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사정을 위한 기록지...

16
부모 자녀건강학회지 제12권 제1호 61 주요개념 : 영유아, 성장발달, 건강사정, 보육시설 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사정을 위한 기록지 개발* 한경자**방경숙***권미경****김지수*****최미영******허보윤******* * 본 연구는 2006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우수여성과학자(2006-KRF-531-E00084) 연구지원에 의해서 수행된 연구의 일부임. **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관동대학교 간호학과 *******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박사과정 교신저자 방경숙 : [email protected] . 서 1. 연구의 필요성 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관리서비스는 영유아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상해 및 질병예방, 발달스크리닝을 포함하는 주기 적인 건강사정에 일차적 초점이 있다. 영유아의 건강사정에는 아동 및 가족의 질병 및 건강력, 강의 위험요인 파악, 성장, 발달사정, 영양, 정신건 강과 사전건강지도 및 교육요구의 확인 등 포괄적 인 평가를 필요로 한다(Bindler & Ball, 2007). 육시설 영유아의 건강사정은 영유아가 정규학습을 시작하는데 필요한 신체, 정신, 정서적 건강을 준 비시키기 위한 첫 단계이기도 하지만(Crawly & Whitney, 2005) 건강사정이 더욱 중요한 이유는 영유아기 건강이 평생건강의 토대가 됨은 물론, 가정에서 양육되어지는 영유아에 비해 보육시설에 서 낮 시간을 보내는 영유아가 훨씬 더 감염 및 상해 등의 질병발생 빈도가 높아 건강문제의 조기 발견 및 질병예방이 중요하기 때문이다(Nesti & Goldbaum, 2007). 국내에서 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관리 요구는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아동 수의 증가와 함께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20077월 현재 보육시 설을 이용하는 영유아는 전국보육시설 29,823소의 정원 1,303,846명 중, 81.5%1,062,415명에 이르고 있는데(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07), 2007년의 5세미만 추계인구 2,832,282명중(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38%의 영유아가 보육시설에서 대부분의 낮 시간을 보내고 있으며 이곳에서 아동은 건강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위험요인들에 노출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2004년의 국내 26,903개 보육시설과 보육아동 930,052(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05)에 비해 각각 약 12%씩 증가된 숫자 이며 점차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보 육시설 영유아의 건강관리를 위한 대책은 극히 미

Transcript of 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사정을 위한 기록지...

  • 부모 ․자녀건강학회지 제12권 제1호

    61

    주요개념 : 영유아, 성장발달, 건강사정, 보육시설

    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사정을 위한 기록지 개발*

    한경자**․방경숙***․권미경****․김지수*****․최미영******․허보윤*******

    * 본 연구는 2006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우수여성과학자(2006-KRF-531-E00084) 연구지원에 의해서 수행된 연구의 일부임.

    **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관동대학교 간호학과 *******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박사과정

    교신저자 방경숙 : [email protected]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관리서비스는 영유아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상해 및 질병예방, 발달스크리닝을 포함하는 주기

    적인 건강사정에 일차적 초점이 있다. 영유아의

    건강사정에는 아동 및 가족의 질병 및 건강력, 건

    강의 위험요인 파악, 성장, 발달사정, 영양, 정신건

    강과 사전건강지도 및 교육요구의 확인 등 포괄적

    인 평가를 필요로 한다(Bindler & Ball, 2007). 보

    육시설 영유아의 건강사정은 영유아가 정규학습을

    시작하는데 필요한 신체, 정신, 정서적 건강을 준

    비시키기 위한 첫 단계이기도 하지만(Crawly &

    Whitney, 2005) 건강사정이 더욱 중요한 이유는

    영유아기 건강이 평생건강의 토대가 됨은 물론,

    가정에서 양육되어지는 영유아에 비해 보육시설에

    서 낮 시간을 보내는 영유아가 훨씬 더 감염 및

    상해 등의 질병발생 빈도가 높아 건강문제의 조기

    발견 및 질병예방이 중요하기 때문이다(Nesti &

    Goldbaum, 2007).

