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그로토프스키의 가난한 연극 의 한국 수용에 관한 연구 -...

13
243 J.그로토프스키의 가난한 연극한국 수용에 관한 연구 민병욱 부산대학교 A Study on J. Grotowski’s Poor Theater and Korean Style Min, Byung Wook Pusan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This examines the adoption of Jerzy Grotowski’s Poor Theater in modern Korean theatre. In the 1980’s, theory of Poor Theater was first introduced in 1982. From 1982 to 1990, the theory of Grotowski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its influence on modern avant-garde play was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in Korea. In the 1990s, Korean academic extended his theory to include the Paratheatre(1969~1978), Theatre of Sources(1976~1982), Objective Drama (1983~1986) and Art as a Vehicle (1986~1999). In the 2000s, theoretical research focused on character creation, actor’s methodological training, technologies of acting, stage design and practical application methods. Since 2010, the main theme of the research has moved toward drama therapy. Through this academic progress, studies have included a wide range of subjects such as: ‘Poor Theater vs Rich Theatre’, ‘Sacred Actor vs Prostitute Actor’, ‘elite audience vs Public audiences’, ‘The integration of the stage and the audience’, and ‘Play text between myths and the present.’

Transcript of J.그로토프스키의 가난한 연극 의 한국 수용에 관한 연구 -...

243

J.그로토프스키의 ‘가난한 연극’의 한국 수용에 관한 연구

민병욱

부산대학교

A Study on J. Grotowski’s Poor Theater and Korean Style

Min, Byung Wook

Pusan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This examines the adoption of Jerzy Grotowski’s Poor Theater in modern Korean theatre.

In the 1980’s, theory of Poor Theater was first introduced in 1982. From 1982 to 1990, the

theory of Grotowski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its influence on modern avant-garde play was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in Korea.

In the 1990s, Korean academic extended his theory to include the Paratheatre(1969~1978),

Theatre of Sources(1976~1982), Objective Drama (1983~1986) and Art as a Vehicle (1986~1999).

In the 2000s, theoretical research focused on character creation, actor’s methodological

training, technologies of acting, stage design and practical application methods.

Since 2010, the main theme of the research has moved toward drama therapy.

Through this academic progress, studies have included a wide range of subjects such as: ‘Poor

Theater vs Rich Theatre’, ‘Sacred Actor vs Prostitute Actor’, ‘elite audience vs Public audiences’,

‘The integration of the stage and the audience’, and ‘Play text between myths and the present.’

244

This paper is limited to a theoretical exploration. The next challenge is to study examples of

its practical application.

Ⅰ. 문제의 제기

폴란드 연극연출가 J.그로토프스키의 연극론에 관한 선행 연구는, 현대 전위극 연출가들과는

달리 널리 이루어지지 않는 것 같다.

J.그로토프스키를 키워드로 한국학 관련 사이트에서 찾아보면 대략 40여 편의 논문(비평)과

20여 권의 저서가 검색된다. 사정은 국내 포털사이트에서도 마찬가지인 것 같다.

특히 그의 연극론이 1980년대 초반 이후 국내에 수용되면서 한국 현대 연극의 실천 작업으로

확산되고 있는 지금 상황에서 그 이론의 체계와 수용과정을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본고는 연출가로서 연기이론가로서 현대 연극의식의 중심적인 인물로 평가받는

J.그로토프스키 연극론의 한국적 수용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Ⅱ. ‘가난한 연극’의 수용양상

가난한 연극의 한국적 수용과정을 주제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종류

(분량)

수용

정도

수용 이론(연구자, 발표연도)

245

학위

논문

배우와 관객 간의

관계

임형택(1991), 배미정(1995)

초(탈) 연극작업 안재범(2003), 이수현(2006)

객관 연극 김용태(2009)

운반수단으로서의

예술

신은아(2014)

충동이론 안창경(2008)

배우연기론

박현미(2000), 정지윤(2003)

김석훈(2008) 김선영(2009),

민성기(2011) 황연희(2012)

극적 공간론 이연숙(1997), 강민정(2011)

연극치료

이민성(2005), 박정민(2007),

정선영(2015),

영향론 혹은 비교론

이광준(2007), 이희란(2007),

홍은재(2007), 이효문(2013),

봉하일(2014),이 화(2014),

최소영(2014)

배우연기론 이영란(2012)

국내 전체 연극론 그 자체 고승길(1994) 김용수(2000)

246

학술지

논문

나진환(2006),

배우와 관객 임형택(1992) 배수진(2007)

