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막학회...

24
2012 11 8 일(목)~11 9 일(금) November 8(Thu)~ November 9(Fri), 2012 대전한밭대학교 Daejeon Hanbat National University 후원: 주최: www.membrane.or.kr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2012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Fall Meeting

Transcript of 한국막학회...

2012년 11월 8일(목)~11월 9일(금)November 8(Thu)~ November 9(Fri), 2012

대전한밭대학교 Daejeon Hanbat National University

후원 :

주 최 :

www.membrane.or.kr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

한국막학회추계총회및학술발표회2012 TheMembrane Society of Korea Fall Meeting

초대의 글

한국막학회회원여러분의열정과헌신으로지난

7월 AMS7 국제학술대회를역대최대규모로서성

공적으로 개최하였습니다. 연이어 매년 실시하는

하계워크샵을 분리막 제조업체로 구성된 일본막분

리기술진흥협회와 공동으로 개최하여 한일간의 분

리막 산업체 기술교류를 확대하고 금년 내 구체적

상호협력사항을마련중에있습니다. 회원여러분께서도아시는바와같

이한국막학회는지난20여년간전문학회로서가족같은편안한분위기에

서 산학연의 견고한 협력체계를 이루어 왔으며 최근에는 분리막 산업의

급성장과더불어분리막관련대형연구사업단의발족으로그동안의노력

의결실을맺고있습니다. 이러한분리막산업의중흥기를맞이하여분리

막 분야의 저변 확대와 국제적 수준의 기술교류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춘·추계 학술대회 역시 수준 높은 연구 결과의 발표와 산업체의 성공적

응용사례, 신진연구자의적극적참여및산학연의활발한기술교류의장

으로개선발전시키고자노력하고있습니다.

특히지난춘계학술대회부터특별주제를선정하여전문가를모시고더

욱심화된내용으로학술대회를운영하고있습니다. 이번추계학술대회에

는 학회 발표기간을 2일로 연장하여 교육 프로그램 및 특별 프로그램을

5개 분야로대폭확대하였습니다. 또한, 국내 최고의에너지분야전문가

두 분을 초청하였으며 대학원 학생들을 위한 일반강연 및 포스터 발표로

구성하였습니다. 아무쪼록한국막학회학술대회가현재우리의분리막기

술수준에 걸맞게 국제적 수준으로 성장하며 다양한 기술 교류 및 협력의

축제의 장으로 발돋음할 수 있도록 회원 여러분들의 열정적인 관심과 적

극적인참여를기대합니다.

2012년 11월

한국막학회회장 정 건 용

2 0 1 2 년 한 국 막 학 회 추 계 총 회 및 학 술 발 표 회20

12T

he M

embr

ane

soci

ety

of K

orea

Fall

Mee

ting

한국막학회 추계 학술대회 프로그램 운영표

Nov. 8(Thu)

A

시간

분야멤브레인 측정장비 교육프로그램 (EP)

09:00~10:00 교육 프로그램 등록

10:00~10:40 EP1 (ATR-IR)

10:40~11:20 EP2 (XPS)

11:20~11:30 휴 식

11:30~12:10 EP3 (AFM)

12:10~12:50 EP4 (Microporometer)

12:50~14:10

점 심

추계 학술발표 등록

14:10~15:00 초청강연 1

A 강연장 (총회) B 강연장

시간

분야 혁신 기체 분리막 :

이산화탄소 포집용 혁신 분리막 (1MA) 시간

분야 일반 강연 :

멤브레인 제조 및 응용 (1MB)

15:00~15:25 1MA-1

좌장 A

15:00~15:25 1MB-1

좌장 C15:25~15:50 1MA-2 15:25~15:50 1MB-2

15:50~16:15 1MA-3 15:50~16:15 1MB-3

16:15~16:25 휴 식

16:25~16:50 1MA-4

좌장 B

16:25~16:50 1MB-4

좌장 D16:50~17:15 1MA-5 16:50~17:15 1MB-5

17:15~17:40 1MA-6 17:15~17:40 1MB-6

18:30~21:00 평의원회

A (총회장) B

시간

분야수소 생산을 위한 분리막 기술 (2MA)

시간

분야 분리막의 도약 :

에너지산업용 분리막-수처리 (2MB)

08:00~09:00 등 록

09:00~09:25 2MA-1

좌장 E

09:00~09:25 2MB-1

좌장 H

09:25~09:50 2MA-2 09:25~09:50 2MB-2

09:50~10:15 2MA-3 10:00~10:25 2MB-3

10:15~10:40 2MA-4 10:25~10:50 2MB-4

10:40~10:50 휴 식

10:50~11:40 초청 강연 2

11:40~12:10 총 회

12:10~14:00 점심 (포스터 부착)

시간

분야 미래 분리막 기술

하ㆍ폐수고도처리사업단 (2MC) 시간

분야에너지산업용 분리막-에너지 (2MD)

14:00~14:25 2MC-1

좌장 F

14:00~14:25 2MD-1

좌장 I

14:25~14:50 2MC-2 14:25~14:50 2MD-2

14:50~15:15 2MC-3 14:50~15:15 2MD-3

15:15~15:40 2MC-4 15:15~15:40 2MD-4

15:40~15:50 휴 식

시간

분야 일반 강연

멤브레인 제조 및 응용 (2ME) 시간

분야 일반 강연 :

멤브레인 제조 및 응용 (2MF)

15:50~16:15 2ME-1

좌장 G

15:50~16:15 2MF-1

좌장 J

16:15~16:40 2ME-2 16:15~16:40 2MF-2

16:40~16:50 휴 식

16:50~18:20 포스터

18:30 시상 및 간친회

한국막학회 추계 학술대회 프로그램 운영표

Nov. 9(Fri)

한국막학회 추계 학술대회 연사요약표

교육프로그램 연사

추계학술발표회 연사

초청강연 1좌 장 : 염경호 교수(충북대학교)

(재)한국이산화탄소포집 및 처리연구개발센터 박상도 센터장

초청강연 2좌 장 : 변홍식 교수(계명대학교)

에너지기술연구원 황주호 원장

혁신 기체 분리막 : 이산화탄소 포집용 혁신 분리막 (1MA)

일반 강연 : 박사과정 및 정회원 우수논문 발표멤브레인 제조 및 응용 (1MB)

좌 장 : 박호범 교수(한양대학교) 좌 장 : 김노원 교수(동의대학교)

정범석 교수 명지대학교 우경택 한양대학교

남상용 교수 경상대학교 원영준 서울대학교

조철희 교수 충남대학교 신동원 한양대학교

좌 장 : 정범석 교수(명지대학교) 좌 장 : 김인철 박사(한국화학연구원)

박호범 교수 한양대학교 박상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최정규 교수 고려대학교 김성주 한양대학교

이영무 교수 한양대학교 황경호 계명대학교

수소 생산을 위한 분리막 기술 (2MA)분리막의 도약 : 에너지산업용 분리막-수처리 (2MB)

좌 장 : 이형근 박사(에너지기술연구원) 좌 장 : 홍영택 박사(한국화학연구원)

박정훈 박사 에너지기술연구원 홍승관 교수 고려대학교

박종수 박사 에너지기술연구원 이상호 교수 국민대학교

이신근 박사 에너지기술연구원 박유인 박사 화학연구원

송선주 교수 전남대학교 김준하 교수 광주과기원

미래 분리막 기술 :하ㆍ폐수고도처리사업단 (2MC)

에너지산업용 분리막-에너지 (2MD)

좌 장 : 남상용 교수(경상대학교) 좌 장 : 박유인 박사(한국화학연구원)

김지태 교수 경기대학교 하폐수사업단 김대식 수석 호남석유

허현철 박사 웅진케미칼 정호영 교수 전남대학교

장재영 박사 (주)퓨어엔비텍 이상영 교수 강원대학교

고인범 박사 코오롱워터앤에너지 박진수 교수 상명대학교

일반 강연 : 박사과정 및 정회원 우수논문 발표멤브레인 제조 및 응용 (2ME)

