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apyrus PDF Document - khmccd.kyunghee.ac.krkhmccd.kyunghee.ac.kr/room/news/32_1_1.pdf · 질환...

8
경희의학 : 32 권 제 1 J Kyung Hee Univ Med Cent : Vol. 32, No. 1, 2017 - 1 - 치주질환과 전신질환 Periodontitis and Systemic Disease 홍지연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Corresponding author: Ji-Youn Hong, Department of Perio- dontology, School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26 Kyungheedae-ro, Dongdaemun-gu, Seoul 02447, Korea Tel: +82-2-958-9380, Fax: +82-2-958-9387 E-mail: [email protected] 사회, 경제적 발전과 의료 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 이 늘어나면서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 비중의 급격한 증가가 나타나고, 대부분의 선진국가는 고령화 사회 로 변화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7을 기점으로 65세 이상의 인구가 14% 이상을 차지하 는 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되었으며, 이에 노화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 정신적, 육체적 쇠약, 건강 문제, 경제적 빈곤, 사회적 고립 등 에 직면해 있 .(1) 특히, 건강 문제에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만성폐쇄성 폐질환, 관절염 등의 만성질 환은 나이에 따라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로 중복되어 발병하면서 전신 상태를 크게 악화시키 기도 한다. 구강 영역에서는 치아 우식, 중증의 치주 질환 및 치아 상실이 저작 기능, 섭식, 발음, 심미적 문제 등을 야기하여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키는데,(2) 그 중 치주질환은 2016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사 에서 외래 다빈도질환 전체 2위를 차지할 정도의 높 은 유병률을 보이는 구강 내 만성질환으로 나타났 .(3) 만성질환은 한 번 발병하면 완치가 힘들고 평 생 관리해야 하는 특징이 있으며, 생물학적 요인, 경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공통의 작용 요인 하에 질환 간 영향을 주고받기 때문에 치료를 위한 총체적 관리가 필요하다. 치주질환과 전신질환의 관계에 대한 역학 연구는 1980년대 이래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2013년에는 European Federation of Periodontology and American Academy of Periodontology 공동 워크샵을 통해 주제별 체계적 고찰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4) 치주질환과 전신질환의 관계를 규명해 나가는 것은 질환 전체를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절해 나 가기 위한 필수적인 사안일 것이다. 치주질환이란 치주질환은 구강 내 미생물에 의해 유발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치아 표면에 형성된 바이오필름 (biofilm)은 구강 미생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불량한 구강 위생 등의 문제로 세균성 치태가 축적될 경우 치은의 발적과 부종을 동반하는 치은염(gingivitis)유발하게 된다. 이는 국소적인 혈관의 팽창과 중성 (neutrophil)의 이주에 따른 선천성 면역반응(innate immune response)에 의하며 자극이 제거되면 가역적 으로 건강한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5) 그러나, 이오필름이 지속되면 사이즈가 커지면서 복잡한 세 균 구성을 보이는데, 특히, 혐기성 혹은 통성혐기성 (facultative anaerobe) 그람 음성균의 비중이 증가하

Transcript of ePapyrus PDF Document - khmccd.kyunghee.ac.krkhmccd.kyunghee.ac.kr/room/news/32_1_1.pdf · 질환...

Page 1: ePapyrus PDF Document - khmccd.kyunghee.ac.krkhmccd.kyunghee.ac.kr/room/news/32_1_1.pdf · 질환 및 치아 상실이 저작 기능, 섭식, 발음, 심미적 문제 등을 야기하여

경희의학 : 제 32 권 제1 호 □ 특 집 □

J Kyung Hee Univ Med Cent : Vol. 32, No. 1, 2017

- 1 -

치주질환과 전신질환

Periodontitis and Systemic Disease

홍지연

경희 학교 치과 학 치주과학교실

Corresponding author: Ji-Youn Hong, Department of Perio-

dontology, School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26 Kyungheedae-ro, Dongdaemun-gu, Seoul 02447, KoreaTel: +82-2-958-9380, Fax: +82-2-958-9387

E-mail: [email protected]

