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52
JEUS Node Manager 안내서 JEUS v7.0 Fix#1 Copyright © 2013 TmaxSoft Co., Ltd. All Rights Reserved.

Transcript of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Page 1: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JEUS

Node Manager 안내서

JEUS v7.0 Fix#1

Copyright © 2013 TmaxSoft Co., Ltd. All Rights Reserved.

Page 2: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Copyright Notice

Copyright © 2013 TmaxSoft Co., Ltd. All Rights Reserved.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272-6 우) 463-824

Restricted Rights Legend

All TmaxSoft Software (JEUS®) and documents are protected by copyright laws and international convention.

TmaxSoft software and documents are made available under the terms of the TmaxSoft License Agreement and

may only be used or copied in accordance with the terms of this agreement. No part of this document may be

transmitted, copied, deployed, or reproduced in any form or by any means, electronic, mechanical, or optical,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TmaxSoft Co., Ltd.

이 소프트웨어(JEUS®) 사용설명서의 내용과 프로그램은 저작권법과 국제 조약에 의해서 보호받고 있습니다. 사

용설명서의 내용과 여기에 설명된 프로그램은 TmaxSoft Co., Ltd.와의 사용권 계약 하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사

용권 계약을 준수하는 경우에만 사용 또는 복제할 수 있습니다. 이 사용설명서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TmaxSoft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전자, 기계, 녹음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전송, 복제, 배포, 2차적 저작물작성 등의 행위를 하여

서는 안 됩니다.

Trademarks

JEUS® is registered trademark of TmaxSoft Co., Ltd. Other products, titles or services may be registered trademarks

of their respective companies.

JEUS®는 TmaxSoft Co., Ltd.의 등록 상표입니다. 기타 모든 제품들과 회사 이름은 각각 해당 소유주의 상표로서

참조용으로만 사용됩니다.

Open Source Software Notice

Some modules or files of this product are subject to the terms of the following licenses. : APACHE2.0, CDDL1.0,

EDL1.0, OPEN SYMPHONY SOFTWARE1.1, TRILEAD-SSH2, Bouncy Castle, BSD, MIT, SIL OPEN FONT1.1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license can be found in the following directory : ${INSTALL_PATH}/lib/licenses

본 제품의 일부 파일 또는 모듈은 다음의 라이선스를 준수합니다. : APACHE2.0, CDDL1.0, EDL1.0, OPEN SYM

PHONY SOFTWARE1.1, TRILEAD-SSH2, Bouncy Castle, BSD, MIT, SIL OPEN FONT1.1

관련 상세한 정보는 제품의 다음의 디렉터리에 기재된 사항을 참고해 주십시오. : ${INSTALL_PATH}/lib/licenses

안내서 정보

안내서 제목: JEUS Node Manager 안내서

발행일: 2013-04-30

소프트웨어 버전: JEUS v7.0 Fix#1

안내서 버전: v2.1.2

Page 3: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내용 목차

안내서에 대하여 .......................................................................................................................... vii

제1장 소개 ................................................................................................................................. 1

1.1. 개요 ............................................................................................................................ 1

1.1.1. 개념 .................................................................................................................. 1

1.1.2. 목적 .................................................................................................................. 2

1.1.3. 종류 .................................................................................................................. 2

1.1.4. 제약 사항 .......................................................................................................... 3

1.2. 타입별 노드 매니저 설정 ............................................................................................... 3

1.3. 공통 기능 ..................................................................................................................... 4

제2장 Java 타입 노드 매니저 ....................................................................................................... 7

2.1. 개요 ............................................................................................................................ 7

2.2. 기능별 동작 방식 .......................................................................................................... 7

2.2.1. 원격 머신에 있는 ManagedServer 기동 ............................................................... 7

2.2.2. 서버 모니터링 ................................................................................................... 8

2.2.3. 비정상 상태의 서버 재기동 ................................................................................. 9

2.2.4. Rolling Patch ................................................................................................... 10

2.2.5. DAS와 연결 ..................................................................................................... 11

2.3. 환경설정 .................................................................................................................... 11

2.3.1. 설정 파일 ........................................................................................................ 11

2.3.2. 필수 파일 ........................................................................................................ 13

2.4. 노드 설정 및 삭제 ....................................................................................................... 14

2.4.1. Java 타입 노드 설정 ......................................................................................... 14

2.4.2. Java 타입 노드 삭제 ......................................................................................... 17

2.5. 노드 매니저 시작 및 종료 ............................................................................................ 19

2.6.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를 통한 서버 제어 ...................................................................... 21

2.7. 로그 파일 ................................................................................................................... 25

제3장 SSH 타입 노드 매니저 ..................................................................................................... 27

3.1. 개요 ........................................................................................................................... 27

3.2. 환경설정 .................................................................................................................... 27

3.2.1. SSH 설정 ........................................................................................................ 27

3.3. 노드 설정 및 삭제 ....................................................................................................... 29

3.3.1. SSH 타입 노드 설정 ......................................................................................... 29

3.3.2. SSH 타입 노드 삭제 ......................................................................................... 38

색인 ............................................................................................................................................ 39

JEUS iii

Page 4: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Page 5: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그림 목차

[그림 1.1] JEUS와 도메인, 노드 매니저의 관계 ............................................................................. 1

[그림 1.2] 타입별 노드 매니저 설정 .............................................................................................. 4

[그림 2.1] 노드 매니저에서 원격 머신의 서버 기동 ......................................................................... 7

[그림 2.2] Java 타입 노드 매니저에서 서버 모니터링 ..................................................................... 8

[그림 2.3] Java 타입 노드 매니저의 서버 재기동 ............................................................................ 9

[그림 2.4] Java 타입 노드 설정 (1) .............................................................................................. 15

[그림 2.5] Java 타입 노드 설정 (2) .............................................................................................. 15

[그림 2.6] Java 타입 노드 설정 (3) .............................................................................................. 16

[그림 2.7] Java 타입 노드 설정 (4) .............................................................................................. 17

[그림 2.8] Java 타입 노드 삭제 (1) .............................................................................................. 18

[그림 2.9] Java 타입 노드 삭제 (2) .............................................................................................. 18

[그림 2.10] Java 타입 노드 삭제 (3) ............................................................................................ 18

[그림 2.11] WebAdmin을 통한 서버 기동 (1) ................................................................................ 21

[그림 2.12] WebAdmin을 통한 서버 기동 (2) ................................................................................ 22

[그림 2.13] WebAdmin을 통한 서버 기동 (3) ................................................................................ 22

[그림 3.1] 원격 노드로의 SSH 접속 ............................................................................................ 28

[그림 3.2] SSH 타입 노드 설정 (1) .............................................................................................. 30

[그림 3.3] SSH 타입 노드 설정 (2) .............................................................................................. 30

[그림 3.4] SSH 타입 노드 설정 (3) .............................................................................................. 31

[그림 3.5] SSH 타입 노드 설정 (4) .............................................................................................. 32

[그림 3.6] SSH 타입 노드 설정 (5) .............................................................................................. 32

[그림 3.7] SSH 타입 노드 설정 (6) .............................................................................................. 33

[그림 3.8] SSH 타입 노드 설정 (7) .............................................................................................. 33

[그림 3.9] SSH 타입 노드 설정 (8) .............................................................................................. 34

[그림 3.10] SSH 타입 노드 설정 (9) ............................................................................................ 34

JEUS v

Page 6: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Page 7: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안내서에 대하여

안내서의 대상

본 안내서는 노드 매니저의 구조와 구성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다룬다. JEUS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

안내서의 전제 조건

본 안내서는 노드 매니저의 개념과 동작 방식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메인

을 설정하거나 제어하려면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안내서를 원활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 JEUS 사용 환경 및 JEUS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 ("JEUS 소개" 참고)

● JEUS 서버의 구동 방법 ("JEUS 설치 및 시작하기" 참고)

안내서의 제한 조건

본 안내서는 제품 특성상 언급되는 Java EE나 Java 스펙에 대해서 자세히 다루지 않는다. 따라서 해당 내

용은 Java 관련 문서를 참고한다.

