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24
생태유아교육연구 2008. 7권제2, 17 - 40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한계에 관한 질적 분석* Meanings and Difficulties of Vegetable Garden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김은주(Eun-Ju Kim)**․하정연(Jeong-Yeon Ha)*** 본 연구는 대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이 텃밭활동을 실천해본 경험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텃밭활동 실천의 형태와 의미 및 그 한계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P대학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들과 3월부터 12월까지 10 개월에 걸쳐 텃밭활동을 실시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작성된 예비유아교사들의 텃밭일지와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텃밭활동을 통해 사계절 지속적으로, 강의실과 강의시간을 넘어서서, 지도교수뿐 아니라 주변의 여러 사람들에게 배워가며, 단계적으로 삶으로 연결 지어갔다. 이러한 텃밭활동은 예비유아교사의 감각을 살려주고, 돌보는 마음, 맑아지는 마음을 경험하게 해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으나, 농사경험과 지식이 부족하다는 점, 시간을 많이 할애해야 한다는 점, 공간상의 열악함 등은 대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한계로 지적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자연친화적인 교육실천이나 생태적 감수성 향상을 위해 대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텃밭활동이 충분히 실천가능하고 의미가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4)5)6) 주제어 예비유아교사(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텃밭활동(vegetable gardening), 질적 연구(qualitative analysis) 논문 접수 : 2008. 6. 25 / 수정본 접수 : 2008. 8. 4 / 게재 승인 : 2008. 8. 18 * 이 논문은 부산대학교 자유과제 학술연구비(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 부산대학교 부설 어린이집 원장

Transcript of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Page 1: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생태유아교육연구

2008. 제7권 제2호 , 17 - 40

학 교육과정에서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한계에 한 질 분석*

Meanings and Difficulties of Vegetable Garden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김 은 주(Eun-Ju Kim)** ․ 하 정 연(Jeong-Yeon Ha)***

요 약

본 연구는 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비유아교사들이 텃밭활동을 실천해본 경험을 질

연구방법을 통해 살펴 으로써 텃밭활동 실천의 형태와 의미 그 한계를 밝히고자 하는

목 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해 P 학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들과 3월부터 12월까지 10

개월에 걸쳐 텃밭활동을 실시하 으며, 그 과정에서 작성된 비유아교사들의 텃밭일지와

면담자료, 참여 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 다.

연구결과, 비유아교사들은 텃밭활동을 통해 사계 지속 으로, 강의실과 강의시간을

넘어서서, 지도교수뿐 아니라 주변의 여러 사람들에게 배워가며, 단계 으로 삶으로 연결

지어갔다. 이러한 텃밭활동은 비유아교사의 감각을 살려주고, 돌보는 마음, 맑아지는

마음을 경험하게 해주었다는 에서 의미가 있었으나, 농사경험과 지식이 부족하다는 ,

시간을 많이 할애해야 한다는 , 공간상의 열악함 등은 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한계로

지 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비유아교사들의 자연친화 인 교육실천이나 생태

감수성 향상을 해 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텃밭활동이 충분히 실천가능하고 의미가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4)5)6)

주제어 비유아교사(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텃밭활동(vegetable gardening),

질 연구(qualitative analysis)

※ 논문 수 : 2008. 6. 25 / 수정본 수 : 2008. 8. 4 / 게재 승인 : 2008. 8. 18

* 이 논문은 부산 학교 자유과제 학술연구비(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부산 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교신 자, [email protected])

*** 부산 학교 부설 어린이집 원장

Page 2: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1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Ⅰ. 연구의 필요성 목

오늘날 심각한 생태계의 기는 교육 장에서 자연과 상생하는 방법에 한 논의를

발시키고 있다. 인간과 자연이 공생하는 삶을 학생들에게 가르치기 해서는 우선 교사의

의식부터 달라져야 한다는 인식이 늘어나고 있는 시 에서 교사교육의 방법은 새로운 방

향을 모색하고 있다. 최근 들어 교사교육은 단순히 지식을 달하는 통 인 방법으로는

불가능하며 교사 스스로 반성 사고를 하고 실천 지식을 쌓아가야 한다는 주장이 받아

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때에 구성주의 에서 교사교육을 근하자는(김병찬, 2000;

손지 , 2005; 임부연․최남정․박향원, 2008) 움직임이 일고 있다.

유아교육 장도 마찬가지로 유아교사의 체험 지식, 실천 지식이 요구되고 있으며,

유아교사교육은 유아교사로 하여 생명과 자연에 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자연의 순

환을 체험해 으로써 인간과 자연이 함께 살아가야 한다는 신념과 가치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환하여야 한다고 보고 있다(김은주․김은 , 2003). 이를 해서 최양미

(2002)는 이론 강의보다는 교사의 생활 자체를 생태 으로 환시킬 수 있는 교육으로

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한 최근의 연구들을 보면(조형숙․김 주․박은주․

김민정, 2005; 박선미․조희숙․임부연, 2007; 한미라․임재택, 2008) 유아교사와 비유

아교사에 있어 자연친화 인 교육활동 경험이 자연에 한 지식의 확장 뿐 아니라 생태

인 감수성 향상을 해서도 정 인 의미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자연친화 교육활동의 하나로, 유아교육 분야에서는 텃밭활동에 한 가치가 새롭게

조망되고 있다(김은 , 2002). Coffey(2001)는 생태계의 기를 극복하기 해서는 교육

목표에 자연과 계 맺고 력하는 방법을 알도록 설정해야 함을 주장했으며, 이러한 주

장은 학교 내에 야채를 먹을 수 있는 정원(edible school yard)을 조성하는 실천으로 이어

지고 있다(Satkofsky, 2002). 교육에서 텃밭활동은 식물을 기르는 단순한 체험활동을 넘어

서서 스스로 먹을거리를 재배함으로써 몸과 마음의 건강을 꾀하고 이를 통해 생명의 소

함과 자연의 감사함을 함께 이해하게 해 다는 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본다(임재택,

2008; 임재택․하정연․조채 ․노진형․홍정애․강 진․김미옥, 2000; Kim & Lim,

2007).

최근 들어 비유아교사를 상으로 텃밭활동을 용해보는 연구가 국내에서도 증가하

고 있다. 를 들어, 학의 교육과정에서 텃밭활동을 실시해 본 후 첫 사례연구인 김은

주와 김은 (2003)의 연구는 비유아교사들이 텃밭활동을 통해 생명의 소 함을 배우고

Page 3: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학 교육과정에서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한계에 한 질 분석 ․ 19

노동의 가치를 체험하며 자연의 한 생태 감수성을 키워나갈 수 있다는 에서 그 의

의가 크다는 것을 밝 주었다. 그러나 연구자가 지 하 듯이 가정과 학교라는 두 공간

에서 용해본 결과이므로, 텃밭활동에 한 보다 체계 인 교육 시도를 해 볼 필요성

이 제기된다.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체험의 의미를 상학 방법으로 밝힌 연구(한미

라․서 희․임재택․임부연, 2007) 역시 텃밭활동이 기계론 이고 방법론 인 세계 에

치우친 유아교사교육의 새로운 안 가능성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는 에서 그 의

의가 높다. 하지만, 비유아교사들이 6개월 간 경험한 결과를 토 로 한 연구결과라는

에서 한계가 있으므로 장기간 활동한 사례연구가 요구된다. 텃밭활동의 필요성 심

도를 조사한 한미라와 임재택(2008)의 연구에서 밝혔듯이, 비유아교사들이 텃밭활동의

교육 가치를 높이 인정하면서 텃밭활동에 한 정보 습득의 가장 좋은 방법으로 ‘학교

수업’을 택하 다는 은 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비유아교사를 상으로 하는 텃밭활

동에 한 보다 체계 인 근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텃밭활동

의 학 교육과정 내 도입 가능성에 한 탐색연구가 필요하리라고 본다.

