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18
특집 ․독서와 국어 능력 ․ 5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독서의 개념과 기능 노명완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1. 서론 학술적 개념을 가진 단어도 일상적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학 술적 개념의 단어를 사용할 때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학술적 개념은 일 상적 맥락에서는 물론 일상적 의미로 사용해도 되지만, 학술적 맥락에 서는 반드시 학술적 의미로 사용해야 한다. 학술적 맥락으로 쓰인 단어 를 일상적 의미로 이해하면 그 뜻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이런 단어 의 예 중 하나가 ‘독서’라는 단어이다. 독서라는 말은 ‘글(책) 읽기’로 간단히 정의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말은 상당히 많은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독서라는 단어가 얼마나 많은 학술적 의미를 갖고 있는지 살피기 위해 우선 이 글에서는 독서와 관 련된 중요 학술적 주제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독서에 대한 학자들의 연 구에서 얻는 의미가 바로 독서의 학술적 의미인 것이다. 이 글에서는 독서의 개념에 대한 학술적 고찰을 끝낸 후에 다시 독 서가 작용하는 기능(機能, function)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독서 는 지적 과정이다. 그런데 그 순간에는 이 지적 과정의 영향을 포착하 기 힘들지만, 장기간의 시간이 흐른 후에는 독서의 지적 기능(function)

Transcript of 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Page 1: 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5

특집bullbullbull독서와 국어 능력

독서의 개념과 기능

노명완 고려 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1 서론

학술 개념을 가진 단어도 일상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학

술 개념의 단어를 사용할 때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학술 개념은 일

상 맥락에서는 물론 일상 의미로 사용해도 되지만 학술 맥락에

서는 반드시 학술 의미로 사용해야 한다 학술 맥락으로 쓰인 단어

를 일상 의미로 이해하면 그 뜻을 제 로 악할 수 없다 이런 단어

의 하나가 lsquo독서rsquo라는 단어이다

독서라는 말은 lsquo (책) 읽기rsquo로 간단히 정의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말은 상당히 많은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독서라는 단어가 얼마나 많은

학술 의미를 갖고 있는지 살피기 해 우선 이 에서는 독서와

련된 요 학술 주제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독서에 한 학자들의 연

구에서 얻는 의미가 바로 독서의 학술 의미인 것이다

이 에서는 독서의 개념에 한 학술 고찰을 끝낸 후에 다시 독

서가 작용하는 기능(機能 function)에 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독서

는 지 과정이다 그런데 그 순간에는 이 지 과정의 향을 포착하

기 힘들지만 장기간의 시간이 흐른 후에는 독서의 지 기능(function)

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이 가져오는 엄청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의 후반부에서

는 바로 그런 독서의 기능과 그것이 개인 사회 국가에 가져오는 결과

를 찾아보고자 한다

2 독서의 개념

한 단어의 의미는 그 단어가 쓰이는 맥락만큼 된다고 한다 그만큼

한 단어의 의미가 많고 넓다는 뜻이다 독서라는 단어의 의미도 상당히

많고 범 하다 독서의 일상 의미도 많고 넓지만 독서의 학술

의미는 더욱 깊고 넓다 독서라는 단어의 개념이나 의미를 제 로

악하기 해 여기서는 독서라는 단어와 련되는 요 주제들을 살

펴보고자 한다

독서는 인간이 하고 있는 네 가지 언어 소통 즉 말하기 듣기 읽

기 쓰기 하나이다 그런데 이 네 가지 소통은 모두 언어(음성 언어

와 문자 언어)를 매개로 하면서 상호 매우 하게 연 되어 있다 말

하기에는 반드시 듣기가 수반되고 쓰기에도 읽기가 동반된다 읽고 말

하기를 하기도 하고 쓰고 읽기를 하기도 한다 그런 상호 련성 측면

에서 볼 때 독서의 의미를 좀 더 정확하게 바라보는 방법은 독서를 다

른 나머지 세 가지 소통 방식과 연 지어 살피는 것이다 즉 독서를

독서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말하기 듣기 쓰기와 연 시켜 가며 살피는

것이다 그런 에서 이 에서는 독서라는 용어와 함께 간간이 문식성

(文識性 literacy)이라는 용어도 사용하고자 한다 문식성 개념이 바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모두 포 하는 넓은 개념이기 때문이다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7

21 인간 진화의 방향

모든 생물은 진화해 왔고 지 도 진화하고 있다 그런데 모든 생물

의 진화에는 각각 방향이 있고 그 방향은 생활에 편리한 쪽으로의 방

향이다 흐르는 물에 사는 물고기( 붕어)는 몸을 유선형으로 진화시

켜 왔고 진흙 속에 사는 물고기( 뱀장어)는 둥 고 길게 진화시켜

왔다 그 다면 인간의 진화 방향은 무엇일까 (재미로 의 사람을 꼼

꼼히 살펴보고 그 신체에서 진화의 방향을 찾아보자)

아래의 그림 자료는 인간의 진화 방향을 보여 주는 좋은 자료이다

lt그림 1gt 인간과 침 지의 두뇌 피질 비교

lt그림 2gt 인간의 발성 기 과 침 지의 발성 기 비교

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왼편 그림은 인간 그림이고 오른편 그림은 인간 다음의 장류라 할

수 있는 침팬지 그림이다 lt그림 1gt의 두 그림은 모두 두뇌 피질의 신

경을 그것이 장하는 신체 근육에 맞추어 인간과 침팬지의 신체를 비

율 으로 다시 그린 것이다 그 게 그리고 보니 인간은 손과 입을

장하는 신경이 잘 발달되어 있고 침팬지는 앞발의 엄지발가락 뒷발의

엄지발가락이 잘 발달되어 있다 신경이 하는 일의 부분이 인간의

경우는 손과 입의 움직임과 련되는 일이고 침팬지는 엄지손가락과

엄지발가락의 움직임과 련되는 일임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그림에서 왼편은 인간의 발성 기 이고 오른편은 침팬지의

발성 기 이다 인간이 원래 침팬지와 같은 조상에서 진화해 왔다고 본

다면 인간의 발성 기 진화는 앞으로 튀어나온 입에서 안으로 들어가

는 입으로의 진화라 할 수 있다

lt그림 1gt과 lt그림 2gt 자료는 인간 진화의 방향을 잘 보여 다 그것

은 언어 사용의 방향이다 lt그림 1gt에서 인간의 입이 넓은 것 lt그림 2gt

에서 입이 안으로 들어간 것은 모두 언어 사용과 련되는 신체의 진화를

보여 다

22 문명 발 의 동인(動因)

아래의 lt표 1gt은 미래학자 앨빈 토 러가 제시한 자료로 지구상에

원시 생명체가 출 한 이래 지 까지의 약 20억 년 동안 일어난 요

사건들을 1년이라는 시간 속에 넣어 본 것이다 이 자료에 의하면 원숭

이와 구별되는 lsquo슬기로운 인간(호모 사피엔스)rsquo의 출 은 1년 12월

31일 오후 8시이다 실제 시간으로 보면 약 200만 년 이 된다 이때

부터 재까지 약 200만 년의 기간이 인간이 음성 언어를 사용한 기간

이다 그리고 인간이 문자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12월 31일 자

정 90 이며 실제 시간으로 보면 약 5천 년 이 된다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9

lt표 1gt 1년 시간표로 본 인간 출 과 언어 사용

1년의 시간표 요 사건들

∙ 1월 1일 0시 ∙ 10월 ∙ 11월 하순 ∙ 12월 31일 오후 8시 ∙ 12월 31일 자정 90 ∙ 12월 31일 자정 7

∙ 지구상에 원시 생명체 출 (약 20억 년 )∙ 식물 등장 ∙ 등 동물 등장∙ 인간 등장(음성 언어 사용 약 200만 년 )∙ 문자 발명(문자 언어 사용 약 5천 년 )∙ 과학 문명 시작

인간의 음성 언어 사용 기간이 약 200만 년 정도 되는데 문자 언어

사용 기간은 불과 5천여 년이다 그런데 음성 언어를 사용한 기간 동안

의 인간 생활은 원시생활인데 비해 문자 언어를 사용한 기간의 생활은

문명 생활이었다 이 자료를 통해 본다면 문명의 발 은 분명 문자 언

어의 사용과 깊은 련이 있을 것이라 추정해 볼 수 있다

23 아동의 신체 발달과 지능 발달

인간과 침팬지 그리고 인간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한 아래의 자

료를 살펴보자

lt표 2gt 인간 아동의 성장발달 인간침팬지 비교

나이 언어 기능 몸무게(kg) 두뇌 무게(kg)

인간(남자)

인간(남자)

인간(남자)

침팬지(암컷)

25

135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요한 사실을 찾아볼 수 있다 하나는

인간만이 언어를 사용한다는 이고(바로 아래 단계의 장인 침팬지

1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도 언어를 사용하지 못한다) 두 번째는 인간의 신체 발달에 비해 언어

발달이 매우 일 일어난다는 이다

아동 발달에 한 다른 자료를 하나 더 살펴보자 이 자료는 아동이

출생한 이후 매 6개월마다 조사한 아동의 언어 발달이다

lt표 3gt 아동의 언어 발달

언어 특징

1개월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30개월

36개월

48개월

983791 목 뒷부분에서 울음소리 시작

983791 한 음 의 옹알이 시작

983791 lsquo아가rsquo lsquo엄마rsquo 등의 1어문(一語文) 사용

983791 2어문 사용 시작 30~50어휘 사용

983791 2어문 사용 증가 언어 의사소통에 흥미 가짐

983791 문장의 완벽한 구조인 3어문 이상 사용

983791 어휘 수가 1000여 개로 증가

983791 문법 으로는 성인의 언어와 별 차이 없음

의 자료에 의하면 아동은 약 25세(30개월)가 되면 의사소통에 별

문제가 없는 완 한 구조의 언어(3어문 구조 lsquo주어+목 어나 보어+동

사rsquo 형태)를 사용한다 그리고 4세 정도 되면 거의 성인 언어와 같은

언어 발달을 보인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 하나는 아동의 언어 발달이

성인 수 에 이르는 4세 정도에 아동의 지능 발달도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른다는 이다 아동의 두뇌가 태어날 때부터 언어 사용이 가능할 정

도로 크다는 과 언어 발달이 거의 완성되는 즈음에 지능 발달도 거

의 완성된다는 에서 우리는 언어 사용이 지능 발달의 원천이 되는

것 아닌가 하는 가설을 가질 수 있게 된다

24 학교 교과의 수업 시수

학교에서는 국어 사회 도덕 과학 수학 등 여러 교과를 가르친다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1

그런데 이들 교과의 수업 시수는 교과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아래의 자료가 이를 잘 보여 다

lt표 4gt 각 교과의 주별 수업 시수

학년

교과

등학교 학교

1 2 3 4 5 6 7 8 9

도덕 1 1 1 1 1 1 2 2 1

사회 3 3 3 3 3 3 3 3 4

과학 3 3 3 3 3 3 3 4 4

수학 4 4 4 4 4 4 4 4 3

국어 7 7 6 6 6 6 5 4 4

교과별 수업 시수는 곧 그 교과의 요도를 나타낸다 수업 시수가

많으면 그 교과는 그만큼 요한 교과 그래서 학생들에게 많이 지도해

야 하는 교과라는 뜻이 된다 그런데 의 자료에 의하면 등학교의

경우 국어 교과의 수업 시수는 도덕 교과 수업 시수의 6~7배 사회나

과학 교과의 2배 정도 된다 국어 교육의 핵심 지도 내용이 말하기 듣

기 읽기 쓰기의 언어 사용이라는 을 생각해 본다면 이들 언어 사용

에 한 교육 요성이 얼마나 큰지 충분히 짐작해 볼 수 있다 국어

교과의 수업 시수는 학교 고등학교에 가서도 마찬가지로 많은 편이

다 의 자료는 학교 교육에서 언어 사용을 지도하는 것이 얼마나

요한지를 분명하게 보여 주고 있다

25 교과별 문제 풀이의 어려움 정도

교과별 문제 풀이에 한 아래의 자료를 먼 살펴보고 직 풀어

보기도 해 보자

1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주 식 교과 객 식

20000원을 하여 1년 만에 찾은 돈이

22400원이다 연이율은 몇 인가

답 ( )

수학

4만 원을 하여 1년 만에 찾은 돈이

45200원이다 연이율은 몇 인가

① 10 ② 11 ③ 12 ④ 13

성냥개비의 깜부기불을 만들어 산소가 들어

있는 집기병 속에 넣으면 깜부기불은

어떻게 되나 답 ( )

과학

촛불을 비커로 덮으면 어떻게 되나

차츰 꺼진다 ② 더 잘 탄다

③ 즉시 꺼진다 ④ 변화가 없다

다음 시조에 알맞은 제목을 붙이시오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 나서 옳지 못하면

마소를 갓 고갈 워 밥 먹이나 다르랴

답 ( )

국어

다음 시조에 알맞은 제목을 붙이시오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 나서 옳지 못하면

마소를 갓 고갈 워 밥 먹이나 다르랴

① 수확 ② 가을 ③ 바람 ④ 한가함

의 수학 과학 국어 문제에서 수학의 경우는 문제가 주 식이든

객 식이든 풀이에는 아무 차이가 없다 객 식 문제의 답지가 모두 숫

자로 되어 있고 이들 숫자는 숫자일 뿐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

기 때문이다 과학 문제는 객 식이 조 은 도움이 된다 그러나 문제

해결에 결정 도움은 되지 못한다 수학 문제나 과학 문제 모두 문제

를 풀기 해서는 문제 밖에서 문제 풀이에 매우 요한 지식(문제 풀

이용 공식이든 요 개념이든)을 가져와야 한다 외부에서(더 자세히는

기억 속에서) 련 지식을 가져오지 않으면 이들 교과의 문제는

로 풀 수 없다 외부에서 지식을 가져와야 한다는 에서 과학 교과 그

리고 수학 교과에서조차도 기억이 매우 요한 학습의 수단이 된다

이에 비해 국어 문제는 그 성격이 완 히 다르다 국어 문제의 풀이

에는 외부에서 가져올 지식이 없다 그 신 주어진 지문 속의 내

용을 가지고 제목이라고 할 수 있는 지식을 만들어 내야 한다 이는 달

리 말하면 주어진 의미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수학이나

과학의 문제 풀이는 지식의 용이지만 국어의 문제 풀이는 지식의 생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3

산이다 지식(언어)으로 지식(언어)을 만들어 내는 이런 사고가 바로

언어 처리이며 언어 사용인 것이다 국어 공부에서 기억이 크게 요구되

지 않는 것은 바로 이런 교과 성격 때문이다

3 독서의 기능

의 장에서 살펴보았듯이 독서 더 넓게 보아 인간의 언어 사용은

인류 진화의 방향 아동의 지 성장과 발달 학교에서의 교과 교육과

문제 풀이 등 여러 면에 매우 강한 향을 끼쳐 왔다 의 장에서 살

펴보았듯이 인간의 계통 진화와 개체 발달 학교 교육에서 언어 사

용이 얼마나 요한가를 살필 수 있는 자료들이다 이번 장에서는 독서

가 우리의 개인 사회 삶에서 어떤 기능(機能 function)을 담당하

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31 독서는 문명 발 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앞에서도 잠시 살펴보았듯이 인간의 문명은 문자 언어의 사용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을 캐나다의 심리학자 올슨(Olson)은

아래와 같이 간명하게 말하고 있다

ldquo언어는 인간 개념의 핵심이다 음성 언어의 사용으로 인간은 인

간다워졌고 문자 언어의 사용으로 인간은 문명화되었다rdquo (The

faculty of language stands at the center of the conception of

mankind speech makes us human and literacy makes us civilized)

시간과 공간 속으로 곧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문자 언어

는 오랫동안 기록으로 보존되어 있다 이런 보존으로 인해 인간의 문

1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자 언어 처리는 음성 언어 처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더 깊고

더 넓어진다 바로 여기서 고등 정신 기능(higher mental functioning)

이 이루어지며 이 고등 정신 기능이 바로 과학과 문명을 이루어 낸 원

동력이 되었다 달리 말해서 바로 독서가 인류의 과학과 문명 발 의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32 독서는 의미 창조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작문은 매우 높은 수 의 의미 창조 과정이다 필자가 창의 으로

생각해 낸 의미(내용 지식 정보 느낌 생각 등)가 작문을 통해 이

라는 문자 언어로 표출되기 때문이다

작문 못지않게 독서도 의미 창조의 과정이다 음성이든 문자든 언어

는 그 언어를 이해할 아는 사람에게만 의미 있는 상이 된다 그

언어를 모르는 사람에게는 그 언어가 아무 의미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게 본다면 의미는 언어에 있지 않고 그 언어를 다루는 사람(필자

나 독자)에게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을 읽는 사람은 쓰인 내용을 있는 그 로 받아들이지 않고 읽는

과정에서 많은 새로운 의미 생성의 지 작용을 한다 을 읽고 읽은

을 읽은 그 로 회상하고 표 한다면 이는 분명 의미 창조는 아니다

그러나 을 읽으면서 그 내용을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고 통합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것 등은 모두 읽은 언어를 자료로 하

여 더 깊고 더 넓게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지 작용이다 일상의

읽기 는 독서에서 이런 높은 수 의 지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아래의 문장을 읽어 보자

bull 철수는 먼 산을 바라보며 깊은 생각에 잠겨 있다

이 을 읽고 독자는 먼 그 문장의 문면 (文面的 literal) 뜻을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5

받아들일 것이다 이것도 의미의 창조이다 읽기 에는 몰랐던 것을

읽고 나서 알게 되었으니 의미 창조인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이에 더

하여 독자는 더 많은 생각을 할 것이다 lsquo철수가 무슨 큰 고민에 빠져

있는 것 아닌가rsquo lsquo철수가 헤어진 애인 생각을 하고 있는 것 아닌가rsquo

등의 생각이다 이런 생각이 모두 의미 창조이다 을 읽고 무슨 생각

을 하 다면 그 생각이 무슨 생각이든 그것은 모두 의미 창조인 것이

다 그래서 독서가 의미 창조의 원동력이 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33 독서는 지식 획득과 지혜 확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자는 을 읽으며 로부터 수많은 지식과 정보를 만들어 낸다

그래서 의미를 창조해 내는 것이다 우리의 지식이나 정보는 거의 부

분 독서를 통해서 획득되었고 창조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독서는 을 통한 문면 이해에 그치지 않는다 독자의 사고 활동

이 독서에서 얻는 지식 획득 그 자체에 머물지 않고 그 지식이나 정보

를 더욱 넓고 깊게 확장해 나가는 매우 능동 인 사고이다 철수에

한 앞의 문장에서 보았듯이 독자는 이 을 읽으면서 lsquo철수가 먼 산을

바라보며 생각에 잠겨 있다rsquo는 문면 이해에 더하여 그가 왜 산을 바

라보는지 산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하는지 왜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지 등 많은 추가 인 생각을 더 하게 된다 바로 이런 추가 인 생각

능동 인 사고가 독자의 생각의 깊이와 넓이를 넓 주는 역 확장의

사고이다 그리고 이런 lsquo 역 확장 사고rsquo가 바로 지혜(知慧 wisdom)

인 것이다

지식을 지식으로 받아들이면 그것은 지식의 획득이 된다 그러나 독

서를 하면서 받아들인 지식에 독자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더하여 더

깊고 더 넓고 더 높게 생각하여 그 지식의 련 역을 확장해 나가면

그것이 지혜가 된다 을 읽으며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1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고 단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이 모든 사고 활동이 바로 받아들인

지식에 자신의 사고를 추가하는 고등 수 의 사고요 지혜(知慧)인 것

이다 가지고 있는 것을 더 명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로 지혜이며 그

런 에서 독서는 그 자체가 지식의 획득임과 동시에 지혜의 확장이다

34 독서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인간은 동물 수 의 한 사고(思 )도 하지만 때로는 신과도

같이 매우 높은 수 의 사고도 한다 그런 고등 수 의 사고 에서 가

장 높은 사고가 바로 인지 (超認知的 meta-cognitive) 사고이다 자

신의 사고를 들여다보면서 그것이 옳은지 그른지 바른 방향인지 아닌

지 등의 단을 하고 혹 잘못되었다고 생각할 경우에 이를 바로잡으려

는 수정이나 조정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바로 인지 사고이다 달

리 말해서 인지 사고는 lsquo자신의 앎의 과정을 알고 이를 조정해 내

는 사고rsquo인 것이다

라운(Brown)이라는 미국의 유명한 심리학자가 재미있는 실험 하

나를 했다 그녀는 공부를 잘하는 집단의 학생들과 공부를 잘하지 못하

는 집단의 학생들에게 각각 컴퓨터 화면의 한 편을 이 내용에

한 시험에 비하며 읽으라고 하 다 다음 날 연구자는 같은 집단

학생들에게 같은 을 주면서 이번에 다시 한 번 읽으라고 하 다 그

다음 날에도 연구자는 역시 같은 을 주고 읽으라고 하 다 이

게 세 번 을 읽히면서 연구자는 을 읽는 학생들의 동자 움직임

을 매우 성능이 좋은 이 카메라로 촬 하 고 동자 움직임의 유

형을 분석하 다

실험 결과는 놀라웠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처음 읽기에서는 그

의 매우 요한 부분에 많은 심을 보 다( 동자가 그런 부분에

더 오래 머물 다) 그리고 두 번째 읽을 때에는 첫 번째와는 달리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7

간 정도의 요한 정보에 동자를 오래 멈추었다 그리고 세 번째 읽

기에서는 숫자나 고유 명사와 같은 매우 세세한 부분에까지 주의를 기

울이며 읽었다 즉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는 기억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이고 아직 잘 모르고 있는 부분(기억하

지 못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단해 가며 이해와 기억에 효율 인

방법과 략으로 읽기를 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공부를 잘하지 못하는

학생들의 경우 세 번의 읽기에 나타난 동자 움직임의 유형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들은 처음 읽을 때나 세 번째 읽을 때 모두 의

요 부분에만 주의를 기울 다 달리 말해서 이들은 자신의 이해나

기억에 한 이해가 부족하고 따라서 자신의 읽기 과정을 효율 으로

조 하지 못한 것이다 효율 인 독서는 자기 통제력까지 갖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이 된다

35 독서는 고 수 의 교류 교감 설득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히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책에 쓰여 있는 문자 언어는

소멸되지 않고 그 자리에 그 로 남아 있다 그래서 을 읽는 독자는

시간에 쫓기지 않고 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독서 과정을 조 해 나

간다 천천히 읽기도 하고 내용을 음미하기도 하고 때로는 추리나 상

상도 하면서 여유 있게 을 읽는 것이다

독서는 독자와 필자의 만남이다 독서에서의 독자와 필자의 만남은

지극히 개인 인 만남이다 마치 화에서의 행동과도 같이 독자는 필

자의 을 그 로 받아들여 수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되묻듯이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 보기도 한다 읽은 을 기 자극과 자료로 활용하면

서 더 깊고 더 넓게 추리추론을 하고 비 을 하기도 한다

독서에서의 만남과 소통은 음성 언어를 통한 화에서의 소통보다

훨씬 고 스럽다 일반 생활에서의 만남은 체로 잘 아는 사람들 사이

1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의 만남이고 그래서 그 화는 서로 잘 아는 내용의 화가 되기 쉽

다 그런데 독서에서의 만남은 잘 알지 못하는 사람과의 만남이다 읽

는 도 체로 잘 알지 못하는 내용의 이다 그래서 이런 읽기에

는 세심한 주의( 기)와 높은 수 의 지 사고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독서에서의 만남은 지 사고의 수 이 높아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독서가 고 수 의 지 교류가 되는 것이다

독서에서 읽는 이 정보 심의 이 아닌 정서 심의 이라면

이런 읽기에서의 만남은 그야말로 인간 만남이 된다 분석과 비

과 평가 심의 설명문이나 정보문 읽기와는 달리 정서 인 읽기는

이해와 정과 공감의 심리 효과가 있다 그런 에서 독서는 공감

교류의 원동력도 되는 것이다

36 독서는 창의 직무 수행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서는 lsquo일하기rsquo이다 학생이 학교에서 교과서를 읽는 것은 학생의

본분인 lsquo공부하기rsquo이다 직장의 사무원이나 공무원이 직장에서 하는 독

서는 그 모두가 자신이 해야 할 일 즉 직무를 하는 것이다 공문서를

읽는 일 회의 자료를 만들기 해 자료를 읽고 수집하는 일 회의 결

과를 읽으며 다시 한 번 그 내용을 검하는 일 민원에 답하기 해

련 법 조항을 참조하거나 과거의 련 기록을 찾아보는 일 등 직장

에서 하는 읽기는 그 모두가 lsquo일하기rsquo인 것이다

직장에서의 독서 직장 일하기의 일환으로 하는 읽기는 과거의 것을

그 로 반복하는 읽기가 아니다 직장의 회의에서 다루는 주제나 문제

는 항상 새로운 주제ㆍ문제이다 새로 받아 읽는 공문서도 새로운 내용

의 공문서이다 민원도 과거의 민원과는 다른 새로운 민원이다 이 듯

하는 일 자체가 매일매일 새로운 일이기에 이 일의 처리를 한 읽기

도 매번 새로운 창의 읽기이다 그런 에서 직장에서의 읽기나 독서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9

는 항상 창의 인 직무 수행이 된다

직장에서의 직무 수행 독서는 담당 직 가 높을수록 더 깊고 넓은

창의 사고를 요구한다 어느 직장에서든지 그 조직에서 가장 아래에

치한 사람의 일은 머리를 사용하기보다는 근육을 더 필요로 하는 일

이기 쉽다 이런 일은 과거에 했던 일과 별반 차이가 없는 매우 반

복 인 일이기 쉽다 거기에는 깊은 생각도 높은 창의성도 그리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직장의 조직에서 높은 지 에 있는 사람이 하

는 일은 사뭇 다르다 이런 사람이 하는 일은 근육 일이 아니라 머리

를 써야 하는 일이다 즉 노동이 아니라 사고(思 )인 것이다 이런 사

람이 하는 일일수록 창의성도 더 많이 요구된다 한 번 잘못 단하게

되면 그 결과가 조직 체에 치명 일 수 있다 그래서 더 많이 더 깊

게 그리고 더 치 하게 분석하고 단해야 한다 직장에서의 독서가 바

로 그런 고 사고의 수단이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37 독서는 민주 사회 확립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한때는 을 읽을 수 있고 쓸 수 있는 능력

이 그 사회의 엘리트만의 독 물로 생각되었다 만일 농민이나 노동자

들이 을 깨치게 되면 이들이 일은 하지 않고 정치에 간섭만 하게 된

다고 생각하여 아 이들에게 읽기를 가르치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속 활자의 발명과 보 은 농민과 노동자들을 생각할 수 있고 단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바꾸어 놓는 결정 인 계기가 되었다 속 활자

의 발명으로 책이 량으로 생산되었고 책의 보편 보 으로 공교육

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지식과 정보가 체 국민

들에게 보편화되었고 한 을 읽고 쓰는 과정에서 의식과 단이 높

아지게 되었다 그 결과 농민과 노동자들의 읽기와 쓰기는 결국에는 엘

리트만의 건 사회를 무 뜨리고 민주 사회를 형성하는 정치ㆍ사회

2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변 까지 낳았다

부분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세계 부분의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교육의 최고의 목표를 읽기와 쓰기에 두고 있다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인권을 매우 요한 천부 권한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더 나아가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교육권도 매우 요

한 인권으로 인정하고 있다 의무 교육 연한을 최소한 고등학교까지 올

려 lsquo모든 국민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rsquo고 선언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문식권(文識權 Right to Read and Write)인 것이다 인권

은 한 개인이 자아의 필요와 사회의 요구에 히 응해 가며 살아

갈 수 있을 때에 보장되는데 교육이 바로 그런 인권 보장의 요한 수

단이 된다 그리고 그런 교육의 핵심에 바로 독서와 작문이 있는 것이

다 이런 에서 아래에 제시된 읽기와 쓰기 독서와 작문에 을 맞

춘 하버드 학의 교육 목표는 여러 사회 여러 국가의 귀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인류 최 문화유산인 책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interpret a great humanistic text)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고 설득력 있

는 로 써 낼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compose a literate and persuasive essay)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21

4 결 론

독서는 요하다 독서는 한 개인의 지 ㆍ정의 성장에 요하고

사회의 운용과 유지 발 에 요하다 독서는 국가 차원에서도 요

하다 국민은 독서를 통해서 지식을 획득하고 지력도 높이고 지혜도

넓 간다 그래서 국민 개개인의 독서력 향상은 곧 국가의 지식과 지

력과 지혜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독서는 그만큼 개인 이고 사회 이

고 국가 이다 그래서 각국에서는 국민의 독서력 향상에 국가 심

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서의 요성과 독서 교육의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에서

는 아직도 독서에 해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기 되

는 만큼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학 입시에 억 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입시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독서를 억제시키기도

한다 교과서의 지식 암기를 학생의 사고력 신장보다 더 요시하고 있

는 실정이다

독서에 한 사회 인식도 아직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공공 도

서 은 태부족이고 설사 있다고 하더라고 그 실상이 무 라한 형편

이다 장서도 부족하고 일하는 사람도 부족한 편이다 도서 구입과 도

서 운 의 재원도 부족하며 도서 나름의 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

정이다

독서에 한 국가 차원의 심과 정책 개발도 아직 요원한 상태이

다 국민의 독서 권장을 한 법 제도 장치도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독서문화진흥법이 제정되기는 하 지만 그 세부 규정에

한 국가 시행 노력과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한때 우리나라는 새마을 운동으로 국가의 면모를 새롭게 바꾼 경험

이 있다 독서가 바로 제2의 새마을 운동이 될 수 있다 새마을 운동이

물리 환경 개선에 많이 치 되었던 에 비하면 독서는 그야말로 정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신 개 사고 개 의식 명 교육 신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요

한 운동이 될 수 있다

비용 면에서도 독서 운동은 의 새마을 운동보다 훨씬 은 재정

투입으로 훨씬 더 큰 개 을 가져올 수 있다 책 읽는 사회(reading

society)를 지향하고 독자의 나라(nation of readers)를 만들며 읽기와 쓰

기를 통해 민주주의(democracy)를 실 시키는 문식성의 기능(機能

functions)을 생각하면서 독서와 작문을 심으로 하는 문식성 교육의

진흥에 다 같이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 게 하기 해서는 먼 학교

교육이 문식성 심 교육으로 바 어야 한다 독서 이에 더하여 작문

은 우리 개인에게 우리 사회에 우리 국가에 우리 학교 교육에 그만큼

요하고 그만큼 실히 요구되는 우리 모두의 lsquo목표rsquo요 동시에 lsquo과

제rsquo인 것이다

Page 2: 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이 가져오는 엄청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의 후반부에서

는 바로 그런 독서의 기능과 그것이 개인 사회 국가에 가져오는 결과

를 찾아보고자 한다

2 독서의 개념

한 단어의 의미는 그 단어가 쓰이는 맥락만큼 된다고 한다 그만큼

한 단어의 의미가 많고 넓다는 뜻이다 독서라는 단어의 의미도 상당히

많고 범 하다 독서의 일상 의미도 많고 넓지만 독서의 학술

의미는 더욱 깊고 넓다 독서라는 단어의 개념이나 의미를 제 로

악하기 해 여기서는 독서라는 단어와 련되는 요 주제들을 살

펴보고자 한다

독서는 인간이 하고 있는 네 가지 언어 소통 즉 말하기 듣기 읽

기 쓰기 하나이다 그런데 이 네 가지 소통은 모두 언어(음성 언어

와 문자 언어)를 매개로 하면서 상호 매우 하게 연 되어 있다 말

하기에는 반드시 듣기가 수반되고 쓰기에도 읽기가 동반된다 읽고 말

하기를 하기도 하고 쓰고 읽기를 하기도 한다 그런 상호 련성 측면

에서 볼 때 독서의 의미를 좀 더 정확하게 바라보는 방법은 독서를 다

른 나머지 세 가지 소통 방식과 연 지어 살피는 것이다 즉 독서를

독서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말하기 듣기 쓰기와 연 시켜 가며 살피는

것이다 그런 에서 이 에서는 독서라는 용어와 함께 간간이 문식성

(文識性 literacy)이라는 용어도 사용하고자 한다 문식성 개념이 바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모두 포 하는 넓은 개념이기 때문이다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7

21 인간 진화의 방향

모든 생물은 진화해 왔고 지 도 진화하고 있다 그런데 모든 생물

의 진화에는 각각 방향이 있고 그 방향은 생활에 편리한 쪽으로의 방

향이다 흐르는 물에 사는 물고기( 붕어)는 몸을 유선형으로 진화시

켜 왔고 진흙 속에 사는 물고기( 뱀장어)는 둥 고 길게 진화시켜

왔다 그 다면 인간의 진화 방향은 무엇일까 (재미로 의 사람을 꼼

꼼히 살펴보고 그 신체에서 진화의 방향을 찾아보자)

아래의 그림 자료는 인간의 진화 방향을 보여 주는 좋은 자료이다

lt그림 1gt 인간과 침 지의 두뇌 피질 비교

lt그림 2gt 인간의 발성 기 과 침 지의 발성 기 비교

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왼편 그림은 인간 그림이고 오른편 그림은 인간 다음의 장류라 할

수 있는 침팬지 그림이다 lt그림 1gt의 두 그림은 모두 두뇌 피질의 신

경을 그것이 장하는 신체 근육에 맞추어 인간과 침팬지의 신체를 비

율 으로 다시 그린 것이다 그 게 그리고 보니 인간은 손과 입을

장하는 신경이 잘 발달되어 있고 침팬지는 앞발의 엄지발가락 뒷발의

엄지발가락이 잘 발달되어 있다 신경이 하는 일의 부분이 인간의

경우는 손과 입의 움직임과 련되는 일이고 침팬지는 엄지손가락과

엄지발가락의 움직임과 련되는 일임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그림에서 왼편은 인간의 발성 기 이고 오른편은 침팬지의

발성 기 이다 인간이 원래 침팬지와 같은 조상에서 진화해 왔다고 본

다면 인간의 발성 기 진화는 앞으로 튀어나온 입에서 안으로 들어가

는 입으로의 진화라 할 수 있다

lt그림 1gt과 lt그림 2gt 자료는 인간 진화의 방향을 잘 보여 다 그것

은 언어 사용의 방향이다 lt그림 1gt에서 인간의 입이 넓은 것 lt그림 2gt

에서 입이 안으로 들어간 것은 모두 언어 사용과 련되는 신체의 진화를

보여 다

22 문명 발 의 동인(動因)

아래의 lt표 1gt은 미래학자 앨빈 토 러가 제시한 자료로 지구상에

원시 생명체가 출 한 이래 지 까지의 약 20억 년 동안 일어난 요

사건들을 1년이라는 시간 속에 넣어 본 것이다 이 자료에 의하면 원숭

이와 구별되는 lsquo슬기로운 인간(호모 사피엔스)rsquo의 출 은 1년 12월

31일 오후 8시이다 실제 시간으로 보면 약 200만 년 이 된다 이때

부터 재까지 약 200만 년의 기간이 인간이 음성 언어를 사용한 기간

이다 그리고 인간이 문자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12월 31일 자

정 90 이며 실제 시간으로 보면 약 5천 년 이 된다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9

lt표 1gt 1년 시간표로 본 인간 출 과 언어 사용

1년의 시간표 요 사건들

∙ 1월 1일 0시 ∙ 10월 ∙ 11월 하순 ∙ 12월 31일 오후 8시 ∙ 12월 31일 자정 90 ∙ 12월 31일 자정 7

∙ 지구상에 원시 생명체 출 (약 20억 년 )∙ 식물 등장 ∙ 등 동물 등장∙ 인간 등장(음성 언어 사용 약 200만 년 )∙ 문자 발명(문자 언어 사용 약 5천 년 )∙ 과학 문명 시작

