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활동을통한발달지체유아의 주의집중및...

23
요리활동 통한 발달지체 아 주집중 및 변별력 변화 The Effects of a Cooking Program on Attention and Discrimin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효신 * 신희 ** Lee, Hyo Shin Shin, Eun Hee 핵심어 : 요리활동 발달지체아 주집중 변별력 , , , 대대학 아특수 수 *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 능포초등학 병설 사 Neungpo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 요약 < > 본 연는 발달지체 아들에게서 통적로 낮게 발되는 특성 중 하나 주 집중 및 변별력 향상 하여 시도되었다 를 하여 엇보다도 아들 흥미를 . 가지는 매체를 선정하는 것 중요하였며 선행연 검토를 통하여 것 요리활 , 동로 선정되었다 본 연 목적 요리활동 통하여 발달지체아들 주집 . , 중 및 변별력 긍정적 변화를 확하는 것다. 연대상으 에 의하여 발달지체를 나타내는 유아 명을 선정하였 독립 및 종 PEP 4 , 속변인 주의집중 의 기능적 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기초선설를 이용하였으며 ( ) , 다른 종속변인 변별 의 변화는 프그램 적용의 전후검사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 ) . 명의 연대상은 프그램의 적용에 따라 급한 주의집중 행동변화를 보임으 ,4 써 요리활동 주의집중 행동의 기능적 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변별은 명 모두 상 . 4 승된 점수를 나타내었는데 그중 유아 가 가장 큰 상승을 나타내었다 본 연를 통하여 B . 요리활동이 발달지체 유아들의 주의집중 행동을 긍정적으 변화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 었다 그나 향상된 주의집중 행동의 일반화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으므 이에 대한 후 . 속 중재 및 연가 필요하리라 본다 한 변별은 전후검사를 통하여 확인된 것이므 . 미세한 행동의 변화를 측정할 수 없었음이 되어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特殊育再活學硏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4, No. 3, pp. 137 159, 2005.

Transcript of 요리활동을통한발달지체유아의 주의집중및...

요리활동을 통한 발달지체 유아의

주의집중 및 변별력 변화

The Effects of a Cooking Program on Attention and Discrimination of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이 효 신* 신 은 희⋅ **

Lee, Hyo Shin Shin, Eun Heeㆍ

핵심어 : 요리활동 발달지체유아 주의집중 변별력, , ,

대구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교수*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 능포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Neungpo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

요 약< >본 연구는 발달지체 유아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낮게 발견되는 특성 중의 하나인 주의

집중 및 변별력의 향상을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무엇보다도 유아들이 흥미를.가지는 매체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였으며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이것은 요리활,동으로 선정되었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요리활동을 통하여 발달지체유아들의 주의집. ,중 및 변별력의 긍정적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다.연구대상으로 에 의하여 발달지체를 나타내는 유아 명을 선정하였고 독립 및 종PEP 4 ,

속변인 주의집중 의 기능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기초선설계를 이용하였으며 또( ) ,다른 종속변인 변별력 의 변화는 프로그램 적용의 전후검사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 ) .결과 명의 연구대상은 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라 급격한 주의집중 행동변화를 보임으로, 4써 요리활동과 주의집중 행동의 기능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변별력은 명 모두 상. 4승된 점수를 나타내었는데 그중 유아 가 가장 큰 상승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B .요리활동이 발달지체 유아들의 주의집중 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향상된 주의집중 행동의 일반화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이에 대한 후.속 중재 및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본다 또한 변별력은 전후검사를 통하여 확인된 것이므.로 미세한 행동의 변화를 측정할 수 없었음이 고려되어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Vol. 44, No. 3, pp. 137 159, 2005.~

( 44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138 -

서 론.Ⅰ

연구의 의의1.발달장애를 가지는 대부분의 아동들은 이미 영유아기 부터 그 증후가 나타나기 시

작한다 그러나 발달상 문제는 영유아기 동안에 큰 가변성이 있고 또한 발달장애의. ,여러 하위 장애별 독특한 특성을 영유아기에는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영유아기 특수교육대상자는 이미 장애의 명칭을 가진 유아들 외에 장애의 가능성이‘ ’있는 유아들까지 포함하게 되며 따라서 발달지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발달상 문제를 가지는 아동들의 영유아기 특성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발달이 늦다는

것이다 늦은 발달은 그 시작점을 지각 및 주의발달에서 찾을(Mash, & Wolfe, 1999).수 있다 즉 아동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위해서 무엇보다 먼저 환경 자극을 탐색하. ,고 변별할 수 있어야 하며 자신이 경험한 자극이나 내용을 기억할 수 있게 됨으로써,발달영역 간 왕성한 호혜적 발달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결국 발달이 늦은 발달.지체 유아들은 환경 자극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과정인 지각 주의 기억의 발달이 더, ,디게 이루어지는 아동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지각이란 여러 감각기관에 들어온 자극을 경험으로 인지하는 과정이다 이현섭 등( ,

이 과정은 주의 기울이기 확인하기 위치 파악하기 등의 세 가지 기능을 수행2001). , ,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주의 기울이기란 주어진 상황에서 처리해야 할 부분을 결정,하는 과정이고 확인하기는 지각된 형태와 이미 기억 속에 저장된 형태를 비교하여,그것이 어떤 형태인지를 결정하는 과정이며 위치 파악하기는 물체가 떨어져 있는 거,리와 방향을 결정하는 일이다 박영신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면 주의는 정보( , 1995). ,가 인지처리체계로 들어오는 첫 번째 단계로서 내적 혹(Bukatko, & Daehler, 1992),은 외적으로 동기 유발된 과제 및 목적과 관련하여 자극 정보를 수집하는 것인데,

