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학적으로 본 한국안 매장계설증 반도의 변천 · 2016-12-30 ·...

7
Vol. XV, No. 1, 1979 -Abstract- Changing Incidence of Di verticular Disease of the Colon in the Koreans: A Radiological Study 500 Kyo Chung, M.D. , Hyung 5un 50hn, M.D. , 500n Kyu Lee , M.D. , Young Whee Bahk, M.D. Department of Radíology, Mary's Hospíta/ , Catholíc Medícal College, Seou/ , K orea Divert icular disease of the colon is the commonest pathological process in the large bowel in the aged caucasians, but this is rare in oriental race s. In Korea , d iverticular disease of the co lon was known to be rar e as report ed by Kim in 1964. 5ince then , however , we have had an impression that the diverticular disease of the colo n is not so rare as was report ed by Kim previously from our departmen t. The prese nt study has been und ertake n to subst a nti ate our Impresslon. We reviewed 1 ,143 consecutive cases of double-contrast barium enema performed at the Department of Radiolog y , 5t. Mary s Hospital , Catho lic Medical College during the past 7 years to analized diverticular disease patterns of the colon in the Koreans. 1. The present stud'y revealed 29 patients of diverticular disease of the colon, an incid ence of 2.5%. Th e age distribution was shown in Table 1. 2. The mean number of diverticular were 9 and the mean si ze as follows: the cec um, 6.4 mm th e proximal 1/ 3 of the ascending co lon , 5.6 mm the mid 1 /3 of the ascendi ng colon, 4.9 mm ; and the distal 1/3 of the ascending coJon , 4.4 mm. 3. Th e average age of patients with diverticular disease of th e colon was 49.5 yea r s. Chief compl a ints were change of bowel habit (31.6% ), abdo minal pain (28.9 %) and indigestion (18.4%). 4. Th e associate d radiological findings of diverticular disease of the colon were (1) spasm in 16 cases (46%) (2) a marginal irregularity in 16 cases (25%) ; and (3) asymme trical ha ustr a in 16 cases (300AÍ). In 13 cases no associated signs seen. We have found that the incide nce of the diverticular disease of the coion in the present series is ver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revious report from our department (Kim, 196 4). We postulate that the possible facto rs operational in such in crease in th e in cidence of the clonic diver- ticular d isease in the last decade are : (1) changing dietary pa ttern character ized by h igh-protei n and h igh- refined-sugar consumptio n, a nd (2) routine use of the doubl e contrast techniq ue which per mitted us to see more diverticular outpouchin gs of the colon comp ared to the conventional simple ba rium enema study. n U

Transcript of 방사선학적으로 본 한국안 매장계설증 반도의 변천 · 2016-12-30 ·...

  • 大웰I.&M웠점‘댈會誌 Vol. XV, No. 1, 1979

    방사선학적으로 본 한국안 매장계설증 반도의 변천

    가폴릭 매 학 의 학부 방사선과학교실

    정수교 · 손형선·이순규·박용휘

    -Abstract-

    Changing Incidence of Diverticular Disease of the Colon in the Koreans:

    A Radiological Study

    500 Kyo Chung, M.D., Hyung 5un 50hn, M.D.,

    500n Kyu Lee, M.D., Young Whee Bahk, M.D.

    Department of Radíology, 5ι Mary's Hospíta/, Catholíc Medícal College, Seou/, K orea

    Diverticu lar disease of the colon is the commonest pathological process in the large bowel in the aged

    caucasians, but this is rare in oriental races. In Korea, d iverticular disease of the co lon was known to be rare as reported by Kim in 1964. 5ince then,

    however, we have had an impression that the diverticular disease of t he colon is not so rare as was reported by Kim previously from our departmen t. The prese nt study has been und ertaken to substantiate our

    Impresslon.

