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jsms.sch.ac.kr/upload/pdf/16(1)...

1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16(1) p.139~152 June 2010 139 상지의 외상성 질환의 영상의학적 소견에 대한 고찰 김현주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Image Findings of Uncommon Traumatic Lesions in the Upper Extremity Hyun Joo Kim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Korea Abstract Upper extremity injuries can occur in traumas related to sports, daily activities and so on. Various imaging modalities can be applied in evaluating the physical injuries in upper extremity and have their own roles in the evaluating injuries. Magnetic resonance imaging is very useful method for diagnosis of injuries because it has good soft-tissue contrast. Other imaging modalities, such as plain radiographs or ultrasonography also have their own roles for evaluating fine fracture and can visualize dynamic status. Computed Tomogarphy also can be used for the evaluation of fractures and other related finding. This study shows the images of uncommon traumatic lesions in upper extremitywith various imaging modalities. Key words : Arm injuries, Fractures, Hand injuries, Diagnostic imaging 서론 1) 상지의 외상성 질환은 운동이나 매일의 일상활동 등과 같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지의 외상성 . 질환을 진단하는 데에는 다양한 영상기법들이 사용될 교신저자 김현주 : 주소 서울시 용산구 대사관길 :140-743 22,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영상의학교실 Tel : 02-709-9396 / Fax : 02-795-3928 E-mail : [email protected] 접수일 게재확정일 : 2010 3 29 / : 2010 5 31 수 있고 이들은 각각이 자신의 고유의 특성을 가지고 병변을 진단하는데 쓰인다. 단순촬영의 경우 골격의 외상 및 골절을 진단하는데 가장 기본적으로 쓰이는 검사법이다 어떤 경우에는 일 . 반 단순촬영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병변들을 스트레스 검사 등을 이용해 좀 더 잘 볼 수 있기도 하다 ( , 우리빗장관절 손상 전산화단층촬영검사 ). (computed to- 는 근골격계 외상의 진단에 매우 활발 mography, CT) 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골절이나 탈골과 같은 병변 .

Transcript of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jsms.sch.ac.kr/upload/pdf/16(1)...

Page 1: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jsms.sch.ac.kr/upload/pdf/16(1) p.139~152.pdfJournalofSoonchunhyangMedicalScience16(1)p.139~152June2010139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16(1) p.139~152 June 2010 139

상지의 상 질환의 상의학적 견에 대한 고찰

순천향 학 과 학 상 학 실

Image Findings of Uncommon Traumatic Lesions

in the Upper Extremity

Hyun Joo Kim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Korea

Abstract

Upper extremity injuries can occur in traumas related to sports, daily activities and so on. Various imaging

modalities can be applied in evaluating the physical injuries in upper extremity and have their own roles in

the evaluating injuries. Magnetic resonance imaging is very useful method for diagnosis of injuries because it

has good soft-tissue contrast. Other imaging modalities, such as plain radiographs or ultrasonography also

have their own roles for evaluating fine fracture and can visualize dynamic status. Computed Tomogarphy

also can be used for the evaluation of fractures and other related finding. This study shows the images of

uncommon traumatic lesions in upper extremitywith various imaging modalities.

Key words : Arm injuries, Fractures, Hand injuries, Diagnostic imaging

론1)

상지 상 질 운동 매 상 동 등과

같 과 에 생할 다 러한 상지 상.

질 진단하는 에는 다 한 상 들 사용

신 주:

주 울시 용산 사:140-743 22,

순천향 학 울병원 상 학 실

Tel : 02-709-9396 / Fax : 02-795-3928

E-mail : [email protected]

수 월 게재 월: 2010 3 29 / : 2010 5 31

고 들 각각 신 고 특 가지고

병변 진단하는 쓰 다.

단 경우 골격 상 골 진단하는

가장 본 쓰 는 검사 다 어떤 경우에는.

단 에 는 보 지 는 병변들 스트 스

검사 등 용해 볼 도 하다 ( ,

우리빗장 상 산 단층 검사). (computed to-

는 근골격계 상 진단에 매우mography, CT)

하게 용 고 다 특 골 탈골과 같 병변.

