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96
- 1 - [TTA-18107-SA] [2018년도 ICT표준화포럼 최종연구보고서]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2018. 12. 15. 포럼 사무국 [사]한국컴퓨터통신연구회

Transcript of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Page 1: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 -

[TTA-18107-SA]

[2018년도 ICT표준화포럼 최종연구보고서]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2018. 12. 15.

포럼 사무국 [사]한국컴퓨터통신연구회

Page 2: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2 -

제 출 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 귀하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사)한국컴퓨터통신연구회 정 성 호 (인)

연구 책임자 : 김인철 교수 (인)

참여 연구원 : 최윤주 과장

정보통신 방송 연구개발 관리규정 제35조에 따라 보고서 열람에 동의합니다.

Page 3: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 -

요 약 문 (초 록)과 제 번 호 TTA-18107-SA

과 제 명 사실표준화기구전략대응 및 국제표준화전문가활동강화

포 럼 명 (국문) 엠펙뉴미디어포럼

(영문) MPEG New Media Forum

사 무 국 (사)한국컴퓨터통신연구회 연구책임자 김인철

당 해 년 도

사 업 기 간2018. 협약체결일 ~ 12. 15. ( 약 9 개월)

참 여 기 관 참여기관책임자

1. 포럼의 목적 및 필요성

목적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국제표준화 회의에서 우리나라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하여,

- 국제표준화를 위한 기술적 사항 논의와 국내 기관 간 이견을 조정

- 국제표준화 회의에서 한국대표단이 공동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논의하고 대책을 수립하여 국가적 차원의 대응 방향을 설정 및 수행

필요성

- MPEG(Moving Picture Coding Experts Group)은 비디오 및 오디오를 기반으

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국제기술표준 개발을 목적으로

설립된 전문가 그룹이며, MPEG표준은 정보 기술 분야의 기술 협의체인

JTC1(Joint ISO/IEC Technical Committee)의 SC29 WG11기구에서 기술을 제정

하며, 또한 ITU-T와 공동으로 표준 제정함.

< MPEG을 활용한 다양한 산업영역 >

Page 4: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2 -

- MPEG 표준은 디지털방송, 모바일 산업을 포함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관련 산

업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점과, 이 표준을 활용하는 기업의

경쟁력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해당 산업 발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에, MPEG 표준 확보의 중요성이 매우 증대함.

- MPEG 표준을 제정하는 활동을 위해 국내에서 관련 기관간 정보교류를 활성

화하고 국제 표준화에 공동 대처하기 위한 포럼 활동이 매우 중요함.

2. 포럼 표준화 대상(ToR)

MPEG(Moving Picture Coding Experts Group)은 비디오 및 오디오를 기반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국제기술표준 개발을 수행

MPEG표준은 정보 기술 분야의 기술 협의체인 JTC1(Joint ISO*/IEC**

Technical Committee, 합동기술위원회)의 SC29 WG11기구에서 기술을 제정하

며, 또한 ITU-T***와 공동으로 표준 제정

*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기구),

**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국제전기표준회)

***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

Future Video Coding (Versatile Video Coding)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MPEG-I : MPEG Immersive

서비스 기반 총괄 표준 기술: MPEG-2, MPEG-4, MPEG-7, MPEG-21

요소기술 분류별 표준 기술: MPEG-A, MPEG-B, MPEG-C, MPEG-D, MPEG-E,

MPEG-G, MPEG-H, MPEG-I, MPEG-M, MPEG-U, MPEG-V, MPEG-DASH,

MPEG-IoMT, MPEG-CICP

ISO/IEC SC29 WG11 MPEG과 ITU-T SG16 Q.6 VCEG의 공동 표준화: JCT-VC,

JVT-3V, JVET

3. 주요 내용

국내 협의회 및 워크샵 개최

- MPEG 국제 표준화 회의에 국가적 차원의 대응을 위한 국내 기관별 협조 및

정보교류

- MPEG 응용서비스 기술 및 관련 기술 개발에 대한 의견 교환

- 총회 및 표준확산기술워크숍 1회 개최

- MPEG 국제 표준화 회의 4회 참가 후 회의 결과 보고를 통해 최신의 표준화

Page 5: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3 -

동향을 국내에 알리기 위한 MPEG 국제 표준화 활동 보고회 4회 개최

- MPEG 표준 심층기술 및 응용 기술 워크숍을 총 6회 개최하여 최신 MPEG-I,

HEVC, Versatile Video Coding, 3D Video Coding 및 MPEG 오디오 기술을 소

- 포럼 회의를 총 6회 개최하여 MPEG 포럼 활동 기획, 준비, 운영 방안,

MPEG 비젼 작업 논의

MPEG 국제표준화 활동

- 국제표준초안에 대한 국내 의견 수렴, 찬반 투표 추진, 의견문서 작성 및

기고(MPEG-2/-4/-7/-21, MPEG-A/-B/-C/-D/-E/-G/-H/-I/-M/-U/-V,

MPEG-DASH/-CICP/-IoMT, JCT-VC, JVT-3V, JVET): 총 325건 기술제안/총

12건 표준 채택

- 2018년 MPEG 국제 표준화 회의 4회에 걸쳐 총 535명 한국 대표단 파견 및

표준화 활동 수행

� 121차 MPEG 광주(대한민국) 표준화 회의 - 149명 선발

� 122차 MPEG 샌디에고(미국) 표준화 회의 - 120명 선발

� 123차 MPEG 류블라나(슬로베니아) 표준화 회의 - 123명 선발

� 124차 MPEG 마카오(중국) 표준화 회의 - 143명 선발

국내 표준화 활동

- MF ISO/IEC14496-32:2018 등 포럼 표준 27건 제정

� 주요내용 : FDIS나 FDAM 수준에 이른 주요 MPEG 표준을 대상으로 표준

명, 표준문서번호 및 표준내용/개요를 번역하여 포럼표준화

� 파급 및 기대효과 : MPEG에서 추진했던 표준들의 국내 접근성 제고,

MPEG 국제 표준의 국내 보급 활성화에 기여

제121차 MPEG 국제표준화 회의 유치 및 대정부 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파연구원 제121차 MPEG 표준화 광주 회의 유치 (2018

년 1월)

- 주요내용 : 2018년 1월 제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유치 활동

- 파급ㆍ기대효과 : 몰입형 미디어 연구 개발 및 표준화/상용화 활성화

- 활용예상분야 : MPEG 뉴미디어 분야 표준화 전략 수립 및 활동 고도화

국제 표준화 활동 내용을 공개적으로 알리고 효율적인 의견 수렴을 위한 웹

사이트 구축 운영

- MPEG 포럼 웹 사이트 운영 및 행사 정보 제공

Page 6: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4 -

- MPEG 보고회 및 기술 워크샵 발표자료, 그리고 최종보고서 자료 제공

- MPEG 관련 질의/응답을 MPEG기술 및 표준화 절차 등의 정보를 제공

- MPEG 포럼 회원 관리

- MPEG password 관리 및 배포

- 국제 표준화 및 국내활동 관련 의견 수렴을 위한 e-mail reflector 운영

MPEG 표준 전문가 기술 교육

- 목적: Summer School 개최 Versatile Video Coding and Deep Compression

- 일시: 2018년 8월 30일 ~ 31일

- 교육 대상자: 연구원, 기업체 종사자, 특허심사관, 변리사 및 대학원생 49명

- 장소: 한국과학기술회관 중회의실2

MPEG 표준화 기술 추적 보고서 작성 및 배포

- 목적: 최신 MPEG 표준화 관련 기술 동향 및 제안 기술 추적을 통해 향후 표

준화 활동을 위한 전략 마련 및 대응

- 추적보고서 내용:

� Versatile Video Coding I 기술 표준화 동향

� Versatile Video Coding II 기술 표준화 동향

� MPEG-I 기술 표준화 동향

표준 특허 창출

- MPEG LA에 등재된 특허 분석 결과(SEP Inside 2018.06, Vol. 18), 한국은 일

본에 이어 세계 2위의 MPEG표준 특허 보유국이며 전체 특허수의 약 38%를

차지

회원사 구성 (기관회원)

산업체연구소 학계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회원사수 4 5 2 - 11백분율(%) 36.4 45.5 18.2 - 100

개인회원 : 2,242명

� http://www.mpeg.or.kr (명부 첨부 생략)

Page 7: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5 -

4. 포럼 운영 결과 및 성과

구분실적건수(계량치)

구분실적건수(계량치)

국제

활동

공적

표준

기고서 제안 325

국내

활동

국가표준 국가표준 제 개정 -

기고서 반영 -TTA표준 TTA표준 제 개정 -

기고서 제정 12

사실상

표준

기고서 제안 -

포럼표준 포럼표준 제 개정 27기고서 반영 -

기고서 제정 -

MPEG표준화 회의 활동 보고회 4회MPEG 표준전문가 교육을 위한

Summer School 개최1회

심층 기술 워크숍 6회 MPEG 표준 기술 추적 보고서 3건

표준확산기술워크숍 1회 MPEG 비전 작업 활동 회의 6회

MPEG 포럼은 2018년도 MPEG 국제 표준화 회의에 4회에 걸쳐 535명의 한국

대표단을 파견하고 표준화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한국이 가장 많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대표단 파견을 국가가 되었으며, 가장 왕성한 표준화 활동을 수행

하는데 결정적 기여를 해오고 있음.

MPEGLA의 국가별 특허 등재 현황(SEP Inside 2018.06, Vol. 18)에 따르면 한국

은 38%를 차지함으로써, 한국이 MPEG 표준 특허 확보부분에서 세계 2위의 우

수한 성과를 성취함. 이러한 성과는 각 기관의 많은 노력의 결과물이기도 하

지만, 그 동안 MPEG뉴미디어포럼이 국외/국내 표준화 활동을 통해서도 국내

에 MPEG 표준 기술 소개와 표준화 활동 지원, 저변 확대를 위해 노력한 매우

우수한 결과물로 평가됨.

< MPEG-LA의 국가별 특허 등재 현황 (SEP Inside 2018.06, Vol. 18)>

Page 8: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6 -

MPEG 표준은 국가 전략산업의 핵심기술이며 대한민국 ICT 전략사업 중 5G,

UHD, 디지털콘텐츠, 스마트디바이스, IoT 분야와 같이 미디어 콘텐츠를 이용

하는 다양한 기기에 핵심적으로 활용됨.

MPEG뉴미디어 포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을 도와 ‘제121차

MPEG 국제표준화회의’를 1월 20일(토)부터 26일(금)까지 7일간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함.

- MPEG 회의는 국제표준화기구(ISO/IEC JTC 1) 산하디지털콘텐츠 핵심 기반기

술인 멀티미디어 동영상기술(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분야의

국제표준화 회의로, 20여개 회원국 400여명(외국인 250여명, 내국인 150여명)

이 참석함.

- 본 회의에서 대한민국이 제안하여 주도적으로 표준화가 진행 중인 모바일,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되는 미디어사물인터넷(IoMT)의 세부 요소기술 보완

작업 등이 추진함.

5.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활용 방안

- MPEG표준은 MP3, 비디오CD, HDTV, DMB, IPTV, UHDTV 및 스마트폰, 통신

서비스, 전자상거래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작과 판매, 소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응용기술, 장비 및 서비스 개발에 활용

- 국내 멀티미디어 관련 기술개발 정책 수립에 반영

- 국제표준화 활동의 모델 사례로 활용

Page 9: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7 -

활용분야 구분 주요특징MP3 플레이어비디오 CD

MPEG-1(ISO/IEC 11172)

오디오와 비디오 압축·복원 기술VHS 수준의 비디오 화질 재생

DVD 플레이어HDTV 방송셋톱박스

MPEG-2(ISO/IEC 13818)

방송용 멀티미디어 압축·복원 기술HDTV 수준의 비디오 화질 재생

비디오 휴대폰대화형 인터넷TV 방송

MPEG-4(ISO/IEC 14496)

AVC(ISO/IEC 14496-10)

객체 기반 멀티미디어 압축·복원 기술화상, 음성, 문자, 그래픽 등 다양한 콘텐츠 합성IMT-2000 등의 이동통신 비디오 지원

전자상거래서비스VOD서비스

문화정보서비스

MPEG-7(ISO/IEC 15938)

멀티미디어정보 표현 표준화상·음성 등의 멀티미디어정보 검색멀티미디어 저작권보호 기술

멀티미디어 전자상거래콘텐츠 유통산업

MPEG-21(ISO/IEC 21000)

통합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표준디지털 콘텐츠의 유통과 전자상거래 지원

차세대 MP3포토앨범 등

MPEG-A(ISO/IEC 23000) 멀티미디어 응용과 서비스

4D 영화, 가상현실 MPEG-V(ISO/IEC 23005) 미디어 환경 및 제어 표현

방송통신융합 콘텐츠 사용자 인터페이스

MPEG-U(ISO/IEC 23007) MPEG Rich-media 사용자 인터페이스

MMT (MPEG-2 TS를 대체할 차세대 미디어 전송 표준)HEVC (UHD 서비스용 비디오 압축 표준)

3D Audio (UHD 서비스용 오디오 압축 표준)

MPEG-H (ISO/IEC23008)

UHD방송을 포함한 고화질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련 표준

인터넷 방송 및 스트리밍 적용

MPEG-DASH (ISO/IEC23009)

인터넷 기반 적응형 스트리밍 서비스 표준

360비디오를 포함한 Immersive Media 서비스

관련 기술로서 현재 진행 중

MPEG-I(ISO/IEC 23090 ) Immersive Media 서비스를 위한 표준

Genome 정보 압축을 위한 표준으로서 현재 진행 중

MPEG-G(ISO/IEC 23092 Genome 정보 압축 표준

< 활용 분야별 주요 MPEG 국제표준 기술 >

기대효과

- MPEG 국제 표준화 활동을 위한 국내 기관 간 이견 조정 및 협력을 통하여

국내 개발 기술의 국제 표준 반영 극대화

- MPEG 표준의 응용 기술 조기 개발을 유도함으로써, 표준화 관련 국내 개발

제품의 국제 경쟁력 강화

- 국제 표준화 전문가를 발굴 육성함으로써 향후 국제 표준화 회의에서의 국내

이익을 최대한 반영하고 한국의 입지를 강화

Page 10: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8 -

Page 11: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9 -

SUMMARY

(영문요약문)

Summary of MPEG New Media Forum ActivitiesProject ID TTA-18107-SA

Project Title Cooperation of de facto Standard Organizations (Forums) and Experts Education

Name of Forum MPEG New Media ForumSecretariat Open Standards and

Internet AssociationPrincipal

Investigator Inchul KimPeriod Mar. 15, 2018 ~ Dec. 15, 2018 (9 months)

1. Project TitleMPEG New Media Forum Activity

2. Goals and Importance of MPEG New Media Forum Activity 1) Goals of MPEG New Media Forum Activity

In order to maximize the adoption of Korean proposals and reflect the positions of Korean National Body into the MPEG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process, the MPEG New Media Forum coordinates the technical and other related issues in Korea and arbitrates any conflicts between them. The MPEG new media forum plans and acts as a representative of Korean delegates to cope with the MPEG standardization and related issues in MPEG standardization meetings.

2) Importance of MPEG New Media Forum Activity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standardized MPEG-2, which has been adopted as world-wide digital broadcasting standard, and is working on standardization of MPEG-2/-4/-7/-21 and MPEG-A/-B/-C/-D/-E/-G/-I/-H/-M/-U/-V, MPEG-DASH, MPEG-IoMT, and MPEG-CICP which are expected to be used in several areas including future

Page 12: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0 -

multimedia contents, communications, game, interactive broadcasting.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forum activity which enables active information sharing and discussion of national policy on the relate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3. Major Activities Activities Members

International Activities

(Contributions)

Domestic Activities (Standardization)

Meetings Seminars Organizations Individuals ProposalsAdopted into

draft standardsAdopted into

Standards

Forum

Standard

TTA Standard

no. 6 12 11 2,242 325 - 12 27 -

1) Organization of workshop and meetings� Cooperation between organizations and facilitated information sharing for

taking national policy and actions for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 Exchange of MPEG application technologies and related technology development

2) Participation to MPEG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y� Collection of opinions on drafts(working draft, committee draft) of

international standards(MPEG-4, MPEG-7, MPEG-21, MPEG-A, MPEG-B, MPEG-C, MPEG-D, MPEG-E, MPEG-G, MPEG-H, MPEG-I, MPEG-M, MPEG-U, MPEG-V, MPEG-DASH, MPEG-IoMT, MPEG-CICP, JVT-VC, JVT-3V, and JVET), Voting for/against the drafts, submitting comments on them

� Advice on the selection of national delegate to MPEG meetings and selection of experts with support of expenses for participation

3) Domestic MPEG standardization activity� Advice on the selection of national delegate to MPEG meetings and

selection of experts with support of expenses for participation4) Operation of web site and e-mail reflectors for public relations and efficient opinion gathering

� Operation of MPEG new media forum web site and provision of important information

� Management of MPEG new media forum members

Page 13: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1 -

� MPEG password distribution control� Operation of several e-mail reflectors, and gather domestic opinions on

standard-related issues.5) Follow-up reports for important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 Transla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 documents, tracking of standardization activities for providing information needed for timely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y in Korea

6) Internal Project of MPEG new media forum

4. Results 1) Organization of workshop and meetings

� We provided 7 technical workshops/seminars.� We held 4 MPEG meeting report meetings for MPEG standard

technologies and standardization.2) Participation to MPEG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y

� Advice on the selection of national delegate to MPEG meetings and selection of experts with support of expenses for participation

� In the year 2018, about 535 MPEG Korean delegates had attended the MPEG meetings.

� This year, 325 contributions have been proposed in the areas of MPEG-2/4/7/21, MPEG-A/-B/-C/-D/-E/-G/-H/-I/-M/-U/-V, MPEG-DASH. MPEG-IoMT, MPEG-CICP, JCT-VC, JVT-3V, and JVET. 16 technologies have been adopted as Standards of MPEG.

3) Operation of web site and e-mail reflectors for public relations and efficient opinion gathering

� Operation of MPEG new media forum web site and provision of important information

� Management of MPEG new media forum members� MPEG password distribution control� Operation of several e-mail reflectors, and gather domestic opinions on

standard-related issues.4) Education for MPEG Standard Experts

Page 14: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2 -

� Date: Aug. 30, 2018 ~ Aug. 31, 2018� Training researchers, industry engineers, patent examiners and graduate

students � Location: Auditorium 2, The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 Seoul� Programs: Versatile Video Coding and Deep Compression

5. Suggestions for Applications� Development of broadcast and telecommunications equipments using

MPEG standards� Reflected to domestic policy for multimedia technology development� Use as reference model for other standard activities.

6. Expected Impact� Helping to adopt the technologies developed in Korea as MPEG

international standards by facilitating arbitration of different opinions and cooperation of organizations in Korea

� Helping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of products of Korea which utilize MPEG standards by encouraging early development of application technology

� Helping to strengthen the position of Korea and maximize the adoption of Korean opinions by finding and supporting experts for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Page 15: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3 -

CONTENTS

(영문목차)

Chapter 1 Introduction ����������������������������������������������������������������������������� 1

Chapter 2 Administration of MPEG New Media Forum ������������������������������� 2

Section 1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atus ��������������������������������������������� 2

1. Core Standard Technologies �������������������������������������������������������������� 2

A. Overview of Technology ��������������������������������������������������������������������� 2

B. Standardization Target Technology ���������������������������������������������������� 2

2. Market Status and Outlook ����������������������������������������������������������������� 4

A. Status and Prospective of International Market �������������������������������� 4

B. Status and Prospective of Domestic Market ������������������������������������ 9

3. Status of Technology Developments �������������������������������������������������� 11

A. International Status of Technology Developments ���������������������������� 11

B. Domestic Status of Technology Developments �������������������������������� 15

Section 2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MPEG New Media Forum ���� 18

1. Objectives and Necessity ����������������������������������������������������������������� 18

2. History ���������������������������������������������������������������������������������������������� 19

3. Organization and Major Activities ����������������������������������������������������� 20

A. Forum Structure ������������������������������������������������������������������������������ 20

B. Working Group Activities ���������������������������������������������������������������� 23

C. Members ���������������������������������������������������������������������������������������� 24

Chapter 3 2018 MPEG New Media Forum Activities �������������������������������� 25

Section 1 Summary of Major Achievements ��������������������������������������������� 25

Section 2 Results of Activities ����������������������������������������������������������������� 26

1. Results of Forum Adminstration ������������������������������������������������������� 26

A. Meetings ����������������������������������������������������������������������������������������� 26

B. Workshops and Seminars ��������������������������������������������������������������� 27

2. Activities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 39

A. Proposals for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s ������������������������� 39

B. Adopted Proposals ����������������������������������������������������������������������� 57

C. Representative Proposals ��������������������������������������������������������������� 59

Page 16: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4 -

3. Activities of Domestic Standardization ���������������������������������������������� 60

A. Domestic Standards (Forum) ���������������������������������������������������������� 60

4. Other Activities ��������������������������������������������������������������������������������� 63

A. Standardization Meeting Hosting and Government Support ������������ 63

B. Social Activity ��������������������������������������������������������������������������������� 63

C. Standard Patent Outcome �������������������������������������������������������������� 65

D. Core Standard Technology Tracking Report ����������������������������������� 66

Chapter 4 2018 Workplan of MPEG New Media Forum �������������������������� 70

Section 1 2018 Research Targets of MPEG New Media Forum ��������������� 70

Section 2 Workplan ���������������������������������������������������������������������������������� 70

Section 3 Approaches ������������������������������������������������������������������������������ 71

Section 4 Expected Result of Forum ����������������������������������������������������� 72

Chapter 5 Conclusion ����������������������������������������������������������������������������� 74

Section 1 Conclusion ������������������������������������������������������������������������������� 74

Section 2 Expectation ������������������������������������������������������������������������������ 75

Appendix ������������������������������������������������������������������������������������������������ 76

1. Member List ��������������������������������������������������������������������������������������� 76

2. Abbreviations ������������������������������������������������������������������������������������� 76

3. References ����������������������������������������������������������������������������������������� 77

Page 17: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5 -

- 목 차 -

제 1 장 서론 ···········································································································································1

제 2 장 MPEG뉴미디어 포럼 운영 ···································································································2