인간의 음성 언어 사용 기간이 약 200만 년 정도 되는데 문자 언어

사용 기간은 불과 5천여 년이다 그런데 음성 언어를 사용한 기간 동안

의 인간 생활은 원시생활인데 비해 문자 언어를 사용한 기간의 생활은

문명 생활이었다 이 자료를 통해 본다면 문명의 발 은 분명 문자 언

어의 사용과 깊은 련이 있을 것이라 추정해 볼 수 있다

23 아동의 신체 발달과 지능 발달

인간과 침팬지 그리고 인간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한 아래의 자

료를 살펴보자

lt표 2gt 인간 아동의 성장발달 인간침팬지 비교

나이 언어 기능 몸무게(kg) 두뇌 무게(kg)

인간(남자)

인간(남자)

인간(남자)

침팬지(암컷)

25

135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요한 사실을 찾아볼 수 있다 하나는

인간만이 언어를 사용한다는 이고(바로 아래 단계의 장인 침팬지

1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도 언어를 사용하지 못한다) 두 번째는 인간의 신체 발달에 비해 언어

발달이 매우 일 일어난다는 이다

아동 발달에 한 다른 자료를 하나 더 살펴보자 이 자료는 아동이

출생한 이후 매 6개월마다 조사한 아동의 언어 발달이다

lt표 3gt 아동의 언어 발달

언어 특징

1개월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30개월

36개월

48개월

983791 목 뒷부분에서 울음소리 시작

983791 한 음 의 옹알이 시작

983791 lsquo아가rsquo lsquo엄마rsquo 등의 1어문(一語文) 사용

983791 2어문 사용 시작 30~50어휘 사용

983791 2어문 사용 증가 언어 의사소통에 흥미 가짐

983791 문장의 완벽한 구조인 3어문 이상 사용

983791 어휘 수가 1000여 개로 증가

983791 문법 으로는 성인의 언어와 별 차이 없음

의 자료에 의하면 아동은 약 25세(30개월)가 되면 의사소통에 별

문제가 없는 완 한 구조의 언어(3어문 구조 lsquo주어+목 어나 보어+동

사rsquo 형태)를 사용한다 그리고 4세 정도 되면 거의 성인 언어와 같은

언어 발달을 보인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 하나는 아동의 언어 발달이

성인 수 에 이르는 4세 정도에 아동의 지능 발달도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른다는 이다 아동의 두뇌가 태어날 때부터 언어 사용이 가능할 정

도로 크다는 과 언어 발달이 거의 완성되는 즈음에 지능 발달도 거

의 완성된다는 에서 우리는 언어 사용이 지능 발달의 원천이 되는

것 아닌가 하는 가설을 가질 수 있게 된다

24 학교 교과의 수업 시수

학교에서는 국어 사회 도덕 과학 수학 등 여러 교과를 가르친다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1

그런데 이들 교과의 수업 시수는 교과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아래의 자료가 이를 잘 보여 다

lt표 4gt 각 교과의 주별 수업 시수

학년

교과

등학교 학교

1 2 3 4 5 6 7 8 9

도덕 1 1 1 1 1 1 2 2 1

사회 3 3 3 3 3 3 3 3 4

과학 3 3 3 3 3 3 3 4 4

수학 4 4 4 4 4 4 4 4 3

국어 7 7 6 6 6 6 5 4 4

교과별 수업 시수는 곧 그 교과의 요도를 나타낸다 수업 시수가

많으면 그 교과는 그만큼 요한 교과 그래서 학생들에게 많이 지도해

야 하는 교과라는 뜻이 된다 그런데 의 자료에 의하면 등학교의

경우 국어 교과의 수업 시수는 도덕 교과 수업 시수의 6~7배 사회나

과학 교과의 2배 정도 된다 국어 교육의 핵심 지도 내용이 말하기 듣

기 읽기 쓰기의 언어 사용이라는 을 생각해 본다면 이들 언어 사용

에 한 교육 요성이 얼마나 큰지 충분히 짐작해 볼 수 있다 국어

교과의 수업 시수는 학교 고등학교에 가서도 마찬가지로 많은 편이

다 의 자료는 학교 교육에서 언어 사용을 지도하는 것이 얼마나

요한지를 분명하게 보여 주고 있다

25 교과별 문제 풀이의 어려움 정도

교과별 문제 풀이에 한 아래의 자료를 먼 살펴보고 직 풀어

보기도 해 보자

1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주 식 교과 객 식

20000원을 하여 1년 만에 찾은 돈이

22400원이다 연이율은 몇 인가

답 ( )

수학

4만 원을 하여 1년 만에 찾은 돈이

45200원이다 연이율은 몇 인가

① 10 ② 11 ③ 12 ④ 13

성냥개비의 깜부기불을 만들어 산소가 들어

있는 집기병 속에 넣으면 깜부기불은

어떻게 되나 답 ( )

과학

촛불을 비커로 덮으면 어떻게 되나

차츰 꺼진다 ② 더 잘 탄다

③ 즉시 꺼진다 ④ 변화가 없다

다음 시조에 알맞은 제목을 붙이시오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 나서 옳지 못하면

마소를 갓 고갈 워 밥 먹이나 다르랴

답 ( )

국어

다음 시조에 알맞은 제목을 붙이시오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 나서 옳지 못하면

마소를 갓 고갈 워 밥 먹이나 다르랴

① 수확 ② 가을 ③ 바람 ④ 한가함

의 수학 과학 국어 문제에서 수학의 경우는 문제가 주 식이든

객 식이든 풀이에는 아무 차이가 없다 객 식 문제의 답지가 모두 숫

자로 되어 있고 이들 숫자는 숫자일 뿐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

기 때문이다 과학 문제는 객 식이 조 은 도움이 된다 그러나 문제

해결에 결정 도움은 되지 못한다 수학 문제나 과학 문제 모두 문제

를 풀기 해서는 문제 밖에서 문제 풀이에 매우 요한 지식(문제 풀

이용 공식이든 요 개념이든)을 가져와야 한다 외부에서(더 자세히는

기억 속에서) 련 지식을 가져오지 않으면 이들 교과의 문제는

로 풀 수 없다 외부에서 지식을 가져와야 한다는 에서 과학 교과 그

리고 수학 교과에서조차도 기억이 매우 요한 학습의 수단이 된다

이에 비해 국어 문제는 그 성격이 완 히 다르다 국어 문제의 풀이

에는 외부에서 가져올 지식이 없다 그 신 주어진 지문 속의 내

용을 가지고 제목이라고 할 수 있는 지식을 만들어 내야 한다 이는 달

리 말하면 주어진 의미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수학이나

과학의 문제 풀이는 지식의 용이지만 국어의 문제 풀이는 지식의 생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3

산이다 지식(언어)으로 지식(언어)을 만들어 내는 이런 사고가 바로

언어 처리이며 언어 사용인 것이다 국어 공부에서 기억이 크게 요구되

지 않는 것은 바로 이런 교과 성격 때문이다

3 독서의 기능

의 장에서 살펴보았듯이 독서 더 넓게 보아 인간의 언어 사용은

인류 진화의 방향 아동의 지 성장과 발달 학교에서의 교과 교육과

문제 풀이 등 여러 면에 매우 강한 향을 끼쳐 왔다 의 장에서 살

펴보았듯이 인간의 계통 진화와 개체 발달 학교 교육에서 언어 사

용이 얼마나 요한가를 살필 수 있는 자료들이다 이번 장에서는 독서

가 우리의 개인 사회 삶에서 어떤 기능(機能 function)을 담당하

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31 독서는 문명 발 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앞에서도 잠시 살펴보았듯이 인간의 문명은 문자 언어의 사용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을 캐나다의 심리학자 올슨(Olson)은

아래와 같이 간명하게 말하고 있다

ldquo언어는 인간 개념의 핵심이다 음성 언어의 사용으로 인간은 인

간다워졌고 문자 언어의 사용으로 인간은 문명화되었다rdquo (The

faculty of language stands at the center of the conception of

mankind speech makes us human and literacy makes us civilized)

시간과 공간 속으로 곧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문자 언어

는 오랫동안 기록으로 보존되어 있다 이런 보존으로 인해 인간의 문

1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자 언어 처리는 음성 언어 처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더 깊고

더 넓어진다 바로 여기서 고등 정신 기능(higher mental functioning)

이 이루어지며 이 고등 정신 기능이 바로 과학과 문명을 이루어 낸 원

동력이 되었다 달리 말해서 바로 독서가 인류의 과학과 문명 발 의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32 독서는 의미 창조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작문은 매우 높은 수 의 의미 창조 과정이다 필자가 창의 으로

생각해 낸 의미(내용 지식 정보 느낌 생각 등)가 작문을 통해 이

라는 문자 언어로 표출되기 때문이다

작문 못지않게 독서도 의미 창조의 과정이다 음성이든 문자든 언어

는 그 언어를 이해할 아는 사람에게만 의미 있는 상이 된다 그

언어를 모르는 사람에게는 그 언어가 아무 의미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게 본다면 의미는 언어에 있지 않고 그 언어를 다루는 사람(필자

나 독자)에게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을 읽는 사람은 쓰인 내용을 있는 그 로 받아들이지 않고 읽는

과정에서 많은 새로운 의미 생성의 지 작용을 한다 을 읽고 읽은

을 읽은 그 로 회상하고 표 한다면 이는 분명 의미 창조는 아니다

그러나 을 읽으면서 그 내용을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고 통합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것 등은 모두 읽은 언어를 자료로 하

여 더 깊고 더 넓게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지 작용이다 일상의

읽기 는 독서에서 이런 높은 수 의 지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아래의 문장을 읽어 보자

bull 철수는 먼 산을 바라보며 깊은 생각에 잠겨 있다

이 을 읽고 독자는 먼 그 문장의 문면 (文面的 literal) 뜻을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5

받아들일 것이다 이것도 의미의 창조이다 읽기 에는 몰랐던 것을

읽고 나서 알게 되었으니 의미 창조인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이에 더

하여 독자는 더 많은 생각을 할 것이다 lsquo철수가 무슨 큰 고민에 빠져

있는 것 아닌가rsquo lsquo철수가 헤어진 애인 생각을 하고 있는 것 아닌가rsquo

등의 생각이다 이런 생각이 모두 의미 창조이다 을 읽고 무슨 생각

을 하 다면 그 생각이 무슨 생각이든 그것은 모두 의미 창조인 것이

다 그래서 독서가 의미 창조의 원동력이 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33 독서는 지식 획득과 지혜 확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자는 을 읽으며 로부터 수많은 지식과 정보를 만들어 낸다

그래서 의미를 창조해 내는 것이다 우리의 지식이나 정보는 거의 부

분 독서를 통해서 획득되었고 창조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독서는 을 통한 문면 이해에 그치지 않는다 독자의 사고 활동

이 독서에서 얻는 지식 획득 그 자체에 머물지 않고 그 지식이나 정보

를 더욱 넓고 깊게 확장해 나가는 매우 능동 인 사고이다 철수에

한 앞의 문장에서 보았듯이 독자는 이 을 읽으면서 lsquo철수가 먼 산을

바라보며 생각에 잠겨 있다rsquo는 문면 이해에 더하여 그가 왜 산을 바

라보는지 산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하는지 왜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지 등 많은 추가 인 생각을 더 하게 된다 바로 이런 추가 인 생각

능동 인 사고가 독자의 생각의 깊이와 넓이를 넓 주는 역 확장의

사고이다 그리고 이런 lsquo 역 확장 사고rsquo가 바로 지혜(知慧 wisdom)

인 것이다

지식을 지식으로 받아들이면 그것은 지식의 획득이 된다 그러나 독

서를 하면서 받아들인 지식에 독자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더하여 더

깊고 더 넓고 더 높게 생각하여 그 지식의 련 역을 확장해 나가면

그것이 지혜가 된다 을 읽으며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1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고 단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이 모든 사고 활동이 바로 받아들인

지식에 자신의 사고를 추가하는 고등 수 의 사고요 지혜(知慧)인 것

이다 가지고 있는 것을 더 명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로 지혜이며 그

런 에서 독서는 그 자체가 지식의 획득임과 동시에 지혜의 확장이다

34 독서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인간은 동물 수 의 한 사고(思 )도 하지만 때로는 신과도

같이 매우 높은 수 의 사고도 한다 그런 고등 수 의 사고 에서 가

장 높은 사고가 바로 인지 (超認知的 meta-cognitive) 사고이다 자

신의 사고를 들여다보면서 그것이 옳은지 그른지 바른 방향인지 아닌

지 등의 단을 하고 혹 잘못되었다고 생각할 경우에 이를 바로잡으려

는 수정이나 조정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바로 인지 사고이다 달

리 말해서 인지 사고는 lsquo자신의 앎의 과정을 알고 이를 조정해 내

는 사고rsquo인 것이다

라운(Brown)이라는 미국의 유명한 심리학자가 재미있는 실험 하

나를 했다 그녀는 공부를 잘하는 집단의 학생들과 공부를 잘하지 못하

는 집단의 학생들에게 각각 컴퓨터 화면의 한 편을 이 내용에

한 시험에 비하며 읽으라고 하 다 다음 날 연구자는 같은 집단

학생들에게 같은 을 주면서 이번에 다시 한 번 읽으라고 하 다 그

다음 날에도 연구자는 역시 같은 을 주고 읽으라고 하 다 이

게 세 번 을 읽히면서 연구자는 을 읽는 학생들의 동자 움직임

을 매우 성능이 좋은 이 카메라로 촬 하 고 동자 움직임의 유

형을 분석하 다

실험 결과는 놀라웠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처음 읽기에서는 그

의 매우 요한 부분에 많은 심을 보 다( 동자가 그런 부분에

더 오래 머물 다) 그리고 두 번째 읽을 때에는 첫 번째와는 달리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7

간 정도의 요한 정보에 동자를 오래 멈추었다 그리고 세 번째 읽

기에서는 숫자나 고유 명사와 같은 매우 세세한 부분에까지 주의를 기

울이며 읽었다 즉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는 기억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이고 아직 잘 모르고 있는 부분(기억하

지 못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단해 가며 이해와 기억에 효율 인

방법과 략으로 읽기를 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공부를 잘하지 못하는

학생들의 경우 세 번의 읽기에 나타난 동자 움직임의 유형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들은 처음 읽을 때나 세 번째 읽을 때 모두 의

요 부분에만 주의를 기울 다 달리 말해서 이들은 자신의 이해나

기억에 한 이해가 부족하고 따라서 자신의 읽기 과정을 효율 으로

조 하지 못한 것이다 효율 인 독서는 자기 통제력까지 갖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이 된다

35 독서는 고 수 의 교류 교감 설득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히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책에 쓰여 있는 문자 언어는

소멸되지 않고 그 자리에 그 로 남아 있다 그래서 을 읽는 독자는

시간에 쫓기지 않고 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독서 과정을 조 해 나

간다 천천히 읽기도 하고 내용을 음미하기도 하고 때로는 추리나 상

상도 하면서 여유 있게 을 읽는 것이다

독서는 독자와 필자의 만남이다 독서에서의 독자와 필자의 만남은

지극히 개인 인 만남이다 마치 화에서의 행동과도 같이 독자는 필

자의 을 그 로 받아들여 수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되묻듯이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 보기도 한다 읽은 을 기 자극과 자료로 활용하면

서 더 깊고 더 넓게 추리추론을 하고 비 을 하기도 한다

독서에서의 만남과 소통은 음성 언어를 통한 화에서의 소통보다

훨씬 고 스럽다 일반 생활에서의 만남은 체로 잘 아는 사람들 사이

1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의 만남이고 그래서 그 화는 서로 잘 아는 내용의 화가 되기 쉽

다 그런데 독서에서의 만남은 잘 알지 못하는 사람과의 만남이다 읽

는 도 체로 잘 알지 못하는 내용의 이다 그래서 이런 읽기에

는 세심한 주의( 기)와 높은 수 의 지 사고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독서에서의 만남은 지 사고의 수 이 높아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독서가 고 수 의 지 교류가 되는 것이다

독서에서 읽는 이 정보 심의 이 아닌 정서 심의 이라면

이런 읽기에서의 만남은 그야말로 인간 만남이 된다 분석과 비

과 평가 심의 설명문이나 정보문 읽기와는 달리 정서 인 읽기는

이해와 정과 공감의 심리 효과가 있다 그런 에서 독서는 공감

교류의 원동력도 되는 것이다

36 독서는 창의 직무 수행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서는 lsquo일하기rsquo이다 학생이 학교에서 교과서를 읽는 것은 학생의

본분인 lsquo공부하기rsquo이다 직장의 사무원이나 공무원이 직장에서 하는 독

서는 그 모두가 자신이 해야 할 일 즉 직무를 하는 것이다 공문서를

읽는 일 회의 자료를 만들기 해 자료를 읽고 수집하는 일 회의 결

과를 읽으며 다시 한 번 그 내용을 검하는 일 민원에 답하기 해

련 법 조항을 참조하거나 과거의 련 기록을 찾아보는 일 등 직장

에서 하는 읽기는 그 모두가 lsquo일하기rsquo인 것이다

직장에서의 독서 직장 일하기의 일환으로 하는 읽기는 과거의 것을

그 로 반복하는 읽기가 아니다 직장의 회의에서 다루는 주제나 문제

는 항상 새로운 주제ㆍ문제이다 새로 받아 읽는 공문서도 새로운 내용

의 공문서이다 민원도 과거의 민원과는 다른 새로운 민원이다 이 듯

하는 일 자체가 매일매일 새로운 일이기에 이 일의 처리를 한 읽기

도 매번 새로운 창의 읽기이다 그런 에서 직장에서의 읽기나 독서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9

는 항상 창의 인 직무 수행이 된다

직장에서의 직무 수행 독서는 담당 직 가 높을수록 더 깊고 넓은

창의 사고를 요구한다 어느 직장에서든지 그 조직에서 가장 아래에

치한 사람의 일은 머리를 사용하기보다는 근육을 더 필요로 하는 일

이기 쉽다 이런 일은 과거에 했던 일과 별반 차이가 없는 매우 반

복 인 일이기 쉽다 거기에는 깊은 생각도 높은 창의성도 그리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직장의 조직에서 높은 지 에 있는 사람이 하

는 일은 사뭇 다르다 이런 사람이 하는 일은 근육 일이 아니라 머리

를 써야 하는 일이다 즉 노동이 아니라 사고(思 )인 것이다 이런 사

람이 하는 일일수록 창의성도 더 많이 요구된다 한 번 잘못 단하게

되면 그 결과가 조직 체에 치명 일 수 있다 그래서 더 많이 더 깊

게 그리고 더 치 하게 분석하고 단해야 한다 직장에서의 독서가 바

로 그런 고 사고의 수단이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37 독서는 민주 사회 확립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한때는 을 읽을 수 있고 쓸 수 있는 능력

이 그 사회의 엘리트만의 독 물로 생각되었다 만일 농민이나 노동자

들이 을 깨치게 되면 이들이 일은 하지 않고 정치에 간섭만 하게 된

다고 생각하여 아 이들에게 읽기를 가르치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속 활자의 발명과 보 은 농민과 노동자들을 생각할 수 있고 단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바꾸어 놓는 결정 인 계기가 되었다 속 활자

의 발명으로 책이 량으로 생산되었고 책의 보편 보 으로 공교육

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지식과 정보가 체 국민

들에게 보편화되었고 한 을 읽고 쓰는 과정에서 의식과 단이 높

아지게 되었다 그 결과 농민과 노동자들의 읽기와 쓰기는 결국에는 엘

리트만의 건 사회를 무 뜨리고 민주 사회를 형성하는 정치ㆍ사회

2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변 까지 낳았다

부분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세계 부분의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교육의 최고의 목표를 읽기와 쓰기에 두고 있다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인권을 매우 요한 천부 권한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더 나아가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교육권도 매우 요

한 인권으로 인정하고 있다 의무 교육 연한을 최소한 고등학교까지 올

려 lsquo모든 국민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rsquo고 선언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문식권(文識權 Right to Read and Write)인 것이다 인권

은 한 개인이 자아의 필요와 사회의 요구에 히 응해 가며 살아

갈 수 있을 때에 보장되는데 교육이 바로 그런 인권 보장의 요한 수

단이 된다 그리고 그런 교육의 핵심에 바로 독서와 작문이 있는 것이

다 이런 에서 아래에 제시된 읽기와 쓰기 독서와 작문에 을 맞

춘 하버드 학의 교육 목표는 여러 사회 여러 국가의 귀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인류 최 문화유산인 책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interpret a great humanistic text)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고 설득력 있

는 로 써 낼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compose a literate and persuasive essay)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21

4 결 론

독서는 요하다 독서는 한 개인의 지 ㆍ정의 성장에 요하고

사회의 운용과 유지 발 에 요하다 독서는 국가 차원에서도 요

하다 국민은 독서를 통해서 지식을 획득하고 지력도 높이고 지혜도

넓 간다 그래서 국민 개개인의 독서력 향상은 곧 국가의 지식과 지

력과 지혜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독서는 그만큼 개인 이고 사회 이

고 국가 이다 그래서 각국에서는 국민의 독서력 향상에 국가 심

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서의 요성과 독서 교육의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에서

는 아직도 독서에 해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기 되

는 만큼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학 입시에 억 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입시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독서를 억제시키기도

한다 교과서의 지식 암기를 학생의 사고력 신장보다 더 요시하고 있

는 실정이다

독서에 한 사회 인식도 아직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공공 도

서 은 태부족이고 설사 있다고 하더라고 그 실상이 무 라한 형편

이다 장서도 부족하고 일하는 사람도 부족한 편이다 도서 구입과 도

서 운 의 재원도 부족하며 도서 나름의 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

정이다

독서에 한 국가 차원의 심과 정책 개발도 아직 요원한 상태이

다 국민의 독서 권장을 한 법 제도 장치도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독서문화진흥법이 제정되기는 하 지만 그 세부 규정에

한 국가 시행 노력과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한때 우리나라는 새마을 운동으로 국가의 면모를 새롭게 바꾼 경험

이 있다 독서가 바로 제2의 새마을 운동이 될 수 있다 새마을 운동이

물리 환경 개선에 많이 치 되었던 에 비하면 독서는 그야말로 정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신 개 사고 개 의식 명 교육 신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요

한 운동이 될 수 있다

비용 면에서도 독서 운동은 의 새마을 운동보다 훨씬 은 재정

투입으로 훨씬 더 큰 개 을 가져올 수 있다 책 읽는 사회(reading

society)를 지향하고 독자의 나라(nation of readers)를 만들며 읽기와 쓰

기를 통해 민주주의(democracy)를 실 시키는 문식성의 기능(機能

functions)을 생각하면서 독서와 작문을 심으로 하는 문식성 교육의

진흥에 다 같이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 게 하기 해서는 먼 학교

교육이 문식성 심 교육으로 바 어야 한다 독서 이에 더하여 작문

은 우리 개인에게 우리 사회에 우리 국가에 우리 학교 교육에 그만큼

요하고 그만큼 실히 요구되는 우리 모두의 lsquo목표rsquo요 동시에 lsquo과

제rsquo인 것이다

Page 3: 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7

21 인간 진화의 방향

모든 생물은 진화해 왔고 지 도 진화하고 있다 그런데 모든 생물

의 진화에는 각각 방향이 있고 그 방향은 생활에 편리한 쪽으로의 방

향이다 흐르는 물에 사는 물고기( 붕어)는 몸을 유선형으로 진화시

켜 왔고 진흙 속에 사는 물고기( 뱀장어)는 둥 고 길게 진화시켜

왔다 그 다면 인간의 진화 방향은 무엇일까 (재미로 의 사람을 꼼

꼼히 살펴보고 그 신체에서 진화의 방향을 찾아보자)

아래의 그림 자료는 인간의 진화 방향을 보여 주는 좋은 자료이다

lt그림 1gt 인간과 침 지의 두뇌 피질 비교

lt그림 2gt 인간의 발성 기 과 침 지의 발성 기 비교

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왼편 그림은 인간 그림이고 오른편 그림은 인간 다음의 장류라 할

수 있는 침팬지 그림이다 lt그림 1gt의 두 그림은 모두 두뇌 피질의 신

경을 그것이 장하는 신체 근육에 맞추어 인간과 침팬지의 신체를 비

율 으로 다시 그린 것이다 그 게 그리고 보니 인간은 손과 입을

장하는 신경이 잘 발달되어 있고 침팬지는 앞발의 엄지발가락 뒷발의

엄지발가락이 잘 발달되어 있다 신경이 하는 일의 부분이 인간의

경우는 손과 입의 움직임과 련되는 일이고 침팬지는 엄지손가락과

엄지발가락의 움직임과 련되는 일임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그림에서 왼편은 인간의 발성 기 이고 오른편은 침팬지의

발성 기 이다 인간이 원래 침팬지와 같은 조상에서 진화해 왔다고 본

다면 인간의 발성 기 진화는 앞으로 튀어나온 입에서 안으로 들어가

는 입으로의 진화라 할 수 있다

lt그림 1gt과 lt그림 2gt 자료는 인간 진화의 방향을 잘 보여 다 그것

은 언어 사용의 방향이다 lt그림 1gt에서 인간의 입이 넓은 것 lt그림 2gt

에서 입이 안으로 들어간 것은 모두 언어 사용과 련되는 신체의 진화를

보여 다

22 문명 발 의 동인(動因)

아래의 lt표 1gt은 미래학자 앨빈 토 러가 제시한 자료로 지구상에

원시 생명체가 출 한 이래 지 까지의 약 20억 년 동안 일어난 요

사건들을 1년이라는 시간 속에 넣어 본 것이다 이 자료에 의하면 원숭

이와 구별되는 lsquo슬기로운 인간(호모 사피엔스)rsquo의 출 은 1년 12월

31일 오후 8시이다 실제 시간으로 보면 약 200만 년 이 된다 이때

부터 재까지 약 200만 년의 기간이 인간이 음성 언어를 사용한 기간

이다 그리고 인간이 문자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12월 31일 자

정 90 이며 실제 시간으로 보면 약 5천 년 이 된다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9

lt표 1gt 1년 시간표로 본 인간 출 과 언어 사용

1년의 시간표 요 사건들

∙ 1월 1일 0시 ∙ 10월 ∙ 11월 하순 ∙ 12월 31일 오후 8시 ∙ 12월 31일 자정 90 ∙ 12월 31일 자정 7

∙ 지구상에 원시 생명체 출 (약 20억 년 )∙ 식물 등장 ∙ 등 동물 등장∙ 인간 등장(음성 언어 사용 약 200만 년 )∙ 문자 발명(문자 언어 사용 약 5천 년 )∙ 과학 문명 시작

인간의 음성 언어 사용 기간이 약 200만 년 정도 되는데 문자 언어

사용 기간은 불과 5천여 년이다 그런데 음성 언어를 사용한 기간 동안

의 인간 생활은 원시생활인데 비해 문자 언어를 사용한 기간의 생활은

문명 생활이었다 이 자료를 통해 본다면 문명의 발 은 분명 문자 언

어의 사용과 깊은 련이 있을 것이라 추정해 볼 수 있다

23 아동의 신체 발달과 지능 발달

인간과 침팬지 그리고 인간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한 아래의 자

료를 살펴보자

lt표 2gt 인간 아동의 성장발달 인간침팬지 비교

나이 언어 기능 몸무게(kg) 두뇌 무게(kg)

인간(남자)

인간(남자)

인간(남자)

침팬지(암컷)

25

135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요한 사실을 찾아볼 수 있다 하나는

인간만이 언어를 사용한다는 이고(바로 아래 단계의 장인 침팬지

1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도 언어를 사용하지 못한다) 두 번째는 인간의 신체 발달에 비해 언어

발달이 매우 일 일어난다는 이다

아동 발달에 한 다른 자료를 하나 더 살펴보자 이 자료는 아동이

출생한 이후 매 6개월마다 조사한 아동의 언어 발달이다

lt표 3gt 아동의 언어 발달

언어 특징

1개월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30개월

36개월

48개월

983791 목 뒷부분에서 울음소리 시작

983791 한 음 의 옹알이 시작

983791 lsquo아가rsquo lsquo엄마rsquo 등의 1어문(一語文) 사용

983791 2어문 사용 시작 30~50어휘 사용

983791 2어문 사용 증가 언어 의사소통에 흥미 가짐

983791 문장의 완벽한 구조인 3어문 이상 사용

983791 어휘 수가 1000여 개로 증가

983791 문법 으로는 성인의 언어와 별 차이 없음

의 자료에 의하면 아동은 약 25세(30개월)가 되면 의사소통에 별

문제가 없는 완 한 구조의 언어(3어문 구조 lsquo주어+목 어나 보어+동

사rsquo 형태)를 사용한다 그리고 4세 정도 되면 거의 성인 언어와 같은

언어 발달을 보인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 하나는 아동의 언어 발달이

성인 수 에 이르는 4세 정도에 아동의 지능 발달도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른다는 이다 아동의 두뇌가 태어날 때부터 언어 사용이 가능할 정

도로 크다는 과 언어 발달이 거의 완성되는 즈음에 지능 발달도 거

의 완성된다는 에서 우리는 언어 사용이 지능 발달의 원천이 되는

것 아닌가 하는 가설을 가질 수 있게 된다

24 학교 교과의 수업 시수

학교에서는 국어 사회 도덕 과학 수학 등 여러 교과를 가르친다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1

그런데 이들 교과의 수업 시수는 교과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아래의 자료가 이를 잘 보여 다

lt표 4gt 각 교과의 주별 수업 시수

학년

교과

등학교 학교

1 2 3 4 5 6 7 8 9

도덕 1 1 1 1 1 1 2 2 1

사회 3 3 3 3 3 3 3 3 4

과학 3 3 3 3 3 3 3 4 4

수학 4 4 4 4 4 4 4 4 3

국어 7 7 6 6 6 6 5 4 4

교과별 수업 시수는 곧 그 교과의 요도를 나타낸다 수업 시수가

많으면 그 교과는 그만큼 요한 교과 그래서 학생들에게 많이 지도해

야 하는 교과라는 뜻이 된다 그런데 의 자료에 의하면 등학교의

경우 국어 교과의 수업 시수는 도덕 교과 수업 시수의 6~7배 사회나

과학 교과의 2배 정도 된다 국어 교육의 핵심 지도 내용이 말하기 듣

기 읽기 쓰기의 언어 사용이라는 을 생각해 본다면 이들 언어 사용

에 한 교육 요성이 얼마나 큰지 충분히 짐작해 볼 수 있다 국어

교과의 수업 시수는 학교 고등학교에 가서도 마찬가지로 많은 편이

다 의 자료는 학교 교육에서 언어 사용을 지도하는 것이 얼마나

요한지를 분명하게 보여 주고 있다

25 교과별 문제 풀이의 어려움 정도

교과별 문제 풀이에 한 아래의 자료를 먼 살펴보고 직 풀어

보기도 해 보자

1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주 식 교과 객 식

20000원을 하여 1년 만에 찾은 돈이

22400원이다 연이율은 몇 인가

답 ( )

수학

4만 원을 하여 1년 만에 찾은 돈이

45200원이다 연이율은 몇 인가

① 10 ② 11 ③ 12 ④ 13

성냥개비의 깜부기불을 만들어 산소가 들어

있는 집기병 속에 넣으면 깜부기불은

어떻게 되나 답 ( )

과학

촛불을 비커로 덮으면 어떻게 되나

차츰 꺼진다 ② 더 잘 탄다

③ 즉시 꺼진다 ④ 변화가 없다

다음 시조에 알맞은 제목을 붙이시오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 나서 옳지 못하면

마소를 갓 고갈 워 밥 먹이나 다르랴

답 ( )

국어

다음 시조에 알맞은 제목을 붙이시오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 나서 옳지 못하면

마소를 갓 고갈 워 밥 먹이나 다르랴

① 수확 ② 가을 ③ 바람 ④ 한가함

의 수학 과학 국어 문제에서 수학의 경우는 문제가 주 식이든

객 식이든 풀이에는 아무 차이가 없다 객 식 문제의 답지가 모두 숫

자로 되어 있고 이들 숫자는 숫자일 뿐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

기 때문이다 과학 문제는 객 식이 조 은 도움이 된다 그러나 문제

해결에 결정 도움은 되지 못한다 수학 문제나 과학 문제 모두 문제

를 풀기 해서는 문제 밖에서 문제 풀이에 매우 요한 지식(문제 풀

이용 공식이든 요 개념이든)을 가져와야 한다 외부에서(더 자세히는

기억 속에서) 련 지식을 가져오지 않으면 이들 교과의 문제는

로 풀 수 없다 외부에서 지식을 가져와야 한다는 에서 과학 교과 그

리고 수학 교과에서조차도 기억이 매우 요한 학습의 수단이 된다

이에 비해 국어 문제는 그 성격이 완 히 다르다 국어 문제의 풀이

에는 외부에서 가져올 지식이 없다 그 신 주어진 지문 속의 내

용을 가지고 제목이라고 할 수 있는 지식을 만들어 내야 한다 이는 달

리 말하면 주어진 의미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수학이나

과학의 문제 풀이는 지식의 용이지만 국어의 문제 풀이는 지식의 생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3

산이다 지식(언어)으로 지식(언어)을 만들어 내는 이런 사고가 바로

언어 처리이며 언어 사용인 것이다 국어 공부에서 기억이 크게 요구되

지 않는 것은 바로 이런 교과 성격 때문이다

3 독서의 기능

의 장에서 살펴보았듯이 독서 더 넓게 보아 인간의 언어 사용은

인류 진화의 방향 아동의 지 성장과 발달 학교에서의 교과 교육과

문제 풀이 등 여러 면에 매우 강한 향을 끼쳐 왔다 의 장에서 살

펴보았듯이 인간의 계통 진화와 개체 발달 학교 교육에서 언어 사

용이 얼마나 요한가를 살필 수 있는 자료들이다 이번 장에서는 독서

가 우리의 개인 사회 삶에서 어떤 기능(機能 function)을 담당하

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31 독서는 문명 발 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앞에서도 잠시 살펴보았듯이 인간의 문명은 문자 언어의 사용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을 캐나다의 심리학자 올슨(Olson)은

아래와 같이 간명하게 말하고 있다

ldquo언어는 인간 개념의 핵심이다 음성 언어의 사용으로 인간은 인

간다워졌고 문자 언어의 사용으로 인간은 문명화되었다rdquo (The

faculty of language stands at the center of the conception of

mankind speech makes us human and literacy makes us civilized)

시간과 공간 속으로 곧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문자 언어

는 오랫동안 기록으로 보존되어 있다 이런 보존으로 인해 인간의 문

1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자 언어 처리는 음성 언어 처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더 깊고