앞서 밝혔듯이 유아교사의 체험 지식을 강조하고, 교사교육의 한 방안으로 구성주의

근을 모색하고 있는 시 에서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

을 것이다. 한 련 선행 연구들(김은주․김은 , 2003; 한미라․서 희․임재택․임부

연, 2007)이 지 한 바 로 1년에 걸친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사례를 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실천해보고 그 경험의 의미와 한계를 밝 볼 필요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 을 가지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가지고 시작되었다.

첫째, 학의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서 텃밭활동은 어떠한 형태로 실천되는가?

둘째, 학 교육과정 내에서 텃밭활동은 비유아교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셋째, 학 교육과정 내에서 실행된 텃밭활동에 해 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어려움

한계는 무엇인가?

Page 4: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2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Ⅱ. 연구방법 차

1. 연구 참여자

연구 참여자는 B시에 소재한 P 학 유아교육과에서 1학기 ‘ 장연구Ⅰ’과 2학기 ‘유아교

육환경론’ 수업을 모두 수강한 비유아교사 17명, 그리고 그 두 과목을 담당한 교수와 이

를 찰, 면담한 연구자이다.

1) 비유아교사

P 학 유아교육과 2학년에 재학 인 학생 가운데 1학기 ‘ 장연구Ⅰ’과 2학기 ‘유아교육

환경론’ 수업을 모두 수강한 17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 다. 모두 여학생이었으며, 농사 경

험이 없는 도시 출신의 학생들이다.

P 학 유아교육과는 생명을 존 하고 자연과 인간의 상생을 추구하는 가치 을 기 로

하는 생태유아교육을 표방하면서 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학생들이 텃밭활동을 경험하도

록 하기 때문에 모든 학생들이 어도 1번은 텃밭활동을 경험하고 있다. 텃밭활동의 특성

상, 씨뿌리기, 물 주기, 김 매기, 수확하기 등 식물의 반 인 성장과정을 경험할 필요

가 있어서 학 2학년 교육과정의 1, 2학기에 걸쳐 두 교과목에서 텃밭활동을 할 수 있도

록 교육과정을 구성한다. 1학기 과목인 ‘ 장연구Ⅰ’는 2학년 학생들이 반드시 수강해야

하는 필수교과이며, 보육시설 참 과 텃밭활동을 병행하도록 설계되었다. 2학기 과목인

‘유아교육환경론’은 공 선택으로, 유아교육 장 참 , 생태유아교육 련 이론 수업

텃밭활동을 병행하도록 되어있다. 1학기 공 필수 과목인 ‘ 장연구Ⅰ’의 수강생은 20명,

2학기 공 선택 과목인 ‘유아교육 환경론’ 수강생은 19명으로, 두 과목을 모두 수강한 학

생은 17명이었으므로 이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 다.

2) 담당교수 연구자

‘ 장연구Ⅰ’와 ‘유아교육환경론’ 수업을 담당한 교수는 P 학 부설 유아교육기 의 원장

이자, 생태유아교육 실천기 에 한 내용으로 박사학 를 취득한 만 46세의 여성이다. P

학 유아교육과에서 2년째 텃밭활동 련 교과목을 담당하고 있다.

연구 장에 한 깊이있는 이해와 객 이고 지인 인 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기

록하기 하여 강의 담당교수는 연구 참여자(informant, research participant)와 공동 연구

Page 5: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학 교육과정에서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한계에 한 질 분석 ․ 21

자(researcher)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연구를 진행하 다. 따라서 연구자의 면담 상

자이면서 참여 찰 행 자의 역할을 하기도 하 다. 이를 통해 연구에 한 객 인 외

부자 과 연구 참여자의 주 인 내부자 을 통합할 수 있도록 하 다(김은

주․김은 , 2003). 담당교수와 연구자는 의회를 통해 정리된 기록들에 해 의견을 나

고 자료 분석에 참여하 다.

2. 텃밭활동 실천 과정

비유아교사들은 2007년 1학기 수업 시작과 함께 담당교수로부터 텃밭활동에 련한

이론 인 강의를 받은 후, 틈틈이 실습장소인 텃밭으로 이동하여 텃밭을 일구는 작업부터

수확까지 직 체험하는 수업을 받았다. 농사를 짓는 텃밭은 P 학의 교외 학교부지로서

학으로부터 유아교육과 실습장소로 인가를 받은 곳이다. 비유아교사들이 주로 생활하

는 학과 건물에서 걸어서 약 10-15분 정도 소요되는 곳에 치하고 있으며, 주변은 주택

가로 조용하고 깨끗하다. 텃밭의 크기는 약 160평 정도이며, P 학 부설 보육교사교육원

학생들과 공동으로 이용하고 있다.

텃밭을 가꾸어 본 경험이 없는 학생들이어서 1학기는 담당교수가 텃밭활동에 직

여해 설명하는 기회를 많이 가졌으나, 2학기에는 이론수업을 병행하기 때문에 개강과

동시에 같이 배추모종과 무씨를 뿌리고 간에 한 두 번 텃밭활동을 함께 하는 외에는

비유아교사들이 자율 으로 텃밭을 가꾸었고 담당교수는 필요시 조언을 하는 형식으로 수

업을 진행하 다.1). 한 1학기는 체 학생들이 함께 텃밭을 가꾸었으나, 2학기는 4조로

나 어 조별로 텃밭을 가꾸었다. 모든 농사는 화학비료나 농약을 사용하는 화학농법을 지

양하고 유기농법에 따라 진행하 다. 동시에 1, 2학기에 걸쳐 비유아교사들은 사 에

배포된 텃밭활동 일지 에 해당 내용을 기록하여 작성․제출하 다. 다음 <표 1>은

련 교과목의 강의 개요이며, <표 2>는 2007년 3월부터 12월까지 이루어진 비유아교사

들의 텃밭활동 실천과정을 간단하게 소개한 것이다.

1) 1학기 과목의 교수목표는 ‘텃밭활동의 이론 기 를 이해하고, 텃밭활동을 체험하고, 발표, 토론해 으로써

생태유아교사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는 것으로, 텃밭활동의 이론 기 실제 농사법을 알아보고, 직

텃밭에서의 실습 체험과 함께 유아교육 장에의 용 을 찾아보는 것이었다. 평가는 포트폴리오 60%, 발

표 토론 20%, 출석 20% 다. 2학기 과목의 교수목표는 ‘생태유아교육 로그램의 철학 토 와 교육내

용, 교육방법, 운 실제(학 편성, 일과운 , 집단구성, 환경구성), 교사역할 등에 한 이해를 도모하고,

장 참 텃밭 가꾸기를 통하여 생태유아교육 로그램을 몸으로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다’로 구성되었다. 평가는 기말고사 40%, 포트폴리오 30%, 발표, 토론 10%, 출석 10% 다.