    국내에서 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관리 요구는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아동 수의 증가와 함께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2007년 7월 현재 보육시

    설을 이용하는 영유아는 전국보육시설 29,823개

    소의 정원 1,303,846명 중, 81.5%인 1,062,415명에

    이르고 있는데(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07), 2007년의 5세미만 추계인구

    2,832,282명중(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약 38%의 영유아가 보육시설에서 대부분의

    낮 시간을 보내고 있으며 이곳에서 아동은 건강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위험요인들에 노출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2004년의 국내 26,903개 보육시설과

    보육아동 930,052명(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05)에 비해 각각 약 12%씩 증가된 숫자

    이며 점차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보

    육시설 영유아의 건강관리를 위한 대책은 극히 미

  • 62

    약하다. 최근 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관리 요구에

    대한 연구조사(Han & Kim, 2007)에서 보육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영유아 부모 중 상당수가 수두, 감

    기 등의 감염성 질환과 눈병 혹은 구토 등 자녀의

    질환을 경험하였으며, 또한 206명의 보육교사에

    대한 조사 연구(Han, Kim, & Choi, 2007)에서도

    보육교사들은 영유아의 감염성 질환과 소화기 질

    병 발생빈도가 높아, 보육시설 영유아 건강관리를

    위한 전문가의 절대적인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일상적 건강관리와 특수건강문제

    를 가진 영유아의 지속적 관리에 대하여 높은 요

    구도를 보여준 바 있다. 정부에서는 최근에 향후

    5년간 추진될 보건의료분야 주요정책으로 어린이

    집과 유치원 등에 건강교육 및 위생점검 등을 담

    당할 순회전문가 인력을 배치할 예정이라고 하였

    다(Lee, 2006). 그러나 새로운 정책의 서비스를 통

    한 건강관리의 구체적인 역할 방향이 제시되지 않

    는다면 시행에 일관성이나 지속성을 기대하기 어

    려울 것이다.

    최근 대부분의 보육시설 영유아 건강사정의 건

    강관리서비스는 영유아보육법의 의무적인 규정에

    의해 질병발견에 초점을 둔 의례적인 연 1회의 신

    체검진으로 건강평가를 대신하는 경향이 있어 지

    속적이며 체계적인 질병예방이나 건강증진차원의

    건강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Kim,

    2003; Kim & Kang, 2005; Kim, Lee, Lee, &

    Ham, 2006). 외국의 경우 Alkon과Boyce(1999)는 2

    년 동안 간호사로 하여금 보육시설을 매주 정기적

    으로 방문하게 하여 영유아 호흡기 질환 검사, 아

    픈 아동에 대한 스크리닝, 부모 상담 등의 서비스

    를 제공한 결과부모와 보육교사로부터 모두 긍정

    적 반응을 얻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보육

    시설 아동을 위한 건강관리서비스에 대한 프로그

    램 개발연구는 찾아보기 어렵고, 더욱이 국내에서

    제도화되어 있는 전문인력으로서 방문간호사를 이

    용하여 보육시설 어린이 건강관리를 위한 순회방

    문 건강관리서비스에 대해서는 제시되지 못하였다.

    국내의 경우 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문제나 건

    강관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들은 주로 부모

    혹은 보육교사 대상의 설문조사에 의존하여 건강

    관리요구를 보고해 왔으며, 아직까지 보육시설 영

    유아의 성장․발달 및 건강상태에 대하여 체계적

    이며 포괄적인 건강사정양식을 근거로 한 간호사

    의 직접평가 자료는 찾아보기 힘들다. 보육시설

    영유아를 대상으로 발달스크리닝과 신체 및 정서

    적 차원의 행동문제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건강사

    정은 위험요인이 있는 대상자를 선별함은 물론 건

    강문제의 조기발견 내지 조기중재를 위한 건강관

    리서비스의 핵심적 부분이다. Whiting와 Miller

    (2009)는 아동 간호에서 건강증진은 핵심적인 요

    소로서 앞으로는 새로운 접근방법을 통해 건강증

    진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아동의 삶의 질과 수명

    증진에 기여하여야 함을 강조하였지만 국내의 경

    우 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증진을 위해서도 반드

    시 필요한 건강사정에 적절한 도구는 아직 제시되

    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보육시설을 순

    회방문하며 영유아의 건강상태 및 건강관리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이에 필요한 전반적인 사정도구

    를 개발함으로써 향후 보육시설 영유아에 대한 건

    강관리서비스의 일차적 접근으로서 포괄적이고 체

    계적인 건강사정을 수행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

    고자 하였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 영유아에 대한 체

    계적인 건강사정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영유아의

    건강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전문가 의뢰

    를 포함하는 건강관리서비스 체계마련에 필요한

  • 부모 ․자녀건강학회지 제12권 제1호

    63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

    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사정 도구를 개발

    한다.

