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rsing Home) -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5.pdf · 너싱홈(Nursing...

18
27 2 , 53-70, 2009. (Nursing Home) * ** (Nursing Home) . 5 50 5 2 1 , , , , , SPSS t . , , , , , , , . : , , : 2009/08/27 : 2009/09/24 : 2009/09/30 * ** ( : [email protected])

Transcript of (Nursing Home) - cau.ac.krcau.ac.kr/~edusol/see/list/Vol27-2/CAKE027-002-5.pdf · 너싱홈(Nursing...

한국교육문제연구소

제27권 제2호, 53-70, 2009.

너싱홈(Nursing Home) 세대교류프로그램이유아의

인성발달에미치는영향

배 윤 진* ․ 김 현 주**

본 연구는 너싱홈(Nursing Home) 방문을 통한 세대교류 프로그램 경험이 유아의 인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탐구하여 다양하고 바람직한 세대교류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5세반 유아 50

명을 대상으로 약 5개월 동안 2주에 1회씩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교류 프로그램을 실시

하여 사전, 사후 인성발달의 차이를 살펴보았고, 실험과정에서 유아의 쓰기와 그림자료, 현

장관찰노트, 유아와의 면담 자료 등 유아들의 반응을 알아볼 수 있는 질적자료를 수집하여,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한 t검증과 질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세대교류

프로그램을 경험한 유아들은 기본생활습관, 자아확립, 공동체 의식, 신체 발달, 사회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고, 즐겁고, 보람되며, 자발적인 참여와 책임감 등

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세대교류 프로그램, 인성발달, 너싱홈

논문 접수: 2009/08/27 수정본 접수: 2009/09/24 게재 승인: 2009/09/30

* 중앙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석사

** 대림대학 유아교육과 조교수 (교신저자: [email protected])

54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미래의 주역들인 유아들에게 타인을 이해하고, 배려하며, 서로서로 정서를 나누며, 사회

적 책임감을 가지고 협력하며, 배려하며, 서로서로 정서를 나누며, 사회적 책임감을 가지

고 협력하며, 긍정적 자아개념을 길러 바르고 밝은 올바른 인성을 길러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교육의 과제이다 (허해옥, 1998). 그러나 한국은 현재 자녀 없는 가구가 14.2%에

서 16.2%로늘어나는추세이며 (서울경제, 2006. 7. 26), 2004년합계출산율은 1.16명으로

OECD회원국 중 최저 수준을 기록하는 등 (한겨레, 2006. 8. 25) 지속적인 저출산 현상에

따라 가족의 구성원 수가 점점 줄고 있다. 2005년 통계자료에 의하면 3대 이상이 함께

사는 가구는 전체의 8.4%에 지나지 않는다 (경향신문, 2006. 7. 26). 이러한 핵가족화로

인해 유아와 조부모간의 유대감이 형성 기회가 감소되었으며, 유아가 가족 내에서 2, 3세

대간의 갈등해결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 또한 감소되었다. 유아는 더 이상 가족이라

는 공동체에서 정기적인 3세대의 교류를 경험할 수 없으며, 또한 세대간 함께 어울려 사

는 바른 인생태도를 배울 수도 없는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부모들의 관심이 자녀들에게

집중되다보니 1세대들은 이기적이고 독립심이 적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김성곤,

2000). 더 큰 문제는 이러한 경향이 계속되거나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라는 점이다. 그러

므로 더욱더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시대적 변화로 인해 세대간의 교류가 적어진 것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은 가족공동체가

아닌 다른 공동체, 즉 지역사회 안에서 유아로 하여금 세대간의 교류를 경험하게 함으로

써 해결할 수 있다. 유아들은 정기적으로 지역사회에 있는 유아교육기관을 다니고 있으

며, 그 지역사회에서 노인을 만날 수 있다. 즉, 지역사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유아와 노인

간의 세대 교류를 통해 유아의 세대간 이해가 증진되고, 함께 어울려 사는 태도를 익힐

수 있다. 세대 교류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는 어른이 늙어가는 과정을 자연스럽게 관찰하

게 되고, 늙음이나 노령에 따르는 신체적 차이를 있는 그대로 또는 긍정적으로 여길 수

있게 된다 (임재택, 김윤옥, 1996). 또한 사회ㆍ정서 발달, 기본생활습관, 언어표현력에서

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허은주, 2003), 인성발달에서도 효과가 있다 (권오정, 2004).