Page 6: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2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표 1> 1․2학기 련 교과목의 강의 개요

주학기

1학기 강의 개요 2학기 강의 개요

1주 강의 개요 소개오리엔테이션(매주 화요일- 장 참 , 매주

목요일-강의, 수시로 텃밭활동 계속)

2주 텃밭활동 이론 생태유아교육의 개념 체계 생태유아교육과정

3주 텃밭활동 이론 생태유아교육 로그램 계획 운

4주 텃밭 일구기 산책

5주 씨 뿌리기 텃밭 가꾸기

6주 텃밭 돌보기 식생활(요리)

7주 텃밭 련 토론 세시풍속

8주 모종 심기 몸짓놀이

9주 텃밭 돌보기 손끝놀이

10주 텃밭 돌보기 노인․아동, 제․ 약

11주 텃밭 돌보기 명상

12주 수확 요리활동(조별 발표) 미술

13주 수확 요리활동(조별 발표) 생태유아교육 로그램 운

14주 텃밭 돌보기 토론 마무리

15주 토론 포토폴리오 발표․제출기말 고사

장참 보고서 리포터 제출

<표 2> 텃밭활동 실천 과정

시기 텃밭활동 텃밭 추후활동

3월 거름주기, 밭 일구기, 고랑 만들기

4월

상추․쑥갓․열무 씨뿌리기, 감자․

고추․토마토․오이․가지 모종 심

기, 물주기, 김 매기

5월 상추․쑥갓․열무 수확하기

- 상추, 쑥갓으로 요리활동 후 삼겹살 구워 심식

사를 함

- 수확한 상추 쑥갓을 집에 가져가 먹음

6월 감자수확하기, 고구마 순 심기 감자를 수확하여 보 해둠

7-8월 토마토, 고추, 오이, 가지 수확하기- 방학 수확한 것은 P 학 부설 어린이집 유아

들의 간식 부식으로 활용함

9월배추 모종 심기, 무 씨뿌리기, 고구

마 돌보기

- 6월에 수확하여 보 해둔 감자로 유아교육과 학

술제 때 감자튀김 만들어 매함

- 고구마 기 뜯어서 학생들은 왕 만들기, 목걸

이 만들기 등 미술 활동 개하고, 잎은 P 학

부설 어린이집 토끼 먹이 주고, 기는 어린이집

볶음요리 식자재로 활용함

10-11월깻묵 거름 만들기, 거름하기, 물주

기, 고구마 수확하기- 고구마 삶아서 함께 나눠 먹음

12월 무, 배추 수확하기

- 무말랭이 만듦

- 무 잎 씨래기 엮어서 말려둠

- 배추, 무로 김장 담아서 유아교육과에서 마련한 수

육과 함께 다 같이 심을 먹으며 종강 티를 함

Page 7: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학 교육과정에서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한계에 한 질 분석 ․ 23

3. 자료수집 분석

본 연구는 학의 1학기인 2007년 3월부터 6월까지, 2학기인 9월부터 12월까지의 텃밭

활동 실천에 한 것이다. 따라서 이 기간 동안 연구자들은 비유아교사들이 작성한 텃

밭활동 일지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 다. 한 텃밭활동을 참여 찰한 장노트를 수집

하고 분석하 다. 비유아교사 면담은 학기 간 간에 개별 으로 실시하 으나 이는

연구 설계 방향 모색을 해 활용되었으며, 연구결과에 최종 활용된 면담 자료는 주로

1, 2학기의 텃밭활동 경험을 모두 마친 12월에 집단 면담을 통해서 얻어진 것이다. 집단

면담을 활용한 이유는 2학기에 걸친 경험을 회상해 내는데 더욱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

었기 때문이다. 텃밭활동에 해 추가 인 정보를 얻기 하여 강의 담당교수를 상으로

2차례 면담을 실시하 다. 면담의 형식은 처음에는 비구조 이고 개방 인 면담으로 시작

하여 어느 정도 면담이 진행되면 연구문제와 련하여 미리 비한 구조화된 면담지를 활

용하여 진행하 다(Carson, 1986). 구조화된 면담의 주요 질문은 텃밭활동은 어떤 형식으

로 이루어졌나, 본인에게 어떤 의미가 있었는가, 텃밭활동을 할 때 어려운 이나 한계는

없었는가에 한 것이었다. 면담 내용은 사 동의를 얻어 녹음하고 면담이 끝난 후 본

연구자들에 의해 사(transcribe)되었다. 직 면담 후 사하는 과정에서 확인이 필요하

거나 추가 인 내용이 필요할 경우에는 이메일을 통하여 면담을 하기도 하 다.

일반 으로 질 연구에서 자료수집과 분석은 직선 인 선후 계로 이루어지는 분리된

과정이 아니라 순환 인 과정을 밟기 때문에(조용환, 2000; Strauss & Corbin, 1990), 실

험이나 질문지 조사에서와 같이 필요한 자료를 다 수집한 다음 분석에 들어가는 것이 아

니라 어느 정도 자료가 수집되면 그 수 에서 분석을 하고 그 결과에 따라 다시 자료수집

을 확 ․심화하는 방식으로 개하 다. 따라서 면담 참여 찰, 텃밭일지는 분석과

동시에 계속 으로 자료를 수집하기도 하 다.

연구자들은 함께 사된 면담 내용과 학생들이 작성한 텃밭일지를 되풀이하며 읽어나감

으로써 연구문제와 련하여 반복 으로 나타나는 내용들을 찾아내어 정리하 다. 이 게

정리된 자료들은 다시 읽어나가면서 공통 으로 나타나는 단어, 어구, 문장들을 함께 묶

는 유목화 작업을 하 다. 서 번에 걸친 유목화 작업 끝에 각 내용을 포 하면서도 공

통성을 나타내는 제목으로 함께 묶어 정리하 다(염지숙, 2005). 연구자들은 자료분석의

오류를 이기 하여 분석과 해석을 거친 텍스트를 연구 참여자인 비유아교사들과 강

의 담당교수와 공유함으로써 “구성원 검토”(Lincon & Guba, 1985)의 과정을 거쳤다.

Page 8: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2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Ⅲ. 학 교육과정에서의 텃밭활동의 실천 형태

1. 사계 지속 으로 이루어지는 수업

비유아교사들의 텃밭활동은 부터 겨울 수확까지 사계 작물의 성장과 순환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터 여름까지는 상추, 열무, 쑥갓, 감자, 고추, 토마토를

기르고, 여름에 고구마 순을 심어서 가을에 수확을 하고, 가을에 배추, 무 씨앗을 뿌

려서 겨울에 배추와 무를 수확했다. 다양한 작물을 사계 을 통해 1년 동안 길러본 것에

해 비유아교사들은 정 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2학기 때 수강 신청할 때 이 과목이 텃밭활동 한다고 해서 선택했어요. 선배

들이 무 힘들다고 ‘강추’하긴 그 다고 했지만, 그래도 1년은 해 야 된다고 얘

기해주는 선배도 있어서… 하고 보니 1년 해본 게 잘했다 싶어요. 한 학기만 하

고 말았으면 힘들다는 생각만 했을 텐테, 가을 수확의 즐거움까지 느끼고 나니까

마칠 때 아쉽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2007. 12. 12. 학생 면담).

배추와 무를 수확해 김장담기를 하면서 학기를 마쳤고, 텃밭은 다시 조용한 땅

으로 돌아갔다. 수확을 하고 난 뒤의 텃밭은 조국이 망하고 그 잔해 성터만 남은

곳에 와 본 기분이다. 조국의 흥망성쇠에 물을 흩날리는 기분일까. 열무와 상

추씨를 뿌리면서 시작한 텃밭활동은 생명체를 일구어내고 스러져가고, 순

환되고…. 계속 이어져 갈 것이다(2007. 12. 13. 텃밭일지).

학생들은 체로 두 학기에 걸쳐 1년 동안 텃밭활동을 한 것에 만족하고 있었으나, 계

의 순환, 농사의 순환을 느끼기에는 1년이 짧았으며, 2년 정도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

다는 의견도 있었다.

1년만 해 본 게 아쉽기도 해요. 1학년, 2학년. 이 게 2년을 해보면 농사가

뭔지 확실하게 알 수 있을 것 같거든요. 무 많은가(웃음). 아니면, 어도 1학

년 2학기에 해서 2학년 1학기, 다시 2학기 2학기 이 게 해보면 2학년 2학기

때는 두 번째 가을 농사가 되는 거니까 뭔가 계 의 순환을 확실하게 느끼고 시

행착오 했던 것을 내 나름 로 수정해 볼 수 있을 것 같아요(2007. 12. 11. 학

생 면담).

