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ahn.konkuk.ac.kr · 한국영어학회 《현대영어학총서》발간에 부쳐...

388
영어통사론

Transcript of hdahn.konkuk.ac.kr · 한국영어학회 《현대영어학총서》발간에 부쳐...

  • 영어통사론

  • ~ 현권 언어 통사구조 학습과 보편문법・ 3

  • 한국영어학회

    《현대영어학총서》발간에 부쳐

    우리나라에서 영어 교육이 처음으로 시작된 지 한 세기가 훨씬 넘었으며 영어 과목

    이 초등학교에까지 정식으로 도입된 지도 10년이 넘었다. 국제화 세계화의 물결 속에

    서 우리나라에서 영어 및 영어학 연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음은 아무도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그리고 언어학 분야에서 변형생성문법 이론이 처음으로 제안된 지 이미 반세기가

    지나 언어학을 기반으로 하는 영어학 연구가 활발해지고, 영어 사용에 대한 방대한 규

    모의 코퍼스가 많이 편찬되어 영어 연구 및 영어 교육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

    다. 따라서 영어 및 영어학의 연구는 이론적인 면이나 경험적인 면에서 더욱 깊고 넓

    어져 연구 현황을 파악하기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변화의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국내 영어학의 위상을 정립하고 영어학계가 나아갈 바

    람직한 방향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성에 부응하고자 우리 한국영어학회(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KASELL)가 2000

    년에 창립되었다. 그 동안 영어영문학이나 언어학의 한 분야로 연구되어 왔었던 영어

    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여 명실공히 우리나라에서 영어학 연구의 구심점으로서의 역할

    을 다하면서 영어학 연구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계기를 만드는 것이

    우리 학회의 창립 취지였다.

    이러한 취지에 맞추어 우리 한국영어학회에서는 이번에 ≪현대영어학총서≫를 발간

    하기로 하였다. 이 총서의 내용은 대학원생을 목표 대상으로 영어학 분야의 여러 영역

    들에 대해 폭넓게 연구 현황들을 파악하게 하는 수준으로 하되 학부생에게도 필요한

    정도의 개론적 지식도 포함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기존 총서의 영역별 집필과는

    달리 주제 또는 논점별로 논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개별 영역의 특성상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에는 세부 연구 영역 간의 연계와 전체 체계를 위해 영역 위주로 기술할 수

  • 있도록 집필 방향을 정하였다.

    영어학 분야의 각 영역별로 국내 최고 권위자들로 집필진을 구성하여 기획 발간하

    는 이 ≪현대영어학총서≫가 영어학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우리나라의 영어학계가 나

    아갈 길을 밝혀줄 뿐만 아니라 영어학 연구가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는 새로운 계기를

    마련하여 학문 발전에 공헌할 수 있기를 바란다.

    발간추진위원회

    위원장 안동환

  • 목 차

    01 서론: 통사론이란 무엇인가? |윤종열·······················131. 통사론의 정의···················································································14

    2. 문법적 문장의 수··············································································16

    3. 문법 능력·························································································16

    4. 문법성분과 문장구조········································································18

    5. [영어 통사론]의 구성········································································19

    참고문헌································································································21

    02 어휘부-통사부 접합면|안성호······································231. 서론··································································································24

    2. c-선택과 s-선택·············································································25

    3. 의미역, 논항 구조, 그리고 어휘의미와의 관계··································31

    3.1 의미역······································································································31

    3.2 논항 구조································································································40

    3.3 어휘 의미와의 연계성··············································································46

    3.3.1 통사적 어휘의미론·········································································46

    3.3.2 어휘관계구조를 통한 접근······························································51

    3.3.3 어휘의미와의 연계에 대한 최소주의적 접근····································54

    3.3.4 어휘의미와의 연계성: 마무리·························································58

    4. 최소주의적 접근: 남은 측면들··························································59

    5. 마무리······························································································63

    참고문헌·······························································································65

  • 03 구구조와 범주|이병춘·························································691. 구구조규칙························································································70

    2. 핵계층이론·······················································································73

    3. 범주와 범주자질···············································································76

    4. 기능범주···························································································77

    4.1 굴절소구(IP) ·····························································································78

    4.2 보문자구(CP) ···························································································82

    4.3 한정사구(DP) ···························································································86

    4.4 경동사구(vP)와 동사구 구조·····································································89

    4.4.1 술어내재주어가설···········································································89

    4.4.2 경동사구························································································92

    4.4.3 경명사구(nP) ·················································································96

    5. 최소주의의 구구조···········································································97

    6. 어순································································································104

    참고문헌······························································································107

    04 도출과 일치|이광호······························································1111. 서론·································································································112

    2. 도출과 일치·····················································································112

    2.1 도출········································································································112

    2.2 일치········································································································114

    3. 점검································································································119

    3.1 통사체····································································································120

    3.2 핵심기능범주와 통사작용········································································122

    4. 국면································································································130

    4.1 국면과 도출····························································································130

    4.2 강국면과 국면의 해석/평가·····································································136

    4.3 부합 효과의 극대화················································································139

    4.4 순환조건의 평가·····················································································143

    5. 주변자질과 φ-자질 ····································································· 147

    5.1 자질계승과 주변자질 및 φ-자질의 동시 작용··········································147

    5.2 상승구문과 ECM구문··············································································154

    6. 결론 ···························································································· 156

    참고문헌······························································································157

  • 05 이동(MOVE) |안희돈····························································1591. 서론································································································160

    2. 이동 연구 어디까지 왔나·································································161

    2.1 이동의 종류·····························································································161

    2.1.1 머리-이동(head-movement) ··························································161

    2.1.2 A-이동(A-movement) ···································································162

    2.1.3 A'-이동(A'-movement) ·································································163

    2.2 이동의 여러 이슈들················································································164

    2.2.1 언어간의 Wh-이동의 차이····························································164

    2.2.2 양화사 인상(quantifier raising) ·····················································165

    2.2.3 선행사 포함 삭제 구문 (antecedent contained deletion; ACD) ····165

    2.2.4 제자리 wh (wh-in-situ) ·······························································166

    2.2.5 뒤섞기 (scrambling) ·····································································166

    2.2.6 스칸디나비어의 목적어 전위(轉位) (object shift) ···························167

    2.2.7 측면 이동 (sideward movement) ··················································167

    2.2.8 대용어 관계와 이동 (anaphoric relations and movement) ···········168

    2.2.9 우측 이동 (rightward movement) ·················································169

    2.2.10 이동의 제약 (constraints on movement) ··································· 169

    2.2.11 공범주원리와 도출영역조건 (ECP and CED) ································170

    2.2.12 상대적 최소성 (relativized minimality) ·········································171

    2.2.13 우월성 (superiority) 원리 ··························································172

    2.2.14 수문에서의 섬제약 위반 복구(island violation repair by sluicing) ··173

    2.2.15 복귀대명사(resumption)에 의한 섬제약 위반 치유(island repair) ····174

    2.2.16 섬제약에 대한 언어간 변이(cross-linguistic variations) ··············175

    2.2.17 이동의 의존관계(dependencies)에 대한 처리(processing) ···········176

    2.2.18 이동과 언어습득··········································································177

    3. 이동 연구 지금 어디로 ··································································178

    참고문헌······························································································185

    06통사부-음운부 접합면 |정연진····································1971. 서론································································································198

    2. 문자화(Spell-Out) ···········································································199

    3. 어순의 선형화(Linearization) ·························································202

  • 3.1 지배 가설과 어순····················································································205

    3.2 선행 가설과 어순····················································································213

    4. 연쇄의 발음 및 생략·······································································219

    4.1 복사이론·································································································219

    4.2 연쇄의 발음····························································································221

    4.3 연쇄의 발음과 관련한 기타 제안들·························································228

    4.4 생략(Ellipsis) ·························································································235

    5. 운율해석 (Prosodic Interpretation) ················································242

    6. 결론·······························································································244

    참고문헌·····························································································246

    07 통사부-의미부 접합면 |문귀선···································2551. 서론································································································256

    2. 통사부-의미부대응(correspondence) ·············································2572.1 함수적용(Functional Application) ···························································258

    2.2 술어수식(Predicate Modification) ···························································2602.3 술어축출(Predicate Abstraction) ····························································2622.4 성분통어(C-command)와 의미관계·························································266

    3. 통사부-의미부의 불일치(Mismatches) ············································267

    4. 최소주의의 의미접합면···································································2734.1 격 점검을 위한 이동···············································································2734.2 작용역 중의성························································································276