더 넓어진다 바로 여기서 고등 정신 기능(higher mental functioning)

이 이루어지며 이 고등 정신 기능이 바로 과학과 문명을 이루어 낸 원

동력이 되었다 달리 말해서 바로 독서가 인류의 과학과 문명 발 의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32 독서는 의미 창조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작문은 매우 높은 수 의 의미 창조 과정이다 필자가 창의 으로

생각해 낸 의미(내용 지식 정보 느낌 생각 등)가 작문을 통해 이

라는 문자 언어로 표출되기 때문이다

작문 못지않게 독서도 의미 창조의 과정이다 음성이든 문자든 언어

는 그 언어를 이해할 아는 사람에게만 의미 있는 상이 된다 그

언어를 모르는 사람에게는 그 언어가 아무 의미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게 본다면 의미는 언어에 있지 않고 그 언어를 다루는 사람(필자

나 독자)에게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을 읽는 사람은 쓰인 내용을 있는 그 로 받아들이지 않고 읽는

과정에서 많은 새로운 의미 생성의 지 작용을 한다 을 읽고 읽은

을 읽은 그 로 회상하고 표 한다면 이는 분명 의미 창조는 아니다

그러나 을 읽으면서 그 내용을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고 통합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것 등은 모두 읽은 언어를 자료로 하

여 더 깊고 더 넓게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지 작용이다 일상의

읽기 는 독서에서 이런 높은 수 의 지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아래의 문장을 읽어 보자

bull 철수는 먼 산을 바라보며 깊은 생각에 잠겨 있다

이 을 읽고 독자는 먼 그 문장의 문면 (文面的 literal) 뜻을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5

받아들일 것이다 이것도 의미의 창조이다 읽기 에는 몰랐던 것을

읽고 나서 알게 되었으니 의미 창조인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이에 더

하여 독자는 더 많은 생각을 할 것이다 lsquo철수가 무슨 큰 고민에 빠져

있는 것 아닌가rsquo lsquo철수가 헤어진 애인 생각을 하고 있는 것 아닌가rsquo

등의 생각이다 이런 생각이 모두 의미 창조이다 을 읽고 무슨 생각

을 하 다면 그 생각이 무슨 생각이든 그것은 모두 의미 창조인 것이

다 그래서 독서가 의미 창조의 원동력이 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33 독서는 지식 획득과 지혜 확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자는 을 읽으며 로부터 수많은 지식과 정보를 만들어 낸다

그래서 의미를 창조해 내는 것이다 우리의 지식이나 정보는 거의 부

분 독서를 통해서 획득되었고 창조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독서는 을 통한 문면 이해에 그치지 않는다 독자의 사고 활동

이 독서에서 얻는 지식 획득 그 자체에 머물지 않고 그 지식이나 정보

를 더욱 넓고 깊게 확장해 나가는 매우 능동 인 사고이다 철수에

한 앞의 문장에서 보았듯이 독자는 이 을 읽으면서 lsquo철수가 먼 산을

바라보며 생각에 잠겨 있다rsquo는 문면 이해에 더하여 그가 왜 산을 바

라보는지 산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하는지 왜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지 등 많은 추가 인 생각을 더 하게 된다 바로 이런 추가 인 생각

능동 인 사고가 독자의 생각의 깊이와 넓이를 넓 주는 역 확장의

사고이다 그리고 이런 lsquo 역 확장 사고rsquo가 바로 지혜(知慧 wisdom)

인 것이다

지식을 지식으로 받아들이면 그것은 지식의 획득이 된다 그러나 독

서를 하면서 받아들인 지식에 독자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더하여 더

깊고 더 넓고 더 높게 생각하여 그 지식의 련 역을 확장해 나가면

그것이 지혜가 된다 을 읽으며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1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고 단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이 모든 사고 활동이 바로 받아들인

지식에 자신의 사고를 추가하는 고등 수 의 사고요 지혜(知慧)인 것

이다 가지고 있는 것을 더 명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로 지혜이며 그

런 에서 독서는 그 자체가 지식의 획득임과 동시에 지혜의 확장이다

34 독서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인간은 동물 수 의 한 사고(思 )도 하지만 때로는 신과도

같이 매우 높은 수 의 사고도 한다 그런 고등 수 의 사고 에서 가

장 높은 사고가 바로 인지 (超認知的 meta-cognitive) 사고이다 자

신의 사고를 들여다보면서 그것이 옳은지 그른지 바른 방향인지 아닌

지 등의 단을 하고 혹 잘못되었다고 생각할 경우에 이를 바로잡으려

는 수정이나 조정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바로 인지 사고이다 달

리 말해서 인지 사고는 lsquo자신의 앎의 과정을 알고 이를 조정해 내

는 사고rsquo인 것이다

라운(Brown)이라는 미국의 유명한 심리학자가 재미있는 실험 하

나를 했다 그녀는 공부를 잘하는 집단의 학생들과 공부를 잘하지 못하

는 집단의 학생들에게 각각 컴퓨터 화면의 한 편을 이 내용에

한 시험에 비하며 읽으라고 하 다 다음 날 연구자는 같은 집단

학생들에게 같은 을 주면서 이번에 다시 한 번 읽으라고 하 다 그

다음 날에도 연구자는 역시 같은 을 주고 읽으라고 하 다 이

게 세 번 을 읽히면서 연구자는 을 읽는 학생들의 동자 움직임

을 매우 성능이 좋은 이 카메라로 촬 하 고 동자 움직임의 유

형을 분석하 다

실험 결과는 놀라웠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처음 읽기에서는 그

의 매우 요한 부분에 많은 심을 보 다( 동자가 그런 부분에

더 오래 머물 다) 그리고 두 번째 읽을 때에는 첫 번째와는 달리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7

간 정도의 요한 정보에 동자를 오래 멈추었다 그리고 세 번째 읽

기에서는 숫자나 고유 명사와 같은 매우 세세한 부분에까지 주의를 기

울이며 읽었다 즉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는 기억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이고 아직 잘 모르고 있는 부분(기억하

지 못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단해 가며 이해와 기억에 효율 인

방법과 략으로 읽기를 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공부를 잘하지 못하는

학생들의 경우 세 번의 읽기에 나타난 동자 움직임의 유형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들은 처음 읽을 때나 세 번째 읽을 때 모두 의

요 부분에만 주의를 기울 다 달리 말해서 이들은 자신의 이해나

기억에 한 이해가 부족하고 따라서 자신의 읽기 과정을 효율 으로

조 하지 못한 것이다 효율 인 독서는 자기 통제력까지 갖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이 된다

35 독서는 고 수 의 교류 교감 설득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히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책에 쓰여 있는 문자 언어는

소멸되지 않고 그 자리에 그 로 남아 있다 그래서 을 읽는 독자는

시간에 쫓기지 않고 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독서 과정을 조 해 나

간다 천천히 읽기도 하고 내용을 음미하기도 하고 때로는 추리나 상

상도 하면서 여유 있게 을 읽는 것이다

독서는 독자와 필자의 만남이다 독서에서의 독자와 필자의 만남은

지극히 개인 인 만남이다 마치 화에서의 행동과도 같이 독자는 필

자의 을 그 로 받아들여 수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되묻듯이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 보기도 한다 읽은 을 기 자극과 자료로 활용하면

서 더 깊고 더 넓게 추리추론을 하고 비 을 하기도 한다

독서에서의 만남과 소통은 음성 언어를 통한 화에서의 소통보다

훨씬 고 스럽다 일반 생활에서의 만남은 체로 잘 아는 사람들 사이

1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의 만남이고 그래서 그 화는 서로 잘 아는 내용의 화가 되기 쉽

다 그런데 독서에서의 만남은 잘 알지 못하는 사람과의 만남이다 읽

는 도 체로 잘 알지 못하는 내용의 이다 그래서 이런 읽기에

는 세심한 주의( 기)와 높은 수 의 지 사고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독서에서의 만남은 지 사고의 수 이 높아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독서가 고 수 의 지 교류가 되는 것이다

독서에서 읽는 이 정보 심의 이 아닌 정서 심의 이라면

이런 읽기에서의 만남은 그야말로 인간 만남이 된다 분석과 비

과 평가 심의 설명문이나 정보문 읽기와는 달리 정서 인 읽기는

이해와 정과 공감의 심리 효과가 있다 그런 에서 독서는 공감

교류의 원동력도 되는 것이다

36 독서는 창의 직무 수행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서는 lsquo일하기rsquo이다 학생이 학교에서 교과서를 읽는 것은 학생의

본분인 lsquo공부하기rsquo이다 직장의 사무원이나 공무원이 직장에서 하는 독

서는 그 모두가 자신이 해야 할 일 즉 직무를 하는 것이다 공문서를

읽는 일 회의 자료를 만들기 해 자료를 읽고 수집하는 일 회의 결

과를 읽으며 다시 한 번 그 내용을 검하는 일 민원에 답하기 해

련 법 조항을 참조하거나 과거의 련 기록을 찾아보는 일 등 직장

에서 하는 읽기는 그 모두가 lsquo일하기rsquo인 것이다

직장에서의 독서 직장 일하기의 일환으로 하는 읽기는 과거의 것을

그 로 반복하는 읽기가 아니다 직장의 회의에서 다루는 주제나 문제

는 항상 새로운 주제ㆍ문제이다 새로 받아 읽는 공문서도 새로운 내용

의 공문서이다 민원도 과거의 민원과는 다른 새로운 민원이다 이 듯

하는 일 자체가 매일매일 새로운 일이기에 이 일의 처리를 한 읽기

도 매번 새로운 창의 읽기이다 그런 에서 직장에서의 읽기나 독서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9

는 항상 창의 인 직무 수행이 된다

직장에서의 직무 수행 독서는 담당 직 가 높을수록 더 깊고 넓은

창의 사고를 요구한다 어느 직장에서든지 그 조직에서 가장 아래에

치한 사람의 일은 머리를 사용하기보다는 근육을 더 필요로 하는 일

이기 쉽다 이런 일은 과거에 했던 일과 별반 차이가 없는 매우 반

복 인 일이기 쉽다 거기에는 깊은 생각도 높은 창의성도 그리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직장의 조직에서 높은 지 에 있는 사람이 하

는 일은 사뭇 다르다 이런 사람이 하는 일은 근육 일이 아니라 머리

를 써야 하는 일이다 즉 노동이 아니라 사고(思 )인 것이다 이런 사

람이 하는 일일수록 창의성도 더 많이 요구된다 한 번 잘못 단하게

되면 그 결과가 조직 체에 치명 일 수 있다 그래서 더 많이 더 깊

게 그리고 더 치 하게 분석하고 단해야 한다 직장에서의 독서가 바

로 그런 고 사고의 수단이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37 독서는 민주 사회 확립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한때는 을 읽을 수 있고 쓸 수 있는 능력

이 그 사회의 엘리트만의 독 물로 생각되었다 만일 농민이나 노동자

들이 을 깨치게 되면 이들이 일은 하지 않고 정치에 간섭만 하게 된

다고 생각하여 아 이들에게 읽기를 가르치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속 활자의 발명과 보 은 농민과 노동자들을 생각할 수 있고 단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바꾸어 놓는 결정 인 계기가 되었다 속 활자

의 발명으로 책이 량으로 생산되었고 책의 보편 보 으로 공교육

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지식과 정보가 체 국민

들에게 보편화되었고 한 을 읽고 쓰는 과정에서 의식과 단이 높

아지게 되었다 그 결과 농민과 노동자들의 읽기와 쓰기는 결국에는 엘

리트만의 건 사회를 무 뜨리고 민주 사회를 형성하는 정치ㆍ사회

2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변 까지 낳았다

부분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세계 부분의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교육의 최고의 목표를 읽기와 쓰기에 두고 있다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인권을 매우 요한 천부 권한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더 나아가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교육권도 매우 요

한 인권으로 인정하고 있다 의무 교육 연한을 최소한 고등학교까지 올

려 lsquo모든 국민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rsquo고 선언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문식권(文識權 Right to Read and Write)인 것이다 인권

은 한 개인이 자아의 필요와 사회의 요구에 히 응해 가며 살아

갈 수 있을 때에 보장되는데 교육이 바로 그런 인권 보장의 요한 수

단이 된다 그리고 그런 교육의 핵심에 바로 독서와 작문이 있는 것이

다 이런 에서 아래에 제시된 읽기와 쓰기 독서와 작문에 을 맞

춘 하버드 학의 교육 목표는 여러 사회 여러 국가의 귀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인류 최 문화유산인 책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interpret a great humanistic text)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고 설득력 있

는 로 써 낼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compose a literate and persuasive essay)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21

4 결 론

독서는 요하다 독서는 한 개인의 지 ㆍ정의 성장에 요하고

사회의 운용과 유지 발 에 요하다 독서는 국가 차원에서도 요

하다 국민은 독서를 통해서 지식을 획득하고 지력도 높이고 지혜도

넓 간다 그래서 국민 개개인의 독서력 향상은 곧 국가의 지식과 지

력과 지혜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독서는 그만큼 개인 이고 사회 이

고 국가 이다 그래서 각국에서는 국민의 독서력 향상에 국가 심

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서의 요성과 독서 교육의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에서

는 아직도 독서에 해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기 되

는 만큼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학 입시에 억 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입시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독서를 억제시키기도

한다 교과서의 지식 암기를 학생의 사고력 신장보다 더 요시하고 있

는 실정이다

독서에 한 사회 인식도 아직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공공 도

서 은 태부족이고 설사 있다고 하더라고 그 실상이 무 라한 형편

이다 장서도 부족하고 일하는 사람도 부족한 편이다 도서 구입과 도

서 운 의 재원도 부족하며 도서 나름의 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

정이다

독서에 한 국가 차원의 심과 정책 개발도 아직 요원한 상태이

다 국민의 독서 권장을 한 법 제도 장치도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독서문화진흥법이 제정되기는 하 지만 그 세부 규정에

한 국가 시행 노력과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한때 우리나라는 새마을 운동으로 국가의 면모를 새롭게 바꾼 경험

이 있다 독서가 바로 제2의 새마을 운동이 될 수 있다 새마을 운동이

물리 환경 개선에 많이 치 되었던 에 비하면 독서는 그야말로 정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신 개 사고 개 의식 명 교육 신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요

한 운동이 될 수 있다

비용 면에서도 독서 운동은 의 새마을 운동보다 훨씬 은 재정

투입으로 훨씬 더 큰 개 을 가져올 수 있다 책 읽는 사회(reading

society)를 지향하고 독자의 나라(nation of readers)를 만들며 읽기와 쓰

기를 통해 민주주의(democracy)를 실 시키는 문식성의 기능(機能

functions)을 생각하면서 독서와 작문을 심으로 하는 문식성 교육의

진흥에 다 같이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 게 하기 해서는 먼 학교

교육이 문식성 심 교육으로 바 어야 한다 독서 이에 더하여 작문

은 우리 개인에게 우리 사회에 우리 국가에 우리 학교 교육에 그만큼

요하고 그만큼 실히 요구되는 우리 모두의 lsquo목표rsquo요 동시에 lsquo과

제rsquo인 것이다

Page 4: 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왼편 그림은 인간 그림이고 오른편 그림은 인간 다음의 장류라 할

수 있는 침팬지 그림이다 lt그림 1gt의 두 그림은 모두 두뇌 피질의 신

경을 그것이 장하는 신체 근육에 맞추어 인간과 침팬지의 신체를 비

율 으로 다시 그린 것이다 그 게 그리고 보니 인간은 손과 입을

장하는 신경이 잘 발달되어 있고 침팬지는 앞발의 엄지발가락 뒷발의

엄지발가락이 잘 발달되어 있다 신경이 하는 일의 부분이 인간의

경우는 손과 입의 움직임과 련되는 일이고 침팬지는 엄지손가락과

엄지발가락의 움직임과 련되는 일임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그림에서 왼편은 인간의 발성 기 이고 오른편은 침팬지의

발성 기 이다 인간이 원래 침팬지와 같은 조상에서 진화해 왔다고 본

다면 인간의 발성 기 진화는 앞으로 튀어나온 입에서 안으로 들어가

는 입으로의 진화라 할 수 있다

lt그림 1gt과 lt그림 2gt 자료는 인간 진화의 방향을 잘 보여 다 그것

은 언어 사용의 방향이다 lt그림 1gt에서 인간의 입이 넓은 것 lt그림 2gt

에서 입이 안으로 들어간 것은 모두 언어 사용과 련되는 신체의 진화를

보여 다

22 문명 발 의 동인(動因)

아래의 lt표 1gt은 미래학자 앨빈 토 러가 제시한 자료로 지구상에

원시 생명체가 출 한 이래 지 까지의 약 20억 년 동안 일어난 요

사건들을 1년이라는 시간 속에 넣어 본 것이다 이 자료에 의하면 원숭

이와 구별되는 lsquo슬기로운 인간(호모 사피엔스)rsquo의 출 은 1년 12월

31일 오후 8시이다 실제 시간으로 보면 약 200만 년 이 된다 이때

부터 재까지 약 200만 년의 기간이 인간이 음성 언어를 사용한 기간

이다 그리고 인간이 문자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12월 31일 자

정 90 이며 실제 시간으로 보면 약 5천 년 이 된다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9

lt표 1gt 1년 시간표로 본 인간 출 과 언어 사용

1년의 시간표 요 사건들

∙ 1월 1일 0시 ∙ 10월 ∙ 11월 하순 ∙ 12월 31일 오후 8시 ∙ 12월 31일 자정 90 ∙ 12월 31일 자정 7

∙ 지구상에 원시 생명체 출 (약 20억 년 )∙ 식물 등장 ∙ 등 동물 등장∙ 인간 등장(음성 언어 사용 약 200만 년 )∙ 문자 발명(문자 언어 사용 약 5천 년 )∙ 과학 문명 시작

인간의 음성 언어 사용 기간이 약 200만 년 정도 되는데 문자 언어

사용 기간은 불과 5천여 년이다 그런데 음성 언어를 사용한 기간 동안

의 인간 생활은 원시생활인데 비해 문자 언어를 사용한 기간의 생활은

문명 생활이었다 이 자료를 통해 본다면 문명의 발 은 분명 문자 언

어의 사용과 깊은 련이 있을 것이라 추정해 볼 수 있다

23 아동의 신체 발달과 지능 발달

인간과 침팬지 그리고 인간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한 아래의 자

료를 살펴보자

lt표 2gt 인간 아동의 성장발달 인간침팬지 비교

나이 언어 기능 몸무게(kg) 두뇌 무게(kg)

인간(남자)

인간(남자)

인간(남자)

침팬지(암컷)

25

135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요한 사실을 찾아볼 수 있다 하나는

인간만이 언어를 사용한다는 이고(바로 아래 단계의 장인 침팬지

1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도 언어를 사용하지 못한다) 두 번째는 인간의 신체 발달에 비해 언어

발달이 매우 일 일어난다는 이다

아동 발달에 한 다른 자료를 하나 더 살펴보자 이 자료는 아동이

출생한 이후 매 6개월마다 조사한 아동의 언어 발달이다

lt표 3gt 아동의 언어 발달

언어 특징

1개월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30개월

36개월

48개월

983791 목 뒷부분에서 울음소리 시작

983791 한 음 의 옹알이 시작

983791 lsquo아가rsquo lsquo엄마rsquo 등의 1어문(一語文) 사용

983791 2어문 사용 시작 30~50어휘 사용

983791 2어문 사용 증가 언어 의사소통에 흥미 가짐

983791 문장의 완벽한 구조인 3어문 이상 사용

983791 어휘 수가 1000여 개로 증가

983791 문법 으로는 성인의 언어와 별 차이 없음

의 자료에 의하면 아동은 약 25세(30개월)가 되면 의사소통에 별

문제가 없는 완 한 구조의 언어(3어문 구조 lsquo주어+목 어나 보어+동

사rsquo 형태)를 사용한다 그리고 4세 정도 되면 거의 성인 언어와 같은

언어 발달을 보인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 하나는 아동의 언어 발달이

성인 수 에 이르는 4세 정도에 아동의 지능 발달도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른다는 이다 아동의 두뇌가 태어날 때부터 언어 사용이 가능할 정

도로 크다는 과 언어 발달이 거의 완성되는 즈음에 지능 발달도 거

의 완성된다는 에서 우리는 언어 사용이 지능 발달의 원천이 되는

것 아닌가 하는 가설을 가질 수 있게 된다

24 학교 교과의 수업 시수

학교에서는 국어 사회 도덕 과학 수학 등 여러 교과를 가르친다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1

그런데 이들 교과의 수업 시수는 교과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아래의 자료가 이를 잘 보여 다

lt표 4gt 각 교과의 주별 수업 시수

학년

교과

등학교 학교

1 2 3 4 5 6 7 8 9

도덕 1 1 1 1 1 1 2 2 1

사회 3 3 3 3 3 3 3 3 4

과학 3 3 3 3 3 3 3 4 4

수학 4 4 4 4 4 4 4 4 3

국어 7 7 6 6 6 6 5 4 4

교과별 수업 시수는 곧 그 교과의 요도를 나타낸다 수업 시수가

많으면 그 교과는 그만큼 요한 교과 그래서 학생들에게 많이 지도해

야 하는 교과라는 뜻이 된다 그런데 의 자료에 의하면 등학교의

경우 국어 교과의 수업 시수는 도덕 교과 수업 시수의 6~7배 사회나

과학 교과의 2배 정도 된다 국어 교육의 핵심 지도 내용이 말하기 듣

기 읽기 쓰기의 언어 사용이라는 을 생각해 본다면 이들 언어 사용

에 한 교육 요성이 얼마나 큰지 충분히 짐작해 볼 수 있다 국어

교과의 수업 시수는 학교 고등학교에 가서도 마찬가지로 많은 편이

다 의 자료는 학교 교육에서 언어 사용을 지도하는 것이 얼마나

요한지를 분명하게 보여 주고 있다

25 교과별 문제 풀이의 어려움 정도

교과별 문제 풀이에 한 아래의 자료를 먼 살펴보고 직 풀어

보기도 해 보자

1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주 식 교과 객 식

20000원을 하여 1년 만에 찾은 돈이

22400원이다 연이율은 몇 인가

답 ( )

수학

4만 원을 하여 1년 만에 찾은 돈이

45200원이다 연이율은 몇 인가

① 10 ② 11 ③ 12 ④ 13

성냥개비의 깜부기불을 만들어 산소가 들어

있는 집기병 속에 넣으면 깜부기불은

어떻게 되나 답 ( )

과학

촛불을 비커로 덮으면 어떻게 되나

차츰 꺼진다 ② 더 잘 탄다

③ 즉시 꺼진다 ④ 변화가 없다

다음 시조에 알맞은 제목을 붙이시오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 나서 옳지 못하면

마소를 갓 고갈 워 밥 먹이나 다르랴

답 ( )

국어

다음 시조에 알맞은 제목을 붙이시오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 나서 옳지 못하면

마소를 갓 고갈 워 밥 먹이나 다르랴

① 수확 ② 가을 ③ 바람 ④ 한가함

의 수학 과학 국어 문제에서 수학의 경우는 문제가 주 식이든

객 식이든 풀이에는 아무 차이가 없다 객 식 문제의 답지가 모두 숫

자로 되어 있고 이들 숫자는 숫자일 뿐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

기 때문이다 과학 문제는 객 식이 조 은 도움이 된다 그러나 문제

해결에 결정 도움은 되지 못한다 수학 문제나 과학 문제 모두 문제

를 풀기 해서는 문제 밖에서 문제 풀이에 매우 요한 지식(문제 풀

이용 공식이든 요 개념이든)을 가져와야 한다 외부에서(더 자세히는

기억 속에서) 련 지식을 가져오지 않으면 이들 교과의 문제는

로 풀 수 없다 외부에서 지식을 가져와야 한다는 에서 과학 교과 그

리고 수학 교과에서조차도 기억이 매우 요한 학습의 수단이 된다

이에 비해 국어 문제는 그 성격이 완 히 다르다 국어 문제의 풀이

에는 외부에서 가져올 지식이 없다 그 신 주어진 지문 속의 내

용을 가지고 제목이라고 할 수 있는 지식을 만들어 내야 한다 이는 달

리 말하면 주어진 의미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수학이나

과학의 문제 풀이는 지식의 용이지만 국어의 문제 풀이는 지식의 생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3

산이다 지식(언어)으로 지식(언어)을 만들어 내는 이런 사고가 바로

언어 처리이며 언어 사용인 것이다 국어 공부에서 기억이 크게 요구되

지 않는 것은 바로 이런 교과 성격 때문이다

3 독서의 기능

의 장에서 살펴보았듯이 독서 더 넓게 보아 인간의 언어 사용은

인류 진화의 방향 아동의 지 성장과 발달 학교에서의 교과 교육과

문제 풀이 등 여러 면에 매우 강한 향을 끼쳐 왔다 의 장에서 살

펴보았듯이 인간의 계통 진화와 개체 발달 학교 교육에서 언어 사

용이 얼마나 요한가를 살필 수 있는 자료들이다 이번 장에서는 독서

가 우리의 개인 사회 삶에서 어떤 기능(機能 function)을 담당하

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31 독서는 문명 발 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앞에서도 잠시 살펴보았듯이 인간의 문명은 문자 언어의 사용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을 캐나다의 심리학자 올슨(Olson)은

아래와 같이 간명하게 말하고 있다

ldquo언어는 인간 개념의 핵심이다 음성 언어의 사용으로 인간은 인

간다워졌고 문자 언어의 사용으로 인간은 문명화되었다rdquo (The

faculty of language stands at the center of the conception of

mankind speech makes us human and literacy makes us civilized)

시간과 공간 속으로 곧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문자 언어

는 오랫동안 기록으로 보존되어 있다 이런 보존으로 인해 인간의 문

1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자 언어 처리는 음성 언어 처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더 깊고

더 넓어진다 바로 여기서 고등 정신 기능(higher mental functioning)

이 이루어지며 이 고등 정신 기능이 바로 과학과 문명을 이루어 낸 원

동력이 되었다 달리 말해서 바로 독서가 인류의 과학과 문명 발 의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32 독서는 의미 창조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작문은 매우 높은 수 의 의미 창조 과정이다 필자가 창의 으로

생각해 낸 의미(내용 지식 정보 느낌 생각 등)가 작문을 통해 이

라는 문자 언어로 표출되기 때문이다

작문 못지않게 독서도 의미 창조의 과정이다 음성이든 문자든 언어

는 그 언어를 이해할 아는 사람에게만 의미 있는 상이 된다 그

언어를 모르는 사람에게는 그 언어가 아무 의미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게 본다면 의미는 언어에 있지 않고 그 언어를 다루는 사람(필자

나 독자)에게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을 읽는 사람은 쓰인 내용을 있는 그 로 받아들이지 않고 읽는

과정에서 많은 새로운 의미 생성의 지 작용을 한다 을 읽고 읽은

을 읽은 그 로 회상하고 표 한다면 이는 분명 의미 창조는 아니다

그러나 을 읽으면서 그 내용을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고 통합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것 등은 모두 읽은 언어를 자료로 하

여 더 깊고 더 넓게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지 작용이다 일상의

읽기 는 독서에서 이런 높은 수 의 지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아래의 문장을 읽어 보자

bull 철수는 먼 산을 바라보며 깊은 생각에 잠겨 있다

이 을 읽고 독자는 먼 그 문장의 문면 (文面的 literal) 뜻을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5

받아들일 것이다 이것도 의미의 창조이다 읽기 에는 몰랐던 것을

읽고 나서 알게 되었으니 의미 창조인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이에 더

하여 독자는 더 많은 생각을 할 것이다 lsquo철수가 무슨 큰 고민에 빠져

있는 것 아닌가rsquo lsquo철수가 헤어진 애인 생각을 하고 있는 것 아닌가rsquo

등의 생각이다 이런 생각이 모두 의미 창조이다 을 읽고 무슨 생각

을 하 다면 그 생각이 무슨 생각이든 그것은 모두 의미 창조인 것이

다 그래서 독서가 의미 창조의 원동력이 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33 독서는 지식 획득과 지혜 확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자는 을 읽으며 로부터 수많은 지식과 정보를 만들어 낸다

그래서 의미를 창조해 내는 것이다 우리의 지식이나 정보는 거의 부

분 독서를 통해서 획득되었고 창조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독서는 을 통한 문면 이해에 그치지 않는다 독자의 사고 활동

이 독서에서 얻는 지식 획득 그 자체에 머물지 않고 그 지식이나 정보

를 더욱 넓고 깊게 확장해 나가는 매우 능동 인 사고이다 철수에

한 앞의 문장에서 보았듯이 독자는 이 을 읽으면서 lsquo철수가 먼 산을

바라보며 생각에 잠겨 있다rsquo는 문면 이해에 더하여 그가 왜 산을 바

라보는지 산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하는지 왜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지 등 많은 추가 인 생각을 더 하게 된다 바로 이런 추가 인 생각

능동 인 사고가 독자의 생각의 깊이와 넓이를 넓 주는 역 확장의

사고이다 그리고 이런 lsquo 역 확장 사고rsquo가 바로 지혜(知慧 wisdom)

인 것이다

지식을 지식으로 받아들이면 그것은 지식의 획득이 된다 그러나 독

서를 하면서 받아들인 지식에 독자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더하여 더

깊고 더 넓고 더 높게 생각하여 그 지식의 련 역을 확장해 나가면

그것이 지혜가 된다 을 읽으며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1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고 단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이 모든 사고 활동이 바로 받아들인

지식에 자신의 사고를 추가하는 고등 수 의 사고요 지혜(知慧)인 것

이다 가지고 있는 것을 더 명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로 지혜이며 그

런 에서 독서는 그 자체가 지식의 획득임과 동시에 지혜의 확장이다

34 독서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인간은 동물 수 의 한 사고(思 )도 하지만 때로는 신과도

같이 매우 높은 수 의 사고도 한다 그런 고등 수 의 사고 에서 가

장 높은 사고가 바로 인지 (超認知的 meta-cognitive) 사고이다 자

신의 사고를 들여다보면서 그것이 옳은지 그른지 바른 방향인지 아닌

지 등의 단을 하고 혹 잘못되었다고 생각할 경우에 이를 바로잡으려

는 수정이나 조정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바로 인지 사고이다 달

리 말해서 인지 사고는 lsquo자신의 앎의 과정을 알고 이를 조정해 내

는 사고rsquo인 것이다

라운(Brown)이라는 미국의 유명한 심리학자가 재미있는 실험 하

나를 했다 그녀는 공부를 잘하는 집단의 학생들과 공부를 잘하지 못하

는 집단의 학생들에게 각각 컴퓨터 화면의 한 편을 이 내용에

한 시험에 비하며 읽으라고 하 다 다음 날 연구자는 같은 집단

학생들에게 같은 을 주면서 이번에 다시 한 번 읽으라고 하 다 그

다음 날에도 연구자는 역시 같은 을 주고 읽으라고 하 다 이

게 세 번 을 읽히면서 연구자는 을 읽는 학생들의 동자 움직임

을 매우 성능이 좋은 이 카메라로 촬 하 고 동자 움직임의 유

형을 분석하 다

실험 결과는 놀라웠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처음 읽기에서는 그

의 매우 요한 부분에 많은 심을 보 다( 동자가 그런 부분에

더 오래 머물 다) 그리고 두 번째 읽을 때에는 첫 번째와는 달리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7

간 정도의 요한 정보에 동자를 오래 멈추었다 그리고 세 번째 읽

기에서는 숫자나 고유 명사와 같은 매우 세세한 부분에까지 주의를 기

울이며 읽었다 즉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는 기억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이고 아직 잘 모르고 있는 부분(기억하

지 못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단해 가며 이해와 기억에 효율 인

방법과 략으로 읽기를 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공부를 잘하지 못하는

학생들의 경우 세 번의 읽기에 나타난 동자 움직임의 유형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들은 처음 읽을 때나 세 번째 읽을 때 모두 의

요 부분에만 주의를 기울 다 달리 말해서 이들은 자신의 이해나

기억에 한 이해가 부족하고 따라서 자신의 읽기 과정을 효율 으로

조 하지 못한 것이다 효율 인 독서는 자기 통제력까지 갖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이 된다

35 독서는 고 수 의 교류 교감 설득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히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책에 쓰여 있는 문자 언어는

소멸되지 않고 그 자리에 그 로 남아 있다 그래서 을 읽는 독자는

시간에 쫓기지 않고 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독서 과정을 조 해 나

간다 천천히 읽기도 하고 내용을 음미하기도 하고 때로는 추리나 상

상도 하면서 여유 있게 을 읽는 것이다

독서는 독자와 필자의 만남이다 독서에서의 독자와 필자의 만남은

지극히 개인 인 만남이다 마치 화에서의 행동과도 같이 독자는 필

자의 을 그 로 받아들여 수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되묻듯이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 보기도 한다 읽은 을 기 자극과 자료로 활용하면

서 더 깊고 더 넓게 추리추론을 하고 비 을 하기도 한다

독서에서의 만남과 소통은 음성 언어를 통한 화에서의 소통보다

훨씬 고 스럽다 일반 생활에서의 만남은 체로 잘 아는 사람들 사이

1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의 만남이고 그래서 그 화는 서로 잘 아는 내용의 화가 되기 쉽

다 그런데 독서에서의 만남은 잘 알지 못하는 사람과의 만남이다 읽

는 도 체로 잘 알지 못하는 내용의 이다 그래서 이런 읽기에

는 세심한 주의( 기)와 높은 수 의 지 사고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독서에서의 만남은 지 사고의 수 이 높아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독서가 고 수 의 지 교류가 되는 것이다

독서에서 읽는 이 정보 심의 이 아닌 정서 심의 이라면

이런 읽기에서의 만남은 그야말로 인간 만남이 된다 분석과 비

과 평가 심의 설명문이나 정보문 읽기와는 달리 정서 인 읽기는

이해와 정과 공감의 심리 효과가 있다 그런 에서 독서는 공감

교류의 원동력도 되는 것이다

36 독서는 창의 직무 수행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서는 lsquo일하기rsquo이다 학생이 학교에서 교과서를 읽는 것은 학생의

본분인 lsquo공부하기rsquo이다 직장의 사무원이나 공무원이 직장에서 하는 독

서는 그 모두가 자신이 해야 할 일 즉 직무를 하는 것이다 공문서를

읽는 일 회의 자료를 만들기 해 자료를 읽고 수집하는 일 회의 결

과를 읽으며 다시 한 번 그 내용을 검하는 일 민원에 답하기 해

련 법 조항을 참조하거나 과거의 련 기록을 찾아보는 일 등 직장

에서 하는 읽기는 그 모두가 lsquo일하기rsquo인 것이다

직장에서의 독서 직장 일하기의 일환으로 하는 읽기는 과거의 것을

그 로 반복하는 읽기가 아니다 직장의 회의에서 다루는 주제나 문제

는 항상 새로운 주제ㆍ문제이다 새로 받아 읽는 공문서도 새로운 내용

의 공문서이다 민원도 과거의 민원과는 다른 새로운 민원이다 이 듯

하는 일 자체가 매일매일 새로운 일이기에 이 일의 처리를 한 읽기

도 매번 새로운 창의 읽기이다 그런 에서 직장에서의 읽기나 독서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9