    둘째, 보육시설 영유아의 발달스크리닝을 위한

    적절한 도구를 선정한다.

    셋째, 보육시설 영유아건강관리에 대한 전문가

    의뢰 기록지를 개발한다.

    3. 용어 정의

    1) 건강 사정

    아동의 건강은 다차원적이며 지속성의 상태로

    개념화된다. 건강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명확하게

    측정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지만 건강상태의

    지표가 되는 범주는, 아동의 생물, 생리적 요인들,

    아동에게 나타난 특정 증상들, 주어진 환경적 조

    건하에서 아동의 일상생활 기능들, 아동자신의 건

    강상태에 대한 지각이며 각 범주의 지표들에는 신

    체, 정서 혹은 행동 요소들, 역할 및 사회적 구성

    요소와 발달상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Szilagyi,

    & Shore, 1998). 본 연구에서 영유아의 건강사정

    은 성장 및 발달사정결과, 신체사정결과를 포함하

    는 신체, 생리적 정보, 행동문제 사정결과와 식사,

    구강보건, 손씻기와 관련된 아동의 건강행태를 포

    괄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상태 파악에

    필요한 서식을 개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절

    차에 따라 진행한 기록지 개발 연구이다.

    2. 연구진행절차

    1) 기록지 개발

    먼저 영유아 건강사정 기록지를 개발하기 위해

    Han, Park, Ha, Yoon와 Song(1996)이 개발한 영

    유아 초기 사정 기록지를 기반으로 하여, 문헌고

    찰을 토대로 초안을 작성한 후 연구진인 간호학과

    교수 4인과 박사과정생 2인이 여섯 차례의 워크샵

    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보육시설장

    과 대학병원 소아과 간호사, 소아정신과 간호사로

    부터 초안에 대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본 연구

    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였다. 기록지 개발

    기간은 2006년 7월부터 12월까지였다. 개발된 기

    록지의 종류는 과 같다. 또한 기록지 개

    발 후 지역보육시설의 시설장과 보육교사에게 본

    서식지 사용의 적절성을 논의하였다.

    Types of record forms for child

    health care management

    Categories Contents

    Child health assessment Physical health status &

    Behavior problems

    Developmental screening

    Illness log

    Referral Referral form to doctors

    Doctor's response form

    2) 신뢰도 확인

    건강사정을 위해 아동건강간호학 실습 교과과

    정을 이수한 간호대학 학생 4명에게 영유아건강사

    정기록지의 적용방법을 교육한 후, 일치율 90%이

    상의 사정결과를 얻을 때까지 영유아 5명의 시진,

    청진, 촉진, 문진을 통한 영유아 건강사정에 대한

    사전훈련을 실시하였다. 다음 검사자간 신뢰도를

    보기 위하여 한 어린이집에서 17명의 개별 아동에

    대한 건강사정 시, 2명의 검사자가 동시에 관찰

    및 계측함으로써 검사자간 일치도, Kappa 계수와

  • 64

    계측치에 대한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Ⅲ.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 영유아의 일반적 특성

    과 건강문제, 건강상태 및 건강행위를 사정하기 위

    한 영유아 건강사정 기록지, 그리고 의뢰서식지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보육시설 영유

    아 건강사정 양식은 그림 1부터 그림 7까지이다.

    1. 서식지 종류

    1) 영유아 건강사정 기록지

    Han, Park, Ha, Yoon과 Song(1996)이 개발한

    영유아 초기 사정 기록지를 기반으로 하여, 본 연

    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영

    유아의 출생력 및 영유아 가족의 인구학적 정보를

    포함하는 일반적 특성 12항목과 성장과 발달사정

    영역 2항목과 신체사정 영역 19항목, 행동문제 사

    정영역 10항목 그리고 건강행태 영역 3항목으로

    구성된 영유아 건강사정 기록지를 개발하고, 간호

    학 교수 2인과 간호학 박사 1인의 내용타당도 검

    증과정을 거쳐 수정, 보완하여 최종 완성하였다.