    4.2.1 이동: 복사이론(Copy Theory) ·······················································276

    4.2.2 자유 삭제(Free deletion) vs. QR·················································2784.3 QR과 결속이론의 상호작용(The interaction between QR and Binding Theory) ··2814.4 경제성과 의미해석·················································································286

    4.4.1 작용역 경제성과 QR·····································································2864.4.2 작용역 경제성과 동사구 생략현상················································288

    5. 요약 및 결론···················································································291

    참고문헌·····························································································293

    08 문장통사구조 학습과 보편문법 |양현권················2951. 제2언어 학습에서의 논리적 과제····················································296

    2. 제2언어 학습에서의 보편문법의 활용에 관한 주요 가설·················298

  • 3. 제2언어 문장구조 학습의 언어적 기반에 관한 가설·······················303

    3.1 최소구조 가설························································································303

    3.2 완전전이-완전활용 가설·········································································306

    3.3 비확정자질 가설·····················································································307

    4.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굴절소 학습·········································311

    4.1 동사구 분석····························································································312

    4.2 굴절소구 분석·························································································314

    4.3 주제어-평언 분석···················································································316

    4.4 미발달 기능 범주로서의 “be”······························································318

    4.5 미발달 기능 범주의 자질········································································322

    5. 제2언어 기능범주 학습의 언어적 기반···········································324

    참고문헌·····························································································328

    09통사론 연구의 전망과 방향 |김선웅·······················3331. 서론································································································334

    2. 철학적 관점의 변화········································································335

    2.1 플라톤의 문제·························································································335

    2.2 다윈의 문제(Darwin’s Problem) ···························································338

    2.3 아래로부터의 접근(Approaching from Below) ········································339

    3. 이론적 발전의 전망········································································342

    3.1 병합과 이동(Merge and Move) ······························································343

    3.2 이동통제이론(Movement Theory of Control, MTC) ································346

    3.3 제3요인의 탐구(Exploring the Third Factor) ··········································350

    3.4 통섭(統攝, Consilience) ·········································································354

    4. 결론································································································357

    참고문헌·····························································································359

    색인·············································································································363

    집필자 소개························································································387

  • 1. 통사론의 정의2. 문법적 문장의 수3. 문법 능력4. 문법성분과 문장구조5. [영어 통사론]의 구성참고문헌

    01서론:통사론이란 무엇인가?

    윤 종 열국민대학교

  • 14・영어 통사론

    1. 통사론의 정의

    통사론이란 무엇인가? 통사론을 소개하거나 연구하는 책에서 저자들은 통사론에 대

    해서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먼저 살펴보기로 하자. 다음은 국내 여러 대학 학부 전

    공과정, 대학원 전공 강의에 개론 및 심화과정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교재 중 몇 권을

    골라 그 정의내용을 발췌한 것이다.

    ‘통사론’은 ‘문장구성’, 즉, 단어들이 구와 문장을 만들기 위해서 배합되는 방식을

    말한다.

    - 최숙희, 김양순 역 (2000), 통사론 이해

    구와 문장의 형태, 즉, 문장의 구조에 대한 분야이다.

    - 정태구 (2005), 영어 통사론

    통사론은 기호와 기호들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통사론은 단어가 어떻게

    모여서 올바른 문장을 이루는가를 다루는 언어학의 한 부분이다.

    - 이맹성 등 (1993), 영어학의 이해

    통사론은 문장의 성분요소들의 형태, 위치, 기능 등을 분석하는 것이다.

    - 안동환, 윤종열, 장영준 역 (2006), 현대영어의 구조

    Syntax concerns sentence structure, and sentence structure may be said to have

    three aspects: grouping, function, and word order.

    - Hudson G. (2000), Essential Introductory Linguistics.

    The study of sentence formation is usually referred to as syntax.

    - Haegeman, L. 2006, Thinking Syntactically

    Syntax is the study of the way in which phrases and sentences are structured

  • 윤종열 서론 : 통사론이란 무엇인가?・ 15

    out of words, and so addresses questions like “What is the structure of a

    sentence like What’s the president doing? and what is the structure of the

    grammatical operations by which its component words are combined together to

    form the overall sentence structure.”

    - Radford, A. 2004, Minimalist Syntax

    위에 제시된 통사론에 대한 정의에 나타난 공통적인 내용은 “문장을 단위로 하여

    그 내부구조를 연구하고 그 구조를 이루는 문법성분들이 무엇이며 어떤 기능을 가지

    는가를 연구하는 것”이다. 우리가 이 정의를 받아들인다면 먼저 문장이란 무엇을 일컫

    는가하는 질문을 하지 않을 수가 없다. 문장이 단어의 연결체라는 것을 우리는 부정할

    수 없다. 그런데 모든 단어의 연결체가 다 문장이 되는가? 개별언어의 모국어화자는

    어떤 단어의 연결체는 문법적 문장이고 어떤 단어의 연결체는 설사 그 단어들이 그

    언어에서 사용되는 단어라 할지라도 문장이 아니라는, 즉 비문법적이라는 것을 안다.

    도대체 모국어화자는 어떻게 이러한 문법적 판단력을 갖는가? 이 판단력을 우리는 모

    국어화자가 모국어에 대해 가지는 직관이라고 칭하는데, 문법적 문장과 비문법적 문장

    을 구분해 내는 이 직관이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것이 통사론이 첫 번째로 탐구해야

    할 목표가 아닌가 한다.

    문법적인 문장과 비문법적인 문장을 구분해 낼 수 있는 모국어 화자의 직관력은 무

    엇인가? 이에 앞서 문법적인 문장은 과연 얼마나 될까? 우리는 하루하루 살아가면서

    상당히 많은 문장을 말한다. 사람마다 수명이 다르므로 평생 말하는 문장의 수는 차이

    가 있을 것이다. 또한 인간의 수명이 한정적이므로 한 개인이 평생 사용하는 문장의 수

    는 한정적일 것이다. 그런데 모국어 화자는 자신이 접해보지 않은 어떤 단어의 연결체

    를 두고 그에 대한 문장으로서의 문법성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어쩌면 이 능

    력이 있으므로 문법적인 문장을 만들어 사용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문장의 수는 실제로 한 개인이 평생 사용하는 문장의 수와는

    사뭇 다를 것이다. 문법성을 판단할 수 있는 직관력을 논할 때, 우리가 말하는 한 언어

    가 가지는 문법적인 문장의 수는 실제로 한 개인이 평생 사용할 수 있는 문장의 수와

    는 다르다. 즉, 우리의 직관력으로 문법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한 언어의 문장의 수

    는 얼마나 될까에 대한 답이 그 언어의 문법적인 문장의 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16・영어 통사론

    2. 문법적 문장의 수

    언어학자들은 모든 인간언어 하나하나가 가지는 문법적인 문장의 수는 무한하다고

    한다. 이를 어떻게 알 수가 있는가? 만약 한 언어의 문장의 수가 유한하다면 우리는

    가장 긴 문장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문장이 가장 긴 문장이 될 수 없

    다는 것을 우리는 쉽게 알 수 있다. 왜냐하면 Radford(1981)가 예시하는 바와 같이

    영어에는 명사 앞에 수식해 주는 형용사를 이론상으로 무한히 많이 이어 줄 수 있으

    며 또한 형용사 앞에는 부사를 무한히 많이 반복적으로 넣어 줄 수 있는데 이러한 수

    식어의 무한 반복성은 영어와 우리말을 비롯한 모든 언어에 보편적이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역시 Radford(1981)가 같은 책에 예시해 주는 바와 같이 하나의 상위절이 종

    속절을 가지고 이 종속절은 또 다른 종속절을 가지는 등 이론상으로 무한히 많은 수

    의 종속절을 한 문장이 가질 수 있어 문장의 길이가 무한해 질 수 있고, 명사구를 수

    식해주는 관계절이 한 문장 속에 무한히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어 문장이 무한히

    길어 질 수 있으며, and, but, or 등과 같은 접속사가 무한히 많은 수의 구나 절을 연

    결해 줄 수 있어 문장의 길이가 무한히 길어 질 수 있는데 이러한 문법 현상들 또한

    영어나 우리말을 비롯한 모든 언어에 나타나는 보편적 현상이다.

    다시 말해, 모든 인간의 언어에서 가장 긴 문장(the longest sentence in a

    language)이란 존재할 수가 없다. 따라서 인간언어의 문법적인 문장 수의 집합이 유한

    집합이라는 가정은 잘못된 것이고, 이 세상의 어떤 언어든 그 언어가 인간이 사용하는

    자연언어라면 그 언어의 문법적인 문장의 수는 무한하다고 할 것이다.