안내서에 대하여 vii

Page 8: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안내서 구성

본 안내서는 총 3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제1장 소개”

노드 매니저의 개념, 목적, 종류 등의 기본적인 사항과 2가지 타입의 노드 매니저의 공통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 “제2장 Java 타입 노드 매니저”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 방법과 동작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 “제3장 SSH 타입 노드 매니저”

SSH 타입 노드 매니저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viii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9: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안내서 규약

의미표기

프로그램 소스 코드의 파일명<<AaBbCc123>>

Ctrl과 C를 동시에 누름<Ctrl>+C

GUI의 버튼 또는 메뉴 이름[Button]

강조진하게

다른 관련 안내서 또는 안내서 내의 다른 장 및 절 언급" "(따옴표)

화면 UI에서 입력 항목에 대한 설명'입력항목'

메일계정, 웹 사이트하이퍼링크

메뉴의 진행 순서>

하위 디렉터리 또는 파일 있음+----

하위 디렉터리 또는 파일 없음|----

참고 또는 주의사항참고

주의할 사항주의

그림 이름[그림 1.1]

표 이름[표 1.1]

Java 코드, XML 문서AaBbCc123

옵션 파라미터[ command argument ]

‘<’와 ‘>’ 사이의 내용이 실제 값으로 변경됨< xyz >

선택 사항. 예) A|B: A나 B 중 하나|

파라미터 등이 반복되어서 나옴…

안내서에 대하여 ix

Page 10: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시스템 사용 환경

본 안내서의 모든 예제와 환경 구성은 UNIX의 스타일에 준하여 작성되어 Microsoft Windows™(이하

Windows)와 같이 다른 환경에서 작업하는 경우 몇 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경로 구분자의 경우 UNIX 스타일인 “/” 를 Windows 스타일인 “\”로 바꿔서 사용한다. 또한 환경

변수도 Windows 스타일로 변경해서 사용하면 된다.

문서의 내용은 Java 표준을 고려해서 작성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내용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관련 안내서

설명안내서

JEUS 서버에 대한 설명과 시스템 관리를 위한 방법을 기술한 안내서

이다.

JEUS Server 안내서

JEUS의 웹 관리 툴인 WebAdmin을 사용한 JEUS의 설정 및 제어, 모

니터링, 클러스터링, 리소스 설정 및 관리에 대해 기술한 안내서이다.

JEUS WebAdmin 안내서

JEUS에 대한 소개와 설치 및 시작 방법에 대해 기술한 안내서이다.JEUS 설치 및 시작하기

JEUS를 사용할 때 도움이 되는 Reference를 기술한 안내서이다.JEUS Reference Book

x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11: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연락처

Korea

TmaxSoft Co., Ltd

272-6, Seohyeon-dong, Bundang-gu,

Seongnam-si, Gyeonggi-do, 463-824

South Korea

Tel: +82-31-8018-1000

Fax: +82-31-8018-1115

Email: [email protected]

Web (Korean): http://www.tmax.co.kr

기술지원: http://technet.tmaxsoft.com

USA

TmaxSoft, Inc.

560 Sylvan Avenue Englewood Cliffs, NJ 07632

U.S.A

Tel: +1-201-567-8266

Fax: +1-201-567-7339

Email: [email protected]

Web (English): http://www.tmaxsoft.com

Japan

TmaxSoft Japan Co., Ltd.

5F Sanko Bldg, 3-12-16 Mita, Minato-Ku, Tokyo, 108-0073

Japan

Tel: +81-3-5765-2550

Fax: +81-3-5765-2567

Email: [email protected]

Web (Japanese): http://www.tmaxsoft.co.jp

안내서에 대하여 xi

Page 12: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China

TmaxSoft China Co., Ltd.

Beijing Silver Tower, RM 1508, 2# North Rd Dong San Huan,

Chaoyang District, Beijing, China, 100027

China

Tel: +86-10-6410-6145~8

Fax: +86-10-6410-6144

Email: [email protected]

Web (Chinese): http://www.tmaxsoft.com.cn

xii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13: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제1장 소개

본 장에서는 노드 매니저의 개념, 목적, 종류 등의 기본적인 사항과 2가지 타입 노드 매니저의 공통 기능

에 대해서 설명한다.

1.1. 개요본 절에서는 노드 매니저의 기본 개념, 목적, 종류, 노드 매니저를 구성할 때의 제약사항 등 기본적인 사항

에 대해 설명한다.

1.1.1. 개념

도메인 환경에서는 도메인을 구성하는 서버들이 여러 머신에 존재할 수 있고 하나의 머신에 여러 도메인

이 존재할 수도 있다. 하나의 머신에는 하나의 JEUS가 설치되고, 설치된 JEUS에 하나의 노드 매니저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도메인에 국한되지 않고 하나의 머신에서 서버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주체가 노드 매니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서버

들을 시작, 종료, 재기동해서 서버가 정상 상태로 서비스할 수 있게 한다. 노드 매니저는 JEUS마다 하나

씩 존재한다.

서버가 실제 실행되는 머신에 설치된 JEUS를 노드(Node)라고 정의한다. 노드는 해당 머신의 주소, JEUS

설치 디렉터리 경로 등의 정보로 유일한 노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은 노드(머신에 설치된 JEUS)와 도메인, 노드 매니저의 관계를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 1.1] JEUS와 도메인, 노드 매니저의 관계

Node1

Node Manager

Node2

Domain1DAS

Node Manager

MS1 MS2

Domain2DAS MS1

제1장 소개 1

Page 14: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1.1.2. 목적

노드 매니저의 주요 목적은 하나의 노드에서 동작하는 서버 프로세스들을 관리하는 것이다.

노드 매니저는 Domain Administration Server(이하 DAS)와 다른 원격 머신에서 동작하는 서버를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서버가 비정상 종료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비정상 상태가 되었을 때 서버를 재기동할 수

있다. 서버가 갑자기 다운된 경우에는 DAS가 GMS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재시작하는 기능을 제

공하고 있다.

노드당 하나의 인스턴스가 존재하고, 서버에 적용할 patch 파일을 전달받아서 적용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노드 매니저를 통해 DAS에 의해 관리되는 서버를 콘솔 툴(jeusadmin)의 start-server 명령이나 JEUS We

bAdmin(이하 WebAdmin)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다.

참고

노드 매니저는 부가적인 기능이므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서버가 서비스하는 데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도메인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 노드 매니저의 사용을 권장한다.

1.1.3. 종류

JEUS에서 제공하는 노드 매니저는 다음과 같이 2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 Java 타입 노드 매니저

Java로 구현된 노드 매니저로 OS에 상관없이 실행될 수 있다.

DAS와 다른 노드에 존재하는 Managed Server(이하 MS)를 시작시킬 수 있다. 노드 매니저는 주체적으

로 서버의 상태와 비정상 종료를 감지해서 문제가 발생한 서버의 재기동 동작이 SSH 타입 노드 매니저

보다 빠르고 간결하게 진행된다. 또한 도메인에 patch 파일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는 JEUS가 설치되어 있어야 설정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SSH 타입 노

드 매니저와는 달리 다른 머신에 JEUS를 설치할 수 없다. Java 타입의 노드 매니저에 대한 자세한 내용

은 “제2장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를 참고한다.

● SSH 타입 노드 매니저

OS에서 제공하는 SSH를 사용하는 노드 매니저로 OS가 Windows인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Windows

가 설치된 머신에서 노드 매니저 기능을 사용하려면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를 사용해야 한다.

SSH 타입 노드 매니저는 Java 타입 노드 매니저와 마찬가지로 원격 머신에 있는 서버를 시작시키고,

비정상 종료를 감지하여 재기동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단, SSH 타입 노드 매니저는 직접 서버 프로세스

를 모니터링하지 않기 때문에 DAS에서 GroupManagementService(이하 GMS)를 통해서 서버의 비정

상 상태를 감지하고 SSH 타입 노드 매니저를 통해 원격 서버를 재기동한다.

SSH 타입 노드 매니저가 Java 타입 노드 매니저와 다른 점은 SSH 타입 노드 매니저를 통해 다른 머신

에 JEUS를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SSH 타입의 노드 매니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3장 SSH 타입

노드 매니저”를 참고한다.

2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15: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1.1.4. 제약 사항

다음은 노드 매니저를 구성할 때의 제약 사항이다.

● 도메인 내에서 사용되는 노드 매니저의 이름은 유일해야 한다.

● 설치한 하나의 JEUS 내에서는 하나의 노드 매니저만 존재한다.

● 하나의 도메인에서는 같은 타입의 노드 매니저를 사용해야 한다.

● OS가 Windows라면 SSH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를 사용해야 한다.

●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를 사용하려면 O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등록해서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를 사용하려면 jeusnm.properties의 'useNodeManager'를 true로 설정해야 하고,

SSH 타입의 노드 매니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false로 설정해야 한다.

1.2. 타입별 노드 매니저 설정JEUS에서 제공하는 2가지 타입의 노드 매니저는 WebAdmin과 콘솔 툴을 사용해서 설정할 수 있다.

본 절에서는 WebAdmin에서의 타입별 설정 방법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설명한다.

다음은 WebAdmin의 Node 화면에서 사용하려는 노드에 따라 'Ssh'나 'Java'를 선택해서 설정한다.

● SSH 타입 노드 매니저 설정

Node 화면에서 'Ssh'를 선택한다. 설정할 노드의 이름, 호스트 정보를 입력하고 타입에 따라 필요한 항

목을 설정한다. SSH 타입 노드 매니저 설정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3.3.1. SSH 타입 노드 설정”을

참고한다.