부분

배우연기론

안창경(2010), 서나영(2013),

권경희(2014)

연극치료론 이선형(2013), 배희숙(2015)

영향론 혹은 비교론 강영주(2007), 조성덕(2011)

단행본

번역

연극론 고승길 1987, 나진환(2007)

세계 (현대)

연극론의 맥락

심우성(1989), 송혜숙(1992, 1994),

김미혜( 1997), 김미혜,이경미(2000),

김동욱(2000),

이기우,김익두,김월덕(2001),

김동욱(2002), 박재완(2005)

해설

연극론과 그 맥락

고승길(1982), 김태원(2003),

이희용(2007),

연극론의 실제 적용

오순환(2002), 배수진(2010),

장두이(2011, 2012)

Ⅲ. ‘가난한 연극’론의 연대기적 수용 과정

Ⅲ-1. 1980년대 : ‘가난한 연극’의 번역과 소개

J.그로토프스키의 ‘가난한 연극’이 국내에 처음 소개된 것은 1982년이며, 1982년에서부터

247

1989년에 이르기까지 번역으로 것은 그의 저서 『Towards a Poor Theatre』(1968)와 그

일부이며, 영국 연출가 J.R.에반스(J. Roose-Evans)의 해설 이다. 번역 해설에서는 ‘poor

theatre’를 ‘가난한 연극’과 ‘가지지 않는 연극’으로 표기하고 있다.

Ⅲ-2. 1990년대 : 가난한 연극의 배우와 관객 연구

가난한 연극의 번역과 소개는 1990년대에 이르러서 배우와 관객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이론적

탐색으로 이어진다.

이 시기 J.그로토프스키와 그의 가난한 연극을 주제나 대상으로 한 석사 학위논문, 다른

연출가와의 비교를 통한 비교연극학적 연구가 이루어진다.

석사학위논문은 배우와 관객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1991년, 1995년, 무대와 객석의 공간결합,

배우의 역할을 주제로 한 비교연극학적 연구는 1997년, 2000년에 발표된다. 배우와 관객 간의

관계, 무대와 객석 간의 공간 결합, 배우의 역할은 그 논제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가난한

연극에서는 주제적 긴밀성과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일반 논문으로는 「그로토프스키 연극의 목적과 수단」이 2000년에 발표되어 그의

연극에 대한 기본적인 논의를 시작하는 계기가 된다.

Ⅲ-3. 2000년대 : 가난한 연극이론의 심화와 한국적 적용 가능성

배우 관객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이론적 탐색은 2000년대에 이르러서는 다음과 같은

248

범위로 확산된다.

첫째, ‘가난한 연극’에서 비롯된 이론적 탐색은 그 범위를 그의 연극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석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본다면 가난한 연극의 배우와 관객 간의 관계에서 시작된 이론적

탐색은 배우 훈련방법론, 관객의 연기자 전환론으로 심화되고 ‘탈 연극’(1969~1999), ‘유사

연극’(Paratheatre, 1969~1978), ‘원천 연극’(Theatre of Sources 1976~1982), ‘객관 연극’(Objective

Drama, 1983~1986)으로 확산된다. 아울러 그의 연극론과 동시대 미술가의 미론을 비교하는

연구도 이루어진다.

둘째, 가난한 연극의 한국적 적용가능성으로 배우 훈련방법에 관한 탐색이 이루어진다.

가난한 연극에 있어서 배우 훈련 방법을 한국 배우의 심리연기 훈련 방법과 이미지 창조 방법,

무용수의 극적 표현 방법으로, 샤먼 학습을 위한 모델로 적용하고자 하는 탐색이 이루어진다.

셋째, 가난한 연극에서 나아가 그의 연극론을 연극 치료에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그의 연극론을 우리 전통 예술 판소리의 치유성과 비교하거나 청소년의 우울증

치료에 활용하고자 하는 연극 치료의 이론적 탐색이 이루어진다.

넷째, 앞 시기와 같이 그의 연극론을 비교연극학적 방법의 준거로 삼고자 하는 이론적 탐색도

이루어진다.

Ⅲ-4. 2010년대 이후 : 가난한 연극이론의 확산과 한국에서의 적용

2000년대 이루어진 이론적 탐색의 확산과 삼화는 201년대 이후 계속 이루어진다.

249

첫째, ‘가난한 연극’에서 비롯된 이론적 탐색은 그 범위를 그의 연극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운반 수단으로서의 예술은 공연으로서의 연극에서 전환된 것으로서 그 탐색으로 그의 연극론

전체를 대상으로 한 이론적 탐색이 일단 완결된다.

