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29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3, 43-71 : (post-secondary) (2000-2009 ) . 2 32 23 . 5 : , , , , . , , . , , , , , , , 6 . , , , , . , , , , . , . < > , , , , , ,

Transcript of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Page 1: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2010, Vol. 45, No. 3, 43-71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 은 하 (이화여자대학교)

박 승 희 (이화여자대학교)

<요 약>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post-secondary)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문헌 연구로서

중등이후 교육 관련 연구논문(2000-2009년)과 미국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실제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자료는 2가지로 논문과 실제 프로그램이었는데 각기 선정기준에 의거하여 미국의 중등이

후 교육 관련 논문 총 32편과 전국 대학 내의 23가지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이 선정되었다. 중등이후 교

육 논문의 연구주제는 크게 5가지: 중등이후 교육의 개관과 프로그램, 중등이후 교육과 관련한 법률, 중등

이후 교육으로의 전환, 중등이후 교육의 다양한 지원, 기타 중등이후 교육과 관련한 쟁점으로 분류되었다.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관은 프로그램 유형, 운영, 프로그램의 실례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중등이

후 교육 프로그램 유형은 실질적 분리모델, 혼합 프로그램 모델, 통합적 및 개별적 지원 모델로 나눌 수

있었으며, 프로그램 운영은 환경, 스텝, 재정, 입학의뢰 및 입학의 실제,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및 프로그램

의 평가라는 6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대학 내 프로그램 실례는 장소, 대상, 기금, 스템, 교육내용 및

교육과정으로 요약되었다.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에 관한 쟁점은 프로그램 실행관련 문제, 대학

수업에 통합되는 문제, 직업훈련 관련 쟁점, 기관간 협력의 결여, 프로그램의 사후지도 및 문서화 결여 및

기타쟁점으로 지적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국내의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포함한 중도장애

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의 개념정립, 정책 수립 및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실시의 필요성이 높은 현 시

점에 시의적으로 유용한 기초 자료를 처음으로 제공하는 의의를 가지며 우리나라 중도장애인의 중등이후

교육의 활성화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중등이후 교육,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전환교육, 성인교육, 평생교육, 지적장애인, 발달장애인

Page 2: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44 특수교육학연구(제45권 제3호)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07)에 장애인 평생교육이 포함되면서 장애인의 중등이후

(post-secondary)교육과 평생교육에 대한 공식적인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1990년대 후반 이후로 국내에

서는 전환교육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어져오고 있으며, 이 영역에 대한 교육정책 당국과 교육현장의

관심도 꾸준하게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고등학교 졸업 후에 지적 및 발달 장애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중등이후 교육 및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선택 기반은 충분히 갖추어져 있지 못하다.

현재 국내의 한 4년제 대학교에서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습장애(경도 정신지체, 자폐성 장애,

정서장애 등)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재활자립학부’를 설치 및 운영하고 있다. 해당 학과의 홈페

이지에서 대상 학생 명시와 해당 학부의 설립취지, 비전, 특성화 전략과 졸업 후 진로, 지원 자격 및

등록금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http://www.kornu.ac.kr/, http://cms.kornu.ac.kr/dri/). 그러

나 현재 운영하고 있는 교육과정과 지원 서비스 체계가 지적 및 발달장애 대학생들에게 얼마나 적합

한지와 이 학생들의 대학 교육 참여 정도와 교육의 성과 및 만족도는 어떠한지 등은 아직 많이 알려

져 있지 않다. 덧붙여, 지역사회 장애인복지관이나 대형 교회가 운영하는 장애성인 대상의 교육 및

서비스 프로그램을 “장애성인을 위한 .....대학”으로 명명하여 일종의 중등이후 프로그램이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체계적 조사나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렇듯,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대학교 또는 전문대학이라는 중등이후의 공식적인 교육기관에서 지

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들을 위한 정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대학에 진학하려는 장애학생들이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 상황에서 이미 이러한 단계를

거쳐 일정 수준의 중등이후 프로그램이 운용되고 있는 해외의 사례들을 알아보고 분석해보는 것은

유용한 일이다. 미국의 경우, 학습장애 학생들이 대학교에서 수학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중

등이후 교육의 일환으로 대학교육 준비교육에 해당되는 대학수학 준비코스 과정이 생겨나기도 하였

다. 장애학생들의 대학진학률이 증가함에 따라 그러한 “교량” 역할을 하는 과정들이 생겨나게 되었으

나, 이에 대한 문제들도 함께 제기되어 왔다(Brinckerhoff, Shaw, & McGuire, 1992). 현재 우리나라 고등

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은 대학 수학능력에 현저한 문제가 있는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학생들과 그 부

모들이 별도의 개별화된 지원이 없는 상황임에도 대학 진학을 원하고 있어서 그들과 의견 불일치의

긴장을 경험하기도 한다.

중등이후 교육은 장애학생들이 중등교육 즉,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 받게 되는 교육프로그램을

말하며, 교과, 직업, 전문 또는 준전문 기술의 교육이나 훈련에 초점을 둔다(박승희, 박현숙, 박희찬

공역, 2006). 고등학교를 졸업한 장애 청년들에게 중등이후 교육은 크게 고용 및 직업 관련 교육과 비

직업적인 중등이후 교육으로 나눌 수 있는데(Mirfin-Veitch, 2003), 비직업적인 중등이후 교육에서 더 많

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특수학교에 함께 설치되어 있는 전공과 과정도 일종의

Page 3: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45

구분 특수학교 특수학급 일반학급 전공과 계

졸업자수 2,258 2,196 1,456 1,028 5,909

o진학률(%) 50.8% 34.2% 31.3% 0.6% 39.8%

진학자수

전공과 1,019 354 18 1,391

전문대학 47 276 194 2 517

대학교 81 120 244 4 445

소계 1,147 70 456 6 2,353

oo취업률(%) 43.9% 62.1% 11.4% 42.8% 42.2%

취업자수

공예 5 4 1 2 10

포장․조립․운반 57 108 29 81 194

농업 5 27 8 12 40

제과제빵 11 34 5 0 50

IT 및 정보서비스 9 4 0 0 13

상업 4 5 1 2 10

이료 122 2 - 15 124

서비스업 5 79 22 23 106

사무직 1 6 2 3 9

노무직 19 34 2 30 55

* 복지관 등 179 506 31 217 716

기타 71 89 13 52 173

소계 488 898 114 437 1,500

미진학․미취업자수 623 547 886 585 2,046

o 진학률: (진학자/당해년도 졸업자)X100; oo 취업률: {취업자수/(졸업자수-진학자수)} X 100

* 복지관 등: 복지시설, 보호작업장 등에서 급여를 받는 직업재활프로그램

출처: 교육과학기술부(2010). 2010 특수교육통계, p.8.

<표 1> 2010년도 특수교육대상학생 고등학교 졸업자 진로상황

중등이후 교육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국내의 장애학생들의 고등학교 졸업 후의 진로를 살펴보면(교육과학기술부, 2010), <표 1>과 같

다. 장애학생들이 졸업한 고등학교와 그 학급의 형태에 따라 장애의 유형과 정도의 차이를 감안하여

유추해보면, 상대적으로 장애가 심한 경우로 볼 수 있는 특수학교 졸업생의 경우는 전공과(1,019명,

45%) 진학률이 전문대학(47명, 2.1%)과 대학교(81명, 3.6%)진학률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장애 정도가 경하다고 볼 수 있는 고등학교 일반학급 졸업생들의 경우 전공과(18명,

Page 4: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46 특수교육학연구(제45권 제3호)

1.2%) 진학률이 낮고 전문대학(194명, 13.3%)과 대학교(244명, 16.8%)에 진학하는 비율이 높았다. 취업

에서는 고등학교 일반학급에 재학하였던 장애학생을 제외하고 특수학교 고등부 및 특수학급 졸업생

의 경우는 학생들이 지역사회에서 지원고용이나 경쟁고용이 되는 것이 아닌 복지시설 또는 보호작업

장 등에서 급여를 받는 직업재활 프로그램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표 1> 참조).

우리나라 장애학생들이 고등학교 졸업 이후의 진로는 진학과 취업 모두 50% 미만이지만, 근소한

차이로 취업이 더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고등학교 졸업 직후 장애학생 모두가 직

업을 선택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성인기에 보다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고, 보다 지역사회에

통합되고, 양질의 다양한 직업군에 종사할 수 있도록 준비하기 위해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장애학생들

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현재 중등이후 교육이 미진한 우리나라에서 다양한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는 시급한 관심을 받아야 할 영역이다. 현재 국내의 정규 중등

이후 프로그램이라고 볼 수 있는 전공과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운영 방법도 획기적으로 변화될 필요

성이 제기되며 실시 장소도 특수학교가 아닌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 및 다른 기관이나 대학 환경으

로 다양화할 필요성이 높다.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장소는 다양한데 본 연구의 초점은 지역사회의 대표적 통합 환경인

“대학”내에서 실행되는 경우에 맞추어진다. 대학 캠퍼스에서의 경험은 중등교육을 마친 비장애 학생

을 포함한 대다수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열망하는 중등이후의 성과 중 하나이다(Grigal, Nuebert, &

Moon, 2001). 대학 캠퍼스는 다양하고 풍부한 여러 하위환경들을 제공하며 인근의 다양한 지역사회 환

경들은 교육 및 직업 훈련의 장소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박승희, 2004, 2010). Calhoun과

Calhoun(1993)은 지적장애인에게 생활연령에 적합한 활동이 지적장애인의 지각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보고하였는데, 연구자들은 생활연령에 적합한 활동에의 참여는 지적장애인 본인에게 유익할 뿐 아니

라 다른 사람들의 지적장애인 지각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특히 중점적으로 다루었다(예: 홍정아,

1996).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회에서의 완전 통합을 지향하는 데 있어, 지적장애 청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생활연령에 적합한 교육적 기회를 개발하는 것의 필요성 주장을 지지해주는 근거가 된다.

대학이라는 공간과 문화는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를 포함한 중도장애 청년들에게 있어 생활연령

에 적합한 개인적인 성장과 사회적 통합이 가능한 환경으로 다양한 교육 및 활동 선택의 폭이 넓다.

또한 대학은 비교적 안전한 환경이며 각종 후생복지 시설을 갖추고 있고 일반 대학생과 교직원들의

장애인식 개선을 선도할 수 있는 잠재력도 높은 환경이라는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다(박승희,

2010). 따라서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이라는 통합된 물리적 공간에서 실행되는 것은 고등학

교를 졸업하고 통합의 기회가 많이 제한된 지적장애인 및 자폐장애인에게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

는다(박승희, 2004).