제 1 절 국내외 현황 ·······················································································································2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2

가. 기술 개요 ························································································································2

나. 표준화 대상 ····················································································································2

2. 시장 현황 및 전망 ···············································································································4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4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9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1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1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15

제 2 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8

1. 목적 및 필요성 ···················································································································18

2. 연혁 ·······································································································································19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20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및 추진체계 ······································································20

나. 분과(or 워킹그룹)별 주요활동 ·················································································23

다. 회원사 구성 ·····································································································24

제 3 장 2018년도 MPEG뉴미디어 포럼 활동결과 ······································································25

제 1 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 ······································································································25

제 2 절 활동 결과 ························································································································26

Page 18: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6 -

1. 포럼 운영 결과 ···················································································································26

가. 회의 개최 (총 9회) ····································································································26

나. 워크샵/세미나/표준전문가교육/표준화활동보고회 개최 (총 11회) ·················27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39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 ·····························································································39

나. 기고서 실적(제정) ······································································································57

다. 대표 기고서 실적 ·······································································································59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60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 ··································································································60

4. 기타 활동 결과 ···················································································································63

가. 표준화 회의 유치 및 대정부 지원 ·········································································63

나. 사회적 활동 ·················································································································63

다. 표준 특허 창출 ···········································································································65

라. 핵심 표준 (대상) 기술 추적 보고서 작성 및 배포 ············································66

제 4 장 2018년도 주요 수행계획 ···································································································70

제 1 절 2018년도 MPEG뉴미디어 포럼 연구목표 ······························································70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70

1. MPEG 국제 표준화 활동 방향 수립 및 국내 협의체 역할 수행 ··························70

2. 기술 워크샵, 전시회, 표준전문가 교육 및 표준화 활동 보고회 개최 ···················70

3. MPEG 국제표준화 활동 참여 ··························································································70

4. 국제 표준 활동 내용 공개 및 효율적인 의견 수렴을 위한 웹사이트 구축 운영 71

5. 주요 국제 표준의 내용 추적 및 번역 ···········································································71

제 3 절 수행 과제 방법 ··············································································································71

1. MPEG 관련 기술동향 파악 및 분석 ··············································································71

2. MPEG 관련 세미나, 워크샵 등 각종 행사 개최 ························································71

3. MPEG 관련 국내 사실표준 규격 연구 및 개발 ··························································71

4. MPEG 국제표준화 및 관련 회의 등에의 참여 및 공동 대응 ··································71

Page 19: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7 -

제 4 절 기대되는 결과물 ············································································································72

제 5 장 결론 ········································································································································74

제 1 절 결론 ··································································································································74

제 2 절 기대효과 ························································································································75

붙임

1. 회원명부 작성 ������������������������������������������������������������������������������������� 76

2. 약어표 ������������������������������������������������������������������������������������������������� 76

3. 참고문헌 등 ����������������������������������������������������������������������������������������� 77

Page 20: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 -

제 1 장 서론

ISO/IEC JTC1산하 워킹그룹(WG11)인 MPEG은 멀티미디어 표준을 제정하는 실무적 활동

으로서, 제정된 표준은 디지털 방송/TV,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단말, 방송 장비 및 부품, 스마

트폰 등에 광범위한 분야에 표준 규격으로 사용될 만큼 파급효과가 큰 표준이다. 더욱이

MPEG 표준은 표준 특허와 관련된 기술도 받아들여 우수한 표준을 제정함으로써 전 세계 많

은 기관들이 경쟁적으로 참여하여 보유 특허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관련 시장에서의 선 진입을

통한 경쟁 기관/업체들에 비해 비교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한 분야이다.

표준 표준을 선점하는 것은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시장에 조기에 참여가 가능

하고 이러한 새로운 시장에서의 시장 지배력을 확보하는데 있어 필수 불가결한 요소가 되고

있다. 선진 각국은 표준화 전략을 주요 정책으로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세계 선두 기업들

을 중심으로 표준화의 중요성의 인식이 확산되고 표준 선점을 통한 산업의 경쟁력 확보에 주

력하고 있다.

특히, MPEG뉴미디어 포럼은 적극적인 MPEG 국제 표준화 활동을 통해 325건의 기고서 제

출 및 발표와 총 16건의 기술이 MPEG 표준에 채택되는 성과를 이루었다. 더욱이 비디오 압축

표준화는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그 동안 MPEG-2, MPEG-4, AVC/H.264, HEVC/H.265 등

핵심 압축 부호화 기술에 대해 주도적으로 표준화를 이끌어왔다. 특히, HEVC는 차세대 방송

인 4K/8K UHD TV, 초고품질 비디오 지원 스마트 폰 및 디지털 캠코더, 차세대 초고품질

DVD 플레이어 등에 사용되는 핵심 기술로서, 산업 전방위 파급효과가 매우 큰 표준 기술이다.

MPEG뉴미디어 포럼에서는 MPEG 표준 기술을 국내 산업계와 연구계 그리고 대학에 빠르

게 확산하기 위해, (1) 표준 전문가 양성을 위한 Summer School 개최, (2) MPEG 심층기술

워크샵 및 세미나, (3) MPEG 표준화 활동 보고회를 개최하여 저변확대를 꽤하였다. MPEG뉴

미디어 포럼은 MPEG 국제표준화에 적극대응하고 한국의 이익을 국제 표준화에 최대한 반영

하며, 최신 국제표준을 국내에 전파하여 국내 산업의 대응력을 높이고자 많은 활동을 수행하

오고 있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MPEG뉴미디어포럼의 2018년도 활동 추진 내용 및 결과에 대

해 정리한 것이다.

Page 21: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2 -

제 2 장 MPEG뉴미디어 포럼 운영

제 1 절 국내외 현황

1. 핵심 표준화대상 기술

가. 기술 개요

MPEG(Moving Picture Coding Experts Group)은 비디오 및 오디오를 기반으로 다

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국제기술표준 개발을 목적으로 설립된 전문

가 그룹이다.

� 국가 단위로 참여하며 산업체, 학술, 연구 분야에 종사하는 멤버들로 구성

� MPEG표준은 정보 기술 분야의 기술 협의체인 JTC1(Joint ISO*/IEC** Technical

Committee, 합동기술위원회)의 SC29 WG11기구에서 기술을 제정하며, 또한

ITU-T***와 공동으로 표준 제정

*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기구),

**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국제전기표준회)

***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

� MPEG표준은 디지털방송을 포함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관련 산업 영역에서 광범

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표준을 활용하는 기업의 경쟁력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

친다는 점에서 해당 산업 발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

< MPEG을 활용한 다양한 산업영역 >

(출처: MPEG 성과와 중요성, 2017년 9월)

Page 22: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3 -

나. 표준화 대상

MPEG은 MPEG-1/2/4/7과 같이 서비스 기반의 총괄기술 분류 및 MPEG-A/B/C/D

등의 요소 기술 분류별 표준을 제정함으로써 멀티미디어별 표준으로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MPEG-H/I와 같이 서비스 자체를 목표로 표준이 개발되고 있음.

MPEG 표준의 활용 영역은 전통적인 부호화 기술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발전과 다양화에 따라 다양한 미디어 소비 기기 및 인터페이스로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Genome, IoT, Deep learning network 등 멀티미디어가 아닌 데이터들에

대한 압축 기술도 표준화하고 있음.

표준 프로젝트별 표준대상 기술은 아래 표와 같음.

프로젝트 명 표준대상 주요표준

MPEG-1 VCD와 CD를 위한 비디오 및 오디오 압축 기술 MP3

MPEG-2디지털 방송을 위한 비디오 및 오디오 압축 기술과

동기화 기술MPEG-2 Video, TS

MPEG-4객체기반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객체기반 비디오 및

오디오 부호화 및 파일 포맷 기술AVC, SBR, ISOBMFF

MPEG-7멀티미디어에 내포된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메타데

이터와 검색 질의어 관련 메타데이터 기술

MPEG-21멀티미디어의 생성, 전달, 소비를 아우르는 프레임워

크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기술

MPEG-AMPEG 표준 및 타표준들을 활용하여 특정 응용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파일)포맷 기술

MPEG-BMPEG 표준 프로젝트에 속하지 않는 독립적 시스템

기술

MPEG-CMPEG 표준 프로젝트에 속하지 않는 독립적 비디오

기술RVC

MPEG-DMPEG 표준 프로젝트에 속하지 않는 독립적 오디오

기술

MPEG Surround,

SAOC

MPEG-E 멀티미디어 미들웨어를 위한 API 기술

MPEG-V가상현실과 현실사이의 인터랙션에 필요한 인터페이

스 기술

MPEG-M 멀티미디어 밸류체인에 필요한 미들웨어 기술

MPEG-U방송, 모바일, 홈네트워크, 웹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기술

MPEG-HUHDTV와 같은 초고화질 서비스에 필요한 비디오

및 오디오 압축 기술과 전송포맷 기술

MMT, HEVC, 3D

Audio

MPEG-DASHHTTP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포맷

기술DASH

MPEG-I이머시브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비디오 및 오디오

압축 기술과 포맷 기술OMAF, VVC, PCC

Page 23: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4 -

<주요 MPEG 표준과 응용 분야>

(출처: N18072, MPEG Roadmap, 2018년 10월)

2.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HEVC 코덱 기반 시장

� 고화질 TV 등 주요 가전제품에 적용되는 HEVC 코덱 기반 시장은 모바일기기(휴

대폰, 테블릿, 랩탑) 분야를 중심으로 2020년까지 현 시장의 5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 HEVC/H.265 표준 소비 전망 >

(출처: DTC[Digital Tech Consulting])

MPEG-CICP 비표준 미디어 포맷을 위한 코드 포인트 기술

MPEG-G 게놈 정보를 압축하고 전송하기 위한 기술

MPEG-IoMT 미디어 사물 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술

Page 24: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5 -

디지털 TV 산업

� 디지털 TV 산업의 세계 시장 규모가 수억만 대에 이르는 가운데 국내 기업이 최

고 점유율을 차지하는 등 주요 기술인 MPEG표준의 중요성 대두된다.

2015 2016순위 규모 순위 규모

Samsung 1 47.9 1 47.9LGE 2 29.4 2 28.2

Hisense 3 12.8 3 13.3TCL 4 13.1 4 13.2Sony 5 12.1 5 11.7

Others 100.4 105Shipment

Total215.7 219.2

< 글로벌 디지털TV 보급 순위(LCD TV, 단위: 백만달러) >

(출처: WitsView, 2017. 2. (황민규, 2017.2.3. 재인용))

모바일 산업

� 모바일 미디어 산업에서 디지털기기 소비 규모가 증대되는 가운데, 2020년에 미

디어 산업 소비 대비 디지털 비율이 54%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며, 디지털 소

비 중 모바일 소비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 모바일을 통한 디지털콘텐츠 소비 성장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환경에서 모바

일 기술 구현에 적극 활용되고 있는 MPEG표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 미디어 산업 전체 소비 대비 디지털 비율 추이(단위:%) >

(출처: Mckinsey & Company, Wilkofsky Gruen Associates (Mckinsey&Company 「Global

Media Report」))

Page 25: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6 -

< 세계 디지털 소비(모바일vs.비모바일) >

* 디지털 소비 포함 항목: 모바일 브로드밴드, 모바일 광고, 모바일 비디오 게임, 오디오

디지털 스트리밍, 디지털 매거진, 디지털 신문, 전자책, 위성 라디오 가입 비용

(출처: Mckinsey & Company, Wilkofsky Gruen Associates (Mckinsey&Company 「Global

Media Report」))

디지털 콘텐츠 산업

� 디지털 콘텐츠 산업에서 음악, 비디오와 함께 최근 게임 콘텐츠의 소비 또한

MPEG표준을 적극 활용하는 디지털 기기로 집중되고 있다.

� MPEG표준이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기기(디지털TV, 모바일

산업 등)와 콘텐츠 산업 분야가 활성화되면서 MPEG표준 확보 중요성 증대되고

있다.

< 게임 콘텐츠 소비를 위한 주요 기기 >

(출처: ESA-Entertainment Software (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 「Top Markets

Report Media and Entertainment」 재인용))

Smart TV

� 시장 조사 기관에 따르면, 세계 스마트 TV 시장은 2016년 1,355억 달러에 이미

도달했으며, 아래 그림과 같이 미국의 스마트 TV 판매량이 2018년 이후부터 급

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TV 판매 비중 증가는 고사양

/초고해상도 TV의 스마트 기능 도입에 따른 결과이다.

� 스마트 TV의 필수 기술인 비디오의 압축/전송/저장과 관련하여 MPEG표준인

MPEG-2, AVCC/H.264, HEVC/H.265이 더욱 광범위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

다.

Page 26: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7 -

< 미국 스마트 TV 시장, USD Billion) >

(출처: Market Research Report, 2017.10)

카메라 모듈

� 카메라 모듈은 비디오 혹은 정지 영상을 압축 기술과 항상 함께 이용되므로

MPEG표준이 많이 적용되는 분야 중 하나이다.

� 세계 소형 카메라 모듈(Compact Camera Module,CCM)의 시장 분석에 따르면,

CCM의 시장 크기는 꾸준히 증가하여 2022년 468억 달러의 수익을 얻을 전망이

다.

� 어플리케이션별로 보면, 자동차와 산업용 카메라 모듈 시장의 확대가 예상되며,

생산부터 장착되는 차량 내부용 제품과 블랙박스 등 에프터마켓(After Market)

시장 모두가 확대되면서 연평균 21.6% 성장할 전망이다. CCTV 등 보안

(20.6%), 드론 장착용 카메라(24.0%) 등도 평균 성장률을 넘을 것으로 기대된

다.

< 소형 카메라 모듈(CCM, Compact Camera Module) 시장 전망 >

(출처: Yole, Camera Module Industry 2017 Report)

Page 27: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8 -

UHDTV

� 시장조사업체 인스테트(In-Stat)에 따르면 2020년 전세계 UHDTV 시장은 약

557억불 전망(연평균 33%대 성장률)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국내 UHDTV 시장은 본방송이 시작된 이후에 본격적으로 형성되어 2020년에 연

매출 1조 2천억원 규모에 이를 전망된다.

< 세계 UHDTV 시장 전망 >

(출처: In-Stat)

케이블 및 위성 방송

� MPEG-2는 디지털 텔레비전 제작 및 배포의 표준이지만, 케이블 텔레비전 및

위성 텔레비전 시청자들이 기대하는 고화질의 수백 개 채널들을 전송하기에 충

분한 압축 성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 더 많은 방송 프로그램 편성하기 위해 케이블 및 위성 방송시스템에서 MPEG-2

이외에 AVC(Advanced Video Coding)와 같은 고효율 압축 코덱을 이용하게 되

었다.

� DirectTV, bSkyb, Premiere와 같은 주요 위성 텔레비전 운영사과 케이블 사업자

들은 이미 새로운 고화질TV 서비스들에 AVC를 이용하고 있으며, 그 수요는 더

욱 증가할 것이다.

� 최근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기술이 성숙하여 관련 장비들이 이

미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초고화질 방송 시장에는 MPEG-2, AVC, HEVC 기

술이 병존하는 상태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따라서 서로 다른 표준 코덱간 비디오 변환 및 서비스 호환성을 위한 관련 기술

도 계속해서 사용될 것이다.

가상현실

� 스마트폰 성장 정체 등에 따라 글로벌 ICT 기업들은 새로운 미래성장동력으로

가상현실에 주목하고 VR 관련 카메라, HMD 등 디바이스 개발에 많은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생태계 전반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플랫폼 경쟁으로 확대 중

이다.

� 세계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SW 시장은 2016년 15.4억달러에서 연평균

Page 28: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9 -

39%의 고성장세로 2020년 80억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참고로

국내 시장은 세계 시장의 약 3.2% 비중으로 2016년 543억원에서 2021년 약 2

천8백억원 수준으로 성장할 전망된다.

<VR SW 시장 단기 전망>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CAGR

국내(억원) 543 694 944 1,309 1,912 2,81639.0%

세계(백만$)) 1,540 1,970 2,680 3,770 5,430 8,000

(출처: Mind Commerce, ‘Virtual Reality Market Outlook: Technology, Solutions, Content, and Application 2016-2021’, 2016.9)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스마트폰

� 통신영역의 대표 멀티미디어 기기인 스마트폰에서 MPEG표준이 통합적으로 활

용되며 질 높은 비디오·오디오 콘텐츠 서비스 제공에 기여하고 있다.

삼성 엘지 애플

모델명

갤럭시 노트9 G7 아이폰XS, XR

오디오

코덱

MP3

MPEG-2 AAC

MPEG-4 AAC+

MP3

MPEG-2 AAC

MPEG-4 AAC+

MP3

MPEG-2 AAC

MPEG-4 AAC+

비디오

코덱

MPEG-4 AVC

MPEG-H HEVC

MPEG-4 AVC

MPEG-H HEVC

MPEG-4 AVC

MPEG-H HEVC

< 최신 스마트폰에 적용된 오디오 및 비디오 MPEG 표준 >

(출처: 각 제조사 웹사이트 (2018))

오디오 시장

� MPEG-1 Layer 3(MP3)의 특허종료 후 MPEG-2 AAC(Advanced Audio

Coding)와 같은 신규 포맷 전환 등 MPEG표준은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 MP3 포맷은 아이팟과 MP3 플레이어로 대중화에 크게 기여하였고 현재 PC 및

모바일을 아우르며 사용되고 있다.

� 2017년 MP3 포맷의 특허 종료에 따라 음질과 효율성 면에서 보다 우수한 신규

Page 29: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0 -

표준 기술을 개발하여 활용하려는 시도가 있으며, 북미 방송 오디오 표준 방식

중 하나인 MPEG-H 3D Audio가 국내 “지상파 UHDTV 송수신 정합” 표준으로

채택되어 지상파 UHDTV 서비스에 사용되고 있다.

UHDTV

� 방송, 엔터테인먼트, 인터넷, 개인 미디어 등의 분야에서 영상의 해상도 증가와

더불어 고품질로의 영상 콘텐츠 서비스가 발전되어 왔으며, 최근 공간 해상도의

가로 화소수가 4K에 이르는 디지털 시네마 콘텐츠, 4K 빔 프로젝터, 4K 모니터

및 카메라가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다.

� 이러한 영상 콘텐츠 산업의 발전은 고해상도를 넘어 초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방

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사실감과 현장감을 더욱 느끼게 하는 초고선명/초고품

질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신규 수요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시장

규모 확대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 우리나라는 2017년 5월 지상파 UHDTV 본 방송을 시작했으며, UHDTV 방송 제

작비가 가파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아래 표의 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우리나라 지상파 방송사의 UHD 콘텐츠 연

간 투자 계획과 같이. HD 콘텐츠의 제작이 UHD 콘텐츠의 제작 투자비가 점진

적으로 감소하여 2025년에는 UHD 콘텐츠의 제작 투자비가 전체의 80% 이상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지상파방송사 UHD 시설 및 콘텐츠 투자 계획 (2016-2027) >

단위: 억원

(출처: KBS, MBC, SBS, EBS, 지역MBC(17개사), 지역민방(9개사), OBS 총 31개 방송사

제출 자료)

Page 30: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1 -

3.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MPEG표준은 디지털방송을 포함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관련 산업 영역에서 광범위

하 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 표준을 활용하는 기업의 경쟁력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

치고 있다.

활용분야 구분 주요특징

MP3 플레이어비디오 CD

MPEG-1(ISO/IEC 11172)

오디오와 비디오 압축·복원 기술VHS 수준의 비디오 화질 재생

DVD 플레이어HDTV 방송셋톱박스

MPEG-2(ISO/IEC 13818)

방송용 멀티미디어 압축·복원 기술HDTV 수준의 비디오 화질 재생

비디오 휴대폰대화형 인터넷TV 방송

MPEG-4(ISO/IEC 14496)

AVC(ISO/IEC 14496-10)

객체 기반 멀티미디어 압축·복원 기술화상, 음성, 문자, 그래픽 등 다양한

콘텐츠 합성IMT-2000 등의 이동통신 비디오 지원

전자상거래서비스VOD서비스

문화정보서비스

MPEG-7(ISO/IEC 15938)

멀티미디어정보 표현 표준화상·음성 등의 멀티미디어정보 검색

멀티미디어 저작권보호 기술

멀티미디어 전자상거래콘텐츠 유통산업

MPEG-21(ISO/IEC 21000)

통합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표준디지털 콘텐츠의 유통과 전자상거래

지원

차세대 MP3포토앨범 등

MPEG-A(ISO/IEC 23000)

멀티미디어 응용과 서비스

4D 영화, 가상현실MPEG-V

(ISO/IEC 23005)미디어 환경 및 제어 표현

방송통신융합 콘텐츠 사용자 인터페이스

MPEG-U(ISO/IEC 23007)

MPEG Rich-media 사용자 인터페이스

Part 1: MMT (MPEG-2 TS 전송 표준을 대체할 차세대

미디어 전송 표준)Part 2: HEVC (UHD서비스용

비디오 압축 표준)Part 3: 3D Audio (UHD

서비스용 오디오 압축 표준)

MPEG-H (ISO/IEC23008)

UHD방송을 포함한 고화질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련 표준

인터넷 방송 및 스트리밍 적용MPEG-DASH

(ISO/IEC23009)인터넷 기반 적응형 스트리밍 서비스

표준

360비디오를 포함한 Immersive Media 서비스 관련

기술로서 현재 진행 중

MPEG-I(ISO/IEC 23090 )

Immersive Media 서비스를 위한 표준

Genome 정보 압축을 위한 표준으로서 현재 진행 중

MPEG-G(ISO/IEC 23092

Genome 정보 압축 표준

< MPEG 표준 기술의 주요 활용 분야 >

Page 31: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2 -

MPEG은 MPEG-1/2/4/7과 같이 서비스 기반의 총괄기술 분류 및 MPEG-A, B, C

등의 요소 기술 분류별 표준을 제정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별 표준을 개발 중이다.

< 표준화 분야별 MPEG 표준개발 현황 >

(출처: N18072, MPEG Roadmap, 2018년 10월)

MPEG은 미래 미디어 서비스로 대두되고 있는 몰입형 미디어(Immersive Media)에

대한 표준개발을 위한 MPEG-I 프로젝트를 2017년부터 시작하였으며, 미디어 뿐만

아니라 Genome 등 압축부호화 기술이 필요한 전분야로 표준화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 MPEG 표준개발 로드맵 >

(출처: N18072, MPEG Roadmap (2018.10.))