● Java 타입 노드 매니저 설정

Node 화면에서 'Java'를 선택한다. 설정할 노드의 이름, 호스트 정보를 입력하고 타입에 따라 필요한

항목을 설정한다. Java 타입 노드 매니저 설정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4.1. Java 타입 노드 설정”

을 참고한다.

제1장 소개 3

Page 16: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그림 1.2] 타입별 노드 매니저 설정

1.3. 공통 기능다음은 2가지 타입의 노드 매니저에서 공통으로 제공하는 기능이다.

● 원격 머신에서 서버 기동

노드 매니저를 통해서 도메인에 속한 서버를 기동할 수 있다.

노드 매니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서버를 기동하려는 원격 머신에 접속해서 스크립트를 통해 서버를

기동해야 한다. 그러나 노드 매니저를 사용한다면 원격 머신에 있는 서버도 DAS에서 간단한 명령으로

기동시킬 수 있다. DAS가 기동된 상태에서 도메인에 속하는 모든 MS를 기동시킬 수도 있고, 클러스터

를 기동시킬 수도 있다.

노드 매니저로 서버를 기동하려면 다음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4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17: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 서버를 기동하려는 노드 정보가 nodes.xml에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 어떤 노드에서 기동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기동하려는 서버에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 노드 매니저에 접속할 수 있는 상태여야 한다.

Java 타입의 노드 매니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노드 매니저가 기동되어 있는 상태여야 하고, SSH 타

입의 노드 매니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OS에 SSH Port가 열려있어야 한다.

– Java 타입의 노드 매니저를 사용하는 경우 jeusnm.properties에 노드 매니저 설정이 되어 있어야 한

다.

● 비정상 상태의 서버 재기동

도메인에 속한 서버들은 GMS에 의해 서로의 상태를 주고받는다. 이때 서버가 비정상(FAILED) 상태가

되면 DAS의 GMS에서는 서버가 속한 노드 매니저에 서버에 대한 재기동 명령을 보낸다. DAS의 명령

을 받은 노드 매니저는 서버를 재기동한다.

이 동작은 해당 서버에 노드가 반드시 설정되어 있어야 하고 설정된 노드의 노드 매니저가 기동되어 있

는 상태여야 한다.

참고

Java 타입의 노드 매니저와 SSH 타입의 노드 매니저에서 제공하는 각 기능들에 대해서는 “제2

장 Java 타입 노드 매니저”와 “제3장 SSH 타입 노드 매니저”를 참고한다.

제1장 소개 5

Page 18: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Page 19: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제2장 Java 타입 노드 매니저

본 장에서는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 방법과 동작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2.1. 개요Java 타입 노드 매니저는 SSH 타입 노드 매니저에 비해 빠르게 서버의 비정상 종료를 감지하여 재기동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OS가 Windows인 경우에 SSH 타입 노드 매니저는 사용할 수 없지만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는 OS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머신에 JEUS를 설치할 수 없다는 단점

이 있다.

본 장에서는 Java 타입의 노드 매니저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과 기본 지식에 대해서 살펴본다.

2.2. 기능별 동작 방식본 절에서는 Java 타입 노드 매니저의 각 기능에 대한 동작 방식을 설명한다.

2.2.1. 원격 머신에 있는 ManagedServer 기동

노드 매니저를 통해 도메인 내의 원격 머신에 있는 서버를 기동시킬 수 있다. 노드 매니저를 통해 서버를

기동하는 과정은 다음와 같다.

[그림 2.1] 노드 매니저에서 원격 머신의 서버 기동

Node1

Node Manager

Domain Admin ServerAdmin tool

Node2

Node Manager

MS1

Node3

Node Manager

MS2

Launcher Launcher

Start MS2

Start MS1Start

domain

제2장 Java 타입 노드 매니저 7

Page 20: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1. 노드 매니저에서 서버의 lock 파일을 생성하여 FILE LOCK을 얻는다.

2. 서버 기동을 성공한 뒤 pid 파일, state 파일을 생성하고 PID(프로세스 ID)와 서버의 상태를 기록한다.

3. <serverName>.properties에 username, password, dasurl 등의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4. 서버에서는 NodeManagerService를 시작하면서 address 파일을 생성하고 자신의 호스트 정보를 기록

한다.

참고

서버를 재기동할 경우에도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된다.

2.2.2. 서버 모니터링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는 서버 프로세스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서 state 파일에 업데이트하고,

비정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 서버 프로세스를 재기동한다.

노드 매니저는 노드에 존재하는 모든 서버에 대해서 모니터링하는 것이 아니고, 노드 매니저를 통해 기동

한 서버의 프로세스만 모니터링한다. 따라서 서버의 비정상 종료를 감지해서 바로 재기동하고 싶다면 노

드 매니저를 사용해서 기동해야 한다.

다음은 Java 타입 노드 매니저가 서버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 2.2] Java 타입 노드 매니저에서 서버 모니터링

Node1

Node Manager

Server

MonitoringThread

Check process

노드 매니저가 재기동된 경우에도 자신이 기동한 서버에 대한 모니터링은 계속 유지된다.

다음은 노드 매니저가 재기동된 경우에 자신이 기동한 서버를 찾아서 모니터링을 계속하는 과정에 대한

단계별 설명이다.

1. 노드 매니저가 재기동될 때 다음 경로에서 해당 노드 매니저에서 관리되고 있는 도메인 이름을 조회한

다.

JEUS_HOME/domains

8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21: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2. 각 도메인의 다음 경로의 서버 디렉터리를 통해 해당 노드 매니저에서 관리되고 있는 서버 이름을 조회

한다.

JEUS_HOME/domains/<domain-name>/servers

3. 서버 디렉터리에서 <serverName>.address, <serverName>.lck, <serverName>.state, <serverName>.pid

파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나열한 모든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서버는 운용 중인 상태이다.

4. lock 파일을 통해 FILE LOCK을 얻는다.

5. state 파일에 기록된 서버의 상태를 확인하고 서비스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 서비스 가능 상태 : RUNNING, STANDBY, SUSPENDED, RESUMING, SUSPENDING, STARTING

● 서비스 불가능 상태 : SHUTDOWN, SUNTTING_DOWN

6. pid 파일에 기록된 서버 프로세스 ID로 프로세스가 운용 중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서버가 다운된 것을 확인하면 노드 매니저는 해당 서버를 재기동한다.

7. address 파일에 기록된 서버의 호스트 정보를 바탕으로 소켓 연결을 맺어보고 서버 프로세스가 정상적

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서버가 다운된 것을 확인하면 노드 매니저는 해당 서버를 재기동한다.

8. 서버가 서비스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주기적으로 서버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서버를 모니터링한다.

2.2.3. 비정상 상태의 서버 재기동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는 서버 프로세스가 비정상 종료된 상황에서 재기동해주는 역할도 하지만 서버가

정의한 비정상 상태에 도달한 경우에도 서버를 재기동한다.

서버에서는 Memory Ratio를 설정해서 지정한 비율 이상으로 Heap Memory를 사용하면 자체적으로 프로

세스를 종료한다. 노드 매니저는 서버가 비정상 상황에 의해 자체적으로 종료되는 상황도 감지해서 서버

를 재기동한다.

[그림 2.3] Java 타입 노드 매니저의 서버 재기동

Node1

Node Manager

Server

Node1

Node Manager

Launcher

Server

MonitoringThread

Check process

Restart server

제2장 Java 타입 노드 매니저 9

Page 22: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2.2.4. Rolling Patch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를 통해 도메인에 patch를 적용할 수 있다. 콘솔 툴을 사용해서 원격 머신에 있는

서버에 Patch 파일을 전송 또는 삭제뿐만 아니라 Patch 적용을 위해 서버의 재기동까지 진행한다.

DAS에서 도메인에 속한 서버가 존재하는 원격 머신의 노드 매니저에 접속해서 Patch 파일을 전달, 삭제,

적용할 수 있다.

● Patch 파일 전달

domain1.adminServer>apply-patch

● Patch 파일 삭제

domain1.adminServer>remove-patch

● Patch 파일 적용

-rolling 옵션을 통해 각 서버에 Patch를 적용시킬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노드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서비스가 이중화되어 있다면 장애 없이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다.

단, 같은 노드 안에 여러 대의 서버를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노드 전체의 서버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종료하고 Patch 파일을 전송 또는 삭제한 후 다시 서버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기동해야 한다.

domain1.adminServer>apply-patch -rolling

domain1.adminServer>remove-patch -rolling

● Patch 적용에 실패한 경우 되돌리는 기능

-action 옵션을 통해서 Patch 적용에 실패한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정의할 수 있다.

domain1.adminServer>apply-patch -rolling -action CONTINUE|STOP|ROLLBACK

다음의 CONTINUE, STOP, ROLLBACK 옵션 중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설명옵션

Patch 적용에 실패한 노드가 있더라도 무시하고 계속 진행한다.CONTINUE

Patch 적용에 실패한 노드가 있으면 Patch 적용을 멈추고 리턴한다.STOP

Patch 적용에 실패한 노드가 있으면 Patch 적용을 멈추고 이전에 성공한 노드에도 모

두 적용된 Patch를 rollback한다.