이러한 중등이후 교육은 “어떠한 장애인이라도 단지 장애만을 이유로 연방기금을 받는 여하한 프

로그램이나 활동으로부터의 참여배제, 수혜거부 및 차별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는 미국재활법

(the Rehabilitation Act)의 Section 504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미국에서 장애인차별금지를 위한 첫

번째 입법적 결실인 Section 504는 인권법으로 연방의 재정지원을 받는 프로그램이나 활동에서 장애인

의 차별을 금지하며 장애인을 위한 교육과 훈련의 기회에 영향을 주었다. 공립학교에 재학하는 모든

Page 5: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47

장애학생들은 미국장애인교육법(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과 관계없이 Section 504

에 의해 보호 대상이 된다(deBettencourt, 2002). 학교나 프로그램들 중 연방으로부터 직접적 및 간접적

으로 재정적 지원을 받는 것들은 모두 Section 504의 적용대상이 된다. Section 504는 장애학생들이 중

등교육과 중등이후 교육 및 서비스 기관에 접근하고, 교육적인 차별을 받지 않을 것을 보장하며(백종

인, 2007; VanBergeijk, Klin, & Volkmar, 2008), 합리적 조정(resonable accommodations)이나 지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법적 기초를 제공하였다(Brinckerhoff, Shaw, & McGuire, 1992).

또한 모든 장애학생에 대하여 ‘무상의 적절한 공교육’의 이행을 명령하고, 이행의 보장을 위한 절

차적인 규제를 규정하고 있는 주의 연방기금지원을 통한 각 주의 장애학생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을

위한 법률인 미국장애인교육법(IDEA, 1975, 1997)에서도 중등이후 교육의 근거를 찾아볼 수 있다. 1997

년의 미국장애인교육법은 장애학생의 전환계획의 범위를 다양한 측면에서 확장하였다. 미국장애인교

육법은 고등학교를 졸업하지 못한 학생들에게는 22세까지 독립적인 생활과 직업기술 훈련 제공을 위

한 기금을 제공한다(VanBergeijk et al., 2008). 미국의 경우, 1975년의 전장애아교육법 이후 장애학생들

의 중등이후 교육과 고용 및 주거 등 삶의 형태와 그 질적인 수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이를

계기로 중등 특수교육에서 장애학생의 성인기를 준비하는 전환교육과 서비스가 강조되었다(박승희,

2006; 박승희 외 공역., 2006). 우리나라의 경우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07)의 장애인평생교육

과정(33조)과 장애인평생교육시설의 설치(34조)의 조항들에서 장애성인교육 지원의 근거를 찾을 수 있

다.

아직 국내에서는 이러한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이나 연구가 매우 미약한 상황이기 때문

에 해외의 특수교육 현장에서 현재 어떠한 형태와 내용으로 중등이후의 교육 프로그램이 대학 내에

서 제공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연구가 우선 필요하다. 본 연구의 범위는 중등이후 교육의 주요 대상

이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포함하는 중등도 및 중도장애인이면서 미국 전역의 대학(4년제 대학

교 및 커뮤니티 칼리지)내에서 실행되는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으로 한정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장애유형으로 보면 정신지체, 자폐성 장애, 혹은 중복장애 등으로 인해 고교 졸

업 후 대학에 입학하여 학위 과정을 수학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장애 청년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미국의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에 대한 연구논문과

실제 프로그램의 고찰에 초점을 둔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년 간(2000년부터 2009년까지)의 미국 내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

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관련 연구논문의 개관과 현재 미국에서 실행되는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

로그램의 개관을 살펴보고, 그 프로그램 실행에서 문제로 지적된 쟁점들을 알아보고, 향후 우리나라

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과 제언을 제공하는 것이다.

2. 연구 문제

1)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미국의 중등이후 교육 관련 연구논문(2000년-2009년)의 개관

은 무엇인가?

Page 6: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48 특수교육학연구(제45권 제3호)

2)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미국의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관(프로그램

유형, 운영, 및 실례)은 무엇인가?

3)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미국의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실행과 관련된

쟁점은 무엇인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자료 선정 기준

본 연구의 연구자료는 2가지로서: (1) 미국의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관

련 연구논문과; (2) 미국 대학 내에서 실행되는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프로

그램의 실례이다. 이 2가지 연구자료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논문의 선정기준

본 연구의 연구자료 논문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장애, 감각장애 및 순수 지체장애

를 제외한 중도장애인(지적장애 및 발달장애)의 중등이후 교육에 초점을 둔 논문; 둘째, 지난 10년 간

2000년부터 2009년 사이에 해외 학술지에 게재된 미국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에 관련된 논문. 이

연구논문들은 다음의 선정 절차를 거쳤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 학술전문 검색 사이트인 ERIC과

검색 엔진 EBSCO를 통하여 검색 작업을 수행하였다. 중도장애인을 위한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과 관

련된 연구를 검색하기 위하여 post-secondary education(중등이후 교육)과 disab*(장애)의 검색어로 검색을

실시하였다. 2가지 검색엔진을 사용하여 검색한 논문 중 양쪽 엔진에 중복되어 검색된 논문과 학습장

애, 감각장애를 대상으로 한 논문을 제외하고 최종 27편의 연구자료 논문을 선정하였다. 1차 검색을

거친 후 논문들의 참고문헌 확인을 통하여 검색엔진에서는 검색되지 않았지만 논문선정 기준에 부합

되는 논문 9편을 추가적으로 선정하여서 최종적으로 총 32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각 논문에는 고유

번호가 (1)부터 (32)까지 부여되었다(<표 2> 참조).

2)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실례의 선정기준

본 연구에서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실례는 다음 기준에 의해 선정되었다: 첫째, 연

구자료 논문 중 한 연구(Neubert & Moon, 2006)에서 소개하고 있는 미국의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대

학 내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둘째, 학습장애, 감각장애 및 순수 지체장애를 제외한 지적장애와

발달장애를 포함하는 중등도 및 중도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지적

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미국의 대학 내 중등이후 프로그램 예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검색어

transition(전환), post-secondary education으로 검색하여 중등이후의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Page 7: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49

들을 검색하였다. 그 중 연구자료 논문 Neubert & Moon(2006)에서 소개한 현재 미국의 웹사이트와 중

복되면서 현재 실행 중인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들을 비교적 체계적으로 잘 정리하여 소개

하고 있는 2개의 웹사이트(Transition Coalition; www.transitioncoalition.org와 On-Campus Outreach; www.

education.umd.edu/oco)에 소개된 프로그램들 중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23가지의 중등이후 프

로그램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 소개된 미국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들은 제한적으로 검색한 결과

이므로 단지 부분적 자료임을 밝혀둔다.

2. 연구자료 분석 절차

첫째, 연구자료 논문의 분석은 연도에 따라 연도별로 출판된 논문 순서와 편수를 정리하였고, 그

후 논문을 읽고, 연구 주제를 그 유사성에 따라 크게 5가지로 분류하였다. 전체 연구자료 논문들의 개

관은 저자 및 출판연도, 연구 종류, 연구대상 및 주요 연구내용으로 정리하였다. 연구종류의 분류는

각 논문에서 사용된 연구초점이나 연구방법의 종류를 포함하는데 크게 개념을 정의하거나 논의하는

연구를 개념연구, 실태나 현황을 조사한 조사연구,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질적연구, 델파이기법을

사용한 델파이연구로 분류하였다. 둘째,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관 분석은 프로그램 유

형, 프로그램 운영 및 프로그램의 실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대학 내 프로그램의 실례들은 조사한

웹사이트들의 분류를 참고하여 수집된 자료에 기초해서 프로그램 실시 장소, 대상, 기금, 스텝, 교육

내용 및 교육과정으로 구분하여 정리되었다. 그 중 프로그램에 따라 해당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항목

은 표기될 수 없었다. 현재 진행되는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모습을 파악하는데 유

용한 정보들로 구성하였다. 셋째,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실행 관련 쟁점의 분석은 연구자료 논문

들과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실례의 분석 과정에서 공통적 혹은 반복적으로 지적된 쟁점

들을 제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 교육 관련 논문의 개관

1) 중등이후 교육 관련 논문의 연도별 분류

본 연구에서 검토한 지난 10년 간(2000-2009)출판된 32편의 중등이후 교육 관련 논문들을 저자,

연구종류, 연구대상, 및 주요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표 2>와 같이 연도별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2000년에 3편이 출판된 이후로 2001년부터 2009년에 이르기까지 매해 골고루 2-5편이 출판되었으며

2007년에만 출판된 논문이 없었다.

Page 8: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50 특수교육학연구(제45권 제3호)

고유

번호저자(연도)

연구

종류연구 대상 연구의 주요 내용

(1)Hall, Kleinert, &

Kearns(2000)

조사

연구

지역 학교와 칼리지가 18-21세 중등도 및 중도장애인을 대상으로

캠퍼스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조사연구

(2)Stodden &

Dowrick(2000)

개념

연구

장애 성인의 중등이후 교육과 고용에 관한 연구

(1) 중등이후 교육이 양질의 고용에 미치는 영향

(2) 중등이후 교육에의 장애물

(3) 양질의 고용을 준비하기 위한 자기결정

(4) 중등이후 교육의 지원의 현재 상태

(3)Wilson, Getzel &

Brown(2000)

조사

연구

대학 재학

장애학생

중등이후 캠퍼스 풍토 향상을 위한 조사연구

(1) 1차: 우편 조사 (2) 핵심 정보제공자의 개인면담

(3) 전국 OSSD(Office for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프로그

램의 체계적인 검토 과정

(4)

Yuen &

Shaughnessy

(2001)

개념

연구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의 졸업률을 높이기 위한 중등이후

장애학생의 참여와 유지를 위한 도구로써의 문화적 역량강화를 설

명한 연구

- 자기결정과 자기옹호 교육과정, 교직원, 관련 서비스 조화로운 지

원체계

(5)

Neubert, Moon,

Grigal & Redd

(2001)

개념

연구

정신지체와 다른 중도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의 실제를 알아

보기 위한 문헌 리뷰 연구

- 시대별 중등이후 프로그램

(1) 1970년대 중등이후 프로그램 및 연구

(2) 1980년대 중등이후 프로그램 및 연구

(3) 1990년대 중등이후 프로그램 및 연구

(6)Grigal, Neubert &

Moon(2001)

중등이후 환경에서의 중도장애학생을 위한 공립학교 특수교육 서비

(7)

Stodden, Whelley,

Chang & Harding

(2001)

조사

연구

2년/4년제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중등이후 교육에 대한 교육적 지원의 현황 조사연구

- 일반적 교육적 지원의 유형과 빈도

- 특정한 교육적 지원의 제공 빈도

(8)Hart, Zimbrich &

Ghiloni(2001)