과 에 의하면 성공적인 정보수집으로써 효과적이고도 경제적인 지Gibson Rader(1979) ,각 수행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성공적인 정보수집에 도움을 주는 요인 즉 주의를 통. ,제하는 요인으로 김경중 등 은 자극 자체의 특성을 들고 있다 자극의 색깔 모(2001) . ,양 등과 같은 자극 자체의 특성은 그것이 현저할수록 그 자극에 주의를 집중시키는

것으로 추정되는 정향반사 를 끌어낼 가능성이 높다 은(orienting reflex) . Flavell(1977)이러한 자극의 현저성이 어린 유아의 주의에 특별히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

요리활동을 통한 발달지체 유아의 주의집중 및 변별력 변화

- 139 -

였다 영아기를 지나 유아기의 지각발달은 주로 이와 같은 주의력의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로서 이 시기에는 자신의 감각을 계획적으로 사용하여 직면한 과제에 관한,적절한 정보를 수집하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최경숙( , 2000).인지 과정의 두 번째 과정인 확인하기 과정에서 필요한 형태의 비교 능력 및 형태결정 능력은 자극간의 차이를 알게 되는 영아기의 습관화 현상에서 이미 이상 여부를확인할 수 있다 습관화는 영아가 이전에 제시되었던 자극에 대해 주의를 덜 기울이는.현상으로 습관화가 나타나면 새로운 자극과 이미 제시된 자극간의 차이를 지각할 수,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런데 등 에 의하면(Seifert, & Hoffnung, 2000). Mash (1999)신경학적 손상이 있는 영아인 경우 습관화가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이와 같, .이 유아가 환경을 능동적으로 탐색하여 어떤 자극의 변별 특징 즉 한 자극과 다른 자,극을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이 나타날 때 지각 발달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에 의하면 유아들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좀 더 미세한 변별특징을 찾아낼 수Gibson있게 되어 새롭고 정교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변별 특징을 발견하,여 사물과 사건들을 구별해 가는 과정인 분화 과정을 통하여 감각기관으로부터 오는정보를 점차 정확히 해석할 수 있게 되어 원만한 발달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발달지체 유아들은 이상과 같은 지각과정이 더디게 이루어지는 유아들이므로 이

과정을 돕는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프로.그램 즉 주의 기울이기나 변별 특징과 같은 활동을 촉구해 줄 프로그램은 무엇보다,도 탐색을 위한 동기화가 자극될 수 있는 활동이어야 할 것이며 유아들이 관심을 가,지는 활동이어야 한다.요리활동은 이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한 연구.

에 의하면 유아들이 유치원활동을 부모에게 이야기할 때 가장 많이Hildebrand(1981)언급되는 것 중의 하나가 요리에 대한 것이다 무엇보다도 요리활동은 일상생활에서.접했던 것을 직접 만들어 보는 것이고 완성된 음식을 먹는 즐거움으로 자신의 행동,에 대한 보상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며 준비하고 만들고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감각, ,언어 인지 사회성 운동 등 발달의 모든 측면이 서로 연계되어 개념발달이 이루어질, , ,수 있는 훌륭한 유치원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김형숙 안상원 양숙( , 1999; , 1995; ,

정경자 정진자 박현아 조진숙 황혜영2002; , 2000; , , 2001; , 1998; , 2001)이러한 점에서 요리활동은 발달지체 유아들의 주의기울이기와 변별력 함양에 좋은

자극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리활동과 발.

( 44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140 -

달지체 유아들의 주의집중 및 변별력 간에 기능적 관계가 성립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변인 간 관계 확인은 발달지체 유아들의 늦은 발달을 촉진시키는 향후.프로그램들의 내용 설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의 목적2.본 연구의 목적은 요리활동이 발달지체 유아들의 주의집중과 변별력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리활동이 발달지체 유아들의 주의집중 행동 주의기울이기 을 증가시키는가, ( ) ?둘째 발달지체 유아들의 변별력이 요리활동 전과 후에 차이가 있는가, ?

연구 방법.Ⅱ

연구대상1.본 연구의 대상은 시의 특수학교 유치부에 재학하고 있는 발달지체유아 명으G G 4로 부모가 연구의 참여에 동의하고 교육진단검사 김정권 에서 발달지수 이하, ( , 1991) 50인 유아들로 선정되었다 대상유아별 연령 및 발달수준과 행동특성은 다음 표. <

표 에 요약되어 있는 바와 같다2-1>, < 2-2> .

표 대상유아별 연령 및 발달수준< 2-1>대 상 유아 A 유아 B 유아 C 유아 D성별 남 여 남 남

생활연령 세 개월6 5 세 개월5 8 세 개월7 3 세 개월6 2총발달득점 53 6 28 13발달연령 세 개월3 2 세 개월1 2 세 개월2 4 세 개월1 7DQ 49.4 20.6 32.2 25.7

요리활동을 통한 발달지체 유아의 주의집중 및 변별력 변화

- 141 -

표 대상유아별 행동특성< 2-2>구분 유아 A 유아 B 유아 C 유아 D

간단한 신변처리․는 스스로 해결가능함착석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나 흥미있는 물건이나활동에는 적극적인 관심을 보임관심이 있는 물건․이나 활동을 얻기위해서 기다리기를 할 수 있음욕구가 있을 때․의사표현을 하나대체로 화를 내거나 과격한 행동으로 표현함주로 혼자놀이를․하나 친구의 놀이에 끼어들거나신체적 접촉을하며 사용 중인물건을 빼앗아달아나기도 함낯선 사람이 교실․에 들어왔을 때관심을 보이나다가서지 않음

안경을 착용하고․있으며 걷기가불안정하며 까치발을 하고 다님잘 먹으나 신체가․왜소한 편임신변처리가 안되․며 소변이 잦음기분이 좋으면 깡․총뛰며 소리내어웃지만 눈 밑부분이 벌겋게 부풀 정도로 잘 움먹는 것에 집착을․보이며 음식물 중에 먹지 못하는 것을가려내지못함음식섭취량을 스스․로조절하지못함그림카드와 그림․책을 선호하며 한번 시작하면 장시간 가지고 놈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으나 욕구불만시 우우 하는‘ ’발성음을 냄