ROLLBACK

이때 Patch를 삭제하는 상황에서는 Patch 파일이 이미 삭제된 노드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옵션을 설정하더라도 STOP 옵션을 설정한 것과 동일하게 더 이상 Patch

삭제를 진행하지 않고 동작을 멈춘다.

10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23: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2.2.5. DAS와 연결

노드 매니저를 통하지 않고 기동된 서버는 노드 매니저의 관리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모니터링 기능이나

Patch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나 DAS는 예외적으로 노드 매니저를 통하지 않고 기동되어도 프로세스 모니터링 기능과 Patch 전달

이 가능하다. DAS는 기동이 완료되면 노드 매니저에 연결해서 자신의 정보를 전송하므로 노드 매니저에

서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DAS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Rolling Patch 기능은 DAS와 노드 매니저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DAS가 노드 매

니저를 통해 기동되지 않았더라도 DAS와 노드 매니저가 연결된 상태이므로 자신의 노드뿐만 아니라 다

른 노드에도 Patch 전달 및 적용이 가능하다.

참고

노드 매니저를 통하지 않고 기동된 서버는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메인에서 GMS를 통해 감

지하는 상태가 비정상(FAILED 상태)인 경우에는 노드 매니저에게 서버에 대한 재기동을 요청한다.

노드 매니저는 DAS의 요청을 받아 서버 프로세스를 다시 기동한다. 단, 이 동작은 해당 서버에 노드

가 설정되어 있어야 하고 설정된 노드의 노드 매니저가 기동되어 있는 상태여야 한다.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를 사용하면 노드 매니저를 통해 기동된 서버인 경우에 서버가 FAILED 상태

가 되기 전에 노드 매니저가 서버의 비정상 종료를 감지하여 재기동한다.

2.3. 환경설정Java 타입 노드 매니저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환경을 설정해야 한다.

2.3.1. 설정 파일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를 사용하려면 다음의 설정 파일에 필요한 사항을 설정해야 한다.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는 nodes.xml에 노드가 정의되는 것 이외에도 별도의 설정이 필요하다.

● nodes.xml

● jeusnm.properties

● <serverName>.properties

nodes.xml

어떤 타입의 노드 매니저를 사용할 것인지 노드 정보를 설정한다. nodes.xml 파일은 다음 경로에 위치한

다.

JEUS_HOME/domains

nodes.xml은 DAS에서 참조하는 노드의 설정으로 노드의 물리적인 주소를 정의하고 도메인 설정에서는

각 MS가 운영될 노드 정보를 설정해야 한다.

제2장 Java 타입 노드 매니저 11

Page 24: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이 파일은 하나의 도메인에 국한된 파일이 아니라 머신에 설치된 JEUS에 존재하는 여러 도메인에서 모두

공유된다. 각 도메인의 DAS에서는 node.xml에 설정된 노드 정보에 따라 각 노드의 노드 매니저에 접속해

서 필요한 명령을 수행한다.

WebAdmin이나 콘솔 툴을 통해서 노드를 추가, 삭제할 수 있다. 노드 추가, 삭제에 대한 자세한 방법은

“2.4. 노드 설정 및 삭제”를 참고한다.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는 nodes.xml에 설정된 머신 정보와 jeusnm.properties에 설정된 'host', 'port' 정보

가 일치하도록 주의해서 설정해야 한다.

jeusnm.properties

jeusnm.properties는 머신에서의 노드 매니저의 동작 방식을 설정하는 설정 파일로 다음 경로에 위치한다.

JEUS_HOME/nodemanager

jeusnm.properties에 설정할 수 있는 항목들은 다음과 같다. jeusnm.properties는 파일은 직접 수정해야 한

다.

설명항목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를 사용할지 여부를 설정한다. (기본값: true)useNodeManager

노드 매니저의 listen address를 설정한다. (기본값: localhost)host

노드 매니저의 listen port를 설정한다. (기본값: 7730)port

노드 매니저가 SSL을 사용할지 여부를 설정한다. (기본값: false)useSSLListener

노드 매니저에서 서버 프로세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주기를 설정한다.

(기본값: 500, 단위: ms)

serverMonitoringPeriod

서버 프로세스가 비정상 종료된 경우 자동으로 해당 서버를 재기동해줄지 여

부를 설정한다. (기본값: true)

serverAutoRestart

서버 재기동을 시도할 횟수를 설정한다. (기본값: 5)serverRestartTryCount

'serverRestartDurationTime'에 설정한 주기 안에 이 값에 설정한 횟수 이상

의 서버 재기동이 시도되면 서버 프로세스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서버 재기동을 진행하지 않는다.

서버 재기동을 시도할 주기를 설정한다. (기본값: 120000, 단위: ms)serverRestartDura

tionTime 설정한 주기 안에 'serverRestartTryCount'에 설정한 횟수 이상의 서버 재기

동이 시도되면 서버 프로세스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서버 재기동을

진행하지 않는다.

서버 재기동이 실패하는 경우 재시도해줄지 여부를 설정한다. 이 값을 true로

설정하면 서버 재기동에 성공할 때까지 재시도한다. (기본값: false)

serverRetryRestart

SSL을 사용할 때 인증에 사용될 Keystore 파일 경로를 설정한다.keystore

(기본값: DOMAIN_CONFIG_HOME/keystore)

SSL을 사용할 때 인증에 사용될 Keystore 파일의 패스워드를 설정한다.keystorePass

12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25: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설명항목

(기본값: jeuskeypass)

SSL을 사용할 때 인증에 사용될 Truststore 파일 경로를 설정한다.truststore

(기본값: DOMAIN_CONFIG_HOME/truststore)

SSL을 사용할 때 인증에 사용될 Truststore 파일의 패스워드를 설정한다.truststorePass

(기본값: jeustruststorepass)

<serverName>.properties

<serverName>.properties 파일은 노드 매니저에서 서버를 기동할 때 필요한 정보들에 대한 캐시 파일이

다. 노드 매니저에서 서버를 기동한 뒤 다음 경로에 해당 파일을 생성한다.

SERVER_HOME/nodemanager

노드 매니저는 서버를 기동할 때 필요한 옵션들을 기록해서 다음 번에 옵션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이 파일

에 캐싱된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를 기동시킬 수 있다. 이 정보들은 콘솔 툴을 통해 노드 매니저에 직접 접

속해서 서버를 기동시킬 때만 사용된다. DAS를 통해서 MS를 기동시킬 때는 해당 정보를 사용하지 않는

다.

캐시되는 정보들은 다음과 같다.

설명항목

DAS의 호스트 정보를 나타낸다. MS의 경우에만 dasurl을 캐시한다.dasurl

서버를 기동할 때 필요한 서버의 계정을 나타낸다.username

서버를 기동할 때 필요한 서버의 패스워드를 나타낸다.password

SSL을 사용하도록 설정된 서버의 경우 노드 매니저에서 서버에 접속할 때

SSL 인증에 필요한 SSL properties 정보를 설정한다.

sslArguments

2.3.2. 필수 파일

다음은 설정 파일 외에 노드 매니저가 서버를 기동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필요한 파일에 대한 설명이다. 각

파일은 다음 경로에 위치한다.

JEUS_HOME/domains/<domain_name>/servers/<server_name>/nodemanager

● <serverName>.lck

서버 프로세스를 기동할 때 서버가 여러 번 기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노드 매니저에서 생성하는 파

일로 다음 경로에 위치한다.

이 파일은 노드 매니저에서 서버 프로세스를 시작시키기 전에 생성되고 서버 프로세스가 정상 종료되

면 삭제된다.

제2장 Java 타입 노드 매니저 13

Page 26: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노드 매니저가 재기동되었을 때 해당 파일의 유무에 따라 서버를 계속 모니터링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 <serverName>.pid

서버 프로세스가 성공적으로 기동된 후에 노드 매니저에서 생성하는 서버의 프로세스 ID를 기록한 파

일로 다음 경로에 위치한다.

이 파일은 노드 매니저에서 서버 프로세스를 정상적으로 기동시킨 뒤에 생성되고 서버 프로세스가 정

상 종료되면 삭제된다.

노드 매니저가 재기동되었을 때해당 파일의 유무에 따라 서버를 계속 모니터링 할지 결정한다. 또한 파

일에 기록된 PID에 해당하는 프로세스의 존재 여부에 따라 서버의 비정상 종료를 판단해서 노드 매니

저가 재기동된 후에도 서버를 재기동하여 계속 모니터링할 수 있다.