개념

연구

중등이후 교육과 고용으로 전환하는 중도장애인을 위한 개별적 지

원: 기관간 협력과 재정에 관한 연구

(1) 5가지 지침

(2) 지역사회중심 고용서비스(CBES) 개관과 성과

(3) CBES 설계와 서비스 구성요소(평가, 배치, 초기 고용지원, 확장

된 지원, 추가적 지원, 유연한 지원)

(9)Grigal, Neubert, &

Moon(2002)

개념

연구

중등이후

중도장애

학생

중도장애학생들을 위한 중등이후 옵션에 관한 연구

- 4년제 대학교, 커뮤니티 칼리지, 지역사회

(10)Neubert, Moon, &

Grigal(2002)

개념

연구

18-21세

중도장애

학생

연령에 적합한 중등이후 교육과 전환서비스에 관한 연구:

(1) 중도장애중등학생을 위해 구별되는 교육과 전환서비스;

(2) 중등이후 교육환경 프로그램들의 핵심 특성;

(3) 중등이후 환경들에서의 개별지원의 핵심특성

<표 2>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 교육 관련 논문의 요약

Page 9: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51

고유

번호저자(연도)

연구

종류연구 대상 연구의 주요 내용

(11)Stodden &

Conway(2003)

개념

연구

중등이후 교육 관련 최근 연구와 쟁점들의 개관과 개인적 시각

을 보고한 연구

(1) 중등이후 교육적 지원 제공의 특성;

(2) 지원제공 유형/강도와 장애 유형/수준의 정렬;

(3) 중등이후교육에서 지원으로서의 공학의 역할;

(4) 중등이후 교육에서의 지원으로서의 직업재활의 역할

(12)

Parker, Shaw &

McGuire

(2003)

개념

연구

콜로라도 대학교

프로그램/

오션카운티칼리지

프로그램

중등이후 장애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 평가 연구

- 프로그램 평가 계획 시 고려 요인(목적, 틀, 자료유형)

- 콜로라도 대학교 및 오션카운티 칼리지의 중등이후 프로그램

평가

(13)Sitlington

(2003)

개념

연구

중등이후 교육으로의 전환을 위한 법적 요구, 중등이후 수준에

서 요구되는 정보와 문서화, 중등이후 교육으로의 전환을 위한

준비에 관한 연구

(14) Weir(2004)질적

연구

8명의 장애

대학생

보다 효과적이고 협력적인 장애인 지원 제공의 기제인 개인중

심 및 협력적인 지원에 대한 질적 연구

(15)Madaus &

Shaw(2004)

개념

연구

중등교육과 중등이후 교육에 적용되는 Section 504규정의 핵심적

인 차이에 관한 연구

(16)

Hart, Mele-McCathy,

Pasternack, Zimbrich,

& Parker(2004)

조사

연구

18-21세 학습/

인지 /지적장애

(LCID)

25개교 커뮤니티 칼리지 내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조사연구

(17)Stodden &

Whelley(2004)

개념

연구

ADA, IDEA, Omstead Act 입법 개관과 개별적인 학업적 욕구와

목표가 있는 개인들을 위한 유연하고 개별적으로 맞추어진 지

원과 서비스제공에 관한 연구

(18)Neubert, Moon,

Grigal(2004)

조사

연구

11개 공립학교

교사들

18-21세의 중도장애인을 위한 13개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조사연구

(19)Shaw & Dukes

(2005)

델파이

연구

55인의

장애 서비스

전문가

효과적인 실제의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기관들이 해야 할 중

등이후 장애서비스의 수행지표에 대한 델파이 연구

- 질문지를 통해 1-3 단계로 델파이연구가 이루어짐

(20)

Dowrick,

Anderson,

Heyer, &

Acosta(2005)

질적

연구

(포커스

그룹)

장애 대학생

미국의 장애성인들의 대학교 내 중등이후 교육 경험에 대한 질

적 연구

- 장애유형, 인종, 전공에 따라 다양(목적적 표집으로 참여자 선정)

- 중등이후 지원과 고용지원으로 전환필요성, 쟁점보고

(21)

Tagayuna, Stodden,

Chang, Zeleznik,

& Whelley (2005)

조사

연구

중등이후

교육기관의

장애학생지원

코디네이터

중등이후 교육에서의 교육적 지원 제공의 특성과 빈도를 조사

한 연구

- 전국 규모로 2회에 걸친 조사연구의 결과를 비교

(22)Gilmore &

Bose(2005)

조사

연구

직업재활시스템과

중등이후교육기관

등록된 장애인

직업재활 시스템과 중등이후 교육에의 장애인 참여 비교연구

- 다른 연구에서 보고된 범위와 직업재활 시스템에 등록된 장애

인의 범위 비교

- 장애인의 중등이후 교육 참여 비율과 일반 인구비율 비교

- 장애인의 고용관련 성과와 일반인구의 성과 및 장애집단 간

비교

<표 2>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 교육 관련 논문의 요약 (계속 1)

Page 10: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52 특수교육학연구(제45권 제3호)

고유

번호저자(연도)

연구

종류연구 대상 연구의 주요 내용

(23)Christ &

Stodden(2005)

조사

연구

중등이후 기관

장애학생지원

코디네이터

중등이후 교육에서 장애학생들이 제공받는 교육적 지원을 비교

할 때 조사구인(survey constructs)의 개발이 갖는 이점에 대한 연구

(1) 보다 신뢰도가 높고 효율적인 측정

(2) 보다 보수적인 측정(편견과 오류가 상쇄됨)

(24)

Grigal,

Dwyre, &

Davis(2006)

개념

연구

18-21세

지적장애 학생

대학교와 지역사회 내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전환서비스 모델

과 성공이 주는 함의를 탐색한 연구: 프로그램 중심 모델과 개

별지원 모델

- 목적: (1) 직업획득 촉진을 위한 대학교 환경으로 전환서비스

제공; (2) 대학교 수업, 여가 및 사회활동 참여 기회 제공; (3)

새로운 수준의 독립성 및 자신감 육성

(25)Neubert &

Moon(2006)

개념

연구

중등이후기관의

지적장애

학생

지적장애학생의 중등이후 환경과 전환서비스의 모델에 대한 연

구: (1) 모델1: 실질적 분리 프로그램 (2) 모델 2: 혼합 프로그램

(3) 모델 3: 통합적 개별화서비스

(26)

Stodden,

Robert,

Picklesimer, Jackson

& Chang(2006)

조사

연구

중등이후기관의

장애학생지원

코디네이터

중등이후 교육기관에서 제공되는 보조공학지원과 서비스 분석

연구

(1) 기관의 보조공학 지원, 조정 및 서비스 제공 능력

(2) 원격교육 접근 기회 이용 가능성 조사

(27)Madaus &

Shaw(2006)

개념

연구

중등이후 장애

서비스 제공자

IDEA(2004)의 변화된 4가지 핵심 영역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연구(중등이후 장애인 프로그램에 주는 시사점)

(1) 장애의 재평가, (2) 수행요구의 요약,

(3) 전환계획, (4) 학습장애의 새로운 진단기준.

(28)Christ

(2008)

혼합

연구

(mix-ed

meth-od)

대학교 장애학생

지원코디

네이터/

슈퍼바이저/

스텝과 학생

전국적인 공학 서비스 정보 수집/보조공학의 영향 탐색/공학 서

비스가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연

구/3단계로 나누어져 3가지 연구 방법으로 연구 진행

- 1단계: 조사연구

2단계: qualitative cross case analysis

3단계: 종단연구

(29) Getzel(2008)개념

연구

대학교 내

장애 대학생

장애학생을 지원하는 중등이후 교육의 핵심적인 특성을 탐색한

연구

- 학생 지원 요인들과 교수자를 위한 2가지 전문적인 개발(장애

학생의 요구와 특성에 대한 지식, 보편적 학습설계의 적용)에

대한 내용

(30)

Blumberg,

Carroll, &

Petroff(2008)

질적

연구

교수자

3명

지적장애 청소년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경험 보고

연구

- 교수자들의 보고(지적장애 학생들의 성과와 프로그램 설계 및

교수의 함의 논의)

(31)

Shaw,

Madaus, & Banerjee

(2009)

개념

연구

중등이후

장애 학생

장애학생의 중등이후 교육 접근성의 증진을 위한 20가지 방법 제안

- 5가지 영역의 20가지 방법 제시: 격려와 정보 제공, 계획하기,

학생의 자기결정과 독립성 증진 및 강화, 학생 가족들의 법적

권리와 책임 이해 돕기, 기타로 분류

(32) Shaw(2009)개념

연구중등 장애 학생

긍정적인 중등이후 교육성과를 위한 중등교육에서 중등이후 교

육으로의 전환을 위한 전환 계획의 전반적 연구

<표 2>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 교육 관련 논문의 요약 (계속 2)

Page 11: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53

2) 중등이후 교육 관련 논문의 연구주제별 분류

최종 선정된 중등이후 교육 관련 32편 연구논문들의 연구주제를 검토하여 5가지 주제를 추출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지면상 <표 2>의 고유번호로 표기): (1) 중등이후 교육의 개관과 프로그램

[논문 고유번호 (1), (5), (6), (9), (12), (16), (17), (18), (20), (24), (25), (29), (30)]; (2) 중등이후 교육 관련

법률 [(15), (27)]; (3) 중등이후 교육으로의 전환 [(10), (13), (32)]; (4) 중등이후 교육에서의 지원 [(3), (4),

(7), (8), (11), (14), (21), (23), (26), (28), (31)]; (5) 기타 중등이후 교육과 관련된 쟁점 [(2), (19), (22)]. 연도

에 따른 뚜렷한 연구주제의 변화 추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지난 10년 간 다양한 주제가 비교적 고르

게 다루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5가지 연구주제 중에서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13편

(40.62%)으로 가장 많았고, 중등이후 교육에서의 지원에 대한 연구가 11편(34.37%)으로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중등이후 교육으로의 전환에 대한 연구가 3편(9.38%), 중등이후 교육 관련 법률 연구가 2편

(6.25%)이었고, 기타 관련된 주제가 3편(9.38%)으로 나타났다. 기타 주제에는 직업재활 시스템과 중등

이후 교육에 참여하는 장애인의 통계자료를 분석한 연구(Gilmore & Bose, 2005), 중등이후 장애 서비스

의 수행지표에 대한 연구(Shaw & Dukes, 2005), 중등이후 교육이 장애성인의 고용에 미치는 영향과 장

애물에 대한 연구(Stodden & Dowrick, 2000)가 포함되었다.

