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29
- 305 - 韓國敎員敎育硏究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13, Vol.30, No.3, pp.305333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탐색 New direction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based on a conceptual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USA 홍 성 연(아주대학교)*전 영 미(수원대학교)** 요 약 최근 초중등학교와 대학에서 수업전문성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수업컨설팅의 적용이 확대 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 수업컨설팅의 외형적인 성장에 비해 이에 대한 이론적 연구 와 논의는 상대적으로 활발하지 않은 편이다. 수업컨설팅의 효과적인 확산과 질적인 도약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현장적용을 통해 실천 전략과 방법을 연구하는 것과 동시에 수업컨설팅의 개념과 목적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이론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에서 사용되는 수업컨설팅 개념과 유사 개념들을 비교·검토함으로써 우리나라 수업컨설 팅의 발전방향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사용되는 수업장학, 컨설팅장학, 학교컨설팅, 수업컨설팅 등의 개념과, 미국에서 사용되는 학교컨설팅, 수업컨설팅, 수업컨설팅 , 수업코칭 등의 개념들을 검토하고, 여섯 가지 쟁점들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 업컨설팅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다섯 가지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수업컨설팅에 대한 이 론적 논의와 이해를 심화시킴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수업컨설팅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된다. 주제어 : 수업컨설팅, 수업전문성, 학교컨설팅, 수업장학 * 1저자 : [email protected] ** 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 원고접수(13.07.23). 심사(13.9.20). 수정완료(13.9.24)

Transcript of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Page 1: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 305 -

韓國敎員敎育硏究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2013, Vol.30, No.3, pp.305~333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탐색New direction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based on a conceptual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USA

홍 성 연(아주 학교)*1)

미(수원 학교)**

요 약

최근 ・ 등학교와 학에서 수업 문성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수업컨설 의 용이 확

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 장에서 수업컨설 의 외형 인 성장에 비해 이에 한 이론 연구

와 논의는 상 으로 활발하지 않은 편이다. 수업컨설 의 효과 인 확산과 질 인 도약을

해서는 극 인 장 용을 통해 실천 략과 방법을 연구하는 것과 동시에 수업컨설 의

개념과 목 에 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이론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 은 한국과

미국에서 사용되는 수업컨설 개념과 유사 개념들을 비교·검토함으로써 우리나라 수업컨설

의 발 방향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해 국내에서 사용되는 수업장학, 컨설 장학,

학교컨설 , 수업컨설 등의 개념과, 미국에서 사용되는 학교컨설 , 수업컨설 , 수업컨설

, 수업코칭 등의 개념들을 검토하고, 여섯 가지 쟁 들을 도출하 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

업컨설 의 발 을 한 시사 을 다섯 가지로 제안하 다. 본 연구는 수업컨설 에 한 이

론 논의와 이해를 심화시킴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수업컨설 의 발 에 기여할 것으로 기

된다.

주제어 : 수업컨설 , 수업 문성, 학교컨설 , 수업장학

* 제1 자 : [email protected]

** 교신 자 : [email protected]

*** 원고 수(13.07.23). 심사(13.9.20). 수정완료(13.9.24)

Page 2: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 306 -

Ⅰ. 서 론

교수자의 수업 문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수업컨설 의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각 학들은 교수들의 교육력 강화를 목 으로 2000년 반부터 교수학습센터를 설치하

고 수업컨설 을 표 인 교원개발 로그램으로 운 하고 있다(홍성연, 2010). ・ 등학

교에서는 2011년 6월 수석교사제를 법제화하고 국 으로 천 명이 넘는 수석교사를 선발

하면서 수업컨설 을 확 하기 한 제도 기반을 마련하 다(김지선, 박소 , 2012). 한

・ 등교사의 수업컨설 을 주제로 한 ‘선생님이 달라졌어요’ 시리즈(EBS)가 방 되고, 동

덕여 , 수원 등 일부 교육 학원에서 교육컨설 공이 정식으로 개설되고, 2012년 한

국교육컨설 학회가 발족하는 등 수업컨설 에 한 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교육 장에서 수업컨설 의 외형 인 성장에 비해 이에 한 이론 연구와 논

의는 상 으로 활발하지 않은 편이다. 일부 연구들은 수업컨설 의 개념과 략에 해

논의하거나(이용숙, 2007; 이재덕, 2008; 천호성, 2008), 수업컨설 모형이나 방향을 제안(이

상수, 2010; 심미자, 2012)함으로써 이에 한 이론 논의를 심화하기도 했지만, 부분 기

존 선행 연구들의 결과물을 그 로 차용함으로써 수업컨설 과 련된 개념, 특징, 원리

등이 서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밖의 연구들은 학교와 ・ 등학교의 사례분석을

통해 특정교과나 학교 별로 수업컨설 의 용방법과 성과를 논의하고 장 용 차원에

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 있는 것이 부분이다(송 순, 김재호, 2010; 이미자, 2011; 이윤,

2008; 정용우, 양성 , 2008; 정한호, 2012; 최선 , 노석구, 2008; 홍성연, 2010). 한 여 히

・ 등학교 교사들은 수업컨설 과 수업장학을 유사하게 인식하여 수업컨설 참여와 진

행과정에서 소극 이며(이유나 외, 2012), 학 교수들 역시 수업에 한 개선보다 문제에

한 진단에 집 하는 경향(민혜리, 윤희정, 2012)을 보이는 등 양 확 에 비해 주체들의

인식이나 변화 성과는 더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수업컨설 의 효과 인 확산과 질 인 도약을 해서는 극 인 장 용을

통해 실천 략과 방법을 연구하는 것과 함께 수업컨설 의 개념과 목 에 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이론 연구가 동반될 필요가 있다. 수업컨설 의 개념과 목 에 한 학문

검토와 논의들은 수업 문성 향상을 한 방법으로 수업컨설 의 정착과 발 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 수업컨설 이 도입된 지 약 10여년이 흘 다. 학에서 수업컨설 을 수용하

게 된 것은 미국에서 오랜 기간 수업컨설 을 해 온 조벽 교수의 「새시 교수법」 출간

Page 3: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 개념비교를 통한 발 방향 탐색

- 307 -

(2002)과 서울 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의 ‘강의분석 양성 과정’이 기폭제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서울 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는 2005년부터 지속 으로 국 학의 교직원을 상으

로 수업컨설턴트 양성을 한 교육 로그램을 개설해 왔다(서울 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06). 즉 학의 수업컨설 은 교육의 질 제고를 하여 미국의 교수역량강화 로그램

하나인 수업컨설 을 수용・발 시킨 것이 지 에 이른 것이다. 반면 ・ 등학교의 수

업컨설 은 교육행정의 일환으로 실시되던 ‘학교장학’이 ‘수업장학’을 거쳐 수업컨설 으로

발 해온 것으로 보인다. 즉 ・ 등학교에서의 수업컨설 은 수업장학의 변화와 신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결과 으로 우리 교육 장에는 서로 다른 뿌리를 가진 두 가지 형

태의 수업컨설 이 학과 ・ 등학교를 배경으로 각각 발 해오다가 교육 장에서 수업

컨설 의 격한 확 에 따라 주체들 간에 개념 인 충돌과 혼란을 겪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업컨설 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해서는 해당 개념의 발 과정에 해 고찰

하고 유사한 개념들과 비교・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사용되는 수업컨설 과 련된 다양한 개념들의 유사 과 차이 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토 로 두 나라의 수업컨설 개념을 비교하여 여섯 가지 쟁 들을 도출하 으며, 이를 기

반으로 수업컨설 의 발 을 한 시사 을 다섯 가지로 제안하 다. 본 연구는 수업컨설

에 한 이론 논의와 이해를 심화시킴으로써 향후 수업컨설 의 발 과 다양성 증진

에 기여할 것으로 기 된다.

Ⅱ. 국내 수업컨설 개념의 발달

1. 국내 수업컨설 의 상

우리나라에서 수업컨설 을 태동시킨 제도는 수업장학이라고 할 수 있다. 이윤식(1999)에

의하면, 수업장학이란 교사의 수업기술 향상을 해 교장과 교감이 주도하는 개별 이고

체계 인 성격이 강한 지도・조언 활동으로, 교사의 수업기술 향상에 그 핵심이 있다. 그러

나 기존의 수업장학은 교사의 수업기술 향상이라는 정 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자발 인 의지가 아닌 필연 으로 구나 해야 하는 비자발 인 활동, 장학 상자와 담당

자의 수직 계, 교사 평가로서의 장학, 그리고 장학담장자의 형식 인 지도라는 문제

이 불거지면서 장학의 핵심 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었다. 수업컨설 은 바로 이 문

Page 4: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 308 -

제, 즉 기존 장학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하여 컨설 의 원리를 도입함으로써 장학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하여 나타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수업컨설 은 수업장학이라

는 커다란 개념에 포함되는 하 개념으로, 장학에 컨설 의 원리를 도입하여 ‘컨설 장학’

이라는 독특한 이름으로 수행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0년 9월 교육청 기능이 개편된 이후 컨설 장학이 국 으로 활성

화되기 시작하 다. 2011년 3월부터 모든 시・도 교육청과 교육지원청에서 컨설 장학을 실

시하고 있으며, ・ 등교육법 시행령 입법 고안에 교육감의 컨설 장학 수행에 한 권

한이 명기되고, 9개 시・도교육청의 2012학년도 학교평가 지표에 컨설 장학의 실 이 포함

되는 등 최근 3년간 매우 빠르게 국 으로 제도화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0).