    We ‘ reviewed 1,143 consecutive cases of double-contrast barium enema performed at the Department of Radiology, 5t. Mary ’s Hospital , Catho lic Medica l College during the past 7 years to analized diverticular disease patterns of the colon in the Koreans.

    1. The present stud'y revealed 29 patients of diverticular disease of the colon, an incid ence of 2.5 % . Th e age distribution was shown in Table 1.

    2. The mean number of diverticular were 9 and the mean size as follows: the cecum, 6.4 mm th e proximal 1/3 of the ascending colon, 5.6 mm the mid 1/3 of the ascendi ng colon, 4.9 mm ; and the distal 1/3 of the asce nding coJon, 4.4 mm.

    3. Th e ave rage age of patients with diverticular disease of the colon was 49.5 yea rs. Chief compla ints

    were change of bowel habit (31.6% ), abdo minal pain (28.9%) a nd indigestion (18.4%).

    4. Th e associated radiological findings of diverticular disease of the colon were (1) spasm in 16

    cases (46%) (2) a marginal irregularity in 16 cases (25%) ; and (3) asymmetrica l ha ustra in 16

    cases (300AÍ). In 13 cases no associated signs seen.

    We have found that the in cidence of the diverticular disease of the coion in the present series is

    ver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revious report from our department (Kim, 1964). We postulate that the possible facto rs operational in such in crease in th e incidence of the clonic diver-

    ticula r d isease in the last decade are : (1) cha nging dietary pattern character ized by h igh-protei n and h igh-

    refined-sugar consumptio n, a nd (2) routine use of the doubl e contrast techniq ue which permitted us to see more diverticular outpouchings of the col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imple ba rium

    enema study.

    「「υ

    n U 이

    ι

  • 서 룰

    대장계살은 대장근육충을 통한 정막의 ll] 정상적인

    탈출에 의해서 형성펀 주머니를 가리킨다. 0] 질환은

    197 3 년 Baill ie 1J 에 의해서 처음으로 밝혀졌으며,

    Cruvei lhier 2 ) 에 의해서 다발성 대장계살증이 발표되

    었마. 그후 Graser 3) 는 대장계살증이 희유한 질환

    이 아니며 임상적으로도 중요하마는 것을 지적하였마.

    20 세기에 들에서서 x.선 진단학이 발달됨에 따라

    Spr i ggs 와 Marxer 4), Case 등5) 은 매장계살증의 맹

    사선학적 진단에 대하여 많은 연구를 이룩하였마.

    대장계설증은 서쿠라파에서는 흔히 보는 질환이며

    특히 고령자에 서 않이 나타나는 질병으로 알려져 있

    다 6 , 7) 그러나 이 병은 동양언파 아프리카안에서

    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8, 9 , 10, 11, 12, 13).

    한펀, 대장계실증의 발생부위도 동서 양간에서 서로

    다르다. 즉, 동양인에서는 우측 대장에 많이 생기

    는 반면, 서양안에서는 S 자결장에 않이 생긴마 10, 14

    15, 16)

    최근에 이르러서 동양인에서도 대장계실증이 증가

    되고 있마는 사실이 보고되기 시작하였고, 이 질환이

    임상적으로도 중요하다는 사실이 지적되고 있마。9, 10)

    이에 저자들은 한국인에서의 대장계실증에 대한 방

    사선역학적 조사에 손을 댔고 내아가 그 질뱅 양상을

    분석 검토하여 보았마.

    재 료 및 방 법

    1 . 연구대상

    19 72 년 l 월부터 1 9,78 년 4 월말까지의 6 년 3 개월

    동안 가홀럭 의과대학 부속 성모뱅원에 내원하여 대

    장조영검사를 받은 1 0 세 이상의 남자 783명파 여

    자 360 영 , 총 1 , 14 3 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마. 같

    은 기간 동안에 수 10 영의 서양연 환자를 검사하였으

    나 이들은 본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2. 방 뱅

    대 장죠영 검 사의 천처치로 파마자 기릉 60 mg 과

    Oulcolax 3 정 을 검 사 전 날 먹 얀 후, 검 사 30 분천에

    청결판장을 시행하였으며 조영제는 Mic ropaque 와 따

    뭇한 수도물을 로 혼합하여 사용하였 다.