2.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의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관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관을 살펴보기 위하여

중등이후 프로그램의 유형, 중등이후 프로그램의 운영의 측면 그리고 현재 대학 내에서 실시되는 23

가지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실례의 내용을 요약하여 제시한다.

1)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미국의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은 다음의 3가

지로 나눌 수 있다: (1) 실질적 분리 모델, (2) 혼합 프로그램 모델, (3) 통합적 및 개별적 지원 모델

(Hart, et al., 2004; Stodden & Whelley, 2004; Neubert & Moon, 2006).

첫째, 실질적 분리 모델은 1970년대부터 이루어진 유형으로 분리된 교육이 제공되고 비장애 동료

들과의 상호작용은 없는 대학의 정규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유형이다. 교육과정은 생활기술 개발,

지역사회중심교수, 경험을 위한 제한적인 직업 고용 훈련으로 구성된다. 특수교사나 장애성인 서비스

제공자들이 스텝이 되고, 대부분의 경우 중등이후 성인교육 기관의 지원 인력은 참여하지 않는다.

둘째, 혼합 프로그램 모델은 캠퍼스 내의 분리된 공간에서 진행되는 생활기술 교수와 전환 프로

그램, 그리고 대학 수업에 참여하는 형태이다. 이 모델에서는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 간의 상호작용

이 일어나고(예: 카페테리아, 운동시설 등), 장애학생이 대학의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이 모델의 교육

과정은 대학의 일반적인 교육과정(수업)에 추가적인 생활기술 교수, 지역사회중심교수, 경험을 위한

제한된 수의 고용(예: 관리, 음식 준비)의 반복에 집중된다. 이 모델은 부모, 중등특수교사와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교사나 지원인력과의 협력으로 이루어진다.

Page 12: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54 특수교육학연구(제45권 제3호)

셋째, 가장 최근 모델인 통합적 및 개별적 지원 모델은 공립학교의 마지막 해에 개별화된 접근을

통해 지적장애 학생을 지원하는 것으로, 학교 졸업 후 목표에 대한 계획을 팀과 함께 수립하고 목적

의 성취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나 재정을 확보한다. 이 모델은 이름 그대로 개별화된 서비스를 받는

형태로써 대학교의 일반적인 수업, 수료과정, 인턴십, 학위 프로그램 등에 참여가 이루어지며 개인의

선택과 선호에 따라 결정하는 개인중심계획의 과정을 적용한 학생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한다(Hart et

al., 2004; Neubert & Moon, 2006). 한편, 다른 연구(Grigal, et al., 2006)에서는 중등이후 교육을 지역사회

중심 모델의 하나인 볼티모어 전환 연계(BTC: Baltimore transition connection)와 같은 프로그램 중심모델

과 개별적 지원 모델로 나누기도 하였다.

2)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Grigal 등(2001)은 메릴랜드 주의 13가지 프로그램에 대한 조사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을 환경, 스텝, 기금 유형, 입학의뢰, 입학의 실제, 프로그램의 구성으로 나누어 살펴보

았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Grigal et al., 2001; Parker, et al., 2003)에서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본 요소들을 고려하고, 본 연구자료로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다음의 6가지: (1) 환경, (2) 스

텝, (3) 재정, (4) 입학의뢰 및 입학의 실제, (5)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및 (6)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의 측면에서 중등이후 프로그램의 운영을 살펴보았다.

(1) 환경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환경 유형은 4년제 대학교, 커뮤니티 칼리지(community college), 지역사

회의 기관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Grigal, et al., 2002). 지역사회 내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

그램은 다소 장소적인 제약을 받고 있는 것으로 언급되기도 하는데 많은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들

이 대학 내에서 주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 분리된 특별 공간이 사용되기도 하고, 별도

의 공간 없이 통합되어 대학 캠퍼스 전체에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동시에 직업훈련과 관련한 내용은

기관간 협력을 통해 대학 캠퍼스와 지역사회 내에서 동시에 이루어지기도 한다. Grigal 등(2001)의 연

구 대상인 13가지 프로그램 중 8가지 프로그램이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2가지 프로그램은 4년제 대학

캠퍼스에서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2) 스텝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의 스텝들은 지역학교체계(local school system)스텝, 대학 스텝, 기관 스텝으

로 나누어진다. 프로그램들의 대부분은 2명 이상 혹은 1명의 정규 특수교사가 있다. 모든 프로그램들

에서 학생들의 인원에 따라 1명이나 2명의 보조교사 또는 자원봉사자를 두고 있다. Grigal 등(2001)의

연구에서는 메릴랜드 주의 10가지 프로그램들의 경우, 대학교 스텝을 두고 있었는데, 대학교 스텝에는

스텝, 인턴, 자원봉사자가 포함된다. 2가지 프로그램에서 대학의 비장애학생을 교실과 지역사회에서

보조원으로 활용하였고, 3가지 프로그램에서 성인기관의 스텝을 직업 코칭서비스나 직업 평가를 위해

제공하고 있었다.

Page 13: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55

(3) 재정

프로그램의 주요 자금 원은 지역학교체계로, 교사나 지원 스텝, 물품대금을 지원하고 있다(Grigal

et al., 2001). 대학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들의 경우 대학에서 교실이나 사무 공간, 컴퓨터 장비, 가구,

복사기, 팩스, 전화사용에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지원을 받고 있다.

(4) 입학의뢰 및 입학의 실제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입학 기준은 학교나 프로그램마다 다른데, 연령(최소 18세), 4년 고교

과정의 완료, 고교 수료, 고용 및 성인 서비스와 연계된 IEP 목표 등이 포함된다. 또 다른 입학 기준

에는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참여를 위해서 독립적인 출퇴근 능력을 요구하는 프로그램도 있었다.

형식적인 평가과정을 적용하는 프로그램은 극소수였고, 출신 고등학교의 IEP 회의에서 학생의 배치가

결정되었다. 또한 학생과 가족들이 초기 선별과정 후에 프로그램을 방문하도록 하여 캠퍼스 투어를

하게 하는 프로그램과 교사들이 방학 기간이나 프로그램의 첫 주에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는 프로그

램들도 있었다(Grigal et al., 2001).

(5)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들은 중등특수교육과 전환서비스에서 판별된 최선의 실제를

반영하여(Halpern, Yovanoff, Doren, & Benz, 1995), 기능적 기술 교수, 직업 훈련, 평가 활동, 기관간

협력, 부모 참여, 자기결정 활동, 사회성 기술 훈련, 개별화전환계획 등을 포함하였다(박승희, 2006,

2010).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다음의 6가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에 대한 간결

한 묘사는 다음과 같다(Grigal et al., 2001; Neubert, et al., 2002; Transition Coalition, http://

transitioncoalition.org).

① 교실 수업

모든 프로그램에서 일부분은 분리된 교실에서 기능적 학업기술이나 진로개발 활동의 직접교수를

위한 시간을 할애한다. 여러 프로그램들이 시라큐스 교육과정 지침(Syracuse Curriculum Guide)과 생활중

심 진로교육(LCGE: Life Centered Career Education)교육과정 등을 교수의 기초로 사용한다고 보고하였다.

거의 모든 프로그램들이 자기결정 기술을 강조하였으며, IEP 목표를 작성하거나 역할극 활동으로 자

신들의 IEP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고 있었다.

② 지역사회중심교수

지역사회중심교수 활동들은 고등학교에서의 활동과 유사하게 은행이용, 쇼핑, 가정 요리와 외식,

지역사회 시설 이용을 포함하였다. 중등이후 성인교육 프로그램의 지역사회중심교수는 고등학교에서

의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비하여 보다 많은 독립성 형성의 기회와 융통성을 갖는다는 것에서 차이를

보였다(Grigal et al., 2001).

Page 14: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56 특수교육학연구(제45권 제3호)

③ 직업훈련

여러 프로그램에서 오전에는 학생들에게 교실 교수나 지역사회중심 교수를 제공하고, 오후에는

유급이나 무급의 작업-중심 경험을 제공하였다. 요일을 달리하여 교실중심 프로그램과 직업 경험을

하루 종일 제공하는 프로그램도 있었다. 제공하는 형태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직업훈련을 제공하지 않

는 중등이후 프로그램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Grigal et al., 2001; Neubert, et al., 2004).

④ 대학의 수업과 활동에 참여

프로그램의 일부분으로써 학생들이 대학의 일반 정규 수업에 참여하도록 하는 프로그램들이 있

었다. 그 형태는 학점이 없는 청강의 형식으로 에어로빅, 도예 등의 수업을 듣거나 학점을 받는 키보

드수업이나 무대기술(stagecraft) 수업 이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수업료가 면제되지만 일부의 몇몇

대학들은 참여자가 수업료를 납부하도록 하였다. 또한 베스트 버디(best buddies)와 같은 비장애학생과

의 관계를 발달시키는 프로그램들이 함께 활용된 프로그램들도 있었다(Grigal et al., 2001; Neubert et

al., 2004).

⑤ 부모 및 가족 참여

학생과 가족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중등이후의 성인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부모나 보호

자는 IEP 과정에 참여하고, 프로그램을 방문하고 정보를 얻는다. 부모는 매달 열리는 부모 회의에서

교사 및 다른 부모들과 토론을 하고, 교사는 자녀의 기술에 대한 부모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직업 현장

에서 자녀를 관찰해 볼 것을 권고할 수 있다(Grigal et al., 2001).

⑥ 전환계획 및 기관간 협력

많은 교사들은 고교 마지막 해에 학교 외부 지역사회 기관들과의 협력적 활동을 개발할 기회를

갖도록 해야 한다. 전환계획을 촉진하기 위해서 교사들은 지역사회의 성인 서비스 기관을 방문하거나

이들 기관에서 나온 직원들과 학생들이 학교 졸업 후 얻게 될 기회들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도록 협

력적인 관계를 맺어야 한다(Girgal et al., 2001). 연구자들은 기관간 협력의 예로, 학생들이 지역 직업재

활 상담가들과 직업 코칭 서비스를 준비하거나, 지역의 성인 서비스에 의해 운영되는 소수의 문화 공

간에 참여하거나 또는 성인 기관에서 운영하는 숙박시설에서 주말을 보내기 등을 제시하였다.