2. 국내 수업컨설 련 개념들의 비교

재 우리나라에서는 수업컨설 개념의 모태가 된 수업장학을 포함하여 컨설 장학, 학

교컨설 등의 용어가 수업컨설 과 련하여 서로 혼용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용어가

동시에 사용되면서 나타나는 문제는 이들 용어들이 명료한 개념 구분 없이 학교 별에 따

라 혹은 강조 에 따라 그때그때 다른 용어로 사용된다는 이다. 이 에서는 우리나라에

서 수업컨설 과 련된 다양한 개념들이 어떻게 나타나게 되었는지, 그리고 이들 개념들

의 강조 과 차이 은 무엇인지를 비교․분석해 보기로 한다.

가. 수업장학

장학은 어원 으로 ‘높은 곳에서 우수한 사람이 본다’는 뜻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해방 이

후 미군정 시기에 이미 도입된 매우 오래된 개념이다. 통 으로 장학은 학교가 법이 정

해진 로 학생들에 한 교육을 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감시・통제하기 해 등장한 개

념으로, 이후 장학의 상이 되는 교사들의 거부감과 장학사들의 문성과 권 태도 등

의 문제가 불거지면서 인간 계 심의 장학, 지도성의 한 기능으로서의 장학, 자율장학

등 그 의미가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 이처럼 장학은 무엇을 강조하는가, 어떻게 근하는

가에 따라 학자(고 희, 1984; 강 삼, 1998; 이윤식, 1999; 주삼환, 1999; 조병효, 1995)마다

조 씩 의견이 다르나 장학의 궁극 인 목 이 교사들의 수업 개선을 한 문 인 조언

활동이라는 데에는 일치를 보이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조성일과 신재흠(2004)은 수업장학

을 학교 조직 내에서 교사와의 직 인 상호작용을 통해 교사들의 수업행 와 수업기술

Page 5: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 개념비교를 통한 발 방향 탐색

- 309 -

을 개선시켜 으로써 학생들의 학습을 개선하는 공식 행 로 볼 수 있으며, 이는 궁극

으로 학습자 교육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직 으로 교사의 교수・학습 활동을 돕고

지원하는 활동으로 규정하 다.

교사의 수업 개선을 돕기 한 장학의 기능은 여러 가지로 정의되나 학자들의 논의(이윤

식, 2002; 김종철, 1982; McKean & Mills, 1964)를 종합하면 다음의 네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교사의 문 성장을 돕는 기능으로 교직생활 반에 걸쳐 필요한 가치 , 신념, 태

도, 지식, 기능, 행동을 갖추도록 돕는 것을 말한다. 둘째, 교육과정 운 의 개선을 돕는 기

능으로 교육목 을 달성하기 하여 교육내용 교육활동의 개발, 운 , 평가 등 반

인 과정을 돕는 것을 말한다. 셋째, 학생들을 가르치기 해 교육내용을 어떤 방법으로 가

르칠 것인가와 련된 교수・학습지도의 개선을 돕는 기능을 말한다. 넷째, 학교 경 의 합

리화를 돕는 기능으로, 학교 조직 내의 인 ・물 ・재정 자원을 효과 으로 운 하고 제

반 교육활동의 기능을 최 화하도록 돕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수업장학은 그것이 가진 본래의 목 에도 불구하고 실시 과정에서 다음의 네 가

지 한계 이 지속 으로 나타나게 되었다(조 숙, 2009; 진동섭, 2008; Fehr, 2001). 첫째, 수

업장학은 교사라면 구나 필연 으로 해야 하는 공식 활동으로 비자발 이다. 둘째, 교

원의 능력에 상 없이 교장이나 교감은 장학담당자, 교사는 장학 상자로, 그 계가 수직

이다. 셋째, 수업장학의 주체는 장학담당자인 교감이나 교장으로 타율 이고 지시 이며,

장학담당자가 가지는 지 와 역할 때문에 형식 인 지도・조언에 치우칠 수 있다. 넷째, 장

학활동의 최종 책임이 장학담당자에게 있어 교사의 참여가 피동 이며, 교사의 문성 향

상보다는 교사를 평가하는 자료로 남용될 수 있다.

이상의 한계 으로 인해 수업장학은 그것이 지닌 본래의 의미를 달성하기 하여 새로

운 원리와 방법을 가진 다른 개념의 도움이 필요하게 되었다.

나. 컨설 장학

컨설 장학이 공식 으로 등장한 것은 1999년 이명호의 「컨설 장학으로」라는 논문에

서 다. 이 논문에서 그는 기존의 지도・감독 주의 장학을 학교 장의 요구와 필요에 맞

는 컨설 주의 장학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제안하 다. 그 무렵 교육청에서도 ‘컨설 ’이

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 는데, 울산 역시교육청이 컨설 원리를 처음으로 장학에

도입하고 그 활동에 ‘장학컨설 ’이라는 명칭을 붙 다(진동섭, 2007).

이들에 의하면, 컨설 장학이란 기존 장학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컨설 의 원리를 도입함

으로써 장학의 주체, 주도성, 계, 방법 등에 변화를 꾀하고 장학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Page 6: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 310 -

해 나타난 개념이다. 컨설턴트와 컨설티가 서로 동등하게 참여하여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교사의 문성 확보 방식인 것이다.

이후 컨설 장학은, 지역교육청이 더 이상 학교운 을 지도․감독하는 역할에만 머무르

지 않고 단 학교의 자율 운 과 책무성 제고를 효과 으로 지원하는 기 이 되어야 한

다는 사회의 요구에 직면하여,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가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개

편하면서 교육지원청의 핵심 업무로 활성화되었다. 다시 말하면 교육지원청은 컨설 장학

을 자율 으로가 아니라 모든 교사들이 해야 하는 활동으로 규정하 다.

2012년 교사들을 상으로 한 컨설 장학 실무연수자료(오기열, 2012)에 의하면, 재 컨

설 장학은 ・ 등교육법시행령 제8조에 따라 장학의 한 유형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그

개념을 교원의 자발 요청이 있을시 한시 으로 교육 문가들이 교육활동 개선을 해

제공하는 제반 문 조언, 상담, 자문, 지원 활동으로 규정하고 있다. 장학의 궁극 인 목

으로는 1) 교원의 자발성에 기 한 문 성장과 발달 도모, 2) 단 학교의 자율역량 강

화 학교교육의 질 개선을 규정하고 있다. 이 자료에서 규정하고 있는 통 인 장학과

컨설 장학의 차이 은 다음과 같다(<표 1> 참조).

통 장학 컨설 장학

 타율 , 제한 , 수직

 감독 , 평가 , 하향

자발성, 문성, 자문성

학습성, 한시성, 독립성

<표 1> 통 장학과 컨설 장학의 차이 (오기열, 2012, p.15)

<표 1>에 의하면 컨설 장학은, 통 장학이 타율 인 것과는 다르게, 자발성의 원리

를 강조한다. 이는 컨설 장학이 통 장학의 단 을 보완하면서 나타난 개념이기 때문

이다. 그러나 앞서 컨설 장학의 도입 배경에서 살펴보았듯이, 컨설 장학이 교육지원청의

핵심 업무가 되었다는 것은 자발성의 원리보다는 의무성의 원리에 좀 더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육감의 역할 컨설 장학의 수행이 포함되어 있고 학교 평가 기 에 컨설

장학의 실행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사실상 컨설 장학이 의무 으로 행해져야 하는 일

임을 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 김도기(2005)는 이를 ‘의도된 자발성’으로,

진동섭 외(2011)는 ‘고안된 자발성‘으로 부르고 있다. 요컨 컨설 장학이 기존의 타율 이

고 권 인 수업장학을 체하는 활동으로 강조되면서 수업장학의 타율성을 완화시키기

해 개념 으로 자발성의 원리를 강조하고 있으나, 실제 으로 보면 타율성이 가미된 자

율성의 원리가 용된다고 볼 수 있다.

Page 7: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 개념비교를 통한 발 방향 탐색

- 311 -

다. 학교컨설

앞서 살펴본 수업장학과 컨설 장학이 장학의 역할에 좀 더 을 맞춘 것이라면, 학교

컨설 은 컨설 에 좀 더 을 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개념은 2000년 한국교육개

발원이 학교교육 개 지원을 한 학교컨설 사업을 개하면서 차 강조되기 시작하

다. 학교교육의 개 을 지원하기 하여 학교의 자생 활력을 함양시키고 단 학교와

학교체제 구성원들의 요청에 따라 문성을 갖춘 교육체제 내외 문가들이 문제와 과제

의 해결을 도와주기 해 학교컨설 이 강조되기 시작한 것이다(최상근 외, 2000; 김정원

외 2001; 김정원 외 2002).