    대창조영 검사방맹은 환자위치를 복와위로 - 하고

    Forley cath e te r 를 통하여 조영 제 를 x-선 투시 를 하 연서 ll ] 만곡부까지 주입한 후 공기를 체위를 바꾸연

    서 주업하여 이중조영을 시도하였다. 대장 이중조영

    검사의 촬영은 복와위 , 양측 측와위 , 직럽위를 행하

    였마.

    성 적

    총 대상자 1, 143 영중 대장내 l 개 이상의 겨l 실을

    가진 환자는 총 29 영으로 대장계실증의 발생 벤도는

    2.5 ro 이었으며 , 이 중 남자는 793 명중 28영으로 발

    생밴도는 3. 5 % 이었고, 여자는 360 영중 l 명으로

    0 .3 %로 남자의 발생율이 높았다 (Table 1 ) 0

    매장계싣증의 연령옐 벤도를 보연 3 0 ~ 39 세가

    347 명 중 3 영 으로 0.9%, 40 ~ 49 세 가 204 명 중 1 6 영 으로 5.6 %, 50~ 59 세가 207 명 중 4 영으로

    1. 9%, 60 세 이상이 1 30 명 중 6 영으로 4.6 % 이

    었으며 29 세 이하에서는 대장계실증을 볼 수 없였다

    (Table 2).

    대장계 살증의 평균 연령은 49 . 5 세 이었다.

    대장계실증의 분포를 보연 앵장 8 예, 맹장과 상챙

    결장 1 3 예 , 앵장파 상챙결장과 횡챙결장 l 예 , 상행

    결장 4 예, 하챙결장과 S 자결장 l 예, S 자결장 l 에

    Table 10 Sex incidence o f diverticular disease

    of th e colon

    Male Female Total

    Bar ium enema 793 360 1, 143

    No . of diverticulum 28 29

    In cidence 3 .5% 0.3ro 2.5%

    Table 2. Age incidence of diverti cular disease of th e colon

    Cases Age (yr) 10 ~ 19 20 ~ 29 30 ~ 39 40~ 49 50~ 59 60~ Total

    Barium enem a 39 136 347 284 207 130 1, 143

    Dive rticular di se ase 0 0 3 16 4 6 29

    I ncidence (%) 0 .9 5 . 6 1 9 4 . 6 2 5

    - 206 -

  • 로 우측결장에 계실을 갖고 있는 예 는 총 27 에 로서

    93 %의 반도를 나타냈 마 (Table 3)

    우측 대장겨l 실종 27 예의 계살증 발생뱀 위 를 보연

    맹장만 칭습한 에가 8 예, 상행 결장 근위부까지 첨 습

    한 에가 7 에, 상행결장 중위부까지 첨습한 에가 4

    예, 상행철장 원위부까지 칭습한 예가 3 예, 상챙결장

    근위부 만 검습한 예가 3 예。l 였 으며 , 나머지 2 에 중

    l 예 는 맹장과 상챙결장 중위부릎 칭습하였고 l 예 는

    맹장, 상챙결장 중위부와 하챙 결장을 칭습하였다. 맹

    장파 상행결장 근위 ~/3 을 침뱀한 예 가 27 어| 중 18

    예 (86.7 %) 이였 t-t

    대장계설의 수를 보연 개가 6 에 호 20.7%를 차

    지하였고 다발성 계살증에는 2~ 4 개가 8 예, 5~ 9

    개가 7 예 10 ~ 14 개가 3 예 15~ 19 개가 3예, 20

    개 이 상이 2 예 이 었으며 총 계살수는 215 개 로 평

    균 7 개 이였으며 , 마발성 계살증의 계설 평균은 9

    개 이었마 (Table 4)