일반 강연 : 박사과정 및 정회원 우수논문 발표멤브레인 제조 및 응용 (2MF)

좌 장 : 박정훈 박사(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좌 장 : 박진용 교수(한림대학교)

조상수 (주)대진환경산업 조혜진 한양대학교

강나래 한양대학교 지기용 경희대학교

좌장 : 이용택 교수(경희대학교)

EP1 (ATR-IR) 임한나 과장 (주)신코

EP2 (XPS) 박선후 부장 엔솔 인스트루먼트

EP3 (AFM) 조상준 박사 (주)파크시스템

EP4 (Microporometer) 장은석 차장 삼보과학(주)

Korea CCS R&D 센터의 역할과 연구개발 추진전략

The Role and R&D Strategies of Korea CCS R&D Center

1. 개요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화석연료 사용이 불가피해지면서, ‘CCS 기

술’은 가장 현실적인 온실가스 감축수단으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우리

정부는 지난 2010년‘국가 CCS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한 바 있으며, 교육과학

기술부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재)한국이산화탄소포집및처리연구개발센터

(KCRC: Korea Carbon Capture & Sequestration R&D Center)를 설립하

여, CCS 분야의 R&D를강화하고있다.

국내외 최고의 CCS 전문가로 구성된 국내 최초의 CCS R&D 전문기관인

KCRC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서울

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등 총 30여 개 기관의 CCS관련 최고 전문가

300여명의참여하에 40여개세부과제가추진중으로, 향후 기술개발주기에따

라해외연구기관, 관련기업등으로외연을확대할예정이다.

2. KCRC의 주요역할

KCRC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세계 일류의 CCS기술력 확보를 목표로, 2020

년까지 총 9년 동안 약 1727억원의 정부 예산을 투입하여, CCS 핵심원천기술

개발 사업인‘`Korea CCS 2020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센터는 전체 목표를 수립하고 해당 목표하에 총괄 및 세부과제를 구성하

여 연구개발을 주도하는 한편, 선택과 집중, 개방형 연구개발, 프로세스 혁신,

성과관리 혁신이라는 4대 추진 전략하에 자유공모제도, 오픈이노베이션,

Level&Gate시스템 등을 도입하여 연구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특히 성과 극대

화를 위하여 센터 고유의 기술신탁제도를 통해, 확보된 원천기술에 대한 사업

화를가속화할계획이다.

아울러 KCRC는 CCS에 대한 기반조성을 위해 국제공동연구지원, 관련기관

과의 MOU체결 등 국제협력을 추진하고, CCS에 대한 대국민 인식 제고를 위

해 교육 및 홍보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녹색기술포럼, CCS 컨퍼런스 개최 등

으로 국내외 연구자간 네트워크 구축도 강화하여, CCS관련 최고의 포컬 포인

터로써의역할을수행하고있다.

3. 주요 기술개발 내용

CCS 기술은화력발전소와산업공정에서발생하는대량의이산화탄소를대기

로배출시키기전에포집한후, 압축, 수송하여안전하게지중에저장하거나유

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이에 KCRC는 오는 2020년까지 전력생산비

용상승률 30% 이내의 3세대 CO2 포집기술 4종 이상확보, 국내 최초로 1만톤

급이산화탄소저장가능성검증및이산화탄소저장핵심기술확보, 그리고대

량배출원에 적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전환기술 2개 이상 확보라는 목표를 가지

고, 현재이산화탄소포집, 저장, 전환, 정책의총 4개분야에대한기술개발과

제를추진하고있다.

특히 분리막 분야에서는 High Flux 고분자분리막, 고투과선택성 분리막, 나

노튜브배향을통한분리막, 실리카제올라이트분리막, 중공사막, 초박형마이

크로기공무기실막등에대한기술개발을추진중에있다.

1999 온실가스저감기술개발사업단장

2002 이산화탄소저감및처리기술개발

사업단장

현재 한국이산화탄소포집및처리연구

개발센터 센터장

박상도 Sangdo Park(재)한국이산화탄소포집및처리연구개발센터

Korea CCS R&D Center

좌 장 : 염경호(충북대학교) Kyung-Ho Youm(Chungbuk National University)

에너지분야 이슈 및 바람직한 대응방향

Energy Issues and Effective Countermeasures

Ⅰ. 서론

현재 우리나라는 다양한 에너지문제에 직면하여 있다. 에너지자원 공급 부족

우려와 지속적 에너지 수요 증가로 인하여 그 어느 때보다 에너지안보의 중요

성이높아지고있다. 특히전력수급불안문제는온국민이피부로느끼고있는

해결해야할 당면과제이다. 그러나 에너지안보와 동시에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환경적인 측면의 문제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신재생에너지 보급, 녹

색기술 개발 등의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에너지 분야의 당면

과제에 대한 국가 정책들을 살펴보고, 향후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

다. 본 고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전력수급 안정화, 셰일가스 대두, 온실가

스감축등 4가지에너지이슈에대하여고찰해보고자한다.

Ⅱ. 신재생에너지 보급

정부의신재생에너지보급목표는 2030년 1차 에너지의 11%를 보급하는것이

다. 그러나 2010년 보급목표는 2.98% 이었으나, 실적은 2.61%에 불과하였으

며, 폐기물과 수력 등 일부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편중현상이 심하였다[1]. 따

라서 정부는 신재생 보급 확대를 위하여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제도, 그린홈

100만호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신재생시설 입지 규제, 설치제도 등 관련

제도 개선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 공급목표 달성을 위해 목표

및 세부 추진전략을 현실성 있게 점검하고, 관련 기술개발, 보급 및 사업화를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투자를

위하여, 신재생에너지의국가적인잠재량과보급비용, 기술개발 추이를종합적

으로고려한신재생에너지원별보급포트폴리오점검이선행되어야한다.

Ⅲ. 전력수급 안정화

2011년 9월 15일 오후 3시 11분부터 한 시간 가량 발생한 5,000MW 규모의

정전은 국내 전력수급의 문제점을 보여주었다. 2010년부터 최대 첨부부하가

70GW를 넘어섰으며, 이에 반하여 2008년 12%였던 전력예비율은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011년 5.5%에 불과하였다[2]. 이러한 전력수급 불균형 문제의 원인

중하나는전력수요예측과정에서대규모산업시설의신증설, 전력요금의상대

가격 하락에 따른 타 에너지원에서 전력으로의 수요 대체 등을 고려하지 못한

점이다. 따라서 현재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이러한 요인들을 적절히 반

영하여전력수급시스템을빠르게안정시키기위한노력들이진행되고있다. 그

러나 단기적인 수급불균형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수요관리 등의 노력 강

화가 절실하며, 장기적으로는 중앙 집중식 전력공급시스템을 보완할 수 있는

분산발전시스템의 확대 및 효율향상기술 개발의 촉진, 자발적인 에너지절약을

유도하기위한요금제도보완등이이루어져야할것이다.

Ⅳ. 셰일 가스 대두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셰일가스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매장량은

향후 60년 동안의전세계가스수요를충족시킬수있을것으로평가되고있다

[3]. 이러한 셰일가스 공급 확대에 따라 미국의 경우 천연가스 가격은 2012년

1986 Georgia Tech 핵공학 박사

1991 경희대학교 원자력공학과 교수

현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원장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

한국에너지공학회 부회장

황주호 Jooho Whang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좌 장 : 변홍식(계명대학교) Hongsik Byun(Keimyung University)

4월 1.9 $/MMBtu로 폭락한 바 있으며, 2012년 10월 기준 3.3 $/MMBtu로

약간회복하였으나, 현재 국내에도입되고있는액화천연가스(LNG) 가격이 15

$/MMBtu인 수준을 감안하면 아직까지도 상당히 낮은 가격이다. 이렇든 풍부

한 매장량과 저렴한 가격을 갖고 있는 셰일가스는 에너지 분야의 가장 큰 화두

이며, 따라서 국가적으로셰일가스개발에적극적으로대응하기위한종합전략

이필요하다. 정부는 2020년까지국내 LNG 도입량의 20%를셰일가스로확보

하여천연가스도입선을다원화하고국내가스가격안정화를도모할계획이다.