과잉행동과 자리․이탈이 심하며 선호하는 물건이나활동이 주어질 때만 착석함착석 후에도 선호물․건을 취하고 달아나는 경우가 많음여러 가지 물건을․이로 깨무는 행동을 하나 삼키지는않음편식이 심하여 처․음 맛보는 음식은뱉어내며 선호하는 음식의 종류가매우 한정됨또래와의 놀이가․이루어지지 않고혼자놀기를 좋아하나 가끔 친구나 교사에게 얼굴을 내미는 행동을 보임와 비디오 등TV․

시청각을 통한 대중매체를 좋아하지 않음때때로 수용언어․가 이루어지나 표현언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드물게 자신이 알․고 있는 명사를발성할 때가 있음

뇌성마비 장애가․있음시야의 폭이 좁아․서 사물을 가까이정면에서 봐야함휠체어를 사용하․고 배를 이용하여신체를 이동할 수있음촉각에는 별 이상․이 없으나 오른손은 손 전체를 이용하며 손대신 입을 사용하려 할때도 있음평사시 웃음이 많․으며 친구나 아는사람을 만나면 무척 반가워함교사의 지시에 잘․따르나 하기 싫을때는 책상위의 물건을 밀어 바닥으로 떨어뜨림

․ 간단한 수용언어는이루어지나 표현언어는엄마 아‘ ,빠같은 한 단어’언어가 가능함

( 44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142 -

연구도구2.요리활동 프로그램1)

요리활동 프로그램의 요리 선정 기준(1)요리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요리선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선정 기준을

적용하였다.요리 재료①

유아가 가정이나 일상생활에서 쉽게 보거나 접할 수 있는 재료로 특정한 모양이나

선명한 색깔을 지닌 재료를 우선 선택하였다 적당한 경도를 지니고 있어서 쉽게 부.서지지 않으면서 빵칼과 같은 무딘 칼로 자를 수 있는 재료를 선정하였다.

요리 도구②요리 도구 역시 유아가 가정이나 일상생활에서 쉽게 보거나 접할 수 있는 도구로

서 위험성이 적고 유아가 손쉽게 다룰 수 있는 것을 선정하고 가능한 유아의 다감각

을 자극하는 도구를 택하였다 예 믹서기 토스트 기 등. ( ; , )요리 방법③

요리 방법은 한두 가지 기능만으로 요리가 가능한 것으로 선정하였고 기능에 있어

서도 씻기 뜯기 주무르기 무치기 반죽하기 등 재료를 가능한 손으로 직접 다룰 수, , , ,있는 요리방법을 선택하였다 또한 요리가 완성된 후 유아가 바로 시식하거나 빨리.맛을 볼 수 있는 요리방법을 택하였다.

요리 시간④요리시간은 분 내에 마칠 수 있는 것으로 정하였다10 20 .~

요리활동 프로그램의 구성내용(2)본 연구의 요리활동프로그램은 덕성여자대학교부속유치원 발간 유아 영양과(2001) ‘요리활동에 수록된 유아를 대상으로 한 요리활동 구성내용과 정진자 박현아 의’ , (2001)요리활동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서열개념에 미치는 영향에서 제시한 요리활동 구‘ ’성내용을 참조하여 연구자가 본 연구 대상 유아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재구성하였으며 총 가지 요리활동 포함하였다 요리활동 프로그램의 구성은 표 과 같다8 . < 2-3> .

요리활동을 통한 발달지체 유아의 주의집중 및 변별력 변화

- 143 -

표 요리활동 프로그램의 구성< 2-3>

요리활동 프로그램의 활동방안(3)요리활동은 요리의 전 과정과 시식하는 과정 그리고 마무리 정리과정까지 포함하,므로 이 모든 활동을 유아와 함께 실시하였다 요리활동 프로그램 활동안의 예는 다.음 표 와 같다< 2-4> .

순 요리활동명 재료 도구 조리형태 관련 개념

1 딸기 우유 딸기 우유 설탕, , 오목한 그릇,컵

뜯기 주무르기, 모양 색, ,분류

2 모양

샌드위치식빵 딸기잼, 찍기틀 수저, ,

접시굽기 바르기, 모양

3 바나나

쉐이크

바나나 우유, ,아이스크림

작은 국자 컵, ,믹서기

뜯기 갈기, 길이 크기 색, ,

4 어묵 맛살

꼬치

어묵 맛살 달걀, , ,식용유

이쑤시개,접시

끼우기일대일대응,모양

5 팝콘 옥수수알 버터 소금, ,나무주걱,투명한 냄비,가스렌지

섞기 튀기기, 모양 크기,

6 수박화채수박 과일통조림, ,사이다 얼음,

오목한 그릇,숟가락 국자, 떠내기 섞기, 모양 색깔, ,

크기

7 카나페비스켓과자 치즈, ,샌드위치 햄 딸기, 접시 얹기

일대일대응,모양 색깔,

8 콩나물 무침콩나물 깨소금, ,참기름 소금,

우묵한 그릇,냄비 가스렌지,

다듬기 삶기, ,무치기

모양 길이, ,색깔

( 44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144 -

표 요리활동 프로그램 활동안의 예< 2-4>

딸 기 우 유< >

목 표 딸기의 모양과 색을 변별할 수 있다.◦손에 닿는 촉감을 경험하고 느낌을 말이나 행동으로 표현한다.◦

자 료 요리 순서 그림표 앞치마 수건 손을 씻을 대야 꼭지 넣을- , , , ,그릇 딸기 넣을 큰 그릇 설탕 넣을 숟가락 컵 컵받침 차스푼, , , , ,