    Table 3 . Distri bution of di ve rti culum in the

    colon

    Si te Case s (쩌

    Rt . s ided dive rti c ulum 27 (93 . 1)

    Cec um 8(27 .5)

    Cec um , ascending co lon 13 (44.8)

    Cec um , ascend ing , transverse co lon 1 ( 3.4) Cecum , ascending , de sc ending co lon 1 ( 3 . 4)

    Ascending co lon 4 ( 13 . 8)

    Lt. sided dive rti culum 2( 6.9 )

    Sigmoid colon 1 ( 3.4)

    Sigmoid , desce nding colon 1 ( 3.4)

    To tal 29 ( 100)

    Table 4 Number of dive rti c ul a

    No . of diverti cula 29Cases( %)

    Single dive rti c ulum

    Diverticulo sis

    ( 20. 7) 6

    2 ~ 4 8

    7

    3 23 ( 80. 3)

    3

    2

    5 ~ 9

    10 ~ 14

    15 ~ 19

    20

    계 실의 펑균 크기 를 분포멜로 보면 맹장 6.4 mm , 상

    행 결장 근위부 5. 6 mm , 상행결장 중위부 4. 9 rrrn , 상

    행 결장 원위부 4.4 mm , 횡챙갤장 6 . 5 mm , 하챙결장

    5.2 mm , S 자결장 4. 9 mm 로 우측대장에서는 원위

    부로 갈수록 계실의 크기 가 작아지 는 것을 볼 수 있마

    x-션 사진소견을 보연 29 예 중 1 3 예에서는 계실

    증 이외의 이싱소견이 없었으며 (Fig 1) , 이 상소견을

    보인 1 6 예에서 는 경 련 ( 46 %) 과 내장윤곽의 불규

    칙 변형 (24 %) 과 매 장팽 기 부의 "1 대 충성 (30 %) 을 냐타냈 마 ( Fig 2 ).

    한펀, 맹장과 싱행결장 기시부(起始部)에 계 설을

    가지 고 있는 l 예에서 는 하챙결장에 대장암을 가지 고 。 l o-J r .l λA λ" -r

    qj 장계실증 환자에서 임상증상을 보연, 설사나 변비

    를 호소하는 에가 31. 6 9'0 , 복부동통 28.9 %, 소화불 량 18 . 4 %, 특이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10. 5 %, 장

    헬 7. 9 %, 종괴가 2 .0 9'0로서 , 주로 설사, 변 에, 복

    부동동을 호소하는 예 가 않았다.

    Fig. 1. Do uble.contras t barium ene ma showing

    diverticula at the cecum and th e pro ‘

    ximal ascending co lon

    껴 t n U η

    ι

  • Fi g .2 . Double ~ contrast barium e ne ma showing m,.

    ultiple diverticula with apasm , marginal irr • egularity , and asymmetrical haustra at th e cecum and ascending colon.

    고 õ

  • Kim 8 ) 이 1964 년 본 교실에서 보고한 결파는 대

    장:x.영 짐사를 밭은 500 병중 냐발성 계실증 환자는

    l 영도 없었으며 l 예에서얀 상행 절장에 l 개 의 셰

    실을 갖고 있다고 했마. 저자들의 예에서는 1 , 143

    영중 29 예 ( 2. 5 'lo) 로나타냐, 한국에서도 대장계

    실증의 증가를 냐타내고 있다.

    夫iF! 응 10) 은 일본에 서 대장제 실증의 증가는 생활의

    사쿠화에 의한 것 이라고 생각하기 도 하였다.

    저자들은 한국에서 대장계살증이 증가하는 이유 를

    정확히 말할 수는 없3나, 식생활의 변천 즉, 육류와

    설탕의 다량 섭취 , 또한 대장조영 숭의 개선 즉, 이 중

    대장조영술의 시행으로 대장윤팍에 있는 대 장계실의

    발견율이 높아짐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마.