향후 셰일가스 중심의 가스공급 확대에 따른 국가 에너지공급 믹스의 조정, 가

스저장 등 관련 인프라 확충, 석유화학 등 관련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

술개발등이본격적으로추진되어야할것이다.

Ⅴ. 온실가스 감축

정부는 2009년 11월 온실가스 배출을 2020년까지 BAU대비 30% 감축하겠

다는‘국가 중기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발표하였으며, 국력에 상응하는 감축활

동을자발적으로이행하겠다는국제사회에대한약속을이행하기위해관련정

책을마련하고추진중이다. 그 일환으로산업부문을중심으로온실가스·에너

지 목표관리제를 2012년부터 시행하여 추진 중이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

가 2015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온실가스감축관련정책및제도의차질없는시행이추진이필요하다. 그러나

온실가스감축이서민경제와국가경쟁력에부담으로작용하지않고지속적인

성장을위한밑거름으로작용하기위해서는무엇보다관련녹색기술의개발및

보급이 뒷받침되어야 한다[4]. 녹색성장위원회의‘녹색기술 연구개발 종합대

책’, 지식경제부의‘그린에너지기술 로드맵’, ‘온실가스 감축기술 로드맵’등

다양한 연구개발 프로그램에서 우수한 연구성과가 도출되고 이러한 성과들이

성공적으로 산업화로 연계될 때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이 녹색성장으로 이어

질수있을것이다.

Ⅵ. 결론

본 고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전력수급 불안정, 셰일가스 대두, 온실가스

감축 등 다양한 에너지 문제에 대한 현황 및 정부의 관련 정책 기조 등을 살펴

보았다. 문제의 다양성 만큼이나 다양한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으나, 문제 해결

을위한가장근간이되는것은혁신적인에너지기술의개발이다. 막 관련기술

은 수소 제조, 탄소 포집, 수처리, 멤브레인 제조 등 다양한 에너지기술 분야에

서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기초 원천 기술이다. 녹색 성장이라는 국가 아젠다

실현에기여할수있는우수한막관련기술개발이활성화되길기대하여본다.

Ⅶ. 참고문헌

[1] 에너지통계연보, 지식경제부, 2011.

[2] Instability of Electricity Demand and Supply in South Korea and

Its Countermeasures, 한양대학교, 2012년 6월 SICEM 발표자료

[3] 셰일가스개발·도입및활용전략, 지식경제부, 2012.9.6.

[4] 녹색기술연구개발종합대책, 녹색성장위원회, 2008.

좌 장 : 이용택(경희대학교)

Chairperson : Yong Taek Lee(Kyung Hee University)

10:00~10:40 임한나 (주)신코(Han Na Lim, SCINCO)

적외선 분광기(FT-IR)의 이론 및 응용

(FT-IR Theory and Application)

10:40~11:20 박선후 엔솔 인스트루먼트(Seon Hoo Park, ENSOL Instruments Co., Ltd.)

수처리용 분리막의 성능평가에 있어서의 입도분석기의 활용

(Application of the Particle Size Analyzer in Membrane)

11:30~12:10 조상준 (주)파크시스템(Sang-Joon Cho, Park Systems Corp.)

생의학 연구분야에서의 원자현미경 기술의 응용

(AFM and SICM Applications and its Future Perspectives in BioMedical

Science)

12:10~12:50 장은석 삼보과학(주)(Eunsuk Jang, Sam Bo Scientific Co., Ltd.)

멤브레인 기공측정의 원리(Capillary Flow porometer를 중심으로)

(The Principle of Membrane Pore size Analysis (Focusing on the Capillary

Flow Porometer))

이용택1988 동경대학공학부합성화학과공학박사1992 생산기술연구원조교수현재 경희대학교화학공학과교수

임한나2006 충북대학교공업화학과졸업현재 ㈜신코분석사업팀기술지원부과장

조상준1998 Iowa State University 신경과학박사2001 Wayne State University 의대 생리

학과 Post Doc.2005 ㈜Park Systems 수석연구원및 R&D

Director (현)2012 서울대학교융합기술원책임연구원

(현)

박선후1988 단국대산업기술대학원신소재공학과

졸업현재 엔솔인스트루먼트교육담당

장은석전주대학교물리학과졸업삼보과학기술영업부

Organizer 교육프로그램

좌 장 : 박호범(한양대학교)

Chairperson : Ho Bum Park(Hanyang University)

15:00~15:25 정범석 명지대학교(Bumsuk Jung, Myongji University)

폴리디메틸실록산과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튜브로 이루어진 복합매질 분리막의

기체 투과특성

(Gas Transport Properties of Mixed Matrix Membranes with Modified

Aluminosilicate Nanotubes in Polydimethylsiloxane )

15:25~15:50 남상용 경상대학교(Sang Yong Nam,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2 용해도가 향상된 CO2 포집용 중공사 제조 및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Sorption Controlled Hollow Fiber Membrane for CO2

Separation)

15:50~16:15 조철희 충남대학교(Churl Hee Cho,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친수성 NaY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마이크로기공을 통한 습기조건에서의 가스투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as Permeation Through Micropores of Hydrophilic NaY Zeolite

Membrane in Humid Conditions)

좌 장 : 정범석(명지대학교)

Chairperson : Bumsuk Jung(Myongji University)

16:25~16:50 박호범 한양대학교(Ho Bum Park, Hanyang University)

나노탄소기반 분리막소재의 설계 및 제조

(Nanocarbons-Based Membrane Materials of Gas Separation)

16:50~17:15 최정규 고려대학교(Jungkyu Choi, Korea University)

이산화탄소 선택적인 실리카 제오라이트 분리막 제조

(Fabrication of CO2-Selective All-Silica Zeolite Membranes)

17:15~17:40 이영무 한양대학교(Young Moo Lee, Hanyang University)

High Flux 고분자 분리막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

(Carbon Dioxide Capture Using High Flux Polymer Membranes)

혁신기체분리막 : 이산화탄소포집용혁신분리막 (1MA)Innovative Gas Membranes : Carbon Dioxide Capture Using Innovative Membranes

박호범2002 한양대학교공학박사2005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Postdoc현재 한양대학교에너지공학과교수

박호범2002 한양대학교공학박사2005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Postdoc현재 한양대학교에너지공학과교수

정범석1999 University of Cambridge 물리학과

박사2005 KIST 재료연구부선임연구원2009 University of Melbourne 화학공학과

초빙교수현재 명지대학교환경에너지공학과교수

정범석1999 University of Cambridge 물리학과

박사2005 KIST 재료연구부선임연구원2009 University of Melbourne 화학공학과

초빙교수현재 명지대학교환경에너지공학과교수

남상용1998 한양대학교공업화학과박사1999 동경대학교화학시스템공학과 JSPS

특별연구원2001 Colorado School of Mines 화학

공학과 Research Associat현재 국립경상대학교고분자공학과교수

조철희2001 한국과학기술원재료공학과박사20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선임/책임연구원,

연구정책팀장현재 충남대학교녹색에너지기술전문대학원

부교수

이영무1986 미국노스캐롤리나주립대학고분자

공학과박사1987 미국 Rensselaer Polytechnic Inst.

연구원1988 미국 3M 연구소선임연구원1988 한양대학교화학공학과교수현재 한양대학교에너지공학과석학교수

최정규2003 서울대학교응용화학부학사2008 University of Minnesota 화학공학박사2011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화학공학 Post-doc현재 고려대학교화공생명공학과조교수

이영무1986 미국노스캐롤리나주립대학고분자

공학과박사1987 미국 Rensselaer Polytechnic Inst.