요리재료 딸기 씻은 것 알 우유 설탕 큰 스푼- (7 ), 100 , (1 )㎖요리 순서< >딸기의 꼭지를 딴다.①꼭지를 딴 딸기에 설탕을 넣고 딸기알갱이 부서지도록 주무른다.②주무른 딸기를 컵에 옮겨 담는다.③우유를 넣고 저어서 마신다.④

활동 방법 상호작용의 예

딸기 하나를 꺼내서 꼭지를 따는 시범을①보인다.딸기꼭지와 꼭지를 딴 딸기를 같은 색깔②의 접시에 모아놓는다.같은 방법으로 딸기 일곱 개의 꼭지를 따③도록 한다 .딸기 그릇에설탕을 유아의 손바닥 위‘ ’④에서 흘려 내리도록 넣는다.

⑤ 딸기와 설탕을 양손으로 주무르며 으깬다.물이 담긴 대야에서 손을 씻고 수건으로⑥닦는다.딸기와 설탕을 컵에 옮겨 담는다.⑦우유를 천천히 부어 넣는다.⑧쟁반 위에 딸기우유가 담긴 컵과 작은 스⑨푼을 놓는다.스푼으로 딸기우유를 저어 마신다.⑩

빨간 딸기구나 초록색 꼭지를 따자- . .빨간 딸기는 빨간 접시에 초록색 꼭지는- ,초록색 접시에 놓자.빨간색 접시에 빨간 딸기가 많이 있네- .초록색 접시에는 초록색 꼭지가 있구나.빨간 접시 주세요 초록색 접시 주세요- . .빨간 딸기를 큰그룻에 넣자 딸기 하나- . ,딸기 둘 딸기 셋 딸기 넷 딸기 다섯, , , ,딸기 여섯 딸기 일곱, !설탕을 유아의 손바닥 위로 흘려내리며- ( )스르륵~스르륵양손으로 딸기를 으깨고 있는 유아의 행- (동에 맞추어 조물 조물 조물) ....스푼으로 딸기우유를 저으며 빙글 빙글- ( ) ,빙글빙글 ....

요리활동을 통한 발달지체 유아의 주의집중 및 변별력 변화

- 145 -

이와 같은 활동은 약 분에 걸쳐 이루어지며 요리가 끝나면 유아가 만든 요10 20 ,~리를 즉시 맛볼 수 있도록 하였다 요리활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실험자와 보조교사는.일상생활에서의 요리활동과 같이 자연스럽게 요리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 언어를 통

한 착석을 권유하나 물리적신체적 강요는 피하였다 교사의 지시나 요리 동작을 모.․방하여 따라하기에서는 유아가 스스로 하고자 하는 의욕을 보이나 뜻대로 되지 않을

때 도움을 제공하였다 또한 빨간색 딸기는 빨간색 접시에 초록색 꼭지는 초록색 접. ‘ ,시에 와 같이 변별능력과 개념발달을 위한 상호작용을 계속적으로 시도하였다!’ .주의집중 행동 측정 도구2)

요리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발달지체유아의 주의집중행동 측정은 시간표집법에 의

한 직접측정법을 이용하였다 요리활동이 끝나고 분간 휴식을 한 뒤 분간 소꿉놀. 10 10이를 하도록 시간표를 구성하고 소꿉놀이 분을 초 간격으로 나누어 매 간격마다, 10 10주의집중행동 발생여부를 기록하였다.변별력 측정 도구3)

요리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변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임

정아 가 장애유아의 변별학습에 있어 컴퓨터 보조수업과 그림카드의 제시효과(2000)연구에서 사용한 변별력 선별지와 개념발달에 관한 여러 연구자들의 검사 문항을 정

희달 이 재구성한 내용 중에서 일부 필요한 항목만을 발췌하여 변별력 검사지를(1991)작성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요리활동 프로그램 전과 후에 각각 변별력을 측정하였다, .변별력 검사지는 색 모양 크기에 대하여 같은 것을 찾는 각각의 문항씩으로 구, , 3성된 문항과 모양과 크기를 두 가지씩 섞어 같은 것끼리 분류하는 단순분류 문항을9두 가지 색으로 구성한 개의 문항으로 총 개 문항이며 각 문항에서 정반응 점2 11 1 ,오반응 점으로 채점하여 총 점수범위는 점이 된다0 0 11 .~

연구설계 및 절차3.연구 설계1)

본 연구에서 요리활동을 통하여 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는 내용은 두 가지로

서 주의집중행동과 변별력이다 주의집중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대상간, .

( 44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146 -

중다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였고 변별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요리프로그램 적,용을 기준으로 전후검사를 실시하였다.연구 장소 및 시간2)

본 연구의 실험 및 각각의 측정은 연구대상 유아가 다니는 특수학교의 유치부 교

실에서 이루어졌으며 프로그램 적용 및 측정은 유치반 교육활동이 끝나고 보조교사,가 교육활동을 하는 오후 시 사이를 활용하였다2 3 .~실험 절차3)

