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음운론 -...

24
한국어음운론 [제14주] 훈민정음과 국어 음운론 당시 음성 언어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을 통해 만들어낸 훈 민정음. 여기에 반영된 국어의 음운론적 사실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자. 2010년 1학기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Transcript of 한국어음운론 -...

  • 한국어음운론

    [제14주] 훈민정음과 국어 음운론 당시 음성 언어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을 통해 만들어낸 훈민정음. 여기에 반영된 국어의 음운론적 사실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자.

    2010년 1학기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 28개의 자음과 모음으로 세계를 놀라게 한 나라

    우리 민족의 저력을 믿습니다

    2005. 11. 15. ‘삼성전자’ 광고

    역사학자 영국의 존 맨은 한글을 가리켜‘모든 언어가 꿈꾸는 최고의 알파벳’이라고 했습니다. 옥스포드 대학에서 세계의 모든 문자에 순위를 매긴 결과에서는 한글이 1위를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문자를 만들어 낸 창의력이 우리 민족에게는 있습니다. 우리는 이 창의력으로 CDMA를 상용화하고, 세계에서 가장 저장용량이 큰 메모리반도체를 개발해 내고, 육상에서 배를 건조시키는 방법을 세계최초로 만들어 내기도 했습니다. 21세기의 경쟁력은 창의력에서 나온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경쟁력은 더 커질 것입니다. 우리는 누구보다 뛰어난 창의력을 가진 민족이기에…

  • ‘훈민정음’의 두 가지 의미

    새로운 문자 체계

    신문자(新文字)의 해설서

  • 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와 배경

    창제의 표면적 동기

    불편한 백성들의 문자 생활을 위해 우리만의 고유문자에 대한 필요성

    창제의 이면적 동기

    한자음을 정리하기 위한 발음기호의 필요성

    창제의 배경

    - 중국의 성운학(聲韻學)과 송학(宋學)

    - 주변 민족들의 문자 제작

    : 西藏文字, 契丹文字, 女眞文字, 蒙古畏兀字, 八思巴文字

    - 한자 차자표기의 불편 등

  • 훈민정음의 특징

    기본 자모 28개의 음소문자

    독특한 제자 원리와 운영 원리 ▪ 발음 기관 상형, 음절적 운영

    창제 시기(1443년)와 창제자가 분명한 문자

  • 훈민정음의 자모(1)

    한글 자모(24개)의 순서와 이름 ▪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ㅇ(이응)

    ㅈ(지읒) ㅊ(치읓) ㅋ(키읔) ㅌ(티읕)

    ㅍ(피읖) ㅎ(히읗) ※ ᅙ ㆁ ㅿ

    ▪ ㅏ(아) ㅑ(야) ㅓ(어) ㅕ(여) ㅗ(오) ㅛ(요)

    ㅜ(우) ㅠ(유) ㅡ(으) ㅣ(이) ※ ᆞ

  • 훈민정음의 자모(2)

    자모 배열 순서의 역사

    (1) 解例本 『訓民正音』(1446)의 배열 순서

    ㄱ ㅋ ㆁ ㄷ ㅌ ㄴ ㅂ ㅍ ㅁ ㅈ ㅊ ㅅ ᅙ ㅎ ㅇ ㄹ ㅿ

    ᆞ ㅡ ㅣ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 (글자 수: 28)

    (2)『訓蒙字會』(1527) 범례 ‘諺文字母’의 배열 순서

    初聲終聲通用八字: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

    初聲獨用八字: ㅋ ㅌ ㅍ ㅈ ㅊ ㅿ ㅇ ㅎ

    中聲獨用十一字: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ᆞ

    (글자 수: 27) ※俗所謂反切二十七字

  • 훈민정음의 제자원리(1): 자음

    발음기관 상형

    ㄱ ㄴ ㅁ ㅅ ㅇ

    가획의 원리

    ㄷ ㅂ ㅈ ᅙ

    ㅋ ㅌ ㅍ ㅊ ㅎ

    이체자

    ㄹ ㅿ ㆁ

  • 훈민정음의 제자원리(2): 모음

    삼재(三才)의 상형

    ᆞ 천(天)

    ㅡ 지(地)

    ㅣ 인(人)

    초출자(初出字)

    ㅗ ㅜ ㅏ ㅓ

    재출자(再出字)

    ㅛ ㅠ ㅑ ㅕ

  • 훈민정음의 운영원리

    음절적 운영 중성(V): 아, 이, 여, 유

    초성+중성(CV): 가, 디, 려, 쥬

    초성+중성+종성(CVC): 간, 딤, 령, 쥴

    초성+중성+종성+종성(CVCC): 값, 삶, 핥-

  • 解例本 『訓民正音』(1)

    신문자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제자방법, 그 용례까지 상세히 설명. 세종 28년(1446년) 간행. 33장 1책의 목판본.