    3. 문법 능력

    그렇다면 한 언어에 무한한 수의 문법적인 문장이 있다면 어떻게 모국어 화자는 그

    무한한 수의 문장을 보고 문법성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직관을 가지는가하는 질

    문에 우리는 답해야 한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 것이 통사론 연구의 긍극적

  • 윤종열 서론 : 통사론이란 무엇인가?・ 17

    탐구목표라고 할 것이다. 도대체 이러한 무한한 수의 문장에 대한 문법적 판단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문장의 수가 유한하다면 그 문장들을 모두 암

    기하여 필요할 때마다 그 암기된 지식을 이용하여 그때 그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수가 무한하다면 일일이 암기하고 그 암기능력에 의존한다는 것은 불가능

    할 수 밖에 없다. 그렇다면 통사론 연구의 목표는 좀 더 분명해진다. 문법적 문장의

    수가 무한히 많아서 암기력에 의존할 수 없다면, 모국어 화자의 직관력은 모든 문법적

    인 문장의 암기에 의존하는 것이 아닐 것이다. 무한한 수의 문법적인 문장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어떤 유한한 수의 원소를 가진 능력의 집합을 체득하기 때

    문이 아닐까? 현대 통사론의 탐구는 바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것으로부터 시작

    된다. 영어학 총서의 일환으로 발간된 “영어통사론”은 이에 대한 답을 독자들이 찾아

    갈 수 있도록 적절히 인도해 줄 것이며, 독자들과 함께 궁극적인 답을 찾으려는 노력

    을 함께 할 것이다. 즉, 어떤 문법성분들이 구조적으로 어떻게 연결되면 그리고 문장

    의 어떤 위치에 어떤 문법성분이 위치하면 그 단어의 연결체가 문법적이 되는가? 동

    일한 문법성분들이 연결되어 있더라도 그 순서가 달리 배열되었을 때 어떤 배열은 문

    법적이며 어떤 배열은 비문법적인 것은 무슨 까닭인가? 동일한 선형적 구조를 보이는

    단어의 연결체가 한 가지 이상의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리고 의미

    가 달라지는 것은 왜 그럴까? 이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 떠나는 것이 바로 통

    사론 연구의 궁극적 목표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답은 모국어화자의 머릿속에 들어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모국어화자는 모든 문법적인 문장을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

    라 모국어 화자가 사용하는 문장은 이상적으로 말하면 언제든 문법적이기 때문이다.

    물론 실수를 통해 어법에 맞지 않는 문장을 간혹 사용하는 경우가 있을지는 모르나

    곧 그 문장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고 수정하거나 다시 말한다. 한마디로 정상적인 모

    국어 화자는 자기 언어가 가지는 문법적인 모든 문장에 대한 판단력이 있고 모든 문

    법적인 문장들을 말할 수 있으며(all grammatical sentences), 항상 문법적인 문장만

    (only grammatical sentences) 말한다. 통사론에서 탐구하는 문법 모형은 바로 이 목

    표를 달성할 수 있는 문법모형이어야 한다. 한 문장이라도 문법적인 문장을 만들지 못

    하거나 문법적이라고 제대로 판단하게 하지 못하거나 한 문장이라도 비문법적인 문장

    을 문법적이라고 그릇 판단하여도 안될 것이다.

  • 18・영어 통사론

    4. 문법성분과 문장구조

    이제 문법성분들의 문장 속에서의 기능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자. 다음 (1a와 b) 처

    럼 동일한 문법성분들이 서로 달리 배열된 경우 그 결과가 모두 문법적이라면 두 연

    결체가 전달하는 의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가?

    (1) a. The man loves the girl. b. The girl loves the man.

    (1a와 b)의 두 문장이 의미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면 단어 혹은 문법성분의 배열된

    순서는 문법성에 큰 의미가 없을 것이나, (1a와 b)처럼 그 배열된 순서에 따라 두

    문장의 의미가 달라진다면 이 의미의 차이는 어디에서 오는 것인가? 어쩌면 문법성분

    의 배열상의 위치에 따른 의미의 차이가 자연언어의 문법에서 큰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통사론의 여러 가지 정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법성분

    들의 기능과 관련된 문제가 될 것이다. 좀더 관계가 복잡한 예문을 잠깐 더 보기로

    하자.

    (2) a. The boy kicked the ball. b. The ball was kicked by the boy.

    (2a와 b)의 경우 the boy와 the ball이 모두 사용되고 있는데 그 위치는 정반대이

    다. 앞에 문장에서는 the boy가 앞에 나오고 뒷 문장에서는 the ball이 앞에 나온다.

    그런데 (1a와 b)와는 달리 (2a와 b)의 경우 두 문장의 의미가 아주 유사하거나 동일

    하다고 할 수 있다. 문법성분이 선형적으로 연결된 순서만 보아서는 그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선형적 구조 이외의 또 다른 구조가 있다는 전제가 이에 필요하지

    않을 수 없다. 즉, 단어 또는 문법성분의 연결체는 단순한 선형적 연결이 아니라 이차

    원 이상을 볼 수 있는 우리의 눈을 통해서만 직시할 수 있는 또 다른 구조와 연결되

    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이 다른 구조를 탐구해 나가는 것이 통사론 연구

    의 또 다른 궁극적 목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윤종열 서론 : 통사론이란 무엇인가?・ 19

    5. [영어 통사론]의 구성

    [영어통사론]은 위에서 언급한 궁극적 목표들을 추구하고자하는 독자들이 영어의 통

    사구문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높이고 통사이론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주기 위해 언어학사적으로 볼 때 거의 혁명적으로 20세기 중반에 대두된

    Chomsky교수의 변형생성문법이론(Generative Transformational Grammar)과 지배와

    결속이론Government and Binding Theory), 원리와 매개변항이론 (Principles and

    Parameters Theory) 그리고 그 이후 발전되어온 최소주의 통사이론(Minimalist

    Program) 등을 체계적으로 소개한다. 이 책은 독자들이 영어 통사구조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그 지식을 활용하여 영어에 대한, 나아가 자연언어의 통사구조에 대한 보다 넓

    은 안목을 갖추게 하고자 국내 유수대학의 영어영문학과, 영어학과 또는 영어교육학과

    에서 영어통사론 및 영어문법론을 오랫동안 강의하고 연구해 온 전문가들 중 학술 전

    문단체인 한국영어학회가 추천한 회원들로 구성된 필자진에 의해 집필이 되었다. 따라

    서 지금까지 국내에 소개된 모든 영어통사론 교재와 비교할 때, 그 내용 및 수준에

    있어 비할 데 없이 우수한 교재가 될 것으로 확신하며 이 책을 읽은 독자들이 향후

    영어학 연구의 발전에 크나큰 역할을 해줄 수 있는 학문적 역량을 갖춘 인재로 성장

    할 것이라는 것을 믿어 의심하지 않는다. 이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 어휘부-통사부 접합면: 통사적 자질들이 통사적 결합과 어떤 연관을 가지는지

    살핀다. 어휘요소들이 음성, 음운자질이나 의미자질이 있는 것처럼 어휘들의 결합관계

    즉 통사와 관련된 자질들을 가지고 있는데, 하위범주화 자질 다시 말해 범주선택자질

    과 의미적 선택자질에 대해 논하고, 어휘의미의 기술과 통사부와의 연계 및 논항구조

    에 대해 살피며, 최소주의 이론적 관점에서 이 문제들에 대해 조망을 한다.

    제3장 구구조와 범주: 생성문법이론에서의 구구조 생성에 대한 통시적 고찰이 이루

    어지고 있다. 초기 생성문법이론에서 문장을 구성하는 기본 규칙으로 제안된 구구조규

    칙, 생성문법이론의 발전에 따라 일반화된 구조생성 이론인 핵계층이론, 어휘범주와

    기능범주의 기능과 속성을 고찰하여 이들을 모두 핵계층이론에 따르는 구조를 가진

    범주임을 밝혀, 문장을 IP와 CP 그리고 명사구를 DP로 분석한 이론, 그리고 구구조

    규칙을 설정하지 않고 병합으로 구구조를 설정하는 최소주의 이론에서의 구구조를 차

    례로 소개하고 있다.

