게 조정

시간

정부

부분

확장

민간부분확장1차 BM

확장 BM

민간부문

정부부문

128

(1) 확장 BM구성도 정의 예시(교통정보 종합 서비스 사업모델: 1차 이해관계자 그룹 서비스 분석 예시)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4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종합적으로, 공공기관과 민간기관 및 고객의 교통정보수집관련 이해 관계자 흐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 프로세스 상세: ① 확장 BM 도출(예시)

129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단계별 서비스 및 목표 고객의 확대를 통해 확장 BM의 발전 계획을 수립함

② BM 확장 방안

단계 4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BM 확장 방안

정의 단계별로 BM의 제공서비스와 목표 고객 확장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비즈니스모델 발전 계획을 수립하는 활동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단계별 서비스 확장 방안 도출

–단계별 제공할 세부 서비스는 현실적인 서비스모델(Core Services)에서 이상적인 서비스모델(Desirable Services)로 확대하고, 서비스 확대에 따른 필요 인프라, 수익모델을 분석

고객 확장 방안 도출

–서비스 발전에 따라 서비스별 목표 고객을 정의

–1차 BM목표 고객 -> 공공부문 포함 목표 고객 -> 산업 확장 목표 고객 -> 해외 진출 등 단계별로 목표 고객확대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단계별 확장 서비스 도출, 서비스 발전 계획 수립, 목표 고객 확장 방안 수립

전문기관 • 확장 제공서비스 및 목표 고객 도출 방법 조언, 도출된 확장 서비스 및 목표 고객 검토

NIPA • 공공측면에서 서비스 및 목표 고객 확장 방안에 대한 의견 제시

11

22

130

② BM 확장 방안 예시(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사업모델-서비스 및 고객 확장 전략)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4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1단계 청사전력절감 서비스를 토대로, 최종적으로 녹색에너지까지 제공함

- 프로세스 상세: ② BM 확장 방안(예시)

1단계1단계 2단계2단계 3단계3단계 4단계4단계

기초지자체 청사 지자체내 공공건물 지자체내 민간건물 해외청사/공공건물

• 전국 지자체 청사 230동

-25~50동 이상: 서울, 경기, 경북

-15~24동 미만: 부산, 강원, 충남, 전남, 경남, 전북

-10~14동 미만: 인천, 충북

-10동 미만: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제주

• 전국 공공건물 약 2천동

-동사무소, 도서관, 문화원, 회관, 보건소, 경찰서, 소방서, 의회 등

-1개 구 소속의 구청규모의 평균공공건물 수 10동

• 전국 개인·법인용 등록 건물약 6,322천동

-주거용: 4,364천동

-상업용: 1,010천동

-공업용: 215천동

-문화·사회용: 163천동

• 해외 공공건물 약 4만동

*세계 국가 수

-UN 가입국: 191개국

-세계지도 정보: 237개국

-통계청 자료: 224개국

-국정원 자료: 231개국

1단계1단계<청사 전력 사용 모니터링>

<녹색 에너지 공급 및 거래>녹색에너지 생산시설

에너지 거래소

녹색건물

에너지생산

에너지절감+ 제어

콘트롤러

에너지효율화 제품신재생에너지 설비+

조명 설치 공조기냉동기

<자동제어 가능한 에너지 효율화 설비/기기 번들 공급>

에너지

2단계2단계

3단계3단계

통합모니터링

센터

서비스확장전략

고객확장전략

녹색에너지제공

종합에너지관리

청사전력절감

모니터링 서비스+제품 자동제어 서비스+제품 거래 서비스+제품+에너지

131

② BM 확장 방안 예시(기업유해물질 정보관리 서비스 사업모델-판매전략)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4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국제환경규제대응 종합지원서비스를 목표고객과 확장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3단계에 걸친 단계적판매전략과 사업고려요소에 대한 해결이 진행되어야 할 것임

- 프로세스 상세: ② BM 확장 방안(예시)

단계

고객

정의

1 단계1 단계(2009년~2010년)

2 단계2 단계(2011년~2012년)

3 단계3 단계(2013년~이후)

단계별판매전략

• 핵심고객군 중 Pilot서비스 제공이 가능한완제품업체와 조립품 업체를 대상으로 함

• 삼성SDS의 SCM, ERP, 컨텐츠 서비스 역량기반 삼성전자 Captive market 확보

• 삼성전자와 협력업체 공급망 연계를 통한서비스 방법론 구축

• 중소기업 대상 지원을 통한 사업참여 유도

• 삼성전자 서비스모델을 바탕으로 삼성그룹 내 제조기업 확산적용

• LG전자 등 유사업종으로의 모델 확산

• 10인 미만 기업 대상 지원

• 규제대상 전체 제조기업으로 고객범위확대적용

• 해외 대/중소기업 대상 Sales pack구축

• 10인 미만 기업대상 범위 확대

대기업

중소기업

목표

대상

고객

수 대기업

중소기업

• 핵심고객군 대기업의 협력관계에 있는소재/부품업체를 대상으로 함

• 핵심고객군 중 Pilot서비스를 바탕으로확산가능한 유사 그룹을 대상으로 함

• 핵심고객군 중 확산된 유사그룹과 협력관계에있는 조립품, 소재/부품업체, 원재료업체를대상으로 함

• 주요고객(소재/부품)-2,000개

• 핵심고객(완제품)-1개• 핵심고객(조립품)-2개

• 핵심고객(조립품)-20개• 주요고객(소재/부품)-5,000개• 주요고객(소재/부품-10인미만)-1,000개• 고려고객(원재료)-40개

• 핵심고객(완제품)-30개, 핵심고객(조립품)-20개• 고려고객(원재료)-2개

• 핵심고객군의 전체 제조기업으로의 확대

• 해외 대기업으로 고객 확대

• 10인 미만의 기업확산 및 전체 제조기업 확대

• 해외 중소기업으로 고객 확대

• 핵심고객(조립품)-40개• 주요고객(소재/부품)-7,000개• 주요고객(소재/부품-10인미만)-5,000개• 고려고객(원재료)-100개

• 핵심고객(완제품)-60개, 핵심고객(조립품)-40개• 고려고객(원재료)-5개

삼성전자와 협력업체 중심Pilot 서비스방법론 구축

삼성전자 서비스모델삼성그룹 계열사확산 및 유사업종 확산

국제환경규제 대상 전체 제조기업 확산및 해외시장 고객확산

사업고려요소

• 본 서비스는 삼성전자의 기존 CMS대비기대이익이 높아야 함

• 대기업 참여를 위한 규제대응 국가표준마련필요

• 화학물질부문 세 중소기업지원 제도마련필요

• 삼성SDS의 그룹내 확산에 이은, 유사업종의확산을 위해서는 국가표준을 통한 참여 동인강화 필요

• 표준모델 확산, 규모의 경제 달성, 이종산업서비스모델 적용을 위하여 사업자에게사업권한을 일정기간 부여필요

• 전체 산업 규제대응 시스템의 Capacity 증대및 기능 업그레이드 필요

• 해외진출을 위한 법제도 기반 마련 필요

• 서비스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10인 미만세중소기업 지원정책 필요

132

Ⅲ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1. 추진배경 및 목적 정의

2. 비즈니스모델 수립

3. 이해관계자 분석

4.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5. 기술 분석

5.1 필요 기술 분석

5.2 SW육성정책연계방안 도출

6. 재무 분석

7. 정책 지원 과제 제안

8. 실행 계획 수립

9. 기대 효과

133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기술 분석 단계에서는 신비즈니스모델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기술구성요소들을 도출하고정부의 SW육성정책 및 IT 정책에 부합되는 기술 육성 방안을 수립함

• 신비즈니스모델 구현에 필요한 기술 요소들을 분석하여 기술의 실현타당성을 검토

• 정부의 기술 개발 사업과의 연계 등을 통해 최적의 기술 조달 방안 수립목적

단계 요약• 서비스 사업모델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기술 구성 요소들을 도출하고 최적의 기술 조달 방안을 수립함

방법• 필요 기술 분석: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기술 아키텍처를 도출하고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다양한 기술

요소들을 분석

• 기술 조달 방안 도출: 필요 기술 요소들을 현재 상용화된 기술(국산/외산), 개발중인 기술(관련 연구기관

등), 신규 개발이 필요한 기술(정부 추진 사업과의 연계성 검토)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조달 방안을 도출

산출물• 기술 아키텍처: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기술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식화 한 그림

• 필요 기술 분석표: 기술 구성 요소별 상세 요구 사항을 분석하고 조달방안을 도출하여 기술한 문서

• 신규 기술개발 필요 과제 제안 목록: 신규 기술 개발이 필요한 기술로써 정부의 기술 개발 지원 사업과

연계하여 정부에 선 제안할 수 있는 과제 목록

• 특허 출원 기술 명세서: 기술 기반의 BM 특허 또는 요소 기술 특허 출원이 필요한 부분을 도출하여

명세화

단계 5 기술 분석

- 개요

134

(1) 기술 아키텍처 분석–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기술 요소 도출

– 기술 요소간의 관계를 기술 구성도로 표현

(2) 기술 조달 방안 도출– 기술 요소별 시장 동향 및 연구 개발 동향 분석

(1) 신규 기술개발 필요 과제 정의– 기술 조달 방안 중 신규로 기술 개발이 필요한

과제 목록 및 상세 내용 정의

(2) 정부의 기술개발지원사업과 연계성 검토– 신규 기술개발 과제 중 SW육성지원사업 등

정부의 연구 개발 지원 과제로 제안 가능한 과제

도출

(3) 대·중·소 상생 메커니즘 도출– 필요 기술 중 중소기업 기술 적용이 가능한 경우

(4) 특허 출원 필요 기술 정의– 신규 기술 개발 과제 중 특허 출원 필요 기술

도출

세부 활동

목적• 사업모델의 기술적 타당성 검토

• 서비스 제공을 위한 최적의 기술 확보 방안도출

• 정부의 기술연구개발지원사업 파급효과 제고• 사업 추진 기업의 구체적인 기술 확보 및 개발

방안 도출

데이터Source

• 국·내외 기술 현황 및 사례 조사(인터넷 검색, 기존 문헌 조사, 인터뷰)

• 도출된 필요 기술 요소를 확보하고 있거나 개발중인 기관 조사(인터넷 검색, 인터뷰 등)

• 정부의 기술연구개발지원 과제 목록 (인터넷 검색, NIPA 지원)

• 관련 기술 특허 검색(특허 사이트 검색)

필요 기술 분석SW육성 정책연계 방안 도출

2211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기술 구성 요소들을 도출하고 도출된 기술의 조달 방안을모색하며 신규 기술개발 필요 시 정부 기술개발지원사업과 연계 방안을 도출함

단계 5 기술 분석

- 수행절차

135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기술요소들을 도출하고 기술 요소간의 관계를 기술 구성도로작성함

① 필요 기술 분석 - (1) 기술 아키텍처 분석

단계 5 기술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① 필요 기술 분석

정의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기술 요소의 구성 및 관계를 알기 쉽게 그림으로 표현한 시스템 구성도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서비스 제공 필요 기술 분석

–1차 BM과 도출된 서비스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사용자 디바이스, 요소 기술들을 파악

–SW는 임베디드SW, 시스템SW, SaaS플랫폼, SaaS애플리케이션 등 유형별로 분류

기술 요소 구성도 작성

–서비스와 기술 요소간의 관계를 정보/서비스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도식화한 서비스-기술 관계도 도출

–필요한 기술 요소들을 한번에 조감할 수 있고 기술 요소의 구성 내역 및 상호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기술구성도 작성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필요 기술 요소 도출, 기술 구성도 도출

전문기관 • 필요 기술 분석 및 기술 구성도 세부 방법 제시 및 검토

NIPA • 기술 분석을 위한 기존 정부 기술연구개발지원 과제 자료 지원, 기술구성도에 대한 의견 제시

11

22

136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기존 제품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플랫폼을 통해 고객의 Device로 구현되는 서비스분석을 통해 플랫폼 아키텍처를 도출함

(1) 기술 아키텍처 분석-플랫폼 아키텍처 도출 방법

단계 5 기술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① 필요 기술 분석(활용 기법)

응용 SW 서비스(SaaS Application)

SW

HW

Product

EmbeddedSW

서비스 전달 플랫폼 사용자 Device기존 Product

PC

Mobile

TV

USN, 유·무선

네트워크유무선,

방송통신

A 서비스 B 서비스 C 서비스

서버 Storage 보안장비

SaaS플랫폼

시스템 SW

센서

SOASOA

137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융합 서비스 구현을 위한 인프라, 플랫폼의 기술 종합 구성도를 활용해서 해당 사업서비스모델에 필요한 기술을 도출하여 아키텍처를 작성함

(1) 기술 아키텍처 분석-플랫폼 아키텍처 도출 방법 상세

단계 5 기술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① 필요 기술 분석(활용 기법)

정의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한 융합 서비스 기술 아키텍처 분석틀로 다양한 서비스의 조합에 따라 필요한 플랫폼을구성하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나 시스템으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

예시

Device

Mobile Network

RFID/USN

VoIP

타시스템

SaaS: Software as a Service PaaS: Platform as a Service IaaS: Interface as a Service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융합 서비스 기술 아키텍처

융합서비스(SaaS)

플랫폼(PaaS)

인프라(IaaS)

H/W N/W O/S DBMS System Middleware

B 서비스(에너지)