● <serverName>.state

서버 프로세스의 기동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후 노드 매니저에서 생성하는 서버의 상태를 기록한 파일

로 다음 경로에 위치한다.

이 파일은 노드 매니저에서 서버 프로세스를 정상적으로 기동시킨 뒤에 생성되고 서버 프로세스가 정

상 종료되면 삭제된다.

노드 매니저에서는 주기적으로 서버의 상태를 체크하면서 해당 파일에 서버의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노드 매니저가 재기동되었을 때 해당 파일의 유무에 따라 서버를 계속 모니터링할지 결정하고, 파일에

기록된 서버의 상태를 확인하고 서버의 비정상 종료를 판단해서 노드 매니저가 재기동된 후에도 서버

를 재기동하여 계속 모니터링할 수 있다.

● <serverName>.address

서버가 기동하면서 생성하는 파일로 서버의 Listen Address와 Listen Port가 기록된다. 다음 경로에 위

치한다. 이 파일은 서버가 기동될 때 생성되고 정상 종료되면 삭제된다.

노드 매니저가 재기동되었을 때 해당 파일의 유무에 따라 서버를 계속 모니터링할지 결정하고, 파일에

기록된 호스트 정보로 서버를 계속 모니터링할 수 있다. 노드 매니저가 재기동되었을 때는 서버로의

mbean 요청을 통해 서버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서버의 비정상 종료 여부를 확인한다.

2.4. 노드 설정 및 삭제Java 타입의 노드는 WebAdmin과 콘솔 툴을 사용해서 설정하고 삭제할 수 있다.

2.4.1. Java 타입 노드 설정

본 절에서는 WebAdmin과 콘솔 툴을 사용해서 Java 타입 노드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

WebAdmin이나 콘솔 툴을 사용해서 서버를 기동하려면 서버에 노드의 이름(Node Name)이 설정되

어 있어야 한다.

14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27: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WebAdmin 사용

다음은 WebAdmin을 사용해서 Java 타입 노드를 설정하는 방법이다.

1. 노드와 관련된 모든 사항은 [Node 설정] 메뉴를 통해 편집 및 동작이 가능하다. WebAdmin의 메인 화

면에서 [Node 설정]을 선택한다.

[그림 2.4] Java 타입 노드 설정 (1)

2. Nodes 화면에는 추가된 노드 목록이 조회된다. 사용자가 노드를 추가하지 않아도 노드 목록에는 JEUS

를 설치할 때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노드가 조회된다. ([그림 3.3] 참고) 그러나 본 예제에서는 좀 더 간결

한 설명을 위해 노드를 삭제한 후 추가를 진행하였다.

노드 추가를 위해 [ADD] 버튼을 클릭한다.

[그림 2.5] Java 타입 노드 설정 (2)

제2장 Java 타입 노드 매니저 15

Page 28: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참고

노드 설정은 [LOCK & EDIT]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 변경 모드로 전환하거나 [Activate Changes] 버

튼을 클릭하여 변경 반영과 같은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3. Node 화면에서 설정할 노드의 이름, 호스트 정보를 입력한다. 노드의 타입으로 'Java'를 선택하고 관

련 항목을 입력한 뒤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그림 2.6] Java 타입 노드 설정 (3)

16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29: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4. Nodes 화면 상단에 노드가 성공적으로 추가되었다는 메시지와 함께 노드 목록에 추가한 노드 정보가

조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7] Java 타입 노드 설정 (4)

콘솔 툴 사용

다음은 콘솔 툴을 사용해서 노드를 설정하는 방법이다.

1. add-java-node 명령을 사용해서 'node1'이라는 노드를 추가한다.

[DAS]domain1.adminServer>add-java-node node1 -host 192.168.34.65 -port 7730

Node [node1] has been added successfully.

2. 추가된 노드를 확인하려면 list-nodes 명령을 사용해서 노드 목록을 조회한다. Java 타입의 'node1'이

조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AS]domain1.adminServer>list-nodes

=========================================================================

+-----------+------+-------------------------------------+--------------+

| Node name | Type | Under control | JEUS version |

+-----------+------+-------------------------------------+--------------+

| node1 | JAVA | N | - |

+-----------+------+-------------------------------------+--------------+

=========================================================================

참고

add-java-node 명령과 list-nodes 명령에 대한 자세한 사용 방법은 “JEUS Reference Book”의 “4.2.14.

노드 관리 관련 명령어”를 참고한다.

2.4.2. Java 타입 노드 삭제

본 절에서는 WebAdmin과 콘솔 툴을 사용해서 Java 타입 노드를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2장 Java 타입 노드 매니저 17

Page 30: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WebAdmin 사용

다음은 WebAdmin을 사용해서 노드를 삭제하는 방법이다.

1. WebAdmin의 메인 화면에서 [Node 설정]을 선택한다. Nodes 화면에 노드 목록이 조회된고 삭제하려

는 노드의 [Delete] 버튼을 클릭한다.

[그림 2.8] Java 타입 노드 삭제 (1)

2. 노드 삭제에 대한 확인 메시지가 나타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노드는 삭제된다.

[그림 2.9] Java 타입 노드 삭제 (2)

3. Nodes 화면 상단에 노드가 성공적으로 삭제되었다는 메시지와 함께 노드 목록에 삭제한 노드 정보가

조회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10] Java 타입 노드 삭제 (3)

18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31: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콘솔 툴 사용

다음은 콘솔 툴을 사용해서 노드를 삭제하는 방법이다.

1. remove-node 명령을 사용해서 'node1'이라는 노드를 삭제한다.

[DAS]domain1.adminServer>remove-node node1

Node [node1] has been successfully removed.

2. 추가된 노드를 확인하려면 list-nodes 명령을 사용해서 노드 목록을 조회한다. 노드 목록에 Java 타입의

'node1'이 조회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AS]domain1.adminServer>list-nodes

=========================================================================

+-----------+------+-------------------------------------+--------------+

| Node name | Type | Under control | JEUS version |

+-----------+------+-------------------------------------+--------------+

(No data available)

=========================================================================

참고

remove-node 명령과 list-node 명령에 대한 자세한 사용 방법은 “JEUS Reference Book”의 “4.2.14.

노드 관리 관련 명령어”를 참고한다.

2.5. 노드 매니저 시작 및 종료Java 타입의 노드 매니저는 SSH 타입의 노드 매니저와 달리 별도의 시작 및 종료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Java 타입 노드 매니저 시작

Java 타입의 노드 매니저는 스크립트를 통해서 실행시킨다. JEUS_HOME/bin 하위에 존재하는 startNode

Manager를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이 노드 매니저가 DAS나 콘솔 툴로부터 명령을 받아 서버를 제어할 준

비를 한다.

JEUS_HOME/bin>startNodeManager

**************************************************************

- JEUS Home : /home/test/jeus

- Added Java Option :

- Java Vendor : Sun

**************************************************************

...

[2013.03.27 20:08:13][2] [nodemanager-1] [NodeManager-0101] NodeManager is starting.

[2013.03.27 20:08:14][2] [nodemanager-1] [NodeManager-0102] Initialize NodeManager

configuration.

[2013.03.27 20:08:14][2] [nodemanager-1] [NodeManager-0108] Start to listen :

제2장 Java 타입 노드 매니저 19

Page 32: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localhost/127.0.0.1:7730.

[2013.03.27 20:08:14][2] [nodemanager-10] [NodeManager-0109] Processing the

request......

노드 매니저가 서버를 모니터링하는 중에 종료되어 다시 기동되었다면 이전에 모니터링하던 서버를 계속

모니터링하기 위한 작업을 한다. 이때는 다음과 같은 로그가 발생한다.

JEUS_HOME/bin>startNodeManager

**************************************************************

- JEUS Home : /home/test/jeus

- Added Java Option :

- Java Vendor : Sun

**************************************************************

...

[2013.03.27 20:41:15][2] [nodemanager-1] [NodeManager-0101] NodeManager is starting.

[2013.03.27 20:41:15][2] [nodemanager-1] [NodeManager-0102] Initialize NodeManager

configuration.

[2013.03.27 20:41:15][2] [nodemanager-1] [NodeManager-0108] Start to listen :

/127.0.0.1:7730.

[2013.03.27 20:41:15][2] [nodemanager-12] [NodeManager-0109] Processing the

request......

[2013.03.27 20:41:15][2] [nodemanager-1] [NodeManager-0115] Domain=[domain1],

Server=[adminServer]

[2013.03.27 20:41:15][2] [nodemanager-1] [NodeManager-0115] Domain=[domain1],

Server=[server1]

[2013.03.27 20:41:15][2] [nodemanager-13] [NodeManager-0137] Start to monitoring

server[adminServer] in domain[domain1].

[2013.03.27 20:41:15][2] [nodemanager-14] [NodeManager-0137] Start to monitoring

server[server1] in domain[domain1].