주의집중의 측정(1)기초선 조사①

실험 대상 유아의 기초선 조사는 매주 회 화 목 에 걸쳐 실시하였다 측정은 오2 ( , ) .후 활동시간에 유아들에게 소꿉놀이를 제시한 후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이루어졌다, .유아들에게 제시된 소꿉놀이도구는 세 가지 종류의 장난감으로 요리도구 음식모,양 배식세트이다 이 중 요리도구는 크기가 서로 다른 동그라미와 네모모양의 그릇, .과 수저 도마 칼 컵과 컵받침 접시 등이며 이것들은 빨강 노랑 초록의 세 가지, , , , , ,색깔로 구성되어 있다 음식모양은 소꿉놀이용 칼로 자를 수 있고 자른 후 매직테이.프를 이용하여 다시 붙일 수 있는 것으로 사과 당근 바나나 레몬 키위 배추 무, , , , , , ,달걀 등의 종류로 되어있으며 가능한 위의 삼색과 같은 구성을 이루도록 하였다 배.식세트는 배식판 모양의 그릇으로 크기가 서로 다른 세 개를 준비하였다.연구자는 회에 제시하는 소꿉놀이 장난감의 종류를 종류로 제한하여 유아에1 2 3~게 제공하고 유아의 소꿉놀이활동 속에서 나타나는 주의집중행동을 관찰하여 분간10초간격의 시간표집법으로 기록하였다 이때 연구자는 간헐적으로 야 빨간 사10 . “ ,○○

과를 이렇게 잘라봐 동그란 그릇끼리 놓아볼까 큰 그릇은 이곳에 작은 그릇에.”, “ .”, “ ,이곳에 놓자 등으로 언어적 촉구를 주면서 유아에게 시연해 보이기도 하였다 그.” .러나 유아가 연구자의 시연을 따라하도록 신체적 촉구를 하거나 행동을 모방하도록

강요하지 않았다.중재시 측정②

기초선이 안정된 유아 를 시작으로 요리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요리활동은A .

요리활동을 통한 발달지체 유아의 주의집중 및 변별력 변화

- 147 -

프로그램의 활동안에 따라서 총 가지 요리를 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이때 연구8 15 . ,자는 요리활동의 주 활동 교사로 임하였고 실험대상 유아가 두 명으로 증가되었을,때부터는 대상 유아의 어머니 명 중 한 명이 보조교사로 활동하였다 요리활동은 자4 .연스러운 상황을 연출하기 위하여 교사나 어머니 보조교사는 일상에서 오고가는 언

어로 유아와 상호작용을 하였으며 지식에 관한 정보전달과 같은 학습상황은 피하였

다 요리활동을 마치고 완성된 음식을 시식할 때는 대상 유아와 어머니 보조교사 담. ,임 보조교사 그 외 당일 학교에 온 대상 유아의 어머니들과 함께 맛을 보며 상호작,용을 하였고 마무리 정리과정은 대상 유아와 함께 모두 참여하여 활동이 이루어졌다.요리활동이 끝난 뒤 분간 휴식을 한 후 기초선 상황과 같은 소꼽놀이활동을 제10 ,시하고 활동하도록 하였다 이때 소꿉놀이 장난감은 가능한 그 날의 요리활동과 같은.내용의 것으로 제공하였다 제 관찰자와의 기록을 위하여 이들의 활동을 비디오 촬영. 2하였으며 기초선 상황과 마찬가지로 주의집중행동을 분간 초간격의 시간표집법, 10 10으로 기록하였다.

유지 검사③총 회기 동안의 요리활동 프로그램이 진행된 후 일 지난 후 일간 유지 검사15 12 , 3를 실시하였다 각 대상 유아마다 기초선 환경과 동일한 소꿉놀이도구를 제공하고 대.상 유아의 주의집중행동을 일 분간 총 일간 회 비디오 촬영하여 기초선 기간1 10 ( 3 3 ) ,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주의집중 행동을 관찰 기록을 하였다, .

변별력 측정 절차(2)사전 검사①

유아의 변별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의집중에 관한 기초선조사가 이루어지기 직전에 변별력 검사지를 이용하여 대상 유아의 변별력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후 검사②변별력에 대한 사후 검사는 요리활동 프로그램이 끝난 날부터 일 뒤 실시하였고4요리활동 프로그램의 중재기간 중 가정 사정으로 유치원에 다니지 못한 유아 는A따로 연락을 취하여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 44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148 -

자료수집 및 처리4.자료 수집1)

주의집중행동 자료 수집(1)주의집중행동 자료 수집은 기초선 중재 유지 기간의 전 회기에 걸쳐 소꿉놀이 장, , ,난감을 제공하고 놀이 활동 중에 이루어졌다 주의집중행동의 기록은 대상유아가 소.꼽놀이 활동을 하는 분간 초간격의 시간표집법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때 주의집10 10 .중행동은 활동이나 교재 교구를 이용한 과제가 주어졌을 때 놀이도구가 있을 때 교‘ , ( )사의 시범 활동을 응시하거나 활동을 따라하기 또는 주어진 활동 도구에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거나 손을 이용하여 조작하는 행동으로 조작적 정의 하였다 이 정의에’ .의하여 주의집중 행동의 발생 혹은 비발생으로 기록된 예는 다음 표 와 같다< 2-4> .

표 주의집중행동의 발생 및 비발생 기록의 예< 2-4>

수집된 주의집중행동의 발생율은 행동발생으로 기록된 간격 수를 총 간격 수인 60으로 나누고 을 곱하여 산출하였다100 .관찰자간 신뢰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유아교육 정 자격증을 소지하고 현재 유치원1에 재직 중인 교사를 관찰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자와 관찰자간 측정치는 약 의. 93%일치도를 보였는데 이는 두 관찰자간 행동발생에 대한 일치간격수를 행동발생에 대,한 일치간격수와 불일치 간격수를 합한 수로 나누고 을 곱하여 산출하였다100 .