(6)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Parker와 동료들(2003)은 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를 계획할 때 크게 3가지

요소: 평가 목적, 평가의 틀, 자료의 유형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첫째는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목적인데, 평가를 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목적이 무엇인가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는 이론적 모델,

평가 기준, 및 실행관련(logistical) 사항들을 고려하여 평가의 틀을 선택하는 것이다, 셋째는 평가하는 전

문가들에게 가장 유용한 자료의 유형이 어떠한 것인지(형성적 자료와 총괄적 자료)를 결정하는 것이다.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할 때 권장되는 사항은 객관적 피드백의 가치를 존중하기, 일상적인 사

Page 15: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57

프로그램 명 프로그램의 개요

1. ACCESS:

Adult College &

Community

Educational

Support

Strategies

장소 Alfred University(NY)

대상 경도/중등도/중도

기금 지역교육청

스텝 전환교사 1/시간제 특수교사 1

교육내용 지역사회중심의 학업, 사회적 및 직업 프로그램

교육과정 Career Zone/Paula's Special Education Resource

2. P. A. C. T.:

Providing Access

to Community

Transition

장소 Jefferson County Public Schools/University of Louisville (Kentucky)

대상 중등도/중도장애 18-21세

기금 지역교육청

스텝 교사 1/준전문가 2

교육과정 시라큐스 교육과정/자기옹호 전략

3. Baltimore

Transition

Connection at

BCCC

장소 Baltimore City Community College(Maryland)

대상 중등도/중도 장애인 18-21세

기금 지역교육청/교육부

스텝 교사 1/준전문가 1/본교생 자원봉사자 활동 참여

교육내용 영어, 수 학, 생활기술, 지역사회 내 이동, 직업현장학습, 대학수업 청강

4. Baltimore

Transition

Connection at

Coppin State

College

장소 Coppin State College(Maryland)

대상 중등도/중도 장애인 18-21세

기금 지역교육청/교육부

스텝 교사1/준전문가1/본교생 자원봉사자 활동 참여

교육내용 영어, 수학, 생활기술, 지역사회 내 이동, 직업현장학습, 대학수업 청강

5. Baltimore

Transition

Connection at

Johns Hopkins

Univ.

장소 Johns Hopkins University(Maryland)

대상 중등도/중도 장애인 18-21세

기금 지역교육청/교육부

스텝 교사1/준전문가1/본교생 자원봉사자 활동 참여

교육내용 영어, 수학, 생활기술, 지역사회 내 이동, 직업현장학습, 대학수업 청강

6. Community

College of

Baltimore County

- Catonsville

Core Program

장소 Cantonsville Community College(Maryland)

대상 중도 장애인 19-21세

기금 지역교육청/중등이후 교육기관

스텝 특수교사1/코디네이터1/준전문가2

교육내용 Post Secondary Life Skills, 대학수업, 지역사회에서 일하기, 다양한 캠퍼스 활동 참여

7. Campus

Connection

장소 Hagerstown Community College(Maryland)

대상 중등도/중도 장애인 18-20세

기금 지역교육청

스텝 교사 1/준전문가 1

교육내용생활기술, 직업준비, 컴퓨터, 캠퍼스 직업 경험, 언어치료 제공

- 목표: 가능한 독립적으로 생활하고 일하기 위한 경험을 얻도록 하는 것

교육과정생활중심 직업교육(Life Centered Career Education), 생활기술 실제(Life Skills Practice), 글로브-

피어론 생존 용어(Globe-Fearon's Survival Vocabulary)

<표 3>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실례

Page 16: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58 특수교육학연구(제45권 제3호)

프로그램 명 프로그램의 개요

8. College Based

Transition

Program

장소 Buffalo State College(NY)

대상 중도 장애인 18-23세

기금 지역교육청, 지역사회 서비스 기관, 중등이후 교육기관

스텝 특수교사 1/준전문가1/시간제 직무지도원/프로그램 매니저

교육내용 수업청강, 유급 일하기, 인턴십 참여, 지역사회기술 학습, 대학생활 참여

9. Embark

Program

장소 Salem State College(Massachusetts)

대상 경도/중등도/기타(자폐 스펙트럼)

기금 지역교육청/주 교육청/ 기타 개인적 비용

스텝 프로그램 디렉터1/직무지도원/ 교실 보조원/시간제 직무지도원/시간제 운동 지도사

교육내용 웰니스 센터(대학내 휘트니스센터) 활동, 다양한 캠퍼스 활동 참여

교육과정 상업용 교육과정, 스텝 개발 평가 및 교육과정

10. Jessamine

Connection

장소 Asbury College(Kentucky)

대상 중등도/중도 장애인 18-21세

기금 지역교육청, 중등이후 교육기관

스텝 특수교사1/교수보조원1

교육내용대학 수업 청강, 예배 참석, 프로그램 과제 수행, 체력단련, 지역사회참여 활동, 성인 서비

스 기관과 학교 시스템의 연계

11. Lewis &

Clark Supported

College Transition

Program &

College for Life

Program

장소 Lewis & Clark Community College(Illinois)

대상 경도/중등도/중도

기금 주 교육청, 교육부/지역사회 서비스 기관

스텝 코디네이터 1/상담가 1/보조원 1/공학 전문가 1/시간제 교사 26/ 직무지도원/준전문가

교육내용

학업과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유통성 있는 제공. 기능적 및 직업적 읽기, 수학, 컴퓨터. 개

별화된 학습프로그램.

4가지 기본적 생활기술 영역(지역사회, 가정, 직업, 여가) 중심

12. Life

Connections

장소 community college, vocational technical school, & various community sites (Illinois)

대상 경도/중등도/중도 18-21세

기금 지역 교육청

스텝 스텝 4

교육내용성인 생활, 건강, 레저, 여가, 기능적 수학, 자기옹호. 사회기술, 의사소통 기술, 지역사회

통합, 직업 실습, 학교 구에서 시간제 인턴십

13. Life Link PSU

장소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Pennsylvania)

대상 경도/중등도 18-21

기금 지역교육청/중등이후 교육기관

스텝 특수교사 1/준전문가 2

교육내용

캠퍼스 수업에 PSU(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 멘토, 자원봉사자, 인턴과 참여.

job-shadowing, 자원봉사, 경쟁적 고용 기회, 적절한 전환 계획 참여. 프로그램 자원, 다른

교육적, 직업적 및 사회적 기회 접근.

학교와 주립대학교 지역 학교구와 파트너십 운영

<표 3>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실례 (계속 1)

Page 17: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59

프로그램 명 프로그램의 개요

14. Life Skills

Transition

and 18+ program

장소 Central Community College(Nebraska)

대상 경도/중등도/중도

기금 지역교육청

스텝 교사1/직무지도원1/ 준전문가1

교육내용지역사회, 캠퍼스 내 웰니스 센터(대학내 휘트니스 센터), 카페테리아, 스넥바 직업훈련

참여. 지역사회 내에서 동년배와 일하는 기회 제공.

15. Post

Secondary

Program

장소 Carroll Community College(Maryland)

대상 경도/중등도/중도 18-21세

기금 지역교육청

스텝 교사1/코디네이터/ 교실 교수자 3-4/준전문가4/직무지도원/교육부지원

교육내용 생활체육, 컴퓨터, 커뮤니케이션, 기능적 교과, 지역사회 내 직업

16. Student

Transition

Program

장소 University of Nevada, Reno(Nevada)

대상 중등도 18-21세

기금 지역교육청, 중등이후 기관

스텝 특수교사 1/준전문가 2

교육내용직업훈련, 기능적 학업, 생활기술, 캠퍼스와 캠퍼스 밖의 지역사회 생활, 이동훈련, 지역

사회 접근기술.

17. The

Community

Connection

Program

장소 Howard Community College(Maryland)

대상 경도/중등도 18-21세

기금 지역교육청

스텝 교사 1/코디네이터 1/ 준전문가 2

교육내용교실수업, 지역사회 수업, 지역사회 고용, 대학수업 청강.

교실수업에서 글로브-피어론 생활학교 2000(Globe-Fearon Life School 2000) 교육과정이 적용

교육과정 글로브-피어론 생활학교(Globe-Fearon Life School 2000)

18. TESA:

Transition

Education Service

Alternative

장소 Dakota County technical College(Minnesota)

대상 중등도/중도 장애인 18-21세

기금 지역 교육청/교육부/주 교육청

스텝 특수교사 9/사례 관리자 & 12인 이상의 준전문가들

교육내용

가정생활, 식사관리, 기초 공학, 이동옵션, 개인 및 가족생활, 사회적 전략, 건강과 안전,

응용 학문, 지역사회 자원, 고용가능 기술, 서비스 학습, 소비자 수학, 만들기와 취미, 저

널리즘, 직업 탐색과 훈련, 퍼포밍 아트, 전환기술교수를 위한 과정 고안. 다코타 카운티

공대와 다른 지역사회 서비스/수업제공. -IEP에 준한 지원적 서비스(언어/작업/물리치료/시

각적지원 등) -2006년 TESA Works는 소매 경험을 제공하는 점포 오픈(학생들이 많은 선

물 등을 일반인에게 판매)

19. The College

Connection

장소 Community College of Baltimore County, Essex Campus(Maryland)

대상 경도/중등도 19-21세

기금 지역교육청

스텝 특수교사1/교수 보조자2

교육내용

주 2일 기능적 교육과정 수업, 대학수업, 대학 행사, 컴퓨터, 지역사회중심교수/주3일 지

역사회 내 다양한 직업 장소에서 일함. (여름학기: College Connection 수업이 없지만, 학생

들은 직장에서 성인서비스 제공자의 지원을 받으며 전일제 근무) -메릴랜드 대학캠퍼스

아웃리치를 위한 교육부 기금을 통한 부분적인 기술적 보조 지원

교육과정 기능적 교육과정/전환 교육과정

<표 3>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실례 (계속 2)

Page 18: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60 특수교육학연구(제45권 제3호)

프로그램 명 프로그램의 개요

20. Towson

University

Outreach

장소 Towson University(Maryland)

대상 중등도/중도 장애인 18-21세

기금 지역 교육청/주 교육청

스텝 코디네이터 1/보조교사 2/개인보조원 2

교육내용 대학중심 행사, 베스트 버디(Best Buddies), 서비스 학습, 캠퍼스 내 직업 인턴십, 수업참여

교육과정 Woodcock Johnson Test of Achievement III, LIFE

21. Transition

Program

장소 Shasta College (California)

대상 LICD(학습, 지적, 인지장애)/PDD(전반적발달장애) 18세 이상

교육내용

일반 대학과정 선택 가능하지만, 핵심적인 내용과 훈련은 지적장애 청년을 목표로 하는

적응교육 교육과정(Adaptive Education Curricula)에 속함. 선택이 가능한 적응교육 옵션들

(adaptive educational options): 생활기술, 읽기, 수학, 컴퓨터 훈련, 직업개발, human awareness*

- 자기옹호와 자기결정은 모든 과정에 포함(별도 교육과정 없음)

- 전환학생들에게 교내 상담서비스 권장(최적의 과정 선택 도움)

* human awareness: 관련 영역으로 구성된 4학기 코스

1) 자기인식/자아존중, 2) 건강과 위생 3) 자기보호 4) 관계

교육과정 적응교육 교육과정(Adaptive Education Curricula)

22. Young Adult

Project

장소 Ann Arbor College(Michigan)

대상 LICD(학습, 지적, 인지장애)/PDD(전반적 발달장애) 18세 이상

기금 공립학교기금/대학 장애지원부, 직업재활기관, 발달장애 및 정신 건강국

교육내용

프로그램 과정, 대학과정 참여 선택 가능. 각 학생들은 개인중심계획을 가지고 있음. 모

든 훈련은 자연적 환경에서 제공. 모든 서비스는 성인 서비스 기관 및 조직들에 의해 제

공(성인 시스템으로의 서비스 전환 도움)

23. Worcester

Youth

College Career

Connection

장소 Worcester Public Schools & Quinsigamond Community College (Massachusetts)

대상 LICD(학습, 지적, 인지장애)/PDD(전반적 발달장애) 18-22세

교육내용

지적장애 청년들이 의미 있는 성인기의 선택으로 학교를 졸업하도록 개별적 지원모델

(Worcester Youth College Career Connection)수행.