    대장계살증은 연령의 증가에 따라 발생벤도가 높

    아진다. 그 원언을, 쿠마에서는 대장계실증의 원인으

    로 생각되고 있는 대장 내압의 증가, 근육의 "1 후, 근

    운동의 이상으로 생 각하며 장역이 약화되어 계실층

    이 발생 한다고는 생 각하지 않았다 23, 29)

    저자들의 예에서는 30 ~ 39 세가 0 .9 'lo, 40 ~ 49

    세가 5 .6 'lo, 50 '" 59 세가 1. 9 'lo, 60 세 이상이 4.6

    % 이었으므로 연령증가에 따른 발생반도의 증가는 확실치 않으나, 대장계실증은 40 세 이상에서 주로

    냐타냐는 것을 올 수 있다.

    대장계실증 환자의 평균연령은 좌측제실증 환자에

    서는 Pe mbe ton 둥 30 ) 은 54 세 Rodkey 등 31J 은

    63 세라고 발표하였고, 우측계살증 환자의 정균연령

    을 Laur i ds~n 과 Ross 32) 에 의하연 40 세 호 발표하

    고 있어 , 우측계실증 환자의 평균연령이 좌측계실증

    환자보마 낮마.

    저자들의 예에서 평균연령은 49 . 5 세로 Lauridse n

    과 Ross 32) 의 보고 보다는 높고 좌측 계실증 환자

    의 평균연령보마는 낮은 것으로 냐타났다.

    Pe mber ton 둥 30) 에 의하연 좌측대장계실증의 남

    녀 Bl 율은 2 : 1 이라고 하였으며 , Magness 등25 ) 에

    의하연 우측계실층의 낭녀 비율도 남자가 높다고 한

    마. 저자들의 경우도 남자가 3. 5 'lo이었고 여자가

    0 .3 'lo로 남자의 말생 율이 높았다.

    우측대 장계실증의 분포는 Lauridsen 파 Ross32) 에

    의하연 우측대장계실층의 78 . 8 'lo가 회앵판상부 2

    Cm , 하부 1 Cm 이내에 분포하고 있다고 한마. 저

    자들의 예에서는 맹장과 상행결장의 근위부 1/3 에

    존재하는 겨l 살이 66. 7 'lo이었고, 상행결장의 원위부

    로 잘수록 계 실의 밴도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

    마 .

    저자들은 우측대장계실의 분포와 크기를 측정하였

    넌바, 우측대장의 원위부로 칼수흑 계실의 크기가 감

    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냐

    대장계실의 입상증상은 하복부동통, 복부L압통, 설 사

    와 변바 , 헬 연, 장헬등이 냐타난다고 한다. 저자들의

    예에서 는 섣사와 변에 를 호소하는 예가 31.6 'lo, 하복

    부동통 28.9 'lo, 장젤이 7. 9 'lo 이었으며 , 31. 6 'lo에

    서 는 소화괄량을 호소하거 냐 또는 특이 한 증상이 없

    었마.

    애장계 실증에 동반되 는 x -선 사진소견은 매장윤곽

    의 불규끽연형 , 매장팽기부의 비에층성, 경련, 대장후

    벡의 군집 , 장판협착, 조영 제의 누출 등을 들 수 있

    다 10) 좀川 등 9 ) 은 대장변연의 불규칙성 50 'lo , 팽

    기부의 불균형 84. 1 'lo, 경련 70 . 5 'lo, 대장후벽의 군

    집 59 . 1 'lo 및 협착 2.3 'lo로 보고 하였마.

    서자들의 예에서는 44. 8 'lo에서 이상소견이 없였으

    며 , 이 상소견을 냐타낸 예에서는 경 련 . 41 'lo, 대장변

    연의 불규칙 24 'lo, 대장팽기부의 불규칙성 30 %를

    나타내어 이상소견의 출현반도가 적었마.