학교컨설 과 컨설 장학을 비교해보면, 학교컨설 은 학의 교수와 연구원들이 심이

되어 이론과 실제의 두 차원에서 활발히 진행되었고, 컨설 장학은 교육청의 문직과 단

학교 교사들이 심으로 되어 실천 심으로 진행되어 왔다는 에서 차이가 있다. 진동

섭과 김도기(2005, p.17), 오기열(2012, p.21) 등은 이 두 개념의 유사 과 차이 을 <표 2>

과 같이 구분하 다.

구분 컨설 장학 학교컨설

배경 지역교육청 기능 개편(2010.9) 자생 태동(1999)

지원주체 교육지원청 등 자생 연구회 조직

책임소재 의뢰 교원 의뢰 학교

상 역 교실 수업 개선 학교 교육 경 반

컨설턴트 장 우수 교원 동료 교사, 교수, 연구원 등

교사 활동의 주체, 자발 참여자

핵심원리 자발성, 문성, 자문성, 학습성, 한시성, 독립성

<표 2> 컨설 장학과 학교 컨설 의 비교

의 표에 의하면, 컨설 장학은 지역교육청의 기능 개편으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교육지원청이 지원의 주체가 되는 반면, 학교컨설 은 자생 으로 생겨난 개념으로

연구회를 심으로 운 된다. 한 컨설 장학은 주로 교실 수업 개선에 을 두는 반면,

학교컨설 은 학교 교육 경 반에 을 둔다. 그리고 컨설 장학은 주로 수업에

을 두기 때문에 교실 수업을 잘 아는 동료 교사가 주로 컨설턴트로 활동하는 반면, 학

교컨설 은 교수나 연구원 같은 학교 밖의 문가가 컨설턴트로 활동하게 된다.

반면 이 두 개념은 교사 과 핵심원리 면에서는 동일하다. 이 에서 교육 장에서는 컨

Page 8: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 312 -

설 장학과 학교컨설 을 서로 비슷한 개념으로 혼돈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핵심원리와 련하여 한 가지 더 생각해 보아야 할 은, 컨설 장학에 순수한 자율

성의 원리를 용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아야 하듯이, 학교컨설 에도 자발성의 원리를

용시킬 수 있는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학교컨설 이 시・도 교육청에서 추천하거

나 컨설 을 희망하는 학교를 상으로 한다는 에서 교사 개인의 자발성이 핵심원리가

될 수 있는지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라. 수업컨설

서범종(2011)과 이병환, 김진규, 신재한(2011), 정수 (2011) 등에 따르면, 수업컨설 은 학

교컨설 과 컨설 장학의 하 역으로 볼 수 있다. 학교컨설 이 학교와 련해서 발생

하는 모든 역을 포함하는 상 개념이라면, 수업컨설 은 교사의 문성 가운데 교과지

도에 한정하여 컨설 기법을 용하는 하 개념으로 볼 수 있다. 한 교실 수업 개선에

을 두고 교육청과 교사들이 주축이 되어 온 컨설 장학에서 가장 요한 컨설 역

이 수업이므로, 수업컨설 은 컨설 장학의 하 개념도 된다. 이 게 보면 수업컨설 은

컨설 의 원리와 방법을 수업 개선에 용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용숙(2007)은 수업

컨설 을 수업능력이 이미 검증된 교사들이 동료교사들의 수업을 개선하도록 도와주는 활

동으로 지도보다는 상담에 을 두고 있으며, 장학에 비해 의뢰 교사와 컨설턴트가 더

평등하면서 상호작용 인 계에 있는 개념이라고 정의내리고 있다. 진동섭, 홍창남, 김동

기 등(2011)은 수업 련 문제를 해결하기 해 도움을 요청한 교원에게 수업컨설턴트들이

학교컨설 의 방법과 원리에 따라 제공하는 자문활동으로 규정하고, 학교컨설 의 원리를

그 로 활용하여 자발성, 문성, 자문성, 독립성, 한시성, 학습성 등의 여섯 가지를 수업컨

설 의 원리로 규정하고 있다. 이화진, 오상철, 홍선주 등(2006) 역시 의뢰 교사가 문제를

의뢰하면, 컨설턴트가 수업 문성 기 과 여러 자료 등에 기 하여 문제 을 확인하고,

교사의 수행 수 을 진단하며, 진단 결과에 해 한 조언과 처방을 내리는 일련의 문

제해결력의 지원 과정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여러 주장들을 종합하면, 수업컨설 은, 수업개선이 주 목 이고, 주로

교사들이 상이며, 공 교과에 한 문가인 동료 교사나 컨설턴트가 컨설 을 담당하

며, 컨설턴트와 교사와의 계가 상호 독립 , 수평 인 계로 이루어져 있다고 볼 수 있

다. 앞서 살펴본 컨설 장학이나 학교컨설 과 비교하여 지원주체나 담당자, 상 역에

서 조 씩 차이 이 있으나 핵심 원리면에서는 앞의 두 개념이 매우 비슷하다고 할 수 있

Page 9: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 개념비교를 통한 발 방향 탐색

- 313 -

다. 그리고 수업컨설 역시 자발성의 원리보다는 타율성의 원리를 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수업컨설 이 컨설 장학의 한 역으로 시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교육

지원청의 지원을 받지 않는 학의 경우는 자발성의 원리가 어느 정도 용되고 있다. 물

론 수업컨설 이라는 것이 자신의 수업을 겉으로 드러내야 하기 때문에 교수들의 많은 참

여를 기 할 수 없고 이 때문에 학에서도 신임 교수들을 상으로, 혹은 평가를 비하

여 학과 차원에서 수업컨설 을 실시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이 있으나, 교수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개선하기 해 수업컨설 에 참여하는 사례가 ・ 등에 비해 상 으로 많다.

지 까지 수업컨설 이 나오게 된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수업컨설 과 함께

쓰이는 수업장학, 컨설 장학, 학교컨설 등이 어떤 에서 비슷하고 다른 지를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 <표 3>과 같다.

수업장학 컨설 장학 학교컨설 수업컨설

장학 장학 컨설 컨설

지원주체 지역교육청 교육지원청 자생 연구회조직교육지원청

( 학:교수학습센터)

담당자 교장, 교감 장 우수 교사동료교사, 교수,

연구원

수석교사, 동료 우수

교사

상 역 교실수업개선 교실수업개선 학교교육 경 반 교실수업개선

원리 타율성의도된 자율성 의도된 자율성 의도된 자율성

문성, 자문성, 학습성, 한시성, 독립성

<표 3> 수업장학, 컨설 장학, 학교컨설 , 수업컨설 의 비교

Ⅲ. 미국 수업컨설 개념의 발달

1. 미국교원교육에서 수업컨설 의 상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한 교사의 문성 개발은 교육계의 요한 심사항

하나이다. 특히 교사의 직률과 이직률이 높은 미국의 경우, 신임교사들이 교육 장에

배치되자마자 효과 인 수업을 제공하고 경력 교사들이 지속 으로 문성을 개발하도록

돕기 해 멘토링(mentoring), 수업코칭(instructional coaching), 수업컨설 (instructional

consultation)1) 등 다양한 지원을 제공해 왔다. 그러나 교사의 문성 개발의 주요 방법인

Page 10: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 314 -

멘토링, 코칭, 컨설 등은 구분하기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혹 활동의 형태, 구조, 내용

이 같은 경우도 있다(Pas & Newman, 2013).