Page 2: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jsms.sch.ac.kr/upload/pdf/16(1) p.139~152.pdfJournalofSoonchunhyangMedicalScience16(1)p.139~152June2010139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

140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6 No.1 June 2010

재 등 진단하는 매우 도움

다 어 강 내에 치한 골 편 연.

골 진단할 도 다 는 특 복잡한 해 학. CT

가지고 는 에 골 등 진단하는

욱 도움 는 러한 들 는 어

쇄 등 다 근에는 달 하.

여 여러 향 상 재건하여 볼 뿐

니라 삼차원 상도 가능하게 었다.

여러 가지 상 공 상(magnetic reso-

직 도가 특 단nance imaging, MRI)

에 거 하지 는 견 보 는

경우에 매우 도움 다 한 에 도 간 하. CT

지 견 보 는 골 들 장골 피 골( , ,

골연골 골 등 진단에도 용하게 사용, )

다.17)

역시 상지 상 질 진단에 용하게 사

용 다 는 실시간 상 득 가능하고.

여러 향에 상 얻 역동 검사가

가능하다는 장 다 한 상 생각 는.

측과 비 도 비 용 하다 근에는 상 역.

장해 볼 는 라마 등 사용해

상 역만 가능하 한계 극복했다 특 골.

등 근 건 상 경우에 근 과 근 -

건 경계 건 계 함께 볼 게 해 다, .8)

본 에 는 러한 상지 드 상 질 들에

하여 보고 각각 다 한 상 학 견

보고 한다.

상 방 어 탈골과

동반 강 내 loose body

어 탈골 가장 한 상 탈골 하 다 어.

탈골 시에는 병변 하 어Bankart ,

상(inferior glenohumeral ligament, IGHL) ,

에 피막 리 병변 강 내, Hill-Sach ,

리체 근개 상과 같 동 상 보,

다 특 강 내 리체 는 체 복. (Fig. 1)

어 탈골 도에 만 타 는 병변10%

다4) 강 내 리체가 재하는 경우에는 어 탈골.

복 지 다.9) 주 연

골 어 지만 내 에 직 , ,

지 등 포함할 도 다 러.

한 상 에 리체는 상에 다 한 견 보

다.

Fig. 1. A forty-fice year old male patient had severe shoulder pain and LOM (limitation of motion)after

traffic accident. He had shoulder dislocation after the accident and did self-reduction. The MRI shows

Hill-Sach (A, arrowhead) and Bankart lesions (B and C, arrows) in the left glenohumeral joint. There is

an elongated shaped T1 and T2 dark SI lesion in posterior glenohumeral joint space (B, curved arrow),

which shows same SI with glenoid labrum. On arthroscopy, it is a cartilaginous loose body from

anterior glenoid labrum.

A B C

Page 3: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jsms.sch.ac.kr/upload/pdf/16(1) p.139~152.pdfJournalofSoonchunhyangMedicalScience16(1)p.139~152June2010139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

주 상지 상 질 상 학 견: 141

팔 갈래근 갈래건(long head tendon of

상biceps brachii muscle)

체 갈래근 열 는 근 에90-97%

생하 갈래건에 어 다 개.

는 갈래건 착 어 착 에

어 다 경우에는 상 진단 가능.

하지만 모 한 견 보 는 경우에는 상검사가 진

단에 도움 다 열 원 퇴행 변 에.

한 경우가 많지만 사람들에 는 직 가격

뻗 채 상하는 등 갑 스런 상에 해

도 생할 다 시 래 경과한 갈래.

근 열 경우에는 퇴 근 에 해 에

징후 보 도 하 러한 견popeye

검사 시 에 갈래근 상 심할 는

한 징후 다 갈래근 갈래 건 상.

사 에 는 결 간 에 치한다.

단 견에 는 어 건 착 에 비후

돌 태 보 거 착 가 규칙한 태

보 다 는 근 근 원. MRI

착 지 장 해 학 가장 하게 볼

다 결 간 에 상 갈래근 건 보.