- 협력적 팀: WPS(Worcester Public Schools), 퀸시가몬드 커뮤니티 칼리지(Quinsigamond

Community College), 원스톱 직업센터, 성인 서비스 기관, 서비스 제공자, 옹호 단체로 구성.

- 팀 역할: 전체참여 기관과 조직들의 서비스를 판별하여 자원 지도화(mapping) 수행, 연

간 실행계획(개인적 서비스 욕구, 지원을 전환관련 자원과 연결하는 전략들 설명)개발

- 직업목표와 관련한 강의 청강, 수료 프로그램 참여, 일반과정 형태수강

출처: (1) Hart et al.(2004). Community college: A pathway to success for youth with learning, cognitive,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econdary settings; (2) Transition Coalition (http://www.transitioncoalition.org); (3) On-Campus Outreach (http://www.education.umd.edu/oco).

<표 3>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실례 (계속 3)

무업무에 자료수집의 과정을 포함하기, 연간 보고서 활용하기, 졸업생의 졸업 인터뷰 실시하기, 자료

수집을 위해 적절한 대학의 지침 따르기, 평가과정을 통해 스텝에게 권한 부여하기, 프로그램 평가를

통한 리더십 육성 기회 만들기, 캠퍼스 행정가가 지원해야 할 것들의 목록 작성하기,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 문헌을 검토하고, 웹기반의 평가 도구의 제작을 지원하기 등이다(Parker et al., 2003).

Page 19: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61

3) 미국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실례

본 연구에서 조사한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들의 설립연도는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광범위

하며 지역도 다양하다. 참여 대상이 되는 사람의 장애 수준은 경도 및 중등도에서 중도까지 프로그램

마다 조금씩 차이를 두고 있다. 적용하고 있는 교육과정(예: 시라큐스 교육과정 지침)을 제시하고 있

는 프로그램과 그렇지 않는 프로그램들이 있었고, 프로그램은 기능적 교육과정(기초학업적 기술), 직

업 훈련, 여가, 정규 대학 수업 및 활동 참여 등의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인

력은 특수교사가 주가 되어서 보조교사와 지역사회 성인 기관 직원, 대학 직원 및 대학생 자원봉사자

등으로 구성되어 진행되고 있다. 프로그램에 따라 100명이 넘는 대규모에서 5명 내외의 소규모 프로

그램까지 다양한 인원 구성을 보이고 있다. 프로그램의 내용을 살펴보면, 대학의 적응을 준비하기 위

한 연결 과정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과 성인기 지역사회로의 전환을 준비하는 과정을 위한 프로그램

들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표 3>에는 본 연구에서 추출한 대학 내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23가지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을 해당 웹사이트에서 제공한 정보를 기준으로 장소, 대상, 기금,

스텝, 교육내용, 및 교육과정의 6가지 측면에서 정리 요약한 정보가 제공된다. 특별히 교육과정을 언

급하지 않은 프로그램은 교육내용에서 정보를 제공한다. <표 3>에서 프로그램 이름은 그 특징을 엿

볼 수 있도록 하고 향후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볼 수 있도록 영문 프로그램명을 그대로 제공하였다.

3.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의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에 관한 쟁점

국내에서는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에 대해서 아직 본격적인 체계적 프

로그램이 거의 없고 연구나 정책입안도 활발히 시작되지 않은 시점에서 미국의 대학 내 중등이후 교

육 실행에서 지적된 쟁점들을 고찰하고 우리나라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의 활성

화를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인 중등이후 교육에 관한 논문들과 프로그램의 실

제들에서 추출된 여러 문제들을 정리하여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관한 쟁점으로 아래에 6가

지로 지적한다.

1) 프로그램 실행관련 문제

대학과 지역사회 활동 참여에 관련하여 나타나는 실행관련(logistical) 문제들은 활동 접근성을 위한

교통 및 이동 문제, 일하는 학생들의 근무시간 조절 문제, 베스트 버디(best buddies)와 같은 체계적인

동료 지원의 부족 등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활동 참여 관련 문제들에서 인적 지원 특히 비장애 동료

의 지원을 통해 상당 부분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 본 논문에 소개된 프로그램들 중에서도 해당 대학

교에 관련 학과가 있는 경우 관련 전공 대학생들을 보조교사나 자원봉사자로 활용하는 경우가 있었

다. 박승희(2004)의 연구에서 소개된 국내 한 대학 평생교육원의 중등이후 프로그램에서도 동년배 대

학생들을 자원봉사자로 활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자원봉사자들의 활용은 예측과 신뢰도가 다소 부족

하다는 잠재적 한계를 가질 수 있다. 자원봉사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자원봉사에 대한 업무의

운영과 개발 및 보급을 위한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자원봉사자들이 소속감과 사회적인 정당성을

Page 20: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62 특수교육학연구(제45권 제3호)

느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김동원, 2005).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운영할 때 자원봉사 업무를 프로

그램에 포함시켜 보다 체계적인 형태로 운영할 때 대학 활동 참여에서 부족한 동료 지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2) 대학 수업에 통합되는 문제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이 대학 내에서 이루어질 때의 또 하나의 쟁점은 대학 수업에 통합하는

문제이다. 한 연구에서는 단 4명의 학생들만이 학점을 받는 대학 수업을 수강하였고, 100명의 학생들

은 어떠한 대학 수업에도 참여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고하였다(Neubert et al., 2004). 이것은 대안적인

중등이후 서비스 개발의 주요 목적의 하나가 동년배들과 대학에 다니는 경험이라는 것에 비추어 보

면 매우 실망스러운 결과이지만 역사적으로 발달장애인들이 분리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학점을 받

지 않는 수업에 등록해온 것과 같이 지난 30년 간 변화가 거의 없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

다(Neubert et al, 2001). 그러나 Neubert와 동료들(2004)의 지적처럼 대학에서 비장애학생들과 같이 수업

을 듣는 것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의 궁극적 목적은 아니다. 그렇다면 대학 내의

프로그램에 참여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에 대해 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질문을 통해

개별 장애학생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의 목적과 교수의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판별하는 것

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 후에 그 우선순위가 대학 내에서 최선으로 충족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질

문이 뒤따라야 한다(Neubert et al., 2004).

입학시험, 교수들의 태도, 적절한 지원이나 조정의 부족 그리고 경제적 지원을 받을 적격성의 불

충족 등이 장애학생들이 대학의 수업에 참여하는데 분명한 장벽으로 지적되고 있다(Grigal et al.,

2001). 이러한 대학 수업에서의 통합은 중고등학교에서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교수적 수정이나 일

반교사를 지원하는 보조 인력 및 교육계획에서의 협력 방안 등을 대학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장애학생이라도 부분적인 참여가 가능하며 개인의 욕구에 적절하게 교수내용이나 교수

방법이 수정된다면 비교적 원활하게 대학 수업에도 통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그 교육

적 성과가 비장애 대학생의 그것과 동일할 것을 목표로 하지는 않는다. 장애학생의 수업참여 지원을

위한 교수적 수정에서 유념해야 하는 것은 반드시 그들의 성인기 생활연령에 적합한 내용과 방법으

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박승희, 1999, 2004, 2010). 또한 이러한 교수적 수정은 그들을 교수하는

데 적용되는 것을 넘어서서 지역사회에서 장애인의 위상과 독립된 한 성인으로서 인정받는 것에 주

요한 영향을 미친다(박승희, 1997, 2004). 결국 이러한 여러 장벽들에도 불구하고 대학 캠퍼스를 선택

하는 이유는 장애학생 개인이 갖고 있는 교수에 대한 우선순위 및 통합에 대한 고려로 이해해 볼 수

있다. 즉, 대학 캠퍼스가 장애학생의 교육적인 선호에 비추어 보았을 때 개인에게 최선의 결과를 줄

수 있는가를 고려하여 진학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3) 직업훈련 관련 쟁점

직업훈련의 경우, 중등이후 교육과 서비스에서 강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많은 학생들이 지역사회

나 대학 캠퍼스의 유급 고용과 무급 직업훈련 상황 모두에 동시적으로 참여하고 있었고, 비교적 소수

Page 21: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63

의 프로그램만이 대학 캠퍼스를 훈련이나 고용 기회를 위한 장소로 활용하고 있었다(박승희, 2010;

Nerbert et al., 2004). 이러한 보고는 대학 내의 훈련 기회를 개발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

증이 될 수 있다. 또한 고용은 대학 캠퍼스에만 제한된 것이 아니며 학생의 직업적 관심을 충족시키

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환경일 수가 있다. 한편, 유급 고용과 무급 직업훈련 상황 모두에 동시에 참여

하고 있는 학생들의 경우에는 그 학생들이 무급 직업훈련에 참여하는 목적을 알아보아야 한다. 단순

한 탐색활동의 일환인지, 프로그램의 부분으로써 참여하는 것인가에 대한 판별이 필요하다. 이처럼

유사한 프로그램(혹은 실제 직장)과 훈련에 동시에 참여하는 것은 많은 경우 비생산적인 면이 있다.

이미 고용된 장애인의 훈련 참여로 다른 장애학생이 훈련의 기회를 박탈당할 수 있고, 이미 습득된

유사한 기술을 무의미하게 반복하여 훈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생산적인 중복을 감소시키고 프로그

램의 운영의 효율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학과 지역사회 내의 장애인 고용

기관 및 성인 서비스 기관들 간의 긴밀한 연락 체계가 수립되어야 한다.