    대장계실영은 이론적으로 계실백내의 염증을 말하

    냐 Hugh es 33) 는 증상이 없는 환자의 계 실에 서 도 조

    직검사 소견에서는 계실벽의 염증이 나타났으므로 대

    장겨l 실염의 정 의 에 의문을 제 기했마. 또한 계 실염 의

    소견으로 생각했던 톱니모양 결손 ( S aw t eet h defor-

    m ity 도 근육의 비후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영증

    과 섬유증식의 결과이나 염증의 유무와는 만겨l 가 없

    마고 한마 23 ; 대장계살염의 원 인으로 대장내용물이

    대장운동에 의하여 계실을 자유효이 통과하나 경련이

    냐 염증성 부종에 의하여 계실 입구가 닫혀시 계실 얀

    에 있던 내장내용물이 염증을 형성하고 농양을 형성

    하며 괴양을 동반하게 되고 결국은 천공 동의 합명증

    을 일으킨다고 생각되었으나, Wolf 둥 34 ) 에 의하연

    대장계 실염 의 합병증j즈로 생각하픽1 천공이나 , 대장심

    부근염 , 철장주위염이 대장제실엽의 본질이라 한다.

    즉, 대장계실엽이라는 말은 계질 자체의 염증이 아니

    라 계실의 천공에 의한 대장셰살주위염으로 생각하고,

    그 원안도 계실형성원인과 같은 대장내 압의 상승으로

    생 각한다 13) 그러므로 대 장계실영의 x -선학적 진단

    지준으로, 첫 째 , 천공에 의 한 조영제의 누출, 둘째,

    농양 행성에 으l 한 방석모양 충만결손 (C u shion lik e

    deformi ty ) , 세 째 , 싱 한 경 련 성 수축을 정 했 다. 또한 Goul a rd 와 H a mpt on 35 ) 은 대장계실엽의 진안

    으호 계실의 증I녕 , 톱니모양 결손, 경련, 국부앙통, 농

    양형성 을 기준으로 삼았다. 그러냐 급성 대장겨l 살염

    의 경우에는 대장조영 검 사상, 이상소견이 없을 수도

    있마. 대장계실염의 증상은 하복부동통, 발열, 설사와

    변 B], 국부압동이 며 백 펀구 증가가 동반되어 우측 대

    장겨l 실영의 경 우에는 긴흑 충수영으로 오진할 수도 있

    209 -

  • 다. 대 장계 살 엽 의 벤도는 Hendrson 36) 은 매 장계 실

    증의 60 %, Bockus 2이는 22 ~ 27 %로 보고했마.

    맺 음 말

    1972 년부터 1978 년 4 월말까지 6 년 3 개월동얀 대

    장조영 검 사를 받은 총 1 , 1 43 영을 대상으로 하여 한

    국안의 대장계실증을 분석하여 마음과 강은 성적을 얻

    었다.

    총 대상자 1 , 14 3 명중 대장내 l 개이상의 겨l 실

    을 가진 환자는 29 영으로, 발생 빈도는 2.5 ro이었고,

    이 중 남자는 793 영중 28 영 으로 딸생밴도는 3.5 %

    이었으며 , 여자는 360 영중 l 영으로 0.3 %로 남자

    의 발생 율이 높았고, 그 차이가 유의성 이 있었 다.

    ( p < 0.01 ) 2 우측 대장계성증이 29 에 중 27 예 로 93.1 %의

    반도흘 나타내였으며, 맹장과 상행 결장 근위부륜 침

    슴한 에 가 27 예 중 18 예 로 86 .7 % 이 었 마.

    3 계실의 평균 수는 9 개 이 었으며 계실의 크기

    는 우측대장에서 원위부로 칼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것

    을 판잘했다.