그러나 현재 유아와 노인간의 세대교류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유아교육기관에서 노인 자

원봉사를 통한 것이고, 건강한 노인을 활용한다는 차원에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이

많다. 일상생활에 지장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건강한 젊은 노인이 있지만 치매ㆍ중풍ㆍ

만성질환에 시달리는 노인도 있으며 (메리 파이퍼, 2000), 고령화 사회가 진행됨에 따라

너싱홈(Nursing Home) 세대교류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55--------------------------------------------------

이러한 아픈 노인들의 수는 더욱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다가올 미래의 노인 인구 부양

을 둘러싼 세대간의 갈등을 겪지 않고 책임감을 지니기 위해서는 유아들이 누군가를 돕

는 경험을 해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므로 유아교육현장에서도 실천 지향적이

고 생활 체험적인 인성교육의 내용이 있는 남을 돕는 활동을 실시하는 것이 (임민자,

2001) 필요하다.

유아의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프로그램은 유아가 누군가로부터 도움을 받기만 하는

존재라는 개념에서 탈피하여, 자신들도 누군가를 도와줄 수 있는 존재라는 것을 깨닫고 그에

대한 보람을 갖고자 하는 프로그램으로 유아와 노인간의 교류경험 뿐만 아니라, 노인을 돕는

경험을 통해 유아의 인성발달 또한 꾀하고 있다 (Aday et al., 1996).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

대 교류 프로그램은 유아들의 인성발달을 위한 다양한 교육활동의 일환으로 보았다. 건강하지

않고 아픈 노인들을 방문하여 함께 활동하는 것은 자원봉사활동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자원

봉사활동에서 오는 개인적인 가치는 ‘존재의 가치와 의미 찾기, 자존의식과 정신건강의 증진,

인격적 성숙과 발전, 애정의 증가, 인간관계의 개선, 자신감과 성취감’ 등으로 (김익균 외,

2002), 유아의 인성발달덕목의 발달을 가져오는 것이다. 또한, 유아들은 자원봉사활동을 통하

여 인성발달의 특성으로 볼 수 있는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바

람직한 인성을 지닌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된다 (임민자, 2001). 외국의 유아

와 노인간의 세대 교류 프로그램은 이미 너싱홈 방문형태의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이며, 유아의 너싱홈 방문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가 검증되어 왔다. 다양한 지역사

회 구성원들과 너싱홈 노인들 간의 잘 계획되고 구성된 만남은 너싱홈 노인들의 정신적ㆍ신

체적 건강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Chamberlain, Fetterman, & Maher, 1994; Lambert,

Dellmann-Jenkins, & Fruit, 1990; Newman, Lyons, & Onawola, 1985; Ward, Kamp, &

Newman, 1996: Hamilton et al., 1998에서재인용), 너싱홈을방문한구성원들에게는잠재적인

교육적ㆍ태도적 이점이 있었고 특히 젊은 세대 구성원에게는 더욱 큰 효과가 있었다

(Hamilton et al., 1998). 또한, 치매를 가진 너싱홈 노인들과 어린이집 유아들이 매주 함께 한

합창활동이 노인들의 심리적 복지감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으며

(Lowenthal & Egan, 1991; 양승규, 2003에서 재인용), 22명의 4학년 한 학급의 학생들이 5개

월 동안 매주 1회씩 너싱홈을 방문하는 세대간 친선 프로그램에 참여한 결과 노인들을 특별

한 친구로 여기게 되었고 노인들에게 계속적인 관심과 돌보는 행동을 보였다 (Schwalbach &

Kiernan, 2002).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유아의 너싱홈 방문과 관련된 연구물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유아의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을 고안, 적용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하고 바람직한 세대 교류프로그램의 개발과 적

56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

집단 사례수 평균연령

실험집단 25 67.8개월

통제집단 25 67.2개월

계 25 67.5개월

용을 위한 기초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2. 연구문제

가. 너싱홈(Nursing Home) 세대교류 프로그램 경험 따라 유아의 인성발달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나. 너싱홈(Nursing Home) 세대교류 프로그램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은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Y시에 소재한 A어린이집(실험집단)과 B어린이집(통제집단)의 만

5세반 유아 50명으로, 대부분이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으며 연구대상 유아들의 어머니는 90%

이상이 취업상태였다. 각 집단별 유아들의 평균 연령은 표 1과 같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연구대상의 평균 연령 비교

2. 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는 세대교류 프로그램 경험에 따른 유아의 인성발달을 측정하기 위해 Conners

(1987)의 인성검사를 기초로 권오정 (2004)이 제작한 ‘학부모용 인성평정척도’의 4개 문항을

수정하여 교사용으로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5개의 하위 영역(기본생활습관, 자아확립, 공동체

의식, 신체바달, 사회성), 총 50문항(각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정적인 문항(10문항)은

역점수로 처리하도록 구성되어있다. 각 하위 영역의 행동준거 의미 및 구성 문항 수는 표 2와

같다.