  • 20・영어 통사론

    제 4장 도출과 일치: 통사적 연산과정을 소개한다. 종래의 생성이론에서 어휘삽입이

    이루어지는 심층구조에 통사적 운용이 적용되어 표면구조로 변형되고 음성형태와 논리

    형태로 도출이 진행되는 과정을 먼저 소개하고, 심층구조라는 층위를 설정하지 않는

    최소주의 통사론에서는 도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설명한다. 그리고 이동은 통사

    적 자질점검을 위함이라는 전제에 따라 이동현상을 설명하는 일치(Agree)에 대하여

    논한다.

    제5장 이동: 생성문법 통사론의 주요 쟁점의 하나이며 자연언어가 공통적으로 가지

    고 있는 이동현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논항이동, 비논항이동 그리고 핵이동 등에 대하

    여 필요한 예문과 도출과정을 중심으로 이동이론에 대한 논거를 제시하며 이동에 관

    한 제약조건, 이동의 방향, 방법 등에 대하여 생성이론 내에서 통시적 고찰을 하고 있

    다. 또한 이동이론의 세부내용, 이동에 따른 언어유형 등에 대해 논의할 뿐만 아니라

    왜 이동이 일어나야만 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설명도 이루어지고 있다.

    제6장 통사부-음운부 접합면: 통사부의 연산과정을 거친 결과물이 조음 감지체계의

    해석을 받기 위해 접합면에서 선행해야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사론적 입장에서 다룬다.

    문자화가 언제 어떤 구조에 적용되는가, 생략과 선형화가 되는 것은 언제 어떻게 이루

    어지는가 그리고 운율화는 어떻게 형식화 될 수 있는가 등을 설명하며 이들이 어떤

    상호작용을 통해 음운적 해석을 부여하는가 하는 문제 등이 다루어진다.

    제7장 통사부-의미부 접합면: 인지체계가 생성하는 의미정보를 개념-의도 체계가 해

    독할 수 있는 정보형태로 저장하는 논리형태 접촉면에 관한 이론을 소개한다. 통사부

    와 의미부가 독자적 층위로 구성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두 층위에서 다루어 졌던 언

    어현상들을 설명하는 원리와 이론을 소개한다.

    제8장 문장 통사구조 학습과 보편문법: 사람이 태어나면서 얻는 인지능력으로 언어

    를 습득할 수 있는 능력체계인 보편문법을 소개하며 생성이론의 지속적인 관심대상인

    언어 습득의 논리적 과제에 대한 이론을 개관하고 제2언어 통사구조 학습에 어떤 언

    어체계가 활용되는가라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특히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기능범주 습

    득을 관찰하여 모국어 체계 활용가능성에 대해 소개한다.

    제9장 통사론 연구의 전망과 방향: 생성통사론 연구에 길잡이가 되었던 철학적 관

    점의 변화와 보편문법의 규명을 위한 접근 방식의 변화를 고찰하고 향후 통사론 연구

    의 방향을 전망하며 통사론이 인지과학의 핵심영역으로서 인접학문과의 소통을 통해

    학제간 융합의 단계에 이를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한다.

  • 윤종열 서론 : 통사론이란 무엇인가?・ 21

    참고문헌

    안동환, 윤종열, 장영준 역, 현대영어의 구조(The Structure of Modern English), (원저자: Laurel J. Brinton), 2006

    이맹성, 김영석, 박주현, 박영배, 강영세, 윤종열, 김경학. 영어학의 이해. 지식산업사. 1993

    정태구. 영어통사론, 고대출판부, 2005

    최숙희, 김양순 역. 통사론 이해(Understanding Syntax),(원저자: Maggie Tellerman), 도서출판 동인, 2000

    Haegeman, L. Thinking Syntactically, Blackwell, 2006

    Hudson, G. Essential Introductory Linguistics. Blackwell, 2000

    Radford, A. Transformational Syntax, Cambridge Univ. Press 1981

    Radford, A. Minimalist Syntax Cambridge Univ. Press, 2004

  • 1. 서론2. c-선택과 s-선택3. 의미역, 논항 구조, 그리고 어휘의미와의 관계

    3.1 의미역3.2 논항 구조3.3 어휘 의미와의 연계성

    3.3.1 통사적 어휘의미론3.3.2 어휘관계구조를 통한 접근3.3.3 어휘의미와의 연계에 대한 최소주의적 접근3.3.4 어휘의미와의 연계성: 마무리

    4. 최소주의적 접근: 남은 측면들5. 마무리참고문헌

    02어휘부-통사부 접합면

    안 성 호 (계명)한양대학교

  • 24・영어 통사론

    1. 서론

    문장을 구성하는 어휘 요소들은 어떤 성질을 지닐까? 어휘적 성질이 ‘정신적 어휘

    부’ (mental lexicon)에 ‘자질’ (feature)로 나타내어진다고 가정할 때, 이 질문은 다음

    과 같이 바뀐다: 어휘 요소들은 어떤 자질을 지닐까? 우선, 소리를 나타내는 음성-음

    운 (phonetic, phonological) 자질들과 뜻을 나타내는 의미 (semantic) 자질들을 지닐

    것이다. 이 두 종류의 자질 이외에도 어휘들은 어휘들의 결합관계 즉 통사 (syntax)와

    관련된 자질들을 지닐 것인데, 이들을 통사 (syntactic) 자질이라고 하자.1)

    이런 자질은 어떤 형태로 존재할까? 가장 기본적인 것은 소속여부 (membership)

    만 따지는 모둠 (set)의 형태일 것이다. 즉, 자질들은 같은 모둠에 속하는가 아닌가의

    관계만을 갖는 것이다. 이것이 사실인지 아니면 자질들 사이에 좀더 ‘복잡한’ 관계가

    존재하는지는 경험적인 연구를 통하여 밝혀져야 할 문제인데, 본 장에서는 우선 이 가

    장 기본적인 모둠 형태로 존재한다고 보고 출발하도록 하겠다. 음성-음운 자질들이 하

    나의 모둠을 이룬다면, 의미 자질들도 다른 하나의 모둠을 이룰 것이다.2) 그러면, 통

    사 자질들도 별도의 모둠을 형성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런 어휘 자질들은 어휘들의 통사적 결합과 어떤 관계를 갖는 것일까? 본 장에서

    는 이러한 ‘어휘부-통사부 접합면’과 관련된 영어학적 문제를 논의하도록 하겠다. 우선

    제 2 절에서는 ‘하위범주화’ (subcategorization) 자질 즉 ‘범주선택’ (‘c-선택’,

    c-selection) 자질과 ‘의미적 선택’ (‘s-선택’, s-selection) 자질에 대하여, 제 3절에서는

    어휘 의미의 기술과 통사부와의 연계 및 ‘논항 구조’의 문제에 대하여, 그리고 제 4절

    에서는 남은 문제에 대한 최소주의적 견해를 차례로 논의하도록 하겠다.

    1) 이 세 종류의 자질 이외에도 지리적, 사회적 방언과 관련된 자질 등도 있을 수 있겠으나 본 장에서는 상론하지 않겠다.

    2) 여기에서 집고 넘어가야 할 사항은 소위 ‘음 상징’ (sound symbolism)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범어 자질의 모둠에서 자질들을 결합하여 어휘소를 만드는 과정에 작용하는 원리 중 하나로 받아들이는 것이 타당하지 않을까 사료된다.

  • 안성호 어휘부-통사부 접합면・ 25

    2. c-선택과 s-선택

    Chomsky (1965)는 어휘부에 대한 현대언어학 연구의 효시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

    그는 어휘소들의 분포를 포착하는 방법으로 소위 ‘하위범주화’ (subcategorization) 자질

    을 설정하는데, 이를 통하여 어휘소들이 자신이 결합할 범주들을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영어의 다음 동사들은 요구하는 ‘보충소’들이 서로 다르다.

    (1) a. John walks. [__]b. John became an engineer. [__ NP]3)

    c. John kicked the ball. [__ NP]d. John sent her a letter. [__ NP NP]e. John put the oranges in the fridge. [__ NP PP]

    예를 들면, (1a)의 walk는 요구하는 보충소가 없고, 자동사로 쓰인다; (1d)의 send는

    두개의 명사구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성질이 기본적으로 어휘적이라 하면서, 예문의

    오른편의 자질처럼 나타내 보자는 것이었다.

    Grimshaw (1979, 1981)는 이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면서 어휘소들이 하위범주화

    자질 뿐 아니라 올바른 의미 유형의 보충소를 선택하는 성질을 지녀야 한다고 주장한

    다. 그리고 의미범주들이 통사범주와 어느 정도까지는 조직적인 상관관계를 보임을 관

    찰한다.