4) 기관간 협력의 결여

장애학생들이 고등학교의 마지막 학년에서 미래에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지역사회의 성인 서비스

기관들이나 중등이후 교육기관들을 방문하거나, 기관의 담당자와 대화 시간을 갖는 등의 협력적인 활

동을 경험하게 하는 기관간의 협응이 부족하다는 것이다(Stodden & Whelley, 2004). Grigal 등(2001)의 연

구에 참여한 모든 교사들은 이러한 협력적인 관계에 의해서 학생들의 전환계획이 촉진되는 것을 보

고하였다. 학생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전에 교사는 인근의 지역사회에 어떠한 성인 서비스 기관들

이 있는지 탐색하고 그들과 긴밀하게 협력하면서 장애학생들의 졸업 후의 진학과 진로를 위한 전환

계획을 수립하고 함께 수행해나갈 때 보다 성공적인 중등이후 교육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5)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사후지도 및 문서화 결여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들에서 사후지도와 문서화(documentation)가 잘 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지적

되었다. 문서화가 요구되는 영역이기도 한 체계적 사후지도는 잘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지적되었으며,

소수의 교사들만이 사후지도의 문서화를 수행하고 있었고 그 효과성을 보고하였다(Grigal et al., 2001).

전환서비스의 제공에서는 평가, 사후지도, 성과 책무성이 언급되어야하고, 학교 체계는 이러한 정보의

수집 과정에서 업무 과중에 시달리는 교사들을 지원할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이러한 어려움

을 개선하기 위해서 교사가 전형적인 학교 일상에서 벗어나 일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 줄 수 있도

록 학교체계가 교사의 역할을 재구조화할 필요성도 있다(Nuebert et al., 2001).

6) 기타 쟁점

기타 관련 쟁점들로는 Stodden과 Whelley(2004)의 연구에서 지적된 가족이 선도적으로 수행하는 지

원의 영역, 중등이후 교육 환경, 정부기금 지원서비스 등의 문제들이 있다. 연구자들은 강력한 연방

정책인 IDEA(1997), 미국장애인복지법(ADA), 옴스테드 판례(Olmstead case)에도 불구하고 기관간 협력이

여전히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을 지적하면서 스텝들의 태도 역시 보다 지지적이고 문제해결적

Page 22: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64 특수교육학연구(제45권 제3호)

인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고등교육 기관에서 이용 가능하지 않은 서비스를 요구하는

학생들에 대한 지원의 문제, 지적장애 청년의 경우 장애인으로서의 자기정체성과 자신의 장애 특성과

요구에 대한 인식을 우선시해야 할 필요성, 지적장애 학생의 초기 자기옹호기술 학습과 장애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 등이 지적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에게 필요한 교수적 수정과 학생들의

권리를 보장하는 것, 학생들은 자신의 권리와 필요한 수정을 위해 협상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 등이

지적장애인과 발달장애인들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들로 지적되었다(Stodden &

Whelly, 2004).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미국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들과 실제 프로그램들을 살펴보았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지적

장애 및 발달장애 학생들이 고등학교 졸업 후 곧바로 직업 세계로 진입하는 것 이외에 다양한 선택

들이 부족한 점을 고려할 때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시급한 관심이 주어질 필요가 있다. 지

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 교육에 대한 개념 정립, 정책 수립,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가 긴

요한 가운데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에 대한 본격적 연구가 거의 전무한 현 국내 상황에서 본 연구가

제공하는 미국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자료의 유용성은 시의적으로 매우 높다고 생

각된다. 본 연구는 미국 대학 내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실태에 대한 구체적 자료를 처음으로 제

공하는 논문으로서 이 기초 자료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중도장애인의 중등이후 교육이 활성화되는 것

에 관심을 환기시키며 실제로 프로그램 개발이나 후속연구의 촉진제로 기여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

현재 특수교육대상자 대학입학 특별전형제도를 활용하여 많은 장애학생들이 대학교에 입학하여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제도를 통하여 대학 수학 능력에 많은 문제가 있는 지적

장애 및 발달장애 학생들이 아무런 적절한 개별화된 지원 없이 대학에 진학하여 발생하는 문제 또한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이 학생들을 위한 보다 적합한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은 특수교육의 중요한 당면 과제 중의 하나이다. 아래에서는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

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의 활성화를 위해 본 연구의 결과에서 도출된 여러

시사점들을 중심으로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중등이후 교육에 대한 기초 연구의 필요성을 지적할 수 있다.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

그램에의 참여는 고등학교 졸업 이후에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진로들 중의 하나이다. 통합 교육환경

으로써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모든 장애학생들을 위한 단일한 목표가 되어야만 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현재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은 활성화되어야 할 선택으로 보는 데

에는 별 이의가 없다. 본 연구의 연구자료로 사용되었던 중등이후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들 결과를

활용하여 국내의 잠재적인 프로그램 참여자의 요구 조사, 중등이후 교육에 대한 정책 수립, 중등이후

Page 23: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65

교육의 교육과정 및 구체적인 교수전략 개발 및 관련 중재 연구들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또한

중등이후 교육의 접근성을 방해하는 정책과 실제들에 대한 조사도 요구된다(Hart et al., 2004).

둘째, 다양한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과 학생들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에의

참여를 지원하는 것에 시급한 관심이 주어져야 한다. 우리나라의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의

경우 고등학교 졸업 직후 직업을 선택해야 하는 압박감에 놓이게 된다. 어떤 의미에서는 대다수의 비

장애 고등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것에 비하여 지적장애인이나 발달장애인은 성인기의 독립적인

생활에 대한 압력이 더 일찍 다가온다.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를 포함하는 중도장애 학생의 경우 고등

학교 교육 이후에 적절한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은 매우 소수이며, 특히 비직업적인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은 더더욱 드문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 중등 특수교육에서도 전환교육과 개별화전환교육계

획, 전환서비스가 강조되는 요즈음 고등학교를 졸업하는 중도장애 학생의 다양한 성인기 진로 선택이

가능해져야 한다. <표 1>에 나타난 전공과, 전문대학, 대학교 및 취업에 더하여 지적장애인 및 발달

장애인을 주요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이 활발히 개발되고 실시될 필요가 있

다. 또한 중등이후 교육의 주체가 정책적으로 결정이 되면 국립, 공립, 및 사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학생들의 이러한 프로그램에 참여 비용에 대한 문제가 논의되어야 한

다. 나아가, 학생들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에의 참여를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일단 참여한 프로그

램의 완수를 독려할 방안도 강구될 필요가 있다.

현재로는 특수학교에 함께 설치된 전공과 외에 고등학교를 졸업한 성인기 초기의 중도장애인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장애인서비스 관련 복지관의 직업훈련 프로그램이나 보호작업장, 복지관

에서 시도하는 소수의 지원고용 프로그램, 장애인공단의 소수의 시범 직업 및 고용 프로그램과 같은

직업관련 중등이후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중도장애인을 위한 비직업적인 중등이후 교육 프

로그램의 개발과 실시도 반드시 필요하다. 예를 들면, 성인기에 높은 삶의 질을 영위하며 최대한 독

립적이고 상호의존적인 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기술들에 대한 판별과 그것에 대한 지속적인 교수가

고등학교 교육 이후에도 필요하다(박승희, 2000, 2002, 2004; Hart et al., 2004). 즉, 장애인의 성인교육

및 평생교육이 최근에 주목을 받게 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성인기 초기의 통합된 환

경인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및 지방자체단체의 성인교육을 위한 평생교육원과 같은 기관(예: 박승희,

2004, 박현숙, 박미경, 2008)에서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을 시행하고 보완 및 수정의 과정을

통해 정착시켜나가는 것도 필요하다. 동시에 우리나라 전역의 대학교 및 전문대학교 환경을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실시 장소로 활용할 구체적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미국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실행에서 지적된 점들에 대한 세심한 점검과 고려가 필요

하며 우리나라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의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 시의

주의와 보완책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의 고려가 필요하다.

(1) 프로그램의 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의 교통 및 이동 문제와 동료 지원의 부족 등이 지

적되는 실행관련(logistical)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앞서 말한 자원봉사 업무를 체계화할 필요가 있

고 궁극적으로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실행과 관련하여 “자연적 지원”의 중요성과 필요성

및 활용방안에 대한 인식과 강조가 요구된다(박승희, 2010; 박승희, 홍정아, 2009; Dowrick, et al., 2005).

Page 24: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66 특수교육학연구(제45권 제3호)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에서 장애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과잉보호적인 태도를 지양하면서 지원적인

가족의 역할 수행과 그 예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동료의 역할, 이용 가능한

서비스와 옹호 및 지원에 대한 정보의 자원이 되는 다른 장애학생의 역할 수행으로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자연적 지원의 수준을 높이고 강화할 수 있다.

(2)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장애 성인들이 대학 수업에 통합되는 것에 대해

서는 학생 개개인의 궁극적인 중등이후의 목표와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통합 여부를 결정하고 필요한

경우 통합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대학 수업에의 통합이 필요한 장애학생들의 경우

에는, 보편적 설계, 협력적 계획, 동료 멘토링, 활동중심의 교수, 사전교육, 교수와 학습자가 반응하는

방식을 수정하는 등의 특수교육의 최선의 실제 방법으로 학업적 내용에 참여할 수 있고 의미 있는

학습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Blumberg, et al., 2008).

(3) 직업훈련의 경우에는 비생산적으로 중복되는 직업훈련 참여를 지양하여 유급 고용 및 무급

고용, 중등이후 프로그램 내 직업훈련과 프로그램 외의 개인적인 직업훈련에 중복 참여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중등이후 교육 기관과 장애성인들이 근무하는 직장 및

직업훈련 기관들 간의 긴밀한 협력체계가 갖추어져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한다.

(4) 기관간의 협력의 부족은 핵심적인 문제의 하나로서 보완 대책이 필요하다. 기관간 협력의 문

제는 고등학교에서 IEP에 졸업 이후에 받게 될 성인기관의 서비스 및 관련 성인 기관에 대한 정보들

을 포함시키고, 학교와 지속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고등학교 재학 기

간 동안에 장애학생들에게 직업현장에서 직접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고, 이

시기에 전 생애에 걸친 전환계획이 수립되고 그 과정에서 부모와 전문가, 관련 기관들의 협력적인 노

력과 함께 장애학생 개인의 선호와 능력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5) 현재 미국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들에서 부족한 점은 문서화와 사후지도의 결여이다. 중등이

후 교육 프로그램에서 문서화를 의무화하고 관리 감독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종료 후에 사후지도를 위한 지원 체계와 관리감독 체계가 교육청 차원에서 마련될 필요성이 있다.