연구원1988 미국 3M 연구소선임연구원1988 한양대학교화학공학과교수현재 한양대학교에너지공학과석학교수

Chairperson

Organizer

좌 장 : 김노원(동의대학교)

Chairperson : Nowon Kim(Dong Eui University)

15:00~15:25 우경택 한양대학교(Kyung Taek Woo, Hanyang University)

열전환된 폴리벤즈옥사졸 중공사막

(Thermally Rearranged Polybenzoxazole(TR-PBO) Hollow Fiber Membranes

for CO2 Separation)

15:25~15:50 원영준 서울대학교(Young-June Won, Seoul National University)

교차흐름 반응조에서 분리막의 표면 구조와 막오염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s Between Biofouling and Topography of Membrane

Surface in Crossflow System)

15:50~16:15 신동원 한양대학교(Dong Won Shin, Hanyang University)

술폰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술폰 니트릴) 블록 공중합체 막의 연료전지 응용

(Sulfonated Poly(arylene sulfide sulfone nitrile) Block Copolymer for Fuel

Cell Application)

좌 장 : 김인철(한국화학연구원)

Chairperson : In-Chul Kim(KRICT)

16:25~16:50 박상희 한국과학기술연구원(Sang-Hee Park, KIST)

폴리실세스퀴옥산을 이용한 한외여과막의 제조와 개질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Modification of Ultrafiltration(UF) Membrane Using

Polysilsesquioxane)

16:50~17:15 김승주 한양대학교(Seungju Kim, Hanyang University)

열전환 고분자의 기체 흡착 및 투과 거동

(Sorption and Transport of Small Gas Molecules in Thermally Rearranged

(TR) Polymer Membranes)

17:15~17:40 황경호 계명대학교(Kyungho Hwang, Keimyung University)

수처리용다공성 PAI 막 제조

(The Preparation of Porous Polyamide-imide Membrane for Water

Treatment)

일반 강연 : 박사과정 및 정회원 우수논문 발표

멤브레인 제조 및 응용 (1MB)김노원1995 서울대학교화학과박사1996 ㈜ 제일합섬기술연구소2001 ㈜ 새한기술연구소현재 동의대학교환경공학과부교수

김인철2001 서울대학교천연섬유학과박사2002 한국화학연구원선임연구원

현재 한국화학연구원책임연구원

Chairperson

수소 생산을 위한 분리막 기술 (2MA)Membrane Technology for Hydrogen Production

분리막의도약 : 에너지산업용분리막-수처리 (2MB) Take-off of Membrane Technology : Membrane for Energy Industry - Water Treatment

좌 장 : 이형근(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Chairperson : Hyung Keun Lee(KIER)

09:00~09:25 박정훈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Jung Hoon Park, KIER)

전이금속 합금을 이용한 수소 분리막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Hydrogen Membrane Technology Using Transition Metal

Alloy)

09:25~09:50 박종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Jong-Soo Park, KIER)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분리막 반응기 개발

(Membrane Reactor with H2 Selective Membrane)

09:50~10:15 이신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Shin-Kun Ryi, KIER)

팔라듐계 복합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CO2 포집 및 수소 생산기술

(Simulataneous CO2 Capture and H2 production with Pd-based Composite

Membrane)

10:15~10:40 송선주 전남대학교(Sun-Ju So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치밀질 가스분리막을 이용한 Non-galvanic 물분해 수소생산연구

(Non-galvanic Hydrogen Production by Water Splitting Using Dense Gas

Separation Membranes)

좌 장 : 홍영택(한국화학연구원)

Chairperson : Young Taek Hong(KRICT)

09:00~09:25 홍승관 고려대학교(Seungkwan Hong, Korea University)

에너지와 물을 생산하는 첨단 삼투막 공법

(Expanding The Applications of Osmosis Membranes for Water and Energy)

09:25~09:50 이상호 국민대학교(Sangho Lee, Kookmin University)

에너지 산업에서의 막증발법의 응용

(Application of Membrane Distillation in Energy Industry)

10:00~10:25 박유인 한국화학연구원(You-In Park, (KRICT))

정삼투용 셀롤로오스 기반 중공사막 제조 및 특성평가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ose-Based Hollow Fiber

Membranes for Forward Osmosis)

10:25~10:50 김준하 광주과기원(Junha Kim, GIST)

역삼투 공정 농축수의 에너지 및 자원 회수를 위한 신개념 해수담수화 공정

(Innovative Desalination Processes to Recover Energy and Valuable

Resource Using Concentrates)

박정훈2000 고려대학교화학공학과박사2004 University of Cincinnati 파견연구원현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온실가스연구단책임연구원

박정훈2000 고려대학교화학공학과박사2004 University of Cincinnati 파견연구원현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온실가스연구단책임연구원

Organizer

이형근1992 서강대학교화학공학과박사

현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책임연구원

박종수1990 LG 중앙연구소, 연구원1993 고려대학교화학공학과박사현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책임연구원

이신근2005 고려대학교화공생명공학과박사2008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ost-doc. 현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선임연구원

송선주2003 University of Florida 재료공학박사2007 Argonne National Lab. 박사후연구원현재 전남대신소재공학부부교수

Chairperson

홍영택1999 KAIST 화학공학과박사2001 버어지니아공대방문연구원현재 한국화학연구원센터장

홍승관1996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토목공학과박사1997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토목공학과

교수현재 고려대학교건축사회환경공학과교수

이상호1995 서울대학교공업화학과박사2006 과학기술연합대학원

수자원환경공학과겸임교수현재 국민대학교건설시스템공학부조교수

박유인2002 충남대학교고분자공학과박사2005 캐나다 U. Waterloo post-doc.현재 한국화학연구원책임연구원

김준하1998 고려대학교(B.S. Chemical Engineering) 2001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M.S.

Chemical and BiochemicalEngineering)

2003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Ph.D.Chemical and BiochemicalEngineering)

현재 광주과학기술원환경공학부부교수

Organizer & Chairperson

미래분리막기술 : 하ㆍ폐수고도처리사업단 (2MC)Future Membrane Technology : R&D Center for Advanced Technology of

Wastewater Treatment and Reuse

분리막의도약 : 에너지산업용분리막-에너지 (2MD) Take-off of Membrane Technology : Membrane for Energy Industry - Energy

좌 장 : 남상용(경상대학교)

Chairperson : Sang Yong Nam(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4:00~14:25 김지태 경기대학교 하·폐수고도처리기술개발사업단(Ji Tae Kim, Kyonggi

University)

하·폐수처리용 MBR 분리막 기술 및 산업동향과 발전방향

(Trends in the Technology and Market of Membrane bioreactors (MBR)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Reuse and Development Directions)

14:25~14:50 허현철 웅진케미컬 기술연구소(Hyunchul Hur, WJchemical Co.,Ltd)

하·폐수 고도처리 및 재이용을 위한 고효율 분리막 개발 동향

(Development Activities of High Performance Membranes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Reuse)

14:50~15:15 장재영 (주)퓨어엔비텍(Jae-young Jang, Pure Envitech Co., Ltd)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한 컨테이너형 패키지 MBR 시스템

(Portable, Prefab & Recycled Container Package System for Sewage and

Waste Water Treatment)

15:15~15:40 고인범 코오롱워터앤에너지(In Beom Ko, kolonwe Co., Ltd)

세라믹 분리막의 하수처리 적용

(Application of Ceramic Membranes for Sewage Treatment)

좌 장 : 박유인(한국화학연구원)

Chairperson : You-In Park(KRICT)

14:00~14:25 김대식 호남석유화학(Dae Sik Kim, Honam Petrochemical Corp.)