서 론

사회, 경제 발 과 의료 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

이 늘어나면서 세계 으로 노인 인구 비 의 격한

증가가 나타나고, 부분의 선진국가는 고령화 사회

로 변화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7년

을 기 으로 65세 이상의 인구가 14% 이상을 차지하

는 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되었으며, 이에 노화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 – 정신 , 육체 쇠약, 건강

문제, 경제 빈곤, 사회 고립 등 – 에 직면해 있

다.(1) 특히, 건강 문제에서 고 압, 당뇨, 고지 증,

심 질환, 만성폐쇄성 폐질환, 염 등의 만성질

환은 나이에 따라 유병률이 지속 으로 증가하고, 서

로 복되어 발병하면서 신 상태를 크게 악화시키

기도 한다. 구강 역에서는 치아 우식, 증의 치주

질환 치아 상실이 작 기능, 섭식, 발음, 심미

문제 등을 야기하여 삶의 질을 크게 하시키는데,(2)

그 치주질환은 2016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사

에서 외래 다빈도질환 체 2 를 차지할 정도의 높

은 유병률을 보이는 구강 내 만성질환으로 나타났

다.(3) 만성질환은 한 번 발병하면 완치가 힘들고 평

생 리해야 하는 특징이 있으며, 생물학 요인, 환

경 요인, 사회경제 요인이 복합 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한, 공통의 작용 요인 하에 질환 간

향을 주고받기 때문에 치료를 한 총체 리가

필요하다. 치주질환과 신질환의 계에 한 역학

연구는 1980년 이래 지속 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2013년에는 European Federation of Periodontology and

American Academy of Periodontology 공동 워크샵을

통해 주제별 체계 고찰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4)

치주질환과 신질환의 계를 규명해 나가는 것은

질환 체를 보다 효과 이고 체계 으로 조 해 나

가기 한 필수 인 사안일 것이다.

치주질환이란

치주질환은 구강 내 미생물에 의해 유발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치아 표면에 형성된 바이오필름

(biofilm)은 구강 미생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불량한

구강 생 등의 문제로 세균성 치태가 축 될 경우

치은의 발 과 부종을 동반하는 치은염(gingivitis)를

유발하게 된다. 이는 국소 인 의 팽창과 성

구(neutrophil)의 이주에 따른 선천성 면역반응(innate

immune response)에 의하며 자극이 제거되면 가역

으로 건강한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5) 그러나, 바

이오필름이 지속되면 사이즈가 커지면서 복잡한 세

균 구성을 보이는데, 특히, 기성 혹은 통성 기성

(facultative anaerobe) 그람 음성균의 비 이 증가하

Page 2: ePapyrus PDF Document - khmccd.kyunghee.ac.krkhmccd.kyunghee.ac.kr/room/news/32_1_1.pdf · 질환 및 치아 상실이 저작 기능, 섭식, 발음, 심미적 문제 등을 야기하여

− 경희의학 제32 권 제1 호 2017 −

- 2 -

Fig. 1. Concepts of the pathogenesis of periodontal disease. A 1997 model of Page and Kornman describing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pathways and processes.(11)

게 된다. 치주염(periodontitis)은 이러한 세균 자극에

해 조직의 염증반응이 심화되면서 치아를 지지하

는 조직 – 치주인 , 치조골, 백악질 등 – 이 흡수되

는 비가역 부착소실을 의미하며, 병변이 진행됨에

따라 획득면역반응(acquired immune response)이 동

반된다.(6) 치주인 의 콜라겐 섬유가 괴되면 치은

과 치아 사이에 주머니와 같은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를 치주낭이라고 하며, 치조골 흡수가 동반되면서