Page 32: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3 -

MPEG 시스템즈 서브그룹에서는 MPEG-I Part 1 OMAF Version 1에 대한 표준개

발을 완료하고 3DoF+와 오버레이 비디오 지원을 위한 Version 2를 개발 중이다.

또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미디어 처리기술을 대상으로 하는 MPEG-I Part 8

NBMP(Network-Based Media Processing)에 대한 표준개발이 진행 중이며, 본 표

준화에는 노키아, 화웨이, 소니, ETRI, 삼성전자, SK텔레콤 등이 참여하고 있다.

MPEG 비디오 서브그룹에서는 ITU-T SG16와 공동으로 HEVC의 뒤를 잇는 차세대

비디호 부호화 기술은 VVC(Versatile Video Coding)에 대한 표준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특허 라이센싱 정책을 사전에 정의하여 표준개발 후 시장진입을 보

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새로운 비디오 코덱에 대한 논쟁이 진행중이다.

MPEG 오디오 서브그룹에서는 MPEG-I Part 4 Immersive Audio Coding 표준화와

관련하여 6DoF 오디오 서비스를 위한 요구사항, 구조, 그리고 성능평가를 위한 플

랫폼과 방법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지난 124차 회의까지 약 40여 개의

요구사항 도출을 완료하였으며, 125차 회의에서는 요구사항을 최종 확정하고 구조

및 평가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표준화에는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와 미국 돌비, 핀란드 노키아, 스웨덴 에릭슨, 네덜란드 필립스를

비롯하여 한국의 가우디오디오랩(주)과 ETRI에서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MPEG 3DGC 서브그룹에서는 2017년부터 시작한 Point Cloud Compression(PCC)

표준을 다시 Video-based PCC 표준과 Geometry-based PCC 표준으로 세분화하

여 진행 중에 있음.

MPEG 기술 발전에 따른 각 표준의 주요 활동 영역은 비디오·오디오 콘텐츠와 멀

티미디어 관련 다양한 미디어 소비 기기 및 인터페이스로 확대·진화하고 있다.

< MPEG 표준 프로젝트별 표준화 영역 >

(출처: N17332, MPEG Roadmap (2018.10.))

Page 33: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4 -

3GPP에서는 현재 2020년 승인을 목표로 EVS(Enhanced Voice Service) 코덱 기

반의 Immersive Voice and Audio Service(IVAS) 코덱 표준화를 진행 중이다. IVAS

코덱은 3GPP의 차세대 코덱으로 실시간 대화는 물론 멀티-스트림 컨퍼런스와 양

방향 VR 서비스까지 고려하고 있다.

HEVC 대비 압축률 2배를 목표로 하는 VVC 표준화가 ‘18년 4월 시작되어 ’2020년

10월 완료 예정이며, 국내 기관인 ETRI, 삼성, LG, Digital Insight와 Huawei,

Qualcomm, InterDigital, Tencent, Panasonic, Technicolor, Broadcom 등이 적극

참여하여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HEVC 표준의 규격이 완성됨에 따라 HEVC 표준의 코덱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HEVC표준은 UHD-TV 또는 셋톱박스 등의 방송 분야 뿐 아니라 넷플릭스 등

의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에서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칩세트 개발 등

기술 개발에 업체들이 앞 다투어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 베리실리콘: 지적 재산을 중심의 실리콘 솔루션 제공 플랫폼 업체

� 전 세계의 수많은 스마트폰, 일반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태블릿 PC 셋톱 박

스, 감시 카메라 및 비디오 카메라에는 베리실리콘의 최신 핸트로 하드웨어

인코더 솔루션이 탑재되어 있는데, ‘핸트로 H2’ 인코더는 반도체 제조업체들

이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칩에 고성능 비디오 기능을 통합할 수 있게 하는 솔

루션을 제공한다.

� MStar: MStar Semiconductor, Inc.는 반도체 솔루션 산업의 혁신 주도 기업

� MStar의 MStar HEVC TV SoC는 세계 최초로 DivX® HEVC 인증을 완료한

디지털 TV 칩으로 DivX HEVC Ultra HD 비디오를 재생을 지원한다

� 파나소닉

� 파나소닉은 ‘일본 전자전 2014’에서 4K 업컨버터를 탑재한 HEVC 시스템 LSI

를 통해 기술 혁신 부분 상을 수상했다.

� 브로드컴: 포춘 500대 기업 중 하나인 통신 관련 반도체 분야의 세계적인 기업

� 2013년 1월 세계 최초로 UHD TV HEVC 비디오 디코더 솔루션을 선보였다.

MPEG LA

� MPEG LA는 2014년 9월 HEVC 특허 포트폴리오 라이선스를 출시했다.

� 이 공동 라이선스에는 HEVC의 필수적인 특허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라이선

스에는 애플, 후지쯔, 히타치 맥스웰, 휴맥스 홀딩스, 인텔렉추얼 디스커버리,

JVC 켄우드 코퍼레이션, 한국과학기술원, 한국방송공사 등 23개의 기관이 보유

한 HEVC 필수특허를 포함하고 있다.

가상현실

Page 34: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5 -

� (Intel) 2016년 이스라엘의 VR 관련 회사 합병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VR 방송 기

술을 주도하고 있으며 메이저리그 프로야구 경기를 VR기술을 이용하여 시청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였고, 평창동계올림픽에서도 TrueVR이란 브랜드명으로

360VR 실황중계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 (Nokia) 일체형 360VR 카메라 시장의 고급형으로 분류되는 Nokia OZO는 일체

형 360 카메라와 OZOLive라는 방송용 솔루션을 함께 공급하고 있다.

� (Voysys) Intel 및 Nokia와는 달리 솔루션 중심의 스웨덴 회사로서 기존 솔루션

을 포함하면서도 독특한 VR 방송용 솔루션 제공하고 있다.

� (Fraunhofer HHI) Panoramic Video 분야에서 세계 최고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

며 OmniCAM360 카메라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Lytro) 새로운 버전의 Lytro Immerge 라이트필드 카메라와 6DoF 지원 샘플 영

상을 공개하였는데, 배경과 전경을 별도로 제작하여 운동시차에 따른 몰입감을

증가시키는 솔루션이다.

� (Facebook) 6DoF 지원을 위한 구형태의 새로운 서라운드 360 카메라인 x24, x6

을 발표하였고, Otoy, Adobe, Foundry와 같은 포스트 프로덕션 전문 업체들과

협력하여 6DoF 비디오 제작 빛 서비스를 위한 워크플로우를 개발 중에 있다.

나. 국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방송분야 표준을 담당하는 방송기술위원회에서는

2017년 상반기에 UHDTV 방송을 위한 표준개발을 완료하였다. 최근에는 UHDTV

환경에서의 모바일 방송 및 재난방송과 관련된 협의가 진행 중이다.

가상환경(VR) 미디어 관련해서는 미래방송미디어준포럼에서 ’16년 5월 차세대 방송

서비스 및 요소기술 개발을 위한 미래미디어 분과를 발족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360도 전방위 서비스 등 몰입형 미디어 표준화 수행을 위한 시나리오 및 기술적

항목에 대한 Study mission 수행 중임. 또한, ‘17년 몰입형 미디어 관련 산업체 및

표준화 현황에 대한 스터디 보고서 ver.1.0을 발간하였으며, 현재 ver.2.0 보고서

작성을 진행 중이다.

제품 경쟁력을 통한 산업 우위 확보: MPEG표준 기반 제품의 생산 원가 중 특허료

가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원천특허와 표준 확보를 통해 제품 경쟁력 향상

에 기여하고 있다.

� 생산 원가에서 특허료가 차지하는 비율은 통상 10~15%이며, 한국은 연간 3억

3000만 달러 이상의 특허수익을 획득할 수 있다.

� 국내에서 뿐만 아니라 주요 글로벌 시장인 미국에서도 일본과 함께 높은 MPEG

표준 특허를 보유함에 따라 제품 경쟁력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Page 35: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6 -

� 일본에 이어, 한국은 세계 2위의 MPEG표준 특허 보유국이며 전체 특허수의 약

38%를 차지하고 있다.

< MPEG-LA의 국가별 특허 등재 현황 >

(출처: SEP Inside Vol. 18, 2018.06)

국내 기관별 주요 MPEG표준 특허권은 국내 주요 기업 뿐만 아니라, 연구계·학계

또한 특허권 확보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삼성, 엘지전자와 같은 글

로벌 제조기업과 해당 분야 대표적 연구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이끌고

있다.

< MPEG-LA 특허 등재 상위 3개국의 기업·기관 현황 >

(출처: SEP Inside Vol. 18, 2018.06)

대학의 산학연 단체를 통해 학계-업계 간의 협력이 이루어지고, 방송 및 통신 분야

기업은 자사의 미디어 콘텐츠 서비스와 연관된 기술 특허를 확보하여 경쟁력을 강

화하고 있다.

국내의 MPEG표준 특허 확보는 비디오·오디오·전송·서비스 방식 등 전체적 분야에

서 진행됨에 따라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 반면, 유럽의 경우 DASH, AVC/H.264, MVC 등 비디오 관련 기술 표준에 치중

Page 36: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7 -

MPEG-H 분야

� MPEG-H 분야는 MPEG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MMT 표준화, 차세대

비디오 표준와 활동인 HEVC 규격과 초고음질 오디오 부호화를 위한 표준화 활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상현실

� (ETRI) 고품질 파노라마 영상 (UWV: Ultra Wide Vision)을 이용한 실황중계 시

스템을 개발하여 평창동계올림픽에서 UWV 실황중계 시범서비스를 실시하였고,

360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4Kx2K급 실시간 360 비디오 생성 기술을

개발하였다.

� (SKT) SK텔레콤은 자체 AR/VR 플랫폼을 개발하여 5G 네트워크망에 4K 이상급

의 대용량 360비디오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중에 있

으며, 2017년부터 모바일 VR동영상 플랫폼인 옥수수(oksusu)라는 앱을 통해

HEVC 부호화 기술을 적용한 4K급 VR 콘텐츠를 서비스하고 있다.

� (삼성전자) 360 비디오 서비스 제공을 위한 HMD, 카메라, VR 스토어 등의 에코

시스템 구축을 통한 VR 통합 서비스 시스템 구축하고 있으며, 2014년 IFA에서

가상현실 헤드셋 GearVR을 공개하였으며, 360도 stereo 영상 촬영을 위한

Project Beyond, Gear360을 각각 2014년과 2016년에 공개하였다.

Page 37: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8 -

제 2 절 포럼 구성 및 운영

1. 목적 및 필요성

목적

MPEG뉴미디어 포럼은 MPEG 국제표준에 대한 기술정보 수집 및 제공, 관련 국제

포럼에의 공동 대응 전략수립 및 활동지원, 국내 표준규격 개발 및 국내 산업체의 사실

표준화 활동 등을 통해 국내 산업체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관련 산업 활성화 등을 주

요 목적으로 한다.

필요성

� 현재 MPEG 국제표준화 회의에 최대 규모의 대표단을 파견하고 있으며, 국제 표

준화에 국내 개발기술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국제표준이 국가이익에 부합하도

록 국제 표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활동하기 위해 국내 참여 기관의 의견을

효율적으로 취합하고, 국내 기술 전파를 위해 MPEG뉴미디어 포럼이 구심적 역

할을 해 왔으며 지속적으로 이러한 활동이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있어날 수 있

도록 운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최근 MPEG은 UHDTV, 디지털 시네마 등, 초고해상도 고품질 비디오 압축 부호

화를 위 한 Future Video Coding 표준화 활동을 준비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

로 가전기업, 연구소, 대학 등의 참여가 활발하며, 시장의 영향력을 예상할 때

국가적으로 표준화 기술 개발, 표준화 추진 및 산업응용 및 시장 창출에 대응하

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 2018년 10월 MPEG에서는 향후 5년의 표준화 로드맵을 발표하였고, 6 Degree

of Freedom을 갖는 Immersive Media, Combining Natural and Synthetic

Content, VR 360 및 on-demand and live (3 DoF/+) 의 세 축을 포함하고 있

다. 세계 각국에서는 이와 관련된 원천 표준화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우리나

라에서도 적극적은 표준화 대응 준비가 필요하다.

� MPEG 국제표준화 단체는 국가 대표단 자격으로 활동하는 것이며, 우리나라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술적인 사항 및 기타 사항에 대한

논의 및 의견 조정 을 하고 국가적 차원의 대응 방향을 전략적으로 설정하여

대응하여야 한다.

Page 38: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19 -

2. 연혁

1992MPEG 표준화를 위한 임의단체로 MPEG-Korea 활동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MPEG 표준에 대한 원천지적재산권 확보에 기여

2000 1월 사실표준화(de facto standard) 활동 활성화 기본계획 수립 (정보통신부)

3월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기존의 임의 단체인 MPEG-Korea를 공식 포럼

화하여 지원할 필요성 제안

3월 20일 정보통신 표준화 전략 포럼 11개 선정 확정

5월 ~ 6월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MPEG 포럼 구성.운영 계획(안)" 수립 및 관련

기관 의견수렴

7월 3일 2000년도 MPEG 포럼 창립총회 개최

2001 8월 21일~22일 2001년도 MPEG 포럼 제2회 총회 개최

2002 8월 21일~22일 2002년도 MPEG 포럼 제3회 총회 개최

2003 8월 19일~20일 2003년도 MPEG 포럼 제4회 총회 개최

2004 8월 18일~19일 2004년도 MPEG 포럼 제5회 총회 개최

2005 8월 16일~17일 2005년도 MPEG 포럼 제6회 총회 개최

2006 8월 16일~17일 2006년도 MPEG 포럼 제7회 총회 개최

2007 8월 16일~17일 2007년도 MPEG 포럼 제8회 총회 개최

2008 8월 20일~21일 2008년도 MPEG 포럼 제9회 총회 개최

2009 8월 18일~19일 2009년도 MPEG 포럼 제10회 총회 개최

2010 8월 17일~18일 2010년도 MPEG 포럼 제11회 총회 개최

2011 8월 16일~17일 2011년도 MPEG 포럼 제12회 총회 개최

2012 8월 16일~17일 2012년도 MPEG 포럼 제13회 총회 개최

2013 8월 21일~22일 2013년도 MPEG 포럼 제14회 총회 개최

2014 8월 21일~22일 2014년도 MPEG 포럼 제15회 총회 개최

2015 8월 19일~20일 2015년도 MPEG 포럼 제16회 총회 개최

2016 8월 17일~18일 2016년도 MPEG 포럼 제17회 총회 개최

2017 8월 17일~18일 2017년도 MPEG뉴미디어 포럼 제1회 창립 및 총회 개최

2018 8월 16일~17일 2018년도 MPEG뉴미디어 포럼 제2회 총회 개최

Page 39: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20 -

3. 조직구성 및 주요활동

가. 조직구성(조직도 포함) 및 추진체계

[조직도]

MPEG 표준화

활동

MPEG 표준화 활동 보고회

총회, 기술

워크샵 및 전

시회 개최

분과 위원회

- MPEG 문서 Review 워크샵

- MPEG 표준안 투표에 대한 의견 개진

- 기술 워크샵 개최

- 표준화 동향 분석 및 대응 방안 수립

운영 위원회

- 포럼 운영에 관한 제반

사항 논의 및 의사 결정

- MPEG 산업화 과제 심의

- MPEG 표준안에 대한 의

견 검토 및 의견 제시

[추진체계도]

Page 40: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21 -

(1) 조직

① 조직 체계

� MPEG뉴미디어 포럼은 TTA의 전략표준화 포럼 지원 사업으로 ISO/IEC JTC1

SC29 WG11 (MPEG)에서 진행되는 국제 표준화 기술 전반을 다루는 단체임.

� 과학기술정통부 국립전파연구원(한국 National Body)과 표준협회(SC29 Korea

전문위원회)와도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여 국가 차원이 이익을 극대화함.

� 학계 및 업계 전문가를 중심으로 ‘산-학-연’의 협력구조로 운영하여, 포럼 운영

위원회 협의를 통하여 주요 사업 추진 방향 및 계획을 논의함.

② 조직 구성

㉮ 의장 : 안치득 소장 (ETRI)

� 역할 :

- MPEG뉴미디어포럼 활동 총괄

- MPEG뉴미디어포럼 총회 및 운영위원회 소집/주재

- MPEG뉴미디어포럼 예산 집행 승인

㉯ 부의장: 오승준 교수 (광운대학교), 신재섭 대표이사 ((주)픽스트리)

� 역할 :

- 의장 부재시 의장 권한 대행

- MPEG뉴미디어포럼 예산 집행 확인

㉰ 운영위원회

� 위원장 : 안치득 소장 (ETRI)

� 위원/사무총장 : 최해철 교수(한밭대)

� 위원 : 강제원(이화여대), 김규헌(경희대), 김문철(KAIST), 김병선(KBS), 김상

균(명지대), 김상욱(중앙대), 김인철(서울시립대), 김재곤(한국항공대), 김진필

(LGE), 김회율(한양대), 류은석(가천대), 박광훈(경희대), 박호종(광운대), 서광

덕(연세대), 서정일(ETRI), 서종열(LGE), 송재연(삼성전자), 신재섭((주)픽스트

리), 심동규(광운대), 양진홍(인제대), 오병태(한국항공대), 오승준(광운대), 오

은미(삼성전자), 윤경로(건국대), 이배근(KT), 이석필(상명대), 이영렬(세종대),

이태진(ETRI), 임영권(삼성전자), 임정연(SKT), 임태범(KETI), 장의선(한양대),

전동산(경남대), 전병우(성균관대), 정재원((주)넥스트리밍), 최준균(KAIST), 한

우진(네이버), 호요성(GIST)

� 역할 :

Page 41: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22 -

- MPEG뉴미디어 포럼 운영에 관한 제반 사항 논의 및 의사 결정

- MPEG 회의 한국 대표단 선발 및 추천

- MPEG 표준안 투표에 대한 검토 및 의견 제시

㉱ 자문위원회

� 위원 : 강경옥(ETRI), 김경수(KBS), 김용한(서울시립대), 김진웅(ETRI), 김진한

(KT), 김형중(고려대), 문주희(세종대), 박정훈(삼성전자), 서덕영(경희대), 이

종민(SKT), 이현우(ETRI), 정제창(한양대)

� 역할 :

- MPEG뉴미디어포럼 활동 방향 자문

(2) MPEG뉴미디어 포럼 주요 활동 내용

� 정보 교류를 위한 보고회 및 워크숍을 개최하여 각 분야 전문가의 발표를 통해

최신 표준화 진행상황 및 연구 동향을 분석함.

� 국제 표준화 활동 내용을 공개적으로 알리고 효율적인 의견 수렴을 위한 웹사이

트를 구축 운영함.

� 주요 국제 표준의 국내 확산을 위하여 관련 분야 전문가를 통하여 표준화 진행

내용을 추적하고 표준화 문서를 번역함.

� 국제 표준화 활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국외 전문가를 초청하여 향후

표준화 방향과 주요 내용에 대한 자문을 구함.

� MPEG 표준화 기술 및 동향 분석, 국내 사실표준 규격 연구 및 국제표준화 대응

에 적극적으로 참여함.

< MPEG뉴미디어포럼 사업 영역 >

Page 42: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23 -

나. 분과(or 워킹그룹)별 주요활동

MPEG Communications 분과

� 위원장: 김규헌 교수 (경희대)

� 역할: MPEG뉴미디어 포럼 대내외 협력 창구

� MPEG 표준화 활동, 표준 기술 등 제반 사항에 대한 MPEG뉴미디어 포럼과

산업계, 연구계 및 학계와의 교류 및 협력 방안 등에 대한 활동을 수행함.

산업위원회 분과

� 위원장: 신재섭 대표이사 ((주)픽스트리)

� 역할: MPEG 산업/지적재산권 관련 동향 분석 및 대응방안 수립

� MPEG 기술 산업화 논의

� 산업에서의 MPEG 기술을 활용한 상용화를 돕기 위해 MPEG Industry 분과

위원회는 MPEG 기술을 자문하고 기술 제공을 해 줄 수 있는 MPEG 전문가

풀을 구성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MPEG뉴미디어 포럼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

함.