지 는 경우에 심할 지만 러한 견 건

내측탈 경우에도 보 므 원 에 퇴

근 드시 해 한다(Fig. 2).5) 한 랜

시간 경과한 열 경우에는 열 후

등 결 간 에 치해 상 건과 사한 견

보 므 역시 주 해 한다 는.

갈래근 열 진단하는 매우 믿 만한

검사 다 건 내에 상 건 가 보 지.

고 다량 체만 보 고 원 에 는 MRI

마찬가지 퇴 근 볼 다.8) 그러

검사는 강 내 검사하는 많

고 열 진단하지 못한다는 단 다.

Fig. 2. A Seventy-two year old male patient had

severe pain in right shoulder after motorcycle TA

(traffic accident). There is no continuity between

biceps brachii long head tendon and superior

glenoid labrum (asterisk). Detached biceps brachii

long head tendon is retracted and located in

distal bicipital groove (arrowheads). Adhesion

between subscapularis and biceps brachii long

head tendon with inferior retraction of tendon into

subglenoid area was detected on arthroscopy.

A

B

C

Page 4: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jsms.sch.ac.kr/upload/pdf/16(1) p.139~152.pdfJournalofSoonchunhyangMedicalScience16(1)p.139~152June2010139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

142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6 No.1 June 2010

갈래근 갈래 건 내측탈 에 해 는

가 에 보고한 다Meyer 1926 .14)

래근 갈래 건 내측탈 는 개 어 근

상과 동 하여 생 다(subscapualris muscle) .

검사 상 상 러한 갈래근 내MRI

측 탈 직 보여 다.3)

어 근

상 동 한 경우에는 열 내측탈 건 열

근 하 보 다 그러 근(Fig. 3).

상 없 횡 근개 간격(transverse ligament)

상 하여 생 내측탈(rotator interval)

경우에는 탈 건 어 근 상 에 치한

다.2) 에 도 동 한 견 상 상에 할

에 는 하 어 운 과 탈 도MRI

역동 검사 통해 진단할 다.8)

Fig. 3. A sixty-five year old male patient has

suffered from pain in left shoulder after slip down,

3 or 4 years ago. MRI shows full thickness tear in

subscapularis tendon and medial subluxation of

biceps brachii long head tendon with partial

thickness tear (arrows). On arthroscopic exami-

nation, there was instability in biceps-labral

complex and more than 50% tear in biceps

brachii long head tendon with medial dislocation.

팔뼈 근 비 골4

등 도에 근 골Neer 1970 4

하여 골 한 고 후 에2000

등에 해 다Tamai (Fig. 4).21) 러한

에도 하고 어떤 태 도 지 는 근

골 차 보고 었다21) 본.

는 근 에 쪽 라 장 향

리골 고 골 편 내측 어 다 한.

동 해 결 에는 편 가 없는 골

고 간 쪽 라 다(shaft)

향 골 다 는 등에 해 개(Fig. 5). Tamai

에 매복골Neer’s classification (valgus-

과 사해 보 는 매복골impacted fracture)

견 없 에 태 골 라고 할

없다 같 복잡한 에도 하고 에 하.

지 는 비 태 골 들 포함하 해 Guix

등 에 근 골 에 하여 새 운2009

시했 복잡하다는 가 다.10)

A

B

C

Page 5: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jsms.sch.ac.kr/upload/pdf/16(1) p.139~152.pdfJournalofSoonchunhyangMedicalScience16(1)p.139~152June2010139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

주 상지 상 질 상 학 견: 143

Fig. 4. Originally, the Neer classification was

made in 1970, and revised in 2002, added 4-part

valgus impacted fracture. Images from J Shoulder

Elbow Surg by K. Tamai.

Fig. 5. thirty-two year old male patient admitted

emergency room after in-car traffic accident. He

complained of severe pain and swelling in his

right shoulder. On plain radiograph, there was

comminuted fracture and displacement in proximal

shaft of the humerus (A, in circle). On axial

reformatted(B) and 3D volume rendering (C and D)

shoulder CT, there islongitudinal split fracture in

anterior aspect of proximal humerus including

lesser tuberosity and the bony fragment is me-

dially rotated (curved arrows). Greater tuberosity is

also fractured, but there is no evidence of

displacement (arrowheads). Another fracture lines

arepresent in proximal shaft, inferior and lateral

aspect of previously mentioned fracture lines.

