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um I - klca.or.kr삼성미술관 Leeum 소장품으로 통일신라 統~新羅754~755) 매...

3
삼성미술관 Leeum 소장품으로 통일신라 統~新羅754~755) 매 만들어진 {대방광불화엄경 번상도)이다. 황통사의 승려인 연기법사(緣起法師)가 발원 하여 만든 것으로 우리나라 사경변상도의 초기 모습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고급 종이인 자색 종이의 표지에는 연꽃과 당초 무늬로 신중(神衆)들이 그려지고, 번상도로 추정되는 부분에는 전각(殿閣)과 보살상이 그려졌다. 특허 사경변상도에 보이는 불 • 보살의 살핀 듯한 얼굴과 역동적인 선묘는 당나라 의 영향이 엿보여 당시 국제교류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이 사경에는 다음과 같은 발원문이 남아 있다. “내 이제 서원하노니 미래세 다하도록 필사한 이 경전 파손되지 않기를 설사 삼재(三災)로 대천 세게 파괴 된다 할지라도 이 사경 허공마냥 파괴되어 흩어지지 말지어다. 만약 중생이 이 경을 통해 부처님 보 I 읍고 법문 들으며 사리 받들어 보리심을 발하여 물러서 지 않고 보현(普賢)의 행원 닦아 곧 성불하게 되리라; 발원문에는 파손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랬지만 1,200년의 넘는 세월 속에서 일부분만 남고 역사 속으로 사라져버렸다.

Transcript of Leeum I - klca.or.kr삼성미술관 Leeum 소장품으로 통일신라 統~新羅754~755) 매...

Page 1: Leeum I - klca.or.kr삼성미술관 Leeum 소장품으로 통일신라 統~新羅754~755) 매 만들어진 {대방광불화엄경 번상도)이다. 황통사의 승려인 연기법사(緣起法師)가

삼성미술관 Leeum 소장품으로 통일신라 統~新羅754~755) 매 만들어진 {대방광불화엄경 번상도)이다. 황통사의 승려인 연기법사(緣起法師)가 발원

하여 만든 것으로 우리나라 사경변상도의 초기 모습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고급 종이인 자색 종이의 표지에는 연꽃과 당초 무늬로 신중(神衆)들이

그려지고, 번상도로 추정되는 부분에는 전각(殿閣)과 보살상이 그려졌다. 특허 사경변상도에 보이는 불 • 보살의 살핀 듯한 얼굴과 역동적인 선묘는 당나라

의 영향이 엿보여 당시 국제교류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이 사경에는 다음과 같은 발원문이 남아 있다. “내 이제 서원하노니 미래세 다하도록 필사한 이 경전 파손되지 않기를 설사 삼재(三災)로 대천 세게 파괴

된다 할지라도 이 사경 허공마냥 파괴되어 흩어지지 말지어다. 만약 중생이 이 경을 통해 부처님 보I읍고 법문 들으며 사리 받들어 보리심을 발하여 물러서

지 않고 보현(普賢)의 행원 닦아 곧 성불하게 되리라;

발원문에는 파손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랬지만 1,200년의 넘는 세월 속에서 일부분만 남고 역사 속으로 사라져버렸다.

Page 2: Leeum I - klca.or.kr삼성미술관 Leeum 소장품으로 통일신라 統~新羅754~755) 매 만들어진 {대방광불화엄경 번상도)이다. 황통사의 승려인 연기법사(緣起法師)가

아름다운 문화유산 사경번상도(寫經變相圖)

고려 예술 의 극 치 틀 보 여 준 사 경 변 상 도 (寫 經 變 相 圖 )

사 경 (寫 經 )은 불 교 경 전 을 손 으 로 베껴 쓰 는 행위 또 는

베껴 쓴 경 전 을 말 하 며 , 경 전 을 유 포 하 거 나 불 자 가 공 덕 을

쌓고 부처 의 마 옴 을 내면화하 기 위 한 수 행 의 한 수 단 으 로

제작되 었다. 사경 의 글 씨 는 금 선 이 나 은 선 으 로 가 늘게 선

을 그어 칸 을 나 눈 다 옴 금 • 은 으 로 썼 으 며 , 앞 부 분 에 는

불 교 경전의 내 용 을 압축하여 그 린 변 상 도 (變 相 圖 )가 있

다. 겉 표 지 에 는 보 상 녕 쿨 무 늬 를 그려 화 려 하 게 장 식 하 고

표지 의 가 운 데 에 는 경전의 이 룸 과 권 수 (卷 數 )룰 표 기 한 것

이 우 리 나 라 사 경 의 일 반 적인 형 식 이 다 . 사 경 은 크 게 두 루

마리 형 태 로 된 권 자 본 (卷 子 本 )과 , 접 는 형 식 으 로 된 절첩

본 (折 帖 本 )으 로 구 분 된 다 . 재 질 은 고 급 종 이 인 감 색 종 이 가

많이 쓰 이 며 , 같 색 종 이 나 흰 종 이 도 쓰 였 다 .