DB DB DB

App App App

서비스 고유 Application

Platform Adaptor

Cross Industry Service Orchestration Layer

Messaging 복합 서비스 구성 Routing Biz Collaboration Virtual organizationBiz Eco System

관리

Industry Specific Interface Layer

금융 공공 물류 교육 미디어 Portal

Common Biz Service Layer

과금관리 정산관리 고객관리UI/

포털관리인증/

권한관리통계분석

콘텐츠 관리

서비스 관리

Resource 관리

파트너 관리

Call Center

원격제어/모니터링

Common Biz Data Management Layer

Device Profile

Contents Profile

Service Profile

Portal Profile

Network Profile

Access Log

User Profile

Interface Profile

Common Interface Layer

Device Interface UI 변환 타시스템 연동(SoA) Mobile Interface VoIP InterfaceRFID/USN Interface

Core Network Interface

C 서비스

DB DB DB

App App App

서비스 고유 Application

Platform Adaptor

A 서비스(교통)

DB DB DB

App App App

서비스 고유 Application

Platform Adaptor

138

분석 내용 기존 Product와 연계된 기술을 상세 요건, 국·내외 기술 동향, 기술 조달 방안, 소요 예산 등을 조사함

템플릿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필요 기술 상세 요건/규격국·내외 기술

동향기술 조달 소요 예산

H/W및 네트워크

Embedded S/W

센서

기타

사업 추진을 위한 기술 구성요소 분석임(1/5)

기술 구성요소 분석 1

단계 5 기술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① 필요 기술 분석(템플릿)

기술 구성요소 기존 Product와 연계 기술

* 기술 조달 방안: □ 기존 기술 재활용 □ 개발 필요 □ 상용제품구매(국산, 외산) □ 공개 SW활용

139

분석 내용 OS 및 시스템 S/W 상세 요건, 국·내외 기술 동향, 기술 조달 방안, 소요 예산 등을 조사함

템플릿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필요 기술 상세 요건/규격국·내외 기술

동향기술 조달 소요 예산

OS

미들웨어

웹서버

DBMS

시스템관리

통신관리

보안관리

기타

사업 추진을 위한 기술 구성요소 분석임(2/5)

기술 구성요소 분석 2

단계 5 기술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① 필요 기술 분석(템플릿)

기술 구성요소 OS 및 시스템 S/W

* 기술 조달 방안: □ 기존 기술 재활용 □ 개발 필요 □ 상용제품구매(국산, 외산) □ 공개 SW활용

140

분석 내용 Platform S/W 상세 요건, 국·내외 기술 동향, 기술 조달 방안, 소요 예산 등을 조사함

템플릿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필요 기술 상세 요건/규격국·내외 기술

동향기술 조달 소요 예산

SaaS Platform

SOA

Biz Service(과금/정산, CRM, 통계분석, SCM)

기타

사업 추진을 위한 기술 구성요소 분석임(3/5)

기술 구성요소 분석 3

단계 5 기술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① 필요 기술 분석(템플릿)

기술 구성요소 Platform S/W

* 기술 조달 방안: □ 기존 기술 재활용 □ 개발 필요 □ 상용제품구매(국산, 외산) □ 공개 SW활용

141

분석 내용 Platform S/W 상세 요건, 국·내외 기술 동향, 기술 조달 방안, 소요 예산 등을 조사함

템플릿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필요 기술 상세 요건/규격국·내외 기술

동향기술 조달 소요 예산

사업 추진을 위한 기술 구성요소 분석임(4/5)

기술 구성요소 분석 4

단계 5 기술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① 필요 기술 분석(템플릿)

기술 구성요소 Application(응용 S/W)

* 기술 조달 방안: □ 기존 기술 재활용 □ 개발 필요 □ 상용제품구매(국산, 외산) □ 공개 SW활용

142

분석 내용 사용자 Device 상세 요건, 국·내외 기술 동향, 기술 조달 방안, 소요 예산 등을 조사함

템플릿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Device 상세 요건/규격국·내외 기술

동향기술 조달 소요 예산

Mobile

PC

TV

기타

사업 추진을 위한 기술 구성요소 분석임(5/5)

기술 구성요소 분석 5

단계 5 기술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① 필요 기술 분석(템플릿)

기술 구성요소 사용자 Device

* 기술 조달 방안: □ 기존 기술 재활용 □ 개발 필요 □ 상용제품구매(국산, 외산) □ 공개 SW활용

143

(1) 기술 아키텍처 분석 예시(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사업모델: 서비스-기술 관계도)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5 기술 분석

청사에 USN, 지능형계량기를 설치하여 전력 사용량정보를 센싱,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성, 확장성,호환성이 높은 SaaS와 SOA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함

- 프로세스 상세: ① 필요 기술 분석(예시)

청사 통합 에너지 관리 센터

에너지관리담당

시/군/구청장

지자체직원

조명

냉난방

사무기기

층별

문자 이메일

종합관제실

지능형 계량기

USN

USN

USN

수요관리

사용량/전기요금

한 국 전 력

전기절감가이드 SaaS

전기 사용량분석 SaaS

설비투자의사결정지원SaaS

운 체제( OS )

웹 서버

SaaS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분석,진단시스템

문제 발생알람

최적투자시뮬레이션

SOA

Data 수집저장

전국 청사 전력 사용 및탄소배출 분석 SaaS

환경부

정부부처/ 기관

문제 발생알람 SaaS

에너지기기 공급회사

사용량 및기기가동 현황 센싱

문자 이메일

미들웨어보안관리

사용이력관리

144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필요 기술 현황 및 기술적 타당성을 분석하고 기술 요소별 조달 방안을 도출함

① 필요 기술 분석 - (2) 기술 조달 방안 도출

단계 5 기술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① 필요 기술 분석

정의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기술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①국·내외 시장에서 구입 가능한 기술, ②현재 개발중인 기술, ③신규 개발이 필요한 기술로 분류하고, 조달 방안을 도출하는 활동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필요 기술 현황 분석

–필요 기술 요소별로 기술 개발 단계, 상용화 정도, 시장 동향, 기술 개발 난이도 등을 분석

–필요 기술이 단기간에 조달 및 개발 가능한지 분석

기술 요소별 조달 방안 도출

–상용화 된 기술: 국산 SW및 공개 SW 사용이 가능한지를 파악

–임베디드 SW, SaaS플랫폼의 경우 국내 연구기관이나 기업에서 개발한 기술이 있을 경우 활용 가능한지 검토

–현재 개발중인 기술: 관련 기술을 개발 중인 연구 기관을 조사·방문하여 기술 가능성 및 협력 방안 조사

–신규 개발이 필요한 기술: 자체 개발 또는 중소기업, 연구기관과 공동 개발 방안 검토

기술 타당성 분석

–필요 기술 분석을 통해 기술적 한계로 해당 서비스/제품 구현이 불가능할 경우 2단계 비즈니스모델 수립 혹은 4단계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단계로 회귀하여 실현가능한 BM을 재구성함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필요 기술 현황 및 서비스 구현을 위한 기술적 위험요인 분석, 기술 현황 분석에 따라 필요 기술별 조달 방안 도출

전문기관 • 기술 현황 분석 및 조달 방안 도출 방안 제시, 참여 기관이 작성한 기술 조달 방안에 대한 검토 및 개선 지원

NIPA • 정부/공공기관에서 추진해 왔거나 추진 중인 기술 연구 개발 사업 자료 제공 지원

11

22

33

145

(2) 기술 조달 방안 도출 예시(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사업모델: 필요 기술 정의)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5 기술 분석

시스템SW는 SaaS와 SOA 플랫폼 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며, 특히 공공기관 과의 시스템 연동부분이 포함되므로 보안관리와 시스템관리가 가장 중요함

- 프로세스 상세: ① 필요 기술 분석(예시)

웹서버는클라이언트/서버모델과 웹의 HTTP를사용하여 웹페이지가 들어 있는파일을 사용자들에게제공함

청사 및 공공기관을대상으로 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이므로, 보안SW 구축이 우선되야 함

다중 사용환경의 그누구라도 데이터를쉽게 이용할 수있게끔 관리해주는SW를 설치함

시스템SW의 가장기본적인SW로써정부기관은 점차개방형 운 체제인리눅스를 많이 사용함

시스템SW네트워크/

통신관리

웹 서버

(Web Server)DBMS

보안관리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보안

데이터 보안

암호화 기술 스토리지 관리

백업관리

변경관리

장애관리

성능관리

시스템 관리 운 체계

개방형운 체계

미들웨어

실시간 모니터링 중고장방지를 위한장애관리와, 빠르게변화하는 에너지시스템 및 정책등으로 변경관리가필요함

청사 내 전력량정보를 센터와주고받고, 결과를 각기관에 보내기 위한통신을 관리함

USN미들웨어 플랫폼기술은 센서 네트워크를통해 센서와 통신을담당하고 데이터 처리를수행함

기기별 에너지 센서(기기별 에너지량)

USN 미들웨어 플랫폼

USN 응용서비스(청사 에너지관리)

146

(2) 기술 조달 방안 도출 예시(기업유해물질 정보관리 서비스 사업모델: 필요 기술 조달 방안 상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5 기술 분석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협력기업이 필요함

- 프로세스 상세: ① 필요 기술 분석(예시)

구축 과제명 구축 내용 협력 관계

SaaS 플랫폼 구축

SaaS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소서비스를 웹서비스, SOA, EAI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구성하게 됨

- SaaS 플랫폼 컨설팅(설계, 요소선정)

- 요소서비스 구축(구매 또는 개발)

- 요소서비스 Integration 구축

•SaaS 플랫폼 컨설팅 업체(Microsoft, Oracle 등의 플랫폼 컨설팅)

•각 요소서비스(SSO, 과금, 프로비젼, 모니터링 등) 전문 업체 (비씨큐어, 소프트포럼, 한강시스템㈜ 등)

•각 요소서비스를 연계할 EAI,Workflow, BPM 등 전문업체 (삼성SDS, LGCNS, 티맥스, 핸디소프트)

•웹서비스, SOA 기반의 플랫폼 구축 전문 업체

정보교환포맷 표준화 구현 화학물질 교환 포맷, 프로토콜 설계 및 구현•화학물질관리 솔루션 전문업체 (에코시안, TO21, 에코프런티어)

•XML 전문업체 (토피도, 한국전자증명원 등)

통합정보 DB 구축/연계- 화학물질정보, 환경규제 정보 구매 또는 연계(규제 정보는 해외정보 네트워크 구성)

•상용 화학물질 DB 제공 업체 ,공공 화학물질 DB (인포넷, RCC 등)

•해외규제정보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협력관계

환경규제 대응 포털 구축 - 서비스를 위한 웹 인터페이스(관문) 구축 •포털 구축 업체 (삼성SDS, LGCNS, 이노비즈 등)

화학물질관리 구축- 화학물질관리 소프트웨어 (공급망관리 포함) 구

축•화학물질관리 솔루션(환경컨설팅) 전문업체 (에코시안, TO21, 에코프런티어)

기업용 화학물질관리 시스템 개발 - 웹서비스 용을 기업용 설치버전으로 개발 •화학물질관리 솔루션(환경컨설팅) 전문업체

정보분석 구축 - DW기반 화학물질 분석 시스템 구축 •DW/BI 전문업체 (비즈니스오브젝트, 마이크로스트레터지 등)

중소기업용 MIS 시스템 구축 - 중소업체를 위한 업무관리 시스템 구축 •웹기반 MIS 솔루션 전문업체 (삼성SDS, LGCNS)

E-Learning 구축 - 환경규제 관련 온라인 교육 시스템 구축 •E-Learning 구축 전문업체 (삼성SDS, LGCNS)

E-Market Place 구축 - 환경컨설팅 서비스 거래 시스템 구축 •E-Market Place 구축 전문업체 (삼성SDS, LGCNS)

147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신규 개발 필요 기술 중 SW육성지원사업 들 정부의 기술연구개발지원 사업과의 연계를통한 기술 확보 방안 도출

② SW육성 정책 연계 방안 도출

단계 5 기술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② SW육성 정책 연계 방안 도출

정의필요 기술 중 현존하지 않는 신규 기술 개발이 필요한 경우 정부의 다양한 기술연구개발지원 사업과 연계하여개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활동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신규 기술 개발이 필요한 기술 정의

–필요한 기술 중 기존 기술을 활용할 수 없고 신규로 개발해야 하는 기술 사양을 상세하게 정의

정부의 신기술연구개발사업과 연계성 검토

–신규 개발 필요 기술 중 정부 SW육성지원사업 등 신기술연구개발지원 과제를 활용하여 기술을 개발하는 방안검토

대·중·소 상생 메커니즘 도출

–필요한 기술 중 중·소기업의 기술 활용 가능성 분석

특허 출원 필요 기술 정의

–신규 개발 필요 기술이나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BM이 가능한 기술을 선별하여 특허로 보호할 필요가있는지를 검토함

–특허 출원에 대해서는 「SW융합서비스 모델 특허 출원 및 등록지원 방안」 NIPA 자료 참조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신규 개발 필요 기술에 대한 상세 사양 정의, 신규 개발 기술의 특허 출원 필요성 분석, 정부 연구개발지원사업과 신규기술 개발 필요 과제 연계 방안 도출

전문기관• 작성된 산출물 검토 및 개선 방안 제시, 특허 출원 가능 기술 도출 방안 제시, 정부 기술 연구개발지원 과제와의 연계방안 제시

NIPA• SW육성지원사업 등 정부의 신기술 연구개발지원사업 정보 획득 지원, 정부 지원 사업과 연계 방안 검토, 신기술연구개발지원사업에 기술개발 과제 제안 지원