깊어진다. 치주낭의 형성과 치주낭 상피의 궤

양화(ulceration)는 기성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생

태 환경을 조성하고, 궤양화된 상피를 통해 구강

세균이 류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여 일시 인

균 증(bacteremia)을 래할 수 있다. 구강 세균

표 인 치주질환 병원균(periodontal pathogens)에

는 Porphyromonas gingivalis, Treponema denticola,

Prevotella intermedia,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

comitans 등이 있는데,(7) 이들 미생물이 형성하는

lipopolysaccharides (LPS) 내독소혹은 사산물은 조

직과 면역세포에서부터 염증성 싸이토카인(pro-

inflammatory cytokine)의 분비를 증가시킨다. 특히,

IL-1β와 TNF-α는 조직 괴에 여하는 표 인

싸이토카인으로, IL-1β는 염증 세포의 recruitment,

다형핵백 구(polymorphonuclear leukocyte)의 priming/

degranulation 활성, prostaglandin과 같은 염증성 매개

체와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의 생성 증가, 콜

라겐 합성 해, T와 B 림 구 활성을 유발하며,(8)

TNF-α는 세포 apoptosis, 골 흡수, MMP 분비,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ICAM) 발 IL-6

생성을 증가시킨다.(9) 한, IL-6는 골세포 형성

골 흡수, T 림 구 분화를 진함으로써 조직

괴 과정에 여한다.(10)

임상 으로 부착 소실이 일어난 범 에 따라 국소

(localized) 혹은 반 (generalized), 심도에 따라

기(incipient, mild), 등도(moderate), 증(severe,

advanced) 치주염으로 분류하며, 진행 속도와 양상에

따라 진성(aggressive) 혹은 만성(chronic) 치주염으

로 구분할 수 있다. 부분은 성인에서 나타나는 만

성 치주염의 형태로 서서히 진행되며, 집단에 따른

유병률 차이가 있으나 5% 미만에서는 사춘기의 어

린 나이부터 성 치주염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치

주질환을 유발하는 일차 원인은 치은 하방으로 장

기간 축 되는 세균성 치태이지만, 치주조직 괴는

세균에 한 우리 몸의 면역 염증 반응에 의한 것으

로 질환의 진행 과정에 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

은 흡연, 신 질환, 유 , 환경, 사회경제 요인,

양 등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다(Fig. 1).(11,12) 복합

Page 3: ePapyrus PDF Document - khmccd.kyunghee.ac.krkhmccd.kyunghee.ac.kr/room/news/32_1_1.pdf · 질환 및 치아 상실이 저작 기능, 섭식, 발음, 심미적 문제 등을 야기하여

− 홍지연:치주질환과 신질환 −

- 3 -

인 숙주 요인들은 개인 별 질환에 한 민감도

(susceptibility)에 향을 주어 치주질환의 진행 양상,

심도 재발률의 차이를 가져오게 된다.

치주질환과 당뇨병

당뇨병은 변화한 생활 습 , 식이, 비만에 의해

증하고 있는 만성 질환이다. 제1형 당뇨병은 췌장의

베타세포가 자가면역반응에 의해 괴되면서 인슐

린을 생성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으로 어린 나이에

발병하며 인슐린 주사가 필수 인 반면, 체의

90%이상을 차지하는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에 한

조직 반응의 감소로 포도당 사 기능이 하되는

인슐린 항성(insulin resistance)에 의해 나타난다.

성인에서 호발하고 운동, 식생활 습 교정, 약물 요

법 등을 통해 당을 조 한다. 당뇨병은 공통 으

로 고 당(hyperglycemia) 고지 증(hyperlipidemia)

을 보이며, 신장병증(nephropathy), 망막병증(retino-

pathy), 신경병증(neuropathy), 족부 궤양, 치유 지연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는데, 치주질환 역시 당뇨 환

자에서 종종 찰되면서 여섯 번 째 합병증으로 일

컬어지기도 한다.(13)

당뇨병은 치주질환의 주요 험인자 하나로 당

뇨 환자에서 치주염 유병률이 약 3배 증가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당 조 여부가 가장 요한 요

소인데, U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II 보고에 따르면 HbA1c > 9%의

성인 그룹에서 증의 치주염 유병률이 정상 당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당뇨병과