1980년 이후 격하게 증가한 교사 멘토링은 신임교사들의 문성 개발에 주로 활용된

다. 이러한 멘토링은 신임교사인 멘티의 수업 문성 개발과 학교 응을 도울 뿐만 아니라,

경력 교사인 멘토의 심리 효능감 제고, 교사 간 력 증 , 문성 수업성찰능력 향상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고 평가된다(Huling, 2001). 그러나 수업코칭이나 수업컨설 에 비해

상 으로 도가 낮고 구조화되지 않은 훈련이라고 할 수 있다. 동일하게 1980년 부터

도입된 수업코칭은 수업컨설 과 마찬가지로 수업 찰 피드백의 차를 갖는 것이 일반

이나 상 으로 읽기, 과학, 수학 등 특정 학문 교과를 상으로 하는 경향이 있다

(Denton & Hasbrouck, 2009; Pas & Newman, 2013). 한 수업코칭은 교사의 수업 문성

향상을 목 으로 커리큘럼, 수업기술, 방법 등에 해 코칭을 제공한다. 반면 수업컨설 은

클라이언트인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증진을 목 으로 컨설티인 교사가 요구하는 내용에

한 컨설 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 이다(Denton & Hasbrouck, 2009). 그러나 아직까지 두

개념의 차이, 근거 이론, 방법, 실제 효과 등을 비교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Pas와 Newman(2013)은 수업컨설 이 수업코칭에 비해 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미국은 물론 다른 나라에서도 폭넓게 다양한 이론 인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고 지

하 다. 1970년 이래로 미국의 학이나 학교들은 교사들의 수업 문성 향상을 해

피드백을 포함한 수업컨설 을 극 으로 도입하 으며(Bergquist & Phillips, 1975;

Erickson & Erickson, 1979; Kathleen, 1990, Brinko, 1990), 그 결과 체 교사교육 로그

램 거의 반 정도가 수업에 한 동료나 수업컨설턴트의 피드백을 가장 핵심 인 부

분으로 활용하게 되었다(Brinko, 2012). 한 개별 인 컨설 과 수업 찰을 통한 피드백은

교사교육에서 가장 기부터 제공되었던 서비스 하나이며, 여 히 가장 일반 으로 제

공되는 로그램(Lee, 2010)이라고 평가받는다. 수업컨설 은 멘토링이나 수업코칭과 함께

수업에 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가장 표 이면서도 핵심 인 교사교육 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1) 컨설 은 어로 consulting, consultation, consultancy 등으로 다양하게 표 되지만, 이들의 의미상 차

이를 명확히 구분한 자료를 찾기 쉽지 않다. 상 으로 경 학이나 조직발달 련 서에서는

consulting이 자주 사용되지만, 심리학이나 의학 분야에서는 consultation이라는 용어가 선호된다(박효정,

정미경, 김민조, 2009). 본 연구에서는 consultation을 범용 으로 사용되는 컨설 이라고 번역하 다.

Page 11: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 개념비교를 통한 발 방향 탐색

- 315 -

2. 미국의 수업컨설 련 개념들의 비교

미국 수업컨설 의 발 과정을 살펴보기 해 수업컨설 의 기원이 되는 학교컨설 의

출 , 수업컨설 의 개념과 유형, 기반 수업컨설 의 발달과정 등에 해 검토하고, 유사

개념으로써 수업코칭에 해서 소개하 다. 수업컨설 과 련된 논문은 구 학술정보자료

에 ‘instructional consultation'을 키워드로 입력하 을 때, 8백여 건이 넘는 논문이 검색될

정도로 방 하다. 본 연구의 은 수업컨설 이와 유사한 개념들을 탐색하는 것이기

때문에 구 학술정보자료, Education Research Complete(ERC),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Center(ERIC) 등의 학술정보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제목에 '수업(instruction)'

과 ’컨설 (consultation)’이 함께 표기된 논문과 서들을 심으로 검토하 다.

가. 학교컨설

수업컨설 에 해 오랜 기간 연구해 온 Rosenfield는 ‘1972년 Fordham 학에서 자신

이 학교심리학 공 학생들에게 가르친 특수아동학교심리학(Psychology of School Subject

Disabilities) 교과목이 수업컨설 의 역사 출발 이었다(Rosenfield, 1995, p.317)’고 회고

하 다. 이 말이 사실인지는 확인하기 어렵지만, 수업컨설 의 출 이 학교컨설 과 학교

심리학의 향을 받았다는 은 여러 학자들이 공통 으로 언 하고 있다(Rosenfield, 1987;

Erchul & Sherdan, 2008; Erchul & Martens, 2010).

수업컨설 개념을 이해하기 해서는 그 뿌리가 되는 학교컨설 (school consultation)에

해 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학교컨설 은 심리학의 실천 특성을 강조하는 학교심리

학(school psychology)과 깊은 련을 맺고 있다. 학교 심리학은 학생들의 행동문제와 학습

문제에 한 진단과 처방을 해 임상심리학과 교육심리학의 원리들을 용한 학문분야로

19세기 후반부터 발 해 왔다(http://en.wikipedia.org/wiki/School_psychology). 이후 1960

년 정부차원에서 특수아동이 공립학교에 진학할 수 있도록 하기 해 학교에서의 심리

학인 진단과 처치에 한 연구 지원을 확 하 다. 학교심리학은 학생들의 학교 응 문

제를 진단하고 처치하기 해 임상심리학 을 강화하고 컨설 방법론을 도입함으로

써 학교컨설 (school consultation)이라는 새로운 문분야를 탄생시켰다(Erchul & Marten,

2010).

컨설 (consultation)은 특정 분야의 문가인 컨설턴트가 컨설 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받은 직원이 그들의 고객들에게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간 으로 돕는 일종의

Page 12: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 316 -

문 서비스를 일컫는다(Erchul & Sherdan, 2008; Erchul & Martens, 2010). 학교컨설 은

학교심리학 교육학 문가(컨설턴트)가 교사, 학부모, 행정가, 학생들(컨설티)에게 학교

안 에서 컨설 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클라이언트)이 개인 , 사회 , 학문 , 문 개

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 즉, 교육학 문가인 컨설턴트가 컨설 을 받는

교사, 학부모, 학교 행정가, 학생들과 력하여 한 도움을 제공함으로서 재의 문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향후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이를 극

복하기 한 역량을 키우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학교 컨설 의 역은 주고객인 학생들의

학교 응, 학습동기 증진, 정신건강 개선 등을 모두 포함하며, 진단, 방, 치료 기능을

총 한다(Erchul & Marten, 2010). 1970년 행동주의의 확장과 더불어 컨설 에서도 행동

주의 근이 확 되었으며, 학교심리학, 특수교육, 학교상담, 상담심리학, 임상심리학 분

야의 학원에서 학교컨설 에 한 훈련 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기 시작하 다(Erchul

& Sheridan, 2008).

나. 수업컨설

수업컨설 은 학교컨설 의 일종의 하 분야이다. 학교컨설 이 학생들의 학습동기 뿐만

아니라 학교 응이나 정신건강과 같은 다양한 측면을 다루고 있다면, 수업컨설 은 학생들

의 학습증진을 궁극 인 목 으로 한다. 수업컨설 의 상은 주로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

이며, 교수학습 과정에서 이들의 문제들을 개선하도록 지원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경험과

질 제고를 기 한다(Rosenfield, 1987).

Meyers, Parsons, Martin(1979, Rosenfield, 1987 재인용)에 따르면, 수업컨설 은 다음의

네 가지 기능을 한다. 첫째, 컨설턴트는 클라이언트인 학생들에 한 평가, 인터뷰, 찰 등

을 통해 직 으로 학생 자료를 수집하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교사가 수업을 변화시

키기 한 한 자료를 학생들로부터 수집하는 기술이나 방법이 부족할 경우, 수업컨설

턴트가 이를 신한다. 둘째, 컨설턴트는 주로 교사인 컨설티를 통해 클라이언트인 학생들

에게 간 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체 과정의 주도권은 컨설티인 교사에게 있으며,

컨설턴트는 교사와 공동 작업을 통하여 수업을 개선하도록 지원한다. 수업컨설 에 필요한

자료의 수집 수업에 한 개입 등의 책임은 모두 교사에게 있다. 셋째, 컨설턴트는 궁

극 으로 클라이언트인 학생들의 변화를 유도하기 해 교사인 컨설티에게 직 인 서비

스를 제공한다. 교사가 학생들을 담당하는 그 순간부터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학습과

련된 문제들, 즉 학생 리 상담 등을 개선하기 해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컨설턴트

Page 13: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 개념비교를 통한 발 방향 탐색

- 317 -

는 기 의 교육기능이 제고되도록 교육체제의 구조를 변화시키는데 개입한다. 학생들이

무 어려워할 경우 교육과정의 개선을 제안하는 것이 사례가 될 수 있다. 이 가장 일반

인 수업컨설 의 기능은 두 번째로, 컨설턴트가 교사에게 컨설 을 제공함으로써 궁극

으로 학생들의 학습의 질을 강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컨설턴트가 학생들로부

터 직 으로 자료를 수집하기도 하고, 수업 외 학습과 련된 다양한 문제들에 한 상

담을 진행하기도 하며, 더 나아가 교육과정 개선 등 교육시스템 개선을 제안하기도 한다.

오랫동안 수업컨설 에 해서 연구해온 Rosenfield(1987)는 심리학 에서 수업컨설

은 컨설티 심의 컨설 (consultee-centered consultation)이며(Rosenfield, Silva &

Gravois, 2008), 컨설턴트와 교사의 력 계를 기반으로 한다고 보았다. 즉 컨설티인

교사의 문제에 주목하여 컨설턴트와 교사가 문제를 다시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한 지

식과 기술을 교사가 갖도록 지원함으로서 재의 학생 뿐만 아니라 미래의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되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교사가 직면한 문제 자체 뿐만 아니라,

학생들을 가르치고 리하는 교사의 문성 개발에 을 맞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 기반 수업컨설

기반 수업컨설 (Instructional consultation teams)2)은 학교 신의 차원에서 보다

문 이고 체계 인 수업컨설 에 한 요구에 부응하기 한 방법으로 Rosenfield와

Gravois(1996)에 의해 제안되었다. 기존의 수업컨설 의 경우 컨설턴트가 개별 으로 컨설

을 진행함으로써 분석, 평가, 개입의 과정이 컨설턴트의 능력에 따라 좌우되었던 것에

반해, 기반 수업컨설 은 컨설 과정에 여러 문가가 력 이고 체계 으로 근함

으로써 컨설 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장 이 있다(Rosenfield, 1995) 기반 수업컨설

의 궁극 인 목 은 수업컨설 과정에서 다양한 분야의 문가들과 교내 구성원들의 참

여를 확 함으로써 학교 반에 력 이며 문제해결 인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다.