너싱홈(Nursing Home) 세대교류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57--------------------------------------------------

구분 행동준거의미 문항 수

기본생활습관예절과 질서를 이해하고 실생활 속에서 자발적으로 원칙을

실천하고 있는 가를 나타낸다.10

자아확립인간성 상실의 위기를 자아 존중 및 조절, 절제를 통해 극

복할 수 있는 가를 나타낸다.10

공동체의식상호협력과 공존,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능력이 배양되고

있는 가를 나타낸다.10

신체 발달건강한 심신의 발달로 긍정적이고 합리적인 성격이 형성되

고 있는 가를 나타낸다.10

사회성친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있는가, 안정된 인간관계의 형

성이 가능한가를 나타낸다.10

이 검사 도구의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아주 그렇다’의 5단계 Likert 척도로 이

루어져 있고, 검사자가 유아의 행동과 일치되는 정도에 따라 평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검사도

구의 신뢰도 Cronbach의 α는 .92였다.

<표 2> 유아의 인성평정척도

3. 연구절차

가. 교사 및 사회복지사와의 협의

본 연구는 실험처치의 특징상 실험집단의 교실과 너싱홈과의 협의가 반드시 필요하여 연구

자, 실험집단의 담임교사와 너싱홈의 사회복지사가 사전에 만나 연구의 목적과 활동 내용 및

진행방법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활동 형태 및 활동 날짜에 대해 협의하였다.

나. 사전검사

실험 처치를 실시하기 이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연구 대상 유아들에게 두 집단 간의

인성발달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인성평정척도 검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연구자가 실험집단ㆍ

통제 집단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함께 교실의 하루일과를 보내면서, 연구자가 직접 인

성평정척도의 하위영역 행동들이 나타나는 유아의 행동들을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둘째, 연구

자는 관찰한 각 기록들을 분석하여 점수화하였다. 셋째, 검사결과의 객관성을 위해, 장기간의

관찰이 필요한 20문항은 실험집단ㆍ통제집단의 각 담임교사 1명이 측정한 평정 점수와 연구

58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

자의 평정점수를 비교 대조 한 후에 협의하여 점수화하였다.

다. 실험처치

실험처치는 2006년 3월 31일부터 2006년 8월 30일까지 2주에 약 1회씩 총 14회에 걸쳐서

진행되었으며, 활동은 정규수업 활동시간에 실험집단의 연구대상 유아 약 20~25명이 교실에서

도보로 약 7분 거리에 있는 너싱홈으로 이동한 후 담임교사와 복지사의 지도하에 이루어졌다.

실험집단이 방문하여 활동한 너싱홈은 중품, 치매 등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들을 위한

전문요양시설이며, 노인들은 대다수 휠체어를 사용해야만 거동이 가능 하였다.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의 내용은 실험집단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위하여

담임교사가 세운 연간계획안을 중심으로 교사, 사회복지사와 연구자가 협의하여 노래하기, 율

동하기와 레크레이션 등으로 구성활동을 구성하였으며, 유아들이 노인들에게 보여주는 활동이

주로 이루어졌다.

1) 실험집단의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의 기본 구성

실험집단은 매주 목요일에 교사, 연구자와 함께 중집단(20명) 혹은 대집단(40명) 형태로 너

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각 활동은 약 15분씩, 너싱홈의 각 3곳에

서 이루어져 총 45분정도 소요되었다.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은

표3과 같다.

2)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의 진행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은 표4와 같이 4단계에 걸쳐서 전개되었다.

3) 통제집단의 교수-학습 내용

통제집단은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으며, 실험집단과 같이

단원중심 교육과정을 진행하였다. 통제집단은 ‘나와 가족’이라는 단원을 2주간 진행하면서, ‘우

리 가족을 소개해요.’ 소주제를 다루어 할머니, 할아버지와 관련된 동화듣기 활동을 경험했다.

그러나 통제집단은 가정에서 조부모를 만나는 경우 이외에 노인을 직접 만나는 활동은 진행

되지 않았다.