는 항상 창의 인 직무 수행이 된다

직장에서의 직무 수행 독서는 담당 직 가 높을수록 더 깊고 넓은

창의 사고를 요구한다 어느 직장에서든지 그 조직에서 가장 아래에

치한 사람의 일은 머리를 사용하기보다는 근육을 더 필요로 하는 일

이기 쉽다 이런 일은 과거에 했던 일과 별반 차이가 없는 매우 반

복 인 일이기 쉽다 거기에는 깊은 생각도 높은 창의성도 그리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직장의 조직에서 높은 지 에 있는 사람이 하

는 일은 사뭇 다르다 이런 사람이 하는 일은 근육 일이 아니라 머리

를 써야 하는 일이다 즉 노동이 아니라 사고(思 )인 것이다 이런 사

람이 하는 일일수록 창의성도 더 많이 요구된다 한 번 잘못 단하게

되면 그 결과가 조직 체에 치명 일 수 있다 그래서 더 많이 더 깊

게 그리고 더 치 하게 분석하고 단해야 한다 직장에서의 독서가 바

로 그런 고 사고의 수단이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37 독서는 민주 사회 확립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한때는 을 읽을 수 있고 쓸 수 있는 능력

이 그 사회의 엘리트만의 독 물로 생각되었다 만일 농민이나 노동자

들이 을 깨치게 되면 이들이 일은 하지 않고 정치에 간섭만 하게 된

다고 생각하여 아 이들에게 읽기를 가르치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속 활자의 발명과 보 은 농민과 노동자들을 생각할 수 있고 단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바꾸어 놓는 결정 인 계기가 되었다 속 활자

의 발명으로 책이 량으로 생산되었고 책의 보편 보 으로 공교육

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지식과 정보가 체 국민

들에게 보편화되었고 한 을 읽고 쓰는 과정에서 의식과 단이 높

아지게 되었다 그 결과 농민과 노동자들의 읽기와 쓰기는 결국에는 엘

리트만의 건 사회를 무 뜨리고 민주 사회를 형성하는 정치ㆍ사회

2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변 까지 낳았다

부분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세계 부분의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교육의 최고의 목표를 읽기와 쓰기에 두고 있다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인권을 매우 요한 천부 권한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더 나아가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교육권도 매우 요

한 인권으로 인정하고 있다 의무 교육 연한을 최소한 고등학교까지 올

려 lsquo모든 국민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rsquo고 선언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문식권(文識權 Right to Read and Write)인 것이다 인권

은 한 개인이 자아의 필요와 사회의 요구에 히 응해 가며 살아

갈 수 있을 때에 보장되는데 교육이 바로 그런 인권 보장의 요한 수

단이 된다 그리고 그런 교육의 핵심에 바로 독서와 작문이 있는 것이

다 이런 에서 아래에 제시된 읽기와 쓰기 독서와 작문에 을 맞

춘 하버드 학의 교육 목표는 여러 사회 여러 국가의 귀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인류 최 문화유산인 책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interpret a great humanistic text)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고 설득력 있

는 로 써 낼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compose a literate and persuasive essay)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21

4 결 론

독서는 요하다 독서는 한 개인의 지 ㆍ정의 성장에 요하고

사회의 운용과 유지 발 에 요하다 독서는 국가 차원에서도 요

하다 국민은 독서를 통해서 지식을 획득하고 지력도 높이고 지혜도

넓 간다 그래서 국민 개개인의 독서력 향상은 곧 국가의 지식과 지

력과 지혜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독서는 그만큼 개인 이고 사회 이

고 국가 이다 그래서 각국에서는 국민의 독서력 향상에 국가 심

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서의 요성과 독서 교육의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에서

는 아직도 독서에 해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기 되

는 만큼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학 입시에 억 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입시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독서를 억제시키기도

한다 교과서의 지식 암기를 학생의 사고력 신장보다 더 요시하고 있

는 실정이다

독서에 한 사회 인식도 아직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공공 도

서 은 태부족이고 설사 있다고 하더라고 그 실상이 무 라한 형편

이다 장서도 부족하고 일하는 사람도 부족한 편이다 도서 구입과 도

서 운 의 재원도 부족하며 도서 나름의 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

정이다

독서에 한 국가 차원의 심과 정책 개발도 아직 요원한 상태이

다 국민의 독서 권장을 한 법 제도 장치도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독서문화진흥법이 제정되기는 하 지만 그 세부 규정에

한 국가 시행 노력과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한때 우리나라는 새마을 운동으로 국가의 면모를 새롭게 바꾼 경험

이 있다 독서가 바로 제2의 새마을 운동이 될 수 있다 새마을 운동이

물리 환경 개선에 많이 치 되었던 에 비하면 독서는 그야말로 정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신 개 사고 개 의식 명 교육 신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요

한 운동이 될 수 있다

비용 면에서도 독서 운동은 의 새마을 운동보다 훨씬 은 재정

투입으로 훨씬 더 큰 개 을 가져올 수 있다 책 읽는 사회(reading

society)를 지향하고 독자의 나라(nation of readers)를 만들며 읽기와 쓰

기를 통해 민주주의(democracy)를 실 시키는 문식성의 기능(機能

functions)을 생각하면서 독서와 작문을 심으로 하는 문식성 교육의

진흥에 다 같이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 게 하기 해서는 먼 학교

교육이 문식성 심 교육으로 바 어야 한다 독서 이에 더하여 작문

은 우리 개인에게 우리 사회에 우리 국가에 우리 학교 교육에 그만큼

요하고 그만큼 실히 요구되는 우리 모두의 lsquo목표rsquo요 동시에 lsquo과

제rsquo인 것이다

Page 5: 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9

lt표 1gt 1년 시간표로 본 인간 출 과 언어 사용

1년의 시간표 요 사건들

∙ 1월 1일 0시 ∙ 10월 ∙ 11월 하순 ∙ 12월 31일 오후 8시 ∙ 12월 31일 자정 90 ∙ 12월 31일 자정 7

∙ 지구상에 원시 생명체 출 (약 20억 년 )∙ 식물 등장 ∙ 등 동물 등장∙ 인간 등장(음성 언어 사용 약 200만 년 )∙ 문자 발명(문자 언어 사용 약 5천 년 )∙ 과학 문명 시작

인간의 음성 언어 사용 기간이 약 200만 년 정도 되는데 문자 언어

사용 기간은 불과 5천여 년이다 그런데 음성 언어를 사용한 기간 동안

의 인간 생활은 원시생활인데 비해 문자 언어를 사용한 기간의 생활은

문명 생활이었다 이 자료를 통해 본다면 문명의 발 은 분명 문자 언

어의 사용과 깊은 련이 있을 것이라 추정해 볼 수 있다

23 아동의 신체 발달과 지능 발달

인간과 침팬지 그리고 인간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한 아래의 자

료를 살펴보자

lt표 2gt 인간 아동의 성장발달 인간침팬지 비교

나이 언어 기능 몸무게(kg) 두뇌 무게(kg)

인간(남자)

인간(남자)

인간(남자)

침팬지(암컷)

25

135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요한 사실을 찾아볼 수 있다 하나는

인간만이 언어를 사용한다는 이고(바로 아래 단계의 장인 침팬지

1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도 언어를 사용하지 못한다) 두 번째는 인간의 신체 발달에 비해 언어

발달이 매우 일 일어난다는 이다

아동 발달에 한 다른 자료를 하나 더 살펴보자 이 자료는 아동이

출생한 이후 매 6개월마다 조사한 아동의 언어 발달이다

lt표 3gt 아동의 언어 발달

언어 특징

1개월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30개월

36개월

48개월

983791 목 뒷부분에서 울음소리 시작

983791 한 음 의 옹알이 시작

983791 lsquo아가rsquo lsquo엄마rsquo 등의 1어문(一語文) 사용

983791 2어문 사용 시작 30~50어휘 사용

983791 2어문 사용 증가 언어 의사소통에 흥미 가짐

983791 문장의 완벽한 구조인 3어문 이상 사용

983791 어휘 수가 1000여 개로 증가

983791 문법 으로는 성인의 언어와 별 차이 없음

의 자료에 의하면 아동은 약 25세(30개월)가 되면 의사소통에 별

문제가 없는 완 한 구조의 언어(3어문 구조 lsquo주어+목 어나 보어+동

사rsquo 형태)를 사용한다 그리고 4세 정도 되면 거의 성인 언어와 같은

언어 발달을 보인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 하나는 아동의 언어 발달이

성인 수 에 이르는 4세 정도에 아동의 지능 발달도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른다는 이다 아동의 두뇌가 태어날 때부터 언어 사용이 가능할 정

도로 크다는 과 언어 발달이 거의 완성되는 즈음에 지능 발달도 거

의 완성된다는 에서 우리는 언어 사용이 지능 발달의 원천이 되는

것 아닌가 하는 가설을 가질 수 있게 된다

24 학교 교과의 수업 시수

학교에서는 국어 사회 도덕 과학 수학 등 여러 교과를 가르친다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1

그런데 이들 교과의 수업 시수는 교과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아래의 자료가 이를 잘 보여 다

lt표 4gt 각 교과의 주별 수업 시수

학년

교과

등학교 학교

1 2 3 4 5 6 7 8 9

도덕 1 1 1 1 1 1 2 2 1

사회 3 3 3 3 3 3 3 3 4

과학 3 3 3 3 3 3 3 4 4

수학 4 4 4 4 4 4 4 4 3

국어 7 7 6 6 6 6 5 4 4

교과별 수업 시수는 곧 그 교과의 요도를 나타낸다 수업 시수가

많으면 그 교과는 그만큼 요한 교과 그래서 학생들에게 많이 지도해

야 하는 교과라는 뜻이 된다 그런데 의 자료에 의하면 등학교의

경우 국어 교과의 수업 시수는 도덕 교과 수업 시수의 6~7배 사회나

과학 교과의 2배 정도 된다 국어 교육의 핵심 지도 내용이 말하기 듣

기 읽기 쓰기의 언어 사용이라는 을 생각해 본다면 이들 언어 사용

에 한 교육 요성이 얼마나 큰지 충분히 짐작해 볼 수 있다 국어

교과의 수업 시수는 학교 고등학교에 가서도 마찬가지로 많은 편이

다 의 자료는 학교 교육에서 언어 사용을 지도하는 것이 얼마나

요한지를 분명하게 보여 주고 있다

25 교과별 문제 풀이의 어려움 정도

교과별 문제 풀이에 한 아래의 자료를 먼 살펴보고 직 풀어

보기도 해 보자

1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주 식 교과 객 식

20000원을 하여 1년 만에 찾은 돈이

22400원이다 연이율은 몇 인가

답 ( )

수학

4만 원을 하여 1년 만에 찾은 돈이

45200원이다 연이율은 몇 인가

① 10 ② 11 ③ 12 ④ 13

성냥개비의 깜부기불을 만들어 산소가 들어

있는 집기병 속에 넣으면 깜부기불은

어떻게 되나 답 ( )

과학

촛불을 비커로 덮으면 어떻게 되나

차츰 꺼진다 ② 더 잘 탄다

③ 즉시 꺼진다 ④ 변화가 없다

다음 시조에 알맞은 제목을 붙이시오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 나서 옳지 못하면

마소를 갓 고갈 워 밥 먹이나 다르랴

답 ( )

국어

다음 시조에 알맞은 제목을 붙이시오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 나서 옳지 못하면

마소를 갓 고갈 워 밥 먹이나 다르랴

① 수확 ② 가을 ③ 바람 ④ 한가함

의 수학 과학 국어 문제에서 수학의 경우는 문제가 주 식이든

객 식이든 풀이에는 아무 차이가 없다 객 식 문제의 답지가 모두 숫

자로 되어 있고 이들 숫자는 숫자일 뿐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

기 때문이다 과학 문제는 객 식이 조 은 도움이 된다 그러나 문제

해결에 결정 도움은 되지 못한다 수학 문제나 과학 문제 모두 문제

를 풀기 해서는 문제 밖에서 문제 풀이에 매우 요한 지식(문제 풀

이용 공식이든 요 개념이든)을 가져와야 한다 외부에서(더 자세히는

기억 속에서) 련 지식을 가져오지 않으면 이들 교과의 문제는

로 풀 수 없다 외부에서 지식을 가져와야 한다는 에서 과학 교과 그

리고 수학 교과에서조차도 기억이 매우 요한 학습의 수단이 된다

이에 비해 국어 문제는 그 성격이 완 히 다르다 국어 문제의 풀이

에는 외부에서 가져올 지식이 없다 그 신 주어진 지문 속의 내

용을 가지고 제목이라고 할 수 있는 지식을 만들어 내야 한다 이는 달

리 말하면 주어진 의미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수학이나

과학의 문제 풀이는 지식의 용이지만 국어의 문제 풀이는 지식의 생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3

산이다 지식(언어)으로 지식(언어)을 만들어 내는 이런 사고가 바로

언어 처리이며 언어 사용인 것이다 국어 공부에서 기억이 크게 요구되

지 않는 것은 바로 이런 교과 성격 때문이다

3 독서의 기능

의 장에서 살펴보았듯이 독서 더 넓게 보아 인간의 언어 사용은

인류 진화의 방향 아동의 지 성장과 발달 학교에서의 교과 교육과

문제 풀이 등 여러 면에 매우 강한 향을 끼쳐 왔다 의 장에서 살

펴보았듯이 인간의 계통 진화와 개체 발달 학교 교육에서 언어 사

용이 얼마나 요한가를 살필 수 있는 자료들이다 이번 장에서는 독서

가 우리의 개인 사회 삶에서 어떤 기능(機能 function)을 담당하

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31 독서는 문명 발 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앞에서도 잠시 살펴보았듯이 인간의 문명은 문자 언어의 사용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을 캐나다의 심리학자 올슨(Olson)은

아래와 같이 간명하게 말하고 있다

ldquo언어는 인간 개념의 핵심이다 음성 언어의 사용으로 인간은 인

간다워졌고 문자 언어의 사용으로 인간은 문명화되었다rdquo (The

faculty of language stands at the center of the conception of

mankind speech makes us human and literacy makes us civilized)

시간과 공간 속으로 곧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문자 언어

는 오랫동안 기록으로 보존되어 있다 이런 보존으로 인해 인간의 문

1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자 언어 처리는 음성 언어 처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더 깊고

더 넓어진다 바로 여기서 고등 정신 기능(higher mental functioning)

이 이루어지며 이 고등 정신 기능이 바로 과학과 문명을 이루어 낸 원

동력이 되었다 달리 말해서 바로 독서가 인류의 과학과 문명 발 의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32 독서는 의미 창조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작문은 매우 높은 수 의 의미 창조 과정이다 필자가 창의 으로

생각해 낸 의미(내용 지식 정보 느낌 생각 등)가 작문을 통해 이

라는 문자 언어로 표출되기 때문이다

작문 못지않게 독서도 의미 창조의 과정이다 음성이든 문자든 언어

는 그 언어를 이해할 아는 사람에게만 의미 있는 상이 된다 그

언어를 모르는 사람에게는 그 언어가 아무 의미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게 본다면 의미는 언어에 있지 않고 그 언어를 다루는 사람(필자

나 독자)에게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을 읽는 사람은 쓰인 내용을 있는 그 로 받아들이지 않고 읽는

과정에서 많은 새로운 의미 생성의 지 작용을 한다 을 읽고 읽은

을 읽은 그 로 회상하고 표 한다면 이는 분명 의미 창조는 아니다

그러나 을 읽으면서 그 내용을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고 통합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것 등은 모두 읽은 언어를 자료로 하

여 더 깊고 더 넓게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지 작용이다 일상의

읽기 는 독서에서 이런 높은 수 의 지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아래의 문장을 읽어 보자

bull 철수는 먼 산을 바라보며 깊은 생각에 잠겨 있다

이 을 읽고 독자는 먼 그 문장의 문면 (文面的 literal) 뜻을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5

받아들일 것이다 이것도 의미의 창조이다 읽기 에는 몰랐던 것을

읽고 나서 알게 되었으니 의미 창조인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이에 더

하여 독자는 더 많은 생각을 할 것이다 lsquo철수가 무슨 큰 고민에 빠져

있는 것 아닌가rsquo lsquo철수가 헤어진 애인 생각을 하고 있는 것 아닌가rsquo

등의 생각이다 이런 생각이 모두 의미 창조이다 을 읽고 무슨 생각

을 하 다면 그 생각이 무슨 생각이든 그것은 모두 의미 창조인 것이

다 그래서 독서가 의미 창조의 원동력이 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33 독서는 지식 획득과 지혜 확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자는 을 읽으며 로부터 수많은 지식과 정보를 만들어 낸다

그래서 의미를 창조해 내는 것이다 우리의 지식이나 정보는 거의 부

분 독서를 통해서 획득되었고 창조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독서는 을 통한 문면 이해에 그치지 않는다 독자의 사고 활동

이 독서에서 얻는 지식 획득 그 자체에 머물지 않고 그 지식이나 정보

를 더욱 넓고 깊게 확장해 나가는 매우 능동 인 사고이다 철수에

한 앞의 문장에서 보았듯이 독자는 이 을 읽으면서 lsquo철수가 먼 산을

바라보며 생각에 잠겨 있다rsquo는 문면 이해에 더하여 그가 왜 산을 바

라보는지 산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하는지 왜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지 등 많은 추가 인 생각을 더 하게 된다 바로 이런 추가 인 생각

능동 인 사고가 독자의 생각의 깊이와 넓이를 넓 주는 역 확장의

사고이다 그리고 이런 lsquo 역 확장 사고rsquo가 바로 지혜(知慧 wisdom)

인 것이다

지식을 지식으로 받아들이면 그것은 지식의 획득이 된다 그러나 독

서를 하면서 받아들인 지식에 독자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더하여 더

깊고 더 넓고 더 높게 생각하여 그 지식의 련 역을 확장해 나가면

그것이 지혜가 된다 을 읽으며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1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고 단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이 모든 사고 활동이 바로 받아들인

지식에 자신의 사고를 추가하는 고등 수 의 사고요 지혜(知慧)인 것

이다 가지고 있는 것을 더 명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로 지혜이며 그

런 에서 독서는 그 자체가 지식의 획득임과 동시에 지혜의 확장이다

34 독서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인간은 동물 수 의 한 사고(思 )도 하지만 때로는 신과도

같이 매우 높은 수 의 사고도 한다 그런 고등 수 의 사고 에서 가

장 높은 사고가 바로 인지 (超認知的 meta-cognitive) 사고이다 자

신의 사고를 들여다보면서 그것이 옳은지 그른지 바른 방향인지 아닌

지 등의 단을 하고 혹 잘못되었다고 생각할 경우에 이를 바로잡으려

는 수정이나 조정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바로 인지 사고이다 달

리 말해서 인지 사고는 lsquo자신의 앎의 과정을 알고 이를 조정해 내

는 사고rsquo인 것이다

라운(Brown)이라는 미국의 유명한 심리학자가 재미있는 실험 하

나를 했다 그녀는 공부를 잘하는 집단의 학생들과 공부를 잘하지 못하

는 집단의 학생들에게 각각 컴퓨터 화면의 한 편을 이 내용에

한 시험에 비하며 읽으라고 하 다 다음 날 연구자는 같은 집단

학생들에게 같은 을 주면서 이번에 다시 한 번 읽으라고 하 다 그

다음 날에도 연구자는 역시 같은 을 주고 읽으라고 하 다 이

게 세 번 을 읽히면서 연구자는 을 읽는 학생들의 동자 움직임

을 매우 성능이 좋은 이 카메라로 촬 하 고 동자 움직임의 유

형을 분석하 다

실험 결과는 놀라웠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처음 읽기에서는 그

의 매우 요한 부분에 많은 심을 보 다( 동자가 그런 부분에

더 오래 머물 다) 그리고 두 번째 읽을 때에는 첫 번째와는 달리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7

간 정도의 요한 정보에 동자를 오래 멈추었다 그리고 세 번째 읽

기에서는 숫자나 고유 명사와 같은 매우 세세한 부분에까지 주의를 기

울이며 읽었다 즉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는 기억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이고 아직 잘 모르고 있는 부분(기억하

지 못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단해 가며 이해와 기억에 효율 인

방법과 략으로 읽기를 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공부를 잘하지 못하는

학생들의 경우 세 번의 읽기에 나타난 동자 움직임의 유형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들은 처음 읽을 때나 세 번째 읽을 때 모두 의

요 부분에만 주의를 기울 다 달리 말해서 이들은 자신의 이해나

기억에 한 이해가 부족하고 따라서 자신의 읽기 과정을 효율 으로

조 하지 못한 것이다 효율 인 독서는 자기 통제력까지 갖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이 된다

35 독서는 고 수 의 교류 교감 설득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히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책에 쓰여 있는 문자 언어는

소멸되지 않고 그 자리에 그 로 남아 있다 그래서 을 읽는 독자는

시간에 쫓기지 않고 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독서 과정을 조 해 나

간다 천천히 읽기도 하고 내용을 음미하기도 하고 때로는 추리나 상

상도 하면서 여유 있게 을 읽는 것이다

독서는 독자와 필자의 만남이다 독서에서의 독자와 필자의 만남은

지극히 개인 인 만남이다 마치 화에서의 행동과도 같이 독자는 필

자의 을 그 로 받아들여 수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되묻듯이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 보기도 한다 읽은 을 기 자극과 자료로 활용하면

서 더 깊고 더 넓게 추리추론을 하고 비 을 하기도 한다

독서에서의 만남과 소통은 음성 언어를 통한 화에서의 소통보다

훨씬 고 스럽다 일반 생활에서의 만남은 체로 잘 아는 사람들 사이

1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의 만남이고 그래서 그 화는 서로 잘 아는 내용의 화가 되기 쉽

다 그런데 독서에서의 만남은 잘 알지 못하는 사람과의 만남이다 읽

는 도 체로 잘 알지 못하는 내용의 이다 그래서 이런 읽기에

는 세심한 주의( 기)와 높은 수 의 지 사고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독서에서의 만남은 지 사고의 수 이 높아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독서가 고 수 의 지 교류가 되는 것이다

독서에서 읽는 이 정보 심의 이 아닌 정서 심의 이라면

이런 읽기에서의 만남은 그야말로 인간 만남이 된다 분석과 비

과 평가 심의 설명문이나 정보문 읽기와는 달리 정서 인 읽기는

이해와 정과 공감의 심리 효과가 있다 그런 에서 독서는 공감

교류의 원동력도 되는 것이다

36 독서는 창의 직무 수행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서는 lsquo일하기rsquo이다 학생이 학교에서 교과서를 읽는 것은 학생의

본분인 lsquo공부하기rsquo이다 직장의 사무원이나 공무원이 직장에서 하는 독

서는 그 모두가 자신이 해야 할 일 즉 직무를 하는 것이다 공문서를

읽는 일 회의 자료를 만들기 해 자료를 읽고 수집하는 일 회의 결

과를 읽으며 다시 한 번 그 내용을 검하는 일 민원에 답하기 해

련 법 조항을 참조하거나 과거의 련 기록을 찾아보는 일 등 직장

에서 하는 읽기는 그 모두가 lsquo일하기rsquo인 것이다

직장에서의 독서 직장 일하기의 일환으로 하는 읽기는 과거의 것을

그 로 반복하는 읽기가 아니다 직장의 회의에서 다루는 주제나 문제

는 항상 새로운 주제ㆍ문제이다 새로 받아 읽는 공문서도 새로운 내용

의 공문서이다 민원도 과거의 민원과는 다른 새로운 민원이다 이 듯

하는 일 자체가 매일매일 새로운 일이기에 이 일의 처리를 한 읽기

도 매번 새로운 창의 읽기이다 그런 에서 직장에서의 읽기나 독서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9

는 항상 창의 인 직무 수행이 된다

직장에서의 직무 수행 독서는 담당 직 가 높을수록 더 깊고 넓은

창의 사고를 요구한다 어느 직장에서든지 그 조직에서 가장 아래에

치한 사람의 일은 머리를 사용하기보다는 근육을 더 필요로 하는 일

이기 쉽다 이런 일은 과거에 했던 일과 별반 차이가 없는 매우 반

복 인 일이기 쉽다 거기에는 깊은 생각도 높은 창의성도 그리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직장의 조직에서 높은 지 에 있는 사람이 하

는 일은 사뭇 다르다 이런 사람이 하는 일은 근육 일이 아니라 머리

를 써야 하는 일이다 즉 노동이 아니라 사고(思 )인 것이다 이런 사

람이 하는 일일수록 창의성도 더 많이 요구된다 한 번 잘못 단하게

되면 그 결과가 조직 체에 치명 일 수 있다 그래서 더 많이 더 깊

게 그리고 더 치 하게 분석하고 단해야 한다 직장에서의 독서가 바

로 그런 고 사고의 수단이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37 독서는 민주 사회 확립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한때는 을 읽을 수 있고 쓸 수 있는 능력

이 그 사회의 엘리트만의 독 물로 생각되었다 만일 농민이나 노동자

들이 을 깨치게 되면 이들이 일은 하지 않고 정치에 간섭만 하게 된

다고 생각하여 아 이들에게 읽기를 가르치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속 활자의 발명과 보 은 농민과 노동자들을 생각할 수 있고 단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바꾸어 놓는 결정 인 계기가 되었다 속 활자

의 발명으로 책이 량으로 생산되었고 책의 보편 보 으로 공교육

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지식과 정보가 체 국민

들에게 보편화되었고 한 을 읽고 쓰는 과정에서 의식과 단이 높

아지게 되었다 그 결과 농민과 노동자들의 읽기와 쓰기는 결국에는 엘

리트만의 건 사회를 무 뜨리고 민주 사회를 형성하는 정치ㆍ사회

2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변 까지 낳았다

부분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세계 부분의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교육의 최고의 목표를 읽기와 쓰기에 두고 있다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인권을 매우 요한 천부 권한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더 나아가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교육권도 매우 요

한 인권으로 인정하고 있다 의무 교육 연한을 최소한 고등학교까지 올

려 lsquo모든 국민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rsquo고 선언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문식권(文識權 Right to Read and Write)인 것이다 인권

은 한 개인이 자아의 필요와 사회의 요구에 히 응해 가며 살아

갈 수 있을 때에 보장되는데 교육이 바로 그런 인권 보장의 요한 수

단이 된다 그리고 그런 교육의 핵심에 바로 독서와 작문이 있는 것이

다 이런 에서 아래에 제시된 읽기와 쓰기 독서와 작문에 을 맞

춘 하버드 학의 교육 목표는 여러 사회 여러 국가의 귀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인류 최 문화유산인 책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interpret a great humanistic text)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고 설득력 있

는 로 써 낼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compose a literate and persuasive essay)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21

4 결 론

독서는 요하다 독서는 한 개인의 지 ㆍ정의 성장에 요하고

사회의 운용과 유지 발 에 요하다 독서는 국가 차원에서도 요

하다 국민은 독서를 통해서 지식을 획득하고 지력도 높이고 지혜도

넓 간다 그래서 국민 개개인의 독서력 향상은 곧 국가의 지식과 지

력과 지혜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독서는 그만큼 개인 이고 사회 이

고 국가 이다 그래서 각국에서는 국민의 독서력 향상에 국가 심

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서의 요성과 독서 교육의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에서

는 아직도 독서에 해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기 되

는 만큼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학 입시에 억 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입시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독서를 억제시키기도

한다 교과서의 지식 암기를 학생의 사고력 신장보다 더 요시하고 있

는 실정이다

독서에 한 사회 인식도 아직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공공 도

서 은 태부족이고 설사 있다고 하더라고 그 실상이 무 라한 형편

이다 장서도 부족하고 일하는 사람도 부족한 편이다 도서 구입과 도

서 운 의 재원도 부족하며 도서 나름의 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

정이다

독서에 한 국가 차원의 심과 정책 개발도 아직 요원한 상태이

다 국민의 독서 권장을 한 법 제도 장치도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독서문화진흥법이 제정되기는 하 지만 그 세부 규정에

한 국가 시행 노력과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한때 우리나라는 새마을 운동으로 국가의 면모를 새롭게 바꾼 경험

이 있다 독서가 바로 제2의 새마을 운동이 될 수 있다 새마을 운동이

물리 환경 개선에 많이 치 되었던 에 비하면 독서는 그야말로 정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신 개 사고 개 의식 명 교육 신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요

한 운동이 될 수 있다

비용 면에서도 독서 운동은 의 새마을 운동보다 훨씬 은 재정

투입으로 훨씬 더 큰 개 을 가져올 수 있다 책 읽는 사회(reading

society)를 지향하고 독자의 나라(nation of readers)를 만들며 읽기와 쓰

기를 통해 민주주의(democracy)를 실 시키는 문식성의 기능(機能

functions)을 생각하면서 독서와 작문을 심으로 하는 문식성 교육의

진흥에 다 같이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 게 하기 해서는 먼 학교

교육이 문식성 심 교육으로 바 어야 한다 독서 이에 더하여 작문

은 우리 개인에게 우리 사회에 우리 국가에 우리 학교 교육에 그만큼

요하고 그만큼 실히 요구되는 우리 모두의 lsquo목표rsquo요 동시에 lsquo과

제rsquo인 것이다

Page 6: 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1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도 언어를 사용하지 못한다) 두 번째는 인간의 신체 발달에 비해 언어

발달이 매우 일 일어난다는 이다

아동 발달에 한 다른 자료를 하나 더 살펴보자 이 자료는 아동이

출생한 이후 매 6개월마다 조사한 아동의 언어 발달이다

lt표 3gt 아동의 언어 발달

언어 특징

1개월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30개월

36개월

48개월

983791 목 뒷부분에서 울음소리 시작

983791 한 음 의 옹알이 시작

983791 lsquo아가rsquo lsquo엄마rsquo 등의 1어문(一語文) 사용

983791 2어문 사용 시작 30~50어휘 사용

983791 2어문 사용 증가 언어 의사소통에 흥미 가짐

983791 문장의 완벽한 구조인 3어문 이상 사용

983791 어휘 수가 1000여 개로 증가

983791 문법 으로는 성인의 언어와 별 차이 없음

의 자료에 의하면 아동은 약 25세(30개월)가 되면 의사소통에 별

문제가 없는 완 한 구조의 언어(3어문 구조 lsquo주어+목 어나 보어+동

사rsquo 형태)를 사용한다 그리고 4세 정도 되면 거의 성인 언어와 같은

언어 발달을 보인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 하나는 아동의 언어 발달이

성인 수 에 이르는 4세 정도에 아동의 지능 발달도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른다는 이다 아동의 두뇌가 태어날 때부터 언어 사용이 가능할 정

도로 크다는 과 언어 발달이 거의 완성되는 즈음에 지능 발달도 거

의 완성된다는 에서 우리는 언어 사용이 지능 발달의 원천이 되는

것 아닌가 하는 가설을 가질 수 있게 된다

24 학교 교과의 수업 시수

학교에서는 국어 사회 도덕 과학 수학 등 여러 교과를 가르친다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1

그런데 이들 교과의 수업 시수는 교과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아래의 자료가 이를 잘 보여 다

lt표 4gt 각 교과의 주별 수업 시수

학년

교과

등학교 학교

1 2 3 4 5 6 7 8 9

도덕 1 1 1 1 1 1 2 2 1

사회 3 3 3 3 3 3 3 3 4

과학 3 3 3 3 3 3 3 4 4

수학 4 4 4 4 4 4 4 4 3

국어 7 7 6 6 6 6 5 4 4

교과별 수업 시수는 곧 그 교과의 요도를 나타낸다 수업 시수가

많으면 그 교과는 그만큼 요한 교과 그래서 학생들에게 많이 지도해

야 하는 교과라는 뜻이 된다 그런데 의 자료에 의하면 등학교의

경우 국어 교과의 수업 시수는 도덕 교과 수업 시수의 6~7배 사회나

과학 교과의 2배 정도 된다 국어 교육의 핵심 지도 내용이 말하기 듣

기 읽기 쓰기의 언어 사용이라는 을 생각해 본다면 이들 언어 사용

에 한 교육 요성이 얼마나 큰지 충분히 짐작해 볼 수 있다 국어

교과의 수업 시수는 학교 고등학교에 가서도 마찬가지로 많은 편이

다 의 자료는 학교 교육에서 언어 사용을 지도하는 것이 얼마나

요한지를 분명하게 보여 주고 있다

25 교과별 문제 풀이의 어려움 정도

교과별 문제 풀이에 한 아래의 자료를 먼 살펴보고 직 풀어

보기도 해 보자

1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주 식 교과 객 식

20000원을 하여 1년 만에 찾은 돈이

22400원이다 연이율은 몇 인가

답 ( )

수학

4만 원을 하여 1년 만에 찾은 돈이

45200원이다 연이율은 몇 인가

① 10 ② 11 ③ 12 ④ 13

성냥개비의 깜부기불을 만들어 산소가 들어

있는 집기병 속에 넣으면 깜부기불은

어떻게 되나 답 ( )

과학

촛불을 비커로 덮으면 어떻게 되나

차츰 꺼진다 ② 더 잘 탄다

③ 즉시 꺼진다 ④ 변화가 없다

다음 시조에 알맞은 제목을 붙이시오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 나서 옳지 못하면

마소를 갓 고갈 워 밥 먹이나 다르랴

답 ( )

국어

다음 시조에 알맞은 제목을 붙이시오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 나서 옳지 못하면

마소를 갓 고갈 워 밥 먹이나 다르랴

① 수확 ② 가을 ③ 바람 ④ 한가함

의 수학 과학 국어 문제에서 수학의 경우는 문제가 주 식이든

객 식이든 풀이에는 아무 차이가 없다 객 식 문제의 답지가 모두 숫

자로 되어 있고 이들 숫자는 숫자일 뿐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

기 때문이다 과학 문제는 객 식이 조 은 도움이 된다 그러나 문제

해결에 결정 도움은 되지 못한다 수학 문제나 과학 문제 모두 문제

를 풀기 해서는 문제 밖에서 문제 풀이에 매우 요한 지식(문제 풀

이용 공식이든 요 개념이든)을 가져와야 한다 외부에서(더 자세히는

기억 속에서) 련 지식을 가져오지 않으면 이들 교과의 문제는

로 풀 수 없다 외부에서 지식을 가져와야 한다는 에서 과학 교과 그

리고 수학 교과에서조차도 기억이 매우 요한 학습의 수단이 된다

이에 비해 국어 문제는 그 성격이 완 히 다르다 국어 문제의 풀이

에는 외부에서 가져올 지식이 없다 그 신 주어진 지문 속의 내

용을 가지고 제목이라고 할 수 있는 지식을 만들어 내야 한다 이는 달

리 말하면 주어진 의미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수학이나

과학의 문제 풀이는 지식의 용이지만 국어의 문제 풀이는 지식의 생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3

산이다 지식(언어)으로 지식(언어)을 만들어 내는 이런 사고가 바로

언어 처리이며 언어 사용인 것이다 국어 공부에서 기억이 크게 요구되

지 않는 것은 바로 이런 교과 성격 때문이다

3 독서의 기능

의 장에서 살펴보았듯이 독서 더 넓게 보아 인간의 언어 사용은

인류 진화의 방향 아동의 지 성장과 발달 학교에서의 교과 교육과

문제 풀이 등 여러 면에 매우 강한 향을 끼쳐 왔다 의 장에서 살

펴보았듯이 인간의 계통 진화와 개체 발달 학교 교육에서 언어 사

용이 얼마나 요한가를 살필 수 있는 자료들이다 이번 장에서는 독서

가 우리의 개인 사회 삶에서 어떤 기능(機能 function)을 담당하

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31 독서는 문명 발 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앞에서도 잠시 살펴보았듯이 인간의 문명은 문자 언어의 사용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을 캐나다의 심리학자 올슨(Olson)은