    본 기록지는 5개 영역 46항목이 총 192개로 세분

    화된 항목으로 건강사정 결과를 해당란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조화된 것이다. 계측된 신장

    과 체중을 토대로 소아비만지수 계산법에 따라 비

    만도도 계산하여 기록하였다. 이중 신체(120개) 및

    행동사정(10개)의 2개 영역에 해당하는 130개의

    세부항목은 직접 계측과 관찰로서 측정되었고, 이

    중 행동사정항목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73이

    었다.

    2) 영유아 발달 스크리닝

    영유아 발달 스크리닝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

    되고 민감도와 특이도가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한

    국형 Denver Ⅱ발달검사도구(Shin, Han, Oh, &

    Ha, 2002)를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이 도구는 0

    세에서 6세까지의 영유아에 대한 개인-사회성, 미

    세운동-적응, 언어, 운동발달 상태를 선별하기 위

    해 개발된 것으로 총 105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

    다. Shin, Kwon과 Lim(2005)은 한국형 Denvr II

    검사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에서 정신발달지연에서

    의 민감도는 0.87이며, 특이도는 0.62, 그리고 운동

    발달지연에서의 민감도는 0.83, 특이도는 0.55로

    나타나 역시 민감도에 비해 특이도는 낮으나 임상

    적 적용의 용이성과 비용효과적인 측면에서 발달

    스크리닝을 위한 도구로는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고 보고한 바 있어 적절한 스크리닝 도구로 합의

    되었다. 이 도구의 사용을 위해서는 한국형 덴버발

    달 검사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이수가 필요하다.

    3) 순회방문일지

    순회방문일지는 향후 순회방문 간호사가 주기

    적으로 보육기관을 방문하였을 때 방문일의 활동

    사항을 일목요연하게 나타낼 수 있도록 간호활동

    범주 코드를 건강사정, 건강교육, 발달스크리닝,

    상담, 정보제공, 통보, 의뢰, 기록 및 등록, 질병관

    리, 기타의 10가지로 분류하여 부호화하고, 대상자

    코드는 영유아 집단, 부모집단, 보육교사, 개별영

    유아, 개별영유아부모, 기타의 6가지로 분류하였

    다. 간호활동 내용은 아동발달, 아동행동, 특수건

    강요구, 건강증진, 안전 및 상해예방, 감염예방, 급

    성질병, 만성질병, 응급대처, 영양, 구강건강, 시설

    종사자 건강, 건강기록, 지역사회 자원, 정책제안,

    기타의 16가지로 분류하고 번호로 표시하도록 구

    성하였다

    4) 질병․결석 기록지(illness log)

    보육교사의 보고에 의해 보육시설 아동의 질병

  • 부모 ․자녀건강학회지 제12권 제1호

    67

    순회방문일지

  • 부모 ․자녀건강학회지 제12권 제1호

    69

    의료기관 의뢰서

  • 70

    의사의 회신 및 처치지시서

  • 부모 ․자녀건강학회지 제12권 제1호

    71

    5) 의료기관 의뢰서와 의사의 회신 및 처치

    지시서

    간호사나 보육교사가 건강문제를 가진 아동을

    의사에게 의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영유아의 건강

    상태를 요약해서 전달사고 그에 대한 처치 내용을

    부모 및 보육교사, 간호사가 공유하며 격리가 필

    요한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의료기관 의뢰

    서와 의사의 회신 및 처치 지시서를 구

    성하였다.

    2. 도구의 신뢰도

    영유아 건강사정에 대한 사전훈련을 실시 후

    검사자간 신뢰도를 보기 위하여 한 어린이집에서

    17명의 개별 아동에 대한 건강사정 시, 2명의 검

    사자가 동시에 관찰 및 계측함으로써 검사자간 일

    치도, Kappa 계수와 계측치에 대한 Pearson 상관

    계수를 구하였다. 관찰과 계측으로 측정된 총 130

    개 세부항목에 대한 검사자간 일치도는 95.90%이

    었고, 관찰항목인 122개 세부항목 중 Kappa 계수

    0.87이상의 항목이 120개로 나타났으며, 활력징후

    및 신장, 체중 등 8개 계측치의 Pearson 상관계수

    는 .71이었다.