[2013.03.27 20:41:15][2] [nodemanager-14] [NodeManager-0145] Process is

alive(Server=server1, Process ID=5004).

[2013.03.27 20:41:15][2] [nodemanager-13] [NodeManager-0145] Process is

alive(Server=adminServer, Process ID=2984).

Java 타입 노드 매니저 종료

Java 타입의 노드 매니저를 종료하는 방법은 스크립트를 사용하거나 콘솔 툴을 사용할 수 있다.

● 스크립트 사용

기동할 때와 마찬가지로 스크립트를 통해 노드 매니저를 종료할 수 있다. stopNodeManager를 실행하

면 Java 타입 노드 매니저가 종료된다.

JEUS_HOME/bin>stopNodeManager -host localhost -port 7730

******************************************************************

- Usage : stopNodeManager -host host -port port

20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33: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

Succeed to stop the node manager.

● 콘솔 툴 사용

콘솔 툴을 통해 nm-stop 명령을 실행하면 노드 매니저가 종료된다. nm-stop 명령에 대한 자세한 사용

법은 “JEUS Reference Book”의 “4.2.15.6. stop-nodemanager”를 참고한다.

JEUS_HOME/bin>jeusadmin

JEUS7 Administration Tool

To print help, use the 'help' command.

offline>nm-stop -host localhost -port 7730

Succeed to stop the node manager.

2.6.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를 통한 서버 제어Java 타입 노드 매니저를 통해 서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절에서는 WebAdmin과 콘솔 툴을 사용한 서버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WebAdmin 사용

WebAdmin을 통해 서버를 기동하면 DAS가 서버를 기동하려는 머신의 노드 매니저에 접속해서 서버 기

동 명령을 보내주고, 노드 매니저는 서버를 해당 머신에 기동시킨다.

1. WebAdmin의 메인 화면에서 [Servers]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서버 목록이 조회된다.

[그림 2.11] WebAdmin을 통한 서버 기동 (1)

참고

서버를 기동하는 방법은 [Servers] 메뉴 외의 [Monitoring] > [Servers] 메뉴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해당 메뉴를 사용한 방법은 “제3장 SSH 타입 노드 매니저”를 참고한다.

제2장 Java 타입 노드 매니저 21

Page 34: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2. 기동할 서버(server1)의 [start] 버튼을 클릭하면 Start Server 화면에서 서버 기동에 대한 옵션을 설정

할 수 있다. 필요한 사항을 설정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해서 서버를 기동시킨다.

[그림 2.12] WebAdmin을 통한 서버 기동 (2)

3. Servers 화면 상단에 서버가 성공적으로 기동되었다는 메시지와 함께 서버 목록에서 서버의 상태가

RUNNING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13] WebAdmin을 통한 서버 기동 (3)

콘솔 툴 사용

노드 매니저가 서버를 기동/종료시키고 서버의 상태를 확인하는 등의 제어는 콘솔 툴을 사용할 수도 있다.

콘솔 툴을 통해 서버를 제어하려면 먼저 콘솔 툴과 노드 매니저가 연결된 상태여야 하고 필요한 작업이 완

료되면 접속을 종료한다.

● 노드 매니저에 접속

nm-connect 명령을 사용해서 노드 매니저에 접속한다.

22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35: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JEUS_HOME/bin>jeusadmin

JEUS7 Administration Tool

To print help, use the 'help' command.

offline>nm-connect -host localhost -port 7730 -domain domain1

Connection has been established to NodeManager: domain1.

[NodeManager]domain1>

● 노드 매니저를 통한 서버 기동

nm-start-server 명령을 사용해서 서버를 기동한다.

[NodeManager]domain1>nm-start-server -server adminServer -u jeus -p jeus

succeed to start server[adminServer].

RUNNING

[NodeManager]domain1>nm-start-server -server server1 -u jeus -p jeus -dasurl

192.168.0.4:9736

succeed to start server[server1].

RUNNING

다음과 같이 nm-start-server 명령으로 노드 매니저에 접속하는 것까지 한 번에 수행할 수도 있다.

JEUS_HOME/bin>jeusadmin

offline>nm-start-server -host localhost -port 7730 -domain domain1 -server

adminServer -u jeus -p jeus

succeed to start server[adminServer].

RUNNING

● 스크립트로 노드 매니저의 제어를 받는 DAS 기동

DAS에 한해서는 노드 매니저를 통해 서버를 기동하지 않아도 노드 매니저와 연결하고 노드 매니저의

제어를 받게 할 수 있다.

startDomainAdminServerNM 스크립트를 사용하면 노드 매니저로 연결하고 DAS 기동 명령을 내려

노드 매니저가 DAS를 기동시키게 된다. 콘솔 툴에서 노드 매니저로 접속하고 서버를 기동하는 두 번의

명령을 하나의 스크립트로 제공하는 것이다.

JEUS_HOME/bin>startDomainAdminServerNM -host 192.168.0.26 -port 7730 -domain1 -server

adminServer -u jeus -p jeus

********************************************************************************************************************

- Usage : startDomainAdminServerNM -host host -port port -domain domain -server

server1 -u username -p password

********************************************************************************************************************

succeed to start server[adminServer].

RUNNING

제2장 Java 타입 노드 매니저 23

Page 36: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참고

startDomainAdminServer 스크립트를 통해 DAS를 기동한 경우에도 노드 매니저의 관리를 받을 수

있다. DAS는 기동된 후 노드 매니저에 연결을 시도해서 자신의 정보를 등록한다. 노드 매니저에 DAS

의 정보가 등록되면 노드 매니저에서 DAS의 비정상 상태를 파악하고 재기동하는 등의 제어가 가능

해진다.

● 노드 매니저를 통한 서버 상태 확인

nm-state-server 명령을 사용해서 서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NodeManager]domain1>nm-state-server -server adminServer -u jeus -p jeus

server[adminServer] : RUNNING

[NodeManager]domain1>nm-state-server -server server1 -u jeus -p jeus

server[server1] : RUNNING

● 노드 매니저를 통한 서버 종료

nm-stop-server 명령을 사용해서 서버를 종료할 수 있다.

[NodeManager]domain1>nm-stop-server -server server1 -u jeus -p jeus

succeed to stop server[server1].

[NodeManager]domain1>nm-stop-server -server adminServer -u jeus -p jeus

succeed to stop server[adminServer].

● 노드 매니저와 접속 종료

nm-disconnect 명령을 사용해서 노드 매니저와 접속을 종료한다.

[NodeManager]domain1>nm-disconnect

disconnect to node manager.

offline>

● DAS 접속 모드에서 서버 기동

start-server 명령을 통해 MS를 기동할 때 노드 매니저를 통해서 서버를 기동한다.

[DAS]domain1.adminServer>start-server server1

Server [server1] has been started successfully.

참고

콘솔 툴에서 Java 타입 노드 매니저에 접속/종료 명령과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를 통한 서버 제어 명

령에 대한 자세한 사용 방법은 “JEUS Reference Book”의 “4.2.14. 노드 관리 관련 명령어”를 참고한

다.

24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37: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2.7. 로그 파일노드 매니저의 로그는 JEUS_HOME/nodemanager/logs 하위에 JeusNodeManager.log라는 파일에 남겨

진다. 노드 매니저에서 서버를 기동하거나 모니터링하면서 발생하는 로그 메시지들을 기록한다. 또한 서

버가 기동되면서 서버에서 발생하는 부팅 로그 메시지도 기록된다.

노드 매니저의 로그 레벨을 설정하려면 노드 매니저를 기동하는 스크립트에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Djeus.nodemanager.log.level=FINEST

로그와 로그 레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JEUS Server 안내서”의 “제8장 Logging”을 참고한다.

제2장 Java 타입 노드 매니저 25

Page 38: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Page 39: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제3장 SSH 타입 노드 매니저

본 장에서는 SSH 타입 노드 매니저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3.1. 개요SSH 타입 노드 매니저는 UNIX 계열의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노드 매니저 타입으로 해당 노드로

SSH(Secure Shell) 명령을 수행하여 동작한다. 노드에 JEUS 서버를 추가할 때 쉽게 설치할 수 있는 기능

을 제공하고 DAS 머신에서 SSH 서버를 실행해서 로컬 노드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Windows의 경우에는 SSH 타입 노드 매니저를 지원하지 않는다.

참고

본 장에서는 원격 설정과 로컬(DAS 머신) 설정에 대한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 원격 노드, 원격 서버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3.2. 환경설정JEUS v7.0 Fix#1부터는 Java 타입 노드 매니저 기능이 추가되었다.

현재 Java 타입 노드 매니저와 SSH 타입 노드 매니저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SSH를 통한

서버 관리를 위해서는 DAS 머신의 jeusnm.properties 설정 파일의 'useNodeManager' 항목을 false로 설

정해야 한다.