11

22

33

44

148

(3) 대·중·소 상생 메커니즘 도출 템플릿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5 기술 분석

이미 개발된 기술 활용이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및 핵심 신기술 공동 개발을 통해 대·중·소기업이 공동으로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함

- 프로세스 상세: ② SW육성 정책 연계 방안 도출(템플릿)

협력이 필요한분야

상세 내역 협력 방안 협력 가능한 기업 List

기 개발되어중·소기업이보유한 기술

서비스애플리케이션 공동

개발

핵심 신기술 공동개발

149

(1) 신규 기술개발 필요 과제 정의 예시(기업유해물질 정보관리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5 기술 분석

전략적 중요도와 실행의 용이성을 기준으로 총 15개의 과제를 3단계로 추진함

- 프로세스 상세: ② SW육성 정책 연계 방안 도출(예시)

번호 구축 과제명

1 SaaS 플랫폼 구축

2 정보교환포맷 표준화 구현

3 물리적 인프라구축

4 통합정보 DB 구축/연계

5 환경규제 대응 포털 구축

6 화학물질관리 (공급망 관리) 구축

7 기업용 화학물질관리 시스템 개발

8 공인전자시험분석서 유통 구현

9 정보분석

10 중소기업용 MIS 시스템 구축

11 E-Learning 구축

12 E-Market Place 구축

13 시스템 증설(양적)

14 시스템 고도화(질적)

15 해외수출 준비

구축 과제구축과제 우선순위

Low High

Low

High

전략적 중요도

실행

의용

이성

5.03.0

3.5

1.5

5.0

4.5

4.03.0

2.5

2.0

1.5 2.0 2.5 3.5 4.0 4.5

Strategic Initiatives 전략적 투자가 필요함

Nice to Have시급하지 않음

Leave for Now 제외시킬 수 있음

Quick Wins 우선적으로 투자되어야 함

1

4

5

10

2

3

67

11

13

12

14

15

8

9

150

(2) 정부의 SW육성지원사업과 연계성 검토 예시(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5 기술 분석

경쟁력 있는 국산 SW 를 사용함으로써 국내외 시장을 창출하고, 공개SW를 활용하여 관련SW 산업분야에 공개SW 레퍼런스를 제공할 수 있음

- 프로세스 상세: ② SW육성 정책 연계 방안 도출(예시)

보안 SW• ‘7.7 분산서비스거부(DDoS) 대란’ 이후 여당은 ‘7.7 Ddos 대책특위’를구성해 정부의 정보보호제도 및 예산을 대거 수정 하는 계획안을 내놓음

- 정보보호SW 유지보수요율 20%상향- 정보 통신망법 개정 등

• 한국DB진흥원이 발간한 ’09년 DB백서에 따르면 DB보안SW는 17.3%의 성장률을 기록하 음

- 개인정보와 중요 지식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으로 보여짐

• SW산업 활성화의 가장 큰 지원책인 SW 분리 발주를 ’07년 시행하며그 중 통합보안관리SW, 서버보안, 데이터보안SW 에 대한 분리발주를가장 먼저 시행함

미들웨어SW• 미라콤아이내씨는 중국 BOECD 에 통합생산관리SW를 수출하며 미들웨어 제품도 공급

• 티맥스소프트는 국내 미들웨어 시장에서 BEA시스템즈, IBM, 오라클외국경쟁업체와 경쟁을 펼치며 2003에 시장 1위에 올라섬

• 농협중앙회는 국산 미들웨어인 티맥스를 기간업무 표준 미들웨어로선정함

국산SW 육성 정책 타당성 분석

• 보안, 미들웨어 등 경쟁력 있는 국산 시스템SW 활용을 통해 국산SW의 국내외 시장창출을 지원함

공개SW수요창출

생산기반강화

국제협력저변확대

국산SW 육성 정책 관련성

공개 소프트웨어 활성화 지원 방향

공개SW육성 정책 관련성

공개SW육성 정책 관련성• 운 체계, DBMS 등 핵심 시스템SW를 공개SW로 활용하여 대규모공개SW 레퍼런스 제공

151

(4) 특허 출원 필요 기술 정의 예시(자동차 정비 서비스 사업모델: 특허 등록 조건)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5 기술 분석

BM발명은 주로 '사업 방식 아이디어'이기 때문에, 발명의 대상이 아니거나(발명의 성립성),발명의 구성이명확하게 기재되어 있지 않거나(명세서 기재요건), 종래의 업발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다(발명의 진보성)는 거절 이유를 받는 경우가 많음

- 프로세스 상세: ② SW육성 정책 연계 방안 도출(예시)

특허 제도의 목적(특허법 제1조) 발명의 정의 (특허법 제2조)

BM 발명의 주요 거절 이유

이 법은 발명을 보호·장려하고 그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

"발명"이라 함은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의 창작으로서

고도한 것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사상

창작으로서 고도한 것

발명의 성립성 발명의 진보성

발명 이용을 도모하고, 산업 발전에 이바지

특허 발명의 공개·등록 공보 발행

발명 내용을 상세하게 기재한 명세서,도면 제출

명세서 기재 요건

발견 발명α : 창작력요소(방법적 or 용도적)

α

+ +

보호(私益) 이용(公益)

152

(4) 특허 출원 필요 기술 정의 예시(자동차 정비 서비스 사업모델: 특허 사례 분석1)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5 기술 분석

특허 첨부서류는 크게 요약서, 명세서, 도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명세서에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특허 청구범위가 포함됨

- 프로세스 상세: ② SW육성 정책 연계 방안 도출(예시)

과제명

제안기업

차세대 자동차 정비 서비스

대 유비텍 컨소시움

[ 요약서 ]

[ 요약 ]본 발명은 자동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ECU(electric control unit)에 저장된 자동차 상태 정보및 주행 정보를 자동진단 단말기(auto check)를 이용하여 정비소의원격서버에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들을 분석해서 자동차 관리,정비, 운행 정보 등을 온라인 웹페이지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대표도]도 2

[색인어]자동차, 정비소, 주행정보

[명세서]

[발명의 명칭]자동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특허청구범위]【청구항 1】

정비소의 원격서버가 자동진단 단말기(auto check)로부터 자동차의상태 및 주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원격서버는 수집한 정보를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웹서버 “관리자”가 전송받은 정보로부터 운전자의 운전습관

또는 운행패턴을 판단하고, 그 결과 정보를 웹페이지에 upload 하는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제공 방법.

【청구항 2】정비소의 원격서버가 자동진단 단말기(auto check)로부터 자동차의

상태 및 주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상기 원격서버는 수집한 정보를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웹서버는 전송받은 정보와 기 저장된 운전자 관련 정보를 이용

하여 운전자의 운전습관 또는 운행패턴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웹페이지에 upload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제공 방법.

153

(4) 특허 출원 필요 기술 정의 예시(자동차 정비 서비스 사업모델: 특허 사례 분석5)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5 기술 분석

특허 첨부서류는 크게 요약서, 명세서, 도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명세서에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특허 청구범위가 포함됨

- 프로세스 상세: ② SW육성 정책 연계 방안 도출(예시)

【도면의 간단한 설명】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 정비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고,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차세대

정비서비스 개념도이고,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비이력 및 관리 정보서비스 전달 구조

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진단 단말기 제품 사진이고,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진단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도이고,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고,도 7은 정비소에 있는 웹서버 또는 PC의 기능 및 인터페이스를 설명

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면】【도 1】

【도 2】

【도 3】

154

Ⅲ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1. 추진배경 및 목적 정의

2. 비즈니스모델 수립

3. 이해관계자 분석

4.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5. 기술 분석

6. 재무 분석

6.1 투자비/운 비 산정

6.2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

7. 정책 지원 과제 제안

8. 실행 계획 수립

9. 기대 효과

155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해당 사업에 대한 경제성을 평가하여 신비즈니스모델의 사업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단계임

•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소요자금, 자금 적기 조달 방법, 적정수익 등을 추정

• 소요자금 대비 수익성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최적의 수익 구조 모델 수립목적

단계 요약• 해당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투자비, 운 비 등의 소요되는 자금을 추정하고 이를 토대로

신비즈니스모델의 경제성(시장성, 수익성 등)을 평가하는 활동

방법• 소요자금 분석: 유·무형의 인프라 구축비, 운 비(인건비, 마케팅, 시스템 운 , 유지보수 등) 추정

• 수익 모델 도출: 목표 고객가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업참여자들에 배분될 수익 요소를 도출

• 시장성 분석: 확장 BM 도출 과정에서 분석된 대상 시장에 판매가능성, 시장의 규모와 잠재력 경쟁에서 성

공가능성 등을 분석

• 수익성 분석: 서비스/제품 예상 이용율에 따른 매출액과 비용을 분석하여 해당 사업 수지성을 분석

산출물

• 투자비/운 비 산정 내역서: SW, HW, 기반 시설 등의 인프라 구축비와 이를 운 하기 위한 인건비,

시스템 운 비, 유지보수비, 제경비 등의 추정 목록

• 수익 모델 구성도: 서비스/제품 흐름에 따라 생성되는 자금 요소 및 흐름도를 도식화한 그림

• 시장성 분석서: 서비스/제품의 시장 매력도와 판매 가능성을 분석한 기술서

• 수익성 분석서: 투자비/운 비 산정 내역과 시장성을 기반으로한 예상 매출액 분석으로 투자 자금 회수

가능 기간, 이익금 발생 정도 및 시점 등을 추정한 기술서

단계 6 재무 분석

- 개요

156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6 재무 분석

- 관련 이론

일정기간의 매출액이 그 기간에 지출된 비용과 같아져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지점을 도출하여 사업 운 을 가능하게 하는 매출액을 분석할 수 있음

•개념 정의: 총수익과 총비용이 동일한 조업도 수준으로 이익이 '0' 이 되는 판매량 또는 매출액을 의미함

–고정원가 : 생산량(조업도)에 따라 변동하지 않는 원가. (예) 감가상각비, 임차료, 관리비 및 고정인건비, 이자비용 등

–변동원가 : 생산량(조업도)에 비례적으로 변동하는 원가 (예), 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생산용 동력비 등

•활용 방법

–시장에 최초로 출시된 신제품이 얼마가 팔려야 이익이 나기 시작하는 지 확인하기 위해 최소한의 판매량을 예측한다든지, 혹은 사업초기기업차원에서 얼마만큼의 이익을 내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것인지 등을 예측할 수 있음

손익분기점(Break Even Point)

P = F / 1 - ( V / S ) *F:고정비, V:변동비, S:매출액

• 매출액(TR) = 가격(P) × 생산략(Q)

• 비용(TC) = 고정비(Fixed Cost) + 변동비(Variable Cost)

• 수익(Profit) = 매출액 – 총비용

총 고정비용

총 가변비용

총 비용

총 판매 수입

손익분기점

손해

이익

157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6 재무 분석

- 관련 이론

순현재가치 분석법은 화폐의 시간적 가치를 고려하여 투자대비 수익성을 추정하는기법임

•개념 정의: 투자로부터 발생하는 현금유입액의 현재가치에서 현금유출액의 현재가치를 차감하는 것으로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한투자의사결정 지원 기법임

•특징

–순현재가치 분석기법은 투자사업 등의 경제성분석을 위한 기법 중의 하나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는 것으로 투자로 인하여 발생할 미래의 모든 현금흐름을 적절한 이자율로 할인하여, 이를 현가로 나타내어초기투자원금과 비교하여 투자결정 등에 활용하는 기법임

순현재가치(NPV: Net Present Value)

순현재가치(NPV) = 현금유입의 현재가치(PVCI) - 현금유출의 현재가치(PVCO) ( 현재수익가치 ) ( 현재비용가치 )

• NPV가 정(+)의 수치를 나타낼 경우 - 수익율이 경제적으로 우수하여 사업 승인

• NPV가 부(-)의 수치를 나타낼 경우 - 투자수익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사업 포기

158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6 재무 분석

- 관련 이론

기업의 경 성과 및 효율을 투자수익률과 관련된 재무적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한 기법

•개념 정의: 미래에 발생하게 될 모든 비용에 대한 현재가치와미래에 얻게 되는 모든 수입의 현재가치를 같게 만드는것으로 자본비용과 비교하여 투자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의사결정 기준

–내부수익율이 사회적 할인율보다 크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해석

•특징

내부수익률(IRR: Internal Rate of Return)

•개념 정의: 미래에 보다 큰 수익이 실현될 것을 기대하고현재의 자금을 투자하는 것으로 총 자본 중에서 투자 자본의수익력을 측정하는 방법

•의사결정 기준

–과거 또는 미래에 발생가능한 모든 수입과 비용이 동등하게되는 수익률을 산출하여, 산출된 수익률이 정하여진요구수익률 보다 높을수록 경제적 가치가 높다고 판단

•특징

투자수익률(ROI: Return on Investment)

구분 내용

장점 화폐의 시간적 가치를 반 함

단점투자 규모와 투자 금액 회수 기간을 고려하지못함

ROI = 순효과 ÷ 비용

구분 내용

장점 투자 여부 결정 방법

단점순현가치를 고려하지 않고 투자 회수 기간 산정이 어려움

159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6 재무 분석

- 관련 이론

회수기간법은 투자에 소요된 모든 비용을 회수하는데 걸리는 기간을 기초로 하여 투자결정을 하는 방법임

•개념 정의: 과거 및 미래에 발생 가능한 모든 수입과 비용을 정해진 이자율로 계산할 때 총 수입이 총 비용을 넘어서게 되는시점(순이익이 실현되는 시점)이 언제인가를 산출하여 경제적 가치를 판단하는 방법