이처럼 비유아교사들은 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두 학기에 걸쳐 사계 지속 으로

이루어지는 텃밭활동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농사의 의미나 계 의 순환, 수확의

Page 9: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학 교육과정에서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한계에 한 질 분석 ․ 25

즐거움 등을 알 수 있게 되었다고 하 다. 이는 수업을 맡은 담당교수의 텃밭활동에 한

면담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진정한 농사 경험은 생태 인 순환 경험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니다. 어떤 사

람들은 여름, 가을에 감자캐기, 고구마캐기 다녀오면 텃밭가꾸기 했다고 자랑을

하는데 그건 일회 인 경험에 지나지 않는다고 요. 직 씨를 뿌리고, 물을 주

고, 김을 매고, 수확해서 요리를 해 보는 것, 그것도 , 여름, 가을, 겨울 사계

을 돌아가며 텃밭 경험을 할 때 제 로 된 텃밭활동을 했다고 볼 수 있지요

(2007. 12. 13. 담당교수 면담).

학생들과 담당교수의 면담에서 확인해 볼 수 있듯이, 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이루어진

텃밭활동은 한 한기에 그치는 활동이 아니라 두 학기에 걸쳐 사계 의 경험을 담아내고

있었다.

2. 강의시간과 강의실을 벗어나는 수업

비유아교사들의 텃밭활동은 강의시간과 강의실을 넘어서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학

의 수업들은 주로 강의실에서 강의시간 내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강의실이 아닌 텃밭에 가

서 수업을 하고, 강의시간이 아닌 시간에 개별 으로 텃밭에 가서 활동을 해야 텃밭일지

를 쓰고 학 을 받는 것에 해 처음에는 낯설어 했으나, 그 속에서 해방감, 자유로움,

책임감 같은 것을 느껴가고 있었다. 한 학교 부지이긴 하나, 학교 건물 밖에 치한 텃

밭은 학과 건물에서 10-15분 정도 걸어서 가야 하는 곳이기 때문에 학생들은 처음에는 이

를 무척 힘들어하 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학생들은 오히려 학교 밖을 벗어나는 기분, 놀

러 가는 기분이었다고 회상했다.

텃밭이 좀 멀긴 멀어요. 근데, 제 생각에는 멀리 있어서 더 좋은 도 있는 것

같아요. 왠지 학교 밖으로 나가니까 학교를 벗어나는 느낌, 그래서 더 자유로운

느낌이었어요. 수업 틈틈이 비는 시간에도 가고, 수업 마치고 집에 가는 길에 들

리기도 했어요. 사실 다른 수업은 강의시간만 하면 땡인데, 이건 수시로 가야 하

니까 학 으로 따지만 엄청난 시간을 투자하는 거지요. 처음에는 학 따야 하니

까, 텃밭일지를 써야 하니까 하는 의무감으로 갔는데, 그런 의무감은 없어

지고 작물이 조 씩 자라는 걸 보니까 꼭 한번은 들러야 된다는 생각이 들었어

요. 수업 시간 이외에 내 스스로 선택해서 가야 된다는 사실이 더 강한 애착과

책임감을 느끼게 된 것 같아요(2007. 12. 12. 학생 면담).

Page 10: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2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강의실에서 텃밭활동을 이론 수업을 마친 후, 텃밭 일구기를 하러 텃밭으로 가

자고 하자, 학생들은 일제히 “와!”라고 작은 환호성을 지른다. 텃밭으로 가는 도

에도 밝은 표정으로 재잘거리며 친구들과 이야기를 한다(2007. 3. 23. 참여

찰).

학생들에게는 텃밭활동이 생소할 텐데, 일단 강의실을 벗어나 텃밭으로 향할

때의 표정을 보면 정말 살아있다는 느낌을 받아요. 텃밭에서 밭을 매고, 씨를 뿌

리고, 돌볼 때도 서투르긴 해도 아이로 돌아간 듯한 천진난만함을 볼 수 있어 지

도하는 로서는 신명이 나지요(2007. 12. 13. 담당교수 면담).

이처럼, 비유아교사들은 수시로 텃밭에 들리면서 강의시간과 강의공간을 넘어서서 텃

밭활동을 실천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흐름은 자연스럽게 학의 수업을 넘어 가정으로까

지 확장되고 있었다.

상추를 조 가지고 갔더니 우리 엄마가 신기하 요. 제가 키웠다는 게 신기하

신가 요. 어디 가서 이런 거 배우겠냐고, 참 좋은 거 한다고 얘기해 주시니까

제가 막 신나더라구요. 그래서 엄마한테 텃밭이야기를 자주 해드려요. 교수님들

하고 김장해서 같이 심도 먹었다고 하니까 진짜 멋지다고 하시 요. 다른 과

친구들도 우리 과 보면 농사짓는다고 웃기 요. 그래도 조 은 부러워하는 치

기도 해요. 선생님 하려면 필요하겠다고 하면서요(2007. 12. 15. 학생 면담)

집에서 엄마가 작물을 몇 가지 기르는 것을 본 이 있었다. 하지만 농사를 어

떻게 시작해야 할 지 몰랐는데, 직 해 보면서 “아! 다른 것도 해 볼 있겠다”라

는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집에서도 콩도 심고, 도 심었다((2007. 5.

7. 텃밭일지).

비유아교사들은 학교에서의 텃밭활동을 경험과 가족과 친구들과 공유하기도 하고, 집

에서 직 스스로 작물을 길러보기도 하면서 강의시간과 강의실이라는 수업 상황이 아닌

일상 인 경험으로 연결시켜 나가고 있었다.

3. 지도교수 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도 배우는 수업

비유아교사들의 텃밭활동은 1학기 때는 체가 같이 하는 형식으로 시작하여 2학기

때는 4-5명씩 조를 나 어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나갔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담당교수 뿐 아니라 친구들에게서도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회상했다.

Page 11: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학 교육과정에서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한계에 한 질 분석 ․ 27

는 조원들의 도움이 가장 크다고 생각됩니다. 특별한 날짜를 정하지 않고도

틈틈이 자기 시간 날 때마다 텃밭을 찾아가서 물도 주고, 보살펴주고 하는데, 텃

밭에 갈 때마다, 그리고 배추에게 크고 작은 일들이 있을 때마다 조원들에게 이

야기를 했고, 서로 그런 이야기들을 나 는 게 우리 배추를 쑥쑥 자라게 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던 것 같아요. 서로 책임을 미루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식처럼

돌보고 아끼고, 구 배추, 내 배추, 니 배추 하는 게 아니라~ 우리 배추 우리

배추 하면서 조원들 한사람 한사람이 배추를 아끼고 잘 돌본 것이 한 학기 동안

텃밭을 가꾸면서 가장 많은 힘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2007. 12. 26. 학생 면담).

비유아교사들은 도움을 많이 사람으로, 같은 조 친구 이외에도 집 아주머니와

청소 아주머니를 기억하고 있었다.

텃밭 농사에 제일 도움이 된 사람은 아무래도 우리 건물을 청소해 주시던 아주

머니하고 이웃 주민들이었던 것 같아요. 텃밭 농사를 짓기에는 아직은 무 서투

르고 모르는 게 많았었는데 가끔씩 만나는 아주머니께서, "배추는 지 은 물을

많이 줘야 되고 고구마는 빨리 수확을 해야 하니까. 얼른 해라" 하고 말 해 주

시지 않으셨다면 아무도 그 시기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몰랐을 거 요. 자주

물을 주러 오시고 농사를 도와주시기도 하셨구요. 집 아주머니께서도 겨

울 그것도 한밤 에 배추에 한 사랑이 과해 물을 주려고 온 희를 말려 주셨

거든요. 그런 걸로 서 아무래도 도움이 된 사람은 이웃에 있는 사람들이었던

걸로 생각되고요. 교수님께서 수업시간에 말 하셨던 공동체 심의 교육이 생각

났는데, 옛날 마을에서 이루어지던 교육을 생태에서 재 한다고 했는데 유아교

육기 에서 텃밭 농사를 아이들과 지으면서 분명히 그런 것을 재 할 수 있으리

라는 생각도 했었어요(2007. 12. 24. 학생 면담).