오디오 분과

� 위원장: 서정일 박사 (ETRI)

� 역할: MPEG 오디오 관련 동향 분석 및 표준화 공동 대응방안 수립

시스템 분과

� 위원장: 임영권 수석 ((주)삼성전자)

� 역할: MPEG 시스템 관련 동향 분석 및 표준화 대응

� MPEG 메타데이터 및 3DGC 관련 동향 분석 및 표준화 공동 대응방안 수립

비디오 I 분과

� 위원장: 전병우 교수 (성균관대)

� 역할: MPEG-1/2/4, VCEG, JCT-VC 표준화 관련 동향 분석 및 표준화 공동 대

응방안 수립

비디오 II 분과

� 위원장: 호요성 교수 (GIST)

� 역할: 3D Video, JCT-3V 표준화 관련 동향 분석 및 표준화 공동 대응방안 수립

표준기술교육위원회 분과

� 위원장: 장의선 교수 (한양대)

Page 43: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24 -

� 역할: MPEG 표준 기술 교육, 기술워크샵, 세미나 등 MPEG 표준화 기술 등에

대한 정보를 국내에 전파하기 위한 활동 수행

Networked Media 분과

� 위원장: 서덕영 교수 (경희대)

� 역할: ITU-T 표준화 관련 활동 단체와 멀티미디어/네트워크 관련 표준화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표준화 공동 대응방안 수립

웹 미디어 분과

� 위원장: 최준균 교수 (KAIST)

� 역할: Cyber Physical System (CPS) 환경에서의 3 차원 공간미디어의 표현 도

구로서 웹 기술을 적용하는 연구 수행

다. 회원사 구성

산업체연구소 학계 총계

대기업 중소벤처 기업

회원사수

4

(삼성전자, LG전자,

SKT, KBS)

5

(픽스트리, 넥스트리밍,

칩스앤미디어,가온미디어

, 월러스표준기술연구소)

2

(ETRI, KETI)- 11

백분율(%) 36.4 45.5 18.2 - 100

Page 44: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25 -

제 3 장 2018년도 MPEG뉴미디어 포럼 활동결과

제 1 절 주요 추진실적 요약

구분계획

건수(계량치)실적

건수(계량치)대표 결과물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120 325 O MPEG-B Part 13 – Media Orchestration (MORE) 국제표준 초안 제정, ‘18.4)O MPEG-H 3D Audio Amd 5. Metadata enhancement/ISO/IEC 23008-3:2015/DAM 5(국제표준 채택, ‘18.4)

기고서 반영 - -

기고서 제정 10 12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 -

기고서 반영 - -

기고서 제정 - -

국내활동

국가표준

국가표준 제정 - -

단체표준

TTA표준 과제채택

- -

TTA표준 제정 - -

포럼표준

포럼 표준제 개정

20 27O IS/AMD 표준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해 MPEG 표준 27건을 선정하여 포럼 표준으로 제정

기타성과 지표-1.MPEG표준화 회의 활동 보고회

3회 4회 O MPEG 표준화 회의 참석/활동 보고회

기타성과 지표-2.심층기술워크숍

2회 6회

O 실감미디어 워크숍, 춘계 방송과 미디어 기술 워크숍, MPEG Outlook 워크숍, 실감미디어 심층기술 워크숍, 추계 방송과 미디어 기술 워크숍, MPEG뉴미디어포럼 추계 심층기술워크숍

기타성과 지표-3. 표준확산기술워크숍

1회 1회O MPEG뉴미디어포럼 제2회 총회 및 기술워크숍

기타성과 지표-4.MPEG 표준전문가 교육을 위한

Summer School 개최1회 1회

O Summer School, 주제: Versatile Video Coding and Deep Compression

기타성과 지표-5.MPEG 표준 기술 추적 보고서

3건 3건O MPEG 표준 기술 추적 보고서(Versatile Video Coding I, Versatile Video Coding II, MPEG-I)

기타성과 지표-6.MPEG 비전 작업 활동 회의

3회 6회O MPEG뉴미디어 포럼 운영위원회, 의장단회의, TTA/RRA 간담회

Page 45: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26 -

제 2 절 활동 결과

1. 포럼 운영 결과

가. 회의 개최 (총 6회)

번호구분 회의명개최일시

개최장소 주요내용참석자

수대표참석기관

(5개이내)

1대응준비회의

121차 MPEG 광주 회의

표준화 협의1월23일

연한정식(광주)

- 121차 MPEG 표준화 활동 지원 17명

ETRI, KAIST, 한양대, 연세대,

픽스트리

2 운영제1차 운영 위원회 회의

2월23일에인스페이스

(서울)- 2018년 포럼 행사 추진 및 활동 책임자 논의

19명

ETRI, 한밭대, 광운대, 세종대.

픽스트리

3 분과 의장단 회의 5월31일동해도일식

(서울)- 포럼 현안 토의 6명

KAIST, 한밭대, ETRI

4 운영제2차 운영 위원회 회의

8월16일한우경매마당

(서울)

- 포럼 운영/자문/협력 위원 추천 및 승인- 포럼 예산 현황 검토

23명

ETRI, 광운대,

경희대, KT, 연세대

5 운영제3차 운영 위원회 회의

9월12일에인스페이스

(서울)

- 포럼 운영/자문/협력 위원 추천 및 승인- 추계 심층 기술 워크숍 준비- ISO-DCT TC 관련 포럼 대응 방안 논의

16명ETRI, GIST, KBS, 한양대,

삼성전자

6 운영제4차 운영 위원회 회의

12월3일남포면옥(서울)

- 포럼표준 검토 및 승인 28명ETRI, 경희대, 서울시립대, 한밭대, KBS

Page 46: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27 -

나. 워크샵/세미나/표준전문가교육/표준화활동보고회 개최 (총 12회)

(1) 요약

번호

워크샵/세미나 명 개최기간 개최장소 행사 주최국제/국내

주요내용

1

제121차 MPEG, 제30차 JCT-VC, 제21차 JCT-3V 및 제9차 JVET 표준화 활동 보고회

2월 23일예인스페이스 (강남점)

MPEG뉴미디어포럼

국내

제121차 MPEG, 제30차 JCT-VC, 제21차 JCT-3V 및 제9차 JVET 표준화 활동 결과 보고회

2 실감미디어 워크숍 4월 4일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

MPEG뉴미디어포럼,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공동

국내실감미디어 기술의 적용 : 평창 동계 올림픽과 대형 문화 이벤트

3

제122차 MPEG, 제31차 JCT-VC, 제22차 JCT-3V 및 제10차 JVET 표준화 활동 보고회

5월 3일한국과학기술회관 소희의실 4

MPEG뉴미디어포럼

국내

제122차 MPEG, 제31차 JCT-VC, 제22차 JCT-3V 및 제10차 JVET 표준화 활동 결과 보고회

4춘계 방송과 미디어 기술 워크숍

5월 31일 ~ 6월 1일

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

MPEG뉴미디어포럼,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공동

국내인공지능과 미래 미디어 기술

5

제123차 MPEG, 제32차 JCT-VC, 제23차 JCT-3V 및 제11차 JVET 표준화 활동 보고회

8월 2일한국과학기술회관 소희의실 2

MPEG뉴미디어포럼

국내

제123차 MPEG, 제32차 JCT-VC, 제23차 JCT-3V 및 제11차 JVET 표준화 활동 결과 보고회

6제2회 MPEG뉴미디어 포럼 총회 및 기술워크숍

8월 16일 ~ 17일

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

MPEG뉴미디어포럼

국내MPEG-Immersive와 Versatile Video Coding

7 MPEG Outlook 워크숍8월 24일 ~

25일거성호텔 세미나실

MPEG뉴미디어포럼

국내 MPEG 기술 보급 및 확산

8 2018 Summer School 8월 30일 ~

31일한국과학기술회관 중회의실 2

MPEG뉴미디어포럼,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공동

국내Versatile Video Coding and Deep Compression

9실감미디어 심층기술 워크숍

9월 6일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

MPEG뉴미디어포럼,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공동

국내초실감 서비스 실현을 위한 Immersive Media

10추계 방송과 미디어 기술 워크숍

10월 18일 ~ 19일

한국과학기술회관대회의실

MPEG뉴미디어포럼,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공동

국내

New Broadcast/Broadband Media Services Beyond UHD

11

124차 MPEG, 제33차 JCT-VC, 제24차 JCT-VC, 및 제12차 JVET 표준화 활동 보고회

10월 25일한국과학기술회관소회의실 2

MPEG뉴미디어포럼

국내

124차 MPEG, 제33차 JCT-VC, 제24차 JCT-VC, 및 제12차 JVET 표준화 활동 결과 보고회

12 추계 심층기술워크숍12월 3일 ~

4일건설공제조합 3층 대회의실

MPEG뉴미디어포럼

국내딥러닝 기반 화질개선의 State-of- the-Art

Page 47: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28 -

(2) 상세 내용

① 제121차 MPEG, 제30차 JCT-VC, 제21차 JCT-3V 및 제9차 JVET 표준

화 활동 보고회

� 일시 : 2018년 2월 23일

� 장소 : 예인스페이스 (강남점)

� 주제 : 제121차 MPEG, 제30차 JCT-VC, 제21차 JCT-3V 및 제9차 JVET 표준

화 활동 결과 보고회

� 주요 발표 내용

시간 발표 제목 발표자 (소속)

14:00 ~ 14:10 HoD 보고 차지훈 박사 (ETRI)

14:10 ~ 14:30 MPEG-IoMT (Internet of Media Things) 김상균 교수 (명지대)

14:30 ~ 14:50 MPEG-I Part 5 Point Clouds Compression 장의선 교수 (한양대)

14:50 ~ 15:10 MPEG-I Part 3 Immersive Video 방건 박사 (ETRI)

15:10 ~ 15:30 휴식

15:30 ~ 15:50 Future Video Coding 김재곤 교수 (한국항공대)

15:50 ~ 16:10 MPEG-I Part 1 Architecture and Part 2 OMAF Eric Yip (삼성)

16:10 ~ 16:30 MPEG-I Part 4 Immersive Audio 이미숙 박사 (ETRI)

② 실감미디어 워크숍

� 일시 : 2018년 4월 4일

� 장소 : 한국과학기술회관 대강당

� 주제 : 실감미디어 기술의 적용 - 평창 동계 올림픽과 대형 문화 이벤트

� 주요 발표 내용

시간 발표 제목 발표자 (소속)

10:00 ~ 10:30UHD customer experience : TIVIVA2.0 & olympic IBB service

권기정 차장 (SBS)

10:30 ~ 11:00평창동계올림픽을 통한 5G 기술과 실감미디어서비스 구현

김상동 부장 (KT)

11:00 ~ 11:30평창올림픽 MBC HD 중계 제작 및 UHD 국제신호 제작 기술

이석진 부장 (MBC)

11:30 ~ 11:50 개회식 사회: 서영우 책임 (KBS)

11:50 ~ 13:00 중식

13:00 ~ 13:30 인터랙티브 가상체험 김기홍 그룹장 (ETRI)

Page 48: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29 -

③ 제122차 MPEG, 제31차 JCT-VC, 제22차 JCT-3V 및 제10차 JVET 표준

화 활동 보고회

� 일시 : 2018년 5월 3일

� 장소 : 한국과학기술회관 소회의실 4

� 주제 : 제122차 MPEG, 제31차 JCT-VC, 제22차 JCT-3V 및 제10차 JVET 표준

화 활동 결과 보고회

� 주요 발표 내용

시간 발표 제목 발표자 (소속)

13:00 ~13:20 HoD 보고 및 Req. Sub Group Issues 서정일 박사 (ETRI)

13:20 ~ 13:40 MPEG-I Part 1 Architecture and Part 2 OMAF Eric Yip 선임 (삼성)

13:40 ~ 14:10 MPEG-I Part 3 Immersive Video 방건 박사 (ETRI)

14:10 ~ 14:30 SDR Call for Proposal Result 최기호 박사 (삼성)

14:30 ~ 14:50 VVC Test Model 및 Benchmark Set 이배근 책임 (KT)

14:50 ~ 15:10 휴 식

15:10 ~ 15:30VVC CE 1 (Partitioning), CE 3 (Intra), CE 8 (Current Picture Referencing)

김재곤 교수 (한국항공대)

15:30 ~ 15:50VVC CE 4 (Inter), CE 9 (DMVD), CE 10 (Multi-hypothesis Prediction), CE 11 (Composite Reference Pictures)

강정원 박사 (ETRI)

15:50 ~ 16:10VVC CE 2 (In-loop Filter), CE 5 (Arithmetic Coding) CE 6 (Transform), CE 7 (Quantization)

안용조 박사 (Digital Insights)

16:10 ~ 16:30 휴 식

16:30 ~ 16:50 Audio Sub Group Issues 이미숙 박사 (ETRI)

16:50 ~ 17:30 MPEG-I Part 5 Point Clouds Compression 장의선 교수 (한양대)

17:30 ~ 17:50 MPEG-IoMT (Internet of Media Things) 김상균 교수 (명지대)

13:30 ~ 14:00 실감미디어 인터랙티브 콘텐츠 이재중 CTO (모온 컴퍼니)

14:00 ~ 14:30 고현장감 Ultra Wide Vision 체험관 및 실황중계 기술 서정일 그룹장 (ETRI)

14:30 ~ 14:50 휴식

14:50 ~ 15:20 테마파크 성공 사례 및 전략 최용석 교수 (서경대)

15:20 ~ 15:50 가상현실을 활용한 실내 놀이 문화의 변화와 가능성 박성준 대표 (GPM)

15:50 ~ 16:10 휴식

16:10 ~ 16:40메가이벤트의 뉴미디어 퍼포먼스 제작 과정 및 사례 소개

정해운 대표 (dot-mill)

16:40 ~ 17:10 IT 공연을 위한 무대기술 환경과 조건 이도엽 감독 (스텝 걸작)

17:10 ~ 17:40 무대공연을 위한 조명과 영상의 조화 김영진 감독 (KBS)

Page 49: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30 -

④ 춘계 방송과 미디어 기술 워크숍

� 일시 : 2018년 5월 31일 ~ 6월 1일

� 장소 : 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

� 목적 : 인공지능과 미래 미디어 기술

� 주요 발표 내용

5월 31일

시간 발표 제목 발표자 (소속)

10:00 ~ 10:40 지능형 콘텐츠 R&D 정책 및 로드맵 곽재도 PD (문화체육관광부)

10:40 ~ 11:30 아마존의 인공지능 서비스 기술 및 미래 예측 장석재 매니저 (아마존)

11:30 ~ 12:00 개회식 사회: 김상균 교수 (명지대)

12:00 ~ 13:30 중식

13:30 ~ 14:30 Tutorial on AI / ML / DL 이슬 교수 (서울대학교)

14:30 ~ 15:30 Deep learning (CNN과 GAN) 이해 김준모 교수 (KAIST)

15:30 ~ 15:50 휴식

15:50 ~ 17:50 AI 오픈소스 및 미디어 응용 Keras 핵심 기술 김태영 이사 (인스페이스)

6월 1일

시간 발표 제목 발표자 (소속)

10:00 ~ 10:50 인텔의 AI 포트폴리오 김준호 상무 (인텔 코리아)

10:50 ~ 11:50 인공지능의 역사 -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김인중 교수 (한동대학교)

11:50 ~ 12:10 미래방송미디어표준포럼 김제우 포럼간사(KETI)

12:10 ~ 13:10 중식

13:10 ~ 14:10 인공지능 시대 문명사적 변동에 대한 인간학적 성찰 김성도 교수 (고려대학교)

14:10 ~ 14:50 빅미디어 데이터와 인공지능 윤준태 부사장 (다음소프트)

14:50 ~ 15:30 엑소브레인 언어이해 및 질의응답 기술 소개 임준호 선임 (ETRI)

15:30 ~ 15:50 휴식

15:50 ~ 16:40Microsoft의 주요 AI 서비스 플랫폼 전략 및 적용 사례 연구

최윤석 전무(MS코리아)

16:40 ~ 17:20 동영상정보를 활용한 RNN기반 예측 기술 황원준 교수 (아주대학교)

17:20 ~ 18:00 차세대 미디어 서비스와 주요 기술 이종민 원장 (SK텔레콤)

Page 50: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31 -

⑤ 제123차 MPEG, 제32차 JCT-VC, 제23차 JCT-3V 및 제11차 JVET 표준

화 활동 보고회

� 일시 : 2018년 8월 2일

� 장소 : 한국과학기술회관 소회의실 2

� 주제 : 제123차 MPEG, 제32차 JCT-VC, 제23차 JCT-3V 및 제11차 JVET 표준

화 활동 결과 보고회

� 주요 발표 내용

⑥ 제2회 MPEG뉴미디어 포럼 총회 및 기술워크숍

� 일시 : 2018년 8월 16일~17일

� 장소 : 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

� 주제 : MPEG-Immersive와 Versatile Video Coding

� 주요 발표 내용

시간 발표 제목 발표자 (소속)

13:00 ~ 13:20 Audio Sub Group Issues 정현주 박사 (가우디오)

13:20 ~ 13:40 MPEG-I Part 1 Architecture and Part 2 OMAF Eric Yip 선임 (삼성)

13:40 ~ 14:00 Network-based Media Processing 박경모 박사 (SKT)

14:00 ~ 14:30 MPEG-I Part 5 Point Clouds Compression 장의선 교수 (한양대)

14:30 ~ 14:50 휴 식

14:50 ~ 15:10 HoD 보고 및 Req. Sub Group Issues 서정일 박사 (ETRI)

15:10 ~ 15:40 VVC adoptions in WD/VTM 김재곤 교수 (한국항공대)

15:40 ~ 16:10 VVC Core Experiments 강정원 박사 (ETRI)

16:10 ~ 16:30 휴 식

16:30 ~ 16:50 VVC 360° Video 방건 박사 (ETRI)

16:50 ~ 17:10 MPEG-I Part 3 Immersive Video 호요성 교수 (GIST)

8월 16일

시간 발표 제목 발표자 (소속)

10:00 ~ 10:10 개회식 김규헌 교수 (경희대)

10:10 ~ 10:30 MPEG 101 서정일 그룹장 (ETRI, HoD)

10:30 ~ 11:10 MPEG 로드맵 및 MPEG-I 개요 방건 박사 (ETRI)

11:10 ~ 11:50 JPEG 로드맵 및 JPEG-XL/Pleno 개요 오관정 박사 (ETRI)

Page 51: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32 -

11:50 ~ 13:20 중식

13:20 ~ 14:00 MPEG-I Visual 기술 호요성 교수 (GIST)

14:00 ~ 14:40 MPEG-I Audio 기술 정현주 박사 (Gaudio)

14:40 ~ 15:20 Point Cloud Coding (PCC) 기술 장의선 교수 (한양대)

15:20 ~ 15:40 휴식

15:40 ~ 16:10 Omnidirectional MediA Format (OMAF) 기술 양현구 수석 (삼성전자)

16:10 ~ 16:40 Network-based Media Processing (NBMP) 기술 박경모 박사 (SKT)

16:40 ~ 17:10 Internet of Media Thing (IoMT) 기술 윤경로 교수 (건국대)

17:10 ~ 17:40 Digital Representation of Neural Network 기술 천승문 소장 (인시그널)

8월 17일

시간 발표 제목 발표자 (소속)

09:40 ~ 10:20 VVC 표준화 동향 강정원 박사 (ETRI)

10:20 ~ 11:00 Picture Partitioning 이배근 책임 (KT)

11:00 ~ 11:40 Decoder Side Motion Vector Coding 전병우 교수 (성균관대)

11:40 ~ 12:10 MPEG뉴미디어포럼 총회안치득 연구위원 (ETRI, MPEG뉴미디어포럼 의장)

12:10 ~ 13:40 중식

13:40 ~ 14:20 Intra Prediction Coding 허진 책임 (LG전자)

14:20 ~ 15:00 Inter Prediction Coding 최기호 박사 (삼성전자)

15:00 ~ 15:40Combined Prediction & Current Picture Referencing

김재곤 교수 (한국항공대)

15:40 ~ 16:00 휴식

16:00 ~ 16:40 Transform and Quantization 이범식 교수 (조선대)

16:40 ~ 17:10 In-loop Filter 안용조 박사 (디지털인사이트)

17:10 ~ 17:50 Deep Learning for VVC 강제원 교수 (이화여대)

Page 52: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33 -

⑦ MPEG Outlook 워크숍

� 일시 : 2018년 8월 24일 ~ 25일

� 장소 : 거성호텔 세미나실

� 주제 : MPEG 기술 보급 및 확산

� 주요 발표 내용

8월 24일

시간 발표 제목 발표자 (소속)

15:00 ~ 15:10 VVC 표준화 동향 최해철 교수 (한밭대)

15:10 ~ 15:20 Machine Learning Methodology 안치득 의장 (ETRI)

15:20 ~ 15:30Compression – the Technologies for the Digital Age: TC on DCT

오승준 교수 (광운대)

15:30 ~ 15:40 Technical Issues for Web-based New Media 최준균 교수 (KAIST)

15:40 ~ 15:50 Research Environment of the MPEG 김인철 교수 (서울시립대)

15:50 ~ 16:00 Deep Learning Based Super-Resolution 김문철 교수 (KAIST)

16:00 ~ 16:10Video Processing and Communications for Virtual Reality (VR)

류은석 교수 (가천대)

16:10 ~ 16:20 Internet of Media Things w/ Blockchain 윤경로 교수 (건국대)

16:20 ~ 16:30 Game and MPEG 서덕영 교수 (경희대)

16:30 ~ 16:40 MPEG Roadmap, Workplan and … 서정일 그룹장 (ETRI)

16:40 ~ 16:50 MPEG Audio Technology 이태진 박사 (ETRI)

16:50 ~ 17:00 CPS와 미디어 강경옥 실장 (ETRI)

17:00 ~ 17:10 뉴미디어 사업에서의 Pain Points 김진한 상무 (KT)

17:10 ~ 17:20 Efficiency versus Complexity 장의선 교수 (한양대)

17:20 ~ 17:30 How to make further compression 전병우 교수 (성균관대)

17:30 ~ 17:40 6-DoF Immersive 공간 미디어 생성 서비스 김재곤 교수 (한국항공대)

17:40 ~ 17:50 MPEG-I Visual 기술과 응용 호요성 교수 (GIST)

17:50 ~ 18:00Mirror-type Smart Remote Control for the User Interface of Smart TV

홍진우 박사 (ETRI)

18:00 ~ 18:10 VVC Tool Review 신재섭 대표 (픽스트리)

18:10 ~ 18:20 초실감 공간미디어 Outlook 이현우 본부장 (ETRI)

8월 25일

시간 발표 제목 발표자 (소속)

10:00 ~ 11:30 MPEG Outlook 워크샵 정리 토론 안치득 의장 (ETRI)

11:45 ~ 13:00 중식

13:00 ~ 해산

Page 53: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34 -

⑧ 2018 Summer School

� 일시 : 2018년 8월 30일 ~ 31일

� 장소 : 한국과학기술회관 중회의실 2

� 주제 : Versatile Video Coding and Deep Compression

� 주요 발표 내용

8월 30일

시간 발표 제목 발표자 (소속)

09:00 ~ 09:30 등록

09:30 ~ 10:45 비디오 압축 개념과 HEVC표준 기술 개요 심동규 교수 (광운대)

11:00 ~ 12:00 VVC 표준화 동향 김휘용 그룹장 (ETRI)

12:00 ~ 13:15 중식

13:15 ~ 14:45Picture Partitioning Structure & Intra Prediction Coding

최해철 교수 (한밭대)

14:45 ~ 15:00 휴식

15:00 ~ 16:30 Inter Prediction Coding 최기호 박사 (삼성전자)

16:30 ~ 16:45 휴식

16:45 ~ 18:00 Decoder Side Motion Vector Coding 강정원 박사 (ETRI)

8월 31일

시간 발표 제목 발표자 (소속)

09:00 ~ 09:30 등록

09:30 ~ 10:50 Transform and Quantization 이영렬 교수 (세종대)

10:50 ~ 11:00 휴식

11:00 ~ 12:00Combined Prediction and Current Picture Referencing

김재곤 교수 (한국항공대)

12:00 ~ 13:20 중식

13:20 ~ 14:20 In-loop Filters 안용조 박사 (디지털인사이트)