에너지 저장용 플로우 전지용 고분자 분리막

(Polymer Membrane for Flow Battery in Energy Storage)

14:25~14:50 정호영 전남대학교(Ho-Young Jung, Chonnam University)

양친성 고분자를 도입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복합막

(Composite Membrane using an Amphiphilic Polymer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14:50~15:15 이상영 강원대학교(Sang-Young Le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중대형 리튬이차전지용 나노구조 부직포 복합분리막

(Nanostructured Nonwoven Composite Separator Membranes for

Mid/Large-sized Lithium-ion Batteries)

15:15~15:40 박진수 상명대학교(Jin Soo Park, Sangmyung University)

가교 음이온 전도성 이오노머 바인더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rosslinked Anion-Conducting

Ionomer Binders)

남상용1998 한양대학교공업화학과박사1999 동경대학교화학시스템공학과 JSPS

특별연구원2001 Colorado School of Mines 화학

공학과 Research Associat현재 국립경상대학교고분자공학과교수

김지태한양대공학박사전) 환경부물환경정책국장, 상하수도국장,

자연보전국장등역임유엔환경계획전문관역임

현) 경기대환경에너지시스템공학과교수하·폐수고도처리기술개발사업단장

김지태한양대공학박사전) 환경부물환경정책국장, 상하수도국장,

자연보전국장등역임유엔환경계획전문관역임

현) 경기대환경에너지시스템공학과교수하·폐수고도처리기술개발사업단장

허현철고려대학교건축사회환경공학과박사전) 서울특별시상수도연구원연구원현) 웅진케미칼(주) 기술연구소팀장

장재영한양대학교화학공학과박사전) (주)SK케미컬중앙연구소연구원현) (주)퓨어엔비텍대표이사

고인범Tohoku University 토목공학박사전) 한국과학기술원연구원현) 코오롱워터앤에너지수석연구원

Organizer

Chairperson

박유인2002 충남대학교고분자공학과박사2005 캐나다 U. Waterloo post-doc.현재 한국화학연구원책임연구원

김대식2005 한양대학교화학공학과박사2008 National Research of Council in

Canada 연구원2011 Los Alamos National Lab. 연구원현재 호남석유화학/대덕연구소/수석연구원

정호영2007 KAIST 응용과학연구소 Post Doc.2008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Research Associate2009 강원대학교(삼척) 화학공학과 (전임강사

/조교수/학과장)2012 전남대학교환경공학과조교수

이상영1993 KAIST 화학공학과박사1997 LG화학배터리연구소책임연구원현재 강원대학교화학공학과교수

박진수20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연료전지연구센터2009 상명대학교환경공학과전임강사현재 상명대학교환경공학과조교수

Chairperson

홍영택1999 KAIST 화학공학과박사2001 버어지니아공대방문연구원현재 한국화학연구원센터장

Organizer

일반 강연 : 박사과정 및 정회원 우수논문 발표

멤브레인 제조 및 응용 (2ME)

일반 강연 : 박사과정 및 정회원 우수논문 발표

멤브레인 제조 및 응용 (2MF)

좌 장 : 박정훈(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Chairperson : Jung Hoon Park(KIER)

15:50~16:15 조상수 (주)대진환경산업(Sang Soo Cho, Daejin Environment Co., Ltd.)

에너지 회수형 하수고도처리 MBR공법

(Energy Recoverable Biological Nutrient Removal MBR Process)

16:15~16:40 강나래 한양대학교(Na Rae Kang, Hanyang Univerisity)

에너지 하베스팅용 말단 가교된 높은 술폰화도의 폴리 페닐렌 설파이드 나이트릴 분리막

(End Group Cross-linked Highly Sulfonated Poly(phenylene sulfide nitrile)

Membrane for Energy Harvesting)

좌 장 : 박진용(한림대학교)

Chairperson : Jin Yong Park(Hallym University)

15:50~16:15 조혜진 한양대학교(Hye Jin Jo, Hanyang University)

Spirobisindane을 포함한 열전환 고분자 기체 분리막

(Thermally Rearranged (TR) Polymer Membranes Containing Spirobisindane

for Gas Separation)

16:15~16:40 지기용 경희대학교(Ki Yong Jee, Kyung Hee University)

PVDF/Ceramic 지지체에 Siloxane계 복합막 제조와 투과증발법을 이용한 ABE 용액의

부탄올 분리

(Preparation of Siloxane Composite Membranes on PVDF/Ceramic Support

Layer and N-Butanol Separation of ABE Solution by Pervaporation)

박정훈2000 고려대학교화학공학과박사2004 University of Cincinnati 파견연구원현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온실가스연구단책임연구원

Chairperson

박진용1992 서울대학교화학공학과박사1993 U. of Texas at Austin 고분자연구소

박사후연구원현재 한림대학교환경생명공학과교수

포스터발표

분리막 제조 분과(MP1~MP41)

좌 장 : 김노원 동의대학교

Chairperson : Nowon Kim(Dong-Eui University)

좌 장 : 강상욱 상명대학교

Chairperson : Sang Wook Kang(Sangmyung University)

김노원1995 서울대학교화학과박사1996 ㈜ 제일합섬기술연구소2001 ㈜ 새한기술연구소현재 동의대학교환경공학과부교수

강상욱2008 서울대학교화학생물공학부박사2009 MIT,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박사후과정현재 상명대학교화학과조교수

최용진2000 동경대학교화학시스템공학과박사2004 코오롱워터앤에너지수석연구원현재 동의대학교화학공학과조교수

추광호1996 서울대학교공업화학과공학박사현재 경북대학교물산업융복합연구소소장현재 경북대학교환경공학과교수

포스터발표

분리막 응용 분과(MP42~MP81)

좌 장 : 추광호 경북대학교

Chairperson : Kwang-Ho Choo(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좌 장 : 최용진 동의대학교

Chairperson : Yong-Jin Choi(Dong-Eui University)

Chairperson

Chairperson

Chairperson

우수논문 발표

구 두 : 본 학회 정회원(박사과정 및 연구원)

포스터 : 본 학회 학생회원 및 정회원- 포스터 전시물 무단촬영 및 훼손을 금지합니다.

★ 구두발표: 이번학술대회의구구두두세세션션은은특특별별프프로로그그램램으으로로구구성성되되어어있있습습니니다다.. 일반연구발표의경우에는포스터

발표를권장합니다. 단, 본 학회 박사과정및연구원(정회원)의 우수논문(구두) 세션은 그대로진행됩니다.

★ 포스터발표: 분리막 제조 분야 및 분리막 응용 분야로 나누어서 접수를 받습니다.

ㅇ 본 학회‘초록집’에 게재되는 프로시딩은 본 학회 연구윤리 규정에 의거하여 동일한 내용으로 타 학회

초록, 프로시딩 및 논문으로 게재할 수 없으며, 초록 및 연구논문의 출판 및 보급에 대한 저작권을 접수

일로 부터 한국막학회에 양도합니다. 또한 타 학회에 이미 발표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의 프로시딩을 본

학술대회에서 발표 또는 게재할 수 없습니다.

▶ 초록제출양식

- B5용지 (2페이지 이내)

- 연구윤리 규정에 따라 그림과 표의 경우 중복성을 감안하여 글로만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 발표시간

- 초청강연 : 50분

- 일반강연 : 25분

- 포스터사이즈 : 가로 90 x 세로 120

* 초록은 제출된 그대로 인쇄될 수 있도록 첨부된 작성요령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등록비

* 등록 A - 학술발표회 등록비

등록 B - 학술발표회 등록비 + 연회비

* 연회비 안내

★ 발발표표자자 및및 교교신신저저자자께께서서는는 회회원원가가입입 및및 연연회회비비가가 납납부부되되어어야야 발발표표가가 가가능능함함을을 알알려려드드립립니니다다..