흔히 동반되는 비만 역시 BMI ≥ 30 kg/m2 군이

18.5~24.9 kg/m2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치주염

험도를 보 다.(14) 역으로, 치주질환이 당에 향

을 미칠 수 있다는 역학 조사에서도, 증의 치주염

은 당 조 리의 험 인자일 뿐 아니라, 신장

병증, 망막병증, 심 질환 등의 당뇨 합병증 유병

률 심도와 연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나이, 성, BMI, 흡연, 당뇨병 기간 등의 교란 요인

(confounding factors) 보정 하에 macroalbuminuria,

end-stage renal disease (ESRD) 발생률이 각각 2배와

3배로 증가하 으며,(15) 심 계 질환과 신장병증

을 동시에 보이는 경우도 3배 가량 증가하 다.(16)

이와 같이, 당뇨병과 치주질환이 서로 향을 주

고 받는 상호 계를 보인다는 주장에서 두 질환을

연결하는 병인 메커니즘으로 염증 반응이 있는데,

특히, 면역 세포의 형질(phenotype), 청 내 지방 수

조직 항상성의 변화에 주목한다.(17) 조 되지

못한 염증 반응의 증폭은 염증성 싸이토카인과 조

직 괴에 여하는 효소의 지속 인 활성을 유발하

면서 신 인 염증 상태와 인슐린 항성을 심화하

여, 고 당 고지 증 상태를 지속시킨다. 지방조

직으로부터 생성되는 adipokine (TNF-α, IL-6, leptin)

분비, 고 당에 의한 AGEs (advanced glycosylation

end-products)의 치주조직 내 축 AGE 수용체

(RAGE)와의 반응 증가는 염증에 여하는 다양한

싸이토카인의 생성을 진하고, 활성산소(ROS)를

포함한 산화 스트 스 증가, 내피 세포 변화에 따른

손상, PMN 세포의 respiratory burst 증 와

apoptosis 지연을 유발하여 치주조직의 괴와 골 흡

수를 진한다. 한편, 치주조직에서 치은연하 세균

의 지속 인 자극과 조직 괴는 국소 으로 IL-1β,

TNF-α 등의 염증성 싸이토카인 증가 뿐 아니라,

bacteremia와 endotoxemia를 통해 신 인 염증 상

태에 향을 주면서 당 조 에 문제를 일으키는

등 당뇨병과 치주질환은 진행에 있어 서로 시 지효

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ig. 2).(17,18) 치주

치료가 당 조 을 개선하는 데 향을 수 있는

지에 한 의문에 해, 몇몇의 연구를 통한 메타분

석 결과 비외과 치주치료 3~4개월 후 HbA1c가

0.4% 가량 유의하게 감소됨을 보이면서 효과 인

당 조 을 한 치주치료의 병행이 강조되고 있

다.(18)

치주질환과 심 계 질환

심 계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CVD)은 심장

과 주요 동맥에 발생하는 질환을 말하며, 고 압, 허

Page 4: ePapyrus PDF Document - khmccd.kyunghee.ac.krkhmccd.kyunghee.ac.kr/room/news/32_1_1.pdf · 질환 및 치아 상실이 저작 기능, 섭식, 발음, 심미적 문제 등을 야기하여

− 경희의학 제32 권 제1 호 2017 −

- 4 -

Fig. 2. Two-way relationship between diabetes and periodontitis.(18)

성 심장질환, 상동맥질환, 심증, 심근경색증

등을 포함한다. 상기 질환들의 주요 원인은 죽상동

맥경화증(atherosclerosis)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염증성 질환으로 의 내막에 콜 스테롤이 침착

하고 내피세포가 증식하여 죽종(atheroma)이 형성되

는 것을 말한다. 죽종 주 로 섬유막이 생기고 내부

가 묽어지는 경화반(atherosclerotic plaque)이 되었다

가 열되면 내 이 생기면서 액순화 장

애를 일으키게 되는데, 험인자 고지 증은 산

화된 LDL (low-dentsity lipoproteins)이 내피세포

를 침투하여 염증 반응을 유발하게 하고 류로부터

leukocyte를 끌어 모으는 결과를 래한다.(19)