14:20 ~ 15:00 VVC Reference Software 안용조 박사 (디지털인사이트)

15:00 ~ 15:15 휴식

15:15 ~ 16:45Overview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Recurrent Neural Networks and Generative Networks

김준모 교수 (KAIST)

16:45 ~ 17:00 휴식

17:00 ~ 18:00 Deep Compression in MPEG 강제원 교수 (이화여대)

Page 54: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35 -

⑨ 실감미디어 심층기술 워크숍

� 일시 : 2018년 9월 6일

� 장소 : 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

� 주제 : 초실감 서비스 실현을 위한 Immersive Media

� 주요 발표 내용

⑩ 추계 방송과 미디어 기술 워크숍

� 일시 : 2018년 10월 18일 ~ 19일

� 장소 : 한국과학기술회관 대희의실

� 주제 : New Broadcast/Broadband Media Services Beyond UHD

� 주요 발표 내용

시간 발표 제목 발표자 (소속)

09:20 ~ 10:00 등록

10:00 ~ 10:30Light Field 기반 Immersive Video 기술 및 표준화 현황

이광순 책임 (ETRI)

10:30 ~ 11:10 Light Field 기술 개요 정영주 교수 (숙명여대)

11:10 ~ 11:40 Light Field 기술 응용 최희진 교수 (세종대)

11:40 ~ 12:00 개회식 사회 : 김휘용 그룹장 (ETRI)

12:00 ~ 13:20 중식 서정일 박사 (ETRI)

13:20 ~ 13:50 VR/AR을 위한 오디오 기술 전상배 이사 (가우디오디오랩)

13:50 ~ 14:20 디지털시네마 오디오 기술 박준서 대표이사 (소닉티어)

14:20 ~ 14:50 UHD 오디오 획득과 재현 기술 장대영 책임 (ETRI)

14:50 ~ 15:20 MPEG Audio 기술 및 표준화 현황 김상욱 교수 (중앙대)

15:20 ~ 15:40 휴식

15:40 ~ 16:10 Point Cloud Compression 기술 개요 및 표준화 현황 장의선 교수 (한양대)

16:10 ~ 16:40 Leveraging Point Cloud in the Sky 차지훈 그룹장 (ETRI)

16:40 ~ 17:10 3차원 컨텐츠 산업계 동향과 Point cloud 표준화 유성열 수석 (삼성전자)

17:10 ~ 17:40 홀로그램 생성기술 및 응용 홍지수 책임 (KETI)

10월 18일

시간 발표 제목 발표자 (소속)

09:20 ~ 10:00 등록

Page 55: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36 -

⑪ 124차 MPEG, 제33차 JCT-VC, 제24차 JCT-VC, 및 제12차 JVET 표준

화 활동 보고회

� 일시 : 2018년 10월 25일

� 장소 : 한국과학기술회관 소회의실 2

� 주제 : 124차 MPEG, 제33차 JCT-VC, 제24차 JCT-VC, 및 제12차 JVET 표준

화 활동 결과 보고회

� 주요 발표 내용

10:00 ~ 10:40 뉴미디어서비스 기술개발 로드맵 김재현 PM (IITP)

10:40 ~ 11:30 신규 방송통신 서비스 동향 및 전망조영신 수석 (SK경영경제연구소)

11:30 ~ 12:00 개회식 사회 : 최병호 센터장 (KETI)

12:00 ~ 13:30 중식

13:30 ~ 14:30 ATSC 3.0 물리계층 이재영 선임 (ETRI)

14:30 ~ 15:30지상파 UHDTV 방송 시스템 및 서비스 : Codec & Systems

주재환 책임 (SBS)

15:30 ~ 15:50 휴식

15:50 ~ 16:50 5G 환경의 미디어 전송 기술 박경모 팀장 (SK텔레콤)

16:50 ~ 17:50 IBB 기술 규격 이동관 차장 (MBC)

10월 19일

시간 발표 제목 발표자 (소속)

10:00 ~ 11:00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방송콘텐츠 산업의 변화 :융합 혁신전략과 정책이슈

이상원 교수 (경희대)

11:00 ~ 12:00 케이블 방송 서비스기술 및 활성화 전략 문준우 본부장 (KLabs)

12:00 ~ 13:20 중식

13:20 ~ 14:00 지상파 UHD 기반 재난경보 방송서비스 기술 배병준 PL (ETRI)

14:00 ~ 14:40지상파 UHD 본방송 표준 기반 ATSC 3.0 UHD 모바일방송 서비스

전성호 책임 (KBS)

14:40 ~ 15:20 UHD 가상/증강방송 정원식 책임 (ETRI)

15:20 ~ 15:40 휴식

15:40 ~ 16:20 방송 헤드엔드 시스템의 가상화 김순철 책임 (ETRI)

16:20 ~ 17:00 기계학습기반의 전송기술 백명선 선임 (ETRI)

17:00 ~ 17:40 타겟 광고 오성흔 연구소장 (디지캡)

Page 56: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37 -

⑫ MPEG뉴미디어포럼 추계 심층기술워크숍

� 일시 : 2018년 12월 3일 ~ 4일

� 장소 : 건설공제회관 3층 대회의실

� 목적 : 딥러닝 기반 화질개선의 State-of-the-Art

� 주요 발표 내용

12월 3일

시간 발표 제목 발표자

09:30 ~ 09:55 등록

09:55 ~ 10:00 개회사김재곤 조직위원장(한국항공대 교수)

10:00 ~ 11:05 딥러닝 기반 Artifact Reduction 정승원 교수(동국대)

11:05 ~ 12:10 딥러닝 기반 Super Resolution 배성호 교수(경희대)

12:10 ~ 13:30 중식

13:30 ~ 14:35 Video Prediction을 위한 딥러닝 네트워크 손정우 박사(ETRI)

14:35 ~ 15:40 딥러닝 기반 Frame Interpolation 및 응용 강제원 교수(이화여대)

15:40 ~ 16:00 휴식

16:00 ~ 17:30 딥러닝 기반 Image & Video Coding 조승현 박사(ETRI)

시간 발표 제목 발표자 (소속)

13:00 ~ 13:20 HoD 보고 및 Req. Sub Group Issues 서정일 박사 (ETRI)

13:20 ~ 13:40 MPEG-I Systems Eric Yip 선임 (삼성)

13:40 ~ 14:00 Network-based Media Processing 박경모 박사 (SKT)

14:00 ~ 14:30 MPEG-I Part 5 Point Clouds Compression 장의선 교수 (한양대)

14:30 ~ 14:50 휴 식

14:50 ~ 15:10 Audio Sub Group Issues 정현주 박사 (가우디오)

15:10 ~ 15:30 VVC Standardization Activity Summary 강정원 박사 (ETRI)

15:30 ~ 16:00VVC Adoptions of Partitioning, Intra, High Level Syntax

김재곤 교수 (한국항공대)

16:00 ~ 16:20 휴 식

16:20 ~ 16:50 VVC Adoptions of Inter 안용조 박사 (Digital Insight)

16:50 ~ 17:20VVC Adoptions of Generalized Bi-Prediction, BIO, Loop Filter, CABAC, Transform, Quantization

최기호 박사 (삼성전자)

17:20 ~ 17:40VVC 360° Video and Neural Networks in Video Coding

방건 박사 (ETRI)

17:40 ~ 18:00 MPEG-I Video Subgroup Activity 오현묵 박사 (LGE)

Page 57: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38 -

12월 4일

시간 발표 제목 발표자

09:50 ~ 10:55 딥러닝 기반 HDR 영상처리 강석주 교수 (서강대)

10:55 ~ 12:00 딥러닝 기반 Segmentation 김창수 교수 (고려대)

12:00 ~ 13:20 중식

13:20 ~ 15:20(Tutorial) Deep Learning for Image Processing:From Basics to Recent Advances

김인중 교수 (한동대)

15:20 ~ 15:40

15:40 ~ 16:45 딥러닝 기반 Quality Assessment 김우재 박사과정 (연세대)

16:45 ~ 17:50Super-Resolution과 Reinforcement Learning을 사용한딥러닝 기반의 HTTP Adaptive Streaming

한동수 교수 (KAIST)

Page 58: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39 -

2. 국제표준화 활동 결과

가. 기고서 실적(제안/반영)

(1) 기고서 제안 실적

� 325건 기고서 (MPEG, JCT-VC, JCT-3V, JVET 표준화에 기고함)

� 기고서 리스트

번호 표준구분

기고서명 표준화기구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제안 반영

1 제정 AHG on OMAF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임영권 제안 20180122 m41939  

2 제정AHG on Network-Based Media Processing (NBMP)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박경모 제안 20180123 m41954  

3 제정Methods of Padding Inactive Regions for Segmented Sphere Projection

JVET9차 JVET 표준화 회의

윤용욱 제안 20180111JVET-I0023

 

4 제정Efficient Frame Packing Method for Icosahedral Projection

JVET9차 JVET 표준화 회의

김현호 제안 20180111JVET-I0024

 

5 제정Omnidirectional fisheye video SEI message

JCT-VC30차 JCT-VC 표준화 회의

오현묵 제안 20180112JCTVC-AD0023

 

6 제정Personalized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Application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임준호 제안 20180122 m42028  

7 제정PCC crosscheck results for TMC1v0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박유선 제안 20180125 m42046  

8 제정Updates to IoMT Part 3 regarding QA interface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최미란 제안 20180122 m42047  

9 제정MPEG-I Use case for Scene and object feature based 6DoF media change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김동연 제안 20180125 m42053  

10 제정MPEG-I Use case for Combined Point Cloud and Video 6DoF Contents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입에릭 제안 20180125 m42054  

11 제정MPEG-I Use case for Multiple 360 Video based 6DoF Contents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입에릭 제안 20180118 m42055  

12 제정

Use Cases for Coded Representation of Neural Networks: Image/Video Compression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문현철 제안 20180117 m42061  

13 제정Proposed Revision of MPEG-I Phase 1b Requirements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오세진 제안 20180121 m42062  

14 제정Modifications of Data Format for Healthcare Systems in IoMT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양안나 제안 20180117 m42087  

15 제정 Metadata for Immersive Media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오세진 제안 20180122 m42088  

16 제정 Usecase for MPEG-I Phase 2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배재현 제안 20180119 m42132  

17 제정 Usecase for NBMP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배재현 제안 20180116 m42134  

Page 59: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40 -

번호표준구분 기고서명

표준화기구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제안 반영

18 제정MPEG-I use case improvement of 2.18 and 2.19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소영완 제안 20180120 m42138  

19 제정Crosscheck of PCC CE1.1 geometry coding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박유선 제안 20180119 m42143  

20 제정Editorial and technical comments on PCC Test Model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장의선 제안 20180118 m42146  

21 제정[MMT-IG] Bundle asset management for numerous assets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윤지혁 제안 20180120 m42167  

22 제정Modifications of APIs and Data Formats for IoMT odor image recognizer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장성준 제안 20180123 m42173  

23 제정Additional comments on the NBMP system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강전호 제안 20180118 m42175  

24 제정[OMAF] On sub-picture composition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이장원 제안 20180120 m42177  

25 제정

Use Cases for Coded Representation of Neural Network: Visual Pattern Recognition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문현철 제안 20180117 m42178  

26 제정[OMAF] Directions for OMAF Amendment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입에릭 제안 20180119 m42193  

27 제정 [MMT] Reference Software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소영완 제안 20180120 m42197  

28 제정Restructureing of WD 2.0 for User Description 2nd Edition (ISO/IEC 21000-22)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주상현 제안 20180118 m42198  

29 제정[NBMP] Use case for NBMP: video translation using Deep Learning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산 제안 20180123 m42206  

30 제정APIs for IoMT Blind Person Use Case I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0119 m42216  

31 제정APIs for IoMT Blind Person Use Case II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0119 m42217  

32 제정

Proposed changes on ISO/IEC 23008-1:2017(E) related to AL-FEC for clarification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양현구 제안 20180119 m42218  

33 제정Proposed modification on FEC Paylod ID mode 1 in MMT AL-FEC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양현구 제안 20180119 m42219  

34 제정Report on MPEG-V reference software for 4th edition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0119 m42220  

35 제정Incorrect point in DIS MPEG-V 4th Edition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배효철 제안 20180125 m42224  

36 제정Requirement for use-cases in NBMP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서도경 제안 20180120 m42228  

Page 60: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41 -

번호표준구분 기고서명

표준화기구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제안 반영

37 제정Complements of missing in Mpeg-V Reference Software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최효철 제안 20180125 m42229  

38 제정

Revision of Use Case : Temporal Synchronization of Multiple Videos using visual information or/and auditory informatio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신 제안 20180120 m42232  

39 제정

Revision of APIs and Data Format : Temporal Synchronization of Multiple Videos using visual information or/and auditory information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신 제안 20190126 m43233  

40 제정Editor's Input for text of FDIS 23005-5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윤경로 제안 20180120 m43234  

41 제정Editor's Input for text of FDIS 23005-6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윤경로 제안 20180120 m43235  

42 제정A New Use Case for Smart POI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남현우 제안 20180121 m43237  

43 제정

Suggested refinements to the questionnaire in JVET-H1003 draft template of proposal description document

JVET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알쉬나 엘레나

제안 20180205 m42254  

44 제정Modify type field semantic in MMTP packet header for assets bundled packet.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윤지혁 제안 20180125 m42257  

45 제정Draft Requirements for MPEG-I Phase 2

ISO/IEC MPEG

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입에릭 제안 20180125 m42273  

46 제정

Description of SDR video coding technology proposal by ETRI and Sejong University

JVET10차 JVET 표준화 회의

강정원 제안 20180403JVET-J0013

 

47 제정Description of SDR video coding technology proposal by LG Electronics

JVET10차 JVET 표준화 회의

구문모 제안 20180403JVET-J0017

 

48 제정

Description of SDR, HDR and 360° video coding technology proposal by Samsung, Huawei, GoPro, and HiSilicon – mobile application scenario

JVET10차 JVET 표준화 회의

Sri Nitchith Akula

제안 20180403JVET-J0024

 

49 제정

Description of SDR, HDR and 360° video coding technology proposal by Huawei, GoPro, HiSilicon, and Samsung – general application scenario

JVET10차 JVET 표준화 회의

Sri Nitchith Akula

제안 20180403JVET-J0025

 

50 제정A new video coding scheme using warped reference pictures

JVET10차 JVET 표준화 회의

강정원 제안 20180402JVET-J0046

 

51 제정

SW for technology proposal by Samsung, Huawei, GoPro, and HiSilicon – mobile application scenario (JVET-J0024)

JVET10차 JVET 표준화 회의

알쉬나 엘레나

제안 20180404JVET-J0072

 

52 제정Cross-check of JVET-J0042 Intra block copy for intra-frame coding

JVET10차 JVET 표준화 회의

최기호 제안 20180412JVET-J0079

 

53 제정Suggestion on non-HEVC inherited approach

JVET10차 JVET 표준화 회의

알쉬나 엘레나

제안 20180417JVET-J0089

 

Page 61: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42 -

번호표준구분 기고서명

표준화기구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제안 반영

54 제정Fisheye video information SEI message

JCT-VC31차 JCT-VC 표준화 회의

오현묵 제안 20180404JCTVC-AE0028

 

55 제정Report on the performance of raster search in HM

JCT-VC31차 JCT-VC 표준화 회의

박상효 제안 20180404JCTVC-AE0029

 

56 제정 Report of the AHG on OMAF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임영권 제안 20180416 m42291  

57 제정AHG on Network-Based Media Processing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박경모 제안 20180417 m42297  

58 제정

[MPEG-I] Use case to Architecture Mapping: Combined Point Cloud and Video 6DoF Contents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입에릭 제안 20180313 m42339  

59 제정

[MPEG-I] Use case to Architecture Mapping: Multiple 360 Video based 6DoF Contents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입에릭 제안 20180313 m42340  

60 제정

[MPEG-I] Use case to Architecture Mapping: Remote Pre-rendering for 6DoF Contents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배재현 제안 20180313 m42341  

61 제정[MPEG-I] MPEG-I Use case for multiple users in 6DoF environment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소영완 제안 20180414 m42342  

62 제정[NNR] Use Cases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and Genomic Data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박유선 제안 20180328 m42347  

63 제정[MPEG-I-Visual]: Disparity Estimation using TSS Algorithm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문지훈 제안 20180404 m42432  

64 제정Fisheye video information SEI message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오현묵 제안 20180404 m42434  

65 제정 PCC CE3.2 crosscheck result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박유선 제안 20180406 m42477  

66 제정 PCC CE3.4 crosscheck result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박유선 제안 20180406 m42478  

67 제정[OMAF] Support of Overlay for Omnidirectional Media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허혜정 제안 20180406 m42480  

68 제정[OMAF] Support of switching between content from different viewpoints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오세진 제안 20180406 m42483  

69 제정[OMAF] On Spatial Alignment of Multiple Viewpoints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입에릭 제안 20180406 m42487  

70 제정[OMAF] Proposed solution for sub-picture tracks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이장원 제안 20180406 m42492  

71 제정[OMAF] Constraints for carriage of sub-picture tracks in DASH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이장원 제안 20180406 m42493  

72 제정Objective Metrics for OMAF Test Framework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오세진 제안 20180406 m42494  

Page 62: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43 -

번호표준구분 기고서명

표준화기구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제안 반영

73 제정[OMAF] Single decoder-based approach for head-motion parallax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오현묵 제안 20180406 m42503  

74 제정MMT Reference Software Status and way forward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소영완 제안 20180409 m42539  

75 제정Skeletion of 23008-7 MMT conformance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소영완 제안 20180409 m42540  

76 제정

[MPEG-I Visual] Camera Array based Windowed 6-DoF Moving Picture Contents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배성준 제안 20180409 m42542  

77 제정[OMAF] Selection and switching between tracks with a different high quality region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이장원 제안 20180409 m42548  

78 제정A Classification Scheme of MAggregator: Smart Glasses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양안나 제안 20180409 m42551  

79 제정

Use Cases for Coded Representation of Neural Networks: Two Cases of Image/Video Compression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문현철 제안 20180409 m42552  

80 제정Proposed Changes to Draft Requirements for MPEG-I Phase 2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입에릭 제안 20180409 m42555  

81 제정Proposed update on MPEG-I phase 2 architecture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양현구 제안 20180409 m42561  

82 제정Proposed modification on FEC Paylod ID mode 1 in MMT AL-FEC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양현구 제안 20180409 m42562  

83 제정Proposed Updates in MPEG-H 3D Audio DAM5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정현주 제안 20180409 m42569  

84 제정Thoughts on Evaluation Platforms in MPEG-I Audio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정현주 제안 20180409 m42570  

85 제정Information about the media structure use case for NBMP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배재현 제안 20180409 m42572  

86 제정Update of Network Pre-rendering use case for NBMP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배재현 제안 20180409 m42573  

87 제정Cross-check Report on MPEG-D USAC Conformance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이미숙 제안 20180409 m42587  

88 제정Use cases for Neural Network Representation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최미란 제안 20180410 m42691  

89 제정Proposed Use case and Requirement for MPEG-I Phase 1b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정준영 제안 20180411 m42707  

90 제정

Use case for IoMT : Intelligent similar content recommendation using information from IoMT devices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신 제안 20180412 m42734  

91 제정

APIs and Data Formats for IoMT : Video Content Metadata Generator for Intelligent similar content recommendation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신 제안 20180412 m42736  

Page 63: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44 -

번호표준구분 기고서명

표준화기구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제안 반영

92 제정Additional Elements for Loudness Preferences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주상현 제안 20180412 m42737  

93 제정Additional Elements for Visual Expression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주상현 제안 20180412 m42738  

94 제정Use case for IoMT : Automatic title generation for media search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나성원 제안 20180412 m42739  

95 제정Sequence diagrams and APIs for MThing payment transactionm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0412 m42740  

96 제정Additional APIs for transactions of MThing services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0412 m42741  

97 제정APIs for Count People in IoMT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0412 m42742  

98 제정Systems' agenda for the 122nd meeting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임영권 제안 20180414 m42762  

99 제정The potential usage of NBMP technology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박경모 제안 20180416 m42782  

100 제정The proposed usage of up-scaling video over NBMP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박경모 제안 20180416 m42783  

101 제정The proposed update requirements of NBMP

ISO/IEC MPEG

122차 MPEG 표준화 회의

박경모 제안 20180416 m42784  

102 제정Report of the AHG on System technologies for Point Cloud Coding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임용권 제안 20180715 m42874  

103 제정[OMAF] Proposed Overlay Signalling for OMAF 2nd Edition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정준용 제안 20180601 m42890  

104 제정[OMAF] On Viewpoint Information Metadata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입에릭 제안 20180604 m42893  

105 제정[OMAF] On Grouping of Viewpoints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입에릭 제안 20180604 m42894  

106 제정[OMAF] On Overlays - Timed Overlay Metadata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허혜정 제안 20180601 m42897  

107 제정[OMAF] On sub-picture track grouping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이정원 제안 20180601 m42901  

108 제정[OMAF] Support of switching between content from different viewpoints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오현묵 제안 20180601 m42903  

109 제정[NBMP] Proposed Metadata for NBMP from ETRI and KHU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임성용 제안 20180715 m42933  

110 제정

[MPEG-I Visual] Disparity Error Refinement Using Disparity Information of Verified Pixels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장용준 제안 20180706 m42934  

Page 64: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45 -

번호표준구분 기고서명

표준화기구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제안 반영

111 제정CE1: Partitioning signaling and split restriction (Test 1.0.16 and 3.0.4)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남정학 제안 20180702JVET-K0078

 

112 제정 CE4-2.6 : Simplified ATMVP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장형문 제안 20180711JVET-K0079

 

113 제정CE4-2.6 related : Simplified ATMVP with fixed sub-block size.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장형문 제안 20180714JVET-K0080

 

114 제정Non-CE: Temporal motion vector data storage reduction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장형문 제안 20180716JVET-K0086

 

115 제정

CE3-3.3.1: MPM list construction based on dependency between neighboring intra modes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이령 제안 20180704JVET-K0087

 

116 제정

CE9: Template matching based reordering and refining (CE9-3.7, CE9-3.8 and CE9-4.1)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박내리 제안 20180702JVET-K0088

 

117 제정CE3: Linear interpolation intra prediction (Tests 7.3.1, 7.3.2)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허진 제안 20180702JVET-K0090