5. 사전등록 신청마감 : 22001122년년 1100월월 1122일일((금금))

6. On-line 계좌번호 : 예금주(한국막학회)

- 국민은행 : 257-01-0039-846

- 우리은행 : 305-05-003073

한국막학회 2012년 추계총회 및 학술발표회 안내

회원구분사전등록 현장등록

사전등록 A 사전등록 B 현장등록 A 현장등록 B

종신회원 40,000원 45,000원

정회원 40,000원 80,000원 45,000원 85,000원

학생회원(석사과정) 20,000원 40,000원 25,000원 45,000원

비회원 50,000원 55,000원

구 분 종신회원 정회원 학생회원

연회비 450,000원 40,000원 20,000원

입회비 ㅡ 10,000원 10,000원

제 2 발표장

일반 강연 : 멤브레인 제조 및 응용 (1MB) 좌장 : 김노원 교수(동의대)

1MB-1

(15:00~15:25)열전환된 폴리벤즈옥사졸 중공사막 (한양대)우경택, 이종명, 김승주, 이영무

1MB-2

(15:25~15:50)교차흐름 반응조에서 분리막의 표면 구조와 막오염의 상관관계 (서울대)원영준, 이영기, 안경현, 이정학

➜ 초청강연 1 : 2012년 11월 8일(목요일)

14:10 ∼ 15:00박 상 도 센터장 ((재)한국이산화탄소포집및처리연구개발센터)

Korea CCS R&D 센터의 역할과 연구개발 추진전략

➜ 초청강연 2 : 2012년 11월 9일(금요일)

10:50 ∼ 11:40황 주 호 원장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분야 이슈 및 바람직한 대응방향

특별 프로그램

❙ 2012년 11월 8일(목요일)

제 1 발표장

혁신 기체 분리막 : 이산화탄소 포집용 혁신 분리막 (1MA) 좌장 : 박호범 교수(한양대)

1MA-1

(15:00~15:25)

Gas Transport Properties of Mixed Matrix Membranes with Modified

Aluminosilicate Nanotubes in Polydimethylsiloxane (명지대)정범석

1MA-2

(15:25~15:50)CO2 용해도가 향상된 CO2 포집용 중공사 제조 및 모듈 개발 (경상대)남상용, 우승문, (인천대)김태현

1MA-3

(15:50~16:15)

친수성 NaY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마이크로기공을 통한 습기조건에서의

가스투과에 대한 연구(충남대)조철희

혁신 기체 분리막 : 이산화탄소 포집용 혁신 분리막 (1MA) 좌장 : 정범석 교수(명지대)

1MA-4

(16:25~16:50)나노탄소기반 분리막소재의 설계 및 제조

(한양대)윤희욱, 김효원, 유병민, 신혜진,

박호범

1MA-5

(16:50~17:15)Fabrication of CO2-Selective All-Silica Zeolite Membranes (고려대)최정규

1MA-6

(17:15~17:40)Highflux 고분자 분리막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 (한양대)이영무

제 1 발표장

수소 생산을 위한 분리막 기술 (2MA) 좌장 : 이형근 박사(에너지기술연)

2MA-1

(09:00~09:25)전이금속 합금을 이용한 수소 분리막 기술 개발 (에너지기술연)박정훈

2MA-2

(09:25~09:50)수소분리막을 이용한 분리막 반응기 개발

(에너지기술연)박종수, 이성욱, 이춘부,

이신근

2MA-3

(09:50~10:15)팔라듐계 복합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CO2 포집 및 수소 생산기술

(에너지기술연)이신근, 이성욱, 이춘부,

박종수

2MA-4

(10:15~10:40)

Non-galvanic Hydrogen Production by Water Splitting Using

Dense Gas Separation Membranes (전남대)송선주

미래 분리막 기술 : 하ㆍ폐수고도처리사업단 (2MC) 좌장 : 남상용 교수(경상대)

2MC-1

(14:00~14:25)하·폐수처리용 MBR 분리막 기술 및 산업동향과 발전방향 (경기대)조일형, 김지태

2MC-2

(14:25~14:50)하·폐수 고도처리 및 재이용을 위한 고효율 분리막 개발 동향 (웅진케미칼)허현철

일반 강연 : 멤브레인 제조 및 응용 (1MB) 좌장 : 김인철 박사(화학연)

1MB-3

(15:50~16:15)

술폰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술폰 니트릴) 블록 공중합체 막의 연료전

지 응용

(Hanyang University)신동원, 이소영,

박치훈, 이영무✝,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이창현,

이관수, James E. McGrath, Mark D.

Lingwood, Louis A. Madsen, Mingqiang

Zhang, Robert B. Moore, (Hyundai-Kia

Motor Company)김영택, 황인철

1MB-4

(16:25~16:50)폴리실세스퀴옥산을 이용한 한외여과막의 제조와 개질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연)박상희, 이성수, 황승상,

백경열✝, (한양대)조영훈, 박호범,

1MB-5

(16:50~17:15)열전환 고분자의 기체 흡착 및 투과 거동 (한양대)김승주, 이영무

1MB-6

(17:15~17:40)수처리용다공성 PAI 막 제조

(계명대)황경호, 황경호, 장원기, 곽혜진,

정혜민, 홍병표, 변홍식✝, (세라믹기술원)

황광택, (전자부품연)양우석

특별 프로그램

❙ 2012년 11월 9일(금요일)

미래 분리막 기술 : 하ㆍ폐수고도처리사업단 (2MC) 좌장 : 남상용 교수(경상대)

2MC-3

(14:50~15:15)

이동식으로 설치가능한 중소규모 컨테이너형 패키지 하·폐수처리 시스

템 개발

((주)퓨어엔비텍)장재영, 장규만,

(서울과학기술대학교)김대천

2MC-4

(15:15~15:40)세라믹 분리막의 하수처리 적용 (코오롱)고인범

일반 강연 : 멤브레인 제조 및 응용 (2ME) 좌장: 박정훈 박사(에너지기술연)

2ME-1

(15:50~16:15)에너지 회수형 하수고도처리 MBR공법

(경기대)이병희✝, 이제승, (전남대)이용운,

(주)대진환경산업)조상수, 이진용

2ME-2

(16:15~16:40)

에너지 하베스팅용 말단 가교된 높은 술폰화도의 폴리 페닐렌 설파이드

나이트릴 분리막(한양대)강나래, 이소영, 신동원, 이영무

제 2 발표장

분리막의 도약 : 에너지산업용 분리막-수처리 (2MB) 좌장 : 홍영택 박사(화학연)

2MB-1

(09:00~09:25)에너지와 물을 생산하는 첨단 삼투막 공법 (고려대)홍승관

2MB-2

(09:25~09:50)에너지 산업에서의 막증발법의 응용 (국민대)이상호

2MB-3

(09:50~10:15)정삼투용 셀롤로오스 기반 중공사막 제조 및 특성평가 (화학연)박유인

*, 조민의, 이병민, 남승은

2MB-4

(10:15~10:40)

역삼투 공정 농축수의 에너지 및 자원 회수를 위한 신개념 해수담수화

공정(GIST)김준하, 김지혜, 김영미

에너지산업용 분리막-에너지 (2MD) 좌장 : 박유인 박사(화학연)

2MD-1

(14:00~14:25)에너지 저장용 플로우 전지용 고분자 분리막 (호남석유화학)김대식, 최은미, 김미경

2MD-2

(14:25~14:50)양친성 고분자를 도입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복합막 (전남대)정호영

2MD-3

(14:50~15:15)중대형 리튬이차전지용 나노구조 부직포 복합분리막 (강원대)이상영

2MD-4

(15:15~15:40)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rosslinked Anion Conducting

Ionomer Binders(상명대)신문식, 박진수

일반 강연 : 멤브레인 제조 및 응용 (2MF) 좌장: 박진용 교수(한림대)

2MF-1

(15:50~16:15)Spirobisindane을 포함한 열전환 고분자 기체 분리막

(한양대)조혜진, 쉥하이리, 한상훈, 박치훈,

김승주, 이영무*

2MF-2

(16:15~16:40)

PVDF/Ceramic 지지체에 Siloxane계 복합막 제조와 투과증발법을 이용

한 ABE 용액의 부탄올 분리(경희대)지기용, 이용택

†(동의대)김노원,

포스터 (16:50~18:20) 좌장 : 김노원 교수(동의대), 강상욱 교수(상명대)