지난 2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치주질환과 CVD의

계를 밝히기 한 여러 역학 연구가 진행되어왔으

며, 오늘날까지 두 질환 사이의 계를 밝히는 것은

요한 과제이다. 여러 메타분석 결과, 두 질환 사이

에는 유의한 계가 있으며, 치주질환자에서 CVD의

발생 험이 34%가량으로 유의하게 증가하고, 특히,

60세 이하의 증 치주염 환자에서 상동맥질환의

발생 험이 유의하게 높다고 알려진 바 있다.(20,21)

한, 특정 치주질환 병원균과 CVD의 발생 간 양의

상 계가 찰됨에 따라 두 질환 간 인과 계

가능성에 한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22) 두 질환을

연결시키는 기 에는 균 증이 있는데, 구강 세균

혹은 사산물이 류를 통해 유입되면서 CVD 유

발에 여하는 것이다.(22) 균 증은 건강한 사람에

서 스 일링 정도의 치과 치료에도 발생할 수 있으

나, 치주조직의 염증이 심화될수록 발생 빈도가 높

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강은 신체 다른 부

에 비해 세균의 유입이 많은 곳이며, 실제 수술을

통해 제거한 경화반 조직에서 P. ginigvalis, A.

actinomycetemcomitans를 포함한 다수의 구강 세균

DNA가 검출되거나,(23) 살아있는 세균이 발견되기

도 하는 등 치주질환 병원균의 향에 한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24) 치주질환 병원균, 내독소와

사산물은 내피세포의 apoptosis를 유발하거나,

IL-1, TNF-α, IL-6,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P-selectin

등을 통해 염증 반응을 증가시키고 액 응고,

의 형성을 진한다.(22) 한, 치주염에 의해 신

으로 증가한 IL-1, TNF-α의 염증성 싸이토카인

은 청 내 지방 사 조 에도 문제를 일으켜,

plasma cholesterol, LDL, triglyceride의 비 을 높이면

서 죽상동맥경화증을 진시키는 결과를 래할 수

있다.(22,25) 치주치료를 통한 CVD의 개선 여부는

두 질환 사이의 인과 계를 설명하는데 요한 정

보를 제공하는데, 죽상동맥경화증의 정도를 계측하

는 변수로 flow-mediated dilation (FMD), 경동맥의

Page 5: ePapyrus PDF Document - khmccd.kyunghee.ac.krkhmccd.kyunghee.ac.kr/room/news/32_1_1.pdf · 질환 및 치아 상실이 저작 기능, 섭식, 발음, 심미적 문제 등을 야기하여

− 홍지연:치주질환과 신질환 −

- 5 -

intimal layer 두께(IMT) 측정 등을 이용하여 치주치

료 후 CVD의 유의한 개선이 보고되었다.(22)

치주질환과 류마티스 염

류마티스 염(rheumatoid arthritis, RA)은 신

으로 나타나는 자가면역성 질환으로 자가내성

(self-tolerance), 만성 염증, 의 괴를 포함한다.

나이에 따라 유병률이 증가하고 여성에서 3배 이상

발생하며, 55세 이상 여성의 5%에서 찰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기에는 을 싸고 있는 활막에

염증이 생기면서 액이 증가하여 이 붓고,

통증과 함께 뻣뻣해지는 증상이 나타나는데, 질환이

진행되면 인 한 와 연골의 괴와 변형이 생길

수 있다.(26) RA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으나, 유

, 환경, 호르몬과 감염 요인들이 복합 으로 작용

하는 것으로 보인다. 구강질환과 RA의 연 성에

하여 역사 으로는 19세기 부터 20세기 반까지

focal infection theory에 입각하여 ‘rheuma’의 치료를

해 치아를 모두 뽑는 시술을 시행하기도 하 다.