    Ⅳ. 논 의

    본 연구는 보육시설 영유아에 대한 간호사의

    직접적인 건강사정을 통해 성장발달을 포함하는

    영유아의 건강상태를 사정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서식지를 개발하였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한 기록지 개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간호사에 의한 보육시

    설 아동의 건강관리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것으

    로, 이에 필요한 건강사정 및 관리와 관련된 기록

    지를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기록지는 간호활동을

    바르게 이끌어 주기 위한 가이드가 될 뿐 아니라

    간호활동을 분석, 계획, 평가하는 데 필요하므로

    새로운 모형을 운영하는데 있어 기록양식의 개발

    은 가장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Han et al,

    1996).

    건강관리에 가장 취약한 시기에 집단생활로 인

    한 건강위험 요소에 노출될 기회가 많은 영유아

    를, 장시간 데리고 있어야 하는 보육시설에서는

    무엇보다도 영유아의 건강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Oh, 2001). 영유아의 건강증진을 도모하

    기 위하여 수행되는 건강사정은 기본적으로 아동

    에게 요구되는 상해 및 질병예방, 발달스크리닝을

    위한 주기적인 건강사정에 일차적 초점이 있다.

    특히 질병은 영유아의 지속적인 발달을 저해한다

    는 점에서 질병이나 건강위험요인의 조기발견을

    위한 건강사정은 영유아 건강증진의 기본적 요소

    로서 매우 중요하다. 보육의 사회적 요구 증가에

    따른 보육시설의 양적확대와 많은 부모들이 이에

    의존하여 자녀양육의 지원을 받고자 하는 요구가

    증폭되는 현실에서 미비한 보육시설 건강관리 형

    태의 개선이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보여진다.

    기록지에 포함된 내용들을 살펴보면, 우선 보육

    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영유아의 많은 수가 급성기

    질병상태에 있으며(Nesti & Goldbaum, 2007), 4세

    이하 영유아의 약 20%가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다

    는 연구보고(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6)에 근거하여, 급만성 질환을 모두 포괄하는

    건강사정 자료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보육시설 영유아의 경우는 특히 아직 면

    역기능이 미숙한 발달단계의 취약성을 지닌 시기

    에 더욱이 집단보육으로 인해 감염성 질환에 노출

    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예방접종이 필수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므로 이를 포함하였다. 실제로 많은

    연구에서 보육시설 영유아가 가정에서 양육되는

  • 72

    영유아에 비해 감염성 질환 이환율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Ball, Holberg, Aldous, Martinez,

    & Wright, 2002; Lee & Greig, 2008; Lu et al.,

    2004; Masuda et al., 2002), 대다수의 보육시설에

    서는 초기 입소 시의 예방접종 상태를 확인하는

    것 외에 추가접종을 안내하거나 확인하지 않고 있

    는 실정이다. 특히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맞벌이

    부모가 적시에 자녀의 예방접종을 시행할 수 있도

    록 체계적인 예방접종관리가 필요하리라 예상되므

    로 이에 대한 확인은 건강사정에서 반드시 포함되

    어야 할 것이다.

    국내 연구에 따르면 소아과에서도 소아 진찰

    시 혈압을 측정한다는 비율은 12%에 불과하였으

    나(Lee et al., 2008), 아동의 고혈압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여 4.5%에 이르고 있으며(Sorof, Lai, Turner,

    Poffenbarger, & Portman, 2004) 비만이 있는 아

    동에서는 고혈압 비율이 11%나 된다는 최근의 국

    외 연구결과(Woroniecki & Flynn, 2005)를 고려할

    때 영유아의 건강사정에 혈압측정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영유아기 아

    동의 건강상태와 깊은 연관이 있는 영양상태 사정

    은 조기중재를 통해 미래에 발전될 수 있는 성인

    병의 사전예방을 가능케 하므로 영유아 건강사정

    에 필수적 요소로서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비만

    을 고혈압, 당뇨와 같은 만성질환군으로 중점관리

    대상 질병의 범주에 포함시키고 질병의 조기발견

    을 위한 검진을 법령, 보건의료 기본법 제 43조에

    규정하고 있는 최근의 추세(Chang, 2008)에 따라

    비만이나 고혈압 예방의 조기중재에 비교적 접근

    성이 용이한 집단으로서 보육시설 영유아를 대상

    으로 하는 주기적 건강사정 내용에 다른 건강사정

    내용과 함께 혈압과 비만도 측정을 필수적으로 포

    함하고자 하는 것이다.