1학기에 텃밭활동을 할 때는 청소 아주머니께서 가장 많은 도움을 주셨어요.

작물들을 어떻게 가꾸어야 하는지 모르는 백지상태 는데, 텃밭에 내려갈

때 우연히 아 마를 만나게 되면 "이런 거는 이 게 솎으면 된다." 라는 식으로

직 시범도 보여주시고 하나하나 가르쳐 주셨거든요. 그리고 우리가 실수로 농

사를 망쳐놓을 때면 아주머니께서 다시 살려주시곤 했는데, 쑥갓인가 무인가 정

확히 생각은 나지 않지만 씨를 잘못 뿌려가지고 아주머니께서 새로 심어주셨던

기억이 나요. 그리고 이번에 배추 농사지을 때도 우리가 배추를 언제, 어떻게 묶

어야 할지 고민하다가 시기를 놓치고 있을 때에도 아주머니께서 오셔서 묶어주

시고 가셨어요. 우리에겐 숨은 텃밭 선생님이셨는데 지 은 다른 건물에 계셔서

무 아쉽고 그리워요(2007. 12. 24. 학생 면담).

학생들과 담당교수가 고추, 토마토, 오이 모종을 심고 있자, 텃밭 집 아주머

니가 다가온다. 집 아주머니가 “고추 모종 어디에서 구했어요?”라고 묻자, 담

당교수는 “오시게 장에서 샀어요”라고 답한다. 집 아주머니는 “내년에는

Page 12: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2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한테 이야기하세요. 진짜 맛있는 고추 모종이 있거든요. 그리고 고추 지지 와

묶는 끈도 밖에 오래 있어도 상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 드릴게요”라고 한다. 고추

모종을 심는 학생들에게 고랑에 구멍을 고 거름을 넣어서 심으면 된다고 설명

하면서 직 심는 방법을 시범 보이기도 한다(2007. 4. 20. 참여 찰).

학의 수업들은 한 과목당 담당교수가 있고, 주로 한 사람에게서 지도를 받는데 비해,

텃밭활동에서 비유아교사들은 강의시간에 교수로부터 배우는 수업에서 나아가 친구들이

나 주변의 여러 사람들에게서 더 많은 지식을 배워나가고 있었다.

4. 단계 으로 근하여 삶으로 연결되는 수업

1학기에는 어깨 머로 농사짓는 법을 배우는데 을 두었다면, 2학기에는 조별로 씨

뿌리기부터 수확해서 요리하는 단계까지 자율 으로 실천해 보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

고 있었다. 특히 텃밭활동을 다 같이 하다가 조별로 하게 된 것에 해 비유아교사들은

정 으로 기억하고 있었다.

조별로 텃밭활동을 하니까 참 좋았어요. 솔직히 1학기 때는 다 같이 하니까

별로 주인의식이 없었는데, 조별로 하니까 은근히 비교도 되고, 우리 꺼다 생각

하니까 더 잘 키우고 싶고 책임감도 들고, 내가 열심히 안 하면 같은 조 친구들

한테 피해를 주는 거니까 미안해서라도 한 번 가게 되고, 그러다보니 더 많이 배

우게 된 것 같아요(2007. 12. 12. 학생 면담).

비유아교사들은 텃밭 농사를 직 짓고 수확한 작물을 축제 때 먹을거리 마당에서 만

들어 매를 하거나 직 요리를 해서 먹기도 하 다. 수확한 것을 직 요리해 먹는 것

에 해 담당교수와 학생들은 매우 정 인 반응을 보 다.

유아교육 장에서 이루어지는 텃밭교육이 부분 한두 가지 작물을 심어 놓

고, 성장과정 찰하고, 몇 센티가 자랐는지 찰일지 쓰거나 텃밭 작물을 이용

한 로젝트식 수업을 하는 것이 부분입니다. 텃밭활동에서 가장 요한 것은

텃밭이 자신의 삶 속에 들어오도록 하는 것입니다. 자연과 내가 하나 되는 경험

을 하지 않았다면 텃밭 교육은 제 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니다. 그래서 학생

들이 직 씨를 뿌리고, 물을 주고, 김을 매면서 정성을 쏟고, 직 수확해서 요

리해서 먹는 경험까지, 즉 학생들 삶 속에 들어있는 활동이 되도록 하는데

을 두었어요(2007. 12. 13. 담당교수 면담).

Page 13: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학 교육과정에서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한계에 한 질 분석 ․ 29

학생들은 텃밭에서 수확한 상추와 쑥갓을 어린이집 놀이터 수돗가에서 씻는

다. 다른 조원들은 놀이실에 상을 펴고, 반찬과 삼겹살 구울 비를 한다. 학생

들 각자가 싸 온 밥과 반찬, 어린이집에서 비한 장과 국과 함께 텃밭에서 수

확한 상추와 쑥갓을 구운 삼겹살에 싸서 먹는다(2007. 5. 18. 참여 찰).

내일 담 김장을 해서 오늘 수확한 배추를 인다. 담당교수가 배추 자르는

방법을 가르쳐 주자 학생들이 돌아가며 따라 자른다. 소 물을 만들어 놓고 자른

배추를 소 물에 담가서 인다. 깍두기 담 무를 썰어서 소 에 인다. 학생

들은 “우리 지 결혼해도 되겠다”라며 즐거워한다(2007. 12. 07. 참여 찰).

이러한 담당교수의 의도가 학생들에게 그 로 달되었는지 비유아교사들은 텃밭활동

을 수업이 아닌 자신의 생활로 연결짓고 있었다.

키우기만 했으면 그 재미를 덜 느 을 것 같아요. 우리가 키운 걸 수확해서 직

먹어본 경험이 무 좋았어요. 특히 감자 수확해서 학술제 때 감자 부쳐서

팔았는데, 다른 과 다니는 친구들이 맛있다며, 진짜 니가 키운 거 맞냐고 하면서

잘 먹는 걸 보니까 흐뭇하더라구요. 그리고 며칠 에 배추 뽑아 와서 이고,

그 다음날 김장하고 깍두기 했잖아요. 정말 맛있었어요. 이제 시집가도 제가 할

수 있을 거 같아요(2007. 12. 11. 학생 면담).

제가 직 채소를 키워보니까 채소값이 무 싸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채소는 하

잖게 생각하고 막 깍아달라 하고 더 달라고 하는데 그러면 안 되겠다고 생각했어요.

먹을 때 하나라도 남기면 안되겠구나 싶기도 하구요(2007. 12. 12. 학생 면담).

이처럼, 학생들은 텃밭활동을 하나의 지식으로 받아들이기보다 생활 속에서 채소를

하는 마음이 달라지고, 요리를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농사를 지어보고 싶다는

열의를 나타내는 등 자신의 삶 속으로 텃밭활동을 연결짓고 있었다.

Ⅳ. 텃밭활동 실천이 비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

1. 살아나는 감각

학생들은 텃밭활동을 통해 자신들의 감각이 살아난 것 같다고 했다. 태양의 느낌, 풀,

흙냄새, 거름냄새와 감 이 싫지 않고, 상추나 쑥갓의 향기가 좋아졌으며, 배추나 무의

Page 14: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3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살한 맛의 의미를 알게 되었다고 하는 등 건강한 후각, 미각을 되찾고 있었다.

한 학생이 코를 토마토 모종에 갖다 고는 “아, 토마토 냄새다”라며 고함을 지

른다. 그러자 오이와 고추 모종을 갖고 있던 친구들도 연달아 냄새를 맡으며 즐

거워하고 있다(2007. 4. 20. 참여 찰).