이후, 1952년에 American Medical Association는 이러

한 방법에 과학 근거가 없음을 공표하 고, 실제

증의 치주염을 동반한 RA 환자에서 치아 발치가

어느 정도 범주까지 효과를 거두는지는 명확하지 않

다. 하지만, 구강 세균에 한 국소 염증 반응이

신 인 염증 반응을 진하며, 균 증과 신 인

염증 지표의 증가에 일부 여하는 사실을 통해 RA

조 과 구강 내 바이오필름의 계가 재조명되고 있

다.(27)

RA의 유발에는 유 , 환경 요소와 함께 cyclic

citrullinated peptide에 한 항체(anti-CCP)가 여하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itrullination 혹은 deami-

nation은 아미노산 arginine이 peptidylarginine

deaminases (PADs) 효소에 의해 citrulline이라는 형태

로 변형되는 것을 뜻하며, anti-CCP 벨은 RA의

측 표지자로 비교 높은 특이도와 민감도를 보인

다. 구강 감염과 RA의 연 성에 해 치주질환 병

원균 P. gingivalis가 주목되는데, 이는 PAD 효소

를 발 하는 유일한 미생물이면서 액에서 citru-

llinated autoantigens을 발 하기도 하는 등 RA의

험도를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27,28)

P. gingivalis의 cysteine protease에 한 면역화가 RA

의 방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는 치주질환

원인균인 P. gingivalis가 RA의 발생과 진행에 향

을 수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치주염과 RA의 계에 한 역학 연구에서 RA

환자의 증 치주염 발생에 한 odds ratio는 2.2:1

혹은 8.1:1로 다양하게 보고되며, 여성 RA 환자에서

질환을 측하는 요소에 치주질환의 심도가 3 를

차지하고 있다.(27,28) 한, RA의 치료제로 염증을

조 하기 해 NSAIDs (aspirin, ibuprofen, COX-2

inhibitor), corticosteroids, disease modifying anti-

rheumatic drugs(DMARDs) 등이 고려되는데, 청 내

anti-P. gingivalis titer, DMARDs, anti-TNF-α의 용

이 치주질환의 임상 개선 효과를 유발하 다는 연

성이 보고되기도 하 다. 그러나, 재까지의 연

구 디자인에서는 두 질환 간의 명확한 상 계를

규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두 질환의 공통 인

병인 메커니즘인 숙주 면역 반응과 이에 향을 주

는 유 요소, citrullination을 유발하는 P. gingivalis

와 같은 구강 세균 감염원을 으로 하는 보다 심

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Fig. 3).

치주질환과 폐렴

폐렴은 호흡세기 지, 폐포 , 폐포낭 폐포로

구성된 폐실질의 염증을 의미하며, 생명에 이

될 만큼 심각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 감염 하

나이다. 지역사회획득 폐렴(community acquired pneu-

monia, CAP)은 가정, 공동체에서 얻은 형태로 건강

한 사람도 이환될 수 있고, Streptococcus pneumonia,

Haemophilus influenzae와 같은 비인두 공생세균의

흡인이나 Mycoplasma pneumoniae, Chlamydia

pneumonia, Legionella pneumonia 혹은 바이러스의 비

말 를 통해 감염이 이루어진다. 반면, 기타 신

질환 등으로 인해 입원해 있는 환자에서 나타날 수

Page 6: ePapyrus PDF Document - khmccd.kyunghee.ac.krkhmccd.kyunghee.ac.kr/room/news/32_1_1.pdf · 질환 및 치아 상실이 저작 기능, 섭식, 발음, 심미적 문제 등을 야기하여

− 경희의학 제32 권 제1 호 2017 −

- 6 -

Fig. 3. Pathways of genetics, inflammation, and infectious links between rheumatoid arthritis and

periodontitis.(27)

있는 병원내 폐렴(hospital acquired pneumonia, HAP)

은 Gram-negative enteric bacteria 혹은 Pseudomonas,

Acinetobacter species, Staphylococcus aureus 등의

multi-resistant environmental bacteria 감염에 의하며,

이는 구강 바이오필름에서도 찰되는 세균으로 구

강인두에서부터 기도를 통해 흡인되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29) 특히,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에서

흡인에 의해 유발되는 폐렴(ventilator acquired pneu-

monia)은 HAP와 유사한 종류의 세균을 나타낸다.