•활용 방법

–자금회수와 관련된 위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투자로 인한 기업의 유동성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

투자 분석 방법 - 회수기간법(Pay Back Period)

회수기간 = 총투자액/연 순현금 유입액

• 산출된 회수기간이 기업에서 설정한 회수기간보다 짧으면 투자가치 있다고판단

160

(1) 투자비 산정– 확장된 BM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인프라 확보를 위한 소요 자금 도출

(2) 운 비 산정– 인프라 투자 이후 사업 시스템 가동을

위해 필요한 예상 운 비 도출

(1) 서비스 수익 모델 수립– 서비스/제품을 사용하는 고객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금전적 혹은 비 금전적 요소 분석

– 분석된 수익 요소의 흐름을 도식화

(2) 서비스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 서비스/제품 매력도와 판매 가능성의 정량적

분석

– 도출된 소요 비용 대비 예상 매출에 따른 수익

분석

세부 활동

목적• 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비용 내역과 규모

추정

데이터Source

• 투자 비용 대비 예상되는 수익과 투자회수 기간 등 해당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검증

• 해당 사업에 투입될 인프라 시장 가격(인터넷, 시장 조사 등)

• 본 사업 추진 서비스/제품의 시장 매력도 측정 기술서(시장 조사, 고객 설문/인터뷰 조사 등)

•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 방법론 조사(문헌조사, 학술 자료 등)

투자비/운 비 산정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

2211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투입 비용과 예상 매출액을 추정하여 서비스 모델의 수익성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본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함

단계 6 재무 분석

- 수행절차

161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본 사업 추진에 소요될 투자비/운 비 등의 예상 비용(Cost) 분석 활동임

① 투자비/운 비 산정

단계 6 재무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① 투자비/운 비 산정

정의 서비스 구현을 위해 설치해야 할 인프라 항목, 적요, 금액을 분석하여 투입비용을 산정하는 활동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사업 추진에 필요한 투자비 분석

–기존 서비스와 기술 분석 자료를 활용하여 해당 사업 구축을 위해 필요한 상세 인프라 항목을 도출

–도출된 항목의 소요 비용 조사하고 필요 HW, SW의 개수를 고려하여 예상 투입 비용을 추정

사업 추진에 필요한 운 비 분석

–인프라 구축 이후 서비스모델을 운 할 인건비, 유지비, 마케팅 비용, 시스템 운 비 등의 상세 운 항목을도출

–도출된 항목의 소요 비용을 조사하고 총 예상 운 비를 도출함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사업에 필요한 인프라 세부 항목 분석, 예상 소요 비용 분석

전문기관 • 세부 투자비, 운 비 항목 도출 지원 및 적합성 검토 , 예상 소요 비용 분석 방법 제시

NIPA • SW 관련 세부 항목 정보 획득 지원

11

22

162

(1) 투자비 산정 예시(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6 재무 분석

1단계 서비스 구축비용은 총 352.87억원이며 항목별로는 HW는 313.83억원, SW는 38.74 억 원임

- 프로세스 상세: ① 투자비/운 비 산정(예시)

구분 항목 사양 대수 단가 금액

HW

통합센터

서버(서버, DB 서버) 클라우드 컴퓨팅 아키텍처: 다수의 서버연동 70 평균 10 700

통신, 보안 IPS, Firewall,라우터 6 40 240

스토리지, 디스크 ,백업장치 네트워크 스토리지 10 55 553

주변장치-모니터 Display 대형 LCD Display 10 5 50

모니터 PC 대형 LCD 20 2 40

합계 1,583

스마트미터기 1개 청사당 (200개 청사) 20 * 200 0.7 2800

USN (센서 및 네트워크 기기) 1개청사당 (200개 청사) 100 * 200 0.2 4000

통신 센서 네트워크 1개 청사당 (200개 청사) 1*200 15 3000

청사에너지 기기 1 100 20,000

합계 29,800

HW 합계 31,383

상용시스템

SW

보안 데이터, 암호화, TMS 8 60 480

Call Center용 SW CTI 1 150 150

개발비

전력 사용량 정보수집, 모니터링고급개발자 6 59.13 354.78

중급개발자 12 49.14 859.72

전력 사용량 분석, 진단 SaaS고급개발자 5 59.13 295.65

중급개발자 9 49.14 442.29

문제발생 알람 및 전기 절감 가이드 SaaS고급개발자 6 59.13 354.78

중급개발자 12 49.14 577.11

최적투자 시뮬레이션 SaaS 고급개발자 4 59.13 236.52

한전 Data Interface(SOA) 중급개발자 8 49.14 393.15

합계 3,874

163

(2) 운 비 산정 예시(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6 재무 분석

1차 서비스 연도별 운 비는 연평균 30억 원이며 상세내용은 아래와 같음

- 프로세스 상세: ① 투자비/운 비 산정(예시)

운 비 항목 내용

인건비 모니터링 운 요원 , 판촉, 업, 관리자, A/S 및 헬프데스크 요원

마케팅 신문잡지 오프라인 마케팅, 홍보 세미나 개최 비용 등

모니터링센터/시스템 운 비 모니터링 센터 운 , 회선사용, 시스템 관리, 센터 임대비

유지보수비 시스템 구축비의 5%

제경비 사무용 컴퓨터, 사무용품, 인테리어 등

합계

운 비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일반 운 비

인건비 0 0 4 15 17 19 19 19 19 19 19

마케팅 0 0 2 2 2 2 2 2 2 2 2

시스템 운 비 0 0 2 2 2 2 2 2 2 2 2

모니터링 센터 0 0 2 2 2 3 3 3 3 3 3

제경비 0 0 2 2 2 2 2 2 2 2 2

유지보수비 0 0 0 2 2 2 2 2 2 2 2

합계 0 0 12 25 27 30 30 30 30 30 30

에너지 기기금융융자

기기 유지보수 0 0 0 1 1 2 3 4 6 6 6

금융이자 0 0 0 1 1 2 3 4 6 6 6

원금상환 0 0 0 1 2 3 5 7 10 10 10

(단위: 억원)

164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도출된 확장 BM에서의 제공되는 서비스/제품으로부터 창출되는 수익 구조를 도출하는단계임

②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 – 서비스 수익 모델 수립

단계 6 재무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②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

정의 본 사업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제품으로 창출되는 수익 요소 및 흐름을 분석하여 구조화하는 활동임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수익 창출 요소 분석 및 구조화

–서비스/제품을 제공하고 목표 고객으로부터 획득하는 금전적/비금전적 이익 요소를 도출함(예: 서비스 사용료, 에너지 절감액, 탄소배출권 등)

–도출된 요소를 자금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도식화 함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수익 요소 도출, 수익 구조 분석

전문기관 • 수익 요소 도출 방법 제시, 수익 구조의 적절성 검토

NIPA • N/A

11

165

(1) 서비스 수익 모델 수립 예시(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6 재무 분석

가격정책 분석결과 중립적인 10%를 기준으로 모니터링 서비스, 에너지 효율화 기기, 탄소배출권 수익모델을도출함

- 프로세스 상세: ②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예시)

절감액 (백만원)5%(15)

10%(30)

15%(45)

사업자수익

기본료 12 12 12

절감액 배분(50%)*

7.5 15 22.5

지자체혜택

절감액 배분(50%)*

-4.5 3 10.5

(1) 구청 연간 전기세는 대부분 1억~7억 범위이므로 연간 평균 3억으로 산정* 절감액 을 사업자와 지자체가 50%씩 배분

모니터링 서비스 가격 정책1

2 3에너지 효율화 기기 가격정책 탄소배출권 가격정책

구분 (단위:백만원) 도입 첫해~5년간 5년 이후

사업자 수익 30 30 30 30 3015

절감액 (50%)

지자체 혜택 0 0 0 0 015

절감액 (50%)

구분 (천원) 절감TOE 단가연 탄소배출

거래액거래 수수료

(10%)

모니터링 (10% 절감) 122 5 610,000 61,000

에너지 기기(10% 절감)

122 5 610,000 61,000

750만원

1,200만원

1,500만원

1,200만원

2,250만원

1,200만원

절감액 배분

기본료(월 100만원)

5%

10%

15%

* 1억원 기기 도입시 에너지 절감액의 10%를 5년간 받고 5년 이후부터는절감액을 50% 씩 배분하는 방식

166

(1) 서비스 수익 모델 수립 예시(기업유해물질 정보관리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6 재무 분석

본 사업에 제공되는 컨텐츠, 플랫폼, 컨설팅 서비스에 대해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은 8가지 방식으로 구분되며, 대상고객, 서비스 유형, 수익구조에 따라 다양한 수익창출이 가능함

- 프로세스 상세: ②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예시)

Solu

tion

서비스 내용

Pipeline S

aaS

Portal서비스

거래서비스

환경Consulting

교육서비스

부가서비스

기업정보화

사업방식 고객 수익구조 지불방식

규제대응 자동화환경정보 연동규제 시뮬레이션

규제대응 자동화환경정보연동규제 시뮬레이션

공급망물질정보분석(DW)국가별 환경규제정보물질 환경위해성 정보

행정지원서비스 연계-화학물질시험분석-규제대응 행정대응-물질Inventory 작성

환경경 및 정보전략(EMISP)공급망 내 기업환경 정책환경사업전략/ 환경 ISP/ 환경BPR

환경업무 e-Learning

공인전자시험분석서

MIS모듈 연계서비스

직접

직접

직접/제휴

중계/제휴

직접/제휴

직접

직접/제휴

직접/제휴

대기업

중소기업

대기업/중소기업

중소기업

대기업/중소기업

대기업/중소기업

대기업/중소기업

중소기업

구축비용시스템 사용료

시스템 사용료

서비스사용료컨텐츠DB사용료컨텐츠DB사용료

연계 수수료

컨설팅 비용

교육수수료

전자문서유통비용

시스템 사용료

1회 설치시기간별

기간별

건별건별건별

거래 건별

건별

건별

기간별

기간별

서비스구분

IT서비스

IT서비스

IT서비스컨텐츠서비스컨텐츠서비스

BPO서비스

컨설팅서비스

컨텐츠서비스

IT서비스

IT서비스

핵심

핵심

확장핵심확장

연계

핵심

확장

핵심

확장

167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본 사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제품의 목표 고객수와 가격을 추정하여 시장성 규모와 수익성을 분석하여 경제적 타당성을 검증함

②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 - (2) 서비스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

단계 6 재무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②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

정의서비스/제품이 시장에서 언제, 어느 정도 팔릴 수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으로 전반적인 시장 동향, 시장특성 및구조, 판매조직, 원가구조 및 가격추세 등을 고려하여 해당 사업의 매력도를 분석하고 예상 수익을 추정하여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는 활동임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시장성 분석

–본 사업 서비스/제품의 시장매력도(구매 시기, 구매가능한 판매가격 등) 정도를 파악하여 목표 고객수를산정하고 시장점유율 규모를 추정

수익성 분석

–투자비/운 비와 가격 분석 자료를 토대로 정리된 수익 구조를 다양한 수익성 분석틀을 적용하여 투자비 회수기간, 예상 이익율, 이익 발생 시기 등을 도출하여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

경제적 타당성 분석

–재무 분석을 통해 자금 조달 및 비용대비 수익 창출이 어려워 사업성이 부정적인 경우 2단계 비즈니스모델 수립 혹은 4단계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단계로 회귀하여 실현가능한 BM을 재구성함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목표 고객 추정, 예상 시장점유율 추정, 수익성 분석

전문기관 •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 방법 제시 및 검토, 경제적 타당성 검증

NIPA • N/A

11

22

33

168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신비즈니스모델을 통해 제공될 서비스의 수요를 예측하여 시장성 및 수익성을 도출함

(2) 서비스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 수요 예측 분석

단계 6 재무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②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활용 기법)

수요 예측 분석

정의

불확실한 기업 미래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기업의 제품 혹은 서비스의 수요, 시장점유율, 시장규모 등을 추정하는 방법

세부 내용

Volume Forecasting Market Share Forecasting

• 전체시장규모 예측• 매출액 추이 예측

• 신제품의 시장점유율 예측• 경쟁제품의 진입에 따른 기존 제품들의시장점유율 변화

• 라인확장 도입에 따른 Cannibalization

Qualitative Methods Causality Time Series Simulation

• Delphi method

• market research

• panel consensus

• visionary forecast

• historical analogy

• multiple

regression

• econometric

model

• intention-to-buy

survey

• input-output

model

• diffusion index

• leading indicator

• life-cycle analysis

• moving average

• exponential

smoothing

• Box-Jenkins

• trend projections

• X-11

• Conjoint Analysis

• ACA

• Shop Simulation

거시적 분류

미시적 분류

• 다속성태도모델을 이용한 수요예측

• 구매의도분석을 통한 수요예측

• BTL 모델을 이용한 수요예측

• Logit 모형을 이용한 수요예측

• 판매과정분석을 통한 수요예측

• Trial/Repeat Model의 수요예측

• 통합된 T/R모형을 이용한 수요예측

• Conjoint Analysis를 이용한 수요예측

신제품의 Forecasting 방법론

169

(2) 서비스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 예시(자동차 정비 서비스 사업모델-손익분기점 분석)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6 재무 분석