오늘따라 특히 냄새 많이 나는 닭똥 거름도 희 열무를 만난다고 생각하니 향

기롭게 느껴진다. 튼튼하고 풍성하게 자란 희들은 싱그럽고 멋진 모습이다. 이

게 뜨겁게 내리 는 햇볕 아래 희들에게 시원한 물을 부어줬는데, 어 나

희들이 늠름해 보이든지. 아무튼 오늘 희들 덕분에 집으로 돌아오는데 내내 흐

뭇한 마음에 발걸음이 가벼웠어(2007. 4. 27. 텃밭일지).

학생들이 텃밭에서 수확한 상추와 쑥갓을 먹으면서 어릴 할머니집에서 먹

었던 채소 맛을 기억해 내거나 김장때 배추와 무를 이면서 생무를 잘라 먹기도

하고, 인 배추잎을 떼서 먹으면서 ‘이 맛이야!’하며 환호성을 지르기도 했어요.

어릴 몸속에 배인 ‘맛의 고향’을 되살리는 모습을 보면서 참 뿌듯했어요

(2007. 12. 13. 담당교수 면담).

처음에는 텃밭에 내려가는 것 자체만으로도 몸 체에 힘이 쫙 빠졌어요. 하루

종일 빡빡한 수업을 듣고 내려가자니, 이미 체력이 소진된 상태에서 텃밭에서 일

까지 하려니까 몸에 무리가 온 거죠. 그땐 텃밭도 얼마나 넓어보이던지. 하지만

6~7개월이 지나니까 농사를 하는 것도 어느 정도 몸에 익숙해지고 텃밭에 내려

가는 것도 습 이 되다 보니 내가 작물들에게 힘을 쓴다기보다는 오히려 록빛,

란 작물들에게서 에 지를 충만하게 받고 가는 것 같은 느낌! 흙을 밟고, 만지

고, 흙 특유의 향 한 내음을 맡으니 더욱 건강해지는 것 같구요(2007. 12.

24. 학생 면담).

이처럼, 학생들은 텃밭에서 자라는 토마토, 오이, 고추의 냄새를 맡으며 잊 졌던 자연

의 향기를 되찾고, 수확한 작물로 요리를 하면서 자연의 맛을 즐기기도 하 다. 그 외에

도 주변의 흙, 태양, 다양한 작물과 자연환경을 통하여 오감각이 살아나는 경험을 하고

있다. 감각이 되살아나면서 학생들은 자신들의 몸도 이 보다 건강해져 간다고 느끼고 있

었으며, 이 에 해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돌보는 마음

비유아교사들은 텃밭활동을 통해 작물을 기르고 돌보면서 ‘엄마의 심정’을 느끼고, 나

아가 유아교사는 엄마 같은 사람이 되어야 하며, 아이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생명을 돌

Page 15: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학 교육과정에서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한계에 한 질 분석 ․ 31

보는 마음으로 근해야 함을 깨닫고 있었다.

텃밭활동을 하면서 엄마의 뭉클한 마음을 느낄 수 있었어요. 씨를 뿌리고, 모

종을 심어서 거름을 주고 물을 주니 커가는 작물들을 보면서 ‘아 우리 엄마

도 나를 정성으로 키우고, 내가 커가는 모습들을 볼 때 이런 느낌이셨겠구

나.' 라는 생각들을 하곤 했어요. 큰 작물을 수확할 때는 마음 속 한 언 리가 뭉

클해지면서 울컥하기도 하고(2007. 12. 24. 학생 면담).

조그맣던 배추들이 자라는 모습들을 지켜보면서, 비유아교사로써의 마음가

짐을 다질 수 있었는데요. 단순히 아이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생명을 돌본다

'는 의미를 깨닫게 된 게 이번 학기동안 가장 큰 성장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텃밭

을 가꾸는 것과 아이를 돌보는 것이 비슷하다는 생각을 많이 했어요(2007. 12.

24. 학생 면담).

아, 씨앗을 심고 난 이후 처음으로 텃밭에 갔다. 세상에! 싹이 났다. 새들의

공격에도 잘 견뎌 땅을 뚫고 나온 것이 희란 말이지? 아, 열 달을 밴 아기를

낳았을 때 이와 비슷한 느낌이겠지?…( 략)…어쩌면 내가 오늘 텃밭을 들어서

는 순간부터 나를 알아보고 이 아이들이 웃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그리곤 바람

에 살랑살랑 몸도 흔들어 주고…(2007. 4. 6. 텃밭일지)

한 비유아교사들은 텃밭활동을 통해 작물을 돌보고 가꾸는 마음에서 나아가 생명과

소통하고 교감하는 마음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비유아교사들은 종종 밭의 작물을 향해

마음을 시나 이야기로 기록하 는데, 그 일부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흙의 노래

내 품에 안긴 쁜 아가들아 / 이제는 깨어날 시간이야 /

어서 일어나자꾸나 / 희를 비쳐주는 태양에/ 얼굴을 내 어 웃어보렴 /

어서 인사하자꾸나 / 푸르른 미소를 마음껏 보여다오 /

희의 어미가 되어 게/ 싹을 틔우자꾸나(2007. 4. 12. 텃밭일지).

“자연과의 교감이 이런 거구나”, 성취감, 보람을 느낀다. 친구들도 나와 같은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큰 배추 에 있는 작은 배추를 보면 무 안

타깝다. 그래서 기도도 하고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2007. 12. 1. 텃밭일지).

텃밭을 찾는 날이면 기분이 좋다. ‘식물은 자신을 찾아주고 돌 주는 사람들의

발자국 소리를 듣고 자란다’는 이야기처럼, 밭고 작물들에게 그동안 있었던 일들

을 주 주 털어놓았다. 알게 모르게 어느 순간부터 텃밭의 작물은 나의 다

른 친구가 되었다. 물론 그들이 나에게 무슨 말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자리에

서 묵묵히 이야기를 들어주는 존재…(2007. 4. 25. 텃밭일지).

Page 16: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3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이처럼, 비유아교사들은 텃밭활동을 통해 처음에는 작물을 길러보는 경험을 함으로써

인간으로서 작물에 도움의 손길을 주는 것에 기뻐하는 단계를 거쳐, 차 작물과 서로 소

통하고 교감을 하게 됨으로써 자신이 베푸는 상이 아니라 작물과 자신을 같은 생명체로

인식하는 단계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맑아지는 마음

비유아교사들은 텃밭활동을 하면서 처음에는 작물을 가꾼다고 생각했는데 차 오히

려 자신이 도움을 받아서 마음이 맑아지는 것 같아서 좋았다고 하 다.

처음에 텃밭 가꾸기를 시작했을 때, “내가 이 게 열심히 공부해서 학에 왔

는데, 왜 텃밭에 가야하나”라는 의구심이 일었다. 처음에는 텃밭에 갔다 오면

무 피곤했었는데, 갈 때마다 마음이 달라진다. 처음에는 내가 텃밭에 에 지를

주었다면 이제는 내가 에 지를 받아오는 것 같다(2007. 11. 3. 텃밭일지).

텃밭에 한 번 가기는 힘들지만, 한 번 시작하면 깊이 빠진다. 호미를 한 번 들

고 잡 를 뽑다보면 집 이 되고 끝낼 수가 없다(2007. 10. 27. 텃밭일지).