라. 사후 검사

2006년 8월 28일부터 9월 4일까지실험집단의 사후검사를 하였으며, 2006년 9월 6일부터 9

월 14일까지 통제집단의 사후검사를 하였다. 인성평정척도 검사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

너싱홈(Nursing Home) 세대교류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59--------------------------------------------------

회 생활주제 활동명 및 활동내용

1 나

휠체어는 불편해요.

- 휠체어를 직접 타고 이동해 보면서, 휠체어를 타는 사람들의 불편한 점

을 찾아본다.

2 나우리가 도와드릴 수 있어요.

- 너싱홈의 할머니, 할아버지를 위해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본다.

3 나할머니, 할아버지와 함께 노래해요.

- 할머니, 할아버지와 함께 노래하고, 수화를 보여드린다.

4 봄

꽃으로 요리하고 만들고.

- 화전만들기와 원예활동의 활동방법을 할머니, 할아버지와 함께 하면서,

다른 사람을 도와주는 경험을 한다.

5 봄

봄이 왔어요.

- 할머니, 할아버지에게 직접 만든 꽃 목걸이를 드리고, 리듬합주를 들려드

리는 과정을 즐겁게 경험한다.

6 가족

커다란 무

- 동극을 여러 사람 앞에서 함으로써 자신감을 갖는 기회를 가지며, 직접

만든 어버이날 선물을 전달하며 기쁨을 느낀다.

7이웃

기관

사랑 음악회

- 리듬악기 합주를 하여, 할머니와 할아버지들에게 음악회와 같은 음악 감

상의 경험을 드린다.

8 운동함께 응원해요.

- 월드컵 기간의 활기찬 분위기를 할머니, 할아버지들과 함께 즐긴다.

9 월드컵

우리는 모두 붉은 악마

- 모두 붉은 악마가 되어 한국대표팀의 승리를 기원하는 응원을 하면서,

하나 되는 즐거움을 경험한다.

10 공룡

할머니, 할아버지 우리를 응원해주세요.

- 어린이집과 체능단의 축구 경기에 할머니와 할아버지들을 초대하여, 활

기찬 우리의 모습을 보여드린다.

11 공룡

쌀, 쌀, 보리!

- 할머니, 할아버지와의 쌀과 보리 게임을 하면서 다른 사람의 손과 얼굴

을 만지며 마음이 따뜻해지는 경험을 한다.

12 여름

공룡도 되고, 곰도 되요.

- 동요를 부르고 율동을 하면서, 할머니와 할아버지들이 좋아하시는 모습

을 경험한다.

13 여름

신나는 레크레이션의 세계로.

- 할머니, 할아버지와 함께하는 수건주고 받기 게임과 축구공 골인게임을

통해 함께 놀이하는 즐거움을 경험한다.

14교통

기관

동생들도 함께 가요.

- 만 3세 유아반과 함께 너싱홈에 가는 경험을 통해, 자신들이 할머니와

할아버지께 즐거움을 줄 수 있다는 보람을 느껴본다.

아에게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표 3>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

60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

단계별 과정 교수-학습 내용

사전준비활동

ㆍ 너싱홈에 가서 어떤 활동을 할 지 이야기 나눈다.

ㆍ 활동의 진행순서를 계획한다.

▶ 너싱홈 방문 활동에 대한 계획을 유아와 함께 이야기 나눔으로써,

유아가 너싱홈 방문 활동에 적극성을 갖게 된다.

전개활동

ㆍ 즐거운 마음으로, 어린이집에서 너싱홈으로 이동한다.

ㆍ 너싱홈의 각 층 노인들은 각 층 로비에서 반 원 형태로 둘러앉아있

고, 유아들은 그 앞으로 가서 선다.

ㆍ 사회복지사는 활동내용을 유아와 노인에게 설명한다.

ㆍ 유아는 준비한 활동을 노인들과 함께 한다.

ㆍ 사회복지사가 준비한 레크레이션 활동이 있을 경우, 유아와 노인은

짝을 지어 레크레이션 활동을 한다.

▶ 유아들이 준비한 활동을 노인들과 함께 하면서, 유아가 노인을 자발

적으로 돕고 배려하는 태도를 형성해 간다.

정리활동

ㆍ 유아는 노인의 팔과 어깨 등을 안마해드린다.

ㆍ 악수와 뽀뽀 등으로 유아와 노인은 작별인사를 한다.

ㆍ 활동을 마치고, 유아는 어린이집으로 이동한다.

▶ 노인과의 신체적 접촉을 포함한 인사나누기 등을 경험하면서 노인

과의 정서적 유대감을 가진다.