구강 세균이 HAP를 유발하는 잠재 병원균의 험

이 있는 반면, CAP에는 거의 여하지 않는다는 사

실과 거동이 불편하고 쇠약한 입원, 요양 환자에서

나타나는 신체 제약, 구강 세균의 미세흡인(micro-

aspiration) 증가, 흡인 물질에 한 pulmonary

clearance 하, 폐 막 내의 면역 하 등이 HAP

발생의 요인으로 지 되었다.(30) 불량한 구강 생

상태나 치주염이 HAP의 발생과 연 은 있으나,

험 정도, 입원 환자 그룹 별로 나타나는 병원균의

종류와 차이, 발생과 련한 치주질환의 심도 사이

의 계를 규명하는 연구들은 아직 미흡한 상태이

다. 메타분석을 통해 구강 생을 개선하는 치료가

폐렴의 발생을 40%가량 감소시켰다는 결과가 보고

된 바 있으나,(31) 아직 일 된 구강 리 로토콜

이나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군에 한 명확한 정보

가 부족하며, 이에 구강 내 세균과 HAP 발생의

계에 한 보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 론

구강은 다양한 종류의 세균이 상주하면서 우리 몸

의 면역 반응과 균형을 이루고 있는 공간으로, 바이

오필름이 축 되면 치주조직의 만성 인 염증 반응

이 유발되면서 조직 괴를 동반하는 치주염이 진행

된다. 국소 인 치주염은 심화되면 신 인 염증에

도 여하는데, 치주질환과 다양한 신질환이 서로

연 성을 갖게 되는 통로는 치주낭을 통한 류로의

유입을 들 수 있다. 구강 내 세균, 내독소, 세균성

사산물과 염증성 매개체 등이 류를 통해 각 신체

부 에서 발생하는 질환에 여하며, 그 병인 기

의 심에는 염증반응이 존재한다. 치주질환과의 연

Page 7: ePapyrus PDF Document - khmccd.kyunghee.ac.krkhmccd.kyunghee.ac.kr/room/news/32_1_1.pdf · 질환 및 치아 상실이 저작 기능, 섭식, 발음, 심미적 문제 등을 야기하여

− 홍지연:치주질환과 신질환 −

- 7 -

성에 해 당뇨병, 심 계 질환, 류마티스

염, 폐렴 외에도 조산, 치매, 뇌경색, 골다공증 등 다

양한 분야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질환

간의 계를 규명하는 것은 궁극 으로 유기 인 체

계 안에서 효율 인 치료 효과를 도출하기 한 근

거로 작용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2016 고령자통계. 통계청

2. Marcenes W, Kassebaum NJ, Bernabé E, Flaxman

A, Naghavi M, Lopex A, Murray CJL. Global

burden of oral conditions in 1990-2010: a syste-

matic analysis. J Dent Res 2013;92:592-7.

3. 2016 건강보험통계지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4. Special Issue: Periodontitis and Systemic diseases – Proceedings of a workshop jointly held by the

European Federation of Periodontology and

American Academy of Periodontology. J Clin

Periodontol 2013;40:S1-S214.

5. Lindhe J, Liljenberg B, Listgarten M. Some micro-

bi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features of perio-

dontal disease in man. J Periodontol 1980;51:264-9.

6. Page RC, Schröeder HE. Pathogenesis of infla-

mmatory periodontal disease. A summary of

current work. Lab Invest 1976;34:235-49.

7. Socransky SS, Haffajee AD. The bacterial etiology

of destructive periodontal disease: current concepts.

J Periodontol 1992;63:322-31.

8. Butler LD, Layman NK, Cain RL, Riedl PE,

Mohler KM, Bobbitt JL, et al. Interleukin 1-

induced pathophysiology: induction of cytokines,

development of histopathologic changes, and

immunopharmacologic intervention. Clin Immunol

Immunopathol. 1989;53:400-21.

9. Birkedal-Hansen H. Role of cytokines and infla-

mmatory mediators in tissue destruction. J Periodont

Res 1993;28:500-10.

10. Yamamoto M, Fujihashi K, Hiroi T, McGhee JR,

Van Dyke TE, Kiyono H. Molecular and cellular

mechanisms for periodontal diseases: role of Th1

and Th2 type cytokines in induction of mucosal

inflammation. J Periodont Res 1997;32:115-9.