한 학생들은 텃밭활동을 통해 행복을 느끼고 마음의 평화를 깨닫고 정서순화 경험하

는 등 정 인 의미에서의 감정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정서순화라고 하죠. 우선 텃밭에 가면 마음이 편안해져요. 공부와 포트에 시

달렸던 스트 스들, 인간 계에서 빚어진 여러 찝찝한 감정들. 그런 부정 인 마

음들을 모두 텃밭에서 털어내 버리고 가는 느낌. 잡 를 힘껏 뽑으면서 삽질을

하며 흙을 뒤엎으면서 그 게 외 으로 스트 스를 풀기도 하고, 그냥 작물을 바

라보면서 마음속으로 이야기를 하기도 하고. 작물은 말없이 그냥 다 들어주니까

요(2007. 12. 24. 학생 면담).

제일 많은 변화가 온건 이 마음에서부터인 것 같아요. 자연의 소 함도 깨닫고

자연의 단함. 그리고 생명의 힘. 그 모든 것을 알고 느낀 것이 마음이니까요.

( 략) 내 힘보다는 자연의 힘에서 느껴지는 그 기 은 느껴본 사람만이 알거라

고 생각돼요. 물론 이 조그만 텃밭 농사를 짓고 농부의 마음을 다 알았다고 하면

그 분들의 땀의 가치를 작게 만드는 것 같아 죄송하지만, 어렴풋하게나마 그 마

음을 알 것 같아요(2007. 12. 24. 학생 면담).

Page 17: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학 교육과정에서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한계에 한 질 분석 ․ 33

이 듯 학생들은 텃밭활동을 통해 육체노등을 하면서도 오히려 여러 가지 생각을 하는

기회를 갖게 됨으로써 마음이 편안해지고 맑아지는 경험하고 있었다. 교사교육에 있어

성을 강조하거나 명상이 효과가 있음을 지 한 김정신(2004)과 정윤경(2006)의 연구와 연

결지어볼 때 비유아교사에게 텃밭활동이 그 해답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Ⅴ. 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텃밭활동의 어려움과 한계

1. 경험과 지식의 부족

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텃밭활동을 처음으로 해본 비유아교사들에게 있어서 텃밭

활동은 낯설고 두려운 경험이었다. 이에 해 담당교수는 학생들의 경험 부족을, 학생들

은 자신들의 지식 부족을 원인으로 들었다.

비유아교사들이 호미와 삽으로 밭을 일구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의욕을 갖

고 시작하다가 이내 여기 기서 힘들다는 소리가 난다. “삽질, 장난 아니에요”라

거나 팔과 다리가 아 다고 호소하기도 한다(2007. 3. 28. 참여 찰).

처음 학생들을 텃밭으로 데려가 보면 흙을 밟는 것조차 부담스러워합니다. 게

다가 거름 냄새도 싫어하죠. 농사를 하지 않는 환경에서 자란 탓이겠지요. 이

에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텃밭활동에 익숙해지는 데는 시간이 걸립니다

(2007. 12. 13. 담당교수 면담).

토마토, 오이, 고추, 가지 모종을 비해서 텃밭으로 간다. 비유아교사들이

각자 원하는 작물의 모종을 심을 비를 한다. 한 학생은 모종을 담은 까만 라

스틱 컵도 같이 심다가 담당교수의 지 을 받는다. 히 라스틱 컵을 빼내고

모종을 심고 있다(2007. 4. 20. 참여 찰).

작물들만큼이나 건강하게 자란 잡 들을 한가득 뽑아서 버렸다. 그런데 텃밭

을 처음 가꿔보는 거라서 뭐가 작물인지 잘 알지도 못하고, 구별도 못해서 갑갑

했다. 군가가 좀 가르쳐줬으면 좋겠다(2007. 4. 14. 텃밭일지).

무 문지식 없이 텃밭을 시작한 거 같아요. 낮에 물을 주고 있으니까 지나

가던 아주머니가 낮에 주면 안 된다고 아침 일 주거나 오후에 주라고 하시더라

Page 18: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3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구요. 그리고 깻묵을 만들었는데 언제 주는지 몰라서 때를 놓쳐버렸어요. 조

알고 시작했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2007. 12. 11. 학생 면담).

이에 해 한 학생은 학생과 담당교수가 함께 수업을 계획하고 텃밭활동에 필요한 지식

을 공부하면서 텃밭활동을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아이디어를 냈다.

텃밭활동을 계획하는 단계부터 교수님과 학생이 함께 하면 좋을 것 같아요. 무

엇을 심을지 함께 정하고 같이 모종을 구입하러 가면, 모종 는 집에서 구입하

면서 물어볼 수도 있으니까 좋을 것 같아요. 그러면 좀 더 텃밭활동을 극 으

로 할 수 있을 것 같아요(2007. 12. 11. 학생 면담).

이처럼, 비유아교사들은 작물재배에 한 자신들의 지식과 경험 부족으로 인하여 사

지식 없이 텃밭활동을 시작한 것에 해 아쉬워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텃밭활동을 계획할 때 텃밭활동에 한 이론 지식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2. 시간의 부족과 평가에 한 갈등

비유아교사들은 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텃밭활동을 하는 것에 해 정 으로 인식

하면서도 한 교과목에서 다루기에는 할 것이 많고 여름방학 때도 해야 된다는 시간 인

부담감이 크고, 공간 으로 볼 때 텃밭이 학교 건물 밖에 있기 때문에 가기에 멀다는

등에 해 어려움을 토로하 다.

솔직히 텃밭활동은 시간이 무 많이 들어요. 수업은 따로 진행되고 틈틈이 시

간 날 때 개인 으로 텃밭에 가야 되고. 가기도 먼데다가 한 번 텃밭에 가면

어도 30분에서 1시간 정도는 들거든요. 발표나 리포트가 있을 때는 가지 말까

갈까 정말 고민되거든요. 게다가 갔다 오면 끝나는 게 아니라 텃밭일지도 써야

되거든요. 텃밭일지 쓰는 거 솔직히 무 힘들었어요. 텃밭을 하면서 느낀 생태

감수성이 오히려 없어지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했어요(2007. 12. 11. 학생

면담).

이처럼, 학생들은 바쁜 학사 일정 속에서 텃밭활동을 소화해내기 힘들어하고 있었다.

한 이 게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인 일이 학 으로 평가받는 것에 해 불만을 토로하

는 학생이 많았다.

Page 19: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학 교육과정에서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한계에 한 질 분석 ․ 35

교수님이 아니라고는 하셨지만, 수확한 결과로 평가받는 것 같아 속상했어요.

○○조는 진짜 열심히 했거든요. 근데 우리 조보다 배추가 잘 안 자랐더라구요.

괜히 미안하기도 하고, 우리 배추들이 고맙기도 하고. 잘 된 우리 조는 다행이지

만, 열심히 하고도 잘 안 된 조들이 자기들 학 못 받는 거 아니냐며 속상해 하

는 걸 보니까 이건 아니다 싶었어요. 모두가 열심히 했고 텃밭활동을 좋은 경험

으로 가지려면 어도 텃밭활동과 학 은 구분되어야 된다고 요. A, B, C 같

이 등 을 나 기보다는, 참여했으면 모두 A를 줘야 된다고 생각해요(2007.

12. 11. 학생 면담).

이처럼, 학생들은 바쁜 학사 일정 속에서 텃밭활동을 소화해내기 힘들어하고 있었다.

한 이 게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인 일이 학 으로 평가받는 것에 해 불만을 토로하

는 학생이 많았다.