둘째, 가난한 연극의 한국적 적용가능성으로 인물 창조방법, 배우 훈련방법, 공간 디자인에

관한 탐색과 그 실제 적용이 이루어진다. 그의 연극론은 한국 현대극의 방법론적 준거로서

배우의 인물 창조, 연기훈련, 공간 디자인으로 시험되고 실제 적용의 가능성으로 수용된다.

특히 장두이는 ‘그로토프스키 극단’의 수석 단원(1983~1987)으로서 그의 연극론과 연기론을

한국 연극에 접목하고 실천하고 있다.

셋째, 그의 연극론을 연극 치료에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전반적으로 확산된다.

넷째, 앞 시기와 같이 그의 연극론을 비교연극학적 방법의 준거로 삼고자 하는 이론적 탐색도

이루어진다.

Ⅳ. 결론 및 앞으로의 문제점

본고는 J.그로토프스키의 ‘가난한 연극’을 중심으로 그의 연극론의 한국적 수용과정을

연대기별로 주제별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J.그로토프스키의 ‘가난한 연극’이 국내에 처음 소개된 것은 1982년이다. 1982년에서부터

1989년에 이르기까지 번역으로 것은 그의 저서 『Towards a Poor Theatre』(1968)와 그

250

일부이며, 영국 연출가 J.R.에반스(J. Roose-Evans)의 해설이다. 가난한 연극의 번역과 소개는

그의 연극과 연극론이 세계연극사, 특히 현대 (전위)연극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역사적 위치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2) ‘가난한 연극’에서 비롯된 이론적 탐색은 그 범위를 그의 연극 전반, ‘유사 연극’(Paratheatre,

1969~1978), ‘원천 연극’(Theatre of Sources 1976~1982), ‘객관 연극’(Objective Drama,

1983~1986), ‘운반 수단으로서의 예술 ’(Art as Vehicle, 1986~199)으로 확산하고 있다.

3) 가난한 연극의 한국적 적용가능성으로 인물 창조방법, 배우 훈련방법, 공간 디자인에 관한

탐색과 그 실제 적용이 이루어진다.

4) 그의 연극론을 연극 치료에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전반적으로 확산된다. 5) 그의

연극론을 비교연극학적 방법의 준거로 삼고자 하는 이론적 탐색도 이루어진다.

참고문헌 (연대기별)

J,Grotowski, 1982, 「가난한 연극을 위하여」(Towards a Poor Theatre), 『현대 연극의 이론 -

입센에서 그로토프스키까지』, 고승길 역, (서울 : 대광문화사), pp.367~382.

J,Grotowski, 1982, 「연극은 만남이다」, 『현대 연극의 이론 - 입센에서 그로토프스키까지』,

고승길 역, (서울 : 대광문화사), pp.383~387.

J,Grotowski, 1987, 『가난한 연극-예지 그로토프스키의 실험연극론』, 고승길 역, (서울:

251

교보문고)

J,Roose-Evans, 1989, 「그로토프스키와 가지지 않는 연극」, 『전위연극론-

스타니슬라브스키로부터 피터 브룩까지』, 심우성 역, (서울: 동문선), pp.181~188,

J,Roose-Evans, 1989, 「그로토프스키와 가지지 않는 연극」, 『전위연극론-

스타니슬라브스키로부터 피터 브룩까지』, 심우성 역, (서울: 동문선), pp.189~202.

임형택, 1991, 「그로토프스키 연극에 나타난 배우와 관객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서울: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임형택, 1992, 「그로토프스키 연극에 나타난 배우와 관객의 관계에 대한 연구」,

『연극학보』(Vol.22), 동국대학교 연극영상학부, pp.109-190.

고승길, 1994, 「그로토프스키- 연극은 가장 진실한 생존방법」, 『한국논단』(Vol.61 No.1),

한국논단, pp.146-152.

배미정, 1995, 「Jerzy Grotowski의 실험연극에서 관객참여에 관한 연구」, (부산 :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이연숙, 1997, 「무대와 객석의 공간결합을 위한 현대연극의 시도 - 그로토프스키와

오클로코프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울 :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논문)

예르지 그로토프스키, 1999, 「‘극단'에서 ‘연결매개체'로서의 연극까지」, 이순미 역,

『공연과 리뷰』 (Vol.21), pp.177-193.

252

박현미, 2000, 「그로토프스키와 로버트 윌슨 연극에서의 배우의 역할 비교연구」, (서울: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논문)

김용수, 2000, 「그로토프스키 연극의 목적과 수단」, 『한국연극학』(Vol.14 No.1),

한국연극학회, pp.295-338.