손익분기점 (Break-even Analysis)은 온라인 진단서비스에 소요되는 총비용(고정비와 변동비)을 보상하고 3년차에 흑자전환 시작으로 하여 5년차에 손익분기점 달성

- 프로세스 상세: ②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예시)

손익분기점 그래프 분석

연도별 수익/비용 분석

구분 Y1 Y2 Y3 Y4 Y5

누적수익 1,716 5,147 10,818 19,337 31,417

누적비용 3,966 7,866 13,180 20,439 29,300

년도별수익 1,716 3,431 5,670 8,520 12,080

년도별비용 3,966 3,900 5,314 7,259 8,861

(단위: 백만원)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Y1 Y2 Y3 Y4 Y5

누적

누적비

년 비

손익분기점

흑자전환

170

(2) 서비스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 예시(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사업모델-시나리오 분석)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6 재무 분석

- 프로세스 상세: ②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예시)

Case 1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낙관적시나리오

고객확산 0 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수익 합계 0 0 57.0 60.0 63.2 69.2 75.2 84.2 91.7 99.2 109.7

구분낙관적인 시나리오

Case 1중립적인 시나리오

Case 2비관적인 시나리오

Case 3

내부수익률(IRR) 71% 30% 8%

순현재가치(NPV) 145억원 46억원 -17억원

비용편익비

(BC Ratio)7.37 4.14 1.97

투자회수기간 2년 3.2년 5년

Case 1,2,3로 목표고객을 분석하여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해보고 중립적인 시나리오인 Case 2를 선택하 으며서비스 적정가격 분석을 위해 기본료 0~200만원, 절감액 배분률을 총 27가지 경우의 수로 분류하여 분석한결과 10% 절감, 월 사용료 100만원이 가장 타당성 있음

서비스 가격 정책목표 고객 수 분석

Case 2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중립적시나리오

고객확산 0 0 50 15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수익 합계 0 0 16.5 60 63.2 69.2 75.2 84.2 91.7 99.2 109.7

Case 3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비관적시나리오

고객확산 0 0 10 40 70 100 130 160 200 200 200

수익 합계 0 0 5.7 16.8 28 42 56 73 91.7 99.2 109.7

기본료시나리오

절감액배분(청사:

사업자)

5% 절감연 1,500만원

10% 절감연간 3,000만원

15% 절감연간 4,500 만원

청사수익사업자수익

청사수익사업자수익

청사수익사업자수익

무료

7:3 1,050 450 2,100 900 3,150 1,350

5:5 750 750 1,500 1,500 2,250 2,250

3:7 450 1,050 900 2,100 1,350 3,150

평가사업자 수익저하로

사업성 없음사업자 수익성 부족

절감률 목표 달성 문제 우려

월100 만원연1,200 만원

7:3 -150 450 900 900 1,950 1,350

5:5 -450 750 300 1,500 1,050 2,250

3:7 -750 1,050 -300 2,100 150 3,150

평가 청사 수익성 없음사업자와 청사 절충

가능절감률 목표 달성 문

제 우려

월200만원연2,400만원

7:3 -1,350 450 -300 900 750 1,350

5:5 -1,650 750 -900 1,500 -150 2,250

3:7 -1,950 1,050 -1500 2,100 -1,050 3,150

평가청사수익성 및 기본

료 부담청사 수익성 없음 청사 수익성 없음

171

(2) 서비스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 예시(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사업모델-경제적 타당성 분석)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6 재무 분석

1차 서비스 수익/운 비 분석결과 내부수익률34%, 투자회수기간 5년으로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됨

- 프로세스 상세: ②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예시)

구분(단위:억원)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모니터링(기본료)100만원

목표고객 5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목표매출 600 2,400 2,400 2,400 2,400 2,400 2,400 2,400 2,400

모니터링1)

(절감액 배분)

목표고객 5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목표매출 750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에너지2)

효율화 기기

목표고객 10 20 30 50 70 100 130 160 200

목표매출 300 600 900 1,500 2,100 3,000 3,800 4,500 5,600

탄소배출권거래

목표고객 0 0 50 100 200 200 200 200 200

목표매출 0 0 6 18 24 24 24 24 24

총 매출 1,650 6,000 6,300 6,900 7,500 8,400 9,200 9,900 10,970

(단위: 백만원)

1) 시군구청 평균 전기세(3억) 절감액 10%(3천만원)를 사업자 1,500만원, 지자체 1,500만원 배분

2) 1억원 기기 도입시 전기세 절감 10%(3천만원)를 5년간 3,000만원, 5년 이후 1,500만원 수익배분

구분 (단위:억원)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투자 20 34 10 10 10 20 20 30 30 30 40

융자 0 0 10 10 10 20 20 30 30 30 40

수익 0 0 16.5 60 63 69 75 84 92 99 109.7

운 비 0 0 11 26 31 36 40 44 50 50 50

세전이익 0 0 6 34 32 33 35 40 41 49 59

법인세 0 0 1 7 6 7 7 8 8 10 12

세후이익 0 0 4 27 26 26 28 32 33 39 48

Net Cash -20 -34 4 27 26 26 28 32 33 39 48

내부수익률(IRR) 34%

순현재가치(NPV) 68억원

비용편익비(BC Ratio)

1.3578

투자회수기간 5년

경제적

타당성

분석

1차

서비스

수익

전망

172

Ⅲ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1. 추진배경 및 목적 정의

2. 비즈니스모델 수립

3. 이해관계자 분석

4.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5. 기술 분석

6. 재무 분석

7. 정책 지원 과제 제안

7.1 법·제도 개선 방안 도출

7.2 추진조직 구성 방안 도출

7.3 기타 정부지원 필요사항 도출

8. 실행 계획 수립

9. 기대 효과

173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본 사업의 사업화 및 시장 확보를 위한 추진 운 조직 구성과 정부지원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는 과제 도출 단계임

• 정부차원에서 지원되어야 할 법·제도, 기술 개발, 추진 조직 구성 등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유도함목적

단계 요약• 사업 추진을 위해 정부차원에서 지원되어야 할 요소(법·제도 이슈, 추진 조직 구성 등)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향후 정부지원 추진 과제 필요사항을 분석하는 단계임

방법• 법·제도 분석: 본 서비스모델 구현을 위한 법·제도적으로 장애요인이 될 수 있는 이슈 분석

• 사업 참여 대상자 및 역할 분석: 체계적인 사업 운 을 위해 필요한 이해관계자 선정과 사업 참여 역할

정의

• 정부지원 과제 분석: 서비스 효율성, 사업 활성화, 시장확보의 측면에서의 정부지원을 통해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할 과제들을 분석

산출물

• 법·제도 분석서: 해당 사업과 관련된 법·제도를 분석하여 사업 추진 장애요인을 도출한 기술서

• 사업 추진 조직 구성도: 체계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운 조직 구성을 위해 사업참여 대상자, 참여 형태,

참여 내용, 활동 역할 등을 분석하여 도식화

• 정부지원 필요사항 목록: 기술, 재무, 법·제도 타당성 분석을 통해 본 사업 구현을 위해 필요한 정부

차원의 지원 방안을 도출한 기술서

단계 7 정책지원 과제 제안

- 개요

174

(1) 현행 법·제도 이슈 분석– 해당 사업과 관련된 법·제도

조사

– 사업 추진을 위한 이슈 도출

(2) 법·제도 개선방안 도출– 국가적 차원에서 편익을

도출할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도 개선 방안 제시

(1) 조직대안 분석 및 역할 정의– 기술 및 자금 조달, 이해관계

등을 고려하여 사업 추진을

위한 세부 필요 역할 정의

– 필요 역할 수행 역량을 갖춘

사업자와의 운 조직 구성

방안 도출

세부 활동

목적

• 법·제도 이슈 분석을 통해 사업화위험 요소 관리

데이터Source

• 사업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인운 조직 사전 조성

• 법제처(http://www.moleg.go.kr)

• 「이해관계자 분석」, 「기술 분석」, 「재무 분석」 등 선행 과제 산출물

법·제도 이슈 및개선 방안 도출

추진조직구성 방안 도출

2211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본 단계에서는 법·제도 분석 및 사업 추진 단계에서 향을 미칠 수 있는 운 조직 구성방안을 도출하고 정부 차원에서 지원해야만 하는 구체적인 정부지원 과제를 제안함

단계 7 정책지원 과제 제안

- 수행절차

(1) 정부지원 과제 정의– 정부지원 해결 방안이 필요한

사업 과제 도출

• 사업활성화에 필요한 정부 지원과제 도출

기타 정부지원필요사항 도출

33

175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본 사업 관련 법·제도 현황을 분석하여 사업화 장애요인을 도출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함

① 법·제도 이슈 및 개선 방안 도출

단계 7 정책지원 과제 제안

- 프로세스 상세: ① 법·제도 이슈 및 개선 방안 도출

정의해당 사업 관련 법·제도 이슈를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 도출 및 필요한 법률 제정에 대한 연구활동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관련 법·제도 현황 분석

–이해관계자 조정, 확장 BM 구성, 필요 기술 및 자금 조달 방안 등 사업 추진을 위해 기 분석된 단계와 관련한법·제도 현황을 도출하고 장애요인을 분석함

법·제도 개선 방안 도출

–도출된 이슈에 대해 법·제도 변경 및 신규 필요 법·제도 제정 등의 개선 사항을 도출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본 사업 관련 법·제도 현황 분석, 법·제도 이슈 및 개선 방안 도출

전문기관 • 법·제도 현황 분석 방법 제시, 법·제도 이슈 및 개선 방안 도출의 분석 타당성 검토

NIPA • 법·제도 개선 방안 검토

11

22

176

(1) 현행 법·제도 이슈 분석 예시(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7 정책지원 과제 제안

주요 서비스에 대해 기술과 보급·확산 측면의 문제점 및 이슈를 도출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제시함

- 프로세스 상세: ① 법·제도 이슈 및 개선 방안 도출(예시)

단계 이슈 현황 및 문제점

1단계

공공기관의 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확산 방안 필요

• 모니터링 시스템이 없어 대부분 에너지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음

-현재 판매되고 있는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은 고가이기 때문에 지자체 예산으로도입하기 어려움

지자체 간 탄소배출권거래 제도미흡

• 지자체 내 지자체 간 탄소배출권 거래 미비로 인해 소규모 배출권 사업에 대한지자체의 관심 미흡

에너지공급업체 자료 인터페이스표준 미흡

• 에너지공급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에너지 사용량 및 과금정보를 S/W를 활용하여자동을 획득하기 어려움

- 가스(33개), 수도(200여 업체)의 경우 공급업체 시스템이 달라 업체별로 인터페이스개발이 필요

국책연구기관개발중인

기술활용 필요• 국책연구기관에서 개발중인 기술에 대한 상세한 정보 및 활용방안 미흡

지속적인 에너지 설비

도입 지원제도 미흡

• 지자체 예산만으로는 고가의 에너지 효율화 설비 도입이 어려움

- 현재는 정부에서 지자체 설비도입을 위한 자금 융자 지원만 제공

2단계 에너지 사용/관리기기 표준 미흡

• 모니터링을 위한 설비/기기간의 표준화 부족으로 설비/기기별로 제조업체에 따라모니터링 및 제어 인터페이스를 개발해야 함

-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 소요

3단계 에너지관리 교육 지원 체계 미흡• 에너지 관리 담당자만 법정교육 실시

- 일반 직원에 대한 교육과정은 미흡

177

(2) 법·제도 개선방안 도출 예시(기업유해물질 정보관리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7 정책지원 과제 제안

본 사업 추진을 통해 시장 형성, 안정적 사업운 ,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관련 법/제도의 개선 및 필요한 법률의제정에 대한 연구 추진

- 프로세스 상세: ① 법·제도 개선 방안 도출(예시)

법제도 연구

환경친화적 산업구조로의 전환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20조

u(산업환경정보망 구축 등의 대행기관) 수정 방안 연구

- IT와 S/W 분야에서의 KIPA 역할이 필요한 분야로 대행기관에 KIPA를 추가하도록 법률 변경

사회기반시설에대한민간투자법 제 2조

u사회기반시설 항목으로 IT/SW 환경 인프라 추가 정의 방안 연구

- 민간투자유치 촉진을 위한 대상사업으로 IT/SW 환경 인프라를 사회기반시설 항목으로 정의

IT서비스 기반 환경규제 공동대응 지원 법안 신설

u본 사업 관련 국제환경규제 대응 촉진을 위한 법안 신설 방안 연구

- 대 중소기업 환경규제 공동대응 협약에 관한 사항- 정보, 문서, 유통표준안에 대한 기준 정의- 환경규제 SW 및 IT 서비스 기반 환경인프라의 산업계 공동활용 촉진에 관한 사항- 환경규제 부문 IT 서비스 해외 수출 지원에 관한 사항

178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사업 전개에 필요한 기능을 분석하고 필요 기능을 수행할 협력 기관을 선정하여 운조직을 구성함

② 추진조직 구성 방안 도출 - (1) 조직 대안 분석 및 역할 정의

단계 7 정책지원 과제 제안

- 프로세스 상세: ② 추진조직 구성 방안 도출

정의사업 전개 및 운 에 필요한 기능 및 요소를 정의하고 해당 역할 수행에 부합하는 사업 참여자를 선정하여 사업추진 조직을 구성하는 활동임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사업 추진을 위한 필요 역할 요소 분석