발생 비발생

주어진 활동이나 교재교구 및 활동자⋅ ․료에 대해 응시하기

교사의 시범활동 응시하기⋅교사의 시범활동 따라하기⋅교재교구 탐색하기⋅ ․활동 자료 손으로 조작하기⋅교사에게 활동이나 과제에 대해 도움⋅요청하기

자신의 활동을 교사에게 보이기⋅활동에 대해 만족하여 웃기⋅

딴 곳 쳐다보기⋅의미없이 응시하기⋅활동과 상관없이 탈석하기⋅교실 배회하기⋅친구의 활동 방해하기⋅의도적으로 물건 떨어뜨리기⋅요리활동 교재교구 먹기⋅ ․보채기⋅울기⋅

요리활동을 통한 발달지체 유아의 주의집중 및 변별력 변화

- 149 -

변별력 자료 수집(2)변별력에 대한 자료 수집은 기초선 조사가 이루어지기 전에 변별력에 대한 사전검사를실시하고 총 회기에 걸친 중재 프로그램이 종료되고 일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15 4 .이어서 사전사후 검사에 사용된 변별력 검사지를 채점하여 각 대상유아별로 점수

를 구하였다.자료 처리2)

요리활동을 통한 발달지체유아의 주의집중행동 변화에 대한 자료 처리는 대상간

중다기초선 설계에 따라 각 회기의 자료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시간경과에 따른 주의

집중행동 변화를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요리활동을 통한 발달지체유아의 변별력에 대한 자료처리는 변별력 검사지에 의한

사전사후검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항목별 대상 유아별로 막대그래프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Ⅲ

주의집중 행동의 변화1.요리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유아의 주의집중 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지를알아보기 위하여 대상간 중다기초선 설계에 의하여 관찰 기록한 결과는 다음 표, <

과 같으며 시각적 분석을 위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은 그림 과 같다3-1> < 3-1> .

( 44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150 -

표 단계별 주의집중 행동 발생율< 3-1>실험장면 주의집중 행동 발생

실험

단계회기

유아 A 유아 B 유아 C 유아 D발생

간격수

발생율

(%)발생

간격수

발생율

(%)발생

간격수

발생율

(%)발생

간격수

발생율

(%)기

1 7 11.7 5 8.3 2 3.3 10 16.72 8 13.3 6 10.0 4 6.7 3 5.03 7 11.7 5 8.3 5 8.3 4 6.7

평균 12.2

4 41 68.3 11 18.3 6 10.0 6 10.05 38 63.3 15 25.0 ․ ․ 14 23.36 40 66.7 11 18.3 8 13.3 15 25.07 42 70.0 10 16.7 ․ ․ 14 23.3평균 평균 15.08 47 78.3 35 58.3 9 15.0 10 16.79 34 56.7 29 48.3 9 15.0 17 28.3

평균 10.210 ․ ․ 48 80.0 32 53.3 14 23.311 ․ ․ 26 43.3 32 53.3 14 23.3

평균 18.312 ․ ․ 31 51.7 29 48.3 42 70.013 ․ ․ 40 66.7 20 33.3 21 35.014 46 76.7 36 60.0 39 65.0 43 71.715 47 78.3 42 70.0 39 65.0 43 71.716 ․ ․ 42 70.0 38 63.3 38 63.317 ․ ․ 36 60.0 23 38.3 35 58.318 ․ ․ 34 56.7 16 26.7 39 65.0평균 69.8 60.5 50.0 62.1

1 ․ ․ 27 45.0 24 40.0 21 35.02 ․ ․ 28 46.7 21 35.0 25 41.73 ․ ․ 27 45.0 27 45.0 22 36.7평균 ․ 45.6 40.0 37.8

요리활동을 통한 발달지체 유아의 주의집중 및 변별력 변화

- 151 -

그림 변별력 검사의 사전 사후검사 결과< 3-1>

( 44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152 -

유아 는 기초선 최종회기의 주의집중 행동 발생율이 이고 중재 최초회기의A 11.7%발생율은 로 중재의 시작과 더불어 의 행동 증가를 보였다 또한 단계간68.3% 56.6% .평균차를 살펴보면 기초선 총회기에서의 주의집중 행동 평균 발생율은 중재12.2%,총회기에서는 로 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중재가 시작되면서 유아69.8 57.6% . A는 주의집중 행동이 상당히 증가하였고 단계별 주의집중 행동도 많이 상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유아 는 기초선 최종회기의 주의집중 행동 발생율이 이고 중재 최초회기의B 16.7%발생율은 로 중재의 시작과 더불어 의 행동 증가를 보였다 또한 단계간58.3% 41.6% .평균차를 살펴보면 기초선 총회기에서의 주의집중 행동 평균 발생율은 중재15.0%,총회기에서는 로 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유아 의 경우도 중재가60.5% 45.5% . B시작되면서 주의집중 행동이 상당히 증가하였고 단계별 주의집중 행동도 많이 상승

되었음을 알 수 있다.유아 는 기초선 최종회기의 주의집중 행동 발생율이 이고 중재 최초회기의C 15.0%평균발생율은 로 의 증가를 보였다 또한 단계간 평균차를 살펴보면 기초53.3% 38.3% .선 총회기에서의 주의집중 행동 평균 발생율은 중재 총회기에는 로10.2%, 50.0%

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중재가 시작되면서 유아 는 주의집중 행동이39.8% . C증가하였고 단계별 주의집중 행동도 많이 상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유아 는 기초선 최종회기의 주의집중 행동의 발생율이 이고 중재 최초회기D 23.3%의 발생율은 로 의 증가를 보였다 또한 단계간 평균차를 살펴보면 기초70.0% 46.7% .선 총회기에서의 주의집중 행동 평균 발생율은 중재 총회기에서는 로18.3%, 62.1%

의 차이를 나타내었다따라서 중재가 시작되면서 유아 는 주의집중 행동이 상43.8% . D당히 증가하였고 단계별 주의집중 행동도 많이 상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변별력의 변화2.본 연구에서는 요리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유아의 변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재 전후로 변별력 검사지를 이용하여 변별력을 측정하였다.색 모양 크기 및 단순분류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변별력 검사지의, ,

전후검사 결과는 다음 표 와 그림 와 같다< 3-2> < 3-2> .