    (2) a. You believed that John was smart.

    b. I wonder whether John was really smart.

    c. It is surprising how fast she can run.

    이 예문에서 believe는 신념의 내용을 나타내는 that-절을 보충소로 선택하는데, 그 보

    충소의 의미유형은 ‘명제’ (P, proposition)이다. wonder는 whether-절을 선택하는데,

    그 의미유형은 (간접) ‘의문’ (Q, question)이고, surprising은 how fast-절을 선택하는

    3) become은 목적어가 아니라 술어를 취한다. 이를 추가적으로 구분해 넣을 표지가 필요할 것이나,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 26・영어 통사론

    데 그 의미유형은 ‘감탄’ (E, Exclamation)이다. P, Q, E의 의미 유형은 전형적으로

    절로 실현된다. 이러한 관계를, 그녀는 ‘표준적구조실현’ (Canonical Structural

    Realization, 혹은 CSR)이라고 부른다.

    CSR을 설정하면서, Grimshaw는 ‘맥락원리’ (The Context Principle)을 제안한다.

    (3) 맥락원리: 술어가 의미 범주 C를 s-선택하면, CSR(C)를 c-선택한다.

    이 원리가 맞다면, 선택하는 의미범주와 통사범주를 둘 다 어휘목록에 유지할 필요가

    없어진다. 전자만 들어 있으면, 후자는 ‘자동적으로’ 규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어휘부

    의 ‘경제성’ 유지 이외에도, 이는 어휘의 습득 문제를 매우 간단하게 만들어준다. 어

    차피 배워야 하는 어휘의미에 의하여 s-선택 속성이 ‘결정’된다면, c-선택 자질을 별도

    로 배울 필요가 없다는 말이 되기 때문이다. 다음 예문들을 살펴보자.

    (4) a. John asked me the time.b. I will assume his intelligence.c. You’d never believe the fool he turned out to be.

    (5) a. ask: V, [+__DP], [+__CP], [+__Q] b. assume: V, [+__DP], [+__CP], [+__P] c. believe: V, [+__DP], [+__CP], [+__E]

    (4)의 예문들에 있는 동사들을 (5)에 보인 바와 같이 모두 the time 같은 DP

    (Determiner Phrase, 한정사구)를 취하는데, 이 한정사구들은 모두 명제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4a)의 보충소는 ‘숨겨진 질문’ (concealed question)이라고도 불리운다.

    따라서 (3)의 맥락원리를 지닌 ‘언어습득장치’4)는 (4)에서와 같이 그 동사들이 한정사

    구를 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음과 같은 예문을 접하지 않아도) CP (Complementizer

    Phrase, 보충화소구)를 취할 수 있음을 습득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6) a. John asked me what the time was.b. I will assume that he is intelligent.c. You’d never believe what a fool he turned out to be.

    4) 인간만이 인간 언어를 습득할 수 있는 독특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인간이 생득적으로 지녔다고 가정된 ‘종특유’의 능력이다 (조성식 외 (1990) 참조).

  • 안성호 어휘부-통사부 접합면・ 27

    이와 같이, 좀 더 작은 크기의 자료에 근거하여 더 많은 것을 알게 된다고 하기 때

    문에, CSR과 맥락원리는 경험적으로 지지되기만 한다면 참 설명력 있는 언어습득장치

    의 구성요소가 될 것이다.

    Grimshaw는, 그러나, 다음 예문 등에 근거하여 DP가 P, Q, E 등의 CSR일 수

    없다고 생각한다.

    (7) a. John inquired what the time was. b. *John inquired the time.

    동사 inquire는 간접 의문문을 보충소로 취하지만, (6b)에서와 같이 DP를 보충소로 취

    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DP가 P나 Q 등의 CSR로 나타나는 (3)의 경우들과,

    그렇지 못한 (7b)의 경우는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Grimshaw는 DP를 P나 Q의 CSR

    에서 제외하면서 (4)의 경우들은 긍정적 증거 (positive evidence)에 근거하여 사례 별

    로 습득하고 관련 정보를 어휘부에 등재하여야 한다고 제안한다.

    Grimshaw의 위와 같은 한정된 표준적구조실현에 대한 생각을 더 발전시킨 것은

    Pesetsky (1982)이다. 그는 CP와 함께 DP를 CSR (P, Q, E)에 포함시키면서 (7b)처

    럼 명제적 보충소를 취하는 동사가 DP를 취하지 못하는 이유를 격 이론에서 찾는다.

    inquire는 ask와 달리 격을 못 주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참 멋진 해결책이지 않는가!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그 격-이론적 설명이 다음의 대조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8) a. It was asked when Mary would be there. b. *It was inquired who killed Caesar.(9) a. What I asked was when Mary would be there. b. *What I inquired was who killed Caesar.

    inquire는 ask와 달리 수동화되지 못하고 (8b), 보충소를 초점으로 한 의사분열문에도

    나타나지 못한다 (9b). 영어의 수동화를 위해서는 과거분사형이 격 자질의 ‘흡수’해야

    하고, what의 흔적은 격을 필요로 하는 요소라면, 위 두 동사의 격부여 능력의 차이

    가 (8)-(9)의 대조도 설명할 수 있어 보인다.

    Pesetsky의 이 제안을, Rothstein (2003)은 경험적 근거를 들어 매우 치밀하게 반박

  • 28・영어 통사론

    한다. 그녀는 우선 많은 동사들이 명사(구)를 취할 수는 없지만 보충절을 초점으로 하

    는 (10b) 같은 의사분열문에 나타날 수 있고, 수동형으로도 나타날 수 있음을 관찰한다.

    (10) a. *We claimed the absence of the problem. b. What they claim is that it was an accident. c. It has been claimed that this construction is ungrammatical.(11) a. *We hoped a good result.

    b. What John hopes is that this will not happen again.c. It is to be hoped that you will learn from this.

    이는 의사분열문이나 수동문에 나타날 수 있음이 격부여 능력의 소유를 필요로 한다

    는 Pesetsky의 주장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예들이다. (11a)에서와 같이 동사 hope가

    DP를 취하지 못하는데, 이는 Pesetsky의 이론 하에서는 그 동사가 격부여 능력이 없

    음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의사분열문이나 수동문에 나타나지 못할 것으로 예측되나,

    (11b-c)에서처럼,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최소한, Pesetsky가 가정하는, 격과의 상

    관성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로, 그녀는 DP를 보충소로 취하지 못하는 동사들 중 비보충소 DP와 함께 나

    타날 수 있는 동사들이 존재함을 보인다. 다음 예들을 검토해 보자.

    (12) a. He complained that they left. b. He complained *(about) their leaving. c. He complained himself hoarse about the bad coffee.(13) a. He worried that he’d arrive late. b. He worried *(about) his late arrival. c. He worried himself sick {that he’d be late, about his lateness}.(14) a. She reasoned that the answer was 42. b. *She reasoned the answer. c. She reasoned her way out of the crisis.

    complain, worry, reason은 (12b)-(14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명제적 의미를 지

    닌 DP를 취하지 못하는데, (12c)-(14c)에서 볼 수 있듯이 보충소가 아닌 DP들과,

    himself나 her way 등과, 공기할 수 있다. 이러한 비보충소 DP에 대한 표준적인 분

    석은 그 동사들이 격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그것들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

  • 안성호 어휘부-통사부 접합면・ 29

    다면, Pesetsky의 이론 하에서는 모순에 이르게 되지 않겠는가?

    마지막으로, 그녀는 c-선택과 격부여가 상호 독립적인 속성들이라는 자신의 주장을

    다음 예들로 강화한다.

    (15) a. John is uncertain where the meeting is to be. b. John is uncertain of the place of the meeting. c. He is sure what the time is. d. He is sure of the time.(16) a. John is undecided what time to arrive. b. *John is undecided of the time of his arrival. c. John is clear what time the meeting is. d. *John is clear of the time of the meeting.

    Chomsky (1981)의 표준적인 분석에서 형용사는 자신의 보충소에 ‘내재격’을 부여하

    고 그 내재격은 전치사 of로 실현된다. 그렇다면, 명제적 보충소를 취하는 형용사들은

    모두 of DP를 취할 수 있어야 할 텐데, (15)-(16)의 예문들이 보여주듯이 그렇지 않

    다. 즉, uncertain이나 sure는 of DP를 보충소로 취할 수 있는데 반하여, undecided나

    clear는 그렇지 못하다. 그녀는 비슷한 차이가 동사 사이에도 존재함을 보인다.

    (17) a. He informed/instructed the officer that a prompt arrival was important. b. He informed/*instructed the officer of the importance of a prompt arrival.