분리막 제조 분과

MP-1친수성 제올라이트 NaA가 첨가된 PVA 고분자막을 이용한 물/부탄올

혼합물의 투과증발(충남대)서연희, 오덕규, 이용택

MP-2Pyridinium group containing anion exchange membranes for fuel

cell applications: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GIST)Sandip Maurya, Sung-Hyun Yun, Ju-Young

Lee, Sung-Hee Shin, Yekyung Kim, Seung-Hyeon

Moon†

MP-3Ionic Liquid-Incorporated Cardo-based Poly(ether ketones) as

Novel Polymer Membranes for Selective CO2 Separation

(University of Incheon)Irshad Kammakakam,

TaeHyun Kim†

MP-4Imidazolium-functionalized Poly(arylene ether sulfone) Block

Copolymer as an Anion Exchange Membrane for Alkaline Fuel Cell

(University of Incheon)Anil Rao H. N.,

Tae-Hyun Kim†

MP-5Ionic Liquid-Incorporated Cardo-based Polyimides as Novel

Polymer Membranes for Selective CO2 Separation (인천대)황정모

MP-6 Terminally-crosslinked Block Copolymer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s (인천대)원미희

MP-7 빠른 물/이온전달을 위한 공중합체의 모폴로지 배열효과

(Uiduk University)박인기, 이창현†,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and State University)이관수, 장밍광,

로버트 무어, 마크 링우드, 루이스 맨슨, 제임스 맥그라스,

(National High Magnetic Field Laboratory, Tallahassee,

FL32310-3706, USA) 위성술, (Hanyang University)

이소영, 이영무

MP-8 내염소성, 고수투과성을 지닌 술폰화폴리아릴렌 복합막

(Uiduk University)강성은, 이창현†,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and State University)이동훈, 이관수, 제임스

맥그라스, (ational High Magnetic Field Laboratory,

Tallahassee)위성술, (계명대)장원기, 변홍식

MP-9친환경 알콜수용액 고분자분산으로부터 얻어진 내염소성, 고수투과성

술폰화 폴리아릴렌 랜덤 고분자분리막

(Uiduk University)홍아영, 제임스 맥그라스, 이창현†*,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앤드류 쉐이버, 조셉 쿡, (National High Magnetic Field

Laboratory, Tallahassee)위성술,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베니 프리만

MP-10 기체투과 향상을 위한 PHBV-CNT 복합막의 제조 (상명대)이혜민, 홍세령, 강태범†

MP-11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한 열전환 폴리벤즈옥사졸 비대칭 평박의 도프용

액 조성결정(한양대)이종명, 우경택, 김승주, 이영무

MP-12 고온 기체 분자 투과를 위한 열전환 고분자 분리막(한양대)성종근, 도유성, 김승주, 이영무

(포항산업과학연구원)이종규

MP-13 TR 고분자를 이용한 신규 배터리 세퍼레이터(한양대)김지훈, 이소영, 강나래, 이강혁, 이문주,

이영무†, (LG 화학 배터리 연구소)유형균, 김종훈

포스터 발표

❙ 2012년 11월 9일(금요일)

분리막 제조 분과

MP-14 열전환 고분자 분리막의 고온 기체 분리 특성 평가 (한양대)도유성, 성종근, 김승주, 이종규, 이영무†

MP-15 팽윤전사기법을 사용한 PEMFC 막전극합체 제조 (한양대)조두희, 이소영, 신동원, 이영무†

MP-16내염소성 향상을 위한 타이타니아(TiO2) 나노 입자가 첨가된 방향족 폴

리아마이드 TFC 멤브레인(KRICT)Seong-Joong Kim, Kew-Ho Lee

MP-17 PTMSP/LDH 복합막에 의한 기체분리에 관한 연구 (상명대)정연임, 홍세령†

MP-18

Development of new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based on

polybenzoxazine and polybenzimidazole for use in high tem-

perature fuel cells

(Seoul National University)Kihyun Kim, Sung-Kon

Kim, Bo-Kyung Jung, Taeyun Ko, Jong-Chan Lee,

(Samsung Electronics)Seong-Woo Choi, Ki-Hyun

Kim, Chanho Pak

MP-19 수처리용 세라믹 MF / UF 분리막의 제조(한양대)위인희, 신동욱, (한국세라믹기술원)김진호,

조우석, 황광택

MP-20 기공형성제를 첨가한 폴리에테르술폰 정밀여과막 제조 (호남석유화학)배수경†, 강경보, 김종표, 이관수

MP-21 알칼리 수전해를 위한 음이온교환막 제작 (경일대)최호상, (호서대)임두순, 유철휘, 황갑진†

MP-22 개질된 폴리술폰 중공사막의 제조 및 특성평가 (경상대)우승문, 이국원, 김득주, 남상용†

MP-23 관능기에 따른 폴리이미드의 기체투과특성 (경상대)이보미, 이혜림, 남상용†

MP-24배향된 Imogolite 나노튜브 무기물질을 함유한 Poly(dimethylsiloxane)

복합막의 기체투과특성 연구(명지대)최미진, 정범석

MP-25고온 연료전지용 신규 술폰화 폴리 설파이드 술폰 이미드 공중합체의

합성과 그 특성 분석(한양대)이강혁

MP-26 폴리이미드를 이용한 CMS막의 제조 및 기체분리특성 ((주)에어레인)김세종, 이병성, 이충섭, 고형철, 하성용†

MP-27 순산소 분리용 Ba0.5Sr0.5Co0.8Fe0.2O3-δ 세라믹 중공사막의 제조 (에너지기술연)서명재, 김종표, 박정훈†

MP-28 높은 CO2 기체 용해도를 가지는 SPAES 기체 분리막 (경상대)이혜진, 김득주, 이수정, 남상용†

MP-29Gas trnasport properties of soluble polyimide membranes using

an alicyclic dianhydride(화학연)박채영, 김은희, 장봉준, 김정훈

MP-30Gas transport properties of soluble copolyimide membranes using

an alicyclic dianhydride(화학연)박채영, 안수경, 박희문, 장봉준, 김정훈

MP-31 폴리이미드를 사용한 중공사형 기체분리막 제조 및 투과특성에 관한 연구 ((주)에어레인)이충섭, 이병성, 김세종, 고형철, 하성용

MP-32 SiO2-P2O5-ZrO2 / SPAES hybrid막의 제조 및 특성평가 (경상대)임우진, 김득주, 박윤환, 남상용†

MP-33용매와 Air gap의 변화에 따른 Polysulfone 중공사 분리막의 구조와

기체 투과특성 연구

(과학기술연)박완근, 김한별, 이민우, 이순재, 이상협†

(상명대)이현경

MP-34폴리아마이드 부직포와 나노섬유 복합화를 이용한 일차전지용 세퍼레

이터

(계명대)이형래, 윤재한, 변홍식†

(웰크론)최형호, 추교진,

(벡셀)오정석, 김동영, (뉴맨텍스타일)박경진, 김호동

MP-35 정삼투용 지지층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정삼투 분리막의 제조 (한양대)조영훈, 이희대, Michael D. Guiver, 박호범†

MP-36동시조사를 활용한 알칼라인 연료전지용 이방성 음이온 교환 복합막

개발

(한양대)황두성, Tauqir A. Herazi, Young Moo Lee

(COMSATS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chael D. Guiver (원자력 연구원)손준용

MP-37 MOF 첨가에 따른 친수성이 향상된 분리막의 제조 및 특성 (경희대)김성운, 지기용, 이용택†

포스터 (16:50~18:20) 좌장: 추광호 교수(경북대), 최용진 교수(동의대)