    영유아의 성장 사정뿐만 아니라 발달스크리닝

    또한 영유아의 발달지연을 조기에 발견하여 조기

    중재 함으로써 장애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영유아 건강관리의 필수적인 한 분야이다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01). 현재 국

    내에서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발달스크리닝 시범사

    업이 일부 시행되고는 있으나 소수 지역에 국한되

    어 있으며, 예방접종을 위해 보건소를 내방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 주로 1세 미만

    영아의 선별 검사만 이루어지고 있다(Bang, Kim,

    Park, & Lee, 2002). 영유아의 건강증진을 위해서

    성장발달 평가는 기본적으로 대다수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실시될 때에 그 실효를 거둘 수 있

    는 점을 감안하여 대상자집단에 대한 방문 접근이

    가능한 보육시설 영유아에 대해 주기적 평가와 조

    기중재가 이루어진다면 건강관리 서비스의 수혜

    대상자를 훨씬 더 많이 포괄할 수 있고 그 결과

    보육시설 영유아 건강관리를 통한 영유아 건강증

    진의 높은 실효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영유아의 건강행태 부분에서는 손씻기, 잇솔질

    등 영유아의 기본 생활습관 형성을 위해 중요한

    요소를 포함하였다. 국내의 표준보육과정에서도

    영유아기에 형성된 습관과 태도는 일생동안 지속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영유아가 건강하고 안전하

    게 생활하여 올바른 습관을 형성하는 것은 중요함

    을 제시하고 있다(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05).

    보육시설 영유아에 대한 행동문제는 관찰현장

    에서 발견하거나 보육교사로부터 영유아행동에 대

    한 보고를 받고 간호사가 확인하는 형태로 주기적

    건강사정에 포함시켜야 할 중요 영역인 것으로 생

    각된다. 영유아의 과다행동은 보육교사뿐만 아니

    라 영유아 부모들도 자녀의 행동문제로서 많이 보

    고하고 있어 좀 더 타당성 있는 사정도구에 의한

    선별내지 전문가 의뢰를 통하여 좀 더 전문적인

    검사와 확인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지속적인 관

    리가 필수적인 것으로 보인다(Editorial, 2006). 최

  • 부모 ․자녀건강학회지 제12권 제1호

    73

    근 아동정신건강 서비스 요구와 관리에 대한 부모

    의 지각을 조사한 한 연구(Kim, Shin, Jho, &

    Chung, 2008)에서 총 3744명의 학령기 아동의 부

    모 중 10.4%가 그들 자녀의 정서 및 행동 문제에

    대하여 건강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지각하고 있었고

    이중 1.9%만이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아동기 행동문제는 최근에 빈번히 보고되는

    건강문제로서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나 이를 위한

    관리는 매우 미비한 실정임을 보고하였으며, 더욱

    이 영유아의 경우는 행동문제의 조기사정이 어렵

    기는 하지만 유의한 행동을 발견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CHDD Outlook Winter, 2004).

    한편 의사 의뢰서는 보육시설의 담당 간호사가

    건강사정 결과 좀 더 전문적인 의사의 진단이 요

    구되는 경우 대상자의 상태를 기록하여 의사에게

    보내고 필요한 처치에 대해 의사의 처치지시서를

    회신 받음으로써 가정에서 뿐 아니라 보육시설과

    연계되어 효율적으로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의

    사 의뢰서는 가정통신문과 함께 일단 부모에게 보

    내어 병원 방문 여부는 부모가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향후 개발된 기록지의 현장 적용을

    통해 필요한 부분은 수정, 보완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간호사가 상주하는 보육시설은 매우 드물

    고 간호조무사가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되

    어 있는 것은 큰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기관에

    상주하는 간호사가 아니라도 순회방문 간호사를

    활용한다면 보육시설 영유아 건강관리에 큰 도움

    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대한 모형개발과 효과

    평가 연구가 향후 이루어지기를 제언하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급․만성질환 여