요리활동을 통한 발달지체 유아의 주의집중 및 변별력 변화

- 153 -

표 변별력 검사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3-2>

1

2

3

4

5

6

7

8

9

10

11

유아A 유아B 유아C 유아D

사전

사후

그림 유아별 변별력 검사 결과< 3-2>

표 에 의하면 색변별에 있어서 사전검사에서 만점을 받은 유아 를 제외하< 3-2> C고는 모두 향상을 보였고 모양변별은 사전검사에서 만점을 받은 유아 와 를 제외, A C하고 유아 는 향상을 보였으며 유아 는 오히려 점수가 낮아졌다 크기변별에서는, B D .유아 를 제외하고 유아 와 는 오히려 점수가 낮아졌고 유아 는 어떤 변화도D A B , C보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색 모양 크기 변별에서 요리활동을 통하여 대상. , ,유아들이 가장 많은 변화를 보인 영역은 색이라고 볼 수 있으나 모양은 이미 사전검,사에서 명의 유아가 만점을 획득하고 있었으므로 더 이상의 향상을 측정할 수 없는2상태였다 그러나 크기는 총점 자체가 낮고 명중 명의 유아들이 사후검사에서 점. 4 3 0을 기록하여 요리활동을 통하여 크기 변별력이 향상되었다고 보기 어렵게 나타났다.

유아

내용

유아 A 유아 B 유아 C 유아 D사전 사후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색 1 3 0 3 3 3 1 2모양 3 3 1 3 3 3 1 0크기 1 0 1 0 0 0 1 2

단순분류 0 1 0 1 0 1 0 0총점 5 7 2 7 6 7 3 4

( 44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154 -

단순분류는 사전검사에서 명의 대상유아들이 모두 점을 기록하여 단순분류에 대한4 0개념 형성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명의 유아가 원점수 을, 3 1기록함으로써 약간의 상승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단순분류 문항이 같은 내용으로 색.을 달리한 문항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점을 얻은 것은 의 성공을 의미하는 것이, 1 50%므로 우연에 의한 점수획득일 가능성도 없지 않다.전체적으로 대상유아들은 변별력 검사에서 차이는 있지만 모두 약간의 상승을 나

타내었다 상승의 폭이 가장 큰 유아 는 명중 생활연령이 가장 어리고 발달지수도. B 4가장 낮은 을 기록했던 유아였다 반면에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기록된20.6 .

유아 와 는 발달지수가 명의 대상유아 중 중간이었던 유아들이다(9.1%) C D 4 .

논의 및 결론.Ⅳ

논의1.주의집중 행동 변화에 대한 논의1)

대상간 중다기초선 설계는 대상의 행동 변화가 중재 프로그램에 의한 것인지를 확

인할 수있는 연구설계 방법으로서 변인간 기능적 관계는 중재와 함께 종속변인의 수,행수준이 급격한 변화를 이루었는지 중재기간 동안의 자료점이 기초선 기간의 자료,점과 어느 정도의 중복율을 보이는지 기초선 및 중재단계의 평균이 얼마나 차이를,보이는지를 통하여 확인된다(Alberto & Troutman, 1999).이와 같은 점들에 대한 본 연구에서의 대상유아들의 변화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

음 표 과 같다< 4-1> .표 기능적 관계 확인을 위한 중재후 변화 중복율 단계간 평균차< 4-1> , ,

대상유아

기초선최종회기(a)

중재최초회기(b)

중재후변화(b-a)

기초선과중재단계중복율

기초선평균(c)

중재단계평균(d)

평균차(d-c)

A 11.7 68.3 56.6 0 12.2 69.8 57.6B 16.7 58.3 41.6 0 15.0 60.5 45.5C 15.0 53.3 38.3 0 10.2 50.0 39.8D 23.3 70.0 46.7 0 18.3 62.1 43.8

전체평균 16.68 62.48 45.80 13.9 60.60 46.68

요리활동을 통한 발달지체 유아의 주의집중 및 변별력 변화

- 155 -

중재와 더불어 주의집중 행동의 변화가 급격하게 나타났는가는 위의 표 중재후 변화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명의 대상유아 모두가 약 의 행동 증가율을 나(b-a) , 4 38 57%∼타낸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연구가 시간차를 두고 중재를 적용하는 중다.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였으므로 이와 같이 중재와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한 대상유아들의 주의집중 행동은 중재프로그램에 의한 것이라는 점을 강력하게 뒷받침하는 것이다.또한 기초선단계와 중재단계의 자료점의 중복율은 그 비율이 낮을수록 중재가 종

속변인의 변화에 강하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되는데(Alberto & Troutman,위 표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중재단계에서의 자료점이 기초선 단계에서의1999), ,

자료점과 회도 중복되지 않게 모든 대상유아들에게서 나타난 점은 중재로 인하여1주의집중 행동이 변화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주의집중 행동의 전체적 수준이 중재 전과 중재 과정에서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

하여 기초선 단계와 중재 단계에서의 평균을 비교한 평균차 에서 확인할 수 있(d-c)는 바와 같이 대상유아 모두가 중재전보다 약 정도의 주의집중 향상을 보, 40 58%∼였다 이 또한 모든 대상유아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것으로서 요리활동을 통하.여 대상유아들의 주의집중 행동 수준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중재가 종료된 후 주의집중 행동을 측정한 유지단계에서는 대상유아들의 수행수준이,평균 로나타나 표 참조 중재단계 보다는 낮은수준을나타45.6%, 40.0%, 37.8% ( 3-1 ),냈으나 기초선 단계에 비하여는 여전히 높은 수준의 주의집중 행동을 유지할 수 있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 발달지체 유아들의 주의집중 행동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발

달지수 이하의 유아 명을 제한적으로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놀이상황50 4 ,이 아닌 다른 상황에서의 주의집중 행동을 측정하지는 않았으므로 향상된 주의집중

행동이 다른 영역에서도 일반화되어 나타나는지에 대하여는 본 연구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보다 지속적으로 요리활동을 적용한 후 유치원 하루 일과의 각각의. ,시간에서 주의집중 행동을 측정해 볼 필요가 있으며 또한 가정 장면에서의 주의집중,행동도 평가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변별력 변화에 대한 논의2)

본 연구에서는 변별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이용하였는데 이,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 인과관계를 알아보기에 적절한 방법이라고 볼 수 없다.