아래와 같이 간명하게 말하고 있다

ldquo언어는 인간 개념의 핵심이다 음성 언어의 사용으로 인간은 인

간다워졌고 문자 언어의 사용으로 인간은 문명화되었다rdquo (The

faculty of language stands at the center of the conception of

mankind speech makes us human and literacy makes us civilized)

시간과 공간 속으로 곧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문자 언어

는 오랫동안 기록으로 보존되어 있다 이런 보존으로 인해 인간의 문

1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자 언어 처리는 음성 언어 처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더 깊고

더 넓어진다 바로 여기서 고등 정신 기능(higher mental functioning)

이 이루어지며 이 고등 정신 기능이 바로 과학과 문명을 이루어 낸 원

동력이 되었다 달리 말해서 바로 독서가 인류의 과학과 문명 발 의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32 독서는 의미 창조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작문은 매우 높은 수 의 의미 창조 과정이다 필자가 창의 으로

생각해 낸 의미(내용 지식 정보 느낌 생각 등)가 작문을 통해 이

라는 문자 언어로 표출되기 때문이다

작문 못지않게 독서도 의미 창조의 과정이다 음성이든 문자든 언어

는 그 언어를 이해할 아는 사람에게만 의미 있는 상이 된다 그

언어를 모르는 사람에게는 그 언어가 아무 의미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게 본다면 의미는 언어에 있지 않고 그 언어를 다루는 사람(필자

나 독자)에게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을 읽는 사람은 쓰인 내용을 있는 그 로 받아들이지 않고 읽는

과정에서 많은 새로운 의미 생성의 지 작용을 한다 을 읽고 읽은

을 읽은 그 로 회상하고 표 한다면 이는 분명 의미 창조는 아니다

그러나 을 읽으면서 그 내용을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고 통합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것 등은 모두 읽은 언어를 자료로 하

여 더 깊고 더 넓게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지 작용이다 일상의

읽기 는 독서에서 이런 높은 수 의 지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아래의 문장을 읽어 보자

bull 철수는 먼 산을 바라보며 깊은 생각에 잠겨 있다

이 을 읽고 독자는 먼 그 문장의 문면 (文面的 literal) 뜻을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5

받아들일 것이다 이것도 의미의 창조이다 읽기 에는 몰랐던 것을

읽고 나서 알게 되었으니 의미 창조인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이에 더

하여 독자는 더 많은 생각을 할 것이다 lsquo철수가 무슨 큰 고민에 빠져

있는 것 아닌가rsquo lsquo철수가 헤어진 애인 생각을 하고 있는 것 아닌가rsquo

등의 생각이다 이런 생각이 모두 의미 창조이다 을 읽고 무슨 생각

을 하 다면 그 생각이 무슨 생각이든 그것은 모두 의미 창조인 것이

다 그래서 독서가 의미 창조의 원동력이 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33 독서는 지식 획득과 지혜 확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자는 을 읽으며 로부터 수많은 지식과 정보를 만들어 낸다

그래서 의미를 창조해 내는 것이다 우리의 지식이나 정보는 거의 부

분 독서를 통해서 획득되었고 창조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독서는 을 통한 문면 이해에 그치지 않는다 독자의 사고 활동

이 독서에서 얻는 지식 획득 그 자체에 머물지 않고 그 지식이나 정보

를 더욱 넓고 깊게 확장해 나가는 매우 능동 인 사고이다 철수에

한 앞의 문장에서 보았듯이 독자는 이 을 읽으면서 lsquo철수가 먼 산을

바라보며 생각에 잠겨 있다rsquo는 문면 이해에 더하여 그가 왜 산을 바

라보는지 산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하는지 왜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지 등 많은 추가 인 생각을 더 하게 된다 바로 이런 추가 인 생각

능동 인 사고가 독자의 생각의 깊이와 넓이를 넓 주는 역 확장의

사고이다 그리고 이런 lsquo 역 확장 사고rsquo가 바로 지혜(知慧 wisdom)

인 것이다

지식을 지식으로 받아들이면 그것은 지식의 획득이 된다 그러나 독

서를 하면서 받아들인 지식에 독자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더하여 더

깊고 더 넓고 더 높게 생각하여 그 지식의 련 역을 확장해 나가면

그것이 지혜가 된다 을 읽으며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1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고 단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이 모든 사고 활동이 바로 받아들인

지식에 자신의 사고를 추가하는 고등 수 의 사고요 지혜(知慧)인 것

이다 가지고 있는 것을 더 명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로 지혜이며 그

런 에서 독서는 그 자체가 지식의 획득임과 동시에 지혜의 확장이다

34 독서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인간은 동물 수 의 한 사고(思 )도 하지만 때로는 신과도

같이 매우 높은 수 의 사고도 한다 그런 고등 수 의 사고 에서 가

장 높은 사고가 바로 인지 (超認知的 meta-cognitive) 사고이다 자

신의 사고를 들여다보면서 그것이 옳은지 그른지 바른 방향인지 아닌

지 등의 단을 하고 혹 잘못되었다고 생각할 경우에 이를 바로잡으려

는 수정이나 조정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바로 인지 사고이다 달

리 말해서 인지 사고는 lsquo자신의 앎의 과정을 알고 이를 조정해 내

는 사고rsquo인 것이다

라운(Brown)이라는 미국의 유명한 심리학자가 재미있는 실험 하

나를 했다 그녀는 공부를 잘하는 집단의 학생들과 공부를 잘하지 못하

는 집단의 학생들에게 각각 컴퓨터 화면의 한 편을 이 내용에

한 시험에 비하며 읽으라고 하 다 다음 날 연구자는 같은 집단

학생들에게 같은 을 주면서 이번에 다시 한 번 읽으라고 하 다 그

다음 날에도 연구자는 역시 같은 을 주고 읽으라고 하 다 이

게 세 번 을 읽히면서 연구자는 을 읽는 학생들의 동자 움직임

을 매우 성능이 좋은 이 카메라로 촬 하 고 동자 움직임의 유

형을 분석하 다

실험 결과는 놀라웠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처음 읽기에서는 그

의 매우 요한 부분에 많은 심을 보 다( 동자가 그런 부분에

더 오래 머물 다) 그리고 두 번째 읽을 때에는 첫 번째와는 달리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7

간 정도의 요한 정보에 동자를 오래 멈추었다 그리고 세 번째 읽

기에서는 숫자나 고유 명사와 같은 매우 세세한 부분에까지 주의를 기

울이며 읽었다 즉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는 기억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이고 아직 잘 모르고 있는 부분(기억하

지 못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단해 가며 이해와 기억에 효율 인

방법과 략으로 읽기를 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공부를 잘하지 못하는

학생들의 경우 세 번의 읽기에 나타난 동자 움직임의 유형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들은 처음 읽을 때나 세 번째 읽을 때 모두 의

요 부분에만 주의를 기울 다 달리 말해서 이들은 자신의 이해나

기억에 한 이해가 부족하고 따라서 자신의 읽기 과정을 효율 으로

조 하지 못한 것이다 효율 인 독서는 자기 통제력까지 갖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이 된다

35 독서는 고 수 의 교류 교감 설득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히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책에 쓰여 있는 문자 언어는

소멸되지 않고 그 자리에 그 로 남아 있다 그래서 을 읽는 독자는

시간에 쫓기지 않고 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독서 과정을 조 해 나

간다 천천히 읽기도 하고 내용을 음미하기도 하고 때로는 추리나 상

상도 하면서 여유 있게 을 읽는 것이다

독서는 독자와 필자의 만남이다 독서에서의 독자와 필자의 만남은

지극히 개인 인 만남이다 마치 화에서의 행동과도 같이 독자는 필

자의 을 그 로 받아들여 수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되묻듯이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 보기도 한다 읽은 을 기 자극과 자료로 활용하면

서 더 깊고 더 넓게 추리추론을 하고 비 을 하기도 한다

독서에서의 만남과 소통은 음성 언어를 통한 화에서의 소통보다

훨씬 고 스럽다 일반 생활에서의 만남은 체로 잘 아는 사람들 사이

1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의 만남이고 그래서 그 화는 서로 잘 아는 내용의 화가 되기 쉽

다 그런데 독서에서의 만남은 잘 알지 못하는 사람과의 만남이다 읽

는 도 체로 잘 알지 못하는 내용의 이다 그래서 이런 읽기에

는 세심한 주의( 기)와 높은 수 의 지 사고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독서에서의 만남은 지 사고의 수 이 높아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독서가 고 수 의 지 교류가 되는 것이다

독서에서 읽는 이 정보 심의 이 아닌 정서 심의 이라면

이런 읽기에서의 만남은 그야말로 인간 만남이 된다 분석과 비

과 평가 심의 설명문이나 정보문 읽기와는 달리 정서 인 읽기는

이해와 정과 공감의 심리 효과가 있다 그런 에서 독서는 공감

교류의 원동력도 되는 것이다

36 독서는 창의 직무 수행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서는 lsquo일하기rsquo이다 학생이 학교에서 교과서를 읽는 것은 학생의

본분인 lsquo공부하기rsquo이다 직장의 사무원이나 공무원이 직장에서 하는 독

서는 그 모두가 자신이 해야 할 일 즉 직무를 하는 것이다 공문서를

읽는 일 회의 자료를 만들기 해 자료를 읽고 수집하는 일 회의 결

과를 읽으며 다시 한 번 그 내용을 검하는 일 민원에 답하기 해

련 법 조항을 참조하거나 과거의 련 기록을 찾아보는 일 등 직장

에서 하는 읽기는 그 모두가 lsquo일하기rsquo인 것이다

직장에서의 독서 직장 일하기의 일환으로 하는 읽기는 과거의 것을

그 로 반복하는 읽기가 아니다 직장의 회의에서 다루는 주제나 문제

는 항상 새로운 주제ㆍ문제이다 새로 받아 읽는 공문서도 새로운 내용

의 공문서이다 민원도 과거의 민원과는 다른 새로운 민원이다 이 듯

하는 일 자체가 매일매일 새로운 일이기에 이 일의 처리를 한 읽기

도 매번 새로운 창의 읽기이다 그런 에서 직장에서의 읽기나 독서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9

는 항상 창의 인 직무 수행이 된다

직장에서의 직무 수행 독서는 담당 직 가 높을수록 더 깊고 넓은

창의 사고를 요구한다 어느 직장에서든지 그 조직에서 가장 아래에

치한 사람의 일은 머리를 사용하기보다는 근육을 더 필요로 하는 일

이기 쉽다 이런 일은 과거에 했던 일과 별반 차이가 없는 매우 반

복 인 일이기 쉽다 거기에는 깊은 생각도 높은 창의성도 그리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직장의 조직에서 높은 지 에 있는 사람이 하

는 일은 사뭇 다르다 이런 사람이 하는 일은 근육 일이 아니라 머리

를 써야 하는 일이다 즉 노동이 아니라 사고(思 )인 것이다 이런 사

람이 하는 일일수록 창의성도 더 많이 요구된다 한 번 잘못 단하게

되면 그 결과가 조직 체에 치명 일 수 있다 그래서 더 많이 더 깊

게 그리고 더 치 하게 분석하고 단해야 한다 직장에서의 독서가 바

로 그런 고 사고의 수단이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37 독서는 민주 사회 확립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한때는 을 읽을 수 있고 쓸 수 있는 능력

이 그 사회의 엘리트만의 독 물로 생각되었다 만일 농민이나 노동자

들이 을 깨치게 되면 이들이 일은 하지 않고 정치에 간섭만 하게 된

다고 생각하여 아 이들에게 읽기를 가르치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속 활자의 발명과 보 은 농민과 노동자들을 생각할 수 있고 단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바꾸어 놓는 결정 인 계기가 되었다 속 활자

의 발명으로 책이 량으로 생산되었고 책의 보편 보 으로 공교육

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지식과 정보가 체 국민

들에게 보편화되었고 한 을 읽고 쓰는 과정에서 의식과 단이 높

아지게 되었다 그 결과 농민과 노동자들의 읽기와 쓰기는 결국에는 엘

리트만의 건 사회를 무 뜨리고 민주 사회를 형성하는 정치ㆍ사회

2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변 까지 낳았다

부분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세계 부분의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교육의 최고의 목표를 읽기와 쓰기에 두고 있다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인권을 매우 요한 천부 권한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더 나아가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교육권도 매우 요

한 인권으로 인정하고 있다 의무 교육 연한을 최소한 고등학교까지 올

려 lsquo모든 국민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rsquo고 선언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문식권(文識權 Right to Read and Write)인 것이다 인권

은 한 개인이 자아의 필요와 사회의 요구에 히 응해 가며 살아

갈 수 있을 때에 보장되는데 교육이 바로 그런 인권 보장의 요한 수

단이 된다 그리고 그런 교육의 핵심에 바로 독서와 작문이 있는 것이

다 이런 에서 아래에 제시된 읽기와 쓰기 독서와 작문에 을 맞

춘 하버드 학의 교육 목표는 여러 사회 여러 국가의 귀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인류 최 문화유산인 책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interpret a great humanistic text)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고 설득력 있

는 로 써 낼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compose a literate and persuasive essay)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21

4 결 론

독서는 요하다 독서는 한 개인의 지 ㆍ정의 성장에 요하고

사회의 운용과 유지 발 에 요하다 독서는 국가 차원에서도 요

하다 국민은 독서를 통해서 지식을 획득하고 지력도 높이고 지혜도

넓 간다 그래서 국민 개개인의 독서력 향상은 곧 국가의 지식과 지

력과 지혜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독서는 그만큼 개인 이고 사회 이

고 국가 이다 그래서 각국에서는 국민의 독서력 향상에 국가 심

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서의 요성과 독서 교육의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에서

는 아직도 독서에 해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기 되

는 만큼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학 입시에 억 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입시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독서를 억제시키기도

한다 교과서의 지식 암기를 학생의 사고력 신장보다 더 요시하고 있

는 실정이다

독서에 한 사회 인식도 아직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공공 도

서 은 태부족이고 설사 있다고 하더라고 그 실상이 무 라한 형편

이다 장서도 부족하고 일하는 사람도 부족한 편이다 도서 구입과 도

서 운 의 재원도 부족하며 도서 나름의 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

정이다

독서에 한 국가 차원의 심과 정책 개발도 아직 요원한 상태이

다 국민의 독서 권장을 한 법 제도 장치도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독서문화진흥법이 제정되기는 하 지만 그 세부 규정에

한 국가 시행 노력과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한때 우리나라는 새마을 운동으로 국가의 면모를 새롭게 바꾼 경험

이 있다 독서가 바로 제2의 새마을 운동이 될 수 있다 새마을 운동이

물리 환경 개선에 많이 치 되었던 에 비하면 독서는 그야말로 정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신 개 사고 개 의식 명 교육 신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요

한 운동이 될 수 있다

비용 면에서도 독서 운동은 의 새마을 운동보다 훨씬 은 재정

투입으로 훨씬 더 큰 개 을 가져올 수 있다 책 읽는 사회(reading

society)를 지향하고 독자의 나라(nation of readers)를 만들며 읽기와 쓰

기를 통해 민주주의(democracy)를 실 시키는 문식성의 기능(機能

functions)을 생각하면서 독서와 작문을 심으로 하는 문식성 교육의

진흥에 다 같이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 게 하기 해서는 먼 학교

교육이 문식성 심 교육으로 바 어야 한다 독서 이에 더하여 작문

은 우리 개인에게 우리 사회에 우리 국가에 우리 학교 교육에 그만큼

요하고 그만큼 실히 요구되는 우리 모두의 lsquo목표rsquo요 동시에 lsquo과

제rsquo인 것이다

Page 7: 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1

그런데 이들 교과의 수업 시수는 교과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아래의 자료가 이를 잘 보여 다

lt표 4gt 각 교과의 주별 수업 시수

학년

교과

등학교 학교

1 2 3 4 5 6 7 8 9

도덕 1 1 1 1 1 1 2 2 1

사회 3 3 3 3 3 3 3 3 4

과학 3 3 3 3 3 3 3 4 4

수학 4 4 4 4 4 4 4 4 3

국어 7 7 6 6 6 6 5 4 4

교과별 수업 시수는 곧 그 교과의 요도를 나타낸다 수업 시수가

많으면 그 교과는 그만큼 요한 교과 그래서 학생들에게 많이 지도해

야 하는 교과라는 뜻이 된다 그런데 의 자료에 의하면 등학교의

경우 국어 교과의 수업 시수는 도덕 교과 수업 시수의 6~7배 사회나

과학 교과의 2배 정도 된다 국어 교육의 핵심 지도 내용이 말하기 듣

기 읽기 쓰기의 언어 사용이라는 을 생각해 본다면 이들 언어 사용

에 한 교육 요성이 얼마나 큰지 충분히 짐작해 볼 수 있다 국어

교과의 수업 시수는 학교 고등학교에 가서도 마찬가지로 많은 편이

다 의 자료는 학교 교육에서 언어 사용을 지도하는 것이 얼마나

요한지를 분명하게 보여 주고 있다

25 교과별 문제 풀이의 어려움 정도

교과별 문제 풀이에 한 아래의 자료를 먼 살펴보고 직 풀어

보기도 해 보자

1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주 식 교과 객 식

20000원을 하여 1년 만에 찾은 돈이

22400원이다 연이율은 몇 인가

답 ( )

수학

4만 원을 하여 1년 만에 찾은 돈이

45200원이다 연이율은 몇 인가

① 10 ② 11 ③ 12 ④ 13

성냥개비의 깜부기불을 만들어 산소가 들어

있는 집기병 속에 넣으면 깜부기불은

어떻게 되나 답 ( )

과학

촛불을 비커로 덮으면 어떻게 되나

차츰 꺼진다 ② 더 잘 탄다

③ 즉시 꺼진다 ④ 변화가 없다

다음 시조에 알맞은 제목을 붙이시오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 나서 옳지 못하면

마소를 갓 고갈 워 밥 먹이나 다르랴

답 ( )

국어

다음 시조에 알맞은 제목을 붙이시오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 나서 옳지 못하면

마소를 갓 고갈 워 밥 먹이나 다르랴

① 수확 ② 가을 ③ 바람 ④ 한가함

의 수학 과학 국어 문제에서 수학의 경우는 문제가 주 식이든

객 식이든 풀이에는 아무 차이가 없다 객 식 문제의 답지가 모두 숫

자로 되어 있고 이들 숫자는 숫자일 뿐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

기 때문이다 과학 문제는 객 식이 조 은 도움이 된다 그러나 문제

해결에 결정 도움은 되지 못한다 수학 문제나 과학 문제 모두 문제

를 풀기 해서는 문제 밖에서 문제 풀이에 매우 요한 지식(문제 풀

이용 공식이든 요 개념이든)을 가져와야 한다 외부에서(더 자세히는

기억 속에서) 련 지식을 가져오지 않으면 이들 교과의 문제는

로 풀 수 없다 외부에서 지식을 가져와야 한다는 에서 과학 교과 그

리고 수학 교과에서조차도 기억이 매우 요한 학습의 수단이 된다

이에 비해 국어 문제는 그 성격이 완 히 다르다 국어 문제의 풀이

에는 외부에서 가져올 지식이 없다 그 신 주어진 지문 속의 내

용을 가지고 제목이라고 할 수 있는 지식을 만들어 내야 한다 이는 달

리 말하면 주어진 의미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수학이나

과학의 문제 풀이는 지식의 용이지만 국어의 문제 풀이는 지식의 생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3

산이다 지식(언어)으로 지식(언어)을 만들어 내는 이런 사고가 바로

언어 처리이며 언어 사용인 것이다 국어 공부에서 기억이 크게 요구되

지 않는 것은 바로 이런 교과 성격 때문이다

3 독서의 기능

의 장에서 살펴보았듯이 독서 더 넓게 보아 인간의 언어 사용은

인류 진화의 방향 아동의 지 성장과 발달 학교에서의 교과 교육과

문제 풀이 등 여러 면에 매우 강한 향을 끼쳐 왔다 의 장에서 살

펴보았듯이 인간의 계통 진화와 개체 발달 학교 교육에서 언어 사

용이 얼마나 요한가를 살필 수 있는 자료들이다 이번 장에서는 독서

가 우리의 개인 사회 삶에서 어떤 기능(機能 function)을 담당하

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31 독서는 문명 발 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앞에서도 잠시 살펴보았듯이 인간의 문명은 문자 언어의 사용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을 캐나다의 심리학자 올슨(Olson)은

아래와 같이 간명하게 말하고 있다

ldquo언어는 인간 개념의 핵심이다 음성 언어의 사용으로 인간은 인

간다워졌고 문자 언어의 사용으로 인간은 문명화되었다rdquo (The

faculty of language stands at the center of the conception of

mankind speech makes us human and literacy makes us civilized)

시간과 공간 속으로 곧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문자 언어

는 오랫동안 기록으로 보존되어 있다 이런 보존으로 인해 인간의 문

1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자 언어 처리는 음성 언어 처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더 깊고

더 넓어진다 바로 여기서 고등 정신 기능(higher mental functioning)

이 이루어지며 이 고등 정신 기능이 바로 과학과 문명을 이루어 낸 원

동력이 되었다 달리 말해서 바로 독서가 인류의 과학과 문명 발 의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32 독서는 의미 창조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작문은 매우 높은 수 의 의미 창조 과정이다 필자가 창의 으로

생각해 낸 의미(내용 지식 정보 느낌 생각 등)가 작문을 통해 이

라는 문자 언어로 표출되기 때문이다

작문 못지않게 독서도 의미 창조의 과정이다 음성이든 문자든 언어

는 그 언어를 이해할 아는 사람에게만 의미 있는 상이 된다 그

언어를 모르는 사람에게는 그 언어가 아무 의미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게 본다면 의미는 언어에 있지 않고 그 언어를 다루는 사람(필자

나 독자)에게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을 읽는 사람은 쓰인 내용을 있는 그 로 받아들이지 않고 읽는

과정에서 많은 새로운 의미 생성의 지 작용을 한다 을 읽고 읽은

을 읽은 그 로 회상하고 표 한다면 이는 분명 의미 창조는 아니다

그러나 을 읽으면서 그 내용을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고 통합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것 등은 모두 읽은 언어를 자료로 하

여 더 깊고 더 넓게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지 작용이다 일상의

읽기 는 독서에서 이런 높은 수 의 지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아래의 문장을 읽어 보자

bull 철수는 먼 산을 바라보며 깊은 생각에 잠겨 있다

이 을 읽고 독자는 먼 그 문장의 문면 (文面的 literal) 뜻을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5

받아들일 것이다 이것도 의미의 창조이다 읽기 에는 몰랐던 것을

읽고 나서 알게 되었으니 의미 창조인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이에 더

하여 독자는 더 많은 생각을 할 것이다 lsquo철수가 무슨 큰 고민에 빠져

있는 것 아닌가rsquo lsquo철수가 헤어진 애인 생각을 하고 있는 것 아닌가rsquo

등의 생각이다 이런 생각이 모두 의미 창조이다 을 읽고 무슨 생각

을 하 다면 그 생각이 무슨 생각이든 그것은 모두 의미 창조인 것이

다 그래서 독서가 의미 창조의 원동력이 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33 독서는 지식 획득과 지혜 확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자는 을 읽으며 로부터 수많은 지식과 정보를 만들어 낸다

그래서 의미를 창조해 내는 것이다 우리의 지식이나 정보는 거의 부

분 독서를 통해서 획득되었고 창조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독서는 을 통한 문면 이해에 그치지 않는다 독자의 사고 활동

이 독서에서 얻는 지식 획득 그 자체에 머물지 않고 그 지식이나 정보

를 더욱 넓고 깊게 확장해 나가는 매우 능동 인 사고이다 철수에

한 앞의 문장에서 보았듯이 독자는 이 을 읽으면서 lsquo철수가 먼 산을

바라보며 생각에 잠겨 있다rsquo는 문면 이해에 더하여 그가 왜 산을 바

라보는지 산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하는지 왜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지 등 많은 추가 인 생각을 더 하게 된다 바로 이런 추가 인 생각

능동 인 사고가 독자의 생각의 깊이와 넓이를 넓 주는 역 확장의

사고이다 그리고 이런 lsquo 역 확장 사고rsquo가 바로 지혜(知慧 wisdom)

인 것이다

지식을 지식으로 받아들이면 그것은 지식의 획득이 된다 그러나 독

서를 하면서 받아들인 지식에 독자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더하여 더

깊고 더 넓고 더 높게 생각하여 그 지식의 련 역을 확장해 나가면

그것이 지혜가 된다 을 읽으며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1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고 단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이 모든 사고 활동이 바로 받아들인

지식에 자신의 사고를 추가하는 고등 수 의 사고요 지혜(知慧)인 것

이다 가지고 있는 것을 더 명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로 지혜이며 그

런 에서 독서는 그 자체가 지식의 획득임과 동시에 지혜의 확장이다

34 독서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인간은 동물 수 의 한 사고(思 )도 하지만 때로는 신과도

같이 매우 높은 수 의 사고도 한다 그런 고등 수 의 사고 에서 가

장 높은 사고가 바로 인지 (超認知的 meta-cognitive) 사고이다 자

신의 사고를 들여다보면서 그것이 옳은지 그른지 바른 방향인지 아닌

지 등의 단을 하고 혹 잘못되었다고 생각할 경우에 이를 바로잡으려

는 수정이나 조정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바로 인지 사고이다 달

리 말해서 인지 사고는 lsquo자신의 앎의 과정을 알고 이를 조정해 내

는 사고rsquo인 것이다

라운(Brown)이라는 미국의 유명한 심리학자가 재미있는 실험 하

나를 했다 그녀는 공부를 잘하는 집단의 학생들과 공부를 잘하지 못하

는 집단의 학생들에게 각각 컴퓨터 화면의 한 편을 이 내용에

한 시험에 비하며 읽으라고 하 다 다음 날 연구자는 같은 집단

학생들에게 같은 을 주면서 이번에 다시 한 번 읽으라고 하 다 그

다음 날에도 연구자는 역시 같은 을 주고 읽으라고 하 다 이

게 세 번 을 읽히면서 연구자는 을 읽는 학생들의 동자 움직임

을 매우 성능이 좋은 이 카메라로 촬 하 고 동자 움직임의 유

형을 분석하 다

실험 결과는 놀라웠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처음 읽기에서는 그

의 매우 요한 부분에 많은 심을 보 다( 동자가 그런 부분에

더 오래 머물 다) 그리고 두 번째 읽을 때에는 첫 번째와는 달리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7

간 정도의 요한 정보에 동자를 오래 멈추었다 그리고 세 번째 읽

기에서는 숫자나 고유 명사와 같은 매우 세세한 부분에까지 주의를 기

울이며 읽었다 즉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는 기억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이고 아직 잘 모르고 있는 부분(기억하

지 못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단해 가며 이해와 기억에 효율 인

방법과 략으로 읽기를 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공부를 잘하지 못하는

학생들의 경우 세 번의 읽기에 나타난 동자 움직임의 유형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들은 처음 읽을 때나 세 번째 읽을 때 모두 의

요 부분에만 주의를 기울 다 달리 말해서 이들은 자신의 이해나

기억에 한 이해가 부족하고 따라서 자신의 읽기 과정을 효율 으로

조 하지 못한 것이다 효율 인 독서는 자기 통제력까지 갖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이 된다

35 독서는 고 수 의 교류 교감 설득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히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책에 쓰여 있는 문자 언어는

소멸되지 않고 그 자리에 그 로 남아 있다 그래서 을 읽는 독자는

시간에 쫓기지 않고 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독서 과정을 조 해 나

간다 천천히 읽기도 하고 내용을 음미하기도 하고 때로는 추리나 상

상도 하면서 여유 있게 을 읽는 것이다

독서는 독자와 필자의 만남이다 독서에서의 독자와 필자의 만남은

지극히 개인 인 만남이다 마치 화에서의 행동과도 같이 독자는 필

자의 을 그 로 받아들여 수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되묻듯이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 보기도 한다 읽은 을 기 자극과 자료로 활용하면

서 더 깊고 더 넓게 추리추론을 하고 비 을 하기도 한다

독서에서의 만남과 소통은 음성 언어를 통한 화에서의 소통보다

훨씬 고 스럽다 일반 생활에서의 만남은 체로 잘 아는 사람들 사이

1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의 만남이고 그래서 그 화는 서로 잘 아는 내용의 화가 되기 쉽

다 그런데 독서에서의 만남은 잘 알지 못하는 사람과의 만남이다 읽

는 도 체로 잘 알지 못하는 내용의 이다 그래서 이런 읽기에

는 세심한 주의( 기)와 높은 수 의 지 사고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독서에서의 만남은 지 사고의 수 이 높아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독서가 고 수 의 지 교류가 되는 것이다

독서에서 읽는 이 정보 심의 이 아닌 정서 심의 이라면

이런 읽기에서의 만남은 그야말로 인간 만남이 된다 분석과 비

과 평가 심의 설명문이나 정보문 읽기와는 달리 정서 인 읽기는

이해와 정과 공감의 심리 효과가 있다 그런 에서 독서는 공감

교류의 원동력도 되는 것이다

36 독서는 창의 직무 수행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서는 lsquo일하기rsquo이다 학생이 학교에서 교과서를 읽는 것은 학생의

본분인 lsquo공부하기rsquo이다 직장의 사무원이나 공무원이 직장에서 하는 독

서는 그 모두가 자신이 해야 할 일 즉 직무를 하는 것이다 공문서를

읽는 일 회의 자료를 만들기 해 자료를 읽고 수집하는 일 회의 결

과를 읽으며 다시 한 번 그 내용을 검하는 일 민원에 답하기 해

련 법 조항을 참조하거나 과거의 련 기록을 찾아보는 일 등 직장

에서 하는 읽기는 그 모두가 lsquo일하기rsquo인 것이다

직장에서의 독서 직장 일하기의 일환으로 하는 읽기는 과거의 것을

그 로 반복하는 읽기가 아니다 직장의 회의에서 다루는 주제나 문제

는 항상 새로운 주제ㆍ문제이다 새로 받아 읽는 공문서도 새로운 내용

의 공문서이다 민원도 과거의 민원과는 다른 새로운 민원이다 이 듯

하는 일 자체가 매일매일 새로운 일이기에 이 일의 처리를 한 읽기

도 매번 새로운 창의 읽기이다 그런 에서 직장에서의 읽기나 독서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9

는 항상 창의 인 직무 수행이 된다

직장에서의 직무 수행 독서는 담당 직 가 높을수록 더 깊고 넓은

창의 사고를 요구한다 어느 직장에서든지 그 조직에서 가장 아래에

치한 사람의 일은 머리를 사용하기보다는 근육을 더 필요로 하는 일

이기 쉽다 이런 일은 과거에 했던 일과 별반 차이가 없는 매우 반

복 인 일이기 쉽다 거기에는 깊은 생각도 높은 창의성도 그리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직장의 조직에서 높은 지 에 있는 사람이 하

는 일은 사뭇 다르다 이런 사람이 하는 일은 근육 일이 아니라 머리

를 써야 하는 일이다 즉 노동이 아니라 사고(思 )인 것이다 이런 사

람이 하는 일일수록 창의성도 더 많이 요구된다 한 번 잘못 단하게

되면 그 결과가 조직 체에 치명 일 수 있다 그래서 더 많이 더 깊

게 그리고 더 치 하게 분석하고 단해야 한다 직장에서의 독서가 바

로 그런 고 사고의 수단이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37 독서는 민주 사회 확립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한때는 을 읽을 수 있고 쓸 수 있는 능력

이 그 사회의 엘리트만의 독 물로 생각되었다 만일 농민이나 노동자

들이 을 깨치게 되면 이들이 일은 하지 않고 정치에 간섭만 하게 된

다고 생각하여 아 이들에게 읽기를 가르치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속 활자의 발명과 보 은 농민과 노동자들을 생각할 수 있고 단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바꾸어 놓는 결정 인 계기가 되었다 속 활자

의 발명으로 책이 량으로 생산되었고 책의 보편 보 으로 공교육

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지식과 정보가 체 국민

들에게 보편화되었고 한 을 읽고 쓰는 과정에서 의식과 단이 높

아지게 되었다 그 결과 농민과 노동자들의 읽기와 쓰기는 결국에는 엘

리트만의 건 사회를 무 뜨리고 민주 사회를 형성하는 정치ㆍ사회

2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변 까지 낳았다

부분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세계 부분의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교육의 최고의 목표를 읽기와 쓰기에 두고 있다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인권을 매우 요한 천부 권한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더 나아가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교육권도 매우 요

한 인권으로 인정하고 있다 의무 교육 연한을 최소한 고등학교까지 올

려 lsquo모든 국민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rsquo고 선언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문식권(文識權 Right to Read and Write)인 것이다 인권

은 한 개인이 자아의 필요와 사회의 요구에 히 응해 가며 살아

갈 수 있을 때에 보장되는데 교육이 바로 그런 인권 보장의 요한 수

단이 된다 그리고 그런 교육의 핵심에 바로 독서와 작문이 있는 것이

다 이런 에서 아래에 제시된 읽기와 쓰기 독서와 작문에 을 맞

춘 하버드 학의 교육 목표는 여러 사회 여러 국가의 귀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인류 최 문화유산인 책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interpret a great humanistic text)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고 설득력 있

는 로 써 낼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compose a literate and persuasive essay)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21

4 결 론

독서는 요하다 독서는 한 개인의 지 ㆍ정의 성장에 요하고

사회의 운용과 유지 발 에 요하다 독서는 국가 차원에서도 요

하다 국민은 독서를 통해서 지식을 획득하고 지력도 높이고 지혜도

넓 간다 그래서 국민 개개인의 독서력 향상은 곧 국가의 지식과 지

력과 지혜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독서는 그만큼 개인 이고 사회 이

고 국가 이다 그래서 각국에서는 국민의 독서력 향상에 국가 심

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서의 요성과 독서 교육의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에서

는 아직도 독서에 해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기 되

는 만큼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학 입시에 억 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입시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독서를 억제시키기도

한다 교과서의 지식 암기를 학생의 사고력 신장보다 더 요시하고 있

는 실정이다

독서에 한 사회 인식도 아직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공공 도

서 은 태부족이고 설사 있다고 하더라고 그 실상이 무 라한 형편

이다 장서도 부족하고 일하는 사람도 부족한 편이다 도서 구입과 도

서 운 의 재원도 부족하며 도서 나름의 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

정이다

독서에 한 국가 차원의 심과 정책 개발도 아직 요원한 상태이

다 국민의 독서 권장을 한 법 제도 장치도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독서문화진흥법이 제정되기는 하 지만 그 세부 규정에

한 국가 시행 노력과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한때 우리나라는 새마을 운동으로 국가의 면모를 새롭게 바꾼 경험

이 있다 독서가 바로 제2의 새마을 운동이 될 수 있다 새마을 운동이

물리 환경 개선에 많이 치 되었던 에 비하면 독서는 그야말로 정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신 개 사고 개 의식 명 교육 신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요