평가 및 연관활동

▶ 이야기 나누기나 연관활동을 통해서, 너싱홈 방문활동에 대한 유아

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고 활동 결과를 검토해본다.

▶ 너싱홈 방문 활동 후에, 유아 자신들의 생각을 정리하는 과정을 통

해서 다른 사람을 돕는 즐거움을 내면화한다.

마. 실험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을 경험하는 과정 속에서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오전 시간 동안 연구자가 함께 참여하여 관찰(총 14

회, 회당 2시간)하며 의미 있는 상황을 기록하거나, 프로그램 실시 후 교사와 유아간의 평가내

용을 녹취․기록하였다. 평가 시간 후 유아들이 자신의 생각을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하여 얻어진 5회 분량의 유아들의 쓰기와 그림 자료, 실험 처치 마지막 날 실시한 유아와의

면담 자료 등이 수집되었다.

<표 4>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

너싱홈(Nursing Home) 세대교류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61--------------------------------------------------

  집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t

사전검사실험집단 25 174.16 15.18

-.20통제집단 25 173.16 18.76

사후검사실험집단 25 200.36  16.44 

-4.08**통제집단 25 179.88 18.93

4. 자료처리 및 분석

본 연구에서는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이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SPSS 통계 프로그램 12.0 버젼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간의 평균점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두 집단 간의 차이를 t검증하였다.

또한,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을 하는 과정 안에서 유아가 보인 반응과 그

반응의 변화를 발견하고 관계성을 찾아가는 것을 설명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유아의 쓰

기와 그림 자료를 유아별로 비교하여 각 유아들의 면담내용과 연결시켜 분석하였으며, 현장관

찰노트를 참조로 하여 분석에 가장 적합한 의미를 찾아 해석을 하고자 하였다.

Ⅲ. 결과 및 해석

1.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의 유무에 따른 유아의 인성발달

차이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 경험에 따라 유아의 인성발달이 어떠한지를 알아

보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통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인성평정척도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 분석 결과는 표 5, 그림 1과 같다.

<표 5> 인성발달에 대한 집단별 사전-사후 검사 결과

**p<.001

62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

[그림 1] 인성발달에 대한 집단별 사전-사후 검사 결과

표 5에 의하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인성평정척도 점수는 사전검사(t=-.20, p>.05)와 사후

검사(t=-4.08**, p<.05)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

이 인성평정척도 점수 증가폭에 있어서 실험집단의 증가폭이 통제집단의 증가폭보다 컸다. 사

전검사결과에서 실험집단 유아들의 인성평정척도 점수는 평균 174.16, 통제집단의 평균은

173.16으로 두 집단 간의 평균은 유사하였다. 그러나 사후검사 결과에서 실험집단 유아들의

인성평정척도 점수는 평균 200.36로 26.20 증가하였고 통제집단은 평균 179.88로 6.72 증가하

여, 실험처치 후 실험집단의 인성평정척도 점수가 크게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너싱

홈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활동 교류활동은 유아의 인성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너싱홈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활동의 유무가 유아의 인성발달의 각 하위요소인 ‘기본생활습

관영역, 자아확립영역, 공동체의식영역, 신체발달영역과 사회성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

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ㆍ사후 검사 점수를 분석한 자료는 표 6과

같다

.표6에서 알 수 있듯이, 너싱홈에서의 세대교류 프로그램을 경험한 유아집단이 인성발달의

각 하위요소인 ‘기본생활습관영역, 자아확립영역, 공동체의식영역, 신체발달영역과 사회성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너싱홈(Nursing Home) 세대교류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63--------------------------------------------------

영역

집단

사전검사t값

사후검사t값

평균(SD) 평균(SD)

기본생활습관

실험집단(25) 32.44(4.36)-.97

38.88(3.76)2.12*

통제집단(25) 33.72(4.86) 36.20(5.05)

자아확립

실험집단(25) 37.40(3.27)1.24

40.68(4.04)5.99**

통제집단(25) 36.08(4.14) 34.12(3.67)

공동체의식

실험집단(25) 36.20(2.75)-.26

41.48(3.95)4.34**

통제집단(25) 36.48(4.48) 35.48(5.14)

신체발달

실험집단(25)

통제집단(25)

33.92(4.14).32

39.52(4.49)2.24*

33.56(3.73) 36.68(4.46)

사회성

실험집단(25) 34.20(3.18).86

39.80(4.03)2.34*

통제집단(25) 33.32(3.97) 37.04(4.29)

<표 6> 인성발달에 대한 영역별 사전-사후 검사 결과

N=25

*p<.05, **p<.001

2.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교류프로그램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

아들의 인성 변화 과정

실험집단 연구대상 유아들이 너싱홈 방문 후 작성한 연계활동지, 연구자와 유아간의 면담내

용 그리고 연구자의 현장기록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나타난 유아들의 인성변화 과정은 다음

과 같다.