분리막 응용 분과

MP-42 유지세정에 의한 정밀여과막 성능 개선(수자원공사)전은주, 박현수, 이은화, 유재홍, 김정은,

나상진

MP-43Novel imidazolium-based poly(arylene ether sulfone) as a stable

anion exchange membrane for AEMFC application(인천대)한소정

MP-44관형 세라믹 정밀여과와 광촉매 탑재 PES 구의 혼성 수처리: 최적 질

소 역세척 조건(한림대)홍성택, 박진용

MP-45관형 세라믹 정밀여과와 광촉매 탑재 PES 구의 혼성 수처리: 물 역세

척시 유기물의 영향과 광촉매의 흡착 및 광산화(한림대)박성우, 박진용

MP-46가압식 PVDF 및 침지식 PE 분리막의 연계를 통한 막여과 정수처리공

정의 회수율 증대 방안 연구

(인천시 상수소사업본부)김준현, 문백수,

((주)에코니티)장홍진*, 김진호

*, 김병석

*

MP-47 유도용질이 필요없는 연속 정삼투압 수처리막 (중앙대)이청천, 이종휘†

MP-48테스트베드에 응용된 정밀여과/한외여과막 및 역삼투막의 물재생을 위

한 처리효율(웅진코웨이)주성희, 박종민

MP-49Polyethersulfone (PES) 나노분리막의 2-MIB와 지오스민 배제율 기작

이해에 관한 연구(인하대)남도우, 김정환

MP-50 PTFE 정밀 여과막 표면의 효과적인 친수화 공정 (명지대)이슬기, 심은영, 정범석*

MP-51 LNG-FPSO 천연가스 전처리용 막-흡수 복합공정 개발 (GS건설)민광준, 임동하, 지현우, 김미진, 정제호†

MP-52 응집과 화학역세가 하수재이용 막여과 공정에 미치는 영향 ((주)웅진코웨이)박용민†, 이양우, 나유미, 김연국

MP-53 Wire saw 공정폐수의 재이용을 위한 관형막 공정 개발 ((주)웅진코웨이)유하나†, 정호찬, 김연국

MP-54폴리에틸렌 중공사막의 소수성 표면개질을 통한 직접접촉식 막증류 공

정 성능향상(경북대)박장원, 추광호

MP-55RO 농축수의 광촉매 및 전기분해 반응에서 염소이온 농도가 처리효율

에 미치는 영향(경북대)김승은, 추광호

MP-56직접 접촉 막 증류 공정(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DCMD)을 이용한 탈염 연구(순천대)문현호

MP-57Niobium Based Visible Light Photocatalytic Membrane System for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Nuwan Asanka

Weerasekara, Blain Paul, Kwang-Ho Choo†

MP-58 관형막을 활용한 CMP폐수 처리 및 재이용 가능성 연구 ((주)웅진코웨이)송자연, 정호찬, 김연국

분리막 제조 분과

MP-38 기체 분리용 나노탄소/고분자 복합 분리막 제조 및 특성평가 (한양대)유병민, 박호범†

MP-39 해수담수화용 개질된 탄소나노튜브/폴리아미드 복합막의 제조 및 특성분석 (한양대)이희대, 김효원, 조영훈, 박호범†

MP-40 상전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리막 제조에 있어 도포 용액의 온도 구배 영향 (동의대)최가희, 김노원†

MP-41 수처리용 다공성 PAN 나노섬유막 제조(계명대)장원기, 정혜민, 황경호, 진유동, 이형래,

변홍식†, (서울대)안혜련, 탁태문

분리막 응용 분과

MP-59대장균 용액의 전량 정밀여과에 있어 포식미생물 Balo의 전처리 가능

성 연구(유니스트)김은호, 누엔티팡냐, 구정은, 박형규, 권영남

MP-60 전 바나듐 레독스-흐름 전지용 격막으로서 이온교환격막의 특성 연구 (경일대)최호상, (호서대)임두순, 유철휘, 황갑진†

MP-61 Solid acid/modified silica 조성변화에 따른 SPAES 복합막의 특성평가 (경상대)김득주, 남상용†

MP-62통계적 접근법을 사용한 수처리용 분리막 생물반응기에서 생물막 탈착

을 위한 moving bead의 물리 세척 효과의 최적화(서울대)심세나, 김상룡, 조성준, 이정학

MP-63 BALOs 를 이용한 분리막 바이오파울링 제어에 관한 연구 (유니스트)전병문, 구정은, 누엔티팡냐, 박형규, 권영남†

MP-64 소수화된 PVDF의 막 특성과 Membrane distillation 공정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심은영, 이슬기, 정범석†

MP-65 패턴형 PVDF 중공사막의 제조 및 수처리 공정에의 적용(서울대)김인애, 원영준, 최동찬, 이재우, 채희로,

장준희, 이정학

MP-66건식 및 습식 가스 조성의 수성가스전이반응과 수소분리막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

(에너지기술연)김영진, 김종건, 송경호, 전성일, 김학주,

박정훈†

MP-67 MBR 패키지를 이용한 고농도 식품폐수의 처리기술 ((주)웅진코웨이)정철중, 최훈창, 김연국

MP-68 이동 가능한 해수담수 패키지 설비 운영 가능성 연구 ((주)웅진코웨이)정철중, 최훈창, 김연국

MP-69 폴리이서설폰 중공사막을 이용한 이산화탄소/메탄의 분리특성연구 (화학연)김지상, 공창인, 안효성, 김정훈†

MP-70Membrane-based bio-gas upgrading process for gas-grid

injection and automobile fuel applications

(KRICT)Changin Kong, JeeshangKim, HyoseongAhn,

Jeong-HoonKim†

MP-71분리막 하이브리드 공정용 아크릴 염 그라프트 박테리아 셀룰로스 흡

착제의 중금속(As, Pb, Cd) 흡착 비교연구(동의대)최용진, 이광현, (동아대)안영희

MP-72마을상수도내 자연방사능물질과 중금속 검출에 따른 정수처리방법에 관

한 연구((주)웅진코웨이)이주연

†, 최훈창, 김연국

MP-73 High Temperature Electrolysis of CO2 using Ni-YSZ/YSZ/LSM Cell(KRICT)Asif Mahmood, SairaBano, Kew-hoLee

(KIER)Ji Haeng Yu

MP-74Chlorine Resistant Binary Complexed NaAlg/PVA Composite

Membrane for Nanofilteration(KRICT)Saira Bano, Asif Mahmood, Kew-hoLee

MP-75 정수장의 고도화 개량을 위한 복합여과공정 성능평가 ((주)웅진코웨이)이재규, 권정원, 권오성

MP-76 소수성 제올라이트 복합막을 이용한 n-부탄올 혼합물의 투과증발 특성 (충남대)오덕규, 서연희, 이용택†

MP-77 실리콘 산화물 나노튜브 분리막의 기체 전달 특성 (한양대)신혜진, 송태섭, 전예령, 백운규, 박호범†

MP-78 유도용액의 확산계수에 따른 FO/MD 연계 시스템 연구 (경희대)김민정ㆍ이용택†

MP-79 연속식 공기세정 관형막 시스템 투과특성 (서울과기대)박미자, 정건용†

MP-80단백질 혼합물의 한외여과 : 1. 난백으로부터 라이소자임의 막분리를

위한 최적조건 (충북대)박혜리, 염경호

MP-81 수처리용 금속 분리막의 여과특성 평가 (경북대)박학순, 추광호†

MP-82나노 산화물 코팅 미디어 필터를 이용한 물재이용 공정의 인 제거 특

성 평가(경북대)곽세훈, 이상직, 박학순, 추광호

한밭대를 찾아오시려면

주 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덕명동)

전화번호 : 042) 821-1114 팩스번호 : 042) 825-5395

간선버스 : 102, 103, 104

지선버스 : 103

외각버스 : 11

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 유성 IC 출구 이용

한밭대학교 지도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2동 4-6 한솔아파트 101-1403 전화:02-3443-5527 팩스:02-3443-5528 이메일:[email protected] 홈페이지: http://www.membrane.or.kr

101-1403, Hansol Apt., 4-6, Samseong2-dong, Gangnam-gu, Seoul, Korea Tel. 02-3443-5527 Fax. 02-3443-5528 [email protected] Website. http://www.membran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