–사업 단계별 사업 추진 전략에 고려사항을

–필요 역할 수행 역량을 갖춘 사업자와의 운 조직 구성 방안 도출

협력 대상 기관 선정

–필요 역할 분석을 토대로 공동 출자 대상 그룹과 전략적 사업 파트너 그룹을 구분하여 사업 참여 역량이 충분한 기관 선정

–협력 대상 기관은 정부 부문과 민간부문으로 나눠 구성하며 협력 방식과 참여 목적에 따라 다양한 운 조직구조를 구성함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사업 추진 필요 역할 분석, 협력 대상 기관 선정, 사업 추진 운 조직 구성 방안 도출

전문기관 • 사업 추진 필요 역할 분석 타당성 검토, 협력 대상 기관 선정 및 운 조직 구성 방법 제시

NIPA • 운 조직 구성시 정부 부문 사업 참여 지원 방안 제시

11

22

179

(1) 조직 대안 분석 및 역할 정의 활용 기법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7 정책지원 과제 제안

- 프로세스 상세: ② 추진조직 구성 방안 도출(활용 기법)

형태 개요역할부담

개발 소유 운 자금조달

위탁경 계약

(Contracting Outsourcing)

공공이 개발, 운 하는 시설 또는 시스템에서 운에 관련된 일부분을 민간에 위탁하는 형태

공공 공공공공

(일부민간)공공

DBO

(Design-Build-Operate)

민간에 설계, 개발, 운 모든 것을 위임하지만, 시설 또는 시스템의 소유, 자금조달은 공공이 담당하는 형태

민간 공공 민간 공공

PFI

(Private Financing Initiative)민간에 설계, 개발, 운 모든 것을 위임하는 형태 해당 없음

BTO

(Build-Transfer-Operate)

민간에 설계, 자금조달, 운 모든 것을 위임하지만 개발 완료 후에 시설 또는 시스템의 소유권을공공에 이전하는 형태

민간 공공 민간 공공

BOT

(Build-Operate-Transfer)

민간에 설계, 자금조달, 운 모든 것을 위임하지만, 사업기간 종료 후에 시설 또는 시스템의 소유권을 공공에 이전하는 형태

민간

민간

(사업기간종료 후 공

공)

민간 민간

BOO

(Build-Own-Operate)

민간에 설계, 자금조달, 운 모든 것을 위임하지만, 사업기간 종료 후에도 시설 또는 시스템의 소유권을 공공에 이전하지 않는 형태

민간 민간 민간 민간

180

B T O B T O (Build-Transfer-Operate) B T L B T L (Build-Transfer-Lease)

대상시설

최종사용자에게 사용료 부과로

투자비 회수가 가능한 시설

(독립채산형)

최종사용자에게 사용료 부과로

투자비 회수가 어려운 시설

(서비스 구매형)

투자비회수 최종 이용자의 사용료 정부의 시설임대료

사업리스크 민간이 통행량 등 수요위험 부담 민간의 수요 위험 배제

(1) 조직 대안 분석 및 역할 정의 활용 기법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7 정책지원 과제 제안

- 프로세스 상세: ② 추진조직 구성 방안 도출(활용 기법)

서비스제공

사용료 기부채납

사업권부여

국가, 지자체

민간사업자

(SPC)

사용자

기부채납

임대료지급

서비스제공

세금, 사용료

민간사업자

(SPC)

사용자 국가, 지자체

181

(1) 조직 대안 분석 및 역할 정의 활용 기법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7 정책지원 과제 제안

- 프로세스 상세: ② 추진조직 구성 방안 도출(활용 기법)

□ 원칙적으로 설계/자금조달/건설/운 등 모든 사업기능 담당

ㅇ 핵심적 운 (예: 학교시설의 교육)은 정부가 수행하고, 민간은 시설물

유지관리 등의 비핵심적인 운 담당

□ 민간사업자가 특수목적회사(SPC)를 설립하여 운

출자

시공

배당수익/대출원리금

출자/대출

출자

건설사(설계+시공)

SPC(건설사+운 전문사+금융기관) 재무

투자자

시설기부채납 +운 서비스제공

리스료+운 비용

운 전문사(시설보수, 운 )

운 전문사(시설유지보수 등)

건설사(설계+시공)

주무관청정 부

재무적투자자S P C

182

(1) 조직 대안 분석 및 역할 정의 예시(기업유해물질 정보관리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7 정책지원 과제 제안

운 조직은 사업발전 단계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하며 고객중심 조직, 핵심업무의 집중, 인력의 전문성 강화를주요 원칙으로 하여 구성함

- 프로세스 상세: ② 추진조직 구성 방안 도출(예시)

추진 조직 구성 원칙

① 사업 및 조직의 발전은 단계별 조직의 성숙도에따라 좌우 되므로 각 단계별 조직목표를 달성 할수 있도록 조직의 역량개발에 집중

② 초기 비즈니스 모델 구축과 성공적인 시장 완착에 중점을 두고 향후 조직의 전문성 강화와 고객확대에 중점을 둠

③ 협력네트워크를 통해 핵심역량에 집중하는 조직및 인력운 전략

④ 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유지보수는 초기 개발 업체를 중심으로 한 외주를 적극적으로 활용

조직구조

인력운

고객 중심의 업무 수행

핵심 업무에 집중 투자

인력의 전문성 강화

단계별 사업 특성에 맞는 조직 운

전략

마케팅

시스템 설계

및 운

서비스

•조직 방향 설정 및 전략기획, 의사결정 업무수행

•내 · 외부 협력네트워크 구축

•마케팅 전략 기획 및 실행, 홍보/프로모션 진행

•고객 관리 및 제휴관리

•시스템 설계 및 유지보수, 외주업체관리

• IT 서비스 제공

•컨텐츠서비스, BPO서비스 및 컨설팅서비스제공

핵심 기능의 역할

183

(1) 조직 대안 분석 및 역할 정의 예시(기업유해물질 정보관리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7 정책지원 과제 제안

기업 Pipeline구축을 위한 1차 사업은 사업운 주체의 정의를 통한 추진단 구성과 사업방향 수립이며, 이후 2차년도 사업에서는 본격적 사업추진을 위한 운 법인을 신설하여, 사업을 지속하도록 함

- 프로세스 상세: ② 추진조직 구성 방안 도출(예시)

사업운 추진단 구성

추진단 구성

사업운 법인 설립

1

2

• 사업운 법인(SPC) 설립 전, 사업의 안정적 진행을 위한 사

업운 추진단을 구성함

• 사업운 추진단은 이후 SPC설립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참여의사가 있는 이해관계자와 사업의 추진역량 및 권한이

있는 기관이 참여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함

• 1차년도 구성된 추진단을 중심으로, 본격적 사업추진을 위

한 사업운 법인을 설립함

• 사업운 법인은 사업운 방안 수립, 플랫폼 운 및 유지

보수, 기업유해물질 정보제공, 환경전략컨설팅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신규 서비스 추가 및 사업확장을 통해 사업의 지

속성을 확보하도록 함

세부 이행 내용

지식경제부

KIPA

사업운 추진단(TFT)

환경컨설팅업체 및 기관

시험분석기관

화학물질DB업체

시스템구축업체

유일대리인정보제공

업체

환경부

184

(1) 조직 대안 분석 및 역할 정의 예시(기업유해물질 정보관리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7 정책지원 과제 제안

이해관계자별 중 사업전개에 있어 핵심적 향을 미칠 수 있는 이해관계 그룹은 신설법인(SPC)의 공동출자 방식을 취하며, 고객서비스 제공 측면에서의 협력은 Licensing 또는 전략적 사업파트너로서 협력의 방법을 택함

- 프로세스 상세: ② 추진조직 구성 방안 도출(예시)

민간투자자

국제환경규제대응 종합 지원센터

정부

수요자(수출제조기업)

전략적제휴

• 시헙분석 : 화학시험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LG기술연구원

• 국내환경컨설팅 : 에코프론티어, 티오이십일, 에코시안

• 다국적 컨설팅 및 시헙분석 : RCC ltd• 물질db업체 : 인포넷그룹

서비스의 흐름돈의 흐름

환경컨설팅 기관

시험분석 기관

글로벌컨설팅 기관

운수익

출자

투자인프라 조성

기부체납운 수익

사용료

규제대응지원서비스

서비스fee

전문서비스

IT 서비스 기업

산업별 협의회

• 삼성SDS

• 전경련, 전자산업환경협회, 조선업협회, 반도체산업협회

• 석유화학공업협회, 정보통신산업협회등

환경서비스 기관

• KIPA• REACH 기업지원센터• 화학시험연구원

185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사업활성화를 위해 정부차원에서 지원해야 할 개선 과제를 도출하는 활동임

③ 기타 정부지원 필요사항 도출 - (1) 정부지원 과제 정의

단계 7 정책지원 과제 제안

- 프로세스 상세: ③ 기타 정부지원 필요사항 도출

정의본 사업 구현을 위해 이해관계자 조정, 기술 및 자금 조달 방안, 법·제도 개선방안 등 정부차원에서의 해결해야할 필요 사업 과제 도출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정부지원 필요사항 도출

–「이해관계자 조정방안」, 「기술 조달 방안」, 「시장성 및 수익성 분석」 등 선행 단계 타당성 분석에서 정부지원으로 해결 가능한 역을 구분하여 분석함

–정부지원 방안 필요성을 분석하고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정책 과제 추가 및 변경 등의 개선 방안을도출함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정부지원 필요 과제 도출

전문기관 • 정부지원 필요 과제 도출 코칭 및 도출된 개선방안 검토

NIPA • 현행 정부 정책 자료 획득 지원, 도출된 정책 개선안 시행 지원

11

186

(1) 정부지원 과제 정의 예시(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7 정책지원 과제 제안

- 프로세스 상세: ③ 기타 정부지원 필요사항 도출(예시)

과제지원공공기관의 에너지 모니터링

서비스 의무화 및 도입 자금 지원개선항목 구분 근거법 마련

현황 및 문제점

• 모니터링 시스템이 없어 대부분 에너지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음

- 현재 에너지를 얼마나 쓰고 있는지 데이터를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이 전혀 없음- 현재 판매되고 있는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은 고가이기 때문에 지자체 예산으로 도입하기 어려움

• 공공기관의 에너지 절약 방안을 가장 세부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공공기관 에너지이용합리화 추진지침’에서 조차 에너지모니터링 또는 에너지관리 시스템에 대한 언급이 없음

-다만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정부안) 55조 5항에서 ‘정부는 신축되거나 개축되는 건축물에 대해서는 전력소비량 등 에너지의 소비량을 조절·절약 할 수 있는 지능형 계량기를 부착·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

개선안

• 공공기관 에너지이용합리화 추진지침 제4장 추진 내용 제2절 건물부문에 공공기관의 에너지 모니터링 서비스 의무화 조항추가

- 에너지모니터링 결과를 투자의사결정 및 성과배분에 활용하는 방안을 공공기관 ESCO 추진절차 및 적용기준에 반- 에너지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에너지진단을 수행하는 방안을 공공기관 에너지 진단 절차에 정의

사례• 일본 경제산업성 BEMS 도입지원 정책

- 공공기관의 BEMS 도입 시 보조금 지원(도입비용의 1/3)

시급성 높음(1년내)

기대효과 • 공공기관 의무화 도입 시 연간 약 100억 정도의 이익 발생

187

Ⅲ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1. 추진배경 및 목적 정의

2. 비즈니스모델 수립

3. 이해관계자 분석

4.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5. 기술 분석

6. 재무 분석

7. 정책 지원 과제 제안

8. 실행 계획 수립

8.1 장단기 추진 계획 수립

8.2 상세 추진 일정 계획 수립

9. 기대 효과

188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사업 추진을 위한 장단기적 실행 과제 및 일정을 수립하는 단계임

• 체계적인 사업 추진을 사업 기반 구축부터 서비스 활성화까지 장단기적으로 단계별로 구축되어야 할

필수 활동 내역과 시점을 파악할 수 있음목적

단계 요약• 선행 단계에서 검토된 사업의 핵심 단계 요소(서비스 Blue Print, 시스템 구축, 운 조직 설립, 홍보 및

마케팅 등)와 달성 가능한 일정을 구체적으로 수립하는 단계임

방법• 사업 추진 단계별 활동 요소 분석: 서비스 Blue Print, 시스템 구축, 운 조직 설립, 홍보 및 마케팅 등 사업

활성화를 위한 핵심 활동 도출

• 인프라 및 시스템 구축 소요 기간 분석: 단계별로 도출된 핵심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기반 구축에 소요되

는 적정 시간을 조사

• 사업 추진 일정 Mapping: 수행 활동별 소요기간과 활동 내역간 선후 관계를 고려하여 일정을 도식화함

산출물• 사업 추진 로드맵: 장기적 차원에서 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수행 활동 내역과 소요기간을 시간적

흐름에 따라 체계적으로 정리한 일정표

• 상세 추진 일정 계획표: 단기적으로 수행해야 할 활동 내역을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리한 계획표

단계 8 실행계획 수립

- 개요

189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전반적인 사업 추진 로드맵을 수립하고 서비스 설계 및 기술 개발과 같은 세부 추진활동 일정을 도출함