가. 너싱홈에 가면 모두가 즐거워져요.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의 시작단계에서 유아들은 너싱홈의 노인들을 많이

아파서 힘든 사람, 무섭기도 한 사람 등으로 생각하며, 너싱홈 방문은 노인들을 위해서 가는

것이라고만 생각했다. 활동이 진행됨에 따라, 유아들은 노인들과의 교류 속에서 즐거움을 찾게

되었으며, 노인과 유아 자신 모두에게 즐거운 일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64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

<사례 1>

[활동 3회차 : 활동지] [활동14회차 : 활동지]

▷ 손을 잡아드렸어요. ▷ 좋은 느낌이 들었어요.

무서웠어요. 할아버지의 손이 부드러웠어요.

나. 할아버지, 할머니를 도와드릴 수 있어서 좋아요.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의 초기에 유아들은 너싱홈에 다녀오면 기분이 좋

고 즐겁다고 평가 하였으나, 그러한 좋은 감정의 원인이 무엇인지는 스스로 찾지 못하였다. 활

동이 진행됨에 따라, 유아들은 너싱홈에 가는 것이 노인들에게 도움이 되는 활동이라는 것을

깨달아가게 되었으며 또한 스스로 보람을 느끼게 되었다.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

그램의 초기에 유아들은 너싱홈을 방문해서 ‘무엇을 했다.’라는 반응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활동이 진행되면서, 유아들은 자신들의 너싱홈 방문은 노인들을 돕는 활동이고 그로인해 자신

들에게 긍정적인 감정이 생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례 2>

[활동 8회차 : 활동지] [활동 14회차 : 활동지]

▷ 노래를 했어요 ▷ 좋은 느낌이 들었어요. 할머니를

좋았어요 기쁘게 해드려서 좋았어요

다. 힘들어도 또 가고 싶어요.

너싱홈(Nursing Home) 세대교류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65--------------------------------------------------

유아들이 너싱홈 재방문을 원하는 이유는 ‘자신의 조부모를 잘 못 만나니깐 만나고 싶다.

아프시기 때문에 가고 싶다. 노래하는 것이 좋았다.’ 등이었다. 유아들이 너싱홈을 다시 가고

싶은 이유는 다양하였으나, 많은 수의 유아들은 너싱홈에 계속적으로 가기를 원한 다는 것은

공통적이었다. 즉, 유아들은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을 경험하면서 자발성을

갖게 되었다.

<사례3>

(14 회차의 실험처치가 끝난 후, 연구자는 유아들과의 개별적인 면담을 하였다.

면담의 목적은 너싱홈 방문에 대한 유아들의 자발성 조사였으며, 면담의 내용

은너싱홈 방문에 대한 유아들의 전반적인 의견이었다.)

연구자 : 왜 너싱홈에 다시 가고 싶어?

강수진(여, 가명) : 왜냐면요 할아버지 할머니는 자주 못 보니깐요 너싱홈에 있

는 할아버지, 할머니라도 봐야지요.

김효주(여, 가명) : 음...재밌고요 좋았어요. 손 잡아주고 안아주는 게. 너무 아

프실 것 같아요.

정세희(여, 가명) : 아프시니깐요. 휠체어 도와주시는 분이 없으면 혼자서 이렇

게 바퀴 움직이기가 힘들 것 같아요.

정채운(여, 가명) : 네. 가고 싶어요. 갔다오면요 기분이 좋아요.

진가희(여, 가명) : 또 가고 싶어요. 할머니 앞에서 노래도 부르고 춤추기도 하

고 그러잖아요. 그래서 좋아요. 〔2006. 8. 31 유아와의 사후 면담〕

연구자와의 사후면담에서 유아들은 너싱홈 방문을 하면서 좋은 점도 있었지만

힘든 점도 있었다고 하면서, 힘든 점이 있지만 너싱홈은 계속적으로 가고 싶다

고 이야기했다. 이러한 유아들의 반응은 너싱홈 방문을 하면서 조금 힘든 점이

있어도 참아내고, 해야 한다고 생각해내는 책임감을 갖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사례 4>

강유진(여, 가명) : 재밌었어요. 어떤 게 재미있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너싱홈

에 가고 싶어요. 노래 부르는 건 조금 힘들었어요.