기반 수업컨설 의 구성원으로는 학교의 의사결정권자, 일반 특수 교사, 학교 심

리학자, 학교 상담가, 보건행정가, 사회사업가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들은 수업컨설

과정에서 요구되는 1) 컨설티가 성찰하고 을 바꿀 수 있도록 제안하는 력 계

구성 능력, 2) 체계 인 문제해결 과정을 수행하는 기술, 3) 수업 교수 행동에 한 평

가 개입과 련된 지식 기술 등의 역량을 훈련을 통해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2) Instructional consultation teams을 번역하면 ‘수업 컨설테이션 ’이지만, 용어의 의미 달을 명확하게

하기 해 ‘ 기반 수업컨설 ’이라고 번역하 다.

Page 14: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 318 -

수업컨설 의 과정은 먼 교사가 자발 으로 수업컨설 을 신청하면 구성원 한

명이 담 컨설턴트가 되어서 교사와 문제해결 과정을 진행해 나간다. 이때 각각의 구

성원은 수업에 한 문성을 갖췄다기보다 수업의 교사들이 스스로 문제에 한 해답을

찾아가도록 지원하고 안내하는 일종의 사례 리자(case manager) 역할을 한다. 수업컨설

과정은 의뢰 교사와 사례 리자가 일 일로 이루어지는 것이 부분이다. 그러나, 교사가

의뢰한 문제에 한 분석, 자료 수집, 해결방안 구안, 수업개입 략 수립 등은 체 수업컨

설 의 구성원들이 함께 논의하여 결정함으로써 개별 컨설턴트의 부족한 문성을 보

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에서 효과 인 해결방안을 모색해 나갈 수 있다.

한 수업컨설 의 에 상당수 학교구성원들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컨설

을 통한 충분한 컨설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학교의 변화와 신을 유도

할 수 있다([그림 1] 참조).

[그림 1] 기반 수업컨설 의 구성도 (Rosenfield & Gravois, 1996, p.49)

Gravois와 Rosenfield(2002)는 기반 수업컨설 운 의 핵심 요소로 력 인 업무

계의 설정, 자료에 기 한 체계 의사결정, 수업에 한 평가와 개입 등을 제시하 다.

기반 수업컨설 의 구성원들은 여러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에서 문가로서 서로 력하고 정보를 공유한다. 한, 교사의 수업에 한 만족을 높이

Page 15: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 개념비교를 통한 발 방향 탐색

- 319 -

고 새로운 교수 략의 도입과 문제해결 략의 습득을 지원함으로써 궁극 으로 학교를

신하는데 기여한다. [그림 2]는 기반 수업컨설 의 일반 인 모형이다.

의뢰자의 입장에서 기반 수업컨설 은 일 일 수업컨설 과 마찬가지로 컨설턴트와

개별 인 계형성이 가능하지만, 컨설턴트는 그가 구성원으로 속한 수업컨설 의 다양

한 문가들에 의해 의된 문제해결과정을 과학 인 차에 따라 제시해 주기 때문에 보

다 체제 인 근이라고 할 수 있다. 기반 수업컨설 은 학기 보다 등학교에서

학교의 교육체제를 신하는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차 효과를 증명한 연구 성과들

도 발표되고 있다(Kaiser, 2007).

[그림 2] 기반 수업컨설 모형 (Rosenfield, Silva & Gravois, 2008, p.206)

라. 수업코칭

수업컨설 과 함께 교사들이 읽기, 수학, 과학 등 학문 역에서 양질의 수업을 하도록

교사들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수업코칭(instructional coaching)이 있다(Denton &

Hasbrouck, 2009). 처음 수업코칭의 개념을 도입한 사람은 Joyce와 Showers(1981)이다. 이

들은 코칭을 ‘숙련된 기술과 략을 교육과정과, 일련의 교수 목 , 숙련시간, 그리고 개인

교수 양식 등에 통합할 목 으로 … 찰과 피드백이 순환 으로 돌아가면서 이루어지

는’ 근이며 교사 코칭 활동은 ‘꾸 한 문제해결 노력’이라고 정의하면서 코칭 과정의 피

Page 16: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 320 -

드백을 강조했다. 한 새로운 교수 략을 배우고 교육 장에 구 하는 것뿐 만 아니라

언제 기술을 사용하고 어떻게 조 하는가를 배움으로써 학생들의 학습을 증진시키는 것을

교사의 역할로 보았다.

Denton과 Hasbrouk(2009)는 American Institutes for Research(2004)의 연구를 토 로 수

업코칭 유형을 다섯 가지, 수업컨설 유형을 두 가지로 분류하 다(<표 4> 참조). 다섯 유

형의 수업코칭은 코칭의 구체 목 과 코치의 역할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모두 교사의

문성 개발을 궁극 인 목 으로 한다. Denton과 Hasbrouk(2009)는 수업컨설 과 문제해결

코칭을 비교하며, 수업컨설 과 수업코칭은 목 , 모형, 차 등이 유사하지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에서 차이가 있다고 지 하 다.

먼 수업코칭은 ‘교사’의 수업 문성 개발이 궁극 인 목 인 반면, 수업컨설 은 ‘학습

자’의 수업문제 개선을 가장 요하게 본다. 즉 비슷한 활동을 하더라도 구를 우선순

에 두느냐에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수업컨설 코칭을 한 자료 수집 상과

방법, 컨설턴트의 문성과 활동방법 등에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다음으로 수업컨설 은

교사와 컨설턴트의 계를 력 (collaborative)으로 가정하나, 수업코칭은 교사와 코치의

계를 동 (cooperative)으로 가정한다(Denton & Hasbrouk, 2009). 력 인 컨설턴트와

교사는 교실 내외의 다양한 문제, 교육내용 교수방법에 한 이해, 가치 과 신념 등을

공유하며 공동의 책임의식을 가지고 직면한 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고자 노력한다. 반면

동 인 코치와 교사는 효과 이고 효율 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해 책임과 활동을 분

배하고 필요에 따라 상호작용한다(Panitz, 1999). Witt(1990)은 수업컨설 에서 교수자와 컨

설턴트의 계가 력 (collaborative)일 것을 기 하는 것은 실 이지 않으며, 일종의

검증되지 않은 ‘신화’라고 지 하 다(이동형, 2011 재인용). 수업컨설 에서 의사소통의 주

도권은 일반 으로 컨설턴트에게 있으며, 교사는 이를 따라가는 것이 일반 이기 때문이다.

미국 노동부의 분류에 따르면, 수업컨설턴트(instructional consultant)와 수업코치

(instructional coach)는 모두 수업코디네이터군(instructional coordinators)으로 분류된다

(http://www.bls.gov). 수업코디네이터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교과목을 운 하는 교수자

들에게 안내를 제공하기 하여 특정 분야에서 수업자료를 개발하고 교육내용을 조정하며

최신테크놀로지를 추가하는 일을 담당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특수교육 커리큘

럼 문가(special education curriculum specialist), 교육과정 평가책임자(curriculum

and assessment director), 교육과정 문가(curriculum specialist), 교수설계 컨설턴트

(instructional design consultant), 교육과정 컨설턴트(curriculum consultant) 등도 이 직군

에 포함된다.

Page 17: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 개념비교를 통한 발 방향 탐색

- 321 -

수업컨설 의 출발을 심리학과 특수교육으로 보는 Rosenfield와 Gravois(1996)는 수업컨

설턴트가 갖춰야 하는 기술로 력 커뮤니 이션 기술, 체계 문제 해결 략, 변화에

한 응, 극 인 활동 등을 강조하 다. 그러나 차 수업컨설턴트의 역할이 교수

설계, 교육과정, 학생평가 등 교사의 수업 문성 개발 역에 맞춰지면서 수업컨설턴트가

갖춰야 할 역량을 수업컨설 단계 지식, 자료 기반 의사결정 능력, 학술 문제를 다루는

기술,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언어 지식, 활동 과정에서 계 개발 능력 등으로 확 하 다

(Rosenfield, 2002). 미국노동청은 수업코디네이터가 갖춰야 할 자격으로 분석기술, 커뮤니

이션기술, 의사결정기술, 교수기술, 인기술 등을 제시하 으며, 교육과정 교수 련

분야, 혹은 교과교육 분야에서 최소한 석사학 를 갖추어야 한다고 지 하고 있다

(http://www.bls.gov).