    4 대장게실증 환자의 경끊 연령은 49.5 세 이었

    고, 배 변슴판의 변화 ( 31, 6 %) , 복부동꽁( 28.9 % ))

    소화불량( 18 , 4 %)이 주증상 이었다.

    5 대장계실증의 x-신 사진 소견은 지1 실의 존재

    이외의 이상소견이 없는 예가 29 영중 13 예 이었으

    며 , 이상소견 이 있는 예에서는 경련 ( 46 % ), 매장변

    견의 불규칙성 (24 %) 과 내장팽대부의 불균형 ( 30 % ) 을 나타냈다.

    6 한국인의 대 장계 실승이 1964 년의 본 교질의 보

    고 보다 증가되고 있는 것이 샤실안데 , 그 이유는 아

    마도 식생활의 띤천, 즉 유류와 성탕의 다량섭 취, 또

    한 이중대장조영 술의 시행으로 매장윤팍에 있는 매장

    겨| 실의 말견율이 높아진데에 있지 않은가 생각핀다.

    REFERENCES

    l. Baillie Colonic diverticula, Cited from Gastroenter-ology, ed. Bockus, 2nd Ed. , Vol. 2, p. 979-953,

    Philadelphia, Saunders Co. 7966. 2. Cruveilh ier, J. : Traited Antomie pathologique. Paris,

    Bailliere 7: 593 Cited from Gastroenterology, ed. Bockus, 2nd Ed. , Vol. 2, p. 979-953, Philadelphia,

    Saunders Co. 7966.

    3. Graser, E. Uber multiple falsche dandivertikel in

    der flexura sigmoidea. Munch and Wochensehη 46:727, 7899.

    4. Spriggs, E. 1. and Marxer, O.A. Multiple diverticula of colon. Lancet 7: 706 7-7074, 7927.

    5. Case, J. T. Roentgen study of colonic diverticula. A.;.R. 27:207-209, 7929.

    6. Carro ll , P.T. Diverticula, diverticulosis and diverti-culitis of the colon. Dis. Colon Rectum. 4:88-702

    7967.

    7. Manousos, O. N. Truelove , S.c., and Lumsden , K.

    Prevalence of colonic diverticulosis in general pop-

    ulation of Oxford area. Brit. Med. ;. 3: 762-763, 796 7. 8. Kim , E. H. Hiatus hernia and diverticulum of th l

    colon. Their low incidence in Korea. New Engl. ;.

    Med. 277: 764 - 768, 7964.

    9. 놈川保雄, 織田파爾, 勝田康夫, 位住木뼈i男 , 小효

    原j쩔, 白맺彦夫, 宮城{申二, 長땅;徵, 짧땀俊紀, 中

    島孝뚫, 나j 口-짧, 市川體꿇 : 大陽想室病의,珍짧,

    |짧까5 的, 病理的 x綠學的考察, 뿜와陽 10 749

    ~ 760 , 1975.

    10. 돗7{1知海, 小板知-郞, i度i2J修身, 原{갖明 : 日本消

    化管想室l!E, 뿜와陽 10 721-727 , 1975

    11. Pa inter, N.S. and Burkitt, D.P. Diverticular disease of the colon. A deficiency disease of Western civiliza-

    tion. Brit. Med. ; . 2:450-454, 7977. 12. Mow, T.K. an d Kwi , N.K. : Diverticulardiseaseofthe

    colon among West Malaysuans. A ust. Radiol. 79: 47-5 7, 7975.

    13. Fleischner, F.G. and Ming, S.c. Revised concepts of diverticular disease of colon. Radiology 84:599-609, 7965.

    14. Chang, W. Y.M. Hawaii Med. ;. Inter. 151. Nurs. Bull. 24:442. Cited from Perry, P.M. and Morson, B. C. Right-sided diverticulosis of the colon. Brit. ;. Surg.

    58:902-90꺼 79 77.