권지원(여, 가명) : 노래 부를 때 말이에요. 계속 서야 되잖아요. 그때가 힘들었

어요.

부석호(남, 가명) : 또 가고 싶어요. 노래하는 거 재밌어요. 어깨 주물러 주는 것

좋으실 것 같아요. 주물러 주는 게 힘들었어요. 노래하는 것도 힘들었어요.

최준호(여, 가명) : 힘들어요. 율동하는 거죠. 할아버지 할머니 만나는 거는 좋아

요. 〔2006. 8. 31 유아와의 사후 면담〕

66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한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은 유아의 인성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

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가 건강한 노인들과 교실에서 함께 활동하는 노인-유아간 연계프로그

램이 인성발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었다는 권오정 (2004), 허은주 (2003), 임민자 (2001)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는 건전한 인성과 창의적인 사고를 가진 인간상을 추구하고

있고 이러한 유아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너싱홈과 같이 타인을 돕는 데서 즐

거움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유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들은 아픈 노인들을 만나는 활동을 거부하기 보다는 그 속에서 유아와 노인간의

긍정적인 효과를 인식하였으며 너싱홈 방문 활동에 대해 자발성과 책임감 또한 가지게 되었

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너싱홈 방문에 따라 유아는 오히려 노인에 대해서 좀 더 부정적인

태도가 되었다는 (Seefeldt, 1987) 연구와 병원시설에서 노인접촉경험을 했던 응답자들이 오히

려 접촉이 없던 응답자들보다 더 부정적인 평가를 나타냈다 (Rosencranz & McNevin, 1969)

는 연구와는 상반되는 것이다. 이는 너싱홈 세대간 교류 프로그램을 경험했느냐 안했느냐의

양적인 측면보다 교류 프로그램을 얼마나 사전에 치밀하게 준비하고 진행해 나가느냐, 즉 프

로그램 진행 과정에서의 질적인 문제가 상당히 중요함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유아는 아픈 노인들을 방문하고 그들을 위해 노래를 불러주고 선물을 준

비하는 등의 활동이 진행되면서 자발적으로 돕는 것에 대해 보람을 가지게 되었으며, 계속적

으로 노인을 돕는 활동을 하고 싶다고 하였다. 이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 중 유아들이 너무

어리고, 남을 자발적으로 돕는 활동을 실시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는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한 임민자 (2001)의 연구결과와 상치되는 부분이다. 무비판적으로 유아기가 타인을 돕

는 자원봉사가 불가능하다고 보는 것은 유아들의 이타심을 과소평가하는 과오를 범하는 것이

다. 개인주의가 만연해 있는 현대 사회에서의 유아자원봉사활동이 많이 개발되고 실행됨으로

써 다른 사람을 위해 배려하는 성향은 개발, 지속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기초로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간 교류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너싱홈 방문에 따른 유아의 반응들 중에는 몇 명의 유아들은 자신이 늙는 다는 것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자신의 조부모가 아프거나 돌아가실 까봐 걱정된다는 유아들도 있

너싱홈(Nursing Home) 세대교류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67--------------------------------------------------

었다. 따라서,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간 교류 프로그램이 어린이집의 교실에서 사람의 일생,

죽음 등과 관련된 주제와 연관된 활동이 연계되어 진행되었다면 유아들의 노화과정에 대한

인식형성에 좀 더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은 주로 유아가 노인들

에게 준비한 노래하기, 율동하기와 춤추기 등을 보여주는 활동으로 구성되었는데, 노래와 춤을

즐겨하지 않는 아이들에게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양승규 (2003)의 1ㆍ3세대 통합을 위한

레크레이션 프로그램과 같이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어린이집과 너싱홈의 거리상 근접성에 의해 참여대상의 이동이 수월하였

다. 따라서 이러한 유아교육기관과 너싱홈 등의 노인복지기관의 교류가 활발하기 위해서는 지

역사회차원에서 사회구성원들을 위한 복지기관들의 환경구성을 함께 계획하고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보육시설, 유치원, 사회복지협의회, 노인회, 노인복지관등이

주체가 되어 다양한 형태의 세대간 교류가 행해지고 있는 일본의 사례와 같이 세대간 교류의

측면에서 노인들을 위한 공간들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와 관련된 후속 연구를 위해서는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은 물론

다른 유아와 노인간의 세대 교류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겠다. ‘세대공동

체 교육 프로그램 (조혜경, 2006; 김귀자, 2004; 한정란, 2004), 유아-노인 연계프로그램 (권오

정, 2004; 허은주, 2003; 임재택 외, 2001), 노인자원봉사 프로그램 (하정연, 2004; 정옥희,

1995)’ 중에서 실제적으로 기관에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한 연구물은 매우 적다. 노

인자원봉사자 활용을 위해서는 사전 교육 등의 준비과정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임재택

외, 2001), 각 유아교육기관의 또 다른 업무 가중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육기관의

현실과 교육과정에 맞는 세대 교류 프로그램이 필요하므로 세대 교류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에

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보완점을 발견할 수 있는 진행과정에 대한 질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겠다.