한 운동이 될 수 있다

비용 면에서도 독서 운동은 의 새마을 운동보다 훨씬 은 재정

투입으로 훨씬 더 큰 개 을 가져올 수 있다 책 읽는 사회(reading

society)를 지향하고 독자의 나라(nation of readers)를 만들며 읽기와 쓰

기를 통해 민주주의(democracy)를 실 시키는 문식성의 기능(機能

functions)을 생각하면서 독서와 작문을 심으로 하는 문식성 교육의

진흥에 다 같이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 게 하기 해서는 먼 학교

교육이 문식성 심 교육으로 바 어야 한다 독서 이에 더하여 작문

은 우리 개인에게 우리 사회에 우리 국가에 우리 학교 교육에 그만큼

요하고 그만큼 실히 요구되는 우리 모두의 lsquo목표rsquo요 동시에 lsquo과

제rsquo인 것이다

Page 8: 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1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주 식 교과 객 식

20000원을 하여 1년 만에 찾은 돈이

22400원이다 연이율은 몇 인가

답 ( )

수학

4만 원을 하여 1년 만에 찾은 돈이

45200원이다 연이율은 몇 인가

① 10 ② 11 ③ 12 ④ 13

성냥개비의 깜부기불을 만들어 산소가 들어

있는 집기병 속에 넣으면 깜부기불은

어떻게 되나 답 ( )

과학

촛불을 비커로 덮으면 어떻게 되나

차츰 꺼진다 ② 더 잘 탄다

③ 즉시 꺼진다 ④ 변화가 없다

다음 시조에 알맞은 제목을 붙이시오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 나서 옳지 못하면

마소를 갓 고갈 워 밥 먹이나 다르랴

답 ( )

국어

다음 시조에 알맞은 제목을 붙이시오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 나서 옳지 못하면

마소를 갓 고갈 워 밥 먹이나 다르랴

① 수확 ② 가을 ③ 바람 ④ 한가함

의 수학 과학 국어 문제에서 수학의 경우는 문제가 주 식이든

객 식이든 풀이에는 아무 차이가 없다 객 식 문제의 답지가 모두 숫

자로 되어 있고 이들 숫자는 숫자일 뿐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

기 때문이다 과학 문제는 객 식이 조 은 도움이 된다 그러나 문제

해결에 결정 도움은 되지 못한다 수학 문제나 과학 문제 모두 문제

를 풀기 해서는 문제 밖에서 문제 풀이에 매우 요한 지식(문제 풀

이용 공식이든 요 개념이든)을 가져와야 한다 외부에서(더 자세히는

기억 속에서) 련 지식을 가져오지 않으면 이들 교과의 문제는

로 풀 수 없다 외부에서 지식을 가져와야 한다는 에서 과학 교과 그

리고 수학 교과에서조차도 기억이 매우 요한 학습의 수단이 된다

이에 비해 국어 문제는 그 성격이 완 히 다르다 국어 문제의 풀이

에는 외부에서 가져올 지식이 없다 그 신 주어진 지문 속의 내

용을 가지고 제목이라고 할 수 있는 지식을 만들어 내야 한다 이는 달

리 말하면 주어진 의미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수학이나

과학의 문제 풀이는 지식의 용이지만 국어의 문제 풀이는 지식의 생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3

산이다 지식(언어)으로 지식(언어)을 만들어 내는 이런 사고가 바로

언어 처리이며 언어 사용인 것이다 국어 공부에서 기억이 크게 요구되

지 않는 것은 바로 이런 교과 성격 때문이다

3 독서의 기능

의 장에서 살펴보았듯이 독서 더 넓게 보아 인간의 언어 사용은

인류 진화의 방향 아동의 지 성장과 발달 학교에서의 교과 교육과

문제 풀이 등 여러 면에 매우 강한 향을 끼쳐 왔다 의 장에서 살

펴보았듯이 인간의 계통 진화와 개체 발달 학교 교육에서 언어 사

용이 얼마나 요한가를 살필 수 있는 자료들이다 이번 장에서는 독서

가 우리의 개인 사회 삶에서 어떤 기능(機能 function)을 담당하

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31 독서는 문명 발 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앞에서도 잠시 살펴보았듯이 인간의 문명은 문자 언어의 사용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을 캐나다의 심리학자 올슨(Olson)은

아래와 같이 간명하게 말하고 있다

ldquo언어는 인간 개념의 핵심이다 음성 언어의 사용으로 인간은 인

간다워졌고 문자 언어의 사용으로 인간은 문명화되었다rdquo (The

faculty of language stands at the center of the conception of

mankind speech makes us human and literacy makes us civilized)

시간과 공간 속으로 곧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문자 언어

는 오랫동안 기록으로 보존되어 있다 이런 보존으로 인해 인간의 문

1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자 언어 처리는 음성 언어 처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더 깊고

더 넓어진다 바로 여기서 고등 정신 기능(higher mental functioning)

이 이루어지며 이 고등 정신 기능이 바로 과학과 문명을 이루어 낸 원

동력이 되었다 달리 말해서 바로 독서가 인류의 과학과 문명 발 의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32 독서는 의미 창조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작문은 매우 높은 수 의 의미 창조 과정이다 필자가 창의 으로

생각해 낸 의미(내용 지식 정보 느낌 생각 등)가 작문을 통해 이

라는 문자 언어로 표출되기 때문이다

작문 못지않게 독서도 의미 창조의 과정이다 음성이든 문자든 언어

는 그 언어를 이해할 아는 사람에게만 의미 있는 상이 된다 그

언어를 모르는 사람에게는 그 언어가 아무 의미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게 본다면 의미는 언어에 있지 않고 그 언어를 다루는 사람(필자

나 독자)에게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을 읽는 사람은 쓰인 내용을 있는 그 로 받아들이지 않고 읽는

과정에서 많은 새로운 의미 생성의 지 작용을 한다 을 읽고 읽은

을 읽은 그 로 회상하고 표 한다면 이는 분명 의미 창조는 아니다

그러나 을 읽으면서 그 내용을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고 통합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것 등은 모두 읽은 언어를 자료로 하

여 더 깊고 더 넓게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지 작용이다 일상의

읽기 는 독서에서 이런 높은 수 의 지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아래의 문장을 읽어 보자

bull 철수는 먼 산을 바라보며 깊은 생각에 잠겨 있다

이 을 읽고 독자는 먼 그 문장의 문면 (文面的 literal) 뜻을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5

받아들일 것이다 이것도 의미의 창조이다 읽기 에는 몰랐던 것을

읽고 나서 알게 되었으니 의미 창조인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이에 더

하여 독자는 더 많은 생각을 할 것이다 lsquo철수가 무슨 큰 고민에 빠져

있는 것 아닌가rsquo lsquo철수가 헤어진 애인 생각을 하고 있는 것 아닌가rsquo

등의 생각이다 이런 생각이 모두 의미 창조이다 을 읽고 무슨 생각

을 하 다면 그 생각이 무슨 생각이든 그것은 모두 의미 창조인 것이

다 그래서 독서가 의미 창조의 원동력이 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33 독서는 지식 획득과 지혜 확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자는 을 읽으며 로부터 수많은 지식과 정보를 만들어 낸다

그래서 의미를 창조해 내는 것이다 우리의 지식이나 정보는 거의 부

분 독서를 통해서 획득되었고 창조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독서는 을 통한 문면 이해에 그치지 않는다 독자의 사고 활동

이 독서에서 얻는 지식 획득 그 자체에 머물지 않고 그 지식이나 정보

를 더욱 넓고 깊게 확장해 나가는 매우 능동 인 사고이다 철수에

한 앞의 문장에서 보았듯이 독자는 이 을 읽으면서 lsquo철수가 먼 산을

바라보며 생각에 잠겨 있다rsquo는 문면 이해에 더하여 그가 왜 산을 바

라보는지 산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하는지 왜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지 등 많은 추가 인 생각을 더 하게 된다 바로 이런 추가 인 생각

능동 인 사고가 독자의 생각의 깊이와 넓이를 넓 주는 역 확장의

사고이다 그리고 이런 lsquo 역 확장 사고rsquo가 바로 지혜(知慧 wisdom)

인 것이다

지식을 지식으로 받아들이면 그것은 지식의 획득이 된다 그러나 독

서를 하면서 받아들인 지식에 독자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더하여 더

깊고 더 넓고 더 높게 생각하여 그 지식의 련 역을 확장해 나가면

그것이 지혜가 된다 을 읽으며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1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고 단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이 모든 사고 활동이 바로 받아들인

지식에 자신의 사고를 추가하는 고등 수 의 사고요 지혜(知慧)인 것

이다 가지고 있는 것을 더 명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로 지혜이며 그

런 에서 독서는 그 자체가 지식의 획득임과 동시에 지혜의 확장이다

34 독서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인간은 동물 수 의 한 사고(思 )도 하지만 때로는 신과도

같이 매우 높은 수 의 사고도 한다 그런 고등 수 의 사고 에서 가

장 높은 사고가 바로 인지 (超認知的 meta-cognitive) 사고이다 자

신의 사고를 들여다보면서 그것이 옳은지 그른지 바른 방향인지 아닌

지 등의 단을 하고 혹 잘못되었다고 생각할 경우에 이를 바로잡으려

는 수정이나 조정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바로 인지 사고이다 달

리 말해서 인지 사고는 lsquo자신의 앎의 과정을 알고 이를 조정해 내

는 사고rsquo인 것이다

라운(Brown)이라는 미국의 유명한 심리학자가 재미있는 실험 하

나를 했다 그녀는 공부를 잘하는 집단의 학생들과 공부를 잘하지 못하

는 집단의 학생들에게 각각 컴퓨터 화면의 한 편을 이 내용에

한 시험에 비하며 읽으라고 하 다 다음 날 연구자는 같은 집단

학생들에게 같은 을 주면서 이번에 다시 한 번 읽으라고 하 다 그

다음 날에도 연구자는 역시 같은 을 주고 읽으라고 하 다 이

게 세 번 을 읽히면서 연구자는 을 읽는 학생들의 동자 움직임

을 매우 성능이 좋은 이 카메라로 촬 하 고 동자 움직임의 유

형을 분석하 다

실험 결과는 놀라웠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처음 읽기에서는 그

의 매우 요한 부분에 많은 심을 보 다( 동자가 그런 부분에

더 오래 머물 다) 그리고 두 번째 읽을 때에는 첫 번째와는 달리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7

간 정도의 요한 정보에 동자를 오래 멈추었다 그리고 세 번째 읽

기에서는 숫자나 고유 명사와 같은 매우 세세한 부분에까지 주의를 기

울이며 읽었다 즉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는 기억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이고 아직 잘 모르고 있는 부분(기억하

지 못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단해 가며 이해와 기억에 효율 인

방법과 략으로 읽기를 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공부를 잘하지 못하는

학생들의 경우 세 번의 읽기에 나타난 동자 움직임의 유형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들은 처음 읽을 때나 세 번째 읽을 때 모두 의

요 부분에만 주의를 기울 다 달리 말해서 이들은 자신의 이해나

기억에 한 이해가 부족하고 따라서 자신의 읽기 과정을 효율 으로

조 하지 못한 것이다 효율 인 독서는 자기 통제력까지 갖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이 된다

35 독서는 고 수 의 교류 교감 설득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히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책에 쓰여 있는 문자 언어는

소멸되지 않고 그 자리에 그 로 남아 있다 그래서 을 읽는 독자는

시간에 쫓기지 않고 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독서 과정을 조 해 나

간다 천천히 읽기도 하고 내용을 음미하기도 하고 때로는 추리나 상

상도 하면서 여유 있게 을 읽는 것이다

독서는 독자와 필자의 만남이다 독서에서의 독자와 필자의 만남은

지극히 개인 인 만남이다 마치 화에서의 행동과도 같이 독자는 필

자의 을 그 로 받아들여 수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되묻듯이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 보기도 한다 읽은 을 기 자극과 자료로 활용하면

서 더 깊고 더 넓게 추리추론을 하고 비 을 하기도 한다

독서에서의 만남과 소통은 음성 언어를 통한 화에서의 소통보다

훨씬 고 스럽다 일반 생활에서의 만남은 체로 잘 아는 사람들 사이

1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의 만남이고 그래서 그 화는 서로 잘 아는 내용의 화가 되기 쉽

다 그런데 독서에서의 만남은 잘 알지 못하는 사람과의 만남이다 읽

는 도 체로 잘 알지 못하는 내용의 이다 그래서 이런 읽기에

는 세심한 주의( 기)와 높은 수 의 지 사고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독서에서의 만남은 지 사고의 수 이 높아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독서가 고 수 의 지 교류가 되는 것이다

독서에서 읽는 이 정보 심의 이 아닌 정서 심의 이라면

이런 읽기에서의 만남은 그야말로 인간 만남이 된다 분석과 비

과 평가 심의 설명문이나 정보문 읽기와는 달리 정서 인 읽기는

이해와 정과 공감의 심리 효과가 있다 그런 에서 독서는 공감

교류의 원동력도 되는 것이다

36 독서는 창의 직무 수행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서는 lsquo일하기rsquo이다 학생이 학교에서 교과서를 읽는 것은 학생의

본분인 lsquo공부하기rsquo이다 직장의 사무원이나 공무원이 직장에서 하는 독

서는 그 모두가 자신이 해야 할 일 즉 직무를 하는 것이다 공문서를

읽는 일 회의 자료를 만들기 해 자료를 읽고 수집하는 일 회의 결

과를 읽으며 다시 한 번 그 내용을 검하는 일 민원에 답하기 해

련 법 조항을 참조하거나 과거의 련 기록을 찾아보는 일 등 직장

에서 하는 읽기는 그 모두가 lsquo일하기rsquo인 것이다

직장에서의 독서 직장 일하기의 일환으로 하는 읽기는 과거의 것을

그 로 반복하는 읽기가 아니다 직장의 회의에서 다루는 주제나 문제

는 항상 새로운 주제ㆍ문제이다 새로 받아 읽는 공문서도 새로운 내용

의 공문서이다 민원도 과거의 민원과는 다른 새로운 민원이다 이 듯

하는 일 자체가 매일매일 새로운 일이기에 이 일의 처리를 한 읽기

도 매번 새로운 창의 읽기이다 그런 에서 직장에서의 읽기나 독서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9

는 항상 창의 인 직무 수행이 된다

직장에서의 직무 수행 독서는 담당 직 가 높을수록 더 깊고 넓은

창의 사고를 요구한다 어느 직장에서든지 그 조직에서 가장 아래에

치한 사람의 일은 머리를 사용하기보다는 근육을 더 필요로 하는 일

이기 쉽다 이런 일은 과거에 했던 일과 별반 차이가 없는 매우 반

복 인 일이기 쉽다 거기에는 깊은 생각도 높은 창의성도 그리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직장의 조직에서 높은 지 에 있는 사람이 하

는 일은 사뭇 다르다 이런 사람이 하는 일은 근육 일이 아니라 머리

를 써야 하는 일이다 즉 노동이 아니라 사고(思 )인 것이다 이런 사

람이 하는 일일수록 창의성도 더 많이 요구된다 한 번 잘못 단하게

되면 그 결과가 조직 체에 치명 일 수 있다 그래서 더 많이 더 깊

게 그리고 더 치 하게 분석하고 단해야 한다 직장에서의 독서가 바

로 그런 고 사고의 수단이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37 독서는 민주 사회 확립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한때는 을 읽을 수 있고 쓸 수 있는 능력

이 그 사회의 엘리트만의 독 물로 생각되었다 만일 농민이나 노동자

들이 을 깨치게 되면 이들이 일은 하지 않고 정치에 간섭만 하게 된

다고 생각하여 아 이들에게 읽기를 가르치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속 활자의 발명과 보 은 농민과 노동자들을 생각할 수 있고 단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바꾸어 놓는 결정 인 계기가 되었다 속 활자

의 발명으로 책이 량으로 생산되었고 책의 보편 보 으로 공교육

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지식과 정보가 체 국민

들에게 보편화되었고 한 을 읽고 쓰는 과정에서 의식과 단이 높

아지게 되었다 그 결과 농민과 노동자들의 읽기와 쓰기는 결국에는 엘

리트만의 건 사회를 무 뜨리고 민주 사회를 형성하는 정치ㆍ사회

2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변 까지 낳았다

부분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세계 부분의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교육의 최고의 목표를 읽기와 쓰기에 두고 있다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인권을 매우 요한 천부 권한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더 나아가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교육권도 매우 요

한 인권으로 인정하고 있다 의무 교육 연한을 최소한 고등학교까지 올

려 lsquo모든 국민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rsquo고 선언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문식권(文識權 Right to Read and Write)인 것이다 인권

은 한 개인이 자아의 필요와 사회의 요구에 히 응해 가며 살아

갈 수 있을 때에 보장되는데 교육이 바로 그런 인권 보장의 요한 수

단이 된다 그리고 그런 교육의 핵심에 바로 독서와 작문이 있는 것이

다 이런 에서 아래에 제시된 읽기와 쓰기 독서와 작문에 을 맞

춘 하버드 학의 교육 목표는 여러 사회 여러 국가의 귀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인류 최 문화유산인 책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interpret a great humanistic text)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고 설득력 있

는 로 써 낼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compose a literate and persuasive essay)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21

4 결 론

독서는 요하다 독서는 한 개인의 지 ㆍ정의 성장에 요하고

사회의 운용과 유지 발 에 요하다 독서는 국가 차원에서도 요

하다 국민은 독서를 통해서 지식을 획득하고 지력도 높이고 지혜도

넓 간다 그래서 국민 개개인의 독서력 향상은 곧 국가의 지식과 지

력과 지혜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독서는 그만큼 개인 이고 사회 이

고 국가 이다 그래서 각국에서는 국민의 독서력 향상에 국가 심

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서의 요성과 독서 교육의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에서

는 아직도 독서에 해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기 되

는 만큼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학 입시에 억 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입시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독서를 억제시키기도

한다 교과서의 지식 암기를 학생의 사고력 신장보다 더 요시하고 있

는 실정이다

독서에 한 사회 인식도 아직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공공 도

서 은 태부족이고 설사 있다고 하더라고 그 실상이 무 라한 형편

이다 장서도 부족하고 일하는 사람도 부족한 편이다 도서 구입과 도

서 운 의 재원도 부족하며 도서 나름의 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

정이다

독서에 한 국가 차원의 심과 정책 개발도 아직 요원한 상태이

다 국민의 독서 권장을 한 법 제도 장치도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독서문화진흥법이 제정되기는 하 지만 그 세부 규정에

한 국가 시행 노력과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한때 우리나라는 새마을 운동으로 국가의 면모를 새롭게 바꾼 경험

이 있다 독서가 바로 제2의 새마을 운동이 될 수 있다 새마을 운동이

물리 환경 개선에 많이 치 되었던 에 비하면 독서는 그야말로 정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신 개 사고 개 의식 명 교육 신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요

한 운동이 될 수 있다

비용 면에서도 독서 운동은 의 새마을 운동보다 훨씬 은 재정

투입으로 훨씬 더 큰 개 을 가져올 수 있다 책 읽는 사회(reading

society)를 지향하고 독자의 나라(nation of readers)를 만들며 읽기와 쓰

기를 통해 민주주의(democracy)를 실 시키는 문식성의 기능(機能

functions)을 생각하면서 독서와 작문을 심으로 하는 문식성 교육의

진흥에 다 같이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 게 하기 해서는 먼 학교

교육이 문식성 심 교육으로 바 어야 한다 독서 이에 더하여 작문

은 우리 개인에게 우리 사회에 우리 국가에 우리 학교 교육에 그만큼

요하고 그만큼 실히 요구되는 우리 모두의 lsquo목표rsquo요 동시에 lsquo과

제rsquo인 것이다

Page 9: 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3

산이다 지식(언어)으로 지식(언어)을 만들어 내는 이런 사고가 바로

언어 처리이며 언어 사용인 것이다 국어 공부에서 기억이 크게 요구되

지 않는 것은 바로 이런 교과 성격 때문이다

3 독서의 기능

의 장에서 살펴보았듯이 독서 더 넓게 보아 인간의 언어 사용은

인류 진화의 방향 아동의 지 성장과 발달 학교에서의 교과 교육과

문제 풀이 등 여러 면에 매우 강한 향을 끼쳐 왔다 의 장에서 살

펴보았듯이 인간의 계통 진화와 개체 발달 학교 교육에서 언어 사

용이 얼마나 요한가를 살필 수 있는 자료들이다 이번 장에서는 독서

가 우리의 개인 사회 삶에서 어떤 기능(機能 function)을 담당하

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31 독서는 문명 발 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앞에서도 잠시 살펴보았듯이 인간의 문명은 문자 언어의 사용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을 캐나다의 심리학자 올슨(Olson)은

아래와 같이 간명하게 말하고 있다

ldquo언어는 인간 개념의 핵심이다 음성 언어의 사용으로 인간은 인

간다워졌고 문자 언어의 사용으로 인간은 문명화되었다rdquo (The

faculty of language stands at the center of the conception of

mankind speech makes us human and literacy makes us civilized)

시간과 공간 속으로 곧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문자 언어

는 오랫동안 기록으로 보존되어 있다 이런 보존으로 인해 인간의 문

1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자 언어 처리는 음성 언어 처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더 깊고

더 넓어진다 바로 여기서 고등 정신 기능(higher mental functioning)

이 이루어지며 이 고등 정신 기능이 바로 과학과 문명을 이루어 낸 원

동력이 되었다 달리 말해서 바로 독서가 인류의 과학과 문명 발 의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32 독서는 의미 창조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작문은 매우 높은 수 의 의미 창조 과정이다 필자가 창의 으로

생각해 낸 의미(내용 지식 정보 느낌 생각 등)가 작문을 통해 이

라는 문자 언어로 표출되기 때문이다

작문 못지않게 독서도 의미 창조의 과정이다 음성이든 문자든 언어

는 그 언어를 이해할 아는 사람에게만 의미 있는 상이 된다 그

언어를 모르는 사람에게는 그 언어가 아무 의미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게 본다면 의미는 언어에 있지 않고 그 언어를 다루는 사람(필자

나 독자)에게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을 읽는 사람은 쓰인 내용을 있는 그 로 받아들이지 않고 읽는

과정에서 많은 새로운 의미 생성의 지 작용을 한다 을 읽고 읽은

을 읽은 그 로 회상하고 표 한다면 이는 분명 의미 창조는 아니다

그러나 을 읽으면서 그 내용을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고 통합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것 등은 모두 읽은 언어를 자료로 하

여 더 깊고 더 넓게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지 작용이다 일상의

읽기 는 독서에서 이런 높은 수 의 지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아래의 문장을 읽어 보자

bull 철수는 먼 산을 바라보며 깊은 생각에 잠겨 있다

이 을 읽고 독자는 먼 그 문장의 문면 (文面的 literal) 뜻을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5

받아들일 것이다 이것도 의미의 창조이다 읽기 에는 몰랐던 것을

읽고 나서 알게 되었으니 의미 창조인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이에 더

하여 독자는 더 많은 생각을 할 것이다 lsquo철수가 무슨 큰 고민에 빠져

있는 것 아닌가rsquo lsquo철수가 헤어진 애인 생각을 하고 있는 것 아닌가rsquo

등의 생각이다 이런 생각이 모두 의미 창조이다 을 읽고 무슨 생각

을 하 다면 그 생각이 무슨 생각이든 그것은 모두 의미 창조인 것이

다 그래서 독서가 의미 창조의 원동력이 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33 독서는 지식 획득과 지혜 확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자는 을 읽으며 로부터 수많은 지식과 정보를 만들어 낸다

그래서 의미를 창조해 내는 것이다 우리의 지식이나 정보는 거의 부

분 독서를 통해서 획득되었고 창조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독서는 을 통한 문면 이해에 그치지 않는다 독자의 사고 활동

이 독서에서 얻는 지식 획득 그 자체에 머물지 않고 그 지식이나 정보

를 더욱 넓고 깊게 확장해 나가는 매우 능동 인 사고이다 철수에

한 앞의 문장에서 보았듯이 독자는 이 을 읽으면서 lsquo철수가 먼 산을

바라보며 생각에 잠겨 있다rsquo는 문면 이해에 더하여 그가 왜 산을 바

라보는지 산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하는지 왜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지 등 많은 추가 인 생각을 더 하게 된다 바로 이런 추가 인 생각

능동 인 사고가 독자의 생각의 깊이와 넓이를 넓 주는 역 확장의

사고이다 그리고 이런 lsquo 역 확장 사고rsquo가 바로 지혜(知慧 wisdom)

인 것이다

지식을 지식으로 받아들이면 그것은 지식의 획득이 된다 그러나 독

서를 하면서 받아들인 지식에 독자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더하여 더

깊고 더 넓고 더 높게 생각하여 그 지식의 련 역을 확장해 나가면

그것이 지혜가 된다 을 읽으며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1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고 단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이 모든 사고 활동이 바로 받아들인

지식에 자신의 사고를 추가하는 고등 수 의 사고요 지혜(知慧)인 것

이다 가지고 있는 것을 더 명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로 지혜이며 그

런 에서 독서는 그 자체가 지식의 획득임과 동시에 지혜의 확장이다

34 독서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인간은 동물 수 의 한 사고(思 )도 하지만 때로는 신과도

같이 매우 높은 수 의 사고도 한다 그런 고등 수 의 사고 에서 가

장 높은 사고가 바로 인지 (超認知的 meta-cognitive) 사고이다 자

신의 사고를 들여다보면서 그것이 옳은지 그른지 바른 방향인지 아닌

지 등의 단을 하고 혹 잘못되었다고 생각할 경우에 이를 바로잡으려

는 수정이나 조정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바로 인지 사고이다 달

리 말해서 인지 사고는 lsquo자신의 앎의 과정을 알고 이를 조정해 내

는 사고rsquo인 것이다

라운(Brown)이라는 미국의 유명한 심리학자가 재미있는 실험 하

나를 했다 그녀는 공부를 잘하는 집단의 학생들과 공부를 잘하지 못하

는 집단의 학생들에게 각각 컴퓨터 화면의 한 편을 이 내용에

한 시험에 비하며 읽으라고 하 다 다음 날 연구자는 같은 집단

학생들에게 같은 을 주면서 이번에 다시 한 번 읽으라고 하 다 그

다음 날에도 연구자는 역시 같은 을 주고 읽으라고 하 다 이

게 세 번 을 읽히면서 연구자는 을 읽는 학생들의 동자 움직임

을 매우 성능이 좋은 이 카메라로 촬 하 고 동자 움직임의 유

형을 분석하 다

실험 결과는 놀라웠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처음 읽기에서는 그

의 매우 요한 부분에 많은 심을 보 다( 동자가 그런 부분에

더 오래 머물 다) 그리고 두 번째 읽을 때에는 첫 번째와는 달리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7

간 정도의 요한 정보에 동자를 오래 멈추었다 그리고 세 번째 읽

기에서는 숫자나 고유 명사와 같은 매우 세세한 부분에까지 주의를 기

울이며 읽었다 즉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는 기억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이고 아직 잘 모르고 있는 부분(기억하

지 못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단해 가며 이해와 기억에 효율 인

방법과 략으로 읽기를 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공부를 잘하지 못하는

학생들의 경우 세 번의 읽기에 나타난 동자 움직임의 유형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들은 처음 읽을 때나 세 번째 읽을 때 모두 의

요 부분에만 주의를 기울 다 달리 말해서 이들은 자신의 이해나

기억에 한 이해가 부족하고 따라서 자신의 읽기 과정을 효율 으로

조 하지 못한 것이다 효율 인 독서는 자기 통제력까지 갖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이 된다

35 독서는 고 수 의 교류 교감 설득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히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책에 쓰여 있는 문자 언어는

소멸되지 않고 그 자리에 그 로 남아 있다 그래서 을 읽는 독자는

시간에 쫓기지 않고 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독서 과정을 조 해 나

간다 천천히 읽기도 하고 내용을 음미하기도 하고 때로는 추리나 상

상도 하면서 여유 있게 을 읽는 것이다

독서는 독자와 필자의 만남이다 독서에서의 독자와 필자의 만남은

지극히 개인 인 만남이다 마치 화에서의 행동과도 같이 독자는 필

자의 을 그 로 받아들여 수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되묻듯이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 보기도 한다 읽은 을 기 자극과 자료로 활용하면

서 더 깊고 더 넓게 추리추론을 하고 비 을 하기도 한다

독서에서의 만남과 소통은 음성 언어를 통한 화에서의 소통보다

훨씬 고 스럽다 일반 생활에서의 만남은 체로 잘 아는 사람들 사이

1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의 만남이고 그래서 그 화는 서로 잘 아는 내용의 화가 되기 쉽

다 그런데 독서에서의 만남은 잘 알지 못하는 사람과의 만남이다 읽

는 도 체로 잘 알지 못하는 내용의 이다 그래서 이런 읽기에

는 세심한 주의( 기)와 높은 수 의 지 사고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독서에서의 만남은 지 사고의 수 이 높아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독서가 고 수 의 지 교류가 되는 것이다

독서에서 읽는 이 정보 심의 이 아닌 정서 심의 이라면

이런 읽기에서의 만남은 그야말로 인간 만남이 된다 분석과 비

과 평가 심의 설명문이나 정보문 읽기와는 달리 정서 인 읽기는

이해와 정과 공감의 심리 효과가 있다 그런 에서 독서는 공감

교류의 원동력도 되는 것이다

36 독서는 창의 직무 수행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서는 lsquo일하기rsquo이다 학생이 학교에서 교과서를 읽는 것은 학생의

본분인 lsquo공부하기rsquo이다 직장의 사무원이나 공무원이 직장에서 하는 독

서는 그 모두가 자신이 해야 할 일 즉 직무를 하는 것이다 공문서를

읽는 일 회의 자료를 만들기 해 자료를 읽고 수집하는 일 회의 결

과를 읽으며 다시 한 번 그 내용을 검하는 일 민원에 답하기 해

련 법 조항을 참조하거나 과거의 련 기록을 찾아보는 일 등 직장

에서 하는 읽기는 그 모두가 lsquo일하기rsquo인 것이다

직장에서의 독서 직장 일하기의 일환으로 하는 읽기는 과거의 것을

그 로 반복하는 읽기가 아니다 직장의 회의에서 다루는 주제나 문제

는 항상 새로운 주제ㆍ문제이다 새로 받아 읽는 공문서도 새로운 내용

의 공문서이다 민원도 과거의 민원과는 다른 새로운 민원이다 이 듯

하는 일 자체가 매일매일 새로운 일이기에 이 일의 처리를 한 읽기

도 매번 새로운 창의 읽기이다 그런 에서 직장에서의 읽기나 독서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9

는 항상 창의 인 직무 수행이 된다

직장에서의 직무 수행 독서는 담당 직 가 높을수록 더 깊고 넓은

창의 사고를 요구한다 어느 직장에서든지 그 조직에서 가장 아래에

치한 사람의 일은 머리를 사용하기보다는 근육을 더 필요로 하는 일

이기 쉽다 이런 일은 과거에 했던 일과 별반 차이가 없는 매우 반

복 인 일이기 쉽다 거기에는 깊은 생각도 높은 창의성도 그리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직장의 조직에서 높은 지 에 있는 사람이 하

는 일은 사뭇 다르다 이런 사람이 하는 일은 근육 일이 아니라 머리

를 써야 하는 일이다 즉 노동이 아니라 사고(思 )인 것이다 이런 사

람이 하는 일일수록 창의성도 더 많이 요구된다 한 번 잘못 단하게

되면 그 결과가 조직 체에 치명 일 수 있다 그래서 더 많이 더 깊

게 그리고 더 치 하게 분석하고 단해야 한다 직장에서의 독서가 바

로 그런 고 사고의 수단이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37 독서는 민주 사회 확립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한때는 을 읽을 수 있고 쓸 수 있는 능력

이 그 사회의 엘리트만의 독 물로 생각되었다 만일 농민이나 노동자

들이 을 깨치게 되면 이들이 일은 하지 않고 정치에 간섭만 하게 된

다고 생각하여 아 이들에게 읽기를 가르치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속 활자의 발명과 보 은 농민과 노동자들을 생각할 수 있고 단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바꾸어 놓는 결정 인 계기가 되었다 속 활자

의 발명으로 책이 량으로 생산되었고 책의 보편 보 으로 공교육

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지식과 정보가 체 국민

들에게 보편화되었고 한 을 읽고 쓰는 과정에서 의식과 단이 높

아지게 되었다 그 결과 농민과 노동자들의 읽기와 쓰기는 결국에는 엘

리트만의 건 사회를 무 뜨리고 민주 사회를 형성하는 정치ㆍ사회

2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변 까지 낳았다

부분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세계 부분의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교육의 최고의 목표를 읽기와 쓰기에 두고 있다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인권을 매우 요한 천부 권한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더 나아가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교육권도 매우 요

한 인권으로 인정하고 있다 의무 교육 연한을 최소한 고등학교까지 올

려 lsquo모든 국민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rsquo고 선언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문식권(文識權 Right to Read and Write)인 것이다 인권

은 한 개인이 자아의 필요와 사회의 요구에 히 응해 가며 살아

갈 수 있을 때에 보장되는데 교육이 바로 그런 인권 보장의 요한 수

단이 된다 그리고 그런 교육의 핵심에 바로 독서와 작문이 있는 것이

다 이런 에서 아래에 제시된 읽기와 쓰기 독서와 작문에 을 맞

춘 하버드 학의 교육 목표는 여러 사회 여러 국가의 귀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인류 최 문화유산인 책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interpret a great humanistic text)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고 설득력 있

는 로 써 낼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compose a literate and persuasive essay)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21

4 결 론

독서는 요하다 독서는 한 개인의 지 ㆍ정의 성장에 요하고

사회의 운용과 유지 발 에 요하다 독서는 국가 차원에서도 요

하다 국민은 독서를 통해서 지식을 획득하고 지력도 높이고 지혜도

넓 간다 그래서 국민 개개인의 독서력 향상은 곧 국가의 지식과 지

력과 지혜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독서는 그만큼 개인 이고 사회 이

고 국가 이다 그래서 각국에서는 국민의 독서력 향상에 국가 심

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서의 요성과 독서 교육의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에서

는 아직도 독서에 해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기 되

는 만큼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학 입시에 억 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입시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독서를 억제시키기도

한다 교과서의 지식 암기를 학생의 사고력 신장보다 더 요시하고 있

는 실정이다

독서에 한 사회 인식도 아직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공공 도

서 은 태부족이고 설사 있다고 하더라고 그 실상이 무 라한 형편

이다 장서도 부족하고 일하는 사람도 부족한 편이다 도서 구입과 도

서 운 의 재원도 부족하며 도서 나름의 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

정이다

독서에 한 국가 차원의 심과 정책 개발도 아직 요원한 상태이

다 국민의 독서 권장을 한 법 제도 장치도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독서문화진흥법이 제정되기는 하 지만 그 세부 규정에

한 국가 시행 노력과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한때 우리나라는 새마을 운동으로 국가의 면모를 새롭게 바꾼 경험

이 있다 독서가 바로 제2의 새마을 운동이 될 수 있다 새마을 운동이

물리 환경 개선에 많이 치 되었던 에 비하면 독서는 그야말로 정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신 개 사고 개 의식 명 교육 신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요