3.2.1. SSH 설정

UNIX 계열의 운영체제에서 SSH 타입 노드 매니저 기능을 사용하려면 DAS 머신에서 노드로 SSH 접속이

가능해야 한다. 즉, DAS 머신은 SSH 클라이언트가 되고, 원격 노드는 SSH 서버가 된다.

본 절에서는 SSH 서버의 구동은 별도로 설명하지 않으며, SSH 접속을 위해 필요한 설정들만 설명한다.

제3장 SSH 타입 노드 매니저 27

Page 40: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그림 3.1] 원격 노드로의 SSH 접속

Node 1SSH명령

Node 2

DAS

JEUS에서 원격 노드로의 SSH 접속은 개인 Key를 이용하는 접속만 허용된다. 개인 Key를 통한 접속을 위

해 DAS 머신에서 ssh-keygen을 이용하여 공개 Key와 개인 Key를 생성한다. Key를 생성할 때 개인 Key를

암호화하는 passphrase는 JEUS에서 지원하지 않으므로 설정하지 않는다.

생성한 개인 Key와 공개 Key는 USER_HOME/.ssh 폴더에 "id_rsa", "id_rsa.pub"라는 이름의 파일로 저장

된다. 공개 Key "id_rsa.pub"의 내용을 접속하려는 원격 노드의 USER_HOME/.ssh/authorized_keys 파일

에 추가하면 개인 Key를 이용한 접속이 가능해진다.

다음과 같이 ssh 명령을 실행해서 개인 Key를 통한 SSH 접속이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ssh <ssh-user-name>@<remote-host-address>

다음은 ssh 명령의 예제이다.

$ ssh [email protected]

SSH 명령을 사용한 원격 서버 실행을 위해서는 해당 노드에 JAVA_HOME이 환경변수로 설정되어 있어

야 한다. SSH는 명령을 수행할 때 원격 머신의 USER_HOME/.bashrc 파일을 통해 설정되는 환경변수를

이용하므로 .bashrc 파일을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JEUS 에서의 SSH 명령 수행은 기본적으로 non-interactive 모드로 동작한다. non-interactive 모드일 경우

설정한 환경변수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최상위에 환경변수를 설정한다.

# ~/.bashrc

export JAVA_HOME='/home/java/jdk/jdk1.6.0_30'

export PATH='/home/java/jdk/jdk1.6.0_30/bin':$PATH

# If not running interactively, don't do anything

[ -z "$PS1" ] && return

...

28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41: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Korn shell 인 경우에는 USER_HOME/.kshrc 에 위의 내용을 설정한다. 그리고 USER_HOME/.ssh/envi

ronment 파일을 새로 생성해서 ENV=~/.kshrc를 추가한다.

$ cat ~/.ssh/environment

ENV=~/.kshrc

위의 설정이 제대로 동작하려면 /etc/ssh/sshd_config 파일의 PermitUserEnvironment을 'yes'로 설정하고

sshd를 재시작한다.

원격 노드에 JAVA_HOME 환경변수를 설정한 후 DAS 머신에서 다음의 명령을 통해 설정이 제대로 적용

되었는지 확인한다.

$ ssh [email protected] java -version

java version "1.6.0_30"

Java(TM) SE Runtime Environment (build 1.6.0_30-b12)

Java HotSpot(TM) Server VM (build 20.5-b03, mixed mode)

위의 명령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면 SSH를 사용할 준비가 완료된 것이다.

3.3. 노드 설정 및 삭제SSH 타입의 노드는 WebAdmin과 콘솔 툴을 사용해서 설정하고 삭제할 수 있다.

3.3.1. SSH 타입 노드 설정

SSH 설정이 완료되면 JEUS에 노드의 설정을 적용해야 한다.

노드는 기본적으로 다음의 3가지 기본정보가 필요하고, 이 정보와 함께 노드의 종류별로 필요한 설정을

한다.

● ID로 사용할 노드의 이름

● 원격 머신의 주소

● 원격 머신의 JEUS 설치 디렉터리 정보

SSH 타입 노드 매니저는 UNIX 환경에서만 지원 가능하다. SSH 접속을 위해서 포트 번호, 사용자 이름 그

리고 개인 Key 파일 경로 정보를 설정해야 한다.

본 절에서는 WebAdmin과 콘솔 툴을 사용하여 JEUS에 SSH 타입 노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WebAdmin 사용

다음은 WebAdmin을 사용해서 SSH 타입 노드를 설정하는 방법이다.

1. 노드와 관련된 모든 사항은 [Node 설정] 메뉴를 통해 편집 및 동작이 가능하다. WebAdmin 메인 화면

에서 [Node 설정]을 선택한다.

제3장 SSH 타입 노드 매니저 29

Page 42: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그림 3.2] SSH 타입 노드 설정 (1)

2. Nodes 화면에는 추가된 노드 목록이 조회된다. 사용자가 노드를 추가하지 않아도 노드 목록에는 JEUS

를 설치할 때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노드가 조회된다. 노드 목록에서는 다음과 같이 노드의 이름, 종류,

제어 가능 여부, 해당 노드에 설치된 JEUS 버전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노드 추가를 위해 [ADD] 버튼을 클릭한다.

[그림 3.3] SSH 타입 노드 설정 (2)

참고

노드 설정은 [LOCK & EDIT]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 변경 모드로 전환하거나 [Activate Changes] 버

튼을 클릭하여 변경 반영과 같은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30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43: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3. Node 화면에서 노드의 이름, 호스트 주소, JEUS 설치 경로를 입력한다. 노드의 타입으로 'Ssh'를 선택

하고 관련 항목을 입력한 뒤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그림 3.4] SSH 타입 노드 설정 (3)

제3장 SSH 타입 노드 매니저 31

Page 44: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4. Nodes 화면 상단에 노드가 성공적으로 추가되었다는 메시지와 함께 노드 목록에 추가한 노드 정보가

조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JEUS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라면 다음과 같이 'JEUS version' 컬럼에 JEUS 버전이 출력되지 않는다.

제어 가능한 노드인 경우 [install] 버튼을 클릭하여 JEUS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림 3.5] SSH 타입 노드 설정 (4)

원격 노드에 JEUS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JEUS version' 컬럼에서 설치된 JEUS 버전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림 3.6] SSH 타입 노드 설정 (5)

32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45: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5. JEUS가 설치된 노드에서 서버를 실행하려면 앞에서 정의한 노드를 해당 서버에 매핑시켜야 한다.

다음과 같이 서버 설정 화면의 'Node Name'항목에 노드 이름을 선택해서 서버에 매핑한다.

[그림 3.7] SSH 타입 노드 설정 (6)

참고

이 설정은 동적 변경 항목이므로 설정을 변경하기 전에 [LOCK & EDIT]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 변경

모드로 전환하고, 설정 변경이 완료된 후에는 [Activate Changes]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 내용을 반

영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6. JEUS가 설치된 노드에 매핑된 서버는 화면 왼쪽의 [Monitoring] > [Servers] 메뉴를 선택하면 조회되

는 서버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림 3.8] SSH 타입 노드 설정 (7)

제3장 SSH 타입 노드 매니저 33

Page 46: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조회된 서버 목록에서 원하는 서버 선택한 후 [start]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각

항목을 설정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서버가 시작된다.

[그림 3.9] SSH 타입 노드 설정 (8)

참고

서버를 기동하는 방법은 [Monitoring] > [Servers] 메뉴 외의 [Servers] 메뉴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해당 메뉴를 사용한 방법은 “제2장 Java 타입 노드 매니저”를 참고한다.

7. 원격 노드에 서버 실행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화면 상단에 서버가 시작되었다는 메시지와 함께 'Status'

컬럼에 해당 서버의 상태가 'RUNNING'으로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3.10] SSH 타입 노드 설정 (9)

34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47: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콘솔 툴 사용

다음은 콘솔 툴을 사용해서 노드를 설정하는 방법이다.

1. add-ssh-node 명령을 사용해서 다음과 같이 JEUS에 SSH 타입 노드를 추가한다.

[DAS]domain1.adminServer>add-ssh-node node2 -host 192.168.23.129

-dir /home/test/jeus -user test -privatekey /home/hong/.ssh/id_rsa

Node [node2] has been added successfully.

2. 추가한 SSH 노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check-ssh-node 명령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해

당 노드에 SSH를 통해 java 명령을 수행해보는 명령으로 다음과 같이 java를 수행할 수 있다고 나타나

면 추가한 노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는 의미이다.

[DAS]domain1.adminServer>check-ssh-node node2

DAS can execute "java" process via SSH.

3. 추가된 노드는 nodes.xml에 해당 설정이 저장되며, show-node 명령을 통해 다음과 같이 설정을 확인

할 수 있다.