Ⅵ. 논의 제언

본 연구는 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실시해본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경험을 질 연구

방법을 통해서 살펴 으로써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경험이 학의 교육과정에서 어떻

게 드러나며, 비유아교사에게 텃밭활동의 의미와 한계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는 목

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서 텃밭활동은 사계 지속 으로,

강의실과 강의시간을 넘어서서, 지도교수뿐 아니라 주변의 여러 사람들에게 배워가며, 단

계 으로 삶으로 연결되는 모습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텃밭활동은 비유

아교사의 감각을 살아나게 하고 돌보는 마음, 맑아지는 마음을 경험하게 해주었다는 에

서 의미가 있었으나, 농사경험과 지식이 부족하다는 , 시간을 많이 할애해야 한다는

, 공간상의 열악함 등은 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해결해야 될 한계로 지 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심으로 몇 가지 사항을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유아교사양성을 한 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텃밭활동을 계획할 때에는 한 학기

한 과목이 아니라, 두 학기 두 과목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 비유아교사들의 면담에도

나타났듯이 1학기에는 텃밭활동에 해 낯설고 두려운 느낌을 갖고 있었으나(한미라․서

희․임재택․임부연, 2007) 차 익숙해지면서 삶으로 연결지어 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일회 인 텃밭경험이 아니라 농작물의 순환을 경험할 수 있도록 사계 을

체험하는 방식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Page 20: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3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둘째, 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텃밭활동 실천은 실제 경험과 함께 기본 인 농작물

리에 한 이론 지식에 한 비가 요구된다. 이는 임부연․최남정․박향원의 연구

(2008)에서도 지 되었듯이 학생들은 더 나은 텃밭활동이 되도록 하기 해서 이론 지

식에 한 필요성을 제안한 바 있다. 최근의 교사교육에서는 교사 스스로 구성해 가는 구

성주의 에서 실천 지식을 강조하고 있으나, 연구결과 비유아교사들은 기본 인

농사기술이나 지식에 한 정보가 부족한 것을 텃밭활동의 한계나 어려움으로 지 하고

있었다. 따라서 텃밭활동을 지도하는 교수는 이에 해 사 에 계획하고 실행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들이 실제 농사경험을 가진 주변인들에게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는 을

기억하고 주변의 인 자원을 극 수업의 장에 동참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

가 있다고 본다.

셋째, 텃밭활동이 비유아교사에게 유용하고 즐거운 경험이 되도록 하기 해서는 작

물재배가 수확, 요리활동으로 이어지도록 교육과정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비유아교사들은 아이들과 상추 티를 한 것이나 김장해서 같이 밥을 먹은 경험을 매

우 정 으로 기억하고 있었다. 따라서 텃밭활동 수업을 계획할 때에는 어떤 작물을 언

제 심고, 언제 수확하며, 수확한 것으로는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한 구체 인 계

획이 필요하며 이에 해 학과의 조를 요청하거나 부속유아교육기 과 공동 논의를 하

는 등 다각 인 근이 요구된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 을 지 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추후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

다. 첫째, 여러 학의 유아교사 양성 로그램에서 텃밭활동을 시도해보고 그 용사례

를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상 학인 P 학 유아교육과는 비교사 양성을

해 텃밭활동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에 해 임교원 원이 공감하고 학과에서 극

으로 도움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비유아교사를 해 텃밭활동이 유용함을 인

식하고 실천하고 싶으나 텃밭 마련, 련 교과목 배정 등 실 인 어려움에 부딪 서

용하기 힘든 경우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학의 상황 속에서 텃밭활동을 용해

보고 그 사례를 밝힌다면 비유아교사를 한 텃밭활동의 개에 보다 유용한 아이디어

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단된다. 둘째,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경험을 내러티

연구방식으로 근하여 텃밭활동의 의미를 보다 심도있게 다루어보는 연구도 설계해 볼

만하다. 본 연구는 텃밭활동을 포함하고 있는 두 학기의 해당 교과목을 모두 수강한 17명

의 비유아교사와 그 담당교수를 면담하고 텃밭일지를 분석하고 참여 찰한 것으로써

학 교육과정 내에서 텃밭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해 체 인 조망을 하고자 하

다. 그러한 과정에서 비유아교사 개개인의 목소리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한 이 있

Page 21: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학 교육과정에서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한계에 한 질 분석 ․ 37

다. 한 본 연구에서 밝힌 텃밭활동의 의미가 비유아교사들에게 지속 인 향이 있을

것인가, 학 교육과정 내에서의 텃밭활동 경험이 학을 졸업하고 유아교사가 되었을 때

어느 정도 향을 미칠 것인가에 한 연구나 질 연구방법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양

근도 필요하리라고 본다. 따라서 연구 설계 과정에서부터 비유아교사의 연구 참여

의사를 묻고, 이들과 함께 텃밭활동을 개해나가면서 그들의 이야기를 직 이끌어내는

내러티 인 연구방법을 장기 으로 용하여, 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비유아교사를

상으로 하는 텃밭활동의 의미를 좀 더 심도있게 조명해볼 필요가 있겠다.

Page 22: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3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참 고 문 헌

김병찬(2000). 교사교육에 한 구성주의 근. 교육행정학연구, 18(4), 275-304.

김은 (2002). 버클리 푸드 시스템에 한 고찰. 생태유아교육연구, 1(1), 75-101.

김은주․김은 (2003).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에 한 문화기술 사례연구. 생태유

아교육연구, 2(1), 119-140.

김정신(2004). 명상을 통한 유아교사교육의 가능성 모색. 유아교육학논집, 8(1), 51-

73.

박선미․조희숙․임부연(2007). 텃밭활동에 나타난 비유아교사의 지식 변화의 의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389-416.

손지 (2005). 구성주의 근을 통한 교사교육의 방향. 홀리스틱교육연구, 9(9),

17-32.

염지숙(2005). 유아교육 장에서 돌 의 실천과 한계. 유아교육연구, 25(5), 147-171.

임부연․최남정․박향원(2008). 비유아교사를 한 텃밭 로그램 모형개발 연구. 유아교

육학논집, 12(1), 135-164.

임재택(2008). 생태유아교육개론-제3 . 경기: 양서원.

임재택․하정연․조채 ․노진형․홍정애․강 진․김미옥(2000). 선생님! 텃밭가요!.

경기: 양서원.

조용환(2000). 질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정윤경(2006). 교사교육과 성. 교육철학, 36, 171-196.

조형숙․김 주․박은주․김민정(2005). 유아교사의 자연친화 교육활동 경험의 의미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9(1), 157-178.

최양미(2002). 생태유아교육을 한 교사교육의 근 방안 모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1),

103-119.

한미라․서 희․임재택․임부연(2007).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체험의 의미. 유아교육

학논집, 11(1), 29-63.

한미라․임재택(2008). 자연친화 교육활동에 한 비유아교사 인식 형성의 패러다임

의미 탐색- 텃밭활동에 한 인식을 심으로. 생태유아교육연구, 7(1), 171-203.

Carson, T. R.(1986). Closing the gap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Conversation as

a mode of doing research. Phenomenology + Pedagogy, 4(2), 73-85.

Page 23: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학 교육과정에서 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한계에 한 질 분석 ․ 39

Coffey, A.(2001). Transforming school grounds. In Grant, T. & Littlejohn, G.

(Ed.). Greening School Grounds: Creating Habitats for Learning, (pp. 2-4).

CAN: New Society Publishers.

Kim, E. J., & Lim, J. T.(2007).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A New Paradig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 Korea. Young Children, 62(6), 42-45.

Lincon, Y. S., & Guba, E. G.(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

Sage.

Satkofsky, A.(2002). The edible schoolyard sets an example. In Business. 24(3). 19-

20.

Strauss, A., & Corbin, J.(1990).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Sage.

Page 24: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 · 면담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예비유아교사들은

4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2호

Abstract

Meanings and Difficulties of Vegetable Garden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un-Ju Kim ․ Jeong-Yeon Ha

This study explore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vegetable gardening

experiences in university and examines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ose experiences.

In this study, we interviewed 1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 professor

during a 10-month period.

Two meaning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vegetable gardening were

delineated: meaning as physical health and meaning as mental health. The former meant

the process of growing physical sense. The other meant the process of caring mind,

feeling happiness and cleaning spirit. During the interviews,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ported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vegetable gardening.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that one of the best ways to improve ecological

literacy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s to include vegetable gardening in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