한 운동이 될 수 있다

비용 면에서도 독서 운동은 의 새마을 운동보다 훨씬 은 재정

투입으로 훨씬 더 큰 개 을 가져올 수 있다 책 읽는 사회(reading

society)를 지향하고 독자의 나라(nation of readers)를 만들며 읽기와 쓰

기를 통해 민주주의(democracy)를 실 시키는 문식성의 기능(機能

functions)을 생각하면서 독서와 작문을 심으로 하는 문식성 교육의

진흥에 다 같이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 게 하기 해서는 먼 학교

교육이 문식성 심 교육으로 바 어야 한다 독서 이에 더하여 작문

은 우리 개인에게 우리 사회에 우리 국가에 우리 학교 교육에 그만큼

요하고 그만큼 실히 요구되는 우리 모두의 lsquo목표rsquo요 동시에 lsquo과

제rsquo인 것이다

Page 10: 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14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자 언어 처리는 음성 언어 처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더 깊고

더 넓어진다 바로 여기서 고등 정신 기능(higher mental functioning)

이 이루어지며 이 고등 정신 기능이 바로 과학과 문명을 이루어 낸 원

동력이 되었다 달리 말해서 바로 독서가 인류의 과학과 문명 발 의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32 독서는 의미 창조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작문은 매우 높은 수 의 의미 창조 과정이다 필자가 창의 으로

생각해 낸 의미(내용 지식 정보 느낌 생각 등)가 작문을 통해 이

라는 문자 언어로 표출되기 때문이다

작문 못지않게 독서도 의미 창조의 과정이다 음성이든 문자든 언어

는 그 언어를 이해할 아는 사람에게만 의미 있는 상이 된다 그

언어를 모르는 사람에게는 그 언어가 아무 의미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게 본다면 의미는 언어에 있지 않고 그 언어를 다루는 사람(필자

나 독자)에게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을 읽는 사람은 쓰인 내용을 있는 그 로 받아들이지 않고 읽는

과정에서 많은 새로운 의미 생성의 지 작용을 한다 을 읽고 읽은

을 읽은 그 로 회상하고 표 한다면 이는 분명 의미 창조는 아니다

그러나 을 읽으면서 그 내용을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고 통합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것 등은 모두 읽은 언어를 자료로 하

여 더 깊고 더 넓게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지 작용이다 일상의

읽기 는 독서에서 이런 높은 수 의 지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아래의 문장을 읽어 보자

bull 철수는 먼 산을 바라보며 깊은 생각에 잠겨 있다

이 을 읽고 독자는 먼 그 문장의 문면 (文面的 literal) 뜻을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5

받아들일 것이다 이것도 의미의 창조이다 읽기 에는 몰랐던 것을

읽고 나서 알게 되었으니 의미 창조인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이에 더

하여 독자는 더 많은 생각을 할 것이다 lsquo철수가 무슨 큰 고민에 빠져

있는 것 아닌가rsquo lsquo철수가 헤어진 애인 생각을 하고 있는 것 아닌가rsquo

등의 생각이다 이런 생각이 모두 의미 창조이다 을 읽고 무슨 생각

을 하 다면 그 생각이 무슨 생각이든 그것은 모두 의미 창조인 것이

다 그래서 독서가 의미 창조의 원동력이 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33 독서는 지식 획득과 지혜 확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자는 을 읽으며 로부터 수많은 지식과 정보를 만들어 낸다

그래서 의미를 창조해 내는 것이다 우리의 지식이나 정보는 거의 부

분 독서를 통해서 획득되었고 창조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독서는 을 통한 문면 이해에 그치지 않는다 독자의 사고 활동

이 독서에서 얻는 지식 획득 그 자체에 머물지 않고 그 지식이나 정보

를 더욱 넓고 깊게 확장해 나가는 매우 능동 인 사고이다 철수에

한 앞의 문장에서 보았듯이 독자는 이 을 읽으면서 lsquo철수가 먼 산을

바라보며 생각에 잠겨 있다rsquo는 문면 이해에 더하여 그가 왜 산을 바

라보는지 산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하는지 왜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지 등 많은 추가 인 생각을 더 하게 된다 바로 이런 추가 인 생각

능동 인 사고가 독자의 생각의 깊이와 넓이를 넓 주는 역 확장의

사고이다 그리고 이런 lsquo 역 확장 사고rsquo가 바로 지혜(知慧 wisdom)

인 것이다

지식을 지식으로 받아들이면 그것은 지식의 획득이 된다 그러나 독

서를 하면서 받아들인 지식에 독자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더하여 더

깊고 더 넓고 더 높게 생각하여 그 지식의 련 역을 확장해 나가면

그것이 지혜가 된다 을 읽으며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1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고 단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이 모든 사고 활동이 바로 받아들인

지식에 자신의 사고를 추가하는 고등 수 의 사고요 지혜(知慧)인 것

이다 가지고 있는 것을 더 명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로 지혜이며 그

런 에서 독서는 그 자체가 지식의 획득임과 동시에 지혜의 확장이다

34 독서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인간은 동물 수 의 한 사고(思 )도 하지만 때로는 신과도

같이 매우 높은 수 의 사고도 한다 그런 고등 수 의 사고 에서 가

장 높은 사고가 바로 인지 (超認知的 meta-cognitive) 사고이다 자

신의 사고를 들여다보면서 그것이 옳은지 그른지 바른 방향인지 아닌

지 등의 단을 하고 혹 잘못되었다고 생각할 경우에 이를 바로잡으려

는 수정이나 조정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바로 인지 사고이다 달

리 말해서 인지 사고는 lsquo자신의 앎의 과정을 알고 이를 조정해 내

는 사고rsquo인 것이다

라운(Brown)이라는 미국의 유명한 심리학자가 재미있는 실험 하

나를 했다 그녀는 공부를 잘하는 집단의 학생들과 공부를 잘하지 못하

는 집단의 학생들에게 각각 컴퓨터 화면의 한 편을 이 내용에

한 시험에 비하며 읽으라고 하 다 다음 날 연구자는 같은 집단

학생들에게 같은 을 주면서 이번에 다시 한 번 읽으라고 하 다 그

다음 날에도 연구자는 역시 같은 을 주고 읽으라고 하 다 이

게 세 번 을 읽히면서 연구자는 을 읽는 학생들의 동자 움직임

을 매우 성능이 좋은 이 카메라로 촬 하 고 동자 움직임의 유

형을 분석하 다

실험 결과는 놀라웠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처음 읽기에서는 그

의 매우 요한 부분에 많은 심을 보 다( 동자가 그런 부분에

더 오래 머물 다) 그리고 두 번째 읽을 때에는 첫 번째와는 달리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7

간 정도의 요한 정보에 동자를 오래 멈추었다 그리고 세 번째 읽

기에서는 숫자나 고유 명사와 같은 매우 세세한 부분에까지 주의를 기

울이며 읽었다 즉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는 기억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이고 아직 잘 모르고 있는 부분(기억하

지 못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단해 가며 이해와 기억에 효율 인

방법과 략으로 읽기를 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공부를 잘하지 못하는

학생들의 경우 세 번의 읽기에 나타난 동자 움직임의 유형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들은 처음 읽을 때나 세 번째 읽을 때 모두 의

요 부분에만 주의를 기울 다 달리 말해서 이들은 자신의 이해나

기억에 한 이해가 부족하고 따라서 자신의 읽기 과정을 효율 으로

조 하지 못한 것이다 효율 인 독서는 자기 통제력까지 갖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이 된다

35 독서는 고 수 의 교류 교감 설득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히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책에 쓰여 있는 문자 언어는

소멸되지 않고 그 자리에 그 로 남아 있다 그래서 을 읽는 독자는

시간에 쫓기지 않고 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독서 과정을 조 해 나

간다 천천히 읽기도 하고 내용을 음미하기도 하고 때로는 추리나 상

상도 하면서 여유 있게 을 읽는 것이다

독서는 독자와 필자의 만남이다 독서에서의 독자와 필자의 만남은

지극히 개인 인 만남이다 마치 화에서의 행동과도 같이 독자는 필

자의 을 그 로 받아들여 수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되묻듯이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 보기도 한다 읽은 을 기 자극과 자료로 활용하면

서 더 깊고 더 넓게 추리추론을 하고 비 을 하기도 한다

독서에서의 만남과 소통은 음성 언어를 통한 화에서의 소통보다

훨씬 고 스럽다 일반 생활에서의 만남은 체로 잘 아는 사람들 사이

1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의 만남이고 그래서 그 화는 서로 잘 아는 내용의 화가 되기 쉽

다 그런데 독서에서의 만남은 잘 알지 못하는 사람과의 만남이다 읽

는 도 체로 잘 알지 못하는 내용의 이다 그래서 이런 읽기에

는 세심한 주의( 기)와 높은 수 의 지 사고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독서에서의 만남은 지 사고의 수 이 높아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독서가 고 수 의 지 교류가 되는 것이다

독서에서 읽는 이 정보 심의 이 아닌 정서 심의 이라면

이런 읽기에서의 만남은 그야말로 인간 만남이 된다 분석과 비

과 평가 심의 설명문이나 정보문 읽기와는 달리 정서 인 읽기는

이해와 정과 공감의 심리 효과가 있다 그런 에서 독서는 공감

교류의 원동력도 되는 것이다

36 독서는 창의 직무 수행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서는 lsquo일하기rsquo이다 학생이 학교에서 교과서를 읽는 것은 학생의

본분인 lsquo공부하기rsquo이다 직장의 사무원이나 공무원이 직장에서 하는 독

서는 그 모두가 자신이 해야 할 일 즉 직무를 하는 것이다 공문서를

읽는 일 회의 자료를 만들기 해 자료를 읽고 수집하는 일 회의 결

과를 읽으며 다시 한 번 그 내용을 검하는 일 민원에 답하기 해

련 법 조항을 참조하거나 과거의 련 기록을 찾아보는 일 등 직장

에서 하는 읽기는 그 모두가 lsquo일하기rsquo인 것이다

직장에서의 독서 직장 일하기의 일환으로 하는 읽기는 과거의 것을

그 로 반복하는 읽기가 아니다 직장의 회의에서 다루는 주제나 문제

는 항상 새로운 주제ㆍ문제이다 새로 받아 읽는 공문서도 새로운 내용

의 공문서이다 민원도 과거의 민원과는 다른 새로운 민원이다 이 듯

하는 일 자체가 매일매일 새로운 일이기에 이 일의 처리를 한 읽기

도 매번 새로운 창의 읽기이다 그런 에서 직장에서의 읽기나 독서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9

는 항상 창의 인 직무 수행이 된다

직장에서의 직무 수행 독서는 담당 직 가 높을수록 더 깊고 넓은

창의 사고를 요구한다 어느 직장에서든지 그 조직에서 가장 아래에

치한 사람의 일은 머리를 사용하기보다는 근육을 더 필요로 하는 일

이기 쉽다 이런 일은 과거에 했던 일과 별반 차이가 없는 매우 반

복 인 일이기 쉽다 거기에는 깊은 생각도 높은 창의성도 그리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직장의 조직에서 높은 지 에 있는 사람이 하

는 일은 사뭇 다르다 이런 사람이 하는 일은 근육 일이 아니라 머리

를 써야 하는 일이다 즉 노동이 아니라 사고(思 )인 것이다 이런 사

람이 하는 일일수록 창의성도 더 많이 요구된다 한 번 잘못 단하게

되면 그 결과가 조직 체에 치명 일 수 있다 그래서 더 많이 더 깊

게 그리고 더 치 하게 분석하고 단해야 한다 직장에서의 독서가 바

로 그런 고 사고의 수단이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37 독서는 민주 사회 확립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한때는 을 읽을 수 있고 쓸 수 있는 능력

이 그 사회의 엘리트만의 독 물로 생각되었다 만일 농민이나 노동자

들이 을 깨치게 되면 이들이 일은 하지 않고 정치에 간섭만 하게 된

다고 생각하여 아 이들에게 읽기를 가르치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속 활자의 발명과 보 은 농민과 노동자들을 생각할 수 있고 단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바꾸어 놓는 결정 인 계기가 되었다 속 활자

의 발명으로 책이 량으로 생산되었고 책의 보편 보 으로 공교육

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지식과 정보가 체 국민

들에게 보편화되었고 한 을 읽고 쓰는 과정에서 의식과 단이 높

아지게 되었다 그 결과 농민과 노동자들의 읽기와 쓰기는 결국에는 엘

리트만의 건 사회를 무 뜨리고 민주 사회를 형성하는 정치ㆍ사회

2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변 까지 낳았다

부분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세계 부분의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교육의 최고의 목표를 읽기와 쓰기에 두고 있다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인권을 매우 요한 천부 권한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더 나아가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교육권도 매우 요

한 인권으로 인정하고 있다 의무 교육 연한을 최소한 고등학교까지 올

려 lsquo모든 국민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rsquo고 선언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문식권(文識權 Right to Read and Write)인 것이다 인권

은 한 개인이 자아의 필요와 사회의 요구에 히 응해 가며 살아

갈 수 있을 때에 보장되는데 교육이 바로 그런 인권 보장의 요한 수

단이 된다 그리고 그런 교육의 핵심에 바로 독서와 작문이 있는 것이

다 이런 에서 아래에 제시된 읽기와 쓰기 독서와 작문에 을 맞

춘 하버드 학의 교육 목표는 여러 사회 여러 국가의 귀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인류 최 문화유산인 책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interpret a great humanistic text)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고 설득력 있

는 로 써 낼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compose a literate and persuasive essay)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21

4 결 론

독서는 요하다 독서는 한 개인의 지 ㆍ정의 성장에 요하고

사회의 운용과 유지 발 에 요하다 독서는 국가 차원에서도 요

하다 국민은 독서를 통해서 지식을 획득하고 지력도 높이고 지혜도

넓 간다 그래서 국민 개개인의 독서력 향상은 곧 국가의 지식과 지

력과 지혜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독서는 그만큼 개인 이고 사회 이

고 국가 이다 그래서 각국에서는 국민의 독서력 향상에 국가 심

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서의 요성과 독서 교육의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에서

는 아직도 독서에 해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기 되

는 만큼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학 입시에 억 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입시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독서를 억제시키기도

한다 교과서의 지식 암기를 학생의 사고력 신장보다 더 요시하고 있

는 실정이다

독서에 한 사회 인식도 아직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공공 도

서 은 태부족이고 설사 있다고 하더라고 그 실상이 무 라한 형편

이다 장서도 부족하고 일하는 사람도 부족한 편이다 도서 구입과 도

서 운 의 재원도 부족하며 도서 나름의 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

정이다

독서에 한 국가 차원의 심과 정책 개발도 아직 요원한 상태이

다 국민의 독서 권장을 한 법 제도 장치도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독서문화진흥법이 제정되기는 하 지만 그 세부 규정에

한 국가 시행 노력과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한때 우리나라는 새마을 운동으로 국가의 면모를 새롭게 바꾼 경험

이 있다 독서가 바로 제2의 새마을 운동이 될 수 있다 새마을 운동이

물리 환경 개선에 많이 치 되었던 에 비하면 독서는 그야말로 정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신 개 사고 개 의식 명 교육 신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요

한 운동이 될 수 있다

비용 면에서도 독서 운동은 의 새마을 운동보다 훨씬 은 재정

투입으로 훨씬 더 큰 개 을 가져올 수 있다 책 읽는 사회(reading

society)를 지향하고 독자의 나라(nation of readers)를 만들며 읽기와 쓰

기를 통해 민주주의(democracy)를 실 시키는 문식성의 기능(機能

functions)을 생각하면서 독서와 작문을 심으로 하는 문식성 교육의

진흥에 다 같이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 게 하기 해서는 먼 학교

교육이 문식성 심 교육으로 바 어야 한다 독서 이에 더하여 작문

은 우리 개인에게 우리 사회에 우리 국가에 우리 학교 교육에 그만큼

요하고 그만큼 실히 요구되는 우리 모두의 lsquo목표rsquo요 동시에 lsquo과

제rsquo인 것이다

Page 11: 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5

받아들일 것이다 이것도 의미의 창조이다 읽기 에는 몰랐던 것을

읽고 나서 알게 되었으니 의미 창조인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이에 더

하여 독자는 더 많은 생각을 할 것이다 lsquo철수가 무슨 큰 고민에 빠져

있는 것 아닌가rsquo lsquo철수가 헤어진 애인 생각을 하고 있는 것 아닌가rsquo

등의 생각이다 이런 생각이 모두 의미 창조이다 을 읽고 무슨 생각

을 하 다면 그 생각이 무슨 생각이든 그것은 모두 의미 창조인 것이

다 그래서 독서가 의미 창조의 원동력이 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33 독서는 지식 획득과 지혜 확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자는 을 읽으며 로부터 수많은 지식과 정보를 만들어 낸다

그래서 의미를 창조해 내는 것이다 우리의 지식이나 정보는 거의 부

분 독서를 통해서 획득되었고 창조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독서는 을 통한 문면 이해에 그치지 않는다 독자의 사고 활동

이 독서에서 얻는 지식 획득 그 자체에 머물지 않고 그 지식이나 정보

를 더욱 넓고 깊게 확장해 나가는 매우 능동 인 사고이다 철수에

한 앞의 문장에서 보았듯이 독자는 이 을 읽으면서 lsquo철수가 먼 산을

바라보며 생각에 잠겨 있다rsquo는 문면 이해에 더하여 그가 왜 산을 바

라보는지 산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하는지 왜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지 등 많은 추가 인 생각을 더 하게 된다 바로 이런 추가 인 생각

능동 인 사고가 독자의 생각의 깊이와 넓이를 넓 주는 역 확장의

사고이다 그리고 이런 lsquo 역 확장 사고rsquo가 바로 지혜(知慧 wisdom)

인 것이다

지식을 지식으로 받아들이면 그것은 지식의 획득이 된다 그러나 독

서를 하면서 받아들인 지식에 독자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더하여 더

깊고 더 넓고 더 높게 생각하여 그 지식의 련 역을 확장해 나가면

그것이 지혜가 된다 을 읽으며 이해하고 용하고 분석하고 비교하

1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고 단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이 모든 사고 활동이 바로 받아들인

지식에 자신의 사고를 추가하는 고등 수 의 사고요 지혜(知慧)인 것

이다 가지고 있는 것을 더 명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로 지혜이며 그

런 에서 독서는 그 자체가 지식의 획득임과 동시에 지혜의 확장이다

34 독서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인간은 동물 수 의 한 사고(思 )도 하지만 때로는 신과도

같이 매우 높은 수 의 사고도 한다 그런 고등 수 의 사고 에서 가

장 높은 사고가 바로 인지 (超認知的 meta-cognitive) 사고이다 자

신의 사고를 들여다보면서 그것이 옳은지 그른지 바른 방향인지 아닌

지 등의 단을 하고 혹 잘못되었다고 생각할 경우에 이를 바로잡으려

는 수정이나 조정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바로 인지 사고이다 달

리 말해서 인지 사고는 lsquo자신의 앎의 과정을 알고 이를 조정해 내

는 사고rsquo인 것이다

라운(Brown)이라는 미국의 유명한 심리학자가 재미있는 실험 하

나를 했다 그녀는 공부를 잘하는 집단의 학생들과 공부를 잘하지 못하

는 집단의 학생들에게 각각 컴퓨터 화면의 한 편을 이 내용에

한 시험에 비하며 읽으라고 하 다 다음 날 연구자는 같은 집단

학생들에게 같은 을 주면서 이번에 다시 한 번 읽으라고 하 다 그

다음 날에도 연구자는 역시 같은 을 주고 읽으라고 하 다 이

게 세 번 을 읽히면서 연구자는 을 읽는 학생들의 동자 움직임

을 매우 성능이 좋은 이 카메라로 촬 하 고 동자 움직임의 유

형을 분석하 다

실험 결과는 놀라웠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처음 읽기에서는 그

의 매우 요한 부분에 많은 심을 보 다( 동자가 그런 부분에

더 오래 머물 다) 그리고 두 번째 읽을 때에는 첫 번째와는 달리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7

간 정도의 요한 정보에 동자를 오래 멈추었다 그리고 세 번째 읽

기에서는 숫자나 고유 명사와 같은 매우 세세한 부분에까지 주의를 기

울이며 읽었다 즉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는 기억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이고 아직 잘 모르고 있는 부분(기억하

지 못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단해 가며 이해와 기억에 효율 인

방법과 략으로 읽기를 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공부를 잘하지 못하는

학생들의 경우 세 번의 읽기에 나타난 동자 움직임의 유형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들은 처음 읽을 때나 세 번째 읽을 때 모두 의

요 부분에만 주의를 기울 다 달리 말해서 이들은 자신의 이해나

기억에 한 이해가 부족하고 따라서 자신의 읽기 과정을 효율 으로

조 하지 못한 것이다 효율 인 독서는 자기 통제력까지 갖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이 된다

35 독서는 고 수 의 교류 교감 설득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히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책에 쓰여 있는 문자 언어는

소멸되지 않고 그 자리에 그 로 남아 있다 그래서 을 읽는 독자는

시간에 쫓기지 않고 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독서 과정을 조 해 나

간다 천천히 읽기도 하고 내용을 음미하기도 하고 때로는 추리나 상

상도 하면서 여유 있게 을 읽는 것이다

독서는 독자와 필자의 만남이다 독서에서의 독자와 필자의 만남은

지극히 개인 인 만남이다 마치 화에서의 행동과도 같이 독자는 필

자의 을 그 로 받아들여 수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되묻듯이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 보기도 한다 읽은 을 기 자극과 자료로 활용하면

서 더 깊고 더 넓게 추리추론을 하고 비 을 하기도 한다

독서에서의 만남과 소통은 음성 언어를 통한 화에서의 소통보다

훨씬 고 스럽다 일반 생활에서의 만남은 체로 잘 아는 사람들 사이

1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의 만남이고 그래서 그 화는 서로 잘 아는 내용의 화가 되기 쉽

다 그런데 독서에서의 만남은 잘 알지 못하는 사람과의 만남이다 읽

는 도 체로 잘 알지 못하는 내용의 이다 그래서 이런 읽기에

는 세심한 주의( 기)와 높은 수 의 지 사고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독서에서의 만남은 지 사고의 수 이 높아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독서가 고 수 의 지 교류가 되는 것이다

독서에서 읽는 이 정보 심의 이 아닌 정서 심의 이라면

이런 읽기에서의 만남은 그야말로 인간 만남이 된다 분석과 비

과 평가 심의 설명문이나 정보문 읽기와는 달리 정서 인 읽기는

이해와 정과 공감의 심리 효과가 있다 그런 에서 독서는 공감

교류의 원동력도 되는 것이다

36 독서는 창의 직무 수행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서는 lsquo일하기rsquo이다 학생이 학교에서 교과서를 읽는 것은 학생의

본분인 lsquo공부하기rsquo이다 직장의 사무원이나 공무원이 직장에서 하는 독

서는 그 모두가 자신이 해야 할 일 즉 직무를 하는 것이다 공문서를

읽는 일 회의 자료를 만들기 해 자료를 읽고 수집하는 일 회의 결

과를 읽으며 다시 한 번 그 내용을 검하는 일 민원에 답하기 해

련 법 조항을 참조하거나 과거의 련 기록을 찾아보는 일 등 직장

에서 하는 읽기는 그 모두가 lsquo일하기rsquo인 것이다

직장에서의 독서 직장 일하기의 일환으로 하는 읽기는 과거의 것을

그 로 반복하는 읽기가 아니다 직장의 회의에서 다루는 주제나 문제

는 항상 새로운 주제ㆍ문제이다 새로 받아 읽는 공문서도 새로운 내용

의 공문서이다 민원도 과거의 민원과는 다른 새로운 민원이다 이 듯

하는 일 자체가 매일매일 새로운 일이기에 이 일의 처리를 한 읽기

도 매번 새로운 창의 읽기이다 그런 에서 직장에서의 읽기나 독서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9

는 항상 창의 인 직무 수행이 된다

직장에서의 직무 수행 독서는 담당 직 가 높을수록 더 깊고 넓은

창의 사고를 요구한다 어느 직장에서든지 그 조직에서 가장 아래에

치한 사람의 일은 머리를 사용하기보다는 근육을 더 필요로 하는 일

이기 쉽다 이런 일은 과거에 했던 일과 별반 차이가 없는 매우 반

복 인 일이기 쉽다 거기에는 깊은 생각도 높은 창의성도 그리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직장의 조직에서 높은 지 에 있는 사람이 하

는 일은 사뭇 다르다 이런 사람이 하는 일은 근육 일이 아니라 머리

를 써야 하는 일이다 즉 노동이 아니라 사고(思 )인 것이다 이런 사

람이 하는 일일수록 창의성도 더 많이 요구된다 한 번 잘못 단하게

되면 그 결과가 조직 체에 치명 일 수 있다 그래서 더 많이 더 깊

게 그리고 더 치 하게 분석하고 단해야 한다 직장에서의 독서가 바

로 그런 고 사고의 수단이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37 독서는 민주 사회 확립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한때는 을 읽을 수 있고 쓸 수 있는 능력

이 그 사회의 엘리트만의 독 물로 생각되었다 만일 농민이나 노동자

들이 을 깨치게 되면 이들이 일은 하지 않고 정치에 간섭만 하게 된

다고 생각하여 아 이들에게 읽기를 가르치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속 활자의 발명과 보 은 농민과 노동자들을 생각할 수 있고 단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바꾸어 놓는 결정 인 계기가 되었다 속 활자

의 발명으로 책이 량으로 생산되었고 책의 보편 보 으로 공교육

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지식과 정보가 체 국민

들에게 보편화되었고 한 을 읽고 쓰는 과정에서 의식과 단이 높

아지게 되었다 그 결과 농민과 노동자들의 읽기와 쓰기는 결국에는 엘

리트만의 건 사회를 무 뜨리고 민주 사회를 형성하는 정치ㆍ사회

2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변 까지 낳았다

부분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세계 부분의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교육의 최고의 목표를 읽기와 쓰기에 두고 있다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인권을 매우 요한 천부 권한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더 나아가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교육권도 매우 요

한 인권으로 인정하고 있다 의무 교육 연한을 최소한 고등학교까지 올

려 lsquo모든 국민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rsquo고 선언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문식권(文識權 Right to Read and Write)인 것이다 인권

은 한 개인이 자아의 필요와 사회의 요구에 히 응해 가며 살아

갈 수 있을 때에 보장되는데 교육이 바로 그런 인권 보장의 요한 수

단이 된다 그리고 그런 교육의 핵심에 바로 독서와 작문이 있는 것이

다 이런 에서 아래에 제시된 읽기와 쓰기 독서와 작문에 을 맞

춘 하버드 학의 교육 목표는 여러 사회 여러 국가의 귀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인류 최 문화유산인 책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interpret a great humanistic text)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고 설득력 있

는 로 써 낼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compose a literate and persuasive essay)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21

4 결 론

독서는 요하다 독서는 한 개인의 지 ㆍ정의 성장에 요하고

사회의 운용과 유지 발 에 요하다 독서는 국가 차원에서도 요

하다 국민은 독서를 통해서 지식을 획득하고 지력도 높이고 지혜도

넓 간다 그래서 국민 개개인의 독서력 향상은 곧 국가의 지식과 지

력과 지혜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독서는 그만큼 개인 이고 사회 이

고 국가 이다 그래서 각국에서는 국민의 독서력 향상에 국가 심

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서의 요성과 독서 교육의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에서

는 아직도 독서에 해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기 되

는 만큼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학 입시에 억 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입시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독서를 억제시키기도

한다 교과서의 지식 암기를 학생의 사고력 신장보다 더 요시하고 있

는 실정이다

독서에 한 사회 인식도 아직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공공 도

서 은 태부족이고 설사 있다고 하더라고 그 실상이 무 라한 형편

이다 장서도 부족하고 일하는 사람도 부족한 편이다 도서 구입과 도

서 운 의 재원도 부족하며 도서 나름의 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

정이다

독서에 한 국가 차원의 심과 정책 개발도 아직 요원한 상태이

다 국민의 독서 권장을 한 법 제도 장치도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독서문화진흥법이 제정되기는 하 지만 그 세부 규정에

한 국가 시행 노력과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한때 우리나라는 새마을 운동으로 국가의 면모를 새롭게 바꾼 경험

이 있다 독서가 바로 제2의 새마을 운동이 될 수 있다 새마을 운동이

물리 환경 개선에 많이 치 되었던 에 비하면 독서는 그야말로 정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신 개 사고 개 의식 명 교육 신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요

한 운동이 될 수 있다

비용 면에서도 독서 운동은 의 새마을 운동보다 훨씬 은 재정

투입으로 훨씬 더 큰 개 을 가져올 수 있다 책 읽는 사회(reading

society)를 지향하고 독자의 나라(nation of readers)를 만들며 읽기와 쓰

기를 통해 민주주의(democracy)를 실 시키는 문식성의 기능(機能

functions)을 생각하면서 독서와 작문을 심으로 하는 문식성 교육의

진흥에 다 같이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 게 하기 해서는 먼 학교

교육이 문식성 심 교육으로 바 어야 한다 독서 이에 더하여 작문

은 우리 개인에게 우리 사회에 우리 국가에 우리 학교 교육에 그만큼

요하고 그만큼 실히 요구되는 우리 모두의 lsquo목표rsquo요 동시에 lsquo과

제rsquo인 것이다

Page 12: 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16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고 단하고 종합하고 평가하는 이 모든 사고 활동이 바로 받아들인

지식에 자신의 사고를 추가하는 고등 수 의 사고요 지혜(知慧)인 것

이다 가지고 있는 것을 더 명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로 지혜이며 그

런 에서 독서는 그 자체가 지식의 획득임과 동시에 지혜의 확장이다

34 독서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인간은 동물 수 의 한 사고(思 )도 하지만 때로는 신과도

같이 매우 높은 수 의 사고도 한다 그런 고등 수 의 사고 에서 가

장 높은 사고가 바로 인지 (超認知的 meta-cognitive) 사고이다 자

신의 사고를 들여다보면서 그것이 옳은지 그른지 바른 방향인지 아닌

지 등의 단을 하고 혹 잘못되었다고 생각할 경우에 이를 바로잡으려

는 수정이나 조정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바로 인지 사고이다 달

리 말해서 인지 사고는 lsquo자신의 앎의 과정을 알고 이를 조정해 내

는 사고rsquo인 것이다

라운(Brown)이라는 미국의 유명한 심리학자가 재미있는 실험 하

나를 했다 그녀는 공부를 잘하는 집단의 학생들과 공부를 잘하지 못하

는 집단의 학생들에게 각각 컴퓨터 화면의 한 편을 이 내용에

한 시험에 비하며 읽으라고 하 다 다음 날 연구자는 같은 집단

학생들에게 같은 을 주면서 이번에 다시 한 번 읽으라고 하 다 그

다음 날에도 연구자는 역시 같은 을 주고 읽으라고 하 다 이

게 세 번 을 읽히면서 연구자는 을 읽는 학생들의 동자 움직임

을 매우 성능이 좋은 이 카메라로 촬 하 고 동자 움직임의 유

형을 분석하 다

실험 결과는 놀라웠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처음 읽기에서는 그

의 매우 요한 부분에 많은 심을 보 다( 동자가 그런 부분에

더 오래 머물 다) 그리고 두 번째 읽을 때에는 첫 번째와는 달리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7

간 정도의 요한 정보에 동자를 오래 멈추었다 그리고 세 번째 읽

기에서는 숫자나 고유 명사와 같은 매우 세세한 부분에까지 주의를 기

울이며 읽었다 즉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는 기억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이고 아직 잘 모르고 있는 부분(기억하

지 못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단해 가며 이해와 기억에 효율 인

방법과 략으로 읽기를 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공부를 잘하지 못하는

학생들의 경우 세 번의 읽기에 나타난 동자 움직임의 유형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들은 처음 읽을 때나 세 번째 읽을 때 모두 의

요 부분에만 주의를 기울 다 달리 말해서 이들은 자신의 이해나

기억에 한 이해가 부족하고 따라서 자신의 읽기 과정을 효율 으로

조 하지 못한 것이다 효율 인 독서는 자기 통제력까지 갖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이 된다

35 독서는 고 수 의 교류 교감 설득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히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책에 쓰여 있는 문자 언어는

소멸되지 않고 그 자리에 그 로 남아 있다 그래서 을 읽는 독자는

시간에 쫓기지 않고 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독서 과정을 조 해 나

간다 천천히 읽기도 하고 내용을 음미하기도 하고 때로는 추리나 상

상도 하면서 여유 있게 을 읽는 것이다

독서는 독자와 필자의 만남이다 독서에서의 독자와 필자의 만남은

지극히 개인 인 만남이다 마치 화에서의 행동과도 같이 독자는 필

자의 을 그 로 받아들여 수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되묻듯이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 보기도 한다 읽은 을 기 자극과 자료로 활용하면

서 더 깊고 더 넓게 추리추론을 하고 비 을 하기도 한다

독서에서의 만남과 소통은 음성 언어를 통한 화에서의 소통보다

훨씬 고 스럽다 일반 생활에서의 만남은 체로 잘 아는 사람들 사이

1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의 만남이고 그래서 그 화는 서로 잘 아는 내용의 화가 되기 쉽

다 그런데 독서에서의 만남은 잘 알지 못하는 사람과의 만남이다 읽

는 도 체로 잘 알지 못하는 내용의 이다 그래서 이런 읽기에

는 세심한 주의( 기)와 높은 수 의 지 사고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독서에서의 만남은 지 사고의 수 이 높아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독서가 고 수 의 지 교류가 되는 것이다

독서에서 읽는 이 정보 심의 이 아닌 정서 심의 이라면

이런 읽기에서의 만남은 그야말로 인간 만남이 된다 분석과 비

과 평가 심의 설명문이나 정보문 읽기와는 달리 정서 인 읽기는

이해와 정과 공감의 심리 효과가 있다 그런 에서 독서는 공감

교류의 원동력도 되는 것이다

36 독서는 창의 직무 수행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서는 lsquo일하기rsquo이다 학생이 학교에서 교과서를 읽는 것은 학생의

본분인 lsquo공부하기rsquo이다 직장의 사무원이나 공무원이 직장에서 하는 독

서는 그 모두가 자신이 해야 할 일 즉 직무를 하는 것이다 공문서를

읽는 일 회의 자료를 만들기 해 자료를 읽고 수집하는 일 회의 결

과를 읽으며 다시 한 번 그 내용을 검하는 일 민원에 답하기 해

련 법 조항을 참조하거나 과거의 련 기록을 찾아보는 일 등 직장

에서 하는 읽기는 그 모두가 lsquo일하기rsquo인 것이다

직장에서의 독서 직장 일하기의 일환으로 하는 읽기는 과거의 것을

그 로 반복하는 읽기가 아니다 직장의 회의에서 다루는 주제나 문제

는 항상 새로운 주제ㆍ문제이다 새로 받아 읽는 공문서도 새로운 내용

의 공문서이다 민원도 과거의 민원과는 다른 새로운 민원이다 이 듯

하는 일 자체가 매일매일 새로운 일이기에 이 일의 처리를 한 읽기

도 매번 새로운 창의 읽기이다 그런 에서 직장에서의 읽기나 독서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9