(6)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관련된 가족 역량 강화, 재정 지원, 스텝들의 태도와 역량의

강화, 학생의 자기결정 및 자기옹호를 위한 교육, 학생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완수 촉진, 장애

성인의 평생교육 및 서비스 체제 구축과 이를 위한 전문 인력 양성 등이 기타 쟁점들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부분들에 대한 개선과 보완을 위한 대책들도 다차원적으로 강구되어야 한다.

끝으로, 최근 대학 수학 능력이 현저히 부족한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고교 졸업생들이 적절한 개

별화된 지원 없이 대학교 학위 프로그램에의 입학 증가 문제, 그 외 다른 장애학생들의 고등교육 관

련 여러 쟁점들에 대해서는 이 논문 외로 별도의 심도 있는 후속 연구들이 요구된다. 또한 현재 특수

학교 안에 있는 전공과의 대대적 개편,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과 성인교육

및 평생교육에 대한 개념 정립, 중등이후 교육의 교육과정 개발 연구, 정부의 중등이후 교육 제공에

대한 정책 수립 및 재원 조달, 정부의 장애인 교육 및 서비스 관련 부처 간의 협응, 중등이후 교육의

실행 주체 결정 및 관리감독 및 지원체계 수립 역시 주요 관건이다. 이러한 다양한 문제들은 현재 우

리나라 장애인, 특히 중도장애인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의 활성화를 위한 당면 과

Page 25: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67

제들로 지적할 수 있다.

참고문헌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2007).

교육과학기술부 (2010). 2010 특수교육통계.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김동원 (2005). 자원봉사지원 네트워크에 대한 참여 동기. 한국행정학보, 39(2), 159-180.

박승희 (1997). 중도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최선의 실제. 특수교육논총, 14(2). 1-28.

박승희 (1999).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적 수정의 개념과 실행 방안. 특

수교육학연구, 34(2), 39-71.

박승희 (2000). 장애인의 삶의 질 구성요소에 대한 타당화 연구. 재활복지, 4(2), 72-120.

박승희 (2002).한국 장애인의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37(2), 41-78.

박승희 (2004).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발달장애인을 위한 성인교육 프로그램의 개관 및 효과. 특수교육학연

구, 39(1), 39-75.

박승희 (2006). 중등특수교육의 정체성과 역할.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편, 2006년 동계연수교육:

중등특수교육의 최선의 실제(1).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박승희 (2010). 대학교 환경에서 지적장애인의 지원고용 프로그램의 내용과 절차 및 성과. 직업재활연구,

20(1), 93-127.

박승희, 박현숙, 박희찬 역 (2006). 장애청소년 전환교육. 서울: 시그마프레스.

박승희, 홍정아 (2009). 통합교육 환경에서 자연적 지원: 개념화와 적용에서의 쟁점. 특수교육학연구, 44(1),

49-83.

박현숙, 박미경 (2008). 지방자체단체의 정신지체 성인교육 프로그램 평가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2(4),

213-244.

홍정아 (1996). 생활연령에 적합한 활동선정이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

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백종인 (2007). 미국에서의 장애인교육권보호법제에 관한 고찰. 공법학연구, 8(3), 539-559.

Blumberg, R., Carroll, S., & Petroff, J. G. (2008). Career and community studio: An inclusive liberal arts programme

for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12(5-6), 621-637.

Brinckerhoff, L. C., Shaw, S. F., & McGuire, J. M. (1992). Promoting access, accomodations, and independence for

colleg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5, 417-429.

Calhoun, M. & Calhoun, L. (1993). Age-appropriate activities: Effects on the social perception of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28(2), 143-148.

Christ, T. (2008). Technology support services in postsecondary education: A mixed methods study. Technology and

Disability, 20, 25-35.

Page 26: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68 특수교육학연구(제45권 제3호)

Christ, T. W. & Stodden, R. (2005). Advantages of developing survey constructs when comparing educational supports

offer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postsecondary educations.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22, 23-31.

deBettencourt, L. U. (2002).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IDEA and Section 504.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34(3), 16-23.

Dowrick, P. W., Anderson, J., Heyer, K., & Acosta, J. (2005). Postsecondary education across the USA: experiences of

adult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22, 41-47.

Getzel, E. E. (2008). Addressing the persistence and reten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igher education:

incorporating key strategies and supports on campus. Exceptionality, 16, 207-219.

Gilmore, D. S., & Bose, J. (2005). Trends in postsecondary education: participation with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ystem.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22, 33-40.

Grigal, M., Neubert, D. A., & Moon, M. S. (2001). Public school programs for students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in

postsecondary settings.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36(3), 244-254.

Grigal, M., Neubert, D. A., & Moon, M. S. (2002). Postsecondary options for students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35(2), 68-73.

Grigal, M., Dwyre, A., & Davis, H. (2006). Transition services for students aged 18-21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college and community settings: models and implications of success. National Center on Secondary Education and

Transition Information Brief, 5(5), 1-5.

Hall, M., Kleinert, H. L., & Kearns, F. J. (2000). Going to college! Post-secondary programs for students with

moderate and severe disabilities,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32(3), 58-65.

Halpern, A., Yovanoff, P., Doren, B., & Benz, M. R. (1995). Predicting participation in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chool leavers with disabilities. Exceptional Children, 62, 151-164.

Hart, D., Mele-McCarthy, J., Pasternack, R. H., Zimbrich, K., & Parker, D. R. (2004). Community college: a

pathway to success for youth with learning cognitive,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econdary settings. Educational

and Training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9(1), 54-66.

Hart, D., Zimbrich, K., & Ghiloni, C. (2001). Interagency partnerships and funding: individual supports for youth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as they more into postsecondary education and employment options. Journal of

Vacational Rehabilitation, 16, 145-154.

Madaus, J. W., & Shaw, S. F. (2004). Section 504: differences in the regulation for secondary and postsecondary

education. Intervention in School and Clinic, 40(2), 81-87.

Madaus, J. W. & Shaw, S. F. (2006). Disability services in postsecondary education: Impact of IDEA 2004. Journal of

Developmental Education, 30(1), 12-21.

Mirfin-Veitch, B. (2003). Education for adults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including transition to adulthood): Review

of the literature prepared for the National Advisory Committee on Health and Disability to inform its project on

service for adults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Donald Beasley Institute.

Neubert, D. A., Moon, M. S., Grigal, M., & Redd, V. (2001). Postsecondary educational practices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other significant disabiliti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age 27: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69

16, 155-168.

Neubert, D. A., Moon, M. S., & Grigal, M. (2002). Post-secondary education and transition services for students ages

18-21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Focus on Exceptional Children, 34(8), 1-9.

Neubert, D. A., Moon, M. S., & Grigal, M. (2004). Activities of students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receiving services

in postsecondary settings. Education and Training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9(1), 16-25.

Neubert, D. A., & Moon, M. S. (2006). Postsecondary settings and transition servic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odels and research. Focus on Exceptional Children, 39(4), 1-7.

Parker, D. R., Shaw, S. F., & McGuire, J. M. (2003). Program evaluation for postsecondary disability services. Journal

of Developmental Education, 27(1), 2-10.

Shaw, S. F. (2009). Transition to postsecondary education. Focus on Exceptional Children, 42(2), 1-16.

Shaw, S. F., & Dukes, L. L. (2005). Performance indicators for postsecondary disability services. Journal of Developmental

Education, 29(2), 10-19.

Shaw, S. F., Madaus, J. W., & Banerjee, M. (2009). 20 Ways to enhance access to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tervention in School and Clinic, 44(3), 185-190.

Sitlington, P. L. (2003). Postsecondary education: The other transition. Exceptionality, 11(2), 103-113.

Stodden, R. A., & Conway, M. A. (2003). Supporti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postsecondary education. American

Rehabilitation, Autumn, 24-33.

Stodden, R. A., & Dowrick, P. W. (1999/2000). Postsecondary education and employment of adult with disabilities.

American Rehabilitation, 25(4), 19-23.

Stodden, R. A., & Whelley, T. (2004). Postsecondary education and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

introduction. Educational and Training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9(1), 6-15.

Stodden, R.., Whellley, T., Chang, C., & Harding, T. C. (2001).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support provision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postsecondary education.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16, 189-198.

Stodden, R. A., Robert, K. D., Picklesimer, T., Jacjson, D., & Chang, C. (2006). An analysis of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and services offered in postsecondary educational institutions.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24,

111-120.

Tagayuna, A., Stodden, A., Chang, C., Zeleznick, M. E., & Whelley, T. A. (2005). A two-year comparison of support

provis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postsecondary education.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22, 3-21.

VanBergeijk, E., Klin, A., & Volkmar, F. (2008). Supporting more able students on the autism spectrum: College and

beyond.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 38. 1359-1370.

Weir, C. (2004). Person-centered and collaborative supports for college success. Education and Training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9(1), 67-73.

Wilson, K., Getzel, E., & Brown, T. (2000). Enhancing the postsecondary campus climat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14, 37-50.

Yuen, J. W. L., & Shaughnessy, B. (2001). Cultural empowerment: Tools to engage and retain postsecond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16. 199-207.

Page 28: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70 특수교육학연구(제45권 제3호)

http://www.transitioncoalition.org

http://www.education.umd.edu/oco

http://www.kornu.ac.kr/

http://cms.kornu.ac.kr/dri/

Page 29: lib2.ewha.ac.krlib2.ewha.ac.kr/ref/jijung/text/지적장애인 및... · 2016-08-10 ·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3호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10, Vol. 45, No.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71

Abstract

A Review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for Person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ross Colleges in the USA

Kim, Eunha*․ Park, Seunghee

**

This study is a literature and program review study on post-secondary education for person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wo types of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include peer-reviewed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2009, on the post-secondary education for person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which are currently implemented throughout colleges in the USA. 32

articles and 23 different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in colleg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re-determined

criteria for the review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post-secondary education articles were categorized into 5

distinct themes; the overview of post-secondary education and programs, post-secondary education related laws,

the transition into the post-secondary education, the supports provided in post-secondary settings, and other

post-secondary education related issues. The models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were classified into

3 different models including substantially separate model, mixed program model, and inclusive and individual

support model. The operation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was analyzed with 6 aspects including

settings, staffs, funding, referral and practice for enrollment, program components and program evaluation. An

overview of 23 different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in colleges was summarized. Issue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in colleges constitute logistical issues, inclusion in

college classes, job training issues, lack of interagency collaboration, lack of follow-up and documentation and

other issues. Finally, some suggestions for the advancement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for person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were provided.

Key words : post-secondary education,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in colleges, transition education,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person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은하(제1저자)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박사과정.

** 박승희(교신저자) :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게재신청일 : 2010. 10. 5.

수정제출일 : 2010. 11. 26.

게재확정일 : 2010.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