    출처: 문화재청 공개자료

  • 解例本 『訓民正音』(2)

    책의 구성

    어제서문, 예의,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 정인지 후서

    출처: 문화재청 공개자료

  • 解例本 『訓民正音』(3)

    1940년에 경북 안동에서 발견되어 세상에 공개

    국보 제70호로 현재 간송(澗松)미술관에 소장

    1998년에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록

    출처: 문화재청 공개자료

  • 解例本 『訓民正音』(4)

    (1)본문(本文) ① 어제서문(御製序文) -훈민정음 창제 목적을 천명함 ② 예의(例義) -초성 17자의 음가: ㄱ ㅋ ㅇ ㄷ ㅌ ㄴ ㅂ ㅍ ㅁ ㅈ ㅊ ㅅ

    ㆆ ㅎ ㅇ ㄹ ㅿ -중성 11자의 음가: ㆍ ㅡ ㅣ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 -종성: 終聲復用初聲 -연서(連書): 순경음(脣輕音) ‘ㅱ ㅸ ㅹ ㆄ’ -병서(竝書) 初聲合用則竝書 終聲同 -부서(附書): 初聲之下(ㆍ ㅡ ㅗ ㅜ ㅛ ㅠ) / 初聲之右(ㅣ

    ㅏ ㅓ ㅑ ㅕ) -음절(音節): 凡字必合而成音 -방점(傍點): 1점-거성, 2점-상성, 무점-평성, 입성은 점

    을 더하는 것은 같으나 촉급함.

  • 解例本 『訓民正音』(5)

    (2)해례(解例)

    ① 제자해(制字解)-제자원리, 초성체계, 중성체계, 음상(音相) 등에 관하여 중국의 성운학과 송학(宋學)이론의 양면으로 설명함.

    ② 초성해(初聲解)-초성이란 무엇인가 다시 설명함.

    ③ 중성해(中聲解)-중성이란 무엇인가, 또 중성표기에 쓰이는 문자를 설명함. 중성의 기본자 11자를 다시 2자, 3자 합용(合用)하여 또 다른 중성자를 만들 수 있는데, 이러한 중성자가 중성해에 18개 제시되었다.

    ④ 종성해(終聲解)-종성의 본질, 팔종성법(八終聲可足用: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 사성 등을 설명함.

  • 解例本 『訓民正音』(6)

    ⑤ 합자해(合字解)-초․중․종성 문자를 합해서 표기하는 예(25개 단어)를 보임. 초성의 합용병서(cf. , , )와 각자병서(cf. , 괴

    , 쏘다), 그리고 종성의 합용병서(cf. , 낛, )에 대한 설명과 예시. 중세국어의 성조에 대하여 설명함. 우리말에서 초성 ‘ㆆ’과 ‘ㅇ’의 통용. 반설경음(ᄛ)에 대한 설명. ‘[ㅣ+·]’, ‘ᆜ’의 특이성

    ⑥ 용자례(用字例)-초․중․종성별로 중세국어에서 단어의 표기례를 보임. 94개의 고유어 어휘 예시.

    - 초성(17): ㄱ ㅋ ㆁ ㄷ ㅌ ㄴ ㅂ ㅍ ㅁ ᄫ ㅈ ㅊ ㅅ ㅎ ㅇ ㄹ ㅿ

    - 중성(11): ㆍ ㅡ ㅣ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

    - 종성 (8) :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

    ⑦ 정인지의 후서(後序)-신문자 창제 이유, 창제자, 신문자의 투명성, 이 책의 편찬자 등을 명기함. ‘象形而字倣古篆’

  • 『訓民正音』에 나타난 음성학적 특징(1)

    가. 喉乃出聲之門 舌乃辨聲之官 故五音之中 喉舌爲主也

    [목구멍은 소리를 내는 문이요 혀는 소리를 구별하는 기관(器官)이니 오음(五音) 중에 후음과 설음이 중심이 된다.]

    나. 唯牙之ㆁ 雖舌根閉喉聲氣出鼻 而其聲與ㅇ相似 故韻書疑與喩多相混用

    [오직 아음의 ‘ㆁ’은 비록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고 소리의 기운이 코로 나오지만 그 소리가 (후음의) ㅇ과 서로 유사하니 운서에서 의모(疑母)와 유모(喩母)가 다수 혼용된다.]

    다. ㅇ連書脣音之下 則爲脣輕音者 以輕音脣乍合而喉聲多也

    [ㅇ을 순음 아래에 이어 쓰면 순경음이 되는 것은 경음(輕音)의 경우 입술을 살짝 다물어 목구멍 소리가 많이 나기 때문이다.]