정리하면 미국의 수업컨설 은 컨설 의 방법으로 문제 학생들의 학교 응을 지원하려

는 학교심리학과 특수교육 연구와 용이 교수학습의 문제에 을 맞춤으로써 특화된

분야로 발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40여년이 넘은 긴 기간 동안 수업컨설 은 교수자에

한 다양한 교육, 조언, 상담 등을 통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증진하는데 기여해 왔다.

한 개별 수업컨설 에서 다양한 문가가 포함된 기반 수업컨설 까지 다양한 형태

와 차로 발 하 으며, 하나의 문 인 직업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Page 18: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 322 -

Page 19: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 개념비교를 통한 발 방향 탐색

- 323 -

Ⅳ. 국내 수업컨설 의 발 방향 탐색

앞서 살펴본 수업컨설 련 개념들의 비교를 토 로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사용되는

수업컨설 개념의 유사 과 차이 을 여섯 가지 쟁 으로 비교하 다. 그리고 이를 토

로 수업컨설 의 발 방향을 제시하 다.

1. 우리나라와 미국의 수업컨설 개념 비교

가. 유사 : 의도된 자발성

우리나라와 미국의 수업컨설 개념에서 찾아볼 수 있는 한 가지 유사 은, 우리나라나

미국의 수업컨설 모두 교사들의 순수한 자발성에 의한 것도 있지만, 상당부분 의도된 자

발성 즉 타율성이 가미된 자발성에 의한다는 이다.

수업장학에서 수업컨설 의 개념이 발 한 우리나라의 경우, 장에서의 수업컨설 은

교사의 자발 인 의사에 의해 행해지는 문성 향상 노력이라기보다는 교육지원청과 학교

차원에서 수업의 개선을 지원하는 노력으로, 교사 입장에서 보면 의무 인 활동이 될 가능

성이 많다. 특히 ・ 등학교의 경우 수업컨설 이 교육지원청의 핵심 업무가 되면서 교사

의 수업컨설 참여를 의무 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 달리 학은 컨설 을 원하는 교수

들을 상으로 각 학 내의 문 수업컨설턴트가 컨설 을 진행하기 때문에 조 더 자

율 이라고는 볼 수 있다.

이러한 상은 미국도 비슷하다. 미국 임교사의 경우, 동료교사의 수업컨설 혹은 멘

토링의 방식으로 장기간의 수업컨설 이 의무 으로 진행된다(강 , 2008; 최승 , 강 ,

곽 순, 장경숙, 2008). 그러나 학은, 일부에서 교수들 간의 동료평가를 교원평가에 반 하

기도 하지만(신종호, 홍성연, 2012), 체 으로 교수의 자발 참여에 의해 운 된다.

나. 서로 다른 출 배경: 장학 vs. 상담

우리나라의 수업컨설 이 수업장학에서 유래되었다면, 미국의 수업컨설 은 학교심리학

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사들의 자발성이 무시되고 문성이 보장되

지 못하던 수업장학의 단 을 보완하기 해 컨설 장학을 도입하 고, 이후 교사와 컨설

턴트의 상호평등과 자발성, 문성을 강조하는 수업컨설 으로 발 하 다. 반면, 미국의

Page 20: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 324 -

경우, 학생들의 학교 응문제를 진단하고 처치하던 학교심리학이 학교컨설 으로 발 하

으며, 여기서 수업의 문제에 을 맞춘 수업컨설 이 하나의 문분야로 발 하 다. 이

와 같이 서로 다른 출 배경으로 우리나라와 미국의 수업컨설 은 다음에서 살펴보게 될

몇 가지 에서 차이를 보이게 된다.

다. 교수자의 문성 향상 vs. 학생들의 문제 해결

우리나라의 수업컨설 에 한 여러 정의들이 공통 으로 강조하는 것은 ‘교사의 수업

문성 향상’이다. 수업컨설 의 토 가 되는 수업장학과 컨설 장학도 교사의 수업 문성

향상을 주된 목 으로 한다. 반면 학교심리학에서 발 된 미국의 수업컨설 은 수업에서

특별한 요구를 가진 학생들을 가르쳐야 하는 교사들을 지원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학생들이 개인 , 사회 , 학문 , 문 개발을 할 수 있도록 학교심리학이나 교

육학 문가가 교사들을 지원함으로써 컨설 의 주고객인 학생들의 학교 응, 학습동기

증진, 정신건강 개선, 그리고 이를 통한 학업성취도 향상 등을 요시한다.

라. 일 일 vs. 기반

우리나라의 수업컨설 은 주로 컨설턴트와 교수자가 일 일로 이루어지는 반면, 미국의

수업컨설 은 일 일 컨설 은 물론 기반 수업컨설 , 동료컨설 등 다양한 형태를 띤

다. 우리나라 수업컨설 은 신청한 교사와 컨설턴트가 일 일로 만나 컨설 을 실시하는

것이 가장 일반 이다. 일부 학에서 수업컨설 의 발 인 형태로 교수들 간의 교육연

구모임과 수업컨설 을 연계하여 지원함으로써 교수들 스스로 력 공동체를 만들어 수

업에 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반면 미국의 경우 일 일 컨설 이 진행되

기도 하지만, 등학교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문가들이 을 구성하는 기반 수업컨

설 이, 학에서는 동료 교수자들이 서로의 수업에 한 컨설 하는 동료컨설 이 강조되

는 추세이다.

마. 한시성 vs. 지속성

우리나라와 미국의 수업컨설 은 지속성의 측면에서도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 수업컨설

은 체 으로 한시 으로 진행된다. 즉 교사가 컨설 을 요청하여 문제가 해결되면 컨

설 이 종결되는 것이다. 한 번의 만남으로 해결될 수도 있고 몇 번에 걸친 만남이 필요할

수도 있으나 일단 문제가 해결되면 컨설 의 단계가 마무리된다는 에서 한시 으로

Page 21: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 개념비교를 통한 발 방향 탐색

- 325 -

진행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미국에서는 교사의 문성 개발을 해 찰과 피드백

이 일정기 꾸 히 이어지는 지속 인 컨설 을 강조하고 있다. 체제 근을 강조하는

기반 수업컨설 과 수업코칭도 교사의 력과 반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컨설턴트와

일정기간 지속 인 상호작용을 유지하도록 지원한다.

바. 수업 문가 vs. 문직업군

수업컨설 에서 수업컨설턴트는 매우 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에서 ・ 등 수업컨

설턴트는 15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진 1 정교사 일정한 차에 의해서 선발된 수석

교사들이다. 학의 컨설턴트는 교육학을 공한 교내・외의 박사들이 담당한다. 이 게 볼

때 우리나라의 수업 컨설턴트는 교육학 지식이나 교육경험을 지닌 수업 문가라고 볼

수 있다. 이들의 주요 업무는 교육과 련된 업무이며, 컨설 은 이와 병행되는 업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기 미국의 수업컨설턴트들은 교육 문가라기보다 상담 문가로서 수업

이나 교육학 지식보다 커뮤니 이션 기술, 문제해결 략, 활동 등이 강조되었으나

(Rosenfield & Gravois, 1996), 최근들어 이들에 한 자격 요건이 강화되고 있다. 미국 노

동부에서는 수업컨설턴트나 수업코치 등을 학교의 교육의 질을 개선하는데 참여하는 문

직종으로 분류하며, 어도 석사학 나 교사자격증, 는 학교행정가 자격증이 필요하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들은 한 학교에 소속되거나 지역의 학교를 돌아다니며 수업컨설 을 진

행하기도 하고, 특정 학교 , 특정 교과목, 특수교육, 외국어로서 어, 재교육 등 문

역을 가지고 활동하기도 한다.

2. 국내 수업컨설 발 을 한 몇 가지 시사

앞서 우리나라와 미국의 수업컨설 개념의 비교를 통해 드러난 여섯 가지 쟁 들은 수

업컨설 의 학문 기반, 주요 목표, 참여의 자율성, 컨설 방법과 기간, 수업컨설턴트의

자격 등 수업컨설 의 개념을 형성하는 주요 요소들을 다루고 있다. 본 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을 심으로 우리나라 수업컨설 의 발 을 한 시사 을 다섯 가지로 제시해 보

고자 한다.

첫째, 수업컨설 은 교수자에게 교수기술이나 략을 달하기보다 반성 수업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 으로 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수업컨설 은 서로 다른 출 배경

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목 에서도 차이가 있다. 수업장학에서 출발한 우리나라의 수업

Page 22: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 326 -

컨설 은 ‘교수자의 수업 문성 향상’을 목 으로 하는 반면, 학교심리학에 뿌리를 둔 미국

의 수업컨설 은 ‘학생의 학업문제 해결과 학습성과 증진’을 목 으로 한다. 여기서 고려해

보아야 할 은 어느 목 을 선택할 것인가가 아니라 우리나라의 독특한 교육환경에서 발

해 온 수업컨설 이 궁극 으로 지향하는 목 이 무엇이며, 놓치고 있는 부분은 없는지

다시 한번 깊이 있게 성찰하는 것이다. 교수자의 수업 문성을 향상시키는 핵심은 수업에

한 반성 성찰이다. 반성 수업능력을 기르기 해서는 보편 으로 용되는 교수기술

이나 략 심의 수업컨설 은 지양되어야 한다. 이보다 교수자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성

찰하고, 학습자 심 수업의 의미와 실천을 해 노력하고, 동료 교사들과 력 으로 상

호작용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환경과 체제를 고려한 수업컨설 이 되어야 한다(유솔아,

2005; 심미자, 2012).