[DAS]domain1.adminServer>show-node node2

================================================================================

+-----------------------------------+------------------------------------------+

| Property | Value |

+-----------------------------------+------------------------------------------+

| Node name | node2 |

| Host | 192.168.23.129 |

| Installed directory | /home/test/jeus |

| Mapped servers | |

| Node Type | SSH |

| SSH user name | test |

| SSH private key | /home/hong/.ssh/id_rsa |

| SSH port | 22 |

+-----------------------------------+------------------------------------------+

================================================================================

4. 이렇게 구성된 노드들은 list-nodes 명령을 통해 노드의 종류, 제어 가능 여부, 설치된 JEUS의 버전 정

보를 확인할 수 있다.

[DAS]domain1.adminServer>list-nodes

====================================================================

+-----------+------+------------------------+----------------------+

| Node name | Type | Under control | JEUS version |

+-----------+------+------------------------+----------------------+

| node1 | JAVA | N | - |

| node2 | SSH | Y | - |

+-----------+------+------------------------+----------------------+

====================================================================

제3장 SSH 타입 노드 매니저 35

Page 48: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위와 같이 노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콘솔 툴의 install-jeus 명령을 통해 해당 노드에 JEUS를 설치할

수 있다.

[DAS]domain1.adminServer>install-jeus node2

JEUS has been installed on the node [node2] successfully.

참고

install-jeus 명령은 DAS 머신에 설치된 파일을 복사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해당 노드가 DAS 머신과

동일한 OS일 경우에만 정상 동작이 가능하고, 다른 OS일 경우 native 라이브러리를 정상적으로 사

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정상 동작이 불가능하다. 환경에 따라 수행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음에 유의한

다.

5. 이렇게 설정된 노드에 서버를 매핑해야 해당 서버가 해당 노드에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modify-server

명령의 -node 옵션을 사용해서 매핑한다.

다음은 특정 서버를 특정 노드에 매핑하는 예제이다.

[DAS]domain1.adminServer>modify-server server1 -node node2

Performed to MODIFY server (server1) successfully.

You can check the results using "list-servers server1 or modify-server server1"

6. 다음과 같이 show-node 명령을 사용하여 해당 노드를 확인해 보면 서버가 매핑된 것을 확인할 수 있

다.

[DAS]domain1.adminServer>show-node node2

================================================================================

+-----------------------------------+------------------------------------------+

| Property | Value |

+-----------------------------------+------------------------------------------+

| Node name | node2 |

| Host | 192.168.23.129 |

| Installed directory | /home/test/jeus |

| Mapped servers | server1 |

| Node Type | SSH |

| SSH user name | test |

| SSH private key | /home/hong/.ssh/id_rsa |

| SSH port | 22 |

+-----------------------------------+------------------------------------------+

================================================================================

7. 이렇게 노드에 매핑된 서버는 콘솔 툴의 start-server 명령을 통해 간편하게 시작 및 종료가 가능하고,

서버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는 자동으로 설정된다.

[DAS]domain1.adminServer>start-server server1

Server [server1] has been started successfully.

만약, 서버가 동작하고 있는 노드에서 kill 명령을 통해 해당 서버를 강제 종료하면, DAS는 해당 서버가

'FAILURE_SUSPECTED' 상태임을 인지하고 자동으로 해당 서버를 재시작한다.

36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49: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다음과 같이 server-info 명령을 통해 해당 서버의 상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DAS]domain1.adminServer>server-info

Information of Domain (domain1)

================================================================================

+-------+-------------+-----+-------+-----+--------------+--------+------------+

| Server| Status | Node| PID | Clus| Latest | Need to|Listen Ports|

| | |Name | | ter |StartTime/Shut|Restart | |

| | | | | | downTime | | |

+-------+-------------+-----+-------+-----+--------------+--------+------------+

| adminS| RUNNING (481| N/A | 26441 | N/A | Wed Mar 27 | false | base-0.0.0.|

|erver(*|sec) | | | |12:04:47 KST | |0:9736 |

|) | | | | |2013 | | http-server|

| | | | | | | |-0.0.0.0:808|

| | | | | | | |8 |

| | | | | | | | jms-0.0.0.0|

| | | | | | | |:9741 |

+-------+-------------+-----+-------+-----+--------------+--------+------------+

|server1| FAILURE_SUSP|node2| N/A | N/A | N/A | N/A | N/A |

| |ECTED (73 | | | | | | |

| |sec) | | | | | | |

+-------+-------------+-----+-------+-----+--------------+--------+------------+

|server2| SHUTDOWN | N/A | N/A | N/A | N/A | N/A | N/A |

+-------+-------------+-----+-------+-----+--------------+--------+------------+

================================================================================

[DAS]domain1.adminServer>server-info

Information of Domain (domain1)

================================================================================

+--------+---------+-----+-------+-----+----------------+--------+-------------+

| Server | Status | Node| PID | Clus| Latest | Need to| Listen Ports|

| | |Name | | ter |StartTime/Shutdo|Restart | |

| | | | | | wnTime | | |

+--------+---------+-----+-------+-----+----------------+--------+-------------+

| adminSe| RUNNING | N/A | 26441 | N/A | Wed Mar 27 | false | base-0.0.0.0|

|rver(*) |(521 sec)| | | |12:04:47 KST | |:9736 |

| | | | | |2013 | | http-server-|

| | | | | | | |0.0.0.0:8088 |

+--------+---------+-----+-------+-----+----------------+--------+-------------+

| server1| RUNNING |node2| 27005 | N/A | Wed Mar 27 | false | base-0.0.0.0|

| |(31 sec) | | | |12:12:59 KST | |:19736 |

| | | | | |2013 | | http-server-|

| | | | | | | |0.0.0.0:18088|

| | | | | | | |jms-0.0.0.0:1|

| | | | | | | |9741 |

+--------+---------+-----+-------+-----+----------------+--------+-------------+

제3장 SSH 타입 노드 매니저 37

Page 50: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 server2| SHUTDOWN| N/A | N/A | N/A | N/A | N/A | N/A |

+--------+---------+-----+-------+-----+----------------+--------+-------------+

================================================================================

참고

본 절에서 사용되는 각 명령어에 대한 자세한 사용 방법은 "JEUS Reference Book의 “JEUS Reference

Book”의 "4.2.3.Server Management 관련 명령어", “JEUS Reference Book”의 "4.2.4.Domain Config

uration 관련 명령어", “JEUS Reference Book”의 "4.2.14.노드 관리 관련 명령어"를 참고한다.

3.3.2. SSH 타입 노드 삭제

SSH 타입 노드는 WebAdmin이나 콘솔 툴을 사용해서 삭제할 수 있다. 삭제 방법은 Java 타입 노드의 방

법과 동일하므로 본 절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자세한 내용은 “2.4.2. Java 타입 노드 삭제”를 참고한다.

38 JEUS Node Manager 안내서

Page 51: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색인

Symbols<serverName>.address, 14

<serverName>.lck, 13

<serverName>.pid, 14

<serverName>.properties, 11, 13

dasurl, 13

password, 13

sslArguments, 13

username, 13

<serverName>.state, 14

Aaction 옵션

CONTINUE, 10

ROLLBACK, 10

STOP, 10

add-java-node 명령, 17

add-ssh-node 명령, 35

apply-patch, 10

Ccheck-ssh-node 명령, 35

CONTINUE, 10

DDAS, 2

Domain Administration Server, 2

Iinstall-jeus 명령, 36

JJava 타입 노드 매니저, 2, 7

jeusnm.properties, 11, 12

host, 12

keystore, 12

keystorePass, 12

port, 12

serverAutoRestart, 12

serverMonitoringPeriod, 12

serverRestartDurationTime, 12

serverRestartTryCount, 12

serverRetryRestart, 12

truststore, 13

truststorePass, 13

useNodeManager, 12

useSSLListener, 12

Llist-nodes 명령, 17, 19, 35

Mmodify-server 명령, 36

Nnm-connect 명령, 22

nm-disconnect 명령, 24

nm-start-server 명령, 23

nm-state-server 명령, 24

nm-stop 명령, 21

nm-stop-server 명령, 24

Node, 1

Node Manager, 1

nodes.xml, 11, 35

non-interactive 모드, 28

Rremove-node 명령, 19

remove-patch, 10

ROLLBACK, 10

Rolling Patch, 10

Sserver-info 명령, 37

show-node 명령, 35, 36

ssh 명령, 28

SSH 타입 노드 매니저, 2, 27

색인 39

Page 52: JEUS Node Manager 안내서 - TmaxSoft · 2019-04-09 · 저(Node Manager)이다. 즉, 도메인 단위가 아닌 머신 단위로 서버를 관리하고 해당 머신에 존재하는

start-server 명령, 24, 36

startDomainAdminServerNM, 23

startNodeManager, 19

STOP, 10

stopNodeManager, 20

노드, 1

노드 매니저, 1

40 JEUS Node Manager 안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