A

B

C

D

Page 6: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jsms.sch.ac.kr/upload/pdf/16(1) p.139~152.pdfJournalofSoonchunhyangMedicalScience16(1)p.139~152June2010139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

14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6 No.1 June 2010

팔 갈래근 파열

갈래근 원 열 드 질 하

다 체 상지에 생하는 근 건 상 에.

미만 차지한다 역도 운동 스 드1% .

사용등과 연 경우가 많고 상에 한 경우에

는 뻗 상태에 떨어지거 직 꿈치

리 에 상해 생 도 한다(olecranon) .

간 만 고 복 극에 해 생하는 경우

도 다 원 열 생 는 치는 건 꿈치. -

리 경계 다 갈래근 열 심 는.

는 꿈치 펴지지 못하고

꿈치 리 상 만 지는 결 가 만 지

에 상 심할 다 그러.

에 는 상 후 타 는 극심한 동통

등 하여 러한 견 타 지 도

한다 런 경우에는 상 학 검사들 갈래.

근 열 진단하는 도움 고 한 그 도

다.

단 에 는 갈래근 열에 징flake

후가 실 보 도 하고 리 골 할

다 시상 갈래근 열 가장. MRI

보여 다 건 열과 어 열(Fig. 6).

어 퇴 근 경계 라 심한 연 직

창 견도 함께 볼 다.19)

에 는 꿈치

리 에 상 보여 할 건 직

보 지 비어 는 공간 채우고 는 비 상

체 함께 상 퇴 열 근

볼 다 러한 근 퇴 장 향(Fig. 6).

상 통해 그 도 다 건 열.

열 감별 어 운 경우에는 꿈치 신

시키 역동 검사 실시하 도움 다.

Fig. 6. A twenty-three year old male patient has complained of

severe pain and swelling in right elbow joint after soccer game. He

slipped down on the ground and took trauma overhis right elbow

joint. On MRI (A and B), there is complete tear of triceps tendon

from olecranon top (arrows) and the ruptured tendon shows

retraction and redundancy (arrowheads). The patient took injury his

elbow again, 1 month after reconstruction operation. Plain radiograph shows heterotrophic ossification in

proximal to olecranon (in circle). US reveals retear and proximal retraction of tendon fiber (curved

arrow). There was retearingin reconstructed triceps tendon on revision operation.

A B C

D

Page 7: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jsms.sch.ac.kr/upload/pdf/16(1) p.139~152.pdfJournalofSoonchunhyangMedicalScience16(1)p.139~152June2010139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

주 상지 상 질 상 학 견: 145

신 근 파열

개 측 염(lateral epicondylitis)

에 복 미 상 과사용에 해 생겨

측 주 동통 통 등 상 동 한다.

런 경우 우리는 니스 꿉 (tennis elbow)

라고 다 그러 런 복 상 뿐 니라.

거운 건 들거 꿈치 내 시키는 업 하는

직업 거 운동 등 통해 도 동 한 상

생할 다.11)

복 상에 한 만 신 근 건염 변

경우에는 상에 신 근 꺼워지 내MR

에 신 강도 등신 강도 보 다 러한 변 에.

가 상 생 경우에는 강 상에T2

건내 염 견과 어 지 억 상에 는

측 신 근

열 견 경계가 한 고신 강도 보

다 (Fig. 7).11) 동 해 측곁 복합체(lateral

colla- 장 도 동 할teral ligament complex)

다 에 는 니스 꿉 에 보 는 건 비.

후 견과 함께 에코 변 상 건,

직 실 등 견 보 고 에 는

내 에 동 하 도 한다 한 건 착.

에 골극 생 거 착 골피질 규칙해지

도 한다 퇴행 차 진행하여 내 에 열 동 하.

는 경우도 다 열 건 내 에.

결 보 고 열 건(Fig. 7)

결 보 다 러한 건 열 견.

재 건보다는 심 건에 생 다.11)

Fig. 7. thirty-nine year old male patient admitted

with pain in his elbow joint. The symptom was

started during his work (cutting iron bar).