사경 의 제 작 은 부 처 님 의 말 씀 을 옮 기 는 신 성 한 신 앙 행

위 로 그 제 작 과 정 에 서 엄 격 한 절 차 와 의 식 을 따 랐 다 . 사경

의 제 작 과정 및 의식 에 대 헤 서 는 8세기 중 엽 에 만 들 어 진

『대 방 광 불 화 엄 경 大 方 廣 佛 華 嚴 經 )』 754~755)의 발 원 문 을

통헤 알 수 있다. 종 이 를 만들기 위하여 닥 나 무 를 키 울 때

부터 뿌 리 에 향 수 (香 水 )룰 뿌 리 고 , 제 작 에 참 여 하 는 모 든

사 람 은 보 살 계 를 받 아 야 했 으 며, 글 씨 를 쓰 거 나 그 림 을 그

리 는 사 람 은 대 소 변 을 보 거 나 자 고 일 어 난 후, 식 사 후에

반드시 향 수 로 목 욕 을 헤 야 했 다 . 사 경 을 할 때 는 , 향 을 퍼

우 고 한 글자 씩 쏠 때 마 다 부 처 와 보 살 에 게 절 을 하면서

지 극 정 성 으 로 글 씨 를 썼다. 마 지 막 으 로 두 루 마 리 로 된 경

전의 측 끝 부 분 인 경심(經心) 안에 한 알의 사 리 를 넣어 완

성하 였다 .

이 와 같이 사경 의 제 작 에 는 사 경 에 펄 요 한 종 이 의 재 료

가 되 는 나 무 를 가 꾸 는 데에서부터 완 성 에 이르기까지 온

갖 정 성 을 기 울 였 다 . 이렇게 여러 과 정 을 거쳐 지 극 정 성 으

로 만 들 어 진 사 경 은 삼 보 (三 寶 : 佛(불) • 법(法) • 승(僧)) 가

운 데 법 보 (法 *)로 서 중 요 하 게 여겨 졌다 . 최고의 소 재 로

제 작 한 경 함 (經 ® 과 경 갑 (經 ® , 사 경 보 (寫 經 褓 ) 등에 넣

어 보 관 하 였 다 . 또 한 부 처 와 동 일 한 의 머 를 갖 고 있는 밥

(塔 )이 나 불 상 의 복 장 품 腹 臟 品 )으 로 넣 기 도 하 였 다 . 밥 안

에 넣 은 사경 중 대표적 인 예 로 는 개성 남 계 원 (南 溪 院 ) 석

밥에 서 출 토 된 염 승 억 廉 承 益 ) 발 원 『묘 법 연 화 경 (妙 法 « 華

經)』 1283년)이 있다. 불 상 의 복장품으 -사 경 으 로 는

안성 청 원 사 {淸 源 寺 ) 불 상 에 서 나 온 동 국 대 학 교 박 물 관 소

장 『대 방 광 불 화 엄 경 大 方 廣 佛 華 嚴 經 )』 1324년)이 있다.

사 경 은 발원 의 주 체 와 시 대 에 따 라 제 작 목적 이 달 라 진

다. 국 왕 이 나 왕 실 발원 에 의 한 것 인지, 개인이 발 원 한 것

인지에 따 라 염 원 하 는 바 가 다 르 다 . 국 왕 발 원 사 경 은 대

부 분 『대 장 경 』으 로 , 외적의 침 입 과 내 란 을 불교 의 진 리 로

써 진압(鎭壓)하여 나 라 를 수 호 한 다 는 호 국 의 염원이 담겨

있다. 개 인 발 원 사 경 은 중 앙 관 료 나 지 방 호 족 층 을 중심

으 로 돌 아 가 신 부 모 와 남편, 또 는 부 인 의 극 락 왕 생 (極 월 往

生 )이 나 현 세 에 서 의 수명 연 장 을 바 라 는 경 우 가 많다.

우 리 나 라 에 서 사 경 은 불 교 가 전 래 된 삼 국 시 대 (BC. 5 7 -

AD, 668)부터 시 작 했으 며 현 존 하 는 가 장 오 래 된 사 경 과

사 경 변 상 도 로 는 통 일 신 라 시 대 (668-935)에 제 작 된 국 보

196호 <대 방 광 불 화 엄 경 ><사 진 1>이 남 아 있 다 . 사 경의 절

정 기 는 고 려 시 대 (918-1392)로 많 은 수 가 왕 실 귀족들의

특 별 주 문 에 의헤, 사경 전 문 기 관 에 서 제 작 되 었 다 . 고려시

대의 사 경 과 변 상 도 는 금 이 나 은 으 로 글 씨 를 쓰 고 정 교 한

선 묘 법 으 로 그 려 겨 , 그 화 려 함 과 세 련 머 는 아 시아의 불 교

한국상장회사협 의회 . 13

Page 3: Leeum I - klca.or.kr삼성미술관 Leeum 소장품으로 통일신라 統~新羅754~755) 매 만들어진 {대방광불화엄경 번상도)이다. 황통사의 승려인 연기법사(緣起法師)가