 

118 제정CE3 : Extended LM angular prediction (Test 4.1.6 and 4.1.7)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최장원 제안 20180702JVET-K0092

 

119 제정CE9-Related : Restricted template matching schemes to mitigate pipeline delay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박내리 제안 20180713JVET-K0093

 

120 제정CE4: Affine prediction modification (CE4.1.7 and CE4.2.7)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이재호 제안 20180702JVET-K0094

 

121 제정CE4-related: Harmonization of CE4.1.7 and CE4.1.3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이재호 제안 20180711JVET-K0095

 

122 제정CE 6.1.11: AMT replacement and restriction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구문모 제안 20180710JVET-K0096

 

123 제정

CE3-2.3.3 and CE3-2.3.4:Interpolation filter selection regarding intra mode and block size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유선미 제안 20180703JVET-K0097

 

124 제정CE 6.2.5: Layered Givens Transform (LGT)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구문모 제안 20180710JVET-K0098

 

125 제정CE 6.2.6: Reduced Secondary Transform (RST)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Mehdi Salehifa

r제안 20180713

JVET-K0099

 

126 제정CE6-Related : Matrix multiplication based NSST with reduced memory map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Mehdi Salehifa

r제안 20180714

JVET-K0100

 

127 제정CE4-related: Affine MVD Coding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Seethal Paluri

제안 20180710JVET-K0101

 

128 제정CE1: Partitioning Structure in JVET-J0024 (Tests 1.0.12, 1.0.13, 1.0.14, and 1.0.15)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박민우 제안 20180710JVET-K0109

 

129 제정CE1: Picture Boundary Split in JVET-J0024 (Test 2.0.12)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박민우 제안 20180715JVET-K0111_WD

 

Page 65: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46 -

번호표준구분 기고서명

표준화기구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제안 반영

130 제정CE2: long-tap deblocking filter (Test 2.2.1.5)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최웅일 제안 20180702JVET-K0112

 

131 제정CE4 Ultimate motion vector expression in JVET-J0024 (Test 4.2.9)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정승수 제안 20180712JVET-K0115

 

132 제정CE4: Adaptive Motion Vector Resolution in JVET-J0024 (Test 4.3.5)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Anish Tamse

제안 20180702JVET-K0116

 

133 제정CE4: Reference Picture Boundary Padding in JVET-J0025 (Test 4.5.3)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박민수 제안 20180703JVET-K0117

 

134 제정CE4: Inter Prediction Refinement in JVET-J0024 (Test 4.6.3)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Anish Tamse

제안 20180702JVET-K0118

 

135 제정 CE1.4 : Split Unit Coding Order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Yinji Piao

제안 20180710JVET-K0133

 

136 제정CE7.1.3 : Scan Region-based Coefficient Coding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Yinji Piao

제안 20180706JVET-K0138

 

137 제정CE2: Subsampled sum-modified-Laplacian (Test 4.1.1)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임성찬 제안 20180706JVET-K0164

 

138 제정CE3: Combined filter (Test 2.6.1)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이진호 제안 20180702JVET-K0165

 

139 제정CE3: Multi-line based intra prediction (Test 5.3.1, 5.3.2, 5.3.3)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이진호 제안 20180702JVET-K0166

 

140 제정CE6: DST-VII with residual flipping (Test 1.4)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임성찬 제안 20180708JVET-K0167

 

141 제정CE9: Template Matched Merge (Test 9.3.1)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이하현 제안 20180702JVET-K0168

 

142 제정CE5: Counter-based probability estimation (Test 2.4)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최기호 제안 20180702JVET-K0170

 

143 제정CE6: AMT with reduced transform types (Test1.5)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최기호 제안 20180705JVET-K0171

 

144 제정CE6: AMT with block size restriction (Test1.6)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최기호 제안 20180705JVET-K0173

 

145 제정CE6: NSST with modified NSST sets and signaling (Test2.3)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최기호 제안 20180705JVET-K0174

 

146 제정CE2: SAO modification (CE2.3.4)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Jie Chen

제안 20180711JVET-K0176

 

Page 66: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47 -

번호표준구분 기고서명

표준화기구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제안 반영

147 제정CE3: Multiple 4-tap interpolation filter (CE3 Test 2.10.1)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최나래 제안 20180703JVET-K0179

 

148 제정CE3: multi-combined intra prediction (MIP, CE3 Test 2.11.1)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최나래 제안 20180703JVET-K0180

 

149 제정

CE3: Priority based list with primary MPM, secondary MPM and first few default modes prioritized (CE3 Test 3.2.1)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최나래 제안 20180703JVET-K0181

 

150 제정CE10-related: Diagonal motion partitions on top of MTT block structure

JVETJVET 11차 표준화 회의

안용조 제안 20180715JVET-K0270

 

151 제정Improvement of Internal Cell Skip Method for Occupancy Map Coding in TMC2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박준택 제안 20180716 m43285  

152 제정Non-overlapping Patch Packing in TMC2 with HEVC-SCC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박준택 제안 20180717 m43288  

153 제정Additional report on the performance of raster search with regard to JCTVC-AE0029

JCT-VC32차 JCT-VC 표준화 회의

박상효 제안 20180710JCTVC-AF0022

 

154 제정CE13: Rotated Sphere Projection (Tests 8.1, 8.2 and 8.3)

JVET11차 JVET 표준화 회의

Chirag Pujara

제안 20180704JVET-K0387

 

155 제정CE3-related: DC mode with only shift operators based on sub-sampling

JVET11차 JVET 표준화 회의

김동철 제안 20180713JVET-K0400

 

156 제정On fisheye video information SEI message

JCT-VC32차 JCT-VC 표준화 회의

오현묵 제안 20180704JCTVC-AF0023

 

157 제정AHG8: Selective In-loop filtering for 360 Video Compression

JVET11차 JVET 표준화 회의

Chirag Pujara

제안 20180710JVET-K0404

 

158 제정[OMAF] Comments on OMAF version 2 WD text about overlay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정준영 제안 20180711 m43377  

159 제정[OMAF] Viewpoint Switching Modes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입에릭 제안 20180706 m43382  

160 제정[OMAF] [OMAF] Viewpoint Alignment Groups and Group Initial Viewing Orientation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입에릭 제안 20180706 m43383  

161 제정Proposed Update WD of ISO/IEC 23090-7 Immersive Media Metadata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입에릭 제안 20180706 m43384  

162 제정 [OMAF] Proposals on Overlays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허혜정 제안 20180706 m43385  

163 제정[OMAF] Proposals on Overlays : overlay visual media packing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허혜정 제안 20180706 m43386  

164 제정

On the lossless/near-lossless compression efficiency of attribute compression in TMC3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장은영 제안 20180714 m43387  

165 제정[MPEG-I Visual] EE Depth Evaluation Results for etri_chef Contents Set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배성준 제안 20180712 m43388  

166 제정[MPEG-I Visual] Evaluation Result of DERS New Tool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배성준 제안 20180712 m43389  

Page 67: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48 -

번호표준구분 기고서명

표준화기구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제안 반영

167 제정CE1-related Cross-check of JVET-K0362

JVET11차 JVET 표준화 회의

정승수 제안 20180710JVET-K0414

 

168 제정CE4-related Cross-check of JVET-K0302

JVET11차 JVET 표준화 회의

정승수 제안 20180706JVET-K0415

 

169 제정[OMAF] On Multiple Viewpoints Signalling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오세진 제안 20180706 m43399  

170 제정[OMAF] Signalling of Transition Effect of Switching Viewpoints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오세진 제안 20180706 m43400  

171 제정[OMAF] On sub-picture tracks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이장원 제안 20180706 m43408  

172 제정[OMAF] Signaling of non-projected 2D video overlays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이장원 제안 20180706 m43409  

173 제정 [OMAF] On viewing space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오현묵 제안 20180706 m43413  

174 제정An Instance of Capability Description of Smart Glasses as an Maggregator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양안나 제안 20180708 m43456  

175 제정Specifications of APIs for Media Token in Some Manalyzers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양안나 제안 20180708 m43457  

176 제정Use Cases of Healthcare Media Services Based on Media Token in IoMT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양안나 제안 20180708 m43458  

177 제정Response to the Call for Test Data for NNR: Image/Video Compression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문현철 제안 20180715 m43459  

178 제정PCC CE2.13 Group dilation crosscheck result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박유선 제안 20180709 m43478  

179 제정Thoughts on MPEG-I Audio Requirements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정현주(Hyungj

oo Chung)

제안 20180711 m43516  

180 제정

Analysis of Neural Network Type Conversion with TensorRT and Proposal of Neural Network Performance Metrics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금승우 제안 20180715 m43520  

181 제정MPEG-D USAC Conformance Test Cross-check Report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이미숙 제안 20180711 m43529  

182 제정PCC Category 2 bitstream structure using ISOBMFF movie fragment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임영권 제안 20180713 m43622  

183 제정[PCC] TMC2 CE2.13 Texture and depth padding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유성열 제안 20180712 m43667  

184 제정[PCC] TMC2 Surface separation for video encoding efficiency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유성열 제안 20180713 m43668  

185 제정[PCC] TMC2 Projection directions from bounding box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유성열 제안 20180713 m43669  

186 제정CE1.4 related : Evidence of Split Unit Coding Order

JVET11차 JVET 표준화 회의

Yinji Piao

제안 20180714JVET-K0497

 

Page 68: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49 -

번호표준구분 기고서명

표준화기구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제안 반영

187 제정 Response to NBMP CfP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정태준 제안 20180714 m43792  

188 제정Classification Schemes for IoMT Part 3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0712 m43793  

189 제정Modified APIs for Media Token in IoMT odor image recognizer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장성준 제안 20180712 m43794  

190 제정Modified Data Format and Classification Scheme in IoMT Odor Image Recognizer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장성준 제안 20180717 m43795  

191 제정Industry request for a Licensing-friendly Video Codec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김기호 제안 20180715 m43796  

192 제정

Example of a process for developing a Licensing-friendly Video Codec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김기호 제안 20180715 m43797  

193 제정

A Study on Slice-based bitstream architecture for MPEG PCC region-based spatial scalability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Li Cui 제안 20180714 m43799  

194 제정

Cross-check of JVET-K0275: Non-CE9: DMVR without Intermediate Buffers and with Padding

JVET11차 JVET 표준화 회의

박내리 제안 20180712JVET-K0516

 

195 제정

API, data format and classification scheme for IoMT : Intelligent Video Content Class Generator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윤경로 제안 20180716 m43820  

196 제정 APIs for IoMT : Smart Lights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금승우 제안 20180713 m43823  

197 제정CE3.3 related: Intra 67 modes coding with 3MPM

JVET11차 JVET 표준화 회의

최나래 제안 20180718JVET-K0529

 

198 제정CE3-related: Cross-check of JVET-K0074

JVET11차 JVET 표준화 회의

Seethal Paluri

제안 20180713JVET-K0533

 

199 제정[NNR] Test data for MRC application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최미란 제안 20180713 m43838  

200 제정[PCC] TMC2 CE2.8 crosscheck result for deltaD1 coding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임지헌 제안 20180714 m43842  

201 제정Report on CE 2.9 on occupancy map coding in TMC2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박준택 제안 20180714 m43844  

202 제정A Usecase for display control of the indoor smart service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정진호 제안 20180717 m43878  

203 제정New sensor for health care and VR games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금승우 제안 20180715 m43879

204 제정

Crosscheck of JVET-K0346: CE4-related: One simplified design of advanced temporal motion vector prediction (ATMVP)

JVET11차 JVET 표준화 회의

김대연 제안 20180715JVET-K0553

205 제정Systems' agenda for the 123rd MPEG meeting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임영권 제안 20180718 m43896

Page 69: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50 -

번호표준구분 기고서명

표준화기구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제안 반영

206 제정[OMAF] On fisheye video information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오현묵 제안 20180716 m43902

207 제정[OMAF] Signaling of non-projected overlays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허혜정 제안 20180716 m43904

208 제정[OMAF] Grouping of Overlay and Background Visual Media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허혜정 제안 20180717 m43905

209 제정

[OMAF] indication of whether the composition picture is identical to the projected picture

ISO/IEC MPEG

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오세진 제안 20180718 m43957

210 제정AHG on System technologies for Point Cloud Coding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임영권 제안 20181008 m44008

211 제정AHG on Network-Based Media Processing (NBMP)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박경모 제안 20180123 m44009

212 제정Proposal on a functional MPE for SR with extended NBMP workflow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정태준 제안 20180909 m44027

213 제정Advanced wavefront-based parallel solution decoding for MV-HEVC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조영범 제안 20180925 m44449

214 제정Proposed test materials for 3DoF+ or Omnidirectional 6DoF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Olgierd Stankie

wicz제안 20181003 m44461

215 제정 [NBMP]AI-based AR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한서우 제안 20181019 m44505

216 제정

[NBMP]Requirements: Position information for AR providing high Quality of Service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한서우 제안 20180928 m44506

217 제정OMAF] Comments on WD2 of ISO/IEC 23090-7 Immersive Media Metadata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오현묵 제안 20190928 m44597

218 제정[OMAF] Corrections and Updates on Overlay Information Signalling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허혜정 제안 20180928 m44598

219 제정

[OMAF] Indication of a track or image item includes both background visual media and overlay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허혜정 제안 20180928 m44599

220 제정[OMAF] Proposals on Overlay Alpha Blending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허혜정 제안 20180928 m44600

221 제정[OMAF] Comments on information for one or multiple viewpoints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오세진 제안 20180928 m44602

222 제정

Response to the Call for Evidence on Neural Network Compression: Image/Video Compression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문현철 제안 20181010 m44659

223 제정

[MPEG-I Visual] Results of Exploration Experiments for MPEG-I: Ominidirectional 6DoF – EE Synthesis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현호 제안 20181010 m44660

Page 70: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51 -

번호표준구분 기고서명

표준화기구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제안 반영

224 제정Revisions of Classification Scheme for Healthcare Information Generator in IoMT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양안나 제안 20180930 m44661

225 제정Revisions of Hand Gesture Related APIs and Data Formats in IoMT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양안나 제안 20180930 m44662

226 제정

Proposed text of Evaluation Rules for an Enhanced Quality Profile of the AVC Standard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최기호 제안 20181001 m44681

227 제정Anchor generation for an Enhanced Quality Profile of the AVC Standard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최기호 제안 20181001 m44682

228 제정PCC CE13.7 report on attribute representation and quantization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장은영 제안 20181001 m44696

229 제정PCC CE2.19 report on tiles and slices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Li Cui 제안 20181001 m44697

230 제정Thoughts on Evaluation of MPEG-I Audio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정현주 제안 20181001 m44729

231 제정Thoughts on MPEG-I Audio Requirements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욱 제안 20181001 m44746

232 제정Thoughts on MPEG-I Audio Evaluation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욱 제안 20181001 m44747

233 제정Use cases for coded representation of Neural Networks on Audio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욱 제안 20181001 m44749

234 제정[MMT-OMAF] On MMT Signalling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입에릭 제안 20181002 m44891

235 제정Carriage of PCC in ISO Base Media File Format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입에릭 제안 20181002 m44892

236 제정[NBMP] Temporal synchronization and spatial alignment metadata in NBMP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임성영 제안 20181002 m44895

237 제정[NBMP] Proposed Metadata for Media source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강전호 제안 20181002 m44916

238 제정Revised APIs in IoMT Odor Image to Scent Converter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장성준 제안 20181002 m44917

239 제정[MPEG-I Visual] Comments on Draft Call for Proposals on 3DoF+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오현묵 제안 20181002 m44919

240 제정[PCC] CE 2.19 Tiles and slices with non-overlapping patch packing in TMC2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박준택 제안 20181003 m44942

241 제정Revised APIs of Time Synchronizer for media token in IoMT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신 제안 20181003 m44967

242 제정APIs, Data format and Classification Scheme of MLight for IoMT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Seung Woo Kum

제안 20181003 m44968

Page 71: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52 -

번호표준구분 기고서명

표준화기구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제안 반영

243 제정

APIs, Data format and Classification Scheme of MusicFrequencyAnalyzer for IoMT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Seung Woo Kum

제안 20181003 m44969

244 제정

APIs, Data Format and Classification Scheme for IoMT : Intelligent Video Content Metadata Generator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신 제안 20181003 m44970

245 제정[V-PCC][New proposal] 3D mo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in V-PCC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준식 제안 20181003 m44974

246 제정

[V-PCC][New proposal] A method of 3D grid representation for Spatial Random Access in V-PCC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임지현 제안 20181003 m44975

247 제정[Scene Description] OpenSceneGraph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허혜정 제안 20181003 m44978

248 제정Study text of ISO/IEC CD 23093-2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1003 m44984

249 제정Reference software for MPEG-IoMT Part 3 (ISO/IEC 23093-3)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1003 m44985

250 제정Use cases of MAggregator APIs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1003 m44986

251 제정Return type class of IoMT MThingInfoType (MPEG-IoMT Part 2)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1003 m44987

252 제정

Additional APIs and classification schemes of MGlobalPositioningSensor for IoMT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1003 m44988

253 제정Additional APIs for an IoMT manager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1003 m44989

254 제정Additional APIs of MDisplay for IoMT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1003 m44990

255 제정APIs for MLight in MPEG-IoMT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1003 m44991

256 제정APIs for MSprayer in MPEG-IoMT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1003 m44992

257 제정Additional APIs of MStorage for IoMT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1003 m44993

258 제정

Modification of APIs and data formats related to CapturedTime of IoMT sensors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1003 m44994

259 제정Modification of zoom type in IoMT Part3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1003 m44995

260 제정

V-PCC][New proposal] A method of LoD control table for 3D point density scalability in V-PCC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제안 20181003 m44996

Page 72: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53 -

번호표준구분 기고서명

표준화기구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제안 반영

261 제정[NBMP]Proposal for relationship between Workflow and Workflow Manager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임지현 제안 20181005 m45071

262 제정[NBMP]Proposal on a functional Task for SR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정태준 제안 20181006 m45085

263 제정[PCC][New] quantized minDepth for patches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정태준 제안 20181006 m45086

264 제정[PCC][New] quantized minDepth for patches

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정신 제안 20181008 m45089

265 제정 [OMAF] On OverlaysISO/IEC MPEG

124차 MPEG 표준화 회의

Miska M.

Hannuksela

제안 20181008 m45154

266 제정CE1-related: Split Constraint Considering Picture Boundary Condition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박민우 제안 20180921JVET-L0050

267 제정CE1-related: Partitioning Clean-ups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박민수 제안 20180921JVET-L0051

268 제정CE3: Results on Multiple 4-tap filter (Test 3.3.1)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최나래 제안 20180921JVET-L0052

269 제정CE3-related: Chroma DM modification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최나래 제안 20180921JVET-L0053

270 제정CE4 Ultimate motion vector expression (Test 4.5.4)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정성수 제안 20180921JVET-L0054

271 제정CE4-related: Redundant Removal for ATMVP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Anish Tamse

제안 20180921JVET-L0055

272 제정CE4: Test 4.7.1 and Test 4.7.2 - Non-Temporal Illumination Compensation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Anish Tamse

제안 20180921JVET-L0056

273 제정CE5: Counter-based probability estimation (Test 5.1.2)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최기호 제안 20180921JVET-L0057

274 제정CE6: NSST with modified NSST sets and signaling (Test 6.2.3)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최기호 제안 20180921JVET-L0058

275 제정CE6-related: Simplification on MTS kernel derivation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최기호 제안 20180921JVET-L0059

276 제정CE6-related: Unified matrix for transform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최기호 제안 20180921JVET-L0060

277 제정CE9-related: Bi-directional optical flow for VTM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최기호 제안 20180921JVET-L0061

278 제정CE11: Test results of CE11.1.5 long-tap deblocking filter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Woongil Choi

제안 20180921JVET-L0062

279 제정CE1-related : Split Unit Coding Order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Y. Piao 제안 20180921JVET-L0063

Page 73: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54 -

번호표준구분 기고서명

표준화기구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제안 반영

280 제정Simplified NAL Unit Header and IRAP pictures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Gahyun Ryu

제안 20180921JVET-L0064

281 제정CE3-related: One-line CCLM for reduction of reference sample lines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이종석 제안 20180921JVET-L0065

282 제정CE3-related: One-line MMLM for reduction of reference sample lines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이종석 제안 20180921JVET-L0066

283 제정CE4-related: DC Prediction based LIC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이종석 제안 20180921JVET-L0068

284 제정CE6-related: Transform Skip Condition on Transform Block size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박지윤 제안 20180923JVET-L0111

285 제정CE10: Diagonal motion partitions with uni-prediction constraint (Test 10.3.3)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안용조 제안 20180924JVET-L0125

286 제정CE10: Combined test of CE10.3.1.b and CE10.3.3.b (Test 10.3.4)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안용조 제안 20180924JVET-L0126

287 제정CE3-3.1.1 : Interpolation filter selection regarding intra mode and block size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Sunmi Yoo

제안 20180924JVET-L0130

288 제정

CE3-4.1: Harmonization of Linear interpolation intra prediction (LIP) with Simplified position dependent intra prediction combination (PDPC) and wide-angle intra prediction (WAIP)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허진 제안 20180924JVET-L0131

289 제정

CE 6-1.1 (cd): Fast DST-7/DCT-8 based on DFT and 32 point MTS based on skipping high frequency coefficients";"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구문모 제안 20180924JVET-L0132

290 제정CE 6-2.1: Reduced Secondary Transform (RST)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구문모 제안 20180924JVET-L0133

291 제정CE3 : CCLM with line buffer restriction (Test 5.2.7)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최장원 제안 20180924JVET-L0136

292 제정CE1-related: Minimum block size restriction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최장원 제안 20180924JVET-L0137

293 제정

CE3-related : Reduced number of reference samples for CCLM parameter calculation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최장원 제안 20180924JVET-L0138

294 제정CE3-related : Simplified MDMS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최장원 제안 20180924JVET-L0139

295 제정CE4: Simplified affine MVP list construction (Test 4.1.4)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이재호 제안 20180924JVET-L0141

296 제정CE4: Simplification of the common base for affine merge (Test 4.2.6)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이재호 제안 20180924JVET-L0142