안재범, 2003, 「그로토프스키의 초연극작업(Para-theatrical Peoject)의 연극성에 대한 연구」,

(서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이수현, 2006, 「예르지 그로토프스키의 탈연극적 작업으로의 이행에 대한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나진환, 2006, 「그로토프스키 연극론의 세 변모」, 『공연과 리뷰』(Vol.54), pp.63-71.

강영주, 2007, 「가난한 연극, 가난한 미술- 그로토프스키 연극이론과 아르테 포베라」,

『미술이론과 현장』(Vol.5), 한국미술이론학회, pp.109-133.

배수진, 2007, 「예르지 그로토프스키의 실험연극에서 관객이 연기자로 전이된 무대 참여

기법」, 『현대문학이론연구』(Vol.32), 현대문학이론학회, pp.331-347.

안창경, 2008, 「트랜스 테크닉으로서의 그로토프스키의 충동이론에 관한 연구」, (서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김용태, 2009, 「그로토프스키의 객관연극에 나타난 행위자의 특성 연구」, (서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53

배수진, 2010, 『Jerzy Grotowski의 공연세계 : 가난한 연극론과 배우의 훈련방법』, (서울:

소정독립영화문화원)

안창경, 2000, 「샤먼의 학습을 위한 텍스트북 모델로서의 그로토프스키 배우훈련」,

『공연문화연구』(Vol.21), 한국공연문화학회, pp.329-359.

정지윤, 2003, 「무용수의 극적 표현에 관한 연구- 예지 그로토프스키의 실험적 연기

훈련방법을 바탕으로」, (서울: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석사논문)

김석훈, 2008, 「공연과 영상 매체를 통한 배우의 이미지 창조에 관한 분석」, (서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논문)

김선영, 2009, 「자의식에 따른 배우의 심리연기훈련방법 연구」, (서울: 단국대학교

대학원석사논문)

이민성, 2005, 「판소리의 치유성에 관한 연구- 아방가르드연극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박정민, 2007, 「청소년의 우울수준과 우울대응행동에 관한 연구」, (서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이광준, 2007, 『신화와 제의적 관점에서 본 셰익스피어 극에서의 죽음과 재생의 모티프』,

(서울: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논문)

이희란, 2007, 「메레디즈 몽크의 삼각연극에 나타난 총체극적 무대구성 방식과 연기양식

254

연구」, (청주: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홍은재, 2007, 「앙토냉 아르토의 관객관의 영향 연구- 폴란드 연극실험실과 리빙 시어터의

관객 전략을 중심으로」, (서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신은아, 2014, 「수직성 개념을 중심으로 본 예르지 그로토프스키의 '운반수단으로서의 예술'

연구」, (서울: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강민정, 2011, 「장소 특정적(Site-Specific) 극 공간 디자인 연구」, (서울: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논문)

민성기, 2011, 「극의 '주어진 상황'으로 들어가기 위한 배우 훈련방법 연구」, (서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장두이, 2011, 『그로토프스키 & 두이 장』, (서울: 연극과 인간)

장두이, 2012, 『장두이의 연극상식- 연극을 더 재미있게 보는 법』, (서울: 새로운 사람들)

황연희, 2012, 「배우의 인물 창조과정과 방법에 관한 연구」, (포천: 대진대학교

문화예술전문대학원, 석사논문)

권경희, 2014, 「연기의 기술적, 의식적 리미널리티(liminality)와 배우의 아우라의 상관성」,

『한국연극학』(Vol.53), 한국연극학회, pp.31-56.

이선형, 2013, 「연극치료에서 발달변형모델(DvT) 연구」, 『연극예술치료연구』(No.3),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pp.19-48.

255

배희숙, 2015,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화용발달을 위한 DvT 연극치료모델 집단

언어치료」, 『드라마연구』(No.45), 한국드라마학회, pp.113-140.

정선영, 2015, 「청소년의 역할통합을 위한 연극치료 연구- 역할 몸짓 감정의 역학적 관계를

중심으로, (용인: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논문)

조성덕, 2011, 「피터 브룩과 예지 그로토프스키 연기 훈련법의 실증적 비교 고찰 -

스타니슬랍스키와 브레히트 연기론 관점에서」, 『브레히트와 현대연극』(Vol.24),

한국브레히트학회, pp.147-176.

노하용, 2016, 「피터 브룩 연출 세계에 나타난 문화상호주의 연구」, (청주: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