    위와 같은 기가 막힌 반박에 대하여, Pesetsky (1991, 1993)는 Rothstein이 지적

    한 주요한 문제들은 격 이론을 조금만 수정하면 모두 포착될 수 있는 것이라고 대응

    한다. 그는 어떤 동사들은 특수한 내재적인 ‘영 격’ (zero Case)을 지니고 있는데, 이

    는 ‘공범주’ (null category)에만 주어지는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겠다고 한다. hope이

    자신의 보충소에는 이러한 내재적 영 격만을 부여할 수 있다면, 음성적으로 실현된

    DP 보충소를 취할 수 없다는 (11a)의 사실을 기술-설명할 수 있겠다. 그리고 내재격

    과 구조격이 반드시 동질적이어야 할 필요가 없다면, 동사 complain은 보충소에게는

    내재적 영적을 부여하지만, 비보충소에는 ‘구조격’을 부여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가정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12b-c)의 패턴을 설명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Arlenga (2005)는 다른 동사 모둠의 분포 양상을 통하여 Pesetsky의 격이론적 추

  • 30・영어 통사론

    론 (deduction) 프로그램을 공격한다. 명제적 보충소를 취하는 동사 중에는 Grimshaw

    조차 명제의 CSR이라고 했던 CP를 취하지 못하고 DP만을 취할 수 있는 놈들이 있

    다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express, reflect, capture, bring out, contemplate, attribute,

    give 등이 이에 속한다.

    (18) a. *The formulation of the rule expresses that these nouns behave differently.b. That these nouns behave differently is expressed by the formulation of the

    rule. c. The formulation of the rule expresses the fact that these nouns behave

    differently.

    예를 들어, 동사 express는 (18a)에서 볼 수 있듯이 CP를 취할 수 없으나, (18c)에서

    볼 수 있듯이 DP는 취할 수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Pesetsky의 이론 하에서는 이 동

    사들이 반드시 대격을 부여하여야 한다고 규정해야 할 텐데 (19a), 그것은 DP만을 취

    한다고 규정하는 (19b)와 ‘사실상’ (virtually) 동일하다고 주장하면서, Arlenga는 c-선

    택 속성이 s-선택 속성과 함께 어휘목록에 명시되어야 한다는 Grimshaw나 Rothstein

    의 주장을 지지한다.

    (19) a. express-류의 동사들은 대격을 반드시 부여해야 한다. b. express-류의 동사들은 반드시 DP를 c-선택해야 한다.

    과연, (19a)와 (19b)는 동일한 것인가? 동일한 경험적 예측을 하는가? 최소한 수동

    화와 관련하여서는 상이한 경험적 예측을 할 것이다. 왜냐하면, DP를 취한다는 c-선

    택 자질은 수동화가 되어도 변하지 않지만, 대격을 부여한다는 속성은 변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Ahn (2009b)은 영어 원어민 13명을 대상으로 한 문법성 판단

    에 관한 설문 조사 결과를 보고한다. 그에 따르면, express, contemplate, bring out에

    대하여 조사하였는데, 개별 어휘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약 절반이나 그 이하의 영

    어화자들이 그 동사들이 DP만을 취할 수 있다는 Arlenga에 동의하였고, 그 중 또 절

    반이나 그 이하가 그 동사들이 수동태에서도 여전히 CP와 양립하지 않는다고 판단하

    였다 [패턴 A]. 그러나 그 나머지 절반이나 그 이상은 능동태에서는 CP를 취하지 못

    하지만, 수동태에서는 CP와 양립한다고 판단하였다 [패턴 B].

  • 안성호 어휘부-통사부 접합면・ 31

    이 결과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가? Ahn은 이 결과가 Pesetsky의 이론과 더

    양립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DP만을 취한다고 규정함으로써, Arlenga가 패턴 A를

    기술하는 데는 문제가 없으나, 패턴 B에 대하여는 해당 동사들의 c-선택 속성이 수동

    형에서 변하여 CP를 취할 수도 있다고 말해야 함에 반하여, Pesetsky는 패턴 A에 대

    하여는 대격을 반드시 부여해야 하는데, 그 속성이 수동형에서도 변하지 않으므로 그

    격이 내재적인 대격이라고 하고 패턴 B에 대하여는 그 대격 부여 속성이 없어지므로

    그 격이 구조적인 대격이라고 말하면 될 수 있어 보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바와 같이, c-선택과 s-선택은 양자가 모두 어휘부에 명시되어야

    하는가 아니면 후자만 명시될 필요가 있는가의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져 왔

    다. c-선택 속성을 s-선택 속성에 귀속시키는 프로그램은 격이론의 정교화를 요구하긴

    하지만 여전히 그 가능성이 살아있어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s-선택 속성이 어휘목록

    에 기재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가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져 왔는데, 이는 어휘 의미와

    통사부의 접합면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다음 절로 옮겨서, 이를 논의하기로 하자.

    3. 의미역, 논항 구조, 그리고 어휘의미와의 연계

    본 절에서는 우선 s-선택에 사용된다고 여겨지는, 술어들이 논항에 ‘부여하는’ 의

    미역들에 대하여 그 종류를 살펴보고, 그 후에 그러한 논항의 s-선택 속성을 규정하는

    논항 구조에 대하여 논의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러한 논항 구조가 어휘

    의미와 어떤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를 논의하겠다.

    3.1 의미역

    다음 예문들을 검토해 보자.

    (20) a. The crocodile devoured a doughnut. [Aarts 2001: 91, (1)] b. A doughnut was devoured by the crocodile.

  • 32・영어 통사론

    (20a)의 the crocodile과 a doughnut은 둘 다 DP이고, 전자가 주어, 후자가 목적어이

    다. 문장 (20a)가 (20b)로 수동화되면, 그 DP들의 기능이 변경된다. a doughnut이 주

    어가 되고, the crocodile은 by의 보충소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는 것

    이 있는데, 그것은 그 DP들이 술어 devour (‘먹어치우다’)와 갖는 ‘의미적’ 관계이다.

    먹어치우는 사건에서 the crocodile은, (20a)에서나 (20b)에서나, 일종의 ‘행위자’ (

    Agent, Actor)로, a doughnut은 ‘수동자’ (Patient)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Pesetsky의 s-선택 개념을 이용하면, 술어 devour는 행위자와 수동자를 s-선택한다고

    하겠다.

    좀 더 많은 예들 (Aarts 2001: 97, (32)-(35))을 살펴보자.

    (21) a. A brick smashed the window. b. David used a brick to smash the window. c. David smashed the window with a brick.

    (21a)에서는 a brick이 동사 smash의 주어로 나타난다. 그런데, 그 주어는 행위자라고

    볼 수가 없다. 행위를 할 수 있는 자기 자신의 의지가 없는 것이다. 누군가 벽돌 한

    장을 던져서 유리를 깼다면, a brick은 ‘도구’ (Instrument)로 볼 수 있지 않을까?

    (21b)의 목적어 위치에서와 (21c)의 전치사 목적어 위치에서 모두 a brick은 도구의

    의미역을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행위자가 도구처럼 어떤 사건을 시작할 수 있지만, 그 어느 것으로도 이해되기 어

    려운 대상들도 있다. 다음 예들을 살펴보자.

    (22) a. Hurricane-force winds demolished much of the town. b. An epidemic killed off all of the tomatoes. c. An economic downturn put thousands of workers out of work.

    [Santorini & Kroch 2007: Thematic roles, (3)]

    (22)에 있는 사체로 표시된 주어들은 관련된 사건을 시작하나, 행위자와는 달리, 의도/

    의지를 지닐 수가 없다. 따라서 intentionally나 on purpose나 in order to 등과 결합

    하지 못한다. 다른 행위자에 의하여 도구로 사용되지도 않는다. 자연적인 힘인 것이다.

    이들을 ‘사역주’ (Cause)이라고 부르자. 지금까지 살펴본 행위자 관련 의미역을 종합

    하면 다음과 같다.

  • 안성호 어휘부-통사부 접합면・ 33

    (23) a. 행위자: 술어가 나타내는 행동의 의지적인 수행자 혹은 시작자b. 수동자: 술어가 나타내는 행동에 의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참여자c. 도구: 술어가 나타내는 행동이나 사건이 실행되는 매개체가 되는 수단 d. 사역주: 술어가 나타내는 사태를 야기하는 (의자가 없는) 외부의 시작자

    자연언어가 기술하는 사건들이 항상 행위자나 수동자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음 예문들을 보자.