    부, 예방접종 상태, 성장발달과 비만, 혈압 등을

    포함한 신체사정과 행동문제 사정을 포함하여 포

    괄적 건강영역에서 직접적 건강사정을 시행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해주는 기록지의 개발을 통해 향

    후 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국내 영유아의 증가추세

    에 따라 종래의 보육프로그램과 통합된 전문적인

    영유아 건강관리서비스 체계의 도입은 영유아의

    건강한 발달과 건강증진의 효율적인 목표달성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며 간호전문직은 교육적 배경

    과 임상적 훈련에 비추어 이 분야 건강전문가로서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

    다. 본 연구 결과가 일부 보육시설의 영유아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일반화에는 제한점이 있을 것

    으로 생각하나 영유아의 건강관리서비스체계 개발

    의 기초자료로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보육시설 영유아에 대한 건강관리서

    비스의 일차적 접근으로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건강사정을 통해 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상태 및

    건강관리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기록지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문헌고찰과 연구진의

    토의를 통해 건강사정 도구, 의사의뢰 및 처치 지

    시서, 가정통신문 양식을 개발하고 도구의 내용타

    당도를 확인하였다. 기록지 개발 기간은 2006년 7

    월부터 12월까지였으며, 실험적인 적용 후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물을 통해 보

    육시설 영유아의 신체적 문제 뿐 아니라 행동문

    제, 전반적인 발달에 대한 사정을 실시하고 건강

    전문가인 간호사에 의해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제

    공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

    사정을 실시하는 연구와 간호사에 의한 보육시설

    영유아 건강관리 모형 개발 연구가 앞으로 수행될

    수 있기를 제언한다.

  • 74

    References

    child ca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01).

    Developmental surveillance and screening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Pediatrics, 108(1),

    192-196.

    Ball, T. M.., Holberg, C. J., Aldous, M. B..,

    Martinez, F. D.., & Wright, A. L. (2002).

    Influences of attendance at day care on the

    common cold from birth through 13 years of

    age. Arch Pediatr Adolesc Med, 156(2), 121-126.

    Bang, K. S., Kim, Y. S., Park, J. W., & Lee, H.

    J. (2002). Analysis on the results of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n one public

    health center.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8(3), 302-312.

    Bindler, R. C., & Ball, J. W. (2007). The

    Bindler-Ball healthcare model: A new

    paradigm for health promotion. Pediatr Nurs,

    33(2), 121-126.

    Chang, H. S. (2008). A policy and a pending issue

    of chronic health care management, In

    proceedings of conference on the title of

    Health promotion for the patient with

    Chronic and Disabling Conditions in Korea,

    October 17, 2008, The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College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CHDD Outlook Winter (2004), CHDD research

    affiliate studies prevention of longterm behavior

    problems in Head Start preschoolers, News from

    the Center on Human Development and Disability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Health Sciences

    Center

    Crowley, A. A., & Whitney, G. A. (2005).

    Connecticut's new comprehensive and universal

    early childhood health assessment, J Sch

    Health, 75(8), 281.

    Editorial (2006).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Nurses are important members of the

    team,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Nursing Care of

    Children & Families, 21(3), 171-174.

    Han, K. J., & Kim, J. S. (2007). Parent's needs

    for health caring-day care program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13(1), 43-50.

    Han, K. J., Kim, J. S., & Choi, M. Y. (2007).

    Needs of day-care staff for a center-based re

    health program.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13(2), 128-135.

    Han, K J., Park, S. A., Ha, Y. S., Yoon, S. N., &

    Song, M. S. (199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ecord forms for the

    home care nursing, J Korean Acad Home Care

    Nurs, 3, 5-38.

    Kim, H. R. (2003). Policy directions to improve

    the health and nutrition services for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85, 65-76.

    Kim, H. S., Lee, J. Y., Lee, T. H., & Ham, O. K.

    (2006). Health education and health care in

    daycare centers for preschool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3(1), 109-123.

    Kim, I. O., & Kang, R. H. (2005). A survey on

    the health examination of child care center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11(3), 308-

    315.