Physician suspected injury in common extensor

tendon. On ultrasonography, there is fluid like

anechoic portion in deep fiber of common

extensor tendon with intact superficial tendon

fibers (arrows). On MRI (Fat-suppressed T2WI

coronal image), there isenhancing slit like lesion

in intermediate fiber of common extensor tendon

(arrows), which corre- lated with sonographic

findings.

A

B

C

Page 8: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jsms.sch.ac.kr/upload/pdf/16(1) p.139~152.pdfJournalofSoonchunhyangMedicalScience16(1)p.139~152June2010139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

146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6 No.1 June 2010

배뼈 경 반달뼈 주 탈

(Trans-scaphoid perilunate dislocation)

과신 시키고 뻗 상태에 상할 경우에

생하는 상 다 비 드 게 생 는 편 목.

상 에는 가장 생하는 태 도 하다.

달 는 상 열 지하고 다

목 들 모 후 는 것 탈

특징 다 는 과신 목에 는 달 가.

원 에 어 고 할

다 허리 골 동 고 간.

돌 골 도 동 다 허리골 는.

경우에 원 골 편 다 목 함께 후

고 근 골 편 근 목 들과 함께

치한다 달 는 측 상에 간 쪽 돌 가.

게 고 한 다 목 들 모 달 에 비해 뒤

쪽 탈 어 보 다(Fig. 8).18)

Fig. 8. A thirty-eight year old male patient has

suffered from painful swelling in right wrist after

fall down, 5 months ago. There is fracture in

scaphoid neck on CT (arrows). Lunate

andfractured proximal portion of scaphoid bone

shows anterior rotation (curved arrows). Other

carpal bones show slight posterior subluxation to

radiocarpal joint with fracture in capitate (asterisk).

단 목 탈 타 상 심

가장 시행 는 검사 다 후 에 는 상.

목 실 어 보 고 측 상에 는 에 언

한 것과 같 견 보 다 그러 목 는 해.

학 복잡한 가지고 어 단 에 간

과 는 경향 다 해 한 치료가 늦어.

목 능장 에 동 하 도 한다 는. CT

게 단 에 진단하 어 운 미 한 목

골 찾는 도움 고 복잡한 목 골 진

단에도 용 다 에 는 골 골 편. CT

한 치 열 직 보여주어 계

우는 도 도움 다.12)

목 에 신 근 파열

목 곡근 신 근 모 상

만 염 에 해 열 다 곡근에 비해.

는 신 근 상 많고 폐쇄 상보다는 열

상 등 동 한 경우에 그리고 착 보다는 건

간 에 열 한다.16) 엄지폄근

(exten- 사sor pollicis longus muscle)

막 뒤쪽 간 에 시하여 목 지 엄1/3

지 지 주행한다 목 에 는 째 통과.

하는 돌 타고 어가거 그 내 진Lister

행한다. 목 에 쪽 목폄근(extensor

radialis lon- gus 과 차하 해 학 코담muscle)

갑 하고 엄지 뒤쪽 지 원 가락

닥 에 착한다 근 건 래.

에 비 재 치하 에 상

운 다 목 골 경우 날카 운.

골 편 과 고 등에 거 창상 등에,

해 열 다 한 상 없 도 마티스 질.

스 드 치료 등 경우 는 업

운동 등에 한 복 상에 해 도 열

A

C

B

D

Page 9: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jsms.sch.ac.kr/upload/pdf/16(1) p.139~152.pdfJournalofSoonchunhyangMedicalScience16(1)p.139~152June2010139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

주 상지 상 질 상 학 견: 147

다 게 열 경우에 는 엄지 펼.

없게 고 다 가락 는 것도 할 없다.

근 건 상 단 에 는 상 견

보 다 엄지폄근 비스듬하게 주행하 에.

다 상검사 주행 하 어 다 하.

지만 는 비침습 고 사 없는 검사

근 건 시 착 지 장에 걸

쳐 할 다는 장 다 건 열 경우에.

는 상 건 는 에 보 지 고 신

막내 채우고 는 막 직 에

에코 상 역 보 게 다 열(Fig. 9).