는 항상 창의 인 직무 수행이 된다

직장에서의 직무 수행 독서는 담당 직 가 높을수록 더 깊고 넓은

창의 사고를 요구한다 어느 직장에서든지 그 조직에서 가장 아래에

치한 사람의 일은 머리를 사용하기보다는 근육을 더 필요로 하는 일

이기 쉽다 이런 일은 과거에 했던 일과 별반 차이가 없는 매우 반

복 인 일이기 쉽다 거기에는 깊은 생각도 높은 창의성도 그리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직장의 조직에서 높은 지 에 있는 사람이 하

는 일은 사뭇 다르다 이런 사람이 하는 일은 근육 일이 아니라 머리

를 써야 하는 일이다 즉 노동이 아니라 사고(思 )인 것이다 이런 사

람이 하는 일일수록 창의성도 더 많이 요구된다 한 번 잘못 단하게

되면 그 결과가 조직 체에 치명 일 수 있다 그래서 더 많이 더 깊

게 그리고 더 치 하게 분석하고 단해야 한다 직장에서의 독서가 바

로 그런 고 사고의 수단이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37 독서는 민주 사회 확립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한때는 을 읽을 수 있고 쓸 수 있는 능력

이 그 사회의 엘리트만의 독 물로 생각되었다 만일 농민이나 노동자

들이 을 깨치게 되면 이들이 일은 하지 않고 정치에 간섭만 하게 된

다고 생각하여 아 이들에게 읽기를 가르치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속 활자의 발명과 보 은 농민과 노동자들을 생각할 수 있고 단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바꾸어 놓는 결정 인 계기가 되었다 속 활자

의 발명으로 책이 량으로 생산되었고 책의 보편 보 으로 공교육

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지식과 정보가 체 국민

들에게 보편화되었고 한 을 읽고 쓰는 과정에서 의식과 단이 높

아지게 되었다 그 결과 농민과 노동자들의 읽기와 쓰기는 결국에는 엘

리트만의 건 사회를 무 뜨리고 민주 사회를 형성하는 정치ㆍ사회

2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변 까지 낳았다

부분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세계 부분의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교육의 최고의 목표를 읽기와 쓰기에 두고 있다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인권을 매우 요한 천부 권한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더 나아가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교육권도 매우 요

한 인권으로 인정하고 있다 의무 교육 연한을 최소한 고등학교까지 올

려 lsquo모든 국민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rsquo고 선언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문식권(文識權 Right to Read and Write)인 것이다 인권

은 한 개인이 자아의 필요와 사회의 요구에 히 응해 가며 살아

갈 수 있을 때에 보장되는데 교육이 바로 그런 인권 보장의 요한 수

단이 된다 그리고 그런 교육의 핵심에 바로 독서와 작문이 있는 것이

다 이런 에서 아래에 제시된 읽기와 쓰기 독서와 작문에 을 맞

춘 하버드 학의 교육 목표는 여러 사회 여러 국가의 귀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인류 최 문화유산인 책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interpret a great humanistic text)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고 설득력 있

는 로 써 낼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compose a literate and persuasive essay)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21

4 결 론

독서는 요하다 독서는 한 개인의 지 ㆍ정의 성장에 요하고

사회의 운용과 유지 발 에 요하다 독서는 국가 차원에서도 요

하다 국민은 독서를 통해서 지식을 획득하고 지력도 높이고 지혜도

넓 간다 그래서 국민 개개인의 독서력 향상은 곧 국가의 지식과 지

력과 지혜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독서는 그만큼 개인 이고 사회 이

고 국가 이다 그래서 각국에서는 국민의 독서력 향상에 국가 심

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서의 요성과 독서 교육의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에서

는 아직도 독서에 해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기 되

는 만큼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학 입시에 억 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입시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독서를 억제시키기도

한다 교과서의 지식 암기를 학생의 사고력 신장보다 더 요시하고 있

는 실정이다

독서에 한 사회 인식도 아직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공공 도

서 은 태부족이고 설사 있다고 하더라고 그 실상이 무 라한 형편

이다 장서도 부족하고 일하는 사람도 부족한 편이다 도서 구입과 도

서 운 의 재원도 부족하며 도서 나름의 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

정이다

독서에 한 국가 차원의 심과 정책 개발도 아직 요원한 상태이

다 국민의 독서 권장을 한 법 제도 장치도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독서문화진흥법이 제정되기는 하 지만 그 세부 규정에

한 국가 시행 노력과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한때 우리나라는 새마을 운동으로 국가의 면모를 새롭게 바꾼 경험

이 있다 독서가 바로 제2의 새마을 운동이 될 수 있다 새마을 운동이

물리 환경 개선에 많이 치 되었던 에 비하면 독서는 그야말로 정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신 개 사고 개 의식 명 교육 신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요

한 운동이 될 수 있다

비용 면에서도 독서 운동은 의 새마을 운동보다 훨씬 은 재정

투입으로 훨씬 더 큰 개 을 가져올 수 있다 책 읽는 사회(reading

society)를 지향하고 독자의 나라(nation of readers)를 만들며 읽기와 쓰

기를 통해 민주주의(democracy)를 실 시키는 문식성의 기능(機能

functions)을 생각하면서 독서와 작문을 심으로 하는 문식성 교육의

진흥에 다 같이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 게 하기 해서는 먼 학교

교육이 문식성 심 교육으로 바 어야 한다 독서 이에 더하여 작문

은 우리 개인에게 우리 사회에 우리 국가에 우리 학교 교육에 그만큼

요하고 그만큼 실히 요구되는 우리 모두의 lsquo목표rsquo요 동시에 lsquo과

제rsquo인 것이다

Page 13: 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7

간 정도의 요한 정보에 동자를 오래 멈추었다 그리고 세 번째 읽

기에서는 숫자나 고유 명사와 같은 매우 세세한 부분에까지 주의를 기

울이며 읽었다 즉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는 기억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이고 아직 잘 모르고 있는 부분(기억하

지 못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단해 가며 이해와 기억에 효율 인

방법과 략으로 읽기를 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공부를 잘하지 못하는

학생들의 경우 세 번의 읽기에 나타난 동자 움직임의 유형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들은 처음 읽을 때나 세 번째 읽을 때 모두 의

요 부분에만 주의를 기울 다 달리 말해서 이들은 자신의 이해나

기억에 한 이해가 부족하고 따라서 자신의 읽기 과정을 효율 으로

조 하지 못한 것이다 효율 인 독서는 자기 통제력까지 갖는 인지

사고의 원동력이 된다

35 독서는 고 수 의 교류 교감 설득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히 소멸해 버리는 음성 언어와 달리 책에 쓰여 있는 문자 언어는

소멸되지 않고 그 자리에 그 로 남아 있다 그래서 을 읽는 독자는

시간에 쫓기지 않고 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독서 과정을 조 해 나

간다 천천히 읽기도 하고 내용을 음미하기도 하고 때로는 추리나 상

상도 하면서 여유 있게 을 읽는 것이다

독서는 독자와 필자의 만남이다 독서에서의 독자와 필자의 만남은

지극히 개인 인 만남이다 마치 화에서의 행동과도 같이 독자는 필

자의 을 그 로 받아들여 수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되묻듯이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 보기도 한다 읽은 을 기 자극과 자료로 활용하면

서 더 깊고 더 넓게 추리추론을 하고 비 을 하기도 한다

독서에서의 만남과 소통은 음성 언어를 통한 화에서의 소통보다

훨씬 고 스럽다 일반 생활에서의 만남은 체로 잘 아는 사람들 사이

1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의 만남이고 그래서 그 화는 서로 잘 아는 내용의 화가 되기 쉽

다 그런데 독서에서의 만남은 잘 알지 못하는 사람과의 만남이다 읽

는 도 체로 잘 알지 못하는 내용의 이다 그래서 이런 읽기에

는 세심한 주의( 기)와 높은 수 의 지 사고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독서에서의 만남은 지 사고의 수 이 높아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독서가 고 수 의 지 교류가 되는 것이다

독서에서 읽는 이 정보 심의 이 아닌 정서 심의 이라면

이런 읽기에서의 만남은 그야말로 인간 만남이 된다 분석과 비

과 평가 심의 설명문이나 정보문 읽기와는 달리 정서 인 읽기는

이해와 정과 공감의 심리 효과가 있다 그런 에서 독서는 공감

교류의 원동력도 되는 것이다

36 독서는 창의 직무 수행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서는 lsquo일하기rsquo이다 학생이 학교에서 교과서를 읽는 것은 학생의

본분인 lsquo공부하기rsquo이다 직장의 사무원이나 공무원이 직장에서 하는 독

서는 그 모두가 자신이 해야 할 일 즉 직무를 하는 것이다 공문서를

읽는 일 회의 자료를 만들기 해 자료를 읽고 수집하는 일 회의 결

과를 읽으며 다시 한 번 그 내용을 검하는 일 민원에 답하기 해

련 법 조항을 참조하거나 과거의 련 기록을 찾아보는 일 등 직장

에서 하는 읽기는 그 모두가 lsquo일하기rsquo인 것이다

직장에서의 독서 직장 일하기의 일환으로 하는 읽기는 과거의 것을

그 로 반복하는 읽기가 아니다 직장의 회의에서 다루는 주제나 문제

는 항상 새로운 주제ㆍ문제이다 새로 받아 읽는 공문서도 새로운 내용

의 공문서이다 민원도 과거의 민원과는 다른 새로운 민원이다 이 듯

하는 일 자체가 매일매일 새로운 일이기에 이 일의 처리를 한 읽기

도 매번 새로운 창의 읽기이다 그런 에서 직장에서의 읽기나 독서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9

는 항상 창의 인 직무 수행이 된다

직장에서의 직무 수행 독서는 담당 직 가 높을수록 더 깊고 넓은

창의 사고를 요구한다 어느 직장에서든지 그 조직에서 가장 아래에

치한 사람의 일은 머리를 사용하기보다는 근육을 더 필요로 하는 일

이기 쉽다 이런 일은 과거에 했던 일과 별반 차이가 없는 매우 반

복 인 일이기 쉽다 거기에는 깊은 생각도 높은 창의성도 그리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직장의 조직에서 높은 지 에 있는 사람이 하

는 일은 사뭇 다르다 이런 사람이 하는 일은 근육 일이 아니라 머리

를 써야 하는 일이다 즉 노동이 아니라 사고(思 )인 것이다 이런 사

람이 하는 일일수록 창의성도 더 많이 요구된다 한 번 잘못 단하게

되면 그 결과가 조직 체에 치명 일 수 있다 그래서 더 많이 더 깊

게 그리고 더 치 하게 분석하고 단해야 한다 직장에서의 독서가 바

로 그런 고 사고의 수단이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37 독서는 민주 사회 확립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한때는 을 읽을 수 있고 쓸 수 있는 능력

이 그 사회의 엘리트만의 독 물로 생각되었다 만일 농민이나 노동자

들이 을 깨치게 되면 이들이 일은 하지 않고 정치에 간섭만 하게 된

다고 생각하여 아 이들에게 읽기를 가르치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속 활자의 발명과 보 은 농민과 노동자들을 생각할 수 있고 단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바꾸어 놓는 결정 인 계기가 되었다 속 활자

의 발명으로 책이 량으로 생산되었고 책의 보편 보 으로 공교육

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지식과 정보가 체 국민

들에게 보편화되었고 한 을 읽고 쓰는 과정에서 의식과 단이 높

아지게 되었다 그 결과 농민과 노동자들의 읽기와 쓰기는 결국에는 엘

리트만의 건 사회를 무 뜨리고 민주 사회를 형성하는 정치ㆍ사회

2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변 까지 낳았다

부분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세계 부분의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교육의 최고의 목표를 읽기와 쓰기에 두고 있다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인권을 매우 요한 천부 권한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더 나아가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교육권도 매우 요

한 인권으로 인정하고 있다 의무 교육 연한을 최소한 고등학교까지 올

려 lsquo모든 국민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rsquo고 선언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문식권(文識權 Right to Read and Write)인 것이다 인권

은 한 개인이 자아의 필요와 사회의 요구에 히 응해 가며 살아

갈 수 있을 때에 보장되는데 교육이 바로 그런 인권 보장의 요한 수

단이 된다 그리고 그런 교육의 핵심에 바로 독서와 작문이 있는 것이

다 이런 에서 아래에 제시된 읽기와 쓰기 독서와 작문에 을 맞

춘 하버드 학의 교육 목표는 여러 사회 여러 국가의 귀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인류 최 문화유산인 책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interpret a great humanistic text)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고 설득력 있

는 로 써 낼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compose a literate and persuasive essay)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21

4 결 론

독서는 요하다 독서는 한 개인의 지 ㆍ정의 성장에 요하고

사회의 운용과 유지 발 에 요하다 독서는 국가 차원에서도 요

하다 국민은 독서를 통해서 지식을 획득하고 지력도 높이고 지혜도

넓 간다 그래서 국민 개개인의 독서력 향상은 곧 국가의 지식과 지

력과 지혜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독서는 그만큼 개인 이고 사회 이

고 국가 이다 그래서 각국에서는 국민의 독서력 향상에 국가 심

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서의 요성과 독서 교육의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에서

는 아직도 독서에 해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기 되

는 만큼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학 입시에 억 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입시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독서를 억제시키기도

한다 교과서의 지식 암기를 학생의 사고력 신장보다 더 요시하고 있

는 실정이다

독서에 한 사회 인식도 아직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공공 도

서 은 태부족이고 설사 있다고 하더라고 그 실상이 무 라한 형편

이다 장서도 부족하고 일하는 사람도 부족한 편이다 도서 구입과 도

서 운 의 재원도 부족하며 도서 나름의 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

정이다

독서에 한 국가 차원의 심과 정책 개발도 아직 요원한 상태이

다 국민의 독서 권장을 한 법 제도 장치도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독서문화진흥법이 제정되기는 하 지만 그 세부 규정에

한 국가 시행 노력과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한때 우리나라는 새마을 운동으로 국가의 면모를 새롭게 바꾼 경험

이 있다 독서가 바로 제2의 새마을 운동이 될 수 있다 새마을 운동이

물리 환경 개선에 많이 치 되었던 에 비하면 독서는 그야말로 정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신 개 사고 개 의식 명 교육 신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요

한 운동이 될 수 있다

비용 면에서도 독서 운동은 의 새마을 운동보다 훨씬 은 재정

투입으로 훨씬 더 큰 개 을 가져올 수 있다 책 읽는 사회(reading

society)를 지향하고 독자의 나라(nation of readers)를 만들며 읽기와 쓰

기를 통해 민주주의(democracy)를 실 시키는 문식성의 기능(機能

functions)을 생각하면서 독서와 작문을 심으로 하는 문식성 교육의

진흥에 다 같이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 게 하기 해서는 먼 학교

교육이 문식성 심 교육으로 바 어야 한다 독서 이에 더하여 작문

은 우리 개인에게 우리 사회에 우리 국가에 우리 학교 교육에 그만큼

요하고 그만큼 실히 요구되는 우리 모두의 lsquo목표rsquo요 동시에 lsquo과

제rsquo인 것이다

Page 14: 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18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의 만남이고 그래서 그 화는 서로 잘 아는 내용의 화가 되기 쉽

다 그런데 독서에서의 만남은 잘 알지 못하는 사람과의 만남이다 읽

는 도 체로 잘 알지 못하는 내용의 이다 그래서 이런 읽기에

는 세심한 주의( 기)와 높은 수 의 지 사고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독서에서의 만남은 지 사고의 수 이 높아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독서가 고 수 의 지 교류가 되는 것이다

독서에서 읽는 이 정보 심의 이 아닌 정서 심의 이라면

이런 읽기에서의 만남은 그야말로 인간 만남이 된다 분석과 비

과 평가 심의 설명문이나 정보문 읽기와는 달리 정서 인 읽기는

이해와 정과 공감의 심리 효과가 있다 그런 에서 독서는 공감

교류의 원동력도 되는 것이다

36 독서는 창의 직무 수행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독서는 lsquo일하기rsquo이다 학생이 학교에서 교과서를 읽는 것은 학생의

본분인 lsquo공부하기rsquo이다 직장의 사무원이나 공무원이 직장에서 하는 독

서는 그 모두가 자신이 해야 할 일 즉 직무를 하는 것이다 공문서를

읽는 일 회의 자료를 만들기 해 자료를 읽고 수집하는 일 회의 결

과를 읽으며 다시 한 번 그 내용을 검하는 일 민원에 답하기 해

련 법 조항을 참조하거나 과거의 련 기록을 찾아보는 일 등 직장

에서 하는 읽기는 그 모두가 lsquo일하기rsquo인 것이다

직장에서의 독서 직장 일하기의 일환으로 하는 읽기는 과거의 것을

그 로 반복하는 읽기가 아니다 직장의 회의에서 다루는 주제나 문제

는 항상 새로운 주제ㆍ문제이다 새로 받아 읽는 공문서도 새로운 내용

의 공문서이다 민원도 과거의 민원과는 다른 새로운 민원이다 이 듯

하는 일 자체가 매일매일 새로운 일이기에 이 일의 처리를 한 읽기

도 매번 새로운 창의 읽기이다 그런 에서 직장에서의 읽기나 독서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9

는 항상 창의 인 직무 수행이 된다

직장에서의 직무 수행 독서는 담당 직 가 높을수록 더 깊고 넓은

창의 사고를 요구한다 어느 직장에서든지 그 조직에서 가장 아래에

치한 사람의 일은 머리를 사용하기보다는 근육을 더 필요로 하는 일

이기 쉽다 이런 일은 과거에 했던 일과 별반 차이가 없는 매우 반

복 인 일이기 쉽다 거기에는 깊은 생각도 높은 창의성도 그리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직장의 조직에서 높은 지 에 있는 사람이 하

는 일은 사뭇 다르다 이런 사람이 하는 일은 근육 일이 아니라 머리

를 써야 하는 일이다 즉 노동이 아니라 사고(思 )인 것이다 이런 사

람이 하는 일일수록 창의성도 더 많이 요구된다 한 번 잘못 단하게

되면 그 결과가 조직 체에 치명 일 수 있다 그래서 더 많이 더 깊

게 그리고 더 치 하게 분석하고 단해야 한다 직장에서의 독서가 바

로 그런 고 사고의 수단이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37 독서는 민주 사회 확립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한때는 을 읽을 수 있고 쓸 수 있는 능력

이 그 사회의 엘리트만의 독 물로 생각되었다 만일 농민이나 노동자

들이 을 깨치게 되면 이들이 일은 하지 않고 정치에 간섭만 하게 된

다고 생각하여 아 이들에게 읽기를 가르치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속 활자의 발명과 보 은 농민과 노동자들을 생각할 수 있고 단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바꾸어 놓는 결정 인 계기가 되었다 속 활자

의 발명으로 책이 량으로 생산되었고 책의 보편 보 으로 공교육

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지식과 정보가 체 국민

들에게 보편화되었고 한 을 읽고 쓰는 과정에서 의식과 단이 높

아지게 되었다 그 결과 농민과 노동자들의 읽기와 쓰기는 결국에는 엘

리트만의 건 사회를 무 뜨리고 민주 사회를 형성하는 정치ㆍ사회

2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변 까지 낳았다

부분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세계 부분의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교육의 최고의 목표를 읽기와 쓰기에 두고 있다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인권을 매우 요한 천부 권한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더 나아가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교육권도 매우 요

한 인권으로 인정하고 있다 의무 교육 연한을 최소한 고등학교까지 올

려 lsquo모든 국민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rsquo고 선언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문식권(文識權 Right to Read and Write)인 것이다 인권

은 한 개인이 자아의 필요와 사회의 요구에 히 응해 가며 살아

갈 수 있을 때에 보장되는데 교육이 바로 그런 인권 보장의 요한 수

단이 된다 그리고 그런 교육의 핵심에 바로 독서와 작문이 있는 것이

다 이런 에서 아래에 제시된 읽기와 쓰기 독서와 작문에 을 맞

춘 하버드 학의 교육 목표는 여러 사회 여러 국가의 귀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인류 최 문화유산인 책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interpret a great humanistic text)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고 설득력 있

는 로 써 낼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compose a literate and persuasive essay)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21

4 결 론

독서는 요하다 독서는 한 개인의 지 ㆍ정의 성장에 요하고

사회의 운용과 유지 발 에 요하다 독서는 국가 차원에서도 요

하다 국민은 독서를 통해서 지식을 획득하고 지력도 높이고 지혜도

넓 간다 그래서 국민 개개인의 독서력 향상은 곧 국가의 지식과 지

력과 지혜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독서는 그만큼 개인 이고 사회 이

고 국가 이다 그래서 각국에서는 국민의 독서력 향상에 국가 심

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서의 요성과 독서 교육의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에서

는 아직도 독서에 해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기 되

는 만큼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학 입시에 억 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입시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독서를 억제시키기도

한다 교과서의 지식 암기를 학생의 사고력 신장보다 더 요시하고 있

는 실정이다

독서에 한 사회 인식도 아직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공공 도

서 은 태부족이고 설사 있다고 하더라고 그 실상이 무 라한 형편

이다 장서도 부족하고 일하는 사람도 부족한 편이다 도서 구입과 도

서 운 의 재원도 부족하며 도서 나름의 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

정이다

독서에 한 국가 차원의 심과 정책 개발도 아직 요원한 상태이

다 국민의 독서 권장을 한 법 제도 장치도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독서문화진흥법이 제정되기는 하 지만 그 세부 규정에

한 국가 시행 노력과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한때 우리나라는 새마을 운동으로 국가의 면모를 새롭게 바꾼 경험

이 있다 독서가 바로 제2의 새마을 운동이 될 수 있다 새마을 운동이

물리 환경 개선에 많이 치 되었던 에 비하면 독서는 그야말로 정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신 개 사고 개 의식 명 교육 신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요

한 운동이 될 수 있다

비용 면에서도 독서 운동은 의 새마을 운동보다 훨씬 은 재정

투입으로 훨씬 더 큰 개 을 가져올 수 있다 책 읽는 사회(reading

society)를 지향하고 독자의 나라(nation of readers)를 만들며 읽기와 쓰

기를 통해 민주주의(democracy)를 실 시키는 문식성의 기능(機能

functions)을 생각하면서 독서와 작문을 심으로 하는 문식성 교육의

진흥에 다 같이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 게 하기 해서는 먼 학교

교육이 문식성 심 교육으로 바 어야 한다 독서 이에 더하여 작문

은 우리 개인에게 우리 사회에 우리 국가에 우리 학교 교육에 그만큼

요하고 그만큼 실히 요구되는 우리 모두의 lsquo목표rsquo요 동시에 lsquo과

제rsquo인 것이다

Page 15: 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19

는 항상 창의 인 직무 수행이 된다

직장에서의 직무 수행 독서는 담당 직 가 높을수록 더 깊고 넓은

창의 사고를 요구한다 어느 직장에서든지 그 조직에서 가장 아래에

치한 사람의 일은 머리를 사용하기보다는 근육을 더 필요로 하는 일

이기 쉽다 이런 일은 과거에 했던 일과 별반 차이가 없는 매우 반

복 인 일이기 쉽다 거기에는 깊은 생각도 높은 창의성도 그리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직장의 조직에서 높은 지 에 있는 사람이 하

는 일은 사뭇 다르다 이런 사람이 하는 일은 근육 일이 아니라 머리

를 써야 하는 일이다 즉 노동이 아니라 사고(思 )인 것이다 이런 사

람이 하는 일일수록 창의성도 더 많이 요구된다 한 번 잘못 단하게

되면 그 결과가 조직 체에 치명 일 수 있다 그래서 더 많이 더 깊

게 그리고 더 치 하게 분석하고 단해야 한다 직장에서의 독서가 바

로 그런 고 사고의 수단이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37 독서는 민주 사회 확립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한때는 을 읽을 수 있고 쓸 수 있는 능력

이 그 사회의 엘리트만의 독 물로 생각되었다 만일 농민이나 노동자

들이 을 깨치게 되면 이들이 일은 하지 않고 정치에 간섭만 하게 된

다고 생각하여 아 이들에게 읽기를 가르치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속 활자의 발명과 보 은 농민과 노동자들을 생각할 수 있고 단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바꾸어 놓는 결정 인 계기가 되었다 속 활자

의 발명으로 책이 량으로 생산되었고 책의 보편 보 으로 공교육

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지식과 정보가 체 국민

들에게 보편화되었고 한 을 읽고 쓰는 과정에서 의식과 단이 높

아지게 되었다 그 결과 농민과 노동자들의 읽기와 쓰기는 결국에는 엘

리트만의 건 사회를 무 뜨리고 민주 사회를 형성하는 정치ㆍ사회

2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변 까지 낳았다

부분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세계 부분의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교육의 최고의 목표를 읽기와 쓰기에 두고 있다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인권을 매우 요한 천부 권한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더 나아가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교육권도 매우 요

한 인권으로 인정하고 있다 의무 교육 연한을 최소한 고등학교까지 올

려 lsquo모든 국민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rsquo고 선언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문식권(文識權 Right to Read and Write)인 것이다 인권

은 한 개인이 자아의 필요와 사회의 요구에 히 응해 가며 살아

갈 수 있을 때에 보장되는데 교육이 바로 그런 인권 보장의 요한 수

단이 된다 그리고 그런 교육의 핵심에 바로 독서와 작문이 있는 것이

다 이런 에서 아래에 제시된 읽기와 쓰기 독서와 작문에 을 맞

춘 하버드 학의 교육 목표는 여러 사회 여러 국가의 귀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인류 최 문화유산인 책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interpret a great humanistic text)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고 설득력 있

는 로 써 낼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compose a literate and persuasive essay)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21

4 결 론

독서는 요하다 독서는 한 개인의 지 ㆍ정의 성장에 요하고

사회의 운용과 유지 발 에 요하다 독서는 국가 차원에서도 요

하다 국민은 독서를 통해서 지식을 획득하고 지력도 높이고 지혜도

넓 간다 그래서 국민 개개인의 독서력 향상은 곧 국가의 지식과 지

력과 지혜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독서는 그만큼 개인 이고 사회 이

고 국가 이다 그래서 각국에서는 국민의 독서력 향상에 국가 심

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서의 요성과 독서 교육의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에서

는 아직도 독서에 해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기 되

는 만큼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학 입시에 억 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입시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독서를 억제시키기도

한다 교과서의 지식 암기를 학생의 사고력 신장보다 더 요시하고 있

는 실정이다

독서에 한 사회 인식도 아직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공공 도

서 은 태부족이고 설사 있다고 하더라고 그 실상이 무 라한 형편

이다 장서도 부족하고 일하는 사람도 부족한 편이다 도서 구입과 도

서 운 의 재원도 부족하며 도서 나름의 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

정이다

독서에 한 국가 차원의 심과 정책 개발도 아직 요원한 상태이

다 국민의 독서 권장을 한 법 제도 장치도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독서문화진흥법이 제정되기는 하 지만 그 세부 규정에

한 국가 시행 노력과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한때 우리나라는 새마을 운동으로 국가의 면모를 새롭게 바꾼 경험

이 있다 독서가 바로 제2의 새마을 운동이 될 수 있다 새마을 운동이

물리 환경 개선에 많이 치 되었던 에 비하면 독서는 그야말로 정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신 개 사고 개 의식 명 교육 신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요

한 운동이 될 수 있다

비용 면에서도 독서 운동은 의 새마을 운동보다 훨씬 은 재정

투입으로 훨씬 더 큰 개 을 가져올 수 있다 책 읽는 사회(reading

society)를 지향하고 독자의 나라(nation of readers)를 만들며 읽기와 쓰

기를 통해 민주주의(democracy)를 실 시키는 문식성의 기능(機能

functions)을 생각하면서 독서와 작문을 심으로 하는 문식성 교육의

진흥에 다 같이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 게 하기 해서는 먼 학교

교육이 문식성 심 교육으로 바 어야 한다 독서 이에 더하여 작문

은 우리 개인에게 우리 사회에 우리 국가에 우리 학교 교육에 그만큼

요하고 그만큼 실히 요구되는 우리 모두의 lsquo목표rsquo요 동시에 lsquo과

제rsquo인 것이다

Page 16: 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20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변 까지 낳았다

부분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세계 부분의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교육의 최고의 목표를 읽기와 쓰기에 두고 있다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인권을 매우 요한 천부 권한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더 나아가 민주 사회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교육권도 매우 요

한 인권으로 인정하고 있다 의무 교육 연한을 최소한 고등학교까지 올

려 lsquo모든 국민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rsquo고 선언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문식권(文識權 Right to Read and Write)인 것이다 인권

은 한 개인이 자아의 필요와 사회의 요구에 히 응해 가며 살아

갈 수 있을 때에 보장되는데 교육이 바로 그런 인권 보장의 요한 수

단이 된다 그리고 그런 교육의 핵심에 바로 독서와 작문이 있는 것이

다 이런 에서 아래에 제시된 읽기와 쓰기 독서와 작문에 을 맞

춘 하버드 학의 교육 목표는 여러 사회 여러 국가의 귀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인류 최 문화유산인 책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interpret a great humanistic text)

ldquo우리 하버드 학의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고 설득력 있

는 로 써 낼 수 있어야 한다rdquo (All of our students should know

how to compose a literate and persuasive essay)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21

4 결 론

독서는 요하다 독서는 한 개인의 지 ㆍ정의 성장에 요하고

사회의 운용과 유지 발 에 요하다 독서는 국가 차원에서도 요

하다 국민은 독서를 통해서 지식을 획득하고 지력도 높이고 지혜도

넓 간다 그래서 국민 개개인의 독서력 향상은 곧 국가의 지식과 지

력과 지혜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독서는 그만큼 개인 이고 사회 이

고 국가 이다 그래서 각국에서는 국민의 독서력 향상에 국가 심

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서의 요성과 독서 교육의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에서

는 아직도 독서에 해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기 되

는 만큼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학 입시에 억 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입시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독서를 억제시키기도

한다 교과서의 지식 암기를 학생의 사고력 신장보다 더 요시하고 있

는 실정이다

독서에 한 사회 인식도 아직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공공 도

서 은 태부족이고 설사 있다고 하더라고 그 실상이 무 라한 형편

이다 장서도 부족하고 일하는 사람도 부족한 편이다 도서 구입과 도

서 운 의 재원도 부족하며 도서 나름의 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

정이다

독서에 한 국가 차원의 심과 정책 개발도 아직 요원한 상태이

다 국민의 독서 권장을 한 법 제도 장치도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독서문화진흥법이 제정되기는 하 지만 그 세부 규정에

한 국가 시행 노력과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한때 우리나라는 새마을 운동으로 국가의 면모를 새롭게 바꾼 경험

이 있다 독서가 바로 제2의 새마을 운동이 될 수 있다 새마을 운동이

물리 환경 개선에 많이 치 되었던 에 비하면 독서는 그야말로 정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신 개 사고 개 의식 명 교육 신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요

한 운동이 될 수 있다

비용 면에서도 독서 운동은 의 새마을 운동보다 훨씬 은 재정

투입으로 훨씬 더 큰 개 을 가져올 수 있다 책 읽는 사회(reading

society)를 지향하고 독자의 나라(nation of readers)를 만들며 읽기와 쓰

기를 통해 민주주의(democracy)를 실 시키는 문식성의 기능(機能

functions)을 생각하면서 독서와 작문을 심으로 하는 문식성 교육의

진흥에 다 같이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 게 하기 해서는 먼 학교

교육이 문식성 심 교육으로 바 어야 한다 독서 이에 더하여 작문

은 우리 개인에게 우리 사회에 우리 국가에 우리 학교 교육에 그만큼

요하고 그만큼 실히 요구되는 우리 모두의 lsquo목표rsquo요 동시에 lsquo과

제rsquo인 것이다

Page 17: 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특집독서와 국어 능력 21

4 결 론

독서는 요하다 독서는 한 개인의 지 ㆍ정의 성장에 요하고

사회의 운용과 유지 발 에 요하다 독서는 국가 차원에서도 요

하다 국민은 독서를 통해서 지식을 획득하고 지력도 높이고 지혜도

넓 간다 그래서 국민 개개인의 독서력 향상은 곧 국가의 지식과 지

력과 지혜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독서는 그만큼 개인 이고 사회 이

고 국가 이다 그래서 각국에서는 국민의 독서력 향상에 국가 심

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서의 요성과 독서 교육의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에서

는 아직도 독서에 해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기 되

는 만큼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학 입시에 억 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입시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여 독서를 억제시키기도

한다 교과서의 지식 암기를 학생의 사고력 신장보다 더 요시하고 있

는 실정이다

독서에 한 사회 인식도 아직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공공 도

서 은 태부족이고 설사 있다고 하더라고 그 실상이 무 라한 형편

이다 장서도 부족하고 일하는 사람도 부족한 편이다 도서 구입과 도

서 운 의 재원도 부족하며 도서 나름의 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

정이다

독서에 한 국가 차원의 심과 정책 개발도 아직 요원한 상태이

다 국민의 독서 권장을 한 법 제도 장치도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독서문화진흥법이 제정되기는 하 지만 그 세부 규정에

한 국가 시행 노력과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한때 우리나라는 새마을 운동으로 국가의 면모를 새롭게 바꾼 경험

이 있다 독서가 바로 제2의 새마을 운동이 될 수 있다 새마을 운동이

물리 환경 개선에 많이 치 되었던 에 비하면 독서는 그야말로 정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신 개 사고 개 의식 명 교육 신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요

한 운동이 될 수 있다

비용 면에서도 독서 운동은 의 새마을 운동보다 훨씬 은 재정

투입으로 훨씬 더 큰 개 을 가져올 수 있다 책 읽는 사회(reading

society)를 지향하고 독자의 나라(nation of readers)를 만들며 읽기와 쓰

기를 통해 민주주의(democracy)를 실 시키는 문식성의 기능(機能

functions)을 생각하면서 독서와 작문을 심으로 하는 문식성 교육의

진흥에 다 같이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 게 하기 해서는 먼 학교

교육이 문식성 심 교육으로 바 어야 한다 독서 이에 더하여 작문

은 우리 개인에게 우리 사회에 우리 국가에 우리 학교 교육에 그만큼

요하고 그만큼 실히 요구되는 우리 모두의 lsquo목표rsquo요 동시에 lsquo과

제rsquo인 것이다

Page 18: 독서의 개념과 기능 - korean.go.kr · 18.0 성체 시작 있음 있음 없음 13.5 45.0 64.0 47.0 1.10 1.35 1.35 0.45 이 자료에서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22 새국어생활 제22권 제4호(2012년 겨울)

신 개 사고 개 의식 명 교육 신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요

한 운동이 될 수 있다

비용 면에서도 독서 운동은 의 새마을 운동보다 훨씬 은 재정

투입으로 훨씬 더 큰 개 을 가져올 수 있다 책 읽는 사회(reading

society)를 지향하고 독자의 나라(nation of readers)를 만들며 읽기와 쓰

기를 통해 민주주의(democracy)를 실 시키는 문식성의 기능(機能

functions)을 생각하면서 독서와 작문을 심으로 하는 문식성 교육의

진흥에 다 같이 매진해야 할 것이다 그 게 하기 해서는 먼 학교

교육이 문식성 심 교육으로 바 어야 한다 독서 이에 더하여 작문

은 우리 개인에게 우리 사회에 우리 국가에 우리 학교 교육에 그만큼

요하고 그만큼 실히 요구되는 우리 모두의 lsquo목표rsquo요 동시에 lsquo과

제rsquo인 것이다