297 제정

CE4: Slice-level 4/6 parameters affine model switching (Test 4.1.8) and bypass coding of 4/6 parameter indication flag (Test 4.1.14)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이재호 제안 20180924JVET-L0143

298 제정CE4-related: Composite merge candidate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이재호 제안 20180924JVET-L0144

299 제정CE2: Subsampled Laplacian calculation (Test 6.1, 6.2, 6.3 and 6.4)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임성찬 제안 20180924JVET-L0147

Page 74: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55 -

번호표준구분 기고서명

표준화기구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제안 반영

300 제정

CE6-related: Complexity reduction method based on skipping high frequency coefficients for inter MTS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구문모 제안 20180924JVET-L0149

301 제정CE3: Multiple reference line prediction (Test 1.2.3 and Test 1.2.4)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이진호 제안 20180924JVET-L0150

302 제정CE3: Intra reference sample interpolation (Test 3.1.3)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이진호 제안 20180924JVET-L0151

303 제정CE3-related: Simplification of PDPC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이진호 제안 20180924JVET-L0152

304 제정CE3-related: MPM Modifications for Intra Mode Coding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윤용욱 제안 20180924JVET-L0154

305 제정CE3-related: Most Frequent Mode (MFM) for Intra Mode Coding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윤용욱 제안 20180924JVET-L0155

306 제정

CE4-related: History-Based Motion Vector Prediction considering parallel processing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박나리 제안 20180924JVET-L0158

307 제정Non-CE8: Block vector predictor for IBC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남정학 제안 20180924JVET-L0159

308 제정CE3-6.2.1: Extended MPM list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L. Li 제안 20180924JVET-L0165

309 제정CE13-related: Subjective Quality Improvement for RSP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A. Singh

제안 20180924JVET-L0166

310 제정AHG7: Subjective Quality Evaluation of VVC HDR sequences on UHD TV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A. Dsouza

제안 20180924JVET-L0167

311 제정Motion vector representing bit reduction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장형문 제안 20180924JVET-L0168

312 제정CE4.8.1 Temporal motion data storage reduction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장형문 제안 20180924JVET-L0169

313 제정CE11.3.5 Parallel deblocking filter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장형문 제안 20180924JVET-L0170

314 제정CE4-related: Merge List Simplification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S. Paluri

제안 20180924JVET-L0282

315 제정

CE3-Related : Extended reference sample construction for longer interpolation filter in intra prediction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Sunmi Yoo

제안 20180924JVET-L0291

316 제정CE 6-1.1 (ab): Selection of MTS Candidates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M. Salehifa

r제안 20180924

JVET-L0292

317 제정CE4-related: Generic Vector Coding of Motion Vector Difference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S. Paluri

제안 20180924JVET-L0300

318 제정CE6-Related: Multiplication Free Transform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M. Salehifa

r제안 20180924

JVET-L0304

319 제정CE4-related: Simplification to History Based Motion Vector Prediction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J. Zhao 제안 20180925JVET-L0309

320 제정CE7-related: High throughput coefficient coding depending on the sub-block size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최정아 제안 20180925JVET-L0325

321 제정Bugfix for restrictions of bi-prediction for small CUs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안용조 제안 20180926JVET-L0453

322 제정CE4-related: Fixed sub-block size and restriction for ATMVP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이하현 제안 20180927JVET-L0468

Page 75: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56 -

번호표준구분 기고서명

표준화기구

표준화 회의명 기고자

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 반영 제안 반영

323 제정CE3-related: Joint test of JVET-L0087 and JVET-L0152 for PDPC simplification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M. G. Sarwer

제안 20181004JVET-L0564

324 제정QT/BT/TT Split Constraint Syntax Elements Signaling Method

JVET12차 JVET 표준화 회의

Han Gao

제안 20181007JVET-L0678

325 제정Advanced wavefront-based parallel solution decoding for MV-HEVC

JCT-VC33차 JCT-VC 표준화 회의

Yong Beom Cho

제안 20180928JCTVC-AG0024

Page 76: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57 -

나. 기고서 실적(제정)

� 12건 표준으로 제ㆍ개정 (IS, FDAM, DIS 포함)

� 제ㆍ개정 기고서 리스트

NO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반영

(IS제정일)

기고 반영

1 개정3D printing metadata for MPEG-V 4th edition

ISO/IEC

제113차 MPEG 표준화 회의

이성욱최종 표준 (IS) 승인

20151013 20180901 m37303ISO/IEC 23005-2 (4th Edition)

2 개정

Proposal of metadata description for light display in MPEG-V

ISO/IEC

제114차 MPEG 표준화 회의

윤재관최종 표준 (IS) 승인

20160215 20180901 m37808ISO/IEC 23005-3 (4th Edition)

3 개정

A proposal of instantiation to olfactory information for MPEG-V 4th edition part 1

ISO/IEC

제114차 MPEG 표준화 회의

이해룡최종 표준 (IS) 승인

20160215 20180901 m37831ISO/IEC 23005-4 (4th Edition)

4 개정

Enhancement of Enose CapabilityType for MPEG-V 4th edition part 2

ISO/IEC

제114차 MPEG 표준화 회의

장성준최종 표준 (IS) 승인

20180215 20180901 m37860ISO/IEC 23005-5 (4th Edition)

5 개정

3D Printing Color Reproduction command and preference

ISO/IEC

제114차 MPEG 표준화 회의

장인수최종 표준 (IS) 승인

20180216 20180901 m37981ISO/IEC 23005-2 (4th Edition)

6 개정

Proposal of metadata descriptions for handling sound effect in MPEG-V

ISO/IEC

제114차 MPEG 표준화 회의

신사임최종 표준 (IS) 승인

20180217 20180901 m37999ISO/IEC 23005-5 (4th Edition)

7 제정

Additional spatial information of multiple cameras and objects for MORE

ISO/IEC

제116차 MPEG 표준화 회의

임성용최종 표준 (IS) 승인

201610132018년 12월 예정

m39444ISO/IEC 23001-13

8 개정Automatic Volume Control Using MPEG-21 UD

ISO/IEC

제116차 MPEG 표준화 회의

주상현최종 표준 (IS) 승인

20161012 2018.07.31. m39410ISO/IEC 21000-22

9 개정Proposed updates to ISO/IEC 23008-3 DAM5

ISO/IEC

제123차 MPEG 표준화 회의

정현주FDAM 승인

20180709 2019 예정 m43513ISO/IEC 23008-3

10 제정

Use case for IoMT : Intelligent similar content recommendation using information from IoMT devices

ISO/IEC

제124차 MPEG 표준화 회의

윤경로 DIS 승인 20180412 2019 예정 m42734ISO/IEC DIS 23093-1

Page 77: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58 -

NO표준구분

기고서명 기구명표준화 회의명

기고자표준화 단계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반영

(IS제정일)

기고 반영

11 제정

Sequence diagrams and APIs for MThing payment transaction

ISO/IEC

제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상균 DIS 승인 20180412 2019 예정 m42740ISO/IEC DIS 23093-2

12 제정

Revision of APIs and Data Format : Temporal Synchronization of Multiple Videos using visual information or/and auditory information

ISO/IEC

제124차 MPEG 표준화 회의

김신 DIS 승인 20180120 2019 예정 m42233ISO/IEC DIS 23093-3

Page 78: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59 -

다. 대표 기고서 실적

(1) 표준명/표준번호(제정연월일) : MPEG-B Part 13 – Media Orchestration

(MORE) 국제표준 초안 제정, ‘18.4)

주요내용 : 다중 미디어들이 융합되어 미디어 서비스를 구성하고 다중 단말에서 소

비되는 환경에서 미디어들간의 시간적 및 공간적 동기를 제공하고 네트워크 환경에

서의 통합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준

파급 및 기대효과 : Facebook을 비롯한 글로벌 SNS 업체들은 동영상들은 연결한

서비스를 속속 선보이고 있으므로 SocialVR과 같이 동영상 공유 및 소비 플랫폼에

활용될 가능성이 높음

<MPEG Media Orchestration 개념도>

(2) 표준명/표준번호(제정연월일) : MPEG-H 3D Audio Amd 5. Metadata

enhancement/ISO/IEC 23008-3:2015/DAM 5(국제표준 채택, ‘18.4)

주요내용 : 입력 라우드 스피커 레이아웃에 대한 Reference Distance를 메타데이터

로 정의하는 기술

파급 및 기대효과 : MPEG-H 3D Audio를 이용한 VR 오디오 컨텐츠 구현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Page 79: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60 -

3. 국내표준화 활동 결과

가. 표준개발 실적(포럼)

번호

제개정

표준(초안)명표준화

기구회의명 구분

과제채택연월

표준제정 연월일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1 제정

오디오 비주얼 객체 부호화(MPEG-4) — 제32부: 파일 포맷 참조 소프트웨어 및

적합성Coding of audio-visual objects (MPEG-4) — Part 32: File format

reference software and conformance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14496-32:2018

2 제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기술자 인터페이스 —제15부: 비디오 분석을 위한 컴팩

기술자Multimedia content descriptor interface — Part 15: Compact descriptor for video analysis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15938-15

3 제정

멀티미디어 응용 포맷 (MPEG-A) — 제16부: 출판/가입 응용 포맷

Multimedia application format (MPEG-A) — Part 16: Publish/subscribe

application format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23000-16

4 제정

멀티미디어 응용 포맷 (MPEG-A) — 제17부: 다감각 미디어 응용 포맷Multimedia application format (MPEG-A) — Part 17: Multiple

sensorial media application format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23000-17

5 제정

멀티미디어 응용 포맷 (MPEG-A) — 제19부: 공통 미디어 응용 포맷Multimedia application format

(MPEG-A) — Part 19: Common media application format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23000-19

6 제정

고효율 부호화 및 이종망 환경에서의 미디어 전달 (MPEG-H) — 제3부: 3D

오디오High efficiency coding and media

delivery in heterogeneous environments (MPEG-H) — Part 3: 3D

Audio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23008-3

7 제정

멀티미디어 응용 포맷 (MPEG-A) — 제19부: 공통 미디어 응용 포맷, 개정 2

Multimedia application format (MPEG-A) — Part 19: Common media application format, AMENDMENT 2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23000-19:2018

/AMD 2

8 제정

멀티미디어 응용 포맷 (MPEG-A) — 제20부: 전방향 미디어 응용 포맷Multimedia application format

(MPEG-A) — Part 20: Omnidirectional media application format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23000-20

9 제정

멀티미디어 응용 포맷 (MPEG-A) — 제22부: 다중영상 응용 포맷

Multimedia application format (MPEG-A) — Part 22: Multi-image

application format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23000-22

10 제정

MPEG 시스템즈 기술 제4부: 코덱 환경설정 표현 방법

MPEG systems technologies — Part 4: Codec onfiguration representation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23001-4(Ed 4)

Page 80: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61 -

11 제정

MPEG 시스템즈 기술 제10부: ISO 베이스 미디어 파일 포맷에서 미디어의 타임드 메타데이터 메트릭스 전송 방법, 개정

2: 압축된 관심영역 지원 MPEG systems technologies — Part 10: Carriage of timed metadata metrics of media in ISO base media file format, AMD 2: Support for encoded regions of

interest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23001-10:2015

/AMD 2

12 제정

MPEG 시스템즈 기술 제11부: 에너지 효율적인 미디오 소비 (녹색

메타데이터), 개정 2: 정합 및 참조 소프트웨어

MPEG systems technologies — Part 11: Energy-efficient media consumption (green metadata), AMD 2 Conformance

and reference software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23001-11:2015

/ AMD 2

13 제정

고효율 부호화 및 이종망 환경에서의 미디어 전달 (MPEG-H) — 제2부: 고효율

비디오 부호화 (HEVC) :2017(E)High efficiency coding and media

delivery in heterogeneous environments (MPEG-H) — Part 2: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2017(E)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23008-2 (Ed

3)

14 제정

고효율 부호화 및 이종망 환경에서의 미디어 전달 (MPEG-H) — 제2부: 고효율 비디오 부호화 (HEVC), 개정 1: 추가

색상 표현 코드 포인트High efficiency coding and media

delivery in heterogeneous environments (MPEG-H) — Part 2: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AMENDMENT 1: Additional colour

representation code point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23008-2/AMD 1

15 제정

오디오 비주얼 객체 부호화(MPEG-4) — 제15부: ISO 기본 미디어 파일

포맷에서의 NAL 유닛 구조 비디오 전달, 개정 2: 추가적인 브랜드 지원

Coding of audio-visual objects — Part 15: Carriage of network abstraction layer (NAL) unit structured video in

the ISO base media file format, AMENDMENT 2: Support for additional

brands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14496-15:2017/ AMD 2:2018

16 제정

오디오 비주얼 객체 부호화 (MPEG-4) — 제16부: 애니메이션 프레임워크 확장 (AFX)), 개정 4: 팔레트 기반 3차원

메쉬 부호화Coding of audio-visual objects — Part 16: Animation Framework eXtension, AMENDMENT 4: Pattern-based 3D mesh

coding, PB3DMC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14496-16:2018

/ AMD 4

17 제정

오디오 비주얼 객체 부호화 (MPEG-4) — 제22부: 오픈 폰트 포맷

Coding of audio-visual objects — Part 22: Open font format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14496-22 (Ed

4)

18 제정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MPEG-21) — 제22부: 사용자 기술, 개정 1: MPEG-21

사용자 기술용 참조 소프트웨어Multimedia Framework (MPEG-21) — Part

22: User Description, AMENDMENT 1 Reference Software for MPEG-21 User

Description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21000-22:2016

/AMD 1

Page 81: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62 -

19 제정

오디오 비주얼 객체 부호화 (MPEG-4) — 제26부: 오디오 적합성, 개정 5: ALS 단순 프로파일의 신규 레벨 및 SBR

향상에 대한 적합성Coding of audio-visual objects — Part 26: Audio conformance, AMENDMENT 5: Conformance for new levels of ALS simple profile, SBR enhancements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14496-26:2010

/ AMD 5

20 제정

오디오 비주얼 객체 부호화 (MPEG-4) — 제27부: 3D 그래픽스 적합성, 개정 7: 브라우저 적합성을 위한 인쇄 물질과 3D

그래픽 부호화Coding of audio-visual objects — Part

27: 3D Graphics conformance, AMENDMENT 7: Printing material and 3D

graphics coding for browsers conformance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14496-27:2009

/ AMD 7

21 제정

오디오 비주얼 객체 부호화(MPEG-4) — 제30부: ISO 기본 미디어 파일

포맷에서의 타임드 텍스트 및 기타 비주얼 오버레이

Coding of audio-visual objects — Part 30: Timed text and other visual

overlays in the ISO base media file format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14496-30:2018

(E2)

22 제정

오디오 비주얼 객체 부호화(MPEG-4) — 제30부: ISO 기본 미디어 파일

포맷에서의 타임드 텍스트 및 기타 비주얼 오버레이, 개정 1: SEI 메시지

내에 CTA-708 캡션 지원Coding of audio-visual objects — Part

30: Timed text and other visual overlays in the ISO base media file format, AMENDMENT 1, Support for

CTA-708 captioning in SEI messages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14496-30:2014

/ AMD 1

23 제정

이종망 환경하에서 고효율 압축 및 미디어 전달 제1부 MPEG 미디어 전송High efficiency coding and media

delivery in heterogeneous environments — Part 1: MPEG media

transport (MMT)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23008-1.2 (Ed

2)

24 제정

오디오 비주얼 객체 부호화 (MPEG-4) — 제4부: 적합성, 개정 46: 인터넷 비디오

부호화에 대한 적합성 시험Coding of audio-visual objects (MPEG-4) — Part 4: Conformance,

AMENDMENT 46: Conformance testing for Internet Video Coding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14496-4:2004/

AMD 46

25 제정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MPEG-21) — 제19부: 미디어 가치 사슬 존재론, 개정 1: 시분할 조각 및 다중 트랙 오디오에

관한 확장Multimedia Framework (MPEG-21) — Part

19: Media Value Chain Ontology, AMENDMENT 1: Extensions on

Time-Segments and Multi-Track Audio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21000-19:2010

/AMD 1

26 제정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MPEG-21) — 제19부: 미디어 가치 사슬 존재론, 개정

1.2: 시분할 조각 및 다중 트랙 오디오에 관한 확장

Multimedia Framework (MPEG-21) — Part 19: Media Value Chain Ontology, AMENDMENT 1.2: Extensions on

Time-Segments and Multi-Track Audio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21000-19:2010

/AMD 1.2

27 제정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MPEG-21) — 제22부: 사용자 기술

Multimedia Framework (MPEG-21) — Part 22: User Description

MPEG뉴미디어 포럼

제4차 운영위원회

승인    20181203  

MF ISO/IEC 21000-22 (Ed

2)

Page 82: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63 -

4. 기타 활동 결과

가. 표준화 회의 유치 및 대정부 지원

제121차 MPEG 국제표준화 회의 한국 유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파연구원 제121차 MPEG 표준화 광주 회의 유치 (2018년

1월)

� 주요내용 : 2018년 1월 제121차 MPEG 표준화 회의 유치 활동

� 파급ㆍ기대효과 : 몰입형 미디어 연구 개발 및 표준화/상용화 활성화

� 활용예상분야 : MPEG 뉴미디어 분야 표준화 전략 수립 및 활동 고도화

나. 사회적 활동

전문가 확보를 통한 국가 영향력 제고

� MPEG표준과 같은 국제 표준화 전문가 발굴을 통해 국제 표준화 회의에서 국내

이익을 최대한 반영하고 대한민국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 전문가를 통한 표준선점 효과가 있으며 MPEG 서브그룹 의장단 활동은 표준화

활동의 우선순위, 표준 제정 방향성·일정 등 중대 사안 결정에 영향력을 미친다.

� 의장단 활동 내역

� 1999-2000년 장의선 한양대 교수는 SNHC 서브그룹 의장 역임

� 2009년-현재 임영권 삼성전자 수석이 Systems 서브그룹 의장으로 활동 중

� 2012-현재 김규헌 경희대 교수가 Communications 서브그룹 의장으로 활동

� 2018년 12월 기준, MPEG에는 총 20개의 Ad-hoc이 구성되었고 우리나라는 총

Page 83: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64 -

7개의 Ad-hoc에서 그룹 의장(chairmen)을 차지하여 전체의 약 35%의 Ad-hoc

에서 의장직을 수행하고 있음.

※ 의장국은 자국의 기술을 반영하고 채택하는데 유리하고 향후 국제표준화 전

략 수립과 표준 제정 과정에도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

사회적 소통의 핵심 기반기술 지원

� MPEG표준이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툴 전반에 활용됨에 따라 사회적 개체 간

의 소통 활성화 시키고 있다.

� MPEG표준 기반의 첨단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보편화로 인해 일방적 커뮤니케

이션을 초월한 양방향의 일상적 소통과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 이로 인해 새로운 가상의 공론영역이 생성되어 다양한 의견과 정보의 수렴 통로

로 활용됨으로써 장소와 시간을 초월한 사회적 가치 창출 환경 마련하고 있다.

삶의 질 제고의 기반기술 지원

� 디지털 콘텐츠 유통을 활성화하고 온라인을 통한 거래상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등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 MPEG표준 적용이 확대되고 다양한 응용 서비스가 등장하는 가운데, 특히 전자

상거래의 보편화에 의한 유통 전반의 비용 감소는 보다 편리한 생활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 디지털 콘텐츠 활성화가 여가 생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함께 해당 산업의

성장으로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등 사회적 효용을 증대하였다.

표현의 자유와 창의적 사고 증진

� 콘텐츠를 표현하는 MPEG표준과 All-IP 환경의 융합은 자유로운 생각의 표현을

지원하며, 상상 속의 미디어를 실현하는 발판이 된다.

� 고효율의 편리한 미디어 환경을 제공하고 사회적 연결과 미디어 소비를 적극적

으로 지원하여 자유로운 의사 표현을 통한 사회적 가치와 창의적 사고 공유 실

현하고 있다.

국위선양에 기여

� 지적재산권이 국가경쟁력의 지표로 평가되는 환경에서 표준특허 기술 확보는 국

가의 위상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 국제표준화기구 ISO표준에는 특허권 포기정책*이 적용되는 것과는 달리, MPEG

표준에 대해서는 합리적인 수준의 특허료 징수와 기술에 대한 권리를 인정받게

되었다.

Page 84: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65 -

*지적재산권 정책은 표준으로 정해진 기술에 필수특허가 포함되면 권리자가

누구에게나 그 실시를 허락한다는 전제를 두고 있음(권리자가 거부할 경우 표

준 채택되지 않음). 즉,실시에 대한 특허권 행사 포기 및 무상허락

다. 표준 특허 창출

� 멀티미디어 서비스 분야의 핵심 기술인 MPEG표준에 대한 특허 확보는 아래 그

림과 같이, 일본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높은 위상을 차지고 있다.

< MPEG-LA의 국가별 특허 등재 현황 (SEP Inside 2018.06, Vol. 18)>

� 이는 국제무대에서 관련 분야에 대한 영향력은 물론, 나아가 국가 이미지와 위

상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 일본(42%, 5,591건), 한국에 이어 미국이 14%(1,842건)로 그 뒤를 따르고

있으며, 해당 3개국이 전체 특허수의 약 94%를 차지

� 국내 기관별 주요 MPEG표준 특허권은 국내 주요 기업 뿐만 아니라, 연구계·학

계 또한 특허권 확보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삼성, 엘지전자와

같은 글로벌 제조기업과 해당 분야 대표적 연구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이 이끌고 있다.

< MPEG-LA 특허 등재 상위 3개국의 기업·기관 현황 >

(출처: SEP Inside Vol. 18, 2018.06)

Page 85: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66 -

� 대학의 산학연 단체를 통해 학계-업계 간의 협력이 이루어지고, 방송 및 통신

분야 기업은 자사의 미디어 콘텐츠 서비스와 연관된 기술 특허를 확보하여 경쟁

력을 강화하고 있다.