건 보 는 경우에는 개 꺼워 는

것 할 다 도 건 어 연결 지. MRI

는 것 할 고 한 단 사 거리

할 도 다 하지만 엄지폄근 장.

하 해 는 재 코 한계 해 여러

해 한다는 단 다 역시 보다. CT MRI

직 도가 떨어지 는 하 심해 찰한다 건

근 에 한 한 보 볼 어 가MRI

어 는 들에 용하게 사용 고

동시에 골 편 등 볼 다는 장 다.20)

Fig. 9. A seventy-one year old female patient complained of difficulties about extending her thumb. The

symptom hasstarted after hearing of popping sound in her thumb during wearing her pants, a month

ago. Plain radiograph was normal (not shown). There isabrupt cut off of extensor pollicis longus (EPL)

tendon at the level of distal intersection (curved arrow, right side is proximal) on ultrasonography.

Medial aspect of Lister’s tubercle was empty (arrow and asterisk) due to proximal retraction of tendon.

Complete rupture of EPL tendon was identified during operation. Distal end of tendon was located in

just distal to Lister’s tubercle and theproximal end of it couldn’t be found because ofmyostasis and

retraction.

AB

C

Page 10: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jsms.sch.ac.kr/upload/pdf/16(1) p.139~152.pdfJournalofSoonchunhyangMedicalScience16(1)p.139~152June2010139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

148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6 No.1 June 2010

가락뼈 내 끼 골

(intra-articularimpacted fracture of finger)

허리 가락 (metacarpophalangeal joint, MCP jo-

과 가락사int) (interphalangeal joint, IP joint)

골 향과 각 향 동시에 가해지

생 는 드 태 골 다 골 에 는.

가락고원 가운 함(phalangeal plateau)

몰 고 등쪽과 쪽 는 어진다 게.

어지 가락 는 장 가 생

다 러한 치는 개 단 한 처치 견.

만 는 복 지 는 것 어 다 몸쪽 가.

락 골 가지 태 다.

같 태 골 에도 향 과 과신 에

해 생 는 다 태 골 는

경우 골 에 생 다.22)

가락 골 합한 시 에 하게 진단

는 것 하다 그러 에 단 에 는 가.

락 어 는 상태 고 단 한 후 에 는 등

쪽 는 지 어 보 에 진단 어 고

측 에 도 한쪽 고원 상 태 지하고

어 진단 어 울 다 는 러한 겹쳐진. CT

들 모 리해 볼 고 재 통해 여러

상뿐 니라 삼차원 상 보여 어

강 내 골 편 도 그리고 골

한 등 하는 매우 도움 다(Fig.

10).

Fig. 10. twenty-nine year old male patient has admitted with his middle finger pain. He was fractured

middle phalangeal base of middle finger, 2 months ago during skiing. He took injury at the same site

during snowboarding and there was pain and swelling again. Initial plain radiograph (2 months

ago)showed avulsion fracture in volar base of middle phalanx (arrowhead). After reinjure, plain

radiograph and sagittal plane CT showsintra-articular depressed fracture at the same site (curved

arrows).

수장판 상 및 허리 가락 배쪽 아탈 (volarplate injury and volar subluxation of MCP joint)

허리 가락 탈 는 비 드 질 다 개.

는 과신 해 등쪽탈 가 어 게 고

째 가락 침 하는 경우가 가장 하 그다

는 엄지 가락에 타 다 쪽 탈 는.

과신 과 곡 경우 모 에 생 고 등쪽탈

에 비해 매우 드 게 어 다 지 계. 2000

개 만 보고 다9 .13) 쪽탈 가

어 경우에는 등쪽피막 허리 에 떨어

내 들어가거 곁 단독 열 견 찰

다.7) 단 탈 경우에는 보 치료만 지

만 복잡탈 경우에는 치료가 필 하다.

탈 진단 가장 우 단 통해

A B C

Page 11: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jsms.sch.ac.kr/upload/pdf/16(1) p.139~152.pdfJournalofSoonchunhyangMedicalScience16(1)p.139~152June2010139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

주 상지 상 질 상 학 견: 149

진단할 다 후 측 사 통해. ,

탈 직 볼 고 복잡탈 경

우에는 장 해 강 어진 것

할 다 상에 는 장 상. MRI

한 도 할 다 한.