( 44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156 -

왜냐하면 외생변인에 대한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명의 대상유아들의 행동4변화가 독립변인에 의한 것인지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양옥승 또한 대상이( , 1997). 4명의 유아들로 구성되어 있어 그들의 평균이 발달지체 유아들의 수준을 대표할 수

있는 값으로서의 의미를 부여하기에 무리가 있어 통계적 검증이 의미를 가질 수 없

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변별력 변화에 대한 자료는 하나의 사례자.료로서 검토해 보는 것이 가장 합당할 것이다.변별력 검사에 있어 대상유아들이 나타낸 자료에 의하면 단순분류보다 색 모양, , ,크기에 대한 변별이 더 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검사가 지나치게.간단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문제점도 있지만 일관되게 대상유아들은 색 모양, ,크기 문항의 사전검사에서 점수를 얻은 반면에 단순분류 문항에서는 모든 유아들이

점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모두 상승된 결과를 나타났으므로 본0 . ,연구에서 나타난 자료만으로 어느 영역이 더 효과적으로 변화되었는지를 단정할 수

는 없다.

결론2.요리활동을 통하여 발달지체 유아들의 주의집중 행동과 변별력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했던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지을 수 있다.첫째 요리활동은 교육진단검사에 의한 발달지수가 이하인 발달지체 유아의 주, 50의집중 행동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이것은 대상간 중다기초선 설계에 의한.실험으로 변인간 기능적 관계가 입증된 점에 근거한다.둘째 요리활동은 교육진단검사에 의한 발달지수가 이하인 발달지체 유아의 변, 50별력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하나의 요인일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중재 전후에 변별력 검사를 실시하여 사후검사 결과가 사전검사 결과보.다 높게 나타났으므로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인 행동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

으로만 해석할 수 있는 것이며 변인 간 명백한 기능적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요리활동을 통한 발달지체 유아의 주의집중 및 변별력 변화

- 157 -

참 고 문 헌

김경중 류왕효 류인숙 박은준 신화식 유구종 정갑숙 조경미 조희숙 주리, , , , , , , , ,분 최인숙 최재숙 아동발달심리 서울 학지사, , (2001). . : .

김형숙 요리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1999). .위논문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영신 역(1995). 아동사고의 발달. 서울 미리내: .안상원 요리활동을 통한 유아의 수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1995). .

학위논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양옥승 (1997). 유아교육연구방법. 서울 양서원: .이현섭 김상윤 추정선 조선희, , , , (2001). 아동발달심리, 서울 학지사: .임정아 장애유아의 변별학습에 있어 컴퓨터보조수업과 그림카드의 제시(2001).

효과 미간행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 .정경자 요리활동 교수전략에 따른 유아의 요리행동형태 및 언어적 상호(2000).

작용 유형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정진자 박현아 요리활동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서열개념에 미치는 영, (2001).

향.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2(3). 133-159.정희달 유아의 수학적 개념 획득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한(1991). . .

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조진숙 요리활동이 유아의 기초과학개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1998). .

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최경숙 (2000). 발달심리학 아동 청소년기- ⋅ 서울 교문사. : .Alberto, P. A., Troutman, A. C. Applied behavior analysis for teachers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Bukatko, D. & Daehler, M. W. (1992). Child development: A topical

approach.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Flavell, J. H. (1977). Cognitive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ve-Hall.Gibson, E. J., & Rader, N. (1979). Attention: The perceiver as performer. In

G. Hale & M. Lewis (Eds.), Attention and cognitive development. NewYork: Plenum.

Mash, E. J., & Wolfe, D. A. (1999). Abnormal Child Psychology. Belmont,CA: Brooks/ColeWadsworth.․

Seifert, K. L., & Hoffnung, R. J. (2000). Child and adolescnet development5th Ed., Boston, MA: Houghton Mifflin Company.

( 44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158 -

<Abstract>

The Effects of a Cooking Program on the Attention andDiscrimin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Lee, Hyo Shin Shin, Eun Heeㆍ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a cooking program onthe sustained attention and the visual discrimination of children withdevelopmental delays.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enrolledin special kindergarten G, who scored below 50 developmental quotient on thePsycho-educational Test.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MBDAS) was used to determine theeffects of a cooking program on the sustained attention and discrimination of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this study, MBDAS was performed onsustained attention while the children were playing house. The 8 types of cookingintervention program was conducted a total of 15 sessions. It was included whilethe children were playing house for duration of 30 to 40 minutes everyday. Thedata collection for sustained attention was completed every 10 seconds intervalsfor 10 minutes.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 that the cooking intervention programwas very effective in increasing sustained attention. Before and after theintervention program, a visual discrimination test was performed to explore theeffects of the cooking activity on discrimin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delays. The contents of the discrimination test sheet were extracted from anexisting test sheet and reorganized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of this testdemonstrate that the cooking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 withdevelopmental delays in regards to discrimination and development of concepts.In summary, the cooking program prove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sustained

요리활동을 통한 발달지체 유아의 주의집중 및 변별력 변화

- 159 -

atten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cooking program alsopositively influenced discrimination, specifically color, shape, and classificationdiscrimination.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need for developing an interesting, specific,well-structured curriculu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hichemphasized a variety of learning programs integrated within a cooking course.

Key Words : cooking program,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ustainedattention, discrimination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 승인: 2005. 8. 5 / : 2005. 9. 3 / : 2005.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