아름다운 문화유산 사경번상도(寫經變相圖)

고려 후기인 1340년에 만들어져 1357년에 일본 천만궁(天iS宮)으로 전해졌으나 현재는 일본 나베시마 보효에 소장되어 었 는 『요법연화경』 사경변상도

어다. 감지종어에 금으로 번상도를 정교하게 그린 것으로 화면 오른쪽에 석가모니 부처의 설법장면을, 화면 왼쪽에는 경전의 내용을 함축하여 그림으로 표

현했다. 세련되고 늘씬한 인물 표현, 정교하고 현란한 무늬들, 세밀하면서도 단정한 필선 등에서 14세기에 유행했던 사경변상도의 톡징을 엿 ■ ■었다.

권에서 타의 ^ 하 는 수 준 에 이 르 렸 다 .『고 려 사 』

는 중 국 원 나 라 황 실 로 부 터 고 려 사 경 의 요 구 가 쇄 도 하 였

고 심지어 고려 사 경 승 (寫 經 僧 )들 을 원 나 라 황 실 에 서 대거

요 청 하 였 다 고 기 록 하 고 있다. 세 계 머 술 사 적 인 관 점 에 보

면, 고 려 시 대 의 사 경 과 사 경 변 상 도 는 그 예 술 성 에 있어 이

슬 람 문 화 의 세 밀 화 에 견 즐 만 하 다 고 볼 수 있다.

조 선 시 대 에 는 고 려 시 대 의 사경 제 작 전 문 기 관 인 사경

원(寫經院)의 조 직 을 측 소 하 여 사 경 소 (寫 經 所 )룰 설치 • 운

영하였다. 초 기 에 는 왕 실 의 후 원 아래 사경 의 전통이 이어

졌 으 나 점 차 고 급 종 이 인 감 색 보 다 는 흰 종 이 가 많이 이 용

되 었 고 표 지 의 장 엄 도 단 순 헤 졌 다 . 조 선 중 기 부 터 는 쇠퇴

의 길 로 들 어 서 게 되 었 고 점 차 목 판 인 쇄 본 으 로 대 체 되 면

서 그 빛 을 잃게 되 었다.

이 와 같이 고 려 시 대 에 크 게 유 행 하 여 고려 청 자 와 함께

찬 란 한 예 술 성 을 지닌 사 경 변 상 도 는 우 리 나 라 뿐 만 아 니 라

동 아 시 아 에 서 도 가 장 뛰 어 난 것 으 로 알 려 지 고 있다. 그러

나 현 재 는 완 전히 단 절 되 었 으 면 많 은 작 품 들 이 일 본 으로

유 출 되 었 다 .

국 립 중 앙 박 물 관 에 서 는 지 난 7월 23일부터 9월 16일까

지 국 • 내외에 소 재 한 사 경 변 상 도 를 한 자 리 에 모 아 전시

룰 하 고 있다. 이번 전 시 는 우 리 나 라 최 초 로 기 획 된 <사경

변 상 도 ) 특 별 전 으 로 국 보 급 문 화재 100여점이다. 사 경 변

상 도 는 보 존 과 관리 의 특 성 상 일 반 인 들 뿐 만 아 니 라 관 련

을 쉽게 접 할 수 없어 연구에 많 은 제 한학 자 들 조 차 도 실

이 따 르 는 분 야 이 기 도 하다. 이 러 한 특 수 성 을 지닌 우 리 나

라 사 경 변 상 도 를 비롯하여 고 려 시 대 에 제 작 되어 일본의

사 찰 과 국 립 박 물 관 에 소 장 되 어 있는 40여점의 문 화 재 도

함 께 전 시 되 고 이 가 운 데 에 14점 은 국 내 에서 처 옴 으 로 공

개되어 불 교 계 와 학 계 에 비 상 한 관 심 을 불 러 일 으 키 고 있

다. 특 히 , 이번 전시에 리 옴 미 술 관 소 장 국 보 제 196호 <대

방 광 불 화 엄 경 )을 비롯하여 국 보 7점, 보 물 17점, 일본의 중

요 문 화 재 2점 등 지 정 문 화 재 만 도 무려 26점 이 나 전시되어

사경 국 보 전 이 라 할 수 있다. 직접 - 사 경 변 상 도 를 한

점 한점 확 인 하 면 서 찬 란 한 불 교 문 화 를 화 려 하 게 꽃 피 웠

던 고 려 시대 사 람 들 을 만 나 이야기 할 수 있을 것이다. 0

최 선 주 국립중앙박물관학예연구관

14 • 상장 2007. 8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