곁 는 탈 가 생 는 측 해

상 고 역시 상에 볼MRI

다(Fig. 11).5)

Fig. 11. thirty-nine year old male patient complained of pain in 2nd MCP joint after bending his finger.

Compared to normal volar plate of 3rd MCP joint (asterisk), there issignal intensity change and swelling

in volar plate (curved arrows)in 2nd MCP joint with volar subluxation of the joint on MRI. T2 high SI

change in radial collateral ligament was also seen, which suggested tear of collateral ligament (arrow).

Hypertrophy of volar plate with longitudinal tear and tear of accessory collateral ligament was detected

during operation.

가락사 강내 리체

(loose body in interphalangeal joint)

단 향 향 착,

상운동과 함께 타날 경우에는 에 연한 편측

측 라 골 킬 다.

러한 송 상 후에 생 는 골 편 연골만 포함

하고 도 고 연골과 하 골 함께 떨어

도 다 연골만 루어진 골 편 경우에는.

단 상에 는 보 지 고 골 연골

포함하고 는 경우에는 다 한 도 사 비 과

보 다 러한 상 후에 골 편 골.

A B C

D E

Page 12: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jsms.sch.ac.kr/upload/pdf/16(1) p.139~152.pdfJournalofSoonchunhyangMedicalScience16(1)p.139~152June2010139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

150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6 No.1 June 2010

에 그 도 고 간만 거

강 내 동할 도 다.15)

러한 골

생 는 는 꿈치 어 고, ,

등 다 생 는 에도 가락사.

막골연골 마티스 염 등과 연

어 생 는 강 내 리체에 해 차 보고가

었다.

러한 리체는 상 학 내 여

에 라 매우 다 한 견 보 다 언.

한 같 단 상에 는 가 연골

포함한 골 편 경우에 사 비 과 병변

보 다 에 는 한 라 골 편.

고에코 병변 보 다(Fig. 12). CT MR

러한 강 내 리체 찾는 가장

용 는 검사 다 개 리체는 에 는. CT

고 병변 보 고 에 는 강MR T1 T2

상에 신 강도 병변 보 게 다.1,6,15)

결 론

상지에는 매우 다 한 상 병변 생 고

는 상 상 치 등 해 드

게 견 다 러한 드 상 병변들 다 한. 상

학 견 지하고 는 것 근골격계 상

공 하는 상 학과 사 역할 라 할 겠다.

Fig. 12. A twenty-one year old male patient visited phy sician, because of pain in interphalangeal joint

of the thumb. He had history of trauma that his thumb was held between two big pots. Plain

radiograph showsa tiny bony fragment in dorsal aspect of proximal phalangeal base of thumb (circle).

On US, it is located in joint space, which suggests loose body (arrows). He took removal surgery. About

5 mm sized loose body in dorsal aspect of proximal phalanx in MCP joint was found during operation.

참고 헌

1. Backhaus M, Burmester G, Gerber T, Grassi W,

Machold K, Swen W, Wakefield R, and Manger B:

Guidelines for musculoskeletal ultrasound in

rheumatology. British Medical Journal 60: 641, 2001.

2. Bianchi S, Martinoli C, and Abdelwahab I:

Ultrasound of tendon tears. Part 1: general con-

siderations and upper extremity. Skeletal radio-

logy 34: 500-512, 2005.

A B

Page 13: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jsms.sch.ac.kr/upload/pdf/16(1) p.139~152.pdfJournalofSoonchunhyangMedicalScience16(1)p.139~152June2010139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

주 상지 상 질 상 학 견: 151

3. Chandnani V, Yeager T, DeBerardino T,

Christensen K, Gagliardi J, Heitz D, Baird D,

and Hansen M: Glenoid labral tears: prospective

evaluation with MRI imaging, MR arthrography,

and CT arthrography. American Journal of

Roentgenology 161: 1229-1235, 1993.