단계 8 실행계획 수립

- 수행절차

(1) 사업 추진 로드맵 수립– 단계별 이행 활동을 시스템 구축과 운

기반 요소를 정리함

– 정리된 요소들의 구축에 필요한

소요시간을 추정하여 장기적인 일정을

수립

(1) 서비스 설계/기술개발 계획 수립– 장단기 추진 계획 수립 단계에서 단기 추진

활동내역의 구체적으로 상세 분석

세부 활동

목적

• 전체 사업 추진 활동을 일정에 따라일목요연하게 정리

데이터Source

• 사업 추진에 필요한 구체적인 세부 일정파악

• 단계별 사업 추진 필요 활동 내역 연구 자료

• 인프라 및 시스템 구축 자료(인터넷, 인터뷰 등)

장단기 추진 계획수립

상세 추진 일정계획 수립

2211

190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사업 추진을 준비하기 위한 전반적인 일정을 수립하는 활동임

① 장단기 추진 계획 수립 - (1) 사업 추진 로드맵 수립

단계 8 실행계획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① 장단기 추진 계획 수립

정의 사업 추진을 준비하기 위한 전반적인 일정을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수립하는 활동임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단계별 활동 내역 도출

–해당 사업의 사업화를 위해 필요한 준비 활동을 분석하고 활동간에 연계성을 고려하여 구축과 운 활동으로구분함

소요기간 추정

–구축 활동과 운 활동의 소요 기간을 조사하여 활동별 완료 기간을 추정함

추진 일정 Mapping

–활동의 특성과 소요기간을 고려하여 사업 준비 목표 기간내에 완료 가능한 일정을 도출함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사업 추진 활동 내역 및 소요기간 도출, 사업 추진 일정 Mapping

전문기관 • 사업 추진 일정 검토 및 코칭

NIPA • 정부지원 과제 관련 추진 일정 검토

11

22

33

191

분석 내용 사업 추진 단계별 수행 과제와 일정을 장·단기적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작성함

템플릿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단계 과제일정

시스템 설계 및플랫폼 구축

사업 추진 조직 구성

시스템 개발 및 구축

시스템 테스트

사업 홍보 및 마케팅

기타

사업 추진 단계별 수행 과제와 일정을 장·단기적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작성함

(1) 사업 추진 로드맵 수립

단계 8 실행계획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① 장단기 추진 계획 수립(템플릿)

192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사전 준비 활동이 다양하거나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수행활동은 단기적으로 세부추진 활동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일정을 수립함

② 상세 추진 일정 계획 수립 - (1) 서비스 설계/기술 개발 계획 수립

단계 8 실행계획 수립

- 프로세스 상세: ② 상세 추진 일정 계획 수립

정의사업 추진 수행 활동 중 서비스 및 기술 설계/개발 등 상세 필요 활동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활동에대해 구체적인 활동 내역과 소요 기간을 분석하여 일정을 수립함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상세 추진 일정 분석 활동 분석

–서비스 및 기술 설계/개발 등 사전 준비 활동이 다양하거나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활동의 경우단기적으로 세부 추진 활동을 구분하여 구체적인 일정을 구성함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서비스 설계/기술 개발 계획 등 상세 활동 추진 일정 수립

전문기관 • 서비스 설계/기술 개발 계획 등 상세 활동 추진 일정 검토 및 코칭

NIPA • N/A

11

193

(1) 서비스 설계/기술 개발 계획 수립 예시(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8 실행계획 수립

2010년 말까지 사업 준비 완료를 목표로 1년 5개월 간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추진함

- 프로세스 상세: ① 장단기 추진 계획 수립(예시)

단계

수행계획

차세대 자동차 정비서비스 로드맵

2009년 2010년산출물

8 9 10 11 1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 사업모델 확정 사업모델보고서

2 지적재산권 출원 특허출원서

3SPC 설립및 운

사업설명회사업설명회자료(투자기준,기타)

MOU 사업양해각서

법인설립법인설립정관사업자등록증외

4시스템 개발

및 구축

Saas 플랫폼개발Saas 플랫품개발기술서, 소프트웨어,

지식DB 개발 E-Learning 기술서

자동차메뉴얼 DB자동차정비기술서, 소프트웨어

고장정보진단 DB ECU 분석설계서고장진단처리소프웨어설계서

BM사업 정

BM BM 출원

개 투

사업

타 투

MOU 체결

조 식

Portal 축 Saas MIS

플랫폼 개 검

Saas CRM

E-Learning 개

플랫폼 개 검

기존자동차 매뉴얼 DB 신차메뉴얼 정보DB

정비DB 검

차정보

정보 DB 보 검

ECU 고 단 계 개 단처 SW

ECU 검 ECU SW검 보

194

Ⅲ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1. 추진배경 및 목적 정의

2. 비즈니스모델 수립

3. 이해관계자 분석

4. 확장 비즈니스모델 수립

5. 기술 분석

6. 재무 분석

7. 정책 지원 과제 제안

8. 실행 계획 수립

9. 기대 효과

9.1 산업·경제적 편익 분석

9.2 국가·사회적 편익 분석

195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사업 추진에 따른 경제적·사회적·국가적 차원의 편익 효과를 정량적 혹은 정성적으로분석하는 활동임

• 경제·사회·국가 등 거시적 차원에서 해당 사업의 파급효과를 파악함

• 해당 사업의 편익 효과를 추정하여 사업 추진 필요성을 확고히 함목적

단계 요약• 본 사업을 통해 발생할 신규 시장 창출 및 산업 육성을 포함하여 범 국가적 편익 효과를 추정하는

단계임

방법• 경제적 효과 분석: 해당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신규로 창출될 시장 규모와 산업 측면의 생산·가격·프로세스

혁신과 고용 인력 창출 등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추정하여 분석함

• 국가·사회적 효과 분석: 환경, 사회 안정, 국민 삶의 질 등 정부 및 국민 삶의 긍정적 변화를 정량적·정성적

으로 평가하여 분석함

산출물

• 편익 분석서: 거시적 차원에서 산업·경제·국가적으로 발생될 효과를 정략적 혹은 정성적으로 추정하여 작

성한 기술서

단계 9 기대효과

- 개요

196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신규 시장 창출 및 육성 효과 등의 산업·경제적 분석과 정부 및 국민 편익을 분석하여해당 사업 추진을 통한 기대 효과를 도출함

단계 9 기대효과

- 수행절차

(1) 신규 시장 창출 및 산업 육성 효과 분석– 해당 사업 추진에 따라 형성되는 신규

시장 창출 규모나 예상 매출액, 관련

산업의 생산·가격·프로세스 혁신, 유사

산업 성장 규모, 고용 창출 인력 등을

분석함

(1) 정부 및 국민 편익 분석– 해당 사업 추진에 의해 파생되는 환경, 국민 삶의

질 향상 등 공공의 이익을 분석함

세부 활동

목적

• 본 사업의 경제 성장 기여도를 파악함

데이터Source

• 본 사업의 정부 및 국민 편익에 기여정도를 추정함

• 산업 시장규모 분석 마켓 리서치(인터넷 조사, 설문, 인터뷰 등)

• 국·내외 전문기관 발표 자료(인터넷 검색, 기존 문헌 조사)

산업·경제적편익 분석

국가·사회적편익 분석

2211

197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신규 시장 창출 및 산업 육성 등 산업·경제에 미치는 편익을 정량적·정성적으로 분석하는활동임

① 산업·경제적 편익 분석 - (1) 신규 시장 창출 및 산업육성 효과 분석

단계 9 기대효과

- 프로세스 상세: ① 산업·경제적 편익 분석

정의본 사업 추진으로 인해 신규 시장 창출 및 산업 육성 등 산업·경제에 미치는 편익을 정량적·정성적으로 분석하는활동임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신규 시장 창출 및 산업육성 효과 분석

–본 사업을 통해 성장 가능한 시장 규모와 범위를 추정하고 사업 참여 기업의 생산·가격·프로세스 혁신 측면을분석함

–관련 산업뿐만 아니라 유사 산업에 파생되는 경제적 효과(시장 규모, 예상 매출액 등)를 추정하여 경제활성화및 산업 경쟁력 기여 정도를 분석함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해당 사업 추진에 따른 신규 시장 규모 및 산업 육성 정도를 추정

전문기관 • 해당 사업 추진에 따른 신규 시장 규모 및 산업 육성 정도를 추정 방법 제시 및 분석 타당성 검토

NIPA • 산업·경제적 편익 분석 의견 제시

11

198

분석 내용 신시장 창출, 산업 육성 및 경쟁력 강화, 경제적 유발 효과 등을 분석하여 정량적·정성적 효과를 도출함

템플릿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구분 편익 정량적 효과 정성적 효과

신시장 창출

신규 융합 서비스 시장 창출

IT 및 SW시장 창출

기타 신시장 창출

글로벌 시장 창출

산업 육성 및경쟁력 강화

IT 및 SW산업

기존 산업

기타

경제적 유발 효과

생산 유발

고용 유발

부가가치 유발

산업, 경제적 차원에서의 편익을 정량적·정성적으로 분석함

① 산업·경제적 편익 분석

단계 9 기대효과

- 프로세스 상세: ① 산업·경제적 편익 분석(템플릿)

199

(1) 신규 시장 창출 및 산업육성 효과 분석 예시(기업유해물질 정보관리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9 기대효과

1, 2차 거시적 시장 추정과 미시적 시장 추정에 따른 본 사업의 시장규모는 923억 원 ~ 2,140억 원의 범위 내에존재하며, REACH 대응, 국제환경규제 대응, 그리고 해외시장 확대 등을 통해 점진적으로 시장규모 확대가가능할 것임

- 프로세스 상세: ① 산업·경제적 편익 분석(예시)

거시 추정에 의한시장규모

미시 추정에 의한시장규모

• 본 사업의 계획에 따라 추정된서비스가격과 목표고객을 통한시장추정

• 제조기업의 IT투지비율에 따른시장추정

• 유사IT시장의 규모 비교를 통한시장추정

2,140억원

923억원

1,904억원

~

기간

시장범위및규모

REACH 대응IT시장

연간 800억신규시장

국제환경규제대응 IT시장

기존800억+1,100억확대시장

해외확장IT시장

기존1,900억+

300억 확대시장+

해외신규시장α

사업1~2단계 사업3단계

• 핵심고객 및 주요고객대기업52개, 중소기업6,000개 대상

• 시장 점유율60~70%• 협력업체 및 업종간

확대 필요

• 유럽에 이어, 아시아, 북미등에 대한 규제 대응 확대

• 기존 시장에서의 10인 미만중소기업 고객화 필요

• 유럽 외 지역 수출기업 고객화를 통한 확장

• 10인 미만 중소기업및 전체 제조기업에대한 고객화 확대

• 국내 성공사례를 바탕으로 한 해외 대기업으로 고객 확대

• 해외진출 여건(법제도 정비, 해외 패키지화 등) 마련 필요

사업단계별 시장규모 및 시장확대 고려요소

200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국민의 삶 제고와 국가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정량적·정성적 편익을 분석하는 활동임

② 국가·사회적 편익 분석 - (1) 정부 및 국민 편익 분석

단계 9 기대효과

- 프로세스 상세: ② 국가·사회적 편익 분석

정의본 사업 추진으로 인해 거시적 측면에서 국민의 삶 제고와 국가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정량적·정성적 편익을분석하는 활동임

세부활동 및수행방법

정부 및 국민 편익 분석

–본 사업을 통해 국민 삶의 질 제고, 의식 변화와 국가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재정절감, 공공서비스 수준 제고, 행정 효율성 증대 등의 효과를 정량적·정성적으로 분석함

수행기관및 역할

사업참여기업

• 정부 및 국민 편익 분석

전문기관 • 정부 및 국민 편익 분석 방법 제시 및 타당성 검토

NIPA • 정부 편익 분석 검토 및 의견 제시

11

201

분석 내용재정 절감, 공공서비스 수준 제공, 행정효율화, 생산성 증대와 같은 정부 차원의 편익과 국민 삶 및 의식 변화를제고할 수 있는 사회적 편익을 분석하여 정량적·정성적인 효과를 도출함

템플릿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

구분 편익 정량적 효과 정성적 효과

정부

재정절감

공공서비스 수준 제고

행정 효율성, 생산성 증대

기타

국민

삶의 질 제고

의식 변화

비용 절감

기타

정부, 국민 차원에서의 편익을 정량적·정성적으로 분석함

② 국가·사회적 편익 분석

단계 9 기대효과

- 프로세스 상세: ② 국가·사회적 편익 분석(템플릿)

202

(1) 정부 및 국민 편익 분석 예시(자동차 정비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9 기대효과

효율적인 자동차 관리, 정비의 접근성, 교통사고 감소, 보험료 인하 등의 국민 편익의 증진의 효과가 있음

- 프로세스 상세: ② 국가·사회적 편익 분석(예시)

o 국민 편익 증진

- 자동차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관리

- 진단·정비 서비스의 온라인화로 정비결과의 접근성 증가

- 예방정비로 인한 교통사고 감소

- 보험료 인하 효과

사회적 후생

• 운전자의 편리성 및 이익 증대

- 진단 및 운행 정보를 통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자동차 관리가 가능 à 유류비 절감, 내구성 증가