둘째, 수업컨설 과정에서 참여주체의 자발성을 최 한 보장해 주어야 한다. 우리나라

와 미국 모두 순수한 자발성을 기 로 하나 상당한 정도의 수업컨설 은 의도된 자발성에

기 하고 있다. 수업 문성이라는 것이 교사 스스로의 반성에 기반한 것이라고 볼 때 수업

컨설 에서 자발성은 가장 요한 원리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된 자발성에

의해 수업컨설 이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컨설 과정에서 의뢰인의 자발성을 어떻게 최

한 보장해 것인가를 요하게 고려해 야 한다. 컨설 과정에서의 체 인 주도권

을 컨설티인 교사에게 부여하여 컨설 의 내용과 방법, 자료의 요청과 수집, 수업에 한

개입 등에 교사의 요구를 반 하고 컨설턴트는 교사의 수업개선을 돕는 진자, 안내자 역

할을 함으로써 교사의 자발성을 최 한 보장할 필요가 있다. 한 행정 측면에서 일정기

간 교육지원청에서 수업컨설 을 운 하더라도 차츰 교사들만의 자치연구회나 학습공동체

로 주도권을 이 하는 등 교사들의 자발 참여를 활성화하기 한 실제 인 방안이 필요

하다고 보여진다.

셋째, 교수자의 요구에 따라 지속 인 컨설 이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수

업컨설 은 교사가 의뢰한 문제가 해결되면 컨설 이 종료되는 한시 인 것이라면, 미국은

찰과 피드백이 일정기간 순환 으로 이어지는 지속 인 컨설 이 강조되고 있다. 수업컨

설 이 한시 으로 시행될 때의 문제 은 교수자의 수업에 한 반성이 실천으로 이행되

는 과정까지 컨설 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것이다. 지 까지의 수업을 되돌아보고 수업의

을 바꾸어나가는 반성은 지속 인 노력과 시간을 기울여야 가능하다. 이러한 에서

수업컨설 은 해당 컨설 이 완료되었다 하더라도 지속 인 만남을 통해 수업컨설 의 후

속 결과를 확인하거나, 혹은 교수자가 추가 인 문제에 부딪쳤을 때 새롭게 수업컨설 에

참여할 수 있는 항시 ・수시 컨설 으로 환될 필요가 있다.

Page 23: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 개념비교를 통한 발 방향 탐색

- 327 -

넷째, 컨설턴트 간에 력을 강화하여 보다 문 인 컨설 을 제공해야 한다. 우리나라

에서는 컨설턴트와 컨설티가 일 일 계로 컨설 이 이루어지는 것이 부분이라면 미국

에서는 기반 수업컨설 과 같은 력 인 컨설 도 강조되고 있다. 미국의 수업컨설

에는 학교행정가, 일반교사, 특수교사, 학교심리학자, 학교상담가, 보건행정가, 사회사업가

등 다양한 문가들이 참여할 수 있다. 이들은 서로 력 계를 통해 개별 교사들이 처

한 문제를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고, 필요한 안내를 제공한다. 한 필요한 경우 학

교의 시스템과 문화의 변화를 제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가들의 력 인 컨설 은

미숙한 컨설 이 가지고 올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 문가 간의 문제 사례들을

공유함으로써 보다 효과 인 컨설 이 가능하게 한다.

다섯째, 수업컨설 의 유형와 방법을 다양화하고 문화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수업컨설

은 수업경험이 많은 교사나 교육학 공 문인력이 담당하지만, 부분 일 일 피드백

이라는 동일한 형태를 띤다. 반면 미국은 수업컨설턴트의 학문 배경이 다양하며, 특정

학교 이나 교과를 특화하여 문 으로 담당하는 컨설턴트가 활동한다. 한 Denton와

Hasbrouk(2009)이 제안한 것처럼 다양한 유형과 목 의 수업컨설 과 수업코칭이 존재한

다. 우리나라 수업컨설 의 발 을 해서는 목 과 컨설티의 요구에 따라 방법과 유형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를 들어 교사의 요구에 따라 수업컨설턴트가 수업에서의 문제에

한 조사와 확인에 그칠 수도 있고, 해결책을 제시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개선 방안

의 시행을 극 으로 도울 수도 있다. 수업컨설 의 문성과 다양성을 개발하기 해 수

업컨설 학회나 연구회 등을 통해 다양한 유형과 방법에 한 사례를 발굴하고 공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요컨 수업컨설 은 교사들의 수업 문성 향상을 목 으로 하되, 일반 인 교수 방법이

나 략들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의 학습을 돕기 한 의 변화 이를

한 반성을 실천하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이를 해 컨설 의 참여와 진행 과정에서 교수자

의 자발성을 최 한 보장해 주어야 하며, 필요에 따라 지속 인 컨설 이 제공될 수 있는

상시 컨설 체제를 구축하고 다양한 유형의 컨설 이 활성화되어 교수자들의 요구가

최 한 반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한 수업 컨설턴트는 수업이

라는 공통의 심사를 공유하는 다양한 교육 문가로, 력 계를 강화하여 컨설 의

문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Page 24: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 328 -

Ⅴ. 요약 결론

교육의 질 개선을 해 ・ 등학교와 학 교수자들의 수업 문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은 이제 교육개 의 가장 기본 이면서도 핵심 인 정책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리

고 그 정책은 수업컨설 의 용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 장에서 수업

컨설 의 외형 인 성장에 비해 이에 한 이론 연구와 논의는 상 으로 활발하지 않

은 편이다. 수업컨설 의 효과 인 확산과 질 인 도약을 해서는 극 인 장 용을

통해 실천 략과 방법을 연구하는 것과 동시에 수업컨설 의 개념과 목 에 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이론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사용되는 수업

컨설 과 유사 개념들의 비교해 으로써 수업컨설 의 발 을 한 몇 가지 시사 을 제

안해하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우리나라 수업컨설 의 개념과 목 을 살펴보기 하여

수업장학, 컨설 장학, 학교컨설 등의 개념에 해서 고찰하 으며, 미국의 수업컨설 은

학교컨설 , 기반 컨설 , 수업코칭 등의 개념들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와 미국에서의 수업컨설 은 참여 주체의 순수한 자발성과 의도된 자발성을 모

두 기 로 하고 있다는 에서 유사하나 컨설 의 출 배경이나 목 면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한 컨설턴트와 컨설티의 계나 컨설 의 기간 역시 조 씩 상이했으며 컨설

의 유형이나 방법, 컨설턴트의 문성 부분에서도 차이를 보 다. 이러한 을 토 로 우

리나라 수업컨설 의 발 방향으로 단순한 교수기술이나 략 심의 컨설 이 아니라

교수자의 반성이라는 기반 에 학습자 심의 수업을 지향하는 수업 문성 향상을 목

으로 하여야 한다는 것과 컨설 과정에서 교사들의 자발성을 최 한 보장해 주어야 한다

는 것, 교사들의 요구에 따라 수업컨설 의 기 을 다양화 할 것, 컨설턴트 간의 력을

통해 컨설 의 문성을 높일 것, 그리고 교사들의 요구에 따라 수업컨설 의 유형과 방법

을 다양화할 것 등을 제안하 다.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사용되는 수업컨설 과 련된 다양한 개념들을 비교 분석하고 이

에 근거하여 몇 가지 시사 을 제시하고자 했던 본 연구는 수업컨설 에 한 논의와 이

해를 심화시킴으로서 향후 수업컨설 의 확산과 발 에 기여할 것으로 기 된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다섯 가지 시사 이 실제 교육 장에서 어떻게 용될 수 있는지 그

구체 인 방안에 한 추후 연구를 기 해 본다.

Page 25: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 개념비교를 통한 발 방향 탐색

- 329 -

▣ 참 고 문 헌 ▣

교육과학기술부(2010). 지역교육청 기능개편 가이드라인 보도자료. 2010.6.23.

강 (2008). 등 사회과 내용교수지식(PCK) 임교사 수업컨설 연수. 한국교육과정평원 연

구자료 ORM 2008-29-1.

강 삼(1998). 학교조직 특성에 따른 장학문화의 차이에 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16(1). 136-179.

고 희(1984). 등학교 내실화를 한 수업 장학 모델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김도기(2005). 컨설 장학에 한 질 실행 연구. 서울 학교 박사학 청구논문.

김정원 외(2001). 학교교육개 지원을 한 학교컨설 사업(I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1-7.

김정원 외(2002). 학교교육개 지원을 한 학교컨설 사업(II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2.