    (24) a. John rolled the ball down the hill.b. The ball rolled down the hill.

    (24a)에서는 John이 행위자라면, the ball은 수동자이기도 하지만, 이 전에 보았던 수

    동자들만큼 심각하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위치의 이동이 기술의 초점이라 하겠다. 이

    와 같이, 어떤 위치에 존재하거나 그 위치의 변화를 겪는 요소를 ‘대상물’ (Theme)이

    라고 하자; 이 대상물은 위치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이다. (24b)는 행위자가 개입함

    이 없이 대상물이 언덕을 따라 내려가는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기술한다. (24a)의 the

    ball이 그 굴리는 사건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 것도 사실이다. 다음처럼 말하는 것

    이 부자연스럽지 않은 것이다.

    (25) What John did to the ball was roll it down the hill.

    그렇다면, the ball은 (24a)에서는 수동자 역할도 담당한다고 해야 할 듯싶다. 이것은

    한 문장성분이 술어와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의미관계를 맺을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계속하여 추가적인 예들 (Santorini & Kroch 2007: Thematic roles, (6)-(7))을 살

    펴보자.

    (26) a. We put the book on the shelf. b. I’d like to send this package to France. c. Lucky raced across the lawn to the edge of the forest. d. We drove the scenic route.

  • 34・영어 통사론

    (26a)에서 the book이 대상물이라면, on the shelf는 그 대상물이 놓일 ‘위치’를 나타

    낸다고 할 수 있겠다. (26b-c)의 France나 the edge of the forest도 역시 대상물인

    this package나 Lucy가 결과적으로 있게 될 위치를 나타낸다고 하겠는데, 여기에서의

    위치는 이동하는 그 대상물의 ‘도착점’ (Goal)이라고 볼 수 있겠다. 그래서 우리는 to

    France나 to the edge of the forest가 도착점 역할을 한다고 하자. 그리고 Santorini

    와 Kroch을 따라서, (26c)의 across the lawn과 (26d)의 the scenic route는 대상물인

    Lucy와 we가 이동하는 ‘경로’ (Path)라고 하자.5) 이렇게 보면, 도착점은 대상물이 이

    동하는 경로의 끝이 되는 것이다.

    대상물의 이동과 관련하여 도착점, 경로를 나타내는 의미역을 살펴보았다. 그렇다

    면 ‘출발점’ (Source)도 있지 않겠는가? 다음 예문들을 살펴보자.

    (27) a. I received two books from my mentor last year. b. My mentor sent me two books last year.

    (27a)에서는 two books가 대상물이 될 것이다. I가 도착점 역할을 한다면, from my

    mentor는 그 대상물의 출발점 역할을 하지 않을까? 그 역할들은 (27b)에서도 변하지

    않는 듯싶다; 추가적으로, my mentor와 me가 각각 행위자와 ‘수용자’ (Recipient) 역

    할을 하는 것을 제외하면 말이다. (27b)와 같은 이중목적구문에서 me와 같은 간접목

    적어가 단순한 도착점일 수 없음은 널리 알려져 있는데 (Jackendoff 1990: 199), 다음

    의 대조를 살펴보자.

    (28) a. Joan sent the package to {Bill, New York}. b. *Joan sent Bill/*New York the package.

    [Jackendoff 1990: (36), 199쪽]

    (28a)에서와 달리, (28b)에서는 단순한 위치나 도착점을 나타내는 New York이 간접

    목적어로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물론, New York이 뉴욕 사무실에 있는 사람들을

    말하면 문제가 없다고 한다.) 즉, 간접목적어로는 수용자 혹은 소유자로 기능할 수 있

    는 요소가 와야 한다는 것이다.

    5) Santorini와 Kroch (2007)은 my sister와 the edge of the forest를 위치로, to my sister나 to the edge of the forest를 경로 (Path)로 좀 더 상세하게 분석한다.

  • 안성호 어휘부-통사부 접합면・ 35

    다음은 ‘수혜자’를 나타내는 경우들을 살펴보자.

    (29) A: Ivan gave me a book for Christmas. B: Ivan is so boring: he always gives books! [Aarts 2001: 93, (18)](30) a. John bought a Christmas gift for his mother. b. John bought his mother a Christmas gift.

    (29)에서 a book이나 books가 대상물 역할을 한다면, Ivan이나 he가 출발점, me가

    도착점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수용자 역할을 한다고 분석하는 것이 타당하겠다. 물

    론, A의 발화에서 Ivan은 행위자로 그 사건에 참여함도 사실이다.6) (30a)에서는 a

    Christmas gift가 대상물이 된다. 그렇다면, for his mother는 어떤 의미역을 담당하고

    있을까? 전치사가 나타내듯이 수혜자 (Beneficiary) 역할을 한다고 해야 하지 않을까?

    (30b)에서도 his mother가 수혜자 역할을 하지만, Jackendoff (1990: 194-7)는 두 경

    우의 의미가 다소 다름을 지적한다. 첫째, (30a)의 경우에는 행위 전체가 수혜자 for

    his mother의 유익을 위해서 의도됨에 반하여, (30b)의 경우에는 대상물 자체가 그 수

    혜자 his mother의 유익을 위한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이다.7) 이것은 다음 차이를 설

    명한다.

    (31) a. Bill removed the garbage for Harold.b. Nancy fought the dragon for the king.c. Beth jumped the puddle for Harriet.

    (32) a. *Bill removed Harold the garbage.b. *Nancy fought the king the dragon.

    6) (29)의 B의 대답에서 Ivan is so boring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분석하기 어렵다고도 한다. Ivan을 대상물로 본다면, 그것의 위치가 어디냐는 것이다. 술어인 boring은 의미역을 지니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다. Jackendoff (1972)를 따른다면, boring은 위치를 나타내고, 거기에 위치되어지는 Ivan은 대상물 역할을 한다.

    7) Jayaseelan (1988: 각주 14)은 이 경우에 간접목적어와 대상물 사이에 소유관계가 성립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다음이 모순 (contradiction)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ⅰ) John bought his wife a kimono, but finally gave it to his mistress.Pinker (1989)도 일반적으로 이에 동의한다. 그러나 Jackendoff (1990: 1995)는 그 수혜자가 반드시 그 유익을 실제적으로 받아야 할 필요가 없다고, 다음 예들을 통하여, 주장한다.(ⅱ) a. Enrico sang Helen a song, but she wasn't listening.

    b. Beular peeled Mae a grape but then accidentally dropped it in the toilet.즉 위의 예들이 모순이 아니라는 것이다.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남아 있다.

  • 36・영어 통사론

    c. *Beth jumped Harriet the puddle.[Jackendoff 1990: (31)-(30), 195쪽]

    즉, the garbage, the dragon, the puddle 자체가 Harold, the king, Harriet의 유익을

    위해 의도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둘째로, make 등의 창조동사, sing 등의 수행 동사, buy 등의 ‘가용하게 해 주는’

    (making available) 의미의 동사, peel 등의 조리 (preparation) 동사 등에서만 수혜자

    를 간접목적어로 하는 이중목적구문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다음 (33)의 대조가

    보인다고 한다. 그리고 그는 (34)의 질문을 통하여 수혜자를 식별할 수 있다고 하였다.

    (33) a. Sue fixed a drink for Dick/fixed Dick a drink. b. Sue fixed a radiator for Dick/*fixed Dick a radiator.

    [Jackendoff 1990: (33), 196쪽](34) a. What Sue did for Dick was fix him a drink. b. What Sue did for Dick was fix the radiator.

    그런데, 그는 이 질문의 결과가 give를 지닌 이중목적어 구문에서도 좋다고 관찰한다.

    (35) What Harry did for Sam was {give him a book, ?give a book to him}.[Jackendoff 1990: (29), 135쪽]

    그리고 이를, Sam이 간접목적어로 나타날 때가, to-전치사의 보충소로 나타날 때보다

    수혜자로 더 잘 해석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

    지금까지 발견한 의미역들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워질 수 있겠다.

    (36) a. 대상물 (Theme): 기술되는 사태에서 어떤 위치에 존재하거나 이동하는 개체 b. 위치 (Location):8) 사태나 대상물이 위치된 장소c. 출발점 (Source): 대상물이 이동하는 경로의 출발점d. 도착점 (Goal): 대상물이 이동하는 경로의 도착점

    8) 학자마다 다소 다른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Aarts (2001: 94-5)는 Locative를, Santorini와 Kroch (2007)은 Location을 사용한다. 후자는, 전술하였듯이, 경로의 끝을 위치로 규정한다.