- 진단 및 정비 정보를 온라인으로 조회할 수 있어

정비 결과에 대한 접근성 증가

- 예방정비로 안전성이 확보되고 운행정보에 따른

운전자 안전운전으로 교통사고 감소 효과

- 체계적이고 투명한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보험료

인하 요인 가능

민 편

진단·운행 정보효율적 관리

온라인 접근 가능

교통사고안정성 확보

보험료 인하 요인

운전자 편리성 및 이익 증대

Car-Check

경제 전 과- 비 15~20% 절감 과

( 전 월 3~4만원 절감 : 20만원 )

보험료 하 과- 정 검

(블랙 경 3% 하 + α)

203

(1) 정부 및 국민 편익 분석 예시(에너지모니터링 서비스 사업모델)

Ⅲ. 단계별 세부 활동 수행가이드단계 9 기대효과

청사에너지관리서비스를 통하여 에너지문제개선, 환경오염감소 및 탄소절감, 에너지절약의식 제고의 효과가나타남

- 프로세스 상세: ② 국가·사회적 편익 분석(예시)

효과

에너지 문제 개선

환경오염감소 및탄소절감

• 모니터링 및 제어 서비스를 통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사용을 억제하여 에

너지 이용의 효율화 증대

• 전력사용이 많은 시간대에 냉방이나 조명시설 등 전력기기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전력수요를 분산 가능

• 에너지관리설비 구축 후 심야에 저가로 전력을 충전하고 요금이 비싼

시간대에 활용을 통한 에너지이용합리화 가능

• 에너지서비스사업을 통한 에너지절감 및 효율화로 화석연료 사용이 감소하여 환경오염이 낮아지고 절감된 화석연료만큼 탄소절감 효과가 발생하여 저탄소사회를 구현

정성적 평가 정량적 평가

2,893,300 TOE 절감 가능

(10% 절감시)

• 2008년 에너지(전력, 가스)소비량

가정/상업: 26,595,000 TOE

공공•기타부문: 2,338,000 TOE

합: 28,933,000 TOE

36,979천톤 CO2 절감 가능

(10% 에너지 절감시)

• 2008년 에너지(전력, 가스)소비량

28,933,000 TOE = 36,979천톤 CO2

에너지절약의식 제고

• 지자체청사가 에너지절약 선도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지자체내 민간부문이 자연스럽게 에너지절약에 동참

• 실시간 에너지사용 모니터링, 설비, 교육을 통하여 수요자의 적극적 참여 유도하고 효율적 에너지사용을 통하여 그린생활화가 가능

• 전력소비자가 실시간 전기요금 정보에 반응하여 경제적인 전력 소비 가

능 (전기요금 10~15% 절약)

-

204

ⅣⅣ 활용 및 확대발전 방안 수립

1.표준가이드 의미 및 기대 효과

2.가이드 활용 방안

3.가이드 한계점 및 발전 방안

205

Ⅳ. 활용 및 확대발전 방안 수립

국내 최초로 산업 및 국가 차원의 융합 공공서비스모텔 개발을 위한 실무 지침을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융합서비스모델 개발 확산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

1.표준가이드 의미 및 기대 효과

가이드 필요성

국내 최초로 산업 및 국가 차원의융합서비스모델 구체화 및 구현 계획을 위한

실행 지침 개발

국내 최초로 산업 및 국가 차원의융합서비스모델 구체화 및 구현 계획을 위한

실행 지침 개발

국·내외 관련연구 및 이론

분석

국·내외 관련연구 및 이론

분석

2008-2009 융합서비스

사업모델 개발프로젝트 수행

사례 분석

2008-2009 융합서비스

사업모델 개발프로젝트 수행

사례 분석

단계별 구체적인수행 방법 및템플릿 제공

단계별 구체적인수행 방법 및템플릿 제공

기대 효과

융합서비스 사업모델 의미 및 개발 과정에 대한이해도 제고

-정부기관 및 IT 업체, 타 산업체

11

융합서비스 사업모델 구체화 및 구현 계획작업의 품질 및 생산성 향상

-참여자 및 이해관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효율증대

-다양한 융합서비스 사업모델 개발 촉진

22

국내 고유의 융합서비스 사업모델 개발 방법론수립 기반 조성

-관련 연구와 실제 융합서비스 사업모델 개발사례를 지속적으로 반 하여 적용 효과가 높은방법론 개발

33

206

Ⅳ. 활용 및 확대발전 방안 수립

NIPA의 융합서비스 사업모델 개발 사업에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체 교육,전문가 육성용 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음

2. 활용 방안

활용 방안

NIPA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사업

융합 서비스모델개발 교육

융합 서비스모델구체화 및 구현시스템 개발

융합 서비스모델개발 전문가 육성

• 사업참여 업체 사전 교육

• 사업모델 개발 진행 상황 점검 및 지원

• 산출물 품질 검토

•융합서비스 사업모델 개발 프로세스 교육

•융합서비스 사업모델 개발 실습 워크샵

•융합서비스 사업모델 개발 실무 코칭

•온라인으로 단계별 가이드 제공 서비스

•융합서비스 사업모델 개발 관련 지식 및산출물 공유 지원

•대학/대학원의 융합서비스 사업모델 전문과정에 활용

•융합서비스 사업모델 전문가 자격증 제도연계 검토

표준가이드의다목적활용

NIPA 융합서비스모델개발 사업에

활용

기업체 대상융합 서비스모델 개발교육 과정

제공

융합서비스모델구체화 및

구현 시스템개발

융합서비스모델개발 전문가

육성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확산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확산

207

Ⅳ. 활용 및 확대발전 방안 수립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사업제안요청 단계부터 최종 산출물 검토 단계까지 표준가이드를활용하여 산출물의 품질 제고 및 효율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지원 할 수 있음

표준가이드를 활용한 방식(To-Be)

•제안 희망 업체들에 대한 사전 표준가이드교육

•표준가이드 프로세스별 수행 계획을제안서에 제출 요망

•표준가이드 프로세스에 따른 업체별구체적인 수행 계획을 심사에 최대한 반

•프로젝트 참여 전에 표준가이드 실습 교육실시

•표준가이드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표준가이드에 따른 산출물 검토 실시

- 참여업체 자체 검토 및 전문가 검토

2. 활용 방안- NIPA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사업

현행 수행 방식(As-Is)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사업에 대한 참여업체들의 이해도가 낮음

•명확한 기준이 없어 구체적인 F/S 수행계획을 평가하기 어려움

•참여 업체별 적용 방법론 및 이해도에차이가 있어 커뮤니케이션이 어려움

•참여 업체들이 F/S 수행방법을 숙지하는데많은 시간이 소요됨

•참여 업체별로 산출물에 대한 품질 차이가큼

•산출물 품질 검토를 위한 구체적인 기준미흡

단계

사업 제안 요청

제안심사 및 선정

서비스모델 구체화 및구현계획 수행

산출물 검토

208

Ⅳ. 활용 및 확대발전 방안 수립

융합서비스모델 구체화 및 구현 계획 수립 관련 가이드 소개에서 실습, 현장적용까지단계별로 교육 및 코칭 서비스를 제공

과정 목표 및 내용, 방법

2. 활용 방안- 기업체 대상 융합서비스 사업모델 개발 교육

대상교육과정 기간 및 비용

•융합 서비스모델 구체화 및 구현 계획 수립방법 이해

•표준가이드, 관련 이론 강의 및 Q&A

•융합 서비모델 개발에관심이 많은 IT 업체 및산업체

융합 서비스모델 구체화및 구현 계획 수립

방법론 개요

•1일(8시간)

•무료

•교육 과정을 통해 융합서비스 사업모델개발 기법을 실습하여 습득할 수 있도록 함

•다양한 산업체 직원들이 참여하여 과정 중융합서비스 사업 아이템 발굴

- 가이드 템플릿 및 신사업 아이디어 촉진카드 등 다양한 실습 교재 활용

• IT와 타산업 참여자로 구성된 워크샵

•방법론 개요 교육 이수자

•실무에 표준가이드를적용하고자 하는 기업

융합 서비스모델 구체화및 구현 계획 수립 실습(융합서비스 사업모델

Boot Camp)

•3일(24시간)

•중·소기업은 무료, 대기업은 유료를원칙으로 함

•프로젝트 참여 전에 표준가이드 실습 교육실시

•표준가이드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실제 융합 서비스모델을개발하는 기업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코칭

•기업당 총 10일내·외

•중·소기업은 무료, 대기업은 유료를원칙으로 함

209

Ⅳ. 활용 및 확대발전 방안 수립

표준가이드 콘텐츠를 활용하여 온라인에서 F/S단계별로 맞춤형 가이드를 제공해 주고,Project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가능

2. 활용 방안- 융합서비스 사업모델 F/S 시스템 개발

온라인 시스템 구성 (참고)유사 S/W 사례-Business Feasibility Analysis Pro

•미국의 Paloalto사에서 개발한 Feasibility에 필요한 Template을Wizard 방식으로 Guide해 주는 S/W

•PC에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함

융합서비스 사업모델 F/S 시스템

단계별맞춤형

가이드 제공기능

프로젝트관리 기능

커뮤니티기능

가이드콘텐츠 DB

산출물 DB

공유자료지식

NIPA 담당자

사용자

210

Ⅳ. 활용 및 확대발전 방안 수립

현재 가이드는 기존 이론 및 실무 사례를 편집하여 체계화 한 수준이기 때문에 검증된융합서비스 사업모델 개발 방법론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업그레이드 및버전 관리 프로세스 정립이 필요함

3. 가이드 한계점 및 발전 방안

가이드 한계점 가이드 발전 방안

보다 체계적이고 고도화된 융합서비스모델 개발 방법론반 필요

-학술적인 차원에서 추가 연구 필요

11

검증된 융합서비스 사업모델 개발 기법 제시 필요

-현재 가이드는 관련 이론 및 실무 사례를 종합적으로편집한 차원임

-지속적으로 가이드 적용을 해보면서 최적의 개발 기법 도출필요

22

융합 패턴 및 성격, 규모에 따른 맞춤형 가이드 필요

-산업 특성, 이해관계자, 참여 기업/기관 규모, 프로젝트기간 등 프로젝트 여건에 적합한 가이드 필요

33

•가이드 업그레이드 및 버전관리 프로세스를 정의하여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가이드가 발전되어갈 수있도록 함

신규융합서비스사업모델개발 연구

결과 및 이론

가이드 적용결과 문제점및 개선점

관련 전문가의견

개선 필요성 및 개선 방안 검토

방법론 심의 위원회

표준가이드 변경 및 버전 관리

NIPA

신규 가이드 배포 및 적용

NIPA

211

• 권혁인. 2009, “융합 서비스모델 기업실무자 워크샵”, 중앙대학교

• 김광재 외7. 2006, 고객중심의 컨버전스 서비스 컨셉 개발: 절차 체계 및 통신 컨버전스 서비스 사례 연구

• 김용진. 2009, 서비스 시스템 혁신: 이론적 고찰과 혁신을 위한 분석 프레임워크, 워크샵 자료

• 서용원. 2009, 고객경험 컨텍스트 기반의 제품 서비스화 프레임워크, 세미나 자료

• 성지은. 2009, 정책통합의 의의와 과학기술혁신정책 통합을 위한 과제

• 안지항 외. 2003, 비즈니스 모델 분석 프레임 워크의 개발과 적용, Information System Review, 5(1): 19-32

• 이동현. 2007, 비즈니스 모델의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경 학회」, 12(1): 119-148

• 이석규. 2009, 고객중심의 신상품 기획 및 마케팅조사, 워크샵 자료

• 한현수. 2009, IT기반 비즈니스 모델의 가치 창출 요소, 세미나 자료

• Afuah, A. & C. L. Tucci, 2001, Internet business madel and strategies, McGraw Hill

• Alex Osterwalder, http://business-model-design.blogspot.com

• Amit, R. & Schoemaker, P.J.H. 2001, "Strategic Assets and Organizational Rent",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6): 493-520

• Amit, R. & Zott, C. 2001, “Value Creation in E-Busines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2(6): 93-520

• Beamon, B.M. 1998, Supply Chain design and analysis Model and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 55: 281-294

• E. Manzini, L. Collins and Evans, 2004, Solution Oriented Partnership

• Fitzsimons, J. A. and Fitzsimmons, M. J. 2004, Service Management: Operation, Strategy, and information technology, 4th Ed, NY: McGrawHill

• Freeman, R. Edward. 1984, Strategic Management: A Stakeholder approach, Advances in Strategic Management, JAI Press Inc.

• Gronroos, C. 1992, An applied service marketing theory,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16(7)

• Hamel, G. 2000, Leading the Revoluti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oston

• Handfield, R. B. and Nicoles, E. N. 1999, Introduction to Supply Chain Management, Prentice Hall

• Magretta, J. 2002, "Why Business Modles Matter", Harvard Business Review, 8(5): 3-8

• Meijers and Stead(2004), Policy Integration: What Does It Mean and How Can It Be Achieved?: A Multi-discilinary Review

[첨부] 참고 문헌

212

• Osterwalder, et al. 2005

• Peters. 1998, Managing horizontal government: The politics of coordination

• Quinn, J. B. 1992, Intelligent Enterprise, Free Press, NY

• Rappa, M. 2000, "Managing the Digital Enterprise-Business models on the Web",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http://digitalemterprise.org/models/models.html.

• Shafer, et al. 2005, The Power of Business Models, Business Horizons, 48(3): 199-700

• Timmers, P. 1998, "Business Model for Electronic Markets", Journal on Electronic Markets, 8(2): 3-8

• Zeithaml, V and Bitner, M. j. 1996, Service Marketing, McGraw Hill, New York, NY

[첨부]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