김종철(1982). 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서울:교육과학사.

김지선, 박소 (2012). 수석교사제 법제화의 의미에 한 질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9(3),

123-146.

박효정, 정미경, 김민조(2009). 학교컨설 체제 구축을 한 기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9-32.

민혜리, 윤희정(2012). 학수업 개선에 있어 수업컨설 의 기능: 학 교수의 인식을 심으로, 열린

교육연구, 20(1), 251-276.

서범종(2011). 컨설 장학의 이해, 정 수(편), 선진형 교육청 기능 개편 사업 성과보고서, 18-40.

서울 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2006). 서울 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05년 연차보고서, 서울 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송 순, 김재호(2010). 비교사를 한 반성 실과 수업 컨설 모형 개발, 실과교육연구, 16(4),

43-60.

신종호, 홍성연(2013). 학 수업 개선을 한 수업에서의 동료평가 로그램 도입 방안 탐색, 한국

교원교육연구, 30(1), 201-230.

심미자(2012). 좋은 수업을 한 수업컨설 의 새로운 방향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9(2), 371-396.

오기열(2012). 컨설 장학의 방향과 이해. 교육과학기술부 실무연수자료.

유솔아(2005). 반성을 통한 교사 문성 신장을 한 교사 교육: PDS, 한국교원교육연구, 22(3),

97-121.

이동형(2011). 가족-학교 력에 기 한 자문모델의 이해와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2),

419~442.

이명호(1999). 컨설 장학으로. 새교육, 531, 39-43.

이병환, 김진규, 신재한(2011). 학교컨설 장학 모형과 운 차 탐색, 교육문화연구, 17(2),

175-198.

이상수(2010). 수행공학을 용한 수업컨설 모형, 교육공학연구, 26(4), 87-120.

Page 26: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 330 -

이유나, 강정찬, 오 범, 이상수(2012). 수업컨설 인식 요구조사에 기 한 수업컨설 의 과제,

교육공학연구, 28(4), 729-755.

이용숙(2007). 수업컨설 의 방향. 열린교육실행연구, 10, 3-29.

이윤(2008). 등 어 수업컨설 실태 분석. Primary English Education, 14(2), 45-71.

이윤식(1999). 장학론. 서울 : 교육과학사.

이윤식(2002). 학교경 과 자율장학. 서울:교육과학사.

이재덕(2008). 수업컨설 을 한 코칭 기법의 특징과 활용 방안, 등교육연구, 21(2), 307-332.

이화진, 오상철, 홍선주(2006). 수업컨설 지원 활성화 방안, 열린교육실행연구. 10, 33-63.

정수 (2011). 컨설 장학 지원의 효율화, 정 수(편), 선진형 교육청 기능 개편 사업 성과보고서,

145-173.

정용우, 양성 (2008). 수업컨설 이 교사의 수업효율성과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문제해결능력

에 미치는 향, 교육행정학연구, 26(1), 315-341.

정한호(2012). 원격 학 교수학습센터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컨설 사례에 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28(1), 193-229.

조벽(2002). 새시 교수법: 상담 가이드북. 서울: 한단북스.

조병효(1995). 장학론. 서울: 교육과학사

조성일, 신재흠(2004). 장학행정 이론과 실제. 서울:학마당

조 숙(2009). 등학교 수업컨설 모형 탐색과 실행 과정의 효과 연구, 경기 박사학 청구논문.

주삼환(1999). 변화하는 시 의 장학. 서울: 원미사.

진동섭(2007). 학교 컨설 의 과제와 망. 경인교육 학교 산학 력단/서울 학교 학교컨설 연구회

공동 세미나 자료집, 5-24.

진동섭(2008). 학교컨설 . 서울: 학지사.

진동섭, 김도기(2005). 컨설 장학의 개념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23(1), 1-25.

진동섭, 홍창남, 김도기(2011). 학교경 컨설 과 수업컨설 . 서울: 교육과학사.

천호성(2008). 수업컨설 을 통한 교실 수업 지원 방안에 한 연구, 사회과교육, 47(3), 109-134.

최상근 외(2000). 학교교육개 지원을 한 학교컨설 사업(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0-15.

최선 , 노석구(2008). 등과학 수업컨설 에 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등과학교육, 27(11), 23-30.

최승 , 강 , 곽 순, 장경숙(2008). 교과별 내용교수지식(PCK) 연구(II)- 등 임교사 수업컨설

을 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8-2.

홍성연(2010). 학 강의 개선을 한 수업컨설 사례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1(3), 97-127.

American Institutes for Research(2004). Conceptual overview: Coaching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Impact Study. Unpublished manuscript.

Bergquist, W. H. & Phillips, S. R. (1975). A Handbook for Faculty development. Washington, D. C. :

Council for the Advancement of Small Colleges.

Brinko, K. T.(1990). Instructional consultation with feedback in higher education. The journal of

Page 27: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 개념비교를 통한 발 방향 탐색

- 331 -

higher education, 61(1). 65-83.

Brinko, K. T.(ed.).(2012). Practically speaking: A sourcebook for instructional consultants in higher

education. Stillwater, OK: New Forums Press.

Denton, C. A., & Hasbrouck, J.(2009). A description of instructional coaching and its relationship

to consul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Consultation, 19(2), 150-175.

Erchul, W. P., & Martens, B. K.(2010). School consultation: Conceptual and empirical bases of practice.

Springer.

Erchul, W. P., & S. M. Sheridan(Eds.),(2008). Handbook of research in school consultation: Empirical

foundations for the field. New York: Erlbaum.

Erickson, G. R. & Erickson, B. L.(1979). Improving college teaching: An evaluation of a teaching

consultation procedur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50(5). 670-683.

Fehr, S. J. K.(2001). The roll of the educational supervision in united states public schools from

1970 to 2000 as reflected in the supervision literature. A Doctorial Thesis i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Gravois, T. A., & Rosenfield, S.(2002). A multi-dimensional framework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teams. Journal of Applied School Psychology, 19(1), 5-29.

Huling, L. R.(2001). Teacher mentoring as professional development. ERIC Digest.

Joyce, B. R., & Showers, B.(1981). Transfer of training: the contribution of "coaching". Journal of

Education, 163(2), 163–172.

Kathleen, T. B. (1990). Instructional consultation with feedback in higher education.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61(1), 65-83.

Kaiser, L. T. (2007). The effect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teams on teachers' reported

instructional practic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Lee, V. S.(2010). Program types and prototypes, In K. J. Gillespie, D. L. Robertson, & Associates

(2nd eds.). A guide to faculty development (pp. 21-33). San Francisco, CA: Jossey-Bass.

McKean, R. C. & Mills, H. H.(1964). The supervision. New York: The Center for Applied Research

in Education, Inc.

Panitz, T.(1999). Collaborative versus cooperative learning: A comparison of the two concepts

which will help us understand the underlying nature of interactive learning. ERIC

Clearinghouse. Retrieved from http://pirun.ku.ac.th/-btun/pdf/coop_collab.pdf

Pas, E., & Newman, D. S.(2013). Teacher mentoring, coaching, and consultation. In J. Hattie, &

E.M. Anderman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tudent achievement (pp. 152-154). New York:

Routledge.

Rosenfield, S.(1987). Instructional consultation. New York: Erlbaum.

Rosenfield, S.(1995). The practice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consultation, 6(4), 317~327.

Page 28: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 332 -

Rosenfield, S.(2002). Developing instructional consultants: From novice to competent to expert.

Journal of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Consultation, 13(1-2), 97-111.

Rosenfield, S., & Gravois, T. A.(1996). Instructional consultation teams: Collaborating for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Rosenfield, S., Silva, A., & Gravois, T. A.(2008). Bringing instructional consultation to scal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IC and IC teams. In Erchul, W. P. & Sheridan, S. M. (Eds.),

Handbook of research in school consultation: Empirical foundations for the field. (pp. 203-223).

New York: Erlbaum.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Instructional coordinators. Retrieved from http://www.bls.gov

Wikipedia contributors(2013). School psychology. In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Retrieved

from http://en.wikipedia.org/w/index.php?title=School_psychology&oldid=561321622

Page 29: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 개념비교를 통한 발 방향 탐색

- 333 -

ABSTRACT

New direction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based on a conceptual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USA

Hong, Seongyoun (Ajou univ.)

Jeon, YoungMee (Suwon univ.)

Instructional consultation has been conducted to improve teaching expertise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s well as university. Compared to the growth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in the school field, however, the theoretical research has not been actively

discussed and studi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is

concept by comparing the related various concepts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used in

Korea and USA, as well as to explore a new direction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for

improving teaching expertise. First, we reviewed similar concepts and the process of

historical transitions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in Korea and the America. Second, we

identified six issues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oncepts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rd, we suggested five new directions for

developing instructional consultation.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concepts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and to developing a new

direction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for teaching expertise customized to the Korean

educational environment.

Kew words : instructional consultation, teaching expertise, school consultation,

teaching super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