68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

참 고 문 헌

권오정 (2004). 노인과유아간 연계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탐

색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곤 (2000). 기독교 청소년에 대한 자기 성장 집단 상담이 인간관계와 자아존중감에 미

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재택, 김윤옥 (1996). 보육시설에서의 노인-아동 상호작용의 필요성 및 연구 동향. 영유아

보육연구, 1, 105-126.

김익균 외 (2002). 자원봉사론. 서울: 교문사.

메리 파이퍼 (2000). 또 다른 나라. 서울: 모색.

임민자 (2001). 유아교육기관의 자원복지(봉사)활동에 대한 실태와 교사의 인식조사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허은주 (2003). 어린이집에서의 세대간 학습활동의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허해옥 (1998). 주제중심 인성교육프로젝트가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귀자 (2004). 아동ㆍ노인 간의 세대공동체교육 프로그램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양승규 (2003). 세대공동체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 연구: 1․3세대를 중심으로. 한서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재택, 하정연, 김경호, 김은주, 최윤정 (2001). 할아버지, 할머니 함께 놀아요: 선생님들이

직접 쓴 노인, 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임재택 (2001) 유아교육기관의 노인·아동상호작용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열린

유아교육연구 5(3), 67-101.

정옥희 (1995). 노인자원봉사의 실태와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1, 161-194.

조혜경 (2006). 실버 여가상품을 위한 청소년들의 세대공동체 프로그램 참여의사에 관 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하정연 (2004). 보육시설 노인자원봉사자의 역할과 이미지에 관한 질적 연구. 미래유아교육

학회지, 11(3), 1-25.

한정란 (2004).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0(3), 115-127.

허은주 (2003). 어린이집에서의 세대간 학습활동의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Carol Seefeldt, PhD(1987). The effects of preschooler's Visits to a . The Gerontologist,

27(2), 228-232.

너싱홈(Nursing Home) 세대교류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69--------------------------------------------------

Dallman, M. E. & Power, S. A. (1997). Forever friends: An intergenerational program.

Young Children, 52, 64-68.

Eileen Schwalbach & Sharon Kiernan (2002). Effects of Intergenerational friendly visit

program on the attitudes of fourth graders toward elders. Educational

Gerontology, 28, 175-187.

Gillian Hamilton, MD, PhD, Sheri Brown, Tena Alonzo, MA, MAry Glover, MA, Yvonne

Mersereau, MEd, and Pamela Willson, PhD (1998). Building Community

for the long term: An intergenerational commitment. The Gerontologist,

39(2), 235-238.

Rosencranz, H. A. & McNevin, T. E. (1969). A factor analysis for attitudes toward the

aged. The Gerontologist, 9, 55-59.

Sally Newman, Robert Faux, Barbara Larimer (1997). Children's views on aging: Their

attitudes and values. The Gerontologist, 37(3), 412-417.

70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7권 2호, 2009.--------------------------------------------------

ABSTRACT

The Effect of The Intergenerational Program through

Visit on Children's Personality Development

Yoon-Jin Bae (Master, Chung-Ang University)

Hyun-Ju Kim (Assistant Professor, Daelim University College)

In this thesi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were selected

and set up to investigate how the intergenerational program through visit affects

the personality development, and children's reactions were analyzed during the

program.

To verify the previous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two groups of 25

five-year-old children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A and

B day-care centers in Giheung-gu, Yongin city, and the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posttest, and data collection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stated in the following;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profound and higher increase

rate than the control group in children's personality evaluation scores, that is,

"basic life-style, self-establishment, community spirit, physical development, and

sociality"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Second, the intergenerational program through visit is considered to be useful

for both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and elders as a result of analyzing

children's reactions during the program. In addition, the children felt worthy

through the program and showed voluntary attitudes in the activity. Moreover,

they felt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visit activity.

Key words: intergenerational program, personality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