    15. Bo les, R.S. and Jo rda n, S.M. : The clinicalsignificance of diverticulosis. Gastroenterology '55:579-582, 7958.

    16. Perry , P. M. and Morso n, B. C. Right sided diverti-culosis of the colon. Brit. ; . Surg. 58:902-904, 7977.

    17. Fagin, I.D. Does uncomplicated diverticulosis ofthe colon cause symptom. Am ./. Surg. 80: 798-203, 7950.

    18. Fifield , L R. Diverticulitis. Lancet 7:277, 7927. 19. Spriggs, E. 1. and Marxer, O.A. Intestinal diverticula.

    Quart.;. Med. 79:7, 7925. 20. Bockus, H. L Colonic diverticula. Gastroenterology,

    2nd Ed. , Vol. 2, p. 979-953, Philadelphia, Saunders

    -• 21 0 -

  • Co. 7966.

    21. Edward, H. C. Diverticular of the intestine. Ann. 5urg. 703:230-254, 7939.

    22. 1it H꿇微-郞, I핑宏介, 햄江良秋, t배감直i'i암 , 松Aì휩

    과 富山次郞 - 大關想室llE으l最近의 考 方, 참江病

    理, 病理發生 뎌그心江, 쁨와1陽 10 739-748 ,

    1975. 23. Morson, B. C. The muscle abnormality in dlverticular

    disease of the sigmoid colon. Brit. ;. Radiol. 36:385-

    392, 7923. 24. Potier, F. Diverticulite et appendicite. Bull. Mem.

    50c. Anat., Paris. 87:29, 7972. Cited from diverticular disease of the right colon. Surg. Gyn. Obst. 740:30-32, 7975.

    25. Magness, LJ. , Sanfelelippo, P.M. , Heerden, J.A. , and

    J udd , E.S. : 'Diverticular disease of the right colon. 5urg. Gyn. Obst. 740:30-32, 7975.

    26 . 한창엘, 대장 계실증의 2 例보고, 대한방사선의학

    회 지 , 8 339 - 341 , 1972.

    27. Painter, N.S. , Truelove , S. c., Ardran, G.M. , and

    Tuckey, M. Segmentation and localization of intraluminal pressures in the human colon with special

    reference to pathogenesis of colonic diverticula.

    28 , 吉川保雄, 勝田康夫, 織æ휩爾, {左뾰木Jl!li !f!l . 티맺

    彦夫, 金뿔寬 . 大陽題室늄의평斷, 띔와陽, 9 ; 855

    ~ 863 , 1974.

    29. W川 iams, 1. Changing emphasis in diverticular disease

    of the colon. Brit. ;. Radiol. 36:393-406, 7963. 30. Pemberton , J.J. , Black, B.M. , and Maino , C. R.

    Progress in the surgical management of diverticulitis

    of the sigmoid colon. 5urg. Gyn. Obst. 85:523-534, 7947.

    31. Rodkey , G. V. and Welch , C. E. Diverticulitis of the

    colon. Surg. C/in. North Am. 45:’ 7237-7243, 7965. 32. Lauridsen, J. and Ross, F. P. Acute diverticulitis of

    cecum a report of four cases and review of one

    hundred fj‘ fty three surgical cases. A rch. Surg. 64:320-

    33α 7952.

    33. Hughes, L. E. Postmortem survey of diverticular

    disease of the colon. Part. 1. Diverticulosis and

    diverticulum. Gut. 70:336-357 , 7969. 34. Wolf , B.S. , Khilnani , M. , and Marshak, R. H.

    Diverticulosis and diverticulitis roentgen ηindings

    and their interpretation. Amer. ;. Roentgen. 77: 726-

    743, 7957. 35. Goulard, A.J. and Hampton, A. O. Correlation of

    clinical, pathological and roentgenological findings in diverticulitis. A mer.;. Roentgen. 72:273-227 , 7954.

    36. He nderson, N‘ P. Diverticulitis and diverticulosis. Brit. ; . Radiol. 77: 797-203, 7944.

    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