11. Page RC, Kornman KS. The pathogenesis of

human periodontitis: an introduction. Periodontol

2000. 1997;14:9-11.

12. Kornman KS. Mapping the pathogenesis of perio-

dontitis: a new look. J Periodontol 2008;79:1560-

8.

13. Loe H. Periodontal disease. The sixth complication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1993;16:329-

34.

14. Tsai C, Hayes C, Taylor GW. Glycemic control of

type 2 diabetes and severe periodontal disease in

the US adult population.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2;30:182-92.

15. Shultis WA, Weil EJ, Looker HC, Curtis JM,

Shlossman M, Genco RJ, et al. Effect of perio-

dontitis on overt nephropathy and end-stage renal

disease in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7;30:306-11.

16. Saremi A, Nelson RG, Tulloch-Reid M, Hanson

RL, Sievers ML, Taylor GW, et al. Periodontal

disease and mortality in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5;28:27-32.

17. Iacopino AM. Periodontitis and diabetes interrela-

tionships: role of inflammation. Ann Periodontol

2001;6:125-37.

18. Preshaw PM, Alba AL, Herrera D, Jepsen S,

Konstantinidis A, Makrilakis K, et al. Periodontitis

and diabetes: a two-way relationship. Diabetologia

2012;55:21-31.

19. Libby P, Ridker PM, Maseri A. Inflammation and

atherosclerosis. Circulation 2002;105:1135-43.

20. Bahekar AA, Singh S, Saha S, Molnar J, Arora R.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coronary heart

Page 8: ePapyrus PDF Document - khmccd.kyunghee.ac.krkhmccd.kyunghee.ac.kr/room/news/32_1_1.pdf · 질환 및 치아 상실이 저작 기능, 섭식, 발음, 심미적 문제 등을 야기하여

− 경희의학 제32 권 제1 호 2017 −

- 8 -

disease i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eriodontitis: a

meta-analysis. Am Heart J 2007;154:830-7.

21. Mustapha IZ, Debrey S, Oladubu M, Ugarte R.

Markers of systemic bacterial exposure in perio-

dontal disea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Periodontol

2007;78:2289-302.

22. Belstrøm D, Damgaard C, Nielsen CH, Holmstrup

P. Dose a causal relation between cardiovascular

disease and periodontitis exist? Microbes and

Infection 2012;14:411-8.

23. Fiehn NE, Larsen T, Christiansen N, Holmstrup P,

Schroeder TV. Identification of periodontal patho-

gens in atherosclerotic vessels. J Periodontol 2005;

76:731-6.

24. Kozarov EV, Dorn BR, Shelburne CE, Dunn Jr.

WA, Progulske-Fox A. Human atherosclerotic

plaque contains viable invasive Actinobacillus acti-

nomycetemcomitans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5;25:e17-e18.

25. Losche W, Karapetow F, Pohl A, Pohl C, Kocher

T. Plasma lipid and blood glucose levels in

patients with destructive periodontal disease. J Clin

Periodontol 2000;27:537-41.

26. Firestein GS. Evolving concepts of rheumatoid

arthritis. Nature 2003;423:356-61.

27. Persson GR. Rheumatoid arthritis and periodontitis

– inflammatory and infectious connections. Review

of the literature. J Oral Microbiol 2012;4:11829

doi:10.3402/jom.v4i0.11829

28. Farquharson D, Butcher JP, Culshaw S. Perio-

dontitis, Porphyromonas, and the pathogenesis of

the rheumatoid arthritis. Mucosal Immunol 2012;5:

112-20.

29. American Thoracic Society,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Guidelines for the manage-

ment of adults with hospital-acquired, ventilator-

associated and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Am J Respir Crit Care 2005;171:388-416.

30. Paju S, Scannapieco FA. Oral biofilms, perio-

dontitis, and pulmonary infections. Oral Dis 2007;

13:508-12.

31. Scannapieco FA, Bush RB, Paju S. Assoications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risk for noso-

comial bacterial pneumonia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n

Periodontol 2003;8:5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