4. Chandnani V, Yeager T, DeBerardino T,

Christensen K, Gagliardi J, Heitz D, Baird D,

and Hansen M: Glenoid labral tears: prospective

evaluation with MRI imaging, MR arthrography,

and CT arthrography. American Journal of Ro-

entgenology 161: 1229-1235, 1993.

5. Clavero J, Golano P, Farinas O, Alomar X,

Monill J, and Esplugas M: Extensor Mechanism

of the Fingers: MR Imaging-Anatomic Correlation1.

Radiographics 23: 593-611, 2003.

6. Meyer A: Spontaneous dislocation of the tendon

of the long head of the biceps brachii: Report

of four cases. Archives of Surgery 13: 109-119,

1926.

7. Cervilla V, Schweitzer M, Ho C, Motta A, Kerr

R, and Resnick D: Medial dislocation of the

biceps brachii tendon: appearance at MR

imaging. Radiology 180: 523-526, 1991.

8. Finlay K, and Friedman L: Common Tendon

and Muscle Injuries: Upper Extremities. Ultra-

sound Clinics 2: 577-594, 2007.

9. Guix J, Pedros J, and Serrano A: Updated

Classification System for Proximal Humeral

Fractures. Clinical Medicine & Research 7:

32-34, 2009.

10. Saliman J, Beaulieu C, and McAdams T:

Ligament and tendon injury to the elbow:

clinical, surgical, and imaging features. Topics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17: 327-336,

2006.

11. Ho C: Sports and occupational injuries of the

elbow: MR imaging findings. American Journal

of Roentgenology 164: 1465-1471, 1995.

12. Kaewlai R, Avery L, Asrani A, Abujudeh H,

Sacknoff R, and Novelline R: Multidetector CT

of Carpal Injuries: Anatomy, Fractures, and

Fracture-Dislocations1. Radiographics 28: 1771-

1784, 2008.

13. Lam W, Fitzgerald A, and Hooper G: Volar

metacarpophalangeal joint dislocation. British

Medical Journal 17: 226, 2000.

14. Meyer A: Spontaneous dislocation of the

tendon of the long head of the biceps brachii:

Report of four cases. Archives of Surgery 13:

109, 1926.

15. Resnick D: Physucal Injury: Concepts and

Terminology. In: Diagnosis of Bone and Joint

Disorders, eds Resnick D, and Goergen TG.

Saunders, Philadelphia, p. 2689-2689, 2002.

16. Resnick D, and M.J. K: Internal Derangements

of Joints. In: Bone and Joint Imaging, eds.

Elsvier Saunders, Philadelphia, p. 912, 2005.

17. Resnick D, and M.J. K: Physical Injury:

Concepts and Terminology. In: Bone and Joint

Imaging, eds Resnick D, and Goergen TG.

Elsvier Saunders, Philadelphia, p. 789-790,

2005.

18. Resnick D, and M.J. K: Physical Injury: Ex-

traspinal Sites. In: Bone and Joint Imaging,

eds. Elsvier Saunders, Philadelphia, p. 851-853,

2005.

19. Saliman J, Beaulieu C, and McAdams T:

Ligament and tendon injury to the elbow:

clinical, surgical, and imaging features. Topics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17: 327, 2006.

20. Santiago F, Plazas P, and Fernandez J: Sono-

graphy findings in tears of the extensor

pollicis longus tendon and correlation with CT,

MRI and surgical findings. European Journal of

Radiology 66: 112-116, 2008.

21. Backhaus M, Burmester G, Gerber T, Grassi

W, Machold K, Swen W, Wakefield R, and

Page 14: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jsms.sch.ac.kr/upload/pdf/16(1) p.139~152.pdfJournalofSoonchunhyangMedicalScience16(1)p.139~152June2010139 상지의외상성질환의영상의학적소견에대한고찰

152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6 No.1 June 2010

Manger B: Guidelines for musculoskeletal

ultrasound in rheumatology. Ann Rheum Dis.

60: 641-649, 2001.

22. Wolfe S, and Katz L: Intra-articular impaction

fractures of the phalanges. Journal of Hand

Surgery 20: 327-333,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