  • 안성호 어휘부-통사부 접합면・ 37

    e. 수혜자 (Beneficiary):9) 술어가 지시하는 행동이나 사건 혹은 관련된 대상물이 유익을 주도록 의도된 대상

    f. 수용자 (Recipient): 대상물이 이동하는 소유적 경로의 도착점, 즉 잠재적인 소유자

    우리가 사용하는 많은 영어 문장들은 물리적 세계의 사건이 아니라, 심리적 세계

    의 상태나 상태의 변화를 기술한다. 다음 예문들을 생각해 보자.

    (37) Mary hated, disliked, liked, and then loved English syntax.(38) Korean people were very proud of the Hyundai Pony when it began to be

    exported in 1976.

    (37)의 Mary는 미워함, 싫어함, 좋아함, 사랑함과 같은 (심리적인) 변화, 작용, 사건을

    경험하는 살아있는 (animate) 존재를 지시한다. (39)의 Korean people은 특별한 종류

    의 차에 대하여 자부심을 느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런 심리적인 사태는 그것을

    경험하는 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일어날 수 있고, 오직 그것을 경험할 수 있는 정신-지

    각 세계를 지닌 존재들로서, 지금까지 우리가 설정한 어떤 의미역에도 잘 들어맞지 않

    는 새로운 의미역할인 것이다. 이를 ‘경험자’ (Experiencer)라고 부르도록 하자. 그렇

    다면, 위 예문들의 English syntax나 the Hyundai Pony... 는 어떤 의미역을 부여받을

    까? Grimshaw (1990)의 경우처럼, 이들은 대개 대상물로 간주된다.

    그런데, 그것들이 대상물에 그치는 것일까? Jayaseelan (1988)의 다음 예를 생각해

    보자.

    (39) a. John felt hatred toward Mary. (=그의 (4b)) b. John harbors feelings of hatred toward Mary. (=그의 (27))

    그는 동사 feel이 {경험자, 대상물}을 의미역으로 지닌다고 가정한다. John이 경험자

    가 될 것이고 그가 경험하는 감정 hatred가 (경험의) 대상물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Mary는 어떤 의미역을 지닌 것으로 분석되는 것이 가장 좋을까? 아마도 도착점

    (Goal)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10) 전치사 toward가 이 분석을 지지한다고 하겠다.

    9) Benefactive란 용어를 사용하는 학자들도 있는데 -ive로 끝나는 용어들은 보통 격 (case) 연구의 전통에서 전해 내려온 것들이다.

  • 38・영어 통사론

    그 (1988: 각주 9)는 경험자 John이 한편으로 출발점 역할을 한다고 본다. 마찬가지

    로, 그는 harbor도 동일하게 {경험자, 대상물}을 지닌 것으로 분석하여, feelings of

    hatred를 대상물로 본다.

    이 Jayaseelan의 분석이 적절하다면, Grimshaw (1900)처럼 (40b)의 snakes를 단순

    히 대상물로 분석하는 것은 그 근거가 약해 보인다. 오히려, Pesetsky (1995)를 따라

    서, ‘감정의 목표물’ (Target of Emotion)이라고 하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싶다. 그

    는 다음 예들을 비교하며 논의한다.

    (40) a. Bill was angry at the article in the Times. [목표물] b. The article in the Times angered/enraged Bill. [목표물, 원인자]

    [Pesetsky 1995: (3.30), 56쪽]

    그는 우선 이 두 문장의 진리치가 완전히 다를 수 있음을 관찰한다. (40a)가 Bill이

    타임즈에 실린 그 신문기사를 보고 평가를 나쁘게 한 경우에만 진(true)인 반면, (40b)

    는 (40a)와 같은 상황에서도 진일 수 있지만 그가 타임즈의 그 신문기사가 훌륭하다

    고 생각하는 경우에도 진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 휼륭한 기사를 읽고 다른 대상에

    대하여 화가 났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40a)에서는 그 신문기사가 분노의 목표물이

    되지만, (40b)에서는 그 신문기사가 분노의 대상일 수도 있지만 단순한 ‘원인자’(

    Causer)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목표물과 원인자를 구분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는 경험 에피소드와 관련하여 다른 의미역도 인정한다. 다음 예를 살펴보자.

    (41) a. John worried about the television set. b. The television set worried John.

    [Pesetsky 1995: (36), 57쪽]

    (41a)는 존이 걱정을 경험할 때마다 그가 어떤 식으로 그 텔레비전을 생각하였다는

    것이다: 그것에 화재가 날까봐, 그것이 떨어질까 봐, 등등. 관심사 (concern)가 구체적

    으로 무엇인지는 몰라도, 그 텔레비전이 그 걱정의 ‘주제대상’ (Subject Matter)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41b)에서는 그 텔레비전이 원인자가 된다고 한다.11)

    10) Jayaseelan은, 기술적으로 말하자면, 이 도착점 역할은 명사 hatred가 요구한다고 한다.

    11) 그는 다음 (ⅰ)도 기본적으로 비슷한 방식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한다. (ⅰ) a. John is bored with the problem of lexical entries.

  • 안성호 어휘부-통사부 접합면・ 39

    이 분석은 한 술어가 목표물과 주제대상을 모두 지닐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더

    지지를 받는다고 하겠다.

    (42) a. Sue is angry with Bill about the party. b. John is irritated at Mary about the mistake. c. Bill likes this about his new job: he doesn't have to get up very early. d. What Mary hates about Sue is her stubbornness.

    [Pesetsky 1995: (180), 57쪽]

    예를 들어, (42a)에서 Bill은 분노의 목표물이 되고 the party는 주제대상이 된다.

    우리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겠다.12)

    (43) a. 경험자 (Experiencer): 심리·지각적 사건을 경험하는 사건 참여자 b. 대상물 (Theme): 심리·지각적 사건 자체 c. 목표물 (Target): 심리적 정서의 목표가 되는 물체 d. 주제대상 (Subject Matter): 심리·지각적 사건과 관련하여 생각하게 되는 대상

    e. 원인자 (Causer): 경험자가 겪는 심리·지각적 사건을 직접적으로 일으키는 참여자.

    지금까지 우리는 논항이 술어와 관련하여 가질 수 있는 변하지 않는 의미역 관계

    를 탐구하였다. 물론, 아직 논의하지 못한 의미역들이 있을 수 있겠지만, 의미역을 얼

    마나 세분화할 것인가 그리고 몇 개를 인정할 것인가 등의 문제들은 사실상 모두 경

    험적으로 실증되어야 할 것들이다. 이 소절의 논의에서는, 여러 가지 의미역들을 실상

    3 영역으로 묶어 보았다. 행위자 영역이 그 하나요, 대상물 영역이 그 두 번째라면,

    경험자 영역이 그 세 번째이다. 일반적으로 이 상이한 영역에 속하는 의미역들을 동일

    한 한 논항이 가질 수 있어 보인다. (25a)에서, 한 논항이 수동자와 대상물 의미역할

    을 동시에 수행함을 보았다. send나 give의 경우에는 주어가 행위자 뿐 아니라 출발점

    역할을 함도 보았다. 그 다음 예문 (39)의 feel의 경우에는, 주어가 경험자이면서 감정

    b. The problem of lexical entries bores John.[Pesetsky 1995: (40), 57쪽]

    그가 옳다면, the problem of lexical entries를 주제대상으로 취급해야 할 듯하지만, 목표물로 볼 수도 있겠다.

    12) 심리논항 층위의 독립적 설정 가능성을 언급한 연구로는 정태구 (2001: 163-4)를 참조하라.

  • 40・영어 통사론

    의 출발점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점들을 포착하기 위하여, 그러한 다른 영역의 의미

    역들이 상이한 ‘층위’ (tier)에 속한다고 생각되기도 하였음을 (Culicover & Wilkins

    1984: 212; Grimshaw 1990; Jackendoff 1990; Ahn 1994) 언급하고, 논항 구조에

    대한 논의로 옮겨 가기로 하자.

    3.2 논항 구조

    Pesetsky (1982)의 s-선택이 의미역을 선택하는 것이라면, Stowell (1981)은, 예를

    들어, 술어들이 가장 원시적인 형태로 의미역의 종류와 수를 명시한 ‘의미역 격자’

    (thematic grid, θ-grid)를 어휘목록의 일부로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 격자의

    각 위치는 그 동사가 나타나는 구절구조에 포함될 하나의 논항 위치와, 그리고 그 논

    항 위치와만, 일대일 방식으로 상응하게 된다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