  • 『訓民正音』에 나타난 음성학적 특징(2)

    라. ㅣ於深淺闔闢之聲 並能相隨者 以其舌展聲淺而便於開口也

    [‘ㅣ’가 심천합벽(深淺闔闢)의 소리들(즉 모든 중성들)에 있어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것은 혀가 펴이고 소리가 얕아 입을 열기에 편하기 때문이다.]

    마. 全淸並書則爲全濁 以其全淸之聲凝則爲全濁也 唯喉音次淸爲全濁者 盖以ᅙ聲深不爲之凝 ㅎ比ᅙ聲淺 故凝而爲全濁也

    [전청을 병서하면 전탁이 되는 것은 전청의 소리가 ‘凝’하면 전탁이 되기 때문이다. 오직 후음의 경우에만 차청이 전탁이 되는 것은 대개 (전청인) ㆆ은 소리가 깊어 ‘凝’하지 못하나 (차청인) ㅎ은 (전청인) ㆆ에 비해 소리가 얕으므로 ‘凝’하여 전탁이 되기 때문이다.]

  • 『訓民正音』에 나타난 음성학적 특징(3)

    대개 (전청인) ㆆ은 소리가 깊어 ‘凝’하지 못한다(盖以ᅙ聲深不爲之凝)

    ▶ 성문 폐쇄음(glottal stop)에는 무성음만 있고 유성음이 없다는 사실

    (차청인) ㅎ은 (전청인) ㆆ에 비해 소리가 얕으므로 ‘凝’하여 전탁이 된다(ㅎ比ᅙ聲淺 故凝而爲全濁也)

    ▶ 성문 마찰음(glottal fricative)에는 무성음과 유성음이 모두 존재한다는 사실

    출처: http://www.langsci.ucl.ac.uk/ipa/fullchart.html

  • 『訓民正音』에 나타난 음성학적 특징(4)

    聲深淺 爲凝 음가 淸濁

    ㆆ 深 × [ʔ](voiceless glottal stop) 全淸

    ㅎ 淺(比ㆆ) ○ [h](voiceless glottal fricative) 次淸

    ㆅ [ɦ](voiced glottal fricative) 全濁

  • 『訓民正音』에 나타난 음운론적 특징(1)

    [1] 초·중·종성의 삼분법에 의한 국어 음절의 분석

  • 『訓民正音』에 나타난 음운론적 특징(2)

    [2] 음절 말 중화(中和)의 인식: 八終聲可足用 (1) 而餘皆爲入聲之終也

    ㄴㅂㅁㅅㄹ八字可足用也 而ㅅ字可以通用 故只用ㅅ字

    (2) ㄱ, ㅋ, ㄲ → ㄱ

    ㄷ, ㅌ, ㄸ → ㄷ

    ㅂ, ㅍ, ㅃ → ㅂ

    ㅅ, ㅆ, , ㅈ, ㅊ, ㅉ → ㅅ

    (3) 가. ‘ ’, ‘ ’, ‘ ’, ‘ ’ 표기의 공존

    나. 맞(迎)- : ⅰ) , ⅱ)

    좇(隨)- : ⅰ) , ⅱ)

    젛(畏)- : ⅰ) , ⅱ)젇논

  • 『訓民正音』에 나타난 음운론적 특징(3)

    [3] t-입성(入聲) 한자음 종성의 ‘ㄹ’음화

    (1) 且半舌之ㄹ 當用於諺 而不可用於文 如入聲之彆字 終聲當用ㄷ 而俗習讀爲ㄹ 盖ㄷ變而爲輕也 若用ㄹ爲彆之終 則其聲舒緩 不爲入也

    (2) 가. 현실 한자음

    불(不), 팔(八), 발(發), 설(舌), 별(彆), 술(戌), 필(必), 별(別)

    나. 동국정운식(東國正韻式) 한자음

    (不), (八), (發), (舌), (彆), (戌), (必), (別)

    다. 이영보래(以影補來)

    절충적 성격을 갖는 ‘ㅭ’ 표기가 사용되었다.

  • 『訓民正音』에 나타난 음운론적 특징(4)

    [4] 모음의 음양성(陰陽性)에 대한 인식

    (1) ㅗㅏㅛㅑ之圓居上與外者 以其出於天而爲陽也

    ㅜㅓㅠㅕ之圓居下與內者 以其出於地而爲陰也

    ㆍ之貫於八聲者 猶陽之統陰而周流萬物也

    ㅛㅑㅠㅕ之皆兼乎人者 以人爲萬物之靈而能參兩儀也

    (2) 후설 모음과 전설 모음의 구개적 조화

    이 우 오

    어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