    Kim, S. Y., Shin, Y. M., Jho, S. M., Chung, Y. K., &

    Lim, K. Y. (2008). A preliminary study for the

    perceived need and use of child mental health

  • 부모 ․자녀건강학회지 제12권 제1호

    75

    service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47(1),

    59-63.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The

    present population census 2007.

    Lee, E. H., Yim, H. E., Jang, G. Y., Yoo, K. H.,

    Son, C. S., Hong, Y. S., & Lee, J. W. (2008).

    Evaluating and managing hypertension in

    children: a survey of Korean cardiologists

    and nephrologists. Korean J Pediatr, 51(9),

    992-997.

    Lee, M. B., & Greig, J. D. (2008). A review of

    enteric outbreaks in child care centers:

    effective infection control recommendations. J

    Environ Health, 71(3), 24-32.

    Lee, S. G. (2006, september). Current trends of

    public health and nursing research. Paper

    presented at the seminar of the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Seoul.

    Lu, N., Samuels, M. E., Shi, L., Baker, S. L.,

    Glover, S. H., & Sanders, J. M. (2004). Child

    day care risks off common infectious

    diseases revisited. Child Care Health Dev,

    30(4), 361-368.

    Masuda, K., Masuda, R., Nishi, J. I., Tokuda, K.,

    Yoshnaga, M., & Miyata, K. (2002). Incidences

    of nasopharyngeal colonization of respiratory

    bacterial pathogens in Japanese children

    attending day-care centers. Pediatr Int, 44(4),

    376-380.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05).

    The national curriculum for childcare centers in

    Korea.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07).

    Statistics on child day care centers, Division of

    Child Day Care Support,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6). 2004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Nesti, M. M., & Goldbaum, M. (2007). Infectious

    disease and daycare and preschool education.

    J Pediatr(Rio J), 83(4), 299-312.

    Oh, K. S. (2001). Health management needs in

    child day care centers.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4(1), 107-109.

    Shin, H. S., Kwon, B. S., & Lim, S. O. (2005).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Denver II in

    screen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risk.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11(3), 316-321.

    Shin, H. S., Han, K. J., Oh, K. S., & Ha, M. N.

    (2002). Korean version of Denver Ⅱ. Seoul:

    Hyunmoonsa.

    Sorof, J. M., Lai, D., Turner, J., Poffenbarger, Y.

    T., & Portman, R. J. (2004). Overweight,

    ethnicity, and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 school-aged children. Pediatrics, 113, 475-

    482.

    Szilagyi, P. G., & Shore, E. L. (1998). The

    Health of Children. Health services Research,

    33(4), 1005-1007.

    Whiting, L., & Miller, S. (2009). Traditional,

    alternative and innovative approaches to

    health promotion for children and young

    people. Pediatr Nuurs, 21(2), 45-50.

    Woroniecki, R. P., & Flynn, J. T. (2005). How are

    hypertensive children evaluated and managed?

    A survey of North American pediatric

    nephrologists. Pediart Nephrol, 20, 791-797.

  • 76

    *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 Associate professor, Ajou University

    **** Professor, Kwandong University

    ***** Full-time instructor, Sangji University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 Doctoral stud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Key Words : Child, Assessment of Health Care Needs, Health Status,

    Child day care center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Health

    Assessment Tools in Child Care Centers*

    Han, Kyung-Ja**․Bang, Kyungsook***․Kwon, Mikyung****

    Kim, Ji-Soo*****․Choi, Mi-Young******․Huh, Boyu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hild's health assessment tools for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s. Method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several types of

    workshops participated with the child health

    nursing professors, doctoral students, nurses in

    pediatric units and pediatric psychiatric units

    from July to December 2006, the standards of

    child health assessment tools were developed.

    Graduate students and 4th grade students in

    nursing were trained for health assessment and

    used these assessment tools to validate the

    content and reliability of said tools. Results:

    Some record forms were newly developed,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st

    history, present health status, behavioral

    problems, and appropriate developmental screening

    tests in child care centers were selected. For

    systematic health care management in child care

    centers, daily care report, illness log, and

    referral sheet were also developed. Conclusion:

    In the face of growing utilization of daycare

    and their association with increased risk of

    various diseases, assessment and control measures

    are indispensable to the promotion of child

    health. Children's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developmental problems can be assessed

    using this assessment tools. They can be used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a

    health care service system for young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