� 국내의 MPEG표준 특허 확보는 비디오·오디오·전송·서비스 방식 등 전체적 분

야에서 진행됨에 따라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 반면, 유럽의 경우 DASH, AVC/H.264, MVC 등 비디오 관련 기술 표준에 치

라. 핵심 표준 (대상) 기술 추적 보고서 작성 및 배포

(1) 보고서명: Versatile Video Coding I - Partitioning, Intra, Transform,

and Quantization

� 작성자: 최해철 교수(한밭대), 전병우 교수(성균관대학교)

� 내용 요약

본 보고서의 1장에서는 2018년 현재 Joint Video Exploration Team(JVET)에서

진행중인 Versatile Video Coding(VVC) 표준화에서 채택되거나 논의된 블록 분할

구조와 성능에 대해 설명한다. VVC는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와 같이

픽쳐 내에서 coding tree unit(CTU) 단위의 데이터가 구성되어 처리되며, CTU는

다시 coding unit(CU)들로 분할될 수 있다. VVC의 블록 분할 구조는

quad-tree(QT)와 multi-type 트리 분할 모드를 지원하며, multi-type 트리는

binary-tree(BT)와 ternary-tree(TT) 분할 모드를 지원한다. 또한 VVC의 블록 분

할 구조의 특징으로 I 슬라이스에서 휘도와 대응하는 색차 영역에 대하여 독립적인

트리를 지원하며, P와 B 슬라이스에서는 휘도와 색차 영역이 하나의 트리를 공유한

다.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VVC의 블록 분할 구조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고 VVC의

test model인 VTM에서의 성능을 함께 분석한다. VVC의 블록 분할 구조에서 블록의

위치가 영상의 우측과 하단의 경계에서 벗어나는 경우와 multi-type 트리에서 지원

하는 BT와 TT의 중복적인 분할 패턴에 대해 제한하는 조건들에 대해 함께 설명한

다.

2장에서는 VVC 표준화에서 논의된 intra prediction에 관련된 기고서를 크게 다

음 6가지의 주제로 나누어 분석한다. 첫째로 한 개 이상의 reference line을 사용

하여 인트라 예측을 하는 multi reference line intra prediction 방법에 관한 제

안서들이다. 두번째 주제는 인트라 예측의 예측방향과 방법에 따라 intra mode를

부호화 하는 방법에 관한 제안서들이다. 세 번째 주제는 인트라 예측에 있어서 필

요한 interpolation 필터의 종류에 관련된 제안서들이다. 네 번째 주제는 양방향

인트라 예측방법에 관한 제안서들이며, 다섯 번째 주제는 휘도와 색차 영역에서 분

할구조가 독립적인 트리 구조에서의 Y 채널의 값 으로부터 chroma 신호를 예측하는

Page 86: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67 -

Cross-component Linear Model (CCLM) prediction 방법에 대한 것이다. 여섯 번째

주제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코딩하는 방법에 관한 제안서들이다. 마지막으로 종래

의 기술 중 하나였던 Intra Block Copy (IBC) 기술의 새로운 이름인 Current

Reference Picture(CPR)기술에 대한 기고서를 다룬다.

3장에서는 VVC 표준화에서 채택되거나 논의된 transform과 quantiazation에 관

련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VVC의 블록 분할 구조 변경에 따라 transform을 처리

하는 데이터 유닛 크기가 변경되었으며, 이에 따른 계수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

다. VVC에서는 HEVC에 적용된 DCT-II 커널 외에 부호화 효율을 위하여 여러 변환

커널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Multiple Transform Selection(MTS) 기술을 채택하였

으며, MTS의 부호화 모드에 따른 시그널링 방법도 함께 분석한다. 추가로

transform 정밀도에 따른 성능 분석과 non-zero coefficient에서의 sign data

hiding 기술을 설명한다. Quantization과 관련하여 Max QP 증가와 quantization

parameter 시그널링 방법, I 슬라이스에서 지원하는 독립적인 분할 트리 구조에서

의 delta QP와 chroma QP offset 설정 방법을 포함하여 최근 JVET 회의에서 채택

되거나 논의된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2) 보고서명: Versatile Video Coding II – Inter, Loop Filter, High Level

Syntax, and Entropy Coding

� 작성자: 심동규 교수(광운대학교), 김재곤 교수(한국항공대학교)

� 내용 요약

본 고에서는 차세대 비디오 부호화 표준으로 JVET(Joint Video Experts Team)

에서 개발 중인 VVC(Versatile Video Coding)의 부호화 툴들에 대해서 소개한다.

VVC는 기존의 HEVC/H.265 보다 2배 이상의 압축 성능을 갖는 새로운 표준으로

ITU-T VCEG(Q6/SG16)과 ISO/IEC MPEG(JTC 1/SC 29/WG 11)는 공동 협력팀인

JVET(Joint Video Exports Team)에서 2020년 완료를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VVC의 핵심 기술들 중 1) Inter Prediction, 2) HLS(High Level

Syntax), 2) In-Loop Filtering, 3) Entropy Coding에 대하여 소개한다. 2018년

10월 제12차 마카오 JVET 회의 결과 배포된 VVC의 WD3.0과 시험모델(VTM)3.0을 기

준으로, 본고에서는 채택된 기술 및 현재 CE(Core Experiment)가 진행중인 기술들

을 포함한다.

Inter Prediction 기술은 시간적 상관성을 줄이기 위한 화면간 예측 부호화 기

술로 VTM3.0 및 현재 CE에 포함되어 있는 Affine Motion Prediction

Compensation, ATMVP(Alternative Temporal MV Prediction), Pairwise Average

Merge Candidates, Merge with MVD(MMVD), Triangular Partition,

Multi-Hypothesis Prediction, HMVP(History-based MVP), GBi(Generalized

Bi-prediction), BIO(Bi-directional Optical Flow), STMVP(Spatial-Temporal

Page 87: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68 -

MVP), DMVR(Decoder-side MV Refinement), OBMC(Overlapped Block Motion

Compensation) 및 LIC(Local Illumination Compensation)에 대하여 다룬다.

High Level Syntax 기술은 전체적인 구조는 이전의 HEVC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제안된 Slicing과 Tiling, POC 및 레퍼런스 픽처 관리에 대하여

추가적인 기술들을 소개한다.

In-Loop Filtering 기술은 비디오 부호화에 있어서 예측과 차분신호로 복원한

신호를 원신호에 더욱 유사한 신호를 만들기 위하여 이미 정해진 특성을 필터링 혹

은 신호 특성을 고려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말한다. 본 보고서에서는 2018년

말까지 JVET에 기고 되었던 인루프 필터인 Bilateral filter, ALF(Adaptive Loop

filter), Non-Local filter, SAO(Sample Adaptive Filtering)과 Deblocking 필터

에 대하여 다룬다.

Entropy Coding 기술은 CABAC(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이부분에 대한 기본 부/복호화 엔진은 이전의 HEVC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최근 VVC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항에 대하여 기술을

제안한다. 첫번째는 확률 추정과 매개 변수화에 대한 수정 기술이며, 두번째는 코

딩 간격 세분화에 대한 변경 기술, 마지막 세번째는 컨텍스트 모델 초기화에 대한

수정 기술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기술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다루도록 한

다.

(3) 보고서명: MPEG-I – PCC and Immersive Video

� 작성자: 호요성 교수(GIST), 방건 박사(ETRI), 장의선 교수(한양대)

� 내용 요약

최근 디지털 영상 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UHD 4K/8K, HDR(High Dynamic

Range)과 같은 초고화질/초고품질 비디오에 대한 시장 수요가 늘어남과 동시에 현

실 세계를 재창조하여 이를 사용자가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서비스가 VR/AR

시장에서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VR/AR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비디오는 사용자가 3차원 공간 상에서 실제와

같이 느낄 수 있다는 것이 큰 특징인데, 이를 통칭해서 몰입형 비디오라고 불린부

른다. 몰입형 비디오는 3차원 입체 영상을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3차원 영상

이란 입체감이 느껴지는 영상을 일컫는 말로 양안시점 (stereoscopic) 영상, 다시

점 (multi-view) 영상 등으로 주축으로 최근까지 관련된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

및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에 국제 표준화 단체인 MPEG에서는 몰입형 미디어를 위한 표준을 제정하기 위

해 2010년 10월 116차 청두 회의에서 MPEG-I라는 새로운 표준화를 시작하였다.

MPEG-I 표준화는 몰입형 미디어에 대한 전반적인 표준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전

송 표준을 위한 시스템(MPEG-I Part2), 비디오 부호화 표준(MPEG-I Part3), 오디

Page 88: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69 -

오 부호화 표준(MPEG-I Part4), 비디오 기반 포인트 클라우드 부호화 표준(MPEG-I

Part5), 기하 기반 포인트 클라우드 부호화 표준(MPEG-I Part9) 부분으로 나뉘어

각각의 표준화 활동이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본 기술추적보고서고에서

다룰 비디오 부호화 표준화와 포인트 클라우드 부호화 표준화는 MPEG-I Visual AhG

그룹과 MPEG 3DGC 그룹을 각각 구성하여 몰입형 비디오에 대한 탐색 실험

(Exploration Experiment) 및 포인트 클라우드 부호화 표준화를 수행하고 있다.

MPEG-I Visual AhG 그룹에서는 HEVC를 기반으로 한 3D-HEVC가 제한적인 다시점

비디오와 깊이 영상을 대상으로 한 최신의 부호화 표준이었다면, Light Field 에서

부터 360도 비디오까지 다양한 형태의 몰입형 비디오에 대한 부호화(Immersive

Video Coding)를 표준화 대상으로 고려하고 있다.

또한, MPEG-I (Immersive) 표준의 하나로 고려되고 있는 포인트 클라우드 부호

화 (Point Cloud Coding/Compression) 기술은 2017년 10월 CfP (Call for

Proposal) response를 시작으로 2018년 10월 비디오 기반 포인트 클라우드 부호화

표준이 CD 단계에 돌입하는 등 본격적인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몰입형 비디오로서 비디오와 그래픽스 부분의 접점이 VR/AR 부문에서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공간상의 화소로 볼 수 있는 Light Field 나 포인트 클라우드로 형성

된 데이터의 부호화 기술에 대한 표준화 요구 또한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기술고추적보고서에서는 MPEG-I Technology AhG에서 최근 진행되고 있

는 몰입형 비디오 탐색 실험에서 진행되고 있는 전반적인 기술을 소개하고, 포인트

클라우드 부호화 표준화에 대한 현재의 동향과 향후 전개 방향에 대하여 소개하고

자 한다.

Page 89: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70 -

제 4 장 2019년도 주요 수행계획

제 1 절 2019년도 MPEG뉴미디어 포럼 연구목표

연 구 목 표

MPEG뉴미디어 포럼은 MPEG 국제표준에 대한 기술정보 수집 및 제공, 관련 국제

포럼에의 공동 대응 전략수립 및 활동지원, 국내 표준규격 개발 및 국내 산업체의 사실

표준화 활동 등을 통해 국내 산업체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관련 산업 활성화 등을 주

요 목적으로 한다.

제 2 절 수행 과제 내용

1. MPEG 국제 표준화 활동 방향 수립 및 국내 협의체 역할 수행

MPEG 국제회의에 국가적 차원의 대응을 위한 국내 기관별 협조 및 정보 교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주요한 MPEG 표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관련된

국내 산 학 연으로 구성된 MPEG뉴미디어포럼 분과 위원회를 중심으로 MPEG 표

준의 방향설정 및 대응전략 수립을 구체적으로 논의

표준협회와 SC29 차원의 MPEG 표준화 대응

2. 기술 워크샵, 전시회, 표준전문가 교육 및 표준화 활동 보고회 개최

MPEG 관련 기술 워크샵 개최를 통한 최신 MPEG 규격 및 응용 기술 소개

매 회의 활동 결과 보고를 통해 최신의 표준화 활동 결과 및 표준화 동향정보 전달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MPEG 표준 전문가 교육

3. MPEG 국제표준화 활동 참여

국제 표준 작업 안에 대한 국내 의견 수렴, 찬반 투표 추진, 의견 문서 작성 및 기

고 (MPEG-4, MPEG-7, MPEG-21, MPEG-A, MPEG-B, MPEG-C, MPEG-D,

MPEG-H, MPEG-M, MPEG-U, MPEG-V, MPEG-DASH, MPEG-I, MPEG-IoMT,

MPEG-챠쳬, JCT-VC, JVT-3V, JVET)

MPEG 표준화 결과 문서(작업안 위원회안, 표준초안 등)에 대한 기술적 검토 작업

및 MPEG 표준화에 반영

국내 개발 기술의 표준화 제안

국제 표준화 회의 참여자 선정 및 경비 지원

Page 90: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71 -

4. 국제 표준 활동 내용 공개 및 효율적인 의견 수렴을 위한 웹사이트 구축

운영

MPEG뉴미디어 포럼 웹 사이트 운영 및 정보 제공

MPEG뉴미디어 포럼 회원 관리

MPEG password 관리 및 배포

국제 표준화 및 국내 활동 관련 의견 수렴을 위한 e-mail reflector 운영

5. 주요 국제 표준의 내용 추적 및 번역

주요 내용의 홍보 및 국내 기술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국제 표준문서

번역, 표준화 내용 추적

표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보급

제 3 절 과제 수행 방법

1. MPEG 관련 기술동향 파악 및 분석

국제 표준 추적보고서 작성

MPEG 관련 멀티미디어 용어 번역

MPEG 기술소개 한글 번역 및 웹을 통한 제공

2. MPEG 관련 세미나, 워크샵 등 각종 행사 개최

기술 워크샵 개최

MPEG 표준화 활동 보고회 정기 개최

MPEG 관련 단체들과의 공동 컨퍼런스 및 세미나 개최

3. MPEG 관련 국내 사실표준 규격 연구 및 개발

필요시 MPEG 규격의 국내 표준화 규격 연구 및 개발

필요시 MPEG 규격의 국내 산업 표준화

4. MPEG 국제표준화 및 관련 회의 등에의 참여 및 공동 대응

MPEG 표준화 활동 참여 및 기고서 발표

Page 91: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72 -

필요한 경우 MPEG 표준에 대한 Nation body position paper 발표

MPEG 표준안 투표시 한국 의견 반영

제 4 절 기대되는 결과물

주요 기대되는 결과물

� 국제활동

� 125차 MPEG, 제34차 JCT-VC, 제25차 JCT-VC, 제13차 JVET 표준화 회의

표준화 활동, 모로코 마라케시 (‘19년 1월)

� 126차 MPEG, 제35차 JCT-VC, 제26차 JCT-VC, 제14차 JVET 표준화 회의

표준화 활동, 스위시 제네바 (‘19년 3월)

� 127차 MPEG, 제36차 JCT-VC, 제27차 JCT-VC, 제15차 JVET 표준화 회의

표준화 활동, 스웨덴 가텐버그 (‘19년 7월)

� 128차 MPEG, 제37차 JCT-VC, 제28차 JCT-VC, 제16차 JVET 표준화 회의

표준화 활동, 스위스 제네바 (‘19년 10월)

� 국내활동

� 포럼 표준 20건 제정

� 포럼 표준 목적: FDIS나 FDAM 수준에 이른 MPEG 표준을 대상으로 표준명,

구분건수

구분건수

계획 계획

국제활동

공적표준

기고서 제안 150

국내활동

국가표준 국가표준 제‧개정기고서 반영

기고서 제정(표준채택) 10

TTA표준 TTA표준 제‧개정

사실상표준

기고서 제안

기고서 반영포럼표준 포럼표준 제‧개정 20

기고서 제정

기타성과 지표-1.MPEG표준화 회의 활동 보고회 4 기타성과 지표-2.

심층기술워크숍 2

기타성과 지표-3.표준확산기술워크숍 1

기타성과 지표-4.MPEG 표준전문가 교육을 위한

Summer School 개최1

기타성과 지표-5.MPEG 표준 기술 추적 보고서 3 기타성과 지표-6.

MPEG 비전 작업 활동 회의 3

Page 92: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73 -

표준문서번호 및 표준내용/개요를 번역하여 포럼표준화함으로써 MPEG에서 추진

했던 표준들의 국내 접근성 제고

� 기타성과

� 125차 MPEG, 제34차 JCT-VC, 제25차 JCT-VC, 제13차 JVET 표준화 회의

표준화 결과 보고회 개최 (‘19년 2월)

� 126차 MPEG, 제35차 JCT-VC, 제26차 JCT-VC, 제14차 JVET 표준화 회의

표준화 결과 보고회 개최 (‘19년 4월)

� 127차 MPEG, 제36차 JCT-VC, 제27차 JCT-VC, 제15차 JVET 표준화 회의

표준화 결과 보고회 개최 (‘19년 8월)

� 128차 MPEG, 제37차 JCT-VC, 제28차 JCT-VC, 제16차 JVET 표준화 회의

표준화 결과 보고회 개최 (‘19년 11월)

� 춘계 심층기술워크숍 개최 (‘19년 5월)

� 추계 심층기술워크숍 개최 (‘19년 11월)

� MPEG 표준전문가 교육을 위한 Summer School 개최 (‘19년 8월)

� MPEG 표준 기술 추적보고서 작성 3건 (‘19년 12월)

� MPEG 비전 작업 활동 회의 (‘19년 4, 8, 12월)

� MPEG뉴미디어 포럼 총회 및 기술 워크숍 (‘19년 8월)

Page 93: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74 -

제 5 장 결론

제 1 절 결론

MPEG은 동영상, 오디오 및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관련 기술 표준을 지속적이고, 시장의 파

급 효과가 큰 형태로 제정해오고 있다. 많은 국제표준 가운데, 시장의 임팩트가 가장 큰 표준

화 단체 중의 하나이며, 다행이도 우리나라에서는 MPEG 국제표준화 활동에 선제적으로 대응하

여, 원천 기술 개발 및 표준 특허 확보에 있어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어 내고 있다. 우리나

라의 이러한 MPEG 기술 표준화와 관련 산업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었던 중심에는 적극적

인 정부의 지원에 기반하여 MPEG뉴미디어 포럼을 중심으로 한 국내 기관들의 활발하고 적극적

인 MPEG 표준화 활동 및 기술 개발 노력이 있어 가능하였다.

MPEG의 미래 계획을 구축하기 위한 MPEG 로드맵에서 멀티미디어 기술 및 표준 개발의 비전

을 내다보고, 미래 시장을 위한 산업계의 요구사항과 발전 방향을 조망하였다. 그 조망에 기

반하여 MPEG은 세계시장에서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총

력을 기울일 것이다.

지적재산권이 국가경쟁력의 지표가 되는 현실에서 표준특허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MPEG

표준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장에서 핵심 표준기술로 널리 채택되고 있기 때문에 세계 유수

기관들은 이 분야의 기술을 선도하기 위하여 많은 자원을 투입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그동안

많은 투자와 노력으로 확보한 MPEG 표준화 활동 및 표준 기술의 수월적 위치를 지속적으로 유

지하기 위해서는 국내 산학연 기관들뿐만 아니라 정부의 지속적 지원이 이어야 가능하다.

MPEG뉴미디어 포럼은 국제표준화 활동을 수행을 통해 국가 이익 최대 반영을 위한 제안 기

술 표준 채택 극대화, 국가 이익 적극 반영 및 참여국내기관간의 이해관계 조정 등, 성숙된

국제표준화 활동을 적극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해 온 결과, 제안 기술의 국제표준 채택

및 의장단 참여를 통해 멀티미디어 국제 표준 기술 선점을 조기에 실현함으로써 국제 경쟁력

을 확보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큰 성과는 MPEG뉴미디어 포럼이 TTA의 ICT표준화

포럼 사업의 일관적인 지원을 통해서 가능했다. 경쟁력 있는 전문가 포럼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결코 쉽지 않는 과정 통해 국제적 수준에 도달하는 토양이 만

들어질 수 있지만,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어렵게 조성된 토양도 적극적인 지원이 부족하면 순식

간에 무너질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매우 중요하

다고 판단된다.

Page 94: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75 -

제 2 절 기대효과

표준의 선점이 곧 시장의 지배로 이어지는 현실에서 표준화 뿐 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시

장을 선도하기 위해 표준 기술의 서비스 접목 및 상용화 기술 연구가 활발히 일러나는 국내의

환경은 IT 기술로서 세계를 선도하는 기술 및 시장 우월적 지위를 선도하는데 중요한 동력으

로 작용하리라고 전망된다.

MPEG뉴미디어 포럼 활동은 국내의 MPEG 국제 표준화 활동의 구심적인 역할을 충실해 오고

있기에, (1) 국내 MPEG 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에 지속적인 기여, (2) 국가선도 연구개발 사

업 및 정책 과제 수립에 기여, (3) 대학의 MPEG 요소 기술 연구를 위한 중심적인 전문가 풀

형성, (4) 산·학·연 분야에 최신 MPEG 기술 전파를 통한 국가적 대응 능력 향상 등에 큰 역

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것으로 개대된다.

Page 95: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76 -

1. 회원사 명부

기관 회원 : 10 개 기관

구분 NO 회원사 명 비고

산업체

(대기업)

1 삼성전자 의장사

2 LG전자 의장사

3 KBS 의장사

4 SK 텔레콤 의장사

산업체

(중소・벤처)

5 픽스트리 의장사

6 넥스트리밍

7 칩스앤미디어8 가온미디어9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연구 기관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의장사

11 전자부품연구원 의장사

학 계

개인회원 : 2,242명

� http://www.mpeg.or.kr (명부 첨부 생략)

2. 약어표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AM Adaptation Model

AMD Amendments

AFX Animation Frame eXtension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BIF Binary Format for Scenes

CD Committee Draft

DIA Digital Item Adaptation

DID Digital Item Declaration

DII Digital Item Identification

붙임

Page 96: MPEG뉴디미어 포럼운영 본 보고서를 “mpeg뉴미디어포럼 운영 에 관한 연구”의 최종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년 12월 15일 포럼 수행기관

- 77 -

DIP Digital Item Processing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FCD Final Committee Draft

FDAM Final Draft Amendment

FDIS Final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FPDAM Final Proposed Draft Amendment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oD Head of Delegates

IPMP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nd Protection

IPTV Internet Protocol TV

IS International Standard

JVT Joint Video Team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VC Multi-view Video Coding

PAT Persistent Association Technology

PDAM Proposed Draft Amendment

SVC Scalable Video Coding

TR Technical Report

WD Working Draft

VM Verification Model

XM eXperimental Model

3. 참고문헌 등

[1] MPEG 포럼, “2017년 최종보고서”.

[2] SEP Inside – Standard Essential Patent 표준 특허 전문지, 2018년 6월호, 제18권,

한국지식재산전략원.

[3] MPEG뉴미디어포럼 백서, “MPEG 성과와 중요성“,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